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72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수학영역

정답과
풀이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1~4).indd 1 2021-04-09 오후 2:31:32


EBS FINAL 수학영역

f(x)-f(1) (bxÛ`+5)-(b+5)
lim ‌= lim ‌
x-1 x-1
1
x Ú1+ x Ú1+


회 EBS FINAL 수학영역 b(x+1)(x-1)


본문 03~18쪽 = lim ‌
x Ú1+ x-1

= lim b(x+1) ‌
01 ② 02 ① 03 ④ 04 ⑤ 05 ④ x Ú1+

=2b
06 ③ 07 ② 08 ④ 09 ① 10 ③
f(x)-f(1) (xÜ`+a)-(b+5)
lim ‌= lim ‌
x Ú1- x-1 x Ú1- x-1


11 ① 12 ⑤ 13 ④ 14 ⑤ 15 ②
(xÜ`+b+4)-(b+5)
= lim ‌
16 32 17 24 18 6 19 13 20 80 x Ú1- x-1

(x-1)(xÛ`+x+1)
21 21 22 30 = lim ‌
x Ú1- x-1

= lim (xÛ`+x+1) ‌
확률과 통계 23 ② 24 ① 25 ③ 26 ⑤ x Ú1-

=3
27 ④ 28 ② 29 128 30 112
이므로 2b=3에서
23 ④ 24 ① 25 ③ 26 ②
b=;2#;
미적분

27 ⑤ 28 ① 29 10 30 50
b=;2#;을 ㉠에 대입하면
기하 23 ② 24 ⑤ 25 ③ 26 ①
a=;2#;+4=;;Á2Á;;
27 ④ 28 ⑤ 29 15 30 120
따라서
a+b=;;Á2Á;;+;2#;=7

01 ⑤

Ü`'¶16_4-;6&;‌=Ü`"2Ý`_(2Û`)-;6&;


      =2;3$;_2-;3&;=2;3$;+{-;3&;}

      =2-1=;2!;

②
05
lim `f(x)=2, lim `g(x)=-1이므로
x Ú0- x Ú0-

lim `f(x)g(x)= lim `f(x)_ lim `g(x)=2_(-1)=-2


x Ú0- x Ú0- x Ú0-

02 lim `f(x)=3, lim `g(x)=1이므로

:!2 x(3x+2a)dx=:!2 (3xÛ`+2ax)dx


x Ú1+ x Ú1+

lim `f(x)
f(x) x Ú1+

=[xÜ`+axÛ`]2!
lim = =;1#;=3
x Ú1+ g(x) lim g(x)
        
x Ú1+

         =(8+4a)-(1+a) 따라서


=7+3a f(x)
        

lim `f(x)g(x)+ lim =-2+3=1


x Ú0- x Ú1+ g(x)
이므로
④
7+3a=31
따라서 a=8
①

03 06
p
p ∠CAB=h{0<h< 2 }라 하면
cos`{x- }=sin`x
2
삼각형 ABC의 넓이가 5'5이므로
sin`(x+p)=-sin`x
;2!;_ABÓ_ACÓ_sin`h=5'5
이므로
p ;2!;_6_5_sin`h=5'5
f(x)‌=2 cos`{x- }+sin`(x+p)+3 ‌
2


=2 sin`x-sin`x+3 ‌ '5
sin`h= yy ㉠
3
  

=sin`x+3
p
이때, -1Ésin`xÉ1이므로 0<h< 이므로
2
2Éf(x)É4 cos`h>0 yy ㉡    

따라서 함수 f(x)의 최댓값은 4이다. ㉠, ㉡에서


④ cos`h="Ã1-sin2`h
‌

'5
=¾¨1-{ }2
3
04
   

=
2
3
   

함수 f(x)가 x=1에서 미분가능하므로 x=1에서 연속이다.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해
lim (bxÛ`+5)= lim (xÜ`+a)=f(1)에서
x Ú1+ x Ú1- BCÓ Û`‌=ABÓ Û`+ACÓ Û`-2_ABÓ_ACÓ_cos`h
 ‌
b+5=1+a 2
=6Û`+5Û`-2_6_5_ ‌
a=b+4    …… ㉠ 3
함수 f(x)가 x=1에서 미분가능하므로 =21
f(x)-f(1) f(x)-f(1) 따라서
lim = lim
x Ú1+ x-1 x Ú1- x-1 BCÓ='¶21
이다. ③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2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1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1~4).indd 2 2021-04-09 오후 2:31:34


EBS FINAL 수학영역

07 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에서 xÜ`-3xÛ`=k
점 P의 시각 t에서의 가속도를 a(t)라 하면 f(x)=xÜ`-3xÛ`이라 하면
a(t)=v'(t)=6t-k f '(x)=3xÛ`-6x
a(1)=6-k=0에서 f '(x)=0에서
k=6 3xÛ`-6x=0
따라서 점 P가 시각 t=1에서 t=6까지 움직인 거리는

:!6 |v(t)|dt
3x(x-2)=0
x=0 또는 x=2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6 |3tÛ`-6t|dt
x y 0 y 2 y
=:!2 (-3tÛ`+6t)dt+:@6 (3tÛ`-6t)dt f '(x) + 0 - 0 +

=[-tÜ`+3tÛ`]2!+[tÜ`-3tÛ`]6@
f(x) ↗ 0 ↘ -4 ↗

㉠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려면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k가 서


=2+112
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야 하므로
=114
k=0 또는 k=-4
②
이때 k+0이므로
k=-4

08 두 곡선 y=xÜ`-2xÛ`, y=xÛ`-4에서


xÜ`-2xÛ`=xÛ`-4
f '(x)‌=(x-a)Û`+2(x+1)(x-a) ‌

xÜ`-3xÛ`+4=0
=(x-a)(3x-a+2)
(x-2)Û`(x+1)=0
f '(x)=0에서
x=2 또는 x=-1
a-2
x=a 또는 x=
3 따라서 두 곡선 y=xÜ`-2xÛ`, y=xÛ`-4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_2! |(xÜ`-2xÛ`)-(xÛ`-4)|dx=:_2! (xÜ`-3xÛ`+4)dx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4!;xÝ`-xÜ`+4x]2_!
x y a-2 y a y
3
             
f '(x) + 0 - 0 + =4-{-;;Á4Á;;}
}3`
             
a+1
f(x) ↗ 4{ ↘ 0 ↗
3 =;;ª4¦;;
             
함수 f(x)의 극댓값이 32이므로 ③

}3`=32에서
a+1
4{
3
{ }3`=8,
a+1 a+1
=2
11
3 3
a=5
따라서 f(x)=(x+1)(x-5)Û`이므로 f(0)=2â`+1=2
f(3)=(3+1)(3-5)Û`=16 g(0)={;2!;}- 3`+3=11
④
이므로
A(0, 2), B(0, 11)
09 f(x)=g(x)에서

2x+1={;2!;}
x-3
Ú n=2일 때, +3

(좌변)={1+;3!;}{1+;6!;}=;;Á9¢;; (2 )Û`-2_2 -8=0 x x

(우변)=2 (2x+2)(2x-4)=0

이므로 (  )이 성립한다. 2x>0이므로


Û n=k(k¾2)일 때, ( 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2x=4
1 x=2
{1+;3!;}{1+;6!;}{1+;9!;}`y`{1+ 3k }<k yy ㉠
이때, f(2)=2Û`+1=5이므로
  
1 C(2, 5)
㉠의 양변에 1+ 3k+3 을 곱하면
p
1 1 점 C에서 y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CAH=h`{0<h< 2 }라 하면
{1+;3!;}{1+;6!;}{1+;9!;}`y`{1+ 3k }{1+ 3k+3 }
CHÓ=2
ACÓ="Ã(2-0)Û`+(5-2)Û`='¶13
k(3k+4)
}=
1
<k{1+
3k+3 3k+3

CHÓ 2
sin`h= =
이때, (k+1)-
k(3k+4)
=
2k+3
>0 ACÓ '¶13
3k+3 3k+3
BCÓ="Ã(2-0)Û`+(5-11)Û`=2'¶10
이므로 n=k+1일 때도 (  )이 성립한다.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Ú, Û에 의하여 n¾2인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  )이 성립한다.
사인법칙에 의해
이상에서 f(k)=k(3k+4), g(k)=2k+3이므로
BCÓ 2'¶10
f(15) 15_49 =2R, 즉 =2R에서
= 21 =35 sin`h 2
'¶13
g(9)
①
'¶130
R=
2

10 따라서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넓이는

p_RÛ`=p_{
'¶130
}2`=;;¤2°;;p
두 곡선 y=xÜ`-2xÛ`, y=xÛ`+k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방정식 2
xÜ`-2xÛ`=xÛ`+k yy ㉠ ①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3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1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1~4).indd 3 2021-04-09 오후 2:31:34


EBS FINAL 수학영역

12 구간 [4n-2, 4n]에서 함수 y=-sin`(npx)의 그래프와 직선 y=


1
2
이 만나
f(x) 는 점의 x좌표의 값 중 가장 작은 값과 가장 큰 값의 합을 i(n)이라 하면
조건 (가)에서 lim =0이므로 f(x)는 3차 이하의 다항함수이다.
xÝ`x Ú¦

f(x) i(n)=8n-2+ 1
n
조건 (나)에서 lim n =(-1)n
x Ú¦ 3x `-xÛ`
y=f(x)
Ú n=1일 때, y=;2!;
4n-2
f(x) 4n x
lim =-1
x Ú¦ 3x-xÛ`
이고, 조건 (다)에서 따라서

Á g(k)
f(x) 20
lim =p이므로 f(x)=xÛ`이다.
x Ú0 xÛ`

= Á {h(k)+i(k)}
k=1

이때 10

= Á [{8k-6- 1 }+{8k-2+ 1 }]
f(x) xÛ` k=1
p=lim =lim =1
x Ú0 xÛ` x Ú0 xÛ` 10

k k
= Á (16k-8)
f(2)=4 k=1

10
Û n=2일 때, k=1

f(x) f(x)
lim =lim =1 =16_ 10_11 -8_10
x Ú¦ 3xÛ`-xÛ` x Ú¦ 2xÛ` 2
이고, 조건 (다)에서 =800
f(x) ④
lim =p이므로 f(x)=2xÛ`이다.
x Ú0 xÛ`
이때
f(x) 2xÛ`
p=lim =lim =2
x Ú0 xÛ` x Ú0 xÛ`

f(2)=8

Ü n=3일 때,
14
ㄱ. f(x)+xf '(x)=3xÛ`-4x에서
f(x)
lim =-1 {xf(x)}'=3xÛ`-4x이므로
x Ú¦ 3xÜ`-xÛ`

이고, 조건 (다)에서 xf(x)=: (3xÛ`-4x)dx


f(x) 즉, xf(x)=xÜ`-2xÛ`+C (C는 적분상수) yy ㉠
lim =p
x Ú0

  
xÛ`
㉠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이므로 f(x)=-3xÜ`+axÛ` (a는 상수)이다.
C=0
이때,
C=0을 ㉠에 대입하면
f(x) -3xÜ`+axÛ`
p=lim =lim =lim (-3x+a)=a xf(x)=xÜ`-2xÛ`
x Ú0 xÛ` x Ú0 xÛ` x Ú0

f(2)=-24+4a 따라서 f(x)=xÛ`-2x이므로


Ý n¾4일 때, f(1)=-1 (참)

lim
f(x)
=0+(-1)n ㄴ. g(0)‌=:_0@ |f(t)|dt ‌

=:_0@ (tÛ`-2t)dt

x Ú¦ 3xn-xÛ`
이므로 조건 (나)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

=[ tÜ`-tÛ`]0_@
Ú~Ý에서 1

p=1 또는 p=2 또는 p=a 3
20
모든 상수 p의 값의 합이 6이므로 = (참)
3

ㄷ. g(x)‌=:?/_@ |f(t)|dt에서
1+2+a=6
a=3

Ú xÉ0일 때,

g(x)‌=:?/_@ |f(t)|dt ‌
따라서 f(2)의 최솟값은
-24+4_3=-12

=:?/_@ (tÛ`-2t)dt‌


⑤

=[ tÜ`-tÛ`]/?_@
1

3
20
=2xÛ`-8x+
3

13
Û 0<xÉ2일 때,

g(x)‌=:?/_@ |f(t)|dt ‌

=:?0_@ (tÛ`-2t)dt+:)/ (-tÛ`+2t)dt ‌


함수 y=sin`(npx)의 주기는


2p 2
=

=[ tÜ`-tÛ`]0?_@+[- tÜ`+tÛ`]/)
np n
1 1 1
구간 [4n-4, 4n-2]에서 함수 y=sin`(npx)의 그래프와 직선 y= 이 만나 ‌
2 3 3

=-;3@;xÜ`+4xÛ`-8x+
는 점의 x좌표의 값 중 가장 작은 값과 가장 큰 값의 합을 h(n)이라 하면 20
3
h(n)=8n-6- 1 Ü 2<x<4일 때,

g(x)‌=:?/_@ |f(t)|dt ‌
n
y=f(x)

=:?2_@ (-tÛ`+2t)dt+:@/ (tÛ`-2t)dt ‌




y=;2!;
4n-2
4n-4 x

=[-;3!;tÜ`+tÛ`]2?_@+[ tÜ`-tÛ`]/@
1
함수 y=-sin (npx)의 주기는 ‌
3
2p 2 2
= = xÜ`-4xÛ`+8x-4
np n 3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4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1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1~4).indd 4 2021-04-09 오후 2:31:35


EBS FINAL 수학영역

Ý x¾4일 때, 2aÁ=6

g(x)‌=:?/_@ |f(t)|dt ‌


aÁ=logª`6


=:?/_@ (tÛ`-2t)dt‌


이때 0<aÁ<5이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킨다.


Ú, Û에서

=[ tÜ`-tÛ`]/?_@
aÁ=logª`6
1
‌ aª=logª`7
3
20 a£=3
=2xÛ`-8x+
3 a¢=logª (3+2)=logª`5
Ú~Ý에서 a°=logª (2logª`5+1)=logª (5+1)=logª`6

[
2xÛ`-8x+ 20 (xÉ0 또는 x¾4) a¤=logª (2logª`6+1)=logª (6+1)=logª`7
3
 
a¦=logª (2logª`7+1)=logª (7+1)=3
2 xÜ`+4xÛ`-8x+ 20
g(x)= - 3 3
(0<xÉ2)

2 이므로
xÜ`-4xÛ`+8x-4 (2<x<4)
3
  
an=an+4 (n은 자연수)
이때
am=logª`7, am+1=3일 때, aÁ+am+am+1은 최댓값을 갖는다.
4(x-2) (x<0 또는 x>4)
[
aÁ+am+am+1Élogª`6+logª`7+3 ‌
  
g'(x)= -2(x-2)Û` (0<x<2)


=logª`336
2(x-2)Û` (2<x<4)
따라서 구하는 최댓값은 logª`336
  
이므로 함수 g(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②
x y 2 y
g '(x) - 0 +
g(x) ↘ ;3$; ↗
16
함수 g(x)는 x=2에서 극소이고, 동시에 최솟값을 갖는다. f '(x)=3xÛ`+10x이므로
4 f '(2)‌=3_2Û`+10_2 ‌
따라서 함수 g(x)의 최솟값은 g(2)= 3 이다. (참)

=32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 32
⑤

15 17
등비수열 {an}의 공비를 r라 하면
0<aÁ<5이고 a£=3이므로
2a4=a7에서
Ú aª가 자연수일 때,
2a4=a4_r3
a£=logª (aª+2)에서
r3=2
3=logª (aª+2)
따라서
aª+2=2Ü`
a8=a2_r6=a2_(r3)Û`=6_2Û`=24
aª=6
 24
① aÁ이 자연수일 때,
aª=logª (aÁ+2)에서

6=logª (aÁ+2)

18

aÁ+2=2ß`

aÁ=62

로그의 진수 조건에 의하여
이때 aÁ¾5이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4!;xÛ`-1>0

② aÁ이 자연수가 아닐 때,

aª=logª (2 +1)에서 xÛ`>4

6=logª (2aÁ+1) x<-2 또는 x>2 yy ㉠

  
2aÁ+1=2ß
log° {;4!;xÛ`-1}+log°`4É2에서

2aÁ=63

aÁ=logª`63 log° (xÛ`-4)Élog°`25

이때 aÁ¾5이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xÛ`-4É25

Û aª가 자연수가 아닐 때, xÛ`É29
a£=logª (2 +1)에서aª -'¶29ÉxÉ'¶29 yy ㉡
  
3=logª (2aª+1) ㉠, ㉡에서

2 +1=2Ü` -'¶29Éx<-2 또는 2<xÉ'¶29
2aª=7 따라서 정수 x는 -5, -4, -3, 3, 4, 5이고, 그 개수는 6이다.
aª=logª`7 6
① aÁ이 자연수일 때,
aª=logª (aÁ+2)에서

logª`7=logª (aÁ+2)
19

7=aÁ+2

aÁ=5 log¢`a+log;2!;`b‌=log¢`a-logª`b ‌


이때 aÁ¾5이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a
=log¢`
bÛ`

② aÁ이 자연수가 아닐 때,
a
aª=logª (2aÁ+1)에서 log¢` 가 4의 양의 약수이므로
bÛ`

logª`7=logª(2aÁ+1) a a a
log¢` =1 또는 log¢` =2 또는 log¢` =4

7=2aÁ+1 bÛ` bÛ` bÛ`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5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1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1~4).indd 5 2021-04-09 오후 2:31:35


EBS FINAL 수학영역

a aÁ=5-3_(-3)=14
Ú log¢` =1일 때,
bÛ` an=14+(n-1)_(-3)=-3n+17
a
=4, 즉 a=4bÛ` yy ㉠ an>0에서
bÛ`
  
-3n+17>0
㉠을 만족시키는 100 이하의 두 자연수 a, b의 순서쌍 (a, b)는
(4, 1), (16, 2), (36, 3), (64, 4), (100, 5) n<;;Á3¦;;
이므로 이때,
{(4, 1), (16, 2), (36, 3), (64, 4), (100, 5)},A 2an (nÉ5)
2Ý`=16이므로 2는 16의 네제곱근이고 |an|+an=[
0 (n>5)

 
4Ü`=64이므로 4는 64의 세제곱근이다. 이므로

2 Á ak
따라서

Á (|ak|+ak)= [2Áa
m
(mÉ5)
4<B, 3<B m k=1

5
a k=1
Û log¢` =2일 때, k (m>5)
bÛ` k=1

a 따라서

Á (|ak|+ak)‌É2 Á ak
=4Û`, 즉 a=16bÛ` yy ㉡
bÛ`
  
m 5

=2 Á (-3k+17) ‌
㉡을 만족시키는 100 이하의 두 자연수 a, b의 순서쌍 (a, b)는


k=1 k=1
5
(16, 1), (64, 2)
k=1
이므로
5_6
{(16, 1), (64, 2)},A =2_{-3_ +17_5}
2
2ß`=64이므로 2는 64의 여섯제곱근이다. =80
따라서 6<B Ú, Û에서
a p¾80
Ü log¢` =4일 때,
bÛ`
따라서 상수 p의 최솟값은 80이다.
a
=4Ý`, 즉 a=256bÛ` yy ㉢  80
bÛ`
  
㉢을 만족시키는 100 이하의 두 자연수 a, b는 존재하지 않는다.
Ú, Û, Ü에서
B={3, 4, 6}
따라서 집합 B의 모든 원소의 합은 21
3+4+6=13 ax (|x|>1)

[
 
 13
f(x)= -ax-8 (|x|<1)
x-a
20b (|x|=1)
 
20
이므로
Ú -1ÉaÉ1일 때,
등차수열 {an}의 공차를 d라 하면 함수 g(x)는 x=a에서 불연속이다.
a£+a°=10에서 Û a<-1일 때,
2a¢=10, a¢=5 함수 g(x)가 x=1에서 연속이려면 lim `g(x)= lim `g(x)=g(1)이어야
x Ú1+ x Ú1-

aÁ+3d=5 한다.
aÁ=5-3d yy ㉠

Á (ak+2ak+1-ak+1ak)=150에서
lim `g(x)= lim `f(x)=a,
  
10 x Ú1+ x Ú1+

g(1)=f(1)=20b이므로 a=20b에서 b<0이다.

Á (ak+2ak+1-ak+1ak)
k=1
10
이때, lim `g(x)>0> lim `g(x)이므로
x Ú-1- x Ú-1+

= Á (ak+2-ak)ak+1
k=1
10 함수 g(x)는 x=-1에서 불연속이다.
Ü a>1일 때,
=2d Á ak+1
k=1
10
함수 g(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려면 함수 g(x)는 x=1과

k=1
x=-1에서 연속이어야 한다.
10(aª+aÁÁ)
=2d_ 함수 g(x)가 x=1에서 연속이려면
2
10{(aÁ+d)+(aÁ+10d)} lim g(x)= lim g(x)=g(1)
=2d_ x Ú1- x Ú1+
2
이어야 한다. 즉,
=10d(2a1+11d)
-ax-8
이므로 lim = lim ax=20b에서
x Ú1- x-a x Ú1+

10d(2a1+11d)=150 -a-8
1-a =a=20b yy ㉠
d(2a1+11d)=15 yy ㉡
  
  
㉠을 ㉡에 대입하면 -a-8
1-a =a에서
d{2(5-3d)+11d}=15
aÛ`-2a-8=0
dÛ`+2d-3=0
(a+2)(a-4)=0
(d-1)(d+3)=0
a=-2 또는 a=4
d=1 또는 d=-3
a>1이어야 하므로
Ú d=1일 때,
a=4
d=1을 ㉠에 대입하면
a=4를 ㉠에 대입하면
aÁ=5-3=2
an=2+(n-1)_1=n+1 4=20b, b=;5!;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0이므로

Á (|ak|+ak)Ép를 만족시키는 상수 p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때,
m
-4x-8
x-4 =;5$;
lim g(x)= lim
k=1 x Ú-1+ x Ú-1+

Û d=-3일 때, 4
lim g(x)= lim ;5$;xÛ`=
d=-3을 ㉠에 대입하면 x Ú-1- 5
x Ú-1-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6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1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1~4).indd 6 2021-04-09 오후 2:31:37


EBS FINAL 수학영역

4 k_logª |l|=4_logª |-128'2|


g(-1)= 5
=4_logª`2;;Á2°;;
이므로 함수 g(x)는 x=-1에서 연속이다.

     
Ú~,~ Û~,~ Ü에서 =4_;;Á2°;;

     
1 =30
a=4, b=
5

     
 30
1
따라서 5(a+b)=5{4+ 5 }=21

 21

확률과 통계

22
f(0)=0, k+0이므로 23
조건 (가)에 의해 4개의 문자 중 같은 것이 2개 있으므로 4개의 문자 P, A, S, S를 일렬로 나열
f '(0)=0이고, 함수 f(x)는 x=0에서 극값을 갖지 않아야 한다. 하는 경우의 수는
조건 (나)에 의해 함수 f(x)는 x=3에서 극값을 가져야 하므로 4!
f '(3)=0이다. 2! =12

사차함수 f(x)의 그래프와 함수 y=|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②

y y
y=|f(x)|
y=f(x)

24
{xÛ`+ }6`의 전개식의 일반항은
3 2
O x x

}r`=6Cr2rx12-3r(r=0, 1, 2, y, 6)
k
O 3k x
Cr(xÛ`)6-r{
2
6
x
따라서 f '(x)=4xÛ`(x-3)이므로 x6 항은 12-3r=6, 즉 r=2일 때이다.
따라서 x6의 계수는
f(x)‌=: 4xÛ`(x-3)dx ‌
6_5

¤Cª_2Û`= _4=60
2_1
=: (4xÜ`-12xÛ`)dx ‌
①
=xÝ`-4xÜ`+C (C는 적분상수)
f(0)=C=0이므로

25
f(x)=xÝ`-4xÜ`
이때, k=4
직선 y=m(x-k+6)+f(k), 즉 y=m(x+2)는 점 (-2, 0)을 지나는 직선 두 사건 A와 B는 서로 배반사건이므로
이다. P(A;B)=0
점 (-2, 0)에서 곡선 y=f(x)에 그은 접선의 접점의 좌표를 (t, f(t))라 P(A'B)=P(A)+P(B)-P(A;B)에서
하면 ;4#;=P(A)+;1°2;
곡선 y=f(x) 위의 점 (t, f(t))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f(t)=f '(t)(x-t) P(A)=;3!;
y-(tÝ`-4tÜ`)=(4tÜ`-12tÛ`)(x-t) yy ㉠ 따라서
  
직선 ㉠이 점 (-2, 0)을 지나므로
P(AC)=1-P(A)=1-;3!;=;3@;
-(tÝ`-4tÜ`)=(4tÜ`-12tÛ`)(-2-t)
3tÛ`(tÛ`-8)=0 ③
t=-2'2 또는 t=0 또는 t=2'2
t=-2'2일 때,
m=f '(-2'2)=-96-64'2
t=2'2일 때,
26
표본평균이 294.45, 모표준편차가 r, 표본의 크기 64일 때
m=f '(2'2)=-96+64'2
모평균 m에 대한 신뢰도 95`%의 신뢰구간은
y r r
y=|f(x)| 294.45-1.96_ ÉmÉ294.45+1.96_
'¶64 '¶64
r r
294.45-1.96_ ÉmÉ294.45+1.96_
8 8
이때,
-2
O 4 x r
a=294.45-1.96_ yy ㉠
8
r
2 (m>96-64'2) a+4.9=294.45+1.96_
8
3 (m=96-64'2)
이므로
4 (0<m<96-64'2)
r r
g(m)= 2 (m=0) (a+4.9)-a={294.45+1.96_ }-{294.45-1.96_ }
8 8
0 (-96-64'2<m<0) r
4.9=2_1.96_
1 (m=-96-64'2) 8

2 (m<-96-64'2) r=10
r=10을 ㉠에 대입하면
부등식 lim g(m)> lim g(m)을 만족시키는 상수 a의 값은
m Úa- m Úa+
10
a=294.45-1.96_ =292
a=-96-64'2 또는 a=96-64'2 8
따라서 따라서
l=(-96-64'2)+(96-64'2)=-128'2 a+r=292+10=302
이므로 ⑤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7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1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1~4).indd 7 2021-04-09 오후 2:31:37


EBS FINAL 수학영역

27 방정식 c'+d'=1을 만족시키는 음이 아닌 정수 c', d'의 모든 순서쌍


(c', d')의 개수는 서로 다른 2개에서 중복을 허락하여 1개를 택하는 중
조건 (가)에서 복조합의 수와 같으므로
P(X¾10)<P(XÉ20)이므로
2 H1=2+1-1C1=2C1=2
yy ㉠


m<15
①, ②에서 과자 7개를 나누어 주는 경우의 수는
  
P(XÉ20)<P(X¾4)이므로
4+2=6
m>12 yy ㉡ Û ‌네 명의 학생 A, B, C, D에게 사탕 8개를 주어진 규칙에 따라 나누어 주는
  

㉠, ㉡에서 경우의 수를 구해 보자.
12<m<15
조건 (가)에서
m이 정수이므로
네 명의 학생 A, B, C, D가 받는 사탕의 개수를 각각


m=13 또는 m=14
p, q, r, s(p, q, r, s는 음이 아닌 정수)라 하자.
Ú m=13일 때,
조건 (다)에 의하여
조건 (나)에서 p, q, r, s 중 적어도 하나는 홀수이므로
E(XÛ`)=205이므로
사탕 8개를 나누어 주는 경우의 수는 방정식 p+q+r+s=8을 만족시키는


V(X)=E(XÛ`)-{E(X)}Û`=205-13Û`=36 음이 아닌 정수 p, q, r, s의 모든 순서쌍 (p, q, r, s)의 개수에서 p, q, r, s
이때 E(X)<V(X)이므로 조건 (나)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가 모두 0 또는 짝수이면서 방정식 p+q+r+s=8을 만족시키는 음이 아
Û m=14일 때,
닌 정수 p, q, r, s의 모든 순서쌍 (p, q, r, s)의 개수를 빼면 된다.
조건 (나)에서 방정식 p+q+r+s=8을 만족시키는 음이 아닌 정수 p, q, r, s의 모든 순


E(XÛ`)=205이므로 서쌍 (p, q, r, s)의 개수는 서로 다른 4개에서 중복을 허락하여 8개를 택하
V(X)=E(XÛ`)-{E(X)}Û`=205-14Û`=9 는 중복조합의 수와 같으므로
이때 E(X)>V(X)를 만족시킨다. 11_10_9
Ú, Û에서 4 H8=4+8-1C8=11C8=11C3= 3_2_1 =165 yy ㉢

m=14, r="ÃV(X)=3 p+q+r+s=8에서


한편 g(x)=f(x-5)이므로 함수 y=g(x)의 그래프는 함수 y=f(x)의 그래 p=2p', q=2q', r=2r', s=2s'(p', q', r', s'은 음이 아닌 정수)라 하면
프를 x축의 방향으로 5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2p'+2q'+2r'+2s'=8
즉, 확률변수 Y의 평균은 14+5=19이고, 표준편차는 확률변수 X의 표준편 p'+q'+r'+s'=4
차와 같다. 방정식 p'+q'+r'+s'=4를 만족시키는 음이 아닌 정수 p', q', r', s'의 모

확률변수 Y는 정규분포 N(19, 3Û`)을 따르므로 든 순서쌍 (p', q', r', s')의 개수는 서로 다른 4개에서 중복을 허락하여 4개
Y-19 를 택하는 중복조합의 수와 같으므로
Z= 로 놓으면 확률변수 Z는 표준정규분포 N(1, 0)을 따른다.
3
7_6_5
H4=4+4-1C4=7C4=7C3=
=35 yy ㉣
따라서 4
3_2_1

  
P(16ÉYÉ25) ㉢, ㉣에서 사탕 8개를 나누어 주는 경우의 수는
165-35=130
}
16-19 Y-19 25-19
=P{ É É
3 3 3 Ú, Û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P(-1ÉZÉ2) 6_130=780
=P(-1ÉZÉ0)+P(0ÉZÉ2) ②
=P(0ÉZÉ1)+P(0ÉZÉ2)
=0.3413+0.4772
=0.8185
④
29
주머니에서 한 개의 공을 꺼낼 때 나온 공에 적혀 있는 수를 확률변수 Y라 하자.
P(Y=1)= 2n =;2!;
4n
P(Y=2)= n =;4!;
28 4n
P(Y=4)= n =;4!;
Ú ‌네 명의 학생 A, B, C, D에게 과자 7개를 주어진 규칙에 따라 나누어 주는 4n

경우의 수를 구해 보자. 확률변수 Y의 확률분포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조건 (가)에서 Y 1 2 4 합계
각 학생은 과자를 1개 이상 받으므로
P(Y=y) ;2!; ;4!; ;4!; 1
네 명의 학생 A, B, C, D가 받는 과자의 개수를 각각

a, b, c, d(a, b, c, d는 자연수)라 하면
E(Y)=1_;2!;+2_;4!;+4_;4!;=2
a+b+c+d=7 yy ㉠
  
조건 (나)에서 V(Y)=1Û`_;2!;+2Û`_;4!;+4Û`_;4!;-2Û`=;2#;
a=b yy ㉡
이 주머니에서 크기가 n인 표본을 임의추출하여 구한 표본평균을 YÕ라 하면
  
㉠, ㉡에서
E(YÕ)=2
2a+c+d=7
V(Y)
a=a'+1, c=c'+1, d=d'+1(a', c', d'은 음이 아닌 정수)라 하면 V(YÕ)= = 3
n 2n
2(a'+1)+(c'+1)+(d'+1)=7 X
한편, YÕ= , 즉 X=nYÕ이므로

2a'+c'+d'=3 n
① a'=0일 때, V(X)=V(nYÕ)=nÛ``V(YÕ)=nÛ`_ 3 =;2#;n
2n
c'+d'=3
V(X)=12에서

방정식 c'+d'=3을 만족시키는 음이 아닌 정수 c', d'의 모든 순서쌍
3

(c', d')의 개수는 서로 다른 2개에서 중복을 허락하여 3개를 택하는 중 n=12, n=8
2
복조합의 수와 같으므로 E(X)=E(nYÕ)=nE(YÕ)=8_2=16
2 H3=2+3-1C3=4C3=4C1=4 따라서

② a'=1일 때, n_E(X)=8_16=128
c'+d'=1  128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8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1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1~4).indd 8 2021-04-09 오후 2:31:38


EBS FINAL 수학영역

30 dy
따라서 t=1일 때, dx 의 값은

A가 선물을 받을 확률을 P(A), B가 선물을 받을 확률을 P(B)라 하면 1 2


-
2'1 1Û`
구하는 확률은 P(B|A)이다. =-;1£0;
2
Ú 세 사람 A, B, C가 모두 선물을 받을 확률 3_1Û`+
1Ü`
세 사람 A, B, C가 각각 한 개의 주사위를 한 번 던졌을 때 나온 눈의 수가
①

모두 k`(1ÉkÉ6, k는 자연수)일 확률은

;6!;_;6!;_;6!;=;21!6;

25
따라서 세 사람 A, B, C가 모두 선물을 받을 확률은

Á 1 =;21!6;_6=;3Á6;
6

216
k=1
이 입체도형은 x좌표가 x`(0ÉxÉeÛ`-1)인 점을 지나고 x축에 수직인 평면으
Û 두 사람 A, B만 선물을 받을 확률 로 자른 단면이 한 변의 길이가 "Ã1+ln(x+1)인 정사각형이므로 단면의 넓이
두 사람 A, B가 각각 한 개의 주사위를 한 번 던졌을 때 나온 눈의 수가 를 S(x)라 하면

k(2ÉkÉ6, k는 자연수)이고, C가 한 개의 주사위를 한 번 던졌을 때 나온
S(x)={"Ã1+ln(x+1)}Û`=1+ln (x+1)
눈의 수는 1, 2, y, k-1 중 하나일 확률은 따라서 구하는 입체도형의 부피는

:)
k-1 k-1
;6!;_;6!;_ 6 = 216
eÛ`-1 eÛ`-1 eÛ`
S(x) dx‌=:) {1+ln (x+1)} dx=:! (1+ln`x) dx


따라서 두 사람 A, B만 선물을 받을 확률은

Á k-1 = 1+2+3+4+5 = 15 = 5
eÛ` eÛ`

6
=:! 1`dx+:! ln`x`dx
k=2216 216 216 72 eÛ eÛ` eÛ`
=[x]!+[x ln`x]! -:! 1`dx ‌
Ü 두 사람 A, C만 선물을 받을 확률
Û와 같은 방법으로 두 사람 A, C만 선물을 받을 확률은 =2eÛ`
15 5 ③
216 = 72
Ý A만 선물을 받을 확률
A가 한 개의 주사위를 한 번 던졌을 때 나온 눈의 수가 k`(2ÉkÉ6, k는

26

자연수)이고, 두 사람 B, C가 각각 한 개의 주사위를 한 번 던졌을 때 나온
눈의 수는 각각 1, 2, y, k-1 중 하나일 확률은
{ } +2x
x 2n+1
k-1 k-1 (k-1)Û`
;6!;_ 6 _ 6 = 216 f(x)=lim
2
에서
{ } +1
n Ú¦ x 2n
따라서 A만 선물을 받을 확률은 2

Á Ú | |>1, 즉 |x|>2일 때,
6 (k-1)Û` x
1Û`+2Û`+3Û`+4Û`+5Û` 55
= = 2
k=2 216 216 216
{ } +2x +4{ }
Ú~Ý에서 x 2n+1 x 2 2n-1
2 2 x x
1 5 5 55 91 f(x)=lim =lim =2
P(A)= + + + =
{ } +1 1+{ }
n Ú¦ x 2n n Ú¦ 2 2n
36 72 72 216 216
2 x
1 5 7
P(A;B)= + =
Û| |<1, 즉 |x|<2일 때,
36 72 72 x
2
이때,
{ } +2x
x 2n+1
P(A;B) 2
P(B|A)‌= ‌ f(x)=lim =2x
P(A)
{ } +1
n Ú¦ x 2n

2
;7¦2;
= ‌ Ü x=2일 때,
;2»1Á6; 5
f(2)= 2
21
=
91 Ý x=-2일 때,
5
따라서 p=91, q=21이므로 f(-2)=- 2
p+q=91+21=112 Ú~Ý에서
 112 x
(|x|>2)
2
  
2x (|x|<2)
  
f(x)= 5
미적분 (x=2)
2
  
23 -
5
2
(x=-2)

ln(1+4x) ln(1+4x) 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lim =2 lim =2
x Ú0 2x x Ú0 4x y
④ 4 y=f(x)

;2%;

24
1
-2
O 2 x
-1
1 2
x=tÜ`- , y='t+ 에서
tÛ` t -;2%;
dx 2 -4
dt =3tÛ`+ tÜ`
dy 1 2 방정식 f(x)=b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려면 b가 자연수이므로
dt = 2't` - tÛ` b=2 또는 b=3
이므로 이어야 한다.
dy 1 2
- ① b=2일 때,
dy dt 2't tÛ`
= = f(a)=2에서 a는 자연수이므로
dx dx 2
3tÛ`+
dt tÜ` a=1 또는 a=4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9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1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1~4).indd 9 2021-04-09 오후 2:31:39


EBS FINAL 수학영역

② b=3일 때, a '5
EÁFÁÓ= = a
sin`h 2
f(a)=3에서
1
a=6 FÁCÁÓ=a cos`h= a
'5
①, ②에서 두 자연수 a, b의 순서쌍 (a, b)는
EÁFÁÓ+FÁCÁÓ=EÁCÁÓ이므로
(1, 2), (4, 2), (6, 3)이다.
'5 1
따라서 M=6+3=9, m=1+2=3이므로 2 a+ '5 a=1
M+m=9+3=12
2'5
② a=
7

}2`=;4@9);
2'5
SÁ={
7

27 한편, ABªÓ : ADªÓ=2 : 3이므로


P ABªÓ=2k, ADªÓ=3k(k>0)이라 하면
DÁDªÓ=3-3k
Q
직각삼각형 CªDÁDª에서 ∠CªDÁDª=h이므로
h R DªCªÓ 2k
h h tan`h= = =2
A O H B DÁDªÓ 3-3k
3
∠PAB=h이므로 ∠POB=2h k=
4
APÓOQÓ이므로 ∠QOB=h 9
이때 ADªÓ= 4
∠POQ=∠POB-∠QOB=2h-h=h
직각삼각형 POH에서 3k Dª 3-3k
A DÁ
OHÓ=cos`2h h
직각삼각형 ROH에서 2k
cos`2h
ORÓ= Bª
cos`h Cª

S(h)‌=△POQ-△POR ‌ BÁ CÁ


cos`2h
=;2!;_1_1_sin`h-;2!;_1_ _sin`h ‌ Rª
cos`h
sin`h cos`2h 9
= {1- } 두 직사각형 ABÁCÁDÁ과 ABªCªDª의 닮음비가 3 : 4 , 즉 4 : 3이므로
2 cos`h
따라서 넓이의 비는 4Û` : 3Û`이다.
S(h) sin`h cos`2h 20 9
lim = lim [ {1- }] ‌ 따라서 Sn은 첫째항이 SÁ= 49 이고 공비가 16 인 등비수열의 첫째항부터 제n
h Ú0+ hÜ` h Ú0+ 2hÜ` cos`h

sin`h(cos`h-cos`2h) 항까지의 합과 같으므로
= lim ‌
h Ú0+ 2hÜ` cos`h 20

sin`h{cos`h-cos (h+h)} 49 320
= lim ‌ lim Sn= =
h Ú0+ 2hÜ` cos`h n Ú¦ 9 343
1-
16
sin`h(cos`h-cosÛ``h+sinÛ``h)
= lim ①
h Ú0+ 2hÜ` cos`h
sin`h(-2 cosÛ``h+cos`h+1)
= lim
h Ú0+ 2hÜ` cos`h
sin`h(1+2 cos`h)(1-cos`h)
= lim
h Ú0+

= lim
2hÜ` cos`h
sin`h(1+2 cos`h)(1-cosÛ``h)
29
h Ú0+ 2hÜ` cos`h(1+cos`h) f(x)=(xÛ`+ax+b)ex에서
sinÜ h(1+2 cos`h) f '(x)={xÛ`+(a+2)x+a+b}ex
= lim ‌
h Ú0+ 2hÜ` cos`h(1+cos`h)

}3`_ lim
조건 (가)에서
sin`h (1+2 cos`h)
= lim { 함수 f(x)의 역함수가 존재하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h Ú0+ h h Ú0+ 2 cos`h(1+cos`h)
f '(x)¾0
1+2_1
=1Ü`_ ‌ 이어야 한다.
2_1_(1+1)
3 {xÛ`+(a+2)x+a+b}ex¾0에서
=
4 ex>0이므로
⑤ xÛ`+(a+2)x+a+b¾0
이차방정식 xÛ`+(a+2)x+a+b=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a+2)Û`-4(a+b)É0
28 aÛ`+4-4bÉ0 yy ㉠
  
직각삼각형 EÁCÁDÁ에서 EÁCÁÓ=1, CÁDÁÓ=2이므로 조건 (나)에서

EÁDÁÓ=¿EÁCÁÓ
¹ Û`+CÁDÁÓ Û`="Ã1Û`+2Û`='5 f '(-1)=(-1+b)e-1=0
b=1
p
∠DÁEÁCÁ=h`{0<h< 2 }라 하면 b=1을 ㉠에 대입하면
2 1 aÛ`É0이므로
sin`h= , cos`h= , tan`h=2
'5 '5 a=0
그림 RÁ에서 새로 그려진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a, 선분 EÁCÁ 위에 있는 따라서 f(x)=(xÛ`+1)ex이므로
꼭짓점을 FÁ이라 하자. f '(x)=(xÛ`+2x+1)ex
A DÁ f "(x)=(xÛ`+4x+3)ex
f '(x)=0에서
(xÛ`+2x+1)ex=0
(x+1)Û`ex=0
h
BÁ CÁ x=-1
EÁ FÁ
RÁ f "(x)=0에서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10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1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1~4).indd 10 2021-04-09 오후 2:31:40


EBS FINAL 수학영역

:)2`0 h(t) dt
(xÛ`+4x+3)ex=0

=10 :)2` h(t) dt


(x+3)(x+1)ex=0
x=-3 또는 x=-1

=10_[ :) h(t) dt+: h(t) dt+:! h(t) dt+: h(t) dt]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2!; 1 ;2#; 2

;2!; ;2#;

=10_[2 :) 2 sin (pt) dt+: 2`dt]


x y -3 y -1 y
;2!; 1
f '(x) + + + 0 +

cos(pt)]) +20[ t ]1`


;2!;

f "(x) + 0 - 0 + 1 ;2!;
=40[-
f(x)  10e -3
 2e
-1
 p ;2!;

40
=10+
함수 f(x)는 x=-3, x=-1에서 변곡점을 갖는다. p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0이고, lim `f(x)=0이므로 직선 y=0(x축)은 따라서 a=10, b=40이므로
x Ú-¦
a+b=50
함수 f(x)의 점근선이다.
 50
이때 함수 y=f(x)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다.
y y=f(x)

기하

-3 -1 O x
23
한편, 직선 y=f '(t)(x-t)+f(t)는 곡선 y=f(x) 위의 점 (t, f(t))에서의 선분 AB를 2 : 1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접선이므로 t=-3일 때 함수 g(x)는 오직 한 점에서만 미분가능하지 않다. 2_2+1_(-1) 2_(-7)+1_a 2_b+1_10
{ , , }
즉, c=-3 2+1 2+1 2+1
a-14 2b+10
따라서 즉, {1, 3 , 3 } yy ㉠

  
aÛ`+bÛ`+cÛ`=0Û`+1Û`+(-3)Û`=10
㉠이 x축 위에 있으므로
 10
a-14 2b+10
=0, =0
3 3
따라서 a=14, b=-5이므로

30 a+b=14+(-5)=9

:
②
ln`t
`dt에서 ln`t=s로 놓으면
t
ds 1
dt = t 이므로

: 24
ln`t
dt=: s`ds=;2!;sÛ`+C=;2!; (ln`t)Û`+C (C는 적분상수)
t
이때 xÛ` yÛ`
타원 + =1 위의 점 (-2,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8 2
f(0)=e,

: `dt=[ (ln`t)Û`]
-2x y
f(x) ln`t e"Ã2+2 sin`(px)
ln`t 1 e "Ã2+2 sin`(px)
+ =1
`dt‌=: 8 2
t "2
t 2 "2

f(0) e e
x+4
1 '¶ 1 에서 =y
ln`e 2+2 sin`(px)}Û`- (ln`e'2)Û` ‌ 2
2{
=
2
따라서 직선 l의 방향벡터는 (2, 1)이고
=sin (px)
직선 m의 방향벡터가 (3, 4)이므로
이므로
|2_3+1_4| 2'5
g(x)=sin (px)+|sin (px)| cos`h= =
"Ã2Û`+1Û` "Ã3Û`+4Û` 5
이고, 함수 y=g(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⑤
y

25
y=g(x)

O 1 2 3 4 5 x
2
포물선 yÛ`=4px와 직선 y= (x+2p)의 교점의 x좌표를 구해 보자.
3
자연수 n에 대하여 함수 h(t)는 [ 2 (x+2p)]2`=4px
3
{2n<tÉ2n+ }
1
g(t) xÛ`-5px+4pÛ`=0
2
{2n+ <tÉ2n+1}
1 (x-p)(x-4p)=0
2
2 x=p 또는 x=4p
h(t)=
g{t- } {2n+1<tÉ2n+ }
1 3
2 2 두 점 P, Q의 x좌표는 각각 p, 4p로 놓을 수 있다.
포물선 yÛ`=4px의 준선의 방정식은 x=-p이다.
{2n+ <tÉ2n+2}
3
0
2 두 점 P, Q에서 준선 x=-p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HÁ, Hª라 하면
이고, 함수 y=h(t)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PFÓ=PHÁÓ=p+p=2p
y QFÓ=QHªÓ=p+4p=5p
PFÓ+QFÓ=14에서
2
2p+5p=14
y=h(t)
p=2
따라서 삼각형 PFQ의 넓이는
-2 -1 O 1 2 3 4 5 t
;2!; ;2#; ;2%; ;2&; ;2(; 1
-;2#; -;2!; 2 _2p_3p=3pÛ`=3_2Û`=12
③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11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1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1~4).indd 11 2021-04-09 오후 2:31:42


EBS FINAL 수학영역

26 선분 CD와 선분 EF의 중점을 각각 N, L이라 하고,


점 O에서 평면 ABCD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자.
직각삼각형 OCN에서
P
ONÓ=¿ ¹OCÓ -CNÓÓ ="Ã('¶30)Û`-('5)Û`=5
2 2
S

직각삼각형 OHN에서
A
C HNÓ='5
OHÓ=¿ ¹ONÓ -HNÓÓ ="Ã5Û`-('5)Û`=2'5
2 2
H
p
∠ONH=a`{0<a< 2 }라 하면
a B
'5 2'5
cos`a= , sin`a=
5 5
PCÓ=4
직각삼각형 MNL에서
PCÓ⊥a, PHÓ⊥ABÓ이므로
'5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NLÓ=MNÓ_cos`a=2'5_ =2
5
CHÓ⊥ABÓ 2'5
삼각형 ABC의 넓이가 3'¶10이므로 MLÓ=MNÓ_sin`a=2'5_ =4
5
;2!;_6_CHÓ=3'¶10 한편, OLÓ=ONÓ-LNÓ=5-2=3
OLÓ : ONÓ=3 : 5이므로
CHÓ='¶10
EFÓ : CDÓ=3 : 5
직각삼각형 PCH에서 6'5
3 3
EFÓ= _CDÓ= _2'5=
PHÓ=¿ ¹PCÓ Û`+CHÓ Û` 5 5 5
="Ã4Û`+('¶10)Û`='¶26 삼각형 EFM의 넓이는
  
6'5 12'5
직각삼각형 PAH에서 ;2!;_EFÓ_MLÓ=;2!;_ _4=
5 5
AHÓ=¿ ¹PAÓ Û`-PHÓ Û` 직각삼각형 OML에서
="Ã(4'2)Û`-('¶26)Û` p
∠OML=h`{0<h< 2 }라 하면

  
='6
  
MLÓ
① cos`h= =;5$;
OMÓ
따라서 삼각형 EFM의 평면 OAB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는
12'5 48'5
5 _;5$;= 25

27 ⑤

조건 (가)에서
PA³ º PB³=0이므로
PA³⊥PB³
즉, 점 P는 두 점 A, B를 지름의 양 끝으로 하는 원 위의 점이다.
선분 AB의 중점을 C라 하면
29
xÛ` yÛ`
쌍곡선 4 - 5 =1에서
조건 (나)에서
OA³+OB³=2OC³=(8, 6) 점 F의 x좌표가 c(c>0)이므로
이므로 cÛ`=4+5=9
OC³=(4, 3) c=3
|OC³|="Ã4Û`+3Û` =5 두 점 F, F'의 좌표는 각각 (3, 0), (-3, 0)이다.
두 점 A, B를 지름의 양 끝으로 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점 P가 쌍곡선 위의 점이므로
|OP³|의 최댓값이 7이므로 쌍곡선의 성질에 의하여
|OC³|+r=7 PF'Ó-PFÓ=4
5+r=7 (PQÓ+QF'Ó)-PFÓ=4
r=2 이때 PFÓ=PQÓ이므로
따라서 QF'Ó=4
OA³ º OB³ QRÓ+RFÓ'=4 yy ㉠
  
=(OC³+CA³)º(OC³+CB³) 또, 점 R가 쌍곡선 위의 점이므로
=OC³ º OC³+OC³ º CB³+CA³ º OC³+CA³ º CB³ 쌍곡선의 성질에 의하여
=OC³ º OC³+OC³ º (CB³+CA³)+CA³ º CB³ RFÓ-RF'Ó=4 yy㉡
  
=|OC³|Û`+0+|CA³||CB³| cos`p ㉠+㉡을 하면
=5Û`+2_2_(-1) QRÓ+RFÓ=8
=21 한편, 삼각형 QF'F에서 ∠QF'F=h라 하면
④ 28
QFÓ Û`= , QFÓ'=4, F'FÓ=6이므로
3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4Û`+6Û`-;;ª3¥;;
=;9*;
28 cos`h=

삼각형 PF'F에서
2_4_6

O
PFÓ=PQÓ=k`(k>0)이라 하면
F L PF'Ó=4+k이므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E
D N kÛ`=(4+k)Û`+6Û`-2_(4+k)_6_;9*;
C
A H k=;2&;
M
B 따라서 삼각형 PRF의 둘레의 길이는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12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1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1~4).indd 12 2021-04-09 오후 2:31:42


EBS FINAL 수학영역

PRÓ+RFÓ+PFÓ=(PQÓ
‌ +QRÓ)+RFÓ+PFÓ ‌


=PQÓ+(QRÓ+RFÓ)+PFÓ ‌ 2 회 EBS FINAL 수학영역 본문 19~34쪽
= +8+;2&; ‌
7
2
=15 01 ③ 02 ② 03 ② 04 ① 05 ⑤
 15
06 ② 07 ③ 08 ④ 09 ① 10 ⑤

11 ⑤ 12 ② 13 ④ 14 ③ 15 ③

16 5 17 6 18 2 19 4 20 8
30 21 45 22 125
조건 (가)에서
AEÓ=¿¹ABÓ +BEÓÓ ="Ã8Û`+1Û`='¶65
2 2 확률과 통계 23 ④ 24 ② 25 ⑤ 26 ①
삼각형 ABE에서 ∠EAB=h라 하면 27 ② 28 ⑤ 29 504 30 71
ABÓ 8
cos`h= =
AEÓ '¶65 미적분 23 ① 24 ③ 25 ① 26 ②
BEÓ 1
sin`h= = 27 ① 28 ② 29 2 30 81
AEÓ '¶65
조건 (나)에서 기하 23 ④ 24 ⑤ 25 ④ 26 ②
두 벡터 AF³, AE³는 서로 평행하고 같은 방향이므로
27 ③ 28 ④ 29 147 30 19
AE³
|AF³|=|4_ |=4
|AE³|

한편, 삼각형 ACD에 내접하는 원의 중심을 O, 선분 AD와 원이 만나는 점을
G라 하자.
D C
01
P
logª ('2+1)+logª ('2-1)‌=logª ('2+1)('2-1) ‌
G


O =logª`1=0

E ③
F
A B
h

AP³=AG³+GO³+OP³이므로
AF ³º AP³=AF³ º (AG³+GO³+OP³) ‌ 02
‌
=AF³ º AG³+AF³ º GO³+AF³ º OP³ f(x)=xÜ`-2xÛ`+3x+1에서
이때, AF³ º AG³와 AF³ º GO³의 값은 일정하므로 두 벡터 AF³, OP³가 서로 평 f '(x)=3xÛ`-4x+3
행하고 같은 방향일 때, AF ³º AP³는 최댓값을 갖는다. 이므로
삼각형 ACD에 내접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자. f '(1)=3-4+3=2
ACÓ=¿¹ADÓ +DCÓÓ ="Ã6Û`+8Û`=10
2 2
②
삼각형 ACD의 넓이는
;2!;_ADÓ_DCÓ=;2!;_(ACÓ+CDÓ+DAÓ)_r

이므로 03
;2!;_6_8=;2!;_(10+8+6)_r 함수 y=log (x+a)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하면 x대신에
x-2를 대입하면 되므로
r=2
y=log (x-2+a)
AF ³º AG³=|AF³||AG³|cos`(∠GAF) ‌
이 곡선이 점 (2, 1)을 지나므로

p
=|AF³||AG³|cos`{ -h} ‌ 1=log`a
2
=|AF³||AG³|sin`h ‌ 따라서 a=10
1 ②
=4_4_
'¶65

16
=
'¶65
AF³ º GO³=|AF³||GO³|cos`h ‌ 04
‌
8 lim `f(x)=-2
=4_2_
'¶65
‌ x Ú-1-

64 f(-1)=2
=
'¶65 lim `f(x)=1
x Ú1+
AF³ º OP³É|AF³||OP³|cos`0 ‌
따라서
‌
=4_2_1 ‌
lim `f(x)+f(-1)+ lim `f(x)=-2+2+1=1
x Ú-1- x Ú1+
=8
①
이므로
AF³ º AP‌³=AF ³º AG³+AF³ º GO³+AF³ º OP³ ‌

16 64
05
É + +8 ‌
'¶65 '¶65
16
=8+ '¶65
13 sin`h-cos`h=;4!;의 양변을 제곱하면
16
따라서 p=8, q= 13 이므로 sinÛ``h-2 sin h`cos`h+cosÛ``h=;1Á6;
16
13(p+q)=13{8+ }=120 2 sin`h cos`h=;1!6%;
13
 120 따라서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13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2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1~4).indd 13 2021-04-09 오후 2:31:44


EBS FINAL 수학영역

(sin`h+cos`h)Û`‌=sinÛ``h+2 sin`h cos`h+cosÛ``h △OAB‌=2_△OAC ‌




=1+2 sin`h cos`h ‌ 1
=2_ _2a_f(a) ‌
15 2
=1+ ‌
16 p
=2a_4 sin` ‌
2
31
=
16 =8a=4
p 1
이고 0<h< 2 에서 sin`h+cos`h>0이므로 이므로 a= 2
'¶31 따라서 함수 y=f(x)의 주기는
sin`h+cos`h=
4 4a=2
⑤
④

06 09
f(-x)=-xÜ`-ax=-f(x)이므로 2 5

:_2!`f(x)dx-:@3 `f(-x)dx‌=:_2!`f(x)dx+:@3 `f(x)dx


f '(x)=- xÛ`+ 이므로 두 점 P(a, f(a)), Q(a+1, f(a+1))에서의 접
3 3

선의 기울기는 각각

=:_3!`f(x)dx

2 5
‌ f '(a)=- aÛ`+
3 3

=:_3!`(xÜ`+ax)dx ‌
2
f '(a+1)=- (a+1)Û`+;3%;=-;3@;aÛ`-;3$;a+1
3

=[ xÝ`+ xÛ`]3_! 이때 두 점 P(a, f(a)), Q(a+1, f(a+1))에서의 접선이 서로 수직이므로


1 a

4 2 2
{- aÛ`+;3%;}{-;3@;aÛ`-;3$;a+1}=-1
-{ + }
81 9a 1 a 3
= + ‌
4 2 4 2 (-2aÛ`+5)(-2aÛ`-4a+3)=-9
=20+4a=4 4aÝ`+8aÜ`-16aÛ`-20a+24=0
즉, 4a=-16이므로 aÝ`+2aÜ`-4aÛ`-5a+6=0
a=-4 (a+2)(a-1)(aÛ`+a-3)=0
② a는 정수이므로 a=-2 또는 a=1
즉, 곡선 y=f(x) 위의 점 P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a=1일 때 1이고, a=-2일 때 -1이므로 곡선 y=f(x)위의 점 P에서의

07
접선의 기울기가 양수일 때는 a=1이다.
13
따라서 점 P{1, 9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곡선 y=xÛ`+2와 직선 y=2x+a의 교점의 x좌표가 a이면 함수 f(x)는 실수
13 4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y- =x-1, 즉 y=x+;9$;이므로 y절편은 이다.
9 9
y=xÛ +2
①
y=2x+a

10
log2`n logª`n
x=a x=a logn`2 = 1 =(logª`n)Û`이므로
logª`n
이때 aÛ`+2=2a+a가 성립해야 하므로
log2`n
;2#;¾¨ ‌=;2#;"Ã(logª`n)Û`= _logª`n
aÛ`-3a+2=0, (a-1)(a-2)=0 3
logn`2 2

a=1 또는 a=2
3
따라서 모든 상수 a의 값의 합은 이때 2 _log2`n이 자연수가 되기 위해서는 logª`n은 2의 배수이어야 한다.
1+2=3 2ÉnÉ100에서
③ 1Élogª`nÉlogª`100<logª`2à`=7이므로
logª`n=2, 4, 6
n=2Û`, 2Ý`, 2ß`
즉, n=4, 16, 64
08 따라서 모든 n의 값의 합은 4+16+64=84
⑤
p
함수 f(x)=4 sin`{ 2a x}의 그래프의 주기는

2p

11
=4a
p
2a
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조건 (가)에서
g(-2)=2, g '(-2)=2
y A
4 y=f(x) 조건 (나)에서
i(-2)=g(-2)+2=4
2a 3a 4a 이고 i '(x)=g '(x)-1이므로
O a C x
i '(-2)=g '(-2)-1=1
f(-2+2h)-f(-2)-i(-2+h)+4
-4 lim
B h Ú0 h
f(-2+2h)-f(-2) i(-2+h)-i(-2)
이때 점 C(2a, 0)은 선분 AB의 중점이므로 삼각형 OAB의 넓이는 삼각형 =lim _2-lim
h Ú0 2h h Ú0 h
OAC의 넓이의 2배이다. =2_f '(-2)-i '(-2)
즉, =2f '(-2)-1=9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14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2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1~4).indd 14 2021-04-09 오후 2:31:45


EBS FINAL 수학영역

따라서 f '(-2)=5 이므로

:)1 { f(x)-bx}dx=0
⑤

Ú~~Ý에서 a의 최댓값은 1이고, 그 때의 b의 값도 1이므로


a+b=2

12 ②

-3x (x<0)

{0Éx< }
1
13
3x
3
f(x)=|-|3x-1|+1|=
-3x+2 { Éx< }
1 2
3 3 n
자연수 n에 대하여 k-1< p <k라 하면
{x¾ }
2
3x-2
3 kp-p<n<kp
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이므로 이를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은
y n=kp-p+i (단, i=1, 2, y, p+ -1 )
y=f(x)
이때

Sk‌= Á
1 p-1 kp-p+i

p

= Á {k-1+
i=1


}
p-1 i

i=1 p
O 1 x
;3!; ;3@;
_;2!;(p-1)p ‌
1
=(k-1)(p-1)+
p
Ú b>3일 때, 1
= (p-1)( 2k-1 )
x>0에서 f(x)-bx<0이므로 2

:)a { f(x)-bx}dx<0
이므로

Á Sk‌= Á 2 (p-1)(2k-1)
n n 1

즉, :)a { f(x)-bx}dx=0이고 a> 3 , b+3인 두 양수 a, b가 존재하지 않


= (p-1) Á (2k-1)
1 k=1 k=1

1 n


는다. 2 k=1

Û 0<b<1일 때, 1 1
= (p-1)[2_ n(n+1)-n] ‌
2 2
y
y=f(x) 1
= (p-1)_ nÛ`
2
y=bx
1 따라서 a=-1, f(k)=2k-1, g(n)=nÛ`이므로
f(a+3)_g(a+4)‌=f(2)_g(3) ‌

=3_3Û`=27
b1 x ④
O ;3!; a;3@;

그림에서

:)Ó |f(x)-bx|dx>:òÕ |f(x)-bx|dx 14


이므로 ㄱ. g(t)=f(t)-f '(a)t에 t=0을 대입하면

:)a { f(x)-bx}dx>0
g(0)=f(0)
따라서 두 점 P, Q의 출발점은 일치한다. (참)
즉, :)a { f(x)-bx}dx=0이고 a> 3 , b+3인 두 양수 a, b가 존재하지 않
1 ㄴ. g(t)=f(t)-f '(a)t에서

g '(t)=f '(t)-f '(a)
는다.
또한, 조건 (가), (나)에 의하여 함수 y=f(t)와 함수 y=f '(t)의 그래프의
Ü 1<b<3일 때,

개형은 그림과 같다.
y y=f(x)
y=bx
f '(a)
1 b c
y=f(t) a b t

x t=0 t=b t=c y=f '(t)


1b
;3!;a ;3@;
O
이때 점 Q의 속도는 g '(t)=f '(t)-f '(a)이고, 위의 그림에서
그림에서 a+b
2 인 경우 g '(t)É0이므로 점 Q는 운동 방향이 바뀌지 않는다. (거짓)
:)Ó |f(x)-bx|dx<:òÕ |f(x)-bx|dx
a=

ㄷ. ‌점 P가 출발 후 위치의 변화량이 0인 시각이 t=2, t=3이므로 함수

이므로 :)a {f(x)-bx}dx=0을 만족시키는 a의 값의 범위는



y=f(t)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다.

f(0)
a<a<1
Ý b=1일 때, y=f(t)
y y=f(x)
t=2 t=3
y=bx
1 t=0 t=b t=c

따라서
f(t)-f(0)=-t(t-2)(t-3)
1 x f(t)=-t(t-2)(t-3)+f(0)
;3!; a ;3@;
O
f '(t)‌=-(t-2)(t-3)-t(t-3)-t(t-2) ‌

:)Ó |f(x)-bx|dx=:ò1 |f(x)-bx|dx



=-3tÛ`+10t-6
이므로 점 P가 t=1에서 t=2까지 움직인 거리는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15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2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1~4).indd 15 2021-04-09 오후 2:31:46


EBS FINAL 수학영역

:!2 |f '(t)|dt‌=:!2 |-3tÛ`+10t-6|dt ‌ 18



1
=:!2 (-3tÛ`+10t-6) dt ‌ ap+;2!;q=2에서 p+ q=loga`2
2

=[-tÜ`+5tÛ`-6t]2!` ‌ apq=4에서 pq=loga`4


1 1
=(-8+20-12)-(-1+5-6) ‌ pÛ`-pq+ qÛ`={p+
‌ q}2`-2pq ‌
4 2


=2 (참) =(loga`2)Û`-2 loga`4 ‌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loga`2)Û`-4 loga`2=0
③ loga`2(loga`2-4)=0
loga`2=0 또는 loga`2=4
그런데 loga`2=0을 만족시키는 1이 아닌 양수 a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loga`2=4

15 따라서 aÝ`=2
2
조건 (나)에서 a2n=an이므로
aÁ=aª=a¢=a¥=y
즉, n=2m (m은 음이 아닌 정수)이면 조건 (가)에 의하여
an=p
조건 (나)에서
a2n+1=an+an+1
19
f(x)=xÜ`-6xÛ`+ax+b에서
이고 a2µ =p이므로
f '(x)=3xÛ`-12x+a
n=1일 때, a£=aÁ+aª=p+p=2p
이때 함수 |f(x)|가 x=1에서 극댓값을 가지므로
n=2일 때, a°=aª+a£=p+2p=3p
함수 f(x)는 x=1에서 극값을 갖는다.
n=4일 때 a»=a¢+a°=p+3p=4p
즉,
n=8일 때 aÁ¦=a¥+a»=p+4p=5p
f '(1)=3-12+a=-9+a=0
또한,
이므로 a=9
a12=a¤=a£=2p
f '(x)=3xÛ`-12x+9=3(x-1)(x-3)이므로 함수 f(x)는 x=1에서 극대
a14=a¦=a£+a¢=2p+p=3p
이고 x=3에서 극소이다.
a20=aÁ¼=a°=3p
그러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a11=a°+a¤=3p+2p=5p
y=f(x)
a13=a¤+a¦=2p+3p=5p y=|f(x)|
a15=a¦+a¥=3p+p=4p
a18=a»=4p
1 3 x
a19=a»+aÁ¼=4p+3p=7p x
1 3
이므로

Á ak‌=p_5+2p_3+3p_5+4p_3+5p_3+7p
20
‌ f(3)=27-54+27+b=0+b=0에서 b=0
k=1

따라서 f(x)=xÜ`-6xÛ`+9x이므로
=60p=120
f(4)=64-96+36=4
즉, p=2이므로
4
ap+a5p=a2+a10=p+3p=4p=8
③

20
16 a£a°=a¢Û`=1이므로
aÁ+a£ a¢=-1 또는 a¢=1
a2= =;2$;=2이므로
2 등비수열 {an}의 공비를 r`(r는 자연수)라 하면
aª+a¤ 2+8 Ú a¢=-1일 때,
a4= = =5
2 2
1
5 a£=- , a°=-r이므로
r
Á (|ak|_ak)‌=-a£Û`-a¢Û`-a°Û`
5


k=3

=- 1 -1-rÛ`<0
rÛ`
17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r는 없다.
Û a¢=1일 때,
f '(1)=f '(2)=2에서
f '(1)-2=f '(2)-2=0이므로 1
a£= , a°=r이므로
r
Á (|ak|_ak)‌=a£Û`+a¢Û`+a°Û`
f '(x)-2=3(x-1)(x-2) 5

f '(x)‌=3(x-1)(x-2)+2 ‌

k=3

=3xÛ`-9x+8 1 21
= +1+rÛ`=
rÛ` 4
따라서
4rÝ`-17rÛ`+4=0
f(x)‌=: (3xÛ`-9x+8)dx ‌ (4rÛ`-1)(rÛ`-4)=0

9 (2r-1)(2r+1)(r-2)(r+2)=0
=xÜ`- xÛ`+8x+C (C는 적분상수)
2 이때 r는 자연수이므로 r=2
이고, f(0)=C=0이므로 Ú, Û에 의하여
f(2)=8-18+16=6 a¦=a¢rÜ`=rÜ`=8
6 8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16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2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1~4).indd 16 2021-04-09 오후 2:31:47


EBS FINAL 수학영역

21 져야 한다.
f '(x)‌=(x-b)Ü`+3(x-a)(x-b)Û` ‌


ABÓ=4, BCÓ=5, ACÓ=3에서 삼각형 ABC는 ∠CAB=90ù인 직각삼각형이 =(x-b)Û`(4x-3a-b)
므로 에서 f '(3)=(3-b)Û`(12-3a-b)=0이므로
cos`(∠ACB)=;5#; b=3 또는 3a+b=12

삼각형 AP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그런데 b=3이면 x=3에서 극솟값을 갖지 않으므로 모순이다.
2‌ 3 그러므로 3a+b=12 …… ㉡
APÓ =3Û`+xÛ`-2_3_x_

  


5 또한, ①에서
18 f '(x)=4xÜ`-12xÛ`=4xÛ`(x-3)이므로
=xÛ`- x+9
5
b=0
또한,
㉡에 대입하면 a=4
∠APC=∠QPB, ∠CAQ=∠CBQ
그런데 a<b 이어야 하므로 모순이다.
이므로 두 삼각형 CAP, QBP는 서로 닮은 삼각형이다.
①, ②에 의하여 f(5)=125이다.
즉, APÓ : BPÓ=CPÓ : PQÓ에서
 125
CPÓ_BPÓ
PQÓ=
APÓ
CPÓ_BPÓ
그런데, PQÓ>APÓ이므로 >APÓ에서
APÓ
2‌
CPÓ_BPÓ>APÓ 확률과 통계

23
18
x(5-x)>xÛ`- x+9
5
10xÛ`-43x+45<0, (5x-9)(2x-5)<0
E(X)=n_;3!;=10이므로
9 5
<x<
5 2 n=30
9 5 ④
따라서 m= , n= 이므로
5 2
9 5
10mn=10_ _ =45
5 2
 45 24
{x+ }6`의 전개식의 일반항은
a
2x
22 6Crx {
r
2x
} =6Cr{ } x2r-6 (r=0, 1, 2, y, 6)
a 6-r a 6-r
2
Ú ‌함수 f(x)가 극댓값을 가지면 함수 f(x)의 극값을 갖는 x의 개수는 3이므 이므로 xÛ`의 항은 r=4일 때이다.

로 조건 (가)를 만족시키는 함수 |f(x)|의 극값을 갖는 x의 개수는 9이어야 이때 xÛ`의 계수가 15이므로

}2`=
한다. 그런데 어떤 경우에도 이런 경우는 없다.
C4{
a 6_5 aÛ`
_ ‌
Û 함수 f(x)가 극솟값만을 갖는 경우
6
2 2 4
‌
조건 (가)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함수 |f(x)|의 극값을 갖는 x의 개수는 3 15
= aÛ`=15
4

이어야 하고 조건 (나)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함수 y=f(x)의 그래프의 개
aÛ`=4
형은 다음과 같아야 한다.
따라서 a>0이므로 a=2
① y=f(x)
②

a b x
25
② y=f(x) 두 사건 A, B에 대하여 AC과 BC은 서로 배반사건이므로
AC;BC=
이때 AC;BC=(A'B)C= 이므로
a b x P(A'B)=1
즉, P(A'B)=P(A)+P(B)-P(A;B)=1이고
즉, f(x)=(x-a)Ü`(x-b) 또는 f(x)=(x-a)(x-b)Ü`이어야 한다. P(A;B)=P(A)-P(A;BC) ‌

‌
(단, a<b) 3 1 2
= - =
①의 경우, 즉 f(x)=(x-a)Ü`(x-b)일 때, 4 12 3
이므로
조건 (다), (라)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함수 f(x)는 x=3에서 극솟값을 가
P(B)‌=1-P(A)+P(A;B)


져야 한다.

=1- +;3@; ‌
3
f '(x)‌=3(x-a)Û`(x-b)+(x-a)Ü` ‌ 4

=(x-a)Û`(4x-3b-a) 11
=
에서 f '(3)=(3-a)Ü`(12-3b-a)=0이므로 12
a=3 또는 a+3b=12 따라서
그런데 a=3이면 x=3에서 극솟값을 갖지 않으므로 모순이다. 2
P(A;B) 3
그러므로 a+3b=12 …… ㉠ P(A|B)= = =;1¥1;
P(B) 11
  
또한, f(x)=xÝ`+axÜ`+b 에서 12
f '(x)=4xÜ`+3axÛ`이므로 ⑤
f '(3)=108+27a=0, 즉 a=-4
따라서 f '(x)=4xÜ`-12xÛ`=4xÛ`(x-3)이므로
a=0
㉠에 대입하면 b=4
26
P(XÉ8)=P(X¾4)이므로
즉, f(x)=xÜ`(x-4)이므로 f(5)=125
8+4
②의 경우, 즉 f(x)=(x-a)(x-b)Ü`일 때 m= =6
2
조건 (다), (라)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함수 f(x)는 x=3에서 극솟값을 가 따라서 확률변수 X는 정규분포 N(6, 2Û`)을 따르므로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17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2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1~4).indd 17 2021-04-09 오후 2:31:47


EBS FINAL 수학영역

}
5-6 6-6 H6=8C6= 8_7 =28
P(5ÉXÉ6)‌=P{ ÉZÉ ‌ 3
2 2 2

1 a=5일 때, b+c+d=3이므로 순서쌍 (a, b, c, d)의 개수는
=P{- ÉZÉ0} ‌
2 H3=5C3=10
3

=P{0ÉZÉ }
1
2
‌ a=6일 때, b+c+d=0이므로 순서쌍 (a, b, c, d)의 개수는
=0.1915 3 H0=2C0=1
① 그러므로 조건 (가)를 만족시키는 순서쌍 (a, b, c, d)의 개수는
190+136+91+55+28+10+1=511
이때 조건 (나)의 부정은 a¾4이고 a+b+c=10이므로

27 a=4일 때, b+c+d=6이고 b+c=6이어야 한다.


즉, d=0
조건 (가)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이를 만족시키는 순서쌍 (a, b, c, d)의 개수는
f(1)+1, f(1)+5
2 H6=7C6=7
이어야 하고, f(1)=a (a=2, 3, 4)라 하면
a=5일 때, b+c+d=3이고 b+c=5이어야 하므로 음이 아닌 정수 d는 존재
f(f(1))=f(a)=2
하지 않는다.
Ú a=2일 때, 즉 f(1)=f(2)=2인 경우
같은 방법으로 a¾5일 때, 음이 아닌 정수 d는 존재하지 않는다.
f(3), f(4)는 1, 2, 3, 4, 5 중의 어느 것으로 대응해도 되므로
따라서 구하는 모든 순서쌍 (a, b, c, d)의 개수는
5 P2=5Û`=25
511-7=504
Û a=3일 때, 즉 f(1)=3, f(3)=2인 경우
조건 (나)를 만족시키는 경우는 f(2), f(4)가 1, 2, 3, 4, 5에 대응하는 경우에  504

서 1, 4, 5 중 어느 2개에 대응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되므로 그 경우의 수는
5 P2-3P2=25-6=19
Ü f(1)=4, f(4)=2인 경우
조건 (나)를 만족시키는 경우의 수는 Û와 같이 19이다.
30
세 개의 정육면체 모양의 상자 A, B, C를 동시에 한 번 던져서 바닥에 닿은
Ú, Û, Ü에 의하여 구하는 모든 함수 f : X 1° Y의 개수는
a+b+c
25+19+19=63 면에 적혀 있는 세 수를 각각 a, b, c라 하면 X= 이므로
3
② a+b+c=9를 만족시키는 순서쌍 (a, b, c)를 생각하면
(1, 2, 6), (1, 3, 5), (2, 1, 6), (2, 2, 5), (2, 3, 4)
이다.

28 Ú (1, 2, 6)일 확률은

6개의 숫자 0, 1, 2, 3, 4, 5를 한 번씩만 사용하여 만든 다섯 자리의 자연수의 ;6@;_;6@;_;6#;=;1Á8;


개수는 Û (1, 3, 5)일 확률은
5_5P4=600
;6@;_;6@;_;6@;=;2Á7;
Ú ‌일의 자리의 수가 0 또는 2 또는 4인 다섯 자리의 자연수의 개수는
Ü (2, 1, 6)일 확률은
5 P4+2_4_4P3=120+192=312
Û ‌일의 자리의 수가 0 또는 2 또는 4이고 각 자리의 숫자의 합이 홀수가 되려 ;6$;_;6@;_;6#;=;9!;

면 나머지 네 자리의 숫자를 a, b, c, d라 할 때, a+b+c+d는 홀수이어야 Ý (2, 2, 5)일 확률은
한다.
;6$;_;6@;_;6@;=;2ª7;
즉, 짝수 1개, 홀수 3개이어야 한다.
① 일의 자리의 수가 0인 경우 Þ (2, 3, 4)일 확률은
1, 3, 5를 포함하고 2, 4 중에서 1개를 택하여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6$;_;6@;_;6!;=;2Á7;

2C1_4P4=48

따라서 구하는 확률은
② 일의 자리의 수가 2 또는 4인 경우
1, 3, 5를 포함하고 0, 2 중에서 1개를 택하여 나열하거나 1, 3, 5를 포함 P(X=3)=;1Á8;+;2Á7;+;9!;+;2ª7;+;2Á7;=;5!4&;

하고 0, 4 중에서 1개를 택하여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즉, p=54, q=17이므로
2_(2C1_4P4-3P3)=84 p+q=71

따라서 구하는 확률은  71

48+84
600 132 11
= =
312 312 26

600 미적분

23
⑤

:)1 x+1 `dx‌=[ln (x+1)]1) ‌


1
29

=ln`2-ln`1 ‌
조건 (가)에서
=ln`2
a=0일 때, b+c+d=18이므로 순서쌍 (a, b, c, d)의 개수는
①
3H18=20C18= 20_19 =190
2
a=1일 때, b+c+d=15이므로 순서쌍 (a, b, c, d)의 개수는

3H15=17C15= 17_16 =136


2 24
a=2일 때, b+c+d=12이므로 순서쌍 (a, b, c, d)의 개수는 |x|-x
-1< É1이어야 하므로
4
3H12=14C12= 14_13 =91 -4<|x|-xÉ4
2
a=3일 때, b+c+d=9이므로 순서쌍 (a, b, c, d)의 개수는 Ú x¾0일 때,

3H9=11C9= 11_10 =55 -4<0É4이므로 10 이하의 음이 아닌 정수 x는 수열 [{


|x|-x n-1
} ]이
2 4

a=4일 때, b+c+d=6이므로 순서쌍 (a, b, c, d)의 개수는 수렴하도록 한다.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18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2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1~4).indd 18 2021-04-09 오후 2:31:47


EBS FINAL 수학영역

Û x<0일 때, y
y=f(x)
-4<-2xÉ4에서 -2Éx<2
|x|-x n-1
즉, -2Éx<0인 정수 x는 수열 [{ 4 } ]이 수렴하도록 한다. y=g(x)
1

Ú, Û에 의하여 수열 [{ } ]이 수렴하도록 하는 10 이하의 모든 정


|x|-x n-1
4
-1 O 1 x
수 x의 개수는
-1
11+2=13
③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_0! g(x)dx‌=:)1 -(x-1)e dx


x`


25
=-:)1 (x-1)ex`dx ‌

ex-ey(x+1)=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각각 미분하면 =-[[(x-1)ex]1)-:)1 ex`dx] ‌

=-{1-[ex]1)} ‌
dy
ex-ey_ _(x+1)-ey=1
dx
dy ex-ey-1 =-{1-(e-1)} ‌
dx = ey(x+1) (단, x+-1)
=-(2-e) ‌
dy
따라서 x=0, y=0을 대입하면 dx 의 값은 -1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e-2

y=-x …… ㉠ ①
  
즉, ㉠이 점 (2, a)를 지나므로
a=-2
①
28
ACÓ=AEÓ='2이므로
1
S1(h)= _('2)Û`_sin`h=sin`h
2

26 1
Sª(h)= _('2)Û`_h=h
2
AÁBÁÓ=1, BÁCÁÓ='3에서 ∠BÁAÁCÁ=60ù이므로 점 F에서 선분 A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고
p p
SÁ=;2!;_1Û`_ = CHÓ=x라 하면 ∠HCF=
p
이므로
3 6 4
AªBªÓ=x라 하면 AªBªÓ : BªCªÓ=1 : '3에서 HFÓ=CHÓ=x, CFÓ='2x
BªCªÓ='3x E
이고 두 삼각형 AªBªCª, DªCªCÁ은 서로 합동이므로
CªCÁÓ='3x D C
점 A2에서 변 AÁBÁ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F

AÁHÓ=1-x, AªHÓ=BªBÁÓ='3-2'3x='3(1-2x) H
이므로 직각삼각형 AÁHAª에서 피타고라스정리에 의하여
(1-x)Û`+{'3(1-2x)}Û`=1Û` h
xÛ`-2x+1+3(4xÛ`-4x+1)=1 A B
13xÛ`-14x+3=0
이때 ∠HAF=h이므로 직각삼각형 AFH에서
이때 1-x>0, 1-2x>0에서 0<x<;2!;이므로 x x
AHÓ= , AFÓ=
tan`h sin`h
7-'¶10
x=
13 그런데 ACÓ='2이므로
따라서 두 부채꼴 AnBnEn, An+1Bn+1En+1의 닮음비는 x '2`tan`h '2`sin`h
+x='2, x= =
tan`h tan`h+1 cos`h+sin`h
7-'¶10 '2`sin`h sin`h
1:
13
이므로 넓이의 비는 S£(h)=;2!;_'2_ =
cos`h+sin`h cos`h+sin`h
59-14'¶10
1: 따라서
169
sin`h
이고 sin`h_
SÁ(h)_S£(h) cos`h+sin`h
lim ‌= lim ‌
p h Ú0+ h_Sª(h) h Ú0+ h_h
‌

6
lim Sn‌= ‌ sin`h sin`h 1
n Ú¦ 59-14'¶10 = lim { _ _ } ‌

1- h
h Ú0+ h cos`h+sin`h
169
1
169p =1_1_ =1
= 1+0
12(55+7'¶10)
②
즉, a=55, b=7이므로
a+b=62
②
29
tÛ`-2xt+xÛ`-1‌=tÛ`-2xt+(x-1)(x+1) ‌

27 이므로
={t-(x-1)}{t-(x+1)}

f '(x)=ex+(x-1)ex=xex¾0이므로 함수 f(x)는 증가한다. h(t)=et{t-(x-1)}{t-(x+1)}


또한, f(0)=-1, f(1)=0이므로 라 하면 h(t)=0에서 t=x-1 또는 t=x+1
g(-1)=0, g(0)=1 이때 닫힌구간 [-1, 1]에서
그러므로 함수 y=g(x)의 그래프와 x축 및 y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다음 -2Éx-1É0이고 0Éx+1É2이므로
과 같이 함수 y=f(x)의 그래프와 x축 및 y축으로 둘러싸인 부분과 넓이가
f(x)=:)1 |h(t)| dt의 최댓값과 최솟값은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다.
같다.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19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2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1~4).indd 19 2021-04-09 오후 2:31:48


EBS FINAL 수학영역

Ú x+1¾1, 즉 0ÉxÉ1일 때, y

f(x)=:)1 |h(t)| dt=-:)1 h(t) dt

g(t)=: h(t) dt라 하면


Ü 14
;;;3;;; y=g(x)
g(t)‌=: h(t) dt ‌

-1 O Ü 12 x
=: et(tÛ`-2xt+xÛ`-1) dt ‌
㉠에서 방정식 f '(x)=0을 만족시키는 실근의 좌우에서 f '(x)의 부호가 바뀌
=et(tÛ`-2xt+xÛ`-1)-: et(2t-2x) dt ‌ 어야 하는 것이 단 한 개만 존재하기 위해서는

=et(tÛ`-2xt+xÛ`-1)-et(2t-2x)+: 2et`dt ‌ k=;2#;g(x)¾;2#;_ Ü`'4 = Ü`'4


3 2
=et{tÛ`-2(x+1)t+xÛ`+2x+1}+C ‌ Ü`'4
즉, m= 이므로
2
=et{t-(x+1)}Û`+C (단, C는 적분상수)
g(8mÜ`)=g(4)= 16
이므로 65
따라서 p=65, q=16이므로
f(x)‌=-:)1 h(t) dt ‌

=-[g(t)]1)


p+q=81
‌  81
=-g(1)+g(0) ‌
=-exÛ`+(x+1)Û` ‌
=-(e-1)xÛ`+2x+1 ‌ 기하

=-(e-1){x- 1 }2`+ e
e-1 e-1
1 e
23
따라서 함수 f(x)의 최댓값은 x= 일때 이다.
e-1 e-1 PQÓ="Ã
‌ (3-1)Û`+(1-2)Û`+(-1+3)Û` ‌

Û x+1É1, 즉 -1ÉxÉ0일 때, ="Ã4+1+4 ‌
f(x)‌=:)1 h(t) dt ‌ =3

h(t)dt+:?1Ð! h(t)dt

x+1
④
=-:) ‌

24
x+1
=-[g(t)]) +[g(t)]1 ‌
x+1

=-2g(x+1)+g(0)+g(1) ‌
OA³ º OB³=-2_2+4_1=0
=(x+1)Û`+exÛ` ‌
이므로
=(e+1)xÛ`+2x+1 ‌

=(e+1){x+ 1 }2`+ e
PA³ º PB³=0

e+1 e+1 을 만족시키는 점 P는 선분 AB를 지름으로 하는 원이다.


따라서 함수 f(x)의 최댓값은 x=-1일 때 e이다. ABÓ="Ã(2+2)Û`+(1-4)Û`=5
이므로 구하는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의 넓이는
p_{;2%;}2`=;;ª4°;;p
Ú, Û에 의하여 함수 f(x)의 최댓값은 x=-1일 때 e이므로
a=-1, b=e
즉, ln`(aÛ`bÛ`)=ln`eÛ`=2 ln`e=2
⑤
2

30 25
ADÓ=a, BDÓ=b, CDÓ=c로 놓으면 세 삼각형 ABD, BCD, ADC는 모두 직
ekx
f(x)= 에서
"ÃxÜ`+1
각삼각형이므로

3xÛ` ;2!;ab=1, ;2!;bc=2, ;2!;ac=3


kekx_"ÃxÜ`+1-ekx_
2"ÃxÜ`+1
f '(x)= 즉, ab=2, bc=4, ac=6
xÜ`+1
위의 세 식의 좌변은 좌변끼리 우변은 우변끼리 곱하면
ekx(2kxÜ`-3xÛ`+2k)
= aÛ`bÛ`cÛ`=48
2(xÜ`+1)';2#';
   
abc=4'3
이때 함수 f(x)의 극값이 단 한 개만 존재하기 위해서는 방정식 f '(x)=0을
2'3
만족시키는 실근의 좌우에서 f '(x)의 부호가 바뀌어야 하는 것이 단 한 개만 따라서 a='3, b= , c=2'3이다.
3
존재해야 한다. 또한,
그런데 ekx>0이므로 f '(x)=0에서
BCÓ="ÃbÛ`+cÛ`=®Â +12=
4 2'¶30
2kxÜ`-3xÛ`+2k=0 3 3
이므로 점 D에서 변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직각삼각형 BCD에서
즉, k=;2#;_ =;2#; g(x)
xÛ`
…… ㉠
;2!;_ _2'3=;2!;_
xÜ`+1 2'3 2'¶30
  
_DHÓ
3 3
이때
2x(xÜ`+1)-xÛ`_3xÛ` '¶30
g '(x)‌= ‌ DHÓ=
(xÜ`+1)Û` 5

-x(xÜ`-2) 이때 ADÓ⊥(평면 BCD), DHÓ⊥BCÓ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
(xÜ`+1)Û` AHÓ⊥BCÓ
이므로 함수 g(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이므로 삼각형 ABC의 넓이는

;2!;_ _AHÓ‌=;2!;_ _®Â3+;2#5);


2'¶30 2'¶30
x (-1) y 0 y Ü`'2 y 3 3


g '(x) - 0 + 0 - 2'¶30 '¶105
=;2!;_ _ ‌
Ü`'4 3 5
g(x) ↘ 0 ↗ ↘
3 ='¶14

즉, 함수 y=g(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④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20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2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1~4).indd 20 2021-04-09 오후 2:31:48


EBS FINAL 수학영역

26 29
접점의 좌표를 (xÁ, yÁ) (xÁ>0, yÁ>0)이라 하면 접선 l의 방정식은 xÛ` yÛ`
장축의 길이가 9인 타원의 방정식을 + =1 (a>0)이라 하자.
yÁy=2p(x+xÁ) ;;¥4Á; aÛ`
이때 직선 l이 x축, y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는 각각 삼각형 PQF는 정삼각형이고 직선 PQ는 ∠FPF'의 이등분선이므로
2pxÁ
(-xÁ, 0), {0, } ∠FPF'=120ù

이때 PF'Ó=b, PFÓ=c라 하면 삼각형 PF'F의 넓이가 2'3이므로
이고 직선 l과 x축 및 y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이 이등변삼각형이므로
'3
xÁ=
2pxÁ
, yÁ=2p ;2!;bc`sin`120ù=2'3, bc=2'3
yÁ 4
즉, xÁ=p이고 이등변삼각형의 넓이가 2이므로 bc=8 …… ㉠

   
2pxÁ pÜ` pÛ` 또한,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2!;_xÁ_ = = =2
yÁ 2p 2 b+c=9 …… ㉡

  
pÛ`=4 이고 삼각형 PQF는 정삼각형이므로 점 P는 제1사분면 위의 점이다.
p>0이므로 p=2 즉, b>c이고 ㉠, ㉡에서 b=8, c=1
따라서 직선 l의 방정식은 4y=4(x+2), 즉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삼각형 PQF의 넓이는
x-y+2=0이고, 원점과 직선 l 사이의 거리는 '3 '3
k= _1Û`=
|2| 4 4
='2
"Ã1Û`+(-1)Û` 또한, 삼각형 PF'F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② (2p)Û`=8Û`+1Û`-2_8_1_cos`120ù
73
4pÛ`=73, pÛ`=
4
이때 타원의 단축의 길이는
81 81 73
27
2a=2®Â -pÛ`=2®Â - =2'2
4 4 4
3 131
원점 O는 선분 FF'의 중점이므로 삼각형 PF'O는 직각이등변삼각형이다. 즉, kÛ`+lÛ`= 16 +8= 16
이때 OPÓ=c이므로 타원의 방정식을 따라서 m=16, n=131이므로 m+n=147
xÛ` yÛ`  147
+ =1로 놓으면
aÛ` cÛ`
cÛ`=aÛ`-cÛ`, aÛ`=2cÛ`

30
xÛ` yÛ`
즉, 타원의 방정식은 + =1이다.
2cÛ` cÛ`
또한,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두 점 B, C의 평면 a 위로의 정사영을 각각 B', C'이라 하자.
QF'Ó+QFÓ=2'2c
이때 구의 반지름의 길이는 1이고, 원기둥의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도 1이므로
이고 FF'Ó=2c이므로 삼각형 QFF'의 둘레의 길이는 B'C'Ó=2
2'2c+2c=2c('2+1)=4+4'2
따라서 삼각형 BCP의 평면 a 위로의 정사영이 삼각형일 때, 그 삼각형은 삼각
c=2
형 B'C'P이고 삼각형 B'C'P의 외접원을 R라 할 때 사인법칙에 의하여
따라서 정사각형 FABF'의 넓이는 B'C'Ó
=2R
(2c)Û`=4Û`=16 sin(∠B'PC')
③ 1
즉, R= 이므로 R가 최소가 되는 경우는 ∠B'PC'=90ù일 때
sin(∠B'PC')
이다.
따라서 직선 C'P가 원기둥의 밑면에 접할 때이므로
2
C'PÓ =2Û`-1Û`=3

28 즉, 직각삼각형 B'C'P의 넓이는

주어진 조건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2!;_'3_1= '3


2
y 또한,
BPÓ="Ã2Û`+1Û`='5,
4
Q CBÓ="Ã2Û`+1Û`='5,
CPÓ="Ã('3)Û`+1Û`=2
2
P 이므로 이등변삼각형 BCP의 넓이는
;2!;_2_"Ã('5)Û`-1Û`=2
-1 O 4 x '3
이때 2 cos`h= 이므로
2
cos`h= '3
이때 두 벡터 OP³, OQ³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4
OP³³ º OQ³=|OP³||OQ³|cos`h ‌ 즉, cos2`h=
3
16
‌
=4|OQ³|cos`h
따라서 p=16, q=3이므로
이고 |OQ³|cos`h는 선분 OQ의 직선 OP 위로의 정사영의 길이를 k라 할 때,
p+q=19
k 또는 -k의 값과 같다.
 19
따라서 OP³ º OQ³의 최댓값은 정사영의 길이가 가장 길 때이므로 점 P가 점
(0, 4)이고 점 Q가 점 (-1, 3)일 때이다.
즉, M=(0, 4)º(-1, 3)=12
OP³ º OQ³의 최솟값은 p <h<p이면서 정사영의 길이가 가장 길 때이므로 점
2
P가 점 (4, 0)이고 점 Q가 점 (-2, 2)일 때이다.
즉, m=(4, 0)º(-2, 2)=-8
따라서
M-m=12-(-8)=20
④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21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2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1~4).indd 21 2021-04-09 오후 2:31:49


EBS FINAL 수학영역

3 회 EBS FINAL 수학영역


05
본문 35~50쪽
f{
3
p}=8이므로
4
f { p}=a cos`3p+b=-a+b=8
3
01 ⑤ 02 ③ 03 ② 04 ⑤ 05 ⑤ 4
   …… ㉠

06 ① 07 ② 08 ③ 09 ② 10 ① 0ÉxÉp에서 -1Écos`4xÉ1이고
함수 f(x)의 최솟값이 -4이므로
11 ② 12 ① 13 ④ 14 ② 15 ⑤ -|a|+b=-4            …… ㉡

16 192 17 16 18 156 19 18 20 49 a>0이면 ㉠, ㉡이 모순이므로 a<0이고 ㉡에서


a+b=-4              …… ㉢
21 24 22 12 ㉠, ㉢을 연립하여 풀면
a=-6, b=2
확률과 통계 23 ① 24 ④ 25 ⑤ 26 ⑤
따라서 f(x)=-6 cos`4x+2이고
27 ② 28 ③ 29 196 30 105
f{
2 8
p}=-6 cos` p+2 ‌
3 3
‌

미적분 23 ① 24 ④ 25 ② 26 ③ 2
=-6 cos` p+2 ‌
3
27 ⑤ 28 ⑤ 29 5 30 427
=-6_{- }+2 ‌
1
2
기하 23 ④ 24 ③ 25 ③ 26 ⑤
=5
27 ① 28 ② 29 44 30 35 ⑤

01
8;9*;Ö4;3!;=(2Ü`);9*;Ö(2Û`);3!; 06
g(x)=(xÛ`-3x+4)f(x)에서
    =2;3*;Ö2;3@;
g'(x)=(2x-3)f(x)+(xÛ`-3x+4)f '(x) …… ㉠
=2;3*;-;3@;
  

함수 g(x)가 x=1에서 극솟값 8을 가지므로


   

=2Û`=4
g'(1)=0, g(1)=8
   

⑤
g(1)=2f(1)이므로 8=2f(1)에서
f(1)=4
㉠에 x=1을 대입하면 g'(1)=-f(1)+2f '(1)이므로
0=-4+2f '(1)
02 즉, f '(1)=2
f(x)=(xÛ`+2)(x-1)에서 따라서
f '(x)‌=(xÛ`+2)'_(x-1)+(xÛ`+2)_(x-1)' ‌

f(1)+f '(1)=4+2=6
=2x(x-1)+(xÛ`+2) ‌ ①
=3xÛ`-2x+2
이므로
f '(1)=3
③
07
4x-2 (x<2)
f '(x)=[ 에서
2x+2 (x¾2)


03 Ú x<2일 때,

f(x)‌=: (4x-2) dx ‌
-1ÉxÉ5에서 함수 y=logª (x+a)+b는 x=-1일 때 최소이고 x=5일


때 최대이다. =2xÛ`-2x+CÁ (단, CÁ은 적분상수)


f(x)=logª (x+a)+b라 하면 f(0)=3에서
f(-1)=logª (-1+a)+b=6    …… ㉠ f(0)=CÁ=3이므로
f(5)=logª (5+a)+b=8      …… ㉡ f(x)=2xÛ`-2x+3 (x<2)
㉡-㉠에서 Û x¾2일 때,
logª (5+a)-logª (-1+a)=2 f(x)‌=: (2x+2) dx
 ‌
logª (5+a)=logª (-1+a)+logª`4
=xÛ`+2x+Cª (단, Cª는 적분상수)
logª (5+a)=logª`4(-1+a)
f(x)가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고 Ú에서
5+a=4(-1+a)
lim `f(x)= lim (2xÛ`-2x+3)=7
따라서 a=3이고 ㉠에서 b=5이므로 x Ú2- x Ú2-

a+b=8 이므로
② f(2)= lim `f(x)=2Û`+2_2+Cª=7
x Ú2+

Cª=-1이므로
f(x)=xÛ`+2x-1 (x¾2)
Ú, Û에서
04 f(x)=[
2xÛ`-2x+3 (x<2)
lim `f(x)=1, lim `f(x)=1이므로 xÛ`+2x-1  (x¾2)
x Ú-1- x Ú2+
이므로
lim `f(x)+ lim `f(x)=1+1=2
x Ú-1- x Ú2+ f(3)=3Û`+2_3-1=14
⑤ ②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22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3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1~4).indd 22 2021-04-09 오후 2:31:50


EBS FINAL 수학영역

08 11
C 출발 후 x초일 때 두 점 P, Q의 위치를 각각 f(x), g(x)라 하면
D f(x)=:)/ (tÛ`-2t) dt=[;3!;tÜ`-tÛ`])/ =;3!;xÜ`-xÛ`
120ù

B g(x)=:)/ 4t`dt=[2tÛ`]/)=2xÛ`
A
f(x)=g(x)에서

;3!;xÜ`-xÛ`=2xÛ`, ;3!;xÛ`(x-9)=0
삼각형 AD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2‌ 2
ACÓ =ADÓ +CDÓ -2_ADÓ_CDÓ_cos`120ù
2
‌ x>0이므로 x=9

=2Û`+3Û`-2_2_3_cos`120ù ‌ 즉, 두 점 P, Q는 t=9일 때 처음으로 만난다.
점 P가 출발 후 9초까지 이동한 거리를 s라 하면
=4+9-2_2_3_{- }
1

2
s‌=:)9 |tÛ`-2t| dt ‌


=19
사각형 ABCD는 원에 내접하므로 =:)2 (-tÛ`+2t) dt+:@9 (tÛ`-2t) dt ‌

=[- 1 tÜ`+tÛ`]2)+[ 1 tÜ`-tÛ`]9@


∠ABC‌=180ù-∠ADC ‌

=180ù-120Ùù ‌ ‌
3 3
=60ù = +[162-{-;3$;}]
4 ‌
ABÓ=x라 하면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3
= 494
2‌ 2‌ 2‌
ACÓ =ABÓ +BCÓ -2_ABÓ_BCÓ_cos`60ù



3
1 ②
19=xÛ`+3Û`-2_x_3_
2
xÛ`-3x-10=0
(x+2)(x-5)=0
x>0이므로 x=5
③ 12
aÁ+a¦=aª+a¤=a£+a°=2a4이므로

Á an=7a4
09
7

a¢는 정수이므로 Á an은 7의 배수이다.


n=1

7
조건 (가)에서 x+2일 때 양변을 x-2로 나누면

Á anÉ Á |an|이고 224=7_2Þ`이므로


n=1
f(x)-2xÜ`
g(x)= (x+2) …… ㉠ 7 7
x-2
      
Á an=7, Á |an|=32 또는 Á an=14, Á |an|=16
n=1 n=1
조건 (나)에서 7 7 7 7
f(x)-2xÜ`
lim g(x)=lim =4 n=1 n=1 n=1 n=1
x Ú¦ x Ú¦ x-2
an¾0이면 |an|-an=0,
이므로 f(x)-2xÜ`은 일차항의 계수가 4인 일차식이다.
an<0이면 |an|-an=-2an

이므로 Á |an|- Á an은 짝수이다.


즉, f(x)-2xÜ`=4x+a(a는 상수)라 하면 7 7

f(x)=2xÜ`+4x+a

따라서 Á an=14, Á |an|=16


n=1 n=1

함수 g(x)가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므로 x=2에서도 연속이고 7 7

Á an=7a¢=14에서 a¢=2
lim g(x)=g(2) n=1 n=1
x Ú2
7

㉠에서

Á (|an|-an)=16-14=2이므로
n=1

f(x)-2xÜ` 4x+a 7
g(2)=lim =lim …… ㉡
x Ú2 x-2 x Ú2 x-2
  
n=1

x 1° 2일 때 (분모) 1°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ak=-1인 k의 값이 오직 하나 존재하고 공차가 양수이므로


(분자) 1° 0이다. aÁ=-1
lim (4x+a)=8+a=0 수열 {an}의 공차를 d라 하면 d=1이고 일반항 an은
x Ú2
an=-1+(n-1)_1=n-2
이므로 a=-8
이므로

Á an‌= Á (n-2) ‌
따라서 f(x)=2xÜ`+4x-8이고 ㉡에서
14 14
4x-8 4(x-2)
g(2)=lim =lim =4 n=1 n=1
x Ú2 x-2 x-2

x Ú2
14_15
f(1)=-2이므로 = -14_2 ‌
2
f(1)+g(2)=-2+4=2
=77
② ①

10
2x=3y=36에서
x=logª`36, y=log£`36
13
Ú n=1일 때,
따라서
aÁ=4Ú`-2=2이므로 성립한다.
xy-2x-2y+10‌=(x-2)(y-2)+6 ‌
Û n=k일 때,

=(logª`36-2)(log£`36-2)+6 ‌
ak=4k-2라 가정하면

ak+1‌= 6(k+1) +3 Á ai ‌
=(logª`36-logª`4)(log£`36-log£`9)+6 ‌
k

={logª` }_{log£` }+6 ‌


36 36

= 6(k+1) +3 Á ai+3ak
i=1
4 9

k-1
=logª`9_log£`4+6 ‌ ‌

={6k+3 Á ai}+6+3ak
i=1
=2 logª`3_2 log£`2+6 ‌ k-1

=2_2+6=10 i=1

① =ak+6+3ak ‌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23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3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1~4).indd 23 2021-04-09 오후 2:31:51


EBS FINAL 수학영역

= 4 _ak+6 ‌ y
y=g(x)
= 4 _(4k-2)+6 ‌ 4

= 4k+1-2
이므로 n=k+1일 때에도 성립한다.
Ú, Û에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4n-2가 성립한다. O 1 2 4 x
k+1
이상에서 f(k)=6(k+1), g(k)=4 -2, p=4이므로
f(8)+g(4) 54+1022 1076 ㄱ. g'(2)=f '(2)=0 (참)
= = =269 ㄴ. 닫힌구간 [0, t]에서 함수 g(x)의 최댓값이 h(t)이므로
p 4 4


④ 0<tÉ2일 때 h(t)=g(t)이다.
따라서

:!2 h(t) dt‌=:!2 (tÜ`-9tÛ`+24t-16) dt ‌

14 =[ 1 t4-3tÜ`+12tÛ`-16t]2!



4
g( f(x))=g(3x)에서
= 11 (참)
-{ f(x)}Û`+4 f(x)=-(3x)Û`+4_(3x) 4
{ f(x)}Û`-4 f(x)-3x(3x-4)=0 ㄷ. g(x)=4에서
{ f(x)-3x}{ f(x)+3x-4}=0 xÜ`-9xÛ`+24x-16=4
f(x)=3x yy ㉠ 또는 f(x)=-3x+4 yy ㉡ xÜ`-9xÛ`+24x-20=0
f(x)가 삼차함수이므로 ㉠, ㉡은 모두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x-2)Û`(x-5)=0
방정식 g( f(x))=g(3x)가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는 경우는 ㉠, ㉡ 중 하나 x=2 또는 x=5
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고 나머지 하나는 한 개의 실근을 가지는 경우 이므로
이다. 2ÉtÉ5일 때, h(t)=4
Ú 방정식 ㉠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는 경우 t>5일 때, h(t)=g(t)
-axÜ`+bx=3x에서 x{axÛ`-(b-3)}=0 이고 ㄴ에서 0<tÉ2일 때 h(t)=g(t)이므로
a, b는 자연수이므로 bÉ3이면 한 개의 실근을 가지고, b¾4이면 서로 다른 함수 y=h(t)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세 실근을 갖는다. y
y=h(t)
따라서 방정식 ㉠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질 수는 없다. 4
Û 방정식 ㉡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는 경우
방정식 ㉠은 한 개의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Ú에서 bÉ3이고 그 근은 x=0

이다.
f(x)=-3x+4에서 -axÜ`+bx=-3x+4이므로 O 1 2 4 5 t

axÜ`-(b+3)x+4=0
h(x)=axÜ`-(b+3)x+4라 하면 h(x)=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므 S(a)=:!Ó h(t) dt라 하면

로 함수 h(x)의 극댓값 또는 극솟값이 0이다.
h'(x)=3axÛ`-(b+3)=0에서 S(5)‌=:!5 h(t) dt=:!2 h(t) dt+:@5 4`dt ‌

b+3 b+3 11 59
x=¾Ð 또는 x=-¾Ð = +4_(5-2)=
3a 3a 4 4
2(b+3) b+3 a>5일 때
}=- ¾Ð
b+3
h{¾Ð +4
3a 3 3a
S(a)‌=S(5)+:%Ó h(t) dt ‌

2(b+3) b+3
}= ¾Ð
b+3
h{-¾Ð +4 59
3a 3 3a = +:%Ó (tÜ`-9tÛ`+24t-16) dt
4
}>0이다.
b+3
a, b는 자연수이므로 h{-¾Ð 이때
3a

}3`
2(b+3) b+3 59
}=- ¾Ð +4=0이고 a=;4!;_{
b+3 b+3 S(6)‌= 4 +:%6 (tÜ`-9tÛ`+24t-16) dt ‌
따라서 h{¾Ð

+[;4!;tÝ`-3tÜ`+12tÛ`-16t]6%

3a 3 3a 3
59
b=1일 때 a=;2!7^;, b=2일 때 a=;1!0@8%;, b=3일 때 a=2 =
4

51
a, b는 자연수이므로 a=2, b=3 =
2
Ú, Û에서 a=2, b=3이므로 59
S(7)‌= 4 +:%7 (tÜ`-9tÛ`+24t-16) dt ‌

+[;4!;tÝ`-3tÜ`+12tÛ`-16t]7%

a+b=5
59
= ‌
② 4
243
=
4
t>0일 때 h(t)가 연속이므로 a>0일 때 S(a)도 연속이다.
15

S(6)<50<S(7)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f(x)=xÜ`-9xÛ`+24x-16=(x-1)(x-4)Û`이고 S(a)=50인 a가 6<a<7에 존재한다.

f '(x)=3xÛ`-18x+24=3(x-2)(x-4) 또 a>1일 때 S(a)는 증가하므로 S(a)=50인 a는 유일하다.


따라서 6<a<7 (참)
이므로 함수 f(x)는 x=2에서 극댓값 4를 가지고, x=4에서 극솟값 0을 갖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는다.
f(x)+|f(x)| ⑤
g(x)= 에서
2
f(x)<0일 때, g(x)=0
f(x)¾0일 때, g(x)=f(x)
따라서
16
등비수열 {an}의 공비를 r라 하면
0 (x<1)
g(x)=[ a°
=;;¢6¥;;=8=rÜ`
 
(x-1)(x-4)Û` (x¾1) aª
이고, 함수 y=g(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이므로 r=2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24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3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1~4).indd 24 2021-04-09 오후 2:31:51


EBS FINAL 수학영역

따라서
a¦=a°_rÛ`=48_2Û`=192
21
 192 E
C

OÁ F

17

h
A
B D

:)4 |xÛ`-4| dx‌=:)2 (-xÛ`+4) dx+:@4 (xÛ`-4) dx ‌ 점 Oª에서 세 직선 AB, AC,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D, E, F라 하고,

=[- xÜ`+4x]2)+[ xÜ`-4x]4@ ‌



∠BAC=h라 하자.
1 1
3 3 ABÓ=10이고 ∠C=90ù이므로
8 64 ACÓ=10 cos`h, BCÓ=10 sin`h
={- +8}+[{ -16}-{;3*;-8}] ‌
3 3 삼각형 ABC의 넓이를 S라 하면
=16
S=;2!;_10 cos`h_10 sin`h=50 sin`h`cos`h
 16
삼각형 ABC의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rÁ이므로

S=rÁ_ ABÓ+BCÓ+CAÓ
18
2

50 sin`h cos`h= (10+10 sin`h+10 cos`h)
주어진 방정식에서 5x=t (t>0)으로 놓으면 2
tÛ`-16t+50=0 10 sin`h`cosh
…… ㉠ rÁ=
1+sin`h+cos`h
  
주어진 방정식의 두 근이 a, b이면 이차방정식 ㉠의 두 근은 5a, 5b이므로 근과 또한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S=△ABOª+△CAOª-△CBOª ‌
‌
5a+5b=16, 5a_5b=50 rª
= _(ABÓ+CAÓ-BCÓ) ‌
따라서 2
52a+52b=(5a+5b)Û`-2_5a_5b ‌ rª
= (10+10 cos`h-10 sin`h)
‌

2
=16Û`-2_50 ‌
=5rª(1+cos`h-sin`h)
=256-100 ‌
50 sin`h`cos`h=5rª(1+cos`h-sin`h)에서
=156
10 sin`h`cosh
 156 rª=
1+cos`h-sin`h
rª=2rÁ이므로
10 sin`h`cosh 10 sin`h`cos`h

19 1+cos`h-sin`h =2_ 1+sin`h+cos`h


sin`h>0, cos`h>0이므로
aÁ=1이므로 3 sin`h=cos`h+1
aª=2aÁ+1=3 양변을 제곱하면
a£=;2!;aª=;2#; 9 sinÛ``h=(cos`h+1)Û`
9(1-cosÛ``h)=cosÛ``h+2 cos`h+1
a¢=2a£+3=6
2(cos`h+1)(5 cos`h-4)=0
a°=;2!;a¢=3
4 3
cos`h>0이므로 cos`h= 이고 sin`h=
a¤=2a°+5=11 5 5
따라서
a¦=;2!;a¤=;;ÁÁ2Á;;
S=50 sin`h`cos`h
‌
a¥=2a¦+7=18 3 4
=50_ _ ‌
5 5
 18
=24
 24

20
함수 f(x)의 그래프와 직선 y=2가 서로 다른 세 점 A, B, C에서 만나므로 방
정식 f(x)=2의 세 실근이 a, b, c이다. 22
함수 f(x)는 삼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함수이므로 f(x)는 이차함수이므로
f(x)-2=(x-a)(x-b)(x-c) f(x)=axÛ`+bx+c (a+0)이라 하자.
즉, f(x)=(x-a)(x-b)(x-c)+2
f '(x)=2ax+b이고 조건 (가)에서 f '(1)=-;2!;이므로
이때
f '(x)=(x-b)(x-c)+(x-a)(x-c)+(x-a)(x-b) f '(1)=2a+b=-;2!;
이므로
에서 b=-2a-;2!;이고
f '(a)=(a-b)(a-c)
f '(b)=(b-a)(b-c) f(x)=axÛ`-{2a+;2!;}x+c
f '(c)=(c-a)(c-b)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가 x=t에서 만나면 f(t)=g(t)이므로
ABÓ=5, BCÓ=3이므로
b-a=5, c-b=3이고 c-a=8 atÛ`-{2a+;2!;}t+c=-tÛ`
따라서
즉, (a+1)tÛ`-{2a+;2!;}t+c=0 …… ㉠
f '(a)=(-5)_(-8)=40
  
f '(b)=5_(-3)=-15 x=t에서 접선이 서로 수직이면 f '(t)_g'(t)=-1에서
f '(c)=8_3=24 {2at-2a-;2!;}_(-2t)=-1
이므로
f '(a)+f '(b)+f '(c)‌=40+(-15)+24 ‌ 즉, 4atÛ`-2{2a+;2!;}t-1=0 …… ㉡
   

=49 두 함수 f(x), g(x)의 그래프가 서로 다른 두 점 A, B에서 만나므로 두 이차
 49 방정식 ㉠, ㉡은 모두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고 그 근은 서로 같다. 즉,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25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3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1~4).indd 25 2021-04-09 오후 2:31:51


EBS FINAL 수학영역

4a=k(a+1), 2{2a+;2!;}=k{2a+;2!;}, -1=kc (단, k는 0이 아닌 상수)


27
Ú a=-;4!;인 경우 확률변수 X는 정규분포 N(m, 8Û`)을 따르고
P(X¾110)=P(XÉ134)이므로
이차방정식 ㉡은 -tÛ`-1=0이 되어 실근이 존재하지 않는다.
110+134
m= =122
Û a+-;4!;인 경우 2
X-122
Z= 로 놓으면 확률변수 Z는 표준정규분포 N(0, 1)을 따른다.
2{2a+;2!;}=k{2a+;2!;}에서 k=2 8
따라서
4a=2(a+1)에서 a=1
}
X-122 130-122
P(XÉ130)‌=P{ É
2c=-1에서 c=-;2!;

8 8


=P(ZÉ1) ‌
이때, 두 이차방정식 ㉠, ㉡은 모두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0.5+P(0ÉZÉ1) ‌
Ú, Û에서 f(x)=xÛ`-;2%;x-;2!;이므로
=0.5+0.3413 ‌
f(5)=25-;;ª2°;;-;2!;=12 =0.8413
②
 12

확률과 통계 28
이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이 볼링을 선택하는 사건을 A라 하면 배드민턴을 선택
23 하는 사건은 AC이고

=;1¦0;
140
확률의 총합은 1이므로 P(A)=
200
a+;6!;+b+;4!;=1 이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이 여학생인 사건을 B라 하면 남학생인 사건은 B C
이고
에서 a+b=;1¦2;
=;5@;
4
P(B)=
P(XÉ3)‌=P(X=1)+P(X=3) ‌ 10

1 1 이 고등학교 1학년 학생 중 임의로 선택한 학생이 배드민턴을 선택한 남학생일
=a+ =
6 3 1
확률이 5 이므로
1 5
따라서 a= 6 , b= 12 이므로
1
P(AC;BC)=
5
b-a=;1°2;-;6!;=
1
4 에서
① 1 4
P(A'B)=1-P(AC;BC)=1- =
5 5
이고
P(A;B)‌=P(A)+P(B)-P(A'B) ‌
24

+;5@;-;5$;=;1£0;
7
=
}5`의 전개식의 일반항은
10
{xÜ`+
2
xÛ` 이 고등학교 1학년 학생 중 임의로 선택한 학생이 볼링을 선택한 학생이었을

{ }r`=5Cr_2r_x15-5r
2 때, 이 학생이 여학생일 확률은
5Cr(xÜ`)
5-r
xÛ` 3
P(A;B) 10
15-5r=5에서 r=2이므로 x5의 계수는 P(B|A)= = =;7#;
P(A) 7
C2_2Û`=10_4=40
5
10
④
③

25 29
1 크기가 n인 표본을 임의추출하여 얻은 이 도서관을 이용한 사람의 이용 시간의
P(A ;B )=1-P(A'B)= 에서
C C
6
평균을 x 라
Õ 하면 모평균 m에 대한 신뢰도 95`%의 신뢰구간은
1 5
P(A'B)=1- = 5 5
6 6 x Õ-1.96_ ÉmÉx Õ+1.96_
'¶n '¶n
따라서
이다. 이때
5 1 1
P(AC;B)‌=P(A'B)-P(A)= - = 5
6 3 2 b-a=2_1.96_ É1.4
'¶n

⑤
에서

'¶n¾
2_1.96_5
=14
1.4

26 따라서 n¾196이므로 자연수 n의 최솟값은 196이다.


 196
A, B 두 명을 하나로 보고 (A, B), E, F를 원형으로 배열하는 경우의 수는
(3-1)!=2!=2

30
A, B가 자리를 바꾸는 경우의 수는
2!=2
자리에 앉은 (A, B), E, F의 사이 3곳에 두 학생 C, D가 앉는 경우의 수는 조건 (나)에서 두 학생 A, C가 받는 볼펜의 개수는 모두 홀수이므로 C가 받는
£Pª=6 빨간색 볼펜의 개수가 홀수이면 세 학생 A, B, C가 받는 빨간색 볼펜의 개수는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각각 홀수, 짝수, 홀수이고, 두 학생 C, D가 받는 파란색 볼펜의 개수는 각각
2_2_6=24 짝수, 짝수이다. (단, 짝수는 볼펜의 개수가 0인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⑤ 생각한다.)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26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3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1~4).indd 26 2021-04-09 오후 2:31:52


EBS FINAL 수학영역

:! dx‌=:)2 t`dt=[ tÛ`]2)=2


C가 받는 빨간색 볼펜의 개수가 짝수이면 세 학생 A, B, C가 받는 빨간색 볼 eÛ`
ln`x 1
x 2


펜의 개수는 각각 홀수, 홀수, 짝수이고, 두 학생 C, D가 받는 파란색 볼펜의 개
수는 각각 홀수, 홀수이다. ④
Ú 학생 C가 받는 빨간색 볼펜의 개수가 홀수인 경우
세 학생 A, B, C가 받는 빨간색 볼펜의 개수를 각각 a, b, c (단, a, c는 홀수,

25
b는 짝수)라 하면
a+b+c=10 …… ㉠
  
㉠에서 a=2a'+1, b=2b', c=2c'+1 (단, a', b', c'은 음이 아닌 정수)이 x=t+2 sin`t, y=cos`t+2에서

라 하면 dx dy
dt =1+2 cos`t, dt =-sin`t
(2a'+1)+2b'+(2c'+1)=10
이므로 시각 t에서 점 P의 속력은
a'+b'+c'=4
¾¨{ }2`+{ }2`="Ã(1+2 cos`t)Û`+(-sin`t)Û`
A, B, C에게 빨간색 볼펜을 나누어 주는 경우의 수는 dx dy
dt dt
£H4=3+4-1C4=6C4=6Cª=15
="Ã1+4 cos`t+4 cosÛ``t+sinÛ``t
두 학생 D, E가 받는 파란색 볼펜의 개수를 각각 d, e (단, d, e는 짝수)라

        

하면 ="Ã1+4 cos`t+4 cosÛ``t+(1-cosÛ``t)

        
d+e=6 …… ㉡ ="Ã3 cosÛ``t+4 cos`t+2

        
    
2
㉡에서 d=2d', e=2e' (단, d', e'은 음이 아닌 정수)라 하면 =¾¨3 {cos`t+ 3 }2`+;3@;

        
2d'+2e'=6
0ÉtÉ2p일 때 -1Écos`tÉ1이므로 점 P의 속력은
d'+e'=3
2
C, D에게 파란색 볼펜을 나누어 주는 경우의 수는 cos`t=- 일 때 최소이고 최솟값은
3
ªH£=2+3-1C£=4C£=4 2 '6
¾¨ =
구하는 경우의 수는 3 3
15_4=60 ②
Û 학생 C가 받는 빨간색 볼펜의 개수가 짝수인 경우
세 학생 A, B, C가 받는 빨간색 볼펜의 개수를 각각 a, b, c (단, a, b는 홀수,

c는 짝수)라 하면
a+b+c=10 …… ㉢ 26
  
㉢에서 a=2a'+1, b=2b'+1, c=2c' (단, a', b', c'은 음이 아닌 정수)라 BÁ

하면
Aª Oª
(2a'+1)+(2b'+1)+2c'=10
a'+b'+c'=4
A, B, C에게 빨간색 볼펜을 나누어 주는 경우의 수는 OÁ AÁ

3 H4=3+4-1C4=6C4=6C2=15
부채꼴 OnAnBn에서 OnAn=
Ó an이라 하면 a1=3이다.
두 학생 D, E가 받는 파란색 볼펜의 개수를 각각 d, e (단, d, e는 홀수)라
p

하면 직선 O1O2는 ∠A1O1B1의 이등분선이고, ∠AÁOÁBÁ=∠AªOªBª= 3 이므로
d+e=6 …… ㉣ p
∠A2O1O2=∠A2O2O1= 이고 삼각형 AªO1Oª는 이등변삼각형이다.
    
㉣에서 d=2d'+1, e=2e'+1 (단, d', e'은 음이 아닌 정수)이라 하면 6
(2d'+1)+(2e'+1)=6 2
∠O1AªOª= p, O1OªÓ=3, O1AªÓ=OªAªÓ=aª이므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3
d'+e'=2
3Û`=aªÛ`+aªÛ`-2_aª_aª_cos` 2 p
C, D에게 파란색 볼펜을 나누어 주는 경우의 수는 3
ªHª=2+2-1Cª=£Cª=3 3aªÛ`=9에서 aª='3
구하는 경우의 수는 평행사변형 O1B2O2A2의 넓이는
15_3=45 p '3 3'3
aªÛ` sin` =3_ =
Ú, Û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3 2 2

60+45=105 이고 부채꼴 OªAªBª의 넓이는


1 p p
 105 _aªÛ`_ 3 = 2
2
이므로
3'3 p 3'3-p
S1= - =
미적분 2 2 2
부채꼴 OnAnBn과 부채꼴 On+1An+1Bn+1의 넓이의 비가 3Û` : ("3)Û`=3 : 1이

23 므로
3'3-p
(4nÛ`+2n+1)-4nÛ` Sn은 첫째항이 이고 공비가 ;3!;인 등비수열의 합이다.
lim ("Ã4nÛ`+2n+1-2n)‌=lim 2
n Ú¦ n Ú¦ "Ã4nÛ`+2n+1+2n

따라서
2n+1
=lim 3'3-p
n Ú¦ "Ã4nÛ`+2n+1+2n
2 9'3-3p
1 lim Sn= =
2+ n Ú¦ 1 4
n 1-
=lim ‌ 3
n Ú¦ 2 1
®û4+ n + +2 ③
nÛ`
=;2!;
2
=
2+2
①

27
24 f(x)=xe-x이라 하면 f(x)=0에서 x=0이고
x<0일 때 f(x)<0, x>0일 때 f(x)>0이다.
dt 1
ln`x=t로 놓으면 = 이고 f '(x)=e-x-xe-x=(1-x)e-x
dx x
x=1일 때 t=0, x=eÛ`일 때 t=2이므로 f "(x)=-e-x-(1-x)e-x=(x-2)e-x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27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3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1~4).indd 27 2021-04-09 오후 2:31:52


EBS FINAL 수학영역

f "(x)=0에서 x=2이고 x<2일 때 f "(x)<0, x>2일 때 f "(x)>0이므로 S(h) 2 sinÛ``h(2 cos`h-sin`h)


lim ‌= lim ‌
h Ú0+ hÛ` h Ú0+ hÛ`(2 sin`h+cos`h)

}2`_


2
점 {2, }는 곡선 y=f(x)의 변곡점이다. 2(2 cos`h-sin`h)
sin`h
eÛ` = lim [{ ] ‌
2 h Ú0+ h 2 sin`h+cos`h
점 {2, }에서 곡선 y=f(x)의 접선의 방정식은
eÛ` 2_(2-0)
=1Û`_ =4
2 1 0+1
y- =- (x-2)
eÛ` eÛ` ⑤
1 4
즉, y=- x+
eÛ` eÛ`
1 4

29
곡선 y=xe-x과 직선 y=- x+ 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eÛ` eÛ`
y
1 x 4 1
y=- + 함수 f(x)= 이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므로 실수 전체
eÛ eÛ xÛ`+ax+b
y=xeÑÅ 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따라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Û`+ax+b>0이다.

2 4 x 이차방정식 xÛ`+ax+b=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O
D=aÛ`-4b<0 …… ㉠

  
2x+a
f '(x)=-
(xÛ`+ax+b)Û`
1 4
따라서 곡선 y=xe-x과 변곡점에서의 접선 y=- x+ 및 x축으로 둘러 b
eÛ` eÛ` 이고 f(x)가 x= 에서 최댓값을 가지므로
4
싸인 부분의 넓이는

:)2 xe dx+:@4 {-
b
+a
x+ } dx
1 4 2
[{ }2`+ +b]2`
f '{ }=-
b
-x`
eÛ` eÛ` =0

=[-xe-x]2)-:)2 (-e-x) dx+[- xÛ`+ x]4@


4 b ab
1 4 4 4
2eÛ` eÛ`
-[e-x]2)+
b
따라서 a=- …… ㉡
2 2 2

  
=-
eÛ` eÛ` ㉡을 ㉠에 대입하면
{- b }2`-4b<0, bÛ`-16b<0
1
=1-
eÛ` 2
⑤ b(b-16)<0
0<b<16 …… ㉢
     
b
2x-
2
{xÛ`- x+b}2`
f '(x)=- 에서
b

28
2
b
2-
2 2(b-4)
{1- +b}2`
C
Q
f '(1)=- = =-;4!;
b (b+2)Û`
P 2
(b+2)Û`=-8(b-4)
A h a B bÛ`+12b-28=0
BCÓ='5이므로 ∠ABC=a라 하면 (b-2)(b+14)=0
1 2 ㉢에서 0<b<16이므로 b=2
sin`a= , cos`a=
'¶5 '¶5 b
㉡에서 a=- =-1
직각삼각형 ABQ에서 2
따라서
AQÓ=2 cos`h, BQÓ=2 sin`h
aÛ`+bÛ`=(-1)Û`+2Û`=5
∠APB=p-h-a이므로 삼각형 ABP에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5
APÓ 2
sin`a = sin (p-h-a)
2 sin`a
APÓ‌= ‌
30
sin (h+a)

2 sin`a
= ‌
sin`h cos`a+cos`h sin`a 조건 (가)의 f(x+1)-ef(x)=6xex에서 양변을 ex으로 나누면
1 f(x+1) f(x)
2_
'5 ex
- x-1 =6x
e
= ‌
2 1
sin`h+ cos`h 이때
'5 '5
:!k [
f(x+1) f(x)
2 - x-1 ] dx=:!k 6x`dx
= ex e
:!k 6x`dx=[3xÛ`]k!=3kÛ`-3
2 sin`h+cos`h
PQÓ‌=AQÓ-APÓ ‌

:!k [

2 f(x+1) f(x) f(x+1) ` f(x)
=2 cos`h-
2 sin`h+cos`h
‌ - x-1 ] dx‌=:!k dx-:!k x-1 `dx
ex e ex e

2(2 sin`h cos`h+cosÛ``h-1) k+1
f(x) ` f(x) `
= ‌ =:@ dx-:!k x-1 dx
2 sin`h+cos`h ex-1 e
2(2 sin`h cos`h-sinÛ``h) k+1
f(x) ` f(x) `
= ‌ =:K dx-:!2 x-1 dx
2 sin`h+cos`h ex-1 e
2 sin`h(2 cos`h-sin`h) 따라서

:K
=
2 sin`h+cos`h k+1
f(x) ` f(x)
dx=:!2 x-1 `dx+3kÛ`-3 yy ㉠
이므로 ex-1 e
:!2 x-1 dx에서 e =t로 놓으면 x=1+ln`t
  
1 f(x) `
S(h)‌= _PQÓ_BQÓ ‌ x-1
2 e

1 2 sin`h(2 cos`h-sin`h) x=1일 때 t=1, x=2일 때 t=e이고
= _ _2 sin`h ‌
2 2 sin`h+cos`h
dx ` 1 `
2 sinÛ``h(2 cos`h-sin`h) = 이므로
dt t

:!2 x-1 dx=:!e


=
2 sin`h+cos`h f(x) ` f(1+ln`t) `
dt …… ㉡
따라서 e tÛ`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28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3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1~4).indd 28 2021-04-09 오후 2:31:53


EBS FINAL 수학영역

u(t)=f(1+ln`t), v'(t)= 1 `로 놓으면 aÛ`-bÛ`


tÛ` 4 =kÛ` (k>0)이라 하면

{x+ }2` {y- }2`


f '(1+ln`t)
u'(t)= , v(t)=- 1 이므로 부분적분법에 의하여 a b
t t 2 2
:!e ]e!-:!e [-
- =1
f(1+ln`t) f(1+ln`t) f '(1+ln`t)
`dt‌=[- ] dt kÛ` kÛ`
tÛ` t tÛ`

쌍곡선의 주축의 길이가 4'2이므로
f(2) f '(1+ln`t)
=- +f(1)+:!e `dt 2k=4'2, 즉 k=2'2이고
e tÛ`
aÛ`-bÛ`
조건 (가)에 x=1을 대입하면 4 =(2'2)Û`이므로 aÛ`-bÛ`=32 …… ㉠

  
f(2)-ef(1)=6e이므로 쌍곡선의 방정식은

{x+ }2` {y- }2`


f(2) a b
- +f(1)=-6
e

이고 조건 (나)에서 :!e
2 2
f '(1+ln`t) - =1 …… ㉡
`dt=10이므로 8 8

      
tÛ`
:!e
xÛ` yÛ` a
f(1+ln`t) 쌍곡선 ㉡은 쌍곡선 - =1을 x축의 방향으로 - 만큼, y축의 방향으로
`dt=-6+10=4 8 8 2
tÛ`
㉡에서 :!2 x-1 `dx=4이므로 ㉠에 대입하면
b
f(x)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2
e
:K
xÛ` yÛ`
쌍곡선 - =1의 두 초점의 좌표는 (-4, 0), (4, 0)이므로 쌍곡선 ㉡의
k+1
f(x) ` 8 8
dx=4+3kÛ`-3=3kÛ`+1
ex-1 두 초점의 좌표는
따라서
{-4- a , b }, {4- a , b }
:!8 e f(x) dx‌=:!8 x-1 dx
1-x f(x) ` 2 2 2 2

e 쌍곡선 ㉡의 한 초점의 좌표가 (1, 1)이므로

f(x) f(x) f(x) b a a
=:!2 x-1 `dx+:@3 x-1 `dx+y+:&8 x-1 `dx ‌ =1이고 -4- =1 또는 4- =1
e e e 2 2 2
= Á (3kÛ`+1)
7
‌ 즉, b=2이고 a=-10 또는 a=6
k=1
이때 ㉠에서 a=-10이 될 수 없다.
7_8_15
=3_ +1_7 ‌ 따라서 a=6, b=2이므로
6
=427 a+b=8
 427 ③

기하 26
삼각형 ABD는 정삼각형이므로
23 DMÓ="ÃADÓ -AMÓ ="Ã2Û`-1Û`='3
2 2

두 점 A(-2, -1, 5), B(2, 7, -3)에 대하여 두 점 A, M의 평면 BCD 위로의 정사영을 각각 A', M'이라 하면 점 A'은 삼
선분 AB를 3 : 1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를 (x, y, z)라 하면 각형 BCD의 무게중심이고 점 M'은 선분 A'B의 중점이다.
3_2+1_(-2) D
x= =1
3+1
3_7+1_(-1)
y= =5
3+1
N
3_(-3)+1_5
z= =-1
3+1 A'
이므로 내분점의 좌표는 (1, 5, -1)이다. M'
B C
따라서 a=5, b=-1이므로
2'3
a+b=4 선분 CD의 중점을 N이라 하면 BNÓ='3이므로 M'NÓ= 3 이고

}2`+1Û`=¾;3&;
④
DM'Ó="ÃM'NÓ +DNÓ =¾Ð{
2 2 2'3
3

24
따라서

¾;3&;`
DM'Ó '7
선분 AB의 중점을 M이라 하면 M(3, 4)이고 cos`h= = =
DMÓ '3 3
PA³+PB³
PM³= ⑤
2
PA³+PB³
|PA³+PB³|=10에서 | |=5이므로
2

27
|PM³|=5
점 P에서 점 M까지의 거리가 5이므로 점 P는 중심이 M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5인 원 위의 점이다. 점 P의 좌표를 (x, y)라 하면 xÛ`+yÛ`-12y+34=0에서
(x-3)Û`+(y-4)Û`=5Û` xÛ`+(y-6)Û`=2
따라서 |OP³|가 최대일 때는 선분 OP 위에 원의 중심이 있는 경우이므로 구하 이므로 이 원은 중심이 C(0, 6)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2인 원이다.
는 최댓값은 포물선 위의 점 P에서의 접선과 직선 CP가 서로 수직일 때, 접점을 P', 선분
"Ã3Û`+4Û`+5=10 CP'과 원의 교점을 Q'이라 하면
③ PQÓ¾P'Q'Ó
y

25 C
Q'
yÛ =8x

xÛ`-yÛ`+ax+by=0에서 P'

{x+ 2 }2`-{y- }2`=


a b aÛ`-bÛ`
2 4 O x
aÛ`-bÛ`
쌍곡선의 주축이 x축과 평행하므로 4 >0이다.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29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3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1~4).indd 29 2021-04-09 오후 2:31:54


EBS FINAL 수학영역

점 P'은 제1사분면의 점이므로 점 P'의 좌표를 (x1, y1)(yÁ>0)이라 하면 점 에서 QFÓ=2'¶13


P'에서 포물선의 접선의 방정식은 삼각형 PFQ는 PFÓ=PQÓ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점 P에서 선분 FQ에 내린 수
4
y1y=4(x+xÁ) 즉 y= y (x+x1) …… ㉠ 선의 발을 H라 하면

  
1
PHÓ=¾Ð{ }2`-('¶13)Û`=
26 3'¶39
y1-6 5 5
직선 CP'의 기울기는 x 이고
1
따라서 삼각형 PFQ의 넓이는
직선 CP'과 ㉠은 서로 수직이므로
;2!;_2'¶13_
3'¶39 39'3
y1-6 4 =
5 5
x1 _ y1 =-1
즉, p=5, q=39이므로
즉, 4(yÁ-6)=-xÁyÁ …… ㉡
p+q=44
        
점 P'(xÁ, yÁ)은 포물선 yÛ`=8x 위의 점이므로
 44
yÁÛ`=8xÁ …… ㉢
              
㉢을 ㉡에 대입하면
yÁÛ`
4(yÁ-6)=- _yÁ
8
yÁÜ`+32yÁ-192=0 30
(yÁ-4)(yÁÛ`+4yÁ+48)=0
A
이때 yÁ=4이고 ㉡에서 xÁ=2
따라서 점 P'의 좌표가 (2, 4)이므로 PQÓ의 최솟값은 M

CP'Ó-CQ'Ó=2'2-'2='2
D
①
B h
N
C

p
28 두 선분 AD, BC의 중점을 각각 M, N이라 하고 ∠DNM=h {0<h< 2 }라

하자.
AB³=a ², AC³=b²라 하면
ADÓ⊥BMÓ, ADÓ⊥CMÓ이므로 직선 AD는 평면 MBC와 서로 수직이다.
DE³=AE³-AD³=;3@;`b ²-;4#;`a ²
따라서 정사면체 ABCD를 직선 AD를 축으로 하여 회전시킬 때, 선분 BC는
BF³=AF³-AB³=;3!;`b ²-`a ² 평면 MBC 위에서 점 M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므로 F

DE³+BF³={ `b ²- `a²}+{ `b²-a ²}


2 3 1

3 4 3
‌
M
7
= b ²- `a ²
4
이때 |a ²|=4, |b ²|=4이고
a² º b ²=|a ²||b ²|cos`60ù=4_4_;2!;=8 B N C

점 M에서 선분 BC 위의 점 중 거리가 가장 가까운 점은 N이고, 거리가 가장


이므로

a²|2 ‌
먼 점은 B 또는 C이므로 선분 BC가 회전할 때 지나는 영역 F는 중심이 M이
7
|DE³+BF³|Û`=| b²- 고 반지름의 길이가 MNÓ인 원의 외부와 중심이 M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MBÓ
4
‌
‌

7 49 인 원의 내부의 공통 부분이다.
=| b²|Û`- (a ² º b ²)+ |a²|Û` ‌
2 16
MBÓ="ÃABÓ -AMÓ ="Ã4Û`-2Û`=2'3
2 2

7 49
MNÓ="ÃMBÓ -BNÓ ="Ã(2'3)Û`-2Û`=2'2
=4Û`- _8+ _4Û` ‌
2 16 2 2

=37 이므로 도형 F의 넓이를 S라 하면


따라서 S=(2'3)Û`p-(2'2)Û`p=12p-8p=4p
|DE³+BF³|='§37 DNÓ⊥BCÓ, MNÓ⊥BCÓ이므로 평면 MBC와 평면 BCD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
‌
② h이고
MNÓ 2'2 '6
cos`h= = =
DNÓ 2'3 3
도형 F의 평면 BCD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를 S'이라 하면

29 S'=S cos`h=4p_
'6 4'6
3
=
3
p
두 초점 F, F '의 좌표를 각각 4'6
a= 이므로 aÛ`=;;£3ª;;
(c, 0), (-c, 0) (단, c>0)이라 하면 3
cÛ`=16-7=9에서 c=3 따라서 p=3, q=32이므로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PFÓ+PF 'Ó=8이므로 p+q=35
PFÓ=k라 하면 PF 'Ó=8-k  35
PFÓ=PQÓ에서
F 'QÓ=F 'PÓ+PQÓ=F 'PÓ+PFÓ=8
원점 O에 대하여 삼각형 QF 'O에서 ∠QF 'O=h라 하면
F 'OÓ=3, OQÓ=7이므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cos`h= 8Û`+3Û`-7Û` =;2!;


2_8_3
삼각형 PF 'F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kÛ`=(8-k)Û`+6Û`-2_(8-k)_6_;2!;

에서 k=;;ª5¤;;

삼각형 QF 'F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QFÓ Û`=8Û`+6Û`-2_8_6_;2!;=52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30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3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1~4).indd 30 2021-04-09 오후 2:31:54


EBS FINAL 수학영역

4 회 EBS FINAL 수학영역


05
본문 51~66쪽
f(x)=:`(x+1)(xÛ`+x+1) dx+:`(x-3)(xÛ`+x+1) dx

01 ③ 02 ③ 03 ② 04 ③ 05 ④    =:`{(x+1)(xÛ`+x+1)+(x-3)(xÛ`+x+1)} dx

06 ③ 07 ④ 08 ① 09 ④ 10 ⑤    =:`(xÛ`+x+1){(x+1)+(x-3)} dx

11 ⑤ 12 ② 13 ① 14 ② 15 ⑤    =:`(xÛ`+x+1)(2x-2) dx

16 12 17 8 18 19 19 31 20 13    =2:`(x-1)(xÛ`+x+1) dx
21 65 22 10    =2:`(xÜ`-1) dx
23 ② 24 ③ 25 ⑤ 26 ③
=2{;4!;xÝ`-x}+C
확률과 통계
  

27 ③ 28 ① 29 23 30 770
   =;2!;xÝ`-2x+C (단, C는 적분상수이다.)
미적분 23 ⑤ 24 ⑤ 25 ③ 26 ①
f(0)=3이므로 C=3
27 ① 28 ④ 29 25 30 6
따라서 f(x)=;2!;xÝ`-2x+3이므로
기하 23 ① 24 ② 25 ② 26 ②
f(2)=;2!;_2Ý`-2_2+3=7
27 ④ 28 ③ 29 216 30 10
④

01
'2
(2'2) 2 ÖÜ '4=2'2_ 2 Ö2;3@;
'2 06
2p
       =21-;3@;=2;3!;=Ü '2 함수 y=sin`2x의 그래프의 주기는 2 =p이므로
③ 0Éx<p일 때, 함수 y=|sin`2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

02 1
y=|sin 2x|

:_aA (xÜ`+3xÛ`-4x) dx‌=2:)a 3xÛ``dx ‌ y=;3!;

=2[xÜ`]a)


p
O xÁ xª x£ x¢ x

;2Ò;
1
=2aÜ`=
4 1
0Éx<p일 때, 방정식 |sin`2x|= 의 실근은
1 3
즉, aÜ`= 8 이므로
1
0Éx<p에서 함수 y=|sin`2x|의 그래프와 직선 y= 의 교점의 x좌표와
1 3
a=
2 같다.
③ 그림과 같이 교점의 x좌표를 작은 값부터 차례대로 x1, x2, x3, x¢라 하면
p 3
x1+x2= , x +x4= p이므로
2 3 2
03 x1+x2+x3+x4=
p 3
2
+ p=2p
2
f(1+h)-f(1+2h)
lim ③
h Ú0 h
f(1+h)-f(1)+f(1)-f(1+2h)
=lim
h Ú0 h
f(1+h)-f(1) f(1+2h)-f(1)
=lim -lim _2
h Ú0 h
=f '(1)-2f '(1)
h Ú0 2h
07
=-f '(1)=2 두 함수 f(x), g(x)는 모든 실수에서 연속이므로 f(x)+g(x), f(x)g(x)도
따라서 f '(1)=-2이므로 모든 실수에서 연속이다.
f(x)-f(1) f(x)-f(1) f(x)+g(x)
lim ‌=lim ‌ 이때 함수 는 f(x)g(x)+0인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므로 함수
x Ú1 xÛ`-1 x Ú1 (x-1)(x+1)

f(x)g(x)
f(x)+g(x)
f(x)-f(1) 1 가 양의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려면 x>0에서
=lim _lim ‌ f(x)g(x)
x Ú1x-1 x Ú1 x+1
f(x)g(x)<0이어야 한다.
1
=f '(1)_ ‌
}<0
2 a-7
f(x)g(x)=-2(x+7){x- yy ㉠
2
  

1
=-2_ =-1 a-7
2 Ú a<-7일 때, 부등식 ㉠의 해는 x< 또는 x>-7이므로
2
②
x>0에서 f(x)g(x)<0이다.
Û a=-7일 때, f(x)g(x)=-2(x+7)Û`이므로

04


x>0에서 f(x)g(x)<0이다.
a-7
lim`f(x)=2, lim `f(x)=1, lim `f(x)=3이므로 Ü a>-7일 때, 부등식 ㉠의 해는 x<-7 또는 x> 이므로
x Ú0 x Ú1+ x Ú2-
2
lim `f(x)+ lim `f(x) a-7
x Ú1+ x Ú2- 1+3
= 2 =2
x>0에서 f(x)g(x)<0이려면 2 É0, 즉 aÉ7이어야 한다.
lim`f(x) Ú, Û, Ü에서 aÉ7이므로 구하는 정수 a의 최댓값은 7이다.
x Ú0

③ ④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31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4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1~4).indd 31 2021-04-09 오후 2:31:56


EBS FINAL 수학영역

08 선분 PQ의 중점을 M이라 하면 두 곡선 y=xÛ`(x¾0)과 y='x는 직선 y=x


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PMÓ=QMÓ이다.
aÁ+bª=aª+bÁ에서
점 P의 x좌표는 xÛ`=-x+a에서
aª-aÁ=bª-bÁ a
x= -1+'¶1+4a 이고 점 M의 x좌표는 이므로
이므로 두 등차수열 {an}, {bn}의 공차는 서로 같다. \2 2
두 등차수열 {an}, {bn}의 공차를 d라 하면
PMÓ='2 { }
a -1+'¶4a+1
Á ak= Á bk+100에서
-
10 10 2 \2
k=1 k=1 따라서
10(2_1+9d) 10(2_bÁ+9d) PQÓ 2PMÓ
2 = 2 +100 lim =lim
a Ú¦ ABÓ a Ú¦ ABÓ
2+9d=2bÁ+9d+20
2'2 { }
a -1+'¶4a+1
-
따라서 bÁ=-9 2 2
=lim
a Ú¦ '2a

    
①
a+1-'¶4a+1
=lim

09
a Ú¦ a

    
-®ûÂ +
1 4 1
1+
a a aÛ`
y =lim =1
y=f(x) a Ú¦ 1

    
y=g(x)
⑤
B

A
1
O
11
-1 12 x an=Sn-Sn-1=
anan+1 an-1an
- (n=2, 3, 4, y)에서
3 3
3an=anan+1-an-1an yy ㉠

  
f '(x)=3xÛ`-2이므로 f '(-1)=1 an+0이므로 ㉠의 양변을 an으로 나누면
점 A(-1,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an+1-an-1= 3 (n=2, 3, 4, y)
y-1=1_(x+1)
3SÁ 3aÁ
= 3
\aÁ \aÁ
이므로 g(x)=x+2 또한 3SÁ=aÁaª에서 aª= =
또한 xÜ`-2x=x+2에서
그러므로 수열 {a2n-1}은 첫째항이 aÁ이고 공차가 3 인 등차수열이므로
xÜ`-3x-2=0, (x+1)Û`(x-2)=0
a2n-1=aÁ+(n-1)_3=3n+(aÁ-3)
이므로 점 B의 좌표는 B(2, 4)이다.
또한 수열 {a2n}은 첫째항이 3 이고 공차가 3 인 등차수열이므로
-1<x<2에서
h(x)‌=x+2-|xÜ`-2x| a2n=3+(n-1)_3=3n

-xÜ`+3x+2 (-1<x<0 또는 '2<x<2) 따라서

S2n‌= Á ak= Á a2k-1+ Á a2k


=[ 2n n n
xÜ`-x+2 (0ÉxÉ'2) ‌

= Á {3k+(aÁ-3)}+ Á 3k
  
k=1 k=1 k=1

이므로 n n

(-1<x<0 또는 '2<x<2)

-3xÛ`+3
h'(x)=[
=(aÁ-3)_n+2 Á 3k ‌
k=1 k=1
 
3xÛ`-1 (0<x<'2) n
  
'3 k=1
h'(x)=0에서 x= n(n+1)
3 =aÁn-3n+6_ ‌
2
함수 h(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3nÛ` +aÁn
x (-1) y 0 y '3 y '2 y (2)
3 3nÛ`
3nÛ`+aÁn<0에서 aÁ<- =-3n이다.
h'(x) (0) + - 0 + - n
따라서 a=3, b=3이고 f(n)=3nÛ`이므로
h(x) (0) ↗ 극대 ↘ 극소 ↗ 극대 ↘ (0)
f(8) 3_8Û`
= =32
a+b 3+3
y
y=|f(x)| ⑤
y=g(x)
B

12
A 1 y
y=2Å
-1 O 12 2 x y=x
A D
'3
따라서 a=0, b='2 또는 a='2, b=0이고 c= 이므로
3 B y=logª x
C
aÛ`+bÛ`-cÛ`=0+2- 1 = 5
\3 \3
O E F x
④

10 두 함수 y=2x, y=logª`x는 서로 역함수 관계이고 직선 AC의 기울기는 -1


이므로 두 점 A, C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y 점 E의 x좌표가 en이므로 두 점 A, C의 좌표는
y=-x+a y=xÛ
A(en, 2eÇ), C(2eÇ, en)
y=x
A 이다.
P S (2eÇ-en)Û` 2eÇ-en
= eÇ = =n에서
M y=1x T (2 -en)_en en
Q 2eÇ=(n+1)en

x
n=2일 때 2eª=3eª
O B
2Ü`<3_3, 2Ý`>3_4이므로 3<eª<4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32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4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1~4).indd 32 2021-04-09 오후 2:31:56


EBS FINAL 수학영역

즉, aª=4 1 16
즉, -4aÛ`+8a= _ 에서
2 3
n=5일 때 2e°`=6e°
2Ý`<6_4, 2Þ`>6_5이므로 4<e°<5 3aÛ`-6a+2=0
a°=5 3Ñ'3
a=
3
따라서 aª+a°=4+5=9
0<a<2이므로 두 값은 조건을 만족시킨다.
②
따라서 구하는 모든 a의 값의 곱은
참고
3+'3 3-'3 2
_ =
y 3 3 3
y=2Å y=3x
16 ②

12

9
8

1
15
x¾0일 때, f(x)=xÜ`-3xÛ`-x+3이므로
O 3 4 x f(x)=(x+1)(x-1)(x-3)=0에서 x=1 또는 x=3
eª 3+2'3
f '(x)=3xÛ`-6x-1=0에서 x= 이고
3
f(h)-f(0)
lim
13
=-1
h Ú0+ h
3+2'3
또한 f(x)=f(-x)이므로 a= 이라 하고,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
an+1=logª`an (n=1, 2, 3)에서 3
an=2aÇ*Á (n=1, 2, 3) 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a£=2a¢, aª=2a£, aÁ=2aª이고 모든 항이 정수이어야 하므로
x y -a y 0 y a y
aÁ+aª+a£+a¢의 값은 a¢=0일 때 최소이다.
f '(x) - 0 + - 0 +
a¢=0, a£=20=1, aª=2Ú`=2, aÁ=2Û`=4
f(x) ↘ f(-a) ↗ 3 ↘ f(a) ↗
a°=logª (aÁ+aª+a£+a¢+p)=logª (7+p)
logª (7+p)의 값이 정수가 되는 양의 실수 p의 최솟값은 1이다.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즉, a°=logª (7+1)=3

따라서 Á (p+ak)의 최솟값은


y
30 y=f(x)

Á (1+ak)‌=30+6 Á ak
k=1
3
30 5


k=1 k=1
-a O a
=30+6(4+2+1+0+3) ‌ -3 1 3 x
=30+6_10=90 -1

①
ㄱ. k=2일 때,
Ú tÉ-3에서 f(t)와 f(t+2) 중 작지 않은 값은 f(t)

14 Û -3<tÉ-1에서 f(t)와 f(t+2) 중 작지 않은 값은 f(t+2)


Ü -1<tÉ1에서 f(t)와 f(t+2) 중 작지 않은 값은 f(t)
y Ý t‌>1에서 f(t)와 f(t+2) 중 작지 않은 값은 f(t+2)
y=4xÛ -4x+1
B 그러므로 y=g(t)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
Q y=g(t)

3
A P

O a 2 x O
-3 -2 -1 1 t
두 점 A, B의 y좌표는 각각 1, 9이므로 두 점 AB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y= 9-1 (x-0)+1, 즉 y=4x+1
\2-0 따라서 함수 g(t)는 t=-3, t=-2, t=-1, t=0, t=1에서 미분가능하

지 않으므로 t=l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은 모든 실수 l의 개수는 5이다. (참)
이때 직선 AB와 함수 y=4xÛ`-4x+1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S
ㄴ. k=1일 때,
라 하면
두 실수 a, b가 -3<a<b<-1에서 f(a)=f(b), b-a=1을 만족시킨다.

S=:)2 {(4x+1)-(4xÛ`-4x+1)] dx ‌
두 실수 c, d가 -1<c<d<1에서 f(c)=f(d), d-c=1을 만족시킨다.
‌

=:)2 (-4xÛ`+8x) dx ‌ 두 실수 e, i가 1<e<i<3에서 f(e)=f(i), i-e=1을 만족시킨다.

=[- 4 xÜ`+4xÛ`]2)
y
‌ y=f(x)
3
3
=- 32 +16= 16 1
3 3 O

점 P의 x좌표가 a이므로 직선 x=a가 직선 AB와 만나는 점을 Q라 하면 삼각 a b e i


-3 c d 3 x
형 APB의 넓이 SÁ은
-1
SÁ‌= _PQÓ_a+;2!;_PQÓ_(2-a) ‌
1
2
Ú tÉa에서 f(t)와 f(t+1) 중 작지 않은 값은 f(t)

1
= _PQÓ_{a+(2-a)} ‌
2 Û a<tÉc에서 f(t)와 f(t+1) 중 작지 않은 값은 f(t+1)
Ü c<tÉe에서 f(t)와 f(t+1) 중 작지 않은 값은 f(t)
=PQÓ ‌
Ý t>e에서 f(t)와 f(t+1) 중 작지 않은 값은 f(t+1)
=(4a+1)-(4aÛ`-4a+1) ‌
=-4aÛ`+8a 그러므로 함수 y=g(t)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33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4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1~4).indd 33 2021-04-09 오후 2:31:57


EBS FINAL 수학영역

y
y=g(t) 17
3 두 점 AB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y=g(c) 4a
logª`4a-logª`a logª` a
a O e ‌= ‌
-2-2 -4


-3 c 1 t
logª`4 2 1
= = =- …… ㉠
-4 -4 2

  
따라서 함수 g(t)의 그래프와 직선 y=g(c)는 서로 다른 5개의 점에서 만 두 점 AC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b
나므로 방정식 g(t)=m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가 5가 되는 실수
logª`b-logª`a logª` a
m=g(c)의 값이 존재한다. (참) ‌= …… ㉡
-4-2 -6


        
ㄷ. k=3일 때, ㉠, ㉡의 값이 서로 같으므로
두 실수 p, q가 p<-3, q>-1에서 b
logª` a
f(p)=f(q), q-p=3을 만족시킨다. =-;2!;
-6
두 실수 r, s가 r<-1, s>1에서
b
f(r)=f(s), s-r=3을 만족시킨다. logª`=3
a
두 실수 u, v가 u<1, v>3에서 b
따라서 a =2Ü`=8
f(u)=f(v), v-u=3을 만족시킨다.
8
y
y=f(x)

3
-1 1
-3 O
p r q u s3v x 18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Ã2Û`+(-3)Û`='¶13이므로
-3 2
sin`h= , cos`h=
Ú tÉp에서 f(t)와 f(t+3) 중 작지 않은 값은 f(t) '¶13 '¶13
Û p<tÉr에서 f(t)와 f(t+3) 중 작지 않은 값은 f(t+3) 또한
Ü r<tÉu에서 f(t)와 f(t+3) 중 작지 않은 값은 f(t) p
sin {
+h}
p 2 cos`h cos`h
Ý t>u에서 f(t)와 f(t+3) 중 작지 않은 값은 f(t+3) tan { +h}= = =-
2 p -sin`h sin`h
그러므로 함수 y=g(t)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cos { +h}
2
y cos (p-h)=-cos`h
y=g(t)
3 p p
sin { p-h}=sin {2p- -h}=sin {- -h}
3 2 2 2
‌
p
=-sin { +h}=-cos`h
rO 2
p u t 따라서
-1 cos`h
tan { p +h} -
2 sin`h
따라서 함수 g(t)는 t=r에서 최솟값을 갖는다. 이때 함수 y=f(x)의 그래 =
‌ ‌
3
cos (p-h) sin { p-h} -cos`h_(-cos`h)


3 2
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고 s-r=3이므로 r=- 이다. (참)
2
=-
1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sin`h _cos`h
⑤ =- 1 ‌
-3 _ 2
'¶13 '¶13
참고

a= 3+2'3 =1+;3@;'3이고
=
13
3
6
;3@;'3>;2!;이므로 a>;2#;이다. 이고, p=6, q=13이므로
p+q=6+13=19
 19

16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를 v(t)라 하면
19
f(n)‌=n`"Ãn+1'2`=(n+1'2);n!;
dx
v(t)= =3tÛ`-6t-9
dt

운동 방향을 바꾸는 순간의 속도는 0이므로 1
=(2 n+1 );n!;
v(t)=3(t+1)(t-3)=0
  
1
t=-1 또는 t=3 =2 n(n+1) (n=2, 3, 4, y)
  
이므로

Á logª`f(k)‌= Á logª`2 k(k+1) `


t¾0이고 t=3의 좌우에서 v(t)의 부호가 바뀌므로 t=3
10 10 1
점 P의 시각 t에서의 가속도를 a(t)라 하면 ‌



k=2 k=2

dv 10
1
a(t)= =6t-6 ‌
dt k(k+1)

=Á {

k=2

따라서 점 P가 운동 방향을 바꿀 때의 가속도는


}
10
1 1
-
a(3)=6_3-6=12 k=2 k k+1

={;2!;-;3!;}+{;3!;-;4!;}+{;4!;-;5!;}+y+{ - }
 12 1 1
10 11

=;2!;-;1Á1;=
9
22
따라서 p=22, q=9이므로
p+q=22+9=31
 31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34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4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1~4).indd 34 2021-04-09 오후 2:31:57


EBS FINAL 수학영역

20 4axÝ`+4bxÜ`+4cxÛ`+4dx=4axÝ`+3bxÜ`+2cxÛ`+dx
위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y x=1 4b=3b, 4c=2c, 4d=d이므로 b=c=d=0

f(x)=axÝ`이고 f(1)=;4!;이므로 a=;4!;


y=logª x+k

y=logª x 1
k 즉, f(x)= 4 xÝ`
y=k
3 조건 (나)에서 x=1을 대입하면
2

:)1 g'(t) dt=;3!;+;2#; :)1 g'(t) dt


1
O 4 8 2û x
12

aÁ=2 :)1 g'(t) dt=-;3@;

:)/ g'(t) dt=;3!;xÜ`-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aª=aÁ+4=2+4
a£=aª+8=2+4+8
⋮ g'(x)=xÛ`-1
2(2k-1)
H(x)=f(x)+:)/ g(t) dt=;4!;xÝ`+:)/ g(t) dt로 놓으면 H(x)는 4차 함수
k k
ak=ak-1+2 =2+2Û`+2Ü`+y+2 = =2k+1-2 (k¾2)
2-1
7 8
이때 a¤=2 -2=126, a7=2 -2=254이므로 이다.
100<ak<300을 만족시키는 k의 값은 6, 7이다. H'(x)=h(x)라 하면
따라서 구하는 모든 k의 값의 합은 h(x)=xÜ`+g(x)
6+7=13 사차함수 H(x)가 오직 하나의 극값을 가지므로 삼차함수 h(x)의 그래프는 x
 13 축과 오직 한 점에서만 만나거나 x축과 접해야 한다.
h'(x)‌=3xÛ`+g'(x)=3xÛ`+xÛ`-1

=4xÛ`-1=4{xÛ`- }=4{x+ }{x- }


1 1 1
21 h'(x)=0에서 x=-
4
1
2 2

또는 x=;2!;
2

Oª C 따라서 삼차함수 h(x)가 극값을 가지므로 그림과 같이 사차함수 H(x)가 오


OÁ 직 하나의 극값을 가지려면 삼차함수 h(x)의 그래프는 x축과 오직 한 점에서
O 만 만나거나 x축과 접해야 하므로

h{- }_h{ }¾0


1 1
B 2 2
A H D
을 만족시켜야 한다.
y=H(x) y=H(x)
중심 O에서 현 AD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직각삼각형 OBH에서
BHÓ=¿¹OBÓ -OHÓÓ ="Ã10Û`-8Û`=6
2 2

∠OBH=h라 하면 sin`h=;5$;, cos`h=;5#;


ABÓ=2이므로 x x
AHÓ=ABÓ+BHÓ=2+6=8, HDÓ=AHÓ이므로 y=h(x) y=h(x)
BDÓ=BHÓ+HDÓ=6+8=14
삼각형 CBD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2 2 2 x x
CDÓ =BCÓ +BDÓ -2_BCÓ_BDÓ_cos`h
3
=20Û`+14Û`-2_20_14_
5
1
=400+196-336 또한 g(x)=: (xÛ`-1) dx= xÜ`-x+C(C는 적분상수)라고 하면
3
=260 1
h(x)‌=xÜ`+g(x)=xÜ`+ xÜ`-x+C
CDÓ=2'¶65 3
삼각형 CBD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사인법칙에 의하여 4
= xÜ`-x+C
3
CDÓ
sin`h` =2R h{- }_h{;2!;}=[ _{-;8!;}+;2!;+C]{ _;8!;-;2!;+C}¾0
1 4 4
2 3 3
CDÓ 2'¶65
따라서 R= 2 sin`h` = =;4%;'¶65이므로
{C+ }{C- }¾0
1 1
2_ 4 3 3
5\
1 1
n=65 CÉ- 또는 C¾
3 3
 65 1 1
g(0)=C=k이므로 kÉ- 또는 k¾
3 3
1 1 1
따라서 a=- , b= 이므로 -ab=
22
3 3 9
즉, p=9, q=1이므로
조건 (가)에서 xf(x)=5:)/ `f(t) 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p+q=9+1=10
 10
f(x)+xf '(x)=5f(x)
4f(x)=xf '(x)   …… ㉠
f(x)가 다항함수이므로
확률과 통계
f(x)=anxn+an-1xn-1+y+aÁx+a¼(an+0)이라 하자.
㉠의 양변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서로 같아야 하므로
4an=nan이므로 n=4 23
㉠에서 f(0)=0이므로 이항분포 B(n, p)에서 E(X)=np, V(X)=npq (단, q=1-p)이므로
f(x)=axÝ`+bxÜ`+cxÛ`+dx (a, b, c, d는 상수, a+0)으로 놓으면 ㉠에서 E(X) np
= =2, q=;2!;
1
=
4(axÝ`+bxÜ`+cxÛ`+dx)=x(4axÜ`+3bxÛ`+2cx+d) V(X) npq q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35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4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1~4).indd 35 2021-04-09 오후 3:15:23


EBS FINAL 수학영역

1 1 1
p=1-q=1- = = ( C+ C)
2 2 C3 11 3 11 2
E(XÛ`)=V(X)+{E(X)}Û`= n+{ n}2`=18
20

1 1 C
= 12 3
4 2 20C3

nÛ`+n-72=0, (n-8)(n+9)=0 12_11_10


=
20_19_18
따라서 구하는 n의 값은 8이다.
11
② =
57
③

24
5
P(AC'B)= 이므로
6 28
1
P((AC'B)C)=P(A;BC)=    yy ㉠ 확률변수 X는 정규분포 N(60, 3Û`)을 따르므로
6
X-60
P(A;B) P(A;B) ZÁ= 이라 하면 확률변수 ZÁ은 표준정규분포 N(0, 1)을 따른다.
3
P(B|A)= ‌=
P(A) P(A;BC)+P(A;B) a+(a+3)
P(aÉXÉa+3)의 값은 a의 값이 =60일 때 최대이다.
3 2
=      yy ㉡
5 a+(a+3)
2 =60에서 a=58.5이므로
㉠을 ㉡에 대입하면
P(A;B) 3 P(aÉXÉa+3)‌ÉP(58.5ÉXÉ61.5)
=
1 +P(A;B) 5
}
58.5-60 61.5-60
6 =P{ ÉZÁÉ
3 3
1 =P(-0.5ÉZÁÉ0.5)
따라서 P(A;B)=
4
=2P(0ÉZÁÉ0.5)
③
확률변수 Y는 정규분포 N(70, nÛ`)을 따르므로
Y-70
Zª= 이라 하면 확률변수 Zª는 표준정규분포 N(0, 1)을 따른다.
n

25 P(64ÉYÉ76)‌=P{
64-70
n
ÉZªÉ
76-70
n
}
남학생 4명과 여학생 2명이 원탁에 둘러앉는 경우의 수는
ÉZªÉ }
-6 6
=P{
5!=120 n n
=2P{0ÉZªÉ }
여학생 2명을 서로 마주 보게 앉게 하고 나머지 4명의 남학생을 앉히는 경우의 6
n
수는
따라서 임의의 실수 a에 대하여 부등식
4!=24
P(aÉXÉa+3)ÉP(64ÉYÉ76)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이 성립하려면
120-24=96
}
6
P(0ÉZÁÉ0.5)ÉP{0ÉZªÉ
⑤ n
이 성립해야 한다.
6
즉, n ¾0.5이므로 nÉ12
26 따라서 자연수 n의 최댓값은 12이다.
n1=16, x1=80.9,
Õ r=10이므로 신뢰도 95`%로 모평균 m을 추정하면 ①
80.9-1.96_ 10 ÉmÉ80.9+1.96_ 10
'¶16 '¶16
80.9-4.9ÉmÉ80.9+4.9
76ÉmÉ85.8               yy ㉠
n2=n, x2=83, r=10이므로 신뢰도 95`%로 모평균 m을 추정하면
29
Õ 한 개의 주사위를 네 번 던져서 차례로 나오는 눈의 수 a, b, c, d의 모든 순서
83-1.96_ 10 ÉmÉ83+1.96_ 10    yy ㉡ 쌍 (a, b, c, d)의 개수는 ¤P¢=6Ý`
'¶n '¶n
㉠에서 b=85.8이고 a+b+c+d
a_b 의 값이 4의 배수인 사건을 A, a+b+c+d의 값이 10보다 작은
10
㉡에서 d=83+1.96_ 이므로 사건을 B라 하면 구하는 확률은 P(B|A)이다.
'¶n
a+b+c+d
83+1.96_ 10 É85.8에서 Ú =4일 때,
a_b
'¶n
a+b+c+d=4ab이고 4Éa+b+c+dÉ24이므로 순서쌍 (a, b, c, d)
1.96_ 10 É2.8, '§n¾7
'¶n 의 개수는 다음 표와 같다.
따라서 n의 최솟값은 49이다.
(a, b, c, d)의
③ ab (a, b) a+b+c+d a+b c+d (c, d)
개수
1 (1, 1) 4 2 2 (1, 1) 1_1=1

27 2
(1, 2)
8 3 5
(1, 4)
(2, 3)
2_4=8
C2 (2, 1) (3, 2)
P(n)= n-1
이므로
20C3

Á P(n)‌= Á n-1C2
(4, 1)
12 1 12
n=3 20C3 n=3 (2, 6)
1 (3, 5)
= (2C2+3C2+¢C2+5C2+y+11C2) (1, 3)
20C3
3 12 4 8 (4, 4) 2_5=10
1 (3, 1)
= (3C3+3C2+¢C2+5C2+y+11C2) (5, 3)
20C3

1 (6, 2)
= (4C3+4C2+5C2y+11C2)
20C3 (1, 4) (5, 6)
1 5 11 2_2=4
= (5C3+5C2+y+11C2) 4 (4, 1) 16 (6, 5)
20C3
(2, 2) 4 12 (6, 6) 1_1=1
     ⋮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36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4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1~4).indd 36 2021-04-09 오후 3:03:11


EBS FINAL 수학영역

ab=5이면 a+b+c+d=20, ab=6이면 a+b+c+d=24인데 이 등식 3!


2! =3

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a, b, c, d)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따라서 구하는 순서쌍 (a, b, c, d)의 개수는
20_3=60
1+8+10+4+1=24
Ü 2121212인 경우
a+b+c+d
Û =8일 때, 남은 4장의 1이 적힌 카드를 1이 적힌 카드 3곳에 놓는 경우의 수는 서로
a_b


a+b+c+d=8ab이고 4Éa+b+c+dÉ24이므로 순서쌍 (a, b, c, d) 다른 3개에서 중복을 허락하고 4개를 택하는 경우의 수와 같으므로

의 개수는 다음 표와 같다. 3 H¢=¤C¢=¤C2=15
남은 4장의 2가 적힌 카드를 2가 적힌 카드 4곳에 놓을 때 이웃한 4장의 카드
(a, b, c, d)의


ab (a, b) a+b+c+d a+b c+d (c, d) 에 적힌 수의 합은 항상 7 이하가 되려면 4장을 (2, 2, 0, 0) 또는 (2, 1, 1, 0)
개수
또는 (1, 1, 1, 1)로 놓아야 하므로
(1, 5)
4! 4!
(2, 4) 2!2! + 2! +1=6+12+1=19
1 (1, 1) 8 2 6 (3, 3) 1_5=5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4, 2) 15_19=285
(5, 1) Ý 21212121인 경우
남은 3장의 1이 적힌 카드를 1이 적힌 카드 4곳에 놓는 경우의 수는 서로
ab=2이면 a+b+c+d=16인데 이 등식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a, b, c, d)



다른 4개에서 중복을 허락하고 3개를 택하는 경우의 수와 같으므로
는 존재하지 않는다.
¢H3=¤C3=20
마찬가지로 ab¾3일 때도 순서쌍 (a, b, c, d)는 존재하지 않는다.

남은 4장의 2가 적힌 카드를 2가 적힌 카드 4곳에 놓을 때 이웃한 4장의 카드
따라서 구하는 순서쌍 (a, b, c, d)의 개수는 5이다.


에 적힌 수의 합은 항상 7 이하가 되려면 4장을 (2, 2, 0, 0) 또는 (2, 1, 1, 0)
a+b+c+d
Ü =12일 때, 또는 (1, 1, 1, 1)로 놓아야 하므로
a_b
a+b+c+d=12ab이고 4Éa+b+c+dÉ24이므로 순서쌍 (a, b, c, d)의 4! 4!
+ +1=6+12+1=19

2!2! 2!
개수는 다음 표와 같다.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a, b, c, d)의 20_19=380
ab (a, b) a+b+c+d a+b c+d (c, d)
개수 Ú, Û, Ü, Ý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4, 6) 45+60+285+380=770
1 (1, 1) 12 2 10 (5, 5) 1_3=3  770
(6, 4)

ab¾2일 때 순서쌍 (a, b, c, d)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구하는 순서쌍 (a, b, c, d)의 개수는 3이다. 미적분
Ú, Û, Ü에서 모든 순서쌍 (a, b, c, d)의 개수는
24+5+3=32이므로 23
32 ln`(1+2xÛ`)
P(A)=
‌=lim [ln`(1+2xÛ`)_ ]
1+cos`x
6Ý` lim
x Ú0 1-cos`x x Ú0 (1-cos`x)(1+cos`x)

또한 Ú, Û, Ü에서 a+b+c+d<10인 모든 순서쌍 (a, b, c, d)의 개수는
1+cos`x
14 =lim [ln`(1+2xÛ`)_ ]
1+8+5=14이므로 P(A;B)= x Ú0 sinÛ``x
6Ý`
ln`(1+2xÛ`) xÛ`
따라서 =lim [2_ _ _(1+cos`x)]
x Ú0 2xÛ` sinÛ``x
14 =2_1_1Û`_2=4
P(A;B)
‌ 2$;=;1¦6;
6Ý`
P(B|A)= = =;3! ⑤
P(A) 32

6Ý`
즉, p=16, q=7이므로
p+q=16+7=23
 23
24
부등식 '¶4n+1<(n+4)an<'¶4n+3의 각 변을 n+4로 나누면
'¶4n+1 '¶4n+3
30 n+4 <an< n+4 yy ㉠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카드를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다음과 같이 4가지로 나누 부등식 ㉠의 각 변에 '¶2n+1을 곱하면
어 구할 수 있다, '¶2n+1`'¶4n+1` '¶2n+1`'¶4n+3
n+4 <'¶2n+1an< n+4
Ú 121212인 경우
이때
남은 4장의 1이 적힌 카드를 1이 적힌 카드 3곳에 놓는 경우의 수는 서로

®Â2+ 1 `®Â4+ 1 `
'¶2n+1`'¶4n+1
다른 3개에서 중복을 허락하고 4개를 택하는 경우의 수와 같으므로 n n
H¢=¤C¢=¤C2=15 lim =lim =2'2,

3 n Ú¦ n+4 n Ú¦ 4

1+
남은 5장의 2가 적힌 카드를 2가 적힌 카드 3곳에 놓을 때 이웃한 4장의 n

카드에 적힌 수의 합은 항상 7 이하가 되려면 5장을 (2, 2, 1)로 놓아야 ®Â2+ 1 `®Â4+ 3 `
'¶2n+1`'¶4n+3 n n
하므로 lim =lim ‌=2'2
n Ú¦ n+4 n Ú¦ 4

1+
3! n
2! =3
이므로 수열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lim '¶2n+1 an=2'2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n Ú¦
15_3=45
Û 1212121인 경우 ⑤
남은 3장의 1이 적힌 카드를 1이 적힌 카드 4곳에 놓는 경우의 수는 서로

25
다른 4개에서 중복을 허락하고 3개를 택하는 경우의 수와 같으므로
¢H3=¤C3=20
남은 5장의 2가 적힌 카드를 2가 적힌 카드 3곳에 놓을 때 이웃한 4장의 이 입체도형을 x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자른 단면은 반지름의 길이가 tan`x+1

카드에 적힌 수의 합은 항상 7 이하가 되려면 5장을 (2, 2, 1)로 놓아야 p
이고 중심각의 크기가 2 인 부채꼴이므로 단면의 넓이를 S(x)라 하면
하므로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37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4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1~4).indd 37 2021-04-09 오후 2:31:59


EBS FINAL 수학영역

1 p
=;2!;[{
2 2
S(x)‌= _(tan`x+1)Û`_ ‌ _2'2-2_'2}-{ -2}]
2 2 3 3

p
= {- +;3$;}
1 2'2
= (tanÛ``x+2 tan`x+1)
4 2 3

=
따라서 구하는 입체도형의 부피를 V라 하면 2-'2
p 3
4
V=:) S(x) dx ‌
①

= :) 4 {(tanÛ``x+1)+2 tan`x} dx ‌
‌
p
p
4

4 :) 28
p
p 4
= (secÛ``x+2 tan`x} dx ‌

[tan`x-2ln|cos`x|])4
p
p D
= ‌
4
p '2
= {1-2 ln` } ‌
4 2 O
A B
(1+ln`2)p F
=
4
③ E G
C

26 그림 RÁ에서 반원의 내부에 그려진 정사각형의 호 위에 놓인 한 꼭짓점을 D,


선분 OB 위에 놓인 꼭짓점을 F라 하고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x라 하면
방정식 xÛ`-8 ln`x=a의 실근은 곡선 y=xÛ`-8 ln`x와 직선 y=a가 만나는 점 직각삼각형 DOF에서

}2`=1, xÛ`=1
의 x좌표이다. x 5
xÛ`+{
g(x)=xÛ`-8 ln`x로 놓으면 2 4
8 2(xÛ`-4) 4
g'(x)=2x- = xÛ`=
x x 5
g'(x)=0에서 x>0이므로 x=2 그림 RÁ에서 부채꼴 OAC의 내부에 그려진 정사각형의 호 위에 놓인 한 꼭짓
함수 g(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점을 E, 선분 OC 위에 놓인 꼭짓점을 G라 하고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y
라 하면 직각삼각형 OEG에서
x (0) y 2 y
yÛ`+yÛ`=1, 2yÛ`=1
g '(x) - 0 +
1
g(x) ↘ 극소 ↗ yÛ`=
2

따라서 S1=p-{;5$+;2!;+;2!;}=p-
함수 g(x)의 최솟값은 x=2일 때 4-8 ln`2이고, 9
5
lim g(x)=¦, lim g(x)=¦이므로 함수 y=g(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x Ú+0 x Ú¦ 그림 RÁ의 원을 O1, 그림 R2에서 새로 생긴 세 개 원 중 지름의 길이가 제일 큰
y 원을 O2, 나머지 두 원을 각각 O3, O4라 하면



y=a
O 2 A B
O£ O O4
x
4-8ln 2

따라서
C
2 (a>4-8 ln`2)

[
f(a)= 1 (a=4-8 ln`2) 두 원 O1, O2의 닮음비는 2 :
2
'5
,즉1:
1
'5
이고
0 (a<4-8 ln`2)
1 1
두 원 O1, O3의 닮음비는 2 : ,즉1: 이므로
이므로 함수 f(x)가 x=4-8 ln`2에서 불연속이므로 '2 2'2
S2=S1+[{ 1 }2`+{ 1 }2`+{ 1 }2`]S1=S1+;2»0;S1
p=4-8 ln`2
① '5 2'2 2'2

Sn=S1_[1+ 9 +{ 9 }2`+ y +{ 9 } ]
n´1`

27 따라서
20 20 20

1 Á
‌=lim Á
kÜ` 9
n
kÜ` 1 n nÜ` p-
lim ‌ SÁ 5 20p-36
n Ú¦ nÜ` k=1 "ÃnÛ`+kÛ` n Ú¦ n k=1 lim Sn= = =
¾¨
nÛ`+kÛ` 11

n Ú¦
1- 9 9
nÛ` 1-
20 20

=lim Á
}3{
k ④
1 n n

n Ú¦ n k=1
¾¨1+{ }2
k

29
n
xÜ`
dx=:)1
"Ã1+xÛ`
dt Q
1+xÛ`=t로 놓으면 2x= 이고
dx
P
x=0일 때 t=1, x=1일 때 t=2이므로 h 4h

:)1 dx‌=;2!; :)1


xÜ` xÛ` O 2h
_2x`dx ‌ A B
"Ã1+xÛ` "Ã1+xÛ` 2

=;2!; :!2
h
t-1
dt ‌
"t` 선분 AB의 중점을 O라 하면 ∠POB=2h, ∠QOB=4h이다.

=;2!; :!2 {'t-


1 두 선분 AP, AB와 호 PB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U(h), 두 선분 AQ,
} dt ‌
"t` AB와 호 QB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V(h)라 하면

=;2!; [ t;2#;-2t;2!;]2! U(h)= 1 _1_1_sin (p-2h)+;2!;_1Û`_2h=;2!; sin`2h+h


2

3 2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38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4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1~4).indd 38 2021-04-09 오후 2:32:00


EBS FINAL 수학영역

V(h)= 1 _1_1_sin (p-4h)+;2!;_1Û`_4h=;2!; sin`4h+2h ;3!;{ f(1)}Û`= (-e+k)Û`이다.


1
2 3
이므로 1
S(h)‌=V(h)-U(h) ‌ 3 (-e+k)Û`=12에서 (-e+k)Û`=36

이때 k>e이므로 -e+k=6에서 k=e+6
= 1 sin`4h+2h-{;2!; sin`2h+h} ‌
2 따라서 n=6이다.
= 1 sin`4h-;2!; sin`2h+h 6
2
S'(h)=2 cos`4h-cos 2h+1
cos`4h=cos (2h+2h)=cosÛ``2h-sinÛ``2h=2 cosÛ``2h-1이므로
기하
S'(h)=2(2 cosÛ``2h-1)-cos`2h+1=4 cosÛ``2h-cos`2h-1

23
S'(h)=0에서 4cos2`2h-cos`2h-1=0

cos`2h>0이므로 cos`2h= 1+'¶17


8
a ²+2b²‌=(1, k)+2(k-1, 3) ‌
1+'¶1 7


cos`2a= 이라 하면 h=a의 좌우에서 S'(h)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2k-1, k+6)
8
바뀌므로 S(h)는 h=a에서 극대이며 최대이다. 이때 벡터 a²+2b²의 모든 성분의 합이 2이므로
1+'¶17 (2k-1)+(k+6)=2, 3k+5=2
따라서 h1=a이므로 cos`2h1=
8 따라서 k=-1
즉, m=8, n=17이므로 ①
m+n=8+17=25
 25

24
30 x
점 B(-1, 4, 0)의 z좌표는 0이므로 점 B는 xy평면 위의 점이다.
점 A(2, 1, a)의 xy평면 위로의 정사영을 A'라 하면
f(x)=(2xÛ`-3x)e +k에서
A'(2, 1, 0), A'BÓ=ABÓ cos`30ù이므로
f '(x)‌=(4x-3)ex+(2xÛ`-3x)ex ‌
'3

=(2xÛ`+x-3)e x
‌ "Ã(-3)Û`+3Û`+0Û`="Ã(-3)Û`+3Û`+(-a)Û`_
2
=(2x+3)(x-1)ex 2'¶18="Ã18+aÛ`_'3
f '(x)=0에서 x=- 3 또는 x=1 양변을 제곱하면
2
72=3(18+aÛ`)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aÛ`=6
x y -;2#; y 1 y 따라서 a는 양수이므로 a='6
②
f '(x) + 0 - 0 +
9e-;2#;+k -e+k
f(x) ↗ ↘ ↗

따라서 k=0일 때, 함수 y=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극대) (극소)
25
POÓ⊥a, AOÓ⊥l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APÓ⊥l이다.
y '2
OBÓ=a라 하면 APÓ=2a, ABÓ=OAÓ= a
y=f(x)(k=0) 2
'2 '2
9e
-;2#;
S=;2!;_ABÓ_PAÓ=;2!;_ a_2a= aÛ`
2 2
1 직각삼각형 PAO에서
O '¶14
POÓ=¿¹PAÓ -OAÓÓ =®Â4aÛ`-;2!;aÛ`=
x
-;2#;
2 2
a
-e 2
'¶14 '¶14
T=;2!;_OBÓ_POÓ=;2!;_a_ a= aÛ`
함수 g(x)의 한 부정적분을 G(x)라 하면 2 4

:)3`/` g(t) dt=[G(t)]3)/ =G(3x)-G(0)


따라서
'¶14
aÛ`
이므로 G(3x)-G(0)={ f(x)}Û`-kÛ` yy ㉠ T 4 '7
= = 2
S '2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aÛ`
2
3g(3x)=2f(x)f '(x)
②
2
g(3x)= f(x)f '(x)
3

따라서 :)a` g(3x) dx= :)a` `f(x) f '(x) dx에서


2
3
dt
26
f(x)=t로 놓으면 f '(x)= 이고 \2
dx ² 하면 AD³=;2!;`a ², AE³= `bÕ 이
AB³=a², AC³=b 라 ² 다.
3
x=0일 때 t=f(0)=k, x=a일 때 t=f(a)이므로

:)a` g(3x) dx‌= :)a` f(x)f '(x) dx


ABÓ : ACÓ=3 : 2이므로
2 ‌ \2
3 ADÓ : AEÓ=3_;2!; : 2_ =;2#; : ;3$;=9 : 8
= 2 :K t`dt= 2 [ 1 tÛ`]K


f(a) f(a)
3
‌ A
3 3 2
= 1 [{ f(a)}Û`-kÛ`]
3 D

즉, :)a` g(3x) dx+ = { f(a)}Û`


  
F E
kÛ` 1
3 3
B C
함수 y=f(x)의 그래프에서 kÉe이면 함수 y=f(x)의 그래프는 x>0에서 G
x축과 만나고 { f(a)}Û`의 최솟값은 0이 되므로 k>e이고 { f(a)}Û`의 최솟값 삼각형 ADE에서 각 A의 이등분선이 선분 DE와 만나는 점이 F이므로
은 a=1일 때 { f(1)}Û`이다. DFÓ : EFÓ=9 : 8

즉, :)a` g(3x) dx+


8 9 4 6
kÛ`
의 최솟값은 a=1일 때 AF³= _;2!; a ²+ _;3@; b²= a²+ b²
3 17 17 17 17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39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4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1~4).indd 39 2021-04-09 오후 2:32:00


EBS FINAL 수학영역

또한 BGÓ : CGÓ=3 : 2이므로 R= \QRÓ = 2'5 =5


\2 \3 2_ '5
2`cos`h
AG³= a²+ b ² 5
5 5
세 점 A, F, G가 한 직선 위에 있으므로 따라서
OP³ º QP³-OP³ º QS³=
‌ OP³ º (QP³-QS³) ‌
AG³=kAF³에서
=OP³ º SP³
\2 \3

4 6
5 a ²+ 5 b²=k{ 17 a²+ 17 b²} =R_2R=2RÛ`=50
17 ③
따라서 k= 10

②

29
타원 위의 점 P(a, b)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27
ax by
+ =1
18 9
이고, A{0, }이다.
문제에서 주어진 쌍곡선을 S라 하자. a 9
이므로 접선의 기울기는 -
2b b
두 직선 x-2y-3=0, x+2y+5=0의 교점의 좌표가 (-1, -2)이므로 쌍
직선 AP에 수직이고 점 P(a, b)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곡선 S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도형을
y= 2b (x-a)+b
S'이라 하면 쌍곡선 S'은 두 직선 y= \1 x, y=- \1 x를 점근선으로 하고 점 a
2 2 즉, B(0, -b)이므로 C(0, -2b)이다.
(1, 2)를 지나며 두 초점 사이의 거리는 쌍곡선 S의 두 초점 사이의 거리와 서
따라서 타원 T의 두 초점 사이의 거리는
로 같다.
ACÓ= 9 +2b이고 장축의 길이는 2_2'¶18=12'2이므로
y b
타원 T의 단축의 길이를 2k라 하면

y=- ;2!;x 2 y= ;2!;x kÛ`=(6'2)Û`-[;2!;{ 9 +2b}]Û` yy ㉠


b
x 9
O ㉠에서 kÛ`의 값이 최대가 되려면+2b의 값이 최소가 되어야 한다.
b
1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2b¾2®Â _2b=6'2 {단, 등호는 b=


9 9 3'2
일 때 성립한다.}
b b 2
그림과 같이 쌍곡선 S'이 점 (1, 2)를 지나야 하므로 두 초점은 y축 위에 놓
9
인다. 따라서 kÛ`의 최댓값은 +2b=6'2일 때이므로
b
{ }2`=(6'2)Û`-{;2!;_6'2}2`=54
쌍곡선 S'의 방정식을 L
\xÛ` \yÛ` 2
- =-1 (a>0, b>0) yy ㉠
aÛ` bÛ` LÛ`=216
\b 1  216
이라고 하면 = 에서 a=2b
a 2
쌍곡선 ㉠이 점 (1, 2)를 지나므로
1 4
- =-1에서 bÛ`=
(2b)Û` bÛ`
15
4 30
aÛ`=4bÛ`이므로 aÛ`=15 그림과 같이 태양광선과 수직이고 구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 L이 지면과 이루는
xÛ` yÛ` 각의 크기는 60ù이다. 구의 그림자는 평면 L과 구가 만나서 생기는 원판의 그
쌍곡선 - =-1의 두 초점의 좌표를 (0, c), (0,-c)(c>0)이라 하면
aÛ` bÛ`
림자와 같으므로 그림자의 모양은 타원이다.
15 75
cÛ`=aÛ`+bÛ`=15+ = 타원의 중심을 E라 하고 장축의 두 끝점 중 점 Q에서 더 멀리있는 점을 F라
4 4
5'3 하면
c=
2 3
EFÓ cos`60ù= r이므로
따라서 두 초점 사이의 거리는 2
3 3
2c=2_ 5'3 =5'3 2
r
2
r
2 EFÓ= = =3r
cos`60ù 1
④
2

L 태양
T도로 광선
P

28 A영역 D영역
M
y lÁ
S도로

Q 60ù
N
C B영역 F Q
P 60ù 30ù
h C영역 E
A O
x 점 E에서 S도로, T도로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M, N이라 하면 타원의 단축
R
의 길이는 구의 지름의 길이와 같으므로 그림자가 D영역과 만나려면
S lª
3
r>EMÓ=5
2
두 직선 l1, l2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h라 하면 r> 10 yy ㉠
3
\|u²Õ º v |²Õ |1_3+1_(-1)| \'5 또한 그림자가 B영역과 만나지 않으려면
cos`h= = =
|u²Õ||v²Õ| "Ã1Û`+1Û``"Ã3Û`+(-1)Û` 5
QEÓ+EFÓ<QNÓ=39
p p
∠PQS= 이므로 ∠QSA= -h PQÓ =(10+n)'3이므로
2 2 QEÓ=
tan`30ù
원 C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삼각형 QRS에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10+n)'3+3r<39
QRÓ
=2R (10+n)'3<3(13-r)
sin { p -h} 10+n<'3(13-r)
2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40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4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1~4).indd 40 2021-04-09 오후 3:41:58


EBS FINAL 수학영역

(10+n)Û`<3(13-r)Û` yy ㉡
03
  
㉠, ㉡에서
Ú r=4일 때,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0+n)Û`<3_9Û`=243 a+b=2, ab=;3!;


15Û`=225, 16Û`=256이므로 위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의 값은 이므로
n=1, 2, 3, 4, 5 logab`3a(a+1)+logab`3b(b+1)
Û r=5일 때, =logab`9ab(a+1)(b+1)
(10+n)Û`<3_8Û`=192 =logab`9ab(ab+a+b+1)
13Û`=169, 14Û`=196이므로 위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의 값은
=log;3!;`[9_;3!;_{;3!;+2+1}]
n=1, 2, 3
Ü r=6일 때, =log3ÑÚ``10
(10+n)Û`<3_7Û`=147 =-log3`10
12Û`=144, 13Û`=169이므로 위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의 값은 ①
n=1, 2
Ý r¾7일 때,
r=7이면 (10+n)Û`<3_6Û`=108
11Û`=121이므로 위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의 값은 없다. 04
f(xÛ`)-f(4) f(xÛ`)-f(4)
마찬가지로 r¾8일 때 부등식 ㉡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의 값은 없다. lim ‌=lim[ _(x+2)]
x Ú2 x-2 x Ú2 xÛ`-4


Ú~Ý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r, n)의 개수는


f(xÛ`)-f(4)
5+3+2=10 =lim _lim(x+2) ‌
x Ú2 xÛ`-4 x Ú2
 10
=f '(4)_4

f '(x)‌= dx [ :`(2xÛ`-4x-8) dx]


d
 ‌

=2xÛ`-4x-8
f '(4)=2_4Û`-4_4-8=8이므로
f(xÛ`)-f(4)
lim ‌= f '(4)_4=8_4=32
x Ú2 x-2


5 회 EBS FINAL 수학영역 본문 67~80쪽


④

01 ③ 02 ① 03 ① 04 ④ 05 ③

06 ④ 07 ⑤ 08 ③ 09 ② 10 ④ 05
주어진 그래프에서 lim `f(x)=1이고 함수 y=f(x)의 그래프를 직선 y=x
x Ú-=-1+
11 ⑤ 12 ⑤ 13 ② 14 ② 15 ①
에 대하여 대칭이동하여 y=f -1(x)의 그래프를 그리면 다음과 같다.
16 50 17 32 18 30 19 45 20 55 y
2 y=f ÑÚ (x)
21 17 22 32
1
확률과 통계 23 ② 24 ③ 25 ④ 26 ⑤
-2
O 1 2 x
27 ① 28 ① 29 173 30 216
-1
미적분 23 ① 24 ⑤ 25 ④ 26 ③
-2
27 ② 28 ⑤ 29 98 30 200
그림에서 lim `f -1(x)=-1이므로
x Ú1-
기하 23 ④ 24 ② 25 ⑤ 26 ②
lim `f(x)+ lim `f -1(x)=1+(-1)=0
x Ú-=-1+ x Ú1-

27 ① 28 ③ 29 60 30 39 ③

01 06
8;3@;_9;2#;Ö36;2!;‌=(2Ü`);3@;_(3Û`);2#;Ö(2Û`_3Û`);2!;
 ‌
p p p p p
sin`{ - x}=cos` x이므로 함수 f(x)=sin`{ - x}의 그래프는 다
=4_27Ö6 ‌ 2 4 4 2 4
=18 음과 같다.
③
y

1 f(x)=sin {;2Ò;-;4Ò;x}
D C

02 -4 -2 4

:)2 (2x+1) dx-:$2 (2x+1) dx


A O B 2 x

함수 f(x)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고 ABÓ=2이므로


=:)2 (2x+1) dx+:@4 (2x+1) dx
OAÓ=OBÓ=1
=:)4 (2x+1) dx
p p '2
=[xÛ`+x]4)
BCÓ=cos`{ _1}=cos` =
4 4 2
따라서 직사각형 ABCD의 넓이는
=(16+4)-0
'2
=20 2_ ='2
2
① ④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41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5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1~4).indd 41 2021-04-09 오후 2:32:03


EBS FINAL 수학영역

07 ㄷ. 방정식 f(x)=0이 서로 다른 네 실근을 가지려면 다음 그림과 같아야

‌
한다.
f(x)+3
lim =;;ª3¥;;에서 y=f(x)
x Ú0 x
x 1° 0일 때 (분모) 1° 0이므로 (분자) 1° 0이어야 한다.
즉, lim{ f(x)+3}=f(0)+3=0이므로 a c
x Ú0
b x
f(0)=-3
x+2=t로 놓으면 x 1° -2이면 t 1° 0이므로 f(a)<0, f(b)>0, f(c)<0이어야 하므로 f(a)f(b)f(c)>0이다.


{ f(x+2)}Û`-9 { f(t)}Û`-9 그러나 다음 그림과 같이 f(a)f(b)f(c)>0이라 해서 방정식 f(x)=0이
lim =lim


x Ú-2 xÛ`+2x t Ú0 (t-2)t
‌
서로 다른 네 실근을 갖는 것은 아니다. (거짓)
f(t)+3 f(t)-3
=lim _lim y=f(x)
t Ú0 t t Ú0 t-2
y=f(x)
(-3)-3
=;;ª3¥;;_
-2
=28 a c
a b c x b x
⑤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ㄴ뿐이다.

08 ②

Á (ak+bk)+ Á (ak-bk)=2 Á ak=72


20 20 20

이므로 Á ak=36 10
k=1 k=1 k=1
20

또, Á (ak+bk)- Á (ak-bk)=2 Á bk=18


k=1
20 20 20 A

이므로 Á bk=9
k=1 k=1 k=1
20

k=1
S Q R
T
그런데 두 수열 {an}, {bn}은 모두 등차수열이므로

Á ak=
20 20(aÁ+aª¼)
=36에서
k=1 2
B C
aÁ+aª¼=;;Á5¥;;
PH
yy ㉠

Á bk=
  
점 P의 변 AB, AC에 대한 대칭점을 각각 S, T라 하면
20 20(bÁ+bª¼)
=9에서 ASÓ=APÓ=ATÓ,
k=1 2
SQÓ=PQÓ, PRÓ=RTÓ이므로
bÁ+bª¼=;1»0; yy ㉡
  
(삼각형 PQR의 둘레의 길이)
㉠+㉡에서 aÁ+bÁ+aª¼+bª¼=;;Á5¥;;+;1»0;=;2(;이고 aÁ+bÁ=;2!;이므로 =PQÓ+QRÓ+RPÓ=SQÓ+QRÓ+RTÓ¾STÓ …… ㉠
  
한편, ∠SAB=∠BAP, ∠PAC=∠CAT이므로
aª¼+bª¼=;2(;-;2!;=4
∠SAT=2∠BAC=120ù
③ 따라서 이등변삼각형 AST에서 코사인법칙을 이용하면
STÓ 2=ASÓ 2+ATÓ 2-2ASÓ_ATÓ_cos`120ù
‌
09 이때 ASÓ=APÓ=ATÓ이므로
2
STÓ =3APÓ
2
…… ㉡
              
함수 y=f '(x)의 그래프가 x축과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므로 다음과 같이 ㉠, ㉡에서
나타낼 수 있다. (삼각형 PQR의 둘레의 길이)¾'3_APÓ …… ㉢
   
y=f '(x) 그런데 APÓ¾AHÓ=8이므로

a b c
㉢에서 (삼각형 PQR의 둘레의 길이)¾8'3
x 따라서 삼각형 PQR의 둘레의 길이의 최솟값은 8'3이다.
④
함수 y=f(x)는 x=a, x=b, x=c (a<b<c)에서 극값을 갖는다.
따라서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인 사차함수 y=f(x)의 증가와 감소를 나타내

11
는 표를 만들면 다음과 같다.
x y a y b y c y
ABÓ=c, BCÓ=a, CAÓ=b라 하면
f '(x) - 0 + 0 - 0 +
A
f(x) ↘ 극소 ↗ 극대 ↘ 극소 ↗
ㄱ. 방정식 f(x)=k가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는 그래프 중 다음과 같은 경 c
r b
‌
우가 있다.
y=f(x) R
B C
a

y=k
삼각형 ABC의 넓이를 S라고 하면 사인법칙에 의하여
a b c x S=;2!;bc`sin`A=;2!;bc´ a = abc 이므로
2R 4R
따라서 함수 f(x)의 극댓값이 반드시 k인 것은 아니다. (거짓) abc=4RS
ㄴ. f(a)f(b)f(c)<0이면 함수 y=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한편, S=;2!;ar+;2!;br+;2!;cr= (a+b+c)에서
r
‌
2
y=f(x) y=f(x) y=f(x)
a+b+c= 2S
r
a a b c c 사인법칙에 의하여
b c x x a b x
sin`A= a , sin`B= b , sin`C= c
2R 2R 2R
위의 그림과 같이 방정식 f(x)=0은 a보다 큰 실근이 존재한다. (참) 이므로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42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5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5~7).indd 42 2021-04-09 오후 2:36:41


EBS FINAL 수학영역

abc abc ABÓ="Ã6Û`+4Û`=2'¶13이고


=
sin`A+sin`B+sin`C a b c 직선 8a-12g(a)+27=0과 원점 O 사이의 거리는

‌
+ +
2R 2R 2R
27 27
=
=abc_ 2R "Ã8Û`+12Û` 4'¶13
a+b+c
따라서 삼각형 OAB의 넓이는
4RS_2R
=
;2!;_2'¶13_ =;;ª4¦;;
2S 27
r 4'¶13
=4rRÛ` ②
⑤

14
12 xy-x-y=2n-1에서
(x-1)(y-1)=2n
n=j일 때, ( *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Á ak=(j+2)_j!-2
이때 x-1, y-1은 모두 정수이므로
j
k=0, 1, 2, y, n에 대하여
k=1
(x-1, y-1)=(2k, 2n-k)
이므로

Á ak=aj+1+ Á ak
j+1 j 또는 (x-1, y-1)=(-2k, -2n-k)
k=1 k=1 그러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두 정수 x, y의 모든 순서쌍 (x, y)의 개수
‌
는 2(n+1)이다.
= {j+2- 1 }_(j+1)! +(j+2)_j!-2
j+1 즉, an=2(n+1)이고

={j+2- j+1 }_(j+1)!+(j+1)!+j!-2


1 2 2 1 1
= = -
nan 2n(n+1) n n+1
=(j+2)!-j!+(j+1)!+j!-2 이므로
= (j+2)! +(j+1)!-2 S(m)= Á 2
m

n=1 nan
‌

=Á { 1 - 1 }
= (j+3) _(j+1)!-2 m

n n+1
}_(j+1)!, g(j)=(j+2)!, h(j)=j+3이
1 n=1
이상에서 f(j)={j+2-
j+1
=[{;1!;-;2!;}+{;2!;-;3!;}+y+{ 1 - 1 }]
므로 m m+1

f(3)={5- 1 }_4!=5!-3!=19_6, g(3)=5!, h(16)=19 ={1- 1 }= m


4 m+1 m+1
따라서

Á log`S(m)= Á log`
g(3)_h(16) 5!_19
따라서 = =20
f(3) 19_6 9 9
m
m+1
‌
⑤ m=1 m=1

=log`;2!;+log`;3@;+y+log` 9
10

=log`{;2!;_;3@;_y_ 9 }
13 10

f '(x)=3xÛ`+2ax+3이고 함수 f(x)=xÜ`+axÛ`+3x의 역함수가 존재하므로 =log` 1 =-1


10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¾0이어야 한다.
②
3xÛ`+2ax+3=0의 판별식을 D라고 하면
D
=aÛ`-9É0에서 -3ÉaÉ3
4
곡선 y=f(x)와 직선 y=a+4의 교점의 x좌표는 15
xÜ`+axÛ`+3x=a+4 p(x)=xÜ`-3xÛ`+k라 하면
y

y=f(x) p'(x)=3xÛ`-6x=3x(x-2)
xÜ`+axÛ`+3x-(a+4)=0
(x-1){xÛ`+(a+1)x+(a+4)}=0 a+4 함수 p(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y=a+4
에서 x=1이다. g(a) x y 0 y 2 y
g(a)는 곡선 y=f(x)와 두 직선 p'(x) - 0 + 0 +
y=a+4, x=0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이 x p(x) ↗ k ↘ k-4 ↗
O 1
므로
따라서 x=0에서 극댓값 p(0)=k, x=2에서 극솟값 p(2)=k-4이므로, k의
g(a)=:)1 {a+4-(xÜ`+axÛ`+3x)} dx 값에 따른 함수 y=p(x)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다.

xÜ`-;2#;xÛ`]1)
‌
y
=[(a+4)x-;4!;xÝ`-
a k>4일 때
3 k=4일 때
0<k<4일 때
=a+4-;4!;- -;2#;
a
3 k=0일 때
2 9 k<0일 때
= a+
3 4 y=p(x)
O
점 (a, g(a))가 나타내는 도형은 -3ÉaÉ3인 범위에 속한 직선 x
g(a)=;3@;a+;4(; 위의 점이다.

즉, 점 (a, g(a))가 나타내는 도형은 두 점 A{-3, ;4!;}과 B{3, ;;Á4¦;;}을 연결한

선분이다.
y x=2
:Á4¦: B 이때 함수 y=|p(x)|가 x=a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은 a의 값의 개수는 다음

g(a)=;3@;a+;4(;
과 같다.
Ú k<0일 때,
A ;4!; p(a)=0인 실수 a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으므로 1개이다.
-3 O 3 a
즉, g(k)=1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43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5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5~7).indd 43 2021-04-09 오후 2:36:42


EBS FINAL 수학영역

Û k=0일 때, 3tÛ`-4=2에서 tÛ`=2


a=0을 제외한 p(a)=0인 실수 a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으므로 1개이다. 따라서 mÛ`=(2tÜ`)Û`=4(tÛ`)Ü`=4_2Ü`=32
즉, g(0)=1  32
Ü 0<k<4일 때,
p(a)=0인 실수 a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으므로 3개이다.

18
즉, g(k)=3
Ý k=4일 때,
a=2를 제외한 p(a)=0인 실수 x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으므로 1개이다. A D
즉, g(k)=1
B C
Þ k>4일 때,
p(a)=0인 실수 a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으므로 1개이다. x
즉, g(k)=1
Ú~Þ에서 함수 y=g(k)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60ù
y E H
L
10
y=g(k) M 45ù
F G
3 20
30ù
N
1
직육면체의 높이가 x이므로
O 4 k x 2
ALÓ= = x
sin`60ù '3
함수 g(k)는 k=0, k=4에서 불연속이고, 이차함수 h(k)는 실수 전체의 집합 x
AMÓ= ='2x
sin`45ù
에서 연속이므로 함수 g(k)h(k)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려면 k=0,
x
k=4에서 연속이어야 한다. ANÓ= =2x
sin`30ù
Ú k=0에서 연속 ∠LMA=hù라 하고 두 삼각형 LMA, MNA에서 각각 코사인법칙을 이용
lim g(k)h(k)= lim g(k)_ lim h(k)=h(0) 하면
k Ú0- k Ú0- k Ú0-

lim g(k)h(k)= lim g(k)_ lim h(k)=3h(0)


k Ú0+ k Ú0+ k Ú0+
100+2xÛ`-;3$;xÛ` 100+;3@;xÛ`
cos`hù= =
g(0)h(0)=h(0) 2_10_'2x 20'2x
이므로 h(0)=3h(0) 400+2xÛ`-4xÛ` 400-2xÛ`
cos (180ù-hù)= =
따라서 h(0)=0 2_20_'2x 40'2x
Û k=4에서 연속 이때 cos (180ù-hù)=-cos`hù이므로
lim g(k)h(k)= lim g(k)_ lim h(k)=3h(4) 100+;3@;xÛ`
k Ú4- k Ú4- k Ú4- 400-2xÛ`
=-
lim g(k)h(k)= lim g(k)_ lim h(k)=h(4) 20'2x 40'2x
k Ú4+ k Ú4+ k Ú4+
따라서 x=30
g(4)h(4)=h(4)
 30
이므로 h(4)=3h(4)
따라서 h(4)=0
Ú, Û에서 h(0)=h(4)=0이므로
h(k)=k(k-4)
따라서 h(7)=7(7-4)=21
19
g(x)=xÜ`-txÛ`=xÛ`(x-t)라 하면 f(t)는

Ú t<0일 때, f(t)=:)1 g(x) dx=[;4!;xÝ`- xÜ`]1)=;4!;-;3!;t


①
t
3
Û 0ÉtÉ1일 때,
16 f(t)=:)t {-g(x)} dx+:T1 g(x) dx

=[-;4!;xÝ`+ xÜ`]t)+[;4!;xÝ`- xÜ`]1T


‌
등차수열 {an}의 네 항 aÁ, aª, a£, a¢를 각각
t t
a-3d, a-d, a+d, a+3d로 놓으면 3 3
4a=20이므로 a=5
= tÝ`-;3!;t+;4!;
1
aÛ`-dÛ`=16에서 6
dÛ`=9, d=Ñ3 Ü t>1일 때,

f(t)=:)1 {-g(x)} dx=[-;4!;xÝ`+ 3 xÜ`]1)=;3!;t-;4!;


이때 aÁ<0이므로 t
‌
d=3
Ú, Û, Ü에 의하여 f(t)는 모든 실수 t에 대하여 연속함수이고 tÉ0에서는
따라서 수열 {an}은 첫째항이 aÁ=-4이고 공차가 2d=6인 등차수열이므로
감소, t¾1에서는 증가한다.
a10=-4+9_6=50
1
 50 또 0ÉtÉ1에서 f '(t)=;3@; tÜ`-;3!;, f '{ }=0이므로 함수 f(t)의 증가와 감
Ü '2
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7
1
t 0 y y 1
Ü '2
함수 f(x)=xÜ`-4x의 그래프를 y축의 방향으로 m만큼 평행이동시킨 것을 함 f '(t) - 0 +

;4!;{1- }
1
;4!; ;1Á2;
수 y=g(x)의 그래프라 하면
f(t)
Ü '2
↘ ↗
g(x)=f(x)+m=xÜ`-4x+m
g '(x)=3xÛ`-4 1 1
f(t)는 t= 에서 최솟값을 가지므로 b=
함수 y=g(x)의 그래프가 직선 y=2x에 접하는 접점의 좌표를 (t, g(t))라 Ü '2 Ü '2
하면 접선의 기울기가 3tÛ`-4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f(-3)=;4!;+1=;4%;, f(3)=1-;4!;=;4#;이므로
y=(3tÛ`-4)(x-t)+tÜ`-4t+m f(t)는 t=-3에서 최댓값을 갖는다. 즉, a=-3

}3`=45
즉, y=(3tÛ`-4)x-2tÜ`+m yy ㉠ 1
  
따라서 10aÛ`bÜ`=10_(-3)Û`_{
직선 ㉠이 직선 y=2x와 일치해야 하므로 Ü '2
3tÛ`-4=2, m=2tÜ`  45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44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5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5~7).indd 44 2021-04-09 오후 2:36:42


EBS FINAL 수학영역

20 또, 조건 (나)에서 |f(a)-f(b)|=|a-b|이므로
3
f(a)-f(b)=a(aÜ`-bÜ`)- 2 a(aÛ`-bÛ`)-3(a-b)
|loga`m-loga`15|+loga`nÉloga`3

‌
3
|loga` |+loga` É0에서
m n =(a-b)[a(aÛ`+ab+bÛ`)- a(a+b)-3]
15 3 2
m 을 조건 (나)의 식에 대입하여 양변을 |a-b|로 각각 나누면
Ú loga` >0, 즉 m>15일 때,
15
|a(aÛ`+ab+bÛ`)-
3
a(a+b)-3|=1 …… ㉡
m n 2

  
loga` 15 +loga` 3 É0에서
이다.
m 3
loga` 15 Éloga` n aÛ`+ab+bÛ`=(a+b)Û`-ab이므로

a>1이므로 ㉠, ㉡에 의하여 ㉠을 ㉡에 대입하면

|a{1+ }- a-3|=1
45 1 3
15<mÉ n a 2
n=1일 때,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m은 15<mÉ45에서 이때 |a+4|=2

16, 17, y, 45의 30개 a<-4 또는 a>0이므로 a=-6

45 따라서 f(x)=-6xÜ`+9xÛ`-3x+1이므로
n=2일 때,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m은 15<mÉ 2 에서
| f(2)|=|-17|=17

16, 17, y, 22의 7개  17
45
n¾3일 때, 15<mÉ 3 를 만족시키는 자연수 m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m, n)의 개수는


30+7=37

Û loga`
m
15
=0, 즉 m=15일 때, 22
g(x)
n
0+loga` 3 É0에서 조건 (나)에서 lim =0이고, 조건 (가)에서
f(x) x Ú3

n lim f(x)=f(3)=0이므로
loga` 3 É0 x Ú3

lim `g(x)=g(3)=0
a>1이므로 x Ú3

1ÉnÉ3 g(x)
또한, lim =0이므로
x Ú3
f(x)
그러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m, n)의 개수는
g(x)=(x-3)Û`(x+a), f(x)=(x-3)(xÛ`+bx+c) (a, b, c는 상수)
(15, 1), (15, 2), (15, 3)의 3이다.
로 놓을 수 있다.
m
Ü loga` <0, 즉 0<m<15일 때, g(x)
15 조건 (나)에서 lim =0이고,
x Ú5 f(x)
m n
-loga 15 +loga 3 É0에서
g(x)는 (x-5)Û`을 인수로 가질 수 없으므로
m n lim `f(x)=f(5)+0, lim `g(x)=g(5)=0
loga` 15 ¾loga` 3 x Ú5 x Ú5

a>1이므로 즉, g(x)=(x-3)Û`(x-5)
n m g(x) g(x)
조건 (나)에서 lim =-1, lim =3이므로
3 É 15 <1에서 x Ú4 f(x) x Ú6 f(x)

5nÉm<15 g(x) (x-3)Û`(x-5)


lim =lim
x Ú4 f(x) x Ú4 (x-3)(xÛ`+bx+c)
‌
n=1일 때,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m은 5Ém<15에서
(x-3)(x-5)

5, 6, 7, y, 14의 10개 =lim
x Ú4 xÛ`+bx+c
n=2일 때,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m은 10Ém<15에서 -1

= =-1
10, 11, 12, y, 14의 5개 16+4b+c
n¾3일 때 15Ém<15를 만족시키는 자연수 m은 존재하지 않는다. 에서
그러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m, n)의 개수는 16+4b+c=1
10+5=15 4b+c=-15 yy ㉠
  
Ú, Û, Ü에서 구하는 순서쌍 (m, n)의 개수는 g(x) (x-3)(x-5)
lim =lim
x Ú6 f(x) x Ú6 xÛ`+bx+c
‌
37+3+15=55
= 3 =3
 55 36+6b+c
에서
36+6b+c=1
21 6b+c=-35 yy ㉡
  
f(0)=1이므로 삼차함수 f(x)는 ㉠, ㉡에서 b=-10, c=25
f(x)=axÜ`+bxÛ`+cx+1 (a, b, c는 상수)로 놓을 수 있다. 따라서 f(x)=(x-3)(xÛ`-10x+25)이므로
조건 (가)에서 f '(0)=-3, f '(1)=-3이고 |f(1)|=32
f '(x)=3axÛ`+2bx+c이므로  32
f '(0)=c=-3, f '(1)=3a+2b+c=-3에서
b=-;2#;a, c=-3

조건 (나)에서
확률과 통계
삼차함수 f(x)=axÜ`-;2#;axÛ`-3x+1이 x=a, x=b에서 극값을 가지므로

f '(x)=3axÛ`-3ax-3에서 23
이차방정식 f '(x)=0의 판별식 D라 하면 C4
6
D=aÛ`+4a>0, 즉 a<-4 또는 a>0이고 당첨 제비가 하나도 뽑히지 않을 확률은 이므로 적어도 한 개의 당첨 제비
9 C4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가 뽑힐 확률은
C
a+b=1, ab=-
1
…… ㉠ 1- 6 4 =1-;4°2;=;4#2&;
a 9C4
          
이다. ②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45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5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5~7).indd 45 2021-04-09 오후 2:36:43


EBS FINAL 수학영역

24 f(k)
\n
=kÛ`

P(AC;B)=P(B)-P(A;B)=3P(A;B)에서 따라서

Á = Á kÛ`=
10 f(k)
P(B)=4P(A;B) 10
10_11_21
\
=385
k=1 n k=1 \6
P(A)=;4#;P(B)이므로
①
P(A)=;4#;_4 P(A;B)=3 P(A;B)

P(A;BC)=P(A)-P(A;B)=2 P(A;B)
P(A'B)=P(A)+P(B)-P(A;B)
28
‌
=6 P(A;B)
따라서 두 가게 A, B에서 판매하는 P 과일 한 상자의 무게를 확률변수 X라 하면 X는 정
P(A'B) 6 P(A;B) 규분포 N(20, 2Û`)을 따르므로 크기가 100인 표본의 표본평균 XÕ는 정규분포

}, 즉 N{20, { }2`}을 따른다.


= =3
P(A;BC) 2 P(A;B) 2Û` 1
N{20,
③ 100 5
이때 상자 100개의 무게의 합에서 A 가게가 2030`kg 이상일 사건과 B 가게가
k`kg 이하일 사건은 서로 독립이므로

25 P{XÕ¾
2030
100
}_P{XÕÉ
k
100
}=0.0112
x+y+z=30에서 x, y, z가 모두 3의 배수인 경우는 k
P(Z¾1.5)_P{ZÉ5{ -20}}=0.0112
x=3x'+3, y=3y'+3, z=3z'+3 (x', y', z'은 음이 아닌 정수)일 때이므로 100
3(x'+y'+z')=21 k 0.0112
P{ZÉ5{ -20}}=
100 0.5-P(0ÉZÉ1.5)

‌
x'+y'+z'=7
0.0112
x'+y'+z'=7을 만족시키는 음이 아닌 정수해의 모든 순서쌍 (x', y', z') = =0.16
0.5-0.43
의 개수는
k
9_8 0.5-P{0ÉZÉ-5{ -20}}=0.16
100
3H7=9C2=

‌
=36
2_1
k
x+y+z=30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해의 모든 순서쌍 (x, y, z)의 개수는 P{0ÉZÉ-5{ -20}}=0.5-0.16=0.34
100

‌
x=x'+1, y=y'+1, z=z'+1 (x', y', z'은 음이 아닌 정수)일 때이므로 주어진 표준정규분포표에서 P(0ÉZÉ1)=0.34이므로
x'+y'+z'=27에서 k
-5{ -20}=1
29_28 100
3H27=29C2= =406
2_1 따라서 k=1980
따라서 순서쌍 (x, y, z) 중에서 x, y, z 중 적어도 하나는 3의 배수가 아닌 ①
순서쌍의 개수는
406-36=370
④

29
26
a 하나에 대하여 b를 정하는 모든 방법의 수는
5 P4=120
임의로 택한 한 사람이 A 운영체제를 사용할 사건을 A, B 운영체제를 사용할 a와 b의 어느 자리의 숫자도 서로 같지 않은 경우는 a와 b의 숫자 조합이 같은
사건을 B라 하면 구하는 확률은 P(B|A)이다. 경우와 같지 않은 두 가지의 경우가 있다.
1 예를 들어, a=1234일 때
A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사람의 수는 B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사람의 수의 배
4
Ú a와 b의 숫자 조합이 같은 경우
이므로
a의 1의 자리에 2가 있는 b는 다음과 같이 3개이다.
P(A)=;4!;P(B)
a 1 2 3 4
B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사람 중 3`%는 A 운영체제를 사용하므로 1 4 3
P(A;B)
P(A|B)= =;10#0;이고, P(A;B)=;10#0;P(B) b 2 3 4 1
P(B)
4 1 3
따라서
P(B;A) a의 1의 자리에 3, 4가 위치한 b도 마찬가지이므로 이 경우를 만족하는 서
P(B|A)=

P(A)
‌
로 다른 b의 개수는 3_3=9
P(A;B) Û a와 b의 숫자 조합이 다른 경우
=
P(A)
b에 1이 없고 5가 포함된다면 a의 1의 자리에 5가 위치한 b는 다음과 같이
3 _P(B)

100 2가지이다.
=
1 _P(B) a 1 2 3 4

4
3 4 2
3
=;10#0;_4= b 5
4 2 3
25
⑤ a의 2가 위치한 자리에 5가 위치한 b는 다음과 같이 3개이다.
a 1 2 3 4

27 b
2
3 5
4
4
3
2
r
l=2_1.96_ yy ㉠ 4 2 3
'¶n
    
l a의 3이 위치한 자리, a의 4가 위치한 자리에 5가 위치한 b도 마찬가지로 3
표본의 크기가 f(k)일 때, 신뢰구간의 길이가
\k
이므로

개이다.
=2_1.96_ r
l 즉, b에 1이 없고 5가 포함된 경우, 조건을 만족하는 b의 개수는
yy ㉡
\k "Ãf(k)
  
2+3_3=11
㉠, ㉡에서 k'¶n="Ãf(k)이므로 b에 2가 없고 5가 포함된 경우, 3이 없고 5가 포함된 경우, 4가 없고 5가 포

kÛ`n=f(k) 함된 경우도 모두 같으므로 이 경우를 만족하는 서로 다른 b의 개수는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46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5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5~7).indd 46 2021-04-09 오후 2:36:43


EBS FINAL 수학영역

4_11=44 Ú aÉ-1일 때,
Ú, Û에서 a가 하나 결정될 때, 조건을 만족하는 b의 개수는 -1-a=-1-2a이므로 a=0
9+44=53 그러나 aÉ-1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a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구하는 확률은 ;1°2£0;이므로 p=120, q=53 Û -1<a<-;2!;일 때,

따라서 p+q=173 1+a=-1-2a이므로


 173 a=-;3@;

Ü a¾-;2!;일 때,

30 1+a=1+2a이므로
a=0
삼각형이 세 직선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생각해서 경우를 나누어 보자. Ú, Û, Ü에서 함수 g(f(x))가 x=0에서 연속이 되도록 하는 모든 상수 a의
그림과 같이 세 직선을 교차시킨 뒤 그 내부에 위치한 삼각형은 오직 한 개이므
값은 0, -;3@;이므로 그 합은
로 다음과 같이 그 경우의 수를 세어 보자.
A 0+{-;3@;}=-;3@;

⑤

B C 25
Ú 직선 BC를 한 직선으로 하고 꼭짓점 B와 대변 위의 n등분점 중 한 점을 지 조건 (나)에서 곡선 y=f(x)가 점(3, 2)를 지나고 기울기가 2이므로

나는 한 직선과 꼭짓점 C와 대변 위의 n등분점 중 한 점을 지나는 한 직선 f(3)=2, f '(3)=;6!;
으로 이루어진 삼각형의 경우
조건 (가)에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0이므로 함수 f(3x)는 역함수가
꼭짓점 B와 대변 위의 n등분점 중 한 점을 지나는 직선의 개수가 n이고, 꼭
존재한다.

짓점 C와 대변 위의 n등분점 중 한 점을 지나는 직선의 개수가 n이므로 모
조건 (다)에서 함수 f(3x)의 역함수가 g(x)이므로
두 nÛ`개의 삼각형이 존재한다.
g( f(3x))=x yy ㉠
Û 꼭짓점 B와 대변 위의 n등분점 중 한 점을 지나는 두 직선과 꼭짓점 C와
        
㉠에 x=1을 대입하면

대변 위의 n등분점 중 한 점을 지나는 한 직선으로 이루어진 삼각형의 경우
g( f(3))=1이고 f(3)=2이므로
(이 경우 직선 BC는 제외해야 겹치지 않는다.)
g(2)=1
꼭짓점 B와 대변 위의 n등분점 중 한 점을 지나는 두 직선의 개수가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n(n-1)
nC2= 이고, 꼭짓점 C와 대변 위의 n등분점 중 한 점을 지나는 한 g '( f(3x))_f '(3x)_3=1 yy ㉡
2
  
nÜ`-nÛ` ㉡에 x=1을 대입하면
직선의 개수가 n이므로 모두 2 개의 삼각형이 존재한다. g '( f(3))_f '(3)_3=1
Ü 꼭짓점 B와 대변 위의 n등분점 중 한 점을 지나는 한 직선과 꼭짓점 C와 g '(2)_;6!;_3=1이므로

대변 위의 n등분점 중 한 점을 지나는 두 직선으로 이루어진 삼각형의 경우
g '(2)=2
(이 경우 직선 BC는 제외해야 겹치지 않는다.)
따라서 g(2)_g '(2)=1_2=2
꼭짓점 B와 대변 위의 n등분점 중 한 점을 지나는 한 직선의 개수가 n이고,

④
꼭짓점 C와 대변 위의 n등분점 중 한 점을 지나는 두 직선의 개수가
n(n-1) nÜ`-nÛ`
Cª= 이므로 모두 개의 삼각형이 존재한다.
n
2 2
Ú, Û, Ü에서 26
OÁAÁÓ='3이고, OÁAÁÓ : OªAÁÓ='3 : 1이므로
nÜ`-nÛ` nÜ`-nÛ`
an=nÛ`+ + =nÜ`
2 2
OªAÁÓ=1이다.
이므로
삼각형 AÁOÁOª에 내접하는 원 DÁ의 반지름의 길이를 rÁ이라 하면
a¤=6Ü`=216
 216 삼각형 AÁOÁOª의 넓이는

;2!;(OÁAÁÓ+AÁOªÓ+OÁOªÓ)_rÁ=;2!;_(3+'3)_rÁ yy ㉠
  
그런데 삼각형 AÁOÁOª의 넓이는
미적분
;2!;_1_'3= '3 yy ㉡
2
23
                
㉠, ㉡에서
'3
lim 9n
= lim
9 =;2!;_(3+'3)_rÁ
n Ú¦ n Ú¦
2
nÛ ` 1-¾Ð + 1
1


rÁ= '3-1
n-¾Ð +1
4 4 nÛ`
2
}2`=
=
9
=18 '3-1 2-'3
따라서 원 DÁ의 넓이는 p_{ p
1- 1 2 2
        
2
삼각형 AÁOÁOª에 외접하는 원 EÁ의 반지름의 길이를 RÁ이라 하면 직각삼각형
①
의 외접원의 중심은 빗변의 중점과 일치하므로
RÁ=;2!; OÁOªÓ=1

24 따라서 원 EÁ의 넓이는 p_1Û`=p


그런데 Dn과 Dn+1, En과 En+1의 닮음비는 모두 '3 : 1이다.
|xÛ`+1+a| (x¾0)
g( f(x))=[ 즉, Sn+1=;3!;Sn, Tn+1=;3!;Tn이므로

|cos`x+2a| (x<0)
Sn={ 2-'3 p}_{;3!;}
n-1
x=0에서 연속이기 위하여
2
lim g( f(x))=|1+a|, lim g( f(x))=|1+2a|
x Ú0+ x Ú0-
Tn=p_{;3!;}
n-1

이므로 |1+a|=|1+2a|이어야 한다.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47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5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5~7).indd 47 2021-04-09 오후 2:36:43


EBS FINAL 수학영역

따라서 lim g(x)=0,`lim g(x)=lim `f( f(x))=-1이므로

Á (Sn+Tn)= Á Sn+ Á Tn
x Ú0+ x Ú¦ x Ú¦
¦ ¦ ¦
‌
함수 y=g(x)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n=1 n=1 n=1

2-'3 1 p y

f ¦;2#;¥
={ p}_ +
2
1- 1 1- 1
3 3
y=g(x)
3'3
={3- }p
4 -2 -1 O 1
2 x
③
-1

h(-1)은 방정식 f( f(x))=-1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이므로 2,


27 h{-;2!;}은 방정식 f( f(x))=-;2!;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이므로 6,
함수 f(x)의 부정적분을 F(x)라 하면

:)
h(0)은 방정식 f( f(x))=0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이므로 5이다.
`f(t) dt= xÛ`-1 =F(ln`x)-F(0)
ln`x

4(xÛ`+1) 따라서 h(-1)+h{-;2!;}+h(0)=2+6+5=13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⑤
2x(xÛ`+1)-2x(xÛ`-1) f(ln`x)
=
4(xÛ`+1)Û` x

이므로 f(ln`x)=
xÛ`
(xÛ`+1)Û` 29
:!
이때 ln`x=t라 하면 x=et이고 x>0일 때 t의 값의 범위는 모든 실수이다. f(x)
g(t) dt=x-e
즉, 모든 실수 t에 대하여
e2t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t)=
(e +1)Û` 2t
g( f(x))f '(x)=1 yy ㉠

  
2e2t(e2t+1)Û`-2e2t(e2t+1)(2e2t) g는 f의 역함수이므로
f '(t)=
(e2t+1)Ý`
‌
g(f(x))=x yy ㉡
2e (e +1)-4e4t 2e2t(1-e2t)
2t 2t      
= = ㉡을 ㉠에 대입하면
(e2t+1)Ü` (e2t+1)Ü`
f '(t)=0에서 t=0이고 t<0일 때 f '(t)>0, f '(x)= 1
x
t>0일 때 f '(t)<0이므로 f(t)는 t=0에서 극대이다.
즉, f(x)=ln`x+C`(C는 적분상수)

:!
t 1° ¦ 또는 t 1° -¦일 때, f(t) 1° 0이므로 f(x)
g(t) dt=x-e의 양변에 x대신 g(1)을 대입하면
f(t)는 t=0에서 극대이면서 최대이다.

따라서 f(t)의 최댓값은 f(0)=;4!;이다. :!


f(g(1))
g(t) dt=g(1)-e
② ㉡에서 x=1을 대입하면 g( f(1))=f(g(1))=1이므로
g(1)-e=0
g(1)=e에서 f(e)=1

28 이때, f(x)=ln`x+C에서
f(e)=ln`e+C=1+C=1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인 함수이므로 C=0
f '(0)=0이고 따라서 f(x)=ln`x이고

:E `f(x) dx=:E `ln`x`dx


f(1)=0, f '(2)=0이므로 eá`á` eá`á`

f(-1)=0, f '(-2)=0이다.
‌
eá`á`
또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f(x)가 성립하므로 =[x ln`x-x]E =98e99
f( f(-x))=f( f(x))
이므로

:E `f(x) dx=98
즉, 함수 y=f( f(x))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인 함수이다.
g(x)=f( f(x))로 놓으면 g '(x)=f '( f(x)) f '(x) 1 eá`á`

eá`á`
g '(x)=0에서 f '( f(x))=0 또는 f '(x)=0
 98
방정식 f '( f(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f '(x)=0에서 x=-2 또는 x=0 또는 x=2이므로
f(x)=-2 또는 f(x)=0 또는 f(x)=2

f(2)=;2#;에서 -1Éf(x)É;2#;이므로
30
원점 O에 대하여 ∠PAO=h이므로 직선 PO와 x축의 양의 방향이 이루는 각
방정식 f '( f(x))=0의 실근은 방정식 f(x)=0의 실근과 같다. 의 크기는 2h이다.
즉, 방정식 f '( f(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이때 점 P의 좌표는 (cos`2h, sin`2h)이다.
x=-1 또는 x=1이다. 한편, 점 Q의 좌표를 (x, e-x+5-e)라 하면 점 Q의 y좌표는 점 P의 y좌표와
그러므로 g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같으므로
x=-2 또는 x=-1 또는 x=0 또는 x=1 또는 x=2 sin`2h=e-x+5-e
함수 g(x)=f( f(x))(x¾0)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sin`2h+e=e-x+5
x=5-ln (sin`2h+e)
x 0 y 1 y 2 y
그러므로 점 Q의 좌표는 (5-ln(sin`2h+e), sin`2h)
g '(x) 0 - 0 + 0 -
삼각형 QBR의 넓이 S(h)는
g(x) 극대 ↘ 극소 ↗ 극대 ↘
1
S(h)= _BRÓ_QRÓ
2
‌
따라서 함수 g(x)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인 함수이므로
1
x=-2, x=0, x=2에서 극댓값을 갖고 = _{ln (sin`2h+e)-1}_sin`2h
2
x=-1, x=1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sin`2h
=;2!;_ln { +1}_sin`2h
e
또한 g(-2)=g(2)=f {;2#;}>0
h 1° 0+이면 1° 0이므로
sin`2h
g(-1)=g(1)=f(0)=-1<0 e
S(h)
lim [e_ ]
g(0)=f( f(0))=f(-1)=0
h Ú0+ hÛ`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48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5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5~7).indd 48 2021-04-09 오후 2:36:44


EBS FINAL 수학영역

[ ]
ln { sin`2h +1}
= lim ;2!;_e_
h Ú0+
sin`2h
h
_
e
sin`2h
_
sin`2h
e
26
h´ 2PA³+PB³+3PC³=kBC³ 에서 점 B를 시점으로 바꾸면
e
2(BA³-BP³)-BP³+3(BC³-BP³)=kBC³

[ ]
ln { sin`2h +1}
sin`2h e 1 sin`2h
= lim ;2!;_e_2_ _ _2_ _ 이 식을 정리하면
h Ú0+ 2h sin`2h e 2h
BP³=;3!;BA³+{ }BC³
e 3-k
1 1 6
= _e_2_2_ =2
2 e -1ÉkÉ3이므로

É;3@;
따라서 3-k

S(h) 6
100_ lim [e_ ]=100_2=200
h Ú0+ hÛ` A
 200

D P E
기하
;3!;BÕA²

23 B
;3@;BÕC²
C

선분 AB의 중점의 y좌표가 0이므로


2+b 그림과 같이 ;3!; BA³=BD³, ;3!; BA³+;3@; BC³=BE³를 만족하는 두 점 D, E에 대
=0에서 b=-2
2
하여 점 P는 선분 DE 위의 점이므로
따라서 두 점 A(-1, 2, 5), B(3, -2, -2)이므로
;3@;_3=2
ABÓ="Ã(-1-3)Û`+(2+2)Û`+(5+2)Û`
‌
='¶81=9 ②
④

24
초점 F를 (c, 0) (c>0)이라 하면 27
c='¶25-9=4 y
이므로 초점 F의 좌표는 (4, 0) B
2a
점 A의 y좌표가 양수이므로 점 A의 좌표는 (0, 3)
C A(213a, a)
따라서 두 점 A, F를 지나는 직선 l의 기울기는 -;4#;이다. G
O Fª x
이때 기울기가 -;4#;인 접선의 방정식은

D F

y=-;4#;xÑ®Â25_;1»6;+9=-;4#;xÑ
3'¶41 E
4
이고, 이 접선의 x절편은 양수이므로 ABÓ=2a라 하고 그림과 같이 좌표축에 놓으면
점 A의 좌표는 (2'3a, a)이다.
y=-;4#;x+
3'¶41
4 두 점 A, F를 지나고 선분 CD의 중점인 원점 O를 꼭짓점으로 하는 포물선의 방
접선의 x축과의 교점의 좌표는 ('¶41, 0)이고 접선의 y축과의 교점의 좌표는 정식을
{0, }이다.
3'¶41 yÛ`=4px라 하면
4
이 포물선이 점 A를 지나므로
따라서 구하는 부분의 넓이는
aÛ`=4p_2'3a
;2!;_'¶41_
3'¶41 123
4
=
8 a '3
p= = a
② 8'3 24
정육각형 ABCDEF의 대각선의 교점을 G라 하면
'3 23'3
GFÁÓ='3a- a= a
25
24 24
∠FÁGFª=120ù이므로 삼각형 FÁGFª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xÛ` yÛ` FÁFªÓ=Ú G
Þ F1Ó +GF2Ó -2GFÁÓ_GFªÓ_cos`120ù
2 2
쌍곡선 9 - 16 =1의 두 초점을
23'3
F(c, 0), F'(-c, 0) (c>0) ='3_GFÁÓ='3_ 24 a
  
이라 하면 cÛ`=9+16=25에서 23_3
= 24 a=;;ª8£;;a
c=5
  
즉, 두 초점의 좌표는 BEÓ=4a이므로
F(5, 0), F'(-5, 0) BEÓ
= 4a =;2#3@;
이고 FF'Ó=10 FÁFªÓ 23
8 a
주축의 길이가 6이므로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①
PFÓ-PF'Ó=6
이때 PFÓ=3PF'Ó이므로
PFÓ=9, PF'Ó=3
따라서 삼각형 PFF'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2°7;
28
9Û`+3Û`-10Û`
cos`h=
2_9_3
⑤
사각뿔에 내접하는 구의 중심을 O라 하면 점 O는 AA'Ó 위에 존재한다.
AD'Ó을 연장한 직선이 DEÓ와 만나는 점을 M이라 하고, 점 D'에서 AA'Ó에 내
린 수선의 발을 H라 하자.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49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5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5~7).indd 49 2021-04-09 오후 2:36:45


EBS FINAL 수학영역

A 점 D는 선분 MC를 4 : 5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D{;5$;, ;1!5^;, ;4^5$;}

E' 이때, 점 D에서 z축 위의 점 사이의 거리의 최솟값은 점 D에서 z축에 내린 수


D'
선의 길이와 같으므로
k=®û{;5$;}2`+{;1!5^;}2`
B' C' E

B A' 400
=®û 225 =;3$;
C D
따라서 45k=45_;3$;=60
AMÓ='3, AA'Ó='2이다.
 60
두 점 D',A'은 구와 사각뿔의 접점이므로 A'MÓ=D'MÓ=1이다.
A

D' 13
H
12 1
30
AB³=b Õ²,``AC³=c Õ²라 하자.
선분 AN은 삼각형 ABC의 내접원의 중심인 내심 O'을 지나므로
M ∠CAB의 이등분선이다.
A' 1
BAÓ : ACÓ=BNÓ : NCÓ=5 : 2이므로
삼각형 AA'M과 삼각형 AHD'에서 닮음비에 의하여
D'HÓ : MA'Ó=AD'Ó : AMÓ이므로 AN³=`;7@; AB³+;7%; AC³`=`;7@; b Õ²+;7%; c Õ² yy ㉠

  
D'HÓ : 1=('3-1) : '3 점 M은 선분 BC를 1 : 2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3-1
D'HÓ= AM³=;3@; AB³+;3!; AC³=;3@; b Õ²+;3!; c Õ² yy ㉡
'3

   
사각뿔의 밑면인 사각형 B'C'D'E'은 정사각형이므로 그 넓이는 선분 AB는 원의 지름이고, ∠APB=90ù이므로

}2`_;2!;
1 '3-1 AN³ º BQ³=0
(2D'HÓ)Û`_ ={2_
2 '3 BQ³=`AQ³-AB³이므로
‌
8-4'3 AN³ º (AQ³-AB³)=0 yy ㉢
=
3
        
q q
두 평면 B'C'D'E'과 BCDE는 서로 평행하므로 AQ³= AM³에서 =t라 하고
p p
사각형 B'C'D'E'과 평면 ABC 사이의 각의 크기는 ㉠과 ㉡을 ㉢에 대입하면
사각형 BCDE와 평면 ABC 사이의 각의 크기와 같다.
{;7@; b Õ²+;7%; c Õ²} º [t{;3@; b Õ²+;3!; c Õ² }-b Õ² ]=0
사각형 BCDE와 평면 ABC 사이의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3 '3 (2 b Õ²+5 c Õ²) º {(2t-3) b Õ²+t c Õ² }=0
4 _2Û`_cos`h=2_2_;4!;에서 cos`h= 3 2(2t-3)|b Õ²|Û`+5t|c Õ²|Û`+2t b Õ² º c Õ²+5(2t-3) b Õ² º c Õ²=0
  
따라서 사각형 B'C'D'E'의 평면 ABC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는 |b Õ²|=5,`|c Õ²|=2이므로
8-4'3 '3 8'3-12 50(2t-3)+20t+(12t-15) b Õ² º c Õ²=0
3 _ 3 =
  
9 (12t-15)( b Õ² º c Õ²+10)=0
③
b Õ² º c Õ²>0이므로 t=;1!2%;

따라서 AQ³=;1!2%; AM³에서


p=12,`q=15이므로

29 2p+q=39
 39
O

A B
M

점 M은 선분 AB를 16 : 9로 내분하므로 점 M의 좌표는


M{;2#5^;, ;2$5*;, 0}

이고, 그림과 같이 삼각형 ABO와 삼각형 AOM, 삼각형 OBM은 닮음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MOÓ⊥ABÓ에서 CMÓ⊥ABÓ이다.
AOÓ_OBÓ=ABÓ_MOÓ에서 MOÓ=;;Á5ª;;

삼각형 ABC의 넓이가 10이므로


;2!;_ABÓ_CMÓ=10에서

;2!;_5_CMÓ=10

CMÓ=4
점 C(0, 0, t) (t>0)라 하면 삼각형 COM에서
2 2 2
COÓ =CMÓ -MOÓ 이므로
144 256
tÛ`=16- =
25 25
t>0이므로 t=;;Á5¤;;

즉, C{0, 0, ;;Á5¤;;}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50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5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5~7).indd 50 2021-04-09 오후 2:36:46


EBS FINAL 수학영역

6 회 EBS FINAL 수학영역


05
본문 81~96쪽 '2
cos`h= 이므로
4
01 ⑤ 02 ③ 03 ③ 04 ⑤ 05 ③ sin2`h=1-cosÛ2`h
‌

'2
=1-{ }2
06 ② 07 ① 08 ② 09 ② 10 ① 4
7
=
11 ⑤ 12 ⑤ 13 ④ 14 ④ 15 ① 8
따라서
16 96 17 40 18 90 19 25 20 5
sin`h`tan`h=sin`h_ sin`h
cos`h
‌

21 20 22 153
= sinÛ``h
확률과 통계 23 ① 24 ⑤ 25 ④ 26 ② cos`h
7
27 ② 28 ③ 29 128 30 31 =
8 (
'2 {
23 ⑤ 24 ④ 25 ① 26 ② 4
9
미적분
7'2
=
27 ② 28 ③ 29 8 30 675 4
③
기하 23 ③ 24 ④ 25 ④ 26 ①

27 ⑤ 28 ② 29 110 30 13

01 06
21-2'2_42+'2=21-2'2_24+2'2

세 점 A,``B,``C의 좌표를 각각 A(aÁ,``aª),``B(bÁ,``bª),``C(cÁ,``cª)라 하자.
=21-2'2+4+2'2 2
조건에서 bÁ=- 이고, 점 B는 곡선 y=log£ (x+1) 위의 점이므로
=2Þ` 3
=32 bª=log£ (bÁ+1)
‌

⑤ =log£ {- 2 +1}
3
1
02
=log£` =-1
3
aª=bª=-1이고, 점 A는 곡선 y=log;2!;`x 위의 점이므로 aª=log;2!;`aÁ에서

aÁ={ 1 } ={ 1 }- 1`=2
함수 f(x)=axÛ`-x+1에 대하여 f`'(x)=2ax-1 aª

f`'(1)=5에서 2_a`_1-1=5이므로 a=3 2 2


따라서 f`'(2)=2_3_2-1=11 cÁ=aÁ=2이고, 점 C는 곡선 y=log£ (x+1) 위의 점이므로
③ cª=log£ (cÁ+1)
‌

=log£ (2+1)

03 =log£`3=1
n=cª=1이고, 점 D는 곡선 y=log;2!;`x 위의 점이므로 n=log;2!;`m에서
부채꼴의 반지름의 길이가 3, 넓이가 3p이므로
m={ 1 } ={ 1 } =;2!;
n 1

구하는 부채꼴의 호의 길이를 l이라 하면 2 2


3p=;2!;_3_l 따라서 m+n= +1=
1 3
2 2
따라서 l=2p ②
③

04
등비수열 {an}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 하면 a23=ar22이고,
a16=ar15, a20=ar19, a26=ar25, a30=ar29이므로 07
log2`a16+log2`a20+log2`a26+log2`a30 y
13
=log2 (a16_a20_a26_a30)
1 ;;2;;
y=f(x)
=log2 (a4r88)
=log2 (ar22)4
=log2`324 O
-1 1 x
=log2`2 20
-;2!; ;2!;
=20
-1 13
⑤ -;;2;;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으므로


다른 풀이
등비수열 {an}에서 세 수 a20, a23, a26과 세 수 a16, a23, a30은 각각 등비수열을 lim `f(x)[ f {x+;2!;}+ f {x-;2!;}]에서 x+;2!;=t, x-;2!;=s로 놓으면
x Ú0+

이루므로 등비중항의 성질에 의하여 lim `f(x)=-1,


x Ú0+
a20_a26=a16_a30=a23Û`
따라서 lim `f {x+;2!;}= lim f(t)= '3 ,
x Ú0+ t Ú;2!;+
2
log2`a16+log2`a20+log2`a26+log2`a30
'3
=log2 (a16_a20_a26_a30) lim `f {x-;2!;}= lim f(s)= 이므로
x Ú0+ s Ú-;2!;+
2
=log2`a234
'3 '3
=log2`324 lim `f(x)[ f {x+;2!;}+ f {x-;2!;}]=-1_{ + }=-'3
x Ú0+ 2 2
=20 ①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51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6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5~7).indd 51 2021-04-09 오후 2:36:47


EBS FINAL 수학영역

08 =;8!;_;4%5*;

lim
f(x)- f(2)
=3에서 f(x)- f(2)는 xÛ`을 인수로 갖고 =;1ª8»0;
x Ú0 xÛ`
f(2)- f(2)=0에서 x-2도 인수로 가지므로 ①
f(x)-f(2)=axÛ`(x-2) (a는 0이 아닌 상수)로 놓을 수 있다.
axÛ`(x-2)
lim = lim a(x-2)=3에서
x Ú0 xÛ` x Ú0

a=-;2#;

따라서 f(x)=-;2#;xÛ`(x-2)+f(2)이므로
11
Ú n=2일 때,
:_2@`f '(x)dx= f(2)- f(-2) (좌변)=p(1)= 1 , (우변)=2{p(2)-1}=2{1+;2!;-1}= 1

이므로 ( * )이 성립한다.
3
= f(2)-[- _(-2)Û`_(-2-2)+f(2)] Û n=k일 때, ( *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2
=-24 p(1)+p(2)+p(3)+y+p(k-1)=k{p(k)-1} yy ㉠

  
② p(k)=1+;2!;+;3!;+y+;k!; yy ㉡

            
에서
1
p(k+1)=1+;2!;+;3!;+y+ k+1 yy ㉢
09

         
1
조건 (가)에서 ㉢-㉡을 하면 p(k+1)=p(k)+ k+1

f(x)-g(x)=:` dx=x+CÁ (CÁ은 적분상수) ㉠의 양변에 p(k)를 더하면


p(1)+p(2)+p(3)+y+p(k)=(k+1)p(k)- k
f(1)-g(1)=1+CÁ=2이므로 CÁ=1


]- k
1
따라서 f(x)-g(x)=x+1 yy ㉠ =(k+1)[p(k+1)-
k+1
  
조건 (나)에서 =(k+1){p(k+1)-1}
f(x)g(x)=:`(4xÜ`-3xÛ`-6x+1)dx 이므로 n=k+1일 때도 ( * )이 성립한다.

=xÝ`-xÜ`-3xÛ`+x+Cª (Cª는 적분상수) Ú, Û에 의하여 n¾2인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 * )이 성립한다.
f(1)g(1)=1-1-3+1+Cª=0이므로 Cª=2 이상에서 p=1, f(k)=k, g(k)=k+1이므로
p+g(8) 1+9
따라서 f(x)g(x)=xÝ`-xÜ`-3xÛ`+x+2 = 2 =5
f(2)
f(1)g(1)=0이므로 인수분해하면
⑤
f(x)g(x)=(x+1)Û`(x-1)(x-2)
두 다항함수 f(x), g(x)의 차수를 각각 m, n이라 할 때,
만약 m, n의 순서쌍 (m, n)이 (0, 4) 또는 (1, 3) 또는 (3, 1) 또는 (4, 0)이
라 가정하면 함수 f(x)-g(x)의 차수는 3 이상이 되어 ㉠에 모순이다.
따라서 m=2, n=2
조건에서 f(1)=0이므로 다항함수 f(x)는 x-1을 인수로 갖는다.
12
두 점 P, Q의 시각 t (t¾0)에서의 위치를 각각 x¸(t), xÎ(t)라 하면

x¸(t)=:)t v¸(s) ds=:)t (sÛ`-3s) ds=[;3!;sÜ`-;2#;sÛ`]t)=;3!;tÜ`-;2#;tÛ`


남은 세 인수 x+1, x+1, x-2 중에서 만약 다항함수 g(x)가 두 인수 x+1,
x+1을 갖는 g(x)=(x+1)Û`이라 가정하면 g(1)=4가 되어 조건 g(1)=-2

xÎ(t)=:)t vÎ(s) ds=:)t (-sÛ`+5s) ds=[-;3!;sÜ`+;2%;sÛ`]t)=-;3!;tÜ`+;2%;tÛ`


에 모순이다.
따라서 f(x)=(x+1)(x-1)이고, g(x)=(x+1)(x-2)이므로
f(2)g(3)=(2+1)(2-1)_(3+1)(3-2)=3_4=12 ㄱ. 출발한 후 두 점 P, Q의 속도가 같아지는 시각은 v¸(t)=vÎ(t)에서
‌
② tÛ`-3t=-tÛ`+5t
2tÛ`-8t=0
2t(t-4)=0

10
t>0이므로 t=4 (참)
ㄴ. 점 Q의 운동 방향이 바뀌는 시각은 vÎ(t)=0에서

SÇ= Á
n
aû -tÛ`+5t=0
로 놓으면
k=1 k
-t(t-5)=0
SÇ=2nÛ`+10n이므로 SÁ=2+10=12에서
t>0이므로 t=5

yy ㉠ 따라서 시각 t=5에서의 점 P의 위치 a는
1 =12, 즉 aÁ=12
    
aÇ a=x¸(5)
n¾2일 때, SÇ-SÇÐÁ= 이므로
n a=;3!;_5Ü`-;2#;_5Û`

n =2nÛ`+10n-{2(n-1)Û`+10(n-1)} a=5Û`{;3%;-;2#;}

=4n+8
aÇ=4n(n+2) (n¾2) yy ㉡ a=5Û`_;6!;
  
㉡에 n=1을 대입하면 aÁ=12이므로
a=:ª6°:
㉠, ㉡에 의하여
aÇ=4n(n+2) (n¾1) 이므로 a>0이다. (참)
ㄷ. 두 점 P, Q가 만나는 시각은 x¸(t)=xÎ(t)에서
따라서

Á 1 =Á
8 8
1 ;3!;tÜ`-;2#;tÛ`=-;3!;tÜ`+;2%;tÛ`
aû k=1 4k(k+2)

=;8!; Á {;k!;-

k=1

;3@;tÜ`-4tÛ`=0
}
8
1
k=1 k+2
;3@;tÛ`(t-6)=0
=;8!;[{1-;3!;}+{;2!;-;4!;}+{;3!;-;5!;}+y+{;7!;-;9!;}+{;8!;-;1Á0;}]
t=6
=;8!;{1+;2!;-;9!;-;1Á0;} 따라서 시각 t=0에서 시각 t=6까지 점 P가 움직인 거리를 l이라 하면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52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6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5~7).indd 52 2021-04-09 오후 2:36:49


EBS FINAL 수학영역

l=:)6 |v¸(t)|dt 3=:_2# f(x)dx+:_3! f(x)dx

=:)6 |tÛ`-3t|dt =[:_-#1` f(x)dx+:_2! f(x)dx]+[:_2! f(x)dx+:@3` f(x)dx]

=:)3 (-tÛ`+3t) dt+:#6 (tÛ`-3t) dt =2:_2! f(x)dx+:_-#1` f(x)dx+:@3` f(x)dx


=[-;3!;tÜ`+;2#;tÛ`]3)+[;3!;tÜ`-;2#;tÛ`]6#
=2:_2! f(x)dx+:)2 f(x)dx+:_0! f(x)dx

=3:_2! f(x)dx
=[{-;3!;_3Ü`+;2#;_3Û`}-0]+[{;3!;_6Ü`-;2#;_6Û`}-{;3!;_3Ü`-;2#;_3Û`}]

즉, :_2! f(x)dx=1
={;2(;-0}+[18-{-;2(;}]

=27 (참)
또한

:_2! f(x)dx=:_0! f(x)dx+:)2 f(x)dx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3` f(x)dx+:)2 f(x)dx


=:)3 f(x)dx

이므로 :)3 f(x)dx=1


13
yy ㉢

  
㉡-㉢을 하면

:_3! f(x)dx-:)3 f(x)dx=;2!;에서 :_0! f(x)dx=;2!;이므로


A

:)1 f(x)dx=;2!;

  
t 1-tÛ

P yy ㉣
R

    
1-t S(t) tÛ 한편, 조건 (가)에서 f(-x)= f(x)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y축에
B C 대하여 대칭이고, 함수 y=x f(x)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_4$1!5% (5x+2) f(x)dx


t Q 1-t

그림과 같이 삼각형 PQR의 넓이는 정삼각형 ABC의 넓이에서 세 삼각형

=5:_4$1!5% x f(x)dx+2:_4$1!5% f(x)dx


APR, BQP, CRQ의 넓이를 빼면 된다.
삼각형 PQR의 넓이를 S(t)라 하면

=4:)4`1`5` f(x)dx
'3
S(t)= _1Û`-[;2!;_t_(1-tÛ`)_sin`;3Ò;]-[;2!;_t_(1-t)_sin`;3Ò;]
4

-[;2!;_tÛ`_(1-t)_sin`;3Ò;] =4[{:)3 f(x)dx+:#6 f(x)dx+:^9 f(x)dx+y+:$4!1!4` f(x)dx}

+:$4!1$5` f(x)dx]
'3
= {1-t(1-tÛ`)-t(1-t)-tÛ`(1-t)}
4

'3
= (2tÜ`-2t+1) =4{138:)3 f(x)dx+:)1 f(x)dx}
4
'3
S'(t)=
2
(3tÛ`-1) =4{138_1+;2!;}
'3 =554
0<t<1일 때, S'(t)=0에서 t= 이므로
3
④
함수 S(t)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t (0) y '3 y (1)


3
S '(t) - 0 +
'3 '3 '3
S(t) { } -;3!; { }
15
↘ ↗
4 4 4

'3
함수 S(t)는 t= 3 일 때 극소이면서 동시에 최소이므로 구하는 삼각형 PQR B

의 넓이의 최솟값은 h
'3 '3
S{ }= -;3!;
3 4 R
D
O' r
④ r
R sin h r
E
A
O
;2Ò;-h C

그림과 같이 삼각형 CDE가 직각삼각형이므로 선분 DE는 원 C의 지름이고,


선분 DE의 중점을 O'이라 하면 O'은 원 C의 중심이다.
14 ∠EBO=h라 하면 직각삼각형 BOE에서 ∠BOE=;2Ò;-h이므로
두 조건 (가), (나)에서 ∠COE=h
f(x)= f(3-x) ← 조건(나)에 의하여
원 C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고, 사분원 OAB의 반지름의 길이를


= f(-(x-3)) 2+'2=R로 놓으면 직각삼각형 BOE에서 OEÓ=R`sin`h이고,
= f(x-3) ← 조건(가)에 의하여
반지름 OD에서 R=R`sin`h+2r이므로

이므로 함수 f(x)는 주기가 3인 주기함수이다.
}R
1-sin`h
r={ yy ㉠
조건 (다)에서 2

:_2# f(x)dx=;2#;
   
한편,
yy ㉠

:_3! f(x)dx=;2#;
OO'Ó=R`sin`h+r, O'CÓ=r이고,
  
yy ㉡ 원 C가 선분 OA에 접하므로 ∠OCO'=;2Ò;이다.
  
㉠+㉡을 하면 따라서 직각삼각형 OCO'에서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53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6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5~7).indd 53 2021-04-09 오후 2:36:49


EBS FINAL 수학영역

sin`h=
O'CÓ
OO'Ó 18

r 1 1
= 등식 sin`h - cos`h =1의 양변에 sin`h`cos`h를 곱하면
R`sin`h+r
cos`h-sin`h=sin`h`cos`h
{ }R
1-sin`h
2 양변을 제곱하면
=
}R
1-sin`h
R`sin`h+{ cosÛ``h-2`sin`h`cos`h+sinÛ``h=(sin`h`cos`h)Û`
2
1-sin`h 1-2`sin`h`cos`h=(sin`h`cos`h)Û`
=
2`sin`h+(1-sin`h) sin`h`cos`h=t로 놓으면
1-sin`h 1-2t=tÛ`, tÛ`+2t-1=0
=
1+sin`h
-2Ñ"Ã2Û`-4_1_(-1)
t= =-1Ñ'2
위 식의 양변에 1+sin`h를 곱하면 2
sin`h+sinÛ``h=1-sin`h -1ÉtÉ1이므로 t=-1+'2
sinÛ``h+2 sin`h-1=0에서 0Ésin`hÉ1이므로 즉, sin`h`cos`h=-1+'2
sin`h=-1+'2 yy ㉡ 따라서 p=-1, q=1이므로
   
㉠에 ㉡과 R=2+'2를 대입하여 정리하면 10p+100q=10_(-1)+100_1=90
1-(-1+'2)  90
r= _(2+'2)
2

2-'2
= _(2+'2)
2
=1
직각삼각형 OCO'에서 ∠CO'O=;2Ò;-h이므로 삼각형 O'EC에서 코사인법칙

에 의하여
19
f(x)=2xÝ`+7x-3, g(x)=4xÛ`-3x-7에서 f(1)=6, g(1)=-6이므로
CEÓ Û`=O'CÓ Û`+O'EÓ Û`-2_O'CÓ_O'EÓ_cos{;2Ò;-h} f(1+h)+g(1+2h)
lim
h Ú0 h
=1+1-2_1_1_sin`h
f(1+h)+g(1+2h)- f(1)-g(1)
=2-2_(-1+'2) =lim
h Ú0 h
=4-2'2 f(1+h)- f(1) g(1+2h)-g(1)
=lim +lim
따라서 선분 CE를 지름으로 하는 원의 넓이는 h Ú0 h h Ú0 h

}2`=;4Ò;_CEÓ Û`
CEÓ f(1+h)- f(1) g(1+2h)-g(1)
p{ =lim +2 lim
2 h Ú0 h h Ú0 2h

=;4Ò;_(4-2'2) = f '(1)+2g '(1) yy ㉠
  
f '(x)=8xÜ`+7, g '(x)=8x-3에서 f '(1)=15, g '(1)=5이므로
'2
={1- }p ㉠에 대입하면
2
① 15+2_5=25
 25

16
등비수열 {aÇ}의 공비를 r`(r는 자연수)라 하자.
S£-Sª=3에서 a£=3
20
로그의 진수 조건에 의하여
S¤-S°=24에서 a¤=24
a>0, b>0, a+b>4 yy ㉠
a¤=a£_rÜ`이므로
  
logª`a+logª`b=1+logª (a+b-4)

rÜ`= =:ª3¢:=2Ü` logª`ab=logª{2(a+b-4)}에서

따라서 r=2이므로 ab=2(a+b-4) yy ㉡
    
a¥=a¤_rÛ`=24_2Û`=96 이차방정식 xÛ`-2ax+bÛ`=0의 두 실근이 a, b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
 96 하여
a+b=2a, ab=bÛ` yy ㉢
   
k k=(a+2)Û -12
㉢을 ㉡에서 bÛ`=2(2a-4)=4(a-2)
k=aÛ`+bÛ`

17
‌

=aÛ`+4(a-2)
4
=aÛ`+4a-8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려면 x=-2에서 연속이어야 하므로 -2 2
=(a+2)Û`-12 O a
lim f(x)= f(-2)에서
x Ú-2 ㉠, ㉢에서 a>2이므로
axÛ`+2x-4 k>4
lim =b yy ㉠ -8
x Ú-2 x+2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k의 최솟값
x 1° -2일 때 (분모) 1°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1° 0이다. -12
은 5이다.
즉, lim (axÛ`+2x-4)=0이므로
x Ú-2 5
4a-4-4=0에서 a=2 yy ㉡
   
㉡을 ㉠에 대입하면
2xÛ`+2x-4
b= lim
x Ú-2 x+2
21

(x+2)(2x-2)
= lim
x Ú-2 x+2
두 등식 y=xÛ`, y=2x+3을 연립하여 정리하면
= lim (2x-2)
x Ú-2 xÛ`-2x-3=0, (x+1)(x-3)=0에서
=-6 x=-1 또는 x=3이다.
따라서 aÛ`+bÛ`=2Û`+(-6)Û`=40 즉, 두 점 A, B의 좌표는 각각 A(-1, 1), B(3, 9)이다.
 40 f(x)=xÛ`이라 하면 f '(x)=2x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54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6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5~7).indd 54 2021-04-09 오후 2:36:50


EBS FINAL 수학영역

Ú [그림 1]과 같이 곡선 위의 점 P가 임의로 (p, pÛ`)에 있을 때, [그림 1], [그림 2]와 같다.

y=f ¦-;3!;¥
y y=2x+3 y=|f(x)|
y=xÛ y=|f(x)|
B(3, 9)
-;3!; y=f(3)

y=f ¦-;3!;¥
3 x 3 x
-;3!;
3 Q
y=f(3)
y=f(x) y=f(x)
A(-1, 1) P
O p q x [그림 1] [그림 2]

[그림 1] 이 경우 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n이 서로 다른 6개의 점에서 만


나도록 하는 자연수 n은 존재하지 않는다.
곡선 위를 움직이는 점 Q에 대하여
(사각형 APQB의 넓이)=(삼각형 APB의 넓이)+(삼각형 BPQ의 넓이)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려면 f{-;3!;}>0>f(3)이어야 한다.
이므로 사각형 APQB의 넓이가 최대가 되려면 삼각형 BPQ의 넓이가 최
즉, f{-;3!;}_ f(3)<0이므로 { m +;2!7$;}{ m -18}<0에서

대이어야 한다. 2 2
삼각형 BPQ에서 변 BP를 밑변으로 놓으면 직선 BP와 평행한 직선이 곡 {m+;2@7*;}(m-36)<0, 1Ém<36 (m은 자연수)

선 y=xÛ`과 접하는 점을 Q라 할 때, 높이가 최대이고, Ú 1ÉmÉ17일 때,
pÛ`-9
m m
p-3 = f '(q)에서 p+3=2q이므로 | 2 +;2!7$;|<| 2 -18|에서 |f {-;3!;}|<|f(3)|이므로
p+3
q= 2 함수 y=|f(x)|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다.

즉, 사각형 APQB의 넓이가 최대일 때, 세 수 p, q, 3(=b)은 이 순서대로 y=|f(x)|



등차수열을 이룬다. m
y= ;;2;;+;2!7$;
Û [그림 2]와 같이 곡선 위의 점 Q가 임의로 (q, qÛ`)에 있을 때, y=n
3 x
y=xÛ
y y=2x+3 -;3!;
B(3, 9) y=f(x)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n이 서로 다른 6개의 점에서 만나



m m
3 Q 려면 n<| 2 +;2!7$;|= 2 +;2!7$;이어야 하므로
A(-1, 1) P m=1일 때, n<;2!;+;2!7$;=1.01×××에서 자연수 n의 개수는 1,
O p q x
m=2일 때, n<;2@;+;2!7$;=1.51×××에서 자연수 n의 개수는 1,
[그림 2]
곡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에 대하여 m=3일 때, n<;2#;+;2!7$;=2.01×××에서 자연수 n의 개수는 2,
(사각형 APQB의 넓이)=(삼각형 APQ의 넓이)+(삼각형 AQB의 넓이) ⋮
이므로 사각형 APQB의 넓이가 최대가 되려면 삼각형 APQ의 넓이가 최
m=17일 때, n<;;Á2¦;;+;2!7$;=9.01×××에서 자연수 n의 개수는 9

대이어야 한다.
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두 자연수 m,``n의 순서쌍 (m,```n)의 개수는

1+1+2+2+3+y+9=2 Á k+9
삼각형 APQ에서 변 AQ를 밑변으로 놓으면 직선 AQ와 평행한 직선이 곡

8
선 y=xÛ`과 접하는 점을 P라 할 때, 높이가 최대이고,
‌
k=1
qÛ`-1
q-(-1) = f '(p)에서 q-1=2p이므로 8_9
=2_ +9
2
q-1
p= 2 =81
Û 17<m<36일 때,
즉, 사각형 APQB의 넓이가 최대일 때, 세 수 -1(=a), p, q는 이 순서대

m m
로 등차수열을 이룬다. | 2 +;2!7$;|>| 2 -18|에서 |f {-;3!;}|>|f(3)|이므로
Ú, Û에 의하여 사각형 APQB의 넓이가 최대일 때, 네 수 -1, p, q, 3은 이
함수 y=|f(x)|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다.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y=|f(x)|
=;3!;, q=-1+2_ =;3%;
3-(-1) 3-(-1)
p=-1+
3 3
m
따라서 36pq=36_;3!;_;3%;=20
y=18-;;2;;
y=n
3 x
 20 -;3!; y=f(x)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n이 서로 다른 6개의 점에서 만나려면



m m
n<| 2 -18|=18- 2 이어야 하므로
22 m=18일 때, n<18-;;Á2¥;;=9에서 자연수 n의 개수는 8,
m
f(x)=xÜ`-4xÛ`-3x+ 2 으로 놓으면
m=19일 때, n<18-;;Á2»;;=8.5에서 자연수 n의 개수는 8,
f '(x)=3xÛ`-8x-3=(3x+1)(x-3)
m=20일 때, n<18-;;ª2¼;;=8에서 자연수 n의 개수는 7,
f '(x)=0에서 x=-;3!; 또는 x=3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m=35일 때, n<18-;;£2°;;=0.5에서 자연수 n의 개수는 0
x y -;3!; y 3 y
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두 자연수 m, n의 순서쌍 (m, n)의 개수는

8+8+7+7+6+y+0=2 Á k
f '(x) + 0 - 0 + 8

m +;2!7$; m -18
‌
k=1
f(x) ↗ ↘ ↗
2 2 8_9
=2_
2
f{-;3!;}É0일 때와 f(3)¾0일 때의 함수 y=| f(x)|의 그래프는 각각 다음 =72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55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6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5~7).indd 55 2021-04-09 오후 2:36:50


EBS FINAL 수학영역

Ú, Û에 의하여 조건을 만족시키는 두 자연수 m, n의 모든 순서쌍 (m, n)의


개수는
27
81+72=153 양성으로 판정된 사람의 수를 확률변수 X라 하면 X는 이항분포

 153 B{3750, ;2Á5;}을 따르므로

E(X)=3750_;2Á5;=150,

r(X)=®Â3750_;2Á5;_;2@5$;=12
확률과 통계 이때 3750은 충분히 큰 수이므로 확률변수 X는 근사적으로 정규분포
N(150, 12Û`)을 따르고,
23 Z=
X-150
으로 놓으면 확률변수 Z는 표준정규분포 N(0, 1)을 따른다.
12
확률변수 X가 이항분포 B{18, ;3!;}을 따르므로 따라서
P(X¾168)=P(Z¾1.5)
E(X)=18_;3!;=6


=0.5-P(0ÉZÉ1.5)
따라서 =0.5-0.4332
E(2X)=2E(X)
=0.0668

=2_6
②
=12
①

28
24
표본의 크기가 147, 모표준편차가 5'3, 표본평균이 a이므로 모평균 m에 대한
신뢰도 95%의 신뢰구간은
다항식 (x-2)Þ`의 전개식의 일반항은 °C¨(-2)¨`xÞ`Ѩ` (r=0, 1, 2, 3, 4, 5) 5'3 5'3
a-1.96_ ÉmÉa+1.96_
xÜ`항은 xÞ`Ѩ`=xÜ`에서 r=2일 때이다. 'Ä147 'Ä147
따라서 xÜ`의 계수는 a-1.4ÉmÉa+1.4
°Cª(-2)Û`=10_4=40 위의 부등식이 bÉmÉ56.3과 일치하므로
⑤ a+1.4=56.3에서
a=56.3-1.4=54.9
b=a-1.4=54.9-1.4=53.5

25 따라서
a+b=54.9+53.5=108.4
확률의 덧셈정리에 의하여 ③
P(A;B)=P(A)+P(B)-P(A'B)

=;2!;+;5#;-;1»0;

=;5!; 29
세 학급을 각각 1반, 2반, 3반이라 하자.
따라서
그림과 같이 6개의 의자 중에서 두 의자를 각각 a, b라 하면 1반의 회장이 앉을
P(A‚`'B‚`)=P((A;B)‚` )
의자는 회전하여 일치하는 것을 고려하면 a 또는 b라 할 수 있다.

=1-P(A;B)

=1-;5!;

=;5$;

④

a b

26 Ú 1반의 회장이 의자 a에 앉을 때,
의자 b에 앉을 학생은 2반 또는 3반이어야 하므로 반을 정하는 경우의 수

조건 (가)에서 a+b+c=23이므로 세 수 a, b, c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홀수 는2
이고, 조건 (나)에서 세 수 ab, bc, ca는 모두 짝수이므로 세 수 a, b, c 중에서 의자 b에 앉을 학생이 회장 또는 부회장이므로 정하는 경우의 수는 2
홀수의 개수는 많아야 한 개이다. 1반의 부회장은 두 의자 a, b가 아닌 모든 의자에 앉을 수 있으므로 의자를

즉, 세 수 a, b, c 중에서 하나는 홀수이고, 두 개는 짝수이다. 정하는 경우의 수는 4
Ú 홀수인 것이 a인 경우
남은 세 학생이 앉는 경우의 수는 임의로 앉는 경우의 수에서 같은 반인 두

a=2a'+1, b=2b'+2, c=2c'+2(a', b', c'은 음이 아닌 정수) 학생이 같은 면에 이웃하여 앉는 경우의 수를 빼면 되므로
로 놓으면 조건 (가)에서 3!-2=4
(2a'+1)+(2b'+2)+(2c'+2)=23 따라서 6명의 학생이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의자에 앉는 경우의 수는

a'+b'+c'=9 2_2_4_4=64
등식을 만족시키는 음이 아닌 정수 a', b', c'의 순서쌍 (a', b', c')의 개수는 Û 1반의 회장이 의자 b에 앉을 때,

서로 다른 3개에서 9개를 택하는 중복조합의 수와 같으므로 위의 Ú에서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6명의 학생이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의자

£H»=3+9-1C» 에 앉는 경우의 수는 64

=ÁÁC» Ú, Û에 의하여 구하는 경우의 수는
=ÁÁCª 64+64=128
11_10
= =55  128
2_1
Û 홀수인 것이 b인 경우와 c인 경우도 마찬가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다른 풀이
의 개수는 각각 55개씩이다.
먼저 탁자의 같은 면에 앉을 쌍을 정할 때, 조건을 만족시키려면
Ú, Û에 의하여 구하는 모든 순서쌍의 개수는 55_3=165
(1반 학생, 2반 학생), (2반 학생, 3반 학생), (3반 학생, 1반 학생)과 같이 세 쌍
②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56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6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5~7).indd 56 2021-04-09 오후 2:36:51


EBS FINAL 수학영역

{;5!;}2`_{;4!;}2`_{;3!;}2`이므로
이 정해져야 한다.

P(A;B)=3_{;5!;}2`_{;4!;}2`_{;3!;}2`
즉, 1반의 회장과 부회장이 각각 쌍을 이룰 학생의 학급을 정하는 경우의 수는
2!=2
마찬가지 방법으로 2반과 3반의 회장과 부회장이 각각 쌍을 이룰 학생의 학급
Ú, Û에서 구하는 확률은
3_{;5!;}2`_{;4!;}2`_{;3!;}2`
을 정하는 경우의 수는 2_2=4
따라서 세 쌍을 정하는 경우의 수는 2_4=8 yy ㉠
90_{;5!;}2`_{;4!;}2`_{;3!;}2`
P(B;A)
P(B|A)= = =;3Á0;

  
세 쌍을 정삼각형 탁자의 세 면에 배정하는 경우의 수는 회전하여 일치하는 것 P(A)
을 고려하면 (3-1)!=2!=2 yy ㉡
따라서 p=30, q=1이므로
        
이 각각에 대하여 세 쌍의 학생이 서로 자리를 바꾸는 경우의 수는
p+q=30+1=31
2Ü`=8 yy ㉢
 31
                  
㉠, ㉡, ㉢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경우의 수는
8_2_8=128

미적분

30 23
n회째의 시행에서 소윤이와 선우가 꺼낸 공에 적힌 수를 각각 :)1`e
x+2
dx=[ex+2]1)


aÇ, bÇ(n=1, 2, 3)이라 하자.
=eÜ`-eÛ`
3회의 시행에서 세 부등식 aÁ<bÁ, aª<bª, a£<b£을 만족시키는 사건을 A,
⑤
aÁ=4이고 aª=3을 만족시키는 사건을 B라 하면 구하는 확률은 P(B|A)
이다.

24
Ú 사건 A의 확률은 여섯 개의 수 aÁ, aª, a£, bÁ, bª, b£가 4가지의 수 또는 5가

지의 수로 이루어진 경우를 각각 나누어 구할 수 있다.
먼저, aÁ, aª, a£, bÁ, bª, b£이 4가지의 수로 이루어진 경우는 함수 f(x)=cosÛ``x {0<x<;2Ò;}와 그 역함수 g(x)에 대하여
aÁ=bª이고 aª=b£일 때, aÁ=bª이고 a£=bÁ일 때,
aÁ=b£이고 aª=bÁ일 때, aÁ=b£이고 a£=bª일 때, f {;6Ò;}=;4#;이므로 g{;4#;}=;6Ò;이고,
aª=bÁ이고 a£=bª일 때, aª=b£이고 a£=bÁ일 때 f '(x)=-2`sin`x`cos`x에서
의 6가지이다. '3
f '{;6Ò;}=-2`sin`;6Ò;`cos`;6Ò;=- 2
이 중에서 aÁ=bª이고 aª=b£일 때,
aÇ, bÇ(n=1, 2, 3)의 값을 정하려면 a£<b£=aª<bª=aÁ<bÁ이어야 하므 따라서

g'{;4#;}=
로 1, 2, 3, 4, 5에서 서로 다른 4개를 택한 후 작은 수부터 크기순으로 a£, 1
f '{;6Ò;}

b£(=aª), bª(=aÁ), bÁ로 정하면 된다.
즉, aÇ, bÇ(n=1, 2, 3)의 값을 정하는 경우의 수는 서로 다른 5개에서 4개 1
'3
=

를 택하는 조합의 수와 같으므로 -
2
°C¢=5
2'3
6가지의 경우 모두 마찬가지 방법으로 생각하면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의 =-
3

수는 ④
6_5=30 yy ㉠
  
한편, aÁ, aª, a£, bÁ, bª, b£이 5가지의 수로 이루어진 경우는
aÁ=bª일 때, aÁ=b£일 때, aª=bÁ일 때, aª=b£일 때,
a£=bÁ일 때, a£=bª일 때의 6가지이다.
25
이 입체도형을 x좌표가 x (0ÉxÉp)인 점을 지나고 x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이 중에서 aÁ=bª일 때,
자른 단면은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각각 sin`x, 1+|cos`x|인 직사각형이므로
aÇ, bÇ(n=1, 2, 3)의 값을 정하려면 aª<bª=aÁ<bÁ이고, a£<b£이어야 하

그 넓이를 S(x)라 하면
므로 1, 2, 3, 4, 5에서 서로 다른 3개를 택한 후 작은 수부터 크기순으로 aª,
S(x)=sin`x(1+|cos`x|)
bª(=aÁ), bÁ로 정하고, 나머지 2개의 수를 작은 것부터 크기순으로 a£, b£으
로 정하면 된다. 두 함수 y=sin`x, y=1+|cos`x|의 그래프는 각각 직선 x=;2Ò;에 대하여 대

칭이므로 함수 y=sin`x(1+|cos`x|)의 그래프도 직선 x=;2Ò;에 대하여 대칭


즉, aÇ, bÇ(n=1, 2, 3)의 값을 정하는 경우의 수는 서로 다른 5개에서 3개

를 택하는 조합의 수와 같으므로
이다.
5_4
°C£= 2_1 =10
1+cos`x=t로 놓으면 x=0일 때 t=2, x=;2Ò;일 때 t=1이고
6가지의 경우 모두 마찬가지 방법으로 생각하면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의
dt

수는 dx =-sin`x이므로 구하는 입체도형의 부피는

:)È` S(x)dx=:)È` sin`x(1+|cos`x|) dx


6_10=60 yy ㉡
`
  
㉠, ㉡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경우의 수는

p
30+60=90 2
=2:) sin`x(1+cos`x) dx `

=2:!2` t`dt
각 경우에 두 사람이 주머니에서 정해진 수가 적힌 공을 꺼낼 확률은

{;5!;}2`_{;4!;}2`_{;3!;}2`이므로

P(A)=90_{;5!;}2`_{;4!;}2`_{;3!;}2` =2[ tÛ`]2!


1
2
Û 사건 A;B에서 aÁ=4이고 aª=3이므로 bÁ=5, bª=4이다. =3
a£, b£의 값을 정하려면 1, 2, 3에서 서로 다른 2개를 택한 후 작은 수부터 ①

크기순으로 a£, b£으로 정하면 된다.
즉, a£, b£의 값을 정하는 경우의 수는 서로 다른 3개에서 2개를 택하는 조합
26

의 수와 같으므로
£Cª=£CÁ=3 자연수 n에 대하여 점 Pn의 좌표를 (an, bn)이라 하고
각 경우에 두 사람이 주머니에서 정해진 수가 적힌 공을 꺼낼 확률은 f(x)=2Å`이라 하면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57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6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5~7).indd 57 2021-04-09 오후 2:36:51


EBS FINAL 수학영역

f '(aÇ)=n`(n은 자연수)이므로 f '(x)=2Å``ln`2에서 Ú, Û에 의하여


n 4 4

2 `ln`2=n, 2 = aÇ
lim SÇ=lim TÇ+lim UÇ={ p-'3}+3'3= p+2'3
ln`2 n Ú¦ n Ú¦ n Ú¦ 3 3
양변에 밑이 2인 로그를 취하면 ②
n
aÇ=logª`
ln`2
bÇ=f(aÇ)=2logª` ln2 에서
n
28
n y
bÇ= 이므로
ln`2 A(0, 1)
y=(tan h) x
R ¦ 1-sin h , 1-sin h ¥
dÇ=ÄPÇPÇ*Á cos h sin h

="Ã(aÇ*Á-aÇ)Û`+(bÇ*Á-bÇ)Û` P(cos h, sin h)

=¾¨{logª` ln`2 -logª` ln`2 }2`+{ ln`2 - ln`2 }2`


P
h

n+1 n n+1 n O cos h x

B(1, 0) 1-sin h ,

n }2`+{ ln`2 }2`


n+1 1
=¾¨{logª`
xÛ +yÛ =1
따라서

}2`+{ }2`
직선 OP의 기울기가 tan`h이므로 ∠POQ=h이고 점 P의 좌표는
lim dÇ= lim ¾¨{logª
n+1 1
n Ú¦ n Ú¦ n ln`2 P(cos`h, sin`h)

=¾¨(logª1)2`+{ }2`
1 두 점 A(0, 1), P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ln2 sin`h-1
y= x+1
1 cos`h
=
ln2 sin`h-1 cos`h
y=0을 대입하면 0= x+1에서 x= 이므로
cos`h 1-sin`h
②
cos`h
점 Q의 좌표는 Q{ 1-sin`h , 0}
직각삼각형 OQR에서
27 QRÓ=OQÓ_tan`h=
cos`h
1-sin`h
_tan`h

Ú 그림 RÇ에서 삼각형 OAÁBÁ의 내부에 색칠된 넓이를 TÇ이라 하자.
sin`h
=
AÁ 1-sin`h
cos`h sin`h
이므로 점 R의 좌표는 R{ 1-sin`h , 1-sin`h }
CÁ Aª
따라서 삼각형 BQR의 넓이 f(h)는
O
f(h)=;2!;_BQÓ_QRÓ

Bª Cª
cos`h sin`h

H

=;2!;_{ -1}_
1-sin`h 1-sin`h
그림과 같이 점 AÁ에서 변 BÁCÁ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sin`h+cos`h-1 sin`h
=;2!;_ _
p '3 1-sin`h 1-sin`h
AÁHÓ=AÁBÁÓ`sin` 3 =6_ 2 =3'3
sin`h(sin`h+cos`h-1)
= yy ㉠
점 O는 삼각형 AÁBÁCÁ의 무게중심이므로 2(1-sin`h)Û`
  
한편, 삼각형 APR의 넓이 g(h)는 삼각형 ORA의 넓이에서 삼각형 OPA의
OHÓ=;3!;AÁHÓ=;3!;_3'3='3에서
넓이를 뺀 것과 같으므로
(부채꼴 OAªBª의 넓이)=;3!;_p_OHÓ =;3!;_p_3=p
2
g(h)=(삼각형 ORA의 넓이)-(삼각형 OPA의 넓이)`

cos`h
2 =;2!;_1_ -;2!;_1_cos`h
(삼각형 OAªBª의 넓이)=;2!;_OAªÓ_OBªÓ_sin` 3 p 1-sin`h

'3 cos`h
{
1
=;2!;_'3_'3_
= -1}
2 1-sin`h
2
3'3 sin`h`cos`h
= = yy ㉡
2(1-sin`h)
       
4
이므로 따라서 ㉠, ㉡에 의하여
sin`h`cos`h
TÁ=(부채꼴 OAªBª의 넓이)-(삼각형 OAªBª의 넓이) h_
h_g(h) 2(1-sin`h)

3'3 lim = lim
=p- h Ú0+ f(h) h Ú0+ sin`h(sin`h+cos`h-1)
4
2(1-sin`h)Û`
AÁAªÓ=AªOÓ(='3)에서
h
삼각형 OAÁBÁ과 삼각형 OAªBª의 닮음비는 = lim [cos`h(1-sin`h)_ sin`h+cos`h-1 ]
h Ú0+
      
OAÁÓ`:`OAªÓ=2`:`1
[ ]
= lim cos`h(1-sin`h)_ 1
이때 그림 RÇ 중에서 삼각형 OAÁBÁ의 내부에 색칠된 부분의 넓이 TÇ은 첫 h Ú0+ sin`h cos`h-1
      
h +
째항이 p- 4 이고, 공비가 {;2!;}2`인 등비수열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h

3'3

[ ]
1
= lim cos`h(1-sin`h)_
h Ú0+ sin`h cosÛ``h-1
      
합이므로 h +
h(cos`h+1)
3'3
[ ]
p- 1
4 4 = lim cos`h(1-sin`h)_
lim TÇ= = p-'3 h Ú0+ sin`h sin`h sin`h
      
n Ú¦
1-;4!;
3 h - h _ (cos`h+1)

Û 그림 Rn에서 두 삼각형 OBÁCÁ, OCÁAÁ의 내부에 색칠된 부분의 넓이의 합 =1


      

③
을 Un이라 하면
Un=(사다리꼴 B1C1Cn+1Bn+1의 넓이)
이므로
lim UÇ=(삼각형 OBÁCÁ의 넓이)
29
n Ú¦ 함수 f(x)가

=;3!;_(삼각형 AÁBÁCÁ의 넓이) f(x)=-(ln`x)Û`+ln`xa+b-ab

'3 =-(ln`x)Û`+(a+b)ln`x-ab
=;3!;_{ _6Û`}=3'3
4 =-(ln`x-a)(ln`x-b)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58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6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5~7).indd 58 2021-04-09 오후 2:36:52


EBS FINAL 수학영역

이므로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조건 (가)에서 함수 f(x)는 xÉ1에서 연속이므로

f '(x)=-[;[!;_(ln`x-b)+(ln`x-a)_;[!;]
f(x)=2'Ä1-x+C (xÉ1)

따라서 함수 g(x)는
ln`x-a+ln`x-b
=- g(x)=f(sinÛ``2x)-f(sinÛ``x)
x

‌
2 ln`x-(a+b) =2"Ã1-sinÛ``2x+C-(2"Ã1-sinÛ``x+C)
=-
x =2"ÃcosÛ``2x-2"ÃcosÛ``x
조건 (가)에서 곡선 y= f(x)가 x축에 접하므로 어떤 실수 t에 대하여 =2|cos`2x|-2|cos`x|
f(t)= f '(t)=0이다.
y
f '(t)=0에서 2 ln`t-(a+b)=0이므로 2
a+b
t=e 2 y=2|cos x|
P
f(t)=0에 대입하면 y=2|cos 2x|
a+b a+b
-(ln`e 2 -a)(ln`e 2 -b)=0,

{ -b}=0, { }{ }=0
a+b a+b b-a a-b O p x
2
-a}{
2 2 2 ;4Ò; ;2Ò; ;4#;p

이므로 a=b, 즉 f(x)=-(ln`x-a)Û`
eÛ` 2 x¾0일 때, 두 곡선 y=2|cos`2x|, y=2|cos`x|가 위 그림과 같으므로 점 P
조건 (나)에서 = 이므로
f(eÛ`) f '(eÛ`)
의 좌우에서 처음으로 g(x)=2|cos`2x|-2|cos`x|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eÛ` 2
= 바뀐다.
-(ln`eÛ`-a)Û` 2 ln`eÛ`-2a
-
eÛ` 점 P의 x좌표를 aÁ이라 하면
1 1 방정식 -2 cos`2x=-2 cos`x(0<x<p)에서
=
(2-a)Û` 2-a cos`2x=cos`(x+x)

‌
양변에 (2-a)Û`을 곱하면 =cosÛ``x-sinÛ``x
1=2-a, a=1 =cosÛ``x-(1-cosÛ``x)
따라서 f(x)=-(ln`x-1)Û`이므로 =2 cosÛ``x-1
2 lnx-2
f '(x)=- 이므로
x
2 cos`Û`x-1=cos`x,
;[@;_x-1_(2 ln`x-2)
f "(x)=- ` 2 cos`Û`x-cos`x-1=0,
xÛ`

(cos`x-1)(2 cos`x+1)=0
2 ln`x-4
=
xÛ` 이므로 cos`x=-;2!;에서 x=;3@;p, 즉 aÁ=;3@;p이다.
f '(x)=0에서 x=e이고, f "(x)=0에서 x=eÛ`이므로 함수 f(x)의 증가와 감
또한, 함수 g(x)=2|cos`2x|-2|cos`x|는 주기가 p인 주기함수이므로
소, 오목과 볼록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3@;p+p, x=;3@;p+2p, x=;3@;p+3p, y에서도 함수 g(x)의 부호가 양에
x (0) y e y eÛ` y
서 음으로 바뀐다.
f '(x) + 0 - - -
즉, aÇ=;3@;p+(n-1)p(n=1, 2, 3, y)에서 a¢=:Á3Á:p
f "(x) - - - 0 +

따라서 정적분 : |g(x)| dx의 값은 0ÉxÉ:Á3Á:p에서 두 곡선



f(x)  0  -1 
0

이때 lim f(x)=-¦, lim f(x)=-¦이므로 함수 f(x)의 그래프의 개형은 y=2|cos`2x|, y=2|cos`x|로 둘러싸인 영역의 넓이를 구하면 된다.
x Ú0+ x Ú¦

다음과 같다. 0ÉxÉp일 때, 두 곡선 y=2|cos`2x|, y=2|cos`x|는 각각 직선 x=;2Ò;에


y 대하여 대칭이므로 그림과 같이 색칠된 네 영역 SÁ, Sª, S£, S¢에 대하여
n SÁ=S¢이고, Sª=S£이다. yy ㉠

  
O e x
-1 y x=;2Ò; y=2|cos 2x|
2 y=2|cos x|
y=f(x) y= ;;å x+n
eÛ SÁ Sª S£ S¢
m
곡선 y= f(x)에 접하는 직선 y= x+n에서 y절편 n이 최대가 되려면
eÛ`
O ;3Ò; ;2Ò; p ;2#;p 2p ;2%;p 3p x
변곡점 (eÛ`, -1)에서 접해야 한다.
y= f '(eÛ`)(x-eÛ`)+ f(eÛ`)에서 ;3@;p(=aÁ) ;3%;p(=aª) ;3*;p(=a£)

또한, : 2|cos`2x|dx에서 2x=t로 놓으면 x=0일 때 t=0, x=;2Ò;일 때


2
y=- (x-eÛ`)-1 ;2Ò;
eÛ`
0
2
y=- x+1 dt
eÛ` t=p이고 =2이므로
dx

: g(x)dx=: (2|cos`2x|-2|cos`x|)dx
따라서 m=-2, n=1이므로
;2Ò; ;2Ò;
m+10n=-2+10_1=8

0 0
8 ;2Ò; ;2Ò;
=: 2|cos`2x|dx-2: |cos`x|dx
0 0

p ;2Ò;
=: |cos`t|dt-2: |cos`x|dx
0 0

;2Ò; ;2Ò;
=2: |cos`t|dt-2: |cos`x|dx
30 =0(=Sª-SÁ)
0 0

1
조건 (나)에서 x<1일 때, f '(x)=- 에서 SÁ=Sª yy ㉡
'Ä1-x
이므로
       
㉠, ㉡에 의하여 SÁ=Sª=S£=S¢

: 2 cos`2x`dx에서 2x=t로 놓으면 x=;3Ò;일 때 t=;3@;p, x=;2Ò;일 때


f(x)=: f '(x) dx ;2Ò;
‌
;3Ò;
1
=: - `dx
'Ä1-x
dt
t=p이고 =2이므로
dx
=2'Ä1-x+C (C는 적분상수)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59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6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5~7).indd 59 2021-04-09 오후 2:36:52


EBS FINAL 수학영역

;2Ò;
(PF'Ó+PFÓ)(PF'Ó-PFÓ)=36 yy ㉡
Sª=: |g(x)| dx

  
;3Ò;
㉠을 ㉡에 대입하면
;2Ò;
=: (-2 cos`2x-2 cos`x) dx 8(PF'Ó-PFÓ)=36
;3Ò;

;2Ò; ;2Ò;
PF'Ó-PFÓ=;2(;
=-: 2 cos`2x`dx-2: cos`x`dx
;3Ò; ;3Ò;
따라서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주축의 길이는 ;2(;이다.
p ;2Ò;
=-: cos`t`dt-2: cos`x`dx ④
;3@;p ;3Ò;

p ;2Ò;
=-[sin`t] -2[sin`x]
;3@;p ;3Ò;

'3 '3
=-{0- 2 }-2{1- 2 } 26
조건 (가)에서 DA³+DB³+DC³=0²이므로 점 D는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이다.
3'3
=-2+ 2 조건 (나)에서 AD³+2ED³=0²
AD³=2DE³ yy ㉠
따라서

: |g(x)|dx=:

  
a¢` :Á3Á:p 이므로 세 점 A, D, E는 한 직선 위에 있고 ADÓ=2DEÓ이다.
|g(x)| dx 조건 (다)에서

0 0

=3(SÁ+Sª+S£+S¢)+(SÁ+Sª+S£) DF³=;6!;(2DA³+3DB³+DC³)
=12Sª+3Sª
=15Sª =;6!;(DA³+2DB³) (조건 (가)에 의하여)

}
3'3
=15_{-2+
2 =;6!;(2ED³+2DB³) (㉠에 의하여)
45'3
=-30+
2 =;3!;EB³

즉, p=-30, q=:¢2°:이므로 이므로 두 직선 DF와 EB는 서로 평행하고 3DFÓ=EBÓ


A
|pq|=|-30_:¢2°:|=675

 675
F
D

B C
E

기하 위의 그림과 같이 두 직선 DF와 EC가 서로 평행하므로 ∠EDF=∠AEC


이고
23 EAÓ=3DEÓ, ECÓ=EBÓ=3DFÓ
이므로 두 삼각형 DEF와 EAC는 서로 닮은 삼각형으로 닮음비가 1`:`3이다.
a+2+6
=3에서 a=1 따라서

(삼각형 DEF의 넓이)={;3!;}2`_(삼각형 ECA의 넓이)


3
3+b+(-2)
=1에서 b=2

={;3!;}2`_[;2!;_(삼각형 ABC의 넓이)]


3
2+(-1)+2
=c에서 c=1
         
3
따라서 aÛ`+bÛ`+cÛ`=1Û`+2Û`+1Û`=6 =;9!;_;2!;_108
         
③ =6
         
①

24
포물선 yÛ`=4x+12=4(x+3)은 포물선 yÛ`=4x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27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준선의 방정식은 사각형 APBQ의 넓이가 최소가 되려면 두 삼각형 APB, ABQ의 넓이가 각각
x=-4 최소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준선 x=-4가 포물선 y=xÛ`과 만나는 점의 y좌표는 두 점 A(-2, -'3), B(0, '3)에 대하여
(-4)Û`=16 ABÓ="Ã{0-(-2)}Û`+{'3-(-'3)}Û`=4
④ 이고 선분 AB의 길이가 일정하므로
(사각형 APBQ의 넓이)=(삼각형 APB의 넓이)+(삼각형 ABQ의 넓이)
에서 두 삼각형 APB, ABQ의 밑변을 선분 AB라 하면 높이가 각각 최소일 때
25 사각형 APBQ의 넓이는 최소가 된다.
y y=13x+4
y
17 y=13x-4
4 P
B(0, 13) hÁ+hª
4
xÛ yÛ
F' O F x ;;;;;;-;;2;;=1 hÁ
6

hª O P
Q x
타원의 장축의 길이가 8이고 단축의 길이가 2'7이므로
c=OFÓ="Ã4Û`-('7)Û`=3에서 두 초점 F, F'의 좌표는 각각
F(3, 0), F'(-3, 0) A(-2, -13)
타원의 장축의 길이가 8이므로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그림과 같이 두 삼각형 APB, ABQ의 높이의 최솟값을 각각 hÁ, hª로 놓으면
PFÓ+PF'Ó=8 yy ㉠
xÛ` yÛ`
두 점 P, Q가 쌍곡선 6 - 2 =1에 접하고 기울기가 '3인 직선 AB에 평행
         
직각삼각형 PF'F에서 PF'Ó -PFÓ =F'FÓ Û`이므로
Û
` Û
`
PF'Ó Û`-PFÓ Û`=6Û` 한 접선의 접점이라 할 때, hÁ과 hª는 각각 두 점 P, Q에서 각각 직선 AB에 이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60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6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5~7).indd 60 2021-04-09 오후 2:36:53


EBS FINAL 수학영역

르는 거리이다. x
실수 s에 대하여 직선 2 =5-y 위의 점 Q의 좌표는 Q(2s, 5-s)로 각각 놓
xÛ` yÛ`
쌍곡선 6 - 2 =1에 접하고 기울기가 '3인 접선의 방정식은
으면
y='3xÑ"Ã6_('3)Û`-2 OP³=(t+5, 2t), OQ³=(2s, 5-s) yy ㉠

  
y='3xÑ4 ∠POQ=90ù이므로 OP³•OQ³=0에서
두 직선 y='3x+4와 y='3x-4 사이의 거리는 직선 y='3x+4 위의 점 OP³•OQ³=(t+5, 2t)•(2s, 5-s)=10s+10t=0
(0, 4)와 직선 y='3x-4, 즉 '3x-y-4=0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s=-t
|0-4-4|
=4 이 식을 ㉠에 대입하면 OQ³=(-2t, t+5)이므로 직선 PQ의 방향벡터는
"Ã('3)Û`+(-1)Û`
따라서 hÁ+hª=4이므로 PQ³=OQ³-OP³


=(-2t, t+5)-(t+5, 2t)
;2!;_ABÓ_hÁ+;2!;_ABÓ_hª=;2!;_ABÓ_(hÁ+hª)
=(-3t-5, -t+5)

=;2!;_4_4 2-y
² 하면 d ²=(1, -3)이므로
직선 x+1= 3 의 방향벡터를 d 라
=8 2-y
두 직선 x+1= 3 와 PQ가 이루는 각의 크기 h에 대하여
⑤
|d²•PQ³|
cos`h=
|d²|_|PQ³|


|(1, -3)•(-3t-5, -t+5)|
28
=
"Ã1Û`+(-3)Û`_"Ã(-3t-5)Û`+(-t+5)Û`
20
그림과 같이 점 D를 지나면서 직선 EF에 평행한 직선과 점 E를 지나면서 직 =
'1Œ0_"Ã10tÛ`+20t+50
선 DF에 평행한 직선이 만나는 점을 G라 하면 점 G는 평면 DEF 위에 있다.
2
=
A "Ã(t+1)Û`+4
126 B f(t)=(t+1)Û`+4 (-2ÉtÉ5)로 놓으면 이차함수 y= f(t)의 그래프는 그림
;;2;; C
13
과 같으므로 4É f(t)É40에서
M D h
12120
;;;2;;; F f(t)=(t+1)Û +4
y
N 2 40
G 13
E

또, ABÓEFÓÓGDÓ이므로 점 G는 평면 ABD 위에 있고,


BCÓDFÓ
Ó GEÓ이
Ó 므로 점 G는 평면 BEC 위에 있다.
이때, 점 G는 세 평면 ABD, BEC, DEF가 모두 만나는 점이고, 직선 BG는 5
4
두 평면 ABD, BEC의 교선이다.
-2 O 5 t
삼각형 DGE는 한 변의 길이가 2인 정삼각형이므로 두 삼각형 BGD, BGE는 -1
서로 합동이고, 각각 DBÓ=DGÓ=2, EBÓ=EGÓ=2인 이등변삼각형이다. 2 2
Écos`hÉ
선분 BG의 중점을 M이라 하면 '4Œ0 '4
BGÓ⊥MDÓ, BGÓ⊥MEÓ '1Œ0
10 Écos`hÉ1
이므로 두 평면 ADB와 BEC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 h는 두 직선 MD와 ME
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와 같다. ;1Á0;ÉcosÛ``hÉ1
모서리 DE의 중점을 N이라 하면 점 B에서 평면 DEF에 내린 수선의 발은 점
따라서 M=1, m=;1Á0;이므로
N이므로 삼각형 BNG는 ∠BNG=90ù이고, BNÓ=NGÓ='3인 직각이등변삼
각형이다. 100(M+m)=100{1+;1Á0;}=110
BGÓ='2_BNÓ='2_'3='6
 110
'6
BMÓ=;2!;_BGÓ= 이고, BDÓ=2이므로
2
직각삼각형 BMD에서

}2`=
'6 '1Œ0
MDÓ(=MEÓ)=¾Ð2Û`-{
2 2 30
따라서 이등변삼각형 DME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Dª'(-3, -3, 9)z
HÁ(0, 0, 9)
MDÓ Û`+MEÓ Û`-DEÓ Û` Cª
cos`h= CÁ
2_MDÓ_MEÓ

}2`+{ }2`-2Û`
'¶10 '1Œ0
{ CÁ(1, 7, 9)
= 2 2
'1Œ0 '1Œ0 Cª(-3, -3, 5)
2_ _
2 2
-3
O
=;5!; 1 y
② Cª'

29
Cª'(-3, -3, -5) DÁ(1, 7, -5)
Hª(0, 0, -5)

두 점 A(3, -4), B(10, 10)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그림 1]


x-3 y-(-4) 위의 그림과 같이 두 구
10-3 = 10-(-4)
(x-1)Û`+(y-7)Û`+(z-9)Û`=1, (x+3)Û`+(y+3)Û`+(z-5)Û`=16
x-3 y+4
7 = 14 에서 를 각각 CÁ, Cª라 하고, 그 중심을 각각 CÁ, Cª라 하면
y+4 y CÁ(1, 7, 9), Cª(-3, -3, 5)
x-3= , 즉 x-5=
2 2 두 구 CÁ, Cª의 반지름의 길이가 각각 1, 4이므로 위의 점 A, B의 z좌표를 각
그러므로 실수 t에 대하여 선분 AB 위의 점 P의 좌표는 각 zÁ, zª라 하면
P(t+5, 2t) (-2ÉtÉ5)로 놓을 수 있다. 9-1ÉzÁÉ9+1, 5-4ÉzªÉ5+4에서 zÁ>0, zª>0이므로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61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6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5~7).indd 61 2021-04-09 오후 2:36:54


EBS FINAL 수학영역

두 점 A, B는 좌표공간에서 xy평면을 기준으로 같은 쪽에 있다.


구 Cª를 xy평면에 대칭시킨 구를 Cª'이라 하고 그 중심을 Cª'이라 하면 7 회 EBS FINAL 수학영역 본문 97~112쪽
Cª'(-3, -3, -5)
구하는 거리의 최솟값은 구 CÁ 위의 점 A에서 z축 위의 점 P를 지나 구 Cª' 위
01 ② 02 ② 03 ③ 04 ④ 05 ③
의 점에 이르는 거리이므로 점 CÁ에서 z축 위의 점 P를 지나 점 Cª'에 이르는
거리의 최솟값을 d라 할 때, d에서 두 구 CÁ, Cª'의 반지름의 길이인 1과 4를 06 ④ 07 ① 08 ⑤ 09 ② 10 ③
뺀 값 d-5와 같다. yy ㉠
11 ④ 12 ① 13 ① 14 ① 15 ④
  
두 점 CÁ, Cª'에서 z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HÁ, Hª라 하면
HÁ(0, 0, 9), Hª(0, 0, -5) 16 30 17 4 18 32 19 135 20 22
z축 위의 선분 HÁHª에 대하여 HÁHªÓ=14이므로
점 CÁ을 z축의 방향으로 -14만큼 평행이동시킨 점을 DÁ, 점 Cª'을 z축의 방향
21 10 22 55
으로 14만큼 평행이동시킨 점을 Dª'이라 하면 확률과 통계 23 ② 24 ① 25 ② 26 ①
DÁ(1, 7, -5), Dª'(-3, -3, 9)
이때 CÁHÁÓDÁHªÓ, Cª'HªÓDª'HÁÓ이므로 두 사각형 HÁHªDÁCÁ, HÁHªCª'Dª'은 27 ⑤ 28 ③ 29 216 30 64
각각 직사각형이다. 미적분 23 ④ 24 ② 25 ① 26 ④
Cª'HªÓ="Ã(-3)Û`+(-3)Û`+0Û`=3'2,
DÁHªÓ="Ã1Û`+7Û`+0Û`=5'2 27 ⑤ 28 ① 29 4 30 5
이고, d는 점 CÁ에서 두 직사각형 HÁHªDÁCÁ, HÁHªCª'Dª'으로 이루어진 입체 기하 23 ④ 24 ② 25 ③ 26 ⑤
도형의 표면을 따라 점 Cª'에 이르는 거리의 최솟값과 같다.
z
27 ④ 28 ② 29 231 30 128
HÁ CÁ'
Dª''

14
01
P Ü`"'2_ß`'8=ß`'2×ß`"2Ü`


=ß`"2×2Ü`
Cª'' 312 Hª 512 DÁ' =ß`"2Ý`
=2;3@;
[그림 2] ②
네 점 CÁ, DÁ, Cª', Dª'을 각각 z축을 기준으로 적당히 회전시킨 점 CÁ', DÁ',
Cª", Dª"에 대하여 이 입체도형의 전개도가 위의 [그림 2]와 같을 때,
d는 직사각형 CÁ'Dª"Cª"DÁ'의 대각선 CÁ'Cª"의 길이와 같으므로 02
:_1!(xÜ`+3axÛ`+2x) dx=:_1!3axÛ``dx
d=CÁ'Cª"Ó

=¿¹Cª"DÁ'Ó Û`+CÁ'DÁ'Ó Û`
=6:)1` axÛ``dx
=¿¹(Cª"HªÓ+DÁ'HªÓ)Û`+CÁ'DÁ'Ó Û`
=6[;3A;xÜ`]1)
          

="Ã(3'2+5'2)Û`+(14)Û`           

='Ä128+196
           =2a
=18
즉, 2a=4에서 a=2
따라서 ㉠에 의하여
②
d-5=18-5=13
 13

03
sin(p+h)=-sin`h=-;5@;에서

sin`h=;5@;

0<h<;2Ò;이고 sin`h=;5@;이므로

cos`h="Ã1-sinÛ``h

=¾Ð1-;2¢5;

'2Œ1
=¾Ð;2@5!;=
5
③

04
lim f(x)=2, lim f(x)=2이므로
x Ú-1+ x Ú1-

lim f(x)+ lim f(x)=2+2=4


x Ú-1- x Ú1+

④

05
함수 y=logª (x+1)+2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
로 -2만큼 평행이동하면
y=logª (x+2)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62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7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5~7).indd 62 2021-04-09 오후 2:36:55


EBS FINAL 수학영역

이 그래프가 점 (6, a)를 지나므로


a=logª`8=3
09
점 P의 시각 t에서의 가속도를 a(t)라 하면
③
a(t)=v'(t)=-12tÛ`+24t=-12(t-1)Û`+12
이므로 t=1일 때 가속도 a(t)는 최대이다.
06 점 P가 점 A를 출발한 지 1초 후의 점 P의 위치는

f(x)+g(x)=:!/` (3tÜ`-tÛ`)dt, 2+:)1` v(t) dt=2+[-tÝ`+4tÜ`]1)

‌
f(x)-g(x)=:!/` (tÜ`+4tÛ`+2)dt
=5
따라서 점 P와 점 A 사이의 거리는 |5-2|=3
두 식의 양변을 각각 x에 대하여 미분하면
②
f '(x)+g'(x)=3xÜ`-xÛ` yy ㉠
    
f '(x)-g'(x)=xÜ`+4xÛ`+2 yy ㉡
  
㉠+㉡에서
2 f '(x)=4xÜ`+3xÛ`+2 10
2Å`>0이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2Å`+2>2
즉, f '(x)=2xÜ`+;2#;xÛ`+1
log£`(2Å`+2)<log»`(2Å`+2)+;2#;에서
따라서 f '(2)=16+6+1=23
④ log£`(2Å`+2)<log3Û``(2Å`+2)+;2#;,

log£`(2Å`+2)<;2!;log£`(2Å`+2)+;2#;
07 log£`(2Å`+2)=X라 하면
=12에서 x 1° 3일 때, (분모) 1° 0이므로 (분자) 1° 0이
(x+3) f(x)
lim
x Ú3 x-3 X-;2!;X<;2#;에서 X<3,
어야 한다. 즉, log£`(2Å`+2)<3에서
이때 삼차함수 f(x)는 연속함수이므로 log£`(2Å`+2)<log£`27
lim f(x)= f(3)=0 이므로 2Å`+2<27
x Ú3
2Å`<25 yy ㉠
따라서 f(x)=(x-3)(xÛ`+ax+b)(a, b는 실수)로 놓으면
  
(x+3) f(x)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 ㉠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x의 값은 1, 2, 3, 4이므로
lim =lim(x+3)(xÛ`+ax+b)
x Ú3 x-3 x Ú3 그 합은 1+2+3+4=10
‌
=6(9+3a+b) ③
즉, 6(9+3a+b)=12에서
9+3a+b=2
3a+b=-7 yy ㉠
11
    
lim f(x)=lim(x-3)(xÛ`+ax+b)
x Ú4 x Ú4 함수 f(x)가 극값을 가지므로

=16+4a+b=6 조건 (가)에서
에서 4a+b=-10 yy ㉡ f(x)=ax(x+b)(x-b) (a, b는 실수, a+0)로 놓으면
  
㉡-㉠에서 a=-3 조건 (나)에서

양수 t에 대하여 :)t` f(x) dx의 값의 최댓값이 존재하려면


㉡에서 b=2
f(x)=(x-3)(xÛ`-3x+2)
따라서 f(0)=-6 a<0

또한, t=3일 때, :)t` f(x) dx의 값이 최대이므로


①

08
b>0이라 하면 b=3
f(x)=ax(x+3)(x-3)=axÜ`-9ax
sinÛ``{h+;6Ò;}-2cos`{h+;6Ò;}¾1 f '(x)=3axÛ`-9a=3a(x+'3)(x-'3)
a<0이므로 함수 f(x)는 x=-'3일 때 극솟값 -12'3을 가지므로
1-sinÛ``{h+;6Ò;}+2 cos`{h+;6Ò;}É0 f(-'3)=6'3a=-12'3
에서 a=-2
cosÛ``{h+;6Ò;}+2 cos`{h+;6Ò;}É0
따라서 f(x)=-2x(x+3)(x-3)이므로
h+;6Ò;=x라 하면 0<hÉ2p이므로 ;6Ò;<xÉ:Á6£:p f(1)=-2(1+3)(1-3)=16

cos2`x+2 cos`xÉ0에서 cos`x (cos`x+2)É0 ④

cos`x+2>0이므로 cos`xÉ0 yy ㉠
  
12
y
y=cos x
1
n¾2일 때,
O ;6Ò; ;2Ò; ;2#;p 2p
x
aÇ=SÇ-SÇÐÁ
:Á6£:p
=pnÛ`+qn+13-{p(n-1)Û`+q(n-1)+13}
위의 그림에서 ㉠을 만족하는 x의 값의 범위는 ;2Ò;ÉxÉ;2#;p =2pn-p+q
aª°+aª¤=210에서
즉, ;2Ò;Éh+;6Ò;É;2#;p에서 (50p-p+q)+(52p-p+q)=210
50p+q=105 yy ㉠
;3Ò;ÉhÉ;3$;p
        
㉠에서 p, q는 양의 소수인 자연수이므로
따라서 p=;3Ò;, q=;3$;p이므로 p=2, q=5
그러므로 SÇ=2nÛ`+5n+13 yy ㉡
p+q=;3%;p
  
이고
⑤ aÇ=4n+3 (n¾2) yy ㉢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63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7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5~7).indd 63 2021-04-09 오후 2:36:55


EBS FINAL 수학영역

그런데 ㉡에서 aÁ=SÁ=2+5+13=20 -(2tÜ`+tÛ`-3)=-t(6tÛ`+2t)에서

한편, Á a2k-1=aÁ+a£+a°+y+a°»
30
4tÜ`+tÛ`+3=0, (t+1)(4tÛ`-3t+3)=0
k=1
t는 실수이므로 t=-1
㉢에서 a£=4_3+3=15, a°»=4×59+3=239이므로

Á a2k-1=aÁ+ Á a2k-1=aÁ+a£+a°+a¦+y+a°»
그러므로 곡선 y=2xÜ`+xÛ`-3 위의 점 (-1, -4)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30 30
y=4x이다.
k=1 k=2


29(15+239)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프와 접선 y=4x는 다음 그림과 같다.
=20+
2 y y=4x
-;3!;
=3703 y=f(x)

따라서 p+q+ Á a2k-1=2+5+3703=3710


30
-1
O x
k=1

①
-;2*7);
-3

13 -4

주어진 식의 양변에 { n+1 }2`을 곱하면


n
그러므로 곡선 y=2xÜ`+xÛ`-3과 직선 y=ax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
_{ n+1 }2`=


2n+1 n 2n+1 도록 하는 a의 값은 4뿐이다.
이므로
nÝ` nÛ`(n+1)Û`

}2`aÇ*Á= { }2` ×aÇ+ 2n+1


즉, g(a)=2인 정수 a의 개수는 1이다. (거짓)
{
n n-1 ㄷ. 곡선 y=2xÜ`+xÛ`-3과 직선 y=ax가
n+1 n nÛ`(n+1)Û`

이다. bÇ={ n }2`aÇ이라 하면, bÁ=0이고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a의 값의 범위는 a>4
n-1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a의 값의 범위는 a=4
2n+1 2n+1 1 1 서로 다른 한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a의 값의 범위는 a<4
= [ - ]
nÛ`(n+1)Û` (n+1)Û`-nÛ` nÛ` (n+1)Û` 이므로 함수 y=g(a)의 그래프는 다음과 그림과 같다.

1 1 y
= -
nÛ` (n+1)Û`
y=g(a)
1 1 3
이므로 bÇ*Á=bÇ+ - (n¾1) 2
nÛ` (n+1)Û`
1
이다. 수열 {bÇ}의 일반항을 구하면
bn=b1+{(b2-b1)+(b3-b2)+(b4-b3)+y+(bn-bn-1)} O 4 a

=b1+ Á (bk+1-bk)
‌
n-1

=bÁ+ Á [ -
k=1 함수 y=g(a)의 그래프는 오직 a=4에서만 불연속이므로
]
1 1 n-1
k+4인 정수일 때, lim g(a)= lim g(a)
a Úk+ a Úk-
k=1 kÛ` (k+1)Û`
즉, lim g(a)- lim g(a)=0
=0+{ - }+{ - }+y+[ - ]
1 1 1 1 1 1 a Úk+ a Úk-
1Û` 2Û` 2Û` 3Û` (n-1)Û` nÛ`
k=4일 때, lim g(a)- lim g(a)=2이므로
a Ú4+ a Ú4-

Á [ lim g(a)- lim g(a)]=2 (거짓)


nÛ`-1
= (n¾2) 10
nÛ`
k=1 a Úk+ a Úk-
이고, bÁ=0이므로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뿐이다.
nÛ`-1
bÇ= (n¾1) ①
nÛ`
이다. 따라서

[
1 (n=1)

_{ n-1 }2` (n¾2)



aÇ= nÛ`-1 n

15
nÛ`

이상에서 f(n)={ n }2`, g(n)= , h(n)=
n-1 1 nÛ`-1
이므로
nÛ` nÛ` 3x+2y=101에서
3 3 101
= =64 x=0일 때, y= 이고
f(2)g(2)h(2) ;4!;_;4!;_;4#; 2
101
① y=0일 때, x= 이므로
3
x축 및 y축, 직선 3x+2y=101로 둘러싸인 부분은 다음 그림과 같다.

14
y

;:!2):!// 3x+2y=101
ㄱ. f(x)=2xÜ`+xÛ`-3이라 하면
f '(x)=6xÛ`+2x=2x(3x+1)

f '(x)=0에서 x=-;3!; 또는 x=0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3!; O 2k x
x y y 0 y 2k+1 ;:!3):!//

f '(x) + 0 - 0 +
-;2#;x
101
3x+2y=101에서 y=
2
f(x) ↗ -;2*7); ↘ -3 ↗
Ú x=2k (0ÉkÉ16)일 때,

101 101
g(0)은 곡선 y=2xÜ`+xÛ`-3과 직선 y=0이 만나는 점의 개수이므로 1이 y= 2 -;2#;×2k= 2 -3k에서

다. (참)
101
ㄴ. 곡선 위의 점 (t, 2tÜ`+tÛ`-3)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0ÉyÉ 2 -3k이므로
y-(2tÜ`+tÛ`-3)=(6tÛ`+2t)(x-t) yy ㉠ x좌표와 y좌표가 모두 정수인 점 (a, b)의 개수는
  
㉠이 원점을 지나므로 50-3k+1=51-3k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64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7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5~7).indd 64 2021-04-09 오후 2:36:56


EBS FINAL 수학영역

Û x=2k+1 (0ÉkÉ16)일 때, ㉠을 ㉡에 대입하면


101 101 3
y= 2 -;2#;×(2k+1)= 2 -3k-;2#;에서 +1
rÜ`
rÜ`= , 즉 3rÜ`=rÜ`+3
0ÉyÉ49-3k이므로 3
rÜ`
x좌표와 y좌표가 모두 정수인 점 (a, b)의 개수는
49-3k+1=50-3k 에서 rÜ`=;2#;
Ú, Û에서 x좌표와 y좌표가 모두 정수인 점 (a, b)의 개수는 ㉠에서 aÁ=2

Á (51-3k)+ Á (50-3k) 따라서 aÁ¼=aÁrá`=2×{;2#;}3`=:ª4¦:이므로


16 16

=51+ Á (51-3k)+50+ Á (50-3k)


k=0 k=0

20×aÁ¼=20×:ª4¦:=135
16 16

=101+ Á (101-6k)
k=1 k=1

16  135
k=1

16_17

20
=101+101×16-6× =901
2
④
f '(x)=4xÛ`-2(3a-4)x+(a-1)(2a-3)

‌
=(2x-a+1)(2x-2a+3)=0

16 에서 x=
a-1 2a-3
2 또는 x= 2
등차수열 {aÇ}의 공차를 d라 할 때, a-1 2a-3
Ú = , 즉 a=2일 때 f '(x)=(2x-1)Û`¾0이므로
a£¼-aÁ¢=(aÁ+29d)-(aÁ+13d) 2 2

=16d=48 함수 f(x)는 극값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p=2
a-1 2a-3
이므로 d=3 Û > , 즉 a<2일 때,
2 2
따라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a£¼-aª¼=(aÁ+29d)-(aÁ+19d)

=10d=10×3=30 2a-3 a-1
x y 2 y 2 y
 30
f '(x) + 0 - 0 +
f(x) ↗ 극대 ↘ 극소 ↗

17 x=
2a-3
2 에서 극대이므로
d
dx { f(x)g(x)}= f '(x)g(x)+ f(x)g'(x) 2a-3
2 =4, a=:Á2Á:

=;3!;xÜ`+xÛ`+ax+2 a<2이므로 x=4에서 극댓값을 갖도록 하는 a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에서 f '(3)g(3)+ f(3)g'(3)=9+9+3a+2 a-1 2a-3
Ü < , 즉 a>2일 때,
2 2
이므로 3a+20=32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a=4
4 a-1 2a-3
x y 2 y 2 y

f '(x) + 0 - 0 +

18 f(x)
a-1
↗ 극대 ↘ 극소 ↗

logŒ`2×log¢`3×log£`b=24에서 x= 2 에서 극대이므로
logŒ`3 logŒ`b
logŒ`2× × =24 a-1
2logŒ`2 logŒ`3
2 =4, a=9
logŒ`b=48에서 b=aÝ`¡` a>2이므로 a=9
logŒ`Ü`'b
log'a`Ü`'b= 따라서 q=9
logŒ`'a

Ú, Û, Ü에서 2(p+q)=2(2+9)=22
logŒ`Ü`"aÝ`¡`
=  22
logŒ`'a
16`logŒ`a
=

16
;2!;`logŒ`a
21
= =32 삼각형 APB에서 ∠APB=h, 원의 중심을 C, x축과 원이 접하는 접점을 H라
;2!;
하자.
 32 선분 CH와 x축은 수직이고 선분 AB의 중점을 M이라 하면 직선 CM과 y축
은 수직이다.

19
y
P
h
등비수열 {aÇ}의 공비를 r라 하면 B
M
3 C
a¢=aÁrÜ`=3에서 aÁ= yy ㉠ A
rÜ`
  
a¢ aÁrÜ`
또한, a¤-a£=aÁrÞ`-aÁrÛ`이고 aª = aÁr =rÛ` x
O H

a¤-a£= 에서
aª 그러므로 원의 중심 C의 y좌표는 ;2#;이고 원의 반지름의 길이도 ;2#;이다.
aÁrÞ`-aÁrÛ`=rÛ`, 즉 aÁrÞ`-(aÁ+1)rÛ`=0
삼각형 APB에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rÛ`{aÁrÜ`-(aÁ+1)}=0
ABÓ 1
rÛ`+0이므로 aÁrÜ`-(aÁ+1)=0 sin`h =2×;2#;, 즉 sin`h =2×;2#;
aÁ+1
rÜ`=

yy ㉡ 이므로 sin`h=;3!;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65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7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5~7).indd 65 2021-04-09 오후 2:36:56


EBS FINAL 수학영역

0ù<h<90ù이므로 cos`h=¾Ð1-{;3!;}2`= f(t)=t-1+:T1_!(x-t)Û`dx


2'2
3

-txÛ`+tÛ`x]1T_!



3'2 xÜ`
삼각형 APB에서 APÓ=x라 하면 BPÓ= 2 이므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t-1+[
3
ABÓ Û`=APÓ Û`+BPÓ Û`-2×APÓ×BPÓ×cos`h에서
=t-1+[{;3!;-t+tÛ`}-{
(t-1)Ü`
-t(t-1)Û`+tÛ`(t-1)}]
3
1=xÛ`+;2(;-2×x×
3'2 2'2
×
+tÛ`-;3!;
2 3 tÜ`
=-
3
즉, 2xÛ`-8x+7=0이므로
4+'2 4-'2 이고 f '(t)=-tÛ`+2t에서 f '{;3$;}=;9*;
x= 또는 x=
2 2 Þ t¾2일 때,
3'2 4+'2
x>BPÓ= 이므로 APÓ= y
2 2 y=(x-t)Û
APÓ
삼각형 APB에서 sin`(∠ABP) =2×;2#;
(1, 1)
1
4+'2
2 4+'2
=3, sin`(∠ABP)= 6
sin`(∠ABP) O 1 2 t x
따라서 a=4, b=6이므로 a+b=10
 10 f(t)=1


Ú~Þ에서 함수 y= f(t)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
1 y=f(t)

22 ;1Á2;
;3!;

Ú t<-1일 때,
-2 -1 O 1 2 3 t
;2!;
y

0Ét<1일 때, f(t)=tÛ`-t+;3!;={t-;2!;}2`+;1Á2;이므로
y=(x-t)Û

1 (1, 1)
함수 y= f(t)는 t=;2!;일 때 최솟값 ;1Á2;을 갖는다.

O x 따라서
t -1 1
60{ f '{-;3@;}+f '{;3$;}+a+b}=60{-;9%;+;9*;+;2!;+;1Á2;}=55
f(t)=1
 55

Û -1Ét<0일 때,
y
y=(x-t)Û

확률과 통계
1
23
(1, 1)

-1 t O t+1 1 x E(X)=54_;3!;=18이므로

f(t)=:)t `Ñ `1`(x-t)Û`dx+1-(t+1)
E(3X+1)=3E(X)+1=3_18+1=55
②

-txÛ`+tÛ`x]t)Ñ `1`-t


xÜ`
=[
3
(t+1)Ü`
24
= -t(t+1)Û`+tÛ`(t+1)-t
3

{x-;[@;}6`=[x+{-;[@;}]6`의 전개식에서 일반항은


-t+;3!;
tÜ`
=
3

¤C¨xß`Ѩ`{-;[@;}r`=¤C¨_(-2)¨`xß`ÑÛ`¨` (단, r=0, 1, 2, 3, 4, 5, 6)


이고 f '(t)=tÛ`-1에서 f '{-;3@;}=-;9%;
Ü 0Ét<1일 때,
1
이므로 의 계수는
y xÝ`
y=(x-t)Û
6-2r=-4에서 r=5
(1, 1) 1
1 따라서 의 계수는
xÝ`
¤C°(-2)Þ`=¤CÁ(-2)Þ`=-192
O t 1 x ①

f(t)=:)1`(x-t)Û`dx

-txÛ`+tÛ`x]1)


=[
xÜ`
3
25
P(A;B)
1 P(A|B)= =;9@;에서
=tÛ`-t+ P(B)
3
Ý 1Ét<2일 때, P(B)=;2(;P(A;B)
y P(A;B)
y=(x-t)Û P(B|A)= =;5@;에서
P(A)
P(A)=;2%;P(A;B)
1 (1, 1)

P(A)+P(B)=;1!5$;에서
O t-1 1 x
;2(;P(A;B)+;2%;P(A;B)=;1!5$;이므로
t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66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7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5~7).indd 66 2021-04-09 오후 2:36:57


EBS FINAL 수학영역

7P(A;B)=;1!5$;
29
따라서 P(A;B)=;1ª5; 네 개의 문자 중 사용된 3개를 택하는 경우의 수는
¢C£=4 yy ㉠

      
②
이 각각에 대하여 사용된 3개의 문자가 나열된 경우는 다음과 같다.
Ú 2번만 중복 사용된 문자가 3개 있는 경우

26
같은 것이 2개, 2개, 2개 있는 것을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이므로
6!
2!2!2! =90 yy ㉡
X-8

  
Z= 이라 하면 확률변수 Z는 표준정규분포 N(0, 1)을 따르므로
3 ㉠과 ㉡에서 곱의 법칙에 의하여 4×90=360
P(|X-8|Ék)=P(-kÉX-8Ék) Û 3번만 중복 사용된 문자와 2번만 사용된 문자가 있는 경우

=P(8-kÉXÉ8+k) 3번만 중복 사용된 문자와 2번만 사용된 문자를 선택하는 경우의 수는
}
8-k-8 8+k-8 £CÁ_ªCÁ=6
=P{ ÉZÉ
3 3
이 각각에 대하여 6개의 문자를 배열하는 경우의 수는
=P{-;3K;ÉZÉ;3K;} 같은 것이 3개, 2개, 1개 있는 것을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이므로

=2P{0ÉZÉ;3K;} =0.8664
6!
3!2!1! =60

에서 P{0ÉZÉ;3K;}=0.4332 그러므로 경우의 수는 곱의 법칙에 의하여


6×60=360 yy ㉢

  
즉, ;3K;=1.5이므로 ㉠과 ㉢에서 곱의 법칙에 의하여 4_360=1440
k=4.5 Ü 4번만 중복 사용된 문자가 있는 경우
① 4번만 중복 사용된 문자를 선택하는 경우의 수는
£CÁ=3
이 각각에 대하여 6개의 문자를 배열하는 경우의 수는

27 같은 것이 4개, 1개, 1개 있는 것을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이므로


6!
함수 f`:`X`→`X의 개수는 4!1!1! =30
서로 다른 4개 중에서 4개를 택하는 중복순열의 수이므로 그러므로 경우의 수는 곱의 법칙에 의하여
¢P¢=4Ý`=256 3×30=90 yy ㉣
   
한편, f(1)× f(2)× f(3)× f(4)의 값이 홀수이면 f(1), f(2), f(3), f(4)의 ㉠과 ㉣에서 곱의 법칙에 의하여 4×90=360
값이 모두 홀수이어야 한다. Ú, Û, Ü으로부터 구하는 경우의 수는
f(1)× f(2)× f(3)× f(4)의 값이 홀수인 경우의 수는 서로 다른 2개 중에서 4 k=360+1440+360=2160이므로
개를 택하는 중복순열의 수와 같으므로
;1ð0;=216
ªP¢=2Ý`=16
또한, f(2)=2인 함수 f`:`X`→`X의 개수는  216
4×1×4×4=4Ü`=64
따라서 구하는 함수의 개수는
256-(64+16)=176
⑤
30
5개의 전구를 왼쪽부터 ①, ②, ③, ④, ⑤라 하면 5개의 전구의 불빛의 모든 경
우의 수는

28
2Þ`=32
이고 불빛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경우는 (빨빨빨빨빨), (파파파파파)의 경우이
꺼낸 공에 적혀 있는 수의 합이 3의 배수인 사건을 A, 4가 적혀 있는 공이 있는 므로 전구의 불빛의 변화가 0번 일어날 확률은
사건을 B라 하면 구하는 확률은 P(B|A)이다. P(X=0)=;3Á2;+;3Á2;=;1Á6;
주머니 속의 8개의 공에서 2개의 공을 꺼내는 경우의 수는 ¥Cª이다.
불빛의 변화가 한 번만 일어나는 것은 ①이 빨간색일 때, 빨간색에서 파란색으
Ú 꺼낸 공에 적혀 있는 수의 합이 3일 확률
로의 변화가 일어난 뒤로 불빛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아야 하므로 처음 파란색
숫자 1이 적혀 있는 공 3개에서 1개를 꺼내고 숫자 2가 적혀 있는 공 2개에
이 되는 전구는 ②, ③, ④, ⑤ 가운데 하나이고 그 경우의 수는 ¢CÁ이다. 그러므

서 1개를 꺼내는 경우의 수는
¢CÁ
£CÁ_ªCÁ이므로 로 왼쪽 끝이 빨간색이고 불빛의 변화가 한 번만 일어날 확률은 =;8!;이고,
2Þ`
£CÁ_ªCÁ
¥Cª =;1£4; 마찬가지로 ①이 파란색일 때 불빛의 변화가 한 번 일어날 확률은 ;8!;이므로
Û 꺼낸 공에 적혀 있는 수의 합이 6일 확률 전구의 불빛의 변화가 정확히 한 번 일어날 확률은
숫자 2가 적혀 있는 공 2개에서 1개를 꺼내고 숫자 4가 적혀 있는 공 2개에
P(X=1)=;8!;+;8!;=;4!;

서 1개를 꺼내는 경우의 수는
ªCÁ_ªCÁ이므로 마찬가지 방법으로 불빛의 변화가 두 번, 세 번, 네 번 일어날 확률은
¢Cª ¢Cª
ªCÁ_ªCÁ `=;1£6;+;1£6;=;8#;,
¥Cª =;7!;
P(X=2)= +
2Þ` 2Þ`
Ú, Û는 서로 배반이므로 ¢C£ ¢C£
P(X=3)= + `=;8!;+;8!;=;4!;,
2Þ` 2Þ`
P(A)=;1£4;+;7!;=;1°4;
¢C¢ ¢C¢
P(X=4)= + `=;3Á2;+;3Á2;=;1Á6;
꺼낸 공에 적혀 있는 수의 합이 3의 배수이면서 숫자 4가 적혀 있는 공이 포함 2Þ` 2Þ`
되어 있을 확률은 이므로 전구의 불빛의 변화 횟수 X에 대한 확률분포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P(A;B)=;7!; 같다.

따라서 X 0 1 2 3 4 합계
;7!;
P(A;B) P(X=x) ;1Á6; ;4!; ;8#; ;4!; ;1Á6; 1
P(B|A)= = =;5@;
P(A)
;1°4;

③ E(X)=0×;1Á6+1_;4!;+2_;8#;+3_;4!;+4_;1Á6;=2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67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7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5~7).indd 67 2021-04-09 오후 2:36:57


EBS FINAL 수학영역

E(XÛ`)=0Û`×;1Á6+1Û`_;4!;+2Û`_;8#;+3Û`_;4!;+4Û`_;1Á6;=5 S=:)2` (2-t)t`dt

=:)2` (2t-tÛ`) dt


V(X)=E(XÛ`)-{E(X)}Û`=5-2Û`=1

]2)`
따라서 V(8X-6)=8Û`V(X)=64×1=64
 64 tÜ`
=[tÛ`-
3
=;3$;

④
미적분

23 27
(2x)' 1
f '(x)= (2x)ln10 = xln10 이므로

1 2
f '{;2!;}= = ln10 O
;2!;ln10 A
h
④ P

원 밖의 점 P에서 원에 그은 한 접선의 접점이 T이므로


삼각형 OPT에서 PTÓ⊥OPÓ이고
24 1
sin`h= , 즉 POÓ=
1
sin`h
2xÛ`-x-3yÛ`=3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POÓ
1 1+sin`h
d d d d 그러므로 APÓ= sin`h +1= sin`h yy ㉠
dx (2xÛ`)- dx (x)- dx (3yÛ`)= dx (3) yy ㉠

  
  
또한, 삼각형 OPT에서
합성함수의 미분법에 의하여
OTÓ 1 1
d d dy dy tan`h= = , 즉 PTÓ= yy ㉡
tan`h
dx (3yÛ`)= dy (3yÛ`) dx =6y dx 이므로 PTÓ PTÓ

  
dy 한편, 삼각형 OPT에서 ∠POT=;2Ò;-h이고
㉠은 4x-1-6y dx =0, 즉
삼각형 OTA에서 ∠AOT=p-{;2Ò;-h}=;2Ò;+h이므로
dy 4x-1
dx = 6y (y+0)
ATÓÛ`=OTÓÛ`+OAÓÛ`-2_OTÓ_OAÓ_cos`{;2Ò;+h}
따라서 점 (2, 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4_2-1 =1Û`+1Û`+2×1×1×sin`h
6_1 =;6&;
  
=2+2 sin`h
  
② ATÓ='Ä2+2 sin`h yy ㉢
           
㉠, ㉡, ㉢에서
lim (APÓ×PTÓ×ATÓ×hÛ`)
h Ú0+

= lim { ×'Ä2+2sin`h×hÛ`}
1+sin`h 1
×
25
h Ú0+ sin`h tan`h
1+sin`h cos`h
= lim { × ×'Ä2+2sin`h×hÛ`}
a h Ú0+ sin`h sin`h
0<a<a+2이므로 0< <1
a+2 hÛ`
= lim [cos`h(1+sin`h)× ×'Ä2+2sin`h ]
a+1 h Ú0+ sinÛ``h
0<a+1<a+2이므로 0< <1
a+2 =1×1Û`×'2='2
n+1 n+1
a +(a+2) ⑤
lim n n+1
n Ú¦ (a+2) +(a+1)

}n`+a+2
a
a{

}n`
a+2
=lim
n Ú¦ a+1

a+2
1+(a+1){
a+2
28
= 꼭짓점 C에서 밑변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이등변삼각형 ABC는
1
=a+2 선분 CH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다음 그림과 같이 직각삼각형 HBC에서 만들어
① 지는 사분원들에 색칠한 그림을 RÁ', Rª', R£', y 이라 하자.
C C C

26 H B H B H B
(2-ln`x)ln`x y
x =0에서 R'Á R'ª R'£

ln`x=0 또는 2-ln`x=0 그림 RÁ, Rª, R£, y에서 만들어지는 직사각형이 가로의 길이와 세로의 길이
x=1 또는 x=eÛ` 의 비가 2`:`1이므로 그림 RÁ', Rª', R£', y에서 만들어지는 사각형은 정사각
(2-ln`x)ln`x 형이다.
구간 [1, eÛ`]에서 y= x ¾0
C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 하면
eÛ` (2-ln`x)ln`x
S=:! `dx
x
CÁ DÁ
=;[!;이고
dt
ln`x=t로 놓으면
dx
H B
x=1일 때, t=0, x=eÛ`일 때, t=2이므로 BÁ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68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7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5~7).indd 68 2021-04-09 오후 2:36:58


EBS FINAL 수학영역

HBÓ=3, CHÓ="Ã(3'5)Û`-3Û`=6 sin (x-2a) {2a<xÉ;2Ò;+a}


그림 RÁ'과 같이 직각삼각형 HBC에 내접하는 정사각형 HBÁDÁCÁ의 한 변의 f(x)= [
sin`x {;2Ò;+a<xÉp}
길이를 a라 하면


HBÓ`:`CÁDÁÓ=CHÓ`:`CCÁÓ 그러므로 입체 T의 부피는
이므로 3 : a=6 : 6-a에서 :@ÈA`f(x)dx

=: sin`(x-2a) dx+:
6a=3(6-a), 즉 a=2
;2Ò;+a p
그러므로 정사각형 HBÁDÁCÁ에 내접하는 사분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2이므로 sin`x`dx
2a ;2Ò;+a
사분원의 넓이는 ;2Ò;+a p
=-[cos`(x-2a)] -[cos`x]
;4!;×p×2Û`=p 2a ;2Ò;+a

=-cos`{;2Ò;-a}+cos`0-cos`p+cos`{;2Ò;+a}
HBÓ`:`CÁDÁÓ=3`:`2=1`:`;3@;이므로 그림 RÇ'에서 새로 만들어진 두 개의 정사
=-sin`a+1-(-1)-sin`a
각형 중에서 위쪽의 정사각형에 내접하는 사분원과 그림 RÇ*Á'에서 위쪽의 정
=-2 sin`a+2
사각형에 내접하는 사분원의 넓이의 비는
g(a)=-2 sin`a+2이므로
1`:`;9$;이다.
-g(a)+cos`2a+;2(;=cos`2a+2 sin`a+;2%;
그림 Rª'의 새로 만들어진 두 개의 정사각형 중에서 위쪽의 정사각형에 내접하
=(cosÛ``a-sinÛ``a)+2 sin`a+;2%;
는 사분원의 넓이는

          
p×;9$; =(1-2 sinÛ``a)+2 sin`a+;2%;

=-2`{sin`a-;2!;}2`+4

          
그림 R£'의 새로 만들어진 두 개의 정사각형 중에서 위쪽의 정사각형에 내접하

          
는 사분원의 넓이는
p×;9$;×;9$;=p×{;9$;}2`
0ÉaÉ;2Ò;에서 0Ésin`aÉ1

⋮ 따라서 -g(a)+cos`2a+;2(;의 최댓값은 4이다.


그러므로 그림 RÁ'을 포함하여 그림 Rª', R£', y에서 위쪽으로 만들어지는 정 4
사각형에 내접하는 사분원들의 넓이의 합은
p+p×;9$;+p×{;9$;}2`+p×{;9$;}3`+y= p =;5(;p
1-;9$;

한편, 위의 그림에서 HBÓ`:`BÁBÓ=3`:`1=1`:`;3!;이므로 30


ln`x
그림 RÇ'에서 새로 만들어진 두 개의 정사각형 중에서 오른쪽의 정사각형에 내 두 곡선 y=2+;[!;, y=- x +k에서
접하는 사분원과 그림 RÇ*Á'에서 새로 만들어진 두 개의 정사각형 중에서 오른
ln`x ln`x
2+;[!;=- +k, 즉 2+;[!;+ =k
쪽의 정사각형에 내접하는 사분원의 넓이의 비는 1`:`;9!;이다. x x
ln`x
그림 Rª'의 새로 만들어진 두 개의 정사각형 중에서 오른쪽의 정사각형에 내접 f(x)=2+;[!;+ x (x>0), g(x)=k라 하면
하는 사분원의 넓이는 1 1-ln`x ln`x
f '(x)=- + =-
p×;9!; xÛ` xÛ` xÛ`
f '(x)=0에서 -lnx=0, 즉 x=1
그림 R£'의 새로 만들어진 두 개의 정사각형 중에서 오른쪽의 정사각형에 내접 -x-(-ln`x)2x -1+2 ln`x
f "(x)= =
하는 사분원의 넓이는 xÝ` xÜ`
p×;9!;×;9!;=p×{;9!;}2` f "(x)=0에서 -1+2 ln`x=0, 즉 x='e
x=1에서 극대이므로 극댓값은 f(1)=3이고

3
그러므로 그림 Rª', R£', y에서 오른쪽으로 만들어지는 정사각형들에 내접하 점 {'e, 2+ }은 y= f(x)의 변곡점이다.
2'e
는 사분원들의 넓이의 합은 그러므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 오목과 볼록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p×;9!;+p×{;9!;}2`+p×{;9!;}3`+y=
p×;9!;
x y 1 y 'e y
=;8Ò;
1-;9!; f '(x) + 0 - - -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f "(x) - - - 0 +
3
2×{;5(;p+;8Ò;}=;2&0&;p f(x)  3  2+
2'e

①
ln`x
lim `f(x)= lim {2+;[!;+ }= lim { }=-¦,
2x+1+ln`x
x Ú0+ x Ú0+ x x Ú0+ x
ln`x
lim `f(x)=lim {2+;[!;+ }=2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x Ú¦ x Ú¦ x

29 같다.
y
0ÉaÉ;2Ò;에서 0É2aÉp
3
sin`x=sin (x-2a)에서 2+ ;;;;;£;;;;; y=f(x)
21e 2
삼각함수의 성질에 의하여
1
x=p-(x-2a), 2x=p+2a

즉, x=;2Ò;+a O 1 1e x

y
y=sin x y=sin(x-2a)
위의 그림에서

Á h(k)=h(1)+h(2)+h(3)+h(4)+h(5)
5
2a
O ;2Ò;+a p h

k=1

=1+1+1+0+0=3 yy ㉠
  
12 12
세 수 2, 3, ¾Ð e 의 대소 관계는 세 수 2Û`, 3Û`, e 의 대소 관계와 같으므로
위의 그림에서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69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7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5~7).indd 69 2021-04-09 오후 2:36:58


EBS FINAL 수학영역

12 12 12 12
e >:Á3ª:=4, e < =9에서 2<¾Ð e <3
;3$;
26
k>;2!;이므로 주어진 타원의 초점은 y축 위에 있다.
12
그러므로 h{¾Ð e }=2 yy ㉡
한 초점을 F(0, c)라 하면
      
13 13
두 수 3, 2+¾Ð 4e 의 대소 관계는 두 수 1, ¾Ð 4e 의 대소 관계와 같다. '6
초점 F를 지나는 직선 y=-2x+ 2 이므로
이때 두 수 '1Œ3과 '4Œe의 대소 관계를 알아보면 '6
c=
e<3이므로 4e<12 2
xÛ` yÛ` '6
('1Œ3)Û`-('4Œe)Û`=13-4e>0이므로 타원 + 2 =1의 한 초점은 F{0, 2 }이므로
;k!;
¾Ð >1, 즉 2+¾Ð >3
13 13
4e 4e
'6
¾Ð2-;k!;=
}=0
13 에서
h{2+¾Ð yy ㉢ 2
4e
        
=;2#;, 즉 k=2
1
㉠, ㉡, ㉢에서 2-

Á h(k)+h{¾Ð 12 }+h{2+¾Ð 13 }=3+2+0=5


k
5
yÛ`
k=1 e 4e 그러므로 타원 2xÛ`+ 2 =1 위의 점 (a, b) (a>0, b>0)에서의 접선의 방정
5 식은
by 4a
2ax+ =1, 즉 y=- x+;b@; yy ㉠
2 b

  
4a
- =-2에서 b=2a yy ㉡
b

       
기하
yÛ`
점 (a, b)는 타원 2xÛ`+ 2 =1 위의 점이므로

23 2aÛ`+
bÛ`
2
=1, 즉 4aÛ`+bÛ`=2 yy ㉢

     
a²+b²=(2, 2)+(3, -1)=(5, 1)
㉡을 ㉢에 대입하면 4aÛ`+(2a)Û`=2, 8aÛ`=2

따라서 |a²+b²|="Ã5Û`+1Û`='2Œ6
aÛ`=;4!;이므로 a=;2!;
④
㉡에서 b=1
따라서 ㉠에서 구하는 접선의 y절편은
;b@;=2

24 ⑤
두 점 A(2, 3, 4), B(a, 1, -1)에 대하여
OAÓ="Ã2Û`+3Û`+4Û`='2Œ9
OBÓ="ÃaÛ`+1Û`+(-1)Û`="ÃaÛ`+2

이므로 "ÃaÛ`+2=;3!;'2Œ9에서

aÛ`+2=:ª9»:, 즉 aÛ`=:Á9Á:
27
원 (x-3)Û`+(y-4)Û`=4의 중심은 C(3, 4)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2이다.
'1Œ1 그림과 같이 ∠POQ=h, ∠COB=hÁ이라 하자.
따라서 a= 3
y
② Q P

A C

25
B
h

D C
P Q O x

R
A B OP³ º OQ³=|OP³||OQ³|cos`h에서
G
H OP³ º OQ³의 값이 최대일 때는 점 P와 점 Q가 일치할 때이고 OP³ º OQ³의 값이
S

E
최소일 때는 점 Q가 두 접점 A 또는 B와 일치할 때이다.
F Ú OP³ º OQ³의 값이 최대일 때,
점 P는 선분 AD를 3`:`1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OCÓ="Ã3Û`+4Û`=5, CPÓ=2이므로
APÓ=;4#;ADÓ=;4#;_4=3 yy ㉠ OPÓ=5+2=7
    
OP³ º OQ³ÉOP³ º OP³
PQÓ=;5@;ABÓ=2, QRÓ=;3!;AEÓ=1

=|OP³||OP³|cos`0=49
PQÓ⊥QRÓ이므로 직각삼각형 PQR에서 Û OP³ º OQ³의 값이 최소일 때,

PRÓ=¿¹`PQÓ Û`+QRÓ Û`="Ã2Û`+1Û`='5


직각삼각형 OBC에서
OCÓ="Ã3Û`+4Û`=5, BCÓ=2이므로
그림에서 선분 RS는 평면 AEHD와 평행하므로 PQÓ⊥RSÓ이고
OBÓ="Ã5Û`-2Û`='2Œ1
QRÓ⊥RSÓ에서
'2Œ1
평면 PQR와 선분 RS는 수직 yy ㉡ cos`hÁ= 5
  
따라서 PRÓ⊥RSÓ yy ㉢ OP³ º OQ³¾OP³ º OB³
        

또한, RSÓ=;4#;ADÓ=3 yy ㉣ =|OP³||OB³|cos`hÁ
     
'2Œ1
㉠, ㉡, ㉢, ㉣에서 점 S는 평면 AEFB 위에 있고 선분 RS와 평면 AEFB는 =7×'¶21× =;:!5$:&;
5
수직이므로
ASÓ=PRÓ='5 따라서 M+m=49+;:!5$:&;=;:#5(:@;

③ ④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70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7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5~7).indd 70 2021-04-09 오후 2:36:59


EBS FINAL 수학영역

28 30
그림에서 두 평면 EIJH와 IFGJ가 이루는 예각은 이면각의 정의에 의하여 좌표공간에서 반지름의 길이가 2'3인 구가 xy평면과 만나서 생기는 원 CÁ의
∠EIF이다. 넓이가 8p이므로 원 CÁ의 반지름의 길이는 2'2이다.
D J C yz평면
I R
A B
213
h
C Hª
M 213
G 213
H xy평면
E P Q
F HÁ
212
∠EIF=h라 할 때, 삼각형 EFI에서
EFÓ=2, EIÓ=FIÓ='1Œ0이므로 구의 중심 C에서 xy평면에 내린 수선의 발을 HÁ이라 하면 점 HÁ은 원 CÁ의 중
EIÓ Û`+FIÓ Û`-EFÓ Û` ('1Œ0)Û`+('1Œ0)Û`-2Û` 심이고, PQÓ는 원 CÁ의 지름이다.
cos`h= = =;5$;
2_EIÓ_FIÓ 2_'1Œ0_'1Œ0

직각삼각형 CPHÁ에서 CPÓ=2'3, PHÁÓ=2'2이므로
'1Œ0
IMÓ=;2!; FIÓ= CHÁÓ=2
2
그런데 선분 CHÁ의 길이는 구의 중심 C의 z좌표와 같으므로 c=2
D J C
구의 중심 C에서 yz평면에 내린 수선의 발을 Hª라 하면 점 Hª는 원 Cª의 중심
I
A B 이고, 원 CÁ과 원 Cª는 서로 한 점 Q에서 만나므로 QRÓ는 원 Cª의 지름이다.
M'
직각삼각형 CQHª에서
M CQÓ=2'3, QHªÓ=CHÁÓ=2
G
H 이므로 CHªÓ=2'2
E
F 그런데 선분 CHª의 길이는 구의 중심 C의 x좌표와 같으므로
점 M의 평면 EIJH 위로의 정사영을 M'이라 하면 a=2'2
점 M'은 선분 IE 위에 있다. yz평면

직각삼각형 MIM'에서 ∠MIM'=h이므로 U T
zx평면
IM'Ó=IMÓ cos`h ` 213
'¶10
‌
213
= _;5$; Hª
2 C

2'¶10 213 212
=
5 S
따라서 선분 JM의 평면 EIJH 위로의 정사영인 선분 JM'의 길이는

}2`+2Û`=
한편, 구의 중심 C에서 zx평면에 내린 수선의 발을 H£이라 하면 점 H£은 원
Ú ÞIM'Ó Û`+IJÓ Û`=¾Ð{
2'1Œ0 2'3Œ5
5 5 C£의 중심이고, 원 Cª와 원 C£은 서로 한 점 T에서 만나므로 원 Cª의 지름 STÓ
② 에 대하여 TUÓ는 원 C£의 지름이다.
직각삼각형 CTH£에서
CTÓ=2'3, TH£Ó=CHªÓ=2'2
이므로 CH£Ó=2
그런데 선분 CH£의 길이는 구의 중심 C의 y좌표와 같으므로
b=2
따라서 (abc)Û`=(2'2×2×2)Û`=128

29  128

'1Œ1
쌍곡선의 점근선의 방정식이 y= 5 x이므로

양수 k에 대하여 쌍곡선의 방정식은


xÛ` yÛ`
- =1
25kÛ` 11kÛ`
이때 두 초점 F, F'의 좌표는
F("Ã(5k)Û`+('1Œ1k)Û`, 0), F'(-"Ã(5k)Û`+('1Œ1k)Û`, 0)
즉, F(6k, 0), F'(-6k, 0)이고 A(5k, 0)
또한,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PF'Ó-PFÓ=10k, PF'Ó=PFÓ+10k
삼각형 PF'F의 둘레의 길이가 60이므로
PF'Ó+F'FÓ+PFÓ=(PFÓ+10k)+12k+PFÓ

=2PFÓ+22k=60
에서 PFÓ+11k=30, PFÓ=30-11k
그런데 AFÓ=k이므로
;3!;ÉkÉ;3$;

:Á3Á:É11kÉ:¢3¢:

:¢3¤:É30-11kÉ:¦3»:

:¢3¤:ÉPFÓÉ:¦3»:

따라서 자연수인 선분 PF의 길이의 합은


11(16+26)
16+17+18+y+26= =231
2
 231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71 정답과 풀이_수학영역 7회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5~7).indd 71 2021-04-09 오후 2:36:59


2021 파이널 실전모의고사-수학_해설(5~7).indd 72 2021-04-09 오후 5:27:43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