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3

행렬의 기본 개념

1. 정의

행렬: 수 또는 식을 직사각형 모양으로 배열한 것

행렬은 행(row)과 열(column)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행과 열마다 성분이 존재한다. 예

를 들어 행렬  가  ×  행렬이고,     라면, 2는 1행 1열, 3은 1행 2열, 4는 1행 3


열, 5는 2행 1열, 7은 2행 2열, 9는 2행 3열 성분에 해당한다. 이 때, 1행 1열에 해당하는 성
분을 (1, 1) 성분이라고 하기도 한다.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주로  ×  행렬을 다루며, 이를 이차정사각행렬이라고 한다.


cf)  ×  행렬은 일차정사각행렬,  ×  행렬은 삼차정사각행렬이라고 한다.

읽을 때에는  ×  행렬은 “투 바이 쓰리 행렬(two by three matrix)”이라고 읽는다. 또는 간


단히 “이 바이 삼 행렬”이라고 읽기도 한다.

특별히 모든 성분의 값이 0인 경우, 이를 ‘영행렬’이라고 하고,  라고 나타내기도 한다. 읽을


때에는 ‘오’라고 읽지 않고, ‘영행렬’이라고 읽는다.

2. 행렬의 연산

1) 행렬의 덧셈과 뺄셈

행렬의 덧셈은 일반적인 다항식에서의 덧셈과 마찬가지로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다. 각 성분


끼리 더해주면 된다. 이 때, 행렬의 덧셈은 행과 열이 같은 행렬만 덧셈이 가능하다.

     라고 하면,              


예를 들어,  

뺄셈도 마찬가지로 계산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2) 행렬의 실수배

행렬의 실수배는 행렬의 모든 성분에 같은 실수를 곱해주면 된다. 행렬의 실수배는 실수를 왼
쪽에 곱하든, 오른쪽에 곱하든 결과가 같다.

예를 들어,    라고 하면,    ××   ××   


×  ×
영행렬에 어떤 실수를 곱해도 항상 영행렬이 된다.
   ×    ×  
3) 행렬의 계산 법칙
     의 같은 꼴일 때(행과 열의 숫자가 같은 때) 행렬의 덧셈 연산에 대해 교환법칙과 결
합법칙이 성립한다.
교환법칙:       
결합법칙:               

3. 행렬의 곱셈

행렬의 곱셈은 주로 이차 정사각행렬에서의 곱셈이다(대략 90% 이상).

1) 이차 정사각행렬에서의 곱셈
행렬의 곱셈은 다항식에서의 곱셈과 다르며, 매우 중요하다.

    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일반적인 덧셈을 생각하면, 각 성분끼리 곱한다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그렇지 않다. 곱하는
앞 행렬의 행의 성분들과 뒤 행렬의 열의 성분들을 차례대로 각각 곱한 뒤 더해야 한다. 예를
들어 위 예시에서 곱해진 1행 2열 성분(1, 2)의 값은 행렬 A의 1행의 각 성분과 행렬 B의 2
열의 각 성분을 차례대로 곱한 값이 된다. (3 * 0) + (5 * 5) = 0 + 25 = 25

2) 일반적인 행렬에서의 곱셈

행렬의 곱셈이 이루어지려면 곱하려는 앞 행렬의 열의 개수와 뒤 행렬의 행의 개수가 일치해


야 가능하다.

   
  
 
 
 
이런 행렬에서의  ×  는 존재하지 않는다. 단 거꾸로  ×  는 존재한다.

3) 계산법칙

일반적으로 행렬에서의 곱셈은 교환법칙은 성립하지 않으나, 결합법칙은 성립한다.


×≠×
단 우연히 곱셈의 교환법칙이 성립하는 행렬이 있을 수는 있다. 예를 들어,
×  ×
×  ×  
참고로 어떤 행렬이든 영행렬과 곱하면, 반드시 영행렬이 된다.
4) 주의 사항

두 행렬의 곱이 영행렬이라고 해서, 두 행렬 중 적어도 하나가 영행렬이라는 보장은 없다.

예를 들어,        이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두 행렬의 곱은 영행렬이 되지만, 두 행렬은 모두 영행렬이 아니다.


따라서 ‘두 행렬의 곱이 영행렬이면, 두 행렬 중 적어도 하나는 영행렬이다’라는 문장은 거짓
이다. 참고로 이 명제의 역은 참이다. 즉 두 행렬 중 적어도 하나가 영행렬이면, 두 행렬의 곱
은 반드시 영행렬이 된다.

4. 단위행렬

임의의 행렬을 곱해도 그 행렬이 나오게 하는 행렬을 단위행렬이라고 하고,  라고 표기한다.


읽을 때에도 그냥 ‘이’라고 읽으면 된다. 숫자 계산에서의 더할 때의 0, 곱할 때 1을 생각하면
된다.

주로 이차정사각행렬에서 등장하며, 그때의 행렬    이다.


×   ×  
모든 정사각행렬에 단위 행렬이 존재하지만, 고등학교 과정에서는 주로 이차정사각행렬에서만
묻는다.
  


일차 정사각행렬에서의 단위행렬     , 삼차 정사각행렬에서의 단위행렬     
  

5. 그 외

이 외에도 역행렬이 과거 교육과정(고2 과정에 행렬이 있었을 때)에는 있었으나 현재 교육과


정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그때에도 케일리–해밀턴 정리는 교과 과정에 존재한 적이 없었으나,
문제 풀이에 용이하여 공식으로 알아두면 좋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