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87

기술 보고서 목록

No 기술보고서(가이드라인, 매뉴얼, 지침 등) 명칭 연구책임자 기관


1 하천공간 복원 기본계획 수립 기술보고서 김규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 하천공간 복원 가치평가 기술보고서 이희찬 세종대학교
최흥식, 상지대학교,
중소하천의 시설물 도입에 따른 교란 저감을 위한 하도설계 및 적응관리
3 장창래, 교통대학교,
기술보고서
지 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4 하천 수리량 원격 취득 및 정보화 시스템 기술보고서 이남주 경성대학교
5 기능형 친환경 횡단구조물 설계 및 안전성 진단평가 지침 이남주 경성대학교
6 자연친화적 소재활용 생태하천복원기술 매뉴얼 안홍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7 호안공법의 수리적 안정성 평가 매뉴얼 박재현 인제대학교
8 하천환경 평가체계 가이드라인 전승훈 가천대학교
9 하천환경 평가체계 구축 기술보고서 전승훈 가천대학교
10 하천환경 물리평가체계 가이드라인 김기흥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격리/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의 연계 평가 및 진단 시스템 가이드라인(I)
11 조강현 인하대학교
- 격리/차단된 하천환경 평가법
격리/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의 연계 평가 및 진단 시스템 가이드라인(II) 조강현, 인하대학교,
12
- 수리생태 결합모델 프로그램 김창완 ㈜에이치투알
13 돌설치형 생물이동로 설치 및 유지관리 지침서 김진홍 중앙대학교
14 양서류 생태통로 설치 및 유지관리 지침서 김진홍 중앙대학교
15 수변공간을 활용한 오염부하저감 및 차단 융복합기술 매뉴얼 서대석 ㈜동산콘크리트산업
유역모델 및 자동 모니터링 연계 초기강우 오염물질 처리시설, 서동일, 충남대학교,
16
친환경소재를 활용한 식생정화공법 기술보고서 한상훈 ㈜플러스파운틴
17 수질정화 융복합부도 통합 기술매뉴얼 박재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발행인: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생태하천 조성기술 개발 연구단, 연구단장 김규호


⋅발행일: 2019년 1월
⋅발행처: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생태하천 조성기술 개발 연구단
(10223)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고양대로 28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보전연구본부
TEL. (031)910-0671 FAX. (031)910-0251 E-mail. hongil93@kict.re.kr

⋅인용: 박재현 (2019), 호안공법의 수리적 안정성 평가 매뉴얼,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생태하천 조성기술 개발 연구단 기술보고서 No.7,
인제대학교, 물관리연구 개발사업 12기술혁신C02, 국토교통부·국토교통과학기술 진흥원, 71 pp.

- i -
연구 참여진

연구책임자▕ 인제대학교 토목도시공학부 교수 박재현

공동책임자▕ 인제대학교 환경공학과 부교수 김영도

연구진▕ 인제대학교 토목공학과 연구원 김민규


인제대학교 토목공학과 연구원 이재경
인제대학교 토목공학과 연구원 장용
인제대학교 토목공학과 연구원 탁용훈
인제대학교 환경공학과 연구원 정우석
인제대학교 환경공학과 연구원 이정민
인제대학교 환경공학과 연구원 정동규

자문위원▕ University of Dundee 부교수 박용성

- iii -
목 차

제1장 소류력과 바닥전단응력 ··························································1


제1절 하천흐름과 바닥전단응력 ·············································································1

제2절 소류력과 바닥전단응력 ················································································3

제3절 바닥전단응력 측정방법 ················································································4


3.1 직접측정방법 ·····················································································································4

3.1.1 Shear Meter ············································································································4


3.1.2 Preston Tube ···········································································································5
3.2 간접측정방법 ·····················································································································6

3.2.1 Reach-Averaged Method ·······················································································6


3.2.2 Reynolds Stress Method ························································································7
3.2.3 Turbulent Kinetic Energy ······················································································11

3.2.4 Law of Wall ···········································································································12

제2장 호안공법과 전단응력 ····························································14


제1절 호안의 정의 ······························································································14
1.1 관련 법과 규정 ···············································································································14
1.2 호안의 종류 ····················································································································15
1.3 호안의 파괴 ····················································································································16

제2절 호안 안정성 관련 연구 ·············································································18


2.1 실규모 실험 연구 ············································································································18
2.2 고속수로 실험 연구 ·········································································································19

제3절 국외 호안 안정성 평가 방법 ·····································································20

- v -
목 차

3.1 미국 ································································································································20
3.2 일본 ································································································································23

제3장 소류력 평가를 위한 고속흐름 분석 요소기술 ························25


제1절 고속수로 ··································································································25

제2절 소류력 측정장치 ·······················································································26


2.1 1차원 소류력 측정장치 ····································································································27
2.2 2차원 소류력 측정장치 ····································································································28
2.3 로드셀을 이용한 소류력 측정장치 ····················································································29

제3절 고유속 측정장치 (PIV) ··············································································31


3.1 휴대용 초고속 PIV 구성 ··································································································31
3.2 PIV particle test ···········································································································32

3.3 측정데이터 처리 ··············································································································34

제4절 데이터 처리를 위한 소프트웨어 ·································································34


4.1 고속 흐름에 특화된 입자영상추적 및 이와 연관된 수리계측장비 측정결과들을
동시 비교 해석 프로그램 ·································································································34

제4장 무경사 고속수로를 활용한 호안블록 안정성 평가 방법 ··········36


제1절 시험장치 ··································································································36
1.1 무경사 고속수로 ··············································································································36
1.2 소류력 및 수리특성 측정장치 ···························································································37
1.2.1 소류력 측정장치 ·······································································································37

- vi -
목 차

1.2.2 수리특성 측정장치 ····································································································38

제2절 측정요소 및 측정방법 ···············································································40


2.1 유량 ································································································································40
2.2 수위 ································································································································40
2.3 유속 ································································································································40
2.4 소류력 ····························································································································40

제3절 시험순서 ··································································································41

제4절 결과분석 ··································································································41

제5장 호안블록의 수리적 안정성 평가 적용 ···································44


제1절 호안블록의 규모에 따른 한계소류력 및 항력에 대한 복합적 평가 ···············44

제6장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 ·······················································49


제1절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 설계 ····································································49

제2절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 개발 ····································································50

제3절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 현장설치를 위한 콘크리트 하우징 ·························51

제7장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 실내외 측정 및 DATA 비교분석 ·····52


제1절 실내 보정 실험 ·························································································52

제2절 실규모 수로 실험 ·····················································································53

- vii -
목 차

제3절 이론식과 측정 DATA 비교 분석 ·······························································55

제8장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 현장 적용 ·······································56


제1절 현장 소류력 측정장치 설치 ·······································································56

제2절 현장 측정 ·································································································58
2.1 유속 및 유량 측정 ·········································································································59
2.2 소류력 측정 ····················································································································60

제3절 현장 적용 결과 분석 ·················································································61

참고문헌 ·······················································································93

부록 A 소류력 측정장치 ································································63

- viii -
표 목 차

<표 2.1.1> 호안 파괴 유형 ············································································································17


<표 2.2.1> 급경사수로 (A1 수로) 제원 ··························································································18
<표 3.1.1> 1차, 2차, 3차 고속수로 제원 ······················································································26

<표 3.2.1> Eddy-current sensor의 제원 ····················································································26


<표 3.3.1> 휴대용 초고속 PIV 각부제원 ························································································31
<표 4.4.1> 소류력 측정장치 검증 결과 (예시) ················································································41

<표 5.1.1> 무경사 고속수로 실험 Case 결과 ················································································45

- ix -
그 림 목 차

<그림 1.1.1> 하상에 놓여있는 한 사립자에 작용하는 힘 ···································································2


<그림 1.3.1> Vennard가 고안한 Shear meter ···············································································4
<그림 1.3.2> Strauss가 개발한 Shera meter ················································································5

<그림 1.3.3> Ippen에 개발된 Preston Tube ·················································································5


<그림 1.3.4> 원형수로에서 직⦁간접적으로 측정한 전단응력 분포 ····················································6
<그림 1.3.5> 구간평균 바닥전단응력 산정방법 ·················································································6

<그림 1.3.6> 경계층 흐름의 예 ·······································································································7


<그림 1.3.7> 경계층 흐름에서 흐름방향 평균유속의 연직분포 ···························································8
<그림 1.3.8> 난류의 혼란작용 ·········································································································9

<그림 1.3.9> 바닥으로부터 거리에 따른 전단응력의 연직분포 ·························································10


<그림 1.3.10> 레이놀즈응력 분포를 이용한 바닥전단력 산정법 (Tinoco 와 Cowen, 2013) ···········11
<그림 1.3.11> 벽법칙 ···················································································································12

<그림 1.3.12> 벽법칙을 이용한 바닥전단력 산정 (Pujara 와 Liu, 2014) ·······································13


<그림 2.1.1> 호안의 구조 (하천설계기준·해설, 2009) ····································································14
<그림 2.1.2> 호안의 설치 위치별 종류 (하천설계기준·해설, 2009) ················································16
<그림 2.2.1> 실험 호안블록 내 침상 및 침하 측정지점 ··································································18
<그림 2.2.2> 실험 전·후 블록의 침상 및 침하 여부 ·······································································19
<그림 2.2.3> 사석입경과 한계유속 관계 그래프 ··············································································20
<그림 2.2.4> 블록높이와 한계유속 관계 그래프 ··············································································20
<그림 2.3.1> 미국의 한계 전단력 실험수로 개념도 ·········································································21
<그림 2.3.2> 미국의 한계 전단력 실험 수로 ··················································································21
<그림 2.3.3> 미국의 한계전단력 및 한계유속 계산 예 ····································································22
<그림 2.3.4> 일본의 호안 블록 시험 모습 ·····················································································24
<그림 2.3.5> 일본의 호안 블록의 수리특성치 실험 항목 ·······························································24

- xi -
그 림 목 차

<그림 3.1.1> 본 연구에서 개발된 1차, 2차, 3차 고속수로 ·····························································26


<그림 3.2.1> 1차원 소류력 측정장치 개념도 ··················································································27
<그림 3.2.2> 1차원 소류력 측정장치의 센서 초기값 실험 결과 ······················································27

<그림 3.2.3> 2차원 소류력 측정장치 개념도 ··················································································28


<그림 3.2.4> 탄성봉의 형태 및 재료 ·····························································································28
<그림 3.2.5> 2차원 소류력 측정장치 Eddy-current sensor의 전압값-변위값 관계 그래프 ············29

<그림 3.2.6> 2차원 소류력 측정장치 Eddy-current sensor의 변위값-하중 관계 그래프 ···············29
<그림 3.2.7> 로드셀을 이용한 소류력 측정장치 개략도 ··································································30
<그림 3.2.8> 로드셀을 이용한 소류력 측정장치 ··············································································30

<그림 3.3.1> PIV(Particle Image Velocimetry)의 기본 원리 ·······················································31


<그림 3.3.2> PIV particle test 재료 ····························································································32
<그림 3.3.3> 휴대용 초고속 PIV Frame별 실험결과 ·····································································33

<그림 3.3.4> 영상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측정 데이터 처리 ··························································34


<그림 3.4.1> PIV를 이용한 고유속 흐름 영상 ················································································34
<그림 3.4.2> 유속 프로파일 ········································································································35
<그림 3.4.3> 실측 데이터의 Time table 측정 ···············································································35
<그림 3.4.4> 소류력 산정값 비교 ··································································································35
<그림 4.1.1> 고속수로 모식도 ·······································································································36
<그림 4.1.2> 고속수로 전경 ··········································································································36
<그림 4.1.3> 로드셀을 이용한 소류력 측정장치 개략도 ··································································37
<그림 4.1.4> 로드셀을 이용한 소류력 측정장치 ··············································································37
<그림 4.1.5> 소류력 측정장치 설치 전경 ·······················································································37
<그림 4.1.6> 각 측정장치 측정 지점 ···························································································38
<그림 4.1.7> 초음파 유량계 ··········································································································38

- xii -
그 림 목 차

<그림 4.1.8> 휴대용 초고속 PIV 개념도 ························································································39


<그림 4.1.9> 휴대용 초고속 PIV ···································································································39
<그림 4.1.10> 휴대용 초고속 PIV 측정 전경 ·················································································39

<그림 4.1.11> 초음파 수위계 설치 전경 ························································································39


<그림 5.1.1> 호안블록 설치 모식도 ·······························································································44
<그림 5.1.2> 호안블록 하부 ········································································································44

<그림 5.1.3> 한계소류력을 평가하기 위한 호안블록 ·······································································45


<그림 5.1.4> 호안블록 높이 10 cm 유속 case에 따른 변위 ·························································46
<그림 5.1.5> 호안블록 높이 15 cm 유속 case에 따른 변위 ·························································46

<그림 5.1.6> 호안블록 높이 20 cm 유속 case에 따른 변위 ·······················································47


<그림 5.1.7> 호안블록 이동변위 ··································································································48
<그림 6.1.1> 현장용 소류력 측정 장치 설계도면 ············································································49

<그림 6.2.1> 개발한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 ···············································································50


<그림 6.2.2> 개발한 장치별 측정 데이터 비교 ···············································································50
<그림 6.3.1>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 보호장치 (콘크리트 하우징) ··················································51
<그림 7.1.1> 2017 년도 소류력 측정장치 실내실험 결과 ·······························································52
<그림 7.2.1> 안동실험센터 소류력 측정장치 설치 ··········································································53
<그림 7.2.2> 유량 4m³/s 측정 데이터 ·························································································53
<그림 7.2.3> 유량 5m³/s 측정 데이터 ·························································································54
<그림 7.2.4> 유량 6m³/s 측정 데이터 ·························································································54

<그림 7.3.1> Ratio of  /  ·······································································································55

<그림 8.1.1>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 설치 위치 (김해시 대청천) ···················································56


<그림 8.1.2> 콘크리트 하우징 설치 ·······························································································57
<그림 8.1.3> 콘크리트 하우징 설치 완료 ·······················································································57

- xiii -
그 림 목 차

<그림 8.1.4> 김해시 대청천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 설치 모식도 ··················································57


<그림 8.2.1> 강우량 (2018.07.03) ·······························································································58
<그림 8.2.2> 수위표 설치모습 ·······································································································59

<그림 8.2.3> 소류력 측정장치 설치 횡단면 ····················································································59


<그림 8.2.4> 시간별 유속 및 유량 ································································································60
<그림 8.2.5> 데이터 로깅 모습 ·····································································································60

<그림 8.2.6> 실시간 측정 데이터 ··································································································61


<그림 8.3.1> 현장모니터링 결과 ····································································································62
<그림 8.3.2> 측정 및 계산 소류력 결과 ························································································62

- xiv -
제1장

소류력과 바닥전단응력

제1절 하천흐름과 바닥전단응력


충적하천의 하상과 제방은 흐름에 의해 쉽게 침식되는 사립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흐름이 약하
면 이러한 하상재료는 움직이지 않고 그대로 있을 것이다. 그러나 흐름이 어느 이상이 되면 하상이
나 제방을 구성하는 재료 중 작은 사립자들부터 흐름에 쓸려서 움직이기 시작할 것이다. 흐름이 더
욱 강해지면 커다란 입자들도 움직이게 되고 더욱 커지면 결국 모든 입자들이 움직일 것이다. 이렇
게 흐름에 의해 하상과 제방을 구성하는 사립자들이 움직이기 시작하는 상태를 한계운동(incipient
motion)이라 하며, 이때의 흐름조건을 한계조건(critical condition)이라 한다. 한계조건은 이동
상 수리학의 시작으로, 이때부터 흐름은 물과 유사의 혼합이라는 이상류(two phase flow)가 되어
순수한 물의 흐름보다 더 복잡하게 된다. 한계조건은 이러한 추상적인 의미에 앞서 바닥이 침식되
지 않는 하도나 수로의 설계 등에 기본적인 자료가 된다. 즉, 안정 하도나 수로 설계에서 흐름이
한계조건을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하나의 엄격한 설계기준이 된다. 한계조건은 모래와 같은 비점
착성 유사나 점토와 같은 점착성 유사의 경우가 매우 다르다. 비점착성 유사의 경우 개별입자가 흐
름에 의해 움직이기 시작하나, 점착성 유사의 경우 개별입자의 움직임이 아니라 입자간의 점착력으
로 하상이나 제방에서 덩어리로 떨어져 나간다. 여기서는 비점착성 유사의 한계조건에 한하여 설명
한다.
크기가 균일한 모래를 바닥에 깐 실험실 수로에서의 흐름도 비점착성 유사의 경우에 해당한다.
이러한 균일 하상재료의 경우 개별사립자의 물리적 특성이 같으므로 흐름이 한계조건이 되면 모든
입자들이 동시에 움직이기 시작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으나,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흐름이 어느
정도 커지면 하상에서 무작위로 여기저기서 시시각각 사립자들이 움직이기 시작한다. 이는 흐름에
의한 사립자들의 운동이 단순히 흐름과 하상의 마찰에 의한 것이 아니라 난류에 의한 순간적인 양
력이 하상에서 사립자를 잡아 올려 흐르는 물에 연행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느 순간을 기준으
로 한계조건을 할 것인가 자체가 불확실해진다. 나아가 과연 한계조건이 존재하는가 하는 기본적인
의문이 생긴다. Kramer(1935)는 한계운동 전후에서 사립자들의 운동강도를 ‘약한 운동’, ‘중간 운
동’, ‘강한 운동’ 등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약한 운동은 한계운동의 시작으로 여기저기서 사립자들

- 1 -
이 움직이기 시작하는 단계로, 단위 cm2 당 움직이는 사립자들을 셀 수 있을 정도이다. 다음, 중
간 운동은 이보다 강한 흐름에서 발생하는 운동으로 하상전체에 걸쳐 하상재료의 중간 정도 크기가
움직이기 시작하는 단계로, 눈으로 셀 수는 없으나 그렇다고 하상 형태가 변한다든지 상당한 유사
량이 이송되는 단계는 아니다. 마지막으로, 강한 운동은 하상전체에서 모든 사립자들이 이송을 시
작하는 단계로 하상형태가 변하기 시작하고 상당한 유사량이 이송되는 단계이다.
<그림 1.1.1>과 같이 개수로 바닥 또는 하상에 놓여 있는 구형 사립자에 작용하는 힘은 물속에
서 중력  , 유수에 의한 항력  , 중력에 대한 흐름방향의 마찰력  , 입자 위아래 압력차나 수
  

직방향의 난류에 의한 양력  등이 있다. 여기서 한계조건이란 결국 항력이 마찰력과 같거나 커지


거나( ≥  ), 양력이 중력과 같거나 커지거나( ≥  ), 항력에 의한 전도모멘트  가 양력


    

이나 기타 다른 힘에 의한 저항모멘트  과 같거나 커지게 되면 ( ≥  )입자가 움직이기 시


  

작한다는 것이다.

<그림 1.1.1> 하상에 놓여있는 한 사립자에 작용하는 힘

<그림 1.1.1>과 같이 개수로 바닥 또는 하상에 놓여 있는 구형 사립자에 작용하는 힘은 물속에


서 중력  , 유수에 의한 항력  , 중력에 대한 흐름방향의 마찰력  , 입자 위아래 압력차나 수
  

직 방향의 난류에 의한 양력  등이 있다. 여기서 한계조건이란 결국 항력이 마찰력과 같거나 커


지거나, 양력이 중력과 같거나 커지거나, 항력에 의한 전도모멘트  가 양력이나 기타 다른 힘에 

의한 저항모멘트  과 같거나 커지게 되면 ( ≥  )입자가 움직이기 시작한다는 것이다.


  

한계조건의 해석에는 한계소류력 개념, 한계유속 개념, 양력 개념 등 세 가지 개념이 있다. 한계


소류력 개념은 하상을 쓸어내리는 소류력이 하상재료의 운동에 관련되어 있다고 보는 것으로, 힘의
관계식으로 표시하면  ≥  이다. 한계유속 개념은 인식하기 쉽고 비교적 간단한 관계식으로 표
 

시할 수 있기 때문에 실무에서 지금도 일부 이용되고 있으나, 한계조건은 유속 하나만으로 충분이


설명하기 어렵다.

- 2 -
제2절 소류력과 바닥전단응력
우리는 힘이 계속적으로 작용하는 물체는 가속도를 얻어 그 속도는 시간이 갈수록 변하는 것을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수로나 강물의 흐름은 하류로 가면서 계속 빨라지지 않고 어느 정도 일정한
속도로 흐른다. 다시 말하면 개수로 흐름에는 중력이 지속적으로 작용함에도 불구하고 가속도가 없
다. 따라서 중력에 반하는 힘이 흐름에 지속적으로 작용하여야 한다. 이것이 바로 흐름저항(flow
resistance)이다.
저항이란 물질이 움직임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고체는 물론 유체에서도 공히 존재한다. 고체에
미치는 저항은 땅 위에서 물체를 끌 때 땅과 물체의 경계면에서 생기는 마찰은 물론 돌부리 같은
물체 주위의 장애물에 의해 생기는 직접적인 저항을 생각 할 수 있다. 유체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물의 흐름과 수로 바닥재료의 경계면에 생기는 마찰저항과 바닥에 놓인 장애물에 의해 흐름의 정면
에서 마주치는 형상저항을 생각할 수 있다.
우리가 관심 있는 저항은 개수로 경계면에서의 마찰저항이다. 개수로는 관수로와 달리 반드시
자유수면이 있으며, 따라서 물과 공기와의 마찰은 상대적으로 매우 작으므로 개수로의 전단응력 분
포는 관수로와 달리 근본적으로 비대칭이다. 따라서 전단응력은 수로 바닥이나 측벽에서만 작용하
게 된다. 문제를 어렵게 하는 것은 이러한 전단응력의 분포는 단면형과 단면의 구성재료의 불규칙
성 때문에 더욱 복잡하다는 것이다. 여기서 이차류의 존재는 개수로에서 전단응력의 분포에 대해
해석적인 접근을 매우 어렵게 하고 있다. 이차류는 개수로 흐름에 직각방향으로 흐름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생기는 흐름으로 곡선수로 뿐만 아니라 정도 차이는 있지만 직선수로에서도 발생한다.
결국 이러한 수리변수의 불규칙한 분포문제는 단면의 평균치로서 대표하는 수밖에 없다. 따라서
개수로 경계면에서 전단응력의 분포도 이른바 단면의 평균 전단응력(mean shear stress) 개념을
도입하여 관수로 등 대칭흐름에서 도출된 흐름해석을 적용한다. 이러한 평균 전단응력 개념은 흐름
에 의해 경계면 구성재료가 이동하는 이동상 수리학에서 단면 내 유사이송 능력을 해석할 때 하나
의 기준이 된다.
개수로에서 경계면의 전단응력을 힘으로 표시하는 것을 통상 소류력(tractive force)이라 한다.
이는 흐름이 하상바닥을 쓸면서 내려간다는 의미로서, 특히 이동상 하천에서 흐름에 의해 바닥에서
쓸려 내려가는 유사입자, 즉 소류사를 다룰 때 많이 쓰인다.

- 3 -
제3절 바닥전단응력 측정방법
3.1 직접측정방법
현재 바닥전단응력을 직접 측정하는데 2가지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한가지는 Shear meter 또
는 Shear balance 이고 다른 한가지는 Preston tube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Walter, 1984)

3.1.1 Shear Meter


Shear meter의 원리는 1961년 Vennard에 의해서 고안되었다. 그 방법은 이동판을 탄성봉과
강성지지대에 연결하여 바닥에 설치하여 전단응력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아래 그림에서 볼 수 있듯
이 이동판은 흐름에 의해 생성된 전단응력에 의해 움직이고, 이러한 움직임은 변위계에서 적절한
보정작업 후 전단응력의 크기로 나타내어진다.

<그림 1.3.1> Vennard가 고안한 Shear meter


(Walter, 1998)

1962년 Strauss에 의해 개발된 Shear meter는 Vennard의 것보다 넓은 0.015 m2 이상의


면적의 전단응력을 측정할 수 있으며, 부상이동판은 균형을 이룬 상태로 바닥에 설치한다. 유체의
이동은 부상이동판의 움직임을 야기시키며 그 크기를 전자적으로 기록한다. 그러나 Strauss에 의
해 개발된 Shear meter는 흐름방향을 알고 있을 때 사용이 가능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Strauss는 1964년에 새로운 Shear meter를 개발한다. 이것은 아래 그림과 같이 정상류와 비정
상류 모두에서 사용가능하며 ‘점’전단응력측정을 가능하게 하였다. 부상이동판에 부착된 변형축의
변화는 오직 전단응력에 의존하며 이런 변화는 전자적 저항으로 측정된다. 이 장치는 적절한 보정
후 정상류와 비정상류에서의 난류 전단력 변화를 보여주지만 흐름의 방향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모
든 Shear meter의 단점은 미완성된 기계적 문제와 측정기기 주변의 흐름방해가 있다.

- 4 -
<그림 1.3.2> Strauss가 개발한 Shera meter
(Walter, 1998)

이 때, A: 부상이동판 (10 ㎠); B: 변형 축; C: 막; M: 유체 출구; 1, 2, 3, Rx1, Rx2: 전


자 장치 연결부
3.1.2 Preston Tube
Preston tube의 기술은 간접적인 전단력 측정 및 계산을 직접측정이 가능하게 만들었다.
Ippen 등은 1962년 아래 그림의 장치를 사용하여 사다리꼴 직선 수로에서의 바닥면 전단응력 분
포를 측정하였다.

<그림 1.3.3> Ippen에 개발된 Preston Tube


(Walter, 1998)

유사한 기술을 이용하여 Reploge등은 1966년에 원형 개수로에서의 전단응력을 직접 측정하였


다. 그 결과 전단응력분포는 수심과 원형수로지름의 비 D/Dch에 의존하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전
형적인 결과는 아래 그림과 같으며, 최대 소류력은 수로의 중심선 부근에서 발생하며, 최소 소류력
은 수면 부근에서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 5 -
<그림 1.3.4> 원형수로에서 직⦁간접적으로 측정한 전단응력 분포
(Walter, 1998)

3.2 간접측정방법
바닥전단응력을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은 유속을 측정하여 기 연구된 이론식을 이용하여 평
가하는 방법이다. 간접측정방법에 이용되는 이론식은 일반적으로 구간평균법(Reach-Averaged
Method), 레이놀즈응력산정법(Reynolds Stress Method), 난류운동에너지법(Turbulent
Kinetic Energy)등의 방법이 있다.
3.2.1 Reach-Averaged Method
하천시설물 설계, 시공 및 관리에 있어서 바닥전단응력은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호안 등 시
설물의 허용소류력을 계산하거나, 하천의 유사량을 예측하는 데 있어서 바닥전단응력이 기준으로
쓰인다. 정상 등류의 경우, <그림 1.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로 내 수체에 작용하는 중력과 수
로 바닥 및 측면에 작용하는 마찰력의 평형을 고려함으로써 바닥전단응력을 산정할 수 있다.

<그림 1.3.5> 구간평균 바닥전단응력 산정방법

- 6 -
<그림 1.3.5>에서, 수로와 평행하게 작용하는 수체 무게의 분력 및 바닥 마찰력의 평형은 다음
과 같은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    
  (식 1.3.1)
위의 식에서 ρ는 물의 밀도, g는 중력가속도, A는 수로내 수체의 흐름방향 단면적, L은 유역
평균을 적용하는 구간의 거리, α는 수로의 경사각도, τw 는 구간 내 평균 바닥전단응력, Pw는 윤
변이다. <식 1.3.1>을 τw 에 관하여 풀면,

    sin

(식 1.3.2)
수로의 경사가 작을 경우, sin ≈ tan   이므로,
   (식 1.3.3)
위의 식에서   는 물의 비중이고    는 수리반경이다.
 

<식 1.3.3>은 구간 내 평균 바닥전단응력을 간단하게 산정하는데 유용하지만, 유역 내 하상특성


이 균일하지 않거나 부등류 및 부정류에 적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3.2.2 Reynolds Stress Method
수로 내 국부적인 바닥전단력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산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경계층 흐름에 관한
이해가 필요하다. <그림 1.3.6>는 경계층 흐름의 예이다.

<그림 1.3.6> 경계층 흐름의 예

- 7 -
난류흐름의 경우, 레이놀즈 분해법에 따라 유속을 앙상블 평균값과 난류로 다음과 같이 분리한
다.
U = <U> + u,
V = <V> + v, (식 1.3.4)
W = <W> + w.
위에서, U, V, W는 각각 흐름방향, 연직방향, 횡방향 유속이고, < >는 앙상블 평균, 그리고 u,
v, w는 각각 흐름방향, 연직방향, 횡방향 난류량이다. 경계층 흐름에서 흐름방향 평균유속의 연직
분포는 <그림 1.3.7>에 나타낸 바와 같다.

<그림 1.3.7> 경계층 흐름에서 흐름방향 평균유속의 연직분포

여기서, 시간 t를 긴 시간으로 잡으면


(식 1.3.5)
  
  
〈〉 
 

   〈〉 
 

  〈〉 
  

그리고   의 시간 평균값은 0이 된다.


다음 그림과 같이 유체속의 임의 점에서 x축과 평행한 미소면적 AB를 통과하는 유체의 y방향
의 속도는       〈〉  이지만 유체 흐름이 x방향이므로 〈〉 이 되어    가
된다. 따라서 AB를 통과하는 유체의 운동량에 대한 시간 평균값은 다음과 같다.

- 8 -
<그림 1.3.8> 난류의 혼란작용

(식 1.3.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식의 운동량이 미소면적 AB의 상하로 작용하게 되며, 이를 레이놀즈 응력(Reynolds stress)


이라 한다. 운동량의 변화는 운동방정식에서 관성항에 대응하므로 레이놀즈 응력 는 다음과 같이
표시한다.
   
  (식 1.3.7)
따라서, 벽면의 영향을 고려한 전체의 전단응력은 다음과 같이 된다.
 
     

(식 1.3.8)
그러나 벽에서 떨어진 곳은 제1항이 제2항에 비하여 매우 적으므로 전단응력은 레이놀즈 응력
만으로 표시된다,
   

   

(식 1.3.9)
여기서,  은 와점성계수(eddy viscosity)이다.
위의 <그림1.3.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흐름방향유속은 바닥 근처 즉 y=0 인 부근의 경계층
에서 급격한 변화를 보이고, 경계층 외에서는 바닥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완만하게 증가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경향은 유속이 빠를 때, 즉 레이놀즈 수가 클 때 더 두드러지고, 이에 <그림
1.3.7>에 레이놀즈 수가 큰 경우를 실선으로, 레이놀즈 수가 작은 경우를 점선으로 표시하여 비교
하였다.

- 9 -
전단응력의 연직방향 분포를 구하기 위하여 흐름방향 평균운동량방정식을 고려해본다.
 〈〉 〈〉 〈〉
      (식 1.3.10)
   

위에서 ν는 동점성계수이고, <식 1.3.10>은 정상 등류상태에서 가속도항은 모두 0이고, 압력차


에 의한 힘 (우변 첫번 째 항)과 전단력 (우변 두번 째, 세번 째 항)이 균형을 이루고 있음을 말한
다. 그런데, <식 1.3.10>에서 압력차에 의한 힘은 x만의 함수이고, 나머지 전단력 항들은 y만의
함수이므로,
 
     (식 1.3.11)
 

이다. <식 1.3.11>에서   〈  〉이고,


〈〉
      〈〉 (식 1.3.12)


은 전단응력이다. <식 1.3.11>에서 전단응력은 바닥에서의 거리와 선형관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고, 그 값이 바닥에서 최대값, 자유수면 (개수로일 경우) 또는 관 중앙 (관수로일 경우)에서
0이어야 하므로,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
    
  (식 1.3.13)

위의 식에서 δ는 수심 (개수로일 경우) 또는 관의 반경 (관수로일 경우)이다. 한편, <식


1.3.12>에 나타낸 전단응력의 두 성분 가운데, 첫 번째 항인 점성응력항의 경우, 유속경사에 비례
하므로 바닥에서 최대값을 갖고 경계층 밖에서 급격히 감소한다. 한편 두 번째 항인 레이놀즈 응력
은 경계층 내에서 급격히 증가하여 바닥 근처를 제외하고는 점성응력을 압도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은 두 가지 전단응력의 연직분포를 아래의 그림에 도시하였다.

<그림 1.3.9> 바닥으로부터 거리에 따른 전단응력의 연직분포

- 10 -
바닥전단력 τw는 <그림 1.3.9>의 1번으로 도시한 지점의 값에 해당하는데, 원칙상 바닥근처에
서 유속경사를 정확히 측정하여 점성응력을 계산해야 하고, 이는 실질적으로는 매우 어려운 일이
다. 특히 유속이 커질수록 경계층이 작아지고, 유속경사가 커지기 때문에 그 측정이 더욱 어려워진
다. 그래서 일반적으로는 레이놀즈응력의 연직분포를 구하여 그 최대값으로 바닥전단력을 산정하거
나 <그림 1.3.9>의 2번, 또는 레이놀즈 응력의 선형구간을 외삽하여 바닥과 만나는 지점으로 산정
하는 방법 <그림 1.3.9>의 3번이 흔히 쓰인다. Tinoco와 Cowen (2013)은 개수로에서 정상등류
하의 난류유속장을 정밀하게 측정하여 레이놀즈응력의 분포를 구하고 <그림 1.3.9>의 3번 방법을
이용하여 바닥전단응력을 산정한 바 있다 <그림 1.3.10>.

<그림 1.3.10> 레이놀즈응력 분포를 이용한 바닥전단력 산정법 (Tinoco 와 Cowen, 2013)

3.2.3 Turbulent Kinetic Energy


난류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로서 속도변동의 운동에너지를 말하며 난류운동에서 순간속도  의
변동속도 성분이 시간평균속도  를 기준으로 하여 불규칙하게 나타난다. 순간속도  는 시간평균속
도  와 변동속도 성분 ′ 의 합으로 나타난다.
   ′ (식 1.3.16)

유동이 정상상태이므로 평균속도  는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




     
′  ′  ′  17)
(식 1.3.

- 11 -
TKE와 전단응력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   (식 1.3. 18)
여기서,  는 바닥전단응력, 
  상수,  는 물의 질량 밀도, ′ , ′ , ′ 은 각각의 방향의 속도변
동이다.
3.2.4 Law of Wall
한편 평균유속의 연직분포를 활용하여 바닥전단력을 산정하는 방법도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전단속도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   

(식 1.3.14)
바닥근처의 흐름방향 평균유속과 연직좌표를 전단속도를 이용하여 무차원화 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 〈〉
 

, 
 

(식 1.3.15)
위의 <식 1.3.15>에 정의된 항들은 벽법칙 (Law of the Wall)을 따르는데, 아래의 그림에 도
시하여 설명하였다.

<그림 1.3.11> 벽법칙

- 12 -
<그림 1.3.1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u+와 y+는 y+가 작을 때 선형관계를 따르고, 점차
로그관계를 갖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 바닥전단력을 산정할 때는 평균유속의 연직분포를 구
한 후, 그 결과와 로그분포의 벽법칙을 비교하여 전단속도를 구하는 방법을 쓴다. <그림 1.3.12>에
Pujara와 Liu (2014)가 앞에서 설명한 방법을 사용하는 예를 나타냈다.

<그림 1.3.12> 벽법칙을 이용한 바닥전단력 산정 (Pujara 와 Liu, 2014)

- 13 -
제2장

호안공법과 전단응력

제1절 호안의 정의
호안은 제방 또는 하안의 유수에 의한 파괴와 침식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제방 앞비탈에 설치
하는 구조물로 정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방은 재료 확보와 시공의 용이성, 경제성 등의 이유
로 주로 토사로 축조되며, 유수의 침식작용으로 부터 제방의 앞비탈을 보호하기 위해 호안이 설치
된다.

<그림 2.1.1> 호안의 구조 (하천설계기준·해설, 2009)

1.1 관련 법과 규정
하천설계기준 “설계편 제 24장 호안”에는 다음과 같은 호안 설계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이 제시
되어 있으나, 구체적인 소류력 또는 유속에 대한 기준, 각 호안공법들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법 등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지침에서는 호안공법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시험법을 제안하였으며, 해당 시험법은 호
안공법 중 호안블록 단일체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법이다.

- 14 -
24.2.1일반사항

(1) 호안은 최소 경비로 최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비탈덮기, 기초, 비탈멈춤, 밑다짐의
네 부분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조합하여 설치한다.
(2) 호안의 설계시에는 사용재료의 확보 용이성, 공사비의 절감, 시공상의 용이성, 공사기간
의 단축, 조도, 세굴에 대한 굴요성, 내모마성, 내구성 등을 고려해서 호안의 형태, 시공방
법등을 결정한다.
(3) 이론적 계산에 의해서만 호안을 직접 설계하는 것은 현재의 기술수준으로는 어려우면 이
론의 한계를 감안하여 경험과 이론의 양면에서 고려하여 설계한다.
(8) 호안은 설치 위치에 따라 고수호안, 저수호안, 제방호안으로 구분된다.
(9) 자연형 호안은 치수뿐만 아니라 환경적 측면도 고려하여 설계한 호안을 말하며, 친수/하
천이용 호안, 생태계 보전 호안, 경관보전 호안 등이 있다.
(10) 자연형 호안공법에는 욋가지덮기 호안, 섶단 호안, 나무말뚝·녹색마대 호안, 돌바구니
호안, 나무말뚝·사석쌓기 호안, 사석·야자섬유두루마리 호안, 녹색마대·돌망태 호안, 몰망
태·거석놓기 호안 등이 있다.

24.2.2 설치위치와 연장

(1) 호안의 설치위치와 연장은 하도 내의 수리현상, 세굴, 퇴적의 변화 등을 고려하여 정한


다.
(4) 고수부지의 포락이 진행중이거나 예상되는 지점에는 저수호안을 설치해야 한다.
(5) 호안을 설치해야 하는 경우 소류력 또는 유속에 따라 호안공법을 선정해야한다.
(6) 도시하천에서 비탈경사가 1:2또는 이보다 급경사일 경우에는 전면적으로 호안을 설치한
다.

1.2 호안의 종류
호안은 설치위치에 따라 고수호안, 저수호안, 제방호안 등으로 구분되고, 자연형 호안은 치수뿐
만 아니라 환경적 측면도 고려하여 설계한 호안을 말한다.
고수호안은 홍수 시 앞비탈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한다. 저수호안은 저수로에 발생하는 난류를
방지하고 고수부지의 세굴을 방지하기 위해 저수로의 하안에 설치하며, 일반적으로 홍수 시에는 수
중에 잠기므로 세굴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 제방호안은 고수호안 중 제방에 설치한다. 제방을 직
접 보호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으로 저수로가 제방에 접해 있는 경우, 홍수 시 수충부로 되는 요안
부, 과거에 파괴되었던 부분, 급류하천, 고수부지가 없는 부분 등에 설치한다.

- 15 -
<그림 2.1.2> 호안의 설치 위치별 종류 (하천설계기준·해설, 2009)

자연형 호안은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완경사 호안

친수/하천 이용 호안 계단호안

기타


연 어류보전호안

호 생태계보전호안 곤충보전호안

기타

녹화호안
경관보전호안
조경호안

1.3 호안의 파괴
호안의 적절한 설계 및 공법의 선정을 위해서는 하천특성 뿐만 아니라 호안의 파괴 원인을 파악
하고 그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호안의 파괴원인을 역학적인 관점에서 살
펴보면 다음과 같이 7가지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각각의 경우 파괴에 도달하는 과정을 개략적
으로 설명하면 다음 <표 2.1.1>과 같다.

- 16 -
<표 2.1.1> 호안 파괴 유형

구분 내용

세굴의 발생에 의해 제방 또는 하안을 지


지지토압의
지하는 토압이 감소하여, 흙의 활동이 발
저하에
생하고 호안 자체가 자중에 의해 미끄러져
의한 파괴
파괴되는 유형
국부
세굴
공동의 세굴이 호안기초까지 도달하여 기초의 바
발생에 닥이 들떠서 호안내의 토사가 유출되어 공
의한 파괴 동을 형성하여 파괴되는 유형

블록의 마찰력보다 유수력이 크게 되면


이동․유출이 발생하게 되고, 하나의 블록이
유수력에 의한
유출되면 그 주변의 블록에 작용하는 유수
블록유출 파괴
력이 증대하여 유출범위가 점차로 확대되
어 파괴되는 유형

연결블록 등 전체가 매트형상으로 연결되


유수력에 의한
어 굴요성이 있는 호안에 발생하는 파괴형
이음매 파괴

호안사면내의 토사가 흡출되어 호안전체


흡출파괴
가 파괴되는 유형

호안의 비탈경사가 급한 경우는 잔류수압


잔류수압에 의한
과 토압이 호안을 하천 측으로 전도시키게
파괴
되고 토질강도가 저하되어 파괴를 초래함

호안머리를 월류하는 홍수 시 또는 저수
호안에 고수부까지의 수위가 상승한 경우
호안머리의
호안머리 보호공의 배후가 침식되어 호안
침식파괴
내를 공동화시킴으로써 호안의 파괴를 초
래함

홍수 시 돌, 유목 등이 호안에 직접적인
직접 충격에 의한 충격을 가하여 파괴되는 것으로, 하상경사
파괴 가 급하고 유속이 빠른 산지하천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파괴 유형

- 17 -
제2절 호안 안정성 관련 연구
2.1 실규모 실험 연구
본 과제에서 기 개발된 호안공법의 안정성 평가를 위하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안동하천실험센터
급경사수로 (A1 수로)에서 실규모 실험을 진행하였다.
<표 2.2.1> 급경사수로 (A1 수로) 제원

항목 제원
3
최대공급가능 유량 (m /s) 10
수로길이 (m) 594
바닥폭 (m) 3
경사 1:70 ~ 1:800

급경사수로 내 블록이 설치된 포트의 크기는 1.5 m * 10.0 m 로 본 과제에서 설치한 실험 블


록은 블록형 호안공 6.0 m, 현장타설 호안공 4.0 m로 설정하였다. 설치된 호안블록은 평균입경
15 mm 골재를 사용하여 가로 1.0 m * 세로 1.0 m * 두께 0.15 m 의 블록 2개, 가로 1.0 m
* 세로 1.0 m * 두께 0.20 m의 블록 2개, 가로 1.0 m * 세로 1.0 m * 두께 0.25 m 의 블록
2개를 제작하여 설치하였다.
실규모 실험 진행 방법은 미국 ASTM D7277-08(ASTM 2014)을 참조하여 목표 유량을 4시
간 이상 지속하여 공급했을 경우에 블록의 안정성 여부를 평가 하였다. 설계 유량과 유속은 각각
2.5 m3/s와 1.5 m/s로 설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블록의 안정성 평가를 위하여 실험 전·후의 블록이 침상 및 침하 여부를 측정하였다. 이 결과를
도식화한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실험 후 각 블록의 상하 이동은 약 ±3mm로서 미미하였다. 6개
실험 블록 중에서 1, 2, 3 실험 블록의 경우 블록 내 측정 지점의 높이가 평균 1.41 ~ 2.58
mm하강한 것으로 보아 블록 하부 기초 쇄석의 세굴로 블록 침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4. 5, 6 실험 블록의 경우 블록 내 측정 지점의 높이가 평균 0.50 ~ 0.95 mm 상승한 것으로
보아 1, 2, 3 실험 블록 하부에서 세굴된 기초 쇄석의 유입으로 인한 침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다.

<그림 2.2.1> 실험 호안블록 내 침상 및 침하 측정지점

- 18 -
<그림 2.2.2> 실험 전·후 블록의 침상 및 침하 여부

2.2 고속수로 실험 연구
실험실 규모의 실험을 위하여 개발한 고속수로를 이용하여 호안블록의 수리적 안정성 평가를 실
시 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1차 고속수로는 총 길이 6 m, 수로구간 5 m로서, 수로의 폭과 높이는 각각
0.3 m 이다. 최대유속은 경사를 주었을 때 3.5 m/s까지 규현할 수 있으며, 수평 경사에서는 2.8
m/s까지 구현이 가능하다.
실험에 사용한 호안블록은 5 mm, 13 mm, 20 mm의 평균입경을 가지는 사석을 이용하여 제
작하였으며, 블록의 크기는 각각 10가지 크기를 만들었으며, 13 mm 사석에 대해서는 한계유속
실험을 위하여 높이 70 mm와 90 mm를 추가로 제작하였다.
실험 결과 사석의 입경에 따른 한계유속은 사석의 평균입경이 커질수록 한계유속이 2.05 m/s
에서 2.24 m/s로 증가하였다.
13 mm 사석을 이용한 호안블록의 높이에 따른 한계유속 실험 결과는 아래 그림과 같이 블록의
높이가 클수록 한계유속이 작게 나타났다. 이는 블록의 높이가 클수록 공칭직경은 크지만, 유수면
적이 커져서 사석이 받는 항력도 커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19 -
<그림 2.2.3> 사석입경과 한계유속 관계 그래프

<그림 2.2.4> 블록높이와 한계유속 관계 그래프

제3절 국외 호안 안정성 평가 방법
3.1 미국
미국의 경우에는 ASTM(미국재료시험학회) 기준으로 호안 블록 및 식생매트에 대한 실규모 시
험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 기준에 따라 실규모 실험을 수행하고 개별 제품별로 호안블록 및
식생매트의 허용 유속 및 허용 소류력이 제시되고 있다.
미국에서 사용 중인 실험 수로는 다음 그림과 같은 형태를 가지는데 블록 설치 구간 하부에는
토층을 기반층으로 구성한다. 기반층의 두께는 최소 300 mm이며 100 ~ 150 mm정도를 덧붙여
서 구성한다. 수로의 형태는 직사각형 단면으로 구성하는데 수로의 최소 폭은 1.2 m이다<그림
2.3.1>. 실험 수로의 수평면 및 경사면에 블록을 설치할 때는 제조사가 제시하는 시공방법에 따라
적절한 필터(토목섬유, 자갈층 등)와 토층을 함께 시공한다.

- 20 -
<그림 2.3.1> 미국의 한계 전단력 실험수로 개념도

<그림 2.3.2> 미국의 한계 전단력 실험 수로

수리특성은 일정한 유량을 4시간 동안 방류하여 시험하는데, 4시간 방류 후에 변형, 토양 손실,


필터층 등의 손상이 없을 경우에 유량을 증가시켜 시험을 수행한다. 측정은 고유속 상태에서 수위
및 유속에 대해 수행하며 이를 평가하여 조도계수, 한계전단력(한계소류력), 한계유속 등을 결정한
다.
실험에 의해서 단면 평균 유속  를 결정하며 다음 식에 의해서 각 측점에서의 총수두(EGL,


energy grade line elevation)를 계산한다.



     cos   

(식 2.3.1)
각 지점의 총수두를 이용하여 구간의 에너지 경사를 결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바닥
면의 평균 소류력을 계산한다.
   
  (식 2.3.2)

- 21 -
마찰경사  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2개 이상 측점에서의 자료와 대표 수심이 필요한데 마찰경사

 는 일반적으로 측정 자료의 선형회귀분석을 통해서 결정되며, 대표 수심은 측정 수심을 평균하여


사용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운동량 방정식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  

 
      sin        cos      
  
(식 2.3.3)

<그림 2.3.3> 미국의 한계전단력 및 한계유속 계산 예

- 22 -
3.2 일본
일본의 경우에는 호안 블록에 대한 축소실험을 통해서 항력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서 호안 블록
에 대한 항력계수를 제시하고 있으며 설계단계에서 항력계수에 의한 블록의 안정성을 평가하고 있
다. 그러나 최근에는 항력계수에 의한 안정성 평가가 세굴에 의한 파괴를 고려할 수 없으므로 세굴
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안정성 평가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일본은 호안블록의 고유 수리특성은 ‘호안 블록의 수리성능 시험법 매뉴얼(1999)’에 따라 재단
법인 토목연구센터가 실시하고 있는 수리특성 시험에 의해 평가하고, ‘호안의 역학 설계법(1999)’
에 따라 외력 및 내력을 고려하여 안정성 검토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토목연구센터에 대학⦁건설성의 관계자를 위원으로 ‘호안 블록 시험법 검토위원회’를 설치
해, 실제로 수리실험을 실시하여 시험법을 책정하였으며, 1999년 7월에 ‘호안 블록의 수리특성치
시험법 매뉴얼’을 제시하였다.
호안 블록의 수리특성치 실험에는 ‘호안의 역학 설계법’에 이용되는 다음 그림과 같은 4가지 항
목에 대한 계측을 실시하고 있다.
① 단체(単体) 설치시의 항력계수ㆍ양력계수
② 군체(群体) 설치시의 항력계수ㆍ양력계수
③ 군체 상류단의 블록에 작용하는 항력ㆍ양력에 의한 회전 반경
④ 상당조도

실험에 의한 항력 계수 및 양력 계수는 다음 식에서 계산한다.


    (식 2.3.4)
       

 (식 2.3.5)
여기서  및 은 각각 계측된 항력 및 양력이며,  는 항력작용 면적으로 흐름에 대한 수평

방향의 전체 투영면적이며,  는 양력 작용 면적으로 설치면과 연직한 전체 투영 면적이다. 블록


부근 유속  는 단체 불록에서는 블록 천단 위치에서의 유속이 되며 군체 블록의 경우에는 상당조


도 높이에서의 유속이 된다. 상당조도는 단면 연직 평균유속을 이용해 계산하는데 마찰속도  에 

대해서는 군체시험에서의 항력을 이용해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여기서  는 단면 연직 평균 유속


이다.



    log 


  (식 2.3.6)
 




 
(식 2.3.7)

- 23 -
⒜ 단일 블록 시험 (b) 군체 블록 시험
<그림 2.3.4> 일본의 호안 블록 시험 모습

(a) 단체(単体) 설치시의 항력계수ㆍ양력계수 (b) 군체(群体) 설치시의 항력계수ㆍ양력계수 및 상당조도

(c) 군체 상류단의 블록에 작용하는 항력ㆍ양력에 의한 회전 반경

<그림 2.3.5> 일본의 호안 블록의 수리특성치 실험 항목

- 24 -
제3장

소류력 평가를 위한 고속흐름 분석 요소기술

효율적인 하천 유지 관리에 있어 소류력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소류력을 직접 측정하는 장치가 없어 유량 및 유속 자료를 이용한
경험식에 의존하여 간접적으로 계산하여 이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로 바닥에 설치하여 직접적으로 소류력을 측정하는 장치를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한 소류력 측정장치를 현장용으로 확대하여 4차 산업혁명시대에 하천관리를 위한 수리
자료 획득과 확보된 Big data를 활용하여 효율적 하천 유지 관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제1절 고속수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고속수로는 총 3가지 모델이며 각 수로의 제원 및 모습은 다음 <표 3.1.1>
와 <그림 3.1.1>과 같다.
◦ 1차 고속수로 : 호안블록의 수리적 안정성 평가방법 개발을 위한 고속수로 첫 번째 모델로
가변경사형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최대유속은 경사를 주었을 때 3.5 m/s 까지 구현할 수
있으며 수평경사에서는 2.8 m/s 까지 구현이 가능하다. 그러나 3.0 m/s 이상의 고유속 흐름이
안정화가 되지 않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 2차 고속수로 : 1차 고속수로의 단점인 고유속 흐름 안정화를 위하여 개발된 2차 고속수로
는 1차 고속수로와 동일한 가변경사형이다. 최대유속은 경사를 주었을 때 5.0 m/s 까지 구현할
수 있으며 수평경사에서는 3.5 m/s 까지 구현이 가능하다. 그러나 2차 고속수로 또한 고유속에
서의 흐름이 안정화 되지 않으며 수평경사시에는 수로 하류단에서 상류로 전이되는 도수가 발생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 3차 고속수로 : 호안블록의 수리적 안정성 평가방법 개발을 위해 개발된 고속수로의 3차 변
형 모델로 1차, 2차 고속수로에서의 가변경사형이 아닌 무경사형태로 개발되었다. 3차 고속수

- 25 -
로에서 구현 가능한 최대유량 및 유속은 0.3 CMS 및 7.0m/s까지 구현이 가능하며 수로의 도
입부에 정류탱크와 수위조절수문을 있어 수위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표 3.1.1> 1차, 2차, 3차 고속수로 제원

항목 1차 고속수로 2차 고속수로 3차 고속수로


폭(m) 0.3 0.3 0.3
수심(m) 0.3 0.3 0.3
길이(m) 5.0 5.0 10.0
3
최대유량(m /s) 0.15 0.15 0.30
최대유속(m/s) 3.5 5.0 7.0
비고 가변경사형 가변경사형 무경사형

(a) 1차 고속수로 (b) 2차 고속수로 (c) 3차 고속수로

<그림 3.1.1> 본 연구에서 개발된 1차, 2차, 3차 고속수로

제2절 소류력 측정장치


본 연구에서 개발한 소류력 측정장치의 기본개념은 Vennard(1961)와 Strauss(1964)가 개발
한 Shear meter를 기초로 하고 있다. 전단판을 알루미늄 판으로 연결하여 통수 시 알루미늄 판의
휨정도를 Eddy-current sensor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바닥면에서 작용하는 소류력을 측정하는 장
치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하고 있는 Eddy-current sensor의 세부 제원은 아래 <그림 3.2.1>와 같다.

<표 3.2.1> Eddy-current sensor의 제원

Near Gap 350 μm

Range 2000 μm

Target 1 ~ 6061 Aluminum

Output 0 ~ 10 V DC

Sensitivity 5.0 mV/μm

- 26 -
2.1 1차원 소류력 측정장치
본 연구에서 개발한 1차원 소류력 측정 장치는 전단판을 알루미늄 판으로 연결하여 통수 시 알
루미늄 판의 휨정도를 Eddy-current sensor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바닥면에서 작용하는 소류력을
측정하도록 설계하였으며 개념도는 다음 <그림 3.2.1>과 같다.

<그림 3.2.1> 1차원 소류력 측정장치 개념도

여기서, ①은 전단판 또는 이동판으로 크기는 0.141 cm * 0.096 m(넓이 0.014 m2)이며 ②


는 ③의 이동을 측정하는 Eddy-current sensor이며 알루미늄 판의 휨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하
중평형장치실험을 통한 초기값 실험이 선행되어야 한다. ③은 ①의 전단판과 바닥의 강성지지대를
연결해주는 탄성봉으로 알루미늄 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④은 전단판의 이동 크기를 기준으로 하는
Eddy-current sensor 타겟판이다. 이때, 타겟판은 알루미늄이어야 한다. ⑤은 ③의 알루미늄 판
을 고정시켜주는 고정대이다.
개발된 1차원 소류력 측정장치 Eddy-current seosor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데이터로고를 통하
여 컴퓨터로 전달되며 데이터 값은 0.0 ~ 9.995 V사이의 전압값으로 나타내어진다. 이런 전압값
으로 나타내기 위해서 하중평형장치 실험을 통한 각 하중에 대한 전압값과 변위값을 측정하고 측정
된 결과를 바탕으로 아래 그림과 같은 하중-변위값, 전압값-변위값 사이의 관계를 이용하여 전단판
이 받고 있는 전단응력을 계산한다.

(a) 하중-변위값 (b) 전압값-변위값

<그림 3.2.2> 1차원 소류력 측정장치의 센서 초기값 실험 결과

- 27 -
2.2 2차원 소류력 측정장치
본 연구에서 개발한 1차원 소류력 측정 장치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흐름방향 뿐만 아니라
그 직교하는 방향의 소류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2차원 소류력 측정장치를 개발하였으며 2차원 소
류력 측정장치는 전단판을 스테인리스봉으로 연결하여 통수 시 스테인리스봉의 휨정도를 Eddy
-current sensor로 측정하여 바닥면에서 작용하는 소류력을 측정하도록 설계하였고 개념도는 아래
<그림 3.2.3>과 같다.

<그림 3.2.3> 2차원 소류력 측정장치 개념도

2차원 소류력 측정장치 개발에 있어 두방향(흐름방향, 흐름의 수직방향)의 움직임을 적절히 측


정할 수 있는 전단판 지지대 재료 선정을 위해 <그림 3.2.4>와 같은 타입 및 스테인리스, 구리, 철
을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스프링 타입의 경우 각 스프링 마다 탄성이 다른 점과 바
닥 지지대와의 결합 시 결합되는 면적에 따라 탄성력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파이프 타입의 경우 타입의 특성상 전체적인 두께의 차이가 발생하며, 일정 강도 이상으로 지지대
와 연결 시 탄성봉이 찌그러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2차원 소류력 측정장치의 탄성봉으로는 적절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봉 타입의 경우 파이프 타입과 같은 단점이 없으며, 스테인리스, 구리 및
철에 대한 재료별 실험결과 구리와 철의 경우 부식현상이 발생하여 부식현상에 강하고 일정한 탄성
력을 가진 봉 타입의 스테인리스 재료를 2차원 소류력 측정장치의 탄성봉으로 선택하였다.

(a) 스프링 타입 (b) 파이프 타입 (c) 봉 타입

<그림 3.2.4> 탄성봉의 형태 및 재료

- 28 -
1차원 소류력 측정장치와 마찬가지로 Eddy-current seosor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데이터로고
를 통하여 컴퓨터로 전달되며 데이터 값은 0.0 ~ 9.995 V 사이의 전압값으로 나타내어진다. 이
런 전압값으로 나타내기 위해서 하중평형장치 실험을 통한 각 하중에 대한 전압값과 변위값을 측정
하고 측정된 결과를 바탕으로 아래 그림과 같은 두방향 전압값-변위값 사이의 관계를 이용하여 전
단판이 받고 있는 전단응력을 계산한다.

(a) x축 방향 (b) Y축 방향

<그림 3.2.5> 2차원 소류력 측정장치 Eddy-current sensor의 전압값-변위값 관계 그래프

(a) x축 방향 (b) Y축 방향

<그림 3.2.6> 2차원 소류력 측정장치 Eddy-current sensor의 변위값-하중 관계 그래프

개발된 2차원 소류력 측정장치의 경우 기존 소류력 공식과 비교해서 ± 10%의(2.0 ~ 3.0


m/s의 유속 기준) 오차율을 보이고 있어, 비교적 적절하게 측정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2.3 로드셀을 이용한 소류력 측정장치


기 개발된 2차원 소류력 측정장치의 경우 소류력 측정에 있어 탄성봉 재료에 따라 측정되는 소
류력 값이 달라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재료에 따라 측정값이 달라지는 오차를 줄이기 위
해 로드셀과 LM가이드를 이용하여 무경사 고속수로에서 실험이 가능한 로드셀을 이용한 소류력
측정장치를 개발하였다.

- 29 -
<그림 3.2.7> 로드셀을 이용한 소류력 측정장치 개략도

로드셀을 이용한 소류력 측정장치의 구성은 측정장치 보호를 위한 아크릴로 하우징, LM가이드
4개, 로드셀 4개, 아크릴 전단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수에 의해 전단판에 가해지는 힘을 로드셀
로 직접 측정한다.

<그림 3.2.8> 로드셀을 이용한 소류력 측정장치

- 30 -
제3절 고유속 측정장치 (PIV)
3.1 휴대용 초고속 PIV 구성
기존 소류력 관련식을 이용한 소류력 계산은 유속측정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3.0 m/s이상의
고유속은 유속측정이 매우 어렵다. 본 연구에서 호안공법의 수리적 안정성 평가를 위한 목표유속은
3.0 m/s 이상이므로 고유속을 측정하기 위해 휴대용 초고속 PIV를 개발하였다. PIV(Particle
Image Velocimetry)의 기본 원리는 아래 그림과 같이 주어진 시간간격(△t)동안 유체와 함께 움
직인 미세한 입자들의 변위정보를 카메라와 같은 영상입력장치를 이용하여 화상데이터로 저장한
후, 디지털 화상처리기법을 이용하여 입자변위를 계측하고 시간간격(△t)로 나누어줌으로써 속도를
추출하는 것이다.

<그림 3.3.1> PIV(Particle Image Velocimetry)의 기본 원리

본 연구에서 개발한 휴대용 초고속 PIV(Particle Image Velocimetry)는 위의 PIV원리를 기


초로 개발되었으며, Laser, Cylindrical lens, Reflector lens, High frame rate camera로 구
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휴대용 초고속 PIV는 휴대성과 편리성을 가지고 있으며, 각부
제원은 다음 표와 같다.

<표 3.3.1> 휴대용 초고속 PIV 각부제원

기기 항목 제원 기기 항목 제원

Dimensions 138 mm * Φ 20 mm 240 FPS


Camera Frame 480 FPS
Output Power 200 mW 1000FPS
Laser
Modulation 500 KHz Reflector 1000 mmFL
Lens
Dot 30 V Cylindrical -25 mm

- 31 -
3.2 PIV particle test
(1) PIV particle test 재료
◦ 본 연구에서 개발한 PIV를 활용하기 위하여 PIV 입자재료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에 사용
된 재료는 화이트샌드, 규조토, PC가루 3가지 종류에 대하여 진행을 하였으며, 각 입자별 입경
크기는 화이트 샌드 0.3 ~ 0.6 mm, 규조토는 0.15 ~ 0.2 μm, PC가루는 2.0 ~ 3.0 mm
이다.
(2) PIV particle test 결과
◦ 규조토를 사용하여 PIV실험을 진행한 결과 유체(물)와 규조토입자가 혼합되어 유속 분석이
불가능하며, PC가루의 경우 입자가 촬영되지 않아 유속 분석이 불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화이트 샌드 사용시 PIV유속 분석에 용이하나, 주입량에 대한 추가 실험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 화이트 샌드 (b) 규조토 (c) PC(Polycarbonate) 가루


<그림 3.3.2> PIV particle test 재료

(3) PIV Frame test 결과


◦ 1000 FPS의 경우 많은 Frame 촬영으로 인한 유속분석 오차가 낮고 입자가 늘어지지 않았
으며 포착되는 particle의 수가 많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비교적 해상도가 낮았다.
◦ 480 FPS의 경우 유속 분석시 비교적 오차가 낮으며 비교적 높은 해상도로 인한 particle
포착이 용이한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포착되는 particle의 수가 적었다.
◦ 240 FPS의 경우 해상도가 높은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전체적으로 입자가 길게 늘어지는 현
상이 발생하여 유속 분석시 편차가 심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 32 -
(a) 1000 FPS (b) 480 FPS (c) 240 FPS
<그림 3.3.3> 휴대용 초고속 PIV Frame별 실험결과

- 33 -
3.3 측정데이터 처리
휴대용 초고속 PIV(Particle Image Velocimetry) 측정데이터는 영상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
여 영상 자료의 각 Frame별 유속을 분석하고, 흐름방향의 난류항과 수직방향의 난류항을 산출한
후 Reynolds Stress식을 이용한 소류력을 계산한다.

(a) 각 지점별(Frame별) 유속(예시) (b) 각 유속별 소류력(예시)

<그림 3.3.4> 영상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측정 데이터 처리

제4절 데이터 처리를 위한 소프트웨어


4.1 고속 흐름에 특화된 입자영상추적 및 이와 연관된 수리계측장비 측정결과들을
동시 비교 해석 프로그램
본 연구에서 개발된 고속수로, 소류력 측정장치, 휴대용 초고속 PIV와 초음파 유량계, 초음파
수위계로 실제로 측정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크게 4가지 단계로 구성되어있다.
① 휴대용 초고속 PIV를 이용하여 고유속 조건의 흐름영상을 촬영
-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유속, 난류, 난류강도등 산정

<그림 3.4.1> PIV를 이용한 고유속 흐름 영상

- 34 -
② ①에서 추출한 유속 및 난류 항을 이용하여 유속 프로파일 측정
- 측정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Reynolds Stress 산정

<그림 3.4.2> 유속 프로파일

③ Reach-average Method를 이용한 소류력 산정


- 소류력, 유속, 수위, 유량 등의 실측 자료를 이용하여 소류력 산정

<그림 3.4.3> 실측 데이터의 Time table 측정

④ 각각의 소류력 산정 및 통`합 비교

(a) 소류력 측정장치 - Reach-average식 비교 (b) 3가지 소류력 전체 비교

<그림 3.4.4> 소류력 산정값 비교

- 35 -
제4장

무경사 고속수로를 활용한 호안블록 안정성 평가 방법

제1절 시험장치
시험장치는 다양한 고유속을 재현하기 위한 무경사 고속수로, 소류력 측정장치, 수리특성 측정
장치로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1.1 무경사 고속수로
실험 수로는 무경사 고속수로로 저수조, 고수조, 유입수로, 유량조절 측방향수문, 수위조절용수
문, 회귀수로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대 유량 0.3 ㎥/s, 최대유속 7.0 m/s 에 대한 실험을 수
행할 수 있다.

<그림 4.1.1> 고속수로 모식도 <그림 4.1.2> 고속수로 전경

<표 4.1.1> 무경사 고속수로 제원

구분 내용 구분 내용

폭 0.3 m 유량 0 ~ 0.25 m3/s

수심 0.3 m 유속 0 ~ 7.0 m/s

길이 10.0 m

- 36 -
1.2 소류력 및 수리특성 측정장치
1.2.1 소류력 측정장치
본 장치는 전단판을 LM가이드로 고정하여 유수에 의해 전단판에 가해지는 힘을 로드셀을 이용
하여 소류력을 직접 측정하는 장치이다.

<그림 4.1.3> 로드셀을 이용한 소류력 측정장치 개략도

<그림 4.1.4> 로드셀을 이용한 소류력 측정장치

<표 4.1.2> 2차원 소류력 측정장치 명칭 및 기능

구분 명칭 기능
1 전단판 유수에 의한 힘을 받는 부분
2 로드셀 전단판이 받는 힘을 측정
3 LM가이드 유수의 힘을 받아 전단판을 움직이게 하는 부분

<그림 4.1.5> 소류력 측정장치 설치 전경

- 37 -
1.2.2 수리특성 측정장치
◦ 측정방법 및 지점
소류력 측정장치 평가를 위하여 유량, 유속, 수위, 소류력을 측정하며 각 측정 위치는 아래 <그
림 4.1.6>과 같다.

<그림 4.1.6> 각 측정장치 측정 지점

(1) 유량계
고수조에서 공급된 유량은 공급관에 부착된 초음파 유량계(Ulsoflow 309S)를 통하여 측정되며
초음파 유량계의 측정정도는 ±1.0%이다.

<그림 4.1.7> 초음파 유량계

(2) PIV 유속계


유속은 실험 수로의 6.0 m 지점에 설치된 소류력 측정장치와 동일한 위치에서 개발된 휴대용
초고속 PIV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 38 -
<그림 4.1.8> 휴대용 초고속 PIV 개념도 <그림 4.1.9> 휴대용 초고속 PIV

<그림 4.1.10> 휴대용 초고속 PIV 측정 전경

(3) 초음파 수위계


소류력 측정장치와 시험블록구간 사이 4지점에서 초음파수위계(LT-100)를 이용하여 측정하며
초음파 수위계의 측정정도는 ±0.25 %이다.

<그림 4.1.11> 초음파 수위계 설치 전경

- 39 -
제2절 측정요소 및 측정방법
2.1 유량
◦ 실험유량은 초음파 유량계를 이용하여 측정하며, 실험 수로에서의 측정된 유속 및 수심을 이
용하여 유량을 재검토한다.
2.2 수위
◦ 해당 유속 케이스에서 흐름이 정류상태로 판단될 경우부터 수위를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2.3 유속
◦ 해당 유속 케이스에서 흐름이 정류상태로 판단될 경우부터 유속을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2.4 소류력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소류력 측정장치의 검증을 위해 기존의 이론식(Reynolds stress,
Reach-averaged)과 비교하였으며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로드셀을 이용한 소류력 측정장치
- 기 개발된 바닥전단응력계를 이용하여 전단응력을 직접 측정하는 방법
- 해당 유속 케이스에서 흐름이 정류상태로 판단될 경우부터 소류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② Reynolds Stress 공식
- 기 개발된 휴대용 초고속 PIV를 이용하여 유속을 측정하고, Reynolds stress 응력공식을 이
용하여 전단응력을 산정하는 방법
- 해당 유속 케이스에서 흐름이 정류상태로 판단될 경우부터 영상을 촬영한다.
③ Reach-averaged 공식
- 초음파 유량계, 초음파 수위계를 이용하여 유량 및 수위를 측정하고, Manning 평균 유속공
식 등에 적용하여 평균전단응력을 산정하는 방법
- 해당 유속 케이스에서 흐름이 정류상태로 판단될 경우부터 유량, 수위를 실시간으로 측정한
다.

- 40 -
제3절 시험순서
1) 시험은 최소 4개 유량(유속) 케이스에 대하여 시험한다.
2) 유량 공급 시스템의 안정화를 위하여 약 10분의 간격으로 유량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킨다.
3) 목표 유량에 도달하면 흐름을 정류상태로 유지한다.
4) 시험의 기본 케이스는 유속 3.0, 3.5, 4.0, 4.5, 5.0, 5.5, 6.0 m/s 이며, 공급가능한 최
대유량, 유속을 고려하여 유량 케이스를 조정할 수 있다.
5) 시험 유량의 유하시간은 0.5시간으로 한다.
6) 시험 유량의 유하시간 동안 측점에서 수위, 유속, 소류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7) 유속은 휴대용 초고속 PIV 및 유량-수위관계에서 평균유속으로 측정한다.
8) 사진과 비디오 영상으로 시험 진행 과정을 촬영한다.
9)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결과분석을 실시한다.

제4절 결과분석
1) 이 시험은 고유속에 수심이 얕은 사류 상태에서 시험이 수행되므로 측정 시의 작은 오차에
의해 유량, 소류력 계산에서 큰 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결과 분석에 주위가 필요
하다.
2) 각 케이스별 소류력은 로드셀을 이용한 소류력 측정장치 측정값, Reynolds stress를 이용
한 소류력값, Reach-averaged 공식을 이용한 소류력값을 비교 평가한다.

<표 4.4.1> 소류력 측정장치 검증 결과 (예시)

소류력
평균유속 (kg/㎡)
(m/s) 로드셀을 이용한
Reynolds Reach-average
소류력 측정장치
3.0 3.6 3.5 3.5
3.5 4.2 5.0 4.8
4.0 6.0 6.7 6.5
4.5 8.1 8.9 8.5
5.0 13.3 13.5 13.0

- 41 -
제5장

호안블록의 수리적 안정성 평가 적용

무경사 고속수로를 활용한 호안블록의 안정성 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호안블록의 수리적 안정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제1절 호안블록의 규모에 따른 한계소류력 및 항력에 대한 복합적 평가


① 호안블록의 규모에 따른 한계소류력 평가
- 20 mm 사석으로 구성된 높이가 다른 3가지 호안블록 제작 (10 cm, 15 cm, 20 cm)
- 실험수로의 7.5 m 지점에 위치한 시험블록 port에서 블록 설치
- 수문 H – 0.12 m 고정 후 유량 4case (0.06, 0.08, 0.10, 0.11 cms)에 따른 블록 이동여
부 체크
-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속은 최소 2.23 m/s 에서 최대 4.00 m/s 로 증가
- 고속수로 내에 일정한 유량을 3시간 이상 유하시켜 이동변위 관측
- 2차원 소류력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실시간 소류력 측정
- 블록 전면부에 설치된 변위계를 이용하여 실시간 변위측정

<그림 5.1.1> 호안블록 설치 모식도 <그림 5.1.2> 호안블록 하부

- 44 -
(a) 10 cm 호안블록 옆모습 (b) 15 cm 실험블록 옆모습 (c) 20 cm 호안블록 옆모습

(d) 10 cm 호안블록 윗모습 (e) 15 cm 호안블록 윗모습 (f) 20 cm 호안블록 윗모습

<그림 5.1.3> 한계소류력을 평가하기 위한 호안블록

<표 5.1.1> 무경사 고속수로 실험 Case 결과

호안블록
블록 유속 유량 수심 유속 소류력 블록변위
높이
Case Case 여부
cm m3/s m m/s kgf/m2
1-1 10 0.0628 0.0896 2.335 2.301 ○
1-2 10 0.0802 0.0914 2.923 2.858 ○
1
1-3 10 0.0969 0.0893 3.616 3.913 ○
1-4 10 0.1102 0.0920 3.989 4.655 ○
2-1 15 0.0600 0.0896 2.231 2.272 ×
2-2 15 0.0790 0.0914 2.880 2.700 ×
2
2-3 15 0.1000 0.0893 3.731 4.279 ×
2-4 15 0.1106 0.0920 4.004 4.676 ×
3-1 20 0.0620 0.0896 2.305 2.364 ×
3-2 20 0.0810 0.0914 2.953 2.797 ×
3
3-3 20 0.1012 0.0893 3.776 4.244 ×
3-4 20 0.1107 0.0920 4.007 4.381 ×

- 45 -
<그림 5.1.4> 호안블록 높이 10 cm 유속 case에 따른 변위

<그림 5.1.5> 호안블록 높이 15 cm 유속 case에 따른 변위

- 46 -
<그림 5.1.6> 호안블록 높이 20 cm 유속 case에 따른 변위

- 47 -
② 이동변위가 발생한 10 cm 호안블록 추가실험
이동변위가 발생한 높이 10 cm 호안블록 사용
- 수문 H – 0.12 m 고정 후 유량 0.06~0.11 cms 로 증가시키며 블록 이동여부 체크
-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속은 최소 2.12 m/s 에서 최대 3.96 m/s 로 증가
- 2차원 소류력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실시간 소류력 측정
- 블록 전면부에 설치된 변위계를 이용하여 실시간 변위측정

<그림 5.1.7> 호안블록 이동변위

실험결과
-> 높이 15cm, 20cm의 호안블록은 전 유속범위에서 블록이동변위가 발생하지 않음
-> 높이 10cm의 호안블록은 유속 4.00 m/s 이동변위가 발생 한계소류력은 4.50 kgf/m2
으로 나타남
-> 유량 증가함에 따라 블록의 이동이 관측되었고 이동범위도 증가

- 48 -
제6장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

제1절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 설계


현장에서 사용 가능한 소류력 측정장치를 개발하기 위해 기존 수로에서 사용하던 방식과의 큰
차이는 전단판의 변위와 고정을 동시에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소형 장치의
경우 탄성봉을 이용하여 하우징의 높이에 전단판이 고정됨과 동시에 흐름에 의한 변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지만 현장에 적용할 경우 전단판의 무게가 증가하기 때문에 기존방식은 확연한 문제점
이 발생한다. 그렇기 때문에 현장에서 적용하기 위해 볼베어링 방식의 LM가이드와 로드셀을 이용
하여 전단판이 흐름에 의해 전단판이 움직이게 되고 전단판과 고정되어있는 LM가이드가 움직이면
서 로드셀에 압력을 가하면서 흐름에 의한 소류력이 측정되는 시스템으로 설계하였다. 초기 설계
도면은 <그림6.1.1>과 같다.

<그림 6.1.1> 현장용 소류력 측정 장치 설계도면

- 49 -
제2절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 개발
2016 년도부터 2017 년도까지 현장에 설치하여 실제 하천 바닥에서 발생하는 소류력을 측정을
위해 측정 장치를 개발하였다.

2016년도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 개선 전 2017년도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

<그림 6.2.1> 개발한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

2016 년도 현장용 소류력 측정 장치는 안동실험센터에서 측정한 결과 측정에 문제가 발생하여


2017 년도에는 전단판 면적을 4배 증가시키고 부속품들의 마찰손실을 줄이기 위해 밀링 및 정밀
가공을 시행하였다.

<그림 6.2.2> 개발한 장치별 측정 데이터 비교

<그림 6.2.2>은 개발한 장치별 측정 데이터 비교 그래프이며 마찰 손실을 줄임으로써 실내 실


험 결과 측정성능이 향상되었다.

- 50 -
제3절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 현장설치를 위한 콘크리트 하우징
하천에서 홍수 발생 시 실제 하천에서 현장용 소류력 측정 장치의 유실 방지 및 고정을 통한 측
정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안전율을 고려하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콘크리트 집수정(약 4 Ton)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하우징을 제작 하였으며 <그림 6.3.1>와 같다.

<그림 6.3.1>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 보호장치 (콘크리트 하우징)

- 51 -
제7장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 실내외 측정 및 DATA 비교분석

제1절 실내 보정 실험
본 연구를 2018 년도까지 수행하면서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현장용 소류력 측정 장치를 개
발하였다. 제작이 완료된 소류력 측정 장치는 실내에서 평형 실험 장치를 이용하여 0 g 부터
2,000 g 까지 100 g 씩 증가시키며 측정하였다. 또한 2,000 g 부터 100 g 씩 감소시키며 측정
하였다. 그리고 반복성 실험을 통해 같은 무게에서 동일한 값이 측정되는지 실험하였으며 결과는
<그림 7.1.1>과 같다.

<그림 7.1.1> 2017 년도 소류력 측정장치 실내실험 결과

실내 실험 결과 오름차순과 내림차순 실험은 실제 추 무게 그래프와 유사한 선형성을 나타낸다.


반복성 실험은 같은 무게를 반복적으로 측정 할 때 같은 측정값이 나타나는지 판단하는 실험이다.
이 실험에서는 추의 무게가 같은 무게일 때 실험 시 최대 무게인 2,000 g 으로 증가 할 때와 0 g
으로 감소 할 때의 측정값이 상이한 것으로 나타난 것은 LM가이드에서 발생한 마찰저항 영향이다.
2016 년도에 개발한 현장용 소류력 측정 장치와 2017 년도에 개발한 현장용 소류력 측정 장치
의 실내 실험 측정값을 비교한 결과 2017 년도에 개발한 현장용 소류력 측정 장치의 측정값이 같
은 추 무게일 때 추의 무게와 유사하게 측정되었다. 2017 년도 현장용 소류력 측정 장치 안에 들
어가는 구성품을 정밀 가공하여 LM가이드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줄여 측정 능력이 향상되었다.

- 52 -
제2절 실규모 수로 실험
실내실험을 통한 검·보정 후 현장용 소류력 측정 장치를 경북 안동에 위치한 한국건설기술연구
원의 하천실험센터의 급경사수로 (A1 수로)에 설치하여 검증실험을 진행하였다. 현장용 소류력 측
정 장치를 설치한 급경사수로 (A1 수로)의 제원은 최대유량 6.0 m3/s, 경사 1:70, 최대수심 2.0
m, 수로 폭 3.0 m이다. <그림 7.2.1>은 안동실험센터에 소류력 측정장치 설치 사진이다.

<그림 7.2.1> 안동실험센터 소류력 측정장치 설치

개발한 현장용 소류력 측정 장치의 검증을 위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안동하천실험센터 급경사수


로 (A1 수로)에서 3가지 유량 Case (4.0 m3⁄s, 5.0 m3⁄s, 6.0 m3⁄s)를 대상으로 실규모 실
험을 수행하였다. 측정결과는 <그림 7.2.2>, <그림 7.2.3>, <그림 7.2.4>와 같다.

<그림 7.2.2> 유량 4m³/s 측정 데이터

- 53 -
<그림 7.2.3> 유량 5m³/s 측정 데이터

<그림 7.2.4> 유량 6m³/s 측정 데이터

현장용 소류력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유량 4.0 m3/s, 5.0 m3/s, 6.0 m3/s 에 대해 소류력
( )을 측정한 결과 2.298 kg/m2, 3.220 kg/m2, 5.928 kg/m2 으로 측정되었다.

- 54 -
제3절 이론식과 측정 DATA 비교 분석
2017 년도 현장용 소류력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실규모 실험 수로에서 유량 4.00 m3/s, 5.00
m3/s, 6.00 m3/s 에 대해 평균 소류력( )을 측정한 결과 2.36 kg/m2, 3.60 kg/m2, 5.79

kg/m2 으로 측정되었다. Reach-averaged shear stress 이론식으로 유량 4.00 m3/s, 5.00


m3/s, 6.00 m3/s 에 대해 계산된 평균 소류력( )을 계산한 결과 4.23 kg/m2, 4.89 kg/m2,

5.27 kg/m2으로 계산되었다. 또한 소류력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평균 소류력( ) 값 대비 

Reach-averaged shear stress 식으로 계산된 평균 소류력( ) 값의 비는 <그림 7.3.1>에서 볼


수 있듯이 각 유량 Case 에 대하여 0.56, 0.73, 1.10 인 것으로 분석 되었다.


3가지 유량 Case에 대한  와  의 차가 최대 50%(4.00 m3/s) 최소 10%(6.00 m3/s)인 것
 

은 개발된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의 측정값은 저유량보다 고유량에서 측정 오차가 낮은 것으로 나


타났다.

<그림 7.3.1> Ratio of  / 

- 55 -
제8장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 현장 적용

제1절 현장 소류력 측정장치 설치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 현장적용 지점은 2-1-1세부과제에서 시범 적용한 하상보호공의 (한계)
소류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선정하였다.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의 현장적용을 2-1-1
세부과제 시범사업 지역 하류부(경남 김해시 대청천)에 하였으며 그 위치는 <그림 8.1.1>과 같다.

<그림 8.1.1>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 설치 위치 (김해시 대청천)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는 콘크리트 하우징과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 본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콘크리트 하우징은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의 유실 방지 및 측정 정확도 향상(외부에서 발생하는
진동 방지 등)을 위하여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의 현장 적용 시 필수 구성품이다.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의 현장 적용을 하기 위하여 먼저 <그림 8.1.2>와 같이 콘크리트 하우
징을 하천 바닥에 매설하고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 내 로드셀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위한 배선작업
을 실시한다. 그 후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를 콘크리트 하우징에 삽입하여 설치를 완료하고 현장
측정을 수행한다. <그림 8.1.3>은 본 연구에서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의 현장 적용한 모습이며 현
장용 소류력 측정장치의 현장 적용 모식도는 <그림 8.1.4>와 같다.

- 56 -
<그림 8.1.2> 콘크리트 하우징 설치

<그림 8.1.3> 콘크리트 하우징 설치 완료

<그림 8.1.4> 김해시 대청천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 설치 모식도

- 57 -
제2절 현장 측정
현장 측정항목은 ① 유속, ②유량, ③소류력 이다. 이는 8.3절에서 실시할 현장 적용 결과 분석
에서 기존의 소류력 계산식에 의한 소류력 값과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에 의해 측정된 소류력 값
을 비교하기 위함이다.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의 현장 적용은 2018년 7월 3일 강우 시 실시하였으며 이 때 일강우량
은 아래 <그림 8.2.1>과 같이 김해기상관측소(기상청) 기준 56.2mm 이며 시간당 최대 강우량은
오후 3시에 최대 7.7mm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현장 측정은 2018년 7월 3일 오후 3시부터 오후
8시까지 진행하였으며 각 측정항목별 현장 측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그림 8.2.1> 강우량 (2018.07.03)

- 58 -
2.1 유속 및 유량 측정
소류력 계산식에 의한 소류력 값을 구하기 위해서 유속 및 유량은 중요한 인자이다. 유속 및 유
량 측정을 위하여 비디오카메라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촬영한 후 영상 분석을 통하여 유속 및 유량
을 산정하였다.
홍수 시 하천의 유속 측정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비디오카메라로 촬영된 동영상을 이용하여
LSPIV(Large Scale Particle Image Velocimetry)기법으로 산정하였다. LSPIV기법을 이용하
기 위해서는 비디오카메라의 왜곡을 고려하기 위하여 기준점 설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그림
8.2.2>와 같이 양안에 10m 간격으로 표측을 설치하였다.

<그림 8.2.2> 수위표 설치모습

유량 산정을 위하여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 설치 지점에 대한 횡단면 조사를 강우 전·후 2회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그림 8.2.3>과 같다. 횡단면 조사를 통한 횡단면도와 비디오카메라로 촬영
된 동영상 분석에 의한 수심자료를 이용하여 유속단면적법(Q=AV)으로 산정하였다.

<그림 8.2.3> 소류력 측정장치 설치 횡단면

- 59 -
비디오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산정된 유속 및 유량은 <그림 8.2.4>와 같으며 최대
유속 및 유량은 오후 6시에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림 8.2.4> 시간별 유속 및 유량

2.2 소류력 측정
8.1절에서 설명하였듯이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를 현장에 설치한 후 현장용 소류력 측정 장치
내 로드셀과 데이터로거를 연결한다. 그리고 <그림 8.2.5>와 같이 데이터로거와 노트북을 연결하여
실시간 측정되는 소류력값을 확인한다.

<그림 8.2.5> 데이터 로깅 모습

- 60 -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의 현정 적용을 실시한 2018년 7월 3일 강우 시 현장 적용 지점의 실
시간 소류력 측정값은 다음 <그림 8.2.6>과 같다.

<그림 8.2.6> 실시간 측정 데이터

제3절 현장 적용 결과 분석
8.2절에서 설명한 현장 측정 자료를 바탕으로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 현장 적용 결과를 분석하
였다. 결과 분석은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에서 측정된 소류력값(τo)과 구간평균법(Reach-averaged
method)에 의해 계산된 소류력값(τc)을 비교하였다.
구간평균법을 이용한 소류력 계산에는 조도계수가 매우 중요한 인자이다. 실제 하천의 경우 하
상단면, 하상재료가 다양하기 때문에 조도계수를 결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를 현장 적용한 지점의 조도계수를 자연하천의 유로와 단면이 규칙적이
고, 자갈하상, 양안에 초목이 있는 경우의 조도계수 0.030 ~ 0.040을 적용하여 구간평균법을 이
용한 소류력값을 계산하였다.
계산된 소류력값(τc)과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에서 측정된 소류력 값(τo)을 비교한 결과가 <그
림 8.3.1>와 같이 유사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에서 측
정된 소류력값(τo)이 조도계수 0.030을 적용한 계산 소류력값(τc1)과 조도계수 0.040을 적용한 계
산 소류력값(τc2)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최대유속이 발생한 오후 5시의 경우 아래 <표 8.3.1>와 같이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에서
측정된 소류력값(τo)에 대한 조도계수 0.030을 적용한 계산 소류력값(τc1)의 비, 즉 τc1/τo가 0.92
로 이론식에 의한 소류력값과 측정된 소류력값이 매우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61 -
<표 8.3.1> 현장모니터링 결과

LSPIV τc1 τc2 τc3


시간 수심 τo
평균유속 (n=0.030) (n=0.040) (n=0.035) τc1/τo τc2/τo τc3/τo
(HH:MM) (m) 2 2 2
(kg/m2)
(m/s) (kg/m ) (kg/m ) (kg/m )
15:00 1.05 0.45 1.329 2.363 1.809 1.890 0.703 1.250 0.957
16:00 1.63 0.70 2.773 4.930 3.774 3.180 0.872 1.550 1.187
17:00 2.38 0.87 5.438 9.668 7.402 5.897 0.922 1.639 1.255
18:00 2.12 0.95 4.193 7.454 5.707 4.913 0.853 1.517 1.162
19:00 2.08 0.92 4.092 7.274 5.569 4.722 0.866 1.540 1.179
20:00 2.27 0.90 4.904 8.719 6.675 5.640 0.870 1.546 1.184

<그림 8.3.1> 현장모니터링 결과

<그림 8.3.2> 측정 및 계산 소류력 결과

- 62 -
부록 A

소류력 측정장치

- 63 -
1. 1차원 소류력 측정장치
◦ 본 장치는 전단판을 얇은 알루미늄 판으로 연결하여 통수 시 알루미늄 판의 휨정도를
Eddy-current sensor로 측정하여 바닥면에서 작용하는 소류력을 정확히 측정하는 장치임
◦ 무경사 고속수로의 수로 단면이 아크릴로 되어 있어 조도계수를 고려하여 소류력 측정장치의 전
단판 또한 아크릴로 제작함

1차원 소류력 측정장치 개념도

1차원 소류력 측정장치


명 칭 기 능

① 전단판 유수에 의한 힘을 받는 부분

② 와전류 센서 전단판이 받는 힘을 측정

③ 알루미늄 판 유수의 힘을 받아 휘어져 전단판을 움직이게 하는 부분

④ 센서 타깃 소류력에 의한 변위를 센서에 감지시키는 구조물

⑤ 고정대 알루미늄 판을 고정 시키는 부분

- 64 -
◦ 1차원 소류력 측정장치 구성재료
소류력 측정장치 구성재료(알루미늄 판) Eddy-current sensor

◦ Eddy-current sensor 측정범위

- 65 -
2. 2차원 소류력 측정장치
◦ 기 개발된 1차원 소류력 측정장치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2차원 소류력 측정장치의 필요성
이 대두됨
◦ 본 장치는 전단판을 얇은 스테인리스 탄성봉으로 연결하여 통수 시 스테인리스 탄성봉의 휨정도
를 Eddy-current sensor로 측정하여 바닥면에서 작용하는 소류력을 정확히 측정하는 장치임
◦ 무경사 고속수로의 수로 단면이 아크릴로 되어 있어 조도계수를 고려하여 소류력 측정장치의 전
단판 또한 아크릴로 제작함

2차원 소류력 측정장치 개념도

2차원 소류력 측정장치


명 칭 기 능

① 전단판 유수에 의한 힘을 받는 부분

② 와전류 센서 전단판이 받는 힘을 측정

③ 탄성봉 유수의 힘을 받아 휘어져 전단판을 움직이게 하는 부분

④ 센서 타깃 소류력에 의한 변위를 센서에 감지시키는 구조물

⑤ 고정대 알루미늄 판을 고정 시키는 부분

- 66 -
◦ 2차원 소류력 측정장치 구성재료
소류력 측정장치 구성재료(스테인리스 탄성봉) Eddy-current sensor

◦ Eddy-current sensor 측정범위

- 67 -
3. 로드셀을 이용한 소류력 측정장치
◦ 본 장치는 전단판을 LM가이드로 연결하여 통수 시 전단판에 가해지는 힘을 Load cell로 측정
하여 바닥면에서 작용하는 소류력을 정확히 측정하는 장치임
◦ 무경사 고속수로의 수로 단면이 아크릴로 되어 있어 조도계수를 고려하여 소류력 측정장치의 전
단판 또한 아크릴로 제작함

로드셀을 이용한 소류력 측정장치 개념도

로드셀을 이용한 소류력 측정장치


명 칭 기 능

① 전단판 유수에 의한 힘을 받는 부분

② 로드셀 전단판이 받는 힘을 측정

③ LM 가이드 유수의 힘을 받아 x,y 축 전단판을 움직이게 하는 부분

- 68 -
◦ 로드셀을 이용한 소류력 측정장치 구성재료
소류력 측정장치 구성재료(LM guide) Load cell

◦ 사용된 로드셀 제원_최대중량 50kg

- 69 -
4.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
◦ 본 장치는 실규모 하천의 하상의 소류력을 측정하기 위해 전단판을 LM가이드로 연결하여 통수
시 전단판에 가해지는 힘을 Load cell로 측정하여 바닥면에서 작용하는 소류력을 측정하는 장치

◦ 전단판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LM가이드에서 마찰저항이 많이 발생하고 안동하천실험센터 수로
가 콘크리트로 구성되어 있어 조도계수와 무게를 고려하여 알루미늄으로 제작함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 개념도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


명 칭 기 능

① 전단판 유수에 의한 힘을 받는 부분

② 로드셀 전단판이 받는 힘을 측정

③ LM 가이드 유수의 힘을 받아 x,y 축 전단판을 움직이게 하는 부분

④ 알루미늄 프로파일 유수의 힘을 받아 전단판을 움직이게 하는 부분 보조

⑤ 스테인리스 하우징 소류력 측정장치 부속품 보호

- 70 -
◦ 현장용 소류력 측정장치 구성재료

소류력 측정장치 구성재료(LM guide) Load cell

스테인리스 하우징에 LM가이드 위 하판


스테인리스 하우징 하판 위 상판 결합
LM가이드 결합 결합

◦ 사용된 로드셀 제원_최대중량 100kg

- 71 -
참고문헌

국토해양부, 한국수자원학회 (2009), 하천설계기준 해설 , pp.407~421.


·

우효섭, 김원, 지운, “하천수리학” , 청문각(2015).


김상우, 구영민, 김영도, 박재현 (2013), 무독성 호안블록의 수리학적 안정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
토목학회 학술발표회, 제33권, 제3호, pp. 987-995.
이두한, 태동현 (2016), 국외 호안 블록의 수리특성 시험방법, 한국수자원학회, 제49권, 제6호,
pp.90-94
한만신, 최계윤, (2012), 점착성 제방사면의 구간별 소류력 산정식 제안 및 적용, 한국수자원학회, 제
45권. 제6호, pp. 583-596.
國土開發技術硏究センタ一(1999), 護岸の力學{設計法, 山海堂.
財法人土木硏究センタ一(1999), 護岸ブロックの水理特性試驗法マニュアル.
國土開發技術硏究センタ一(2002), 河道計畵檢討の手引き, 山海堂.
ASTM D7276-06, "Standard Guide for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est Data for
Articulating Concrete Block (ACB) Revetment Systems in Open Channel Flow"
ASTM D7277-08, "Standard Test Method for Performance Testing of Articulating
Concrete Block(ACB) Revetment Systems for Hydraulic Stability in Open Channel
Flow"
Abdul Karim Barbhuiya and Subhsish Dey (2004). “Turbulent flow measurement by the
ADV in the vicinity of a rectangular cross-section cylinder placed at a channel
sidewall”. J.Flow Measurement and Instrumentation, Elsevier, 15(2004)221-237.
Babaeyan-Koopaei K, Ervine Da, Carling PA, Cao Z. (2002). Velocity and turbulence
measurements for two overbank flow events in River Severn. J. Hydraul. Div., ASCE
128(10):891-900.
Babak L. A., Manocheher F. M., Mahmud S. B., and Arash J. (2009). “Boundary shear
stresses in smooth shannels” J. Food, Agriculture & Environment, WFL,
Vol.8(1):343-347.2010.
Barnes M. P., Baldock T. E. (2007). Direct Bed Shear Stress Measurements in

- 1 -
Laboratory Swash. Journal of Coastal Research. pp. 641-645.
Barnes, M. P., Donoghue, T. O., Alsina, J. M., Baldock, T. E. (2009). Direct bed shear
stress measurements in bore-driven swash. Coastal Engineering. 56. pp. 853-867
Chang, Howard H. (1939). Fluvial Processes in river engineering. Canada: John Wiley &
Son, Inc.0-471-63139-6.
Duan, J. G. (2009). Mean Flow and turbulence around a laboratory spur dike. J.
Hydraul. Div. 135(10):803-811.
Dyer, K.R., (1986). Coastal and Estuarine Sediment Dynamice, Vol. xv. Wiley,
Chichester, pp. 342.
Dean, R. G., Dalrymple. R. A. (1991). WATER WAVE MECHANICS FOR ENGINEERS
AND SCIENTISTS. World Scientific. pp. 401-402.
Ghosh, S. N., and Roy, N. (1970). “Boundary shear distribution in open channel flow”. J.
Hydrual. Div., ASCE96 (4), 947-994.
Guo J. and Julien P. J. (2005). “Shear stress in smooth rectangular open-channel flow”.
J. Hydrual., Div., ASCE131:1 (30), 30-37.
Goldberg, H. D., Breuer, K. S., Schmidt, M. A. (1994). A Silicon Wafer-Bonding
Technology for Microfabricated Shear-Stress Sensors with Backside Contacts.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Computer Science. 0-9640024-0-X.
Junke, G., Pierre, Y. J. (2005). Shear Stress in Smooth Rectangular Open-Channel
Flows. J. Hydraul. Div., ASCE. 131:1(30) 0733-9429.
Knight, D. W., Demetriou, J. D., and Homed, M. E. (1984). “Boundary shear in smooth
rectangular channel”. J. Hydraul. Div., ASCE (110)4, 405-422.
Kartha, V. C., and Leutheusser, H. J. (1970). “Distribution of tractive force in open
channl”. J. Hydraul. Div., ASCE 96(7), 1469-1483.
Walter Hans Graf (1998). “HYDRAULICS OF SEDIMENT TRANSPORT”, Water
Resources Publications, LLC, pp.108~112.
Wilcock, P. R. (1996). Estimating local bed shear stress from velocity observation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2, No. 11, pp. 3361-3366.
N.D. Pope, J. Widdows, and M.D. Brinsley (2006). “Estimate of bed shear stress using
the turbulent kinetic energy approach-A comparison of annular flume and field data”.
J. Continental Shelf Research, Elsevier, 26(2006). 959-970.
Richard W. Johnson. (1998). THE HANDBOOK OF FLUID DYNAMICS. US: CRC Press
LLC. 3-540-64612-4(Preston(1954)equation, pp. 19-33.

- 2 -
Schilchting, Herman. (1979). Boundary-Layer Theory. 7Ed. J. Kestin, Trans. US, New
York, NY:McGraw-Hill, Inc. 0-07-055334-3.
Seelam, J. K., Guard, P. A., Baldock, T. E. (2011). Measurement and modeling of bed
shear stress under solitary waves. Coastal Engineering. 58. pp. 937-947.
Takashi Yoshino, Yuji Suzuki and Nobuhide Kasagi. (2001). Assessment of the wall
shear stress measurement with arrayed micro hot-film sensors in a turbulent channel
flow. Proc. 2nd Int. Symp. on Turbulence and Shear Flow Phenomena. Vol. 2. pp.
153-158.
Tinoco, R. O., Cowen, E. A. (2013). The direct and indirect measurement of boundary
strss and drag on individual and complex arrays of elsments. DeFrees Hydraulics
Laboratory. DOI. 10.1007/s00348-013-1509-3.

- 3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