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5

화학반응의 양적 관계 구하기

학번: C214043 이름:정유진 분반:1 조: 2

1. 실험 제목:
화학반응의 양적 관계 구하기

2. 실험 목적:
• 화합물을 표기하는 화학식은 그 물질을 구성하고 있는 성분원소의 종류와 수로 나타낸다.
• 질량보존의 법칙과 일정성분비 법칙을 이용하여 탄산칼슘의 반응식을 완성해 본다.

3. 실험 이론:
4. 기구 및 시약:
• 탄산칼슘 (CaCO3)
• 염산 (HCl) 용액 (2M)
• 증류수
• 전잦울
• 약수저
• 무게다는종이 (약포지)
• 100ml 삼각플라스크
• 50ml 메스실린더
• 유리막대
5. 실험 방법:
1) 전자저울에 약포지를 올리고 영점을 조정하여 CaCO3의 정확한 질량을 측정한다.
1g전후, 1.5g전후, 2g전후
2) 삼각플라스크에 2M HCl 용액을 25ml 씩 넣고 질량을 측정한다. : 50ml 매스실린더를 이용한다
3) (1)에서 측정한 CaCO3을 각각의 삼각 플라스크에 조금씩 가하여 반응시킨다. 이때 용액이 밖으로
튀어나가지 않게 주의한다.
4) 반응이 안전히 끝나면 (기포가 모두 빠져나가는 것을 확인) 다시 삼각 플라스크의 질량을 측정한다.
5) 반응한 탄산칼슘가 생성된 이산하탄소 기체의 질량을 몰질량으로 나누어 몰수비를 계산하고,
화학반응식을 완성한다.
6) 사용한 삼각 프라스크와 유리막대를 깨끗이 세척한 뒤, 최대한 물기가 남아있지 않도록 털어준 후
정리한다.

6. 주의 사항:
1) 염산이 신체에 닿지 않도록 보안경과 폴리글러브를 반드시 착용한다.
2) 한번 시약통에서 꺼낸 시약은 절대 다시 시약통에 집어넣지 않는다.
3) 탄산칼슘을 플라스크에 넣을 때 벼에 묻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넣어준다.
4) 삼각 플라스크를 천천히 흔들어 벼면에 튄 탄산칼슘을 완전히 반응시킨다.
5) 완전히 반응이 끝난 후, 남아있는 기포를 삼각 플라스크를 흔들어 날려 보낸 후 질량을 측정한다.

7. 결과데이터:
위의 실험결과를 토대로 CaCO3 와 CO2 사이 간단한 정수비가 세번에 걸쳐 1 : 1 이라는 것을
확인했으므로 반응식을 완성시킬 수 있다.

CaCO3 + 2HCl -> H2O + CO2 + CaCl2

8. 고찰 :
이론적인 값으로 계산을 해보면 반응한 CaCO3의 몰수 와 발생한 CO2기체의 몰 수 비는 1 : 1.006이다.
표에서 간단한 정수비로 표현하였기에 소수 뒷자리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정확하게 숫자는 나오지 않았다.
이는 약포지에 묻은 CaCO3가루가 존재하여 정확한 그람수가 HCl 용액에 첨가되지 않았거나 플라스크의
벽면에 묻었을 경우의 상황이 있다. 반응물 중에 이산화탄소를 제외하고 물도 포함되어있는데, 이 실험은
발열반응이기에 용기의 내부의 온도가 높아져 수증기가 밖으로 많이 나왔을 것이다. 또한 발생한
이산화탄소가 반응 후 용액속에 녹아있어 측정 오차가 발생했을 것이다.

9. 추가자료조사:
산과 염기 또는 가용성염이 물에 용해되면 양이온고 음이온으로 분리되어 이온 상태를 존재하는데, 이렇게
이온화되는 과정을 나타낸 식을 이온화 반응식 또는 이온화 식이라고 한다.
이온은 여러가지 과정을 통해 만들어지는데, 간단히 전자를 잃거나 전자를 얻으면 생성된다.
실행한 실험은 산-염기 반응으로 대표적인 수용액 반응 중 하나인데, 수용액 반응은 크게 3가지로, 침전 반응,
산-염기 반응, 산화-환원 반응이 있다. 산과 염기를 정의한 학자는 3명으로, 아레니우스는 물에서 이온화하여
H+를 생성하는 물질, 염기는 물에서 이온화 하여 OH- 를 생성하는 물질이라 하였다. 브뢴스테드의 산은
양성자(H+) 를 주는 물질, 염기는 (H+) 를 받는 물질이라 하였다. 루이스의 산은 e-, 즉 전자를 받는 물질,
염기는 전자를 주는 물질이라 정의하였다.
10. 참고 문헌:
탄산칼슘과 염산의 반응
https://ywpop.tistory.com/m/4711
탄산칼슘은 염기성 물질이다
https://ywpop.tistory.com/m/5873
이온
https://namu.wiki/w/%EC%9D%B4%EC%98%A8
산과 염기
https://namu.wiki/w/%EC%9D%B4%EC%98%A8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