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

주거지 정비 및 관리 계획에 대한 고찰

2021311676 임재범

주거 환경 개선 사업 제도로서의 주거 환경 개선사업
주거란 무엇일까? 거주가 왜 그렇게 중시되는 것일까? 주거 환경 개선 사업의 3가지 방식

건축에 있어서 거주란 존재의 이유이자 계속해서 추구해야 할 현지 개량 방식 주택의 노후도 및 밀집도가 상대적으로
목표이다. 이러한 거주를 현대 도시 속에서 다시 살펴보는 것은 낮아 주민이 개별적으로 주택개량이 가능한 지구에서 지
현대 건축에서 인간의 가치를 어떻게 볼 수 있는지에 대한 의미 자체에서 도로 , 주차장 , 공원 등 정비기반시설을 설치
를 갖는다. 거주에 대한 논의는 실은 거주가 없는 듯 여겨지는 환
하고 주민은 스스로 개량자금을 융자받아 낡은 주택을
경 속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거주에 대한 논의는 거주의 회복에
증축, 개축 또는 신축하는 방식이다.
대한 주장과 동등하게 여겨지지만, 실은 거주란 인간의 존재 상
태에 관한 것이다. 거주는 인간이 물리적인 외부 환경과 관계맺 공공주택건설방식 주택의 노후도 및 밀집도가 높고 저
음으로 인해 자신의 세계를 창조하는 삶의 영위로서 단순이 이의 지대 상습침수, 화재 등 집단재해가 우려되는 지구 등에
가능성을 따질 수 없는 큰 가치를 지닌다. 이러한 거주를 정리한
서 지자체나 한국토지주택공사등이 기존의 낡고 오래된
사람으로는 하이데거가 대표적인데 하이데거는 사방(四方)의 구
주택을 철거하고 아파트 및 도로 , 공원 등 정비기반시설
도를 통해서 인간이 구성하는 세계로서의 거주를 정의한다. 이는
을 건설하여 주민에게 재분양하는 방식이다.
거주가 더 이상 보이지 않는 시대에서 거주를 다시 생각하기 위
한 근거로써, 인간에 관련되는 거주의 조건들을 인간과 함께 묶 혼합방식 지역내 불량주택밀집지역과 비교적 양호한 주
어서 사고하는 틀이다. 택이 집단적으로 위치하고 있어 지역별로 순차적 균형개

이를 통해 우리는 건축가들, 도시 계획가들, 건축 도시 법제도 발이 필요하거나 , 도시계획도로 등으로 구역이 분리되


가 천착한 모더니즘의 이상적인 목표 중 하나인, 위생 주거를 확 어 별도의 개발이 필요한 경우에 현지개량방식과 공동주
립하게 된 이유를 얼핏 알 수 있을 것이다. 인간에게 있어서 거주 택건설 방식을 혼합하여 추진하는 방식이다.
는 거진 도시의 목적이기 때문이다.

<그림 1>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사전 정책 구비 필요성 <그림 2>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사전 정책 구비 필요성

주거지 정비 및 관리 계획

가장 인상 깊었던 건 바로 모든 정책들은 서로 상호 의존적인 관계에 놓여졌다는 것이다. 어떠한 정책이 수립


되기 위해선 사전적으로 수립되어야 하는 정책들이 분명 존재해서, 이것이 거진 선형적인 관계이기에, 마치 건물을 짓
듯, 가장 중요한 것은 기초 부분이며, 그것은 이 주거지 정비 및 관리 계획의 경우에는 단연 생활권 계획의 분명한 확립
이다. 생활권 계획은 지난시간에도 다루었듯이, 서울 시민들이 자생적인 생활을 할 수 있는 명확하지만, 동시에 다발적
인 구획을 통해서 도시계획을 진행하는 방식이다. 그렇기에, 어떠한 생활권이 어떠한 상황인지를 명확하게 판단하고
그것을 통해서 주거지를 정비하는 것은 상당히 합리적인 과정이지만, 결국 생활권 계획이 선행되지 않으면 이 정책은
거진 반쪽짜리 정책이 될것 같기에, 주거지 정비 및 관리 계획에 앞서 사전 정책들을 확립하는데 힘써야 할 것이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