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30

한국사회의 마이너리티

토론 논제

Q1. 현재 한국 사회는 사회적 소수자 차별에 대한 사회적 감수성이 높아지 고 있다고


평가하는가? 그렇다고 생각한다면 그 이유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Q2. 다양한 사회적 소수자 중에서도 유달리 현재 한국 사회에 논쟁의 대상 이 되는


소수자 유형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그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Q3. 오늘 수업에서 인상 깊었던 점/생각해보고 싶은 점을 동료들과 이야기 나눠본다.


사회적 소수자(Social Minority)
사회적 상처에 관하여
Social Minorities
연령 학력
아동 저학력 , 재수생
지역 비명문대출신
청소년 성 지방출신 호
노인 LGBT 남 , 비수도권 비
여성 서울 , 비강남권
남성
민족
외국인근로자
결혼이주여성
신체 종교
소수종교 이
가족관계
장애인 싱글 무
정신질환자 단 , 무신론자
자녀 부부
단신 이혼가족
고도비만 국적
조선족 이주자
탈북자

직업
무직자 , 비정규직 생활문화 경제상황
생산직 , 하급직 빈곤층
일용직 , 자영업 아웃사이더 무주택자
누가 마이너리티(minority)인가?

▪ Numerical, Statistical Definition


▪ 인구학적 소수자 ( 少數者 ) “ 적음 ”

▪ Cultural Definition
▪ 문화적 전통을 달리하는 소수집단 “ 다름 ”

▪ Social Definition
▪ ( 인구비와 무관한 ) 사회적 약자 / 소외자 “ 약함 ”

▪ ‘Mixed’ Definition
▪ 주류 (Mainstream) 에 속하지 못하는 주변부 소수자
사회적 소수자(social minority)

▪ 사회적 소수자
• 신체적 또는 문화적 특성 때문에 자기가 사는 사회의 다른 구성원으로부터
구분되어 불평등한 대우를 받는 사람들

• 우월한 사회적 지위와 상대적으로 강한 권력을 갖은 지배 집단이 대칭적으로 존재

• 지배 집단에 대비한 피지배 집단


• 인종, 성적 지향, 종교, 장애, 국적 등과 같은 특성으로 인해 사회에서 소외되거나
차별 받는 집단

▪ 소수자의 개념은 반드시 수적 소수를 의미하는 것인가 ?

• 반드시 수적 소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


•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이 대표적인 예.
(인구학적)소수에 의한 다수의 차별

▪ 아파르트헤이트(Apartheid)

•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백인정권의
유색인종차별정책
• 1948년 법률로 공식화(1980년대까지
지속됨)

• 1:9의 사회
- 소수의 백인이 다수의 흑인을 차별하며
살아가던 사회

“차별이 아닌 분리에 의한 발전”


이라는 명분 하에 지속된 인종
차별정책
아파르트헤이트(Apartheid)
▪ 아파르트헤이트(Apartheid)
1990년10월 폐지

- 인구등록법은 3천7백만명의 남아공


국민을 백인·흑인·혼혈·인도계의 네
가지 범주로 나누어 모든 생활을 규
제해 옴.

-또 집단지역법은 흑인과 백인의


주거지역을 분리,흑인들에게는
도시의 외곽지역만을 거주지로
제한해온 법률.

- 인구의 13%에 불과한 5백만명의


백인이 남아공 토지의 83%를 소유.
-2천8백만명의 흑인은 단지 13%만을
갖도록 제한한 법률.
마이너리티 접근의 변천

▪ 1910-30 년대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실용주의 전통


▪ 소수민족을 접촉 (contact)- 수용 (accommodation)- 동화 (assimilation)
과정을 통해 주류사회로 병합해야 한다는 Melting Pot Thrust

▪ 그러나 근래 ‘ 멜팅 팟 ’ 대신 다원주의적 접근의 필요성 대두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

▪ 다문화주의 (multiculturalism)
: 다양한 문화를 단일 문화로 동화시키지 않고 인정하고 존중하면서
공존하고자 하는 것
▪ 동질성 아닌 이질성 , 보편성 아닌 다양성 , 일원성 아닌 다원성을 인정하
며 조화로운 공동체를 추구 – “ 인정의 정치 the politics of recognition”

▪ 관용과 연대의 정신이 중요시됨


▪ 다른 가치관과 문화를 지닌 개인과 집단에 대한 ‘ 관용 ’
▪ 서로 다른 타인과 함께 참여하는 ‘ 연대 ’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

▪ 기회구조의 개선을 통해 부당한 사회적 차별이나 배제를 극복


하고자 하는 제도적 혁신의 원리 및 실천 전략의 발굴
▪ 사회적 편견이나 다수자주의 (Majoritarianism) 극복을 위한
인본주의적 기획

▪ 마이너리티의 존재가치나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인정 (Recognition)

▪ 다수 - 소수 간 우열논리의 해체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

▪ From Biological/Demographic to Cultural/Social


▪ 다음과 같은 ‘Race’ 에 대한 최근 정의에서도 부분적으로 표출
- “Race is not a biological reality. It can be any categor y of people
who are defined and treated as a race.”

▪ From Being to Becoming


▪ “ 누가 마이너리티인가 ?” 라는 현상적 담론에서 “사람들이 어떻게
마이너리티가 되는가 ?” 라는 과정적 담론으로 관심 이동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

▪ From Negative to Positive Turn

▪ Negative: 한 사회의 균열과 갈등의 핵심에 마이너리티의 문제가 내재 .


그들에 대한 차별과 배제 , 억압과 무시가 불신이나 분노의 불씨가 되어
사회체계의 해체가 초래

▪ Positive: 삶을 풍요롭게 할 수 있는 문화 자원의 주체 . 따라서 집단 간


차이를 배척하는 대신 개방적 ・ 포용적 자세를 통해 삶의 다양성을 증진
시키는 것이 바람직
한국 다문화 사회

⚫ 2021, 국민 다문화수용성 지수 약 52%(여성가족부)

⚫ 생각해봅시다!
• 다문화 집단에 대해 배타적 태도를 갖는 이유
• 다문화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한가?
• 다문화 수용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는 무엇이 있을까?
한국 다문화 사회

▪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주민수 약 223만명 / 국내 총인구의 4.5%

▪ 민족성
• 일제 시대 한민족을 강조하는 민족교육
• 국민교육, 국가가 개인보다 우위
• 그러나 현대에 민족과 국민, 영토가 일치하지 않는 상태 발생
다문화 사회의 흐름

▪ 1980년대부터 시작된 세계화, 신자유주의 확산→ 국민국가 국경


와해, 전 세계 인구이동 증가
▪ 한국 사회의 이주자 유입 증가/불법 체류자 외국인 급증
• 1986년 아시안 게임, 1988년 올림픽

▪ 2004년 [외국인 고용허가제] 도입


▪ 2005년 [외국인정책위원회] 구성
국익 우선, 통제 중심 -> 국익과 인권보장의 균형
▪ 2008년 [다문화 가족 지원법]: 외국인과 한국인이 결혼한 가정을
다문화 가족으로 규정
• 국제결혼에 의한 다문화 담론 형성
다양성과의 갈등: 마이너리티 이슈

1. ‘전체적 낙인범주’ (Ubiquitous Labeling Category)

2. 마이너리티의 규정 및 인정과 관련하여 첨예한 갈등 양상 발발

• 다양성과 인종, 문화적 차이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이전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아이덴티티와 소속감을 중요하게 생각. 더
많은 사람들이 자신이 속한 그룹이나 집단의 규정과 인정 요구

• 이러한 요구에 대한 반대 증가. 문화적 일치감과 통일성을 중요시하


는 사람들
다문화 사회의 대응

▪ 한국 사회의 反 다문화 정서
Ex) 이주여성에 대한 보육비 지원
▪ 사회성원권은 주민 개념에 기초해야 한다는 주장
• 국민교육의 대상이 민족에 한정할 필요가 없다는 것
▪ 세계 시민으로서의 정체성
▪ 지구촌 시민의식 교육
코리안 디아스포라
디아스포라(diaspora)

▪ 디아스포라
• A.D.70년 예루살렘 성이 로마군에 함락되고, 전 세계로 흩어진 유대인들의 역사를
‘디아스포라’라고 부름. 즉, 민족 분산, 이산, 혹은 유대인들의 분산을 지칭하는 것에
단어의 기원을 찾을 수 있음.
• 현대에는 좀 더 폭넓은 의미에서 쓰임. 고향을 떠나 흩어져 살아가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말로 쓰임. 식민 지배와 민족 분단이라는 외적 힘에 의해 이산 당한 사
람을 포함

• 디아스포라 정체성

참고자료: 윤인진, 2004, [ 코리안 디아스포라]


코리안 디아스포라 (Korean diaspora)

▪ 1860년-1919년

▪ 1919-1945년

▪ 1945-1962년
▪ 1962-현재

※참고자료: (윤인진, 코리안 디아스포라,2004)


코리안 디아스포라, 1세대 멕시코 한인들
코리안 디아스포라 (Korean diaspora)

▪ 1860년-1919년 코리안 디아스포라

“1,033명의 조선인들은 외교관은 커녕 교민 하나 없는


멕시코를 향해 출발했다. 1905년 4월 4일의 일이다”(
pg38)

“극심한 노동자 부족으로 곤란을 겪고 있던 유카탄 반도


의 에네켄 농장주들은, 스페인어를 못해 도주의 우려도
없고 외교관이 주재하지 않아 간섭의 여지도 없는 조선
인들에게 비교적 후한 값을 쳐 주 ♘ 다 ” (pg111)
1860년-1919년 코리안 디아스포라

"쿠바에서는 사탕수수를 자르는


노동자들도 와이셔츠에 넥타이를
매고 일한다. 물 대신 우유를 마시
고 원하는 대로 맥주를 마신다는 에
덴동산과 같다"

“우리가 이곳에 온 것은 돈을 벌기 위함이지 매를 맞기 위함이 아니다. 우


리가 여기에 온 것은 배가 고파서이지 미친 농장주의 개가 되자고 온 것은
아니다”(pg212)
코리안 디아스포라 (Korean diaspora)

→ 1905년 멕시코에 이주한 한인 애니깽

"이곳에 이민온 동포들은 낮이면


뜨거운 가시밭에서 채찍을 맞
아가며 일하고,
밤이면 토굴에 들어가 밤을
지새며 매일 품값으로 35전씩
받으니,
의복은 생각할 여지도 없고 겨우
죽이나 끓여서 연명할 뿐으로..
그 처지가 농장의 개만도 못하
다고 합니다"

※ 1905.11.17.북미한인공립협회에 보낸 편지에서, 동아일보 1998.3.10 <고국을 떠났던 선조들>


재인용
코리안 디아스포라, 1세대 멕시코 한인들

"멕시코 원주민인 마야족의 노예 등급은 5∼6등급, 한


인 노예는 7등급으로 가장 낮은 값이다. 조각난 떨어
진 옷을 걸치고 다 떨어진 짚신을 신♘다. 아이를 팔
에 안고 등에 업고 길가를 배회하는 한국 여인들의
처량한 모습은 가축같이 보이는데 눈물 없이는 볼 수
없는 실정이다. 농장에서 일을 제대로 하지 못하면
무릎을 꿇리고 구타해서 살가죽이 벗겨지고 피가 낭
자한 농노들의 그 비참한 모습을 차마 눈뜨고 볼 수
없도다. 통탄, 통탄이라.“

황성신문 1905.7.29
코리안 디아스포라 (Korean diaspora)

▪ 1860년-1919년
이 시기에는 주로 농민이나 노동자들의 어려운 현실을 떠나 생존을 위한 이주 시기.
1902~1903년에 있 던 미국 하와이 사탕수수 농장으로의 이주도 이 시기에 속함

▪ 1919-1945년
1910년부터 한국이 일본 식민통치로부터 독립한 1945년까지. 이때에는 일제의
억압을 피해 만주와 일본으로 피한 노동자들뿐 아니라 정치적 난민들과 독
립운동가들이 외국으로 이주하기도 함. 특별히 일본이 식민 통치 기간 만주
지역 개발이나, 광산, 전쟁터로 끌려가는 일로 한인들의 대규모 집단 이주가 있
♘ 던 시기

※참고자료: (윤인진, 코리안 디아스포라,2004)


코리안 디아스포라 (Korean diaspora)

▪ 1945-1962년
1945년부터 남한 정부가 이민 정책을 처음으로 수립한 1962년까지. 이 시기에는
한국전쟁을 전후하여 전쟁고아, 미군과 결혼한 여성, 혼혈아, 입양, 유학 등의 이
유로 미국과 캐나다 등으로 떠남.

▪ 1962-현재
정착을 목적으로 한 이민이 시작. 초기에는 국내의 과잉 인구분산과 외화를 버는
것에 목적이지만, 이 시기부터 고등교육을 받은 많은 한인이 새로운 신분상승의 기
회를 찾아 떠나기도 함.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정점으로 이민이 감소하였다가 1
997년 IMF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다시 증가하기 시작함

※참고자료: (윤인진, 코리안 디아스포라,2004)


The end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