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4

표면장력

1. 실험 목적
평형 상태에서 표면의 평형결합이 깨지고 그 결과 내부보다 높은 에너지, 즉 표면 에너지
를 가진다. 표면적을 최소화하면 표면 에너지는 최소화된다. 이런 경향을 표면장력이라고
한다. 본 실험에서는 모세관 상승법을 이용해서 표면장력을 측정한다.

2. 이론
1) 표면장력과 표면장력 측정 원리
표면이란 용어는 보통 기제-고체 또는 기체-액체 사이의 계면을 말한다. 따라서 표면은
계면의 일부이다.

상(phase) 계면형태의 예
기체-기체 계면 부재
기체-액체 액체표면, 대기에 노출된 물
기체-고체 고체표면, 책상 위
액체-액체 액체-액체계면, 유탁액
액체-고체 액체-고체계면, 현탁액
고체-고체 고체-고체계면, 분말입자의 접촉면

물방울 중에서 한가운데 존재하는 분자는 서로 방향을 달리하는 분자들로 둘러싸여 있어 인


력의 균등성을 이루고 있다. 반대로 물방울의 표면에 위치하는 분자(액체-공기 계면)는 그
분자의 아래와 옆에 위치하는 다른 액체 분자들 사이에만 응집력이 생성된다. 이들 분자는
액체-기체 계면일지라도 계면에 함유된 다른 상을 이루는 분자들과 작은 힘이지만 잡아당
기는 응집력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하여 실제 효과는 아래 그림에서 화살표의 길이로 나타
내었듯이 물방울 안쪽을 향하여 끌어당기는 결과가 되고, 이 힘은 계면에 위치하는 분자를
서로 잡아당기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표면을 형성하도록 수축하기도 한다. 따라서 물방울은
단위 부피당 표면적이 가장 작은 구상을 이루려는 경향성을 가진다.
다음 그림에서 표면에 평행하게 서로 잡아당기고 있는 상태의 힘을 표면장력(surface
tension)이라고 하고, CGS 단위인 dyne/cm로 나타낸다. (dyne = g ∙ cm ∙ s  )

- 1 -
표면장력은 액체 표면이 축소되려는 경향의 대소를 나타내며 액체 분자간의 힘에 의해 표면
장력의 크기가 결정되므로 표면장력은 액체의 응집력을 나타내기도 한다.
계면활성제는 분자 중에 소수기와 친수기를 모두 가지고 있어서 양성친화성이며, 표면에
흡착되어 분자간 힘을 감소시켜 표면장력을 현저히 감소시킨다. 계면활성제 용액의 농도가
높을 경우 많은 분자가 소수기끼리 결합하여 micelle이라고 불리는 회합체를 형성하기도 하
며 micelle이 형성되는 최소한의 농도를 임계 미셀 농도(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MC)라 한다.
표면장력을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계면활성제(분자 등에 소수기, 친수가 모두 존재하
는 것으로 양성친화성 표면에 흡착되어 분자간의 힘을 감소시켜 표면장력을 현저히 감소시
키는 것)이며 약학 분야에서는 계면활성제의 여러 성질을 이용하여 제제 부형제로 많이 사
용한다.
대부분의 액체의 경우 표면장력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직선적으로 감소한다. 이는 분자
의 운동 에너지가 증가함으로써 일어나는 현상이다. 따라서 액체의 표면장력은 임계온도에
서는 0이 된다. 0℃에서의 물의 표면장력은 756 dyne/cm 이며, 75℃에서는 63.5 dyne/cm
이다. 따라서 어떤 물질의 표면장력이나 계면장력을 측정하려 할 때에는 반드시 온도를 조
절할 필요가 있다. 모세관 상승법은 액체 분자 사이에 존재하는 힘은 응집력이라 하며 액체
와 모세관 벽 사이의 힘은 부착력이라고 할 때, 부착력이 응집력 보다 클 때 액체는 모세관
내를 적셔 퍼지며 표면장력에 의해 모세관 내로 상승하게 되는데 이러한 액체의 상향 운동
은 표면장력이 액체의 무게에 의한 중력의 하향력과 평형을 이룰 때 멈추게 된다. 이 때 상
승하는 높이를 측정하여 표면장력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표면을 적시는 액체 속에 담긴 반지름이  인 모세관을 생각해보
면, 표면장력에 의해 액체가 모세관 속으로 올라가서 액체의 무게에 따른 하향력은 표면장
력에 의한 상승운동과 평형을 이루게 될 것이다. 원 둘레 위의 어느 점에서 액체의 표면장
력으로부터 생기는 힘의 상향성분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  cos

모세관의 내부 원둘레에 작용하는 전 상승력은  cos 이다.

 : 액체 표면과 모세관 벽 사이에서 이루는 접촉각


(물이나 기타의 보통 액체에 있어서  값은 무시되므로 cos 를 1 로 한다)
 : 표면장력
 : 모세관의 내부 원둘레

- 2 -
중력(질량×속도)의 반대 힘은 단면적(  ), 메니스커스의 최하위까지의 원주 높이(  ), 액체
의 밀도(  )와 그 액체 증기의 밀도(  ) 사이의 차 및 중력의 가속도의 곱으로 표시한다. 즉,

          이다. 여기서  는 메니스커스 상부의 무게 (높이  에 해당되지 않는


메니스커스 상부의 무게를 말함)이다. 액체가 그 반대 힘과 평형을 이루는 최고 높이까지
상승하였을 EO, 모세관 높이의 눈금을 읽어서 표면장력을 계산할 수 있다. 보통, 증기의 밀
도, 접촉각 및  는 무시된다. 그러므로

   



   

가 된다.
(이 때 모든 액체의 메니스커스가 위 그림처럼 되지 않는다. 예: 수은-위로 볼록하게 됨)

3. 실험 기구 몇 시약
1) 실험 기구
모세관, 슬라이드 글라스, 피펫, 자
2) 시약
Liquid paraffin, Glycerin, Chloroform(CHCl3, 트리클로로메탄), 증류수

4. 실험방법
1) 깨끗하게 건조된 slide glass 위에 Liquid paraffin, Glycerin, Chloroform, 증류수를 각
각 2방울씩 떨어뜨린다.
2) 모세관을 액체 위에 수직으로 세워 올라온 용액의 높이가 일정할 때 높이를 구한다.
(세운 후, 충분히 시간이 흐른 후에 측정한다.) (약 2~3분 정도)
3) 같은 조작을 4회 반복하여 측정한 다음, 그 평균값을 구한다.
4) 증류수 data를 이용하여 모세관의 반지름을 정하고, 각각의 표면장력을 구해본다.

- 3 -
[주의사항]
1) chloroform은 휘발성이기 때문에 2방울 떨어뜨린 후 모세관을 세워두면 그 사이에 말라
버리므로 주의를 기울이도록 한다. 또 chloroform은 플라스틱이나 스티로폼을 녹이므로
conical tube 등을 사용하지 않는다. chloroform을 제외한 Liquid paraffin, Glycerin,
증류수는 conical tube에 소량씩 담아서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2) 모세관을 세워 올라온 높이를 측정할 때 충분한 시간이 지난 후에 측정한다.
3) 모세관 굵기가 계산식에 들어가므로 한 개의 모세관 혹은 비슷한 굵기의 모세관을 사용
하도록 주의한다.

5. 실험 결과
1) 각 시료별 상승높이 측정 결과

2) 모세관 반경 결정

   

3) 시료별 표면장력 계산

6. 토의 및 고찰

7. 연구 과제
1) 계면활성제가 표면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기술하여라.
2) CMC(임계 미셀 농도)란 무엇인가?
3) 다른 표면장력측정법을 알아보고 그 원리를 설명하라.
4) 표면장력과 wetting과의 관계를 설명하라.

- 4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