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docx, pdf, or txt
Download as docx,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4

<결과레포트>

열의 일당량

소속: 건축대학 건축학부


학년: 2
학번: 202210534
이름: 정성희
실험일: 2023. 6. 05.
제출일: 2023. 6. 15.
1. 실험 목표
도선에 전류가 흘러 발생된 열량을 측정하여 물당량과 열의 일당량을 측정한다.

2. 실험 원리
에너지 보존법칙은 고립계에서 에너지의 총량은 변하지 않고, 형태만 변한다. 이렇게 에너지 보존
법칙이 발생하기 때문에 열에너지는 역학적 에너지로, 역학적 에너지는 열에너지로 변화시킬 수
있다. 열의 일당량이란 1kcal 의 열량이 몇 Joule 에 해당하는가를 의미한다. 결국, 일 W 와 열량Q
사이에는 W =JQ 의 식이 만족하며 J 가 열의 일당량이다.

전류를 걸어주었을 때, 저항 R 의 저항선에 전류 I 가 t 초동안 흐르면 열을 발생시키는데 사용된


전기에너지는
2
W =I Rt=VIt 이다.
전기 에너지는 열량계 속의 용기와 물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이 열량 Q 는

Q=C (m+ M )(T 2−T 1 )

이다. M 은 물의 질량, M 은 용기, C 는 물의 비열로서 1cal/g 도 로 한다.

앞에 식을 이용해서 열량계의 물당량은

m1 ( T 3−T 1 )−m2 (T 2−T 3)


M= 이다.
T 2 −T 3

3. 실험 기구 및 장치
1) 전자 저울, 비커

2) 온도계, 초시계

3) 직류전압계, 직류전류계

4) 전열선, 매스실린더

5) 전기 열량계, 전원장치

4. 실험 방
1) 열량계의 물당량(M) 측정

① 충분한 물을 전기 열량계에 담고, 전기를 공급하여서 열에너지에 의해 물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② 상온의 물 온도를 측정한다.


③ 약 10 도 정도 올라간 다음에 열량계에서 물을 섞고 온도를 측정한다.

④ 상온의 물을 열량계 안에 있는 물과 섞은 다음에 온도를 측정한다.

2) 열의 일당량(J) 측정

① 충분한 물을 열량계에 붓고 전원장치의 스위치를 켠다.

② 전류를 준 다음에 시간을 재고 온도가 약 5 도 정도 올라갈 때까지 기다린다.

③ 물을 잘 섞어 평형상태가 되도록 한 다음에 온도를 기록한다.

④ 물당량을 이용해서 열의 일당량을 구한다.

5. 실험 결과
가. 열량계의 물당량

1 상온에서 물의 질량(m 1) 과 온도(T 1) m1 = 94.9g, T 1 = 25.0 도

2 끓인물의 질량(m 2)과 온도(T 2) m2 = 138g, T 2 = 31.6 도

3 최종 평형상태의 온도(T 3) T 3 = 26.6 도

4 열량계의 물당량( M ) M = -107.6

나. 열의 일당량

1 물의 질량(m ) 85.5g

2 처음 물의 온도(T 1) 30.0 도

3 나중 물의 온도(T 2) 23.8 도

4 평균 전압(V ) 8.7 V

5 전류( I ) 3.4 A

6 시간(t ) 102 sec

7 열의 일당량( J ) -2.5 J/cal

6. 토의
에너지 보존 법칙은 고립계에서 에너지의 총합은 일정하다는 법칙으로, 에너지가 다른 에너지로
전환될 때 전환 전후의 에너지 총합은 항상 일정하게 보존된다. 이는 열역학 제 1 법칙 : 열과 일 모두
에너지의 한 형태로 열은 일로, 일을 열로 전환이 가능하며 일과 열 사이에는 일정한 비례관계가
성립한다는 것과 같다. 결국, 일 W 와 열량Q 사이에는 W =JQ 의 식이 만족하며 J 가 열의
일당량이다.

Q= A-W , W= J- Q

Q : 열량 (kcal)
W : 일량 (kgf • m)
A : 일의 열당량(1/427 kcal/kgf • m)
J : 열의 일당량(427 kgf•m/kcal)

7. 참고 문헌
일반물리학실험 1-13 열의 일당량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