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25

경상남도교육청 미래교육원 2023-03

2023년 경남교육정책

연구보고서
4권

기본 연구보고서
고등학생 자기관리 역량 강화 방안 연구
2023. 경남교육정책

연구보고서
4권

기본연구보고서

04
고등학생 자기관리 역량 강화 방안 연구
2023. 경남교육정책 기본연구보고서

고등학생 자기관리 역량 강화 방안 연구

연구진
연구책임자
김도영 경상남도교육청 미래교육원 파견연구교사

공동연구원
이정하 경상남도교육청 미래교육원 교육연구사
송태은 고성중앙고등학교 교사
오혜진 김해경원고등학교 교사
설우진 웅남중학교 교사

연구협력관
김형남 경상남도교육청 진로교육과 장학사
전진양 경상남도교육청 중등교육과 장학사

자문위원
서행련 김해삼문고등학교 교장
강형천 호암중학교 교장
연구요약 2023. 경남교육정책 기본연구보고서

고등학생 자기관리 역량 강화 방안 연구

연구책임자 김도영(경상남도교육청 미래교육원 파견연구교사)

이정하(경상남도교육청 미래교육원 교육연구사), 송태은(고성중앙고등학교 교사)


공동연구원
오혜진(김해경원고등학교 교사), 설우진(웅남중학교 교사)
김형남(경상남도교육청 진로교육과 장학관)
연구협력관
전진양(경상남도교육청 중등교육과 장학사)

자문위원 서행련(김해삼문고등학교 교장), 강형천(호암중학교 교장)

주제어 자기관리 역량, 고등학생, 역량 강화, 핵심역량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 i -
2 연구 방법

- ii -
3 연구 내용

- iii -
4 연구 결과

- iv -
- v -
- vi -
- vii -
- viii -
5 정책 제언

- ix -
I. 서 론 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1
2. 연구 내용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3
3. 연구 방법 및 절차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4

II. 이론적 배경 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 6


1. 역량의 개념과 특징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6
2. 우리나라 교육과정과 역량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9
3. 자기관리 역량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 16

III. 자기관리 역량에 대한 인식 및 교육 활동 현황 분석 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19


1. 설문조사 개요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 19
2. 조사 결과(학생)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21
3. 조사 결과(교사)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 40
4. 결과 요약 및 시사점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53

IV.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면담조사 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57


1. 교사 및 학생 대상 면담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57
2. 교사 면담조사 결과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 61
3. 학생 면담조사 결과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70
4. 논의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77

V. 고등학생의 자기관리 역량 강화 방안 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뭽80


1. 국가적 차원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 80
2. 교육청 차원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82
3. 단위 학교 차원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 84
참고문헌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 86
[부록1] 자기관리 역량에 대한 인식 및 관련 교육활동 실태 조사(학생용)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 89
[부록2] 자기관리 역량에 대한 인식 및 관련 교육활동 실태 조사(교사용)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 95
[부록3] 면담조사 질문지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 100
<표 Ⅰ-1>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의 흐름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5
<표 Ⅱ-1> 역량의 다양한 정의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6
<표 Ⅱ-2> 역량의 구성요소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 8
<표 Ⅱ-3> OECD DeSeCo 프로젝트 핵심역량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 10
<표 Ⅱ-4>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여섯 가지 핵심역량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13
<표 Ⅱ-5> 역량 및 역량 기반 교육과정의 의미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 15
<표 Ⅱ-6> 자기관리 역량의 정의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16
<표 Ⅱ-7>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KEDI 학생역량 지표 체계(자기관리 역량) 뭼뭼뭼뭼뭼뭼뭼뭼뭼 17
<표 Ⅱ-8> 자기관리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 17
<표 Ⅲ-1> 설문조사 대상 및 방법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19
<표 Ⅲ-2> 학생용 설문조사 문항 내용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 20
<표 Ⅲ-3> 교사용 설문조사 문항 내용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 20
<표 Ⅲ-4>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 21
<표 Ⅲ-5> 성별 긍정적 자아의식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21
<표 Ⅲ-6> 성별 자기 주도성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22
<표 Ⅲ-7> 성별 진로성숙도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 22
<표 Ⅲ-8> 학교 유형별 긍정적 자아의식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23
<표 Ⅲ-9> 학교 유형별 자기주도성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24
<표 Ⅲ-10> 학교 유형별 진로성숙도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24
<표 Ⅲ-11> 학생 성장과 발달에 미치는 자기관리 역량의 영향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 25
<표 Ⅲ-12> 학교 교육과정 내 자기관리 역량 강화에 대한 필요성.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26
<표 Ⅲ-13> 자기관리 역량과 관련된 하위 요소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 27
<표 Ⅲ-14>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경험 여부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29
<표 Ⅲ-15> 자기관리 강화 교육 활동 경험 여부에 따른 긍정적 자아의식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29
<표 Ⅲ-16>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경험 여부에 따른 자기 주도성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 30
<표 Ⅲ-17>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경험 여부에 따른 진로성숙도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 30
<표 Ⅲ-18>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경험 시간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31
<표 Ⅲ-19> 경험한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방법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32
<표 Ⅲ-20>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실시 주기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32
<표 Ⅲ-21>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이 도움 되는 정도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 33
<표 Ⅲ-22> 자기관리 역량 교육 활동이 도움 되는 정도에 따른 긍정적 자아의식 뭼뭼 34
<표 Ⅲ-23> 자기관리 역량 교육 활동이 도움 되는 정도에 따른 자기주도성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 35
<표 Ⅲ-24> 자기관리 역량 교육 활동이 도움이 되는 정도에 따른 진로성숙도 뭼뭼뭼뭼뭼뭼뭼뭼 36
<표 Ⅲ-25>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이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이유 뭼뭼뭼뭼 36
<표 Ⅲ-26> 학생의 자기관리 역량 강화 방안 관련 학생 의견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 37
<표 Ⅲ-27> 교사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 40
<표 Ⅲ-28> 자기관리 역량에 대한 이해도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41
<표 Ⅲ-29> 학생 성장과 발달에 미치는 자기관리 역량의 영향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41
<표 Ⅲ-30> 학교 교육과정 내 자기관리 역량 강화에 대한 필요성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42
<표 Ⅲ-31> 자기관리 역량과 관련된 하위 요소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 43
<표 Ⅲ-32>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실시 여부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44
<표 Ⅲ-33>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운영 시간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45
<표 Ⅲ-34>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방법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 46
<표 Ⅲ-35>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실시 주기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 47
<표 Ⅲ-36>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운영의 어려움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48
<표 Ⅲ-37>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미실시 이유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 49
<표 Ⅲ-38> 학교에서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운영을 위한 우선 과제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50
<표 Ⅲ-39> 학생의 자기관리 역량 강화 방안 관련 교사 의견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 51
<표 Ⅳ-1> 면담 대상 학교 수 및 특성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58
<표 Ⅳ-2> 면담 대상 교사 및 학생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58
<표 Ⅳ-3> 교사 대상 면담조사 내용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59
<표 Ⅳ-4> 학생 대상 면담조사 내용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59
[그림 Ⅱ-1] 역량의 세 가지 특성(안)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 8
[그림 Ⅱ-2] OECD 학습 나침반 2030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11
[그림 Ⅲ-1] 학생 성장과 발달에 미치는 자기관리 역량의 영향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 25
[그림 Ⅲ-2] 학교 교육과정 내 자기관리 역량 강화에 대한 필요성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 26
[그림 Ⅲ-3] 자기관리 역량과 관련된 하위 요소-1순위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 27
[그림 Ⅲ-4] 자기관리 역량과 관련된 하위 요소-2순위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28
[그림 Ⅲ-5] 자기관리 역량과 관련된 하위 요소-3순위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28
[그림 Ⅲ-6]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경험 시간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31
[그림 Ⅲ-7] 경험한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방법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32
[그림 Ⅲ-8]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실시 주기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 33
[그림 Ⅲ-9]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이 도움 되는 정도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 33
[그림 Ⅲ-10]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이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이유 뭼뭼뭼뭼뭼뭼 37
[그림 Ⅲ-11] 자기관리 역량에 대한 이해도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41
[그림 Ⅲ-12] 학생 성장과 발달에 미치는 자기관리 역량의 영향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41
[그림 Ⅲ-13] 학교 교육과정 내 자기관리 역량 강화에 대한 필요성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42
[그림 Ⅲ-14] 자기관리 역량과 관련된 하위 요소-1순위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 43
[그림 Ⅲ-15] 자기관리 역량과 관련된 하위 요소-2순위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44
[그림 Ⅲ-16] 자기관리 역량과 관련된 하위 요소-3순위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44
[그림 Ⅲ-17]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실시 여부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45
[그림 Ⅲ-18]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운영 시간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45
[그림 Ⅲ-19]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실시 방법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 46
[그림 Ⅲ-20]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실시 주기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 47
[그림 Ⅲ-21]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운영 시간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48
[그림 Ⅲ-22]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미실시 이유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 49
[그림 Ⅲ-23] 학교에서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운영을 위한 우선 과제-1순위 뭼뭼뭼뭼 50
[그림 Ⅲ-24] 학교에서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운영을 위한 우선 과제-2순위 뭼뭼뭼뭼 50
[그림 Ⅲ-24] 학교에서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운영을 위한 우선 과제-3순위 뭼뭼뭼뭼 51
[그림 Ⅳ-1] 면담조사 시행 및 결과 분석 절차 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뭼61
- 1 -
- 2 -
- 3 -
- 4 -
<표 Ⅰ-1>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의 흐름

- 5 -
<표Ⅱ-1> 역량의 다양한 정의

- 6 -
*출처: 최수진 외(2017)

- 7 -
[그림 Ⅱ-1] 역량의 세 가지 특성(안)

*출처: 한혜정 외(2018)

<표Ⅱ-2> 역량의 구성요소

- 8 -
*출처: 최수진 외(2017)

- 9 -
<표Ⅱ-3> OECD DeSeCo 프로젝트 핵심역량

*출처: http://www.oecd.org/pisa/35070367.pdf, 재인용: 장계영 외(2023:34)

- 10 -
[그림 Ⅱ-2] OECD 학습 나침반 2030

*출처: OECD 교육 2030 홈페이지(2019), 재인용: 최수진 외(2019:42)

- 11 -
- 12 -
<표 Ⅱ-4>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여섯 가지 핵심역량

*자료: 백순근 외(2017); 교육부(2017)에서 재구성

- 13 -
- 14 -
<표 Ⅱ-5> 역량 및 역량 기반 교육과정의 의미

*출처: 한혜정 외(2018:30)

- 15 -
<표 Ⅱ-6> 자기관리 역량의 정의

- 16 -
<표 Ⅱ-7>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KEDI 학생역량 지표 체계(자기관리 역량)

*출처: 길혜지 외(2017)

<표 Ⅱ-8> 자기관리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7 -
- 18 -
<표 Ⅲ-1> 설문조사 대상 및 방법

- 19 -
<표 Ⅲ-2> 학생용 설문조사 문항 내용

<표 Ⅲ-3> 교사용 설문조사 문항 내용

- 20 -
<표 Ⅲ-4>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명(%)

<표 Ⅲ-5> 성별 긍정적 자아의식






***p<.001, **p<.01, *p<.05

- 21 -
<표 Ⅲ-6> 성별 자기 주도성



***p<.001, **p<.01, *p<.05

<표 Ⅲ-7> 성별 진로성숙도



***p<.001, **p<.01, *p<.05

- 22 -
<표 Ⅲ-8> 학교 유형별 긍정적 자아의식

***p<.001, **p<.01, *p<.05

- 23 -
<표 Ⅲ-9> 학교 유형별 자기주도성



***p<.001, **p<.01, *p<.05

<표 Ⅲ-10> 학교 유형별 진로성숙도



- 24 -
***p<.001, **p<.01, *p<.05

<표 Ⅲ-11> 학생 성장과 발달에 미치는 자기관리 역량의 영향

명(%)

[그림 Ⅲ-1] 학생 성장과 발달에 미치는 자기관리 역량의 영향

- 25 -
<표 Ⅲ-12> 학교 교육과정 내 자기관리 역량 강화에 대한 필요성
명(%)

[그림 Ⅲ-2] 학교 교육과정 내 자기관리 역량 강화에 대한 필요성

- 26 -
<표 Ⅲ-13> 자기관리 역량과 관련된 하위 요소
명(%)

[그림 Ⅲ-3] 자기관리 역량과 관련된 하위 요소-1순위

- 27 -
[그림 Ⅲ-4] 자기관리 역량과 관련된 하위 요소-2순위

[그림 Ⅲ-5] 자기관리 역량과 관련된 하위 요소-3순위

<표 Ⅲ-14>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경험 여부


명(%)

- 28 -
<표 Ⅲ-15> 자기관리 강화 교육 활동 경험 여부에 따른 긍정적 자아의식






***p<.001, **p<.01, *p<.05

- 29 -
<표 Ⅲ-16>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경험 여부에 따른 자기주도성








***p<.001, **p<.01, *p<.05

<표 Ⅲ-17>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경험 여부에 따른 진로성숙도








***p<.001, **p<.01, *p<.05

- 30 -
<표 Ⅲ-18>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경험 시간(중복 선택 가능)

명(%)

[그림 Ⅲ-6]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경험 시간

- 31 -
<표 Ⅲ-19> 경험한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방법(중복 선택 가능)
명(%)

[그림 Ⅲ-7] 경험한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방법

<표 Ⅲ-20>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실시 주기


명(%)

- 32 -
[그림 Ⅲ-8]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실시 주기

<표 Ⅲ-21>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이 도움 되는 정도

명(%)

[그림 Ⅲ-9]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이 도움 되는 정도

- 33 -
<표 Ⅲ-22> 자기관리 역량 교육 활동이 도움 되는 정도에 따른 긍정적 자아의식







***p<.001, **p<.01, *p<.05

- 34 -
<표 Ⅲ-23> 자기관리 역량 교육 활동이 도움 되는 정도에 따른 자기주도성









***p<.001, **p<.01, *p<.05

- 35 -
<표 Ⅲ-24> 자기관리 역량 교육 활동이 도움이 되는 정도에 따른 진로성숙도









***p<.001, **p<.01, *p<.05

<표 Ⅲ-25>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이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이유(중복 선택 가능)

명(%)

- 36 -
[그림 Ⅲ-10]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이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이유

<표 Ⅲ-26> 학생의 자기관리 역량 강화 방안 관련 학생 의견

- 37 -
- 38 -
- 39 -
<표 Ⅲ-27> 교사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명(%)

<표 Ⅲ-28> 자기관리 역량에 대한 이해도


명(%)

- 40 -
[그림 Ⅲ-11] 자기관리 역량에 대한 이해도

<표 Ⅲ-29> 학생 성장과 발달에 미치는 자기관리 역량의 영향


명(%)

[그림 Ⅲ-12] 학생 성장과 발달에 미치는 자기관리 역량의 영향

- 41 -
<표 Ⅲ-30> 학교 교육과정 내 자기관리 역량 강화에 대한 필요성
명(%)

[그림 Ⅲ-13] 학교 교육과정 내 자기관리 역량 강화에 대한 필요성

- 42 -
<표 Ⅲ-31> 자기관리 역량과 관련된 하위 요소
명(%)

[그림 Ⅲ-14] 자기관리 역량과 관련된 하위 요소-1순위

- 43 -
[그림 Ⅲ-15] 자기관리 역량과 관련된 하위 요소-2순위

[그림 Ⅲ-16] 자기관리 역량과 관련된 하위 요소-3순위

<표 Ⅲ-32>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실시 여부


명(%)

- 44 -
[그림 Ⅲ-17]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실시 여부

<표 Ⅲ-33>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운영 시간(중복 선택 가능)


명(%)

[그림 Ⅲ-18]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운영 시간

- 45 -
<표 Ⅲ-34>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방법(중복 선택 가능)
명(%)

[그림 Ⅲ-19]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실시 방법

- 46 -
<표 Ⅲ-35>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실시 주기
명(%)

[그림 Ⅲ-20]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실시 주기

- 47 -
<표 Ⅲ-36>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운영의 어려움(중복 응답 가능)
명(%)

[그림 Ⅲ-21]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운영 시간

- 48 -
<표 Ⅲ-37>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미실시 이유(중복 응답)
명(%)

[그림 Ⅲ-22]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미실시 이유

- 49 -
<표 Ⅲ-38> 학교에서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운영을 위한 우선 과제
명(%)

[그림 Ⅲ-23] 학교에서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운영을 위한 우선 과제-1순위

[그림 Ⅲ-24] 학교에서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운영을 위한 우선 과제-2순위

- 50 -
[그림 Ⅲ-25] 학교에서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운영을 위한 우선 과제-3순위

<표 Ⅲ-39> 학생의 자기관리 역량 강화 방안 관련 교사 의견

- 51 -
- 52 -
- 53 -
- 54 -
- 55 -
- 56 -
- 57 -
<표 Ⅳ-1> 면담 대상 학교 수 및 특성

<표 Ⅳ-2> 면담 대상 교사 및 학생

- 58 -
<표 Ⅳ-3> 교사 대상 면담조사 내용

<표 Ⅳ-4> 학생 대상 면담조사 내용

- 59 -
- 60 -
[그림 Ⅳ-1] 면담조사 시행 및 결과 분석 절차

1) 본 연구에서 면담 내용 인용 시 의미가 달라지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맞춤법, 표현 등을 수정하여 제시함.

- 61 -
- 62 -
- 63 -
- 64 -
- 65 -
.

- 66 -
- 67 -
- 68 -
- 69 -
- 70 -
- 71 -
- 72 -
- 73 -
- 74 -
- 75 -
- 76 -
- 77 -
- 78 -
- 79 -
- 80 -
- 81 -
- 82 -
- 83 -
- 84 -
- 85 -
- 86 -
- 87 -
- 88 -
설문조사 안내문

경상남도교육청 미래교육원에서는 「고등학생 자기관리 역량 강화 방안 연구」를 수


행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고등학생들의 자기관리 역량을 측정하고 학교에서 자기관리 역량 강


화와 관련된 교육 활동에 대한 경험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자 하오니,
바쁘시더라도 설문조사에 적극적으로 협조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설문 결과는 도내 고등학생의 자기관리 역량 강화 방안 모색을 위한 자료로 사용될


것이니, 각 물음에 성실하고 솔직하게 응답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다음은 통계처리를 위한 기본 인적사항에 대한 질문입니다.

- 89 -
※ 다음은 자기관리 역량을 측정하기 위한 질문입니다.

- 90 -
- 91 -
※ 다음은 자기관리 역량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 92 -
※ 다음은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에 대한 질문입니다.

- 93 -
- 94 -
설문조사 안내문

- 95 -
※ 다음은 통계처리를 위한 선생님의 기본 인적사항에 대한 질문입니다.

※ 다음은 자기관리 역량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 96 -
※ 다음은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에 대한 질문입니다.

- 97 -
- 98 -
- 99 -
[교사용 질문지]
□ 기본 사항
1. 자신의 기본적인 인적사항에 대해 간략히 말씀해주십시오.(담당 교과, 역할, 교직경력 등)
2. 소속 학교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에 대해 간략히 말씀해주십시오.(인근 지역의 특성, 학생 및
교사의 특징, 학교 분위기 등)

□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운영 경험

자기관리 역량이란 자신의 삶, 학습, 건강, 진로에 필요한 기초적 능력 및 자질을 지속적으
로 계발‧관리하고, 변화하는 사회에 유연하게 적응하며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여기에는 자아정체성 확립, 자신감 획득, 자기 통제 및 절제, 기본 생활습관 형성, 자신의 감
정 조절, 건강관리, 기초학습능력 및 자기주도 학습능력, 진로개발 능력, 합리적 경제생활, 여
가 선용 등의 하위 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교육부, 2017)

1. “자기관리 역량이 높다”, “자기관리를 잘 한다”는 것은 무엇을 잘한다는 의미일까요?


2. 위에서 제시된 자기관리 역량의 하위 요소 중 어떤 분야를 교육과정에서 꼭 다루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그 중에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는 부분은 무엇이며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3. 자기관리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개인의 성향, 부모 등 가
정 환경, 학교에서 교사와의 상호작용 경험, 참여형 수업의 경험 등)
4. 선생님께서는 자기관리 역량 강화를 위해 어떤 교육 활동을 운영해보셨나요?
5. 4번에서 말씀하신 교육 활동에서 어떤 방법을 이용하십니까? (훈화, 프로젝트, 토의법, 학생
참여활동 등)
6. 자기관리 역량 강화를 위해 학생들에게 강조하시는 점은 무엇입니까?
7.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을 운영할 때 학생들의 반응이나 효과성은 무엇이었습니까?

□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 활성화를 위한 과제 및 방안
1.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을 운영할 때 어려움은 무엇이었습니까?
2.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이 학교 교육과정 내에서 활성화되기 위해 우선적으로 해결되어
야 할 부분이나 지원이 필요한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3. 자기관리 역량 관련 설문조사(2023년 5월 25일~6월 12일)에서 응답한 교사(835명)의

- 100 -
73.89%가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을 하고 있다고 응답한 반면, 경남의 고등학교 2학
년 학생 응답자(3,601명)의 70.81%가 자기관리 역량 강화와 관련된 교육 활동을 받아본 적
이 없다고 응답하였습니다. 이러한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4. 고등학생들의 자기관리 역량을 강화를 위해서는 학교에서 어떠한 점이 더 개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학생용 질문지]
□ 기본 사항
1. 간단한 자기소개를 해주세요.
2. 본인이 생각하는 자신은 어떤 모습인가요?(친구들과의 관계, 신체, 학업 등)
3. 부모님과의 관계는 어떠한가요?(상호작용, 정서적 지원 등)
4. 수업 시간 이외의 시간에는 무엇을 하나요?(점심시간, 쉬는 시간, 휴일 등)
5. 하루 일과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 자기관리 역량 강화 교육 활동에 대한 경험
1. 자기관리를 잘한다는 것은 무엇을 잘 한다는 뜻일까요?
2. 자기관리를 잘 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3. 본인은 자기관리를 잘한다고 생각하나요?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4. 본인의 자기관리를 잘 하기 위한 자신만의 방법은 무엇입니까?
5. 고등학교의 교과 수업, 창의적체험활동, 학교행사, 진로체험, 학급생활 등의 교육 활동 중 자신의
자기관리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교육 활동은 무엇인가요?
(예: 토의법, 학생참여형 수업, 동아리 활동 등)
6. 5번의 교육 활동이 어떤 점에서 도움이 되었는지 구체적으로 말해주세요.

□ 자기관리 역량 관련 어려움과 요구
1. 자기관리 역량을 키우는 데 방해 요소 혹은 어려움은 무엇인가요?
2. 자기관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학교에 바라는 점은 무엇인가요?

- 101 -
2023년 경남교육정책 연구보고서 4권

기본연구보고서

발 행 일 2023년 12월 19일 인쇄


2023년 12월 19일 발행

발 행 인 경상남도교육청 미래교육원 원 장 이수광

기 획 경상남도교육청 미래교육원 소 장 차재원


경상남도교육청 미래교육원 교 육 연 구 사 이정하
경상남도교육청 미래교육원 교 육 연 구 사 김성호
경상남도교육청 미래교육원 교 육 연 구 사 정대수

연구수행 경상남도교육청 미래교육원 책 임 연 구 원 한미영


경상남도교육청 미래교육원 책 임 연 구 원 정연홍
경상남도교육청 미래교육원 책 임 연 구 원 위미나
경상남도교육청 미래교육원 파견연구교사 김도영
경상남도교육청 미래교육원 파견연구교사 진영학

연구지원 경상남도교육청 미래교육원 사무운영주사 유창호

발행기관 경상남도교육청 미래교육원


(52151)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의병로8길
누리집 : https://gnfe.gne.go.kr/
전 화 : (055)570-5601
전 송 : (055)570-5509

• 본 보고서의 내용은 경상남도교육청 미래교육원의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


• 본 보고서의 내용은 경남교육사이버도서관(https://ebook-lib.gne.go.kr/)에서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