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주차 경제정책과 전략 PDF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57

경제정책과 전략

이충열 교수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공공정책대학 경제통계학부 교수
1
세계 경제속의 한국경제

0. 강사 소개

2 / 80
세계속의 한국경제

목차

I. 강사소개
II. Fact Checks: 우리의 과거와 현재
III. 우리가 아는 우리들의 평범한 모습
IV. 한국의 경제성장과 사회환경 및 역사

3
Ⅰ. 강사 이충열? 세계속의 한국경제

• 1982: 고대 경제학과 졸업 경제학사


학력
• 1992: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 경제학과 경제학박사: 화폐금융론 및 계량경제학

• 1998 to 현재: 고려대 세종캠퍼스 경제통계학부 교수


• 1992 to 1998: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경력 • 2015 to 2019: 경상대학장, 공공정책대학장 역임
• 2012 to 2013: 한국지급결제학회장
• 2007 to 2009: 동남아학회 부회장 및 동남아학회지 편집위원장

• 한국 정부 및 주요 국책연구 기관: 금융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금융기관: 한국은행, 산업은행, 중소기업은행, 국민은행, BC카드, 여신금융협회 등
연구 및
• 해외기관 및 국가: 아시아개발은행, 중국, 일본, 아세안 10개 국가 (라오스, 태국, 인도네시아,
컨설팅
미얀마, 필리핀, 싱가포르, 캄보디아, 베트남, 브루나이, 말레이시아 등), 네팔, 스리랑카,
알제리, 가나, 나이지리아, 온두라스, 과테말라 등

4
Ⅰ. 강사 이충열? 세계속의 한국경제

▪ 경제학자로서 계량경제학과 화폐금융론을 전공, 아세안 경제∙금융 시장을 연구

5
Ⅰ. 강사 이충열? 세계속의 한국경제

▪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돌아다닌 경제학자: 세계 각지 배낭여행을 즐긴다.


▪ 각지의 사람들이 왜 나하고 다른 가를 항시 묻고 생각하는 사람: 물론 경제학
적 시각으로
▪ 그리고 이것을 블로그에 기록: http://blog.naver.com/cllee123
2013년 200박 201일 가족세계일주 기타 다양한 세계 여행 경험

6
세계 경제속의 한국경제

1. 세계속 한국경제의 의미

7 / 80
Ⅱ. 우리의 과거와 현재 세계속의 한국경제

▪ 1950-60년대
• 정치: 식민지 및 한국전쟁이후 혼란, 독립국가 및 민주주의의 실험 국가
• 경제: 1인당 GDP는 $100 이하 수준, 세계에서 가장 소득이 낮은 국가중의 하나
• 사회: 전통적인 유교 중심의 윤리 가치가 지배.
• 교육: 해방 당시 국민문자해독률 22%

▪ 2020년의 한국
• 정치: 민주주의의 성숙
• 경제: 1인당 소득 31,838.2달러, 경제규모 세계 11위, G20 및 OCED 회원,
소득분배도 상대적으로 안정
• 사회: 다양한 가치관, 가장 안전한 국가중의 하나
• 교육: 대학진학률 67.8%, 세계에서 가장 고등교육을 많이 받는 나라

8
Ⅱ. 우리의 과거와 현재 세계속의 한국경제

▪ 2차 대전 이후 독립한 많은 신생국, 개도국중 한국은 경제-사회면에서


타 국가와 비교할 때, 매우 우수한 성과를 보였음.

▪ 세계 여러 개도국 경제학자 및 관료들은 한국의 발전 사례를 보고 왜?


어떻게? 라는 질문을 하고, 그 노하우를 알려 달라는 요청함. 실제
한국정부는 많은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음.

▪ 질문에 대한 답을 우리는 알고 있고, 이들에게 알려줄 수 있는가?


어쩌다 이렇게 된 것인가?
• 세계인의 시각으로 한국 경제의 경험을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가?
• 한국의 발전 경험을 다른 나라에도 응용할 수 있을까?
• 사회과학적인 실험을 다른 나라에서 실시하면?
9
Ⅱ. 우리의 과거와 현재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 경제지표를 통한 비교: 1인당 GDP (미달러기준) 가 크게 상승
그림 1 1인당 GDP (미달러기준)
35,000

US31,3838.2$ 2019
30,000

25,000 Global Crisis

US21727.0$ 2006
20,000

15,000 Asian Crisis

US 10,384.1$ 1994
10,000
US 5,817.7$ 1989
US 1,055.9$ 1977
5,000
US 102.8$ 1963

0
1979
1953
1955
1957
1959
1961
1963
1965
1967
1969
1971
1973
1975
1977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2015
2017
10
Ⅱ. 우리의 과거와 현재 세계속의 한국경제

▪ 한국은 지난 60년간 높은 경제성장률을 기록하였음.


20.0
그림 2 GDP성장률 (원화기준, 실질)
15.0 3저 대호황

10.0

저성장구간
5.0

0.0

-5.0
글로벌금융위기
광주민주화운동 아시아금융위기
-10.0

11
Ⅱ. 우리의 과거와 현재 세계속의 한국경제

▪ 1960대-2000년까지 고도성장기를 거쳤음.


▪ 다른 나라들은? (맨큐의 경제학교과서)
<그림 3> 세계 주요국의 경제성장률 (1960-1991)

자료: Mankiw, 경제학원론

12
Ⅱ. 우리의 과거와 현재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 한국의 우수한 성과는: 두 사진을 통한 비교
<그림 5> 1950년대 한국 <그림 6> 2020년의 한국

13
Ⅱ. 우리의 과거와 현재 세계속의 한국경제

▪ 한국경제 분석 방법론: 다음 2개의 간단한 경제이론에 기초하여 한국


경제발전을 설명하되, 한국의 사회-문화적 배경을 고려함.

▪ 생산함수: 투입량과 생산량간의 관계식: 투입량인 노동 (L), 자본 (K),


기술 (Te), 천연자원 (NR), 제도∙관습 (Sys) 등에 따라 생산량 (Y)가 결

Y = F(L, K, Nr, Te, Sysers…)
• 예) 자동차 생산을 위해서는 노동(노동자), 자본(공장, 기계), 원자재(엔진 <= 철판 (중간재)
<= 철광석, 페인트 (중간재) <= 화학제품 <=원유), 기술, 문화와 제도 (근로 계약, 최저임금
등등) 가 필요함.
• 예) 교육서비스는? 노동(교육자, 선생), 자본(교과서, 공책, 필기도구, PC 등), 기술 (교육방식
ICT 등), 문화와 제도(의무교육제도, 교사와 학생들간의 전통적인 관계 등)

14
Ⅱ. 우리의 과거와 현재 세계속의 한국경제

▪ 시장경쟁이론: 국제시장에서 품질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한 상품이


팔린다. => 기업, 국가의 생산과 고용이 이에 따라 결정
• 자유무역제도: 2차대전 이후 자본주의 국가들을 중심으로 발전: 각 국가는 자
신이 생산한 재화, 용역을 타국에서 판매: 각국은 가격이 저렴하고 품질이 우
수한 상품을 구입함.
• 우수한 상품은 판매가 증가 => 공장 생산 증가 => 지역 혹은 국가 고용증가.
• 품질이 열악한 상품은 판매가 감소 => 공장 생산 감소 => 지역 혹은 국가 고
용 감소.
• 가격경쟁력: 같은 품질에 비하여 가격이 낮음
• 품질경쟁력: 같은 가격에서 품질이 우수함

15
Ⅱ. 우리의 과거와 현재 세계속의 한국경제

▪ 위에서 설명한 생산함수와 국제경제의 시장경쟁이론을 통하여 한국


경제의 발전과정과 정책을 분석함.
• 한국경제의 성장 과정 및 원인 등을 이해하려면 세계경제 및 국제경제하에서
한국의 위치, 한국의 주력 생산품 및 이의 품질을 타국과 비교하여야 함.
• 현실적으로 이를 이해하는 경제학자는 부족함. 대체로 한국경제만을 분석하
는 것이 대다수이고 경쟁국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임
• 실제로 1960-70년대 우리나라의 경쟁국, 80-90년대, 2000년대 경쟁국의 현
황 (기술, 제도) 등을 이해하는 사람은 별로 없음.
• 세계경제의 발전과정 및 추세와 변화 트랜드를 이해하는 사람이 많지 않기
때문임.
• 본 강의는 그 현황을 생산함수와 시장경쟁 이론을 응용하되 다른 나라의 생
산요소와 다른 나라 생산품들의 가격 및 품질 경쟁력과의 비교로 해석함.

16
세계 경제속의 한국경제

2.1 세계 경제 환경

17 / 80
Ⅱ. 우리의 과거와 현재 세계속의 한국경제

▪ 2차 대전 이후를 중심으로 우리나라와 다른 개도국 경제를 평가하고


비교하는 이유는?
• 세계경제 시스템의 변화: 오늘날과 같은 세계경제 및 정치 시스템이 2차 대전이후에 시작되었음.
• 한국의 변화: 우리나라 역시 새롭게 대한민국이라는 국호의 공화국으로 시작하여 세계경제에
진입하게 되었음.

▪ 1, 2차 대전을 통하여 강대국들은 너무도 많은 피해를 보고, 새로운


질서를 모색함.
• 이차 대전 이전의 세계 질서: 제국주의 시대로 강대국이 약소국을 무력으로 점령하여 식민지를
만들던 시대. 과학문명이 앞선 일부 유럽국가들은 미대륙, 아프리카, 아시아의 많은 지역을
식민지로 삼음: 사실 이는 인류가 수천년동안 해온 역사임.
• 1910년 조선은 일본의 식민지가 됨.

18
Ⅱ. 우리의 과거와 현재 세계속의 한국경제

▪ 2차 대전 이전: 제국주의 시대, 세계는 강대국의 식민지로 구성: 승자는


땅과 자원을 획득.
<그림 7> 2차 대전 이전의 세계: 식민지들 (1898년)

터키

스페인

프랑스 영국 네덜란드

포르투갈

Source: https://commons.wikimedia.org/wiki/Atlas_of_colonialism
19
Ⅱ. 우리의 과거와 현재 세계속의 한국경제

▪ 2차 대전 이전: 제국주의 시대, 세계는 강대국의 식민지로 구성.


<그림 8> 2차 대전 이전의 세계: 식민지들 (1936년)

일본

이탈리아
미국

프랑스 네덜란드
영국

포르투갈

(b) 1936

Source: https://commons.wikimedia.org/wiki/Atlas_of_colonialism
20
Ⅱ. 우리의 과거와 현재 세계속의 한국경제

▪ 1, 2차 대전으로 선진국들은 막대한 희생자를 치루고, 신국제질서를


구축
• 1차 대전: 국제연맹, 2차 대전: 국제연합, IMF, World Bank, GATT.
<표 1> 차 대전의 희생자들 (단위 백만명)

사망 부상 행불 전체
연합군 5.5 12.8 4.1 22.5
동맹국 4.4 8.4 3.6 16.4

<표 2> 2차 대전의 사망자수

군인 민간인 전체

연합군 16 45 61

주축군 8 4 12
21
Ⅱ. 우리의 과거와 현재 세계속의 한국경제

▪ 2차 대전 이후의 신국제질서는 다음의 3가지 특징으로 구성?

▪ 많은 지역에서 기존 제국주의의 식민지가 새로운 신생국가로 독립


• 동남아시아의 필리핀 (1946, 미국), 미얀마 (1948, 영국) , 말레이시아 (1957, 영국),
아프리카의 리비아 (1951년, 이탈리아) 와 튀니지 (1956년 프랑스) 사하라사막
이남 1960년도 전후), 한국 (1948)

▪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국가의 정책과 대립


• 민주주의 및 자본주의: 미국과 영국 등 서부유럽국가 들은 사유재산과 개인의
자유를 보장
• 공산주의: 사유재산을 부정하고 공동생산과 분배를 주장, 소련 (1919년 러시아
혁명) 과 중국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및 동부 유럽국가들이 채택.
• 신생독립국들은 기존의 왕정체재나 위의 둘중 하나를 선택받도록 됨
22
Ⅱ. 우리의 과거와 현재 세계속의 한국경제

▪ 자본주의 국가들간 자유무역이 강조되고 관련 국제기구가 탄생: 식민지 쟁탈전이


아니고, 각국의 무역이 강조되는 가운데 품질과 가격으로 경쟁으로 경쟁하는
시스템이 도입.
• GATT (관세무역에 관한 일반협정)의 탄생: 다자간 교역규범의 가장 중요한 원칙으로 비차별성을
강조하고 회원국 상호간 관세율을 인하하는 협정
• WTO (세계무역기구)의 등장: GATT를 확대-개편하여 국가간 경제분쟁을 판결하고 판결의 강제
집행권을 통해 국가 간 발생하는 마찰과 분쟁을 조정하는 기구됨.
• IMF의 설립과 브레튼우드 체제의 도입: 미달러화를 기축 통화로 하는 금환본위제도를 실시하고,
다른 나라의 통화를 달러에 고정하는 제도
✓ 국제무역을 활성화하려면 환율이 안정적인것이 필수적임: 이를 위하여 미 달러를 중심으로
고정환율제도를 각국이 사용하도록 함.
✓ IMF의 설립: 고정환율제도하에서 국제수지가 심각하게 불균형하게 될 때 이를 지원하는
기구로 등장.

23
Ⅱ. 우리의 과거와 현재 세계속의 한국경제

▪ 각 개도국들은 위에 환경변화에 대하여 자신에 적합한 체제를 선택함.


• 정치체제: 자유민주주의, 일당독재주의, 왕정주의, 군벌제도 등등의 시스템중
하나를 선택하게 됨.
• 경제제체: 시장경제주의 및 공산주의 시스템중 하나를 선택하게 됨.
• 대외개방 정도: 폐쇄경제 및 개방경제 등 국제무역 및 금융거래의 참여 정도를
결정
• 물론 위에서 제시한 시스템중 극단적인 자유민주주의, 일당독재주의, 공산주의,
시장경제주의, 개방경제 및 폐쇄경제 보다는 다소 완화된 형태로 이들을 결합한
체재를 채택하게 됨-.

24
Ⅲ. 우리의 평범한 모습 세계속의 한국경제
▪ 2차 대전 이후 기존 국가가 분단국가가 된 경우는?
✓ 대한민국 (남한): 1948년 8월 15일,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북한): 1948년 9월 9일 (정치이
념적 분단)
✓ 인도: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종교적 분단)
✓ 베트남: 남베트남, 북베트남 (정치이념적 분단) 1975년 통일
✓ 독일: 동독, 서독: 1989년 통일 (패전국 처리문제 및 정치이념적)
✓ 중국: 중국, 대만 (내전 이후 분단)
✓ 예멘: 남예멘과 북예멘, (이념적, 종교적 내전중)

25
Ⅱ. 우리의 과거와 현재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Korean Economy in General
▪ 국제무역관점에서 세계는 폐쇄경제국가와 개방경제국가로 구분됨.
• 개방경제는 무역 및 금융거래 비중이 높은 반면, 폐쇄경제는 자급자족 중심의 제도를 운영.

▪ 대부분의 다당제 및 제한된 민주주의국가는 개방경제 제도를 채택한


반면 공산주의 및 독재국가들은 폐쇄경제 제도를 채택함.
• 2차 대전 이후 소련(구 러시아) 및 중국, 베트남 등 공산주의 국가들은 폐쇄경제,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은 개방경제를 택함.

▪ 많은 개도국들은 이 두 제도중 하나를 선택하게 됨. 이들은 식민자를 경험하였기


때문에 수탈개념에 입각한 개방경제보다는 폐쇄경제를 주로 선택함.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개방경제로 변화함.
• 식민지 국가들이 개방경제를 채택할 경우 다시 과거 식민지로 전환되지 않는 다는 사실을
인식하는데 수십년이 소요됨.
• 싱가포르, 대만, 한국, 말레이시아 등은 폐쇄에서 개방으로, 인도와 브라질, 아르헨티나는 좀더
폐쇄적인 경제를 선택함.
26
Ⅱ. 우리의 과거와 현재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Korean Economy in General
▪ 폐쇄경제 => 수입 대체형 경제발전 전략을 채택: 해외에서 수입하던 물건을
국내에서 생산함, 생산함수의 생산요소를 많이 갖춘 자원부국 국가(러시아, 중국,
아르헨티나 브라질) 등이 추진

▪ 개방경제 => 수출주도형 경제발전 정책을 추진: 해외에 수출할 상품들을


국내에서 생산함. 생산요소중 상당부분의 요소가 부족한 작은 국가들이 추진함.

▪ 1950-1980년까지 30년 동안 위의 정책 운영 결과: 개방경제를 채택한 국가들의


성과가 크게 뛰어남.
• 중국은 50년대 대약진운동과 60년대 문화혁명이후 경제가 급격히 쇠퇴, 소련 및 동구권
국가들은 1980년대 후반 몰락, 인도의 경제는 정체, 베트남과 라오스 미얀마 등의 경제는
후퇴함.
• 아시아의 한국, 대만,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 개방경제국가들의 빠르게 성장.
• 개방경제는 단순한 물적 자원이나 시장규모 이외에도, 기술축척, 해외기술이전,경쟁을 통한
효율성 개선 효과 등이 매우 중요한 성공요인임.
27
Ⅱ. 우리의 과거와 현재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Korean Economy in General
▪ 2000년대 들어 거의 모든 국가들이 개방경제를 채택하는 가운데
국제분업과 글로벌 밸류체인 (Global Value Chain)의 확립.
• 각국은 자신이 갖고 있는 생산요소를 제공하여, 상품에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이를 결합한
형태의 생산활동이 이루어짐.
• 원료, 중간재, 최종재의 생산이 여러 나라에서 이루어짐.
• 예) 석유 => 화학제품 => 원사 => 원면 => 의류 => 판매로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여러 나라가
등장하게 됨: 석유: 중동의 사우디아라비아, 화학제품 => 원사 => 원면: 한국, 의류디자인 =>
이탈리아, 의류 완성 => 베트남, 판매 => 전 세계
• 특히 정보통신의 발달에 따라 각국간의 정보 전달 및 이동의 증가로 보다 적극적으로
확대되었음.

28
Ⅱ. 우리의 과거와 현재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Korean Economy in General
▪ 2차 대전 이후 다양한 정치체계 및 경제제체가 등장: 식민지가
독립하고 왕정국가 (Monarch) 부터 공산주의, 민주주의 국가로
다양한 형태의 국가들이 등장
그림 9. 2차 대전 이후의 세계 (1952년)

민주주의 일당독재 군벌정치

다당제민주주의 공산주의 족벌정치 왕정 무정부

Source: https://www.itl.cat/wallview/hToRJx_world-map-political-country-and-capitals-free-download/
29
Ⅱ. 우리의 과거와 현재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Korean Economy in General
▪ 70-2000년까지 다양한 정치체계 및 경제제체가 등장: 민주주의와
공산주의의 대립 확대되는 가운데 아프리카에 족벌, 군벌정치가 확립.
그림 10. 2차 대전 이후의 세계 (1967년)

민주주의 일당독재 군벌정치

다당제민주주의 공산주의 족벌정치 왕정 무정부

Source: https://www.itl.cat/wallview/hToRJx_world-map-political-country-and-capitals-free-download/
30
Ⅱ. 우리의 과거와 현재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Korean Economy in General
▪ 현재 200여개의 국가가 존재하면서, 상호 무역을 하고 경제발전을
하는 체제가 운영되고 있음
그림 11. 2020년의 세계

Source: https://www.itl.cat/wallview/hToRJx_world-map-political-country-and-capitals-free-download/
31
세계 경제속의 한국경제
[2.2 주요국의 경제 성장 요
인들: 카타르]

32 / 80
2.2 주요국의 경제성장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 한국과 같이 2차 대전 이후 새롭게 독립한 국가들은 자신이 갖고 있는
자원을 활용하여 경제발전을 추진함.
• 이들의 경제성장 정책과 정책을 비교하는 과정에서 한국을 평가함. 이때 생산함수와 시장경쟁
이론을 통하여 각국이 경제발전 정책을 설명함

표 1. 주요 자원 활용 예들

국가 주요 투입물 혹은 생산요소 주요 산업
카타르 석유와 천연가스 석유 채굴 및 정유산업
이집트 고대 문명 유적지와 문화 여행업
네팔 노동력 해외근로자 임금
싱가포르 지정학적 위치 무역 및 금융
네덜란드 지식과 경험 식품
일본 기술과 경험 전자 및 기계

33
2.2 주요국의 경제성장: 카타르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 카타르(Qatar)는 중동 아라비아반도 동부에 위치한 작은 카타르
반도를 차지함.
• 주변에 강국인 사우디아라비아에 접하고 이란과 컬프만을 통하여 연결됨
<그림 12> 카타르의 지리적 위치
Iraq
Iran

Qatar

UAE
Saudi Arabia

Oman

34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 국토 전체가 연중 높은 기온을 가진 사막으로 이루어짐

35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 Qatar에서는 식량생산이 불가능
• 국토가 천연시멘트인 석회석 사막이고 강수량이 거의 없음
• 일부 잔디밭과 나무는 최근 외국에서 토양을 수입하고, 바닷물을 담수화한 물을 이용하여
재배

고무호스

36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 수천년동안 카타르 사람들은 고기잡이와 진주조개잡이로 생계를 유지
• 태풍이 없는 잔잔한 컬프만에서 조개를 잡고 이를 주변국에 판매하여 식량을 취득하였음. 시내
중심가 바닷가에는 이를 기념하는 커대한 진주조개상이 있음.

37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 옆 나라 두바이의 박물관에는 진주조개잡이에 관련된 많은 전시물을 볼 수 있음.

38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 1940년 서부 더칸필드(Dukhan Field (DK-1 Oil Well) 에서 처음으로 유전이
발견되면서 석유채취 및 석유정체업이 시작됨.

더칸필드의 최초 유전 발견장소 원유 정제공장

39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 21세기 들어 컬프만에서 대규모 천연가스전이 발견되어 이를 채굴하여 수출하기
시작.
• 이 가스전은 이란 영토까지 연결되나 현재 이란은 이를 채굴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 왜?

Iran

Qatar

40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1인당 GDP는 70,000 달러 수준에 이르러 세계 최부국 반열에
▪ 2018 카타르의
오름.
• 2022년 월드컵 축구 경기를 개최할 예정.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tvh&oid=052&aid=0000135242 (in
2006)
그림13. 카타르의 1인당 GDP

41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 수도 도하에는 이러한 부를 보여주듯 많은 화려한 쇼핑몰이 있음. 쇼핑몰 내부에
베니스식 운하를 만들고 사람들은 곤도라를 타고 즐김

42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 1950년대 카타르는 인구 2십만의 영국 식민지로 국가로 이 유전을 개발할 능력이
없었음: 노동력, 기술, 자본 어느 하나 갖고 있지 않았음.
•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미국의 자본이 합작한 Petroleum Department (of Qatar) 사가
발족되었고, 각국의 기술이 투입됨
• 카타르는 1971년 독립이후에도 이들 서방 국가들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 우리는 왜 우리를
식민지로 다스린 일본과 관계가 좋지 않은가?

그림 14. 카타르의 인구

43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 현재 카타르인구 270만명중 카타르 시민은 40만명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외국인노동자임.
• 유럽인: 고소득 석유 및 금융 전문가들, 인도인 및 동남아인: 저소득 단순 일용직 노동자들.
• 쇼핑몰에 가면 줄을 서서 자국에 소액을 송금하려는 외국인들을 많이 볼 수 있음

44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 카타르의 1인당 GDP는 국제유가의 변화에 따라 크게 변동하였고 이는 경제
불안정성 요인으로 등장

그림 15. 국제 유가 (두바이유 기준, 배럴당 미달러기준)

160

140

120

100

80

60

40

20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45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 카타르의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2005년 카타르 투자청(Qatar Investment
Authority)를 설립하고, 2017년말 현재 3,000억 달러의 자산들을 운영.

▪ 즉 석유 및 가스 수출 이외에 소득 창출원으로 기존 축적된 자본을 해외에


효율적으로 투자하는 것임

▪ 예를 들어, 카타르 투자청은 카타르내셔날뱅크, 카타르 이슬람뱅크 등을 소유한


카타르 홀딩스를 100% 소유하고, 독일의 폭스바겐, 영국의 히드로 공항, 영국의
바크레이 은행 등 유럽과 아시아 등의 주요 기업의 주주로서 참여. 즉 석유를
채굴하여 얻은 수익으로 다른 사업에 참여하여 소득을 창출

▪ 그렇다면 정부가 기업이면서 금융투자기관인가? : 우리나라에서도 가능할 까?

46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 시사점: 카타르는 석유와 천연가스 채굴 및 석유정제업에 집중하여 1940년대 세계
최빈국에서 현재 세계최부국의 위치에 오름.
• 최기에는 노동, 자본, 기술을 해외에 의존.
• 자국내 자본 축적 이후에는 자기 자본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자국 및 해외에 투자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tvh&oid=055&aid=0000260206

표 2. 카타르의 주요 지표

항목 지표
국토면적 11,610 km2

인구 2,719 thousand

정치 제도 왕정제도

독립일 September 3, 1971

1인당 소득 (USD) 68793.8 (2018)

47
세계 경제속의 한국경제
[2.2 주요국의 경제 성장 요
인들: 이집트]

48 / 80
2.2.2 주요국의 경제성장: 이집트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 이집트(Egypt)는 북아프리카위치하고 중동에 인접한 인구 1억의 대국: 국토의
95%가 사막인 가운데 나일강이 흐르는 강변과 북부 삼각주에서만 식량 생산이
가능함.

49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 피라미드를 비롯한 엄청난 고대 유적과 유물로 전세계 여행자들을 끌어 모이는
나라
기자의 피라미드와 스핑크스 아부심벨 유적지

50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 피라미드는 처음부터 하나의 모습이 아니었음.
• 최초 Djoser 파라오의 피라미드(in BCE 2660)는 계단형이었고, 이어서 Bend Pyramid, Red
Pyramid and Khufu (B.C. 2580)까지 거쳐 모양이 완성됨
• 쿠푸왕 피라미드는 바닥면적 230.4m2, 높이 146.6m 임.

51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 이집트 정부는 과거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하여 국민들 소득을 창출하고 경제발전을


이룩하자는 정책을 추진하였음.
▪ 이집트는 과거 왕정국가와 영국의 보호령을 겪었음. 1952년 이집트에서는
군사혁명이 발생하고 왕정에서 공화국으로 전환되었음.
• 당시 이집트는 사회주의 국가를 천명하였고, 유럽 자유주의 국가들과 관계를 멀리하고 소련 등
공산주의국가들과 가깝게 됨
• 그러나 사회주의 기반 경제발전 전략을 추진한 후 좋은 성과를 얻지 못하게됨. 또한 서방국가들의
지원을 받는 이슬라엘과 전쟁도 여러 차례 치룸.

▪ 1970년대 이집트 정부는 자본주의 중심의 경제제도를 채택하고, 새로운 경제발전


전략을 추진함.
• 미국과 1971년 외교관계를 수립하고 서부 유럽 자유주의 국가들과 관계를 회복함.
• 이때 관광산업을 주요 전략산업으로 선택하고 관광산업 활성화 정책을 추진함. 특히 주요 관광지
중심의 도로, 공항, 철도 등 관광관련 인프라를 개선하고 호텔과 식당 등 관련 민간 산업을 육성함.

52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 1990년대 들어 이집트의 관광산업을 크게 활성화됨.
• 이집트의 관광객 수는 1995년 3백만명에서 2010년에는 14백만명으로 크게 증가함.
• 관광수입/수출 비율이 1995년-2010년 사이에 20-30% 수준을 유지함. 그러나 이 비율은 2015년 이후
급격하게 하락하게 됨.

그림 16 외국인 관광객수 그림 17 관광수입/수출 비율(%)

53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 2011년 중동지역에서 발생한 정치적 소요사태로 인하여 외국인 관광객수가 크게
감소하게 되었음.
• 2011년 튀니지에서 시작된 ‘아랍의 봄’ 민주화운동으로 MENA지역의 정치 사회적인
불안정성이 크게 증가하였음
• 또한 IS(Islamic State)과 같은 이슬람근본주의가 득세하면서 외국인들에게 대한 혐오 범죄 및
테러활동이 크게 증가하였음.

▪ 당시 이집트의 시위 관련 TV 뉴스를 보면 이를 확인할 수 있음. 수도 카이로의


타흐리드광장(Tahrir Square)임.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tvh&oid=055&aid=0000216986

▪ 2014년 2월 테러리스트가 한국인 기독교 성지 순례단이 탄 버스에 자살폭탄 테를


수행하여 사상자가 발생하게 되었음.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tvh&oid=055&aid=0000272496
• 많은 기독교 성지 순례단은 이집트에 도착 한 후 버스를 타고 이스라엘로 입국하는 코스를 택함,
이때 테러는 이집트 영토내 이스라엘과의 국경 지대에서 발생하였음

54
세계속의 한국경제
01 해외여행의 안전을 위하여 정부는 해외여행안전 시스템을 구축하고,
▪ 한국사람들의
이를 홍보하고 있음.
▪ 이 사태이후 이집트의 일부 지역은 ‘여행자제’ (황색) 지역에서 ‘철수권고’ (적색)
지역으로 전환되었음.

55
세계속의 한국경제

▪ 시사점: 이집트는 자신이 보유한 역사적 유적과 유물을 통하여 소득을 창출하려
는 경제개발정책을 추진하였음.
• 실제로 많은 성과를 거두었지만 최근의 정치적인 불안으로 그 성과가 크게 감소하게 되었음.

Table 3. 이집트의 주요 지표
항목 지표

국토면적 1,001,450 km²

인구 97.0 million

정치 제도 Republic

공화국 수립일 June 18, 1953

1인당 소득 (USD) 2573.3 USD(2018)

56
감사합니다. Q&A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