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3

,

비열 : 어떤 물질 1 g 의온도를 만큼 ex ) 비열 : 바다 > 육지
올리는데 필요한 에너지
온도변화 : 육지 > 바다
비열이 크닷 = 에너지가 더카드 필요 기온변화 :
건조한 공기 > 습원한 공기
비열이 클수록 온도변화는 작음
α
t 공기의 밀도 (무게) , 찬 공기 > 따뜻한 공기

Ⅲ 기후
1. 기후
(1) 날씨와 기후
⓵ 날씨: 어떤 장소에서 비교적 짧은 기간에 나타나는 대기의 상태
⓶ 기후: 일정한 장소에서 장기간에 걸쳐 나타나는 대기의 평균적이고 종합적인 상태

TV
(2) 기후 요소와 기후 요인
⓵ 기후 요소: 기후를 구성하는 대기 현상 ex)기온, 강수, 바람... 등
영향e⓶ 기후 요인(인자): 기후 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지역 간 기후 차이 유발
요인에 의해 요소가 달라짐
위도 고위도로 갈수록 일사량이 감소하여 기온이 낮아짐 저위도가 임사량을 A☆ 받아 상대적으로 기온10
비열 차이 대륙은 해양보다 비열이 작음 -> 대륙이 해양보다 온도 변화가 큼 기온의 면 일교차10 빨리 변함 =

수륙분포
수증기 차이 대륙은 해양보다 수증기량이 적음 -> 대륙이 해양보다 일교차가 크고 강수량이 적음 *수증기는 열을 잡고 있는 섬질이
m없

푄 현상 바람받이 사면과 바람의지(비그늘) 사면의 기후 차이 발생 해발고도와수증기의열방출이상충하기때문( 건조→습윤- 건조]


지형

장벽효과 ex. 영동지방은 겨울철 차가운 북서풍을 태백산맥이 차단 = 감증)


D 해발고도 해발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온이 낮아짐
난류 기온 상승 강수10
.

해류 거 상대적요인
한류 한류가 흐르는 해안 지역은 여름철 기온이 낮음 / 강수량↓
북 : 한류 남 난류
:

#지형 – 푄 현상

습윤한 상태 음결현상,
, 해발고도= 양 사면의기온차 10 여

· 바람받이 사면: 바람이 산지를 타고 올라가는 사면


· 비그늘 사면: 바람이 산지를 타고 내려오는 사면
건조한 곳은 100 m 마다

-바람받이 사면은 공기의 상승으로(해발고도가 높아지니까) 기온이 C씩 달라지고

하강해서 수증기가 응결하고, 그 결과 지형성 강수가 발생한다.


반면에 비그늘 사면은 공기가 산지를 타고 내려오므로(해발고도 습석한 곳은 100 m 마다

가 낮아지므로) 기온이 상승하여 비가 내리지 않은 경우가 많다. O 5c


.
씩 달라진다 .

강수

2. 우리나라의 기후 특징
(1) 냉·온대 기후: 북반구 중위도에 위치하여 냉대 및 온대 기후가 나타남 ,계절의 변화 뚜렷

육지에서 부는 편서품 영향 ⇒ (2) 대륙성 기후: 유라시아 대륙 동안에 위치하여 비슷한 위도의 대륙 서안에 비해 기온의 연교차가 큼
a(3) 계절풍 기후: 여름에는 고온다습한 바람, 겨울에는 한랭건조한 바람의 영향을 받음 (여름 강수 집중률↑) □ 관련
wum

*기온의 연교차: 최난월 평균 기온에서 최한월 평균 기온을 뺀 값을 의미한다.

3. 우리나라 기온 특징 (연평균기온) : 섬기동 > 서) 내 > 대


0 .우리나라는남북으로길기때문
(1) 연평균 기온의 분포 (겨울기온이 주요하게 영향을 미침)
⓵ 연평균 기온은 남에서 북으로 갈수록(by 위도), 해안에서 내륙으로 갈수록 대체로 낮아짐(by 수륙분포)
⓶ 연평균 기온의 지역 차는 동서(by 수륙분포, 해류, 해발고도, 지형, 수심)간 보다 남북(by 위도)간 차이가 더 큼
(남북 간 연교차 비교: 여름 기온보다 겨울 기온이 영향을 크게 미침
- 북태평양 기단의 세력범위가 시베리아 기단보다 넓기 때문 -> 북태평양 기단의 영향을 받는 여름에는 한반도가 전체
적으로 영향 받음. but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을 받는 겨울에는 기단의 세력범위가 상대적으로 약하기에 위도가 높은 지
역이 더 큰 영향을 받음. 따라서 겨울 기온이 남북 간 기온차를 좌우함.)

연교차
: 내륙 > 서해안 > 동해안

내륙vs해안 수륙뷴포

같은 내륙안 해발고도

서해안vs동해안 수심·지형·해류

영동vs영서지방 수륙분포·지형

산맥으로 동서기후에 영향을 미침 (지형)


-

기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수심도 포함
주의④
기후요인 : 수심 포함 X
- 1 -
수업된 기후요이 나 v
(원민)
(2) 기온 분포의 지역 차
⓵ 1월 평균 기온
· 수륙분포의 영향으로 해안 지역이 비슷한 위도의 내륙 지역에 비해 기온이 높음
· 지형과 해양(수심·해류)의 영향으로 동해안이 비슷한 위도의 서해안에 비해 기온이 높음

⓶ 8월 평균 기온
· 1월 평균 기온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역 차가 작음 (by기단)
· 위도가 높아질수록 기온이 낮아지며(남부 내륙 지역의 기온이 높고), 해발고도가 높은 산지는 주변에 비해 기온
이 낮음

(3) 국지적 기온 분포

정의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온이 상승하는 상태가 나타나는 현상


바람이 없고, 맑은(건조)날에는 기온의 일교차가 크다. 따라서 밤에 내륙 분지에서는 지
기온역전현상 발생조건
면의 냉각으로 지표 부근의 기온이 상공보다 더 낮은 기온 역전 현상이 발생함
영향 안개, 냉해 등
정의 인공열에 의해 도시 내부의 기온이 교외의 기온보다 높은 현상
열섬현상 원인 건물·공장·자동차 등에서의 인공 열 발생, 포장면적 증가 등
대책 바람길 조성, 건물 녹화 사업, 하천 복원, 도시 숲 조성 등

- 2 -
4. 우리나라의 강수 특징
(1) 강수 특징
⓵ 습윤 기후: 연 강수량이 약 1,200~1,300mm로 많은 편임
⓶ 강수의 계절 차가 큼: 여름철에 강수가 집중됨
⓷ 강수의 연 변동이 큼: 기단의 발달, 장마 기간, 태풍의 내습 횟수 및 강도, 집중 호우의 발생 정도가 해에 따
라 차이가 큼 -> 홍수와 가뭄이 자주 발생

(2) 강수 분포의 지역 차: 풍향과 지형이 지역 간 강수량 차이에 큰 영향을 줌

다우지 남서 기류의 바람받이 사면(한강 중·상류, 청천강 중·상류 일대), 제주도와 남해안 일대 등
소우지 상승 기류가 발생하기 어려운 평야 지역(대동강 하류), 개마고원, 관북 해안, 영남 내륙 지역 등
다설지 울릉도, 영동 지방(강릉, 속초 일대), 대관령 일대, 호남 서해안 및 소백산맥 서사면 등
*남서기류: 남서쪽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 북태평양 고기압에서 우리나라 쪽의 저기압 혹은 전선으로 유입되는 다습한 기류로 많은
비를 내리게 한다.

- 3 -
5. 우리나라의 바람 특징
(1) 계절풍
⓵ 계절에 따라 풍향과 성질이 달라지는 바람

발생 원인 바다와 육지의 비열 차 -> 계절에 따라 바다와 육지의 기압이 바뀜


8월(여름) 바다(고기압) -> 육지(저기압)
1월(겨울) 바다(저기압) <- 육지(고기압)

*봄과 가을에는 계절풍이 발생하지 않음 by바다·육지 간 온도 차↓

⓶ 여름: 북태평양에서 발달한 고기압의 영향으로 고온 다습한 남서 혹은 남동풍이 탁월함


-> 벼농사, 대청마루 등의 발달에 영향
⓷ 겨울: 시베리아에서 발달한 고기압의 영향으로 한랭 건조한 북서풍이 탁월함
-> 김장, 온돌 등의 발달에 영향

(2) 높새바람

⓵ 정의: 늦봄에서 초여름 사이에 부는 북동풍으로, 태백산맥을 넘을 때 푄 현상에 의해 고온 건조한 성질


로 변질됨
⓶ 영향: 기온과 습도의 동서 차를 유발하며, 영서·경기 지방에 가뭄 피해를 일으킴
*푄현상: 습윤한 바람이 산지를 넘어 불 때 바람받이 사면에서 수증기가 응결하여 구름·비가 되며, 산을 넘어 내려오는
비그늘 사면에서는 공기가 고온 건조해지는 현상

- 4 -
* 이동성고기압이 지나가면 맑고 건조한 날씨
( 하강기류가 지나가므로)

이동성 고기압 : 맑은

이동성 저기압 : 흐리거나비

기단 : 한국자리에서 대부분 고기압


6. 계절의 변화
(1) 우리나라 기후에 영향을 끼치는 기단 ( 성질이 비슷한)
U 공기덩어리
기후랑습도측면

기단 시기
@특징

겨울 ·성질: 한랭건조
시베리아
(늦가울~초봄) ·영향: 한파, 삼한사온, 꽃샘추위

·성질: 냉량습윤

오호츠크해 늦봄~초여름
·영향: 높새바람, 장마전선 …

·성질: 고온다습
북태평양 여름
·영향: 무더위, 장마전선

·성질: 고온다습
적도 여름~초가을
·영향: 태풍

*우리나라 주요 기단 배치도 해양성 기단의 영향은 겨울 < 여름 A☆

북태평양

장마철 = 여름

시베리마 기단

오호츠크해

겨울

*기압배치도 내 가장 높은 고기압을 찾고 그 고기압에서 한반도로 부는 바람의 방향을 통해 계절 유추

-A(장마철): 장마전선을 사이에 두고 남북으로 오호츠크해 고기압과 북태평양 고기압이 대치 상태, 장마


전선에 남서 기류가 유입할 때ㅇ
집중호우가 자주 발생
-B(한여름): 남쪽에 북태평양 고기압이 자리 잡음, 남고북저 기압 배치, 남풍 우세, 폭염, 열대야 등 무더위
~

-C(겨울): 북서쪽에 시베리아 고기압이 자리 잡음, 내


서고동저 기압 배치, 북서풍 우세, 삼한사온, 한파
~ mw

-D(5,6월): 북동쪽에 오호츠크해 고기압이 자리 잡음, 북동풍(높새바람)


~
우세
Lopo 3 일춥고 4일 따뜻

7. 기후 특성과 주민 생활은 ~교과서 74~76p를 참고!

- 5 -
학습 목표
기온, 강수, 바람 특성이 주민 기후와 주민 생활
생활에 미친 영향을 보여 주는
사례를 찾을 수 있다.
| 주요 개념 | 대청마루, 온돌, 정주간, 천일제염, 우데기, 풍력 발전 단지

기온과 주민 생활 기온은 의식주를 중심으로 한 지역 주민의 생활 양식에 큰


영향을 준다. 우리 조상들은 무더운 여름에 통풍이 잘되는 삼베나 모시로 옷을
만들어 입었고, 추운 겨울에는 솜을 넣어 누빈 옷, 가죽으로 만든 옷 등 방한복
을 만들어 입었다. 여름철에 음식이 쉽게 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젓갈 등의
염장 식품을 만들어 먹었고, 채소를 재배하기 어려운 겨울을 나기 위해 많은 양
북부 지방(위)과 남부 지방(아 의 김치를 담그는 김장 문화가 발달하였다.
래)의 김치 북부 지방에서는 소
금과 고춧가루를 적게 넣은 김치 기온 특성은 가옥 구조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무더운 여름을 이겨내기 위해
를, 남부 지방에서는 젓갈, 소금,
중부와 남부 지역의 전통 가옥에는 바람이 잘 통하도록 대청마루를 설치하였으
고춧가루 등을 많이 넣은 김치를
담근다. 며, 지붕과 천장 사이에 공간을 두어 지붕의 열기가 방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
하였다. 겨울철 추위에 대비하여 전통 가옥에는 난방 시설인 온돌을 설치하였
고, 겨울이 매우 추운 관북 지방에서는 정주간을 두고 방을 겹으로 배치하여 열
손실을 줄였다. 자료 3

강수와 주민 생활 우리나라는 여름철 기온이 높고 강수량이 풍부하여 벼농사


가 발달하였지만, 계절에 따른 강수량 변동이 심해 홍수와 가뭄이 빈번하게 발
생하고 물 관리에도 어려움을 겪어 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우리 조상들은 일
찍부터 곳곳에 저수지, 보 등의 수리 시설을 만들었으며, 오늘날에는 다목적 댐
을 건설하여 각종 용수를 공급하고 물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한다.
지역별 강수 분포는 주민 생활에 큰 영향을 주었다. 강수가 많은 지역에서는
터돋움집 침수 피해에 대비하기 위해 터돋움집을 지었고, 범람원에는 제방을 쌓기도 하
홍수가 자주 발생하는 지역에서
침수 피해에 대비하여 터를 높여
였다. 강수가 적은 지역에서는 풍부한 일조량을 바탕으로 천일제염이나 과수 재
짓는 집 배가 활발하다. 자료 4

겨울철 눈이 많이 내리는 지역에서는 갑작스럽게 내린 눈으로 교통 체증이 발


생하거나 실외 활동이 어려워지는 등 일상생활에 불편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에
대비하여 울릉도에서는 전통 가옥에 우데기를 설치하여 많은 눈이 쌓였을 때 생
활 공간을 확보하였다. 오늘날에는 눈이 많이 내리는 기후 특성을 관광 자원으
로 활용하여 눈 축제를 개최하거나, 스키장을 건설하여 관광객을 유치하는 지역
도 늘어나고 있다.

74 단원 기후 환경과 인간 생활
자료
3 우리나라의 전통 가옥 구조

관서형 관북형

아 안방 윗방 고방 안방
부엌 궁 정 방앗간
이 부
주 엌
윗방 아랫방 간
외양간

사랑방

중부형 울릉도형

대청 건넌방
장독 흙벽
굴뚝
관북 지방의 정주간 부엌과 방 사
중부 및 남부 지방의 대청마루 안방 동해
부 큰방 사랑방 이의 벽이 없는 공간으로, 부엌에서

무더운 여름을 나기 위해 바닥과 사이
부엌 통나무
황해 발생하는 온기를 활용할 수 있다.
를 띄고 나무판을 깔아 만든 공간이다. 우데기

남부형
제주도형
물항 남해
고팡 대청
큰방 작은방
겹집 부엌 마루
솥 마루
부엌 구들방 홑집
0 100 km
(한국의 기후와 문화, 1994)

제주도 전통 가옥의 아궁이 난방과 취사를 울릉도의 우데기


겸하는 육지와 달리, 난방과 취사가 분리되어 울릉도의 전통 가옥에 설치된 외벽으로, 눈이 많이 쌓였을
아궁이의 방향이 벽 쪽으로 향한다. 때도 생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자료
4 강수 특성에 따라 다른 지역 산업

천일제염(전라남도 신안군) 스키장(강원도 평창군) 사과 축제(경상북도 청송군)

자료 3 과 같이 지역별로 가옥 구조가 다른 이유를 기후 특성과 관련지어 설명해 보자.

중부 및 남부 지방 제주도 관북 지방 울릉도

가옥 특징 분 기
기후 특성

자료 4 와 같은 산업이 발달하는 데 각각 영향을 미친 기후 환경을 발표해 보자.

자료 4 를 참고하여 기후 특성의 영향으로 발달한 지역 산업의 사례를 조사해 보자.

기후와 주민 생활 75
바람과 주민 생활 계절풍은 우리나라 주민 생활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겨울
계절풍은 촌락이나 가옥의 입지에 영향을 주었는데, 우리 조상들은 차가운 북서
계절풍을 막기 위해 산을 등지고 햇볕이 잘 드는 배산임수 지역에 촌락을 형성

제주도 전통 가옥 하고 남향집을 많이 지었다. 여름철 무덥고 습한 남동ㆍ남서 계절풍은 벼농사 발


달에 영향을 주었다.
까대기
바람은 가옥의 형태에도 영향을 주었다. 바람이 강하게 부는 제주도에서는 바
가옥의 벽이나 담에 임시로 덧붙
여 만든 건조물 람의 저항을 줄이기 위해 지붕의 경사를 낮게 하고, 그물망처럼 지붕을 줄로 엮
었다. 또한, 돌담을 쌓아 강한 바람이 집으로 직접 들어오는 것을 막았다. 호남
해안 지역에서는 가옥의 처마 끝을 따라 까대기를 설치하여
강풍과 대설에 대비하였다.
바람은 주민 생활에 피해를 주기도 하는데, 늦봄에서 초여
름 사이에 부는 고온 건조한 높새바람의 영향으로 영서 지방
에서는 가뭄 피해가 발생하기도 한다. 오늘날에는 바람을 적
극적으로 이용하여 바람이 강하게 부는 고도가 높은 지역이나
해안에 풍력 발전 단지가 조성된다.
풍력 발전 단지(강원도 평창군) 제주도
ex)

방해물이 없으므로바람이 셈

제주도 밭담의 다양한 가치

제주도에서는 밭과 밭의 경계를 돌담으로 쌓았는데, 이를 ‘밭담’이라고 한다. 밭담은 제주


도의 열악한 환경을 지혜롭게 극복한 결과이다. 많은 돌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정리하는
방법이었으며, 얼기설기 쌓은 밭담은 바람에 무너지지 않으면서 풍속을 줄여 흙이 유실되는
것을 막았다. 아울러 방목한 가축들이 침입하여 농작물이나 시설물을 훼손하는 것을 막아주
고, 토지의 경계 구실도 하였다.
최근에는 밭담이 문화 및 관광 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아 2014년 국제 연합 식량 농
업 기구의 세계 중요 농업 유산으로 지정되었고, 제주도에서는 이를 활용한 상표 개발, 지역
민 주도형 경제 공동체 육성 등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밭담의 상표 가치를 높이고 새로운
관광 자원으로 육성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문화 축제와 학술 행사도 개최한다. 이러한 활동
은 관광 산업 활성화를 비롯하여 지역 소득 창출에도 이바지할 것으로 보인다.
- 환경일보, 2016. 8. 17. -

제주도 밭담 축제

76 단원 기후 환경과 인간 생활
(2) 계절별 기후 특징
⓵ 봄

·꽃샘추위: 초봄 시베리아 기단의 일시적인 확장으로 반짝 추위가 나타남


·건조한 날씨: 대기가 건조하여 산불 발생 빈도가 높고, 가뭄이 자주 발생함
·황사 현상: 중국 내륙의 흙먼지가 편서풍을 타고 날라옴
·높새바람: 늦봄~초여름에 오호츠크해 기단의 영향으로 영동지방에서 영서지방으로 부는 고온 건조한 바람

⓶ 장마철

·장마전선: 한대기단과 열대기단의 경계면을 따라 형성되는 정체전선


·장마: 6월 하순을 전후하여 남부지방부터 시작되고, 장마전선이 북상과 남하를 반복하다가 7월 하순을 전후하여
한반도 북쪽으로 올라감
·집중호우: 장마전선에 다습한 남서 기류가 유입될 경우 자주 발생함.

⓷ 한여름

·남고북저형의 기압 배치: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무더위가 나타남


·폭염: 고온 다습한 날씨가 지속되면서 열대야 및 열대일이 나타남
*열대야: 밤 최저기온이 25도 이상일 때/ 열대일: 일 최고 기온이 30도 이상일때
·소나기: 지표면의 국지적인 가열에 의해 발생하는 대류성 강수

⓸ 가을

·가을장마: 북태평양 기단의 약화되면서 북쪽으로 올라가 있던 장마전선이 다시 남쪽으로 내려와 짧은 기간 비가


내리기도 함
· 청명한 날씨: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맑은 날이 많음

⓹ 겨울

·서고동저형의 기압 배치: 시베리아 고기압이 확장하면서 북서풍이 강하게 불어와 한랭 건조함


·삼한사온: 시베리아 고기압의 주기적인 강약으로 기온 하강과 상승이 반복됨
·폭설: 북서계절풍이나 북동기류의 영향으로 일부지역에 발생함

*강수의 유형

-지형성 강수: 바람이 높은 산을 타고 상승하면서 바람받이에 내리는 강수


-대류성 강수: 한 여름의 소나기처럼 지표면의 급속히 가열될 때 공기가 상승하며 내리는 강수
-전선성 강수: 장마 전선처럼 찬 공기와 더운 공기가 만날 경우 상대적으로 무거운 찬 공기가 더운 공기
밑으로 파고들 때 더운 공기가 상승하며 내리는 강수
-저기압성 강수: 태풍처럼 열대 해상에서 만들어진 강력한 상승 기류인 저기압이 지구 열수지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상대적으로 위도가 높은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내리는 강수
(안중요 - 저기압 중심에서 수렴이 발생함 -> 상승기류 형성)

- 6 -
2. 자연재해 와 기후변화
(1) 자연재해
1. 자연재해
⓵ 의미: 자연환경 요소들이 인간 생활에 피해를 주는 현상
⓶ 유형: 기후적 요인(홍수, 가뭄, 대설, 폭염, 한파, 냉해, 태풍 등), 지형적 요인(지진, 화산활동 등)...

2. 자연재해별 특징과 대책
⓵ 기온과 관련된 자연재해와 대책
구분 정의 특징 및 영향 대책
주로 겨울철에 한랭한 공기가 유입 수도관에 보온 조치 강화, 창문에
한파 감기 환자 급증, 수도관 동파 등
되어 기온이 급격히 내려가는 현상 바람막이 설치
폭염 매우 심한 더위 장마가 끝난 후 주로 발생 통풍이 잘되도록 환기

⓶ 강수와 관련된 자연재해와 대책


구분 정의 특징 및 영향 대책
오랜 기간 비가 내리지 않거나 강 진행 속도가 느리고, 산불 발생 가
가뭄 조림 사업을 통한 삼림의 녹색 댐 기
수량이 적어 물 부족을 겪는 현상 능성이 높음
능 강화, 다목적 댐·보·저수지 등의
집중호우 등으로 인해 하천이 범람 지표 상태나 배수 관리 체계에 따
홍수 건설을 통한 하천 관리 능력 증대
하여 그 주변 지역이 침수되는 현상 라 피해 정도가 달라짐
비닐하우스·축사 등의 붕괴, 교통 기상 예보를 통한 사전 대비 철저,
대설 짧은 시간 동안 많은 눈이 내리는 현상
장애 유발 신속한 제설 작업

⓷ 바람과 관련된 자연재해와 대책


구분 정의 특징 및 영향 대책
중심 부근의 최대 풍속이 17m/s
저위도의 열대 해상에서 발생하여 강풍 및 호우에 대비한 시설물 점
태풍 이상으로 폭풍우를 동반하는 열대
고위도로 이동 검 철저
저기압

*자연재해(대설, 태풍, 호우)의 발생 시기와 발생 지역

1. 자연재해의 원인별·월별 발생 비율을 보고 A~C가 어떤 자연재해인지..?


A: 태풍 -> 늦은 여름에서 초가을에 주로 발생 / B:호우 -> 장마기간에 주로 발생하는 호우 / C: 대설

2. 자연재해의 원인별·도별 피해 복구비를 보고, (가)~(다)는 어떤 자연재해일까?


(가): 태풍 -> 제주를 비롯한 남부 지방에서 피해 복구비가 많음
(나): 호우 -> 여름 강수 집중률이 높은 한강 수계에 위치한 경기·강원에서 피해 복구비가 많음
(다): 대설 -> 피해 복구비가 가장 적고 다른 지역에 비해 강원, 경북 등에서 피해 복구비가 많음

- 7 -
(2) 기후변화
1. 지구의 기후 변화: 지구온난화
⓵ 원인
: 화석 연료 연소 시 이산화탄소 배출 증가, 과도한 목축으로 메탄 방출 증가, 더불어 이산화탄소를 처리해 주던
삼림 면적이 점점 줄어들면서 이산화탄소나 메탄 등 온실가스 농도가 증가하여 더욱더 많은 지구복사에너지(=지
구 열기)가 대기 중에 가둬짐

⓶ 영향

1. 여름은 길어지고, 겨울은 짧아지고 있음, 겨울에 결빙 일수가 짧아지고 있음.


2. 해수면 상승, 해발고도 하락, 냉대림 감소, 난대림(ex. 동백나무) 증가, 무상일수 연장, 고랭지 채소 재배의 고도
한계 상승, 식생의 고도 한계(고도하한선) 상승, 작물의 재배 북한계 북상, 당겨진 봄꽃의 개화시기 등
3. 기온 상승으로 대기는 품을 수 있는 수증기량이 늘어나 집중호우가 잦아지고, 슈퍼 태풍이 자주 등장
4. 한류성 어족 감소(명태, 대구...), 난류성 어족 증가(오징어, 멸치...)
5. 열대성 질환과 병충해 증가
6. 열대야 및 열대일 증가

⓷ 대책
⓵ 1997년 교토의정서를 체결하여 선진국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의무화, 2015년에 체결된 파리협정은 2020
년에 만료되는 교토의정서를 대체하며, 2021년 1월에 적용이 시작될 예정이고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모두가 동참
*조약(협정): 국가 간의 권리와 의무를 국가 간의 합의에 따라 법적 구속을 받도록 규정하는 행위.
⓶ 탄소세 부과, 이산화탄소 배출권 거래 제도, 로컬푸드, 대중교통수단 이용, 친환경제품 개발 등...

- 8 -
2. 대도시의 기후 변화: 열섬

⓵ 도시의 열섬 현상
1. 열섬의 정의
: 도시의 기온이 교외(=도시 밖) 지역보다 높은 현상, 도시가 클수록, 낮보다는 밤~새벽에, 여름보다는
겨울에, 바람이 불지 않는 날에 더 뚜렷해짐

2. 열섬의 원인
ㄱ. 도시는 ‘자동차의 배기가스, 냉·난방열’ 등 인공열의 방출이 많음
ㄴ. 피복 때문 -> 콘크리트와 아스팔트는 흙에 비해 열 흡수율이 높아 쉽게 가열되며,
수분을 머금지 못해 잘 식지 않는 편
ㄷ. 도시의 열기가 고층 빌딩인 대기 오염 물질 등에 갇히기 때문

3. 열섬 완화 대책
ㄱ. 옥상 녹화, 도시숲 등 녹지 공간 확충, 빗물을 흡수하는 아스팔트 개발 등
ㄴ. 건물을 규칙적으로 배열해 바람길을 만들면 바람이 건물 사이를 잘 통과하여 인공열과 도시 먼지 등
을 흩트리기 쉬움
ㄷ. 복개되었던 도시 하천의 복원 -> 복원된 하천의 기화열이 도심의 열기를 흡수해 날아가 열섬을 완화

#우리나라의 식생과 토양
(1) 식생의 수평적 분포
: 위도에 따른 기온 차이가 반영 -> 난대림~온대림~냉대림

(2) 식생의 수직적 분포


: 해발고도에 따른 기온 차이가 반영

(1) 성대토양
: 기후와 식생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는 토양, 대체로 위도와 평행한 분포
-개마고원의 한랭한 침엽수림 지역: 회백색토
-중부 및 남부 지방의 낙엽 활엽수림 지역: 갈색토
-남한 저지대의 완경사: 적색토

- 9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