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3

2024-03-15

한국사의 이해 제3주차(3)
백제(BC.18~660)

동아시아 문화강국, 백제

한성시대(BC 18~AD 475)

하남 위례성 : 풍납토성, 몽촌토성


 8대 고이왕(234∼286) 의 관제정비
 13대 근초고왕(346~375)의 정복활동
마한 통합
부자상속
평양성 공격
고구려 고국원왕의 전사

웅진시대(475-538) 금강과 공산성


 427년 고구려 장수왕의 남하정책
 433년 백제와 신라의 동맹 체결[나제동맹]
 475년 장수왕의 백제 공격
개로왕 사망과 한성 함락

 22대 문주왕의 중흥의 정치를 위한 천도


왕실의 권위 약화와 피살되는 문주왕
 23대 문주왕의 맏아들로 13세에 즉위한 삼근왕
권력을 독점한 해구의 반역
해구의 반역을 진압한 진씨의 성장과 삼근왕의 사망
 24대 동성왕의 즉위<문주왕의 동생 곤지의 아들>
진씨에 의해 옹립
금강 유역의 귀족세력[백씨·사씨·연씨] 등용
왕권강화에 반발한 백가(苩加)에게 살해

1
2024-03-15

25대 무령왕 부여로 천도한 성왕


(462/501~523)
 26대 성왕의 사비 천도(538)
 국호 ‘남부여’ 변경
 “지혜와 식견이 뛰어나고 일에 결단성이 있어……나라사람들이
 무령왕의 왕권강화 성왕(聖王)이라고 일컫었다.”
 고구려에 대한 적극적 공격  귀족세력의 내분 종식
 세력 균형 유지 22부사의 설치/5부5방제 실시/ 16관등제 확립
 농사 장려 백성 생활 안정  551년 신라와 연합하여 한강 유역 회복
 정치적 안정과 강화된 왕권  553년 영토장악을 위해 ‘배신’하는 신라

관산성에서 전사한 성왕
 554년 부여창[위덕왕]의 신라 공격 주장
 관산성[충북 옥천]전투
 성왕의 사망과 4명의 좌평, 사졸 29,600명 전몰
 성왕을 위해 陵寺를 창건한 위덕왕
 능사의 목탑터에서 출토된 백제금동대향로
 억눌려 있던 귀족의 발호(跋扈)와 국왕과 귀족의 경쟁 심화
 백제의 대성팔족(大姓八族)
“백제에 큰 성씨로서 8개 집안이 있으니…”
사씨(沙氏)․연씨(燕氏)․협씨(劦氏)․해씨(解氏)․
진씨(眞氏)․국씨(國氏)․목씨(木氏)․백씨(苩氏)

백제 중흥의 꿈을 꾼 무왕 무왕의 꿈이 서린 익산의 미륵사지

 30대 무왕(?/ 600~641)


왕권 강화와 익산 천도 계획
- 무왕의 세력 근거지 추정
『삼국유사』의 마동설화
신라 진평왕의 딸 선화공주와 혼인
신라와의 전쟁[13회]

2
2024-03-15

* 무왕의 비, 사택적덕의 딸

 我百濟王后 佐平 沙宅積德女
 『삼국유사』에 수록된 서동요
백제 무왕의 비 선화공주 창건설화
善花公主主隱 선화공주님은
他密只嫁良置古 남몰래 사귀어 두고
薯童房乙 서동방을
夜矣夗[卯]乙抱遣去如 밤에 몰래 안고 가다

백제의 마지막왕, 義慈 其大將禰植又將義慈來降

 “과단성이 있고 침착하고 사려 깊어서 그 명성이 높았다.”  660년 나당연합군의 공격/ 웅진성으로 피난

 642년 신라에 대한 공격  웅진성의 예씨 일족의 반란

 대야성[합천] 함락  의자왕을 당에게 넘긴 예식진

 대야성주 김품석과 그의 아내[김춘추의 딸] 죽음  “대장 예식이 의자왕을 이끌고 와서 항복했다.” 『구당서』


 웅진도독부의 관리가 된 예군
 당항성 공격과 당의 반발/ 외교 단절
 당의 장군이 된 예식진
 왜국(倭國)과의 관계 개선  “높은 벼슬의 영화를 누렸고 고관의 직책을 연이어 맡아……
* 백강 전투(663) 백제부흥군과 왜의 연합공격 황제의 은혜는 여러 차례 흡족하게 빛났고
총애를 사방에서 융성하게 받았다.”
<<예식진 묘지명 중에서>>

전쟁포로가 된 백제왕 부여태비의 묘지명

 660년 9월 당으로 끌려 가는 백제포로


 백제왕과 왕족 및 신료 93명과 백성 12,000명
 낙양으로 압송된 백제의 왕과 태자
 당나라에서 사망한 의자왕
 병사로 기록한 《삼국사기》
 금자광록대부위위경(金紫光祿大夫衛尉卿)에 추봉된 의자왕
 낙양 북망산에 안장된 의자왕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