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HDN 4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33

강의 III

PTRIEN KTE NHANH CHONG

급격한 경제발전과 한국 사회의 변화:


1960년대와 1970년대
I. 도시화의 진전 서울로 상경하는
PTRIEN 젊은 여성들
I. 도시화의 진전
• 도시화는 1960년대 경제개발 추진과 인구 집중으로 가속
화하였다. TANG TOC

• 경제개발이 본격화된 1960년대 중반 농촌 인구가 100만


여 명 증가하였지만 도시인구는 181만 명 증가함으로써
농촌인구의 증가를 앞섰다.
I. 도시화의 진전
KHU CN NHA MAY

• 1960년대 후반에는 서울 등 도시에 공단이 조성되고 공


장이 건설되면서 농촌 인구의 도시 집중이 가속화하였다.

• 농촌 인구는 1955년 1,330만 명에서 1967년 1,607만 명으


로 최고점에 도달한 후 감소하기 시작해 1986년에 818만
명이 되었다.
I. 도시화의 진전
• 농촌을 떠나 도시로 향하는 행렬은 서울과 영남의 대도
시 및 신흥 공업 도시로 줄을 이었다.

• 서울에 생활 기반이 없는 사람들이 농촌을 떠나 서울로


몰려드는 현상을 ‘무작정 상경’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di chuyen bua bai den seoul

GIA HOA - NU TINH HOA


gioi tre

• 농촌 지역은 청장년층의 유출로 노령화∙부녀화함으로써


노동력의 절대 부족 현상을 빚었다.
DAN DEN THIEU LAO DONG
I. 도시화의 진전
• 1962년에는 서울 인구가 300만을 넘어서면서 주택 부족
이 심해졌다. 마포, 낙산, 동숭, 행용, 정릉 등지에는 서민
대상의 시민아파트가 들어섰다. 80만 평 규모의 여의도
개발도 이뤄졌다.

CAO TOC KOONGPU

• 1970년 경부고속도로 건설을 계기로 한강 이남에 대규모


시가지 개발 사업이 추진되면서 서울은 거대도시로 탈바
꿈하였다. XAY DUNG CAP TOC BIEN SEOUL THANH SIEU DO THI
I. 도시화의 진전
I. 도시화의 진전
I. 도시화의 진전
• 1970년대 중반에는 강북 개발을 억제하고 강남을 특정
QUAN 지구로 지정하였다. 이로 인해 반포동, 잠원동, 잠실동, 압
구정동, 도곡동 일대에는 ‘아파트 지구’라는 새로운 개념
의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들어섰다.

• 강남 개발은 주택 부족 문제를 개선하기도 하였지만 장


기적으로 서울로의 인구 집중 및 강남-강북 간 격차 확대
를 조장하기도 하였다.
I. 도시화의 진전
I. 도시화의 진전
I. 도시화의 진전
I. 도시화의 진전
• 1960년대 중반에는 서울의 교통난 해소, 과밀인구와 도
시기능 분산 등을 위해 도시개발계획이 추진되었다. 이
계획의 일환으로 버스의 대량 증차, 육교∙지하도의 조기 CAU VUOT VA HAM CHUI

건설, 전차 철거, 지하철 건설 등이 구상되었다.

• 1970년 2월에는 ‘서울시 지하철계획안’이 세워지고 1974


년 8월 서울지하철 1호선이 개통하였다. 또 1985년 부산
지하철 개통을 시작으로 대구, 대전, 광주 등 전국 주요 대
도시에도 지하철이 속속 개통되었다.
I. 도시화의 진전
I. 도시화의 진전
I. 도시화의 진전 CAU

• 1960~1970년대에는 제2한강교(양화대교), 제3한강교


(한남대교), 서울대교(마포대교) 등 교량과 남산 제1∙2∙3 HAM NAMSAN
터널을 비롯해 강변도로 및 삼일고가도로 등이 건설되었
다.

• 도시의 가구생활양식도 보급되었다. 부엌과 욕실의 실내


배치, 부엌과 식당의 분리, 입식 부엌 등이 일반화하였다.
단위 침실의 확장, 사생활 중시에 따른 침실 수 증가, 마루
의 거실화 등도 나타났다.
I. 도시화의 진전
I. 도시화의 진전
I. 도시화의 진전
• 나아가 가족의 생활 문화 변화에도 영향을 주었다. 국가
적으로 추진된 가족계획사업은 가족의 규모와 구성의 변
화를 초래하였다. KE HOACH HOA GIA DINH

• 부모와 두 명의 자녀로 된 핵가족은 도시 가족의 전형으


로 자리 잡기 시작하였다.
I. 도시화의 진전
I. 도시화의 진전
MOI TRUONG DAN CU

II. 주거환경의 변화
• 산업화∙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도시인구는 급격히 늘어났
다. 이에 따라 주거 환경도 변화되었다. 주택난 해결책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 찾았다. KHUNG HOANG NHA O

• 한국 최초의 아파트는 1958년 서울 성북구 종암동에 세


워진 종암아파트였다. 그러나 지금과 같은 단지 형태의
아파트는 1962년 지어진 6층짜리 마포아파트가 시초이
다. 아파트 등장과 더불어 집 안에는 수세식 화장실이 설
치되고, 서양식 부엌과 거실 중심의 생활 문화가 보편화
되었다.
II. 주거환경의 변화
II. 주거환경의 변화
II. 주거환경의 변화
• 1971년에는 여의도에 처음으로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12~13층의 고층아파트가 건설되었다. 이후 강남 개발과
함께 중산층을 중심으로 아파트 공급이 본격화되었다.
CHUNG CU CAO TANG
TANG LOP TRUNG LUU

BAN HANG UU DAI


CON SOT DAU CO

• 아파트의 인기가 날로 높아지자 특혜 분양, 투기 열풍 등


이 사회문제로 대두되었다.
II. 주거환경의 변화
• 1975년 국내 주택 가운데 아파트의 비율은 1.9%에 불과
하였지만 2010년 현재에는 전체 가구의 약 60%가 아파트
에 거주하고 있다.

HE THONG SUOI AM

• 주택의 난방시설에도 큰 변화가 있었다. 1960년대 초∙충


반 까지만 해도 도시에서조차 나무를 연료로 쓰는 집이
대다수였다. DUNG GO
II. 주거환경의 변화
• 이 때문에 산이 헐벗고 산사태가 나기 일쑤여서 정부는
‘산림녹화’ 정책과 함께 연탄 난방을 권장하였다. 연탄은
1980년대 초까지 서민들의 난방 및 취사 연료로 널리 쓰
였다. 연탄 난방은 산림녹화에도 도움이 되었으나 연탄
가스 중독 사고와 같은 부작용도 있었다.

• 1980년대 들어 석유와 가스가 주된 에너지원으로 등장


하면서 연탄은 점차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II. 주거환경의 변화
• 연탄을 한 장씩 찍어내는 나무 수타기, 깨진 연탄 부스러
기를 연탄 모양의 틀에 넣고 나무 망치로 때리면서 한 장
씩 찍어내는 기구.

• 단점이라면 시간을 맞춰 연탄을 갈아야 하는 번거로움과


연탄가스 사고 위험이었다.
II. 주거환경의 변화
II. 주거환경의 변화
III. 가족형태의 변화와 가족계획
• 1960년대 보건사회부에서 발행한 가족계획 포스터.
1950년대 출산율은 6.3명이었다. 가난에 허덕이던 시절
인구 증가는 정부의 최대 고민거리였다.

• 1962년에 최초로 산아제한을 위한 가족계획이 발표되었


다. 이후 출산율은 1970년대 4.53명, 1980년대 2.83명으로
떨어졌다. 지금은? 1명
III. 가족형태의
변화와 가족계획
III. 가족형태의 변화와 가족계획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