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6

[지수와 로그] (3)지수가 실수일 때의 지수법칙 :   ,   이고,   이

실수일 때,

1. 지수 1)  ×     2)  ÷     

[ 의 n제곱근과
 
 의 차이?]
3)     4)    

 제곱해서  가 되는 수, 곧    을 만족하면  의  제곱 2. 로그
근이다.
 의  제곱근은 몇 개가 있나? =  개 [로그의 정의]
(⇒ n차 지수방정식이라고 생각하면 당연하다. )
(1)지수로그의 변환에 대한 기본 - 한번 밑수는 영원한 밑수다.
그 중 실수인 것만을 

 라고 부른다.
(방정식의 실근이다. )
   ⟺   log
  홀수   짝수
( ≠ ,  ,  )
(2) 로그의 성질

   
      일 때,
(1) log   log  

[ 의  제곱근 중 실수인 것의 개수] (2) log  log  log



  (짝수차수) 일 때 (3) log   log  log

 
실근 실근의 개수   
(4) log   log (단, p 는 실수)
 
 >0   log 
실수 (5) log    log   (단, b > 0, b =
/ 1)
 =0 0 log  log 
 
 <0 없음 허수 (밑 변환공식)
   (홀수차수) 일 때 
(6) log   log

 
실근 실근의 개수   log
  (7)  
 >0   log log
 =0 0 1 실수 (8)  
 <0  
  (9) log⋅log  log

3.상용로그
[거듭제곱근의 성질]
     이고,   은 2 이상의 자연수일 때 성립
log    
   (이 정수,  ≦   )
1)
  
  
     2)



 

 
 


 
3)     
  
4) 
 
   
 ◆ 꼭 기억합시다.!!!
log      ⟺  ≦ log     
   
5)     ⟺  ≦     
정수부분[지표()] = 정수, 자릿수를 결정한다.
[지수의 확장]
소수부분[가수()] = 0이상이고 1미만인 소수. 숫자의 배열을
(1) 0의 지수, 음의 정수인 지수의 정의 :  ≠ 이고 n이 양의 결정, 자리수의 처음 숫자를 구할 때 이용
정수일 때, (1) 정수부분[지표]의 성질
1)  이 자리 정수일 때⇒[정수부분은    ]

1)    2)     2)  이 소수 번째 자리에서 0이 아닌 수가 처음 나올 때
 ⇒ [ 정수부분은   ]
(2) 소수부분[가수]의 성질
진수의 숫자 배열이 같고, 소수점의 위치만 다른 두 수의
상용로그의 가수는 같다.
(2)유리수인 지수의 정의 :  >0이고 은 정수, 은 2이상의
◆ 꼭! 기억합시다.!!!
정수일 때,
1. 두 상용로그 log  와 log  의 소수부분[가수]이
  같으면 log   log   (정수)이다.
 

   



1)    2)  2. 두 상용로그 log  와 log  의 소수부분[가수]의 합이
1이면 log   log   (정수)이다.
▶ 지수부등식
① [      ]일 때,
4. 지수·로그 함수       ⇔ [      ]
② [    ]일 때,
(1)     (   ,  ≠  )의 그래프의 성질
      ⇔ [      ]
▶ 로그 부등식
⇒ log     log   꼴 일 때,
1)[      ]이면 [      ]
2)[  ]이면 [        ]

◆ 알아둡시다.!!!
(1) 정의역은 실수 전체의 집합이고, 치역은 양의 실수 전체
⇒ log  
log 이다. log   의 정의역은   
이지만,
의 집합이다.
log 의 정의역은     이기 때문이다.
(2) 그래프는 점     과 점     를 지나고
이를테면,   일 때 다음과 같다.
 축 (직선    )을 점근선으로 한다.
(3)    일 때,  의 값이 증가하면  의 값도 증가한다.
     일 때,  의 값이 증가하면  의 값은 -1  1
감소한다.
   log

(4)     의 그래프와   
   의 그래프는  축에
   이란 조건이 없으면 
  log

log  log    이다.


대하여 대칭이다.
◆ 꼭 기억합시다.!!!
◆ 꼭 기억합시다.!!!
지수함수와 지수방정식
지수함수의 응용
■ 지수함수의 성질
주기치가 주어지고 1 회 시행시 일정량 감소 또는 증가하는
문제는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  
모든 실수   에 대하여          
■ 초기치 : a ■ 지수방정식의 기본 해법
■ 1 회 시행시 감소 또는 증가하는 비율 : r ①        ⇨      

■ n 회 시행시 감소 또는 증가하는 양 : a ( 1 ± r ) n ②        ⇨ 양변에 로그를 취한다.

참고 원리합계 ( 원금 + 이자 ) 의 계산 ③     ≻  또는        ≧  와
단리법 : S =a ( 1+ rn ) 같이 치환 처리
n
복리법 : S =a ( 1 + r )
◆ 알아둡시다.!!!
(단, a 는 원금, r 는 이율, n 은 기간, S 는 원리합계)
 
         와           의 성질
(2)   lo g         ≠   의 그래프의 성질  

⇒ 로그함수   log   는 지수함수    의 역함수이므로 ■          ⇨    는 우함수 :  축에 대칭

  log   의 그래프는    의 그래프와 직선    에 
■           ⇨   는 기함수 : 원점에 대칭
대하여 대칭이다. 
참고 위의 두 그래프는 그래프의 합성을 이용하여
   로 고정하여 그린 것이다.

(1) 정의역은 양의 실수 전체의 집합이고, 치역은 실수 전체


의 집합이다.
(2) 그래프는 점        을 지나고  축    을
점근선으로 한다.
(3)    일 때,  의 값이 증가하면  의 값도 증가한다.
(증가함수)
     일 때,  의 값이 증가하면  의 값은 감소
한다. (감소함수)
(4)     과   lo g   는 서로 역함수 관계이다.
⇨ 두 함수의 그래프는 직선    에 대하여 대칭이다.
(5)   lo g   의 그래프와   lo g   의 그래프는  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5) 삼각함수의 정의
[삼각함수]
⇒    인 점     에 대하여
동경  가 축의 양의 방향과
1. 삼각함수의 성질 이루는 각을  라고 할 때,

(1) 일반각   
⇒ 오른쪽 그림에서 동경 OP가 시초선
sin    , cos    , tan   
  
OX를 출발하여 현 위치에 있을 때,
동경 OP 와 시초선 OX가 이루는 각
중 하나를  라고 하면

   ×   
(단,  은 정수,   )

로 표시되는 각  를 동경 OP 가 나타내는 일반각이라고 한다.

(2) 두 동경의 위치관계


⇒ 두 각 ,에 대하여 (은 정수)

1) 두 동경이 일치할 조건(그림 ①)


※ 삼각함수 값의 부호와 각을 찾기
⇨     × 

2) 두 동경이 일직선 위에 있고 방향이 반대일 조건(그림 ②)
 
⇨     ×   
3) 두 동경이 축에 대하에 대칭일 조건(그림 ③) 0 
⇨     × 
   
4) 두 동경이 축에 대하여 대칭일 조건(그림 ④)
⇨     ×   
※ 특수각의 삼각비
5) 두 동경이   에 대하여 대칭일 조건(그림 ⑤)
⇨     ×   

※ 꼭 기억하자!!!!
특수각의 삼각비 값 중
(3) 호도법 1)  ,  ,  ⇒ sin ,cos,tan 값을 % 로 외운다.
⇒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에서 길이가 단,  일 때, cos은 1이 아니고 -1이다.
인 호 A B 를 정할 때, 2)  ,  ⇒ sin ,cos,tan 값을 108로 외운다.
∠ AOB의 크기(중심각의 크기)를  라디안 단,  일 때, sin 은 1이 아니고 –1이다.
radian 이라고 하고, 이것을 단위로 하여
     
각도를 나타내는 방법을 호도법이라고 한다. sin  0 1 0 -1 0
 cos 1 0 -1 0 1
 육십분법을 호도법으로 고칠 때 ⇨ (육십분법의 각)× 
 ° tan 0 ∞ 0 ∞ 0

 호도법을 육십분법으로 고칠 때 ⇨ (호도법의 각)× ° ※ 삼각함수 사이의 관계식

sin 
°
※  라디안  

 °   라디안 1) sin   cos   2) tan   
  cos
(4) 부채꼴의 호의 길이와 넓이
⇒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에서 중심각의
3)   tan

  sec 

 
4) sin   sin     
 
크기가  (라디안)인 부채꼴의 호의 길이
를 , 넓이를  라고 하면 5) tan  × tan     
 
   ,       
 
※ 각에 따른 삼각함수의 변화
3) 함수   tan 

1) sin      sin 
 

2) sin     cos


① 정의역 :    은 정수  를 제외한 실수 전체의 집합

cos     sin
 ② 치역 : 실수 전체의 집합
cos    cos

tan      tan ③ 를 주기로 하는 주기함수이다.
tan      cot

④   tan  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⑤ 점근선은      은 정수 이다.
 

3) sin     cos

4) sin     sin

cos      sin 

cos     cos

tan      tan
tan       cot

5) sin      sin 
 

6) sin       cos

cos       sin

cos     cos

tan     tan (3) 삼각함수의 최대, 최소, 주기
tan       cot

 1)    sin     (또는    cos   )의 꼴
⇒    sin (또는    cos )의 그래프를 축의 방향

  
7) sin       cos
8) sin      sin 
으로   만큼,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
cos      sin 
 
cos    cos
 이다.
tan      tan 
tan        cot 
 ① 최댓값 :     ② 최솟값 :     


③ 주기 : 
9) sin     sin   
cos    cos 2)    tan    의 꼴
tan     tan  
⇒    tan 의 그래프를 축의 방향으로   만큼,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이다.
2. 삼각함수의 그래프 ① 최댓값, 최솟값은 없다.

② 주기 : 
(1) 주기함수  

⇒          
가 성립하는 함수    를 주기함수라 하고 ※ 알아둡시다!!!
이런 상수 가운데 최소의 양수 를 함수의 주기라고 한다.

(2) 삼각함수의 그래프

1) 함수   sin 
① 정의역 : 실수 전체의 집합
② 치역 :    ≤  ≤ 
③ 를 주기로 하는 주기함수이다.
④   sin  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기함수)

2) 함수   cos 
① 정의역 : 실수 전체의 집합
② 치역 :    ≤  ≤ 
③ 를 주기로 하는 주기함수이다.
④   cos  의 그래프는 축에 대하여 대칭이다.(우함수)
3. 삼각함수의 활용 ※ 알아두면 좋아요!!!^^
⇒ 세 꼭짓점이
                일 때
1. sin 법칙

∆   
   
    
sin  sin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인법칙의 변형
4. 사각형의 넓이
   (1) 평행사변형의 넓이
① sin    , sin    , sin   
   ⇒ 이웃하는 두 변의 길이가  이고
②    sin  ,     sin  ,    sin  그 끼인각의 크기가  일 때

③       sin   sin   sin     sin 

2. cos 법칙 (2) 일반 사각형의 넓이


⇒ 두 대각선의 길이가  이고,
(1) 제1 코사인 법칙
두 대각선이 이루는 각의 크기가  일 때
   cos    cos 

   cos    cos      sin 

   cos    cos 

(2) 제2 코사인 법칙

         cos  ⇒
  
  
cos  

          cos  ⇒
  
  
cos  

          cos  ⇒

     
cos  


3. 삼각형의 넓이
(1) 두 변의 길이와 그 끼인각의 크기를 알 때

  
    sin     sin     sin 
  

(2) 세 변의 길이를 알 때(헤론(  )의 공식)

  
  
          (단,    )

(3)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  를 알 때


①  

②     sin  sin  sin  

(4)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 를 알 때


   r     

[수열] 6. 수열   의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의 합  
을 알 때 일반항 은
1. 등차수열          (단,  ≧ )
      
1) 점화식:        

       
7. 자연수의 거듭제곱의 합을  와 식으로
2) 일반항: 나타내어라.
3) 등차중항: 세 수  가 등차수열을 이룰때 
   
 
 
①      ⋯    

 

 
       
4) 합: ②     ⋯    
 

 

      
  

③      ⋯    
 

 
   
 
  
  (단, 은 끝항) ※ 기억합시다!!!
 
   
①    ⋯      

  

2. 등비수열  
②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점화식:  
   
  
③    ⋯       


 
   
 
※ 이항분리법
      
2) 일반항: ⇒ 분수로 표시된 수열의 합의 구할 때
3) 등비중항: 세 수  가 등비수열을 이룰때    
    
    ⇔  ±  
    
 
4) 합:
8. 계차수열
         
           
    1) 점화식:        
 
3. 원리합계(I)
2) 일반항:
   

  단  ≧  
⇒ 원금  를 연이율  인 복리법에 의해
 년간 예금했을때의 원리합계  는
◈ 등차수열과 등비수열의 결합으로 된 수열의
    
합(멱급수)  를 구할때는   공비  ×  를
계산하여 구한다.
4. 원리합계(II)
        ⋯          
① 매년초에  원씩 연이률  인 복리법에 의해
       ⋯              
 년 적립예금했을 때의 원리합계 A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수불)

② 매년말에  원씩 연이률  인 복리법에 의해 9. 점화식


 년 적립예금했을 때의 원리합계  는 ▶        

     
 =  (기말불) ⇒           (단,    )로
  
변형하여     가 등비수열임을
* 할부금과 연금문제는 [ 기말불 ]을 사용한다.
이용한다.

5. 조화수열
▶           
 
1) 점화식:      단         ≠   꼴의 점화식
   
  
  ⇒                의 형태로

    
변형하여 계차수열이 등비수열을 이룸을
  이용한다.
      
2) 일반항:  

3) 조화중항: 세 수  가 조화수열을 이룰때 10. 수학적귀납법


 (ⅰ)   일 때 성립
 
 
(ⅱ)   일 때 성립한다는 가정하에
    일 때도 성립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