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0

3.

연구결과
수소 발생 속도 조절하기

강원석 ․이호경
경기북과학고등학교
Controlling The rate of Hydrogen production

Won-Seok Kang ․Ho-Kyung Lee


Gyeonggibuk Science High School
NaBH4를 이용한 수소 생산 과정에서 촉매와 반응물의 반응 속도를 물리적 변화를 두어 조절할 수
있게 되면, 수소 생산 속도 또한 조절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따라 pH, 촉매의 양, 온도를 변인
으로 두어 수소 생산 속도를 측정하였을 뿐 아니라 알루미늄 호일과 엿을 이용하여 촉매를 감쌈으로써
반응물과의 반응 속도를 조절하였다. 실험 결과 NaOH 농도가 높을수록, 촉매의 양이 많을수록, 온도
가 높을수록 반응이 빨리 일어남이 관찰되었다. 또한 호일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 엿을 이용한 경우에
수소 생산 속도가 더 느리게 일어남이 관찰되었다. 아울러, 말테이스 효소를 활용하면 엿을 활용한 실
험에서도 수소 생산 속도가 조절할 수 있음이 관찰되었다.
주제어: 수소, NaBH4, 알루미늄, 루테늄 촉매

Ⅰ. 서론
1. 탐구 동기
수소 저장·공급에는 많은 방법 중 NaBH4가 NaBH4 + 2H2O → NaBO2 + 4H2 반응을 이용한 방법은 안
전성, 비가연성, 비독성, 높은 수소저장용량뿐만 아니라, 반응 생성물인 borax는 PEMFC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친환경적이고, 반응물로 재생산할 수 있고, 상온에서도 수소 발생이 가능한 점 등 많은 장점이 있
다. 이 반응은 산성이나 중성 용액 조건에서는 자발적으로 일어나 NaBH4 저장 중 안정성을 위해 NaOH와
같은 알칼리를 첨가하고, 강 염기성 조건에서는 매우 안정되어 촉매와 접촉했을 때만 반응이 진행된다. 수
소 생산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두 가지 물리적 변화를 고안했다. 첫 번째, Al2O3 + 2NaOH → H2O +
2NaAlO2 반응을 이용하여 촉매를 알루미늄 호일로 감싸 수소 생산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두 번째, 엿이 말테이스에 분해되는 성질 이용해 엿과 촉매를 혼합하여 말테이스의 유무에 따른 수소 생산
속도가 조절 가능하다고 생각하였다.

2. 탐구 목적
NaBH4의 가수분해반응을 이용한 수소 생산 방식에서 촉매와 반응물의 물리적 변화를 이용한 수소 생산
속도를 조절 가능한 촉매를 만들고자 한다. NaBH4과 NaOH의 농도, 온도, 감싼 알루미늄 호일의 두께, 엿
과 말테이스의 유무에 따른 수소 생산 속도를 측정한다.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는 각 조건에 따른 NaBH4
를 이용한 수소 생산 자료를 얻어 이 수소 생산 속도를 조절할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다.

Ⅱ. 선행연구 조사 및 분석
1. 선행연구 조사
수소 제조 방법을 조사하며 교수님께 수소 제조하는 반응 중 우리가 할 수 있는 수소 제조 반응에 대해
자문한 결과 NaBH4의 가수분해반응을 통해 수소 제조하는 기술에 대해 초점을 맞췄다. <비담지 촉매를
이용한 NaBH4 가수분해반응에서 부산물의 특성 논문 분석을 통해 NaBH4의 가수분해반응에서 NaOH와
pH에 따라 수소 수율이 달라진다는 점과 촉매로 수소 수율을 늘릴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하여 수소 수율을
조절 가능한 촉매를 개발하고자 본 주제를 선정하였다.
2. 선행연구 분석
NaBH4의 가수분해반응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 <표 1>과 같았다.

연도 작품 주제 작품 내용
화학적 수소화물 중 제일 많이 연구 개발된 NaBH4는 다음의 반응
처럼 가수분해되어 수소를 발생한다, NaBH4(aq) + 2H2O →
NaBO2(aq) + 4H2. 붕소 수소화물의 높은 조해성 때문에 공기 중에서
보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알칼리농도가 증가할수록 NaBH4가
NaBH4 수용액 중에서 안정화된다고 판단되어 NaOH와 KOH를 안정화제로서
수용액 저장과정 의 기능을 비교한 결과 KOH보다 NaOH가 안정화에 효과가 더 좋았
2010
중 안정성에 관한 다. 15wt%보다 높은 농도에서 수소 발생 속도가 감소하는 것은 pH
연구 가 증가하여 NaBH4가 안정되고, 점도가 증가해 NaBH4가 용액으로부
터 촉매 표면까지 이동하는 물질 전달에 장애를 받기 때문이다. 촉매
를 이용하는 경우 촉매가 없을 때보다 더 낮은 농도에서 최고 수소
발생 속도가 나타난다. 또 온도 증가에 따라 수소 발생 속도가 증가
한다.
60℃ 이하의 온도에서 NaBH4 농도가 증가할수록 수소 수율이 감
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NaBH4 농도가 높으면 반응이 진행되면서 겔
이 형성돼 가수분해반응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저농도의 NaBH4는 낮
은 온도에서도 겔 형성이 안 되었지만, 고농도에서는 낮은 온도에서
가수분해반응에서
겔 형성이 잘되고 온도 상승하면 겔 형성이 안 되기 때문에 수소 수
2011 수소 수율에 관한
율이 상승한다. 그리고 NaOH 농도 증가에 따라 겔 형성이 잘 되어
연구
수소 수율이 약간 감소한다. 겔 형성 물질 NaBO2·2H2O,
NaB(OH)4·2H2O, NaB(OH)4 등으로 NaBO2보다 물을 더 많이 소모한
다. 따라서 겔 형성이 안 되는 조건에서 NaBH4 가수분해반응이 진행
되어야 한다.

NaBH4(aq) + 2H2O → NaBO2(aq) + 4H2 반응을 통해 수소를 생


성할 수 있다. NaBH4는 산성 및 중성 조건 하에 자발적으로 위 반응
NaBH4의 가수분해 을 일으키므로 NaOH를 통해 염기성 환경을 조성하여 NaBH4의 안전
-
반응 성을 높인다. 촉매와 접촉되었을 때만 반응이 진행되므로 촉매를 사
용해 수소 발생 속도를 향상시킨다. 촉매에는 주로 백금이 사용되지
만 대체제로 Co, Ru, Cu 등이 사용된다.

염기성 용액에서의 Al2O3(이하 알루미나)는 NaOH과 만나면 Al2O3 + 2NaOH → H2O


-
알루미나의 분해 반응 + 2NaAlO2 반응에 의해 제거된다.

<표 1> 선행 연구 분석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1. 실험 요약
가. 사전 실험
1) 실험 1 : 1wt%, 40℃ NaOH(aq) 20ml
2) 실험 2 : 3wt%, 40℃ NaOH(aq) 20ml, 루테늄 0.04g, 2*2cm 알루미늄으로 감쌈

나. 알루미늄 호일을 이용한 실험


1) 알루미늄 겹 수에 따른 수소 발생 속도 비교
가) 실험 3 : 3wt%, 40℃ NaOH(aq) 60ml, 루테늄 0.04g
나) 실험 4 : 3wt%, 40℃ NaOH(aq) 60ml, 루테늄 0.08g

2) 촉매의 양에 따른 수소 발생 속도 비교
가) 실험 5 : 3wt%, 40℃ NaOH(aq) 60ml

3) 온도에 따른 수소 발생 속도 비교
가) 실험 6 : 3wt%, 30℃ NaOH(aq) 60ml

다. 엿을 이용한 실험
1) 말타아제 유무에 따른 수소 발생 속도 비교
가) 실험 7 : 3wt%, 40℃ NaOH(aq) 60ml, 루테늄 0.02g

2. 탐구 내용 및 결과
가. 실험 방법
1) NaBH4 가수분해 반응 사전 실험
가) 촉매 제조
- 필요한 질량 만큼 촉매(루테늄) 준비
- 알루미늄 호일을 사용하는 경우 10*12 cm2 크기로 준비하여, 루테늄 촉매를 정해진 방법에
따라 감싸도록 함.

그림 1 . 시약 측정 그림 2. 알루미늄 이용 그림 3. 알루미늄 이용

나) NaOH(aq) 250ml 준비
- 항온기를 이용하여 온도를 조절하도록 한다.
- 주사기에 NaOH(aq)를 60ml 담는다.
그림 4. 그림 5.
NaOH 수용액 준비 항온기를 이용하여 NaOH 수용액의 온도 조절

그림 6 주사기에 담긴 NaOH(aq)를 60ml

다) NaBH4 가수분해 반응기 준비


-수상치환을 이용하여 발생한 수소 기체를 포집

그림 7. 삼각 플라스크에 알루미늄으로 감싼 촉 그림 8. 반응 후 생성된 수소 기체를 포집하


매 및 NaBH4를 넣은 모습 는 모습

(1) 100ml 가지 달린 삼각플라스크에 NaBH4(s)와 촉매를 넣는다.


(2) 고무마개로 닫고, 호스 2개를 가지와 마개에 연결한다.
(3) 마개와 연결된 고무호스는 NaOH(aq) 60ml가 담긴 주사기와 연결한다.
(4) 200ml 메스실린더를 이용해 수상치환 장치와 가지를 호스로 연결한다.

라) NaBH4 가수분해 반응 실험
(1) 교반기의 회전 수를 800rpm으로 설정하고 NaOH(aq)를 플라스크에 주입한다,
(2) 수소 20mL씩 발생할 때 마다 시간을 측정, 총 180mL에 도달 할 때까지 측정한다.

2) 사전 실험의 목적
여러 논문에서 참고한 조건들을 실험하며 실험실 환경에 맞는 수치를 구하고자 사전 실험을 진행
하게 되었다.
3) 측정 데이터
각 조건에 따른 시간 차를 측정하였다.
가) 실험 1 : 1wt%, 40℃ NaOH(aq) 20ml
※표에 기재된 수치는 시간(초)이다

수소 발생량 루테늄 양 0.04g 0.06g 0.08g


20ml 32 22 11
40ml 45 24 16
60ml 50 26 17
80ml 52 27 14
총 발생 시간 179 99 58

<표 2> <실험 1> 의 측정 자료값

<그림 9> 실험 1의 측정 그래프

그래프를 통해 세 실험 모두 시간이 지날수록 반응이 느려지는 경향성을 보이며, 촉매의 양이 많을수록


반응 속도가 빨라짐을 확인 할 수 있다.

나) 실험 2 : 3wt%, 40℃ NaOH(aq) 20ml, 루테늄 0.04g, 2*2cm 알루미늄 사용 유무


※표에 기재된 수치는 시간(초)이다

수소 발생량 20ml 40ml 60ml 80ml 100ml


알루미늄 사용 X 12 13 14 11 11
알루미늄 사용 41 31 38 35 44

표 3. 실험 2의 측정 자료값

그림 10. <실험 2> 의 측정 그래프


나. 실험 결과
1) 알루미늄 겹 수에 따른 수소 발생 속도 비교
가) 실험 3 : 3wt%, 40℃ NaOH(aq) 60ml, 루테늄 0.04g
※표에 기재된 수치는 시간(초)이다

수소 발생량 알루미늄 겹수 0 1 2
20ml 13 30 57
40ml 13 20 42
60ml 13 12 37
80ml 13 13 35
100ml 12 9 34
120ml 13 10 34
총 발생 시간 77 94 239

<표 4> 실험 3의 측정 자료값

<그림 11> 실험 3의 측정 그래프

<실험 결과>
(1) 각 구간 별 총 발생 시간의 비교를 통해 시간이 지날수록 반응 속도는 감소하였다.
- 반응물의 양의 감소에 따라 반응 속도가 감소한 것으로 추측
(2) 알루미늄의 겹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반응이 지연되었다.
- 알루미늄의 겹 수가 증가할수록 NaBH4와 촉매의 반응을 방해 정도가 커져 반응이 지연된 것으로 추측

나) 실험 4 : 3wt%, 40℃ NaOH(aq) 60ml, 루테늄 0.08g


※표에 기재된 수치는 시간(초)이다

수소 발생량 알루미늄 겹수 0 1 2
20ml 6 30 79
40ml 4 21 49
60ml 6 24 52
80ml 6 24 47
100ml 7 23 47
120ml 6 22 46
총 발생 시간 35 144 320

<표 5> 실험 4의 측정 자료값


<그림 12> 실험 4의 측정 그래프
<실험 결과>
(1) 시간이 지날수록 반응 속도는 감소하였다.
- 이유는 실험 3의 (1)과 같다고 여겨짐
(2) 알루미늄의 겹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반응이 지연되었다.
- 이유는 실험 3의 (2)과 같다고 여겨짐

2) 촉매의 양에 따른 수소 발생 속도 비교
가) 실험 5 : 3wt%, 40℃ NaOH(aq) 60ml
※표에 기재된 수치는 시간(초)이다

수소 발생량 루테늄 양 0.04g 0.08g


20ml 30 27
40ml 24 18
60ml 24 16
80ml 26 20
100ml 21 20
120ml 21 21
총 발생 시간 146 122

<표 6> 실험 5의 측정 자료값

<그림 13> 실험 5의 측정 그래프


<실험 결과>
(1) 다른 조건을 모두 통일하고, 촉매의 양만을 비교해본 결과 촉매가 많을수록 반응이 더 빨리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3) 온도에 따른 수소 발생 속도 비교
가) 실험 6 : 3wt%, 30℃ NaOH(aq) 60ml
※표에 기재된 수치는 시간(초)이다

수소 발생량 루테늄 양 0.04g 0.08g


20ml 42 51
40ml 25 32
60ml 27 32
80ml 23 35
100ml 25 35
120ml 23 36
총 발생 시간 165 221

<표 7> 실험 6의 측정 자료값

<그림 14> 실험 6의 측정 그래프

<실험 결과>
(1) 온도가 40℃에서 30℃로 낮아졌을 때 수소 발생 속도가 느려진다.
(2) 30℃ 조건에서 촉매의 양이 0.04g보다 0.08g인 경우 수소 발생 속도가 더 느리게 일어났다.
- 실험 전 촉매의 양이 많은 0.08g에서 반응이 더 빠르게 일어날 것으로 예상했으나 원인을 찾
지 못해 이유는 추 후에 연구 예정이다.

4) 말타아제 유무에 따른 수소 발생 속도 비교
가) 실험 7 : 3wt%, 30℃ NaOH(aq) 60ml, 루테늄 0.02g
※표에 기재된 수치는 시간(초)이다

수소 발생량 말타아제 유무 X 엿 엿 + 말타아제


20ml 92 40 56
40ml 107 22 22
60ml 100 32 27
80ml 138 50 39
100ml 175 85 70
120ml 203 130 129
총 발생 시간 815 359 343

<표 8> 실험 7의 측정 자료값


<그림 16> 실험 7의 측정 그래프

<실험 결과>
(1) 말타아제를 첨가한 경우가 첨가하지 않은 경우보다 수소 발생 속도가 다 빨리 일어났다.
(2) 엿만 넣었을 경우 초반에 엿이 빨리 분쇄되어 속도가 빨랐지만 이후에 말타아제를 첨가한 경
우가 엿을 더 빨리 분해하여 수소 발생 속도가 빨라졌다.
(3) 대조군의 경우 예상외로 수소 발생 속도가 느려 다시 시도하여 결과를 기록한다.

Ⅳ. 연구 결과
실험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해본 결과, 같은 조건에서 촉매의 양이 늘어날 때 반응의 속도가 빨라지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같은 조건이라면 알루미늄이 감싸는 두께가 더 클 때 반응을 억제
하는 효과가 있어 반응 속도가 느려짐을 확인하였다. 온도 역시 예상과 같이 온도가 높을 때 반응이 더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같은 실험 안에서만 일관성 있게 관찰이 되었고, 예를 들어 <실험 3>과 <실험 4>의
결과들을 비교할 때 알루미늄이 없는 경우에는 루테늄 양이 많은 <실험 4>의 반응이 예상대로 더 빠르게
관찰되었지만, 알루미늄 1, 2겹에서는 그러한 경향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알루미늄이 3겹 이상일 때
의 실험에서는 오히려 반응이 더 빨라지는 것이 관측되었다.
엿을 사용한 실험에서는 말테이스를 첨가한 반응이 더 빠르게 진행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말테이스
가 엿당을 분해하여 촉매가 반응물과 접촉할 수 있는 정도를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Ⅴ. 고찰
위의 실험 결과에서 관측된 두 가지 오차의 원인을 크게 두 가지로 분석했는데, 이는 촉매를 알루미늄으로 감
쌀 때 충분히 정밀하지 못해 감싸는 방식에 조금씩 차이가 발생했기 때문이며, 알루미늄이 반응 시 빠르게
뜨거워져 반응의 온도를 높이는 데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엿 자체가 열과 물에 용해됨을 통해 분쇄될 수
있다는 사실을 감안해야한다.

Ⅵ. 결론
앞으로의 실험에서는 위의 실험에서 호일의 형태, 엿의 형태를 최대한 오차 없이 일정하게 할 수 있는 방
법을 고안해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촉매와 반응물의 반응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또 다른 물리적·
화학적 방법을 생각해보아야 할 것이다. 알루미늄으로 감쌀 때, 정밀한 기계를 사용하도록 하며, 실험 과정
에서 알루미늄이 온도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막기 위해 알루미늄의 두께를 제한하거나 용기의 온도를 일정
하게 유지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해야 할 것이다. 또한 엿에 루테늄을 섞고 굳힐 때 균일한 모양과 질량,
밀도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우리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는 각 조건에 따른 수소 생산 속도의 자료값을 모두 얻고 정리해
필요한 곳에서 상황에 맞게 수소 화합물을 이용해 수소를 원하는 속도로 생산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 참고문헌
[1] NaBH4 수용액 저장과정 중 안정성에 관한 연구 / 심우종·조재영·최대기*·남석우*·박권필†| 순천대학
교 화학공학과 | 2010년 3월 1일 채택
[2] NaBH4 가수분해반응에서 수소 수율에 관한 연구 / 황병찬·조재영·신석재*·최대기*·남석우*·박권필†| 순천대
학교 화학공학과 | 2011년 1월 23일 채택
[3] 비담지 촉매를 이용한 NaBH4 가수분해반응에서 부산물의 특성 / 이혜리 · 박대한 · 주 원 · 나일채* ·
박권필† | 순천대학교 화학공학과 * (주)CNL Energy | 2016년 9월 27일 채택
[4] LiCoO3에 담지된 Pt, Ru 촉매에 의한 NaBH4 가수분해반응 / 안종관1, 최승훈2*, 이수철3 | 1중원대학교
자원순환공학과, 2서남대학교 환경화학공학과, 3세아엠앤에스 | 2012년 7월 12일 채택
[5] 수소 발생을 위한 Borohydride 화합물에 대한 연구 / 김려경, 정성욱1
, 박은희1, 김성현*1 | 고려대학교 환경시스템공학과, 고려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2004)
[6] 알루미나 코팅체의 제조 방법 / 김상우, 정영미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