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9

5.

예禮의 기원

禮 豊
5. 예禮의 기원

『상서尙書』 춘추시대 예의 의미
• 경敬 : “경이란 예의 수레다. 불경하면 예는
• 예禮 : 5번 등장, 제사 의식과 관계 있음
행해지지 않는다”, “예는 몸의 근간이며, 경은
• 이彛 : 10번 등장, 불변의 법도, 법전, 규범, 몸의 기초다”

• 충신忠信 : “믿음으로 예를 지키고, 예로 몸을


생활의 예의 등의 의미로 쓰임
보호한다”, “충성과 믿음은 예의 그릇이다”

• 인륜 도덕 : “군주는 명령하고, 신하는 공손하


며, 아버지는 인자하고, 자식은 효도하며, 남
편은 조화롭고, 아내는 부드럽고, 시어머니는
인자하고, 며느리는 따라야 한다. 이것이 예다”
5. 예禮의 기원

예禮와 의儀의 구분

진나라 제후 평공平公 여숙제에게 “노나라 제후는 예를 잘 알고 있지 않은가?”라고 묻자, (사

마후가) “노나라 제후가 어찌 예를 알겠습니까?”라고 대답하였다. 그러자 평공은 “어째서인가?

교외까지 마중 나오는 것부터 선물을 주는 것에 이르기 까지 예에 어긋남이 없는데, 어째서 예

를 모른다고 하는가?”라고 말하였다. 사마후는 “그것은 의식이지 예라고 말해서는 안 됩니다.

예란 나라를 지키고, 정령을 실행하고, 백성을 잃지 않는 것입니다. …의식을 익히려고 힘쓰는

데 예를 잘 알고 있다고 말한다면 예와 먼 것이 아닙니까?”라고 대답했다. 군자는 숙후가 예를

잘 이해했다고 말했다.” 『春秋左傳』 「召公」 5年


6. 예禮의 의미
子罕-3
子曰:「麻冕, 禮也;今也純, 儉. 吾從衆. 拜下, 禮也;今拜乎上, 泰也. 雖
違衆, 吾從下.」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삼베로 면류관을 만드는 것이 예지만, 요즘은 실


로 만드니 검소하므로, 나는 대중을 좇으리라. 당 아래에서 절하는 것이 예
거늘, 지금은 당 위에서 절하니 교만하다. 비록 대중을 거스를지라도, 나는
당 아래에서 절하는 것을 따르리라.”
치포관緇布冠
6. 예禮의 의미

陽貨-11
子曰:「禮云禮云, 玉帛云乎哉?樂云樂云, 鐘鼓云乎哉?」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예, 예 하는데, 옥이나 비단 같은 예물만을 말하


겠는가? 음악, 음악 하는데, 종이나 북 같은 악기만을 말하겠는가?”
6. 예禮의 의미

八佾-4
林放問禮之本. 子曰:「大哉問!禮, 與其奢也, 寧儉;喪, 與其易也, 寧戚.」

임방이 예의 본질을 물으니,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정말 중요한 물음이


구나! 예는 사치하기보다는 차라리 검소한 것이 낫고, 상례는 매끄럽게 잘
치르기보다는 차라리 애통해 하는 것이 낫다.”
6. 예禮의 의미

衛靈-17
子曰:「君子義以爲質, 禮以行之, 孫以出之, 信以成之. 君子哉!」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의를 바탕으로 삼고, 예를 갖춰 행하며,


겸손하게 표현하고, 신의 있게 완성하니, (이러해야) 군자답도다!”
6. 예禮의 의미

顔淵-1
顔淵問仁. 子曰:「克己復禮爲仁. 一日克己復禮, 天下歸仁焉. 爲仁由己,
而由人乎哉?」

안연이 인에 대해 물었다.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자기를 이겨 예로 돌아


가면 인하게 된다. 하루라도 자기를 이겨 예로 돌아가면, 세상 사람들이 모
두 인으로 귀의할 것이다. 인하게 되는 것이 자기에게 달려 있지, 남에게 달
려 있는 것이겠는가?”
6. 예禮의 의미

顔淵曰:「請問其目.」 子曰:「非禮勿視, 非禮勿聽, 非禮勿言, 非禮勿動.」

안연이 말했다. “그 조목을 여쭙고자 합니다.”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예


가 아니면 보지 말고, 예가 아니면 듣지 말고, 예가 아니면 말하지 말고, 예
가 아니면 움직이지 마라.”
6. 예禮의 의미

八佾-3
子曰:「人而不仁, 如禮何?人而不仁, 如樂何?」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이면서 인하지 않으면 예는 해서 무엇하며,


사람이면서 인하지 않으면 악은 해서 무엇하겠는가?”
6. 예禮의 의미

八佾-1
孔子謂季氏:「八佾舞於庭, 是可忍也, 孰不可忍也?」

공자께서 계씨를 평하여 말씀하셨다. “자기 집 마당에서 여덟 줄로 춤을 추


게 하니, 이를 용인할 수 있다면 누구인들 용인하지 못하겠는가?”
佾舞와 宗廟祭禮

문묘제례 일무(佾舞)

알기쉬운 종묘제례악
(일무 18:20)

“전하, 종묘사직을 지키소서?” 문화재,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

역사채널e - The history channel


e_종묘사직을 생각하소서!_#001
6. 예禮의 의미

八佾-19
定公問:「君使臣, 臣事君, 如之何?」 孔子對曰:「君使臣以禮, 臣事君以
忠.」

정공이 물었다. “임금이 신하를 부리고, 신하가 임금을 섬기는 것은 어떻게


해야 합니까?” 공자가 대답하셨다. “임금이 예로써 신하를 부리고, 신하는
충성으로써 임금을 섬길 것입니다.”
6. 예禮의 의미

八佾-8
子夏問曰:「『巧笑倩兮, 美目盼兮, 素以爲絢兮.』 何謂也?」

자하가 물었다. “‘볼우물 지은 웃음 어여쁘고, 아름다운 눈동자 선명하구나,


하얀 바탕에 고운 색 입혔네.’라 했으니, 이것은 무엇을 말하는 것입니까?”
6. 예禮의 의미

子曰:「繪事後素.」 曰:「禮後乎?」 子曰:「起予者商也!始可與言詩已


矣.」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림은 먼저 바탕을 희게 한 다음 그리는 것이다.”


자하가 물었다. “예를 뒤로해야 한다는 뜻입니까?”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나를 일깨워 주는 사람이 상이로구나! 비로소 너와 더불어 시를 말할 만하
구나!”
6. 예禮의 의미

學而-3
子曰:「巧言令色, 鮮矣仁!」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듣기 좋게만 말하고 얼굴 표정을 잘 꾸미는 사람


에게는 인덕이 드물다.”
6. 예禮의 의미
泰伯-2
子曰:「恭而無禮則勞, 愼而無禮則葸, 勇而無禮則亂, 直而無禮則絞. 君子
篤於親, 則民興於仁;故舊不遺, 則民不偸.」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공손하되 예가 없으면 수고스러울 뿐이고, 신중
하되 예가 없으면 두려워하게 되고, 용맹하되 예가 없으면 어지럽게 되고,
강직하되 예가 없으면 상처를 입히게 된다. 군자가 친척에게 돈독히 하면
백성들 사이에 어진 기풍이 일어나고, 옛 친구를 버리지 않으면 백성들이
야박해지지 않을 것이다.”
6. 예禮의 의미

雍也-16
子曰:「質勝文則野, 文勝質則史. 文質彬彬, 然後君子.」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질이 문보다 지나치면 촌스럽고, 문이 질보다 지


나치면 겉치레에 흐르게 된다. 문과 질이 알맞게 조화를 이룬 뒤에야 군자
답게 된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