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S) ESG-MS-001 (2023) EGS 경영시스템 - 요구사항 및 사용지침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49

ESG-MS-001

SPSPSPSP
SPSPSPS
SPSPSP
SPSPS
SPSP
SPS
ESG 경영시스템
— 요구사항 및 사용지침
ESG-MS-001:2023

(사)한국스마트안전보건기술협회
2023년 08월 31일
심의 : 단체표준심사위원회

성 명 근 무 처 직 위
( 위 원 장 ) 엄 재 근 강서대학교 교 수
( 위 원 ) 조 규 선 호서대학교 교 수
이 준 원 숭실대학교 교 수
탁 진 규 명지전문대학교 교 수
남 경 호 지엠에스씨에스(주) 원 장
김 광 일 한국노동조합총연맹 본 부 장
박 맹 섭 (재)한국인정지원센터 본 부 장
곽 현 철 시스템코리아인증원(주) 본 부 장
김 도 형 케이-이에스지(K-ESG)경영협회 이 사
( 간 사 ) 고 진 규 시스템코리아인증원(주) 실 장

원안작성협력 : ESG 단체표준 작업반

성 명 근 무 처 직 위
( 위원장 ) 고 형 식 스카이컨설팅 대 표
( 위 원 ) 김 동 섭 ㈜디에스산업안전컨설팅 대 표이 사
김 연 수 사출아카데미 대 표
김 창 범 씨아이씨 대 표
김 창 식 시스템코리아인증원(주) 전 문위 원
박 상 영 ㈜엠아이씨유 본 부 장
박 선 일 GMC 대 표
성 연 철 프라임경영컨설팅 전 문위 원
우 성 주 P&S 대 표
유 용 남 조이너스경영연구원(주) 대 표이 사
장 현 도 컨설팅 미래와 희망 대 표
홍 진 기 호원대학교 교 수
( 간 사 ) 안 희 범 시스템코리아인증원(주) 과 장

제 정 자 : (사)한국스마트안전보건기술협회
제 정 : 2023년 08월 31일
심 의 : 단체표준심사위원회
원안작성협력: ESG 단체표준 작업반

- i -
ESG-MS-001:2023

목 차

머리말 v
개요 vi

1 적용범위 1

2 인용표준 1
2.1 일반사항 1
2.2 인용문서 1
2.2.1 표준 1
2.2.2 기타 문서 2
2.3 우선순위 2

3 용어와 정의 2

4 조직상황 3
4.1 조직과 조직상황의 이해 3
4.2 이해관계자의 니즈와 기대 이해 4
4.3 ESG 경영시스템의 적용범위 결정 4
4.4 ESG 경영시스템과 프로세스 5
4.5 ESG 리스크 평가 8

5 리더십 8
5.1 리더십과 의지표명 8
5.2 ESG 경영시스템 방침 10
5.3 조직의 역할, 책임 및 권한 11

6 기획 14
6.1 리스크와 기회를 다루는 조치 14
6.2 ESG 목표와 목표 달성 기획 15
6.3 ESG 경영시스템에 대한 변경기획 15

7 지원 16
7.1 자원 16
7.2 역량/적격성 16
7.3 인식 17
7.4 의사소통 17
7.5 문서화된 정보 17

- ii -
ESG-MS-001:2023

8 운용 19
8.1 운용 기획 및 관리 19
8.2 비상상태 관리 19

9 성과평가 19
9.1 모니터링, 측정, 분석 및 성과평가 19
9.2 내부심사 20
9.3 경영검토 21

10 개선 22
10.1 일반사항 22
10.2 부적합 및 시정조치 22
10.3 지속적 개선 23

부속서 A (참고) 일반개요 24


A.1 ESG의 주요 항목 24
A.2 ESG 평가 시 가중치 결정 25
A.3 ESG 평가의 주기 및 내용 25
A.4 공급망 실사에 대한 대응 25
A.5 ESG 워싱에 대한 대응 26

부속서 B (참고) 환경에 대한 지침 27


B.1 환경 개요 27
B.2 환경경영 27
B.3 환경경영시스템 27
B.4 온실가스 감축 27
B.5 신재생에너지 27
B.6 온실가스 배출량 28
B.7 에너지 사용량 28
B.8 폐기물 배출량 28
B.9 환경 법/규제 위반 28

부속서 C (참고) 사회에 대한 지침 30


C.1 사회 개요 30
C.2 교육훈련 30
C.3 복리후생 30
C.4 결사의 자유보장 30
C.5 양성평등 30
C.6 장애인 고용 31
C.7 안전보건 관리 31
C.8 인권경영 31
C.9 협력사 ESG 범위 32
C.10 협력사 ESG 지원 32
C.11 사회공헌 32

- iii -
ESG-MS-001:2023
C.12 구성원 봉사참여 33
C.13 정보보호(정보보호경영, 개인정보보호) 33
C.14 사회 법/규제 위반 33

부속서 D (참고) 지배구조에 대한 지침 34


D.1 지배구조 개요 34
D.2 사외이사 비율 34
D.3 주주권리 34
D.4 윤리규범 34
D.5 감사기구 35
D.6 지배구조 법/규제 위반 35

부속서 E (참고) 평가에 대한 지침 36

- iv -
ESG-MS-001:2023

머 리 말

이 표준은 인증과 관련된 다양한 표준을 참조하였으며, 시스템코리아인증원(주) 연구협의회 ES


G단체표준 작업반 전문가들이 연구하여 개발하였다. 특히 ISO(국제표준화기구)의 ISO9001, IS
O14001, ISO45001, ISO37001, ISO37301, ISO26000 등 내용과 형태를 주로 고려하였음을
밝힌다. 또한, ISO 모든 표준과 SDGs, GRI, TCFD, K- ESG 가이드라인 등의 내용도 참고하
였다. 하지만, 이 표준은 ISO 표준의 승인 기준과 다르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 v -
ESG-MS-001:2023

개 요

ESG는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약자로, 기업 경영 활동


을 환경 경영, 사회적 책임, 건전하고 투명한 지배구조에 초점을 둔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을 달성하기 위한 기업 경영의 3가지 핵심요소를 의미한다. 지속가능성은 ‘현재 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미래 세대가 사용할 경제·사회·환경 등의 자원을 낭비하거나 여건을 저하
(低下)시키지 아니하고 서로 조화와 균형을 이루는 것’으로 정의(「지속가능발전법」
2020.5.26. 제정)된다.

환경, 사회, 지배구조와 관련된 이슈는 다음과 같다.

- 환경 : 기업의 경영활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 영향 전반을 포괄하는 요소들이 포함되며,


최근 기후변화와 관련된 탄소중립, 재생에너지 사용 등이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 사회 : 임직원, 고객, 협력회사, 지역사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에 대한 기업의 권리와 의


무, 책임 등의 요소가 포함되고, 최근 인권, 안전·보건 등에 대한 이슈가 화두이다.

- 지배구조 : 회사의 경영진과 이사회, 주주 및 회사의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권리와 책임에 대


한 영역으로 이사회의 다양성, 임원 급여, 윤리경영 및 감사기구 등이 강조된다.

최근 ESG는 전 세계적인 트랜드로 확산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소비자, 투자자, 정부 등 모든


사회구성원의 관심이 고조되면서 선택이 아닌 기업의 생존과 성장의 핵심적인 요소로 부상되
고 있다. ESG는 미래사회에서 기업 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사회적 가치로 기업의 목적에 내재
화 되어야 하는 필수적 요소이다.

ESG가 다양한 분야의 투자자들의 핵심 가치로 부각되는 시점에서 기업의 자본조달 측면에서
ESG는 필수적 관리 요소가 된다. 지속가능성의 포괄적인 개념 하에서 발전한 ESG 요소들은
기업들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리스크 관리 수단으로 필수적이다.

이 표준은 ESG 경영시스템에 대한 요구사항과 지침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표준의 요구사항과


지침은 ESG 경영시스템의 수립과 실행에 적용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그 실행은 조직의
ESG 경영시스템의 규모와 성숙도 수준 및 조직의 활동과 목표의 사항, 성질과 복합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이 표준은 다른 경영시스템에서의 ESG 관련 요구사항을 강화하고, 조직의 모든 ESG 의무사항


의 전반적인 관리를 개선하는데 있어 조직에 도움을 주는 데 적합하다.

그림 1은 ESG 경영시스템의 공통 요소들에 대한 개요를 나타낸다.

- vi -
ESG-MS-001:2023

그림 1 ESG 경영시스템의 요소들

이 표준에는 다음과 같은 조동사 형태가 사용된다.


— “하여야 한다”는 요구사항을 의미한다.
— “하는 것이 좋다/하여야 할 것이다”는 권고사항을 의미한다.
— “해도 된다”는 허용을 의미한다.
— “할 수 있다”는 가능성 또는 능력을 의미한다.

“비고”로 표기된 정보는 관련된 요구사항을 이해하거나 명확히 하기 위한 지침이다. “부속서”


는 이 표준의 사용을 위한 지침을 제공한다.

- vii -
ESG-MS-001:2023

ESG 경영시스템 - 요구사항 및 사용지침

ESG management systems — Requirements with guidance for use

1 적용범위

이 표준은 조직의 ESG 경영시스템을 보장하기 위해 환경적(Environmental), 사회적(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에 대한 요구사항을 포함하고, 준법경영, 부패방지의 특수성을 고려하는,
조직의 ESG 경영시스템에 대한 요구사항을 규정한다.

이 표준의 모든 요구사항은 일반적이며, 조직의 형태, 규모 또는 제공되는 제품 및 서비스와 관


계없이 모든 조직에 적용될 수 있다.

2 인용표준

2.1 일반사항

아래 문서는 규정된 범위 내에서 이 표준과 함께 적용되며, 문서의 개정 기호에 관한 사항이 명


시되어 있지 않은 한 유효한 최신판을 적용한다.

2.2 인용문서

2.2.1 표준

KS Q ISO 9001 :2015 품질경영시스템 - 요구사항


KS I ISO 14001 :2015 환경경영시스템 - 요구사항 및 사용지침
KS Q ISO 14031 :2021 환경경영 - 환경성과평가 - 지침
KS A ISO 26000 :2012 사회적책임에 대한 지침
KS A ISO 37001 :2016 부패방지경영시스템 - 요구사항 및 사용지침
KS A ISO 37301 :2021 규범준수경영시스템 - 요구사항 및 사용지침
KS Q ISO 45001 :2018 안전보건경영시스템 - 요구사항 및 사용지침

2.2.2 기타 문서

K - ESG 가이드라인 v1.0 관계부처합동 - 산업통상자원부


공급망 대응 K - ESG 가이드라인 v1.0 산업통상자원부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가이드라인 환경부
ISO 14030-3:2022 Environmental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 1 -
ESG-MS-001:2023

performance evaluation — Green debt


instruments — Part 3: Taxonomy
GRI Standard Global Reporting Initiative

2.3 우선순위

이 표준의 내용과 이 문서에서 인용한 참고 문서 사이에 일관성이 없거나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이 표준의 내용이 우선한다. 그러나 특별한 면제가 부여되지 않는 한, 이 표준의 어떤 항목도 관
련 법률이나 규정에 우선할 수 없다.

3 용어와 정의

이 표준의 목적을 위하여 ESG 경영시스템과 관련된 용어와 정의를 적용한다. 이 표준의 용어와
정의는 경영시스템 표준 간의 용어 일치를 위하여 KS Q ISO 9000:2015에 제시된 용어와 정의
를 적용하였다. 추가적으로 ESG 관련 용어를 정리하였다.

3.1
ESG
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의 약자

3.2
환경(Environmental)
조직의 경영활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 영향 전반을 포괄하는 요소들이 포함되며, 기후변화
와 관련된 탄소중립, 재생에너지 사용 등을 중요한 요소로 포함

3.3
사회(Social)
임직원, 고객, 협력회사, 지역사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에 대한 기업의 권리와 의무, 책임 등
의 요소가 포함되고, 인권, 안전·보건 등을 중요한 요소로 포함

3.4
지배구조(Governance)
조직의 경영진과 이사회, 주주 및 회사의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권리와 책임 등의 요소가 포함
되고, 준법경영, 윤리경영 및 감사기구 등을 중요한 요소로 포함

3.5
ESG 경영(ESG management)
조직이 환경, 사회, 지배구조를 위한 법과 윤리를 철저히 준수하는 경영활동

3.6
ESG 경영시스템(ESG management system)
ESG 경영을 위한 방침과 목표를 수립하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
한, 상호 관련되는 또는 상호작용하는 조직 요소의 집합

- 2 -
ESG-MS-001:2023

3.7
중대성 평가(materiality assessment)
ESG 이슈 중 이해관계자 및 조직 측면에서 조직 전략과 가치에 영향을 주는 주요 정보를 파
악하고 순위를 설정하는 평가 절차

비고 1 이중 중대성(double materiality)은 조직이 환경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반대로 환경과


사회 변화가 조직에 미치는 영향의 2가지 방향의 중대성을 말한다.

3.8
ESG 워싱(ESG washing)
환경, 사회, 지배구조 측면에서 개선 등을 실제로 하지 않으면서 하는 것처럼 위장하는 것

4 조직상황

4.1 조직과 조직상황의 이해

조직은 조직의 목적 및 전략적 방향과 관련이 있는 외부와 내부 이슈를, 그리고 ESG 경영시스템
의 의도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한 조직의 능력에 영향을 주는 외부와 내부 이슈를 정하여야 한다.

조직은 이러한 외부와 내부 이슈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검토하여야 한다.

비고 1 이슈에는 긍정적, 부정적 요인 또는 고려하여야 할 조건이 포함될 수 있다.

비고 2 법적, 규범적, 기술적, 경쟁적, 시장, 문화적, 사회적, 경제적, 생태적, 안전, 보건, 부패방
지, 조직 거버넌스, 인권, 노동관행, 환경, 공정운영관행, 소비자, 지역사회 참여 및 발전
관련 이슈는 국제적, 국가적, 지역적, 지방적, 조직의 내외부 관계없이 고려함으로써 조직
상황에 대한 이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비고 3 조직의 ESG 가치, 문화, 지식 및 성과와 관련되는 이슈를 고려함으로써, 내부 상황에 대


한 이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다음의 요인들을 제한 없이 포함할 것이다.

— 조직의 규모, 구조 및 위임된 의사결정 권한

— 조직의 운용 또는 운용이 예상되는 위치와 부문

— 조직의 활동 및 운용의 성질, 규모 및 복잡성

— 조직의 비즈니스 모델

— 조직의 통제 하에 있는 단체 및 조직을 통제하는 실체

— 조직의 비즈니스 관련자

— 공직자와의 상호작용의 성질과 정도

— 적용 가능한 법적, 규제적, 계약적 및 직업적 책임 및 의무

- 3 -
ESG-MS-001:2023

비고 4 만약 조직이 다른 조직의 경영을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통제하고 있다면, 조직은


다른 조직에 대한 통제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다.

비고 5 부속서 A 참조

4.2 이해관계자의 니즈와 기대 이해

ESG 경영시스템을 위한 조직의 능력에 이해관계자가 영향 또는 잠재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조직은 다음 사항을 정하여야 한다.

a) ESG 경영시스템에 관련이 있는 이해관계자

b) 이러한 이해관계자의 니즈와 기대(즉, 요구사항)

c) 이러한 니즈와 기대에서 비롯된 조직의 준수의무사항

d) 이러한 니즈와 기대 중 어느 것이 법적(의무적) 요구사항, 비의무적 기대사항 및 자발적 의지


표명인지 또는 될 수 있는지 여부

조직은 이해관계자 관련 요구사항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검토하여야 한다.

비고 부속서 A.4, 부속서 E 참조

4.3 ESG 경영시스템 적용범위 결정

조직은 ESG 경영시스템의 적용범위를 설정하기 위하여 ESG 경영시스템의 경계 및 적용 가능성


을 정하여야 한다.

적용범위를 정할 때, 조직은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야 한다.

a) 4.1에 언급된 외부와 내부 이슈

b) 고객 지정 요구사항(부속서 A.4 참조)

c) 4.2에 언급된 관련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

d) 관리와 영향을 행사하기 위한 조직의 부서단위, 기능 및 물리적 경계, 권한과 능력

e) 4.5에 언급된 ESG 리스크 평가의 결과

조직의 ESG 경영시스템의 정해진 적용범위 내에서 이 표준의 요구사항이 적용 가능하다면, 조직


은 이 표준의 모든 요구사항을 적용하여야 한다.

조직의 ESG 경영시스템의 적용범위는 문서화된 정보로 유지되어야 하며 이해관계자가 이용 가능


하여야 한다.

- 4 -
ESG-MS-001:2023

비고 부속서 E 참조

4.4 ESG 경영시스템과 프로세스

4.4.1 조직은 이 표준의 요구사항에 따라, 필요한 프로세스와 그 프로세스의 상호작용을 포함하
는 ESG 경영시스템을 수립, 실행, 유지 및 지속적 개선을 하여야 한다.

조직이 ESG 경영시스템을 수립하고 유지할 때에는 4.1과 4.2에서 습득한 지식을 고려하여야
한다.

조직은 ESG 경영시스템에 필요한 프로세스와 조직 전반에 그 프로세스의 적용을 정해야 하며,
다음 사항을 실행하여야 한다.

a) 요구되는 입력과 프로세스로부터 기대되는 출력의 결정

b) 프로세스의 순서와 상호 작용의 결정

c) 프로세스의 효과적 운용과 관리를 보장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준과 방법(모니터링, 측정 및 관


련 성과지표를 포함)의 결정과 적용

d) 프로세스에 필요한 자원의 결정과 자원의 가용성 보장

e) 프로세스에 대한 책임과 권한의 부여

f) 6.1의 요구사항에 따라 결정된 리스크와 기회의 조치

g) 프로세스의 평가, 그리고 프로세스가 의도된 결과를 달성함을 보장하기 위하여 필요한 모든
변경 사항의 실행

h) 프로세스와 ESG 경영시스템의 개선

비고 1 ESG 리스크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모든 리스크를 예방하고 탐지할 수


있는 경영시스템은 없다.

4.4.2 ESG 경영시스템은 4.3에서 언급된 요인을 반영하여 합리적이고 비례적이어야 하며 다


음 사항을 반영하여야 한다.

a) 설명책임

— 사회, 환경 및 경제에 미친 조직의 의사결정 및 활동의 영향, 특히 중대한 부정적 결과

— 의도하지 않았고 예상하지 못한 부정적 영향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취한 조치

b) 투명성

— 조직 활동의 목적, 성격 및 위치

— 조직 활동에서 관리하는 모든 이해관계의 식별

- 5 -
ESG-MS-001:2023

— 조직 내의 서로 다른 기능에 걸친 역할, 책임, 설명책임 및 권한의 정의를 포함하여,


조직의 의사결정이 이루어지고 실행되고 검토되는 방식

— 조직이 자신의 사회적책임 관련 성과를 평가하는 표준 및 기준

— 관련되고 중대한 사회적책임 이슈에 대한 조직의 성과

— 조직 자금의 출처, 금액 및 용도

— 이해관계자, 사회, 경제 및 환경에 대한, 조직의 의사결정 및 활동의 알려진 영향 및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영향

— 조직의 이해관계자와 이해관계자의 식별, 선정 및 참여에 이용된 기준 및 절차

c) 윤리적 행동

— 조직의 핵심 가치 및 원칙을 식별하고 명시함

— 조직의 의사결정 및 다른 조직과의 상호작용에서 윤리적 행동의 촉진을 돕는 거버넌스


구조를 개발하고 이용함

— 조직의 목적 및 활동에 적절하고 이 표준에서 기술한 원칙을 지키는 윤리적 행동


표준을 식별하고 채택하며 적용함

— 조직의 윤리적 행동 표준 준수를 장려하고 촉진함

— 조직의 거버넌스 구조, 전 직원, 공급자, 계약자 그리고 해당되는 경우, 소유자와 관리자
특히, 지역 문화 정체성을 보존하면서, 조직의 가치, 문화, 성실성, 전략 및 운영 그리고
조직을 위해 행동하는 사람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는 기회가 있는 사람이 기대하는
윤리적 행동 표준을 정의하고 의사소통함

— 조직 전체에 걸쳐 비윤리적 행동으로 이어지는 이해관계 상충을 방지 또는 해결함

— 윤리적 행동을 모니터링, 지원 및 집행하기 위한 감독 메커니즘 및 통제체계를 수립하고


유지함

— 보복의 두려움 없이 비윤리적 행동 보고를 쉽게 하는 메커니즘을 수립하고 유지함

— 지역 법 및 규정이 존재하지 않거나 윤리적 행동과 상충하는 상황을 인식하고 취급함

— 인간 대상 연구를 수행할 경우 국제적으로 인식된 윤리적 행동 표준을 채택하고 적용함

— 동물을 기르고 번식시키고 생산하고 수송하고 이용하는데, 제대로 된 조건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여, 동물의 생명 및 존재에 영향을 주는 경우 동물 복지를 존중함

d) 이해관계자 이해관계 존중

— 조직은 이해관계자의 법적 권리뿐만 아니라 이해관계를 인식하고 적정한 고려를 하며,


이해관계자가 표현한 관심사에 대응

— 일부 이해관계자가 조직의 활동에 중대하게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인정

— 조직에 관계하고, 참여하고, 영향을 주는 이해관계자의 상대적 능력을 평가하고 고려

— 이해관계자 및 조직 간 관계의 성격뿐만 아니라 조직의 이해관계자 이해관계가 사회의


광범위한 기대 및 지속가능발전에 대해 갖는 관계를 고려

- 6 -
ESG-MS-001:2023

— 이해관계자가 조직 거버넌스에서 공식 역할이 없거나 자신의 이해관계를 인식하지


못할지라도 조직의 의사결정 또는 활동으로 영향을 받을 것 같은 이해관계자의 관점을
고려

e) 법치 존중

— 법 및 규정이 제대로 집행되지 않더라도 조직이 운영되는 모든 사법권 내의 요구사항을


준수

— 조직의 관계 및 활동이 의도되고 해당되는 법적 프레임워크를 준수하고 있다는 을


보장

— 모든 법적 의무를 스스로 인식

— 해당되는 법 및 규정의 준수를 주기적으로 검토

f) 국제행동규범 존중

— 법 또는 법의 시행이 적절한 환경 또는 사회 보호수단을 제공하지 않는 상황에서,


조직은 최소한 국제행동규범을 존중하도록 노력

— 법 또는 법의 시행이 국제행동규범과 상충하는 국가에서, 조직은 가능한 한 최대로


국제행동규범을 존중하도록 노력

— 법 또는 법의 시행이 국제행동규범과 상충하고 이 국제행동규범을 따르지 않는 것이


중대한 결과를 야기할 수 있는 상황에서, 실행가능하고 적절한 경우, 조직은 해당
사법권 내에서 조직의 관계 및 활동의 성격을 검토

— 조직은 그러한 상충을 처리하기 위해 관련 조직 및 당국에 영향을 미치도록 노력하는


합법적인 기회 및 채널을 고려

— 조직은 국제행동규범을 지키지 않는 다른 조직의 활동과 연루/공모되는 것을 회피

g) 인권 존중

— 국제인권장전에 규정된 권리를 존중하고 가능한 한 촉진

— 이러한 권리의 보편성, 즉 인권은 모든 국가, 문화 및 상황에서 분할하여 적용할 수


없다는 것을 존중

— 인권이 보호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인권을 존중하는 조치를 취하고 그리고 이러한


상황을 이용하는 것을 회피

— 법 또는 법의 시행이 인권을 적절히 보호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는 국제행동규범 존중


원칙 이행

4.4.3 조직은 필요한 정도까지 다음 사항을 실행하여야 한다.

a) 프로세스의 운용을 지원하기 위하여 문서화된 정보의 유지

b) 프로세스가 계획대로 수행되고 있다는 확신을 갖기 위하여 문서화된 정보의 보유

- 7 -
ESG-MS-001:2023

4.5 ESG 리스크 평가

4.5.1 조직은 정기적인 ESG 리스크 평가(들)을 실시하여야 한다.

a) 4.1과 4.2에 나열된 요인들을 고려하여 조직이 합리적으로 예상할 수 있는 ESG 리스크를
식별(중대성 평가)

b) 식별된 ESG 리스크에 대한 분석, 평가 및 우선순위 결정

c) 평가된 ESG 리스크를 완화하기 위한 조직의 현재 관리(existing control)에 대한 적절성 및


효과성 평가

조직은 아웃소싱된 프로세스 및 제3자 프로세스와 관련된 ESG 리스크를 평가하여야 한다.

비고 부속서 A.2, 부속서 E 참조

4.5.2 조직은 방침과 목표를 고려하여 조직의 ESG 리스크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수립
하여야 한다.

4.5.3 ESG 리스크 평가는 다음을 검토하여야 한다.

a) 조직이 규정한 시기 및 빈도에 근거하여 변경사항 및 새로운 정보가 적절히 평가될 수


있도록 정기적으로 검토

b) 조직의 구조 또는 중대한 변경이 발생한 경우

c) 조직은 ESG 워싱에 대한 리스크를 다루어야 한다.(부속서 A.7 참조)

4.5.4 조직은 ESG 리스크 평가가 실시되고, ESG 경영시스템을 설계 또는 개선하는데 사용되
었음을 실증할 수 있는 문서화된 정보를 유지하여야 한다.

비고 부속서 A.2, A.3, E 참조

5 리더십

5.1 리더십과 의지표명

5.1.1 일반사항

최고경영자/최고경영진은, ESG 경영시스템에 대한 리더십과 의지표명/실행의지(commitment)를


다음 사항에 의하여 실증하여야 한다.

a) ESG 경영시스템의 효과성에 대한 책무(accountability)를 짐

b) ESG 방침과 ESG 목표가 ESG 경영시스템을 위하여 수립되고, 조직상황과 전략적 방향에 조

- 8 -
ESG-MS-001:2023

화됨을 보장

c) ESG 경영시스템 요구사항이 조직의 비즈니스 프로세스와 통합됨을 보장

d) 프로세스 접근법 및 리스크 기반 사고의 활용 촉진

e) ESG 경영시스템에 필요한 자원의 가용성 보장

f) 효과적인 ESG 경영의 중요성, 그리고 ESG 경영시스템 요구사항과의 적합성에 대한 중요성을
의사소통

g) ESG 경영시스템이 의도한 결과를 달성함을 보장

h) ESG 경영시스템의 효과성에 기여하기 위한 인원을 적극 참여시키고, 지휘하고 지원함(ESG 책임


자를 임명하거나 지명 포함)

i) 지속적인 개선을 촉진

j) 기타 관련 경영자/관리자의 책임분야에 리더십이 적용될 때, 그들의 리더십을 실증하도록 그


경영자 역할에 대한 지원

k) ESG 경영시스템의 의도된 결과를 지원하는 조직의 문화를 개발, 선도 및 촉진

l) ESG 리스크와 기회 보고 시 보복으로부터 이해관계자를 보호

m) ESG 방침에 위반되는 문제/우려사항에 대한 보고절차 이용을 장려

n) 조직의 ESG 방침 위반이나 의심되는 위반 사항에 대한 선의적 보고나 타당한 확신에 근거한
보고 또는 거절이 조직의 사업상 손실(위반에 참여한 개인을 제외하고)을 초래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위반에 참여를 거절함으로 인해 어떠한 인원들도 보복이나 차별 또는 징계 조치를
받지 않음을 보장

o) 계획된 주기로 ESG 경영시스템의 내용 및 운용, 그리고 심각하거나 조직적인 ESG방침의 위


반 혐의를 ESG 지배기구(해당하는 경우)에 보고(부속서 D.1 참조)

p) 조직이 필요 시 이해관계자의 협의 및 참여를 위한 프로세스를 수립하고 실행을 보장

q) ESG 지배기구 수립 및 기능을 지원

비고 이 표준에서 비즈니스에 대한 언급은 조직이 공적, 사적, 영리 또는 비영리의 여부에 관계


없이, 조직의 존재 목적에 핵심이 되는 활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광범위하게 해석될 수 있
다.

5.1.2 ESG 문화

조직은 조직 내 모든 수준에서 ESG 문화를 개발, 유지 및 촉진하여야 한다. 조직 전체에서 요


구되는 행동과 행위의 공통 표준에 대해 ESG 지배기구, 최고경영자는 적극적, 가시적, 일관적
및 지속적인 의지 표명을 실증하여야 한다. 최고경영자는 ESG 문화를 창조하고 지원하는 행동
을 장려하여야 한다. ESG 문화를 침해하는 행위를 예방하고 용인하지 않아야 한다.

5.1.3 ESG 거버넌스


ESG 지배기구와 최고경영자는 다음 원칙이 실행되도록 보장하여야 한다.

- 9 -
ESG-MS-001:2023

a) ESG 책임자의 ESG 지배기구에 대한 직접 접근

b) ESG 책임자의 독립성

c) ESG 책임자의 적절한 권한 및 적격성

비고 1 직접 접근에는 ESG 지배기구에 직접 보고, ESG 지배기구에 정기적인 보고서 제출 및


ESG 지배기구 회의 참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고 2 독립성이란 ESG 책임자의 운용에 대한 부당한 간섭 및/또는 압력이 없는 것을 의미한


다.

비고 3 부속서 D.1 참조

5.2 ESG 경영시스템 방침

5.2.1 ESG 경영시스템 방침의 수립

최고경영자는 조직의 ESG 경영시스템 적용범위 내에서 다음과 같은 ESG 방침을 수립, 실행 및
유지하여야 한다.

a) 조직의 목적과 조직의 활동, 제품, 서비스의 성격(nature), 규모 및 ESG 영향을 포함한, 조직
의 목적과 상황에 적절하고 조직의 전략적 방향을 지원

b) ESG 목표의 설정을 위한 틀을 제공

c) 적용되는 요구사항의 충족 및 ESG 리스크를 감소하기 위한 의지표명을 포함

d) ESG 경영시스템의 지속적 개선에 대한 의지표명을 포함

e) 근로자 및 근로자 대표(있는 경우)의 협의와 참여에 대한 의지표명을 포함

f) 선의에 의하거나 보복에 대한 두려움이 없이, 신뢰가 있는 합리적인 확신을 바탕으로 문제를
제기할 수 있도록 권장

g) ESG 책임자의 권한 및 독립성에 대한 설명

h) ESG 방침 미준수로 인해 발생되는 결과에 대한 설명

i) ESG 워싱을 하지 않겠다는 의지에 대한 설명(부속서 A.5 참조)

5.2.2 ESG 방침에 대한 의사소통

ESG 방침은 다음과 같아야 한다.

a) 문서화된 정보로 이용 가능하고 유지됨

b) 조직 내에서 의사소통되고 이해되며 적용됨

- 10 -
ESG-MS-001:2023

c) 해당되는 경우, 관련 이해관계자에게 이용 가능함

5.3 조직의 역할, 책임 및 권한

최고경영자는 관련된 역할에 대한 책임과 권한이 조직 내에서 부여되고, 의사소통을 통해 이해되


며 문서화된 정보로 유지함을 보장하여야 한다. 조직 각 계층의 조직원은 자신이 관리하는 ESG
경영시스템의 측면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

5.3.1 최고경영자

최고경영자는 다음 사항에 대하여 책임과 권한을 부여하여야 한다.

a) ESG 경영시스템이 이 표준의 요구사항에 적합함을 보장

b) 프로세스가 의도된 출력을 도출하고 있음을 보장

c) ESG 경영시스템의 성과와 개선 기회를 ESG 지배기구와 최고경영자에게 보고

d) 조직 전체에서 이해관계자 중시에 대한 촉진을 보장

a) ESG 경영시스템의 변경이 계획되고 실행되는 경우, ESG 경영시스템의 온전성(integrity)이 유지됨
을 보장

비고 1 최고경영자는 조직의 경영자 중에서 ESG 책임자를 선임할 수 있으며, 선임된 ESG 책임
자는 다른 책임과 무관하게 위 요구사항의 관리를 위한 책임과 권한을 가질 수 있다.

비고 2 ESG 책임자을 선임한 경우, ESG 책임자는 조직상의 독립성을 가져야 하며 품질에 관련
된 이슈 해결을 위하여 최고경영자에게 제한 없이 접근할 수 있어야 하고, ESG 경영시
스템에 관한 이슈에 대하여 외부 이해관계자와의 창구역할을 포함할 수 있다.

최고경영자는 ESG 책임자가 식별되고, 그들의 역할을 이해하며 업무수행에 대한 역량이 있음을
보장하여야 한다.

5.3.2 지배기구

ESG 지배기구는 다음 사항을 실행하여야 한다.

a) ESG 목표 달성에 비추어 최고경영자가 측정(평가)됨을 보장

b) ESG 경영시스템의 운용에 관해 최고경영자에 대한 감독 실시

ESG 지배기구(해당되는 경우), 최고경영자 및 모든 기타 인원은 조직에서의 그들의 역할과 관


련하여 ESG 경영시스템 요구사항의 이해, 준수, 적용에 대한 책임이 있다.

5.3.3 ESG 책임자

- 11 -
ESG-MS-001:2023

ESG 책임자는 다음 사항을 포함한 ESG 경영시스템의 운용에 책임을 가져야 한다.

— ESG 의무사항의 식별 촉진

— ESG 리스크 평가 문서화

— ESG 경영시스템과 ESG 목표와의 정합성

— ESG 성과 모니터링 및 측정

— 시정조치의 필요성을 식별하기 위한 ESG 경영시스템의 성과 분석 및 평가

— ESG 보고 및 문서화 시스템 수립

— 계획된 간격으로 ESG 경영시스템이 검토됨을 보장(9.2 및 9.3 참조)

— 우려사항 제기를 위한 시스템 수립 및 우려사항이 다루어짐을 보장

ESG 책임자는 다음 사항을 감독하여야 한다.

— 식별된 ESG 의무사항을 달성하는 책임이 조직 전체에 적절하게 할당됨

— ESG 의무사항이 방침, 프로세스 및 절차에 통합됨

— 요구에 따라 모든 인원이 훈련을 받음

— ESG 성과지표가 설정됨

ESG 책임자는 다음을 제공하여야 한다.

— ESG 방침, 프로세스 및 절차에 대한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인원

— ESG 관련 문제에 대해 조직에 조언

ESG 책임자에게 충분한 자원, 그리고 적절한 적격성, 지위, 권한 및 독립성이 가진 인원(들)에
게 부여되어야 한다.

ESG 책임자는 ESG 경영시스템과 관련하여 어떤 문제나 우려사항이 제기될 필요가 있는 경우


ESG 지배기구(해당하는 경우) 및 최고경영자와 직접적이고 신속하게 접촉하여야 한다.

최고경영자는 조직 외부 인원에게 ESG 준수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부여할 수 있다. 이 경


우, 최고경영자는 특정 인원이 외부에 위임된 기능에 대한 책임과 권한을 보유하고 있음을 보
장해야 한다.

비고 ESG 책임자의 고유 직무는 ESG에 대한 다른 인원의 책임을 경감하는 것은 아니다.

- 12 -
ESG-MS-001:2023

조직은 ESG 책임자가 다음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하여야 한다.

— 고위 의사결정자와 의사결정 프로세스의 초기에 기여할 기회

— 조직의 모든 수준

— 필요한 모든 인원, 문서화된 정보 및 데이터

— 관련 법규, 규칙, 강령(code) 및 조직 표준에 대한 전문가의 조언

5.3.4 계층별 책임자

계층별 책임자는 자기책임 범위 내에서의 ESG에 대하여 다음의 책임을 져야한다.

— ESG 책임자에 협력 및 지원하고 같은 일을 하도록 인원에게 장려

— 자신들의 관리하에 있는 모든 인원이 조직의 방침, 프로세스 및 절차를 준수하고 있음을


보장

— 운용상의 ESG 리스크의 식별과 의사소통

— ESG 의무사항을 자신의 책임 범위에서 기존의 비즈니스 관행과 절차에 통합

— ESG 교육훈련 활동에 참가하고 지원

— ESG 의무사항에 대한 인원의 의식을 높이고 교육훈련과 적격성 요구사항을 충족하도록


인원을 지도

— 인원이 ESG에 관한 우려사항을 제기하도록 장려하고 어떠한 형태의 보복도 예방

— 필요에 따라서 ESG 관련 사건 및 이슈의 관리와 해결에 적극적으로 참여

— 시정조치의 필요성이 식별된 경우에는 적절한 시정조치가 권고되고 실행됨을 보장

5.3.5 인원

모든 인원은 다음 사항을 실행하여야 한다.

— 조직의 ESG 의무사항, 방침, 프로세스 및 절차에 대한 준수

— ESG에 관한 우려사항, 이슈 및 실패를 보고

— 필요에 따라 교육훈련에 참가

5.3.6 의사결정의 위임

최고경영자가 인원에게 ESG 리스크가 중간 이상인 경우와 관련된 의사결정 권한을 위임한 경
우, 조직은 의사결정 프로세스 및 의사결정권자(들)의 권한 수준이 적절하고 실제 또는 잠재적
이해충돌에서 자유로울 것을 요구하는 의사결정 프로세스 또는 일련의 관리체계를 확립하고
유지해야 한다.

- 13 -
ESG-MS-001:2023

최고경영자는 5.3.1에 설명된 ESG 경영시스템의 실행 및 준수에 대한 역할과 책임의 한 부분


으로 이 프로세스가 주기적으로 검토됨을 보장해야 한다.

비고 의사결정의 위임은 최고경영자 또는 ESG 지배기구(해당하는 경우)의 의무와 책임을 면제


하지 않으며 잠재적 법적 책임도 위임된 인원에게 전가되지 않는다.

6. 기획

6.1 리스크와 기회를 다루는 조치

6.1.1 일반사항

조직은 4.1의 이슈와 4.2의 요구사항을 고려하여야 하며, 다음 사항을 위하여 다루어야 할 필요
성이 있는 리스크와 기회를 정하여야 한다.

a) ESG 경영시스템이 의도된 결과를 달성할 수 있음을 보증

b) 바람직한 영향의 증진

c)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의 예방 또는 감소

d) 개선의 성취

6.1.1.1 또한, ESG 경영시스템을 기획할 때 조직은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야 한다.

a) 조직의 준수 목표(6.2 참조)

b) 법적 요구사항 및 기타 요구사항

c) 리스크 평가결과(4.5 참조)

d) 위험요인

비고 1 조직은 조직이 가지고 있는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ESG 평가를 실시할 수 있다.

비고 2 부속서 E 참조

6.1.2 조직은 다음 사항을 기획하여야 한다.

a) 다음 사항에 대한 조치
1) 리스크와 기회를 다룸
2) 법적 요구사항 및 기타 요구사항을 다룸
3) 비상 상황에 대한 대비 및 대응(8.2 참조)
b) 다음 사항에 대한 방법
1) 조치를 ESG 경영시스템의 프로세스 또는 기타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통합하고, 실행(4.4
참조)

- 14 -
ESG-MS-001:2023

2) 이러한 조치의 효과성 평가

6.2 ESG 목표와 목표의 달성 기획

6.2.1 ESG 목표 수립

조직은 ESG 경영시스템에 필요한 관련 기능, 계층 및 프로세스에서 ESG 목표를 수립하여야 한


다. ESG 경영시스템 목표는 다음과 같아야 한다.

a) ESG 방침과 일관성이 있어야 함

b) 측정 가능하여야 함 (가능한 경우)

c) 4.1에 언급된 요인, 4.2에서 언급된 요구사항과 6.1에서 파악된 ESG 리스크를 고려해야함

d) 서비스의 적합성과 이해관계자 만족의 증진과 관련되어야 함

e) 모니터링이 되어야 함

f) 의사소통되어야 함

g) 필요에 따라 갱신되어야 함

조직은 ESG 목표에 관하여 문서화된 정보를 유지하여야 한다.

조직은 ESG 목표를 수립할 때, 이전 ESG 목표의 달성 정도를 고려하여 지속적 향상이 되도록
수립하여야 한다.

6.2.2 목표달성 기획

ESG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을 기획할 때, 조직은 다음 사항을 정하여야 한다.

a) 무엇을 할 것인가

b) 어떤 자원이 필요 한가

c) 누구에게 책임이 있는가

d) 언제 완료될 것인가

e) 어떻게 결과를 평가할 것인가

6.3 ESG 경영시스템에 대한 변경기획

조직이 ESG 경영시스템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정한 경우, 변경은 계획된 방식으로 수립하여 수행되
어야 한다(4.4 참조).

조직은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야 한다.

- 15 -
ESG-MS-001:2023

a) 변경의 목적과 잠재적 결과

b) ESG 경영시스템의 온전성

c) 자원의 가용성

d) 책임과 권한의 부여 또는 재부여

e) ESG 실행하는 동안의 위험 및 완화 조치

7 지원

7.1 자원

7.1.1 일반사항

조직은 ESG 경영시스템의 수립, 실행, 유지 및 지속적 개선에 필요한 자원을 정하고 제공하여야
한다.

조직은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야 한다.

a) 기존 내부자원의 능력과 제약사항

b) 외부공급자로부터 획득할 필요가 있는 것

c) 협력사 ESG 지원(부속서 C.10 참조)

7.1.2 인원

조직은 ESG 경영시스템의 효과적인 실행, 그리고 프로세스의 운용과 관리에 필요한 인원을 정하
고, 제공하여야 한다.

7.2 역량/적격성

조직은 다음 사항을 실행하여야 한다.

a) ESG 경영시스템의 성과 및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업무를 조직의 관리 하에 수행하는 인원


에 필요한 역량을 결정

b) 이들 인원이 적절한 학력, 교육훈련 또는 경험에 근거하여 역량이 있음을 보장

c) 적용 가능한 경우, 필요한 역량을 얻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취해진 조치의 효과성을 평가

d) 역량의 증거로 적절한 문서화된 정보를 유지

비고 1 조직은 필요한 역량/적격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주기적인 검토를 하여야 한다.

- 16 -
ESG-MS-001:2023

비고 2 적용할 수 있는 조치에는, 예를 들어 현재 고용된 인원에 대한 교육훈련 제공, 멘토링이


나 재배치 실시, 또는 역량이 있는 인원의 고용이나 그러한 인원과의 계약 체결을 포함
할 수 있다.

비고 3 이 요구사항은 조직의 모든 계층에서 ESG 경영시스템에 영향을 주는 모든 인원에게 적용


된다.

비고 4 특정한 배정 업무를 수행하는 인원은 요구되는 경우, 이해관계자 요구사항의 충족에 특


별한 주의를 갖고 자격이 부여되어야 한다.

비고 5 부속서 C.2 참조

7.3 인식

조직은, 조직의 관리 하에 업무를 수행하는 인원이 다음 사항을 인식하도록 보장하여야 한다.

a) ESG 방침

b) 관련된 ESG 목표

c) 개선된 성과의 이점을 포함하여, ESG 경영시스템의 효과성에 대한 자신의 기여

d) ESG 경영시스템의 요구사항에 부적합한 경우의 영향

e) 관련 ESG 경영시스템의 문서화된 정보 및 그것의 변경

f) 환경, 사회, 안전, 부패방지, 규범준수 등

g) ESG 워싱 개념과 리스크(부속서 A.5 참조)

7.4 의사소통

조직은 다음 사항을 포함하여 ESG 경영시스템에 관련되는 내부 및 외부 의사소통을 결정하여야


한다.

a) 의사소통 내용

b) 의사소통 시기

c) 의사소통 대상

d) 의사소통 방법

e) 의사소통 담당자

7.5 문서화된 정보

7.5.1 일반사항

- 17 -
ESG-MS-001:2023

조직의 ESG 경영시스템에는 다음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a) 이 표준에서 요구하는 문서화된 정보

b) ESG 경영시스템의 효과성을 위하여 필요한 것으로, 조직이 결정한 문서화된 정보

c) 이해관계자 지정 요구사항

비고 ESG 경영시스템을 위한 문서화된 정보의 정도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조직에 따라 다를 수


있다.

— 조직의 규모, 그리고 활동, 프로세스, 제품 및 서비스의 유형

— 프로세스의 복잡성과 프로세스의 상호 작용

— 인원의 역량

7.5.2 작성 및 갱신

문서화된 정보를 작성하거나 갱신할 경우, 조직은 다음 사항의 적절함을 보장하여야 한다.

a) 식별 및 내용(description) (예: 제목, 날짜, 작성자 또는 문서번호 등)

b) 형식 (예: 언어, 소프트웨어 버전, 그래픽) 및 매체 (예: 종이, 전자 매체 등)

c) 적절성 및 충족성에 대한 검토 및 승인

7.5.3 문서화된 정보의 관리

7.5.3.1 ESG 경영시스템 및 이 표준에 요구되는 문서화된 정보는, 다음 사항을 보장하기 위하


여 관리되어야 한다.

a) 필요한 장소 및 필요한 시기에 사용 가능하고, 사용하기에 적절함

b) 충분하게 보호됨(예: 기밀유지 실패, 부적절한 사용 또는 온전성 훼손으로부터 등)

7.5.3.2 문서화된 정보의 관리를 위하여, 다음 활동 중 적용되는 사항을 다루어야 한다.

a) 배포, 접근, 검색 및 사용

b) 가독성 보존을 포함하는 보관 및 보존

c) 변경 관리(예: 버전 관리 등)

d) 보유 및 폐기

비고 유효하지 않는 문서화된 정보는 의도되지 않은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상태의 식별을 관리

- 18 -
ESG-MS-001:2023

하여 어떤 목적으로 보유할 수 있다.

ESG 경영시스템의 기획과 운용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조직이 정한 외부 출처의 문서화된 정보는
필요에 따라 식별되고 관리되어야 한다.

적합성의 증거로 보유 중인 문서화된 정보는, 의도하지 않은 수정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비고 접근(access)이란 문서화된 정보를 보는 것만 허락하거나, 문서화된 정보를 보고 변경하는


허락 및 권한에 관한 의사결정을 의미할 수 있다.

문서화된 정보가 전자적으로 관리될 때 보호를 위한 문서화된 정보를 유지하여야 한다.

조직은 법적 및 규제적, 계약 및 이해관계자 요구사항에 충족될 수 있도록 문서화된 정보를 유지


하여야 한다.

조직은 이해관계자가 계약 이행과 관련한 문서화된 정보에의 접근을 제공하여야 한다.

8 운용

8.1 운용 기획 및 관리

조직은 ESG 경영시스템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하여 부문별 필요한 프로세스를 수립, 실행,
관리 및 유지하여야 한다.

조직은 6.1, 6.2항에서 파악된 목표, 리스크에 대한 운영 및 개선계획에 따라 관리하는 통제를


실행하여야 한다. 이러한 관리들은 지속적인 효과성을 보장하기 위해 유지, 정기적인 검토를
하여야 한다.

비고 1 기업의 업종 및 규모 등에 따라서 ESG 측면에서 해당되지 않는다면, 일부 부분은 고려


되지 않을 수 있다.

8.2 비상사태 관리

조직은 ESG 경영을 위하여 ESG와 관련된 비상 상황에 대비하고 대응하기 위한 필요한 프로
세스를 수립, 실행 및 유지하여야 한다. 이 프로세스는 비상 상황 대응계획과 위기관리 조직체
계를 수립하고 지속적으로 훈련, 평가 및 필요한 경우 갱신을 포함하여야 한다.

9 성과평가

9.1 모니터링, 측정, 분석 및 평가

9.1.1 일반사항

- 19 -
ESG-MS-001:2023

조직은 모니터링, 측정, 분석 및 성과평가를 위한 프로세스를 수립, 실행 및 유지하여야 한다.

조직은 다음 사항을 결정하여야 한다.

a) 모니터링 및 측정이 필요한 대상(리스크 평가 등)

b) 유효한 결과를 보장하기 위해 적용 가능한 모니터링, 측정, 분석 및 평가 방법

c) 모니터링 및 측정 실시 시기

d) 모니터링 및 측정 결과에 대한 분석 및 평가 시기

조직은 ESG 성과를 평가하고 ESG 경영시스템의 효과성을 결정하여야 한다.

조직은 모니터링, 측정, 분석 및 평가 결과의 증거로 적절한 문서화된 정보를 유지하여야 한다.

9.1.2 준수평가

조직은 법적 요구사항 및 기타 요구사항의 준수를 평가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립, 실행 및 유지


하여야 한다.

조직은 다음 사항을 실행하여야 한다.

a) 준수평가의 빈도와 방법을 결정

b) 준수평가를 수행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함

c) 조직의 준수 상황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유지

조직은 준수평가 결과의 증거로 적절한 문서화된 정보를 유지하여야 한다.

비고 부속서 B.9, C.14, D.6 참조

9.2 내부 심사

9.2.1 일반사항

조직은 다음 사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계획된 주기에 따라 내부 심사를 수행하여야


한다.

a) 다음 사항에 대한 적합성 여부

1) ESG 방침 및 ESG 목표를 포함한 ESG 경영시스템에 대한 조직의 자체 요구사항

2) 이 표준의 요구사항

- 20 -
ESG-MS-001:2023

b) ESG 경영시스템이 효과적으로 실행되고 유지되는지 여부

9.2.2 내부 심사 프로그램

조직은 빈도, 방법, 책임, 계획 요구사항 및 보고를 포함한 내부심사 프로그램을 수립, 실행 및
유지하여야 한다.

내부 심사 프로그램을 수립할 때, 조직은 관련 프로세스의 중요성, 조직에 영향을 미치는 변경


사항 및 이전의 심사 결과를 고려하여야 한다.

조직은 다음 사항을 실행하여야 한다.

a) 심사 기준 및 개별 심사의 심사 범위를 규정

b) 심사 프로세스의 객관성 및 공평성을 보장하기 위한 심사원 선정

c) 심사결과가 관련 경영자에게 보고됨을 보장

조직은 심사프로그램의 실행과 심사결과의 증거로 문서화된 정보를 유지하여야 한다.

9.3 경영 검토

9.3.1 일반사항

최고경영자와 지배기구는 조직의 전략적 방향에 대한 ESG 경영시스템의 지속적인 적절성, 충족


성, 효과성 및 정렬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계획된 주기로 조직의 ESG 경영시스템을 검토하여야
한다.

9.3.2 경영 검토 입력사항

경영 검토는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계획되고 수행되어야 한다.

a) 이전 경영 검토에 따른 조치의 상태

b) 다음 사항을 포함한 ESG 경영시스템과 관련된 외부 및 내부 이슈의 변경

1) 이해관계자의 니즈와 기대
2) 법적 요구사항 및 기타 요구사항
3) 조직의 리스크와 기회

c) 다음의 경향을 포함한 ESG 경영시스템의 성과에 대한 정보

1) 부적합 및 시정조치
2) 모니터링 및 측정 결과
3) 법적 요구사항 및 기타 요구사항에 대한 준수 평가 결과
4) 심사 결과

- 21 -
ESG-MS-001:2023

d) 자원의 충족성

e) 리스크와 기회를 다루기 위하여 취해진 조치의 효과성

f) 개선 기회

9.3.3 경영 검토 결과

경영검토의 결과에는 다음 사항과 관련된 결정과 조치가 포함되어야 한다.

a) 개선 기회

b) ESG 경영시스템 변경에 대한 모든 필요성

c) 자원의 필요성

조직은 경영검토 결과의 증거로 문서화된 정보를 유지하여야 한다.

10 개선

10.1 일반사항

조직은 개선 기회를 결정하고 선택하여야 하며, 이해관계자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고 만족을 증진


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모든 조치를 실행하여야 한다. 조치에는 다음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a) 요구사항을 충족시기기 위한 것뿐만 아니라, 미래의 니즈와 기대를 다루기 위한 개선

b) 시정, 예방 또는 바람직하지 않는 영향의 감소

c) ESG 경영시스템의 성과 및 효과성 개선

비고 개선의 사례에는 시정조치, 지속적 개선, 획기적인 변화, 혁신 및 조직 개편이 포함될 수


있다

10.2 부적합 및 시정조치

조직은 사건과 부적합을 결정하고 관리하기 위해 조사 및 조치 수행, 보고를 포함한 프로세스


를 수립하고, 이행하고 유지하여야 한다.

사건 또는 부적합이 발행할 시, 조직은 다음 사항을 실행하여야 한다.

a) 부적합에 대하여 즉시 조치하고, 적용 가능한 경우 부적합에 대한 시기적절한 대처


1) 부적합을 관리하고 시정조치를 취함
2) 결과를 처리

b) 다음을 통해 재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건 또는 부적합의 근본적인 원인 제거를 위한 시


정조치의 필요성, 기타 이해관계자를 포함하여 조직원이 참여와 함께한 평가

- 22 -
ESG-MS-001:2023

1) 사건 조사 또는 부적합 검토
2) 사건 또는 부적합의 원인 결정
3) 과거 비슷한 사건이 발생 했었는지, 부적합이 존재 하는지 또는 둘 모두 잠재적으로 발생
할 수도 있는지에 대한 결정

c) 해당되는 경우, 존재하는 ESG 리스크와 그 밖의 리스크 평가를 검토 (6.1 참조)

d) 계층 관리와 변경 관리에 준한 시정조치를 포함하여 필요한 조치 결정 및 수행

e) 조치를 취하기 이전 새로운 또는 변경된 요인과 관련된 ESG 리스크를 평가

f) 시정조치를 포함하여 취한 조치의 효과성 검토

g) 만약 필요한 경우 ESG 경영시스템에 대한 변경

시정조치는 발생한 사건 또는 부적합의 영향 또는 잠재적 영향에 적절하여야 한다. 조직은 다


음의 증빙을 위한 문서화된 정보를 유지하여야 한다.

— 사건 또는 부적합 그리고 후속조치의 특성

— 효과성을 포함하여 시정 및 시정조치의 결과

조직은 관련된 이해관계자, 조직원이 문서화된 정보를 의사소통 하여야 한다.

비고 지체 없는 사건의 보고 및 조사는 최대한 빨리 부적합을 제거하고, 관련된 ESG 리스크를


최소화 할 수 있게 한다.

10.3 지속적 개선

조직은 다음을 통해 지속적으로 ESG 경영시스템의 적합성, 적절성 그리고 효과성을 개선하여
야 한다.

a) ESG 성과 증대

b) ESG 경영시스템을 지원하는 문화 촉진

c) 지속적인 ESG 경영시스템을 위한 조치 수행에서의 이해관계자와 조직원 참여 촉진

d) 지속적인 개선의 관련 결과를 이해관계자 및 조직원과 의사소통

e) 지속적인 개선의 증거로 문서화된 정보를 유지 및 보유

- 23 -
ESG-MS-001:2023

부속서 A
(참고)

일반개요

A.1 ESG의 주요 항목

ESG는 환경, 사회, 지배구조 항목으로 나눌 수 있다. 조직에 따라 아래의 주요 항목이 달라질
수 있다.

a) 정보공시는 정보공시 형식, 내용, 검증으로 분류할 수 있다.

b) 환경은 환경경영 목표, 원부자재, 온실가스, 에너지, 용수, 폐기물, 오염물질, 환경 법과 규


제 위반, 환경라벨링으로 분류할 수 있다.

c) 사회는 목표, 노동, 다양성 및 양성평등, 산업안전, 인권, 동반성장, 지역사회, 정보보호, 사
회 법과 규제 위반으로 분류할 수 있다.

d) 지배구조는 이사회 구성, 이사회 활동, 주주권리, 윤리경영, 감사기구, 지배구조 법과 규제


위반으로 분류할 수 있다.

A.1.1 환경 및 에너지 부문

a) 환경관련 해당되는 인허가 처리를 위한 기준 및 운영

b) 해당되는 경우 원부자재 사용량, 에너지 사용량, 폐기물 배출량, 용수 및 폐수관리 기준 및


운영(운영은 모니터링으로 9.1항이 적절함)

— 에너지 및 온실가스(Scope1 & Scope2) 절감(월별, 연차별 실적)

— 제 3자에 의한 온실가스 검증 실적(9.1 참조)

— 수질오염물질 배출량 관리(9.1 참조)

c) 제품내 유해물질 관리기준 및 사업장내 화학물질 관리 기준

d) 대기 및 소음관리 기준 및 저감활동 결과

—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지난 5개년 실적)

e) 폐제품 수거 및 재활용 관련 재활용의무이행계획서, 개선실적(9.1 참조)

A.1.2 안전보건 부문

a) 안전보건 관련 인허가 처리를 위한 기준과 모니터링 기준 및 운영

b) 작업환경측정 결과 및 후속조치 결과

c) 설비기계의 안전기준 수립과 방호장치 확보

d) 산업재해율 관리(목표관리로 6.2 참조)

- 24 -
ESG-MS-001:2023

e) 소방안전관리(법정 소방설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법정점검이외의 자체점검 관리)

f) 비상출구 시설관리(비상출구의 위치표시, 비상조명, 비상상황 경보설비 설치 등)

A.1.3 인권경영 부문

a) 인권경영에 대한 의지표명, 인권경영실천 계획, 교육

b) 비인권행위 예방조치를 위한 기준 및 모니터링 체계

c) 비인권행위에 대한 조사 절차 및 조치

A.1.4 부패방지 및 준법경영 부문

a) 윤리경영에 대한 의지표명, 윤리경영실천 계획, 교육 및 점검활동을 위한 체계와 조직 확보

b) 비윤리행위 예방조치를 위한 기준 및 모니터링 체계

c) 반경쟁행위 예방조치를 위한 기준과 지속적인 모니터링 활동

d) 공익제보자 보고를 위한 기준

A.1.5 정보보호 및 기타 부문

a) 정보보호 관리기준 수립과 취약성 분석 결과

b) 개인정보 관리기준

c) 책임 원자재 조달에 대한 선언 및 관리기준

d) 원자재 생산지 리스크 관리 기준

e) 이해관계자 만족 대응을 위한 기준수립과 운영결과

f) 정보공개의 투명성을 위한 조직구성, 채널구축과 공개항목의 제시

A.2 ESG 평가 시 가중치 결정

a) 가중치는 산업별 이슈, 조직의 ESG 추진방향을 종합하여 고려하여야 한다.(4.1, 4.2 참조)

b) 조직은 조직이 가지고 있는 ESG의 중요성에 따른 평가를 하여야 한다.(4.5.1 참조)

A.3 ESG 평가의 주기 및 내용

a) 최소 1년에 한번 이상 주기적으로 조직 내 평가를 실시한다.

b) ESG 경영시스템이 효과적으로 실행되고 유지되는지 ESG 수준 평가를 실시한다. (9.1.2,


9.2.1 참조)

c) ESG 수준 평가를 통해 ESG 경영시스템이 효과적으로 시행되지 않는 경우 개선 방안을 마


련하여 조치하여야 한다.

A.4 공급망 실사에 대한 대응

- 25 -
ESG-MS-001:2023

a) 조직은 ESG와 관련한 공급망 실사에 대한 적극적 대응이 필요하다.

b) 조직은 고객이 요구하는 지정 사항에 적극적으로 파악하고 충족하여야 할 것이다.

비고 공급망 관련해서 4.3항 및 K—ESG 공급망 가이드라인을 참조한다.

A.5 ESG 워싱에 대한 대응

a) ESG 워싱은 ESG 경영시스템 인증에 대한 심각한 위험임을 인식하여야 할 것이다.

b) 조직은 ESG 워싱을 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방침에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C) 조직에서 ESG 워싱이 행해지거나 조짐이 있을 경우 즉시 진단, 평가 및 개선 조치하여야


할 것이다.

- 26 -
ESG-MS-001:2023

부속서 B
(참고)

환경에 대한 지침

B.1 환경 개요

조직은 보유하고 있는 자원, 역량, 경영환경, 사업전략, 또는 최고경영진 등의 의지에 따라 환


경 분야 목표 수준을 달리 정할 수 있다. 조직이 수립한 목표 수준의 타당성, 신뢰성,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조직의 목표가 1) 글로벌 합의에 준하는 수준인지(ex. 2050 탄소중립), 2)
국내외 법/규제를 준수하는 수준인지(ex. 수질오염물질 법적허용기준 준수), 3) 동종산업 평균
에 맞춘 수준인지, 4) 산업 내 최고 기업을 지향하는 수준인지를 검토해 볼 수 있다.

B.2 환경경영

환경경영이란 조직의 사업운영 전 과정에 걸쳐 발생하는 환경영향을 최소화하면서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경제적으로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고자 하는 경영활동이다. 조직의 환경경영 체
계란 환경경영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환경방침 개발, 이행, 달성, 검토 및 유지관리 할
수 있는 조직, 책임, 자원, 절차, 과정 및 성과관리 등을 종합적으로 구축한 것을 의미한다.

B.3 환경경영시스템

조직은 직접 소유하고 관리하는 모든 사업장이 환경경영 추진체계를 올바르게 구축하고 있는


지 점검하기 위한 기준으로써 개별 사업장이 환경경영시스템(ISO14001 등) 또는 이에 준하는
환경 관련 경영시스템(ex. 에너지경영시스템(ISO50001))을 도입 및 인증 여부를 확인할 수 있
다. 예를 들어, 모든 사업장에 적용될 수 있는 공통단위(ex. 매출액, 구성원 수, 생산량 등)를
기준으로 환경경영시스템을 도입 및 인증받은 사업장 비율을 통해, 조직의 경영활동 전반에 환
경경영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비고 조직은 ESG 환경 부문을 위해서 ISO14001을 참조할 수 있다.

B.4 온실가스 감축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에 따라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2030년


의 국가 온실가스 총배출량을 2018년의 온실가스 총배출량의 40%만큼 감축)를 달성할 수 있
도록 일정 수준 이상의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에너지를 소비하는 업체 및 사업장은 관리업체로
지정되며, 해당 기업은 온실가스 감축목표, 에너지 절약목표를 설정하고 관리할 의무가 있다.

B.5 신재생에너지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촉진법’ 제2조에서는 신재생에너지를 “기존의 화석연료


를 변환시켜 이용하거나 햇빛·물·지열·강수·생물유기체 등을 포함하여 재생가능한 에너지를 변
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로 정의하고 있으며, 신재생에너지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신에너지 : 연료전지, 수소, 석탄액화·가스화 및 중질잔사유 가스화

- 27 -
ESG-MS-001:2023

— 재생에너지 : 태양광, 태양열, 바이오, 풍력, 수력, 해양, 폐기물, 지열

비고 조직은 에너지경영을 위해서 ISO50001(에너지경영시스템)을 참조할 수 있다.

B.6 온실가스 배출량

조직은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물리적 경계 내에서 발생하는 Scope1 및 & Scope2 배출량
뿐만 아니라, 조직의 외부에서 발생하는 Scope3 배출량의 감축도 관리하고 있는지 점검한다.

비고 1 Scope1은 조직이 소유하거나 통제하는 배출원에서 발생하는 직접적인 온실 가스 배출


이다.

비고 2 Scope2는 조직의 직접적인 통제 밖에 있지만 조직 운영의 결과이다.

비고 3 Scope3는 조직의 가치 사슬을 따라 발생하는 모든 간접 배출량이다.

Scope3는 조직이 통제할 수 없는 범주에 속하기 때문에, 조직이 Scope3를 직접 감축하고 있


는지를 확인하기보다는 Scope3의 인식/산정/검증 등 성과를 관리하는 노력 수준을 확인한다.

Scope3 온실가스란 조직이 소유하고 관리하는 사업장(경계) 외 가치사슬에서 발생하는 간접적


인 온실가스 배출이다. 조직의 경계 내에서 직접 배출되는 Scope1과 외부 전력 및 열 소비로
인해 배출되는 Scope2에 비해 감축의무 대상은 아니지만, 기후변화 이슈가 가속화됨에 따라
Scope3 관리 필요성도 증가하고 있다.

B.7 에너지 사용량

조직이 소유, 관리, 통제하는 물리적 경계(사업장 등) 내에서 직접 생산하거나, 외부로부터 구


매하는 에너지 사용 총량을 절감하고 있는지 점검한다.

조직 규모 차이(매출액, 생산량 등) 또는 각 조직의 사업 변동(구조조정, 인수합병 등)을 고려


하여 상대적으로 비교가 용이한 단위 당 개념의 ‘원단위’를 기반으로 에너지 사용량을 확인한
다.

B.8 폐기물 배출량

조직이 소유, 관리, 통제하는 물리적 경계(사업장 등) 내에서 사업 및 영업 활동(예: 연구개발,


제품 생산/가공/포장 등 포함, 소비자가 사용 이후 폐기한 폐제품은 제외)에 따라 발생하는 폐
기물을 저감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조직간 규모 차이(매출액, 생산량 등) 또는 각 조직의 사업 변동(구조조정, 인수합병 등)을 고


려하여 상대적 비교가능성 높은 ‘원단위’ 개념을 기반으로 폐기물 배출량을 점검한다.

B.9 환경 법/규제 위반

조직이 사업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준수해야 할 환경 관리 법/규제를 명확하게 인식하고, 환경


법/규제 리스크 해결을 위한 투자 및 개선활동이 효과적인지 확인한다.

- 28 -
ESG-MS-001:2023

환경 관련 법/규제 위반 사건 중 조직의 재무구조 및 평판 관리에 상당한 영향력을 미치는 사


법상 형벌, 행정상 처분(금전적, 비금전적)에 대해 가중치를 달리 적용하는 방식으로 ‘환경 법/
규제 위반’을 점검한다.

- 29 -
ESG-MS-001:2023

부속서 C
(참고)

사회에 대한 지침

C.1 사회 개요

조직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회분야의 이슈에 대하여, 재무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의 균형점을
찾는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을 하는지 확인한다.

ESG(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통해 도출된 중요한 사회분야 이슈에 대해서 정성/정량적인 목표


를 투자자, 고객 등 이해관계자에게 공개하고 있는지 점검한다.

C.2 교육훈련

조직은 교육 및 훈련을 통해 업무 수행에 필요한 기술, 지식 등 구성원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


으며, 이러한 교육훈련의 성과는 조직의 몰입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생산성 향상에 기여
함으로써 미래 시장 경쟁력을 높이게 한다. 조직은 단기적인 이익창출과 교육훈련을 통한 장기
적 성과 회수 사이의 괴리로 인해 구성원의 교육훈련에 소극적이고 수동적인 자세를 보일 수
있지만 장기적 관점의 경영성과 창출과 지속가능성 확보에 더욱 초점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
다.

C.3 복리후생

복리후생은 조직이 구성원에게 제공하는 대표적인 비임금성 보상으로 기업복지, 근로복지 등


다양한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소위 ‘워라밸(Work and Life Balance)’로 불리는 일
과 삶의 균형, 일과 가정의 양립 등이 중요한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복리후생이 구직자가
조직을 선택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자리 잡는 등 노동과 복리후생에 대한 사회의 시각이 빠르
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복리후생은 구성원의 만족도, 핵심 인재의 확보와 유지 및 조직의
몰입도와 성과향상 등에 영향을 미침에 따라, 조직은 효과적인 복리후생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C.4 결사의 자유보장

근로자는 자유로이 노동조합을 조직하거나 이에 가입할 수 있고 가입 형태에 따라 오픈샵


(Open Shop)과 유니온샵(Union Shop)의 경우가 있다. 해당 항목에서는 근로자가 노동조합을
조직하거나 두 가지 가입 형태에 따른 노동조합 가입을 모두 인정하고 있다. 다만, 근로자가
자발적으로 노동조합을 조직하지 않거나 이에 가입하지 않은 경우에는 ‘노사협의회 설치·운영’
을 점검기준으로 적용할 수 있다.

C.5 양성평등

조직이 다양성 측면에서 소수계층, 사회적 취약계층, 기타 단순한 신체적 차이를 사유로 급여
지급에 차별을 두는 인사제도, 고용관행이 있는지 확인한다.

- 30 -
ESG-MS-001:2023

국내 인구구조적 특성을 고려하여, 차별이 발생하는 다양한 사례 중 성별에 따른 급여 차이가


발생하는지 점검하고자 함. 조직의 남/녀 구성원 중 평균 급여액 미만의 급여를 받는 집단을
기준으로 급여 차이를 확인하는 항목으로써, 1인 평균 급여액 대비 ‘여성 1인 평균 급여액’(또
는, 남성 1인 평균 급여액) 비율을 점검한다.

C.6 장애인 고용

장애인 고용의무제도는 국가·지방자치단체와 50명 이상 공공기관·민간기업 사업주에게 장애인


을 일정비율 이상 고용하도록 의무화하고, 미준수 시 부담금(100명 이상)을 부과하는 제도이
다. 의무고용률 이상 고용한 사업주에 대해서는 규모에 상관없이 초과인원에 대해 장려금을 지
급하며, 매년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시행령」을 통해 기준연도에 해당하는 의무고용
률을 공시하고 있다

C.7 안전보건 관리

안전보건 관리란, 구성원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조직 스스로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제


거·대체하거나, 통제방안을 마련·이행하며, 이를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일련의 활동을 말한다.

안전보건 관리는 조직의 사회적 책임이며, 경쟁력 제고의 첫걸음이다. 최근 ESG에 대한 사회


적 관심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특히 안전보건 관리는 ESG 이행의 가장 기본이 되는 사항이다.
안전은 비용이 아닌 투자이며, 경영의 일부다. 산업재해가 발생하면 조직의 ESG 경영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심각한 작업 차질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품질, 생산성 저하 및 조직 이
미지에 큰 타격을 입는다.

비고 조직은 안전보건 관리를 위해서 ISO45001(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참조할 수 있다.

C.8 인권경영

인권 이슈는 아래와 같다.

— 차별금지 : 성별, 인종, 민족, 국적, 종교, 장애, 기타 사회적 신분 등을 사유로 고용, 승진,
교육, 보상, 복리후생 등의 근로조건에 있어 차별하거나 괴롭히는 행위를 금지하는 것

— 근로조건 준수 : 법정근로시간을 준수하며, 초과근로에 대해서는 합당한 보수를 제공함. 또


한, 모든 구성원이 업무에 몰입할 수 있는 적절한 근로환경을 조성하는 것

— 인도적 대우 : 구성원의 사생활 및 개인정보를 보호하며, 정신적 또는 육체적으로 강압, 학


대, 불합리한 대우를 하지 않는 것

— 강제근로 금지 : 폭행, 협박, 감금, 기타 자유의사에 반하는 행위를 통해 근로를 강요하지


않는 것

— 아동노동 착취 금지 : 아동노동은 원칙적으로 금지, 근로로 인한 연소자의 교육기회를 제한


하지 않는 것

— 결사 및 단체교섭의 자유 : 구성원의 단결권, 단체교섭권, 단체행동권을 충분히 보장하는 것

— 산업안전 보장 : 구성원이 안전한 근로환경에서 근무할 수 있도록 사전예방 및 사후관리하


는 것

- 31 -
ESG-MS-001:2023

— 지역주민 인권 보호 : 사업으로 인해 지역주민의 거주환경, 안전보건 등을 침해하지 않는


— 고객 인권 보호 : 사업으로 인해 고객의 생명, 건강, 재산 보호를 최우선으로 하는 것

비고 조직은 ISO26000(사회적책임경영시스템)을 참조할 수 있다.

C.9 협력사 ESG 범위

조직은 ESG 리스크를 관리할 협력사 범위를 자율적으로 지정할 수 있다. 넓게는 조직의 모든
1차 협력사를 대상으로 ESG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으며, 조직의 전략적 판단 하에 사업운영에
중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핵심 협력사에 대해서만 ESG 리스크를 관리할 수도 있다. 이때, 핵
심 협력사라고 분류할 수 있는 기준에는 다음과 같은 예시가 있으며, 조직은 1개 기준만을 사
용하거나, 복수 기준을 사용하여 핵심 협력사를 분류할 수 있다.

— 핵심 원부자재 및 서비스를 공급하는 협력사

— 대체불가능한 원부자재 및 서비스를 공급하는 협력사

— 구매 또는 거래금액이 높은 협력사

— 조직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협력사

— 장기간 거래관계에 있는 협력사

— 기타. 조직과 신뢰관계가 형성된 협력사

C.10 협력사 ESG 지원

조직은 협력사 ESG 관리에 있어 진단—평가—개선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프로세스 외, 협력사


가 ESG 역량을 갖출 수 있는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조직은 협력사의 ESG 지원에 대한 의지를 선언하는 것과 함께, 협력사 ESG 지원 전략과 계획
이 마련되어 있는지 점검한다.

단, 조직은 협력사 ESG 지원을 위한 별도 전략 및 실행방안을 수립할 수 있으나, 조직의 일반


적인 협력사 지원방안 내 ESG 관련 내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비고 7.1.1 c) 참조

C.11 사회공헌

조직의 사회공헌 분야/영역은 사회공헌 미션, 비전, 슬로건 등의 달성을 위한 방향성을 나타내
며, 사업적/사회적 필요를 반영하여 설정될 필요가 있다. 조직은 영리 또는 정치/종교 활동이
아닌 아래의 사업 활동을 사회공헌 분야/ 영역으로 삼을 수 있다. 단, 일회성/단순기부형 사업
은 특수한 경우가 아닌 경우, 사회공헌 분야/영역에서 배제할 것을 권장한다.

- 32 -
ESG-MS-001:2023

C.12 구성원 봉사참여

조직의 업무 생산성 향상에 대한 관심, 구성원의 자기결정권 주장, 대외 사회봉사 프로그램의


확대 등에 따라, 조직이 봉사활동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구성원의 참여를 강제화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봉사활동 참여 의지가 있는 구성원에게 자율 봉사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조직은 자원봉사의 본질적인 가치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의 ‘금전적, 비금전적, 또는 이에 상응하는 기타의 인센티브’ 제도를 통해 봉사활동에 참여
하고자 하는 구성원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다.

C.13 정보보호(정보보호경영, 개인정보보호)

조직은 개인정보보호를 위하여 적절하게 조치하고 있는지 점검한다. 조직은 국내에 개인정보보
화와 관련한 법률 사항의 준수하여야 할 것이다.

비고 1 조직은 정보보호 관리를 위해서 ISO27001(정보보호경영시스템)을 참조할 수 있다.

C.14 사회 법/규제 위반

조직이 재화와 용역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준수해야 할 법/규제 요건을 명확하게 인식하고, 법/
규제 리스크 해결을 위한 사회영역의 투자, 유지 및 보수 활동을 추진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사회영역 관련 법/규제 위반 건 중 조직의 재무구조 및 명성관리에 상당한 영향력을 미치는 사


법상 형벌, 행정상 처분(금전적, 비금전적)에 대해 가중치를 달리 적용하는 방식으로 점검한다.

- 33 -
ESG-MS-001:2023

부속서 D
(참고)

지배구조에 대한 지침

D.1 지배구조 개요

ESG가 사업운영 및 중장기 발전을 위한 중요한 요인으로 등장함에 따라, 조직의 최고의사결정
기구인 지배기구에서 ESG 안건을 검토/심의/의결하도록 요구받고 있다. 조직은 지배기구에서
ESG와 관련한 중요 안건을 보고받거나, 심의/의결할 수도 있으며, 지배기구 산하 위원회를 설
치하여 ESG 관련 안건을 다루도록 함으로써 지배기구 역할 수행의 전문성과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ESG 거버넌스는 ESG 기구의 독립성 측면에서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비고 5.1.3 참조

D.2 사외이사 비율

이사회가 조직의 경영활동에 대한 감독과 견제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며, 경영진이 합리


적이고 객관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제언하기 위해서는 사외이사의 독립성이 확보되
어야 할 것이다. 사외이사의 독립성 요건(또는 사외이사 결격사유)은 「상법」 제382조 및 제
542조,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 제12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조직은 사외이사 제도를 통해 경영진 및 지배주주에 대한 견제, 기업경영 투명성의 제고, 소수


주주의 권리보호 등의 목적을 달성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경영진의 의사결정 행위를 견제할 수
있으며, 독립적인 시각에서 기업 발전에 관한 제언을 할 수 있는 사외이사 비율이 충분한지 점
검한다.

D.3 주주권리

조직은 주주총회의 개최 일시, 장소 및 의안에 관한 정보를 사전에 주주에게 제공해야 할 것이


다. 주주에게 제공되는 정보는 주주가 의안을 사전에 검토하여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판단을 내
릴 수 있도록 충분해야 할 것이며, 주주총회의 개최 일시와 장소는 최대한 많은 주주가 참여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기간 전에 서면 또는 주주의 동의하에 전자문서로 통지하여야 할 것이다.

조직은 주주가 보유하고 있는 기본적인 권리 행사, 재산 보호, 이해관계 대변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방법으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해야 할
것이다. 주주의 의결권 행사 용이성을 높일 수 있는 장치로는 ‘서면투표제’와 ‘전자투표제’가
있다. 주주가 직접 출석하지 않더라도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한다면, 조직의 중
요한 의사결정에 주주의 의사를 결집하여 반영할 수 있고, 조직에 대한 견제 및 감독도 수월해
지게 된다. 또한, 조직은 주주총회에 소요되는 경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조직이 필
요로 하는 안건에 대해 의결권을 확보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D.4 윤리규범

윤리규범이란 윤리경영을 실천하기 위한 올바른 의사결정과 윤리적 판단 기준을 구성원에게

- 34 -
ESG-MS-001:2023

제공하는 것으로서, 조직에 속한 구성원 및 해당 조직과 거래관계에 있는 자들이 업무수행 과


정에서 준수해야 하는 행동방식이 담겨 있는 문서를 지칭한다. 조직마다 윤리규범을 일컫는 용
어는 다양하며, 윤리헌장, 윤리강령, 행동강령, 행동규범, 청렴규범 등의 용어가 존재한다.

윤리규범 위반이란 조직이 제정한 윤리규범에서 다루는 행동방식을 위반한 행위를 하는 경우


및 이에 준하는 사회통념적 윤리기준을 위반한 행위를 통칭한다.

비고 1 조직은 윤리규범 관리를 위해서 ISO37001(부패방지경영시스템)과 ISO37301(규범준수


경영시스템)을 참조할 수 있다.

D.5 감사기구

조직의 재무, 회계, 감사 관련 부정사안, 기타 내부통제 관련 현안 등을 상시적으로 점검하고,


중요한 의사 결정사항 및 관련 정보를 감사위원회에 보고하는 거버넌스 체계가 구축되어 있는
지 확인한다.

조직이 내부감사부서를 두고 있는지, 내부감사부서의 독립성, 책임과 역할을 명확히 규정하고


있는지 점검한다.

D.6 지배구조 법/규제 위반

지배구조 법/규제 위반은 「상법」,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금융회사의 지


배구조에 관한 법률」 및 이에 준하는 기타 법률 등에서 규정한 ‘주주권리 보호’, ‘상호출자 등
소유구조’, ‘계열회사 등 특수관계인과의 거래’, ‘이사회 구성 및 운영’, ‘감사기구 구성 및 운
영’, ‘경영정보 공시’ 요건을 위반한 경우로 볼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예시는 아래와 같다.

— 주주권리 보호 : 집중투표제, 전자투표제, 주주제안, 주주대표소송 등

— 상호출자 등 소유구조 : 5% 이상 지분율 공시,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간 주식 취득 및 소유 등

— 특수관계인과의 거래 : 계열회사 출자총액/지급보증/담보제공 등

— 이사회 구성 및 운영 : 사외이사 선임, 여성(남성)이사 선임, 경영진 보수정보 등

— 감사기구 구성 및 운영 : 감사위원회 구성원 독립성, 전문성 등

— 경영정보 공시 : 정기/수시/자진/정정 공시, 기타 중요 사업변동에 관한 사항 공시 등

- 35 -
ESG-MS-001:2023

부속서 E
(참고)

평가에 대한 지침
표 E.1의 평가 목적과 실행은 K—ESG 가이드라인을 참고한 것이며, 4.2, 4.3, 4.5, 6.1.1의 상
황에서 사용될 수 있다.

표 E.1 - 평가 목적과 실행

E.1 환경

E 1.1 환경경영에 따른 기초 진단 항목 체계

목적 : 환경 관련 업무 요구사항과 ESG 이니셔티브의 주요 공통지표에 따른 요구사항에


충족을 위한 지원을 제공
환경정책 수립
환경경영을 위한 조직의 중장기 환경정책에 따
른 실천적 목표와 세부적인 계획을 제시
E.1.1.1
주기적으로 성과에 대한 모니터링 및을 측정
(예: 환경경영시스템, 중장기 환경정책, 연간
환경정책 관련 계획 및 보고서)
환경경영 인증 및 조직
환경경영체계 환경 관련 인증을 보유하고 이를 충족
E.1.1.2 실무 조직을 보유
(예: ISO 인증, 국제이니셔티브 참여, 환경부서
등)
환경교육 및 성과평가
환경경영체계가 실제적으로 작동되게 하기 위
E.1.1.3
하여 환경교육과 환경성과평가 수행
(예: 환경교육, 환경 KPI에 반영)
에너지 사용량
에너지 사용량 측정 및 에너지 감소 (Ex. ‘전
자공시시스템’에 사업보고서, ‘조직별 홈페이지’
E.1.2.1
에 지속가능경영보고서, ‘한국에너지공단 홈페
이지’에 산업부문 에너지 사용 및 온실가스 배
에너지 및 온실가스
출량 통계)

온실가스 배출량(Scope 1 및 Scope 2)


E.1.2.2
온실가스 배출량 측정 및 배출량 감소

제품내 유해물질 관리
제품내 유해물질에 대한 관리리스트 파악 및
E.1.3.1 유해물질 및 화학물질
사용량 감소
(예: ROHS성적서, 부품성적서, 기술문서, 관리

- 36 -
ESG-MS-001:2023

계획서/QC공정도, WEEE성적서등)
사업장내 화학물질 관리
화학물질 관리프로세스 및 화학물질관리법에
E.1.3.2
따라 운영관리 및 개선 (예: 화학물질 통계조
사, 화학물질 배출량조사서, 화학물질관리대장)
폐기물 배출량
폐기물 배출량 측정 및 감소 (예: ‘조직별 홈페
E.1.3.3
이지’에 지속가능경영보고서, 한국환경공단 폐
기물 발생 처리현황)
대기 및 소음 관리
최근 1년 대기오염물질 및 소음진동 관리 및
E.1.4.1 대기오염 저감 활동 수행
(예: 인허가서류, 작업환경측정결과보고서, 자
가측정결과)
용수 및 폐수 관리
최근 용수 및 폐수 관리 및 저감 활동 수행
E.1.5.1 수질오염
(예: ’조직별 홈페이지‘에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기업실적보고서)
E.2 사회

E 2.1 사회에 따른 기초 진단 항목 체계
목적 : 사회 관련 업무 요구사항과 ESG 이니셔티브의 주요 공통지표에 따른 요구사항에
충족을 위한 지원을 제공
단체교섭 및 집회참여
“임금 및 단체협약 등에 관한 합의서”, 노동조
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조직의 내부규정 점검
E.2.1.1 노동
및 관리
(예: “임금 및 단체협약등에 대한 합의서”, 조
직의 내부규정)
강제근로 금지
노동자가 원하지 않는 의무적 초과노동을 강요
하지 않으며, 상호간 합의(근로계약서)를 통해
E.2.2.1 근로를 실시하고 강제근로금지를 포함하여 근
로자에게 설명하도록 절차 및 운영관리
(예: 채용서류, 근로계약서, 취업규칙, 출입통제
상황)
인권 아동노동 금지
서류를 통해 근로자의 나이(15세 미만 연소자
고용금지등)를 확인한 후에 고용조건, 근로조건
E.2.2.2
및 신분증명서를 확인하도록 절차 및 운영관리
(예: 근로계약서, 사진이 부착된 신분증, 근로
자 명부, 의료파일, 작업시간 기록)
근로시간 준수
E.2.2.3
근로 관련 서류를 통해 근로자의 근로시간이

- 37 -
ESG-MS-001:2023

법률에서 정한 최대시간을 초과하지 않는지 확


인하도록 적절한 절차 운영, 의사소통 및 기록
관리 (예: 근로계약서, 작업시간 기록, 취업규
정, 연장근로 계획서 등)
임금산정 및 지급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임금과 관련된 일체의 기
록을 점검하고 충분한 정보가 포함된 급여명세
E.2.2.4
서 제공
(예: 표준근로계약서, 임금지급확인서, 임금지
급 확인시스템)
협력사 지원 프로그램
공급망과 관련한 협력사에 대한 지원 프로그램
E.2.2.5 협력사 지원 보유
(예: 협력사 ESG 컨설팅 지원, 협력사 교육
등)
안전보건 인증 및 인허가 획득
안전보건을 위한 모든 필수 인허가증과 검사
보고서 구비
E.2.3.1 안전보건 체계
허가증을 항상 최신 상태로 관리
(예: 안전보건 인허가 항목, 인허가 자료, 인허
가증, 인허가 관리상태)
작업환경 측정
유해인자 노출 수준을 평가한 후 시설 및 설비
E.2.4.1 를 개선 및 이에 대한 결과를 의사소통하며 체
계적인 관리
(예: 작업환경 측정보고서)
설비기계 안전 사용
기계설비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 절차를 마련하
고 방호덮개 및 관련 방호장치 등의 설치, 활
E.2.4.2
용 및 적절한 유지와 개선, 최신상태 유지 (예:
안전보건 확보를 위한 기계설비의 절차, 가이
드 및 방호장치의 관리 상태)
산업재해 예방
산업재해율
안전보건 추진체계가 효과성 확인 및 산업재해
율 저감
E.2.4.3
(예: ‘전자공시시스템’에 사업보고서, ‘홈페이지’
에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에 산업재해 현황분석)

비상상황 대응체계
비상상황 대응체계를 체계적으로 운영·관리
E.2.4.4
(예: 재해경감활동계획, 재난안전관리규정, 안
전보건관리규정, 소방계획서)

- 38 -
ESG-MS-001:2023

정보보호 관리
이해관계자의 정보보호를 위해서 정보보호 체
E.2.5.1 정보보호
계를 구축 및 관리 (예: 정보보호 인증, 정보보
호 관리규정 등)

사회공헌 활동
E.2.6.1 사회공헌 사회 공헌 활동 실시 (예: 봉사활동, 지역사회
지원 사업 등)

E.3 지배구조

E 3.1 지배구조에 따른 기초 진단 항목 체계

목적 : 지배구조 관련 업무 요구사항과 ESG 이니셔티브의 주요 공통지표에 따른 요구사


항에 충족을 위한 지원을 제공

윤리헌장 및 실천규범
윤리경영 선언 및 실천
헌장 및 규범을 보유 및 교육
E.3.1.1 방침 수립 및 문서화, 주기적 점검 및 대내외
적 공개
(예: 윤리경영 헌장/규범/방침 등, 윤리경영 교
육 프로그램, 윤리경영 평가체계)
비윤리 행위 예방 조치
경영활동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부패, 뇌물수수,
부정청탁 등 비윤리적 행위에 대한 관리기준을
마련
윤리경영
E.3.1.2 비윤리적 행위 발생 시 사후조치 및 개선관리
개선 내용 공개 및 장려
(예: 윤리헌장, 윤리규정 등의 비윤리적 행위
감시 체계 및 감시 결과, 비윤리 행위 적발 또
는 신고 내역)
불공정경쟁행위 예방 조치
적용되는 국내외 불공정경쟁행위의 규제체계
(경쟁법, Competition law)를 파악 및 예방을
E.3.1.3 위한 내부 기준과 지침 마련
(예: 상품이나 용역의 거래 내역(수량/내용·거
래상대방), 공정거래 업무처리 지침, 거래 시
활용하고 있는 자가진단, 체크리스트등)

- 39 -
ESG-MS-001:2023

공익제보자 보호
공익제보를 위한 창구 마련 및 합당한 조치를
위한 체계 보유
E.3.1.4
공익제보자의 신변을 보호하는 장치와 규정
(예: 공익제보 접수 채널, 공익제보 처리 이력,
공익제보 처리 지침, 공익제보자 보호지침)

감사인의 독립성
E.3.2.4 감사인 독립성 감사인이 지배기구에 직접 보고가 가능하도록
독립성을 보장

- 40 -
ESG-MS-001:2023

ESG-MS-001:2023

SPS
SPSP
SPSPS
SPSPSP
SPSPSPS
SPSPSPSP

ESG Management System


— Requirements with guidance for use

- 41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