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21

인문논총 ‧ 제50집 ‧ 2019.10.

ISSN 2005-6222
pp.5~25

베트남 호찌민시의 중국 화인회관(華人會館)에 관한 연구

1김 현 재*, 김 현 태**

목 차
Ⅰ. 서론 Ⅳ. 호찌민시 화인회관의 기원과 특징
Ⅱ. 선행연구 검토 Ⅴ. 결론
Ⅲ. 화인의 호찌민시 이주 역사

[초록]
중국인들의 해외이주 역사는 장구하고 그 범위는 광대하다. 특히, 세계 각국에 산
재해 있는 화인 디아스포라는 일반적으로 거주국에서 여러 화인단체를 조직, 운영
하면서 그들의 역량을 집결해 생존력을 키우고 그 후 점차 세력을 확대해 거주국
의 경제적 실세로 성장해왔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 초국가적 민족 네트워크를 구
축해 오늘날 세계 경제의 실세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화인들이 타국으로 이주해 원주민사회에서 디아스포라로서 생
존함은 물론 화인사회를 형성해 경제적 실세로 발전해 나가는데 있어서 화인조직
이 그 구심점 역할을 한 것으로 보고 화인조직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베트남의 화인 디아스포라와 이들의 최대 거주 지역인 호찌민시 소재
화인회관을 주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이는 베트남 화인 디아스포라가 오랜 이주 역사를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주로 호
찌민시와 그 인근 지역으로 대량 이주해 거주해오면서 원주민사회와의 오랜 부침
속에서도 끈질긴 생명력을 유지함은 물론, 베트남의 영토 확장과 개척과 더 나아
가서 베트남에 정치, 경제적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국내외 화인 디아스포라의 회관을 비롯한 조직, 단체 등에 관
한 국내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화인의 호찌민시로 이주로부터 호찌민시 화인사회

*
영산대학교 창조인재대학 글로벌학부 교수(제1저자). hjkimgogo@ysu.ac.kr
**
부경대학교 중국학과 교수 (교신저자). dochtkim@pknu.ac.kr
6 인문논총|제50집|2019. 10.

의 형성과 발전 과정 등 화인의 호찌민시로 이주 역사를 살펴본다. 그리고 호찌민


시 화인회관들의 기원과 특징을 살펴본다.
주제어: 중국, 베트남, 화인, 회관, 호찌민시, 차이나타운

Ⅰ. 서 론

중국인들의 해외이주 역사는 장구하고 그 범위는 광대하다. 특히, 세계 각국에 산재


해 있는 화인 디아스포라는 일반적으로 거주국에서 여러 화인단체를 조직, 운영하면
서 그들의 역량을 집결해 생존력을 키우고, 그 후 점차 세력을 확대해 거주국의 경제
적 실세로 성장해왔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 초국가적 민족 네트워크를 구축해 오늘날
세계 경제의 실세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화인들이 타국으로 이주해 원주민사회에서 디아스포라로서 생존
함은 물론 화인사회를 형성해 경제적 실세로 발전해 나가는데 있어서 화인조직이 그
구심점 역할을 한 것으로 보고 화인조직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고에
서는 베트남의 화인 디아스포라와 이들의 최대 거주 지역인 호찌민시 소재 화인회관
을 주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이는 베트남 화인 디아스포라가 오랜 이주 역사를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주로 호찌민시와 그 인근 지역으로 대량 이주해 거주해오면서 원주
민사회와의 오랜 부침 속에서도 끈질긴 생명력을 유지함은 물론, 베트남의 영토 확장
과 개척과 더 나아가서 베트남에 정치, 경제적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2장에서 국내외 화인 디아스포라의 회관을 비롯한 조직, 단체
등에 관한 국내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3장에서는 화인의 호찌민시로 이주로부터 호
찌민시 화인사회의 형성과 발전 과정 등 화인의 호찌민시 이주 역사를 살펴본다. 그
리고 4장에서는 호찌민시 화인회관들의 기원과 특징을 살펴본다. 끝으로 결론에서는
각 장에서 살펴본 내용을 토대로 호찌민시 한인회관들의 역할과 특징을 종합, 정리하
는 한편, 호찌민시를 비롯한 전체 베트남의 화인 디아스포라에게 있어서 호찌민시 화
인회관이 갖는 의의가 무엇인지 고찰해본다.
베트남 호찌민시의 중국 화인회관(華人會館)에 관한 연구|김현재, 김현태 7

Ⅱ. 선행연구 검토

국내에서 수행된 화인 디아스포라 관련 연구는 비교적 오랜 역사를 갖고 있는 만큼


상당한 연구 성과를 내고 있다. 그러나 화인 디아스포라 관련 각종 조직, 단체 등 사회
조직체에 관한 연구는 현재까지 그 성과가 미미한 실정이다. 그간 화인 디아스포라의
사회조직체를 주제로 한 것을 비롯해 그에 관련한 내용을 단편적으로나마 제시한 선
행연구로는 우선, 김남현(1997)의 ‘초기 중국인 사회조직체 연구-6大 中華會館을 중
심으로’를 들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저자는 미국의 6대 중화회관(The Chinese Six Companies)을 사회조직체
로서 씨족조직체, 상인 조직체 등의 두 가지 구조적 특징을 갖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
한 6대 회관이 도시에서 사업을 하는 상인에 의해 조직된 후 리더십을 갖춘 상인들에
의해 회원과 의장 등으로 구성된 위원회를 갖춘 사회조직체로서 발전함으로써 화인
디아스포라로부터 권위를 가진 지배 체제를 갖출 수 있게 됐다고 봤다. 그리고 이들
회관이 회원인 이주화인들 간 상호부조를 제공하는 상조회적 기능은 물론, 정착 국가
의 이주화인들에 대한 차별, 압제에 저항하면서 이주화인들의 권리를 지키는 기능과
역할을 수행했다고 분석했다.
하순(1998)은 ‘베트남 거주 중국인 종족집단에 관한 연구’에서 베트남 거주 이주 화
인들은 특히, 중국 명나라가 멸망할 당시 대량 발생하기 시작했으며 이들은 주로 오
늘날 호찌민시 인근 동나이(Đồng Nai)성으로 이주해 ‘명나라 황실의 후계자들이 사는
곳’이라는 뜻의 마을 ‘명향(明鄕)’을 건설해 정착했는데 이주 화인들의 거주 지역들이
거의 모두 상업 지역으로 변하면서 이들 지역은 방(幇)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렸다고
밝혔다.
전경수(1998)도 ‘베트남 화인사회의 종족성과 소수민족론’에서 중국인들의 베트남
남부로 집결하는 경향이 17세기말 명(明)청(淸) 교체기부터 시작됐으며 이 시기를 기
점으로 베트남 남부의 사이공(Sài Gòn), 쩌런(Chợ Lớn), 비엔화(Biên Hòa), 하띠엔(Hà
Tiên) 등에 명인(明人)이 거주하는 향촌(鄕村)인 명향이 형성됐다고 봤다. 그리고 그로
부터 이들 차이나타운이 화인들의 국제무역으로 인해 베트남의 무역 중심지, 화인 상
권의 중심지가 됨으로써 화인사회의 구심점 역할을 하게 됐고 그와 더불어 화인들의
8 인문논총|제50집|2019. 10.

지위 또한 급상승하게 됐다고 봤다.


그 외에도 최병욱(2000)은 ‘응웬 왕조의 중국인 정책’에서 19세기 전반 중국으로부
터 화인들이 사이공에 도착하면 이들을 출신지에 따라 청인(淸人)들의 동향 조직인
광동방(廣東幇), 조주방(潮州幇) 등의 방에(幇) 등록시키거나 명향에 편입시킬 정도로
당시 사이공을 비롯한 여러 지역에 화인 조직이 활성화 됐음은 물론, 이들 조직이 신
규 이주 화인들이 새로운 땅에 적응해 살아갈 수 있도록 보호,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
했다고 봤다. 또한 최병욱(2004)은 ‘베트남의 ‘남부캄보디아’획득 과정에서 보이는 명
이주민의 역할’에서 ‘명향’이라 불리는 화인 집단 거주지가 명·청 교체기인 1679년에
베트남으로 이주한 명나라 유민의 집단을 부르던 이름 ‘명향사(明鄕社)’에서 유래한
것으로 봤다. 그리고 그로부터 베트남으로 이주한 명인(明人), 청인(淸人)들이 베트남
남부의 동나이(Đồng Nai), 사이공 지역에 집단 거주하면서 각각 명향사, 청하사(淸河
社)라는 조직을 만들어 집단적으로 정착함에 따라 오늘날 베트남 차이나타운 형성의
기틀을 마련했다고 봤다.
김현재(2010)역시 ‘베트남 화인 사회의 형성 과정, 그 역할과 특징에 대한 고찰’에서
베트남 화인사회가 13세기말 송(宋)과 남송(南宋)의 멸망 시기부터 시작된 중국인들
의 베트남으로 피난 또는 망명의 대량 이주로부터 시작돼 17세기말 명·청 교체기 때
까지 꾸준히 발생했으며 그 결과, 19세기 초에는 베트남 남부 지역에 화인사회가 인
구 약 10만 명에 이르고 명향사, 청하사, 방 등 6백여 개의 조직 및 단체를 갖출 정도로
융성했다고 서술했다.
정유선(2013)은 ‘廣州 八和會館의 설립과 변천’에서 화인들의 회관(會館)을 ‘명·청대
에 생겨난 새로운 형태의 문화 공간으로서 타지에서 동향인들이 모임을 갖거나 사업
을 추진하는 곳’이라 정의했다. 또한 회관이 사당, 서원, 여관, 식당, 찻집, 공연장 등
다양한 용도의 기능을 가진 공간이었기 때문에 타지에서 동향인들의 사회, 문화, 종
교, 경제적 활동을 조직화하고 중국 본토문화를 전승하는 역할을 하는 곳으로 봤다.
최호림(2017)은 ‘베트남 화인의 귀환이주와 정체성 변화에 관한 연구’에서 최근 미
국, 캐나다, 프랑스, 홍콩, 대만 등의 국가들에서 유입된 화인들에 의해 ‘화인월교영업
호찌민시지회(華人越僑營業胡志明市支會)’, 홍콩비즈니스베트남협회, 중국비즈니
스협회, 대만비즈니스협회 등의 화인비즈니스협회가 결성돼 운영 중에 있음을 밝혔
베트남 호찌민시의 중국 화인회관(華人會館)에 관한 연구|김현재, 김현태 9

다.
최근에는 김혜련· 리단(2017)이 ‘일본 화교·화인 민족집거지 형성과 화교단체의 역
할-고베 난킨마치(南京町) 차이나타운을 중심으로’에서 화인 집거지인 차이나타운의
역할로 첫째, 화인들의 모국을 이탈한 상실감과 불안감을 치유하고, 둘째, 현지 정착
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정착지에 적응하고 융합할 수 있는 기회를 부
여하고, 셋째, 모국과의 연계를 유지하며 고향에 대한 향수를 표출할 수 있게 한다고
분석했다. 그리고 그 대표적 예로서 고베 난킨마치 차이나타운의 고베화교총회가 화
인의 권익 보호, 친목 도모, 중국 정부 업무 대행 등의 역할을 하는 것 그리고 복건(福
建)회관, 광동(廣東)회관, 삼강(三江)회관, 산동(山東)회관 등이 지연(地緣) 중심의 동
향회로서 화인 회원들 간 친목 도모, 화인 인재 양성, 정보 교류 등의 역할을 하는 것
또한 ‘고베중화총상회(神戸中華總商會)’가 업연을 중심으로 한 경제무역단체로서 화
인 경제 발전과 공공이익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김주아(2018)가 ‘화인 민족공동체의 형성과 발전-동남아시아 화인사단
(社團)을 중심으로’에서 화인 공동체의 정의와 역할에 대해 분석했다. 그는 우선, 화인
공동체를 공소(公所), 회관(會館), 방(幇), 노향회(老鄕會), 회(會) 등 다섯 가지로 구분
하고 공소를 업종 조직, 회관을 동향(同鄕) 또는 동업(同業) 조직, 방을 상조회(相助
會), 노향회를 동향회(同鄕會)로, 회를 민간 사회단체로 각각 정의했다. 또한 중국의
전통문화를 바탕으로 확장, 발전한 화인 단체가 연의 문화가 전통적으로 혈연(血緣),
지연(地緣), 업연(業緣), 신연(神緣), 물연(物緣) 등의 연(緣)의 문화를 그 바탕으로 하고
있다고 분석하고 최근에는 문연(文緣)이 추가되고 있다고 봤다.
전술한 화인 디아스포라의 사회조직체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주로 일부 국가들의
화인 조직들의 기능과 역할을 살펴보거나 베트남 화인 조직들의 형성, 발전 과정에
대해 개괄적으로 다루는데 그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술한 선행연구들의 연구
성과를 보완함으로써 화인 디아스포라의 사회조직체에 대한 이해 제고를 위해 오랜
화인 이주 역사를 가진 베트남의 대표적 화인 이주, 정착지인 사이공 소재 화인회관
의 설립과 발전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그로부터 화인사회의 특징도 도출해 보
기로 한다.
10 인문논총|제50집|2019. 10.

Ⅲ. 화인의 호찌민시 이주 역사

1. 호찌민시 화인사회의 기원

베트남 이주 화인의 역사는 기원전으로 거슬러 올라갈 정도로 그 역사가 장구하다.


이는 중국과 베트남 양국의 지리적 근접성은 물론 오랜 정치적 종속관계가 기반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즉, 베트남은 중국의 오랜 속국(屬國)으로서 기원전 111년부터 기
원 후 938년까지의 기간을 중심으로 중국인 통치자들과 그 자손들의 귀화를 유발했
고, 또한 중국 본토에서의 정변(政變) 등 난리(亂離)의 발생도 중국인들의 베트남으로
피난을 통한 이주 화인을 꾸준히 유발했다. 특히, 베트남의 레(黎, Lê)왕조(1428-1592)
때부터는 중국 남부의 인구 팽창과 중국 상인들의 국제교역 활동의 확대로 인한 경제
적 이주가 본격적으로 발생했다.
그 결과 16세기 초에는 오늘날 베트남 북부 하노이(Hà Nội), 흥옌(Hưng Yên)과 중부
빈딘(Bình Định), 호이안(Hội An), 꽝남(Quảng Nam), 꽝 응아이(Quảng Ngãi)까지 이주
함으로써 명향(明鄕)1이라는 화인사회가 형성되기 시작됐다. 그 이후 17세기말에 이
르러서는 중국인의 이주가 오늘날 베트남 남부의 사이공, 비엔화, 하띠엔 지역에 집
중되면서 보다 더 크고 더 조직화된 화인사회가 형성됐으며 정치, 경제적으로도 상당
한 영향력 갖게 됐는데 이는 17세기 초 중국 명청(明淸) 교체의 혼란기에 발생한 명나
라 유민들의 베트남으로 대량이주에 기인했다.
특히, 당시 베트남 남부의 지배세력이었던 응우옌(阮, Nguyễn)가(家)가 남부 미개척
지에 화인들을 이주시켜 화인사회를 남부 개척 사업에 적극 활용하며 화인 우호 정책
을 취하는 상황에서 화인사회는 유럽, 중국 본토 등과의 국제 교역 활동으로 미개척
거주 지역을 베트남 내 국제무역의 중심지로 탈바꿈시켰다. 결과적으로 이는 베트남 내
화인사회 지위의 격상과 영향력의 강화를 초래했고 또한 중국 본토의 중국인과 동남
아시아 지역 화인들의 베트남 남부로 경제적 이주를 촉진함으로써 남부의 화인 거주
지역들이 차이나타운으로 발전하고 나아가서 오늘날 호찌민(Hồ Chí Minh), 비엔화,
미토(Mỹ Tho) 등 베트남의 대표적 경제도시로까지 성장하는데 결정적 요인이 됐다.

1. 이는 처음에 ‘명나라에 대한 향수’를 뜻하는 명향(明香)으로 작명돼 불리었으나 그 이후 응우옌 왕조의 화인

동화정책에 따라 ‘명나라(유민)의 고향’을 뜻하는 명향(明鄕)으로 바뀌었다.


베트남 호찌민시의 중국 화인회관(華人會館)에 관한 연구|김현재, 김현태 11

2. 호찌민시 화인사회의 형성과 발전

19세기 초 응우옌 왕조는 사이공의 명인(明人)마을 ‘명향사(明鄕社)’와 그 인근 동나


이(Đồng Nai)의 청인(淸人)마을 ‘청하사(淸河社)’ 등 2개의 화인 집단 거주지를 중심으
로 체계적으로 화인사회를 관리하기 시작했다. 당시 명향사는 화인들을 비롯해 그들
의 베트남 토착민 배우자와 자녀들이 함께 거주하는 곳으로 사장(社長)이라는 마을
의 우두머리와 사포(社舖), 향서(鄕書), 치사(治事) 등의 구성원들로 이뤄진 행정 자치
조직을 갖추고 경제, 문화, 종교 활동 등을 독립적으로 운영했다(김현태·김현재, 2018:
108). 한편, 청하사는 주로 상인, 노동자 등 경제활동을 목적으로 이주한 화인들의 자
치 거주지로서 광동방(廣東幇), 조주방(潮州幇), 복건방(福建幇), 해남방(海南幇) 등의
출신지역에 따른 일종의 상조회 조직 방(幇)을 운영했다(Trần Hồi Sinh, 1998: 38).
이들 화인 집단 거주지가 베트남으로 이주해 온 화인들을 마을에 편입시키고 일자
리를 제공하는 등의 정착촌 역할을 함에 따라 18세기 초 사이공, 동나이 지역 일대는
화인 인구 10여만 명의 베트남 최대 화인거주지역인 동시에 최대 경제권이 됐다
(Nhiều tác giả, 1998: 151). 한편, 이 같은 성장 일변도의 화인사회는 1771년에 베트남
토착민들의 민란(民亂) ‘떠이 썬(Tây Sơn)의 난(亂)’(1771-1802) 발발로 인해 1782년에
한해에만 1만 여명 화인들이 정경유착의 매판자본가라는 미명하에 학살당하는 등 30
여 년간 와해의 위기에 직명하기도 했다. 그러나 난이 진압된 이후 화인들이 다시 옛
차이나타운들에 재집결해 1822년에는 베트남의 대외무역을 장악하고 600여개의 화
인 커뮤니티를 운영할 정도로 그 세(勢)를 회복했다. 그 결과 1820년대에는 베트남의
화인 인구가 약 10만 명 선을 회복했고 매년 중국에서 3-4천명이 베트남으로 이주해
왔다(전경수, 1998: 251-253).
특히, 화인사회는 19세기 후반 프랑스의 베트남 식민지배(1887-1954) 시기에 식민
정부의 식민지 수탈을 위한 노동력 유치 정책의 영향으로 1925년-1933년 기간에만 중
국 본토로부터 상인, 노동자 등 60여만 명의 중국인들이 사이공 지역으로 이주(Châu
Hải, 1992: .46)러시를 받아들였고, 그 이후 베트남의 1945년 식민지 해방과 1955년 남
북 분단 그리고 전쟁 등의 불안한 상황에서도 경제적 기득권을 유지할 수 있었기 때
문에 1970년에는 화인 인구가 남북에 각각 약 120만 명, 약 20만 8천명으로 총 150만여
명으로 증가했다(하순, 1998: 73).
12 인문논총|제50집|2019. 10.

그러나 베트남의 화인사회는 1975년 베트남의 통일 이후 사회주의 체제 하에서 매


판자본 세력이자 친(親)중국세력으로 몰려 자산 몰수 및 모든 상업 활동 금지 등의 탄
압을 받았다. 그로 인해 1975-1980년 기간 중 사이공 지역 등의 남부 거주 화인 67만 5
천여 명이 베트남을 탈출함으로써 화인사회가 또 다시 소멸의 위기를 겪게 됐다. 그
러나 1986년 베트남 공산당이 자본주의시장 경제 원리를 도입하고 개방 정책을 시행
하면서 개인의 재산 소유와 기업 경영을 허용하고 중국, 대만, 홍콩, 싱가포르 등으로
부터 화인 자본의 투자를 적극 유치함으로써 베트남 화인사회가 다시금 베트남 정부
의 도우미 역할을 수행하며 예전의 경제적 지위를 회복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
2014년 현재 베트남의 화인 인구는 86만 2천여 명이며 그 중 약 50%를 차지하는 41만
4천여 명이 구(舊)사이공인 호찌민시에 거주하고 있다(김현태·김현재, 2018: 110).

Ⅳ. 호찌민시 화인회관의 기원과 특징

1. 호찌민시 화인회관의 기원

회관의 정의는 베트남 사전적 정의에 따르면 ‘어느 한 단체의 회원의 집회와 모임을
위한 집’이다. 그러나 오늘날 베트남 남부에서는 회관을 ‘쭈어(Chùa)’ 즉, 사원(寺院)이
라고 부르는 게 일반적이다. 이는 예로부터 화인들이 회관에 여러 신령(神靈), 성인(聖
人) 등의 신위(神位)와 제단을 설치해 향을 피우고 참배하며 이들로부터 도움과 보호
를 기원했기 때문이다. 화인 회관에 모셔져 있는 천후성모(天后聖母, Thiên Hậu Thánh
Mẫu), 관공(關公, Quan Công), 포공(包公, Bao Công), 본옹(本翁, Ông Bổn)등의 성인들
은 예로부터 중국의 민간 사회에서 보편적으로 모시는 수호신으로서 화인의 정체성
을 대변한다.
특히 그 중에서 본옹(本翁)은 본두(本頭, Bổn Đầu)라고도 불리는 민간신(民間神)으
로 베트남의 화인 회관에서만 볼 수 있다. 이는 본옹이 중국에서 베트남 남부로 이주
한 최초의 화인으로서 태풍, 폭풍 등의 고난과 역경을 헤치고 바다를 건너 신천지 베
트남의 남부로 수많은 화인들을 이끈 인물이기 때문에 이주 화인들은 본옹을 고귀한
공동체정신, 희생정신의 상징적 인물로 신격화하고 있다(Trần Thị Thanh Huyền,
2007: 79-80). 그 외에도 ‘선박(船舶)’ 역시 ‘중국 본토에서 바다를 통해 베트남 남부로
베트남 호찌민시의 중국 화인회관(華人會館)에 관한 연구|김현재, 김현태 13

이주한 화인을 상징하는 상징물’로서 깊은 의미를 갖기 때문에 화인의 회관에는 선박


의 모형을 모셔놓는다. 또한 용(龍), 기린(麒麟), 거북(龜), 봉황(鳳凰) 등 사영물(四靈
物)과 매란국죽(梅蘭菊竹) 사군자(四君子) 등도 전통적으로 중국인들에게 풍요, 안도,
행복 등을 상징하는 것으로서 회관 내 조각, 장식 등의 조형물로 사용되고 있다.

1) 수성회관(穗城會館, Hội Quán Tuệ Thành)


수성회관2은 해신(海神) 천후성모를 주신(主神)으로 모신 곳이다. 1760년에 중국 광
동성(廣東省)의 광주(廣州)와 조경(肇慶) 출신 화상(華商)들이 설립해 광주의 별칭 수
성(穗城)을 따서 수성회관이라 명명했다. 이는 당시 바다 건너 중국과 베트남의 사이
공 지역을 오가며 해상 교역 활동을 활발히 수행하던 화상들이 해신(海神) 천후성모
에게 제를 올려 무사안전을 기원하고 또한 기상 악화 등으로 인해 한동안 발이 묶여
베트남에 임시 거주할 때 임시 거처로 사용하기 위함이었다(Trần Thị Thanh Huyền,
2007: 81). 그로부터 이곳을 왕래하던 수많은 화인들이 이곳에 들러 머무르면서 자연
스럽게 베트남에 이주 정착하게 됐다.
이곳은 본래 화인회관으로 지어졌지만 오늘날 공식명칭은 ‘수성회관천후묘(穗城
會館天后廟, Tuệ thành hội quán thiên hậu miếu)’이며 민간에서는 ‘마조묘(媽祖廟)’ 또는
부인사(夫人寺)라는 뜻의 ‘쭈어 바(Chùa Bà)’로 널리 불리고 있다( Lê Văn Cảnh, 2000:
6-7). 이는 이곳의 중심이 되는 전당(殿堂) 신감전삼신위(神龕殿三神位)에 천후성모를
비롯해 용모낭랑(龍母娘娘, Long Mẫu nương nương), 금화낭랑(金化娘娘, Kim Hoa
nương nương)의 신위와 제단이 있고 그 외 별채에 관공(關公, Quan Công), 재신(財神,
Thần Tài), 토지공(土地公, Thổ Địa Công), 문신(門神, Môn Thần)의 제단이 있어서 오랫
동안 화인을 비롯한 베트남 토착민들이 상시 방문해 신상에 제를 올리고 기도를 하는
등의 사원으로서 기능을 주로 해왔기 때문이다.
이곳의 건축은 한 가운데에 지붕이 없이 비어 있는 공간 ‘천정(天井)’을 중심으로 구
(口)자(字) 또는 국(國)자 형태로 연결돼있는 전형적인 중국 사원의 구조를 갖고 있다.
사원 내부는 주로 용, 기린, 봉황, 거북 등 사령(四靈)과 꽃과 잎, 새와 짐승, 대구(對句)

2. 현재 ‘호찌민시 5군(郡) 11방(坊) 응우옌 짜이 거리 710번지(710 đường Nguyễn Trãi, Phường 11, Quận 5,
TP.HCM)’로 차이나타운 내에 소재한다.
14 인문논총|제50집|2019. 10.

등을 도자기로 만든 조상(彫像)과 부조물이 지붕에서부터 벽면을 화려하게 장식하고


있다.
한편, 수성회관의 화인 공동체는 자신들의 거주 지역에서 활발한 사회, 교육 봉사
활동도 펼쳐왔다. 대표적으로 1903년에 화인들에게 무상으로 진맥을 해주고 약재를
나눠주는 일종의 보건소 개념의 소규모 약방(藥房)을 설립했다. 그 후 1905년에는 그
규모를 조금 더 확장해 ‘남해낙선당(南海樂善堂, Nam Hải Lạc Thiện Đường)’으로 개명
해 운영하다가 1919년에는 개인병원 형태의 ‘광동의원(廣東醫院, Y viện Quảng Đông)’
으로 다시 확장해 운영했다. 그러나 이 병원은 베트남 통일 후 사회주의 체제 하에서
1978년 공립병원으로 국가에 귀속되면서 ‘원지방병원(阮知方病院, Nguyễn Tri
Phương)’으로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Lê Văn Cảnh, 2000: 7-8).
그 외에도 수성회관은 화인 자녀들의 학업을 위해 프랑스 식민지배 당시 1910년에
맥검웅중학교(麥劒雄中學校, Trường trung học cơ sở Mạch Kiếm Hùng)의 전신(前身)인
월수학교(越秀學校)와 락롱꾸언소학교(貉龍君小學校, Trường tiểu học Lạc Long Quân)
의 전신인 수성분교(穗城分校, Phan hiệu Tuệ Thành)를 설립하고, 해방 이후 1958년에
도 부흥학교(復興學校, Trường Phúc Hưng)를 설립했다. 현재에도 수성회관 이사회는
매년 가정형편이 어려운 화인 자녀들에게 장학금을 제공하고 있다.

2) 의안회관(義安會館, Hội Quán Nghĩa Anh)3


의안회관은 관공(關公)을 주신(主神)으로 모신 곳이다. 1840년에 조주어(潮州語)를
쓰는 중국 광동성 조주(潮州) 출신 화상들이 설립해(Nguyễn Cẩm Thúy, 1999: 200) 자
신들의 출신 지역인 조주의 옛 이름 의안(義安)을 따서 의안회관이라 명명했다. 이 회
관은 조주 출신 상인들이 이곳에서 상시 모임을 갖는 동시에 우애(友愛)와 충의(忠義)
의 표상인 관공에게 제를 올리면서 공동체 구성원들 간에 우의(友誼)와 결속을 다지
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됐다(Trần Thị Thanh Huyền, 2007: 84-85).
이곳은 관공을 주신(主神)으로 모시고 있는 회관인 까닭에 ‘관제묘(關帝廟, Miếu
Quan Đế)’와 ‘옹사(翁寺, Chùa Ông)’라는 명칭으로도 널리 불리고 있다. 이 회관은 음

3. 현재 ‘호찌민시 5군(郡) 11방(坊) 응우옌 짜이 거리 676번지(676 đường Nguyễn Trãi, Phường 11, Quận 5,
TP.HCM)’로 차이나타운 내에 소재한다.
베트남 호찌민시의 중국 화인회관(華人會館)에 관한 연구|김현재, 김현태 15

력 정월 보름날과 6월24일을 관공의 제일(祭日)로 정해 성대한 제사를 지낸다. 그 외


에도 음력 3월 23일은 천후성모, 음력 정월 초하루와 음력 8월 보름날은 본옹(本翁),
음력 매월 보름날은 재신(財神)의 제일(祭日)로 정해 제사를 지내고 있다.
이곳의 건축 역시 정중앙에 지붕이 없는 너비 약 2,000㎡의 공간 ‘천정(天井)’을 중심
으로 연결된 구(口)자(字) 또는 국(國)자 형태로 2개의 입구를 지나 전전(前殿), 천청,
정전(正殿)에 이르는 구조로 돼있다. 2개의 입구에는 5쌍의 기린 석상(石像)이 마주하
고 있으며 전전(前殿)에는 좌측에 토지공 복덕정신(福德正神)의 제단이, 우측에 관우
의 적토마(赤兔馬)와 마부(馬夫) 마두장군(馬頭將軍, Mã Đầu tướng quân)의 목상(木像)
이 있고 한편에 관성제군(關聖帝君, Quan Thánh đế quân) 글자가 새겨진 지름 46㎝, 높
이 39㎝의 동종(銅鐘)이 놓여있다.
천정의 양쪽에는 화분과 그간 회관 증축 등에 기여한 화인들의 명단을 새긴 비석을
세워 놓았다. 정전에는 높이 3m의 관공 석상(石像)과 제단이 있고 그 양측에는 천후성
모와 재신의 목상과 제단이 있으며 그 외에도 관공의 제단 뒤에 관평(關平, Quan Bình)
과 조창(曹彰)의 목상도 있다(Nhiều tác giả, 1995: 57-58).
한편, 의안회관의 화인 공동체는 “사회로부터 얻은 부(富)를 사회로 환원한다.”는
심원(心源)에 따라 조주어(潮州語)를 사용하는 화인들의 전통문화를 유지, 발전시키
기 위해 자신들의 거주 지역을 중심으로 안평(安平, An Bình)병원의 전신 조주(潮州,
Triều Châu)병원, 홍덕( 鴻德, Hồng Đức)학교, 동심(同心, Đồng Tâm)학교, 의안(Nghĩa
An, 義安)학교 등을 비롯해 4개의 공동묘지도 설립했다( Trần Thị Thanh Huyền, 2007:
85-86).

3) 이부묘회관(二府廟會館, Hội Quán Nhị Phủ Miếu)4


이부묘회관은 베트남 남부로 이주한 화인들만이 모시는 지방신(地方神) 본옹(本翁)
을 주신(主神)으로 모신 곳이다. 17세기말 복건어(福建語)를 쓰는 중국 복건성(福建
省)의 남부 장주부(漳州府)와 천주부(泉州府) 등 2개 부(府) 출신 화인들이 설립하면서
회관을 이부(二府)로 명명했다. 이 회관에서 모시는 본옹은 베트남 남부 이주 화인들

4. 현재 ‘호찌민시 5군(郡) 14방(坊) 하이 트엉 란 옹 거리 264번지(264 đường Hải Thượng Lãn Ông, Phường 14,
Quận 5, TP.HCM)’로 차이나타운 내에 소재한다.
16 인문논총|제50집|2019. 10.

의 시조(始祖)로 여겨져 왔기 때문에 ‘이주 화인들의 뿌리, 기원’이라는 뜻에서 ‘본(本)’


자(字)를 붙여 본옹이라 부르고, 세간에서는 이 회관을 본옹사(本翁寺, Chùa Ông Bổn)
라고도 부른다. 그 외에도 본옹은 ‘복덕정신(福德正神, Phước Đức Chính Thần)’, ‘주달
관(周達觀, Châu Đạt Quan)’, ‘정화삼보태감정화(鄭和三保太監, Tam Bảo Thái Giám
Trịnh Hòa)’, ‘마원복파장군(馬援伏波將軍, Phục Ba Tướng Quân Mã Viện)’, ‘현천상제
(玄天上帝, Huyền Thiên Thượng Đế)’ 등으로 다양하게 불리고 있어 그 실체를 알 수 없
지만 오늘날 베트남의 화인들은 본옹을 시조신(始祖神)인 동시에 토지신, 재물신, 수
호신 등 여러 가지 영역을 관장하는 신으로 여기고 있다.
이 회관도 한 가운데에 지붕이 없는 천정을 중심으로 4개 동의 건물이 구(口)자(字)
또는 국(國)자 형태로 연결돼있으며 건물의 중심인 정전에는 1.5m 높이의 본옹 목상
(木像)과 제단이 마련돼 있다. 그 외에도 건물 내에는 옥황상제(玉皇上帝, Ngọc Hoàng
Thượng đế), 광택존왕(廣澤尊王, Quảng Trạch Tôn Vương), 광대존왕(廣大尊王, Quảng
Đại Tôn Vương), 관공,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Quan Thế Âm bồ tát), 주생낭랑(主生娘
娘, Chúa Sanh Nương Nương) 등 여러 신상과 제단이 있다. 한편, 이부묘회관의 화인 공
동체 역시 지역 사회에서 장학(奬學), 양로(養老), 불우이웃돕기 등 사회공익사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해 오고 있다(Trần Thị Thanh Huyền, 2007: 86-87).

4) 경부회관(瓊府會館, Hội Quán Quỳnh Phủ)5


경부회관은 1824년경에 중국 최남단의 섬인 해남성(海南省) 출신 이주화인들이 설
립해 자신들의 출신 지역의 옛 이름 경부(瓊府)를 따서 경부회관이라 명명한 곳이며
해남천후(海南天后, Hải Nam Thiên Hậu)를 주신(主神)으로 모신 곳이다. 그래서 세간
에서는 이 회관을 해남파사(海南婆寺, Chùa Bà Hải Nam)라고도 부른다. 이 회관에는
천후성모 이외에도 여타 화인회관들과 마찬가지로 화인들이 숭상하는 여러 신상과
제단이 있고 각 신상의 제일(祭日)에 성대한 제를 올린다. 또한 제일에는 해남의 전통
가극 공연 등을 개최하고 해남전통가극 공연단을 꾸준히 후원하면서 출신지역의 전
통 문화를 계승해오고 있다. 이 회관의 건축 구조는 여타 화인회관과 동일하며 회관

5. 현재 ‘호찌민시 5군(郡) 11방(坊) 쩐 흥 다오 거리 276번지(276 đường Trần Hưng Đạo, Phường 11, Quận 5,
TP.HCM)’로 차이나타운 내에 소재한다.
베트남 호찌민시의 중국 화인회관(華人會館)에 관한 연구|김현재, 김현태 17

의 활동 역시 지역사회에서 학교, 병원, 공동묘지를 설립하고 화인 자녀들을 주 대상


으로 장학 사업을 꾸준히 전개하고 있다(Báo du lịch, Chùa Bà Hải Nam, 2019년 8월 13
일 검색).

5) 온릉회관(溫陵會館, Hội Quán Ôn Lăng)6


온릉회관은 관세음보살을 주신(主神)으로 모신 곳이다. 이 회관은 이부묘회관을 설
립한 복건성의 천주부 출신 이주화인들 중 일부가 내부 불화로 인해 이탈해 나와서
1740년에 설립해 자신들의 출신 지역 천주부의 별칭 온릉(温陵)을 따서 온릉회관으로
명명했다. 이 회관은 설립 초기에는 천후성모를 주신(主神)으로 모시고 제를 올렸으
나 그 이후 자비로 중생을 구제하는 수호신 관세음보살도 함께 주신으로 모시고 제를
올리면서 관세음보살의 중요한 세 번의 명절인 음력 2월19일 탄신일, 음력 6월19일
성도일(成道日), 음력 9월19일 출가일에 성대한 축하행사를 열면서 세간에 관음사(觀
音寺, Chùa Quan Âm)라는 이름으로 널리 불리게 됐다.
온릉회관은 여타 화인회관과 동일한 건물 구조를 갖고 있으며 화인회관에서 일반
적으로 모시고 있는 옥황상제, 관공, 포공, 본옹 등의 신위도 모시고 있다. 한편, 온릉
회관은 같은 복건성 출신 화인들이 세운 이부묘회관과 돈독한 관계를 유지해오고 있
다. 이들 두 회관의 화인들은 상시 함께 교류 협력하면서 교육, 의료, 복지 분야에서
다양한 사회활동을 함께 수행해오고 있다.

6) 하장회관(霞漳會館, Hội Quán Hà Chương)7


하장회관은 천후성모를 주신(主神)으로 모신 곳이다. 이 회관은 이부묘회관을 설립
한 복건성의 장주부(漳州府) 출신 이주화인들 중 일부가 내부 불화로 인해 이탈해 나
와서 1809년에 자신들의 출신 지역 이름을 따서 장주회관(漳州會館, Hội Quán
Chương Châu)으로 명명했고 그 후 1848년에 장주부의 별칭 하장(霞漳)을 따서 하장회
관으로 개명했다. 이 회관은 복건의 건축양식에 따라 이부묘회관, 온릉회관과 유사한

6. 현재 ‘호찌민시 5군(郡) 11방(坊) 라오 뜨 거리 12번지(12 đường Lão Tử, Phường 11, Quận 5, TP.HCM)’로 차이
나타운 내에 소재한다.
7. 현재 ‘호찌민시 5군(郡) 14방(坊) 응우옌 짜이 거리 802번지(802 đường Nguyễn Trãi, Phường 14, Quận 5,
TP.HCM)’로 차이나타운 내에 소재한다.
18 인문논총|제50집|2019. 10.

복건의 건축양식을 따라 지어졌으며 복덕정신, 관세음보살, 관공, 옥황상제 등 여러


신의 신위도 모시고 있다.

7) 삼산회관(三山會館, Hội Quán Tam Sơn)8


삼산회관은 복건성 복주(福州) 출신 이주화인들이 설립한 것으로 초창기 복주회관
(福州會館, Hội Quán Phúc Châu)으로 불리다가 그 후 복주의 별칭 삼산(三山, Tam Sơn)
을 따서 삼산회관이라 개명했다. 이 회관의 설립연도는 아직 미상이며 1856년, 1897
년, 1961년, 1993년에 개보수를 한 사실만 알려져 있다. 이곳에는 주신(主神)인 천후성
모를 비롯해 복덕정신, 관세음보살, 옥황상제, 관공, 용왕 등의 신위를 모시고 있다.

8) 광조회관(廣肇會館, Hội Quán Quảng Triệu)9


광조회관은 광동성 복주(福州) 출신 이주화인들이 1887년에 설립했다. 그러나 1922
년에 화재가 발생해 소실된 후 1972년에 재건해 천후성모를 주신(主神)으로 정전에
모시고 있다. 그 외에도 관공, 재신, 옥황상제, 관세음보살, 포공 등의 신위도 모시고
정해지 제일에 성대하게 제를 올리고 있다. 또한 이 회관의 광동성 출신 이주화인들
은 지역사회에서 교육, 의료, 복지 등 다양한 자선활동을 꾸준히 전개하고 있다.

9) 군빈회관(群賓會館, Hội Quán Quần Tân)10


군빈회관은 객가인(客家人) 출신 이주화인들이 1870년에 설립한 곳으로 중국에서
호찌민 지역으로 이주해온 객가인들의 초기 집결장소로 사용됐다. 그래서 ‘손님이 무
리지어 모이는 곳’이라는 뜻으로 군빈회관이라 명명됐다. 이 회관은 천후파사(天后婆
寺, Chuà Bà Thiên Hậu)로도 불리는데 이는 주신(主神)으로 정전에 천후성모의 신위가
모셔져 있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회관 내에는 여타 화인회관들과 같은 여러 신상과
제단이 있다. 또한 이곳에는 객가인 출신 이주화인들의 자녀들에게 중국어를 가르치

8. 현재 ‘호찌민시 5군(郡) 11방(坊) 찌에우 꽝 푹 거리 802번지(118 đường Triệu Quang Phục, Phường 11, Quận 5,
TP.HCM)’로 차이나타운 내에 소재한다.
9. 현재 ‘호찌민시 1군(郡) 응우옌 타이 빈 방(坊) 벤 쯔엉 즈엉 거리 118번지(118 đường Bến Chương Dương,
Phường Nguyễn Thái Bình, Quận 1, TP.HCM)’로 호치민 시내에 소재한다.
10. 현재 ‘호찌민시 고법군(郡) 7(坊) 리 트엉 끼엣 거리 2번지(2 đường Lý Thường Kiệt, Phường 7, Quận Gò Vấp,
TP.HCM)’로 호치민 시내에 소재한다.
베트남 호찌민시의 중국 화인회관(華人會館)에 관한 연구|김현재, 김현태 19

는 학교도 있다. 한편, 군빈회관의 이주화인 공동체에서는 지역사회에서 화인학생 등


을 대상으로 한 장학 사업과 객가인 출신 이주화인들이 설립한 숭정병원(崇正病院,
Bệnh viện Sùng Chính) 지원 사업도 꾸준히 수행하고 있다.

10) 명향회관(明鄉會館, Hội Quán Minh Hương)11


명향회관은 1789년 호찌민 지역 내 명나라 출신 유민들의 거주지 명향사(明鄕社,
Minh Hương xã)가 설립된 직후 명나라 출신 이주화인들이 촌락의 집단제사를 지낼 수
있고 종교인들과 신도들이 업무를 볼 수 있도록 지은 정각(亭閣) ‘딘(亭, Định)’이 1808
년에는 가성당(嘉盛堂)으로 명명됐다가 1839년에 개보수 돼 1867년에 명향가성회관
(明鄉嘉盛會館, Hội Quán Minh Hương Gia Thạnh)으로 다시 개명돼 오늘에 이르고 있
다(Huỳnh Ngọc Trảng, 2002: 236). 이 회관은 1873년, 1901년, 1962년 개보수 과정을 거
치면서 반청복명(反淸復明)에 따라 호찌민 지역으로 이주한 명나라 유신(遺臣) 등 명
나라 유민들의 후손들이 모임과 종교 활동을 하는 장소로 사용돼 왔다.
이 회관의 정전에는 1679년 명나라 3천여 명의 병사와 가족 등을 50여척의 선박에
태우고 광동에서 베트남 남부 호찌민 지역으로 이주를 이끌었던 명나라 장수 진상천
(陳上川, Trần Thượng Xuyên, 1626-1720)과 1698년 베트남 완(阮, Nguyễn)왕조로부터
호찌민을 포함한 그 일대 지역의 경략사(經略使)로 파견돼 명나라 출신 이주화인들
의 거주지를 베트남의 영토로 공식 편입해 화인들에게 토지를 소유토록 하고 경제활
동을 장려하면서 이들의 정착에 기여한 완유경(阮有鏡, Nguyễn Hữu Cảnh, 1650-1700)
그리고 당시 베트남 왕조에서 상서(尙書)의 벼슬을 지낸 명나라 출신 이주화인 오인
정(吳仁靜, Ngô Nhân Tịnh, 1761-1813), 정회덕(鄭懷德, Trịnh Hoài Đức, 1765-1825)의
신위를 모시고 있다( Trần Thị Thanh Huyền, 2007: 92-93).

2. 호찌민시 화인회관의 특징

1) 종교 기관으로서 기능
호찌민시 화인회관은 종교 기관으로서 기능이 거의 절대적인 것이 그 특징이라 할

11. 현재 ‘호찌민시 5군(郡) 11방(坊) 쩐 흥 다오 거리 380번지(380 đường Trần Hưng Đạo, Phường 11, Quận 5
TP.HCM)’로 차이나타운 내에 소재한다.
20 인문논총|제50집|2019. 10.

수 있다. 이는 거의 모든 호찌민시 화인회관에 여러 신의 신상과 제단이 있어 화인들


은 물론, 베트남 토착민들까지 상시 찾아와 향을 피우고 기도를 하고 매년 해당 신의
제일(祭日), 축일(祝日) 등에는 수많은 신도들이 운집해 성대하게 제를 올리는 등 종
교 기관으로서 기능이 가장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세간에서는 화인회관에서 모시는
신의 이름을 따서 ◯◯사(寺, Chùa)라고 널리 부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대한 예
로써 수성회관을 부인사(夫人寺), 의안회관을 옹사(翁寺), 이부묘회관을 본옹사(本翁
寺), 경부회관을 해남파사(海南婆寺), 온릉회관을 관음사(觀音寺)로 부르는 것을 들
수 있다. 현재 호찌민에는 약 30개의 화인회관이 있는데 이들 회관은 모두 절(寺)로 구
분되기도 한다(Phan An, 2005: 259).

2) 해신(海神) 숭배
호찌민시의 수성회관, 하장회관, 삼산회관, 광조회관, 군빈회관 등과 같이 대부분
화인회관들이 해신(海神) 천후성모를 주신(主神)으로 모시고 있는 것도 호찌민 화인
회관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는 호찌민 이주화인들의 대부분이 중국 본토에서 배
를 타고 바다 건너 베트남으로 이주한 역사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는 초기 이주
화인들이 주로 수상교역활동을 생계로 수행해 온 역사에 기인한다고도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일부 회관에서는 선박(船舶) 역시 중국 본토에서 바다를 통해 베트남 남부
로 이주한 화인을 상징하는 상징물로서 의미를 부여해 회관에는 선박의 모형을 모셔
놓기도 한다. 오늘날까지 베트남에서 중국인을 뱃사람이라는 뜻인 ‘응으어이 따우
(Người Tàu)’라 부르는 것도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반영하고 있다.

3) 민간인의 신격화(神格化)
호찌민시 화인회관들 중 대부분은 베트남 남부로 이주한 최초의 화인 본옹을 베트
남 이주화인들의 시조신, 토지신, 재물신, 수호신으로 삼아 모시고 있다. 또한 중국 본
토로부터 화인들의 베트남 남부로 이주를 이끌었던 인물 천상촨 그리고 이주화인으
로서 베트남 조정(朝廷)의 큰 벼슬에 오른 인물 오인정, 정회덕 등과 같이 이주화인의
일원으로서 공동체 발전에 기여한 인물들도 신(神)으로 격상해 그 신위를 모신 회관
들이 있다. 뿐만 아니라 베트남 토착민임에도 불구하고 이주화인 공동체 발전에 기여
한 완유경과 같은 인물도 신격화해 민간신(民間神)으로 회관에 그 신위를 모시고 있
베트남 호찌민시의 중국 화인회관(華人會館)에 관한 연구|김현재, 김현태 21

다. 이처럼 화인공동체 이주 정착과 발전에 기여한 이주화인들과 베트남 토착민을 신


격화해 섬기는 것은 호찌민 화인회관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 같은 호찌민 화인공
동체의 민간신앙은 과거 미지의 땅 베트남 남부로 이주와 정착의 불안한 과정 속에서
정신적으로 의지하면서 자신과 가족의 안위(安慰)와 생계 등의 성공을 돕고 신상(身
上)을 보호해주는 수호신, 재물신, 토지신이 절실했던데 기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4) 지연적(地緣的) 성격
호찌민 화인회관은 대부분 지연을 바탕으로 설립된 것이 특징이다. 이는 대부분의
화인회관들이 회관을 설립한 화인공동체의 출신지역명을 따서 명명됐기 때문이다.
그 예로서 광동성 광주 출신 화인들이 설립한 수성회관, 조주 출신 화인들이 설립한
의안회관, 복건성 장주부, 해남성 출신 화인들이 설립 경부회관, 복건성의 천주부 출
신 화인들이 설립한 온릉회관, 복건성 장주부 출신 화인들이 설립한 하장회관 등이
있다. 오늘날 호찌민 화인공동체의 인구 규모를 출신지역으로 구분해 보면 크게 광동
(56.5%), 조주(34%), 복건(6%), 해남(2%), 객가인(2%) 순(順)이며(Trần Thị Thanh Huyền,
2007: 9) 그에 따른 호찌민 화인공동체들의 사용 언어도 크게 광동어, 조주어, 복건어,
해남어, 객가어 등 다섯 개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이는 호찌민 화인공동체가 그만큼
지연적, 언어적으로 결속돼 있으며 이는 나아가서 중국 출신 화인으로서 민족정체성
또한 강함을 뜻한다고 볼 수 있다. 대부분의 호찌민 화인회관들이 제일(祭日) 등의 집
회 때 출신지역의 전통문화공연을 행하며 이를 보존, 계승하고 화인 자녀들을 대상으
로 중국어 교육을 시키는 것 등 역시 이들의 강한 지연적 성격을 반영한다고 할 수 있
다.

5) 지역사회 봉사활동 및 전통문화 보존 활동


호찌민시 화인회관들 중 대부분은 차이나타운 지역인 호찌민 시내 5, 6, 11군(郡)에
집중돼 있다. 이 지역은 베트남 호찌민 이주화인의 초기 정착 지역이자 오늘날 베트
남 최대도시 호찌민시의 토대가 된 지역이기도 하다. 이들 지역에는 오늘날까지 호찌
민 전체 인구의 약 12%를 차지하는 화인 인구 대부분이 거주하고 있으며 ‘큰 시장(Big
Market)’을 뜻하는 쩌런(Chợ Lớn)이라는 명칭의 차이나타운 지역으로 분류된다. 따라
서 호찌민 화인회관들의 지역사회 봉사 및 전통문화 보존 활동이 이 지역에서 오랫동
22 인문논총|제50집|2019. 10.

안 지속돼 왔다. 그 결과, 화인회관들이 설립한 학교, 병원들이 호찌민 화인공동체의


이주 역사와 그 맥을 같이 하고 있다. 이 지역 거주 화인 대부분은 화인학교에서 중국
어를 배우고 가정에서 광동어 등으로 의사소통하고 중국의 고유명절을 쇠고 기념하
는 등 화인으로서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다.

Ⅳ. 결 론

오늘날 호찌민시의 화인회관은 중국인들의 중국 본토로부터 베트남 남부 호찌민시


로 이주 역사와 그 맥락을 함께하고 있다. 주로 17세기 말부터 중국 남방의 광동, 조
주, 복건, 해남 지역에서 해로(海路)를 통해 베트남 남부 호찌민 지역 일대로 이주해
온 화인들에 의해 설립된 호찌민시 화인회관들의 명칭, 역사, 장소, 활동, 신위(神位),
건축양식 등은 고스란히 이주화인들의 역사, 문화, 출신지역, 경제활동 등을 고스란
히 담고 있다.
호찌민시 화인회관의 특징으로는 첫째, 종교 활동을 하는 사원(寺院) 즉, 종교 기관
으로서 역할이 크고, 둘째, 대부분 안전 항해를 수호하는 해신(海神) 천후성모를 주신
(主神)으로 삼고 있으며, 셋째, 이주 화인 공동체의 발전에 기여한 실존 인물 등을 신
격화한 민간신(民間神)을 수호신, 재물신, 토지신으로 삼아 숭상하고, 넷째, 중국의
출신지역을 중심으로 결속하는 지연적(地緣的) 유대관계가 강하며, 다섯째, 지역사
회에서 다양한 봉사활동과 전통문화 보존 활동을 꾸준히 수행하는 점을 꼽을 수 있
다. 이들 특징 중에서 이주 화인사회 발전에 기여한 실존인물을 신으로 승격해 회관
에 그 신위를 모시고 숭상하는 것은 호찌민시 화인회관의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
다.
호찌민시의 이주화인 공동체는 그리 길지 않은 이주 역사동안 급속한 경제적 발전
을 통해 베트남 내 정치, 경제적 주류(主流)로서 그 위상과 영향력이 제고되는 영광의
역사와 또 그에 따른 베트남 토착사회의 견제와 반감에 의한 탄압으로 소멸의 위기를
겪는 부침의 역사를 모두 겪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까지 존속돼 활동하고
있는 호찌민시의 30여개의 화인회관들과 그 인근 지역들의 수많은 화인회관들은 이
주화인들의 끈질긴 생명력을 반영하고 있다. 특히, 이들 회관의 공동체는 지역사회에
베트남 호찌민시의 중국 화인회관(華人會館)에 관한 연구|김현재, 김현태 23

서 교육, 의료, 복지 등 봉사활동을 꾸준히 전개해 오면서 화인공동체 구성원들 간 결


속력을 다지고 자신들의 전통문화를 계승하며 화인으로서 정체성을 지켜나감은 물
론, 베트남 국민의 일원으로서 정치, 경제, 사회적 입지 또한 확대해 나가는 노력을 지
속해 오고 있다.
오늘날 호찌민시 화인회관은 종교사원으로서 베트남 토착민들도 상시 방문하는 곳
임은 물론, 상당수의 화인회관들이 베트남 정부의 국가문화역사유적으로 지정돼 그
역사,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어 국내외 관광객들의 발길도 끊이지 않고 있다. 또
한 해마다 회관에서 모시는 여러 신들의 제일(祭日), 축일(祝日) 등에는 화인 고유의
전통문화공연 행사 등이 사원 내와 길거리 등지에서 펼쳐져 지역사회 내 하나의 축제
로서 자리 잡고 있어 화인의 전통문화를 계승함과 동시에 화인의 정체성을 일깨우는
계기가 되고 있다. 이러한 호찌민시 화인회관들의 종교, 사회, 문화적 활동과 역할은
호찌민시는 물론 나아가서 베트남 내 화인공동체가 내부적으로 결속하고 외부적으
로 베트남 토착사회와 자연스럽게 화합하게 하는 훌륭한 매개체이자 구심점으로서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김남현(1997). “초기 중국인 사회조직체 연구-6大 中華會館을 중심으로”. 『한국미국사학회


미국사연구』,6집, 27-58.
김주아(2018). “화인 민족공동체의 형성과 발전-동남아시아 화인사단(社團)을 중심으로”.
『중국인문과학』, 제70집, 279-304.
김현재(2010). “베트남 화인사회의 형성 과정, 그 역할과 특징에 대한 고찰”. 『인문논총』, 제
25집, 193-235.
김현태·김현재(2018). “화인의 베트남 사이공 이주와 이주화인의 경제활동사 고찰”. 『동북
아문화연구』, 55집, 103-117.
김혜련·리단(2017). “일본 화교·화인 민족집거지 형성과 화교단체의 역할-고베 난킨마치(南
京町) 차이나타운을 중심으로”,『동북아문화연구』, 제51집, 33-52.
전경수(1998). “베트남 화인사회의 종족성과 신소수민족론”. 『비교문화연구』, 제4호,
217-294.
정유선(2013). “廣州 八和會館의 설립과 변천”. 『중국소설논총』, 제40집, 141-158.
최병욱(2000). “응웬 왕조의 중국인 정책”. 『베트남연구』, 제1호, 43-68.
24 인문논총|제50집|2019. 10.

최병욱(2004). “베트남의 ‘남부캄보디아’ 획득 과정에서 보이는 명 이주민의 역할”. 『동남아


시아연구』, 24권 3호, 45-84.
최호림(2017). “베트남 화인의 귀환이주와 정체성 변화에 관한 연구”. 『동남아시아연구』,
27권 2호, 77-118.
하순(1998). “베트남 거주 중국인 종족집단에 관한 연구”, 『아시아지역연구』, 제1호, .65-87.
Châu Hải(1992). Các nhóm cộng đồng người Hoa ở Việt Nam.. Hà Nội: Nxb. Khoa Học Xã Hội.
Huỳnh Ngọc Trảng(2002). Sổ tay hành hương đất phương Nam. HCM: Nxb. TP.HCM.
Lê Văn Cảnh(2000). Miếu Thiên Hậu. HCM: Nxb. Tre.
Nguyễn Cẩm Thúy(1999). Bia chữ Hán trong hội quán người Hoa tại Thành phố Hồ Chí Minh. Ha
Nội: Nxb. Khoa học xã hội.
Nhiều tác giả(1995). Kiến thức phục vụ thuyết minh du lịch. TP.HCM: Nxb. TP.HCM.
Nhiều tác giả(1998). Góp phần tìm hiểu lịch sử-văn hóa 300 nam Sài Gòn-TP.Hồ Chí Minh. HCM:
Nxb. Tre.
Nhiều tác giả(2007). Sài Gòn xưa & nay. HCM: Nxb. Trẻ.
Phan An(2005). Người Hoa ở Nam Bộ. HCM: Nxb. Khoa học xã hội.
Trần Hồi Sinh(1998). Hoạt động kinh tế của người Hoa từ Sài Gòn đến Thành phố Hồ Chí Minh.
HCM: Nxb. Tre.
Trần Thị Thanh Huyền(2007). Những đóng góp cuả đồng bào người Hoa tại thành phố Hồ Chí Minh
Trên lĩnh vực kinh tế và văn hóa. HCM: Nxb. Trẻ.
https://baomoi.com/kham-pha-hoi-quan-dac-biet-cua-nguoi-hoa-cho-lon/c/20479751.epi(검색
일:2019.8.13.).

Abstract

Study on the Ethnic Chinese Guild Hall in Ho Chi Minh City, Vietnam


HYUN-JAE KIM* HYUN-TAE KIM***** 12****

The overseas migration of Chinese people is long and the scope is vast. In particular, Chinese
Diaspora, which is scattered around the world, has generally grown and operated in the country of

*
YOUNGSAN UNIVERSITY
**
PUKYONG NATIONAL UNIVERSITY
베트남 호찌민시의 중국 화인회관(華人會館)에 관한 연구|김현재, 김현태 25

residence, gathering their competences, increasing their viability, and gradually expanding their
power to grow into the economic realities of the country. And furthermore, it has established a
transnational national network, making it the real world economy toda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Ethnic Chinese organization as the Ethnic Chinese
organization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Chinese people's migration to other countries to survive as
diaspora in the indigenous society as well as to develop the Ethnic Chinese society and develop
into economic realities.
Not only does the Vietnamese diaspora have a long history of migration, but they also have been
living in Ho Chi Minh City and its surrounding areas, maintaining a vital life in the face of
prolonged involvement with indigenous societies. This was because it had a great political and
economic influence on Vietnam.
Therefore, in this chapter, we review domestic prior studies on the organization, organization,
etc., including the Ethnic Chinese guild hall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Chinese diaspora, and
in Chapter 3, we move from Ho Chi Minh City of China to Ho Chi Minh City including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Ethnic Chinese community in Ho Chi Minh City. Look
at history.
Finally, the summary summarizes the roles and characteristics of Ho Chi Minh City Ethnic
Chinese Guild Halls based on the contents discussed in each chapter, and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Ho Chi Minh City Ethnic Chinese Guild Halls to Ho Chi Minh City and Chinese
diaspora in Viet Nam.

Keywords: China, Vietnam, Ethnic Chinese, Guild hall, Hochiminh city, China town

논문투고:2019년 8월 30일 논문심사:2019년 9월 5일~9월 30일 게재확정:2019년 10월 11일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