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71

G901:A-0005859334

석사학위논문

지진해일에 대비한 구조물 구축연구

St
udy ofCount
er-St
ruct
uresagai
nst

TsunamiAt
tack

오 학 선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5년 2월
석사학위논문

지진해일에 대비한 구조물 구축연구

St
udy ofCount
er-St
ruct
uresagai
nst
TsunamiAt
tack

지도교수 조 용 식

이 논문을 공학 석사학위논문으로 제출합니다.

2015년 2월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수자원 및 항만공학 전공
오 학 선
이 논문을 오 학 선의 석사학위논문으로 인준함.

2015년 2월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요 지

최근 몇몇의 거대한 영향을 준 지진해일은 주로 태평양 주위에서


발생하고 있으며,그 중 2
011년 3월 11
일 일본에서 발생한 지진해일은
사회적,과학적으로 관심을 끌고 있다.

동일본 지진해일 발생으로 인해 사망(


실종 포함)20,
000명 이상의 많

은 인명피해와 엄청난 재산손실을 입혔다.

그로 인하여 지진해일 재해에 대한 방호계획이 매우 시급한 상황이

므로 가장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취약지역인 연안에서 비상

대처 행동 계획을 개발하는 것밖에는 없다.

그러함에도 예상치 못한 쓰나미 대한 피해는 계속적으로 발생되었으

며,보다 현실적인 대응 방안을 수립함에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우리나라의 강원도 주요 항만인 삼척항에 지진해일 발생시 침수방지

를 위한 지진해일 보호 대책으로 이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삼척항 인근에 위치한 정라항 입구에 게이트 설치와 배후지역에 약


1km의 방호벽과 방호문 시설이 건설됨으로서,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i -
TABLE OFCONTENTS

요 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ⅰ
LI
ST OFFI
GURE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ⅲ
LI
ST OFTABLE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ⅴ

제1
장 서 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
1연구의 배경 및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
2연구의 내용 및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제2
장 지진해일 관련 자료조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2.
1동해에서 과거 지진해일 발생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2.
2최근지진해일 피해사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2.
3지진해일 전파 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2.
4해외 침수방지시설 사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제3
장 지진해일 수치모의 및 침수심 산정 ·
··
··
··
··
··
··
··
··
··
··
··
··
··
··
··
··
··
··
··
··
··17
3.
1실험내용 및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
3.
2수치모형실험 검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3.
3실험검토 및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6

제4
장 침수피해 방지시설 구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
4.
1구조물에 작용하는 파력산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
4.
2지진해일 침수피해방지시설 구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5

제5
장 결 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8

참 고 문 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9
ABSTRAC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0
감사의 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

- ii -
LI
ST OFFI
GURES

Fi
g.2
.1 지진해일로 침수된 임원항 전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Fi
g.2
.2 1983
년 지진해일 당시 배가 건물에 닿았던 흔적 · ··
··
··
··
··
···
··
··
··
··
··
··
··7
Fi
g.2
.3 1993
년 지진해일로 인한 피해 상황 · ··
··
··
··
··
··
··
··
···
··
··
··
··
··
··
··
··
··
··
··
··
··
··
··7
Fi
g.2
.4 도로를 덮치는 지진해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Fi
g.2
.5 해안가를 덮치는 지진해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Fi
g.2
.6 지진해일로 인해 발생한 소용돌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9
Fi
g.2
.7 카미히라이 수문 전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Fi
g.2
.8 누마즈항 방수문 전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Fi
g.2
.9 아지가와 수문 전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Fi
g.2
.10 Maesl
antSt
orm SurgeBar ri
er(섹터게이트)전경 · ··
··
··
··
···
··
··
··
··
··
··15
Fi
g.3
.1 엇갈림 격자 체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Fi
g.3
.2 수치모형의 이동경계조건 개략도,경계가 이동하지 않은 경우 ·2 9
Fi
g.3
.3 수치모형의 이동경계조건 개략도,경계가 이동하는 경우 · ·
··
··
···
··30
Fi
g.3
.4 역사지진해일의 발생 및 비교대상 지역의 위치 · ··
··
··
··
···
··
··
··
··
··
··
··
··33
Fi
g.3
.5 속초항의 수심분포 및 검조소 상세 위치 · ··
··
··
··
··
··
···
··
··
··
··
··
··
··
··
··
··
··
··33
Fi
g.3
.6 포항항의 수심분포 및 검조소 상세 위치 · ··
··
··
··
··
··
···
··
··
··
··
··
··
··
··
··
··
··
··34
Fi
g.3
.7 임원항의 수심분포 및 지형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4
Fi
g.3
.8 1983
년 동해 중부 지진해일의 초기수면형상 · ··
··
··
··
··
···
··
··
··
··
··
··
··
··
··35
Fi
g.3
.9 1983
년 동해 중부 지진해일의 전파시간 분포도 · ··
··
··
··
··
···
··
··
··
··
··
··
··36
Fi
g.3
.10 198
3년 동해 중부 지진해일의 속초 검조소에서의
수면변위 비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7
Fi
g.3
.11 198
3년 동해 중부 지진해일의 포항 검조소에서의
수면변위 비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7
Fi
g.3
.12 임원항 지진해일 수치모의 결과값 · ··
··
··
··
··
··
···
··
··
··
··
··
··
··
··
··
··
··
··
··
··
··
··
··38
Fi
g.3
.13 다중격자 연결모형 구성을 위한 영역설정 · ··
··
··
··
··
···
··
··
··
··
··
··
··
··
··
··
··41
Fi
g.3
.14 지진해일 단층파라미터 개념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42
Fi
g.3
.15 가상지진해일의 발생원 분포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43
Fi
g.3
.16 역사지진해일의 발생원 분포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44
Fi
g.3
.17 지진해일실험 실험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5
Fi
g.3
.18 가상지진 및 역사 지진해일 전파도 · ··
··
··
··
··
··
···
··
··
··
··
··
··
··
··
··
··
··
··
··
··
··
··46
Fi
g.3
.19 해일고 및 침수심 관측점 위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47

- iii -
Fi
g.3
.20 실험안별 최대지진해일 침수심 비교도 · ·
··
··
··
··
··
··
··
··
··
··
···
··
··
··
··
··
··
··
··
·49
Fi
g.3
.21 지진해일 침수예상도(
현재상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0
Fi
g.3
.22 지진해일 침수예상도(
계획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0
Fi
g.4
.1 지진해일 수치실험 침수구역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
Fi
g.4
.2 해상구조물(
게이트)파력분포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4
Fi
g.4
.3 육상구조물(
방호벽,방호문)파력분포도 ·
··
··
··
··
··
··
··
··
·
··
··
··
··
··
··
··
·
··
··
··
··
··5
4
Fi
g.4
.4 게이트 시설계획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6
Fi
g.4
.5 게이트 시설조감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6
Fi
g.4
.6 방호벽,방호문 시설계획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7

- iv -
LI
ST OFTABLES

Tabl
e2.1 동해에서 발생한 과거 지진해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Tabl
e2.2 카미히라이(
上平井)수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Tabl
e2.3 누마즈(
沼津)
항 방수문(
뷰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Tabl
e2.4 아지가와(
安治川)수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Tabl
e2.5 Mae
slantSt
orm Sur
geBar
rie
r··
··
··
··
··
··
··
··
··
··
··
··
··
··
··
··
··
··
··
··
··
··
··
··
··
··
··
··1
5
Tabl
e2.6 Mos
epr
oje
ct(
fl
ab-
게이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6
Tabl
e3.1 지진해일 실험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7
Tabl
e3.2 임원항 현장조사 관측값과 수치모형실험 결과값의
처오름높이 비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9
Tabl
e3.3 각 영역별 격자체계 및 계산조건 ·
··
··
··
··
··
··
··
··
··
··
··
··
··
··
··
··
··
··
··
··
··
··
··
··
··4
0
Tabl
e3.4 각 영역별 격자체계 및 계산조건 ·
··
··
··
··
··
··
··
··
··
··
··
··
··
··
··
··
··
··
··
··
··
··
··
··
··4
2
Tabl
e3.5 가상지진해일 초기수면변위 생성을 위한 단층매개변수 ·
··
··
··
··
··4
3
Tabl
e3.6 역사지진해일 초기수면변위 생성을 위한 단층매개변수 ·
··
··
··
··
··4
4
Tabl
e3.7 실험안별 최대 지진해일고 및 침수심 ·
··
··
··
··
··
··
··
··
··
··
··
··
··
··
··
··
··
··
··
··
··4
9
Tabl
e4.1 최대지진해일고 및 침수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2
Tabl
e4.2 대상구조물 규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3

- v -
제 1장 서 론

1
.1연구의 배경 및 목적

지진해일은 진행속도가 빠르고 파장이 길며 파형의 변화없이 먼 거리를


진행할 수 있어 주변지역은 물론 멀리 떨어진 지역에도 심한 피해를 야기 시

키며 수심이 깊은 대양으로부터 수심이 상대적으로 얕은 해안선 근처에 도달

하면 천수효과(
shoal
ing e
ffe
cts
)에 의해 파고가 급격히 증가하여 대규모 범
람을 일으켜 엄청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최근 10년 동안 세계적으로 해저 지각활동이 활발하여 지진해일의 발생빈

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지진해일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도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해마다 태풍 내습,집중호우 등으로 침수피해가 발생하고 있으

며 특히 동해안 지역은 일본서해지역에서 발생하는 지진해일(


쓰나미)
의 직접

적인 영향권에 들어 있어 항만을 비롯한 연안지역에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발


생하여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미리 방재대책을 수립하여 예방하는 것이 우

선적으로 필요하다.

근년 우리나라 동해안에 지진해일이 내습한 것은 1983년과 1993년 두 차


례로서,피해의 규모로 보면 1983년의 경우가 훨씬 컸던 것으로 보고되었다.

1983년 지진해일이 한국 연안에 큰 피해를 일으켜 자연재해 사상으로서의 접

근에 대한 계기를 마련해 준 이래 1993년의 지진해일은 이러한 사실을 재확


인 시켰으며,이로인해 지진해일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된 계기가 되었다.

지진 발생에 대한 공포와 위험성이 아직 깊이 인식되지 않은 상황에서,지

진해일이라는 부가적인 재해의 위험에 대한 지식과 정보의 결여는 지진해일


방재사업에서의 노력에 큰 장애물이 되고 있고,그 위험성을 인식시키는 일이

가장 큰 과제로 남아 있는 지금,실제 해일이 내습하였을 때의 피난과 예경보

- 1 -
활동에 대한 대책까지도 동시에 고려해야하는 시급한 상황에 있다.

지진해일이 동해 북동부해역(
일본 북서근해)진원지로부터 한국 동해안까
지 전파해 오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약 1시간 30분 이내로 일본과 비교하면

큰 여유를 갖는다.

따라서,지진해일 수치모형실험을 통해 지진해일에 의한 범람 및 침수피


해가 예상되는 해안지역에서의 침수고 산정 및 구조물을 구축함으로써 침수

대책을 강구하고 경제적이고 실효성 있는 방재대책을 수립하고자 한다.

해안 지역에서 자연재해로부터 재산피해와 경제적 손실을 막는 것도 중


요하지만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지역주민의 인명을 보호하는 것이며,막대한

인명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재해 발생시 피해가 예상되는 대상지역에 해일 경

보,대피 발령 및 침수방지시설 방어시스템을 작동시키므로써 안전하고 신속


하게 대피할 수 있는 시설을 구축함이 필요하다.

- 2 -
1
.2연구의 내용 및 방법
지진해일은 해저에서 발생하는 지진이나 해저 화산폭발 등으로 해저의 융

기,침강 또는 수직 단층 변화 등의 지각변동으로 일어나는 해수의 중력파를


말하며 지구상에서 쓰나미가 발생 할 수 있는 장소는 지진발생의 빈번 해역

과 일치하고 있다.

지진해일은 진행속도가 빠르고 파장이 길며 파형의 변화없이 먼거리를 진


행할 수 있어 주변지역은 물론 멀리 떨어진 지역에도 심한 피해를 야기시키

며 수심이 깊은 대양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얕은 해안선 근처에 도달하면 천수

효과(
Shoal
inge
ffe
ct)
에 파고가 급격히 증가하여 대규모 범람을 일으켜 엄청
난 인명과 재산피해를 초래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 지진해일 피해를 유발시킬 가능성이 매우 높은

일본 Hokkai
do와 Hons
hu의 서쪽해안을 따라 남북으로 길게 발달된 단층대
에 설정된 가상지진해일 11개와 역사지진해일(
1964,1983,1993년)3개를 포

함하여 1
4개 c
ase
,지진규모 8
.0을 입력조건으로 지진해일 발생원을 사용하였다.

지진해일 수치모형 실험에서는 삼척항 해역을 포함한 다중격자 연결모형


구성을 위한 영역설정으로 발생원의 초기 수면 변위를 추정하기 위해 초기

수면 변위가 해저 변위의 연직성분과 같다는 가정으로 단층파라미터를 기초

로한 Mans
hinhaandSmyl
ie(
1971)
의 모형을 사용하였다.
천수이론에 근거한 선형모형의 지배방정식을 사용하였으며,수심이 급변하는

해역에서 분산효과를 정확하게 고려하기 위해 분산정보 기법을 사용하여 지진

해일 실험결과의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시나리오별 지진해일고 및 침수심 산정과 육・해상 구조물에 작용하는 지

진해일 파력에 관한 외력조건을 적용하여 구조물의 안정검토를 수행하였다.

일본 서해안을 따라 발생한 지진 공백역을 고려한 지진해일 분석과 가상의

- 3 -
지진해일,시나리오별 지진해일고,침수구역도를 작성하여 항만구역내 지진

해일 발생시 항구적인 재해 방지를 위한 구조적 방안을 수립하므로써 배후지


에 침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업대상구역에 방호시설을 계획하였다.

항만 주변지역이 지진해일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나 침수 방지시설 설치로

인해 범람영역이 확연히 줄어 지역주민의 인명피해 및 재산을 보호할 수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 4 -
제 2장 지진해일 관련 자료조사

2
.1동해에서 과거 지진해일 발생 현황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지진해일은 동해 또는 일본 서해안 등 진앙 위

치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 동해에서만의 특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과

거 발생한 지진해일 이력을 바탕으로 앞으로 발생확률이 큰 지진 공백역 조


사를 통해 동해안에서의 지진해일 대응시설 계획의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과거 동해에서 발생한 지진해일 특성을 살펴보면,해안선 부근에서 발생한

작은 지진과 외해에서 발생한 대규모의 지진으로 대별된다.


작은 지진들에 의한 지진해일고는 1~2m 정도로 작았고,소규모의 피해를

발생시켰으나 대규모의 지진의 경우는 그 파원역이 외해로 대륙붕 사면의 외

측에 위치하여 한국의 동해안까지 피해를 입혔다.

Tabl
e2.1 동해에서 발생한 과거 지진해일
발생일시 파원역(
波源域) 지진규모(
M) 해일고(
m)
1
927.3. 7 丹後 7.
5 0.
0
1
937.5. 1 男麗(
오가) 7.
0 -1.
0
1
940.8. 2 샤코탄 외해 7.
5 2.
0
1947
.11. 4 有明 외해 7.
0 0.
0
1
964.5. 7 男麗(
오가)외해 6.
9 -0.
5
1
964.6.16 니이카타 외해 7.
5 2.
0
1
971.9. 6 樺太 외해 7.
1 0.
5
1
983.5.26 아키타 외해 7.
7 2.
5
1
993.7.12 북해도남서 외해 7.
8 3.
0
자료 :동해안에서의 지진해일 위험도 평가(199
8.12
,국립방재연구소)
주 :1 )파원역 :지진해일이 만들어진 영역
2)지진공백역 :우리나라 동해안에 지진해일 피해를 유발시킬 가능성이 매우 높
은 홋가이도와 혼슈의 서측해안을 따라 남북으로 발달된 단층대

- 5 -
2
.2최근지진해일 피해사례
1983년 5월 26일에 발생한 동해중부 지진해일은 한국에 도달한 사상들 중

가장 큰 해일을 일으켰고,이에 동반한 피해 역시 최대로 기록되고 있다.

특히 임원에서 발생한 인명과 재산 피해는 한국에서의 지진해일 대책수립


에 있어서의 기준이 될 만한 대규모의 피해로서 자연재해에 대한 대책 마련

이 필요함을 일깨워 준 것으로 볼 수 있다.

1983년 발생한 동해 중부 지진해일의 최대 피해지였던 임원항에서는 최대


처오름높이가 대략 4m에 이르는 해일이 급습하였고,지진해일 발생시 전조

현상이 일어나 폭음과 함께 수심 5m의 항구 바닥이 드러날 정도로 한꺼번에

바닷물이 빠져 나갔다가 10분 후 빠른 속도로 다시 밀려 들어왔다.


이로 인해 1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고,조업 중인 어부 2명이 선박과 함께

실종되었으며,2명의 부상자가 발생하였음.항구에 인접한 임원 1리에서는

가옥 22채가 부분 파손되었고,총 7가구가 침수되었다.

Fi
g.2.1 지진해일로 침수된 임원항 전경

- 6 -
Fi
g.2.2 1983년 지진해일 당시 배가 건물에 닿았던 흔적

이로부터 10년 후인 1993년 7월 12일 북해도 오쿠시리섬 부근에 지원을 둔

규모 7.
8의 강진에 의해 다시 지진해일이 발생하였고,이 역시 동해안에도 지
진해일이 내습하여 각종 피해를 유발하였다.지진의 규모가 훨씬 컸음에도

불구하고 해일 규모는 1983년의 경우와 비교하여 작았다.그러나 지진해일은

전 동해안의 선박활동과 생산활동을 중단시킬 정도의 영향을 미쳤다.

Fi
g.2.3 1993년 지진해일로 인한 피해 상황

- 7 -
2011년 발생한 동일본 지진해일은 미야기현을 중심으로 한 태평양 연안의

도시들은 강타하여 엄청난 피해를 야기했다.이와테현 미야코시 검조소에서


는 8.
5m의 지진해일 파고가 관측되었으며,후쿠시마항 7.
3m,오후나토 8.
0m

를 비롯하여 센다이 지역에서는 10.


0m가 넘는 파고가 관측되었다.지진해일

은 태평양을 가로질러 아메리카 대륙까지 전파되었으며,미국과 칠레 등을


포함하여 최소 20개국에 지진해일 경보가 발령되었음.일본 경찰청에서 2012

년 11월 14일까지 공식 집계한 피해상황은 사망자수 15,


873명,실종자수

2,
744명,부상자수 6,
114명으로 엄청난 인명피해가 발생하였다.

Fi
g.2.4 도로를 덮치는 지진해일

- 8 -
Fi
g.2.5 해안가를 덮치는 지진해일

Fi
g.2.6 지진해일로 인해 발생한 소용돌이

- 9 -
2
.3지진해일 전파 특성
가상 지진해일 시나리오에 의하면 일본 서해안에 위치한 진앙지로부터 발

생한 지진해일은 동해의 해저 지형변화에 따라 전파속도 및 방향이 변화하게

되는데 동해 중심부에 위치한 대화퇴의 영향으로 파의 굴절로 인해 동해안에


지진해일파의 집중현상이 발생한다.

가상지진해일 진원지는 일본 서해안에 위치하여 우리나라 동해안에 지진

해일이 도달할 시에는 반드시 대화퇴를 지나게 되고,대화퇴를 지나면서 지


진해일은 굴절현상에 의해 전파방향 및 에너지분포가 변화됨.이것이 대화퇴

와 일본서해안에서의 진앙위치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아가며 동해에서만의

특유한 지진해일의 거동을 형성하는 원인이다.


가상 지진규모 M8.
0이 지진공백역에서 발생하였을 경우 지진해일이 우리

나라 동해안까지 도달하는 예상시간은 약 1시간30분 안에 파가 도달하는 것

으로 분석되었고,지진해일 진앙지 위치에 따라 2.


0~5.
0m의 파고분포를 나
타내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동해 지진공백역(
Sei
smi
cGap)
으로부터 가상지진으로부터
예상되는 가상지진 예상되는 최대 지진해일 높이

자료 :동해안에서의 지진해일 위험도 평가(199


8.12
,국립방재연구소)
지진해일 범람특성 분석을 통한 침수예상도 작성( 2010
.12,국립방재연구소)

- 10 -
2
.4해외 침수방지시설 사례
2
.4.
1개요
지구온난화 및 기상이변 등으로 인해 해수면이 상승하고 태풍의 강도가 커

지고 있어 태풍,해일 등으로 인해 항만 배후 저지대에 침수가 예상되고 있

다.연안역에 위치한 항만권역에는 경제적,사회적 기능이 미치는 배후지를


포함하고 있으며,주요 기반시설과 인구의 밀집도가 높기 때문에 자연재해에

취약한 구조적 특징을 갖는다.따라서 침수피해가 예상되는 항만 배후 저지

대에 침수피해 방재시설을 설치하여 재해취약지역을 보강할 필요가 있다.


최근 들어 폭풍・지진해일 등 다양한 재해들이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국가적 차원에서 국민의 재산과 인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대응책

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세계 각국은 각종 재해로부터 자국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재도시계획 수립에 신중을 기하고 있다.우선 과거의 직접적인 자연재해로

부터 대책 안을 마련하고 점진적으로 미래재난에 대응할 수 있는 안을 수립・


추진함으로서,향후 환경변화에 따른 미래 재해로부터의 피해를 최소화 한다

는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선진 외국에서는 실효성이 입증된 다양한 재해방지시설로서 폭풍・지진해


일에 의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 하고자 게이트,방호벽 등을 설치 운

영 중에 있다.

- 11 -
2
.4.
2일본
가.도쿄(
카미히라이 수문)
태풍내습에 따른 폭풍해일 및 지진해일에 대비하기 위해 동경만에서 7.
5Km
내륙지역에 설치하였음.
Tabl
e2.2 카미히라이(
上平井)수문
설계기준 ∙ 진도 5.
0이상일 때 자동 차폐되도록 설계
∙ 수문폭 :120.
0m(
30m× 4기)
수문규격
∙ 통항 가능 높이( H.W.
L상): 1,
4호-9.
2m,2,
3호-9.
5m
수문 작동시간 ∙ 차폐시 :3분 ∙ 개방시 :10분
평상시 작동 시스템 ∙ 평상시는 수문을 ope
n한 상태로 소형선박을 통항시키고 있음
비상시 작동 ∙ 진도 5.
0이상시 자동 차폐
시스템 ∙ 태풍내습에 따른 폭풍해일 예측시 수동차폐
수문 차단 사례 ∙ 200
5년 자동 차단됨
건설비 ∙ 23억엔(
1970년 준공)

외측 전경 내측 전경

전면 수로 전경 제방 내측 전경

Fi
g.2.7카미히라이 수문 전경

- 12 -
나.시즈오카현(
누마즈항 방수문)
시즈오카현의 폭풍 및 지진해일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면적방어 형태의 방재
언덕과 누마즈시의 해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수문폭 4
0m,통항높이 15
m의
방수문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음.
Tabl
e2.3 누마즈(
沼津)
항 방수문(
뷰오)
설계기준 ∙ 진도 6. 0이상일 때 자동 차폐되도록 설계
수문규격 ∙ 수문폭 :40. 0m ∙ 통항 가능 높이( H.
W.L상):15.0m
∙ 차폐시 :태풍해일시 -2분 경고 후 30분간 닫힘
수문 작동시간 지진해일시 -경고방송 후 자동으로 5분간 닫힘
∙ 개방시 :2분 경고 후 30분간 열림
평상시 작동 시스템 ∙ 평상시는 수문 개방 상태로 소형선박을 통항시키고 있음
∙ 누마즈시청에서 통제 가능 ∙ 진도 6.
0이상시 자동 차폐
비상시 작동 시스템 ∙ 돌발 지진에 대비하기 위해 수문 주변에 3개의 계측기를 설치
∙ 태풍내습에 따른 폭풍해일 예측시 수동차폐
∙ 2009년 칠레 지진시 수동차폐
수문 차단 사례
∙ 2004년 완공 후 년 2~3회 태풍 내습으로 차폐하였음
∙ 수문의 소유 및 관리 :시즈오카현 ∙ 상부 전망대 관리 :누마즈시
∙ 정기점검 :년 2회 ∙ 내구연한 :약 50년
유지관리 현황 ∙ 수중바닥 점검 :년 1회( 잠수부 투입,모래 조금 퇴적됨)
∙ 관리인원배치 :점검시 점검인원만 투입
∙ 유지관리비용 :약 1천만엔/ 년
건설비 ∙ 43억엔( 2004년 준공)
∙ 침수방지 면적 :150ha ∙ 보호 인구수 :9,000명
수문 설치 효과
∙ 연간 10만명 관광객 내방

뷰오 전경 상부 전망대 전경

수문 상부 상부 전망대 내부 전경

Fi
g.2.8누마즈항 방수문 전경

- 13 -
다.오사카시(
아지가와 수문)
태풍에 의한 인명피해 발생후 태풍 내습시 해일로 인한 오사카시 저지대 침
수를 방지하기 위해 1
970년에 설치함.
Tabl
e2.4 아지가와(
安治川)수문
설계기준 ∙ 이세만(
사라)
급 태풍에 대비할 수 있도록 계획
∙ 통항 가능 수문폭 :55.
4m
수문규격
∙ 통항 가능 높이(
H.W.L상):26.
6m(
중앙부)
,10.
4m(
단부)
수문 작동시간 ∙ 올리고 내리는데 각 30분 소요
평상시 작동 시스템 ∙ 평상시는 수문을 open한 상태로 소형선박을 통항시키고 있음.
∙ 태풍 내습에 따라 고조주의보시 직원이 수문에 상주
비상시 작동 시스템 ∙ 고조 경보 발령시 수문 가동
∙오사카부 중앙관리소 수문 가동,고조주의보시 직원이 수문에 투입됨.
수문 차단 사례 ∙ 1970년 완공후 총 7회 수문을 닫았음
∙ 중앙관리소 :오사카부 ∙ 정기점검 :월 1회 운전 가동
∙ 관리인원 :평상 점검시 6명,태풍시 3명이 배치되어 장비 가동
유지관리 현황
∙ 내구연한 :40년(
현재 유지관리 상태 양호 40년 연장)
∙ 수문 페인트 도장 :7~ 9년/
1회 ∙ 유지관리비용 :약 1억엔/

건설비 ∙ 39억엔(
1970년 준공)
∙ 비상시 수문 내측의 우수 배제를 위해 1981년 배수펌프장을 신설
∙ 오사카시 수문은 대부분 태풍해일( 3.
2m 예상)대비용으로 건설되었
기타사항
으며,지진해일(2.
0m 예상)
은 수로 내측의 방호벽 건설로 대비중 임.
∙ 수문 외해측 해안가 전역을 높은 방호벽 설치

Fi
g.2.9아지가와 수문 전경

- 14 -
2
.4.
3유럽
가.네덜란드
De
ltaPr
ojec
t의 한 부분으로 로테르담 항만을 출입하는 대형선박의 빈번
한 통항을 고려하고 폭풍해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세계 최대 규모의

Maes
lantSt
orm Sur
geBar
rie
r가 설치
Tabl
e2.5 Maes
lantSt
orm Sur
geBar
rie
r
로테르담시의 ∙ 가장붐비는항구의입구에방벽건설(항만운영과통항에지장이없도록방벽건설)
방벽 건설조건 ∙ 1백만명의 주민과 재산을 해일부터 보호
∙ 거대한 양쪽 여닫이 라운드형 대문 형태
형 상
-방벽길이 :210m × 2기 -높이 :22m
준공년도 ∙ 1997
년 5월 (
공사기간 6년)
공 사 비 ∙ 10억 길더(
한화 5천억원)
∙ 2시간 30분소요(컴퓨터에 의한 자동통제)/차단(
개폐)30
차단(
개폐)
시간
분,진수 2 시간

Fi
g.2.1
0 Mae
slantSt
orm Sur
geBar
rier
(섹터게이트)전경

- 15 -
나.이탈리아
지반침하와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베니스의 침수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모세 프로젝트로 명명되어 방벽 설치가 계획되어 2013년도 게이트 운영 시험


성공에 이어 현재 건설 중.
Tabl
e2.6 Mos
epr
oje
ct(
flab-게이트)

MOSE ∙ 자연환경 훼손 및 변경을 시키지 않으면서 재해에 대한 대책 수립


PROJ
ECT (수중 구조물 설치로 환경변화요인 최소화에 중점을 둠)
건설조건 ∙ 1.
2m 이상의 해수면 상승시 주민과 재산을 보호

∙ 수중에 거대한 가라앉은 방벽이 압축공기주입으로 수문이 올라옴


형 상
-방벽 길이 :1,
520m(
3개소) -수문 높이 :30m× 76기

공사기간 ∙ 11년(
2003년 ~ 2014
년)

공 사 비 ∙ 총 7조원(
석호 생태복원 및 Mos
epr
oje
ct포함 :1984년~201
4년)

∙ 71년 법 제정 :정부의 특별법으로 사업추진


∙ 담당 영역 :수면상승 및 해일 대응 ➜ 국가
∙ 플랩형 게이트 채택 :환경변화 요인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공법 채택
내 용 ➜ 현 상태 유지,자연훼손이나 해수면 점유가 없는 공법으로 환
경영향이 가장 적은 공법
∙ 유지관리 :15 년 함체교체,100년의 내구연수(
3000
만 유로/
년)
∙ 작동 :1.2m 수면 상승시 게이트(플랩)가동

- 16 -
제 3장 지진해일 수치모의 및 침수심 산정

3
.1실험내용 및 방법
3
.1.
1실험개요
지진해일 수치모형실험을 위하여 HYCEL-DI
SP(
한국저작권위원회 등록번
호:S-2
008
-00
514
7)와 HYCEL-UPWI
(한국저작권위원회 등록번호:S-2
008
-00
514
9)

를 사용함.

일본 서해안을 따라 존재하는 지진공백역에서 발생 가능한 가상지진해일


11개와 역사지진해일 3개(
1964년 Ni
igat
a지진해일,1983년 동해 중부 지진해

일,1993년 북해도 남서 외해 지진해일)


를 포함한 총 14개의 Case
에 대해서

수치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Tabl
e3.1 지진해일 실험개요
항 목 내 용
∙ 삼척항 침수방지시설 기본계획안 및 평면배치안에 대한 지진해
실험 목적
일 영향성 검토
∙ HYCEL-DI
SP(
한국저작권위원회 등록번호:S-2008-005147)
사용 모델
∙ HYCEL-UPWI
(한국저작권위원회 등록번호:S-2008-005149)
3
3.1
~45
.7°
E 3
5.8
~39
.5°
E 3
6.8
~38
.0°
E 3
7.3
~37
.6°
E 3
7.3
9~3
7.5
0°E 3
7.4
3~3
7.4
5°E
모 계산영역 127.
2~142
.2°
N 1
28.
2~13
3.3
°N 12
8.9
~130
.4°
N 1
29.
0~12
9.4
°N 1
29.
17~12
9.3
0°N1
29.
18~12
9.2
0°N

구 격자간격 1, 2 15m 405m 135m 45m 15m 5m
성 격 자 수 1
,087,2
6 4개 1
,152,
022 개 920,620개 489, 8
56개 392, 1
22개 223, 9
30개

∙ 가상지진해일 1
1개(
Case01~ Cas
e11)
∙ 역사지진해일 3 개
입력조건 -1964
년 Ni
igat
a지진해일(
Case12)
-1983
년 동해 중부 지진해일(Case13)
-1993
년 북해도 남서 외해 지진해일( Case1
4)
실험 기준면 ∙ 삼척항 약최저저조면(
App
rox
.L.
L.
W:Ap
pro
xima
teLo
wes
tLo
w Wa
ter
)

- 17 -
3
.1.
2사용모형
지진해일의 초기 파장은 수십에서 수백 km에 이르고,수심은 상대적으로

매우 작기 때문에 천수이론(
shal
low-wat
ert
heor
y)을 적용할 수 있음.또한,

수심에 비해 초기 수면변위가 매우 작기 때문에 전파 과정에서 비선형항과


바닥마찰항을 무시할 수 있음.따라서 지진해일의 전파과정은 천수이론에 근

거한 선형모형의 지배방정식을 사용하였다.

우리나라 동해에서 발생하는 지진해일은 태평양 연안에서 발생하는 지진


해일에 비해 상대적으로 파장이 짧고,동해 중앙부에 존재하는 반지름

300km,정상부 수심 300m∼400m 정도의 수중분지인 대화퇴의 영향으로 굴

절,반사 및 회절 양상이 매우 복잡하여,장거리를 전파해 오는 경우 물리적


인 분산효과가 매우 중요함.수심변화 해역에서 전파하는 지진해일 수치모형

실험 결과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분산효과를 정확하게 고려할 수 있는

수치모형이 필요함.
지진해일이 대양을 가로질러 수심이 상대적으로 얕은 연안으로 접근하면

비선형성이 매우 중요해지기 때문에 선형 천수방정식(


li
nears
hal
low-wat
er

e
quat
ions
)을 적용할 수 없음.특히,지진해일이 해안지역으로 접근하면 파장
은 짧아지고 파고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분산의 중요성은 감소하는 반면에

비선형항과 바닥마찰항의 중요성이 증가하여 비선형 천수방정식(


nonl
ine
ar

s
hal
low-wat
ere
quat
ions)
을 지배방정식으로 사용하였으며 해안선에서는 해
안선의 이동을 추적하기 위해 이동경계조건(
movi
ng boundar
ycondi
ti
on)

적용하였다.

- 18 -
가.원해 지진해일(
전파모형)
1)지배방정식
일본 서해안에서 발생하여 우리나라 동해안에 영향을 주는 지진해일과 같이
비교적 먼 거리를 전파하는 원해 지진해일을 모의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선형 Bous
sine
sq방정식을 지배방정식으로 하여 수치모의를 하는 것이 바람
직함.
  
     (3.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는 자유수면변위, 와 는 각각    및    로 정의되는 


축과  축 방향의 체적흐름율(
vol
umef
l , 와  는 각각 축과  축 방향의
ux)
수심평균된 유속,는 정수면(
sti
llwa
terl
eve
l)상의 수심임.

식(
3.1)
∼(3
. 으로부터  와 를 소거하면 다음 식을 유도할 수 있음.
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4)

- 19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수심이 일정할 경우 식(
3.4
)는 다음과 같이 간단히 정리할 수 있음(
Cho,
1
99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5)

식 (
3.5
)의 오른쪽 항은 분산항이며,고차도함수이기 때문에 유한차분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따름.본 과제에서는 분산항을 생략한 선형 천수방정식
(
li
nea
rshal
low-wa
tere
quat
ions
)을 지배방정식으로 이용하면서 보정기법
(
modi
fi
eds
che
me)
을 사용함(
Cho,1
995)
.유한차분 기법인 l
eap-f
rog 방법으
로 차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치분산(
nume
ric
aldi
spe
rsi
on)
을 이용하여
선형 Bous
sine
sq 방정식의 분산항(
fre
que
ncy di
spe
rsi
on)
을 대체함(
Choand
Yoon,19
98)
.

2)격자체계
본 과제에서는 엇갈림 격자체계(
stagge
redgr
ids
yst
em)
를 사용함.즉,중앙
격자에서 자유수면변위를 계산하고, 격자경계면에서    ,   ,
  ,   과 같은 체적흐름율을 계산함.자유수면변위와 체적흐름율
에 대한 계산은 교대로 수행함.

- 20 -
Fi
g.3
.1 엇갈림 격자 체계

3)유한차분기법
선형 Bous
sine
sq 방정식 (
3.1)
∼(3
.3)
에서 오른쪽의 분산항을 무시하면 다음
과 같은 선형 천수방정식이 됨.

  
     (3.6)
  
 
      (3.7)
 
 
      (3.8)
 

I
mamur
aandGot
o(1
998)
는 선형 천수방정식 (
3.6
)∼(
3.8
)을 l
eap-f
rog차분기
법을 이용하여 엇갈림 격자계에서 다음과 같이 차분함.엇갈림 격자를 이용

- 21 -
한 l
eap-f
rog차분기법은 양해법으로써 식 (
3.9
)를 먼저 풀어서 자유수면변위
를 구하고 차례로 식 (
3.1
0)과 식 (
3.1
1)을 풀어 각 방향의 체적흐름율을 차례
로 계산함.

  
     
 
    

 
     
   (3.9)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0)
  

  

 
  
   
   
    (3.11)
  

식 (
3.9
)∼(
3.1
1)에서 자유수면변위 는 격자에서 정의되었으며,체적흐름
율  와 는 각각   격자와    격자에서 정의됨.또한,시
간에 대해서도 엇갈림 격자를 사용함.

4)분산보정기법
지진해일이 먼 거리를 전파하는 경우,분산효과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선형 Bous
sine
sq방정식을 지배방정식으로 이용하는 것
이 바람직함.그러나 선형 Bous
sine
sq 방정식에서 분산항은 미분의 차수가
높아서 차분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으므로 본 과제에서는 분산항을 제외
한 선형 천수방정식을 이용하면서,차분하는 과정에 나타나는 수치오차
(
nume
ric
ale
rror
)가 선형 Bous
sine
sq방정식의 분산을 대체할 수 있도록 보
정하는 기법을 적용함.

ChoandYoon(
1998
)은 l
eap-f
rog유한차분기법을 이용하여 엇갈림 격자계에
서식 (
3.10
)과 식 (
3.1
1)로부터 다음과 같은 차분식을 제안함.

- 2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3)


식 (
3.9
)과 식 (
3.12
)∼(
3.1
3)에서  와 를 제거하여 에 대해서 정리하면 다
음과 같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4)
 

식 (
3.1
4)에서 는 계수이며,ChoandYoon의 연구에서는 1
의 값을 갖음.식
(
3.14
)의 유도과정에서    가 가정되었으며,  이면 마지막 항을 소
거할 수 있음.시간 및 공간격자  와 가      에 의해
결정된다면 l
eap-f
rog 기법으로부터 발생되는 수치분산은 선형 Bous
sine
sq
방정식의 분산을 대체할 수 있음.

따라서,식 (
3.9)
와 식 (
3.1
2),식 (
3.1
3)을 이용하여 선형 Bous
sine
sq방정식
을 만족시키는 수치해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치해의 정확도 또한 2

- 23 -
차에서 3차로 증가함.그러나 ChoandYoon(
1998
)이 제안한 식은 수심이 변
하는 경우,격자 간격과 계산 시간간격을 변화시켜 줘야 하기 때문에 실제
지형에 적용이 쉽지 않음.

본 과제에서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수정기법을 사용하여 선형 천수


방정식 (
3.6
)∼(
3.8
)을 다음과 같이 차분함(
Choe
tal
.,2
00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7)


식 (
3.1
5)∼(
3.17
)에서 분산보정계수  와 를 각각 0
과 1로 고정하면,Cho
a
ndYoon(
1998
)이 제안한 기법과 같아짐.또한,식 (
3.15
)∼(
3.1
7)의 모든 항
or급수를 이용하여 기준 격자점 에 대하여 전개한 후  와 Q
을 Tayl
를 소거하면,다음과 같은 에 대한 식을 얻을 수 있음.

- 2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8)
   

식 (
3.1
8)에서   
 와   은 각각 장파의 전파속도와

ant수를 나타내며,유도과정에서    를 가정하였음.그리고 식


Cour
(
3.18
)을 Me
i(1
989)
의 선형 Bous
sine
sq방정식과 같아지도록 분산보정계수 
와 를 결정하면 다음과 같음(
Choe
tal
.
,20
07)
.

    


  (3.19)

   (3.20)

보정기법을 사용하면 수심이 변하는 경우에,격자간격과 계산 시간간격 대신


분산보정계수 와 를 변화시켜 식 (
3.18
)이 선형 Bous
sine
sq방정식과 일
치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음.

나.근해 지진해일(
범람모형)
1)지배방정식
지진해일이 대양을 가로질러 해안지역으로 접근하면 수심이 얕아짐에 따라
파장은 점점 짧아지고,파고는 점차 증가함.따라서 Cor
iol
is효과와 분산효과
의 중요성은 감소하는 반면에 비선형성이 중요해지기 때문에 비선형 천수방
정식을 지배방정식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함.또한,해안선 부근에서는 바
닥마찰효과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바닥마찰항을 반드시 고려해야 함
(
Kaj
iur
aandShut
o,19
90;Li
uetal
.
,19
94)
.아울러,해안선의 움직임을 정확

- 25 -
히 추적하기 위한 이동경계조건(
movi
ngboundar
ycondi
ti
on)
을 해안선을 따
라 적용해야 함.

바닥마찰항을 포함한 비선형 천수방정식은 다음과 같음.

  
     (3.2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2)

     

   
              (3.23)
   

식 (
3.21
)∼(
3.2
3)에서    는 전체수심을 나타내며, 와  는 각각

ng 식을 사용하여 나타낸  축과  축 방향의 바닥마찰항으로 다음과


Manni
같음.

    


                  (3.24)
   

식 (
3.24
)에서  은 Ma
nni
ng조도계수이며,해안가의 재질,형상,상태 등과
같은 현장조건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짐.

- 26 -
2)2차 정확도 풍상차분기법
운동량 방정식의 비선형항을 차분할 때,차분식이 안정성을 가지려면 차분이
항상 흐름방향과 일치하도록 하는 풍상차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함.기존
에 수행된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비선형 천수방정식의 비선형항을 차분할 때
1
차 정확도의 풍상차분기법을 이용하였는데 본 과제에서는 비선형항의 정확
도를 높이기 위해 2차 정확도의 풍상차분기법(
Shyy,1
985;인태훈 등,20
03)
을 이용하였음.

2
차 정확도의 풍상차분기법에 의한 비선형항의 차분식은 다음과 같음.

 



                 ≧ 

(3.25)

                    


식(
3.25
)를 이용하여 식 (
3.2
2)∼(
3.23
)의 비선형항을 차분하면 다음과 같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9)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비선형항의 차분식은 2차 정확도의 풍상차분기법을 사용하였고,선형항은


l
eap-f
rog기법에 의해 2
차 정확도를 갖기 때문에 운동량 방정식은 2
차 정확
도를 가짐.유한차분기법에서 공간과 시간에 대하여 모두 엇갈림 격자를 사
용하였음.

- 28 -
3)이동경계조건
지진해일의 처오름 현상을 적절히 모의하기 위해서는 신뢰할 수 있는 이동경
계조건을 적용하여야 함.지진해일이나 조석과 같은 장파의 거동을 모의할
때 범람에 따라 해안선의 위치가 연속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해안선을 따라
이동경계조건과 같은 특수한 경계조건을 설정해야 함.유한차분법을 이용하
여 수치계산을 수행하는 경우,전체영역을 일정한 수의 격자로 차분하며,모
든 영역에서 초기조건으로 자유수면변위와 체적흐름율을 0
으로 정함.그리고
초기의 해안선은 전체수심,즉 수심과 자유수면변위의 합이 0이 되는 곳을
연결한 선으로 정의함.본 과제의 수치모형에서는 격자가 육지에 속할 때 수
심은 0
보다 작은 값을 갖도록 하였음.

아래그림은 이동경계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단순화된 계단지형을 보여주고 있


음.초기에 정수면보다 높은 격자,즉 건조격자(
drygr
id,격자   )
는 전체
수심  가 0
보다 작은 값을 가지며,평균해수면보다 아래에 존재하는 격자,
즉 침윤격자(
wetgr
id,격자   )
는 전체수심  가 0보다 큰 값을 갖음.따
라서 건조격자와 침윤격자의 경계는 초기의 해안선을 형성하게 됨.

Fi
g.3.2 수치모형의 이동경계조건 개략도,경계가 이동하지 않은 경우

- 29 -
Fi
g.3.3 수치모형의 이동경계조건 개략도,경계가 이동하는 경우

본 과제의 수치모형에서는 먼저 연속방정식을 해석하여 전 영역에서의 자유


수면변위를 계산함.이 때 초기의 건조격자,즉 전체수심이 0
보다 작은 격자
의 자유수면변위는 계속 0을 유지하게 되는데,이는 주변격자의 체적흐름율
이 0이기 때문임.다음으로,연속방정식에서 새로 얻은 자유수면변위를 이용
하여 해안선의 격자를 수정함.즉,해안선에서의 전체수심이 육지방향의 다음
격자로 해안선의 이동이 가능한가를 검사하며,이때 운동량 방정식을 이용하
여 체적흐름율  와  를 계산함.

이동경계조건에서 발생 가능한 두 경우,즉 해안선이 육지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 경우와 이동하는 경우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함.실제 경사지형은 계단
지형으로 단순화되며,격자   , 및   에서는 자유수면변위를,격자
   ,  및   에서는 체적흐름율을 각각 계산함.경계가 이동하
지 않는 경우,격자  는 침윤격자이므로 초기에 전체수심  는 0보다 큰 값

을 갖는 반면에,격자   은 건조격자이므로 전체수심   은 0


보다 작은

값을 갖음.또한,해안선은 격자  와    사이에 존재하며,격자   에


서의 체적흐름율   은 0이므로 해안선은 육지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음.

- 30 -
경계가 이동하는 경우,입사파의 영향으로 수위가 상승한 것으로,격자
   에서의 체적흐름율 Pi+ 1/2은 0보다 큰 값을 갖게 됨.따라서 격자 

와    사이에 존재하던 초기의 해안선은 육지방향으로 이동함.

본 과제의 수치모형에서는 연속방정식에서 새로운 자유수면변위와 전체수심


을 계산한 후에 격자 의 전체수심  가 0보다 작은 경우에는 해안선이 육

지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음.그러나  가 0보다 큰 경우에는 해안선이 육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다음과 같은 세 경우로 구분하여 이동여부를 검


사함.

-   ≤  이며     ≤  일 때,해안선은 격자  와    사이에 존

재하며,체적흐름율   은 0임.

-   ≤  이며       일 때,해안선은 육지방향으로 이동하여

격자   과    사이에 존재하며,체적흐름율   은 0이 아닐 수

도 있으며   은 0이 됨.범람수위는  =    가 됨.

-     일 때,해안선은 육지방향으로 이동하여 격자   과   사

이에 존재하며,체적흐름율   은 0


이 아닌 값을 가질 수 있으며,

  은 0이 됨.범람수위는   max         가 됨.

위의 세 경우를 포함하면 섬 또는 방파제와 같은 특수지형이 모의영역 내에


존재하더라도 개발된 이동경계조건의 적용이 가능하며,해안선이 외해방향으
로 이동할 때에도 수정 없이 사용이 가능함.또한,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위의 기법은 축 방향만을 고려한 것이지만  축 방향에 대해서도 같은 과정
을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음.

- 31 -
수치모의를 수행하는 동안 모든 격자에 대하여 위의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
엄청난 컴퓨터 사용시간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매우 비경제적임.따라서 범
람 우려가 전혀 없는 산악지형 등과 같은 고도가 높은 지역에 대해서는 적절
한 한계고도를 미리 설정하여 이동경계조건의 적용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경
제적이며 또한 효율적임.바닥마찰저항을 고려할 경우,Manni
ng공식은 분모
항에 전체수심을 포함하고 있어,해안선 근처의 격자에서 전체수심이 매우
작은 값을 갖는 경우에 바닥마찰저항이 매우 커지게 되어 비현실적인 해를
줄 수 있으므로,전체수심에 관한 최소 한계를 지정해 두었음.

3
.2수치모형실험 검증
3
.2.
1모형검증
동해안에 영향을 미친 대표적인 역사지진해일 중에서 우리나라에 가장 큰
피해를 입혔으며 당시의 검조기록이 존재하는 1983년 동해 중부 지진해일을

적용하여 수치모형의 정확성과 적용성을 검증함.속초항과 포항항을 대상 지

역으로 채택해 각 항에서 관측된 검조기록과 수치모의 결과를 비교함.


범람모형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해 1983년 동해 중부 지진해일 당시 범람

으로 인하여 큰 피해를 입었던 임원항에 대하여 처오름높이와 수치모의 결과

를 비교하였음.

가.비교대상 지역 및 초기 수면변위 구성
1)비교대상 지역
아래그림은 역사지진해일의 각 발생원별 검조소의 위치 및,속초항과 포항항
의 검조소 위치,임원항의 수심분포 및 지형고를 나타냄.

- 32 -
[
수심단위:m]

Fi
g.3.4 역사지진해일의 발생 및 비교대상 지역의 위치

[
수심단위:m]

Fi
g.3.5 속초항의 수심분포 및 검조소 상세 위치

- 33 -
[
수심단위:m]

Fi
g.3.6 포항항의 수심분포 및 검조소 상세 위치

*
수심이 양의 값임.[
단위:m]

Fi
g.3.7 임원항의 수심분포 및 지형고

- 34 -
2)초기 수면변위 구성
수치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1
983년 동해 중부 지진해일의 초기수
면형상을 Ma
nsi
nhaa
ndSmyl
ie
(197
1)의 모형을 통해 구성하였음.2
개의 단
층으로 이루어진 동해 중부 지진해일의 진원(
sour
ce)
은 남쪽 단층영역이 북
쪽 단층영역보다 면적은 작지만 변위는 큼.따라서 초기 최대수면변위는 남
쪽 단층의 왼쪽에 위치하며,그 크기는 4.
35m에 이름.

Fi
g.3
.8 198
3년 동해 중부 지진해일의 초기수면형상

- 35 -
나.1983
년 동해 중부 지진해일 수치모의
수치모형 검증 실험을 통한 19
83년 동해 중부 지진해일의 전파시간 분포도
로,등고선은 매 5분마다의 첫 번째 파의 선단을 의미함.울릉도에는 약 80

9
0분 사이에 첫 파가 도달하고 속초는 약 1
10분 정도에 도달함.그리고 시간
이 지남에 따라 파가 남쪽으로 전파하여 본 연구에서 비교하려는 항들 중에
서 가장 남쪽에 위치한 포항항에는 약 13
0분 정도에 첫 파가 도달함.따라서
수치모형 검증 실험은 비교대상 지역의 지진해일의 도달시간을 충분히 고려
하여 속초는 지진 발생 후 20
0분 동안 수행하였고 포항은 27
0분 동안 수행하
였다.

[
단위:mi
n]

Fi
g.3.9 1
983년 동해 중부 지진해일의 전파시간 분포도

아래그림은 1
983년 동해 중부 지진해일에 대하여 동해안의 속초와 포항의 검
조소에서 관측된 수면변위(
obs
erva
tion)
와 수치모형에 의한 계산결과
(
pre
dic
tion)
를 비교한 것이다.

- 36 -
Fi
g.3.10 1983년 동해 중부 지진해일의 속초 검조소에서의 수면변위 비교

Fi
g.3.11 1983년 동해 중부 지진해일의 포항 검조소에서의 수면변위 비교

수치실험결과는 속초항과 포항항의 검조기록과 비교적 잘 일치하고 있음.


전파도에서 알 수 있듯이 속초항은 포항항에 비해 파가 빠르고 높게 전파되
었는데,수치모형실험 결과는 이러한 속초항의 지진해일 최대 파고 높이 및
파형의 특징을 적절하게 재현하였음.포항항은 속초항에 비해 지진해일 주기
가 2
5∼5
0분인 장주기 성분이 우세함.이는 영일만에 의한 장주기 성분인 파
의 공진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기 때문인 것으로 보임.수치모형 실험 결
과가 관측된 검조기록을 잘 재현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국부지형의 효과 반영
이 적절히 반영되어 정확도가 높은 수치모의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됨.따
라서 본 연구에 적용한 실용적인 분산보정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지진해일을
실제 지형에 적용하고 검토한 결과,상당히 정밀한 수치모형실험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음.

- 37 -
[
수심단위:m]

Fi
g.3.12 임원항 지진해일 수치모의 결과값

- 38 -
Tabl
e3.2 임원항 현장조사 관측값과 수치모형실험 결과값의 처오름높이 비교
처오름 높이 (
m)
번호 위 치
현장조사 관측값 수치모형실험 결과값
1 거북상회 3.
5 3.
4
2 원덕수협 3.
4 3.
3
3 임원교 3.
8 3.
5
4 제1임원교(
왼쪽) 3.
3 3.
3
5 제2임원교 3.
7 3.
6
6 후릿마을 3.
9 3.
7
7 임원해수욕장 3.
9 3.
7

앞에서 설명한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19


83년 동해 중부 지진해일에 의한 임원
항의 처오름높이를 비교하였음.범람은 수치모형에서 이용되는 격자간격 5
m
의 상세영역 내에서 계산되었음.
도로의 북측에 위치한 상가와 가옥이 모두 침수되었음.바다에 가까운 지역
은 도로 전면까지 해일이 내습하였지만,내륙 깊은 곳은 가옥 두세 채를 지
난 곳까지 침수된 것을 알 수 있음.
또한,항구의 서측,임원천 하구에 분포하는 대부분의 모래사장으로 지진해일
이 범람하였고 이곳의 주택지 역시 침수되었음을 알 수 있음.이는 현장조사
로 인한 침수구역과 처오름높이 관측 값과 비교하여 상당히 근사한 결과를
보이고 있음.

- 39 -
3
.2.
2모형수립
가.계산영역의 구성
진원역으로부터 본 과업지역에 도달하는 지진해일의 크기를 정확하게 평가하
기 위해서는 파랑이 전달되는 위치의 해저지형을 실제에 가깝게 표현해야 하
고 이를 위해서는 유한차분 격자의 크기를 작게 해야 함.
본 연구에서는 큰 격자와 작은 격자의 크기 비를 3:
1로 하여 지형을 세분화
하여 작성하였음.이러한 방법으로 대상 영역의 격자를 분할하여 그 세부 영
역으로 다음과 같이 지형자료를 작성하였음.아래와 같이 각 영역별 계산 조
건을 나타냄.

1)격자체계
Tabl
e3.3 각 영역별 격자체계 및 계산조건

구 분 영역 A 영역 B 영역 C 영역 D 영역 E 영역 F

격자간격
1,
215 405 135 45 15 5
(m)

시간간격
3.
0 1.
0 0.
333 0.
111 0.
03704 0.
03704
(
sec)

1
,09

9
76×1
,11
4 955× 964 712× 688 646× 607 490× 457
격 자 수 1
,05
4
(
1,
087
,26
4개) (920,
620개)(
489,
856개)(
392,
122개)(
223,
930개)
(1
,15
2,0
22개)

외해경계 동시 동시 동시 동시 동시
자유투과
조건 격자접속 격자접속 격자접속 격자접속 격자접속

모 형 선형모형 선형모형 선형모형 선형모형 비선형모형 비선형모형

- 40 -
2)다중격자 연결모형 구성
광역(
A영역)
부터 상세역(
F영역)
까지 연결모형을 통해 격자구성됨.

[
수심단위:m]

<A ­ B영역> <B ­ D영역>

<D ­ F영역> <F영역>

Fi
g.3.13 다중격자 연결모형 구성을 위한 영역설정

- 41 -
나.수치실험 초기조건
발생원의 초기 수면변위를 추정하기 위해 초기 수면변위가 해저 변위의 연직
성분과 같다는 가정으로 다음과 같이 나타낸 단층파라미터를 기초로 한
Mans
hinhaandSmyl
ie
(19
71)
의 모형을 사용함.
가상지진해일은 우리나라에 지진해일 피해를 유발시킬 가능성이 매우 높은
일본 Hokkai
do와 Hons
hu의 서쪽 해안을 따라 남북으로 길게 발달된 단층대
에 설정된 1
1개의 잠재적 지진해일 발생원을 사용함.

Fi
g.3.14 지진해일 단층파라미터 개념도

Tabl
e3.4 각 영역별 격자체계 및 계산조건
단층 매개변수 정의
위도 및 경도 단층면의 위치
St
rikeangl
e,θ 단층면의 주향
Di
pangl
e,δ 단층면의 경사진 각
Sl
ipangl
e,λ 단층면이 미끄러지는 방향
Di
sloc
ati
on,D 단층면이 어긋난 변위량
Le
ngt
h,L 단층의 길이
Wi
dth,W 단층의 폭
He
ight
,H 단층면 상단의 깊이

- 42 -
1)가상지진해일 (
Cas
e01∼11)
가상지진해일 초기수면변위 생성을 위한 단층매개변수와 발생원 분포를 다음
과 같이 나타냄.

Tabl
e3.5 가상지진해일 초기수면변위 생성을 위한 단층매개변수
위치 θ H δ λ L W D
구분
위도( °
N) 경도(
°E) (
°) (
km) (
°) (°) (
km) (
km) (
m)
Case01 37.
50 137.
50 0.
0 1.0 40.
0 9
0.0 1
25.
9 62.
9 6.
30
Case02 38.
30 137.
70 14.
5 1.0 40.
0 9
0.0 1
25.
9 62.
9 6.
30
Case03 39.
00 138.
00 27.
5 1.0 40.
0 9
0.0 1
25.
9 62.
9 6.
30
Case04 39.
70 138.
40 17.
0 1.0 40.
0 9
0.0 1
25.
9 62.
9 6.
30
Case05 40.
20 138.
70 10.
0 1.0 40.
0 9
0.0 1
25.
9 62.
9 6.
30
Case06 40.
90 138.
90 1.
0 1.0 40.
0 9
0.0 1
25.
9 62.
9 6.
30
Case07 41.
70 139.
00 1.
0 1.0 40.
0 9
0.0 1
25.
9 62.
9 6.
30
Case08 42.
10 139.
10 4.
0 1.0 40.
0 9
0.0 1
25.
9 62.
9 6.
30
Case09 42.
90 139.
10 2.
0 1.0 40.
0 9
0.0 1
25.
9 62.
9 6.
30
Case10 43.
50 139.
20 2.
0 1.0 40.
0 9
0.0 1
25.
9 62.
9 6.
30
Case11 44.
40 139.
20 3.
0 1.0 40.
0 9
0.0 1
25.
9 62.
9 6.
30

Fi
g.3.15 가상지진해일의 발생원 분포도

- 43 -
2)역사지진해일 (
Cas
e12∼14)
본 연구에서 1
964년 역사지진해일을 Cas
e12
로,19
83년 역사지진해일을 Ca
se
1
3으로,19
93년 역사지진해일을 Ca
se1
4로 설정함.
가상지진해일 초기수면변위 생성을 위한 단층매개변수와 발생원 분포를 다음
과 같이 나타냄.

Tabl
e3.6 역사지진해일 초기수면변위 생성을 위한 단층매개변수
위치 θ H δ λ L W D
구분 비고
위도(°N) 경도(°E) (
°)(
km) (
°) (
°) (
km)(
km) (
m)
1964년
Cas
e12 38.
74 139.
72 189.
0 1.
0 56.
0 90.
0 80.
0 30.
0 3.
30
Ni
igata지진
40.
21 138.
84 22.
0 2.0 40.
0 90.
0 4
0.0 3
0.0 7
.60 1983년
Cas
e13
40.
54 139.
02 355.
0 3.0 25.
0 80.
0 6
0.0 3
0.0 3
.05동해중부 지진
42.
10 139.
30 163.
0 5.0 60.
0105.
0 2
4.5 2
5.012
.00
199
3 년 북해도
Cas
e14 42.
34 139.
25 175.
0 5.0 60.
0105.
0 3
0.0 2
5.0 2
.50
남서외해 지진
43.
13 139.
40 188.
0 10
.0 35.
0 80.
0 9
0.0 2
5.0 5
.70

Fi
g.3.16 역사지진해일의 발생원 분포도

- 44 -
다.실험안
지진해일 실험안은 현재상태와 정라항 입구부에 게이트를 배치한 계획안으로
구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다음과 같이 지진해일실험의 실험안을 도시함.

[
수심단위:m]

<현재상태>

<계획안>
Fi
g.3.17 지진해일실험 실험안

- 45 -
3
.3실험검토 및 결과
3
.3.
1.지진해일 전파도
Cas
e01,06,11의 가상지진해일과 Cas
e13의 역사지진해일의 수치모형실

험 결과를 통해 산출한 전파도이며,지진해일 발생 후 5분 간격으로 총 3시


간까지 출력한 지진해일 전파도를 제시함.

[
단위:mi
n]

<Cas
e01> <Cas
e06>

<Cas
e11> <Cas
e13>
Fi
g.3.18 가상지진 및 역사 지진해일 전파도

- 46 -
3
.2.
2지진해일고 및 침수심 관측위치
침수방지시설인 게이트 설치수심은 약최저저조위(
APP.
L.L.
W)기준 수심

5m 이며,지진해일 수치모형실험에서 지진해일고 및 침수심을 비교하기 위

한 관측점은 다음과 같이 도시함.

Fi
g.3.19 해일고 및 침수심 관측점 위치

3
.3.
3지진해일고 및 침수심
가상지진해일 11개와 역사지진해일 3개를 포함한 총 14개 Cas
e에 대한 실

험을 수행하여 실험안별 지진해일고 및 침수심을 산출하였으며,실험결과 삼


척항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되는 가상지진해일로는 Case02,

- 47 -
Cas
e04,Cas
e05,Cas
e06로 나타남.

현재상태 실험결과 항내의 지진해일고는 P01에서 최대 3.


15m로 나타났으
며,정라항 배후의 P21에 1.
49m의 침수심이 발생함.

정라항 입구부에 침수방지시설을 설치한 계획안의 경우 항내 최대해일고

는 3.
24m,침수방지시설인 방호벽 전면에서 최대0.
96m의 침수심이 발생하고
있으나,방호벽 설치시 삼척항과 정라항 배후지의 침수는 발생하지 않는 것

으로 나타남.

수치모형실험을 통해 침수방지시설의 침수 정도를 살펴본 결과 침수방지


시설의 설치로 인해 범람영역이 확연히 줄어 범람제어 효과가 상당한 것으로

보여지며,삼척항 주변지역은 지진해일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나 침수 방지

시설의 설치로 그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 48 -
Tabl
e3.7 실험안별 최대 지진해일고 및 침수심
[
단위:m]
현재 현재 현재
구분 계획안 구분 계획안 구분 계획안
상태 상태 상태

P01 3.
15 - P11 2.
26 2.
52 P21 1.
49 -

P02 3.
02 3.
24 P12 1.
50 1.
63 P22 0.
03 0.
25

P03 3.
05 3.
24 P13 1.
39 1.
52 P23 0.
65 0.
80

P04 3.
06 3.
24 P14 0.
18 0.
55 P24 - 0.
38

P05 2.
92 3.
19 P15 0.
71 0.
96 P25 - 0.
28

P06 2.
93 3.
21 P16 - 0.
24 P26 - -

P07 2.
84 3.
19 P17 0.
87 - P27 0.
26 0.
54

P08 2.
82 3.
20 P18 0.
30 - P28 0.
46 0.
68

P09 2.
76 3.
13 P19 0.
37 - P29 - -

P10 2.
61 2.
97 P20 - - P30 - -

Fi
g.3.20 실험안별 최대지진해일 침수심 비교도

- 49 -
[
해일고단위:m]

Fi
g.3.21 지진해일 침수예상도(
현재상태)

[
해일고단위:m]

Fi
g.3.22 지진해일 침수예상도(
계획안)

- 50 -
제 4장 침수피해 방지시설 구축
4
.1구조물에 작용하는 파력산정
가.개요
지진해일에 대한 연구는 1960년에 발생한 칠레지진해일 이후 선진국인
미국과 일본 등에서 활발히 진행되어왔으며,연구는 주로 지진해일 예측을

위한 모형 개발 및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재대책 등에 초점이 맞춰져

수행되어왔다.특히,미국과 일본의 경우,지진해일 매뉴얼에 지진해일 파


력식을 제안하여 해안구조물 설계시 반영하도록 권장하고 있다.반면,우

리나라의 경우 지진해일 파력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상태이며 항만

설계기준서인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해양수산부,2005)
에도 지진해일 파
력에 관해 수중 구조물에 한해서만 제시됨.

여기서는 해상의 구조물에 작용하는 지진해일 파력과 육상 구조물에 작

용하는 지진해일 파력으로 나누어,그 개요를 서술한다.지진해일의 파력


은 다양한 조건에 따라 그 값이 크게 변화할 뿐 아니라,공간적,시간적으

로 불규칙성도 있어,산정식에 의해 얻어지는 파력이 반드시 실제의 지진

해일 파력을 정확히 산정할 수 없다는 것에 주의할 필요가 있음.

나.구역별 지진해일고 및 침수심


지진해일 수치실험결과 항만구역을 통과한 해일은 방호벽 설치지점 평

균 지반고 DL(
+)3.
0m로서 최대 침수심 0.
8m로 나타났으며,어항구역은 직

립식 물양장으로 지진해일 수치실험결과 최대 침수심 0.


96m로 나타남.
따라서,항만구역이 어항구역보다 지반고는 1.
0m정도 높으나 항만구역

육상 침수고는 DL(
+)3
.80m,어항구역의 육상 침수고는 DL(
+)3
.0m로 나타남.

- 51 -
Tabl
e4.1 최대지진해일고 및 침수심
(
단위 :m)

구분 현재상태(
설치전) 게이트 방호벽 설치후 비고

① (
배후지) 1.
49(
육상침수심) -

② (
방호벽) 0.
71(
육상침수심) 0.
96(
육상침수심) 어항구역

③ (
방호벽) 0.
65(
육상침수심) 0.
80(
육상침수심) 항만구역

④ (
게이트) DL(
+)3
.02(
해일고) DL(
+)3.
24(
해일고)

⑤ (
오십천) DL(
+)1
.50(
해일고) DL(
+)1.
63(
해일고)

Fi
g.4
.1 지진해일 수치실험 침수구역도

- 52 -
다.설계조건(
삼척항)
설계조위
-약최고고조위(
App.H.
H.W):DL(
+)0.
350
m
-평균해면(
M.S.
L):DL(
+)0.
175
m
-약최저저조위(
App.L.
L.W):DL(
+)0.
000
m
지진해일고(
해상):DL(
+)3
.24
m
최대침수심(
육상):0
.80
~ 0.
96m
Tabl
e4.2 대상구조물 규모

구조물 규 격(
m) 수 량 비 고

해상 게이트 4
0W×7.
1H×4.
0(두께) 1기

방호벽 H =1.
3~ 1.
5m 946m
육상
방호문 H =1.
0~ 1.
3m,B =8~12m 9개소

라.파력산정
다양한 연구가 발표되어 그 우수성을 인정받은 Cho(
2007)
의 2차원 지진
해일수치모형실험을 이용하여 수치모의를 수행한 결과를 토대로 계산된

지진해일 파력을 도시함.

수치모형 실험에서 산정된 침수고 및 입사파고 값으로 구조물에 작용하


는 정수력과 동수력을 산정하여 설계시 적용함.

- 53 -
1)해상구조물(
게이트)

Fi
g.4.2 해상구조물(
게이트)파력분포도

2)육상구조물(
방호벽)

<외측 <내측

Fi
g.4.3 육상구조물(
방호벽,방호문)파력분포도

- 54 -
4
.2지진해일 침수피해방지시설 구축
가.개요
게이트는 대상 항만에 대한 특성을 검토하여 입지여건 및 항만이용 실

태에 따라 게이트 형식이 결정됨.

항만의 입지적 여건과,항만의 이용실태 등으로 크게 구분되며,입지여


건으로는 수심,항입구 폭 및 주변시설물 여건 등에 관한 사항이고,항만의

이용실태는 항만의 기능을 담당하는 각각의 요소들로 대표적인 항목이 대

상선박의 규모와 운항빈도로 정해짐.


대상항만인 삼척항은 수시로 선박이 입・출항 하는 장소이므로 게이트가

설치되어도 운항하는 최대 선박이 안전하게 운항할 수 있어야 함.

게이트는 지진해일 발생시 정라항 입구를 차폐하여 배후지를 방호하기


위한 시설로서 개폐조작이 가능하고 구조적 안정성,유지관리등 충분한 관

리체계를 고려해야함.

방호벽과 방호문은 육상에 항만구역과 어항구역으로 구분하여 설치되며,


게이트 시설과 연계하여 차단벽을 설치함으로써 해일발생시 배후지의 침

수피해를 방지하는 구조물임.

- 55 -
나.게이트시설
게이트 형식은 일본에서도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고,해일발생시 수문

개폐시간이 빠른 수직 리프트 게이트(


Ver
tic
alLi
ftGat
e)를 적용하였음.

평 면 도 정 면 도

형식 폭 문비높이 통과높이 차폐시간 비 고


쉘구조 롤러식 B=40.
0m H=7.
1m H=19.
0m 15분 우물통 기초
Fi
g.4.4 게이트 시설계획도

Fi
g.4.5 게이트 시설 조감도

- 56 -
다.방호벽,방호문 시설계획
시설계획시 항만구역은 침수방지기능과 보안울타리 기능을 병행하고 어항구
역은 침수방지기능과 평상시 차량통행 및 이용자 동선이 원활하도록 해야 함.
따라서,향후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구조물 기능의 적정성을 고려하여 방호벽
은 옹벽식 구조형식을 적용하고 방호문은 횡 슬라이딩게이트 형식을 적용함.

평 면 도

방호벽 단면도 방호문 단면도

구 분 형 식 연 장 DL.
(+) 설치위치 비 고
방호벽 옹벽식 946
.0m 4.
30~4.
60 항만구역 상부 :보안휀스
방호문 수평 개폐식 92.
0m(
9개소) 3.
70~4.
40 항만/
어항구역 -
Fi
g.4.6 방호벽,방호문 시설계획도

- 57 -
제 5장 결 론

최근들어 태풍,지진해일로 인한 연안 및 항만구역에서 자연재해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국가적 차원에서 국민의 인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대


응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임.

우리나라 동해안에서 발생하는 지진해일은 진원이 일본 서해안 단층대에

위치하고 있어 동해를 가로질러 전파하는 과정에서 큰 에너지 분산이 일어나


고 심한 비선형 효과의 영향을 받게 되어 지진해일이 발생하게 되면 일본보

다 시간적인 여유는 있으나,물리적 양상에 근거한 차이가 있으며 기상청 특

보 발령후 90분내에 동해안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됨.


본 연구에서는 대상 해역(
삼척항)
에 대한 지진해일 수치모형 실험을 실시

하여 지진해일 발생 시나리오를 재현하고 침수,범람현상과 침수구역에 대한

침수고를 산정하여 육․해상 구조물에 작용하는 파력을 적용하여 시설물을


구축하였음.

지진해일 수치모형실험을 통한 설계외력 조건을 적용하여 설계에 반영하

여 방재시설 설계의 기초자료로서 활용이 필요함.


항만주변지역의 재해취약지구 정비 선도사업으로 추진되는 삼척항 지진해

일 침수방지시설은 수직리프트 게이트,방호벽,방호문을 설치함으로써 지진

해일은 물론 폭풍해일 등으로부터 배후지역의 침수피해를 원천적으로 예방


하고 지역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안전하게 보호할 것으로 기대됨.

향후 지진해일 수리모형실험 등을 통한 수치결과와의 비교 ·검증과 지진

해일 특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 져야할 것으로 판단되며,우리나라의 특성


에 맞는 지진해일 파압 산정기준 적립과 설계기법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됨.

- 58 -
참 고 문 헌

국립방재연구소(
1998)
.동해안에서의 지진해일 위험도 평가.

해양수산부 (
200
5).항만 및 어항 설계 기준.

Cho
,Y.
-S.
,So
hn,D.
-H.a
nd Le
e,S.
-O.(
200
7)Pr
act
ica
lmo
dif
ieds
che
me o
f
l
ine
ars
hal
lo
w-wa
tere
qua
tio
ns f
ordi
sta
ntpr
opa
gat
iono
fts
una
mis
.
Oc
eanEngi
nee
ring,Vo
l.3
4,No
.8,p.1
,76
9∼1
,77
7.

朝倉良介・岩瀬浩二・池谷毅・高尾誠・金戸俊道・藤井直樹・大森政則(
200
0)護岸
を越流した津波による波力に関する実験的研究,海岸工学論文集 第4
7巻,
p
p.9
11-9
15

국립방재연구소(
2010)
.지진해일 범람특성 분석을 통한 침수예상도 작성.

국토해양부(
2011)
.기후변화에 따른 항만구역내 재해취약지구 정비계획수립.

홍성수,하태민,조용식(
2011)
.지진해일에의한 해안구조물에 작용하는 힘,
한국방재학회논문집,제11권,제2호,pp.
171~177.

해양수산부(
2013)
.삼척항 지진해일 침수방지시설공사.

송민종,홍창배,신재완,조용식(
201
3).지진해일에 의한 육상구조물에 작용하
는 파력산정,한국해안·
해양공학발표논문집 제21권,pp.
87~90.

Oka
da,T.
,Suga
no,T.
,Is
hika
wa,T.
,Ohgi
,T.
, Ta
kai
,S.
, Ha
mabe
,C.
(
200
0)St
ruc
tur
alDe
signMe
tho
dofBui
ldi
ng f
orTs
una
miRe
sis
tenc
e
(
pro
pos
ed)
.Bui
ldi
ng Te
chno
logy Re
sea
rchI
nst
it
ute
,The Bui
ldi
ng
Ce
nte
rofJ
apa
n.

- 59 -
ABSTRACT
St
udy ofCount
er-St
ruct
uresagai
nst

TsunamiAt
tack

Hak-Sun, OH
Dept. of Civi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Re
cent
lys
eve
ralc
atas
trophi
cts
unami
shavebe
enocc
urr
edar
oundt
he
Pac
ifi
cOc
eanr
im.

Amongt
hem,t
heEas
tJapanTsunamiocc
urr
edonMar
ch11,2011has

at
trac
teds
oci
alands
cie
nti
fi
cat
tent
ion.
The Ts
unamiki
ll
ed (
inc
ludi
ng mi
ssi
ng)mor
ethan 20,
000 pe
opl
e and

de
pri
vedofe
nor
mouspr
ope
rty.

The mos
t ef
fec
tive and e
conomi
c way f
or t
he mi
ti
gat
ion pl
anni
ng
agai
nstt
sunamidi
sas
ter
sist
o de
vel
op an e
mer
genc
y ac
tion pl
an al
ong

t
hec
oas
tli
nevul
ner
abl
etoune
xpec
tedt
sunamiat
tac
ks.

Thepl
an s
houl
d be de
vel
oped base
d on t
hehi
stor
icalt
sunamie
vent
s
andt
hepr
oje
cte
dsce
nar
ios
.

I
nthi
sst
udy,at
sunamipr
ote
cti
on pl
anni
ng i
sde
vel
opedatSamc
heok

Por
t,amai
nhar
borofGangwonPr
ovi
nceofKor
ea.
A wa
terga
tei
sde
signe
datt
hee
ntr
anc
eofJ
ungr
aFi
she
ry Po
rtl
oca
ted

ne
xtt
oSamc
heokPo
rta
nda
bout1km pr
ote
cti
ngwa
lli
spl
anne
dtobebui
lt

a
longt
hema
ximum i
nunda
tionl
inea
gai
nstpr
oba
blemaxi
mum t
suna
mis
.

- 60 -
감사의 글

본 논문을 완성하기까지 격려해주시고 많은 도움을 주신 모든 분들께 깊

은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석사과정동안 기술자로서 배움의 열정을 가지고 들어온 저에게 힘

이 되어 주시고,전과정을 뜻있게 마칠 수 있도록 격려와 지도편달을 아낌

없이 해주신 조용식 교수님,이정규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오랜 직장생활에서의 “
터닝포인트”
를 갖게 해주시고 학업에 최선을 다할

수 있도록 격려와 배려를 해주신 (


주)세광종합기술단의 이재완 회장님께 진

심으로 감사를 드리고,또한 회사 임직원 여러분께도 깊은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특히,바쁜 일정에도 논문에 대한 성원과 도움을 준 해안개발연구소 연구

원들께도 고마움을 전하며,그 동안 함께 동고동락한 공학대학원 동료 및

선후배 원우들께도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끝으로,몸이 불편하심에도 잘 이겨 내시고 지켜봐 주신 부모님께 사랑하

는 마음과 감사를 드리고,곁에서 조언을 아끼지 않고 힘이 되어준 사랑하

는 아내,건강하게 꿈을 갖고 앞으로 나아가는 사랑스런 딸 원영,아들 승준

에게도 이 작은 보람과 기쁨을 함께 하고 싶습니다.

2014년 12월 오 학 선

- 61 -
- 62 -
- 63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