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docx, pdf, or txt
Download as docx,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

똑같은 모습과 상황을 보더라도 생각지도 못한 것들을 찾아내는 사람들이 있다.

『우아한 관찰주의자』는
우리가 그러한 사람이 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려주고 있다.
데릭 케욘고는 호텔 투숙 중에 손님들이 한 번 쓴 비누가 버려진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리고 이 발견을
빈곤국 아이들을 위한 아이디어로 확장시키면서 CNN 선정 10 인의 영웅에 올랐다. 다른 위대한 업적을
남긴 사람들 역시 뛰어난 통찰력을 가지고 있었다. 우리가 보고 이해하고 행동까지 이어갈 수 있는 능력은
뇌의 처리 능력에 따라 달라진다고 한다. 즉, 학습과 여러 경험을 통해 이 능력을 강화시킬수록 더 많은
것을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 흔히 사용하는 ‘아는 만큼 보인다’라는 문장에 뇌와 시각 능력의 관계가
내포되어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뇌의 처리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고안해낸 방법은 미술 작품들을 감상하고 관찰하는 것이다. 미술 작품은
우리에게 관찰할 수 있는 수많은 기회를 제공해 주는 가장 적합한 도구이다.
새로운 장면이나 환경을 평가하는 과정에서 첫번째 과정은 사실을 모두 수집하는 것이다. 사실을 강조하는
이유는 관찰하면서 사실이 아닌 것들을 사실처럼 인지하는 실수를 많이 저지르게 되기 때문이다. 사실이
아닌 정보를 수집하면서 관찰을 하게 되면 당연히 그것으로부터 얻은 결과에 많은 오류들이 담겨 있을
수밖에 없다.
두번째 단계는 관찰을 통해 얻은 정보들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과정이다. 아주 핵심적인 정보들이더라도
분석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면 모두 무용지물이 되기 마련이다. 이 단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물리적
관점의 변화이다. 평범한 사람들이 관찰할 때 자주 보이는 것은 선호하는 관점이 있다는 것이다. 바라보는
관점이 변하지 않는다면 분석하는 과정도 항상 똑같을 수 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여러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또한 정보에 대한 우선순위를 매기는 것도 중요하다. 알고 있는 객관적 사실들을
나열한 후 순위를 매기면서 자신이 정확히 알고 있는 것과 모르는 것에 대한 상황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세 번째 단계인 설명하기는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평가하고 분석한 중요한 정보들을 알려주는 과정이다.
정확한 설명을 통해서 각종 착오를 줄이기 위해서는 원활한 의사소통이 필수적이다. 이런 의사소통에 대한
설명 중에서 놀라웠던 부분은 ‘사실은’, ‘명백히’, ‘확실히’라는 단어 표현을 피하라는 것이다. 단어 자체에
이미 화자의 주관적 입장이 개입되어 있어 청자가 이해하기 어렵고 불편할 수 있다. 자신의 메시지가 잘
전달되었는지 확인하는 것도 없어서는 안되는부분이라고 했다.
마지막으로 적용하기 단계는 불확실성을 탐색하고 타고난 편견을 극복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주고 있다.
가끔씩 무의식적인 편향으로 인해 우리는 잘못된 정보를 선택하기도 한다. 이것을 깨닫게 해주는 사례가 이
책에 있는 한 사진이다. 이 사진에는 평범한 옷차림의 흑인 남성이 앞에서 달려가고 있고 그 뒤에 경찰복을
입은 백인 남성이 달려가고 있다. 이 사진을 본 많은 사람들은 흑인이 백인 경찰에게 추격당하고 있다고 답을
했다. 런던 경찰국 광고에 쓰인 사진 속 두 인물은 사실 모두 경찰이다. 무의식 속에 있던 편견이 오해의
길로 안내한 것이다. 이처럼 실체가 파악되지 않는 불확실한 상황에서 객관적인 관찰과 분석이 필요하다.
이 네 가지 과정을 모두 할 수 있게 된다면 이 책의 제목처럼 우아한 관찰주의자로 거듭날 수 있을 것 같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