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2

화학Ⅰ 1.

화학의 첫걸음(01)

1. zb1 ) 다음은 과학이 인류의 문명에 영향을 끼친 사례 3. zb3 ) 다음은 원자량,  몰의 질량, 원자 수에 대한 설명
이다. 이다.

질소는 식물의 생장에 필수적인 원소이지만, 공기 중의 원자량은 질량수가  인 탄소 원자 C   개의 질량


질소를 직접 사용하기 어려웠다. 하버-보슈법은 공기 을  으로 정하고, 이것을 기준으로 하여 나타낸
중의 질소와 수소를 반응시켜 ㉠A 를 대량으로 제조 원자의 상대적 질량이다.
하는 방법이다.  몰의 질량은 화학식량에 g을 붙인 질량으로 
C 몰
㉡철은 자연 상태에서 산소와 결합한 형태인 철광석 의 질량은 g이다.
FeO  으로 존재한다. 따라서 철을 이용하기 위해 
C g에 들어 있는 
C 원자 수는  × 이
서는 철의 제련을 통해 철광석에서 대량의 철을 얻어 다.
다양한 분야에 이용하고 있다.
C 의 원자량을  으로 정할 때, 이에 대한 설명으
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단, C 의 원자량이  일 때, 
O 의 원자량은
ㄱ. 물질 A 는 상온에서 쉽게 합성된다.  이다.)
ㄴ. A 의 대량 생산으로 식량 증산에 크게 기여하였다. <보기>
ㄷ. ㉡은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금속이다. ㄱ. C  몰에 들어 있는 원자 수는  ×  ×  이다.


ㄹ. ㉡은 가볍고 단단하여 창틀, 건물 외벽 등에 이용된 


ㄴ. C 원자  개의 질량은 

g이다.
다.  × 
ㄱ, ㄴ ㄱ, ㄷ
ㄷ. 기준이 바뀌면  C → ) ℃  기압에서
ㄴ, ㄷ ㄴ, ㄹ CO g  몰의 밀도는 커진다.
ㄴ, ㄷ, ㄹ ㄱ ㄴ
ㄷ ㄱ, ㄴ
ㄴ, ㄷ
2. zb2 ) 다음은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 가지 물질을 나타
낸 것이다.

메테인 암모니아 에탄올 아세트산


표는 위의  가지 물질을  가지 기준에 따라 각각 분류
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분류기준 예 아니요
구성 원자 수가  개 이하인가? ㉠ ㉡
 기압, ℃ 에서 액체인가? ㉢ ㉣
완전 연소시 이산화탄소가 생성되는
㉤ ㉥
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과 ㉢에 해당하는 물질은 같다.
ㄴ. ㉠과 ㉤에 공통으로 해당하는 물질은  가지이다.
ㄷ. ㉣과 ㉥에 공통으로 해당하는 물질의 대량 생산은 식
량 생산 증대에 기여하였다.
ㄱ ㄴ
ㄷ ㄱ, ㄷ
ㄴ, ㄷ

I410-ECN-0199-2022-001-000168432 - 1 -
[최다오답 공략] 1.화학의 첫걸음(01)

4. zb4 ) 표는 ℃ ,  기압 상태에 있는 기체 A , 기체 B , 6. zb6 ) 표는 X ∼ Z 원자  개의 질량과 X ∼ Z 중  가지


액체 에탄올( C HOH )에 대한 자료이다. 원소로 구성된 분자 (가)~(다)에 대한 자료이다.

분자량 분자 수 질량( g) 부피( L ) 밀도( gL ) 원자 X Y Z


A   원자  개의  
 ×   ×   × 
질량 g  
B  
에탄올  
 × 
분자 (가) (나) (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분자당 구성


  
원자 수
고른 것은? (단, ℃ ,  기압에서 기체  몰의 부피
g당 Z원자 몰   
는 L 이며, 아보가드로수   ×  이다. 탄소의   
수   
원자량은  이다.) 분자량   
<보기>

ㄱ. 질량이 가장 큰 것은 A 이다.  는? (단, X ∼ Z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고 아보가드
 
ㄴ. g에 들어 있는 분자 수가 가장 많은 것은 B 이다. 로수는  × 이다.)
ㄷ. 에탄올 g에 들어 있는 탄소원자의 몰수는  몰이
 
다. 
 

ㄱ ㄱ, ㄴ  
ㄱ, ㄷ ㄴ, ㄷ 
 

ㄱ, ㄴ, ㄷ 

5. zb5 ) 표는  ℃,  기압에서 원소 X ~ Z로 이루어진 기 7. zb7 ) 표는 일정한 온도와 압력에서  가지 기체 분자에


체 (가)~(다)에 대한 자료이다. 대한 자료를 나타낸 것이다.

기체 분자식 분자량 질량( g) 부피( L ) 단위 질량당 단위 질량당


분자 분자량
(가) X Y   부피 Lg 원자수(상댓값)

(나) X Y Z   X   

(다) YZ   Y   
X Z   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X ~ Z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고,  ℃,  기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압에서 기체  몰의 부피는 L 이다.) 고른 것은?

<보기> <보기>

ㄱ. 원자량은 Y 가 X 의  배이다. ㄱ.  는  이다.

ㄴ. (나) g에 포함된 Z의 질량은 g이다. ㄴ.  는  이다.

ㄷ. g에 포함된 총 원자 수 비는 (가) : (나) =    이 ㄷ.  는  이다.


다. ㄴ ㄷ
ㄱ ㄴ ㄱ, ㄴ ㄱ, ㄷ
ㄷ ㄱ, ㄷ ㄴ, ㄷ
ㄱ, ㄴ, ㄷ

I410-ECN-0199-2022-001-000168432 - 2 -
[최다오답 공략] 1.화학의 첫걸음(01)

8. zb8 ) 다음은 나트륨 조각을 물에 넣어 수소 기체가 발 10.


zb1 0 ) 다음은 광합성의 화학 반응을 나타낸 것이다.
생하는 반응의 화학 반응식을 나타낸 것이다.
aNas bHO l  → cNaOHaq  dH g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것은? (단, 포도당의 화학식량은  이다.)
고른 것은? (단, a ∼ d는 반응 계수이고 Na 의 원자량
<보기>
은  이며 ℃  기압에서 기체  몰의 부피는 L
이다.) ㄱ. 물의 양이 충분할 때, 포도당 g 을 만들려면 이산화
탄소가  몰 만큼 필요하다.
<보기>
ㄴ. 포도당의 성분 원소는  가지이다.
ㄱ. a b c d이다.
ㄷ. 광합성의 생성물은 모두 분자이다.
ㄴ. 생성물의 부피비는 NaOH  H     이다.
ㄱ ㄷ
ㄷ. ℃  기압에서 수소 기체 L 가 발생할 때, 반응
ㄱ, ㄴ ㄴ, ㄷ
한 나트륨의 질량은 g이다.
ㄱ, ㄴ, ㄷ
ㄱ ㄷ
ㄱ, ㄴ ㄱ, ㄷ
ㄴ, ㄷ

11.
zb1 1 ) 다음은 기체 A , B 가 반응하여 기체 C 를 생성하
는 반응의 화학 반응식이다. 표는 실린더에 기체 A
와 B 를 넣고 반응시켰을 대 반응 전과 후의 기체에
9. zb9 ) 다음은 여러 가지 화학반응식을 나타낸 것이다. 대한 자료이다.
(가) C H  a O → bCO  cHO Ag  B g → C g
(나) KClO → dKCl  eO 반응 전 반응 후
(다) NaN → f Na  gN 전체
실험 A의 B의 A의 B의
기체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 질량( g) 질량( g ) 질량( g) 질량( g)
부피( V )
로 고른 것은? (단, a ∼ g는 화학반응식의 계수이고
Ⅰ     V
화학식량은 KClO   , NaN   이며 표준상태
Ⅱ     V
에서 기체  몰의 부피는 L 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
<보기>
로 고른 것은? (단, 온도와 압력은 일정하다.)
ㄱ. b d f   이다.
<보기>
ㄴ. (나)에서 표준상태에서 산소 L 를 얻으려면 염소
ㄱ.  는  이다.
산칼륨(KClO ) g이 필요하다.
ㄴ. V 는 V 의  배이다.
ㄷ. (다)에서 질화 나트륨(NaN ) g를 반응시키면 
몰의 질소 기체가 발생한다. ㄷ. 분자량은 C 가 B 의  배이다.

ㄱ ㄴ ㄱ ㄴ

ㄱ, ㄴ ㄴ, ㄷ ㄱ, ㄷ ㄴ, ㄷ

ㄱ, ㄴ, ㄷ ㄱ, ㄴ, ㄷ

I410-ECN-0199-2022-001-000168432 - 3 -
[최다오답 공략] 1.화학의 첫걸음(01)

12. zb1 2 ) 다음은 Ag 와 B g 가 반응하여 C g 를 생성하 13.


zb1 3 ) 다음은 기체 A 와 B 가 반응하여 기체 X 를 생성
는 반응의 화학 반응식이다. 하는 화학 반응식을 나타낸 것이다.
Ag B g → C g Ag  B g → X g (   는 반응 계수)
표는 실린더 (가), (나)에 Ag B g 의 양을 달리하여 그림은 Ag g이 들어 있는 실린더에 B g 를 조금씩
넣고 각각 반응을 완결시켰을 때, 반응 전과 후 기체 넣어가면서 반응을 완결시켰을 때, 넣어준 B 의 질량
에 대한 자료이다. 에 따른 반응 후 전체 기체의 부피(상댓값)를 나타낸
것이다.
실린더 반응 전 반응 후
몰비 몰비
(가)
AB ab AC 
질량비 질량비
(나)
AB  AC 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a  b    이다.
ㄴ. 분자량 비는 A  B     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ㄷ. (나)에서 반응 후 실린더 내 기체의 몰비는 고른 것은? (단, 반응 전과 후 온도와 압력은 일정하
A  C     이다. 다.)
ㄱ ㄱ, ㄴ
<보기>
ㄱ, ㄷ ㄴ, ㄷ
ㄱ.      이다.
ㄱ, ㄴ, ㄷ  
ㄴ. A 의 분자량은 X 의 분자량의  배이다.

ㄷ. (가)에서 반응 후 생성된 X 의 몰수는 반응하지 않고
남은 A 의 몰수의  배이다.
ㄹ. (나)에서 반응 후 남은 B 를 모두 반응시키기 위해 필
요한 A 의 질량은 g이다.
ㄱ, ㄷ ㄱ, ㄹ
ㄴ, ㄹ ㄱ, ㄴ, ㄷ
ㄴ, ㄷ, ㄹ

I410-ECN-0199-2022-001-000168432 - 4 -
[최다오답 공략] 1.화학의 첫걸음(01)

14.
zb1 4 ) 그림은 일정한 부피의 용기에서 기체 A 와 B 를 15.
zb1 5 ) 다음은 탄산칼슘 CaCO  과 묽은 염산 HCl  의
넣어 C 를 생성하는 화학 반응을 모형으로 나타낸 반응에서 생성되는 기체 X 의 분자량을 구하기 위한
것이다. 실험이다. 탄산칼슘의 화학식량은 M 이다.
(가) 전자저울에 약포지를 올려놓고 영점을 맞춘 뒤 탄산
칼슘 가루의 질량   을 측정하였다.

(나) 반응하기에 충분한 양의 묽은 염산이 들어 있는 삼


각 플라스크의 질량을 측정하였더니   이었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단, 반응 전과 후의 용기의 온도는 동일하다.) (다) (나)의 삼각 플라스크에 (가)의 탄산칼슘을 넣었더니
기체 X 가 발생하였다.
<보기>
CaCO  HCl → CaCl  HO  X
ㄱ. 생성물 C 는  원자 분자이다.
(라) 반응이 완전히 끝난 후 용액이 들어 있는 삼각 플라
ㄴ. 반응식은 A B  → C 이다.
스크의 질량을 측정하였더니   이었다.
ㄷ. 용기내의 압력은 반응 전이 반응 후보다 크다.
ㄱ ㄴ
ㄷ ㄱ, ㄴ
ㄴ, ㄷ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물의 증발과 물에 대한 기체 X 의 용
해는 무시한다.)

<보기>
ㄱ. 기체 X 는 CO 이다.
w
ㄴ. (가)에서 탄산칼슘의 몰수는  이다.
M
M × w  w 
ㄷ. 기체 X 의 분자량은  이다.
w
ㄱ ㄷ
ㄱ, ㄴ ㄴ, ㄷ
ㄱ, ㄴ, ㄷ

I410-ECN-0199-2022-001-000168432 - 5 -
[최다오답 공략] 1.화학의 첫걸음(01)

16.
zb1 6 ) 다음은 탄산 칼슘과 묽은 염산의 화학 반응식이 17.
zb1 7 ) 다음은 탄소 C  가 연소될 때 부피 변화를 알아보
다. 그림은  ℃,  기압에서 묽은 염산( HCl ) 는 실험이다.
mL 가 담긴 삼각 플라스크에 탄산 칼슘( CaCO )
(가) ℃ 에서 실린더 속에 탄소C  g과 산소O  
g을 넣고 반응시켰을 때, 시간에 따른 삼각 플라
g을 넣고 피스톤이 정지하면 피스톤을 고정한다.
스크의 질량을 나타낸 것이다.

CaCO  HCl → CaClHO CO 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나) 실린더 속의 탄소가 완전히 연소되도록 한다.


고른 것은? (단, HO , CO , CaCO의 화학식량은 각 (다) 실린더 속의 온도를 ℃ 로 냉각한 뒤, 피스톤의 고
각  ,  ,  이고,  ℃,  기압에서 기체  몰의 부 정 장치를 푼다.
피는 L 이며, 물의 증발은 무시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보기> 고른 것은? (단, C O 의 원자량은 각각   이고,
피스톤의 마찰과 질량, 고체의 부피는 무시한다.)
ㄱ. 시간 에서 탄산칼슘은 모두 반응한다.
<보기>
ㄴ. 생성된 이산화탄소의 부피는 mL 이다.
ㄱ. C s 가 완전 연소되면 실린더 속에는 O g 와
ㄷ. 반응 전 묽은 염산의 몰 농도는 M 이다.
CO g 가 함께 존재한다.
ㄱ ㄴ
ㄴ. 연소 후 실린더 속에는 총  몰의 물질이 있다.
ㄱ, ㄷ ㄴ, ㄷ
ㄷ. 기체의 부피는 연소 후가 전보다 작다.
ㄱ, ㄴ, ㄷ
ㄱ ㄴ
ㄱ, ㄷ ㄴ, ㄷ
ㄱ, ㄴ, ㄷ

I410-ECN-0199-2022-001-000168432 - 6 -
[최다오답 공략] 1.화학의 첫걸음(01)

18.
zb1 8 ) 다음은 기체 A 와 B 가 반응하여 기체 C 를 생성 20.
zb2 0 ) 다음은 C 에서 M 설탕물을 만들기 위한
하는 반응의 화학 반응식이다. 과정 (가)~(마)이다. 설탕의 분자량은  이다.
AgB g→C g (는 반응 계수) (가) 전자저울에 약포지를 올려놓고 영점 조절을 한 후,
그림은 실린더에 A 와 B 를 넣고 반응을 완결시켰을 때 설탕 g을 측정한다.
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나) 증류수가 들어 있는 비커에 설탕을 녹인 후, 설탕물
을 L 부피 플라스크에 넣는다.
(다) 비커에 묻어 있는 설탕물을 증류수로 씻어 부피 플
라스크에 넣는다.
(라) 부피 플라스크에 증류수를 채워 표선까지 맞춘다.
(마) 부피 플라스크에 마개로 막고 용액을 골고루 섞는다.
(가)~(마) 중 한 과정만을 다르게 수행했을 때, M 보
다 낮은 농도의 설탕물이 만들어진 경우만을 <보기>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고른 것은? (단, 기체의 온도와 대기압은 일정하고, 피
스톤의 질량과 마찰은 무시한다.) <보기>
ㄱ. (가)에서 영점 조절을 한 후, 약포지의 질량을 설탕의
<보기>
질량에 포함해 g을 측정하였다.
ㄱ. 반응 전과 반응 후의 원자 수 비는    이다.
ㄴ. (다)에서 비커에 묻어 있는 설탕물을 부피 플라스크에
ㄴ.    이다. 씻어 넣지 않았다.
ㄷ. 실린더 내부 기체의 밀도는 반응 전:반응 후 V  V ㄷ. (라)에서 증류수를 채우다가 표선을 넘겨서 용액을 덜
이다. 어내 표선에 맞췄다.
ㄱ ㄷ ㄱ ㄴ
ㄱ, ㄴ ㄱ, ㄷ ㄱ, ㄷ ㄴ, ㄷ
ㄱ, ㄴ, ㄷ ㄱ, ㄴ, ㄷ

19.
zb1 9 ) 화학식량이  인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의 농도를
여러 가지로 계산한 내용 중 옳은 것은? (단, 혼합
용액의 부피는 혼합 전 각 용액의 부피 합과 같다.)

수산화나트륨  몰을 g의 물에 녹인 용액의 농도


는  이다.
물 g에 수산화나트륨 g을 녹인 용액의 농도는
 이다.
밀도가 gml 인 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의 농도
는 M 이다.
수산화나트륨 g을 물에 녹여 전체 부피가 mL 가
되게 한 용액의 농도는 M 이다.
M 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mL 에 M 의 수산
화 나트륨 수용액 mL 를 섞은 용액의 농도는 M
이다.

I410-ECN-0199-2022-001-000168432 - 7 -
[최다오답 공략] 1.화학의 첫걸음(01)

❶ 원자량 기준에 따른 아보가드로 수


원자량은 [실제 원자 1개의 질량 × 아보가드로 수]이다.
 
C 의 원자량이 12일 때 아보가드로수를  ,
C의 원
정답  
1) 자량이 24일 때 아보가드로수를  라고 하면   
 
오답 point 이다. ↱ 아보가드로 수는 원자량에 따라 변하는 값!

질소( N )는 3중 결합을 하는 안정한 물질이고 철( Fe)은 단 


➜    ×  ×  , 아보가드로 수는 1몰에 들어
단하고 무거운 원소임을 기억하자! 있는 입자수이다.
오답 파헤치기 ❷ 원자 1개의 질량
ㄱ. 물질 A는 암모니아( NH )이다. 질소는 질소 원자끼리 3 실제 C의 질량×    , 원자량 기준이 12일 때 실제
중 결합을 하는 물질( N ≡ N )로 매우 안정하다. 질소기체  
C의 질량은    이다. 원자량 기준이 24
의 안정성 때문에 상온에서 반응이 잘 일어나지 않으며  

 × 
고온, 고압, 촉매 환경 하에서 물질 A(암모니아)가 합성될  
일 때 실제 C의 질량은    이다.
수 있다.   ×  × 
ㄹ. 가볍고 단단하여 창틀, 건물 외벽 등에 이용되는 금속은 ➜ 원자량 기준이 변하더라도 실제 원자의 질량은 변하
알루미늄이다. 지 않는다.
❸ 기체의 밀도
2) 정답
질량
밀도는 단위부피당 질량으로  으로 구할 수 있다.
부피
오답 point
기체는 동일한 온도와 압력에서 기체 종류에 상관없이
탄소화합물을 연소시키면 공통적으로 이산화탄소와 물이 생 같은 부피 속에 같은 수의 입자를 포함하므로 기체의 부
성됨을 기억하자! 피와 몰수는 비례한다. 따라서 1몰에 해당하는 부피와 질
오답 파헤치기 량은 아보가드로수에 비례하기 때문에 실제 원자의 질량
ㄱ. ㉡은 에탄올, ㉢은 에탄올, 아세트산이다. 이 변하지 않으면 밀도는 변하지 않는다.
ㄴ. ㉠은 메테인, 암모니아, 아세트산, ㉤은 메테인, 에탄올,
아세트산이다. 공통 물질은 메테인과 아세트산이다. 4) 정답

자료 분석

❶ 물질의 분자식 오답 point

메테인- CH , 암모니아- NH , 에탄올- C HOH , 아세트 아보가드로 법칙에 의해 동일한 온도와 압력에서 기체의 부
피와 몰수는 비례하지만 액체와 고체에서는 적용되지 않음
산- CHCOOH
을 기억하자!
❷ 물질의 구성원자 수
오답 파헤치기
메테인-5, 암모니아-4, 에탄올-9, 아세트산-8
ㄴ. 단위질량당 들어있는 입자수는 분자량에 반비례한다. 분
➜ ㉠메테인, 암모니아, 아세트산 / ㉡에탄올
자량 크기는 에탄올<A<B이므로 1g에 들어있는 분자수는
❸  기압, ℃ 에서 물질의 상태
B<A<에탄올이다.
메테인-기체, 암모니아-기체, 에탄올-액체, 아세트산-액체
자료 분석
➜ ㉢에탄올, 아세트산 / ㉣메테인, 암모니아
❹ 완전 연소 생성물 ❶ 기체 A
메테인-이산화탄소, 물 기체 A의 부피가 12L이고 밀도가 2이므로
암모니아-질소, 물 L
➜ 분자수는   mol 이고 질량은
에탄올-이산화탄소, 물 Lmol
아세트산-이산화탄소, 물 L × gL  g 이다. 분자량은 48이다.
➜ ㉤메테인, 에탄올, 아세트산 / ㉥암모니아 ❷ 기체 B
기체 B의 질량이 15g이고 분자량이 60이므로
3) 정답 ➜ 분자수는 0.25몰이고 부피는 6L, 밀도는 2.5g/L이다.
❸ 에탄올
오답 point 에탄올의 분자량이 46이고 분자수가 0.5몰이므로
원자량 기준이 변할 때 변하지 않는 것은 원자 1개의 질량, ➜ 질량은 23g이다. 에탄올의 분자식은 C HOH 로 0.5
밀도 등이다. 몰 에탄올 속에 탄소원자가 1몰, 수소원자가 3몰, 산소원
오답 파헤치기 자가 0.5몰 존재한다.

ㄴ. 원자량은 [실제 원자의 질량 × 아보가드로 수]이다. C
5) 정답

의 원자량이 24일 때, 원자 1개의 질량은  g
 × 
오답 point
이다.
아보가드로 법칙에 의해 동일한 온도와 압력에서 기체는 종
ㄷ. 실제 질량은 변하지 않으므로 밀도는 변하지 않는다.
류에 상관없이 같은 부피 속에 같은 수의 입자가 존재한다.
자료 분석

◇「콘텐츠산업 진흥법 시행령」제33조에 의한 표시 ◇「콘텐츠산업 진흥법」외에도「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되는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의 전부
1) 제작연월일 : 2023-01-17 2) 제작자 : 교육지대㈜
또는 일부를 무단으로 복제하거나 전송하는 것은 콘텐츠산업 진흥법 외에도 저작권법에 의한 - 8 -
3)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최초 제작
일부터 5년간 보호됩니다.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I410-ECN-0199-2022-001-000168432
[최다오답 공략] 1.화학의 첫걸음(01)

오답 파헤치기 
➜ 1g당 Z의 원자수가  이므로 (가)는 XZ 이고 분자
 ×   
ㄴ. (나)에서 Z의 질량 분율은    이다. 따라서 량은 88이다.
 
 ❸ 분자 (나)와 (다)
36g에 포함된 Z의 질량은  × g  g 이다. 분자 (나)와 (다)는 분자당 구성 원자수가 같다. 가능한

ㄷ. 1g에 포함된 분자수는 분자량에 반비례한다. (가)와 (나) 분자식은 X Z, X Z , XZ , Y Z, Y Z , YZ 이다.
의 1g에 들어있는 분자수 비는 10:7이고 원자수비는 9:8  
➜ (나)와 (다)의 1g당 Z의 원자수가  ,  이므로
이므로 1g에 포함된 총 원자수 비는 45:28이다.  
손풀이 해설 (나)는 X Z , (다)는 Y Z 이고 분자량은 각각 62, 70이

표는  ℃,  기압에서 원소 X ~ Z로 이루어진 기체 (가)~ 다.


(다)에 대한 자료이다.
7) 정답

기체 분자식 분자량 질량( g) 부피( L )


(가) X Y   오답 point

14.4 단위질량 당 포함하는 분자수 및 원자수는 분자량에 반비례


(나) X Y Z   0.6몰 하므로 단위질량 당 입자수와 분자량의 곱은 일정함을 기억
 하자!
(다) YZ 44 
0.25몰 오답 파헤치기
ㄱ. 단위질량 당 들어있는 분자수는 분자량에 반비례하고 단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위질량 당 들어있는 분자수에 분자의 원자수를 곱하면
(단, X ~ Z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고,  ℃,  기압에서 기체 
단위질량 당 들어있는 원자수를 구할 수 있다. 따라서 단
몰의 부피는 L 이다.) 위질량 당 원자수를 분자를 구성하는 원자수로 나누면

↳ 동일 온도와 압력에서 기체는 종류에 상관없이


단위질량 당 분자수가 된다. 단위질량 당 분자수 비는
같은 부피에 같은 입자수를 포함 Y  X Z     이다. 단위 질량 당 분자수 비는 분자량비
에 반비례하므로 분자량비는 Y  X Z     이고 a=18이
<보기>
다.
ㄱ. 원자량은 Y 가 X 의  배이다.
ㄷ. 단위 질량당 분자수 비는 X   Y     이다. 분자당 구
2X+Y=12, 2X+Y+Z=30, Y+2Z=44 연립하면
성 원자수 비는 2:1이므로 단위질량 당 원자수 비는
원자량은 X=1, Y=12, Z=16이다.
X   Y     =2:1이다. d=12이다.
ㄴ. (나) g에 포함된 Z의 질량은 g이다.
8) 정답
(나) 36g은 0.6몰, 포함된 Z의 양은 1.2몰.
질량은 ×  g이다.
오답 point
ㄷ. g 에 포함된 총 원자 수 비는 (가) : (나) =    이다.
반응 계수비는 반응하는 몰수비, 분자수비와 비례하고 반응
단위질량 당 포함하는 분자수, 원자수는 분자량에 반비례! 물과 생성물이 기체일 때는 부피비와 비례한다. 액체와 고체
ㄱ ㄴ 에서는 계수비 ≠ 부피비이다.
오답 파헤치기
ㄷ ㄱ, ㄷ
ㄱ. 화학반응이 일어날 때 원자가 새로 생기거나 없어지지
ㄱ, ㄴ, ㄷ
않으므로 반응 전, 후 원자의 종류, 수가 같다. 완성된 화

정답 학반응식은 Nas HO l →NaOHaq H g


6)
이다.
오답 point ㄴ. NaOH 는 수용액 상태이므로 계수비와 부피비가 같
지 않다.
원자량은 [실제 원자 1개의 질량 × 아보가드로 수]이고 단위
질량 당 포함된 입자수는 분자량에 반비례함을 기억하자!
9) 정답
자료 분석

❶ 원자 X ∼ Z 의 원자량 오답 point
원자량은 [실제 원자 1개의 질량 × 아보가드로 수]이다. 화학반응에서 원자가 새로 생기거나 없어지지 않으므로 반
➜ 원자량은 X=12, Y=16, Z=19이다. 응 전, 후 원자의 종류와 수가 같고 반응 계수비는 몰수비,
❷ 분자 (가) 분자수비와 비례한다.
분자(가)~(다)는 X ∼ Z 중 2가지 원소로 이루어져 있으 자료 분석
므로 가능한 (가)의 분자식은 X Z, X Z , X Z , XZ ,
❶ 화학반응식
Y Z, Y Z, Y Z, YZ 이다. ➜ C H g  O  g→CO  g HOl 
가능한 분자식을 모두 찾고 가능하지 않는 경우( X Z Y Z 등)를 KClO s→KCl aq O g
빠르게 제거할 수 있어야 함!
NaN s→Nas N g

◇「콘텐츠산업 진흥법 시행령」제33조에 의한 표시 ◇「콘텐츠산업 진흥법」외에도「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되는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의 전부
1) 제작연월일 : 2023-01-17 2) 제작자 : 교육지대㈜
또는 일부를 무단으로 복제하거나 전송하는 것은 콘텐츠산업 진흥법 외에도 저작권법에 의한 - 9 -
3)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최초 제작
일부터 5년간 보호됩니다.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I410-ECN-0199-2022-001-000168432
[최다오답 공략] 1.화학의 첫걸음(01)

❷ (나) 반응에서 물질들의 양적관계 Ag  B g → C g


표준상태에서 기체 1몰의 부피는 22.4L이다. 생성된 산
↳ 계수비=몰수비
소 기체가 67.2L일 때 분자수는 3몰이다. 이때 KClO 
반응 몰수비는 2:1:2
과 O  의 반응비가 2:3이므로
➜ 반응하는 KClO  의 몰수는 2몰이다. 2몰의 KClO 
반응 전 반응 후
전체
질량은 gmol × mol  g이다. 실험 A의 B의 A의 B의
❸ (다) 반응에서 물질들의 양적관계
기체의
질량( g) 질량( g ) 질량( g) 질량( g)
NaN 과 N 의 반응비는 2:3이다. NaN 11g의 몰수는 부피( V )

 Ⅰ    V
 몰이므로 한계 반응물

   ↳ 반응 질량비는 5:1:6
➜ 생성되는 N 의 몰수는  ×    몰이다. ∵질량 보존 법칙
  

정답 Ⅱ    V
10) 한계 반응물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


오답 point
른 것은? (단, 온도와 압력은 일정하다.)
화학반응에서 원자가 새로 생기거나 없어지지 않으므로 반
응 전, 후 원자의 종류와 수가 같고 반응 계수비는 몰수비, <보기>
분자수비와 비례한다. 반응질량비가 5:1:6이므로 실험Ⅱ에서
↱ A 10g, B 2g이 반응하여 C 12g 생성
자료 분석
ㄱ. 는  이다.
❶ 화학반응식
➜ CO  g  HO l →C HO  s O  g ㄴ. V  는 V  의  배이다.

❷ 반응물과 생성물의 양적관계 ↳ 실험Ⅰ에서 반응 후 B 0.5몰, C 1몰이 존재하여 부피가 V  ,

 실험Ⅱ에서 반응후 A 1몰, C 2몰이 존재하여 부피가 V 


포도당의 화학식량이 180이므로 30g의 양은  몰이다.
 ㄷ. 분자량은 C 가 B 의  배이다.
이산화탄소와 포도당의 반응비는 6:1이므로

분자량이 M , 질량이  일 때, 몰수는   
 M
➜ 반응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은  ×    몰이다.
 ㄱ ㄴ
❸ 원자와 분자, 원소와 화합물
ㄱ, ㄷ ㄴ, ㄷ
화학 반응으로 더 이상 쪼개지지 않는 입자를 원자라고
한다. 1개나 2개 이상의 원자가 모여 물질의 성질을 나타 ㄱ, ㄴ, ㄷ
내는 입자를 분자라고 한다.
12) 정답
원소는 물질을 구성하는 기본 성분으로 하나의 원소로
이루어진 물질도 원소라고 한다. 화합물은 2가지 이상의
오답 point
원소로 이루어진 물질을 의미한다.
➜ 반응물과 생성물의 물질은 모두 2개 이상의 원자가 
분자량이 M, 질량이 m일 때 물질의 양(몰)은    이다.
모여 물질의 성질을 나타내는 분자이다. 이산화탄소, 물, M
포도당은 2가지 이상의 원소로 이루어진 화합물이고 산 자료 분석

소는 하나의 원소로 이루어진 원소이다. ❶ (가)에서 A~C의 양적관계


화합물과 원소의 정의를 정확히 파악! ↲ 반응 후 B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한계 반응물은 B이다.
Ag  B g → C g
정답
반응 전   
11)
 
반응    
 
오답 point 
반응 전, 후 질량은 보존되고 기체의 반응에서 부피는 몰수  
반응 후     
에 비례함을 기억하자!  
오답 파헤치기  
➜          이므로    이다.
ㄱ. A~C의 반응 질량비는 5:1:6이므로 실험Ⅱ에서 남은 반  
응물은 A이고 질량은 5g이다. ❷ (나)에서 A~C의 양적관계
ㄷ. A~C의 반응 몰수비는 2:1:2이고 질량비는 5:1:6이므로 반응 후 질량은 보존된다. 반응 전 A의 질량을  , B의
분자량비는 5:2:6이다. 분자량은 C가 B의 3배이다. 질량을  라고 하면,
손풀이 해설 Ag  B g → C g
반응 전   
다음은 기체 A , B 가 반응하여 기체 C 를 생성하는 반응의 반응      
화학 반응식이다. 표는 실린더에 기체 A 와 B 를 넣고 반응시 
켰을 대 반응 전과 후의 기체에 대한 자료이다.
반응 후       

◇「콘텐츠산업 진흥법 시행령」제33조에 의한 표시 ◇「콘텐츠산업 진흥법」외에도「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되는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의 전부
1) 제작연월일 : 2023-01-17 2) 제작자 : 교육지대㈜
또는 일부를 무단으로 복제하거나 전송하는 것은 콘텐츠산업 진흥법 외에도 저작권법에 의한 - 10 -
3)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최초 제작
일부터 5년간 보호됩니다.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I410-ECN-0199-2022-001-000168432
[최다오답 공략] 1.화학의 첫걸음(01)

➜            이므로 반응하는 A의 질량은 A 의 몰수의  배이다.


   이다. A~C의 반응 질량비는 1:1:2다. ㄹ. (나)에서 반응 후 남은 B 를 모두 반응시키기 위해 필요한
❸ A~C의 분자량비 A 의 질량은 g이다.
A~C의 몰수비가 1:3:1, 반응 질량비가 1:1:2이므로
ㄱ, ㄷ ㄱ, ㄹ
➜ 분자량비는 3:1:6이다. (나)에서 남은 A와 C의 질량비
가 1:3이고 분자량비가 1:2이므로 남은 몰수비는 2:3이 ㄴ, ㄹ ㄱ, ㄴ, ㄷ
다. ㄴ, ㄷ, ㄹ

13) 정답 14) 정답

오답 point 오답 point
기울기가 변하는 지점이 반응이 완결되는 지점이고 이때 생 화학 반응이 일어날 때 원자가 새로 생기거나 없어지지 않
성물만 존재한다. 으며 계수비는 분자수비와 비례한다.
오답 파헤치기 오답 파헤치기
ㄴ. A, B, X의 질량비가        이고 몰수비가 1:3:2이 ㄱ. C의 화학식은 AB 로 4원자분자이다.
므로 분자량비는       이다. A의 분자량은 X ㄴ. 화학반응이 일어날 때 원자가 새로 생기거나 없어지지
 않으므로 반응 전, 후 원자의 종류와 개수가 같다. A 6
의 분자량의  배 이다.
 
개와 B  2개가 반응하여 C 4개가 생성되었으므로 계수
ㄹ. (나)에서 남은 B의 질량은 1g이다. A, B, X의 반응 질량
비는 3:1:2이고 화학반응식은 A  B →C 이다.
비가       이므로 남은 B 1g을 모두 반응시키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A의 질량은   g이다. 15) 정답

손풀이 해설
오답 point
다음은 기체 A 와 B 가 반응하여 기체 X 를 생성하는 화학 질량
반응식을 나타낸 것이다. 계수비와 몰수비는 비례하며 분자량은  이다.
몰수
Ag B g → X g (   는 반응 계수) 오답 파헤치기

그림은 Ag g이 들어 있는 실린더에 B g 를 조금씩 넣어 ㄷ. 생성된 기체X와 반응하는 탄산칼슘의 계수비가 1:1이므

가면서 반응을 완결시켰을 때, 넣어준 B 의 질량에 따른 반 


로 몰수비도 1:1이다. 생성되는 기체X의 몰수가  이고
응 후 전체 기체의 부피(상댓값)를 나타낸 것이다. M
질량이      이므로 기체X의 분자량은
M     
 이다.


16) 정답

오답 point
물질들의 양적관계를 파악하여 한계반응물을 찾아내자!
오답 파헤치기
ㄱ. 생성된 이산화탄소의 질량은 0.44g이고 0.01몰이다. 이
산화탄소와 탄산칼슘의 반응비가 1:1이므로 반응하는 탄
산칼슘의 몰수는 0.01몰이다. 1.5g의 탄산 칼슘의 몰수는
0.015몰이므로 반응 후 탄산칼슘은 0.005몰이 남는다. 한
계반응물은 염산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ㄷ. 한계반응물은 염산이다. 이산화탄소와 염산의 반응비는
것은? (단, 반응 전과 후 온도와 압력은 일정하다.) 1:2이므로 반응하는 염산의 몰수는 0.02몰이다. 이때의
mol
<보기> 부피가 100mL이므로 몰농도는   M 이다.
L
반응이 완결되는 지점에서 반응하고 생성되는
↱ A, B, X의 부피비는 2:6:4이므로    ,   
17) 정답
ㄱ.     이다.
  오답 point
ㄴ. A 의 분자량은 X 의 분자량의  배이다.
 화학반응에서 액체, 고체의 부피는 기체에 비해 매우 작으므
반응하는 A, B의 부피가 2L, 3L이고 반응 후, 로 무시한다.
↱ 남은 A의 부피는 1L, 생성되는 X의 부피는 2L 오답 파헤치기
ㄷ. (가)에서 반응 후 생성된 X 의 몰수는 반응하지 않고 남은 ㄴ. C의 연소반응식은 C s O  g→CO  g 이다. 탄소

◇「콘텐츠산업 진흥법 시행령」제33조에 의한 표시 ◇「콘텐츠산업 진흥법」외에도「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되는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의 전부
1) 제작연월일 : 2023-01-17 2) 제작자 : 교육지대㈜
또는 일부를 무단으로 복제하거나 전송하는 것은 콘텐츠산업 진흥법 외에도 저작권법에 의한 - 11 -
3)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최초 제작
일부터 5년간 보호됩니다.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I410-ECN-0199-2022-001-000168432
[최다오답 공략] 1.화학의 첫걸음(01)

1몰과 산소 1.5몰이 반응하여 이산화탄소 1몰이 생성되 물 1L=1000mL의 질량은 m ol


몰농도   M ↰
고 산소 0.5몰이 남는다. 반응 후 전체 기체의 몰수는 ↱ 1200g L
1.5몰이다. 밀도가 gml 인 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의 농도는
ㄷ. 반응 전, 후 기체의 몰수는 1.5몰로 같다. 고체의 부피는
M 이다. ↳ 용질의 질량은 120g, 몰수는 3몰
무시하므로 반응 전, 후 부피는 일정하다.
수산화나트륨 g을 물에 녹여 전체 부피가 mL 가 되게
한 용액의 농도는 M 이다.
18) 정답
M 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mL 에 M 의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mL 를 섞은 용액의 농도는 M 이다.
오답 point
화학 반응이 일어날 때 원자가 새로 생기거나 없어지지 않 20) 정답
으므로 반응 전, 후 질량이 보존되고 원자의 종류와 개수가
같다. 오답 point
오답 파헤치기
몰농도는 몰수에 비례하고 부피에 반비례한다.
ㄱ. 반응 전, 후 원자수는 변하지 않는다.
손풀이 해설
ㄴ. a=1, x=2이다.
다음은 C 에서 M 설탕물을 만들기 위한 과정
자료 분석
(가)~(마)이다. 설탕의 분자량은  이다.
❶ 화학반응식
반응 후 C만 존재하므로 A와 B의 반응비는 3:1이다. A ↱ 약포지 질량 무시
3몰, B 1몰이 반응하여 C 2몰이 생성된다.
(가) 전자저울에 약포지를 올려놓고 영점 조절을 한 후, 설탕
➜ 완성된 화학 반응식은 Ag  B g→C g 이다.
g을 측정한다.
❷ 질량 보존 법칙
반응 전, 후 원자가 새로 생기거나 없어지지 않으므로 (나) 증류수가 들어 있는 비커에 설탕을 녹인 후, 설탕물을 L
원자의 종류와 개수는 일정하다. 따라서 반응 전, 후 질 부피 플라스크에 넣는다.
량이 보존된다. ↱ 묻어있는 양만큼 용질의 몰수가 감소
➜ 질량이 일정할 때 밀도는 부피와 반비례하므로 반응
(다) 비커에 묻어 있는 설탕물을 증류수로 씻어 부피 플라스크에
전, 후 밀도비는 V   V  이다.
넣는다.
메니스커스에 눈높이를 맞춰
↱ 정확한 부피를 측정한다.
19) 정답
(라) 부피 플라스크에 증류수를 채워 표선까지 맞춘다.

오답 point
(마) 부피 플라스크에 마개로 막고 용액을 골고루 섞는다.

단위 환산에 주의하자! (가)~(마) 중 한 과정만을 다르게 수행했을 때, M 보다 낮


오답 파헤치기 은 농도의 설탕물이 만들어진 경우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
로 고른 것은?
수산화나트륨 0.5몰의 질량은 20g이다. 수용액의 퍼센트
 <보기>
농도는  ×  ≒  이다.
 ㄱ. (가)에서 영점 조절을 한 후, 약포지의 질량을 설탕의 질량에
 포함해 g을 측정하였다.
퍼센트 농도는  ×    이다.

↳ 설탕의 질량 감소→몰수 감소→몰농도 감소
수산화나트륨 4g의 몰수는 0.1몰이다. 몰농도는
mol ↱ 설탕의 몰수 감소→몰농도 감소
  M 이다.
L ㄴ. (다)에서 비커에 묻어 있는 설탕물을 부피 플라스크에 씻어
0.1M 수산화나트륨 100mL에 포함된 수산화나트륨의 양 넣지 않았다.
은 0.01몰이고 0.2M 수산화나트륨 100mL에 포함된 수
↱ 용액의 부피 증가→몰농도 감소
산화나트륨의 양은 0.02몰이다. 혼합용액의 수산화나트륨
의 양은 0.03몰이고 부피는 0.2L이므로 몰농도는 0.15M ㄷ. (라)에서 증류수를 채우다가 표선을 넘겨서 용액을 덜어내 표
이다. 부피도 감소하지만

손풀이 해설 선에 맞췄다. 몰수도 감소한다.

화학식량이  인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의 농도를 여러 가지 ㄱ ㄴ


로 계산한 내용 중 옳은 것은? (단, 혼합용액의 부피는 혼합 ㄱ, ㄷ ㄴ, ㄷ
전 각 용액의 부피 합과 같다.)
ㄱ, ㄴ, ㄷ
수산화나트륨  몰을 g의 물에 녹인 용액의 농도는
 이다.
물 g에 수산화나트륨 g을 녹인 용액의 농도는  이
다.

◇「콘텐츠산업 진흥법 시행령」제33조에 의한 표시 ◇「콘텐츠산업 진흥법」외에도「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되는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의 전부
1) 제작연월일 : 2023-01-17 2) 제작자 : 교육지대㈜
또는 일부를 무단으로 복제하거나 전송하는 것은 콘텐츠산업 진흥법 외에도 저작권법에 의한 - 12 -
3)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최초 제작
일부터 5년간 보호됩니다.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I410-ECN-0199-2022-001-000168432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