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2

1)비음화: 결과적으로 바뀐 발음이 비음이라면 비음화

-‘ㄱ, ㄷ, ㅂ의 비음화’ 교체

·ㄱ + ㄴ, ㅁ -> ㅇ / 먹는 [멍는] 탈락
·ㄷ + ㄴ, ㅁ -> ㄴ / 닫는 [단는] 약
·ㅂ + ㄴ, ㅁ -> ㅁ / 잡는 [잠는]
-‘ㄹ’의 비음화 쉽가 .

·ㅁ, ㅇ + ㄹ -> ㄴ / 능력[능녁], 담력[담녁]


·ㄱ, ㅂ + ㄹ -> ㄴ / 섭리[섭니->섬니]

2)유음화: ㄴ + ㄹ -> ㄹ + ㄹ
-순행적 유음화 / 설날[설랄]
-역행적 유음화 / 권리[궐리]
-순행적, 역행적 동시에 / 물난리[물랄리]
-예외(치조비음화): ㄴ + ㄹ -> ㄴ + ㄴ
생산량[생산냥], 횡단로[횡단노], 공권력[공꿘녁]

3)구개음화: ㄷ, ㅌ + ㅣ(j) -> ㅈ, ㅊ


*구개음화=모음에 의한 자음 동화, ㅑㅕ
ex) 굳이[구디->구지], 해돋이[해도디->해도지]
ex) 같이[가티->가치], 붙여[부텨->부처]
*져, 쪄, 쳐는 발음하기 어려움으로 저, 쩌, 처로 발음
-조건1: ‘ㅣ’ 모음이 형식 형태소일 것
ex) 밭이랑[바치랑](구개음화), 밭이랑[받니랑](‘ㄴ’ 첨가 현상)
-조건2: 하나의 형태소 내부에서는 X
ex) 느티나무[느치나무] (X)

4)된소리되기: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유형1: ‘ㄱ, ㄷ, ㅂ’ 뒤 / 국밥[국빱], 국수[국쑤]
-유형2: ‘ㄴ, ㅁ’로 끝나는 용언 어간 뒤 / 신고[신꼬], 넘지[넘찌], 담다[담따]
-유형3: 한자어 받침 ‘ㄹ’ 뒤 / 갈등[갈뜽], 실수[실쑤], 물질[물찔]
-유형4: 관형사형 어미 뒤 / 할 것을[할 꺼슬], 갈 데가[갈 떼가]

5)거센소리되기: ‘ㄱ, ㄷ, ㅂ, ㅈ’ + ‘ㅎ’ -> ‘ㅋ, ㅌ, ㅍ, ㅊ’


ex)맏형[마텽], 좋지[조치], 굽히다[구피다]

6)모음탈락(ㅡ탈락)
ex)쓰- + -어 -> ㅆ / 크- + -어 -> 커
7)두음법칙
-주로 한자어에서 나타남
-단어 첫머리의 ‘ㄴ’은 ‘ㅣ’나 반모음 ‘ㅣ’ 앞에서 탈락함 / 연간, 여성
-‘ㄹ’은 만나는 모음에 따라 탈락하거나 ‘ㄴ’으로 바뀜
-예외
·단어의 첫 머리가 아닌 경우 / 남녀
·의존 명사인 경우 / 일 년
·외래어인 경우 / 라디오, 뉴스
8)음절의 끝소리 규칙: ‘ㄱ, ㄴ, ㄷ, ㄹ, ㅁ, ㅂ, ㅇ’만 음절의 끝소리로 발음
-ㄱ, ㄲ, ㅋ -> ㄱ / 독[독], 밖[박], 부엌[부억]
-ㄷ, ㅌ, ㅅ, ㅆ, ㅈ, ㅊ, ㅎ -> ㄷ
ex) 받[받], 솥[솓], 옷[옫], 있[읻], 낮[낟], 꽃[꼳], 히읗[히읃
-ㅂ, ㅍ -> ㅂ / 밥[밥], 앞[압]

9)자음군 단순화: 음절 끝에 두 개의 자음이 올 때 한 자음이 탈락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앞 자음으로 발음: ㄳㄵㄼㄽㄾㅄ
ex)몫[목], 앉지[안찌], 섧다[설ː따], 외곬[외골/웨골], 핥고[할꼬], 없다[업ː따]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뒤 자음으로 발음: ㄺㄻㄿ
ex)흙[흑], 삶[삼ː], 읊다[읍따]

10)ㄴ첨가
-조건1: 합생어 or 파생어
-조건2: 뒤에 ㅣ(j) 모음
ex)맨입[맨닙], 한여름[한녀름]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