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신 홍 킹스턴의 여인무사T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21

175

「영어영문학 연구』 제 47권 4호


(2005. 12): 175-195

맥선 홍 킹스턴의 『여언무사』
(The Woman Warrior): 도전적 응시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63.152.133.25 at Tuesday, May 7, 2024 4:08 AM

나진양
(한국교원대학교)

1. 서론

백인중심의 미국 사회에서 소수민족의 여자로서 산다는 것은 무엇을 의마하


는 것일까? 그것은 인종적 성적 타자 (Other) 로써 상징계적 시션의 감시와 통
제 하에서 침묵당하고 지배사회의 이데올로기를 내면화하는 경험을 의마하는
일일 것이다. 그들은 다른 목소리룹 낼 수 밖에 없다. 일상의 언어로 말하면서
도 돌아서서는 침묵, 소곤거림 흑은 속담이나 잔섣로 숨겨진 그들만의 언어를
잔탄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지매사회의 이데올로기에 순종하는 듯 하면서도
동시에 저항하는 몸짓으로 읽힐 수 있으며 그들의 다양한 억압의 상태를 드러
내고자 하는 것으로 보인다. 상징계의 시선과 볍착에 스스로 동화되려 하면서
도 완잔히 동화되지 못하고 하위주체의 내면에 여잔허 남아있는 무의식적인
의혹과 불안한 시선을 호마 바바(Homi K. Bhabha) 는 그의 책 『문화의 위치 4
(The Lomtion of Culture) 에서 “사악한 눈 (evil eye)" 이라 이름하고 있다. 바
www.earticle.net
바가 말하는 “사악한 눈”이란 피식민지인듣을 자신들에게 온잔히 동화시컴 수
있으리라는 식민주의자들의 나프시즘적 환상에 동화하는 척하면서도 그들의
시선에 대해서 “고통스러운 부재, 대항적 응시를 통해, 그듣의 문화적, 성적 차
이를 부인하는 차별적인 시선윤 (식민주의자)자신에게 되돌아가게 함으로써,
인종주의적 남성주의적 시선의 왜곡된 충족을 전복시킬 수 있는 (67)" 삭민지적
하위주체의 “응시”달 말하는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줄리아 크리스테바(Julia Kri steva) 는 이들을 “언더그라운드
(the underground)" 라고 표현하는 데 그들은 여성과 어란이들, 사회적으로 다
르게 말하는 사람들인 시인 예술가 등을 의마한다 특히 여성은 억압 속에서

Copyright@ 2이)5 한국중앙영 어 영 문학회 (http//www.jella.or. kr)


176 나진양

침묵당하고, 사회적 상징질서 내에서 타자였으며 부계사회와 신분사회에서 소


모적인 역할과 숨겨진 노동력을 재공하는 역할만을 부여받았다. 크리스테바는
이를 정의하는 말이 바로 “여성듣 (Women)" 이라고 말한다 (Kristeva 14). 여기
에서의 여성이란 억압받고 침묵당하는 상징적 의미에서의 여성을 가리킨다 이
들에게는 그들을 지배하고 동재하는 권력의 시선에 자신의 기준을 맞추고 그
체제가 요구하는 명령에 복종하면서도 그 감시의 시선윤 바껴나는 하나의 “응
시”가 있다. 가부장적 시선에 의해 보여지는 여성은 자선을 바라보고 있으면서
도 허공을 보고 있는 그 자아도취적 시선에서 비껴나고, 부재함으로써 답하고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63.152.133.25 at Tuesday, May 7, 2024 4:08 AM

대상이 부재하는 그곳에서 시션은 다시 대상윤 바라보던 자신에게로 되돌아오


는 응시를 발견하게 된다. 이런 응시륜 동해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에게 스스로
룹 재구조화하도록 만드는 “시악한 눈”이 바로 맥선 홍 킹스턴 (Maxine Hong
Kingston) 이 소섣 『여인무사~(The Woman Warrior , 이하 본문인용은 면수만
표기함)를 동해 독자들에게 도전적으로 딘지는 시선/응시일 것이다.
소설 『여인무사』는 미국 내에서 베스트셀러로서 뿐 아니라 문학적 정전으로
서의 위치를 확보하고 인류학 언어학 사회학적인 다양한 접근이 시도되고 있
다. 예를 들면 킹콕청(King-kok Cheung) 같은 바평가는 소수민족이나 여성들
과 같은 사회적 약자들이 구사할 수밖에 없는 언어로써의 “침묵”을 논의의 주
제로 삼고 “침묵”과 “여성성”윤 연결시키고 있다. 그는 또 다른 발화망식으로
서의 침묵의 발화적 양상을 고찰하면서 킹스턴이 침묵을 동해 기존의 언어의
권위에 도전하고 있는 것이라 보고 있다. 국내에서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는
데 득히 노승희는 작가로서의 정처l 성이 잔적으로 언어적 구성물임윤 강조하면
서 새로운 정체성의 창조자로서 글쓰기 과정을 재시한다. 그는 언어의 구축물
로써의 연술주체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가부장제의 하인장이자 노예로 전락
한 어머니 속에서 짐식당한 타자를 부활시키는 해망과 치유의 언어인 모어(노
승희, 63)" 의 시학을 견지한다. 이 “모어”는 가치생성과 의미의 고정화, 생산적
인 언어륜 의미하는 합목적적인 전동적 가부장적 상징 언어를 끊임없이 위협
하는 언어라 할 수 있다.
www.earticle.net
킹스턴은 노승희가 “모어”로써 적절하 지적했듯이 고정적이고 가치담지적인
상징언어를 자신의 글쓰기에서 끊임없이 바웃는다. 이는 그녀가 어머니로부터
잔해듣은 신화나 잔설을 변용하는 데서 두드러지게 드러난다. 킹스턴은 중국적
인 신화와 전설을 기존의 글쓰기에서는 인정하지 않는 방식으로 자유롭게 뒤
섞고 변용하면서 마치 유희를 하듯 그것을 재구성하여 신화들이 지닌 기존의
의미와 상정을 전복시킨다. 이런 서술기법을 사용함으로써 그녀는 자아와 타자
의 이분법적 대립을 와해시키는 비생산적이고 축제적인 언어의 일탑윤 시도하
맥신 홍 킹스턴의 「여인무사 j (The Woman Warrior): 도전적 응시 177

고 이런 일탈이 상징하는 해체성과 저항을 동해 자신의 소설을 새로운 담론의


가능성으로써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집안에서 일어난 사실에 대해서도 잔혀 다른 시각으로 접근함으로써
반대로 의미룹 뒤바꾼다든지 어린화자의 시점과 어른인 작가의 시점을 뒤섞고
신화와 현실을 직접 대비시켜 그 모순과 아이러니를 드러내는 서사형태를 취
하기도 한다. 이렇게 복잡하게 교차되는 말하기 망식을 통해 서로 다른 그림이
그려진 두 겹의 종이룹 겹쳐놓은 듯한 독특한 말하기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소설 「여인무사4 에 등장하는 화자는 여성으로서, 또한 백인 미국사회에서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63.152.133.25 at Tuesday, May 7, 2024 4:08 AM

소수민족으로 이중의 주변화(marginalized) 를 경험하면서 그녀의 개인적인 역


압과 그녀 가족의 소수민족으로서의 억압의 역사룹 텍스트에 그려낸다. 그녀는
미국에 사는 소수민족 여성의 “사악한 눈”의 응시륜 동해 “무엇이 중국적인
것이고 무엇이 영화인지 (6)" 를 가려내고, 미국사회가 끊임없이 요구하는 마국
적인 문화 속에서 때도 없이 유령처텀 되샅아나는 중국적인 유산을 재기입 함
으로써 흔성적인 새로운 담론을 만들어내려는 시도룹 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고에서는 호미 바바의 “응시 (gaze)" 의개념에 의거하여 사회적 인종적 타
자들의 욕망을 검열하고 동재하며 결국 침묵에 귀착하도측 만드는 가부장적이
고 식민주의적인 억압기재들에 대해 작가 킹스턴의 “사악한 눈”이 어떻게 작
동하는가를 검토해보고 이 억압기재들이 어떻게 정체성의 상실로 연결되며 결
국 스스로에 대한 정별로 작용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작가가 소설에서
신화, 전설을 어떻게 차용하여 기존의 의마룹 전복시키며 침묵당한 사람들의
역사를 재생하고 그 통합의 가능성을 담지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II. 본론

1 시선과 응시의 교차 지점

www.earticle.net
바바는 “사악한 눈”을 “텍스트 상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노예의 서사적 주처l
와 주인의 감시적인 눈 모두를 소외시키는 응시 (76)" 라고 섣명하고 있다. 하위
주체들은 지배하고 동재하는 권력체제의 요구에 복종하면서도 그 처l 재의 시선
을 끊임없이 바껴나고 그에 온전하 동화되지는 않는 것이다 대신 자신의 무의
식에 내재해 있는 흔적 위에 지매체제의 이데올로기를 덧칠함으로써 “산종
(dissemination)"l) 흑은 “혼성성 (hybridity)" 을 낳게 되는 것이다

1) 바바논 그의 책 「문회의 위치~ (The LocatÎon qf Culture) 의 8 장 “산종(Dissemi


nation)" 에서 한 장에 걸쳐 “선종”의 개념음 설명한다. “산종”은 씨앗이 날아가 다른

Copyright@ 2이)5 한국중앙영 어 영 문학회 (http//www.jella.or.kr)


178 나진양

미국에 이민 온 킹스턴의 가족은 중국에서 사생아룹 출산하고 자샅한 고모


에 대한 이야기를 절대 입 밖에 내지 않기로 암묵적인 약속을 한다. 그러나 킹
스턴이 사춘기가 되자 그녀의 어머니는 “년 다른 사람에게 말하면 안된다(1 )"
라는 침묵의 명령과 함께 조심스레 이 고모의 이야기를 딸에게 들려준다. 말을
하지 말라고 하면서 말을 한다는 것은 그 자체로써 이미 자기모순적인 것이다
이야기란 말하기이자 침묵의 깨뜨림이라 할 수 있다. 이 첫 문장이 상징하는
것은 부정되고 금지된 이야기의 부활이라 할 수 있다. 이런 브레이브 오키드의
이중의 말하기 방식, 즉 침묵을 강요하면서도 금지된 것을 소곤거리는 방식은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63.152.133.25 at Tuesday, May 7, 2024 4:08 AM

가부장적 사회가 요구하는 침묵의 명령윤 수행하는 듯이 보이지만 오히려 그


내용은 금지된 것을 내보이고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런 의마에서 또 한번
이중적인 그녀의 말하기 방식은 가부장적 질서 내에서 배척당하고 기억에서
지워지기를 강요당한 여성의 삶을 무의식적으로 드러내고 잔승하려는 의도이
다. 이곳은 또한 바바가 말하는 “사악한 눈”이 작동하는 지점이기도 하다.
바바가 “그 같은 눈(사악한 눈)의 유포와 반복은, 성적 차이륜 고착화시키려
는 판음증적인 욕밍과 인종주의자들의 불신적 욕밍윤 좌절시킨다 ... 또한 선적
이고 연속론적인 역사룹 질시하면서 진보의 꿈을 악몽 같은 흔돈으로 바꾸는
사악한 눈(메일링 진이 ‘보이지 않음의 바밀스려운 기술이라고 불렀던’)은 인격
의 표상에 위기를 만듣면서 그 위험스런 순간에 정치적 잔복의 가능성윤 시작
한다(Bhabha, 76-79)" 고 말하듯이 브레이브 오키드의 무의식적인 응시는 가부
장적 명령이 금지하는 바로 그 지점에서 눈뜨기 시작한다. 그녀는 딸에게 발설
하지 말라는 금지의 명령과 동시에 집안에서 사라져버렸던 사실을 듣추어냄으
로써 위험스런 가치전복의 가능성을 열어준다. 이 가능성은 딸인 킹스턴의 무
의식에 재기입 됨으로써 차이의 구조를 작동시킨다.
킹스턴의 상상 속에서, 고모는 잔형적으로 순종적이고 수동적인 중국여성의
상으로 그려지기도 하고, 전동적인 중국사회에 전혀 어울리지 않았던 자유로운
연애를 꿈꾸던 이단아로 그려지기도 한다. 그 첫 번째 버전에서 가부장적 체제
www.earticle.net
에 잘 길들여진 수동적인 여성이자 긴통으로 집안의 이름을 더럽힌 브레이브
오키드 (Brave Orchid) 의 ‘이름없는 여인’은 킹스턴의 텍스트에서는 마을 남자
의 강간에 의해 임 선을 하고 그 남 자까지 포함된 마을사람들의 집단보복을 받
으면서도 끝까지 자신윤 강간한 남자의 이름윤 알리지 않은 채 자살하는 여인

곳에서 뿌리룹 내리고 퍼져나가듯 (semination) , 한 국가나 국민, 문회등이 동질작이고


순수한 현존으보서 존재한다기 보단 역사, 언어, 인종작, 성작 차이블로 인해 끊임없
이 동요하고 변회하여 또 다른 연대성으토 전환되논 것윤 의마한다- 즉, 이민자듬이
나 소수민족듬의 인종적, 언어적 역사적 차이점들이 하나의 동합적인 문회에 공동적
으보 동등하게 참여히는 한 부분임음 강조한다
맥신 홍 킹스턴의 「여인무사 j (The Woman Warrior): 도전적 응시 179

으로 그려진다.

그들은 (남편과 강간자) 모두 명령했고’ 그녀는 거기에 따랐다 “빈약 너의 가


족들에게 알린다면 년 때리겠어. 넌 죽여 버리겠어. 다음주에 여기보 다시 나
와” 그니는 그 남자에게 “난 임선한 것 같아요 ”라고 말했다 그리고 그는 그
녀에 대한 습격음 계획했다. (7)

이 과정에서 간동한 여인이라는 ‘이름없는 여인’의 정체성은 가부장적 님성


의 성적 희생물의 이미지로 다시 태어난다. 작가는 ‘이름없는 여인’이 가부장적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63.152.133.25 at Tuesday, May 7, 2024 4:08 AM

권위의 폭략에 어떻게 희생당하고 그것의 부름에 어떻게 침묵으로 대항하는지


룹 응시하고 있는 것이다. 킹스턴은 죽으면서까지 침묵으로 대헝한 고모의 이
야기를 다시 씀으로써 ‘침묵의 명령’이라는 가부장적 억압의 도구를 마치 부메
랑처럼 되돌려 바로 그 가부장제에 정면으로 저항하는 무기로 변모시키고 있
다. 가부장적 권력은 그것이 요구하는 여성의 순결이라는 규율에 침묵으로 혹
은 죽음이라는 완전한 부재로써 답하는 ‘이름없는 여인’의 행위룹 동해 자신에
게로 되돌아오는 응시를 발견하게 될 것이다 결국 ‘이름없는 여인’의 완잔한
부재 앞에서 가부장적 권위는 오히려 말을 잊고 그 시선을 거두어들일 수밖에
없다.
작가가 제시하는 두 번째 버잔에서는 “그 남자의 어깨에서부터 엉덩이로 이
어지는 물음표 모양의 곡선(8 )"이라든가 “귀 뒤로 쓸어 념긴 머리모양이나 느
란 걸음걸이, 따뜻한 눈벚 (8)" 에 끌리는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자신의 욕구를
표출하는 여성의 모습윤 지닌 ‘이름없는 여인’이 나타난다 간통에 의한 사생아
의 출산이란 브레이브 오키드의 이야기로부터 작가가 여성의 개인적이고 의도
적 인 성 적추구의 이 야기로 바꾸는 것이 다 토모 하토리 (Tomo Hatto꾀)는 이 것
을 남성의 시선에 의한 성적 대상으로부터 자신의 성적욕망윤 만족시키기 위
해 님성들의 시선을 능동적으로 흡수하는 개인으로서의 힘을 실어주는 것이라
보고 있다(Hattori 94-97). 하토리 의 말처 텀 님 성 들의 시 선을 능동적 으로 받아
www.earticle.net
들이고 그것에 적극적으로 응하는 여성으로써의 ‘이름없는 여인’의 이미지는
또 한번 여성은 수동적이고 자신의 성적욕구를 끊임없이 감추어야한다는 가부
장적 고정관념을 깨뜨리고 있다 여성을 고정된 이마지로써 형상화 하려는 가
부장적 시션을 또다시 바껴가는 이 ‘이름없는 여인’은 남성의 육체에 매흑되는
여성의 시선을 여과없이 드러냄으로써 가부장적 시선에 대해 도전적인 응시룹
되쏘아 보내고 있다.
‘이름없는 여인’의 자샅에 대한 가족들의 침묵에 대하여 킹스턴은 가족들의
의도적 밍각이야말로 진정한 의미의 “정벨 (6)" 이라 생각한다. 가족들이 고모

Copyright@ 2이)5 한국중앙영 어 영 문학회 (http//www.jella.or.kr)


180 나진양

에 대한 이야기를 침묵에 부치는 데는 그 이상의 요구가 숨어있는 데 그것은


모든 것에 대해 침묵함으로써 존재자체를 부정하는 처벌에 동참하라는 것이다.
화자 자신 역시 그 처벌에 참여했음을 시인하고 있다(1 6). 침묵은 이런 식으로
존재와 정체성의 상실로 이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서술자는 바로 이 침묵과 망
각으로 잊혀진 고모에게 집안 전체에 부과된 금기의 명령을 깨고 “이름없는
여인”이라는 이름을 붙여주고 그녀를 자신의 “선험자 (8)" 로 인정한다. 그리고
조상에게 종이로 집과 돈, 자동차등을 만들어 바치는 중국의 전동방식 그대로
고모에게 “종이”로 만들어진 책을 헌정함으로써 이름을 불러주고 있는 것이다.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63.152.133.25 at Tuesday, May 7, 2024 4:08 AM

이는 서술자 스스로의 정체성 찾기이며 자살한 고모와 침묵으로 부정당한 모


든 사람들의 부활의 의식이며 배재되고 침묵당한 역사의 재생이라 볼 수 있다
어머니가 죽은 고모의 이야기를 해주면서도 침묵을 강요하는 것은 고모의
이야기가 공동체의 금기를 어겨 스스로 죽음을 택했다는 무서운 이야기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침묵은 이렇듯 두려워서 혹은 위험해서 배재되거나 금기시되
는 것들, 크리스테바가 말한 이른바 ‘아브젝트 (abject)2l ’한 것들과 연결된다. 예
를 들면 “죽음, 성, 종교, 여성의 생리(1 85)" 갇은 것듣이 그것이다

그들(중국인듬)은 득정한 날 머리룹 김는다거나, 다른 사람을 자토 때리거나,


생리기간 중이건 아니건 님자형제를 넘어 다넌다거나 하면 당신윤 때런 것이
다- 당선은 무엣 때문에 맞았논가를 추측해야하고 만약 맞게 추측했다면 다시
논 그런 짓을 하지 딴아야 한다 만약 우리가 만해지는 것에만 의존했더라면
우리에겐 종교도, 아기들도, 생리도, (묶콘 색스도 만해질 수 없는 것이다)죽음
도 없었윤 것이다. (1 íl5)

그것들은 우리의 삶에서 분리될 수 없는 것이면서도 두럽고 위험한 것으로


간주되어왔다. 여기엔 물론 여성도 포함되며 그들 역시 역사에서 배제된다. 가
부장적 상정체계의 나프시즘적 환상이 요구하는 완전성과 동일시는 자신의 완
잔하고 폐쇄적인 원환성윤 지키기 위해 자신윤 위협하는 요소들을 거부할 수
밖에 없다 www.earticle.net
로버트 리 (Robert G. Lee) 는 킹스턴이 의문시하는 것은 미국 내에서의 중
국여성의 역사로부터의 단절, 잔위, 지워짐에 대한 것이고 그리하여 오리엔탑

2) 역자에 따라 이블 ‘비체’라고 랜역히기도하는 데 그 의마를 충분히 진달할만한 용어


가 없다고 판단되어서 여기에서는 원어를 그대토 쓰기로 한다 크리스테바논 『공포의
권력 J 에서 아브젝트가 되는 것은 “부작전히거나 건강히지 않은 것이라기보다는 동임
성이나 체게와 질서를 교란시키논 것에 더 가깝다 (25)" 고 란한다 동일성의 체게룹
교란시키논 음험하고 볼김한 이 “아브젝트토부터 우리는 스스로룹 보호할 수도 없고
분리될 수도 없는 것”이라 설명하고 있다.
맥신 홍 킹스턴의 「여인무사 j (The Woman Warrior): 도전적 응시 181

리즘 과 남성적 역사에서 여성의 경힘을 봉인해 버리려는 가부장제가 강요하


는 침묵에 도전하려는 것이라고 말한다 (Lee 55). 역사로부터의 단절과 지워짐
은 역사로부터의 배제를 의미하는 것이고 역사로부터 배제당하는 사람은 여성
뿐 아니라 바정상인들도 포함된다.
소설 『여인무사』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인묻은 정신이상이 된 여성들이
다. 브레이브 오키드가 중국윤 떠날 때 마지막으로 목격한 사건에서 나타나는
마친 여자와 킹스톤의 이모인 “문 오키드 (Moon Ord꾀d)" , 돈을 벌기 위해 부
모가 젖먹이일 때 떼어놓고 돈을 벌어 다시 돌아왔지만 이마 마쳐버린 “크레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63.152.133.25 at Tuesday, May 7, 2024 4:08 AM

이지 메 리 (86)" , 시 긍장 근처 를 맴돌던 “피 -아-나(1 88)" 들이 그듣이 다 모든


공동체는 그 배제와 억압의 체제로 인한 희생양을 배줍한다. 이때 그 대상이
되는 것은 사회적 약자인 ‘여성’과 ‘여자아이’ 일 수 밖에 없음을 어린 화자의
입윤 통해 작가인 킹스턴은 이 렇게 말하고 있다.

난 집 집 마다 마친 여자나 마친 게집아이가 있고 마을마다 바보가 하나씩은


있어야만 했다고 생각했다 우리 집에선 그게 누굴까? 아마 나일 것이다
(189)

“서망궁에서 (At the Western Palace)" 의 장에서 등장하는 문 오키드 역시


가부장적 의마에서 그녀의 인생에 가장 중요한 존재였던 남편으로부터의 배제
로 인해 정선이상이 될 수밖에 없는 인물이다. 그녀는 스마스의 말처텀 “부재
하는 남편의 주위를 탄처럼 맴돌면서 다른 사람에 의해 존재가 규정되는 여성
(Smith 1128)" 이다 그녀는 미국에서 의사로써 성공하고 두 번째 부인과 샅고
있는 님편을 만나러 가서조차 “그의 시선 앞에서 위축되고 그의 시선은 그녀
의 울음마저 침묵시킨(1 52)" 다. 그 남편은 또한 브레이브 오키드와 문 오키드
자매에게 자신의 두 번째 아내에게 말하지 말라며 침묵을 요구한다(1 63). 문
오키드는 님편의 시선으로부터 스스로 침묵당하며 동시에 그의 침묵의 요구로
부터 또 한변의 침묵을 강요당한다. 가부장적 시선이 문 오키드로부터 빼앗은
www.earticle.net
것은 언어뿐만 아니라 기억으로써의 역사와 시간성이다 남편의 부재로 그녀는
자신의 목소리를 낼 발판을 완전히 상실했고 결빙된 시간 속에 갇혀서 언니의
집에 돌아와서도 똑같은 말만윤 반복하거나 조카들의 행동만 묘사할 뿐 이다.
이렇게 문 오키드는 그녀의 독백처럼 가족과 역사로부터 흔적 없이 사라져 버
리고 만다.

그녀는 브레이브 오키드에게 우리가족이 밖으보 나가서는 안 되는 이유를 속


삭였다. 그 이유는 그들이 우리블 태우고는 우리블 한 줌 재보 민들어버리는
워싱턴 디 씨보 날려 보내 버릴 것이라는 것, 그리고는 그들은 흔작음 남기지

Copyright@ 2이)5 한국중앙영 어 영 문학회 (http//www.jella.or.kr)


182 나진양

않기 위해 우리의 새룹 바람에 난려버런 것이라논 얘기였다 (1 59)

문 오키드의 바극적인 얘기룹 한 장에 걸쳐서 서술하는 킹스턴은 “이름없는


여인”의 장에서 고모를 부활시킨 것과 갇은 망식으로 “이야기 함” 자체로써
복수를 수행하고 있는 것이라 불 수 있다 킹스턴에게 “복수”란 “알림 (53)" 이
며 글로써 세상 모든 사람들에게 “알림”으로써 킹스턴은 흔적 없이 사라져버
란 이모를 다시 불러내고 있다. 킹스턴은 잊혀지고 사라진 여인듣의 이야기를
동해 ‘잊혀짐’이 의미하는 것을 ‘침묵’으로 연결시키고 있다. ‘잊혀짐’이란 이미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63.152.133.25 at Tuesday, May 7, 2024 4:08 AM

그 안에 침묵과 배재를 포함하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진정한 침묵은 기역에


서 아예 지워지고 배제되어야만 가능한 것이다. 이런 지워점의 과정에서 개인
이 당하는 고동이 곧 ‘형별’이다.
소설 「여인무사4 에서 나타나는 침묵은 사회적으로는 그들의 “이름을 지우고
자하는 중국인 이민자듣의 필요성(1 6)" 과 연결고리를 이루고 있다. 앨리스 워
커(Alice W alker) 의 소설 「칼라 퍼플~ (The Color PU
띠lr,ψle
잉)에서 찔리 (Celie) 가
자신의 남편인 앨버트 (Albert) 의 존재룹 무의식적으로 부정하는 방법으로 편지
나 일기에서 Mr. 이라고 쓰는 것에서 나타나듯이 이름을 지우고자 한다
는 것은 스스로의 정체성을 잊고자하는 의도라고 할 수 있다 “서방궁 에서”
장에서 문 오키드 (Moon 01디d) 의 남편이 그녀에게 “내가 마치 전혀 다른 사
람으로 변한 것 갇소. 내 주변의 새 삶은 너무 완벽해서 나를 끌어내 버렸소
(179)" 라고 말하듯이 스스로룹 잊고 미국사회에 완전하 동화됨으로써만 중국인
이민자로서 미국에서 샅아남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문 오키드의 남편이 주
장하는 이 같은 정체성은 그것이 타자로서 이중적으로 기입된 정체성일 뿐이
라는 데 문제가 있다 첫째 그는 미국이라는 사회에 진입하기위해 최대한 그
들이 요구하는 문화적 동질성에 자선을 적응시켜야한다. 하토리가 “이민자들이
마국에 귀화하는 과정과 문화적 동화의 일반적 과정은 중국적 정체성윤 여성
적, 모성적인 과거로 묶어두고 미국에서 자신들이 수용되기 위해서 스스로를
www.earticle.net
“동양화 (orientalizing) "하는 방법밖에 없다고(Hattori 51)"고 말한 것처 텀 백
인듣이 기대하는 조용하고 부드럽고 근면한 동양인이라는 환상에 걸맞게 적당
한 침묵과 근변함으로 미국 내에서의 자신의 위치를 점해야하는 것이다 그러
면서도 그는 속을 알 수 없는 이중적인 동양인으로 오해를 받을 위험을 감수
해야만 한다. 이는 타자를 대상화시켜 그 차이로써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할 수
밖에 없는 백인사회에서 그들이 자신의 문화적 우월감과 정처l 성을 확립하기위
해 중국 이민자들에게 마음대로 입히는 옷에 자신윤 꿰어 맞춰야하는 현실윤
도외시하고 억압한 결과 마치 스스로가 전혀 다른 사람인 것 같은 착각을 갖
게 된 결과인 것이다. 또한 미국에서의 “새로운 삶이 너무 완벽하다”는 지배사
맥신 홍 킹스턴의 「여인무사 j (The Woman Warrior): 도전적 응시 183

회가 심어놓은 환상에 스스로 도취되어 지배사회를 도전적으로 ‘응시’하지 못


하는 것이다. 작가는 이 응시와 도취적 환상 속에서 분열적으로 기입될 수밖에
없는 소수민족의 이중적 정체성이 갖는 위험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2 모방과 위반의 경계

킹스턴은 「개인적 의견 J (“ Personal Statement" 1998, 이하 P 만 표기함)에


서 화무란 (Fa Mu Lan) 의 이야기가 베짜는 소리인 “직 (Tsiek) , 직 (Tsiek)" 으로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63.152.133.25 at Tuesday, May 7, 2024 4:08 AM

시작하는 것에서 나타나듯이 화무란이 베를 짜는 사람 (weaver) 이었다는 사실


을 강조한다. 또한 텍스춰 (texture) 와 텍스트(text) 는 같은 어원에서 나왔음도
환기시킨다 (25) , 이와 관련된 신화는 오비드 (Ovid) 의 『변신 ~(Metalη orphosis)
에 나오는 필로멜라 (Philomela) 의 이야기일 것이다. 그녀는 형부인 터1 레우스
(Tereus) 에게 강간을 당한 후 그 사실을 말하지 못하도록 혀를 잘린다. 혀를
잘림으로써 침묵을 명령받은 필로멜라는 흰 바탕에 보라색 실로 자신이 당한
일윤 수놓아 언니 프로크네 (Procne) 에게 줍으로써 그 사실윤 알리고 복수한다.
말하기룹 텍스트로 바꿈으로써 자신의 목소리를 내고 자신의 존재와 역사를
사람듣에게 알리는 것이다. 여기서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요소인 ‘수놓기’ 흑은
‘텍스춰’는 직접적으로 ‘이야기하기’ 또는 ‘텍스트’를 가리키는 메타포가 된다.
킹스턴 역시 ‘텍스트’를 ‘텍스춰’ 삼아 잊혀진 전설과 중국의 신화를 재생하고
있다.
소설 「여인무사」에 등장하는 많은 신화적 모티프와 잔설, 유령이야기 등은
작가 킹스턴과 어머니 브레이브 오키드의 필요에 의한 다양한 윤색을 거치면
서 현실과 뒤섞여 버리거나 사실화 되어버리기까지 한다.
이에 대해 프랭크 친 (Frank Chin) 은 “신화는 원래 문화적 기역 속에 갚이
뿌리박힌 것이기 때문에 변경할 수도 없고 변할 수도 없는 것이다 (29)" 라고 주
장한다 신화에 대한 이런 시각은 친이 킹스턴을 비판하는 주요 요지가 되고
있다. 킹스턴은 「마국 비평가듣의
www.earticle.net
문화적 오독 J (“ Cultural Mis-readings by
American Reviewers" , 1998. 이하 C로 표기함)에서 “나는 『여인무사』가 여성
해망적 시각, 제 3 세계의 시각에서 읽혀지길 기대했다 (95)" 라고 자신의 소섣이
추구하는 방향을 제시했다. 그러나 친이나 제프리 폴 챈(j effrey Paul Chan)
등 『빅 아이。1 ~ (The Big Aiiieeeee!) 의 편집자들을 중심으로 하는 중국계 비
평가들은 그녀가 중국의 문화를 잔인하게 표현할 뿐 아니라 미국인의 시각에
서 본 중국인이라는 전형 (stereotype) 에 의존해 자신의 상상에 의한 텍스트를
썼윤 뿐이라 주장한다 (Chin 26). 그러나 일레인 컴(Elain H. Kim) 은 이런 아

Copyright@ 2이)5 한국중앙영 어 영 문학회 (http//www.jella.or. kr)


184 나진양

시아계 님성 바평가들이 국가주의에 페마니즘을 종속시컴으로써 여성에 대해,


또 문화적 영역에서 남성의 권위룹 재확인하려 하고 있다고 비판한다(Kim,
“ Such Opposite Creatures" , 1990, 75). 킹스턴 자신도 이들에 대해 “그들은 분
노를 잘못된 곳에 표현하고 있다(Rabinowitz 183)" 고 비난하면서 기존의 언어
와 지식에 대해 의문을 표하고 “선화란 시대에 따라 변해야하는 것이고 유용
하게 되거나 아니면 잊혀지는 것 (Kingston C, 24)" 이라며 이듣 중국계 남성비
평가들의 도전에 맞서고 있다. 신화의 개념에 대한 시각의 차이와 그에 따프는
바판은 어쩌면 작가 킹스턴에게 마리 예정되어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이 소설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63.152.133.25 at Tuesday, May 7, 2024 4:08 AM

은 자서잔이라는 부째를 탄고 있으면서도 작가 스스로가 고잔적인 자서잔에서


등장하는 고정적이고 확고한 자아인식을 가지고 자신의 의식과 정체성의 형성
과정을 추적하는 자기성찰적인 주체의 자리에서 내려온다 대선 주인공은 자기
의 주변 인물듣을 판찰하고 그들의 과거와 잔섣 내부적인 심리의 균열과 틈새
룹 비접고 들어가며 자신의 정체성을 그 틈새에 기입하고 있다. 이마 기존의
자서전이라는 글쓰기 형식을 해체하고 있는 킹스턴에게 선화를 자유롭게 변형
시키는 일은 새삼스러울 것도 없는 일이었을 것이다.
이 소설에서는 선화와 현실의 정계가 모호하며 어디까지가 원래의 선화이고
어디부터가 킹스턴이 변형하고 덧붙인 것인지를 구별하기 어립다 예를 들면
“백호듣”장에서는 화무란의 잔설을 이야기 하고는 곧바로 킹스턴 자신의 현실
이야기로 전환된다. 그러나 그 현실은 “나의 미국생활은 참으로 실망스러웠다
(45)" 고 시작하는 데서 나타나듯 전설과 현실 사이에 계속되는 불화룹 보여준
다. 이런 의도적인 경계 허물기 잔략의 예는 몇 가지가 더 나타난다. 잔설에서
는 화무란이 영광스런 싸움을 하고 돌아와 부모님과 마을 사람들로부터 환대
룹 받는 것으로 묘사되지만 서술자가 현실에서 보는 싸움이나 죽음은 영광스
럽다기 보단 누추하고 더러우며, 누가 이기고 누가 진 것인지가 모호한 사건일
뿐이다(51). 또한 “서방궁 에서”의 장에서 브레이브 오키드는 동생 문 오키드
에게 신화에 나오는 동방의 왕바가 첩인 서방의 왕바에게서 남편을 되찾아온
www.earticle.net
것처럼 남편을 되찾윤 수 있윤 것이라 확신시키며 요란하게 복수극을 계획한
다. 그러나 이는 한편의 코미디로 막을 내리고 신화와는 반대로 문 오키드는
남편으로부터 완전히 버펌받았다는 사실만을 확인한 채 미쳐버린다.
유안 슈 (Yuan Shu) 는 “이름 없는 여인”장과 “백호듣”장을 성공과 실패라는
대칭적인 구조로 본다. 그 다음 나오는 브레이브 오키드와 문 오키드의 이야기
역시 성공과 실패라는 구조로 파악한다 (Shu 199-224) 그러나 브레이브 오키
드의 이야기는 화무란 이야기의 후일담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전장에서의 성
공과 가족에 대한 복수를 끝낸 후 마윤로 돌아와 아내와 며느리로서 사는 것
맥신 홍 킹스턴의 「여인무사 j (The Woman Warrior): 도전적 응시 185

으로 끝이 난 화무란 전설의 후속편이 미국에서의 브레이브 오키드의 삶인 것


이다. 전설 속의 기대와 달리 미국에서의 그녀의 삶은 “얼마나 추락했는지 모
를 (77)" 정도로 보잘 것 없는 삶이다 아내이자 노예의 자리로 돌아온 브레이브
오키드는 자삭들이 남긴 음식 찌꺼기를 먹어 살이 찌고 (102) , 너무 많이 일하
고(103) , 자삭이 자기 곁을 떠날까 걱정하는 노인일 뿐이다. 킹스턴은 이렇게
화려한 성공덤과 그 후일덤 잔설과 현실과의 불화를 곧바로 연결시킴으로써
전설이 전하는 “효 (filiality)" 라는 메시지룹 전복하고 있다. 이는 슈의 분석처텀
화무란의 이야기가 성공의 전형으로 제시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전설의 허구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63.152.133.25 at Tuesday, May 7, 2024 4:08 AM

성윤 드러내고 이를 비웃기 위한 의도적 재구성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서방


궁 선화와 연관되어 나타나는 문 오키드 역시 “이름없는 여인”의 현대판 재연
이라 할 수 있다 이중 결흔을 한 남편에게 한마디 말도 하지 못하고, 결국 정
신벙원으로 가서 생윤 마감하는 하위주체인 문 오키드는 정의를 위해 싸우지
도 못하고 언니 브레이브 오키드의 세탁소에서의 힘든 노동도 견디지 못한다.
그녀는 순결이라는 가부장적 규율에 완전하 적응하지도 못하고 마을 사람들의
정벌에 대해서도 이겨내지 못하고 자살하여 영원한 밍각 속으로 사라져버리는
“이름없는 여인”의 현대적 반복인 것이다 킹스톤은 슈의 분석처텀 “이름없는
여인”을 실패의 이야기로 화무란의 이야기를 성공의 이야기로 배치한 것이 아
니다. 오히려 그녀는 두 이야기 모두를 실패의 이야기로 제시하고 두 가지 경
우 모두의 바극적 결딸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킹스턴이 ‘서방궁의 전
설’과 문 오키드의 이야기룹 병치시키는 이유는 신화가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를
강화하는 쪽으로 이마 왜곡되었기 때문에 현실을 그대로 재현 할 수 없다는
것을 드러내기 위한 장치라 할 수 있다.
이처텀 끊임없이 선화가 전달하고자하는 표면적인 의미를 위반하면서 킹스
턴의 “사악한 눈”이 응시하고 있는 것은 기존의 덤론들이 지닌 가부장적 메시
지의 이중성이다. 선화는 그것을 받아들이는 주체의 입장과 상황에 따라 전혀
다프게 해석되어져야하고, 또 실재로 그렇게 전달되고 있는 것이다. 킹스턴의
www.earticle.net
“사악한 눈”이 이 지점에서 포착하는 것은 신화와 현실간의 긴극이다. 신화를
현실에 그대로 적용할 때 얼마나 우스운 희극이 되는지룹 보여주는 것이다.
여기에서 킹스턴은 바바가 효과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모방(mimicry) 의 전략
을 사용하고 있다. 바바는 모방의 덤 론은 “거의 갇지만 똑같지 는 않은 차이
(Bhabha 122)" 룹 둘러싸고 수행되며 그것이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미
끄러점, 초과, 차이를 생산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이런 과정윤 통해 모방은
권력을 가시적으로 드러내면서도 규범화된 지식과 규율권력에 내재적인 위협
이 되는 차이와 반항의 기호가 된다고 섣명한다. 결국 모망은 닮은 것인 동시

Copyright@ 2이)5 한국중앙영 어 영 문학회 (http//www.jella.or. kr)


186 나진양

에 위협이기도 한 이중적인 전략이 되는 것이다(Bhabha 122-123). 킹스턴은


기존의 선화룹 모방하면서 그것을 위협한다. 선화에서 재시되는 가부장적 환상
을 그대로 모망하여 잔달하는 척하면서 그것윤 정반대의 현실에 적용시킴으로
써 신화의 허구성과 그것이 재현하는 세계에 대해 의혹의 눈김을 보내게 만드
는 것이다 이는 과연 최초의 투명한 의마의 선화라는 것이 존재하는가라는 신
화의 기원에 대한 의흑의 시선이라 할 수 있윤 것이다. 이 의흑의 눈길이 작가
킹스턴이 “신화란 시대에 따라 변해야하고 유용하게 되거나 아니면 잊혀지는
것”이라 주장하게 만드는 근거가 될 것이다. 이마 신화는 그것을 전달하고 유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63.152.133.25 at Tuesday, May 7, 2024 4:08 AM

포하는 사람들의 현실적 욕멍에 의해 수도 없이 굴절되었고 또 그럴 수밖에


없음을 말하고 있다.
이런 전설과 현실 사이의 불화와 혼란 중에도 서술자는 화무란과 자신과의
공통점을 말/글 (words) 에서 찾고 있다.

그 여인무사와 난 그렇게 다르지 않다 아마 나의 동포들은 그 유사점을 곧


이해할 것이고 난 그듬어1 게 폴아갈 것이다- 우리가 공통으토 갖고 있논 것이라
면 우리의 등에 새겨진 날이다 복수라는 딴은 “죄를 고한다” 그리고 “다섯 가
족에게 암린다”는 것이다 머리를 베거나, 매룹 가르거나 하는 것이 아니라 글
토써 암리는 것이 복수인 것이다 (53)

화무란 과 킹스턴이 공유하는 공통점이라면 “글 (pen)" 에 대한 잔유이다. 글


로 써서 알힘으로써 가부장제와 인종주의적 편견에 대한 복수룹 수행하는 것
이다. 화무란의 몸에 새겨진 “복수”라는 말과 킹스턴이 사용하는 “글”은 둘 다
가부장적 지배이념에 대한 저항의 수단이자 침묵이라는 수동적 발화망식이 아
니라 결처럼 직접적이고 가시적인 도구로써 얄리겠다는 작가의 의지를 천명하
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킹스턴에게 있어 복수란 이와 같이 억압된 자들에게 사
회체제가 부과한 침묵을 깨뜨리겠다는 것 즉 강요된 침묵에 대한 저항이다.
그러나 킹스턴이 사용하는 무기는 직접적인 외침이 아니다. 그녀는 아버지의
www.earticle.net
딸을 잘 듣는 딸처럼 가부장적 권력이 사용하는 언어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그
혀를 갈라지게 만든다. 우리는 그 갈라진 혀가 발화하며 끊임없이 위반하는 경
계지점에서 새로운 혼성적 담론이 생산되리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3 낙원의 부재에서 통합의 가능성을 향하여

킹스턴은 어릴 적부터 “여자아이를 키우느니 오리를 키우는 게 낫다 (46)"


“딸을 키우는 것은 남을 위해 키우는 것이다 (46)" , “여자애룹 키우느니 찌르래
맥신 홍 킹스턴의 「여인무사 j (The Woman Warrior): 도전적 응시 187

기를 키운다(46)" , “홍수가나서 물건들을 건질 때 여자애는 건지지 않도측 주


의 해라(52)" 는 등의 여 성바 하적 인 속담을 들으며 자란다.
이하배는 속담이 “일상적 삶 속에서 일상의 삶윤 위해 일상의식에 의해 정
리되고 말해지고, 들어지고, 실천되기에 일상생활상을 여실하 반영하기도 하는
반면 기존질서에 동의하게 하고 이를 곰하는 부정적 기능을 하는 측면 또한
강하다 (94)" 고 한다. 이는 속팀이 “소외적 기존 사회화 짐서의 한 표현이자
이 질서를 담지하고 재생산하는 하나의 형식 (204)" 이기 때문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문제는 이러한 속담이 우리의 일상적 사고와 행동에 영향을 준다는 데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63.152.133.25 at Tuesday, May 7, 2024 4:08 AM

있다. 사라 밀즈는 “덤론은 사회적 맥락 안에서 활성화되고 사회적 맥락에 의


해서 결정되며 사회적 맥락이 유지될 수 있도록 기여하는 발화, 문장, 언술들
의 집합체(밀즈 25)" 라고 말하고 있다. 속담 역시 사회적 맥락에서 사용되는
연술이자 사회적 의마를 생산하는 덤론이라 볼 수 있다. 사회적 의마의 생산을
담지한다는 의미에서의 담론이 주체의 사고에 영향을 미친다는 푸코식의 주체
개념은 킹스턴에게도 적용된다. 킹스턴이 중국이민 사회에서 들어야했던 성차
별적 속팀이 그녀의 사고와 삶에 어떤 영향윤 주었는가가 문제되는 것이다.
여성바하적인 속담들은 맨 먼저 어린 킹스턴 스스로의 성적 정체성을 부정
하도측 만든다 킹스턴이 이런 속담들에 대헝하면서 외치는 딸은 “난 나쁜 여
자애가 아냐. 난 나쁜 여자애가 아니라구 (46)" 에서 “난 여자애가 아냐 (46)" 로
변하며 사회에서 여성에게 당연한 것으로 요구하고 기대하는 역할들을 거부하
는 것으로 나타난다.

난 음식 만듬기룹 거부했다 난 섣거지를 해야 할 때논 점시룹 한두 개씩 깨


곤 했다 “나쁜 게집애” 엄마논 외쳤고 그럴 때마다 난 울기보단 속으토 고소
하다고 생각했다 나쁜 게집애논 님자애와 비슷한 것 아딘가? 지금도 난,
기분 좋을 때 외엔 음식을 만들 때 음식을 태워버린다 난 사람들에게 음식을
해서 먹이지 않을 것이다 난 접시 따윈 섞도팍 내버려 툴 것이다- 난 다른 사
람들이 준비한 싱에선 먹어도, 접시들이 꺾고 있는 내 밥성에 다른 사람듬을
불러들이진 않윤 것이다 www.earticle.net
(47 쇄)

또한 같은 마을의 중국 이민자들이 그녀와 여동생을 보고 “계접애군 그리구


또 계집애라니 (46)" 라고 고개를 흔들 때 그녀는 바애감을 느끼고 부모넘의 사
랑을 의심한다 이는 인간에 대한 신뢰를 잃게 되는 것으로 연결되며, 그 후
멍문대에 진학하여 서l 상을 변혁하기 위해 공부하고 행진해 보지만 아무것도
그녀를 아들로 변화시 켜 주진 않는다(47). 남성 의 영 역 에 도전하여 공적 인 영 역
에서 성공윤 했다 해도 딸인 이상 결코 부모와 사회로부터의 인정과 사랑을 받
지 못하리라는 것윤 드러내려는 잔략적 에피소드이며 이는 죽음으로써 부모의

Copyright@ 2이)5 한국중앙영 어 영 문학회 (http//www.jella.or.kr)


188 나진양

인정을 갈구한 우리나라의 바리데기 설화와도 맥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내가 태어났음 때도 엄마는 내 얼굴에 계란음 공려 주었나요?”, “내게도 돌잔


치블 해주였나요7" “내가 태어났음 때도 온퉁 불음 밝혔나요7" “내 사진도 함
머니에게 보내주였나요7" “왜 안 그랬죠? 내가 계집애이기 때문인가요? 그래
서 안 그러선 거죠7" (46)

사내아이가 태어났을 때의 떠들썩하고 축재적인 분위기와 계집아이가 태어


났을 때의 침묵을 대조시키면서 킹스턴이 상기시키는 것은 여성에 대한 근원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63.152.133.25 at Tuesday, May 7, 2024 4:08 AM

적인 사회로부터의 추망이다. 레슬리 라바인 (Leslie Rabine) 은 “태어날 때부터


가족으로부터 인정받지 못하는 여성이 된다는 것은 집이 없는, 고향이 없는 영
원한 추방자가 된다는 것이다 고향을 잃은 남자가 된다는 것은 여성적인 성으
로 (경계를)념는다는 것이다.(Rabine 480)" 라고 말하고 있다. 따라서 인간이 근
원적으로 돌아가야 하고, 어머니와의 근본적인 합일을 의마하는 고향으로서의
낙원이 여성에게는 태어날 때부터 존재하지 않거나 빼앗긴 것이다. 그곳은 동
합된 주체로서의 완결성이 존재하는 공간이다. 따라서 가족과 사회로부터 추망
된 여성은 닥원에서 추방되고 불멸을 잃은 아담과 이브처럼 영원하 돌아갈 곳
을 잃은 추방자의 이마지로 고착되는 것이다
이 소설에서 가족을 대표하고 가부장적 문화에 길들여진 어머니 3) 인 브레이
브 오키드는 여자아이는 “자라서 아내나 노예가 될 것 (20)" 이라 말하며 킹스턴
에게 중국적 문화와 가부장적 가치관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런 역할을 하
는 브레이브 오키드는 킹스턴에게는 념어서야 할 또 하나의 “유령/귀신
(ghost)" 이다. 서로를 이해하지 못하는 어머니와 딸은 서로에게 “타자(Other)"
의 다른 이름인 “귀신”일 뿐이다 이 책의 부재에도 나타나는 “귀선”이란 말은
서로 이해되지 못하며 그래서 낯선 존재를 의마하는 것이다. 서양인에게 동양
인, 동양인에게 서양인은 서로에게 타자이며, “귀선”이다. 미국 땅에서의 생활
은 말 그대로 “귀신” 사이에서 사는 것이다. 브레이브 오키드는 이 단어룹 이
www.earticle.net
해되지 않는 모든 존재에게 사용하고 있다 어란 킹스턴에게도 중국과 판련된
것은 낯설고 미국에서의 정상적 삶을 방해하는 성가시고, 이상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킹스턴의 “귀선”은 어머니인 브레이브 오키드이기도 하며 그녀가 전해
주는 중국과 관련된 모든 것듣이기도 하다. 딸인 킹스턴은 어머니가 말해주는

3) 아드리안 리치 (Adrienne Wch) 는 그녀의 책 r of Woman Hom, 에서 모성 김들이기


가 어떻게 이푸어졌논가룹 다각적 시각으토 접근하고 있다 득히 제 5 장 “모성의 동회
(The Duαlmes
았t디lca
따tionπm of motherhood
비1)γ” 어에1 서논 모성의 김들이기가 신회적 차원에서 어
떻게 이루어졌는가블 고찰히고 있다
맥신 홍 킹스턴의 「여인무사 j (The Woman Warrior): 도전적 응시 189

중국의 전설이나 이야기에 논리가 없다고 비난하면서 서구적 기준으로 진실성


과 논리룹 따진다.

난 염마의 이야기를 더 이싱 듣기 싫어요 그 이야기들은 논리가 없어요- 그것


들은 날 뒤죽박죽으토 만듬어요 염마논 이야기듬로 거짓란을 하고 게세요 염
마논 제게 얘기룹 해주고는 “이건 진실이란다” 아니면 “이건 그냥 이야기일
뿐이란다” 라고 만해주지도 않지요. (202)

이것은 현실과 꿈의 명확한 구분도 없고 현실성 없는 이야기에 의존하는 브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63.152.133.25 at Tuesday, May 7, 2024 4:08 AM

레이브 오키드의 말하기 방식에 대한 비난이다. 그러면서도 킹스턴은 정작 자


신의 소설 속에서 명확한 구분들을 흐리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자서전이면서
도 소설이고 중국의 선화를 차용하면서도 그것을 뒤섞고 변용시키면서 자신이
바난했던 브레이브 오키드의 말하기 방식윤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
녀는 표면적으로는 브레이브 오키드의 말하기 방식에 저항하면서도 오히려 그
방식을 차용함으로써 미국적 기준에서의 “논리(logic)" 의 의미룹 패러디하고
있다.
미국사회에 동화될 수 없다는 불안감은 어린시절에 다니던 학교에서 영어를
하지 못하고 말하기조차 완강히 거부하는 한 중국인 소녀룹 자신의 모습으로
투사시켜 그 아이에게 영어로 말하기를 강요하며 폭략윤 행사하는 모습에서
극단적으로 드러난다.
“네가 말을 하지 못하면, 넌 인격을 가질 수조차 없는 거야. 넌 너1 일생을
벙어리처럼 살고 싶니? 넌 사람듣에게 너도 인격이 있고 두뇌가 있음윤 알려
야 하는 거야 (180)" 이는 오히려 킹스턴이 스스로룹 표현할 수 없는 자기 자
신에게 하는 말처럼 들린다. 그녀는 미국적 기준을 내재화 하여 중국인임에 대
해 부끄러워하고 있는 모습으로 그려진다. 이는 그 소녀를 싫어하는 이유가 그
녀가 말하기를 거부하는 것 뿐 만 아니라 그녀의 “중국인형 같은 헤어스타일
때문(1 73)" 이고 그 소녀의 “가날돈 목, 유약함, 그녀의 말쑥함(1 76) ," 그리고
www.earticle.net
“어린애 갇은 이빨(1 78)" 때문이라고 서술하는 데서도 나타난다 그 소녀의 중
국적인 외모는 인종적 소수자의 ‘약함’을 상징하는 것이기 때문에 어린 킹스턴
은 그것에 대한 저항감을 느끼는 것이다 이 에피소드 역시 미국사회 내에서
약자로 존재할 수밖에 없는 소수민족의 서글픈 자기확인 과정이라 할 수 있다.
화자의 이런 모습에서 나타나는 언어에 대한 강요는 지배사회의 언어를 습득
하지 못하면 자신의 생존 자체를 위협받으며 자신의 정체성조차 없다는 절박
한 인식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이는 서술주체인 킹스턴이 무의식적으로 미국사
회 내에 동화되고자 하며, 중국적 정처l 성과 거리를 두고 있음윤 증명하는 것이

Copyright@ 2이)5 한국중앙영 어 영 문학회 (http//www.jella.or.kr)


m
m 니진양

라고도 본 수 있을 것이다. 이륜 두고 하토라는 킹스딘이 봉이-시아적인 정체성


자체에 관싱이 있는 것이 아'--1 라 어떻케 아시아언갚이 꾀←n] 사회에 적응합 수
았는가에 핀선윤 가졌다 ~II 본다. 그는 오리엔탈리즙은 극복-왼 것이 이 \-1 라 ‘g
히 려 “신 오리 엔딴t!j 즙(Nc\v OricntalismJ"이라 부 으뉴 기 "H 고L싸 인종 직 사부
선괴 다뷰화주의 ( multiculturalísmJ 의 형태로 이시이게 미국인의 식려석 구조
속_0 쿄 귀속된 _0 쿄씨 눈이l 띄지 않개 되었윤 뿐 이라며 (IIattori fì 1) 킹스턴윤

비판하기도 한디‘
:1.러나 킹스턴의 “사악한 눈”은 단순히 미국의 기치들 내새회사키는 데서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63.152.133.25 at Tuesday, May 7, 2024 4:08 AM

멈추지 않는디 그녀는 미국사회 가 얀송적 타치-갚에게 년지는 감시의 시선윤


치판시켜 그것을 옹사로 되듬리고 있다. 녹자로 히여금 “거의 농일하지만 이주
뜩감지는 않은 치이(Bhabha 122)" 갚 인식하도-콕 만옮으보서 끼l 곡사회에서 말
하기 」를 증요사하는 까지 기준의 릎을 의선히노복 유묘하는 것이다,
어쨌튿 킹스턴악 ‘목소리 내끼’븐 어미니 브데이브 오키 1 : 화 꽉은 세싱-과 한
핀 싸움을 벌이는 통괴 의례륜 치즙으로써 얻어진다.

내기 비걱 뭇생키고 사우릎‘신 몰라도, 한가지 , 안 정선지채아기 아니애요 난


똑똑해요 안약 냥들이 염 페이지관 쓰라고 하연 만 염 마섯 페이지관 얀 수
있다고요 만 백<;, 1 뉘선늘이 하는 연윈 그늘_1~_다~. 더 죄 해요 아무~ 납 아무
것도 아년 사 암 이라 생 각 얀 해요 만 y 예나 아내가 되까 않까 기예요
하,! 엠마는 대키 닐하는 것윈 악지 못 힌 건요 엠마는 대 혀둡 자 E츠 려 했 지 안
소용없어요 (202)

이런 씨응 갑에 “시지은 : t 녀익 것이치만 갑은 나의 것이다(20fì) ’‘ j 시작하

는 채연 (Ts’ai Yen) 의 이야기로 킴스틴븐 새로분 등-합의 가능성윤 재인한다-‘


오장캐에게 작히가 그듬 디l 장의 이이륜 낳 고 15년 긴 그듬의 I딩에 작히 있다가,
i 향-올 그퍼우l 하는 아튜디운 노래갚 지어서 오맹캐으l 마음온 움직이 ïL 디시
~11향으로 븐이온다는 채연익 이야가는 ‘언이의 무-사’로서 자신의 장채성윤 펙
www.earticle.net
인해 기는- 지기의 만하/1 전략이라 할 수 있다 킹스 터은 채언의 전섣윌- 다시
쓰면시 원래의 신실이 진하고자 하는 파가나 가족에 대한 충성 에 초 진을 두기
보다 재연의 노펴l 자제기→ 깃 ÷:- 휘에 주목하고 있다 : 1. 녀의 노이1 쓴 “높고 맑아
서 ( 2(애)" 중국어갚 이해하지 못하는 오명캐조치 그 “슬픔싸 분노(209) " 륜 이해
할 수 있었다고 뇨사팍?←꾀씨 노래, 갚 텍 스드기- “순갚과 문노”들- 담아낸 수
있는 그곳의 억한‘요 한 수 있음육 개안하고 있디. 어 내니와 띨이 “오링캐의 갈
대 피랴 ”에 앗춰 ι: 때륜 부표늦 합께 부르는 ~I-_ r!ß 라는 걸띄-은 λl ‘술주치l 가 그
녀의 삶에서 벗어남 수 없었던 중국 적 인 유산j!↓ 주체 적 한션 세 끼| 속에서 오
는 권화외 모순윤 2.,-. ë.H 로써 승-화시키고 었는 것이라고 본 수 있다. 이는 바바
맥신 홍 킹스턴의 「여인무사 j (The Woman Warrior): 도전적 응시 191

가 말하는 “흔성성 (hybridity)" 의 개념과도 상동하는 데 그는 “혼성성이란 본


토문화와 그 혼혈아, 자아와 그 이중성 사이의 차별로서 부인된 것의 흔적이
역압되는 것이 아니라 어떤 변종으로서 반복된다”고 말한다(Bhabha 159) 이
런 변종으로서의 혼성성은 생산적인 가치를 지니게 된다 다시말하면, 브레이
브 오키드가 상징하는 중국적 유산이 킹스턴이 샅고 있는 미국에서의 가치에
의해 부인되거나 동화되어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그 중국문화의 흔적위에서
변형, 치환되어 새로운 것이 산종되는 것이다. 이 흔성성에 의해 태어나는 노
래/텍스트는 바록 전혀 다른 언어를 쓰는 이민족/오랑캐조차 “그 슬픔과 분노”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63.152.133.25 at Tuesday, May 7, 2024 4:08 AM

를 이해할 수 있게 만드는 힘을 지니게 되는 것이다


작가는 스스로룹 옛날 중국의 “매듭 짜는 사람”에 비유하면서 자신의 정체
성을 규정하고 있다.

옛난 중국엔 줍을 엮어서 단추와 정식 슬과 종 치논 줍윤 만드논 매듭 짜논


사람듬이 있었다 그런데 어떤 매듭이 너무 복집 해서 매듭 짜논 사람을 눈먼게
만들어 버폈다 결국 황제가 이 잔인한 매듭윤 금지시켰고, 귀족들은 더 이싱
그것윤 짜라고 맹을 내런 수가 없었다 만약 내가 중국에 태어났더라면 난 그
금지된 매듭 짜는 사람이 되었을 것이다 (1 63)

작가란 단순한 사실을 “잔인할(1 63)" 정 도로 복잡하게 엮 어 나가는 사람이 다.


매듭이 상징하는 것은 목소리고 이야기이고 가족과 사회로부터 배제되고 잊
혀진 ‘역사’이다. 그 매듭이 비록 복잡함과 위험함으로 인해 “금지당하고 (163)" ,
매듭을 짜는 사람이 그로인해 “눈이 벨지라도(163)" 작가 킹스턴은 끊임없이 금
지된 것을 이야기하고 그 이야기로써 자신의 역압상황윤 드러내는 사람이다.
이 끊임없는 중얼거힘이 곧 지배사회에 대한 “응시”이며 작가로서의 정체성이
다. 작가는 영원하 침묵하지 못하는 사람인 것이다.
문자 그대로 “여인무사”였던 화무란을 초월하는 언어의 무사인 채연의 이야
기와 “매듭 짜는 사람”의 이야기를 동해 작가가 드러내고자 하는 비전은 여성

www.earticle.net
말하기 혹은 글쓰기는 남성의 득권이었던 언어를 전유하고 (appropriation)
잔복 (subvert) 함으로써 초윌의 가능성윤 예견하는 것, 흑은 두 겹의 언어에서
어떻게 하나의 동일된 목소리로 발전할 수 있는가의 가능성을 재시해 주는 것
이라 할 수 있다.

III. 결 론

킹스턴은 독자듣에게 “이 작품이 중국계 미국인의 잔형인가? (C, 101)" 를

Copyright@ 2이)5 한국중앙영 어 영 문학회 (http//www.jella.or.kr)


192 나진양

물을 것이 아니라 “이 책이 인간에 대한 전형인가7" 룹 물어줄 것을 주문한다.


그녀는 개인적 바전의 영원성과 보편성을 믿으며 인간이 중층적인 것처럼 이
책도 중층적이길 기대한다며 이 책이 세계적인 소설로써 보편성을 지닐 가능
성을 재시하고 있다 (C, 1(3). 하나의 소설이 보편성을 가지려면 그것은 차별
적이거나 기존의 의미론적인 튿에 얽매이지 않아야한다
킹스턴은 자서잔적 소설인 「여인무사」에서 가부장적인 중국문화와 인종차별
적인 미국의 문화가 끊임없이 생성해내는 차별적 담론의 허점과 미끄러짐 응
시함으로서 그들의 차별적 시선을 전복시킨다. 가부장적 사회에서 어쩔 수 없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63.152.133.25 at Tuesday, May 7, 2024 4:08 AM

이 침묵당하고 욕밍을 통제당한 여성듣이 선택할 수밖에 없는 침묵은 그 이면


에 금지된 것을 속삭이고 문자화되지 못하고 정전화되지 못한 것들을 구전으
로 전하는 방식으로 그 돌파구룹 찾는다 이른바 구전적 전동이라 부룹 수 있
는 많은 이 야기듣은 문자화되지 못했기 때문에 더 자유롭게 다양한 버 잔윤 구
사할 수 있는 흔성적 창조성을 그 특정으로 갖게 된다. 트란 민하 (Trin T.
l\1inh-ha) 는 “구전적 전동” 이란 곧 “지식의 총체”라고 하면서(1 26) 이야기가
곧 역사이자 문학이며 역사가 이야기로부터 분리되는 순간 그것은 단순한 사
실의 접적물이 되어버리는 것이라 말하며 전달되는 이야기의 생명력을 강조한
다. 그녀는 세대에서 세대로 전달되는 것은 이야기 뿐 아니라 “전달 (trans
mission) 의 힘(1 33)" 바로 그것이라 말하면서 이야기하기의 창조성과 그것이
실재를 만들어내는 힘에 대해 논한다. 어머니 브레이브 오키드로부터 딸인 킹
스턴에 이르는 다양한 선화와 전설의 변주곡들은 어머니와 딸이 부르는 흔성
적 이중장으로 변형되어 새로운 텍스트를 만듣어 낸다 이듣이 내는 새로운 목
소리는 가부장적 상징질서에 김들이고 동일시하려는 지배사회의 욕망을 머뭇
거리게 만들고 자체의 모순을 드러내게 함으로써 스스로를 재구성하게 만드는
힘윤 갖는 것이다.
작가에게 텍스트란 억눌렸던 목소리를 내는 장소이고 자신의 목소리, 정체
성을 찾는 과정이다. 중국인 이민사회에선 여성으로, 미국사회 내에서는 소수
민족으로서 느끼는 억압적
www.earticle.net
상황에서 어떻게 왜곡된 목소리를 내지 않고 당당
하게 자기만의 목소리룹 갖고 자신의 목소리를 동재할 수 있는가를 탐색하는
과정으로써의 글쓰기룹 킹스턴은 “매듭 짜는 사람”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복잡
한 매듭을 짜다가 눈이 멀어버린 매듭 짜는 사람처럼 작가는 주어진 사실윤
여러 목소리로 재현하는 사람이고, 다양한 시각에서 재구성하여 섬세하게 엮어
내는 사람일 것이다.
소설 『여인무사』는 선 오리엔탈리즘의 구현이라는 혹은 잘못된 역사의 재현
이라는 일부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 인종적 약자에게 부과되는 억압과
맥신 흥 킹스턴의 ‘여인무사 r (The lYolnan lVarrior): 도전낀 응 시 193

배제의 치l 제의 시싣 이-래에 λl 언숲주체의 “시약한 눈”이 。1 떻게 도전척인 옹


시보서 3 것올 꾀싼아 그 듬새에 지신의 정처1 성 i올 기입하.ïL 시)보문 혼성 적 딘
곤은 만득이 'l}는가를 .Y_ é섹주는 소실이다.

1그 Works Cited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63.152.133.25 at Tuesday, May 7, 2024 4:08 AM

노승희 r 자전식 달쓰 -; 1 의 이1 ~~t:=l 즙: 깨신 흥: 킹스턴의 1 여얀무사」얘 나다만

모어의 시학‘ 「영미 단학 퍼l 끼l 니즘」 제3 집. 1996


믿즈, 사라 , - 당본; _ 김부-경 역 인끼사랑, 2α) 1

이하꺼11, r 우퍼속던에 니~타난 성치별의 사회화→유고[적 사회화와의 관련 속에서 J ,


「 힌-독사회괴 학논총J 제 11 권, 1 호, (2001 년 é씌즙), 185 207‘ •

정븐숙 r 대선 흥 깅스던으l 대화적 기볍 이웅:l; 소 cl, 상호넥 스투성, 드펙스1'1

선락을 증선으로J , 증앙떼학교 꾀}학원 박사학위 논·나, 1999 12 ‘

딘피스네바, 중 21 아상포의 뀐랙 "김인훤 역- 동-문션, 2이)1.


1~habha, Homi ‘ K, TfK’ I ,omtion of Cìllture. New YOγk I{outled앙e, 1994.
Chcung. King 1<0 1<. Articulate
• Sileηces , Corncll Univcrsity Prcss , 19Srl.
•• • . Imposed Silences in The Color Furple and The
““ Don‘ t Tell" ‘
Woman vVarrn:or" Pl'vlLA 1o:l-2 (l\Iarch ‘ 19í-\R) . 162-174_
Chin , Frank. & Jefíì-ey l'au1 Chan Ed. The Big Aiiieeeee/ A n Anlho!o강〕
q{ Chinese Amerímn and japanese Amerimn Uterature.
~-Ieridian, 1 잇n.

Fishkin. Shelly Fisher “Tnterv서ew 떠 th Vlaxine Hong Kingston" Amerímn


Literary IIistnry. Vol :1-4 (1 99 1). 7H2-791
H원IttOri ‘ ]、omo. Orienb.μ'1íst 'Ihe CUltl쇠nl Po1í tícs of the
’! 、'ypolo!IÍes:
www.earticle.net
Fema{e Subject in J\!I a.xine IIong Kingston's The T'Vo!nαl
Ví'Í1rrior and .1(η, KOglα1)(] 'S Obα%ν1, A ThesÌ s submÍlLed Lo 냐le
School of Graduatc Studics in Partial Fulfilmcnt of thc
RequiremenLs f 01' Ule Degree Doctor of Philosophy , l\kMasLer
lJ niversity. 1994.
Ki m , El띠ne. H , ““ Such Opposite CreaLures" ‘ :-vlen and Women in Asian
American Liteπlture" 서íchí.qan (:)1ιuτerly Iìevíew , 39. 1. Winter
(1990): nH-9:1_

Copyright반 20lJ5 한극중앙영 야 영 운학회 (http:// www.jella.or.kr)


194 니진양

Kingston, Vlaxine. Hong. ’ Ihe Woman TV’αrrior: '/‘he !'vl emoirs of a


Girlhood Among Ghosís. Vinlage InLerna lÍ onal Edi LÍon, 1989.
“ Cultural 1\1i s-reac1ings bγ Ame꺼 can I{e、산ewers", Critiwl 깅ssay‘s on
l'v!w:ine Ilong Kingston Laura α1. Skandcra Tromhlcy , Nc\\r

'{ork: G. K. Hal! & Co. 1 앉)8, 95-1 0.3.


‘ Pcrsonal Statcm다Jt' ‘ A낌Jroaches to Teaching Kin요ston ’s The
Woman Warrior ed. Shirley Geok-lin Lim, :'-Jew York: :\江A.i\.‘
199 1. Z;' l-2S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63.152.133.25 at Tuesday, May 7, 2024 4:08 AM

KrisLeva, Jωia. Aboul αlÎnese ~Vomeη, AnÌLa Barrows Lrans. :'-Jew York:

VlaTÌon 1 oyars , 1986.
Lee. RoberL. G. “ The 이loman 이larrior InLer、lenlÍon in Asian
as an
Ame끼can Hi sto꺼 ograph、끼 .4pprωches to 'f ‘eac、hin/I κin/Iston':、
The vVoman Wan1or, Ed. Shirlcy C;cok lin Lim, Ncw York: •

χILAA , 1991. 52-6.3 .

.VIi nh-ha, Trinh T. , Woman, λrarive, Other, Bloomington: Indiana


Uni versÍl y Press , 1989.
Rabinc, Lcslic ìV “No Lost Paradisc: Social Gcndcr and Symholic Gcndcr
in lhe Wrilings of 1\laxine Hong KingsLon" , S‘i낌18 12 (Spring ,
1987) , 471-494.
RabinowiLι Paula , “ EccenLric ]\vIemories: A ConversaLÍon wiLh 1\1μXllle
Hong Kinμston." !'vlic、fd/Ian Quarterly Uevieω 26. 1 (1987) ,
177-87.
l{ich , AclTÌenne, oj Womaη lJom , Ne\v York: \!orton , 1995

Shu , Yuan “ Cultural Politics and Chincsc-Amcrican fcmalc subjccti찌ty:


reLhinking KingsLon‘ s Woman 'NalTiol CriLical E ssay", lVIELUS,

26. :2 (Summcr , 20(H), 199 224.•

SmiLh , Sidonie , “ :'vIaxine www.earticle.net


Hong Ki ngsLon‘ s Woman Warrior; filialiL y' and
、Noman's autobiographical storytelling" , I:'eminisms: An
Aníhology 따 Lùerary The Olγ and Crùici8m , ed‘ Roby'n R.
vVarhol & 1)Ì ane Pri ce Herncll , New bmns떠 c1<: 1{utgars
UnηTcrsitv Prcss. 1987. 1117 :'l7. •
맥신 흥 킹스턴의 ‘여인무사 r (The lYolnan lVarrior): 도전낀 응 시 195

1그 Abstract

Maxinc IIong Ki ngston ’ s The Woman Warrior : A Dcfiant Gazc

Na. Jin-Yang
(Korα I Narional University o[ r'Álucation)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63.152.133.25 at Tuesday, May 7, 2024 4:08 AM

One of Lhe charélcterislÌc feaLures of the oppressed is their ‘ silence’. ln


7 ‘he Woη1Gn Warrior. Kingston as1< s the meaning o[ ‘ silence’ ancl resists
the exclusion of women from history. '1、o reconstruct her subjec LiviLy and
articulate he1' voice. King ston ope1'ates her ‘ evil eγe’, which is Homi
Bhahha’ s tcrrn. Its gazc unscttlcs any simplistic polaritics or hinarisms in

i c1 entifγinμ the exe1'cise of p O\ve1' anc1 e 1'ases the an logical c1imeηsion in
thc articulation of scxual diffcrcncc (Bhahha 76). So it fmstratcs thc
narcissis Lic paLriarchéù look, which denies the culLural and sexual
diffcrcncc. In this novcl , Kingston sllhvcrts thc discrimin atorγ look
through gazing Lhe slippa상e and disclosing iLs lack Ki ngston begins the
,
story 찌꺼 th he1' oblite1'atec1 aunt vho suicicles herself because of ha찌 n앙 n “
illegéù baby. Despite Lhe family ’ s LaciL order of silence, KingsLOn breaks iL
b:y \\'께 ting about he1' aunt ancl 1'esuscitates her bac1< to history‘ She
transfomls thc adu ltratc aunt into a \voman who casts thc countα'-gazc
to the pat끼 archal look Kingston also shows us the limit of the myths anc1
clisrupts thcir allthority hy mJmicηring thc Chincsc myths and sllhγcrt11lg
www.earticle.net
their superiicial meaning. She symbolizes a writer as “ an oULlawed
knot-makcr" who 、NC;게vcs thc olltlawcd knot. \Vcaving thc outlaV\rcd knot
meélns ‘ talking
the ouUawed story ’ and ‘ reporlÌng Lhe erased history ‘.
Writin앙 a novel, fo1' Kingston, is an act of proclucing the hγbγi c1itv of race
and sexmùiLy. In The vVO/71an J;Varrior Ki ngston suggesLs the uniLy of
sulηectivity and the possibility o[ transcending the genc1 e1' and ethnic
division into thc univcrsal humanitv
Key Woγds: e찌 1 eγe, ga7.e, mimicrγ, hyb꺼 dity, unity of‘ sub.i ectivìty / 사익
한 눈, 용시, 오방, 혼성생 , 주세의 동합

Copyright반 20lJ5 한극중앙영 야 영 운학회 (http:// www.jella.or.kr)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