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lding Processes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9

Welding Processes CSWIP Study 2017_01_31

금일의 수업은 원래 예정된 내용이 아닌 질


문이 있었던 내용을 다루었습니다.
우선 수동용접과 자동용접, 그리고 반자동
용접을 구분하는 기준입니다.

용접에는 두가지의 움직임이 있고, 하나는


용접아크를 일으키고 용접을 지속하기 위
해서 용가재의 공급 (feeding), 그리고 용
접할 그루브를 채우기 위해서 용접길이를
따라 움직이는 이송 (traveling)이 있습니
다.

이 두가지의 운동을 기계가 하느냐 아니면


사람이 하는가에 따라 전부 사람이 하면 수
동, 둘 다 기계가 하면 자동, 그 중 하나를
사람이 하고 나머지 하나를 기계가 하면 반
자동이 됩니다.

1
Welding Processes CSWIP Study 2017_01_31

SMAW (MMA)에서 기억해야 할 것은


우리가 용접봉이라고 부르는 것이 용접전
극이기도 하면서 용가재이기도 하다. 즉,
consumable electrode라는 의미이다.
피복을 이루고 있는 플럭스의 역할과 용접
후에 생기는 슬래그의 기능을 이해하고, 플
럭스에 첨가되는 화학성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용접봉의 심선은 rimmed steel로 만들어
졌는데 이것이 용접에 미치는 영향과 이런
나쁜 영향을 보완하기 위한 첨가 성분은 어
떤 것이 있는가를 기억해야 한다.
나중에도 다루겠지만 여기서 잠간 생각해
야 할 것이 극성(polarity)이다. DCEP와
DCEN이 무엇이고 어떤 성질이 있는가를
다시 생각해야 한다. 물론 DC전기만 사용
하는 것은 아니다 AC도 사용하는데 그 차
이를 공부해야 한다.
2
Welding Processes CSWIP Study 2017_01_31

GTAW (TIG)에서 기억해야 할 것은


전극이 비소모성 (non-consumable
electrode)라는 것과 용가재 (filler metal)
을 별도로 공급해야 한다.
제목에서 언급된 것 같이 TIG는 Inert gas
를 차폐가스로 이용하는 기법이다. 따라서
비철금속이나 산화가 심하면 곤란한 용접에
사용되지만 탄소강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아크의 발생에 따른 열의 집중이 다른 용접
기법과 다른 것을 기억해야 한다. 즉, TIG의
경우에는 DCEN이 용입이 깊지만 다른 소
모성 용접전극을 이용하는 기법에서는
DCEP가 용입이 깊은 결과를 보여준다.
따라서 TIG의 경우 두개의 부재를 접합해야
하는 일반적인 용접에는 DCEN이 유리하지
만 표면에 용접을 입혀야 하는 cladding의
경우는 DCEP가 좋지만 전극의 손상이 우
려될 경우에는 AC를 사용할 수 있다.
3
Welding Processes CSWIP Study 2017_01_31

FCAW 에서 기억해야 할 것은
기법이 두가지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Self-Shield 와 Gas-Shield (Dual Shield)
S/S는 별도의 차폐가스를 사용하지 않고,
용접와이어에 삽입되어 있는 플럭스가 아크
열에 의해 탈 때 나오는 연기로 용탕 주변의
공기를 차단한다.
G/S는 플럭스에서 나오는 연기를 포함해서
차폐가스를 공급하여 이중으로 차폐를 하는
방법으로 상대적으로 차폐효과가 좋고, 용
접비드의 모양이 좋다.
S/S는 SMAW와 동일한 효과의 용접, 다시
말하면 single sided weld의 back bead
를 만들 수 있다.
용접의 메커니즘은 GMAW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내용은 GMAW에서 언급한다.
차이점은 플럭스가 있어서 슬래그가 만들어
진다.

4
Welding Processes CSWIP Study 2017_01_31

GMAW (MIG/MAG)에서 기억해야 할 것은


MIG는 Inert Gas를 사용한다는 것과 MAG
는 Active Gas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따라
서 MIG는 비철금속에 대해서 MAG는 탄소
강에 많이 사용된다고 생각하면 된다. 그러
나 최근의 경향은 MIG에도 약간의 active
gas를 첨가하여 용접에 좋은 결과를 가져오
기 때문에 엄격하게 MIG가 이루어지지 않
는 경우가 있어서 GMAW가 좋은 표현 같다.
GMAW는 용접와이어 (solid wire)에 플럭
스가 없고 오로지 용접기에서 공급되는 차
폐가스를 이용해서 용탕을 차폐한다. 따라
서 슬래그가 생기지 않아 로보트용접이나
전자동용접에 많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가스로만 차폐하므로 옥외작업 등 바람이
많은 곳에서는 사용하기 어렵고, 슬래그가
없어 비드가 좋지 못할 수도 있다.

5
Welding Processes CSWIP Study 2017_01_31

GMAW (MIG/MAG)에서 기억해야 할 것은


Metal Transfer Modes는 filler metal이 아크 열
에 의해 녹아서 base metal로 옮겨와서 weld
metal되는 과정이다.
보통의 용접기법은 이런 이행방법이 특정하지 않
지만 GMAW는 전기조건과 가스의 조합으로 특정
한 이행방법이 만들어지고, 이 이행방법에 의해 완
전히 다른 용접기법의 효과를 낼 수 있다. 즉,
spray transfer mode를 구현하면 SAW의 후판용
접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고, dip transfer는 TIG
용접과 같은 박판용접이 한 기계 내에서 가능하다.
기억할 것은 spray transfer는 용착량이 많아서
윗보기 자세의 용접이 어렵고, dip transfer의 경
우는 입열량이 적어서 다층용접의 경우에 lack of
fusion의 우려가 높다. 따라서dip transfer의 경우
는 로보트용접 등에 사용하기 좋다.
DipTransfer의 Inductance에 대해서는 다음 기
회에 언급하도록 한다.
6
Welding Processes CSWIP Study 2017_01_31

용접기법의 전기적인 특성 등을 이해하기 위해


서는 입열량, 전류와 전압의 상관관계, 그리고
용접기특성 등을 이해해야 한다.
일반적인 기계는 부하가 증가하면 상대적으로
그 변수들도 증가하지만 용접은 일정한 모양의
비드를 만들어 내는 것이 중요하므로 만들어지
는 그래프가 일반기계 장치들과는 다르다.
용접은 입열량 (heat input)이 가장 중요한 핵
심이므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다.
입열량이 일정해야 일정한 모양의 비드가 생산
되게 되고, 입열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이
송속도, 전류, 그리고 전압이다.
그림에서 보여주는 공식에 따르면 속도는 가장
중요한 변수이기는 하지만 수동이나 반자동에
서는 용접사가 결정하므로 용접기법을 설명하
기 위해서는 생략하게 되면, 중요한 변수 전류
와 전압에서는 전류가 훨씬 더 중요한 변수가
된다.
7
Welding Processes CSWIP Study 2017_01_31

Drooping Characteristics을 가진
Constant Current Power Source
초기의 용접장비(수동용접기)를 개발했던 사
람들은 아마 전류와 전압에서 전류값이 높기
때문에 전류가 일정해야 일정한 비드를 만들기
좋을 것으로 생각했을 것 같아 일정하게 전류
를 공급하는 특성의 장비를 개발했을 것 같다.
그래서 오른쪽 그림에서 보는 그래프처럼 전압
의 변동이 심해도 전류의 변동이 적은 그래프
를 그리는 용접장비를 만들었다.
여기서 전압의 변동은 아크의 길이의 변동을
의미한다. 즉, 아크길이는 아크전압과 동일하
다. 용접사의 손이 떨려서 아크길이가 변하면
아크전압도 변한다. 또 SMAW의 경우는 용접
봉 자체가 용융되기 때문에 아크의 길이가 계
속 바뀌게 된다.
그래프에서 OCV로 표시된 것은 용접기가 제
작되어 나올 때 세팅된 전압으로 값이 높으면
아크 발생은 좋지만 감전의 우려가 높아진다.

8
Welding Processes CSWIP Study 2017_01_31

Flat Characteristics을 가진 Constant


Voltage Power Source
초기의 용접장비(수동용접기)는 용접사의 손
떨림에도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좀 더 쉽고
좋은 용접을 만들기 위해 기계장치가 손떨림을
보완해주는 방법을 고안했다. 오른쪽 그래프
처럼 약간의 전압이 변해도 전류의 양이 대폭
변화하여 아크의 길이를 일정하게 만들어 주는
방법을 채택했다.
장비 내에 전자장치가 아크전압을 감지해서 일
정한 아크전압을 유지하도록 조정해주는 역할
을 하는 방식으로 SAW나 GMAW (FCAW)에
사용되고 있어서 용접이 수동 (SMAW, GTAW)
에 비해 쉽다고 할 수 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