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5

소단원 안내

이 단원은 단어의 갈래인 품사의 개념과 종류, 특징 등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국어의 단어는 형태, 기능, 의미
의 기준에 따라 모두 아홉 가지 품사로 구분되는데, 각 품사는 문장에서 각기 다른 역할을 담당한다. 국어의 품사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이해하고 이를 주어진 예문에 적용해 봄으로써 단어를 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성질이 공통된 단어들끼리 모아 갈래를 지은 것을 품사(品詞)라고 한다. 품사


품사의 개념
는 형태, 기능, 의미의 세 기준에 따라 분류된다. ▶▶품사의 개념과 분류 기준
품사의 분류 기준
첫째, 단어는 형태 기준에 따라 형태가 변하지 않는 불변어와 형태가 변하는
단어의 불변어, 가변어
가변어로 분류된다. ‘손, 우리, 매우’ 등의 단어는 형태가 변하지 않으므로 불변

품사와
명사, 대명사, 부사 등은 형태를 바꾸지 않음.
어에 속하고, ‘먹-, 예쁘-’ 등은 ‘먹고/먹으니/먹으면, 예쁘고/예뻐서/예쁜’과
용언은 활용에 따라 형태가 변함.
같이 형태가 변하므로 가변어에 속한다. ▶▶형태 기준에 따른 품사 분류

특성 둘째, 단어는 기능 기준에 따라 주로 주어, 목적어, 보어 등으로 쓰이는 체언,


체언, 용언, 수식언, 관계언, 독립언 명사, 대명사, 수사
T-sol + / 교사용 CD 서술어로 쓰이는 용언, 다른 성분을 수식하는 수식언, 여러 성분 사이의 관계를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소단원 정리(ppt), 활동 풀이(ppt), 나타내 주는 관계언, 독립적으로 쓰이는 독립언으로 나뉜다.
활동지(hwp), 학습지(hwp) 조사 감탄사 ▶▶기능 기준에 따른 품사 분류
셋째, 단어는 의미 기준에 따라 비슷한 특성을 가진 것끼리 분류된다. 의미 기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조사, 감탄사
문장에서 단어의 형태가 변하 준에 따라 대상의 이름을 나타내는 명사, 명사를 대신하여 쓰이는 대명사, 대상
지 않고 쓰이면 불변어, 변하여
쓰이면 가변어라고 하는구나. 의 수량이나 순서를 나타내는 수사, 대상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동사, 대상의 성질
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 주로 체언을 수식하는 관형사, 주로 용언이나 관형
사, 다른 부사 등을 수식하는 부사, 주로 체언에 붙어 다른 성분과의 관계를 나타
내는 조사, 말하는 사람의 놀람이나 느낌, 부름 등을 나타내는 감탄사로 나뉜다.
▶▶의미 기준에 따른 품사 분류
형태, 기능, 의미를 기준으로 품사를 분류해 보면 다음과 같다.

명사
서술격 조사
서술격 조사는 관계언에 속하지만 다
체언 대명사
른 조사와는 달리 형태가 변한다는 점
수사
에서 가변어에 속한다.
불변어 관형사
형태가 바뀌지 않음. 수식언
단어 서술격 조사는 포함되지 않음. 부사
조사가 포함된다는
점에 주의 독립언 감탄사

부사 관계언 조사
관형사 동사
수 가변어 용언
성취 기준
식 형태가 바뀜. 형용사
[언매02-02]체실제 국어 생활을 바탕으
언 가변어
로 품사에 따른 언 개별 단어의 특성을 탐 ▶▶형태, 기능, 의미에 따른 품사의 분류
구한다.
감탄사 학습한 품
이 성취기준은 이전 학년에서 불변어 먹으면 T-sol + / 교사용 CD
사 지식을관 국어 생활에 적용하여
동사 국어 먹으니 참고 자료 - ①
 품사의 분류 기준
사용의 수준을 용사 하려고 설정하였
계 형높이게 ② 우리말 품사 분류의 문제점
다. 품사언분류의 기준을 적용하여 품사 먹고
를 분류해 보고, 동사와 형용사의 차이 매우
손 먹-
와 같이 품사의 차이에 따라 문장에서의 우리
쓰임이 달라짐을 아는 데에도 주목한다.

066 II. 국어의 탐구와 활용

2단원-3차.indd 66
(046-139)언매연구2-칠.indd 66 2018-12-20 2:20:29 2단원-3차
2019-01-07 오후 1:40:07
1 체언: 명사, 대명사, 수사 안녕
•「명사」 아무 탈 없이 편안함.
예 사회의 안녕과 질서를 유지하다.
다가서기 •「감탄사」 편한 사이에서, 서로 만나거
다음 글에 쓰인 단어 가운데 아래의 조건에 해당하는 단어들을 찾아 써 보자. 나 헤어질 때 정답게 하는 인사말.
예친구야, 안녕.
※ 안녕-하다 「형용사」, 안녕-히 「부사」
안녕, 건우야. 여기에 쪽지를 남긴 이유는 나와 자리를 바꿔 줄 수 있을지
물어보려고. 너와 나는 둘 다 앉은키가 비슷하니까 괜찮을 것 같은데 너의 나
•「대명사」 말하는 이가 대등한 관계에
생각도 말해 줘. 있는 사람이나 아랫사람을 상대하여
자기를 가리키는 일인칭 대명사.
예 나와 그 친구는 사이가 참 좋다.
명사 •대상의 이름으로 쓰이는 단어: 건우, 쪽지, 이유, 자리, 수, 앉은키, 것, 생각
•「명사」 남이 아닌 자기 자신.
대명사 •대상의 이름을 대신하여 가리킬 때 쓰이는 단어: 여기, 나, 너 예 나보다 남을 먼저 생각하는 사람이
수사 •사물의 수량이나 순서를 가리킬 때 쓰이는 단어: 둘 되자.


•「명사」 일을 처리하는 방법이나 수완.
문장에서 주로 주어가 되는 자리에 오며, 때로는 목적어나 보어가 되는 자리
예 좋은 수가 생각나다.
체언의 개념
•「의존 명사」 어떤 일을 할 만한 능력이
에도 오는 부류의 단어들을 체언(體言)이라고 한다. 이들은 조사와 결합할 수 있
체언의 특징 나 어떤 일이 일어날 가능성.
으며 일반적으로 형태의 변화가 없다. 체언에는 명사(名詞), 대명사(代名詞), 수 예 살다 보면 그럴 수도 있지.
체언의 종류
사(數詞)의 세 가지가 있다. 명사는 체언 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부류로서, 구체 다
•「부사」 ① 남거나 빠진 것이 없이 모두
적인 대상의 이름이라는 점에서 다른 체언과 구별된다. 대명사는 명사를 대신하 예 올 사람은 다 왔다. ② 행동이나 상
명사의 개념 태의 정도가 한도(限度)에 이르렀음을
여 대상을 가리킬 때 쓰이는 체언이고, 수사는 사물의 수량이나 순서를 가리킬 나타내는 말. 예 신이 다 닳았다. ③ 일
대명사의 개념 수사의 개념
이 뜻밖의 지경(地境)에 미침을 나타
때 쓰이는 체언이다. 체언의 일반적 특징 ▶▶체언의 개념과 종류
내는 말. 예 원, 별사람 다 보겠군. ④
•조사와 결합한다. 실현할 수 없게 된 앞일을 이미 이루
•관형어의 수식을 받는다. 어진 것처럼 반어적으로 나타내는 말.
•형태가 고정되어 있다. 예 숙제를 하자면 잠은 다 잤다.
① 명사 •복수형을 취할 수 있다.(명사, 대명사) •「명사」 ① 남거나 빠짐없는 모든 것.
예 내가 네게 줄 수 있는 것은 이것이
다이다. ② 더할 나위 없는 최상의 것.
다가서기
예 인생에서 돈이 다가 아니다.
다음 문장에 쓰인 단어 가운데 꾸미는 말이 있어야만 쓰이는 명사를 찾아보자.

그는 밀가루로 된 것이면 뭐든지 좋아한다.


고유 명사였던 것이 보통 명
예시 답 ‘것’(의존 명사 ‘것’은 명사이므로 자립 형태소이지만, 그 앞에 반드시 관형어가 있어야 한다.)
사가 되는 경우가 있어요. ‘호
치키스(Hotchkiss)’는 원래
명사 중 어떤 속성을 지닌 대상들에 두루 쓰이는 이름을 보통 명사라고 하고, ‘스테이플러(stapler)’의 상표
보편적으로 적용됨. 명이었는데, 흔히 스테이플러
특정한 하나의 개체를 다른 개체와 구별하기 위해 붙인 이름을 고유 명사라고 를 달리 이르는 말로 사용되
단일한 대상에 적용됨. 고 있어요.
한다. 대표적으로 인명, 지역명, 상호 등이 고유 명사에 속한다.

•“순이야, 방에 들어가서 오빠 좀 깨워라.”


고유 명사 보통 명사 보통 명사
의존 명사는 자립적으로 쓰일 수 없지만
또한 혼자서 자립적으로 쓰일 수 있는 명사를 자립 명사라고 하고, 반드시 그 앞 자립 형태소인 명사로 분류한다.
•근거
에 꾸미는 말, 즉 관형어가 있어야만 쓰일 수 있는 명사를 의존 명사라고 한다. - 관형어의 수식이 가능함.
관형사 / 체언 + 관형격 조사 / 용언의 관형사형 / 용언의 명사형 + 관형격 조사 ▶▶명사의 종류와 각각의 개념
- 조사와 결합이 가능함.
•“저기 보이는 것이 바다입니까?” T-sol + / 교사용 CD 참고 자료 - ③ 의존 명사 •의존 명사의 예: 따름, 줄, 채, 만큼, 듯,
의존 명사 자립 명사 지, 나위, 턱, 뿐, 터, 때문, 마련, 셈,
만, 뻔, 척, 자루, 명, 마리 등

2. 단어와 품사 067

0 오후 1:40:07 2단원-3차.indd 67
(046-139)언매연구2-칠.indd 67 2018-12-20
2019-01-07 오후 1:40:08
2:20:30
② 대명사

대명사 ‘우리’의 특수성 다가서기


•‘우리’는 어원상 ‘울’이라는 울타리와
같은 개념에서 온 말이다. ‘우리’는 1인 다음 글에서 명사를 대신하여 대상을 가리키는 대명사를 모두 찾아보자.
칭의 복수인데도 불구하고 화자 자신
‘나’에 주격 조사 ‘가’나 보격 조사 ‘가’가 붙을 때의 형태
만 지칭하는 것이 가능함. 예⃝ 우리 아
빠는 멋져.
나는 그렇게 말하진 않았다. 다만 내가 지금 그 사건을 다시 생각하는 이
•1·2·3인칭을 모두 포함할 수 있음. 유는, 그것으로 우리는 제각기 자기 특유의 창을 통해 인생을 들여다보는 버
예⃝ 우리 대한민국은 민주 공화국입니다.
릇이 있다는 걸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 본 것은 사이즈를 통해서 온 세상
•청자를 제외한 1·3인칭만 지시가 가
능함. 예⃝ 오락실 갈래? 아니, 우리는 을 들여다보는 사람의 경우였다.
안 가. - 앨프리드 가드너, 모자 철학에서
예시 답 나, 내, 그것, 우리, 자기

자기
명사 ① 자기 자신. 예⃝ 자기 방치, 자기
다음 문장에서 앞뒤 맥락을 고려하여 괄호에 들어갈 공통된 말을 써넣어 보자.
를 극복하다. ② (철학)자아.
대명사 앞에서 이미 말하였거나 나온
철수는 ( )이/가 가겠다고 했다. 그는 뭐든지 ( ) 고집대로 해야 한다.
바 있는 사람을 도로 가리키는 삼인칭
예시 답 제, 자기
대명사. 예⃝ 누나는 자기 일에 최선을 다
한다.

대명사는 명사를 대신하여 대상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는 체언이다. 대명사


대명사의 개념
에는 지시 대명사와 인칭 대명사가 있다. 지시 대명사에는 ‘이것, 그것, 저것’ 등
대명사의 종류
과 같이 사물을 가리키는 것과 ‘여기, 거기, 저기’ 등과 같이 장소를 가리키는 것
사물 대명사 처소 대명사
이 있으며, 인칭 대명사는 1인칭, 2인칭, 3인칭 등으로 나뉜다.
사물 대명사 처소 대명사

대명사 ‘당신(當身)’의 다의적 의미 지시 대명사 이것, 그것, 저것, 여기, 거기, 저기


① 청자를 가리키는 2인칭 대명사. ‘하
신분이 낮은 사람이 자기보다 신분이 높은 사람을
오’할 자리에 쓴다. 예 당신은 누구
상대하여 자기를 낮추어 이르던 1인칭 대명사
시오?
② 부부 사이에서, 상대편을 높여 이르
인칭 대명사 1인칭 나, 저, 우리, 저희, 소인, 짐
는 2인칭 대명사. 예 당신, 요즘 직 임금이 자기를 가리키는 1인칭 대명사
장에서 피곤하시죠?
③ 맞서 싸울 때 상대편을 낮잡아 이 2인칭 너, 자네, 그대, 당신, 너희, 여러분
르는 2인칭 대명사. 예 당신이 뭔데
‘이’나 ‘저’와 달리 명사와 결합하지 않고 홀로 쓰일 수 있음.
참견이야.
④ 3인칭 재귀칭 ‘자기’를 아주 높여 이 3인칭 그, 이분, 저분, 그분, 이이, 그이, 저이
르는 말. 예 할아버지께서는 생전에 ▶▶대명사의 개념과 종류
당신의 장서를 소중히 다루셨다.
미지칭은 ‘(이)나’나 ‘도’와 같은 보조사가 결합
하게 되면 부정칭으로 쓰이기도 한다. 가리킴을 받는 지시 대상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모를 때 예 누구, 어디
어디나 정들면 고향이다. 대명사에는 모르는 사물이나 사건을 가리키는 미지칭(未知稱), 정해지지 아니한
누구도 그에 대해 잘 알지 못한다. 특정한 지시 대상이 아닐 때 예 아무개, 아무것, 아무데
부정칭과 미지칭이 강세 내지 억양의 차이에 의 사람, 물건, 방향, 장소 따위를 가리키는 부정칭(不定稱), 앞에 한 번 나온 체언을
해 구별되기도 한다.
(,) (,)
가. 누가 왔니?↘ 나. 누가 왔니?↗ 다시 나타내는 재귀칭(再歸稱) 등이 있다. ‘무엇, 누구, 어디’와 같은 대명사는 주
철수가 왔어요. (누군지 몰라도) 왔나 봐요.
(가)는 ‘누(=누가)’가 미지칭으로 사용된 것이다. 로 의문문에서 미지칭으로 쓰이고, ‘무엇이든, 누구든, 어디든’에서와 같이 부정칭
이때는 ‘누’에 강세가 가고 문장의 끝은 내려간 부정칭과 미지칭은 특정 대상의 지시 여부에 따라 구분됨.
다. 이에 비해 (나)는 부정칭으로 사용된 것이 으로 쓰이기도 한다. 재귀 대명사라고도 하는 재귀칭에는 ‘저, 자기, 당신’ 등이 있
다. 이때는 ‘왔’에 강세가 가고 문장의 끝은 올 선행 명사구가 3인칭이어야 하고 유정 명사여야 한다는 조건이 필요
라간다.
- 고영근·구본관, 『우리말 문법론』(2018) 는데, 주로 3인칭 주어로 쓰인 명사나 명사구를 다시 가리키는 데에 쓰인다.
재귀 대명사의 쓰임 ▶▶미지칭, 부정칭, 재귀칭의 개념과 특성

068 II. 국어의 탐구와 활용

2단원-3차.indd 68
(046-139)언매연구2-칠.indd 68 2018-12-20 2:20:30 2단원-3차
2019-01-07 오후 1:40:08
③ 수사
국어의 수사는 일반적으로 고유어 계열과 한자어 계열로 구분됨.

다가서기
다음 짝지어진 문장의 뜻이 비슷하도록 괄호에 적절한 고유어나 한자어를 써 보자.
양수사 •하나에 셋을 더하면 넷이다.
≒( 일 )에 ( 삼 )을/를 더하면 ( 사 )(이)다. → 한자어계
서수사 •우리의 이념은 ( 첫째 )은/는 진리이고 ( 둘째 )은/는 정의이다. → 고유어계
≒ 우리의 이념은 제일(第一)은 진리이고 제이(第二)는 정의이다. → 한자어계

양수사와 서수사
사물의 수량이나 순서를 나타내는 단어들을 수사라고 한다. 수사에는 수량을 양수사 서수사
수사의 개념
고유어 1~99까지 ‘-째’를 붙임.
나타내는 양수사(量數詞)와 순서를 나타내는 서수사(序數詞)가 있다. ‘하나, 둘, 계열 예 하나, 둘 예 첫째
고유어계
셋, 일, 이, 삼’ 등은 양수사이고, ‘첫째, 둘째, 셋째, 제일, 제이, 제삼’ 등은 서수 한자어 모두 가능함. ‘제’를 붙임.
한자어계 고유어계 한자어계 계열 예 일, 천 예 제일
사이다. ▶▶수사의 개념과 종류
고유어계 양수사는 ‘아흔아홉’까지만 존
재하며 백하나 이상은 ‘한자어+고유어’
확인하기 나 한자어만으로 사용됨.
예 ‘백하나, 백둘’, ‘백일, 백이’
다음 글에서 아래에 해당하는 단어들을 찾아 써 보자.

오랜만에 놀이공원에 놀러 간 민수는 친구 셋과 함께 트램펄린을 타고 놀았


다. 그의 마음은 가벼운 구름과 같을 따름이었다.

예시 답
•고유 명사: 민수 •대명사: 그
•의존 명사: 따름 •수사: 셋

2 용언: 동사, 형용사

다가서기
다음 글에서 서술어로 사용된 단어를 찾아 아래의 <조건>에 해당하는 단어와 그렇 용언의 갈래
•의미에 따라: 동사, 형용사
지 않은 단어로 구분해 보자. •문장 안의 쓰임에 따라: 본용언, 보조
용언
•활용의 규칙성에 따라: 규칙 용언, 불
발끝에 차이는 자갈, 길가에 아무렇게나 자란 코스모스, 그런 것들이 하나 규칙 용언
동사 형용사 동사
하나 신선하게 그의 마음을 끌었다.
형용사 동사

조건
•움직임이나 작용을 나타내는 단어일 것.
•현재 시제에서 ‘-ㄴ다’ 또는 ‘-는다’가 연결되는 단어일 것. 예 가-ㄴ다, 먹-는다
•명령형이나 청유형이 가능한 단어일 것. 예 가-라 / 가-자, 먹-어라 / 먹-자
예시 답 세 가지 조건은 모두 동사의 특성이므로 세 조건에 모두 해당하는 단어 부류인 동사와 그렇지
않은 형용사를 구분할 수 있다. 서술어로 사용된 단어 가운데 ‘차이는, 자란, 끌었다’는 동사, ‘아무렇게나,
신선하게’는 형용사이다.

2. 단어와 품사 069

0 오후 1:40:08 2단원-3차.indd 69
(046-139)언매연구2-칠.indd 69 2018-12-20
2019-01-07 오후 1:40:08
2:20:30
문장의 주어를 서술하는 말을 용언(用言)이라고 한다. 용언 가운데 주어의 움
용언의 개념
직임이나 작용을 나타내는 단어의 부류를 동사(動詞)라고 하고, 주어의 성질이
동사의 개념 형용사의 개념
동사와 형용사의 차이점 나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의 부류를 형용사(形容詞)라고 한다.
▶▶용언의 개념과 종류
동사 형용사
동사와 형용사는 의미상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시제에 따라서 연결되는 어
동작이나 성질이나 동사와 형용사의 의미적, 문법적 구분 기준
의미
움직임 상태 미가 다르고, 명령문이나 청유문으로 활용할 때에도 차이가 있다. ‘가다, 먹다,
현재 시제 -ㄴ다/
평서형 -는다
-다 뛰다’ 등은 동사에 속하고, ‘예쁘다, 고요하다, 향기롭다’ 등은 형용사에 속한다.
▶▶동사와 형용사의 차이점
명령형,
활용 가능 활용 불가
청유형
목적의 어미 ‘-
러’나 의도의 결합 가능 결합 불가
① 동사
어미 ‘-려’

다가서기
다음 시에 쓰인 동사 가운데 아래의 조건에 해당하는 동사들을 찾아보자.

황소들이 끙끙대며 책이 실린 수레를 / 화형장으로 끌고 왔을 때, 가장 뛰


피동사
어난 작가의 한 사람으로서 / 추방된 어떤 시인이 분서 목록을 들여다보다가 /
피동사
사동사와 피동사 자기의 책들이 누락된 것을 알고 / 깜짝 놀랐다. 그는 화가 나서 나는 듯이
사동사는 타동사이며, 피동사는 자동사 피동사
- 베르톨트 브레히트, 분서에서
이다.

자동사 •움직임이 주어하고만 관련되는 동사:


예시 답 끙끙대다, 실리다, 오다, 추방되다, 누락되다, 놀라다, 나다, 날다
타동사 •움직임이 주어 이외에 목적어와도 관련되는 동사:
예시 답 끌다, 들여다보다, 알다

동사는 기준에 따라 몇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먼저 ‘뛰다, 걷다, 가다, 놀다,


끙끙대다’처럼 움직임이 그 주어에만 관련되는 자동사와 ‘끌다, 누르다, 건지다,
자동사의 개념
태우다’처럼 움직임이 다른 대상, 즉 목적어에 미치는 타동사로 분류할 수 있다.
타동사의 개념
그리고 ‘먹다, 앉다’처럼 어떤 동작을 자기 스스로 행하는 주동사와 ‘먹이다, 앉
히다’처럼 남에게 어떤 동작을 하게 하는 사동사로 분류할 수도 있다. 또 ‘잡다,
어근에 사동 접사가 결합되어 파생됨.
밀다’처럼 움직임이 스스로의 힘으로 이루어지는 능동사와 ‘잡히다, 밀리다’처럼
움직임이 남의 동작이나 행위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피동사로 분류할 수도 있다.
어근에 피동 접사가 결합되어 파생됨.
▶▶동사의 종류와 각각의 개념
<자동사> 뛰다, 걷다, 가다, 놀다, 끙끙대다
<타동사> 끌다, 누르다, 건지다, 태우다

<주동사> 먹다, 앉다
<사동사> 먹이다, 앉히다

<능동사> 잡다, 밀다
<피동사> 잡히다, 밀리다

070 II. 국어의 탐구와 활용

2단원-3차.indd 70
(046-139)언매연구2-칠.indd 70 2018-12-20 2:20:31 2단원-3차
2019-01-07 오후 1:40:09
② 형용사

다가서기
다음 문장에서 [ ] 속 형용사 자리에 들어갈 수 있는 형용사를 모두 적어 보자.

우리 교실 분위기는 [어떻다].
지시 형용사
예시 답 어둡다, 침침하다, 음침하다, 훤하다, 깨끗하다, 밝다 등 - 성상 형용사
형용사의 배열 순서
일반적으로 지시 형용사는 성상 형용사
에 앞서 배열된다.
형용사에는 ‘고요하다, 달다, 예쁘다, 향기롭다’처럼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 예⃝ 저렇게 예쁜 영희
성(질) + 상(태)
는 성상 형용사와, ‘이러하다, 그러하다, 저러하다, 어떠하다’처럼 지시성을 나
타내는 지시 형용사가 있다. 대명사가 명사를 대신하여 쓰일 수 있는 것처럼 지 형용사가
들리는구나.
시 형용사가 성상 형용사를 대신하여 쓰일 수도 있다. ▶▶형용사의 종류와 각각의 개념
지시 형용사의 쓰임

•그 사람은 아주 행복하다. 나도 그렇다.


성상 형용사 지시 형용사 고요하다.
예쁘다.

③ 용언의 활용 T-sol + / 교사용 CD 참고 자료 - ④ 불규칙 활용하는 용언의 유형

다가서기
다음 대화가 성립되도록 밑줄 친 부분의 형태를 다양한 활용형으로 바꾸어 보고, 아 용언의 활용
용언은 어간과 어미로 이루어져 있는
래의 활동을 해 보자. T-sol + / 교사용 CD
데, 어미의 변화를 활용이라고 한다.
출제용 이미지, 애니메이션

할아버지, 저희 그래, 주말인데


잘 도착했어요. 고생 많다.

어간
(1) ‘많다’가 활용할 때 형태가 변하지 않고 고정된 부분을 확인해 보자.
예시 답 ‘많다’는 ‘많았다, 많구나, 많았군’ 등으로 다양하게 형태가 바뀔 수 있다. 여기서 형태가 고정
된 부분은 ‘많-’이다.
(2) 형태가 변하는 부분 가운데 항상 단어 끝에만 오는 형태소와 단어 끝에 올 수 없
어미 어말 어미
는 형태소를 구별해 보자. 예시 답 ‘많았다’의 경우에 항상 단어의 끝에만 오는 형태소는 ‘-다’
선어말 어미 이며 단어 끝에 올 수 없는 형태소는 ‘-았-/-었-’이다.

용언은 문장 속에서 사용될 때 여러 형태로 나타난다. 이때 형태가 변하지 않


용언의 활용 어근과 어간
고 고정된 부분을 어간(語幹)이라 하고, 어간 뒤에 결합하는 다양한 형태들을 어 어근: 단어의 구성 요소를 말할 때 접
용언을 활용의 관점에서 바라볼 경우에 실질 형태소는 어간이고 형식 형태소는 어미이다. 사와 같이 거론되는 개념.
미(語尾)라고 한다. 예를 들어, ‘많네, 많았어, 많았겠군’에서 ‘많-’이 어간이고, 어간: 용언의 활용에서 어미와 같이
거론되는 개념.
‘-네, -았-, -어, -겠-, -군’이 어미이다. 이처럼 어간에 어미가 결합하는 것
을 활용(活用)이라 한다. ▶▶어간과 어미의 개념

2. 단어와 품사 071

0 오후 1:40:09 2단원-3차.indd 71
(046-139)언매연구2-칠.indd 71 2018-12-20
2019-01-07 오후 1:40:10
2:20:31
용언
많았겠군
어간 어미
많- -았- -겠- -군
과거 추측
어말 어미 선어말 어미
(시제, 높임 등)
어미
어간
종결 연결 전성
선어말 어미 어말 어미
어미 어미 어미

어미는 그것이 나타나는 자리에 따라 어말 어미(語末語尾)와 선어말 어미(先


어미의 구분
語末語尾)로 나뉜다. 어말 어미는 단어의 끝자리에 들어가고, 선어말 어미는 어
선어말 어미는 어말 어미에 앞선다는 의미임.
말 어미의 앞자리에 들어간다. 용언이 활용할 때 어말 어미는 반드시 있어야 하
지만, 선어말 어미는 때에 따라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으며, 둘 이상의 선
어말 어미가 올 수도 있다. ▶▶위치에 따른 어미의 분류

어말 어미는 기능에 따라 종결 어미(終結語尾), 연결 어미(連結語尾), 전성 어미


어말 어미의 분류
(轉成語尾)로 나뉜다.

㉠ 한국의 가을 하늘은 맑{다, 구나, 니?}


용언의 활용 종류 종결 어미
㉡ 바람이 불{면, 어서} 우리는 연을 날렸다.
규칙 활용: 용언이 활용할 때 어간과 연결 어미
어미의 형태가 규칙적인 경우. ㉢ 나는 네가 최선을 다하는 사람이 되기를 바란다.
전성 어미
불규칙 활용: 용언이 활용할 때 어간 ㉣ 우리의 청춘이 아름답게 피었다.
또는 어미의 형태 변화가 불규칙한 전성 어미 ▶▶기능에 따른 어말 어미의 분류
경우.
종결 어미는 문장을 끝맺어 주는 기능을 하는 어미인데, ㉠에 쓰인 ‘-다’,
평서형
어말 어미의 체계
‘-구나’, ‘-니’ 등이 여기에 속한다. 연결 어미는 앞 문장과 뒤 문장을 연결하는
평서형, 감탄형, 의문형, 감탄형 의문형
종결 어미
명령형, 청유형 기능을 하는 어미로, ㉡에 쓰인 ‘-면’, ‘-어서’ 등이 여기에 속한다. 전성 어미는
종속적 연결 어미 명사형 전성 어미
연결 어미 대등적, 종속적, 보조적
용언의 서술 기능을 다른 기능으로 바꾸어 주는 어미로, ㉢의 ‘-는’, ‘-기’, ㉣의
명사형, 관형사형, 부사 관형사형 전성 어미
전성 어미 ‘-게’ 등이 여기에 속한다. ▶▶어말 어미의 기능과 예

부사형 전성 어미

확인하기
다음 문장에서 용언을 모두 찾아보고, 그 용언의 어간과 어미를 빈칸에 써 보자.

그때는 나이도 어리고 경험도 없어서 맡은 일을 완수하기가 어려웠다.

예시 답

동사 어간 맡-, 완수하-
어간
형용사 어간 어리-, 없-, 어렵-

종결 어미 -다

어미 어말 어미 연결 어미 -고, -어서

전성 어미 -은, -기

072 II. 국어의 탐구와 활용

2단원-3차.indd 72
(046-139)언매연구2-칠.indd 72 2018-12-20 2:20:31 2단원-3차
2019-01-07 오후 1:40:10
3 수식언: 관형사, 부사

다가서기 우리 「대명사」
다음 글에서 뒤에 오는 말을 수식하거나 한정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단어를 골라 사 1. 말하는 이가 자기와 듣는 이, 또는 자
기와 듣는 이를 포함한 여러 사람을
전에서 찾아보자. 가리키는 일인칭 대명사.
예⃝ 우리 둘이 힘을 합치면 못할 일이
동사의 관형사형
뭐가 있겠니?
새해가 되면 내가 가장 먼저 하는 일은 새 달력에 우리 네 식구의 생일을 표 2. 말하는 이가 자기보다 높지 아니한
부사 관형사 관형사
시하는 것이다. 사람을 상대하여 자기를 포함한 여
동사의 관형사형 러 사람을 가리키는 일인칭 대명사.
예⃝ 우리 먼저 나간다. 수고해라.
(1) 해당 단어와 동일한 형태로 사전에서 찾을 수 있는 단어를 써 보자. - 관형사, 부사 3. (일부 명사 앞에 쓰여) 말하는 이가
예시 답 가장, 먼저, 새, 네 자기보다 높지 아니한 사람을 상대
하여 어떤 대상이 자기와 친밀한 관
(2) 해당 단어의 기본형으로 사전에서 찾아야 하는 단어를 써 보자.- 용언의 관형사형, 부사형 계임을 나타낼 때 쓰는 말.
예시 답 하는(하다), 표시하는(표시하다) 예⃝ 우리 엄마 / 우리 동네

다른 말을 수식하는 기능을 하는 단어를 수식언(修飾言)이라고 한다. 수식언


수식언의 개념
에는 ‘새[新], 모든’과 같이 체언, 주로 명사를 수식하는 관형사(冠形詞)와 ‘더,
가장, 못’이나 ‘과연, 그리고’와 같이 용언이나 문장을 수식하는 것을 본래의 기 부사는 용언이나 문장 이외에 ‘너무’와
같이 관형사나 부사를 수식하거나 ‘바
능으로 하는 부사(副詞)가 있다. ▶▶수식언의 개념과 종류 로’와 같이 명사를 수식하는 것도 있다.

① 관형사

다가서기
다음 문장에서 항상 체언을 수식하는 기능을 하는 단어에 밑줄을 쳐 보자.
•헌 옷이 있어야 새 옷이 있다. 예시 답 헌, 새

•저 거리에는 항상 사람이 많다. 예시 답 저

•그녀는 물을 연거푸 석 잔을 마셨다. 예시 답 석


관형사의 배열 순서
지시 관형사, 수 관형사, 성상 관형사
순으로 배열된다.
관형사는 형태가 변하지 않는 점에서 용언과 구별되고, 조사와 결합하지 않는 예⃝ 저 두 새 집
관형사의 특징 ① 관형사의 특징 ②
점에서 체언과 구별되는 특성이 있다. 관형사 가운데에는 원래부터
관형사였던 것도 있고, 용언
관형사에는 성상 관형사, 지시 관형사, 수 관형사가 있다. ‘새 옷, 헌 책, 순 살 의 활용형이 관형사로 굳어진
의미 기준에 따른 분류 것도 있어요. 예를 들어, ‘헌’
코기’에서 밑줄 친 ‘새, 헌, 순’은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성상 관형사 과 ‘다른’이 동사 ‘헐다’와 형
용사 ‘다르다’의 관형사형이
이고, ‘이 의자, 그 사람, 저 자전거’에서 밑줄 친 ‘이, 그, 저’는 어떤 대상을 가리 관형사로 굳어진 것의 경우랍
니다.
키는 지시 관형사이다. ‘세 사람, 연필 다섯 자루, 일곱째 딸, 제삼(第三) 회 대
회’에서 밑줄 친 ‘세, 다섯, 일곱째, 제삼’은 수량이나 순서와 같은 수 개념을 나
타내는 수 관형사이다. ▶▶관형사의 특징과 종류
‘이, 그, 저’ 다음에 명사가 오면 띄어 쓰고 관형사로 보고, 의존 명사
‘것, 분, 놈, 곳’이 붙어서 붙여 쓰면 대명사로 본다.
예 (관형사+명사) 이 사람 / 녀석 / 친구
(대명사) 이것, 이분, 이놈, 이곳 2. 단어와 품사 073

0 오후 1:40:10 2단원-3차.indd 73
(046-139)언매연구2-칠.indd 73 2018-12-20
2019-01-07 오후 1:40:11
2:20:32
② 부사 T-sol + / 교사용 CD 참고 자료 - ⑤ 부사의 호응 관계

다가서기
다음 문장의 밑줄 친 부사가 무엇을 수식하고 있는지 찾아보자.
예시 답
•바로 눈앞에 있는데도 못 찾았다. - 성분 부사

•초행이었지만 다행히 올바른 길을 찾을 수 있었다. - 문장 부사

•사람들은 비를 간절히 기다렸다. 그러나 비는 내리지 않았다.


성분 부사 앞 문장과 뒤 문장을 연결(문장 부사)

접속 부사는 대체로 문장 부사에 속하 부사는 문장에서 하는 역할에 따라 성분 부사와 문장 부사로 나뉜다. ‘바로, 못,
지만 ‘및’과 같은 접속 부사의 경우에 분류 기준 수식의 대상에 따른 차이 성상 부사 부정 부사
는 문장을 이어 주는 구실을 하지 않으 간절히’는 문장의 어느 한 성분만을 수식하므로 성분 부사라고 하며, ‘다행히, 그
므로 문장 부사에 속하지 않는다. 성상 부사 양태 부사
러나’는 문장 전체를 수식하므로 문장 부사라고 한다. 문장 부사는 ‘다행히’와 같이
접속 부사
말하는 이의 태도를 나타내는 양태 부사와 ‘그러나’와 같이 앞 문장과 뒤 문장을
‘과연, 설마, 제발’ 등
이어 주는 접속 부사로 나뉜다. ▶▶성분 부사와 문장 부사의 구분

부사 성분 부사는 그 의미에 따라서, ‘어떻게’라는 방식으로 용언 등을 꾸미는 성상


분류 기준
성분 부사 문장 부사
부사, ‘이리, 그리, 저리’와 같이 특정 내용을 가리키는 지시 부사, ‘못, 아니/안’

성상 지시 부정 양태 접속
과 같이 부정의 뜻을 가진 부정 부사로 나뉠 수 있다. 성상 부사 가운데 ‘아삭아
부사 부사 부사 부사 부사
삭, 사뿐사뿐’과 같이 사물의 소리나 모양을 흉내 내는 부사들을 의성 부사, 의
둘을 합쳐 상징 부사라고 하기도 함.
태 부사라고 한다. ▶▶성분 부사의 종류와 개념

확인하기
다음 대화에서 수식언을 찾아 관형사와 부사로 구분해 보자. T-sol + / 교사용 CD
출제용 이미지, 애니메이션

새 옷이라 깨끗하게
형, 이 옷 입고 바로 줘야 해.
빌려주면
안 될까?

먼저
•「명사」 시간적으로나 순서상으로 앞선
때. 예 먼저의 일은 네가 이해해라. /
그녀의 말투는 먼저보다 훨씬 부드러
워졌다.
•「부사」 시간적으로나 순서상으로 앞서
서. 예 나 먼저 나갈게. / 씻기 전에 밥
먼저 먹어라. 그래. 더 필요한
건 없고?

알겠어. 먼저 빌린 옷도
깨끗하게 입었잖아.

예시 답 •관형사: 이, 새   •부사: 안(아니), 바로, 먼저, 더

074 II. 국어의 탐구와 활용

2단원-3차.indd 74
(046-139)언매연구2-칠.indd 74 2018-12-20 2:20:32 2단원-3차
2019-01-07 오후 1:40:11
4 관계언: 조사

다가서기
다음 밑줄 친 조사에 따라 문장의 의미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말해 보자.

소크라테스는 { 철학을 / 철학만 / 철학도 } 잘한다.

예시 답 을: 중립적 / 만: 한정, 나머지는 배제 / 도: 역시, 나머지도 포함

조사는 체언에 직접 붙거나


국어에는 주로 체언 뒤에 붙어서 다양한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거나 의미를 더 다른 조사 뒤에 붙어요. 때
격 조사 보조사 로는 용언의 활용형 뒤에 붙
해 주는 의존 형태소가 있는데, 이를 조사(助詞)라고 한다. 조사는 그 기능과 의 기도 하고 문장 뒤에 붙기도
해요.
미에 따라 격 조사, 보조사, 접속 조사로 분류한다. 예를 들어, ‘을’은 앞에 오는
조사의 종류
체언이 목적어라는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는 격 조사이고, ‘만’은 앞말에 ‘한정’의
체언이 문장 안에서 일정한 자격을 가지도록 해 줌.
뜻을, ‘도’는 ‘역시’의 뜻을 더해 주는 보조사이다. ‘레몬과 귤’에서 ‘과’는 두 단어
체언 뒤에 붙어 특별한 의미를 덧붙여 줌. 접속 조사
를 연결해 주는 기능을 하는 접속 조사에 속한다. ▶▶조사의 개념과 종류

① 격 조사

다가서기
다음 문장에서 체언과 조사를 분석하여 빈칸을 채워 보자.
아버지께서 부엌에서 동생의 간식을 만드신다.

아버지 + 께서 부엌 + 에서 동생 + 의 간식 + 을 만드신다

주어 부사어 관형어 목적어 서술어

께서: 주격 조사 에서: 부사격 조사 의: 관형격 조사 을: 목적격 조사 동사

물이 얼음이 된다.

물+이 얼음 + 이 된다

주어 보어 서술어

이: 주격 조사 이: 보격 조사 동사

철수야, 오늘이 한글날이니?

철수 + 야 오늘 + 이 한글날 + 이니

독립어 주어 서술어 ‘이니’는 ‘이다’의 활용형으로 볼 수 있


으므로 서술격 조사로 처리할 수 있다.
야: 호격 조사 이: 주격 조사 이니: 서술격 조사

2. 단어와 품사 075

0 오후 1:40:11 2단원-3차.indd 75
(046-139)언매연구2-칠.indd 75 2018-12-26
2019-01-07 오후 2:25:01
2:20:32
‘물이 얼음이 된다.’ 앞에 오는 체언이 문장 안에서 일정한 자격을 가지도록 해 주는 조사를 격 조
격 조사의 개념
에는 주격 조사가
사(格助詞)라고 한다. 격 조사에는 ‘이/가’와 같이 주어가 되게 하는 주격 조사,
두 개 있나요?
‘을/를’과 같이 목적어가 되게 하는 목적격 조사, ‘의’와 같이 관형어가 되게 하

‘물이’의 ‘이’는 문장 안에서 는 관형격 조사, ‘이/가’와 같이 보어가 되게 하는 보격 조사 등이 있다. 그 밖에


체언이 서술어의 주어임을 표
시하는 주격 조사이고, ‘얼음 ‘에, 에서, 에게’와 같이 부사어가 되게 하는 부사격 조사, ‘아, 야’와 같이 독립어
이’의 ‘이’는 문장 안에서 체언
이 보어임을 표시하는 보격 조 의 일종인 부름말이 되게 하는 호격 조사 등도 격 조사에 속한다. 특히 체언을
사예요.
서술어가 되게 하는 ‘이다’는 서술격 조사라고 하는데, 마치 동사나 형용사처럼
서술격 조사는 다른 조사들(불변어)과 달리 가변어에 속함.
활용한다. ▶▶격 조사의 개념과 종류

관형격 조사는 엄밀히 말해 문장 안의 관계를 만드는 것이라고 보기는 어


려운 면이 있으나 관형어라는 문장 성분을 형성하므로 격 조사의 틀에서
이해하도록 한다.
② 보조사
‘요’의 위치
‘요’는 모든 문장 성분에 다 나타날 수
다가서기
있는 특이한 보조사이다. 다음 문장에서 밑줄 친 조사들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의미를 더해 주는지 말해 보자.
예⃝ 내가요 지금요 집에를요 가야만요 예시 답
하거든요. •소설만 읽지 말고 시도 읽어라. ‘만’: ‘한정’의 의미, ‘도’: ‘역시’의 의미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 ‘은’: 기존 문장의 명제적 의미 외에 ‘대조’의 의미
•오늘은요, 학교에서 재미있는 노래를 배웠어요. ‘요’: ‘청자에 대한 존대’의 의미

‘요’ 앞말에 특별한 뜻을 더해 주는 조사를 보조사(補助詞)라고 한다. ‘만’은 앞말에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 주지는 않음. 특수 조사라고도 함.
① ‘오늘은요’와 같이 체언이나 부사어, ‘한정’의 뜻을, ‘도’는 ‘역시’의 뜻을, ‘은’은 ‘대조’의 뜻을 더해 준다. ‘요’는 ‘상대
연결 어미 따위의 뒤에 붙는 ‘요’는 상대 높임의 ‘해요체’에 사용함.
보조사이다. 높임’을 나타내며, 어절이나 문장의 끝에 결합하는 독특한 성격을 가진다. 그 밖
② ‘배웠어요’와 같은 구성에 쓰이는 보조사 ‘요’의 특이한 성질
‘요’는 종결 어미 뒤에 붙는 보조사 에 ‘마저, 부터, 까지, 조차’ 등과 같이 각각의 고유한 뜻을 더해 주는 다양한 보
‘도’와 마찬가지로 ‘역시’의 의미를 지님.
로 처리하기도 하고, ‘-어요’ 전체를
조사들이 있다. ▶▶보조사의 개념과 예
종결 어미로 처리하기도 한다.
•부터: 어떤 일이나 상태 따위에 관련된 범위의 시작임을 나타냄.
보조사 ‘요’
•까지: 어떤 일이나 상태 따위에 관련된 범위의 끝임을 나타냄.
① ((주로 해할 자리에 쓰이는 종결 어
•조차: 이미 어떤 것이 포함되고 그 위에 더함의 뜻을 나타냄. 일반적으로 예상하기 어려운
미나 일부 하게 할 자리에 쓰이는 종결
극단의 경우까지 양보하여 포함함을 나타냄.
어미 뒤에 붙어))청자에게 존대의 뜻을 ③ 접속 조사
나타내는 보조사. 격식을 갖추어야 하
는 상대에게는 잘 쓰지 않는다. 예⃝ 돈이
없어요./기차가 참 빨리 가지요. ② ((체
다가서기
언이나 부사어, 연결 어미 따위의 뒤에 다음 문장의 밑줄 친 ‘와’를 대신할 수 있는 조사를 찾아보자.
붙어))청자에게 존대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 예⃝ 마음은요 더없이 좋아요./어
서요 읽어 보세요. 이번 가을에는 철수와 영희가 돌아오겠지.
나도
예시 답 ‘랑’이나 ‘하고’와 같은 접속 조사가 들어갈 수 있다.
데려가!

‘와/과’, ‘하고’, ‘(이)랑’ 등과 같이 두 단어를 같은 자격으로 이어 주는 구실을


접속 조사의 개념
하는 조사를 접속 조사(接續助詞)라고 한다. ‘와/과’는 문어에서 잘 쓰이지만,
접속 조사의 문체에 따른 쓰임
‘하고’와 ‘(이)랑’은 구어에서 잘 쓰인다. •‘와/과’- 격식체, 문어체 ▶▶접속 조사의 개념과 예
•‘(이)랑’,‘ 하고’- 비격식체, 구어체

076 II. 국어의 탐구와 활용

2단원-3차.indd 76
(046-139)언매연구2-칠.indd 76 2018-12-20 2:20:33 2단원-3차
2019-01-07 오후 1:40:13
확인하기 보조사 ‘란’
어떤 대상을 특별히 집어서 화제로 삼
다음 문장에서 체언과 조사를 분석하여 빈칸을 채워 보자. 을 때 쓰임.
예시 답
보조사 ‘나’
친구야, ‘포기’란 배추를 셀 때나 하는 말이다. 마음에 차지 아니하는 선택, 또는 최소
한 허용되어야 할 선택이라는 뜻을 나
친구 + 야 ‘포기’ + 란 배추 + 를 때+나 말 + 이다
셀 하는 타냄.
야: 호격 조사 란: 보조사 를: 목적격 조사 나: 보조사 이다: 서술격 조사

다음 노랫말의 밑줄 친 조사를 다른 조사로 바꾸어 보고, 의미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말해 보자.

나의 노래가 별이 되어 뜬 밤하늘 아래.

예시 답 ‘나의 노래마저 별로 되어 뜬 밤하늘 아래’로 바꾼 경우


‘노래가’의 ‘가’를 보조사 ‘마저’로 바꾸어 하나 남은 노래마저 그 위에 더하는 느낌을 주고, ‘별이’의 ‘이’를
조사 ‘로’로 바꾸어 변화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5 독립언: 감탄사
화자의 부름, 느낌, 놀람이나 대답을 나타내는 단어

다가서기
T-sol + / 교사용 CD
다음 괄호에 들어갈 만한 단어로 무엇이 적당할지 적어 보자.
출제용 이미지, 애니메이션

( ), 버스
( ), “학생!”하고 부르는
놓쳤다.
철수다. 말도 감탄사인가요?

“학생!”이라고 부를 때에, ‘학
생’은 부르는 말로만 쓰이는
단어가 아니므로, 감탄사가 아
예시 답 앗, 아이고 / 어머, 저런 → 상황에 대한 느낌을 나타내는 감탄사가 쓰일 수 있다. 니라 명사입니다.

‘앗’, ‘어머’처럼 느낌을 나타내는 말, ‘야’, ‘여보’처럼 부르는 말, ‘응’, ‘네’처럼


대답하는 말로 쓰이면서, 다른 성분들에 비하여 비교적 독립성이 있는 단어를
감탄사(感歎詞)라고 한다. 감탄사는 문장 속의 다른 성분에 얽매이지 않고 독립
감탄사의 특징
성이 있으므로 독립언(獨立言)이라고 한다. ▶▶감탄사의 개념과 특징

확인하기 감탄사의 위치
감탄사의 위치는 문장 첫머리에 놓이는
다음의 느낌을 나타내는 다양한 감탄사를 찾아보자.
경우가 가장 많지만 문장 속에도 놓이
예시 답
•기쁨: 허허, 옳다 •화냄: 에끼, 흥 는 등 비교적 자유롭다.

•슬픔: 저런, 아이고 •한숨: 아뿔사, 후유


•놀라움: 앗, 어머나 •뉘우침: 아

2. 단어와 품사 077

0 오후 1:40:13 2단원-3차.indd 77
(046-139)언매연구2-칠.indd 77 2018-12-20
2019-01-07 오후 1:40:14
2:20:33
T-sol + / 교사용 CD 활동 풀이(ppt), 소단원 평가(객관식, 서술형)(hwp)

이해하기
▶ 품사 분류의 다양한 기준을 확인해 보는 활동

1. 다음 괄호에 알맞은 말을 아래에서 찾아 써넣어 보자.


품사 분류 기준 예시 답
•문장 속에서 단어가 담당하는 기능
성질이 공통된 단어들끼리 모아 갈래를 지은 것을 품사라고 한다. 품사는
•문장 속의 일정한 자리에서 단어가
보이는 형태 ( 기능 ), ( 의미 ), ( 형태 )의 세 기준에 따라 분류된다.
•단어가 나타내는 의미

기능 어종 의미 지역 형태

▶ 품사의 체계와 각 품사의 예를 들어 보는 활동


2. 다음 품사 분류표의 빈칸에 알맞은 용어를 써넣고, 그 예를 찾아 써 보자.
예시 답

품사 하위분류 예

보통 명사 / 고유 명사 손, 발, 사람 / 철수, 영희, 서울
명사
자립 명사 / 의존 명사 책, 연필, 학교 / 것, 수, 줄

체언 지시 대명사 이것, 그것, 저것, 여기, 거기, 저기


대명사
인칭 대명사 나, 우리, 너, 너희, 이분, 그분, 저분

수사 양수사 / 서수사 하나, 둘, 삼 / 첫째, 둘째, 제삼

자동사 뛰다, 걷다, 가다, 놀다, 살다


동사
타동사 먹다, 잡다, 던지다, 살리다
용언
성상 형용사 고요하다, 달다, 예쁘다, 향기롭다
형용사
지시 형용사 이러하다, 그러하다, 저러하다

성상 관형사 새, 헌, 순

관형사 지시 관형사 이, 그, 저

수식언 수 관형사 세, 다섯, 일곱째, 제삼(第三)

성분 부사 매우, 못, 이리, 저리
부사
문장 부사 다행히, 과연, 그러나, 그리고

격 조사 이/가, 을/를, 에, 의, 야, 이다

관계언 조사 접속 조사 와/과, (이)랑, 하고

보조사 만, 도, 은/는, 마저, 부터, 까지

독립언 감탄사 - 여보, 앗, 네(대답)

078 II. 국어의 탐구와 활용

2단원-3차.indd 78
(046-139)언매연구2-칠.indd 78 2018-12-20 2:20:34 2단원-3차
2019-01-07 오후 1:40:15
적용하기

▶ 용언의 품사 구분의 기준을 탐구해 보는 활동


3. 다음 활동을 통해 동사와 형용사를 구분하는 기준이 무엇인지 탐구해 보자.

(1) 다음 문장의 괄호에 ‘크다’라는 용언의 활용형을 적절하게 써넣어 보자.


예시 답

동사 ‘가다’와 형용사 ‘예쁘다’의


㉠ 와, 저 선수는 진짜 키가 ( 크다 ).
활용형을 비교해서 그 차이를 적
㉡ 아이들은 따뜻한 말 한마디에 ( 큰다 ). 용해 본다.
㉢ 난 키가 ( 큰 ) 사람보다 생각이 ( 큰 ) 사람이 좋아.
㉣ 한창 ( 크는 ) 분야라서 지원자가 많다.

(2) (1)의 문장들에 사용된 ‘크다’가 모두 같은 의미를 나타내는지 확인해 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크다’를 두 부류로 나누어 보자.
예시 답 위의 ㉠과 ㉢에 있는 ‘크다’와 ‘큰’은 상태를 나타내는 의미를 가지고 있고(형용사), ㉡과 ㉣에 있는 ‘큰다’와 ‘크
는’은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의미(≒자라다)를 가지고 있다(동사).

(3) (2)에서의 분류에 따라 ‘크다’의 품사가 달라질 수 있는지 말해 보자.


기본형에 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
‘-는- / -ㄴ-’, 관형사형 어미 ‘-
는’이 결합할 수 있으면 동사이고,
결합할 수 없으면 형용사이다.

예시 답 ㉠과 ㉢의 ‘크다’는 현재형으로 활용하는 경우 어간에 직접 ‘-다’가 붙거나 ‘-(으)ㄴ’이 붙지만, ㉡과 ㉣의 ‘크다’


는 현재형으로 활용하는 경우 어간에 ‘-ㄴ다’가 붙거나 ‘-는’이 붙는다. 전자와 후자는 (2)에서 본 바와 같이 의미에서도
차이가 있고, 활용형에서도 차이가 있다. 전자는 형용사의 의미와 활용형을 보이고, 후자는 동사의 의미와 활용형을 보이
므로, 각각 그 품사를 형용사와 동사로 보아야 한다.

▶ 단어의 기능 및 의미에 따라 품사를 구분해 보는 활동

4.다음 문장에서 밑줄 친 단어의 품사를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찾아 괄호에 써 보고,


형태가 같은데도 품사가 다른 이유를 말해 보자.
예시 답
활용상의 차이점
㉠ 노력한 만큼 성과를 거두었다. - 관형어의 수식을 받음. ( 의존 명사 )
현재: -는다
(1) 감탄: -는구나
㉡ 명주는 무명만큼 질기지 못하다. - 명사 뒤에 붙어서 의미를 더함. ( 조사 )
명령: -어라
동사
청유: -자
읽는다, 읽는구나,
㉠ 여덟에 둘을 더하면 열이 된다. - 조사와 연결됨. ( 수사 ) 읽어라, 읽자 …
(2) 현재: -다
㉡ 열 길 물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 - 명사를 수식함. ( 관형사 )
감탄: -구나
*명령: -어라(×)
형용사
*청유: -자(×)

㉠ 초저녁부터 달이 휘영청 밝았다. - 상태 ( 형용사 ) 희다, 희구나, *희어


(3) 라(×), *희자(×) …
㉡ 내일 아침 날이 밝는 대로 떠나겠노라 했다. - 상태의 변화 ( 동사 ) 현재: -다
감탄: -로구나
*명령: -어라(×)
서술격
*청유: -자(×)
㉠ 안경을 바꿨더니 한결 지적으로 보인다. - 조사와 연결됨. ( 명사 ) 조사
(4) (책)이다, (책)이로구
㉡ 아이의 가족들은 사려가 깊고 지적 수준이 높습니다. - 명사를 수식함. ( 관형사 ) 나, *(책)이어라(×),
*(책)이자(×) …
예시 답 품사는 형태, 기능, 의미를 중심으로 분류된다. 위의 (1)~(4)는 형태가 같지만 기능이나 의미의 차이가 있으므
로, 이를 고려하여 품사를 다르게 설정한 예들이다.

2. 단어와 품사 079

0 오후 1:40:15 2단원-3차.indd 79
(046-139)언매연구2-칠.indd 79 2018-12-20
2019-01-07 오후 1:40:15
2:20:34
▶ 자료를 바탕으로 관계언을 탐구해 보는 활동

5. 다음 글을 바탕으로 관계언에 관해 탐구해 보자.

인성 창의 모둠
자기소개서
일반적으로 조사는 그 기능과 의
미에 따라 격 조사, 접속 조사, 보
조사로 나뉜다. 어린 시절 누구나 그림 그리는 것을 좋아합니다. ㉠ 저도 어렸을 때부터 그림 그
리는 것을 좋아했습니다. 다만 친구들이 장난감으로 노는 것, 그림 그리는 것을 모
두 좋아할 때, ㉡ 저는 그림 그리는 것만 좋아했습니다. 다른 친구들이 장난감으로
는01 「조사」
① ((받침 없는 체언이나 부사어, 상상을 펼칠 때 ㉢ 저는 종이와 연필로 제 상상을 표현하였습니다. 그림은 저에게
연결 어미 ‘-아’, ‘-게’, ‘-지’, ‘- 이런 존재입니다. 그러나 항상 그림이 좋았던 것은 아닙니다. 그림이 놀이가 아니
고’ 합성 동사의 선행 요소 따
라 공부가 되었을 때는 계속 그림을 그려도 좋을지 고민하기도 했습니다. 그런 시
위의 뒤에 붙어))어떤 대상이
다른 것과 대조됨을 나타내는 간이 지난 후 내가 좋아하는 그림을 더 잘하기 위해서는 공부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조사. 예 사과는 먹어도 배는
깨닫게 되었습니다. ㉣ 그림에 대한 저의 열정은 이렇게 성장하였습니다.
먹지 마라.
② ((받침 없는 체언 뒤에 붙어))문
장 속에서 어떤 대상이 화제임
을 나타내는 보조사. 예 나는
학생이다.
③ ((받침 없는 체언이나 부사어, (1) ㉠ ~ ㉣ 에서 체언 뒤에 붙어 다른 말과의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는 말을 모두 찾고, 그
일부 연결 어미 뒤에 붙어))강
조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 예 말들이 담당하고 있는 기능에 따라 분류해 보자.
아무리 바쁘더라도 식사는 해 접속 조사 보조사
야지.
격 조사 앞말이 다른 말에 대해 갖는 두 단어를 같은 자격으로 이 어떤 특별한 의미를 더해 주
-는03 「어미」
((‘있다’, ‘없다’, ‘계시다’의 어간, 동 일정한 자격을 나타내는 말 어 주는 구실을 하는 말 는말
사 어간 또는 어미 ‘-으시-’, ‘-겠-
△  
’ 뒤에 붙어)) 앞말이 관형어 구실 예시 답
을 하게 하고 이야기하는 시점에 ㉠ 저도 어렸을 때부터 그림 그리는 것을 좋아했습니다.
서 볼 때 사건이나 행위가 현재 일 ㉡ 저는 그림 그리는 것만 좋아했습니다.
어남을 나타내는 어미. 예 웃는 얼 ㉢ 저는 종이와 연필로 제 상상을 표현하였습니다.
굴 / 네가 생각이 있는 사람이냐? ㉣ 그림에 대한 저의 열정은 이렇게 성장하였습니다.
/ 모르겠는 사람이 있으면 손을 들
어라.

(2) 다음 <보기>의 문장과 ㉠, ㉡의 의미를 각각 비교해 보고, ㉠과 ㉡에 ‘도’나 ‘만’을 사용


한 까닭을 정리해 보자.
보기

•저는 어렸을 때부터 그림 그리는 것을 좋아했습니다.


•저는 그림 그리는 것을 좋아했습니다.

예시 답 ㉠의 ‘저도’는 앞문장 ‘어린 시절 누구나 그림 그리는 것을 좋아합니다’을 살펴보면 맥락상 ‘누구나’에


자신 ‘역시’ 포함되는 뜻을 더해주고 있다. ㉡의 ‘것만’은 ‘그림 그리는’에 ‘한정’의 뜻을 더해주고 있다. 이처럼 보
조사 ‘도’나 ‘만’을 사용하여 앞말에 특별한 뜻을 더해주고 있다.

080 II. 국어의 탐구와 활용

2단원-3차.indd 80
(046-139)언매연구2-칠.indd 80 2018-12-20 2:20:34 2단원-3차
2019-01-07 오후 1:40:16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