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6

(8) 황도대와 황도 12궁

그림 1.7에서 보는바와 같이 황도를 중심으로 하여 양쪽으로 각각 9°씩 즉 18°


되는 폭을 가진 띠 모양으로 생긴 부분을 정하여 이 부분을 황도대(Zodiac)라고
부른다. 태양과 달 및 행성들(명왕성은 제외됨)은 대체로 이 대역 내를 운행하는
것에 착안하여 옛날 사람들이 붙인 이름이다. 또 춘분점을 기점으로 하여 동쪽으
로 황도대를 30°씩 12구간으로 나누어 그 각각의 구간에 황도를 따라 존재하는
12개의 별자리와 똑같은 이름과 기호를 붙여 놓았는데 이것을 황도 12궁
(Zodiacal twelve signs)이라고 한다. 다음 표 1.1은 황도 12궁의 이름과 기호를
표시한 것이다.

그림 1.7 황도대와 황도 12궁


표 1.1 황도 12궁
Sagit- Capri- Aquar-
학명 Aries Taurus Gemni Cancer Leo Virgo Libra Scorpius Pisces
arius cornus ius
국문명 양 황소 쌍둥이 게 사자 처녀 저울 전갈 사수 염소 물병 물고기
기호 ϓ ᐡ
० Π ♋ b ≏ e ↗
- ϗ h i

[2] 천체의 위치에 대한 용어


(1) 천의 자오선(子午線) 또는 시권(時圈)
천의 양극을 지나는 대권을 천의 자오선(Celestial meridian)이라고 하며 어느
점이나 천체에 관련시켜 부를 때에는 시권(Hour circle)이라고 하는데 특히 춘분

7
점을 지나는 시권은 춘분시권(Hour circle of equinox)이라고 부른다.
또 천의 자오선을 천의 극에서 양분하여 관측자를 지나는 반원을 극상반원
(Upper branch), 그 반대편 반원을 극하반원(Lower branch)이라 한다.

그림 1.8 천의자오선과 시권

(2) 적위(赤緯)
천체를 지나는 천의 자오선상에서 천의 적도로부터 천체까지의 호를 그 천체의
적위(Declination: Dec. 또는 d)라 하며 지구상의 위도에 대응하는 것이다. 적도
상의 0°에서 남북으로 각각 90°까지 재고 천체가 적도의 북쪽에 있으면 부호 N
을, 남쪽에 있으면 부호 S를 붙인다.

(3) 적위의 거등권(距等圈)


천의 적도에 평행한 소권을 적위의 거등권 또는 등적위권(Parallel of
declination)이라고 하며 지구상에서 위도의 거등권에 대응하는 것이다.

8
그림 1.9 천체의 적위와 거등권

(4) 극거(極距)
천체를 지나는 천의 자오선상에서 관측자의 위도와 동명극과 천체사이에 낀 호
를 그 천체의 극거 또는 극거리(Polar distance : p)라고 한다.

그림 1.10 극거

9
극거 p와 적위 d사이에는 항상 다음 관계가 있다.
p = 90° ± d ····························································································· (1.1)
(단, 적위와 위도가 동명이면 ‘-’, 적위와 위도가 이명이면 ‘+’)

(5) 적경(赤經)
춘분점을 지나는 시권과 천체를 지나는 시권이 극에서 이루는 각 또는 적도의
호를 그 천체의 적경(Right ascension : RA)이라고 하며 춘분점을 기준으로 동쪽
으로 0°에서 360°까지(0h에서 24h까지) 측정한다.

그림 1.11 적경

(6) 항성시각(恒星時角)
춘분점을 지나는 시권과 천체를 지나는 시권이 극에서 이루는 각 또는 적도의
호를 그 천체의 항성시각(Sidereal hour angle : SHA)이라 하며 이 각은 춘분점
을 기준으로 서쪽으로 0°에서 360°까지(0h에서 24h까지) 측정한다.
천체좌표를 나타내는 경우에 천문학에서는 주로 적경을, 항해학에서는 주로 항
성시각을 쓴다. 적경과 항성시각의 사이에는 다음 관계가 있다.

SHA + RA = 360° = 24h ··································································· (1.2)

10
그림 1.12 항성시각

(7) 황위(黃緯)의 권(圈)


황도의 양극을 지나는 대권을 황위의 권(Circle of celestial latitude)이라고 한
다. 그림 1.13에서 EϓE′를 황도, C 및 C′를 황도의 극이라면 CMC′는 황위의
권이다.

(8) 황위(黃緯)
천체를 지나는 황위의 권상에
서 황도와 천체사이에 낀 호를
그 천체의 황위(Celestial
latitude)라고 한다. 황위는 황도
를 0°로 하여 남북으로 각각
90°까지 측정하여 천체가 황도
의 북쪽에 있으면 "+"부호를 붙
이고 남쪽에 있으면 "-"부호를
붙인다. 그림 1.13에서 LM은 천
체 M의 황위(+)이다.
그림 1.13 천체의 황위 및 황경

11
(9) 황경(黃經)
춘분점과 천체를 지나는 황위의 권 사이에 낀 황도의 호 또는 그들이 황도극에
서 이루는 각을 황경(Celestial longitude)이라고 하며 춘분점을 0°로 하여 동쪽
으로 360°까지 측정한다. 그림 1.13에서 ϓL은 천구 M의 황경이다.

[3] 관측자와 천체의 위치에 관한 용어


(1) 천정(天頂)과 천저(天底)
관측자와 지구중심을 지나는 직선이 천구와 만난점 가운데 관측자의 머리 위쪽
에서 만난점을 천정 또는 정점(Zenith : Z)이라고 하며, 발 아래쪽에서 만난점을
천저 또는 척점(Nadir : Na)이라고 한다.
그림 1.14에서 Z는 천정, Na는 천저이다. 천체를 관측하여 선위를 구하는 것은
천정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그림 1.14 천정과 천저 및 관측자의 천의자오선

(2) 관측자의 천의 자오선


천정을 지나는 천의 자오선을 관측자의 천의 자오선(Observer's celestial
meridian)이라고 부른다. 그림 1.14에서 PnZPsNa는 관측자의 천의 자오선이다.
천체가 관측자의 자오선상에 있을 때에는 관측자의 천의 자오선과 천체의 시권
이 일치하며 이 시점을 천체의 자오선정중(Meridian transit), 자오선통과

12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