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교육을 위한 기초연구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237

연구 08-10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을 중심으로-

(로고)한국장애인개발원
발간사
최근 우리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통합이 이루어지고 장애인들의 참여
도 점차 활발해 지고 있습니다 특히 지난 월 국내 최초 시각장애인 사법고
. 10

시 합격자 최영씨가 장애인을 대표해 우리 국민들에게 장애인도 할 수 “

있다 는 자신감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 준 바 있습니다


” .

우리 사회가 장애인을 이해함에 있어 가장 근본적인 문제는 장애인에


대한 그릇된 편견과 잘못된 선입견이 도처에 팽배해 있는 것입니다 『장 .

애인복지법』에서는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장애인인식개선교육을 따로 명


시하고 있으며 이는 사회지도층과 국민을 직접 상대하는 공무원이 먼저
장애인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도록 하자는데 있습니다 .

그리고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과 월초 국회 12

인준을 받은 『 장애인권리협약』에서는 장애인이 차별없이 사회에


UN

진출할 수 있도록 차별금지와 인권보장에 관해 규정하고 있습니다 .

장애인인식개선교육은 그동안 초․중․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행되어


왔지만 아직 우리 사회는 크게 변화되지 않고 있습니다 그러나 앞으로는
.

이런 교육의 결실이 우리 사회의 그릇된 생각들을 조금씩 고쳐나가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이 보고서는 우선 장애인에 대한 공무원의 인식실태를 점검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장애인 인식개선교육 매뉴얼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
며 또한 선진 외국의 사례를 체계있게 연구하여 중앙부처 공무원은 물론
,

지방자치단체 공무원들이 손쉽게 활용 가능한 매뉴얼을 제공하는데 있습


니다 .

끝으로 본 연구에 책임연구원으로 참여하여 주신 총신대학교 사회복지


학과 손병덕 교수님과 참여하신 연구진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

아무쪼록 이 보고서가 공무원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 수준을 한 단계 높여


주고 나아가 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실질적인 길잡이로 널리 활용되기를
기대합니다 .

2008. 12

한국장애인개발원 원 장 이 용 흥
연구진

책임연구원: 손병덕 총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공동연구원: 조영길 한국장애인개발원 부연구위원
최대환 한국장애인개발원 연구원
이선화 한국장애인개발원 연구원
손민아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과정
차 례
Ⅰ 서 론 ···············································································································
. 3

Ⅱ 이론적 배경 ···································································································
. 11

장애의 개념 ·································································································
1. 11

장애의 분류 ·································································································
2. 13

장애 유형별 특성 ·······················································································
3. 15

장애인의 실태 ·····························································································
4. 23

가 장애인 인구 ·····························································································
. 23

나 장애인 교육 ·····························································································
. 26

다 장애인 취업 ·····························································································
. 28

라 장애인 소득 ·····························································································
. 36

장애인에 대한 공공 서비스 ·····································································


5. 37

가 정책발달 ···································································································
. 37

나 법·제도적 기반 ·······················································································
. 38

다 공공서비스 ·······························································································
. 48

호주 공무원의 장애인식개선 사례와 시사점 ·······································


6. 50

가 호주의 장애차별법 ·················································································


. 51

나 장애행동계획의 장애인식개선교육 ·····················································


. 55

다 호주 사례의 시사점 ···············································································


. 69

장애인식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


7. 71

가 선행연구 검토 ·························································································
. 71

나 장애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 74

Ⅲ 연구방법 ·········································································································
. 81

연구모형 및 가설 ·······················································································
1. 81

조사대상 및 표집방법 ···············································································


2. 83

측정 방법 ·····································································································
3. 84

자료 분석방법 ·····························································································
4. 90

- i -
Ⅳ 연구결과 ·········································································································
. 93

1. 인구통계학적 장애근무관련 특성 ··························································


, 93

2. 장애관련근무 및 장애교육경험 특성 ····················································· 95

3. 인구통계학적 장애근무·교육관련 변수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

소외상황 인지 차이 ·················································································· 97

4. 인구통계학적 장애근무·교육관련 변수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차이


,

····························································································································
106

5. 장애인 편의 및 접근성 ··········································································· 115

6. 공무원 장애교육 방법 및 참여의사 ····················································· 121

7. 인구통계학적 장애근무·교육관련 변수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


,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인식 차이 ············································ 131

8. 인구통계학적 요소 장애인직무관련 경험특성 장애인식교육경험 , , ,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장애특성 인지 장애인차별금지법 , ,

인지 간 상관관계 ······················································································ 141

9. 다중회귀분석 인구사회학적변인 장애관련 직무경험 장애인식교육 , ,

경험 장애가족 존재여부가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에


,

미치는 영향 ································································································ 146

Ⅴ 요약 및 제언 ·······························································································
. 153

결과 요약 ···································································································
1. 153

함의 및 제언 ·····························································································
2. 157

[참고문헌 ···········································································································
] 161

[부록 설문지 ·································································································


1] 167

[부록 『장애인복지법』 ·············································································


2] 175

[부록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


3] 205

- ii -
표 목 차
〈표Ⅱ-1 〉 에 의한 장애 개념 …………………………………………………
ICF 12

〈표Ⅱ-2 〉장애유형의 분류 ……………………………………………………… 14

〈표Ⅱ-3 〉시각장애의 등급 기준 ………………………………………………… 17

〈표Ⅱ-4 〉언어장애의 등급 기준 ………………………………………………… 17

〈표Ⅱ-5 〉신장장애의 등급 기준 ………………………………………………… 18

〈표Ⅱ-6 〉심장장애의 등급 기준 ………………………………………………… 18

〈표Ⅱ-7 〉호흡기장애의 등급 기준 ……………………………………………… 19

〈표Ⅱ-8 〉간장애의 등급 기준 …………………………………………………… 19

〈표Ⅱ-9 〉안면장애의 등급 기준 ………………………………………………… 20

〈표Ⅱ-10 〉장루·요루장애 등급 기준 …………………………………………… 21

〈표Ⅱ-11 〉간질장애 등급 기준 ………………………………………………… 22

〈표Ⅱ-12 〉지적장애 등급 기준 ………………………………………………… 22

〈표Ⅱ-13 〉전국 장애인 추정인구 변화 추이 ………………………………… 24

〈표Ⅱ-14 〉연도별 등록장애인 수 현황………………………………………… 26

〈표Ⅱ-15 〉재가장애학생의 취학 형태 ………………………………………… 27

〈표Ⅱ-16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운영현황 ……………………………………… 28

〈표Ⅱ-17 〉장애인 직업재활기금사업 수행기관 현황 ……………………… 29

〈표Ⅱ-18 〉연도별 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실적 …………………………… 30

〈표Ⅱ-19 〉성별구직 및 취업수 현황 …………………………………………… 31

〈표Ⅱ-20 〉직종별 구인․구직수 현황 ………………………………………… 31

〈표Ⅱ-21 〉학력별 취업률 현황 ………………………………………………… 32

〈표Ⅱ-22 〉연령별 구직수 현황 ………………………………………………… 33

〈표Ⅱ-23 〉임금대별 구인 및 구직수 현황 …………………………………… 34

〈표Ⅱ-24 〉장애유형별 구직수 및 취업수 현황 ……………………………… 35

〈표Ⅱ-25 〉중증장애인별 구직 및 취업수 현황 ……………………………… 36

〈표Ⅱ-26 〉취업재가 장애인의 월평균 소득 ………………………………… 37

〈표Ⅱ-27 〉장애 관련법 …………………………………………………………… 39

〈표Ⅱ-28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주요 구성


내용 ………………………………………………………………… 44

- iii -
〈표Ⅱ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소관 부처
-29

……………………………………………………………………………… 46

〈표Ⅱ 〉장애인복지시설 현황 …………………………………………………


-30 50

〈표Ⅱ 〉호주 장애차별법의 장애 범주 ………………………………………


-31 53

〈표Ⅱ 〉장애인 인식에 대한 선행연구 ………………………………………


-32 73

〈표 〉장애의 유형별 인지 및 소외상황 인지 요인분석 결과 ……


III-1 85

〈표 〉장애특성 인지 요인분석 결과 …………………………………


III-2 86

〈표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에 관한


III-3

척도 요인분석 결과 ………………………………………………… 87

〈표III-4 〉인구사회학적 변인 …………………………………………………… 89

〈표III-5 〉장애근무관련 변인 …………………………………………………… 89

〈표III-6 〉장애인식교육경험 변인 ……………………………………………… 90

〈표IV-1 〉응답자의 특성 ………………………………………………………… 94

〈표IV-2 〉응답자의 장애관련근무 교육경험 특성 …………………………


, 96

〈표IV-3 〉성별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 97

〈표IV-4 〉연령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 98

〈표IV-5 〉직급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 99

〈표IV-6 〉근무지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 99

〈표IV-7 〉근무기간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 100

〈표IV-8 〉학력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101

〈표IV-9 〉장애관련 근무경험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 101

〈표IV-10 〉장애인식교육 받은 경험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 102

〈표IV-11 〉장애인식교육 받은 경험의 최근 기간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 103

〈표IV-12 〉장애인 편의증진교육 받은 경험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 103

〈표IV-13 〉장애인복지과목 수강경험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104

〈표IV-14 〉장애인 자원봉사 경험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 iv -
인지……………………………………………………………………… 104

〈표
IV-15 〉장애인가족 존재여부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105

〈표
IV-16 〉직무관련 장애인 만남정도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 106

〈표
IV-17 〉성별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 107

〈표
IV-18 〉연령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 107

〈표
IV-19 〉직급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 108

〈표
IV-20 〉근무지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 109

〈표
IV-21 〉근무기간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 109

〈표
IV-22 〉학력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 110

〈표
IV-23 〉장애관련 근무경험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 111

〈표
IV-24 〉장애인인식교육 받은 경험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 111

〈표
IV-25 〉장애인인식교육 받은 최근기간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112

〈표
IV-26 〉장애인편의증진교육 받은 경험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112

〈표
IV-27 〉장애인복지과목 수강여부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 113

〈표
IV-28 〉장애인자원봉사경험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 113

〈표
IV-29 〉가족 내 장애인 존재여부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 114

〈표
IV-30 〉직무관련 장애인 만남 빈도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 115

〈표
IV-31 〉공공장소 접근성 범례 ……………………………………………… 117

〈표
IV-32 〉공공건물 접근성 범례 ……………………………………………… 119

〈표
IV-33 〉장애인 복지 대 우선 이행과제 범례 ………………………
10 127

〈표
IV-34 〉성별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 차이
…………………………………………………………………………… 132

〈표
IV-35 〉나이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 차이
…………………………………………………………………………… 132

〈표
IV-36 〉직급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 차이
…………………………………………………………………………… 133

〈표
IV-37 〉근무지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 차이
…………………………………………………………………………… 134

〈표
IV-38 〉근무기간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 차이
…………………………………………………………………………… 134

- v -
〈표
IV-39 〉학력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 차이
…………………………………………………………………………… 135

〈표
IV-40 〉장애관련근무 경험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 차이
…………………………………………………………………………… 136

〈표
IV-41 〉장애인인식교육경험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 차이
…………………………………………………………………………… 136

〈표
IV-42 〉장애인인식 최근교육 경험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차이
…………………………………………………………………………… 137

〈표
IV-43 〉장애인편의증진교육 경험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 차이
…………………………………………………………………………… 138

〈표
IV-44 〉장애인복지과목 수강 경험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차이
…………………………………………………………………………… 138

〈표
IV-45 〉장애인 자원봉사 경험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 차이
…………………………………………………………………………… 139

〈표
IV-46 〉가족 중 장애인 존재여부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 차이
…………………………………………………………………………… 140

〈표
IV-47 〉직무관련 장애인 만남정도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차이
…………………………………………………………………………… 141

〈표
IV-48 〉인구통계학적 요소 장애인직무관련경험특성 장애유형별이
, ,

해 및 소외상황 인지 장애특성 인지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지


, ,

간 상관관계 ………………………………………………………… 145

〈표
IV-49 〉인구사회학적변인 장애관련 직무경험 장애인식교육경험이
, ,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에 미치는 영향 ……… 147

〈표
IV-50 〉인구사회학적변인 장애관련 직무경험 장애인식교육경험
, , ,

장애가족 존재 여부가 장애특성 인지에 미치는 영향 …… 148

〈표
IV-51 〉인구사회학적변인 장애관련 직무경험 장애인식교육 경험이
, ,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지에 미치는 영향 ……………………… 150

- vi -
그림 목차
〈그림 III-1 〉연구 모형도 ………………………………………………………… 81

〈그림 IV-1 〉장애인을 위하여 특별히 제작된 컴퓨터 텍스트 문서 구비여부 … 116

〈그림 IV-2 〉장애인을 위하여 특별히 제작된 오디오카세트 /MP3/CD

또는 구비여부 ……………………………………………
DVD 116

〈그림 IV-3 〉장애인의 공공장소 접근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개선필요 제 순위 1 117

〈그림 IV-4 〉장애인의 공공장소 접근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개선필요 제 순위 2 118

〈그림 IV-5 〉장애인의 공공장소 접근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개선필요 제 순위 3 119

〈그림 IV-6 〉장애인의 공공건물 접근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개선필요 순위 …1 120

〈그림 IV-7 〉장애인의 공공건물 접근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개선필요 순위 …2 120

〈그림 IV-8 〉장애인의 공공건물 접근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개선필요 순위 …3 121

〈그림 IV-9 〉장애인인식증진교육의 바람직한 실시 회수 ……………… 122

〈그림 IV-10 〉장애인인식증진교육 형식의 효과적인 방안 …………… 123

〈그림 IV-11 〉장애인인식증진교육 방법 …………………………………… 124

〈그림 IV-12 〉제 순위 제안 ………………………………………………………


1 125

〈그림 IV-13 〉제 순위 제안 ………………………………………………………


2 126

〈그림 IV-14 〉제 순위 제안 ………………………………………………………


3 127

〈그림 IV-15 〉장애인 복지 대 우선 이행과제 제 순위 제안 …………


10 1 128

〈그림 IV-16 〉장애인 복지 대 우선 이행과제 제 순위 제안 …………


10 2 129

〈그림 IV-17 〉장애인 복지 대 우선 이행과제 제 순위 제안 …………


10 3 130

〈그림 IV-18 〉장애인인식교육 참여의사 ……………………………………… 131

- vii -
제1부
서 론
I. 서론
년 월 장애인 인권보장에 관한 기본법으로 불리워지는 『장애인차
2008 4

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이 실행되어 거시적 관점에서 장애


인 관련 법률의 기본적인 구조가 완성되었다는 평가를 듣고 있다 장애인 .

관련법으로는 년 『특수교육진흥법』이 처음 제정되었으며 년에


1977 , 1981

현 『장애인복지법』의 전신인 『심신장애자복지법』이 제정된 이후 종합


적인 장애인복지를 고려하고 장애인의 완전한 사회 통합과 평등을 목적으
로 하는 관련 법률들이 제정되기 시작하였다 .

현재 년에 새롭게 제정된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2008

법률』을 포함하여 『장애인복지법』 『특수교육진흥법』 『장애인·노, , ,

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 ,

재활법』 『장애인정보격차해소법』 『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법』 『장


, , ,

애인기업활동촉진법』 등 다수의 장애인 관련 전문 법률들이 시행되고 있


으며 이외에도 『모자보건법』
, 『산업안전보건법』 『산업 (1973), (1990),

재해보상보험법』 『근로기준법』 등의 장애인 복지를 직접


(1963), (1953)

적으로 목표하지 않은 일반 법률에서도 장애인과 관련된 규정을 담고 있


다 강영실( , 2003).

이러한 법률적 기반을 통하여 장애인의 삶과 연결된 물리적 환경들이


차츰 변화해 가고 있다 즉 현행법 상 일정한 용도와 면적의 건축물에 신. ,

축 또는 개축 등의 건축적인 행위가 일어났을 경우에 장애인 편의시설들


을 설치하도록 의무화 되어 있다 한국장애인개발원 이로 인하 ( , 2008. p8).

여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경사로나 엘리베이


터의 설치를 확대하고 있으며 시각장애인의 보행을 돕는 점형 또는 선형 ,

점자블럭의 시공도 늘어나고 있다 .

공공주차장 등 일정 규모 이상의 주차장에는 장애인 전용 주차장이 할


당되어 있어 장애인 차량의 주차와 건물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있으며 ,

장애인용 화장실이 설치되어 있어 장애인의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한국장 (

애인개발원 또한 보조공학 기술의 발달과 재활산업의 성장으로 고


, 2008).

성능의 다양한 장애인 재활보조기구들이 선을 보이고 있다 지체장애인들 .

- 3 -
은 수동휠체어 대신에 전동휠체어 를 사용하기 시작했고 시각장애인들은 1)
,

화면읽기프로그램 을 사용하여 컴퓨터를 자유롭게 사용하고 컴퓨터 파일


2)
,

만이 아니라 시각장애인용 인쇄물 음성변환출력기 를 활용하여 인쇄물의 3)

접근도 시도하고 있다 .

청각장애인들은 화상전화기나 통신중계서비스 를 통하여 전화 등 통신 4)

서비스를 활용하고 있으며 다양한 장애인에게 적합하도록 설계된 각종 ,

보조기구들이 근로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물리적인 환경과 보 .

조공학의 발달은 장애인 재활의 궁극적인 목표 중의 하나인 주류사회 통


합과 참여를 이루기 위한 중요한 기반을 마련해 주고 있다 .

뿐만 아니라 제도적 측면에서도 다양한 측면에서 장애인에게 장애인복


지와 재활을 지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먼저 정부는 재가장애인 생활 . ,

안정 지원 대책으로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기초생활 보장 수급


자 및 차상위계층의 등록 장애인에게 장애수당 장애아동수당 등을 지 5)
, 6)

급하여 저소득 장애인 가구의 생활안정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중증장애 .

전동휠체어는 전기 모타의 작동에 의하여 고동되는 휠체어로서 보조원이 조정하는 전동 휠체어


동력의 보조 없이 직접 기계링크에 의해서 조향하는 수동식 조향기를 갖춘 전동 휠체어 휠체
1) , ,

어의 동력을 사용하는 시스템에 의해 조향되는 동력 조향기를 갖춘 전동 휠체어 내연 기관 구


‘ ’,

동식 휠체어 가 있다 보건복지부 고시 제 호 재활보조기구 품목의 지정 등에 관한 규정


‘ ’, ‘

일부개정 안
’ .< 2007-33 >

화면읽기프로그램은 시각장애인이 컴퓨터를 쉽게 조작하여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


( ) p22.

프트웨어의 하나로서 시각장애인용소프트웨어에는 표준키보드로 입력하여도 점자키보드로 입력


2)

하는 것과 동일한 정보로 변환하는 소프트웨어 화면에 출력된 문자를 합성음성으로 읽어내는


화면 읽기 소프트웨어 저시력인을 위하여 화면을 확대하는 소프트웨어 등이 있다 보건복지부
,

고시 제 호 재활보조기구 품목의 지정 등에 관한 규정 일부개정 안


, . <

인쇄물 음성변환 출력기는 시각장애인들이 인쇄된 문서를 읽을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로서 차


2007-33 > ( ) p29.

원 바코드에 저장되어 있는 텍스트 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는 장치이다 용


3) , 2

변환출력장치와 휴대용 변환출력장치가 있다 보건복지부 고시 제 호 재활보조기구 품목의


. PC

지정 등에 관한 규정 일부개정 안
< 2007-33 >

통신중계서비스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이 운영하는 통신중계서비스는 청각이나 언어장애를 가지고


( )

있는 사람이 일반인이나 같은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과 전화를 통하여 의사소통을 가능하게해


4) :

주는서비스이다 통신중계서비스 의종류에는


방식 등이 있다
. (TelecommunicationRel ayService)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는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어려운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의 장


Text-to-VoiceTRS,VideoRelayServices, Speech-to-SpeechRelay TRS .

애인에게 장애수당을 지급하여 저소득 장애인 가구의 생활안정 도모를 목적으로 함 근거법령
5)

『장애인복지법』 제 조 제 조 동법시행령 제 조 내지 제 조 동법시행규칙 제 조 내지 제


. :

조 보건복지가족부
49 , 51 30 34 , 38

기초생활보장대상자 및 차상위 가구의 세 미만 재가 장애아동에게 장애로 인한 추가 비용을


39 ( , 2008. p89.)

지원하여 장애아동의 양육환경을 개선하고 장애아동 가구의 생활안정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6) 18

함 근거법령 『장애인복지법』제 조 내지 조 동법시행령 제 조 내지 제 조 동법시행규칙


제 조 내지 제 조 보건복지가족부
. : 50 51 , 30 34 ,

38 39 ( , 2008. p103.)

- 4 -
인 자립생활 지원 방안의 일환으로 동료상담 활동보조 서비스 등을 제공 ,

하여 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역량 강화와 지역사회에서의 다양한 사회


참여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보건복지가족부 ( , 2008).

장애인의 고용을 지원하는 제도도 다양하게 시행되고 있다 인 이상 . 50

의 근로자가 근무하는 사업장에 이상의 장애인을 의무적으로 고용하 2%

게 하는 장애인 의무고용제도 가 시행 중이며 공공부문에는 의무고용률 7)


,

을 로 높이는 제도가 시행될 예정 이다 또한 의무고용률을 초과하여


3% 8)
.

장애인을 고용하였을 경우에는 고용장려금이 지급되는 등 장애인 고용과 ,

관련한 여러 종류의 지원 제도가 존재한다 또한 의무고용률을 지키지 않 .

는 사업장에는 고용부담금을 부과하여 장애인의 고용을 촉진하는 강제력


을 가진 제도도 시행 중이다 9)
.

이외에도 장애인 근로사업장과 장애인 보호작업장과 같은 장애인 직업


재활시설 운영 장애인심부름센타 운영 각종 세금 면제 소득세 공제 통
, , , ,

신 요금 등 각종 요금감면 등 수 많은 제도들이 장애인의 복지와 재활 10)

을 돕기 위하여 시행되고 있다 .

그러나 이러한 수많은 제도들이 시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애인이


느끼는 장애인복지와 삶의 만족도는 크게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 장애인 .

단체들은 복지제도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성명서 를 연이어 발표하고 있 11)

의무고용사업장범위확대 ○현행 인이상 사업장에서 인으로 확대하되 부담금부과 대


상 사업장 범위는 경제․사회적 여건을 고려하여 단계적으로 적용 인이상  인이상 
7) 1-1-1. 300 50

인이상  ○법정의무고용률의 행행 의 적정성에 대한 합리적 조정방안 모색 제 차


(200 : 04, 100 :

장애인고용촉진 개년 계획 노동부
06, 50 : 07) ( 2%) < 2

제 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장애인 고용 의무 ①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장애인을 소속


5 (2003~2007) / , 2003.>

공무원 정원의 분의 이상 고용하여야 한다 개정 법령 장애인고용촉진 노동


8) 27 ( )


100 3 . - 2007.12.27-< [ ] .

제 조 장애인 고용부담금의 납부 등 ①의무고용률에 못 미치는 장애인을 고용하는 사업주 상


, 2008>

시 명 이상 명 미만의 근로자를 고용하는 사업주는 제외한다 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9) 33 ( ) (

따라 매년 노동부장관에게 장애인 고용부담금 이하 부담금 이라 한다 을 납부하여야 한다


50 100 )

②부담금은 사업주가 의무고용률에 따라 고용하여야 할 장애인 총수에서 매월 상시 고용하고 있


( " " ) .

는 장애인 수를 뺀 수에 제 항에 따른 부담기초액을 곱한 금액의 연간 합계액으로 한다 이 경


우 업주가 중증장애인을 고용하는 경우에는 내야 할 부담금 총액의 분의 이내의 범위에서 중
3 .

증장애인의 수에 부담기초액의 분의 을 곱한 금액을 뺄 수 있다 법령 장애인고용촉진 노동


2 1


2 1 <[ ] .

년도 장애인복지사업안내 복지부 이외 기관에서 시행하는 장애인을 위한 복지사업 안


, 2008>

내 참고 보건복지가족부
10)‘2008 ’ -10

장애인차량면세유대선공약즉각실천하라 성명서 장애인차량면세유도입을위한공동투쟁단 에이블


- < 2008>.

뉴스 중증장애인 특별채용 시각장애인 소외됐다 성명서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에이


11)‘ ’-[ ] <

블뉴스 청각장애인의 손해배상 기준도 새로 만들어라 성명서 장애인정보문화누리


2008.12.29>,‘ ’-[ ] <

200812.19>, ‘ ’-[ ]

- 5 -
으며 고용과 생계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다양한 집회 가 벌어지고 있다 12)
.

년도 장애인 실태조사 변용찬 외


2005 에 의하면 ( 2006, p528, 530~532) ,

장애인들의 현재의 삶에 대한 만족도는 현재 건강 상태에 대한 만 45.0%,

족도는 여가 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30.5%, 한 달 수입에 대한 만 31.8%,

족도는 취업장애인의 현재 일에 대한 만족도는


14.4%, 에 그치고 있 51.3%

다 또한 장애인의 교통수단 이용 시 어려움에 대한 조사에는


. 가어 44.8%

려움을 느끼고 있다고 응답하는 등 종합적으로 장애인의 낮은 삶의 질을 ,

추정할 수가 있다 .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의 확대 보조기구 기술의 진보 법률과 제도의 , ,

지원 속에서도 장애인이 느끼는 만족도가 이처럼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


는 것은 각 시스템이 목표로 하는 본연의 의도를 충실히 구현하지 못하는
데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

편의시설을 의무화하는 법률은 존재하지만 장애인에게 편의를 제공하겠


다는 적극적인 사회의 노력은 부족하다 법률이 의도했던 본래의 의도를 .

자발적으로 실현하기보다 피할 수 없는 강제 사항이므로 최소한 또는 형


식적으로 따를 뿐이다 행정 당국의 감시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여러 이유
.

로 제도는 시행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

이러한 현실 속에서 장애인 복지 관련 법률들과 다양한 제도의 백화점


식 나열에도 불구하고 그 본연의 의도들이 실현되지 못하는 것은 제도를
수립하는 유관자들과 제도를 수행하는 담당자들의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 또는 태도와 밀접히 연관 되어 있다 그들의 부정적인 태도 즉 장애 . ,

인 개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 장애인 문제에 대한 인지부족 장애인 문제 , ,

해결의 의지 부족 장애인에 대한 예절교육 부재로 인한 태도의 부적절성


,

등 여러 문제가 복합되어 장애인 재활과 복지 관련 제도들은 충실함이 ,

없는 형식적 서비스 제공이라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태도에 결과하는 장애인의 사회적 소외현


상은 사회의 변화 속에서 다양한 욕구를 느끼며 욕구를 분출하는 방법을
배워 나가기 시작한 장애인들에게 반드시 해결해야하는 문제인 인식개선
에이블뉴스
면세유제도도입촉구 장애인차량거리행진 장애인차량면세유도입을위한공동투쟁단 에이블뉴스
< 2008.12.16>

세계장애인의 날 장애인 인권 보장하라 촉구결의집회 장애인활동보조예산 장애인노


12)‘LPG ’ <

동권 장애인연금쟁취공동행동 농아인협회 한국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에이블뉴스


2008.12.29>, ‘ ’ - ,

, , , < 2008.12.3>.

- 6 -
문제가 법으로 해결 할 수 없는 커다란 장벽으로 느껴지게 되며 낮은 만 ,

족감과 좌절로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

이렇게 장애인 문제의 근본적인 조정자라 할 수 있는 공공행정 실무자


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은 인간의 성장 전 과정 동안에 간접경험과 직접
경험 등을 통하여 형성되어지게 된다 .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는 무의식적인 상태에서 기성세대로부터 전


달되어지는 사회의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 대중매체로부터 전해지 ,

는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 정규교육 과정과 교사의 태도 장애인과의, ,

개인적인 접촉 경험의 충격 등을 중심으로 형성하게 된다 강석주 ( , 2007).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인지적 논리 합리화와 경험을 통한 선택


적 강화 과정을 거쳐 고정관념으로 자리 잡게 된다 한규석 방향성 ( , 2003).

을 가지고 장기간에 걸쳐 형성되어진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장기


간에 걸쳐 형성되어진 만큼 쉽게 변화되어지지 않지만 자신의 고정관념 ,

을 바꿀 만한 정서적 충격을 경험하거나 조직적 그리고 체계적 교육 등을


통해서 변화 될 수 있다 강석주 그러므로 장애인에 대한 문제
( , 2007. p85).

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 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어지고 있다 .

특히 공무원들은 정책을 수립하고 국가의 행정서비스를 전달하는 당사


,

자로서 그 중요성이 인정되어진다 공무원에 의해서 장애인복지정책이 수 .

립되어지고 장애인에게 복지서비스가 제공된다


, .

공무원이 장애인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고 장애인복지분야의


현안에 대해 정확한 인식이 있을 때 장애인의 문제를 해결할 적합한 정책
이 수립된다 또한 복지정책을 실행하고 집행하는 실무자들이 장애인에
.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서비스를 제공할 때 제도의 본질적 목표와 ,

법률의 이념을 실현하게 될 수 있다 즉 변화된 인식을 통하여 개선된 공 . ,

공 서비스를 경험하는 장애인들은 높은 만족도를 갖게 되고 궁극적으로 ,

장애인들의 삶의 만족도의 상승과도 연결 될 수 있다 때문에 공무원들에 .

게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게 하는 체계


적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는 주장은 힘을 얻어가고 있다 최문경 ( , 2005).

이와 관련하여 년에 개정된 『장애인복지법』 에서는 중앙행정기


2007 13)

『장애인복지법』제 조 사회적 인식개선 ①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학생 공무원 근로자


그 밖의 일반국민 등을 대상으로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을 위한 교육 및 공익광고 등 홍보사업
13) 2007 25 ( ) , , ,

- 7 -
관과 지방자치단체의 공무원들에게 장애인인식개선을 위한 교육을 연 회 1

이상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장애인에


.

대한 이해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교육이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체계


적으로 실시되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동법의 이행을 위한 방법도 ,

적절하게 대비하고 있지 못하는 상황에 있다 .

이와 같은 상황에서 본 연구는 공무원들에게 효과적인 장애인식개선교


육을 실시하기 위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도록 우리나라 공무원들의 장애
인에 대한 인식 장애 관련 법률에 대한 이해 장애인식개선교육 방안 등
, ,

에 대하여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먼저 본 조사의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기 위하여 문헌연구를 실시한다


, .

문헌연구를 통하여 우리는 장애와 장애인 이해를 위한 전반적 자료를 제


공하고 우리나라 장애인 복지제도 내용과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

등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장애 관련 법률의 내용을 살펴


볼 것이다 또한 호주의 사례를 제시하여 공무원들에게 장애인에 대한 인
.

식을 개선하기 위한 교육을 실행하고 있는 국가모델로 제시할 것이다 문 .

헌연구의 마지막으로 장애인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선행 연구를 조사하여 연구의 토대로 삼을 것이다 .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포함한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공무원이 가


지고 있는 장애와 장애인에 대한 전반적 인식에 관한 정보를 얻고 공무 ,

원의 장애인식개선교육 자료 개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


다 이것은 공무원의 장애인식개선교육 실행을 촉진하게 되며 공무원이
. ,

장애인에게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바탕이 될 수 있다 또한 『장 .

애인복지법』에서의 공무원의 장애인식개선교육의 의무화 조항 실현을 위


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을 실시하여야 한다 년 『장애인복지법』시행령제 조 사회적 인식개선교육 ① 중앙행정기


관의 장과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법 제 조에 따라 소속 직원을 대상으로 하는 장애인에 대한 인
. 2007 16 ( )

식 개선을 위한 교육계획을 매년 수립ㆍ시행하여야 한다


25

- 8 -
제2부
이론적 배경
II. 이론적 배경
1. 장애의 개념
한 국가에서 법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장애 개념은 그 국가에서 누구를
장애인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장애인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가를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이 사회에서 어떻게 생활하며 장애인 복지와 관련
,

하여 어떠한 서비스를 어느 정도 받는가를 결정짓는 기본적인 시각이다


(Oliver 따라서 장애의 정의는 그 나라의 문화적 사회적 경제
M., 1990). , ,

적 정치적 여건 및 수준에 따라 변화하며 장애인구와 출현율은 이러한


,

정의에 따라서 변화하기 때문에 장애인에 대한 개념은 절대적 개념이 아


니라 상대적 개념이다 .

년 장애개념에 대한 세부 분류 작업이 국제적으로 이루어지면서


1980

세계보건기구 는 기준을 제시하여 장애 분류에 대하여 정


(WHO) ICIDH14)

의하고 있다 이 기준은 장애를 손상. 기능제약 (impairments), (disabilities),

사회적 불이익 의 개념으로 정의하여 장애의 개념에서 손상이


(handicaps)

나 기능제약의 측면 보다 사회적 불이익에 대한 부정적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

이러한 장애 개념은 원인에 관계없이 사회적으로 장애는 불이익을 받는


다는 것을 설명하기 때문에 장애에 대한 사회적 책임론이 확장될 가능성
이 매우 높아졌다고 볼 수 있다 .

년도에 세계보건기구는 새로운


2001 장애분류 기준을 제시했고 ICF15)

각국은 이 기준을 권장하고 있다 김용덕 외 재인용 개념은 장 ( , 2007, ). ICF

애에 대한 개별적 모델과 사회적 모델의 통합을 위한 노력의 결과라고 볼


수 있으며 국제질병분류 체계인
, 과 병행해서 상호 보완적으로 사 ICD-10

용하도록 만들어졌다 가 질병의 진단에 초점을 두고 있다면 는


. ICD-10 ICF

기능 에 대한 풍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function) .

는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제한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


ICF

14) ICIDH: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Impairments, Disabilities and Handicaps

15) ICF :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 11 -
이 아니라 모든 사람의 건강에 관련된 요소들을 설명해 줄 수 있는 보편
,

적인 틀이라고 할 수 있다 는 인간의 기능과 제한 요소들의 연관된 . ICF

상황을 묘사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이 체계는 정보를 조직화하기 위한 틀 .

로서 이러한 요인들을 표Ⅱ 에서 설명하고 있다


, < -1> .

표Ⅱ
< -1> ICF 에 의한 장애 개념
구분 영역 기능과 장애
1: 영역 상황적 요소 2:

구성 신체기능 활동과 참여 환경적 요소 개별적 요소


요소 및 구조
신체기능 생활영역 기능과 장애에 기능과 장애에
영역 신체구조 과업 행동 등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 , )
외적 영향력 내적 영향력
신체기능의 변화 표준 환경에서의 물리적 사회적
, ,

생리학
구성물 신체구조의 과제수행능력
( ) 인식적 측면에서 개별 특성에
변화 현재 환경에서의 촉진 또는 방해 의한 영향
해부학 과제 수행 정도
( ) 하는 힘
긍정적 기능
측면 기능적 구조적 촉진요소들 해당 없음
통합성 활동과 참여
,

장애
부정적 장벽 방해물들 해당 없음
측면 손상 활동제한과 /

참여제한
( 김용덕 외 , 2007, 재인용 )

한편 우리나라는 『장애인복지법』에서 장애인을 신체적·정신적 장애 ‘

로 인하여 오랫동안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서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 ’

『장애인복지법』제 조 로 정의하고 있다
( 2 ) .

우리나라의 장애의 개념은 주변 환경 요인이나 사회적 참여보다 의료적


상태나 일상생활에 대한 활동 정도를 더욱 고려하고 있다 장애는 기본적 .

으로 의료적인 성격을 지니며 개인의 건강상 특징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 .

최중도의 장애에서부터 장애를 지니지 않은 건강한 사람 사이에는 무한히


분할 될 수 있는 단계들이 존재한다 .

- 12 -
장애진단은 보상 치료와 장애 관련 전문분야에 영향을 미친다 많은 진
, .

단체계들은 장애의 현상 원인 과정에 대한 강조점에 따라 차이를 보이며 , ,

또 임상 연구 통계 등 사용 목적에 따라 각기 다른 차이를 보이고 있다


, ,

이달엽
( , 2006).

2. 장애의 분류
우리나라에서 장애유형과 등급은 『장애인복지법』시행령 에서 세부적 16)

으로 규정하고 있다 장애범주는 모두 가지〈표Ⅱ 〉로 정하고 있는데 . 15 -2

년까지는 지체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정신지체 다섯 종


1999 , , , ,

류가 전부였다 그러나 년 장애범주가 새롭게 분화 하였는데 추가된


. 2000 17)

장애범주는 지체장애에서 뇌병변장애가 분리되었고 정신지체에서 발달장


애가 분리되었다 .

년 월에는 차로 장애범주가 늘어나게 되는데 주로 내부기관장애


2003 7 2

가 대폭 늘어나게 되었다 호흡기 간 장루 간질장애가 추가되었고 외부 . , , ,

장애는 안면장애가 추가되었다 정무성 외 ( , 2008, p23).

년 월에 『장애인복지법』이 일부 개정 되면서 정신지체 를 지적


2007 4 ' ' '

장애 로 발달장애를 자폐성장애 로 용어의 정의를 새롭게 하였다


' ' ' ' .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 〈별표 〉장애인의 장애등급표 제 조 관련 『장애인복지법』 제


조 보건복지부령 제 호
16) 1 ( 2 ), 2

장애범주 확대는 신체장애 중심의 장애인복지 서비스에서 내부기관 장애를 포함하는 장애인 범
, 2007.12.28 424 .

주를 확대하여 의료비가 많이 들어가는 내부기관 장애인에게도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함


17)

- 13 -
〈표Ⅱ 〉장애유형의 분류
- 2 1)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세 분 류


지체장애 절단장애 관절장애 지체기능장애 변형 등의 장애
, , ,

뇌병변장애 중추신경의 손상으로 인한 복합적인 장애


외부 시각장애 시력장애 시야결손장애 ,

신체기능 청각장애 청력장애 평형기능장애


장애
,

언어장애 언어장애 음성장애 ,

안면변형 안면부의 변형으로 인한 장애가 지속되며 이로 ,

장애 인하여 사회생활 활동이 현저하게 제한


신체적 신장장애 투석치료중이거나 신장을 이식받은 경우
장애 심장장애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심장기능이상
호흡기장애 폐나 기관지 등 호흡기관의 기능에 장애로
일상생활 및 사회생활 활동이 제한
내부기관 간장애 간의 기능에 장애가 지속되며 이로 인하여
장애
,

기본적인 일상생활 및 사회생활 활동이 제한


장루장애 장루 기능에 장애가 지속되며 이로 인하여 ,

기본적인 일상생활 및 사회생활 활동이 제한


간질장애 간질로 인한 기능 및 능력 장애가 지속되며 이로
인하여 일상생활 및 사회생활 활동이 제한
,

지적장애 지능지수가 이하인 경우 70

정신적 정신장애 정신분열 분열형정동장애 양극성정동장애


, , ,

장애 반복성우울장애
발달 및 자폐성 장애 소아자폐 등 자폐성장애
* 자료 보건복지부 장애등급판정기준
: , (2003)

이런 일련의 용어 정의는 장애범주의 모호성을 바로 잡는데 큰 역할을


하였는데 대표적으로 지적장애의 경우 지적능력이 저하되어 있는 것임에
도 불구하고 정신병이나 정신적 장애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잘못 인식되

- 14 -
어져온 것이다 『장애인복지법』개정에 의하여 지적장애가 정신장애와
.

구분하게 되었고 장애범주가 보다 명확하게 확대되었다 , .

법적인 장애범주의 확대는 국가 서비스 수급의 확대를 의미함으로 인구


의 규모나 서비스 복지재정 등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기 때문에 장애인에
,

대한 복지수혜가 많고 적음을 떠나 장애범주 확대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

장애인 등록 범주 확대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장애인중 약 가 산 89%

업화에 따른 질병 사고 등에 의한 후천적 장애로 인해 발생되고 인구 노


,

령화에 따른 만성질환에 의해 뇌병변장애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정무성 외( , 2008, p22).

년도부터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및 대한의학회에서 장애인판정체계


2007 ‘

및 인프라 개편 과 관련된 연구를 통하여 의학적 판정도구 및 근로능력·


복지욕구 판정도구 초안을 수립하고 있다 보건복지가족부 ( B, 2008, p335).

금년에는 한국장애인개발원과 국민연금관리공단 대전소재 밀알종합복지 ,

관에서 중증장애인을 대상으로 장애판정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 18)


,

이는 기존의 장애인등록 및 판정 체계가 의학적 판정에 의해서 등록이 이


루어지고 경제적 기준에 의해서 국가 서비스의 대상자로 결정되어 실질
,

적인 장애인의 욕구에 기반한 서비스 제공이 미흡하였기 때문이다 뿐만 .

아니라 장애등급이 소득활동 상실 또는 근로능력 손실 정도를 입증하는


객관적인 기준으로 활용되지 못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로 인해 정부에서 장애인복지인프라 구축을 위하여 새로운 장애판
.

정시스템을 도입하고자 현재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중에 있다 변용 (

찬 , 2008, p18).

3. 장애 유형별 특성
우리나라 개 장애유형별 특성과 등급분류 체계는 『장애인복지법』시
15

행규칙 〈별표 〉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어 각 장애유형과 장애등급 세부


1

기준은 『장애인복지법』시행령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기술하고자 한다 .

보건복지가족부에서는 새로운 장애판정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년부터 연구 사업은 물론 장애


판정을 위한 시범사업을 현재 추진 중임
18) 2007

- 15 -
지체장애에는 여섯 가지 세부유형이 이에 속하는데 ①소아마비 ②척 , 19)

수손상 ③사지절단 ④신경근골격계 손상 ⑤근이영양증 ⑥관절


20) 21) 22) 23)

염 이 지체장애에 해당된다 지체장애는 사람의 신체에서 골 근육신경


24)
. ,

중 그 어느 하나의 일부나 전체에 질병이나 외상 등으로 인해 기능장애가


발생할 때 대체로 운동장애와 감각장애 상태로 그 증상이 나타나게 되며
, ,

이를 지체장애라고 한다 정무성외 ( , 2008, p25).

뇌병변장애는 ①뇌성마비 ②외상성 뇌손상 (Traumatic Brain Injury:

③뇌졸중이 이에 해당되며 우리 몸의 중추신경의 손상으로 인한 복


TBI) ,

합적인 장애로 뇌의 기질적 병변으로 인해 보행이 불가능하거나 일상생활


동작을 거의 할 수 없어 타인의 도움과 보호가 필요한 사람을 의미한다 ,

정무성외
( , 2008, p33).

시각장애분류〈표Ⅱ 〉는 만국식 시력표에 의하여 측정한 시력을 기 - 3

준으로 규정하며 굴절 이상이 있는 사람에 대하여 교정시력을 기준으로


,

판단한다 시각장애는 시력 뿐 만 아니라 눈의 중심시력 시야 색 지각


. , , ,

또는 안구 기능에 영향을 주는 시 감각 해부학적 기능에 이상이 있는 사 ,

람 등을 의미한다 정무성외 일반적 개념으로 교정시력이 ( , 2008, p37). 0.05

이하인 사람을 전맹이라 하고 약시의 경우 시력이 저하되어 기본적인 일 ,

상생활은 불편한대로 영위할 수 있으나 책에 실려 있는 보통 크기의 글자


를 읽을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하며 두 눈의 교정시력이 이상 미만 0.04 0.3

의 경우를 의미한다 정무성외 ( , 2008, p38).

소아마비는 바이러스 균이 말초신경 척수전각 세포를 파괴하는 질환으로 상지 또는 하지를 마


비시키는 질환이나 감각에는 이상이 없다 정무성 외
19)

척수는 경추 흉추 요추 천추로 되어있으며 질병이나 외부의 손상으로 운동마비 또는 감각마비


, ( , 2008, p26)

를 초래해 배뇨 배변 경련 극육 강직 현상을 나타낸다 정무성 외


20) , , , ,

교통사고 산재장애 외상 폭발 등 사고나 질환으로 사지를 잃어버리는 장애로 심리적 갈등과


, , , ( , 2008, p26).

혈액순환장애 등 합병증을 동반한다 정무성 외


21) , , ,

신경근골격계는 직업병이나 반복적으로 특정한 신체부위를 너무 많이 사용해 근육 신경계에 이


( , 2008, p27).

상을 일어켜 장애를 유발하는 질환이다 정무성 외


22) ,

원인을 알 수 없는 만성질환으로 근육이 진행성위축으로 인해 병에 대한 저항력이 떨어지고 내


( , 2008, p26).

부기관 까지 기능이 저하되어 사망하는데 모성 유전으로 알려져 있다 정무성 외


23)

간절염은 골격계 질환으로 동통과 운동장애를 동반하는 면역성 질환으로 몸 전체의 관절이 아
( , 2008, p27).

픈 증세를 말한다 정무성 외


24)

( , 2008, p27).

- 16 -
〈표Ⅱ 〉시각장애의 등급 기준
- 3

유형 장애등급 구분
시각장애 ․급 1 : 0.02 이하인 사람
․급 2 : 0.04 이하인 사람

청각장애는 귀에서부터 뇌에 이르기까지 청각전달 기관 중 어느 부분에


이상이 생겨 소리를 듣지 못하거나 들은 소리의 뜻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를 총칭하여 말하는데 의학적으로는 청력을 잃은 사람과 평형
기능에 장애가 있는 사람으로 구분한다 정무성외 청각장애는 ( , 2008, p39).

흔히 난청 과 농 으로도 구분하기도 하는데 농은


(hard of hearing) (deaf)

이상인 자 난청은
70bB 이하인 자로 분류한다 정무성외
, 35-69dB ( , 2008,

p39).

언어장애〈표Ⅱ 〉란 선천적 혹은 후천적 원인으로 인해 음성기능 또


-4

는 언어기능에 현저 한 장애가 있는 사람으로 소리를 전혀 낼 수 없거나 ,

소리를 낼 수 있더라도 말이 없다고 하는 것 음성이나 언어에 의해서 의 ,

사를 전달하는 것이 곤란 한 상태를 말 한다 정무성외 의사전 ( , 2008, p42).

달이 잘 이루어지려면 다른 사람의 말소리를 들을 수 있는 청각과 그 뜻


을 이해하고 내 뜻을 세울 수 있는 지능 그리고 내 뜻을 표현할 수 있는 ,

음성 및 조음기관에 이상이 없어야 하는데 내 뜻을 표현할 수 있는 음성 ,

및 조음기관에 이상이 있는 사람을 언어장애인이라 하며 장애등급은 ∼ , 3

4급이 있다 정무성외 ( , 2008, p43).

〈표Ⅱ 〉언어장애의 등급 기준
- 4

유형 장애등급 구분
언어장애 ․제 급 음성기능이나 언어 기능을 잃은 사람
3 :

․제 급 음성·언어 기능만으로는 의사소통을 하기 곤란한 사람


4 :

정무성 외
( , 2008, p44).

- 17 -
신장장애〈표Ⅱ 〉는 만성신부전 등 신장기능이 고도의 장애를 일으
-5

켜 신체의 항상성을 유지하고 체액의 성분과 양을 조절하며 독성물질 해


, ,

독 등 우리 몸의 불필요한 물질들을 소변 형성과정을 통해 배출시키는 기


능을 원활히 수행하지 못함으로 인해 개월 이상 혈액투석 또는 복막투석 1

을 받고 있는 사람과 신장을 이식받은 사람으로 정의된다 정무성 외 ( ,

2008, p47).

〈표Ⅱ 〉신장장애의 등급 기준
- 5

유형 장애등급 구분
․제 급 만성신부전증으로 인하여 개월 이상 혈액투석이나 복막
2 : 1

신장장애 투석을 받고 있는 사람
․제 급 신장을 이식받은 사람
3 :

정무성 외
( , 2008, p47).

심장장애〈표Ⅱ 〉는 심부전증 또는 협심증 증상 등으로 일상생활에


-6

현저한 장애로 심장기능에 이상이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 정무성 외 ( , 2008,

p48).

심부전이란 심장의 펌프 기능이 장애를 일으켜 정맥압이 상승하고 충분 ,

한 양의 산소를 말초조직에 공급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하며 심기능부전 이


라고도 한다 가장 흔한 것은 심근경색 심근변성 심장판막증 고혈압증
. , , , ,

심막염 등에 의한 것이다 정무성 외 ( , 2008, p48).

〈표Ⅱ 〉심장장애의 등급 기준
- 6

유형 장애등급 구분
․제 급 1 : 1 년 전 심장 장애 진단을 받고 운동능력을 완전 상실한 사람
,

심장장애 ․ 제급
․제 급
2

3
:

:
심장의 장애로 정상적인 생활이 불가능한 사람
심장 기능의 이상으로 가벼운 활동이 가능한 사람
․제 급 5 : 심장을 이식받은 사람
정무성외
( , 2008, p48)

- 18 -
호흡기장애〈표Ⅱー 〉는 폐나 기관지 등 호흡기관의 기능에 장애가 있 7

어 일상생활이나 사회활동을 함에 있어 현저하게 제한을 받는 사람으로


폐나 기관지의 기능으로 인해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이 제한 될 때 장애
로 본다 정무성 외( , 2008, p52).

〈표Ⅱー 〉호흡기장애의 등급 기준
7

유형 장애등급 구분
․제 급 폐 환기 기능이 정상치의 이하이거나 또는 동맥혈 산소
1 : 25%

분압이 이하인 사람 55mg

호흡기장애 ․제 급 분압이
폐 환기 기능이 정상치의 이하이거나 또는 동맥혈 산소
이하인 사람
2 :

60mg
30%

․제 급 폐 환기 기능이 정상치의 이하이거나 또는 동맥혈 산소


3 : 40%

분압이 이하인 사람 65mg

정무성 외
( , 2008, p52).

간장애〈표Ⅱー 〉는 간 기능의 이상으로 분비 배출 생합성 기능 해


8 , , ,

독 조혈 및 혈액 응고 기능에 장애가 있어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 활동


,

에 현저한 제한을 받는 상태이다 정무성 외 ( , 2008, p50).

〈표Ⅱー 〉간장애의 등급 기준
8

유형 장애등급 구분
․제 급 1 : 만성간질환으로 간성뇌증 또는 난치성 복수 등의 합병증이
있는 사람
간장애 ․제 급 2 : 만성간질환으로 간성뇌증 병력이나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이
있는 사람
․제 급 3 : 만성간질환으로 잔여 간기능이 등급인 사람 C

․제 급 5 : 만성간질환으로 간 이식을 시술받은 사람


보건복지부
( , 2008, p142)

- 19 -
안면장애〈표Ⅱー 〉는 선천성 기형 질환 및 사고 등으로 인한 안면
9 ,

부위의 각종변형 즉 화상 색 모양 혹 점 기형 등으로 장애가 있어 사


, , , , ,

회활동에 현저한 제한을 받는 상태이다 정무성 외 ( , 2008, p44).

〈표Ⅱー 〉안면장애의 등급 기준
9

유형 장애등급 구분
․제 급 노출된 안면부의 이상이 변형된 사람
2 : 90%

안면장애 ․제 급 노출된 안면부의 이상이 변형된 사람


3 : 75%

․제 급 노출된 안면부의 이상이 변형된 사람


5 : 60%

정무성 외
( , 2008, p44).

장루·요루장애〈표Ⅱー 〉에서의 장루는 직장、대장 소장 등의 질병 10 ,

으로 인하여 배설에 어려움이 있을 때 복벽을 통하여 몸 밖으로 대변을


배설시키기 위하여 만든 구멍을 의미 한다 장루는 복부의 우하복부에 위 .

치하는 회장루와 상복부 중앙에 위치하는 결장루 좌하복부에 위치하는 ,

요루로 구분하는데 이 세 가지 기능에 장애가 있어 일상생활이나 사회생


,

활에 현저한 제한을 받는 상태를 장루장애라고 한다 장애등급 구분은 . 2

급∼ 급으로 구분한다(정무성 외, 2008, p44).


5

- 20 -
표Ⅱー 〉장루·요루장애 등급 기준
10

유형 장애등급 장애정도
요루와 함께 회장루 상행 도는 횡행결장루를 가지고 있고 그 중
, , ,

1호 하나 이상의 장루 요루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 가 현저한 변형이


( . )

있거나 장루 주변의 피부가 현저히 헌 사람


고동의 배뇨 장애와 함께 회장루 상행 도는 횡행결자루를 가지고
, ,

급 호
2
2 있고 그 중 하나 이상의 장루가 현저한 변형이 있거나 장루 주변
의 피부가 현저히 헌 경우
장루 또는 요루를 가지고 있고 공장·회장·상행 또는 횡행결장이
호 방사선 손상 등에 의한 손상으로 장루 이외의 구멍으로부터 장 내
3
용물이 지속적으로 흘러나와 수술 등에 의해서도 치유될 가능성이
없으며 구멍 주변의 피부가 현저히 헌 경우
,

호 요루와 함께 회장루 상행 또는 횡행결장루를 같이 가지고 있는


,
1
사람
요루와 함께 하행 또는 에스 결장루를 가지고 있고 그 중 하나 ,

호 이상의 장루에 현저한 변형이 있거나 장루 주변의 피부가 현저히


장루·
2

헌사람
요루 급 호
3 회장루 상행 또는 횡행결장루를 가지고 있고 고도의 배뇨 기능
, ,

장애
3
장애가 있는 사람
장루 또는 요루를 가지고 있고 공장·회장·상행 또는 횡행결장이
호 방사선 손상 등에 의한 손상으로 장루 이외의 구멍으로부터 장 내
4
용물이 지속적으로 흘러나오며 수술등에 의해서도 치유될 가능성
이 있는 사람
1호 요루를 가진 사람
2호 회장루 상행 또는 횡행결장루를 가진 사람
,

하행 또는 에스 결장루를 가지고 있고 배뇨기능 장애가 있는 경 ,

우 또는 그 중 하나 이상의 장루가 변형되었거나 장루 주변의 피


급 호
4
3
부가 헐었기 때문에 장루 보조 용품을 일 회 이상 교체하거나 1 1

장세척을 필요로 하는 사람
장루 도는 요루를 가지고 있고 하행 또는 에스 결장이 방사선 등
,

4호 에 의한 손상으로 장루 이외의 자애 내용물이 지속적으로 흘러나


오며 수술 등에 의해서도 치유될 가능성이 없는 사람
, .


5 하행 또는 에스 결장루를 가진 경우
정무성 외
( , 2008, p58).

- 21 -
간질장애 〈표Ⅱ 〉는 인간의 뇌를 구성하고 있는 신경세포
(epilepsy) - 11

중 일부가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이상기능을 일으킴으로써 이따금씩 짧은


시간동안 정상적으로 발생하는 전류보다 훨씬 과도한 전류를 발생시켜 발
작을 일으키는 신경계의 만성질환으로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질환이
다 정무성 외 ( , 2008, p59).

〈표Ⅱ 〉간질장애 등급 기준
- 11

유형 장애등급 구분
․제 급 회 이상의 중증발작과 개월 이상의 중증 발작 지속이 되
2 : 8 6

는 경우
간질장애 ․제 급 월 회 이상 중증발작과 회 이상의 경증 발작이 개월 이
3 : 5 10 6

상 지속되는 경우
․제 급 월 회 이상의 중증발작과 월 회 이상의 경증발작이 개월
4 : 1 2 6

이상 지속이 되는 사람
정무성 외
( , 2008, p61).

지적장애〈표Ⅱ 〉란 지능발달의 장애로 인하여 학습이 불가능 또는


-12

제한을 받는 상태이거나 적응행동장애를 보이는 상태로 청년기 전에 발 ,

생된 지적발달 또는 지체상태를 의미한다 정무성 외 지적장애 ( , 2008, p62).

의 원인은 매우 복잡하고 사람마다 다르므로 무엇이 원인이라고 한마디로


규명하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원인을 크게 나누면 유전적인 요소와 출생 .

후의 환경적인 요소로 나눌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이 두 가지를 복합


적으로 혼합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정무성 외 ( , 2008, p62).

〈표Ⅱ 〉지적장애 등급 기준
-12

유형 장애등급 구분
․제 급 지능지수가 이하인자 1 : 34

지적장애인 ․제 급 지능지수가 이상 이하인 사람


2 : 35 49

․제 급 지능지수가 ∼ 이상인 사람3 : 50 70

정무성 외
( , 2008, p64).

- 22 -
정신장애란 정신병 기질적 정신병 포함 ㆍ인격장애ㆍ비정신병적 정신장 ( )

애를 보이는 상태로 의학적 진단분류에 따라 정신과 전문의에 의해 진단 ,

을 받게 된다 정무성 외 지속적인 정신분열병 양극성 정동장


( , 2008, p64). ,

애 조울병 반복성우울장애 분열형 정동장애에 의한 기능 및 능력 장애


( ), ,

로 인하여 일상생활 혹은 사회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기능수행에 현저한


제한을 받는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정무성 외 ( , 2008, p66).

자폐성장애는 세 이전에 출현하는 정신적ㆍ신체적 만성적인 장애 22

(severe 로 어떤 특정 장애범주만을 국한하는 것


and chronic disability)

이 아니라 질병을 제외한 인간의 성장 발달과정에서 나타나는 장애를 발


달장애 자폐성장애 로 보고 있다 정무성 외
( ) ( , 2008, p70).

발달장애 영역은 학습장애 주의력 결핍증 및 과잉행동장애 (LD),

아스퍼그 고기능 자폐장애가 있다 자폐성장애는 일반적인 생


(ADHD), , .

활영역 즉 신변처리ㆍ언어ㆍ학습ㆍ이동성ㆍ자기관리ㆍ독립생활ㆍ경제적
자급 등에 있어 가지 이상의 장애를 함께 동반하면 실질적인 자폐성 장3

애로 진단된다 25)
.

4. 장애인의 실태
가 장애인 인구
.

정부에서는 장애인의 실태 파악과 복지 전달체계 구축을 위하여 년 1988

월부터 전국적으로 장애인 등록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보건복지가족부


11 ( A,

매년 등록률이 급속히 높아지고 있으며 년 월말에 등록된


2008). 2007 12

장애인은 명에 이르고 있다 보건복지가족부


2,104,889 앞으로 장애 ( B, 2008).

범주의 확대 홍보 강화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 등을 통하여 장애인 등


, ,

록률은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

25) 자폐성장애에 관한 진단은 국제질병분류표


의 진단지침에 따르며 의 진단명이 전반성 발달장
ICD-10(International Classifcation of

애 자폐증 인 경우에 발달장애 등급 판정을 한다


Diseases, 10th Version) , ICD-10 F84

( ) .

- 23 -
보건복지가족부는 『장애인복지법』 제 조에 의거하여 매 년마다 장애 28 3

인의 실태를 조사하고 있다 지난 년도 장애인 실태조사 변용찬 외 . ‘2005 ’( ,

에 의하면 전국의 장애인 총수는 만 명으로 인구


2006) 명중 215 , 10,000 459

명이 장애인인 것으로 나타나 장애 출현률이 로 조사되었다 변용찬 4.59% (

외 , 2006, p157).

년 현재 전국 장애인 수는 천명으로 추정되며 년의 천명에


2005 2,148.7 , 2000 1,449.5

비해 천명이 증가 동 기간중 총인구는 천명 증가 한 수치이다 이중


699.2 ( 1,286 ) .

지역사회에 거주 하는 재가장애인은 천명 남성 천명 여성 천 2,101.1 ( 1,258.2 , 842.9

명 이며 시설거주 장애인은 천명이다 표Ⅱ


) , 47.6 < -13>.

최근 정부는 자립생활과 지역사회 거주 정책 강화로 재가장애인 수는 2000

년도 조사에 비해 크게 증가한 반면 시설거주 장애인 수는 점차 감소되고 있 ,

다 변용찬 외
( , 2006, p164).

<표Ⅱ -13> 전국 장애인 추정인구 변화 추이


구분 재가장애인 시설장애인 전체
년 장애인수 2,101,057 47,629 2,148,686

2005
출현률 4.50 - 4.59

년 장애인수 1,398,177 51,319 1,449,496

2000
출현률 2.98 - 3.09

년 장애인수 1,028,837 24,631 1,053,468

1995
출현률 2.37 - 2.35

자료 보건사회연구원 변용찬 외
: ( , 2006)

년도 조사에서 등록장애 유형별로는 지체장애인이 가장 많고 안면


2005 ,

장애인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 전체 장애인 중 지체장애인은 명 . 1,005,618 ,

뇌병변장애인은 명의 순으로 많고 안면장애인이 명으로 가장


270,853 , 4,394

적게 나타났다 변용찬 외 ( , 2006, p158).

- 24 -
년 등록장애인 수는 만명으로 등록률이
2005 에 이르고 있으며 167 77.7%

신장장애인의 경우 의 높은 등록률을 보이는 반면 심장장애인의 경


99% ,

우 에 그치고 있다 이는 신장장애인이 혈액 투석을 위해 주기적으로


29% .

병원을 이용하는 관계로 의료비 지원을 받기 위해 등록률이 높은 반면 심


장장애인은 아동기에 주로 발생하고 수술이나 치료를 통해 호전되거나 성
인기에는 활동이 낮아지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변용찬 외 ( , 2006,

p158).

국가별 장애 출현률은 법정장애의 범주와 각 나라의 장애에 대한 정의


가 다르기 때문에 국가마다 큰 편차를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의 장애 출 .

현률은 로 미국 일본 등 선진국보다 현저히 낮게 나타나고 있다


4.59% , .

주요국의 장애 출현률 은 일본 독일 미국 영국
26)
4.7%, 10.2%, 19.3%,

스웨덴
19.7%, 호주 독일 로 우리나라보다 높은 것으
20.6%, 15.6%, 10.2%

로 조사되고 있다 변용찬 외 〈표Ⅱ 〉와 같이 지난 년


( , 2006, p44). -14 2007

도 말 우리나라 실제 장애등록 인구는 명으로 집계되고 있다 2,104,889 .

26) 자료 영국 : 1) : www.statistics.gov.uk, Prime Minister's

미국
strategy Unit, Improving the Life Chances of the Disabled People, 2005.

일본
2) : U.S. Census Bureau, Disability Status: 2000, 2003.

3) : Cabinet Office of Government of Japan, "White paper on Persons with Disabilities 2003,

독일
2003.

4) : http:// www.destatis.de/presse/englisch of Japan/pm2004/p5140085.htm

- 25 -
〈표Ⅱ 〉연도별 등록장애인 수 현황 단위 명
- 14 ( : )

시ㆍ군ㆍ구에 등록한 장애인수


연도 계 지 체 시 각 청각ㆍ 지적 뇌병변 자폐성 정신 신장 심장 호흡기 간 장루ㆍ 안면 간질
언어 장애 장애 요루
1989 176,687 108,923 13,467 26,884 27,413 - - - - - - - - - -

1990 200,372 125,267 14,698 28,721 31,686 - - - - - - - - - -

1991 224,025 144,080 15,720 30,373 33,852 - - - - - - - - - -

1993 265,442 176,015 17,977 33,190 38,260 - - - - - - - - - -

1994 294,246 197,628 19,876 35,098 41,644 - - - - - - - - - -

1995 324,860 220,723 21,488 36,655 45,994 - - - - - - - - - -

1996 362,475 248,690 23,507 38,465 51,813 - - - - - - - - - -

1997 425,064 294,419 27,211 43,875 59,559 - - - - - - - - - -

1998 527,250 371,328 34,548 52,501 68,873 - - - - - - - - - -

1999 597,513 502,647 46,957 67,890 80,019 - - - - - - - - - -

2000 958,196 606,422 90,997 87,387 86,793 33,126 1,514 23,559 23,427 4,971 - - - - -

2001 1,134,177 682,325 115,911 105,711 94,951 64,950 2,516 32,581 28,118 7,114 - - - - -

2002 1,294,254 754,651 135,704 123,823 103,640 91,998 4,014 39,494 32,094 8,836 - - - - -

2003 1,454,215 813,916 152,857 139,325 112,043 117,514 5,717 46,883 34,884 10,409 7,039 3,108 6,585 673 3,262

2004 1,610,994 883,296 170,107 155,382 119,207 142,804 7,740 54,333 38,175 11,634 9,768 4,072 8,182 1,114 5,180

2005 1,777,400 959,133 188,172 174,302 126,764 167,570 9,466 63,323 41,579 12,705 11,635 5,126 9,520 1,481 6,624

2006 1,967,326 1,049,396 196,507 205,155 137,596 195,253 10,926 75,058 44,571 13,739 13,035 5,875 10,461 1,863 7,891

2007 2,104,889 1,114,094 216,881 218,206 142,589 214,751 11,874 81,961 47,509 14,352 14,289 6,329 11,184 2,149 8,721

(보건복지가족부 B, 2008, p336.)

나 장애인 교육
.

장애인 교육에 대한 통계는 년 장애인 실태조사 를 근거로 살펴보 “2005 ”

고자 한다 .

취학 전 장애영유아 아동수 세~ 세 는 총 명이며 이중 명 (0 6 ) 18,553 , 13,233

이 보육시설 명 이나 유치원 명 에 다니고 있다 취학 전 장애


(10,001 ) (3,232 ) .

아동의 가 보육시설이나 유치원에 다니고 있으며 이중 명중 명이


71% , 4 3

보육시설에 다니고 있다 보육시설에 다니고 있는 장애영유아의 가 . 49.1%

장애아 전담학교에 다니고 있으며 일반학교 내 특수반은 일반보육 , 8.0%,

- 26 -
시설은 에 해당한다 유치원의 경우 일반유치원에
42.9% . 유치원과 76.9%,

정 특수학교에 가 재학 중이다 고등학교 이하에 재학 중인 장애학


23.1% .

생의 취학형태는 일반학교에 일반학교 특수학급에 그리고 51.3%, 13.2%,

나머지 는 특수학교에 재학 중이다 변용찬 외


35.5% ( , 2006, p55).

장애학생 중 는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1.4% .

취학유형별로 보면 일반학교 특수학급에 취학 중인 학생 중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고 있다는 비율은 에 불과한 반면 일반학교나 특수학교에 59.5% ,

취학 중인 학생 중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각각


이다 변용찬 외
82.4%, 88.1% ( , 2006, p55).

고등학생 이하 장애인의 명중 명이 일반학교에 취학하고 있으며 고 10 4

등학교 이하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은 명으로 추정된다 취학형태로 65,375 .

일반학교는 일반학교 특수학급은


38.8%, 특수학교는 이며 일 35.1%, 26.1% ,

반학교 취학비중은 학년이 낮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변용찬 외 ( ,

〈표Ⅱ 〉
2006, p55) - 15 .

학교생활에 문제가 있는 장애학생은 이며 이들 중 진도 따라가기 73.9% ,

등 수업내용의 이해에 문제 가 있다는 학생이 가장 많고 다음은 등


(21.7%) ,

ㆍ하교 불편 친구들의 이해부족이나 놀림


(11.9%), 학교 내 편의시설 (9.9%),

의 부족 등의 순이다 통학방법은 도보가


(8.8%) 로 가장 많고 다음
. 31.0% ,

은 일반버스 통학버스 자가용


(25.5%), 등의 순이다 변용찬 (20.6%), (14.3%) (

외 , 2006, p217).

〈표Ⅱ 〉재가장애학생의 취학 형태 단위
- 15 ( : %, 명 )

구분 일반학교 일반학교 특수학급 특수학교 계


초등학교 40.2(10,620) 41.3(10,919) 18.5(4,894) 100.0(26,433)

중학교 39.8(8,436) 29.0(6,153) 31.2(6,618) 100.0(21,207)

고등학교 35.5(6,298) 33.2(5,884) 31.3(5,553) 100.0(17,735)

구성비 38.8(25,354) 35.1(22,956) 26.1(17,065) 100.0(65,375)

- 27 -
다 장애인 취업
.

장애인복지의 궁극적인 목표는 장애인이 자기능력을 최대한 개발하여


적성에 맞는 직업을 가지고 사회적ㆍ경제적 활동에 참여하여 자활 및 자
립을 도모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정부에서는 일반고용이 어려운 장애인 .

이 특별히 준비된 작업환경에서 직업훈련을 받거나 직업재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운영을 지원하고 있다 보건복지가족부 ( B,

2008, 또한 재가 장애인이나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에서 생산한 생산


348). ,

품을 판매하기 위하여 전국에 개소의 장애인생산품 판매시설 운영을 지 16

원하고 있으며 장애인생산품의 구매를 촉진하기 위하여 장애인생산품 우


,

선구매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아울러 재가장애인의 자립을 지원하기 위 .

하여 장애인 자립자금 대여제도와 공공기관의 매점ㆍ자동판매기 장애인


우선허가제도 등을 시행하고 있다 보건복지가족부 ( B, 2008, 350).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은 장애와 사회적 편견 등으로 일반사업장 취업이


어려운 중증 장애인에게 취업기회와 직업훈련 및 직업적응 훈련 등의 기
회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년 월 현재 전국의 장애인 직업재활기 , 2007 12

금사업 수행기관 개소의 운영을 지원하고 있다〈표Ⅱ 〉 353 -16 .

<표Ⅱ- 16> 장애인 직업재활기금사업 수행기관 현황 (2007 년 )

(단위:개소 명 , )

장애인직업재활시설
구분 계 장애인복지관 장애인
직업재활센터 단 체 소 계 보호작업 작업활동 직업훈련 직업평가
(
시 설 시 설 시 설센 터 )

개소수 162 36 35 91 47 29 9 6

인력수 353 137 70 146 47 57 18 24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은 『장애인복지법』 제 조와 시행규칙 제 조에 58 41

의하면 장애인보호작업장과 장애인근로사업장 으로 구분하고 있다 근로 27)


.

장애인보호작업장 직업능력이 낮은 장애인에게 직업적응능력 및 직무기능 향상훈련 프로그램


을 제공하고 보호가 가능한 조건에 서 근로의 기회를 제공하며 이에 상응하는 노동의 대가로
27) 1) :

임금을 지급하며 장애인근로사업장이나 그 밖의 경쟁적인 고용시장으로 옮겨 갈 수 있도록


, ,

- 28 -
를 희망하는 장애인은 자신의 능력에 적합한 시설에서 일할 수 있으며 ,

각 시설에서는 궁극적으로 최저임금 이상을 지급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


다 보건복지가족부
( 한편 직업훈련 시설에서는 직업훈
A, 2008, p287-341). ,

련을 받고자 하는 장애인에게 직업평가 사회적응훈련 및 직업훈련 등을 ,

실시하여 직업능력을 향상시키고 직업알선 및 사후지도 등을 실시하고 ,

있다 보건복지가족부
( A, 2008, p297-299).

또한 장애인 직업재활시설〈표Ⅱ 〉이나 재가장애인이 생산한 물품 - 17

의 판매활동 및 유통의 대행 판로개척 홍보 정보제공 각종 상담을 통하 , , , ,

여 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지원하기 위한 전국 개소의 장애인생산품 판매 16

시설 운영을 지원하고 있다 『장애인복지법』 제 조 ( 81 ).

보건복지가족부는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센터 장애인단체 장애인직업 ( ), ,

재활시설 등 개소에 전문인력 명을 지원하여 중증장애인에 대한 직


162 353

업지도 직업적응훈련 지원고용 취업알선 및 취업 후 적응지도 등의 사


, , ,

업을 실시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그 결과 년에 약
( 명 A, 2007). 2007 93,329

의 장애인에게 직업재활 서비스를 제공하여 이 중 약 명이 취업하는 4,266

등 중증장애인에 대한 직업재활 및 고용촉진에 기여하고 있다 .

<표Ⅱ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운영현황


-17> 현재 (’07.12 )

단위:개소 명 ( , )

구 분 계 작업 활동 보호 작업 근로 작업 직업 훈련
시 설 시 설 시 설 시 설
시설 수 339 109 189 29 12

근로 장애인수 10,059 3,074 5,238 1,344 403

보건복지가족부
( B, 2008)

돕는 역할을 하는 시설
근로사업장 직업능력은 있으나 이동 및 접근성이나 사회적 제약 등으로 취업이 어려운 장애
.

인에게 근로의 기회를 제공하고 최저 임금 이상의 임금을 지급하며 경쟁적인 고용시장으로


2) :

옮겨갈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는 시설 장애인근로자의 최소 인원은 인 이상이여야 한


, ,


. 30

- 29 -
장애인일자리사업은 장애인의 낮은 고용 그리고 노동시장에서의 장애인
에 대한 편견 해소 등을 위하여 정부 지방자치단체 등이 사업주체가 되 ,

어 사회적 일자리 사업 추진 계획을 마련하여 년부터 장애인일자리 2007

사업을 시행해 나가고 있으며 장애인주민자치센터도우미 명과 장애 2,000

인복지일자리 명을 지원하고 있다 3,000 .

장애인 생산품 우선구매 제도는 장애인 생산품의 판로 개척 및 판매 증


대 등을 위해 장애인복지시설 또는 장애인복지단체가 생산하고 있는 제품
을 국가 지방자치단체 기타 공공단체가 우선적으로 구매하도록 제도화한
, ,

것이다 .

년 월말 현재 우선구매 대상물품은 행정봉투 복사용지 재생화장


2007 12 , ,

지 칫솔 면장갑 쓰레기봉투 등 개 품목이며 이들 품목에 대하여는 국


, , , 18 ,

가 등이 소요물량의 일정 비율 품목별로 분의 내지 이상 이상을 ( 100 5 20 )

장애인생산품으로 구매하도록 정부가 보건복지고시 제 호 고 ( 2008-18 , 2008)

시하고 있다〈표Ⅱ 〉 -18 .

<표Ⅱ - 18> 연도별 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실적


단위:억원
( )

연 도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금 액 8 24 297 526 689 1,244 1,391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이 보고한 년도 장애인 고용동향 분기 "2008 (3/4 )"

에 따르면 장애인의 성별 구직 및 취업동향 표Ⅱ 은 남자 구직인원이


, < -19>

명 여자는 명으로 각각
11,518 , 인 것으로 나타났고 취업
4,472 72.0%, 28.0% ,

자는 남자가 명 여자가 명으로 각각 의 분포를 보


2,704 , 1,251 68.4%, 31.6%

였다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 , 2008, p.14).

- 30 -
표Ⅱ
< -19> 성별구직 및 취업수 현황
( 단위 명 : )

구 구직수 취업수
분 년도 년도 년도 년도 년도 년도
분기 분기 분기 분기 분기 분기
2008 2008 2007 2008 2008 2007
3/
4 2/
4 3/
4 3/
4 2/
4 3/
4

남 11,518 12,884 11,068 2,704 3,911 2,839

여 4,472 4,797 4,230 1,251 1,675 1,382

계 15,990 17,681 15,298 3,955 5,586 4,221

(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 2008)

한편 년 분기 신규 구인인원은 명이며 직종별 구인 수 분


, 2008 3/4 8,222 ,

포 표Ⅱ 는 건설생산직이
< 명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
-20> 3,823(46.5%)

였고 다음으로는 판매 및 개인서비스직이
, 명으로 높은 비율 2,483(33.2%)

을 차지하였다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 , 2008. p. 15).

< 표Ⅱ -20> 직종별 구인․구직수 현황


( 단위 명 : )

구인수 구직수
구분 년도 년도 년도 년도 년도 년도
분기 분기 분기 분기 분기 분기
2008 2008 2007 2008 2008 2007
3/
4 2/
4 3/
4 3/
4 2/
4 3/
4

관리직 24 35 26 174 167 212

경영․재무직 1,316 1,754 1,345 2,205 2,447 1,966

사회서비스직 542 457 350 1,086 964 958

판매서비스직
및 개인 2,483 3,009 2,019 4,093 4,625 3,758

건설․생산직 3,823 4,326 3,418 8,114 8,923 7,866

농림․어업직 34 30 16 138 210 151

기타 180 345 387

합계 8,222 9,611 7,174 15,990 17,681 15,298

(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 2008)

- 31 -
학력별 구직 및 취업동향 표Ⅱ 을 조사한 결과 년 분기 구 < -21> , 2008 3/4

직자 총 명 중 고등학교 졸업자는
15,990 명으로 전체 구직자 중 6,793

를 차지하여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다음으로 중학졸업자


42.5% , 2,160

명 초등학교 졸업자 명
(13.5%), 대학교졸업자 명 1,619 (10.1%), 1,265 (7.9%)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 , 2008, p. 19).

<표Ⅱ 학력별 취업률 현황


-21>

( 단위 명 : )

취업률
구분 년도 년도 년도
분기 분기 분기
2008 2008 2007
3/4 2/4 3/4

무학 331 370 329

초등졸업 1,619 1,879 1,738

특수초졸업 9 20 34

중학졸업 2,160 2,406 2,012

특수중졸업 34 51 36

고교재학 424 396 268

특수학교 고교재학 201 436 289

고교중퇴 493 560 473

특수학교 고교중퇴 7 9 18

고교졸업 6,793 7,220 6,208

특수학교 고교졸업 389 525 748

초대재학 62 67 73

초대중퇴 150 116 113

초대졸업 1,180 1,269 998

대학교재학 152 171 155

대학교중퇴 232 237 218

대학교졸업 1,265 1,340 1,081

대학원 석사 재학
( ) 9 10 14

대학원 석사 중퇴
( ) 6 3 7

대학원 석사 졸업
( ) 73 74 46

대학원 박사 재학
( ) 0 1 1

대학원 박사 졸업
( ) 6 3 3

기타 395 518 436

합계 15,990 17,681 15,298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 , 2008)

- 32 -
한편 연령별 구직자 표Ⅱ 를 살펴보면 대가 명
, < -22> , 20 3,884 (24.3%) 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다음으로는 대가 명 , 30 3,669 (22.9%), 40 대가

3,610 으로 나타났다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22.6%) ( , 2008, p.21).

< 표Ⅱ -22> 연령별 구직수 현황


( 단위 명 : )

구직수
구분 2008 년도 년도
2008 2007 년도
3/4 분기 분기
2/4 3/4 분기
19 세 이하 1,329 1,530 1,147

대 20 3,884 4,263 3,744

대 30 3,669 3,974 3,527

대 40 3,610 3,914 3,414

대 50 2,860 3,229 2,753

60 세 이상 638 771 713

합계 15,990 17,681 15,298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 , 2008)

년 분기 임금대별 구직자 표Ⅱ 는
2008 3/4 만원이 명으로 < -23> 70~99 6,845

전체의 를 차지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42.8% 만원 , 100~119

이 명 3,848 만원이 명 로 나타났다 이는 전 분


(24.1%), 150~199 1,735 (10.9%) .

기 대비 만원 이상에서 증가한 것을 제외하고 타 임금대에서는


200 6.1%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결과이다 반면 분기 취업자 중에 . 3/4

서는 만원이 명으로 전체의


70~99 를 차지하고 있고 다음으로
1,833 46.3% ,

만원이 명으로 전체의


100~119 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장애
687 17.4% (

인고용촉진공단 , 2008. p.25).

- 33 -
<표Ⅱ -23> 임금대별 구인 및 구직수 현황
단위 명
( : )

구인수 구직수
구분 년도
2008 년도
2008 년도
2007 2008 년도 년도
2008 년도
2007

분기
3/4 분기
2/4 분기
3/4 분기
3/4 분기
2/4 분기
3/4

만 이하
69 502 454 392 759 946 1,082


70-99 3,869 4,814 4,019 6,845 7,630 7,130


100-119 1,556 1,916 1,493 3,848 4,223 3,142


120-149 1,340 1,714 820 1,484 1,702 1,240


150-199 854 658 372 1,735 1,930 1,501

200 만 이상 99 53 76 1,303 1,228 1,143

기타 2 2 2 16 22 60

합계 8,222 9,611 7,174 15,990 17,682 15,299

(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 2008)

장애유형별 구직 및 취업동향 표Ⅱ 은 분기 장애유형별 구직자 < -24> 3/4

중 지체장애인이 명 지적장애인이 명 청각장애인


7,148 (44.7%), 2,225 (13.9%),


1,547 시각장애인이 명
(9.7%), 뇌병변장애인이 명 1,278 (8.0%), 1,051 (6.6%)

로 이상 개 장애유형이 전체 개 장애인유형 구직자 중


5 를 차지 15 82.9%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취업자는 지체장애인 명 지적장 . 1,861 (47.1%),

애인 명 청각장애인 명
588 시각장애인 명
(14.9%), 순 550 (13.9%), 303 (7.7%)

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 , 2008. p.28-29).

- 34 -
<표Ⅱ -24> 장애유형별 구직수 및 취업수 현황
( 단위 명 : )

구직수 취업수
구분 년도
2008 년도
2008 2007 년도 년도
2008 년도
2008 2007년도
분기
3/4 분기
2/4 3/4 분기 3/4분기 분기
2/4 3/4 분기
지체장애 7,148 8,557 7,254 1,861 2,649 1,946

뇌병변장애 1,051 1,137 1,026 221 302 219

시각장애 1,278 1,427 1,279 303 491 357

청각장애 1,547 1,808 1,565 550 826 642

언어장애 228 296 283 62 112 80

지적장애 2,225 2,683 2,339 588 743 592

정신장애 1,066 987 926 228 259 220

기타 1,447 786 626 143 204 165

합계 15,990 17,681 15,298 3,955 5,586 4,221

(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 2008)

마지막으로 중증장애인의 년 분기 구직 및 취업동향 표Ⅱ 을 2008 3/4 < -25>

살펴보면 중증장애인 구직자는 명으로 전체 구직자 명 중 7,627 15,990

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유형별로는 지적장애


47.7% . 2,213

명 지체장애 명
(29.0%), 정신장애 명 순으로 나타
2.061 (27.0%), 1,037 (13.6%)

났다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 , 2008. p.32).

- 35 -
표Ⅱ
< -25> 중증장애인별 구직 및 취업수 현황
(단위 명 : )

구직수 취업수
구분 2008 년도 년도
2008 2007 년도 년도
2008 년도
2008 년도
2007

3/4 분기 분기
1/4 3/4 분기 3/4분기 분기
1/4 3/4분기
지체장애 2,061 2,257 2,008 452 665 553

뇌병변장애 684 766 686 149 192 130

시각장애 356 338 332 83 143 89

청각장애 890 939 851 351 488 412

언어장애 51 58 50 16 28 16

지적장애 2,213 2,676 2,324 588 741 589

정신장애 1,037 985 919 227 259 216

기타 335 357 290 68 98 73

합계 7,627 8,376 7,461 1,934 2,614 2,078

(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 2008)

라 장애인 소득
.

년 장애인 실태조사 결과 장애인 가구의 월 평균소득은 약 만


2005 157.2

원으로서 도시 근로자 가구소득 년 분기 만원 의 수준 (2005 2/4 301.9 ) 52.1%

에 불과하며 장애치료 재활서비스 교통수단 이용 특수교육 등으로 월


, , , ,

평균 천원의 추가 비용을 부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장


155.4 ,

애가 빈곤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표Ⅱ 〉 또한 - 26 .

장애인 가구의 소득은 년 당시 보다 포인트 증가하였으나


2000 46.4% 5.7%

여전히 열악한 수준이다 .

- 36 -
〈표Ⅱ 〉취업재가 장애인의 월평균 소득
-26 (2005)

단위:만원
( )

구분 지체 뇌병변 시각 청각 언어 정신 발달 정신 신장 심장 계
장애 장애 장애 장애 장애 지체 자폐 장애 장애 장애 ( )

월평균
소득액 125.5 99.9 115.5 83.8 81.4 47.5 70.0 54.9 153.9 74.1 114.9

변용찬 외
( B, 2006, p58)

지역별로 보면 서울시 만원 광역시 만원 중소도시 만 , 177.5 , 162.2 , 168.1

원 읍 면부 만원으로 각각 도시근로자 가구소득의


, 127.5 58.8%, 53.7%,

55.7%,. 수준에 이른다 가구 규모별로는 인 가구는 만원이고


42.2% . 1 53.0 ,

2인 만원 인 만원 인 만원 인 만원 인 이상 가
102.2 , 3 160.8 , 4 207.8 , 5 248.7 , 6

구 만원에 이르고 있다 변용찬 외


303.4 전체 장애인 가구 ( B, 2006, p58).

만 가구 중 국민기초생활수급자 가구는 총 만 가구로 전체 장애인


194.5 26 (

가구 수의 비장애인가구의 국민기초생활보호대상자 비율 에
13.1%) 6.8%

비해 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변용찬 외
2 장애로 인한 추가 ( B, 2006, p58).

비용 수준은 재가장애인의 경우 장애로 인하여 월평균 천원을 추가 155.4

로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출비 별로는 의료비가 천원으 , 90.2

로 가장 많고 다음이 교통비로서 천원에 이르고 있다 년과 비교


, 22.9 . 2000

해 의료비 및 보호·간병 비는 증가하였으나 교통비 재활보조기구 구입․ , ,

유지비 등은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변용찬 외 ( B, 2006, p53).

5. 장애인에 대한 공공 서비스
가 정책발달
.

세기는 장애복지 분야에서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는 시기라고 할 수


21

있다 전문가에 의한 장애정책보다는 장애인 당사자의 요구에 의해 제도


.

- 37 -
와 정책이 마련되고 있으며 당사자의 사회참여 운동도 매우 활발해지고 ,

있다 정무성 외
( 장애인의 인간다운 삶의 질 보장과 재활을
, 2008, P379).

통한 복지의 실현이라는 당위성을 토대로 당사자들의 사회적 참여는 점차


높아가고 있다 .

그동안 장애인들이 사회적 소수자 약자로서의 위치에서 사회정책의 비 ,

판자 참여자로 자신의 경험을 객관화하고 공동의 권리와 이익을 확보하기


위한 사회적 노력으로 많은 변화를 가져오기 시작했다 특히 이동권 투쟁 .

이나 편의시설 등 사회적 차별에 대한 장애인단체의 대응이 늘어나면서


국가적으로 장애인의 욕구를 정책에 반영하려는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신 (

연식 ,이와 동시에 년대 말부터 장애인의 사회통합에 대한 욕


2002). 1990

구가 증가하고 년도이후 장애인 당사자중심의 자립생활 운동이 대두


2000

되기 시작하면서 장애인복지 패러다임의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정무성 (

외 , 2008, p125).

특히 우리나라 장애인복지 패러다임에 큰 변화를 가져온 자립생활운동은


미국에서 시작된 운동으로 장애 당사자 주도의 자립을 강조하고 있다 이 , (

달엽 , 이 운동은 미국의 장애대학생들이 전문가의 도움없이


2007, p348).

지역사회에서 생활할 수 있는 방법들을 자조조직을 통해서 확보하고 전수


하고자하는 움직임에서 시작되었고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Rubin

& 우리나라는 년도부터 자립생활운동에 대한 논의가


Roessler, 1995). 1997

시작되어 활발하게 운동전개가 되고 있는 중이며 이 운동을 통해 중증장 ,

애인의 권리와 인권문제에 눈을 뜨게 되는 계기가 되었고 년 장애인 , 2008

차별금지법 제정이라는 큰 열매를 맺을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

이러한 변화와 흐름에 따라 오늘날 우리나라 장애인복지의 변천은 시혜


적 관점에서 권리로 재활 패러다임에서 독립생활로 공공부조 정책에서 , ,

사회서비스로 급속히 변화되어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나 법·제도적 기반
.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장애인복지와 관련된 주요 법률은 『장애


인복지법』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장애인고
, ,

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특수교육법』 등 장애관련 특별법은 〈표Ⅱ ,

〉과 같다
-27 .

- 38 -
〈표Ⅱ 〉장애 관련법
-27

법 명 제정 목 적
년도
특수교육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국가 및 지방자치
특수교육진흥법 단체가 적절하고 고른 교육기회를 제공하고 교육방법
및 여건을 개선을 목적으로 함
1977 ,

장애인의 인간다운 삶과 권리보장을 위한 국가와 지방


장애인복지법 자치단체 등의 책임을 명백히 하고 장애인복지대책을
종합추진하며 장애인의 복지와 사회활동 참여증진을
,
1981

통하여 사회통합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함


,

장애인고용촉진 장애인이 그 능력에 맞는 직업생활을 통하여 인간다운


및 직업재활법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장애인의 고용촉진 및 직업재활을
꾀함
1990

장애인․노인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이 생활을 영위함에 있어 안전


임산부 등의 하고 편리하게 시설 및 설비를 이용하고 정보에 접근하
편의증진 보장에 1997
도록 보장함으로써 이들의 사회활동참여와 복지증진에
관한 법률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함
저소득자․농어촌지역주민․장애인․노령자․여성등 경
제적․지역적․신체적 또는 사회적 여건으로 인하여 생
활에 필요한 정보통신서비스에 접근하거나 이용하기 어
정보격차 해소법 려운 자에 대하여 정보통신망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과
정보이용을 보장함으로써 이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게
2001

하고 균형 있는 국민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


로함
교통약자 교통약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교통수
단․여객시설 및 도로에 이동 편의시설을 확충하고 보행
이동편의증진법
2006
환경을 개선하여 인간중심의 교통체계 구축함을 목적으
로함
장애인기업 장애인의 창업과 기업활동을 적극 추진함으로써 장애인
의 경제적∙사회적 지위를 제고하고 경제력 향상을 도
활동촉진법 모하여 국민경제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함
2007

장애인차별금지 모든 생활영역에서 장애를 이유로 한 차별은 금지하고


및 권리구제 등에 장애인의 완전한 사회참여와 평등권 실현을 통하여 인간
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구현함을 목적으로 함
2008

관한 법률

최근 우리나에서 장애인의 인권보장을 위한 두 가지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데 지난 년 월 일 유엔총회에서 채택된 『 장애인 권리
, 2006 12 13 UN

협약』이 년 월 일부터 발효된 것과 년 월 일부터 시행된


2008 5 3 2008 4 11

- 39 -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이다 .

국가인권위원회가 지난 년 설립된 이후 년부터 년 사이에 2001 2005 2007

장애관련 진정 건수가 총 건 으로 이 높은 건수는 장애인과 관련된 473 28)

많은 인권침해 사례가 발생되고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조형석 ( 그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장애인당사자들이
, 2007).

연합하여 활동하기 시작하였고 이러한 움직임에 의하여 년 『장애인 2008

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게 되었다 국가인권위원 (

회 , 이 법은 우리사회의 대표적 약자인 장애인들의 인권보장을 실


2007).

현하고 장애인 차별을 근절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며 누구나 함께 인 ,

간다운 삶을 살아가는 사회를 만들기 위한 토대를 제공할 전망이다 .

이런 법적 제도적 환경이 마련되기 전에 국내에서 처음으로 제정된 장


애관련법은 년 장애인 교육의 보편적 권리와 보장을 위해 제정된
1977

『특수교육진흥법』이다 정동영 이 법률은 장애인의 특수교


( , 2007, P131).

육 및 통합교육을 지원하는 법으로 취학 전 아동에서부터 고등교육지원 ,

그리고 평생교육에 이르기 까지 장애인의 교육권 확보와 지원을 위한 내


용을 담고 있다 즉 장애인 특수교육이 학령기 아동만을 위한 지원으로
. ,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장애인이 사회에 진출한 이후 평생교육에 까지 지원


이 이루어져야 함을 보이고 있다 .

이 법은 여러 차례 개정을 통해 중증장애학생의 고등교육 기회 부여와


장애학생에 대한 개별적 지원 그리고 학습보조 지원을 더욱 강화하는 방 ,

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특수교육법 제 조에서 특수교육대상자는 시각장


. 15 ‘

애 청각장애 정신지체 지체장애 정서·행동장애 자폐성장애 의사소통장


, , , , , ,

애 학습장애 건강장애 발달지체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장애 등


, , , ,

에 해당하는 사람 중 특수교육을 필요로 하는 사람으로 진단·평가된 사


람 으로 규정하고 있다
’ .

두 번째로 제정된 장애인 관련 법률은 년 세계장애인의 해 를 계 1981 ‘ ’

기로 제정된 『심신장애자복지법』 법률 제 호 로서 현 『장 (1981.5.5. 3452 ) ,

애인복지법』의 전신이다 년도에 국제연합 은 각 국가에 대하여 . 1980 (UN)

장애인복지를 국가책임 하에 실시하도록 권고한 바 있으며 정부는 정치 ,

적 상황을 고려하여 복지사회를 국가의 주요 시책으로 삼고 『심신장애자


28) 2007년까지 장애관련 진정 건수는 2005 년 건 121 년 건
, 2006 113 , 2007 년 건임 국가인권위원회
239 ( ,

2007)

- 40 -
복지법』을 제정하였다 정무성 외 동 법은 낙후된 장애인복
( , 2008, P396).

지 서비스 실현을 위해 다양한 제도 변화를 도입하고 직간접적 서비스를 ,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다 여러 차례의 개정작업을 통하여 년 월 . 1989 12 30

일에는 기존의 『심신장애자복지법』이 『장애인복지법』으로 새롭게 개


정되면서 장애인에 대한 정의와 차별금지 장애인정책조정위원회 설치
, , ,

장애발생예방 장애수당 등 복지조치 장애인복지시설 및 단체 지원 장애


, , ,

인 보조기구의 교부 및 육성 장애인복지 전문인력 등 자격시험실시 등에 ,

대해 규정하였다 보건복지가족부 그 후 년도에 장애인의


( , 2008, P6). 2007

보호와 재활 시설지원 전문복지 서비스 제공 등 공급자 및 복지전문가


, ,

중심의 재활 패러다임에서 소비자주의 및 당사자주의가 결합된 이용자 ‘

참여 혹은 자립생활 패러다임을 지향하는 법률로 재개정하였다 이는 장


’ .

애인 자립생활지원과 센터설립 운영에 대하여 규정함과 동시에 소득보장


과 일자리 창출에 이르기까지 당사자의 욕구에 접근하려는 노력의 일환이
라고 할 수 있다 조향현 ∼ ( , 2006, P7 54).

세 번째로 년에 도입된 『장애인고용촉진법』은 장애인이 직업 생


1990

활을 통해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


며 주로 장애인의 직업훈련 능력개발 평가 취업 고용 등의 장애인 고
, , , , ,

용과 취업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다 이 법은 장애인고용을 기업에 강제화 .

하는 의무고용 즉 할당고용제도를 도입하게 하였는데 장애인고용촉진 및 ,

직업재활 장애인고용의무 및 부담금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설립 장애


, , ,

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기금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 2001

년 월 일에 그동안 유지되어온『장애인고용촉진법』이『장애인고용촉
1 12

진 및 직업재활법』으로 대폭 개정되면서 중증장애인에 대한 취업 확대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지는 계기가 되었다 정무성외 ( , 2008, p.160).

네 번째로 년 월에 제정된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


1997 4

장에 관한 법률』은 서울장애인올림픽이 끝나면서 『건축법』에서 장애관


련 각종 제도가 사라지는 것에 대해 대응하는 과정에서 수립되었다 정무 (

성, 2008,이 법은『건축법』에서 누락된 각종 기준들을 분리하여


P175).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이 생활을 영위함에 있어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시설 및 설비를 이용하고 정보에 접근하도록 보장하는
법이다 이 법은 편의시설 설치 대상시설 및 편의시설 설치기준 시설주
29)
. ,

의 의무 편의시설에 관한 지도․감독 실태조사 설치계획의 수립 및 보


, , ,

- 41 -
고 편의증진심의의원회의 설치 및 지원 장애인 전용주차구역 위반 시
, , ,

벌칙 등의 모두 개 조문으로 구성되어있다 건축물에 대한 접근성 강화


29 .

는 물론 방송접근 통신접근 대중교통 접근 등 보편적으로 일반 국민이


, ,

누리는 권리를 모두 담아 법으로 제정하였고 이행강제금을 부과하도록 ,

강제화하였다 특히 장애인의 사회참여를 위해 관공서나 공공시설에 강


30)
.

제적 의무 이행을 통해 도로 건축 등 사회 환경을 변화시키고 있다 , .

다섯 번째로 년 월에 장애인의 정보통신 접근성과 보조기구들을


2001 1

개발할 목적으로 『장애인정보격차해소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다 이 .

법은 경제적 지역적 신체적 또는 사회적 여건으로 인하여 생활에 필요한


, ,

정보통신 서비스에 접근하거나 이용하기 어려운 자에 대하여 정보통신망


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과 정보 이용을 보장하도록 하고 있으며 정무성 ( ,

2008, 정보격차해소 종합계획 수립 장애인․노령자 등의 정보접근


p.186), ,

및 이용보장에 관한 사항 정보통신기기의 지원 정보이용시설의 설치․운 , ,

영 정보화교육 정보격차 실태조사 등을 규정하고 있다


, , .

여섯 번째로 년 건설교통부의 주관으로 제정된 『교통약자의 이동


2006

편의증진법』은 교통부문에서 이동권 확보를 위한 각종 시설정비가 법적


근거하에 체계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한국장애인재 (

활협회 , 이 법은 장애인 등이 생활을 영위함에 있어서 이동


2006, p.484).

과 시설의 접근 및 이용편리를 도모하기 위한 장애인 교통 관련 편의시설


의 기준 제시 등을 주 내용으로 하고 있다 장애인들의 교통 시설 이용 .

중 발생하는 사고들로 인하여 촉발된 장애인 당사자들과 시민 단체들의


이동권 확보 운동의 결과로 수립 되었다는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년 , 1993

세계인권대회의 비엔나선언 및 행동계획 ‘ ’(Vienna Declaration and

Programme 에서 장애인에게 교통시설 등 보편적 접근의


of Action, 1993)

권리를 보장해 줄 입법을 채택하도록 국제사회가 촉구함으로써 법 제정의


탄력을 더해 주었다 .

이 법은 국가 및 지자체가 교통약자의 안전하고 편리한 이동을 위해 교


통 여객시설의 이용편의 및 보행 환경 개선정책을 수립․시행하여야 할
것을 명하고 있다 또한 교통약자이동편의 증진계획과 이동편의시설 설치
.

기준을 명시하고 있으며 보행 우선구역의 설치 등에 관해서도 규정하고 ,

29)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제 조 제 조 제 조 제 조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제 조 시행규칙 제 조 시행령 제 조
1 , 2 , 4 , 6 .

30) 28 , 14 , 7 .

- 42 -
있다 .

일곱 번째로 년도에 장애인 기업인들에 의한 창업 장애인기업인


2007 ,

육성 장애인생산물품 우선구매제도 등을 위해 『장애인기업활동촉진법』


,

이 제정되었다 중소기업청에서 관장하고 있는 이 법은 장애인의 창업


31)
.

과 보육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지원하고자 하고 있으며 특히 장애인 기 ,

업인 육성을 위해 각종 세제 지원과 장애인 경제인 모임을 활성화하도록


촉구하고 있다 이 법에서는 장애인 당사자가 경제인협회를 구성해 각종
.

사업을 진행하고 정부는 이를 지원하도록 하며 장애인기업 생산 물품에 ,

대한 공공기관의 구매촉진 자금지원 및 경영능력 향상에 대한 세제 지원 ,

에 관한 사항 등 총 개 조문으로 구성되어있다 21 .

장애인 복지정책의 변화는 재활 패러다임에서 자립생활 패러다임으로


변화되어가고 있으며 또한 장애인의 사회진출 증가로 인하여 장애인 당 ,

사자의 욕구가 정책에 반영 되는데 가속도를 더하고 있다 복지서비스를 .

통하여 장애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종전의 노력에서 세기에는 장 , 21

애인의 문제를 인권과 권리로 풀어가고자 하는 노력이 나타나고 있다 남 (

용현 , 2007).

년 새롭게 제정 시행된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2008 ,

법률』 이하 장애인차별금지법 〈표Ⅱ 〉은 이런 노력을 잘 대변해 주고


( ) -28

있다 이 법은 장애를 이유로 한 차별을 금지하고 장애인의 사회참여와


. ,

평등권 실현을 통해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장애를 신체적․정신적 손상 및 기능상실이 장기간에 걸쳐 일
.

상 또는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초래하는 상태로 규정하였고 현행 장 ,

애인복지법상의 장애인 개념과 조화를 꾀함과 동시에 장애를 사유로 한


차별을 폭넓게 금지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장애인차별금지법 제 ( 2

조 ).

『장애인기업활동촉진법』 법률 제 호 신규제정 법률 제 호 『중소기업창업


지원법』 일부개정 법률 제 호 『중소기업창업 지원법』 일부개정
31) 7632 (2005. 07. 29). 8086 (

법률 제 호 『장애인복지법』 일부개정
) 2006. 12. 26. 8362 ( ) 2007. 04. 11.

8367 ( )

- 43 -
〈표Ⅱ 〉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구성내용
-28

법 구성 내용
○목적 장애와 장애인 용어정의
, ,

제 장 총칙 1 ○동 법상 차별행위를
( 제 조 내지 제 조
1 9 ) ①직접차별 ②간접차별 ③정당한 편의제공 거부에 의한 차
별 ④광고에 의한 차별 이상의 네 가지로 유형화
고용 ○차별금지 정당한 편의제공 의무 의학적 검사금지
, ,

교육 ○차별금지 정당한 편의제공 의무


,

○재화·용역 제공 토지·건물 매매임대,

재화와 ○금융상품·서비스 시설물 접근·이용


용역의 ○이동 및 교통수단 정보접근 정보통신·의사소통
, ,

제장 2 이용 ○문화·예술·체육에서의 정당한 편의제공


차별금 ○개인정보보호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의무
,

지 사법·행정 ○차별금지 정당한 편의제공


제 조 절차 등
( 10
,

내지 모·부성권 ○출산·임신·입양 시 장애로 인한 차별금지 및 실질적 평등


제 조 등 32 )
보장
가족·가정 ○재산권 양육권 친권 등에 있어 장애로 인한 불합리한 차
, ,

· 별금지
복지시설 ○복지시설 이용 시 장애로 인한 친권향유 가족면접 외부와 , ,

건강권
,
의 소통에 있어서의 차별금지
○의료행위에 있어서 장애를 이유로 제한·배제·분리·거부금지
제 장 장애여성 및 ○장애여성 및 아동 정신적 장애인차별금지
장애아동등
3
,

제 조 내지 제 조
( 33 37 )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의무
제장 4 ○차별받은 사람은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
장애인차별시정기구 ○국가인권위원회는 진정조사권과 직권조사권 보유
및 권리구제 등 ○국가인권위원회 내 장애인차별시정 소위원회 설치
제 조 내지 제 조
( 38 45 ) ○법무부의 시정명령권
제 장 손해배상
입증책임 법원의 ○차별행위로 손해를 가한 자에게 손해배상 책임
5 ,

구제조치 ○입증책임 배분
제 조 내지 제 조
( 46 48 )

제 장 벌칙 ○악의적 차별행위에 대해 년 이하 징역 또는 천만원이하


6 3 3

제 조 내지 제 조 벌금
( 49 50 )

- 44 -
장애인차별금지법은 직접차별 간접차별 정당한 편의제공 거부 광고에 , , ,

의한 차별 등 대 차별행위를 금지하고 있다 이러한 대 차별행위를 고


4 . 4

용 교육 등 대 영역에 대해 적용하고 있으며 여성장애인과 장애아동


, 6 , ,

정신적 장애인에 대해서는 별도의 규정을 두고 있다 .

이 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대 차별 행위의 구체적 내용을 보면 다음과 4

같다 첫째 직접차별은 장애인을 직접적으로 정당한 이유 없이 배제 거부


. ,

하거나 불리하게 대우하는 경우를 말하며 둘째 간접차별은 형식상으로 , ,

공정한 기준을 적용했더라도 장애인에게 불리한 결과가 발생한 경우를 의


미한다 셋째 정당한 편의제공 거부에 의한 차별은 과도한 부담이나 현저
. ,

히 곤란한 사정과 같은 정당한 이유 없이 장애인에게 편의시설이나 서비


스 등의 제공을 거부하는 경우를 말하고 넷째 광고에 의한 차별은 광고 , ,

의 내용이 장애인에 대한 배제 거부 등 불리한 대우를 나타내는 경우를


의미하고 있다 그러나 부담이나 현저히 곤란한 사정이 있는 경우 금지된
. ,

차별행위가 특정 직무나 사업 수행의 성질상 불가피한 경우에는 차별 법 (

제 조제 항 로 보지 않고 있다
4 3 ) .

차별이 금지되는 영역은 고용 교육 재화 및 용역과 금융상품 제공 및 , ,

이용 시설물의 접근 및 이용 이동 및 교통수단 정보접근 및 의사소통에


, , ,

대한 차별금지 문화예술체육활동 사법행정절차 및 참정권 모·부성권 성


, , , ,

등 가족 가정 복지시설 건강권 괴롭힘의 금지 장애여성 장애아동 정신


, , , , ,

적 장애인 등으로 되어있다 .

장애인차별금지법의 시행 내용은 보건복지가족부 소관 법률이지만 개 15

부처가 공동으로 운영하거나 적용하게 된다 이는 기존 여개의 법률과 . 30

관련되어 있기 때문인데 〈표Ⅱ 〉에 의하면 각 관련 조문과 내용에 , -29

따라 관련되는 소관부처가 다양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

장애인차별금지가 특정분야가 아닌 다양한 분야 및 영역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

‘정당한 편의 제공관련 규정은 재정부담 등 현실을 고려하여 년까


’ 2015

지 단계적으로 시행하되 기타 규정은 즉시 시행하여야 한다 장애인차별 , .

금지법의 제정으로 인하여 년도부터 바뀌게 되는 내용은 다음과 같 2008

다.

- 45 -
〈표Ⅱ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소관 부처
-29

구분 관련조문 및 내용 관련부처
목적․장애정의 복지부
제조 제조
총괄 복지부 관련부처
1 ~ 2

제 호 장애인보조기구 복지부 노동부


행정안전부
, ,
3

제 장 총칙 제 조 정의
복지부 교육부
1 3 ( )

제 호 공공기관 4
행정안전부
, ,

제 호 교육기관 교육부
제조
6

다른 법률과의 관계 국가인권위원회 법
9

( )

제절 제 조 제 조 고용관계차별금지 및 노동부
고용 정당한 편의제공 등
1
10 ~ 12

제절 제 조 제 조 교육의 기회 및 교육과학기술부
교육 편의제공 등
2
13 ~ 14

토지․건물 매매 임대 법무부
제 조 제 조 및 금융상품 보험가입 금융감독위원회
,

서비스 등
15 ~ 17 ,

제절 제 조 시설물 접근․이용 보건복지가족부



18

재화와 용역의 제 조 이동 및 교통수단


3

제공 및 이용 운전면허 등
,
국토해양부 경찰청

2 19 ,

제 조 제 조 정보접근․의사소통 보건복지가족부
행정안전부
,

차별 20 ~ 23

금지 제 조 제 조 문화예술․체육활동 등
24 ~ 25 문화관광부
제절 행정․사법 절차 및
사법․행정절차 및 제 조 제 조 서비스에 대한 서식 등 행정안전부 법무부
4

서비스와 참정권 제공과 참정권 보장


26 ~ 27 ,

제절 임신 출산 입양 및 보건복지가족부
모․부성권 성 등 제 조 제 조 성적 자기결정권 여성부
5 , , ,
28 ~ 29
,

제절 가족 및 복지시설 등에서
가족․가정․복지시 제 조 제 조 의접․소통권․건강권
장애인 의사결정권 면 보건복지가족부
6

보장 여성부
, ,

설 건강권 등
30 ~ 32

,

장애여성 근로관계 및 사 여성부 노동부
제 조 회 각 영역에서의 편의제
(

제장 보건복지가족부
, ,

공과 배려
33

장애여성 및
3
)

장애아동 등 제 조 장애여성배려의무 여성부


보건복지가족부
,
34

- 46 -
구분 관련조문 및 내용 관련부처
제 조 제 조 장애아동배려의무 보건복지가족부
교육부
,
35 ~ 36

제 조 정신장애인에
37
차별금지
대한 보건복지가족부
제장 제 조 제 조 진정 조사 및
차별시정기구
,
인권위
장애인차별
4 38 ~ 42

시정기구 및 권리구제 등 제42 조 제 조 시정명령


~ 45 법무부
제 장 손해배상 입증책임
5 , 제46 조 제 조 손해배상
~

법원의 구제조치 48
보건복지가족부
인권위
,

제 장 벌칙 6 제49 조제 조 ~ 50 법무부 인권위 ,

공공기관이 주최․주관하는 행사 법 제 조 항 에 있어서 장애인이 행 ( 21 2 )

사 개최 일 전까지 지원을 요청하는 경우에는 수화통역사 문자통역사


7 , ,

음성통역사 또는 보청기기 등 의사소통에 필요한 수단을 제공받을 수 있


도록 해야 한다 .

사법․행정서비스 법 제 조 에 있어서 공공기관과 그 소속원이 사법․ ( 26 )

행정절차 및 서비스 제공시 장애인이 사법․행정절차 및 서비스의 이용 ,

과 참여를 위해 요구할 경우 보조인력 점자자료 인쇄물음성출력기기 수 , , ,

화통역 대독 음성지원시스템 컴퓨터 등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사법기관


, , , ,

은 장애인이 인신구금․구속 상태에서 장애인이 아닌 사람과 실질적으로


동등한 수준의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정당한 편의를 제공해야한다 .

참정권의 보장 법 제 조 에 있어서 장애인의 참정권 보장을 위해 시( 27 )

설․설비 참정권 행사에 관한 홍보․정보전달 장애 유형이 고려된 선거


, ,

용 보조기구의 개발․보급 보조원의 배치 등의 편의를 제공해야한다 , .

고용 법 제 조~ 조 에 있어서 기존 장애인고용촉진법상 규정 채용
( 11 12 ) ( ,

승진 등 에 추가적으로 정년․퇴직․해고 시 장애를 이유로 차별받지 않


)

아야 하고 채용 전 장애인 여부 조사를 위한 의학적 검사를 받지 않으며


, ,

직무상 필요한 의학적 검사 시에는 비용을 사용자가 부담해야한다 .

재화․용역 제공의 차별금지 법 제 조 에 있어서 재화․용역 등의 제 ( 15 )

공자는 장애인에게 비장애인과 실질적으로 동등하지 않는 수준의 편익을


주는 물건 서비스 이익 편의 등을 부당하게 제공하여서는 안 되며 장애
, , , ,

- 47 -
인이 해당 재화․용역을 이용해 이익을 얻을 기회의 박탈은 금지된다 .

토지 및 건물의 매매․임대의 차별금지 법 제 조 에 있어서 토지 및 ( 16 )

건물의 소유․관리자는 매매 임대 입주 사용 등에 있어 정당한 사유 없


, , ,

이 장애인을 제한․배제․분리․거부 하는 것이 금지된다 .

금융상품 및 서비스 제공의 차별금지 법 제 조 에 있어서 각종 금융상 ( 17 )

품과 서비스의 제공에 있어 정당한 사유 없이 장애인을 제한․배제․분


리․거부 하는 것이 금지된다 .

시설물 이용 이동 및 교통수단 법 제 ~ 조 에 있어서 보조견 및 장


, ( 18 19 )

애인 보조기구와 함께 시설물에 진입하고 시설물을 이용할 수 있으며 장 ,

애인은 이동 및 교통수단을 이용할 때 보조견․장애보조기구를 반입․이


용할 수 있고 그를 이유로 불리한 요금을 적용받지 않는다 .

정보통신․의사소통 법 제 조 항 에 있어서 방송사업자 등은 제작물


( 21 3 )

과 서비스 접근권 보장을 위해 자막 수화 점자 및 점자변환 보청기 큰 , , , ,

문자 화면읽기․해설․확대 프로그램 인쇄물 음성 변환 출력기 음성서


, , ,

비스 전화 등 통신 중계 서비스를 제공해야한다
, .

가족․가정․복지시설 차별금지 법 조 에 있어서 가족․가정의 구성 ( 30 )

원인 자 구성원이었던 자는 장애인이란 이유로 양육권 친권의 지정을 제


, ,

한․박탈하는 것이 금지되며 입양기관은 장애를 이유로 입양할 수 있는


,

자격을 제한하는 것이 금지되고 복지시설 등의 장은 장애인의 시설 입소 ,

를 조건으로 친권포기 각서를 요구하거나 시설생활 중 외부와의 의사소 ,

통 제한이 금지된다 .

다 공공서비스
.

장애인복지 서비스에 대한 욕구 특성은 년도 장애인 실태조사 통 ‘2005 ’

계를 보면 재가장애인은 직업훈련 및 일자리 제공 사회분위기에 높은 욕


, ,

구를 나타내고 있다 .

그 다음으로는 교통 및 편의시설 확충 경제적 지원 교육기회 제공 순 , ,

으로 장애인의 욕구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변용찬 외 우리사 ( , 2006, P631).

회에서 장애인 차별은 교육 고용 등 생활 전반에 걸쳐 어느 정도라 생각


, ,

하는지에 대해서는 장애인들은 조금 심하다가 심하다가 매 46.6%, 35.8%,

- 48 -
우 심하다가 전혀 없다가 로 사회의 장애인 차별에 대해서
14.3%, 3.3%

심하다 고 생각하는 사람이


‘ 나 되어 우리사회의 차별에 대한 심각
’ 96.9%

성을 보여주고 있다 변용찬 외 ( , 2006, p627).

이러한 장애인의 복지서비스에 대하여 국가지원 서비스 내용을 살펴보


면 장애인의 경제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정부에서 제공하는 직간접적인
,

소득보장 정책은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

첫째 공공부조의 일환으로 실시되는『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생활보


,

호사업 생계보조수당 지급사업 및 자립자금 대여사업 둘째 사회보험에


, , ,

서의 장애연금 또는 장애일시 보상 금 셋째 조세감면 및 이용요금할인 ( ) , ,

등을 통한 경제적 부담 경감 시책 등이 있다 .

장애인복지의 공공 서비스는 정부가 직접 시행하는 시책과 지방자치단


체 민간단체가 수행하는 각종 장애인복지 지원 정책이 존재하며 매우 광
,

범위하고 다양하다 보건복지가족부의 장애수당 등 가지의 시책 중앙행 . 18 ,

정기관에서 시행하는 사업의 개 시책 지방자치단체에서 조례에 의거 12 ,

시행하는 이용료 할인 등 가지 시책 등을 도입하고 있다 기타 민간기관 3 .

에서 자체운영 규정에 의하여 실시하는 사업은 가지가 되며 지방이양 11 ,

사업의 가지 정책을 포함하여 다양한 장애인복지시책을 마련하고 있다


18

보건복지가족부
( ∼ 그러나 기본적인 기초장애연금이 없는
B, 2008, P14 27).

우리나라 현실에서 단기간에 실효성을 거두기가 어렵다 대신에 우리나라 .

의 장애인복지 서비스의 큰 틀은 장애인 소득보장 정책 보건·의료 서비 ,

스 교육 서비스 고용지원 서비스가 바탕이 되고 있다 보건복지가족부


, , ( B,


2008, P330 357).

국가 장애인복지시책은 보건복지 가족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장애수당


지급 장애아동수당 지급 장애인자녀 교육비 지원 장애인자립자금 대여
, , , ,

장애인 의료비 지원 장애인등록 진단비 지급 장애인재활보조기구 무료 , ,

교부 자동차 건강보험료 전액 면제 장애인생산품 판매시설 운영 장애인


, , ,

직업재활시설 기금사업 수행기관 운영 보장구 건강보험 급여실시 장애인 , ,

자동차 표지 발급 장애인결연사업 장애인 연료 세금 인상액 지원 농 , , LPG ,

어촌재가 장애인 주택 개조사업 실비장애인생활시설 입소 이용료 지원 ,

등이 있다 보건복지가족부 ∼ ( B, 2008, P14 18).

한편 장애인들이 이용하는 장애인복지시설 은 전국에 개소〈표Ⅱ 32)


1,919

〉 명이 생활하고 있다
-30 21,114 .

- 49 -
〈표Ⅱ 〉장애인복지시설 현황
-30

(2007. 12. 31 현재 단위:개소 명


, , )

생활시설 직업재활시설 지역사회재활시설


구분 계
소계 지체 시각 청각
․ 정신 요양 영 소계 근로 보호 소계 복지 의료
언어 지체 유아 작업 재활
관 시설 관
체육 기타

시설수 1,919 314


33

13
14 11
131

11
116 9 319
24

20
295 1,286 157 16 24 1,089

인원 30,595 21,114 2,283 792 521 8,730 8,345 443 9.481 1,246 8,235 - - - - -

보건복지가족부
( B, 2008)

6. 호주 공무원의 장애인식개선 사례와 시사점


호주는 공무원들에게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대
표적인 국가 중의 하나이다 호주의 공무원들은 장애인에 대하여 태도를 .

개선하고 편견을 제거하기 위하여 자체적으로 고안된 혹은 외부 전문 강 ,

사에 의한 교육 또는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장애인에 대한 편견 제거 노 .

력은 공공부문의 질 높은 장애인 고객 서비스 제공으로 이어지게 되어 장


애인의 공공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궁극적으로 장애인의 사회통
합과 참여를 더욱 촉진하고 있는 것이다 .

이러한 공공부문 종사자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교육 프로그램은


장애인의 사회 통합과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종합적 프로그램인 장애행동
계획 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다 그리고 장애행
(Disability Action Plans) .

동계획은 년 제정된 호주의 장애차별금지에 관한 법률인 『장애차별


1992

법』 과 관련 하위 법률에 의하여 실행되고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있다 .

장애인복지시설이라 함은 장애인이 시설에 입소하거나 통원하여 재활에 필요한 상담 치료 교


육 훈련 및 요양 등의 장애인복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사회복지시설을 말하며 그 시설
32) , ,

로는 장애인복지법 제 조에서 정한 바와 같이 장애인생활시설 장애인 지역사회재활시설 장애


, ,

인 직업재활시설 장애인 유료복지시설 등이 있다 장애인 복지시설은 생활시설과 직업재활시


58 , ,

설 지역사회재활시설로 구분하는데 그동안 장애인복지시설은 수적인 증가는 물론 시설 기능의


, .

보강 및 서비스 개선을 위항 예산을 점진적으로 투입되고 있다


, ,

- 50 -
본 장에서는 호주의 공무원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교육의 사례를 보
다 근본적인 측면부터 접근하기 위하여 본 교육의 법률적 기반인 호주 ,

『장애차별법』을 먼저 조사하고 동 법률에 의하여 실행되고 있는 장애 ,

행동계획을 살펴보고자 한다 장애행동계획의 구체적 사례는 호주 연방의 .

한 주인 빅토리아 주에서의 법률적 규정과 지침을 조사하고 동


(Victoria) ,

주에 속해 있는 데러빈시 의 공무원에 대한 장애인식개선


(City of Darebin)

을 위한 계획수립의 경우를 살펴보고자 한다 .

가 호주의 『장애차별법』
.

1) 호주의 『장애차별법』과 장애의 정의


호주의 『장애차별법』 은 년 연방정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1992

부의 사회정의 이념을 실천하기 위한 아젠다의 하나로 도입된 것으로 호 ,

주 사회에서 장애로 인해 경험 발생하는 모든 차별 행위를 금지하는 것 ,

을 그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 법은 호주 연방 정부의 법률로서 국 .

가 및 하위 정부인 주정부와 지방정부 그리고 민간부문의 차별과 관련된


모든 행위에 적용되며 인권 및 기회균등 위원회가 중심이 되어 『장애차
,

별법』 관련 사안을 관리한다 장애인고용 ( , 2003 p80).

『장애인차별법』의 근간을 이루는 이념은 장애인이 비장애인과 다를


바 없이 동등하게 모든 지역사회의 일원으로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여야
하며 장애인이 지역사회에 가능한 한 최대로 참여할 권리를 가지고 있고
, ,

그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는 것이다 .

이러한 이념을 바탕으로 호주에서는 인종이나 민족 장애 성 호주 원 , , ,

주민이라는 이유 등으로 행하는 모든 차별을 금지하고 있으며 또한 장애 ,

로 인해 발생되어지는 차별은 『장애차별법』의 적용을 받도록 되어 있다


김성희 외
( 이와 같이 호주의 『장애차별법』의 목적은 호주에서
, 2004).

장애인이 경험하는 모든 차별을 제거하고자 하는 것이며 장애인이 비장 ,

애인과 동등하게 사회구성원으로서 지역사회에 참여하고 기여하게 하는


것이다 .

- 51 -
이러한 목적을 가지고 있는 호주의 『장애차별법』에서 장애의 개념은
의학적․기능적 측면의 관점에 그치지 않고 장애를 발생시키는 모든 환경
과 장애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을 기초로 하는 확장된 개념의 장애라
는 점에서 그 특징을 찾을 수 있다 .

장애인이 사회구성원의 일원으로서 사회생활을 비롯한 자신의 일상 속


에서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기회를 부여 받지 못하게 하는 지역사회 및 지
역사회 기반구조에 장애 유발의 중요한 원인이 있다고 본다 따라서 호주 .

의 장애차별법 속에서 규정하는 장애는 신체적 심리적 지적 정신적 감 , , , ,

각적 신경적 장애라는 의학적 기능적 측면과 기형 추형 및 전염성이 있


, ,

는 바이러스 보유와 같은 사회적인 부정적 정서를 유발하게 하는 사


HIV

회적 측면도 고려된 개념이다 변용찬 외 (이것은 장애인이 사회로, 2006).

부터 받는 편견과 냉대가 정상적인 일상생활 및 사회생활을 유지하는데


커다란 장애가 되고 있음을 인정하고 있는 것이다 .

또한 호주의 『장애차별법』의 장애 정의에서는 그 개념을 현재의 장애


뿐만 아니라 과거에 존재했거나 미래에 존재할 가능성을 포함한 장애까지
그 범위를 확장 시키고 있다 질병이나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심리적인
.

측면을 고려한 것으로 과거의 장애로 인한 현재의 심리적인 어려움과 미


,

래에 예측되어지는 장애로 인한 현재의 불안감 등을 인정하고 있는 것이


다 표Ⅱ
< -31>.

- 52 -
< 표Ⅱ 호주 『장애차별법』의 장애 범주
-31>

호주 『장애차별법』의 범주
· 신체·정신적 기능의 전체 또는 부분적 손실
· 신체 일부 전체 또는 부분적인 손실
, ,

· 질병을 야기하는 기관의 신체 내 존재


· 질병의 야기를 가능케 하는 기관의 신체 내 존재
· 신체 일부분이 완전히 기능하지 못하거나 형태가 잘못된 것
· 학습장애를 유발하는 이상 또는 기능부전
· 사고과정 현실인지력에 영향을 미치는 이상 또는 질병 불안한 행동을
, ,

야기하는 감정이나 판단
· 현재 존재하는 장애
· 지금은 더 이상 나타나지 않더라도 과거에 존재했던 장애
· 미래에 나타날 수 있는 장애
· 개인에게 귀속된 장애
( 변용찬 외 , 2006. p48)

2) 호주 『장애차별법』에서의 차별의 정의
호주의 『장애차별법』에서 의미하는 차별은 크게 직접적 차별 간접적 ,

차별 그리고 괴롭힘으로 구분 할 수 있다 직접적 차별이란 장애인이 장


, .

애를 이유로 하여 다른 사람과 동등한 기회를 제공 받지 못하거나 그로인


한 충분한 선택을 하지 못하는 경우 등의 부당한 대우를 의미한다 .

간접적 차별이란 물리적인 장애물이나 국가․사회적 정책 관습 선택 , ,

혹은 허용기준 규칙 등의 상황이 장애인 및 장애인과 관련된 사람들에게


,

제약을 가함으로써 부당한 배제가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

괴롭힘이란 장애를 이유로 불쾌한 감정을 느끼게 하거나 수치심 모욕 ,

감 굴욕감 소외감 등의 감정을 느끼게 함으로써 장애인을 위축시키거나


, ,

그러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김성희 외 ( , 2004. p56).

구체적으로 호주 『장애차별법』 각 조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장애인 차


별의 경우는 다음과 같다 제 조에서는 장애인차별을 규정하고 있는데 여. 5 ,

기서 장애인 차별이란 어떤 사람이 동일 환경에서 또는 실질적으로 다르

- 53 -
지 않은 환경에서 장애를 이유로 불리하게 대우하는 것을 의미한다
, .

실질적으로 다르지 않은 환경이란 장애인이 다른 편의시설이나 용역을


요구할 수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는 것인데 이는 장애인에게 정당한 ,

편의를 제공하지 않는 것이 차별 행위임을 의미한다 제 조는 간접적 장 . 6

애인 차별을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장애를 갖지 않은 사람들 중 극소수 ,

만 따르거나 따를 수 있는 조건 상황에 비추어볼 때 불합리한 조건 및 , ,

장애인이 따르고 있지 않거나 따를 수 없는 조건을 요구하는 경우이다 .

제 조에서의 장애인 차별은 고통완화 및 치료 장치와 보조기구를 동반


7 ,

소유했다는 이유로 불리하게 대우하는 경우를 의미하며 제 조에서의 차 , 8

별은 통역사 낭독자 보조인의 동반을 이유로 불리하게 대우하는 경우를


, ,

의미한다 제 조에서는 시각장애인 안내견 청각장애인 보조견 등 훈련된


. 9 ,

동물의 동반을 이유로 불리하게 대우하는 것도 동일한 장애인 차별로 규


정하고 있다 국가인권위원회 ( , 2005. p126).

호주의 『장애차별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차별금지 영역은 노동 편의 ,

시설 교육 대지․클럽․스포츠에 대한 접근권 재화․서비스․시설의 제


, , ,

공 그밖에도 연방정부의 현행법 정보욕구 등이다 이러한 분야들에서 장 , .

애를 이유로 기회를 제공하지 않거나 제한함으로써 장애인이나 장애인과


관련된 사람들에게 손해․불이익 등을 발생시키는 것이 차별행위인 것이
다 이 외에도 장애인차별금지법은 광고 각종 신청서 및 채용 면접 승
. , , ,

진 해고 및 이용 등을 포함하여 근로와 고용이 관련된 모든 분야를 장애


,

인 차별 금지의 영역으로 포함하고 있다 변용찬 외 ( , 2006. p48).

3) 호주 『장애차별법』에서의 차별의 예외 규정
호주의 『장애차별법』에서 폭넓은 장애 차별을 금지하고 있지만 동시
에 그 한계를 규정하고 있다 동 법 제 조 제 항에서 직무의 고유한 요 . 15 4

건(inherent 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차별의 예외


requirements of the job)

를 규정하고 있다 이는 특정한 장애인이 특정한 직무의 고유한 요건을


.

수행할 수 없는 경우이거나 혹은 장애로 인해 비장애인에게는 필요 없는 ,

용역이나 시설 등의 편의를 요구하고 그것이 제공자에게 과도한 부담을


주는 경우이며 이로 인한 차별적 행위는 호주의 『장애차별법』의 차별
,

금지의 예외 상황으로 여겨진다 차별 금지의 예외 상황이 그 정당성을 .

- 54 -
가지기 위해서는 해당 직무의 고유한 요건에 대한 정의와 그 기술
이 직무 기술서에 명확히 나타나 있어야 한다
(description) .

이것은 차별적 행위가 호주의 『장애차별법』에 저촉되는 차별 행위인


지의 판단 여부의 주요한 근거가 된다 일반적으로 근력과 신체적 특징 .

등을 요구하는 직무 자격요건은 특정한 신체적 장애를 가진 사람을 배제


할 수 있다 신체적인 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배제시키는 자격요건이 합리
.

적이기 위해서는 첫째 직무를 수행하는 사람에게 기술적인 지원을 할 수


,

있는지의 여부와 둘째 직무 자체가 재구조화되거나 조정될 수 있는지를


,

검토해 보아야 한다 국가인권위원회 보조기구 등의 기술적


( , 2005. p127).

지원이 이루어지고 직무의 조정을 고려하는 등의 편의를 제공한 후의 직


무의 고유한 요건 수행 여부 판단 만이 의미를 가질 수 있게 된다 .

나 장애행동계획의 장애인식개선 교육
.

호주의 장애행동계획은 장애인이 직면하고 있는 장애차별 문제를 보다


효과적인 그리고 적절한 방법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각 단체 또는 기관 자
체적으로 고안 실천하고 있는 장애 접근성 향상 및 사회 통합을 위한 종
,

합 프로그램이다 각 기관들은 자체적으로 장애인을 차별하거나 장애인의


.

접근을 방해하는 요소가 있는지를 검토하고 어떻게 그것들을 해결 할 것


인지에 대하여 계획을 세우고 수립된 계획에 의하여 행동하고 있다 .

이것은 년 호주 『장애차별법』의 시행으로 인하여 몇 기관들의 자


1992

발적인 실행으로 시작되었으며 현재는 각 주와 지방자치단체의 공공기관 ,

을 중심으로 실행이 의무화 되어가고 있다 장애행동계획은 물리적 측면 .

만이 아니라 상품 서비스를 포함하는 접근성 문제 사회 공동체와 직장에


, ,

서의 장애인 통합 문제 그리고 장애인에 대한 편견 해소와 태도 개선 등


,

을 주된 관심 분야로 하고 있다 .

정부 기관 및 공공부문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는 장애인에 대한 인식


및 태도개선 교육도 본 장애행동계획의 일환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 .

서 장애행동계획의 전반적인 사안을 검토하는 것은 호주의 공무원을 대상


으로 하는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교육이 어떠한 종합적 계획 위에서 이
루어지고 있는가를 볼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또한 호주 연방의 장애 .

- 55 -
행동계획은 인권 및 기회균등 위원회가 그 중심 관리 역할을 수행하고 있
으므로 동 위원회의 전반적 활동을 살펴보는 것이 장애행동계획의 이해
,

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1) 호주연방의 장애행동계획
가 인권 및 기회균등 위원회
)

호주의 장애행동계획은 인권 및 기회균등 위원회 (Human Right and

Equal 의 조정 및 감독 아래 운영되어지고 있
Opportunity Commission)

다 인권 및 기회균등위원회는 년 연방 의회법인 인권 및 기회균등위


. 1986

원회법에 의해서 설립된 독립적 법정기관이며 본 위원회의 활동은 법무 ,

장관에 의하여 연방 의회에 정기적으로 보고되어진다 .

본 위원회는 명의 의장과 명의 위원으로 구성되는데 각 위원들은 본


1 5 ,

위원회가 담당하는 분야를 대표하는 인이 각각 선정되어진다 각 위원은 1 .

관련 법률에 의하여 임명되어지며 개별 정책팀을 총괄하는데 정책 교육 , , ,

홍보 등이 주 업무 내용이다 .

본 위원회는 『장애차별법』을 총괄하는 기관으로 인권 장애차별 노 , , ,

인차별 성차별 인종차별 교육차별 등의 가지 분야를 주 분야로 하며


, , , 6 ,

호주의 인권을 향상시키고 권리를 보호하는 것을 주 임무로 한다 .

본 위원회의 임무 문구 에 의하면 이를 위하여 첫 (Mission Statements) , ,

째 인권의 가치를 일상생활과 언어의 한 부분으로 만든다 둘째 모든 사


, ; ,

람들이 그들의 인권을 이해하고 실천하게 만든다 셋째 행동을 고취시키 ; ,

기 위하여 개인 공동체 기업 정부 등과 함께 일 한다 넷째 정부가 국


, , , ; ,

가와 국제적 인권 표준을 준수하도록 한다 다섯째 호주의 권리 헌장을 ; ,

지키게 한다 등의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 33)
.

이것을 통하여 본 위원회는 호주의 인권의 가치를 국제적 수준의 것으


,

로 상정하고 있으며 이것의 실현을 위하여 정부 민간단체만이 아니라 개


, ,

인까지의 폭넓은 참여를 독려하고 그 영향이 개인의 삶의 전반에 미치도 ,

33) HREOC, Developing an effective Action Plan, About the Commission ,

http://www.hreoc.gov.au/about/index.html , 2008.10.28.

- 56 -
록 하려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인권과 기회균등 위원회는 법률에 .

의하여 설립된 기구인 만큼 그에 부합하는 법적 책임을 가지고 있다 그 , .

책임은 크게 인권과 차별 등에 관한 교육과 공공인식 차별과 인권에 관 ,

한 고소 인권 순응, 정책과 법률 개발 등을
(Human Rights Compliance),

포함한다 이러한 법률적 책임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위원회는 다음의 행


.

동 강령을 통하여 역할을 담당한다 .

첫째 연방법에 의한 차별과 인권 위반의 고소를 해결한다


, .

둘째 국가적 중요성을 가진 인권에 대한 공공 요구사항을 처리한다


, .

셋째 학교 직장 그리고 공동체를 위하여 인권교육 프로그램과 자료를


, , ,

개발한다 .

넷째 인권의 원리들이 관련된 경우에 독립적인 법적 조언을 제공함으로


,

법원을 지원한다 .

다섯째 인권과 차별 이슈와 연관된 법률 정책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기


, , ,

위한 연구를 의회와 정부에 제의하거나 의뢰한다 .34)

위에서 제시한 본 위원회의 임무문구와 법적 책임을 종합해 보면 그 기


능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 될 수 있다 첫째 인권과 공공의 책임에 관한 . ,

교육을 실시한다 인권 교육은 단순히 정규 과정의 학교 중심의 교육에


.

그치지 않고 언론을 중심으로 홍보를 하거나 행정 또는 기업의 담당자로


,

교육 활동의 폭을 넓히고 있다 둘째 차별행위에 대한 조사와 조정을 통 . ,

한 차별 구제 기능을 수행한다 차별 행위에 해당하는 개별 사안에 대한 .

문제만이 아니라 사회 전반에 걸쳐 만연한 차별적인 관행이나 행태에 대


한 전반적 조사를 실시하기도 한다 셋째 정부의 국제인권조약에 관한 준 . ,

수 사항을 감시하고 인권의 신장과 촉진을 위한 정책과 프로그램을 개발


,

하고 제언한다 개발된 정책은 보고서로 작성이 되어 법무장관을 통하여


.

국회에 제출되는 방식으로 정책에 참여한다 박선영 외 ( . 2004).

나 인권 및 기회균등 위원회와 장애행동계획


)

인권 및 기회균등 위원회는 호주의 『장애차별법』실현의 방법 중 하나


인 장애행동계획을 총괄하는 기관이다 호주의 『장애차별법』에 근거하 .

34) HREOC, Developing an effective Action Plan, About the Commission ,

http://www.hreoc.gov.au/about/index.html , 2008..10.28.

- 57 -
여 각 기관들은 장애 차별을 해소하고 장애인의 통합을 이루기 위한 내용
을 담고 있는 장애행동계획을 수립하고 실천하게 된다 .

일단 만들어진 장애행동계획은 인권 및 기회균등위원회에 제출되어지게


되며 각 기관과 단체의 장애행동계획과 그 경험들은 타 기관의 장애행동
,

계획 개발 시 자료로 활용되어지게 된다 이것은 동위원회가 제시하고 있 .

는 장애행동계획 개발 안내서와 함께 참고로 활용되어져 축적되어지는 노


하우를 바탕으로 점차 발전되도록 유도되어지고 있다 .

년 월 현재 약 사례가 넘는 장애행동계획이 수립되어 동위원


2008 9 500

회에 보고되었고 실행 보고서도 함께 등록되어 가고 있다 또한 인권


, 35)
. ,

및 기회균등위원회는 효과적인 장애행동계획을 개발하기 위한 안내서들을


제공하고 있다 본 안내서들은 호주 『장애차별법』에 근거한 장애행동계
.

획 수립의 유관자로 여겨지는 정부 부서 기관 기업 서비스 제공자 장애 , , , ,

인 유관자 장애 당사자 등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 .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각 주와 지방정부 자치령 정부 부서와 기관을 위


, ,

한 안내서 제 교육기관을 위한 안내서 공동체 법률센터를 위한 자료 비


, 3 , ,

정부 단체를 위한 안내서 등이 제작되어 있어 각 대상의 관련자들이 적절


하게 안내서를 사용하여 장애행동계획 수립에 활용하도록 하고 있다 .

그러나 본 안내서들은 절대적이거나 강제적 규정이 있는 것은 아니다 .

안내서들은 일반적 원칙들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며 장애행동계획을 수립 ,

하고자하는 기관은 본 원리에 부합하되 자신의 고유한 환경과 선호하는


스타일에 따라 창의적이게 고안할 수 있다 .

호주 『장애차별법』 하에서 장애행동계획은 강제 조항이 아닌 동법의


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자발적 성격의 것이기 때문에 더욱 창의적이고 적
실한 결과를 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연방법인 호주의 『장애차별법』을 .

기반으로 하여 각 주와 지방 정부들은 자신들의 구체적 환경과 부합하는


장애 관련 법률들을 만들어 실행하고 있는데 빅토리아주의 년 『장 , 2006

애법』 과 같은 특정 하위 법률들에서는 공공부문의 기관들


(Disability Act)

에게 장애행동계획을 의무화하는 사례가 나타나기도 한다 .

국가 정부 기관들은 국가장애전략 (Commonwealth Disability Strategy)

에 부합하도록 장애행동계획 수립이 의무화되어 있고 지방 정부가 장애 ,

35)HREOC,Developinganeffective Action Plan, Action plans and action plan guides

http://www.hreoc.gov.au/disability_rights/action_plans/index.html. 2008.10.28.

- 58 -
서비스 계획 수립을 명하고 있는 지역도 있다 이런 경우에도 장애행동 36)
.

계획의 창의성과 고유성은 유지되어지며 또한 그 내용도 인권 및 기회균


등위원회가 제시하는 일반적 원칙들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이것은 하 .

위 규정들이 호주 『장애차별법』의 수행 기관인 동위원회의 권고를 준수


하며 자신들의 규정을 수립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다양한 각 주 법률과 .

하위 법률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공공부문의 장애행동계획이 수립되어지


기도 하며 나아가 사기업들도 자신의 경영 목적에 따라 그리고 소비자의
, ,

욕구 충족의 목적에 따라 장애행동계획을 수립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 다 .

양성은 때로는 호주의 장애차별법의 근본적인 취지에 부합하지 않거나 충


족되지 않을 수 있다 인권 및 기회균등위원회는 장애행동계획이 장애차
.

별법의 요구 사항에 부합 할 때만 그 효력을 인정하고 있으며 그와 연관 ,

하여 다음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

첫째 수립된 장애행동계획은 『장애차별법』에서 말하고 있는 권리 중


,

심의 내용을 담아야 한다 .

둘째 장애행동계획에서 내용이 되고 있는 서비스는 분리 되거나 특별


,

한 서비스로 구분 되는 것이 아니라 제공되는 주류 서비스에서 차별을 ,

제거하는 것이어야 한다 .

셋째 장애행동계획은 단순히 장애인의 접근을 개선하거나 향상시키는


,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비장애인들과 평등한 수준의 접근을 이루는 것이


어야 한다 .

넷째 장애행동계획은 모든 종류의 장벽 즉 물리적 장벽 정보의 장벽


, , , ,

의사소통의 장벽 그리고 태도의 장벽을 다루어야 한다


, .

다섯째 장애행동계획은 『장애차별법』에서 말하고 있는 확장된 개념


,

으로서의 모든 장애인의 권리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다루어져야한다 이 .37)

러한 조건이 충족 될 때 인권 및 기회균등위원회는 동 장애행동계획이


,

유효한 것으로 인정하며 이것은 차후 청문회나 법률적 고소 사건에 연루


,

될 경우 본 계획을 수립한 기관이 장애인 차별을 해소하고 사회 통합을


36) HREOC,Developinganeffective Action Plan, Developing an effective Action Plan

ttp://www.hreoc.gov.au/disability_rights/action_plans/Effective_Plan/effective_plan.html#9

2008.10.28.

37)HREOC,Developinganeffective Action Plan, Developing an effective Action Plan

http://www.hreoc.gov.au/disability_rights/action_plans/Effective_Plan/effective_plan.html,

2008.11.4.

- 59 -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는 자료로 인정되어진다 .

다 장애행동계획서 개발 과정
)

효과적인 장애행동계획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설계 단계부터 체계적인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 인권 및 기회균등위원회는 장애행동계획서를 개
.

발하는 이상적인 과정을 제시하고 있는데 그 단계를 살펴보면 다음의 다 ,

섯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

첫째 단체의 환경을 이해한다 둘째 장애행동계획 개발 과정에서 호의


, . ,

적인 분위기를 창조한다 셋째 효과적인 심의를 수행한다 넷째 효과적인


. , . ,

평가 모니터링 그리고 검토의 전략을 개발한다 다섯째 명확하고 이해하


, , . ,

기 쉬운 계획서를 작성한다 .

먼저 첫 단계는 단체의 환경을 이해하는 것이다 즉 단체의 내외적으


, . ,

로 영향을 미치고 있거나 미칠 가능성이 있는 요소들을 규명하고 분석함


으로써 계획의 수립이 시작된다 .

장애행동계획을 수립하려는 동기 단체의 규모 지사의 유무 강조하는 , , ,

경영 전략과 성공하고 있는 경영 분야 단체의 재정적 상태 장애관련 법 , ,

률의 요구 사항 내부 경영진의 장애행동계획 개발에 대한 지지 여부 장


, ,

애 관련 고소 사건의 연류 여부 고소 사건으로 인한 사회적 평판의 변동 ,

상황 고소 사건에 대처하는 경영진의 태도 장애 관련 단체의 본 단체에


, ,

대한 평가 장애인 소비자의 단체에 대한 평가 등이 고려 사항이다


, .

즉 장애행동계획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사항만이 아니라 전반적인 환경


,

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이 장애행동계획 설계의 방향을 설정해 주는 역


할을 한다 이러한 환경에 대한 정확한 인식은 장애행동계획을 개발하는
.

데 긍정적 역할을 할 분이 아니라 향후 계획을 실행함에 있어서도 단체의


필요와 목적에 부합하는 결과를 기대 할 수 있게 된다 .

두 번째 단계는 계획 수립을 실행하기 위한 호의적인 분위기를 창조하


는 것이다 이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은 고위 경영진들의 참여 여부
.

이다 장애행동계획을 수립함으로써 기대되는 긍정적 효과들을 집중 조명


.

함으로 고위 경영진들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특히 장애 관련 법률의 . ,

위반 시 발생되는 시간 비용 사회적 평판 등의 손실의 부정적 영향들과


, ,

장애행동계획의 효과를 비교해 주는 인권 및 기회균등위원회의 연간 보고

- 60 -
서 등의 통계 자료의 비교 활용이 고위경영진 참여에 긍정적 역할을 할
수 있다 만약 고위경영진이 장애행동계획의 개발과 실행에 지원 또는 참
.

여 한다면 시간 인력 적절한 자원의 할당과 활용 등이 가능하게 된다


, , , .

타 직원들의 참여를 유도하거나 직원 교육 등도 가능하게 되며 공식적인 ,

차원에서 장애행동계획의 개발과 실행이 가능하게 된다 이외에도 장애행 .

동계획의 개발 과정에서 호의적인 분위기를 만들기 위하여 장애행동계획


개발을 위한 공식적 문서 만들기 장애행동계획 개발을 대내외적으로 공 ,

표하고 홍보하기 장애차별법이나 장애 이슈 관련 직원 교육하기 장애 인


, ,

식에 대한 설문 조사하기 장애행동계획 개발과 실행 업무를 공식 업무로,

분류하기 등의 전략을 활용할 수 있다 .

세 번째 단계는 효과적인 심의를 수행하는 것이다 심의는 단체의 차별 .

적 서비스와 행태를 규명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인권 및 기회균등위원 .

회에서 제공하는 체크리스트 형식의 도구와 감사 방식을 활용하여 자체적


인 평가를 내릴 수도 있고 내부와 외부 관련자들로 구성된 심의 협의체 ,

에 의한 심의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

외부 참여자에 장애인 당사자나 장애인 단체의 대표가 참여할 경우 현 ,

실적인 그리고 실용적인 측면의 심의가 가능하며 친밀한 유대 관계를 유 ,

지하게 되어 잠재적 장애인 소비자의 지지를 유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

노동조합 가맹단체 민간단체 장애차별 고소인 등의 외부 인사와 직원이


, , ,

나 특히 장애직원이 내부 인사로 참여하는 심의 협의체의 활동이 바람직


하다.

내부 인사가 참여했을 경우에는 장애행동계획과 관련된 이슈가 사내의


중요한 과제라는 인식의 확산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들은 심의 활동이 단 .

순한 정보의 제공만을 목적으로 해서는 안 되며 관련자들의 적극적인 참 ,

여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심 .

의 과정 전략의 수립에서 상업적 전략이나 소비자 전략을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

장애인 당사자를 심의협의체에 참여시킨다는 것이 이런 전략적인 측면


에서만 유효한 것은 아니며 실질적 심의내용 면에서도 그 효과성을 기대
할 수 있다 삶의 경험으로서 획득된 장애인의 장애에 대한 전문성은 어
.

떤 간접 경험이나 연구에 의한 전문가 집단 보다 실용적인 그리고 적절한


심의를 제공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심의 협의체에 참여시키는 것이 필수적

- 61 -
이다 또한 고위 경영자의 심의 과정에 대한 공식적인 승인이 있거나 시
.

간과 자원 할당 등의 회사의 지원이 있으면 심의 과정에 효율을 기할 수


있게 된다 .

네 번째 단계는 효과적인 모니터링 평가 그리고 검토의 전략을 개발하 , ,

는 것이다 개념적으로 볼 때 모니터링은 실행하기로 했던 임무나 전략이


. ,

실제로 수행되었는지를 검사하는 것이며 평가는 수행 측정 방법을 사용 ,

하여 장애행동계획이 효과적이었는지 그리고 목적을 달성하였는지를 결 ,

정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검토는 장애행동계획이 올바른 목적과 전략 그


. ,

리고 우선순위를 가지고 있는지 등에 대해서 모든 방향에서 살펴보는 것


을 의미한다 이러한 과정들은 실행의 담당자가 누구인지 정해진 시간
.38) ,

내에 실행되었는지 등의 내용을 포함하여야 하며 계획 단계에서부터 고 ,

려되어야 한다 그리고 결과는 공식적인 보고서 형식을 취하여 작성되어


.

연간 보고서에 포함되어야 한다 특히 연간 보고서와 평가 결과를 활용한 . ,

검토의 과정을 통하여 장애행동계획의 전반적인 성공 여부를 판단하게 되


고 재개정 등의 과정을 통하여 더욱 개선해 나가게 된다
, .

다섯 번째 단계는 장애행동계획서를 작성하는 것이다 계획서를 작성할 .

때는 내용의 분명한 구조가 조직되어 있어야 하며 서론 부분에 본 계획 ,

의 목표와 전략이 제시되어 있어 전반적인 구조를 먼저 알 수 있게 해야


한다 가능한 전문 용어를 지양하고 평이한 언어를 사용하여 다양한 계층
.

의 사람들이 접근 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본 계획서가 점자 녹음자료 . , ,

확대 문서 인터넷 게시 등의 다양한 형태의 문서로 재발행이 가능한지를


,

확인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작성된 장애행동계획서는 인권 및 기회균등


. ,

위원회에 등록하여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39)

라 장애행동계획의 효과
)

호주의 『장애차별법』하에서의 장애행동계획은 의무로 규정된 사항은


38)HREOC,Developinganeffective Action Plan,

http://www.hreoc.gov.au/disability_rights/action_plans/Effective_Plan/effective_plan.html#9 ,

2008.11.1.

39)HREOC,Developinganeffective Action Plan,

http://www.hreoc.gov.au/disability_rights/action_plans/Effective_Plan/effective_plan.html#11,

2008.11.1.

- 62 -
아니다 이것은 호주 『장애차별법』의 취지에 순응하기 위한 단체 또는
.

기관들의 자발적이며 미래 대비 차원의 접근이다 장애행동계획을 통하여 .

장애인 차별 문제를 제거할 수 있게 되며 장애인의 사회 통합을 촉진 할


수 있게 된다 .

단체나 기관은 장애행동계획을 개발하고 실시함을 통하여 호주의 『장


애차별법』을 자발적으로 준수하고 있다는 대외적인 단체의 이미지를 개
선 할 수 있다 만약 장애 차별 문제와 연관된 법정소송이 제기되었을 때
. ,

장애행동계획의 수립과 실천이 소송에 적절하게 대응하는 방법으로 인정


되어지며 고소인과 청문회 그리고 관련 법정에도 본 기관이 장애 차별을
, ,

제거하기 위한 적절한 노력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자료가 된다 .

결국 장애행동계획의 수립과 실천을 통해서 기관은 장애 차별 문제와


연관된 소송에 휘말릴 가능성이 줄어들게 되고 법적 소송비용 등 관련된 ,

비용의 절감 효과를 얻게 된다 뿐만 아니라 고객 서비스와 마케팅 측면 .

에서도 장애행동계획의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장애행동계획을 통하여 .

기관은 장애인에게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고 장애인의 고 ,

객 만족도는 증가 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새로운 장애인 소비자의 관심 .

을 끌게 되며 단체는 장애인을 소비자로 포함하게 되고 소비자층의 확대


,

를 도모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장애인만이 아니라 노인 임산부 등의 확


. ,

대된 개념의 시장으로의 접근도 가능하게 한다 .

장애인을 위한 편의는 장애인만을 위한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며


궁극적으로 모든 사람들의 편의가 향상되게 되므로 모든 소비자들의 만 ,

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소비자 만족은 장애인뿐만이 .

아니라 기존의 비장애인 소비자들의 만족감도 함께 증대시키는 효과를 기


대할 수 있으므로 단체의 마케팅 전반적인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
,

게 한다 .

또한 기관들은 장애행동계획을 준비함으로써 장애 이슈와 관련된 특별


한 요구에 적절히 대응할 능력을 갖게 된다 장애행동계획을 준비한 기관 .

들은 장애와 연관된 이슈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상담을 제공할 자료를 예


비할 수 있으며 방문하거나 서비스를 제공받으려는 장애인에게 본 장애인
과 연관된 장벽은 무엇인지 규명해 주고 접근 가능한 서비스에 대해서도
상담이 가능해 진다 .

- 63 -
그들이 요구한다면 장애에 관한 정책이나 장벽을 제거하고자하는 전략 ,

등을 제공하는 기초가 되기도 한다 이러한 측면들을 고려해 볼 때 장애 . ,

행동계획은 기업이나 단체의 사회적 의무만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며 종 ,

합적 측면에서 기업의 경영과 이미지개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또한 장애행동계획은 장애인 당사자에게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단체 기업 기관 등에서 제공하는 상품 서비스 프로그램 등에 접
. , , , ,

근이 용이해 진다 건물의 물리적 접근성 향상만이 아니라 문서 등의 정 .

보 접근성 향상 상품 등에도 장애인의 접근성 향상을 도모함으로 장애인


,

의 소비자로서의 만족도가 높아진다 .

또한 직장 내에서의 장애인통합 내용을 포함하는 장애행동계획으로 장


애인의 직장 내 통합과 직장만족도가 높아 질 수 있다 이것은 장애인의 .

구직과정에서 편의제공 도모로 장애인의 취업률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


칠 수 있으며 이직 가능성의 저하와 고용 안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

다 나아가 호주 사회에서 장애차별 문제를 소송으로만 해결하는 전형적


.

방법을 탈피하여 장애행동계획을 활용한 장애차별과 장벽의 철폐 그리고 ,

사회 통합의 실질적 목표를 더 효과적으로 달성 할 수가 있게 된다 .40)

2) 빅토리아주 장애행동계획의 사례
가 장애인식개선 교육의 법적 근거
)

호주의 『장애차별법』에 의해서 자발적으로 시작된 장애행동계획은 하


위법률과 주 또는 지방정부의 규정에 의해서 의무화 되어가고 있다 빅토 .

리아 주 의 공공부문 기관에 대한 장애행동계획의 수립과 실행


(Victoria) 41)

40)HREOC, Developing an effective Action Plan,

http://www.hreoc.gov.au/disability_rights/action_plans/Effective_Plan/effective_plan.html

빅토리아 주 는 호주 남동부에 위치한 주 州 이며 호주 본토에 있는 주 중 가장 작은


2008.11.2.

주이다 그러나 인구 밀도가 가장 높고 도시화 된 곳이다 빅토리아 주는 본래 농업 지역 이였


41) (Victoria) ( ) ,

으나 년 금광의 발견으로 공업과 상업 중심지로 변모했다 년 월 현재 빅토리아 주의


. , .

인구는 명으로 뉴사우스웨일스 주 다음으로 인구가 많은 주이다 주도 州都 는 멜버른이


, 1851 . 2006 9

며 이상의 빅토리아 주민이 이곳에 거주하고 있어 주의 경제 매체 문화의 중심으로 자리


5,110,500 . ( )

, 70% , ,

- 64 -
에 관한 의무 규정은 그 좋은 사례이다 .

호주 빅토리아주의 년 『장애법』 은 빅토리아주 내 2006 (Disability Act)

의 공공부문 기관들이 장애인에 대하여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 등의 내용을 중심으로 하는 장애행동계획을 수립 실행하고 그것을 ,

연간보고서에 보고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Office for Disability, 2008. p16).

이것은 동법 조 항에 명시되어 있는데 공공부문 기관들에게 의무화


38 1 ,

되어있음이 나타나고 있고 빅토리아 주의 장애행동계획이 반드시 포함하 ,

여야하는 대 성과 분야를 명확히 하고 있다 본 대 성과 분야는 장애행


4 . 4

동계획 수립의 본질적 목표이며 중심 분야라고 할 수 있는데 법률이 나 ,

타내는 그 분야들은 다음과 같다 .

첫째 상품 서비스 그리고 시설에 접근하는 장애인에 대한 장벽을 감소


, , ,

시킨다 .

둘째 고용을 획득하고 유지하려는 장애인에 대한 장벽을 감소시킨다


, .

셋째 장애인의 공동체 통합과 참여를 촉진시킨다


, .

넷째 장애인에 대하여 차별하는 태도와 관습에 대하여 실체적 변화를


,

이룩한다 (Office for Disability, 2008. p16).

위의 대 성과 분야를 살펴보면 빅토리아주에서 명하고 있는 장애행동


4

계획의 목표는 사회 전반적으로 포괄적인 변화를 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먼저 확장된 개념의 접근성 보장 즉 물리적 접근성만이 아니라 제
. , ,

품과 서비스에 대해서도 장애인의 접근이 이루어져야 함을 말하고 있다 .

그리고 인간 삶의 중요한 부분인 고용의 분야와 공동체통합의 문제를 제


시함으로 장애행동계획이 인간 삶의 전반적인 분야를 다루는 종합적 접근
으로 구성되어야 함을 보이고 있다 나아가 장애인 문제의 근본적인 분야 .

인 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관행적 차별에 대한 문제를 다룸으로 근원적인


측면에서의 문제 해결까지도 고려하게 하고 있다 .

잡고 있다 빅토리아 주는 매우 다양한 지형 지질 기후를 지니고 있다 남동쪽의 깁슬랜드의 따


뜻한 날씨부터 눈덮힌 오스트레일리아알프스와 북서쪽의 반건조 초원 등 매우 다양한 환경을 지
. , , .

니고 있다 호주의 다른 주들과는 달리 강수량이 높으며 때문에 머리 강을 포함한 많은 강이 흐


르고 있다
.

http://ko.wikipedia.org/wiki/%EB%B9%85%ED%86%A0%EB%A6%AC%EC%95%84_%EC%A3%

BC, 2008. 11.10.

- 65 -
빅토리아주 공공부문 기관의 장애행동계획에서 공무원에 대한 장애인식
개선 교육의 내용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것은 위에서 제시한 .

대로 빅토리아 장애법의 조 항 에서 장애인에 대하여 차별하는 태 38 1 (D) '

도와 관습에 대하여 실체적 변화를 이룩하여야 한다 는 명령의 실현 방안 '

으로 공무원들에 대한 장애인식개선 교육을 선택하고 있는 것이다 .

장애인식개선교육 실시를 통하여 물리적 장벽만이 아니라 더 근본적인


문제인 태도의 장벽을 제거하여 장애인 사회통합의 토대를 이루어 나가고
있다 빅토리아주의 년 『장애법』에서 장애행동계획 수립 실천의 의
. 2006 ,

무 대상은 공공부문 기관으로 규정하고 있는데 이것은 동법 조 항에 , 38 6

서 그 범위를 제한하고 있다 동 법에서 규정하는 공공부문 기관은 . 2004

년 공공행정법 (Public조 항에서 규정한 부


Administration Act) 4 1 (a

법정 기관
Department), 법정 단체 (a statutory authority), (a statutory

이다
corporation) (Office for Disability, 2008. p5).

본 공공부문 기관의 범위에는 지방의회 는 포함되지 않 (a local council)

는다 따라서 지방의회는 장애행동계획을 수립하여 실행할 법적 의무는


.

주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장애행동계획의


(Office for Disability, 2008. p16).

실천은 호주『장애차별법』의 내용을 실현하기 위한 자발적 노력의 일환


으로 진행되어 왔기 때문에 빅토리아 장애법에서 규정하지 않았다 하더라
도 하위 단위 공공기관이나 민간부문의 단체에서도 장애행동계획은 중요
한 고려 사항이다 .

빅토리아주에서 장애행동계획의 주무 부서인 계획과 공동체개발부


(Department of 의 장애사무소
Planning and Community Development)

(Office for 에 의하면 동법의 규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


Disability)(2008) ,

관은 먼저 무엇이 장애인의 접근을 방해하는 장벽인지 규명하여야한다 .

또 누가 그 업무를 담당하여야 할 것인지에 관하여 명확히 하고 언제 어 ,

떻게 실행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결정이 있어야 한다 또한 장애 .

행동계획은 어떻게 장애인에 대한 장벽이 제거되어지고 계획이 실천되어


가는지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과 경과에 대한 평가 방법 등도 구체적으로
포함되어야 한다 .

장애사무소에서 제시하고 있는 동 법의 의무 규정인 연간 보고서에 포


함되어야 할 권장 내용을 보면 장애를 가진 고용인을 지원하기 위하여 ,

어떤 실천이 이루어졌는가 얼마나 많은 수의 직원이 장애인식교육이나 ,

- 66 -
훈련에 참가 하였는가 등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야 함을 보여 주고 있
다 동 장애사무소는 또한 장애인식개선교육 부분에서의 실행 과정을 권
.

장하고 있는데 크게 세단계로 나누어 질 수 있다 첫째 장애인에 대한


, . ,

직원들의 태도에 관한 설문 수행 단계 둘째 직원 훈련 욕구 조사 단계 , , ,

셋째 직원 훈련 수행 단계 등이다 이와 함께 동 장애사무소에서는 모든
, .

직원이 교육에 참가하여야 한다는 원칙도 제시하고 있다 장애행동계획 .

수립에서 장애인식개선 교육을 포함하려는 빅토리아주의 공공기관들은 이


러한 원칙 하에서 개별 상황에 적합한 자체적인 프로그램을 수립 실행하 ,

고 있다 .

나 데러빈시 장애행동계획의 장애인식개선 교육 내용


)

빅토리아주 데러빈시 의 장애행동계획인 장애접근 및 (City of Darebin)42)

통합계획 에서 계획하고 있
(Disability Access & Inclusion Plan 2006-2009)

는 장애인식개선 훈련은 본 계획의 기반을 이루고 있는 대 중심 주제의 8

하나인 노동력 개발 부분에 언급되어 있다


‘ ’ .

대 중심 주제를 먼저 살펴보면 의사소통과 정보 건물과 기반구조 계


8 , ,

획 서비스 행사와 프로그램 노동력 개발 옹호와 로비 참여 그리고 안


, , , , , ,

전과 위험 관리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 노동력 개발 부분은 장애인에 대 .

한 인식 개선 훈련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는데 가지 목표를 설정하고 각 , 4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행동전략 수행 지표 지침 그리고 책임 부서를 설 , , ,

정하는 방식으로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

노동력 개발 부분의 가지 목표를 살펴보면 첫째 장애인고용을 촉진하 4 , ,

기 위한 지방의회의 역량을 증대 시킨다 둘째 데러빈시의 장애인에게 가 ; ,

데러빈시 는 호주 빅토리아주 멜버른의 중심 영업지역에서 북쪽 방향에 위치하


고 있는 위성도시로서 주거지역 산업지역 소비지역 등이 혼재해 있는 도시이다 주산업은 종이
42) (City of Darebin)

와 종이 가공 제품들이며 면적은 이다 데러빈시의 거주민 중 이상이 호주 이외


, , , .

의 지역에서 출생하였으며 이상의 거주민이 주 언어인 영어 이외의 언어를 사용 할 수 있


, 53 sq km . 35%

다 년 기준 데러빈시의 총인구는 명이며 이중 세는 세는


, 40%

세는 그리고 세 이상은 이다
. 2007 135,262 , 0~17 19%, 18~34 29%,

35~64 38%, 65 16% .<Department of planning and Community

Development, Darebin City Council>.

http://www.dvc.vic.gov.au/web20/dvclgv.nsf/AllDocs/DD7A7EBEAC3D28CBCA257168002C009

0?OpenDocument, 2008.11.10.

- 67 -
능한 고용 기회의 종류와 범위를 증가 시킨다 셋째 장애인 근로자가 근 ; ,

로현장에서 지원을 받고 있는지 확인 한다 넷째 직원들이 공동체의 모든 ; ,

구성원들에게 적절히 응대할 역량을 기른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City

of Darebin, 2006).

위의 가지 목표들을 살펴보면 데러빈시의 장애접근 및 통합계획의 노


4

동력 개발 부분은 장애인에게 고용의 기회를 확대하는 것이 한 목표임을


알 수 있다 이것을 위하여 장애인을 고용할 능력을 기르고 장애인 고용
. ,

이 가능한 직종과 범위를 개발하고 고용된 장애인이 직장에서 적절히 업 ,

무를 수행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또 하나의 목표는 데러빈시의 .

공무원들이 시에 거주하거나 방문한 다양한 문화와 배경의 사람들에게 적


절히 서비스를 제공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며 그 중요한 대상이 장애인 ,

그룹이 되는 것이다 .

위의 목표들을 이루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 방안 중에 장애인식개선교육


이 포함되고 있다 장애인과 한 직장에서 근무하기 위하여 동료 직원들은
.

장애인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에티켓을 숙지하고 있어야 하며 장애인 고 ,

객에게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서도 장애인 소비자를 충분히 이


해하고 있어야 한다 .

이러한 내용을 담고 있는 본 계획의 구체적 행동전략을 살펴보면 장애 ,

인 고용을 촉진하기 위한 지원고용 회사와 훈련 프로그램과의 연계를 강


화 한다 관련된 직원들에 대한 장애인 고용의 장점에 관한 인식개선워크
;

샵을 실행한다 신입사원 교육에 장애 접근성 교육이 포함되었는지 검토


;

한다 장애인 직원 지원과 장애인 동료 인식에 관한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 ;

지방의회 직원들에게 훈련의 욕구를 규명하고 일반적인 그리고 구체적인


접근성 인식에 관한 훈련을 실시한다 개정된 다양성 훈련 프로그램을 실 ;

시한다 등이 있다
; (City of Darebin, 2006).

이외에도 본 계획서의 노동력 개발 부분 행동전략들은 장애인 고용의


활성화를 위하여 장애 접근성 향상의 방안들과 고용 편의제공 방안들을
제시하고 있다 그 구체적인 내용들은 직원 채용을 위한 면접기술 훈련
. ,

프로그램에 관한 점검과 동 프로그램에 장애 접근성 향상을 위한 방안을


포함한다 채용과 선택 정책에 관한 검토를 실시한다 직종 분석에 관한
; ;

정보서를 검토하고 장애 접근 책임에 관한 정보를 통합한다 데러빈 교통


, ;

기관과의 고용 협력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데러빈시의 현재의 고용 프로 ;

- 68 -
그램 감사를 수행하고 재정적 지원을 실시한다 데러빈시의 자원봉사자 ;

기관을 위한 장애 접근성 안내서를 개발한다 장애인 직원의 편의 제공을 ;

위한 카풀제도를 점검한다 정보 접근성에 관한 컴퓨터 시스템을 점검한


;

다 등이 있다
; (City of Darebin, 2006).

또한 본 계획서에서는 수립된 행동전략들이 각 목표에 부합되게 실행되


었는지에 대하여 각 행동전략 별 수행지표를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그 .

수행지표들은 각 행동전략들이 실행되었는지를 점검하고 목표한 변화들이


일어났는지를 점검하는 형식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구체적 지침 사항들 .

이 있는 경우에는 그것들을 명시화하였으며 책임 부서를 명확히 하여 책 ,

임자에 의해서 계획이 추진되도록 하고 있다 .

다 호주사례의 시사점
.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호주에서는 공무원을 대상으로 하는 장애


인식개선 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호주의 장애인식개선교육은 그 실행 근 .

거나 실시 체계 그리고 실시 내용 과 방법 등에서 여러 시사점을 보여주


,

고 있다 .

먼저 호주의 공무원에 대한 장애인식개선교육이 장애의 차별 문제를


,

해결하여 장애인의 사회 참여와 통합을 실현하겠다는 종합적인 계획의 일


환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 종합적인 계획은 장애행동계획이라 .

고 지칭되는 호주의 기관들이 자체적으로 개발한 중장기 계획이며 이 계 ,

획의 일환으로 공무원에 대한 장애인식개선교육이 체계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계획은 호주 장애차별법과 관련 하위 법률들의 견고
.

한 법률적 제도적 근거와 명령을 바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장애인에게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교육


을 포함하여 공무원들의 장애인식개선교육이 체계적인 계획에 의하여 이
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공무원들의 장애인식개선교육 실행에 관한 보고
,

서도 발간되지 못하고 있다 산발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공무원들의 장애


.

관련교육은 개별 복지관과 장애인 단체들에서 제공하고 있는 장애체험 프


로그램에 참가하는 것 등으로서 종합적 또는 체계적 제도를 갖추지 못하 ,

고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년에 개정된 『장애인복지 . 2007

- 69 -
법』과 동 법 시행령에서 우리나라 공무원들의 장애인식개선교육 계획과
실행의 명령으로 공무원들의 장애인식개선교육을 위한 체계 구축 필요성
,

과 관심이 증대 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호주의 제도와 체계에 의하여


.

이루어지는 공무원의 장애인식개선교육은 좋은 모범이 되고 있다 .

호주의 『장애차별법』과 관련 법률 체계에서는 사회의 장애인의 전반


적 문제 해결을 위한 종합적 계획의 일환으로 공무원의 장애인식개선교육
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체계적이고 종합적이며 조직화되어
. ,

있는 특성을 발견할 수 있다 .

우리나라의 법률 체계에서는 공무원의 장애인식개선교육이 장애문제 해


결을 위한 종합적 체계 위에서 이루어지도록 명령하고 있지는 않다 『장 .

애인복지법』 조에서 공무원의 장애인식개선교육 실시를 명하고 있으


25

며 동법 시행령 조에서 각 기관의 기관장이 공무원의 장애인식개선교


, 16

육을 계획하고 실시하도록 명령하고 있다 이러한 우리나라의 법률적 명 .

령에 준하여 호주의 경우처럼 장애 전반의 종합적인 계획하에 교육이 이


루어지지는 않더라도 공무원의 장애인식개선교육을 위한 체계적 계획이
,

독립적으로 준비 되고 그에 의하여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

또한 호주의 장애행동계획 하에서의 공무원의 장애인식개선교육은 중장


기적 계획 하에 이루어지고 있다 위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데러빈시의 .

장애행동계획 하의 공무원의 인식개선교육은 년부터 년까지의 2006 2009 4

년간의 계획이 수립되어 실시 중이며 이러한 중장기 계획은 계속 이어지 ,

고 있다 각 기관이 자체적으로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고 실천하고 있다는


.

점은 우리나라 공무원들이 고려할 중요한 사항이 되고 있다 .

호주의 공무원의 장애인식개선교육에서 시사하는 또 하나의 중요한 점


은 각 기관의 문제점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진단 위에서 이루어진다는 것
이다 각 기관은 공무원의 장애인식개선교육을 포함하는 장애행동계획 수
.

립의 초기 단계에서 공무원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 정도 장애인에 대한 ,

편의 제공 적절성 장애인의 물리적 접근성 장애인의 서비스 접근성 장


, , ,

애인 직원의 근무 상황 등을 포함하는 종합적 평가를 수행한다 .

이러한 조사를 실시하고 문제가 현존한다는 객관적 자료를 바탕으로 문


제 해결을 위한 공무원들의 장애인식개선교육이나 장애인 고객을 위한 서
비스 제공 교육 등을 계획하여 실천하고 있다 때문에 교육에서 포함하거 .

나 하지 않아야 할 부분 강조하거나 보다 많은 시간을 투자하여야 할 부


,

- 70 -
분 등에 관해서 탄력적인 계획을 세워 그 교육 효과를 높이고 있다 .

우리나라의 경우 년의 『장애인복지법』에서 공무원의 장애인에 대


2007

한 인식개선 교육 실시를 명하기는 하였으나 관련 규정 등에서 공무원들 ,

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장애인에 대한 서비스 제공의 적절성 등에 관한


실태 파악의 지침 등이 확립되지 않아 관련된 사항에 관한 객관적 실태
파악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법률의 명령이 있고 그 후 년의 . 1

기간이 지났으나 아직 공무원의 장애인식개선교육의 전면적 실시를 위한


토대가 형성되었다 할 수 없다 .

이러한 배경 아래에서 호주의 공무원들의 장애인식개선교육 실시 과정


과 같이 교육 실시 이전에 공무원의 장애인식개선교육과 관련된 체계적
,

실태 파악이 필요하다 우선 공무원들이 가지고 있는 장애인에 대한 인식


. ,

조사가 필요하다 그리고 각 공공기관에서 장애인을 배려한 편의 제공이


.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 등도 공무원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


교육실시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이다 또한 공무원들이 장애인들이 겪는 .

어려움들에 대하여 인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장애인과 관련된 법률의 내 ,

용들을 인지하고 있는지 등을 조사하는 것이 공무원의 장애인에 대한 인


식개선교육 실시를 위하여 선행되어야 한다 .

7. 장애인식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가 선행연구검토
.

「공무원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결정하는 요인에 대한 연구」에 따르


면 경기도 공무원들의 사회복지업무 경험 유무는 장애인 시설에 대한 인
,

식에 차이를 가져오며 사회복지업무 경험 및 장애인 관련 교육경험이 있


,

는 공무원이 복지경험 및 교육경험이 없는 공무원보다 긍정적 인식을 가


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학범 은 강서구의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결과를


(2000)

토대로 장애인과 가까운 위치에서 빈번한 접촉을 하고 있는 사회복지사가


일반인에 비해 장애인에 대해 높은 인식과 태도 수준을 가지고 있었으며 ,

특히 정부정책의 미흡성을 염려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관련하여 일선에 .

서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장애인을 직․간접

- 71 -
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개발되어야 함
을 제언하였다 표 < III-32>.

김인호 는「대학생의 장애인 인식에 관한 연구」를 통해 대학생들


(2002)

이 장애인 문제에 대해 관심이 미약함과 장애인의 통합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지 못함을 지적하면서 대구지역 대학생들의 장애인에 대한 부
정적인 인식을 긍정적으로 개선해야 할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이를 위해 .

초․중․고등학교 시절에 장애인과의 잦은 접촉을 통해 장애인을 이해하


고 배려하는 것이 중요함을 역설하였다 표 < III-32>.

김태성 은 「청소년의 장애인 인식에 관한 연구」를 통해 청소년


(2005)

들은 장애복지제도가 잘 되어 있지 못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여학생 ,

이 남학생보다 장애인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또한 가족이나 친구 중 장애인이 있는 경우에 교육 직업제도가 잘
. ,

못되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편견도 적은 것으로 보고하면서 장애인


,

에 대한 인식개선을 위해 장애시설에서의 자원봉사활동 장애체험 장애예 , ,

방교육 장애예방 캠페인 등의 활성화 및 통합교육 등을 제언하였다 표


, <

III-32>.

최문경 은 장애인이 주변에 있는지 여부 및 교육경험이 있는지 여


(2005)

부가 장애인의 전반적인 인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보고하


는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대해 공무원들에 대한 인식개선 프로그램 및 교
육 접촉 강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제언하고 있다
,

<표 III-32>.

강석주 는 사회지도층의 장애인 인식을 감정 생각 행동의 영역으


(2008) , ,

로 구분하여 연구를 실시한 결과 사회지도층의 장애인에 대한 생각에 영 ,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자원봉사경험과 장애인관련 교육경험 자아 존중감 ,

을 보고하였다 .

또한 가족이나 친척 중 장애인이 있는 경우와 자아존중감은 장애인에


대한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 .

로 다양한 대상자들에게 실시 가능한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교육 프로그


램을 개발할 것과 장애인에 대한 자원봉사를 강화하는 프로그램을 강화하
는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이와 같은 선행연구들은 공통적으로 장애인에 대한 사회구성원들의 인


식개선을 위해서는 일방적인 교육이 아니라 직․간접 경험을 포함하는 교

- 72 -
육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하며 장애인과의 직접 접촉을 위한 장애인 자 ,

원봉사활동이 중요함을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토대 .

로 향후 공무원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은 교육과 체험 자원봉사활동 ,

을 겸한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다차원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이라 예상된


다 .

표Ⅱ
< -32> 장애인 인식에 대한 선행연구
이름 주제 연구대상 연구결과
연도
( )

서울특별시 강서구 소재 개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복지기관 및 유관기관 강서 사회복지사는 일반인에 비해 장 10

이학범
인식태도 연구 구청 및 개 동사무소에 근무하 수준을 가지고 있다 인식과 태도
애인에 대한 높은 ,

(2000) 22

는 사회복지전문요원 명 120
.

김인호 대학생들의 장 대구광역시 소재 전체 대학교 재 조사결과 대구지역 대학생들의 ,

애인 인식에 관 학생 중 명 임의추출 장애인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


(2002)
한 연구 1000
로 부정적이었다 .

전북 익산시 소재 남녀공학 중학 청소년들은 전반적으로 장애복지


김태성 청소년의 장애 교 개교 남자고등학교 개교 제도가 잘 되어 있지 못한 것으
2 , 2 ,

인 인식에 관한 여자고등학교 개교를 대상으로 로 인식하고 있으며 여학생이 남


2 ,
(2005)
연구 총 명의 설문을 분석자료로 학생보다 장애인에 대해 긍정적
1276

사용 이다 .

공무원의 장애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 장애인에


최문경 인에 대한 인식 경기도 내 도 시․군․구 읍․ 대한 전반적 인식에 가장 영향을
을 결정하는 요 면․동에 근무하는 공무원 명 있는지 변인은
미치는 장애인이 주변에
, ,

(2005)

인에 대한 연구 여부와 관련교육경험 여 208

부이다 .

사회지도층의 전․현직 국회의원 전․현직 장 사회지도층의 장애인 인식결정에


,

강석주 장애인 인식결 관시․군․구청장


및 차관 광역시․도지사 대한 연구결과 연령과 직업만족
,

및 고위공직자 도 자아존중감이 결정요인으로


,
,

(2008) 정요인에 관한 광역의회의장 기초의회의장 종


,
,

연구 교지도자 교육감 등 총 명 조사되었다


,
,

221
,
.

- 73 -
나 장애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국내의 선행연구들은 장애관련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에


대해 언급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공통적으로 꼽힌다 , .

1)인구사회학적 요인
가 성별 )

「장애인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조사 연구」에 따르면 전반적으로 여학 ,

생이 남학생보다 장애인에 대하여 더 우호적이고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


다 이진숙
( 이는 김인호 의 연구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장애인
, 2002). (2002)

문제에 관심이 높다는 연구결과 및 여성이 장애인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


를 갖는다는 이종남 의 연구결과와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1994) .

또한 이와 같은 결과는 아동이나 중학생 및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


구 김윤현
( 안승자 현정숙
, 김태성
2002; 에서 전반적으 , 2002; , 2004; , 2006)

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장애인에 대하여 더 우호적이고 긍정적으로 나타


난 결과와도 일치한다 .

한편 남광희 는 「비장애청소년들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대한


, (1994)

연구」에서 장애인에 대한 태도는 성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


았으나 평균값은 남자가 여자보다 높아 여자가 남자보다 장애인에 대한
,

좀 더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 .

는 강석주 의 연구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연구마다 상이한 결과


(2008) .

를 보이고 있으나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데 있어 성별 은 유의 ' '

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라고 예상되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별 을 , ' '

인구사회학적 요인의 한 변수로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나 연령 )

「장애인에 대한 일반인의 태도에 대한 연구」는 젊은 연령일수록 장애


인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고 보고한다 이종남 또한 ( , 1994).

강석주 는 사회지도층의 장애인 인식결정 요인에 관한 그의 연구를


(2008)

- 74 -
통해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 연령이 장애인에 대한 감정의 차이에 유의미
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했다 .

한편 최문경 에 따르면 연령은 공무원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에


, (2005)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연구마다 상이한 결과들을 보이고 있으나 아동이나 중학생 및 대학생


그리고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들이 연령에 따라 즉 젊은 층일수 , ,

록 장애인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다는 결과를 도출한 것에 착


안하여 연령 을 본 연구의 독립변수인 인구사회학적 요인의 한 변수로
' '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다 학력
)

이종남 은 「장애인에 대한 일반인의 태도에 대한 연구」를 통해


(1994)

높은 학력일수록 장애인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고 보고한


다 사회지도층을 대상으로 장애인에 대한 인식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
.

인을 연구한 강석주 는 여러 가지 인구사회학적 변수 중 학력은 장


(2008)

애인에 대한 인식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응답자 중 전문 ,

대를 졸업했다고 응답한 집단이 장애인에 대해 가장 부정적인 생각을 갖


고 있는 것으로 보고한다 .

그러나 선행연구들이 고학력자일수록 장애인에 대해 긍정적이라는 결과


와는 일치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고학력자일수록 장애인에 대해 조금 더 ,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된 소수의 연구들이 상 .

이한 결과를 보이고 있어 해당 변수가 장애인에 대한 인식에 실제로 어떠


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서는 단정지어 말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 .

에서는 경우의 수를 가지고 있는 변수인 학력 이 장애인에 대한 인식에 ' '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수라 가정하고 연구를 진행해 나가고자 한다 .

라 장애인 가족
)

이진숙 의 연구에 따르면 가족이나 친구 중 장애인이 있는 경우가


(2002) ,

없는 경우보다 장애인 교육제도나 직업제도가 잘못되어 있다고 인식하는


비율이 높았고 편견도 적은 것으로 보고된다 , .

- 75 -
김태성 또한 동일한 연구결과를 보고하면서 가족 중에 장애인이
(2005)

존재하는 경우에 관련 교육제도 직업제도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


,

고 있다고 언급한다 .

또한 김인호 의 연구는 대구지역 대학생들의 장애인 문제에 대한


(2002)

관심도를 알아본 결과 가족이나 친척 중 장애인이 있는 대학생이 주변에


장애인이 없는 집단보다 장애인 문제에 대해 관심이 높다고 보고하고 있
다 .

김요민 의 연구결과 또한 장애인 인척이 있는 경우 장애인에 대해


(2004)

더욱 우호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연구의 .

보고내용과는 달리「공무원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결정하는 요인에 대


한 연구」는 주위에 장애인이 존재하는가의 여부는 장애인에 대한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최문경 강석주 ( , 2005),

의 연구결과도 이와 맥을 같이하고 있다
(2008) .

궁극적으로 주변에 장애인이 존재하는가의 여부는 장애인에 대한 인식


에 어떠한 영향을 미친다고 단정지어 말할 수는 없다 하지만 본 연구에 . ,

서는 선행연구의 일반적 경향을 지지하면서 해당 변수가 장애인에 대한 ,

인식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하고 변수로 투입하여 실제로 장애인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결과를 초래하는가를 연구해보고자 한다 .

뿐만 아니라 선행연구로 보고된 바는 없으나 실제 업무현장에서의 경험


적 근거를 바탕으로 이 외에도 공무원들의 근무지 근무년수 근속년수 또 , ( )

한 장애인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하고 인구사회학적 변


수에 투입시켜 연구를 실시하고자 한다 .

2) 장애근무 관련변인
장애인과 관련된 직접적인 경험에 대한 연구결과는 아니지만「공무원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결정하는 요인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사회복지 ,

경험 여부는 장애인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장애인 편의시설과 같은 장애인 시설이나 장애인의 의료 장애인
, ,

정책에 관한 생각에 있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문 (

경 , 2005).

또한 선행연구들은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에 있어 자원봉사활동 의 ' '

- 76 -
유효성을 계속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실업계 고등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

태도 연구」에 따르면 장애인 자원봉사활동 경험이 있는 집단이 장애인


,

에 대해 보다 우호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으며 김요민 김정배 ( , 2003), (2000)

와 강석주 의 연구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2008) .

또한「청소년의 장애인 인식에 관한 연구」에서 조사에 응답한 청소년


들은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장애시설에서의 '

자원봉사활동 을 꼽아 김태성 청소년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에 자


' ( , 2005) '

원봉사활동 이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

한편 최문경 은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그의 연구에서 자원봉사경


, (2005) '

험유무 는 장애인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


'

고하고 있어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선행연구들의 결과와는 다소 상이


한 결과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

그러나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에 있어 효과적


인 방안으로 장애인에 대한 직접 접촉 및 자원봉사활동을 보고하고 있다 .

직접 접촉의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으나 자원봉사활동도 그


일환이라 볼 수 있으며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공무원들에게 있어서는 ,

장애와 관련한 근무 경험이라든지 직무와 관련하여 장애인을 만난 경험이


이에 해당할 수 있겠다 .

장애인과의 직접 경험이 장애인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대다수


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미루어볼 때 공무원들이 장애인에 대해 경험한 내 ,

용들은 장애인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된다 그러나 이처 .

럼 구체적인 변수를 투입한 연구와 공무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와 같은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착안해 장애관련 . '

근무경험 장애인 자원봉사활동 직무관련 장애인 만남 을 장애관련 근


', ' ', ' '

무변인의 하위요소로 설정하고 연구를 진행해가고자 한다 .

3) 장애인식교육경험 변인
안승자 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그의 연구에서 장애학생과의
(2002)

통합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통합경험이 없는 학생에 비해 장애학생에 대해


좀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보고하면서 장애학생 통합교육에 대 ,

한 실제적인 방안을 모색해야 함을 언급하였다 또한 방승란 은 초등 . (2006)

- 77 -
학생을 대상으로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 교육프로그램이 장애이해 및 수
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연구하면서 실제로 관련 교육프로그램
이 일반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인식 및 수용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
는데 효과가 있었다고 보고하고 있다 .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장애이해교육이 비장애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인식개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한 신순자 서희선 (2007), (2008)

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

최문경 은 「공무원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결정하는 요인에 대


(2005)

한 연구」에서 경기도 공무원들의 교육경험이 장애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한 결과 교육경험에 따른 장애인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

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

특히 공무원의 장애인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다수의


요인 중 교육경험 은 가장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또
' ' .

한 사회지도층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장애관련교육 변수는 장애 ' '

인에 대한 생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갖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


다 강석주
( , 2008).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장애인과 관련한 교육경험이 장애인에 대한 인


식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

어떠한 교육 프로그램과 내용이 이러한 인식개선에 영향을 미치는가는 조


사된 바가 없으며 실제로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공무원들이 장애인과
,

관련하여 어떠한 교육을 받아왔었는지에 관한 자료가 없는 것 또한 사실


이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인과 관련한 교육이 각 대상자의 인식개선에 긍


정적인 변화를 초래하였다는 연구결과에 착안하여 장애인식교육경험 변인
에 장애인 인식교육 장애인 편의증진교육 장애인 복지과목 수강 을
' ', ' ', ' '

세부변인으로 설정하여 각 경험이 장애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하고자 한다 .

- 78 -
제3부
연구방법
III. 연구방법
연구모형 및 가설
1.

가 연구모형
.

본 연구는 독립변인인 인구사회학적 요인 장애근무관련경험 요인 장애인 , ,

식교육경험 요인 등이 종속변인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장 ,

애특성 인지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

위하여 연구모형을 그림 같이 설계하였다 < III-1> .

그림
< III-1> 연구 모형도
인구사회학적 요인
성별 연령 직급 근무지
, , , ,

근무기간 최종학력 ,

장애인 가족존재여부 장애유형별 이해 및


장애인 근무관련 변인 소외상황 인지 ,

장애관련 근무경험 장애특성 인지 ,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지
,

장애인 자원봉사 경험 ,

직무관련 장애인 만남
장애인 인식교육 관련 변인
장애인 인식 교육받은 경험
장애인 편의증진 교육 경험
,

장애인 복지 과목 수강경험
,

나 연구가설
.

가설 1 : 인구사회학적 변인은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장애 ,

특성 인지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

- 81 -
o 가설
성별은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장애특성
1-1 ,

인지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

o 가설 연령은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장애특성


1-2 ,

인지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

o 가설 직급은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장애특성


1-3 ,

인지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

o 가설 근무지는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장애특성


1-4 ,

인지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

o 가설 근무기간은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장애특


1-5 ,

성 인지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


,

다 .

o 가설 최종학력은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장애특


1-6 ,

성 인지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


,

다 .

o 가설 장애인가족 존재여부는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1-7

인지 장애특성 인지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지에 영향을


, ,

미칠 것이다 .

가설 장애인근무관련 변인은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장


2 : ,

애특성 인지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

o 가설 2-1 장애관련 근무경험은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


지 장애특성 인지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지에 영향을
, ,

미칠 것이다 .

o 가설 2-2 장애인 자원봉사 경험은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장애특성 인지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지에 영향을
, ,

미칠 것이다 .

o 가설 2-3 직무관련 장애인 만남은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장애특성 인지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지에 영향을
, ,

미칠 것이다 .

- 82 -
가설 3 :장애인인식교육관련 변인은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

장애특성 인지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

o 가설 장애인 인식 교육받은 경험은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


3-1

외상황 인지 장애특성 인지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지 , ,

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o 가설 장애인 편의증진 교육 경험은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


3-2

외상황 인지 장애특성 인지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지 , ,

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o 가설 장애인 복지 과목 수강경험은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


3-3

외상황 인지 장애특성 인지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지 , ,

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조사대상 및 표집방법
2.

본 연구에서 공무원 그룹의 대표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중앙행정기관은


개 부처 모두를 연구에 포함하였으며 지방자치단체는 전국적 조사가
15 ,

실시 될 수 있도록 특별시 광역시 도의 개 관청 모두를 연구 기관으로 , , 16

선정하였다 .

연구 대상은 공무원의 특수한 직무 내용이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공무원 일반의 의견 조사가 되게 하기 위하여 장애관련 특수성을 보일 ,

수 있는 장애 관련 민원 담당자로 한정하지는 않았으며 모든 기관에 존 ,

재하며 일반적 공무원이라 할 수 있는 운영지원 부서 중심의 공무원을 연


구 대상으로 하였다 .

설문지는 총 개 기관에 각 부씩 총 부가 우편으로 발송되었으


31 30 930

며 부가 회수되어 총
, 554 의 회수율을 보였다 설문지는 년 59.6% . 2008 11

월 일에 발송되었으며 동년 월 일 까지 도착 분에 한하여 분석 대상
4 , 12 3

으로 한정하였다 .

- 83 -
3. 측정 방법
가 조사도구
.

종속변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장애특성 인지 장애인


1) : , ,

차별금지법 인지 측정도구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측정을 위한 설문지는 장애인복지법
상 분류체계와 하위체계 상황 이해에 관한 질문을 구성하였고 장애특성 ,

인지를 위한 척도는 가 개발한 의 일부


Siller DFS(Disability Factor Scale)

를 사용하였으며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지 측정도구는 장애인차별금지법의


,

주요구성내용을 인지하고 있는지 묻는 질문을 포함하였다 .

응답수준은 점 전혀 그렇지 않다 에서 점 그렇지 않다 점 그렇다


1 ( ) 2 ( ), 3 ( ), 4

점 매우 그렇다 까지 점 리커트 척도로 측정하였고 점수를 모두 합산하


( ) 4 ,

여 평균을 구하거나 분석을 위하여 사용하였다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장 .

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장애특성 인지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지 , ,

를 잘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척도 및 설문구성을 위하여 학계 언론계 . , ,

시민단체 공무원으로 구성된 자문위원단을 위촉하였으며 이들의 의견을


, ,

수렴하여 수정 보완하였다 , .

본 연구를 사용한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

사용한 척도는 점 척도로서 신뢰도 4 α값이 를 나타냈다 Cronbach .934 .

타당도 분석을 위하여 추출방법으로는 주성분분석 회전방법으로 요인 ,

간 관계를 명확하게 하는 직교회전방법을 사용하면서 요인 수는 개로 설 1

정한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 표 과 같이 개의 요인을 도출하였으 <III-1> 1

며 총 분산비의 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68.874 .

- 84 -
<표 III-1> 장애의 유형별 인지 및 소외상황 인지 요인분석 결과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성분 신뢰도
나는 우리나라에서 개 영역으로 구분되는 장애유형의 장애특성을 알고 있다
15 . .853

나는 신체적 장애 정신적 장애 내부기관 장애의 특성을 알고 있다


, , . .827

나는 우리나라 장애 유형별 출현율과 장애인 규모를 알고 있다 . .902

나는 우리나라 장애인의 고등교육 진학 현황을 알고 있다 . .856

나는 우리나라 장애인의 유형별 고용상태를 알고 있다 . .853


.934

나는 우리나라 장애인의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불평등에 관하여 알고 있다


, , . .677

나는 장애인의 빈곤 출산문제와 의료·복지·활동보조 서비스의 수준에 관해 알


고 있다
,
.827
.

나는 장애와 관련된 가지 법의 내용을 충분히 알고 있다


8 . .826

고유치 5.510

설명변량
(eignenvalue)

누적설명변량
(%) 68.874

(%)
68.874

장애특성 인지 척도도 점 척도로서 의 신뢰도를 나타냈고 요인분석


4 .720 ,

결과는 총 분산비의 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23.879 < III-2>.

- 85 -

< III-2> 장애특성 인지 요인분석 결과
문 제 성분 신뢰도
장애인은 비장애인과 함께 있는 것에 대해 불편해 하는 것 같다 . .757

장애인은 비장애인과 어울리는데 있어 매우 소극적이다 . .754

만일 내가 장애인이라면 사회에 잘 적응 할 수 있을 것이다 . .492

나는 가끔 장애인이 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을 가지고 있다 . .770

장애인은 대부분 고집이 강하여 다른 사람의 의견을 받아들이려 하지 않는다 . .538

만일 내 아이가 장애아동과 논다면 함께 놀지 못하게 할 것이다


, . .532

나는 장애인을 보면 의식적으로 좀 더 신경이 쓰인다


, . .454

만일 내가 장애인이라면 다른 사람을 만나는 것을 피하거나 꺼려할 것이다 . .548

장애인이
껴진다 사용하는 보조기구 흰지팡이 휠체어 의수 의족 등 들이 무섭게 느
( , , , )
.514
.

장애인은 대부분 의존성을 가지고 있어 늘 도움을 주어야 한다 . .412

장애인이 정상적인 생활을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 .383 .720

만일 내 가족이나 친구 중 누군가가 장애인과 교제한다면 적극적으로 반대


할 것이다
, ,
.489
.

장애인은
이다 손상된 기능뿐만 아니라 다른 기능도 비장애인보다 문제가 있을 것
.
.476

내가 장애인에게 도움을 받는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 .540

장애인은 집보다 장애인생활시설에서 살게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 .621

장애인 시설은 혐오감을 줄 수 있다 . .522

장애인을
이다 위한 편의시설을 모든 공공건물에 설치해야 하는 것은 무리한 요구
.
.456

장애인과 함께 일을 하면 작업속도가 느려 업무에 지장을 준다 . .604

장애인은
해한다 취직이나 임금 승진 등에서 불리한 취급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이
.
,
.620

장애인은 교육능력에 한계가 있다고 생각 한다 . .641

고유치 (eignenvalue) 4.776

설명변량 (%) 23.879

누적설명변량 (%) 23.879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에 대한 척도도 점 척 4

도로서 의 신뢰도를 나타냈고 요인분석 결과는


.952 의 설명력을 가 , 62.232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 III-3>.

- 86 -

< III-3>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의 척도 요인 분석
문 제 성분 신뢰도
장애인은 자신의 생활 전반에 관하여 자신의 의사에 따라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할 자기결정권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
.485

정부와 지자체는 장애인에게 불리한 결과를 초래하는 일이 없도록 정당한 서


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
.645

장애인은 장애인 아닌 사람과 동등한 선택권을 보장받기 위하여 필요한 서비


스와 정보를 정부로부터 제공받을 권리를 가진다 .
.275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 및 장애인 관련자에 대한 모든 차별을 방지


하고 차별받은 장애인의 권리를 구제할 책임이 있다 .
.726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에게 정당한 편의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필요한


기술적ㆍ행정적ㆍ재정적 지원을 해야 한다 .
.758

고용주는 모집ㆍ채용 임금 및 복리후생 교육ㆍ배치ㆍ승진ㆍ전보 정년ㆍ퇴


, , ,

직ㆍ해고에 있어 직장 내에서 장애인을 차별하지 않도록 해야 된다 .


.699

고용주는 장애인이 해당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장애인 아닌 사람과 동등한


근로조건에서 일할 수 있도록 정당한 편의를 제공하여야 한다 .
.713

고용주는 채용 이전에 장애인 여부를 조사하기 위한 의학적 검사를 하면 안


된다 .
.364

일선학교 책임자는 의무적으로 재학 중인 장애인의 교육활동 등에 불이익이


없도록 적극적 수단을 강구해야 한다 .
.750 .952

공공 및 일반 시설물에 있어 장애인이 시설물을 접근ㆍ이용하거나 비상시 대


피가 가능하도록 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
.775

교통행정기관은 장애인이 아닌 사람과 동등하게 이용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정당한 편의를 제공해야 한다 .
.822

개인ㆍ법인ㆍ공공기관은 장애인의 전자정보와 비전자정보 이용 및 접근이 용


이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
.841

장애인이 장애인이 아닌 사람과 동등하게 제작물 또는 서비스를 접근ㆍ이용


할 수 있도록 방송물에 자막 수화 점자 및 점자 변환 보청기기 큰 문자
, , , , ,

화면읽기ㆍ해설ㆍ확대 프로그램 인쇄물 음성 변환 출력기 음성서비스 전화


, , , ,
.770

등 통신 중계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

공공기관 및 그 소속원은 장애인이 사법ㆍ행정절차 및 서비스를 장애인 아닌


사람과 실질적으로 동등한 수준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해야 한다 .
.825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의 참정권을 보장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설 및


설비 참정권 행사에 관한 홍보 및 정보 전달 장애의 유형 및 정도에 적합한
, ,

기표방법 등 선거용 보조기구의 개발 및 보급 보조원의 배치 등 정당한 편 ,


.621

의를 제공해야 한다 .

- 87 -
공직선거후보자 및 정당은 후보자 및 정당에 관한 정보를 장애인에게 장애가
아닌 사람과 동등한 정도의 수준으로 전달해야 한다 .
.716

기관은 장애인의 불편을 개선하기 용이하도록 적절한 의견 수렴 및 조치시 ‘

스템 을 구축해야 한다
’ .
.786

고유치 (eignenvalue) 11.202

설명변량 (%) 62.232

누적설명변량 (%) 62.232

2) 독립변인
가 인구사회학적 변인
)

선행연구를 기초하여 본 연구는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장 ,

애특성 인지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인


,

구사회학적 변인으로 성별 연령 직급 근무지 근무기간 최종학력을 포 , , , , ,

함하였다 .

성별은 ①남 ②여 연령은 ① 대 ② 대 ③ 대 ④ 세 이상 직급은


, ; 20 30 40 50 ;

① 급 이하 ② 급 ③ 급 ④ 급 ⑤ 급 ⑥ 급 이상 근무지는 ①중앙부처
8 7 6 5 4 3 ;

②특별시·구·동 ③광역시·구·동 ④도청 ⑤시·군·구 ⑥읍·면·동 근무기간은 ;

① 년 이하 ② 년 ③ 년 ④ 년 ⑤ 년 이상 최종학력은 ①고
5 5-10 10-15 15-20 20 ;

졸 ②대학교 재학 대졸 ③대학원재학 졸업 석사 ④박사과정 재학 졸업


/ / ( ) / ;

장애가족존재유무 ①응답자 본인이 장애인 ②가족 중 장애인 존재 ③응 , ,

답자 본인이 장애인 가족 중에도 장애인 존재 ④해당사항 없음으로 기입


, ,

하게 하였다 표 < III-4>.

- 88 -
<표 III-4> 인구사회학적 변인
변인 측정 방법
성 별 ①남 ②여
연 령 ① 대 ② 대 ③ 대 ④ 세 이상
20 30 40 50

직 급 ① 급 이하 ② 급 ③ 급 ④ 급 ⑤ 급 ⑥ 급 이상
8 7 6 5 4 3

근무지 ①중앙부처 ②특별시·구·동 ③광역시·구·동 ④도청 ⑤시·군·구 ⑥읍·면·동


근무기간 ① 년 이하 ② 년 ③ 년 ④ 년 ⑤ 년 이상
5 5-10 10-15 15-20 20

최종학력 ①고졸 ②대학교 재학 대졸 ③대학원재학 졸업 석사 ④박사과정 재학 졸업


/ / ( ) /

장애인 가족 ①응답자 본인이 장애인 ②가족 중 장애인 존재


③응답자 본인이 장애인 가족 중에도 장애인 존재 ④해당사항 없음,

나 장애근무관련 변인
)

장애근무 관련 변인으로 장애근무경험 ①있음 ②없음 장애인자원봉사 , ;

경험 ①있음 ②없음 직무관련 장애인만남 ①거의 만나지 않음 ②가끔


, ; ,

만남 ③자주 만남으로 기입하게 하였다 표


, < III-5>.

<표 III-5> 장애근무관련 변인


변인 측정 방법
장애관련 근무경험 ①있음 ②없음
장애인 자원봉사 경험 ①있음 ②없음
직무관련 장애인 만남 ①거의 만나지 않음 ②가끔 만남 ③자주 만남

다 장애인식교육경험 변인
)

장애인식교육경험 변인으로 장애인식교육 받은 경험 ①있음 ②없음 장 , ;

애인식교육 받은 최근기간 ①최근 년 이내 ② 년 이내 ③ 년 이내 ④ 1 , 3 , 5 , 5

년 전 장애인편의증진교육 받은 경험 ①있음 ②없음 장애인 복지과목


; , ;

수강경험 ①있음 ②없음으로 기입하게 하였다 표


, < III-6>.

- 89 -
<III-6> 장애인식교육경험 변인
변인 측정 방법
장애인 인식 교육 ①있음 최근 년 이내 년 이내 년 이내 년전
받은 경험 ②없음
: ( ) 1 , ( )3 , ( )5 , ( )5

장애인 편의증진 ①있음 ②없음


교육 경험
장애인 복지 과목 ①있음 ②없음
수강경험

4. 자료 분석방법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 과정과 오류검토 과정을 거친 후
SPSS for 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되 다음과 같은 분석방
Windows 12.0 ,

법을 사용하였다 .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특성 장애관련근무 및 장애인식교육경


, ,

험에 관한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변수 및 종속변수에 대해 빈도분석 ,

기술통계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

둘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장애특성 인지 장애인차별금


, , ,

지법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인구사회학적특성 장 ,

애관련근무 및 장애인식교육 경험 전체기술 통계량을 살펴보고 변수 간 ,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고 이 변수를 투입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


,

다.

- 90 -
제4부
연구 결과
IV. 연구 결과
1. 인구통계학적 장애근무관련 특성 ,

설문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빈도 분석한 결과는 표 과 < IV-1>

같다 전체 응답자 명 중 남성은 명
. 여성 응답자는 명 553 305 (55.2%), 243

무응답 명 으로 집계되어 남성 응답자의 분포가 더 높음


(43.9%), 5 (0.9%)

을 알 수 있다 응답자의 연령은 대가 명 으로 가장 많았으


. 30 218 (39.4%)

며 다음으로는 대 명
, 대 명 대 명 40 (211 , 38.2%), 50 (64 , 11.6%), 20 (58 ,

무응답 명
10.5%), 순으로 나타났다 (2 , 0.4%) .

응답자의 직급을 조사한 결과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는 직급은 급 , 7

으로 전체 중 에 해당하는 명으로 집계되었고 다음으로는 29.7% 164 , 8

급 명 (163 급 명 급 명
, 급 명
29.5%), 6 (139 , 25.1%), 5 (71 , 12.8%), 4 (7 , 1.3%),

3급 명 무응답 명
(1 순으로 나타났다
, 0.2%), (8 , 1.4%) .

응답자의 근무지로는 중앙부처 명 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 (254 , 45.9%) ,

으로는 도청 명 이 높은 빈도를 보였다 또한 광역시․구․동


(158 , 28.6%) .

은 명 시․군․구 명
83 특별시․구․동 명
(15.0%), 읍․ 46 (8.3%), 5 (0.9%),

면․동 명 무응답 명 순으로 조사되었다


4 (0.7%), 3 (0.5%) .

또한 응답자의 근무기간은 년 이상 년 이하 근속한 경우가 '15 20 ' 133

명 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높은 빈도를 보인 것은 년 이


(24.1%) . '20

상 으로 전체의
' 에 해당하는 명이 이에 응답하였다 그 다음 23.5% 130 .

으로는 년 이하 가 명 년 이상 년 이하 가 명
'5 ' 116 (21.0%), '10 15 ' 97

년 이상 년 이하 가 명
(17.5%), 무응답 명 으로 나
'5 10 ' 74 (13.4%), 3 (0.5%)

타났다 .

응답자의 학력을 조사한 결과 대학교 재학 졸업 이 명 으 , ' / ' 384 (69.4%)

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대학원 재학 졸업 석사 가 명 , ' / ( )' 99 (17.9%),

고졸 이 명
' 대학원 재학 졸업 박사 가 명 인 것으로
' 52 (9.4%), ' / ( )' 14 (2.5%)

나타났다 해당문항에 대한 무응답은 건 으로 조사되었다


. 4 (0.7%) .

조사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마지막으로 분석할 내용은 장 '

애인 가족의 존재유무 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보였다 전체 응답자 중 ' .

응답자 본인이 장애인인 경우는 명 이었으며 가족 중에 장애인 22 (4.0%) ,

- 93 -
이 존재하는 경우가 명 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응답자 본인이
94 (17.0%) .

장애인이거나 가족 중에도 장애인이 존재하는 경우도 명 으로 조 9 (1.6%)

사되었다 한편 본 문항에 대해 해당사항이 없다고 응답한 사람이


. , 420

명 으로 가장 많았다
(75.9%) .


< IV-1> 응답자의 특성
변인 응답범주 빈도
남성
성 여성
305(55.2)

무응답
243(43.9)


5(0.9)


20 58(10.5)

나이 대
30 218(39.4)

대 이상
40 211(38.2)

무응답
50 64(11.6)

급 이하
2(.4)


8 163(29.5)


7 164(29.7)

직급 급
6 139(25.1)


5 71(12.8)

급 이상
4 7(1.3)

무응답
3 1(.2)

중앙부처
8(1.4)

특별시구동
254(45.9)

광역시구동
5(.9)

근무지 도청
83(15.0)

시군구
158(28.6)

읍면동
46(8.3)

무응답
4(.7)

년 이하
3(.5)

년 이하
5 116(21.0)

년 이하
5-10 74(13.4)

근무기간 년 이하
10-15 97(17.5)

년 이상
15-20 133(24.1)

무응답
20 130(23.5)

고졸
3(.5)

대학교 재학 대졸
52(9.4)

최종학력 대학원 재학 졸업 석사
/ 384(69.4)

박사과정 재학 졸업
/ ( ) 99(17.9)

무응답
/ 14(2.5)

응답자 본인이 장애인


4(.7)

가족 중 장애인 존재
22(4.0)

장애인가족 응답자 본인이 장애인 가족 중 장애인 존재


94(17.0)

해당사항 없음
, 9(1.6)

무응답
420(75.9)

8(1.5)

- 94 -
2. 장애관련근무 및 장애교육경험 특성
응답자의 장애관련 근무 및 교육경험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 ,

들은 각 문항에 대해 표 과 같은 결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 IV-1> .

먼저 조사에 응답한 공무원 중 장애관련 근무경험이 있는 공무원들은


,


131 경험이 없는 공무원들은 명
(23.7%), 으로 조사되어 상당 415 (75.0%)

수의 공무원들이 장애관련 근무경험이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장애인 .

식교육 경험을 묻는 문항에 대하여 응답자의 에 해당하는 명 65.6% 363

의 공무원들은 인식개선 교육을 받은 적이 없으며 해당 교육을 받은 ,

공무원들은 명 로 나타났다 32.5%(180 ) .

장애인 인식교육을 받은 응답자 중 지금으로부터 년 이내 에 인식 '1 '

개선 교육을 받은 공무원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명 (109 , 19.7%),

년 이내 가 명
'3 년 이내 가 명 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 46 (8.3%), '5 ' 14 (2.5%) .

년 전 에 받은 경우도 최근 장애인 인식교육을 언제 받았는가에 대한


'5 '

문항에 명 이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최근 장애인


13 (2.4%) .

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일련에서 관련 교육이 실시되었


음을 짐작할 수 있다 .

장애인 편의증진 교육경험 유무와 관련한 문항에 경험이 있다 고 응 ' '

답한 공무원은 명 경험이 없다 고 응답한 공무원이 23.9%(132 ), ' '

명 였다 또한 장애인 복지과목 수강경험에 있어 전체의


75.8%(419 ) .

에 해당하는 공무원들이 관련 과목을 수강한 경험이 없었으며


74.7% ,

25%정도만이 장애인 복지 관련 과목을 수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 .

편 장애인 직접 접촉과 관련하여 장애인 자원봉사경험 을 묻는 문항


, ' '

에 대해 경험이 있다 고 응답한 공무원들은 전체의


' 명 였으 ' 52.8%(292 )

며 경험이 없다 고 응답한 공무원은


, ' 명 로 나타났다 또한
' 46.5%(257 ) . '

직무와 관련하여 장애인을 얼마나 자주 만나는가 하는 질문에 대해 공 '

무원 중 절반 이상은 장애인을 거의 만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


(288 가끔 만나는 응답자들은
, 52.1%). 명 자주 만나는
' ' 28.6%(158 ), ' '

경우는 명 로 명 중 약 명 정도만이 업무와 관련하여 장


17.9%(99 ) , 100 18

애인과 자주 접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 95 -

< IV-2> 응답자의 장애관련근무 교육경험 특성
,

변인 응답범주 빈도
있음 131(23.7)

장애관련근무경험 없음 415(75.0)

무응답 7(1.3)

있음 180(32.5)

장애인 인식교육 받은 경험 없음 363(65.6)

무응답 10(2.0)

최근 년 이내 1 109(19.7)

장애인 인식교육 받은 경험 년 이내
3 46(8.3)

최근 몇 년 이내
( ?) 년 이내
5 14(2.5)

년전 5 13(2.4)

있음 132(23.9)

장애인 편의증진 교육경험 없음 419(75.8)

무응답 2(.4)

있음 138(25.0)

장애인 복지 과목 수강경험 없음 413(74.7)

무응답 2(.2)

있음 292(52.8)

장애인 자원봉사 경험 없음 257(46.5)

무응답 4(.7)

거의 만나지 않음 288(52.1)

직무관련 장애인 만남 가끔 만남 158(28.6)

자주 만남 99(17.9)

무응답 8(1.4)

- 96 -
3. 인구통계학적 장애근무▪교육관련 변수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

및 소외상황 인지 차이
인구통계학적 장애근무․교육관련 변수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

소외상황 인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변량 분산분석 (One-way

을 실시하였다
ANOVA) .

본 분석에 사용된 장애유형별 이해란 현재 우리나라에서 개 영역 , 15

으로 구분하고 있는 장애유형의 장애특성을 인지하고 있는가 신체 ,

적․정신적․내부기관 장애의 특성을 인지하고 있는가 또한 우리나라 ,

장애유형별 출현율과 장애인 규모를 인지하고 있는가에 대한 응답자


개인의 인지 정도를 의미한다 한편 장애인의 소외상황 인지란 선행연 . , ,

구를 바탕으로 장애인에 대한 차별이 존재한다고 보고되는 교육 고용 , ,

사회․경제․문화 영역 제공되는 서비스 및 장애관련 법에 대해 각 개 ,

인이 어느 정도 인지하고 있는가를 의미한다 .

가 성별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

성별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에 대해 남성 명 305 ,

여성 명 무응답 명으로 총 명이 응답하였다 해당영역에서 남


243 , 2 550 .

성 응답자는 평균 점으로 응답하였으며 여성은 평균 점으로 응


16.8 , 16.1

답하였다 유의도가 로 나타나 성별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


. .332

외상황 인지 정도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표 < IV-3> .

< 표 IV-3> 성별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구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 P

남 305 16.8393 5.61047

여 243 16.1481 5.19085 1.106 .332

무응답 2 17.0000 1.41421

합계 550 16.5345 5.42490

- 97 -
나 연령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

연령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정도를 살펴보기 위


해 각 연령대를 구분하여 평균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장애유형별 이 . ,

해 및 소외상황 인지에 대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인 연령대는 대 이 50

상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낮은 수치를 보인 연령대는 대로 조사되었


, 30

다 해당영역에 대한 유의도가 으로 나타나 연령에 따른 장애유형


. .000

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는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지며 결과적으로 연 ,

령이 높을수록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에 대한 인식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표 < IV-4>.

<표 IV-4> 연령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구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 P

대 20 58 15.5000 4.24781

대 30 218 15.4083 4.99616

대 40 211 17.0758 5.51050 11.264 .000

대 이상
50 64 19.4375 6.15894

합계 551 16.5245 5.41906

다 직급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

직급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에 응답한 전체 545

명의 응답자 중 가장 높은 인식도를 보인 직급은 급으로 평균 점 5 , 18.0

의 인식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가장 낮은 인식도를 .

보인 직급은 전체 응답자 중 명이 응답한 급으로 조사되었다 전체 1 3 .

유의도는 으로 나타났으며 직급에 따라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


.000

황 인지 정도가 달라짐을 알 수 있다 즉 본 결과에서는 업무상 장애 . ,

인을 대할 일이 거의 없는 고위직 공무원을 제외하고는 직급이 높을수


록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정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표 <

IV-5>.

- 98 -

< IV-5> 직급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구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 P

급 이하
8 163 15.1166 4.90199

급 7 164 16.4512 5.28373

급 6 139 17.4604 5.38821

급 5 71 18.0563 6.05189 4.447 .001

급 4 7 17.7143 6.12955

급 이상
3 1 14.0000 .

합계 545 16.5303 5.40080

라 근무지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

근무지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에 대한 전체 응답


내용은 표 과 같이 나타났다 장애유형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정
< IV-6> .

도가 가장 높은 근무지는 시․군․구로 전체 평균 점으로 나타났 18.5

고 다음으로는 도청이 점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가장 낮은 인지 정


, 17.9 .

도를 보인 곳은 중앙부처로 평균 점으로 나타났다 유의도는 , 15.1 . .000

으로 결과적으로 근무지는 장애유형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된다 .


< IV-6> 근무지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구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 P

중앙부처 254 15.1260 4.72817

특별시구동 5 15.6000 5.12835

광역시구동 83 17.4096 4.94367

도청 158 17.9051 6.17555 7.648 .000

시군구 46 18.5217 5.11963

읍면동 4 15.2500 5.73730

합계 550 16.5582 5.41327

- 99 -
마 근무기간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

근무기간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에 있어 가장 높


은 인식정도를 보인 근무기간은 년 이상으로 표 과 같이 조사되 20 < IV-7>

었다 년 이상 장기근속한 공무원의 경우 평균 점의 인식정도를


. 20 17.9

가지며 이는 전체 평균 점과 비교할 때 비교적 높은 수치라 할 수 16.5

있다 반면 가장 낮은 인지 정도를 보인 근무기간은 년 이하로서 평균


. 5

점으로 나타났다 전체 유의도는 으로 나타나 근무기간에 따라


14.8 . .000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정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따 ,

라서 근무기간이 길수록 해당영역에 대한 인지 정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

<표 IV-7> 근무기간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구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 P

5 년 이하 116 14.8621 4.49714


5-10 74 17.0946 5.49513

10-15 년 97 16.2887 5.05791 5.405 .000

15-20 년 133 16.4737 4.81251

20 년 이상 130 17.9538 6.51874

합계 550 16.5345 5.42222

바 학력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

학력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에 대한 전반적 응답


내용은 표 과 같다 전체 유의도가 으로 나타나 학력에 따라
< IV-8> . .000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는 달라짐을 알 수 있으며 고학력일 ,

수록 해당영역에 대한 인지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평균은 .

점으로 집계되었으며 그 중 가장 높은 인지 정도를 보인 집단은


16.5 ,

박사과정재학 졸업으로 평균 점을 보인 한편 가장 낮은 인지 정도
/ 20.8 ,

를 보인 집단은 고졸로 평균 점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통해 학력이 15.1 .

높을수록 장애유형 및 소외상황을 잘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 100 -

< IV-8> 학력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구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 P

고졸 52 15.1154 4.68060

대학교재학 대졸 / 384 16.1120 5.15204

대학원재학 졸업 석사 / ( ) 99 18.1717 6.15288 8.317 .000

박사과정재학 졸업 / 14 20.8571 4.75325

합계 549 16.5100 5.40127

사 장애관련 근무경험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

장애관련 근무경험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는 유


의도 으로 나타나 유의미한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표 와 같
.000 < IV-9>

이 나타났다 .

장애관련 근무경험이 있는 응답자들은 장애유형 및 소외상황에 대해


평균 점의 인식정도를 가지고 있으며 한편 근무경험이 없는 응답
20.9 ,

자들은 해당영역에 대해 점 정도의 인식정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15.1

보고되었다 이를 통해 장애관련 근무경험이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


.

상황 인지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


< IV-9> 장애관련 근무경험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구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 P

있음 131 20.9847 5.26671

없음 415 15.1133 4.59092 75.979 .000

합계 547 16.5283 5.37535

- 101 -
아 장애인식교육 받은 경험에 따른 장애유형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

장애인식교육을 받은 경험에 따른 장애유형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에


대한 문항에 응답한 응답자는 전체 명으로 평균 점의 인지 정도 545 16.5

를 보였다 유의도는 으로 나타나 장애인식교육 경험에 따라 장애


. .000

유형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정도는 달라짐을 알 수 있으며 실제로 장 ,

애인식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의 평균은 점으로 교육경험이 없는 집 19.3

단 점 에 비해 높은 인식정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표


(15.1 ) 과 < IV-10>

같이 조사되었다 따라서 장애인식교육은 장애유형이해 및 소외상황


.

인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

<표 IV-10> 장애인식교육 받은 경험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구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 P

있음 180 19.3833 5.66798

없음 363 15.1267 4.75829 28.612 .000

합계 545 16.5358 5.45023

자 장애인식교육 받은 경험의 최근 기간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


.

외상황 인지
장애인식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총 명으로 그 중 최 182

근 년 이내에 장애인식교육을 받은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장애인식교


1 .

육을 받은 경험의 최근 기간에 따른 장애유형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정도에 대한 결과는 표 과 같으며 전체 평균은 점으로서 전
< IV-11> 19.9

반적으로 높은 인식정도를 보였다 물론 장애인식교육을 받은 경험의 . ,

최근 기간이 짧을수록 인식정도의 평균이 높긴 하지만 전체 유의도는 ,

로 나타나 결과적으로 장애인식교육을 받은 경험의 최근기간에 따


.284

른 장애유형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

- 102 -
<표 IV-11> 장애인식교육 받은 경험의 최근 기간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
황 인지
구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 P

최근 년이내
1 109 19.9174 5.77692

년이내
3 46 18.6739 5.08179

년이내
5 14 18.8571 5.85540 1.278 .284

년전 5 13 17.1538 6.17584

합계 182 19.3242 5.65679

차 장애인 편의증진교육을 받은 경험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


.

상황 인지
장애인 편의증진교육을 받은 응답자는 전체응답자 중 명 으로 132 (23.9%)

교육을 받지 않은 응답자 명 에 비해 낮은 경험정도를 보였다


419 (76.1%) .

그러나 유의도가 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평균 점에 비교해 볼 때


.000 , 16.5

장애인편의증진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응답자의 경우 장애유형 및 소


외상황에 대한 인식정도는 점으로 나타나 장애인편의증진교육이 해당
20.3

영역에 대한 인식정도를 높이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 IV-12>.

<표 장애인 편의증진교육을 받은 경험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


IV-12>

외상황 인지
구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 P

있음 132 20.3258 5.61690

없음 419 15.3437 4.78097 50.013 .000

합계 552 16.5344 5.41915

- 103 -
카 장애인복지과목 수강 경험에 따른 장애유형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

장애인복지과목 수강 경험에 따른 장애유형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에


대한 유의도는 으로 나타나 장애인복지과목 수강 경험이 장애유형
.000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표 < IV-13>

.전체 응답자 명 중 관련과목 수강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명으


552 138

로 전체의 이며 해당영역에 대한 인식정도가 로 집계되어 비


25% , 20.9

교적 높은 수준의 인식정도를 가지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

< 표 IV-13> 장애인복지과목 수강 경험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구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 P

있음 138 20.9493 5.42544

없음 413 15.0751 4.55193 78.883 .000

합계 552 16.5344 5.41915

타 장애인 자원봉사 경험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

장애인 자원봉사 경험에 따른 장애유형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의 결


과는 표와 같다 전체 평균은 점이며 장애인 자원봉사경험이 있는
. 16.5 ,

응답자의 인식정도 평균은 점 자원봉사경험이 없는 응답자의 인식 17.6 ,

정도는 로 나타났다 전체 유의도가 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15.2 . .000

장애인 자원봉사경험은 장애유형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에 유의미한 영


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표 < IV-14>.

<표 IV-14> 장애인 자원봉사 경험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



구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 P

있음 292 17.6747 5.41161

없음 257 15.2412 5.16866 14.456 .000

합계 552 16.5344 5.41915

- 104 -
파 장애인가족 존재여부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

장애인가족 존재여부에 따른 장애유형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에 대한


결과는 표 와 같다 응답자 본인이 장애인인 경우 해당영역에
< IV-15> .

대한 인식정도가 평균 점으로 전체 평균 점과 비교했을 때 상 20.3 16.5

당히 높은 인식정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으나 해당영역에 대한


유의도는 으로 결과적으로 장애인가족의 존재여부는 장애유형이해
.006

및 소외상황 인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 IV-15> 장애인가족 존재여부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구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 P

응답자 본인이 장애인 22 20.3636 7.04101

가족 중 장애인존재 94 17.0851 5.09619

응답자중에도
본인이장애인존재
장애인 가족 ,
9 17.4444 3.50397 3.695 .006

해당사항 없음 420 16.1619 5.38162

합계 546 16.5183 5.43828

하 직무관련 장애인 만남정도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


.


직무관련 장애인 만남정도에 따른 장애유형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정도는 전체 평균 점 유의도 으로 직무와 관련하여 장애인을
16.5 , .000

자주 만날수록 장애유형에 대한 이해 및 소외상황을 인식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 IV-16> .

직무와 관련하여 장애인을 거의 만나지 않는 경우 해당영역에 대한


인식정도 평균이 점으로 전체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한편 장애인
14.6 ,

을 자주 만나는 경우 평균 점의 평균을 보여 장애인과의 접촉경험 21.1

이 많을수록 장애유형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정도가 높음을 알 수 있


다 .

- 105 -
< 표 IV-16> 직무관련 장애인 만남 정도에 따른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
황 인지
구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 P

거의 만나지 않음 288 14.6701 4.18795

가끔 만남 158 17.1962 5.28362

자주 만남
45.109 .000

99 21.1313 5.94301

합계 550 16.5509 5.41671

4. 인구통계학적 장애근무·교육관련 변수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차이


,

장애특성 인지영역은 장애인에 대한 인식척도인 DFS(Disability

Factor의 문항 중 일부를 연구자의 의도에 따라 본 연구에 적절


Scale)

하다고 여겨지는 문항을 수정하여 장애인에 대한 비장애인의 인식정도


를 측정하였다 해당 영역은 장애인에 대해 비장애인이 지각하는 인지
.

적․감정적․행동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인구통계학적 장애근 , ,

무․교육관련 변수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


원량 분산분석 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One-way ANOVA) .

가 성별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

성별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에 대한 결과는 표 과 같다 전체 < IV-17> .

명의 응답자의 해당영역에 대한 평균은 점이며 남성은 점


550 56.6 , 56.2 ,

여성은 점으로 집계되었다 성별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에 대한 유


57.2 .

의도는 로 나타나 결과적으로 성별은 장애특성을 인지하는데 유의


1.167

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

- 106 -
<표 IV-17> 성별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구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 P

남 305 56.2295 6.36549

여 243 57.3004 7.24913 1.797 1.167

합계 550 56.6964 6.78049

나 연령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

연령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영역에 응답한 응답자는 총 명으로 551

대가 명으로 가장 많았다 해당영역에 대한 전체 평균은 점으


30 218 . 56.6

로 표 과 같이 조사되었으며 가장 높은 인지 정도를 보인 연령
< IV-18> ,

은 대로 평균 점의 수치를 보였다 그 다음은 대가 점


20 58.3 . 40 56.8 , 30

대가 점 대 이상 점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 유의도는


56.6 , 50 54.7 .

로 나타나 결과적으로 연령은 장애특성을 인지하는데 유의미한 설


.037

명력을 갖지 못함을 짐작할 수 있다 .

<표 IV-18> 연령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구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 P


20 58 58.3276 8.73064


30 218 56.6514 6.63030


40 211 56.8294 6.39191 2.848 .037

50 대 이상 64 54.7969 6.24673

합계 551 56.6806 6.78391

다 직급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

직급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에 대한 결과는 표 와 같다 전체 < IV-19> .

명의 응답자는 장애특성을 평균 점 정도로 인지하고 있으며 각


545 56.6

- 107 -
직급 간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도 또한 로 . .894

나타나 결과적으로 장애특성을 인지하는데 직급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


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


< IV-19> 직급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구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 P

8 급 이하 163 56.8282 7.14713

7급 164 57.0061 6.59940

6급 139 56.5324 6.02086

5급 71 55.8732 7.07295 .331 .894

4급 7 56.0000 3.82971

3 급 이상 1 57.0000 .

합계 545 56.6716 6.64767

라 근무지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

근무지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에서 전체 응답자 명 중 중앙부처에 550

근무하는 응답자가 명으로 가장 많았다 그러나 장애특성에 대한 인


254 .

지 정도는 전체 평균 점 유의도 로 조사되어 결과적으로 근무 56.6 , .048

지는 장애특성을 인지하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아님을


알 수 있다 표 < IV-20> .

- 108 -

< IV-20> 근무지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구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 P

중앙부처 254 57.0591 7.45318

특별시구동 5 51.6000 18.17416

광역시구동 83 55.1566 5.46269

도청 158 57.4241 6.08150 2.247 .048

시군구 46 55.5435 4.88402

읍면동 4 55.5000 2.38048

합계 550 56.6891 6.77908

마 근무기간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

근무기간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에 대한 결과는 표 과 같이 나 < IV-21>

타났다 근무기간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의 전체 평균은 으로 최고


. 56.6

점인 년 이하의 점 최하점인 년 이상의 점과 큰 편차가 없


5 57.6 , 20 55.7

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도 또한 로 나타나 근무기간은 장애특성


. .145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아님을 알 수 있다 .


< IV-21> 근무기간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구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 P

5 년 이하 116 57.6121 7.42940


5-10 74 57.1486 7.57010

10-15 년 97 55.9278 6.54988


1.716 .145

15-20 133 57.1278 5.76748

20 년 이상 130 55.7385 6.74744

합계 550 56.6927 6.77871

- 109 -
바 학력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

학력이 장애특성을 인지하는데 얼마만큼의 영향을 미치는가를 보기


위한 결과는 표 와 같다 전체 명의 응답자의 장애특성 인지
< IV-22> . 549

정도 평균은 점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유의도 으로


56.6 , .453

설명되어 결과적으로 학력은 장애특성을 인지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유


의미한 변수가 아님이 입증되었다 .

<표 IV-22> 학력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구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 P

고졸 52 56.0385 6.15156

대학교재학 대졸 / 384 56.5469 6.85416

대학원재학 졸업 석사 / ( ) 99 57.6465 6.70868 .876 .453

박사과정재학 졸업 / 14 56.5000 7.65356

합계 549 56.6958 6.78343

사 장애관련 근무경험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

장애관련 근무경험에 따른 장애특성에 대한 인지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분석에 포함된 사례는 총 건으로 전체 평균 점으로 조사되 547 56.7

었다 장애관련 근무경험이 있는 경우 장애특성에 대한 인지 정도는


.

점 장애관련 근무경험이 없는 경우의 인지 정도 또한 점으로


56.7 , 56.7

나타났다 유의도 또한 로 보고되어 결과적으로 장애관련 근무경험


. .519

은 장애특성을 인지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표 <

IV-23>.

- 110 -
<표 IV-23> 장애관련 근무경험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구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 P

있음 131 56.7099 7.66660

없음 415 56.7205 6.40078 .657 .519

합계 547 56.7038 6.72075

아 장애인인식교육 받은 경험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

표 의 결과는 장애인인식교육을 받은 경험에 따라 장애특성


< IV-24>

인지 정도가 달라짐을 보고하고 있다 전체 명의 응답자 중 장애인 . 545

인식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명으로 평균 점의 인식 180 57.3

정도를 보였고 장애인인식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응답자는 명으


, 363

로 평균 점의 인식정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56.5 . .000

으로 보고되는 유의도를 통해 유의미한 차이임을 알 수 있으며 결과적 ,

으로 장애인인식교육이 장애특성을 인지하는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

<표 IV-24> 장애인인식교육 받은 경험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구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 P

있음 180 57.3889 6.68809

없음 363 56.5124 6.55801 10.517 .000

합계 545 56.7339 6.77235

자 장애인인식교육 받은 최근기간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

표 는 장애인인식교육을 받은 최근 기간이 장애특성을 인지하


< IV-25>

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된다 유의도 에서 전체 평균 . .821

점으로 보고되는 해당 영역은 장애인인식교육을 얼마나 최근에 받


57.1

- 111 -
았는지가 장애특성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장애인인식교육
자체가 장애특성 인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짐작하게 한다 .


< IV-25> 장애인인식교육 받은 최근기간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구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 P

최근 년 이내
1 109 57.4679 7.61525

년 이내
3 46 56.2826 6.76154

년 이내
5 14 57.2857 7.03211 .306 .821

년전
5 13 57.5385 5.17390

합계 182 57.1593 7.18054

차 장애인편의증진교육 받은 경험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

장애인편의증진교육을 받은 경험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여부에 대한


결과는 표 과 같다 전체 평균은 점으로 집계되었으며 유의
< IV-26> . 56.6 ,

도 로 나타나 결과적으로 장애인편의증진교육경험은 장애특성을 인


.115

지하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


< IV-26> 장애인편의증진교육 받은 경험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구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 P

있음 132 57.4545 6.86663

없음 419 56.4010 6.73643 2.168 .115

합계 552 56.6703 6.78206

카 장애인복지과목 수강여부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

장애특성을 인지하는데 장애인 복지과목 수강여부가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한 결과는 표 과 같이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 IV-27> . .345

- 112 -
의 유의도에서 장애인복지과목 수강여부는 장애특성을 인지하는데 영
향을 미치는 변수가 아님이 보고되었다 .


< IV-27> 장애인복지과목 수강여부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구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 P

있음 138 57.1449 6.17689

없음 413 56.5303 6.97062 1.066 .345

합계 552 56.6703 6.78206

타 장애인자원봉사 경험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

장애인자원봉사 경험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정도는 표 과 같 < IV-28>

이 나타났다 전체 명의 응답자의 전체 평균은 점으로 보고되며


. 552 56.6 ,

통계적 유의성은 로 장애인자원봉사 경험은 장애특성을 인지하는데


.005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장애인과의 직접 .

접촉 경험은 장애인에 대한 특성을 인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음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


< IV-28> 장애인자원봉사경험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구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 P

있음 292 57.5034 6.76330

없음 257 55.6887 6.69978 5.268 .005

합계 552 56.6703 6.78206

파 가족 내 장애인존재여부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

가족 내 장애인 존재여부가 장애특성을 인지하는데 영향을 미치는가


에 관한 질문에 대한 결과는 표 와 같이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 < IV-29> .

- 113 -
명 중 응답자 본인이 장애인이거나 가족 중에 장애인이 존재하거
546 ,

나 혹은 응답자 본인이 장애인이며 가족 중에도 장애인이 존재하는 경


,

우는 명으로 전체의125 로 보고된다 이는 통계적 유의성


22.8% . P =

에 의해 결과적으로 장애특성에 대한 인지 정도는 가족 내 장애인


.838

존재여부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

< 표 IV-29> 가족 내 장애인 존재여부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구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 P

응답자 본인이 장애인 22 56.9091 10.87990

가족 중 장애인존재 94 57.3830 6.95161

응답자 본인이 장애인 가족


중에도 장애인존재
,
9 55.5556 3.04594 .359 .838

해당사항 없음 420 56.5714 6.46726

합계 546 56.7106 6.72450

하 직무관련 장애인 만남 빈도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

직무관련 장애인 만남 빈도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에 대한 결과는


<표 과 같다 전체 응답자 명 중 명은 직무와 관련하여 장
IV-30> . 550 288

애인을 거의 만나지 않으며 명은 가끔 만나고 명은 자주 만나는


, 158 , 99

것으로 보고된다 전체 평균은 점으로 통계적 유의도 에서 결과


. 56.6 .023

적으로 직무와 관련하여 장애인을 만나는 빈도는 장애특성을 인지하는


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아님을 알 수 있다 .

- 114 -
<표 IV-30> 직무관련 장애인 만남 빈도에 따른 장애특성 인지
구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 P

거의 만나지 않음 288 56.1597 6.55469

가끔 만남 158 56.9557 6.28348 3.203 .023

자주 만남 99 58.0101 7.21322

합계 550 56.6727 6.79187

5. 장애인 편의 및 접근성
가 기관에 장애인의 편의를 위하여 제작된 시설▪정보 안내책자에 대한
.

구비 상황
응답자가 종사하는 기관에 장애인의 편의를 위하여 특별히 제작되거
나 구비된 물품이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장애인을 위하여 특별히 제
작된 컴퓨터 텍스트 문서와 장애인을 위하여 특별히 제작된 오디오 카
세트 등의 범주로 나누어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응 . .

답자의 종사기관 중에 장애인을 위하여 특별히 제작된 컴퓨터 텍스트


문서를 보유하고 있는 기관은 로 전체 응답자 명 중 명이
12.3% 520 71

응답하였다 한편 무려 전체의 . 에 해당하는 응답자 명은 종사


81.2% 449

하는 기관에 해당 문서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고하였다 그림 < IV-1>.

장애인을 위하여 특별히 제작된 오디오카세트 또는 , MP3, CD DVD

를 보유하고 있는지에 대한 물음에 전체 명 중 명 은 종사 517 68 (17.8%)

기관에 관련 서비스를 구축하고 있다고 응답한 반면 전체의 에 , 81.2%

해당하는 명은 관련 서비스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고 보고하였다 그


449 <

림 IV-2>.

- 115 -
그림
< IV-1> 장애인을 위하여 특별히 제작된 컴퓨터 텍스트 문서 구비여부

있다, 71명
(12. 3%)
있다
없다, 449명
(81. 2%)

없다

0 100 200 300 400 500

그림
< IV-2> 장애인을 위하여 특별히 제작된 오디오카세트 /MP3/CD 또는
DVD구비여부

있다, 68명
있다 (12.8..8%)
없다,
449(81.2%)

없다

0 100 200 300 400 500

나 장애인의 공공장소 접근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


.

각되는 것
장애인의 공공장소 접근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
각되는 것을 보기를 두어 순위부터 순위까지 응답하도록 하였다 결 1 3 .

과는 표 과 같다
< IV-31> .

- 116 -

< IV-31> 공공장소 접근성 범례
① 시청 도청 구청 동사무소 ② 전시관
/ / / ③ 스포츠센터 운동시설 /

④ 대중교통 ⑤ 교육시설 ⑥ 공원
⑦ 보행자 도로 ⑧ 기타 ( )

응답자들은 장애인의 공공장소 접근성 도모를 위해 개선이 필요한


영역 순위로 대중교통을 꼽았다 전체 응답자 명 중
1 에 해당 . 544 52.1%

하는 명이 대중교통 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보았고 그 다음으로는


285 ‘ ’ ,

보행자도로 명
‘ 시청 도청 구청 동사무소 명
(102 , 의
18.6%)’, ‘ / / / (70 , 12.8%)’

개선이 필요하다고 보고하였다 그림 < IV-3>.

<그림 장애인의 공공장소 접근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개선필요 제 순위


IV-3> 1

300 285(52.1%)

250

200

150 102(18.6%)

100 70(12.8%) 60(11%)

50 18(3.3%) 5(.9%) 2(.4%)


5(.9%)

0 시청/도청/
스포츠센터/
구청/동사무 전시관 대중교통 교육시설 공원 보행자도로 기타
운동시설

계열1 70 5 18 285 60 5 102 2

응답자들은 장애인의 공공장소 접근성 도모를 위해 개선이 필요한


영역 순위로 교육시설 명
2 을 꼽았다 이는 장애를 이유로
‘ (145 , 26.2%)’ .

교육의 차별을 받아서는 안 된다는 인식에 근거한 결과로 여겨진다 그 .

다음으로 보행자도로 명 ‘ 대중교통 명 의 개선 (142 , 25.7%)’, ‘ (139 , 25.1%)’

- 117 -
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그림 < IV-4>.

<그림 장애인의 공공장소 접근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개선필요 제 순위


IV-4> 2

145( 26.2% ) 142( 25.7% )


160
139( 25.1% )
140
120
100
80 53( 9.6% )

60 42( 7.6% )

40 12( 2.2% ) 12( 2.2% )

20
0 시청/ 도청/ 구 스포츠센터/ 운
전시관 대중교통 교육시설 공원 보행자도로
청/ 동사무소 동시설

계열1 53 12 42 139 145 12 142

장애인의 공공장소 접근성을 위해 개선되어야 할 영역의 순위로 꼽 3

힌 것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것은 교육시설 로 전체의 가 ‘ ’ 25.5%

응답하였다 또한 보행자도로 명 . 시청 도청 구청 동사무


‘ (112 , 20.3%)’, ‘ / / /

소 명 (98 ,대중교통 명
17.7%)’, 스포츠센터 운동시설 명‘ (74 , 13.4%)’, ‘ / (61 ,

순으로 개선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그림


11%)’ < IV-5>.

- 118 -
< 그림 IV-5> 장애인의 공공장소 접근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개선필요 제 순위 3

160 141( 25.5% )

140 112( 20.3% )

120 98( 17.7% )

100 74( 13.4% )

80 61( 11% )

60 38( 6.9% )

40 18( 3.3% )

20 2( .4% )

0 시청/ 도청/ 구 스포츠센터/


전시관 대중교통 교육시설 공원 보행자도로 기타
청/ 동사무소 운동시설

계열1 98 18 61 74 141 38 112 2

다 장애인의 공공건물 접근성을 위하여 개선이 필요한 것


.

장애인의 공공건물 접근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


각되는 것을 범례를 제시하고 순위부터 순위까지 응답하도록 하였다 1 3 .

결과는 다음과 같다 .

<표 공공건물 접근성 범례


IV-32>

① 장애인주차장 ② 출입구개선 ③ 엘리베이터설치 위치표시 /

④ 화장실 ⑤ 자판기 높이조절 ⑥ 정수기위치조정


⑦ 공중전화기 위치조정 ⑧ 장애인 특성을 고려한 안내책자
⑨기타 ( )

장애인의 공공건물 기관 접근성을 위해 개선되어야 할 순위로는 ( ) 1

출입구 개선 명
‘ 이 꼽혔다 화장실 명(283 장애인 주, 51.2%)’ . ‘ (84 , 15.2%), ’

차장 명 이 그 뒤를 이어 개선되어야 할 부분으로 그림
(75 , 13.6%)‘ <

과 같이 조사되었다
IV-6> .

- 119 -
그림
< IV-6> 장애인의 공공건물 접근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개선필요 순위 1

300 283( 51.2% )

250
200

150 75( 13.6% )

100 51( 9.2% ) 84( 15.2% ) 31( 5.6% )

50 14( 2.5% ) 2( .4% ) 2( .4% ) 5( .9% )

0 장애인특성을
엘리베이터설 자판기 높이 정수기위치조 공중전화기
장애인주차장 출입구개선 화장실 고려한 안내 기타
치/ 위치표시 조절 절 위치조정
책자

계열1 75 283 51 84 14 2 2 31 5

장애인의 공공건물 기관 접근성을 위해 개선되어야 할 순위로 가장 ( ) 2

높은 비율을 보인 것은 출입구 개선 명 이었다 또한 엘리 ‘ (140 , 35.3%)’ . ‘

베이터 설치 위치 표시 명 / 화장실 명 장애인 (127 , 23%)’, ‘ (121 , 21.9%)’, ‘

주차장 명(70 이 그 다음으로 개선되어야 할 부분으로 꼽혔다


, 12.7%)’

<그림 IV-7> .

<그림 장애인의 공공건물 접근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개선필요 순위


IV-7> 2

140( 25.3% ) 127( 23% )


140 121( 21.9% )

120
100
70( 12.7% )
80
48( 8.7% )
60
14( 2.5% ) 11( 2% ) 10( 1.8% )
40
20
0 엘리베이터설치/ 공중전화기 위치 장애인특성을 고
장애인주차장 출입구개선 화장실 자판기 높이조절 정수기위치조절
위치표시 조정 려한 안내책자

계열1 70 140 127 121 14 11 10 48

- 120 -
장애인의 공공건물 기관 접근성을 도모하기 위해 개선이 필요한 영 ( )

역 순위로 응답된 항목은 화장실 이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다


3 ‘ ’ .

음으로 개선이 필요한 영역으로는 엘리베이터 설치 위치표시 가 ‘ / ’ 21%

로 그 뒤를 이었으며 장애인 특성을 고려한 안내책자 가 장애 , ‘ ’ 16.3%, ‘

인 주차장 이 로 나타나 장애인의 공공건물 기관 접근성을 도모


’ 15.6% ( )

하기 위해 개선이 필요한 영역으로 지적되었다 그림 < IV-8> .

<그림 장애인의 공공건물 접근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개선이 필요 순위


IV-8> 3

140 116( 21% ) 140( 25.3% )

120
86( 15.6% ) 90( 16.3% )
100
80 55( 9.9% )

60
21( 3.8% ) 10( 1.8% )
40 16( 2.9% )

3( .5% )
20
0 엘리베이터설치/ 공중전화기 위치 장애인특성을 고
장애인주차장 출입구개선 화장실 자판기 높이조절 정수기위치조절 기타
위치표시 조정 려한 안내책자

계열1 86 55 116 140 21 10 16 90 3

6. 공무원 장애교육 방법 및 참여의사


가 장애인 인식증진교육의 바람직한 실시회수
.

공무원 장애교육방법 및 참여의사 영역에서 귀하는 장애인 인식증 ‘

진 교육이 얼마나 자주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십니까 라 ?’

는 문항을 통해 장애인 인식증진교육의 바람직한 실시회수에 대해 조


사하였다 그 결과 전체 명 중 에 해당하는 명이 응답한
. , 448 58% 321 ‘1

년에 한번 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은 비율로 조사되었다 다음으로는


’ . ‘6

개월에 한번 이 년에 한 번이 로 나타났으며 필요 없다 라
’ 22%, 2 16.4% , ‘ ’

고 응답한 응답자도 명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14 < IV-9>.

- 121 -
< 그림 IV-9> 장애인인식증진교육의 바람직한 실시회수
350
321( 58% )
300
250
200
122( 22% )
150
91( 16. 4% )
100
14( 2. 5% )
50
0
필요없다 2년에 한번 1년에 한번 6개월에 한번
계열1 14 91 321 122

나 장애인인식증진교육 형식의 효과적인 방안


.

공무원 장애교육 방법 및 참여의사 영역에서 귀하는 어떤 형식의 ‘

장애인인식증진교육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라는 질문을 통해 ?’

장애인인식증진교육 형식의 효과적인 방안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사 .

결과 응답자들은 장애체험을 겸한 강의 또는 워크샵 명


, ‘ 을 (339 , 61.3%)’

가장 효과적인 방안이라고 응답하였으며 시청각 교육 명 , ‘ (124 , 22.4%)’,

강의 명
' 컨퍼런스 명
(40 , 가 그 뒤를 이었다 이를 통해
7.2%)‘, ’ (34 , 6.1%)‘ .

향후 계획될 장애인인식증진교육은 수강자들이 장애를 경험할 수 있도


록 실제 체험을 부여하는 강의의 형태로 구성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그림 IV-10>.

- 122 -
<그림 IV-10> 장애인인식증진교육 형식의 효과적인 방안
339( 61.3% )
350
300
250
200
124( 22.4% )
150
100
40( 7.2% ) 34( 6.1% ) 10( 1.8% )
50
0 장애체험을 겸한
강의 컨퍼런스 시청각교육 기타
강의 혹은 웍샵
계열1 40 34 124 339 10

다 장애인인식증진교육 방법
.

공무원 장애교육방법 및 참여의사 영역에서 귀하는 어떤 교육방법 ‘

의 장애인인식증진교육을 선호하십니까 라는 문항을 통해 선호하는 장 ?’

애인인식증진교육 방법에 대해 그림 와 같이 조사하였다 전체 < IV-11> .

명의 응답자 중
543 에 해당하는 명이 장애인 관련기관 장애
56.1% 310 ‘

체험 프로그램 을 가장 많이 선호하였고 뒤를 이어 외부 전문 강사
’ , ‘

초청교육 이 의 비율로 공무원 연수 프로그램 이


’ 27.7% 의 비율로 , ‘ ’ 12.8%

집계되었다 이를 통해 장애인식증진교육은 강사가 일방적으로 전달하


.

는 수동적인 형태가 아닌 수강자들이 주체가 되어 직접 장애를 경험하


고 체험할 수 있는 방안으로 마련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

- 123 -
<그림 IV-11> 장애인 인식증진교육 방법

350
310( 56.1% )
300
250
200
153( 27.7%
150
71( 12.8% )
100
9( 1.6% )
50
0 장애인 관련기관 장애체험
공무원 연수프로그램 외부전문강사 초청교육 기타
프로그램

계열1 71 153 310 9

라 장애인인식증진교육을 위해 보편적으로 강조되어야 하는 분야


.

제 순위 제안
1) 1

장애인인식증진교육을 위해 보편적으로 강조되어야 하는 분야 순위 1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것은 장애인에 대한 태도 및 에티켓 ‘ (198

명 , 으로 나타났다 또한 뒤를 이어 장애유형별 특성 이해 명
37%)’ . ‘ (158 ,

장애인 접근성에 대한 이해 명
29%)’, ‘ 장애인 관련법과 제 (155 , 28%)’, ‘

도 명 가 장애인인식증진교육을 위해 보편적으로 강조되어야 하


(33 , 6%)’

는 분야로 응답되었다 그림 < IV-12>.

- 124 -
<그림 IV-12> 제 순위 제안
1

장애유형별 특성
장애인 접근성에 이해, 158명
대한 이해, ( 29% )
155명( 28% )

장애인 관련법과 장애인에 대한


제도, 33명( 6% ) 태도 및 에티켓,
198명( 37% )

2) 제 순위 제안
2

장애인인식증진교육을 위해 보편적으로 강조되어야 하는 분야 순위 2

에서 가장 높은 비율의 응답을 나타낸 것은 장애인에 대한 태도 및 ‘

에티켓 명 으로 나타났다 또한 뒤를 이어 전체의 에 해당


(197 , 37%)’ . 27%

하는 응답자가 장애인 접근성에 대한 이해 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 ’ ,

다음으로 장애유형별 특성 이해 명
‘ 장애인 관련법과 제도(137 , 25%)’, ‘


(62 가 필요하다고 조사되었다 그림
, 11%)’ < IV-13> .

- 125 -
그림
< IV-13> 제 순위 제안
2

장애인에 대한 장애인 관련법과


태도 및 에티켓 제도 62명( 11% )
197명( 37% )

장애인 접근성에
장애유형별 대한 이해
특성 이해 145명( 27% )
137명( 25% )

3) 제 순위 제안
3

장애인인식증진교육을 위해 보편적으로 강조되어야 하는 분야 순위 3

에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인 것은 장애유형별 특성 이해 로 집계되 ‘ ’

었다 비슷한 비율로 장애인 접근성에 대한 이해 또한 필요한 것으로


. ‘ ’

나타났으며 장애인 관련법과 제도 명


, ‘ 장애인에 대한 태도 (113 , 21%)’, ‘

및 에티켓 명 이 장애인인식증진교육을 위해 보편적으로 강조


(90 , 17%)’

되어야 한다고 조사되었다 그림 < IV-14>.

- 126 -
그림
< IV-14> 제 순위 제안
3

장애인 접근성에
대한 이해 장애유형별 특성
166명( 31% ) 이해, 168명
( 31% )

장애인에 대한
장애인 관련법과
태도 및 에티켓,
제도 113명
90명( 17% )
( 21% )

마 장애인 복지 대 우선이행과제 중 장애인인식증진교육의 내용 포


. 10

함 제안사항
공무원 장애교육방법 및 참여의사 영역에서 귀하는 장애인복지 ‘ 10

대 우선이행과제 중 장애인인식증진교육의 내용으로 포함되면 좋겠다


고 생각하는 분야를 순위로 표시하여 주십시오 라는 문항을 통해
1,2,3 .’

장애인인식증진교육에 포함될 내용에 대한 제안사항을 조사하였다 그 .

결과는 표 과 같다< IV-33> .

< 표IV-33> 장애인 복지 대 우선 이행과제 범례


10

① 의료보장 및 장애예방체계 ② 노동권보장 또는 일자리 창출


③ 기초장애연금법 제정 및 소득보장 ④ 지적장애인에 대한 특별법 제정
⑤ 장애여성의 권리보장 ⑥ 물리적 장벽 해소 및 저상버스 확대
⑦ 특수교육교사 보조원 및 활동보조서비스 확대 ⑧ 장애인 주거권 도입
⑨ 복지시설인권침해 방지 및 지역사회 우선거주 보장
⑩ 주민문화체육편의시설 설치 시 장애인 프로그램 도입

- 127 -
1) 1 순위 제안
장애인 복지 대 우선이행과제 중 장애인인식증진교육의 내용 포함 10

제안사항 순위로 꼽힌 것은 의료보장 및 장애예방체계 로 전체 응답


1 ‘ ’

률중 를 차지하였다 뒤를 이어 노동권보장 또는 일자리 창출


29.8% . ‘


(125 물리적 장벽해소 및 저상버스 확대 명
, 22.6%)’, 기초 ‘ (52 , 9.4%)’, ‘

장애연금법 제정 및 소득보장 명 이 장애인인식증진교육의 내 (47 , 8.5%)’

용에 포함될 내용으로 제안되었다 그림 < IV-15>.

<그림 장애인 복지 대 우선 이행과제 제 순위 제안


IV-15> 10 1

165(29.8%)
180

160

125(22.6%)
140

120

100

52(9.4%)
80
47(8.5%) 40(7.2%) 34(6.1%) 28(5.1%)
60

11(.2%) 23(4.2%) 16(2.9%)


40

20

0
특수교육교사 보조 복지시설인권침해방 주민문화체육편의시
의료보장 및 장애예 노동권보장 또는 일 기초장애연금법 제 지적 장애인에 대한 장애여성의 권리보 물리적 장벽 해소 및
원 및 활동보조서비 장애인 주거권 도입 지 및 지역사회 우선 설 설치시 장애인 프
방체계 자리 창출 정 및 소득보장 특별법 제정 장 저상버스 확대
스 확대 거주보장 로그램 도입

계열1 165 125 47 11 23 52 40 16 34 28

2) 2 순위 제안
장애인 복지 대 우선이행과제 중 장애인인식증진교육의 내용 포함 10

제안사항 순위에 대한 응답결과는 다음과 같다 해당 영역에서 가장


2 .

높은 비율을 보인 것은 노동권보장 또는 일자리 창출 로 전체 응답자 ‘ ’

명 중 명이 응답하였으며 다음으로는 의료보장 및 장애예방체


531 139 , ‘

계 명 (77 물리적 장벽 해소 및 저상버스 확대 명


, 14%)’, 가제 ‘ (61 , 11%)’

안되었다 그림 < IV-16>.

- 128 -
그림
< IV-16> 장애인 복지 대 우선 이행과제 제 순위 제안
10 2

장애여성의 권리보장 물리적 장벽 해소 및


32명(6%) 저상버스 확대,61명(11%)
특수교육교사 보조원
및 활동보조서비스 확대,
지적 장애인에 대한 특별법
51명(9%)
제정 15명(3%)

장애인 주거권 도입
기초장애연금법 제정 및 21명(4%)
소득보장, 56명(10%)
복지시설인권침해방지 및
지역사회 우선거주보장,
43명(8%)

노동권보장 또는 주민문화체육편의시설 설
일자리 창출, 139명(27%) 치시 장애인 프로그램
도입, 44명(8%)

의료보장 및 장애예방체계,
77명(14%)

3) 3 순위 제안
장애인 복지 대 우선이행과제 중 장애인인식증진교육의 내용 포함
10

제안사항 순위에 대한 응답 중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인 것은 기초장


3 ‘

애연금법 제정 및 소득보장 으로 나타났다 뒤를 이어 의료보장 및 장


’ . ‘

애예방체계 명 노동권 보장 또는 일자리 창출 명 주민문화체


(81 )’, ‘ (79 )’, ‘

육편의시설 설치 시 장애인 프로그램 도입 명 이 장애인인식증진교 (77 )’

육의 내용에 포함되었으면 하는 내용으로 제안되었다 그림 < IV-17>.

- 129 -
그림
< IV-17> 장애인 복지 대 우선 이행과제 제 순위 제안
10 3

주민문화체육편의시설 설치시 장애인 프로그램 도입 77


복지시설인권침해방지 및 지역사회 우선거주보장 60

장애인 주거권 도입 26

특수교육교사 보조원 및 활동보조서비스 확대 40

물리적 장벽 해소 및 저상버스 확대 49

장애여성의 권리보장 23

지적 장애인에 대한 특별법 제정 16 88
기초장애연금법 제정 및 소득보장

노동권보장 또는 일자리 창출 79

의료보장 및 장애예방체계 81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바 장애인인식교육 참여의사
.

향후 장애인식개선교육이 실시될 경우 참여의사에 대한 문항에 전체


응답자 명 중 에 해당하는 명의 응답자가 장애인식개선교
541 80.3% 444

육에 참여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그림 과 같이 나타났다 반편 < IV-18> . ,

참여 의사가 없는 응답자는 명 모르겠다고 응답한 응답자도 명으 17 , 80

로 조사되었다 이를 통해 본 조사의 응답자인 공무원들의 상당수가 향


.

후 장애인식개선교육에 참여할 의사가 있음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

- 130 -
<그림 IV-18> 장애인인식교육 참여의사
450
400
350
300
있다
250
없다
200 80명( 14. 5% )
모르겠다
150 모르겠다
100 없다 17명( 3. 1% )
50
0 있다 444명( 80. 3% )
1

7. 인구통계학적 장애근무▪교육관련 변수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


,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인식 차이
인구통계학적 장애근무․교육관련 변수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
,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량 분산


분석 을 실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측정된 『장애인
(One-way ANOVA) .

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인식은 년 월에 제정 시 2008 4 ,

행된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의 각 조항을 설


문의 목적에 맞게 연구자가 구성한 문항을 통해 측정하였다 .

해당 법에서 규정하는 장애인차별금지 영역은 총 가지 범주로 구성 6

되며 여기에는 고용 교육 재화와 용역의 이용 사법․행정 절차 등 , , , ,

모․부성권 등 가족․가정․복지시설 및 건강권이 포함된다 이와 같


, .

은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인식에 있어서의 분


산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가 성별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 차이
.

인구통계학적 변수인 성별에 따른『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


에 관한 법률』인식 차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의 표 와 같다 총 < IV-34> .

- 131 -
명 응답자의 장차법 인식정도는 평균 점으로 나타났으며 통계
550 54.1 ,

적 유의도 에서 해당변수는『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


.464

한 법률』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아닌 것으로 조사되


었다 .

< 표 IV-34> 성별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 차이


구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 P

남 305 54.5180 7.95509

여 243 53.6790 8.73034 .770 .464

무응답 2 56.5000 7.77817

합계 550 54.1545 8.30321

나 나이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 차이
.

나이에 따른『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인식 차


이 정도결과는 다음의 표 와 같다 전체 명 응답자의 평균은 < IV-35> . 551

점이었으며 점수가 가장 높은 연령대는 대 평균 점 로 나타


54.1 , 40 ( 54.7 )

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통계적 유의도 에 의해 나이는 『장애인차


. .532

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된다 .

<표 IV-35> 나이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 차이


구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 P


20 58 54.5690 7.69623


30 218 53.6881 8.06277


40 211 54.7014 8.78478 .734 .532

50 대 이상 64 53.4531 8.02759

합계 551 54.1416 8.30125

- 132 -
다 직급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 차이
.

표 < 은 직급에 따른『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IV-36>

법률』인식 차이 정도를 보여준다 유의도 하에서 해당 변수는 종 . .432

속변수를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수가 될 수 없음을 알 수 있으며 따라 ,

서 직급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인식


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


< IV-36> 직급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 차이
구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 P

8 급 이하 163 53.7791 8.75526

7 급 164 53.7683 8.27636

6 급 139 54.0288 8.13736

5 급 71 55.8873 6.98682 .976 .432

4 급 7 56.5714 7.32250

3 급 이상 1 49.0000 .

합계 545 54.1413 8.22368

라 근무지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 차이
.

표 < 에 따르면 근무지에 따른『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IV-37>

등에 관한 법률』인식 차이가 존재한다 전체 응답자 명 중 장애인 . 550

차별금지법을 가장 잘 인식하고 있는 중앙부처 공무원들은 평균 점 55.2

정도로 장애인차별금지법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편 ,

특별시구동에 근무하는 공무원들은 장애인차별금지법에 대한 인식 정


도가 평균 점으로 나타나 근무지에 따른 큰 폭의 편차를 보였다
42.0 .

이와 같은 결과는 통계적 유의도 하에서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 .003

지는 것으로 인정되며 따라서 근무지는『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

등에 관한 법률』인식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 133 -
<표 IV-37> 근무지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 차이
구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 P

중앙부처 254 55.2835 7.37788

특별시구동 5 42.0000 23.52658

광역시구동 83 53.2771 6.57103

도청 158 53.3671 9.72380 3.707 .003

시군구 46 53.4348 6.77135

읍면동 4 54.0000 8.20569

Total 550 54.1455 8.30699

마 근무기간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 차이
.

근무기간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결과는 표 와 같다 전체 응답자는 < IV-38> .

명으로 전체 평균은 점으로 집계되었다 허나 이러한 결과는 유


550 54.1 .

의도 하에서 근무기간은 공무원들의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 차이


.995

를 설명하는데 유의미한 변수가 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표 IV-38> 근무기간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 차이


구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 P

년 이하
5 116 54.3448 7.84536

년 5-10 74 54.0946 10.47916


10-15 97 53.9691 7.50618 .054 .995


15-20 133 53.9850 7.79276

20 년 이상 130 54.3154 8.50903

Total 550 54.1509 8.30591

- 134 -
바 학력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 차이
.

표 < 에 따르면 유의도 하에서 학력은『장애인차별금지 및


IV-39> .001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인식 차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 명의 전체 평균은 점이며 그 중 박사
. 549 54.1 ,

과정 재학 졸업인 경우의 평균이 점 대학원 재학 졸업 석사 인 경


/ 60.1 , / ( )

우의 평균이 점인 반면 고졸인 경우의 평균이 점으로 보고되고


55.9 52.0

있어 전체 설명력을 뒷받침하고 있다 .

<표 IV-39> 학력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 차이


구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 P

고졸 52 52.0962 9.14858

대학교재학 대졸 / 384 53.7656 7.86553

대학원재학 졸업 석사 / ( ) 99 55.9495 9.07494 5.437 .001

박사과정재학 졸업 / 14 60.1429 7.31550

합계 549 54.1639 8.30852

사 장애관련근무 경험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 차이


.

장애관련근무 경험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인식 차이 결과는 표 과 같다 전체 응답자 명 중 장 < IV-40> . 547

애관련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명 장애관련근무경험이 없는 응답자가 131 ,

명으로 집계되었으며 평균 점 정도로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


415 54.1

구제 등에 관한 법률』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통계적 유의도 에서 장애관련근무경험은 .707

종속변수 즉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차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 ,

변수가 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

- 135 -
<표 IV-40> 장애관련근무 경험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 차이
구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 P

있음 131 54.5038 9.71547

없음 415 54.0386 7.81943 .348 .707

합계 547 54.1408 8.30201

아 장애인인식교육 경험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 차이


.

장애인인식교육 경험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


한 법률』인식 차이 결과는 표 과 같다 전체 응답자 명의
< IV-41> . 545

전체 평균은 점으로 장애인인식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는 평균


54.1 , 55.2

점 경험이 없는 경우는 평균 점으로 집계되었으며 이는 유의도


, 53.7 ,

내에서 유의미한 설명력을 갖는다


.000 .

즉 장애인인식교육 경험은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

법률』인식 차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며 이를 통해 『장 ,

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을 인식하는 데 있어 장애


인 인식교육경험이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

<표 IV-41> 장애인인식교육 경험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 차이


구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 P

있음 180 55.2167 8.88805

없음 363 53.7769 7.52178 16.665 .000

Total 545 54.1486 8.33787

- 136 -
자 장애인인식 최근교육 경험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 차이
.

최근 장애인인식 교육 경험 정도는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인식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한 결과는 표 와 < IV-42>

같다 장애인인식교육을 받은 적 있다고 응답한 명의 응답자 중에서


. 182

시기별로 나누어『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인식


간에 차이가 존재하는지 분석한 결과 통계적 유의도 하에서 해당 .012

독립변수는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

즉 장애인인식 최근교육 경험 정도는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

등에 관한 법률』 인식 차이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볼 수 있다 .

< 표 IV-42> 장애인인식 최근교육 경험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 차이


구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 P

최근 년 이내 1 109 56.3670 8.77777

년 이내
3 46 52.8478 12.09769

년 이내
5 14 48.5714 5.80072 3.773 .012

년전 5 13 56.6154 8.21116

합계 182 54.8956 9.74283

차 장애인편의증진교육 경험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 차이


.

장애인편의증진교육 경험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


에 관한 법률』 인식 차이를 알아보았다 전체 응답자 명의 장차법 . 552

인식정도 평균은 점으로 조사되었으나 결과적으로 통계적 유의도


54.1

하에서 장애인편의증진교육경험은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026

등에 관한 법률』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표 IV-43>.

- 137 -

< IV-43> 장애인편의증진교육 경험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 차이
구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 P

있음 132 55.8106 8.98441

없음 419 53.6181 8.01268 3.666 .026

Total 552 54.1359 8.29480

카 장애인복지과목 수강 경험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 차이


.

장애인복지과목 수강 경험이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


한 법률』인식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결과분석은 다음과 같다 전 .

체 응답자 명의 장차법 인식정도는 평균 점으로 나타났으나 이


552 54.1 ,

와 같은 결과는 통계적 유의도 하에서 유의미한 설명력을 갖지 못 .160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인복지과목 수강 경험은『장애인차별금


. ,

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할


수 있다 표 < IV-44>.


< IV-44> 장애인복지과목 수강 경험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
차이
구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 P

있음 138 55.1377 8.81372

없음 413 53.7821 8.09776 1.837 .160

Total 552 54.1359 8.29480

- 138 -
타 장애인 자원봉사 경험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 차이
.

장애인 자원봉사 경험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인식 차이는 어떠한가에 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 .

체 응답자 중 명은 장애인 자원봉사활동 경험이 있으며 명은 장


292 , 257

애인 자원봉사활동 경험이 없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그러나 그들 간에 .

는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인식 차이 정도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 유의도 가 뒷받침 , .095

한다 결과적으로 장애인 자원봉사활동은『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


.

제 등에 관한 법률』인식 차이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볼 수 있다



< IV-45>.

< 표 IV-45> 장애인 자원봉사 경험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 차이


구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 P

있음 292 54.8390 8.39068

없음 257 53.3735 8.17249 2.361 .095

합계 552 54.1359 8.29480

파 가족 중 장애인 존재여부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 차이


.

가족 중에 장애인 존재여부에 따른『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


에 관한 법률』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에 관한 결과는 표 과 < IV-46>

같다 .

전체 응답자 명의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 정도 평균은 점으로


546 54.1

집계되었으나 이와 같은 결과는 유의도 하에서 유의미한 설명력을 .772

갖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인이 장애인이거나 가족 중에 장


. ,

애인이 존재한다 할지라도『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


률』인식에 대해서는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

- 139 -
<표 IV-46> 가족 중 장애인 존재여부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 차이
구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 P

응답자 본인이 장애인 22 54.1364 14.22036

가족 중 장애인존재 94 55.1489 8.43056

응답자 본인이 장애인 가족 ,

중에도 장애인 존재 9 54.5556 8.38318 .451 .772

해당사항 없음 420 53.9310 7.81330

합계 546 54.1648 8.25301

하 직무관련 장애인 만남정도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차이


.

직무와 관련하여 장애인을 만나는 빈도에 따라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인식에 차이가 존재하는가를 알아보는 조사
결과는 표 과 같다 전체 응답자 명 중
< IV-47> 에 해당하는. 550 52.3%

명의 응답자는 직무와 관련하여 장애인을 거의 만나지 않는 것으로


288

나타났으며 평균적으로 점 정도의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정도를


, 53.7

보였다 또한 .에 해당하는 명의 응답자는 업무와 관련하여 가


28.7% 158

끔 장애인을 만나는데 평균적으로 점 정도의 장애인차별금지법 인 53.8

식정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업무와 관련하여 장애인과 자주 . ,

접촉하는 명 의 응답자는 평균 점의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


99 (18%) 56.5

정도를 보였다 이는 통계적 유의도 에 의해 더욱 강한 설명력을


. .000

갖는다고 볼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직무와 관련하여 장애인과 얼마나


접촉하는가는『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할 수 있다 .

- 140 -
<표 IV-47> 직무관련 장애인 만남정도에 따른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식 차이
구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F P

거의 만나지 않음 288 53.7569 7.44995

가끔 만남 158 53.8101 7.81649 6.354 .000

자주 만남 99 56.5253 9.21992

합계 550 54.1709 8.26518

8. 인구통계학적 요소 장애인직무관련 경험특성 장애인식교육경, ,

험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장애특성 인지 장애인차


, , ,

별금지법 인지 간 상관관계
본 연구의 설문문항을 구성하는 인구통계학적 요소 장애인직무관 ' ', '

련경험특성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장애특성 인지 장


', ' ', ' ', '

애인차별금지법 인지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각 변수들 간의


'

상관관계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과 같다 , < IV-48> .

인구통계학적 변수인 성별과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

응답자의 성별은 연령 및 직급 과는 중간
(r=-.351, p<.01) (r=-.327, p<.01)

정도의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과 근무지 .

(r=.120,는 약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근무기간


p<.01) , (r=-.220,

과는 약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1) .

인구통계학적 변수인 연령과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

응답자는 연령이 높을수록 직급이 높고 근무기간이 길 (r=.514, p<.01),

며 최종학력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r=.789, p<.01), (r=.112, p<.01).

한편 연령과 장애인인식교육을 받은 경험
, 및 편의증진 (r=-.143, p<.01)

교육을 받은 경험 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


(r=-.146, p<.01)

타났다 또한 연령이 높을수록 직무와 관련하여 장애인을 만나는 횟수


.

도 많으며 장애유형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정도


(r=.156, p<.01), (r=.221,

또한 높았다 한편 연령과 장애특성 인지


p<.01) . 는 약한 , (r=-.098, p<.01)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 141 -
인구통계학적 변수인 직급과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

직급과 근무지 는 약한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직급이 높


(r=-.154, p<.01) ,

을수록 근무기간은 길고 최종학력 또한 높은 것으로 나


(r=.413, p<.01),

타났다 한편 직급과 장애인인식교육을 받은 경험


(r=.390, p<.01).

(r=-.185,은 약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여 직급이 높다고 장애인


p<.01)

인식교육을 받은 경험이 많은 것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직급과 .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는 약한 정적상관관계 (r=.187, p<.01)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직급이 높을수록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에 대한 인지 정도가 다소 높다고 볼 수 있다 .

인구통계학적 변수인 근무지와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


과 근무지는 장애관련 근무경험
, 장애인인식교육을 받 (r=-.229, p<.01),

은 경험 장애인편의증진교육경험
(r=-.102, p<.01), 장애 (r=-.097, p<.01),

인복지과목 수강경험 장애인자원봉사 경험


(r=-.098, p<.01), (r=-.140,

및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인지


p<.01)

(r=-.101,와 각각 약한 부적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


p<.01)

났다 한편 근무지와 직무 관련 장애인과의 만남
. 장애유 (r=.268, p<.01),

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는 약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r=.244, p<.01)

는 것으로 나타나 근무지에 따라 직무와 관련하여 장애인을 더 많이


만나게 되며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정도가 다소 높음을
,

알 수 있다 .

인구통계학적 변수인 근무기간과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근무기간과 장애인인식교육을 받은 경험
, 장애인 (r=-.113, p<.01),

편의증진 교육경험 은 약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


(r=-.104, p<.01)

로 나타났다 한편 근무기간에 따라 최근 인식교육을 받은 경험


. (r=.189,

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근무기간이 길수록 직무와 관련하


p<.01) ,

여 장애인을 만나는 횟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r=.126, p<.01).

근무기간과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는 약한 (r=.162, p<.01)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근무기간이 길수록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에 대한 인지 정도가 다소 높은 것으로 분석할 수 있
다 .

인구통계학적 변수인 최종학력과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최종학력은 장애인 인식교육을 받은 경험
, 장애인 (r=-.120, p<.01),

- 142 -
편의증진교육경험 장애인복지과목 수강경험
(r=-.091, p<.01), (r=-.164,

및 장애인 자원봉사경험
p<.01) 과 약한 부적 상관관계를 (r=-.098, p<.01)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최종학력과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


.

외상황 인지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r=.202, p<.01),

법률』인지 정도는 약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r=.166, p<.01)

나타나 학력이 높을수록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정도가 높


으며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인지 정도 또한
,

높은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

장애관련근무경험과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장애관련 ,

근무경험은 장애인인식교육을 받은 경험 장애인편의증 (r=.224, p<.01),

진 교육경험 장애인복지과목 수강경험


(r=.129, p<.01), 장 (r=.136, p<.01),

애인 자원봉사경험 장애인가족 존재 여부
(r=.119, p<.01), (r=.089, p<.01)

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관련 근무경험이 . ,

많을수록 장애인과 관련한 교육을 많이 받았으며 장애인을 직접적으 ,

로 경험한 횟수도 더 많은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그러나 장애관련 근 .

무경험이 꼭 직무와 관련하여 장애인을 만나는 것과 유관한 것은 아니


며 오히려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r=-.335, p<.01).

장애관련 근무경험이 있다고 해서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정도가 높은 것은 아님이 드러났다 (r=-.306, p<.01).

장애인인식교육을 받은 경험과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


과 장애인인식교육을 받은 경험은 장애인편의증진교육 경험
, (r=.255,

과 장애인복지과목 수강경험
p<.01) 장애인 자원봉사활동 (r=.180, p<.01),

(r=188, 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인


p<.01) . ,

인식교육을 받은 경험이 많을수록 장애인과 관련한 기타 교육의 빈도 ,

도 더 높으며 직접 접촉의 빈도 또한 높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장애인


, .

인식교육을 받은 경험과 직무관련 장애인 만남 장애유 (r=-.282, p<.01),

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장애특성 인지 (r=-.355, p<.01), (r=-.088,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인지


p<.01), (r=-.115,

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애인인식교


p<.01) .

육을 받은 경험이 많아도 직무와 관련하여 장애인을 만나는 횟수는 적


으며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정도와 장애특성 인지 정도는
,

낮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장애인인식교육을 받은 .

- 143 -
경험으로『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을 인지하는
것은 큰 관계가 없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는 『장애인차별금지 .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이 올해 년 시행되는 법률이기 때문 (2008 )

에 관련법에 대한 인지 정도가 낮은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

장애인편의증진 교육경험과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

장애인편의증진 교육경험은 장애인자원봉사 경험 과 정적 (r=.252, p<.01)

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인편의증진 교육경험 빈 . ,

도가 높을수록 장애인자원봉사 경험 또한 많은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

한편 장애인편의증진교육 경험은 장애인 가족 존재여부


, (r=-.097,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p<.01), 정도는 약한 (r=-.185, p<.01)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애인편의증진교육 경 .

험 빈도가 높다고 해도 장애의 유형을 이해하고 장애인의 소외상황을 ,

인지하는 정도는 낮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장애인복지과목 수강 경험과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

장애인복지과목 수강 경험은 장애인자원봉사경험 과 약한 (r=.123, p<.01)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장애인복지과목 수강 경 . ,

험과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정도는 부적 (r=-.257, p<.01)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장애인복지과목 수강 경험 ,

빈도가 높다 하더라도 장애유형을 이해하고 장애인의 소외상황을 인지


하는 정도는 낮은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

장애인자원봉사 경험과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장애 ,

인 자원봉사 경험은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r=-.210, p<.01),

장애특성 인지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


(r=-.113, p<.01),

한 법률』인지 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r=-.092, p<.01)

다 즉 장애인 자원봉사 경험을 많이 했다고 하더라도 장애유형을 이


. ,

해하고 장애인의 소외상황을 잘 인지하는 것은 아니며 장애특성 인지 ,

정도 또한 높지는 않고 자원봉사 경험이 많다고 해도『장애인차별금


,

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에 관한 내용을 잘 알지는 못한다고


분석할 수 있다 .

장애인 가족 존재여부와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장애 ,

인 가족의 존재여부는 직무 관련 장애인 만남 과 장애유 (r=-.192, p<.01)

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정도와 부적 상관관계가


(r=-.134, p<.01)

- 144 -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족 중에 장애인이 있다고 하더라도 장애 .

의 유형을 이해하는 정도 및 장애인의 소외상황을 인지 정도가 높지는


않은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

직무관련 장애인 만남과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직무 ,

관련 장애인 만남과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는 중간 정도의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무와 관 (r=.408, p<.01).

련하여 장애인을 만나는 공무원일수록 장애유형에 대한 이해 정도도


높으며 장애인의 소외상황을 잘 인지하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 .

장애특성 인지와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장애특성 인 ,

지와『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인지는 중간정도


의 정적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 (r=.360, p<.01). ,

특성 인지 정도가 높을수록『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인지 정도 또한 높은 것으로 파악된다 .

<표 IV-48> 인구통계학적 요소 장애인직무관련경험특성 장애유형별 이해 및 , ,

소외상황 인지 장애특성 인지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지 간 상관관계 ,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 1
-.351(**) 1
2
-.327(**) .514(**) 1
3
.120(**) .030 -.154(**) 1
4
-.220(**) .789(**) .413(**) .052 1
5
-.031 .112(**) .390(**) -.010 .024 1
6
-.051 -.078 -.040 -.229(**) -.053 -.058 1
7
.044 -.143(**) -.185(**) -.102(*) -.113(**) -.120(**) .224(**) 1
8
.022 .122 -.016 -.004 .189(*) .063 .030 .044 1
9
.083 -.146(**) -.035 -.097(*) -.104(*) -.091(*) .129(**) .255(**) .143 1
10
-.045 -.005 -.019 -.098(*) -.011 -.164(**) .136(**) .180(**) .051 .059 1
11
-.081 .008 -.010 -.140(**) -.028 -.098(*) .119(**) .188(**) -.042 .252(**) .123(**) 1
12
.040 -.052 .006 -.033 -.047 .036 .089(*) .079 -.091 -.097(*) -.066 .029 1
13
-.027 .156(**) .034 .268(**) .126(**) .071 -.335(**) -.282(**) -.140 -.032 -.060 -.056 -.192(**) 1
14
-.061 .221(**) .187(**) .244(**) .162(**) .202(**) -.306(**) -.355(**) -.137 -.185(**) -.257(**) -.210(**) -.134(**) .408(**) 1
15
.073 -.098(*) -.044 -.029 -.080 .055 -.035 -.088(*) -.019 .023 -.061 -.113(**) -.038 .075 -.007 1
16
-.046 .001 .067 -.101(*) -.003 .166(**) -.036 -.115(**) -.128 -.069 .004 -.092(*) -.045 .066 .057 .360(**) 1
17

*p<.05, **<.01, **<.001

- 145 -
구분 변수
1 성별
2 연령
3 직급
4 근무지
5 근무기간
6 최종학력
7 장애관련근무경험
8 장애인인식교육받은경험
9 장애인인식교육받은경험 2

10 장애인편의증진교육경험
11 장애인복지과목수강경험
12 장애인자원봉사경험
13 장애인가족
14 직무관련장애인만남
15 장애유형별 이해및소외상황 인지
16 장애특성 인지
17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법 인지

9. 다중회귀분석 인구사회학적변인 장애관련 직무경험 장애인식교육 , ,

경험 장애가족존재여부가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에 미


,

치는 영향
인구사회학적변인 장애관련 직무경험 장애가족 존재여부가 장애유
, ,

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는 표< 와 같다
IV-49> .

해당 변수들로 구성된 이 모형은 ² 으로 약 의 설명력을 R = .443 , 45%

갖는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전체 변수가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


. '

황 인지 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며 장애인복지과목 수강경험 β


' , ' '( =.350,

과 직무관련 장애인 만남 β
p=.000) ' 만이 해당 종속변수에 '( =.222, p=.003)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

즉 장애인복지과목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공무원일수록 장애유형을


,

잘 이해하고 장애인의 소외상황 인지 정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

있다 또한 직무와 관련하여 장애인을 만나는 빈도가 높을수록 장애유


.

- 146 -
형을 잘 이해하고 장애인에 대한 소외상황을 잘 인지할 것으로 유추할
,

수 있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통해 장애인에 대한 교육 및 직접접촉이


.

장애인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으며 이후 장애인 인식 ,

교육을 실시할 때 장애인에 대한 일반적 이해를 위한 교육과 장애인과


의 직접 접촉을 동반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

< 표 IV-49> 인구사회학적변인 장애관련 직무경험 장애인식교육경험이 장애


, ,

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에 미치는 영향


변수 B 표준오차 Beta t p

성별 .353 .782 .032 .451 .652

연령 .015 .737 .002 .020 .984

직급 .699 .430 .136 1.624 .106

근무지 .141 .266 .039 .532 .595

근무기간 .221 .420 .058 .526 .600

최종학력 .725 .654 .081 1.108 .270

장애관련근무경험 -1.820 .811 -.162 -2.245 .026

장애인인식교육받은경험 -.283 1.237 -.014 -.229 .819

장애인인식교육받은경험
기간의 오랜정도 -.644 .386 -.106 -1.668 .097

장애인편의증진교육경험 -.065 .746 -.006 -.087 .931

장애인복지과목수강경험 -3.888 .840 -.350 -4.631 .000

장애인자원봉사경험 .178 .749 .015 .238 .812

장애인가족 -.267 .362 -.047 -.738 .462

직무관련장애인만남 1.414 .471 .222 3.000 .003

² R .443

F 9.032

조사 응답자의 연령 직급 등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장애관련 직무경


,

험 가족 내 장애인 존재여부가 장애특성 인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에 대한 분석결과 표 과 같다 < IV-50> .

위 모형은 설명력 ² 로 약 의 설명력을 갖는다 그러나


R = .178 , 18% .

장애특성 인지 에 있어 모든 변수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


‘ ’

- 147 -
로 나타났으며 특별히 이 모형에서는 장애인 인식교육을 받은 경험
, ‘ ’

β
( 과 장애인 자원봉사경험 β
=.226, p=.003) ‘ 이 해당 종속 ’( =.225, p=.004)

변수를 설명하는 유의한 변수임이 입증되었다 즉 장애인인식교육을 . ,

받은 사람일수록 장애특성을 잘 인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장애인 ,

자원봉사활동을 경험한 사람일수록 장애특성에 대해 보다 잘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장애인이 가족 내에 존재함으로써 겪게
.

되는 직접 경험과는 다르게 자원봉사활동 이라는 특성에 따라 서비스


, ‘ ’

수요자인 장애인 당사자에 대한 보다 깊은 배려와 이해심에 따라 나타


나는 특징이라 여겨진다 .

위와 같은 조사결과를 토대로 향후 장애인인식개선 교육에는 강의


형태의 간접교육과 이를 활용하여 적용할 수 있는 자원봉사 프로그램
과의 연계를 모색해볼 수 있다 .

< 표 IV-50> 인구사회학적변인 장애관련 직무경험 장애인식교육경험 장애


, , ,

가족 존재 여부가 장애특성 인지에 미치는 영향


변수 B 표준오차 Beta t p

성별 -.417 1.221 -.029 -.342 .733

연령 -1.769 1.151 -.216 -1.538 .126

직급 .213 .672 .032 .318 .751

근무지 -.300 .415 -.064 -.723 .471

근무기간 -.177 .655 -.036 -.270 .788

최종학력 .271 1.021 .024 .265 .791

장애관련근무경험 1.945 1.265 .135 1.537 .126

장애인인식교육받은경험 -5.904 1.931 -.226 -3.057 .003

장애인인식교육받은경험
기간의 오랜정도 .573 .603 .074 .949 .344

장애인편의증진교육경험 -1.893 1.165 -.132 -1.625 .106

장애인복지과목수강경험 .536 1.311 .038 .409 .683

장애인자원봉사경험 -3.408 1.169 -.225 -2.914 .004

장애인가족 .110 .565 .015 .194 .846

직무관련장애인만남 1.802 .736 .220 2.449 .015

² R .178

F 2.456

- 148 -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변인 장애관련 직무경험 장애가족 존재여부 , ,

가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지에 미치는 영향을 위해 해당 변수를 투입한


후 표 과 같은 결과를 산출하였다
< IV-51> .

년도에 제정 시행된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


08 ,

률』을 인지하는데 있어 각 변수들로 구성된 이 모형은 ² 로 나 R = .194

타나 약 의 설명력을 갖는다 해당 모형에 투입된 독립변수들 중


, 20% .

종속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최종학력 β 과 ‘ ’( =.292, p=.001)

장애인 인식교육을 받은 경험 β
‘ 인 것으로 조사결과 나 ’( =.269, p=.000)

타났다 이는 학력이 높을수록 장애인인식교육을 받은 사람일수록


. ,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을 잘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개인의 학력은 개인의 선택에 따라 이후 얼마
.

든지 높아질 수 있으나 공공의 일회성 교육을 통해서는 이뤄질 수 없


,

다 이러한 점을 감안할 때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 ,

법률』을 인지하고 직무 및 생활 속에서의 차별적 행동을 감소시키기


,

위해서는 장애인인식개선교육이 매우 필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이 회 .

귀모형의 분석결과는 앞의 분석결과와 더불어 장애인인식개선교육의


필요성을 뒷받침 해주는 자료가 될 수 있다 .

- 149 -

< IV-51> 인구사회학적변인 장애관련 직무경험 장애인식교육경험이 장애인
, ,

차별금지법인지에 미치는 영향
변수 B 표준오차 Beta t p

성별 -4.568 1.659 -.231 -2.753 .007

연령 -.837 1.564 -.074 -.535 .593

직급 -1.069 .913 -.118 -1.171 .243

근무지 -.379 .564 -.059 -.671 .503

근무기간 .123 .891 .018 .138 .890

최종학력 4.599 1.388 .292 3.314 .001

장애관련근무경험 1.346 1.720 .068 .783 .435

장애인인식교육 받은경험 -9.653 2.624 -.269 -3.678 .000

장애인인식교육 받은경험
기간의 오랜정도 -1.013 .820 -.095 -1.236 .218

장애인편의증진교육경험 -1.202 1.583 -.061 -.759 .449

장애인복지과목수강경험 -.098 1.781 -.005 -.055 .956

장애인자원봉사경험 -1.264 1.589 -.061 -.795 .428

장애인가족 .265 .768 .027 .345 .731

직무관련장애인 만남 .407 1.000 .036 .407 .685

² R .194

F 2.737

- 150 -
제5부
요약 및 제언
V. 요약 및 제언
1. 결과 요약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법』 개정 및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의 제정 등 장애인의 사회통합을 위한 정부의 법적․
제도적 개선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사회 전반에서 비장애인들의 장애인
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존재한다는 점과 고용․교육 등 사회 각 영 ,

역에서 장애인에 대한 차별이 발생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의식을 갖


게 되었다 특히 장애인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공무원들의
.

장애인들에 대한 인식은 더욱 중요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공무원들의 ,

장애인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선행연구들을 통해 사회 , ,

전반의 장애인식에 대한 전반적 경향을 파악하였고 둘째 공무원들의 , ,

장애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

연구문제를 파악하기 위하여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장애 ,

특성 인지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지를 측정하는 개의 척도 및 인구사회


, 3

학적 조사 문항을 사용하여 개 부처 및 개 지자체의 공무원들을 15 16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설문조사는 년 월 일부터 월 일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총


2008 11 4 12 3 ,

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최종 부의 설문지를 연구 분석에 사용


930 554

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각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


.

고 연구문제에 따른 가설들의 검증을 위해 빈도분석과 일원량 분산분


,

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 , .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첫째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장애인 근무관련 변인 장애인인식교육


, ,

관련변인 중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으로는 연령 직급 근무지 근무기간 학력 장애관련 근무경험 장애인
, , , , , ,

식교육 받은 경험 장애인편의증진교육 받은 경험 장애인 복지과목 수


, ,

강 경험 장애인자원봉사 경험 직무관련 장애인 만남정도가 있었다


, , .

- 153 -
조사결과 높은 연령일수록 직급이 높을수록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
,

외상황 인지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타 부처보다 장애인과 .

관련한 정보의 유입이 신속한 중앙부처에서 근무하는 공무원일수록 해


당 변수에 대한 인지 정도가 높았다 뿐만 아니라 장애유형별 이해 및
.

소외상황을 인지하는데 있어서 학력은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으며 이


를 통해 고학력일수록 장애유형별 분류 및 장애인의 소외상황을 보다
잘 인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장애인 근무관련 변인 중 장애인자원봉사 경험이 있는 공무원일수록 ,

직무와 관련하여 장애인을 만나는 빈도가 높은 공무원일수록 해당 변


수에 대한 인지 정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장애인인식교육 .

관련 변인에 속한 장애인인식교육을 받은 경험 장애인편의증진 교육 ,

받은 경험 장애인복지과목 수강 경험 모두는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


,

상황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장애인과 관련한 ,

교육이 장애의 유형이나 장애인 소외상황의 인지 정도에 영향을 미친


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인구사회학적 요인 장애인 근무관련 변인 장애인인식교육 관련 변


, ,

인을 모두 독립변수로 투입하고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영


역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독립변수
중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에 가장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장애인복지과목 수강경험과 직무와 관련하여 장애인을 만나는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

이를 바탕으로 미루어 볼 때 장애인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에 있어


,

장애인복지과목을 수강하는 것이 도움이 되며 장애인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들을 공무원에게 교육할 필요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또한 장애인 .

과의 직접적인 접촉은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을 인지하는데 도


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모든 공무원들이 직무와 관련하여
.

장애인을 직접 접할 수는 없으므로 향후 인식개선교육에 장애인과의


직접 접촉을 통해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개선할 수 있도록 도모해야
할 것이다 .

둘째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장애인 근무관련 변인 장애인 인식교육


, ,

관련변인 중 장애특성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장애 ,

인 인식교육 관련 변인의 장애인인식교육과 장애인 근무관련 변인의

- 154 -
장애인자원봉사활동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 ,

장애인인식교육을 받은 공무원이 장애의 특성을 더욱 잘 이해하며 장 ,

애인자원봉사활동 경험이 있을수록 장애특성 인지 정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장
.

애인식개선 프로그램과 맥을 같이하여 이론과 실천이 접목된 인식개선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뒷받침하는 것으로서 공무원의 장애인식개
선을 위해 해당 교육을 실시할 것과 정기적인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장
애인과의 직접 접촉을 시도해야 함을 시사한다 .

셋째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장애인 근무관련 변인 장애인 인식교육


, ,

관련변인 중『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인지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구사회학적 변인의 근무지와 학력 장애인 인식 ,

교육 관련 변인의 장애인인식교육 장애인 근무관련 변인 중 직무관련


,

장애인 만남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

중앙부처에 근무하는 공무원일수록 올해 제정된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에 대한 인식정도가 높으며 석․박사 이 ,

상의 고학력을 가진 공무원일수록 법률에 대한 인식정도가 높았다 이 .

는 올해 제정된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에 대


한 정보를 가장 신속하게 접할 수 있는 중앙부처일수록 해당법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들을 타 부처 및 지자체에 비해 더욱 잘 인지한다고 해
석할 수 있다 또한 직급이 높을수록 학력이 높다는 본 연구의 상관관
.

계분석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장애인에 대한 다양한 정책을 계획․수립


,

하고 실행하는 전반적인 상황을 아우르는 고위직 공무원일수록 관련법


에 대해 관심이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편 장애인인식교육과 .

직무와 관련하여 장애인과 만남을 갖는 것이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조사결과로 미루어볼 때 공무원에 대한 장애인 인식 ,

개선의 필요성은 강조되며 앞서 언급했듯이 모든 공무원들이 직무와


,

관련하여 장애인을 접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므로 자원봉사활동 등 다른


방법을 동원하여 공무원이 직접 장애인을 경험함으로써 부정적인 인식
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넷째 장애인 편의 및 접근성 영역에서 각 문항을 통해 조사된 결과


, ,

조사대상이었던 개 부처와 개 지자체 공무원들의 상당수가 근무


15 16

기관에 장애인의 편의를 위하여 제작된 컴퓨터 텍스트 문서 및 오디오

- 155 -
카세트 ,가 없다 고 응답하였다 또한 공무원들은 장애
MP3, CD, DVD ' ' .

인의 공공장소 접근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대중교통 보행자 도로 ' ', ' ', '

교육시설 이 개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장애인의 공공건물 접근성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절반 이상의 공무원


들이 공공건물의 출입구 를 개선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러한
' ' .

조사결과는 장애인에 대한 정책과 제도를 관장하는 공공기관일수록 장


애인에 대한 편의시설 증진의 필요성을 제고하게 하며 사회전반의 인 ,

프라를 장애인 당사자 입장에서 개선함으로서 장애인의 사회통합을 용


이하게 해야 함을 시사한다 .

다섯째 향후 장애인식개선교육 매뉴얼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로 공


, '

무원장애교육 방법 및 참여의사 에 대한 조사를 실시한 결과 공무원들 ' ,

은 년에 한번 정도의 장애체험 강의 혹은 워크샵 교육이 바람직하다


'1 '

고 응답하였다 구체적인 장애인인식증진 교육의 방법으로 응답된 것


.

은 장애인 관련기관 장애체험 프로그램으로써 장애인 당사자를 이해하


기 위해서는 실제로 장애를 접하고 장애인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도움
이 된다는 선행연구를 뒷받침하였다 .

공무원들은 구체적 교육 내용으로 장애인에 대한 태도 및 에티켓 과 ' '

장애유형별 특성 이해 및 장애인 접근성에 대한 이해 를 꼽아 실제로


' ' ' '

공무원들은 장애인에 대한 인식에 있어 관련법이나 제도보다는 실제로


장애인을 대할 때 활용될 수 있는 실천적인 지식을 요구함을 알 수 있
었다 한편 장애인 복지 대 우선 이행과제 중 장애인인식증진 교육의
. 10

내용으로 포함되었으면 하는 내용으로는 의료보장 및 장애예방 체계 ' '

와 노동권보장 및 일자리 창출 로 나타났다 이는 공무원들이 장애인


' ' .

들의 삶의 질 향상과 원만한 사회생활을 도모하기 위해 선결되어야 할


것이 의료권과 노동권임을 인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사회 각 영 ,

역에서 차별과 소외를 경험하는 사회적 소수자인 장애인들에게 보다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관련된 교육을 필요로 하고 있다는 분
석이 가능하다 .

향후 공무원들은 이와 같은 내용을 토대로 하는 장애인식 개선교육


에 대다수가 참여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 결과 나타났다 .

- 156 -
2. 함의 및 제언

본 연구는 공무원의 장애인 인식개선을 위한 교육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함의를 제시해 준다 .

첫째 교육 방법에 관한 내용이다 연구 대상 공무원들의


, 이 . 80%43)

상이 공무원 대상 장애인에 대한 인식교육에 참여할 의사를 표현하였


고 바람직한 인식증진교육 실시 횟수는 개월에 한번
, 년에 한 6 (22%), 1

번 년에 한번
(58%), 로 다수가 정기적인 교육을 원하고 있었
2 (16.4%)

다 그리고 장애인에 대한 인식교육의 바람직한 방안으로는 장애체험


.

을 겸한 강의 또는 워크샵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61.3%) ,

공무원 대상 장애인식개선 교육은 년에 한번 정도 실시하되 장애체험 1 ,

을 겸한 교육 형태를 준비 하는 것이 장애인인식교육 대상의 욕구에


부응하는 교육 방안으로 제시한다 .

둘째 효과적인 공무원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교육을 위하여 적절


,

히 교육 대상을 분리하여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대상 공무 .

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공무원 근무연한에 따라 교육대상군을 나누


어 인식개선교육을 실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으로 보여지고 있
다 즉 공무원의 나이·직급·근무지에 따라 즉 나이가 많을수록 직급이
. , ,

높을수록 지방 보다는 중앙부처가 장애인인식의 정도가 높기 때문에


,

중앙과 지방공무원을 분류하고 직급군과 청·장년을 나누어 교육을 실


,

시하는 것이 인식개선교육 효과를 높이는데 보다 기여할 것으로 예상


된다 .

또한 장애인 접촉 경험 정도에 의한 교육대상의 구분도 교육의 효과


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즉 장애인관련 교육 유경험자와 . ,

미경험자 장애인 대상 자원봉사 유경험자와 미경험자 가족 중 장애인


, ,

유무 장애인 부서 근무경험과 미경험에 따라 교육대상을 구분하여 교


,

육을 실시하는 것이 교육 효과를 높이는 방법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

이것은 기존 연구 강석주 가 제안한 바와 같이 장애인관련 교


( , 2008) ,

43) 3.1%는 '원하지 않는다'고 표시하였으며, 14.5%는 '모르겠다'고 표현하였다.

- 157 -
육경험 장애인대상 자원봉사 가족 중 장애인 유무는 공무원의 장애인
, ,

인식수준을 결정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연구보고 등을 통하


여도 지지 된다 .

셋째 본 연구에 의하면 공무원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교육의


,

내용은 장애관련 법률 등의 지식 전달의 내용 보다는 장애인에 대한


에티켓이나 장애 유형별 특성 이해 등과 같은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
하기 위한 실용적인 것이어야 한다 .

본 연구에서 대상 공무원의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의 ' '

평균점수가 점 중 약 점 장애특성 인지 의 평균점수가 점 중 약


32 15 , ' ' 80

점으로 나타났고 공무원이 장애인인식증진교육을 위해 교육내용 중


56 ,

강조되어야 할 분야로 장애인에 대한 태도 및 에티켓 장애유형 ' (37%)', '

별 특성이해 로 제안하여 공무원의 장애인식교육에 대한 일반적


(29%)'

욕구가 실제 인지부족 분야를 잘 드러내고 있었다 .

따라서 장애인식교육은 장애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에 보다 ' '

높은 강조점을 두고 장애 유형별 특성인지 를 부가적으로 강조하는


, ' '

교육형태가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장애인 관련 법률과 제도도 교육 .

내용에 포함되어야 할 중요한 내용이다 연구대상 공무원들은 장애인 .

복지 대 우선 이행과제 중 장애인인식증진교육의 내용에 포함되어야


10

할 사항으로 의료보장 및 장애예방체계 제 순위


' 노동권보장 '( 1 , 29.8%), '

또는 일자리 창출 제 순위 기초장애연금법 제정 및 소득보장


'( 2 , 25%, ' '

제 순위 으로 인식하고 있었는데 공무원들의 장애인복지 전반에


( 3 , 17%) ,

대한 관심내용은 사실 본 설문의 세 번째 주요요소인 장애인차별금지


법의 주요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향후 장애인식교육에 장애인차별
금지법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포함되어야 한다는 점이 드러난다 .

넷째 공무원 교육에서 장애인에 대한 편의제공 의무와 편의제공 내


,

용을 포함하여야 하며 공무원들이 일하는 공공기관에서도 어떻게 실 ,

제로 실행되어야 하는지도 알리고 논의하는 형식이 좋을 것이다 .

공무원들은 공공기관이 장애인의 편의를 위한 시설·정보 안내 책자 ,

장애인을 위하여 제작된 컴퓨터 텍스트 문서 오디오카세트 , , MP3, CD,

DVD의 확보율이 현저히 낮은 것 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장애 (19.8%) ,

- 158 -
인의 공공장소 접근성을 개선할 필요성이 매우 높다 ①공공장소 접근 (

성 개선을 위한 과제 대중교통 문제 순위 보행자도로 문제 순위 교


: 1 , 2 ,

육시설 순위 ②공공건물 접근성을 개선할 필요성 출입구 개선 순위


3 ; : 1 ,

엘리베이터 설치 순위 화장실 순위 고 응답하고 있었다 따라서 공


2 , 3 ) .

무원의 장애인인식개선을 위한 교육은 공무원들이 일하는 현장 즉 공 ,

공기관에서 장애인의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시설환경 및 정보 그 ,

리고 대중교통에 있어 장애인에 대한 배려사항들이 어떻게 구축되어야


하는지 논의하고 공무원 자신들의 노력에 따른 실제 시설개선 노력이
동반 수반되어야 한다는 점은 교육과정 내내 강조될 필요가 있다 마지 .

막으로 공무원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교육의 효율적 실행을 위하


,

여 관련 전문가에 의해서 인식교육매뉴얼이 제작되고 공무원교육 담당


자에게 보급하기를 제안한다 조직적 체계를 가지고 공무원들의 장애
.

인에 대한 인식 및 태도 교육과 서비스 교육을 실시하는 호주의 사례


에서 드러나는 것처럼 우리나라 공무원들도 관련 전문가에 의해서 제
시된 교육과정에 따라 교육 받을 필요성이 있다 장애인인식교육 매뉴 .

얼에 따른 교육은 체계적 교육을 실시 할 수 있도록 도울 뿐 아니라


잠재적 교육대상이 될 공무원들이 장애인에 대하여 이해하고 정책개발
및 서비스 현장에서 실행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이상에서 언급한 모든 제안은 장애인에 대한 이해 인식 그리고 실 ‘ ,

천 이 사회적 소외를 경험하는 많은 사회적 약자들의 인권회복을 돕는


것이며 동시에 부족한 이해와 인식에 따른 비인간화를 극복하는 과정


이 되기 때문에 바로 자신의 인권실현이 된다는 점을 직․간접적으로
반향하면서 인식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교육실행방향을 제시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권소외 비인간화 극복을 기대하는 모든
. ,

사람들에게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과 실천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할


당위성을 적극적으로 요청 한다 .

- 159 -
- 160 -
참고문헌
강석주 사회지도층의 장애인 인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기독대
(2008). .

학교 박사학위논문 .

강영실 장애인복지의 이해 도서출판 신정


(2003). . .

국가인권위원회 장애인권리협약 해설집 서울 도서출판 한학문화


(2007). . : .

국가인권위원회 진정직업자격 등 고용차별 판단기준에 관한 외국 판례


(2005).

조사 국가인권위원회 . .

국회입법조사처 현행법률의 주요내용과 쟁점


(2008).

김광이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의 주요 추진과정 및 주요내용 미발표


(2007). .

자료
김성희 외 장애인의 사회통합을 위한 차별해소 방안 한국여성개발
(2004). .

원․한국보건사회연구원 .

김용덕 김진우
, 한국 장애인복지의 이해 인간과 복지
(2007). . .

김인호 대학생의 장애인 인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대구카톨릭


(2002). . ,

대학교 .

김요민 실업계 고등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


(2004). . ,

국대학교 .

김정배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이 장애인에 대한 태도변화에 미치는 영


(2000).

향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 , .

김태성 청소년의 장애인 인식에 관한 연구 전북 익산시를 중심으로


(2005). : .

석사학위논문 한일장신대학교 , .

남용현 장애인차별금지법은 무엇인가 장애인과 일터 년 월호


(2007). . , 2007 4 .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

박종운 장애인차별의 현실과 장애인차별금지법 복지동향 년 월


(2008). . 2008 4

제 호 114 . 7-8p

방승란 초등학생에 대한 장애인식개선 교육프로그램이 장애이해 및 수


(2006).

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 , .

변용찬 외 인 생애주기별 장애인의 복지연구 분석 연구


7 (2006). .

변용찬 외 인 장애인복지인프라 개선방안 연구 Ⅰ 보건복지가족부


17 (2008). ( ). .

변용찬 외 장애인복지인프라 개선방안 연구 Ⅰ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 ). .

변용찬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에 관한 법률의 하위법령 연구 참


(2007).

조 보건사회연구원. . 27p

변용찬 외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동향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


A (2006). .

원 .

- 161 -
변용찬 외 년도 장애인 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B (2006). 2005 . .

보건복지가족부 년도 장애인복지사업안내 보건복지가족부정책


A (2008). 2008 .

팀 .

보건복지가족부 보건복지가족백서 보건복지가족부


B (2008). 2007 . .

보건복지부 장애인복지법령집 보건복지부 정책팀


(2008). , .

보건복지부 장애인생산품우선구매실시기준 보건복지고시 제


A (2007). . 2007-111

호 .

보건복지부 재활보조기구 품목의 지정 등에 관한 규정 보건복지부


B (2007). . .

보건복지부 참여복지 개년 계획 보건복지부 참여복지기획단


(2004). 5 . .

서초장애인자립생활센터 활동보조인 교육 자료집 (2008). 2008 .

서희선 비장애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인식과 태도 변화에 대한 소고


(2008).

장애이해교육과 통합교육 경험의 장기효과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


: . ,

교 .

신순자 장애이해교육과 장애체험활동이 초등학생의 장애 인식 및 수용


(2007).

태도에 미치는 효과 차이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 , .

신연식 저상버스 도입·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교통개발연구원


(2002). . .

안승자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과 수용태도 석사학위논문


(2002). . ,

인천교육대학교 .

오혜경 장애인복지론 창지사


(2006). . .

이달엽 재활과학론 형설출판사


(2006). . .

이종남 장애인에 대한 일반인의 태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심


(1994). . ,

여자대학교 .

이학범 장애인에 대한 인식태도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성대학교


(2000). . , .

장애인고용 호주 장애인 고용정책 체계와 시사점 가을호 장애인고용


(2003). . , .

장향숙의원실 제 차 장애인복지법 전면개정 및 무기여 장애인 연금제


(2005). 2

도 도입 대입법 공청회자료집 . 3 .

정동영 국제장애인권리협약과 국내장애인법제도 비교연구 보고서 장


(2007). .

애인 권리협약과 교육 한국장애인인권포럼 , .

정무성 양휘택 노승현


, 장애인복지개론 서울 학현사
, (2008). . : .

정일교 김만호
, 장애인복지론 양서원 (2007). . .

조향현 장애인복지법 전문 개정안 장애인복지법 전문 개정 및 무기여


(2006). .

장애인 연금제도 도입 장향숙의원실 . .

조형석 국제장애인권리협약과 국내장애인법제도 비교연구 보고서 장


(2007) -

애인권리협약의 국내적 수용과 국내법과의 관계 한국장애인인권포럼 . .

한국장애인개발원 장애인노인임산부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법령집


(2008).

- 162 -
한국장애인개발원 .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장애인고용동향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2008). . .

한국장애인복지체육회 장애등급 판정 기준 유연기획 (1998). .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한국장애인복지 년사 도서출판 양서원 (2006). 50 . .

한규석 사회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2003). . .

City of Darebin (2006). Disability Access & Inclusion Plan 2006-2009. City

of Darebin, Victoria

Department of planning and Community Development, Darebin City

Council,

http://www.dvc.vic.gov.au/web20/dvclgv.nsf/AllDocs/DD7A7EBEAC3D28C

BCA257168002C0090?OpenDocument , 2008.11.10

HREOC, Developing an effective Action Plan, About the Commission ,

http://www.hreoc.gov.au/about/index.html

HREOC,Developinganeffective Action Plan, Action plans and action plan

guides

http://www.hreoc.gov.au/disability_rights/action_plans/index.html ,,

HREOC,Developinganeffective Action Plan, Developing an effective Action

Plan

http ://www.hr eoc.gov .au/disability_r ights/action_plans/Effective_Plan/

effective_plan.html#9

Office for Disability (2008). DAPting to Disability. Department of Planning

and Community Development. Melbourne, Victoria

Oliver, M., 1996, "The social model in context". Understanding

disability-from theory to practice, New York, St. Martin's Press.

Oliver, M., Zarb, G. Silver, J., Moore, M. & Salisbury , V . , 1988 ,

Walking into darkness : The experience of spinal injuri, Basingstoke :

Macmilland.

Rubin, S. E. & Roessler, R. T. (1995). Foundations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cess(3rd ed.). Austin, Texas: Pro-ed.

Wolfenberger , 1983, Passing : Normalization criteria and ratings manual

(2nd ed.) NY : Community Newset.

- 163 -
- 164 -
부 록
[부록1]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교육의 기초연구
- 공무원을 대상으로 -

안녕하십니까?

한국장애인개발원에서는 연구 사업의 일환으로 공무원을 대


상으로 장애인에 대한 인식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분석하여
공무원 인식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삼으려고 합니다.
설문 내용을 신중히 읽으신 후 각 문항에 대하여 빠짐없이
답하여 주시면 장애인 인식개선을 위한 교육 자료를 개발하
기 위한 소중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응답

하신 모든 내용은 무기명으로 처리됨으로 응답자의 비밀을


충실하게 보장해 드릴 것을 약속합니다.
귀한 시간을 내어 설문에 협조하여 주심을 진심으로 감사드

리며, 답변한 설문지를 반송봉투에 넣어 우송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귀하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합니다.

2008년 11월
(재)한국장애인개발원 정책연구팀
문의전화: (02)3433-0666

- 167 -
Ⅰ. 다음은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사항입니다. 해당 번호에 √표를 해 주
십시오.

성 별 ①남 ②여

연 령 ①20대 ②30대 ③40대 ④50세 이상

직 급 ①8급 이하 ②7급 ③6급 ④5급 ⑤4급 ⑥3급 이상

①중앙부처 ②특별시·구·동 ③광역시·구·동 ④도청


근무지
⑤시·군·구 ⑥읍·면·동

①5년 이하 ②5-10년 ③10-15년


근무기간
④15-20년 ⑤20년 이상

①고졸 ②대학교 재학/대졸


최종학력
③대학원재학/졸업(석사) ④박사과정 재학/졸업

장애관련
①있음 ②없음
근무경험

①있음: ( )최근 1년 이내,


장애인 인식 ( )3년 이내,
교육 ( )5년 이내,
받은 경험 ( )5년 전
②없음

장애인
편의증진 ①있음 ②없음
교육 경험
장애인 복지
과목 ①있음 ②없음
수강경험
장애인
자원봉사 ①있음 ②없음
경험

①응답자 본인이 장애인 ②가족 중 장애인 존재


장애인 가족 ③응답자 본인이 장애인, 가족 중에도 장애인 존재
④해당사항 없음

직무관련
①거의 만나지 않음 ②가끔 만남 ③자주 만남
장애인 만남

- 168 -
장애의 유형별 이해 및 소외상황 인지 영역

Ⅱ. 다음은 장애의 유형별 이해와 소외상황 인지 질문입니다. 적절한 곳에 v 표를 하십시오.

대체로 거의
번 매우 잘 알지
문 제 잘 안다
아는
못한다
알지
호 편이다 못한다
나는 우리나라에서 15개 영역으로 구분되는 장애유형의
1
장애특성을 알고 있다.
나는 신체적 장애, 정신적 장애, 내부기관 장애의 특성을
2
알고 있다.
나는 우리나라 장애 유형별 출현율과 장애인 규모를 알고
3
있다.
4 나는 우리나라 장애인의 고등교육 진학 현황을 알고 있다.
5 나는 우리나라 장애인의 유형별 고용상태를 알고 있다.
나는 우리나라 장애인의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불평등에
6
관하여 알고 있다.
나는 장애인의 빈곤, 출산문제와 의료·복지·활동보조 서비
7
스의 수준에 관해 알고 있다.
나는 장애와 관련된 8가지 법의 내용을 충분히 알고 있
8
다.

장애인 특성 인지 영역

Ⅲ. 다음은 장애인에 대한 일반적 인식 관련 질문입니다. 적절한 곳에 v 표를 하십시오.

전혀
번 매우 그렇지
문 제 그렇다 그렇지
호 그렇다 않다
않다
장애인은 비장애인과 함께 있는 것에 대해 불편해 하는
9
것 같다.
10 장애인은 비장애인과 어울리는데 있어 매우 소극적이다.
만일 내가 장애인이라면 사회에 잘 적응 할 수 있을 것
11
이다.
나는 가끔 장애인이 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을 가지고
12
있다.
장애인은 대부분 고집이 강하여 다른 사람의 의견을 받
13
아들이려 하지 않는다.
만일 내 아이가 장애아동과 논다면, 함께 놀지 못하게
14
할 것이다.
15 나는 장애인을 보면, 의식적으로 좀 더 신경이 쓰인다.

- 169 -
만일 내가 장애인이라면 다른 사람을 만나는 것을 피하
16
거나 꺼려할 것이다.
장애인이 사용하는 보조기구(흰지팡이, 휠체어, 의수,
17
의족 등)들이 무섭게 느껴진다.
장애인은 대부분 의존성을 가지고 있어 늘 도움을 주어
18
야 한다.
19 장애인이 정상적인 생활을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만일, 내 가족이나 친구 중 누군가가 장애인과 교제한다
20
면, 적극적으로 반대할 것이다.
장애인은 손상된 기능뿐만 아니라 다른 기능도 비장애
21
인보다 문제가 있을 것이다.
내가 장애인에게 도움을 받는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22
일이다.
장애인은 집보다 장애인생활시설에서 살게 하는 것이
23
더 바람직하다.
24 장애인 시설은 혐오감을 줄 수 있다.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을 모든 공공건물에 설치해야
25
하는 것은 무리한 요구이다.
장애인과 함께 일을 하면 작업속도가 느려 업무에 지장
26
을 준다.
장애인은 취직이나 임금, 승진 등에서 불리한 취급을 받
27
을 수밖에 없다고 이해한다.
28 장애인은 교육능력에 한계가 있다고 생각 한다.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 인지 영역

Ⅳ. 다음은 장애인차별금지법 관련 질문입니다. 적절한 곳에 v 표를 하십시오.


전혀
번 매우 그렇지
문 제 그렇다 그렇지
호 그렇다 않다
않다
장애인은 자신의 생활 전반에 관하여 자신의 의사에 따
29 라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할 자기결정권을 가져야 한다
고 생각한다.

정부와 지자체는 장애인에게 불리한 결과를 초래하는


30
일이 없도록 정당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장애인은 장애인 아닌 사람과 동등한 선택권을 보장받


31 기 위하여 필요한 서비스와 정보를 정부로부터 제공받
을 권리를 가진다.

- 170 -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 및 장애인 관련자에 대
32 한 모든 차별을 방지하고 차별받은 장애인의 권리를 구
제할 책임이 있다.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에게 정당한 편의가 제
33 공될 수 있도록 필요한 기술적ㆍ행정적ㆍ재정적 지원을
해야 한다.
고용주는 모집ㆍ채용, 임금 및 복리후생, 교육ㆍ배치ㆍ
34 승진ㆍ전보, 정년ㆍ퇴직ㆍ해고에 있어 직장 내에서 장
애인을 차별하지 않도록 해야 된다.
고용주는 장애인이 해당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장애
35 인 아닌 사람과 동등한 근로조건에서 일할 수 있도록
정당한 편의를 제공하여야 한다.
고용주는 채용 이전에 장애인 여부를 조사하기 위한 의
36
학적 검사를 하면 안된다.
일선학교 책임자는 의무적으로 재학 중인 장애인의 교
37 육활동 등에 불이익이 없도록 적극적 수단을 강구해야
한다.
공공 및 일반 시설물에 있어 장애인이 시설물을 접근ㆍ
38 이용하거나 비상시 대피가 가능하도록 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교통행정기관은 장애인이 아닌 사람과 동등하게 이용하
39 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정당한 편의를
제공해야 한다.
개인ㆍ법인ㆍ공공기관은 장애인의 전자정보와 비전자정
40 보 이용 및 접근이 용이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
다.
장애인이 장애인이 아닌 사람과 동등하게 제작물 또는
서비스를 접근ㆍ이용할 수 있도록 방송물에 자막, 수
41 화, 점자 및 점자 변환, 보청기기, 큰 문자, 화면읽기ㆍ
해설ㆍ확대 프로그램, 인쇄물, 음성 변환 출력기, 음성
서비스, 전화 등 통신 중계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공공기관 및 그 소속원은 장애인이 사법ㆍ행정절차 및
42 서비스를 장애인 아닌 사람과 실질적으로 동등한 수준
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해야 한다.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의 참정권을 보장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설 및 설비, 참정권 행사에 관한 홍보
43 및 정보 전달, 장애의 유형 및 정도에 적합한 기표방법
등 선거용 보조기구의 개발 및 보급, 보조원의 배치 등
정당한 편의를 제공해야 한다.
공직선거후보자 및 정당은 후보자 및 정당에 관한 정보
44 를 장애인에게 장애가 아닌 사람과 동등한 정도의 수준
으로 전달해야 한다.
기관은 장애인의 불편을 개선하기 용이하도록 적절한
45
‘의견 수렴 및 조치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 171 -
장애인 편의 및 접근성 영역

46. 귀하가 일하시는 기관에 장애인의 편의를 위하여 별도로 제작된 시설·정보 안내 책자
를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준비하고 있는지 표시해 주십시오.

문 제 없다 있다

① 장애인을 위하여 특별히 제작된 컴퓨터 텍스트 문서

② 장애인을 위하여 특별히 제작된 오디오카세트/MP3/CD 또는 DVD 등

③ 기타( )

47. 장애인의 공공장소 접근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을 골라


1, 2, 3순위로 표시하십시오.
∎1순위( ) ∎ 2순위( ) ∎ 3순위( )

① 시청/도청/구청/동사무소 ② 전시관 ③ 스포츠센터/운동시설 ④ 대중교통


⑤ 교육시설 ⑥ 공원 ⑦ 보행자 도로 ⑧ 기타( )

48. 장애인의 공공건물 접근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을 골라


1, 2, 3순위로 표시하십시오.
∎1순위( ) ∎ 2순위( ) ∎ 3순위( )

① 장애인주차장 ② 출입구개선 ③ 엘리베이터설치/위치표시 ④ 화장실


⑤ 자판기 높이조절 ⑥ 정수기위치조정 ⑦ 공중전화기 위치조정
⑧ 장애인 특성을 고려한 안내책자
⑨기타( )

공무원 장애 교육 방법 및 참여의사 영역

49. 귀하는 장애인 인식증진교육이 얼마나 자주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십니


까?
① 필요없다 ② 2년에 한번 ③ 1년에 한번 ④ 6개월에 한번

50. 귀하는 어떤 형식의 장애인 인식증진교육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하십니까?


① 강의 ② 컨퍼런스
③ 시청각교육 ④ 장애체험을 겸한 강의 혹은 워크샵
⑤기타( )

- 172 -
51. 귀하는 어떤 교육방법의 장애인 인식증진교육을 선호하십니까?
① 공무원 연수프로그램 ② 외부 전문 강사 초청 교육
③ 장애인 관련기관 장애체험 프로그램
④ 기타( )

52. 귀하는 장애인 인식증진교육을 위해 보편적으로 강조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시는 분야


를 1, 2, 3순위로 표시하여 주십시오.
∎1순위( ) ∎ 2순위( ) ∎ 3순위( )

① 장애유형별 특성 이해 ② 장애인에 대한 태도 및 에티켓


③ 장애인 관련법과 제도 ④ 장애인 접근성에 대한 이해

53. 귀하는 장애인복지 10대 우선이행과제 중 장애인 인식증진교육의 내용으로 포함되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분야를 1, 2, 3, 순위로 표시하여 주십시오.
∎1순위( ) ∎ 2순위( ) ∎ 3순위( )

① 의료보장 및 장애예방체계 ② 노동권보장 또는 일자리 창출


③ 기초장애연금법 제정 및 소득보장 ④ 지적장애인에 대한 특별법 제정
⑤ 장애여성의 권리보장 ⑥ 물리적 장벽 해소 및 저상버스 확대
⑦ 특수교육교사 보조원 및 활동보조서비스 확대 ⑧ 장애인 주거권 도입
⑨ 복지시설인권침해 방지 및 지역사회 우선거주 보장
⑩ 주민문화체육편의시설 설치 시 장애인 프로그램 도입

54. 귀하는 장애인식교육이 실시된다면 참여하실 의사가 있으십니까?


① 있다 ② 없다 ③ 모르겠다

J 수고하셨습니다

- 173 -
[부록 2]

장애인복지법
법률 제 호 전면개정 5931 1999. 02. 08.

법률 제 호 정부조직법 일부개정
6400 ( ) 2001. 01. 29.

법률 제 호 담배사업법 일부개정
6460 ( ) 2001. 04. 07.

법률 제 호 일부개정 6985 2003. 09. 29.

법률 제 호 일부개정 7184 2004. 03. 05.

법률 제 호 국민체육진흥법 일부개정
7630 ( ) 2005. 07. 29.

법률 제 호 전면개정 8367 2007. 04. 11.

법률 제 호 일부개정 8652 2007. 10. 17.

법률 제 호 정부조직법 일부개정
8852 ( ) 2008. 02. 29.

제 장 총칙
1

제 조 목적 이 법은 장애인의 인간다운 삶과 권리보장을 위한 국가와 지방자치


1 ( )

단체 등의 책임을 명백히 하고 장애발생 예방과 장애인의 의료·교육·직업재활·생 ,

활환경개선 등에 관한 사업을 정하여 장애인복지대책을 종합적으로 추진하며 장


애인의 자립생활·보호 및 수당지급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 장애인의
생활안정에 기여하는 등 장애인의 복지와 사회활동 참여증진을 통하여 사회통합
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시행일 . [[ 2007.10.12]]

제 조 장애인의 정의 등 ① 장애인 이란 신체적·정신적 장애로 오랫동안 일상


2 ( ) “ ”

생활이나 사회생활에서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를 말한다 .

②이 법을 적용받는 장애인은 제 항에 따른 장애인 중 다음 각 호 의 어느 하나 1

에 해당하는 장애가 있는 자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장애의 종류 및 기준에


해당하는 자를 말한다 .

신체적 장애 란 주요 외부 신체 기능의 장애 내부기관의 장애 등을 말한다


1. “ ” , .

정신적 장애 란 발달장애 또는 정신 질환으로 발생하는 장애를 말한다


2. “ ” .

시행일
[[ 2007.10.12]]

제 조 기본이념 장애인복지의 기본이념은 장애인의 완전한 사회 참여와 평등을


3 ( )

통하여 사회통합을 이루는 데에 있다 시행일 .[[ 2007.10.12]]

- 175 -
제 조 장애인의 권리 ①장애인은 인간으로서 존엄과 가치를 존중받으며 그에
4 ( ) ,

걸맞은 대우를 받는다 .

②장애인은 국가·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정치·경제·사회·문화 그 밖의 모든 분야의 ,

활동에 참여할 권리를 가진다 .

③장애인은 장애인 관련 정책결정과정에 우선적으로 참여할 권리가 있다 .

시행일
[[ 2007.10.12]]

제 조 장애인 및 보호자 등에 대한 의견수렴과 참여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5 ( )

장애인 정책의 결정과 그 실시에 있어서 장애인 및 장애인의 부모 배우자 그 , ,

밖에 장애인을 보호하는 자의 의견을 수렴하여야 한다 이 경우 당사자의 의견수 .

렴을 위한 참여를 보장하여야 한다 시행일 . [[ 2007.10.12]]

제 조 중증장애인의 보호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 정도가 심하여 자립하기


6 ( )

가 매우 곤란한 장애인 이하 중증장애인 이라 한다 이 필요한 보호 등을 평생


( “ ” )

받을 수 있도록 알맞은 정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시행일 . [[ 2007.10.12]]

제 조 여성장애인의 권익보호 등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여성장애인의 권익을


7 ( )

보호하고 사회참여를 확대하기 위하여 기초학습과 직업교육 등 필요한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시행일 . [[ 2007.10.12]]

제 조 차별금지 등 ①누구든지 장애를 이유로 정치·경제·사회·문화 생활의 모


8 ( )

든 영역에서 차별을 받지 아니하고 누구든지 장애를 이유로 정치·경제·사회·문화 ,

생활의 모든 영역에서 장애인을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

②누구든지 장애인을 비하·모욕하거나 장애인을 이용하여 부당한 영리행위를 하


여서는 아니 되며 장애인의 장애를 이해하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 .

시행일
[[ 2007.10.12]]

제 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임 ①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 발생을 예방


9 ( )

하고 장애의 조기 발견에 대한 국민의 관심을 높이며 장애인의 자립을 지원하


, ,

고 보호가 필요한 장애인을 보호하여 장애인의 복지를 향상시킬 책임을 진다


, .

②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여성 장애인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하여 정책을 강구하


여야 한다 .

- 176 -
③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복지정책을 장애인과 그 보호자에게 적극적으로
홍보하여야 하며 국민이 장애인을 올바르게 이해하도록 하는 데에 필요한 정책
,

을 강구하여야 한다 시행일 . [[ 2007.10.12]]

제 조 국민의 책임 모든 국민은 장애 발생의 예방과 장애의 조기 발견을 위하


10 ( )

여 노력하여야 하며 장애인의 인격을 존중하고 사회통합의 이념에 기초하여 장


,

애인의 복지향상에 협력하여야 한다 시행일 . [[ 2007.10.12]]

제 조 장애인정책조정위원회 ①장애인 종합정책을 수립하고 관계부처 간의 의


11 ( )

견을 조정하며 그 정책의 이행을 감독·평가하기 위하여 국무총리 소속하에 장애


인정책조정위원회 이하 위원회 라 한다 를 둔다 ( “ ” ) .

②위원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조정한다 .

1.장애인복지정책의 기본방향에 관한 사항
2.장애인복지 향상을 위한 제도개선과 예산지원에 관한 사항
3.중요한 특수교육정책의 조정에 관한 사항
4.장애인 고용촉진정책의 중요한 조정에 관한 사항
5.장애인 이동보장 정책조정에 관한 사항
6.장애인정책 추진과 관련한 재원조달에 관한 사항
7.장애인복지에 관한 관련 부처의 협조에 관한 사항
8.그 밖에 장애인복지와 관련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
③위원회는 필요하다고 인정되면 관계 행정기관에 그 직원의 출석·설명과 자료
제출을 요구할 수 있다 .

④위원회는 제 항의 사항을 미리 검토하고 관계 기관 사이의 협조 사항을 정리


2

하기 위하여 위원회에 장애인정책조정실무위원회 이하 실무위원회 라 한다 를 둔 ( “ ” )

다 .

⑤위원회와 실무위원회의 구성·운영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


다 시행일. [[ 2007.10.12]]

제 조 장애인정책책임관의 지정 등 ①중앙행정기관의 장은 해당 기관의 장애


12 ( )

인정책을 효율적으로 수립·시행하기 위하여 소속공무원 중에서 장애인정책책임관


을 지정할 수 있다 .

②제 항에 따른 장애인정책책임관의 지정 및 임무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1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시행일 . [[ 2007.10.12]]

- 177 -
제 조 지방장애인복지위원회 ①장애인복지 관련 사업의 기획·조사·실시 등을
13 ( )

하는 데에 필요한 사항을 심의하기 위하여 지방자치단체에 지방장애인복지위원


회를 둔다 .

②제 항의 지방장애인복지위원회를 조직·운영하는 데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


1

으로 정하는 기준에 띠라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한다 시행일 . [[ 2007.10.12]]

제 조 장애인의 날 ①장애인에 대한 국민의 이해를 깊게 하고 장애인의 재활


14 ( )

의욕을 높이기 위하여 매년 월 일을 장애인의 날로 하며 장애인의 날부터 4 20 , 1

주간을 장애인 주간으로 한다 .

②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의 날의 취지에 맞는 행사 등 사업을 하도록 노


력하여야 한다 시행일 . [[ 2007.10.12]]

제 조 다른 법률과의 관계 제 조에 따른 장애인 중 「정신보건법」 과 「국가


15 ( ) 2

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다른 법률을 적


용 받는 장애인에 대하여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이 법의 적용을 제
한할 수 있다 시행일 . [[ 2007.10.12]]

제 조 법제와 관련된 조치 등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이 법의 목적을 달성하


16 ( )

기 위하여 필요한 법제 法制 ·재정과 관련된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 ) .

시행일
[[ 2007.10.12]]

제 장 기본정책의 강구
2

제 조 장애발생 예방 ①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의 발생 원인과 예방에 관


17 ( )

한 조사 연구를 촉진하여야 하며 모자보건사업의 강화 장애의 원인이 되는 질 , ,

병의 조기 발견과 조기 치료 그 밖에 필요한 정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 .

②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교통사고·산업재해·약물중독 및 환경오염 등에 의한 장


애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시행일 . [[ 2007.10.12]]

제 조 의료와 재활치료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이 생활기능을 익히거나


18 ( )

되찾을 수 있도록 필요한 기능치료와 심리치료 등 재활의료를 제공하고 장애인

- 178 -
의 장애를 보완할 수 있는 장애인보조기구를 제공하는 등 필요한 정책을 강구하
여야 한다 시행일 . [[ 2007.10.12]]

제 조 사회적응 훈련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이 재활치료를 마치고 일


19 ( )

상생활이나 사회생활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사회적응 훈련을 실시하여야 한다 .

시행일
[[ 2007.10.12]]

제 조 교육 ①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사회통합의 이념에 따라 장애인이 연령·


20 ( )

능력·장애의 종류 및 정도에 따라 충분히 교육받을 수 있도록 교육 내용과 방법


을 개선하는 등 필요한 정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

②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의 교육에 관한 조사·연구를 촉진하여야 한다 .

③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에게 전문 진로교육을 실시하는 제도를 강구하


여야 한다 .

④각급 학교의 장은 교육을 필요로 하는 장애인이 그 학교에 입학 하려는 경우


장애를 이유로 입학 지원을 거부하거나 입학시험 합격자의 입학을 거부하는 등
의 불리한 조치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

⑤모든 교육기관은 교육 대상인 장애인의 입학과 수학 修學 등에 편리하도록 장 ( )

애의 종류와 정도에 맞추어 시설을 정비하거나 그 밖에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여


야 한다 시행일 . [[ 2007.10.12]]

제 조 직업 ①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이 적성과 능력에 맞는 직업에 종


21 ( )

사할 수 있도록 직업 지도 직업능력 평가 직업 적응훈련 직업훈련 취업 알선


, , , , ,

고용 및 취업 후 지도 등 필요한 정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

②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 직업재활훈련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장


애인에게 적합한 직종과 재활사업에 관한 조사·연구를 촉진하여야 한다 .

시행일
[[ 2007.10.12]]

제 조 정보에의 접근 ①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이 정보에 원활하게 접


22 ( )

근하고 자신의 의사를 표시할 수 있도록 전기통신·방송시설 등을 개선하기 위하


여 노력하여야 한다 .

②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방송국의 장 등 민간 사업자에게 뉴스와 국가적 주요


사항의 중계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방송 프로그램에 청각장애인을 위한 수화

- 179 -
또는 폐쇄자막과 시각장애인을 위한 화면 해설 또는 자막해설 등을 방영하도록
요청하여야 한다 .

③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국가적인 행사 그 밖의 교육·집회 등 대통령령으로 정 ,

하는 행사를 개최하는 경우에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수화통역 및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자료 등을 제공하여야 하며 민간이 주최하는 행사의 경우에는 수화통
역 및 점자자료 등을 제공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

④제 항과 제 항의 요청을 받은 방송국의 장 등 민간 사업자와 민간 행사 주최


2 3

자는 정당한 사유가 없으면 그 요청에 따라야 한다 .

⑤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시각장애인이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점자도서


와 음성도서 등을 보급하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

⑥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정보통신망 및 정보통신기


기의 접근·이용에 필요한 지원 및 도구의 개발·보급 등 필요한 시책을 강구하여
야 한다 시행일 . [[ 2007.10.12]]

제 조 편의시설 ①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이 공공시설과 교통수단 등을


23 ( )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편의시설의 설치와 운영에 필요한 정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

②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공공시설 등 이용편의를 위하여 수화통역·안내보조 등


인적서비스 제공에 관하여 필요한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시행일 . [[ 2007.10.12]]

제 조 안전대책 강구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추락사고 등 장애로 인하여 일어


24 ( )

날 수 있는 안전사고와 비상재해 등에 대비하여 시각·청각 장애인과 이동이 불편


한 장애인을 위하여 피난용 통로를 확보하고 점자·음성·문자 안내판을 설치하며 , ,

긴급 통보체계를 마련하는 등 장애인의 특성을 배려한 안전대책 등 필요한 조치


를 강구하여야 한다 시행일 . [[ 2007.10.12]]

제 조 사회적 인식개선 ①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학생 공무원 근로자 그 밖


25 ( ) , , , ,

의 일반국민 등을 대상으로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을 위한 교육 및 공익광고


등 홍보사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

②국가는 「초·중등교육법」 에 따른 학교에서 사용하는 교과용도서에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을 위한 내용이 포함되도록 하여야 한다 .

③제 항 및 제 항의 사업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1 2 .

시행일
[[ 2007.10.12]]

- 180 -
제 조 선거권 행사를 위한 편의 제공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이 선거권
26 ( )

을 행사하는 데에 불편함이 없도록 편의시설·설비를 설치하고 선거권 행사에 관 ,

하여 홍보하며 선거용 보조기구를 개발·보급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여야


,

한다 시행일
. [[ 2007.10.12]]

제 조 주택 보급 ①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공공주택등 주택을 건설할 경우에


27 ( )

는 장애인에게 장애 정도를 고려하여 우선 분양 또는 임대할 수 있도록 노력하


여야 한다 .

②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주택의 구입자금·임차자금 또는 개·보수비용의 지원 등


장애인의 일상생활에 적합한 주택의 보급·개선에 필요한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
다 시행일
. [[ 2007.10.12]]

제 조 문화환경 정비 등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의 문화생활과 체육활


28 ( )

동을 늘리기 위하여 관련 시설 및 설비 그 밖의 환경을 정비하고 문화생활과 체 ,

육활동 등을 지원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시행일 . [[ 2007.10.12]]

제 조 복지 연구 등의 진흥 ①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복지의 종합적이


29 ( )

고 체계적인 조사·연구·평가 및 장애인 체육활동 등 장애인정책개발 등을 위하여


필요한 정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

②제 항에 따른 장애인 관련 조사·연구 수행 및 정책개발·복지진흥 재활체육진


1 ,

흥 등을 위하여 재단법인 한국장애인개발원 이하 개발원 이라 한다 을 설립한다 ( “ ” ) .

③개발원의 사업과 활동은 정관으로 정한다 .

④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개발원 운영에 필요한 비용을 보조할 수 있으며 「조 ,

세특례제한법」 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조세를 감면하고 개발원에 기부된 재산


에는 소득계산의 특례를 적용한다 시행일 . [[ 2007.10.12]]

제 조 경제적 부담의 경감 ①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30 ( ) ,

법률」 제 조에 따른 공공기관 「지방공기업법」 에 따른 지방공사 또는 지방공


4 ,

단은 장애인과 장애인을 부양하는 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장애인의 자립을


촉진하기 위하여 세제상의 조치 공공시설 이용료 감면 그 밖에 필요한 정책을 , ,

강구하여야 한다 .

②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 조에 따른 공공기


, 4

- 181 -
관 「지방공기업법」 에 따른 지방공사 또는 지방공단이 운영 하는 운송사업 자
,

는 장애인과 장애인을 부양하는 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장애인의 자립을 돕


기 위하여 장애인과 장애인을 보호하기 위하여 동행하는 자의 운임 등을 감면하
는 정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시행일 . [[ 2007.10.12]]

제 장 복지 조치
3

제 조 조사 ①보건복지가족부장관은 이 법의 적절한 시행을 위하여 년마다


31 ( ) 3

장애인의 실태조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개정 제 호 정부조직법 . [ 2008.2.29 8852 ( )]

②제 항에 따른 조사의 방법과 내용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1

정한다 .

제 조 장애인 등록 ①장애인 그 법정대리인 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보호자


32 ( ) ,

는 장애 상태와 그 밖에 보건복지가족부령이 정하는 사항을 시장·군수 또는 구청


장 자치구의 구청장을 말한다 이하 같다 에게 등록하여야 하며 시장·군수·구청
( . ) ,

장은 등록을 신청한 장애인이 제 조에 따른 기준에 맞으면 장애인등록증 이하 2 ( "

등록증 이라 한다 을 내주어야 한다 개정
" )제 호 정부조직법 . [ 2008.2.29 8852 ( )]

②제 항에 따라 등록증을 받은 자와 그 법정대리인 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보


1

호자는 해당 장애인이 제 조에 따른 기준에 맞지 아니하게 되거나 사망하면 그


2

등록증을 반환하여야 한다 .

③시장·군수·구청장은 장애 상태의 변화에 따른 장애 등급 조정을 위하여 장애


진단을 받게 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으며 장애 진단 명령 등 필요한 조 ,

치를 거부하거나 제 항 또는 제 항을 위반한 경우에는 등록증을 반환하게 할 수


2 5

있다 .

④장애인의 장애 인정과 등급 사정 査定 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게 하기 위하여 ( )

보건복지가족부에 장애판정위원회를 둘 수 있다 개정 제 호 정부조 . [ 2008.2.29 8852 (

직법 )]

⑤등록증은 양도하거나 대여하지 못하며 등록증과 비슷한 명칭이나 표시를 사용 ,

하여서는 아니 된다 .

⑥장애인의 등록 등록증의 교부와 반환 장애 진단 및 장애판정위원회 등에 관


, ,

하여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가족부령으로 정한다 개정 제 호 정부 . [ 2008.2.29 8852 (

조직법 )]

- 182 -
제 조 장애인복지상담원 ①장애인 복지 향상을 위한 상담 및 지원 업무를 맡
33 ( )

기기 위하여 시·군·구 자치구를 말한다 이하 같다 에 장애인복지상담원을 둔다


( . ) .

②장애인복지상담원은 그 업무를 할 때 개인의 인격을 존중하고 업무상 알게 된 ,

개인의 신상에 관한 비밀을 누설하여서는 아니 된다 .

③장애인복지상담원의 임용·직무·보수와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


한다 시행일 . [[ 2007.10.12]]

제 조 재활상담과 입소 등의 조치 ①보건복지가족부장관 특별시장·광역시장·


34 ( ) ,

도지사·특별자치도지사 또는 시장·군수·구청장 이하 장애인복지실시기관 이라 한 ( " "

다 은 장애인에 대한 검진 및 재활상담을 하고 필요하다고 인정되면 다음 각 호


) ,

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개정 제 호 정부조직법 . [ 2008.2.29 8852 ( )]

1.국·공립병원 보건소 보건지소 그 밖의 의료기관 이하 의료기관 이라 한다 에


, , , ( " " )

의뢰하여 의료와 보건지도를 받게 하는 것


2.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설치한 장애인복지시설에서 주거편의·상담·치료·훈
련 등의 필요한 서비스를 받도록 하는 것
3.제 조에 따라 설치된 장애인복지시설에 위탁하여 그 시설에서 주거편의·상
59

담·치료·훈련 등의 필요한 서비스를 받도록 하는 것


4.공공직업능력개발훈련시설이나 사업장 내 직업훈련시설에서 하는 직업훈련 또
는 취업알선을 필요로 하는 자를 관련 시설이나 직업안정업무기관에 소개하는

②장애인복지실시기관은 제 항의 재활 상담을 하는 데에 필요하다고 인정되면 1

제 조에 따른 장애인복지상담원을 해당 장애인의 가정 또는 장애인이 주거편의·


33

상담·치료·훈련 등의 서비스를 받는 시설이나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상담하게 하


거나 필요한 지도를 하게 할 수 있다 .

제 조 장애 유형·장애 정도별 재활 및 자립지원 서비스 제공 등 국가와 지방


35 ( )

자치단체는 장애인의 일상생활을 편리하게 하고 사회활동 참여를 높이기 위하여


장애 유형·장애 정도별로 재활 및 자립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필요한 정책을
강구하여야 하며 예산의 범위 안에서 지원할 수 있다 시행일
, . [[ 2007.10.12]]

제 조 의료비 지급 ①장애인복지실시기관은 의료비를 부담하기 어렵다고 인정


36 ( )

되는 장애인에게 장애 정도와 경제적 능력 등을 고려하여 장애 정도에 따라 의

- 183 -
료에 소요되는 비용을 지급할 수 있다 .

②제 항에 따른 의료비 지급 대상·기준 및 방법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보건


1

복지가족부령으로 정한다 개정 제 호 정부조직법 . [ 2008.2.29 8852 ( )]

제 조 산후조리도우미 지원 등 ①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임산부인 여성장애


37 ( )

인과 신생아의 건강관리를 위하여 경제적 부담능력 등을 감안하여 여성장애인의


가정을 방문하여 산전·산후 조리를 돕는 도우미 이하 산후조리도우미 라 한다 를 ( " " )

지원할 수 있다 .

②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제 항의 규정에 따른 산후조리도우미 지원사업에 대 1

하여 보건복지가족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 산후조리도우미 (

지원사업의 실효성 등을 확보하기 위한 정기적인 점검활동을 말한다 을 실시하여 )

야 한다 개정 . [제 호 정부조직법2008.2.29 8852 ( )]

③산후조리도우미 지원의 기준 및 방법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


로 정한다 .

제 조 자녀교육비 지급 ①장애인복지실시기관은 경제적 부담능력 등을 고려하


38 ( )

여 장애인이 부양하는 자녀 또는 장애인인 자녀의 교육비를 지급할 수 있다 .

②제 항에 따른 교육비 지급 대상·기준 및 방법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보건


1

복지가족부령으로 정한다 개정 제 호 정부조직법 . [ 2008.2.29 8852 ( )]

제 조 장애인이 사용하는 자동차 등에 대한 지원 등 ①국가와 지방자치단체


39 ( ) ,

그 밖의 공공단체는 장애인이 이동수단인 자동차 등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


록 하고 경제적 부담을 줄여 주기 위하여 조세감면 등 필요한 지원정책을 강구
하여야 한다 .

②시장·군수·구청장은 장애인이 이용하는 자동차 등을 지원하는 데에 편리하도록


장애인이 사용하는 자동차 등임을 알아 볼 수 있는 표지 이하 장애인사용자동차 ( "

등표지 라 한다 를 발급하여야 한다
" ) .

③장애인사용자동차등표지를 대여하거나 보건복지가족부령이 정하는 자 외의 자


에게 양도하는 등 부당한 방법으로 사용하여서는 아니 되며 이와 비슷한 표지· ,

명칭 등을 사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개정 제 호 정부조직법 . [ 2008.2.29 8852 ( )]

④장애인사용자동차등표지의 발급 대상과 발급 절차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가족부령으로 정한다 개정 제 호 정부조직법 . [ 2008.2.29 8852 ( )]

- 184 -
제 조 장애인 보조견의 훈련·보급 지원 등 ①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의
40 ( )

복지 향상을 위하여 장애인을 보조할 장애인 보조견 補助犬 의 훈련·보급을 지원 ( )

하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

②보건복지가족부장관은 장애인 보조견에 대하여 장애인 보조견표지 이하 보조 ( "

견표지 라 한다 를 발급할 수 있다 개정
" ) 제 호 정부조직법 . [ 2008.2.29 8852 ( )]

③누구든지 보조견표지를 붙인 장애인 보조견을 동반한 장애인이 대중교통수단


을 이용하거나 공공장소 숙박시설 및 식품접객업소 등 여러 사람이 다니거나 모
,

이는 곳에 출입하려는 때에는 정당한 사유 없이 거부하여서는 아니 된다 .

④보건복지가족부장관은 장애인보조견의 훈련·보급을 위하여 전문훈련기관을 지


정할 수 있다 개정 . [제 호 정부조직법 2008.2.29 8852 ( )]

⑤보조견표지의 발급대상 발급절차 및 전문훈련기관의 지정에 관하여 필요한 사


,

항은 보건복지가족부령으로 정한다 개정 제 호 정부조직법 . [ 2008.2.29 8852 ( )]

제 조 자금 대여 등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이 사업을 시작하거나 필요


41 ( )

한 지식과 기능을 익히는 것 등을 지원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자금을 대여할 수 있다 시행일 . [[ 2007.10.12]]

제 조 생업 지원 ①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그 밖의 공공단체는 소관공공시설


42 ( ) ,

안에 식료품·사무용품·신문 등 일상생활용품을 판매하는 매점이나 자동판매기의


설치를 허가하거나 위탁할 때에는 장애인이 신청하면 우선적으로 반영하도록 노
력하여야 한다 .

②시장·군수 또는 구청장은 장애인이 「담배사업법」 에 따라 담배소매인으로 지


정받기 위하여 신청하면 그 장애인을 우선적으로 지정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

③장애인이 우편법령에 따라 국내 우표류 판매업 계약 신청을 하면 우편관서는


그 장애인이 우선적으로 계약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

④제 항부터 제 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허가·위탁 또는 지정 등을 받은 자는 특별


1 3

한 사유가 없으면 직접 그 사업을 하여야 한다 .

⑤제 항에 따른 설치 허가권자는 매점·자동판매기 설치를 허가하기 위하여 설치


1

장소와 판매할 물건의 종류 등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장애인에게 알리는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시행일 . [[ 2007.10.12]]

제 조 자립훈련비 지급 ①장애인복지실시기관은 제 조제 항제 호 또는 제 호
43 ( ) 34 1 2 3

- 185 -
에 따라 장애인복지시설에서 주거편의·상담·치료·훈련 등을 받도록 하거나 위탁
한 장애인에 대하여 그 시설에서 훈련을 효과적으로 받는 데 필요하다고 인정되
면 자립훈련비를 지급할 수 있으며 특별한 사정이 있으면 훈련비 지급을 대신하 ,

여 물건을 지급할 수 있다 .

②제 항에 따른 자립훈련비의 지급과 물건의 지급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1

보건복지가족부령으로 정한다 개정 제 호 정부조직법 . [ 2008.2.29 8852 ( )]

제 조 생산품 구매 ①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그 밖의 공공단체는 그 소요물품


44 ( ) ,

중 보건복지가족부장관이 정한 품목과 물량의 범위 안에서 매년 그 품목과 물량


을 정하여 장애인복지시설과 장애인복지단체에 생산을 의뢰하여야 하며 생산한 ,

물품의 구매를 요청받으면 우선적으로 구매하여야 한다 개정 제 . [ 2008.2.29 8852

호 정부조직법
( )]

②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그 밖의 공공단체는 장애인복지시설과 장애인복지단체에


,

서 생산한 물품을 수의계약으로 구매할 수 있다 .

③제 항과 제 항에 따른 품목과 물량을 지정하는 데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


1 2

이 정하며 수의계약의 절차와 방법 등에 관한 사항은 관계 법령의 규정에 따른


,

다 .

제 조 생산품 인증 ①보건복지가족부장관은 장애인복지시설 장애인복지단체


45 ( ) ,

에서 생산한 물품의 판매촉진·품질향상 및 소비자와 구매자 보호를 위하여 인증


제도를 실시할 수 있다 개정 제 호 정부조직법 . [ 2008.2.29 8852 ( )]

②제 항에 따른 인증의 신청·기준·절차·표시방법 및 대상품목의 선정 등에 관하


1

여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가족부령으로 정한다 개정 제 호 정부조 . [ 2008.2.29 8852 (

직법 )]

제 조 고용 촉진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직접 경영하는 사업에 능력과 적성이


46 ( )

맞는 장애인을 고용하도록 노력하여야 하며 장애인에게 적합한 사업을 경영하는 ,

자에게 장애인의 능력과 적성에 따라 장애인을 고용하도록 권유할 수 있다 .

시행일
[[ 2007.10.12]]

제 조 공공시설의 우선 이용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그 밖의 공공단체는 장애


47 ( ) ,

인의 자립을 지원하는 데에 필요하다고 인정되면 그 공공시설의 일부를 장애인


이 우선 이용하게 할 수 있다 시행일 . [[ 2007.10.12]]

- 186 -
제 조 국유·공유 재산의 우선매각이나 유상·무상 대여 ①국가와 지방자치단체
48 ( )

는 이 법에 따른 장애인복지시설을 설치하기나 장애인 복지단체가 장애인복지사


업과 관련한 시설을 설치하는 데에 필요할 경우 국유·공유 토지와 시설 등을 우
선 매각하거나 임대 또는 무상으로 대부할 수 있다 .

②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제 항에 따라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토지와 시설 1

을 매수·임차하거나 대부받은 자가 그 매수·임차 또는 대부한 날부터 년 이내에 2

장애인복지시설을 설치하지 아니 하거나 장애인복지단체의 장애인복지사업 관련


시설을 설치하지 아니할 때에는 토지와 시설을 환수하거나 임차계약을 취소할
수 있다 시행일 . [[ 2007.10.12]]

제 조 장애수당 ①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의 장애정도와 경제적 수준을


49 ( )

고려하여 장애인의 소득 보전을 위한 장애수당을 지급할 수 있다 다만 「국민 . ,

기초생활 보장법」 에 따른 생계급여를 받는 장애인에게는 장애수당을 반드시


지급하여야 한다 .

②제 항에 따른 장애수당의 지급 대상·기준 및 방법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1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시행일 . [[ 2007.10.12]]

제 조 장애아동수당과 보호수당 ①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아동에게 보호


50 ( )

자의 경제적 생활수준 및 장애아동의 장애 정도를 고려하여 장애로 인한 추가적


비용을 보전 補塡 하게 하기 위하여 장애아동수당을 지급할 수 있다
( ) .

②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을 보호하는 보호자에게 그의 경제적 수준과 장


애인의 장애 정도를 고려하여 장애로 인한 추가적 비용을 보전하게 하기 위하여
보호수당을 지급할 수 있다 .

③제 항과 제 항에 따른 장애아동수당과 보호수당의 지급 대상·기준 및 방법 등


1 2

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

시행일
[[ 2007.10.12]]

제 조 비용의 징수 거짓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장애수당 장애아동수당등


51 ( ) ,

을 받거나 타인으로 하여금 받게 한 경우에는 수당을 지급한 기관은 그 수당의


전부를 수당을 받은 자 또는 수당을 받게 한 자 이하 부정수급자 라 한다 로부 ( “ ” )

터 징수하여야 한다 시행일 . [[ 2007.10.12]]

- 187 -
제 조 장애인의 재활 및 자립생활의 연구 ①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 재
52 ( )

활 및 자립생활에 대하여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조사·연구·평가하기 위하여 전


문 연구기관에 장애예방·의료·교육·직업 재활 및 자립생활 등에 관한 연구 과제
를 선정하여 의뢰할 수 있다 .

②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제 항에 따른 연구과제를 수행하는 데에 들어가는 비 1

용을 예산의 범위 안에서 보조할 수 있다 시행일 . [[ 2007.10.12]]

제 장 자립생활의 지원
4

제 조 자립생활지원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중증장애인의 자기결정에 의한 자


53 ( )

립생활을 위하여 활동보조인의 파견 등 활동보조서비스 또는 장애인보조기구의


제공 그 밖의 각종 편의 및 정보체공 등 필요한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 .

시행일
[[ 2007.10.12]]

제 조 중증장애인자립생활지원센터 ①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중증장애인의 자


54 ( )

립생활을 실현하기 위하여 중증장애인자립생활지원센터를 통하여 필요한 각종


지원서비스를 제공한다 .

②제 항의 규정에 따른 중증장애인자립생활지원센터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보


1

건복지가족부령으로 정한다 개정 제 호 정부조직법 . [ 2008.2.29 8852 ( )]

제 조 활동보조인 등 서비스 지원 ①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중중장애인이 일


55 ( )

상생활 또는 사회생활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그 활동에 필요한 활동보조인의


파견 등 활동보조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

②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임신 등으로 인하여 이동이 불편한 여성장애인에게


임신 및 출산과 관련한 진료 등을 위하여 경제적 부담 능력 등을 감안하여 활동
보조인의 파견 등 활동보조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

③제 항 및 제 항의 규정에 따른 활동보조인의 파견 등 서비스 지원의 기준 및


1 2

방법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

시행일
[[ 2007.10.12]]

제 조 장애동료간 상담 ①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이 장애를 극복하는


56 ( )

데 도움이 되도록 장애동료 간 상호대화나 상담의 기회를 제공하도록 노력하여


야 한다 .

- 188 -
②제 항에 따른 장애동료 간의 대화나 상담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구체적인
1

사업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가족부령으로 정한다 개정 . [ 2008.2.29

제 호 정부조직법
8852 ( )]

제 장 복지시설과 단체
5

제 조 보호조치 등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의 성·연령 및 장애의 유형


57 ( )

과 정도를 고려하여 제 조에 따른 장애인복지시설에서 보호·의료·생활지도·재활


58

훈련과 자립생활지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장애인이 기능 회복과 사회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필요한 정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시행일 . [[ 2007.10.12]]

제 조 장애인복지시절 ①장애인복지시설의 종류는 다음 각 호와 같다


58 ( ) .

1.장애인 생활시설 장애인이 필요한 기간 생활하면서 재활에 필요한 상담·치


:

료·훈련 등의 서비스를 받아 사회복귀를 준비하거나 장애로 인하여 장기간 요양


하는 시설
2.장애인 지역사회재활시설 장애인을 전문적으로 상담·치료·훈련하거나 장애인 :

의 여가 활동과 사회참여 활동 등에 편의를 제공하는 장애인복지관·의료재활시


설·체육시설·수련시설 및 공동생활가정 등의 시설
3.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일반 작업환경에서는 일하기 어려운 장애인이 특별히
:

준비된 작업환경에서 직업훈련을 받거나 직업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설


4.장애인 유료복지시설 장애인이 필요한 치료·상담·훈련 등 편의를 제공받고
:

그에 소요되는 모든 비용을 시설 운영자에게 납부하여 운영하는 시설


5.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
②제 항 각 호에 따른 장애인복지시설의 구체적인 종류와 사업 등에 관한 사항
1

은 보건복지가족부령으로 정한다 개정 제 호 정부조직법 . [ 2008.2.29 8852 ( )]

제 조 장애인복지시설 설치 ①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복지시설을 설치


59 ( )

할 수 있다 .

②제 항에 규정된 자 외의 자가 장애인복지시설을 설치·운영하려면 해당 시설 소


1

재지 관할 시장·군수·구청장에게 신고하여야 하며 신고한 사항 중 보건복지가족 ,

부령으로 정하는 중요한 사항을 변경할 때에도 신고하여야 한다 다만 제 조에 . , 62

따른 폐쇄 명령을 받고 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는 시설의 설치·운영 신고를 할


1

수 없다 개정 제 호 정부조직법
. [ 2008.2.29 8852 ( )]

- 189 -
③제 조제 항제 호에 따른 의료재활시설의 설치는 「의료법」 에 따른다
58 1 2 .

④제 항에 따른 장애인복지시설의 시설기준·신고·변경신고 및 입소 등에 관하여


2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가족부령으로 정한다 개정 제 호 정부조직 . [ 2008.2.29 8852 (

법 )]

제 조 시설 운영의 개시 등 ①제 조제 항에 따라 신고한 자는 지체 없이 시
60 ( ) 59 2

설 운영을 시작하여야 한다 .

②시설 운영자는 시설 운영을 중단 또는 재개하거나 시설을 폐지하려는 때에는


보건복지가족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미리 시장·군수·구청장에게 신고하여야 한
다 개정 . [제 호 정부조직법 2008.2.29 8852 ( )]

③시설 운영자는 제 항에 따라 시설 운영을 중단 또는 재개하거나 시설을 폐지


2

할 때에는 보건복지가족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시설 거주자의 권익을 보호하


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개정 제 호 정부조직 . [ 2008.2.29 8852 (

법 )]

1.시설의 장에게 시설 거주자를 다른 시설로 보내게 하고 그 이행을 확인하는


조치
2.시설 거주자가 이용료·사용료 등의 비용을 부담하는 경우 이를 반환하게 하고
그 이행을 확인하는 조치
3.보조금·후원금 등의 사용 실태 확인과 이를 재원으로 조성한 재산 중 남은 재
산의 회수조치
4.그 밖에 시설 거주자의 권익 보호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조치
④제 항과 제 항에 따른 시설 운영의 개시·중단·재개 및 시설 폐지의 신고 등에
1 2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가족부령으로 정한다 개정 제 호정 . [ 2008.2.29 8852 (

부조직법 )]

제 조 감독 ①장애인복지실시기관은 장애인복지시설을 설치·운영하는 자의 소


61 ( )

관업무 및 시설이용자의 인권실태 등을 지도·감독하며 필요한 경우 그 시설에 ,

관한 보고 또는 관련 서류 제출을 명하거나 소속 공무원에게 그 시설의 운영상


황·장부 그 밖의 서류를 조사·검사하거나 질문하게 할 수 있다
, .

②제 항에 따라 관계 공무원이 그 직무를 할 때에는 권한을 표시하는 증표를 관


1

계인에게 내보여야 한다 시행일 . [[ 2007.10.12]]

- 190 -
제 조 시설의 개선 사업의 정지 폐쇄 등 장애인복지실시기관은 장애인복지시
62 ( , , )

설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때에는 그 시설의 개선 사업의 정지 , ,

시설의 장의 교체를 명하거나 해당 시설의 폐쇄를 명할 수 있다 .

1.제 조제 항에 따른 시설기준에 미치지 못한 때


59 4

2.정당한 사유 없이 제 조에 따른 보고를 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으로 보고한 때


61

또는 조사·검사 및 질문을 거부·방해하거나 기피한 때


3.사회복지법인이나 비영리법인이 설치·운영하는 시설인 경우 그 사회복지법인
이나 비영리법인의 설립 허가가 취소된 때
4.시설의 회계 부정이나 시설이용자에 대한 인권침해 등 불법행위 그 밖의 부 ,

당행위 등이 발견된 때
5.설치 목적을 이루었거나 그 밖의 사유로 계속하여 운영할 필요가 없다고 인정
되는 때
6.이 법 또는 이 법에 따른 명령이나 처분을 위반한 경우
시행일
[[ 2007.10.12]]

제 조 단체의 보호·육성 ①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의 복지를 향상하고


63 ( )

자립을 돕기 위하여 장애인 복지단체를 보호·육성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

②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예산의 범위 안에서 제 항에 따른 단체의 사업 또는 1

활동이나 그 시설에 필요한 경비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보조할 수 있다 .

시행일
[[ 2007.10.12]]

제 조 장애인복지단체협의회 ①장애인 복지단체의 활동을 지원하고 장애인의


64 ( )

복지를 향상하기 위하여 장애인복지단체협의회 이하 협의회 하 한다 를 설립할 ( “ ” )

수 있다 .

②협의회는 「사회복지사업법」 에 따른 사회복지법인으로 하되 「사회복지사업 ,

법」 제 조제 항은 적용하지 아니한다
23 1 .

③협의회의 조직과 운영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정관으로 정한다 .

시행일
[[ 2007.10.12]]

제 장 장애인보조기구
6

제 조 장애인보조기구 ① 장애인보조기구 란 장애인이 장애의 예방·보완과 기


65 ( ) " "

능 향상을 위하여 사용하는 의지 義肢 ·보조기 및 그 밖에 보건복지가족부장관이 ( )

- 191 -
정하는 보장구와 일상생활의 편의 증진을 위하여 사용하는 생활용품을 말한다 .

개정
[ 제 호 정부조직법
2008.2.29 8852 ( )]

②보건복지가족부장관은 제 항에 따른 장애인보조기구의 품질향상 등을 위하여 1

장애인보조기구의 품목·기준 및 규격을 정하여 고시할 수 있다 개정 . [ 2008.2.29

제 호 정부조직법
8852 ( )]

제 조 장애인보조기구의교부 등 ①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의 신청이 있


66 ( )

을 때에는 예산의 범위 안에서 장애인보조기구를 교부·대여 또는 수리하거나 장


애인보조기구 구입 또는 수리에 필요한 비용을 지급할 수 있다 .

②제 항에 따른 비용의 지급은 장애인보조기구의 교부 또는 수리가 곤란하다고


1

인정되는 경우에만 한다 .

③제 항에 따른 신청을 할 수 있는 자의 범위 장애인보조기구의 교부·대여·수리


1 ,

및 비용 지급의 기준과 방법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가족부령으로


정한다 개정 제 호 정부조직법
. [ 2008.2.29 8852 ( )]

제 조 장애인보조기구업체의 육성·연구지원 등 ①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


67 ( )

인보조기구의 개발·보급을 촉진하기 위하여 장애인보조기구를 생산하는 업체 이 (

하 장애인보조기구업체 라 한다 에 대한 생산장려금 지급 기술지원 연구개발의


" " ) , ,

장려 등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

②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보조기구업체의 육성을 위하여 장애인보조기구


업체 중 우수업체를 지정하여 자금을 융자하거나 보조할 수 있다 .

③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제 항에 따라 지정된 우수업체가 지정의 필요성을 상 2

실하였다고 인정될 경우 그 지정을 취소할 수 있다 .

④제 항부터 제 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생산장려금 지급 기술지원 우수업체 지


1 3 , ,

정 및 취소 자금 융자와 보조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가족부령으로


,

정한다 개정 제 호 정부조직법
. [ 2008.2.29 8852 ( )]

제 조 장애인보조기구 연구개발의 지원 등 ①보건복지가족부장관은 장애인보


68 ( )

조기구의 품질 향상 등을 위하여 장애인보조기구에 관한 연구개발을 장려하고


보호·육성하기 위한 정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개정 제 호 정부조직 . [ 2008.2.29 8852 (

법 )]

②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보조기구에 관한 연구개발활동에 대하여 자금의


보조 등 필요한 지원정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

- 192 -
제 조 의지·보조기제조업의 개설사실의 통보 등 ①의지·보조기를 제조·개조·수
69 ( )

리하거나 신체에 장착하는 사업 이하 의지·보조기제조업 이라 한다 을 하는 자는 ( " " )

그 제조업소를 개설한 후 일 이내에 보건복지가족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시 7

장·군수·구청장에게 제조업소의 개설사실을 알려야 한다 제조업소의 소재지 변 .

경 등 보건복지가족부령이 정하는 중요 사항을 변경한 때에도 또한 같다 개정 . [

제 호 정부조직법
2008.2.29 8852 ( )]

②의지·보조기 제조업자는 제 조에 따른 의지·보조기 기사 보조기 기사 를 명 72 ( ) 1

이상 두어야 한다 다만 의지·보조기 제조업자 자신이 의지·보조기 기사인 경우


. ,

에는 따로 기사를 두지 아니하여도 된다 .

③의지·보조기 제조업자가 제 조에 따른 폐쇄 명령을 받은 후 개월이 지나지 70 6

아니하면 같은 장소에서 같은 제조업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

④의지·보조기 제조업자는 의사의 처방에 따라 의지·보조기를 제조하거나 개조하


여야 한다 .

제 조 의지·보조기 제조업소의 폐쇄 등 ①시장·군수·구청장은 의지·보조기 제


70 ( )

조업자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 제조업소의 폐쇄를


명할 수 있다 .

1.제 조제 항을 위반하여 의지·보조기 기사를 두지 아니하고 의지·보조기제조


69 2

업을 한 경우
2.영업정지처분 기간에 영업을 하거나 회 이상 영업정지처분을 받은 경우 3

②시장·군수·구청장은 의지·보조기제조업자가 의지·보조기 제조업을 하면서 고의


나 중대한 과실로 의지·보조기를 착용하는 사람의 신체에 손상을 입힌 사실이 있
는 때에는 개월의 범위 안에서 보건복지가족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영업정
6

지를 명할 수 있다 개정 제 호 정부조직법 . [ 2008.2.29 8852 ( )]

제 장 장애인복지 전문인력
7

제 조 장애인복지 전문인력 양성 등 ①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그 밖의 공공단체


71 ( )

는 수화통역사 점역 點譯 ·교정사 등 장애인복지 전문인력 그 밖에 장애인복지


, ( ) ,

에 관한 업무에 종사하는 자를 양성·훈련하는 데에 노력해야 한다 .

②제 항에 따른 장애인복지전문인력의 범위 등에 관한 사항은 보건복지가족부령


1

으로 정한다 개정 제 호 정부조직법
. [ 2008.2.29 8852 ( )]

③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제 항에 따른 장애인복지전문인력의 양성업무를 관계 1

전문기관 등에 위탁할 수 있다 .

- 193 -
④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제 항에 따른 장애인복지전문인력의 양성에 소요되는 1

비용을 예산의 범위 안에서 보조할 수 있다 .

제 조 의지·보조기 기사자격증 교부 등 ①보건복지가족부장관은 다음 각 호의


72 ( )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로서 제 조에 따른 국가시험에 합격한 자 이하 의지· 73 ( "

보조기 기사 라 한다 에게 의지·보조기 기사자격증을 내주어야 한다 개정


" ) . [

제 호 정부조직법
2008.2.29 8852 ( )]

1.「고등교육법」 에 따른 전문대학이나 교육인적자원부장관이 이와 같은 수준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하는 학교에서 보건복지가족부령으로 정하는 의지·보
조기 관련 교과목을 이수하고 졸업한 자
2.보건복지가족부장관이 인정하는 외국에서 제 호에 해당하는 학교와 같은 수준 1

이상의 교육과정을 마치고 외국의 해당 의지·보조기 기사자격증을 받은 자


②의지·보조기 기사자격증을 분실하거나 훼손한 자에게는 신청에 따라 자격증을
재교부한다 .

③의지·보조기 기사자격증은 다른 자에게 대여하지 못한다 .

④제 항과 제 항에 따른 자격증의 교부·재교부 절차와 그 밖에 그 관리에 관하여


1 2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가족부령으로 정한다 개정 제 호 정부조직 . [ 2008.2.29 8852 (

법 )]

제 조 의지·보조기 기사 국가시험의 실시 등 ①의지·보조기 기사 국가시험은


73 ( )

보건복지가족부장관이 실시하되 실시시기·실시방법·시험과목 그 밖에 시험 실시 , ,

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개정 제 호 정부조 . [ 2008.2.29 8852 (

직법 )]

②보건복지가족부장관은 제 항에 따른 국가시험의 실시에 관한 업무를 대통령령 1

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시험관리 능력이 있다고 인정되는 관계 전문기관에 위탁


할 수 있다 개정 제 호 정부조직법
. [ 2008.2.29 8852 ( )]

제 조 응시자격 제한 등 ①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제 조에


74 ( ) 73

따른 국가시험에 응시할 수 없다 개정 시행일 . [ 2007.10.17] [[ 2008.4.18]]

1.「정신보건법」 제 조제 호에 따른 정신질환자 다만 전문의가 의지·보조기


3 1 . ,

기사로서 적합하다고 인정하는 사람은 그러하지 아니 하다 .

2.마약·대마 또는 향정신성의약품 중독자


3.금치산자·한정치산자
4.이 법이나 「형법」 제 조·제 조제 항 「의료법」 「국민건강보험법」
234 317 1 , , ,

종전의 「국민의료보호법」 의료보험법 「의료보호법」 「보건범죄단속에 관 , , ,

- 194 -
한 특별조치법」 「마약법」 「대마관리법」 「향정신성의약품 관리법」 또는
, , ,

「후천성면역결핍증 예방법」 을 위반하여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받고 그 형의


집행이 끝나지 아니하였거나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되지 아니한 자
②부정한 방법으로 제 조에 따른 국가시험에 응시한 자나 국가시험에 관하여 73

부정행위를 한 자는 그 수험을 정지시키거나 합격을 무효로 한다 .

③제 항에 따라 수험이 정지되거나 합격이 무효가 된 자는 그 후 회에 한하여


2 2

제 조에 따른 국가시험에 응시할 수 없다 시행일


73 . [[ 2007.10.12]]

제 조 보수교육 ①보건복지가족부장관은 의지·보조기 기사에 대하여 자질 향


75 ( )

상을 위하여 필요한 보수 補修 교육을 받도록 명할 수 있다 개정 제 ( ) . [ 2008.2.29

호 정부조직법
8852 ( )]

②제 항에 따른 보수교육의 실시 시기와 방법 등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가족부


1

령으로 정한다 개정 제 호 정부조직법 . [ 2008.2.29 8852 ( )]

제 조 자격취소 보건복지가족부장관은 의지·보조기 기사가 다음 각 호의 어느


76 ( )

하나에 해당한 때에는 그 자격을 취소해야 한다 개정 제 호 정부조 . [ 2008.2.29 8852 (

직법 )]

제 조제 항을 위반해서 타인에게 의지·보조기 기사자격증을 대여한 때


1. 72 3

제 조제 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게 된 때
2. 74 1

제 조에 따른 자격정지처분 기간에 그 업무를 하거나 자격정지 처분을 회


3. 77 3

받은 때

제 조 자격정지 보건복지가족부장관은 의지·보조기 기사가 다음 각 호의 어느


77 ( )

하나에 해당하면 개월 이내의 범위 안에서 보건복지가족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6

따라 자격을 정지시킬 수 있다 개정 제 호 정부조직법 . [ 2008.2.29 8852 ( )]

의지·보조기 기사의 업무를 하면서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의지·보조기 착


1.

용자의 신체에 손상을 입힌 사실이 있는 때


제 조에 따른 보수교육을 연속하여 회 이상 받지 아니한 때
2. 75 2

제 조 수수료 의지·보조기 기사 국가시험에 응시하려고 하거나 의지·보조기


78 ( )

기사자격증을 교부 또는 재교부 받으려 하는 자는 보건복지가족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수수료를 내야 한다 개정 제 호 정부조직법 . [ 2008.2.29 8852 ( )]

- 195 -
제 장 보칙
8

제 조 비용 부담 제 조제 항 제 조제 항 제 조제 힝 제 조제 항 제 조
79 ( ) 36 1 , 38 1 , 43 1 , 49 1 , 50

제 항·제 항 제 조제 항 제 조제 항 및 제 조제 항·제 항에 따른 조치와 제


1 2 , 55 1 , 66 1 67 1 2

조제 항에 따른 장애인복지시설의 설치·운영에 드는 비용은 예산의 범위 안에


59 1

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장애인복지실시기관이 부담하게 할 수 있다 .

시행일
[[ 2007.10.12]]

제 조 비용 수납 ①제 조제 항제 호에 따른 조치에 필요한 비용을 부담한 장


80 ( ) 34 1 1

애인복지실시기관은 해당 장애인 또는 그 부양의무자로부터 대통령령으로 정하


는 바에 따라 장애인복지실시기관이 부담한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받을 수
있다 .

②제 조제 항제 호에 따라 장애인 유료복지시설을 설치·운영하는 자는 그 시설


58 1 4

에 입소하는 자로부터 필요한 비용을 받으려면 미리 시장·군수·구청장에게 신고


하여야 한다 시행일 . [[ 2007.10.12]]

제 조 비용 보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장애


81 ( )

인복지시설의 설치· 운영에 필요한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보조할 수 있다 .

시행일
[[ 2007.10.12]]

제 조 압류 금지 이 법에 따라 장애인에게 지급되는 금품은 압류하지 못한다


82 ( ) .

시행일
[[ 2007.10.12]]

제 조 조세감면 ①이 법에 따라 지급되는 금품 제 조에 따른 장애인복지시


83 ( ) , 58

설 및 제 조에 따른 장애인복지단체에서 장애인이 제작한 물품에는 「조세특례


63

제한법」 과 「지방세법」 그 밖의 조세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조세를 ,

감면한다 .

②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복지시설에 대하여 「기반시설부담금에 관한


법률」 이 정하는 바에 따라 부담금을 부과하지 아니할 수 있다 .

시행일
[[ 2007.10.12]]

- 196 -
제 조 심사청구 ①장애인 장애인의 법정대리인 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보
84 ( ) ,

호자는 이 법에 따른 복지조치에 이의가 있으면 해당 장애인복지실시기관에 심


사를 청구할 수 있다 .

②장애인복지 실시·기관은 제 항에 따른 심사청구를 받은 때에는 개월 이내에 1 1

심사·결정하여 청구인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

③제 항에 따른 심사·결정에 이의가 있는 자는 「행정심판법」 에 따라 행정심판


2

을 제기할 수 있다 시행일 . [[ 2007.10.12]]

제 조 권한위임 등 이 법에 따른 보건복지가족부장관과 시·도지사의 권한은


85 ( )

그 일부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립재활원장 시·도지사 또는 시장· ,

군수·구청장에게 위임하거나 관련 단체 또는 법인에 위탁할 수 있다 개정 . [

제 호 정부조직법
2008.2.29 8852 ( )]

제 장 벌칙
9

제 조 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년 이하의 징역이나


86 ( ) 1

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500 .

1.제 조제 항을 위반하여 장애인을 이용하여 부당한 영리행위를 한자


8 2

2.제 조제 항을 위반하여 등록증을 양도 또는 대여하거나 양도 또는 대여를 받


32 5

은 자 및 유사한 명칭 또는 표시를 사용한 자


3.제 조제 항을 위반하여 업무상 알게 된 개인의 신상에 관한 비밀을 누설한
33 2


4.제 조제 항에 따른 신고 또는 변경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장애인 복지시설을
59 2

설치·운영한 자
5.제 조제 항에 따른 시설 거주자의 권익 보호조치를 위반한 시설운영자
60 3

6.정당한 사유 없이 제 조제 항에 따른 보고를 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의 보고를 61 1

한 자 자료를 제출하지 아니하거나 거짓 자료를 제출한 자 조사·검사·질문을 거


, ,

부·방해 또는 기피한 자
7.제 조에 따른 명령 등을 받고 이행하지 아니한 자
62

8.제 조제 항을 위반하여 의지·보조기 기사를 두지 아니하고 의지·보조기 제조


69 2

업을 한 자
9.제 조제 항을 위반하여 폐쇄 명령을 받은 후 개월이 지나지 아니하였음에도
69 3 6

불구하고 같은 장소에서 같은 제조업을 한 자

- 197 -
제 조제 항에 따른 제조업소 폐쇄 명령을 받고도 영업을 한 자
10. 70 1

시행일
[[ 2007.10.12]]

제 조 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만원 이하의 벌금에


87 ( ) 300

처한다 .

1.제 조제 항을 위반하여 장애인의 입학 지원을 거부하거나 입학시험 합격자의


20 4

입학을 거부하는 등 불리한 조치를 한 자


2.제 조제 항을 위반하여 타인에게 의지·보조기 기사자격증을 대여한 자
72 3

3.제 조제 항을 위반하여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비용을 받은 자


80 2

시행일
[[ 2007.10.12]]

제 조 양벌규정 ①법인의 대표자 대리인 사용인 그 밖의 종업원이 그 법인


88 ( ) , , ,

의 업무에 관하여 제 조 또는 제 조의 위반행위를 하면 그 행위자를 벌할 뿐 86 87

만 아니라 그 법인에게도 해당 조문의 벌금형을 과 科 한다 ( ) .

②개인의 대리인 사용인 그 밖의 종업원이 그 개인의 업무에 관하여 제 조 또


, , 86

는 제 조의 위반행위를 하면 그 행위자를 벌할 뿐만 아니라 그 개인에게도 해


87

당 조문의 벌금형을 과한다 시행일 . [[ 2007.10.12]]

제 조 과태료 ①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는 만원 이하의


89 ( ) 300

과태료를 부과한다 개정 제 호 정부조직법 . [ 2008.2.29 8852 ( )]

1.제 조제 항에 따른 등록증 반환 명령을 거부한 자


32 3

2.제 조제 항을 위반하여 장애인사용자동차등표지를 대여하거나 보건복지가족


39 3

부령으로 정하는 자 외의 자에게 양도한 자 또는 부당하게 사용하거나 이와 비


슷한 표지·명칭 등을 사용한 자
3.제 조제 항을 위반하여 보조견표지를 붙인 장애인 보조견 등을 동반한 장애
40 3

인 등의 출입을 정당한 사유 없이 거부한 자


4.제 조제 항에 따른 시설 운영 개시 의무를 위반한 자
60 1

5.제 조제 항에 따른 시설의 운영 중단·재운영·시설폐지 등의 신고의무를 위반


60 2

한자
6.제 조제 항을 위반하여 의지·보조기 제조업소의 개설 또는 변경 사실을 통보
69 1

하지 아니한 자
7.제 조제 항을 위반하여 의사의 처방에 의하지 아니하고 의지·보조기를 제조
69 4

하거나 개조한 의지·보조기 제조업자

- 198 -
②제 항에 따른 과태료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시장·군수·구청장 이하
1 (

부과권자 라 한다 이 부과·징수한다
" " ) .

③제 항에 따른 과태료 처분에 불복하는 자는 그 처분을 고지받은 날부터 일


2 30

이내에 부과권자에게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

④제 항에 따른 과태료 처분을 받은 자가 제 항에 따라 이의를 제기하면 부과권


2 3

자는 지체 없이 관할 법원에 그 사실을 통보하여야 하며 그 통보를 받은 관할 ,

법원은 「비송사건절차법」 에 따른 과태료 재판을 한다 .

⑤제 항에 따른 기간에 이의를 제기하지 아니하고 과태료를 내지 아니하면 지방


3

세 체납처분의 예에 따라 징수한다 .

부칙
부칙
제 조 시행일 이 법은 년 월 일부터 시행한다 다만 제 조제 항의 규정
1 ( ) 2000 1 1 . , 60 2

에 의한 의지·보조기기사의 의무배치에 관한 사항은 년 월 일부터 시행한 2003 1 1

다 .

제 조 설립준비 ①종전의 규정에 의한 재단법인 한국장애인복지체육회는 이 법


2 ( )

제 조의 개정규정에 의한 재단법인 한국장애인복지진흥회로 본다


26 .

②재단법인 한국장애인복지진흥회의 설립을 위해 이 법 시행 후 월내에 보건복 6

지부장관의 허가를 받아 정관의 변경 등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

③이 법 시행당시 다른 법령에서 한국장애인복지체육회를 인용하고 있는 경우


이 법에 의한 한국장애인복지진흥회를 인용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

제 조 처분 등에 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 전에 종전의 규정에 의하여 행하여


3 ( )

진 처분 기타 행정기관의 행위 또는 신청 기타 행정기관에 대한 행위는 이 법의 ,

규정에 의한 행정기관의 행위 또는 행정기관에 대한 행위로 본다 .

제 조 장애인수첩에 대한 경과조치 ①이 법 시행당시 종전의 규정에 의하여 교


4 ( )

부된 장애인수첩은 제 조의 개정규정에 의한 장애인등록증으로 본다


29 .

②시장·군수·구청장은 이 법 시행당시 종전의 규정에 의하여 교부된 장애인수첩


을 이 법 시행 후 년 이내에 이 법에 의한 장애인등록증으로 변경하여야 한다
1 .

제 조 장애인복지시설에 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당시 종전의 규정에 의하여


5 ( )

설치된 장애인복지시설은 이 법 시행 후 년 이내에 이 법에 의한 설치기준을 1

갖추어 각각 장애인생활시설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장애 , , ,

인유료복지시설 기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로 신고하여야 한다 .

제 조 의지·보조기제조업소에 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당시 종전의 규정에 의


6 ( )

하여 보장구제조 수리업을 허가받은 자는 이 법에 의하여 의지·보조기제조업소


,

- 199 -
의 개소사실을 통보한 것으로 본다 .

제 조 의지·보조기기사국가시험의 특례 이 법 시행 후 년의 범위 내에서 실시
7 ( ) 3

하는 의지·보조기기사국가시험은 제 조제 항의 각호의 규정을 적용하지 아니하 63 1

며 제 조제 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시험의


, 64 1

일부를 면제할 수 있다 .

제 조 벌칙에 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 전의 행위에 대한 벌칙의 적용에 있어


8 ( )

서는 종전의 규정에 의한다 .

제 조 다른 법령과의 관계에 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당시 다른 법령에서 종


9 ( )

전의 장애인복지법의 규정을 인용하고 있는 경우 이 법 중 그에 관한 규정이 있


는 때에는 이 법의 해당 규정을 인용한 것으로 본다 .

부칙 법률제 호
[2001.1.29. 6400 ]

제 조 시행일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다만 부칙 제 조제 항은


1 ( ) . , 3 20 2002

년 월 일부터 시행한다
3 1 .

제 조 및 제 조 생략
2 3

부칙 · · 법률제 호
[2001 4 7 6460 ]

제 조 시행일 이 법은 년 월 일부터 시행한다


1 ( ) 2001 7 1 .

제 조 내지 제 조 생략
2 4

부칙 [2003.09.29]

이 법은 년 월 일부터 시행한다 2005 1 1 .

부칙 [2004.3.5]

이 법은 공포 후 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6 .

부칙 제 호 국민체육진흥법
[2005.7.29 7630 ( )]

① 시행일 이 법은 공포 후 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 ) 3 .

② 다른 법률의 개정 장애인복지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 .

제 조중 체육활동의 증진 을 재활체육 장애인복지시설 등에서 행하는 체육을


25 “ ” “ (

포함한다 이하 이 조 및 제 조에서 같다 활동의 증진 으로 체육활동등 을 재


. 26 ) ” , “ ” “

활체육활동등 으로 한다 ” .

제 조제 항중 체육진흥 을 재활체육진흥 으로 한다
26 1 “ ” “ ” .

제 조제 항중 체육진흥 을 재활체육진흥 으로 한다
26 2 “ ” “ ” .

부칙 제 호
[2007.4.11 8367 ]

제 조 시행일 이 법은 공포 후 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1 ( ) 6 .

제 조 한국장애인복지진흥회에 관한 경과조치 ①이 법 시행 당시 종전의 규정에


2 ( )

따른 재단법인 한국장애인복지진흥회는 제 조의 개정규정에 따른 재단법인 한 29

국장애인개발원으로 본다 .

②재단법인 한국장애인복지진홍희는 이 법 시행 후 개월 이내에 보건복지부장 6

- 200 -
관의 허가를 받아 정관의 변경 등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

제 조 처분 등에 관할 일반적 경과조치 이 법 시행 당시 종전의 규정에 따른 행


3 ( )

정기관의 행위나 행정기관에 대한 행위는 그에 해당하는 이 법에 따른 행정기관


의 행위나 행정기관에 대한 행위로 본다 .

제 조 벌칙이나 과태료에 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 전의 행위에 대해 벌칙이나


4 ( )

과태료 규정을 적용할 때에는 종전의 규정에 따른다 .

제 조 다른 법률의 개정 ①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일부를


5 ( )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 조제 항제 호 중 「장애인복지법」 제 조 를 「장 . 18 4 2 “ 29 ” “

애인복지법」 제 조 로 한다 32 ” .

②관세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 조제 호 중 장애인복지법 제 조 를 「장애인복지법」 제 조 로 한다
91 5 “ 48 ” “ 58 ” .

③노인복지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 조의 제 항제 호 중 장애인복지법 제 조 를 「장애인복지 법」 제 조
39 6 1 3 “ 48 ” “ 58 ”

로 한다 .

④보호시설에있는미성년꿉의후현직무에관한법률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 조제 호나목 중 장애인복지법제 조제 항제 호 를 「장애인복지법」 제


2 1 “ 48 1 1 ” “ 58

조제 항제 호 로 한다
1 1 ” .

⑤복권 및 복권기금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 조제 호 중 「장애인복지법」 제 조 를 「장애인복지법」 제 조 로 한
30 1 “ 29 ” “ 32 ”

다.

⑥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 조제 항제 호 중 제 조제 항 를 제 조제 항 으로 한다
16 6 14 “ 50 1 ” “ 60 1 ” .

⑦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 조제 항제 호 중 장애인복지법 제 조 를 「장애인복지법」 제 조 로 하
26 1 3 “ 29 ” “ 32 ”

고 같은 조 제 항제 호 중 장애인복지법 제 조제 항제 호 를 「장애인복지
, 2 3 “ 48 1 1 ” “

법」 제 조제 항제 호 로 한다
58 1 1 ” .

⑧의료기기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 한다 .

제 조제 항 각 호 외의 부분 단서 중 장애인복지법 제 조의 규정에 의한 재활
2 1 “ 55

보조기구 를 「장애인복지법」 제 조에 따른 장애인 보조기구 로 한다


” “ 65 ” .

⑨장애인 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 조제 호 중 「장애인복지법」 제 조제 항제 호 를 「장애인복지법」 제
2 8 “ 48 1 3 ” “ 58

조제 항제 호 로 한다
1 3 ” .

제 조제 항제 호 중 「장애인복지법」 제 조제 항제 호 를 「장애인복지법」
8 2 2 “ 48 1 2 ” “

제 조제 항제 호 로 하고 같은 항 제 호 중 「장애인복지법」 제 조제 항제
58 1 2 ” , 3 “ 48 1 3

호 를 「장애인복지법」 제 조제 항제 호 로 하며 같은 항 제 호 중 「장애
” “ 58 1 3 ” , 4 “

- 201 -
인복지법」 제 조 를 「장애인복지법」 제 조 로 한다 53 ” “ 63 ” .

⑩장애인기업활동 촉친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 조제 호가목 중 「장애인복지법」 제 조 를 「장애인복지법」 제 조 로


2 1 “ 29 ” “ 32 ”

한다 .

⑪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 일부를 다음과 같


이 개정한다 .

제 조를 다음과 같이 한다
332 .

제 조 장애인복지에 관한 특례 「장애인복지법」 제 조제 항 제 조제 항
332 ( ) 36 2 , 38 2 ,

제 조제 항 제 조제 항 제 조제 항 제 조제 항 제 조제 항 및 제 조제
43 2 , 49 2 , 50 3 , 58 2 , 59 4 66 3

항에서 대통령령 또는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도록 한 사항은 도조례로 정할 수


있다 .

⑫조세특례제한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 조의 제 항제 호 중 「장애인복지법」 제 조 를 「장애인복지법」 제
88 2 1 2 “ 29 ” “ 32

조 로 한다
” .

⑬중소기업진흥 및 제품구매촉진에 관한 법률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 조제 호 중 제 조 를 제 조 로 한다
82 3 “ 53 ” “ 63 ” .

제 조 다른 법령과의 관계 이 법 시행 당시 다른 법령에서 종전의 「장애인복지


6 ( )

법」 또는 그 규정을 인용한 경우에 이 법 가운데 그에 해당하는 규정이 있으면


종전의 규정을 갈음하여 이 법의 해당 조항을 인용한 것으로 본다 .

부칙 제 호
[2007.10.17 8652 ]

이 법은 공포 후 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6 .

부칙 제 호 정부조직법
[2008.2.29 8852 ( )]

제 조 시행일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다만 ··· 생략 ··· 부칙 제 조


1 ( ) . , < > , 6

에 따라 개정되는 법률 중 이 법의 시행 전에 공포되었으나 시행일이 도래하지


아니한 법률을 개정한 부분은 각각 해당 법률의 시행일부터 시행한다 .

제 조부터 제 조까지 생략
2 5

제 조 다른 법률의 개정 ① 부터
6 ( 까지 생략 ) <488>

장애인복지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489> .

제 조제 항 제 조제 항 제 조제 항 및 제 항 제 조제 항 제 조제 항 제
31 1 , 34 1 , 40 2 4 , 44 1 , 45 1 ,

조제 항 및 제 항 제 조제 항 제 조제 항 각 호 외의 부분 및 제 호 제
65 1 2 , 68 1 , 72 1 2 , 73

조제 항 및 제 항 제 조제 항 제 조 제 조 제 조 중 보건복지부장관 을
1 2 , 75 1 , 76 , 77 , 85 " "

각각 보건복지가족부장관 으로 한다
" " .

제 조제 항 및 제 항 제 조제 항 제 조제 항 제 조제 항 제 조제 항 및
32 1 6 , 36 2 , 37 2 , 38 2 , 39 3

제 항 제 조제 항 제 조제 항 제 조제 항 제 조제 항 제 조제 항 제
4 , 40 5 , 43 2 , 45 2 , 54 2 , 56 2 , 58

조제 항 제 조제 항 및 제 항 제 조제 항부터 제 항까지 제 조제 항 제
2 , 59 2 4 , 60 2 4 , 66 3 , 67

- 202 -
조제 항 제 조제 항 전단 및 후단 제 조제 항 제 조제 항 제 조제 항제
4 , 69 1 , 70 2 , 71 2 , 72 1 1

호 및 제 항 제 조제 항 제 조 제 조 제 조제 항제 호 중 보건복지부령
4 , 75 2 , 77 , 78 , 89 1 2 " "

을 각각 보건복지가족부령 으로 한다
" " .

제 조제 항 중 보건복지부 를 보건복지가족부 로 한다
32 4 " " " " .

부터
<450> 까지 생략 <760>

제 조 생략
7

- 203 -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법률 제 8341호 신규제정 2007. 04. 10.

법률 제 8974호 건축법 일부개정


( ) 2008. 03. 21.

제 장 총칙
1

제 조 목적 이 법은 모든 생활영역에서 장애를 이유로 한 차별을 금지하고 장


1 ( )

애를 이유로 차별받은 사람의 권익을 효과적으로 구제함으로써 장애인의 완전


한 사회참여와 평등권 실현을 통하여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구현함을
목적으로 한다 .

제 조 장애와 장애인 ①이 법에서 금지하는 차별행위의 사유가 되는 장애라 함


2 ( )

은 신체적·정신적 손상 또는 기능상실이 장기간에 걸쳐 개인의 일상 또는 사회


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초래하는 상태를 말한다 .

②장애인이라 함은 제 항에 따른 장애가 있는 사람을 말한다 1 .

제 조 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개정


3 ( ) 제 . [ 2008.3.21

호 「건축법」
8974 ( )]

1.광고 라 함은 「표시ㆍ광고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 조제 호 및 제 호


" " 2 1 2

에 따른 표시 및 광고를 말한다 .

2.보조견 이라 함은 「장애인복지법」 제 조에 따른 장애인 보조견을 말한


" " 40

다 .

3.장애인보조기구 등 이라 함은 「장애인복지법」 제 조에 따른 장애인보조


" " 65

기구 그 밖에 장애인의 활동을 돕기 위한 자동차 기타 기구를 말한다 그


, .

밖에 장애인의 활동을 돕기 위한 자동차 기타 기구의 구체적인 범위는 대통


령령으로 정하되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제 조의 에 따른 작 , 19 2

업보조공학기기 및 「정보격차해소에 관한 법률」 제 조에 따른 정보통신기 9

기 그 밖에 관계 법령에서 정하는 내용과의 관계 및 이 법에서 정하는 관


,

련 조항과의 관계 등을 고려하여 정한다 .

4.공공기관 이라 함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 " ,

공공단체를 말한다 .

5.사용자 라 함은 「근로기준법」 제 조제 항제 호에 따른 사업주 또는 사업


" " 2 1 2

경영 담당자 그 밖의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

하는 자를 말한다 .

- 205 -
6. 교육기관 이라 함은 「영유아보육법」 에 따른 보육시설 「유아교육법」
" " ,

ㆍ 「초ㆍ중등교육법」 및 「고등교육법」 에 따른 각급 학교 「평생교육 ,

법」 에 따른 평생교육시설 「학점인정 등에 관한 법률」 에서 정한 교육 ,

인적자원부장관의 평가인정을 받은 교육훈련기관 「직업교육훈련 촉진법」 ,

에 따른 직업교육훈련기관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관을 말한다 , .

7. " 교육책임자 라 함은 교육기관의 장 또는 운영책임자를 말한다 " .

8. " 정보 라 함은 다음 각 목의 사항으로 구분한다


" .

가 전자정보 라 함은 「정보화촉진기본법」 제 조제 호에 따른 정보를 말


. " " 2 1

한다 이 경우 자연인 및 법인 에는 이 법의 규정에 따른 공공기관도 포


. " "

함되는 것으로 본다 .

나 비전자정보 라 함은 「정보화촉진기본법」 제 조제 호에 따른 정보를


. " " 2 1

제외한 정보로서 음성 문자 수화 점자 몸짓 기호 등 언어 및 비언어 , , , , ,

적 방법을 통하여 처리된 모든 종류의 자료와 지식을 말하며 그 생산ㆍ ,

획득ㆍ가공ㆍ보유 주체가 자연인ㆍ법인 또는 공공기관 여부를 불문한다 .

다 개인정보 라 함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제 조제


. " " 2 2

호에 따른 개인정보를 말한다 .

9. 정보통신 이라 함은 「정보화촉진기본법」 제 조제 호에 따른 정보통신을


" " 2 3

말하며 그 주체가 자연인ㆍ법인 또는 공공기관 여부를 불문한다


, .

10. 문화ㆍ예술활동 이라 함은 「문화예술진흥법」 제 조제 항제 호의 문학


" " 2 1 1 ,

미술 응용미술을 포함한다 음악 무용 연극 영화 연예 국악 사진 건축
( ), , , , , , , , ,

어문 및 출판에 관한 활동을 말한다 .

11. 문화ㆍ예술사업자 라 함은 문화ㆍ예술의 요소를 담고 있는 분야에서 기획


" "

ㆍ개발ㆍ제작ㆍ생산ㆍ전시ㆍ유통ㆍ판매를 포함하는 일체의 행위를 하는 자


를 말한다 .

12. 체육 이라 함은 「국민체육진흥법」 제 조의 체육 및 학교체육 놀이 게


" " 2 , ,

임 스포츠 레저 레크리에이션 등 체육으로 간주되는 모든 신체활동을 말


, , ,

한다 .

13. 가정 및 가족 이라 함은 「건강가정기본법」 제 조제 호 및 제 호의 가정
" " 3 1 2

및 가족을 말한다 .

14. 복지시설 등 이라 함은 장애인이 장ㆍ단기간 생활하고 있는 시설로서


" " ,

「사회복지사업법」 제 조에 의한 사회복지시설 「장애인복지법」 제 34 , 58

조에 따른 장애인복지시설 및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장애인 인 이상을 1

보호하고 있는 시설을 말한다 .

15. 시설물 이라 함은 「건축법」 제 조제 항제 호ㆍ제 호 및 제 호에 따른


" " 2 1 2 6 7

건축물 거실 및 주요구조부를 말한다 , .

- 206 -
16. 이동 및 교통수단 등 이라 함은 사람이 일상적으로 이용하는 도로 및 보
" "

도와 「교통약자의 이동편의증진법」 제 조제 호 및 제 호에 따른 교통수 2 2 3

단 및 여객시설을 말한다 .

17. 건강권 이라 함은 보건교육 장애로 인한 후유장애와 질병 예방 및 치료


" " , ,

영양개선 및 건강생활의 실천 등에 관한 제반 여건의 조성을 통하여 건강


한 생활을 할 권리를 말하며 의료 받을 권리를 포함한다 , .

18. 의료인 등 이라 함은 「의료법」 제 조제 항 따른 의료인과 국가 및 관련


" " 2 1

협회 등에서 정한 자격ㆍ면허 등을 취득한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언어치 , ,

료사 심리치료사 의지ㆍ보조기 기사 등 장애인의 건강에 개입되는 사람을


, ,

말한다 .

19. 의료기관 등 이라 함은 「의료법」 제 조의 의료기관 및 의료인이 장애인


" " 3

의 건강을 위하여 서비스를 행하는 보건기관 치료기관 약국 그 밖에 관 , , ,

계 법령에 정하고 있는 기관을 말한다 .

20. 괴롭힘 등 이라 함은 집단따돌림 방치 유기 괴롭힘 희롱 학대 금전적


" " , , , , , ,

착취 성적 자기결정권 침해 등의 방법으로 장애인에게 가해지는 신체적ㆍ


,

정신적ㆍ정서적ㆍ언어적 행위를 말한다 .

제 조 차별행위 ①이 법에서 금지하는 차별이라 함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


4 ( )

에 해당하는 경우를 말한다 .

1.장애인을 장애를 사유로 정당한 사유 없이 제한·배제·분리·거부 등에 의하여


불리하게 대하는 경우
2.장애인에 대하여 형식상으로는 제한·배제·분리·거부 등에 의하여 불리하게
대하지 아니하지만 정당한 사유 없이 장애를 고려하지 아니하는 기준을 적
용함으로써 장애인에게 불리한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
3.정당한 사유 없이 장애인에 대하여 정당한 편의 제공을 거부하는 경우
4.정당한 사유 없이 장애인에 대한 제한·배제·분리·거부 등 불리한 대우를 표
시·조장하는 광고를 직접 행하거나 그러한 광고를 허용·조장하는 경우 이 .

경우 광고는 통상적으로 불리한 대우를 조장하는 광고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되는 행위를 포함한다 .

5.장애인을 돕기 위한 목적에서 장애인을 대리·동행하는 자 장애아동의 보호 (

자 또는 후견인 그 밖에 장애인을 돕기 위한 자임이 통상적으로 인정되는


,

자를 포함한다 이하 장애인 관련자 라 한다 에 대하여 제 호부터 제 호까


. “ ” ) 1 4

지의 행위를 하는 경우 이 경우 장애인 관련자의 장애인에 대한 행위 또한 .

이 법에서 금지하는 차별 행위 여부의 판단대상이 된다 .

6.보조견 또는 장애인보조기구 등의 정당한 사용을 방해하거나 보조견 및 장

- 207 -
애인보조기구 등을 대상으로 제 호에 따라 금지된 행위를 하는 경우 4

②제 항제 호의 정당한 편의 라 함은 장애인이 장애가 없는 사람과 동등하게


1 3 “ ”

같은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장애인의 성별 장애의 유형 및 정도 특성 등 , ,

을 고려한 편의시설·설비·도구·서비스 등 인적·물적 제반 수단과 조치를 말한


다 .

③제 항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정당한 사유가 있


1

는 경우에는 이를 차별로 보지 아니한다 .

1.제 항에 따라 금지된 차별행위를 하지 않음에 있어서 과도한 부담이나 현저


1

히 곤란한 사정 등이 있는 경우
2.제 항에 따라 금지된 차별행위가 특정 직무나 사업 수행의 성질상 불가피한
1

경우 이 경우 특정 직무나 사업 수행의 성질은 교육 등의 서비스에도 적용


.

되는 것으로 본다 .

④장애인의 실질적 평등권을 실현하고 장애인에 대한 차별을 시정하기 위하여


이 법 또는 다른 법령 등에서 취하는 적극적 조치는 이 법에 따른 차별로 보
지 아니한다 .

제 조 차별판단 ①차별의 원인이 가지 이상이고 그 주된 원인이 장애라고 인


5 ( ) 2 ,

정되는 경우 그 행위는 이 법에 따른 차별로 본다 .

②이 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차별 여부를 판단할 때에는 장애인 당사자의 성별 ,

장애의 유형 및 정도 특성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 , .

제 조 차별금지 누구든지 장애 또는 과거의 장애경력 또는 장애가 있다고 추측


6 ( )

됨을 이유로 차별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

제 조 자기결정권 및 선택권 ①장애인은 자신의 생활 전반에 관하여 자신의 의


7 ( )

사에 따라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할 권리를 가진다 .

②장애인은 장애인 아닌 사람과 동등한 선택권을 보장받기 위하여 필요한 서


비스와 정보를 제공 받을 권리를 가진다 .

제 조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의무 ①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 및 장애


8 ( )

인 관련자에 대한 모든 차별을 방지하고 차별받은 장애인 등의 권리를 구제할


책임이 있으며 장애인 차별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이 법에서 규정한
,

차별 시정에 대하여 적극적인 조치를 하여야 한다 .

②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 등에게 정당한 편의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필


요한 기술적·행정적·재정적 지원을 하여야 한다 .

- 208 -
제 조 다른 법률과의 관계 장애를 사유로 한 차별의 금지 및 권리구제에 관하
9 ( )

여 이 법에서 규정한 것 외에는 「국가인권위원회법」 으로 정하는 바에 따른


다 .

제 장 차별금치
2

제 절 고용
1

제 조 차별금지 ①사용자는 모집·채용 임금 및 복리후생 교육·배치·승진·전


10 ( ) , ,

보 정년·퇴직·해고에 있어 장애인을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 .

②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제 조제 호에 따른 노동조합은 장애인 근 2 4

로자의 조합 가입을 거부하거나 조합원의 권리 및 활동에 차별을 두어서는 아


니 된다 .

제 조 정당한 편의제공 의무 ①사용자는 장애인이 해당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11 ( )

서 장애인 아닌 사람과 동등한 근로조건에서 일할 수 있도록 다음 각 호의 정


당한 편의를 제공하여야 한다 .

시설·장비의 설치 또는 개조
1.

재활 기능평가 치료 등을 위한 근무시간의 변경 또는 조정
2. , ,

훈련 제공 또는 훈련에 있어 정당한 편의 제공
3.

지도 매뉴얼 또는 참고자료의 변경
4.

시험 또는 평가과정의 개선
5.

6.화면낭독·확대 프로그램 무지점자단말기 확대 독서기 인쇄물음성변환출력 , , ,

기 등 장애인보조기구의 설치·운영과 낭독자 수화·통역자 등의 보조인 배치 ,

②사용자는 정당한 사유 없이 장애를 이유로 장애인의 의사에 반하여 다른 직


무에 배치하여서는 아니 된다 .

③사용자가 제 항에 따라 제공하여야 할 정당한 편의의 구체적 내용 및 적용


1

대상 사업장의 단계적 범위 등에 관하여는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

제 조 의학적 검사의 금지 ①사용자는 채용 이전에 장애인 여부를 조사하기


12 ( )

위한 의학적 검사를 실시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채용 이후에 직무의 본질 . ,

상 요구되거나 직무배치 등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②제 항 단서에 따라 의학적 검사를 실시할 경우 그 비용은 원칙적으로 사용


1

자가 부담한다 사용자의 비용부담 방식 및 그 지원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


.

- 209 -
령령으로 정한다 .

③사용자는 제 항 단서에 따라 취득한 장애인의 건강상태나 장애 또는 과거


1

장애경력 등에 관한 개인정보를 누설하여서는 아니 된다 .

제 절 교육
2

제 조 차별금지 ①교육책임자는 장애인의 입학 지원 및 입학을 거부할 수 없


13 ( )

고 전학을 강요할 수 없으며 「영유아보육법」 에 따른 보육시설 「유아교육


, , ,

법」 및 「초·중등교육법」 에 따른 각급 학교는 장애인이 당해 교육기관으로


전학하는 것을 거절하여서는 아니 된다 .

②제 항에 따른 교육기관의 장은 「특수교육진흥법」 제 조를 준수하여야 한


1 11

다 .

③교육책임자는 당해 교육기관에 재학 중인 장애인 및 그 보호자가 제 조제 14 1

항 각 호의 편의 제공을 요청할 때 정당한 사유 없이 이를 거절하여서는 아니


된다 .

④교육책임자는 특정 수업이나 실험·실습 현장견학 수학여행 등 학습을 포함 , ,

한 모든 교내외 활동에서 장애를 이유로 장애인의 참여를 제한 배제 거부하 , ,

여서는 아니 된다 .

⑤교육책임자는 취업 및 진로교육 정보제공에 있어서 장애인의 능력과 특성에 ,

맞는 진로교육 및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

⑥교육책임자 및 교직원은 교육기관에 재학 중인 장애인 및 장애인 관련자 특 ,

수교육 교원 특수교육보조원 장애인 관련 업무 담당자를 모욕하거나 비하하


, ,

여서는 아니 된다 .

⑦교육책임자는 장애인의 입학 지원 시 장애인 아닌 지원자와 달리 추가 서류 ,

별도의 양식에 의한 지원 서류 등을 요구하거나 장애인만을 대상으로 한 별도 ,

의 면접이나 신체검사 추가시험 등 이하 추가서류 등 이라 한다 을 요구하여


, ( “ ” )

서는 아니 된다 다만 추가서류 등의 요구가 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시


. ,

행을 목적으로 함이 명백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⑧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에게 「특수교육진흥법」 제 조제 항에 따른 5 1

교육을 실시하는 경우 정당한 사유 없이 해당 교육과정에 정한 학업시수를 위


반하여서는 아니 된다 .

제 조 정당한 편의제공 의무 ①교육책임자는 당해 교육기관에 재학중인 장애


14 ( )

인의 교육활동에 불이익이 없도록 다음 각 호의 수단을 적극적으로 강구하고


제공하여야 한다 .

- 210 -
장애인의 통학 및 교육기관 내에서의 이동 및 접근에 불이익이 없도록 하기
1.

위한 각종 이동용 보장구의 대여 및 수리
장애인 및 장애인 관련자가 필요로 하는 경우 교육보조인력의 배치
2.

장애로 인한 학습 참여의 불이익을 해소하기 위한 확대 독서기 보청기기


3. , ,

높낮이 조절용 책상 각종 보완·대체 의사소통 도구 등의 대여 및 보조견의


,

배치나 휠체어의 접근을 위한 여유 공간 확보


시·청각 장애인의 교육에 필요한 수화통역 문자통역 속기 점자자료 자막
4. , ( ), , ,

큰 문자자료 화면낭독·확대프로그램 보청기기 무지점자단말기 인쇄물음성


, , , ,

변환출력기를 포함한 각종 장애인보조기구 등 의사소통 수단


교육과정을 적용함에 있어서 학습진단을 통한 적절한 교육 및 평가방법의
5.

제공
그 밖에 장애인의 교육활동에 불이익이 없도록 하는 데 필요한 사항으로서
6.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
②교육책임자는 제 항 각 호의 수단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업무를 수행하기
1

위하여 장애학생지원부서 또는 담당자를 두어야 한다 .

③제 항을 적용함에 있어서 그 적용대상 교육기관의 단계적 범위와 제 항에


1 2

따른 장애학생지원부서 및 담당자의 설치 및 배치 관리·감독 등에 필요한 사 ,

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

제 절 재화와 용역의 제공 및 이용
3

제 조 재화·용역 등의 제공에 있어서의 차별금지 ①재화·용역 등의 제공자는


15 ( )

장애인에 대하여 장애를 이유로 장애인 아닌 사람에게 제공하는 것과 실질적


으로 동등하지 않은 수준의 편익을 가져다주는 물건 서비스 이익 편의 등을 , , ,

제공하여서는 아니 된다 .

②재화·용역 등의 제공자는 장애인이 해당 재화·용역 등을 이용함으로써 이익


을 얻을 기회를 박탈하여서는 아니 된다 .

제 조 토지 및 건물의 매매·임대 등에 있어서의 차별금지 토지 및 건물의 소


16 ( )

유·관리자는 당해 토지 및 건물의 매매 임대 입주 사용 등에 있어서 정당한


, , ,

사유 없이 장애인을 제한·분리·배제·거부하여서는 아니 된다 .

제 조 금융상품 및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의 차별금지 금융상품 및 서비스의


17 ( )

제공자는 금전대출 신용카드 발급 보험가입 등 각종 금융상품과 서비스의 제


, ,

공에 있어서 정당한 사유 없이 장애인을 제한·배제·분리·거부하여서는 아니 된

- 211 -
다 .

제 조 시설물 접근·이용의 차별금지 ①시설물의 소유·관리자는 장애인이 당해


18 ( )

시설물을 접근·이용하거나 비상시 대피함에 있어서 장애인을 제한·배제·분리·


거부하여서는 아니 된다 .

②시설물의 소유·관리자는 보조견 및 장애인보조기구 등을 시설물에 들여오거


나 시설물에서 사용하는 것을 제한·배제·분리·거부하여서는 아니 된다 .

③시설물의 소유·관리자는 장애인이 당해 시설물을 접근·이용하거나 비상시 대


피함에 있어서 피난 및 대피시설의 설치 등 정당한 편의의 제공을 정당한 사
유 없이 거부하여서는 아니 된다 .

④제 항을 적용함에 있어서 그 적용을 받는 시설물의 단계적 범위 및 정당한


3

편의의 내용 등 필요한 사항은 관계 법령 등에 규정한 내용을 고려하여 대통


령령으로 정한다 .

제 조 이동 및 교통수단 등에서의 차별금지 ① 「교통약자의 이동편의증진


19 ( )

법」 제 조제 호 및 제 호에 따른 교통사업자 및 교통행정기관 이하 이 조에서


2 5 6 (

같다 은 이동 및 교통수단 등을 접근·이용함에 있어서 장애인을 제한·배제·분


)

리·거부하여서는 아니 된다 .

②교통사업자 및 교통행정기관은 이동 및 교통수단 등의 이용에 있어서 보조


견 및 장애인보조기구 등의 동승 또는 반입 및 사용을 거부하여서는 아니 된
다 .

③교통사업자 및 교통행정기관은 이동 및 교통수단 등의 이용에 있어서 장애


인 및 장애인 관련자에게 장애 또는 장애인이 동행·동반한 보조견 또는 장애인
보조기구 등을 이유로 장애인 아닌 사람보다 불리한 요금 제도를 적용하여서
는 아니 된다 .

④교통사업자 및 교통행정기관은 장애인이 이동 및 교통수단 등을 장애인 아


닌 사람과 동등하게 이용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보행 및 이동을 할 수 있도
록 하는 데 필요한 정당한 편의를 제공하여야 한다 .

⑤교통행정기관은 교통사업자가 장애인에 대하여 이 법에 정한 차별행위를 행


하지 아니하도록 홍보 교육 지원 감독하여야 한다 , , , .

⑥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운전면허시험의 신청 응시 합격의 모든 과정에서 , ,

정당한 사유 없이 장애인을 제한·배제·분리·거부하여서는 아니 된다 .

⑦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이 운전면허시험의 모든 과정을 장애인 아닌


사람과 동등하게 거칠 수 있도록 정당한 편의를 제공하여야 한다 .

⑧제 항 및 제 항을 적용함에 있어서 그 적용대상의 단계적 범위 및 정당한


4 7

- 212 -
편의의 내용 등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

제 조 정보접근에서의 차별금지 ①개인·법인·공공기관 이하 이 조에서 개인


20 ( ) ( “

등 이라 한다 은 장애인이 전자정보와 비전자정보를 이용하고 그에 접근함에


” )

있어서 장애를 이유로 제 조제 항제 호 및 제 호에서 금지한 차별행위를 하여 4 1 1 2

서는 아니 된다 .

②장애인 관련자로서 수화통역 점역 점자교정 낭독 대필 안내 등을 위하여 , , , , ,

장애인을 대리·동행하는 등 장애인의 의사소통을 지원하는 자에 대하여는 누구


든지 정당한 사유 없이 이들의 활동을 강제·방해하거나 부당한 처우를 하여서
는 아니 된다 .

제 조 정보통신·의사소통에서의 정당한 편의제공의무 ①제 조제 호·제 호·제


21 ( ) 3 4 6 7

호·제 호가목 후단 및 나목·제 호·제 호·제 호에 규정된 행위자 제 호·제


8 11 18 19 , 12

14호부터 제 호까지의 규정에 관련된 행위자 제 조제 항의 사용자 및 같은


16 , 10 1

조 제 항의 노동조합 관계자 행위자가 속한 기관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2 ( .

“행위자 등 이라 한다 는 당해 행위자 등이 생산·배포하는 전자정보 및 비전자


” )

정보에 대하여 장애인이 장애인 아닌 사람과 동등하게 접근·이용할 수 있도록


수화 문자 등 필요한 수단을 제공하여야 한다 이 경우 제 조제 호가목 후단
, . 3 8

및 나목에서 말하는 자연인은 행위자 등에 포함되지 아니한다 .

②공공기관 등은 자신이 주최 또는 주관하는 행사에서 장애인의 참여 및 의사


소통을 위하여 필요한 수화통역사·문자통역사·음성통역자·보청기기 등 필요한
지원을 하여야 한다 .

③ 「방송법」 에 따라 방송물을 송출하는 방송사업자 등은 장애인이 장애인


아닌 사람과 동등하게 제작물 또는 서비스를 접근·이용할 수 있도록 자막 수 ,

화 점자 및 점자 변환 보청기기 큰 문자 화면읽기·해설·확대프로그램 인쇄
, , , , ,

물음성변환출력기 음성서비스 전화 등 통신 중계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 , .

④제 항에 따른 필요한 수단을 제공하여야 하는 행위자 등의 단계적 범위 및


1

필요한 수단의 구체적인 내용과 제 항에 따른 필요한 지원의 구체적인 내용 2

및 범위와 그 이행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

제 조 개인정보보호 ①장애인의 개인정보는 반드시 본인의 동의하에 수집되어


22 ( )

야 하고 당해 개인정보에 대한 무단접근이나 오·남용으로부터 안전하여야 한


,

다 .

②제 항을 적용함에 있어서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


1 ,

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 관련 법률의 규정을 준

- 213 -
용한다 .

③장애아동이나 정신장애인 등 본인의 동의를 얻기 어려운 장애인에 있어서


당해 장애인의 개인정보의 수집 이용·제공 등에 관련된 동의행위를 대리하는 ,

자는 「민법」 의 규정을 준용한다 .

제 조 정보접근·의사소통에서의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의무 ①국가 및 지방


23 ( )

자치단체는 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한 정보통신망 및 정보통신기기의 접근·이용


을 위한 도구의 개발·보급 및 필요한 지원을 강구하여야 한다 .

②정보통신 관련 제조업자는 정보통신제품을 설계·제작·가공함에 있어서 장애


인이 장애인 아닌 사람과 동등하게 접근·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

③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이 장애의 유형 및 정도 특성에 따라 수화 , ,

구화 점자 큰문자 등을 습득하고 이를 활용한 학습지원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 ,

있도록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여야 하며 위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는 장애인의 ,

의사에 반하여 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는 의사소통양식 등을 강요하여서


는 아니 된다 .

제 조 문화·예술활동의 차별금지 ①국가와 지방자치단체 및 문화·예술사업자


24 ( )

는 장애인이 문화·예술활동에 참여함에 있어서 장애인의 의사에 반하여 특정한


행동을 강요하여서는 아니 되며 제 조제 항제 호·제 호 및 제 호에서 정한 행 , 4 1 1 2 4

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

②국가와 지방자치단체 및 문화·예술사업자는 장애인이 문화·예술활동에 참여


할 수 있도록 정당한 편의를 제공하여야 한다 .

③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이 문화·예술시설을 이용하고 문화·예술활동


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필요한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

④제 항을 적용함에 있어서 그 적용대상이 되는 문화·예술사업자의 단계적 범


2

위 및 정당한 편의의 구체적인 내용 등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

제 조 체육활동의 차별금지 ①체육활동을 주최·주관하는 기관이나 단체 체육


25 ( ) ,

활동을 목적으로 하는 체육시설의 소유·관리자는 체육활동의 참여를 원하는 장


애인을 장애를 이유로 제한·배제·분리·거부하여서는 아니 된다 .

②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자신이 운영 또는 지원하는 체육프로그램이 장애인


의 성별 장애의 유형 및 정도 특성 등을 고려하여 운영될 수 있도록 하고 장
, ,

애인의 참여를 위하여 필요한 정당한 편의를 제공하여야 한다 .

③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이 체육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필요한 시


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

- 214 -
④제 항을 시행하는 데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2 .

제 절 사법·행정절차 및 서비스와 참정권


4

제 조 사법·행정절차 및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의 차별금지 ①공공기관 등은


26 ( )

장애인이 생명 신체 또는 재산권 보호를 포함한 자신의 권리를 보호 보장받


, ,

기 위하여 필요한 사법·행정절차 및 서비스 제공에 있어 장애인을 차별하여서


는 아니 된다 .

②공공기관 및 그 소속원은 사법·행정절차 및 서비스의 제공에 있어서 장애인


에게 제 조제 항제 호·제 호 및 제 호부터 제 호까지에서 정한 행위를 하여서
4 1 1 2 4 6

는 아니 된다 .

③공공기관 및 그 소속원은 직무를 수행하거나 권한을 행사함에 있어서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차별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

1.허가 신고 인가 등에 있어 장애인을 정당한 사유 없이 장애를 이유로 제


, ,

한·배제·분리·거부하는 경우
2.공공사업 수혜자의 선정기준을 정함에 있어서 정당한 사유 없이 장애인을
제한·배제·분리·거부하거나 장애를 고려하지 아니한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장애인에게 불리한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
④공공기관 및 그 소속원은 사법·행정절차 및 서비스를 장애인이 장애인 아닌
사람과 실질적으로 동등한 수준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야 하며 이를 ,

위하여 정당한 편의를 제공하여야 한다 .

⑤공공기관 및 그 소속원은 장애인이 사법·행정절차 및 서비스에 참여하기 위


하여 장애인 스스로 인식하고 작성할 수 있는 서식의 제작 및 제공 등 정당한
편의 제공을 요구할 경우 이를 거부하거나 임의로 집행함으로써 장애인에게
불이익을 주어서는 아니 된다 .

⑥사법기관은 장애인이 형사 사법 절차에서 보호자 변호인 통역인 진술보조 , , ,

인 등의 조력을 받기를 신청할 경우 정당한 사유 없이 이를 거부하여서는 아


니 되며 조력을 받을 권리가 보장되지 아니한 상황에서의 진술로 인하여 형사
,

상 불이익을 받지 아니하도록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

⑦사법기관은 장애인이 인신구금·구속 상태에 있어서 장애인 아닌 사람과 실질


적으로 동등한 수준의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정당한 편의 및 적극적인 조
치를 제공하여야 한다 .

⑧제 항부터 제 항까지의 규정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4 7 .

제 조 참정권 ①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와 공직선거후보자 및 정당은 장애인이


27 ( )

- 215 -
선거권 피선거권 청원권 등을 포함한 참정권을 행사함에 있어서 차별하여서
, ,

는 아니 된다 .

②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의 참정권을 보장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설


및 설비 참정권 행사에 관한 홍보 및 정보 전달 장애의 유형 및 정도에 적합
, ,

한 기표방법 등 선거용 보조기구의 개발 및 보급 보조원의 배치 등 정당한 편 ,

의를 제공하여야 한다 .

③공직선거후보자 및 정당은 장애인에게 후보자 및 정당에 관한 정보를 장애


인 아닌 사람과 동등한 정도의 수준으로 전달하여야 한다 .

제 절 모·부성권 성 등
5 ,

제 조 모·부성권의 차별금지 ①누구든지 장애인의 임신 출산 양육 등 모·부


28 ( ) , ,

성권에 있어 장애를 이유로 제한·배제·분리·거부하여서는 아니 된다 .

②입양기관은 장애인이 입양하고자 할 때 장애를 이유로 입양할 수 있는 자격


을 제한하여서는 아니 된다 .

③교육책임자 및 「영유아보육법」 에 따른 보육시설 및 그 종사자와 「아동


복지법」 에 따른 아동복지시설 및 그 종사자 등은 부모가 장애인이라는 이유
로 그 자녀를 구분하거나 불이익을 주어서는 아니 된다 .

④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직접 운영하거나 그로부터 위탁 혹은 지원을 받


아 운영하는 기관은 장애인의 피임 및 임신·출산·양육 등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평등을 보장하기 위하여 관계 법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장애유형 및 정도에
적합한 정보·활동보조 서비스 등의 제공 및 보조기기·도구 등의 개발 등 필요
한 지원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

⑤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임신·출산·양육 등의 서비스 제공과 관련하여 이 법


에서 정한 차별행위를 하지 아니하도록 홍보·교육·지원·감독하여야 한다 .

제 조 성에서의 차별금지 ①모든 장애인의 성에 관한 권리는 존중되어야 하며


29 ( ) ,

장애인은 이를 주체적으로 표현하고 향유할 수 있는 성적 자기결정권을 가진


다 .

②가족·가정 및 복지시설 등의 구성원은 장애인에 대하여 장애를 이유로 성생


활을 향유할 공간 및 기타 도구의 사용을 제한하는 등 장애인이 성생활을 향
유할 기회를 제한하거나 박탈하여서는 아니 된다 .

③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이 성을 향유할 권리를 보장하기 위하여 관


계 법령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필요한 지원책을 강구하고 장애를 이유로 한 ,

성에 대한 편견·관습 그 밖의 모든 차별적 관행을 없애기 위한 홍보·교육을


,

- 216 -
하여야 한다 .

제 절 가족·가정·복지시설 건강권 등
6 ,

제 조 가족·가정·복지시설 등에서의 차별금지 ①가족·가정 및 복지시설 등의


30 ( )

구성원은 장애인의 의사에 반하여 과중한 역할을 강요하거나 장애를 이유로


정당한 사유 없이 의사결정과정에서 장애인을 배제하여서는 아니 된다 .

②가족·가정 및 복지시설 등의 구성원은 정당한 사유 없이 장애인의 의사에 반


하여 장애인의 외모 또는 신체를 공개하여서는 아니 된다 .

③가족·가정 및 복지시설 등의 구성원은 장애를 이유로 장애인의 취학 또는 진


학 등 교육을 받을 권리와 재산권 행사 사회활동 참여 이동 및 거주의 자유 , ,

이하 이 항에서 권리 등 이라 한다 를 제한·박탈·구속하거나 권리 등의 행사
( “ ” )

로부터 배제하여서는 아니 된다 .

④가족·가정의 구성원인 자 또는 구성원이었던 자는 자녀 양육권과 친권의 지


정 및 면접교섭권에 있어 장애인에게 장애를 이유로 불리한 합의를 강요하거
나 그 권리를 제한·박탈하여서는 아니 된다 .

⑤복지시설 등의 장은 장애인의 시설 입소를 조건으로 친권포기각서를 요구하


거나 시설에서의 생활 중 가족 등의 면접권 및 외부와의 소통권을 제한하여서
는 아니 된다 .

제 조 건강권에서의 차별금지 ①의료기관 등 및 의료인 등은 장애인에 대한


31 ( )

의료행위에 있어서 장애인을 제한·배제·분리·거부하여서는 아니 된다 .

②의료기관 등 및 의료인 등은 장애인의 의료행위와 의학연구 등에 있어 장애


인의 성별 장애의 유형 및 정도 특성 등을 적극적으로 고려하여야 하며 의료
, , ,

행위에 있어서는 장애인의 성별 등에 적합한 의료 정보 등의 필요한 사항을


장애인 등에게 제공하여야 한다 .

③공공기관은 건강과 관련한 교육 과정을 시행함에 있어서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장애인의 성별 등을 반영하는 내용을 포함하여야 한다 .

④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선천적·후천적 장애 발생의 예방 및 치료 등을 위하


여 필요한 시책을 추진하여야 하며 보건·의료시책의 결정과 집행과정에서 장 ,

애인의 성별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

제 조 괴롭힘 등의 금지 ①장애인은 성별 연령 장애의 유형 및 정도 특성 등


32 ( ) , , ,

에 상관없이 모든 폭력으로부터 자유로울 권리를 가진다 .

②괴롭힘 등의 피해를 당한 장애인은 상담 및 치료 법률구조 그 밖에 적절한 , ,

- 217 -
조치를 받을 권리를 가지며 괴롭힘 등의 피해를 신고하였다는 이유로 불이익
,

한 처우를 받아서는 아니 된다 .

③누구든지 장애를 이유로 학교 시설 직장 지역사회 등에서 장애인 또는 장 , , ,

애인 관련자에게 집단따돌림을 가하거나 모욕감을 주거나 비하를 유발하는 언


어적 표현이나 행동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

④누구든지 장애를 이유로 사적인 공간 가정 시설 직장 지역사회 등에서 장 , , , ,

애인 또는 장애인 관련자에게 유기 학대 금전적 착취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 , .

⑤누구든지 장애인의 성적 자기결정권을 침해하거나 수치심을 자극하는 언어


표현 희롱 장애 상태를 이용한 추행 및 강간 등을 행하여서는 아니 된다
, , .

⑥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에 대한 괴롭힘 등을 근절하기 위한 인식개


선 및 괴롭힘 등 방지 교육을 실시하고 적절한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

제 장 장애여성 및 장애아동 등
3

제 조 장애여성에 대한 차별금지 ①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장애를 가진 여성


33 ( )

임을 이유로 모든 생활 영역에서 차별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

②누구든지 장애여성에 대하여 임신·출산·양육·가사 등에 있어서 장애를 이유


로 그 역할을 강제 또는 박탈하여서는 아니 된다 .

③사용자는 남성근로자 또는 장애인이 아닌 여성근로자에 비하여 장애여성 근


로자를 불리하게 대우하여서는 아니 되며 직장보육서비스 이용 등에 있어서 ,

다음 각 호의 정당한 편의제공을 거부하여서는 아니 된다 .

1.장애의 유형 및 정도에 따른 원활한 수유 지원


2.자녀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소통방식의 지원
3.그 밖에 직장보육서비스 이용 등에 필요한 사항
④교육기관 사업장 복지시설 등의 성폭력 예방교육 책임자는 성폭력 예방교
, ,

육을 실시함에 있어서 장애여성에 대한 성인식 및 성폭력 예방에 관한 내용을


포함시켜야 하며 그 내용이 장애여성을 왜곡하여서는 아니 된다
, .

⑤교육기관 및 직업훈련을 주관하는 기관은 장애여성에 대하여 다음 각 호의


차별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행위가 장애여성의 특성을 고
. ,

려하여 적절한 교육 및 훈련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함이 명백한 경우에는 이를


차별로 보지 아니한다 .

1.학습활동의 기회 제한 및 활동의 내용을 구분하는 경우


2.취업교육 및 진로선택의 범위 등을 제한하는 경우
3.교육과 관련한 계획 및 정보제공 범위를 제한하는 경우

- 218 -
4.그 밖에 교육에 있어서 정당한 사유 없이 장애여성을 불리하게 대우하는 경

⑥제 항을 적용함에 있어서 그 적용대상 사업장의 단계적 범위와 제 항제 호
3 3 3

에 필요한 사항의 구체적 내용 등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

제 조 장애여성에 대한 차별금지를 위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의무 ①국가


34 ( )

및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여성에 대한 차별요인이 제거될 수 있도록 인식개선


및 지원책 등 정책 및 제도를 마련하는 등 적극적 조치를 강구하여야 하고 통 ,

계 및 조사연구 등에 있어서도 장애여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

②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정책의 결정과 집행과정에 있어서 장애여성임을 이


유로 참여의 기회를 제한하거나 배제하여서는 아니 된다 .

제 조 장애아동에 대한 차별금지 ①누구든지 장애를 가진 아동임을 이유로 모


35 ( )

든 생활 영역에서 차별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

②누구든지 장애아동에 대하여 교육 훈련 건강보호서비스 재활서비스 취업


, , , ,

준비 레크리에이션 등을 제공받을 기회를 박탈하여서는 아니 된다


, .

③누구든지 장애아동을 의무교육으로부터 배제하여서는 아니 된다 .

④누구든지 장애를 이유로 장애아동에 대한 유기 학대 착취 감금 폭행 등의 , , , ,

부당한 대우를 하여서는 아니 되며 장애아동의 인권을 무시하고 강제로 시설


,

수용 및 무리한 재활 치료 또는 훈련을 시켜서는 아니 된다 .

제 조 장애아동에 대한 차별금지를 위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의무 ①국가


36 ( )

및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아동이 장애를 이유로 한 어떠한 종류의 차별도 없이


다른 아동과 동등한 권리와 자유를 누릴 수 있도록 필요한 조치를 다하여야
한다 .

②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아동의 성별 장애의 유형 및 정도 특성에 알


, ,

맞은 서비스를 조기에 제공할 수 있도록 조치하여야 하고 이를 위하여 장애아 ,

동을 보호하는 친권자 및 양육책임자에 대한 지원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

제 조 정신적 장애를 가진 사람에 대한 차별금지 등 ①누구든지 정신적 장애


37 ( )

를 가진 사람의 특정 정서나 인지적 장애 특성을 부당하게 이용하여 불이익을


주어서는 아니 된다 .

②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정신적 장애를 가진 사람의 인권침해를 예방하기 위


하여 교육 홍보 등 필요한 법적·정책적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 .

- 219 -
제 장 장애인차별시정기구 및 권리구제 등
4

제 조 진정 이 법에서 금지하는 차별행위로 인하여 피해를 입은 사람 이하


38 ( ) (

피해자 라 한다 또는 그 사실을 알고 있는 사람이나 단체는 국가인권위원회


“ ” )

이하 위원회 라 한다 에 그 내용을 진정할 수 있다


( “ ” ) .

제 조 직권조사 위원회는 제 조의 진정이 없는 경우에도 이 법에서 금지하는


39 ( ) 38

차별행위가 있다고 믿을 만한 상당한 근거가 있고 그 내용이 중대하다고 인정


할 때에는 이를 직권으로 조사할 수 있다 .

제 조 장애인차별시정소위원회 ①위원회는 이 법에서 금지하는 차별행위에 대


40 ( )

한 조사와 구제 업무를 전담하는 장애인차별시정소위원회 이하 소위원회 라 ( “ ”

한다 를 둔다
) .

②소위원회의 구성·업무 및 운영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위원회의 규칙으


로 정한다 .

제 조 준용규정 ①제 조 및 제 조에 따른 진정의 절차·방법·처리 진정 및


41 ( ) 38 39 ,

직권에 따른 조사의 방법에 관하여 이 법에 특별한 규정이 없는 사항에 관하


여는 「국가인권위원회법」 의 규정을 준용한다 .

② 「국가인권위원회법」 제 조부터 제 조까지의 규정은 이 법에 따른 진정 40 50

및 직권조사의 경우에 준용한다 .

제 조 권고의 통보 위원회는 이 법이 금지하는 차별행위로 「국가인권위원회


42 ( )

법」 제 조의 권고를 한 경우 그 내용을 법무부장관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44 .

제 조 시정명령 ①법무부장관은 이 법이 금지하는 차별행위로 「국가인권위원


43 ( )

회법」 제 조의 권고를 받은 자가 정당한 사유 없이 권고를 이행하지 아니하


44

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로서 그 피해의 정도가 심각하고


공익에 미치는 영향이 중대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피해자의 신청에 의하여 또
는 직권으로 시정명령을 할 수 있다 .

1.피해자가 다수인인 차별행위에 대한 권고 불이행


2.반복적 차별행위에 대한 권고 불이행
3.피해자에게 불이익을 주기 위한 고의적 불이행
4.그 밖에 시정명령이 필요한 경우
②법무부장관은 제 항에 따른 시정명령으로서 이 법에서 금지되는 차별행위를 1

- 220 -
한 자 이하 차별행위자 라 한다 에게 다음 각 호의 조치를 명할 수 있다
( “ ” ) .

1.차별행위의 중지
2.피해의 원상회복
3.차별행위의 재발방지를 위한 조치
4.그 밖에 차별시정을 위하여 필요한 조치
③법무부장관은 제 항 및 제 항에 따른 시정명령을 서면으로 하되 그 이유를
1 2 ,

구체적으로 명시하여 차별행위자와 피해자에게 교부하여야 한다 .

④법무부장관이 차별시정에 필요한 조치를 명하는 기간 절차 방법 등에 필요 , ,

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

제 조 시정명령의 확정 ①법무부장관의 시정명령에 대하여 불복하는 관계 당


44 ( )

사자는 그 명령서를 송달받은 날부터 일 이내에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30 .

②제 항의 기간 이내에 행정소송을 제기하지 아니한 때에는 그 시정명령은 확


1

정된다 .

제 조 시정명령 이행상황의 제출요구 등 ①법무부장관은 확정된 시정명령에


45 ( )

대하여 차별행위자에게 그 이행상황을 제출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

②피해자는 차별행위자가 확정된 시정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하는 경우에 이를


법무부장관에게 신고할 수 있다 .

제 장 손해배상 입증책임 등
5 ,

제 조 손해배상 ①누구든지 이 법의 규정을 위반하여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46 ( )

자는 그로 인하여 피해를 입은 사람에 대하여 손해배상책임을 진다 다만 차 . ,

별행위를 한 자가 고의 또는 과실이 없음을 증명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


다 .

②이 법의 규정을 위반한 행위로 인하여 손해가 발생한 것은 인정되나 차별행


위의 피해자가 재산상 손해를 입증할 수 없을 경우에는 차별행위를 한 자가
그로 인하여 얻은 재산상 이익을 피해자가 입은 재산상 손해로 추정한다 .

③법원은 제 항에도 불구하고 차별행위의 피해자가 입은 재산상손해액을 입증


2

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실을 입증하는 것이 해당 사실의 성질상 곤란한 경우에


는 변론 전체의 취지와 증거조사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당한 손해액을 인정할
수 있다 .

- 221 -
제 조 입증책임의 배분 ①이 법률과 관련한 분쟁해결에 있어서 차별행위가 있
47 ( )

었다는 사실은 차별행위를 당하였다고 주장하는 자가 입증하여야 한다 .

②제 항에 따른 차별행위가 장애를 이유로 한 차별이 아니라거나 정당한 사유


1

가 있었다는 점은 차별행위를 당하였다고 주장하는 자의 상대방이 입증하여야


한다 .

제 조 법원의 구제조치 ①법원은 이 법에 따라 금지된 차별행위에 관한 소송


48 ( )

제기 전 또는 소송 제기 중에 피해자의 신청으로 피해자에 대한 차별이 소명


되는 경우 본안 판결 전까지 차별행위의 중지 등 그 밖의 적절한 임시조치를
명할 수 있다 .

②법원은 피해자의 청구에 따라 차별적 행위의 중지 임금 등 근로조건의 개 ,

선 그 시정을 위한 적극적 조치 등의 판결을 할 수 있다


, .

③법원은 차별행위의 중지 및 차별시정을 위한 적극적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


단하는 경우에 그 이행 기간을 밝히고 이를 이행하지 아니하는 때에는 늦어진 ,

기간에 따라 일정한 배상을 하도록 명할 수 있다 이 경우 「민사집행법」 제 .

조를 준용한다
261 .

제 장 벌칙
6

제 조 차별행위 ①이 법에서 금지한 차별행위를 행하고 그 행위가 악의적인


49 ( )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 법원은 차별을 한 자에 대하여 년 이하의 징역 또는 3 3

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다 .

②제 항에서 악의적이라 함은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전부 고려하여 판단하여야


1

한다 .

1.차별의 고의성
2.차별의 지속성 및 반복성
3.차별 피해자에 대한 보복성
4.차별 피해의 내용 및 규모
③법인의 대표자나 법인 또는 개인의 대리인·사용인 그 밖의 종업원이 그 법 ,

인 또는 개인의 업무에 관하여 악의적인 차별행위를 한 때에는 행위자를 벌하


는 외에 그 법인 또는 개인에 대하여도 제 항의 벌금형을 과한다 1 .

④이 조에서 정하지 아니한 벌칙은 「국가인권위원회법」 의 규정을 준용한다 .

제 조 과태료 ①제 조에 따라 확정된 시정명령을 정당한 사유 없이 이행하지


50 ( ) 44

- 222 -
아니한 자는 천만원 이하의 과태료에 처한다 3 .

②제 항에 따른 과태료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법무부장관이 부과·


1

징수한다 .

③제 항에 따른 과태료 처분에 불복하는 자는 그 처분을 고지 받은 날부터


2 30

일 이내에 법무부장관에게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

④제 항에 따른 과태료 처분을 받은 자가 제 항에 따라 이의를 제기한 때에는


2 3

법무부장관은 지체 없이 관할 법원에 그 사실을 통보하여야 하며 그 통보를 ,

받은 관할 법원은 「비송사건절차법」 에 따른 과태료 재판을 한다 .

⑤제 항에 따른 기간 이내에 이의를 제기하지 아니하고 과태료를 납부하지 아


3

니한 때에는 국세 체납처분의 예에 따라 징수한다 .

부칙
부칙 제 호 [2007.4.10 8341 ]

① 시행일 이 법은 공포 후 년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다만 제 조부터 제


( ) 1 . , 10

조까지의 각 차별영역에 규정된 세부내용별 시행시기 및 적용대상은 해당 규


37

정에서 위임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른다 .

② 소위원회의 설립준비 제 항에도 불구하고 제 조의 소위원회의 위원 및 소속


( ) 1 40

직원의 임명 등 소위원회의 설립준비는 이 법 시행일 이전에 할 수 있다 .

③ 위원의 임기개시에 관한 적용례 제 조의 소위원회 위원의 임기는 이 법의


( ) 40

시행일부터 시작하는 것으로 본다 .

부칙 제 호 건축법 [2008.3.21 8974 ( )]

제 조 시행일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다만 ㆍㆍㆍ 생략 ㆍㆍㆍ 부


1 ( ) . , < > ,

칙 제 조제 항의 개정규정은 년 월 일부터 ㆍㆍㆍ 생략 ㆍㆍㆍ 시행


13 43 2008 4 11 < >

한다 .

제 조부터 제 조까지 생략
2 12

제 조 다른 법률의 개정 ① 부터
13 ( 까지 생략 ) <42>

법률 제 호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일부를 다음과


<43> 8341

같이 개정한다 .

제 조제 호 중 제 조제 항제 호ㆍ제 호 및 제 호 를 제 조제 항제 호ㆍ제 호
3 15 “ 2 1 2 5 6 ” “ 2 1 2 6

및 제 호 로 한다7 ” .

부터
<44> 까지 생략 <70>

제 조 생략
14

- 223 -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을 중심으로 -

2008 년 월 일 인쇄
12 31

2008 년 월 일 발행
12 31

발행처 재 한국장애인개발원
( )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의사당로 22 이룸센터 층 5

전 화 02) 3433-0600

팩 스 02) 412-0463

※본 연구보고서의 내용을 무단 전재하거나 복사하는 것을 금합니다 .

비매품
(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