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T ISSUE REPORT 2021-2) 일본의 디지털 사회 개혁을 위한 디지털청 설립과 시사점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22

HOT 2021

ISSUE
REPORT
Vol. 2

일본의 디지털 사회 개혁을 위한


디지털청 설립과 시사점
Vol. 2

일본의 디지털 사회 개혁을 위한


디지털청 설립과 시사점

Ⅰ. 일본의 디지털 사회로의 개혁 추진 2

Ⅱ. 일본 디지털청 설립과 운영 방안 12

Ⅲ. 시사점 17

/ 1 /
/ Vol. 2 /

Ⅰ 일본의 디지털 사회로의 개혁 정책 추진

1. 추진 배경

□ 코로나19 위기 대응 과정에서 드러난 디지털 후진국의 실상과 국가경쟁력 약화

○ 코로나19 위기 대응 과정에서 일본 정부의 정치력 부재와 디지털 후진성이


심각하게 드러나며 행정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 디지털 전환의 필요성 대두
- 일본 정부는 그간 IT기본법(2000년), 마이넘버법(2013년), 관민데이터
활용촉진기본법(2016년), 디지털절차법(2019년) 등 디지털 정부 가속화를
위한 정책을 적극 추진
- 그러나, 최근 코로나19 대응 재난지원금 지급, 고용 지원 보조금 온라인
신청 등 행정 분야 디지털화·온라인화의 심각한 지연이 발생함에 따라
정부의 디지털화 수준은 한국, 미국 등 글로벌 주요국 대비 미흡
* 코로나19 재난지원금 온라인 신청 관련 시스템 장애, 중앙·지자체 간의 데이터 시스템 차이로 인한
감염 정보 공유 불가, 부처 간 온라인 회의나 원격수업 어려움 등 국가 디지털화 준비 부족

- 제조, 의료, 교육 등의 산업별 정책에서도 디지털 활용이 기반이 되고,


글로벌 패권에서도 디지털 전환이 핵심 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나, 국제
사회 내 일본의 디지털 경쟁력은 떨어지고 있다는 위기감 팽배
❘ 주요 국가별 디지털 경쟁력 순위 ❘ ❘ UN 전자정부발전지수 순위 ❘
순위 국가 지식 기술 미래준비도 순위 국가 전자정부발전지수
1위 미국 1 7 2 1위 덴마크 0.9758
2위 싱가포르 2 1 12 2위 한국 0.9560
3위 덴마크 6 9 1 3위 에스토니아 0.9473
4위 스웨덴 4 6 7 4위 핀란드 0.9452
5위 홍콩 7 2 10 5위 호주 0.9432
6위 스위스 3 11 5 6위 스웨덴 0.9365
7위 네덜란드 14 8 4 7위 영국 0.9358
8위 한국 10 12 3 8위 뉴질랜드 0.9339
⁝ ⁝ ⁝ ⁝ ⁝ ⁝ ⁝ ⁝

27위 일본 22 26 26 14위 일본 0.8989

자료 : IMD, World Digital Competitiveness Ranking 2020 자료 : UN, E-Government Survey 2020

/ 2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일본의 디지털 사회 개혁을 위한 디지털청 설립과 시사점

□ 행정서비스 개선 및 신성장동력 인프라 구축을 위해 정부 주도의 디지털 전환

○ 일본 정부는 코로나19 이후 아날로그식 행정에 따른 불편과 혼란을 경험하며


정부의 디지털 수준에 대한 본격적인 개혁의 필요성을 인식

- 도장문화, 팩스를 이용한 업무처리 등 아날로그 방식의 행정 체계가 사회


혼란을 가중시킴에 따라, 디지털 정체 극복 및 코로나19 백신접종 본격화에
대응하여 디지털 기반 행정 시스템 확충에 대한 필요성 대두
※ 코로나19 감영 대책 시행 과정에서 지자체 간 행정 시스템이 상이하여 감염자 수 확인 오류, 특별 급부금
지급 지체 등 비효율적 업무처리 방식의 이면에는 부처 간 칸막이 행정이 가장 큰 문제임을 지적

- 일본 내 주요 기업들은 디지털 선진국과의 격차 해소와 경제 회복을 위해


정부나 기업이 즉시 디지털화를 추진해야 한다는 제언을 담은 ‘코로나
위기를 계기로 디지털 전환 가속화 추진’1)을 공표*(’20.6월)
* 일본 내 경제단체인 경제동우회는 코로나19로 타격받은 일본 기업의 회생을 가장 중요한 과제로 문제를
제기하며 이에 대응하는 디지털 전환의 본격적인 가속화가 필요하다고 긴급 제언

- 이에 일본 정부는 국가경쟁력 강화 및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동시에


사회문제 해결의 중요한 수단으로 디지털 사회형성에 관한 시책을 중점
추진하며, 제도개혁의 첫 번째 단추로 IT기본법의 전면 재검토를 추진
※ 코로나19 확산으로 일본의 경기 위축과 저출산·고령화 등 구조적 문제가 함께 부각 됨에 따라 일본의
잠재성장률(2020.1/4~2/4분기)이 0.07%로 하락(’20.10, 일본은행)

❘ G7 국가와 ‘20~’21년 평균성장률 비교 ❘ ❘ 일본의 잠재성장률 ❘

※ 자료 : 기획재정부(2021.7.27.)
* 원자료 : IMF(2021.7.21.), World Economic Outlook ※ 자료 : 한국은행 동경사무소(2020.10.7.)
; Fault Lines Widen in the Global Recovery * 원자료 : 일본은행(2021.10.)

1) 경제동우회(2020.6.26.), 코로나 위기를 계기로 디지털 전환 가속화 추진

/ 3 /
/ Vol. 2 /

참고 일본경제연구센터(JCER), 디지털 잠재력 지수 결과

□ 일본경제연구센터(JCER)는 국가별 디지털 전환(DX) 추진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세계 84개국을 대상으로 '디지털 잠재력 지수'를 조사·발표(’21.12)

○ JCER의 디지털 잠재력 지수는 국가 전체의 디지털 전환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어 ICT
인프라, 인재, 사업환경 등 다양한 요소들을 반영
- 국가별 디지털 전환(DX) 추진력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하기 위해 총 16개 통계*에서 약
20년 분량(2000~2020년)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4개 분야별**로 종합·분석하여 디지털
잠재력 지수를 도출
* ITU, UN, UNESCO, ILO, OECD, 세계은행, 헤리티지 재단, 하버드 글로벌 랩, IMF 등 주요
글로벌 기관에서 발표한 총 16개 디지털 관련 조사·통계 지표를 정규화하여 0~100 사이의 수치로
환산값을 산술평균하여 도출
** 4개 분야 : ① 통신·인프라 정비현황, ② 인적 자본·연구개발(R&D), ③ 비즈니스 환경・규제·
거버넌스, ④ ICT 관련 산업

○ 일본의 디지털 잠재력 지수 종합 순위는 2010년의 14위에서 2020년 16위로 하강


- (통신 인프라) 일본은 100명당 휴대전화 가입자 수나, 광대역 통신 이용자 수 등 높은
점수를 받으며, 통신 인프라 관련 부문에서 2위를 차지
- (인적자본 및 연구개발) 디지털 인재 양성에 핵심인 STEM(과학, 기술, 엔지니어링, 수학)
관련 학위 취득자 비율이 줄고, 과학기술 분야 연구개발(R&D) 투자가 주요국 대비 부족
- (IT 관련 산업) 대부분 기업에서 남아 있는 도장 중시 문화와 팩스를 이용하는 것을 선호
하는 등 통계에 나타나기 어려운 기존의 관습이 디지털 전환을 둔화

❘ 2020 디지털 잠재력 지수❘ ❘주요국 디지털 잠재력 지수 세부 지표 비교❘


국가 순위 점수 구분 세부 지표 순위
스웨덴 1위 2위 통신 인적자본 비즈니스 IT 관련
국가 순위
싱가포르 2위 3위 인프라 연구개발 환경·규제 산업
핀란드 3위 1위 미국 9 4 11 13 23
독일 4위 7위 캐나다 27 29 25 18 58
한국 5위 8위 호주 31 20 22 27 71
덴마크 6위 5위 일본 16 2 18 6 51
아일랜드 7위 4위 한국 5 6 2 14 31
홍콩 8위 9위 홍콩 8 1 20 8 16
미국 9위 13위 싱가포르 2 13 7 5 3
오스트리아 10위 22위 중국 41 43 38 54 25
⁝ ⁝ ⁝ 인도 61 81 44 59 29
일본 16위 14위 태국 18 35 5 44 14
자료 : JCER(2021.12.2.), デジタル潜在力指数

/ 4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일본의 디지털 사회 개혁을 위한 디지털청 설립과 시사점

□ 스가 내각 출범 이후, 디지털 사회 실현을 위한 구조 개혁을 강력히 추진

○ 스가 총리 취임 직후, 디지털 사회로의 개혁을 최우선 과제로 공표하고,


이를 개선·강화하기 위한 정책 추진 및 투자 지원 본격화

- 스가 내각은 총리 재선거 이전부터 신(新)정권의 중점 정책으로 디지털


사회 실현을 표명하고, IT기본법 개정, 디지털청 신설 등을 공표해왔으며,
이를 토대로 ‘디지털 사회 실현을 위한 개혁의 기본방침’을 확정(’20.12월)
* 스가 총리는 자민당 총리 선거 표명과 함께 ▲코로나19 극복, 칸막이 행정 타파, 고용 확보, 지방 창생,
안심할 수 있는 사회보장제도, 외교·위기관리 등 6가지 분야별 공약을 발표2)

- 또한, 국가 디지털 대전환을 위해 관료주의 행정을 타파하고 규제개혁을


과감히 단행할 수 있도록 ‘디지털청’을 설치하여 국가 행정 시스템 일원화,
마이넘버 보급, 원격진료 및 원격교육 등 규제개혁을 추진할 것을 발표
- 이에, 일본 정부는 2025년까지 디지털 전환을 위해 약 1조 6,920억엔 규모의
예산을 편성하였으며, 특히 디지털청 설립(286억 8,000만엔), 마이넘버 보급
확대(1,300억엔), 행정서비스의 디지털화 및 중소기업의 DX 지원(1,000억엔)
등에 투자하며 대대적인 디지털 개혁 사업의 착수를 본격화
❘ 일본 주요 디지털 분야 증액 예산 (단위 : 억 엔) ❘
2020년도 2021년도
담당 부처 예산 항목
3차 보정예산 당초예산(안)
정보시스템 관련 비용(디지털청 포함) 94.1 2,986.2
내각 관방
디지털 에이전시 예산 - 81.3
내각부 준 천정 위성 시스템의 개발·개선·운용 117.3 170.7
마이넘버 카드의 보급 촉진 1,032.1 1,075.8
총무성 행정시스템 등의 온라인화 - 104.9
총무성
5G, 광섬유의 정비 추진 - 104.9
새로운 업무·생활 방식 정착 및 디지털 격차 대책 - 38.3
양자컴퓨터 및 자율주행 등의 연구개발 - 368
경제산업성 첨단 연구 시설의 정비 - 432
AI, IoT, 빅데이터 등 통합 프로젝트 - 100
후생노동청 데이터 건강 개혁 90 196
법무부 호적·등기부 시스템 등의 온라인화 추진 28.9 87.8
방위청 사이버 국방 관련 사업 - 301

자료 :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일본 데이터 산업 정책 이슈 TOP5

2) 스가 요시히데(2020.9.5.), 자민당 총재 선거: 정책 발표

/ 5 /
/ Vol. 2 /

2. 디지털 사회 비전과 디지털 사회형성을 위한 기본원칙

□ 디지털 사회 실현을 위한 비전과 기본방향

○ 디지털을 활용하여 개개인의 요구에 맞는 서비스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며,


다양한 행복을 실현할 수 있는 사회 –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사람을 위한 디지털화

- 최근 디지털 기술의 진전으로 개개인의 상황에 맞는 정교한 서비스를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으며, 이에 따라 국민들은
각각의 상황에 맞는 가치 있는 일상을 영위할 수 있게 되었음

- 이번 디지털 개혁의 목표는 ‘디지털을 활용하여 국민 개개인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선택 가능하고, 다양한 행복을 실현할 수 있는 사회’로 모든 국민이
배제 없이 디지털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사회를 지향
- 디지털 사회형성으로 인해 풍요로운 삶을 실감할 수 있는 국민 생활 실현,
국민이 안전·안심하고 살 수 있는 사회의 실현, 이용 기회 등 격차 해소,
개인 및 법인의 권리이익보호 등의 기본이념을 규정

○ 일본의 디지털 사회형성을 위한 정책 추진은 단순히 정부 중심의 디지털


대전환이 아닌 민관 협력 기반으로 디지털화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에 의의
- 일본 정부는 디지털 개혁 추진에 있어 지켜야 할 대전제로 ‘철저히 국민
눈높이에 맞춘 디지털화’에 두며, 디지털 개혁의 근간이 되는 데이터의 활용과
보호의 균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디지털 자원의 분산을 도모
- 일본이 목표로 하는 디지털 사회는 미국, 중국 등 주요 국가의 디지털 전환의
방향성을 표방한 것이 아니라 디지털청을 중심으로 데이터 보호 및 활용에
있어서 균형을 유지하고자 하는 것에 차별점
※ 히라이 장관은 국회 참의원 내각위원회 회의에서 일본의 디지털 개혁 방향은 중국의 감시 형태도 아니며,
미국과 같은 사업자 중심의 자유로운 데이터 유통 및 통신을 지향하는 방식도 아님을 언급3)

- 일본 정부(디지털청)가 디지털 전환의 사령탑 역할을 하지만, 지방자치


단체와 함께 개인정보를 분산하여 보유·관리하면서 지속적으로 시스템과
제도만 표준화하여 데이터를 활용하고자 하는데 초점

3) 41 第 204 回国会参議院内閣委員会会議録第 15 号(令 3.4.27)

/ 6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일본의 디지털 사회 개혁을 위한 디지털청 설립과 시사점

□ 디지털 사회형성을 위한 10대 기본원칙

○ 일본 정부는 디지털 사회의 미래상과 디지털 사회가 실현해 나아가야 할


가치로 10가지 기본원칙을 제시(’20.12.25)

- 스가 총리는 일본의 디지털 개혁이 지향하는 사회로 행정기관에 방문하지


않고서도 모든 행정적 절차가 일상생활에서 가능하며, 지역 간, 계층 간
차별 없이 모두가 디지털화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미래상을 제시
- 디지털 사회를 형성하기 위해 10대 기본원칙*을 대방침으로 시책을 전개
하고, 이 시책이 국민의 의견이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끊임없이 검토
및 정비될 예정
* 디지털 사회형성을 위한 10대 기본원칙 : ①공개·투명, ②공평·윤리, ③안전·안심, ④지속·안정·강화,
⑤사회과제 해결, ⑥신속·유연, ⑦포섭·다양성, ⑧체감, ⑨새로운 가치 창조, ⑩비약·국제공헌

- 또한, 시책 추진 방향은 민관협력을 기본 프레임으로 민간이 주도적인 역


할을 담당하고, 그 외 국가는 데이터의 이용 및 활용과 협력 기반 구축 등
환경을 정비함과 동시에 사용자 관점의 새로운 행정서비스를 제공

❘ 디지털 사회형성을 위한 10대 기본원칙 ❘

원문자료 : 내각관방(2020.11.26.), デジタル改革関連法案ワーキンググループ とりまとめ

/ 7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 7 /
/ Vol. 2 /

참고 IT기본법의 재검토 배경과 개정 방향

□ 새롭게 부상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IT기본법의 전면 개정과 디지털 사회


형성을 위한 법·제도적 개혁 방향
- 2020년 제정된 ⌜고도정보통신 네트워크 사회형성 기본법⌟(이하 IT기본법)은 인터넷을
중심으로 급격하게 변화하는 사회 구조(IT 혁명)에 대응하기 위해 제정된 법안으로 수준
높은 정보통신 네트워크 사회를 목표로 정보통신 인프라 정비, IT 활용 능력의 향상,
데이터 활용 환경 정비 등을 추진
- IT기본법 시행 이후, 인터넷에서 유통되는 데이터의 다양화·대용량화가 진전되어 모든
분야에서 데이터를 활용한 창조적이며 역동적인 성장이 필수 불가결해졌으며, 디지털
기술 활용뿐만 아니라 디지털 리터러시 육성의 중요성도 확대
- 디지털화의 지연, 인재 부족, 주민서비스의 열악 등 IT기본법의 시행 이후 발생한 각종
사회적 과제를 디지털 개혁의 사령탑인 디지털청을 중심으로 해결하고자 종래의 IT기본법은
폐지하고 ⌜디지털 사회형성 기본법⌟을 마련

❘ IT기본법의 개정 방향 ❘
 무엇을 위한 디지털화인가?  디지털 사회형성을 위한 노력 사항
ü 디지털화는 목적이 아니라 수단으로 디지털화를 ü 네트워크 정비・유지・충실
통해 국민이 개별 수요에 맞는 서비스를 선택할 ü 데이터 유통 환경 정비
수 있고, 개개인의 행복에 이바지 ü 행정 및 공공분야에서의 서비스 질 향상
ü 데이터가 가치 창조의 원천으로 데이터의 유통 ü 인재 육성, 교육・학습진흥
및 활용이 디지털 사회의 중요한 초석임을 ü 안심하고 참여할 수 있는 디지털 사회형성
바탕으로 디지털 기술의 선용을 통해 데이터를  역할 분담
효과적으로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 및 가치를 ü 민간에서 주도적 역할을 담당하고 관은 이를 위
창출하는 것이 궁극적 목표 한 환경 정비를 도모
ü 국가와 지방 연계로 정보시스템 공동화·집약 등
 어떤 사회를 실현할 것인가?
추진
ü 국민의 행복한 생활 실현: ‘사람을 위한
디지털화’를 위해 철저하게 국민의 관점에서  국제적인 협조와 공헌
사용자의 체험 가치를 도모하여, 다양한 ü 데이터 유통과 관련된 국제적 규칙 형성에 대한
서비스를 선택가능하게 하고 생활 편의성 주체적 참여와 기여
향상과 생활양식의 다양화에 이바지함으로써 ü 디지털 사회형성을 위하여 정부가 「중점 계획」
국민이 실감하는 행복한 삶을 실현 작성 및 공표
ü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디지털 사회 실현:  중점 계획 수립
인간의 다양성에 존엄을 가지는 사회를 ü 디지털 사회형성을 위하여 정부가 「중점 계획」
형성하기 위해 접근성 확보, 격차 시정, 국민을 작성 및 공표
위한 상세한 설명 등 개개인의 능력을 최대한 ◦ 네트워크의 정비·유지·충실
으로 발휘할 수 있는 포용적 디지털 사회형성 ◦ 데이터 유통환경 정비
ü 국제경쟁력 강화, 지속·건전한 경제 발전: ◦ 행정이나 공공분야의 서비스 질 향상
국민의 디지털 전환 추진, 다양한 서비스・ ◦ 인재 육성, 교육·학습의 진흥
사업・취업 기회 창출, 규제 재검토 ◦ 안심하고 참여할 수 있는 디지털 사회의 형성

/ 8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일본의 디지털 사회 개혁을 위한 디지털청 설립과 시사점

3. 일본의 디지털 개혁 6법

□ 일본 국회는 디지털 대전환을 위해 디지털 개혁에 관한 6개 법률을 통과(’21.5월)

○ 스가 내각의 간판 정책 ‘디지털 사회로의 개혁’ 추진에 관한 6개 법안*이


2021년 5월 12일 참의원 본회의서 통과됨에 따라, 관련 법률이 9월부터 시행
* 디지털 사회형성 기본법, 디지털청 설치법, 디지털 사회형성을 위한 관계법 정비법률, 공적 급부 지급 등을
신속·확실하게 하기 위한 예금계좌등록 등 법률, 예금주 의사에 근거한 개인번호 이용 예금계좌관리 등 법률

❘ 일본의 디지털 개혁 6법 ❘
디지털 사회형성 기본법 디지털청 설치법
• 내각 직속 조직(장은 내각총리대신). 디지털 대신 외에 특별직인
디지털감 등을 둠
• 디지털 사회형성에 관한 기본이념
• 강력한 종합 조정 기능(권고권 등)을 가지는 조직으로 기본
및 기본 방침, 국가, 지방공공단체
방침 수립 등의 기획 입안, 국가 등의 정보시스템 총괄 관리・
및 사업자의 책무, 디지털청 설치
감리, 중요한 시스템을 정비
및 중점 계획 수립에 관해 규정
- 국가 정보시스템, 지방 공통의 디지털 기반, 마이넘버 보급,
데이터 활용 등의 업무를 강력하게 추진

디지털 사회형성을 위한 관계법 정비법률 공적급부 지급 등을 신속·확실하게 하기 위한 예금계좌등록 등 법률


• 개인정보 관련 3법을 하나의 법률 • 긴급급부, 아동수당 등 공적 급부에 등록 계좌를 사용할 수
로 통합하고 이와 함께 지방공공단 있게 하여 급부 신청 절차를 간소화
체의 제도에 대해서도 공통 규칙을 - 희망자의 경우 마이 포털을 통한 등록 및 금융기관 창구를 통한
설정, 소관을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계좌 등록을 할 수 있도록 함
로 일원화(개인정보보호법 개정 등) - 긴급 시 급부금이나 아동수당 등의 공금 급부에 등록한 계좌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
• 의사 면허 등 국가 자격에 관한
사무에서의 마이넘버 이용 범위 예금주 의사에 근거한 개인번호 이용 예금계좌관리 등 법률
확대(마이넘버법 등 개정) • 상속, 재해 발생 등의 신청 절차나 급부 시에 예금 계좌 확인
• 우체국 전자증명서 발행・갱신 등 할 수 있도록 하여 절차 부담 경감
가능(우체국사무취급법 개정) - 본인의 동의를 전제로 하여 한꺼번에 다수의 예금 계좌에 번호를
매길 수 있는 구조와 마이포털에서도 등록할 수 있는 구조 구성
• 본인 동의에 따른 서명 검증자에
- 상속 시 또는 재해 시에 예금 계좌 소재를 국민이 확인할 수 있는
대한 기본 정보 제공, 전자증명서를
구조 구성
스마트폰에 탑재(공적개인인증법 개정)
• 전입지 전출 신고에 관한 정보의 지방공공단체 정보시스템 표준화 법률
사전 통지(주민기본대장법 개정) • 지방공공단체의 행정 운용 효율화 및 주민의 편리성 향상을
• 마이넘버 카드 발행 및 운영 체제의 위해 정보시스템을 표준화
근본적 강화(마이넘버법, J-LIS법 - 지방공공단체의 기간계 정보시스템에 대해 국가가 기준을 수립하고
개정) 해당 기준에 적합한 시스템의 이용을 요구하는 법적 틀을 구축

원문자료 : 일본내각(2021.3), デジタル改革関連法案について

/ 9 /
/ Vol. 2 /

 디지털 사회형성 기본법(총 6장, 38개 조문)


제1장 총칙
∙ (목적) 디지털사회 형성을 통해 국제경쟁력 강화, 국민 편의 향상, 저출산·고령화 대응 및 사회 과제 해결을
도모하여 일본경제의 지속·건전한 발전과 국민 행복 실현에 기여(제1조)
∙ (정의) 디지털 사회란 인터넷 등을 통한 다양한 정보수집, 인공지능 기술 등을 이용한 정보 활용으로
모든 분야에서 창조적인 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를 말함(제2조)

제2장 기본이념
∙ 모든 국민이 정보통신기술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사회 실현(제3조)
∙ 경제 구조 개혁 추진, 산업 국제경쟁력 강화(제4조)
∙ 여유와 풍요로움을 실감할 수 있는 국민 생활 실현(제5조)
∙ 활력 있는 지역 사회 실현(제6조)
∙ 국민이 안전하게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사회 실현(제7조)
∙ 지리적 제약, 연력, 신체적 조건, 경제상황 등의 요인에 따른 기회 격차 시정(제8조)
∙ 국가, 지방자치단체, 민간의 역할 분담(제9조)
∙ 개인 및 법인의 권리이익 보호와 정보의 안전한 유통 확보 도모(제10조)
∙ 정보통신기술 발전에 적극적으로 대응(제11조)
∙ 사회경제구조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과제에 대한 대응(제12조)

제3장 국가, 지방자치단체, 사업자의 의무 등


∙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시책 수립과 사업자의 노력 의무(제13조~제16조)
∙ 법제상 또는 재정상 조치 강구(제17조)
∙ 통계 등의 작성 및 공표(제18조)
∙ 국민의 이해 향상 및 의견 반영 조치 강구(제19조)

제4장 시책 책정 관련 기본방침
∙ 기본시책의 종합적인 추진(제20조)
∙ 세계 최고 수준의 고도정보통신 네트워크 형성(제21조)
∙ 정보교환시스템 등 정비로 정보의 원활한 유통 확보(제22조)
∙ 정보 활용 기회 격차 해소를 위한 조치 강구(제23조)
∙ 교육 및 학습의 진흥(제24조)
∙ 인재의 육성(제25조)
∙ 고도정보통신 네트워크와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경제활동 촉진(제26조)
∙ 사업자의 경영 효율화, 사업 고도화 및 생산성 향상 강수(제27조)
∙ 다양한 서비스 개발로 편리성 향상 도모(제28조)
∙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공동 정보시스템 추진 등(제29조)
∙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보유하는 정보의 활용(제30조)
∙ 공적 기초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정비(제31조)
∙ 공공분야 서비스의 다양화 및 질적인 향상(제32조)
∙ 사이버 보안 확보(제33조)
∙ 국제적인 협조(제34조)
∙ 창조적인 연구개발과 정보통신기술의 유효성 실증(제35조)

제5장 디지털청
∙ 내각 사무 지원과 디지털 사회형성 자체사무의 중점적인 수행을 위한 디지털청 신설(제36조)

제6장 디지털 사회형성에 관한 중점 계획


∙ 정부의 기본시책과 기본방침에 근거한 중점계획을 작성함(제37조)
∙ 디지털 사회형성에 관해서는 다른 국가계획에 우선하여 중점계획을 기본으로 함(제38조)

/ 10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일본의 디지털 사회 개혁을 위한 디지털청 설립과 시사점

 디지털청 설치법(총 4개 조문)

제3조 임무

∙ 디지털 사회형성에 관한 기본이념에 근거하여 디지털 사회형성에 관한 내각사무에 대하여 내각


관방을 지원하는 일
∙ 기본이념에 근거하여 디지털 사회형성에 관한 행정사무를 신속하고도 중점적으로 수행하는 일

제4조 소관사무

∙ 디지털 사회형성을 위한 시책에 관한 기본적인 방침에 관한 기획, 입안 및 종합적인 조정에


관한 사무
∙ 관계 행정기관이 실시하는 디지털 사회형성을 위한 시책 실시의 추진에 관한 사무
- 디지털 사회형성에 관한 중점 계획 작성 및 추진
- 개인을 식별하는 번호에 관한 종합적이고 기본적인 정책의 기획 입안 등
- 마이넘버・마이넘버 카드・법인번호 이용에 관한 내용 및 정보 제공, 네트워크 시스템 설치 및 관리
-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본인확인에 관한 종합적이고 기본적인 정책의 기획 입안 등
- 상업등기 전자 증명(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본인확인 관점에서 실시하는 것), 전자서명, 공적 개인 인
증(검증자에 관한 것), 전자 위임장에 관한 사무
- 데이터 표준화, 외부 연계 기능, 공정 기초 정보 데이터베이스(베이스 레지스트리)와 관련된 종합적이고
기본적인 정책의 기획 입안 등
- 국가・지방공공단체・준공공부문의 민간사업자 정보시스템 정비・관리에 관한 기본적 방침 작성 및 추진
- 국가가 실시하는 정보시스템 정비・관리에 관한 사업의 총괄 감리, 예산 일괄 계상 및 해당 사업 전부
또는 일부를 직접 집행

제6조 디지털청의 장

∙ 디지털청의 장은 내각총리대신으로 함
∙ 내각총리대신은 디지털청과 관련된 사항에[ 대한 ⌜내각법⌟(1947년 법률 제5호)에서 말하는
주임대신으로 하고, 제4조 제2항에서 규정하는 사무를 분담 관리

제8조 디지털대신

∙ 디지털청에 디지털대신을 둠
∙ 디지털대신은 국무대신이 맡음
∙ 내각총리대신을 보좌하고 디지털청의 사무를 총괄하며, 직원 복무를 감독
∙ 제4조 제1항에서 규정하는 사무의 수행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관계 행정기관의
장에게 필요한 자료의 제출 및 설명을 요구 가능
∙ 제4조 제1항에서 정한 사무 수행을 위하여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관계 행정기관장에
게 권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관계 행정기관장은 해당 권고를 충분히 존중해야 함
∙ 전항의 규정에 따라 관계 행정기관의 장에게 권고한 때에는 해당 관계 행정기관의 장에게 권고에
기초하여 취한 조치에 관하여 보고를 요구 가능
∙ 제5항의 규정에 따라 권고한 사항에 관하여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내각총리대신에게
해당 사항에 관하여 ⌜내각법⌟ 제6조의 규정에 따라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의견을 구할 수 있음

/ 11 /
/ Vol. 2 /

Ⅱ 일본 디지털청 설립과 운영 방안

1. 개요

□ 강력한 디지털 개혁 정책으로 공통기준·표준화·데이터 공유 및 활용 강조


○ 스가 총리는 총리 재선거 이전부터 신정권의 중점 정책으로 디지털청 신설을
표명하고, 디지털청 설치를 최우선 과제로 추진할 방침
- 기존 IT기본법에 근거하여 IT에 관한 정부 시책을 종합적으로 조정하고자
했으나, 인증에 관한 권한 및 예산배분권 부재, 인력 부족 등 한계 봉착
-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디지털 개혁을 강력하게 추진하기 위해 디지털청을
신설하여 여러 부처로 분산된 디지털 관련 업무들을 일원화하며, 국가,
지자체 등의 정보시스템을 총괄하는 부처로 종합조정기능을 부여
- 디지털청 설립은 행정 디지털화 관련 규제개혁과 지자체 간 정보시스템의
표준화 등 일본 행정 디지털화의 성패를 좌우할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

❘ 디지털청 추진 개요 및 향후 계획 ❘
추진 일정 추진 내용
2020년 9월 스가 수상이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 디지털청 설치를 표명
2021년 5월 디지털청 설치법 등 디지털 개혁 관련 법 통과
2021년 9월 1일 디지털청 발족
2021년 10월 마이넘버카드를 건강보험증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추진
2022년 중 마이넘버카드 기능을 스마트폰에 탑재
2022년 말 전 국민의 마이넘버카드 취득
2024년 말 마이넘버카드 및 운전면허증 일체화
2025년 말 각 지자체의 행정 시스템 통일·표준화
자료 : 주 일본 대사관, 일본 경제 주간 동향 상세(8.30~9.5)

○ 스가 내각 출범 이후, 일본 디지털화 사령탑이 될 디지털청 신설을 위한


실무 작업을 본격화
- 디지털청 신설을 위한 실무 작업을 본격화하기 위해 ‘디지털청 설치 준비실’을
내각관방에 설치하고 부처 칸막이를 넘는 디지털화를 위해 스가 총리와
모든 각료가 참여하는 ‘디지털 개혁 관계 각료회의’도 개최(’21.9)
- 또한, 디지털청을 2021년 조기 설치를 목표로 디지털청 설치 준비실에서
디지털청 설치법안을 만들어 2021년 정기국회에 관련 법안을 제출

/ 12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일본의 디지털 사회 개혁을 위한 디지털청 설립과 시사점

2. 디지털청 역할과 조직 체계

□ 디지털청은 각 부처 디지털화 추진 사령탑을 하는 조직으로 신설

○ 지금까지 정부 전체적인 전략 없이 부처별로 추진해온 행정 디지털화를 개선·


총괄해 정부 디지털 사령탑으로서 기능을 완수하는 디지털청 신설

- 디지털청은 부처 간 칸막이나 종적 관계를 넘어 횡적 관계에서 통일되게


디지털화에 대응할 수 있는 실효성이 있는 조직이 되도록 부처별로 분산된
정책과 정보시스템을 일원화하고, 행정서비스의 디지털화를 촉진
※ 강력한 종합 조정 기능(권고안 등)을 가지는 조직으로 기본방침 수립 등의 기획 입안, 국가 등의 정보시
스템 총괄·감리, 중요한 시스템은 직접 정비하는 역할을 수행

- 특히, 마이넘버 카드 보급을 촉진해 예금 계좌와 연계하고, 건강보험증이나


운전면허증 등 여러 규격을 통합하는 등 마이넘버 제도를 다기능화
※ 스가 총리는 ‘핵심 열쇠는 디지털 시대의 패스포트인 마이넘버 카드다’라고 역설

○ 디지털청은 누구 한 사람 남겨두지 않는, 사람에게 친절한 디지털화를 목표로


세계에 자랑할 수 있는 새로운 일본 미래를 열어가는 데 핵심 역할을 수행
- (Government as Service) 국가, 지방공공단체, 민간사업자, 그 외 모든 관계자를
유기적으로 제휴해 사용자의 체험 가치를 극대화하는 서비스 제공
- (Government as a Startup) 높은 뜻을 품고 있는 관민의 인재가 서로 신뢰하에
협동하고 많은 도전으로부터 배움으로써 대담하고 속도감 있게 사회 전체의
디지털 개혁을 주도
※ 디지털 사회형성을 위한 사령탑으로서의 디지털청 설치하여 각부 부처의 체제 정비, 디지털사회추진회의 설치,
디지털사회추진검토회의 개최, 관계 행정기관, 지방공공단체, 민간사업자 등과 제휴·협력

❘ 디지털청의 업무추진 체계 ❘

자료 : 디지털청 홈페이지(https://www.digital.go.jp/about)

/ 13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 13 /
/ Vol. 2 /

□ 관민에 상관없이 적재적소에 인재 배치된 600명 규모의 디지털 전문 조직

○ 디지털청은 내각 직속 조직으로 수장인 총리 아래, 장관·부장관과 특별직인


디지털감, 차관급인 디지털 심의관을 둔 약 600명 규모
- 일본 정부는 내각 부처 내 디지털청을 신설하고 담당 장관을 임명*하였으며,
그 외 내각관방, 총무성, 경제산업성 등 각 부처의 디지털 정책 관련 인력
40~50명 정도로 구성
* 히라이 다쿠야(디지털 개혁 담당대신)를 중심으로 후지이 히사유키(내각부 부대신), 미와야키 히사(내각
정보통신정책감) 등 정부 디지털 정책 인력으로 구성
- 전체 인력은 총 600명 규모로 출범하나, 최첨단 IT와 디지털화에 대응하기
위해 디지털감*, CTO 등 약 200여 명의 민간 전문가를 비상근 채용하고
겸업, 원격 근무 등 유연한 근로 방식을 운용
* 사무 행정의 최고책임자인 디지털감으로 이시쿠라 요코(石倉洋子) 히토쓰바시 대학 명예교수를 영입
※ 단, 겸업으로 인한 부처의 이익상반행위를 금지하기 위해 관련 기업은 디지털 청의 입찰을 제한하며,
사전에 기업정보, 보유주식, 특허권 등을 등록하도록 의무화

- 민간 전문가들은 일본 디지털청이 재택근무 정착을 포함한 일하는 방식의


개혁, 서버 보안 강화, IT 국제경쟁력 강화 등 3가지 분야에 정책역량을
집중할 것으로 예상
❘ 디지털청 조직도 ❘

자료 : 디지털청 홈페이지(https://www.digital.go.jp/about)

/ 14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일본의 디지털 사회 개혁을 위한 디지털청 설립과 시사점

□ 디지털청은 대국민 서비스 개선과 디지털 기반 공통 인프라 구축에 핵심 역할을 담당


○ (디지털 사회 공통 기능 정비·보급) 공통의 디지털 기반 전국 규모의 클라
우드 이행을 위한 표준화·공통화에 관한 기획과 종합 조정
- ID 제도(마이넘버제도, G비즈ID 등) 및 인증제도(전자서명, 상업등기, 전자증명서 등)
정비 및 이용 확대, 국가 디지털 인프라(정부 클라우드, 네트워크 등) 구축 제공
○ (국민 관점의 UI·UX 개선 및 대국민 서비스 실현) 국민이 편리하고 효율적인
행정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공공분야의 디지털화 및 표준화 지원
- 공공 프론트 서비스(육아, 상속, 세금, 출입국 등)의 온라인 원스톱 서비스 제공,
생활에 밀접한 준공공 서비스(건강, 교육, 교통 등)의 디지털화 지원하고
정부 웹사이트의 표준화를 통해 공통된 디자인 시스템 제공
○ (국가 정보시스템의 통괄·감리) 국가 정보 시스템의 기본적 방침을 수립하고
예산을 일괄 계상하여 총괄·감리. 중요한 시스템은 직접 정비 및 운용
- 국가 정보시스템의 정비·관리의 기본 방침을 책정하고 효율적인 시스템 정비나
민간의 정보시스템 간 정보 제휴, 사용자 관점에서 행정서비스의 개혁을
일체적으로 진행
○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인재 확보 및 육성, 신기술 활용을 위한
조달 방법 검토 및 규제개혁을 단행하며, 국민의 편의성 향상과 디지털 장벽
해소를 위해 접근성 확보, 안전한 사이버보안 환경조성 등 추진

❘ 디지털청 업무 흐름도 ❘

자료 : 내각부(2021), 디지털 사회 실현 개혁의 기본 방침 개요(デジタル社会の実現に向けた改革の基本方針の概要)

/ 15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 15 /
/ Vol. 2 /

[참고] 디지털청의 주요 업무4)(디지털청설치법 제3조, 제4조)


∙ 디지털청 설치법⌟에 의거한 디지털청의 법적 의무로 ⌜디지털 사회형성에 관한 기본이념⌟에
근거하여 내각 지원과 행정적 분담 관리 임무를 수행하도록 하며(제3조), 권고권(제8조)을
부여하여 디지털 정책의 사령탑으로서 종합기능을 발휘할 것을 명시

주요 업무 내용
∙ 디지털 사회형성 시책 관련 기본 방침에 관한 기획 및 종합조정
내각 보조 사무 ∙ 관계 행정기관이 강구하는 시책의 실시 추진
∙ 그 외, 디지털 사회형성을 위한 시책 관련 기획 및 종합조정
∙ 행정기관, 지방공공단체, 공공기관 및 민간사업자 등 국가의 정보시스템
정비·관리의 기본방침 작성 및 추진
∙ 정보시스템 정비계획 작성 및 추진
∙ 행정기관이 수행하는 정보시스템 정비·관리에 관한 행정 각부 사업*의 총괄·관리
* 디지털청 시스템, 디지털청·각 부성 공통 프로젝트형 시스템, 각 부성 시스템
국가정보시스템
∙ 행정기관이 수행하는 정보시스템 정비·관리에 관한 사업 수행
- 필요 예산을 일괄 요구·확보
- 행정기관이 수행하는 정보시스템의 정비·관리에 관한 사업 계획
- 행정기관이 수행하는 정보시스템의 정비·관리에 관한 사업에 대해 전부(디지털청 시스템)
혹은 일부를 자체 수행하거나 관계행정기관에 예산 집행
∙ 행정기관 공통 정보시스템의 정비·관리
지방 공통의 ∙ 지방공공단체의 정보시스템 표준화·공통화에 관한 기획 및 종합조정

디지털 기반 ∙ 보조금 교부 시스템(주민기본대장, 지방세 등)에 대한 통괄·관리

∙ 마이넘버, 마이넘버카드, 공적개인인증 등 마이넘버제도 전반의 입안 체계 일원화
관 ∙ 행정 절차에 특정 개인, 법인, 기타 단체의 식별 번호 등 이용에 관한 종합적·
기본적 정책의 기획 및 추진
리 마이넘버
∙ 개인번호, 개인번호카드, 법인번호 이용, 정보제공네트워크 시스템의 설치 및 관리
사 ∙ 공적 급부의 지급 등 신속, 확실한 실시를 위하여 예금과 저축 구좌 등록 등에
무 관한 특정 공적 급부의 지정, 정보 제공에 관한 제도 관련 사무 등
∙ 행정기관, 지방공공단체, 공공기관 및 민간사업자가 이용하는 관민데이터
관련 데이터의 표준화에 관계되는 정책 기획 및 입안
∙ 공적 기초정보 DB 정비, 이용 관련 정책 기획 및 입안
데이터 활용 ∙ 본인확인(ID제도) 관련 종합적·기본적 정책의 기획 및 추진
∙ 본인확인의 신뢰성 확보 및 이용 촉진을 도모하는 관점에서 ‘상업등기법’
규정에 관한 보증 및 증명 관련 사항*
* 전자서명 관련 사항, 전자 위임증 관련, 서명 검증자 및 이용자 증명 검증자 관련
∙ (사이버보안) 사이버보안에 관한 기본방침 작성, 보안 전문팀을 신설하여
디지털청이 정비·운용하는 시스템의 검증·감사 실시
기타
∙ (디지털 인재) 디지털 인재 채용 계획 및 육성·경력 경로 책정을 위한 기본
방침 작성 및 ‘보안·IT 인재 확보·육성계획’ 개정

4) 디지털청설치법(デジタル庁設置法 令和3年 法律 第36号)을 토대로 작성

/ 16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일본의 디지털 사회 개혁을 위한 디지털청 설립과 시사점

Ⅲ 시사점

□ 데이터를 중심으로 디지털 전환에 대한 종합적이며 구체적인 방향성 제시

○ 시대적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하기 위해 데이터를 핵심 자원으로 활용하여


데이터 중심의 종합적인 정책을 수립하고 국가 주도의 디지털화를 추진
- 일본 정부는 그간 다양한 데이터 정책을 수립·추진했으나, 정부기관 간
정보공유 부재, 개방데이터의 낮은 활용성, 데이터 정비 환경 미흡 등
사회 전반에 걸쳐 실질적인 데이터 활용·확산은 부진
- 이는 민관을 아우를 수 있는 종합적인 데이터 전략 부재 때문이라는 문제

인식에 따라 IT기본법 제정(’20) 이후 새로운 데이터 전략인 포괄적
데이터 전략(包括的データ戦略の)⌟을 수립(’21.6)
- 포괄적 데이터전략*은 행정 자체가 플랫폼이 될 수 있다는 발상을 통해
행정기관이 데이터의 분산 관리를 기본으로 기초 데이터를 정비하고,
데이터 관련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해 새로운 법·제도적 기반을 마련
* 포괄적 데이터전략은 디지털 트윈을 통해 경제 발전과 사회적 과제 해결을 동시에 추진하는 인간 중심
사회 실현을 비전으로 핵심 과제인 데이터 환경 정비를 위해 트러스트 기반 구축, 플랫폼 정비, 데이터
거래 시장 활성화, 기초 데이터 정비, 디지털 인프라 정비 등의 방안을 제시

○ 일원화된 디지털 정책 추진을 위해 디지털청을 설립하여 예산 배분 기능과


강력한 종합조정 권한을 가진 국가 디지털 개혁의 사령탑 역할을 부여
- 국가 차원의 포괄적인 데이터 전략을 조속히 실행하고 부처별로 분산된
데이터 활용을 위한 공통기반 정비 등 데이터 중심의 구체적인 정책을
담당할 수 있도록 거버넌스 체계 정비가 시급
- 따라서 기존의 IT 정책을 담당해 온 ‘IT종합전략본부’와 ‘관민 데이터
활용 추진 전략 회의’를 폐지하고 디지털청을 신설하여 종합조정기능,
예산분배권, 인력배치 등 강력한 디지털 정책 추진을 위한 권한을 부여
- 특히. 일본 정부는 디지털청의 역할로 공통기준·표준화·데이터 공유 및
활용을 강조하며 내각부와 각 부처 간 디지털 정책의 통일성 및 일관성을
확보

/ 17 /
/ Vol. 2 /

□ 정치적 불확실성, 개인정보보호 등 사회적 수용성 확보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

○ 잦은 내각 교체로 인한 정치적 불확실성은 일관된 디지털 정책 추진에 있어


장애물로 작용
- 도쿄올림픽 개최, 디지털청 설립 등 일정 부분의 정책 성과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대응 실패로 인한 내각 지지율 저조를 벗어나지 못하고 스가 내각이
1년여 만에 물러나며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내각이 정식 출범(’21.11)
※ 스가 내각(2020.9.16.~2021.10.4.) ⟶ 1차 기시다 내각(2021.10.4.~2021.10.14.) ⟶ 2차 기시다
내각(2021.11.10.~현재)

- 기시다 내각도 아베·스가 내각의 디지털 전환 정책 방향과 유사하게 하되,


지방 디지털화를 통한 디지털 전원도시 구성과 성장전략을 주요 정책
아젠다로 공표하며 새로운 성장동력인 지방 활성화 비전도 구체화
- 하지만 여전히 파벌정치로 인한 정치적 불확실성이 내재되어 있는 가운데,
디지털 개혁의 추진 방향이 단순히 행정 디지털화의 영역에서 머무르지 않고
사회 전반에 본격 가속화되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국정 운영과 일관된
정책 추진이 필요

○ 디지털청 설립에 앞서 개인정보보호법이 대대적으로 개정됨에 따라 개인


정보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일본 사회 내 수용성 확보가 시급
- 일본 정부는 디지털 사회형성을 위한 개혁에 있어 데이터 활용과 편의성
추구를 최우선으로 하여 정부, 지방자치단체 등 서로 다르게 적용되던
개인정보보호법을 통합하고 전체 소관을 개인정보보호위원회로 일원화
- 하지만, 기존 지방공공단체의 개인정보보호법에 비해 완화된 국가의 법
률에 맞춰 공통 규칙이 마련, 정보 주체의 통제권 부재, 개인정보보호위
원회의 규모와 권한 미흡 등 국민적 반감이 존재
- 특히, 디지털 사회형성에 있어 핵심 과제인 마이넘버 카드 보급과 활용에
있어 국민의 협조는 절대적임에 따라 개인정보보호와 관련된 대국민 의견
청취를 통해 신뢰할 수 있는 안전한 디지털 환경의 구축과 디지털 개혁을 통한
미래 변화에 대한 정부의 충분한 설명이 필요

/ 18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일본의 디지털 사회 개혁을 위한 디지털청 설립과 시사점

참고자료
∙ 일본 내각관방(2021.9.1.), 디지털 사회형성 기본법(デジタル社会形成基本法)

∙ 일본 내각관방(2021.9.1.), 디지털청 설치법(デジタル庁設置法)

∙ 일본 총무청(2021.6.18.), 포괄적 데이터전략(包括的データ戦略)

∙ 입법정책연구원(2021.6.14.), 디지털사회형성기본법 및 디지털청 설치법 제정

/ 19 /
/ Vol. 2 /

❘ 작 성 ❘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정책본부 정책기획팀
김 영 은 선임 (053-230-1294, yekim0928@nia.or.kr)

❘ 기 획 ❘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정책본부
이규엽 팀장

1. 본 보고서는 방송통신발전기금으로 수행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방송 연구개발사업


(ICT진흥 및 혁신기반조성(정보화, R&D)사업)의 연구결과입니다.

2. 본 보고서 내용의 무단전재를 금하며, 가공‧인용할 때는 반드시 출처를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


원(NIA)」이라고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3. 본 보고서의 내용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의 공식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

/ 20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HOT 2021
ISSUE
REPORT
Vol. 2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