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m Lim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59

2023학년도 수시모집 논 전형 자연계열

논 고사 출제 의도 및 답안 (자연계열)

문항 1

[문항 1]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인 함수  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  ≤     일 때,            이다. (단,   ⋯이다.)


(나)   일 때,    이다.

닫힌구간     에서 직선         와 함수     의 그래프가 두


에서 만날 때 직선과 함수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  이라 한다. 아래 물
음에 답하시오. [40 ]
(1)   을 구하시오.

(2) 닫힌구간      에서 직선   와 함수     의 그래프가 두 에서 만나


도록 하는 실수 의 값의 범위를 구하고   을 구하시오.
(3) 실수 에 대하여 직선   와 함수    의 그래프가 닫힌구간      에서
두 에서 만나고 닫힌구간        에서는 한 에서 만나거나 만나지 않는
자연수 의 값의 범위를 로 나타내고 극한값 lim 를 구하시오.
→  


(4) 문항 (3)에서 구한 자연수 의 값의 범위에 대하여 극한값 lim       ⋯    
 
→  

을 구하시오.

문항 1 - 출제 의도

이 문제는 주어진 함수들에 의해 결정되는 도형을 파악하고, 해당하는 도형의 넓이를


구하고 관련된 극한값을 구하는 문제이다. 함수들에 의해 결정되는 도형을 추론하고
과 직선 사이의 거리 등의 간단한 수리적 도구를 활용하여 도형의 넓이를 구하고 관련
된 극한값을 구할 수 있는 수리적 조작 능력을 평가한다. 또한 주어진 함수들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범위를 결정하고 극한의 대소 관계를 활용하여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수리
적 추론 능력을 평가한다.
1-(1).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를 이해하고 주어진 구간에서 직선과 함수의 그래프로 둘
러싸인 도형을 유추하여 넓이를 구할 수 있는 수리적 계산능력을 평가한다.
1-(2). 주어진 구간에서 직선과 함수의 그래프가 두 에서 만날 조건을 유추할 수 있
는 추론 능력과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할 수 있는 수리적 계산능력을 평가한다.
1-(3). 주어진 구간에서 직선과 함수의 그래프가 두 에서 만나도록 하는 자연수의 범

- 1 -
2023학년도 수시모집 논 전형 자연계열

위를 유추하는 추론 능력과 관련된 극한값을 구할 수 있는 수리적 계산능력을 평가한다.


1-(4). 수열의 합을 구하고 앞선 문항들에서 파악된 결과들과 극한의 성질들을 활용하
여 극한값을 구할 수 있는 수리적 계산능력을 평가한다.

문항 1 - 출제 근거
)

적용 교육과정

문항 및 제시문 학습내용 성취 기준

참고자료 도서명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쪽수

- 2 -
2023학년도 수시모집 논 전형 자연계열

문항 1 -문항 해설

주어진 함수들에 의해 결정되는 도형을 파악하기 위해서 함수의 그래프를 이해하고


기하학적 조건을 수리적 조작을 통해 대수적 관계식으로 유추하여 활용하는 방법은 매
우 유용한 추론 방법이다. 함수의 그래프들로 둘러싸인 도형이 교 들에 의해 결정될
때, 교 들을 파악하고 해당 교 들의 상태를 대수적 관계식으로 표현하도록 요구되는
문항이다. 또한 함수의 그래프들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에 의해 결정되는 수열을 파악
하고 극한값을 구하도록 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극한에 대한 기본 성질과 극한의 대소
관계를 활용하여 주어진 수열의 극한값을 구할 수 있는 수리적 계산능력을 평가하고 있
다.

문항 1 - 채점 기준

하위
채점 기준 배점
문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
2023학년도 수시모집 논 전형 자연계열

하위
채점 기준 배점
문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4 -
2023학년도 수시모집 논 전형 자연계열

하위
채점 기준 배점
문항

 
lim        ⋯     
→    

문항 1 - 예시 답안

1-(1)   을 구하시오.

[풀이]
구간   에서 함수     의 그래프는 구간   에서는   이고 구간   에
서는     이다. 그러므로 직선   와 함수    의 그래프의 교 은 각각

  와   의 교   과   와     의 교 



  

이다. 따

라서 구간    에서 직선   와 함수    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도형은 두

교   

      와 함수     의 그래프 위의
 
   이 이루는 삼각

형이다.

   
두 교 사이의 거리는  이고,  로부터 직선   에 이르는 거리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1-(2) 닫힌구간      에서 직선   와 함수     의 그래프가 두 에서 만나


도록 하는 실수 의 값의 범위를 구하고   을 구하시오.

[풀이]
구간      에서 함수     의 그래프는 구간      에서는
    이고, 구간        에서는       이다. 따라서 직선
  와 함수     의 그래프가 구간      에서 두 에서 만나려면 함
수     의 그래프 위의      이 직선   보다 위쪽에 있어야 한다.

- 5 -
2023학년도 수시모집 논 전형 자연계열


      
이다. 따라서 의 값의 범위는

  
  
이다.
이때 직선   와 함수     의 그래프의 두 교 은 각각 구간     에
서     과   의 교 , 그리고 구간       에서       와
  의 교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를 만족시킨다. 따라서 두 교 은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두 교 사이의 거리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함수    의 그래프 위의     로부터 직선   에 이르는 거
리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1-(3) 실수 에 대하여 직선   와 함수    의 그래프가 닫힌구간      에서


두 에서 만나고 닫힌구간        에서는 한 에서 만나거나 만나지 않는 자연수
의 값의 범위를 로 나타내고 극한값 lim 를 구하시오.
→  

[풀이]

문항 (2)의 결과로부터      일 때, 구간      에서 직선   와 함
  
수     의 그래프가 두 에서 만나므로 자연수 은

 


- 6 -
2023학년도 수시모집 논 전형 자연계열

를 만족한다.
한편 구간      에서 직선   와 함수     의 그래프가 한 에서만
만나거나 만나지 않으려면 함수     의 그래프 위의    이 직선
   위의 이거나 직선보다 아래쪽에 있다. 즉
     ≥ 
이다. 따라서 자연수 은
  
≥ 


를 만족한다.
위 결과로부터 직선   와 함수     의 그래프가 구간      에서 두
에서 만나고 구간        에서는 한 에서 만나거나 만나지 않는 자연수 
의 값의 범위는
   
 ≤ 
 
이다.
    
자연수 의 값의 범위가  ≤    이므로    ≤     이다. 따라
 

서 lim   

이다.
→  


1-(4) 문항 (3)에서 구한 자연수 의 값의 범위에 대하여 극한값 lim       ⋯    
 
→  

을 구하시오.

[풀이]
    
문항 (3)의 결과로부터 자연수 의 값의 범위가  ≤    일 때 구간
 
     에서 직선   와 함수    의 그래프가 두 에서 만난다. 이때 모
든     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
2023학년도 수시모집 논 전형 자연계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한편  ≤    이므로   ≤ 를 얻는다. 따라서
    
   
 
lim   이다. 또한 문항 (3)의 결과로부터 lim    이므로 구하는 극한값은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8 -
2023학년도 수시모집 논 전형 자연계열

문항 2

[문항 2] 실수 , 에 대하여 직선     가 함수         의 그래프와 서로 다


른 세 에서 만날 때 아래 물음에 답하시오. [30 ]
(1)   일 때 위 조건을 만족하는 의 값을 모두 구하시오.
(2)  ≥ ,   일 때 위 조건을 만족하는 의 값의 범위를 구하고 를 으로 나타내시
오.
(3)  ≥ ,   일 때 직선     와 함수        의 그래프의 세 교 을 좌
표의 크기순으로 A B C 라 하자. 교 A 와 B 사이에서 직선과 함수의 그래프로 둘러
싸인 부분의 넓이와 교 B 와 C 사이에서 직선과 함수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
이가 서로 같아지는 실수 의 값을 모두 구하시오.

문항 2 - 출제 의도

이 문제는 이차함수로부터 유도된 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교 에 관한 조건을 수리적


조작을 통해 파악하고 교 의 개수와 교 을 특정하는 직선의 위치를 추론하는 문제이다.
주어진 조건에 관한 함수와 직선의 위치 관계를 판별하는 수리적 추론 능력을 평가한다.
그리고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활용하여 직선과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가 하는 상황을
판별하고 해당하는 도형의 넓이를 비교 판정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2-(1). 좌표평면에서 절댓값 기호를 포함한 이차함수의 그래프가 주어지고 기울기가
정해진 직선의 절편을 따라 움직일 때 교 의 개수의 변화를 판별하는 능력을 평가
한다.
2-(2). 절댓값 기호를 포함한 이차함수와 직선이 3개의 에서 만나려면 해야 한다
는 사고의 과정과 그때의 직선의 범위를 구하는 능력을 평가하고, 이차방정식의 판별
식을 활용하여 구체적인 상황을 조사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2-(3). 그래프의 개형을 파악하여 직선과 함수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판
별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문항 2 - 출제 근거

적용 교육과정

문항 및 제시문 학습내용 성취 기준

  

- 9 -
2023학년도 수시모집 논 전형 자연계열

  

  

참고자료 도서명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쪽수

- 10 -
2023학년도 수시모집 논 전형 자연계열

문항 2 - 문항 해설

문항 2-(1). 좌표평면에서 절댓값 기호를 포함한 이차함수의 그래프가 주어지고 기울기가


정해진 직선의 절편을 따라 움직일 때, 교 의 개수의 변화를 판별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절댓값 기호를 포함한 이차함수와 직선의 교 은 할 때뿐만 아니라 직선이 절댓값 부호
안의 함숫값이 0이 되는 을 지날 때 교 의 개수 변화를 면밀히 관찰하여야 한다.
문항 2-(2). 절댓값 기호를 포함한 이차함수와 직선이 3개의 에서 만나려면 해야 한
다는 사고의 과정과 그때의 직선의 범위를 구하는 능력을 평가하고, 이차방정식의 판별식
을 활용하여 구체적인 상황을 조사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직선이 이차함수의 절댓값 부호
안의 함수 값이 0이 되는 을 지날 때 교 의 개수가 변화하는데, 주어진 조건에서 이 상
황이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한다. 그러므로 할 때의 교 을 구하면 되는 사실을 확인하고
계산해 가는 과정을 평가한다.
문항 2-(3). 그래프의 개형을 파악하여 직선과 함수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판별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문항 (2)의 결과로부터 3개의 교 이 발생하는 경우는 직선과
이차곡선이 할 때이고, 이때 둘러싸인 도형의 개형이 대칭인 경우만 교 A 와 B 사이에
서 직선과 함수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와 교 B 와 C 사이에서 직선과 함수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가 같아짐을 도형의 모양과 수식을 확인하여 보일 수 있다.

문항 2 - 채점 기준

하위
채점 기준 배점
문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
2023학년도 수시모집 논 전형 자연계열

하위
채점 기준 배점
문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 B C A B
B C

≥ 

 



   
 ≤  ≤   ≤  ≤   



문항 2 - 예시 답안
2-(1)   일 때 위 조건을 만족하는 의 값을 모두 구하시오.

[풀이]
직선     를 축을 따라 평행이동하면   일 때 함수      의 그래
프와 한 에서 만나고      일 때 두 에서 만난다. 그리고   일 때 세
에서 만난다.
  이면 직선이     에서 함수의 그래프에 할 때만 세 에서 만난다. 직선

    와      가 하면        가 근을 가지므로 판별식


      이다.

즉,    일 때 직선과 함수의 그래프가 세 에서 만난다.


따라서 구하는 값은     이다.

- 12 -
2023학년도 수시모집 논 전형 자연계열

2-(2)  ≥ ,   일 때 위 조건을 만족하는 의 값의 범위를 구하고 를 으로 나타내


시오.

[풀이]
 ≥ ,   일 때 직선     는   ,   을 지날 수 없다. 따라서 직선
이 함수         의 그래프와 세 에서 만나는 경우는 직선이     에서
     의 그래프에 할 때이다. 따라서 이차방정식        가
근을 갖고, 근이     에 있다. 판별식         이므로
  
      이고, 근    은       를 만족시키므로  ≤   이다.
  

그러므로  ≤   일 때       이다.

2-(3)  ≥ ,   일 때 직선     와 함수      의 그래프의 세 교 을 


좌표의 크기순으로 A B C 라 하자. 교 A 와 B 사이에서 직선과 함수의 그래프로 둘러싸
인 부분의 넓이와 교 B 와 C 사이에서 직선과 함수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가
서로 같아지는 실수 의 값을 모두 구하시오.

[풀이]
문항 (2)의 결과로부터 직선     와 함수       의 그래프가 세 에서

만날 때는 직선과 함수의 그래프가 할 때이고,        ≤    이므로

   ≤ 이다.
직선     와 함수       의 그래프의 세 교 이 좌표의 크기순으로
A B C 이라고 했으므로 직선     와 함수      의 그래프의 교 을
A   , C  ,    라 하고 을 B라 하자. 그리고 교 A와
B 사이에서 직선과 함수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  , 교 B 와 C 사이에

서 직선과 함수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  라 하자.


(ⅰ )   일 때, 직선   이     의 그래프에 하고 직선과 함수
      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두 도형은      의 대칭축   
에 대하여 대칭이다. 따라서 직선   과 함수       의 그래프로 둘러
싸인 두 도형의 넓이가 같다.
이때 직선   과      의 교 은   
   ,   
   이다.
(ⅱ)     일 때, 직선     와     가         에서 만나고
  이므로   
    ,   
  이다. 직선     와 함수

- 13 -
2023학년도 수시모집 논 전형 자연계열

     의 그래프가   에서 하고   이므로     이다. 따라


서   
      이고       
 이다.
  
      이므로  ≤  ≤ 에서 직선     와 함수
      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도형은   
 ≤  ≤ 에서 직선   과
함수      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도형에 포함되고 같지 않다. 따라서
  
 ≤  ≤ 에서 직선   과 함수      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도
형의 넓이를   이라고 하면  ≤  ≤ 에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  은   보다
작고 같지 않다.
      
  이므로  ≤  ≤ 에서 직선     와 함수
      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도형은  ≤  ≤   
 에서 직선   과
함수      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도형을 포함하고 같지 않다. 따라서
 ≤  ≤   
 에서 직선   과 함수       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  이라고 하면,  ≤  ≤ 에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  는  
보다 크고 같지 않다. (ⅰ)의 결과로부터            이다.
(ⅰ), (ⅱ)로부터 넓이가 같아지는 경우는   일 때뿐이다.

- 14 -
2023학년도 수시모집 논 전형 자연계열

문항 3

[문항 3] 좌표평면 위에서 원     의 내부를 색칠하여 얻게 되는 그림을   이라 하


자.   에 원        과 원       의 내부를 색칠한 부분을 더하여 얻게
되는 그림을   이라 하고   에 원        과 원       의 내부를 색칠
한 부분을 더하여 얻게 되는 그림을   라 한다. 이 과정을 계속하여  에 원
   
        과 원         의 내부를 색칠한 부분을 더하여 얻게 되는
그림을     이라 한다.  에 색칠되어 있는 부분의 넓이를   이라 하자. (단,
      ⋯이다.)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삼각형의 넓이를 라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1이고 심각의 크기

가  인 부채꼴에서 호의 양 끝 과 심을 꼭짓 으로 하는 삼각형을 제외한 도형의

넓이를 라 할 때 아래 물음에 답하시오. [30 ]
(1)   을     로 나타낼 때 자연수  ,  을 구하시오.
(2)   을     로 나타낼 때 자연수  ,  을 구하시오.
(3)   을     로 나타낼 때 자연수  ,  을 구하시오.

문항 3 - 출제 의도

이 문제는 원에 관한 도형들로 제시된 조건을 이해하고 수리적 분석과정을 통하여 제시


된 조건의 넓이를 구하는 문제이다. 이 과정에서 그림에 대한 수리적 조작, 다항식의 연
산, 등차수열을 활용하여 그림의 넓이를 구하는 수리적 조작 능력을 평가한다.
3-(1). 정삼각형과 부채꼴에 관한 도형으로 원의 내부를 분할하여 원의 넓이를 정삼각형
의 넓이와 부채꼴에 관한 도형의 넓이의 합으로 나타내는 수리적 추론능력과 수리적 조작
능력을 평가한다.
3-(2). 원의 평행이동에 관한 개념을 활용하여 원에 관한 도형으로 제시된 조건을 조작
적으로 활용하여 그림의 개형을 이해하고, 수리적 분석과정을 통하여 그림의 넓이를 정삼
각형의 넓이와 부채꼴에 관한 도형의 넓이의 합으로 나타내는 수리적 추론능력과 수리적
조작 능력을 평가한다.
3-(3). 원의 평행이동에 관한 개념을 활용하여 원에 관한 도형으로 제시된 조건을 이해
하고, 등차수열을 활용하여 그림의 넓이를 정삼각형의 넓이와 부채꼴에 관한 도형의 넓이
의 합으로 나타내는 종합적 수리적 능력을 평가한다.

- 15 -
2023학년도 수시모집 논 전형 자연계열

문항 3 - 출제 근거
)

적용 교육과정
문항 및 제시문 학습내용 성취 기준

참고자료 도서명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쪽수

- 16 -
2023학년도 수시모집 논 전형 자연계열

문항 3 - 문항 해설

이 문제는 원으로 제시된 조건을 분석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원에 대한 수리적


조작을 수행하여 제시된 그림의 개형을 이해하고 정삼각형과 부채꼴에 관한 도형을 활용
하는 수리적 추론과 조작을 통해 그림의 넓이를 구하는 문제이다. 제시된 그림이 정삼각
형과 부채꼴에 관한 도형으로 분할되는 것을 추론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삼각형의 넓이와
부채꼴에 관한 도형의 넓이를 문자로 활용하여 그림을 넓이를 이들의 문자의 합으로 나타
내도록 하는 수리적 능력을 평가한다. 이 과정에서 등차수열을 발견하고 구하는 수리적
추론과 조작능력을 평가한다.

문항 3 - 채점 기준

하위
채점 기준 배점
문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 -
2023학년도 수시모집 논 전형 자연계열

하위
채점 기준 배점
문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문항 3 - 예시 답안

3-(1)   을     로 나타낼 때 자연수  ,  을 구하시오.


[풀이]
문제에서 제시된 넓이 인 도형은 [그림1]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1이고 심각의

크기가  인 부채꼴에서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삼각형을 뺀 것이다.

- 18 -
2023학년도 수시모집 논 전형 자연계열

[ 1] [ 2]

그림   은 심이 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을 나타내므로 그림   에 색칠


한 부분은 [그림2]와 같이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삼각형 6개와 제시된 넓이 인 도
형 6개로 분할된다. 따라서 그림   의 넓이   은   이므로 구하는 자연수는
  ,   이다.

[별해]
   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삼각형의 넓이는  ⋅⋅⋅ sin    이므로    이
   
다. 문제에서 제시된 넓이 인 도형은 [그림1]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1이고 심각

의 크기가  인 부채꼴에서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삼각형을 뺀 것이고 부채꼴의 넓

     
이가  ⋅⋅⋅    이므로      이다.
    
그림   은 심이  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을 나타내므로   의 넓이   이
이고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는   ,   이다.

3-(2)   을     로 나타낼 때 자연수  ,  을 구하시오.

[풀이]
그림   은 [그림3]과 같이, 그림   에 [그림4]와 같이 나타나는 도형 두 개를 더한 것
이다.

[ 3] [ 4]

[그림4]의 도형은 [그림5]와 같이 분할되고, [그림6]처럼 넓이 인 도형을 이동하면


[그림4]의 도형의 넓이는 [그림6]의 도형의 넓이와 같다. 따라서 [그림4]의 도형의 넓이

- 19 -
2023학년도 수시모집 논 전형 자연계열

는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삼각형 4개의 넓이와 제시된 넓이 인 도형 2개의 넓이의


합이다. 그러므로 [그림4]의 도형의 넓이를   로 나타낼 수 있다.

[ 5] [ 6]
문항 (1)의 결과에 따라   이   이므로 그림   의 색칠한 부분의 넓이   은
          이다.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는      이다.

[별해]
그림   은 [그림3]과 같이 그림   에 [그림4]와 같이 나타나는 도형 두 개를 더한
것이다. [그림4]의 도형은 아래 [그림7]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에서, 반지름

의 길이가 1이고 심각의 크기가  인 부채꼴에서 호의 끝 과 심을 연결한 삼

각형을 뺀 도형의 넓이를 두 개 뺀 것이다.

[ 7]
부채꼴에서 삼각형을 뺀 도형의 넓이가
      
 ⋅⋅⋅    ⋅⋅⋅ sin     
     
이므로 [그림4]의 도형의 넓이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로 쓸 수 있다. 문항 (1)의 결과에 따라   이   이므로 그림   의 색칠한 부분
의 넓이  은           이다.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는
     이다.

3-(3)   을     로 나타낼 때 자연수  ,  을 구하시오.

[풀이]
자연수 에 대하여 그림   은 그림     에 문항 (2)의 [그림4]와 같이 나타나는 도형
두 개를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그림   의 넓이   과 그림     의 넓이     의 차

- 20 -
2023학년도 수시모집 논 전형 자연계열

는 문항 (2)의 결과에 따라   이다. 따라서  이 첫째항   이고 공차가 8인


등차수열이므로
         
이다. 마찬가지로  이 첫째항   이고 공차가 4인 등차수열이므로
         
이다.   을 대입하면 구하는 자연수는   ,   이다.

- 21 -
2022학년도 수시모집 논술전형 자연계열

논술고사 출제 의도 및 답안 (자연계열)

문항 1
[문항 1] 상수 (    )에 대하여 함수           가 있다. 수열  이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     
을 만족시킨다.     일 때, 아래 물음에 답하시오. [40점]
(1)     에서 부등식     가 성립하고,     에서 부등식     가 성립
하는 를 구하시오.
(2)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부등식     이 성립함을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보
이시오.
(3) 문항 (1)에서 정해진  에 대하여  ≠ 일 때,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부등식
    가 성립하거나,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부등식     이 성립함을 수
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보이시오.
(4) 문항 (1)에서 정해진  에 대하여  ≠ 일 때,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부등식
     이 성립하거나,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부등식      이 성립함을 보
이시오.
문항 1 - 출제 의도
이 문제는 함수와 관련하여 귀납적으로 정의된 수열을 이해하고 수리적 추론을 통해
주어진 수열의 성질들을 증명하는 문제이다. 함수의 미분을 통해 함수의 증가 상태 및
함수의 성질을 분석할 수 있고 이를 함수와 관련하여 귀납적으로 정의된 수열에 적용할
수 있는 수리적 조작 능력을 평가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수학적 귀납법을 활용하여 수
열의 성질을 추론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1-(1). 삼차방정식의 해를 구하고 삼차함수의 그래프의 활용을 통해 구간에서의 부등식
을 유추할 수 있는 수리적 추론능력을 평가한다.
1-(2). 귀납적으로 정의된 수열의 성질을 유추하기 위해 관련된 함수의 미분을 통한 증
가 상태를 분석할 수 있는 추론능력과 함수의 상태를 수열에 적용하여 수열의 성질을
유추하기 위해 수학적 귀납법을 활용하는 수리적 추론능력을 평가한다.
1-(3). 함수와 관련하여 귀납적으로 정의된 수열의 성질을 유추하기 위해 함수의 상태
를 활용하고 수열의 성질과 관련된 함수의 상태를 연관하여 이해하는 추론능력을 평가
한다.
1-(4). 귀납적으로 정의된 수열의 성질을 점검하기 위해 앞선 문항들에서 파악된 수열
의 성질들과 관련된 함수의 성질들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수리적 추론능력을 평가한다.

- 1 -
2022학년도 수시모집 논술전형 자연계열

문항 1 - 출제 근거

가) 적용 교육과정 및 학습내용 성취 기준

적용 교육과정

문항 및 제시문 학습내용 성취 기준

나) 자료 출처

참고자료 도서명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쪽수

- 2 -
2022학년도 수시모집 논술전형 자연계열

문항 1 -문항 해설
수학적 귀납법은 수열의 여러 가지 성질을 증명하는 데 있어서 매우 유용한 추론 방
법이다. 함수와 관련하여 귀납적으로 정의된 수열의 성질을 점검하기 위하여 주어진 함
수의 증가 상태 및 함수의 성질을 활용하는 문항이다. 함수의 미분을 활용해 증가 상태
등을 점검하고 방정식의 근을 통해 함수의 성질을 점검한다. 또한 점검한 함수의 성질을
귀납적으로 정의된 수열에 적용함으로써 수열의 성질을 수학적 귀납법으로 추론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는 문항이다.
문항 1 - 채점 기준

하위
채점 기준 배점
문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
2022학년도 수시모집 논술전형 자연계열

하위
채점 기준 배점
문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
2022학년도 수시모집 논술전형 자연계열

문항 1 - 예시 답안

1-(1)     에서 부등식     가 성립하고,     에서 부등식     가 성립


하는 를 구하시오.

[풀이]
함수   를         라고 하자.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의 근은       이고     이므로       이다.
최고차 항의 계수가 양수이고 삼차방정식이 서로 다른 세 근을 갖는 삼차함수의 그
래프의 성질에 의해       에서     이고,       에서     이
다. 따라서       에서     이고       에서     이다.
따라서 구하는 는   이다.

1-(2)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부등식     이 성립함을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보이시오.

[풀이]
  일 때,     이다.
  일 때,     을 가정하자.        이므로       을 보이면

      이 성립한다.  ′         이다.


이차방정식        의 판별식을 이용하면              이
    에서     이므로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함수   
가 구간  ∞∞ 에서 증가한다.
   ,     이므로     일 때,       이다.     이므로
          이다.
따라서 수학적 귀납법에 의해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   이 성립한다.

1-(3) 문항 (1)에서 정해진  에 대하여  ≠ 일 때,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부등식


    가 성립하거나,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부등식     이 성립함을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보이시오.

- 5 -
2022학년도 수시모집 논술전형 자연계열

[풀이]
문항 (1)의 결과로부터     이고     인 경우와     인 경우로 나누
어 수열의 부등식이 성립함을 보인다.
(ⅰ)     인 경우

  일 때,     가 성립한다.
  일 때,     를 가정하자. 문항 (2)의 풀이로부터   가 구간
 ∞  ∞ 에서 증가하므로           이다.     ,     이므

로       이다.
따라서 수학적 귀납법에 의해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   이다.
(ⅱ)     인 경우
  일 때,     이 성립한다.
  일 때,     을 가정하자. 문항 (2)의 풀이로부터    가 구간
 ∞  ∞ 에서 증가하므로            이다.     ,     이므로

      이다.
따라서 수학적 귀납법에 의해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   이다.

1-(4) 문항 (1)에서 정해진  에 대하여  ≠ 일 때,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부등식


     이 성립하거나,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부등식      이 성립함을 보이시
오.

[풀이]
문항 (3)과 마찬가지로     인 경우와     인 경우로 나누어 수열의 부등
식이 성립함을 보인다.
(ⅰ)     인 경우
문항 (3)의 결과로부터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   이다.
문항 (1)의 결과로부터     이면     이므로      이다.
따라서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        이 성립한다.
(ⅱ)     인 경우
문항 (3)의 결과로부터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   이다.
문항 (1)의 결과로부터     이면     이므로      이다.
따라서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        이 성립한다.

- 6 -
2022학년도 수시모집 논술전형 자연계열

문항 2

[문항 2] 아래 물음에 답하시오. [30점]

(1) 좌표평면에서 타원       과 직선     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도록 하


는 실수 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2) 타원        위의 점 P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이고, 점 P 의 좌표는 양수이
다. 타원       과 직선     가 서로 다른 두 점 Q R 에서 만날 때, 삼각형
PQR 의 넓이를   라 하자.   를 구하시오.

(3) 문항 (1)에 해당하는 실수 에 대하여    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문항 2 - 출제 의도

이 문제는 좌표평면에서 이차곡선과 직선의 위치 관계 및 이차곡선과 직선이 만나는 교


점의 좌표를 구하는 과정에 대한 이해를 점검하고, 이차곡선의 접선 및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 등의 개념을 이용하여 주어진 삼각형의 넓이를 효율적으로 계산하는 능력을 평가한
다. 또한 도함수를 활용하여 다항함수의 최댓값을 구하는 과정에 대한 이해와 계산 능력을
평가한다.

문항 2 - 출제 근거

가) 적용 교육과정 및 학습내용 성취 기준

적용 교육과정

문항 및 제시문 학습내용 성취 기준

- 7 -
2022학년도 수시모집 논술전형 자연계열

나) 자료 출처

참고자료 도서명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쪽수

- 8 -
2022학년도 수시모집 논술전형 자연계열

문항 2 - 문항 해설

문항 2-(1). 좌표평면에서 이차곡선과 직선이 주어져 있을 때, 이차곡선과 직선의 방정식


을 연립하여 얻어지는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의 부호를 이용하여 이차곡선과 직선의 위치
관계를 알아내는 과정에 대한 이해와 계산 능력을 평가한다.
문항 2-(2). 이차곡선의 접선 중 주어진 값을 기울기로 가지는 접선과 그 접점을 구할 수
있는지 점검한다. 이차곡선과 직선이 두 점에서 만날 때, 두 교점의 좌표 혹은 두 교점 사
이의 거리를 구하는 과정에 대한 이해와 계산 능력을 평가한다. 이때 교점들의 좌표를 직
접 구해서 점과 점 사이의 거리 개념을 사용할 수도 있고, 이차방정식의 근의 차를 이차방
정식의 계수를 이용하여 표현할 수도 있다.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 등의 개념을 이용하여
주어진 삼각형의 넓이를 구할 수 있는지 평가한다. 삼각형의 넓이를 밑변의 길이와 높이를
사용해서 구할 수도 있고,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구해도 무방하다.
문항 2-(3). 구간에서 주어진 다항함수의 도함수를 계산하고 이를 활용하여 함수의 증가
및 감소를 조사하고, 이를 통해 함수의 최댓값을 구하는 과정에 대한 이해와 계산 능력을
평가한다. 이 문제에서의 도함수는 인수분해를 통하여 구간별로 부호가 어떻게 바뀌는지
조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주어진 함수가 구간별로 증가하는지 혹은 감소하는지를 관찰하
여 최댓값을 구할 수 있다.

문항 2 - 채점 기준

하위
채점 기준 배점
문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P  P 
 
        Q R
PQR      

- 9 -
2022학년도 수시모집 논술전형 자연계열

하위
채점 기준 배점
문항

 P

      P   

            Q R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QR
    
⋅

∣  ∣
P     

        
PQR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문항 2 - 예시 답안

2-(1) 좌표평면에서 타원       과 직선     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실수 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풀이]
식     를       에 대입하면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10 -
2022학년도 수시모집 논술전형 자연계열

을 얻는다. 이 이차방정식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판별식  가 양수여


야 한다.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이다.
따라서 구하는 답은      이다.

2-(2) 타원        위의 점 P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이고, 점 P 의 좌표는 양수이


다. 타원       과 직선     가 서로 다른 두 점 Q R 에서 만날 때, 삼각형 PQR
의 넓이를   라 하자.   를 구하시오.

[풀이]

문항 (1)의 풀이에서 직선     가 타원       에 접할 때는   일 때이
다. 따라서   ± 이고, 이때 이차방정식

             ±      ±    



의 근은   ∓  이다.

  
이 중 양수인 경우는   일 때    이며, 이때            이다.
  

따라서 P 의 좌표는      이다.


     일 때 두 점 Q R 의 좌표의 차는 이차방정식            의
두 근의 차와 같으며, 이는 근의 공식 혹은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면


    
 임을 알 수 있다. 두 점 Q R 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가 이므로, 선분


    
QR 의 길이는 
 ⋅  이다.


 

점 P     과 직선        사이의 거리가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구하는 삼각형 PQR 의 넓이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단,      )

- 11 -
2022학년도 수시모집 논술전형 자연계열

2-(3) 문항 (1)에 해당하는 실수 에 대하여    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풀이]

     에서 함수  를                 이라 하고, 에 대

하여 미분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에서 ′    이므로   가 증가하고,     에서 ′    이
므로   가 감소한다.

        
따라서      은   에서 최댓값    을 갖는다.
 

- 12 -
2022학년도 수시모집 논술전형 자연계열

문항 3

[문항 3] 다음과 같이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  에 대하여 아래 물음에 답


하시오. [30점]


좌표평면에서 실수  에 대하여 원            과 함수        의

그래프가 한 점에서 만날 때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  라 하자.


(1) 점    에서 직선    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구하시오.

(2)  ≥ 일 때, 함수   를 구하시오.
(3)      일 때, 함수   를 구하시오.

문항 3 - 출제 의도

본 문항은 좌표평면의 함수의 그래프와 원의 관계로 제시된 조건의 수리적 의미를 이해


하고 원과 직선의 관계, 두 점 사이의 거리에 대한 이해를 활용하여 조건을 만족하는 함
수를 결정하는 수리적 조작을 수행하는 문제이다.
3-(1). 두 직선의 수직의 의미에 대한 개념 이해와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고 교점을 구하
는 계산 능력을 평가한다.
3-(2). 원과 직선의 위치 관계에 대한 개념을 바탕으로 조건을 만족하는 원의 성질을 추
론하고 이를 근거로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여 함수를 구성하는 종합적 수리 능력을 평가한
다.
3-(3). 직선과 원의 관계에 대한 개념을 바탕으로 조건의 개별적 특성을 추론하고 이를
바탕으로 좌표평면의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하여 함수를 구성하는 종합적 수리능력을 평
가한다.

문항 3 - 출제 근거

가) 적용 교육과정 및 학습내용 성취 기준

적용 교육과정

문항 및 제시문 학습내용 성취 기준

이화여자대학교 - 13 -
2022학년도 수시모집 논술전형 자연계열

나) 자료 출처

참고자료 도서명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쪽수

문항 3 - 문항 해설

이 문제는 함수의 그래프와 원의 방정식으로 제시된 조건을 이해하고 수리적 추론과 조


작을 수행하여 함수를 구하는 문제이다. 이 과정에서 원과 직선의 위치 관계에 관한 수리
적 개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래프에 관하여 제시된 조건으로부터 수리적 조건을 유
도하는 수리적 추론 능력과 이 조건에 근거하여 좌표평면의 두 점 사이의 거리, 점과 직
선 사이의 거리를 바르게 이해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함수를 구하는 수리적 조작 능력
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화여자대학교 - 14 -
2022학년도 수시모집 논술전형 자연계열

문항 3 - 채점 기준

하위
채점 기준 배점
문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화여자대학교 - 15 -
2022학년도 수시모집 논술전형 자연계열

문항 3 - 예시 답안

3-(1) 점    에서 직선    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구하시오.

[풀이]
  
직선      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  이므로 기울기가   이고 점    
  
 
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면             이다.
 

이 직선과 주어진 직선      의 교점을 구하면    이다.

따라서 구하는 수선의 발은    이다.

3-(2)  ≥  일 때, 함수    를 구하시오.
[풀이]

문항 (1)의 점    에서 직선      에 내린 수선의 발은    이고 이 점은 함


수        의 그래프 위에 있다. 점    는 점    과의 거리가


          이고 축과의 거리가 이므로 원            은

함수        의 그래프와 한 점    에서 만나고 축과 접한다. 따라서   

일 때    이다.

  일 때 축에 접하는 원            이 함수        의 그래프와


한 점에서 만나려면 원이 직선      에 접해야 한다. 좌표평면의 평행하지 않은

두 직선에 동시에 접하는 원의 중심은 두 직선의 각을 이등분하는 직선 위에 있으므

로 두 직선      과   의 각을 이등분하는 직선 중 제사분면을 지나는 직선


을 구한다. 문항 (1)의 점    가 두 직선      ,   과 같은 거리에 있으므


로, 구하려는 직선은 두 직선      과   의 교점     과 점    를 지나

  
는 직선이다. 따라서 구하는 직선은             이고,   를 결
 

정하는 원의 중심이     이므로   일 때        이다.

 
  일 때  ⋅     이므로  ≥ 일 때 구하는 함수는        이다.
 

이화여자대학교 - 16 -
2022학년도 수시모집 논술전형 자연계열

[별해]

문항 (1)의 점    에서 직선      에 내린 수선의 발은    이고 이 점은 함


수        의 그래프 위에 있다. 점    는 점    과의 거리가


          이고 축과의 거리가 이므로 원            은

함수       의 그래프와 한 점    에서 만나고 축과 접해야 한다. 따라서

  일 때     이다.

  일 때 축에 접하는 원            이 함수       의 그래프


와 한 점에서 만나려면 원이 직선      에 접한다. 따라서 조건을 성립하는 원


의 중심      와 직선      의 거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과 원의 중심      와 축의 거리     가 같으므로


  
 
            를 정리하면         (  )이다.
 
 
  일 때  ⋅    이므로  ≥ 일 때 구하는 함수는        이다.
 

3-(3)      일 때, 함수   를 구하시오.

[풀이]

좌표평면에서 축에 접하는 원           이 함수        의 그래프

 
와 한 점에서 만나려면 원이 반직선      (  ) 또는      (  )에
 
접하거나 그래프의 꼭짓점 을 지난다.
     이면 원            이 두 반직선과 접하지 못하므로 원이 점
  을 지난다. 따라서 조건을 만족하는 원의 중심      와 점    의 거리


          과, 원의 중심      와 축과의 거리     가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를 정리하면      에서 구하는 함수는         이다.


이화여자대학교 - 17 -
2022학년도 수시모집 논술전형 자연계열

[별해]

좌표평면에서 축에 접하는 원            이 함수        의 그래프

 
와 한 점에서 만나려면 원이 반직선      (  ) 또는      (  )에
 
접하거나 그래프의 꼭짓점    을 지난다.
     이면 원           이 두 반직선과 접하지 못하므로 원이 점
  을 지난다. 따라서 조건을 만족하는 원의 중심      와 점    의 거리와 원
의 중심      와 축과의 거리가 같다. 이 조건을 만족하는 점      는 축을
준선으로 하고 점    을 초점으로 하는 포물선 위에 있다. 포물선의 정의에 따라 이

포물선은 준선   , 초점    인 포물선    ⋅    를  축의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        , 즉       이다.


따라서      에서 구하는 함수는         이다.


이화여자대학교 - 18 -
2021학년도 수시모집 논술전형 자연계열

논술고사 출제 의도 및 답안 (자연계열)

문항 1

[문항 1] 모든 항이 양수인 두 수열  ,  이   ,   이고, 모든 자연수 에 대


하여

        ,       
  
을 만족시킨다. 아래 물음에 답하시오. [35점]
(1) 부등식   ≤   의 해가  ≤  ≤ 일 때   를 구하고, 닫힌구간      에서 함수

       의 최댓값이 임을 보이시오.

 
(2)  가 문항 (1)에서 정해질 때,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두 부등식  ≥ 와  ≤ 가
각각 성립함을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보이시오.
(3)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두 부등식  ≥    과  ≤    이 각각 성립함을 보이시오.

문항 1 - 출제 의도

본 문항은 수열의 귀납적 정의를 이해하고 수열의 성질을 유추하기 위해 관련된 함수


들의 상태를 수리적으로 추론하여 적용하는 문제이다. 이 과정에서 이차부등식의 해를
구하고 함수의 성질을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점검한다. 또한 수학적 귀납법을 활용하여
수열의 성질을 추론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1-(1). 이차부등식의 해를 구하고 함수의 몫의 미분을 통해 구간에서의 최댓값을 구할
수 있는 수리적 추론능력을 평가한다.
1-(2). 귀납적으로 정의된 수열의 성질을 유추하기 위해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는 추
론 능력을 점검한다.
1-(3). 귀납적으로 정의된 수열의 성질을 유추하기 위해 앞선 문항의 결과들을 적용할
수 있는 수리적 계산능력을 평가한다.

문항 1 - 출제 근거
가) 적용 교육과정 및 학습내용 성취 기준

적용 교육과정

- 1 -
2021학년도 수시모집 논술전형 자연계열

나) 자료 출처

참고자료 도서명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쪽수

문항 1 -문항 해설

수학적 귀납법은 수열의 여러 가지 성질을 증명하는 데 있어서 매우 유용한 추론 방


법이다. 귀납적으로 정의되어 있는 수열의 성질을 관련된 방정식의 해와 함수의 미분 등
을 이용하여 점검하는 문항이다. 부등식의 해를 구하고 함수의 미분을 통해 구간에서 최
댓값을 구하는 방법을 통해 수열의 성질을 추론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문항이다.

문항 1 - 채점 기준

하위
채점 기준 배점
문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
2021학년도 수시모집 논술전형 자연계열

하위
채점 기준 배점
문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
2021학년도 수시모집 논술전형 자연계열

하위
채점 기준 배점
문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문항 1 - 예시 답안

1-(1) 부등식   ≤   의 해가  ≤  ≤ 일 때   를 구하고, 닫힌구간      에서 함



수        의 최댓값이 임을 보이시오.

 

[풀이]
 ± 

함수         에 대하여,     의 해는    이다.

  
   

따라서    ≤ , 즉   ≤   의 해는  ≤  ≤  이다.
 
  
   

그러므로        이다.
 
    
구간            에서 함수        은 잘 정의되고,

   
  
구간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증가함수이므로    에서

이다. 따라서 함수   는 구간
   
최댓값을 갖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구간      에서   의 최댓값은 이다.

- 4 -
2021학년도 수시모집 논술전형 자연계열

1-(2)  가 문항 1-(1)에서 정해질 때,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두 부등식  ≥ 와


 ≤ 가 각각 성립함을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보이시오.

[풀이]
  

(i) 수열  의 첫 항    ≥  이다.

  

  일 때  ≥  라 가정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성립한다.    이 양수이므로     일 때 부등식    ≥  가 성립한다.

따라서 수학적 귀납법에 의해서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 가 성립한다.

  

(ii) 수열  의 첫 항    ≤  이다.

  

  일 때  ≤  라 가정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 되어     일 때 부등식    ≤  가 성립한다.

따라서 수학적 귀납법에 의해서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 가 성립한다.

1-(3)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두 부등식  ≥    과  ≤    이 각각 성립함을 보이


시오.

[풀이]
  

(i) 문항 (1)의 결과로부터  ≥  일 때   ≥   이다.

  

문항 (2)의 결과로부터  ≥  이므로

         ≤   
이 성립한다.      이 양수이므로    ≤  이 성립한다.

  
 
(ii) 문항 (1)의 결과로부터  ≤  ≤  일 때    ≤ 이다.
 

- 5 -
2021학년도 수시모집 논술전형 자연계열

  
 
양수  은 문항 (2)의 결과로부터  ≤  이므로    ≤ 이다.
   
따라서

       ≥  
  
이 성립한다.

- 6 -
2021학년도 수시모집 논술전형 자연계열

문항 2

[문항 2] 좌표공간에 세 점 O       , A    
   , B   
   이 있다. [35점]
(1) 세 점 O A B 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는 평면 위의 점 C 의 좌표를 구하시오.
(2) 세 점 O A B 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는 좌표공간 위의 임의의 점 D 에서  평면에 내
린 수선의 발 H 가 문항 (1)에서 구한 점 C 와 같음을 보이시오.
(3) 문항 (2)에서 주어진 한 점 D 에 대하여, 평면 OAD 와 평면 OAB 가 이루는 각의 크기

를  라 하자. cos     일 때, 선분 OD 의 길이를 구하시오. (단, 점 D 의  좌표는

양수이다.)

문항 2 - 출제 의도

본 문항은 좌표평면 및 좌표공간에서 두 점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조건을 만족하는


점을 찾고, 정사영의 성질과 공간도형의 성질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수리적 추론 및
계산 능력의 수월성을 평가한다.

2-(1). 좌표평면에서 두 점 사이의 거리에 관한 조건을 대수적인 방정식으로 표현하고 풀


어서 조건을 만족하는 점을 찾을 수 있는지 평가한다.
2-(2). 좌표공간에서 두 점 사이의 거리에 관하여 피타고라스 정리 혹은 대수적 표현을
사용하여 조건을 만족하는 점을 찾을 수 있는지 평가한다.
2-(3). 공간도형의 성질 중 정사영의 길이 및 넓이가 이면각의 크기와 가지는 관계를 이
해하고 대수적으로 표현하여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도형을 결정할 수 있는지 평가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삼각함수의 덧셈정리를 이해하고 있는지 점검한다.

문항 2 - 출제 근거

가) 적용 교육과정 및 학습내용 성취 기준

적용 교육과정

나) 자료 출처

참고자료 도서명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쪽수

- 7 -
2021학년도 수시모집 논술전형 자연계열

문항 2 - 문항 해설

이 문항에서는 두 점 사이의 거리, 정사영의 길이 및 넓이와 이면각의 관계를 이용한


공간도형에 관한 추론 및 계산 능력을 평가하고, 삼각함수의 덧셈정리에 관한 수리적 개념
의 이해를 점검한다.

문항 2 - 채점 기준

하위
채점 기준 배점
문항

O A B  C

O A B C C

O A B C

    
C

O A B D 
H C

O A B D
D

H O A B

H H C

D OAD OAB

- 8 -
2021학년도 수시모집 논술전형 자연계열

하위
채점 기준 배점
문항

 cos     OD

D 

OAD OAC
OA M DM CM

 ∆ OAC  ∆ OAD ⋅ cos 


DM CM OA
 
CM  DM ⋅ cos   
DH  MH ⋅ tan 

D 

cos   cos    

 
cos     OD

  

OD 

문항 2 - 예시 답안

2-(1) 세 점 O A B 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는  평면 위의 점 C 의 좌표를 구하시오.

[풀이]
점 C 의 좌표를       로 두면 점 C 로부터 각 점 O A B 까지의 거리의 제곱은
     
CO       , CA        
    , CB       
   
이다.
  
CO  
CA 으로부터      
   을 얻고
  
CO  
CB 으로부터     
   을 얻는다.

두 일차식을 연립하여 풀면     이므로    이고   이다.

따라서 점 C 의 좌표는     이다.

- 9 -
2021학년도 수시모집 논술전형 자연계열

[별해]
점 C 는 선분 OA 와 선분 OB 의 수직이등분선의 교점이다. 선분 OA 와 선분 OB 의
 





중점을 각각 M N 이라 하면 두 점의 좌표는 각각 M     , N      이다.   
 
   
두 직선 OA OB 의 기울기가 각각     ,    이므로
    

선분 OA 의 수직이등분선은 점 M 을 지나고 기울기가   
 인 직선인




  
       이고,


선분 OB 의 수직이등분선은 점 N 을 지나고 기울기가   
 인 직선인



  
       이다.

 
이 두 직선의 교점을 구하면          
       로부터
 

      을 얻는다.



따라서 점 C 의 좌표는      이다.
 

2-(2) 세 점 O A B 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는 좌표공간 위의 임의의 점 D 에서  평면에


내린 수선의 발 H 가 문항 (1)에서 구한 점 C 와 같음을 보이시오.

[풀이]
점 H 는 점 D 에서 평면에 내린 수선의 발이므로
∠ DHO  ∠ DHA  ∠ DHB   이다.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해
         
HO  
DO  
DH , 
HA  
DA  
DH , 
HB  
DB  
DH

이고, 
DO   이므로 
DA  DB HO   를 얻는다.
HA  HB
따라서 점 H 는 세 점 O A B 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는 평면 위의 점이므로 문항
(1)에서 구한 점 C 와 같다.

[별해]
점 D 의 좌표를  라 하자. 점 D 로부터 각 점 O A B 까지의 거리의 제곱은
                    
DO          , DA        , DB       
    
이다. DO  
DA 으로부터      
   을 얻고 
DO  
DB 으로부터

- 10 -
2021학년도 수시모집 논술전형 자연계열

     
   을 얻는다. 이 두 일차식은 문항 (1)의 풀이에서의 두 일차식과

같으므로 해가       로 문항 (1)에서와 동일하다. 점 H 는 점 D      를 

평면에 내린 수선의 발이므로 좌표가     이고 따라서     이다. 그러므로 점


H 는 문항 (1)에서 구한 점 C 와 같다.

2-(3) 문항 2-(2)에서 주어진 한 점 D 에 대하여, 평면 OAD 와 평면 OAB 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 라 하자. cos     일 때, 선분 OD 의 길이를 구하시오. (단, 점 D 의  좌표는

양수이다.)

[풀이]
점 D 의  평면으로의 정사영, 즉 평면 OAB 로의 정사영이 점 C 이므로 삼각형
OAD 를 평면 OAB 로 정사영한 도형은 삼각형 OAC 이다.
따라서 ∆ OAC  ∆ OAD ⋅ cos  이다.
삼각형 OAC 의 넓이 ∆ OAC 를 구하기 위해 선분 OC 를 밑변으로 두면 변 OC 가 축

에 포함되므로 
OC   이며 높이는 점 A 의  좌표의 절댓값 
 이다.

  
따라서 ∆ OAC   ⋅  ⋅ 
   이다.
  
삼각형 OAD 는 
OD 
AD 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점 D 에서 변 OA 에 내린 수선의 발
은 변 OA 의 중점 M 이다.
 
OA  
       이므로 
    OM   
OA   이다.
 

    
OD 라 하면 ∠ DMO   이므로 
MD  
OD  
OM     이다.



따라서 ∆ OAD   

OA ⋅ 
MD   
  

 
   이다.

 
∆ OAC  
그러므로 cos       이다.
∆ OAD

  
  
  
 
삼각함수의 덧셈정리에 의해 cos   cos      cos    이 성립하므로

- 11 -
2021학년도 수시모집 논술전형 자연계열


 
 
 


   cos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이고 
OD 는 양수이므로 
OD    이다.
 

[별해1]

문항 (1)에 의해 삼각형 OAC 는 


OC 
AC 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점 C 에서 변 OA 에


내린 수선의 발은 변 OA 의 중점 M     이다. 삼각형 OAD 는 

OD  
AD 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점 D 에서 변 OA 에 내린 수선의 발은 변 OA 의 중점 M 이다.


따라서 선분 DM 과 선분 CM 은 모두 선분 OA 에 수직이다.

CM
그러므로 ∠ DMC   이고 cos   
 이다.
DM

  

 

CM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OA  
       에서 
    OM   
OA   이고, ∠ DMO   이므로
 


OD 라 하면 

DM   

OD  

OM     이다.

 

CM  
따라서 cos   

  이다.

DM
 
  

삼각함수의 덧셈정리에 의해 cos   cos      cos    이 성립하므로

 
   

   cos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이고 
OD 는 양수이므로 
OD    이다.
 

[별해2]
점 D 의 좌표를      라 하자. 문항 (2)에 의해 점 D 의 평면으로의 정사영이 점



C     이므로 점 D 의 좌표는
     이다.
문항 (1)에 의해 삼각형 OAC 는 
OC 
AC 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점 C 에서 변 OA 에


내린 수선의 발은 변 OA 의 중점 M     이다. 삼각형 OAD 는 

OD  
AD 인

- 12 -
2021학년도 수시모집 논술전형 자연계열

이등변삼각형이므로 점 D 에서 변 OA 에 내린 수선의 발은 변 OA 의 중점 M 이다. 따라


서 선분 DM 과 선분 CM 은 모두 선분 OA 에 수직이다.

CM
그러므로 ∠ DMC   이고 cos   
 이다.
DM

  

 

CM 
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DM 
  


CM 
따라서 cos   

  이다.

DM 

 
 

삼각함수의 덧셈정리에 의해 cos   cos      cos    이 성립하므로


 
   
  
   cos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이고  는 양수이므로    이다.
 

 

  
따라서 
OD
 

  

       이다.
 

- 13 -
2021학년도 수시모집 논술전형 자연계열

문항 3

[문항 3] 자연수 ( ≥ )에 대하여 닫힌구간     에서 정의된 연속함수   가 다음 조


건을 만족시킬 때, 아래 물음에 답하시오. [30점]

(가)         ⋯  은  이하의 서로 다른 자연수이다.


(나)  ≤  ≤   인 자연수 에 대하여 닫힌구간       에서 함수     의
그래프는 각각 두 점   ,        을 지나는 직선의 일부이다.


(1) 함수   가           ⋯   일 때 

   의 값을 구하시오.


(2) 조건 (가), (나)를 만족하는 모든 함수   에 대하여  
   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3) 문항 (2)의 최솟값을 갖는 함수   의 개수를 구하시오.

문항 3 - 출제 의도
본 문항은 일대일대응인 함수의 성질, 연속함수의 성질과 정적분의 의미를 이해하고 이
로부터 최대·최소 문제를 해결하는 수리적 조작을 수행하는 문항이다.
3-(1). 연속함수에 주어진 조건에 따른 그래프를 이용하여 일차함수를 수리적으로 추론
하고 정적분을 계산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3-(2). 그래프를 이용하여 연속함수의 성질을 수리적으로 추론한 후 정적분과 넓이의 관
계, 수열의 합을 이용하여 정적분을 효율적으로 계산하고 최대·최소 문제를 해결하는 종
합적 수리능력을 평가한다.
3-(3). 주어진 함수의 조건으로부터 순열에 관한 문제를 유추하고 효과적으로 계산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문항 3 - 출제 근거
가) 적용 교육과정 및 학습내용 성취 기준

적용 교육과정

나) 자료 출처

참고자료 도서명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쪽수

- 14 -
2021학년도 수시모집 논술전형 자연계열

문항 3 - 문항 해설

이 문항에서는 그래프를 이용하여 연속함수의 성질을 수리적 추론하고, 정적분과 넓이


의 관계에 대한 수리적 개념을 이해하며 직선의 방정식, 두 직선의 평행과 수직의 개념을
조작적으로 활용하여 넓이를 구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또한 수열의 합과 최대·최소 문제,
순열의 수 문제를 효율적인 계산 능력으로 해결하도록 하여 수리적 추론과 수리적 개념의
종합적 활용 능력과 효과적 계산 능력을 평가하고자 한다.

문항 3 - 채점 기준

하위
채점 기준 배점
문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 -
2021학년도 수시모집 논술전형 자연계열

하위
채점 기준 배점
문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 -
2021학년도 수시모집 논술전형 자연계열

하위
채점 기준 배점
문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인 자연수 
 ∣  ≤  ≤    인 자연수 

 ∣  ≤  ≤    인 자연수 
 ∣  ≤  ≤    인 자연수 
 P      


 
         

문항 3 - 예시 답안


3-(1) 함수  가              ⋯   일 때  
   의 값을 구하시오.

[풀이]
닫힌구간     에서 정의된 연속함수   가              ⋯    이고 조건
(나)를 만족하면 함수   의 그래프는 좌표평면의 두 점     과    을 직선으로
연결한 일차함수의 그래프의 일부이다. 그래프가 두 점     과    을 지나는 일
차함수는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별해]
닫힌구간     에서 정의된 연속함수   가 조건 (가), (나)를 만족하면 닫힌구간
    에서 최솟값이 이므로 구간     에서 함숫값이 모두 양수이다. 따라서

 
   는 함수   의 그래프,   ,   , 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이다.

이 도형은 두 직선   ,   이 평행인 사다리꼴이며 평행인 두 선분의 길이가


  ⋅       
각각 , 이고 높이가   이므로 구하는 넓이는    이다.
 

- 17 -
2021학년도 수시모집 논술전형 자연계열


3-(2) 조건 (가), (나)를 만족하는 모든 함수   에 대하여  
   의 최솟값을 구하

시오.
[풀이]
닫힌구간      에서 정의된 연속함수   가 조건 (가), (나)를 만족하면 닫힌구간
     에서 최솟값이 이므로 구간      에서 함숫값이 모두 양수이다. 따라서

 
   는 함수   의 그래프,   ,   , 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이다.

        ⋯    에 대하여 이 도형을 닫힌구간       위의 도형으로 나누면


두 직선   ,     을 평행선으로 하는 사다리꼴이 된다. 구간       위의
사다리꼴은 평행인 두 선분의 길이가 각각   ,     이고 높이가 이므로 이
        ⋅
사다리꼴의 넓이는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조건 (가)에 의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따라서 조건 (가), (나)를 만족하는 함수   들 중  이 최댓값일 때


 
   가 최솟값을 갖는다.

조건 (가)에 따라 함수   가            이거나       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이 최댓값    이 되고
  

           
 
   는 최솟값      을 갖는다.
  

- 18 -
2021학년도 수시모집 논술전형 자연계열

[별해]
정적분의 성질에 따라 닫힌구간     의 정적분을     ⋯   에서 구간
      위의 적분으로 나누어 쓰면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정적분  
   는 구간       에서 두 점    ,         을

직선으로 잇는 그래프로 나타나는 일차함수의 적분이다.


구간       에서 그래프가 두 점    ,         을 지나는 일차함수
  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정적분  
   를 계산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조건 (가)에 의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19 -
2021학년도 수시모집 논술전형 자연계열

    
따라서 조건 (가), (나)를 만족하는 함수   들 중  이 최댓값일 때


 
   가 최솟값을 갖는다.

조건 (가)에 따라 함수  가            이거나       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이 최댓값    이 되고
  

           
 
   는 최솟값      을 갖는다.
  

3-(3) 문항 (2)의 최솟값을 갖는 함수   의 개수를 구하시오.

[풀이]
닫힌구간      에서 정의된 연속함수   가 조건 (가)를 만족하면 함수   는 집
합       ⋯  에서 집합       ⋯  으로의 일대일대응이다.

문항 (2)에서 구한  
   가 최솟값을 갖는 함수   는

집합    ⋯  에서 집합       ⋯  으로의 일대일대응이고


           이거나             을 만족해야 한다.
따라서 함수   는            이거나             이고
집합  ∣  ≤  ≤    인 자연수 에서 집합  ∣  ≤  ≤    인 자연수 로의
일대일대응이다.
집합  ∣  ≤  ≤    인 자연수 에서 집합  ∣  ≤  ≤    인 자연수 로의
일대일대응의 개수는 원소의 개수가   인 집합에서    개의 원소를 선택하여
나열하는 순열의 수와 같으므로  P      이다.

그러므로 
   가 최솟값이 되는 함수   의 개수는     이다.

- 20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