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주차 삼투현상과 원형질 분리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docx, pdf, or txt
Download as docx,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4

7 주차 삼투현상과 원형질 분리

2023-05-17

2023142006 홍형석

Objecitve

삼투현상에 대해 알고 실험에서 확인한다.

동물세포에서 용혈 현상을, 식물세포에서 원형질 분리 현상을 관찰한다.

Result

↑↑↑↑↑

0% NACL 용액을 첨가한 뒤 적혈구를 400 배로 본 모습

↑↑↑↑↑

0.9% NACL 용액을 첨가한 뒤 적혈구를 400 배로 본 모습


↑↑↑↑↑

3% NACL 을 첨가한 뒤 적혈구를 400 배로 본 모습

↑↑↑↑↑

0% NACL 을 첨가한 뒤 양파표피를 400 배로 본 모습


↑↑↑↑↑

10% NACL 을 첨가한 뒤 양파표피를 400 배로 본 모습

세포의 변화 모습을 아래와 같은 표로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NACL 의 농도 0% 0.9% 3% 10%

적혈구 세포가 부풀거나 기존과 동일한 세포가 안쪽으로


터진 모습을 확인할 동글동글한 세포의 수축한 모습을 볼
수 있다. 형태를 유지한다. 수 있다.

양파의 표피세포 세포벽이 10%NACL 원형질이


첨가와 비교하면 세포벽에서 분리된
팽창되었다. 모습을 볼 수 있다.
(원형질 분리)

Discussion

실험을 하면서 아쉬웠던 점이 있다. 동물세포에서 용혈현상이 뚜렷하게 보이지 않았는데 그 이유로는
세포 내부로 관찰했을 때 제대로 보일 정도의 수분이 유입되지 않았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삼투현상이란 에너지가 소모되지 않는 능독적 수송을 의미한다. 그리고 세포주변에서 세포의 안이


밖에 비해 용질 농도가 더 높을 때를 고장액, 낮을 때를 저장액이라고 한다. 삼투압이 서로 같은 두
용액은 등장액이라고 한다. 동물세포의 경우 주주변 저장액일 때 삼투현상으로 물이 들어와 세포가
터지는 용혈현상이 목격되는데 이게 NACL 0%를 첨가했을때의 모습이다. 반대로 세포밖으로 물이
나갈때는 수축하는데 이 모습을 NACL3%를 첨가한 결과물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식물세포의 경우 주변이 저장액일 때 용혈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세포구조를


유지하는 세포벽이 있기 때문이다. 대신 세포막이 떨어지는 원형질 분리 현상이 목격된다. 이 모습은
10% NACL 을 첨가했을 때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등장액을 유추해 볼 수 있는데 동물세포의 등장액은 약 0.9% NACL 이고 식물세포의 경우


0%와 10%사이의 값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실험하는 NACL 농도가 다양해질수록 식물세포의
등장액도 범위를 더 좁혀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Further Study

1-1

결과부터 이야기하자면 말라죽을 것이다. 증산작용, 광합성과 같은 활동으로 식물내 수분이 감소


하고 농도가 증가할 것이다. 본래라면 삼투압을 통해서 뿌리에서 토양의 물을 흡수해서 식물의
물질대사가 계속 되어야 하지만 물이 박혀 있는 토양에 남게되는 물이 없어 남는 물로 어떻게든
물질대사를 변화시키면서 버티겠지만 결국 말라 죽게 될 것이다.

1-2

토마토 밖의 토양에서 용질농도가 토마토세포 안의 농도보다 높아져 토양이 고장액의 조건에


해당해서 삼투 현상으로 물이 토마토에서 토양으로 빠져나가게 되고, 수분부족으로 말라 죽게 된다.

바다에 사는 물고기의 경우 바다의 물이 물고기내부보다 고장액이기 때문에 수분이 밖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그래서 체내수분량조절을 위해서 바닷물을 섭취하게 되는데 바닷물에는 염분이
많이 포함되어있기 때문에 체내염분조절을 위해 고농도의 소변을 소량배출한다.

환경이 다른 민물고기의 경우에는 주변환경이 더 저장액이기 때문에 수분이 안으로 들어오게 된다.
그래서 체내수분량조절을 위해 다량의 저농도 소변을 배출한다.

Reference

Campbell 전상학 바이오사이언스 출판(2016) Cam pbell Biology 10th edition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