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형상수의 결정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docx, pdf, or txt
Download as docx,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9

[09] 평형 상수의 결정

3. 실험 목적 : FeSCN2+의 착이온 평형에서 반응의 평형상수를 구하고 화학 평형을 이해한다.

4. 실험 원리:

1) 화학평형

가역반응은 정반응과 역반응이 둘 다 일어날 수 있는 반응을 말한다. 화학평형은 가역반응에서


정반응의 속도와 역반응의 속도가 같은, 즉 평형인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외부 환경이 바뀌지 않는
한 변하지 않는데, 외부 조건의 변화에 따른 평형의 이동은 "평형상태에 있는 계에 압력을 가하면
평형은 이 압력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한다."는 르샤틀리에의 원리로 예측할 수 있다. 일정한
온도에서 가역반응이 진행된다면, 그 반응은 시간이 지나 평형 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2NO2(g) ⇌ N O (g)
2 4

정반응의 반응 속도 상수를 kf , 역반응의 반응 속도 상수를 kr 이라고 하면 정반응과 역반응의 반응


속도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N O2 ] ∆ [N 2 O4 ]
< 반응속도정반응 = - =2 = kf [NO2]2 >
∆ ∆

∆ [N O2 ] ∆ [N 2 O4 ]
< 반응속도역반응 = =-2 = kr [N2O4] >
∆ ∆

반응 초기에는 NO2 의 농도가 낮아지면서 정반응이 우세하게 진행된다. 따라서 N2O4 의 농도는
증가하게 된다. 하지만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정반응의 속도는 감소하고 역반응의 속도는 증가한다.
NO2 의 농도가 낮아지고, N2O4 의 농도는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정반응 속도가 감소하고 역반응
속도가 증가하다 서로 속도가 같아지게 되면 NO2 의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정반응에 의해
N2O4 가 증가되는 속도와 역반응에 의해 N2O4 가 감소되는 속도가 같아져 N2O4 농도 또한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를 아래와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 kf [NO2]2 = kr [N2O4] >

화학 평형상태는 외관상으로 반응이 진행되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반응이 일어나고


있고, 정반응과 역반응의 속도가 같은 동적 평형상태를 나타낸다.

반응물과 생성물의 농도 곱은 항상 같다. 예를 들어 aA+bB↔cC+dD 라는 반응이 있을 때 평형상수

K=[C]c[D]d/[A]a[B]b 로 구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식을 평형 상수식이라고 하며, K 가 평형 상수이다.

평형상수의 값은 온도에 따라 일정한 값을 가지고 정반응의 평형상수와 역반응의 평형상수는

역수관계다. 따라서 평형상수 값은 온도에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정 온도에서 평형 상수는 항상

일정하며 오직 온도에 따라 값이 변한다. 따라서 K 값이 크면 정반응이 잘 일어나고 K 값이 작으면

역반응이 잘 일어난다.

2) 착이온 평형
배위 결합이란 화학 결합에 참여하지 않았던 비공유 전자쌍을 가지고 있는 분자가 양전하를 띤 이온이나
전자가 부족하여 오비탈이 비어있는 원자와 함께 전자를 공유하는 결합인데, 배위 결합을 하는 모든
화합물들을 배위 화합물 또는 착화합물이라 한다. 즉, 하나의 원자에 몇 개의 이온 또는 원자가 배위하여
생긴 화합물이다. 여기서 배위 결합에 필요한 비공유 전자쌍을 가지고 금속 원자나 이온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원자나 분자, 이온을 리간드라고 부른다. 전이 금속의 양이온에 몇 개의 분자 또는 이온이
결합되어 있는 물질을 착물이라고 한다. 착물이 전하를 띤 이온일 경우 이를 착이온이라고 부른다.
전이 금속의 양이온과 분자 혹은 이온과의 결합은 배위 결합으로 물에 용해되어도 결합이 끊어지지
않는다. 착물을 가지고 있는 화합물을 착화합물이라고 한다. 이번 실험은 금속인 Fe3+에 리간드인
SCN-가 결합하여 착이온인 FeSCN2+을 형성하는 반응의 평형 상수를 구하는 실험이다. 이들 사이의
평형을 착이온 평형이라고 한다. 화학식은 아래와 같다.

< Fe3+ + SCN- ⇌ FeSCN2+ >

따라서 위의 식의 평형 상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K = ¿¿ >

이번 실험에서는 Fe(NO3)3 수용액과 KSCN 수용액을 섞어 반응을 진행하기 때문에 Fe(NO3)3 는


수용액에서 Fe3+, NO3-로 분해되고, KSCN 은 수용액에서 K+, SCN-로 분해된다. 이 중 Fe3+과 SCN-
사이에 반응이 일어나서 FeSCN2+가 된다. Fe3+과 SCN-의 초기 농도를 각각 a, b 라고 하고 평형
상태에서의 FeSCN2+의 농도를 x 라고 하면 평형 상수는 아래와 같이 구할 수 있다.

x
<K= >
(a−x )(b−x )

3) 비색법

비색법은 미지 시료 용액이나 표준 용액에 시약을 가해서 착색시킨 후 색의 농도와 색을 빛으로


비교하여 정성,정량 분석하는 방법으로, 비색 분석이라고도 한다. 쉽게 말해 농도는 모르는 용액과 아는
용액을 색의 진하기 비교로 미지 용액의 농도를 구하는 방법이다.

< Fe3+ + SCN ㅡ ⇌ FeSCN2+ >

위의 반응이 평형상태에 도달하면 수용액에 존재하는 이온은 Fe3+, NO3-, K+, SCN-, FeSCN2+이다.
FeSCN2+는 짙은 적갈색을 띠기 때문에 농도를 알고 있는 FeSCN2+ 용액과 농도를 모르는 FeSCN2+
용액의 색 진하기를 비교하여 농도를 유추해볼 수 있다. 이처럼 용액에서 색의 진하기를 비교하여
농도를 알아내는 방법을 비색법 이라고 한다. 또한 용액에서 색의 진하기는 흡광도와 관련 있다.
흡광도는 분광학에서 어떤 화학물질이 가진 특정 파장을 조사할 때, 그 화학물이 얼마나 복사선을 잘
흡수하는지를 나타내는 척도이며, 광학 밀도라고도 불린다. 더 진한 용액일수록 흡광도가 크며,
진하기가 같다면 흡광도가 같은것이다. 흡광도는 용액의 농도와 용액에서 빛이 통과한 거리에
비례하므로 다음 식을 통해 용액의 농도를 알아 낼 수 있다. (A= εbc=-log(I/I0) )

L0
< C1 = C0 >
L1

(C0 = 표준 용액의 농도, L0 = 표준 용액의 높이, C1 = 미지 시료의 농도, L1 = 미지 시료의 높이 )


5. 시약 및 기구

1) Reagent

Chemical name Properties Structure


Molecular formula: H2O
Molar mass: 18.02 g/mol
Density : 1g/cm3 (4℃)
Distilled water Melting point : 0 ℃
Boiling Point : 100 ℃
Caution: 물 반응성 물질과 열을
주의하며 실험해야 한다

Molecular formula: KSCN


Molar mass: 97.181 g/mol
Density : 1.9 g/cm3
Potassium thiocyanate Melting point : 173 ℃
Boiling Point : 500 ℃
Caution: 피부와 눈에 자극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보호
장비를 착용해야 한다.
Molecular formula: Fe(NO3)3
Molar mass: 404 g/mol
Density : (자료 없음)
Melting point : (자료 없음)
Ferric nitrate Boiling Point : 212 ℃
Caution: 피부가 물질과
접촉했을 시 흐르는 물에 20 분
이상 눈과 피부를 씻어내야
한다.

2) Instrument & Apparatus


10 mL graduated cylinder, 10 mL pipette, pipette filler, 50 mL beaker, 50 mL Erlenmeyer flask,
Pasteur pipette, bulb, wash bottle, labeling tape, test tube, test tube rack, 15 cm ruler, paper, pen,
Hood

6. 실험 방법

*용액을 옮길 때 사용하는 10 mL pipette 은 wash bottle 과 50 mL beaker 를 사용하여 안에 용액의


잔여물이 남아있지 않게 헹군 후 사용해야 한다.
① Test tube 5 개와 50 mL Erlenmeyer flask 4 개에 각각 1,2,3,4 그리고 A,B,C,D 라고 labeling 한다.

② 0.0020 M KSCN 용액을 각 test tube 에 10 mL pipette 과 pipette filler 를 이용하여 5.0 mL 씩
넣어준다.

③ 0. 20 M Fe(NO3)3 용액을 1 번 test tube 에 10 mL pipette 과 pipette filler 를 5.0 mL 넣고, A


Erlenmeyer flask 에 10.0 mL 넣어준다.

④ Distilled water 를 A Erlenmeyer flask 에 10 mL graduated cylinder 를 이용하여 15.0 mL 넣어


묽혀준다.

⑤ A Erlenmeyer flask 에서 묽힌 용액을 10 mL pipette 과 pipette filler 를 이용하여 5.0 mL 를 2 test


tube 로 옮겨준다.

⑥ A Erlenmeyer flask 에서 묽힌 용액을 10 mL pipette 과 pipette filler 를 이용하여 10.0 mL 를


취해 B Erlenmeyer flask 로 옮긴 후 distilled water 를 B Erlenmeyer flask 에 10 mL graduated
cylinder 를 이용하여 15.0 mL 넣어 묽혀준다.

⑦ B Erlenmeyer flask 에서 묽힌 용액을 10 mL pipette 과 pipette filler 를 이용하여 5.0 mL 를 3 test


tube 로 옮겨준다.

⑧ B Erlenmeyer flask 에서 묽힌 용액을 10 mL pipette 과 pipette filler 를 이용하여 10.0 mL 를


취해 C Erlenmeyer flask 로 옮긴 후 distilled water 를 C Erlenmeyer flask 에 10 mL graduated
cylinder 를 이용하여 15.0 mL 넣어 묽혀준다.

⑨ C Erlenmeyer flask 에서 묽힌 용액을 10 mL pipette 과 pipette filler 를 이용하여 5.0 mL 를 4 test


tube 로 옮겨준다.

⑩ C Erlenmeyer flask 에서 묽힌 용액을 10 mL pipette 과 pipette filler 를 이용하여 10.0 mL 를


취해 D Erlenmeyer flask 로 옮긴 후 distilled water 를 D Erlenmeyer flask 에 10 mL graduated
cylinder 를 이용하여 15.0 mL 넣어 묽혀준다.

⑪ D Erlenmeyer flask 에서 묽힌 용액을 10 mL pipette 과 pipette filler 를 이용하여 5.0 mL 를 5


test tube 로 옮겨준 후 섞는다.

⑫ 이후 모든 시험관의 용액의 높이를 15 cm ruler 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⑬ 1,2 test tube 에 paper 를 두른 뒤 labeling paper 로 고정한 뒤 test tube rack 에 두고 peper 를
test tube rack 아래에 깔아준다.

⑭ 위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 1 번 test tube 와 2 번 test tube 의 색이 비슷해질 때까지 Pasteur
pipette 과 bulb 를 사용하여 1 test tube 에서 용액을 50 mL beaker 로 덜어낸다.

⑮ 이후 색이 같아졌으면 1 test tube 를 paper 에서 꺼내 15 cm ruler 를 이용하여 용액의 높이를


측정한다. (남은 3,4,5 test tube 도 똑같이 1 test tube 와 색을 비교하여 위의 실험을 반복하여
진행한다.)

7. 결과

사용한 Fe(NO3)3 의 농도 (M) 사용한 KSCN 의 농도


0.20 M 0.0020 M

시 초기 농도 (M) 색의 진하기가 같을 때 FeSCN2+의 농도 (M)


험 용액의 높이 (cm)
관 [Fe3+] [SCN-] 1 번 test tube Test tube 1 번 test tube Test tube
1 0.10 M 7.83 - -
2 4.0×10-2 M 6.61 7.85 8.4 × 10-4 M
3 1.6× 10-2 M 1.0 × 10-3 M 4.41 7.81 1.0 ×10-3 M 5.6 × 10-4 M
4 6.4 x 10-3 M 2.35 7.78 3.0 × 10-4 M
5 2.6 x 10-3 1.51 7.79 1.9 ×10-4 M
< 초기 Fe3+ 농도 >

MV= M’V’ 식 이용

0.20 M × 0.0050 L
1 test tube : = 0.10 M
0.0100 L

0.20 M × 0.0100 L
2 test tube : = 0.080 M
0.0250 L

0.080 M × 0.0050 L
= 4.0×10-2 M
0.0100 L

0.080 M × 0.0100 L
3 test tube : = 0.032 M
0.0250 L

0.032 M ×0.0050 L
= 1.6× 10-2 M
0.0100 L

0.032 M x × 0.0100 L
4 test tube : = 0.0128 M
0.0250 L

0.0128 M × 0.0050 L
= 6.4 x 10-3 M
0.0100 L

5 test tube :

0.013 M × 0.0100 L
= 5.2 x 10-3 M
0.0250 L
−3
5.2 x 10 M × 0.0050 L
= 2.6 x 10-3 M
0.0100 L

< 초기 SCN- 농도 >

0.0020 M × 0.0050 L
1-5 test tube : = 1.0 x 10-3 M
0.0100 L

< FeSCN2+의 농도(M) >

1 test tube

Fe3+ + SCN- → FeSCN2+ 에서 Fe3+과 SCN-는 1:1 로 반응한다. 여기서 한계반응물은 SCN-이기 떄문에
1 test tube 의 FeSCN2+의 몰농도는 SCN-의 몰농도인 1.0 ×10-3 M 와 같다.

2 test tube

L0
C1 = C 0 을 이용하여 구한다.
L1

6.61 cm
1.0 × 10-3 M × = 8.420382166 ×10-4 M ≈ 8.4 × 10-4 M
7.85 cm

3 test tube

4.41 cm
1.0 × 10-3 M × = 5.6466606914× 10-4 M ≈ 5.6 × 10-4 M
7.81 cm

4 test tube

2.35 cm
1.0 × 10-3 M × = 3.020565553× 10-4 M ≈ 3.0 × 10-4 M
7.78 cm

5 test tube

1.51 cm
1.0 × 10-3 M × = 1.93838254 × 10-4 M ≈ 1.9 ×10-4 M
7.79 cm

시험관 평형 농도(M) 평형상수


2+
[FeSCN ] [Fe3+] [SCN ]-

1 - - - -
2 8.4 × 10-4 M 0.003 M 0.0002 M 2 ×103
3 5.6 × 10-4 M 0.015 M 0.0004 M 8 × 10
4 3.0 × 10-4 M 0.0060 M 0.0007 M 7 × 102
5 1.9 ×10-4 M 0.0024 M 0.0008 M 1 × 102
평균 6 ×102

< Fe3+의 평형 농도 >

[Fe3+] = 초기 Fe3+ 농도 - FeSCN2+

2 test tube : 0.040 M – 0.0008420382166 M = 0.003157961783M ≈ 0.003 M

3 test tube: 0.016 M – 0.00056466606914 M = 0.015435333 M ≈ 0.015 M

4 test tube : 0.0064 M – 0.0003020565553 M = 0.006097943445 M ≈ 0.0060 M

5 test tube : 0.0026 M – 0.0001938382542 M = 0.0024406161746 M ≈ 0.0024 M

< SCN-의 평형 농도 >


[SCN-] = 초기 SCN- 농도 - FeSCN2+

2 test tube : 0.0010 M - 0.0008420382166 M = 0.0001579617834 M ≈ 0.0002 M

3 test tube : 0.0010 M - 0.00056466606914 M = 0.0004353393086 M ≈ 0.0004 M

4 test tube : 0.0010 M - 0.0003020565553 M = 0.0006979434447 M ≈ 0.0007 M

5 test tube : 0.0010 M - 0.0001938382542 M = 0.0008061617458 M ≈ 0.0008 M

< 평형 상수 >

K =¿ ¿

2 test tube

0.000 8420382166 M
=1688.001796 ≈ 2 ×103
0.003157961783 M × 0.0001579617834 M

3 test tube

0.00056466606914 M
= 84.03260081 ≈ 8 × 10
0.015435333 M × 0.0004353393086 M

4 test tube

0.0003020565553 M
= 709.7160671 ≈ 7 × 102
0.006097943445 M × 0.0006979434447 M

5 test tube

0.000 1938382542 M
= 98.5185063 ≈ 1 × 102
0.0024406161746 M × 0.0008061617458 M
-

< 평균 평형 상수 >

1688.001796+84.03260081+709.7160671+98.5185063
= 645.0672426 ≈ 6 ×102
4

8. 고찰
실험 결과, 평형 상수의 값이 일정하지 않고 가장 큰 평형상수는 2 × 103, 가장 작은 평형 상수는 8 ×
10 이 나왔다. Test tube 와 50 mL Erlenmeyer flask 에 용액을 넣을 때 목측관측을 하지 않고
진행했기 때문에 목측관측을 진행했을 때보다 부정확한 값이 나온 것 같다. 또한 비색법은 이론적인
방법으로 농도를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눈으로 비교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굉장히 부정확하다고
생각을 하였다. 또한 우리 조가 실험을 진행할 때 위에서만 본 게 아니라 흰 종이에서 test tube 를
꺼내서 비교 하기도 했기 때문에 더 오차가 크게 났던 것 같다. 또한 아래에 흰 종이를 깔지 않고
진행하다가 3 번째 test tube 부터 깔고 하기 시작해서 더욱 오차가 나게 된 것 같다.용액의 높이를
측정할 때 test tube 아래 부분이 동그란 모양이기 때문에 높이를 측정할 때도 오차가 발생했을
것이다.

① 1 번 시험관에서 Fe3+와 SCN-의 초기 농도 그리고 실험에서 구한 평형 상수를 이용하여 1 번


시험관에 있는 Fe3+, SCN-, FeSCN2+의 평형 농도를 구하여라 이로부터 처음에 넣었던 SCN-
이온은 전부 FeSCN2+로 변했다고 가정 한 것은 타당한지 생각해 보라

X 의 값은 1 × 10-1 과 1 × 10-3 이다. 하지만 Fe3+의 초기 농도가 0.10 이기 때문에 0.101565641 을


빼면 농도가 음수가 나온다. 따라서 X 는 1 × 10-3 이다. 이는 처음에 넣었던 SCN-의 농도와 값이
거의 같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1 번 시험관의 FeSCN2+의 농도도 1 × 10-3 이다.

따라서 [SCN-] = 초기 SCN- 농도 - FeSCN2+ 에 의해 [SCN-]의 값은 0 이 된다. 즉, 처음에 넣었던 SCN-

이온은 전부 FeSCN2+로 변했다는 것은 타당하다.

② 만일 실험의 반응이 Fe3+(aq) + 2SCN-(aq) ⇄ Fe(SCN)2+(aq) 이라면 평형 상수는 어떻게


바뀌겠는지 구하여라.

만일 실험의 반응이 Fe3+(aq)+2SCN-(aq) ⇌ Fe(SCN)2+(aq)이라면 Fe3+과 SCN-이 1:2 로 반응

1
하기때문에 SCN-이 1.0 × 10-3 M 만큼 반응 하므로, Fe3+은 1.0 × 10-3 M 의 인 5.0 × 10-4 M 만큼
2
반응 하여 Fe3+이 한계 반응물이 된다. 따라서 FeSCN2+는 Fe3+와 마찬가지로 5.0 x 10-4 M 만큼

생성된다. 이때의 평형 상수를 구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x
K=
(a−x )¿ ¿
(a – x ) = 0.10 M – (5.0×10-4 M) = 0.0995 M = 0.1 M

(b – x ) = 1.0×10-3 M - (5.0 ×10-4 )= 0.5×10-3 M


−4
5.0 ×10
K= = 2.0 x 104 ≈ 2.0 x 104
( 0.10 ) ¿ ¿ ¿
즉, 처음의 평형상수인 6 ×102 과 약 333 배 차이가 난다.

9. 참고 문헌
1. 이홍인. 2014. 일반화학실험. 자유아카데미.

2. MSDS. Distilled water. 2022.11.22

https://msds.kosha.or.kr/MSDSInfo/AIViewer/msdsAireport/msds/A_SingleMsds.jsp

3. MSDS. Potassium thiocyanate. 2022.11.22

https://msds.kosha.or.kr/MSDSInfo/AIViewer/msdsAireport/msds/A_SingleMsds.jsp

4. MSDS. Ferric nitrate. 2022.11.22

https://msds.kosha.or.kr/MSDSInfo/AIViewer/msdsAireport/msds/A_SingleMsds.jsp

5. 네이버 지식백과. 화학평형. 2022. 11. 24 https://terms.naver.com/entry.naver?


docId=1155346&cid=40942&categoryId=32252

6. 사이언스올. 평형상수. 2022.11.24

https://www.scienceall.com/%ED%8F%89%ED%98%95-%EC%83%81%EC%88%98equilibrium-
constant/

7. 네이버 지식백과. 비색법. 2022.11.24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06167&cid=42420&categoryId=42420

8. 네이버 지식백과. 흡광도. 2022.11.24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827805&cid=62802&categoryId=62802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