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2

학교시설 내진보강사업 컨설팅 의견서

1. 질의 개요
- 질의 기본사항
요청 기관 질의 개요 질의 개수
감사원 감사 결과 후속조치 관련 내진성능평가 특이사항 질의 4건

2. 질의 답변
컨설팅 의견
※ 본 검토 결과는 대상 학교시설 체육관이 ‘특등급’을 적용하여야 하는 긴급대피수용시
설로 지정된 경우를 가정하여 작성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1) 체육관(임시주거시설)과 본관이 구조적으로 연결된 경우, 본관동도 특등급을 적용하는지
혹 체육관(임시주거시설 혹은 특등급)과 본관이 구조적으로 분리된 경우, 본관동도 특등
급으로 적용하는지?(이동경로 상 본관동 포함)
­ 특등급으로 지정된 체육관이 본관과 구조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동으로 내진성능평가
수행이 필요한 경우, 본관동 또한 내진특등급을 적용하여 내진성능평가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됨
‧ 예시로, 본관동 최상층에 체육관, 강당이 위치하며 이에 대해 내진 특등급을 적용하여
야 하는 경우 혹은 본관동과 체육관의 슬래브가 일체화되어 수평으로 연결된 경우
­ 그러나, 체육관이 내진특등급 적용 대상이며, 내진1등급으로 지정된 본관동과 연결통로
등으로 일부 연결되어 있는 경우, 본관동과 체육관이 하나의 슬래브로 전체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기 어려움
‧ 이러한 경우 각각의 학교시설에 대해 내진성능평가가 필요하며 상이한 내진등급을
적용하여 내진성능평가 수행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만약 본관동과 체육관이 연결통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본관동이 체육관의 유일한 대피
통로를 제공하는 경우 교육부 민원 답변(1AA-2311-0908258)에 따른 내진등급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됨
‧ ‘학교시설 내진설계 기준’은 ‘건축물 내진설계기준’을 준용 또는 강화하여 학교시설
에 적용하기 위한 기준으로, ‘건축물 내진설계기준’에 따르면 접근로나 탈출로는 그
중요도에 부합하는 사용을 위해서 필수 불가결한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음
‧ 따라서 유사시 지진 등 재난이 발생하여 이재민을 수용하였을 때 해당 출입문을 시
건하고 지진 발생 후에 대피소로의 접근로와 여진 시 대피소로부터의 탈출경로가
인접건물을 통해서 제공되지 않으며, 대피소 건물이 인접건물과 독립된 접근로와 대
피경로를 충분히 확보하고 있다면 지진 후 대피소 기능에 문제가 없으므로 별개의
중요도를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2) 신설 당시부터 본관 한 건물 짓고 관리하고 있으나 익스팬션조인트로 조사구간이 구
분 될 경우, 각각 코어채취 6개소를 꼭 해야하는지(예시: E.J로 4개의 조사범위로 구
분된 경우, 코어채취 6공 * 4매스 = 24공?)
­ 신축줄눈(E.J.)를 통해 대상 학교시설이 구조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 분리된 각각
의 개별 동에 대해서 내진성능평가 수행이 필요함
­ 단, 현장조사의 경우 ‘학교시설 내진성능평가 및 보강 매뉴얼’ 3.2.2 (3) ②에 따라 책
임 구조기술자 판단하에 신출줄눈으로 분리된 개별 동의 준공연도가 동일하거나 유
사한 경우, 이를 통합하여 현장조사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 이러한 경우 콘크리트 설계기준강도 산정을 위한 코어 채취 또한 6개소(대상 학교시설이
6개층 이하인 경우)를
천공하여 이를 통해 산정된 설계기준강도를 개별 동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
(3) 건물끝에 계단실만 증축을 했는데 계단실 부분 코어채취를 추가로 6공 해야하는지
­ 원칙적으로 계단실이 신축줄눈(E.J.)로 분리된 경우 별도의 현장조사 단위로 구분되어
6개소의 콘크리트 코어채취가 필요하며(계단실이 6개층 이하인 경우), 내진성능평가
또한 본관동과 별개로 이뤄져야 할 것으로 판단됨
­ 계단실의 슬래브가 본관동과 이어져 증축된 경우, 하나의 구조체로 내진성능평가가 필
요하지만 현장조사단위는 구분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러한 경우 계단실의 6개소
콘크리트 코어채취를 통해 별도의 콘크리트 재료강도 적용이 필요함.
­ 그러나 ‘학교시설 내진성능평가 및 보강 매뉴얼’ 3.2.2 [해설]과 같이 신축줄눈을 통해
구조적으로 분리되어 있지만 화장실이나 옥탑 등 면적이 작고 전체 구조물의 지진력
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크지 않은 경우 별도의 조사단위를 구분하지 않는 것을
허용한다는 내용에 따라 이러한 경우 책임구조기술자 판단하에 현장조사 시 통합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