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4

한국체육학회지, 2024, 제63권 제2호, 483-496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2024, 63(2), 483-496

https://doi.org/10.23949/kjpe.2024.3.63.2.31 ISSN 1738-964X(Print) / ISSN 2508-7029(Online)

K리그 프로산하 U-18 축구선수들의 주간 외적 훈련부하와


경기수행과의 관계
Relationship of the Weekly External Training Load and Match Performance in
K-league under 18 Elite Football Players
변주원ㆍ신민철* 세종대학교
Byun, JuwonㆍShin, Minchul Sejong Univ.
요약
본 연구는 유소년 축구선수의 훈련 적응과 경기력 향상을 위한 최적의 훈련부하를 결정하기 위해 주에 한 경기가 있는 일
반적인 단기주기(micro-cycle)의 (a)주간 외적 훈련부하량에 따른 경기수행을 분석하고 (b)주간 외적 훈련부하와 경기수행
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23년 경쟁 시즌 동안 비교 간의 변동성을 줄이기 위한 기준을 충족한 주간의
모든 훈련 세션에 참여하고 리그 정규 경기시간 90분 이상을 출전한 12명의 선수의 총 89개의 주간 외적 훈련부하 및 경기
수행 데이터가 포함되었다. 주간 외적 훈련부하 및 경기수행 변수는 Global Positioning System(GPS)를 활용하여 수집되었
으며, 훈련시간(Duration), 총이동거리(Total Distance), 고강도러닝거리(High Speed Running Distance), 스프린트거리(Sprint
Distance), 가속횟수(Number of Acceleration), 감속횟수(Number of Deceleration)를 통해 평가하였다. 주간 외적 훈련부하
량(w)에 따른 경기수행(M)의 차이 검정을 위해 독립 t-test를 실시한 결과, 경기일(MD) 전 5일 동안 누적된 주간훈련시간
(wD)과 총이동거리(wTD)가 높을 경우(wD 434.8분 이상, wTD 30407.8m 이상) 경기수행 중 고강도러닝거리(M)와 감속횟수
(M)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또한, 주간 외적 훈련부하(w)와 경기수행(M)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pearson 상관분석
결과, 가속횟수(w)와 가속횟수(M)는 가장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총이동거리(w)와 감속횟수(M)는 가장 높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주에 한 경기가 있는 단기주기 내에서 (a)과도한 훈련량의 축적이 경기수행 중
고강도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b)훈련 중 더 많은 고강도 활동을 축적하는 것이 경기 중 더 많은 고강도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것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주요어: 축구, 외적 훈련부하, 경기수행,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주기화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to analyze the match performance based on the weekly external training volume of
a general micro-cycle which is one match per week and (b)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weekly external
training volume and match performance to determine the optimal training adaptation and improvement of match
performance of youth football players. A total of 89 weekly external training load and match performance data
from 12 players who played more than 90 minutes of the league regular match time and participated in all training
sessions that met the criteria to reduce the variability between comparisons per week during the 2023 competing
season were included. Weekly external training load and performance variables were collected using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and evaluated through duration, total distance, high speed running distance, sprint distance,
number of acceleration and number of deceleration. The result of conducting an independent t-test to test the dif-
ference in the match performance (M) according to the weekly external training volume(w) showed that when the
accumulated weekly duration (wD) and weekly total distance (wTD) for five days before the match day (MD) were
high (wD more than 434.8 minutes, wTD more than 30407.8 meters), the high speed running distance (M) and the
number of deceleration (M) during the match were significantly lower. In addition, the result of pearson correlation

* smc0832@gmail.com
Copyrightⓒ2024 KAHPERD
484 한국체육학회지 제63권 제2호

analysis to figure out the correlation between weekly external training load (w) and match performance (M) showed
that the number of acceleration (w) and the number of acceleration (M) showed the highest positive (+) correlation
and the total distance (w) and the number of deceleration(M) showed the highest negative(-) correlat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a) the accumulation of excessive training volume within the micro-cycle of one match per
week can negatively affect high-intensity activities during the performance of the match and (b) the accumulation
of more high-intensity activities during the training is related to being able to perform more high-intensity activities
during the match.

Key words: Football, External training load, Match performance, Global Positioning System(GPS), Periodization

서론 기(micro-cycle), 중기주기(meso-cycle), 장기주기(macro-


cycle)로 구성되며, 단기주기는 주간, 중기주기는 월간,
장기주기는 연간 단위를 나타낸다(Turner, 2011). 특히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단기주기는 선수들의 스케줄, 신체 회복 상태, 컨디셔닝
조건 등에 의해 결정되는 가장 세분화된 주간 훈련 단
축구는 유산소 및 무산소 에너지 생산 능력을 복합 위이다(Martín-García et al., 2018). 전통적으로 축구선
적으로 요구하는 매우 까다로운 간헐적 고강도 스포츠 수들은 일주일에 한 경기에서 세 경기로 구성된 단기
이다(Bangsbo, 1994). 축구선수는 약 700개의 턴과 30∼ 주기 내에서 훈련부하를 관리하기 때문에(Anderson et
40개의 태클 및 점프를 포함하는 1200개 이상의 예측 al., 2016), 훈련 과정을 모니터링하고 최적의 주간 변동
할 수 없는 활동 변화를 수행한다(Bloomfield, Polman, 을 이해하는 것은 경기에 대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 O’Donoghue, 2007). 이러한 축구 경기에서 요구되는 설정하고 선수의 경기력을 향상시키는 데 핵심적이다
부하를 정량화하는 것은 코치가 훈련을 계획하고 관리 (Coutinho et al., 2015; Gamble, 2013; Gastin et al., 2010).
하는 데 유리한 전략이 될 수 있다(Martín-García, Díaz, 실제로 훈련부하 모니터링 분야는 스포츠 과학에서
Bradle, Morera, & Casamichana, 2018). 또한, 최적의 매우 뜨거운 주제가 되었으며, 최근 몇 년간 빠른 속도
적응을 보장하기 위해 훈련 과정의 체계적이고 주기적 로 발전하였다. 특히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의
인 적용이 필요하다(Impellizzeri, Rampinini, & Marcora, 개발로 이동거리, 속도, 가속/감속 및 가속도계 변수(예:
2005). 이러한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방법은 경쟁 주기 player load, 신체 충격 또는 동적 스트레스 부하)와 같
의 훈련 양(volume)과 강도(intensity)를 조정하여 훈련 은 외적 훈련부하를 정확하게 측정함으로써 축구의 신
구조를 최적화하는 것이다(Malone et al., 2015). 실제로, 체적, 생리학적 요구에 대한 이해가 향상되었다(Bourdon
훈련 주기화(periodization)는 다원적(multifactorial) 및 et al., 2017). GPS 기술을 활용하여 외적 훈련부하를 모
다양성의 원리에 기초하여 훈련부하(양과 강도의 곱)의 니터링하고 정량화하려는 시도는 여러 유소년 축구 연
계획된 조작을 통해 최적의 적응 잠재력을 달성하도록 구에서 시도되고 있다(Hannon et al., 2021; Teixeira et
한다(Manzi et al., 2010). al., 2021; Wrigley, Drust, Stratton, Scott, & Gregson,
주기화 개념은 Hans Selye(1907∼1982)의 일반적응증 2012). EPL 아카데미 축구선수들의 주간 훈련 및 경기
후군(GAS: General Adaptation Syndrome) 이론에 의해 정 부하를 정량화한 Hannon et al.(2021)에 따르면, U12-14
립되었으며, 현대 주기화의 선구자들은 GAS에 기초하 그룹은 주간 20∼22km (범위: 16∼26km)를 이동했으며,
여 선수들의 훈련 스트레스와 피로를 관리하고 긍정적 U15-18 그룹은 주간 26km(범위: 22∼30km)의 이동거리
인 적응을 유도하기 위해 노력한다(Cunanan et al., 2018). 를 보고하였다. 이는 Anderson et al.(2016)이 EPL 성인
일반적으로 훈련 주기화는 할당된 기간에 따라 단기주 선수 그룹의 매주 한 게임의 단기주기 동안 보고한 주
K리그 프로산하 U-18 축구선수들의 주간 외적 훈련부하와 경기수행과의 관계 485

간 평균 26km 이동거리와 매우 유사하다. 또한, 훈련 부하량(w)에 따른 경기수행(M)을 분석하고, (b)주간 외


및 경기의 강도(특정 절대 속도 임계값 내에서 도달한 적 훈련부하(w)와 경기수행(M)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
거리) 평가할 수 있는 주간 고강도러닝 및 스프린트거 는 것이다. 이로써 국내 프로산하 U18 축구팀 고유의
리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으 계획적인 단기주기 훈련부하가 현장의 실무자들이 최적
로 나타났다(Bowen, Gross, Gimpel, & Li, 2017). 의 주간 훈련부하를 결정하는 데 추가적인 통찰력을 제
이처럼 이제 운동선수의 훈련부하를 모니터링하는 공할 것이다.
것은 축구와 같은 고성능(high-performance) 스포츠에
서 일반적인 관행이 되었으며, 체계적인 모니터링을 통
해 훈련, 경기력, 부상 사이의 복잡한 관계에 대한 이해 연구방법
를 높일 수 있게 되었다(Coutts, Crowcroft, & Kempton,
2021). 특히 GPS 기반의 달리기 수행력이 경기력에 영
1. 연구대상
향을 미칠 수 있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고려하면(And-
rzejewski, Chmura, Konefał, Kowalczuk, & Chmura,
본 연구는 대한축구협회(KFA)에 등록된 K리그 프로
2018; Chmura et al., 2018; Modric, TJelicic, & Sekulic,
산하 U18 팀 축구선수 12명(M±SD, 연령 17.58±0.67,
2021a; Modric, Versic, Sekulic, & Liposek, 2019), 축구선
체중 70.33±7.89, 신장 176.67±5.35)의 주간 훈련 및
수의 경기력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주간 외적 훈련부하
경기를 분석하였다. 중앙수비수(CB) 3명, 측면수비수
(w: weekly external training load)와 경기수행(M: match
(SB) 2명, 중앙미드필드(CM) 3명, 측면공격수(WF) 2명,
performance)과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중앙공격수(FW) 2명이 포함되었으며<표 1>, 골키퍼는
특히 장거리 달리기와 같은 개인 스포츠는 이미 훈련과
포지션의 특수성으로 인해 분석에서 제외되었다(이용
경기력 사이의 긍정적인 관계가 발견되었으나, 여전히
수, 권준현, 2021; Modric, et al., 2021a). 모든 선수 및
구기 팀 스포츠에서 훈련과 경기력 사이의 관계에 대해
보호자에게 본 연구의 목적으로 훈련 및 경기 데이터의
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Brink, Nederhof, Visscher,
사용을 허용하는 서면 동의를 얻었으며, 선수들은 언제
Schmikli, & Lemmink, 2010). 최근 프로 축구선수들의
든지 연구에서 자신의 정보와 데이터를 자유롭게 철회할
누적된 주간 훈련부하가 경기 당일의 경기수행에 영향
수 있다는 사실을 전달받았다.
을 미치는지 여부를 조사한 연구가 일부 존재하나 그
결과가 일관적이지 않으며(Brito, Hertzog, & Nassis, 2016; 표 1. 연구대상자의 포지션별 신체적 특성
Chena et al., 2021; Fox, Stanton, Sargent, Wintour, &
표본 연령 신장 체중
Scanlan, 2018; Modric et al., 2021a; Modric, Versic, & 포지션
(N) (years) (cm) (kg)
Sekulic, 2021c; Oliveira et al., 2020; Silva, & Nobari, CB 3 17.33±1.15 184.67±0.58 81.67±9.87
2021), 선행연구가 주로 유럽 구단이라는 점에서도 서로 SB 2 17.50±0.71 175.50±2.12 64.00±2.00
다른 문화와 철학을 가진 여러 국가의 조사가 필요하다 CM 3 17.33±0.57 173.00±4.04 67.33±4.04
(Hannon et al., 2021). 이에 Malone et al.(2015)은 향후 WF 2 18.00±0.00 172.00±2.83 65.00±1.41
연구에서 훈련부하와 주기화가 최적의 훈련 적응과 경 FW 2 18.00±0.00 176.00±1.41 65.90±3.54
기 당일의 경기수행을 촉진하는지 여부를 평가해야 한 Total 12 17.58±0.67 176.67±5.35 70.33±7.89
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유소년 축구의 단기주기 내 누적된 2. 연구설계
외적 훈련부하를 정량화하고 경기수행과의 연관성을 조
사한 최초의 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주에 모든 데이터는 전체 시즌(2023)의 훈련 및 경기 중
한 경기가 있는 일반적인 단기주기의 (a)주간 외적 훈련 에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기기(OhCoach Cell
486 한국체육학회지 제63권 제2호

B, Fitogether, Korea)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GPS 기 de Ruiter, Twisk, Savelsbergh, & Beek, 2017). 일반적
기로 측정된 경기 및 훈련의 외적 부하 변수는 (1) 훈련 으로 주에 한 경기만 있는 팀이 경기일(MD: match
시간(Duration); (2) 총이동거리(Total Distance); (3) 고강 day) 전 5일 동안(MD-5, MD-4, MD-3, MD-2, MD-1) 훈
도러닝거리(>19.8km⋅h-1)(High Speed Running Distance); 련하는 단기주기의 접근 방식을 채택하였으며(Chena et
(4) 스프린트거리(>25.2km⋅h-1)(Sprint Distance); (5) 가 al., 2021; Oliveira et al., 2019; Oliveira et al., 2020;
속횟수(>3m⋅s-2에서 >0.5초 지속)(Number of Accelera- Owen, Lago-Peñas, Gómez, Mendes, & Dellal, 2017;
tion); (6) 감속횟수 (>-3m⋅s-2에서 >0.5초 지속)(Number Stevens et al., 2017; Teixeira, et al., 2021.), 외적 훈련
of Deceleration)이며, 성인 축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 부하의 정량화를 위해 포함된 모든 훈련 세션의 평균
는 절대 속도 임계값과 의도적으로 선택했다(Anderson 값이 산출되었다.
et al., 2016; Hannon et al., 2021; Malone et al., 2015). 단기주기 내에서 누적된 훈련부하가 경기력과 관련
낮은 속도 구간(<19.8km⋅h-1)은 퍼포먼스 최적화(Per- 이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Bourdon et al., 2017; Coutts
formance Optimization)에 대한 낮은 의미를 기반으로 et al., 2021), 주간 외적 훈련부하(w)가 경기수행(M)에
제외되었다(Clemente et al., 2019).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경기 데이터를 제외한
전체 시즌 내 훈련 모니터링 기간 동안 다음 네 가지 5일간의 평균 훈련부하 데이터를 합산하였다(Silva, &
기준에 충족된 주간만 분석에 포함하였다. (1) 단 한 Nobari, 2021). 이에 두 가지 독립 변수로 훈련의 양(vol-
경기의 공식 리그 경기 일정이 있는 주간, (2) 경기 사 ume)을 측정할 수 있는 (1) 주간훈련시간(weekly Duration;
이에 최소 6일의 준비 기간이 있는 주간, (3) 최소 5일 wD), (2) 주간총이동거리(weekly Total Distance; wTD)를
의 필드 훈련일이 있는 주간. (4) 최소 2일의 체육관 채택하였다(Silva & Nobari, 2021). 두 가지 변수의 특성
기반 훈련이 있는 주간. 이 결정은 비교 간의 변동성 을 분류 및 기술하기 위해 기술통계(Descriptive Statis-
을 줄이기 위함이다(Clemente et al., 2019). 상황적 및 tics) 실시 후 평균값을 기준으로 (1) wD는 낮은wD(<
환경적 요인이 축구선수의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 434.8분)와 높은wD(>434.8분), (2) wTD는 낮은wTD(<
을 고려하여(Chmura et al., 2021), 특정 결과(예: 악천 30407.8m)와 높은wTD(>30407.8m)로 범주화하였다<표 2>.
후, 선수 퇴장, 수학적으로 경기 결과가 의미 없는 팀 또한, 주간 외적 훈련부하(w)와 경기수행(M)간의 상관관
과의 경기)가 포함된 경기는 분석하지 않았다. 또한, 계를 분석하기 위해 주간 훈련과 경기 중 수행된 GPS
방법론적인 이유로 인해 모든 훈련 세션에 참여한 후 데이터 변수를 수집하였다.
경기에 출전한 선수만 연구에 포함되었다(Modric et
al., 2021a). 이러한 기준으로 인해 분석에 포함된 경기 표 2. 주간 외적 훈련부하(w)의 범주화
수가 22개에서 13개로 줄었으며, 분석된 훈련 주간 수 구분 표본 최소값 최대값 평균값 표준편차
역시 22주에서 13주로 줄었다. 결과적으로 445개 훈련 wD(분) 89 357.0 582.0 434.8 51.5
세션이 관찰되었으며, 모든 훈련 세션에 참여하고 리그 wTD(m) 89 24007.6 40757.2 30407.8 4016.3
정규 경기시간 90분 이상을 출전한 12명의 선수의 총
89개의 주간 외적 훈련부하(w) 및 경기수행(M) 데이터
분석에 포함된 모든 훈련 주간의 MD-5, MD-4, MD
가 포함되었다.
–3, MD-2, MD-1 훈련 세션에서 유사한 훈련 패턴 및
접근 방식을 적용했다. 추가적인 식이요법은 실시되지
3. 외적 훈련부하의 정량화
않았지만 모든 선수는 모든 훈련일에 함께 식사하고
동일한 일정과 생활 스케줄에 따랐다. 리그 주기 동안
연구를 위한 외적 훈련부하 데이터 수집은 야외 훈
의 개인 훈련과 컨디셔닝은 개인의 방법론을 유지하라
련장에서 이루어졌다. 훈련 데이터는 공식 리그 경기 일
는 지시를 받았다.
정으로부터 남은 일수를 기준으로 분석되었다(Stevens,
K리그 프로산하 U-18 축구선수들의 주간 외적 훈련부하와 경기수행과의 관계 487

4. 자료처리 0.006 수준에서 낮은wD 비해 높은wD가 낮은 것으로 나


타났으며<그림 1>, 감속횟수(M)는 t=3.110, p=0.003 수준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25.0 statistics package 에서 낮은wD 비해 높은wD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그
를 이용하였으며, 참가자의 신체적 특성과 GPS 측정
변수의 평균(Mean) 및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SD)
를 산출하였다.
이러한 기술통계치를 바탕으로 분류된 주간 훈련
(wD, wTD)에 따른 경기수행(M)의 차이 검정을 위해 독
립 t-test를 실시하였으며, 주간 외적 훈련부하(w)와 경
기수행(M)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earson 상
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 분석을 위한 유의수준
은 α=.05로 설정하였다.
Values are mean ± S.D. **p<.01

그림 1. 주간훈련시간(wD)에 따른 고강도러닝거리(M)
결과

1. 주간훈련시간(wD)에 따른 경기수행(M) 분석

<표 3>은 주간훈련시간(wD)에 따른 경기수행(M) 차


이를 검증한 결과이다. 낮은wD와 높은wD에 따라 각각
총이동거리(M)(10354.4±841.3m, 10210.0±903.4m), 고강
도러닝거리(M)(676.0±208.0m, 563.2±158.0m), 스프린트
거리(M)(113.9±64.7m, 103.5±56.9m), 가속횟수(M)(26.6
±7.9회, 25.9±9.2회), 감속횟수(M)(41.6±11.3회, 34.1± Values are mean ± S.D. **p<.01

11.4회)로 나타났다. 고강도러닝거리(M)는 t=2.843, p= 그림 2. 주간훈련시간(wD)에 따른 감속횟수(M)

표 3. 주간훈련시간(wD)에 따른 경기수행(M) 차이검증결과(독립표본 t-test)

경기수행변수 집단 표본 평균 표준편차 t p
낮은wD 48 10354.4 841.3
총이동거리(m) 0.780 0.437
높은wD 41 10210.0 903.4
낮은wD 48 676.0 208.0
고강도러닝거리(m) 2.843 0.006**
높은wD 41 563.2 158.0
낮은wD 48 113.9 64.7
스프린트거리(m) 0.801 0.425
높은wD 41 103.5 56.9
낮은wD 48 26.6 7.9
가속횟수(회) 0.414 0.680
높은wD 41 25.9 9.2
낮은wD 48 41.6 11.3
감속횟수(회) 3.110 0.003**
높은wD 41 34.1 11.4
**p<.01
488 한국체육학회지 제63권 제2호

림 2>. 반면, 총이동거리(M), 스프린트거리(M), 가속횟수 반면, 총이동거리(M), 고강도러닝거리(M), 스프린트횟


(M)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M), 가속횟수(M)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주간총이동거리(wTD)에 따른 경기수행(M) 분석 3. 주간 외적 훈련부하(w)와 경기수행(M)과의


상관관계 분석
<표 4>는 주간총이동거리(wTD)에 따른 경기수행(M)
차이를 검증한 결과이다. 낮은wTD와 높은wTD에 따라 <표 5>는 주간 외적 훈련부하(w)와 경기수행(M)과의
각각 총이동거리(M)(10293.5±861.4m, 10282.1±885.5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한
m), 고강도러닝거리(M)(648.4±214.0m, 599.1±170.0m), 결과이다. 훈련시간(w)은 고강도러닝거리(M) 및 감속횟
스프린트거리(M)(108.2±57.9m, 110.1±64.9m), 가속횟수 수(M)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0.236, p=<0.05;
(M)(27.2±8.5회, 25.3±8.4회), 감속횟수(M)(41.1±12.1회, r=0.262, p=<0.05), 총이동거리(w)는 감속횟수(M)와 부(-)
35.1±11.0회)로 나타났다. 감속횟수(M)는 t=2.444, p= 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0.282, p=<0.01). 총이동거리
0.017 수준에서 낮은wTD 비해 높은wTD가 낮은 것으로 (w)와 감속횟수(M)는 r=-0.282, p=0.007로 가장 높은 부
나타났다<그림 3>. (-)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훈련시간(w)와 고강도러닝거
리(M)는 r=-0.236, p=0.026으로 가장 낮은 부(-)적 상관
관계를 보였다.
반면, 고강도러닝거리(w)는 고강도러닝거리(M) 및 가
속횟수(M)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r=0.249, p=<
0.05; r=0.242, p=<0.05), 가속횟수(w)는 고강도러닝거리
(M) 및 가속횟수(M)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
0.274, p=<0.01; r=0.370, p=<0.001), 감속횟수(w)는 고강도
러닝거리(M), 스프린트거리(M), 가속횟수(M) 및 감속횟
수(M)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0.323, p=<0.01; r=
Values are mean ± S.D. *p<.05 0.309, p=<0.01; r=0.218, p=<0.05; r=0.265, p=<0.05). 가속
그림 3. 주간총이동거리(wTD)에 따른 감속횟수(M) 횟수(w)와 가속횟수(M)는 r=0.370, p=0.000으로 가장 높

표 4. 주간총이동거리(wTD)에 따른 경기수행(M) 차이검증결과(독립표본 t-test)

경기수행변수 집단 표본 평균 표준편차 t p
낮은wTD 45 10293.5 861.4
총이동거리(m) 0.062 0.951
높은wTD 44 10282.1 885.5
낮은wTD 45 648.4 214.0
고강도러닝거리(m) 1.202 0.233
높은wTD 44 599.1 170.0
낮은wTD 45 108.2 57.9
스프린트거리(m) -0.145 0.885
높은wTD 44 110.1 64.9
낮은wTD 45 27.2 8.5
가속횟수(회) 1.085 0.281
높은wTD 44 25.3 8.4
낮은wTD 45 41.1 12.1
감속횟수(회) 2.444 0.017*
높은wTD 44 35.1 11.0
*p<.05
K리그 프로산하 U-18 축구선수들의 주간 외적 훈련부하와 경기수행과의 관계 489

표 5. 주간 외적 훈련부하(w)와 경기수행(M)과의 상관관계

총이동거리 (M) 고강도러닝거리 (M) 스프린트거리 (M) 가속횟수 (M) 감속횟수 (M)
훈련시간(w) -0.159 -0.236* -0.043 -0.200 -0.262*
총이동거리(w) -0.087 -0.183 0.008 -0.109 -0.282**
고강도러닝거리(w) -0.050 0.249* 0.206 0.242* -0.026
스프린트거리(w) -0.044 0.127 0.090 0.016 -0.034
가속횟수(w) -0.098 0.274** 0.208 0.370*** 0.150
감속횟수(w) -0.096 0.323** 0.309** 0.218* 0.265*
w: 경기 전 5일간 누적 훈련부하; M: 경기수행
*p<.05, **p<.01, ***p<.001

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낸 반면, 감속횟수(w)와 가 처방 지침으로 고려할 수 있다.


속횟수(M)는 r=0.218, p=0.040으로 가장 낮은 정(+)적 상
관관계를 보였다. 1. 주간훈련시간(wD)에 따른 경기수행(M) 분석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주에 한 경기가 있


논의 는 일반적인 단기주기의 경기 데이터를 제외한 5일간의
훈련 데이터를 합산하여 wD를 산출하였다. wD는 334분
에서 582분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평균 434.8분을 기준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프로산하 U18 축구선수의 일
으로 낮은wD(<434.8분) 및 높은wD(>434.8분)로 분류되
반적인 단기주기 내 주간 외적 훈련부하량(w)에 따른
었다. wD에 따른 경기수행 차이검증결과, 높은wD의 경
경기수행(M)을 분석하고 주간 외적 훈련부하(w)와 경기
우 고강도러닝거리(M)(676.0m>563.2m)와 감속횟수(M)
수행(M)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것이었다. 이로써 국
(41.6회>34.1회)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누적된 훈련
내 전반에 걸쳐 축구선수의 누적된 주간 외적 훈련부
시간이 운동수행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선행연구를
하를 정량화하고 경기수행과의 관계를 조사한 첫 번째
살펴보면, 럭비 선수의 훈련부하가 체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를 보고한다. 이러한 훈련부하를 평가하려는 시도
을 조사한 Gabbett & Domrow(2007)은 시즌 초반 훈련
는 엘리트 유소년 축구선수의 훈련부하에 대한 이해를
단계에서 훈련부하(RPE 기반)의 증가가 엘리트 럭비 선
확립하고 장기적인 신체 발달을 최적화하기 위해 매우
수의 민첩성 수행력을 현저히 감소시킨다고 보고하였
중요하다(Wrigley et al., 2012). 본 연구의 데이터는 경
다. 또한, Los Arcos, Martínez-Santos, Yanci, Mendigu-
기일(MD) 전 5일 동안 누적된 훈련시간(w)과 총이동거
chia, & Méndez-Villanueva(2015)은 축구 훈련 9주간 유
리(w)가 높을 경우(wD 434.8분 이상, wTD 30407.8m 이
산소 및 무산소 체력 변화를 모니터링한 결과, 총 4600
상) 경기수행 중 고강도러닝거리(M)와 감속횟수(M)가
분의 훈련시간(주간 평균 511분)을 완료했으며, 총 주간
유의하게 낮은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훈련시간(w), 총
훈련시간은 점프(arm swing CMJ) 및 스프린트(5m 및
이동거리(w)와 같은 단기주기 내 누적된 훈련은 경기수
15m Sprinting)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이는
행 중 고강도러닝거리(M) 및 감속횟수(M)와 부(-)적 상
훈련량(시간)의 과도한 축적이 프로 축구선수의 신경근
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고강도러닝거리(w), 가속횟수(w)
체력 매개변수(점프 및 스프린트)의 손상과 관련이 있음
및 감속횟수(w)와 같은 강도 높은 훈련부하는 경기수행
을 보여준 연구이다.
중 대부분의 고강도 활동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와는 대조적으로 훈련시간에 따른
이러한 데이터는 유소년 축구의 코치와 피지컬 실무자
점프 변화(CMJ)와 스프린트 수행력(5m 및 15m) 사이의
가 최적의 훈련 적응과 경기력 향상을 위한 팀의 훈련
490 한국체육학회지 제63권 제2호

낮은 상관관계를 보여준 연구도 존재한다(Gil-Rey, Lez- 2. 주간총이동거리(wTD)에 따른 경기수행(M) 분석


aun, & Los Arcos, 2015). 그러나 해당 연구는 9주 동안
평균 361분의 훈련시간을 나타냈으며, 비교적 낮은 훈 wTD는 22351m에서 40757m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련량으로 인해 신경근 수행력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주 평균 30407.8m을 기준으로 낮은wTD 및 높은wTD로 분
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볼 때, 류되었다. wTD에 따른 경기수행 차이검증결과, 높은
본 연구에서 wD가 상대적으로 높게 누적된 경우(434.8 wTD의 경우 감속횟수(M)(41.1회>35.1회)가 유의하게 낮
분 이상) 경기수행 중 무산소성 운동능력과 밀접한 관 게 나타났다. 누적된 이동거리가 운동수행력에 미치는
계가 있는 고강도러닝거리와 감속횟수가 유의하게 낮게 영향을 조사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9주간 훈련 동안
나온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Los Arcos, Yanci, Mendigu- 총이동거리의 양을 많이 축적한 축구선수에게 근력/파
chia, & Gorostiag(2014)는 훈련과 경기에 너무 많은 시 워 지표(스쿼트 점프 및 CMJ)가 낮게 나타난 Papadakis,
간을 할애하거나 말초 근육 및 관절의 과도한 긴장감은 Tymvios, & Patras(2020)의 연구결과는 본 연구의 높은
하지 근력의 방해 요인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 wTD에서 감속횟수가 유의하게 낮은 것과 같이 높은 이
한편, 본 연구와 유사하게 시즌 중 EPL 아카데미 축 무산소 능력을 손상시킬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럼에도
구선수의 한 경기가 있는 단기주기 내 훈련부하를 정 불구하고 본 연구의 높은wTD와 낮은wTD 사이에 고강
량화한 선행연구는 U18 연령대에서 398±30분의 wD를 도러닝 및 스프린트, 가속과 같은 고강도 지표에서 유의
보고했다(Hannon et al., 2021). 본 연구의 wD는 경기시 한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이는 이동거리 지표가 훈
간을 제외한 5일간의 훈련시간만 포함된 것과 대조적으 련 스트레스와 그에 따른 적응을 왜곡하거나 과소평가
로 Hannon et al.,(2021)의 연구는 주 4회 훈련(MD-3 휴 할 수 있는 가능성으로 인한 것일 수 있으며(Paquette,
식)과 1회 경기시간까지 포함되었다. 또 다른 유사한 연 Napier, Willy, & Stellingwerff, 2020), 총이동거리를 훈
구의 U18 연령대 선수들은 더 높은 wD(약 610분)를 보 련부하 모니터링의 유일한 지표로 활용하는 관행을 주
고했다(Wrigley et al., 2012). 이 연구에서 90분의 경기 의해야 함을 시사한다.
시간이 포함된 것을 고려하더라도 Hannon et al.(2021) 또한, 테이퍼링 관련 연구에서 육상선수들의 6일 테
이 보고한 훈련 및 경기시간보다 높은 수준이다. 흥미 이퍼링 동안 수행된 고강도 인터벌 훈련은 높은 총 테
롭게도 EPL 아카데미 U9-U21 연령대 축구선수의 훈련 스토스테론 농도의 변화와 상관관계가 있는 반면, 많은
을 모니터링한 연구에서는 U14 연령대(<477분) 이후 양의 저강도 지속주 훈련은 혈장 크레아틴 키나제(CK)
U15-U21 연령대까지 wD의 현저한 감소(<276분)를 발견 수준을 높이고 총 테스토스테론을 낮추는 것과 관련이
했으며, 이는 물리적인 경기의 주기화(경기와 회복)가 있었다(Mujika et al., 2000). 이 결과는 운동선수의 테이
시작된 결과인 것으로 제안했다(Brownlee et al., 2018). 퍼링 중 고강도 훈련이 회복을 촉진하는 동화 과정을
이렇듯 선행연구의 단기주기 내 wD는 일관되지 않으며, 유도하는 반면, 고볼륨 훈련은 동화 과정을 제한하고
국가와 클럽 간의 코칭 및 훈련 철학의 차이를 반영하 회복을 지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허나 흥미로운 점
고 있다. 비록 선행연구와 더불어 본 연구의 결과가 단 은 두 테이퍼링 프로토콜 모두 800m 육상 경기력에 영
기주기 내 (시간)의 과도한 훈련량의 축적이 유소년 축 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처럼 높은 훈련량은 유산소 능
구선수의 고강도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오히려 높은 훈
가능성을 보여주지만(Los Arcos et al., 2015; Los Arcos 련량과 유산소 체력 향상과의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보
et al., 2014; Gabbett & Domrow, 2007), 그럼에도 불구 고되고 있다. Gil-Rey Lezaun & Arcos(2015)는 9주간의
하고 최적의 경기 당일 경기수행을 촉진하는 wD를 결 훈련 동안 더 높은 훈련량을 축적한 선수가 Université
정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de Montreal 테스트 수행력을 향상시킬 가능성이 더 크
고, 유산소 능력의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높은 부하의
훈련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
K리그 프로산하 U-18 축구선수들의 주간 외적 훈련부하와 경기수행과의 관계 491

의 결과는 본 연구의 높은wTD가 경기수행 중 양적 요 다(Silva & Nobari, 2021; Modric et al., 2021c). 먼저 Silva
인(예: 총이동거리)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과 맥 & Nobari(2021)는 주간 고강도러닝 및 가속 훈련부하는
락을 함께 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것은 누적된 훈련 경기 고강도러닝 및 가속 부하와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
량의 증가로 인한 무산소성 능력의 손상 가능성과는 대 였다(r=0.366; p<0.01). 즉, 훈련 중 더 많은 고강도러닝
조적으로 유산소성 능력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과 가속횟수를 축적할수록 경기 중 더 많은 고강도러닝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과 가속횟수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본 연구의 훈
한편, Hannon et al.(2021)은 wTD를 분석한 결과, U18 련 중 고강도러닝거리 및 가속횟수와 경기 중 고강도러
그룹에서 주간 26.1±2.6km로 나타났다. 이러한 U18 선 닝거리 및 가속횟수 사이의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낸
수들의 wTD는 Anderson et al.,(2016)이 보고한 EPL 성 것과 유사하다(r=0.249, p=<0.05; r=0.370, p=<0.001). 더
인 선수 그룹의 매주 한 경기의 단기주기 동안 평균 25.9 욱이 Modric et al.(2021a)은 경기 결과와 MD-3의 고강
±2km를 완료한 연구와 매우 유사하다. 단, 본 연구에 도러닝 사이에 정(+)적 상관관계를 입증했으며(r=0.40, p=
서 모든 훈련 세션에 참여한 선수들을 포함시킨 것과 0.001), 시즌 중 고강도러닝의 적절한 부하의 중요성을
대조적으로 Hannon et al.(2021)은 총 세션 수의 70% 이 강력히 강조했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감속횟수(w)는 총
상을 완료한 선수를 포함했으며, 본 연구는 주 한 경기 이동거리(M)를 제외한 모든 경기수행(고강도러닝거리,
의 5일의 훈련을 완료했지만, Anderson et al.(2016)은 스프린트거리, 가속횟수 및 감속횟수)과 정(+)적 상관관
주 한 경기의 4일의 훈련을 완료했다. 이렇듯 축구에서 계를 보였다. 축구 경기의 후반부에 고강도 활동과 가
외적 부하 데이터의 수집은 현장에서 채택된 실제 절차 속 및 감속 지표가 감소하는 것이 일반적이라는 사실을
를 반영하여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주의 깊게 해석되어 고려한다면(Russell et al., 2016), 축구경기 정규 시간 90
야 하며(Rago et al., 2020), 잠재적인 혼란 요소(예: 준비 분 동안 강도 높은 움직임을 유지하기 위한 감속 훈련
운동의 정량화, 개인 훈련의 통제, 훈련과 경기 부하의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결과이다.
분류)를 통제하여 유소년 축구선수의 장기적인 발전을 그러나 이와는 대조적으로 Fox et al.(2018)는 훈련부
위해 최적의 훈련부하를 결정할 수 있는 추가 연구가 하와 경기 성과 사이의 관계를 조사한 체계적 검토에서
필요하다. 외적 훈련부하와 경기 성과 사이의 명확한 관계를 발견
하지 못했다. 하지만 해당 연구의 체계적 검토에 포함
3. 주간 외적 훈련부하(w)와 경기수행(M)과의 된 26개 연구는 축구 이외의 다양한 팀 스포츠를 포함
상관관계 분석 하는 기준을 적용했기 때문에 축구선수에게 일반화하기
에 무리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Modric et al.
주간 외적 훈련부하(w)와 경기수행(M)과의 상관관계 (2021c)은 축구선수가 훈련에서 더 낮은 외적 훈련부하
를 분석한 결과, 총이동거리(w)와 감속횟수(M)는 가장 값을 수행하면 경기에서 관련된 달리기 변수의 더 낮은
높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훈련시간(w)과 고강 값이 발생한다고 보고했다.
도러닝거리(M) 및 감속횟수(M) 간의 부(-)적 상관관계가 종합하면, 훈련과 경기의 달리기 변수(예: 총이동거
발견되었다. 이는 앞서 논의한 것과 같이 단기주기 내 리, 고강도러닝거리, 가속 및 감속횟수)에 대한 상관관
훈련량의 과도한 축적이 유소년 축구선수의 고강도 활 계를 입증한 연구결과에 따라 경기수행 변수는 훈련 세
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보여준다. 션의 외적 훈련부하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Silva
반면, 본 연구에서 가속횟수(w)와 가속횟수(M)가 가 & Nobari, 2021; Modric et al., 2021a, 2021c). 이는 논리
장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낸 것처럼 축구선수의 적으로 매주 훈련 중 높은 강도의 훈련부하에 지속적으
주간 훈련부하와 경기수행과의 관계를 조사한 선행연구 로 노출시키는 것이 경기에서의 고강도 활동을 더 효율
역시 훈련 중 고강도 활동과 경기 중 고강도 활동의 용 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량-반응 관계(dose-response relationship)가 있음을 밝혔 (Scott et al., 2014). 실제로 고강도러닝 및 스프린트와
492 한국체육학회지 제63권 제2호

같은 무산소 역치의 강도와 직접적으로 일치하는 높은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주에 한 경기가 있는


훈련부하를 제공하는 것은 무산소성 에너지 시스템을 단기주기 내에서 과도한 훈련(훈련시간 및 총이동거리)
자극하고(Modric et al., 2021b), 이는 경기에서 발생하는 의 축적은 경기수행 중 고강도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고강도 활동에 대한 적응력을 증대하여 궁극적으로 경 미칠 수 있다. 그러나 훈련 중 고강도 활동과 경기 중
기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과 유사하게 고강도 활동 사이에는 용량-반응 관계(dose-response
본 연구의 결과 역시 훈련 중 고강도러닝거리와 가속횟 relationship)가 있으므로, 경기 당일 고강도 활동을 더욱
수 및 감속횟수를 많이 축적할수록 경기 중의 고강도 촉진하기 위해 훈련 중 강도 높은 훈련 자극에 충분히
활동 수행(고강도러닝거리, 스프린트거리, 가속횟수, 감 노출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속횟수)도 증가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과도한 훈련량의 한편, 본 연구에는 논의가 필요한 제한점이 존재한
축적이 고강도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에 다. 먼저 한 시즌 동안 한 팀만을 관찰했다는 사실에서
도 불구하고 높은 훈련 강도에서 소비한 시간과 운동수 비롯되는 특정 변수(제한된 선수의 수, 경기 상대의 수
행력 향상 사이의 긍정적인 연관성이 보고되고 있으므 준, 특정 전술 요구 사항)는 보고된 결과에 영향을 미칠
로(Castagna, Impellizzeri, Chaouachi, & Manzi, 2013; 수 있다. 또한, 축구 경기력의 중요한 결정 요인으로 알
Castagna, Impellizzeri, Chaouachi, Bordon, & Manzi, 2011; 려진 선수들의 심리-생리학적 반응(예: 심박수 및 RPE
Martin et al., 2023), 본 연구는 유소년 축구선수의 최적 등)에 대한 자료가 수집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
의 훈련 적응과 경기 당일의 경기수행을 촉진하기 위해 구는 비교적 간단한 방법론(즉, GPS로 얻은 주간 외적
단기주기 내 고볼륨 훈련(high-volume training)을 피하 훈련부하와 경기수행을 분석)을 적용하여 연구하였지만,
고 충분한 고강도 훈련(high-intensity training) 자극을 팀 스포츠에서 경기력에 미치는 요인은 매우 다원적이
보장해야 함을 강조한다. 고 복잡하므로(Chmura et al., 2021), 더욱 상세한 실험
적 접근과 관찰 방법론의 혼합 사용을 요구할 수 있다
(Pic, 2018). 그럼에도 본 연구에는 몇 가지 시사점이 존
결론 및 제언 재한다. 첫째, 본 연구는 유소년 축구선수의 두 가지 GPS
기반 달리기 변수(주간 외적 훈련부하 및 경기수행)를
동시에 평가하고 훈련부하와 경기수행과의 관계를 분석
본 연구는 유소년 축구선수의 훈련 적응과 경기력 향
한 첫 번째 연구이다. 또한, 경기 당일 경기수행을 촉진
상을 위한 최적의 훈련부하를 결정하기 위해 국내 프로
하기 위한 국내 프로산하 U18 축구팀 고유의 주간 외적
산하 U18 축구팀 고유의 계획적인 단기주기 외적 훈련
훈련부하를 정량화한 점이다. 이러한 결과를 유사한 표
부하와 경기수행을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본 및 경쟁 수준의 선수들을 위한 훈련 주기화의 기초
도출하였다.
자료로 제공될 수 있으며, 단기주기의 훈련 처방 지침
첫째, 높은 주간훈련시간(wD)의 경우 경기수행 중 고
으로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명백한 제한점에도 불구
강도러닝거리(M)와 감속횟수(M)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
하고 본 연구가 해당 분야에 대한 지식과 후속 연구에
났다.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a)더 큰
둘째, 높은 주간총이동거리(wTD)의 경우 경기수행 중
규모의 통제된 무작위 선수 집단 연구를 통해 귀납적
감속횟수(M)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증거를 확보해야 하며, (b)훈련부하에 대한 보다 포괄적
셋째, 주간 가속횟수(w)와 경기 가속횟수(M)는 가장
인 이해를 위해 내적 훈련부하 데이터를 포함하고 (c)경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주간 총이동거리
기수행에 더욱 민감하게 작용하는 기간(예: MD-n)에 대
(w)와 경기 감속횟수(M)는 가장 높은 부(-)적 상관관계
한 영향을 조사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를 보였다.
K리그 프로산하 U-18 축구선수들의 주간 외적 훈련부하와 경기수행과의 관계 493

참고문헌 Brink, M. S., Nederhof, E., Visscher, C., Schmikli, S.


L., & Lemmink, K. A. (2010). Monitoring load,
recovery, and performance in young elite
이용수, 권준현(2021). FIFA U-20 월드컵 한국 축구
soccer players. The Journal of Strength &
대표팀 선수의 경기 중 포지션별 이동거리
Conditioning Research, 24 (3), 597-603.
및 활동형태 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30(5),
Brito, J., Hertzog, M., & Nassis, G. P. (2016). Do
1165-1174.
match-related contextual variables influ-
Anderson, L., Orme, P., Di Michele, R., Close, G.
ence training load in highly trained soccer
L., Morgans, R., Drust, B., & Morton, J. P.
players?. The Journal of Strength & Condi-
(2016). Quantification of training load during
tioning Research, 30 (2), 393-399.
one-, two- and three-game week schedules
Brownlee, T. E., O’Boyle, A., Morgans, R., Morton,
in professional soccer players from the
J. P., Erskine, R. M., & Drust, B. (2018).
English Premier League: Implications for
Training duration may not be a predisposing
carbohydrate periodisation. Journal of Sports
factor in potential maladaptations in talent
Sciences, 34 (13), 1250-1259.
development programmes that promote early
Andrzejewski, M., Chmura, P., Konefał, M., Kow-
specialisation in elite youth soccer. Inter-
alczuk, E., & Chmura, J. (2018). Match out-
national Journal of Sports Science & Coa-
come and sprinting activities in match play
ching, 13 (5), 674-678.
by elite German soccer players. The Journal
Castagna, C., Impellizzeri, F. M., Chaouachi, A., &
of Sports Medicine and Physical Fitness, 58
Manzi, V. (2013). Preseason variations in
(6), 785-792.
aerobic fitness and performance in elite-
Bangsbo, J. (1994). Energy demands in competitive
standard soccer players: A team study. The
soccer. Journal of Sports Sciences, 12 (sup1),
Journal of Strength & Conditioning Res-
S5-S12.
earch, 27 (11), 2959-2965.
Bloomfield, J., Polman, R., & O’Donoghue, P. (2007).
Castagna, C., Impellizzeri, F. M., Chaouachi, A., Bor-
Physical demands of different positions in
don, C., & Manzi, V. (2011). Effect of train-
FA Premier League soccer. Journal of Sports
ing intensity distribution on aerobic fitness
Science & Medicine, 6 (1), 63.
variables in elite soccer players: A case
Bourdon, P. C., Cardinale, M., Murray, A., Gastin, P.,
study. The Journal of Strength & Condi-
Kellmann, M., Varley, M. C., ... & Cable, N.
tioning Research, 25 (1), 66-71.
T. (2017). Monitoring athlete training loads:
Chena, M., Morcillo, J. A., Rodríguez-Hernández, M.
Consensus statement. International Journal
L., Zapardiel, J. C., Owen, A., & Lozano, D.
of Sports Physiology and Performance, 12
(2021). The effect of weekly training load
(s2), S2-161.
across a competitive microcycle on contex-
Bowen, L., Gross, A. S., Gimpel, M., & Li, F. X. (2017).
tual variables in professional soccer. Inter-
Accumulated workloads and the acute:
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Chronic workload ratio relate to injury risk
and Public Health, 18 (10), 5091.
in elite youth football players. British Journal
Chmura, P., Konefał, M., Chmura, J., Kowalczuk,
of Sports Medicine, 51 (5), 452-459.
E., Zając, T., Rokita, A., & Andrzejewski, M.
494 한국체육학회지 제63권 제2호

(2018). Match outcome and running perfor- sports: A systematic review. Sports Medi-
mance in different intensity ranges among cine, 48, 2743-2774.
elite soccer players. Biology of Sport, 35 (2), Gabbett, T. J., & Domrow, N. (2007). Relationships
197-203. between training load, injury, and fitness in
Chmura, P., Liu, H., Andrzejewski, M., Chmura, J., sub-elite collision sport athletes. Journal of
Kowalczuk, E., Rokita, A., & Konefał, M. Sports Sciences, 25 (13), 1507-1519.
(2021). Is there meaningful influence from Gamble, P. (2013). Strength and conditioning for
situati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team sports: Sport-specific physical prepa-
the physical and technical activity of elite ration for high performance. Routledge.
football players? Evidence from the data of Gastin, P., Fahrner, B., Cook, J., Huntsman, E.,
5 consecutive seasons of the German Bun- Meyer, D., & Robinson, D. (2010). The eff-
desliga. PLoS One, 16 (3), e0247771. ect of weekly training load on game day
Clemente, F. M., Rabbani, A., Conte, D., Castillo, D., performance is influenced by repeat speed
Afonso, J., Truman Clark, C. C., ... & Kne- in elite Australian Rules football players.
chtle, B. (2019). Training/match external Journal of Science and Medicine in Sport,
load ratios in professional soccer players: A 12, e125-e126.
full-season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Gil-Rey, E., Lezaun, A., & Los Arcos, A. (2015).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Quantification of the perceived training load
16 (17), 3057. and its relationship with changes in phys-
Coutinho, D., Gonçalves, B., Figueira, B., Abade, E., ical fitness performance in junior soccer
Marcelino, R., & Sampaio, J. (2015). Typical players. Journal of Sports Sciences, 33 (20),
weekly workload of under 15, under 17, and 2125-2132.
under 19 elite Portuguese football players. Hannon, M. P., Coleman, N. M., Parker, L. J., Mc-
Journal of Sports Sciences, 33 (12), 1229- Keown, J., Unnithan, V. B., Close, G. L., ...
1237. & Morton, J. P. (2021). Seasonal training and
Coutts, A. J., Crowcroft, S., & Kempton, T. (2021). match load and micro-cycle periodization
Developing athlete monitoring systems: in male Premier League academy soccer
Theoretical basis and practical applications. players. Journal of Sports Sciences, 39 (16),
In Recovery and Well-being in Sport and 1838-1849.
Exercise (pp. 17-31). Routledge. Impellizzeri, F. M., Rampinini, E., & Marcora, S. M.
Cunanan, A. J., DeWeese, B. H., Wagle, J. P., Car- (2005). Physiological assessment of aerobic
roll, K. M., Sausaman, R., Hornsby, W. G., ... training in soccer. Journal of Sports Sci-
& Stone, M. H. (2018). The general adapta- ences, 23 (6), 583-592.
tion syndrome: A foundation for the con- Los Arcos, A., Martínez-Santos, R., Yanci, J., Mendi-
cept of periodization. Sports Medicine, 48, guchia, J., & Méndez-Villanueva, A. (2015).
787-797. Negative associations between perceived
Fox, J. L., Stanton, R., Sargent, C., Wintour, S. A., training load, volume and changes in phys-
& Scanlan, A. T. (2018). The association bet- ical fitness in professional soccer players.
ween training load and performance in team Journal of Sports Science & Medicine, 14
K리그 프로산하 U-18 축구선수들의 주간 외적 훈련부하와 경기수행과의 관계 495

(2), 394. players? A position-specific analysis. Res-


Los Arcos, A., Yanci, J., Mendiguchia, J., & Goros- earch in Sports Medicine, 29 (4), 336-348.
tiaga, E. M. (2014). Rating of muscular and Modric, T., Versic, S., & Sekulic, D. (2021c). Rela-
respiratory perceived exertion in professio- tions of the weekly external training load
nal soccer players. The Journal of Strength indicators and running performances in pro-
& Conditioning Research, 28 (11), 3280- fessional soccer matches. Sport Mont, 19
3288. (1), 31-37.
Malone, J. J., Di Michele, R., Morgans, R., Burgess, Modric, T., Versic, S., Sekulic, D., & Liposek, S.
D., Morton, J. P., & Drust, B. (2015). Sea- (2019). 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sonal training-load quantification in elite running performance and game perform-
English premier league soccer players. In- ance indicators in professional soccer
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Physiology and player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
Performance, 10 (4), 489-497. 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6 (20),
Manzi, V., D’Ottavio, S., Impellizzeri, F. M., Chaou- 4032.
achi, A., Chamari, K., & Castagna, C. (2010). Mujika, I., Goya, A., Padilla, S., Grijalba, A., Goros-
Profile of weekly training load in elite male tiaga, E., & Ibanez, J. (2000). Physiological
professional basketball players. The Journal responses to a 6-d taper in middle-distance
of Strength & Conditioning Research, 24 runners: Influence of training intensity and
(5), 1399-1406. volume.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Martin, M., Rampinini, E., Bosio, A., Azzalin, A., Mc- Exercise, 32 (2), 511-517.
Call, A., & Ward, P. (2023). Relationships Oliveira, R., Brito, J. P., Loureiro, N., Padinha, V.,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load meas- Ferreira, B., & Mendes, B. (2020). Does the
ures and fitness level changes in profes- distribution of the weekly training load acc-
sional soccer players. Research Quarterly ount for the match results of elite profes-
for Exercise and Sport, 94 (3), 760-772. sional soccer players?. Physiology & Beha-
Martín-García, A., Díaz, A. G., Bradley, P. S., Mor- vior, 225, 113118.
era, F., & Casamichana, D. (2018). Quanti- Oliveira, R., Brito, J. P., Martins, A., Mendes, B.,
fication of a professional football team’s Marinho, D. A., Ferraz, R., & Marques, M.
external load using a microcycle structure. C. (2019). In-season internal and external
The Journal of Strength & Conditioning training load quantification of an elite Euro-
Research, 32 (12), 3511-3518. pean soccer team. PLoS One, 14 (4), e0209393.
Modric, T., Jelicic, M., & Sekulic, D. (2021a). Rela- Owen, A. L., Lago-Peñas, C., Gómez, M. Á., Men-
tive training load and match outcome: Are des, B., & Dellal, A. (2017). Analysis of a
professional soccer players actually under- training mesocycle and positional quantifi-
trained during the in-season?. Sports, 9 (10), cation in elite European soccer players.
139.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Science &
Modric, T., Versic, S., & Sekulic, D. (2021b). Does Coaching, 12 (5), 665-676.
aerobic performance define match running Papadakis, L., Tymvios, C., & Patras, K. (2020). The
performance among professional soccer relationship between training load and fit-
496 한국체육학회지 제63권 제2호

ness indices over a pre-season in profes- The physical demands of professional soc-
sional soccer players. The Journal of Sports cer players during in-season field-based
Medicine and Physical Fitness, 60 (3), 329- training and match-play. Journal of Austral-
337. ian Strength and Conditioning, 22 (4), 48-52.
Paquette, M. R., Napier, C., Willy, R. W., & Stelling- Silva, R., & Nobari, H. (2021). Relationship between
werff, T. (2020). Moving beyond weekly training load and match running perform-
“distance”: optimizing quantification of ance in men’s soccer. Journal of Men’s
training load in runners. Journal of Ortho- Health, 17 (4), 92-98.
paedic & Sports Physical Therapy, 50 (10), Stevens, T. G., de Ruiter, C. J., Twisk, J. W., Savels-
564-569. bergh, G. J., & Beek, P. J. (2017). Quantifi-
Pic, M. (2018). Performance and home advantage cation of in-season training load relative to
in handball. Journal of Human Kinetics, 63, match load in professional Dutch Eredivisie
61. football players. Science and Medicine in
Rago, V., Brito, J., Figueiredo, P., Costa, J., Barr- Football, 1 (2), 117-125.
eira, D., Krustrup, P., & Rebelo, A. (2020). Teixeira, J. E., Forte, P., Ferraz, R., Leal, M., Rib-
Methods to collect and interpret external eiro, J., Silva, A. J., ... & Monteiro, A. M.
training load using microtechnology incor- (2021). Quantifying sub-elite youth football
porating GPS in professional football: A weekly training load and recovery varia-
systematic review. Research in Sports Medi- tion. Applied Sciences, 11 (11), 4871.
cine, 28 (3), 437-458. Turner, A. (2011).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eri-
Russell, M., Sparkes, W., Northeast, J., Cook, C. J., odization: A brief review. Strength & Con-
Love, T. D., Bracken, R. M., & Kilduff, L. P. ditioning Journal, 33 (1), 34-46.
(2016). Changes in acceleration and decel- Wrigley, R., Drust, B., Stratton, G., Scott, M., &
eration capacity throughout professional Gregson, W. (2012). Quantification of the
soccer match-play. Journal of Strength and typical weekly in-season training load in
Conditioning Research, 30 (10), 2839-2844. elite junior soccer players. Journal of Sports
Scott, B. R., Lockie, R. G., Davies, S. J., Clark, A. Sciences, 30 (15), 1573-1580.
C., Lynch, D. M., & de Jonge, X. J. (2014).

논문투고일: 2024. 01. 31


논문심사일: 2024. 02. 23
심사완료일: 2024. 03. 13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