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91

국제해상위험물규칙 (IMDG Code) 교육 교재

- 전문가초청강연(09.10.27) -

인천지방해양항만청
선원해사안전과
순 서
1. 제1장 국제해상위험물규칙(IMDG Code) 소개 ----- 1

2. 제 2장 위험물 분류 -------------------------------- 5

3. 제3장 위험물 포장, 표시, 표찰 및 명찰 -------------- 44

4. 제4장 위험물의 격리 ------------------------------ 169

5. 제 5장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설명 ----------- 185


제1장 국제해상위험물규칙(IMDG Code) 소개

1. 위험물 운송을 위한 국제기준의 개발

오래 전부터 여러 해운국가에서는 선박으로 운송되는 위험물로부터 선원의 인명과 재산 그리


고 해양환경을 보호하기 위하여 다양한 조치를 취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조치는 국가에 따
라 사용되는 전문용어가 서로 달랐고, 특히 위험물의 확인 및 표찰에 있어서 차이점이 많았으
며, 포장 및 적재에 관한 규정도 달랐다.
이처럼 다소 복잡한 상황 때문에 위험물의 운송과 직ㆍ간접적으로 관련된 모든 사람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어 왔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UN의 경제사회이사회에서는 모든 운송형태에 적용할 수 있는
위험물운송에 관한 표준화된 기준의 개발과 국제적인 규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위험물운송전
문위원회를 지정하였으며, 동 위원회는 1956년 위험물을 성질에 따라 분류하여 목록을 만들고
위험물 표찰과 운송서류 등에 관한 기준을 포함한 위험물운송에 관한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이 보고서가 개정을 거듭하여 현재 위험물운송의 모태인 UN 위험물운송권고집이 되었다.
한편 국제해사기구(IMO)는 1960년 해상에서의 인명안전협약(SOLAS)의 권고를 수용하여 위험
물의 해상운송분야에 상당한 경험이 있는 국가들로부터 전문가를 모집하여 작업반을 구성할
것을 해사안전위원회(MSC)에 지시하였으며, 동 작업반은 UN에서 개발한 위험물운송 권고를
토대로 UN의 위험물운송전문위원회의 도움을 받아 1961~ 1965 년까지 위험물의 해상운송
에 관한 세부기준의 제정 작업을 하여, 현재 SOLAS 제7장 A편에 근거한 국제해상위험물규칙
(IMDG Code)을 개발하였다.

2. 포장형태의 위험물 운송과 IMDG Code

해상으로 운송되는 위험물은 운송형태에 따라서 크게 산적으로 운송되는 위험물과 포장형태로


운송되는 위험물로 분류되며, 산적으로 운송되는 위험물은 화물의 성상에 따라 산적액체화학
품, 산적고체위험물 및 산적액화가스로 세분화되고 이러한 위험물에 적용되는 국제기준도 각
기 다르다.

해상으로 운송되는 위험물 중 포장형태로 운송되는 위험물에 적용되는 국제기준이 IMDG


Code이다.
IMDG Code는 2004년 1월 1일부터 포장위험물관련 SOLAS 규정이 강제화되면서 국제법이
되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IMDG Code가 강제화 되기 전에 자국 법으로 관련협약
을 수용하여 이를 이행하고 있었으며, 우리나라 또한 1979년부터 법적 근거를 마련하여 포장
위험물의 해상운송에 따른 안전을 도모하여 왔다.
포장위험물은 산적으로 운송되는 위험물과 달리 대부분이 육상에서 제조자 또는 화주에 의하
여 컨테이너에 수납되어 운송되는데, IMDG Code는 이러한 위험물을 특성에 따라 제1급(화약
류)부터 제9급(기타 유해성물질)까지 분류한 후, 이들 위험물의 표시 및 표찰, 포장방법 및 포
장용기 기준, 선적관련 서류, 컨테이너에 의한 위험물 운송, 선박 적재방법 및 위험물 상호간
의 격리, 위험물의 화재 또는 유출시 비상조치법, 인명사고시 의료응급처치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3. 개발 및 채택

IMDG Code는 1960년 IMO가 SOLAS 협약의 권고를 수용하여 1961년부터 1965년 동안 해사
안전위원회(MSC) 하부에 위험물운송 작업반을 구성하여, UN 위험물운송전문가위원회의 도움
을 받아 개발하였으며, 1965년 채택하였다.

4. 개정 및 강제화

IMDG Code는 매 2년마다 IMO의 MSC 소위원회인 DSC에서 개정작업을 하고 있으며, 2004
년 1월 1일부터 SOLAS 관련 구문을 강제화 함으로서 국제법이 되었다.

5. 적용범위

IMDG Code는 여러 가지 운송수단 중, 해상으로 운송되는 포장형태의 위험물에만 적용 된다.


6. 적용협약 및 국내법

IMDG Code는 SOLAS 협약 제7장 A부분 및 MARPOL(73/78) 부속서 3의 적용을 받고 있으


며, 우리나라는 선박안전법 및 해양환경관리법으로 관련협약을 수용하였다
7. IMDG Code의 구성

IMDG Code는 제1권, 제2권 및 그 부속서로 구성되어 있다

7.1 제1권(Volume 1)

제1장- 일반규정, 용어정의, 훈련 및 보안규정


제2장- 위험물 분류
제4장- 포장 및 탱크 규정
제5장- 운송 절차
제6장- 포장용기, 중형산적용기(IBCs), 대형용기, 이동식 탱크, 집합형 압력용기(MEGCs)
및 도로용 탱크차량의 구조 및 시험
제7장- 운송관련 규정

7.2 제2권(Volume 2)

제3장 - 위험물 목록 및 제한된 양(소량 위험물)의 적용제외


제 2장 위험물 분류
1 일반사항

1.1 위험물의 정의

위험물(dangerous goods)이란 함은 화학적, 물리적 또는 생리적 성질상 그 물질 자체의 특


성, 서로 다른 2종류 이상의 물질의 접촉 또는 특별한 상황하에서의 마찰, 압력, 주위온도 등
으로 인하여 폭발, 인화성, 유독성, 부식, 방사성, 질식, 자연발화, 전염, 중합, 동상 등을 초래
하여 인간, 생명체 또는 환경에 위험을 야기시키는 물질 또는 제품을 말한다.

1.2 위험물의 분류

위험물은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

(1) 제1급(Class 1) - 화약류 (Explosives)


(2) 제2급(Class 2) - 가스류 (Gases)
- 제2.1급(Class 2.1) : 인화성 가스(flammable gases)
- 제2.2급(Class 2.2) : 비인화성, 비독성 가스(non-flammable, non-toxic gases)
- 제2.3급(Class 2.3) : 독성가스(toxic gases)
(3) 제3급(Class 3) - 인화성 액체 (Flammable liquids)
(4) 제4급(Class 4) - 가연성 물질(Flammable substances)
- 제4.1급(Class 4.1) : 가연성 고체(flammable solids), 자체반응성 물질(self-
reactive substances) 및 둔감화된 화약류(desensitized explosives)
- 제4.2급(Class 4.2) : 자연 발화성 물질(substances liable to spontaneous
combustion)
- Class 4.3 : 물과 접촉시 인화성 가스를 방출하는 물질(substances which, in
contact with water, emit flammable gases)
(5) 제5급(Class 5) : 산화성 물질 및 유기과산화물(Oxidizing substances and Organic
peroxides)

- 제5.1급(Class 5.1) : 산화성 물질(oxidizing substances)


- 제5.2급(Class 5.2) : 유기과산화물(organic peroxides)
(6) 제6급(Class 6) : 독물 및 전염성 물질(Toxic and infectious substances)
- 제6.1급(Class 6.1) : 독물(toxic substances)
- 제6.2급(Class 6.2) : 전염성 물질(infectious substances)
(7) Class 7 : 방사성 물질 (Radioactive materials)
(8) Class 8 : 부식성 물질 (Corrosives substances)
(9) Class 9 : 기타의 위험물질 및 제품 (Miscellaneous dangerous substances and
articles)

1.3 해양오염물질 및 폐기물

1.3.1 제1급∼제9급으로 지정된 다수의 물질들은 해양오염물질(marine pollutants)로 간주된다. 어


떤 해양오염물질은 극도의 오염 가능성이 있으며, 이러한 물질은 극해양오염물질(severe
marine pollutants)로 확인된다.

1.3.2 폐기물(waste)은 자신의 위험성과 IMDG Code의 기준을 고려한 적절한 급(class)의 규정으
로 운송하여야한다. 본 IMDG Code에 적용을 받지 아니하지만 유해 폐기물의 국가간 이동 및
그 처리에 관한 바젤협약(Basel Convention)이 적용되는 폐기물은 제9급으로 운송할 수 있
다.

1.4 위험물의 포장등급 지정

포장의 목적상 제1급, 제2급, 제4.1급의 자체반응성물질, 제5.2급, 제6.2급 및 제7급을 제외


한 모든 위험물은 각 물질이 갖는 위험정도에 따라 3가지 등급으로 지정되며, 물질 또는 제품
에 대한 포장등급(packing group ; PG)은 그 물질 및 제품에 대한 개별 규정 에 명시되어 있
다.

포장등급의 종류 구 분
포장등급 Ⅰ (PGⅠ ) 높은 위험성을 갖는 것 (대위험도)

포장등급 Ⅱ (PG Ⅱ) 보통 정도의 위험성을 갖는 것 (중위험도)

포장등급 Ⅲ (PG Ⅲ) 낮은 위험성을 갖는 것 (소위험도)

1.5 유엔번호 및 적정선적명


위험물을 해상 운송할 때에는 모든 관련 종사자들로 하여금 필요한 주의 및 사고예방조치를
강구할 수 있도록, 그리고 사고 발생시 적절한 대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그 위험물을 확인시켜
주는 것이 필수적이다. 위험물을 확인시키는 방법으로는 위험물 선적서류를 작성하는 것과 위
험물이 담겨져 있는 포장화물에 위험물을 확인 할 수 있는 적정선적명 및 유엔번호를 기재하
고, 해당 위험물의 표시 및 표찰을 부착하며, 해양오염물질인 경우에는 해양오염물표시를 행
하는 것 등이 있다.

1.5.1 유엔번호(UN No. : United Nations Number)

IMDG Code에 수록되어 있는 위험물에는 적정선적명과 더불어 인식기호인 고유의 유엔번호


가 부여되어 있어서 비상조치시 또는 의료응급조치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일부 품목
에 대하여는 동일 적정선적명이라 하더라도 물질의 성상이나 농도에 따라 유엔번호가 다를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Proper Shipping Name (PSN) UN No.


SODIUM HYDROXIDE, SOLID 1823
SODIUM HYDROXIDE, SOLUTION 1824
SULPHURIC ACID, with more than 51% acid 1830
SULPHURIC ACID, with not more than 51% acid 2796

1.5.2 적정적명(PSN : Proper Shipping Name)

(1) 적정선적명이란 물질을 가장 정확하게 나타내는 등재부분으로서, IMDG Code의 위험물


목록(DGL) 또는 총목록(Index)에 대문자로 표기되어 있는 부분을 말한다. 제품의 물질명
뒤에 "see"라는 단어가 있는 경우 "Substance material or article"란에 표시된 명칭은
적정선적명의 동의어이며, 단지 참고용으로 수록되어 있다.

Substance,
MP Class UN No.
material or Article
TARS, LIQUID • 3 1999 적정선적명을 나타냄
Bitumen, see • 3 1999 TARS, LIQUID의 동의어
FURAN - 3 2389 적정선적명을 나타냄
FURFURAN, see - 3 2389 FURAN"의 동의어

(2) 국제표준기구(ISO)에서 승인한 약자 또는 명칭이 아닌 한, 그 물질을 표현할 목적으로 머


리글자명 또는 상품명만을 사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급에 대하여는 적정선적명을 추
가설명문으로 부기하여 상용명칭 또는 군사용 명칭을 사용할 수 있다.
(3) 숫자, 그리스 문자 및 다음과 같은 접두사들도 적정선적명에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 다.
"N―", "n―", "normal―", "sec―", "secondary―", "tert―", "tertiary―", "m―", "meta―",
"p―", "para―", "o―", "ortho―", "uns―", "sym―", "cis―", "trans―"
(4) 모든 위험물의 명칭을 IMDG Code에 수록한다는 것은 실제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해당
별표 또는 총목록에 수록되어 있지 아니하지만 위험물의 분류기준에 적합한 물질은
N.O.S. 등재명으로 하여야 한다. IMDG Code의 총목록에 수록된 아래의 4가지 형태의
등재명중 ②번 등재명으로 지정할 수 없으면 ③번 등재명으로, ②번과 ③번 등재명으로
지정할 수 없으면 ④번 등재명으로 지정하여야 한다.

UN
형 태 예
No.
① 단일 등재명(Single Entries) 1090 ACETONE
명확히 정의된 물질에 대한 등재명 1194 ETHYL NITRITE, SOLUTION
1133 ADHESIVES
1266 PERFUMERY PRODUCTS
② 포괄적 등재명(Generic Entries)
CARBAMATE PESTICIDE,
명확히 정의된 물질의 그룹에 대한 2757
SOLID, TOXIC
등재명
ORGANIC PEROXIDE, TYPE B,
3101
LIQUID
③ 특정 N.O.S. 등재명
1477 NITRATES, INORGANIC, N.O.S.
(Specific N.O.S.)
특정의 성질이 있는 물질의 그룹에
1987 ALCOHOLS, N.O.S.
해당하는 등재명
④ 일반 N.O.S. 등재명 FLAMMABLE SOLID, ORGANIC,
1325
(General N.O.S.) N.O.S.
1가지 이상의 급의 기준에 적합한 물
1993 FLAMMABLE LIQUID, N.O.S.
질의 그룹에 해당하는 등재명

1.6 여러 가지 위험성을 동시에 갖는 물질, 혼합물 및 용액의 분류

1.6.1 IMDG Code에 명칭이 명확하게 수록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2가지 이상의 위험성(다중 위험
성)을 갖는 물질, 혼합물 또는 용액의 급(class)을 결정할 때에는 위험성 우선 순위표를 이용
하여야 한다.
1.6.2 IMDG Code에 명칭이 명확하게 수록되어 있지 아니한 다중의 위험성을 갖는 물질, 혼합물 또
는 용액의 포장등급은 개개 물질의 위험성에 따라 지정된 포장등급 중에서 가장 엄격한 것을
위험성 우선 순위표와 상관없이 다른 포장등급에 우선하여 선택한다.
1.6.3 다음의 물질, 재료 또는 제품은 항상 주위험성의 우선순위를 갖기 때문에 위험성 우선순위표
에 포함시키지 않고 있다 :
(1) 제1급의 물질 및 제품 ;
(2) 제2급의 가스류 ;
(3) 제4.1급의 자체반응성물질과 둔감화된 화약류 ;
(4) 제4.2급의 자연 발화성 물질 ;
(5) 제5.2급의 물질 ;
(6) 제6.1급의 흡입독성으로 포장등급Ⅰ인 물질 ;
(7) 제6.2급의 물질 ; 및
(8) 제7급의 물질.
위험성 우선순위표(Precedence of hazard table)

급및 4.2 4.3 5.1 5.1 5.1 6.1,Ⅰ 6.1,Ⅰ 6.1 6.1 8,Ⅰ 8,Ⅰ 8,Ⅱ 8,Ⅱ 8,Ⅲ 8,Ⅲ
포장등급 Ⅰ Ⅱ Ⅲ 경피 경구 Ⅱ Ⅲ 액체 고체 액체 고체 액체 고체
3 Ⅰ 1 4.3 3 3 3 3 3 - 3 - 3 -
3 Ⅱ 1 4.3 3 3 3 3 8 - 3 - 3 -
1 2
3 Ⅲ 4.3 6.1 6.1 6.1 3 8 - 8 - 8 -
4.1 Ⅱ 1 4.2 4.3 5.1 4.1 4.1 6.1 6.1 4.1 4.1 - 8 - 4.1 - 4.1
4.1 Ⅲ 1 4.2 4.3 5.1 4.1 4.1 6.1 6.1 6.1 4.1 - 8 - 8 - 4.1
4.2 Ⅱ 4.3 5.2 4.2 4.2 6.1 6.1 4.2 4.2 8 8 4.2 4.2 4.2 4.2
4.2 Ⅲ 4.3 5.1 5.1 4.2 6.1 6.1 6.1 4.2 8 8 8 8 4.2 4.2
4.3 Ⅰ 5.1 4.3 4.3 6.1 4.3 4.3 4.3 4.3 4.3 4.3 4.3 4.3 4.3
4.3 Ⅱ 5.1 4.3 4.3 6.1 4.3 4.3 4.3 8 8 4.3 4.3 4.3 4.3
4.3 Ⅲ 5.1 5.1 4.3 6.1 6.1 6.1 4.3 8 8 8 8 4.3 4.3
5.1 Ⅰ 5.1 5.1 5.1 5.1 5.1 5.1 5.1 5.1 5.1 5.1
5.1 Ⅱ 6.1 5.1 5.1 5.1 8 8 5.1 5.1 5.1 5.1
5.1 Ⅲ 6.1 6.1 6.1 5.1 8 8 8 8 5.1 5.1
6.1 Ⅰ 경피 8 6.1 6.1 6.1 6.1 6.1
6.1 Ⅰ 경구 8 6.1 6.1 6.1 6.1 6.1
6.1 Ⅱ 흡입 8 6.1 6.1 6.1 6.1 6.1
6.1 Ⅱ 경피 8 6.1 8 6.1 6.1 6.1
6.1 Ⅲ 경구 8 8 8 6.1 6.1 6.1
6.1 Ⅲ 8 8 8 8 8 8
1
자체반응성 물질 및 둔감화된 화약류 이외의 제4.1급 물질 및 둔감화된 액체 화약류 이외의 제3급 물질.
2
살충살균제의 경우에는 제6.1급.

- 결합이 불가능함을 표시함.

1.7 시료의 운송

1.7.1 물질의 위험등급이 불확실하고 또한 더 자세하게 실험할 목적으로 운송되는 시료(sample) 물


질인 경우에는 하송인이 알고 있는 해당 물질에 대한 지식과 다음 사항을 적용하여 임시의 위
험등급, 적정선적명 및 확인번호로 지정하여야 한다.
- IMDG CODE의 분류기준 ; 및
- 상기의 위험성 우선순위.

1.7.2 이 규정을 이용하는 경우, 적정선석명에는 "SAMPLE" 이라는 단어를 추가하여야 하며(예;
FLAMMABLE LIQUID, N.O.S., SAMPLE), 시료 물질은 다음을 조건으로 하여 임시로 지정
된 적정선적명에 적용 가능한 규정에 따라 운송하여야 한다.

(1) 시료 물질이 운송 금지 물질로 간주되지 아니할 것 ;


(2) 시료 물질이 제 1급의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간주되지 아니하거나, 전염성 물질, 방사성
물질로 간주되지 아니할 것 ;
(3) 시료물질이 자체반응성 물질일 경우는 자체 반응성 물질 C형에, 유기과산화물이라면 유
기과산화물 C형과 일치할 것 ;
(4) 시료는 화물포장 당 2.5kg의 순질량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결합용기로 운송할 것 ; 및
(5) 시료는 다른 화물과 혼적하여 포장하지 말 것.
2 등급별 위험물 성질 및 규정

2.1 제1급(Class 1) - 화약류(Explosive substances)

2.1.1 정의 및 특성

(1) 폭발성 물질이라 함은 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주위에 손상을 줄 수 있을 정도의 온도, 압력
및 속도로 가스가 자체 발생 할 수 있는 고체 또는 액체물질(또는 혼합물질)을 말한다. 단,
지나치게 위험하여 운송할 수 없는 것 또는 주 위험성이 다른 급에 해당되는 것을 제외한
것이다.
(2) 폭발성 제품이라 함은 1종류 이상의 폭발성물질이 내장된 제품으로서 폭발성 물질이 내
장된 제품을 말한다. 폭발성 물질이 내장된 장치로서, 운송중에 부주의 또는 우발적인 원
인에 의하여 점화 또는 기폭 되어도 그 장치의 외부로 분사, 화재, 연기, 열 또는 굉음이
발생하지 아니할 정도의 양 또는 성질의 것을 제외한 것이다.
(3) 위에서 언급되지 아니한 물질 및 제품으로서, 실제적인 폭발효과 또는 화공효과를 발생시
킬 목적으로 제조된 것이다.
(4) 과도하게 민감하거나 자연 반응할 정도의 반응력을 가진 폭발성 물질은 운송을 금지한
다.

2.1.2 위험등급

포장의 종류가 가끔 그 위험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다(위험등급이 다중으로 지정된 경우에는


그러한 사항이 위험물 목록에 수록됨). 제1급의 여섯 가지 위험등급(hazard division)은 다음
과 같다.

■ 등급(Division) 1.1 : 대폭발 위험성을 가진 물질 및 제품.


■ 등급(Division) 1.2 : 발사 위험성은 있으나, 대폭발 위험성은 없는 물질 및 제품.
■ 등급(Division) 1.3 : 화재 위험성이 있으며 또한 약간의 폭파 위험성 혹은 그 양쪽 모두의
위험성은 있으나, 대폭발 위험성은 없는 물질 및 제품.
이 등급은 다음의 물질 및 제품으로 구성된다.
(a) 상당한 양의 복사열(radiant heat)을 발생하는 것
(b) 연달아 연소하며, 약간의 폭파효과 또는 발사효과 혹은 그 양쪽 모두의 효과를 발생시
키는 것.
■ 등급(Division) 1.4 : 중대한 위험성이 없는 물질 및 제품.
이 등급은 운송중 점화 또는 기폭된 경우에 경미한 위험성만을 나타내는 물질 및 제품으로
구성된다. 그 영향은 주로 포장화물에 국한되며, 또한 감지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 및 범위
의 파편발사는 없는 것을 말한다. 외부 화재로 인하여 포장화물의 내용물 전체가 사실상 순
간적으로 폭발하지 아니하는 것이어야 한다.
■ 등급(Division) 1.5 : 대폭발 위험성이 있는 매우 둔감한 물질.
이 등급은 대폭발 위험성은 있으나 둔감하기 때문에 통상적인 운송상태하에서는 기폭의 가
능성 또는 연소에서 폭발로 발전할 가능성이 거의 없는 물질로 구성된다.
■ 등급(Division) 1.6 : 대폭발 위험성이 없는 매우 둔감한 제품.
이 등급은 단지 매우 둔감한 폭약만이 내장되어 있으며, 우발적인 기폭 또는 전파의 가능성
이 거의 없다는 것이 증명된 제품으로 구성된다.

2.1.3 혼적구분 및 분류기호

만약 제1급 화물을 사고의 가능성 또는 운송되는 양(量)에 의하여 그러한 사고의 영향범위 양
자가 중대하게 증가되지 아니하도록 안전하게 적재 또는 운송할 수 있다면 서로 "혼적가능한
것(compatible)"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이 급에 수록된 화물은 여러 개의 혼적구
분(compatibility group)으로 분류되며, 각각 A부터 L까지(I는 제외), N 및 S의 문자로 표시
된다.
운송될 물질 및 제품의 설명 혼적구분 분류기호
기본 폭발성 물질 A 1.1A
기본 폭발성 물질이 내장되어 있어나 2개 이상의 효과적인 보보호장치가 부 B 1.1B
착되어 있지 아니한 제품. 폭파용 뇌관, 폭파용 조립 뇌관 및 모자형 뇌관과 1.2B
같은 몇몇 제품은 비록 기본 폭발성 물질이 내장되어 있지 아니하더라도 이 1.4B
에 포함됨
추진 폭발성 물질 또는 기타의 폭연 폭발성 물질 또는 그러한 폭발성 물질이 C 1.1C
내장된 제품 1.2C
1.3C
1.4C
2차 도폭 폭발성 물질, 흑색화약 또는 2차 도폭 폭발성 물질이 내장된 제품 D 1.1D
으로서, 각각의 경우 기폭장치가 없고 또한 추진장약이 장전되지 아니한 것. 1.2D
또는 기본 폭발성 물질이 내장되어 있고 2개 이상의 효과적인 보호 장치가 1.4D
부착된 것. 1.5D
2차 도폭 폭발성 물질이 내장된 제품으로서, 기폭장치가 없고 추진장약(인화 E 1.1E
성 액체나 겔 또는 자동 점화성 액체는 제외)이 장전된 것. 1.2E
1.4E
자체의 기폭장치를 갖춘 2차 도폭 폭발성 물질이 내장된 제품으로서, 추진장 F 1.1F
약(인화성 액체나 겔 또는 자동 점화성 액체는 제외)이 장전되지 아니한 것. 1.2F
1.3F
1.4F
운송될 물질 및 제품의 설명 혼적구분 분류기호
화공물질, 또는 화공물질이 내장된 제품, 또는 폭발성 물질과 조명제, 소이제, G 1.1G
최루-발연제(물과 반응하는 제품 또는 인, 인화합물, 자연발화성 물질, 인화성 1.2G
액체나 겔 또는 자동 점화성 액체가 내장된 제품은 제외)양자가 내장된 제품 1.3G
1.4G
폭발성 물질 및 인의 양자가 내장된 제품 H 1.2H
1.3H
폭발성 물질과 인화성 액체나 겔 양자가 내장된 제품 J 1.1J
1.2J
1.3J
폭발성 물질 과 독성 화학제 양자가 내장된 제품 K 1.2K
1.3K
폭발성 물질 또는 폭발성 물질이 내장된 제품으로서, 특별한 위험성(즉, 물과 L 1.1L
의 반응 또는 자동 점화성 액체, 인 또는 자연발화성 물질의 존재로 기인한 1.2L
것과 같은 것)이 있으며, 각 종류별로 격리가 요구되는 것. 1.3L
극도로 둔감한 도폭물질만이 내장된 제품 N 1.6N
화재에 의하여 포장화물의 품질이 저하된 것이 아니한, 우발적인 작동으로 인 S 1.4S
하여 발생하는 모든 위험효과가 포장화물 내에 국한되도록(이 경우, 모든 폭
파효과 또는 발사효과는 포장화물 바로 근처의 소화활동 또는 기타 비상대책
활동을 현저하게 방해하지 아니하는 정도의 범위내로 제한될 것)포장하고 설
계된 물질 및 제품

2.1.4 꽃불의 위험등급 할당

(1) 꽃불(fireworks)은 일반적으로 유엔 시험방법 및 판정기준의 시험시리즈6으로 얻어진 시


험자료를 근거로 하여 위험등급 1.1, 1.2, 1.3 및 1.4로 할당하여야 한다. 그러나 꽃불 제
품의 범위는 매우 많고, 사용가능한 시험설비는 한정되어 있을수 있기 때문에 꽃불의 위
험등급은 (2)항의 절차에 따라 할당할 수도 있다.
(2) 유엔번호 0333, 0334, 0335 또는 0336에 해당하는 꽃불은 시험시리즈6 시험을 실시할
필요 없이 무시험 꽃불분류표(default fireworks classification table)에 따라 유사성을
근거로 할당할 수 있다. 그러한 할당은 주무관청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이 표에 명시되지
아니한 제품은 유엔 시험방법 및 판정기준의 시험시리즈6으로 얻어진 시험자료를 근거로
분류하여야 한다.
(3) 2가지 이상의 위험등급에 속하는 꽃불을 동일한 포장화물에 포장하는 경우, 당해 포장화
물은 유엔 시험방법 및 판정기준 시험 시리즈6의 시험으로 얻어진 시험자료에 그렇지 아
니하다고 나타나 있지 아니하는 한 가장 위험한 위험 등급을 근거로 분류하여야 한다.
(4) 무시험 꽃불분류표에 명시된 분류는 화이버보드제 상자(4G)에 포장된 제품인 경우에만
적용한다.

2.2 제2급(Class 2) - 가스류(Gases)


2.2.1 정의 및 특성

고압가스는 보통 압력이 높은 기체상태를 말하며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진다 :

(1) 50℃에서 300kPa을 초과하는 증기압을 가지는 물질 ; 및


(2) 20℃, 표준압력 101.3kPa에서 완전히 기체인 물질.

2.2.2 종류

가스의 운송 상태에(물리적 상태)에 의하여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

(1) 압축가스(compressed gas) ;


- 운송용으로 가압 하에 포장된 경우, (-)50℃에서 완전히 기체의 가스
- 압축가스에는 임계온도가 (-)50℃ 이하인 모든 가스가 포함됨
(2) 액화 가스(liquefied gas) ;
- 운송용으로 포장된 경우, (-)50℃에서 부분적으로 액체인 가스
(a) 고압액화가스 : 임계온도가 (-)50℃와 (+)65℃사이의 가스
(b) 저압액화가스 : 임계온도가 (+)65℃를 초과하는 가스
(3) 냉동 액화가스(refrigerated liquefied gas) ;
- 운송용으로 포장된 경우, 자체의 저온 때문에 부분적으로 액체인 가스.
(3) 용해가스(gas in solution) ;
- 운송용으로 포장된 경우, 액상의 용제에 용해된 가스.

2.2.3 급의 세분

제2급은 운송 중 가스의 주위험성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분한다 :

(1) 제2.1급(Class 2.1) ; 인화성 가스(Flammable gases)


- 20℃ 및 101.3kPa에서 가스인 것.
- 공기와 13%(부피)로 이하로 혼합되었을 경우 발화할 수 있다.
- 연소 하한계와 상관없이 공기와 12%이상의 연소범위를 갖는다.
(2) 제2.2급(Class 2.2) ; 비인화성, 비독성 가스(Non-flammable, non-toxic gases)
- 20℃에서 280kPa 이상의 압력으로 운송되거나, 냉동 액체로 운송되는 가 스. 질
식성 및 산화성 등이 있다.
① 질식성 가스 - 일반적으로 대기에서 산소를 희박하게 하거나 치환시키는 가스.
② 산화성 가스 - 일반적으로 산소를 방출하여 공기 이상으로 다른 재료의 연소
를 조장하거나 그 원인이 되는 가스.
③ 다른 급에 해당되지 아니하는 가스.
(3) 제2.3급(Class 2.3) ; 독성가스(Toxic gases)
- 건강을 해칠 만큼 인간에게 독성 또는 부식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가스 ; 및
- LC50값이 5,000㎖/m3(ppm) 이하의 가스.

2.2.4 혼합가스의 분류

(1) 인화성(flammability)은 국제표준기구가 채택한 방법(ISO 표준 10156 : 1996 참조)에


따라 시험 또는 계산에 의한다.
(2) 독성(toxicity)의 정도는 다음의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
1
LC50 독성(혼합물) =

∑ n fi
i = 1──
Ti

fi = 혼합물의 i 성분 물질의 몰분율(mole friction).


Ti = 혼합물의 i 성분 물질의 독성지수(해당하는 경우)
(활용 가능한 경우 Ti는 LC50치와 동일함).
(3) 부식성(corrosivity)의 정도는 다음의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
1
LC50 부식성(혼합물) =

∑ n fci
i = 1──Tci
fci = 혼합물의 i 부식성 성분 물질의 몰분율(mole friction).
Tci = 혼합물의 i 부식성 성분 물질의 독성지수(해당하는 경우)
(활용 가능한 경우 Tci는 LC50치와 동일함).
(4) 산화 가능성(oxidizing ability)은 시험에 의하거나 또는 국제표준기구에서 채택한 방법으
로 결정한다.

2.3 제3급(Class 3) - 인화성 액체(Flammable liquids)


2.3.1 정의 및 특성

(1) 인화성 액체는 인화성(flammability)을 갖는 액체로서 상온에서 액체로서의 유동성을 갖


고 있다. 인화성 액체의 위험성은 인화점(flash point)에 의해 구분하며, 인화점이 상온 이
하인 물질은 상온에서 항상 발화원에 의해 인화의 위험성을 갖고 있다.
(2) 제 3급에는 다음의 물질이 포함된다 :
① 인화성 액체(Flammable liquids) ; 일반적으로 "인화점"을 참조하여, 밀폐용기시험
으로 61℃ 이하의 온도에서 인화성증기를 발산하는 액체 또는 액체 혼합물 또는 용
액이나 현탁액 상태로 고체가 함유된 액체를 말한다. 인화성 액체에는 다음의 물질도
포함된다 :
- 자신의 인화점 이상으로 운송이 요청되는 액체
- 액체상태로 고온(elevated temperature)으로 운송되거나 운송이 요청되는 물
질로서, 최고운송온도 이하의 온도에서 인화성 증기를 방출하는 물질.
② 둔감화된 액체 화약류(Liquid desensitized explosives) : 물이나 다른 액체 물질에
용해되거나 부유되어서 자신의 폭발 특성이 억제된 균일한 액체 혼합물 형태를 이룬
폭발성 물질.

2.3.2 인화성에 기초한 위험성 등급

인화성 액체는 자신의 인화점, 끓는점 및 점도에 따라 위험성 등급이 구분된다 :

인화점 (℃)
포장등급 초기비등점(IBP) (℃)
밀폐용기시험 (c.c.)
Ⅰ ― ≤35
Ⅱ <23 >35
Ⅲ ≥23 ― ≤60 >35

2.3.3 인화점의 결정

(1) 인화점(flash point)이라 함은 액체의 증기가 공기와 섞여서 발화성 혼합물을 형성하는
가장 낮은 액체 온도를 말한다. 즉, 정해진 양의 액체를 인화점보다 훨씬 낮은 온도로 용
기에 주입시킨 다음 서서히 가열하여 주기적으로 액체 표면상에 작은 화염을 접근시켜서
인화(flash)가 관측되는 가장 낮은 온도를 말한다. 인화점은 밀폐용기 시험방법(Closed
Cup Method)에 의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2) 휘발성 액체에 대하여 인화점을 표시하는 경우, 밀폐용기시험에 의하여 결정된 인화점은
"c.c." 부호로, 개방용기시험에 의하여 결정된 인화점은 "o.c." 부호로 표시한다.
(3) 시험방법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즉, 개방용기장치(개방용기 방법 : open-cup
methods) 또는 불꽃을 접근시키는 경우에만 개방되는 밀폐용기장치(밀폐용기 방법 :
closed-cup methods)가 그것이다. 일반적으로 개방용기시험에 의한 인화점은 밀폐용기
시험에 의한 것보다 몇도 정도 더 높다.
(4) 일반적으로, 밀폐용기장치에 의한 재현성(reproducibility)은 개방용기장치보다 더 좋다.
따라서 인화점 특히 23℃ 부근의 범위인 경우에는 밀폐용기(c.c) 방법에 의하여 결정하여
야 함을 권고한다.

인화점측정

0℃ 이상 80℃ 이하에서
0℃ 미만
80℃ 이하 측정되지 않음

인화점(태그 밀폐식)
에서의 동점도

10cSt미만 10cSt 이상

세타 밀폐식 클리블랜드 개방식


인화점 측정 인화점 측정

태그 밀폐식 인화점 세타 밀폐식 인화점 = 클리블랜드 개방식


= 인화점 인화점 인화점 = 인화점

2.4 제4급(Class 4) - 가연성 고체(Flammable solids), 자연 발화성 물질(Substances liable


to spontaneous combustion), 물과 접촉시 인화성 가스를 방출하는 물질(Substances
which, in contact with water, emit flammable gases)

2.4.1 정의 및 특성
제4급은 화약류로 분류된 물질 이외의 것으로서, 운송상태하에서 쉽게 연소하거나 또는 화재
를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을 말한다. 제4급은 다음과 같이 세분된다 :

제4.1급(class 4.1) - 가연성 고체(flammable solids) ; 조우하는 운송상태하에서 쉽게 연소


하거나 또는 마찰에 의하여 화재를 일으킬 수 있는 고체 ; 격렬한 발열분해를 일으키기 쉬운
자체 반응성 물(고체 및 액체) ; 충분하게 희석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폭발할 수 있는 감감화된
고체 화약류.

제4.2급(class 4.2) - 자연 발화성 물질(substances liable to spontaneous combustion) :


조우하는 통상적인 운송상태하에서 자연 발열하기 쉽거나 또는 공기와의 접촉으로 발열하기
쉬우며 또한 그 자체가 화재를 일으키기 쉬운 물질(고체 및 액체).
제4.3급(class 4.3) - 물과 접촉시 인화성 가스를 방출하는 물질(Substances which, in
contact with water, emit flammable gases) : 물과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인화하
기 쉽거나 또는 위험한 양의 인화성 가스를 방출하기 쉬운 물질(고체 및 액체).

2.4.2 제4.1급 - 가연성 고체

(1) 정의 및 특성
가연성 고체는 연소할 수 있는 고체 및 마찰에 의하여 화재를 일으킬 수 있는 고체를 말한
다. 이것은 점화원과 잠깐만의 접촉으로 쉽게 발화될 수 있는 경우에 위험하고 또한 화염
이 급속하게 확산되는 경우가 있다. 이 위험은 화재에서 유발될 수도 있고 독성의 연소생
성물에서 유발될 수 있다. 금속분말(metal powder)은 이산화탄소와 물과 같은 일반적인
소화제가 그 위험을 증가시키므로 소화의 어려움 때문에 특히 위험하다.
(2) 포장등급의 지정
① 포장등급 Ⅱ : 연소시간이 45초 미만(길이:100㎜)이고 젖어 있는 부분을 불꽃이 통
과되는 것이다. 금속 분말이나 금속 합금의 경우는 반응 영역이 5분 이내에 전체길이
(길이:250㎜)로 확산되는 경우.
② 포장등급 Ⅲ : 연소시간이 45초 미만이고 화염전파가 최소한 4분 동안 젖어있는 정
지되는 경우와 금속분말의 경우에는 그 반응이 5분을 초과하고 10분 이하의 시간에
시료 전체길이 (길이:250㎜)로 확산이 되는 경우.
(3) 가연성 고체의 분류 시험
① 예비선별 시험(preliminary screening test)
시험할 물질을 250㎜(L)×20㎜(W)×10㎜(H)의 크기로 만든 다음 한쪽 부분에 100
0℃이상의 점화원으로 연소 시킨 후 200㎜를 타 들어 가는데 일반 가연성 물질은 2
분, 금속 분말은 20분 이내에 완전히 연소가 되지 않는 경우를 시험한다.
② 연소율 시험(rate of burning)
분말, 과립 또는 반죽상의 물질은 아래의 시험 방법에 따라 실시한 1회 이상의 시험
에서 연소시간(time of burning)이 45초 미만이거나 또는 연소율(rate of burning)
이 2.2㎜/sec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쉽게 연소할 수 있는 고체로 분류하여야 한다. 금
속 또는 금속 합금의 분말은 해당 물질이 발화될 수 있고 그 반응이 10분 이내에 시
료 전체에 확산 된다면 제4.1급으로 분류하여야 한다.
제4.1급의 쉽게 연소할 수 있는 고체의 지정 흐름도(금속분말 제외)

시험물질


음성
선별시험
양성

연소율 시험
음성
양성

화염전파가 젖어있는
아니오 부분
에서 정지되어
있는가 ?

▼ ▼ ▼
제4.1급 제4.1급 쉽게 연소되지 않는
포장등급 II 포장등급 III 제4.1급의 고체

2.4.3 제4.1급 - 자체반응성 물질

(1) 정의 및 특성
① 산소(공기)가 관여 되지 아니하여도 강한 발열분해를 일으킬 수 있는 열적으 로불
안정한 물질이다.
② 열, 촉매적 불순물(산, 중금속 화합물, 염기)과의 접촉, 마찰 또는 충격으로 연소
한다.
③ 어떤 자체반응성 물질은, 특히 밀폐되어 있으면, 폭발적으로 분해될 수 있다.(희석제
첨가로 완화)
(2) 다음과 같은 물질인 경우에는 제4.1급의 자체반응성물질에서 제외한다 :
① 제1급의 기준에 따른 화약류인 경우
② 제5.1급의 지정절차에 따른 산화성 물질인 경우
③ 제5.2급의 기준에 따른 유기과산화물인 경우
④ 자신의 분해열(heat of decomposition)이 300 J/g 미만인 경우
⑤ 자기가속분해온도(SADT)가 50kg 포장화물에 대하여 75℃를 초과하는 경우.
(3) 자체반응성 물질의 화합물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
- 지방족 아조화합물( ―C―N=N―C― ) ;
- 유기 아지드류( ―C―N3 ) ;
- 디아조늄염( ―CN2+ Z― ) ;
- 노르말 니트로소 화합물( ―N― N=O ) ;
- 방향족 슬포히이드라지드류( ―SO2―NH―NH2 ).
(4) 자체반응성 물질은 위험정도에 따라 다음의 7가지 형태로 분류한다(A형∼G형) :
- 시험된 포장용기로 운송이 허용되지 아니하는 A형 ;
- 1개의 포장용기에 허용되는 최대질량과 직접적 관련이 있는 B형∼ F형 ;
- 자체 반응성 물질에 대한 규정을 따르지 아니하는 G형.
(5) 위험물 목록내의 적절한 총칭 등재명(UN 3221∼UN 3240까지)으로 지정된다 :
- 자체반응성 물질의 형태(B형∼ F형) ;
- 물리적 상태(액체/고체) ;
- 온도제어(요구시).

UN 제어 비상
농도 포장
총칭 자체 반응성 물질 온도 온도 비고
(%) 방법
등재명 (℃) (℃)
2,2'-AZODI(ETHYL-2-METHYL-
3235 100 OP7 +20 +25
PROPIONATE)
DIETHYLENEGLYCOL BIS(ALLYL
≥88
3237 CARBONATE +DI-ISOPROPYL- OP8 -10 0
+≤12
PEROXYDICARBONATE

(6) 위험물 목록에 수록되어 있지 아니한 자체반응성 물질을 분류 할 때에는 다음의 규칙을
적용하여야 한다.
- 자체반응성 물질 A형 : 운송 금지
- 자체반응성 물질 B형 : 25kg 이하의 양으로 포장(제1급의 부위험성 표찰을 부착)
- 자체반응성 물질 C형 : 포장된 상태(최대 50 kg), 제1급의 부위험성 표찰 없 이 운
송 가능
- 자체반응성 물질D 형 : 아래의 성질을 가진 물질은 순질량 50 kg 이하의 포 장용기
로 운송 가능.
(a) 부분적으로 폭발하고, 급속히 폭연하지 아니하며, 밀폐 하에서 가열했을 때 격
렬한 효과를 나타내지 아니하는 특성
(b) 전혀 폭발하지 아니하고, 천천히 폭연하며, 밀폐 하에서 가열했을 때 격렬 한 효
과를 나타내지 아니하는 특성
(c) 전혀 폭발 또는 폭연하지 아니하며, 밀폐 하에서 가열했을 때 중간정도의 효과
를 나타내는 특성
- 자체반응성 물질 E형 : 400kg/450ℓ 이하의 포장용기로 운송 가능
- 자체반응성 물질 F형 : 중형산적용기(IBCs)로 운송 가능
- 자체반응성 물질 G형 : 열적으로 안정(SADT가 50kg 포장용기에서 60℃∼ 75℃
사이인 것)되고, 모든 희석제가 규정에 적합한 경우.
(7) 포장등급의 지정
자체반응성 물질은 포장등급 Ⅱ(중위험도)로 지정된다.
(8) 온도 조절의 규정
자체 반응성물질의 자기가속분해속도(SADT)가 55℃ 이하인 경우에는 운송시 제어온도
(temperature control)에 따라야 한다.

2.4.4 제4.1급 - 둔감화된 고체 화약류

(1) 자신의 폭발성질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물 또는 알코올로 습윤 되거나 다른 물질로 희석되


어서 균질한 고체 혼합물로 형성된 폭발성 물질이다
(2) 둔감화제는 운송상태에서 그 물질에 균일하게 분포되어야 한다. 물을 함유하거나 물로 습
윤 된 물질이 저온 상태 하에서 운송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액체의 어는점을 낮추기 위하
여 알코올과 같은 적절하고 혼합 가능한 용제를 첨가하여야 경우도 있다. 둔감화된 고체
화약류로서 위험물목록에 등재된 것은 다음과 같다. UN 1310, UN 1320, UN 1321, UN
1322, UN 1336, UN 1337, UN 1344, UN 1347, UN 1348, UN 1349, UN 1354, UN
1355, UN 1356, UN 1357, UN 1517, UN 1571, UN 2555, UN 2556, UN 2557,
UN2852, UN2907, UN 3317, UN 3319, UN3344, UN 3364, UN 3365, UN 3366,
UN 3367, UN 3368, UN 3369, UN 3370, UN 3376
2.4.5 제4.2급 - 자연발화성 물질

(1) 정의 및 특성
① 운송중 통상적인 상태 하에서 자연 발열 하거나 공기와의 접촉으로 발열하며, 또한
화재를 일으킬 수 있는 액체 또는 고체로서 다음의 물질을 말한다.
- 자연 발화성 물질(pyrophoric substances)
- 자체 발열성 물질(self-heating substances).
② 자연발화(spontaneous combustion)를 유도하는 자체 발열(self-heating)은 산소
(공기중)와 그 물질의 반응에 의하여 일어나고, 발생된 열은 주변으로 신속하게 전도
되지 아니한다. 자연발화는 열발생율(rate of heat production)이 열손실율(rate of
heat loss)을 초과하여 자연발화온도에 도달 할 때 일어난다.
(2) 제4.2급의 지정
① 자연 발화성 물질(pyrophoric substances)은 혼합물 또는 용액(액체 또는 고체)을
포함하여 소량이라도 공기와의 접촉으로 5분 이내에 발화하는 물질을 말한다. 이러
한 물질은 자연발화(spontaneous combustion)가 매우 잘 일어난다. 자연 발화성 물
질의 시험은 다음과 같다 :
- 자연발화성 고체의 시험 : 1∼2㎖의 분말을 1m 높이에서 비가연성고체 표면위
로 떨어뜨려서 떨어지는 동안이나, 내려앉아서 5분 이내에 발화가 발생하는 것
을 말한다. 6번의 실험 중 1번이라도 양성의 결과가 나오면 제4.2급의 포장등급
Ⅰ로 한다.
- 자연 발화성 액체의 시험 ; 액체의 inert carrier를 넣거나 공기에 5분 동안 노출
시 발화되는 것이며, 발화가 일어나지 않을 경우 아래실험을 통하여 결정한다.
자기 컵에 규조토 또는 실리카겔을 20℃에서 5㎜ 높이로 넣은 후 정확히 5㎖의
액체를 자기 컵에 붓고 5분 만에 발화가 발생되는지를 관찰한다. 6회의 실험을
통하여 음성의결과가 나오면 다음 실험을 행한다. 0.5㎖를 주사기(syringe)로
여과지위에 옮긴다. 실험 온도는 25±2℃이고 상대습도는 50±5%이다. 액체의
첨가로 5분 이내에 발화되거나, 여과지에 발화되거나 태우는 때를 관찰한다(3회
실시). 위의 실험에 의해 양성의 결과가 나오면 제4.2급의 포장등급Ⅰ으로 분류
한다.
② 자체 발열성 물질(self-heating substances)은 자연 발화성 물질 이외의 물질로서,
에너지 공급 없이 공기와의 접촉으로 자체발열하기 쉬운 물질을 말한다. 이러한 물질
은 많은 양(kg) 및 장기간(몇 시간 또는 몇 일)경과 후에만 발화할 것이다. 자체 발열
성 물질의 시험은 다음과 같다 :
- 25㎜, 100㎜ 정육면체 시료를 오븐의 온도 100℃, 120℃, 140℃에서 시료를 이
용하여 자연발화(Spontaneous ignition) 또는 위험한 자체발열(Dangerous
self-heating)로 시료와 오븐 온도를 계속 기록하여 60℃차이가 발생되는가를
확인한다. 오븐의 온도를 140℃로 올려 24시간동안 유지한다.
(3) 포장등급의 지정
① 포장등급 Ⅰ : 모든 자연발화성의 고체 및 액체 물질.

② 포장등급 II : 140℃에서 100㎜ 정육면체 시료를 사용하여 양성의 결과가 나오는 자


체발열물질 (Self-heating substances).
③ 포장등급 Ⅲ :
- 140℃에서 100㎜ 정육면체 시료를 사용하여 얻은 값이 양성의 결과를 나타내
고, 140℃에서 25㎜ 정육면체 시료를 사용하여 얻은 값이 음성의 결과를 나타내
며, 또한 이 물질이 3㎥을 초과하는 용량의 포장화물로 운송될 예정인 경우.
- 140℃에서 100㎜ 정육면체 시료를 사용하여 얻은 값이 양성의 결과를 나타내
고, 140℃에서 25㎜ 정육면체 시료를 사용하여 얻은 값이 음성의 결과를 나타내
며, 120℃에서 100㎜ 정육면체 시료를 사용하여 얻은 값이 양성의 결과를 나타
내고, 또한 이물질이 450ℓ를 초과하는 용량의 포장화물로 운송될 예정인 경우.
- 140℃에서 100㎜ 정육면체 시료를 사용하여 얻은 값이 양성의 결과를 나타내
고, 140℃에서 25㎜ 정육면체 시료를 사용하여 얻은 값이 음성의 결과를 나타내
며, 또한 100℃에서 100㎜ 정육면체 시료를 사용하여 얻은 값이 양성의 결과를
나타내는 경우.
(4) 제4.2급의 적용 제외 물질
다음의 경우 제4.2급으로 분류되지 아니하여야 한다.
(1) 140℃에서 100㎜ 정육면체 시료를 사용하여 얻은 값이 음성의 결과를 나타내는 경

(2) 140℃에서 100㎜ 정육면체 시료를 사용하여 얻은 값이 양성의 결과를 나타내고,
140℃에서 25㎜ 정육면체 시료를 사용하여 얻은 값이 음성의 결과를 나타내며, 12
0℃에서 100㎜ 정육면체 시료를 사용하여 얻은 값이 음성의 결과를 나타내고, 또한
이물질이 3㎥이하 용량의 포장화물로 운송될 예정인 경우
(3) 140℃에서 100㎜ 정육면체 시료를 사용하여 얻은 값이 양성의 결과를 나타내고,
140℃에서 25㎜ 정육면체 시료를 사용하여 얻은 값이 음성의 결과를 나타 며, 10
0℃에서 100㎜ 정육면체 시료를 사용하여 얻은 값이 음성의 결과를 나타내고, 또한
이물질이 450ℓ이하 용량의 포장화물로 운송될 예정인 경우.
2.4.6 제4.3급 - 물과 접촉시 인화성 가스를 방출하는 물질

(1) 정의 및 특성
물과의 접촉으로 인하여 자연적으로 인화성이 되거나 위험한 양의 인화성 가스를 발산하
기 쉬운 액체 또는 고체물질을 말한다. 물과 접촉시 어떤 물질은 공기와 혼합되어 폭발성
혼합물을 형성할 수 있는 인화성 가스를 방출할 수 있다. 이러한 혼합물은 나등,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도구 또는 보호되지 아니하는 전구 등의 통상적 발화원에 의하여 쉽게 발화한
다.
(2) 포장등급의 지정
① 포장등급(packing group) Ⅰ : 주위온도에서 물과 강력히 반응하며 또한 자연적으로
발화하여 가스를 발생시키는 경향이 있다고 증명되거나 또는 주위온도에서 물과 쉽
게 반응하여 인화성 가스 발생비가 매 1분마다 물질 1kg당 10ℓ 이상의 물질.
②포장등급(packing group) II : 주위온도에서 쉽게 물과 반응하며 인화성 가스의 최대
발생비는 매 1시간마다 물질 1Kg에서 20ℓ 이상의 물질 .
③포장등급(packing group) Ⅲ : 주위온도에서 물과 천천히 반응하여 인화성 가스의 최
대 발생비가 매 1시간마다 물질 1kg에서 1ℓ 이상의 물질이며, 포장등급 I 또는 II의
기준에 해당되지 아니하는 물질

2.4.7 유기금속 물질(Organometallic substances)의 분류

유기금속 물질은 그 특성에 따라 다음의 흐름도에 의해 제4.2급 또는 제 4.3급으로 적절하게


분류하여야 한다(시험방법 N.1∼N.5는 UN 시험 및 기준편람, 제III편, 제33항 참조).
유기금속물질의 흐름도

유기금속
물질/제제/용액

고체 유기금속물질,
고체
▶ 자연발화성인 것
아니오 UN 3391

▼ 액체 유기금속물질,
▶ 자연발화성인 것
액체
UN 3392
자연발화성인가? 예 물반응성물질인가?
시험 N.2 (고체) ▶
시험 N.5
시험 N.3 (액체)
고체 고체 유기금속물질,
▶ 자연발화성이고
물반응성인 것
UN 3393

아니오 예
액체 유기금속물질,
자연발화성이고

액체 물반응성인 것,
UN 3394

고체 유기금속물질,
아니오
▶ 물반응성인 것,
UN 3395

고체 유기금속물질,
인화성 고체물질인가?
물반응성이고 인화성인
시험 N.1 예 ▶

UN 3396

아니오
고체 유기금속물질,
예 물반응성이고
자체발열성물질인가? 예 자체발열성인 것
▶ ▶
시험 N.4 UN 3397

▼ 액체 유기금속물질,
물반응성이고
제4.3급, 포장등급 I, II ▶ 자체발열성인 것
물반응성물질인가? 예
▶ 또는 III. UN 3398
시험 N.5
해당 물질이 고체인가?

아니오 아니오
액체 유기금속물질,
인화점이 61℃
예 물반응성이고 인화성인
▶ 이하인 희석제가 ▶
아니오 것
함유되어 있는가?
UN 3399

자체발열성 고채 유기금속물질,

고체물질인가? ▶ 자체발열성인 것
시험 N.4 UN 3400
아니오

제4.2급 또는
제4.3급으로 분류하지
아니하여야 하는 물질
2.5 제5급(Class 5) - 산화성 물질(Oxidizing substances) 및 유기과산화물(Organic
peroxides)

2.5.1 정의 및 특성

제5.1급 및 제5.2급에 속하는 위험물은 각기 다른 위험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 2가지 등


급에 대한 단일 기준을 확립하는 것은 실행 불가능하다. 이 2가지 등급의 운송품에 대한 시험
및 기준은 본 장에 마련되어 있다.

제5급은 다음과 같이 2가지 급으로 세분한다.

제5.1급(class 5.1) - 산화성 물질(Oxidizing substances) ; 그 물질 자체가 반드시 연소하지


는 아니할지라도, 일반적으로 산소 발생에 의하여 다른 물질의 연소를 유발하거나 또는 연소
를 돕는 물질을 말한다. 그러한 물질은 제품에 내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제5.2급(class 5.2) - 유기과산화물(Organic peroxides) ; 2가의 -O-O-결합을 가지며, 하나


또는 두개 모두의 수소원자가 유기 라디칼로 치환된 과산화수소의 유도체로 간주될 수 있는
유기물질을 말한다. 유기과산화물은 온도에 불안정한 물질로서 자기가속발열분해를 일으킬
수 있다. 추가로, 유기과산화물은 다음 중 1가지 이상의 특성을 갖는다.
- 폭발적으로 분해 될 수 있음
- 급속하게 연소함
- 충격 또는 마찰에 민감함
- 다른 물질과 위험하게 반응함
- 눈에 손상을 줌.

2.5.2 제5.1급 - 산화성 물질

(1) 특성

산화성 물질은 다음의 특성을 가진다


- 직접 또는 간접적인 어떤 상황에서 산소 방출로, 연소성 물질의 화재에 대한 위험 및
강도를 증가시킨다.
- 연소성 물질과의 혼합 특히 설탕, 밀가루, 식용유, 광유 등과의 혼합은 위험하며, 마
찰이나 충격에 의해서도 발화하여 연소, 폭발로 발전된다.
- 산성(acids)의 액체와는 격렬하게 반응하여 독성가스를 방출한다.
- 몇몇 물질은 운송시 고려하여야 하는 특별한 특성을 가진다.

(2) 산화성 고체(Oxidizing solids)

① 제5.1급 - 산화성 고체물질의 분류


고체물질과 연소성 물질을 완전히 혼합한 경우, 그 고체물질이 연소성 물질의 연소율
이나 연소강도를 증가시킬 가능성 여부를 측정하는 시험을 실시한다. 이 시험은 평가
할 물질에 건조된 섬유 셀룰로오스를 혼합하여 실시하며, 시료와 셀룰로오스의 혼합
비는 1 : 1 및 4 : 1의 질량비로 한다.

혼합물의 연소특성은 브롬산칼륨(KBrO3)과 셀룰로오스를 3 : 7의 질량비로 혼합한


표준 혼합물(standard mixture)과 비교한다. 만약 연소시간(burning time)이 표준
혼합물의 연소시간과 비교하여 동일하거나 짧은 경우에는 브롬산칼륨과 셀룰로오스
의 질량비가 3 : 2 및 2 : 3인 포장등급 I 또는 II의 참조표준(Reference Standard)과
비교한다.

시험결과에 따른 분류는 다음을 기초로 하여 평가 한다


i) 평균 연소시간과 참조 혼합물의 평균 연소시간과의 비교 ; 및
ii) 물질과 셀룰로오스와의 혼합물이 발화 및 연소되는지의 여부.

시료와 셀룰로오스를 4 : 1 또는 1 : 1의 질량비로 혼합하여 시험한 경우의 평균 연


소시간이 브롬산칼륨과 셀룰로오스를 3 : 7의 질량비로 혼합하여 시험한 경우의 평
균 연소시간과 비교하여 동일하거나 짧은 경우에는 당해 고체물질을 제5.1급으로 분
류한다.

② 포장등급의 지정
i) 포장등급 I :
시료와 셀룰로오스를 4 : 1 또는 1 : 1의 질량비로 혼합하여 시험한 경우의 평균
연소시간이 브롬산칼륨과 셀룰로오스를 3 : 2의 질량비로 혼합하여 시험한 경우
의 평균 연소시간 보다 짧은 경우.
ii) 포장등급 II :
시료와 셀룰로오스를 4 : 1 또는 1 : 1의 질량비로 혼합하여 시험한 경우의 평균
연소시간이 브롬산칼륨과 셀룰로오스를 2 : 3의 질량비로 혼합하여 시험한 경우
의 평균 연소시간과 비교하여 동일하거나 짧으며, 포장등급 I의 기준에 적합하지
아니하는 경우.
iii) 포장등급 III :
시료와 셀룰로오스를 4 : 1 또는 1 : 1의 질량비로 혼합하여 시험한 경우의 평균
연소시간이 브롬산칼륨과 셀룰로오스를 3 : 7의 질량비로 혼합하여 시험한경우
의 평균 연소시간과 비교하여 동일하거나 짧으며, 포장등급 I 및 II의 기준에 적
합하지 아니하는 경우

③ 제5.1급이 아닌 경우 : 시료와 셀룰로오스를 4 : 1 및 1 : 1의 질량비로 혼합하여 시


험한 경우에 발화 또는 연소하지 아니하거나, 평균 연소시간이 브롬산칼륨과 셀룰로
오스를 3 : 7의 질량비로 혼합하여 시험한 평균 연소시간 보다 느린 경우.

(3) 산화성 액체(Oxidizing liquids)

① 제5.1급 - 산화성 액체물질의 분류


액체물질과 연소성 물질을 완전히 혼합한 경우, 그 액체물질이 연소성 물질의 연소율
이나 연소강도를 증가시킬 가능성 여부를 측정하거나 자연발화가 일어날 가능성을
측정하는 시험을 실시하여, 연소중의 압력 상승시간(pressure rise time)을 측정한
다.
② 시험결과에 따른 분류 :
i) 물질과 셀룰로오스의 혼합물이 자연 발화되는지의 여부 ; 및
ii) 물질과 참조물질이 690kPa에서 2,070kPa까지 압력이 상승되는데 소요되는 평
균시간의 비교.
③ 물질과 셀룰로오스를 1 : 1의 질량비로 혼합하여 시험한 경우의 평균 압력상승시간
이 질산용액 65%와 셀룰로오스를 1 : 1의 질량비로 혼합하여 시험한 경우의 평균 압
력상승시간보다 짧거나 동일한 경우에는 제5.1급으로 분류한다.
④ 포장등급의 지정

i) 포장등급 I : 물질과 셀룰로오스를 1 : 1의 질량비로 혼합하여 시험한 경우에 자


연발화가 일어나거나, 물질과 셀룰로오스를 1 : 1의 질량비로 혼합하여 시험한
경우의 평균 압력상승시간이 과염소산(perchloric acid) 50%와 셀룰로오스를 1
: 1의 질량비로 혼합하여 시험한 경우의 평균 압력상승시간보다 짧은 경우.
ii) 포장등급 II : 물질과 셀룰로오스를 1 : 1의 질량비로 혼합하여 시험한 경우의 평
균 압력상승시간이 염소산나트륨(sodium chlorate) 40%용액과 셀룰로오스를
1 : 1의 질량비로 혼합하여 시험한 경우의 평균 압력상승시간보다 짧거나 동일
하며, 포장등급 I의 기준에 적합하지 아니하는 경우.
iii) 포장등급 III : 물질과 셀룰로오스를 1 : 1의 질량비로 혼합하여 시험한 경우의
평균 압력상승시간이 질산(HNO3)65%용액과 셀룰로오스를 1 : 1의 질량비로
혼합하여 시험한 경우의 평균 압력상승시간보다 짧거나 동일하며, 포장등급 I 또
는 II의 기준 에 적합하지 아니하는 경우.
⑤ 제5.1급이 아닌 경우 : 물질과 셀룰로오스의 혼합비를 1 : 1의 질량비로 혼합하여 시
험한 경우에 압력상승이 2,070kPa 미만이거나 ; 평균압력 상승시간이 질산(HNO3)
65%용액과 셀룰로오스의 혼합비를 1 : 1의 질량비로 혼합하여 시험한 경우의 평균
압력 상승시간 보다 느린 경우.

2.5.3 제5.2급 - 유기과산화물(Organic peroxides)

(1) 특성

제5.2급은 다음의 특성을 가진다 :


- 상온 또는 고온(Elevated temperature)에서 발열분해한다.
- 분해는 열, 불순물 (예를 들면 산, 중금속 화합물, 아민류)과의 접촉, 마찰 또는 충격
에 의해 개시된다.
- 분해시에는 유해하거나 인화성이 있는 가스 또는 증기를 방출한다.
- 어떤 유기과산화물은 운송중 온도를 제어하여야 한다.
- 몇몇 유기과산화물은 폭발적으로(특히, 밀폐된 경우에) 분해한다. 이 성질은 희석제
를 첨가하거나 적합한 포장용기를 사용함으로서 완화시킬 수 있다.
- 많은 유기과산화물은 격렬히 연소한다.
- 몇몇 유기과산화물은 잠깐의 접촉으로도 각막의 손상 및 피부 부식을 야기한다.
(2) 유기과산화물의 분류

① 모든 유기과산화물은 제5.2급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한다. 단, 아래에 해


당하는 유기과산화물 제제(formulation)는 제외한다 :
i) 과산화수소의 함유량이 1.0% 이하인 경우 - 당해 유기과산화물에서의 활성 산
소량(available oxygen)이 1.0% 이하인 것 ; 또는
ii) 과산화수소의 함유량이 1.0%를 초과하고 7% 이하인 경우 - 당해 유기과산화물
에서의 활성 산소량이 0.5% 이하인 것.

② 유기과산화물 제제의 활성 산소량(%)은 다음의 공식으로 구한다 :

16 x ∑(ni x ci/mi)

ni = 유기과산화물 i 분자당 과산소기(peroxygen groups)의 수.


ci = 유기과산화물 i의 농도 (질량%).
mi = 유기과산화물 i의 분자량.

③ 유기과산화물은 각자가 갖는 위험도에 따라 7가지 형태로 분류한다. 유기과산화물의


형태는 시험된 포장용기로 운송이 허용되지 아니하는 A형에서부터 제5.2급의 유기
과산화물에 대한 규정에 따르지 아니하는 G형까지로 분류한다. B형~F형까지로 분
류하는 것은 1개의 포장용기에 허용되는 최대질량(maximum quantity)과 직접적으
로 관련이 있다.
④ 위험물목록내의 적절한 총칭 등재명이 지정되고 (UN 3101 ~ UN 3120), 관련 정보
가 수록된다.
i) 유기과산화물의 형태 (B형~F형)
ii) 물리적 상태 (액체 또는 고체)
iii) 온도제어(요구시).
⑤ 수록된 유기과산화물 제제의 혼합물은 그 혼합물 중의 가장 위험한 구성성분에 따라
동일 형(type)의 유기과산화물로 분류할 수 있으며, 해당 형(type)에 명시된 운송조
건으로 운송할 수 있다. 그러나 2가지의 안전한 구성성분이 열적으로 덜 안전한 혼합
물을 형성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 혼합물의 자기가속분해온도(SADT)를 결정하여야
하고, 만약 필요하다면 요구되는 바에 따라 제어온도를 적용하여야 한다.
(3) 현재 지정된 유기과산화물의 목록의 예 :
유기과산화물은 각자가 갖는 위험정도에 따라 7가지 형태로 분류된다. 유기과산화물의
형태는 시험된 포장용기로 운송이 허용되지 아니하는 A형에서부터 제5.2급에서 제외되
는 G형까지로 분류된다. B형에서 F형까지의 분류는 1개의 포장용기에 허용되는 허용용
량(maximum capacity)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① 유기과산화물 A형 : 운송 금지
② 유기과산화물 B형 : 25 kg 이하의 양으로 포장
③ 유기과산화물 C형 : 50 kg 이하의 양으로 포장
④ 유기과산화물 D형 : 순질량 50kg 이하의 포장용기로 운송
⑤ 유기과산화물 E형 : 400 kg/450ℓ 이하의 포장용기로 운송
⑥ 유기과산화물 F형 : IBCs, 이동식 탱크 또는 탱크차량으로 운송
⑦ 유기과산화물 G형 : 열에 안전하고 (자기가속분해온도가 50kg 포장용기에서 60℃
이상 인 것) 액체형성물에 대하여 둔감화제로써 A형 희석재가 사용되는 경우.
UN번호 A형 B형 불활성 제어 비상
(총칭 유기과산화물 농도(%) 희석제 희석제 고체 물 포장 온도 온도
등재명) (%) (%) 1 (%) (%) 방법 (℃) (℃)
OP8,
3110 DICUMYL PEROXIDE ˃42-100 ≤57
M, N
tert-BUTYL
3111 ˃52-77 ˃23 OP5 +15 +20
PEROXYISOBUTYRATE
DIISOBUTYRYL PEROXIDE ˃32-52 ≥48 OP5 -20 -10
ISOPROPYLsec-BUTYL-
PEROXYDICARBONATE +
≤52 +
DI-sec-BUTYLPEROXY-
≤28 + OP5 -20 -10
DICARBONATE+ DI-ISO
≤22
PROPYL PEROXY
-DICARBONATE
ACETYL CYCLOHEXANE-
3112 ≤82 ≥12 OP4 -10 0
SULPHONYL PEROXIDE
DIBENZYL
≤87 ≥13 OP5 +25 +30
PEROXYDICARBONATE
DICYCLOHEXYL PEROXY-
˃91-100 OP3 +5 +10
DICARBONATE
DIISOPROPYL PEROXY-
˃52-100 OP2 -15 -5
DICARBONATE
DI-(2-METHYLBENZOYL)
≤87 ≥13 OP5 +30 +35
PEROXIDE

(4) 포장 등급의 지정 : 유기과산화물은 포장 등급 II로 지정한다.

(5) 온도 조절 규정
① SADT가 50℃ 이하인 유기과산화물 B형 및 C형
② SADT가 50℃ 이하이고 밀폐 하에서 가열 했을 때 중간 정도의 효과를 나타내거나
또는 SADT가 45℃ 이하이고 밀폐 하에서 가열 했을 때 경미한 효과를 나타내는 유
기과산화물 D형
③ SADT가 45℃이하인 유기과산화물 E형 및 F형.

2.6 제6.1급(Class 6.1) ― 독물 (Toxic substances)

2.6.1 정의

제6.1급은 다음과 같이 2가지 등급으로 세분한다.

제6.1급(class 6.1) - 독물(Toxic substances) ; 삼키거나 흡입하거나 또는 피부에 접촉되는


경우에 사망 또는 중산을 일으키거나 인간의 건강에 해를 끼치기 쉬운 물질.

제6.2급(class 6.20 - 전염성 물질(Infectious substances) ; 병원체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거나 또는 합리적으로 추정되는 물질. 병원체(pathogens)라 함은 동물 또는 사람에
게 전염성 질병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거나 또는 합리적으로 추정되는 미생물(박테리아, 바
이러스, 리케치아, 기생충, 진균류)을 말한다.

2.6.2 제6.1급 - 독물

(1) 특성
① 이 물질의 고유한 독작용(poisoning)의 위험성은 화물로부터 약간 떨어진 거리에서
방심하고 있는 사람이 증기를 흡입하거나 또는 그 물질과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직접
적인 위험과 같은 인체와의 접촉에서 기인한다. 이는 해상운송 중에 일어날 수 있는
사고발생의 가능성과 관련하여 고찰된 것이다.
② 거의 모든 독물은 화재에 연루되거나 또는 가열되어 분해 될 경우에 독성가스(toxic
gases)를 방출한다.
③ "안정제가 들어 있는 것(stabilized)"으로 규정된 물질은 안정제가 들어 있지 아니한
상태로 운송하여서는 아니 된다.

(2) 반수치사농도의 정의
급성경구독성의 LD50(LD50 for acute oral toxicity) : 성숙한 백변종 쥐(rat)들에게 경구
에 투여하여 그 절반을 14일 이내에 죽게 하는 물질의 1회 복용량을 통계적으로 얻은 것
을 말한다. LD50치는 시험동물의 질량에 대한 시험물질의 질량으로 표시한다(mg/kg).

급성경피독성의 LD50(LD50 for acute dermal toxicity) : 백변종 토끼(rabbit)의 들어낸


피부에 24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접촉 투여하여 시험한 동물의 절반을 14일 이내에 죽게
하는 물질의 복용량을 말한다. 시험한 동물의 숫자는 통계적으로 중요결과를 제시하기에
충분한 것이어야 하며, 정상적인 약리 실무에 적합하여야 한다. 그 결과는 kg의 몸무게
당 mg으로 표시한다.

급성흡입독성의 LC50(LC50 for acute toxicity on inhalation) : 성숙하고 암수 절반씩인


백변종 쥐(rat)들에게 1시간동안 계속적으로 흡입 투여하여 시험한 동물의 절반을 14일
이내에 죽게 하는 증기, 먼지 또는 분무의 농도를 말한다. 고체물질은 그 총질량의 10%
(질량) 이상이 호흡가능범위에 있는 먼지(dust)(해당물질의 미립자의 공기역학적 지름이
10microns 이하인 것)일 경우에는 시험을 하여야 한다. 액체물질은 그 분무(mist)가 운
송용기에서 누출되어 발생할 것 같으면 시험하여야 한다. 고체 및 액체 양 물질에 대하여,
흡입독성시험을 위하여 준비된 시료의 90%(질량)이상이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호흡
가능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그 결과는 먼지와 분무에 대하여는 공기 1ℓ당 mg으로, 증기
에 대하여는 공기 1m3당 ㎖ (ppm)로 표시한다.

(3) 포장등급의 지정 :

① 포장의 목적상, 독물은 운송시 독성에 대한 위험정도에 따라 다음의 3가지 분류(포장


등급) 중 어느 하나로 지정된다.

포장등급 Ⅰ : 매우 중대한 독성위험을 나타내는 물질 및 제제


포장등급 Ⅱ : : 중대한 독성위험을 나타내는 물질 및 제제
포장등급 Ⅲ : 상대적으로 낮은 독성위험을 나타내는 물질 및 제제.

② 이러한 등급의 지정은 중독사고의 사례로 본 인간의 경험, 그리고 각 물질이 가지는
특성, 즉 액체상태, 고휘발성, 특별한 침투가능성 및 특별한 생물학적 효과 등을 고려
한 것이다.
③ 인간의 경험이 없는 경우의 등급지정은 동물실험으로부터 얻은 자료에 기초하였다.
3가지의 가능한 감염경로를 조사하였다. 그 경로는 경구섭취(oral ingestion), 피부
접촉(dermal contact) 그리고 먼지, 분무 또는 증기의 흡입(inhalation of dusts,
mists or vapours)을 통한 노출이었다. 하나의 물질이 2가지 이상의 감염경로에 의
하여 독성의 정도가 다른 결과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시험을 통하여 나타난 독성치
중 가장 높은 것을 포장등급의 지정에 이용한다.
④ 경구섭취, 피부접촉, 먼지 및 분무의 흡입을 통한 감염경로별 포장등급의 판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

경구독성 경피독성 먼지 및 분무에 의한


흡입독성
포장등급 LD50 LD50 LC50
(mg/kg) (mg/kg)
(mg/ℓ)
Ⅰ ≤5.0 ≤50 ≤0.2

Ⅱ >5 and ≤50 >50 and ≤200 >0.2 and ≤2


*
Ⅲ 고체 >50 and ≤200 >200 and ≤1,000 >2.0 and ≤4.0
*
포장등급 Ⅲ의 값에 해당하는 최루가스 물질은 포장등급 Ⅱ에 포함시킬 것.

(4) 혼합물의 경구 및 경피 독성

경구 및 경피 독성 기준에 따라 제 6.1급의 혼합물을 분류하고 적절한 포장등급을 지정


할 때에는 급성 LD50치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① 혼합물이 1가지 활성물질만을 함유한 경우

활성물질의 LD50치 × 100


조성품의 LD50치 =
활성물질의 무게 백분율

② 혼합물이 2가지 이상의 활성성분을 함유한 경우

CA CB CZ 100
+ + ‥‥ =
TA TB TZ TM

C = 혼합물 중 A, B, .... Z성분의 농도(%)


T = A, B, .... Z성분의 경구 LD50치
M = 혼합물의 경구 LD50치

(5) 살충 살균제의 분류
LC50치 및/또는 LD50치를 알고 있고 또한 제6.1급으로 분류된 모든 활성 살충 살균제와
그 조제품은 적절한 포장등급을 지정하여야 한다. 부위험성의 특성을 나타내는 물질 및
그 조제품은 위험성 우선순위표에 따라 그 등급을 분류하여야 한다.

다수의 살충 살균제에 대한 LD50 독성자료는 세계보건기구(WHO)의 "위험성에 의한 살충


살균제의 분류 및 분류 지침에 대한 WHO 권고"에서 구할 수 있지만, 그 출판물의 살충
살균 분류체계는 살충 살균제의 운송 분류 목적 또는 포장등급을 지정할 목적으로 이용되
어서는 아니 되며, 분류는 IMDG Code의 규정에 따라야 한다.

2.6.3 제6.2급 - 전염성 물질

(1) 정의

전염성 물질(Infectious substances) : 병원체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거나 또


는 합리적으로 추정되는 물질을 말한다. 병원체(pathogens)는 동물 또는 사람에게 전염
성 질병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거나 또는 합리적으로 추정되는 미생물(박테리아, 바이러
스, 리케치아, 기생충, 진균류)로 정의 된다.
- 만약 그 물질들이 인간 또는 동물에게 질병을 일으키지 아니할 것 같다면 제6.2
급 규정에 따르지 아니한다.
- 만약 전염성 물질이 노출되었을 때 질병이 확산될 수 있다면 제6.2급의 규정에
따른다.

생물학적 제품(biological products) : 살아있는 유기체로부터 유도된 제품으로서, 특별


한 자격규정을 갖춘 국내 정부기관의 규정에 따라 제조되고 배포되며, 또한 인간이나 동
물의 질병을 예방, 치료 또는 진단하거나 또는 그와 관련된 개발, 실험 또는 조사의 목적
으로 사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에 국한되지는 아니 하지만 이 생물학적 제품에는 백
신 또는 진단제품과 같은 완성 또는 미완성된 제품도 포함된다.

배양균(실험용 균체) : 병원체를 고농도로 생성하기 위하여 증대 또는 번식되는 과정의


결과를 말한다. 이것에 의하여 노출되었을 때 전염의 위험성이 증대된다. 이 정의는 국제
병원체제조에 따른 배양이며, 진단과 임상 목적에 따른 배양은 포함되지 않는다.
유전자변형미생물과 유전자변형생물 : 자연적 발생이 아닌 유전공학을 통해 인위적으로
변경되어진 유전물질이 있는 미생물과 생물을 말한다.

의료 및 임상 폐기물(medical or clinical wastes) : 인간이나 동물의 의학치료에서 발생


되거나, 생물과학 연구에서 발생된 폐기물을 의미한다.

(2) 전염성 물질의 분류


규정할 수 있는 전염성 물질의 폐기물은 UN2814, UN 2900 및 UN 3373으로 지정하여
야 한다.

(3) 전염성물질은 다음과 같은 등급으로 나누어진다. :

등급 A ; 일반적으로 인간과 동물에게 심각한 질병을 일으키고,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개


개 인간에 용이하게 전염성 물질. 이 물질들은 UN2814 또는 UN 2900으로 지정하여야
한다.

등급 B ; 등급 A에 기준에 포함되지 아니하는 전염성물질로 배양균을 제외하고 UN 3373


으로 지정하여야 하며, 제 2.6.3.2항에 따라 UN 2814 및 UN 2900으로 지정하여야 한다.

(4) 생물학적 제품(Biological products)


생물학적 제품은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① 주관청의 규정에 따라 제조 및 포장되고 최종 포장 또는 배포 목적으로 운송되 며
또한 의료전문가나 개인의 보건용으로 사용되는 것. 이러한 물질은 IMDG Code의
규정에 적용되지 않는다.
② 전염성물질에 속하는 충분한 이유가 있거나 등급 A, 또는 등급 B의 기준에 적합한
경우 UN 2814, UN 2900 및 UN 3373으로 적절하게 지정하여야 한다.

(5) 의료 및 임상 폐기물(Medical or clinical wastes)

등급 A의 전염성물질과 등급 B의 전염성물질을 포함하는 의료 및 임상 폐기물은 UN


2814 또는 UN 2900으로 적절하게 지정하여야 한다. 배양균 이외의 등급 B의 전염성물
질을 포함하는 의료 및 임상 폐기물은 UN 3291로 지정하여야 한다.
전염성 물질이 존재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의료 및 임상 폐기물은 UN 3291로 지
정하여야 한다.

이전에 전염성 물질이 함유되었던 제염된(decontaminated) 폐기물은 다른 급의 기준에


해당되지 아니 한다면 본 IMDG Code의 규정을 적용되지 않는다.

2.8 제8급(Class 8) - 부식성물질(Corrosive substances)

2.8.1 분류

위험물을 포함한 새로운 물질은 사람피부에 접촉시켜 괴사(Necrosis)가 발생되는 것을 시각


적으로 관측하여 발생시간으로 위험도를 측정하는데, 실험은 상처 없는 동물의 피부에 접촉하
여 괴사시간을 측정한다. 사람피부에 괴사가 발생되지 않는 물질이라도 금속표면에 부식을 일
으키는 경우 부식성물질로 다루어진다.

(1) 흡입위험 및 물과의 반응성(위험한 분해 생성물의 형성)과 같은 요인을 추가


(2) 혼합물 및 새로운 물질은 인간의 피부를 괴사시키는 데 필요한 접촉시간의 정도로 판단
(3) 금속 표면을 부식
(4) 인간의 경험이 없는 경우에는 OECD 지침 404(급성 피부자극/부식)를 기초로 함.

2.8.2 포장 등급의 지정

포장등급 Ⅰ : 피부에 3분 이하의 노출로 60분 이내에 괴사가 관찰되는 물질.


포장등급 Ⅱ : 피부에 3분을 초과하고 60분 이하의 노출로 14일 이내에 괴사가 관찰되는 물
질.
포장등급 Ⅲ : 피부에 60분을 초과하고 4시간 이하의 노출로 14일 이내에 괴사가 관찰되는 물
질 및 피부를 괴사시키지 아니한다고 판단되는 물질이지만, 55℃의 시험온도에서 강철이나
알루미늄 표면에 대하여 연간 6.25mm를 초과하는 부식율을 가진 물질.

제8급의 기준에 적합하고 또한 포장등급 I의 범위에 해당하는 분진 및 분무에 의한 흡입독성


(LC50)을 가지지만, 포장등급 III 또는 그 이하에 해당하는 경구 및 경피독성을 가지는 물질 및
제제는 제8급으로 지정하여야 한다.
2.9 제9급(Class 9) - 유해성 물질(Miscellaneous dangerous substances & articles)

2.9.1 정의

(1) 제9급의 물질과 제품(기타의 위험물 및 제품)은 운송 중 다른 급의 위험물에 해당되지 아


니하는 물질 및 제품을 말한다.
(2) 유전자변형미생물(GMMOs)과 유전자변형생물(GMOs)은 자연적 발생이 아닌 유전공학
을 통해 인위적으로 변경되어진 유전물질이 있는 미생물과 생물을 말한다.

2.9.2 제9급의 지정

(1) 1974년 SOLAS 제Ⅶ장 A편(개정분 포함)의 규정을 적용하여야 하는 위험특성을 경험


에 의하여 나타내거나 나타낼 수 있는 물질로서 다른 급에 해당되지 아니하는 물질 및 제
품에 적용된다.
(2) 1974년 SOLAS 개정판 제Ⅶ장 A편의 규정에는 적용되지 않지만, MARPOL 73/78
부속서Ⅲ(개정분 포함)의 규정에 해단되는 물질에 적용된다. 개개의 물질에 대한 성질 및
특성은 그 물질 및 제품과 관련된 IMDG CODE 제3.2장의 위험물 목록에 수록되었다.
(3) 액체상태로 100℃ 이상의 온도에서 운송되거나 운송이 요청되는 물질, 그리고 240℃
이상의 온도에서 운송되거나 운송이 요청되는 고체물질에 적용된다.
(4) 전염성물질(제2.6.3참조)의 정의에는 해당되지 않지만 동물, 식물 또는 미생물에 정상적
이 아닌 상태에서 자연번식을 초래할 수 있는 GMMOs 와 GMOs에 적용된다. 이러한 물
질은 UN3254로 지정해야 한다. GMMOs와 GMOs는 원산지, 운송, 목적 국가의 주관청
으로부터 사용 허가가 있을 경우에는 이 규칙의 규정에 적용되지 아니한다.

2.10 해양오염물질(Marine pollutant)

해양오염물질이라 함은 해산물에 대한 축적 가능성 또는 수중생물에 대한 고독성 때문에


MARPOL 73/78 부속서III(개정분 포함)의 규정에 따르는 물질을 의미한다.

2.10.1 특성
해양환경에 유해한 물질(해양오염물질)은 MARPOL 73/78 부속서III(개정분 포함)의 규정에
따라 운송하여야 한다.

색인(index)에는 해양오염물질로 확인된 물질, 재료 및 제품의 종합적인 목록이 수록되어 있


다.
(1) 오염 가능성이 있는 물질, 재료 및 제품 (해양오염물질)은 색인의 MP란에 P로 확인
되어 있다.
(2) 극도의 오염 가능성이 있는 물질, 재료 및 제품 (극해양오염물질)은 색인의 MP란에 PP로
확인되어 있다.
(3) 오염 가능성을 가진 물질, 재료 및 제품에 대한 N.O.S. 등재명도 색인의 MP란에 "•"로
확인되어 있다 (해당 등재명이 N.O.S. 물질, 재료 및 제품이고, 해양오염물 질 또는 극
해양오염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

해양오염물질 및 극해양오염물질이 제1급∼제8급의 기준에 부합되는 경우에는 그 특성에


따라 적절한 등재명으로 운송하여야 한다. 만약, 제1급∼제8급의 기준에 부합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제9급에 특정 등재명이 있는 경우 이외에는 고체는 UN 3077, 액체는 UN 3082로
운송하여야 한다.
IMDG CODE에서 해양오염물질로 확인되지만 개정된 GESAMP(해양환경보호의 과 학적 측
면에 관한 합동전문가그룹) HAZARD profile에 근거해서는 더 이상 해양오염물질 또는 극해
양오염물질에 대한 지정기준에 적합하지 아니한 물질 또는 제품은 주관청의 승인 하에 해양오
염물질에 적용 가능한 본 IMDG CODE의 규정에 따라 운송할 필요가 없다.

2.10.2 용액, 혼합물 및 이성질체(Isomers)의 분류

(1) 1가지의 해양오염물질이 10% 이상 함유되어 있는 용액 또는 혼합물은 해양오염 물질


이다.
(2) 1가지의 극해양오염물질이 1% 이상 함유되어 있는 용액 또는 혼합물은 해양오염 물질
이다.
(3) 해양오염물질로 확인된 물질의 이성질체이고 또한 제1급∼제8급에 수록된 총칭 등재
명에 포함되지만, 이들 급의 기준에 부합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비록 그 명칭이 색인에
수록되어 있지 아니하더라도 제9급의 UN 3077 또는 UN 3082로 운송을 요청하여야 한
다.
2.10.3 포장된 형태의 환경오염물질의 확인에 대한 지침

MARPOL 73/78의 부속서III의 목적상, 다음 기준 중 한 가지에 의하여 확인되는 물질은 유


해물질(harmful substances)이다.

(1) 다음과 같은 물질은 해양오염물질(P)확인되는 오염가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간주 한다.


- 뚜렷한 생체 축적성이 있고 또한 수중생물이나 인간의 건강에 유해하다고 알려진 물
질(유해도가 A열에서 "+")
- 1주일 이내의 짧은 기간 잠복하여 수중생물이나 인간의 건강에 위험물 초래하 는 생
체축적성이 있는 물질(유해도가 A열에서 "Z")
- LC50이 1mg/ℓ 미만으로 정의되는 수중생물에 고독성이 있는 물질(유해도가 B열에
서 "4").

GESAMP 유해양상

A B C D E

+
Z
4

(2) 다음과 같은 물질은 극해양오염물질(PP)로 확인되는 오염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한


다.
- 뚜렷한 생체축적성이 있고 또한 수중생물이나 인간의 건강에 유해하다고 알려진 물
질(유해도가 A열에서 "+")이고, 또한 LC50이 1mg/ℓ 미만으로 정의되는 수중생물에
고독성이 있는 물질(유해도가 B열에서 "4").
- LC50이 0.01mg/ℓ 미만으로 정의되는 수중생물에 고독성이 있는 물질(유해도가 B열
에서 "5").

GESAMP 유해양상
A B C D E
+ 4
Z
5

2.10.4 해양오염물질 규정의 개정사항에 관한 정보


(IMDG Code 34-08 개정으로서 2009년 권고되며 2010년 강제적용)

(1) 정의
- 해양오염물질은 개정된 MARPOL 73/78 Annex III의 규정을 따르는 물질로서 액체
또는 고체형태로 수생조직과 수생환경에 유해한 용액 또는 혼합물임
(2) 일반규정
- 해양오염물질은 2010년 강제 적용되는 개정된 MARPOL 73/78 Annex III의 규정에
따라 운송하여야 함
- 제1급~제8급의 기준에 부합 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9급 특정 등재명 외에는
ENVIRONMENTALLY HAZARDOUS SUBSTANCE, SOLID, N.O.S., UN3077 또
는 ENVIRONMENTALLY HAZARDOUS SUBSTANCE, LIQUID, N.O.S., UN3082
로 운송하여야 함
- IMDG Code 34차 개정에 수록되어 있지 않으나 해양오염물질의 기준에 포함되는
물질 또는 제품은 해양오염물질로 운송되어야 함
(3) 분류
- IMDG Code 34차 개정분의 색인에 표시 P 해양오염물질로 분류되거나 지정이 되지
아니한 경우, 개정된 기준에 부합되는 물질 및 제품(Annex의 부록을 참조)은 해양오
염물질이며 분류의 책임은 화주에게 있음. 일반 및 N.O.S. 등재명의 표시 “•”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음
- IMDG Code 34차 개정분에서는 해양오염물질과 극해양오염물질의 구분이 없으므
로 33차 개정분에 극해양오염물질로 수록된 물질 및 제품들은 34차에서는 해양오염
물질임
- 화주가 근거를 가지고 있다면 개정 색인에서 표시 P로 수록되어 있으나 IMDG Code
34차 개정분 기준에 적합하지 아니한 물질 또는 제품은 주관청의 승인하에 해양오염
물질에 적용가능한 IMDG Code의 규정에 따라 운송할 필요가 없음
제3장 위험물 포장, 표시, 표찰 및 명찰

1. 위험물 포장용기

1.1 일반

1.1.1 위험물이던 일반 화물이던 간에 선박으로 운송되는 모든 화물은 어떠한 대가(주로, 금전)를


얻기 위하여 상대방에게 운송된다. 따라서 하송인의 입장에서는 화물을 안전한 상태로 신속하
게 도착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화물은 다양한 시장가치를 가지며, 그 가치는 포장화물의 형태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특히 위험물로 분류되는 어떤 물질 또는 제품을 고객에게 전달하는 경우, 상자, 드럼, 중
형산적용기(IBCs) 또는 탱크 컨테이너에 안전하게 포장ㆍ충전ㆍ운송하기 위해서는 위험물에
따른 추가의 규제를 받게 된다.

1.1.2 포장화물의 유통위험은 충전시점에서부터 시작된다. 따라서 하송인은 전 유통과정에서 가장


안전하게 견딜 수 있는 양질의 포장용기를 선택하여야 하며, 내용물의 누출로 인한 건강, 안
전, 재산 및 환경의 피해가 방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1.1.3 위험물 포장용기의 파손 원인에는 부식 또는 온도에 따른 포장용기의 내압 팽창 등과 같은 화


학적 요인과, 위험물 운송시의 충격 또는 과적재로 인한 포장제품의 파손 등과 같은 물리적 요
인이 있다. 이러한 요인에 의한 사고는 광범위한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고도의 안전성이 확
보된 포장용기를 사용함으로써 예방할 수 있다.

1.1.4 모든 포장화물은 생산지에서 최종 소비자에 이르기까지 약12~15회 정도 취급되며, 좀 더 복


잡한 과정으로 운송되는 경우에는 약46회 정도 취급되어서 유통 중 예측 불가능한 잠재위험
에 직면하게 된다. 포장화물의 유동과정 중 받게 되는 동적충격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

1) 인력에 의한 취급 : 떨어트리거나 던지고 굴리는 행위 ;


2) 장비에 의한 취급 : 지게차 또는 컨베이어 벨트 등으로 인한 응력 ;
3) 운송수단에 의한 충격 : 차량, 철도, 선박, 항공 등으로 운송될 때에 발생되는 급정지, 급
출발 또는 흔들림 등 ; 및
4) 차량의 진동 : 차량 엔진소음, 차량 및 철도 운송 시 불균일한 표면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진동.

1.2 용어의 정의

IMDG Code에는 일반적인 정의뿐만 아니라 고도의 특정 성질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의들이 수


록되어 있다. 이들 중 포장용기와 관련된 몇몇 정의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

포장화물(package) : 포장용기(상자 또는 드럼)와


그 내용물(화학품)로 구성되며, 포장작업이 완료
되어 운송용으로 준비된 생산품을 말한다.

포장용기(packaging) : 자신의 수납기능을 수행하


기 위하여 다수의 용기와 기타의 구성부품이나 재
료를 말한다.

내용기(inner receptacle) : 자신의 수납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외장용기가 필요한 용기를 말


한다.

내장용기(inner packaging) : 운송 목적상 외장용기가 필요한 포장용기를 말한다.

외장용기(outer packaging) : 복합용기 또는 결합용기의 외부 보호용기를 말하며, 내용기 또는


내장용기를 수납하고 보호하는데 필요한 흡수제, 완충재 및 기타의 구성부품을 포함한다.

중간용기(intermediate packaging) : 내장용기(또는 제품)와 외장용기 사이에 삽입되는 포장용


기를 말한다.

내장(liner) : 포장용기 내부에 삽입되는 별도의 튜브 또는 포대를 말하며, 포장용기(개구부의


폐쇄장치 포함)의 필수부품 형태가 아닌 것을 말한다.

최대용량(maximum capacity) : 내용기 또는 포장용기의 최대 내용적을 리터(ℓ)로 표시한 것을


말한다.
최대순질량(maximum net mass) : 단일용기에 충전 가능한 내용물의 최대순질량을, 또는 내장
용기와 그것에 충전된 내용물의 최대합계질량을 킬로그램으로 표시한 것을 말한다.

덧포장(overpack) : 운송 중 취급 및 적재편리를 도모하기 위하여 1개 이상의 포장용기가 수납


되고 또한 하나의 운송기구 형태인 단일 하송인이 사용하는 수납방식을 말한다. 덧포장의 예로
서는 다수의 포장화물이 다음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된 것이다 :
(1) 팔레트와 같은 적재판 위에 올려놓거나 쌓은 상태에서 잡아매거나(strapping), 열 수축 포
장(shrink-wrapping), 신축포장(stretch-wrapping) 또는 기타 적절한 방법으로 고정된 상
태 ; 또는
(2) 상자나 크레이트와 같은 보호용 외장용기 내부에 넣어진 상태.

단위 적재물(unit load) : 다수의 포장화물이 다음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되어있는 것을 말한다


:

(1) 팔레트와 같은 적재판 위에 올려놓거나 쌓은 상


태에서 잡아매거나 열수축 포장 또는 기타 적절
한 방법으로 고정된 상태 ;
(2) 팔레트 상자와 같은 보호용 외장용기 내부에 넣
어진 상태 ; 또는
(3) 슬링(sling)에 영구적으로 함께 고박된 상태.

1.3 포장용기의 종류

1.3.1 소형용기(packaging)

소형용기는 용량 또는 순질량이 400kg 또는 450ℓ 이하인 용기로서, 다음과 같은 3가지 형태로


구분한다 :

1) 단일용기(single packaging) - 특별한 추가 포장을 하지 않은 안전한 포장용기 - 예를 들


면, 강제드럼, 플라스틱제 드럼.

2) 복합용기(composite packaging) - 외장용기(outer packaging)와 내용기(inner


receptacle)로 구성된 포장용기로서, 외장용기와 내용기가 1개의 완전한 포장용기 형태로
되어 있는 포장용기. 일단 조립되면 그 이후에는 일체형 단일용기가 되며, 그러한 형태로
충전, 저장, 운송 및 비워진다 - 예를 들면, 플라스틱제 내용기의 강제드럼(일명, 2중 드럼).

3) 결합용기(combination packaging) - 외장용기 내부에 1개 이상의 내장용기(inner


packaging)가 고정되어 구성된 운송 목적상 결합된 포장용기 - 예를 들면, 플라스틱제 병
이 들어있는 파이버보드제 상자.

『단일용기』 『복합용기』 『결합용기』

1.3.2 압력용기(pressure receptacle)

압력용기는 실린더, 튜브, 압력드럼, 실린더 다발 및 초저온 용기를 포함하는 집합적인 용어이
다. 압력용기의 종류와 형태는 다음과 같다 :
종 류 수용량 형 태

실린더(cylinder) 150ℓ 이하 이동식 압력용기

튜브(tube) 150ℓ 초과, 3,000ℓ 이하 이음매 없는 이동식 압력용기

용접형 이동식 압력용기(롤링


압력드럼
150ℓ 초과, 1,000ℓ 이하 후프와 구형의 스키드가 부착
(pressure drum)
된 실린더형 용기)

초저온 용기 냉동 액화가스용의 이동식


1,000ℓ 이하
(cryogenic receptacle) 단열용기

실린더가 서로 함께 묶여 있고
3,000ℓ 이하 다기관(manifold)으로 상호
실린더 다발
단, 제2.3급용은 1,000ℓ 연결되어 있으며, 하나의 운송
(bundle of cylinder)
이하 기구처럼 운송되는 실린더의
조립체

1.3.3 중형산적용기(IBC : Intermediate Bulk Container)

산적품(액체 또는 고체)용으로 설계된 대형의 용기를 말한다


(IBCs는 병과 같은 내장용기를 운송할 수 없음). IBC는 최소
크기/부피에 제한이 없지만 하역기계로 취급하도록 설계되며,
일반적으로 용량이 3.0m3(3,000ℓ) 이하이다.

1.3.4 대형용기(LP : Large Packaging)

제품 또는 내장용기를 넣는 외장용기로 구성되는 포장용기를


말하며, 하역기계로 취급하도록 설계되고, 순질량 또는 용량
이 400kg 또는 450ℓ를 초과하지만 용량이 3.0m3이하이다.
1.3.5 산적 컨테이너(BK : Bulk Container)

용량이 1m3이상인 고체물질 운송용의 수납장치(내장 또는 코


팅 포함)를 말하며, 고체 위험물은 수납장치에 직접 접촉된다.
소형용기, 중형산적용기(IBCs), 대형용기 및 이동식 탱크는
이에 포함되지 않는다.

1.3.6 이동식 탱크(Portable Tank)

고체, 액체 또는 액화가스 충전용 이동식 탱크(탱크 컨테이


너), 도로용 탱크차량 또는 철도용 탱크차량을 말한다.

1.3.7 집합형 가스 컨테이너(MEGC : Multiple-Element Gas Container)

다기관(manifold)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있고, 골조구조 내


부에 조립되어 있는 실린더, 튜브 및 실린더 다발의 복합 조
립품을 말한다.

1.4 포장등급

1.4.1 포장등급(PG : Packing Group)

위험물은 광범위한 종류(kind)의 위험성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수준(level)의 위험성을 갖는다.


위험물의 종류는 물질의 분류(classification)에 의하여 나타나며, 위험성의 수준은 통상 물질
의 포장등급(packing group)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포장등급이라 함은 위험물이 갖는 위험의
정도를 말하며, 포장의 목적상 위험물은 다음의 3가지 포장등급 중의 하나로 할당 된다 :
그러나 제1급(화약류), 제2급(가스류), 제4.1급 중의 자기반응성 물질, 제5.2급(유기과산화
물), 제6.2급(전염성 물질) 및 제7급(방사성 물질)의 위험물에는 포장등급이 부여되어 있지 않
으며, 이 외 몇몇 등급의 위험물에는 포장등급이 부여되어 있지 않는 경우도 있다.
포장등급의 종류 구 분

포장등급 I (Packing Group I) 높은 위험성을 갖는 것 (대위험도)

포장등급 II (Packing Group II) 보통 정도의 위험성을 갖는 것 (중위험도)

포장등급 III (Packing Group III) 낮은 위험성을 갖는 것 (소위험도)

1.4.2 포장등급의 확인

포장등급은 IMDG Code 제2권 위험물 목록(DGL)의 (5)열에 명시되어 있거나, 해당 물질의
특성에 기초하여 시험 또는 경험에 의하여 결정한다 :

UN Proper Shipping Name Class Subsidiary Packing


No. (PSN) or risk(s) group
division
(1) (2) (3) (4) (5)
2031 NITRIC ACID other than red fuming, 8 5.1 I
with more than 70% nitric acid

2031 NITRIC ACID other than red fuming, 8 - II


with not more than 70% nitric acid

2032 NITRIC ACID, RED FUMING 8 5.1/6.1 I

BATTERIES, WET, FILLED WITH


2794 8 - -
ACID electric storage

1.4.3 포장등급의 중요성

포장등급은 다음 사항에 영향을 미친다 :

1) 사용가능한 포장용기의 선택 기준
해당 위험물에 허가된 포장기준(packing instruction) 중의 일부 포장용기는 충전 예정
위험물의 포장등급에 따라 사용이 허가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포장기준
"P001"이 허가된 포장등급 I의 위험물은 강제드럼(1A2)의 단일용기가 허가되지 않는다.

2) 포장용기 성능시험시의 기준
포장용기 성능시험시 각종 시험의 기준이 된다. 예를 들면, 운송예정 물질의 비중이 1.2
이하인 경우 포장등급 I 충전용 포장용기에 대한 낙하시험시의 낙하높이는 1.8m이며, 포
장등급 II 충전용인 경우에는 1.2m, 포장등급 III 충전용인 경우에는 0.8m이다.

3) 포장화물 당 허용되는 양(量)의 기준


포장용기에 충전할 수 있는 최대량은 충전 예정인 위험물의 포장등급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면, 포장기준 "P001"에서 강제드럼(1A1)의 단일용기에 허용되는 최대용량은 포
장등급 I의 위험물인 경우에는 250ℓ이며, 포장등급 II 및 III의 위험물인 경우에는 450ℓ이
다.
2. 포장용기의 사용

2.1 일반

2.1.1 위험물용 포장용기는 IMDG Code 규정과 엄격히 일치하는 양질의 것이어야 하며(반드시 새
것이어야 하는 것은 아님), 운송 중 통상적으로 조우하는 충격 및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충분
히 견고하여야 한다.

2.1.2 포장화물은 다음의 결과로 누출이 발생되지 않도록 제조하고 또한 밀폐시켜야 한다 :

1) 진동(vibration)
진동은 모든 형태의 운송 중에 발생되며, 해상운송 중에는 특히 심각할 수 있다. 진동으로
인한 가장 보편적인 영향은 폐쇄장치가 느슨해지는 것이며, 진동이 심한 경우에는 포장화
물의 접합부분과 용접부위에서 누출이 발생될 수 있다.

2) 온도, 습도 또는 압력의 변화(changes in temperature, humidity or pressure)


포장화물은 운송 중 급격한 온도변화에 직면하게 된다. 온도가 상승하면 액체의 부피는
팽창하여 포장화물을 변형시키고 결과적으로 손상을 가져와 누출이 야기될 수 있다. 어떤
항해는 고습도 지역인 적도를 통과하게 된다. 그 결과 파이버보드제 상자와 같은 습도에
취약한 포장화물은 약화되며, 강제드럼에는 녹이 나서 쓸모없게 될 수 있다. 해상운송시
의 압력변화는 항공운송보다 덜 심각하지만, 특히 포장화물이 과충전된 경우에는 누출이
야기될 수 있다.

2.1.3 포장용기는 내용물과 반응하지 않아야 한다. 다수의 유기용제는 플라스틱재를 용해시키며, 산
류는 금속류를 부식시킨다.

1) 위험물이 포장용기와 접촉하게 되면 용기 재질 본래의 성질이 상실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강제용기의 경우, 산화된 후 생성된 피막은 거칠고 약하기 때문에 용기내부까지 침
해되어 강도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

2) 플라스틱재는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부틸, 톨루엔 또는 사이클로헥산 등에 침해되며, 할


로겐화물은 금속 또는 세라믹류 등의 비금속 재료를 부식시킨다.
2.1.4 액체가 충전된 포장용기에는 운송 중 예상되는 온도에 기인한 액체 팽창의 결과로 포장용기가
새거나 영구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충분한 여유공간(ullage ; 상부공간)이 확보되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소형용기에는 55℃의 온도에서 액체가 완전히 가득 차지 않도록 충전하여
야 하며, 액체 충전용 IBCs에는 평균온도 50℃에서 IBC 수용량(water capacity)의 98%를 초
과하여 충전되지 않아야 한다.

2.1.5 한 가지 위험물을 하나의 포장용기에만 포장한다는 것은 경제적이지도 않고 필요한 것도 아니


다. 그러나 IMDG Code에서는 여러 종류의 위험물을 하나의 외장용기에 담지 못하도록 하고
있지는 않지만 상호 엄격한 격리가 요구되지 않는 물질이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위험물이 위험물 또는 기타의 화물과 상호 반응하여 다음과 같은 위험한 상태를


야기한다면 동일한 외장용기에 함께 포장(혼합포장)하지 말아야 한다 :

1) 분해, 발열, 연소 또는 폭발
산화성 물질과 환원성 물질은 혼합 시 분해ㆍ발열하여 연소 또는 폭발을 일으킬 수 있다.

2) 독성, 인화성 및 질식성의 가스 발생


산류와 시안화칼륨, 과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이 혼합되면 맹독성 가스가 발생하며,
금수성 물질은 물과 반응하여 수소가스를 발생한다.
KCN + H+ → HCN ↑ (시안화수소 발생)
2Na + 2H2O → 2NaOH + H2 ↑ (수소가스 발생)

3) 부식성 물질 및 불안정한 물질의 형성


과산화물과 산류가 혼합되면 과산화수소를 생성한다.
MgO2 + 2H+ → H2O2 ↑

2.1.6 내용물에서의 가스발생으로 인하여(온도상승 또는 기타 원인) 포장화물 내부에 압력이 발생


될 수 있는 경우에는 포장용기에 통기구(vent)를 갖출 수 있지만 방출된 가스가 자신의 독성,
인화성 또는 방출량 등을 고려하여 위험을 초래하지 않아야 한다.

2.1.7 포장용기는 제조자가 제공하는 정보에 따라 밀폐시켜야 하며, 운송 중 포장용기 외면에는 위


험한 잔류물이 묻어있지 않아야 한다.
2.1.8 액체는 통상의 운송조건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내부압력에 적절히 견딜 수 있는 포장용기에만
충전되어야 한다. 수압시험 압력치가 표시된 액체용 UN승인 포장용기에는 다음의 증기압을
갖는 액체만을 충전하여야 한다 :

1) 포장용기 내부에서 측정한 55℃에서의 총게이지압(즉, 충전물질의 증기압과 공기 또는


기타 불활성 가스의 분압을 더한 값에서 100kPa를 뺀 값)이 포장용기에 표시된 수압시험
압력치의 2/3 이하인 액체 ; 또는

2) 50℃에서 물질의 증기압이 포장용기에 표시된 수압시험 압력치에 100kPa을 더한 값의


4/7 미만인 액체 ; 또는

3) 55℃에서 물질의 증기압이 포장용기에 표시된 수압시험 압력치에 100kPa을 더한 값의


2/3 미만인 액체.

상기 제2.1.8항처럼 계산하였을 때 포장용기에 표시되어야 하는 시험압력치의 예 :


요구되는
(Vp55 x 포장용기상에
최소시험
유엔 포장 Vp55 Vp55 x 1.5 1.5) 표시되어야 하는
품 명 등급 압력
번호 등급 (kPa) (kPa) - 100 최소시험압력
(게이지)
(kPa) (게이지)(kPa)
(kPa)
2056 Tetrahydrofuran 3 II 70 105 5 100 100
2247 n-Decane 3 III 1.4 2.1 - 97.9 100 100
1593 Dichloromethane 6.1 III 164 246 146 146 150
1155 Diethyl ether 3 I 199 299 199 199 250
*
단, 포장등급 I용의 포장용기인 경우, 포장용기상에 표시되어야 하는 수압시험 압력치는 250kPa이상이어야 한

다.

2.1.9 플라스틱제의 드럼 및 제리캔, 경질형 플라스틱제 IBCs 및 플라스틱제 내용기의 복합 IBCs의


경우, 위험물 운송용으로 허용되는 사용기간은 포장용기의 제조일로부터 5년 이하로 제한된
다.

그러나 어떤 물질에 대하여는 해당 물질의 특성 때문에 더 짧은 사용기간이 명시된 경우도 있


다. 예를 들면, 농도가 60%를 초과하고 85% 이하인 불산과, 55%를 초과하는 질산(nitric
acid)의 경우, 단일용기로서 플라스틱제의 드럼 및 제리캔의 허용사용기간은 제조일로부터 2
년간으로 제한된다.
2.1.10 운송 중 예상되는 온도에서 액체로 변할 수 있는 고체용 포장용기(IBCs 포함)는 액체상태의
물질도 충전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분말 또는 과립상 물질용의 포장용기는 분말누출방지형
으로 하거나 그 내부에 내장(liner)을 삽입하여야 한다.

2.1.11 위험물이 들어 있었던 빈(empty) 포장용기는 모든 위험성이 없어지도록 적절한 조치를 취하


지 않는 한 위험물이 충전된 포장용기에 대한 규정에 따라야 한다.

2.2 포장기준(용기표)

2.2.1 임의의 위험물에 적합한 포장용기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개개 물질에 명시된 포장기준
(packing instruction)을 이용하여야 한다. 이 포장기준은 포장용기의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
은 기호로 세분되어 있다 :

포장용기의 종류 포장기준(용기표) 기호 특별포장규정 기호

소형용기 "P" 문자 + 알파벳 숫자 "PP" 문자 + 알파벳 숫자

중형산적용기 "IBC" 문자 + 알파벳 숫자 "B" 문자 + 알파벳 숫자

대형용기 "LP" 문자 + 알파벳 숫자 "L" 문자 + 알파벳 숫자

산적 컨테이너 BK2 -

2.2.2 포장기준(용기표)은 IMDG Code 제2권 위험물 목록(DGL)의 8열에 기재되어 있으며, 위험물
목록의 9열에는 특정 물질 또는 제품에 적용 가능한 특별포장규정이 명시되어 있다.

2.2.3 포장기준(용기표)에 따라 위험물 운송용 포장용기를 선택하는 것은 단지 규정준수의 한 단계


일 뿐이다. 일반적으로 이 포장기준은 그 적합성의 지침으로 마련된 것이 아니므로 사용자는
운송예정인 물질과 포장기준에서 허가 것이 아니 재질과의 적합성것앴부를 세밀히 검토한 후
선택하여야 한다(대부분의 불화물에는 유리제 용기가 부적합함).

2.3 소형용기의 선택

해당 위험물에 허가된 소형용기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IMDG Code 제2권의 위험물 목록


(DGL) (8)열에 명시된 포장기준(P문자 + 알파벳 숫자)을 이용하여야 한다. (9)열에 명시된
특정의 물질에 대한 특별포장규정(PP 문자 + 알파벳 숫자)도 고려하여야 한다.
예 : UN 2031, NITRIC ACID (PG II) 운송용 소형용기의 선택
이 물질에 대한 DGL 상단의 (8)열(포장기준)에는 "P001"로 규정되어 있고, (9)열(특별포장규
정)에는 "PP81"로 규정되어 있다. NITRIC ACID 운송용 소형용기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P001"의 포장기준에서 적절한 포장용기를 선택하여야 하며, "PP81"의 특별포장규정도 고려
하여야 한다.

UN Proper Shipping Name Class Subsidiary Packing Packing


No. (PSN) or risk(s) group
Instruc- Provisions
divi-
tions
sion

(1) (2) (3) (4) (5) (8) (9)

2031 NITRIC ACID other than 8 - II P001 PP81


red fuming, with not more
than 70% nitric acid

1) 결합용기를 사용하는 경우 : 하기의 내장용기와 외장용기로 구성된 결합용기가 허가된다.

P001 포장기준 (액체) P001


결합용기 최대용량/최대순질량
내장용기 외장용기 포장등급 I 포장등급 II 포장등급 III
유리 10ℓ 드럼
플라스틱 30ℓ 강제(1A2) 75kg 400kg 400kg
금속 40ℓ 알루미늄제(1B2) 75kg 400kg 400kg
기타 금속제(1N2) 75kg 400kg 400kg
플라스틱제(1H2) 75kg 400kg 400kg
합판제(1D) 75kg 400kg 400kg
파이버제(1G) 75kg 400kg 400kg
상자
강제(4A) 75kg 400kg 400kg
알루미늄제(4B) 75kg 400kg 400kg
천연목제(4C1, 4C2) 75kg 400kg 400kg
합판제(4D) 75kg 400kg 400kg
재생목제(4F) 75kg 400kg 400kg
파이버보드제(4G) 75kg 400kg 400kg
발포성형 플라스틱제(4H1) 40kg 60kg 60kg
경질형 플라스틱제(4H2) 75kg 400kg 400kg
제리캔
강제(3A2) 60kg 120kg 120kg
알루미늄제(3B2) 60kg 120kg 120kg
플라스틱제(3H2) 30kg 120kg 120kg

2) 단일용기를 사용하는 경우 : 하기의 단일용기가 허가된다.


P001 포장기준 (액체) P001
최대용량/최대순질량
단일용기
포장등급 I 포장등급 II 포장등급 III
드럼
강제, 비분리식 헤드(1A1) 250ℓ 450ℓ 450ℓ
강제, 분리식 헤드(1A2) 금지 250ℓ 250ℓ
알루미늄제, 비분리식 헤드(1B1) 250ℓ 450ℓ 450ℓ
알루미늄제, 분리식 헤드(1B2) 금지 250ℓ 250ℓ
기타 금속제, 비분리식 헤드(1N1) 250ℓ 450ℓ 450ℓ
기타 금속제, 분리식 헤드(1N2) 금지 250ℓ 250ℓ
*
플라스틱제, 비분리식 헤드(1H1) 250ℓ 450ℓ 450ℓ
플라스틱제, 분리식 헤드(1H2) 금지 250ℓ 250ℓ
제리캔
강제, 비분리식 헤드(3A1) 60ℓ 60ℓ 60ℓ
강제, 분리식 헤드(3A2) 금지 60ℓ 60ℓ
알루미늄제, 비분리식 헤드(3B1) 60ℓ 60ℓ 60ℓ
알루미늄제, 분리식 헤드(3B2) 금지 60ℓ 60ℓ
*
플라스틱제, 비분리식 헤드(3H1) 60ℓ 60ℓ 60ℓ
플라스틱제, 분리식 헤드(3H2) 금지 60ℓ 60ℓ
*
제3급의 포장등급 I에는 허가되지 않음.

3) 복합용기를 사용하는 경우 : 하기의 복합용기가 허가된다.

P001 포장기준 (액체) P001


최대용량/최대순질량
복합용기
포장등급 I 포장등급 II 포장등급 III
압력용기를 사용할 수 있음
*
내용기가 플라스틱재인 강제 또는 알루미늄제 250ℓ 250ℓ 250ℓ
드럼 (6HA1, 6HB1)
*
내용기가 플라스틱재인 파이버제, 플라스틱제 120ℓ 250ℓ 250ℓ
또는 합판제 드럼(6HG1, 6HH1, 6HD1)
내용기가 플라스틱재인 강제 또는 알루미늄제 60ℓ * 60ℓ 60ℓ
크레이트 또는 상자, 또는 내용기가 플라스
틱재인 목제, 합판제, 파이버보드제 또는 경
질형 플라스틱제 상자 (6HA2, 6HB2, 6HC,
6HD2, 6HG2 또는 6HH2)
이하 생략
*
제3급의 포장등급 I에는 허가되지 않음.

4) NITRIC ACID에 부여된 특별포장규정("PP81")도 고려하여야 한다.


P001 포장기준 (액체) (계속) P001
특별포장규정
PP1 유엔번호 1133, 유엔번호 1210, 유엔번호 1263 및 유엔번호 1866의 경우, 포
장등급 II 및 III 물질용의 금속 또는 플라스틱 포장용기에 포장용기 당 5ℓ이하
의 양을 충전하여 다음의 조건으로 운송하는 경우에는 제6.1장의 성능시험을
충족시킬 것을 요구하지 않음 :
(a) 팰릿화한 적재물, 팰릿상자(pallet box) 또는 단위적재기구(예를 들면, 개
개 포장용기를 팰릿 위에 올려놓거나 쌓은 후, 잡아매거나, 열수축 포장,
신축포장 또는 기타의 적절한 방법으로 고정시킨 것)로 운송하는 경우. 해
상으로 운송하는 경우, 팰릿화한 적재물, 팰릿상자 또는 단위적재기구는
밀폐형 화물운송기구에 단단하게 수납하고 또한 고정시킬 것 ; 또는
(b) 결합용기의 내장용기로 운송하는 경우(결합용기의 최대순질량은 40kg일
것).
(중략)
PP81 유엔번호 1790(불산의 농도가 60%를 초과하고 85% 이하인 것) 및 유엔번호
2031(질산의 농도가 55%를 초과하는 것)의 경우, 단일용기로서 플라스틱제
의 드럼 및 제리캔의 허용사용기간은 제조일로부터 2년간으로 할 것.

2.4 압력용기의 선택

압력용기로의 운송이 허가된 개개 물질은 포장기준 "P200"에 수록되어 있다. "P200"에 수록


되지 않은 물질은 압력용기로 운송할 수 없다.

예 1 : UN 1002, AIR, COMPRESSED 운송용 압력용기의 선택


이 물질에 대한 위험물 목록(DGL) 상단의 (8)열에는 "P200"으로 규정되어 있고, (9)열에는
"-"로 규정되어 있다. "-" 표시는 특별포장규정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UN Proper Shipping Name Class Subsidiary Packing Packing


No. (PSN) or risk(s) group
Instruc- Provisions
divi-
tions
sion
(1) (2) (3) (4) (5) (8) (9)

1002 AIR, COMPRESSED 2.2 - - P200 -

"P200" 포장기준에 수록된 압력용기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X" 표시는 사용
이 허가됨을 의미한다. "X" 표시가 없는 것은(빈 공간) 압력용기의 사용이 허가되지 않음을 의
미한다.

P200 포장기준 P200


표 1 : 압축가스
UN 정식운송품명 등 부 LC50 실 튜 압 실 M 시 시 최 특
3
No. 급 위 ㎖/m 린 브 력 린 E 험 험 대 별
험 더 드 더 G 기 압 사 포
성 럼 다 Cs 간 력 용 장
발 (년) (bar) 압 규
력 정
(bar)
1002 AIR, COMPRESSED 2.2 X X X X X 10

즉, UN No. 1002의 AIR, COMPRESSED는 실린더, 튜브, 압력드럼, 실린더 다발 중의 하나


가 허가된다. 단, 선택된 압력용기는 10년마다 정기적으로 검사를 필한 것이어야 한다.

2.5 IBCs의 선택

IMDG Code 제2권 위험물 목록(DGL)에 수록된 개개 물질의 (10)열에 명시된 포장기준(IBC
문자 + 알파벳 숫자)을 이용하여야 한다. (11)열에는 특정물질에 적용 가능한 특별포장규정
(B문자 + 알파벳 숫자)이 명시되어 있다. (10)열에 "-"표시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물질을
IBCs로 운송하는 것이 허가되지 않음을 의미하며, (11)열에 "-" 표시가 있는 경우에는 특별포
장규정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UN Proper Shipping Name Class Subsidiary Packing IBC


No. (PSN) or risk(s) group
Instruc- Provisions
divi-
tions
sion
(1) (2) (3) (4) (5) (10) (11)

1689 SODIUM CYANIDE, SOLID 6.1 P I IBC07 B1

CHLOROACETONE, 3/8
1695 6.1 I - -
STABILIZED P

예 : UN 1689, SODIUM CYANIDE, SOLID (PG I) 운송용 IBCs의 선택


이 물질에 대한 위험물 목록(DGL) 상단의 (10)열에는 "IBC07"로 규정되어 있고, (11)열에는
"B1"로 규정되어 있다. 포장기준 "IBC07"에서 허가된 IBCs는 다음과 같다 :

IBC07 포장기준 IBC07


제4.1.1항, 제4.1.2항 및 제4.1.3항의 일반규정을 충족시키는 것을 조건으로, 다음의 IBCs
를 허가한다.
(1) 금속제 (11A, 11B, 11N, 21A, 21B, 21N, 31A, 31B 및 31N) ;
(2) 경질형 플라스틱제 (11H1, 11H2, 21H1, 21H2, 31H1 및 31H2) ;
(3) 복합 (11HZ1, 11HZ2, 21HZ1, 21HZ2, 31HZ1 및 31HZ2) ;
(4) 목제 (11C, 11D 및 11F).
추가규정
목제 IBCs의 내장(liner)은 분말누출방지형일 것.
특별포장규정
B1 포장등급 I인 물질의 경우, IBCs는 밀폐형 화물운송기구로 운송하거나 또는 IBC 높
이 이상의 경질 측면 또는 울타리가 있는 화물 컨테이너/차량으로 운송할 것.
B2 금속제 또는 경질형 플라스틱제 IBCs 이외의 IBCs에 포장되는 포장등급 II인 고체
물질의 경우, IBCs는 밀폐형 화물운송기구로 운송하거나 또는 IBC 높이 이상의 경
질 측면 또는 울타리가 있는 화물 컨테이너/차량으로 운송할 것.
B4 연성형, 파이버보드제 또는 목제 IBCs는 분말누출방지형이고 방수성이거나, 또는
분말누출방지형이고 방수성인 내장(liner)을 갖춘 것일 것.

즉, UN No. 1689의 SODIUM CYANIDE, SOLID는 "IBC07"에 허가된 IBCs만을 사용하여야


하며, "B1"의 특별포장규정도 고려하여야 한다.

2.6 대형용기의 선택

DGL에 수록된 각 물질의 (8)열에 명시된 포장기준(LP문자 + 알파벳 숫자)을 이용하여야 한


다. (9)열에는 특정의 물질에 적용 가능한 특별포장규정(L문자 + 알파벳 숫자)이 명시되어 있
다.

UN Proper Shipping Class Subsidiary Packing Packing


No. Name or risk(s) group
Instruc- Provisions
(PSN) divi-
tions
sion
(1) (2) (3) (4) (5) (8) (9)

1805 PHOSPHORIC ACID, LIQUID 8 - III P001 -


LP01

예 : UN 1805, PHOSPHORIC ACID, LIQUID (PG III) 운송용 대형용기의 선택


이 물질에 대한 위험물 목록(DGL) 상단의 (8)열에는 "LP01"로 나타나 있으므로, 이 "LP01"
포장기준에서 적절한 대형용기를 선택하여야 한다.

LP01 포장기준 (액체) LP01


제4.1.1항 및 제4.1.3항의 일반규정에 적합한 경우, 다음의 대형용기를 허가한다.
내장용기 대형 외장용기 포장등급 I 포장등급 II 포장등급 III
유리 10ℓ 강제(50A)
플라스틱 30ℓ 알루미늄제(50B)
금속 40ℓ 기타 금속제(50N)
3
경질형 플라스틱제(50H) 불허 불허 3m
천연목제(50C)
합판제(50D)
재생목제(50F)
경질형 파이버보드제(50G)

즉, UN No. 1805의 PHOSPHORIC ACID, LIQUID"는 "LP01"에 허가된 대형용기만을 사용


하여야 한다.

2.7 산적 컨테이너의 선택

어떤 고체 위험물에 대하여 위험물 목록(DGL) (13)열에 "BK2"(밀폐형 산적 컨테이너)로 명


시되어 있다면 당해 고체 위험물은 산적 컨테이너로 운송할 수 있다.

UN Proper Shipping Name Class Subsidiary Portable tank and bulk containers
No. (PSN) or risk(s)
divi- IMO UN Provisions
sion tank tank
instructions instructions
(1) (2) (3) (4) (12) (13) (14)

POLYMERIC BEADS, T1
2211 9 - - TP33
EXPANDABLE BK2

즉, UN No. 2211의 POLYMERIC BEADS, EXPANDABLE은 산적 컨테이너로의 운송이 허


가된다. 단, 해당 산적 컨테이너는 구조적으로 사용가능한 상태이어야 하며, 중대한 결함이 없
어야 한다(본 교제의 제3.6.5항 참조).

2.8 제5.2급 및 제4.1급(자기반응성 물질에 한 함)의 포장기준


제5.2급 및 제4.1급의 자기반응성 물질용의 포장용기는 포장기준 "P520"에 수록되어 있으며,
"OP1"~"OP8"로 지정되어 있다. "OP"숫자가 낮을수록 허용요건과 양(量)은 제한적이다.

P520 포장기준 P520


이 명세는 제5.2급의 유기과산화물 및 제4.1급의 자기반응성 물질에 적용한다.
(1) 결합용기 : 적절한 내장용기와 상자(4A, 4B, 4C1, 4C2, 4D, 4F, 4G, 4H1 및 4H2), 드
럼(1A2, 1B2, 1G, 1H2 및 1D) 또는 제리캔 (3A2, 3B2 및 3H2) 외장용기로 구성된 결
합용기 ;
(2) 단일용기 : 드럼(1A1, 1A2, 1B1, 1B2, 1G, 1H1, 1H2 및 1D) 및 제리캔(3A1, 3A2,
3B1, 3B2, 3H1 및 3H2) ;
(3) 복합용기 : 내용기가 플라스틱재인 복합용기(6HA1, 6HA2, 6HB1, 6HB2, 6HC,
6HD1, 6HD2, 6HG1, 6HG2, 6HH1 및 6HH2).
1
포장방법 OP1~OP8에 대한 포장용기/포장화물당 허용량
포장방법
OP1 OP2 1 OP3 OP4 1 OP5 OP6 OP7 OP8
허용량
고체 및 결합용기(액체 및 2
0.5 0.5/10 5 5/25 25 50 50 400
고체)에 대한 최대량(kg)
3 4
액체에 대한 최대량(ℓ) 0.5 - 5 - 30 60 60 225
1
2개의 값이 주어진 경우, 첫 번째 값은 내장용기 당 최대순질량이고, 두 번째 값은 완성
된 포장화물의 최대순질량임.
2
제리캔인 경우에는 60kg. 상자인 경우에는 200kg. 고체인 경우에는 400kg(최대순질량
이 25kg인 플라스틱제 또는 파이버제 내장용기와 상자(4C1, 4C2, 4D, 4F, 4G, 4H1 및
4H2)의 외장용기로 구성된 결합용기인 경우).
3
액체에 대한 정의의 기준을 충족시키는 점성액체는 고체로 취급할 것.
4
제리캔인 경우에는 60ℓ.
추가규정
1 금속제 용기(결합용기의 내장용기, 또는 결합용기나 복합용기의 외장용기 포함)는 포장
방법 포함7 및 OP8용으로만 사용할 수 있음.
2 결합용기의 경우, 유리제 용기는 최대 내용물이 고체인 경우에는 0.5kg 또는 액체인 경
우에는 0.5ℓ인 내장용기로만 사용할 수 있음.
3 결합용기의 경우, 완충재는 쉽게 발화되지 않는 것일 것.
4 폭발성(EXPLOSIVE) 부위험성 표찰의 부착이 요구되는 유기과산화물 또는 자기반응성
물질용 포장용기는 IMDG Code 제4.1.5.10항 및 제4.1.5.11항에 수록된 규정도 준수할
것.

3. 이동식 탱크, MEGCs 및 산적 컨테이너의 사용

3.1 일반
3.1.1 현존하는 IMO형식 탱크(IMO type tank)의 종류 및 사양은 다음과 같다 :

종 류 설 명 용도
최대허용사용압력(MAWP)이 1.75bar 이상인 제3급~
IMO 1형식 탱크 제9급 물질 운송용 이동식 탱크로서, 압력안전장치가
부착된 것
MAWP가 1.0bar 이상 1.75bar 미만인 특정의 저위험
IMO 2형식 탱크 성 액체 위험물 및 특정의 고체 위험물 운송용 이동식
액체
탱크로서, 압력안전장치가 부착된 것
제3급~제9급 위험물 운송용의 도로용 탱크차량으로서,
탱크가 영구적으로 부착된 세미 트레일러 또는 차대에
IMO 4형식 탱크
부착된 탱크를 포함하며, ISO 표준에 적합한 4개 이상
의 트위스트 잠금장치(twist lock)가 있는 것
제2급의 비냉동 가스용으로 사용되는 이동식 탱크로서,
IMO 5형식 탱크
압력안전장치가 부착되어 있는 것
제2급 비냉동 액화가스 운송용의 도로용 탱크차량으로 비냉동
서, 탱크가 영구적으로 부착된 세미 트레일러 또는 차대 액화가스
IMO 6형식 탱크
에 부착된 탱크를 포함하며, 가스운송에 필요한 운용설
비 및 구조설비가 갖추어져 있는 것
냉동 액화가스의 운송에 필요한 운용설비와 구조설비가
부착된 단열 이동식 탱크로서, 자신의 구조설비를 제거
IMO 7형식 탱크
하지 않고 운송, 충전 및 배출이 가능하며, 만재(滿載)
시 들어올릴 수 있는 것 냉동
제2급 냉동액화가스 운송용의 도로용 탱크차량으로서, 액화가스
냉동액화가스 운송에 필요한 운용설비와 구조설비를 갖
IMO 8형식 탱크
춘 단열 탱크가 영구적으로 탑재된 세미 트레일러를 포
함함

3.1.2 IMO형식 이동식 탱크는 2003년 1월 1일까지 1999년 7월 1일 효력을 발생한 IMDG Code
29차 개정판에 따라 계속하여 제조할 수 있다. 2003년 1월 1일 이전에 증명되고 승인된 이동
식 탱크는 해당 정기검사 및 시험규정에 적합하다면 계속 사용할 수 있다.

3.1.3 현존하는 IMO형식 탱크는 "T"기호(T-Codes) 시스템 형식으로 변경되었다. 이 "T"기호 시스


템은 "UN 이동식 탱크"로서 위험물을 운송할 때에 적용된다.
3.2 제1급 및 제3급~제9급용 이동식 탱크의 일반사항

3.2.1 제1급 및 제3급~제9급 물질은 적절한 이동식탱크 기준(portable tank instruction)과 일치하
는 사양의 이동식 탱크로 운송할 수 있으며, 위험물 목록의 개개 물질에 지정되어 있는 특별규
정(special provision)에 따라야 한다.

3.2.2 어떤 물질은 화학적으로 불안정하므로 운송 중 위험한 분해, 변질 또는 중합을 방지하기 위한


필요한 조치를 취한 경우에만 운송이 허용된다. 이를 위하여 동체에는 상기의 반응을 촉진시
키기 쉬운 물질이 충전되지 아니하도록 특별히 주의하여야 한다.

3.2.3 주무관청 또는 주무관청이 공인한 단체가 발행한 개개 이동식 탱크에 대한 설계승인 증명서,
시험 보고서, 및 최초검사 및 시험결과 증명서는 주무관청이나 주무관청이 공인한 단체 및 소
유주가 보관하고 있어야 한다. 이동식 탱크 소유자(owner)는 주무관청에서 요구할 시에 이 서
류를 제출할 수 있어야 한다.

3.2.4 이동식 탱크가 다음과 같은 상태인 경우에는 제1급 및 제3급~제9급 물질의 운송에 제공되지
않아야 한다 :

1) 20℃에서(또는 가열되는 물질인 경우에는 운송 중 해당 물질의 최고온도에서)


2,680mm2/s 미만의 점도를 갖는 액체의 충전율이 20%를 초과하고 80% 미만인 경우.
단, 이동식 탱크의 동체가 분할 칸막이(partition) 또는 요동 방지판(surge plate)에 의하
여 7,500ℓ이하 용량의 구획으로 분할되어 있는 경우에는 예외임 ;
2) 동체 또는 운용설비의 외부에 이전에 운송되었던 물질의 잔유물이 묻어있는 경우 ;
3) 누설이 있는 경우 또는 이동식 탱크 또는 그것의 들어올림 장치나 고박장치의 안전성에
영향을 줄 수 있을 정도로 손상된 경우 ; 및
4) 운용설비가 검사를 받지 않았고 또한 양호한 작동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명되는 경우.

3.2.5 세척되고 않았고 가스프리되지 않은 빈(empty) 이동식 탱크는 당해 이동식 탱크에 충전되었
던 이전 물질에 대한 규정과 동일한 규정에 따라야 한다.

3.3 비냉동 액화가스용 이동식 탱크의 일반사항

3.3.1 비냉동 액화가스는 이동식탱크 기준 "T50"과 일치하는 사양의 이동식 탱크로 운송할 수 있으
며, 위험물 목록 (12)열~(14)열과 특정 비냉동 액화가스에 지정된 이동식 탱크 특별규정에 따
라 운송되어야 한다.

3.3.2 충전 전, 하송인은 해당 이동식 탱크가 운송예정인 비냉동 액화가스용으로 승인된 것인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해당 이동식 탱크에는 동체, 개스킷, 운용설비 및 보호내장의 재질과 접촉하
여 위험한 생성품을 형성하거나 이들 재질을 뚜렷하게 약화시킬 가능성이 있는 비냉동 액화가
스가 적재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3.3 이동식 탱크가 다음과 같은 경우, 비냉동 액화가스의 운송에 제공되지 않아야 한다 :
1) 이동식 탱크 내부에서의 요동(surge)으로 인하여 수용할 수 없는 수압을 발생시킬 수 있
는 여유공간(ullage)이 있는 남아있는 경우 ;
2) 누설이 있는 경우 ;
3) 탱크 또는 그것의 들어올림용 장치나 고박장치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정도로
손상된 경우 ; 및
4) 운용설비가 검사를 받지 않았고 또한 양호한 작동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명된 경우.

3.4 냉동 액화가스용 이동식 탱크의 일반사항

3.4.1 냉동 액화가스는 이동식탱크 기준 "T75"와 일치하며 또한 위험물 목록 (12)열~(14)열과 특


정 냉동 액화가스에 지정된 이동식 탱크 특별규정에 따라 운송되어야 한다.

3.4.2 초기 충전율을 추정할 때에는 조우할 것으로 예상되는 모든 지연기간을 포함하여 예정항해 동
안에 필요한 허용압력유지시간(holding time)을 고려하여야 하며, 동체의 초기 충전율은 증기
압이 최대허용사용압력과 같아지는 온도까지 내용물(헬륨은 제외)의 온도가 상승하여도 액체
가 차지하는 용적이 98%를 초과하지 않는 정도이어야 한다.

3.4.3 이동식 탱크가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냉동 액화가스의 운송에 제공되지 않아야 한다 :

1) 동체 내부의 요동으로 인하여 수용할 수 없는 수압을 발생시킬 수 있는 여유공간(ullage)


이 남아있는 경우 ;
2) 누설이 있는 경우 ;
3) 이동식 탱크 또는 그것의 들어올림용 장치나 고박장치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정도로 손상된 경우 ;
4) 운용설비가 검사를 받지 않았고 양호한 작동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명된 경우 ;
5) 운송예정인 냉동 액화가스에 대한 실제 허용압력유지시간이 결정되지 않은 경우 및 그것
이 이동식 탱크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 ; 및
6) 예상되는 모든 지연기간을 고려한 후, 운송기간이 실제 허용압력유지시간을 초과하는 경
우.

3.5 집합형 가스 컨테이너(MEGCs)의 일반사항

3.5.1 MEGCs는 운송 중 종ㆍ횡방향의 충격 및 전복의 결과로 인한 구성부품 및 운용설비의 손상에


적절히 보호되어야 한다.

3.5.2 충전 전, 당해 MEGCs가 운송 예정인 가스에 허가된 것인지와 본 IMDG Code의 적용 가능한


규정에 적합한 것인지를 검사하여야 한다.

3.5.3 MEGCs의 구성부품에는 각 구성부품에 충전될 예정인 특정 가스에 대한 사용압력, 충전율 및


포장기준 "P200"에 명시된 충전규정에 따라 충전되어야 한다. 어떠한 경우에도 MEGC 또는
각 구성부품의 그룹에는 모든 구성부품에 명시된 사용압력 중에서 가장 낮은 사용압력을 초과
하여 충전되지 않아야 한다.

3.5.4 MEGCs의 개개 구성부품은 포장기준 "P200"과 정기검사 및 시험규정에 따라 정기적으로 점


검되어야 한다. 정기검사 만기일 이후에는 위험물이 충전되지 않아야 하지만, 기한 제한 만기
일 이후에는 운송할 수 있다.

3.5.5 MEGCs가 다음과 같은 상태인 경우에는 충전하지 말아야 한다 :

1) 압력용기 또는 그것의 구조설비나 운용설비의 안전성에 영향을 줄 수 있을 정도로 손상된


경우 ;
2) 압력용기 또는 그것의 구조설비나 운용설비가 검사를 받지 않았고 양호한 작동상태가 아
닌 것으로 판명된 경우 ; 및
3) 요구된 증명서, 재시험 및 충전표시를 판독할 수 없는 경우.

3.5.6 충전된 MEGCs가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운송에 제공되어서는 안 된다 :


1) 누설이 있는 경우 ;
2) 압력용기 또는 그것의 구조설비나 운용설비의 안전성에 영향을 줄 수 있을 정도로 손상된
경우 ;
3) 압력용기 또는 그것의 구조설비나 운용설비가 검사를 받지 않았고 양호한 작동상태가 아
닌 것으로 판명된 경우 ; 및
4) 요구된 증명서, 재시험 및 충전표시를 판독할 수 없는 경우.

3.5.7 세정 및 치환되지 않은 빈 MEGCs는 이전의 물질을 충전한 MEGCs와 동일한 규정에 따라야
한다.

3.6 산적 컨테이너의 일반사항

3.6.1 운송 중 조우할 것으로 예상되는 온도에서 액체로 변할 수 있는 고체물질은 산적 컨테이너로


의 운송이 허용되지 않는다.
3.6.2 산적 컨테이너는 누출방지형이어야 하며, 진동의 영향 또는 온도, 습도 또는 압력의 변화를 포
함한 통상적인 운송상태하에서 내용물의 누출이 없도록 밀폐시켜야 한다.
3.6.3 산적고체는 산적 컨테이너 내부에서의 이동이 최소화되도록 골고루 분배되어야 한다.
3.6.4 만약 산적 컨테이너가 분진 폭발을 야기할 수 있거나 인화성 증기가 방출될 수 있는 산적화물
(예를 들면, 폐기물)의 운송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해당 화물의 적ㆍ양하 중 발화원을 차단하
고 위험한 정전기 방출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3.6.5 산적 컨테이너는 충전하기 전에 구조적 사용가능성에 대한 외관검사를 실시하여야 하며, 산적
컨테이너 내부 벽, 천장 및 바닥에는 돌출 또는 손상이 없어야 한다.
"구조적으로 사용 가능한 상태(structurally serviceable)"라 함은 산적 컨테이너가 자신의 구
조적인 요소, 예를 들면, 화물 컨테이너의 Top and Bottom Side Rail, Top and Bottom End
Rail, Door Sill 및 Door Header, Floor Cross Member, Corner Post 및 Corner Fitting에
중대한 결함이 없는 것을 말한다.

중대한 결함(major defect)이란 다음의 상태를 말한다 :

1) 컨테이너의 견고성에 영향을 주는 구조 또는 보강재의 구부러짐, 갈라짐, 파손 ;


2) Top and Bottom End Rails 또는 Door Header에 2개소 이상의 이음부 또는 부적절한
이음부(겹침 이음부와 같은 것) ;
3) Top and Bottom Side Rails에 2개소 이상의 이음부 ;
4) Door Sill 또는 Corner Posts에 임의의 이음부 ;
5) Door Hinge의 미작동, 비틀림, 파손, 유실 또는 그 외 작동불능 상태 ;
6) 밀폐되지 않는 개스킷 또는 봉인 ;
7) 취급장치의 적절한 직선적 배열, 새시 또는 차량에의 탑재 및 고정, 또는 선박 화물구역으
로의 삽입 등을 방해하기에 충분한 전체적인 형상의 찌그러짐 ;
8) 들어올림 부착물 또는 취급장치 상호연결 형상의 손상 ; 또는
9) 사용 또는 조작장치의 손상.

3.7 이동식탱크 기준

3.7.1 IMDG Code 제2권 위험물 목록(DGL)에는 이동식 탱크로의 운송이 허가된 위험물에 대한 이
동식탱크 기준("T"기호 : "T"문자 + 알파벳 기호)과 특별규정("TP"기호 : "TP" 문자 + 알파
벳 문자)이 수록되어 있다. 개개 이동식탱크 기준은 다음과 같은 기호로 지정되어 있다 :

이동식탱크 기준 기호 대상 위험물
T1 ~ T22 제1급, 제3급~제9급
T23 제4.1급 및 제5.2급
T50 비냉동 액화가스
T75 냉동 액화가스

3.7.2 위험물 목록의 (12)열, (13)열 및 (14)열의 적용기준은 다음과 같다 :

1) 12열(IMO 탱크명세) - 12열은 IMDG Code 29차 개정판 요건에 따라 제조된 IMO 이동
식 탱크 및 도로용 탱크차량에만 적용한다. 이 열의 규정은 2010년 1월 1일까지 (13)열
의 규정을 대신하여 이용할 수 있다. 만약 (12)열에 T기호가 없는 경우에는 (13)열을 적
용한다.

2) 13열(UN 탱크명세) - T기호가 포함된 이 열은 이동식 탱크 및 도로용 탱크차량으로의


위험물 운송에 적용할 수 있다. 고체 위험물 운송용 이동식 탱크를 제외하고, T문자가 없
는 경우 이것은 주무관청의 특별한 승인이 없는 한 해당 위험물을 이동식 탱크로 운송하
는 것이 허가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3) 14열(탱크특별규정) - TP기호가 포함된 이 열은 이동식 탱크 및 도로용 탱크차량으로의


위험물 운송에 적용할 수 있다. 이 열에 명시된 TP주석은 (12)열 및 (13)열 양자에 명시
된 이동식 탱크에 적용한다. 그러나 2010년 1월 1일 이후부터는 (13)열에 명시된 이동식
탱크에만 적용한다.

예:

UN Proper Shipping Name Packing Portable tanks and bulk containers


No (PSN) Group
IMO UN Provisions
tank tank
instructions instructions

(1) (2) (5) (12) (13) (14)

TP2
1760 CORROSIVE LIQUID, N.O.S. II - T11
TP27

TP1
1760 CORROSIVE LIQUID, N.O.S. III T4 T7
TP28

1802 PERCHLORIC ACID II TP28 T7 TP2

1) UN No. 1760(포장등급 II)용으로 사용되는 이동식 탱크는 (13)열 및 (14)열의 규정에 따


라야 한다.

2) 2010년 1월 1일까지는 (12)열 및 (14)열의 규정과 일치하는 IMO 형식 이동식 탱크를


UN No. 1760(포장등급 III)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2010년 1월 1일부터 UN No.
1760(포장등급 III)용으로 사용되는 이동식 탱크는 (13)열 및 (14)열의 규정에만 따라야
한다.

3) 2010년 1월 1일까지는 (12)열, (13)열 및 (14)열의 규정과 일치하는 이동식 탱크를 UN


No. 1802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2010년 1월 1일부터 UN No. 1802용으로 사용
되는 이동식 탱크는 (13)열 및 (14)열의 규정에만 따라야 한다.
3.8 제1급, 제3급~제9급 위험물 운송용 이동식 탱크의 선택

IMDG Code 제2권 위험물 목록(DGL)에 수록된 개개 물질의 (12)열과 (13)열에 명시된 이동
식탱크 기준을 이용하여야 한다. (14)열에 명시된 특정물질에 적용 가능한 이동식 탱크 특별
규정도 고려하여야 한다. (12)열과 (13)열에 "-"표시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물질을 이동식 탱
크로 운송하는 것이 허가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예1 : UN 1665, NITROXYLENES, LIQUID 운송용 이동식 탱크의 선택

UN Proper Shipping Name Class Subsidiary Portable tanks and bulk containers
No. (PSN) or risk(s)
IMO UN Provisions
divi-
tank tank
sion
instructions instructions

(1) (2) (3) (4) (12) (13) (14)


NITROXYLENES,
1665 6.1 - T13 T7 TP2
LIQUID
NITROXYLENES,
1665 6.1 - - - -
SOLID

(12)열 및 (13)열에 의한 탱크의 선택

상기 물질에 대한 위험물 목록(DGL) 상단의 (12)열에는 "T13"으로 규정되어 있고, (13)열에


는 "T7"로 규정되어 있다. 2010년 1월 1일까지는 (12)열의 "T13"과 (13)열의 "T7"에 적합한
사양의 이동식 탱크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2010년 1월 1일 이후에는 (13)열의 "T7"에 적
합한 사양의 이동식 탱크만이 허가된다.

동시에 허가되는 이동식탱크 기준


만약 "T13"을 사용한다면 다음의 표에 따라 "T14", "T19", "T20", "T21" 및 "T22"도 동시에
허가된다.
만약 "T7"을 사용한다면 "T8", "T9", "T10", "T11", "T12", "T13", "T14", "T15", "T16",
"T17", "T18", "T19", "T20", "T21" 및 "T22" 사양의 이동식 탱크도 동시에 허가된다.
명시된
이동식탱크 동시에 허가되는 이동식탱크 기준
기준
T2, T3, T4, T5, T6, T7, T8, T9, T10, T11, T12, T13, T14,
T1
T15, T16, T17, T18, T19, T20, T21, T22
T4, T5, T7, T8, T9, T10, T11, T12, T13, T14, T15, T16,
T2
T17, T18, T19, T20, T21, T22
T4, T5, T6, T7, T8, T9, T10, T11, T12, T13, T14, T15,
T3
T16, T17, T18, T19, T20, T21, T22
T5, T7, T8, T9, T10, T11, T12, T13, T14, T15, T16, T17,
T4
T18, T19, T20, T21, T22
T5 T10, T14, T19, T20, T22
T7, T8, T9, T10, T11, T12, T13, T14, T15, T16, T17, T18,
T6
T19, T20, T21, T22
T8, T9, T10, T11, T12, T13, T14, T15, T16, T17, T18, T19,
T7
T20, T21, T22
T8 T9, T10, T13, T14, T19, T20, T21, T22
T9 T10, T13, T14, T19, T20, T21, T22
T10 T14, T19, T20, T22
T11 T12, T13, T14, T15, T16, T17, T18, T19, T20, T21, T22
T12 T14, T16, T18, T19, T20, T22
T13 T14, T19, T20, T21, T22
T14 T19, T20, T22
T15 T16, T17, T18, T19, T20, T21, T22
T16 T18, T19, T20, T22
T17 T18, T19, T20, T21, T22
T18 T19, T20, T22
T19 T20, T22
T20 T22
T21 T22
T22 해당 없음
T23 해당 없음
T50 해당 없음
(12)열 및 (13)열에 의한 탱크의 사양 (이동식 탱크 기준)

이동식탱크 기준 "T1~T22"에는 적용 가능한 최소시험압력, 최소동체두께(mm, 기준강재),


압력안전장치 및 하부 개구부 규정이 하기와 같이 지정되어 있다 :

T1~T22 이동식탱크 기준 T1~T22


본 이동식탱크 기준은 제3급~제9급의 액체 및 고체물질에 적용한다. 제6.7.2항의 일반규정
에 적합하여야 한다.
최소동체두께
이동식 탱크 최소시험압력 압력안전장치규정 하부 개구부 규정
(mm-기준 강재)
명세 (bar) (제6.7.2.8항 참조) (제6.7.2.6항 참조)
(제6.7.2.4항 참조)
T1 1.5 제6.7.2.4.2항 참조 표준형 제6.7.2.6.2항 참조
T2 1.5 제6.7.2.4.2항 참조 표준형 제6.7.2.6.3항 참조
T3 2.65 제6.7.2.4.2항 참조 표준형 제6.7.2.6.2항 참조
T4 2.65 제6.7.2.4.2항 참조 표준형 제6.7.2.6.3항 참조
T5 2.65 제6.7.2.4.2항 참조 제6.7.2.8.3항 참조 불허
T6 4 제6.7.2.4.2항 참조 표준형 제6.7.2.6.2항 참조
T7 4 제6.7.2.4.2항 참조 표준형 제6.7.2.6.3항 참조
T8 4 제6.7.2.4.2항 참조 표준형 불허
T9 4 6mm 표준형 불허
T10 4 6mm 제6.7.2.8.3항 참조 불허
T11 6 제6.7.2.4.2항 참조 표준형 제6.7.2.6.3항 참조
T12 6 제6.7.2.4.2항 참조 제6.7.2.8.3항 참조 제6.7.2.6.3항 참조
T13 6 6mm 표준형 불허
T14 6 6mm 제6.7.2.8.3항 참조 불허
T15 10 제6.7.2.4.2항 참조 표준형 제6.7.2.6.3항 참조
T16 10 제6.7.2.4.2항 참조 제6.7.2.8.3항 참조 제6.7.2.6.3항 참조
T17 10 6mm 표준형 제6.7.2.6.3항 참조
T18 10 6mm 제6.7.2.8.3항 참조 제6.7.2.6.3항 참조
T19 10 6mm 제6.7.2.8.3항 참조 불허
T20 10 8mm 제6.7.2.8.3항 참조 불허
T21 10 10mm 표준형 불허
T22 10 10mm 제6.7.2.8.3항 참조 불허
이동식 탱크 기준의 항목 설명

1) 최소시험압력
수압시험 중 동체 상부에서의 최대 게이지압력으로서, 이동식 탱크의 명판(date plate)에
기록되어 있다.

2) 최소동체두께(mm)

탱크 사양 최소동체두께
규 정
시험압력 동체직경 (연강 기준)

1.8m 이하 5mm 이상
2.65Bar 이상
제6.7.2.4.2항 1.8m 초과 6mm 이상
참조 1.8m 이하 3mm 이상
2.65Bar 미만
1.8m 초과 4mm 이상

3) 압력안전장치 규정

규 정 동체용량 사 양

1개 이상의 용수철 부하식 압력안전장치


1,900ℓ 이상
표준형 (병렬로 파열판/가용전 추가설치 가능)

1,900ℓ 미만 압력안전장치(파열판으로 대체가능)

1) 용수철 부하식 압력안전장치


제6.7.2.8.3항
2) 그 앞쪽에 파열판 설치
참조
3) 파열판과 압력안전장치 사이에 압력계/압력 표시기 설치

『압력안전장치』 『파열판』 『가용전』


(PRV) (frangible discs) (fusible elements)
4) 하부개구부 규정

규 정 사 양

다음과 같은 2중 차단장치 :
제6.7.2.6.2항 1) 외부 스톱밸브 ; 및
2) 볼트로 조이는 맹판 또는 나사식 뚜껑

다음과 같은 3중 차단장치 :
1) 자동폐쇄식 내부 스톱밸브 ;
제6.7.2.6.3항 (1,000ℓ 초과 용량시 원격밸브폐쇄장치가 있을 것)
2) 외부 스톱밸브 ; 및
3) 볼트로 조이는 맹판 또는 나사식 뚜껑

불허 하부 개구부가 없는 것

『3중 차단장치』

3.9 비냉동 액화가스 운송용 이동식 탱크의 선택

예 : UN 1005, AMMONIA, ANHYDROUS 운송용 이동식 탱크의 선택


이동식탱크 기준 "T50"에 수록된 해당 위험물에 대한 하기의 사양에 적합한 이동식 탱크를
사용하여야 한다.

T50 이동식탱크 기준 T50


본 이동식탱크 기준은 비냉동 액화가스에 적용한다. 제4.2.2항의 일반규정 및 제6.7.3항의 규
정에 적합하여야 한다.
최대허용사용압력(bar) 액면 압력안전규정 최대
UN
비냉동 액화가스 소형 ; 나동체형 ; 아래의 (제6.7.3.7항 충전밀도
No.
햇빛 가리개형 ; 단열형 개구부 참조) (kg/ℓ)
1005 Ammonia, anhydrous 29.0 허용 제6.7.3.7.3항 0.53
25.7 참조
22.0
19.7
즉, UN No. 1005의 AMMONIA ANHYDROUS를 이동식 탱크로 운송하기 위해서는 탱크의
형태에 따라 규정된 최대허용압력과 액면 아래의 개구부 유무 및 압력안전규정 에 적합한 사
양의 이동식 탱크만이 허가된다.

3.10 MEGCs의 선택

MEGCs로 운송 가능한 압축가스, 액화가스 및 용해가스는 포장기준 "P200"에 수록되어 있다.

예 : UN 1018, CHLORODIFLUOROMETHANE (R 22) 운송용 MEGCs의 선택


이 물질은 DGL 상단의 (8)열에는 "P200"으로 규정되어 있고, (9)열에는 "-"로 규정되어 있
다. "-" 표시는 특별포장규정이 필요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UN Proper Shipping Name Class Subsidiary Packing


No. (PSN) or risk(s)
Instruc- Provisions
divi-
tions
sion

(1) (2) (3) (4) (8) (9)

1018 CHLORODIFLUOROMETHANE 2.2 - P200 -


(REFRIGERANT GAS R 22)

이 "P200" 포장기준에서 MEGCs로의 운송이 허가되는지를 확인한다. "X" 표시는 사용이 허


가됨을 의미한다.

P200 포장기준 P200


표 2 : 액화가스 및 용해가스
UN 정식운송품명 등 부 LC50 실 튜 압 실 M 시 시 충 특
No. 급 위 ㎖/㎥ 린 브 력 린 E 험 험 전 별
험 더 드 더 G 기 압 율 포
성 럼 다 Cs 간 력 장
발 (년) (bar) 규

1018 CHLORODIFLUORO- 2.2 X X X X X 10 29 1.03
METHANE
(REFRIGERANT GAS
R 22)

즉, UN 1018, CHLORODIFLUOROMETHANE(REFRIGERANT GAS R 22)은 최소시험압


력이 29bar 이상이고 10년마다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은 MEGCs로 운송할 수 있다.

5. 소형용기의 구조, 표시 및 시험
5.1 용어의 정의

IMDG Code에 수록된 포장용기와 관련된 몇몇 정의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

포대(bag) : 종이재, 플라스틱 필름재, 직물재, 직조재 또는 기타 적절한 재료로 제작된 연성


형(유연성) 포장용기를 말한다.

상자(box) : 금속재, 목재, 합판재, 재생목재, 파이버보드재, 플라스틱재 또는 기타 적절한 재


료로 제작된 것으로서, 완전한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면을 가진 포장용기를 말한다. 상자의 취
급이나 개방이 용이(容易)하도록 또는 분류규정을 충족시킬 목적으로 마련된 여러 개의 작은
구멍은 운송 중 해당 포장용기 본래의 견고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동안은 허용된다.

크레이트(crate) : 외면이 불완전한 외장용기를 말한다.

드럼(drum) : 금속재, 파이버보드재, 플라스틱재, 합판재 또는 기타 적절한 재료로 제작된 끝


이 평평하거나 볼록한 원통형 포장용기를 말한다.

제리캔(jerrican) :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횡단면 형상을 갖는 금속제 또는 플라스틱제 포장용


기를 말한다.

회수용기salvage packaging) : 손상된 포장화물, 결함이 있는 포장화물, 누출되고 있는 포장화


물, IMDG Code와 불일치하는 포장화물 또는 유출이나 누출된 위험물을 넣는 특수형 포장용
기를 말하며, 회수 또는 처분(disposal)할 목적으로 운송할 때에 사용된다.

『드럼』 『제리캔』 『상자』 『크레이트』

재생용기(reconditioned packaging) : 다음과 같은 용기를 포함한다 :

1) 금속제 드럼인 경우 :
① 모든 이전의 내용물, 내ㆍ외부의 부식, 외부의 코팅 및 표찰을 제거하여 제작시의 본
래 상태로 세척한 것 ;
② 차임(있는 경우)을 똑바르게 하고 밀봉하며, 모든 비일체형 개스킷을 교체하여, 본래
의 형상과 윤곽으로 복구시킨 것 ; 및
③ 외관상 움푹 들어간 곳, 금속 두께의 현저한 감소, 금속의 약화, 나사산이나 폐쇄장치
의 손상 또는 기타의 현저한 결함이 있는 포장용기는 버리고, 세척한 후 도장을 하기
전에 검사를 실시한 것.
2) 플라스틱제의 드럼 및 제리캔인 경우 :
① 모든 이전의 내용물, 외부의 코팅 및 표찰을 제거하여 제작시의 본래 재질 상태로 세
척한 것 ;
② 모든 비일체형 개스킷은 교체한 것 ; 및
③ 찢어짐, 주름이나 균열, 나사산이나 폐쇄장치의 손상 또는 기타의 현저한 결함과 같
은 외관상 손상이 있는 포장용기는 제외시키고, 세척한 후 도장을 하기 전에 검사를
실시한 것.

형식개조용기(remanufactured packaging) :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

1) 다음과 같은 금속제 드럼 :
① UN형식이 아닌 것을 UN형식으로 생산한 것 ;
② UN형식을 다른 UN형식으로 변경한 것 ; 또는
③ 일체형 구조부품(비분리식 헤드와 같은 것)을 교체한 것 ; 또는
2) 다음과 같은 플라스틱제 드럼 :
① UN형식을 다른 UN형식으로(예, 1H1을 1H2로) 변경한 것 ; 또는
② 일체형 구조부품을 교체한 것.

재사용 용기(re-used packaging) : 검사를 실시하여 성능시험에 견딜 수 있는 능력에 영향을


주는 결함이 없다고 판명된 재충전에 사용되는 포장용기를 말한다. 이 용어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혼화성 내용물을 재충전하는데 사용되는 포장용기와, 제품의 하송인이 관리하는 유통
경로 범위 내에서 운송되는 포장용기를 포함한다.

5.2 소형용기 형식기호

5.2.1 이 기호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


1) 포장용기의 종류(예를 들면 드럼, 제리캔 등)를 나타내는 아라비아 숫자 1자 ;
2) 연속하여, 포장용기의 재질(예를 들면 강재, 목재 등)을 나타내는 알파벳대문자 1자 또는
2자 ;
3) 필요한 경우에는 연속하여, 동일 형식의 포장용기에 대한 자세한 분류를 나타내는 아라비
아 숫자 1자.

5.2.2 다음의 아라비아 숫자는 포장용기의 종류(kind)를 나타내는데 사용한다(Type Code).

1 2 3 4 5 6
드럼 - 제리캔 상자 포대 복합용기

5.2.3 다음의 알파벳 대문자는 포장용기의 재질을 나타내는데 사용한다(Material Code).

A B C D F G
강재 알루미늄재 천연목재 합판재 재생목재 파이버보드재
H L M N P
플라스틱재 직물재 종이재, 다층 금속재 유리, 자기재

주 : 플라스틱재에는 고무와 같은 기타의 중합재를 포함한다.

5.2.4 복합용기인 경우에는 2자의 알파벳 대문자를 형식기호의 두 번째 지점에 연속적으로 사용한
다(예, 1HA1). 첫 번째 대문자는 내용기(inner receptacle)의 재질을 표시하며, 두 번째 대문
자는 외장용기(outer packaging)의 재질을 표시한다. 결합용기인 경우에는 외장용기 기호만
을 사용한다.

5.2.5 "T", "V" 또는 "W" 문자를 형식기호 뒤에 사용할 수 있다 :


1) "T" 문자는 회수용기(salvage packaging)에 사용한다.
2) "V" 문자는 특별용기(special packaging)에 사용한다. 제품 또는 고체나 액체용의 임의
형태의 내장용기를 별도의 시험없이 IMDG Code의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하의 외장용기
내에 조립한 것이다.
3) "W" 문자는 IMDG Code에 명시된 포장용기와 동일한 종류이기는 하지만 개별 포장용기
규정과 상이한 명세로 제조되었으며, 포장용기 일반규정과 동등한 것으로 간주되는 포장
용기에 사용한다.
5.2.6 소형용기 형식기호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종 류 재 질 분 류 기호
비분리식 헤드 1A1
A 강재
분리식 헤드 1A2
비분리식 헤드 1B1
B 알루미늄재
분리식 헤드 1B2
D 합판재 - 1D
1 드럼 G 파이버재 - 1G
비분리식 헤드 1H1
H 플라스틱재
분리식 헤드 1H2
N 금속재(강재 또는 비분리식 헤드 1N1
알루미늄재는
분리식 헤드 1N2
제외)
2 (유보)
비분리식 헤드 3A1
A 강재
분리식 헤드 3A2
비분리식 헤드 3B1
3 제리캔 B 알루미늄재
분리식 헤드 3B2
비분리식 헤드 3H1
H 플라스틱재
분리식 헤드 3H2
A 강재 - 4A
B 알루미늄재 - 4B
보통형 4C1
C 천연목재
분말누출방지벽이 있는 것 4C2
4 상자 D 합판재 - 4D
F 재생목재 - 4F
G 파이버보드재 - 4G
발포성형 4H1
H 플라스틱재
경질형 4H2
내장 또는 코팅이 없는 것 5H1
H 직조플라스틱재 분말누출방지형 5H2
방수형 5H3
H 플라스틱 필름재 - 5H4
5 포대 내장 또는 코팅이 없는 것 5L1
L 직물재 분말누출방지형 5L2
방수형 5L3
다층, 5M1
M 종이재
다층, 방수형 5M2
종 류 재 질 분 류 기호
외장용 강제드럼 6HA1
외장용 강제 크레이트 또는 상자 6HA2
외장용 알루미늄제 드럼 6HB1
외장용 알루미늄제 크레이트 또는 상자 6HB2
외장용 목제상자 6HC
H 플라스틱제의
외장용 합판제 드럼 6HD1
내용기
외장용 합판제 상자 6HD2
외장용 파이버제 드럼 6HG1
외장용 파이버보드제 상자 6HG2
외장용 플라스틱제 드럼 6HH1
외장용 경질형 플라스틱제 상자 6HH2
6 복합용기
외장용 강제드럼 6PA1
외장용 강제 크레이트 또는 상자 6PA2
외장용 알루미늄제 드럼 6PB1
외장용 알루미늄제 크레이트 또는 상자 6PB2
외장용 목제상자 6PC
P 유리, 도기 또는
외장용 합판제 드럼 6PD1
자기제의 내용기
외장용 잔가지 세공 바구니 6PD2
외장용 파이버제 드럼 6PG1
외장용 파이버보드제 상자 6PG2
외장용 발포형 플라스틱제 용기 6PH1
외장용 경질형 플라스틱제 용기 6PH2

5.3 소형용기의 UN 표준용기 표시

5.3.1 UN 표준용기 표시는 해당 포장용기가 시험에 합격한 설계형식과 일치한다는 것과, 포장용기
의 사용자가 아니라 제조자가 IMDG Code 규정에 따른 것임을 나타내는 표시이다. 따라서 표
시가 부착되어 있다고 하여 모든 위험물에 대하여 해당 포장용기의 사용이 허가되는 것은 아
니다.

5.3.2 유엔표준용기 표시는 항상 시험수준의 상세한 사항 등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므로, 이 상세한


사항에 대하여는 다른, 예를 들면 시험 증명서, 시험 보고서 또는 시험에 합격한 포장용기 등
록부 등을 참조하여 한층 더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즉, X 또는 Y로 표시된 포장용기는
그 보다 낮은 위험도를 갖는 포장등급으로 지정된 물질로서 포장용기 시험규정에 명시된 성능
시험을 실시하는데 사용되었던 물질의 최대허용비중치의 1.5배 또는 2.25배 이내의 비중을
가진 물질용의 포장용기로 사용할 수 있다(즉, 비중 1.2의 제품으로서 포장등급 I의 시험에 합
격한 포장용기는 비중 1.8인 포장등급 II의 제품 또는 비중 2.7인 포장등급 III의 제품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5.3.3 소형용기의 UN 표준용기 표시는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

(a) 유엔 포장용기 기호(United Nations packaging symbol) ;

(b) 소형용기의 종류를 나타내는 기호 ;


(c) 다음의 2개 부분으로 된 기호 ;
ⅰ) 시험에 합격한 설계형식의 포장등급을 나타내는 문자 ;
X : 포장등급 I, II 및 III용으로 사용가능
Y : 포장등급 II 및 III용으로 사용가능
Z : 포장등급 III용으로 사용가능 ;
ⅱ) 내장용기가 없는 액체 충전용 포장용기에 대하여는 설계형식 시험시의 내용물의 밀
도(소수점 2자릿수 이하 반올림한 값)(비중이 1.2 이하인 경우에는 생략 가능함). 고
체(solid) 충전용 포장용기 또는 내장용기가 있는 포장용기에 대하여는 kg으로 표시
한 허용총질량(maximum gross mass).
(d) 고체 충전용 포장용기 또는 내장용기가 있는 포장용기임을 나타내는 문자 "S", 액체 충전
용 포장용기(결합용기는 제외)에 대하여는 10kPa 단위로 절삭하여 표시한 수압 시험치 ;
(e) 해당 포장용기의 제조 년도(서기 년의 끝 두 자리). 1H 및 3H 형식의 포장용기에는 제조
월도 표시하여야 함 ;
(f) 당해 표시를 배당한 국명(국제자동차등록기호를 사용함) ; 및
(g) 제조자 명칭 또는 주무관청이 정한 포장용기의 기타 식별표시.

포장용기를 재생(reconditioning)한 경우에는 다음의 표시를 다음의 순서에 따라 견고한 표시


로 나타낸다 :
(h) 재생을 행한 국명(국제자동차식별기호를 사용함) ;
(i) 재생업자의 명칭 또는 주무관청이 정한 포장용기의 기타 식별표시 ; 및
(j) 재생을 행한 년도 및 "R"의 문자(예, 07R) ; 기밀시험에 합격한 모든 포장용기에는 또다
시 "L"의 문자(예, 07RL).

예1:
1A1/X1.8/250/08/ROK/KR

1 : 포장용기의 종류 : 드럼
A : 제작재질 : 강재
1 : 드럼의 형태 : 비분리식 헤드(주입구의 직경이 7cm 이하)
X : 포장등급 I, II 또는 III용으로 사용 가능
1.8 : 비중 1.8 이하의 위험물에 적합
250 : 수압 시험치(kPa)
08 :제조 년도. 만약 플라스틱제이면 어딘가에 제조 월이 있어야 함
ROK : 표시를 배당한 국명(대한민국)
KR : 제조자 명칭 또는 주무관청이 정한 포장용기의 기타 식별표시

예2:

4G/Y56/S/08/ROK/KR

4 : 포장용기의 종류 : 상자
G : 제작재질 : 파이버보드재
Y : 포장등급 II 또는 III용으로 사용 가능
56 : 최대 총질량(kg)(maximum gross mass)
S : 고체 또는 내장용기. 상자는 고체 또는 내장용기용으로 설계될 수 있음
08 : 제조 년도
ROK : 표시를 배당한 국가(대한민국)
KR : 제조자 명칭 또는 주무관청이 정한 포장용기의 기타 식별표시
5.5 시험 보고서

시험 보고서에는 운송용으로 준비된 당해 포장


용기를 IMDG Code의 관련규정에 따라 시험
하였으며, 다른 포장방법을 사용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무효가 될 수
있다는 내용의 문구가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시험 보고서는 주무관청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6. 압력용기의 구조 및 표시

6.1 일반

6.1.1 압력용기와 그 폐쇄장치는 약화(fatigue)를 포함한 정상운송조건 중 조우할 수 있는 모든 조건


에 견딜 수 있는 방법으로 설계, 제조, 시험 및 장착되어야 한다.

6.1.2 과학과 기술의 발달을 인정하고 또한 UN 승인표시가 표시된 것 이외의 압력용기를 국내에서
사용할 수 있음을 인정하여, IMDG Code에 명시된 것 이외의 요건에 적합한 압력용기는 운송
국 및 사용국 주무관청이 승인한다면 사용할 수 있다.

6.1.3 압력용기의 최소 벽두께는 어떠한 경우에도 설계 및 제조기술 표준에 명시된 수치보다 더 작


지 않아야 한다. 또한 용접구조 압력용기의 재질은 용접성이 양호한 금속재만을 사용하여야
한다.

6.1.4 실린더, 튜브, 압력드럼 및 실린더 다발의 시험압력은 포장기준 "P200"에 따라야 한다. 밀폐
형 초저온 용기의 시험압력은 포장기준 "P203"에 따라야 한다.

6.1.5 다발로 조립된 압력용기는 구조적으로 지지되어야 하며, 1개의 운송기구에 함께 결합되어야
한다. 압력용기는 이동이 방지되도록 고정되어야 한다. 다기관(manifold)은 충격으로부터 보
호되어야 한다. 독성 액화가스용인 경우에는 개개 압력용기가 개별적으로 충전될 수 있고 또
한 운송 중 압력용기 내용물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어야 한다.

6.1.6 수작업 또는 굴려서 취급할 수 없는 압력용기에는 기계적인 방법으로 안전하게 취급할 수 있


는 장치(스키드, 고리, 끈)가 부착되어야 하며, 그 장치는 압력용기내의 강도를 손상시키지 않
고 과도한 응력의 원인이 되지 않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6.1.7 개개 압력용기에는 포장기준 "P200" 또는 IMDG Code에 명시된 바에 따라 압력안전장치가


부착되어야 한다. 압력안전장치는 이물질의 침입, 가스의 누출 및 위험한 과압의 발생이 방지
되어야 한다. 또한 충전량이 용량으로 측정되는 압력용기에는 액면계가 구비되어 있어야 한
다.

6.2 재충전이 가능한 UN 압력용기의 표시

6.2.1 재충전이 가능한 UN 압력용기에는 증명표시, 조작표시 및 제조자 표시를 견고하게 표시하여
야 한다. 이들 표시는 압력용기의 어깨, 상부 끝 또는 경부상에 표시되거나 또는 압력용기에
영구적으로 부착된 부품(용접된 깃 또는 초저온 용기의 외피에 용접된 내부식성 판)에 표시하
여야한다.

6.2.2 다음과 같은 증명 표시(certification mark)가 있어야 한다 :

(a) 유엔 포장용기 기호(United Nations packaging symbol) ;

(b) 설계, 구조 및 시험에 사용된 기술 표준(예를 들면, ISO 9809-1) ;


(c) 승인국 식별표시(국제자동차등록기호로 표시함) ;
(d) 표시를 인정하는 국가의 주무관청에 등록된 검사기관의 식별표시 ;
(e) 최초 검사일자. 4자리의 년도와 2자리의 월을 스렛시로(즉 " / ") 분리시켜 표시.

6.2.3 다음과 같은 운용표시(operational mark)가 있어야 한다 :


(f) 시험압력(단위 : bar). "PH"라는 문자 뒤에 표시하며, 시험압력 뒤에는 "BAR"를 표시할
것;
(g) 빈(empty) 압력용기의 질량 [영구적으로 부착된 모든 구성부품, 예를 들면 넥링(neck
ring), 저부링(foot ring) 등)을 포함한 질량]. 이 질량 뒤에는 "KG" 이라는 문자를 표시할
것. 이 질량에는 밸브, 밸브 캡 또는 밸브 가드, 도막(coating) 또는 아세틸렌용의 다공물
질은 포함시키지 말 것. 이 질량은 유효숫자 3자리까지 표시하여야 하며, 마지막 숫자까
지 반올림한 것일 것. 1kg 미만인 실린더의 경우, 이 질량은 유효숫자 2자리까지 표시하
여야 하며, 마지막 숫자까지 반올림한 것일 것. 유엔번호 1001의 아세틸렌, 용해된 것
(acetylene, dissolved)용 및 유엔번호 3374의 아세틸렌, 용제가 없는 것(acetylene,
solvent free)용의 압력용기인 경우에는 최소한 소수점 이하 1자리 숫자 이상 표시하여
야 하며, 1kg 미만인 압력용기의 경우에는 최소한 소수점 이하 2자리 숫자 이상 표시할
것.
(h) 압력용기의 최소보증 벽면두께(mm). "MM"이라는 문자 앞에 표시할 것. 이 표시는 수용
량이 1ℓ이하인 압력용기와, 복합 실린더 또는 밀폐형 초저온용기에는 요구하지 않음 ;

(i) 사용압력(단위 : bar). "PW"라는 문자 뒤에 표시하며, 유엔번호 1001의 아세틸렌, 용해


된 것(acetylene, dissolved) 및 유엔번호 3374의 아세틸렌, 용제가 없는 것(acetylene,
solvent free)인 압축가스용 압력용기인 경우에 표시함. 최대허용사용압력. "MAWP"라
는 문자 뒤에 표시하며, 밀폐형 초저온용기인 경우에 표시할 것 ;
(j) 수용량. "L"이라는 문자 앞에 표시하며, 액화가스용 압력용기인 경우에 표시할 것. 수용량
은 유효숫자 3자리까지 표시하여야 하며, 나머지 숫자는 잘라 버릴 것. 만약 최소 또는 공
칭 수용량의 값이 정수인 경우에는 소수점 이하의 숫자는 생략할 수 있음 ;
(k) 합계질량 [빈용기, 운송 중 제거되지 않는 부착물 및 부속품, 도막(coating), 다공성 물질,
용제 및 포화가스의 질량을 합한 합계질량). 유엔번호 1001의 아세틸렌, 용해된 것
(acetylene, dissolved)용의 압력용기인 경우에 표시할 것. 합계질량은 유효숫자 3자리
까지 표시하여야 하며, 나머지 숫자는 잘라 버릴 것. 합계질량 뒤에는 "KG"이라는 문자를
표시할 것. 최소한 소수점 이하 1자리 숫자 이상 표시할 것. 1kg 미만인 압력용기의 경우
에는 유효숫자 2자리까지 표시하여야 하며, 나머지 숫자는 버릴 것.
(l) 합계질량 [빈용기, 운송 중 제거되지 않는 부착물 및 부속품, 도막(coating), 다공성 물질,
용제 및 포화가스의 질량을 합한 합계질량). 유엔번호 3374의 아세틸렌, 용제가 없는 것
(acetylene, solvent free)용의 압력용기인 경우에 표시할 것. 합계질량은 유효숫자 3자
리까지 표시하여야 하며, 나머지 숫자는 잘라 버릴 것. 합계질량 뒤에는 "KG"이라는 문자
를 표시할 것. 최소한 소수점 이하 1자리 숫자 이상 표시할 것. 1kg 미만인 압력용기의 경
우에는 유효숫자 2자리까지 표시하여야 하며, 나머지 숫자는 버릴 것.

6.2.4 다음의 제조표시(manufacturing marks)가 있어야 한다 :

(m) 실린더 나사산의 식별표시(예를 들면, 25E). 밀폐형 초저온용기에 대하여는 이 표시를 불
필요함 ;
(n) 주무관청에 등록된 제조자 표시. 제조자 소속 국가와 승인국가가 동일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조국을 식별하는 문자(국제자동차등록기호를 사용할 것)와 제조자 표시를 표시할 것.
제조국 표시와 제조자 표시는 빈 칸 또는 스렛쉬를 사용하여 분리시킬 것 ;
(o) 제조자가 할당한 일련번호 ;

(p) 강재와의 적합성을 나타내는 "H" 문자. 수소 취약화(hydrogen embrittlement) 위험성이


있는 가스 운송용의 강제 압력용기와 강제 내장이 부착된 복합 압력용기인 경우에 표시할
것(ISO 11114-1:1997을 참조할 것).

6.2.5 상기의 표시는 다음의 예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3가지의 그룹에 위치하여야 한다.

1) 제조자 표시는 상위그룹에 있어야 함.


2) 운용표시는 중간그룹에 있어야 하며, 문자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사용압력 (i) 바로 다음에
시험압력 (f)이 포함되어야 함.
3) 증명표시는 하위그룹에 있어야 함.

6.2.6 실린더에 적용되는 표시의 예는 다음과 같다 :


6.2.7 전술한 표시에 추가하여, 정기검사 및 시험요건에 적합한 개개 재충전용 압력용기에는 다음의
표시가 순서에 따라 표시되어야 한다 ;

(a) 정기검사 및 시험을 실시한 기관에 허가된 국가를 확인하기 위한 기호(들). 해당 기관이
제조국의 주무관청에 의하여 승인된 기관이라면 이 표시는 요구되지 않음.
(b) 정기검사 및 시험의 실시한 주무관청에 의하여 허가된 기관의 등록표시 ;
(c) 정기검사 및 시험일자. 스렛시로(즉 " / ") 분리된 2자리의 년도와 2자리의 월. 년도를 표
시하기 위하여 4자리 숫자를 사용할 수 있음.

6.3 재충전이 불가능한 UN 압력용기의 표시

6.3.1 재충전이 불가능한 UN 압력용기에는 증명 표시 및 가스나 압력용기의 특정표시가 명확하고


견고하게 표시되어야한다. 이러한 표시는 압력용기상에 영구적으로 부착되어야 한다. 스텐실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 표시는 압력용기의 어깨, 상부 끝 또는 경부상에 표시하거나 영구적
으로 부착된 압력용기의 구성품에 부착되어야 한다(예를 들면, 용접된 고리).

6.3.2 기타의 표시는 측벽 이외의 장소에 허용된다. 단, 그 표시는 낮은 응력구역이 아닌 곳이거나


유해한 응력집중을 생성하지 않는 크기 및 깊이이어야 한다. 그러한 표시는 요구되는 표시와
상충되지 않아야 한다.

6.4 비-UN 압력용기

IMDG Code에 따라 설계, 제조, 검사, 시험 및 승인되지 않은 압력용기는 주무관청에 의하여


인정된 기술규칙과 IMDG Code의 일반규정에 따라 설계, 제조, 검사, 시험 및 승인되어야 한
다. 비-UN 압력용기에는 UN 포장용기 기호가 표시되지 않아야 한다.

6.5 가스가 충전된 소형용기(가스 카트리지)

6.5.1 개개 용기는 열탕욕조(hot water bath)에서 실시하는 시험에 따라야 한다. 욕조(浴槽)의 온도
와 시험 지속시간은 내부압력이 55℃에 도달할 수 있을 때 까지 이어야 한다(만약 액상이 5
0℃에서 용기 용량의 95%를 초과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50℃에 도달할 수 있을 때까지로
함). 만약 내용물이 열에 민감하거나 또는 용기가 이 시험온도에서 연화(soften)되는 플라스
틱재로 제조된 경우에는 욕조의 온도를 20℃에서 30℃사이로 설정하여야 하지만, 2,000개중
1개의 비율로 그 온도 보다 높은 온도의 욕조에서 추가시험을 실시하여야 한다.

6.5.2 용기가 새거나 영구변형이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 단, 플라스틱제 용기는 누설이 없는 한 연화
(softening)에 의한 변형은 상관이 없다.

6.6 에어로졸 분사기

6.6.1 욕조(浴槽)의 온도와 시험 지속시간은 내부압력이 55℃에 도달할 수 있을 때 까지 이어야 한


다(만약 액상이 50℃에서 용기 용량의 95%를 초과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50℃에 도달할 수
있을 때까지로 함). 만약 내용물이 열에 민감하거나 또는 에어로졸 분사기가 이 시험온도에서
연화(soften)되는 플라스틱재로 제조된 경우에는 욕조의 온도를 20℃에서 30℃사이로 설정
하여야 하지만, 2,000개중 1개의 비율로 그 온도 보다 높은 온도의 욕조에서 추가시험을 실시
하여야 한다.

6.6.2 에어로졸 분사기가 새거나 영구변형이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 단, 플라스틱제 에어로졸 분사
기는 누설이 없는 한 연화(softening)에 의한 변형은 상관이 없다.

6.6.3 충전 전 에러로졸 분사기의 압력 및 누출시험

모든 빈(empty) 에어로졸 분사기에는 55℃에서 충전된 에어로졸 분사기 내부에 예상되는 최


대압력과 동등하거나 초과하는 압력을 가하여야 한다(만약 액상이 50℃에서 용기 용량의
95%를 초과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50℃로 함). 이 압력은 최소한 에러로졸 분사기의 설계압
-2
력의 2/3 이상이어야 한다. 만약 임의의 에어로졸 분사기가 해당 시험압력에서 3.3 x 10
mbarㆍℓ/s 이상의 비율로 누출되는 증거를 보이거나, 변형되거나 또는 기타의 결함이 있다면
폐기하여야 한다.

6.6.4 충전 후 에어로졸 분사기의 시험

충전 전, 충전자는 주름잡는 장비(crimping equipment)를 적절하게 설치하고 또는 지정된 추


진제가 사용되도록 하여야 한다.
충전된 개개 에어로졸 분사기는 무게를 달아야 하며, 누출시험을 실시하여야 한다. 누출감지
-3
장치는 최소한 20℃에서 2.03 x 10 mbarㆍℓ/s의 노출률을 감지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민
감한 것이어야 한다.

누출, 변형 또는 무게를 초과하는 증거가 있는 충전된 에어로졸 분사기는 폐기하여야 한다.

8. 중형산적용기의 종류, 표시 및 시험

8.1 용어의 정의

중형산적용기(IBC ; Intermediate Bulk Container) : 소형용기 이외의 것으로서, 아래와 같은


요건에 적합한 경질형 또는 연성형(유연성)의 이동식 포장용기를 말한다 :

1) 다음의 용량을 가지는 것 ;


■ 포장등급 II 및 III의 고체 및 액체용으로는 3.0m3(3,000리터) 이하인 것 ;
■ 연성형 IBCs, 경질형 플라스틱제 IBCs, 복합 IBCs, 파이버보드제 IBCs 또는 목제
IBCs에 포장되는 포장등급 I의 고체용으로는 1.5m3 이하인 것 ;
■ 금속제 IBCs에 포장되는 포장등급 I의 고체용으로는 3.0m3이하인 것 ;
■ 제7급의 방사성 물질용으로는 3.0m3이하인 것 ;
2) 하역기계로 취급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 ; 및
3) 운송 및 취급 중 발생되는 응력에 견딜 수 있는 것(이 응력은 시험으로 결정됨).

본체(body)(복합 IBCs 이외의 모든 형태의 IBCs의 경우) : 개구부 및 폐쇄장치를 포함한 용


기 자체를 말하며, 운용설비는 포함되지 않는다.

취급장치(handling device)(연성형 IBCs의 경우) : IBC 본체에 부착되거나 IBC 본체 재질에


연장되어 형태를 이룬 끈, 고리, 구멍 또는 골조를 말한다.

최대허용총질량(maximum permissible gross mass : MPGM) : 본체, 운용설비, 구조설비의


질량과 IBC의 최대순질량을 합한 질량을 말한다.
보호된 것(protected)(금속제 IBCs의 경우) : 충격에 대한 추가적인 보호장치가 부착되어 있
는 IBC를 말하며, 그 보호형태로는 다층(샌드위치)구조, 이중 외벽 구조 또는 금속제 격자용
기 골조 등이 있다.

운용설비(service equipment) : 주입구 및 배출구와, IBCs의 형태에 따라 압력안전장치, 안전


장치, 가열장치, 단열장치 및 계측장치를 말한다.

구조설비(structural equipment)(연성형 IBCs 이외의 모든 종류의 IBCs의 경우) : 본체의 보


강, 고정, 취급, 보호 또는 안정장치를 말하며, 플라스틱제 내용기의 복합 IBCs, 파이버보드제
IBCs 및 목제 IBCs에 대하여는 바닥 팔레트를 포함한다.

8.2 IBCs의 종류

IBCs는 다음의 6가지 종류가 있다.

『금속제 IBCs』 『연성형 IBCs』 『복합 IBCs』

『파이버보드제 IBCs』 『목제 IBCs』

1) 금속제 IBCs(metal IBCs)는 금속제 본체와 적절한 운용설비 및 구조설비로 구성된다.

2) 연성형 IBCs(flexible IBCs)는 필름재, 직조재 또는 기타의 연성형 재료 또는 그들의 조


합물(필요한 경우에는 그 내면을 코팅하거나 내장을 넣은 것)과 적절한 운용설비 및 취급
장치로 구성된다.
3) 경질형 플라스틱제 IBCs(rigid plastics IBCs)는 경질의 플라스틱제 본체와 적절한 운용
설비 및 구조설비로 구성된다.

4) 복합 IBCs(composite IBCs)는 플라스틱제 내용기를 둘러싸는 경질 외장용기 형태의 구


조설비와, 운용설비 또는 기타 구조설비로 구성된다. 이 IBC는 내용기와 외장용기로 제조
되고, 일단 조립되면 그 이후에는 일체형 단일용기(single unit)로 사용되며, 그러한 형태
로 충전, 저장, 운송 또는 배출된다.

5) 파이버보드제 IBCs(fibreboard IBCs)는 별도의 상부 및 하부 뚜껑이 있거나 없는 파이버


보드제 본체와, 필요한 경우에는 내부 내장(inner liner)(단, 내장용기가 없음)과 적절한
운용설비 및 구조설비로 구성된다.

6) 목제 IBCs(wooden IBCs)는 경질 또는 접을 수 있는 목제 본체와, 내부 내장(inner


liner)(단, 내장용기가 없음)과 적절한 운용설비 및 구조설비로 구성된다.

8.3 IBCs를 표시하는 기호 체계

8.3.1 이 기호는 하기의 (a)에서 규정한 2자의 아라비아 숫자와, 이것에 이어서 하기의 (b)에서 규정
한 1자 이상의 알파벳 대문자, 그리고 이것에 연속하여 IBC의 분류를 나타내는 1자의 아라비
아 숫자(개개의 항목에 규정된 경우)로 구성된다 :

1)

고체용, 다음과 같이 충전 또는 배출
형식 액체용
중력 10kPa(0.1bar)를 초과하는 압력
경질형 11 21 31
연성형 13 ― ―

2)
A B C D F G
강재 알루미늄재 천연목재 합판재 재생목재 파이버보드제
H L M N
플라스틱제 직물재 종이재, 다층 금속제
8.3.2 복합 IBCs인 경우에는 2자의 알파벳 대문자를 이 기호의 두 번째 지점에 연속적으로 사용한
다. 첫 번째 대문자는 IBC의 내용기의 재질을 나타내며, 두 번째 대문자는 IBC의 외장용기의
재질을 나타낸다(예, 11HZ1).

8.3.3 "W"문자를 IBC 기호 뒤에 사용할 수 있다. 이 "W"문자는 IMDG Code에 명시된 IBCs와 동일
한 형식이기는 하지만 개개 IBC 규정과 상이한 명세로 제조되었으며 IBC의 일반규정에 따라
동등한 것으로 간주되는 IBC임을 나타낸다.

8.3.4 IBC에는 다음의 형식 및 기호가 지정되어 있다 :


재 질 분 류 기호
금속제 IBCs
A 강재 고체용. 중력으로 충전 또는 배출되는 것 11A
고체용. 압력으로 충전 또는 배출되는 것 21A
액체용 31A
B 알루미늄재 고체용. 중력으로 충전 또는 배출되는 것 11B
고체용. 압력으로 충전 또는 배출되는 것 21B
액체용 31B
N 금속재(강재 또 고체용. 중력으로 충전 또는 배출되는 것 11N
는 고체용. 압력으로 충전 또는 배출되는 것 21N
알루미늄재 액체용 31N
이외의 것)
연성형 IBCs 직조 플라스틱제, 코팅되지 아니하거나 내장이 없는 것 13H1
H 플라스틱재 직조 플라스틱제, 코팅된 것 13H2
직조 플라스틱제, 내장이 있는 것 13H3
직조 플라스틱제, 코팅되고 내장이 있는 것 13H4
플라스틱 필름제 13H5
L 직물재 코팅되지 아니하거나 내장이 없는 것 13L1
코팅된 것 13L2
내장이 있는 것 13L3
코팅되고 내장이 있는 것 13L4
M 종이재 다층인 것 13M1
다층이고 내수성형인 것 13M2
H 경질형 고체용. 중력으로 충전 또는 배출되는 것. 겹침적재되는 경우 전 하 11H1
플라스틱재 중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구조설비를 갖춘 것
고체용. 중력으로 충전 또는 배출되는 것. 버팀구조 없이 지탱되는 11H2

고체용. 압력으로 충전 또는 배출되는 것. 겹침적재되는 경우 전 하 21H1
중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구조설비를 갖춘 것
고체용. 압력으로 충전 또는 배출되는 것. 버팀구조 없이 지탱되는 21H2

액체용. 겹침적재되는 경우 전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구조 31H1
설비를 갖춘 것
액체용. 버팀구조 없이 지탱되는 것 31H2
HZ 플라스틱제 고체용. 중력으로 충전 또는 배출되는 것 11HZ1
내용기가 있는 경질형 플라스틱제 내용기가 있는 것
복합 IBCs * 고체용. 중력으로 충전 또는 배출되는 것 11HZ2
연성형 플라스틱제 내용기가 있는 것
고체용. 압력으로 충전 또는 배출되는 것 21HZ1
경질형 플라스틱제 내용기가 있는 것
고체용. 압력으로 충전 또는 배출되는 것 21HZ2
연성형 플라스틱제 내용기가 있는 것
액체용. 경질형 플라스틱제 내용기가 있는 것 31HZ1
액체용. 연성형 플라스틱제 내용기가 있는 것 31HZ2
G 파이버보드재 고체용. 중력으로 충전 또는 배출되는 것 11G
목제 IBCs
C 천연목재 고체용. 중력으로 충전 또는 배출되는 것. 내부 내장이 있는 것 11C
D 합판재 고체용. 중력으로 충전 또는 배출되는 것. 내부 내장이 있는 것 11D
F 재생목재 고체용. 중력으로 충전 또는 배출되는 것. 내부 내장이 있는 것 11F
8.4 IBCs의 표시

8.4.1. 기본표시

개개 IBC에는 하기의 사항을 판독이 용하도록 내구성 있고 명확하게 표시하여야 한다.

(1) 유엔 포장용기 기호(United Nations packaging symbol) ;

(2) IBC의 종류를 나타내는 기호 ;


(3) 해당 설계형식에 인정된 포장등급을 나타내는 대문자 ;
― X : 포장등급 I, II 및 III(고체용 IBCs에 한함)용으로 사용 가능 ;
― Y : 포장등급 II 및 III용으로 사용 가능 ; 또는
― Z : 포장등급 III용으로 사용 가능.
(4) 제조 월 및 년도(월 및 서기 년의 끝 2자리) ;
(5) 표시를 배당한 국가의 식별기호(국제자동차등록기호를 사용함) ;
(6) 제조자의 명칭 또는 기호 및 주무관청이 정한 IBC의 기타 식별표시 ;
(7) 겹침적재시험하중(Kg) ;
IBC에 가하는 겹침적재하중(kg)은 운송 중 IBC 상부에 겹침적재될 수 있는 동종 IBC 개
수의 합계 최대허용총질량의 1.8배로 함. 겹침적재용으로 설계되지 않은 IBC에는 "0"으
로 표시함 ;
(8) 최대허용총질량(MPGM : maximum permissible gross mass).

예1:

31HA1/Y/01 08/ROK/KR/10800/1200

31 : 액체용 경질형 복합 IBC 01 08 : 제조 월 및 년도(2008년 1월)


H : 내용기 : 플라스틱제 ROK : 표시를 인정하는 국가 식별기호
A : 외장용기 : 강제 KR : 주무관청이 부여한 식별기호
1 : 액체용 10800 : 겹침적재시험하중
Y : 포장등급 II 또는 III에 적합 1200 : 최대허용총질량(MPGM)
예2:

31HA1/Y/02 07/CAN/ABC-4-001
8,000/2200/1140/250kg/100/ser#2382/ - /R-02 07

31HA1 : 액체용 경질형 IBC 250kg : 자중


CAN : 표시할당 국명 100 : 시험압력(kPa)
ABC : 제조자명 Ser# : 일련번호
8,000 : 겹침적재하중(kg) - : 배출압력(kPa)
2200 : 최대허용총질량(kg) R-02 07 : 최근 기밀시험 월, 년
1140 : 용량(리터)

8.4.2 추가표시

개개 IBC에는 기본표시에 추가하여 다음의 정보를 검사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장소에


영구적으로 부착된 내부식성의 명판상에 나타낼 수 있다. 금속제 IBCs의 경우 이 명판은 내부
식성 금속에 나타낼 수 있다.

IBCs의 종류
추가표시 경질형
금속제 복합 파이버보드제 목제
플라스틱제
용량(ℓ)(@20℃) X X X
자중(kg) X X X X X
시험압력(게이지압)(kPa 또는 bar)
X X
(해당하는 경우)
최대 충전/배출압력(kPa 또는 bar)
X X X
(해당하는 경우)
동체의 재질 및 최소두께(mm) X
마지막 기밀시험 날짜
X X X
(해당하는 경우)(월 및 년)
마지막 검사일자(월 및 년) X X X
제조자 일련번호 X

개개 연성형 IBC에는 권고된 취급방법 및 들어 올리는 방법을 나타내는 상형문자도 표시할


수 있다.
8.5 IBCs의 정기검사

8.5.1 모든 금속제 IBC, 경질형 플라스틱제 IBC 및 복합 IBC에는 주무관청이 만족하는 다음의 검사
를 실시하여야 한다 :

1) 사용하기 전(제조 후 포함) 및 그로부터 5년을 초과하지 않는 간격으로 다음 사항에 대하


여 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
① 설계형식(표시 포함)과의 일치성 ;
② 내부 및 외부 상태 ; 및
③ 운용설비의 적절한 작동.

2) 2.5년을 초과하지 않는 간격으로 다음 사항에 대하여 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


① 외부 상태 ; 및
② 운용설비의 적절한 작동.

8.5.2 액체용, 또는 압력으로 충전 또는 배출되는 고체용의 모든 금속제 IBC, 경질형 플라스틱제


IBC 및 복합 IBC에는 다음의 간격으로 적절한 기밀시험(leakproofness test)을 실시하여야
한다 :
① 운송에 최초로 사용하기 전 ;
② 2.5년을 초과하지 않는 간격.

8.5.3 개개 검사 및 시험 보고서는 적어도 차기 검사 또는 시험일 까지 IBCs의 소유자가 보관하여야


한다.
10. 이동식 탱크 의 검사 및 시험

10.1 제3급~제9급의 위험물용 이동식 탱크의 검사 및 시험

10.1.1 정의

기밀시험(leakproofness test) : 가스를 사용하여


MAWP의 25% 이상의 유효내부압력을 동체 및 그
운용설비에 가하는 시험을 말한다.

최대허용사용압력(MAWP ; Maximum Allowable Working Pressure) : 작동상태에 있는 동


안 동체 상부에서 측정한 다음의 압력 중에서 가장 높은 압력 이상이어야 하는 압력을 말한다
:
1) 충전 또는 배출 중 동체에 허용되는 최대유효게이지압력 ; 또는
2) 동체 설계시의 최대유효게이지압력으로서, 하기 압력을 합한 압력 이상이어야 한다 :
① 65℃(6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운송중의 가장 높은 온도)에서의 절대 증기압(bar)
에서 1bar를 뺀 압력 ; 및
② 65℃의 상부공간 최고온도와 액체평균온도의 증가 tr - tf (tf = 충전온도, 통상 15℃
로 함. tr = 최고액체평균온도, 50℃)에 기인한 액체팽창에 의하여 결정되는 상부공
간 내부의 공기 또는 기타 가스의 분압(bar).

최대허용총질량(MPGM : Maximum Permissible Gross Mass) : 이동식 탱크의 자체 질량과


운송을 위하여 허가된 최대적재질량의 합계를 말한다.

이동식 탱크(portable tank) : 제3급~제9급 물질의 운송에 사용되는 복합탱크를 말한다. 이동


식 탱크에는 위험물의 운송에 필요한 운용설비 및 구조설비가 부착된 동체를 포함한다. 이동
식 탱크는 탱크의 구조설비를 제거하지 않고 충전 및 배출이 가능하여야 한다. 이동식 탱크는
동체 외부에 안정장치를 갖추고 있어야 하며, 만재시 들어올릴 수 있어야 한다. 도로용 탱크차
량, 철도용 탱크차, 비금속성 탱크 및 중형산적용기(IBCs)는 이동식 탱크의 정의에 포함시키
지 않는다.

구조설비(structural equipment) : 동체의 보강, 고정, 보호 및 외부 안정부재를 말한다.


설계온도범위(design temperature range) : 대기조건하에서 운송되는 물질에 대하여 (-)4
0℃에서 50℃ 범위를 말한다. 5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충전, 배출 또는 운송되는 물질인 경
우의 설계온도는 충전, 배출 또는 운송 중 해당 물질의 최고온도 이상이어야 한다.

운용설비(service equipment) : 계측장치와 충전, 배출, 배기, 안전, 가열, 냉각 및 단열장치를


말한다.

동체(shell) : 운송되는 물질을 간직하는 이동식 탱크의 구성부품(탱크 본체)을 말하며, 개구


부 및 폐쇄장치는 포함되지만 운용설비 또는 구조설비는 포함되지 않는다.

시험압력(test pressure) : 수압시험 중 동체 상부에서의 최대 게이지압력으로서, 설계압력의


1.5배 이상과 동등한 압력을 말한다.

10.1.2 검사 및 시험

1) 개개 이동식 탱크의 동체 및 부속설비들은 처음으로 사용하기 전에 최초검사 및 시험


(initial inspection and test)을 받아야 하며, 그 이후에는 5년을 초과하지 않는 간격으로
5년 정기검사 및 시험(5-year periodic inspection and test)과 5년 정기검사 및 시험의
중간에 중간검사 및 시험(2.5년 정기검사 및 시험)을 받아야 한다. 2.5년 정기검사 및 시
험은 지정된 일자의 3개월 이내에(within 3 months of the specified date) 실시할 수 있
다. 임시검사 및 시험은 필요한 경우에 마지막 정기검사 및 시험일자와 상관없이 실시하
여야 한다.

2) 이동식 탱크는 마지막 5년 또는 2.5년 정기검사 및 시험의 만기일자 이후에는 운송될 물


질을 충전하거나 운송에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마지막 정기검사 및 시험의 만기
일자 이전에 충전된 이동식 탱크는 마지막 정기검사 및 시험일자 이후 3개월을 초과하지
않는 기간 동안 운송할 수 있다. 추가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해당 이동식 탱크를 마지막
정기검사 및 시험일자 이후에 운송할 수 있다 :

① 비워진 후 세정하지 않은 이동식 탱크를 차기의 시험 또는 검사를 받을 목적으로 재


충전(refilling) 전에 운송하는 경우 ; 및
② 주무관청이 별도로 승인한 경우를 제외하고, 적절한 처분(disposal) 또는 재활용
(recycling)용으로 위험물의 반환을 허용하기 위하여 마지막 정기검사 또는 시험의
만기일자 이후 6개월을 초과하지 않는 기간 동안 운송하는 경우. 이 면제에 대한 참
조사항은 운송서류에 언급되어야 함.

10.2 비냉동 액화가스용 이동식 탱크의 검사 및 시험

10.2.1 정의

충전밀도(filling density) : 동체 용량(ℓ) 당 비냉동 액화가스의 평균질량(kg/ℓ)을 말한다. 이


충전밀도는 이동식탱크 기준 "T50"에 수록되어 있다.

기밀시험(leakproofness test) : 가스를 사용하여 MAWP의 25% 이상의 유효내부압력을 동


체 및 그 운용설비에 가하는 시험을 말한다.

최대허용사용압력(MAWP : maximum allowable working pressure) : 작동상태에 있는 동안


동체 상부에서 측정한 다음의 압력 중에서 가장 높은 압력 이상이어야 하는 압력을 말한다. 단
7bar 이상이어야 한다 :
1) 충전 또는 배출 중 동체에 허용되는 최대유효게이지압력 ; 또는
2) 동체 설계시의 최대유효게이지압력으로서 다음과 같아야 한다 :
① 이동식탱크 기준 "T50"에 수록된 비냉동 액화가스에 대하여는 해당 가스에 대한 이
동식탱크 기준 "T50"에 규정된 MAWP(bar) ;
② 그 이외의 비냉동 액화가스에 대하여는 하기 압력의 합계 이상의 압력 :
ⅰ) 설계기준온도에서의 비냉동 액화가스의 절대 증기압(bar)에서 1bar를 뺀 압력 ;

ⅱ) 설계기준온도 및 액체평균온도의 증가 tr-tf (tf = 충전온도, 통상 15℃로 함. tr
= 최고액체평균온도, 50℃)에 기인한 액체팽창에 의하여 결정되는 상부공간 내
부의 공기 또는 기타 가스의 분압(bar).

시험압력(test pressure) : 압력시험 중 동체 상부에서의 최대 게이지압력을 말한다.

10.2.2 검사 및 시험
제3급-제9급 위험물 운송용 이동식 탱크와 동일하다.

10.3 제2급 냉동 액화가스용 이동식 탱크의 검사 및 시험

10.3.1 정의

허용압력유지시간(holding time) : 초기충전상태에서 도달된 압력이 열의 유입에 기인하여 압


력이 상승하여 압력제한장치(들)의 최저설정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경과하는 시간을 말한다.

외피(jacket) : 단열장치의 일부분인 외부 단열 덮게 또는 피복을 말한다.

기밀시험(leakproofness test) : 가스를 사용하여 MAWP의 90%이상의 유효내부압력을 동체


및 그 운용설비에 가하는 시험을 말한다.

최대허용사용압력(MAWP ; maximum allowable working pressure) : 충전 및 배출 중 최대


유효압력을 포함하여 작동상태에 있는 충전된 이동식 탱크 동체의 상부에 허용되는 최대유효
게이지압력을 말한다.

최저설계온도(minimum design temperature) : 동체의 설계 및 제조시 사용되는 온도로서,


충전, 배출 및 운송의 통상적인 조건 하에서 가장 낮은(가장 차가운) 내용물의 온도(사용온도)
보다 낮은 온도를 말한다.

탱크(tank) : 통상적으로 다음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구조물을 말한다 :


1) 하나의 외피와 하나 이상의 내부 동체로 구성된 구조물로서, 동체와 외피 사이의 공간은
공기를 배출시킨 것(진공단열) ; 또는
2) 고체 단열재(예 : solid foam)의 중간층을 가진 외피 및 내부 동체로 구성된 구조물.

11. 제한된 양의 예외규정

11.1 제한된 양
위험물이 "제한된 양(limited quantity)"
의 소량 포장화물로 선적되는 경우에는
하송인에게 일반적으로 부여되는 의무사
항이 면제된다.

11.2 운송품의 허용

내장용기의 양(量)의 제한치는 개개 물질에 대하여 위험물 목록(DGL) (7)열에 명시되어 있다.
DGL의 개개 등재명의 (7)열에 "None"이라는 단어가 명시되어 있는 것은 제한된 양의 예외규
정으로는 운송이 허가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UN Proper Shipping Name Class Subsidiary Packing Limited


No. (PSN) or risk(s) group quantities
divi-
sion
(1) (2) (3) (4) (5) (7)
1002 AIR, COMPRESSED 2.2 - - 120㎖
1689 SODIUM CYANIDE, SOLID 6.1 P I None

11.3 포장요건

11.3.1 제한된 양으로 운송되는 위험물은 적절한 결합용기(외장용기와 내장용기로 구성된 포장용기)
에 포장되어야 한다. 그러나 에어로졸 또는 "소형용기, 가스가 들어있는 것"과 같은 제품을 운
송할 때에는 내장용기가 필요하지 않다. 결합용기의 경우 포장화물 전체의 총무게(total
gross mass of package)는 30kg 이하이어야 한다.

11.3.2 팔레트 위에 쌓은 후 수축포장 또는 연신 포장한 작은 트레이(tray)는 제한된 양에 따라 운송


되는 위험물이 들어있는 외장용기 또는 내장용기로 간주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포장화물 전
체의 총무게는 20kg 이하이어야 한다.

11.3.3 제한된 양을 포장하는 용기는 유엔표준용기일 필요는 없다.


11.4 격리 및 적재

11.4.1 서로 다른 종류의 소량 위험물은 동일한 외장용기에 포장할 수 있다. 단, 다음을 조건으로 한


다:
1) 연소 및/또는 상당한 열의 방출 ; 인화성, 독성 또는 질식성 가스의 방출 ; 부식성 물질의
형성 또는 불안정한 물질의 형성을 초래하지 않는 물질인 경우 : 및

2) 위험물 목록 (16)열의 규정을 포함한 IMDG Code의 격리규정을 고려한 경우. 그러나 위
험물 목록에 명시된 개별규정에도 불구하고, 동일 등급에 속하는 포장등급 III의 물질은
함께 적재할 수 있다.

11.4.2 제한된 양으로 운송되는 모든 위험물은 적재구분 A(Stowage Category A)로 지정한다.

11.5 표시 및 표찰

11.5.1 제한된 양으로 운송되는 포장화물에는 표찰이나 해양오염물표시를 부착할 필요가 없다.

11.5.2 내용물의 정식운송품명은 표시할 필요가 없지만, 내용물의 UN No.("UN"이라는 문자가 앞에


있을 것)을 다이아몬드 내부에 표시하여야 한다. 이 다이아몬드의 외곽선의 폭은 2mm이상이
어야 하며, UN No.는 높이가 6mm 이상이어야 한다. UN No.가 각기 다르게 지정된 2가지 이
상의 물질을 동일 포장화물내에 포장하는 경우, 그 다이아몬드는 개개 관련 UN No.를 포함
시키기에 충분한 크기이어야 한다.

11.6 명찰(Placard)

오직 제한된 양의 위험물만이 수납된 화물운송기구에는 명찰(placard)을 부착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그 외부에 “LIMITED QUANTITIES” 또는 “LTD QTY”라고 적절히 표시하여야 한다.
LIMITED
QUANTITIES

11.7 서류

위험물 신고서에는 선적 위험물의 정식운송품명과 함께 "limited quantity" 또는 "LTD QTY"


라는 단어를 포함시켜야 한다.

11.8 면제

개인 소지용 또는 가정용의 소량의 위험물로서, 소매상을 통하여 판매하기 위한 형태이거나


그것에 적합하도록 포장하고 또한 배포된 것은 포장용기상에 UN No.의 표시를 면제한다.

12. 표시, 표찰 및 명찰

12.1 일반

12.1.1 위험물의 운송 및 취급 중 안전을 확보하고 특히 비상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위험물 운송과 관련된 모든 사람들이 해당 위험물의 위험성을 잘 알도록 하여야 한
다. 이를 위해서 포장화물 및 화물운송기구에는 적절하게 표시, 표찰 및 명찰을 행하여야 하
며, 운송서류에는 그 위험성을 정확하게 기재하고 또한 증명되도록 하여야 한다.

12.1.2 IMDG Code에 별도의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누구든지 해당 위험물을 적절하게 표시,
표찰부착, 명찰부착을 행하지 않고, 운송서류상에 기재 및 증명하지 않는 한 위험물의 운송을
요청할 수 없다.

12.1.3 위험물이 들어있는 포장화물에는 표시 및 표찰을 행하여야 한다. 또한 위험물이 들어있는 포


장화물이 수납된 화물운송기구 외부에도 또한 표시 및 명찰을 행하여야 한다.
12.1.4 모든 포장화물 표시(marking)는 다음과 같이 행하여야 한다 :

1) 쉽게 볼 수 있고, 읽기 쉬울 것 ;
2) 포장화물을 해수에 적어도 3개월 동안 담구어 두었을 경우에도 포장화물상에 표시된 내
용을 확인할 수 있을 것.
3) 포장화물의 외부 표면과 대조되는 색깔로 표시할 것 ; 및
4) 그 표시의 유효성이 실질적으로 감소될 수 있는 기타의 다른 포장화물 표시들과 함께 위
치시키지 말 것.

12.1.5 이전에 위험물을 담았던 빈 포장용기 및 IBC에는 해당 위험물에 요구되는 표시 및 표찰을 행


하여야 한다. 단, 모든 위험성이 없어지도록 세정을 하거나 증기를 치환시키거나 또는 비위험
물질을 재충전한 경우에는 표시 및 표찰을 행하지 않는다.

12.1.6 위험물의 잔류물이 남아있는 화물운송기구, 세정되지 않은 빈 포장화물이 수납되어 있는 화물


운송기구 또는 세정되지 않은 빈 산적 컨테이너는 그것에 마지막으로 담겨져 있었던 위험물에
적용되는 규정에 따라야 한다.

12.2 포장화물의 정식운송품명 및 유엔번호의 표시

12.2.1 개개의 포장화물에는 위험물의 정식운송품명(PSN


: Proper Shipping Name)과 이에 상응하는 UN
번호(UN Number)를 "UN"이라는 문자 뒤에 표시
하여야 한다. 비포장 제품인 경우에는 해당 제품의
위, 틀(cradle) 위 또는 취급, 저장 또는 발사장치
위에 표시하여야 한다.

포장화물 표시의 예는 다음과 같다 :


CORROSIVE LIQUID, ACIDIC, ORGANIC, N. O. S. (caprylyl chloride), UN 3265

12.2.2 위험물 목록 (6)열의 특별규정 274에 의하여 전문명칭을 추가하여야 하는 정식운송품명인 경


우에는 포장화물에도 전문명칭을 추가하여 표시하여야 한다.
특별규정 274 : 운송서류 및 포장화물 표시의 목적상, 당해 정식운송품명은 전문
명칭(technical name)으로 보충시킬 것.

12.3 포장화물의 표찰

12.3.1 별도의 예외규정이 없는 한, 포장화물과 IBCs에는 그곳에 들어있는 내용물의 위험성을 나타


내는 표찰(label)을 부착하여야 한다. 부위험성이 있는 물질인 경우에는 적절한 부위험성 표찰
(들)도 부착하여야 한다.

12.3.2 위험물이 정위험성(1차 위험성)과 부위험성(2차 위험성)을 동시에 갖는 경우, 정위험성에 대


한 표찰을 "정위험성 표찰"이라고 하고, 부위험성에 대한 표찰을 "부위험성 표찰"이라고 한다.
이 2가지 표찰의 모양과 크기는 동일하다. 정위험성 표찰과 부위험성 표찰에는 반드시 급 번
호가 나타나 있어야 한다.

12.3.3 표찰의 하단 구석에는 급 번호를 표시하여 해당 위험물의 위험등급을 나타내어야 한다. 제5급
물질용 표찰의 경우에는 적절히 세분된 등급 즉 5.1 또는 5.2를 나타내어야 한다.

12.4 표찰의 사양

12.4.1 표찰의 색깔, 상징그림, 숫자 및 일반적인 형태는 IMDG Code에 명시된 견본 표찰과 일치하
여야 한다.

12.4.2 표찰은 100mm x 100mm의 최소크기를 가진 정사각형을 45도 각도로 놓은 형태(다이아몬드


형태)이어야 하며, 모서리로부터 5mm 안쪽에 상징그림과 동일한 색깔의 선이 모서리와 나란
히 뻗어 있어야 한다.

12.4.3 표찰은 2등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등급 1.4, 1.5 및 1.6을 제외하고, 표찰의 상반부는 상징그
림을 위한 곳이고, 하반부는 문자, 급이나 등급번호 및 해당하는 경우 격리구분을 위한 곳이
다.

12.4.4 상징그림, 문자 및 급 번호는 모든 표찰상에 검정색으로 나타내어야 한다. 단, 다음의 경우에


는 예외이다 :
1) 제8급 표찰상의 문자(해당하는 경우) 및 급 번호는 흰색일 것 ;
2) 표찰 전체가 녹색, 적색 및 청색 바탕인 경우에는 흰색으로 나타낼 수 있음 ; 및

12.4.5 등급 1.4, 1.5 및 1.6을 제외하고, 제1급 표찰의 하반부에는 해당 물질 또는 제품 대한 등급번


호(division number) 및 격리구분(compatibility group) 문자를 표시한다. 등급 1.4, 1.5 및
1.6 표찰의 상반부에는 등급번호를, 하반부에는 격리구분 문자를 표시한다. 등급 1.4, 혼적구
분 S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표찰이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나 표찰이 그러한 화물에 필요하다
고 생각되는 경우, 그 표찰은 견본 1.4를 기초로 하여야 한다.

12.4.6 제2급용의 가스 실린더에는 실린더의 모양, 운송방향 및 운송용 고박장치 등을 고려하여 실린


더의 원통부분이 아닌 곳(어깨부분)에 부착하기 위하여 축소된 표찰을 부착할 수 있다.

12.4.7 표찰은 포장화물을 해수에 적어도 3개월 동안 담구어 두었을 경우에도 해당 표찰을 확인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야 한다.
12.4.8 견본표찰

제1급 - 폭발성 물질 또는 제품

(견본 1) (견본 1.4) (견본 1.5) (견본 1.6)


등급 1.1, 1.2 및 1.3 등급 1.4 등급 1.5 등급 1.6
상징그림(폭발) : 검정색.
바탕 : 오렌지색. 숫자 : 검정색, 숫자는 높이가 30mm이고, 두께가 5mm일 것.
바탕 : 오렌지색.
(100mm x 100mm로 측정된 표찰인 경우), 하부 모서리에 숫자 ‘1’
하부 모서리에 숫자 ‘1’
**
등급번호가 위치함 - 폭발성이 부위험성인 경우에는 공백으로 둘 것.
*
격리구분이 위치함 - 폭발성이 부위험성인 경우에는 공백으로 둘 것.

제2급 - 가스류

(견본 2.1) (견본 2.2) (견본2.3)


제2.1급 제2.2급 제2.3급
인화성 가스 비인화성, 비독성 가스 독성가스
상징그림(불꽃) : 검정색 또는 흰색. 상징그림(가스 실린더) : 검정색 또는 흰색. 상징그림(해골 및 대퇴골) :
바탕 : 적색. 바탕 : 적색. 검정색.
하부 모서리에 숫자 ‘2’ 하부 모서리에 숫자 ‘2’ 바탕 : 흰색.
하부 모서리에 숫자 ‘2’

제3급 - 인화성 액체류

(견본3)
상징그림(불꽃) : 검정색 또는 흰색.
바탕 : 적색.
하부 모서리에 숫자 ‘3’
제4급

(견본 4.1) (견본 4.2) (견본 4.3)


제4.1급 제4.2급 제4.3급
가연성 고체 자연발화성 물질 물과 접촉시 인화성 가스를 방출하는 물질
상징그림(불꽃) : 검정색. 상징그림(불꽃) : 검정색. 상징그림(불꽃) : 검정색 또는 흰색.
바탕 : 흰색 바탕에 7개의 적색 수직 바탕 : 상반부는 흰색, 하반부는 적색. 바탕 : 청색.
줄무늬. 하부 모서리에 숫자 ‘4’ 하부 모서리에 숫자 ‘4’
하부 모서리에 숫자 ‘4’

제5급

(견본 5.1) (견본 5.2(a)) (견본 5.2(b))


제5.1급 제5.2급 제5.2급
산화성 물질 유기과산화물 유기과산화물
상징그림(원 위에 불꽃) : 상징그림(원 위에 불꽃) : 검정색. 상징그림(불꽃) : 검정색 또는 흰색.
검정색. 바탕 : 황색 바탕 : 상반부는 적색,
바탕 : 황색 하부 모서리에 숫자 '5.2' 하반부는 황색.
하부 모서리에 숫자 '5.1' * 2011년 1월 1일까지 사용가능 하부 모서리에 숫자 '5.2'

제6급

(견본 6.1) (견본 6.2)


등급 6.1 등급 6.2
독물 전염성 물질
상징그림(해골 및 대퇴골) : 표찰의 하반부에 INFECTIOUS SUBSTANCE 및 In case of damage or leakage
검정색. 바탕 : 흰색. immediately notify Public Health Authority라는 기재문을 부착할 수 있음.
하부 모서리에 숫자 ‘6’ 상징그림(원 위에 3개의 초승달이 겹쳐진 것) 및 기재문 : 검정색.
바탕 : 흰색.
하부 모서리에 숫자 ‘6’
7급 - 방사성 물질

(견본 7B) (견본 7C)


제2종 - 황색 제3종 - 황색
(견본 7A)
제1종 - 백색 상징그림(삼엽) : 검정색.
상징그림(삼엽) : 검정색. 바탕 : 백색바탕에 황백 상반부, 백색 하반부.
바탕 : 백색. 문자(필수) : 표찰 하반부에 검정색으로
문자(필수) : 표찰 하반부에 검정색으로 RADIOACTIVE
RADIOACTIVE Contents ..........
Contents .......... Activity ........
Activity .......... 검정색 윤곽선 상자 Transport Index ...........
1개의 적색 막대기가 RADIOACTIVE 다음에
올 것. 2개의 적색 막대기가 3개의 적색 막대기가
하부 모서리에 숫자 ‘7’ RADIOACTIVE 다음에 올 것. RADIOACTIVE 다음에 올 것.

하부 모서리에 숫자 ‘7’

(견본 7E)
제7급 - 핵분열성 물질
바탕 : 흰색 . 문자(필수) : 표찰 상반부에 검정색으로 FISSILE
표찰의 하반부의 검정색 윤곽선 상자 : Criticality safety index .......
하부 모서리에 숫자 ‘7’

제8급 - 부식성 물질 제9급 - 기타의 위험물질 및 제품

(견본 8) (견본 9)
상징그림(2개의 유리 시험관에서 액체가 누출되어, 손 상징그림(상반부에 7개의 수직 막대) : 검정색.
및 금속을 부식시킴) : 검정색. 바탕 : 흰색.
바탕 : 흰색 테두리가 있는 흰색 상반부, 검정색 하반부. 하부 모서리에 밑줄 친 숫자 ‘9’
하부 모서리에 숫자 ‘8’
주 : 손에 음영이 들어간 제8급 표찰도 사용가능함
12.5 포장화물의 표시 및 표찰부착 방법

12.5.1 위험등급 표찰은 위험물 목록(DGL) (3)열에 명시된 위험물 표찰을 부착하여야 하며, 부위험
성 표찰은 특별규정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 한 DGL (4)열에 명시된 급 또는 등급으로 명시
된 위험물 표찰을 부착하여야 한다.

예 : 포장화물상의 표찰 선택의 예
UN No. 1214의 HYDROGEN PEROXIDE, AQUEOUS SOLUTION의 경우, 주위험성은 제
5.1급이며(DGL의 3열), 부위험성은 제8급이다(DGL의 4열). 정식운송품명과 유엔번호에 추
가하여 제5.1급의 정위험성 표찰과 제8급의 부위험성 표찰을 부착하여야 한다.
UN Proper Shipping Name Class Subsidiary Packing
No. (PSN) or risk(s) group
divi-
sion
(1) (2) (3) (4) (5)
1689 SODIUM CYANIDE, SOLID 6.1 P I

2014 HYDROGEN PEROXIDE, AQUEOUS SOLUTION 5.1 8 II

12.5.2 표찰은 다음과 같이 행하여야 한다 :

1) 정식운송품명 표시 근처의 동일 포장화물 표면상에 위치시킬 것 ;


2) 포장용기의 부품이나 부착물에 의하여 또는 기타의 다른 표찰 또는 표시에 의하여 덮어지
거나 불명료하게 되지 않도록 위치시킬 것 ; 및
3) 정위험성 표찰과 부위험성 표찰이 함께 요구되는 경우에는 정(부)위험성 표찰 바로 다음
에 부(정)위험성 표찰을 부착할 것.

12.5.3 제8급 물질이 들어있는 포장용기에 있어서 "독성(toxicity)"이 단지 생체조직 파괴효과에 의


해서만 발생하는 경우에는 제6.1급의 부위험성 표찰을 부착할 필요가 없다.

12.5.4 제4.2급 물질에 있어서 제4.1급의 부위험성 표찰은 부착할 필요가 없다. 제5.2급 표찰은 해당
제품에 인화성이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FLAMMABLE LIQUID" 부위험성 표찰은
불필요하다.
12.5.5 용량이 450ℓ 이상인 중형산적용기(IBC) 및 대형용기에는 서로 반대되는 2곳에 표시하여야 한
다.

12.5.6 등급 1.4S의 화약류의 경우, 1.4S 표찰을 부착하지 않는 한 등급(division) 및 격리구분


(compatibility group)을 표시하여야 한다.

방법 1 : FIREWORK, 1.4S, UN 0333 방법 2 : FIREWORK, UN 0333

12.5.7 덧포장 또는 단위 적재물 내부에 들어있는 개개 포장화물에는 표시 및 표찰을 행하여야 하며,


덧포장 또는 단위 적재물 외부에도 적절한 표시 및 표찰을 행하여야 한다. 단, 덧포장 또는 단
위 적재물에 들어있는 포장화물상의 모든 표시 및 표찰이 외부에서 명확하게 보이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않다.

12.5.8 덧포장 또는 단위 적재물 내부에 들어있는 개개 포장화물상의 모든 표시 및 표찰이 외부에서


명확하게 보이는 경우를 제외하고 덧포장에는 "OVERPACK"이라는 단어를 표시하여야 한다.
12.5.9 2가지 이상의 위험물을 동일한 외장용기 내
부에 포장하는 경우(혼합포장), 외장용기 외
부에는 당해 포장화물 내부에 들어있는 개개
물질에 해당하는 표찰 및 표시를 행하여야
한다. 단, 부위험성이 이미 정위험성 표찰에
의하여 나타나 있다면 부위험성 표찰을 부착
할 필요가 없다.

12.5.10 회수용기에는 정식운송품명과 이에 상응하는 UN번호 표시에 추가하여 "SALVAGE"라고 표


시하여야 한다.

12.5.11 단일용기 또는 내장용기에 해양오염물질(P) 또는 극


해양오염물질(PP)이 들어있는 경우에는 해양오염물
질 표시(marine pollutant mark)를 내구성 있게 표
시하여야 한다.

이 표시는 포장화물 외부와 대비되는 색깔로 하거나, 스티커(sticker)를 이용하는 경우 에는


흑ㆍ백 색깔이어야 한다. 포장화물용인 경우 이 삼각형 표시의 각 변의 길이는 100mm 이상
이어야 한다. 이 표시는 포장화물에 부착되는 다른 표찰 근처에 위치하여야 한다.

12.5.12 다음의 포장용기에는 포장화물 방위 화살표(package orientation arrow)를 견고하게 표시하


여야 한다.
- 액체 위험물이 들어있는 내장용기가 있는 결합용기 ;
- 통기구가 있는 단일용기 ; 및
- 냉동액화가스 운송용의 개방형 초저온 용기.

또는

이 방위 화살표는 포장화물의 서로 다른 2 수직면에 화살표의 뾰족한 부분이 정확한 상부방향


을 지시하도록 나타내어야 한다. 이것은 직사각형이어야 하며, 포장화물의 크기와 잘 어울리
는 명확하게 볼 수 있는 크기이어야 한다. 화살표 주위의 직사각형 테두리는 선택적이다 :

방위 화살표는 다음의 용기가 들어있는 포장화물상에는 요구하지 않는다 :


1) 압력용기 ;
2) 내장용기에 위험물이 120 ㎖ 이하 들어있는 것으로서, 액체 내용물을 완전히 흡수하도록
외장용기와 내장용기 사이에 충분한 흡수제가 들어있는 경우 ;
3) 1차용기에 50㎖ 이하의 제6.2급 전염성 물질이 들어있는 경우.
4) B(U)형, B(M)형 또는 C형 포장화물에 방사성 물질이 들어있는 경우.
5) 모든 방향에서 누출방지가 되는 제품이 들어있는 경우(예를 들면 온도계에 들어있는 알
코올 또는 수은, 에어로졸 등).

12.5.13 위험도가 낮은 위험물이 들어있는 포장화물에는 표찰요건을 면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위험성 표찰이 요구되지 않는다고 명시된 특별규정이 관련 물질의 위험물 목록 (6)열에 나타
난다. 그러나 어떤 물질에 대하여는 위험물 목록의 특별규정에 나타난 바와 같은 적절한 문구
(text)를 포장화물에 표시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

유엔
물 질 등급 Bale상에 요구되는 표시
번호
Baled hay in cargo transport unit 1327 4.1 없음
Baled hay in not cargo transport unit 1327 4.1 Class 4.2
Baled dry vegetable fibre in
3360 4.1 없음
cargo transport unit

정식운송품명과 유엔번호에
유엔
물 질 등급 추가하여 포장화물상에
번호
요구되는 표시
* †
Fishmeal 1374 4.2 Class 4.2

Batteries, wet, non-spillable 2800 8 Class 8
*
단지 포장등급 III의 어분(fishmeal)에만 적용됨.

UN 1374의 어분만이 들어있는 포장화물이 화물운송기구에 적재되는 경우에는 급 번호 표시가 면
제됨.

UN 2800의 밧데리만이 들어있는 포장화물이 화물운송기구에 적재되는 경우에는 급 번호 표시가
면제됨.

SP 29 포장화물(bare 포함)에 해당 등급(예, "class 4.2")이 표시되어 있다면 표찰 부착이


면제된다. 포장화물(bare 제외)에는 IMDG Code 제5.2.1항에 따라 해당 포장화물에 들어있는
물질의 정식운송품명과 유엔번호도 표시하여야 한다. 어떠한 경우에도 해당 포장화물이 밀폐
형 화물운송기구에 수납되며 또한 단지 하나의 유엔번호만이 할당된 포장화물이 수납된다면
해당 포장화물(bare 포함)에는 등급 표시가 면제된다. 포장화물(bare 포함)이 수납된 화물운
송기구에는 IMDG Code 제5.3항에 따라 관련 표찰, 명찰 및 표시를 행하여야 한다.

유엔 포장 특별 포장
정식운송품명 등급
번호 등급 규정 명세 규정 비 고
(1) (2) (3) (5) (6) (8) (9)
1327 Hay, Straw or Bhusa 4.1 - 29 P003 PP19 Bare허가
3360 Fibres, vegetable, dry 4.1 - 29 P003 PP19 Bare허가
Fishmeal, unstabilized
1374 4.2 III 29 P410 PP31 기밀밀봉
Fishscrap, unstabilized
2800 Batteries, wet, non-spillable 8 - 29 P003 PP16 단락예방

12.6 화물운송단위물의 명찰 (Placard)부착

12.6.1 화물운송기구(cargo transport unit)에는 그 운송기구내에 수납되어 있는 내용물이 위험물이


며 또한 위험이 존재한다는 경고를 주기 위하여 그 외면에 확대된 표찰(enlarged labels)(명
찰 ; placard)과 표시(mark) 및 표식(sign)을 부착하여야 한다. 단, 포장화물에 부착된 표찰 및
/또는 표시가 화물운송기구의 외부에서 명확하게 보이는 경우에는 부착할 필요가 없다.

12.6.2 화물운송기구상에 명찰 및 표시를 행하는 방법은 화물운송기구를 해수에 적어도 3개월 동안


담구어 두었을 경우에도 해당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12.6.3 모든 명찰, 표시 및 표식들은 당해 위험물 또는 그 잔류물이 배출되는 즉시 화물운송기구로부


터 제거하거나 덮어씌워야 한다.

12.6.4 명찰은 위험물 목록 (4)열에 명시된 부위험성이 있는 물질에도 부착하여야 한다. 그러나 2가
지 이상의 급에 해당되는 화물이 수납된 화물운송기구에 있어서, 부위험성이 정위험성 명찰에
의하여 이미 나타난 경우에는 부위험성 명찰을 부착할 필요가 없다.

12.6.5 명찰의 사양은 다음과 같아야 한다 :


1) 치수는 250mm x 250mm 이상일 것. 모서리로부터 12.5mm 안쪽에 상징그림과 동일한
색깔의 선이 모서리와 나란히 뻗어 있을 것 ;
2) 색깔 및 상징그림은 해당 위험물의 급에 대한 표찰과 일치할 것 ; 및
3) 해당 위험물의 급 또는 등급번호는 높이 25mm 이상의 숫자로 표시할 것.

CFR 49, Sec. 172.519 General specifications for placards.

(a) Strength and durability.


(b) Design.
(c) Size.
(1) Each placard prescribed in this subpart must measure at least 273mm (10.8
inches) on each side and must have a solid line inner border approximately
12.7 mm (0.5 inches) from each edge.
(2) Except as otherwise provided in this subpart, the hazard class or division
number, as appropriate, must be shown in numerals measuring at least 41
mm (1.6 inches) in height.
(3) Except as otherwise provided in this subpart, when text indicating a hazard
is displayed on a placard, the printing must be in letters measuring at least
41 mm (1.6 inches) in height.
(d) Color.
(e) Form identification. A placard may contain form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name of its maker, provided that information is printed outside of
the solid line inner border in no larger than 10-point type.
(f) Exceptions. When hazardous materials are offered for transportation or
transported under the provisions of Sec. 171.11, 171.12, or 171.12a of this
subchapter, a placard conforming to the specifications in the ICAO Technical
Instructions, the IMDG Code, or the TDG Regulations (IBR, see Sec. 171.7 of this
subchapter), respectively, may be used in place of a corresponding placard that
conforms to the requirements of this subpart, except that a bulk packaging,
transport vehicle, or freight container containing a material poisonous by
inhalation (see Sec. 171.8 of this subchapter) must be placarded in accordance
with this subpart (see Sec. Sec. 171.12(b)(8), 171.12(e) and 171.12a(b)(5) of this
subchapter).

12.6.6 위험물 또는 위험물의 잔류물이 수납된 화물운송기구에는 명찰(placard)을 다음과 같이 명확


하게 게시하여야 한다 :

1) 화물 컨테이너, 세미 트레일러 또는 이동식 탱크 - 운송기구의 양 측면에 1개씩 및 전ㆍ


후단에 1개씩 ;
2) 철도용 화물차 - 적어도 양 측면에 1개씩 ;
3) 2종류 이상의 위험물이나 그 잔류물이 수납된 다중구획탱크 - 관련 구획실 부분마다 양
측면에 1개씩 ; 및
4) 기타의 화물운송기구 - 적어도 운송기구의 양 측면과 뒤쪽에 1개씩.

12.7 화물운송기구의 유엔번호 표시

12.7.1 다음과 같은 운송품에는 유엔번호(UN Number)를 게시하여야 한다 :

1) 고체, 액체 또는 가스를 운송하는 탱크 운송기구(다중구획 탱크화물운송기구의 각 구획실


포함) ;
2) 총질량이 4,000kg을 초과하고 단일 유엔번호로만 지정되었으며 또한 화물운송기구에 위
험물만이 수납된 경우 ;
3) 차량의 내부 또는 상부, 화물 컨테이너의 내부 또는 탱크의 내부에 수납된 제7급의 운송
품이 미포장된 LSA-I 또는 SCO-I 물질인 경우 ;
4) 차량의 내부나 상부 또는 화물 컨테이너 내부의 전용(exclusive use) 운송품이 단일 유엔
번호를 가진 포장된 방사성 물질인 경우 ;
5) 위험물이 들어있는 산적 컨테이너인 경우 ;
6) 2종류 이상의 위험물 또는 잔류물이 충전된 다중구획탱크 - 물질 및 잔류물이 충전되어
있는 관련 구획실 부분마다 양 측면에 1개씩.

12.7.2 화물의 유엔번호는 높이가 65mm 이상인 검정색 숫자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게시하여야 한
다.

방법 1 :
높이가 120mm, 폭이 300mm 이상이고
10mm의 검정색 윤곽선을 갖는 오렌지색
직사각형 판에 표시하여 개개의 명찰 또는
해양오염물질 표시의 바로 근처에 위치시
킴.
방법 2 :
개개의 주위험성 등급 명찰 하반부의 흰색 바탕에 게시

CFR 49, Sec. 172.301


General marking requirements for non-bulk packagings.

(a) Proper shipping name and identification number.


(3) Large quantities of a single hazardous material in non-bulk packages.
A transport vehicle or freight container containing only a single hazardous
material in non-bulk packages must be marked, on each side and each end
as specified in the Sec. 172.332 or Sec. 172.336, with the identification
number specified for the hazardous material in the Sec. 172.101 Table,
subject to the following provisions and limitations :
(i) Each package is marked with the same proper shipping name and
identification number ;
(ii) The aggregate gross weight of the hazardous material is 4,000kg(8,820
pounds) or more ;
(iii) All of the hazardous material is loaded at one loading facility ;
(iv) The transport vehicle or freight container contains no other material,
hazardous or otherwise ; and
(v) The identification number marking requirement of this paragraph (a)(3)
does not apply to Class 1, Class 7, or to non-bulk packagings for which
identification numbers are not required.

12.8 화물운송기구의 정식운송품명 표시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내용물의 정식운송품명(Proper Shipping Name : PSN)을 최소한 양


측면에 표시하여야 한다 :

1) 위험물이 충전된 탱크 운송기구(tank transport unit)인 경우 ;


2) 위험물이 수납된 산적 컨테이너(bulk container)인 경우 ; 또는
3) 명찰, UN 번호 또는 해양오염물질 표시가 요구되지 않는 단일 품목의 포장된 위험물이
수납된 기타의 화물운송기구인 경우. 그 대안으로서 UN번호를 게시할 수 있음.
12.9 화물운송기구의 기타의 표시

12.9.1 해양오염물질이 수납된 화물운송기구에는 해양오염물


질 표시(marine pollutant mark)를 명확하게 게시하여
야 한다. 삼각형 표시는 화물운송기구용인 경우에는 1
측면이 250mm 이상이어야 한다.

12.9.2 100℃ 이상의 온도에서 액체상태로 운송되거나 또는


240℃ 이상의 온도에서 고체상태로 운송되는 물질이
수납된 화물운송기구에는 고온주의표시(elevated
temperature mark)를 양 측면과 전ㆍ후단에 부착하여
야 한다. 이 삼각형 표시는 1측면이 250mm 이상이어
야 하고, 적색으로 나타나야 한다.

고온주의표시에 추가하여, 운송중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최고 물질온도를 이동식 탱크 또는


단열 외피의 양 측면에 높이 100mm 이상의 글자로 표시하여 고온주의표시 바로 근처에 견고
하게 표시하여야 한다.

12.10 제한된 양의 표시

오직 제한된 양의 위험물만이 수납된 화물운송기구에는 명찰(placard)을 부착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그 외부에 “LIMITED QUANTITIES” 또는 “LTD QTY”라고 적절히 표시하여야 한다.

LIMITED
QUANTITIES

12.11 훈증소독된 화물운송기구

12.11.1 훈증소독된 밀폐형 화물운송기구에는 훈증소독 경고표시(fumigation warning sign)를 그 설


비에 들어가고자 하는 사람이 쉽게 볼 수 있는 위치에 표시하여야 한다. 이 표시는 직사각형이
고, 최소 300mm 폭과 250mm 높이를 가져야 하며, 흰색 바탕에 검정색 글자(높이 25mm 이
상)이여야 한다. 이 표시에는 훈증날짜와 시간 그리고 사용한 훈증제의 유형(명칭)을 나타내
어야 한다.

250mm 이상


*
해당 사항을 기입할 것
◀ 300mm 이상 ▶

12.11.2 위험물이 수납되지 않은 훈증소독된 화물운송기구에는(위험물이 수납되지 않은 화물운송기


구) 정식운송품명(즉, FUMIGATED UNIT)과 유엔번호(UN 3359) 표시가 요구되지 않으며
명찰도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나 만약 훈증소독된 화물운송기구에 위험물이 수납되어 있다면
명찰, 해양오염물질 표시(요구되는 경우), 고온주의표시(요구되는 경우) 및 훈증소독 주의표
시를 부착하여야 한다.

12.11.3 훈증소독된 화물운송기구에는 화물운송기구 내부로 들어가려고 시도하는 사람이 쉽게 볼 수


있는 장소에 훈증소독 주의표식(경고표시)을 부착하여야 한다. 이 경고표시는 다음의 규정을
충족시킬 때 까지 화물운송기구에 부착되어 있어야 한다 :

1) 훈증소독된 화물운송기구를 유해한 농도의 훈증소독가스가 제거되도록 환기시킨 경우 ;



2) 훈증소독된 화물의 양하가 완료된 경우.

13. 위험물 컨테이너 점검활동

13.1 위험물 컨테이너 점검활동

컨테이너 점검활동(CIP : Container Inspection Programme)이라 함은 위험물을 적재한 해


상운송 수입(환적 포함) 컨테이너에 대하여 국제해상위험물규칙(IMDG Code)의 준수여부를
점검하고 위반사항에 대하여는 시정조치토록 계도하여 선박과 항만의 안전을 확보하고 해양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이다.

13.2 법적 근거

CIP는 국제해상인명안전협약(SOLAS)등의 국제협약과 선박안전법 등의 국내법에 근거를 두


고 있다.

■ 국제해상인명안전협약(SOLAS) 제7장 A편 : 위험물의 운송


국제협약 ■ 국제해양오염방지협약(MARPOL) 부속서 Ⅲ
■ 국제해상위험물규칙(IMDG Code)
■ 선박안전법 제16조의 2(위험물의 운송 등)
국내법 ■ 위험물 선박운송 및 저장규칙 제213조(위험물컨테이너 등 점검)
■ 위험물컨테이너 등의 점검에 관한 요령(해양수산부 고시, '02. 8)

13.2 시행배경 및 기대효과

13.2.1 1970년대 이후 컨테이너의 해상운송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위험물 컨테이너의 운송 또한 증


가하여 위험물 컨테이너의 안전운송에 관한 국제적인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이에 따라
SOLAS 제7장 등 관련 협약이 제정ㆍ시행되고, 1998년 5월에는 국제해사기구(IMO)의 해사
안전위원회(MSC) 제69차 회의에서 각 회원국에게 CIP제도의 시행을 강력히 촉구하게 되었
다.

13.2.2 우리나라의 경우 수출 위험물 컨테이너에 대하여는 1990년부터 선적 전 검사를 실시하고 있


으나 수입 위험물 컨테이너에 대하여는 아무런 안전검사가 없었다. 이에 따라 해양수산부에서
는 2002년부터 수입 위험물 컨테이너에 대한 안전점검활동을 부산항과 광양항에서 시행하게
되었으며, 2007년에는 울산항과 인천항에서도 시행하게 되었다.

13.2.3 현재까지 아무런 규제가 없는 상태로 반입되던 수입 위험물 컨테이너에 대한 점검을 실시함으
로써 외국의 하송인 및 국내의 수입업자들로 하여금 국제협약상의 안전기준을 준수하도록 하
는 계기가 되고 있으며, 수입 위험물의 안전도가 높아지게 되어 하역 작업 또는 운송시 안전사
고 위험성도 현저하게 감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수출/수입 위험물의 안전에 대한 제도적
체계를 모두 갖춘 국가가 됨으로서, 테러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고 있는 최근의 국제사회에 있
어서 우리나라 제품의 안전성과 우리 항만의 "Safety Port"로서의 위상제고에 크게 기여할 것
으로 기대된다.

13.3 주요 점검사항 및 기준 미달시 조치사항

13.3.1 CIP시 주요 점검사항은 다음과 같다(MSC.1/Circ.1202 참조) :


1) 명찰(placarding) 및 표시
2) 포장화물 표찰
3) 서류
4) 포장용기(부적합 또는 손상 여부)
5) 이동식 탱크 또는 도로용 탱크차량(부적합 또는 손상 여부)
6) 화물 컨테이너, 차량 또는 기타 화물운송기구 내부의 적재/고박
7) 화물의 격리
8) CSC 안전승인판
9) 컨테이너의 심각한 구조적 결함
10) 도로용 탱크차량의 고정설비

13.3.2 우리나라의 경우, 기준에 미달되는 컨테


이너가 발견될 시 현재 국내법으로서는
벌금 등의 물리적 제재는 없고, 해당자
(하송인, 운송인, 하수인)에 대하여 위반
통지서를 발부하여 경각심을 주는 조치
가 전부이다. 그러나 IMDG Code가
2004년 1월 1일부터 강제화됨에 따라
이를 국내법에 수용하여 물리적 제재의
근거를 마련할 예정이다.
위험물 컨테이너 점검표
Check List for Dangerous Goods Container
조사표 번호 점검일자
제 - 번
Examination No. Date of inspection
점검장소 점검관 직급 및 성명
Inspection place Name of Inspector

컨테이너 식별기호
Container Number
가 부
항 목 ITEM 비 고 REMARKS
Yes No
1 컨테이너의 표시 및 표찰 Container Marking/Placarding
□ 표찰 없음 No placard.
표찰의 기준 적합 여부 □ 표찰 숫자 부족 Short in No. of placards.

Is container properly placarded?
□ □ □ 표찰 양식 부적합 Improper placard.
□ 기타 Others. ( )
□ 품명 표시 없음 No proper shipping name mark.
품명 표시의 기준 적합 여부 □ 품명 표시 숫자 부족
② Is proper shipping name adequately □ □ Short in No. of proper shipping name marks.
marked? □ 품명 표시 양식 부적합 Improper shipping name.
□ 기타 Others. ( )
□ 국제연합번호 표시 없음 No UN No. mark.
□ 국제연합번호 표시 숫자 부족
국제연합번호 표시의 기준 적합 여부

Is UN No. properly marked?
□ □ Short in No. of UN No. marks.
□ 국제연합번호 양식 부적합. Improper UN No.
□ 기타 Others. ( )
훈증주의용, 고온주의용 또는 해양오염물 □ 부표찰 없음 No sign or mark.
질용 부표찰의 기준 적합 여부 □ 부표찰 표시 숫자 부족
④ □ □
Is fumigation warning sign, elevated Short in No. of sign or mark.
temperature mark or marine pollutant □ 부표찰 양식 부적합 Improper sign or mark.
mark properly marked? □ 기타 Others. ( )
2 위험물이 수납된 용기의 표시 및 표찰 Packages Marking/Labeling
표찰의 기준 적합 여부 □ 표찰 없음 No label.
① □ □ □ 표찰 양식 부적합 Improper label.
Are packages properly labeled? □ 기타 Others. ( )
□ 품명 표시 없음 No proper shipping name mark.
□ 정식품명이 아님 Improper shipping name.
품명 또는 국제연합번호 표시의 기준 적합
□ 국제연합번호 없음. No UN No. mark
여부 □ 국제연합번호 표시 부적합 Improper UN No.

Is proper shipping name or UN No. □ □
□ 순정미질량 및 총질량 미표시(화약류에 한함.)
properly marked?
No Net Wt./Gross Wt.(Only explosive.)
□ 기타 Others. ( )
□ 서류 미비치 No shipping paper.
운송서류
3
Shipping Paper □ □ □ 서류 기재사항 부적절 Improper records.
□ 기타 Others. ( )
용기․포장 Packaging
사용된 용기․포장의 기준 적합 여부 □ 미승인 용기․포장 Non-approved packaging.
4 □ 유엔마크 없음 No UN Mark.
Does packaging meet to the □ □ □ 용기․포장의 손상 Damaged.
provisions of IMDG Code? □ 기타 Others. ( )
5 컨테이너내의 격리, 수납 및 고박 Segregation, Stowage & Securing in Container
격리상태의 기준 적합 여부 □ 격리상태 부적절 Improper segregation

Are packages properly segregated?
□ □ □ 기타 Others. ( )
수납상태의 기준 적합 여부 □ 수납상태 부적절 Improper stowage

Are packages properly stowed?
□ □ □ 기타 Others. ( )
고박상태의 기준 적합 여부 □ 고박상태 부적절 Improper securing

Are packages properly secured?
□ □ □ 기타 Others. ( )
□ 안전승인판 없음 No plate.
안전승인판(CSC승인판)
□ 안전승인판 유효기간 경과
6 Safety Approval Plate □ □
Expired validity of plate
(CSC Safety Approval)
□ 기타 Others. ( )

(위험물컨테이너 등의 점검에 관한 요령 별지 제2호 서식)


13.4 점검현황

13.4.1 위반내용별 통계(2006년 7월 1일 ~ 2007년 6월 30일)(DSC 12/6/11)

항구명 합 계
부산항 여수항
개수 %
점검사항
점검한 위험물 컨테이너 수(TEU) 1,682 194 1,876 -
위반된 위험물 컨테이너 수(TEU) 262 30 292 15.6
선적서류 7 8 15 4.6
명찰 및 표시(컨테이너) 244 21 265 80.8
CSC 안전승인판(컨테이너) 4 1 5 1.5

심각한 구조적 결함(컨테이너) - - - -

이동식 탱크/도로용 탱크차의 고박장치 - - - -

표찰(포장화물) 26 2 28 8.5

포장용기(부적절 및 손상) 3 - 3 0.9
화물격리 - - - -
적재/컨테이너 내부 고박 12 - 12 3.7

13.4.2 IMO에 보고된 위반내용별 통계(DSC 12/6/12, 2007년 8월 24일)

위반 컨ㆍ수 위반유형
점검 명찰 CSC 컨 탱크
국가명 고박 포장 격 적재 기 합
컨ㆍ수 합계 (%) 서류 및 안전 구조 컨테 표찰
장치 용기 리 고박 타 계
표시 승인판 (결함) 이너

벨기에 1,288 660 51 454 416 22 - - - 92 35 261 - 1,280

캐나다 413 171 41 24 50 4 - - 1 4 5 5 125 - 218

칠레 90 2 2 2 1 - - - - 1 - 2 1 - 7

독일 5,667 2,428 43 242 1,248 233 11 - - 297 200 34 1,276 - 3,541

리투
152 64 42 - 22 7 28 - - - - - - - 57
아니아

네델
1,736 1,496 86 147 637 - - - 14 391 - 9 298 - 1,496
란드

한국 1,876 292 16 15 265 5 - - - 28 3 - 12 - 328

스웨덴 964 434 45 116 94 - - - - 31 - - 80 112 433

미국 22,230 2,772 12 498 1,418 147 853 - - 217 104 - - 9 3,246

합계 34,416 8,319 24.2 1,498 4,151 418 892 - 15 1,061 312 85 2,053 121 10,606

% 14 40 4 8 - 0 10 3 1 19 1 30.8
13.5 외국의 컨테이너 점검절차(미국의 예)

13.5.1 일반

미국 연안 경비대(USCG)의 해상안전 검사관이 선박운송을 위하여 선적되거나 제공된 복합운


송컨테이너, 컨테이너화된 위험물 및 이동식 탱크를 점검한다. 컨테이너 점검은 통상 항만시
설에서 이루어지며, 화물운송업자, 화물 집하자, 선박 이외의 운송수단을 이용한 일반 운송인
및 기타 중개인이 운영하는 시설에서 이루어지기도 한다.

13.5.2 점검대상 컨테이너의 선택

1) 대형표찰(명찰)이 부착된 컨테이너


① 대부분의 컨테이너 점검은 대형표찰이 부착된 컨테이너의 무작위 점검이다. 예를 들
면, 점검관은 서류를 검토하여 대형표찰이 부착된 매 5번째 컨테이너를 선택할 수 있
다. 또는 마지막 식별번호가 어떠한 무작위 수(예를 들면, 3 또는 6)인 모든 컨테이너
를 점검할 수도 있다.
② 일정한 상황 하에서는 특정 위험물이나 관련 규정의 준수실적이 불량한 화주를 목표
로 하는 "함정"수사도 가능하다.

2) 대형표찰(명찰)이 부착되지 않았거나 위험물로 신고되지 않은 컨테이너


① 일반화물을 수납하고 있는 것으로 서류상에 나타나 있고 위험물이 수납되어 있다는
혐의가 없는 컨테이너의 경우에는 당해 컨테이너 관리인의 동의하에서만 점검한다.
만약 그 관리인이 합의점검에 동의하지 않는 경우에 그 컨테이너는 개방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관리인이 합의점검에 동의하여 점검이 시작되었으나 도중에 그 의사를
철회하는 경우에 그 점검은 즉시 중단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에는 합의점검에 동
의하고 있는 실정이다.
② 서류상의 불일치, 외부 소식통으로부터 입수한 정보 등에 의하여 대형표찰이 부착되
지 않은 컨테이너에 신고되지 않은 위험물이 수납되어 있다는 명백한 혐의가 있는
경우에는 당해 컨테이너를 점검할 수 있다.
③ 점검관이 안전한 컨테이너를 위한 국제협약(CSC)에 적합하지 않다고 믿을 만한 근
거가 있는 경우에 국제운송에 사용되는 모든 컨테이너는 대형표찰의 부착 여부에 관
계없이 구조적 내구성에 대한 점검을 실시할 수 있다.
13.5.3 점검절차

1) 선적서류의 점검
점검할 컨테이너를 선택한 후에는 각 컨테이너에 대한 선적서류의 사본을 점검한다. 완벽
을 추구하고 화물의 성질을 파악하기 위하여 선적서류 및 선박화물명세/적제계획도를 점
검한다.

2) 컨테이너 안전승인판의 점검
당해 컨테이너에 대한 CSC 안전승인판의 부착여부를 확인하고, 최대총중량(MGW)을 점
검한다. 당해 컨테이너에 대한 선적서류 상에 표시된 화물들의 총중량의 합이 안전승인판
상의 최대 총중량을 초과하는지 점검한다. 5년 이상 된 컨테이너가 CSC 안전승인판을 부
착하고 있는 경우에는 CSC 검사표시가 되어 있는지 점검한다. 컨테이너에 차기 검사일
표시를 하는 정기적 점검계획(PES)이나 "ACEP/국가 부호/(계획이 승인된 년도)"를 표시
하는 승인된 계속적 점검계획(ACEP)에 의한 것인지 검사한다.

3) 컨테이너의 외관검사
컨테이너의 표시를 확인한 후에는 컨테이너의 구조적 내구성에 대한 외관검사를 실시한
다. Top & Bottom Side Rail, Top & Bottom End Rail, Door Sill & Header, Floor
Cross Member, Corner Post 및 Corner Fitting과 같은 컨테이너의 구조재에 대한 중요
한 결점이 있는지 점검한다. 컨테이너의 문은 제대로 작동되는지, 닫힌 상태에서 완전히
잠그고 봉인할 수 있는지를 점검한다. 문의 개스킷(door gasket) 및 틈마개가 양호한 상
태인지를 점검한다.

4) 대형표찰(명찰) 점검
대형표찰(Placard)을 검사한다. 당해 컨테이너에 적절한 등급 및 개수의 위험물 대형표찰
이 부착되어 있는지 점검한다.

5) 봉인의 제거
컨테이너 내부를 점검할 때에는 봉인제거를 요청한다. 이 경우 선박에서는 봉인번호를 확
인하여 두어야 한다.

6) 컨테이너의 내부검사
위험물을 검사하기 전에 컨테이너의 구조적 내구성에 대한 내부검사를 먼저 실시한다. 다
음으로는 선적서류상의 기재사항이 정확한지 상호 대조한다.

7) 위험성의 표찰 점검
포장용기에 표찰 및 표시가 적절하게 행해져 있는지 점검한다.

8) 수납 적합성 점검
위험물의 일반적인 수납요건을 만족하는지 점검한다. 특히 위험물 용기가 어느 방향으로
도 이동되지 않도록 겹침적재 및 고박되어 있는지 점검한다. 또한 화물의 중량이 고르게
분산되어 있고, 컨테이너의 최대허용중량을 초과하지 않았는지 점검한다. 해양오염물질
의 선내적재에 대하여도 점검한다.

9) 격리의 적합성 점검
위험물이 혼적 불가능한 물질, 화물 및 음식물과 적절히 격리되어 있는지를 점검한다.

10) 포장용기의 적합성 점검


위험물이 충전된 용기에 대하여 용기요건에 적합한지를 점검한다.

11) 기타 조치
점검이 끝낸 후에는 선박 또는 점검지의 대표자에게 지적사항, 필요한 조치사항 및 시한
을 통보한다. 하역작업의 중단이나 컨테이너의 억류 등이 필요한 경우 선박 또는 점검지
의 대표자와 상의할 것이다.

13.5.4 위반시 벌금

위반사항 적발시는 개개 위반항목에 대하여는 벌금을 부과한다. 위반사항이 2회 이상 계속되


거나 위험물 운송과 관련되는 경우에는 가산금을 부과하며, 고의 또는 아주 심각한 위반사항
에 대하여는 5년 이하의 징역에 처할 수 있다.

위반시의 벌금금액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CFR 49, §107.339)


위반내용 금액

A. 위험물 미신고 $15,000 이상

B. 위험물 선적서류

1. 미준비 $3,000~$6,000

2. 375일간(위험 폐기물인 경우는 3년간) 미보관 $1,000

3. PSN 누락 또는 부정확한 PSN 사용 $800~$1,600

4. Class/Division 번호 누락 $1,000~$2,000

5. UN No. 누락 $1,000~$2,000

6. 부정확한 Class/Division 번호 사용 $800~$6,000

7. 부정확한 UN No. 사용 $800~$6,000

8. 포장등급 누락 또는 부정확한 포장등급 사용 $1,200

9. 위험물 표기순서 부적합 $500

10. 위험물 총질량 기재 누락 $500

11. Limited Quantity 또는 Ltd Qty 누락(LQ인 경우) $500

12. 괄호 안에 전문명칭 추가 누락(해당하는 경우) $1,000

13. 검사증 사인(sign) 누락 $800

C. 비상대응정보 요건

1. 부정확한 비상대응정보 목록/준비

a. 경미한 차이 $800

b. 심각한 차이 $3,000~$6,000

2. 비상대응전화번호 누락 $2,600

3. 비상대응전화번호 부정확 또는 무응답 $1,300

4. 통화시 기술적 정보 제공 불가 $1,300

D. 포장화물 표시요건

1. PSN 미표시 또는 부정확한 PSN 표시 $800~$1,600

2. UN No. 미표시 $1,000~$2,000

3. 괄호 안에 전문명칭 추가 미기재(해당하는 경우) $1,000

4. 방위표시 미부착(액체에 한 함) $2,500~$3,500


위반내용 금액

E. 표찰(labelling)부착 요건

1. 표찰 미부착 $5,000

2. 해당되지 않는 표찰 부착 $5,000

3. 부위험성 표찰 미부착(해당하는 경우) $500~$2,500

4. PSN과 동일면이 아닌 곳 또는 멀리 떨어진 곳에 부착 $800

5. 표찰 치수 부적합 $800

6. 표찰 색깔 부적합 $600~$2,500

7. 표찰상에 급 번호 미기재 $2,500

F. 명찰(Placarding) 요건

1. 등급 1.1, 등급 1.2, 등급 1.3, 제2.3급, 제4.3급, $1,000~$9,000


제5.2급(OP Type B, 온도제어), 제6.1급 및
제7급 명찰 미부착

2. 상기 등급 이외의 명찰 미부착 $800~$7,200

G. 포장용기 요건

1. 비UN 표준용기 또는 비규격용기 사용

a. PG I $900

b. PG II $700

c. PG III $500

2. 누출 발생

a. PG I $12,000

b. PG II $9,000

c. PG III $6,000

3. OVERPACK 표시 누락 $3,000

4. 검사기간 초과(IBC 및 탱크 컨테이너의 경우)

1. 모든 검사 초과 $3,500~$7,000

2. 정기검사만 초과 $3,500

3. 중간검사만 초과 $3,500

4. 부적절한 상부공간(탱크 컨테이너의 경우) $6,000~$12,000


14. 위험물 운송절차 및 운송서류

위험물의 수ㆍ출입 절차는 다른 일반화물의 그것과 기본적으로 차이가 없다. 그러나 위험물의
특수한 성질로 인하여 운송 또는 취급 중에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위험물의
운송 또는 취급에 관련된 종사자들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화물의 포장, 운송, 하역, 항내
반입 또는 선적 시에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14.1 위험물 수출절차 및 관련 서류

41.1.1 수출화물의 준비

1) 위험물을 수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수출하고자 하는 화물을 포장하는 일부터 시작된다. 위


험물의 포장은 일반화물과는 달리, 사용할 수 있는 포장용기의 종류, 용기의 재질, 포장
가능한 중량 또는 용량 등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포장 전에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며, 특히
위험물을 충전하는 포장용기는 일부 예외규정이 적용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용기의 안
전성 검사를 받아 이에 합격하였다는 표시가 되어 있는 용기(일명, 유엔 표준용기)만을
사용하여 포장하여야 한다.

2) 위험물이 들어있는 포장화물에는 해당 위험물의 품명(정식운송품명)과 유엔번호를 표시


하여야 하고, 해당 표찰(label)을 부착하여 해당 화물의 위험성을 알 수 있도록 하여야 한
다. 이것은 “한국해사위험물검사원”에 의한 위험물 검사 시 검사의 합격판정 기준이므로,
미리 위험물검사원에 협조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

3) 또한 하송인 또는 그 대리인은 선박회사(선사)가 해당 위험물의 선적 가능성 여부를 검토


할 수 있도록 위험물 정보를 미리 통보하여야 한다.

14.1.2 수출승인 및 허가

다음과 같은 법률(수출입 공고, 특별 공고 또는 특별법)에 의하여 수출이 제한되는 물품이 있


으며, 그러한 경우에는 사전에 승인을 받아야 한다.

1) 화약류 - 행정자치부(지방경찰청장)의 허가(총포ㆍ도금․화약류단속법 제9조 및 동 시행


령 제82조)
2) 주요 방산물자 - 국방부장관(방위산업진흥회장)의 허가(방위산업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
21조 및 동 시행령 제40조)
3) 유해 폐기물 - 산업자원부장관의 허가(폐기물의 국가간 이동 및 그 처리에 관한 법률 제6
조)
4) 유독물 - 환경부(유독물관리협회)에 신고(유해화학물질관리법 제12조 및 동 시행규칙 제
16조)

14.1.3 수출신고 및 수출면허

1) 수출신고
위험물의 수출신고는 일반화물과 마찬가지로 수출하고자 하는 화물의 제조공장 또는 위
험물 창고 등 세관검사를 받고자 하는 장소에 수출품을 장치하고, 관할 세관에 수출신고
를 하여 “신고필증”을 교부받아야 한다. 수출 신고서는 자가통관을 허가받은 경우를 제외
하고는 관세사, 통관법인 또는 관세법인을 통하여 전자문서(EDI)로 작성하여 세관의 통
관시스템에 전송한다. 다만, 세관장의 확인대상물품, 전략물자 수출허가대상물품 등과 같
은 특정 물품에 대하여는 신고자가 직접 수출 신고서를 세관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또
한 위험물을 항계안으로 반입하기 전까지 관할지방해양수산청장에게 위험물 반입신고 확
인을 받기 위하여 전자문서(EDI)로 작성하여 Port-Mis에 전송한다.

2) 검사
일반 수출신고 물품에 대한 검사는 세관장 확인대상물품, 전략물자, 수출허가 대상물품
등 현품을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경우 외에는 원칙적으로 생략하지만, 해양수산부가 정한
위험물인 경우에는 반드시 검사기관이 검사한다.

3) 수출면허
세관에 전송된 수출 신고서는 물품의 종류에 따라 접수와 동시에 수리되는 “자동수리”,
신고내용을 심사하여 수리하는 “즉시수리” 및 현품확인 후 수리하는 “검사 후 수리” 중
하나로 수리되며, 수출신고가 수리되면 수출신고필증(수출면장)을 교부하게 된다.
신고서류가 직접 제출된 경우에는 수출신고 수리인과 신고서 처리 담당자의 인장을 날인
한 수출신고필증을 신고인에게 교부되고, 관세사가 전자문서로 수출신고를 하여 세관장
으로부터 신고수리의 사실을 전산통보 받아 수출 하송인에게 신고필증을 교부하는 경우
에는 수출신고필증의 세관기재 란에 등록된 관세사의 사인이 날인되어 교부된다. 하송인
등이 직접 신고하는 때에는 “본 신고필증은 수출통관 사무처리에 관한 고시의 규정에 의
하여 P/L신고를 하여 세관장으로부터 신고수리된 것을 확인하여 발행ㆍ교부됨”이라는
내용이 신고필증에 표시된다.

14.1.4 선적신청

1) 세관으로부터 수출면허가 수리되어 수출신고필증이 발급되면 하송인은 선적을 위하여 이


신고필증과 함께 송장, 포장 명세서 및 위험물 명세서가 첨부된 선적 신청서를 선박회사
에 제출하고 선적할 준비를 한다. 선적신청은 하송인을 대신하여 운송인이 하는 경우도
있다.

2) 수출신고가 수리된 물품은 수리일로부터 30일 이내에 선적하여야 하며,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통관지 세관장에게 선적기간연장 승인(신청)서를 제출하여 30일 범위 내
에서 연장승인을 받을 수 있다.

14.1.5 위험물 명세서(위험물 선박운송 및 저장규칙 제16조 관련)

1) 위험물의 운송 위탁을 하기 전에 하송인이 작성하여 선박회사(선박소유자 또는 선장)에


제출하는 서류로서, 운송하고자 하는 위험물에 관한 모든 필요한 정보를 하송인이 스스로
밝혀 그 위험물의 운송에 관련된 종사자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위험물로 인
한 사고를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더욱이 이 “위험물 명세서”에는 당해 위험물의 용기, 포장, 표찰 및 표시가 관련규정에 적


합하고 또한 운송함에 적합한 상태에 있음을 부기하거나 이것을 증명할 서류가 첨부되어
야 한다.

14.1.6 선적허가 및 지시

1) 하송인 또는 그 대리인의 선적요청에 따라 선박회사가 선적가능 여부를 검토한 후에 선적


을 허가하게 되면, 선박회사는 해당 화물을 선적할 선박의 운항계획을 고려하여 일정한
날짜까지 지정된 장소(CFS, CY, 부두 등)로 화물 이송을 지시하게 된다.
2) 이때 컨테이너로 운송할 화물에 대하여는 하송인 또는 그 대리인이 직접 컨테이너 수납작
업을 실시한 후에 지정장소로 이송하거나(FCL인 경우), 지정된 장소로 화물을 이송한 후
선박회사에 의하여 수납작업을 실시하게 된다(LCL인 경우).

3) 이렇게 화물을 컨테이너에 수납할 경우에는 수납 책임자는 컨테이너위험물명세서를 작성


하여야 하며, 해양수산부장관이 정하는 위험물에 대하여는 “컨테이너 수납검사”를 교부
받아야 한다.

14.1.7 컨테이너위험물명세서(위험물 선박운송 및 저장규칙 제34조 관련)

위험물을 컨테이너에 수납하여 운송할 경우, 수납 당사자는 매 컨테이너마다 “컨테이너위험


물명세서”를 작성하여 선박회사(선박소유자 또는 선장)에 제출하여야 한다. 더욱이 이 위험물
명세서에는 위험물의 용기, 포장, 표찰, 표시 및 수납방법과 컨테이너의 표시가 관련규정에 적
합하며 또한 운송에 적합한 상태에 있음을 부기하거나 이를 증명할 서류가 첨부되어야 한다.

14.1.8 컨테이너수납검사(위험물 선박운송 및 저장규칙 제205조 관련)

해양수산부장관이 정하는 위험물을 컨테이너에 수납하여 운송하고자하는 경우, 하송인 또는


선박소유자는 컨테이너 수납방법, 당해 위험물에 적합한 용기ㆍ포장의 사용여부와 표시 및 표
찰의 적합 여부에 관하여 관할지방해양수산관청의 검사(한국해사위험물검사원에서 대행)를
받아야 한다.

1) 수납검사의 신청
검사를 신청하고자 하는 자는 위험물검사원의 사용자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자문서
(EDI)로 신청하며, 이때 송장, 포장명세서, 기타 필요한 서류를 첨부하여야 한다.

2) 검사
전송된 신청서는 자동으로 접수되며, 지정된 담당검사관에 의해 신청서의 내용이 검토되
고, 위험물이 컨테이너에 수납되는 현장에서 컨테이너의 안전성, 컨테이너 수납방법, 적
합한 용기의 사용여부와 표시 및 표찰의 적합성 여부에 관한 검사가 이루어진다.
3) 증서의 교부
현장검사 결과 모든 사항들이 관련규정에 적합하다고 인정되면 담당검사원은 “컨테이너
수납검사증(CPC : Container Packing Certificate)”을 발급하게 되는데, 발급된 증서는
전자문서로 전송된다. 전송된 검사증은 항만운송전산망을 통하여(KL Net) 신청자는 물
론 지방해양수산청, 선박회사, 하역회사 등에서 조회해볼 수 있다.
14.1.9 위험물 반입신고

1) 선적준비가 완료된 위험물은 선박회사의 지시에 따라 지정된 장소로 이송하게 되고, 선적


을 위하여 항만내로 반입하게 된다. 이때 반입하고자 하는 자(현실적으로는 선박회사)는
위험물을 항계안으로 반입하기 전까지 반드시 지방해양수산청장에게 "위험물반입신고서
"에 위험물 일람표를 첨부하여 제출하고 “위험물반입신고확인서”를 교부받아야 한다(개
항질서법 제20조 제1항 및 동 시행규칙 제7조 관련).

2) 위험물 반입신고는 항만운영 전산망(PORT-MIS)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데 운항선사인 경


우, 위험물취합시스템으로 위험물 반입신고서 및 위험물 일람표를 작성하여 전송하고, 공
동 배선사인 경우에는 위험물 일람표만 작성하여 위험물취합시스템으로 전송하게 된다.

3) 위험물취합시스템으로 전송되어온 자료들은 자동으로 취합되며, 운항선사는 취합된 위험


물 자료(반입신고서 및 일람표)를 선적항의 지방해양수산청으로 전송하여 반입신고를 하
게 된다. 이때 반입신고 전에 위험물 장치장으로 반입되는 사전 반입분을 위하여 운항선
사 및 공동 배선사 모두는 운항선사가 위험물 반입신고 확인서를 받기 전에 자신의 위험
물 일람표를 하역회사로 전송한다.

4) 지방해양수산청은 전송되어온 위험물 반입신고서 및 위험물 일람표의 내용을 확인한 후


반입을 허가하게 되고, 선박회사는 지방해양수산청으로부터 수리서를 수신하면 지방해양
수산청에서 수리한 일자가 자동으로 나타난다. 이렇게 반입이 허가된 최종 위험물의 일람
표는 취합시스템을 통하여 운항선사로부터 하역회사로 전송된다.
위험물 검사 의뢰
② 한국해사 ◀ ①화 주
위험물검사원 ▶ (또는 하송인)
검사 후 해당 검사증 발급
운송의뢰
(검사증 및 명세서)

반입신고
④ 지방해양 ◀ ③선 사
수산청 ▶ (대 리 점)
반입신고 확인서 교부


자체안전관리계획수립승인요청

▶ ⑤하역회사
승 인(최초 1회)

⑥선 박 ◀
적하작업

14.1.10 위험물의 하역

위험물을 하역하기 위하여 특별히 허가를 받을 필요는 없으나 개항의 항계안에서 위험물을 하
역하고자 하는 자는 “자체안전관리계획”을 수립하여 지방해양수산청장의 승인을 얻어야 한
다. 그러므로 하역회사는 선사에서 전송한 위험물 일람표를 수신 받아 승인된 자체안전관리계
획에 따라 위험물을 하역하고 관리한다.

14.1.11 위험물의 선적

1) 수출이 면허된 위험물이 항내로 반입되면 지방해양수산청의 승인을 받은 자체안전관리계


획에 따라 하역회사에 의하여 선박에 선적되는데, 이때에는 하송인이 작성한 위험물의 사
고 대비를 위한 서류와 선사에서 작성한 “위험물취급지침서"가 선장에게 전달되어야 한
다.

2) 위험물을 선박에 적재할 때에는 선장은 관련규정에 따라 적절한 적재장소를 선택하고 안


전한 운송을 위하여 격리요건에 따라 적재하여야 한다. 특히 해양수산부장관이 정하는 위
험물에 대하여는 관할수산해양관청의 "적재검사"를 받아야 하며(한국해사위험물검사원
에서 정부대행), 선박에 적재된 모든 위험물에 대하여는 위험물적하일람표를 작성하여야
한다.

3) 선적이 완료되면 세관으로부터 수출면장, 선장수령증(MATE'S RECEIPT) 등에 의하여


품명, 규격, 수량 등에 이상이 없음을 수출면장에 확인 받고, 선박회사는 선하증권(B/L :
Bill of Lading)을 발급함으로서 모든 선적 절차가 종료된다.

14.1.12 위험물의 사고 대비를 위한 서류(위험물 선박운송 및 저장규칙 제16조 관련)

위험물 명세서와 함께 하송인이 작성하여 선장에게 제출하는 서류로서, 다음사항이 기재되어


있어야 한다.
1) 위험물의 운송 및 취급에 필요한 정보
2) 위험물의 유출 및 화재 등 비상시의 조치에 관한 사항
3) 위험물 피해에 대한 의료응급처치에 관한 사항

14.1.13 위험물취급지침서(위험물 선박운송 및 저장규칙 제23조 관련)

위험물의 운송으로 발생하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재검사를 받도록 규정되어 있는 위험


물을 운송하는 선박의 소유자는 위험물에 관한 성상, 작업 방법, 재해 발생시의 조치 및 기타
의 주의사항을 상세히 기록한 위험물취급지침서를 작성하여 선장에게 제공하여야 한다.

14.1.14 적재검사(위험물 선박운송 및 저장규칙 제204조 관련)

해양수산부장관이 정하는 위험물을 선박으로 운송하고자 할 경우에는 선장은 위험물의 적재


방법, 적합한 용기ㆍ포장의 사용여부와 표시 및 표찰의 적합여부에 관하여 관할지방해양수산
관청의 검사(한국해사위험물검사원에서 정부대행)를 받아 “위험물적재검사증”을 선내에 비
치하여야 한다.

1) 적재검사의 신청
적재검사를 받고자 하는 자는 위험물검사원의 사용자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자문서
(EDI)로 신청하며, 이때 위험물적재검사신청서에 송장, 포장명세서, 화물 적재도를 첨부
하여야 한다.
2) 검사
전송된 신청서는 자동으로 접수되며, 지정된 담당검사관에 의해 신청서의 내용이 검토되
고, 위험물이 선박에 적재될 때에 현장에서 위험물의 선내 적재방법, 적합한 용기ㆍ포장
의 사용여부와 표시 및 표찰의 적합 여부 등에 관한 검사가 이루어진다.

3) 증서의 교부
현장검사 결과 모든 사항들이 관련규정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면 담당검사원은 “적재 검사
증”을 발급하게 되는데, 발급된 증서는 전자문서로 전송된다. 전송된 검사증은 항만운송
전산망을 통하여 신청자는 물론 지방해양수산청, 선박회사, 하역회사 등에서 조회해볼 수
있다.

14.1.15 위험물 적하일람표(위험물 선박운송 및 저장규칙 제21조 관련)

선장은 선박에 적재한 위험물에 대하여 다음사항을 기재한 “위험물 적하일람표” 2통을 작성
하여 1통은 선박소유자에게 교부하고 1통은 당해 운송이 끝날 때까지 선내에 보관하여야 한
다. 단, 다음사항이 명시된 적부도로서 위험물 적하일람표에 대체할 수 있다.
1) 선박의 명칭ㆍ국적ㆍ번호 및 용도
2) 적재ㆍ환적ㆍ양하의 항명 및 년 월일
3) 하송인의 성명 또는 명칭과 주소
4) 하수인의 성명 또는 명칭과 주소(화약류, 가스류, 인화성액체 또는 유기과산화물을 운송
하는 경우에 한함)
5) 위험물의 분류, 등급, 품명(정식운송품명), 부위험성, 유엔번호 및 포장등급 또는 격리구

6) 개수 및 질량 또는 용적
7) 적재장소 및 상태

14.2 위험물 수입절차 및 관련 서류

14.2.1 수입신고 - 세관

수입신고는 선박이 입항한 후에 하는 것을 원칙이지만 입항 전에도 가능하다. 수입신고는 신


고시점에 따라 다음의 4가지 유형이 있으며 수입하고자 하는 자는 필요에 따라 신고방법(시
기)을 선택하여 신고할 수 있다.
1) 출항 전 신고 - 일본, 중국, 대만, 홍콩으로부터 선박으로 수입하는 물품을 선적한 선박이
출항하기 전에 수입신고 하는 것이다.
2) 입항 전 신고 - 수입물품을 선적한 선박이 출항한 후 하선신고 시점을 기준으로 한 입항
전에 수입신고 하는 것이다.
3) 보세구역 도착 전 신고 - 수입물품을 선적한 선박이 입항하여 부두밖 컨테이너 보세장치
장이나 컨테이너 내륙통관기지를 포함한 보세구역에 도착하기 전에 수입신고 하는 것이
다.
4) 보세구역 장치 후 신고 - 보세장치장이나 보세구역에 반입한 후에 수입신고 하는 것이다.

다만, 출항 전 및 입항 전 신고는 FCL화물에 한하여 가능하며, 이 경우에도 담보면제 및 포괄


담보 운영에 관한 고시에 의거 담보면제한도액 또는 담보사용한도액이 있거나, 신고 수리 전
에 담보를 제공하거나 관세를 미리 납부하여야 한다.

14.2.2 반입신고 - 지방해양수산청

수출과 마찬가지로 수입시에도 위험물을 항내로 반입하고자 할 때에는 관할지방해양수산청에


반입신고를 하고, 신고 확인서를 교부 받아야 한다.

반입신고는 반입 24시간 전에 하여야 한다. 다만, 전 출항지로부터 당해항까지의 운항시간이


24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항만내 반입 전에 반입신고를 할 수 있다. 이때 제출하는
서류 및 절차는 수출의 경우와 동일하다(개항질서법 제20조 제1항 및 동 시행규칙 제7조 관
련)

위험물 반입신고
①선 박 ▶ ② 지방
(선사 또는 대리점) ◀ 해양수산청
정박지, 선석지정
하역 의뢰 ▲
(위험물 적하일람표)

자체안전관리계획수립승인요청
③하 역 회 사

승인(최초 1회)
하역작업
▶ ④ 위험물 창고 또는 장치장(부두구역 외)
14.2.3 하역신고 및 하역작업

하역회사는 해양수산청에 위험물하역허가신청을 하지 않는 대신 선사에서 전송한 위험물일람


표를 수신 받아 자체 관리한다.

14.2.4 사전 반입자료 전송

운항선사가 취합된 위험물을 지방해양수산청으로 신고하기 전 위험물 장치장으로 반입되는


사전반입분에 대하여 운항선사 및 공동 배선사는 자신의 위험물일람표를 하역회사로 신고한
다.

14.2.5 최종반입자료 전송

운항선사는 해양수산청으로부터 반입승인을 받은 위험물 일람표를 하역회사로 전송하면 하역


회사는 사전 반입분과 최종 반입분을 최종 관리한다.

14.2.6 복합위험물 신고서

선장은 적재항에서 발급받은 "복합 위험물 신고서"를 선상에 보관하여야 하며, 선사 또는 하


역사에 이를 교부하여야 한다.

14.3 IMDG Code에 따른 위험물 운송서류

14.3.1 일반

1) 위험물 운송을 요청할 때에는 다른 종류의 화물에서 요구되는 것과 유사한 서류를 준비하
여야 한다. 위험물 운송서류의 기본요건은 화물의 위험성에 관한 기본정보를 제공하여야
하는 것이므로 IMDG Code에서 면제되거나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위험물 운송품에 대한
서류에는 일정한 기본정보가 포함되어야 한다.

2) 위험물 운송서류를 작성하여야 하는 근거는 다음과 같다.


■ 국제해상인명안전협약(SOLAS), 제7장 A편 제4규칙
국제협약 ■ 해양오염방지협약(MARPOL), 부속서 III 제4규칙
■ 국제해상위험물규칙(IMDG Code), 제5.4장

■ 선박안전법 제16조의 2(위험물의 운송 등)


국내법
■ 위험물 선박운송 및 저장규칙, 제204조, 205조

3) 컨테이너에 위험물을 수납/적재하는 책임자(또는 주무관청이 허가한 단체)는 당해 운송


기구내의 화물을 적절히 수납 및 고박하였다는 것과, 적용할 수 있는 모든 운송요건을 충
족시켰다고 진술한 서명된 컨테이너/차량 수납증명서(CPC/VPC : Container/Vehicle
Packing Certificate)를 제공하여야 한다.

4) 위험물이 수납된 컨테이가 상기 3)항 또는 4)항의 요건과 일치되지 않다고 의심할 만한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 또는 컨테이너/차량 수납증명서를 입수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당
해 화물운송기구의 운송을 허용하여서는 안 된다.

14.3.2 위험물 운송서류의 형태

1) 위험물 운송서류(dangerous goods transport document)는 IMDG Code에서 요구하고


있는 모든 정보가 수록된다면 임의의 형태로 할 수 있다. 만약 위험물과 비위험물을 하나
의 서류에 수록하는 경우에는 위험물을 먼저 수록하거나 그렇지 않다면 위험물을 강조하
여야 한다.

2) 위험물 운송서류는 연속적으로 쪽번호가 부여된다면 1쪽을 초과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


한 위험물 운송서류의 정보는 확인하기 쉽고 읽기 쉬우며 튼튼하여야 한다.

3) 위험물 운송서류에는 위험물의 하송인 및 하수인의 명칭과 주소가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위험물 선적서류를 운송인에게 전자정보처리(EDP) 또는 전자정보교환(EDI) 전달기술방
법으로 전달하는 경우, 그 서명은 서명에 책임이 있는 사람의 성명(대문자)으로 대신할
수 있다.
14.3.3 복합 위험물 양식 - 수입 위험물인 경우
14.3.4 위험물 컨테이너(차량) 수납 검사증 - 수출 위험물인 경우
14.3.5 위험물 운송서류에 요구되는 정보

1) 위험물 명세 기재 순서

위험물 운송서류에는 운송이 요청된 개개 위험물에 대한 다음과 같은 5종류의 위험물 명


세(dangerous goods description) 정보를 수록하여야 한다 :

① "UN"이라는 문자 뒤에 유엔번호(UN Number) ;


② 정식운송품명(Proper Shipping Name). 해당하는 경우 전문명칭을 괄호 안에 넣을
것;
③ 해당 화물의 주위험성 급(class) 또는 등급(division)(지정된 경우), 제1급인 경우에
는 격리구분 문자도 포함. "Class" 또는 "Division" 이라는 문자는 주위험성 또는 부
위험성 급 또는 등급 앞에 포함시킬 수 있음 ;
④ 적용이 요구되는 부위험성 표찰에 상응하는 부위험성의 급 또는 등급을(지정된 경
우) 주위험성 급 또는 등급 다음에 기입하여야 하며, 이것은 괄호 안에 넣어야 함.
"Class" 또는 "Division" 이라는 문자는 부위험성 또는 부위험성 급 또는 등급 앞에
포함시킬 수 있음 ;
⑤ 해당 물질 또는 제품의 포장등급(packing group)(지정된 경우). 이 포장등급의 앞에
는 "PG"라는 문자가 올 수 있음(예를 들면, "PG II").

2) 위험물 명세는 해당 정보가 산재되지 않도록 상기의 ①, ②, ③, ④, ⑤ 순서로 하여야 한


다. 또한 추가정보는 위험물 명세 뒤에 위치시켜야 한다.

3) 위험물 명세중의 정식운송품명을 보충하는 정보

위험물 명세중의 정식운송품명은 다음과 같이 보충되어야 한다

① "N.O.S." 및 기타의 총칭 등재명에 대한 전문명칭 ; 위험물 목록 (6)열에 특별규정


274가 부여된 정식운송품명에는 전문명칭이나 화학명칭의 군으로 보충되어야 한다.

특별규정 274 : 운송서류 및 포장화물 표시의 목적상, 당해 정식운송품명


은 전문명칭(technical name)으로 보충시켜야 한다.

② 비었고 세척되지 않은 포장용기 및 탱크 ; 제7급 이외 등급의 위험물 잔류물이 들어


있는 빈 격납장치에는 정식운송품명의 앞 또는 뒤에 "EMPTY UNCLEANED" 또는
"RESIDUE LAST CONTAINED"라는 문장을 기재하여야 한다.

③ 폐기물 ; 폐기 위험물(방사성 폐기물은 제외)을 처분 또는 폐기할 목적으로 운송하는


경우에는 정식운송품명 앞에 "WASTE"라는 문자를 기재하여야 한다. 단, 이 문자가
정식운송품명의 일부로 이미 나타나 있는 경우에는 기재할 필요가 없다.

④ 고온물질 ; 만약 100℃ 이상의 온도에서 액체상태로 운송되거나 또는 240℃ 이상의


온도에서 고체상태로 운송되는 물질의 정식운송품명 앞에는 "HOT"라는 문자를 기
재하여야 한다. 다만 해당 정식운송품명이 고온상태(예를 들면, 정식운송품명의 일부
로서 "MOLTEN" 또는 "ELEVATED TEMPERATURE"라는 단어를 사용한 것)임을
전달하고 있는 경우에는 기재할 필요가 없다.

⑤ 해양오염물질 ; 운송될 화물이 해양오염물질인 경우에는 당해 화물을 "MARINE


POLLUTANT"라고 확인시켜야 한다.

⑥ 인화점 : 운송될 화물의 인화점이 60℃ c.c.(밀폐용기시험에 의한 것) 이하인 경우에


는 최저 인화점을 나타내어야 한다. 인화점은 불순물의 존재로 인하여 위험물 목록
(DGL)의 해당물질에 명시된 참조 인화점보다 더 낮거나 더 높을 수 있다. 인화성도
있는 제5.2급의 유기과산화물에 대하여는 인화점을 표시할 필요가 없다.

4) 위험물 명세의 예

① UN1098 ALLYL ALCOHOL 6.1 (3) I (21℃ c.c.)


② UN1098, ALLYL ALCOHOL, class 6.1, (class 3), PG I, (21℃ c.c.)
③ UN 1092, Acrolein, stabilized, class 6.1 (3), PG I, (-24℃ c.c.), MARINE
POLLUTANT
④ UN 2761, Organochlorine pesticide, solid, toxic (Aldrin 19%), class 6.1, PG III,
MARINE POLLUTANT
14.3.6 위험물 명세에 요구되는 추가정보

위험물 명세에 추가하여 다음의 정보를 위험물 운송서류상의 위험물 명세 뒤에 포함시켜야 한


다.
1) 개개 위험물 품목의 명세에 해당하는 위험물의 총량을 포함시켜야 한다. 제1급 위험물의
경우에는 순질량이어야 한다. 회수용기로 운송되는 위험물인 경우에는 대략적인 위험물
의 양을 명시하여야 한다. 포장화물의 개수와 종류도 나타내어야 한다. UN 포장용기 기
호는 포장화물 종류의 명세를 보충할 때에만 사용할 수 있다[예, one box(4G)]. 총량(總
量)의 측정단위를 나타내기 위하여 약어를 사용할 수 있다.

2) 제한된 양으로 포장된 위험물인 경우에는 "limited quantity" 또는 "LTD QTY"라는 문구


를 포함시켜야 한다.

3) 회수용기로 운송되는 위험물인 경우에는 "SALVAGE PACKAGE"라는 문구를 포함시켜


야 한다.

4) "STABILIZED"라는 문자가 정식운송품명의 일부인 경우, 만약 그 안정화가 온도조절에


의한 경우라면 제어온도 및 비상온도를 다음과 같이 운송서류에 명시하여야 한다 :
제어온도(Control temperature) ..........................℃
비상온도(Emergency temperature) ....................℃

5) 운송 중 온도제어가 요구되는 제4.1급의 자기반응성 물질과 유기과산화물의 경우에는 제


어온도 및 비상온도를 다음과 같이 운송서류에 명시하여야 한다.
제어온도(Control temperature) .........................℃
비상온도(Emergency temperature) ...................℃

어떤 제4.1급의 자기반응성 물질 및 제5.2급의 유기과산화물의 경우, 주무관청이 특정 포


장화물에 대하여 "폭발성(EXPLOSIVE)" 부위험성 표찰의 부착을 면제하도록 허가한 경
우에는 그 취지에 대한 문구를 운송서류에 명시하여야 한다.

6) 유기과산화물 및 자기반응성 물질이 승인(approval)이 요구되는 조건하에서 운송되는 경


우에는 그 취지에 대한 문구를 운송서류에 기재하여야 한다. 미수록된 유기과산화물 및
자기반응성 물질에 대한 분류승인 및 운송조건에 대한 사본은 위험물 운송서류에 첨부되
어야 한다.

7) 전염성 물질용의 운송서류에는 하수인의 완전한 주소와 책임자의 성명 및 전화번호를 나


타내어야 한다.

8) 에어로졸의 용량이 1,0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것을 운송서류에 나타내어야 한다.

14.3.7 컨테이너/차량 수납 증명서

위험물을 임의의 컨테이너 또는 차량에 수납 또는 적재하는 경우, 해당 컨테이너 또는 차량의


수납 책임자는 컨테이너/차량의 식별번호를 상술하고 또한 그 작업을 다음의 상태에 따라 실
행하였음을 증명하는 "컨테이너/차량 수납증명서(CPC/VPC : Container/ Vehicle Packing
Certificate)"를 작성하여야 한다 :

1) 컨테이너/차량은 청소, 건조되었고, 외견상 화물을 수납하기에 적합함 :


2) 적용 가능한 격리요건에 따라 격리가 필요한 화물은 컨테이너/차랑의 내부 또는 상부에
함께 수납되지 않았음(관련 주무관청이 승인한 경우에는 제외) ;
3) 모든 포장화물을 손상에 대한 외관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정상적인 포장화물만 적재하였
음;
4) 주무관청의 허가가 없는 한, 드럼(drum)은 직립자세(upright position)로 적재하였고, 모
든 화물을 올바르게 적재하였으며, 필요한 경우 예상항로에 대한 운송형태에 적합하도록
고박재로 적절히 고박하였음.
5) 산적(in bulk)으로 적재된 화물은 컨테이너/차량 내부에 평평하게 분배하였음 ;
6) 제1급의 화물(등급 1.4는 제외)이 들어있는 운송품의 경우, 당해 컨테이너/차량은 제
7.4.6항과 일치하는 구조적으로 사용가능한 상태임 ;
7) 컨테이너/차량 및 포장화물에는 적절히 표시, 표찰 및 명찰을 부착하였음 ;
8) 고체 이산화탄소(CO2 - 드라이아이스)를 냉각목적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컨테이너/차량
에는 다음과 같은 문구의 표시 또는 표찰을 눈에 잘 띄는 곳에(뒤쪽 문) 부착하였음 :
"DANGEROUS CO2(DRY ICE) INSIDE. VENTILATE THOROUGHLY BEFORE
ENTERING" ; 및
9) 제5.4.1항에 명시된 바와 같은 위험물 운송서류를 컨테이너/차량에 수납된 개개 위험물
운송품에 대하여 수령하였음.

14.3.8 선상에서 요구되는 서류

1) 위험물 및 해양오염물질을 운송하는 개개 선박에는 특별목록(special list) 또는 적하목록


(manifest)이 비치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한 특별목록 또는 적하목록을 대신하여 적재 계
획도(stowage plan)를 사용할 수 있다.

2) 위험물 운송품의 경우, 위험물 운송과 관련된 사고 및 사건에 비상 대응하는데 이용하기


위한 적절한 비상대응정보(emergency response information)는 언제라도 즉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 정보는 위험물이 들어있는 포장화물과 떨어져 있어도 활용할
수 있어야 하며,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는 즉시 입수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정보에 부응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
① 특별정보, 적하목록 또는 위험물 신고서 내의 적절한 등재명 ;
② 물질안전자료집(MSDS)과 같은 별개의 서류에 대한 규정 ;
③ 운송서류와 관련되어 사용하는 위험물운송선박의 비상대응절차(EmS) 및 위험물 관
련사고시의 의료응급처치지침(MFAG)과 같은 별개의 서류에 대한 규정.

14.3.9 요구되는 기타의 정보 및 서류

1) 어떤 상황에서는 다음과 같은 특별 증명서(special certificate) 또는 기타의 서류가 요구


된다 :
① 기상증명서(weathering certificate) ; 개별 등재명에서 요구되는 바에 따름 ;
② IMDG Code의 규정에서 면제되는 물질, 재료 또는 제품의 증명서(예 : charcoal,
fishmeal, seedcake에 대한 개별 등재명을 참조할 것) ;
③ 새로운 자기반응성 물질 및 유기과산화물 또는 현재 지정된 자기반응성 물질 및 유
기과산화물의 신 제제에 대하여는 승인된 분류 및 운송상태에 대한 원산지 주무관청
에 의한 언급.
2) 훈증소독된 운송기구
훈증소독된 운송기구(fumigated unit)의 운송과 관련된 선적서류에는 훈증소독을 실시한
날짜와 사용된 훈증 소독제의 종류 및 양(量)을 나타내어야 한다. 추가로 훈증소독장치
(사용된 경우) 지침서를 포함한 훈증 소독제의 잔류물을 처리하기 위한 지침서를 구비하
여야 한다.

15. 컨테이너 보수점검


모든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보수점검에 관한 기준"에 따라 정기적으로 점검되어야 한다.
본 자료는 1993년 7월 2일 해운항만청고시 제1993-31호로 제정되고, 1998년 6월 3일
해양수산부고시 제1998-37호 및 1999년 10월 28일 해양수산부고시 제1999-87호로
각각 개정된 "컨테이너 보수점검에 관한 기준"을 "안전한 컨테이너를 위한 국제협약
(CSC)"의 관련 항목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이다.

15.1 목적

"컨테이너 보수점검에 관한 기준"(이하 기준이라 한다)은 안전한 컨테이너를 위한 국제협약


부속서 I 제2규칙에 의한 컨테이너의 점검에 관한 기준을 정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기준 제
1조).

1) 안전한 컨테이너를 위한 국제협약(CSC :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Safe


Container)은 1972년 제네바에서 유럽경제이사회의 협조 하에 국제연합(UN)과 국제
해사기구(IMO)가 합동으로 개최한 "컨테이너 운송에 관한 국제회의"에서 컨테이너의
운송 및 취급에 있어서의 고도의 인명 안정성 유지와 컨테이너의 국제운송을 촉진하
기 위하여 채택한 국제협약이다.

2) 동 협약에서는 컨테이너를 안전한 상태로 유지할 책임을 컨테이너 소유자(owner)에게


전적으로 위임하고 있으며, 그것은 체약 당사국이 규정 또는 승인한 절차에 따라서 시
행하도록 하고 있다. 동 협약 채택 당시에는 정기점검방법(PES : Periodic
Examination Scheme) 즉, 신조 후 첫 번째 검사일까지의 간격은 5년으로, 그 이후부
터는 매 2년 간격으로 점검을 실시하는 방법만을 규정하였다.

3) CSC는 1983년 제2차 개정을 통하여 2년(24개월)이던 보수점검 간격을 30개월(2.5


년)로 연장하였으며, 점검방법에 있어서도 기존의 정기점검방법(PES)에 추가하여 승
인된 계속점검방법(ACEP : Approved Continuous Examination Programme)을 규정
하여, 컨테이너의 소유자가 PES 또는 ACEP 중 택일하여 시행 가능하도록 하였다.

4) 1972년에 채택된 동 협약은 1976년 9월에 10번째 국가가 비준함에 따라 1977년 9


월 정식 발효되었다. 우리나라는 1978년 12월 18일 가입하였으며, 1979년 12월 18
일 발효되었다.
15.2 정의

15.2.1 "정기점검"이라 함은 안전승인판이 부착된 컨테이너에 대하여 컨테이너 소유자가 해양수산관


청(컨테이너 운송선박의 주된 기항지를 관할하는 해양수산관청을 말한다. 이하 같다)으로부터
승인 받은 정기점검방법(PES : Periodic Examination Scheme)에 따라 안전한 컨테이너를
위한 국제협약 부속서 I 제2규칙 제2항에 규정된 점검 년ㆍ월에 행하는 보수점검을 말한다(기
준 제2조).

1) "정기점검"과 관련된 CSC 부속서 I 제2규칙 제2항의 규정은 다음과 같다.


2. (a) 승인 컨테이너의 소유자는 작업조건에 적합한 기간을 두고 관련 체약 당사
국이 승인 또는 규정한 절차에 따라 컨테이너를 검사하거나 또는 검사가 행
해지도록 하여야 한다.
(b) 신조 컨테이너의 최초 검사일자(년, 월)는 안전승인판에 표시되어야 한다.
(c) 컨테이너의 재검사 일자(년, 월)는 안전승인판상에 또는 실행 가능한 한 그
것과 가까운 장소에 명료하게 표시되어야 하며, 상세한 보수절차를 규정 또
는 승인한 체약 당사국이 수락할만한 방법으로 표시되어야 한다.
(d) 제조일로부터 첫 번째 검사일까지의 간격은 5년을 초과하여서는 안 된다.
신조 컨테이너의 제2회 이후의 검사 및 기존 컨테이너의 재검사는 30개월
이하의 간격으로 행하여야 한다. 모든 검사에서는 당해 컨테이너에 인명을
위험하게 할 결함이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여야 한다.

2) "안전승인판(Safety Approval Plate)"이라 함은 당해 컨테이너가 CSC에서 요구하는


기준으로 설계, 제조 및 시험되었음을 확증시키기 위하여 컨테이너 외부에 부착하는
판(plate)을 말한다.
안전승인판에 대하여 CSC 부속서 I 제1규칙(안전승인판) 제1항에는 다음과 같이 규
정되어 있다 :
1. (a) 본 부속서의 부록에 규정된 규격에 합치하는 안전승인판은 모든 승인된 컨
테이너에, 공적 목적으로 발급된 기타 승인판과 인접되고 쉽게 파손되지 않
는 눈에 띄기 쉬운 장소에 항구적으로 부착되어야 한다.
(b) 개개 컨테이너상의 모든 최대총중량(maximum gross weight) 표시는 안전
승인판에 표기된 최대총중량과 일치하여야 한다.
(c) 컨테이너의 소유자는 다음의 경우 컨테이너에 부착되어 있는 안전승인판을
제거하여야 한다 :
(ⅰ) 컨테이너가 최초 승인조건 및 안전승인판에 표기된 내용을 무효화하는
방법으로 개조된 경우, 또는
(ⅱ) 컨테이너가 더 이상 사용되지 않고 또한 CSC에 따라 보수점검되지 않
은 경우, 또는
(ⅲ) 주무관청이 승인을 철회한 경우.

이 안전승인판은 가로 200mm, 세로 100mm 이상의 항구성, 내부식성 및 내화성


이 있는 직사각형 판이어야 한다. "CSC SAFETY APPROVAL"이라는 문자의 최소
높이는 8mm이고, 기타 문자 및 숫자의 높이는 최소 5mm 이어야 하며, 이들 문자
와 숫자는 항구적이고 읽기쉬운 방법으로 안전승인판의 표면에 압인, 부각 또는 표
시되어야 한다(CSC, APPENDIX).

CSC SAFETY APPROVAL


(1) ~ (2)
DATE MANUFACTURED ....................................................................
IDENTIFICATION NO. .........................................................................
MAXIMUM GROSS WEIGHT .....................................kg .........lbs
ALLOWABLE STACKING WEIGHT FOR 1.8g .........kg .........lbs
RACKING TEST LOAD VALUE ..................................kg .........lbs

(비고)
(1) 1행의 (1)에는 승인국 식별부호를 표시하고, (2)에는 승인식별부호를 표시함.
(2) 안전승인판에 보수점검일자를 기입할 목적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차기
보수점검일자(년ㆍ월)를 기입할 공백을 남겨둘 것.

3) "컨테이너(container)"라 함은 다음과 같은 운송장비를 말한다(CSC 제2조 제1항) :


(a) 항구적 성질이 있으며, 따라서 반복사용에 적절할 정도로 충분히 견고할 것
(b) 운송 도중에 재 적재함이 없이, 1가지 이상의 운송방식에 의하여 화물 운송을
용이하게 하도록 특별히 설계되어 있을 것 ;
(c) 고정 및/또는 용이하게 취급하도록 설계되어 있고, 그러한 목적을 위하여 모서
리끼움쇠(corner fitting)가 있을 것 ;
(d) 4개의 외측 하부 모서리끼움쇠(outer bottom corner)로 둘러싸이는 면적이 다
음 중 어느 하나의 치수일 것 :
2 2
(ⅰ) 최소한 14m (150ft ), 또는
2 2
(ⅱ) 상부 모서리끼움쇠가 부착되어 있을 경우에는 최소한 7m (75ft ).
컨테이너라는 용어에는 차량(vehicle) 또는 포장용기를 포함하지 않지만, 차대
(chassis)에 얹혀서 운송되는 컨테이너는 이에 포함된다.

4) 컨테이너의 "소유자(owner)"라 함은 체약 당사국의 국내법에 규정된 소유자이거나, 만


약 컨테이너의 보수 및 점검에 대한 소유자의 책임을 임차인(lessee) 또는 수탁인
(bailee)에게 행사하도록 쌍방 간에 협정이 체결된 경우에는 이들 임차인 또는 수탁인
을 말한다(CSC 제2조 제10항).

컨테이너의 소유자는 컨테이너를 안전한 상태로 유지할 책임이 있다(CSC 부속서 I 제


2규칙 제1항). 이 조항의 경우, 컨테이너 소유자는 그 컨테이너가 운용되는 어떠한 관
할구역의 정부에 대하여 당해 컨테이너의 안전한 상태에 대하여 책임을 지는 것으로
해석한다(CSC, Supplement 제7.1항).

15.2.2 "계속점검"이라 함은 안전승인판이 부착된 컨테이너에 대하여 컨테이너 소유자가 해양수산관


청으로부터 승인 받은 계속점검방법(ACEP : Approved Continuous Examination
Programme)에 따라 안전한 컨테이너를 위한 국제협약 부속서 I 제2규칙 제3항의 규정에 의
하여 행하는 보수점검을 말한다(기준 제2조).

1) "계속점검"과 관련된 CSC 부속서 I 제2규칙 제3항의 규정은 다음과 같다.


3. (a) CSC 부속서 I 제2규칙 제2항의 대안으로, 관련 체약 당사국은 컨테이너의
소유자가 제시한 계속점검방법이 만족할 만한 것인 경우 이를 승인할 수 있
으며, 그러한 계속점검방법은 부속서 I 제2규칙 제2항 규정의 안전기준에 미
달하는 것이어서는 안 된다.
(b) 컨테이너가 "승인된 계속점검방법"하에서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
하여 "ACEP" 라는 문자표시와 동 방식을 승인한 체약 당사국을 나타내는 승
인국 표시를 안전승인판상에 또는 그것과 가장 가까운 장소에 행하여야 한
다.
(c) 계속점검방법하에서 행하여지는 모든 점검은 컨테이너에 인명을 위험하게
할 결함이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이 점검은 컨테
이너에 대한 주요 수리시, 재생 작업시 또는 임대ㆍ임차시의 컨테이너 교환
과 관련하여 행해져야 하며, 어떠한 경우에도 점검간격은 30개월을 초과하
여서는 안 된다.

15.2.3 "데칼(decal)"이라 함은 전사, 접착테이프 또는 금속판의 식각 등의 방법으로 컨테이너에 표


시하는 방법을 총칭한다(기준 제2조).

15.3 적용

15.3.1 컨테이너 소유자는 소유하고 있는 컨테이너에 대하여 해양수산관청으로부터 승인받은 정기점


검방법 또는 계속점검방법에 의하여 점검을 하여야 한다(기준 제3조 제1항).

15.3.2 컨테이너 소유자가 협약 부속서 I 제2규칙에 규정되어 있는 정기점검방법 또는 계속점검방법


으로 점검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양수산관청으로부터 승인을 받아야 한다(기준 제3조 제
2항).

1) CSC에서는 컨테이너의 소유자에 대하여 협약 부속서 I 제2규칙 제2항에 따른 정기점


검방법(PERIODIC EXAMINATION SCHEME) 또는 협약 부속서 I 제2규칙 제3항에
따른 계속점검방법(CONTINUOUS EXAMINATION PROGRAMME)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컨테이너 점검을 행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CSC, Supplement 제11.1.1항).

2) 정기점검방법과 계속점검방법의 비교 :

구 분 정기점검방법 계속점검방법
관련근거 ■ CSC 부속서 I 제2규칙 제2항 ■ CSC 부속서 I 제2규칙 제3항
실시방법 ■ 지방해양청의 승인을 받아 실시 ■ 지방해양청의 승인을 받아 실시
구 분 정기점검방법 계속점검방법
검사간격 ■ 제조일로부터 최초 보수점검일까 ■ 일상점검과 정밀점검으로 구분
지의 간격은 5년 ■ 일상점검은 컨테이너 운송수단의
■ 최초보수점검일 이후부터는 매30 교환시점에서 실시
개월(2.5년) 간격으로 보수점검 ■ 정밀점검은 매30개월(2.5년)마다
실시
표시방법 ■ 안전승인판상에 차기점검일(년ㆍ ■ 안전승인판상에 "ACEP"의 표시
월)의 표시 또는 데칼 부착 또는 데칼 부착
■ 매 점검시마다 데칼을 교체하여 ■ 데칼의 교체부착이 불필요
부착
장 점 ■ 해양수산관청이 승인한 방법에 ■ 컨테이너의 운용 스케줄에 따라
따라 일률적으로 보수점검을 실 자체적인 보수점검계획의 수립
시하므로 관리가 용이하며 간편 및 시행이 가능하므로 안전승인
함(소규모 컨테이너인 경우) 요건의 만족이 항상 가능함
■ 일상점검을 실시하기 위하여 터 ■ 중요한 수리도 정밀점검으로 인
미널 또는 DEPOT에서의 점검인 정됨
력이 불필요함 ■ 컨테이너를 개별적으로 관리하므
■ 보수점검을 검사기관에 의뢰하는 로 선사의 컨테이너 관리체계가
경우 자체점검을 최소화할 수 있 향상됨
음 ■ 일상점검이 제도화되어 있어서
안전성이 향상됨
■ ACEP는 선사의 컨테이너 관리운
용 능력에 대한 정부의 인증제도
이므로 선사의 대외 신뢰도가 향
상됨
단 점 ■ 지정된 보수점검일자(년ㆍ월에 ■ 전산관리가 필수적이며, 승인요건
보수점검을 위하여 REPAIR 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충분한 일
SHOP에 입고되어야 하며, 많은 상 및 정밀점검인력, 관리인력,
개수의 컨테이너 보수점검 운용 보수점검시스템의 확보가 필요함
에 지장을 초래함
■ 중요한 수리를 하더라도 보수점
검한 것으로 별도 관리하기 곤란

적 용 ■ 소규모 컨테이너 선사에 유리 ■ 대규모 컨테이너 선사에 유리
15.4 정기점검방법의 승인 신청

컨테이너 정기점검방법의 승인을 받고자 하는 자는 "컨테이너 정기점검방법 승인신청서"에


관련 서류를 첨부하여 해양수산관청에 제출하여야 한다(기준 제4조 제1항).

1) "컨테이너 정기점검방법 승인신청서" 제출시 첨부서류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기준 제4


조 제1항) :
1. 컨테이너의 종류별, 규격별 보유현황
2. 다음에 게기한 사항을 기재한 서류 각 2부(기준 제4조 제1항 제2호)
가. 정기점검계획(조직, 실시요령을 포함)
나. 정기점검기준(점검항목 및 판정기준)
다. 정기점검기록, 정기점검에 필요한 컨테이너의 구조, 강도 등에 관한 서류의
관리방법
3. 해양수산관청은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다음에 게기하는 자료를 제출하게 하
거나 소유자의 사업장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가. 회사의 연혁, 조직 및 업무분장 등 회사의 개요를 설명하는 서류
나. 정기점검을 타 회사에 위탁하여 시행하는 경우에는 그 수탁회사(이하 "수탁
회사"라 한다)와의 계약내용 및 수탁회사의 연혁, 조직 및 업무분장 등 회사
의 개요를 설명하는 서류
다. 기타 해양수산관청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자료
2) "컨테이너 정기점검방법 승인신청서"의 양식은 기준 별지 제1호 서식을 참조할 것.

15.5 계속점검방법의 승인 신청

컨테이너 계속점검방법의 승인을 받고자 하는 자는 "컨테이너 계속점검방법 승인신청서"에


관련 서류를 첨부하여 해양수산관청에 제출하여야 한다(기준 제4조 제2항).

1) "컨테이너 계속점검방법 승인신청서" 제출시 첨부서류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기준 제4


조 제2항) :
1. 컨테이너의 종류별, 규격별 보유현황
2. 다음에 게기한 사항을 기재한 서류 각 2부(기준 제4조 제2항 제2호)
가. 계속점검계획(조직, 실시요령을 포함)
나. 계속점검기준(점검항목 및 판정기준)
다. 계속점검기록, 계속점검에 필요한 컨테이너의 구조, 강도 등에 관한 서류의
관리방법
3. 해양수산관청은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다음에 게기하는 자료를 제출하게 하
거나 소유자의 사업장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가. 회사의 연혁, 조직 및 업무분장 등 회사의 개요를 설명하는 서류
나. 계속점검을 타 회사에 위탁하여 시행하는 경우에는 그 수탁회사와의 계약내
용 및 수탁회사의 연혁, 조직 및 업무분장 등 회사의 개요를 설명하는 서류
다. 계속점검계획에 준하는 보수점검계획에 의한 컨테이너 보수점검 실적
라. 기타 해양수산관청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자료

2) "컨테이너 계속점검방법 승인신청서의 양식"은 기준 별지 제1호 서식을 참조할 것.

15.6 정기(계속)점검방법의 승인

해양수산관청은 제출된 정기점검방법 또는 계속점검방법이 심사기준에 적합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컨테이너 정기(계속)점검방법 승인서"를 교부한다(기준 제4조 제3항).

"컨테이너 정기(계속)점검방법 승인서"의 양식은 기준 별지 제2호 서식 또는 본 설명서의


부록 2를 참조할 것.

15.7 정기점검방법의 심사기준

컨테이너의 정기점검방법의 승인에 관한 심사기준은 다음과 같다(기준 제5조 제1항).

1) 정기점검 및 임시점검을 실시하기 위한 방법이 규정되어 있을 것.

2) 정기점검의 간격은 협약 부속서 I 제2규칙 제2항의 규정에 적합할 것.

즉, 제조일로부터 첫 번째 검사일까지의 간격은 5년을 초과하여서는 안 된다. 신조 컨


테이너의 제2회 이후의 검사 및 기존 컨테이너의 재검사는 30개월 이하의 간격으로
행하여야 한다.

3) 정기점검을 행한 경우, 안전승인판의 위 또는 그 부근의 보기 쉬운 장소에 차기 점검년ㆍ


월을 표시할 것.
(1) 차기 점검년ㆍ월은 데칼 또는 안전승인판 자체에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문자(영어
또는 불어) 또는 숫자로 표시하여야 한다(기준 제5조 제1항 제2호 및 CSC,
Supplement 제11.4.1.1항).

◀ ▶

(2) 데칼(decal)을 부착하는 경우에는 차기 점검년도에 따라 다음과 같은 색(colour)


으로 구별하여 표시하여야 한다(기준 제5조 제1항 제2호 및 CSC Supplement
제11.4.1.3항) :

색 차기 점검년도
갈 색(brown) 2004 2010
청 색(blue) 2005 2011
황 색(yellow) 2006 2012
적 색(red) 2007 2013
흑 색(black) 2008 2014
녹 색(green) 2009 등등

(3) 정기점검방법에 따르는 컨테이너에 대한 데칼의 사용은 임의(optional)로 하여야


하며, 어떠한 경우에도 CSC의 관련조항에 위배되어서는 안 된다(CSC,
Supplement 제11.4.3항).

(4) 정기점검방법(PES)에 따른 차기 보수점검일(년ㆍ월)을 표시하는 데칼(PES


Decal)의 견본은 다음과 같다(차기 보수점검일이 2008년 5월인 경우) :

(O)
(5) 다음과 같은 견본의 차기 보수점검일(년ㆍ월)을 표시하는 데칼은 기준 제5조 제
1항 제2호 및 CSC Supplement 제11.4.1.3항의 규정에 부적합하다. 차기 보수
점검년도가 2007년인 경우, 데칼의 바탕색은 적색이어야 한다.

(X)

(X)

4) 정기점검을 행하기 위한 조직 및 책임체제를 갖추고 있을 것.

5) 정기점검은 점검에 필요한 시설 및 설비를 이용하여 컨테이너의 구조ㆍ강도상 안전에 나


쁜 영향을 주는 결함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충분한 지식과 경험을 가진 자가
점검을 행할 것.

6) 점검자는 제8조의 규정에 정한 자격요건에 적합한 자로서, 그 권한 및 책임에 대하여 상


세히 규정되어 있을 것.

점검자의 자격요건에 대하여는 기준 제8조 또는 본 설명서의 "9. 점검자의 자격요건"


을 참조할 것.

7) 점검자는 컨테이너를 점검한 결과 세밀한 점검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정밀점검을 실


시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도록 규정되어 있을 것.

외부점검을 실시하는 점검자는 컨테이너의 상태가 더 세밀한 점검이 필요하다고 판단


되는 경우 그러한 점검을 요구할 권한이 있어야 한다(CSC Supplement 제11.2.1.3
항).
8) 정기점검 사이에 ROOF RAIL, BOTTOM SIDE RAIL, CORNER POST, END RILL 등의
수리, 교체 등 대수리를 행한 컨테이너에 대하여는 임시점검을 실시하도록 규정되어
있을 것.

상기 8호의 내용 중 "END RILL"은 "END RAIL"의 오기(誤記)로 판단된다.

9) 점검항목 및 판정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결함, 기타 안전성을 해칠 수 있는 손상에 대


한 외관검사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것.

보수점검 항목 및 판정기준에 대하여는 기준 별표 2 또는 본 설명서의 부록 3을 참


조할 것.

10) 점검기록, 점검에 필요한 구조ㆍ강도 등에 관한 서류는 컨테이너 담당부서에서 적합하게


관리ㆍ보관되도록 규정되어 있을 것.

(1) 컨테이너 담당부서의 적합한 관리ㆍ보관기준은 다음과 같다(기준 제5조 제1항 제


9호) :
① 전회 및 전 전회 점검의 실시에 관한 기록이 적절히 보관되고 또한 임시점
검의 실시에 관한 기록은 적어도 차 회의 정기점검시까지 보관 될 것.
② 정기점검기록은 점검결과 이외에 최소한 컨테이너의 일련번호, 검사 일자 및
점검자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작성될 것.
③ 점검에 필요한 구조·강도 등에 관한 서류 및 기타의 자료를 관리하는 제도를
갖출 것.

(2) 컨테이너의 소유자는 컨테이너 식별번호에 추가하여 점검시기의 기록 및 점검자


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기재된 점검기록을 보관할 것이 요망된다. 그러한 기록은
주무관청으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인정될 수 있는 기간 내에 제출되어야 한다
(CSC, Supplement 제12항).

15.8 계속점검방법의 심사기준

컨테이너의 계속점검방법의 승인에 관한 심사기준은 다음과 같다(기준 제5조 제2항).


1) 컨테이너의 일상점검(외부 및 하부에 대한 외관점검)이 컨테이너 터미널 게이트에서 실
시하는 점검 등에 의하여 일상적으로 행하여 질 것.

일상점검(routine operating inspections)은 수리를 필요로 하는 손상이나 악화를 발


견할 목적으로 자주 행하는 점검을 말한다(CSC Supplement 제11.2.2.1.1항).

2) 컨테이너의 수리, 재생 또는 임대의 변경시에 컨테이너 전체(외관 및 내부)에 대하여 정


밀점검이 행하여 질 것.

정밀점검(thorough examinations)은 대수리, 재생 또는 임대/반환시에 실시하는 점검


을 말한다(CSC. Supplement 제11.2.2.1.2항).

3) 개별 컨테이너별로 정밀점검 실시현황을 항상 파악할 수 있어야 하며, 정밀점검의 간격은


30개월을 넘지 않을 것.

승인된 계속점검방법(ACEP)에 따라 점검되는 컨테이너의 점검 횟수는 어떠한 경우에


도 30개월에 1회보다 적어서는 안 된다(CSC, Supplement 제13.2항).

4) 상기 3)호에 규정된 기간 내에 수리, 재생 또는 임대의 변경이 없는 컨테이너에 대하여는


정밀점검을 행하기 위한 조치가 규정되어 있을 것.

5) 계속점검을 행하기 위한 충분한 조직 및 책임체제를 갖고 있을 것.

6) 점검에 필요한 시설 및 설비가 있어야 하며, 컨테이너의 구조·강도상 안전에 나쁜 영향을


주는 결함에 대하여 판단할 수 있는 충분한 지식 및 경험이 있는 자가 점검을 행하도
록 할 것.

7) 점검자는 자격요건에 적합한 자로서 그 권한 및 책임에 대하여 상세히 규정될 것.

점검자의 자격요건에 대하여는 기준 제8조 또는 본 설명서의 "9. 점검자의 자격요건"


을 참조할 것.

8) 점검자는 컨테이너를 점검한 결과 세밀한 점검이 필요로 하다고 판단될 경우 정밀점검을


실시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도록 규정되어 있을 것.
9) 일상점검 및 정밀점검과 관련한 점검항목 및 판정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결함 기타 안
전성을 해칠 수 있는 손상에 대한 외관검사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것.

(1) 보수점검 항목 및 판정기준에 대하여는 기준 별표 2 또는 본 설명서의 부록 3을


참조할 것.

(2) 기준 제5조 제1항 제9호 중의 "별표 1"은 "별표 2"의 오기(誤記)로 판단된다.

10) 컨테이너 관리 부서에는 점검기록, 점검에 필요한 컨테이너의 구조·강도 등에 관한 서류


가 다음에 게기하는 기준에 따라 적합하게 관리ㆍ유지 될 수 있을 것.

(1) 컨테이너 관리부서의 적합한 관리ㆍ유지기준은 다음과 같다(기준 제5조 제2항 제


10호) :
① 점검에 필요한 구조·강도 등에 관한 서류 및 기타의 자료를 관리ㆍ유지하고
필요한 경우 계속점검 실시 부서에 관련 자료를 송부할 수 있을 것.
② 개별 컨테이너별로 정밀점검 실시현황을 파악할 수 있을 것.

(2) 컨테이너의 소유자는 컨테이너 식별번호에 추가하여 점검시기의 기록 및 점검자


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기재된 점검기록을 보관할 것이 요망된다. 그러한 기록은
주무관청으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인정될 수 있는 기간 내에 제출되어야 한다
(CSC, Supplement 제12항).

11) 컨테이너 소유자의 점검실시 부서(또는 수탁업체)에서는 점검기록을 다음의 방법에 따라


적합하게 관리 유지할 것.

점검실시 부서의 점검기록 관리ㆍ유지기준은 다음과 같다(기준 제5조 제2항 제11호) :


(1) 적어도 전회의 정밀점검 실시에 관한 사항이 기록 보존되어 있을 것. 다만, 일상
점검에 관한 사항은 그러하지 않다.
(2) 점검기록은 점검결과 외에 최소한 컨테이너의 일련번호, 점검일자 및 점검자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작성될 것.
(3) 개별 컨테이너별로 점검결과를 관리부서로 통보하는 체계를 갖출 것.

12) 계속점검방법으로 점검을 실시하는 컨테이너에 대하며 계속점검방법 표시를 안전승인판


의 위 또는 그 부근의 보기 쉬운 장소에 데칼로 표시할 것.
(1) 승인된 계속점검방법의 표시방법은 다음과 같다(기준 제5조 제2항 제12호의 별
표 1) :

① ―→ ▲
② ―→ ACEP
③ ―→ - ROK 70.0mm
④⑤ ―→
BS - 0001

⑥ ―→

◀ 45.0mm ▶

비고 : ① 흰색 바탕에 검은색 문자 또는 숫자
② 계속점검방법 승인표시(ACEP)
③ 승인국 표시(예 : ROK)
④ 해양수산관청 표시(예 : 부산청인 경우에는 BS)
⑤ 승인 일련번호(예 : 0001)
⑥ 선사명(영문)

(2) 승인된 계속점검방법(ACEP)의 승인 일련번호 현황은 다음과 같다(부산지방해양


수산청) :

승인 일련번호 회사명 승인년도


BS-0001 현대상선 1994
BS-0002 조양상선 1994
BS-0003 고려해운 1994
BS-0004 동남아해운 1994
BS-0005 한진해운 1994
BS-0006 흥아해운 1994
BS-0007 범주해운 1994
BS-0008 동영해운 1994
BS-0009 범양상선 1994
BS-0010 장금상선 2004
BS-0011 천경해운 2005. 1
BS-0012 한성라인 2005. 5
US-001 엠피온스 2007. 11
(3) 승인된 계속점검방법의 데칼(ACEP Decal) 견본은 다음과 같다 :

15.9 점검자의 자격요건

컨테이너의 정기점검 또는 계속점검은 다음의 요건에 적합한 자가 행하여야 한다(기준 제8


조).

1) 대학의 조선, 항해, 기계, 기관, 용접, 금속재료 등에 관한 학과(이하 "관련학과"라 한다)
를 졸업하고, 컨테이너 제조 또는 검사업무(이하 "관련업무"라 한다)에 6월이상 종사한
자.
2) 대학의 관련학과 이외의 이공계 학과를 졸업한 자 또는 전문대학의 관련 학과를 졸업한
자로서 관련 업무에 1년이상 종사한 자.
3) 공업계 고등학교의 관련학과를 졸업하고 관련 업무에 2년이상 종사한 자.
4) 제1항 내지 제3항 이외의 학력을 가진 자로서 관련 업무에 3년이상 종사한 자.

15.10 감독

15.10.1 해양수산관청으로부터 컨테이너의 정기점검방법 또는 계속점검방법의 승인을 받은 자는 매년


의 현황 및 실적을 다음해 1월 15일까지 해양수산관청에 제출하여야 한다(기준 제9조 제1항).
1) 제출서류는 다음과 같다 :
① 컨테이너 종류별, 규격별 보유현황
② 연간 컨테이너 보수점검 실적

15.10.2 해양수산관청은 정기점검방법 또는 계속점검방법의 승인을 받은 자에 대하여 이 기준에 의한


컨테이너 보수점검에 관한 업무를 보고하게 하거나, 소속 공무원으로 하여금 사업장에 출입하
여 컨테이너 보수점검 등에 관한 관계서류를 확인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테이너 소유자는
당해 공무원의 직무수행에 충실히 협조하여야 한다(기준 제9조 제2항).

15.10.3 해양수산관청은 승인된 점검방법의 내용을 개선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소유


자에게 개선을 명령할 수 있다. 이 경우 소유자는 이에 따라야 한다(기준 제9조 제3항).

1) 통제(control)(CSC 제6조)

CSC 제3조(적용)에 따라 승인된 각 컨테이너는 체약 당사국의 관할구역에 있어서는


그 체약 당사국에 의하여 정당한 권한을 위임받은 공무원의 통제(control) 하에 있어
야 한다.
이 통제는 컨테이너의 상태가 안전에 대하여 명백한 위험을 발생시킬 것으로 믿어지
는 중대한 증거가 없는 한, 컨테이너가 CSC에 의하여 요구되는 유효한 "안전승인판"
을 부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에 한정되어야 한다.
이 경우, 통제를 행하는 공무원은 컨테이너가 계속 사용되기 전에 안전한 상태로 수리
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통제를 행한다.

2) 결함은 없으나 안전승인판이 부착되어 있지 않는 컨테이너 또는 불완전한 안전승인판


이 부착된 컨테이너의 통제(CSC, Supplement 제9.2항)

① 이러한 컨테이너는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② 그러나 CSC의 규정에 따라서 승인이 되었던가 또는 CSC의 기준에 적합한 것으
로 입증되는 경우에는 통제를 행하는 주무관청은 해당 컨테이너에 가능한 한 조
기에 안전승인판을 부착하고, CSC에 따라서 적절히 안전승인판을 부착하기 전에
는 재 적재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화물의 양하를 위하여 컨테이너를 목적지까
지 이동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3) 기한이 경과한 컨테이너의 통제(CSC, Supplement 제9.3항)

① 안전승인판 또는 그 부근에 기재된 차기 보수점검일이 경과한 것으로 밝혀진 컨


테이너는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② 그러나 통제를 행하는 주무관청은 해당 컨테이너에 대하여 가능한 한 조기에 보
수점검을 실시하고 차기 보수점검일을 갱신하며, 또한 이것을 행하기 전에는 재
적재하지 않은 것을 조건으로 화물의 양하를 위하여 컨테이너를 목적지까지 이동
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부록 1 - 컨테이너 정기(계속)점검방법 승인신청서(별지 제1호 서식)

처리기간
컨테이너 정기(계속)점검방법 승인신청서
25 일
신 명칭 또는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 소

승인을 받고자 명 칭
하는 사업장 소재지
승인을 받고자
하는 컨테이너
의 종류ㆍ규격
비 고

컨테이너보수점검에 관한 기준 제4조 제1항(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컨테이너


정기(계속)점검방법의 승인을 받고자 신청합니다.

200 년 월 일

신청인 서명 또는 날인

지방해양수산청장 귀하

첨부
컨테이너보수점검에관한기준 제4조 제1항(제2항)의 규정에 의한 서류
서류
부록 2 - 컨테이너 정기(계속)점검방법 승인서(별지 제2호 서식)

제 호
컨테이너 정기(계속)점검방법 승인서
신 명칭 또는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 소

승인을 받은 명 칭

사업장 소재지

승인을 받은
컨테이너의
종류 및 수

비 고

컨테이너보수점검에관한기준 제4조제3항의 규정에 의하여 컨테이너정기(계속) 점검방법 승


인서를 교부합니다.

200 년 월 일

지 방 해 양 수 산 청 장 (인)

( 과 전화번호 )

첨부
컨테이너보수점검에관한기준 제4조제1항(제2항)제2호의 서류
서류
제4장 위험물의 격리

1. 위험물 격리의 일반사항


1.1 격리의 의미와 목적
격리(Segregation)란 혼적이 불가능한 2가지 이상의 물질 또는 제품의 운송 중 우연한 누
출(leakage) 또는 유출(spillage)의 경우나 사고 발생시 위험을 효과적으로 최소화하기 위
한 수단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함을 의미한다.

1) 혼적 불가한 위험물간에 최소한의 거리를 유지하는 것.


2) 혼적 불가한 위험물 사이에 한개 이상의 강재 격벽이나 갑판을 두어 분리하는 것.
3) 상기 두 가지 방법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

1.2 격리에 관한 일반요건

1.2.1 품명이 다른 위험물은 서로 격리하는 것이 원칙이나 규정에서 허용되는 경우에는 혼적이


가능하다.

1.2.2 격리규정은 선박의 종류에 관계없이 갑판상․하부의 모든 화물구역과 화물운송단위물에 적


용한다.

1.2.3 격리의 목적상 2가지의 물질 또는 제품의 혼재가 누출이나 유출 또는 기타 사고시 부당한 위


험을 초래할 수 있는 경우에는 상호간에 혼적 불가한 물질로 간주하며, 혼적 불가한 화물
(incompatible goods)들은 서로 격리되어야 한다.

1.2.4 혼적 불가한 위험물간의 반응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위험의 정도는 각각 다를 수 있으며, 따라


서 요구되는 격리조건도 각각 달라질 수 있다. 품명이 다른 물질이 서로 반응하여 위험성이 크
지는 경우 일어날 수 있는 현상은 다음과 같다.

1) 혼합폭약과 유사한 폭발성 혼합물을 형성


2) 혼합과 동시에 분해, 발열하여 연소 또는 폭발
3) 서로 화학반응을 일으켜 폭발성 화학물질을 형성
4) 서로 반응하여 독성 또는 부식성가스를 방출
1.2.5 위험물의 각 급(class) 상호간에 적용되는 격리에 대한 일반규정은 "격리표(segregation
table)"에 명시되어 있다. 이 일반규정에 추가하여, 위험물의 위험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특정의 물질, 재료 또는 제품과 기타의 화물 상호 간에는 서로 격리할 필요가 있다.

1.2.6 격리요건을 결정할 때는 관련된 위험물에 대한 가장 엄격한 격리요건을 기준으로 하고, 일반


규정과 개별규정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항상 개별규정이 일반규정에 우선한다. 격리에 대한
개별규정은 위험물 목록(Dangerous Goods List)에 수록되어 있다.

1.2.7 가연성 재료와 격리(Segregation from combustible material) 하는 경우, 포장재 또는 화물


깔개(dunnage)는 가연성 재료에 포함되지 아니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2.8 화물운송단위물내에 적재하던 그렇지 아니하던 간에, 여러 위험물을 함께 적재하는 경우에는


항상 관련된 위험물 중에서 가장 엄격한 규정이 적용되는 위험물에 대한 규정에 따라 격리해
야 한다.

1.2.9 제1급 폭발성의 부표찰에 해당하는 격리규정은 제1급의 등급 1.3에 대한 격리규정을 적용한
다.

1.2.10 1개의 2차 위험성(1개의 부위험성 표찰)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 2차 위험성에 대한 격리규정


이 1차 위험성에 대하여 요구되는 격리규정보다 더욱 엄격할 때에는 2차 위험성에 해당하는
격리규정을 적용해야 한다.

1.2.11 제1급을 제외하고, 2가지 이상의 부위험성(2가지 이상의 부표찰)을 갖는 물질, 재료 또는 제


품에 대한 격리규정은 위험물 목록에 수록되어 있다.

1.2.12 위험물 목록에 "제 . . . 급과 같이 격리(segregation as for class . . . )"라고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격리표의 해당 . . . 급에 적용 가능한 격리규정을 적용해야 한다. 그러나 동일한 급
의 물질들은 상호간에 위험하게 반응하지 아니한다면 함께 적재할 수 있으므로 위험물 목록에
서 1차 위험성 등급에 의하여 대표되는 해당 급의 격리규정을 적용해야 한다.

1.2.13 격리의 목적상, "제 . . . 급으로부터 분리적재"와 같은 용어가 위험물 목록에 사용된 경우, 이 "
제 . . . 급"이라는 용어에는 다음의 물질이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1) “제 . . . 급”에 해당하는 모든 물질 및
2) “제 . . . 급”의 부표찰이 요구되는 모든 물질

1.3 동일한 급(class)의 위험물간 격리

제1급을 제외하고, 동일한 급의 물질들은 그 물질들 상호간에 서로 위험하게 반응하지 아니하


고 또한 아래와 같은 결과가 초래되지 아니한다면 2차 위험성(부표찰)으로 인하여 요구되는
격리규정(제1.2.10항 및 제1.2.11항)에 관계없이 함께 적재할 수 있다.

1) 연소 및/또는 상당한 열의 방출
2) 인화성, 독성 또는 질식성 가스의 방출
3) 부식성 물질의 형성
4) 불안정한 물질의 형성

1.4 격리군 (Segregation Groups)

격리의 목적상, 유사한 화학적 특성을 갖는 위험물들은 격리군(segregation groups) 으로 함


께 묶을 수 있다. 위험물 목록 16항목(적재 및 격리)에서 임의의 물질에 대한 개별 격리요건이
물질의 그룹(군)으로 언급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개별 격리요건을 각 격리군에 지정된 화물에
적용한다.

1.4.1 격리군의 목록

1) 산류(acids)
2) 암모늄화합물(ammonium compounds)
3) 브롬산염류(bromates)
4) 염소산염류 (chlorates)
5) 아염소산염류(chlorites)
6) 시안화물(cyanides)
7) 중금속 및 그 염류(유기금속화합물 포함) (heavy metals and their salts)
(including their organometallic compounds)
8) 하이포아염소산염류(hypochlorites)
9) 납 및 납화합물(lead and its compounds)
10) 액체 할로겐화 탄화수소(liquid halogenated hydrocarbons)
11) 수은 및 수은화합물(mercury and mercury compounds)
12) 아질산염류 및 그 혼합물(nitrites and their mixtures)
13) 과염소산염류(perchlorates)
14) 과망간산염류(permanganates)
15) 금속분말(powdered metals)
16) 과산화물(peroxides)
17) 아지드화물(azides)
18) 알칼리류(alkalis)

1.4.2 격리군을 함유한 N.O.S. 등재명 물질의 격리

격리군에 해당되는 모든 물질을 IMDG Code에 개별 명칭으로 수록할 수는 없다. 이러한 물


질들은 N.O.S.등재명으로 선적되는데, 비록 이들 N.O.S. 등재명이 상기의 격리군 자체에 개별
적으로 수록되어 있지 아니하더라도 하송인은 당해 격리군에 포함시키는 것이 타당한지의 여
부를 결정해야 한다. 격리군에 해당하는 물질을 함유하고 N.O.S. 등재명으로 선적되는 혼합
물, 용액 또는 제재도 역시 그러한 격리군에 해당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1.4.3 격리군과 유사한 특성을 가진 비위험물의 격리

IMDG Code에 수록되어 있는 격리군들은 IMDG Code의 분류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물질에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몇몇 비위험물질은 격리군에 수록된 물질과 유사한 화학적 성질을 갖는다
는 것이 인정되므로 그러한 비위험물의 화학적 성질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는 하송인이나
화물운송단위물에 화물을 수납하는 책임자는 관련된 격리군의 격리요건 적용여부를 자발적으
로 결정할 수 있다.
1.5 제한된 양(소량)의 위험물에 관한 격리요건

1.5.1 동일 외장용기 내에 포장이 가능한 조건

1) 부위험성으로 인한 격리요건에도 불구하고 같은 급의 위험물들은 물질 서로 간에 위험


한 반응이 없으면 가능.
2) 위험물목록 제16항목의 개별요건에도 불구하고 같은 급의 PG III인 물질들 간에는 서
로 위험한 반응이 없으면 가능(단, 선적서류에 "Transport in accordance with
3.4.4.1.2 of the IMDG Code". 기재)

1.5.2 포장용기간의 격리요건

IMDG Code 제7.2장의 격리규정은 제한된 양(소량)의 위험물이 들어있거나 또는 다른 위


험물과 관련된 위험물이 들어있는 포장용기들에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1.6 격리에 관한 특별요건

1.6.1 격리를 할 필요가 없는 경우

1) 동일물질로 구성되어 있어나 수분농도가 다양하여 서로 다른 급으로 분류되는 위험물(예 :


제4.2급 및 제8급의 sodium sulphide 및 sodium hydrosulphide)

유엔번호 급(class) 적정선적명


SODIUM SULPHIDE, ANHYDROUS or
1385 4.2
SODIUM SULPHIDE with less than 30% water of crystallization
1849 8 SODIUM SULPHIDE, HYDRATED with not less than 30% water

유엔번호 급(class) 적정선적명


SODIUM HYDROSULPHIDE with less than 25% water of
2318 4.2
crystallization
SODIUM HYDROSULPHIDE HYDRATED with not less than 25%
2949 8
water of crystallization

2) 다른 급의 물질군에 속해있으나 상호 접촉 했을 때 위험하게 반응하지 않는다는 과학적인


근거가 존재하는 위험물(단, 선적서류에 “Transport in accordance with 7.2.1.13.1.2
of the IMDG Code". 기재)
아래의 동일한 표에 있는 물질들 간에는 혼적이 가능하다.

표1
유엔 용기
적정선적명 급 부위험성
번호 등급
HYDROGEN PEROXIDE, AQUEOUS SOLUTION
2014 with not less than 20% but not more than 60% 5.1 8 II
hydrogen peroxide (stabilized as necessary)
HYDROGEN PEROXIDE, AQUEOUS SOLUTION
2984 with not less than 8% but less than 20% 5.1 III
hydrogen peroxide (stabilized as necessary)
ORGANIC PEROXIDE TYPE D, LIQUID
3105 5.2 8
(peroxyacetic acid, type D, stabilized)
ORGANIC PEROXIDE TYPE E, LIQUID
3107 5.2 8
(peroxyacetic acid, type E, stabilized)
ORGANIC PEROXIDE TYPE F, LIQUID
3109 5.2 8
(peroxyacetic acid, type F, stabilized)
HYDROGEN PEROXIDE AND PEROXYACETIC
3149 ACID, MIXTURE with acid(s), water and not 5.1 8 II
more than 5% peroxyacetic acid, STABILIZED

표2
유엔
적정선적명 급 부위험성 용기등급
번호
1295 TRICHLOROSILANE 4.3 3/8 I
1818 SILICON TETRACHLORIDE 8 II
2189 DICHLOROSILANE 2.3 2.1/8 -

1.6.2. 제8급으로 용기등급 II 또는 III인 산과 알칼리의 격리

격리군에 관련된 격리 요건에도 불구하고, 위험물목록 제16항목의 개별요건에 “산과 분리/


격리적재” 혹은 “알칼리와 분리/격리적재”로 언급된 포장등급 II 또는 III의 제8급 물질은
다음 조건들을 만족하면 동일한 포장에 포장되든 그렇지 아니하든, 동일한 화물운송단위
물에 수납하여 운송이 가능하다.
1) 서로 위험한 반응이 없고,
2) 포장화물당 30리터 혹은 30kg 이하로 포장되고,
3) 선적 서류에 “Transport in accordance with 7.2.1.13.2 of the IMDG Code". 기재
4) 그 물질들은 서로 위험하게 반응하지 않는다고 증명된 시험보고서 사본을 주관청의 요
구가 있을 경우 제출이 가능

1.7 격리의 용어

IMDG Code에서 사용하는 격리의 용어는 다음과 같다.

1) "분리적재(away from)"
2) "격리적재(separated from)"
3) "1구획실 또는 1화물창 분리적재(separated by a complete compartment or hold
from)"
4) "1구획실 또는 1화물창 격리적재(separated longitudinally by an intervening complete
compartment or hold from)"

상기의 용어에 대하여는 제2.2.1항(격리용어의 정의)에 정의되어 있으며, 해상운송의 다양한


형태에 관한 적용문제에 대하여는 따로 설명되어 있다.

1.8 격리표

다음의 표에는 각 급의 위험물 서로간의 격리에 대한 일반규정이 나타나 있다.

각 급에 해당하는 물질, 재료 또는 제품의 특성은 크게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격리에 대한 개별


규정에 관하여는 항상 위험물 목록을 참조해야 하며, 이 개별규정은 일반규정에 우선한다.

단일의 부위험성 표찰에 대하여도 고려하여 격리해야 한다.


1.1 1.3
등 급 1.2 1.6 1.4 2.1 2.2 2.3 3 4.1 4.2 4.3 5.1 5.2 6.1 6.2 7 8 9
1.5
화약류 1.1, 1.2, 1.5 ★ ★ ★ 4 2 2 4 4 4 4 4 4 2 4 2 4 ×
화약류 1.3, 1.6 ★ ★ ★ 4 2 2 4 3 3 4 4 4 2 4 2 2 ×
화약류 1.4 ★ ★ ★ 2 1 1 2 2 2 2 2 2 × 4 2 2 ×
인화성 가스 2.1 4 4 2 × × × 2 1 2 × 2 2 × 4 2 1 ×
비독성, 비인화성 가스 2.2 2 2 1 × × × 1 × 1 × × 1 × 2 1 × ×
독성 가스 2.3 2 2 1 × × × 2 × 2 × × 2 × 2 1 × ×
인화성 액체 3 4 4 2 2 1 2 × × 2 1 2 2 × 3 2 × ×
가연성 고체(자체반응성 물질
및 4.1 4 3 2 1 × × × × 1 × 1 2 × 3 2 1 ×
감감화된 고체 화약류)
자연발화성 물질 4.2 4 3 2 2 1 2 2 1 × 1 2 2 1 3 2 1 ×
물과 접촉시 인화성 가스를
4.3 4 4 2 × × × 1 × 1 × 2 2 × 2 2 1 ×
방출하는 물질
산화성 물질 5.1 4 4 2 2 × × 2 1 2 2 × 2 1 3 1 2 ×
유기과산화물 5.2 4 4 2 2 1 2 2 2 2 2 2 × 1 3 2 2 ×
독물 6.1 2 2 × × × × × × 1 × 1 1 × 1 × × ×
전염성 물질 6.2 4 4 4 4 2 2 3 3 3 2 3 3 1 × 3 3 × 숫
방사성 물질 7 2 2 2 2 1 1 2 2 2 2 1 2 × 3 × 2 ×
부식성 물질 8 4 2 2 1 × × × 1 1 1 2 2 × 3 2 × ×
기타의 위험물 및 제품 9 × × × × × × × × × × × × × × × × ×

자 및 부호는 본 장에 정의된 다음 용어를 의미한다 :

1 - "분리적재(away from)"
2 - "격리적재(separated from)"
3 - "1구획실 또는 1화물창 분리적재(separated from a complete compartment or
hold from)"
4 - "1구획실 또는 1화물창 격리적재(separated longitudinally by an intervening
complete compartment or hold from)"
X - 격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위험물 목록에 명시되어 있음.
★ - 제7.3.2항(제1급 화물의 혼합적재 허용표)을 참조할 것

1.9 격리요건을 결정하는 우선순위

격리요건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그 위험물에 해당하는 격리의 개별요건 유무, 특별요건 적용


해당여부, 소량의 위험물 또는 동일한 급의 위험물인지의 여부, 격리의 일반사항 및 격리표를
고려해야 하며, 다음과 같은 우선순위로 격리요건을 결정한다.
1) 개별요건의 유무 확인
2) 격리의 특별요건 적용 해당여부 확인
3) 격리의 일반요건(소량의 위험물에 관한 격리요건 및 동일한 급의 위험물간 격리 요건 포함)
을 고려
4) 격리표를 찾아 해당 요건을 적용

1.10 격리규정이 적용되는 해상운송 수단의 세분

다양한 해상운송 수단에 따른 격리규정의 목적상 다음과 같이 세분한다.

1) 포장화물간의 격리
2) 컨테이너선 선상에서의 화물운송단위물간의 격리
3) 로-로선 선상에서의 화물운송단위물간의 격리
4) 선상 바 -지 및 바 -지 운반선 선상에서의 격리
5) 화학적 위험성을 갖는 산적물질과 포장된 형태의 위험물간의 격리

2. 포장화물간의 격리

2.1 적용

이 규정은 다음 화물 서로간의 격리에 적용한다.

1) 위험물이 들어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으로 적재되는 포장화물


2) 화물운송단위물 내부의 위험물
3) 화물운송단위물에 수납되어 통상적인 방법으로 적재되는 위험물.

2.2 위험물이 들어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으로 적재되는 포장화물간의 격리

2.2.1 격리 용어의 정의
보기

(1) 기준 포장화물 ....................................................................................


(2) 혼적 불가한 화물이 들어있는 포장화물 .............................................
(3) 방화・방수구조로 된 갑판 .................................................................. ┣━━━━━┫

주 : 수직선은 방화 ․ 방수 구조로 된 화물구역(구획실 또는 화물창) 간의 횡격벽을 의미한다.

1) 격리방법 1 : 분리적재(away from)


사고시 혼적 불가한 물질들이 위험하게 상호반응을 일
으킬 수 없도록 실질적으로 격리하는 것. 단, 수직 투영
면의 최소 수평거리가 3m 이상 격리된 경우에는 동일한
구획실 또는 화물창 또는 갑판 상부에 적재하여 운송할
수 있음.

2) 격리방법 2 : 격리적재(separated from)


갑판하부 적재시에는 별도의 구획실 또는 화물창에 적
재하는 것. 차단갑판이 방화・방수구조로 되어 있다면
수직 격리(즉 별도의 구획실) 적재는 이 격리와 동등한
것으로 간주함. 갑판상부 적재시에는 적어도 6m의 수평
거리를 두고 격리하는 것을 말함.

3) 격리방법 3 : 1구획실 또는 1화물창 분리적재(separated by a complete


compartment or hold from)
수직 또는 수평 격리를 의미함. 차단갑판이 방화・방수
구조가 아닌 경우에는 오직 선수미 격리(즉 완전한 1구
획실 또는 1화물창으로 차단시키는 방법)만이 인정됨.
갑판상부 적재시에는 적어도 12m의 수평거리를 두고
격리하는 것을 말함. 만약 하나의 포장화물은 갑판 상
부에 적재하고 다른 하나는 상부구획실에 적재하는 경
우에도 동일한 거리가 적용됨. (주) 2개의 갑판 중 하나는 방
화・방수구조일 것.

4) 격리방법 4 : 1구획실 또는 1화물창 격리적재(separated longitudinally


by an intervening complete compartment or hold from)
수직 격리만으로는 이 요건을 만족할 수 없음. 갑판하부
의 포장화물과 갑판상부의 포장화물 사이는 선수미 방
향으로 적어도 24m이상이어야 하며, 그 사이에는 완전
한 1구획실이 있어야 함. 갑판상부 적재시에는 선수미
방향으로 적어도 24m의 거리를 두고 격리하는 것을 말
함.

2.3 화물운송단위물 내부에서의 격리

서로 격리해야 하는 위험물들을 동일한 화물운송단위물에 수납하여 운송해서는 아니된다. 서


로 "분리적재(away from)"가 되도록 격리해야 하는 위험물들은 주관청의 승인을 조건으로 동
일한 화물운송단위물내에 수납하여 운송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는 동등한 안전기준이 확보
되어야 한다.

2.4 화물운송단위물에 수납되어 통상적인 방법으로 적재되는 위험물 상호간의 격리

2.4.1 포장화물과 개방형 화물운송단위물간의 격리

통상적인 방법으로 적재되는 포장화물과 개방형 화물운송단위물로 운송되는 화물과는 포장화


물간의 격리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격리시켜야 한다.

2.4.2 포장화물과 밀폐형 화물운송단위물간의 격리

통상적인 방법으로 적재되는 포장화물과 밀폐형 화물운송단위물로 운송되는 화물과는 포장


화물간의 격리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격리시켜야 한다. 단, 다음의 경우에는 예외이다.

1) "분리적재"가 요구되는 경우, 포장화물과 밀폐형 화물운송단위물과는 서로 격리가 요구되


지 아니한다.
2) "격리적재"가 요구되는 경우, 포장화물과 밀폐형 화물운송단위물과는 "분리적재"로 격리할
수 있다.

7.1 다른 급의 위험물과의 격리
7.1.1 격리에 관련된 규정에도 불구하고, 제5.1급의 질산암모늄(AMMONIUM NITRATE) 및 질산
나트륨(SODIUM NITRATE)은 그 화물 전체를 제1급의 발파화약(BLASTING
EXPLOSIVES)으로 취급하여 발파화약(단, EXPLOSIVE, BLASTING, TYPE C, UN 0083은
제외)과 함께 적재할 수 있다.

7.1.2 화학적 위험성을 갖는 고체 산적물질과 제1급 화물 간의 격리는 「화학적 위험성을 갖는 산적


물질과 포장된 형태의 위험물 간의 격리」를 참조하라.

7.2 인화성이 매우 높은 위험물과의 격리

7.2.1 아래의 위험물들은 극도의 인화성으로 인하여 제1급 화물을 운반하는 선박으로 운송할 수 없
다.

적정선적명 유엔번호 등급
CARBON DISULPHIDE 1131 3
NICKEL CARBONYL 1259 6.1
PYROPHORIC LIQUID, ORGANIC, N.O.S. 2845 4.2
PYROPHORIC LIQUID, INORGANIC, N.O.S 3194 4.2
ORGANOMETALLIC SUBSTANCE, LIQUID, PYROPHORIC 3392 4.2
ORGANOMETALLIC SUBSTANCE, LIQUID, PYROPHORIC, 3394 4.2
WATER-REACTIVE

7.2.2 위의 제한규정은 다음 각각의 경우에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1) 등급 1.4, 혼적구분 S인 화물
2) 해당별표에 구명(life-saving)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명시된 폭발성 제품으로서, 이
러한 제품의 화약류의 총순질량이 선박당 50kg 이하인 경우
3) 혼적구분 C, D 및 E인 화물로서, 화약류의 총순질량이 선박당 10kg 이하인 경우
4) 연화(firework) 및 특별적재가 요구되는 것을 제외한 혼적구분 G인 제품으로서, 화 약
류의 총순질량이 선박당 10kg 이하인 경우

7.2.3 제7.2.1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상기의 제7.2.2항에 언급된 양을 초과하는 제1급 화물의 추
가 질량 또는 종류는 주관청이 승인한 경우에 한하여 극도의 인화성이 있는 위험물과 함께 운
송할 수 있다.
7.2.4 선박이 제1급 화물과 극도의 인화성이 있는 위험물을 운송하는 경우에는 격리에 관련된 규정
에 따라 격리해야 하며, 가능한 한 서로 멀리 떨어지게 적재되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7.3 제1급 화물간의 격리

7.3.1 일반사항

7.3.1.1 제1급 화물은 아래의 「제1급 화물의 혼합적재 허용표」에 명시된 바에 따라 동일 구획실, 화
약고 또는 화물운송단위물 내부에 적재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별개의 컨테이너에 적재해
야 한다.

7.3.1.2 적재방법이 다르게 요구되는 화물이 「제1급 화물의 혼합적재 허용표」에 의하여 혼재가 허
용되는 경우, 적절한 적재방법은 화물 전체에 대하여 가장 엄격한 규정에 따라야 한다.

7.3.1.3 등급이 다른 혼재 화물을 동일 구획실, 화약고 또는 화물운송단위물로 운송하는 경우, 그 전체


화물은 1.1(가장 큰 위험), 1.5, 1.2, 1.3, 1.6 및 1.4(가장 작은 위험)의 차례로 위험등급에 속
하는 것으로 취급해야 하며, 그 적재방법은 화물 전체에 대하여 가장 엄격한 규정에 따라야 한
다.
7.3.2 제1급 화물의 혼합적재 허용표
혼적구분 A B C D E F G H J K L N S
A X

B X X
6 6 1 4
C X X X X X X
6 6 1 4
D X X X X X X
6 6 1 4
E X X X X X X

F X X
1 1 1
G X X X X X

H X X

J X X

K X X

L X2

N X4 X4 X4 X3 X5

S X X X X X X X X X X5 X

"X"는 해당 혼적구분의 화물들을 동일 구획실, 화약고, 화물운송단위물 또는 차량에 적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주:
1
혼적구분 G의 폭발성 제품(연화 및 특별적재가 요구되는 제품은 제외)은 동일 구획실, 화약
고, 화물운송단위물 또는 차량으로 운송되는 화약류가 없다는 조건으로 혼적구분 C, D 및 E의 폭
발성 제품과 함께 적재할 수 있다.
2
혼적구분 L 인 1종류의 운송품은 혼적구분 L에 속하는 동일 종류의 운송품인 경우에만 함
께 적재할 수 있다.
3
혼적구분 N, 등급 1.6의 다른 종류의 제품은 제품사이에 공명폭발의 추가위험이 없다고
입증된 경우에 한하여 함께 운송할 수 있다. 그러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등급 1.1로 취급해
야 한다.
4
혼적구분 N의 제품을 혼적구분 C, D 또는 E의 제품 또는 물질과 함께 운송하는 경우, 혼적 구
분 N의 제품은 혼적구분 D로 취급해야 한다.
5
혼적구분 N의 제품을 혼적구분 S인 제품 또는 물질과 함께 운송하는 경우 전체 화물은 혼
적구분 N으로 취급해야 한다.
6
혼적구분 C, D 및 E인 제품의 모든 결합체는 혼적구분 E로 취급해야 한다. 혼적구분 C 및 D
인 물질의 결합체는 혼합적재의 주된 특성을 고려하여 위험등급과 혼적구분을 결합한 화약류 분
류 일람표에 명시된 적절한 혼적구분에 따라 취급해야 한다. 이 총체적인 분류기호는 표찰 에 관련
된 규정에 명시된 바와 같이 단위적재물 또는 화물운송단위물상에 부착되는 표찰 또는 명찰에 명시
되어야 한다.

7.3.3 갑판상부에서의 격리

혼적구분이 다른 제1급 화물을 갑판상부에 적재하여 운송하는 경우에는 「제1급 화물의 혼합


적재 허용표」에 따라 혼합적재가 허용되지 아니하는 한 6m이상 떨어지도록 적재해야 한다.

7.3.4 단일 화물창을 가진 선박에서의 격리

제1급 화물 이외의 위험물을 운송하는 단일 화물창(single hold)을 가진 선박에서는 일반 대


형선박과 같은 방법으로 격리해야 한다. 단, 다음의 경우에는 예외이다.

1) 혼적구분 B인 등급 1.1 또는 등급 1.2의 화물이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혼적구분


D인 물질과 동일 화물창에 적재할 수 있다.

- 혼적구분 B인 화물의 화약류의 총순질량이 50 kg이하 이고,


- 그러한 화물을 혼적구분 D인 물질로부터 최소한 6m 이상 떨어져 적재된 강재
화 약고내에 적재하는 경우.

2) 등급 1.4, 혼적구분 B인 화물은 혼적구분 D인 물질과 최소한 6m의 거리 또는 강재격벽에


의하여 격리된 경우에는 동일 화물창에 적재할 수 있다.

7.4 비위험물과의 격리

7.4.1 일반적으로, 제1급 화물과 기타의 비위험물과는 격리할 필요가 없다.

7.4.2 우편물, 수화물, 개인 휴대품 및 가재도구는 혼적구분 S 이외의 제1급 물질이 적재된 구획실
또는 그 구획실의 바로 위나 바로 아래에 적재해서는 아니된다.

7.4.3 제1급 화물이 차단격벽(intervening bulkhead)을 사이에 두고 적재되는 경우, 그 격벽 반대편


의 모든 우편물은 격벽으로부터 "분리적재(away from)"가 되도록 적재해야 하며, 그 차단구
역(intervening space)에는 가급적 다른 비위험물로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장 물질안전보건자료
5 (MSDS) 설명
Section 1 - Product and Company Identification
(화학제품과 회사에 관한 정보)
가. 제품명 : 경고표지상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명칭 또는 분류코드를 기재한다.
나. 제품의 권고 용도와 사용상의 제한
다. 제조자/공급자/유통업자 정보 : 공급회사명, 주소, 정보제공서비스 또는 긴급연락 전
화번호, 담당부서
Section 2 - Compositon/Information on Ingredients
(구성 성분의 명칭 및 조성)

화학물질명 관용명 및 이명(異名) CAS번호 또는 식별번호 함유량(%)

Section 3 - Hazards Identification


(유해위험성)
가. 유해․위험성 분류
나. 예방조치문구를 포함한 경고 표지 항목
○ 그림문자
○ 신호어
○ 유해․위험 문구
○ 예방조치문구
다. 유해․위험성 분류기준에 포함되지 않는 기타 유해․위험성(예 : 분진폭발 위험성)

Section 4 - First Aid Measures(응급조치 요령)

가. 눈에 들어갔을 때 :
나. 피부에 접촉했을 때 :
다. 흡입했을 때 :
라. 먹었을 때 :
마. 급성 및 지연성의 가장 중요한 증상/영향 :
바. 응급처치 및 의사의 주의사항 :

Section 5 - Fire Fighting Measures(폭발․화재시 대처방법)

가. 적절한 (및 부적절한) 소화제 :


나. 화학물질로부터 생기는 특정 유해성(예, 연소 시 발생 유해물질) :
다. 화재 진압 시 착용할 보호구 및 예방조치 :
Section 6 - Accidental Release Measures(누출 사고 시 대처방법)

가. 인체를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 사항 및 보호구 :


나.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사항 :
다. 정화 또는 제거 방법 :

Section 7 - Handling and Storage(취급 및 저장방법)

가. 안전취급요령 :
나. 안전한 저장 방법(피해야 할 조건을 포함함)

Section 8 - Exposure Controls & Personal Protection


(노출방지 및 개인보호구)

가. 화학물질의 노출 기준, 생물학적 노출기준 등


나. 적절한 공학적 관리
다. 개인 보호구
○ 호흡기보호 :
○ 눈보호 :
○ 손보호 :
○ 신체보호 :

Section 9 - Physical & Chemical Properties(물리화학적 특성)

가. 외관(물리적 상태, 색 등) :
나. 냄새 :
다. 냄새 역치 :
라. pH :
마. 녹는점/어는점 :
바. 초기 끓는점과 끓는 점 범위 :
사. 인화점 :
아. 증발 속도
자. 인화성(고체, 기체)
차. 인화 또는 폭발 범위의 상한/하한
카. 증기압 :
타. 용해도 :
파. 증기밀도 :
하. 비중
거. n‐옥탄올/물 분배계수
너. 자연발화 온도
더. 분해 온도
러 점도
.
Section 10 - Stability & Reactivity Data(안정성 및 반응성)

가. 화학적 안정성 :
나. 유해 반응의 가능성
다. 피해야 할 조건(정전기 방전, 충격, 진동 등)
라. 피해야 할 물질 :
마. 분해시 생성되는 유해물질 :

Section 11 - Toxicological Information(독성에 관한 정보)

가. 가능성이 높은 노출 경로에 관한 정보
○ 급성흡입 독성 :
○ 급성 경구 독성 :
○ 피부 접촉 :
○ 눈 접촉 :
나. 물리적, 화학적 및 독성학적 특성에 관련된 증상
다. 단기 및 장기 노출에 의한 지연, 급성 영향 및 만성 영향
○ 급성 독성 물질 :
○ 피부 부식성 또는 자극성 물질 :
○ 심한 눈 손상 또는 자극성 물질 :
○ 호흡기 과민성 물질 :
○ 피부 과민성 물질 :
○ 발암성물질 :
○ 생식세포 변이원성 물질 :
○ 생식독성 물질 :
○ 표적장기․전신독성 물질(1회 노출) :
○ 표적장기․전신독성 물질(반복 노출) :
○ 수생 환경유해성 물질 :
라. 독성의 수치적 척도(급성 독성 추정치 등)

Section 12 - Ecological Information(환경에 미치는 영향)

가. 수생․육생 생태독성 :
나. 잔류성 및 분해성 :
다. 생물 농축성 :
다. 토양 이동성 :
마. 기타 유해 영향
Section 13 - Disposal Considerations(폐기시 주의사항)

가. 폐기방법 :
나. 폐기시 주의사항(오염된 용기 및 포장의 폐기 방법을 포함함) :

Section 14 - Transport Information(운송에 필요한 정보)

가. 유엔 번호
나. 유엔 적정 선적명
다. 운송에서의 위험성 등급
라. 용기등급 (해당하는 경우)
마. 해양오염물질(해당/ 비해당)
사. 사용자가 운송 또는 운송 수단에 관련해 알 필요가 있거나 필요한 특별한 안전
대책

Section 15 - Regulatory Information(법적 규제현황)

가.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규제 :
나. 유해화학물질관리법에 의한 규제 :
다. 위험물안전관리법에 의한 규제 :
라. 폐기물관리법에 의한 규제 :
마. 기타 국내 및 외국법에 의한 규제 :

Section 16 - Other Information(기타 참고사항)

가. 자료의 출처 :
나. 작성일자 :
다. 최초 개정횟수 및 최종 개정일자 :
4. MSDS 작성 예시

METHANOL(MSDS)
1. Product Identification
Synonyms: Wood alcohol; methyl alcohol; carbinol
CAS No.: 67-56-1
Molecular Weight: 32.04
Chemical Formula: CH3OH

2. Composition/Information on Ingredients
Ingredient CAS No Percent Hazardous
------------------------------------------------------------------
Methyl Alcohol 67-56-1 100% Yes

3. Hazards Identification
Emergency Overview
POISON! DANGER! VAPOR HARMFUL. MAY BE FATAL OR CAUSE BLINDNESS IF
SWALLOWED. HARMFUL IF INHALED OR ABSORBED THROUGH SKIN. CANNOT BE MADE
NONPOISONOUS. FLAMMABLE LIQUID AND VAPOR. CAUSES IRRITATION TO SKIN, EYES
AND RESPIRATORY TRACT. AFFECTS CENTRAL NERVOUS SYSTEM AND LIVER.

SAF-T-DATA(tm) Ratings (Provided here for your convenience)


Health Rating: 3 - Severe (Poison)
Flammability Rating: 3 - Severe (Flammable)
Reactivity Rating: 1 - Slight
Contact Rating: 3 - Severe (Life)
Lab Protective Equip: GOGGLES & SHIELD; LAB COAT & APRON; VENT HOOD; PROPER
GLOVES; CLASS B EXTINGUISHER
Storage Color Code: Red (Flammable)

Potential Health Effects


Inhalation:
A slight irritant to the mucous membranes. Toxic effects exerted upon nervous system,
particularly the optic nerve. Once absorbed into the body, it is very slowly eliminated. Symptoms
of overexposure may include headache, drowsiness, nausea, vomiting, blurred vision, blindness,
coma, and death. A person may get better but then worse again up to 30 hours later.
Ingestion:
Toxic. Symptoms parallel inhalation. Can intoxicate and cause blindness. Usual fatal dose:
100-125 milliliters.
Skin Contact:
Methyl alcohol is a defatting agent and may cause skin to become dry and cracked. Skin
absorption can occur; symptoms may parallel inhalation exposure.
Eye Contact:
Irritant. Continued exposure may cause eye lesions.
Chronic Exposure:
Marked impairment of vision has been reported. Repeated or prolonged exposure may cause
skin irritation.
Aggravation of Pre-existing Conditions:
Persons with pre-existing skin disorders or eye problems or impaired liver or kidney function
may be more susceptible to the effects of the substance.

4. First Aid Measures


Inhalation:
Remove to fresh air. If not breathing, give artificial respiration. If breathing is difficult, give
oxygen. Get medical attention immediately.
Ingestion:
Induce vomiting immediately as directed by medical personnel. Never give anything by mouth to
an unconscious person. Get medical attention immediately.
Skin Contact:
Immediately flush skin with plenty of water for at least 15 minutes while removing contaminated
clothing and shoes. Get medical attention. Wash clothing before reuse. Thoroughly clean shoes
before reuse.
Eye Contact:
Immediately flush eyes with plenty of water for at least 15 minutes, lifting lower and upper
eyelids occasionally. Get medical attention immediately.

5. Fire Fighting Measures


Fire:
Flash point: 12℃ (54F) CC
Autoignition temperature: 464℃ (867F)
Flammable limits in air % by volume: lel: 6.0% uel: 36%
Flammable Liquid and Vapor!
Explosion:
Above flash point, vapor-air mixtures are explosive within flammable limits noted above.
Moderate explosion hazard and dangerous fire hazard when exposed to heat, sparks or flames.
Sensitive to static discharge.
Fire Extinguishing Media:
Use alcohol foam, dry chemical or carbon dioxide. (Water may be ineffective.)
Special Information:
In the event of a fire, wear full protective clothing and NIOSH-approved self-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with full facepiece operated in the pressure demand or other positive pressure mode.
Use water spray to blanket fire, cool fire exposed containers, and to flush non-ignited spills or
vapors away from fire. Vapors can flow along surfaces to distant ignition source and flash back.

6. Accidental Release Measures


Ventilate area of leak or spill. Remove all sources of ignition. Wear appropriat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as specified in Section 8. Isolate hazard area. Keep unnecessary and
unprotected personnel from entering. Contain and recover liquid when possible. Use
non-sparking tools and equipment. Collect liquid in an appropriate container or absorb with an
inert material (e. g., vermiculite, dry sand, earth), and place in a chemical waste container. Do
not use combustible materials, such as saw dust. Do not flush to sewer! If a leak or spill has
not ignited, use water spray to disperse the vapors, to protect personnel attempting to stop
leak, and to flush spills away from exposures. US Regulations (CERCLA) require reporting spills
and releases to soil, water and air in excess of reportable quantities. The toll free number for
the US Coast Guard National Response Center is (800) 424-8802.

7. Handling and Storage


Protect against physical damage. Store in a cool, dry well-ventilated location, away from any
area where the fire hazard may be acute. Outside or detached storage is preferred. Separate
from incompatibles. Containers should be bonded and grounded for transfers to avoid static
sparks. Storage and use areas should be No Smoking areas. Use non-sparking type tools and
equipment, including explosion proof ventilation. Containers of this material may be hazardous
when empty since they retain product residues (vapors, liquid); observe all warnings and
precautions listed for the product. Do Not attempt to clean empty containers since residue is
difficult to remove. Do not pressurize, cut, weld, braze, solder, drill, grind or expose such
containers to heat, sparks, flame, static electricity or other sources of ignition: they may
explode and cause injury or death.

8. Exposure Controls/Personal Protection


Airborne Exposure Limits:
For Methyl Alcohol:
- OSHA Permissible Exposure Limit (PEL): 200 ppm (TWA)
- ACGIH Threshold Limit Value (TLV): 200 ppm (TWA), 250 ppm (STEL) skin
Ventilation System:
A system of local and/or general exhaust is recommended to keep employee exposures below
the Airborne Exposure Limits. Local exhaust ventilation is generally preferred because it can
control the emissions of the contaminant at its source, preventing dispersion of it into the
general work area. Please refer to the ACGIH document, Industrial Ventilation, A Manual of
Recommended Practices, most recent edition, for details. Use explosion-proof equipment.
Personal Respirators (NIOSH Approved):
If the exposure limit is exceeded and engineering controls are not feasible, wear a supplied air,
full-facepiece respirator, airlined hood, or full-facepiece self-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Breathing air quality must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OSHA respiratory protection standard
(29CFR1910.134). This substance has poor warning properties.
Skin Protection:
Rubber or neoprene gloves and additional protection including impervious boots, apron, or
coveralls, as needed in areas of unusual exposure.
Eye Protection:
Use chemical safety goggles. Maintain eye wash fountain and quick-drench facilities in work
area.

9.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ppearance: Clear, colorless liquid.
Odor: Characteristic odor.
Solubility: Miscible in water.
Specific Gravity: 0.8
pH: No information found.
% Volatiles by volume @ 21C (70F): 100
Boiling Point: 64.5C (147F)
Melting Point: -98C (-144F)
Vapor Density (Air=1): 1.1
Vapor Pressure (mm Hg): 97 @ 20C (68F)
Evaporation Rate (BuAc=1): 5.9

10. Stability and Reactivity


Stability:
Stable under ordinary conditions of use and storage.
Hazardous Decomposition Products:
May form carbon dioxide, carbon monoxide, and formaldehyde when heated to decomposition.
Hazardous Polymerization: Will not occur.
Incompatibilities:
Strong oxidizing agents such as nitrates, perchlorates or sulfuric acid. Will attack some forms of
plastics, rubber, and coatings. May react with metallic aluminum and generate hydrogen gas.
Conditions to Avoid: Heat, flames, ignition sources and incompatibles.

11. Toxicological Information


Methyl Alcohol (Methanol) Oral rat LD50: 5,628 mg/kg; inhalation rat LC50: 64,000 ppm/4H;
skin rabbit LD50: 15,800 mg/kg; Irritation data-standard Draize test: skin, rabbit: 20mg/24 hr.
Moderate; eye, rabbit: 100 mg/24 hr. Moderate. Investigated as a mutagen, reproductive
effector.

12. Ecological Information


Environmental Fate:
When released into the soil, this material is expected to readily biodegrade. When released into
the soil, this material is expected to leach into groundwater. When released into the soil, this
material is expected to quickly evaporate. When released into the water, this material is
expected to have a half-life between 1 and 10 days. When released into water, this material is
expected to readily biodegrade. When released into the air, this material is expected to exist in
the aerosol phase with a short half-life. When released into the air, this material is expected to
be readily degraded by reaction with photochemically produced hydroxyl radicals. When released
into air, this material is expected to have a half-life between 10 and 30 days. When released
into the air, this material is expected to be readily removed from the atmosphere by wet
deposition.
Environmental Toxicity: This material is expected to be slightly toxic to aquatic life.

13. Disposal Considerations


Whatever cannot be saved for recovery or recycling should be handled as hazardous waste and
sent to a RCRA approved incinerator or disposed in a RCRA approved waste facility.
Processing, use or contamination of this product may change the waste management options.
State and local disposal regulations may differ from federal disposal regulations. Dispose of
container and unused contents in accordance with federal, state and local requirements.

14. Transport Information


Domestic (Land, D.O.T.)
-----------------------
Proper Shipping Name: METHANOL
Hazard Class: 3
UN/NA: UN1230
Packing Group: II
Information reported for product/size: 358LB

International (Water, I.M.O.)


-----------------------------
Proper Shipping Name: METHANOL
Hazard Class: 3(6.1)
UN/NA: UN1230
Packing Group: II

15. Regulatory Information


Chemical Inventory Status - Part 1---------------------------------
Ingredient TSCA EC Japan Australia
-------------------------------------------- --- ---- --------
Methyl Alcohol (67-56-1) Yes Yes Yes Yes

Chemical Inventory Status - Part 2---------------------------------


--Canada--
Ingredient Korea DSL NDSL Phil.
----------------------------------------------- ----- --- ----
Methyl Alcohol (67-56-1) Yes Yes No Yes

16. Other Information


NFPA Ratings: Health: 1 Flammability: 3 Reactivity: 0
Label Hazard Warning:
POISON! DANGER! VAPOR HARMFUL. MAY BE FATAL OR CAUSE BLINDNESS IF
SWALLOWED. HARMFUL IF INHALED OR ABSORBED THROUGH SKIN. CANNOT BE MADE
NONPOISONOUS. FLAMMABLE LIQUID AND VAPOR. CAUSES IRRITATION TO SKIN, EYES
AND RESPIRATORY TRACT. AFFECTS CENTRAL NERVOUS SYSTEM AND LIVER.
Label Precautions: Avoid breathing vapor.
Avoid contact with eyes, skin and clothing.
Wash thoroughly after handling.
Keep container closed.
Use only with adequate ventilation.
Keep away from heat, sparks and flame.
Label First Aid:
If inhaled, remove to fresh air. If not breathing, give artificial respiration. If breathing is
difficult, give oxygen. If swallowed, induce vomiting immediately as directed by medical
personnel. Never give anything by mouth to an unconscious person. In case of contact,
immediately flush eyes or skin with plenty of water for at least 15 minutes while removing
contaminated clothing and shoes. Wash clothing before reuse. In all cases get medical
attention immediately.
Product Use: Laboratory Reagent.
Revision Information: No Changes.
Disclaimer:
*********************************************************************************************
Mallinckrodt Baker, Inc. provides the information contained herein in good faith but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its comprehensiveness or accuracy. This document is intended only as a
guide to the appropriate precautionary handling of the material by a properly trained person
using this product. Individuals receiving the information must exercise their independent
judgment in determining its appropriateness for a particular purpose. MALLINCKRODT BAKER,
INC. MAKES NO REPRESENTATIONS OR WARRANTIES, EITHER EXPRESS OR IMPLIED,
INCLUDING WITHOUT LIMITATION ANY WARRANTIES OF MERCHANTABILITY, FITNESS FOR
A PARTICULAR PURPOSE WITH RESPECT TO THE INFORMATION SET FORTH HEREIN OR
THE PRODUCT TO WHICH THE INFORMATION REFERS. ACCORDINGLY, MALLINCKRODT
BAKER, INC. WILL NOT BE RESPONSIBLE FOR DAMAGES RESULTING FROM USE OF OR
RELIANCE UPON THIS INFORMATION.
*********************************************************************************************Prep
ared by: Environmental Health & Safety
Phone Number: (314) 654-1600 (U.S.A.)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