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364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보안과제[ ] 일반과제[ ○ ] (제출용) NRF-2016M1A5A1901769


(BSPN16081/PN17081-280-7)

해양극지기초원천기술개발사업
(Brain Research Program)

환북극 동토층 환경변화 분석을 통한


미래 예측 및 유용물질 응용 기술 개발
(Circum Arctic Permafrost Environment Change
Monitoring, Future Prediction and development Techniques
of useful biomaterials(CAPEC))

(세부과제-1 : 북극권 동토 관측 거점을 활용한


환경변화 감시와 예측)
(Arctic permafrost environment change monitoring and
prediction method developments)

2018. 2.

한국해양과학기술원부설
극지연구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 출 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귀하

이 보고서를 "환북극 동토층 환경변화 예측 모델 및 동토유래 유용물질 응용


기술 개발"과제(세부과제 "북극권 동토 관측 거점을 활용한 환경변화 감시와
예측")의 (1단계)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2. 12.

주관연구기관명 한국해양과학기술원부설
:

극지연구소
주관(총괄)연구책임자 : 이 방 용
세부연구책임자 : 이방용
연 구 원 : 강정호,강효진,김백민,
" : 김성중,김연태,김재석,

" : 박기태,박근보,박상종,

" : 박지연,안서희,양희권,

" : 유재일,윤영준,윤주열,

" : 장세현,지건화,차정숙,

" : 최진희,최태진,황희진

" : (이상 극지연구소),

위탁연구기관명 : 광주과학기술원
위탁연구책임자 : 박 기 홍
연 구 원 : 박민한,송한결,이해범
" : 조희주, Lucille

(이상 광주과학기술원)

위탁연구기관명 : 광주과학기술원
위탁연구책임자 : 한 경 만
연 구 원 : 김현수,송철한
(이상 광주과학기술원)

위탁연구기관명 : 경인여지대학교
위탁연구책임자 : 정 창 훈
연 구 원 : 박진희,이지이
(이상 경인여자대학교)

- 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위탁연구기관명 : 고려대학교
위탁연구책임자 : 채 남 이

(이상 고려대학교)

위탁연구기관명 : 인천대학교

위탁연구책임자 : 김 태 욱

연 구 원 : 김여훈,모아라,임재윤

" : 연효정,박승희,석민우

" : 엄상민

(이상 인천대학교)

위탁연구기관명 : 서울대학교

위탁연구책임자 : 류 영 렬

연 구 원 : 김소윤,공주원,화여름

" : Yan Huang

이상 서울대학교) (

위탁연구기관명 : 한양대학교
위탁연구책임자 : 이찬길
연 구 원 : 노승호,이재룡
(이상 한양대학교)

국외학술용역기관명 : 미국 알래스카주립대학교
용역연구책임자 : 김용원
(이상 미국 알래스카주립대학교)

국내학술용역기관명 : 한국항공대학교
용역연구책임자 : 이영수
연 구 원 : 양현석,주영찬
(이상 한국항공대학교)

기타전문가참여 : 정철두,함석현,홍창희
(이상 네이버시스템,
네오씨-텍,한국건설기술
연구원)
(이상 성명 가나다순)

- 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보고서 요약서(세부과제 1)

NRF-2016M1 해 당 단 계 2016.05. 01 -
(1 단계)/
과제고유번호 2017. 12. 31 단계구분
A5A1901769 연 구 기 간 개월)(20
(2 단계)
중사업명 ․
해양극지 기초 원천기술개발사업
해양극지 기초․원천기술개발사업
연구사업명
세부사업명
환북극 동토층 환경변화 분석을 통한 미래 예측 및
대과제명
유용물질 응용 기술 개발
연구과제명
북극권 동토 관측 거점을 활용한
세부과제명
환경변화 감시와 예측
정부 :
해당단계 총 : 57 명 3,183백만원
해당단계 기업 :
참 여 내부: 20 명 연 구 비 0백만원
연구원수 외부: 37 명
계 :
3,183백만원
연구책임자 이방용
정부 :
총연구기간 총 : 57 명 11,383백만원
참 여 내부 : 20 명 총연구비 기업 :
0백만원
연구원수 외부 : 37 명
계 :
11,383백만원

연구기관명 및 한국해양과학기술원부설 극지연구소 참여기업명


소 속 부 서 명 극지기후과학연구부
국제공동연구 상대국명 : 상대국연구기관명 :

연구기관명 : 광주과학기술원 연구책임자 : 박기홍


연구기관명 : 광주과학기술원 연구책임자 : 한경만
연구기관명 : 경인여자대학교 연구책임자 : 정창훈
위 탁 연 구 연구기관명 : 고려대학교 연구책임자 : 채남이
연구기관명 : 서울대학교 연구책임자 : 류영렬
연구기관명 : 인천대학교 연구책임자 : 김태욱
연구기관명 : 한양대학교 연구책임자 : 이찬길
요약(연구결과를 중심으로 개조식 500 자 이내) 보고서면수 367

○ 동토 기후·대기 시스템 변화 지속 감시 및 환경인자 DB 구축(16건 자료 확보 완료-메타데


이터 형식으로 KPDC에 등록 완료)
○ 아이슬란드 관측 거점 확보 및 기후냉각물질 형성 과정 연구(한-아 북극공동연구 협약
(LOU) 체결)
○ 동결-융해 환경변화에 따른 풍화과정 추적 기술 개발
○ 러시아 관측 거점 확보 및 온실기체 플럭스 측정 시스템 구축(한-러 북극공동연구 협약
(MOU) 체결)
※ 북극이사회(Arctic Council) 8개 국가중 6개 국가에 동토층 환경변화 연구를 위한 관측 거점
확보, 정밀측정시스템 가동 중(북극이사회 옵서버 국가로서의 북극권 글로벌 이슈에 대한 국
제적 활동에 동참, 의무 과학활동 수행 중
한 글 관측 거점, 환경인자, 기후냉각물질, 온실 기체, 측정시스템
색 인 어
(각 5개 이상) Permafrost Monitoring Node, Environmental Factor,
영 어
DMS, Greenhouse gas, Observational system

- 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보고서 요약서(위탁과제-광주과기원-1)
2 01 6 M1 A5 해 당 단 계 2016.05.01. -
과제고유번호 단 계 구 분 1단계
A1901779 연 구 기 간 2017.12.31.
중사업명 해양극지기초원천기술개발사업
연구사업명
세부사업명 해양극지기초원천기술개발사업
대과제명 북극권 동토 관측 거점을 활용한 환경변화 감시와 예측
연구과제명
세부과제명 북극권 나노입자 생성 및 에어로졸 특성 연구
정부 : 115,000

해당단계 총 : 8 명 천원
해당단계
참 여 내부 : 8 명 기업 : 0 천원
연 구 비
연구원수 외부 : 0 명 계: 115,000

천원
연구책임자 박 기 홍
정부 : 310,000

총연구기간 총 : 8 명 천원
참 여 내부 : 8 명 총연구비 기업 : 0 천원
연구원수 외부 : 0 명 계: 310,000

천원
연구기관명 및 광주과학기술원
참여기업명
소속부서명 - 지구환경공학부
국제공동연구 상대국명 : 상대국연구기관명 :

위 탁 연 구 연구기관명 : 연구책임자 :

요약(연구결과를 중심으로 개조식 500 자 이내) 보고서면수 23

§ 1단계 (2016.10 – 2017.12) 기간 동안 Ny-Alesund, Zeppelin station에서 북극권 나노입자


의 크기분포 및 수농도 변화 실시간 모니터링 수행 (국제 연구팀과 공동 모니터링 수행).
§ Gruvebadet station에서 2016, 2017년 9월 북극권 에어로졸 화학원소 분석을 위한 PM2.5
샘플 확보

한 글 에어로졸, 나노입자
색 인 어
( 각 5개 이상)
영 어 Aerosol, nanoparticles

- 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보고서 요약서(위탁과제-광주과기원-2)
해 당 단 계 2016.05.01. -
2 01 6 M1 A5
과제고유번호 단 계 구 분 1단계
A1901782 연 구 기 간 2017.12.31.
중 사 업 명 해양극지기초원천기술개발사업
연구사업명
세부사업명 해양극지기초원천기술개발사업
대 과 제 명 북극권 동토 관측 거점을 활용한 환경변화 감시와 예측
연구과제명 극지 대기오염 및 기후변화 연구를 위한 대기질 모델링
세부과제명
시스템 개발 및 활용
정부:
해당단계 총 : 3 명 80,000천원
해당단계
참 여 내부 : 3명 기업 : 천원
연 구 비
연구원수 외부 : 명 계 :
80,000천원
연구책임자 한경만
정부:
총연구기간 총 : 3 명 200,000천원

참 여 내부 : 3 명 총연구비 기업: 천원
연구원수 외부 : 명 계 :
200,000천원

연구기관명 및 광주과학기술원
참여기업명
소 속 부 서 명 /지구환경공학부
국제공동연구 상대국명 : 상대국연구기관명 :

위 탁 연 구 연구기관명 : 연구책임자 :
요약(연구결과를 중심으로 개조식 500자 이내) 보고서면수 47

◦극지 대기환경 특성을 고려한 대기질 모델링 시스템 구축


- 극지환경 기상모델링 시스템 구축 및 성능 검증
- 극지 대기질 모델링 시스템 구축 및 최적화/구동

색 인 어 한 글 대기질 모델링시스템
각 5개 이상) 영 어
( Air quality modeling system

- 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보고서 요약서(위탁과제-경인여대)
2 01 6 M1 A5 해 당 단 계 2016.05.01. -
과제고유번호 단 계 구 분 1단계
A1901786 연 구 기 간 2017.12.31.

중사업명 해양극지기초원천기술개발사업
연구사업명
세부사업명 해양극지기초원천기술개발사업
대과제명 북극권 동토 관측 거점을 활용한 환경변화 감시와 예측
연구과제명
세부과제명 환북극권 대기 에어로졸의 광학적 특성 연구
정부
해당단계 총 : 3 명
해당단계 :45,000 천원
참 여 내부 : 1 명
연 구 비 기업 : 천원
연구원수 외부 : 2 명
계 :45,000 천원
연구책임자 정창훈 정부
총연구기간 총 : 3 명 :210,000 천원
참 여 내부 : 1 명 총연구비 기업 : 천원
연구원수 외부 : 2 명 계
:210,000 천원
연구기관명 및 경인여자대학교
참여기업명
소 속 부 서 명 보건의료관리과
국제공동연구 상대국명 : 상대국연구기관명 :
위 탁 연 구 연구기관명 :경인여자대학교 연구책임자 :정창훈
요약(연구결과를 중심으로 개조식 500자 이내) 보고서면수 34

본 연구는 물리화학적 연속 관측 및 원격측정 자료를 활용한 환북극 대기 에어로졸의 광학


적 특성 및 기후변화 영향 분석 및 모사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1단계에서는 북극 대
기에어로졸 측정자료 확보 및 원격측정자료 분석를 통하여 북극 대기에어로졸 광학적 특성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고, 2단계에는 환북극 지역의 기후변화특성을 인공위성 원격자료 및
측정자료 기반 복사강제력 모사등을 통해 산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환북극지역
CCN과 DMPS등의 측정을 통한 북극지역 에어로졸 추의 분석결과 봄철 장거리 수송에 의
하여 증가된 에어로졸의 농도가 CCN의 생성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는 성과를 거두
었다. 또한 여름철 CCN의 moderate한 증가의 경우 여름철 nano size의 입자개수의 폭발적
증가와 관련이 있으며 이는 AOD등의 질량을 고려한 지표에는 파악되지 않음을 확인하였
다. 또한 CCN과 AOD의 계절별 상관성을 파악하고 이를 다른 지역과 비교하여 환북극권
지역 CCN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북극 대기 에어로졸, 복사강제력, 구름응결핵, 광학적 특성,
색 인 어
한 글
기후변화
각 개 이상 Arctic atmospheric aerosol, Radiative forcing, Cloud
condensation nuclei, Optical property, Climate change
( 5 )
영 어

- 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보고서 요약서(위탁과제-서울대학교)
2 01 6 M1 A5 해 당 단 계 2016.05 - 1 단 계/
과제고유번호 단 계 구 분
A1901787 연 구 기 간 2017.12 2 단 계
중 사 업 명 해양극지기초원천기술개발사업
연구사업명
세부사업명 예시) 해양극지기초원천기술연구
대 과 제 명 북극권 동토 관측 거점을 활용한 환경변화 감시와 예측
연구과제명
세부과제명 위성 기반 툰드라 지역 탄소와 물 플럭스 시공간 패턴 분석
정부 :
해당단계 총 : 3 명 70,000천원
해당단계
참 여 내부 : 3 명 기업 : 천원
연 구 비
연구원수 외부 : 명 계 :
70,000천원
연구책임자 류 영 렬
정부 :
총연구기간 총 : 명 190,000천원

참 여 내부 : 명 총연구비 기업 : 천원
연구원수 외부 : 명 계 :
190,000천원

연구기관명 및
서울대학교 참여기업명
소속부서명
국제공동연구 상대국명 : 상대국연구기관명 :
위 탁 연 구 연구기관명 : 연구책임자 :
요약(연구결과를 중심으로 개조식 500자 이내) 보고서면수 24

지구 온난화 의해 극지 툰드라 지역의 탄소와 물 플럭스의 시공간 패탠을 이해하기위해 원


격탐사 영상 기반 생물리기작 모형 Breathing Earth System Simulator (BESS)의 입력 자료
구축:
○ MODIS 대기 및 육지 자료를 서버에 다운로드 (MOD04_L2 일단위 에어로졸 (dark target

and deep blue combined aerosol optical depth at 500m) 데이터, MOD6_L2 구름 (cloud optical

thickness, cloud top pressure, cloud top temperature, surface pressure and surface temperature)

데이터, MOD/MYD07_L2 (total column precipitable water vapor and total ozone burden,

데이터, MOD11A1 일단위 토지 표면 온도 (land surface temperature) 데이


atmospheric profile)

터, 토지 피복 타입 데이터, MOD15A2 8일 간의 엽면적지수 (LAI) 데이터 그리고


MCD12Q1

MCD43D61 알베도 데이터)

○ 구름이나 센서 의해 데이터 gap을 MERRA 재분석 자료로 gap filling 하여 전처리 수행


○ 광합성 최적화 이론을 이용하여 시공간으로 변하는 Vcmax 지도 제작 완료
○ 극지역 재방문빈도가 높은 극궤도위성의 특성을 활용해 극지역의 가능한 모든 swath자
료 다운로드 및 전처리 완료

한 글 총 일사량, 광합성, 증발산량, BESS, MODIS


색 인 어
Solar raadiation, Gross Primary Productivity,
(각 5개 이상) 영 어
Evapotranspiration, BESS, MODIS

- 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보고서 요약서(위탁과제-인천대학교)
2016M1A5 해 당 단 계 2016.05.01. -
과제고유번호 단 계 구 분 1단계
A1901788 연 구 기 간 2017.12.31.
중사업명 해양극지기초원천기술개발사업
연구사업명
세부사업명 해양극지기초원천기술개발사업
대과제명 북극권 동토 관측 거점을 활용한 환경변화 감시와 예측
연구과제명 대기이동궤적 자료를 활용한 동토-대기-해상의 기후냉각
세부과제명
물질 발생지역 추적 연구
정부 : 70,000
해당단계 총 : 10 명
해당단계 천원
참 여 내부 : 7 명
연 구 비 기업 : 0 천원
연구원수 외부 : 3 명
계: 70,000 천원
연구책임자 김 태 욱
정부 : 70,000
총연구기간 총 : 10 명
천원
참 여 내부 : 7 명 총연구비
기업 : 0 천원
연구원수 외부 : 3 명
계: 70,000 천원
연구기관명 및
인천대학교 해양학과 참여기업명
소속부서명
국제공동연구 상대국명 : 상대국연구기관명 :
위 탁 연 구 연구기관명 : 연구책임자 :
요약(연구결과를 중심으로 개조식 500자 이내) 보고서면수 24

∘ 수용체 모형을 환북극 지역의 환북극 육상(동토), 해빙 환경변수와 접목하여 기후냉각물


질(에어로졸 및 전구물질)의 발생 기원 및 이동경로 연구 수행

∘ 식생지수, 해빙농도, 해양 엽록소 및 DMSP 같은 위성기반 환경 인자와 나노입자 수농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함.

∘ 나노입자 수농도를 구간으로 나누어 평균과 중간값을 분석하였을 때, 환경인자와 나노입


자 간에 상관관계가 발견되었지만, 육상지역인 히티알라, 제플린에서 지역적 차이를 보
였고, 나노입자의 크기 분포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였음.

∘ 제플린 지역의 북부 및 유럽 지역에서 이동해온 대기의 나노입자 농도가 높았음.


3-10nm의 입자의 경우에 해빙농도와 비례, 생물생산력 인자(육상의 식생지수, 해양의 엽
록소 농도)과 반비례하는 경향 보임. 10-100nm의 입자의 경우에 생물생산력 인자와 비례
관계를 보임.
환북극 동토-대기-해상, 기후냉각물질,대기이동궤적,인공위성 기반 측정,
색 인 어 한 글
북극 모니터링 거점
각 5개 이상) 영 어 circum-arctic regions, aerosol, air mass trajectory, satellite data,
(

arctic monitoring

- 1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보고서 요약서(위탁과제-고려대학교)
2 01 6 M1 A5 해 당 단 계 2016.05.01. -
과제고유번호 단 계 구 분 1단계
연 구 기 간 2017.12.31.
A1901790

중 사 업 명 해양극지기초원천기술개발사업
연구사업명
세부사업명 해양극지기초원천기술개발사업
대 과 제 명 북극권 동토 관측 거점을 활용한 환경변화 감시와 예측
연구과제명 북극 툰드라에서의 온실기체 모니터링과 조절인자 규명
세부과제명
연구
정부 : 105,000
해당단계 총 : 1 명 천원
해당단계
참 여 내부 : 1 명 기업 : 0 천원
연 구 비
연구원수 외부 : 0 명 계 : 105,000
천원
연 구 책 임 자 채남이
정부 : 195,000
총연구기간 총 : 1 명 천원
참 여 내부 : 1 명 총연구비 기업 : 0 천원
연구원수 외부 : 0 명 계 : 195,000
천원
연구기관명 및 고려대학교
참여기업명
소 속 부 서 명 생명자원연구소
국제공동연구 상대국명 : 상대국연구기관명 :
위 탁 연 구 연구기관명 : 연구책임자 :
요약(연구결과를 중심으로 개조식 500자 이내) 보고서면수 33

▪알래스카 카운슬에 위치한 습윤한 툰드라에서 자동 챔버 시스템을 이용하여 여름


동안 이산화탄소 플럭스와 이를 조절하는 환경인자들을 동시에 모니터링 하였음

▪관목 , 초본, 이끼류, 지의류 등 다양한 식생에서 관측된 이산화탄소 플럭스는 다양


한 범위를 보였고, 일반적으로 토양 온도에 의하여 조절되었음

▪캐나다 캠브리지에서는 이산화탄소뿐만 아니라 메탄 관측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


하여 연속 모니터링을 시도하였음

이산화탄소 플럭스, 메탄 플럭스, 북극 툰드라, 자동 챔버 관측, 환


한 글
색 인 어 경 조절 인자
각 5개 이상)
( CO2 flux, CH4 flux, Artic tundra, Automated chamber,
영 어
environmental controlling factors

- 1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보고서 요약서(위탁과제-한양대학교)
2 01 7 M1 A5 해 당 단 계 2017.01.01 ~
과제고유번호 단 계 구 분 1단계
연 구 기 간
A1013570 2017.12.31

중 사 업 명 해양극지기초원천기술개발사업
연구사업명
세부사업명 해양극지기초원천기술연구
대 과 제 명 북극권 동토 관측 검점을 활용한 환경변화 감시와 예측
연구과제명
세부과제명 ICT기반의 융복합 극지 환경 관측 시스템 개발

정부 :

해당단계 총 : 3 명 60,000 천원
해당단계
참 여 내부 : 3명 기업 : 천원
0
연 구 비
연구원수 외부 : 0명 계 :

60,000천원
연구책임자 이 찬 길
정부 :
총연구기간 총 : 3 명 240,000 천원
참 여 내부 : 3 명 총연구비 기업 : 천원
0

연구원수 외부 : 0 명 계 :

240,000 천원
연구기관명 및 한양대학교에리카산학협
참여기업명
소 속 부 서 명 력단 - 전자공학부
국제공동연구 상대국명 : 상대국연구기관명 :
위 탁 연 구 연구기관명 : 연구책임자 :
요약(연구결과를 중심으로 개조식 500자 이내) 보고서면수 15

ICT 융복합 기술을 활용하여 극지역 기후변화를 원격으로 관측하기 위한 기술개발

로서, 적절한 계측 센서의 선정과 실시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여 극지역


의 접근이 어려운 관측지에서 운영하는 것을 목표로 함. 극지역 기후 변화를 원격
으로 관측하기 위한 ICT 핵심 요소 기술 개발 및 신뢰성 검증과 네트워크 핵심기
술, 환경센서인터페이스 기술, 데이터관리기술, 시스템 통합운영기술을 개발하여 극
지 관측사이트에서 운영 중에 있음. 극지 환경에서 운영 가능한 1)WPAN/WAN 통
신모듈, 2)IoT 기술을 활용한 실시간 극지 환경 원격 모니터링 기술 확보, 3)지중온
도센서, 지중수분함량센서, CO2센서, 침하율계 등 환경센서 통합운영 기술 개발.

원격모니터링, 기후변화, 사물인터넷, USN , 무선


한 글
색 인 어 센서네트워크
각 5개 이상)
( Remote monitoring system, Climate change, Internet of
영 어
Things, USN, Wireless sensor netowrk

- 1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요 약 문

Ⅰ . 제 목

환북극 동토층 환경변화 분석을 통한 미래 예측 및 유용물질 응용 기술 개발


(세부과제명 “북극권 동토 관측 거점을 활용한 환경변화 감시와 예측”)

(광주과기원 위탁과제-1)
○ 북극권 나노입자 생성 및 에어로졸 특성 연구
(광주과기원 위탁과제-2)
○ 극지 대기오염 및 기후변화 연구를 위한 대기질 모델링 시스템 개발 및 활용
(경인여대대학교 위탁과제-3)
○ 환북극권 대기 에어로졸의 광학적 특성 연구
(고려대학교 위탁과제-4)
○ 북극 툰드라에서의 온실기체 모니터링과 조절인자 규명 연구
(서울대학교 위탁과제-5)
○ 위성 기반의 툰드라 지역 탄소와 물 플럭스 시공간 패턴 분석
(인천대학교 위탁과제-6)
○ 대기이동궤적 자료를 활용한 환북극 동토-대기-해상의 기후냉각물질 주요발생
원 추적 연구
(한양대학교 위탁과제-7)
○ ICT 기반의 융복합 극지 환경 관측 시스템 개발

Ⅱ .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 연구목적 :

[연구 목적 개요]
환북극권 동토층의 관측 거점 지역에서의 급변하는 주요한 환경변화에 대한
진단과 분석을 위해, 다학제적이며 국내외 공동연구 유니트를 구성하고,
입체형 무인 원격 정밀 측정시스템 설치 가동 및 현장에서의 토양-표층-식생-대기
현상의 변화 관찰과 특성 분석을 수행함.
아울러 첨단의 유비쿼터스센서네트워크(USN)를 비롯한 위성자료송수신시스템,
제어시스템 등 cyber-infrastructure를 개발하며 적용하고, 관측거점을 안정적으로
운영하며, 거점으로부터 획득되는 환경인자의 DB를 구축, 환경변화를 진단
분석하고자 함

- 1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필요성 :

- 최근 북극 바다얼음(海氷)의 급격한 감소가 보고되고 있음(지난 50여 년간 약 50% 감소). 북


극권은 북반구 기후생산소 역할을 하며 기후 등 환경변화에 가장 민감한 지역으로
서, 전 지구적으로 해수면상승의 초래와 지구환경변화에 중대한 역할, 또한 북극 토
양 및 육지생태계의 역할 증대
- 북극은 빙하와 토양의 해빙(解氷) 현상이 급격히 일어나고 이로 인해 생태계도 급변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정확한 모니터링과 예측은 미진한 상황이므로, 북극권에서 환경
변화의 양상과 원인, 변화간의 상호연계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체계적 관측 필수
- 극지역 영구동토층의 붕괴로 오랫동안 저장되어있던 유기물의 분해, 이산화탄소,
메탄 방출과 같은 현상은 전 지구적 기후변화에 다시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으
로 예상되며, 극지역에서의 기후변화 정도, 기후변화에 의한 생태계의 반응 등을
예측하기 어려움
- 북극의 기온 상승은 북극 진동의 패턴을 변화시켜 우리나라의 기후에 결정적인 영
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되어 북극에 대한 지속적인 관측 및 미래의 변화에 대한 예
측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 필요
- 따라서 북극 지역을 기반으로 한 관측 거점을 확보하고, 진행되고 있는 환경변화의 정확
한 진단을 하여 필요한 양질의 환경인자 DB 구축을 통해 실사용자에게 준실시간급 정
보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과 분석, 생태계의 반응과 이에 따른 환경변화 연구
시급
- 기후 변화가 급격히 진행되어 북극의 빙하와 토양의 해빙 속도가 점차 빨라지고
있음. 이로 인해 북극 생태계도 빠르게 변화되고 있으므로 북극 동식물의 지속적
인 모니터링과 변화 양상 연구 필요
- 북극 동토생태계는 생물다양성과 생산력이 극히 낮으나 기후변화의 속도는 가장
빠른 곳임. 북극 동토층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북극 동토층의
생산․소비․분해 과정 및 토양 환경을 이해하고, 북극 동토층 생태계 연구를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며, 범지구적 기후변화에 의한 생태계의 변화 예측 방법을 개발
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국제 경쟁력 확보 필요

Ⅲ .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세부과제 1)

연구내용 주요 범위
동토 관측거점 기반 - 아이슬란드, 러시아 간 MOU 체결을 통한 거점 추가확보 (북
환경변화 인자
극권 6개 국가내 관측 거점 확보) 및 운영 정상화
연속관측 및 DB

- 1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동토 관측거점 기반 환경변화 인자 연속관측 및 DB 구축


- 환북극 관측거점 내 기후냉각물질 연속 관측 기반 조성
- 아북극지역 기후냉각물질 연속 관측 기반 조성
- 다산기지 암석의 풍화 상태 진단 1건 및 풍화 요인 분석
구축 1건
- 고해상도 모델 WRF 기반 모델링 구축 및 시험운영
- 열전대용 센서 인터페이스 시작품 개발 1건
- 극지 대기환경 특성을 고려한 대기질 모델링 구축을 위한
자료 생성
환북극 에어로졸,
에너지
플럭스, - 기후냉각물질 관측자료 및 인공위성 기반 대기이동궤적 모형
기후냉각물질 등 자료 통합 분석 기술 구축
정밀 관측
동토 관측거점 기반
환경변화 인자 - 동토 관측거점 운영 정상화
연속관측 및 DB - 동토-대기-생태 환경인자 DB구축(16건, 전체 73% 확보)
구축
환북극 에어로졸,
에너지플럭스, - (기후냉각물질 등) 측정시스템 개발 및 안정적 운영
기후냉각물질 등 - (거점별) 에어로졸, 에너지플럭스, 기후냉각물질 등 현장 측정
정밀 관측
동결-융해
환경변화에 따른 - 극한환경에서의 환경인자 모니터링 및 풍화 추적기술 개발
풍화과정 추적 기술 - 암석 동결-융해 250년 주기 풍화과정 추적 기술 개발
개발
- 캐나다 캠브리지 베이 기온/강우량 증가 실험구 운영
- 캐나다 캠브리지 베이와 미국 알래스카에서 강설량 변화
동토 생태계 변화 실험구 설치 및 운영
이해를 위한 실험 - 토양 인큐베이션 실험 수행
추진 - 동토서식 유해미생물 및 바이러스 탐색
- 토양 내 체외효소 및 용존유기물 분석
- 극지 토양 내 표지 대사체의 프로파일 확보

(광주과기원 위탁과제-1)
○ 북극권 나노입자의 크기분포 및 수농도 변화를 국제 연구팀과 공동 장기간 온
라인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나노입자 생성 특성자료를 확보하고 북극권에서 나
노입자의 생성 및 성장 원리 파악.

(광주과기원 위탁과제-2)

- 1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기상모델링 (WRF) 시스템 구성 및 구동


○ WRF 모델의 기본 설정 지료 입력자료 개선
○ 지표관측 자료를 활용한 모델링 성능 검증
○ 인위적/자연적/생체소각 배출량 자료 처리 (시공간 할당 및 종분배 처리)
○ 대기질 모델링 배경자료 생성 (3개 도메인을 구성하여 Nested 기법을 통한 배
경자료 산출)
○ 3차원 대기질 모델링 구동 및 오염물질 자료 분석 (2008년 5월 - 8월 대상)

(경인여자대학교 위탁과제-3)
○ 북극 대기에어로졸 측정자료 확보
○ 환북극 지역 대기에어로졸 원격측정자료 분석
○ 원격 측정자료(AOD)를 활용한 북극 에어로졸의 광학적 특성 파악
○ 측정자료에 기반한 에어로졸의 광학적 특성 및 기후복사 강제력 산출 모사 알
고리즘 개발

(고려대학교 위탁과제-4)
○ 툰드라 생태계에서 챔버방법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및 메탄 플러스 관
○ 탄소 방출을 조절하는 환경조절 인자들 및 미생물과의 관계 조사

(서울대학교 위탁과제-5)
○ BESS (Breathing Earth System Simulator) 기반의 탄소와 물 플럭스 지도 제
작위한 입력 자료 구축
○ MODIS 위성자료 다운로드 및 전처리
○ 고위도 특성을 반영한 입력자료 구축

(인천대학교 위탁과제-6)
○ 북극지역에서 수집된 나노입자 자료와 인공위성 기반 육상 식생지수, 해양 엽
록소(또는 DMSP), 해빙 농도 자료를 활용하여 상호 연계 여부를 진단함.

(한양대학교 위탁과제-7)
○ 극지역 기후 변화를 원격으로 관측하기 위한 ICT 핵심 요소 기술 개발 및 신뢰
성 검증을 목표로 네트워크 핵심기술, 환경센서인터페이스 기술, 데이터관리기
술, 시스템 통합운영기술을 개발하여 관측사이트에서 1개소 이상 운영

- 1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Ⅳ . 연구개발결과

연 구 내 용 연 구 결 과
- 알래스카, 캠브리지 베이, 스발바르(다산기지), 노르드 기반
온실기체 플럭스 변화 분석
- 캠브리지베이 거점 블랙카본 관측(월평균 농도 분석)
- 극지연구소의 KPDC에 메타 데이터 등록
- 환경인자 DB 구축(총기간 22건 목표 대비 1단계 16건 확보)
동토 기후·대기 시스템 - 거점별 관측 환경 분석 및 개선 방안 수립
변화 지속 감시 및 - 북극 스발바르 (다산기지) 기반 구름응결핵 변화 분석(CCN의
환경인자 DB 구축 시계열 자료 확보, 특성 분석)
- 스발바르 기후냉각물질(DMAS) 연속관측(환경변화에 따른 대
기구성물질의 상호작용, 상관관계 규명)
- 북극 대기에서의 생물기원 냉각가스 기원 에어로졸 입자 형
성 기작 규명
- WRF 기반 고해상도 모델 구축
- 극지연구소-포항공과대학교-아이슬란드 대학간 LoU 체결
아이슬란드 관측 거점
- 신규 아이슬란드 관측 거점 확보 (Stórhöfði observatory)
확보 및 기후냉각물질
- 자체 제작한 기후냉각물질 분석기기 아이슬란드 관측지 설치
형성 과정 연구
- 북극 환경 요인에 의한 냉각물질 형성 변화 분석
- 동결-융해 환경변화 분석
동결-융해 환경변화에
- 암석 동결-융해 250년 주기 풍화과정 추적 기술 확보
따른 풍화과정 특성 분석
- 풍화 상태진단 및 민감 특성 분석
및 추적 기술 개발
- 다산기지 암석의 풍화 상태 진단 1건 및 풍화 요인 분석 1건
러시아 관측 거점 확보 - 러시아 북극남극연구소와 공동연구 MoU 체결
및 온실기체 플럭스 측정 - 거점 관측지 확정 및 관측 시스템 구축 계획 수립
시스템 구축 - 바라노바 거점 구축 완료(2017년 10월)
- 편익논리모형을 도출하고, 예비타당성 평가에서 활용되는 편
익산출방법을 적용하여 극지원천기술개발사업의 경제적 편익
산출
극지기초원천기술개발 - 기후변화 적응비용 절감을 경제사회적 파급효과로 산정. 북극
연구가 기후변화예측에 기여하는 정도(20%가정)를 적용하여
사업의 경제사회적 효과
496억 원의 파급효과가 산출되는 것으로 분석
측정
- 동 사업은 SCI논문의 순위보정영향력지수가 92.79로, 국가연
구개발사업의 최우수 순위보정영향력지수 69.86( 국제협력)
대비 132.8%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나, 상당히 우수한 결과
창출 평가

○ 환북극 환경변화 모니터링 관측 거점 정상 가동 및 환경인자 확보


- 미국 알래스카 거점 (Council ; 64°N, 165°W)
- 캐나다 캠브리지 베이 거점 (Cmabridge Bay ; 69°N, 105°W)
- 그린란드 노르드 거점 (Nord ; 81°N, 16°W)

- 1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노르웨이 스발바르 거점 (Svalbard ; 79°N, 11.89°E)


- 아이슬란드 스토르호푀 거점 (Stórhofði ; 63°N, 20°W)
- 러시아 바라노바 거점 (Baranova ; 79°N, 101°E)
v 환경인자 16건 확보 (2020년 목표 22건 대비 73% 달성)

(광주과기원 위탁과제-1)
○ 1단계 (2016.10 - 2017.12) 동안 3분 간격의 나노입자의 크기 및 수농도 장기간
자료 확보.
○ 여름 시즌 (5월 - 9월) 동안 집중적인 나노 입자 생성 및 성장 이벤트 관찰

(광주과기원 위탁과제-2)
○ 대기질 모델링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기상모델링, 배출량 자료 구축, 모델
의 배경조건 생성, 3차원 대기질 모델구동 등 단계별 진행
○ 북극지역의 환경조건을 고려하기 위하여 WRF 모델의 기본 설정 지료 입력 자
료중 하나인 해빙정보를 개선하여 전후 효과 분석

(경인여자대학교 위탁과제-3)
○ 북극 NY-Alesund 지역을 중심으로 한 AOD자료 확보 및 중 장기 추이 분석, 장
기간에 걸친 계절적 변동경향 확인
○ 북극 Zepplin station의 에어로졸 측정 자료 확보 및 광학적 특성과의 추이 비
교, 봄철 장거리 수송에 의하여 증가된 에어로졸의 농도가 CCN의 생성에 큰
영향 확인
○ 다산기지를 포함한 북극지역에서 측정되고 있는 측정자료에 기반한 에어로졸의
광학적 특성파악
○ 기후복사 강제력 산출 모사 알고리즘 개발

(고려대학교 위탁과제-4)
○ 알래스카 카운슬에 위치한 습윤한 툰드라에서 자동 챔버 시스템을 이용하여 여
름동안 이산화탄소 플럭스와 이를 조절하는 환경인자들을 동시에 모니터링
○ 관목, 초본, 이끼류, 지의류 등 다양한 식생에서 관측된 이산화탄소 플럭스는
다양한 범위를 보였고, 일반적으로 토양 온도에 의하여 조절됨을 확인
○ 캐나다 캠브리지에서는 이산화탄소뿐만 아니라 메탄 관측을 위한 시스템을 구
축하여 연속 모니터링 시도

(서울대학교 위탁과제-5)
○ MODIS 및 재분석 자료 다운로드
○ MODIS 위성 자료 좌표 투영 표준화

- 1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MODIS 위성 자료 전처리
○ 고위도 특성을 반영한 입력자료

(인천대학교 위탁과제-6)
○ 제플린 지역의 경우, 식생지수, 엽록소와 같은 생물 영향 지표의 값이 낮을수록,
해빙 농도가 높을수록 3-10 nm의 입자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성 확인(10-100 nm의
경우에는 반대의 결과를 보임)

(한양대학교 위탁과제-7)
○ 극지 환경에서 운영 가능한 WPAN/WAN 통신모듈 개발, 현장 적용
○ IoT 기술을 활용한 실시간 극지 환경 원격 모니터링 기술 확보
○ 지중온도센서, 지중수분함량센서, CO2센서, 침하율계 등 환경센서 통합운영 기
술 개발, 현장 적용

Ⅴ .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알래스카 카운실 사이트는 불연속동토지대로서 온난화에 따른 변화의 경계에
있는 지역임. 이 지역에서의 환경변화 정밀 모니터링을 통해 동토층의 해리와
온실기체 방출 여부를 감시할 수 있음

○ 다년간 축적되는 기상 토양, 식생 등 환경인자 DB를 통해 기후-동토-식생 간


,

의 온실기체 교환 프로세스를 규명하고 위성탐사자료 등과 결합해 공간적 대


표성을 획득하여 기후모델의 동토층 알고리즘 개선 및 나아가 미래 환경변화
예측 정확도 개선에 활용
○ 북극권 연안을 대상으로 한 북극권 기후연구 측정시스템 확보를 통한 활동영
역 확대 및 관련 연구 분야 (대기질, 동토층, 생물종다양성 연구, 전송기술
등)의 발전 기여
○ 동토층의 융해로 인한 지중 지표, 대기층의 교란 및 인간에게 미칠 수 있는
,

영향평가 자료 확보와 대응책 마련 정책 제시


○ 대기-동토-해양-모델링의 융합연구를 통하여 북극권 기후변화 관련연구에 대
해 미국, 러시아, 캐나다, 노르웨이, EU 그룹 등과 대등한 위치 또는 수월성
연구 분야 역량 확보 및 북극활동의 위상 제고
○ 향후 북극 전 해역 탐사 추진에 필요한 중․장기 국제공동연구시스템 구축에
활용자료 확보
○ 북극권의 대기 해양 지면 식생을 모의·예측할 수 있는 모형 개발을 통해 북극
- - -

권의 기후변화 뿐 아니라, 이 변화가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여 정책


결정의 근거로 활용
○ 지구 기후 변화와 미래형 자원 개발 연구분야에 필요한 인프라 제공
- 1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새로운 개념의 국가 및 국제 건설 인프라 창출로 국가 건설경기 부양효과


○ 급격한 북극권 기후변화에 따른 북극권 일기 및 기후 변화의 보다 정확한 예
측을 위한 모델링 기반 기술 확보를 통하여 우리나라를 포함하는 동아시아
지역의 단기 및 중장기 일기∙기후 예측 성능 향상에 활용
○ 전구 기후 진단 및 예측을 위한 모델링 기술의 확보 및 기상 기후 수문 농 , , ,

업 및 산림 분야 활용을 위한 추가 연구에 활용
○ 선도적 기후변화대응 전략 수립 및 지속성장 전략 수립에 필요한 과학적 데
이터 제공
○ 극지 환경 진단 및 미래 환경 예측의 정확성 향상을 통한 극지 미래 환경 변
화 대응력 제고를 위한 전문가 집단 구축
○ 극지 환경 감시, 진단, 예측을 위한 관측망 제안을 향후 관측망 구성시 활용

(광주과기원 위탁과제-1)
○ 장기간 나노입자 생성 특성자료를 분석하여 북극권에서 나노입자의 생성 및 성
장 원리파악에 활용.
○ 에어로졸의 발생원, 생성경로, 물리적/화학적 변화, 이동경로 파악에 기여.

(광주과기원 위탁과제-2)
○ 3차원 대기질 모델링 시스템을 구축 및 운영하였고, 구성된 시스템을 이용한
북극지역 대기질 연구에 다양한 활용가능성 파악
○ 북극지역으로 장거리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거동특성과 영향성을 정량화하고,
오존 발생 원인을 보다 정교하게 규명하는 연구가 가능 기대
○ IGAC의 PACES 프로그램과 같은 국제공동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경인여대대학교 위탁과제-3)
○ 물리 및 광학적 분석을 통한 환북극 지역 에어로졸의 광학적 특성 모사에 활용
○ 환북극권 동토지역 대기 에어로졸의 물리화학적 측정자료 및 모델 등을 통하여
물리, 화학적 인자에 따른 북극 에어로졸의 광학적 특성 및 기여 제고
○ 환북극 아이슬란드 신규 관측 지점에서 측정되는 자료를 통한 북극 지역 대기
에어로졸의 측정정보를 활용한 기후변화 영향 평가에 활용

(고려대학교 위탁과제-4)
○ 북극권 툰드라에서의 대기-토양 생태계 간의 온실 기체의 모니터링은 급격한
북극 환경 변화에 따른 메커니즘을 파악하는데 활용되어질 뿐만 아니라, 모델
링을 통한 검증 및 예측에 유용한 정보 제공

- 2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 위탁과제-5)
○ 위성 기반의 툰드라 지역 탄소와 물 플럭스 시공간 패턴 분석, BESS 구동하여
알래스카에서 평가 및 향상에 기여

(인천대학교 위탁과제-6)
○ 기후냉각물질 발생원, 이동경로 파악에 기여 가능

(한양대학교 위탁과제-7)
○ ICT 기반의 원격 관측 시스템 개발로 확보된 기술은 극지의 기후 변화 뿐만 아니
라 국내외 다양한 연구 분야에 응용 가능
○ 통신 인프라가 없는 지역에서도 고정밀 실시간 관측이 가능하여 활용 가능성

- 2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S U M M A R Y

I. Title

Establishment of Circum Arctic Permafrost Environment Change Monitoring


Network and Future Prediction Techniques (CAPEC Project)

II. Objectives and Significance of the Study

Arctic climate change is accelerating in this century and the demand for the
accurate prediction of future climate change for Arctic region is increasing. However,
current state-of-art climate models show the worst performance especially over Arctic
region. To represent current Arctic warming more precisely and to conduct reliable
future prediction, climate modelling studies based on construction of circum-polar
observing network and understanding the physical processes in the Arctic permafrost
are needed.
Many scientists predict that global warming lead to melting of the permafrost soil
and structural and functional changes of ecosystem in the Arctic and Antarctic. But
we don’t have many result in this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basic information to expect ecological changes – soil structure, decomposition of
organic matters, microbe, vascular plants, habitats, and more - from melting
permafrost soil layers. Future ecosystem change over Arctic permafrost is estimated
and comprehensive future scenarios is provided based on combined
Atmosphere-Ocean-Land-Ecosystem model. By this, we provide basic scientific inputs
to help governments climate change policy.
So, In this study, there are some objectives as followings;
- Establishments of the Arctic environment change monitoring nodes and the
state-of-the-art observation techniques for harsh environments of permafrost
- Assessments, numerical simulation and projection of the environmental change
in the context of the rapid changes in the Arctic regions and their impacts on
the mid-low latitude areas

- 2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III. Contents and Scope of the Study

(Sub-Title – 1)
○ Contents :
- Development of the in-situ/cyber-infrastructure: (i) circum-arctic environment
change monitoring nodes, (ii) state-of-the-art environment change monitoring
and analysis techniques
: Establishment the Circum-arctic monitoring nodes: (i) Alaska, USA (ii)
Cambridge Bay, Canada, (iii) Greenland, (iv) Greenland, and (v) Russia
: Participate in the international arctic research programs (long term
atmosphere-permafrost-soil monitoring)
: Development and applying the integrated atmosphere-geosphere-biosphere
monitoring system, 3D unmanned remote precision Ubiquitous Sensor Network
(USN) and GPS monitoring
: Designing and running the 'Arctic Environment Research Unit' frameworks to
support sustainable research program in the targeting areas

○ Scope :
- Understanding the correlation between carbon dioxide (CO2) fluxes with soil
characteristics and predict the responses of soil properties to soil warming
: Analysing the physico-dynamical characteristics (soil temperature, surface
energy balance, etc) of the permafrost using laser, optical technique, and
remote/in-situ measurements
: Estimation the contribution of microbial respiration and plant photosynthesis and
respiration to the CO2 production from soil
: Understanding geophysical and mechanical behavior of frozen ground correlated
with environmental change
- Soil organic carbon and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in permafrost
: Properties of soil organic carbon and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in Alaska
permafrost
: Properties of soil organic carbon and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in Korea
Arctic Research Station, DASAN and Alaska
: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in Cambridge Bay, Canada and Zackenberg,
Greenland
- Physical properties in permafrost
: Monitoring by resistivity survey on soil resistivity variation due to temperature
changes
: Correlation between soil resistivity and moisture content

- 2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광주과기원 위탁과제-1)
○ As conducting long-term on-line monitoring of the size distribution and
number concentration changes of the Arctic aerosols with the international
research team to analyze nanoparticle production data and to understand the
generation and growth of nanaparticles in the Arctic.

(광주과기원 위탁과제-2)
○ In this study, a three-dimensional chemistry and transport model (3D-CTM,
CMAQ) system for air quality and air pollution studies over the Arctic was
established. For the modeling system, model-ready input data such as
meteorological fields, emission data, and boundary condition data were
sophisticatedly prepared over the Arctic.

(경인여대대학교 위탁과제-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ment of the scientific understanding
for the Arctic aerosol optical properties based on the observation, remote
sensing data. Dasan station aerosol measurement data and newly established
Iceland observational site as well as satellite remote sensing data will be
analyzed. In addition, the optical algorithm for the aerosol radiative forcing as
well as scattering and absorption will be developed based on the remote
sensing and ground measurement data.

(고려대학교 위탁과제-4)
○ Measurement of CO2 and CH4 flux from soil surface in tundra ecosystem
using chamber method
○ Investigation of the environmental controlling factors on carbon emission and
microbial activity

(서울대학교 위탁과제-5)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quantify the changes in the spatial
temporal patterns of terrestrial energy, water and carbon cycles in a warming
world. To achieve this goal we will a concise biophysical process-based model
called the Breathing Earth System Simulator (BESS) that uses MODIS atmosphere
and land products to map GPP and ET. BESS adopted FLiES (Forest Light
Environment Simulator) to compute solar radiation using forcing data from Terra
and Aqua MODIS atmosphere and land products (Collection 6).

- 2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인천대학교 위탁과제-6)
○ Performing receptor models to determine associations between nano-particle
number concentrations and environmental variables such as terrestrial
vegetation index, ocean chlorophyll-a concentration, and sea ice concentration
using satellite-based estimates

(한양대학교 위탁과제-7)
○ Development and establishment of a highly reliable, IoT based observation system
specialized for use in monitoring climate changes in the polar regions.
- Sensor interface technology related to monitoring climate·environment
changes
- Research of optimal infrastructures for IoT networks
- IoT platform implementation feasibilities
- Optimzied techniques for overall system control

Ⅳ. Results

(Sub-Title – 1)
○ Establishments of six circum-arctic monitoring nodes and acquisition of
environmental factors
- The first node: Counsil, Alaska, USA (64°N, 165°W)
- The second node: Cambridge Bay, Canada (69°N, 105°W)
- The third node: Nord, Greenland ( 81°N, 16°W)
- The fourth node: Svalvard, Norway (79°N, 11.89°EE)
- The fifth node: Stórhofði, Iceland( Stórhofði ; 63°N, 20°W)
- The sixth node: Baranova, Russia (79°N, 101°E)
※ environmental factors 16set

- 2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Svalbard, Norway
- From the Norway arctic site, Cloud Condensation Cuclei (CCN) concentration
data collected during the period 2007∼2017 at the Zeppelin observatory,
Norway (78.91° N, 11.89° E, 474 msl), Svalbard, are analyzed.
- In addition, The Dimethylsulfide (DMS) from the same site during the
phytoplankton growth periods in 2010, 2014, 2015∼2017 were analysed, and
found regionally and temporally varying relationships between the airborne
DMS and the strength of the DMS source in the ocean surrounding the
observation site
○ Nord, Greenland
- Eddy covariance measurements of carbon exchange and energy over
permafrost at Station Nord, a High Arctic region has been made since early
2016.
- The flux data will be used to evaluate how the Arctic warming influence
the exchange process between the atmosphere and permafrost, which has
shallow active layer based on long term measurements.
○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long-term monitoring on changes
- Application of cyber-infrastructure technolgy based on Ubiquitous Sensor
Network (USN)
- Development of integrated atmosphere-geosphere-biosphere monitoring system
- 3D unmanned remote precision, remote data retrieval and its analysis based
on the USN
- Remote and realtime monitoring of large area permafrost environment based
on ICT/USN
○ Designing and running the 'Arctic Environment Research Unit' frameworks to
support sustainable research program in the targeting areas
- Collaborative research with Norway, Germany and Italy based on Svalbard
Integrated Arctic Earth Observing System
- Establishment of domestic research unit
- Collaboration for the analysis of data with University of Alaska, Fairbanks at
the first node and CNR, Italy at Ny-Alesund

(광주과기원 위탁과제-1)
○ Obtaining long-term data on the size distribution and number concentration of
nanoparticles every 3 minutes intervals during Phase 1 (2016.10 - 2017.12)
○ Observation of intense NPF events during the summer season (May-Sep)

- 2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광주과기원 위탁과제-2)
○ In the first stages, the results from WRF model simulations were validated against
data from approximate 100 meteorological monitoring stations. The correlation and
IOA (index of agreements) between the modeled and measured 2-m temperature
were larger than 0.8 for most of the stations. For the second, in order to
consider anthropogenic emissions, 0.5°×0.5° resolved data of CO, CH4, NOx,
SO2, NH3, BC, OC, PMs, and VOCs were obtained from MACCity and
ECLIPSE_GAINS inventories. For the biogenic and biomass burning emissions,
0.5°×0.5° resolved emission fluxes were obtained from MEGAN-MACC and
MACCity inventories, respectively. VOCs were chemically splitted depending on
the SAPRC-07 chemical mechanism and all emissions data were then spatially
allocated to the modeling grids with horizontal resolutions of 54km, 18km, and
6km. For the third, the hourly boundary data for inner domain over the Arctic
were extracted from the results from CMAQ simulation over outer domain (D1
domain, approximate Northern Hemisphere). The CMAQ model simulations were
carried out from May to Aug. 2008 over the Arctic (D2 domain) and areas of
Svalbard (D3 domain). Finally, we analyzed some patterns of particulate matters
(PM10) and relationship among gaseous species (O3, NO2, and PAN) over the
Arctic.

(경인여대대학교 위탁과제-3)
○ Results show that annual median CCN concentration varies on a seasonal and
monthly basis and has distinctive seasonal cycles. The high spring CCN
concentration found in this study is mainly due to long-range transport, known
as Arctic haze.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aerosol optical properties in the
Arctic region based on the ground physico-chemical observation and remote
sensing data. The satellite remote sensing data such as AOD(Aerosol Optical
Depth) and related aerosol properties from ground base measurement will be
compared. The relations between AOD and CCN are parameterized by the
season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long term trends. The results show that the
relation between AOD and CCN shows a different parameter depending on
the seasonal aerosol and CCN characteristics.

(고려대학교 위탁과제-4)
○ CO2 flux and its controlling factors were measured in moist tundra ecosystem,
Council in Alaska using automated chamber method during summer
○ CO2 flux showed various range from shrub, grass, moss, and lichen and CO2

- 2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emission was controlled by soil temperature


○ CO2 flux and CH4 flux was measured on long-term in Cambridge bay, Canada

(서울대학교 위탁과제-5)
○ Downloading MODIS solar zenith angle from MODIS Atmospheric Profile product
(MOD/MYD07_L2), dark target and deep blue combined aersol optical depth at
500 nm from MODIS Aerosol product (MOD04_L2), cloud optical thickness, cloud
top pressure, cloud top temperature, surface pressure and surface temperature
from MODIS Cloud product (MOD06_L2), total column precipitable water vapor
and total ozone burden from MODIS Atmospheric Profiles product (MOD/MYD_L2),
and land surface shortwave albedo from MODIS Albedo product (MCD43D61).
○ All the atmospheric products (MOD04, MOD06, MOD07) that were provided in
swaths were reprojected to global 0.05° grids using a nearest neighborhood
resampling approach. MERRA reanalysis data was used to fill data gaps when the
sky was not clear in MODIS aerosol optical depth, total column precipitable water
vapor and total ozone burden. To avoid mismatch of MERRA and MODISdata,
MERRA data was calibrated with MODIS data for each climate zone on each day.

(인천대학교 위탁과제-6)
○ Enhanced number concentration of 3-10nm particles with decreasing trends of
ocean chlorophyll-a and terrestrial vegetation index and increasing trend of sea
ice concentrations in the Zeppelin station

(한양대학교 위탁과제-7)
○ ICT core technology for remote observation of climatic change in the polar
region will be developed and thoroughly tested for reliability,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a wireless sensor network, environment sensor interface
technologies, data management technology and system integration operation
technology are being conducted at the polar observation site.

Ⅴ. Future Application of the Study

○ Understanding how high-latitude ecosystem changes under the global warming


and how Arctic permafrost responds
○ Contribution to the participation in the international arctic research network
via developing the Circum-Arctic monitoring nodes
○ Development of the logics and rationals to policy makers in the context of the

- 2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permafrost change and its impacts on the human life


○ Further contribution to the climate impact assessment in the mid-latitude
including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understanding the permafrost
environment change and prediction
○ Contribution to construct national climate change policy for governments by
presenting the distinguishable future climate change scenario

- 2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CONTENTS

Chapter 1. Introduction to research development ·


··
··
··
··
··
··
·33

Chapter 2. Reviews on current technologies ·


··
··
··
··
··
··
··
··
··
··
··47

Chapter 3. Methods and results ·


··
··
··
··
··
··
··
··
··
··
··
··
··
··
··
··
··
··
··
··
··
··
··
·59

Chapter 4. Research achievements and contribution to other


field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9

Chapter 5. Application plan for research products ·


··
··
··
··303

Chapter 6. Foreign scientific informations achieved by


research development ·
··
··
··
··
··
··
··
··
··
··
··
··
··
··
··
··
··
··
··315

Chapter 7. Reference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9

- 3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목 차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33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위탁 포함) ··············· 47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위탁 포함)············· 59

제 4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위탁 포함)········· 293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위탁 포함)············· 307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319


[참 고] 워크샾, 착수보고회, 논문성과, 부록(경제사회적 효과 분석) 등·· 326

제 7 장 참고문헌 (위탁 포함)··················· 343

연구성과 창출 전략 계획서(세부)··················· 362

연구개발결과 활용계획서 ····················· 365

수정·보완 사항 대비표 ····················· 372

- 3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3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3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3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총괄 개요
□ 지구 전체 면적에서 무려 9%를 차지하는 극지방은 근래에 지구온난화에 따른 빙하
감소로 이슈가 되고 있음
○ 또한 개발 가능한 자원탐색에 대한 관심도 많아지고, 이에 대한 연구를 위해 국가
들의 정책이 세워지고 있음.
○ 앞으로 확보가능한 자원개발도 사전에 연구를 많이 한 국가들에 우선권이 주어질
가능성이 높아 국가 이익에 직결될 수 있음
□ 북극권의 급격한 환경변화에 대한 동토층 지역 관측 거점 확보와 ICT 융․복합 관
측기술 개발․적용을 통해 예측 기초연구의 선제적 착수 필요 (북극권 국가 빅데이
터 확보와 진출 기득권 확보)
□ 북극권의 급속한 기후환경변화로 인한 과학적, 정치·경제적, 외교적 변화 등 글
로벌 이슈 대두 (Fig. 1.1, Fig. 1.2)
○ 북극권 기온은 최근 30년간 지구 평균의 2배 이상 상승으로 온난화 가속, 해빙
(海氷)면적의 감소(지난 40년간 약 40% 감소)로 북극권 환경변화 초래
○ 20세기 초에 비해 북극권 기온이 최근 3℃ 이상 급격히 상승
□ 북극권 연안국은 물론 비연안국 참여, 북극권의 온난화, 해빙(海氷) 면적 감소 및
동토층의 융해(融解) 현상에 대한 국제공동연구를 통한 폭넓은 정밀 모니터링과
미래 예측 프로그램 확대 추진 중
○ 북극권 5개 연안국(미국, 캐나다, 노르웨이, 그린란드, 러시아 등)을 비롯한 주변
육상 동토층 지역에서의 국제공동연구 가속화
○ 기후변화에 가장 민감한 스발바르 피오르드 지형 및 환경변화연구 추진을 위한
EU 중심 컨소시엄 구성 추진
□ 북극이사회(’96년 창설된 북극이사회는 국가간 협의체)를 중심으로 영향력 강화
추세(연안국이 영해 및 EEZ에 주권적 권리 행사)
□ 최근 북극은 지구 이상기후에 따른 자연환경적인 변화의 척도이자 에너지와 자
원·식량문제 해결을 위한 개발 가능성 고조
※ 북극과 같은 미개척 영역에서의 과학·공학 시장의 선점 측면에서의 정밀 기후
환경변화 진단과 예측, 미래 에너지 자원 개발 및 첨단원천기술의 확보와 실용
화 등 국가차원의 연구개발 및 원천기술 확보
※ 글로벌 이슈에 대응과 국제사회 동참 및 우리나라의 국익 확보와 과학발전에
기여할 접근성 강화 필요
- 북극권의 급격한 환경변화에 대한 동토층 지역 관측 거점 확보와 ICT 융․복합 관
측기술 개발․적용을 통해 예측 기초연구의 선제적 착수 필요 (북극권 국가 빅데이
터 확보와 진출 기득권 확보)
○ 북극권은, 영토권 주장이 유보된 남극권과는 달리, 연안국들의 주권행사가 강하
게 주장되고 있는 지역이므로, 우선적으로 환경변화 연구 등 과학연구를 국제공
동으로 수행하며 진출 기반 마련과 국제사회에 기여 필요

- 3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총괄 개요
○ 캐나다 오타와에서 회원국, 옵서버, 워킹그룹, 회의개최 방식, 의사규칙 제정 등
9개 조항을 담은 북극권 정부간 협의 및 북극이사회(정부간 포럼, Arctic
Council) 설립선언문 채택(‘96. 9. 16), 우리나라의 북극권 활동영역 확대를 위한
북극이사회 참여 및 활동 필요성 대두(한국은 2009년부터 잠정옵서버 활동)
○ 또한, 우리나라는 북극해 지역내 북극권 국가들의 진출 노력 확대 및 북극권 국
가들의 호응을 얻어 2012년 9월에 스발바르 조약 가입, 2013년 5월에 북극이사
회의 정식옵서버에 가입함으로서, 보다 활발한 북극연구활동의 기반을 마련하고
있음
○ 북극권 육상과 대기 환경변화 자료를 기반으로 국가 차원의 대응방안 도출 및
북극권(동토층 등) 진출을 위한 전략 수립 마련 필요. 과거와 현재 진행되는 현
상을 진단하고 미래 변화를 예측하고 향후 북극해 진출 시점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 필수
○ 그럼에도 아직 우리나라에서 북극권의 환경변화에 대한 체계적이며 효과적인 관
측망의 구성이나 온난화에 따른 영구동토층의 변화 관찰과 한반도로 파급될 수
있는 연구는 아직 미미한 실정이므로, 이에 대한 다각적이며, 체계적인 연구활
동이 필요함에 따라, 본 사업을 개발하고 수행하고 있음

Fig. 1.1. Global issue in the Arctic region.

- 3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1.2. Scientific interesting about the Arctic environmental change.

- 3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추진 근거]

○ 2009∼2011년 : 과학기술기본계획(577전략)과 국과위 안건과의 부합으로 추진


※ 극지연구 활성화를 위한 정부차원의 해양극지기초원천기술개발사업 시행계획
(’09.04) 수립(새로운 극지연구분야 개척 및 국가 차원에서 필수 대응기술 개발
등 포괄)
○ 2011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 기획보고서와의 연계성으로 추진
○ 2012년 극지전략 수립안 제시 및 VIP의 그린란드 현장 방문 지원(극지연구소-덴
마크 Aarhus 대학과 MOU 체결)
○ 2012년 9월 우리나라는 스발바르 조약에 가입하여 군도와 주변 수역에 대한 자유
로운 연구활동과 자원탐사 및 개발권 확보
○ 2013년 박근혜 정부 140대 국정과제 “극지에 대한 전략적 개발 및 활용 추진”
포함, 2013년 5월 우리나라 북극이사회 정식옵서버 가입에 따라“북극정책 전반
에 대해 범정부 차원의 협의를 통해 종합 청사진을 마련할 것”을 대통령 지시
(5.20/수석비서관 회의)”
○ 2013년 12월 정부 7개 부처 합동「북극정책 기본계획」수립, 발표
○ 2014년 1월 미래창조과학부 발표, 「국가중점과학기술전략로드맵」의 5대분야 30
개 기술 ‘환경통합모니터링 및 관리기술’, ‘기후변화 감시·예측·적응 기
술’, ‘유용유전자원이용 기술’및 ‘ICT 융합 빅데이터기술’ 등에 극지기초원
천관련 기술개발 항목 추진(2014년 6월, 2단계 5개년“극지기초원천기술개발사업
기획연구”시행)
○ 2014년 9월 박근혜 정부의 한-캐나다 북극연구 활성화 공동성명 발표
○ 2015년 11월 박근혜 정부의 한-아이슬란드 북극연구 활성화 협의
○ 2016년 7월 외교부 한-러 고위급 회담 시행(한-러 북극공동연구 활성화 협의)

본 과제에서는 총괄적으로 북극권 이사회 8개 국가 중 북극해 연안 6개 국가(미국,


캐나다, 그린란드(덴마크), 노르웨이(스발바르), 아이슬란드, 러시아 등)내 동토 지역에
관측 거점을 확보하고 정상적으로 가동하며, 동토층에서의 대기-생태-식생 등 환경물리
학적 특성과 북극권 온실 기체 변동 요인인 동토층 유기탄소 및 미생물의 특성을 이해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세부과제에서는 각 거점에서의 동토층에
서의 온난화 기체 특성 관측 및 분석, 전자통신학적 자료 전송시스템 구축과 적용 등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사업의 철학(Fig. 1.3)은 을 근거로 작성한 로드맵(Fig. 1.4)에 의거하여 개략적으
로 기술하였다. 한편, 본 사업의 특성상 접근하기 어렵고 북극권 국가들만의 주권행사
지역에서의 환경변화 연구 수행이라는 특수성을 최대한 감안하기 위하여, 과학적/정책
적/국제적 접근 방향을 설정하고 충분한 사전종합분석-국제협력 추진-거점확보 및 시스
템 구축-확보된 거점에서의 지속적 모니터링-양질의 자료 확보와 모델링을 통한 예측

- 3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등의 연구 흐름성을 유지 발전시키면서 계획된 연구의 성공적 달성을 위해 노력하였다.


아래 Fig. 1.5는 그러한 연구흐름도를 나타낸 것이고, Fig. 1.6은 연구 내용간 연계도를
표시한 것이다.

Fig. 1.3. Philosophy of this CAPEC project.

Fig. 1.4. Research roadmap of this section.

- 3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1.5. Research processes of this CAPEC project.

Fig. 1.6. Concept diagram of this research.

- 4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과제는 북극권 글로벌 이슈 대응과 정부추진 미션 수행을 위해, 북극해를 둘러싼 미


국, 캐나다, 그린란드(덴마크), 노르웨이, 러시아 등 북극이사회 국가를 대상으로 환북극
권 동토층 지역(Circum-Arctic Permafrost Area) 환경변화 관측 거점을 확보하고, 관측
거점에 적용할 첨단 측정시스템/원천 요소기술을 국제 공동 및 산학연 공조 유니트 체
제하에서 개발하여, 북극권 환경 변화 과정 이해 및 예측을 위한 정보 제공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환북극 동토층 관측 거점 즉, 제1거점으로 미국 알래스카 카운실, 제2
거점으로 캐나다 누나타 준주의 캠브리지 베이, 제3거점으로 그린란드 자켄버그와 그
이북의 노르드 그리고 제4거점으로 노르웨이의 북극 스발바르(다산과학기지 주변) 관측
지에 대해 조사하였고, 관측 시스템을 설치하였다(Fig. 1.7). 제1, 2, 3, 4 거점 관측지에
는 관측 시스템이 설치 및 운영 중이며, 제5거점으로 아이슬란드 스토르호푀이 거점이
2016년 설치되었고, 제6거점으로는 러시아의 바라노바 관측소를 한-러 공동 거점으로
활용키로 하며 설치되어, 현재 에너지 플럭스를 측정하고 있다(Fig. 1.8).

Fig. 1.7. Observational nodes in the area of each Arctic Council countries.

- 4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1.8. Characteristics specification of each observational nodes.

관측 거점은 북위 64도에서 79도에 이르며, 북극을 대표하는 지역에 위치한다. 기온은


제2거점인 캠브리지 베이의 기온이 가장 낮은 영하 33도에서부터 여름철에는 11도 이
상이다(Table 1). 지역에 따른 강수량의 차이와 함께 관측지의 활동층의 깊이, 토양 수
분 및 식생의 종류가 상이하다. 북극 지역의 온난화에 따른 주요 생태 지역의 반응은
향후 북극 지역 온난화에 대한 이해에 매우 중요하며, 한편, 북극 동토층 관측지로의
접근의 어려움, 전원 및 통신 인프라의 부족으로 인한 양질의 자료 생산 및 안정적인
자료의 확보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동토층 지하로부터 대기에 이르는 통합 환경 감시
시스템을 유비쿼터스센서네트워크(USN; Ubiquitous Sensor Network) 기술에 기반하여 개
발하고 각 거점에 적용하였고, 각 관측 거점은 미국, 캐나다, 그린란드, 이태리, 노르웨
이, 독일, 프랑스 등 국제 협력 연구를 수행하는 국외 연구팀과 공조하여 연구 및 관측
시스템을 유지하고 있다.
한편, 극지역의 변화는 금세기들어 더욱 가속화하고 있으며, 이 지역의 기후 변화 메
커니즘 규명 및 정확한 미래기후 예측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나, 현재의 기후 모형은
극지역에서 예측성이 가장 좋지 못하다. 북극 온난화의 현실적 모의 및 보다 정확한 전
지구 미래 기후예측을 위하여 환북극 관측망 구축과 영구동토층 물리과정의 이해에 기
반한 모델링 연구가 요청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북극권 대기-해양-토양-식생 통
합 기후모델을 이용하여 영구동토층의 생태계 시스템의 변화를 예측하고 통합 모델을
이용한 시나리오를 작성함으로서 정부의 북극 온난화에 따른 한반도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과학적 근거자료를 제시코자 한다.

- 4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북극 6개 연안국 동토지역 대상 환북극 관측거점 확보 실적


- 미국 알래스카 거점 확보(2011년) : 100% 수준 운영
- 노르웨이 스발바르 거점 확보(2012년) : 100% 수준 운영
- 캐나다 캠브리지베이 거점 확보(2012년) : 100% 수준 운영
- 그린란드 노르드 거점 확보(2015년) : 80% 수준 운영(측정시스템 강화 계획 중)
- 아이슬란드 스토르호푀이 거점 확보(2016년) : 100% 수준 운영
- 러시아 거점 확보 : 50% 수준 운영(2017년 하반기에 측정시스템 설치, 향후 정상
가동 노력 중)

※ 환북극 동토층 관측거점별 입체형 측정시스템 구성도


- 각 관측거점별 지중/토양/대기층의 종합 환경 관측시스템 설치, 운영(Fig. 1.9)
- 무인 원격 자동자료전송시스템(USN, Iridium 전송시스템 등) 운영

Fig. 1.9. Schematic diagram of USN in the observational node.

- 4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과제 세부 추진 경과]

□ 북극권 동토층 환경변화 관측거점* 확보 및 기초ㆍ원천기술 개발 연구** 수행


* 북극이사회 5개 국가 동토 지역[미국(알래스카), 캐나다(캠브리지베이), 노르웨이
(스발바르), 그린란드(자켄버그/노르드), 러시아] 지역에 대한 관측거점 확보 계
획 수립 및 4개 지역에 관측 거점 확보(단, 러시아 지역은 국내외 사정에 의해
2016년 7월 현재 러시아 측과 한-러 북극공동연구를 위한 협의 중)
** 동토층의 대기/생물/토양 등 유비쿼터스센서네트워크(USN) 구축 및 입체형 무인
측정시스템/전송기술 개발(cyber-network), 적용
○ 북극이사회 참여 국가와 협력 강화
※ 북극 연안 5개국 및 EU 북극 연구 국가와의 지속적 국제공동연구 체제 마련 및
가동
□ 북극이사회 정식옵서버 자격으로 북극이사회 북극해 연안국(미국, 노르웨이, 캐나
다, 그린란드, 아이슬란드, 러시아 등 6개국 등) 및 독일, 스웨덴 등 연구기지 운영
국과의 국제공동연구 추진
○ 노르웨이/독일/프랑스/이태리 등과 스발바르 국제공동 인프라 활용 및 환경변화
감시 시스템 운영(한국 ‘12.9 스발바르조약 가입)
○ 그린란드(덴마크) : 극지연구소-덴마크 Aarhus 대학과 MOU 체결
(2012년 VIP 그린란드 방문시 한-덴마크 북극공동연구 협약, 2015년 10월 노르드 관측 거점
확보 및 측정시스템 설치 운영 중)
○ 아이슬란드 북극공동연구 협의(‘15.11.10 아이슬란드 대통령 한국 방문시 한-아
이슬란드 정상회담 의제 및 극지연구소와 협의, 2016년 10월 한-아 북극공동연
구 협약(LOU) 체결 완료-아이슬란드 스토르호푀이 거점 확보와 기후냉각물질
측정시스템 설치 가동 중
○ 러시아 북극공동연구 협의(‘16.7월중 외교부 장관의 러시아 방문 중, 러시아 극
지연구소와 한-러 북극공동연구 협의, ‘16.12월 한-러 북극공동연구 협약
(MOU) 체결 완료-러시아 바라노바 거점 확보 및‘17.10월 관측 거점에 에너지
플럭스 측정시스템 등 설치 완료, 가동 중
○ 한-미, 한-캐 환경변화 공동연구 수행 및 현지 실험실 설치 협의
※ 미국 알래스카패어뱅크스대학 NWC에 한-미 북극공동연구실 설치(‘15.7) 완료 및 정
상 가동
※ 캐나다 현지 실험실 설치 협의(CHARS(Canadian High Arctic Research Station), ‘17년
완공, ‘18년 상반기 중 정상적 오픈 예정 ) - 2014년 VIP 캐나다 방문시 한-캐 공동성명 발
표(‘17년 중 우리나라 연구원들의 CHARS 방문시 하계연구활동 및 숙소, 시설 제공받음)

- 4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전문 용어 해설

전문 용어 주 요 내 용 비고
환 북극 ▪북극해와 이를 둘러싼 북극권 대륙의 북극해 연안 지역을 포괄하는
(Circum-Arctic) 공간적인 개념
▪동토층 이란 땅속 온도가 연중 0℃이하를 유지하며, 항상 동결
되어 있는 층으로 육지의 20~25%를 차지
동토층
▪동토층으로부터 메탄을 비롯한 온실기체의 방출량 증가, 토양구조
변화, 대기 - 활성층 - 동토층간 환경변화 등 연구
▪알래스카․캐나다․시베리아의 동토층에 설치할 연구 사이트, 관측
환 북극
기법 등의 종합 패키지
환경변화
▪대기 - 표층 - 동토층 등의 종합적 연구대상을 특성화하여 북극권
관측 거점
환경변화에 따른 물질이동 중점 연구 수행
▪북극해 해빙(海氷)의 면적이 북반구의 여름철에 평년값의
북극권 급속 50~60% 수준으로 북극해 중심 환경변화 급속화
환경변화 ▪북극지역의 급격한 환경변화는 해수에 의한 열에너지 순환, 동토 온
실기체 방출 등으로 한반도 환경변화에 영향을 줌
▪환경변화에 관한 지식을 컴퓨터로 모델링하여 재현하고, 과거 - 현 미래
재 - 미래의 예측 시나리오를 생산하는 연구 방법 예측의
수치 모델링
▪과거 환경변화의 이해, 현재 진행 중인 환경변화 관측, 환경변화 필수
인자-현상들 간 상호 작용 축적 등 수단
▪1873년 결성된 국제기상기구(IMO)의 후신으로 1951년부터 활동을
세계기상기구 시작한 국제연합의 특별기구
(WMO) ▪세계적인 기상관측체제의 수립, 관측표준화, 국제적인 교환, 국가
간 기상 서비스의 개발 등을 추진
세계대기감시 ▪세계기상기구 대기조성의 연속관측 및 잠재적 영향을 줄 변화
프로그램 영향에 관한 연구 프로그램
(GAW) * Global Atmosphere Watch
북극 환경 관측 ▪‘10년부터 북극연안국 주도의 대기/동토층/생태계 등 환경 변
네트워크 화에 대한 지속적 북극 관측 프로그램
(SAON) * Sustaining Arctic Observing Networks
북극권
▪북극이사회 및 WMO 제15차 총회에서 승인된 SAON의 시범사업
스발바르 종합 국제공
▪스발바르지역은 12개 국가가 과학기지를 통해 북극연구 활동
북극관측시스템 동연구
수행
(SIOS) 창구
* Svalbard Integrated Arctic Observing System
일환
연구
▪주관연구기관 주도하에 관측 거점 종합 설계 및 기술개발과 미래
환북극 수행의
예측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사업 체제
연구 유니트 효율성
* Arctic Environment Research and Forecasting Unit
제고
▪극지 동토층 지역에서 지하로부터 대기까지(동토층-표층-식생-대기) 집약적
입체형 관측 의 환경변화에 대한 극지용 관측기술개발 측정
기술개발 ▪관측과 자료집록, 자료전송이 가능한 연직형 관측구조 기술
극지용
▪무인 물리현상 파악, 조절, 현상 및 자료수집, 시공적 환경변화
유비쿼터스 센서 전용
인자의 지속적인 감지 기능성 네트워크
네트워크 (USN) 기술
* Ubiquitous Sensor Network
개발

- 4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4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4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4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 1 절 국내 기술개발 현황

1. 제 1 세부과제
○ 극지연구소를 중심으로 북극다산과학기지에서 지중온도와 이산화탄소 플럭스 측
정, 정상기상 관측, 구름입자 관측, 고층대기 현상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으나, 지
역적으로 북극권중 노르웨이의 스발바르 군도에 한정되어 있고, 미국-캐나다-러
시아-그린란드 등 광범위한 동토층 지역에서의 환경변화 연구를 위한 관측 거점
확보는 전무함(이 사업의 주제는 국내에서 최초 시도되는 unique한 내용임)
○ 국내에서는 본 사업이 유일하게 북극이사회 8개 국가 중 6개 국가의 동토층 지역에
관측 거점을 확보하고, 북극권 환경변화에 대한 양적/질적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
있음
○ 극지연구소, 포항공과대학교, 광주과학기술원이 주도하여 대기 기후냉각물질(에
어로졸, 기후냉각가스 등)간 상호작용 및 발생기작에 관한 연구 수행
○ 극지연구소는 1단계 해양극지기초원천기술사업을 통해 고위도 환북극 지역에서의 탄소순
환 모델링 기반기술을 확보한 바 있음. 그러나, 종합적인 탄소, 질소 순환을 고려한 생지
화학 모델링 연구는 수행된 바 없으며 국내 기술력 전무한 수준
○ 국내에서는 일부 연구진들에 의해 기후변화모사실험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극지역에
서 기후변화모사실험을 진행하는 국내 연구진은 전무함
○ 종합적으로, 우리나라에서 북극권의 환경변화에 대한 체계적이며 효과적인 관측
망의 구성이나 온난화에 따른 영구동토층의 변화 관찰과 한반도로 파급될 수 있
는 연구는 아직 미미한 실정임
○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기술의 활용은 국가적으로 매우 중요하며 사회
적 파급효과가 큰 에너지, 원자력, 우주항공, 해양, 자원, 철도, 표준, 과학기술정
보, 극지분야 등의 공공기술 분야에 IT/USN 기술의 접목이 요구되고 있으며 국
내외적으로 현재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외적으로
USN 기술을 극지환경 관측에 적용한 사례는 없음
○ IT/USN 기술은 인간의 개입 없이도 물리적인 현상을 파악하거나 조절, 사람이
접근할 수 없는 영역에서의 현상 수집, 과학적 연구 활동에 원천이 되는 중요한
데이터의 수집, 시공간으로 변하는 환경 인장의 지속적인 감지 등을 가능하게 한
다. 이런 장점을 갖는 IT/USN 기술을 활용한 본 연구개발 사업은 산업체에서 독
자적으로 수행하기 어려운 공공기술을 실제 개발하여 극지에 적용한 사업으로
국가 기반산업의 효율성 제고 및 과학기술 활동에 파급효과가 매우 큰 최초의
사례임

2. 북극권 나노입자 생성 및 에어로졸 특성 연구(광주과기원 위탁과제-1)

○ 국내에서 북극 에어로졸(aerosol)의 연구는 주로 극지연구소에서 남극 및 세종

- 4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기지에서 주로 수행되었지만 대기 중 입자들의 수 농도 (particle number


concentration)의 변화에 대한 연구에 국한되었었음
○ 하지만 입자들의 수 농도 변화 측정을 가지고는 입자들의 생성원, 성장기작 등
극지역 에어로졸의 화학적 특성을 명확하게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북극
에어로졸의 기후변화 영향을 파악하기가 난해함
○ 본 연구와 관련된 에어로졸의 다양한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y)을 동시에 연속 측정하는 연구는 국내에서 전무함

3. 극지 대기오염 및 기후변화 연구를 위한 대기질 모델링 시스템 개발 및 활

용(광주과기원 위탁과제-2)
○ 국내 대기오염연구는 주로 동아시아들 대상으로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나, 극
지환경에 대한 대기오염 연구는 매우 드물게 수행되는 실정이다. 극지연구소에서
는 북극지역을 대상으로 에어로솔의 생성 및 특성에 관한 연구와 온난화 기체에
대한 대기질 관측이 수행되고 있고, 광주과학기술원 박기홍 교수 연구팀에서 극지
환경 나노입자 생성 및 발생 연구와 아라온 항로를 따라 나노입자의 흡습성, 휘발
성, 에어로솔의 혼합상태를 실시간 측정하는 연구가 수행되고 있음
○ 지상 관측이외에 MODIS 및 GOCI 인공위성 센서를 활용한 대기연구는 연세대학교
김준 교수 연구팀을 중심으로 에어로솔의 광학특성 산출 및 위성으로부터 에어로
솔 성분을 구분하는 연구가 수행되어 왔고, 앞으로 발사 예정된 GEO-KOMPSAT의
GOCI-II와 GEMS센서로부터 에어로솔 및 기체상 물질 자료 산출을 위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음
○ 3차원 화학수송 모델링을 이용한 극지 대기오염 연구는 국내에서 전무한 실정이
고, 동아시아 지역을 대상으로 기체상 및 입자상 물질의 시공간적 분포와 2차 입
자상 물질의 생성기작에 관한 연구, 이들 입자상 물질의 광학특성을 기반으로 복
사강제력 산출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그 외에도 다수의 연구그룹으로부터
대기오염 시스템을 구성하여 대기질 예보를 수행 중임 (국립환경과학원 대기질예
보센서, 광주과학기술원, 서울대학교, 아주대학교, 부산대학교 등)

4. 환북극권 대기 에어로졸의 광학적 특성 연구(경인여대대학교 위탁과제-3)


○ 에어로졸에 의한 기후변화 영향 평가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에어로졸의 특
성과 관련된 연구는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지상관측을 통한 성분분석등 직접
적 측정과 인공위성이나 스카이라디오미터(Skyradiometer), 선포토미터
(Sunphotometer), 라이다 등 원격탐사(remote sensing)의 결과해석을 통하여 에
어로졸의 특성을 밝히고자하는 간접적 방법(indirect method)등의 연구가 진행

○ 예를 들어 대기에어로졸의 광학적 특성에 대한 skyradiometer등을 통한 측정결

- 5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과의 해석이나 크기분포의 retrieval에 관한 연구 등이 수행되고 있고, 대기 에


어로졸의 CCN 농도 측정 및 구름생성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연구가
대기과학 및 대기환경분야에서 주로 수행 (Sohn et al., 2007; Yum et al., 2007;
윤순창 등, 2010; 김영성, 2011).
○ 북극권과 같이 장기간에 걸친 측정자료를 올바르게 해석하고 분석하기 위해서
는 이러한 에어로졸의 다분산적 특성과 물리화학적 특성을 고려한 광학적 모델
의 개발 등에 대한 기초적, 이론적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며, 특히 물리화학
적 특성에 기반한 에어로졸의 광학적 특성에 대한 이론적 연구는 비교적 최근
들어 진행되고 있음
○ 극지 연구와 관련하여서는 극지연구소에서 북극 다산기지에 위치한 Zeppelin
Station에서의 CCN 에어로졸의 측정결과를 분석하여 북극지역의 대기 에어로졸
과 이들 에어로졸이 구름응결핵으로 작용시의 특성 등을 분석하고 있음

5. 북극 툰드라에서의 온실기체 모니터링과 조절인자 규명 연구(고려대학교 위

탁과제-4)
○ 극지연구소를 중심으로 북극 노르웨이 다산기지 주변에서 이산화탄소 플럭스가
측정되고 있으나 노르웨이의 스발바르 군도에 한정되어 있음
○ 극지연구소에서는 알래스카에 새로운 관측 거점을 구축하고 동토의 환경변화에
따른 온실기체 모니터링을 위한 기본적인 시스템을 구축하고, 토양 및 식생에
관한 기본 조사를 실시한 바 있음
○ 국내에서는 자동 챔버 시스템을 이용한 토양호흡 측정과 에디공분산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플럭스 타워 시스템을 산림과 농경지 등 다양한 생태계에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음

6. 위성 기반의 툰드라 지역 탄소와 물 플럭스 시공간 패턴 분석(서울대학교 위

탁과제-5)
○ 위성으로 측정된 1982 -2008년도 사이의 정규식생지수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와 재분석 온도 자료는 생장시기가 길어졌음을 보이는
연구가 진행되어, 최근 10년간의 식물 생장의 변화가 봄의 개엽 보다 길어진
가을의 잎의 노쇠에 더 큰 영향을 받았다고 보고했음(Jeong et al., 2011).
○ Park et al., (2015) 은 1982-2011년도 북반부 아한대 수림에서 계절 변화에 따
라 겨울 휴면기에서 여름철 성숙기 사이에 식생 성장 속도가 얼마나 변화했는
지 연구한 바 있음.
○ Kim et al., (2016) 는 툰드라 생태계인 카운실 알래스카에서 forced diffusion
(FD) 챔버를 이용해 토양 이산화탄소 방출을 측정했다. 이로써 툰드라 생태계
에서 온도와 해동 깊이가 토양 이산화탄소 방출에 중요한 요인들인 것을 밝혔음

- 5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산화탄소 방출량을 지배하는 요인들을 찾기 위해 Kim et al., (2014)은


hierarchical Bayesian (HB) 모델에 토양 온도, 토양 수분, 식생 종류 그리고 해
동 깊이를 이용하여 분석했다. 이 연구는 이산화탄소가 북극의 투석(tussock)
툰드라에서 제일 많이 방출 되었고, 토양온도가 이산화탄소의 계절 변화를 조
절하며, 토양 수분은 연간 이산화탄소 방출 변화에 영향을 끼쳤다는 것을 밝혀
냈음

7. 대기이동궤적 자료를 활용한 환북극 동토-대기-해상의 기후냉각물질 주요발

생원 추적 연구 (인천대학교 위탁과제-6)
○ 국내에서는 기후냉각물질의 전구체인 DMS와 관련된 연구가 극지연구소와 포항
공과대학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음
○ 북극 스발바르 지역에서 측정한 DMS 관측자료를 극지역에서 바람 방향과 인공
위성 엽록소와 비교하여 DMS의 예상 발생 해역을 추정하는 연구가 진행된 바
있음(Park et al. 2013)

8. ICT 기반의 융복합 극지 환경 관측 시스템 개발(한양대학교 위탁과제-7)

○ ICT 기반의 원격 관측 시스템은 극지의 기후 변화 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응용


될 수 있으며, 통신 인프라가 없는 지역에서도 고정밀 관측에 가능하여 다양하
게 활용 될 수 있으므로 시장 규모는 매우 큼 Campbell Scientific사의 제품도
이런 추세에 있음
○ 최근에 새로 도입되는 시스템은 주로 900 MHz 대역의 통신으로 센서와 근거리
통신망 기지국을 연결하고 있는데 센서와 기지국 사이의 거리는 수백 미터까지
가능하며, 전력 차원에서는 AA 건전지 두 개로 (15분 polling 주기) 일 년 동안
데이터 수집이 가능함

- 5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 2 절 국외 기술개발 현황

1. 제 1 세부과제
○ 극지역에서의 현상의 강한 증폭(amplification)으로 보다 강력한 되먹임(feedback)
과정에 의해 적도와 중위도보다 극지역이 훨씬 빨리 더워지고 있음이 보고되었
다. 이에 ‘최근 급변하는 북극권 환경이 우리나라는 물론, 전 지구에 미치는 파
급영향은 어떠하며 미래는 과연 어떻게 될 것인가?’ 하는 글로벌 이슈에 대응
하는 북극권 환경변화 연구가 국제적으로 강화되고 있음
○ 토양의 동결-융해로 인해 생지화학적인 특성의 변화에 관한 연구가 전세계적으
로 진행되고 있으나, 농경지와 산림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경우가 많음(Philips
and Newlands, 2011)
○ 토양의 동결과정에서 수반되는 건조현상에 의해 토양입단의 안정도에 대한 연구
가 있음(Dagesse, 2011). 이 연구에서 더 나아가 본 연구진에서는 실제 북극지역
에서 반복되는 동결-융해 과정에서 토양입단의 안정도의 변화, 반복되는 동결에
의한 수분 소실 정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계획임. 이 결과를 토대로 동결-융해
가 토양의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됨.
○ 북극권 동토층은 전지구적인 탄소의 저장고이나, 다른 지역보다 기후변화에 취
약하고 이는 온실기체 발생 증가와 직결된다는 다수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여
러 국가에서 북극권 동토층의 중장기적인 탄소 모니터링 필요성을 높게 평가하
여 연구가 이뤄지는데, 특히 영구동토층을 확보하고 있는 국가들(러시아, 북유럽,
미국, 캐나다 등)이 그 중심에 있음. 우리나라는 북극권 영구동토의 연구에 후발
주자이나 최근 북극이사회 옵서버 국가 자격을 얻어 앞으로 활발한 연구활동을
기대하고 있음.
○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영구동토의 융해가 가속화되어 활동층(active layer)의 두
께가 깊어지고 불연속 영구동토가 확대되고 있음. 이러한 영구동토의 융해는 지
형의 변화를 야기하여 그 결과 다양하고 독특한 지형이 형성되는데, 대표적으로
thermokarst, active layer detachments, thaw slump 등이 있음(Rowland et al.,
2010). 이러한 지형의 변화는 국소적으로 일어나기도 하지만, 광범위한 면적에
걸쳐 일어나기 때문에 원격탐사(remote sensing)를 통해 연구가 진행됨
(Morgenstern et al., 2011).
○ 계절의 변화에 의해 영구동토층 토양은 반복적인 동결-융해를 거치게 됨. 이러
한 토양의 동결-융해는 토양의 생성작용 뿐만 아니라 토양의 구조, 안정도, 수리

- 5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특성, 토양 내 양분의 동태 등에 큰 영향을 미침(Grogan et al., 2004, Sjursen et


al., 2005).
○ 특히, 영구동토 지형의 불안정화는 이산화탄소 및 메탄 등의 온실가스 방출을
가속화시킴. 또한 영구동토 융해에 의한 습지의 확대는 메탄 생성에 좋은 환경이
되고, 최근 융해된 영구동토에서 새로운 메탄생성균이 발견됨에 따라 습지화된
영구동토에서의 온실가스 방출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Paytan et al.,
2015).

2. 북극권 나노입자 생성 및 에어로졸 특성 연구(광주과기원 위탁과제-1)


○ 본 연구와 관련된 국외 기술현황은 개념정립 단계라고 할 수 있으며 북극 현지에
서 에어로졸 연구는 일부 협약된 국가들에 의해서만 진행되어지고 있는 실정임

3. 극지 대기오염 및 기후변화 연구를 위한 대기질 모델링 시스템 개발 및 활용(광주과


기원 위탁과제-2)
○ 극지 대기연구는 아직까지 많은 불확실한 요소가 존재하고 있고, 이런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북미 및 유럽 국가를 중심으로 지상 및 항공관측 캠페인과 인
공위성 원격측정 및 모델링을 이용한 공동연구가 수행되고 있음
○ 특히, 2007년-2008년은 극지의 해 (IPY)로 지정되어, 이 기간 동안 POLARCAT-IPY
(Polar Study using Aircraft, Remote Sensing, Surface Measurements and Models,
of Climate, Chemistry, Aersosols, and Transport-International Polar Year)와 같은
캠페인이 수행되었다 (Table 1 참조).
○ 미 항공우주국 (NASA)의 ARCTAS (Arctic Research of the Composition of the
Troposphere from Aircraft and Satellite) 미션은 POLARCAT의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수행되었고, 하버드 대학, 하버드-SAO, 펜실베니아 대학, NCAR 토론토 대학, UMBO,
UNH, NILU 등 많은 기관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이 미션을 통해 다음과 같은 목적과
주제를 다루었음
1) 북극지역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장거리 이동
· 북극으로 유입되는 다양한 오염물질의 이동경로?
· 다양한 발생원에 대한 기여도 및 발생원지역의 수용지역의 관계는 무엇인가?
2) 아한대 수림대의 산불로 인한 대기질 영향성
· 아한대 수림대 산불의 배출량은 얼마인가?
· 산불 플룸의 화학적 변환과정은 무엇이고 어떻게 변환하는가?
· 아한대 수림대 산불에 의해 발생된 에어로솔의 광학적 특성은 무엇인가?
· 아한대 수림대 산불이 지역 및 전구묘모 대기화학 조성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 5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Table 2.1. POLARCAT-IPY 및 관련 관측캠페인 (Law et al., 2014)


캠페인 기간 관측, 지역 주제 및 목적 참고문헌
Dornier 228-101 (Polar-2),
a Deutsches Zentrum für Luft- Arctic cloud and aerosol Gayet et al.
ASTAR Mar.-Apr. 2007
und Raumfahrt (DLR) properties (2009)
Falcon-20
b Aerosol plus radiation Brock et al.
ARCPAC Mar.-Apr. 2008 NOAA WP-3D (0-7km)
budget (2011)
Aerosols, O3 Jacob et al.
ARCTAS-A & Apr. 2008/ Jul. NASA DC-8 (0-12km), NASA
photochemistry, boreal (2010), Fuelberg
ARCTAS-B c 2008 P-3B (0-7km)
fires, satellite validation et al. (2010)
de Villiers et al.
POLARCAT- Mar.-Apr. 2008, Pollution transport (aerosols
French ATR-42 (0-7km) (2010), Pommier
France Jun.-Jul. 2008 & O3)
et al. (2010)
POLARCAT- Roiger et al.
Jun.-Jul. 2008 DLR Falcon-20 (0-11km) Pollution transport (O3)
GRACE d (2011)
YAK-AEROSIB
e Jul. 2008 Russian Antonov-30 (0-6km) Siberian fires Paris et al. (2009)

f Origins of aerosols over Frossard et al.


ICEALOT Mar.-Apr. 2008 NOAA RV-Knorr ship
Arctic Ocean (2011)
g McFarquhar et al.
ISDAC spring, 2008 NRC Convair-580 (0-6km) Aerosol-cloud properties
(2011)
h Aerosol optical and Tomasi et al.
POLAR-AOD 2007-09 Surface measurements
radiative properties (2012)
Quinn et al.
i Air mass origins and trends
IASOA Continuous Artic surface sites (2009), Hirdman
of aerosols, O3, CO
et al. (2010)
j Vertical O3 distribution & Tarasick et al.
ARC-IONS Periodic 2008 Ozonesonde (multiple sites)
origins (2010)
k O3/nitrogen photochemistry Thomas et al.
GSHOX Summer 2008 Sumit, Greenland
over snow (2012)
a
ASTAR: Arctic Study of Tropospheric Aerosol, Clouds and Radiation.
b
ARCPAC: Aerosol, Radiation, and Cloud Processes affecting Arctic Climate.
c
ARCTAS: Arctic Research of the Composition of the Troposphere from Aircraft and Satellites.
d
POLARCAT-GRACE: POLARCAT-Greenland Aerosol and Chemistry Experiment.
e
YAK-AEROSIB: YAK-Airborne Extensive Regional Observations in Siberia.
f
ICEALOT: International Chemistry Experiment in the Arctic Lower Troposphere.
g
ISDAC: Indirect and Semi-direct Aerosol Campaign.
h
POLAR-AOD: Polar Aerosol Optical Depth.
i
IASOA: International Arctic Systems for Observing the Atmosphere.
j
ARC-IONS: ARCtic-Intensive Ozonesonde Network Study.
k
GSHOX: Greenland Summit Halogen-HOx Experiment.

3) 북극지역 에어로솔에 의한 기후변화


· 북극 haze와 아한대 수림대 산불로부터 복사강제력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 장거리 이동되는 플룸의 변환과정은 어떻게 되는가?
· 북극지역의 black carbon (BC)의 주요 공급원은 무엇인가?
· BC의 건식 침적이 지표 알베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4) 북극지역의 오존 기여도 및 대기화학 연구
· 북극지역에서 무엇이 HOx와 NOx 화학을 지배하는가?
· 북극지역에서 무엇이 할로겐 화학을 유발하는가?

- 5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3차원 화학수송모델링을 이용한 극지연구는 ARCTAS 미션의 일환으로 수행된


POLMIP (POLARCAT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프로젝트가 있고 이 프로젝
트의 목적은 캠페인 기간 항공 및 위성 관측 자료를 활용한 대기화학모델의 종합
적인 평가와 관측 및 모델링 결과의 불일치를 이해하기 위함임

4. 환북극권 대기 에어로졸의 광학적 특성 연구 (경인여자대학교 위탁과제-3)


○ 미국 등 국외에서는 대기 에어로졸에 대한 발생원 및 생성과정, 화학조성을 이
해하려는 연구가 진행되면서 대기 에어로졸의 역학과정을 세부적으로 모사하려
는 연구와 이의 기후적 영향에 대한 연구가 에어로졸 및 기후변화를 연구하는
그룹을 중심으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특히 유기에어로졸, 흡습성 에어로
졸, 블랙카본 등 기후에 영향을 미치는 에어로졸의 조성 및 크기가 광학적 특
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음.
○ 현재까지도 대기 에어로졸의 물리, 화학적 특성 (발생 및 생성과정, 입경분포,
화학조성 등)에 대한 이해가 완벽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들이 기후변화에 미치
는 영향은 다른 대기오염물질들에 비해 불확실도가 3-4배 이상 큰 것으로 보고
되고 있어 에어로졸의 물리화학적 특성이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확
도를 높이려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음 (Sloane, 1984).
○ Tunved et al. (2013)은 북극 Zeppelin Station의 대기에어로졸의 크기분포를 연
구하여 대기에어로졸의 크기분포의 계절성을 장기간에 걸쳐 연구하고 있음.
○ 기타 기후변화영향 및 복사강제력에 관련한 연구들 역시 여러 학자들에 의해
진행되고 있으나, 결과에 있어 다양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 (Law and Stohl,

5. 북극 툰드라에서의 온실기체 모니터링과 조절인자 규명 연구(고려대학교 위탁과


제-4)
○ 미국 알래스카 페어뱅스 대학에서 자동 개폐 및 휴대용 밀폐형 챔버를 이용하여 토양
호흡 연구와 알래스카 페어뱅스 및 카운슬에서 토양 호흡과 조절환경 인자에 관한 연구
를 수행하고 있음
○ 일본 극지연구소(NIPR)에서 자동 개폐 밀폐형 챔버 시스템 및 실험실에서 인위적인 환
경인자 조절을 통한 토양 호흡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북극 스발바르 니알슨에서 실
시간 토양 호흡 관측을 관측하고 빙하 후퇴에 따른 토양호흡량의 변화를 측정하고 있음

6. 위성 기반의 툰드라 지역 탄소와 물 플럭스 시공간 패턴 분석(서울대학교 위탁과제


-5)
○ Ueyama et al., (2014)가 미국 알래스카를 대상으로 9년간 가을의 온도가 상승
함에 따라 알래스카 내륙의 검은 가문비나무 숲(black spruce forest)이 이산화
탄소 흡수대에서 방출대로 바뀐 것을 밝혀낸 바 있음

- 5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기후 요인에 대한 총일차 생산량의 연간 변화는 식물생리와 생물계절성에 따른


식생기능형태(PFTs, Plant Functional Types)에 의한 결정 연구(Zhang et al.,
2016, Zhou et al., 2017)와 툰드라 생태계의 총일차 생산량은 눈이 쌓이고 녹는
때, 잎이 나고 지는 때와 같은 환경 요인에 의해 조절된다(Euskirchen et al.,
2012, Ueyama et al., 2013)는 연구를 수행한 바 있음
○ 화재로 인해 피해를 입은 산림은 방해받지 않은 산림보다 총일차 생산량이 작
지만 회복 속도에 따라 총일차 생산량의 크기가 다양하여 북반구에서 이산화탄
소의 연간 변화가 증가한다 (Randerson et al., 2006, Yi et al., 2013)는 것을 밝
힌바 있음.
○ 원격 탐사를 통한 위성 자료는 보다 높은 수준의 총일차 생산량 평가는 과거의
많은 노력들이 있어왔지만, (Heinshg et al.,2006, Turner et al., 2006, Wang et
al., 2013) 아직 현재진행중임
○ 2000년 이후에 걸쳐 나타난 원격 탐사 기술의 발전은 대기 및 육상에 관한 관
련된 정보의 접근을 가능하게 했는데 (Ichii et al., 2013), 이를 통해 프로세스
기반 및 반경험적 모델을 개선하고 향상시킨 바 있음 (Fang et al., 2011,
Zhang et al., 2012)

7. 대기이동궤적 자료를 활용한 환북극 동토-대기-해상의 기후냉각물질 주요발생원 추


적 연구(인천대학교 위탁과제-6)
○ 스페인 해양환경연구소(Institute of Marine Science)와 공동연구팀(극지연구소
포함)은 환북극권의 대기측정자료를 분석하여, 북극권의 해빙(sea ice melting)
과 New Particle Formation이 연관되어 있다는 연구가 최근 발표한 바 있음
(Dall’Osto et al., 2017).
○ 영국 리즈대학교 기후대기과학연구소에서는 CHBr3, CH2Br2, CH3I, DMS 관측자
료와 해양의 엽록소 농도를 연결하여 분석한 결과를 발표한 바 있음(Arnold et
al., 2010).
○ 캐나다 토론토 대학의 연구팀은 21일간의 해양조사로 얻은 자료를 대기모형 산
출물과 함께 해석하여, 비해양 기인의 DMS 공급원으로 호수, 바이오매스 연소,
melt pond, 동토층 가운데 있을 수 있을 수도 있다고 제시한 바 있음(Mungall
et al., 2016).
○ Freud et al. (2017)은 환북극 6개 모니터링 정점에서 획득한 10-500 nm 자료를
활용하여, 환북극지역의 전반적인 에어로졸 수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연
구하였음

8. ICT 기반의 융복합 극지 환경 관측 시스템 개발(한양대학교 위탁과제-7)


○ ICT 기반의 원격 관측 시스템을 극지 환경에서 검증한 국내 기업은 현 조사 시

- 5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점에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음


○ ICT 기반의 원격 관측 시스템은 극지의 기후 변화 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응용
될 수 있으며, 통신 인프라가 없는 지역에서도 고정밀 관측에 가능하여 다양하
게 활용 될 수 있으므로 시장 규모는 매우 큼 Campbell Scientific사의 제품도
이런 추세에 있음

- 5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 5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6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참고] 과제 수행 내용 및 결과 개요(총괄)

- 효율적 환북극 동토층 환경변화 연구수행을 위한 미국,캐나다,노르웨이,그린란드,아


이슬란드, 러시아 거점 확보 및 정밀 측정시스템 정상 가동, 동토-대기-생태 등 환
경인자 DB 구축(총기간 22건 목표 대비 16건 확보)
- 미국 알래스카 거점에서의 토양 이산화탄소, 메탄 플럭스 연속 모니터링 성공 및
관련 미생물 관계 조사
- 툰드라 지역의 탄소와 물 플럭스의 시공간 패턴 이해, 관련 논문 게재(SCI 1건)
- 에어로졸, 에너지플럭스, 기후냉각물질 등 변화 측정 등 자료 생산 및 관련 논문
게재(SCI 2건)
- 북극권 나노입자 생성 특성 파악 및 관련 논문 게재(SCI 1건)
- 대기오염 물질의 농도 및 외부 영향성 파악
- 에어로졸의 광학적 특성 및 기후복사 강제력 산출 모사 알고리즘 개발, 관련 논문
게재(SCI 1건, 투고 심사중 1건)
- 북극 대기 기후냉각물질과 환경인자와의 상호 연관성 분석 및 기술 최적화
- 극한환경에서의 환경인자 모니터링 및 풍화 추적기술 개발
- 무인현장 정밀측정시스템의 안정화 및 오류 최소화 기술 개발(저전력 저온 ICT 기술 PER 세계
표준 달성 1%)
- 관측장비 유지관리 및 알래스카 토양 CO2 방출의 환경적응 변화예측
- Polar WRF 기반의 고해상도 환북극 지역규모 모델링 시스템 구축(SCI 1건)
이사국 연구내용 연구 거점 비고
미국 동토-대기간 온실기체 교환연구 알래스카 2011년 시작
관측 거점 Council
캐나다 대기-생태 연구 C a m b r i d g e 2012년 시작
관측 거점 Bay
그린란드 그 린 랜 드 2015년 하반기
(덴마크) 그린란드 빙권-대기 에너지 교환 연구
Nord 1차 현장 연구
관측 거점 수행 예정
노르웨이 스발바르 동토 지표- 대기간 에너지
관측 거점 교환 및 에어로졸, DMS 등 대기 냉각 스발바르 2012년 시작
기체연구
아이슬란드 DMS 특성 연구 스토르호푀이 2016년 시작
관측 거점
러시아 바라노바 동토지역 메탄 플럭스 연구 바라노바 2017년 하반기
관측 거점 시작
스웨덴 스발바르 에어로졸 특성 공동 관측 스발바르 2011년 시작
국제 협력

- 6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핵심 연구성과 사례
■ 북극 대기 입자 형성과정에 관한 거동 규명 및 논문 발표
- 논문 : Observational evidence for the formation of DMS-derived aerosols during Arctic
phytoplankton blooms, Park KT et al.
-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2017, Vol 17. 9665-9675 (IF 5.114, 상위 7% 저널)
- 참여기관 : 극지연구소, 포항공대, 광주과기원, 이태리 피렌체 대학 공동연구

2015년 북극 스발바르 거점(제플린 GAW 관측소)에서 관측한 나노미터 크기의 입자


형성과 (크기분포) 생물학적으로 생성된 황성분 농도의 상관을 분석함으로서 북극대
기 입자 형성에 기여하는 생물군의 역할을 관측적으로 증명함
■ 북극 해빙의 면적과 입자 형성 및 구름응결핵의 상호연관성에 관한 논문 발표
- 논문 : Arctic sea ice melt leads to atmospheric new particle formation, Dall’Osto et. al.
- Scientific Repots, 2017, doi:10.1038/s41598-017-03328-1 (IF 5.228, 상위 11% 저널)
- 참여기관 : 극지연구소, 스페인 해양연구소, 스톡홀름대학, 피렌체 대학 공동연구

북극 제플린 관측소에서 관측한 나노미터 크기의 입자 형성과 해빙의 면적, 그리고


구름응결핵의 수농도 증가를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증명한 연구결과임

- 6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nanoSMPS가 측정한 일(日)별 평균 총수농도

<2017년 1월 ~ 10월까지의 북극 제플린(zeppelin) 관측소에서 nanoSMPS가 측정한


일(日)별 평균 총수농도 (2017 daily total particles number concentration about a
range of 3 to 60 nm)>

<2017년 1월 ~ 10월까지의 nanoSMPS가 관측한 월(月)별 입자크기 분포도


(2017 monthly particle size distribution)>

- 6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Zepellin station CCN자료와 MODIS, AERONET원격자료 AOD와의 상관성 분석

■ 다분산 에어로졸의 복사강제력 산출 알고리즘 개발 (Mie code 결과와 본 연구 결과식


비교)

- 6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IoT 기술 개발 및 현장 적용

- 기술을 활용한 실시간 극지 환경 원격 모니터링 기술 확보 및 관측지 운영 검증(지중


IoT

온도센서, 지중수분함량센서, CO2센서, 침하율계 등 설치 운영 중)


- 저전력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활용한 무인 데이터 수집 기술 확보(1년이상 유지보수 없이

운영 가능)
- 극지역에 활용 가능한 WPAN/WAN 핵심 기술 확보

<ICT 기반의 융복합 극지 환경 관측 시스템>

<USN 게이트웨이, 센서인터페이스>

- 6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 1 절 북극권 동토 관측 거점을 활용한 환경변화 감시와 예측


(세부과제 1)

가. 동토-대기간 온실 기체 순환 이해
(1) 미국 알래스카 카운실 (제1거점)
(가) 지리적 특성 및 과학적 의의

Fig.3.1. Location of the Council site, Alaska.

본 연구과제의 환북극권 관측망 제 1 거점인 알래스카 카운실 사이트는 북위 64도


50.6분, 서경 163도 42.32분에 위치(Fig. 3.1)하고 있으며 여름철에는 표층이 녹아 활성층
(active layer)이 약 60-70cm 두께로 존재하는 불연속 동토층 지대이다. 이 지역은 수목
(tree)의 북방한계선에 해당하여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수행 시 향후 북반구 고위도 지역
에서 식생분포 변화를 보여줄 수 있는 매우 좋은 입지조건을 갖추었다. 또한 알래스카
대학 국제북극연구센터(International Arctic Research Center)에서 물수지 연구를 진행해
오던 사이트여서 1998년부터 일부 기상관측자료가 획득되어 기후변화 모니터링 관점에
서 유리하다. 또한 지표에 미분해 유기물층이 풍부하게 존재하여 메탄 발생과 관련한
연구에도 적합하다.
카운실 사이트에는 이전 단계 과제 수행을 통해 이산화탄소 교환량 측정을 위한
자동챔버시스템(자체제작)과 대기복사계, 에디공분산시스템 및 태양광발전시스템이 설치
되어 목표로 했던 관측시스템 구축이 완료되었다. 관측지 주변 식생분포조사에 의하여
대표 식생을 분류하고 각 식생 종류별 이산화탄소 교환량 측정을 위하여 자동챔버 시
스템을 설치하여 하계기간동안 연속적인 관측 및 자료전송이 이루어지고 있다.

- 6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나) 로지스틱스
알래스카 카운실 사이트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우선 항공편을 이용해 놈(Nome)까지 이동해야
한다. 항공편은 인천-하와이-앵커리지-놈 또는 인천-시애틀-앵커리지-놈 경로를 이용할 수 있다.
놈(Nome)에서부터 카운실 사이트까지는 차량으로 약 110 km 거리이며 도로가 비포장상태이고
중간지점부터는 굴곡이 많은 산악도로인 관계로 편도기준 약 2시간 가량이 소요된다. 이 도로는
겨울철 적설기에 폐쇄되고 눈이 녹아 없어지는 5월중에 개방되기 때문에 보통 6월부터 10월까지
의 제한된 기간 동안 접근이 가능하다.
현장연구에 필요한 소형장비의 경우 항공운송을 이용할 수 있으나 중대형의 경우 해운을 이
용해야 한다. 한국에서 발송하는 경우 시애틀과 앵커리지를 거쳐 놈에 도착하는데 겨울철에는
베링해가 해빙으로 덮혀 화물선 운항이 불가하고 5월부터 9월까지 대략 4-5회 화물선이 놈에 입
항한다. 항공운송에 비해 기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약 2개월의 기간을 두고 발송해야 하고 화물
선의 선적량이 조기에 마감될 수 있으므로 사전에 발송가능성 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연구장
비는 수신자를 놈 현지에 소재한 University of Alaska, Fairbanks 산하의 Northwest Campus
(Director: Mr. Bob Metcalf)로 지정하면 된다. 매년 여름철 북극해 연구를 수행하는 쇄빙연구선
아라온호를 이용한 보급도 가능하다. 아라온호는 여름 북극해 연구항해를 수행하고 있으며 북극
해 항차의 시작과 종료시에 놈 항구에 정박한다. 따라서 한국에서 출발할 때 연구장비와 물품을
선적하여 놈 항구에서 받을 수 있다.
본 연구과제와 관련하여 카운실 사이트에서 연구활동을 수행하는 연구팀은 극지연구소의 주
관하에 KOPRI-UAF 공동연구실을 활용하여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향후 국내 대학 등 외부 연
구팀의 북극 연구활동 증진에 교두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 현장 활동
온실기체 플럭스와 관련해 대기과학 분야 연구팀은 크게 극지연구소, 연세대, 알래
스카대학, 서울대 연구원으로 구성되었다. 식생 성장 주기와 현지 접근성을 고려해 현장
활동은 대부분 6월부터 9월 중에 수행되었으며 극지연구소 팀은 일반적으로 두 차례 (6
월말과 9월말) 방문하여 자동챔버시스템과 에디공분산시스템을 이용한 하계 관측을 시작
했다가 종료하였다. 알래스카대학 김용원 교수는 6월부터 9월까지 매월 한 차례씩 약 10
여일간 체류하며 격자상 수동챔버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측정하였다.
2016년 4월 20일부터 9월 24일까지 봄철, 여름철, 가을철 온실기체 플럭스 연속관
측을 수행하여으며, 특히 그동안 6월말부터 온실기체 플럭스 관측을 수행하였던 것에
비해 2016년에는 최초로 4월에 헬기를 이용해 카운실 사이트에 접근하여 관측장비를
설치하고 관측을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최초로 적설기부터 봄철과 초여름 식생활동 증
가기에 온실기체 플럭스의 변화를 상세히 관측한 국내최초의 자료를 획득하였다. 이후
극지연구소 연구원이 7월초와 9월말에 현장 방문하여 원자료를 회수하고 장비 상태를
점검하여 관측 공백이 최소화되도록 관리하였다.
한편, 그 동안 알래스카 대학과의 협조 하에 카운실 지역의 연구사이트를 운영해왔

- 6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으나, 향후 연구활동 확대에 대비하여 사이트를 포함한 토지의 소유주인 카운실 원주민
단체에 직접 연구허가를 신청하여 허가를 획득하였다. 2016년 9월 방문시에는 스노우펜
스(snow-fence)를 설치하고 펜스 양쪽에 FD챔버 및 적설척을 설치하여 겨울철 적설량
변화에 따른 생태계 반응을 보는 기후변화모사실험을 시작하였다. 또한 2012년 설치한
태양광충전시스템 등에서 지난 4년간 점차적으로 발생한 지면침하 현상이 상당한 수준
이 되었다고 판단되어 현장활동에 참여한 연구원들이 이동 설치하여 향후 연구에 문제
가 없도록 조치하였다.

(가) 관측시스템 구축 및 현장관측


알래스카 대학의 기존 기상관측자료에 근거하여 여름철에 주로 남풍 계열 바람이
불어옴에 따라 자동챔버시스템의 풍하측인 북쪽 약 50미터 지점에 3미터 높이의 플럭
스 관측타워를 설치하였다. 동 타워에는 태양복사 및 장파복사를 상향 및 하향에서 각
각 관측하는 복사계(모델명: CNR4, 제조사: Kipp & Zonen)와 대기난류, 기온, 이산화탄
소 및 수증기 농도를 초당 10회 주기로 고속관측하는 개회로 에디공분산시스템(모델명:
CSAT3A 및 EC150, 제조사: Campbell Scientific Inc.)을 설치하였다. 지표면 에너지 분배
의 원천인 하향 태양복사에너지와 지면에서 반사되는 상향 태양복사에너지, 대기로부터
지면으로의 하향 장파복사에너지, 지면이 대기로 방출하는 상향 장파복사에너지 등 4가
지 성분을 모두 관측하고 있다(Fig. 3.2). 이 관측장비들을 통해 지표에너지수지의 근원
이 되는 복사에너지 크기와 변동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동토층 지표의 알베도(반사도)를
알 수 있으며 대기-동토층 지표 간 이루어지는 에너지, 수분, 그리고 이산화탄소의 교
환량을 연속 측정할 수 있다.
에디공분산시스템은 지상으로부터 약 3미터 높이에 설치되었으며 초당 10회에 이
르는 빠른 간격으로 3차원 바람성분(u, v, w), 기온(sonic temperature), 이산화탄소(CO2)
농도, 수증기(H2O) 농도를 측정하여 대기-동토층 간에 발생하는 운동량, 현열, 잠열, 이
산화탄소의 플럭스를 관측한다 (Fig. 3.3). 측정되는 자료는 3미터 타워 하부 인클로저
내에 장착된 자료집록기(모델명: CR3000, 제조사: Campbell Scientific Inc.) 및 CF 메모
리카드에 저장되고 있다. 10Hz 간격의 원자료는 용량이 매우 크기 때문에 위성통신을
통한 전송은 불가능하고 연구원의 현장 방문시 메모리카드에서 직접 회수한다.

- 6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3.2. Eddy-covariance system at the Council site


(CSAT3A and EC150, Campbell Scientific Inc.).

Fig.3.3. Four-component net-radiometer (CNR4, right sied


of the boom) at the Council site.

- 6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나) 관측 자료 현황
이 거점 관측지에서는 1단계 사업부터 관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지 전력 사정
으로 각 해의 여름 기간(4월~9월)에만 관측이 수행되고 있다. 여름철의 월 평균 기온은
0 – 15℃이며(Fig. 3.4). 월 평균 풍속은 2 – 4.5 m/s 로 강하지 않고, 2016년에 비해
2017년에 평균 기온과 평균 풍속이 낮은 경향을 보이고 있다(Fig. 3.5). 하계 기간의 월
평균 이산화탄소 플럭스는 –0.1 – 0.12 mgCm-2s-1로 스발바르와 같이 변동의 폭이 크고,
특히 2016년은 음의 이산화탄소 플럭스가 관측된 것과 다르게 2017년의 경우 양의 이
산화탄소 플럭스를 보이고 있기에 두 해의 차이의 원인에 대해 추가 분석을 수행 중에
있다(Fig. 3.6).

Fig.3.4. Monthly average Air temperature in Counsil, Alaska.

Fig.3.5. Monthly average wind speed in Counsil, Alaska.

- 7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3.6. Monthly average carbon flux in Counsil, Alaska.

한편, 2016년 4월부터의 복사량 관측자료를 통해 카운실사이트에서 적설이 녹아 사


라지고 지표면이 드러나는 시기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었다. 4월 후반에는 지표 대부
분이 눈에 덮혀있기 때문에 낮시간 반사도(Albedo)가 약 0.6 이상의 높은 값을 보이다가
5월 들어서 급격히 낮아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약 5월 8일이 되면 0.2 미만의 반사도
로 낮아진 후 안정화되어 눈이 거의 사라지고 지표가 드러났음을 추정할 수 있다. 이러
한 지표 조건의 변화에 따라 지면에 입사되는 단파복사 에너지의 크기가 매우 커지게
되고 이후 지표면 에너지 수지를 변화시키고 지면 온도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2016년 관측에 따라 최초로 봄철 지면조건 및 에너지교환의 상세한 변화양상을 살
펴볼 수 있게 되었다. 4월 22일부터 5월 22일까지 기간 중 하향 일사량의 변화를 보면,
카운실 사이트에서 4월에는 이미 태양고도각이 높아서 일중 최고 약 700W/m2 수준의
높은 일사량이 관측되었다(Fig. 3.7). 이 한 달 동안 대부분 맑은 날이었음을 알 수 있으
며 5월 8-12일과 19일 정도가 다소 흐린 날씨였음을 알 수 있다.

Fig.3.7. Downward solar radiation during April 22 and May 22, 2016 at Council,

Alaska.

- 7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3.8은 같은 기간 카운실 사이트에서 단파복사에너지와 장파복사에너지의 하향


값에서 상향값을 뺀 순복사에너지를 보여주고 있으며 여기서 양의 값은 지면이 에너지
를 받아들이는 상태를 의미한다. 4월 낮동안 높은 일사량에도 불구하고 순복사에너지가
낮은 이유는 아직 지면이 눈으로 덮여 있어 많은 단파복사에너지를 대기중으로 반사시
키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그러다가 5월초 눈이 녹기 시작하면서 지면이 흡수하는 에너
지가 급격히 증가하고 5월 8일부터는 대체로 일정한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야간
에는 최대 약 -70W/m2 수준의 음의 값을 나타내어 밤 동안 복사에너지 손실로 인한
지면 냉각이 발생함을 알 수 있고 5월 8-12일 기간처럼 흐린 날에는 밤동안 순복사 에
너지가 0에 가까워 복사냉각이 약하게 발생한다.

Fig.3.8. Net radiation during April 22 and May 22, 2016 at Council, Alaska.

Fig. 3.9는 같은 기간 카운실 사이트의 기온(3미터 고도)을 보여주고 있는데,. 4월부


터 꾸준한 기온 상승 추세를 보여주고 있으며 눈이 녹고 지표가 많이 드러나는 5월초
부터는 지면이 태양복사 에너지를 많이 흡수하여 지면온도가 상승하므로 지상 기온의
변화폭도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 경향은 날씨가 흐렸던 5월 8-12일 기간을 제외하고
이어지며 특히 5월 13-16일 기간에는 일교차가 15도 이상으로 매우 크게 나타나고 있
어 낮시간 강한 일사로 인한 지면가열과 밤시간 복사냉각으로 인한 지면냉각의 효과가
매우 뚜렷하게 확인되고 있다.

- 7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3.9. Air temperature at 3 m AGL during April 22 and May 22, 2016 at

Council, Alaska.

카운실 사이트에서 최초로 측정된 봄철 에너지 플럭스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우선 에디공분산시스템으로 측정된 현열 플럭스의 변화를 Fig. 3.10에 나타내었다.
Fig. 3.9와 같이 4월 22일부터 한 달간의 자료를 나타내었으며 지면이 눈으로 덮혀
있는 4월 동안에는 일 중 대부분 현열이 음의 값을 보여 대기로부터 지면(눈 표면)
으로 현열이 전달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러다가 눈이 녹으면서 지면이 드
러나는 5월초에는 낮시간에 현열이 조금씩 양의 값을 나타내고 5월 5일부터 낮시간
최고 약 100W/m2 수준을, 그리고 5월 12일이후 낮시간 최고 약 200W/m2 수준으로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한편 5월 중순 이후 지면이 완전히 드러난 이후
에도 야간에는 음의 현열값(-30 ~ -50 W/m2 수준)이 측정되어 야간 복사냉각에 따
른 지면 에너지수지 균형을 맞추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Fig.3.10. Sensible heat flux from April 22 to May 22, 2016 measured at

Council, Alaska.

- 7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라) 관측지 개선 방향 요약
○ 상시 전원/관리 인력 부재로 연속 모니터링 불가: 위성통신을 이용한 최소 정보에
대한 자료 입수를 통해 지속적인 모니터링 수행 중.
○ 하계 기간만 자료 생산: 동계 기간 사용 가능한 챔버시스템 활용 필요. 단, 에디 공
분산 플럭스 및 챔버 시스템 간 비교 먼저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플럭스 조절 인자에 대한 연속 관측 수행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가) 관측시스템 구축 및 현장관측


EC의 10 m 타워 뒤로는 남북방향으로 비포장 도로가 있다. 타워의 북동쪽 약 70
m 떨어진 곳에 Heater Shack이, 동쪽으로 길 건너편에 EC의 자동지상기상측정시스템
(AWS)과 고층기상관측 시설이 있다 (Fig. 3.11). 남동쪽으로는 약 400 m 떨어진 곳에 소
각장이 있다. 이에 대기-동토가 교환되는 온실가스 측정을 위한 연구 지역은 타워를 중
심으로 북서에서 남서 방향의 섹터로 정하였다. 2012년 7월 대기와 동토 간의 에너지
및 이산화탄소 교환 연구를 위해 에디 공분산 시스템이 설치되었다. 에디 공분산 시스
템은 삼차원 초음파 풍속계(CSAT3, Campbell Scientific Inc., USA)와 개회로 CO2/H2O 기
체 분석기(EC150, Campbell Scientific Inc., USA)로 구성되어 있다.
에디 공분산 시스템은 타워로부터 약 1.0 m 나와 있으며, 270도 방향을 바라본다.
플럭스 산출을 위한 에디 공분산 시스템의 측정 속도는 10 Hz이다. 기온과 기압은
EC150용 온도 센서와 기압 센서로부터 측정된다. 지표에서의 복사 수지를 정량화하기
위해 네 성분의 복사 즉, 하향태양복사, 상향태양복사, 하향지구복사, 상향지구복사를
측정할 수 있는 순 복사계(CNR4, Kipp & Zonen)가 지면으로부터 약 4.7 m의 높이에 남
서쪽을 바라보게 설치되었다. 토양열 플럭스가 0.08 m 깊이에, 네 개의 온도 센서로 이
루어진 토양 온도계는 2개의 센서를 0.02 m에, 나머지 2개는 0.06 m에 설치하였다. 끝
으로, 메탄 플럭스 관측을 위한 개회로 메탄 분석기(LI7700, Licor)가 설치되었으나 현재
기기 이상으로 인해 점검하기 위해 분리하여 수리를 보내진 상황이다. 모든 자료들은
지면으로부터 약 1 m 높이에 설치된 자료 집록기에 30분 단위 통계량과 함께 저장된다.

Fig. 3.11. Eddy Covariance tower in Cambridge bay, Canada.

- 7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나) 관측 자료 현황
2016년 이산화탄소와 메탄 플럭스를 연속 관측하고, 그 변동을 분석하였다. 그러나,
다른 관측지에 비해 자료 수득율이 높지만 2016년 12월-2017년 2월까지 자료는 손실이
심하였다. 이에 대한 원인으로 추운 동계 기간 측기가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현지 인력을 활용한 주기적인 관측 장비의 점검 및 자료 백업이 수행되었지만 기
기의 동작 이상으로 인한 손실이 상당한 상태이다. 월평균 기온은 –25 ~ 10℃이며, 영상
인 달은 6, 7, 8 그리고 9월의 4개월이다. 최저 기온이 나타나는 기간의 자료 손실로 현
지 다른 연구진으로부터 추가 자료 입수가 필요한 상황인 반면, 토양 온도는 –30 ~ 1
0℃인데, 가장 추운 기간 센서가 묻힌 위치에 온도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Fig.
3.12). 이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풍속은 월평균 5.5 m/s 까지 증가하며, 하
계 기간 바람이 다소 강하게 나타타고 있다 (Fig. 3.13). 잠열과 현열의 경우 매해 6월
부터 7월 사이에 최대값을 이루고 있다 (Fig. 3.14, 15). 잠열플럭스의 경우 2016년과
2017년에 두 해의 차이가 큰데, 해당 관측지 강수관측이 수행되지 않아, 추가적인 분석
을 수행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있다. 이를 위해 다른 연구자들이 관측한 강수자료를 얻
어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월평균 이산화탄소 플럭스는 –0.06 ~ 0.04 로 그 크기는 작지만 뚜렷한 계절 변동을
보인다 (Fig. 3.16). 대체로 5월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에 대해 발원에서 흡원으로, 9월은
그 반대가 되는 시점으로 보인다. 야간 이산화탄소 플럭스는 식생 호흡과 토양호흡으로
이뤄지는데 일반적으로 기온과 토양온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이루고 있다고 알려져 있
으며 캠브리지 사이트의 탄소 배출량을 적산 관계식을 도출하기 위해 야간 이산화탄소
플럭스와 온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 수행하였다. 분석 시기는 2016년과 2017년 두 해의
6월부터 8월까지의 관측된 이산화탄소 플럭스를 이용하였으며, 하향 단파복사가 10
W/m2 이하일 때를 야간으로 선택하였다. 마찰속도(u*)가 0.2 m/s 이상으로 충분히 난류
가 발생된 경우의 자료를 선정하였다. 토양온도와 기온은 5℃를 전후로 해서 이산화탄
소 플럭스 발생량이 급격히 늘어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Fig. 3.17, 18, 19). 이 관계식
을 이용하여 온도와 호흡량간의 추정방정식을 도출해서 총일차생산량을 계산에 필요한
이산화탄소 플럭스에 대한 빈자료 메꾸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 7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3.12. Monthly average Air temperature in Cambridge bay,


Canada.

Fig. 3.13. Monthly average wind speed in Cambridge bay, Canada.

Fig. 3.14. Monthly average latent heat flux in Cambridge bay,


Canada.

- 7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3.15. Monthly average sensible heat flux in Cambridge bay,


Canada.

Fig. 3.16. Monthly average carbon flux in Cambridge bay, Canada.

Fig. 3.17. Monthly average soil heat flux in Cambridge bay, Canada.

- 7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3.18. Monthly average soil temperature in Cambridge bay, Canada.

Fig. 3.19. Scatter plot of Carbon flux with air temperature and soil
temperature.

(다) 관측지 개선 방향 요약
○ 지속되는 저온 기간 장비의 오작동: 폐회로 시스템 운영 필요. 개회로 메탄 분석기
의 잦은 오작동으로 인한 폐회로 시스템 구축을 위한 한국에서 예비 실험 수행
○ 개회로 메탄 분석기의 잦은 오작동으로 인한 폐회로 시스템 구축을 위한 한국에서
예비 실험 수행. 튜빙의 길이, 유량의 속도에 따른 온실기체 플럭스 자료 품질 평가

(2) 스발바르 거점 관측지 (제 3 거점)


(가) 관측지 개요
관측지는 노르웨이 스발바르 군도 내의 니알슨(Ny-Ålesund) 주변에 위치해 있다.
니알슨은 Kongsfjord 해안에 위치하며, 34 m 높이의 Amundsen-Nobile Climate Change

- 7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Tower (CCT) 관측 타워는 니알슨으로부터 남서쪽 약 1.3 km 떨어져 있다(Fig. 3.20).


CCT로부터 수 km 이내에 높고 가파른 산과 빙하, 깊은 계속, 평지 그리고 침강된 지역
이 혼재되어 있다. CCT로부터 북쪽 방향에 Schetelig 산이, 남쪽으로는 Zeppelin 산과
그 정상부에는 GAW 지구급 관측소가, 동쪽으로는 니알슨의 오른편에 위치한 Nobile
Mast가 있다.

Fig. 3.20. A map showing the topography around Ny-Alesund,

Spitzbergen Island.

(나) 로지스틱스
노르웨이 니알슨을 방문하기 위해서는 매일 운항되는 롱이어비엔까지의 항공편을
이용한다. 롱이어비언으로부터 니알슨까지는 계절에 따라 2회/주(월/목) 항공기가 운항되
는데 사전 예약이 필수적이다. 니알슨에는 북극다산과학기지가 있으며, 이곳에서 실험
준비 및 숙식을 하게 된다. 다른 거점 관측지 보다 전기, 통신, 연구 지원 체계가 매우
잘 갖추어져 있다. 방문 기간에 필요한 물품은 사전에 한국에서 발송하게 되며, 북극다
산과학기지 내에 기본적인 물자들이 갖추어져 있다. 관측지인 CCT까지 하계 기간에는
차량으로, 그 외 눈이 덮인 기간에는 스노우 모빌로 이동한다. 드물지만 북극 곰이 나타
나기도 하기 때문에 상시 총기 및 무전기를 휴대하고 연구 현장에서 일을 하게 된다.

(다) 관측시스템 구축 및 현장관측


니알슨 지역 대기경계층 관측을 위해 2009년 후반기 이태리의 CNR-ISAC는 니알슨
과학타운에서 약 2 km 떨어진 Kongs 피요드르의 남쪽 연안에 34 m 높이의
Amundsen-Nobile Climate Change Tower (CCT) 타워를 구축하였다
(http://www.isac.cnr.it/~radiclim/CCTower/). 이 피요르드는 남동에서 북서방향으로 뻗어
있는데 남동쪽은 낮은 산들과 빙하에 의해 경계가 지어지는 반면, 북서쪽으로는 바다로
이어진다. 이 지역의 지형은 복잡한데 수 m 이내에서 경관이 바다에서 500∼600 m 높

- 7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의 산으로 바뀐다. 이로 인해 지형에 의한 주풍향이 뚜렷하다. 첫 번째는 피요르드


안쪽의 동쪽과 남동쪽 사이의 빙하로부터, 두 번째는 관측지의 남쪽 계곡, 세 번째는
여름철 큰 규모 대기 순환의 변화로 인해 북서풍이 주 풍향을 이룬다.
CCT는 대기경계층 과정을 비롯한 여러 연구 목적의 다양한 대기 관측용 측기가 설
치되어있다. 극지연구소에서 운영 중인 에디 공분산 시스템은 삼차원 초음파 풍속계
(CSAT3, Campbell Scientific Inc., USA), 개회로 CO2/H2O 기체 분석기(LI7500, Licor,
USA), 개회로 CH4 분석기(LI7700, Licor, USA) 그리고 폐회로 CO2/CH4/H2O 분석기(CRDS,
Picarro, USA)로 구성되어 있다. 에디 공분산 시스템은 CCT의 나머지 풍향풍속계 및 초
음파 풍속계와 마찬가지로 북쪽을 향하여, 타워로부터 약 2.5 m 떨어져 있다. 개회로
CO2/H2O 분석기와 개회로 CH4 분석기는 삼차원 초음파 풍속계로부터 각각 0.7 과 0.75
m 떨어져 있다(Fig. 3.21).

Fig. 3.21. Climate 34m tower in Dasan station(Svalbard node).

(라) 관측 자료 현황
이 거점 관측지에서는 이전 사업부터 관측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현지 통신 사정으
로 2017년 4월까지 자료 분석이 이루어졌다. 다른 관측지에 비해 이곳에서는 플럭스 관
측만 극지연구소에서 수행되고, 기본적인 환경인자는 이태리 CNR에서 측정 중으로 추
가적인 분석이 필요할시 이태리 기지에 요청하여 환경 자료를 받고 있다.
월평균 기온은 -15 – 5℃이며, 영상인 달은 5 – 10월의 6개월이다 (Fig. 3.22). 월 평
균 풍속은 2 – 5 m/s로 다른 사이트에 비해 강하지 않다 (Fig. 3.23). 월평균 이산화탄소
플럭스 (Fig. 3.24)는 –0.05 – 0.15 mgCm-2s-1로 다른 관측지보다 변동의 폭이 큰데 이는
해당 관측지의 경우 식생이 보다 많이 분포되어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동계 기간은
대기와 동토가 교환이 거의 평형을 이루며, 하계 기간 약한 흡원으로 나타나고 있다.
Fig. 3.25, 26은 잠열과 현열의 변화를 나탄낸 것이다. Fig. 3.27은 기온과 이산화탄소 플

- 8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럭스의 관계를 보인것인데, 다른 달에 비해 2016년 5월의 큰 양의 이산화탄소 플럭스에


대해서는 추가 분석을 수행 중에 있으며 야간 이산화탄소 플럭스와 온도와의 상관관계
를 분석하였다. 평균 기온 5℃를 전후로 해서 이산화탄소 플럭스 양이 증가하는 경향이
보이고 있다.

Fig. 3.22. Monthly average Air temperature in Dasan station

(Svalbard node).

Fig. 3.23. Monthly average wind speed in Dasan station

(Svalbard node).

- 8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3.24. Monthly average carbon flux in Dasan station

(Svalbard node).

Fig. 3.25. Monthly average latent heat flux in Dasan station

(Svalbard node).

Fig. 3.26. Monthly average sensible heat flux in Dasan station

(Svalbard node).

- 8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3.27. Scatter plot of Carbon flux with air

temperature.

(마) 관측지 개선 사항 요약
가장 높은 위치에서의 플럭스 관측 및 크기가 매우 작은 온실 기체 플럭스 양으로
인해 자료 해석의 어려움. Heating correction 등 보정 절차 복잡: 타 분야 연구 방향
및 상대적으로 큰 에너지 플럭스, 극지 경계층 역할 이해의 중요성에 비추에 지표층
(surface or booundary layer)에서의 난류 특성 및 지표 에너지수지 평가로의 연구 전환
이 필요

(3) 그린란드 노르드 (제4관측 거점)


(가) 관측지 개요
제4거점 그린란드 노르드(Nord) 관측지(81˚36’N, 16˚40W)는 그린란드의 북동쪽
연안에 위치하고 있다 (Fig. 3.28). 캐나다의 Alert 군사기지를 제외하면 가장 고위도 북
극에 위치한 유인 기지로 북극점에서 933 km 떨어져 있다. 기후학적으로 북극해로부터
한류가 주변을 흐르기 때문에 하계 기간 2개월 전후의 기간만 해빙이 녹으며, 육상 동
토의 활동층의 깊이는 약 0.2 m이다. 연평균 기온은 영하 21℃이고, 6월부터 8월까지
최고(최저) 기온의 평균은 2 ∼ 4 (-1 ∼ 1)℃의 영상 기온이 나타난다. 반면, 11월부터
3월까지 기온은 평균적으로 –33℃까지 내려가며, 기록된 최저 기온은 –51℃이다. 강수량
은 188 mm로 적다.
노르드기지 기후는 북반구 중위도로부터 들어오는 난류로 인해 연중 많은 기간 해

- 8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빙이 없는 스발바르 지역과는 대조를 이루는데 스발바르 지역 활동 층은 약 1 m이다.


노르드기지의 풍향은 하계기간(6월 – 8월)에는 동풍이, 나머지 기간은 남서풍이 주풍이
다. 풍속의 경우 11-12월에 상대적으로 강한데 주변의 빙상으로부터의 활강풍이 주 원
인으로 파악된다

Fig. 3.28. Nord Site, Greenland.

(나) 로지스틱스
노르드기지는 군사 기지이기 때문에 사전에 덴마크 외교부의 허가를 받아야 하며,
또한 Search and Rescure (SAR) 보험 가입이 필수적이다. 덴마크 Aarhus 대학의 VRS
사무국을 통해 연구활동 허가 신청을 할 수 있으며, 비교적 간단한 절차를 거치면 연구
활동 허가를 받을 수 있다. 활동 허가 승인이 나면 연구 활동 번호를 받게 되며, 이를
근거로 Kalaallit Forsikring Agentur에 이메일(kfa.privat@if.dk)을 통해 보험 가입을 신청
할 수 있다.
노르드 기지로의 출입 및 화물 수송은 두 가지 경로를 통해 이루어진다. 덴마크의
Aalborg와 노르드 간은 군 수송기가, 스발바르 롱이어비엔과 노르드 간에는 트윈오터가
사용된다. 입출입 경로의 경우 방문 시기에 이용 가능한 항공편이 선택된다. 2016년의
경우 들어갈 때는 덴마크 Aalborg-노르드(세 시간 소요) 구간을, 나올 때는 노르드-롱이
어비엔(두 시간 소요) 구간을 이용하였다.
현지 체류는 VRS 내의 숙소를 이용하며, 식사는 노르드기지를 운영하는 덴마크 군
인들로부터 제공받는다. VRS은 2015년 6주에 걸쳐 완공 되었는데, 한번에 14명이 체류
할 수 있는 숙소와 회의 및 휴식을 위한 거실, 다양한 종류의 실험실, 이메일 송수신
등이 가능한 사무실이 있는 주 건물, 스노우 모빌 등 연구활동을 지원하는 물품들을 보
관하는 창고 그리고 2 km 남쪽에 위치한 대기관측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외부와의 통

- 8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신은 이리듐을 이용한 전화 및 이메일만 가능하여 매우 제한적이다. 외부 활동 시 VRS


에 위치를 보고해야 하며, 북극곰을 대비한 총기 휴대가 필수적이다. 보다 자세한 사항
은 http://villumresearchstation.dk/ 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다) 관측시스템 구축 및 현장관측


VRS의 대기관측동에서 남쪽으로 약 20 m 떨어진 곳의 6 미터 높이 타워(81°
34.842'N, 16° 38.394'W)에 2015년 8월에 VRS 연구자의 도움으로 전원 및 통신선이 연
결되었으며, 2016년 5월 4일 관측 장비 설치가 완료되었다 (Fig. 3.29 ). 이 타워에는 태
양복사 및 장파복사를 상향 및 하향에서 각각 관측할 수 있는 순복사계(CNR4, Kipp &
Zonen)가 6 m 높이에, 세 방향 풍속, 기온, 이산화탄소 및 수증기 농도를 초당 10회 고
속관측하는 개회로 에디 공분산 시스템(CSAT3A 및 EC150, Campbell Scientific Inc.)이
5.5 m 높이에, 별도의 풍속 및 기온만을 측정하는 삼차원 초음파 풍속계(CSAT3,
Campbell Scientific Inc.)와 온습도계(HMP45C, Campbell Scientific Inc.)가 2.5 m 높이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토양 온도 측정을 위해 네 개의 센서로 구성된 토양 온도계
(TCAV-L70, Campbell Scientific Inc.)를 이용하여 두 개의 센서는 0.02 m에, 나머지 두
개가 0.06 m 깊이에 설치되어 0.08 m 층의 평균 토양 온도를 측정하도록 되어 있으며,
토양 열 플럭스를 측정하기 위한 토양 열 플럭스 판(HFP01SC-L70, Campbell Scientific
Inc.)이 0.08 m 깊이에 설치되어 있다
에디 공분산 시스템은 초당 10회의 고속으로 삼차원 바람성분(u, v, w), 기온(sonic
temperature), 이산화탄소(CO2) 농도, 수증기(H2O) 농도를 측정하여 대기-동토층간 발생
하는 운동량, 현열, 잠열, 이산화탄소의 플럭스를 측측한다. 측정되는 자료는 타워 하부
에 위치한 자료 집록기(CR5000, Campbell Scientific Inc.) 내의 메모리카드에 실시간 저
장된다. 자료의 백업을 위해 자료 집록기에 저장되는 모든 자료는 매 5분마다 대기관측
동 내의 노트북 PC에 저장된다. 이 자료들은 극지연구소 또는 VRS 연구원이 현장 방문
시 이동용 자료 저장 매체에 자료를 복사 한 후 담당 연구원에게 전달된다. 따라서 노
르드관측지에서의 자료 분석은 측정 후 일정 시간 경과 후에나 가능하여 본 보고서에
도 포함되지 않았다. 또한 이런 경우 장비 작동 상태를 수시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장기간 관측 자료 획득이 안될 우려가 있다. 향후 별도의 통신 장비를 설치할 계획이
며, 그럼으로써 준 실시간 자료 수집을 통해 장비 상태를 점검하는 한편, 분석 시간도
앞당길 계획이다.

- 8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3.29. Flux tower in Nord.

(라) 관측 자료 현황
관측은 2016년 4월 하순부터 시작되었고 덴마크 Aarhus 대학 연구진의 협조로
2017년 8월 21일까지 자료 입수하였다. 이 기간 중 2016년 6월부터 2016년 10월까지 자
료가 손실됨. 주 원인으로 기지에서의 일시적인 정전 후 자료 집록 컴퓨터의 일시 고장
으로 자료 백업이 안되는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월평균 기온 (Fig. 3.30)은 -30 – 5℃이며, 영상인 달은 6, 7, 8월의 3개월이며 월평
균 토양온도는 –15 – 7℃로 기온보다 높았다. 이 기간 지면에 쌓인 눈이 녹아 나지가
대기에 노출되어 토양 온도가 상승한 것으로 파악된다. 풍속 (Fig. 3.31)은 월평균 4 m/s
이내로 강하지 않은 지역이다. 잠열과 현열 플럭스의 경우 2016년에 자료 손실이 심하
여 유의미한 분석이 힘든 상황이다
이산화탄소 플럭스를 보면 (Fig. 3.32), 월평균 이산화탄소 플럭스는 –0.02 – 0.02
mgCm-2s-1로 매우 작은 값을 보이고 있으며 예비 자료 분석에 의하면 7월에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에 대한 흡원으로 작용하나 나머지 기간은 모드 약한 소스로 작용. 하지만,
이 지역에는 식생이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이산화탄소 플럭스 자료에 대한 보다 정
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야간 이산화탄소 플럭스와 온도와의 상관관계 분석
을 실시하였으나 2016년에 대부분의 이산화탄소 플럭스 자료가 손실되어 유의미한 결
과를 보이지 않고 있다.

- 8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3.30. Monthly average Air temperature in Nord.

Fig. 3.31. Monthly average wind speed in Nord.

Fig. 3.32. Monthly average carbon flux in Nord.

(마) 관측지 개선사항 요약


○ 접근성이 떨어지며, 통신 환경이 열악함: 현지 체류 군인을 활용한 시스템 지속감시

- 8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주변 호수 및 건물: 풍향에 따른 자료 해석 요구

(4) 러시아 바라노바 (제5관측 거점)


(가) 관측지 개요
바라노바 기지(Baranova Station, 79°16' N, 101°45'E)는 북극해의 카라해(Kara
Sea)와 랍티브해(Laptive Sea) 사이에 있는 Severnaya Zemlya archipelago의 볼쉐비키
섬의 북쪽 끝단에 위치한다(Fig. 3.33). 볼쉐비키 섬과 대륙의 시베리아 사이의 해협은
북극항로로 이용되기도 한다. 바라노바 기지 주변은 북극에서 가장 연구가 안 된 지역
중의 하나이다. 러시아 북극남극연구소(AARI; Arctic and Antarctic Research Institute)는
바라노바 기지를 Tiksi 관측소에 이은 제2의 북극해 국제기지로 개발 중이다.
2013년부터 기상, 해양학, 해빙, 지구물리, 수문학, 빙하학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수행해 오고 있으며, 여러 국제 관측 네트워크도 준비 중이다. 대기환경 측면에서 지상
및 상층 기상관측, 대기복사, 난류 에너지 플럭스, 오존 전량, 대기 경계층 온도 구조를
관측하고 있다. 핀란드 기상 연구소와 함께 온실 가스 농도 및 에어로졸 연구도 수행
중이다.
지표면 근처 토양층에서의 온도 및 수분 변화를 관찰하고, 모델을 이용하여 1930년
대부터 활동층의 두께의 장기 변동을 추정해 오고 있다. 토양 타입은 Cryozems이며, 지
표면 근처 토양에는 돌이 많으며, 부분적으로 초본 식물이 있다. 이 지역의 식생은
G1(Walker et al., 2005)에 속한다. G1의 특징은 Rush/grass, forb, cryptogam tundra
Moist tundra with moderate to complete cover of very low-growing plants. Mostly
grasses, rushes, forbs, mosses, lichens, and liverworts 등으로 나타난다.

- 8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3.33. Location of Baranova Site.

(나) 로지스틱스
바라노바 기지에는 운영인력이 연중 7-8인 상주하며, 기지 유지 및 연구장비를 운
영한다. 바라노바 기지를 가려면 러시아의 St. Petersburg에서 Krasnoyarsk와 Tura를 경
유하여 Khatanga까지 비행기로 이동한다(Fig 3.34). Khatanga에서 기지까지는 헬기를 이
용해야 하는데 도중에 Mys Chelyuskin에서 급유한다. 2016년의 경우 MI-8 헬리콥터를
이용한 총 7번의 비행이 있었다. St. Petersburg에서 기지까지 이동에는 대략 5일이 소
요된다. 이와는 별도는 Murmansk에서 선박으로 기지로 가는 경우도 있다. 이 노선은
여러 군데를 경유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걸리며, 또한 바라노바 기지에서는 2일 전후
만 정박하여 현장에서의 연구 활동이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부피가 큰 화물을 사전
에 보내는 경우에만 활용할 수 있다. 극지연구소 연구원이 2017년도에는 관측시스템 구
축을 위해 기지를 방문하려 했으나 러시아 정부의 허가 등 행정적인 절차로 인한 시간
이 많이 소요되어 방문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다만, 2월 러시아 연구자들의 극지연구소
방문 시 상호 논의한 대로 극지연구소 연구 장비가 9월에 러시아로 발송되었고, 러시아
연구원이 극지연구소의 디자인(Fig 3.35)대로 관측시스템을 바라노바 기지에서 남동쪽으
로 약 1 km 떨어진 곳에 구축하였다(Fig 3.36).

- 8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3.34. Route from Saint Peterburg to Baranova Station. White line is

airplane, yellow is helicopter.

(다) 관측시스템

Fig 3.36. Eddy Covariance Tower

and Container in

Baranova, Russia(2017.

Fig 3.35. Diagram of Flux system.


10.22).

- 9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Table 3.1. Instrument list in baranova site


관측기기명 관측높이 개수 측정변수
풍향
3-D 초음파 풍향풍속계 3 m 1 풍속
온도
CO2 농도
CO2/H2O 가스분석기 3 m 1
H2O 농도
2-D 풍향 풍속계(Wind 풍향
3 m 1
Monitor) 풍속
상향 단파복사
하향 단파복사
순복사계 (Net Radiometer) 3 m 1
상향 장파복사
하향 장파복사
온도
온습도계(T&RH probe) 2.3 m 1
습도
대기 압력계 1 m 1 대기압
2 cm
토양 온도계 2 토양 온도
6 cm

지중열 측정계 8 cm 3 지중열 플럭스


2 cm
토양 수분계 4 토양 수분
10 cm

(라) 예비 결과
① 기상
AARI에서 제공한 2013년부터 2016년까지의 기상 자료를 분석하였다. Fig. 3.37은
2016년 기지에서의 바람장미이다. 남서풍의 빈도가 가장 지배적이며, 강한 바람도 이
구간에서 많이 불었다. 이 구간에서 12 m/s의 강한 바람이 연중 10% 이상 불었다. 상대
적으로 북서풍의 비율이 가장 적었다. 플럭스 시스템은 북서풍에 대해 바라노바 기지의
풍하측에 있기 떄문에 바라노바 기지가 플럭스 관측에 미치는 영향은 최소화될 것으로
보인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의 바람장미 역시 2016년과 비슷하였다. 따라서 이곳에
서의 플럭스 연구와 관련된 동토 및 식생 특성 연구는 플럭스 타워를 중심으로 남서쪽
으로 집중되어야 한다.

- 9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3.37. Wind rose in Baranova at 2016.

Table 3.2. Monthly average, max, min air


temperature from 2013 to 2016 in Baranova.
Month TAve (℃) TMax (℃) TMin.(℃)
1 -24.0 1.0 -38.7
2 -23.0 -10.2 -37.4
3 -21.4 -4.6 -33.6
4 -16.2 1.3 -31.8
5 -9.2 -0.6 -20.0
6 -0.7 5.9 -6.6
7 1.2 12.1 -2.6
8 0.9 11.0 -3.9
9 -0.9 6.7 -11.3
10 -8.5 1.0 -24.7
11 -15.4 -0.4 -31.6
12 -21.5 -3.6 -34.1

Table 3.2는 같은 기간 측정된 기온의 월별 평균, 최대 및 최소값이다. 평균적으로


7월과 8월을 제외하면 기온은 영하이다. 특히, 12월부터 다음 해 3월까지 평균 기온은
영하 20도 이하로 매우 춥다. 6월에서 9월까지의 4개월은 평균 기온이 0도 전후로 이
지역에서 기온이 가장 높은 시기이다. 특히, 7월과 8월의 최고 기온은 영상 10도를 상
회한다. 최저 기온은 약 –39도이며, 11월부터 다음 해 4월까지 최저 기온은 –30도 이하
이다. 월별 기온에 의하면 야외에서의 안전한 연구 활동이 가능한 시기는 5월에서 10월
까지로 보인다.

- 9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참고] 러시아 동토 기반 거점 구축
가. 러시아 북극권 동토 기반 한-러 공동연구의 중요성

○ 러시아의 북극지역 개발과 과학연구 관심 증대


- 러시아의 신 개념 북극정책 추진 계획(‘2020 북방국가안보전략(National
Security Strategy to 2020’, 2009년 발표)
- 러시아 연방정부 차원에서 과학기술 발전 및 장비개발, 지리적 탐사활동 강화,
지역경제 활성화 등 주제로 향후 5년 동안 약 2,220억 루불(한화 약 3조 6천
억원) 투자 계획 중
- 북극 과학연구 수행 기술 및 장비개발에 박차 : 전용 슈퍼원자력 쇄빙선 및 전
담 헬기 개발 중, 환경변화에 따른 북극해 및 동토층 심층 탐사(대륙붕 석유
조사, 고환경 분석, 지질, 대기, 생태 분야 등) 계획 중
※ 블랙카본 배출량 저감 ‘Valdai 프로젝트’,‘Tundra 프로젝트’개시(2015)
※ 러-중 대규모 북극공동프로젝트(천연자원 생산, 환경연구 등) 계획 중
- 북극권 동토 기반 관측망 구성, 생태계 보호, 북극항로 이용 등 중점 수행,
2015년 볼세비키 섬에 Veranova 기지 구축 중이며, 미국, 독일과 함께 북극권
환경변화 종합연구 수행 중
○ 우리나라의‘북극정책기본계획’(2013년 발표) 실천 및 한-러 북극연구 강화
- 우리나라의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북극연구 및 국제협력 강화 계획에 따라, 북
극이사회 국가 중 최대의 북극해 연안과 동토 지역을 갖고 있는 러시아와의
협력 강화 필요
- 우리나라가 현실적으로 북극항로개발이나 북극자원개발을 추진하기 위해 러시
아와의 북극 지역개발, 자원개발, 환경변화의 과학적 연구 등에 대한 체계적
이며 효과적 접근 방안 마련과 실질적 과학 연구 기반 조성 필요
- 과학적 측면에서는 러시아 AARI (Arctic and Antarctic Research Institute)가 운
영주체인 북극 관측소를 공동 활용 및 관측 거점을 확보하며, 북극 동토지역
환경변화 연구 등 한-러 공동연구 수행 필요

나. 추진경과(진행 사항 등)

○ 극지연구소(KOPRI)-AARI 연구자간의 공동연구 주제 및 방법에 관한 논의 기


완료(부록 1) 및 기관간 MoU 문건 작성중 (부록 2)
※ 러시아 전문가 초청 한-러 북극 과학연구 논의
- 제 1차 회의, 2015년 1월 : 극지연구소
- 제 2차 회의, 2015년 5월 : 극지연구소
- 제 4차 회의, 2016년 5월 : 극지연구소

- 9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러시아 극지연구 동향 소개
- KOPRI-AARI 간 북극권(남극 포함) 공동연구 논의
- 러시아 북극기지 공동활용 및 상호 인력교환 등 논의
※ 극지연구소 연구원 AARI 방문 공동연구 논의 및 MoU 문건 작성
- 제 4차 회의, 2016년 6월 : 러시아 St. Petersburg
※ 러시아 ‘국제북극자원및연안연구’컨퍼런스 참석(2015. 9, 아르항겔스크)
- 대한민국 극지연구 동향 소개
- 한-러 간 북극공동연구 논의 등
○ AARI의 입장은 대한민국정부의 요청에 의한 한-러 정부간 공식 논의가 선결
조건임을 강조하며, 국내과학자의 현장 방문 등 구체적 연구활동의 시작을 유
보하고 있는 단계임
○ AARI 관련 러시아 정부 기관 :
(1)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of the Russian Federation
(2) 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 of the Russian
Federation
(3)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the Russian Federation

다. 러시아의 북극연구활동 현황

○ AARI 는 3개의 북극 기지 운영 중 (부록 3)


○ 연구 후보지 1순위로 논의된 Baranova 기지(부록 3중 지도 표시 1번)는 북극해
의 볼쉐비키섬에 위치하고 있으며 북극기후변화 국제공동연구기지로 활용을
시작하는 단계임

라. 공동연구 제안서 주요 내용

○ AARI 운영중인 Baranova 기지 (또는 Tiksi, Samoylovsky 관측소) 공동활용(우리


나라의 러시아 북극 연안 동토층 관측 거점으로 확보)
○ 북극 동토-대기간 에너지, 온실기체 교환 및 환경오염 한-러 공동 연구 수행

마. 기대효과

○ 한-러 양국 과학자간 북극 동토 공동연구의 구체적인 시작


○ 우리나라의 러시아 동토 지역 관측 거점 확보 및 러시아 북극 관측소의 공동
활용으로 글로벌 이슈인 북극 동토층 환경변화 연구의 주제-지형적 영역 확대
(시베리아 환경변화에 따른 한반도 기후 파급효과 예측 강화)
○ 우리나라의 북극해 북서항로개발시 과학적 기초자료 확보 및 제공 가능

- 9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5) 비교 실험
(가) 관측 개요
아산화질소(N2O)는 이산화탄소(CO2)및 메탄(CH4)와 더불어 중요한 온실가스로서 지
속적이고 체계적인 감시가 요구된다. 에디 공분산 기술 기반의 CO2 플럭스 관측은 이미
세계적으로 관측망이 구축되어 관측부터 자료 처리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이 표준화
되어 있을 뿐 아니라 체계적으로 잘 문서화 되어있다. 그러나 미량 기체인 N2O의 경우,
레이저기반의 고속반응 분광계를 필요로 할 뿐 아니라, 이에 수반되는 플럭스 자료의
처리 과정이 표준화 되어 있지 않다.
극지연구소에서는 광학 공동 적분 투과 분광법에 기반한 폐회로 기체분서기를 이
용하여 N2O 플럭스를 제2 관측 거점인 캐나다 캠브리지 베이에서 관측할 예정이다. 이
에 앞서 관측 설계의 테스트와 자료 처리의 표준화를 위한 시험 관측이 필요하다. 논은
국내 농업분야에서 아산화질소플럭스 방출의 60%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발원지로서 국
내에서 N2O 플럭스를 측정하기 위한 좋은 시험장소이다. 이에 따라 국내 최초로 에디
공분산 방법을 이용하여 논에서 N2O 플럭스 시험관측을 수행하였다.

(나) 관측지
N2O 플럭스 관측을 수행한 실험 장소(38o12' 5”N, 127o 15' 2”E, 해발고도182m)는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에 위치한 논으로서 단모작이 이루어지는 곳이다(Fig. 3.38). 관측
지 주변은대부분 논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균질하며 평탄한지형이다. AsiaFlux플럭스 관
측망 (www.asiaflux.net)에 ‘CRK’ 사이트로 등재되어 있는 플럭스 타워는 논 사이에
구축되어 있다. 관측 타워로부터 남쪽방향으로 50m 떨어진 곳에 농업기술 센터가 위치
해 있다.

Fig. 3.38. Cheolwon site in Korea.

- 9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다) 관측 시스템

Fig. 3.39. Diagram of LGR instrument.

10미터 관측 높이에 3차원 초음파 풍향풍속계(CSAT3,Campbell Scientific Inc., USA)


와 고속반응 개회로 H2O/CO2 분석기(LI-7500,LI-COR Inc., USA)로 에디 공분산 관측이
수행되고 있다(Fig. 3.39). N2O 플럭스를 측정하기 위해 10미터높이에 흡입구를 설치하
고 38미터 길이에 직경 9.5mm 튜브를 이용하여 광학 공동 적분 투과 분광법을 이용한
고속 반응 폐회로 분석기(N2O-CH4Analyzer, Los Gatos Research, USA)를 설치하였다.
두 기기간의 수평적인 분리 거리는 주파수 보정과 흡입 튜브로 인한 공기 흐름의 일그
러짐을 고려하여 관측 경로의 중심을 일치시키고 수직적인 거리는 0.55m 로 설정하였
다. 튜브의 길이와 관측 기간 동안의 온도에 따른 공기 밀도를 고려하여 난류 특성을
최대한 유지하기 위해 흡입 속도를 10Lm-1 로 설정하였다. 기기내부로 유입되는 먼지
차단을 위해 튜브 중간에 2 micro meter 필터를 중간에 설치하였다.
폐회로기체 분석기인 LGR의 내부셀의 레이저 수평 경로 길이와 높이는 각각 28cm
와 1 cm 이다. LGR 기기내부에 펌프가 있지만 반응 시간이 15초로 매우 느려 에디 공
분산 방법을 사용하게 적합하지 않다. 이에 외부에 펌프(XDS-35i)를 연결하여 반응 시
간을 0.07초로 만들어 관측하였다. 모든 난류자료의 샘플링 속도는 10Hz로 관측되었고,
원시 자료(rawdata)를 자료 집록기에 저장하였다.

(라) 관측 결과
본 실험에서는 KoFlux표준화 프로토콜에 제시된 순서대로 관측된 자료를 후처리
(post-processing)하였고, 계산 프로그램은 에디 프로(EddyProTM 6.0, LI-COR Inc.,USA)
를 사용하였다. 10 Hz 자료로부터 30분 평균된 공분산 자료를 계산하기 전에, 먼저 모
든 풍속 자료에 대해 평균 연직 이류와 평균 연직 풍속을 0으로 만들어 주기 위해 좌
표회전(coordinate rotation)방법인 이중 회전(double rotation)을 사용하였다. 이어서
CSAT3에서 관측된 음속 온도에 대해서 수증기 보정을 적용한 후에 10Hz 자료에서‘지

- 9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연시간 보정'을 적용한 30분 평균된 공분산 자료를 계산하였다. 이렇게 계산된 30분
평균공분산 자료에 대해서‘주파수반응 보정’을 적용하였다. LGR의 경우 일정한 온도
와 압력에서 기체의 혼합비를 측정하기 때문에 ‘공기밀도 보정’ 및 레이저장비에 적
용되는 분광 보정을 적용하지 않았다.
관측 자료의 품질을 확인하기 위하여 난류가 잘 발달된 6월 17일 정오 시간에 대
해 연직 풍속(w), 메탄 농도(m), 기온(T)의 멱스펙트럼과 N2O 플럭스(N2O)의 코스펙트럼
을 분석하였다(Fig. 3.40). 변수들 간의 상사성을 가정하면, CSAT3에서 독립적으로 관측
되는 w와 T의 스펙트럼 및 코스펙트럼을 기준으로 N2O 자료를 비교해 볼 수 있다. 따
라서 N2O 농도의 스펙트럼과 N2O 플럭스 의 코스펙트럼이 보이는 차이는 곧 기기간의
경로 길이 및 분리 거리에 의한 효과로 해석할 수 있다.

Fig. 3.40. Power Spectrum and Cospectrum of N2O flux.

(마) 향후 연구 결과 활용
국내 최초로 N2O 플럭스 관측 실험을 수행하였다. 관측을 수행하는데 있어 실험 설
계에서 부족한 점을 확인하였다. (1) 튜브의 길이로 인한 분리 거리 효과 (2) 난류 특성
을 유지하기 위한 흡입 속도 가 관측 결과에 특히 큰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차후
관측을 수행함에 있어, 이번 실험 설계에서 부족한 부분에 대한 보완하여 수행될 예정
이며, 현재 관측된 플럭스 자료에 대한 주파수 보정의 영향의 효과를 분석할 예정이다.

나. 동토 관측거점 기반 환경변화 인자 연속관측 및 DB 구축


(1) 캠브리지 베이 블랙카본 연속 관측
캠브리지 베이의 대기 중 블랙카본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2013년 7월 마을로부터 북
쪽으로 약 800m 떨어진 고층 관측동 (Upper Air Observatoy) 내에 블랙카본 분석기
(Aethalometer, AE-21)를 설치하였다. 고층 관측동으로부터 북쪽으로 약 100m 떨어진 곳

- 9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에선 2012년 7월부터 10m 기상타워가 설치되어 연중 상시 기상요소들을 동시에 관측하고


있다. 매년 6월 중 연구원이 현장을 방문하여 데이터를 회수해오고 있으며 회수한 블랙카
본 관측자료의 기간은 현재 2013년 7월부터 2017년 5월까지이다. Fig. 3.41은 관측된 블랙
카본의 월평균 농도 변화 그래프이다. 블랙카본의 관측주기는 5분으로 원시자료를 이동평
균하여 월평균을 산출하였다.

Fig. 3.41. Monthly mean variations of black carbon concentration at Cambridge Bay site
during the observational period (July 2013.07 ~ May 2017).

블랙카본의 월평균 농도 범위는 2013년 7월에 최소 약 20ng/㎥에서 2015년 2월에 최


대 약 102ng/㎥ 를 보였다. 2015년 2, 8월을 제외한 모든 달의 블랙카본 월평균 농도는
100ng/㎥이하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Table 3.3. Monthly mean Black carbon concentration in 2016 and 2017 (unit: ng/㎥)

1 월 2 월 3 월 4 월 5 월 6 월 7 월 8 월 9 월 월
10 월
11 12 월

2016년 49.6 34.2 67.3 72.5 28.4 65.1 44.9 40.7 47.9 23.1 48.8 58.8

2017년 51.5 81.6 75.8 63.8 34.1

Table 3.3은 올해 분석한 2016년 9월부터 2017년 5월까지의 블랙카본 월평균 농도를 포함
한 표이다. 2016년 9월 평균농도는 약 48ng/㎥, 10월은 약 23ng/㎥, 11월은 약 49 ng/㎥, 12
월은 약 59ng/㎥를 보였으며 2017년 1월 평균농도는 약 52ng/㎥, 2월은 약 82ng/㎥, 3월은
약 76ng/㎥, 4월은 약 64ng/㎥, 5월은 약 34ng/㎥이였다. 작년 동일기간과 비교해 보았을
때, 80ng/㎥ 농도 이하로 올해와 비슷한 수준과 경향을 보여주었다.

- 9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3.42. Box plot for monthly black carbon concentration during the observational period
(July 2013 ~ May 2017).

Fig. 3.42는 캠브리지 베이의 2013년 7월부터 2017년 5월까지의 월평균 농도를 박스플
롯으로 나타낸 그림이다. 모든 달에서 평균값이 중앙값보다 높게 나왔으며 최소 평균값은
10월에 약 32ng/㎥, 최대 평균값은 3월에 약 71ng/㎥이었다. 중앙값은 9, 10월에 약 19ng/
㎥으로 최소값을 보였으며, 3월에 66ng/㎥으로 최대값을 보였다. 중앙값으로 살펴보았을
때 5~10월까지 농도값이 낮고 상대적으로 11~4월까지 농도값이 높아 계절상 여름, 가을에
낮고 봄, 겨울에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북극에 위치한 타 관측소의 관측결과
와 비슷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1998년부터 2007년까지 Zepplin 관측소에서 관측한 결과에 따르면 (Eleftheriadis, K.
et al., 2009) 월평균이 2, 3월에 약 80ng/㎥으로 최대, 6~9월까지 0-10ng/㎥로 최소를 보
였으며 Alert, Barrow 관측소 역시 봄, 겨울에 높고 여름에 감소하는 경향의 계절적 순환
을 보인다고 보고되었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3년 7~12월까지의 캠브리지 베이 블랙카
본 평균농도는 약 41ng/㎥, 2014년 연평균은 약 51ng/㎥, 2015년은 약 60ng/㎥, 2016년은
약 48ng/㎥, 2017년 1~5월까지의 평균농도는 약 55ng/㎥를 보였다. 총 관측한 2013년 7월
부터 2017년 5월까지 캠브리지 베이의 블랙카본의 평균농도는 약 52ng/㎥로 Zepplin 관측
소의 1998-2007년 평균농도 39ng/㎥, Alert, Barrow 관측소의 1998-2004년 평균농도 약
25ng/㎥와 비교해 보았을 때 북극에 위치한 타 관측소보다는 다소 높은 값을 보였다.

- 9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3.43. Scattering plots for black carbon concentration as a function of wind direction.

Fig. 3.43은 풍향에 따른 블랙카본의 농도값을 연도별 scatter plot으로 나타낸 것으로 중심
에서 멀어질수록 높은 농도를 의미한다. 기상관측자료 주기 30분에 맞춰 블랙카본 원시자료를
이동평균 후 30분씩 평균을 내어 사용하였으며 관측기간 중 기상 데이터가 해당 월에 80%이상
없을 경우에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결측된 달은 2014년 1~5월, 9월, 2016년 2월이다.
연도별, 풍향별 블랙카본 농도를 살펴보면 2013년 7월부터 12월까지 북동풍이 불 때 약
34ng/㎥, 남동풍이 불 때 약 17ng/㎥, 남서풍이 불 때 약 65ng/㎥, 북서풍이 불 때 약 100ng/㎥
의 농도값을 보였다. 2014년 9월을 제외한 6월부터 12월까지의 풍향별 블랙카본 농도는 북동
풍일 때 약 43ng/㎥, 남동풍일 때 약 36ng/㎥, 남서풍일 때 약 119ng/㎥, 북서풍일 때 약 74ng/
㎥ 이었다. 2015년은 북동풍일 때 약 51ng/㎥, 남동풍일 때 약 33ng/㎥, 남서풍일 때 약 126ng/
㎥, 북서풍일 때 약 77ng/㎥이었으며 2월을 제외한 2016년은 북동풍일 때 약 51ng/㎥, 남동풍일
때 약 21ng/㎥, 남서풍일 때 약 101ng/㎥, 북서풍일 때 약 47ng/㎥ 이었다. 2017년 1월부터 5월
까지 북동풍일 때 약 79ng/㎥, 남동풍일 때 약 33ng/㎥, 남서풍일 때 약 69ng/㎥, 북서풍일 때
약 64ng/㎥의 농도값을 보였다.
기상관측자료와 블랙카본 관측자료가 동시에 연중 대부분 관측된 2015년과 2016년의 풍향
별 관측자료를 보았을 때 남서풍일 때 블랙카본 농도가 높은 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관측지로
부터 남쪽으로 약 1km 떨어진 곳에 마을이 형성되어 있고, 남서쪽으로 약 2.5km 떨어진 곳에
는 공군기지가 위치하고 있어 이곳들이 오염원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2) 스발바르 구름응결핵 연속 관측


구름응결핵계수기(CCN Counter)에 의해 수집된 구름응결핵(이하 CCN) 수농도가 북
극 지역에 위치한 제플린 관측소에서 실시간 모니터링 중이며, 수집된 데이터를 사용하
여 CCN의 월별, 계절별 특징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데이터 분석기간은 2007년 4

- 10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월부터 2017년 10월이며, CCN 농도가 가장 높은 계절인 봄철의 CCN 스펙트럼의 과포


화도가 0.33%일 때 CCN 농도가 최댓값을 나타낸다는 결과에 따라, 이 연구에서 사용된
모든 데이터는 과포화도가 0.4% 일 때 관측된 수농도를 사용하였다.
데이터 품질관리 방법은 1초마다 생성되는 CCN 데이터를 시간평균, 일평균, 월평
균, 연평균 순서대로 진행하였으며, 시간 평균부터는 데이터 획득률이 50% 미만일 시
제거하였다. 11년 동안의 월별 평균값의 시계열에서, 최댓값은 2010년 3월에
217.32cm-3, 최솟값은 2012년 10월에 20.87cm-3을 보였으며, 시계열을 통해 뚜렷한 연
간 주기성을 보였다. 또한, 계절 평균값에서는 봄 동안에 최댓값(148.74cm-3), 가을에
최솟값(43.90cm-3)인 계절별 특성을 보였다(Fig. 3.44).
북극에서의 월별, 계절별 CCN 농도가 주기성을 보이는 이유는, 저위도에서 발생한
인위적인 입자들의 장거리 수송에 의한 북극 연무(Arctic Haze)가 늦은 겨울부터 이른
봄 사이의 북극 지역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며, 여름철에 유지되는 높은 CCN 수농도는
다른 물리화학적 과정의 기여가 있을 것이라고 추측된다. 가을과 겨울에는 봄철과 여름
철에 비해 낮은 CCN 농도가 매년 나타났다. Fig. 3.45는 10년 동안(2007-2016)의 월별
평균 CCN 수농도와 2017년의 월별 평균 CCN 수농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2017년의
월평균 데이터 대부분이 10년간 월별 평균값의 표준편차 내에 있지만, 9월에 평균보다
약 68.02cm-3 높은 값을 보였다. Fig. 3.46은 2007년부터 2017년까지의 연평균 CCN 농
도이다. 관측기간 동안의 CCN 평균 농도는 95.07cm-3이며, 2017년 평균은 105.61cm-3
으로 11년간의 CCN 평균 농도보다 높았다(Fig. 3.47). 2013년과 2017년을 제외한 모든
연도의 CCN 수농도는 100cm-3 미만이다.

Fig. 3.44. Monthly mean CCN concentration during the observational period

(2007-2017). The error bars indicate standard deviation from the monthly

average.

- 10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3.45. Seasnoal variation in CCN concentration at Zeppelin station.

Fig. 3.46. Monthly mean CCN concentration from 2007 to 2016 (circle). Monthly

mean CCN concentration observed in 2017 (triangle).

- 10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3.47. Yearly mean CCN concentration during the observational periods.

(3) 북극 스발바르 기후냉각물질 연속 관측


북극 스발바르 제플린 관측소에 관측한 기후냉각물질(DMS) 관측 자료를 통해, 봄철
(4월-5월) 대기 중 DMS 농도 변화가 대기 입자 및 황화염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기 중 기후냉각물질(DMS)의 농도는 5월에 급격히 증가하여 최대
400ppt까지 도달하였으며, 같은 시기에 관측된 초미세입자 (3-10 nm 크기 입자) 역시 4
월에 비해 5월에 높은 농도를 보였다. DMS의 대기 중 산화 물질인 MSA의 경우, 대용
량 시료 포집기를 활용하여 획득한 시료를 통해 농도를 분석 하였으며, 4월에는 50 ng
m-3이하의 낮은 농도를 보인 반면, 5월에는 최대 200 ng m-3이상의 높은 농도를 보였
다. 4-5월 사이에 관측된 DMS, 3-10nm 미세 입자, MSA의 농도 변화를 비교 분석해 본
결과, 각각의 인자들이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Fig. 3.48).
대기 중 황화염은 에어로졸 입자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화염의 동위원소 비율 및 MSA 농도 변화 관측을 통해 황화염에 대한 DMS의 기여도
를 분석한 결과, 북극연무(Arctic haze) 현상이 강하게 나타난 4월에는 인간 활동에 의
한 황화염 배출이 90% 이상을 보인 반면, 북극 해양의 생물활동이 급격히 증가하고 북
극연무(Arctic haze) 현상이 약해진 5월에는 DMS에 기원한 황화염의 발생이 월평균
50%이상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Fig. 3.49).

- 10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3.48. (a) The concentration of atmospheric DMS (grey circle) measured

at Zeppelin station, the concentration of nano-particles (3-10nm)

and MSA collected at the Gruvebadet observatory in Svalbard, (b)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mospheric DMS concentration and

the corresponding MSA, (c ) the relationship between atmospheric

DMS concentration and the corresponding nano-particles (3-10nm),

(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SA concetration and

corresponding nano-particles (3-10nm).

- 10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3.49. Sulfate aerosol souces including sea-salt (SS)

sulfate, anthropogenic (anth) sulfate and

DMS-derived (bio) sulfate, estimated using (a)

MSA as a biogenic indicator, and (b) stable S

isotope techniques.

DMS 기원 대기 황화염 성분이 농도는 인근해양의 생산력이 가장 높은 5월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뚜렷하게 보였으며, 이 시기에 대기 입자 수농도 및 크기 분포 변화에
도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대기 에어로졸 입자의 크기 분포별 수농도를 관측
한 결과, 북극연무 (Arctic haze)가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인 4월에는 주로 100nm 이상
크기의 입자 수동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반면 5월에는 이 보다 작은
크기의 입자 (100nm 이하)의 수농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DMS 기원 황화염 농도 증가와 100nm 이하의 nucleation mode 및 Aitken mode 크기의
입자 수농도 증가가 정확히 일치하는 경향을 확인 할 수 있었다 (Fig. 3.50). 본 연구를
통해 인근 북극 해양 생물 활동의 증가로 인한 DMS 농도 증가가 실제 대기 중 에어로
졸 입자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관측적 증거를 제시하였다.

- 10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3.50. Spectral plot of number size distribution as a fuction of particle

diameter and year day during April and May, The black line

represents the concentration of biogenic sulfate.

(1) 환북극 관측거점 추가확보 및 기후냉각물질 관측

(가) 아이슬란드 기후냉각물질 관측 거점 확보

아이슬란드는 북극권 경계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자연 기원 기후냉각물질인


DMS의 발생기 가장 높은 지역이다. 자연기원 기후냉각성분 발생의 증가는 인간 활동에
기인한 온실가스의 지구 온난화 작용을 상쇄할 수 있으므로, 장기적 관측을 통한 자연
기원 기후냉각물질 발생 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극지연구소-포항공
과대학교 환경공학부-아이슬란드 대학 지구과학연구소’간 연구 협력에 관한 약정
(LoU; Letter of Understanding)을 체결하여 국제 공동 연구를 수행하였다 (Fig. 3.51).
아이슬란드에는 3개의 Glabal Atmospheric Watch (GAW) station이 있으며, '극지연구소
-포항공과대학교 환경공학부-아이슬란드 대학 지구과학연구소‘간의 연구 협정을 통해
이 중 하나인 Storhofdi 관측지의 연구시설을 확보하였다. Storhofdi 관측지는 (63.4°N,
20.3°W, 118m) 아이슬란드 남단의 Heymayei 섬에 위치한 관측기지로 주요 특징은 아
래와 같다.
* 주요관측항목: 기상, 중금속, 주요 대기 화학 성분, 온실 기체 등
* 주요 연구 프로그램: European Monitoring and Evaluation Programme (EMEP),
Earth System Research Laboratory Carbon Cycle Gases (ESRLCCG)
* 연구참여기관: Icelandic Meteorological Office/Iceland University (아이슬란드),
Environmental research, WMO (스위스), Environment Canada (캐나다), Stony

- 10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Brook State University (미국), NOAA/ESRL Global Monitoring Division (미국)

Fig. 3.51. Letter of understanding between KOPRI, POSTECH

and University of Iceland (25, Oct. 2016 ).

2016년 10월 25일 ‘극지연구소-포항공과대학교-아이슬란드 대학’간의 MOU 채결


이후, 10월 30일에 Storhofdi 관측지에 실시간 기후냉각물질 분석이 가능한 DMS 분석기
기를 설치하였다. 극지연구소-포항공과대학교’간의 공동연구를 통해 자체 제작된 DMS
분석기기는 ppt 수준의 검출한계를 보이며, 연중 바람이 강하고, 저온다습한 아이슬란드
현지의 상황에서의 분석에 적합하도록 설계하였다 (Fig. 3.52). 아이슬란드 Storhofdi 관
측지에 신규 설치된 기후냉각물질 분석기기는 약 1시간 주기로 대기 중 DMS 농도 변화

- 10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를 실시간 관측하며, 원격제어기술을 통해 한국에서 해당 분석기기의 상황 및 대기 중


DMS 농도 변화를 관측하였다. 아이슬란드 대학 지구과학연구소와의 연구협조를 통해,
해당 분석기기의 점검 및 관측지 유지 보수에 필요한 아이슬란드 현지 인력을 지원 받
고 있다 (Fig. 3.53).

Fig. 3.52. Diagram of DMS analyzer at Storhofdi station in


Iceland.

Fig. 3.53. Storhofdi station located in Heymaey island, Iceland (left), and Automated
DMS analytical system installed inside of the Storhofdi station (right).

(나) 기후냉각물질 관측 및 인근 환경 요인 평가

대기 중 DMS 농도는 주로 인근 해양의 일차생산력에 의해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해양 생물활동이 강하게 일어나는 봄-여름철 대기 중 DMS 농도가 크게 증가한다. 선행
연구를 통해 북극 제플린 기지(북위 78.5도)에서 대기 DMS 농도를 관측한 결과, 주로 5

- 10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월에 가장 높은 DMS 농도를 보였으며, 최대 400pptv까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과제 연구기간 동안 아이슬란드 Storhofdi 기지에세 실시간 대기 DMS 농도를 관측하였
으며, 아래 Fig. 3.54와 같이 7월 DMS 농도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최대 800pptv 이상
농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Fig. 3.54. The mixing ratios of atmospheric DMS measured at Storhofdi station,
Iceland.

극지역에서 장기간 관측한 대기 DMS 농도 변화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인근 환경


요소들이 대기 DMS 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선, 관측기
지로 이동하는 공기궤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기 위하여 HYSPLIT 역궤적 분석 모델을 활
용하였으며, 관측지 인근 지역의 해양 환경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위성 자료
재해석 자료(Aqua-MODIS, GODAS, ISCCP 등)를 활용하였다. 극지역의 DMS 발생이 가장
강하게 일어난 시기에 관측지 인근 주요 해양의 일차생산력을 비교 해 본 결과,
Barents 해역의 일차생산력이 Greenland 해역에 비해 약 3배 이상 높게 나타났지만, 공
기역궤적 분석 결과와 DMS 농도 변화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Greenland 해역에서 유
입된 공기궤이 DMS 농도가 2배 이상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에, 관측지 인근 지역에서 해양 DMS 발생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
되는 다양한 환경 요인의 차이 및 변화를 분석하였다. 해양 생물에 의한 DMS 발생은
기본적으로 식물플랑크톤이 만들어내는 DMSP (dimethylsulfoiopropionate)라는 물질이 생
물학적 효소 활성에 의해 분해되면서 만들어지게 되는데,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DMSP의
생산은 종 조성에 따라 아주 큰 차이를 보인다. Greenland 해역과 Baretns 해역의
DMSP 발생량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최근 개발된 해수 표층 DMSP 분석 알고리즘을
연구에 활용하였다. (Gali et al., 2015). 해양 생물량이 가장 급격히 증가한 5월 북극해
의 DMSP to Chlorophyll 비율 변화를 분석해 본 결과 Greenland 해역의 DMSP to
Chlorophyll 비율이 Barents 해역에 비해 약 50%이상 높은 값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

- 10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다 (Fig. 3.55)

Fig. 3.55. (a) The 8-day mean DMSP to chlorophyll ratios for May in
2010, 2014, and 2015. The blue and red circles indicate the
mean DMSP to chlorophyll ratio for the Barents Sea (70oN–
80oN,16oE–50oE) and the Greenland Sea (70oN–80oN, 25oW–
16oE), respectively. The error bars indicate 1 standard
deviation (1σ) from the mean values obtained in 2010,
2014 and 2015. (b–d) Monthly mean DMSP to chlorophyll
ratio during May in (b) 2010, (c) 2014 and (d) 2015. The
stars indicate the location of the Zeppelin station
(78.5oN,11.8oE), Svalbard.

해양에서의 DMS 발생은 생물학적 요인 이외에 여러 물리적 환경요인에 의한 영향


을 받기도 한다. 특히 해양 표층의 광량 변화와 풍속의 변화는 해양-대기 사이의 DMS
flux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에, 두 해역 (Greenland vs Barents) 사이의 이러한 물
리적 환경요인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위성 관측 자료 및 재해석 자료를 통하여 연구
대상 지역의 해양 표층 광량 (Solar Radiation Dose: SRD) 및 해수 표층 풍속 (wind
speed)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두 물리적 환경요인은 두 해역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Fig. 3.56) 즉, Greenland해역이 Baretns 해역에 비해
높은 DMS 생산 능력을 보이는 이유는, 북극해에 생물량이 급증하는 시기에 Greenland
해역에 우점하는 식물플랑크톤 생물 종이 Barents 해역에 서식하는 생물 종보다 DMS

- 11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발생에 보다 유리한 종이기 때문인 것으로 유추 할 수 있다. 극지역의 급격한 환경 변


화, 특히 해빙 감소에 의한 해양 면적 증가 및 각종 영얌염 성분의 추가 공급으로 인하
여 미래 북극해의 일차생산력이 증가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하지만, 해양생물 기원
냉각가스의 발생은 단순히 전체 일차생산력의 증가 뿐만 아니라, 특정 생물의 종조성
변화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 할 수 있었다.

- 11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3.56. The 8-day mean solar radiation dose


in the upper mixed layer and (b)
mean sea surface wind speed during
the study period. The blue symbols
indicate the estimated values obtained
for the Barents Sea (70oN–80oN,16oE–
50oE) and the red symbols indicate
the estimated values obtained for the
Greenland Sea(70oN–80oN,25oW–16oE).
The error bars indicate 1 standard
deviation (1 σ) from the mean
values obtained in 2010, 2014, and
2015.

- 11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다. 동결-융해 환경변화에 따른 풍화과정 특성분석 및 추적 기술 개발

풍화는 주변 환경의 영향에 의하여 물리·화학적인 변화과정을 거치는 현상으로서


암석이 갖는 독특한 특성중의 하나이다. 암석의 풍화과정은 암석과 광물입자를 작은 결
정으로 깨트리는 역학적인 분해와 광물의 성분적 특성을 변화시키는 화학적 성분변화
로 구분 된다. 이러한 풍화는 기후조건과 지질구조, 광물조성과 조직, 시간 등에 지배를
받으며 풍화가 진행되면서 암석은 물리·역학적 특성이 변화되어 지질공학적 안정성이
저하된다. 기후조건의 경우 동결-융해 작용에 의한 영향이 암석 풍화에 가장 크게 작용
한다. 동결-융해 풍화작용은 사계절이 뚜렷하거나, 겨울철 일교차가 큰 지역, 한대 지역
의 여름철에 주로 일어난다. 이러한 동결-융해 작용은 물리적인 풍화작용으로 암석의
공극이 침수·건조를 반복하며 광물 입자간의 결합력이 약해져 발생한다. 암석 균열 등
에 침투하여 결빙된 물은 부피팽창을 하여 균열 내 인장응력을 발생시키며 기존 균열
을 확장시키거나 새로운 균열을 생성한다. 암석의 융해는 새로 발달된 미세균열로 물이
침투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하며, 동결-융해 과정이 반복될수록 풍화속도를 가속화시
키게 된다. 동결-융해 작용에 의한 암석 풍화는 암석의 물리·역학적 특성, 수리지질학
적 특성의 변화를 일으켜 지질공학적 안정성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된다. 동결-융해 작
용에 따른 암석 풍화 메커니즘을 규명은 해당 지질의 공학적특성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부분이다.
자연환경에서 발생하는 풍화는 오랜 시간에 걸쳐 서서히 발생되므로 암석의 특성
변화를 쉽게 알아낼 수 없다. 자연 상태의 암석 풍화를 측정하는 것은 시간적, 공간적
으로 제한적이므로 암석의 풍화 메커니즘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인공풍화 실험과 같은
극단적인 환경을 조성하여 실험하여야 한다. 동결-융해 인공풍화 실험은 동결 및 융해
온도 범위 설정, 온도 지속시간, 암석의 포화상태 등의 설정 변수가 필요하다. 암석 동
결-융해 온도범위 및 주기는 시험의 목적에 따라 각기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나 온도의
범위와 시간은 암석 내에 존재하는 물이 충분하게 동결과 융해가 일어나고 지속될 수
있도록 설정 되어야 한다. 일본토질공학회(1989)는 시료 내부에서 확실히 동결-융해가
발생하야 하고 실험이 반복될 때 온도조건이 일정하게 되도록 해야 한다고 하였다.
Bortz et al.(1993)은 자연상태에서 풍화를 받은 암석과 실내에서 풍화받은 암석(석회암,
화강암, 대리암)과의 상관관계를 제시하였으며, Bortz and Wonneberger(1995)는 얇은 석
판의 내구성을 결정하기 위해 인공적인 풍화실험을 하여 석회암, 화강암, 대리암의 수
명을 결정하였다. Dawn and Frank(2000)는 10가지 퇴적암에 대해 인공풍화실험을 진행
하여 물리·역학적 성질 변화의 상관성을 제시하였다. Hale and Shakoor(2003)는 각기
자연 상태에서 풍화도가 다른 6 종류의 사암에 대해서 동결-융해 작용과 습윤-건조, 열
-냉각과 같은 풍화실험을 진행하여 동결-융해 과정에 의한 물리·역학적 성질 변화에
대한 상관성이 습윤-건조, 열-냉각 방법에 비해 높다고 발표하였다. 박연준 등(2003)은
화강암에 대해 인공풍화실험을 실시하여 반복과정에 따른 물리·역학적 성질 변화를
관찰하여 상관성은 나타냈지만 역학적 성질인 일축압축강도의 경우 시료의 불균질성에
의해 동결-융해 과정에 따른 강도나 탄성계수의 증가가 발생한다고 발표하였다. 장보안

- 11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004) 등은 셰일에 대해 물과 산성용액을 포화시켜 물리·역학적 특성 변화를 관찰하


고 동결-융해 과정이 반복될수록 암석의 물리·역학적 상관성을 제시하였고, 물 보다
산성용액에 포화된 암석의 변화가 더 크다고 발표하였다. 장현식(2004) 등은 국내 홍천
군 풍암분지의 퇴적암을 대상으로 대상암석의 동절기 기온을 분석하여 기온변화를 고
려한 온도범위에서의 동결-융해반복 시험을 수행하였다. 김영석(2013) 등은 남극 테라노
바 만 편마암을 이용하여 인공 동결-융해에 의한 암반 풍화등급 변화를 연구하였다.
동결-융해 풍화 환경은 연구지역 기후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동결-융해 작용에 따
른 암석의 풍화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연구지역의 온도 변화와 암석특성이 반
영되어야 한다. 스발바르 니알슨 연구지역은 북위 약 79°에 위치하며 동계 및 하계로
구분되는 계절적 기온차이로 동결-융해에 의한 물리적 풍화가 발생된다. 본 연구는 북
극 스발바르 니알슨 지역의 암석에 대하여 동결-융해 풍화과정에 따른 지질공학적 변
화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암석 풍화가 대기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1) 다산기지 암석 풍화 진단 및 시료 채취

조사 지역은 노르웨이 스발바르 니알슨(11° 54' 41.23" E, 78° 55' 31.65" N)으로
스발바르 제도의 북동쪽에 위치한다. 이 지역은 북서방향의 반도와 동쪽만으로 이루어
져 있다. 암석의 동결·융해 과정에서의 실내 시험은 많은 양의 암석 시편이 필요하기
때문에 수백 kg의 암석 블록이 필요하였으며 따라서 Fig. 3.57 및 3.58와 같이 10개 지
역에 대해 암석 기초 조사를 수행하고 풍화 진단 및 암석 시료를 샘플링하였다. 이 그
림들은 각각 2016년도와 2017년도에 암석시료를 채취한 지역을 나타내고 있다.

3
4

5
6
2

Fig. 3.57. Sampling area in 2016.

- 11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3.58. Sampling area in 2017.

○ Scheteligfjellet 지역 암석 기초 조사
∙ Scheteligfjellet 지역의 암석은 석회암과 돌로스톤이 주된 암석으로 이지역 조
산운동의 특징인 습곡, 변형작용을 많이 받은 암석임
∙ 암석의 지층경계와 얇게 교호하며 암석간의 절리 및 균열이 매우 많이 발달하
여 있음
∙ Kolhamna 지역은 Ny-Alesund 북극기지 주변으로 주요 암석은 돌로스톤이 분포
∙ 이 지역의 돌로스톤은 단층 및 트러스트에 의한 큰 규모의 조산운동을 받아
대부분의 암석이 절리, 균열이 촘촘히 발달
○ Haavimbfieliet 지역 기초 조사 및 암석 채취
∙ Haavimbfieliet 지역은 해안가에 석회암, 돌로스톤이 분포하며, 산쪽으로 갈수
록 돌로스톤, 대리암, 천매암으로 나타남
∙ 석회암, 돌로스톤은 노두 주변에서 부분적으로 블록 형태의 암석이 존재
∙ 천매암은 엽리 발달이 심하여 시험용 암석 채취가 불가능
∙ Haavimbfieliet 지역은 석회암이 주종을 이루고 있음
∙ 비교적 신선한 블록 형태의 암편 블럭 채취가 가능
∙ 돌로스톤 및 천매암은 암편 블록 작업 중 대부분 훼손 됨
∙ Haavimbfieliet 지역의 석회암은 Ny-Alesund 지역의 대표암종으로 부분적으로
절리가 적은 암석군이 존재

- 11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노두에서 탈락된 블록 형태의 암편을 추가적으로 채취


○ Peirsonhamna 지역 노두 및 암석 기초 조사
∙ Peirsonhamna 지역은 Ny-Alesund 북동쪽에 위치한 섬으로 대부분 대리암이 분포
∙ 신선한 대리암은 균열, 절리가 없이 큰 강도를 보임
∙ 단층대에 인접한 대리암은 균열 정도가 심하여 샘플링 단계에서 대부분 시험
편으로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부셔짐
○ Stuphallet 지역 지질조사 및 암석 채취
∙ Stuphallet 지역은 해안가 하부지층이 셰일, 실트스톤, 샌드스톤으로 나타나며,
그 상부의 암석은 돌로스톤, 석회암이 나타남
∙ 셰일 및 실트스톤은 블록 형태의 암편 채취가 가능 함
∙ 석회암 및 돌로스톤은 채취 과정에서 훼손 됨
∙ Stuphallet 지역 셰일, 실트스톤은 이 지역의 대표 암종으로 충분한 양의 시험
편이 필요
○ Gluudneset 지역 기초 조사 및 암석채취
∙ Gluudneset 지역은 돌로스톤 및 석회암 층으로 구성
∙ 돌로스톤은 단층, 습곡작용 등에 의해 상당부분 균열 및 풍화가 진행되어 나타

∙ 균열 및 절리 발달이 적은 암석 블록을 채취
○ Colletthogda 지역 암석 및 지반 기초 조사
∙ 빙하에 의한 빙퇴석이 대부분 분포하고 있으며 천매암, 편마암과 같은 변성암
이 고지대에 분포, 지형경사가 심해 시료 채취 불가
∙ 석회암, 돌로스톤이 하부층에 나타나나 균열이 심하여 시료 채취 불가능

(2) 동결-융해 환경변화 추적

본 과제에서는 환북극권에서 채취한 시료를 암종별 각각의 물성변화를 측정하고


북극권에서의 암석에 대한 물성변화의 기초자료 획득 중에 있다. 특히 환북극권에서 암
석 풍화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동결융해를 실내시험으로 재현 실험하고 있다. 동결융해
시험을 통해 암석의 물리적 물성변화, 강도변화 등을 측정하여 암석별 풍화속도를 예측
하고자 암종별 풍화상태 평가, 비중, 흡수율, 공극률, 초음파속도, 쇼어경도, 슬레이크
내구성, 탄성계수, 일축압축강도 시험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암석의 풍화민감도 분석을 위해 암종별 XRD, XRF, 박편 분석을 동결융해 시
험 전, 후로 측정하고 있다. 동결융해 시험을 통해 풍화와 관련된 암석의 물성변화, 균
열 변화, 구성광물 변화, 유기물 변화, 강도 변화 등을 측정하고 동결융해에 따른 암종
별 풍화속도, 풍화 민감도 등을 예측하기 위한 연구이다. 암석 강도 변화는 암석 입자
의 변화 과정을 정량화 된 값으로 나타내기 위해 시험을 진행하고 있으며, 동결융해
1000회 시험을 통해 암석 풍화에 따른 강도변화를 예측하여 풍화현상을 파악하는데 의
의가 있다. 암석학적 분석을 위해 채취 암석별로 박편, XRD, XRF분석을 지질학 전문가

- 11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가 연구/분석 중에 있으며, 시험분석을 통해 채취 암석의 암종 및 풍화지수 산출을 위


한 기초자료를 획득하였다. 분석된 암종에 따라 동결-융해에 의한 비중, 흡수율, 공극
률, 속도, 강도 변화를 연구중이다. 본 과제는 환북극권 대표 암석을 분석하여 암석학적
성인을 예측하고, 암석 종류별 풍화민감도 및 풍화지수 산출을 수행하고 있고, 또한 본
과제에서는 지질학, 지질공학, 지구물리학 분야 등의 전문가가 종합적으로 검토, 분석하
고 있다. 암석별 대표 광물 분석에 대한 시험도 진행중이며, 앞으로 광물학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과제를 더욱 발전시킬 계획이다.
Fig. 3.59는 연구지역에서 채취한 시료를 박편분석한 결과이다. 박편관찰 결과 (a)
구성광물은 백운석, 방해석, 석영, 불투명광물이 관찰된다. 주로 백운석으로 이루어져
있고, 방해석, 석영이 관찰되는 석회질 백운암이다. 주로 세립의 결정들이 우세하게 발
달해 있으나, 0.5mm의 크기를 갖는 방해석 결정도 관찰된다. 속성작용 또는 변질작용에
의해서 등립상의 백운석이 발달해 있다. 방해석은 일부 결정에서 벽개면이 관찰된다.
직소광을 보이는 세립의 석영이 관찰된다. (b) 구성광물은 방해석, 백운석, 석영, 불투명
광물이 관찰된다. 방해석이 우세하게 관찰되고 석영, 백운석, 불투명광물로 이루어진 석
회암이다. 0.05 ~ 0.3mm의 결정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퇴적 당시의 입자 조직은 관찰되
지 않는다. 속성작용으로 인해 일부 방해석이 백운석으로 치환되어 있다. 0.3mm 내외의
방해석 결정은 일부 결정에서 쌍정이 관찰된다. (c) 구성광물은 석영, 불투명광물이 관
찰된다. 대부분 석영으로 이루어져 있고, 소량의 불투명광물이 관찰되는 규암(석영 사
암)이다. 평군 0.2mm의 결정크기를 보이며, 봉합상조직이 관찰된다. 대부분 직소광을
보이나, 일부 결정에서 파동소광이 관찰된다. (d) 구성광물은 석영, 투휘석, 불투명광물
이 관찰된다. 석영이 우세하게 관찰되고, 투휘석, 불투명광물이 관찰되는 규암이다.
0.3mm 내외의 석영 결정들이 우세하며 결정 사이를 세립의 결정들이 채우고 있다. 석
영 결정은 직소광을 보이는 결정과 파동소광을 보이는 결정이 함께 관찰된다. 석영 결
정에서 봉합상 조직이 관찰되며, 세립의 투회석이 산점상으로 소량 관찰된다.

- 11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a) Site-A(left:cross, right: open)

(b) Site-B(left:cross, right: open)

(c) Site-C(left:cross, right: open)

(d) Site-D(left:cross, right: open)

Fig. 3.59. Microscopic flake observation results.

- 11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시험편 제작
풍화시험을 위한 시료 채취는 다산기지를 기준으로 남동쪽 Site-A 및 Site-B 지역에
서 채취한 암석과 다산기지 북서쪽 Site-C 및 Site-D 지역에서 채취한 암석 블록을 사
용하였다(Fig. 3.60). 암석의 풍화등급 분류는 풍화등급 분류 기준(Dearman, 1974; IAEG,
1979; ISRM, 1981)에 따라 분류하였다(Table 3.4). 동결-융해 과정에 따른 지질공학적인
특성 평가를 위해 실내 암석 시험 항목을 비파괴시험 및 파괴시험으로 설정하였다.

(a) Site-A (b) Site-B

(c) Site-C (d) Site-D

Fig. 3.60. Rock sampling for various rock test.

Table 3.4. Classification of test specimens with weathering grade

풍화 등급 시료 No

Site-A Fresh A1, A2, A3

Site-B Fresh B1, B2, B3

Site-C Fresh C1, C2, C3

Site-D Fresh D1, D2, D3

동결-융해에 의한 암석의 역학적 특성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시험 항목에 따라


시료를 성형하였다(Table 3.5, 3.6). 채취된 암석 블록 시료의 크기를 감안하여 각각 NX,
NX-disc 및 1인치 규격으로 암석을 성형하였다. 암석은 ISRM(국제암반공학회)에 제안된

- 11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방법에 따라 원통형으로 성형하였다. NX 규격의 암석시료는 초음파, 물성변화 측정 및


파괴시험 용도로 제작되었다. NX 규격의 disc 형태 시료는 쇼어경도 시험에 사용되었
다. 1 inch 시료는 일축압축강도 측정을 위해 제작되었다(Fig. 3.61).

Table 3.5. Rock Freezing-thawing lab. test items

시험 항목 시험 결과의 이용

물성 시험(비중, 공극율, 흡수율 ) 비중, 흡수율, 함수비, 암석 투수성

쇼어경도 시험 암반 강도

초음파 속도 암반의 균열도 파악, 암반분류

일축압축강도 암반 강도

Table 3.6. Freezing-thaw weathering test

Site-A
물성 측정, 초음파 속도
시험 항목 쇼어경도 실험 일축압축시험
일축압축시험

시료 개수 3 3 45

Site-B

시험 항목 쇼어경도 실험 물성 측정, 초음파 속도 일축압축시험

시료 개수 3 3 45

Site-C

시험 항목 쇼어경도 실험 물성 측정, 초음파 속도 일축압축시험

시료 개수 3 3 45

Site-C

시험 항목 쇼어경도 실험 물성 측정, 초음파 속도 일축압축시험

시료 개수 3 3 45

- 12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a-1) NX size (a-2) NX disc (a-3) 1 인치 size

(a) Site-A

(b-1) NX size (b-2) BX size (b-3) 1 인치 size

(b) Site-B

(b-1) NX size (b-2) BX size (b-3) 1 인치 size

(c) Site-C

(c-1) NX size (c-2) BX size (c-3) 1 인치 size

(d) Site-D

Fig. 3.61. Sampling rock specimen for various site.

- 12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3) 풍화과정 추적 기술 개발

⚪ 동결-융해 시험 방법
- 동결-융해 온도 및 시간 설정
동결-융해 시험은 암석 내부에서 얼음 결정이 형성 될 때 발생되는 인장력으로 인
해 물리적 풍화를 재현하기 위한 실험이다. 동결-융해 온도 범위 및 시간 주기는 시험
의 목적과 연구지역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콘크리트에 관한 동결-융해에 대한 시험
법은 ASTM C-666, JIS A 6204 등에 나와 있으며, ASTM에서 제안된 동결융해 시험방법
의 온도 범위는 -17.8±1.7℃ ~ 4.4±1.7℃로 규정하고 있다. 아직까지 암석에 대한 규격
화된 동결-융해 시험법은 없으며 일본토질공학회(1989), Nicholson and Nicholson(2000),
김성수와 박형동(1999), 곽진철과 백환도(2000)등은 -20℃~20℃의 온도 범위에서 동결-
융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Bortz ea al(1993), Bortz and Wonneberger(1995)등은 -22℃~7
7℃ 범위에서 Park(1996)은 -10℃~150℃ 범위에서 동결-융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서 동결-융해 온도 범위는 스발바르 기온과 실험장비의 온도 범위를 고
려하여 –25±2℃~25±2℃로 설정하여 실험하였다. 동결-융해 시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암석 내부 온도변화를 측정하였다. 암석 내부 온도변화는 Fig. 3.62과 같이 암석을 천공
하여 온도를 모니터링하였다. 온도측정 시료는 NX size로 성형된 시험편을 직경과 길이
의 비가 1:2로 성형하여 온도변화를 측정하였다.

(a) 시험편 천공 (b) 온도센서 삽입

(c) 초속경 시멘트로 밀봉 (d) 포화상태로 동결-융해

Fig. 3.62. Rock internal temperature measurement..

- 12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암석을 완전 포화시킨 후 동결챔버를 –25±2℃ ~ 25±2℃ 범위로 변화시켰을 때의 암석


내부 온도 변화는 Fig. 3.63과 같다.

암석내부 챔버
40

30

20

10
온 도 (℃)

0
0:0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11:00 12:00
-10

-20

-30
시간 (hour)

Fig. 3.63. Freezing-thawing temperature change.

암석 내부 온도변화는 동결-융해 cycle 마다 약간의 차이를 보이긴 하지만 0℃까지


온도가 내려가는 시간은 약 30분이 소요되고 일정한 온도 범위를 보일 때까지는 약 4
시간 30분이 소요 되었다. 상온 까지 회복되는 시간은 약 3시간 30분이 소요 되었다.
암석 내부 온도 변화 측정을 통해 동결-융해의 반복시간을 결정한다. 동결-융해 1
cycle은 다음 Fig. 3.64와 같이 설정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동결-융해 300 cycle을 수행
하여 암석의 물성변화를 측정하였다.

Fig. 3.64. Freezeing-thawing cycle determination.

- 12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시료를 동결 시키기 전에 진공 챔버를 이용하여 강제 포화 한 뒤 동결-융해 실험


을 진행 하였다. 동결 및 융해 시간은 각각 5시간으로 설정 하였였으며 챔버 동결-융해
시 암석의 건조를 막기 위해 시험편을 물에 침수시켜 동결-융해하였다.

⚪ 암석시험
동결-융해 과정을 겪으며 지질공학적인 특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물성시험과 쇼
어 경도시험, 일축압축시험을 수행하였다(Table 3.7). 암석의 물성 변화 측정은 동결-융
해 시작전 초기값을 측정하고, 동결-융해 150 cycle 마다 암석시험을 수행하였다.

Table 3.7. Test items for freezing-thawing cycles

실험 항목 측정 횟수(cycle) 측정 상태 측정시 시료 사용 갯수

초기값, 150, 300, 450, 600, 750,


쇼어 경도실험 건조 5개
900, 1050

초기값, 150, 300, 450, 600, 750,


물성 실험 건조 5개
900, 1050

초기값, 150, 300, 450, 600, 750,


초음파 속도 건조 5개
900, 1050

초기값, 150, 300, 450, 600, 750,


일축압축실험 건조 1회 측정 당 3개 소요
900, 1050

- 물성 실험

□ 참고규격 : ISRM Suggested Methods for Determining Water content, Porosity,


Density, Absorption, and Related properties

(1) 개 요
① 비중(Specific Gravity)과 밀도(Density)
비중은 시료의 질량과 같은 부피에 대한 물의 질량의 비로써 정의되며 암석 내에
는 많은 공극과 균열이 존재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겉보기 비중을 구한다. 비중은 현
지 응력을 대략적으로 계산하거나 기타 수치해석 자료로서 입력되며, 일반적으로 화강

- 12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암의 비중은 2.6내외이고 퇴적암은 보다 적은 경우가 많으며, 일부 화성암과 변성암 중


에는 비중이 3.0 이상의 높은 비중을 보이는 암종도 존재한다.
② 공극률(Porosity)
공극률은 시료 전체의 부피에 대한 공극 부피의 비율로 일반적으로 %로 표시한다.
암석내의 공극은 다른 공극과 연결된 공극과 연결되지 않는 공극도 존재하기 때문에
참된 공극률은 측정이 불가능 하며 시료의 표면과 연결된 공극의 부피만 측정되며 유
효 공극률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고압 하에서 생성된 화성암은 공극률이 적게 나타나
고 퇴적암류는 공극률이 높게 나타난다. 이외에도 암석을 구성하는 광물들의 풍화에 의
해 공극률이 증가하는 경우도 있으며, 공극은 열, 가스, 지하수의 유동에 큰 영향을 미
치며, 공극수압이 작용되어 강도가 저하되기도 한다.
③ 흡수율(Absorption)
흡수율은 암석내의 유효 공극률의 정도를 나타내는 물리적 특성으로 암석 시료가
흡수할 수 있는 최대의 물의 질량과 시료의 질량의 비로써 정의되며 %로 표시한다. 상
호 연결된 공극만이 포함되며 흡수율이 증가하면 암석의 강도는 저하되고, 풍화가 심하
게 증가된 암석에서 흡수율은 급격하게 증가된다.

(2) 실험 장치
① 24시간 이상 105℃에서 ±3℃정도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건조로
② 시료를 식히는 동안 보관할 데시케이터
③ 시험편의 무게를 0.1g까지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적절한 용량의 저울
④ 수중 중량 측정 장치(Fig 3.65)

A : 시료
B : 바구니(다공질 용기)
C : 나일론사
D : 수조
E : 수면
F : 나일론사 고리
G : 저울 지지대
H : 저울
I : 저울 거치대

Fig 3.65. Weight measuring device.

- 12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3) 암석시료
물성시험 규격에서는 50g 이상의 임의의 형태를 가진 암석덩어리로 규정되어 있으
나, 통상적으로 일축압축시험을 위한 NX size, 길이 12cm인 코어 시료를 사용한다.

(4) 실험 과정
① 진공 챔버(chamber)에 물을 1/2 정도 채운 후 시료를 물속에 넣는다.
② 진공 펌프를 이용하여 6ton 이하의 기압으로 1시간 동안시료 내의 공극이나 균열을
물로 포화시킨다.
③ 이 시료에 대하여 수중중량(0.01g까지 측정)을 측정한 후(Msu) 표면의 물을 촉촉한
수건으로 닦은 후 포화중량(0.01g까지 측정)을 측정한다(Msa).
④ 시료를 105℃의 오븐에서 12시간 이상 완전 건조시킨 후 시료의 부피와 건조중량
(0.1g까지 측정)을 측정한다(Mdr).
※ 포화, CALIPER를 이용하여 공극률 및 밀도를 구하기 위한 방법은 물에 넣거나 오븐
에서 건조 시켰을 때 상당히 팽창하거나 풍화하지 않고, 기계로 가공할 수 있으며 잘
부서지지 않는 응집력 있는 암석에만 사용되어야한다.

(5) 자료 처리
비중, 밀도, 공극률, 흡수율은 실험을 통해 측정된 시료의 건조중량, 수중중량, 포화
중량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한다.


비중 =  식 2.1
  


밀도 =  식 2.2

  
공극률 =  ×  식 2.3
   

  
흡수율 =  ×  식 2.4
 

 : 시료의 건조 중량,  : 시료의 포화중량,


 : 시료의 수중 중량,  : 시료의 겉보기 부피

- 12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초음파 속도 시험(Ultra velocity test)


□ 참고규격 : ISRM Suggested Methods for Determining Sound Velocity
(1) 개 요
시료에 초음파를 통과시켜 탄성파(P파, S파)의 속도를 측정하는 시험으로, 탄성파
속도는 암석의 탄성계수, 전단상수, 포아송 비 및 밀도에 영향을 받는다. 또한 탄성파
속도는 암석내에 존재하는 공극이나 절리, 균열과 같은 빈 공간에 따라 상당히 달라지
므로 탄성파 속도는 동적탄성계수 뿐만 아니라 풍화 정도, 균열 계수 산정 등에 이용된다.
암석의 밀도를 알고 있는 경우 암석의 탄성파 속도를 이용하여 탄성계수 및 포아
송 비를 구할 수 있는데 이렇게 구한 탄성계수를 동적 탄성계수라고 한다.
(2) 실험 장치
초음파를 이용하여 탄성파 속도를 측정하는 장치는 Fig. 3.66과 같이 파형발생기,
송신기, 수신기, 파형표시기 등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장비에서 요구되는 제원은 다음과
같다.
① 파형발생기는 100kHz~2MHz 정도의 주파수 범위에서 정현판, 사각형파, 계단파 등의
생성이 가능해야하며, 파형발생과 동시에 주변기기를 트리거 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하
다.
② 송신기의 경우 전기적인 신호를 기계적인 파동으로 변환 시킬 수 있어야하며, 수신
기의 경우 기계적인 파동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 할 수 있어야 한다. 통산 압전소자를
이용한 변환기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송신기와 수신기의 주파수 응답범위는
100kHz~2MHz 정도여야 한다.
③ 오실로스코프는 발생 파형 및 수신 파형을 가시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장비로 5.0ns
에서 5.0s의 범위의 시차를 측정 할 수 있어야 하며 1% 이하의 정밀도를 가져야 한다.

Fig. 3.66. Ultrasonic velocity meter.

- 12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3) 암석시료
일축압축시험용 시료(NX 크기로 길이 12cm인 코어 시료)와 같은 규격의 시료를 사용하
여 초음파 속도를 측정하였다.

(4) 실험 과정
① 시료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한 후 양 단면을 정밀하게 연마한다.
② 105℃의 oven에서 12시간 이상 완전 건조시킨 시료를 30분 이상 냉각한 후 시료의
길이를 0.01 mm 까지 정확히 측정한다(L : mm).
③ 시료를 넣지 않고 송신기와 수신기만 접촉시켜 탄성파(P파와 S파)의 도달시간 측정
하여 초기지연시간을 (Initial Delay Time :   ,  sec) 결정한다.

④ 시료를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에 위치시키고 탄성파(P파 및 S파)의 도달시간을 측정


한다(  ,  sec). 이때, 시료와 송, 수신기가 접촉되면 부분에 바세린과 같은 윤활젤을
충분히 발라준다. (탄성파가 시료를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 =        ).

(5) 자료 처리
파동 전송 측정방정식에서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시료의 길이를 파동의 전파 시간으로
나누어 P파 혹은 S파의 전파속도를 계산한다.

탄성파 속도 =  ×      식 2.5


 : 시료의 길이,  : 시료를 통과하는데 걸린 전파시간

동적 탄성계수는 시료의 밀도가 ρ이고 종파(P 파)와 횡파(S 파)의 속도를  과  라


할 때 시료의 동적 탄성계수  와 전단상수  , 동포아송비 ν는 다음 식과 같다.

   식 2.6


    식 2.7
    

 
 
    
 
식 2.8

- 12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쇼어경도 실험(Shore Scleroscope Hardness)


□ 참고규격 : ISRM Suggested Methods for Determination of the Shore Scleroscope
Hardness

(1) 개 요
쇼어경도 시험은 무게 4g의 금강석의 추를 25cm 높이에서 자유낙하 시켜 튀어 올라오
는 높이로 경도를 측정하는 시험이다.

(2) 실험 장치
① 쇼어경도의 결정을 위해서 사용하는 기기는 Model D와 C가 있고, 본 실험실은 D를
사용한다.
② 경도계 Model D는 4g의 금강석 추를 25cm 높이에서 평탄한 면에 자유낙하시켜 튀
어 돌아오는 높이를 측정할 수 있어야한다.
③ 시험기의 scale은 0~140 이다.

(3) 암석시료
일반적으로 표면이 매끄럽게 잘 연마된 80㎤의 부피를 가지는 시료가 필요하며 본 실
험에서는 NX size disc 형태의 시료를 이용하여 실험을 측정하였다.

(4) 실험 과정
① 시험 기기의 평행을 맞추고 표준 시험 블록을 사용하여 값을 최소한 5회 이상 읽는
다.
② 표면이 매끄럽게 잘 연마된 시료를 경도계 축에 수직이 되도록 고정시킨다.
③ 실험을 정확하게 실시하고 실험 기구를 수직 방향으로 설치하기 위해선 통의 끝이
시표의 표면과 수직이 되도록 확실하게 접촉시킨다.
④ 타격점이 너무 가까우면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타격점의 간격을 최소 5mm이
상이 되어야 하고 하나의 타격점에 대해서 단 1회의 시험을 실시해야한고 최소 20회
이상 측정한다.

(5) 자료 처리
20회 이상 실시한 시험 값들의 평균으로 쇼어경도를 결정하며 일반적으로 상위 50%의
값을 이용하여 평균 값을 구한다.

- 12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일축압축시험(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Test)


□ 참고규격 : ISRM Suggested Methods for the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1) 개 요
암석에 대한 역학 시험 중 가장 대표적인 시험으로써 시료에 한 방향의 압축응력을
가하여 암석이 파괴될 때의 강도를 측정하는 시험이다(Fig.3.67). 일축압축강도는 동종의
암석인 경우에도 시료의 상태에 따라 매우 큰 차이를 보인다. 일축압축 강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절리로, 시료 내에 절리가 내재되어 있으면 강도가 현저히 저하
한다. 또한 이방성의 방향에 따라서 강도의 큰 차이를 보이며 일반 적으로 방향이
30°~ 60°일 경우 가장 낮은 강도를 보이고 0°와 90°에서 가장 큰 일축압축강도를
보인다.

Fig. 3.67. Change of uniaxial compression strength with direction of anisotropy.

(2) 실험 기기
① 시료에 축하중을 가하고 측정하는데 사용하는 가압장치는 자동제어창치가 있어서
변위 또는 하중을 제어 변수로 자동제어가 가능하여 일정한 속도로 재하가 가능한 장
비이어야 한다.
② 가압장치의 용량은 시험편의 크기와 강도를 고려하여 충분한 하중 용량을 가져야하
며, 하중계는 주기적인 교정 검사를 실시하여 하중에 대한 정확도를 확보해야한다. 시
험 결과의 정밀성을 확보하기 해서는 하중계의 최대용량은 시험편의 파괴하중의 2배
이하인 것을 선택하여야 한다.

- 13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③ 시험편의 상하 접촉면에는 디스크 형태의 Rockwell Hardness의 HCR 58 경도를 지니


는 가압판(steel platen)을 삽입하여야 하며 가압판의 직경은 D(시료 직경)에서 D+2mm사
이이다. 두께는 15mm 혹은 D/3 이상이어야 하며 편평도는 0.005mm이다. 또한 상부 가
압판과 가압장치사이에는 하중의 고른 분포를 위해 구면좌를 삽입하여야 하며 구면좌
의 직경은 1.0~2.0D이어야한다. 여기서 D는 시료의 직경이다.
④ Fig. 3.68은 일반적인 일축압축시험 모식도이다.

Fig. 3.68. Uniaxial compression test.

(3) 암석시료
일반적으로 NX size(직경 54mm)를 규격으로 시험편을 제작하며, BX 규격 및 1 inch 규
격의 시험편으로도 시험이 가능하다. 시험편은 길이가 직경의 2~2.5배 이상으로 성형한
다.

(4) 실험 과정
① 코아의 길이를 직경의 2~2.5배 이상 되게 절단한 후 표면연삭기를 이용하여 양 단면
을 편평도<0.02 mm, 직각도<0.001 라디안 되게 연마한다.
② 105 oC의 오븐에서 12시간 이상 완전 건조시킨 후, 직경을 0.01 mm 까지 정밀하게
측정한다(D:cm) => 층리나 편리가 발달한 경우 기재
③ 가압판과 시료의 상하면을 깨끗이 하고 가압장치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설치한 후

- 13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약간의 하중을 가하여 상하 접촉면의 상태를 확인한 후 시험을 시작한다.


④ 변위 또는 하중은 일정한 재하 속도에서 수행 되어야 하며, 0.5MPa/s의 하중 속도를
유지하여 시료가 파괴될 때까지 가압한다.
⑤ 시료가 파괴 하중과 파괴 형태를 기록한다.

(5) 자료 처리
일축압축강도는 다음 식(10)과 같이 파괴하중을 시료의 단면적으로 나눈 값이며 단위는
MPa을 사용한다.


     식 2.9

σ : 일축압축강도, P : 시료의 파괴하중, D : 시료의 단면적

⚪ 실험 장비
암석 시험편 제작에 사용된 장비는 다음과 같다(Fig.3.69).

시료성형 장비

coring machine cutting machine griding machine

블록형태의 암석을 NX, BX,


시료를 일정한 길이로 절삭하 절삭된 시료를 연마하여 암석
1 인치 size 규격으로 보링하
는 장비 편평도를 맞추는 장치
는 장비

- 13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물리적 역학적 특성 측정 장비

가압기 쇼어 경도계
최대 100 ton까지 가압하여 암석의 암석의 추를 낙하하여 시료의 반발경도를 측정하는
강도를 측정하는 장비 장비

탄성파 속도 측정기 슬레이크 내구성 시험기


암석의 건습과정을 반복하도록 10분 동안
파와
P S파의 시간을 측정하는 장비
200 회전 하는 내구성 시험기

Fig. 3.69.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measuring equipment.

⚪ 연구 결과
- 암석 물성 변화
암석의 물리적인 성질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암석별로 NX size(D=42.25mm) 시험편 5
개를 이용하여 공극률과 흡수 및 탄성파 속도(P파, S파)를 150 cycle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1) 공극률
연구지역 암석의 평균 공극률은 Site-C와 Site-D의 규암(석영 사암)이 3.08% 및 4.17%로
높았으며, Site-A 및 Site-B의 백운암과 석회암이 각각 0.41% 및 0.81%로 낮게 나타났
다. 각 암석의 300 cycle 동결-융해 풍화 진행 후 평균 공극률은 증가하였다. Site-A 백
운암의 평균 공극률은 0.57%로 초기값에 비해 약 0.16%p 증가하였으며, Site-B 석회암
의 평균 공극률은 약 1.08%로 초기값에 비해 약 0.27%p 증가하였다. Site-C 및 Site-D의
규암은 평균 공극률이 각각 3.54% 및 5.48%로 0.46%p 및 1.31%p 증가하였다. 암석의 동

- 13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결-융해가 진행될수록 공극률이 큰 암석에서 공극률 증가량이 커지는 것을 볼 수 있다.

Table 3.8. Change of porosity for freezing and thawing test at site-A

Site-A average
A-1 A-2 A-3
cycle (%)
초기값 0.291 0.415 0.536 0.414
150 0.339 0.467 0.626 0.477
300 0.489 0.559 0.657 0.568

Table 3.9. Change of porosity for freezing and thawing test at site-B

Site-B average
B-1 B-2 B-3
cycle (%)
초기값 0.801 0.749 0.876 0.809
150 1.016 0.898 1.048 0.987
300 1.109 1.009 1.108 1.075

Table 3.10. Change of porosity for freezing and thawing test at site-C

Site-C average
C-1 C-2 C-3
cycle (%)
초기값 3.332 2.855 3.039 3.075
150 3.821 2.930 3.539 3.430

300 3.895 3.155 3.571 3.540

Table 3.11. Change of porosity for freezing and thawing test at site-D

Site-D average
D-1 D-2 D-3
cycle (%)
초기값 3.438 4.475 4.608 4.173
150 3.975 5.443 5.526 4.981
300 4.559 5.908 5.974 5.480

Fig. 3.70은 각 암석별 동결-융해 과정에 따른 공극률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


다. 각 암석별 전체적인 공극률의 변화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평균 값을 도시하였다. 암
석 공극률 변화 양상을 살펴보면 동결-융해 과정이 진행되면서 공극률은 증가하는 형

- 13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태를 보였다.
Fig. 3.71의 평균 공극률 변화를 보면, Site-A 및 Site-B의 백운암과 석회암의 공극
률 변화보다 Site-C와 Site-D의 규암에서 공극률 변화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
로 암석의 동결-융해 풍화는 풍화가 진행된 암석일수록 풍화가 가속화되어 나타나기
때문에 초기 공극률이 큰 암석에서 공극률의 변화량도 크게 나타난다.

0.9 1.4
A-1 B-1
A-2 B-2
0.8
A-3 B-3
Ave. 1.2 Ave.
0.7

0.6
1.0
Porosity(%)

Porosity(%)
0.5

0.8
0.4

0.3
0.6
0.2

0.1 0.4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No. Freezing &Thawing Cycles No. Freezing &Thawing Cycles

(a) Site-A (b) Site-B

4.5 8
C-1 D-1
C-2 D-2
C-3 7 D-3
Ave. Ave.
4.0
6
Porosity(%)

Porosity(%)

3.5 5

4
3.0
3

2.5 2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No. Freezing &Thawing Cycles No. Freezing &Thawing Cycles

(c) Site-C (d) Site-D

Fig. 3.70. Change of porosity with freezing and thawing test.

- 13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8.00
Site-A Site-C Site-B Site-D
7.00
6.00
Porosity (%)
5.00
4.00
3.00
2.00
1.00
0.00
0 100 200 300 400
No. of Freezing & Thawing Cycles

Fig. 3.71. Change of porosity with number of freezing-thawing cycles.

- 13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흡수율
연구지역 암석의 평균 흡수율은 Site-C와 Site-D의 규암(석영 사암)이 1.21% 및
1.69%로 높았으며, Site-A 및 Site-B의 백운암과 석회암이 각각 0.15% 및 0.30%로 낮게
나타났다.
각 암석의 300 cycle 동결-융해 풍화 진행 후 평균 흡수율은 증가하였다. Site-A 백
운암의 평균 흡수율은 0.21%로 초기값에 비해 약 0.06%p 증가하였으며, Site-B 석회암
의 평균 흡수율은 약 0.40%로 초기값에 비해 약 0.10%p 증가하였다. Site-C 및 Site-D의
규암은 평균 흡수율이 각각 1.39% 및 2.22%로 초기값에 비해 각각 0.18%p 및 0.53%p
증가하였다. 암석의 동결-융해가 진행될수록 흡수율이 큰 암석에서 흡수율 증가량이 커
지는 것을 볼 수 있다.

Table 3.12. Change of absorption for freezing and thawing test at site-A

Site-A average
A-1 A-2 A-3
cycle (%)
초기값 0.106 0.151 0.195 0.151
150 0.123 0.170 0.228 0.174

300 0.178 0.205 0.240 0.208

Table 3.13. Change of absorption for freezing and thawing test at site-B

Site-B average
B-1 B-2 B-3
cycle (%)
초기값 0.299 0.279 0.327 0.302
150 0.379 0.334 0.392 0.368
300 0.414 0.377 0.415 0.402

Table 3.14. Change of absorption for freezing and thawing test at site-C

Site-C average
C-1 C-2 C-3
cycle (%)
초기값 1.298 1.136 1.184 1.206
150 1.488 1.165 1.379 1.344
300 1.519 1.256 1.394 1.390

- 13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Table 3.15. Change of absorption for freezing and thawing test at site-D

Site-D average
D-1 D-2 D-3
cycle (%)
초기값 1.370 1.817 1.875 1.687
150 1.583 2.208 2.248 2.013
300 1.819 2.402 2.434 2.218

Fig. 3.72은 각 암석별 동결-융해 과정에 따른 흡수율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


다. 각 암석별 전체적인 흡수율 변화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평균 값을 도시하였다. 암석
흡수율 변화 양상을 살펴보면 동결-융해 과정이 진행되면서 흡수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Fig. 3.73의 평균 흡수율 변화를 보면, Site-A 및 Site-B의 백운암과 석회암의 흡수
율 변화보다 Site-C와 Site-D의 규암에서 흡수율 변화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
다. 일반적으로 암석의 동결-융해 풍화는 풍화가 진행된 암석일수록 풍화가 가속화되어
나타나기 때문에 초기 흡수율이 큰 암석에서 흡수율의 변화량도 크게 나타난다.

- 13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0.30 0.5
A-1 B-1
A-2 B-2
A-3 B-3
0.25 Ave. Ave.

0.4
0.20
Absorption(%)

Absorption(%)
0.15
0.3

0.10

0.05 0.2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No. Freezing &Thawing Cycles No. Freezing &Thawing Cycles

(a) Site-A (b) Site-B

1.7 3.5
C-1 D-1
C-2 D-2
1.6 C-3 D-3
3.0
Ave. Ave.
1.5
2.5
Absorption(%)

Absorption(%)
1.4
2.0
1.3

1.5
1.2

1.0
1.1

1.0 0.5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No. Freezing &Thawing Cycles No. Freezing &Thawing Cycles

(c) Site-C (d) Site-D

Fig. 3.72. Change of absorption with freezing and thawing test..

3.00
Site-A Site-C Site-B Site-D
2.50
Absorption (%)

2.00

1.50

1.00

0.50

0.00
0 100 200 300 400
No. of Freezing & Thawing Cycles

Fig. 3.73. Change of absorption with number of freezing-thawing cycles.

- 13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3) 밀도
연구지역 암석의 평균 밀도는 Site-A와 Site-B의 백운암과 석회암이 2.730 g/㎤ 및
2.670 g/㎤로 높았으며, Site-C 및 Site-D의 규암은 각각 2.534 g/㎤ 및 2.467 g/㎤로 낮
게 나타났다.
동결-융해 풍화 300 cycle 진행 후 각 암석의 평균 밀도는 감소하였다. Site-A 백운
암의 평균 밀도는 2.727 g/㎤로, 초기값에 비해 약 0.002 g/㎤ 감소하였으며, Site-B 석회
암의 평균 밀도는 약 2.667 g/㎤로 초기값에 비해 약 0.003 g/㎤ 감소하였다. Site-C 및
Site-D의 규암은 동결-융해 실험 후 밀도 값이 각각 2.532 g/㎤ 및 2.465 g/㎤로 초기
값에 비해 각각 0.002 g/㎤ 및 0.001 g/㎤ 감소하였다. 암석의 동결-융해가 진행될수록
암석의 밀도 감소는 매우 작게 나타났으며, 백운암과 석회암의 밀도 변화가 다소 크게
나타났다.

Table 3.16. Change of density for freezing and thawing test at site-A

Site-A average
A-1 A-2 A-3
cycle (g/㎤)
초기값 2.729 2.724 2.737 2.730
150 2.728 2.724 2.736 2.729
300 2.726 2.722 2.734 2.727

Table 3.17. Change of density for freezing and thawing test at site-B

Site-B average
B-1 B-2 B-3
cycle (g/㎤)
초기값 2.675 2.673 2.661 2.670
150 2.673 2.672 2.660 2.668
300 2.671 2.670 2.658 2.667

Table 3.18. Change of density for freezing and thawing test at site-C

Site-C average
C-1 C-2 C-3
cycle (g/㎤)
초기값 2.554 2.496 2.554 2.534
150 2.553 2.495 2.551 2.533

300 2.552 2.495 2.549 2.532

- 14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Table 3.19. Change of density for freezing and thawing test at site-D

Site-D average
D-1 D-2 D-3
cycle (g/㎤)
초기값 2.501 2.456 2.443 2.467
150 2.500 2.456 2.443 2.466
300 2.499 2.455 2.442 2.465

Fig. 3.74은 각 암석별 동결-융해 과정에 따른 밀도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


다. 각 암석별 전체적인 밀도 변화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평균 값을 도시하였다. 암석
밀도 변화 양상을 살펴보면 동결-융해 과정이 진행되면서 밀도는 약간 감소하는 경향
을 보인다.
Fig. 3.75의 평균 밀도 변화를 보면, Site-A 및 Site-B의 백운암과 석회암의 밀도가
Site-C와 Site-D의 규암보다 크게 나타나고 있다. 동결-융해가 300 cycle 진행되는 동안
밀도 감소는 매우 작게 측정되었으며,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백운암과 석회암에서 밀
도 감소가 다소 크게 나타났다. 암석의 동결-융해 풍화가 진행될수록 암석의 균열이 증
가하기 때문에 밀도는 초기값보다 점점 작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암석 동결-융해가 진
행될수록 암석의 풍화등급은 낮아지게 되며, 밀도 감소율은 동결-융해가 진행될수록 점
점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14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75 2.70
A-1 B-1
A-2 B-2
A-3 2.69 B-3
2.74 Ave. Ave.
2.68

2.73
Density(g/cm3)

Density(g/cm3)
2.67

2.66
2.72

2.65
2.71
2.64

2.70 2.63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No. Freezing &Thawing Cycles No. Freezing &Thawing Cycles

(a) Site-A (b) Site-B

2.57 2.56
C-1 D-1
C-2 2.54 D-2
2.56 C-3 D-3
Ave. Ave.
2.52
2.55
2.50
Density(g/cm3)

2.54
Density(g/cm3) 2.48

2.46
2.53
2.44
2.52
2.42

2.51 2.4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No. Freezing &Thawing Cycles No. Freezing &Thawing Cycles

(c) Site-C (d) Site-D

Fig. 3.74. Change of density with freezing and thawing test.

2.80
Site-A Site-C Site-B Site-D
2.75

2.70
Density (g/cm3)

2.65

2.60

2.55

2.50

2.45

2.40
0 100 200 300 400
No. of Freezing & Thawing Cycles

Fig. 3.75. Change of density with number of freezing-thawing cycles.

- 14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4) 비중
연구지역 암석의 평균 비중은 Site-A와 Site-B의 백운암과 석회암이 2.743 및 2.681
로 높았으며, Site-C 및 Site-D의 규암은 각각 2.549 및 2.473으로 낮게 나타났다. 동결-
융해 풍화 300 cycle 진행 후 각 암석의 평균 비중은 감소하였다. Site-A 백운암의 평균
비중은 2.739로, 초기값에 비해 약 0.004 감소하였으며, Site-B 석회암의 평균 비중은 약
2.675로 초기값에 비해 약 0.006 감소하였다. Site-C 및 Site-D의 규암은 300cycle 동결-
융해 실험 후 비중 값이 각각 2.543 및 2.473 초기 값에 비해 각각 0.003 씩 감소하였
다. 암석의 동결-융해가 진행될수록 암석의 비중 감소는 매우 작게 나타났으며, 암종별
동경-융해에 따른 비중 변화는 비슷하게 나타났다.

Table 3.20. Change of specific gravity for freezing and thawing test at site-A

Site-A
A-1 A-2 A-3 average
cycle
초기값 2.745 2.737 2.748 2.743
150 2.747 2.739 2.748 2.745

300 2.740 2.733 2.744 2.739

Table 3.21. Change of specific gravity for freezing and thawing test at site-B

Site-B
B-1 B-2 B-3 average
cycle
초기값 2.681 2.687 2.676 2.681
150 2.681 2.686 2.677 2.681
300 2.675 2.680 2.670 2.675

- 14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Table 3.22. Change of specific gravity for freezing and thawing test at site-C

Site-C
C-1 C-2 C-3 average
cycle
초기값 2.567 2.513 2.567 2.549
150 2.568 2.515 2.567 2.550
300 2.564 2.512 2.563 2.546

Table 3.23. Change of specific gravity for freezing and thawing test at site-D

Site-D
D-1 D-2 D-3 average
cycle
초기값 2.509 2.463 2.457 2.476
150 2.510 2.465 2.459 2.478

300 2.506 2.460 2.454 2.473

Fig. 3.76은 각 암석별 동결-융해 과정에 따른 비중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


다. 각 암석별 전체적인 비중 변화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평균 값을 도시하였다. 암석
비중 변화 양상을 살펴보면 동결-융해 과정이 진행되면서 비중은 약간 감소하는 경향
을 보인다. 동결-융해가 0~150 cycle 진행되는 동안의 비중 감소보다 150~300 cycle 진
행되는 동안의 비중 감소가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Fig. 3.77의 평균 비중 변화를 보면, Site-A 및 Site-B의 백운암과 석회암의 비중이
Site-C와 Site-D의 규암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동결-융해가 300 cycle 진행되는 동안
비중 감소는 매우 작게 측정되었다. 암석의 동결-융해 풍화가 진행될수록 암석의 균열
이 증가하기 때문에 암석 비중은 점점 감소할 것이며, 동결-융해가 반복될수록 풍화가
가속화되어 비중 감소율은 점점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14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76 2.70
A-1 B-1
A-2 B-2
A-3 B-3
2.75 Ave. 2.69 Ave.
Specific Gravity

Specific Gravity
2.74 2.68

2.73 2.67

2.72 2.66

2.71 2.65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No. Freezing &Thawing Cycles No. Freezing &Thawing Cycles

(a) Site-A (b) Site-B

2.60 2.56
C-1 D-1
C-2 2.54
D-2
C-3 D-3
Ave. Ave.
2.52
2.55
2.50
Specific Gravity

Specific Gravity
2.48

2.46
2.50
2.44

2.42

2.45 2.4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No. Freezing &Thawing Cycles No. Freezing &Thawing Cycles

(c) Site-C (d) Site-D

Fig. 3.76. Change of specific gravity with freezing and thawing test.

2.80
Site-A Site-C Site-B Site-D
2.75

2.70
Specific Gravity

2.65

2.60

2.55

2.50

2.45

2.40
0 100 200 300 400
No. of Freezing & Thawing Cycles

Fig. 3.77. Change of specific gravity with number of freezing-thawing cycles.

- 14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5) P파 속도
연구지역 암석의 평균 P파 속도는 Site-A와 Site-B의 백운암과 석회암이 6,136 m/s
및 4,988 m/s로 높았으며, Site-C 및 Site-D의 규암은 각각 4,231 m/s 및 4,148 m/s로 낮
게 나타났다. 동결-융해 풍화 300 cycle 진행 후 각 암석의 평균 P파 속도는 감소되었
다. 동결-융해 후 Site-A 백운암의 평균 P파 속도는 5,798 m/s로, 초기값에 비해 약 338
m/s 감소하였으며, Site-B 석회암의 평균 P파 속도는 약 4,330 m/s로 초기값에 비해 약
658 m/s 감소하였다. Site-C 및 Site-D의 규암은 300cycle 동결-융해 실험 후 P파 속도
값이 각각 4,101 m/s 및 3,979 m/s로 초기 값에 비해 각각 129 m/s 및 169 m/s 씩 감소
하였다. 암석의 동결-융해가 진행될수록 암석의 P파 속도 감소는 크게 나타났으며, 암
종별 속도가 빠른 백운암과 석회암의 속도 감소가 상대적으로 속도가 느린 규암보다
크게 나타났다.
Table 3.24. Change of Vp for freezing and thawing test at site-A

Site-A average
A-1 A-2 A-3
cycle (m/s)
초기값 6,266 6,094 6,048 6,136
150 6,227 6,021 5,769 6,005
300 6,003 5,846 5,544 5,798

Table 3.25. Change of Vp for freezing and thawing test at site-B

Site-B average
B-1 B-2 B-3
cycle (m/s)
초기값 5,226 5,227 4,511 4,988
150 4,820 4,738 4,432 4,663

300 4,555 4,428 4,008 4,330

Table 3.26. Change of Vp for freezing and thawing test at site-C

Site-C average
C-1 C-2 C-3
cycle (m/s)
초기값 4,091 4,390 4,211 4,231
150 3,947 4,315 4,042 4,101
300 3,947 4,315 4,042 4,101

- 14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Table 3.27. Change of Vp for freezing and thawing test at site-D

Site-D average
D-1 D-2 D-3
cycle (m/s)
초기값 4,036 4,254 4,154 4,148
150 3,880 4,034 4,036 3,983
300 3,865 4,034 4,036 3,979

Fig. 3.78은 각 암석별 동결-융해 과정에 따른 P파 속도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


이다. 각 암석별 전체적인 P파 속도 변화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평균 값을 도시하였다.
암석의 P파 속도 변화 양상을 살펴보면 동결-융해 과정이 진행되면서 P파 속도는 백운
암과 석회암에서 빠르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규암의 P파 속도 변화는 동결-융해가
0~150 cycle 진행되는 과정에서 P파 속도 감소가 크게 이루어졌으며, 동결-융해가
150~300 cycle 진행되는 동안에서는 P파 속도 감소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3.79의 평균 P파 속도 변화를 보면, Site-A 및 Site-B의 백운암과 석회암의 P파
속도가 Site-C와 Site-D의 규암보다 높으며, 동결-융해가 300 cycle 진행되는 동안 P파
속도는 백운암과 석회암에서 급하게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암석의 동결-융해 풍화
가 진행될수록 암석의 균열이 증가하기 때문에 암석 P파 속도는 점점 감소될 것이며,
동결-융해가 반복될수록 풍화가 가속화되어 P파 속도 감소율은 점점 증가할 것으로 예
상된다.

- 14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6500 5500
A-1 B-1
6400 A-2 B-2
A-3 B-3
6300 Ave. Ave.
5000
6200
P-wave Velocity (m/s)

P-wave Velocity (m/s)


6100

6000 4500

5900

5800
4000
5700

5600

5500 35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No. Freezing &Thawing Cycles No. Freezing &Thawing Cycles

(a) Site-A (b) Site-B

4800 4600
C-1 D-1
C-2 D-2
4600 C-3 D-3
Ave. 4400 Ave.
P-wave Velocity (m/s)

P-wave Velocity (m/s)


4400
4200

4200

4000
4000

3800
3800

3600 36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No. Freezing &Thawing Cycles No. Freezing &Thawing Cycles

(c) Site-C (d) Site-D

Fig. 3.78. Change of Vp with freezing and thawing test.

7,000
Site-A Site-C Site-B Site-D
6,500
6,000
Vp (m/s)

5,500
5,000
4,500
4,000
3,500
3,000
0 100 200 300 400
No. of Freezing & Thawing Cycles

Fig. 3.79. Change of Vp with number of freezing-thawing cycles.

- 14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6) 일축압축강도
연구지역 암석의 평균 일축압축강도는 Site-A와 Site-C의 백운암과 규암이 294.9
MPa로 높았으며, Site-B 및 Site-D의 석회암과 규암은 각각 136.1 MPa 및 215.6 MPa로
낮게 나타났다. 동결-융해 풍화 300 cycle 진행 후 각 암석의 평균 일축압축강도은 감
소하였으며, Site-C의 규암은 150 cycle에서 강도가 크게 감소하고, 300 cycle에서 다시
증가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Site-B의 석회암은 동결-융해가 진행될수록 일축압축강도가
증가하여 나타났다. 일축압축시험은 암석 블록에서 여러개의 일축압축강도 측정용 시험
편을 제작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강도의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암석의 풍화가 충분히
진행될 경우, 각각의 시험편이 가지는 강도 편차보다 동결-융해에 의한 암석 강도 저하
가 더 클 것으로 예상되며, 동결-융해에 의한 암석의 풍화 강도 저하를 측정할 수 있다.
동결-융해 풍화 후 Site-A 백운암의 평균 일축압축강도은 228.8 MPa로, 초기값에
비해 약 66 MPa 감소하였다. Site-B 석회암은 동결-융해 300 cycle 진행 후 평균 일축
압축강도가 158.2 MPa로 증가하였다. Site-C 및 Site-D의 규암은 300cycle 동결-융해 실
험 후 일축압축강도 값이 각각 242.0 MPa 및 185.3 MPa로 초기 값에 비해 각각 52.9
MPa 및 30.3 MPa 감소하였다. 암석의 동결-융해가 진행될수록 암석의 일축압축강도는
감소하여 나타났다.

Table 3.28. Change of uniaxial compression strength for freezing and thawing test at
site-A

Site-A average
A-1 A-2 A-3
cycle (MPa)
초기값 251.6 321.4 311.7 294.9
150 261.0 238.5 251.4 250.3
300 207.2 252.4 226.9 228.8

Table 3.29. Change of uniaxial compression strength for freezing and thawing test at
site-B

Site-B average
B-1 B-2 B-3
cycle (MPa)
초기값 118.4 124.1 165.7 136.1
150 155.6 138.3 119.2 137.7

300 141.9 158.1 174.7 158.2

- 14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Table 3.30. Change of uniaxial compression strength for freezing and thawing test at
site-C

Site-C average
C-1 C-2 C-3
cycle (MPa)
초기값 251.6 321.4 311.7 294.9
150 284.3 169.5 148.7 200.8
300 219.5 268.3 238.3 242.0

Table 3.31. Change of uniaxial compression strength for freezing and thawing test at
site-D

Site-D average
D-1 D-2 D-3
cycle (MPa)
초기값 235.3 217.0 194.5 215.6
150 212.3 208.4 174.5 198.4
300 211.9 169.0 175.0 185.3

Fig. 3.80은 각 암석별 동결-융해 과정에 따른 일축압축강도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


낸 것이다. 각 암석별 전체적인 일축압축강도 변화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평균 값을 도
시하였다. 암석 일축압축강도 변화 양상을 살펴보면 동결-융해 과정이 진행되면서 일축
압축강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Site-B의 석회암은 동결-융해가 진행되며 일축압
축 강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암석 채취 블록이 균질하지 않아 초기값의
대표성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Fig. 3.81의 평균 일축압축강도 변화를 보면, Site-A 백운암, Site-C 및 Site-D의 규
암은 동결-융해가 300 cycle 진행되는 동안 일축압축강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
다. 암석의 일축압축강도는 암종에 따라 값의 크기가 구별되지 않는 특징이 보이는데,
이는 암석의 일축압축강도는 암석 내부의 엽리 및 균열 등의 방향성에 따라 값의 차이
가 크게 변하기 때문에 암종별 일축압축강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양의
기초자료가 확보되어야 한다. 암석의 동결-융해 풍화가 진행될수록 암석의 균열이 증가
하기 때문에 암석 일축압축강도는 동결-융해에 따라 감소할 것이며, 동결-융해가 반복
될수록 풍화가 가속화되어 일축압축강도 감소율은 점점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15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350 200
UCS UCS
Ave. Ave.
180

300
160
UCS(MPa)

UCS(MPa)
140
250

120

200 1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No. Freezing &Thawing Cycles No. Freezing &Thawing Cycles

(a) Site-A (b) Site-B

350 260
UCS UCS
Ave. Ave.
240
300

220
250
UCS(MPa)

UCS(MPa)
200

200
180

150
160

100 14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No. Freezing &Thawing Cycles No. Freezing &Thawing Cycles

(c) Site-C (d) Site-D

Fig. 3.80. Change of uniaxial compression strength with freezing and thawing test.

300
Site-A Site-C Site-B Site-D
280
260
240
UCS-1inch (MPa)

220
200
180
160
140
120
0 100 200 300 400
No. of Freezing & Thawing Cycles

Fig. 3.81. Change of uniaxial compression strength with number of freezing-thawing

cycles.

- 15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7) 쇼어경도
연구지역 암석의 평균 쇼어경도은 Site-C와 Site-D의 규암이 87.7 및 84.0으로 높았
으며, Site-A 및 Site-B의 백운암과 석회암은 각각 64.3 및 65.9로 낮게 나타났다. 동결-
융해 풍화 300 cycle 진행 후 각 암석의 평균 쇼어경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동
결-융해 300 cycle 진행 후 Site-A 백운암의 평균 쇼어경도는 63.3으로, 초기값에 비해
약 0.99 감소하였으며, Site-B 석회암의 평균 쇼어경도은 약 62.3으로 초기값에 비해 3.6
감소하였다. Site-C 및 Site-D의 규암은 300cycle 동결-융해 실험 후 쇼어경도 값이 각
각 82.5 및 84로 Site-C의 규암은 초기 값에 비해 5.1 감소하였다. 암석의 동결-융해가
진행될수록 암석의 쇼어경도는 감소하였으며, 암종별로 동경-융해에 따른 쇼어경도 변
화는 규암이 크며, 백운암과 석회암은 변화가 작게 측정되었다.

Table 3.32. Change of shore hardness for freezing and thawing test at site-A

Site-A
A-1 A-2 A-3 average
cycle
초기값 62.9 66.2 63.8 64.3
150 59.4 60.3 61.9 60.5
300 63.9 62.9 63.1 63.3

Table 3.33. Change of shore hardness for freezing and thawing test at site-B

Site-B
B-1 B-2 B-3 average
cycle
초기값 68.5 64.5 64.6 65.9
150 66.0 62.2 60.3 62.9
300 65.1 60.6 61.1 62.3

Table 3.34. Change of shore hardness for freezing and thawing test at site-C

Site-C
C-1 C-2 C-3 average
cycle
초기값 87.7 90.3 85.0 87.7
150 84.5 81.8 81.5 82.6
300 79.8 84.6 83.2 82.5

- 15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Table 3.35. Change of shore hardness for freezing and thawing test at site-D

Site-D
D-1 D-2 D-3 average
cycle
초기값 85.7 85.3 81.0 84.0
150 86.9 86.0 82.6 85.2
300 85.5 85.0 81.6 84.0

Fig. 3.82는 각 암석별 동결-융해 과정에 따른 쇼어경도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


이다. 각 암석별 전체적인 쇼어경도 변화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평균 값을 도시하였다.
암석 쇼어경도 변화 양상을 살펴보면 동결-융해 과정이 진행되면서 쇼어경도은 감소하
는 경향을 보인다. Site-A의 백운암은 동결-융해 150 cycle에서 뚜렷하게 작게 측정되었
으며, 측정 시 오차로 보인다. Site-D의 규암은 동결-융해 150 cycle에서 다소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며, 측정 시 오차로 보인다. 동결-융해 300 cycle 진행후에는 쇼어경도가 초
기값에 비해 감소하여 나타났다.
Fig. 3.83의 평균 쇼어경도 변화를 보면, Site-A 및 Site-B의 백운암과 석회암의 쇼어
경도가 Site-C와 Site-D의 규암보다 작게 측정되었다. 동결-융해가 300 cycle 진행되는
동안 쇼어경도 감소는 작게 측정되었다. 암석의 동결-융해 풍화가 진행될수록 암석의
균열이 증가하기 때문에 암석 쇼어경도은 점점 감소하며, 동결-융해가 반복될수록 풍화
가 가속화되어 쇼어경도 감소율은 점점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15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67 75
A-1 B-1
A-2 B-2
66
A-3 B-3
Ave. Ave.
65 70

64
Shore Hardness

Shore Hardness
63 65

62

61 60

60

59 55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No. Freezing &Thawing Cycles No. Freezing &Thawing Cycles

(a) Site-A (b) Site-B

95 95
C-1 D-1
C-2 D-2
C-3 D-3
Ave. 90 Ave.
90
Shore Hardness

Shore Hardness
85

85

80

80
75

75 7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No. Freezing &Thawing Cycles No. Freezing &Thawing Cycles

(c) Site-C (d) Site-D

Fig. 3.82. Change of shore hardness with freezing and thawing test.

100
95 Site-A Site-C Site-B Site-D

90
85
Shore Hardness

80
75
70
65
60
55
50
0 100 200 300 400
No. of Freezing & Thawing Cycles

Fig. 3.83. Change of shore hardness with number of freezing-thawing cycles.

- 15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암석 XRD 회절 분석
XRD 회절 분석은 암석의 구성광물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분석법이다. 암석
을 분말화시킨 후 암석 분말 시료에 X-ray를 입사시켜 광물입자에서 X-ray가 회절되는
회절각과 강도를 측정하여 물질구조 특징을 얻는 방법이다. XRD 방법은 광물의 함유된
결정성 물질의 종류와 양을 측정한다(Fig. 3.84∼3.87).
스발바르 니알슨 지역 대표 암석에 대하여 X선 회절 분석(XRD)을 수행하였다.
Site-A의 백운암의 주성분은 석회암(Calcite) 31.3%, 백운암(Dolomite) 44.5%, 석영
(Quartz) 24.2%로 백운암의 함량이 높은 광물로 이루어졌다. Site-B 석회암의 주성분은
석회암(Calcite) 72%, 백운암(Dolomite) 9%, 석영(Quartz) 19%로 석회암의 함량이 높은 광
물로 이루어졌다. Site-A와 Site-B의 석영 함량이 비슷하게 나타나며, Site-B의 석회암이
백운석화작용에 의해 Site-A의 백운암으로 형성된다. Site-C 및 Site-D의 규암은 석영
(Quartz)의 함량이 94~95%로 매우 높으며, 점토광물(Dickite)이 5~6%를 차지한다.

Table 3.36. Result of XRD

성분 및 함량(%)
시료
Cc(Calcite) Do(Dolomite) Quz(Quartz) Di(Dickite)
Site-A
31.3 44.5 24.2 -
(Dolomite)
Site-B
72 9 19 -
(Calcite)
Site-C
- - 95.3 4.7
(Quartzite)
Site-D
- - 93.7 6.3
(Quartzite)

Site-A(Dolomite)
Do
Intensity

Qtz Cc

Qtz
Do
Cc CcDo
Do

10 20 30 40 50 60 70 80
2theta

Fig. 3.84. XRD at site-A.

- 15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Site-B (Limestone)
Cc

Intensity

Qtz

Cc
Qtz
Cc Do Cc Cc Cc

10 20 30 40 50 60 70 80
2theta

Fig. 3.85. XRD at site-B.

Site-C (Quartzite)
Qtz
Intensity

Qtz
Qtz
Di Qtz Qtz Qtz

10 20 30 40 50 60 70 80
Qtz 2theta

Fig. 3.86. XRD at site-C.

- 15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Qtz Site-D (Quartzite)

Intensity

Qtz

Qtz
Qtz
Di Qtz Qtz

10 20 30 40 50 60 70 80
2theta

Fig. 3.87. XRD at site-D.

- 암석 유기물 측정
XRF 형광 분석은 암석 구성광물을 원소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분석법이다. 암
석 시료에 X-ray로부터 발생된 가속된 전자로 암석시료를 조사하면 원소의 전자는 들
뜬상태가 되며, 원자의 안정화를 위해 전자는 바깥 껍질에서 안쪽 껍질로 채우게 되며,
이때 전자 껍질의 결합에너지 크기의 에너지가 방출된다. 각 원소마다 X-ray의 고유한
에너지와 파장을 갖고 있으며, 에너지의 값과 양으로 원소 분석이 가능하다.
스발바르 니알슨 지역 대표 암석의 XRF 분석은 PW2400 X-ray Fluorescence
Spectrometer (PHILIPS)를 사용하였다. 해석 프로그램은 SUPER-Q, 가속전압은 24~40
kV, 전류는 50~80 mA를 주었다.
암석에 포함된 유기물은 광물과 섞여 대기중에 노출되지 않는다. 암석이 풍화될 경
우, 암석 내부의 광물은 대기중에 노출되며, 유기물은 분해되어 대기환경에 영향을 미
칠 수 있다. 연구지역의 암석은 Site-A 및 Site-B의 백운암과 석회암에서 약 33%의 유
기물 함량이 포함되었으며, Site-C 및 Site-D의 규암은 1% 미만의 유기물 함량을 보인
다(Fig.3.88∼3.91).

- 15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Table 3.37. Results of XRF

Loss on lgnition 성 분

시 료
(%) 중량비 (%)
Al2O3 CaO Cr2O3 Fe2O3 K2O MgO MnO
0.34 30.68 0.00 0.05 0.02 10.93 0.00
Site-A 32.88
Na2O P2O5 SiO2 TiO2
0.07 0.01 25.01 0.01
Al2O3 CaO Cr2O3 Fe2O3 K2O MgO MnO
1.14 41.40 0.00 0.13 0.59 2.60 0.01
Site-B 33.47
Na2O P2O5 SiO2 TiO2
0.06 0.04 20.44 0.12
Al2O3 CaO Cr2O3 Fe2O3 K2O MgO MnO
1.82 0.08 0.00 0.56 0.15 0.14 0.00
Site-C 0.63
Na2O P2O5 SiO2 TiO2
0.01 0.01 96.44 0.16
Al2O3 CaO Cr2O3 Fe2O3 K2O MgO MnO
1.54 0.05 0.00 0.03 0.11 0.14 0.00
Site-D 0.55
Na2O P2O5 SiO2 TiO2
0.21 0.01 97.19 0.17

Al2O3; 산화알루미늄, CaO; 산화칼슘, Cr2O3; 산화크롬, Fe2O3; 수산화철, K2O; 산화칼
륨, MgO; 산화마그네슘, MnO; 산화망간, Na2O; 산화나트륨, P2O5; 오산화인, SiO2; 이산
화규소, TiO2; 이산화티타늄,

- 15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35

30

25

20
중량비 (%)

15

10

성분
Fig.3.88. XRF at site-A.

45

40

35

30

25
중량비 (%)

20

15

10

성분
Fig.3.89. XRF at site-B.

- 15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120

100

80
중량비 (%)

60

40

20

성분
Fig.3.90. XRF at site-C.

- 16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120

100

80
중량비 (%)

60

40

20

성분
Fig.3.91. XRF at site-D.

- 16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결론
북극 스발바르 니알슨 지역의 대표 암석을 채취하여 물리적 풍화 작용인 동결-융
해 풍화 시험을 수행하였다. 암석의 물리적 특성과 강도 등을 평가하기 위해 공극률,
흡수율, 밀도, 비중, 탄성파 속도, 쇼어 경도, 일축압축강도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암석
분석을 위하여 현미경 박편 관찰, XRD 광물 분석, XRF 유기물 함량 분석을 수행하였
다.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스발바르 니알슨 지역의 대표암석을 채취하여 암종분석을 수행하였다. 현미경 박편
관찰 및 XRD 광물 분석 결과 Site-A 암석은 백운암이 우세하였으며, Site-B 암석은 석
회암, Site-C 및 Site-D는 석영 함량이 매우 높은 석영질 사암 또는 규암으로 분류된다.
▷ 암석 동결-융해는 300 cycle 반복하였으며, 300 cycle 동결-융해 과정에서 암석의 공
극률, 흡수율, 비중, 밀도, 탄성파 속도, 강도 변화가 관찰되었다.
▷ 스발바르 니알슨 지역 암석의 공극률은 백운암과 석회암이 약 1% 정도로 낮았으며,
규암은 4~5% 정도의 공극률을 보였다. 암석의 동결-융해 풍화가 300 cycle 진행된 후
암석의 평균 공극률 변화는 Site-A 백운암이 0.414%에서 0.568%로 증가하였으며, Site-B
석회암은 0.809%에서 1.075%로 증가하였다. Site-C 규암은 3.075%에서 3.540%로 증가하
였으며, Site-D의 규암은 4.173%에서 5.480%로 증가하였다. 동결-융해가 진행될수록 백
운암과 석회암에 비해 규암의 공극률 증가량이 크게 나타났다.
▷ 스발바르 니알슨 지역 암석의 흡수율은 백운암이 약 0.2%, 석회암이 약 0.3% 정도로
낮았으며, 규암은 1~2% 정도의 흡수율을 보였다. 암석의 동결-융해 풍화가 300 cycle
진행된 후 암석의 평균 흡수율 변화는 Site-A 백운암이 0.151%에서 0.208%로 증가하였
으며, Site-B 석회암은 0.302%에서 0.402%로 증가하였다. Site-C 규암은 1.206%에서
1.390%로 증가하였으며, Site-D의 규암은 1.687%에서 2.218%로 증가하였다. 동결-융해가
진행될수록 백운암과 석회암에 비해 규암의 흡수율 증가량이 크게 나타났다.
▷ 스발바르 니알슨 지역 암석의 밀도는 백운암이 약 2.73 g/㎤, 석회암이 약 2.67 g/㎤,
규암은 2.47~2.53 g/㎤의 밀도를 보였다. 암석의 동결-융해 풍화가 300 cycle 진행된 후
암석의 평균 밀도 변화는 Site-A 백운암이 2.73 g/㎤에서 2.727 g/㎤로 감소하였으며,
Site-B 석회암은 2.67 g/㎤에서 2.667 g/㎤로 감소하였다. Site-C 규암은 2.534 g/㎤에서
2.532 g/㎤, Site-D의 규암은 2.467 g/㎤에서 2.465 g/㎤로 각각 감소하였다. 동결-융해가
진행될수록 암석의 밀도 변화는 크지 않았으며, 백운암과 석회암의 밀도변화가 규암보
다 크게 나타났다.
▷ 스발바르 니알슨 지역 암석의 비중은 백운암이 약 2.743, 석회암이 2.681, 규암은
2.476~2.549의 비중을 보였다. 암석의 동결-융해 풍화가 300 cycle 진행된 후 암석의 평
균 비중 변화는 Site-A 백운암이 2.743에서 2.739로 감소하였으며, Site-B 석회암은
2.681에서 2.675로 감소하였다. Site-C 규암은 2.549에서 2.546으로, Site-D의 규암은

- 16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476에서 2.473으로 각각 감소하였다. 동결-융해가 진행될수록 암석의 비중 변화는 크


지 않았으며, 암종에 따른 비중변화 차이도 미미하였다.
▷ 스발바르 니알슨 지역 암석의 P파 속도는 백운암이 약 6,100 m/s, 석회암이 약 5,000
m/s, 규암이 약 4,100~4,200 m/s의 속도를 보였다. 암석의 동결-융해 풍화가 300 cycle
진행된 후 암석의 평균 속도 변화는 Site-A 백운암이 6,136 m/s에서 5,798 m/s로 감소하
였으며, Site-B 석회암은 4,988 m/s에서 4,330 m/s로 감소하였다. Site-C 규암은 4,231
m/s에서 4,101 m/s로, Site-D의 규암은 4,148 m/s에서 3,979 m/s로 각각 감소하였다. 동
결-융해가 진행될수록 암석의 속도 변화는 백운암과 석회암에서 크게 발생하였으며, 속
도가 느린 규암의 속도 감소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 스발바르 니알슨 지역 암석의 일축압축강도는 백운암이 약 295 MPa, 석회암이 약
136 MPa, 규암이 약 210~300 MPa을 보였다. 암석의 동결-융해 풍화가 300 cycle 진행
된 후 암석의 평균 일축압축강도 변화는 Site-A 백운암이 294.9 MPa에서 228.8 MPa로
감소하였으며, Site-B 석회암은 136.1 MPa에서 158.2 MPa로 증가되어 측정되었다.
Site-C 규암은 294.9 MPa에서 242 MPa로, Site-D의 규암은 215.6 MPa에서 185.3 MPa로
각각 감소하였다. 동결-융해가 진행될수록 암석의 강도는 감소하였다.
▷ 스발바르 니알슨 지역 암석의 쇼어경도는 백운암이 약 64, 석회암이 66, 규암은
84~88의 비중을 보였다. 암석의 동결-융해 풍화가 300 cycle 진행된 후 암석의 평균 비
중 변화는 Site-A 백운암이 64.3에서 63.3로 감소하였으며, Site-B 석회암은 65.9에서
62.3으로 감소하였다. Site-C 규암은 87.7에서 82.5으로, Site-D의 규암은 84로 변화가 측
정되지 않았다. 암종별로 동경-융해에 따른 쇼어경도 변화는 규암이 크며, 백운암과 석
회암은 변화가 작게 측정되었다.
▷ 암석이 대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암석내부 유기물의 함량을 측정하였
다. XRF 형광분석을 수행하여 연구지역 암석의 유기물 함량비를 측정하였다. 연구지역
의 암석은 Site-A 및 Site-B의 백운암과 석회암에서 약 33%의 유기물 함량이 포함되었
으며, Site-C 및 Site-D의 규암은 1% 미만의 유기물 함량을 보인다.

- 16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참고자료 : 연도별 동토층 환경인자 확보 달성 계획)


달성률(%)
동토인자 확보 구분 (A) 연도 계획(B) 실적(C) 비 고
(C/B*100)
2건 - 미국/노르웨이 거점
토양 자료
2011 22건 (A항 리스트 9 - 증빙자료 : 극지
1, 2번) 연구소 KPDC
메타데이터 등록 자료
※ 2011∼2019년 환경인자 - 미국/캐나다 거점 측정
확보 목표치 리스트 누적 4건
자료
(메타데이터 등록 22건) - 증빙자료 : 극지
2012 22건 (2011년 실적 18
+ A항 리스트 연구소 KPDC
1. 알래스카 토양미생물특성 3, 4번) 메타데이터
1건 등록 자료
2. 스발바르 토양미생물특성
1건 누적 6건 - 노르웨이/캐나다 거점
3. 알래스카 이산화탄소 측정자료 및 토양자료
2013 22건 (2012년 실적 27 - 증빙자료 : 극지
플럭스 1건 + A항 리스트 연구소 KPDC
4. 캐나다 이산화탄소 플럭스 5, 6번) 메타데이터 등록 자료
1건
5. 스발바르 이산화탄소
플럭스 1건 누적 8건 - 미국 거점 측정자료
6. 캐나다 토양물리특성 1건 및 토양코어 자료
7. 알래스카 메탄 플럭스 1건 2014 22건 (2013년 실적 36 - 증빙자료 : 극지
+ A항 리스트 연구소 KPDC
8. 알래스카 토양코어 자료 7, 8번) 메타데이터 등록 자료
1건
9. 캐나다 메탄 플럭스 1건
10. 캐나다 블랙카본 농도 누적 10건 - 캐나다 거점 측정
1건 자료
11. 스발바르 에어로졸 1건 2015 22건 (2014년 실적 45 - 증빙자료 : 극지
+ A항 리스트 연구소 KPDC
12. 스발바르 토양미생물 9, 10번) 메타데이터 등록 자료
유전체 1건
13. 알래스카 기상 1건 - 노르웨이 거점 측정
14. 캐나다 기상 1건 및 분석 자료
15. 알래스카 식생지수 1건 누적 12건 - 증빙자료 : 극지
16. 알래스카 토양물리특성 2016 22건 (2015년 실적 55
연구소 KPDC
1건 메타데이터 등록 자료,
+ A항 리스트 또는 미국 NIH 소속
17. 그린란드 이산화탄소 11, 12번)
플럭스 1건 NCBI(유전자정보은행)
에 유전체 자료 등록
18. 아이슬란드 냉각가스 1건
19. 캐나다 식생(생태)지수 누적 16건 - 미국/캐나다 거점
1건 측정자료
20. 알래스카 토양미생물 2017 22건 (2016년 실적 73 - 증빙자료 : 극지
유전체 1건 + A항 리스트 연구소 KPDC
21. 러시아 이산화탄소 ∼
13 16번) 메타데이터 등록 자료
플럭스 1건
22. 아이슬란드 에어로졸 1건 - 미국/캐나다/
그린란드/아이
슬란드 거점 측정 및
(메타데이터 : 환경인자(토양, CO2, 누적 20건 분석 자료
CH4, 토양코어, 기상, 에어로졸 등) - 증빙자료 : 극지
대량정보에 대해 부여되는 데이터로 2018 22건 91
(A항 리스트 연구소 KPDC
서, 그 세부에는 시간별, 일별, 종류 1~20번 전체) 메타데이터 등록 자료,
별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논문화 또는 미국 NIH 소속
되기 전 자료의 비밀을 유지하기 위 NCBI(유전자정보은행)
해 콘텐츠 정보만 부여한다). 에 유전체 자료 등록

누적 22건 - 미국/캐나다/노르웨이/
2019 22건 (A항 리스트 100 그린란드/아이슬란드/
1~22번 전체) 러시아 등 거점 측정
및 분석 자료(종합)

- 16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참고 : CAPEC 사업 환경인자 획득 KPDC 등록


이행실적(2011.6∼2017.12 현재) ]
원시데이터
데이터 이름1) 메터데이터 ID2) 메터데이터 제목 3)
비고*
등록여부 4)

알래스카 토양 KPDC_SOIL_MIC Soil microbial community 등록 1


미생물 특성 ROBES_AL_2011 data in Alaska, 2011 KOPRI-Kim

Soil microbial community


스발바르 토양 KPDC_GLACIER_
FORELANDS_SV data in the glacier
등록 2
미생물 특성 KOPRI-Kim
ALBARD_2011
forelands in Svalbard, 2011

LED NDVI measured at


알래스카 식생지수 KPDC_NDVI_AL 등록
Council Site of Alaska, 2
ASKA_2017 KOPRI-Lee
2016

년 알래스카
2012
Eddy covariance data of 등록
카운실 사이트 KDPC_ECD_ALA
Alaska permafrost site in KOPRI-Park, 3
에디공분산 SKA_2012

이산화탄소 플럭스 2012 summer Chae

년 알래스카
2014
Eddy covariance data of 등록
카운실 사이트 KDPC_ECD_ALA

에디공분산 SKA_2014
Alaska permafrost site in KOPRI-Park, 3 (연장)
이산화탄소 플럭스 2014 summer Chae

년 알래스카
2015
Eddy covariance data of 등록
카운실 사이트
에디공분산
KDPC_ECD_ALA

SKA_2015
Alaska permafrost site in KOPRI-Park, 3 (연장)
이산화탄소 플럭스 2015 summer Chae

년 알래스카
2016
Eddy covariance data of 등록
카운실 사이트
에디공분산
KDPC_ECD_ALA

SKA_2016
Alaska permafrost site in KOPRI-Park, 3 (연장)
이산화탄소 플럭스 2016 summer Chae

2011년 알래스카 KPDC_CO2_ATC


CO2 auto-chamber data of
등록
카운실 사이트 CO2 HAM_COUNCIL_ KOPRI-Park, 3 (연장)
Council site in 2011
측정 자동챔버자료 2011
Chae

2012년 알래스카 KPDC_CO2_ATC


CO2 auto-chamber data of
등록
카운실 사이트 CO2 HAM_COUNCIL_ KOPRI-Park, 3 (연장)
Council site in 2012
측정 자동챔버자료 2012
Chae

2014년 알래스카 KPDC_CO2_ATC


CO2 auto-chamber data of
등록
카운실 사이트 CO2 HAM_COUNCIL_ KOPRI-Park, 3 (연장)
Council site in 2014
측정 자동챔버자료 2014
Chae

2015년 알래스카 KPDC_CO2_ATC


CO2 auto-chamber data of
등록
카운실 사이트 CO2 HAM_COUNCIL_ KOPRI-Park, 3 (연장)
Council site in 2015
측정 자동챔버자료 2015
Chae

2016년 알래스카 KPDC_CO2_ATC


CO2 auto-chamber data of
등록
카운실 사이트 CO2 HAM_COUNCIL_ KOPRI-Park, 3 (연장)
Council site in 2016
측정 자동챔버자료 2016
Chae

2017년 알래스카 KPDC_CO2_ATC


CO2 auto-chamber data of
등록
카운실 사이트 CO2 HAM_COUNCIL_ KOPRI-Park, 3 (연장)
Council site in 2017
측정 자동챔버자료 2017
Chae

2011년 알래스카 KPDC_CO2_MNC


CO2 manual chamber data
등록
카운실 사이트 CO2 HAM_COUNCIL_ KOPRI-Park, 3 (연장)
of Council site in 2011
측정 수동챔버자료 2011
Chae

2012년 알래스카 KPDC_CO2_MNC


CO2 manual chamber data
등록
카운실 사이트 CO2 HAM_COUNCIL_ KOPRI-Park, 3 (연장)
of Council site in 2012
측정 수동챔버자료 2012
Chae

※ 비고 : 환경인자 확보 달성 계획(참고) A항 리스트 번호

- 16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원시데이터
데이터 이름1) 메터데이터 ID2) 메터데이터 제목 3)
비고*
등록여부 4)

2013년 알래스카 KPDC_CO2_MNC


CO2 manual chamber data
등록
카운실 사이트 CO2 HAM_COUNCIL_ KOPRI-Park, 3 ( 연장)
of Council site in 2013
측정 수동챔버자료 2013
Chae

2014년 알래스카 KPDC_CO2_MNC


CO2 manual chamber data
등록
카운실 사이트 CO2 HAM_COUNCIL_
of Council site in 2014
KOPRI-Park, 3 ( 연장)
측정 수동챔버자료 2014
Chae

CO2 and CH4 fluxes before


캐나다 이산화탄소
GHGs flux in
미등록
Cambridge Bay and 1, 3 years after climate 4
토양 기체 발생량 (snapshot)
YSU-Kang
manipulation

KPDC_NANO-SM 등록
스발바르
이산화탄소 플럭스 PS_SVALBARD_2 Nano-SMPS data ( 실물데이터) 5
016
GIST-Park

Soil enzyme activities before


캐나다 토양미생물 Soil EEA in 미등록
and 1, 3 years after climate 6
효소활성도 Cambridge Bay YSU-Kang
manipulation

년 알래스카
2014
등록
카운실 사이트 KPDC_CH4EC_A Methane flux data of Alaska
KOPRI-Park, 7
에디공분산 LASKA_2014 permafrost site in 2014
메탄플럭스 Chae

KPDC_PERMAFR
Permafrost core samples in
알래스카 토양 코어 OST_CORE_SAM 등록
Council, Alaska, USA in 8
시료 PLES_AL_USA_20 KOPRI-Kim
16 2016

2016년도 알래스카
physical and chemical
등록
·
카운실 지점의 토양 KPDC_2017_0022 properties of soil cores from 16
코어 물리 화학적 KOPRI-Jung
특성 Council, Alaska in 2016

Air temperature and air


캠브리지베이 KPDC_MICRO_C
humidity data collected from
기후변화모사 LIMATE_DATA_ 등록
manipulation plots in 9
실험구 대기 CB_CANADA_201 KOPRI-Lee
온습도(2016년) 6 Cambridge Bay, Canada in
2016

Air temperature and air


캠브리지베이 humidity data collected from
기후변화모사 등록 연장)
KPDC_2017_0158 manipulation plots in 9(
실험구 대기 KOPRI-Jung
온습도(2017년) Cambridge Bay, Canada in
2017

Soil moisture and soil


캠브리지베이
기후변화모사 KPDC_SOIL_DAT temperature data collected
등록
실험구 토양 온도 A_CB_CANADA_ from climate manipulation 9
KOPRI-Jung
및 수분함량 2016
plots in Cambridge Bay,
(2016년)
Canada in 2016

Soil moisture and soil


캠브리지베이
기후변화모사 KPDC_SOIL_DAT temperature data collected
등록
실험구 토양 온도 A_CB_CANADA_ from climate manipulation 9( 연장)
KOPRI-Jung
및 수분함량 2017
plots in Cambridge Bay,
(2017년)
Canada in 2017

KPDC_AETHALO 등록
캠브리지베이 Black Carbon data at
METER_CAMBRI KOPRI-Yoon 10
블랙카본 자료 Cambridge Bay station
DGEBAY_2016

KPDC_AETHALO
등록
캠브리지베이 METER_CAMBRI Black Carbon data at
KOPRI-Yoon 10
블랙카본 자료 DGEBAY_201609_ Cambridge Bay station
201705

※ 비고 : 환경인자 확보 달성 계획(참고) A항 리스트 번호

- 16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원시데이터
데이터 이름1) 메터데이터 ID2) 메터데이터 제목 3)
비고*
등록여부 4)

Meteorological data over the


오염물질별
농도자료 (NetCDF
파일) 및 기상
KPDC_SimWRF_
NH_2008
Northern Hemisphere using
WRF model
미등록
GIST-Han (

추가)
데이터 (WRF 모델로부터 모의된
북반구 기상자료)
제플린 CCN(Cloud Condensation
관측소에서의 대기 KPDC_CCNC_ 등록
Nuclei) data at Zeppelin 11
중 구름응결핵 농도 ZEPPELIN_2011 KOPRI-Yoon
모니터링 station in 2011

제플린 CCN(Cloud Condensation


관측소에서의 대기 KPDC_CCNC_
Nuclei) data at Zeppelin
등록 11
중 구름응결핵 농도 ZEPPELIN_2012 KOPRI-Yoon ( 연장)
모니터링 station in 2012

제플린 CCN(Cloud Condensation


관측소에서의 대기 KPDC_CCNC_ 등록 11
Nuclei) data at Zeppelin
중 구름응결핵 농도 ZEPPELIN_2013 KOPRI-Yoon ( 연장)
모니터링 station in 2013

제플린 CCN(Cloud Condensation


관측소에서의 대기 KPDC_CCNC_
Nuclei) data at Zeppelin
등록 11
중 구름응결핵 농도 ZEPPELIN_2014 KOPRI-Yoon ( 연장)
모니터링 station in 2014

제플린 CCN(Cloud Condensation


관측소에서의 대기 KPDC_CCNC_ 등록 11
Nuclei) data at Zeppelin
중 구름응결핵 농도 ZEPPELIN_2015 KOPRI-Yoon ( 연장)
모니터링 station in 2015

제플린 CCN(Cloud Condensation


관측소에서의 대기 KPDC_CCNC_
Nuclei) data at Zeppelin
등록 11
중 구름응결핵 농도 ZEPPELIN_2016 KOPRI-Yoon ( 연장)
모니터링 station in 2016

제플린 CCN(Cloud Condensation


관측소에서의 대기 KPDC_CCNC_ 등록 11
Nuclei) data at Zeppelin
중 구름응결핵 농도 ZEPPELIN_2017 KOPRI-Yoon ( 연장)
모니터링 station in 2017

KPDC_GENOME_ Complete Genome Sequence 등록


스발바르
토양미생물 유전체
SEQUENCE_PAM of Colwellia hornerae KOPRI-SHIN
12
C20917
PAMC20917
2016년 캐나다 Methane flux data of
캠브리지베이 KPDC_CH4EC_CB 등록 9
Cambridge Bay site in
사이트 에디공분산 _CANADA_2016 KOPRI-Choi ( 연장)
메탄플럭스 Canada in 2016

2012년 캐나다
Eddy covariance data of
캠브리지베이 KPDC_ECD_CB_C
Cambridge Bay site in
등록 9
사이트 에디공분산 ANADA_2012 KOPRI-Choi ( 연장)
이산화탄소 플럭스 Canada in 2012

2013년 캐나다
Eddy covariance data of
캠브리지베이 KPDC_ECD_CB_C 등록 9
Cambridge Bay site in
사이트 에디공분산 ANADA_2013 KOPRI-Choi ( 연장)
이산화탄소 플럭스 Canada in 2013

2014년 캐나다
Eddy covariance data of
캠브리지베이 KPDC_ECD_CB_C
Cambridge Bay site in
등록 9
사이트 에디공분산 ANADA_2014 KOPRI-Choi ( 연장)
이산화탄소 플럭스 Canada in 2014

2015년 캐나다
Eddy covariance data of
캠브리지베이 KPDC_ECD_CB_C 등록 9
Cambridge Bay site in
사이트 에디공분산 ANADA_2015 KOPRI-Choi ( 연장)
이산화탄소 플럭스 Canada in 2015

2016년 캐나다
Eddy covariance data of
캠브리지베이 KPDC_ECD_CB_C
Cambridge Bay site in
등록 9
사이트 에디공분산 ANADA_2016 KOPRI-Choi ( 연장)
이산화탄소 플럭스 Canada in 2016

※ 비고 : 환경인자 확보 달성 계획(참고) A항 리스트 번호

- 16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원시데이터
데이터 이름1) 메터데이터 ID2) 메터데이터 제목 3)
비고*
등록여부 4)

2013년도

북극다산기지
KPDC_ECD_DAS Eddy covariance data at 등록 5
에디공분산
AN_2013 DASAN Station in 2013 KOPRI-Choi ( 연장)
이산화탄소
플럭스
2014년도

북극다산기지
KPDC_ECD_DAS Eddy covariance data at 등록 5
에디공분산
AN_2014 DASAN Station in 2014 KOPRI-Choi ( 연장)
이산화탄소
플럭스
2015년도

북극다산기지
KPDC_ECD_DAS Eddy covariance data at 등록 5
에디공분산
AN_2015 DASAN Station in 2015 KOPRI-Choi ( 연장)
이산화탄소
플럭스
2016년도

북극다산기지
KPDC_ECD_DAS Eddy covariance data at 등록 5
에디공분산
AN_2016 DASAN Station in 2016 KOPRI-Choi ( 연장)
이산화탄소
플럭스

※ 비고 : 환경인자 확보 달성 계획(참고) A항 리스트 번호

- 16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참고] KPDC 메타데이터 등록 리스트(예시)

- 16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7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광주과기원 위탁과제-1) 북극권 나노입자 생성 및 에어로졸 특성 연구

제 1 절 추진 전략 및 방법
본 과제의 연구개발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연구수행 연속성이 중요하
기 때문에 연구개발 추진 전략 및 방법은 1차 년도인 2016년 10월부터 시작하여 북극권(다
산기지, 아이슬란드, 알래스카 등) 나노입자의 크기 분포 (Particle size distribution) 및 수농
도 (Particle number concentration) 변화를 국제 연구팀과 공동으로 장기간 모니터링을 함
으로써 나노입자의 생성 및 성장원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장기간 모니터링을 위
한 거점은 노르웨이 Ny-Alesun에 있는 Zeppelin station이 그 측정 거점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2 nm에서 60 nm 크기 에어로졸(나노입자)의 수농도 분포 특성을 실시간 모니터링을
하기 위해 Nano-SMPS (Nano-Scanning Mobility Particle Sizer, TSI, USA) 장비를 사용하였
고, 한국에서도 실시간 모니터링이 잘 감지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원격으로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확보할 것이다. 그리고 북극 다산기지 체류기간 동
안에 혹시 모를 고농도 에어로졸 발생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그런 이벤
트의 북극권 에어로졸의 화학성분 혹은 원소 성분(Chemical composition or elemental
composition) 및 형태학적 특성 (Morphological property) 분석 데이터 확보를 위해 그루바
뎃 거점(Gruvadet lab)을 활용하여 PM2.5 에어로졸 샘플링을 진행할 것이다. 이 필터에 포
집된 에어로졸은 나중에 레이저 유도 파괴 분광분석법 (LIBS, laser-induced breakdown
spectroscopy)을 이용하여 원소 성분 분석에 쓰일 것이다. 이에 따른 요약된 연구 추진 체
계가 Fig 1에 요약되어 있다.

Fig. 1. The system of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this task.

- 17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 1 절 연구 수행 내용
1. 분석 장비 및 연구수행
북극권 나노입자 크기 분포 및 수농도 변화 모니터링을 통한 북극권 나노입자의 생
성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아래 Fig. 2와 같이 제플린 스테이션에(Zeppelin station)
Nano-SMPS(Nano-Scanning Mobility Particle Sizer, TSI, USA) 측정 장비를 설치하였고
2016년 10월 1일부터 장기간 연속 모니터링을 시작하여 2018년까지 장기적으로 측정할
예정이다. Nano-SMPS는 크게 Nano-DMA(Nano-Differential Mobility Analyzer)와
CPC(Condensation Particle Counter)로 이루어져 있다. DMA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서
electrical mobility가 다른 원리를 이용하여 입자들의 크기를 순차적으로 분류하게 되며
DMA에 의해서 단분산(monodisperse) 분포를 지니게 되는 입자들은 CPC를 이용하여 응
축성장 (Condensation growth) 뒤 레이저에 의해 산란되는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입자의
수농도(#/cm3)를 실시간으로 카운팅(Counting)하게 된다(Fig 3).
DMA와 CPC 측정 원리를 동시에 적용하는 Nano-SMPS를 통해서 나노입자의 크기
에(nm) 따른 수농도(Number concentration, unit : #/cm3), 즉, 입자 크기 분포도(Particle
size distribution)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일별(日別, daily) 평균 수농도를 분석하여 전체 측정기간 동안의 수농도의 변화 추이를
판단할 수 있으며, 월별(月別, monthly) 입자 크기에 따른 수농도, 즉, 크기 분포도를 통
해 계절마다 어떠한 경향성이 나타나는지 분석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Diurnal
average를 통해 시간대별 입자 분포도 정보를 얻을 수 있다.

Fig. 2. Monitoring and sampling site for aerosol in the Arctic region.

- 17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3. Schematic diagram of Nano-SMPS


(출처 : TSI, manual).

북극 체류기간 동안 구르바뎃(Gruvebadet) 관측소에서는 입자의 원소성분을 측정하


기 위해서 2016년 9월 28일부터 2016년 10월 8일 동안의 필터 샘플링 기간 동안 PM2.5
cyclone을(URG, USA) 이용하여 2.5 ㎛ 이하의 입자들을 Silver membrane filter에 하루
24시간 포집하였으며, 총 11개의 필터 시료를 확보하였다. 또한 2017년 9월 6일부터
2017년 9월 10일 동안에도 2016년도 필터 포집과 같은 방식으로 Silver membrane에 24
시간 포집하여 5개의 필터 시료를 확보하였다. 추가적으로 입자의 형태학적 분석을 위
해 2017년 9월 6일부터 2017년 9월 10일까지 북극 현지 시각으로 약 10시부터 13시까
지 하루 3시간 정도 TEM grid를 이용한 샘플링도 진행되었다.
TEM은 일반적인 현미경과 달리 진공 상태에서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짧은 전자를
이용하여 분해능을 향상시킨 방법으로써 작은 입자의 형태학적인 특성을 자세히 파악
할 수 있다. EDS를 추가로 적용하면 TEM-grid에 포집된 에어로졸에 전자빔을 집속시킨
뒤 이로부터 방출되는 X-ray 스펙트럼을 검출하여 에어로졸의 원소성분까지도 분석할
수 있다. 하지만 가벼운 원소의 경우 상대적으로 분석 민감도가 떨어지는 EDS 측정기
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원소주기율표에 있는 거의 모든 원소들을 분석할 수 있
는 LIBS (laser-induced breakdown spectroscopy) (Fig. 4)를 추가로 적용하여 필터에 포
집된 에어로졸의 원소성분들을 분석할 계획이다. LIBS는 샘플에 펄스 레이저를 집속시
켜 플라즈마를 생성시킨 후 방출되는 빛을 분광 분석하여 다양한 원소성분들을 검출하
는 방법으로 EDS와 비교하여 가벼운 원소에 대해서 민감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예, H, He, Li, etc).

- 17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4. Schematic diagram of Laser-induced


breakdown spectroscopy.

2. 연구 결과
1단계 기간동안 측정된 Nano-SMPS의 수농도의 결과는 일별(日別, daily) 평균 수농
도를 분석하여 전체 측정기간 동안의 수농도의 변화 추이를 판단하는 방법과 월별(月
別, monthly) 입자 크기에 따른 수농도, 즉, 크기 분포도를 통해 계절마다 어떠한 경향
성이 나타나는지 알아보기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Diurnal average를 통해 시간대별 입
자 분포도에 대한 정보를 얻었다. 간단한 분석을 진행하기에 앞서서, 전체적으로 3 nm
– 5 nm 크기의 입자들이 잘 관측되지 않았는데 이는 Nano-SMSP의 inlet의 거리가
main inlet으로부터 거리가 멀어 입자 손실이 많이 일어난 이유라고 판단되었다. 그래서
2017년 11월 말부터 좀 더 main inlet으로부터 가까워진 거리에 장비가 재-배치 되었으
므로, 2018년도의 측정자료는 2017년도보다 더 명확하고 정확한 측정이 될 것으로 기대
된다.
Fig. 5는 2017년 01월 01일부터 2017년 10월 31일 에 대한 일별 평균 나노입자 수
농도 결과를 보여준다. 4월 말인 늦은 봄부터 수농도가 증가하기 시작하여 9월 중순 쯤
부터 입자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5월부터 9월까지 입자의 수농도가 상대적으로
다른 기간보다 높음을 보였다. 우리나라 절기상으로는 9월 중순부터 추분이 시작되는 즉,
밤이 길어지는 시기부터이다. 나노입자 형성 (Nano-particle formation)에 있어서 입자
형성의 시작이 되는 핵입자(Nucleation)는 주로 광화학 반응(Photochemical reaction)에
의해 일어나는데, 그러한 영향을 대변해주는 좋은 일련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
다. 상대적으로 낮보다 밤이 긴 늦가을부터 봄까지는 그러한 햇빛의 영향을 덜 받아 반
응이 덜 진행됐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북극의 초여름부터 늦가을까지 진행되는 백야현
상은 나노입자 형성에 있어 광화학 반응의 촉진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
이다.

- 17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5. Daily total particle number concentration of average measured during 2017. 1∼10.

그렇다면, 이 백야 시즌의 입자 수농도의 증가는 주로 어떤 입자 크기들이 분포해


있을지 간단히 분석해보기로 하였다. 만약 나노 입자 성장이라 추정되는 현상이 보인다
면 3 nm의 입자크기 이후로 어떠한 증가 경향을 보일 것이다. Fig. 6은 2017년 10월 31
일까지 관측된 월 평균 입자 크기에 따른 평균 수농도를 보여준다. 5 월부터 9월까지의
크기 분포도가 북극의 백야 기간에 크게 증가함을 볼 수 있다. 1월부터 3월 기간 동안
에는 전체적인 입자 크기에 따른 수농도 분포는 특별한 경향성 없이 3 nm – 60 nm 크
기를 가지는 입자의 수농도가 전체적으로 낮게 측정되었음을 볼 수 있었지만, 4월부터
보면 그러한 크기 분포도 (size distribution)가 점차 상향평준화 되기 시작하여 6월 및 7
월 중에 가장 높은 수치의 입자 크기 분포도를 보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림 6에 빨
간색 점선 상자가 그러한 특징을 보여주는 것에 유의하라. 따라서 그림 5와 비교를 해
보았을 때, Nucleation mode에 해당하는 구간에서는 월(月)마다 큰 차이는 없어보이므
로, 주된 크기의 입자들은 5 nm – 60 nm에 해당함을 알 수 있었다. 자세한 분석은 추
후 진행되어야겠지만, 이 결과로부터 태양광이 잘 드는 북극의 여름에서 입자 성장은
빈번하게 일어날 수 있을 거란 추측을 할 수 있다.

- 17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6. Monthly particle size disribution of average measured during 2017.

앞서 말한 내용을 바탕으로, Fig. 7은 나노 입자 형성 (NPF, nano particle


formation)의 과정을 시각적으로 잘 보여줄 수 있는 Contour 그래프를 그려 수농도가
전체적으로 높아졌던 기간인 4월부터 10월까지를 보여주고 있다. 4월의 결과에서, 4월
중순 이후로부터 점차 입자 나노입자 성장의 모양이 보이기 시작하면서, 4월 말에는 그
형태가 두드러지게 보임이 관찰되었다. Fig. 6에 비해 상대적으로 6월과 7월에 나노 입자
성장의 형태가 많이 보이고 있다. 그러한 성장 곡선의 형태는 입하(立夏)인 5월에 접어들
어 더 두드러진 입자 성장 곡선 형태를 보였고, 정확한 분석은 추후 파라미터를 통해
정밀하게 분석되어야겠지만, 1차적인 시각적 판단은 대략 14 – 16번의 NPF event가 빈
번하게 발생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6월의 경우 매우 두드러진 바나나 형태의 NPF
formation이 6월 초와 6월 중순 쯤에 나타났는데, 일반적인 바나나 형태의 꼬리가 저
위도권에서 일어나는 바나나 모양의 지속시간보다는 더 긴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앞서 말한대로, 여름의 북극은 백야(白夜) 현상에 의해 많은 태양광이 하루 동
안에 조사되었을 것이라는 사실이 그러한 현상을 뒷받침해주었을 것이다. 6월 16일 쯤
에 일어난 Zeppelin station의 정전 (black out) 때문에 약 3일간 측정이 중단되어 데이
터 손실이 있었다. 6월 중순에 일어난 폭발적인 NPF formation은 어떠한 기후학적 요
건과 다른 요인에 의해 발생한 것이라 판단된다만, 이는 추후 여러 기상 데이터들을 종
합적으로 참고하여 분석해본다면 유의한 결과가 나올 것으로 판단이 된다. 7월의 데이
터는 6월의 기세를 몰아붙여 두드러진 NPF formation event가 일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Fig. 6과 Fig. 7에서 볼 수 있듯이 8월부터는 그러한 경향성이 점차 감
소하다가 9월 중순부터는 Event가 점차 보이지 않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시에 9

- 17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월 말부터 추분(秋分)이 시작되기에 밤이 슬슬 길어지기 시작한다. 따라서 북극의 백야


기간도 줄어들고 상대적으로 태양광의 조사가 점차 줄어들기 시작하여 겨울에 접어든
다. 이런 현상이 10월부터 3월까지 지속되며, 그림 5에서 볼 수 있듯이 일 평균 평균
총 수농도가 낮게 유지하는 것이 그러한 증거가 될 것이다. 앞으로 3차년도 때도 지속
적인 모니터링을 통해서 이러한 계절별 변화가 매년 같은 현상을 보인다면 더할 나위
없는 증거가 될 것이다. 또한, 북극에 대한 기후변화에 대한 규명이 더 명확해질 것으
로 기대한다.

- 17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7. Results of contour graph based on every I hour averaged data of 2017.4∼10(high period
of particle number concentration).

마지막으로, 구르바뎃(Gruvebadet) 관측소에서 입자의 원소성분을 측정하기 위해서


2016년 9월 28일부터 2016년 10월 8일 동안의 필터 샘플링 기간 동안 PM2.5 cyclone을
(URG, USA) 이용하여 2.5 ㎛ 이하의 입자들을 Silver membrane filter에 하루 24시간 포
집하였으며 총 11개의 필터 시료를 확보하였다. 또한 2017년 9월 6일부터 2017년 9월
10일 동안에도 2016년도 필터 포집과 같은 방식으로 Silver membrane에 24시간 포집하
여 5개의 필터 시료를 확보하였다. 추가적으로 2017년 9월 6일부터 2017년 9월 10일까
지 북극 현지 시각으로 10시부터 13시까지 하루 3시간씩 TEM grid를 이용한 샘플링도
진행되었다. TEM에 포집된 샘플들은 보충 자료로써 입자의 Morphology 분석에 사용될
예정이다. 각 당해연도에 확보한 필터를 가지고 레이저 유도 플라즈마 분광분석법을

- 17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laser-induced breakdown spectroscopy, LIBS) 이용하여 다양한 에어로졸의 원소성분들


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 8과 9는 각각 2016년 및 2017년 북극 체류기간 동안에 에어로졸을 포집한 필
터를 가지고 레이저 유도 파괴 분광분석법을 이용하여 검출된 10개 원소에 대한 스펙
트럼에 대한 결과다. 탄소 (C), 산소 (O), 수소 (H)를 포함한 7개의 금속 원소 (Na, K,
Ca, Mg, Fe, Sr, Si)들이 검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부분 지각 원소 (Crustal
Elements)들이 많이 포함됨을 알 수 있었으며, 2016년 필터 11개에 대한 PM 2.5와의 비
교를 통해 Fig.3.96에서 볼 수 있듯이 PM 2.5의 양이 금속 원소들과의 상관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대체적으로 높은 PM 2.5 수치를 기록한 날에 대해 10개의 원소들도 높은
검출 값이 나타남을 보였다. 2017년 필터 5개에 대한 원소분석 결과를 통해, 필터 샘플
링 기간 동안의 특정 PM2.5 이벤트가 보이지 않았으며, 특이점을 찾을 수 없었다(Fig.
10). 이 데이터와 NanoSMPS 데이터를 바탕으로 추후 여러 기상 조건과 back trajectory
등과 함께 고려하여 자세하게 분석할 예정이다.

Fig. 8. 10 elements measured by LIBS of captured aerosol in the Arctic region (C, H, O, Na, K,
Ca, Mg, Fe, Sr, Si).

- 17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9. Comparison of PM2.5 collected by 11 filters on 2016.9 with 10 elements measured by


LIBS.

- 18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10. Comparison of PM2.5 collected by 5 filters on 2017.9 with 10 elements measured by
LIBS.

- 18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광주과기원 위탁과제-2) 극지 대기오염 및 기후변화 연구를 위한 대기질


모델링 시스템 개발 및 활용

제 1 절 이론 및 실험적 적용 방법

1. 북극 대기질 모델링 시스템


극지 대기환경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북극지역을 대상으로 WRFv3.4.1/CMAQv5.1 모
델링 시스템을 구축하고, 2008년 5월 - 2008년 8월 기간을 대상으로 모델링을 구동하였다.
특히, 북극지역의 기상학적 대기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WRF 모델의 기본 설정된 지표자
료 중 해빙자료를 개선/보완하여 개선효과를 파악하였고, 북극지역의 대기 특성을 고려하
기 위하여 CMAQ 모델링의 배경조건을 정교하게 고려하였다 (Fig. 1 참조).

Fig. 1. 북극 모델링 시스템 구축 개요도.

2. WRF 기상 모델링 시스템


가. 모델 개요
본 연구에서 설치 운영 중인 WRF v3.4.1 모델은 완전 압축성 비정수계 (fully
compressible non-hydrostatic) 모델로, Arakawa-C 격자체계와 수직으로 지형에 근거한
Eulerian 질량좌표계 (mass based terrain following coordinate)를 사용한다. Fig. 2는 WRF
모델의 수행체계로 WRF 모델의 프로그램 절차와 처리 자료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WRF 모델은 전처리, 모델 및 후처리 과정으로 세 파트로 구성된다.
전처리 과정인 WPS (WRF Pre-Processing System)은 GEOGRID, UNGRIB, METGRID 과정

- 18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으로 세분화된다. GEOGRID 과정은 외부 및 내부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형고도, 토지피복


등 지형자료를 생성한다. 본 연구에서는 IMS (Interactive Multi-sensor Snow and Ice
Mapping System)의 일변화 해빙 (sea ice) 외부 자료를 이용하여 토지피복 정보를 개선하였
다. GEOGRID 과정에서 수평격자 지도 투영법은 극지역에 적합한 'Polar stereograph' 투영
법을 적용하였다.

Fig. 2. WRF 모델 수행과정.

UNGRIB 과정에서는 NCEP reanalysis 자료를 WRF 모델에 사용할 수 있는 자료형식으


로 전환되고, GEOGRID와 UNGRID 과정에서 생성된 각각의 자료는 METGRID 과정을 거쳐
격자체계에 맞게 수평 내삽된 기상자료가 생성된다. 본 연구에 적용된 NCEP 재분석 자료
는 전구규모로 수평 해상도는 2.5°×2.5°이고, 연직으로 100mb까지 17개 층이며, 시간해
상도는 6시간이다. 이 WPS 과정을 통해 생성된 자료는 WRF 단계의 REAL 과정을 통해
연직 내삽되어 경계 및 초기자료가 생성된다. 마지막으로 WRF 실행단계의 REAL과정을
통해 생성된 자료를 바탕으로 수치 적분된다.

나. WRF 모델링 물리적 옵션


본 WRF 모델링에 적용된 주요 대기 물리적 방법은 Table 1과 같다.

- 18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Table 1. WRF 모델에 적용된 물리적 옵션


WRF 물리과정 선택 scheme WRF 옵션 번호

미세 구름물리 WSM5 (Hong et al., 2004) mp_physics=4


장파복사 RRTMG (Iacono et al., 2008) ra_lw_physics=4
단파복사 RRTMG shortwave (Iacono et al., 2008) ra_sw_physics=4
적운 대류 모수화 Kain-Fritsch scheme (new Eta) (Kain, 2004) cu_physics=1
대기 경계층 모수화 YSU scheme (Hong et al., 2006) bl_pbl_physics=1
지표 모수화 5-layer thermal diffusion Land Surface Model sf_surface_physics=1

다. 북극지역 해빙 (sea ice) 입력자료 수정


WRF 모델은 24개 구분에 따른 지표 유형별 USGS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자료를 10m, 5m, 3m, 30s 해상도로 제공하고 있고 (Table 2), Fig. 3에 WRF 모델링 해당
격자로 전환하여 USGS 24개 지표유형별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Fig. 3에 land use category
24번 ‘snow or ice' 정보는 그린란드 지역에만 제공되고 있고, 북극지역에는 실제 지표
정보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실제 계절별 해빙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미국 해양대기
청에서 다양한 위성센서 (AMSU-A, ASCAT, AVHRR, GESO I-M IMAGER, MODIS, SAR,
SEVIRI, SSM/I, SSMIS) 및 실시간 관측으로부터 산출한 IMS (Interactive Multi-sensor Snow
and Ice Mapping System) 데이터 중 4km 해상도 해빙 정보자료를 본 기상모델링 격자로
전환하여 수정하였다 ((http://nsidc.org/data/G02156, National Ice Center, 2008).
IMS 데이터는 일별 자료가 제공되고 있고, 본 연구에서는 일별 자료를 월 평균하여 적
용하였다. Fig. 4는 2008년 4월 - 8월에 대하여 IMS의 해빙정보를 고려한 land use
category 24번의 해당 비율 공간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대부분 북극해는 16번 ‘ Water
Bodies’정보가 ‘snow or ice'로 변경되었다. 해빙의 공간분포는 2008년 봄에서 여름으로
갈수록 해빙의 분포범위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고, 이러한, 북극지역의 해빙
정보를 고려함으로써, 기온 정보를 포함한 관련 기상학적 요소가 개선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 18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Table 2. USGS 24-category Land Use Categories (WRF User’s guide)

Land use category Land use description

1 Urban and Built-up Land


2 Dry land Cropland and Pasture
3 Irrigated Cropland and Pasture
4 Mixed Dryland/Irrigated Cropland and Pasture
5 Cropland/Grassland Mosaic
6 Cropland/Woodland Mosaic
7 Grassland
8 Shrubland
9 Mixed Shrubland/Grassland
10 Savanna
11 Deciduous Broadleaf Forest
12 Deciduous Needleleaf Forest
13 Evergreen Broadleaf
14 Evergreen Needleleaf
15 Mixed Forest
16 Water Bodies
17 Herbaceous Wetland
18 Wooden Wetland
19 Barren or Sparsely Vegetated
20 Herbaceous Tundra
21 Wooded Tundra
22 Mixed Tundra
23 Bare Ground Tundra
24 Snow or Ice

- 18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3. WRF 모델의 초기 설정 USGS 24 category에 대한 해당 비율 분포.

Fig. 4. IMS의 해빙 (sea ice) 정보자료를 고려한 24번 land use category 해당 비율 분
포: a) 2008년 5월, b) 2008년 6월, c) 2008년 7월, d) 2008년 8월, e) 북극 해빙
분포 영상 (2008년 9월).

- 18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3. CMAQ 모델링 시스템


가. 모델 개요
본 연구를 위해 운영 중인 CMAQ v5.1은 미국 환경청에서 개발되어 전 세계적으로 널
리 활용되고 있다. 3차원 화학 수송 모델링시스템인 CMAQ은 오존, 미세먼지, 산성침적, 시
정 등 지역 및 도시 등 다양한 규모로 대기오염물질의 이동, 화학적 변환, 침적을 모의할
수 있게, 기체상 화학, 입자상 화학, 입자상 열역학, 기체-입자간 비균질 화학을 모듈화 및
매개변수화한 모델이다 (Byun and Ching, 1999). 이 CMAQ 모델링 시스템은 Fig 3.101과 같
이 WRF로부터 구동된 기상장, 배출량 자료와 MCIP (Meteorology-Chemistry Interface
Processor), ICON (Initial Condition Processor), BCON (Boundary Condition Processor), ECIP
(Emission-Chemistry Interface Processor), JPROC (Photolysis(J) PROcessor) 및 LUPROC
(Land User PROCessor)와 같은 여러 인터페이스 프로세서로 구성되고, 이 프로세서들로부
터 생성된 자료돌은 CCTM (CMAQ Chemical Transport Model) 프로세서에서 통합되어 다
양한 오염물질에 대한 농도가 계산된다.
MCIP 프로세스 과정을 거치는 이유는 기상모델로부터 구동된 결과물이 CMAQ 모델에
직접 입력자료로 활용할 수 없는 자료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CMAQ의 CCTM 프로세서가
요구하는 입력자료 형태로 변환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생성된 MCIP 기상장은 CCTM 뿐만
아니라, 식생 배출 휘발성유기화학물 (VOCs) 배출량을 생성하기 위한 MEGAN (Model of
Emissions of Gases and Aerosols from Nature) 모델의 입력자료로 활용된다. ECIP은
SMOKE (Sparse Matrix Operator Kernel Emissions) 모델을 통하여 배출량 자료를 시간 및
공간적으로 할당하고, VOCs에 대한 종 분배 (chemical split)하는 과정을 말한다. LUPROC
로부터 제공되는 지형정보들은 지표 및 형성경계층 매개변수를 계산하는데 입력자료로 활
용된다. ICON은 화학메커니즘에 따라 화학종별 초기 농도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단기
대기질 예보에 특히 중요한 요소가 된다. 최근 정지궤도 위성자료를 이용한 초기자료 개선
을 통한 대기질 예보 정확도를 향상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Lee et al., 2016). 중장기 모
델 구동에서는 ICON을 기본설정 조건 (default)로 설정하고, 모델의 spin-up 구동시간을 고
려함으로써, 모델 모의된 대기질 상태 혹은 오염물질의 농도가 실제에 상태에 근접하도록
한다.

- 18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5. CMAQ 모델링 시스템 구조도.

BCON 프로세싱 역시 화학메커니즘에 따른 화학종별로 모델경계 영역을 둘러싼 격자


의 농도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영향성을 파악하기 위
해서는 반드시 경계조건 정보가 고려되어야 한다. BCON을 기본설정 조건으로 설정하면,
실제 대기환경과 다른 배경농도 정보가 고려되어 모델 모의의 불확실성이 증가하므로, 불
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CAM-CHEM, MOZART, GEOS-CHEM과 같은 전구규모 모델
링 결과자료를 이용하여 경계조건 정보를 설정한다. 혹은 Fig. 5 및 6과 같이 외부 도메인
의 결과를 내부도메인의 배경조건으로 활용하는 둥지격자 모델링을 수행한다. 북극지역은
내부 오염원이 극히 적고, 외부 유입이 많은 청정지역이므로 경계정보는 모델의 정확도 향
상에 특히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JPROC는 온도변화, 오존의 수직분포, 에어로솔의 수
직분포, 지표반사도 정보에 기초하여 시공간적으로 변화는 광해리 상수를 대기화학종별,
시간별, 위경도별로 계산하여 조견표 (look-up table)를 생성하는 과정이다. 이 상수 (J)는
구름이 없는 조건으로 계산되지만, 실제 CCTM과정에서는 구름정보들이 반영된 상태로 변
환된다 (J'). 이러한 프로세스를 통해 생성된 입력자료는 최종단계인 CCTM에서 통합되어
계산되고, 이 CCTM 내에는 가스상 화학, 입자상 화학, 열역학, 비균질 화학들이 모듈화되
어 있고, 기본 지배방정식 (governing equation)을 계산하여 오염물질별 농도 정보가 산출
되는 것이다.
본 연구에 적용된 CMAQ v5.1은 대기광화학, 이류 프로세스, 대기-지표 간 상호작용
(air-surface exchange) 등이 개선되었다. 대기광화학 관점에서, ClNO2의 비균질 반응을 통
한 생성 및 ClNO2 대기화학 추가되었다. ClNO2의 비균질 생성은 겨울과 여름철에 모두 발
생되지만, 겨울철에 더욱 명확하게 발생하며, 이 반응을 추가함으로써, 질산염 농도는 감소
하나 오존의 농도가 증가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Sarwar et al., 2012; 2014). 또한, 해양의
요오드화물 (iodide)과의 반응에 기인한 오존의 화학적 소멸 고려하기 위해 오존의 건식침

- 18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적 속도를 조절하였고 고려하였고, 이 영향으로 인한 오존의 농도는 대략 5ppbv 정도 감


소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 소멸상수는 식 1과 같다 (Sarwar et al., 2015). 그 이외에도
isoprene, alkanes, PAHs로부터 SOA 생성경로가 추가 되었다.

 
     ×  ×  ×
  ×  ×  ×
(식 1)

나. CMAQ 모델링 수행 조건
CMAQ 모델링의 수행절차는 Fig 3.102에 도식화하였다. 본 모델구동은 그림 2와 같이
세 개의 도메인 (D1, D2, D3)을 대상으로 모델을 구동하였다. D1 도메인은 북반구 주요
오염원을 포함하고 수평격자 간격은 54km×54km (137개 × 137개)로, 대략 7400km ×
7400km의 공간적 범위를 포함하고 있다. 상당히 넓은 범위인 D1 도메인을 대상으로 지역
규모 모델인 CMAQ을 이용하여 구동한 것은, 도메인 D2를 대상으로 모델링을 수행하기 위
한 경계조건 (BC)을 추출하고자 함이고, 본 연구는 북극지역 D2 도메인과 스발바르 지역
D3 도메인을 중심으로 분석이 수행되었다. D2와 D3 도메인의 수평격자 간격은 각각
18km×18km (109개×109개), 6km×6km(67개×67개)이다. D3 도메인을 대상으로 수행된 모
델링에서 역시 D2 도메인에 대한 모델링 결과로부터 자료를 이용하여 D3의 경계조건 자료
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모델링은 북극지역을 중심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도메
인에 적용된 투영법은 ‘Polar stereograph‘이고, 이 투영법은 배경자료 추출을 위한
CMAQ v5.1의 BCON 프로세스가 지원되지 않기 때문에 독립적은 자료 추출과정이 필요하
다.

Fig. 6. 배경조건의 데이터 배열순서.

- 18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경계조건에 데이터 배열은 Fig. 6과 같이 남(S)→동(E)→북(N)→서(W) 순으로 배열되어


있고, D2 도메인의 경위도에 대한 격자수가 각각 109개이므로, 경계 자료의 배열자료 개수
는 440개 (109+1+109+1+109+1109+1)가 된다 (D3 도메인의 경우 배열자료 개수: 272). 본 연
구에서는 화학종별, 시간별, 연직 층별로 자료를 추출하여 배경조건 자료를 독립적으로 생
성하였다. 본 모델링의 연직격자는 sigma level을 기준으로 1.00, 0.995, 0.980, 0.970,
0.955, 0.930, 0.910, 0.890, 0.820, 0.740, 0.660, 0.570, 0.480, 0.390, 0.300, 0.200, 0.100,
0.0과 같이 설정하여 지표로부터 상층부까지 총 17개 층으로 구분하였다.
본 모델링에 적용된 scheme은 수평이류와 연직이류는 각각 YAMO와 WRF이고, 수평확
산과 연직확산은 각각 multiscale과 acm2 scheme이 고려되었다. 기체상 화학으로는 최근
CMAQ 모델에 지원된 SAPRC-07을 적용하였고 (Carter, 2010), 에어로솔 계산을 위해서는
AERO6 최신 모듈이 적용되었다.
본 모델링에 적용된 배출량 자료는 MACCity 혹은 MACC/CityZen EU Project
(Lamarque et al., 2010), ECLIPSE V4a (Klimont et al., 2013; Hӧglund-Isaksson, 2012),
MEGAN-MACC (Sindelarova et al., 2014), GFED3 (Van der Werf et al., 2010) 등의 인벤토
리로부터 확보하였고, 이들이 제공하는 시간 및 공간해상도와 화학종은 Table 3에 나타내
었다. Fig. 7에는 2008년 1월과 7월에 대한 NOx, SO2, PM10 및 CO 배출량의 공간적 분포를
시각화하였다. 이 자료에는 선박으로부터 배출되는 NOx와 SO2가 포함이 되어 있고, 계절에
따른 선박의 이동 경로가 명확하게 구분되고 있다. 이들 인벤토리가 선박배출량에 대한 불
확실성은 높으나, 노르웨이해 주변을 이동하는 선박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물질에 대한 배
출량도 소량으로 확인되고 있다.

Fig. 7. 2008년 1월과 7월의 NOx, SO2, PM10 및 CO 배출량의 공간적 분포.

- 19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Table 3. CMAQ 모델 모의에 사용된 배출 인벤토리


배출인벤토리 시간 공간
구분 화학종
(대상년도) 해상도 해상도
acetone, BC, butanes (& higher alkanes),
butenes (& higher alkenes), CO, ethane,
ethene, HCHO, methanol, NH3, NOx, OC,
MACCity (2008) month 0.5°
인위적인 other alchols, other aldehyde, other
배출물질 ketones, propanes, propenes, SO2,
aromatics
ECLIPSE_GAINS
year 0.5° CH4, OM, PM2.5, PM10
(2010)
acetaldehyde, acetic acid, acetone, butanes
(& higher alkanes), butenes (& higher
alkenes), CH4, CO, ethane, ethanol,
식생 MEGAN-MACC
month 0.5° ethaene, HCHO, formic acid, isoprene,
배출물질 (2008)
methanol, mono-terpene, other aldehyde,
other ketones, propane, propene,
sesquiterpenes, toluene

acetylene, BC, benzene, butanes, CH4,


chlorinated hydrocarbon, CO, DMS, ethane,
ethene, ethers, HCHO, hexanes (& higher
alkanes), isoprene, mono-terpene, NH3,
산불발생 MACCity (2008) month 0.5° NOx, OC, other aldehydes, other alkenes &
배출물질 alkynes, other aromatics, other VOCs,
pentanes, propane, propene, SO2, toluene,
total acids, total alchols, total ketones,
xylene

GFED3 (2008) month 0.5° PM2.5, TPM

- 19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다. 배출량 자료 처리
배출량 자료는 일반적으로 SMOKE 프로세싱을 통해 CMAQ모델의 입력자료 형태
(model-ready input)로 전환되는데, SMOKE 모델이 미국을 대상으로 개발되어 다른 국가를
대상으로 여전히 불확실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는 아시아를 대상으로 건
국대학교 우정헌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SMOKE-AISA 배출처리 시스템이 있고, 전구를 대
상으로 적용하기에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Fig. 8에서처럼 간결한
절차를 따라 배출량 자료를 처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Table 3에서 제시한 배출인벤토리
를 SMOKE이들 인위적 배출물질, 식생 배출물질, 산불발생 배출물질은 물질별로 모두 합산
하였고, 특히, 휘발성유기화합물 (VOCs)는 SAPRC-07 메커니즘에 맞게 종분화 (chemical
split 혹은 chemical speciation) 과정이 필요하다. SAPRC-07에는 ALK1~5, ETHE, OLE1~2,
ISOP, TERP, BENZ, ARO1~2, ACYE, HCHO, RCHO, BALD, ACET, MEK, PRD2, MEOH,
FACD, AACD, PACD, GLY, MGLY, BACL, CRES, MACR, MVK, IPRD, RNO3, NVOL, NROG
와 같이 36개의 lumped species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VOCs를 해당 lumped species에 대
응시켜 36종의 배출량 자료를 산출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통합 및 종분화된 배출량 자료는 시간할당 및 공간할당의 과정을 거치게 된
다. 본 연구에서는 배출량의 월변화만을 고려하였고, 일간 및 시간변화는 고려하지 않았다.
또한, 공간할당을 위하여, 0.5°로 제공되는 이들 등위경도 자료를 내삽기법을 이용하여
D1, D2, 및 D3 도메인에서 고려한 등거리 해상도로 각각 전환하였다. Fig. 9와 10은 CO와
NO를 대상으로 공간할당을 통해 전환된 배출량의 정보의 예시이다.

- 19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8. 배출량 자료 처리 절차.

- 19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9. 내삽기법을 이용하여 도메인별 등거리 격자로 자료 전환한 NO 배출량 (2008년 7월).

- 19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10. 내삽기법을 이용하여 도메인별 등거리 격자로 자료 전환한 CO 배출량 (2008년 7월).

- 19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1. WRF 모델링 결과 분석
가. 바람장 분석
Fig. 11은 WRF 모델링으로부터 모의된 2008년 5월 - 8월의 북반구 바람장의 분포
를 나타낸 것이다. 북반구 규모에서 월별 바람장은 북태평양 (경도 120°W - 150°W)
에서 남서풍, 동아시아 (120°E - 150°E)에서 남서풍, 북대서양 (경도 30°W -
60°W)의 동풍 등 매월 유사한 패턴과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북극해로 유입되는 바람
은 북대서양으로부터 그린란드로 유입되는 월별 공통된 특징을 나타내고 있고, 특히, 7
월에 바람풍속이 ~10m/s 이상으로 높은 결과를 타나낸다. 위도 60° 이상 지역에서는
그 강도가 점점 약화된다.
본 연구에서는 해빙 (sea ice) 지표정보를 이용하여 개선한 모델링과 모델 내에 기
본 설정된 모델링을 통해 바람장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해빙을 고려한 모델링의 바람장
(Fig. 12 상)과 모델 기본설정 조건으로 구동한 모델링의 바람장 (Fig. 12, 하)은 풍속에
있어 다소 약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북반구 바람장의 분포 특성을 유사한 결과를 나
타내고 있다.

나. ice-albedo 피드백 및 지표 온도 분석
Livina & Lenton (2013)의 연구에 따르면, 해빙 (sea ice)의 면적은 이른 봄에 최대
를 나타내고, 이른 가을 (9월)에 최소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월 변화 패턴은 북
극으로 유입되는 태양광의 차이에 의해 변화하는 것으로, 겨울철 해빙은 차가운 대기로
부터 애향의 온도를 유지시키게 된다. 또한, 겨울철 강설은 해빙을 축적시킴으로써, 이
러한 효과를 극대화시키게 된다. 하지만, 이 해빙이 해양의 온도를 완전하게 영하로 유
지시킬 수 없기 때문에 해양은 해빙의 표면에서 얼기 시작하고, 해빙의 두께가 점차 증
가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이른 봄철까지 유지되며, 해빙의 범위가 최대치가 된다.

Fig. 11. 2008년 5월 – 8월 WRF 모델링의 월평균 바람장 패턴: 해빙 지표 정보 개선한


바람장 (상) 및 기본 설정된 바람장 (하).

- 19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시점 이후로는 대기 중 온도가 상승하기 시작하면서 해빙의 성장 속도가 소멸


속도보다 점차 감소하게 되어, 해빙의 범위가 감소하기 시작한다. 리드 (해빙 혹은 유
빙 사이가 갈라져 드러난 해양 부분, lead)는 유빙보다 반사도가 낮기 때문에 더 많은
태양광을 흡수하게 되고, 이 에너지는 해양으로 전달되어 해빙의 아래 부분부터 녹기
시작한다. 해빙이 녹음으로써 리드의 면적은 점차 증가되어 (혹은, 지표 반사도가 감소
감소되어) 더 많은 태양 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흡수된 태양에너지에 의해 대기 중
온도는 증가하게 된다. 이런 현상이 ice-albedo 피드백 혹은 snow-albedo 피드백이다
(Curry et al., 1995). 이런 해빙의 감소는 여름철 내 계속 지속되고, 9월에 해빙의 범위
가 최소화 된다. 다시 가을이 되면서, 해빙의 소멸속도보다 해빙의 성장속도가 빠르게
되면 해빙의 범위가 증가하는 순환을 나타내게 된다.
Fig. 12는 WRF 기상 모델로부터 모의된 북반구 지표 2m 온도 분포를 나타낸 것으
로, 모의된 월 평균 지표 2m 온도는 5월-8월에 각각 12.2, 16.1, 18.0, 17.6°C를 나타내
고 있다. 7월의 최대값은, ERA-interm 자료를 활용한 분석 결과와 동일한 결과를 제시
하고 있다 (Maine 대학의 Climate Change Institute, http://cci-reanalyzer.org/).
또한, 본 모델링으로부터 모의된 2m 온도의 공간적 분포 검증을 위해, Maine 대학
의 Climate Change Institute (CCI)에서 ERM-interim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Fig. 13). 본 모델링 결과와 CCI에서 제시한 결과와 공간적 분포와 값 범위가 유사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빙 (sea ice) 지표 정보를 이용하여 개선한 모델링과 기본
설정된 (default) 모델링으로부터 모의된 2M 지표온도 차이를 Fig. 13(하)에 제시하였다.
2008년 5월 북극지역 해안선을 따라 약한 양의 bias를 나타내고 있으나, 6월과 7월에
양의 bias가 점차 증가하고 있고, 8월에는 북극뿐만 아니라, 북반구 전 대륙에서 1°C
이하의 양의 bias를 나타내고 있다. 8월 북극해의 음/양 bias의 공간적 분포가 6월 및 7
월과 차이를 나타내는 것에 대해서는 태양으로부터 유입되는 장파복사량 (long wave
radiation)과 지표로 흡수되는 복사량에 대한 정교한 분석이 요구된다.

- 19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12. 해빙 지표 정보를 고려한 2008년 5월 – 8월 WRF 모델링의 지표 2m 온도 분포


(상) 및 해빙 지표 정보 개선한 wrf 모델링과 기존 설정된 wrf 모델링의 지표
2m 온도 차이 (하).

Fig. 13. 동일기간 ERM-interim 자료를 이용한 2M 지표 온도 분석 결과


(Climate Change Institute 제공 자료).

다. 지상관측 기상자료를 이용한 비교 분석


본 연구의 기상모델링으로부터 모의된 지상관측 온도는 AMSR-E (Advanced
Microwave Scanning Radiometer-Earth Observing System), Quick Scatterometer
(QuickSCAT), WMO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통합 등록 자료
(AMSR-E/QuikSCAT/WMO)의 지상 일평균 온도 자료와 비교하였다
(http://nsidc.org/data/NSIDC-0450). 관측망에 따라 1일 4회에서부터 24회까지 관측횟수가
차이는 있으나 (관측시간 정보 없음), 기상 모델링의 결과는 매 시간 자료를 평균하여
일평균 자료를 생성하였다. 기상 모델링 기간인 2008년 5월–8월 중 위도 65도 이상 관
측 측정소를 대상으로 해당 자료를 추출하였다. Fig. 14와 Table 4에 해당 측정 장소와
정보를 정리하였다.

- 19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14. AMSR-E/QuickSCAT/WMO 통합 등록자료의 관측지점.

- 19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Table 4. AMSR-E/QuickSCAT/WMO 통합 등록자료의 측정지점 위치정보 및 지표 2M


모델 모의결과와 비교 통계치
번호 ID 도시 위도 경도 국가 IOA R ME MNGE MB MNB
1 010070 NY-ALESUND 78.917 11.933 SV 0.57 0.42 4.32 128.66 -3.65 -37.96
2 010080 SVALBARD LUFTHAVN 78.250 15.467 SV 0.62 0.53 4.07 52.28 -3.63 -53.33
3 010230 BARDUFOSS 69.067 18.533 NO 0.68 0.71 4.41 69.29 -4.20 -67.11
4 010250 TROMSO/LANGNES 69.683 18.917 NO 0.77 0.80 3.22 53.45 -2.60 -46.56
5 010260 TROMSO 69.650 18.933 NO 0.78 0.80 3.22 41.15 -2.70 -35.63
6 010460 SORKJOSEN 69.783 20.967 NO - - - - - -
7 010470 KAUTOKEINO 69.000 23.033 NO 0.84 0.81 3.04 -10.12 -2.51 32.63
8* 010580 SUOLOVUOPMI LULIT 69.567 23.533 NO 0.90 0.82 2.28 -2.58 -0.33 15.68
9 010650 KARASJOK 69.467 25.517 NO 0.84 0.82 3.11 95.67 -2.42 -20.74
10 010750 RUSTEFJELBMA 70.400 28.200 NO 0.88 0.84 2.63 26.61 -1.78 -68.90
11 010780 SLETTNES FYR 71.100 28.217 NO 0.89 0.84 1.61 34.07 -1.06 -13.81
12* 010980 VARDO 70.367 31.100 NO 0.85 0.82 2.22 40.01 0.00 -42.44
13 011320 MAJAVATN V 65.167 13.367 NO - - - - - -
14 011600 SKROVA FYR 68.150 14.650 NO 0.53 0.70 4.49 36.23 -4.49 -36.23
15 020200 KATTERJAKK 68.417 18.167 SW 0.81 0.75 2.91 30.34 -2.50 -24.98
16 020800 KARESUANDO 68.450 22.450 SW 0.89 0.82 2.34 38.95 -0.88 4.97
17 021200 KVIKKJOKK-ARRENJARK 66.883 17.750 SW 0.71 0.76 4.50 65.53 -4.44 -64.43
18* 021280 GUNNARN 65.016 17.683 SW 0.84 0.78 2.65 27.46 -1.88 -18.92
19 021540 VIDSEL 65.883 20.150 SW 0.87 0.77 2.35 29.51 -0.53 3.17
20 021860 LULEA-KALLAX 65.550 22.133 SW 0.81 0.77 3.03 29.31 -2.42 -23.76
21 021960 HAPARANDA 65.833 24.150 SW 0.90 0.81 2.08 19.95 -0.37 -0.66
22* 028110 KUUSAMO KIUTAKONGAS 66.367 29.317 FI 0.91 0.85 2.31 52.39 -0.36 -3.75
23 028120 YLITORNIO MELTOSJARV 66.533 24.650 FI 0.89 0.82 2.32 53.87 -0.64 -33.95
24 028130 ROVANIEMI APUKKA 66.583 26.017 FI 0.82 0.77 3.45 3.74 -2.51 6.93
25 028140 KEMIJARVI LENTOKENTT 66.717 27.167 FI 0.91 0.84 2.29 51.48 0.22 23.36
26 028160 SODANKYLA VUOTSO 68.083 27.183 FI 0.90 0.83 2.37 9.71 -0.76 -24.26
27 028230 MUONIO 67.967 23.683 FI - - - - - -
28 028240 KITTILA KENTTAROVA 67.983 24.250 FI 0.89 0.81 2.33 21.58 -0.60 22.96
29 028350 INARI NELLIM 68.850 28.300 FI 0.89 0.84 2.62 8.31 -1.61 -18.37
30 028360 SODANKYLA 67.367 26.650 FI 0.89 0.82 2.54 50.02 -0.90 -24.72
31 028440 PELLO 66.800 24.000 FI - - - - - -
32 028450 ROVANIEMI 66.567 25.833 FI 0.87 0.77 2.62 40.24 -0.54 -8.80
33 028490 SALLA KK 66.833 28.683 FI 0.88 0.80 2.64 86.37 -0.97 -27.46
34 028660 PUDASJARVI 65.400 26.967 FI 0.88 0.78 2.41 15.92 -0.59 7.77
35 028740 HAILUOTO 65.033 24.733 FI 0.90 0.82 1.90 19.97 0.63 8.52
36 040530 BERGSTADIR 65.700 -19.617 IC 0.66 0.60 3.17 35.66 -2.59 -25.23
37* 042020 PITUFFIK (THULE A.B 76.533 -68.750 GL 0.71 0.69 4.61 54.64 -3.72 -65.10
38 042200 AASIAAT (EGEDESMIND 68.700 -52.850 GL - - - - - -
39* 043390 ITTOQQORTOORMIIT (S 70.483 -21.950 GL 0.66 0.61 4.84 70.57 -4.35 4.30
40 043600 TASIILAQ (AMMASSALI 65.600 -37.633 GL 0.57 0.45 4.56 138.52 -4.00 -95.84
41* 200690 OSTROV VIZE 79.500 76.983 RS 0.82 0.72 3.43 -6.34 1.64 -276.51
42 200870 OSTROV GOLOMJANNYJ 79.550 90.617 RS 0.80 0.69 3.36 -281.91 1.67 -155.27
43 206670 IM. M.V. POPOVA 73.333 70.050 RS 0.67 0.49 5.52 -3.50 -2.51 -109.24
44 206740 OSTROV DIKSON 73.500 80.400 RS 0.62 0.50 5.28 4.23 -2.59 -94.39
45 214320 OSTROV KOTELNYJ 76.000 137.867 RS 0.75 0.59 3.61 143.43 0.25 11.35
46* 218020 SASKYLAH 71.967 114.083 RS 0.89 0.81 3.77 8.43 0.30 -23.52
47 218240 TIKSI 71.583 128.917 RS 0.89 0.82 3.54 -42.33 1.17 -72.47
48 219080 DZALINDA 70.133 113.967 RS 0.91 0.85 3.32 -1.40 -1.45 -4.37
49 219210 KJUSJUR 70.683 127.400 RS 0.91 0.88 3.38 53.32 -2.16 -0.83
50 219310 JUBILEJNAJA 70.767 136.217 RS 0.88 0.85 4.06 -0.64 1.30 -23.16

- 20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번호 ID 도시 위도 경도 국가 IOA R ME MNGE MB MNB


51 219460 CHOKURDAH 70.617 147.883 RS - - - - - -
52 219820 OSTROV VRANGELJA 70.983 -178.483 RS 0.69 0.47 3.62 130.68 0.38 -44.07
53 220280 TERIBERKA 69.200 35.117 RS - - - - - -
54 221060 PADUN 68.600 31.850 RS 0.90 0.83 2.70 52.51 -1.25 -35.22
55 221130 MURMANSK 68.967 33.050 RS 0.92 0.85 2.10 16.96 -0.36 8.92
56 221270 LOVOZERO 68.000 35.033 RS 0.94 0.89 2.23 24.85 -0.62 -16.55
57 221650 KANIN NOS 68.650 43.300 RS 0.84 0.82 2.60 66.42 -2.21 -79.53
58 222170 KANDALAKSA 67.150 32.350 RS 0.91 0.86 2.65 36.71 -1.42 -18.68
59* 222350 KRASNOSCELE 67.350 37.050 RS 0.94 0.89 2.30 20.14 -0.86 -14.89
60 222710 SOJNA 67.883 44.133 RS 0.78 0.79 3.88 73.39 -3.58 -84.10
61 222820 MYS MIKULKIN 67.800 46.667 RS 0.89 0.89 2.52 51.67 -2.39 -51.29
62 223240 UMBA 66.683 34.350 RS 0.93 0.88 2.24 90.19 -0.66 20.35
63 223490 PJALICA 66.183 39.533 RS - - - - - -
64 224080 KALEVALA 65.217 31.167 RS 0.92 0.87 2.26 21.31 -0.97 10.20
65 224380 ZIZGIN 65.200 36.817 RS 0.93 0.92 2.31 -39.86 1.64 -33.69
66* 230220 AMDERMA 69.750 61.700 RS 0.90 0.82 3.60 43.92 0.24 -0.60
67 230320 MARESALE 69.717 66.800 RS 0.73 0.59 5.41 7.56 -2.95 -75.65
68 230740 DUDINKA 69.400 86.167 RS 0.89 0.84 3.37 22.28 -1.25 -28.51
69 232050 NARJAN-MAR 67.633 53.033 RS 0.96 0.93 2.37 27.82 -0.79 -28.37
70* 232190 HOSEDA-HARD 67.083 59.383 RS 0.96 0.94 2.51 34.19 -1.32 -42.27
71 232260 VORKUTA 67.483 64.016 RS 0.93 0.91 3.17 20.28 -1.84 -12.86
72* 232560 TAZOVSKOE 67.467 78.733 RS 0.90 0.87 3.29 -3.95 -0.24 -36.98
73 232740 IGARKA 67.433 86.617 RS 0.87 0.84 3.58 -24.09 -2.42 -56.71
74 233300 SALEHARD 66.533 66.667 RS 0.95 0.91 2.59 19.33 0.11 4.28
75 233830 AGATA 66.883 93.467 RS 0.87 0.86 3.44 63.48 -2.97 -28.75
76* 234050 UST-CILMA 65.433 52.267 RS 0.97 0.95 1.88 10.68 -0.63 -21.27
77 234120 UST-USA 65.967 56.917 RS - - - - - -
78 234180 PECHORA 65.117 57.100 RS 0.96 0.93 2.56 33.19 -0.89 -10.93
79 234260 MUZI 65.382 64.717 RS 0.95 0.91 2.48 34.59 -0.77 23.44
80 234720 TURUHANSK 65.783 87.933 RS - - - - - -
81 241250 OLENEK 68.500 112.433 RS 0.90 0.83 3.41 5.01 -1.01 34.93
82 241430 DZARDZAN 68.733 124.000 RS - - - - - -
83* 242660 VERHOJANSK 67.550 133.383 RS 0.89 0.83 3.71 205.81 -2.22 -28.72
84 243290 SELAGONCY 66.250 114.283 RS 0.93 0.89 3.14 -5.52 -1.45 25.19
85 243430 ZHIGANSK 66.767 123.400 RS 0.94 0.90 2.67 31.22 -0.49 -5.75
86 251230 CHERSKIJ 68.750 161.283 RS 0.83 0.74 4.22 31.75 -2.38 -12.50
87 251730 MYS SHMIDTA 68.900 -179.367 RS 0.84 0.82 3.45 171.95 2.66 140.11
88* 252480 ILIRNEJ 67.250 167.967 RS 0.87 0.84 4.23 13.16 -3.17 -12.63
89 253250 UST-OLOJ 66.550 159.417 RS 0.80 0.69 4.42 21.53 -1.75 -33.58
90* 253780 EGVEKINOT 66.350 -179.117 RS 0.91 0.84 2.51 -8.42 0.01 83.38
91 253990 MYS UELEN 66.150 -169.833 RS 0.86 0.84 2.56 92.12 2.15 86.00
92 254000 ZYRJANKA 65.733 150.900 RS 0.83 0.72 4.51 37.85 -0.93 -12.64
93 254280 OMOLON 65.233 160.533 RS 0.85 0.80 4.01 106.39 -2.11 -79.25
94 701040 CAPE LISBURNE(AWOS) 68.883 -166.133 US - - - - - -
95 701170 TIN CITY AFS (AWOS) 65.567 -167.917 US 0.83 0.74 2.47 -10.58 -0.95 -64.10
KOTZEBUE RALPH WEIN
96 701330 66.885 -162.597 US 0.66 0.68 4.53 39.05 -3.88 -41.91
MEMORIAL
97* 701740 BETTLES FIELD 66.916 -151.509 US 0.67 0.82 6.12 37.82 -6.05 -37.01
98* 701745 CHANDALAR LAKE 67.500 -148.483 US 0.86 0.87 3.21 93.73 -2.83 -84.65
TANANA RALPH M
99* 701780 65.174 -152.107 US 0.86 0.81 2.66 22.80 -1.87 -14.71
CALHOUN MEM AP
100 710170 STEFANSSON ISLAND 73.767 -105.283 CA 0.55 0.40 3.20 93.94 0.99 106.19
101* 710180 RESOLUTE CS 74.717 -94.983 CA 0.87 0.77 3.36 115.36 -0.27 -99.56

- 20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연구에서 모델링 결과의 신뢰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모델링 격자 내에 해당되는 관


측지점의 관측값을 모델 모의된 지표 2M온도와 비교하였다. Fig. 15는 WRF 모의된 지표
2M 온도와 Table 5에 제시된 101개 WMO 관측지점에서 관측된 월 평균값의 공간 분포를
비교한 것으로, 대부분의 관측값이 모델 모의된 값과 유사한 범위 내에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정교한 비교를 위하여, 지표 2M 온도의 일변화를 분석하여 Fig. 16
에는 101개의 해당 관측지점 중 지역별 분포를 고려하여 대표적인 20개 측정소의 (Table 5
에 * 표시) 관측 결과만을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정량적인 분석을 위하여, IOA (Index of
Agreement), 상관계수 (R), ME (Mean Error, ℃), MNGE (Mean Normalized Gross Error,
%), MB (Mean Bias, ℃), MNB (Mean Normalized Bias, %) 등의 통계변수가 활용되었다.
각 통계변수에 대한 정의는 식 (2) - 식 (7)과 같다. 일부 관측지점을 제외하고 대부분
지점에서 상관계수 (R)와 IOA는 0.8 이상의 좋은 관련성과 높은 일치도를 보이고 있다. 상
관계수 R과 IOA는 +1에 가까울수록 좋은 상관성과 일치도를 의미하며, 0에 가까울수록
관련성과 일치성이 없음을 의미한다. 그림 18에 관측지점 ID 042020 (No. 37)와 ID
043390 (No. 39)에서 관측된 지표 2M 온도와 WRF 모의된 값은 5월과 6월에는 유사한
패턴과 값을 나타내고 있으나, 7월과 8월에 WRF 값이 과소모의 하고 있다. 그린란드에
해안선에 인접한 이 두 관측지점의 해당하는 모델링 영역은 관점지점에 비하여 상당히
넓은 지역을 균질한 값으로 가정한 값으로, 해당 격자에서는 상당 지역의 그린란드 내
륙을 포함하기 때문에 이런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모든 관측지점을
대상으로 수행된 통계분석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IOA를 기준으로, 관측지점의
76% (상관계수 기준 63%)는 IOA가 0.8이상을 나타내고 있다. ME는 대략 2~3°C, MB는
–1~-2°C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전반적으로, WRF 모델링은 지표 2M의 온도를 다소
낮게 모의하는 경향이 있으나, 관측값의 변화를 잘 모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20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15. 2008년 5월 –8월 WRF 모의 및 WMO 관측망 (○)의 월평균 지표 2m 온도 분포.

- 20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  
 

    
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  
   
  

(3)
     
  
    × 

(4)


  
     
     

(5)


 

    × 
   
(6)
(M: 모델 모의된 값; O: 관측된 값)

- 20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16. 2008년 5월–8월 WRF 모의 및 20개 관측망의 일평균 지표 2m 온도 시계열.

- 20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CMAQ 모델링 결과 분석
가. 북극지역 PM10 농도 분석
본 연구에서는 해당 모델링 기간에 대하여 북극지역의 PM10농도를 살펴보았다.
PM10은 황산염 (ASO4J+ASO4I), 질산염 (ANO3J+ANO3I), 암모늄염 (ANH4J+ANH4I), 이차
유기입자 (AALK1J + AALK2J + AXYL1J + AXYL2J + AXYL3J + ATOL1J + ATOL2J +
ATOL3J + ABNZ1J + ABNZ2J + ABNZ3J + APAH1J + APAH2J + APAH3J + ATRP1J +
ATRP2J + AISO1J + AISO2J + AISO3J + ASQTJ + AORGCJ + AOLGAJ + AOLGBJ), 일차
유기입자 (APOCJ + APOCI + APNCOMJ + APNCOMI), 블랙카본 (AECJ + AECI), 해염
(ANAJ + ACLJ), 미분류 입자 및 그 외 입자 (AOTHRJ + ACORS + ASOIL)의 합으로 정
의하였다. 각 화학종에 표기되어 있는 I와 J는 미세모드를 의미하고, I 모드는 (nuclei
혹은 Aitken) 직법 배출되는 혹은 응결에 의해 생성되는 입자이고, J모드는 I모드 보다
큰 숙성된 (aged) 입자를 의미한다.
Fig. 17과 Fig. 18은 북극지역 (D2, 18km ×18km) 및 스발바르지역 (D3, 6km
×6km) 2008년 5월부터 8월 PM10의 공간적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해당기간동안 북극
지역 전체도메인의 PM10 농도는 0.12 ㎍/㎥ - 4.06 ㎍/㎥, 스발바르 지역 도메인 PM10
농도는 0.19 ㎍/㎥ - 0.49 ㎍/㎥ 범위이다. Fig 3.113의 세부 분석 대상은 6개 지역
(Eureka, Alert, Villum, SUM, Ny-Alesund, PAL)의 PM10농도는 대략 0.16㎍/㎥-0.44㎍/㎥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6개 지역 중에는 Ny-Alesund의 PM10 농도가 다소 낮게 나
타났다.

- 20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17. 북극지역 월별 PM10의 공간분포 및 세부 분석 대상지역


(Eureka, Alert, Villum, SUM, Ny-Alesund, PAL 지역).

- 20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18. 스발바르 월별 PM10의 공간분포.

고농도 PM10은 주로 배출원에 인접한 내륙에 주로 분포하고 있고, 그 외 북극해,


그린란드, 아이슬란드 등은 비교적 낮은 농도를 보이며, 풍속 및 풍향에 따라 내륙 배
출원으로부터 유입되는 PM10의 장거리 이동에 의해 결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시간변화
에 따른 PM10의 공간분포 분석을 통하여, 스발바르를 포함하는 북극해의 미세먼지는 주
로 북유럽이나 러시아로부터 PM10의 오염기단이 유입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PM10
의 농도는 2008년 5월, 7월, 8월이 6월보다 대략 30% - 37% 높게 나타났고, 상대적으
로 6월에 낮은 값을 나타내는 이유는 배출량, 장거리 이동을 통한 영향성 등 보다 추가
적인 정교한 분석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계절별 차이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PM10의 성분별 기여도를 파악하
였다. Fig. 19는 Fig. 17에 표시한 6개 세부지역을 대상으로 월별 PM10을 성분별 기여도
를 분석한 것이다. 모든 대상지역에서 황산염의 기여도가 60%-75%로 가장 높게 나타나
고, 다음으로 이차유기입자는 12%-30%를 보였다. 이 두 성분은 전체 PM10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잘 알려진 것처럼 북극에서 발생하는 haze의 주된 성분이 황산염과 유기입
자이고, 그 이외에 소량의 암모늄염, 질산염, BC도 존재한다 (Li and Barrie, 1993;

- 20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Quinn et al., 2002). SOA의 경우 5월에 비해 8월에 PM10의 기여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


은, SOA의 생성의 주된 전구체인 식생 VOCs가 여름철에 농도가 높은 것과 관련성이
있고, 본 분석에 따르면, SOAs의 대부분은 biogenic SOA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그 외
에 미분류된 입자성분들과 해염이 10% 이내의 기여도를 나타내고 있다.

- 20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19. PM10의 성분별 기여도 분석.

- 21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특히, SOAs의 전구체인 식생 VOCs는 북극지역에서 매우 드물게 배출되는 성분으


로, 이들 기여도는 유럽, 러시아, 캐나다 등 북반구 주요 대륙으로부터 발생되어 북극
지역으로 유입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는 지시자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북극 haze의 대부분 성분은 빛을 반사하여 대기를 냉각하는 역할을 하지만,
BC (혹은 EC)의 경우, 빛을 흡수하는 성질을 나타낸다. 이 BC는 약한 흡수성을 보이지
만, 이들 물질이 눈이나 빙하에 침적되면 기후변화를 가속화시킬 수 있다 (Shaw and
Stamnes, 1980; Quinn et al., 2011). 본 모델링 결과에, 북극지역 EC 농도는 수 ng/㎥,
최대 3.07 ng/㎥으로 동일기관 Ny-Alesund, Alert, SUM 등에 의해 관측된 대략 10-30
ng/㎥ 범위에 (Quinn et al., 2011) 비하여 과소 모의하였다. Liu et al. (2011)과 Huang
et al. (2010)의 연구에 따르면, 북극지역 관측 및 모델 모의된 BC 농도간 불일치는 BC
의 소수성으로부터 친수성으로 전환에 따른 aging 및 wet scavenging을 통한 매개변수
화로 개선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나. 북극지역 기체상 물질 농도 분석
Fig. 20은 분석 대상기간동안 PAL, Alert, Eureka 지역의 오존, NO2, PAN의 월평균
일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핀란드 PAL (Pallas-Sodankyla)지점은 Fig. 19에 다른 북극지역
대상지점과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오염원에 인접한 지역으로, 북반구 오염지역에서
나타나는 뚜렷한 오존 일변화 경향을 보인다. 낮 시간 동안 NOx와 VOC 전구물질과 강
한 자외선을 통해 오존이 급격하게 생성되고, 밤 시간대에는 광의 부재로 인해 오존발
생이 제한되며, 이와 더불어 NO2와의 반응을 통한 화학적 전환 (혹은 소멸)과 오존의
지표침적을 통해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 21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20. PAL 및 Alert 지역에서 모델 모의된 O3, NO2, PAN의 일변화 경향 (검정색: 5
월, 붉은색: 6월, 푸른색: 7월, 초록색: 8월).

- 21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PAL 지역의 오존 농도는 월별로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대략 15 ppb-35 ppb 범위


에 존재한다. 이에 반해, Alert, Eureka (및 그 이외에 Ny-Alesund, SUM, Villum) 지역에
서는 PAL 지역과 같은 명확한 일변화를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약한 정도의 일변화 사
이클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 지역의 오존 농도는 대략 20ppb-30ppb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본 모델링에 적용된 화학 메커니즘은, 해양의 요오드화물과 반응을 통한 오존의
화학적 소멸 효과가 고려되어 있어, 오존의 건식침적이 이전 CMAQ 버전보다 높은 것
으로 알려져 있고, 이런 효과를 통한 오존의 농도 감소는 대략 5ppb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
Fig. 2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낮 시간동안 NO2 농도 감소는 오존 농도가 증가와 역
의 상관성을 보이고 있고, 이러한 경향은 NO2의 광분해를 통하여 O3P가 생성되고, O3P
가 O2와의 반응을 통해 오존을 생성하는 광화학적 오존발생 메커니즘을 명확하게 나타
내는 것이다. 대기광화학의 최종산물인 PAN (Peroxyacetyl Nitrate) 역시, 오존 일변화
경향과 매우 유사한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PAN은 낮은 온도에서 강한 열적 안정성으
로 인하여 고층대기에서 장거리 이동하여 북극지역으로 유입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ingh and Hanst, 1981; Singh, 1987). 하지만, 상온에서 PAN의 1시간 이내에 소멸
되는 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NOx의 저장고 (reservoir) 역할을 하는 PAN은 열분해
를 통해 NO2를 재생성하고, 이와 반대로 낮은 온도에서는 PA (CH3COOO·)라디칼과
NO2와의 반응을 통해 PAN이 생성되고, NO2를 일시적으로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
므로 그림 22에서처럼 PAN과 NO2는 역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이다. Fig. 21은 북극지
역 월평균 PAN의 공간적 분포를 나타낸 것으로, 온도증가 (Fig. 20)로 인한 PAN 열분
해로 PAN의 농도가 감소한다. 또한, 그림 22에 Alert과 Eureka 지역에서는 PAN의 농도
가 5월 (검정색 선)에서 8월 (초록색 선)로 변함에 따라, PAN의 열분해로 인해 PAN의
농도가 감소하고, 열분해로 인해 NO2가 공급되어 NO2의 농도가 점차 증가됨을 재확인
할 수 있다. 이런 유사한 결과는 청정지역 중에 하나인 몽골지역에서 재확인되었다.

- 21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21. 월평균 PAN의 공간적 분포.

- 21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몽골지역을 대상으로 위성자료를 이용하여 NO2 층적분 농도


의 계절변화를 파악하였고, 이러한 계절변화가 발생하는 원인을 모델링 자료 분석을 통
하여 규명하였다. Fig. 22는 몽골 (청정지역), 중국 동부, 상하이, 남한, 일본 (이상 오염
지역)을 대상으로 인공위성 관측된 NO2 층적분 농도의 계절변화 경향을 나타낸 것이
다.

Fig. 22. 몽골 (그림 좌), 중국 동부(CEC), 상하이(SH), 남한(SK), 일본(JP) (이상 그림 우)


지역 인공위성 관측된 NO2 층적분 농도의 월변화 트랜드.

이들 지역에서는 공통적으로 NO2 층적분 농도가 명확한 계절변화를 나타내고 있


다. 하지만, 명백한 차이는 NO2 층적분의 고농도 (혹은 저농도)에서 계절적 차이를 보
이고 있다. 오염된 지역에서는 겨울철에 NO2 층적분 농도가 높고, 여름철에 낮은 농도
를 보이는 반면에, 청정지역인 몽골에서는 여름철 고농도 NO2 및 겨울철 저농도 NO2를
나타낸다. 이러한 월변화 경향은 MOZART 전구모델 자료 분석을 통하여 재확인하였다.
오염된 지역에서 여름철 낮은 NO2 층적분 농도를 나타내는 것은 여름철 고농도 OH라
디칼과 NO2와의 반응을 통해 NOx의 소멸속도가 증가된 것에 기인한 것으로 많은 연구
들을 통해 알려진 사실이다. 몽골지역의 독특한 계절변화 발생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토양으로부터 배출된 NOx의 배출량 (Fig. 23), PAN의 열분해를 통한 NO2의 화학적 생
성 속도 (Fig. 24)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PAN의 열분해를 통한 NO2 생성속도가
토양 기인 NOx 배출 속도보다 (계절별/지역별 차이에 따라) ~수배에서 ~수십배 빠른 것
으로 나타났다.

- 21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23. 토양으로부터 발생된 몽골지역 월별 NOx 배출량.

Fig. 24. 몽골지역 PAN의 열분해를 통한 NO2 화학적 생성 속도.

몽골지역을 대상으로 수행된 대기광화학 분석결과가 북극지역에서도 유사한 대기 광화


학적 특성을 보이고 있으나, 더욱 정밀한 분석이 요구된다.

- 21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경인여대대학교 위탁과제-3) 환북극권 대기 에어로졸의 광학적 특성 연구

제 1 절. 연구 방법

1. 본 연구 방법의 1단계 개략도는 다음 Fig. 1과 같다. 구체적인 연구 방법은 아래와


같다.

Fig. 1. 연구방법의 개략도.

2. 북극 대기에어로졸 측정자료 확보
- 북극지역 대기에어로졸의 지상 및 원격위성 AOD(에어로졸 광학두께) 측정자료 확보
및 에어로졸의 측정 자료 분석

3. 환북극 지역 대기에어로졸 원격위성 측정자료 분석


- 환북극 지역 대기에어로졸 원격측정자료 분석을 통한 북극지역의 에어로졸 특성 파악

4. 북극 에어로졸의 물리 광학적 특성 파악
- 다산기지 대기에어로졸 및 구름 응결핵(CCN) 측정자료와 위성 등 원격 측정자료
(AOD)를 활용한 북극 에어로졸의 광학적 특성 파악

- 21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5. 북극 에어로졸의 광학적 특성 모사 알고리즘 개발


- 다산기지를 포함한 북극지역에서 측정되고 있는 측정자료에 기반한 에어로졸의 광학
적 특성 및 기후복사 강제력 산출 모사 알고리즘 개발

2절. 연구 내용

1단계 기간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북극 대기에어로졸의 측정자료 확보, 원격위성 측


정자료 분석, 북극 에어로졸의 물리 광학적 특성 파악과 광학적 특성 모사 알고리즘 개
발을 추진하였다. 세부적인 연구내용은 아래와 같다.

1. 북극 대기에어로졸 측정자료 확보
- 2008-2013년에 Zepplein 측정소에서 측정한 CCN, DMPS 에어로졸 크기 분포자료확보
및 경향분석

2. 환북극 지역 대기에어로졸 원격위성 측정자료 분석


- 2008-2013년에 Zepplein 측정소인근 AERONET 원격 측정자료 및 위성자료확보 및 중
장기 경향분석

3. 북극 에어로졸의 광학적 특성 파악
- MODIS, AERONET등의 원격자료 및 MERRA-2 renalysis자료등을 통한 북극 에어로
졸의 광학적 특성 파악

- 21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4. 북극 에어로졸의 광학적 특성 모사 알고리즘 개발


- 다분산 에어로졸의 광학적 특성 모수화 알고리즘 개발

3절. 연구 결과

1. 북극 대기에어로졸 측정자료 확보

가. 2007-2013년에 걸친 북극권 에어로졸 광학두께 측정자료를 분석해 본 결과(Fig. 2,


3), 장기간에 걸친 계절적 변동경향을 뚜렷이 확인할 수 있음. 봄철 Arctic haze기간
의 AOD의 증가는 장거리 수송 영향에 의한 것으로 확인됨.

Fig. 2. 2007-2013년에 걸친 북극권 에어로졸 광학두께 측정자료.

Fig. 3. 2007-2013년에 걸친 북극권 에어로졸과 CCN


의 수농도 비교.

- 21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나. Ny-Alesund 그루바뎃 측정소에서 TEM-grid analysis를 통한 에어로졸의 크기 및


shape 형태 자료측정
다. Fig. 4에서 볼 수 있듯이, 비구형 형태의 입자들뿐 아니라, 구형의 입자, chain형태
의 입자들을 확인할 수 있음.
라. 관련한 정확한 기원과 성분에 관련한 비교 연구가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음.
마. 향후 장기적 측정을 통한 비구형 극지에어로졸의 모수화 및 광학적 특징 산출에 기
초자료로 활용예정

Fig. 4. Ny-Alesund 그루바뎃 측정소에서 TEM-grid analysis를 통한 에어로졸의 크기 및


shape 형태.

- 22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환북극 지역 대기에어로졸 원격위성 측정자료 분석

가. MODIS위성자료를 통한 북극 지역의 AOD분석 결과 AERONET자료와 같은 계절적


변동을 확인할 수 있음.
나. Table 1은 측정 기간 동안 MODIS, AEORNET 등을 원격측정을 통한 대기에어로졸
의 AOD를 보여줌.
다. Table 2는 각 측정 및 재분석 자료의 특징을 보여줌.

Table 1. Median of daily averaged AOD (2017.04-2013.03)

MODIS AOD AERONET AOD CCN MERRA-2

Season
0.125 ± 0.090 0.104 ± 0.045 129.711 ± 88.843 0.106 ± 0.043
Spring (48%) (36%) (68%) (100%)
0.087 ± 0.156 0.072 ± 0.034 84.521 ± 65.338 0.067 ±
Summer
(57%) (26%) (76%) 0.031 (100%)
Autumn 0.052 ± 0.077 0.070 ± 0.023 33.103 ± 31.826 0.064 ±
(11%) (4%) (72%) 0.027 (99%)
57.675 ± 66.404 0.074 ±
Winter - - (63%) 0.035 (99%)

- 22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Table 2. Comparison of MODIS, AERONET, CCN and MERRA-2

MODIS AERONET CCN MERRA-2

Characteristics

Cloud • MERRA-2
• MOD08_M3 Version 2 instM_2d_gas_
(collection6) Direct Sun Condensation
Dataset Nuclei Nx
• MOD08_D3 Algorithm, • MERRA-2
(collection6) Level 2.0 Particle
Counter (ARM) inst3_3d_gas_N
v

• Monthly • Monthly • Monthly • Monthly


Temporal average data average data average data average data
Resolution • 3 hours • Daily • Daily • Daily
average data average data average data average data

Hornsund Zeppelin
Spatial 1˚ station station 0.5 ˚0.652 ˚
Resolution & (11.5˚E,78.5˚N) (15.560 ˚E, (11.89 ˚E, (11.875˚E,79˚N)
Used geometry 77.001 ˚N) 78.91 ˚N)

Lon.: -179.5˚ Lon.: -180.0˚


Grid to 179.5˚ One point One point to 179.375˚
Lat.:89.5˚ Lat.: -90˚ to
to-89.5˚ 90˚

Number of
data • 42/72 • 38/72 • 55/72 • 72/72
(formonthlyand • 641/2192 • 364/2192 • 1535/2192 • 2192/2192
dailyaveragedat
a)

Wavelength 550 nm 500 nm 0.75 – 10 m? 550 nm

- 22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1) 측정기간동안 CCN, AOD자료를 확인한 결과(Fig. 5), 봄철CCN, AOD의 증가와 가을 겨
울 감소 등 계절별 변동을 확인 할 수 있음.

Fig. 5. Daily and monthly Trend of AOD and CCN from 2007-2013 at Arctic region.

- 22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6. Comparison of the monthly averaged AOD from MERRA2, AERONET and
MODIS during sampling periods (2007-2013).

(1) AOD의 월별 변화 패턴은 MODIS, AERONET, MERRA-2 reanalysis자료를 통하여서도


확인할 수 있음. Fig. 6, 7의 비교에서 알 수 있듯이, AERONET과 MERRA-2의 경우
월별 평균값의 변동이 매우 유사한 경향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음.
(2) MODIS AOD의 경우, 다소 높은 경향을 보이고 있음.
(3) 이러한 경향의 상관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각 자료간의 월별 평균 AOD간의 상관성
을 파악하여 보면, MERRA-2와 MODIS의 상관성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음. 이는
MODIS의 AOD값이 다소 높은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상관성의 측면에서 볼 때 유사
한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의미함.

- 22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7. Comparison of AERONET, MERRA and MODIS the monthly and daily AOD data.

- 22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8. Monthly averaged trends of CCN number concentration during sampling periods
(2007-2013, SS=0.4%).

(1) Fig. 8에서 알 수 있듯이, CCN의 평균 농도는 봄철 Arctic Haze의 영향으로 증가하
고 3월에 최고치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이러한 고농도는 4-8월까지 완만
한 감소세를 보이다 9월에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2) CCN과 DMPS등의 측정을 통한 북극지역 에어로졸 추의 분석결과 봄철 장거리 수송
에 의하여 증가된 에어로졸의 농도가 CCN의 생성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3) 여름철 CCN의 moderate한 증가의 경우 여름철 nano size의 입자개수의 폭발적 증가
와 관련이 있으며 이는 AOD등의 질량을 고려한 지표에 직접적 연관성을 파악되기
는 쉽지 않으나 개연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음.
(4) AAE등의 크기 parameter를 활용한 입경과 CCN생성의 상관성을 파악 등이 필요함.
(5) 또한 Global model을 통하여 산출된 에어로졸의 조성자료를 통한 에어로졸의 조성
과 CCN, 크기분포등의 지상측정자료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주요 성분과의 상관관
계 비교가 필요함.

- 22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9. Daily averaged AOD(MODIS,AERONET) and CCN number concentration during


sampling periods (2007-2013).

- 22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3. CCN-AOD 관계

가. CCN과 AOD의 관계를 통하여, 환북극지역의 에어로졸의 특성과 상관관계를 파악


나. Andrea(2009)에 의하면, 지역에 따른 AOD와 CCN의 관계를 도출하여, 에어로졸의 특성
을 파악하고자 하였음.
다. 연구 결과(Fig. 9) Zeppelin측정소 지역의 경우 CCN은 수십~100내외의 CCN농도와 AOD
는 <0.1 정도의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값의 범위는 계절에 따라 다소 다른
경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라. 이는 통상적인 remote marine에 해당하는 에어로졸의 특성(Fig. 10)을 보여주고 있음.

Fig. 10. Seasonal variation of AOD-CCN relation in Arctic


region (error bar stands for standard deviation).

- 22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1) CCN-AOD relation 식을 산출한 결과 AOD=0.0003CCN+0.0533 (MERRA-2 자료 기준),


AOD=0.0004CCN+0.0507 정도의 값을 보이고 있으며, Andrea(2009)의 결과와 비교해
볼 때(Fig. 11), CCN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AOD의 증가 경향은 환북극 지역이 다소
낮음을 알 수 있음.
(2) 이는 환북극 지역의 CCN 활성화에 기여하는 조성 특성과 크기분포 등의 지역적 특
성에 따른 차이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또한 계절별 경향성의 차이인 것으로도
해석됨.
(3) 즉, 봄철 CCN증가에 따른 AOD증가의 경향이 Andrea(2009)의 결과와 다소 차이가
있음(다소 낮음)을 보여주고 있음.
(a)

CCN�
vs.�
AOD
0.16
Summer
0.14
Entire�
data
0.12 Andrea(2009)
Spring
AOD

0.1
MERRA-2�

0.08

0.06

0.04 y�
=�
0.0003x�+�0.0533
R²�
=�0.67998
0.02

0
0 50 100 150 200 250

CCN0.4

(b)

Fig. 11. Relationship between AOD and CCN. The error


bars reflect the standard deviations of
measurements within this study.

- 22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1) AERONET 자료로 측정기간(2007-2013)동안 retrieval한 크기분포는 연도별로 fine


mode쪽 입자의 크기분포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음(Fig. 12).
(2) 이는 계절적 변화뿐 아니라 연도별 기원(source)의 변동이 입자 크기분포에 영향을
보여주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음.
(3) 또한 계절별 변동은 봄철과 여름철을 비교하여 보았을 때, 봄철 coarse mode입자의
크기분포 증가가 두드러지는 것을 볼수 있으며, 이는 장거리 이동에 의한 Arctic
haze의 영향인 것으로 해석됨.

(a) Yearly averaged volume size distribution

(b) Seaonal averaged volume size distribution

Fig. 12. Variation of aerosol volume size distribution retrieved


from AERONET.

- 23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1) 계절에 따른 입자크기의 경향을 보기 위하여 Angstrom exponent(AE)의 월별 변화를


AERONET retrieval 자료를 통해 분석함(Fig. 13).
(2) MODIS, AERONET, MERRA-2 자료의 월별 경향이 AOD 의 경향에 비하여 다소
상이한 변화경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3) 계절별 변화 경향을 보면 이러한 차이는 다소 완화되는데 여름철 AE 값이 증가하고
봄, 가을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음.

Fig. 13. Comparison of the monthly averaged Angstrom exponent among MODIS,
AERONET and MERRA-2 (error bar stands for standard deviation).

- 23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1) AOD값을 AE값과 비교하여(Fig. 14), 크기와 에어로졸의 농도의 관계를 간접적으로
파악하고 유추할 수 있음.
(2) 그림과 같이 AE값을 기준으로 볼 때, Hornsund지역의 에어로졸은 continental과
maritime이 혼재된 특성을 보이고 있음.
(3) 계절별로 살펴볼 때, 봄철의 경우 AOD가 높은 전형적 경향을 보이며, 여름철의 경
우, AOD가 감소하면서 AE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 이는 여름철 fine mode입자가
주도적인 특성을 보여주고 있음.

Fig. 14. Seasonal variation of Ångström exponents and AOD obtained from AERONET
Sun photometers and MERRA-2 reanalysis data at Hornsund.

(1) 입자의 광흡수성과 AOD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AAE(Absorption Angstrom


exponent)와 AOD의 관계를 계절별로 살펴봄(Fig. 15).
(2) AERONET의 retrieval자료를 활용하여 살펴보았을 때, 봄철이 AOD와 AAE가 높은
전형적인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음.
(3)CCN과 AAE를 비교한 그림을 살펴보았을 때, AOD vs. AAE와 비슷한 계절별 경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4) 다만 가을철의 경우, CCN의 농도 추이가 AOD보다 더 급격히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 23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15. Seasonal variation of Absorption Ångström exponents (AAE) vs. AOD and AAE
vs. CCN obtained from AERONET data at Hornsund.

- 23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4. 북극 에어로졸의 광학적 특성 모사 알고리즘 개발

가. 에어로졸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광학적 특성의 인과관계를 파악하는 것은 많은 불확실


성과 가정을 포함하고 있음.
나. 따라서 원격자료를 통한 에어로졸 특성의 유추는 매우 중요하면서도 어려운 문제임.
다. 본 연구에서는 원격자료를 통한 에어로졸 특성의 파악과 더불어, 측정자료에 기반한 에
어로졸 광학적 특성에 대한연구를 위한 에어로졸 광학적 특성 모사 알고리즘을 개발하
고 있음(Fig. 16).

Fig. 16. Schematic diagram for aerosol optical properties.

- 23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1) 산출 알고리즘은 조성별 에어로졸의 extinction coefficient를 Mie theory에 의하여 계산


된 값에 근거하여 에어로졸입자의 지수형태로 모수화하고(Fig. 17), 이를 선형회귀
regression을 통하여 간단한 형태의 해석적 해를 유도하는 과정으로 도출함(Fig. 18).
(2) 개선된 알고리즘은 지상 측정자료와 원격 측정자료의 비교 및 다분산 에어로졸의 크기
분포에 따른 mass scattering efficiency, mass obaorption efficiency, mass extinction
efficiency등의 값을 산출하는데 활용될 수 있음.

Fig. 17. Schematic diagram for mass efficiencies for polydispersed aerosol.

- 23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18. Parameterization of mass scattering efficiencies for polydispersed aerosol.

- 23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고려대학교 위탁과제-4) 북극 툰드라에서의 온실기체 모니터링과 조절인자


규명 연구

제 1 절 추진 전략 및 방법
1. 툰드라 생태계에서의 이산화탄소 플럭스
가. 알래스카에 구축된 자동 개폐 챔버 시스템을 이용하여 주요 식생에 대한 토양
이산화탄소 플럭스 모니터링결과를 활용하여 다양한 조건에서의 토양 이산화탄
소 플럭스를 정량화한다 (Fig. 1).

나. 토양 온도, 토양 수분 및 미기상 자료를 이용하여 조절인자 파악한다.

다. 토양의 물리 및 화학적인 특성을 파악한다.

라. 이산화탄소 플럭스의 방출량과 동토 토양 미생물의 특성을 파악하여 상관성을


분석한다.

Fig. 1. 이산화탄소 모니터링 자동개폐 챔버시스템.

2. 툰드라 생태계에서의 메탄 플럭스

가. 메탄 플럭스 관측 시스템 확보하고 캐나다 캠브리지베이에서 토양에서의 메탄


플럭스 측정을 시도 한다 (Fig. 2).

나. 메탄 관측 시스템이 안정화되면 자동 개폐가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여 여름 동

- 23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안 연속적으로 관측한다.

다. 다양한 식생 및 환경 조건에 대한 메탄 플럭스 자료를 확보하여 메탄을 생성하


는 미생물 및 환경인자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한다.

Fig. 2. 휴대용 이산화탄소 및 메탄 관측 챔버 시스템.

3. 기술 정보 수집 및 협력

가. 자동 챔버 시스템과 메탄 관측 시스템의 운영 및 에디 공분산 자료의 활용을 위하여


극지연구소 미기상팀과의 연계가 필요하다.

나. 토양 미생물의 특성 파악을 위하여 극지연구소 또는 연세대의 미생물 생태 연구자들


과의 협력이 필요하다.

제 2 절 연구수행 내용

1. 알래스카 토양 이산화탄소 플럭스의 연속 모니터링 및 조절인자 관계 조사

가. 알래스카 카운슬에서 자동챔버 방법을 이용하여 관목과 이끼(shrub & moss), 이끼


류(moss), 초본으로 이루러진 tussock, 지의류(lichen), 각 식생에 대하여 순 이산화탄
소 교환량을 관측하였다(Fig. 3, 4).
나. 이를 조절하는 깊이에 따른 각 식생별 토양 온도와 광합성 유효 복사량을 측정하였
다.
다. 여름 동안 관측된 순 이산화탄소 플럭스는 관목과 이끼류 챔버를 제외하고는 야간

- 23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의 방출량이 두 배 이상 큰 값을 보였다(Fig. 5. 6).


라. 광합성 유효 복사량 자료을 토대로 야간 순 이산화탄소 교환량 이용하여 토양에서
대기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 방출량을 조사하였다(Fig. 7, 8).
마. 2016년 여름 동안에는 야간 동안 관목과 이끼류(S & M)와 이끼류(Mo)의 이산화탄소
방출량은 평균적으로 0.1-0.3 mg m-2s-1으로 S & M이 약간 높은 값을 보였고,
Tussock(Tu)에서는 0.1-0.2 mg m-2s-1, 지의류(Li)에서는 0 -0.15 mg m-2s-1 보였다.
바. 2017년 여름동안에도 마찬가지로 관목과 이끼류가 혼합된 챔버와 이끼류 챔버에서
비교적 높은 이산화탄소 방출량을 보였고, 2016년과 비교하였을 때, 약 0.1 mg
m-2s-1 이상 더 많이 방출되었다(Fig. 9, 10, 11). 그러나 2017년에 2번, 3번, 4번, 7
번, 8번, 13번 챔버들의 오작동으로 인하여 2016과 평균값과 직접 비교하는데 있어
서는 차이가 있음을 감안해야한다.
사. 토양 이산화탄소 플럭스는 강수가 존재하는 기간을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 토양온
도에 의하여 조절되었고, 낮 최고 기온이 10도 이하로 떨어지는 9월이 이후 토양의
탄소 방출은 현저히 감소하였다.
아. 각 식생별 탄소 관련 미생물 활성도 조사는 2014년부터 2017년 동안 챔버 시스템
주변에서 관측된 미생물의 활성도를 살펴보면 이산화탄소 플럭스가 가장 활발한 초
본과 관목에서 비교적 높은 값을 보였으나, 2016년과 2017년에는 점차 가장 낮은
활성도를 보였다(Fig. 12).

Fig. 3. 알래스카 카운슬 자동챔버 시스템.

- 23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4. 관목과 이끼(Ch1, 3, 5, 7, 9)과 이끼류(Ch2, 4, 6, 8, 10)의 순 이산화탄소 교환량


(상)(2016).

Fig. 5. 초본(Ch11, 12, 13, 14)(상)과 이끼류(Ch15)(하) 순 이산화탄소 교환량 (2016년).

- 24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6. 관목 및 이끼류(S&M)과 이끼류(Mo)의 토양 이산화탄소 플럭스 (2016년).

Fig. 7. 초본(Tu)(상)과 지의류(Li)(하) 토양 이산화탄소 플럭스 (2016년).

- 24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8. 관목과 이끼(Ch1, 3, 5, 7, 9)과 이끼류(Ch2, 4, 6, 8, 10)의 순 이산화탄소 교환량


(상) (2017년).

Fig. 9. 초본(Ch11, 12, 13, 14)(상)과 이끼류(Ch15)(하) 순 이산화탄소 교환량 (2017년).

- 24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10. 관목 및 이끼류(S&M)과 이끼류(Mo)의 토양 이산화탄소 플럭스 (2017년).

Fig. 11. 초본(Tu)(상)과 지의류(Li)(하) 토양 이산화탄소 플럭스 (2017년).

- 24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12. 각 식생별 탄소 관련 미생물 활성도 분석 결과.

2. 메탄 관측 시스템을 확보 및 메탄 플럭스의 연속 관측

가. 레이저를 이용한 CO2, CH4, H2O 농도 측정이 가능한 시스템(UGGA, LGR)을 확보하
여 캐나다 캠브리지 베이에서 자동 챔버를 이용하여 메탄 관측을 실시하였다(Fig.
13, 14).
나. 유기물층을 포함하고 있는 토양표면과 습지 또는 호수 주변의 다양한 지면 환경에
서 메탄과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였다(Fig. 15).
다. 메탄은 토양의 수분 상태 및 토성 등 환경조건에 따라 감소(1.91 ~ 1.75ppm) 또는
증가(1.91 ~ 2.3ppm)하면서 다양한 반응을 보였고, 이산화탄소 농도는 396 ~
460ppm 범위에서 대부분 증가 하였고, 연속 3 반복의 측정에서 일관된 결과를 보
였다(Fig. 16, 17).
라. 호수 주변의 토양 수분량이 풍부한 지점과 일반적인 유기물층이 발단된 지점에서
메탄과 이산화탄소 농도의 일변화를 관측하였다.
마. 호수 주변에서 관측된 결과에서는 챔버 내에서 10분 동안 관측되는 메탄은 1.86 ~
2.3ppm 범위를 보였고, 배경 메탄 농도 역시 1.86 ~ 1.92ppm의 변화범위를 보이며
이산화탄소 농도와 함께 증가하였다(Fig. 18).
바. 일반적인 유기물층에서 관측된 결과에서는, 챔버 내에서 10분 동안 관측되는 메탄
은 1.92 ~ 1.82ppm 범위를 보였고, 배경 메탄 농도 역시 1.92 ~ 1.88ppm의 변화범
위를 보이며 이산화탄소 농도와 반대로 감소하였다(Fig. 19).

- 24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13. 휴대용 메탄 관측 장비.

Fig. 14. 휴대용 메탄 자동 챔버.

- 24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24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15. 다양한 토양표면에서의 메탄 농도 측정.

Fig. 16. 다양한 관측 지점에서의 메탄 농도 변화.

- 24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17. 다양한 관측 지점에서의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

Fig. 18. 호수 주변 토양에서의 메탄과 이산화탄소 농도의 일변화 관측.

- 24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19. 유기물 토양에서의 메탄과 이산화탄소 농도의 일변화 관측.

- 24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사. 시간 변화에 따른 이산화탄소와 메탄 농도의 변화 이용하여 각각의 플럭스를 계산


하였다. 이산화탄소 플럭스는 각 지점에서 0.10 ~ 0.30 mgm-2s-1의 범위를 보이며
방출하였고, 반면 메탄 플럭스는 – 0.04 ~ 0.06μgm-2s-1의 다양한 범위를 보이며 방
출과 흡수를 보였다(Fig. 20).
아. 호수 주변 토양의 이산화탄소와 메탄 플럭스의 일변화 관측에서는 두 온실 기체 모
두 유사한 패턴을 보이며 방출하였고 그 범위는 이산화탄소와 메탄 플럭스 각각
0.009 ~ 0.014 mgm-2s-1와 – 0.055 ~ 0.062μgm-2s-1 이었다(Fig. 21).
자. 유기물 토양의 이산화탄소와 메탄 플럭스의 일변화 관측에서는 이산화탄소 플럭스
는 저녁부터 계속 방출하는 양이 감소하는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고, 메탄 플럭스
는 자정에 가장 많이 흡수되는 일변화를 보였다. 그 범위는 이산화탄소와 메탄 플
럭스 각각 0.012 ~ 0.020 mgm-2s-1와 – 0.013 ~ – 0.007μgm-2s-1 이었다(Fig. 22).
차. 방출되는 메탄 플럭스의 연속 관측을 위하여 전원선을 연장 작업을 실시하여 메탄
이 연속적으로 방출하는 호수 주변에서 연속 관측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Fig. 23).
파. 메탄 관련 미생물과의 조사를 위하여 호수 및 습지에서 메탄 측정을 시도하였고,
메탄 방출 및 산화와 관련한 중요한 지점에서의 토양 샘플링을 시도하여 분석중에
있고, 아울러 메탄생성 미생물을 파악하고자 1m 가량의 깊이에서 10cm 간격으로
토양 샘플링하였다(Fig. 24).

- 25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20. 다양한 토양표면에서의 이산화탄소와 메탄 플럭스.

- 25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21. 호수 주변 토양에서의 이산화탄소와 메탄 플럭스의 일변화 관측.

- 25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22. 유기물 토양에서의 이산화탄소와 메탄 플럭스의 일변화 관측.

- 25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23. 호수 주변 메탄 플럭스(방출) 연속 관측 시스템 구축.

Fig. 24. 메탄 방출 지점에서의 깊이별 토양 샘플.

- 25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 위탁과제-5) 위성 기반의 툰드라 지역 탄소와 물 플럭스 시공간


패턴 분석

제 1 절 BESS (Breathing Earth System Simulator) 모형 소개

Breathing Earth System Simulator(BESS)은 생물리적인 process-based model 관계식


을 이용해 지속적으로 총일차생산량과 증발산량을 1-5 km의 공간해상도에 8일의 시간
해상도로 구축되어있다. 먼저 몬테카롤로 접근에 기인한 대기복사 모델을 (Forest Light
Environment Simulator (FLiES) 이용해 단파 복사, 광합성 유효 방사 및 산란일사량을
계산하고, 군락의 sunlit/shade 부분에 의해 흡수된 광량을 계산한다. 식생유형에 따라
25°C 잎 수준에서의 maximum carboxylation rate (Vcmax)를 예측한 뒤 군락 수준으로
추정한다. 이후 C3 및 C4 식물로 구분해서 적용된 Farquhar 생화학 모델, Ball-Berry
Stomatal conductance equation 통해 총일차생산량을 산출하고, Penman-Monteith 모델
을 이용해 증발산량을 산출한다 (Fig. 1).

Fig. 1. BESS GPP 와 ET의 알고리듬 (Jiang and Ryu 2016).

- 25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 2 절 데이터 다운로드 및 전처리

BESS 모형으로 일사량을 (Solar radiation)을 산출하기 위해 Terra와 Aqua MODIS


대기와 육지 자료들을 다운로드 했다 (Table 1). MODIS 대기 (Collection 6) 와 육지
(Collection 5) 자료들 및 4가지 다른 인공위성 영상, 재편 가된 자료 그리고 3 가지 보
조 자료를 입력자료로 서버에 다운로드했으며 총 35개의 입력 자료 구축을 완료했다
(Fig. 2). MOD04_L2 일단위 에어로졸 (dark target and deep blue combined aerosol optical depth
at 500m) 데이터 (Fig. 3), MOD6_L2 구름 (cloud optical thickness, cloud top pressure, cloud top
temperature, surface pressure and surface temperature) 데이터 (Fig. 4), MOD/MYD07_L2 (total
column precipitable water vapor and total ozone burden, atmospheric profile) 데이터, MOD11A1
일단위 토지 표면 온도 (land surface temperature) 데이터 (Fig. 5), MCD12Q1 연간 토지피복 데이
터, MOD15A2 8일 간의 엽면적지수 (LAI) 데이터 (Fig. 6) 그리고 MCD43D61 알베도 데이터가
2001년에서 2016년 사이 수집 했다. 고속화 알고리즘 (fast algorithm)을 개발하여, MOD04_L2,
MOD06_L2, 그리고 MOD07_L2의 ‘swath‘데이터를 ’tile‘ 데이터로 sinusoidal 투영계로 변환하
였다.

Fig. 2. RGB 이미지 (출처: https://worldview.earthdata.nasa.gov/).

- 25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3. MOD04_L2 에어로졸 광학두께 (출처: https://worldview.earthdata.nasa.gov/).

Fig. 4. MOD06_L2 구름광학두께 (출처: https://worldview.earthdata.nasa.gov/).

Fig. 5. MOD11A1 지표면 온도 (출처: https://worldview.earthdata.nasa.gov/).

MODIS 대기 데이터는 swath 형태로 제공되는 반면에 MODIS 지면 데이터는

- 25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6. MOD15A2 엽면적지수 (출처: https://worldview.earthdata.nasa.gov/).

Table 1. BESS 의 입력자료

Dataset 시간 해상도 공간 해상도

1. MOD04_L2 aerosol product Daily 10 km


2. MOD06_L2 cloud product Daily 5 km
3. MOD07_L2 atmosphere profile product Daily 5 km
4. MOD11A1 land surface temperature product Daily 1 km
5. MCD12Q1 land cover product Annual 500 m
6. MOD15A2 leaf area index product 8-day 1 km
7. MCD43B3 albedo product 8-day 1 km
8. OCO-2 Lite XCO2 product Daily 3 km
9. MODIS global clumping index map - 1 km
10. ICESat/GLAS global forest canopy height map - 1 km
11. STRM global elevation map - 30"
12. ERA Interim Reanalysis air temperature data 3-hour 0.75°
ERA Interim Reanalysis dew point temperature
13. 3-hour 0.75°
data
14. NCEP/NCAR Reanalysis U-wind data Daily 2°
15. NCEP/NCAR Reanalysis V-wind data Daily 2°
16. Still global C3 and C4 Distribution map - 1°
17. Köppen-Geiger global climate classification map - 0.5°
18. NOAA global carbon dioxide growth rates data Annual -

- 25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sinusoidal 좌표계로 구성되기에 재투영 (reprojection) 과정이 필수이다. 각 지표면


sinusoidal 픽셀과 교차하는 swath를 찾는다. 각 swath의 네 꼭지점 좌표를 활용한다. 그
다음에 각 tile 픽셀별로 제일 가까운 swath 픽셀을 최근방 리샘플링 (nearest
neighbourhood resampling) 방법으로 추출한다. 대기와 육지가 같은 좌표계를 같기 위해
10 km aerosol optical depth, 1 km cloud optical thickness, 5 km total precipitable
water vapor, 그리고 5 km total ozone burden 의 5분 단위로 스캔된 swath들을 0.05°
해상도로 최근방 리샘플링 방법을 이용해 재투영을 수행했다. 30“ 해상도인 알베도 자
료도 이 방법으로 0.05° 해상도로 재투영했다.
MOD11A1 육지 지표면 온도 (Land surface temperature) 자료의 data gap은
MOD06_L2 지표면 온도 자료를 이용해 보완했고 이 결과로 sunlit/shade 온도와 토양 온
도의 추정을 위해 이용되었다. MCD15A2 엽면적지수 (leaf area index, LAI)는 플럭스 예
측에 있어 가장 민감한 자료로 구름에 의한 데이터 오류를 완화하기 위해 간단한 시계
열 분석 방식으로 필터링 되었다 (Fig. 7). MODIS aerosol optical depth, total column
precipitable water vapor 그리고 total ozone burden 자료들은 구름이 없는 clear-sky 경
우에만 가능하며 모든 하늘 (all-sky) 상황에 있는 복사를 산출하기 위해 MERRA
(Modern-Era Retrospective analysis for Research and Applications) 재분석 자료로 데이
터 gap을 채웠다. MERRA 데이터는 0.5° x 0.66° 공간 해상도, 한 시간마다 제공 되
어 있음으로 이 자료를 0.05° 그리드로 시공간적으로 내삽했다. MODIS와 MERRA 자료
가 일치하도록 하루하루 각각의 기후대 별로 MERRA를 MODIS 자료로 보정했다.

Fig. 7. 엽면적지수(LAI) 필터링 예시. 검은점:


MODIS자료, 빨간선: 필터링된 MODIS
자료, 파란선: 필터링된 VGT자료, 녹색
선: 필터링된 AVHRR/NOAA자료.

- 25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 3 절 고위도 특성 반영한 입력자료

MODIS와 같은 극궤도위성은 극지방에서 재방문빈도가 높다 (Fig. 8). 적도지방은


1-3일 간격으로 자료가 가용하나 극지방에서는 하루에 여러장의 위성 영상이 가용한다.
따라서 극지방에서 가용한 모든 자료를 다운로드 하였으며, 0.05도 해상도로 재투영을
완료하였다. 따라서 대기복사는 하루 여러 차례 영상을 이용한 계산이 가능한 상황임.

Fig. 8. 입력자료 전처리에서 투영계 표준화. 왼쪽 그림은 하루동안 MODIS swath 들


의 궤적을 나타냄. 극지방에서 swath 들이 더욱 겹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기존 지면모형들에서 알라스카 지역의 maximum carboxylation rate (Vcmax)는 일반


적으로 식생형에 따라 상수로 할당되었다. 특히 이렇게 할당된 상수들이 현장 관측에
비해 현저히 낮은 값들임이 최근에 보고되었다 (Rogers et al 2017). 한편, Vcmax는 시
간적으로도 변이가 큰 것으로 널리 보고되었다 (Wilson et al 2001). 따라서, 본 연구에
서는 최적성 이론(optimality theory)에 기반하여 시공간적으로 변하는 Vcmax 입력자료
를 구축하였다. 기존 지면모형들에서 사용하던 상수값들보다 전반적으로 높은 값들이
도출되었으며 시공간적인 변화도 모사할수 있게 되었다 (Fig. 9).

- 26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9. 2001 – 2016 년도의 알래스카의 Vcmax25 평균 a) 6 월 달 b) 7 월 달 c) 8

월 달 d) 9 월 달.

- 26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인천대학교 위탁과제-6) 대기이동궤적 자료를 활용한 환북극 동토-대기-


해상의 기후냉각물질 주요발생원 추적 연구

제 1 절 추진 전략 및 방법

• HYSPLIT(Hybrid Single Particle Lagrangian Integrated Trajectory Model)을 활용한 대기역


궤적 자료 산출: NOAA의 Air Resource Lab에서 제공하는 이 모형은 대기궤적 추적에 있
어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프로그램의 하나로 User Interface나 web 버전으로도 대기역궤적
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하지만 여러 지역에서 장기간의 역궤적 자료를 생성함에 있어서
다양한 기상입력자료의 선택, 산출물 변수의 선정과 결과물의 저장 및 분석이 필요하기 때
문에 UI 기반으로는 연구수행이 어렵기 때문에 Matlab을 이용하여 HYSPLIT 프로그램을 구
동하여, 역궤적 자료의 생성과 이 결과의 클러스터 분석까지 진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HYSPLIT는 입력값으로 기상자료를 필요로 하는데, GDAS 1도 버전과 NECP 2.5도 버전을
활용하였다. 전자는 2000년대 중반부터 가용하며 후자는 해상도는 비록 낮지만 1950년대까
지도 자료가 있기 때문에, 역궤적자료와 분석하게 될 나노입자 자료의 기간에 따라 입력
기상자료를 선정하였다. 2차년도의 대부분의 연구결과는 2007년부터 2013년까지의 QC가
완료된 제플린의 나노입자 자료를 활용하여 생성되었기 때문에 GDAS 기상자료가 활용되
었다. 대기궤적은 연구기간 동안 매 한 시간마다(나노입자 자료도 같은 시간 해상도) 생성
하였고 최대 과거 7 동안의 역궤적을 매 1시간마다 추적하였다. 따라서 한 지점에서 1년에
1,471,680개(= 356day/1year * 24hour/1day * 1trajectory/1hour * 168 endpoint/1trajectory)의
대기 이동점이 생성되고, 강우, 일조량, 혼합층 깊이, 습도와 같은 기상인자가 매 이동점마
다 부가적으로 생성된다.

• 위성기반 환경자료: 미국 NASA에서 제공하는 MODIS 센서의 해양 엽록소 자료, NOAA의


National Snow and Ice Data Center에서 제공하는 해빙의 농도 자료, 역시 MODIS로부터
생산되는 Enhanced Vegetation Index 자료를 핵심 환경자료로 활용하였고, MODIS의 엽록
소, 탄산칼슘(calcite), 해수면 온도 자료로부터 해양의 DMSPt 농도를 추정하여 사용하였다.
식생지수(EVI)는 MODIS13A2 버전(공간해상도 1km, 시간해상도 16일), 해빙농도 자료의
시공간 해상도는 1일, 25km, MODIS 엽록소의 경우에는 8일, 4km 해상도 자료를 활용
하였다. DMSPt도 같은 해상도로 MODIS 자료로부터 계산하였고, Gali et al., (2015)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MODIS 자료의 경우에는 위/경도 격자로 자료가 배열된 Level
3 SMI 자료가 아니라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Level 3 Bin을 최종적으로 활용하였다.

- 26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1. 수용체 모형 중 CWT의 계산 수식. 관측


지점에서 농도가 높았던 시기(CHigh)의
역궤적과 상대적으로 낮았던 시기의 역
궤적이 있을 때, 각각의 역궤적의 대기
이동좌표(점으로 표시됨)에 관측소에서
측정했던 농도가 할당된다. 각 격자의
대기이동좌표에 할당된 값의 평균을 계
산하여 CWT를 얻는다.

• 수용체 모형(Receptor Model) - PSCF(Potential Source Contribution Function),


CWT(Concentration Weighted Trajectory): 육상에서 관측된 대기 자료(e.g. 나노파티클)가
측정된 시간과 장소에서 HYSPLIT로 대기역궤적 자료를 생성하고, 이렇게 얻은 한 개의
역궤적 라인의 모든 이동경로 좌표(e.g., 1, 2, 3 시간 전의 대기의 위치, end point)에
육상에서 관측된 대기 자료값을 할당하고 각 격자마다 특정 계산을 수행한 것을 수용
체 모형이라고 한다(Fig. 1). CTW는 각 격자에서의 평균값(또는 중간값)을 계산했을 때
의 결과이고, 특정 격자에서 높은 값이 나온다는 것은 해당 격자를 지나간 대기가 관측
지점으로 이동했을 때, 높은 나노입자 관측값이 나올 확률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PSCF는 각 격자에서 할당된 값의 평균을 내는 대신에, 기준이 되는 농도(e.g. 대기환경
기준 또는 관측자료의 평균)보다 높았던 비율을 각 격자마다 계산하는 방식이다. 특정
격자에서 그 비율이 높다는 것은 그 지역을 거쳐서 대기 관측지점으로 이동한 경우 중
대기 관측값이 기준값보다 높을 확률이 그렇지 못한 격자보다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때 기준 농도는 환경오염물질의 경우에는 대기 중 허용 기준값을 이용하거나
할 수 있지만, 기준이 모호한 경우에는 평균, 중간값, 상위90%값 등을 활용할 수 있고,
본 연구에서도 해당 기준을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1차연도에는 PSCF와 CWT의
개념을 혼합하여, 특정농도 이상을 보인 자료만 이용하여 CWT를 계산하는 접근법도
사용하였으나, 일반 PSCF와 CWT와 결과와 크게 다르지 않았기 때문에, 2차연도에서는
고려하지 않았다.

- 26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환경인자의 기여도 파악: 육상 및 해양 생태계, 해빙 모두 극지역 또는 환북극 고위도


지역에서 나노입자 형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관측지점의 도달하기
이전의 역궤적 좌표에서에서 수집된 엽록소(또는 DMSPt), 식생지수, 해빙농도의 각각의
합과 관측지점에서의 나노파티클의 농도가 상관관계를 가질 수도 있기 때문에 자료분
석을 진행하였다. 시간 단위로 존재하는 관측자료 별로 역궤적자료를 생산하고 이 역궤
적의 모든 좌표에서 엽록소(또는 DMSPt), 식생지수, 해빙농도를 파악하였다. 각 자료들
이 시/공간적 해상도가 모두 상이하기 때문에, 시/공간적으로 가장 근접한 자료를 추출
하여 할당하였다. 이런 방식으로 역궤적 좌표에서 획득한 엽록소, 식생지수, 해빙농도
를 독립변수로 하고 나노입자의 농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선형회귀를 수행하여, 나
노입자와 이들 환경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다중선형회귀는 stepwise fit을
통해서 가장 간단한 형태이면서 통계적 유의성이 확보되는 모형을 선택하였다.

• 환경인자의 공간분포와 수용체 모형결과의 비교: CWT 수용체 모형 결과를 환경인자


의 공간분포와 비교하였다. 이런 방식을 활용한 예로, Kim et al. (2014)는 CWT 수용체
모형에 대기 관측값 대신 해양의 엽록소를 사용하여 얻은 결과를 육상의 인구분포와
비교하였다. 두 분포 간의 유사성을 근거로 하여, 이를 인간에 의한 질소오염물질의 배
출이 해양으로 유입되어 해양의 생산력을 증가시킨 것으로 해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CWT 계산에 사용된 역궤적 좌표의 공간과 시간에서 해당하는 환경변수 자료만을 각
격자에서 추출하여 평균(또는 중간값)을 구하고, 나노입자의 CWT 결과와 비교하였다.

• 환경특성에 따른 영향 진단: QC를 통과한 제플린 자료를 2차연도에 새롭게 극지연


구소에서 제공받았으며, 기존에 제공받았던 히티알라 자료도 함께 비교 분석하였다(Fig.
2). 3-10nm, 모든 계절, 모든 광량 조건, 3일 역궤적 기간을 기본 조건으로 두고 이 조
건에 변동을 주면서 변화를 파악하였음. 제플린 지역을 중심으로 3-10nm외에
10-100nm, CCN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광량은 0, 100, 200 W/m2으로 조건을 변경하며
연구를 수행하였고, 역궤적은 1일, 3일, 5일로 조건을 변경하였다. 계절은 모든 계절,
봄(4~6월), 여름(7~9월), 가을(10월~12월), 겨울(1월~3월)로 나눠서 분석을 수행하였다.

- 26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2. 핀란드의 히티알라 지역(1996년부터 2016년자료)의


3nm-10nm의 파티클 수농도 자료를 과거 3일간의
대기역궤적자료와 결합하여 CWT와 PSCF 및 이들
의 조합 모형을 실행시킨 결과. CWT(average)과
CWT(median)은 각 bin에서 대푯값을 정할 때, 평균
값과 중간값을 사용했다는 의미임. PSCF(average)와
PSCF(median)은 나노파티클 자료를 높은 값과 낮은
값으로 나눈 기준을 정할 때 전체자료의 평균값과
중간값을 각각 사용했다는 의미임.
CWT-PSCF(average-average)는 CWT는 계산은 평균
값, PSCF 농도컷도 평균값을 사용했다는 것을 의미.
CWT-PSCF(median-average)는 CWT 계산은 중간값,
PSCF 농도컷은 평균을 사용했다는 의미임[1차년도
- 265 -
주요결과].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 2 절 연구 수행 내용 및 결과

• 기본 조건 하에서, CWT-average(각 격자에서 평균값을 계산)와 CWT-median(각 격자


에서 중간값을 계산)의 결과가 약간 상이한 형태를 나타냈다. 전자는 제플린 정점을 기
준으로 북부쪽의 공기가 유입되었을 때 높은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왔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제플린의 남동쪽(유럽방향)에서 공기가 유입될 때 나노입자의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3). 극값에 의해 평균값은 크게 증가할 수 있으므로, 나노입자의
수의 급격한 증가 이벤트는 북쪽과 더 관계가 있고, 전반적인 증가는 유럽 방향의 대기
와 관계가 높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PSCF에서도 확인이 가능하였다. 상
위 10% 나노입자 농도를 보였을 때의 대기 역궤적은 제플린 북쪽해역 방향이었음. 역
궤적 시간을 5일로 증가시켰을 때에도 범위가 확장되었지만 전체적으로 유사한 형태를
보여주었다. 태양복사량(downward solar flux)을 100과 200 W/m2로 증가시켰을 때, 남동
쪽 유렵방향의 대기궤적이 나노입자의 농도에 미치는 영향이 사라졌다. 이는 일부 계절
적인 요인에 의한 것으로 예상되었다. 겨울 자료에 한정하여 CWT 수용체 모형을 구동
하였을 때 북유럽 대륙쪽에서 높은 CWT값을 보였으며, 봄과 여름에 제플린 북쪽 방향
에서 높은 CWT값이 나타났다.

- 26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3. 제플린 지역의 3nm-10nm 의 파티클 수농도 자료를 과거 3 일간의


대기역궤적 자료와 결합하여 CWT 와 PSCF 분석을 진행한 결과.
CWT(average) 과 CWT(median) 은 각 bin에서 대푯값을 정할 때,
평균값과 중간값을 사용했다는 의미임. PSCF 의 기준값은 평균, 중
간값, 값,
75% 90% 값의 4가지 경우를 사용하였음.

- 26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아래 Fig. 4는 나노입자의 CWT 분석과정을 엽록소, 식생지수, 해빙 농도에 적용하여 비


교한 결과이다. 엽록소 농도가 높은 엽록소 농도 분포는 연안 또는 주변해 지역에 높은 전
형적인 형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나노입자의 CWT 분포와는 일치하지 않았고, 나노입자의
CWT 값은 육상에서는 식생지수와 관계 없이 모두 낮았다. 해빙 농도가 높은 지역에서 나
노입자의 CWT값이 높았기 때문에, 해빙이 있는 지역에서 바람이 불었을 때 나노입자의
수농도가 증가했던 것으로 보이나, 정확한 메카니즘은 본 연구에서는 밝힐 수가 없었다.

Fig. 4. 제플린 지역의 3nm-10nm 의 파티클 수농도 자료를 과거 3일간의 대기역


궤적 자료와 결합하여 CWT( 그림 3 과 같음)와 같은 조건에서 분석한 엽
록소, 식생지수(EVI), 해빙 농도 분포 결과.

- 26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앞선 CWT의 분석의 결과를 scatter plot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Fig. 5). 자료의 산포
도가 매우 커서 자료의 분포를 통해서는 상관관계를 확인하긴 어렵지만, 나노입자의 크기
를 구간으로 나누어 구간별로 평균(또는 중간값)을 계산하였을 때에는 상관관계가 나타났
다. 식생이 약할수록 나노입자의 수농도가 높고 해빙 농도가 높을수록 나노입자의 수농도
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서, 해빙(sea ice)이 감소함에 따라 New Particle Formation이 나타난
다는 기존의 결과와는 배치된다. NPF 현상의 빈도는 해빙감소와 연관이 되나, 평균적인 수
농도는 오히려 해빙(sea ice)이 증가할수로 높아지는 것으로 보여, 원인에 대한 추가 연구
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Fig. 5. 위의 Fig. 4 의 결과를 scatter plot 으로 변환한 결과로 나노입자(3-10nm)와 다른 환경변


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볼 수 있음. shading은 x 축과 y축을 100 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그 구간에 해당하는 자료의 수의 값으로 데이터 분포와 밀도를 나타냄. 나노입자
log10

의 구간마다의 환경변수이 평균과 중간값은 검정과 흰색 원으로 나타냈음. 해빙의 농


도와 나노 입자의 수농도 간의 상관관계가 나타남.

- 26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같은 분석을 다른 나노입자 범위(10-100nm)에 대해 수행했을 때 상반된 결과가 나타났다


(Fig. 6). 식생지수와 나노입자의 수농도가 비례 관계로 나타났지만, 엽록소 농도도 약간의
상관관계가 나노입자 수농도 구간별 환경변수 평균(또는 중간값)에서 발견되었다.

Fig. 6. 위의 Fig. 와 같지만 나노입자의 범위가


5 10-100nm 이다.

- 27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지역에 따라서도 다소 차이가 나타났다. 아래의 히티알라에서의 연구결과(Fig. 7)에서는


해빙과 나노입자 간의 관계가 덜 명확한 점이 제플린 관측소의 결과와는 상이하지만 식생
지수가 감소함에 따라 나노입자의 수농도가 증가하는 현상이 동일하게 관측되었다.

Fig. 7. Fig. 5 와 같지만 히티알라에서 얻은 결과이다.


.

- 27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위의 그림은 격자별로 획득한 자료를 비교했다면, 아래의 그림(Fig. 8)은 하나의 역궤적
경로에서 획득한 환경변수의 정보와 나노입자 간의 상관관계를 보여준 그림이다. 이 역시
산포도가 매우 높아서 직접적인 상관관계의 도출은 어려웠고, 나노입자의 구간별로 얻은
환경변수의 평균값에서는 해빙 농도와 약간의 상관성을 보였다.

Fig. 8. 하나의 역궤적 경로상에 엽록소, 식생지수, 해


빙 농도의 합과 나노파티클 측정값 비교. 왼쪽
의 shading은 x축과 y축을 100구간으로 나누
었을 때의 자료의 밀도를 나타내면 오른쪽은
x축을 100개 구간으로 나누었을 때 해당 구간
에서의 환경변수의 평균과 중간값이다. 제플린
에서의 결과.

- 27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반면 히티알라에서는 식생 지수가 낮아질수록 나노입자의 수농도가 감소하는 형태를 보


였다(Fig. 9). 제플린의 결과에서는 이런 현상을 발견할 수 없었다.

Fig. 9. 위의 Fig. 8과 같지만 히티알라에서의 결과임.

- 27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한양대학교 위탁과제-7) ICT 기반의 융복합 극지 환경 관측 시스템 개발

제 1 절 추진 전략 및 방법
극지역 기후 변화를 원격으로 관측하기 위한 ICT 핵심 요소 기술 개발하여 신뢰성
검증 후 극지역에 설치하여 장기간 환경변화를 모니터링 함.

제 2 절 연구 내용

통신과 전력 인프라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극지역 기후 변화를 실시간으로 원격


관측하기 위해서는 저전력 통신 기술과 인공위성을 통한 인터넷으로의 연결은 필수적
이라 할 수 있음. 많은 저력을 필요로 하는 관측 시스템은 태양광, 풍력 등의 신재생에
너지 수집기술을 접목하여 해결 할 수 있으나 극지의 자연교란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신중할 필요가 있음. 따라서 저전력으로 동작하는 센서 네트워크 기술은 핵심이술 이라
할 수 있음. 본 과제를 통해 개발한 센서용 통신 모듈은 대기 시(stand-by) 수 백 nA로
동작 가능함.
Fig. 1은 극지에 설치 운영 중인 ICT 기반의 관측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화 한 것
임. 로컬 무선 센서네트워크는 앞서 설명하였듯이 단순 대기시 수백 nA로 동작하며 주
기적으로 지중온습도, 지중의 수분함량, 지중 CO2, 지중 침하율, 등 관측된 센서값을 중
앙 로거·게이트웨이로 전송함. 중앙 로거·게이트웨이는 센서노드로부터 전송된 값을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저장하고 일정기간 산술 평균 또는 샘플링 된 값을 인공위성
을 통해 인터넷에 연결된 서버로 전송함. 서버에 전송된 극지환경 관측데이터는 일별로
정리되어 관리되고 연구자에서 실시간 제공됨.

Fig. 1. ICT 기반의 극지환경 관측 시스템 개념도.

본 과제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1)저전력 통신모듈, 2)지중온도센서노드, 3)지중수

- 27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분함량센서노드, 4)CO2센서노드, 5)지중침하율센서노드, 6)로거게이트웨이 노드를 설계


제작하였음.

제 2 절 연구수행 결과

1. 이론적 실험적 연구수행 방법

연구수행방법
연 구 범 위 구체적인 내용
(이론적․실험적 접근방법)
- WPAN, WAN 통신 모듈을
개발하여 시작품 제작 후 네
WPAN/WAN 통신모듈을 개발하 트워크 규모 및 통신 도달
네트워크기술
여 성능 분석 거리 등 성능 분석
- 네트워크 확장 및 신뢰성
보장 기술
- 지중온도센서, CO2센서, 지
중 수분함량센서 등과 연동
회로 설계 및 샘플을 제작하여
가능한 회로 설계 및 시작품
센서인터페이스 기술 성능 검증 후 관측 사이트에 설
제작
치 운영
- 성능 검증 후 관측사이트
운영
회로 설계 및 샘플을 제작하여 -WPAN/위성 게이트웨이 제
데이토 로깅 기술 성능 검증 후 관측 사이트에 설 작, 성능 검증 후 관측사이트
치 운영 운영 (1개소)
- 국내 서버에서 원격 관측
시스템 통합 운영 기술 원격 데이터 수집
된 데이터 실시간 모니터링

2. 연구수행 결과

1) WPAN/WAN 핵심 기술 개발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IoT의 세계는 많은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과거에 가격이


부담이 되었던 기기들은 시간이 지나고 기술이 발전하면서 경제적으로 접근하기 편리
해졌고, 이로 인해 많은 분야에서 센서 및 제어 장치를 소형화 한 형태로 만든 후 각종
환경 상태 확인 및 조정에 사용되고 있다. 과거에 전력 감당 및 기술의 부족함 때문에
크고 다루기 불편한 기기들이 유선으로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구성했다. 하지만 최근에
들어와 기기의 소형화와 같이, 네트워크를 유선에서 무선으로 바꾸면서 설치 및 유지의
편리함과 미적으로 깔끔한 네트워크가 가능해졌다. 여기에 해당되는 대표적인 예는 바
로 무선 센서 네트워크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 (Wireless Sensor Network, WSN)은 일
정 공간 내에 있는 다양한 장치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공간적으로 분

- 27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포되어 있는 센서들이 온도 및 환경에 대한 정보를 측정 후, 센서들의 정보를 관리하는


데 유용하게 쓰이는 통신방식이다. 이 센서 네트워크 내에서 무선으로 정보를 모으면,
이 데이터는 한 곳으로 모여진 다음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부터 접속 및 제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WSN은 Fig. 2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환
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들이 Sensor node에 포함되어, 정보를 수집 후
Gateway측에 무선으로 전송한다. Gateway는 명칭대로 관문과 비슷한 역할을 하며, 센
서 노드들에서 모인 정보를 인터넷이나 외부 통신망을 통해 공유하는 장치이다. 이 후
인터넷이나 외부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는 관찰 장치 (observer)에서 센서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 즉, 센서들의 현장으로부터 벗어난, 원격으로 현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방식이다.
네트워크의 무선 통신 방식은 용도에 따라 다양한 선택권이 존재한다. 단거리 통신
에서 자주 쓰이는 주파수 대역은 별도 면허가 필요 없이 사용가능한 2.4 GHz 대역이
있다. 2.4 GHz대역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은 다양하고, 몇 가지 예를 들면 지그비 같
이 IEEE 802.15.4에 해당되는 통신 프로토콜(Low-rat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저속 무선 네트워크)이나 IEEE의 802.11 (Wi-Fi)에 해당되는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이 외로, 단거리가 아닌 장거리 통신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LoRa같은 통
신방식도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연 구 내 용 연 구 결 과
WPAN/WAN 통신모듈을 개발하여 성능 분석
- 동작온도 : -40~85℃
- 소비전류(저전력동작모드) : 10uA 이하
- 네트워크 규모 : 256nodes 이상

WPAN/WAN 핵심 기술 개발

저전력 통신모듈

- 27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WPAN/위성 게이트웨이 제작
- IoT 기술을 활용한 실시간 극지 환경 원격 모니터링
기술 확보 및 관측지 운영 검증
- 지중온도센서, 지중수분함량센서, CO2센서, 침하율
계 등 설치 운영 중
- 저전력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활용한 무인 데이터
수집 기술 확보(1년이상 유지보수 없이 운영 가능)

센서인터페이스, 게이트웨이
ICT 기반의 융복합 극지환경 관측시스템 구조
보드 개발 및 관측사이트 1개
소 운영

센서인터페이스 및 게이트웨이

- 27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2. 무선센서 네트워크 구조.

네트워크의 구성에 대한 또 다른 부분은 토폴로지 (topology)이다. 이 부분에서 네


트워크 안에 있는 노드간의 연결 방식, 즉 네티워크가 어떤 형태로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지 정해지는 부분이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자주 사용되는 토폴로지(Fig. 3)는
스타 (star), 클러스터 트리 (cluster tree), 그리고 메쉬 네트워크이다. 각 형태에 대한 장
단점이 있고, 환경에 따라 선택하면 된다.

Fig. 3. 센서 네트워크 구조(토폴로지).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대표적인 예 중 하나가 바로 ZigBee이다. 이 방식은 다음과


같은 구성도를 갖고 있으며, 단거리에서 저전력 데이터 통신을 하는 부분에서 우수한

- 27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성능이 가능하다. 데이터 수집프로그램은 최초 미터 연결시에 미터들에대한 상세한 정


보를 요구하는데 이 데이터가 250바이트를 차지한다. 하지만 ZigBee 패킷은 250바이트
를 수용할 수 없기 때문에 데이터를 여러개로 나누어 전송하는 Fragmentation을 이용한
다(Fig. 4) .
ZigBee 무선모듈은 패킷의 크기에 따라 적당한 크기로 패킷을 나누어 전송하게 되
고 이 분할된 패킷을 받은 ZigBee 무선모듈은 다른 ZigBee 무선모듈로 전송하거나 수
집 프로그램으로 전달하게 된다. 다음과 같은 경우에도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ZigBee 무선모듈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연결되는 순서대로
주소가 부여되게 된다. 만일 마스터와 슬레이브 간의 거리가 멀어 연결이 되지 않을 경
우 근처의 슬레이브를 이용해 네트워크 가입이 가능하다. 이렇게 버튼 만으로 간단하게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Fig. 4. 네트워크 구성.

또한, 극저온 환경에서 뛰어나는 작용력을 보였던 ZigBee 무선모듈의 성능 분석을


위해 Multi-Hop 전송 지연시간에 관한 실험을 진행했다(Fig. 5). 패킷이 전송할 수 있는
최대인 255바이트를 전송하는 방법으로 진행했다. 실험결과 Hop수가 늘어날수록 지연
시간이 리니어하게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리퀘스트 패킷과 리스폰스 패킷으로 통신
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마스터 측에서 정보를 얻기까지는 지연시간의 두 배가 걸리겠다.
따라서 실험결과에 비추어 Hop수를 제한하거나 타임아웃 시간을 늘려 오류를 예방해야

한다.

- 27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5. Multi-Hop 따른 전송 지연시간.

극저온 환경에서 구현 가능한 통신방식 중 LoRa (Long Range Radio)를 택하면, 측


정범위 (통신가능 거리)는 도심 지역에서 킬로미터(kilometer) 단위로 가능하고, line of
sight가 가능한 환경에서는 무려 20에서 30 킬로미터의 사정거리를 갖는 경우도 있다.
Fig. 6을 보면, LoRa 모듈을 만드는 Libelium사의 실험 결과에 의하면 21킬로미터까지
통신이 가능했다.

Fig. 6. LoRa 네트워크 통신 도달 가능거리.

- 28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WSN를 LoRa로 구현했을 때, LoRa 통신방식을 탑재한 Semtech사의 SX1278모듈의


성능은 아래 예시와 같다. 확인해 보면, 동작온도는 –55도에서 +115도까지 사용 가능하
므로, 극저온 환경에서도 사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배터리 면에서 고려되는 사항은 몇 가지로 이루어지는데, 이 중 중요한 것은 온도


에 따라 변하는 배터리의 성능이다. 아래 Fig. 7을 확인해보면, 세 가지의 배터리 종류
를 고려했을 때 (Nickel Cadmium, Nickel Metal-Hydride, 그리고 Lithium-Ion), 극저온에
서 용량을 가장 잘 유지하는 배터리는 lithium-ion임을 알 수 있다. 그러면 Lithium-Ion
을 단독으로 고려했을 때, 아래와 같은 표를 보면, 저온에서 변하는 충전 유지 능력은
Fig. 8과 같다. 0도와 –20도 사이에서 유지 능력이 떨어지는 점을 확인 할 수 있지만,
위에서 비교한 세 가지 배터리 중 성능이 가장 좋았던 점을 고민하면 그나마 나은 선
택일 수도 있다.

- 28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7. 배터리 종류별 온도 특성.

Fig. 8. 온도에 따른 배터리 사용 가능 용량.

네트워크 구성용 버튼과 전원, 그리고 ZigBee모듈이 들어간다. 유선 통신부로부터


패킷을 받으면 제어알고리즘을 통해 ZigBee를 이용한 무선통신을 하게 된다. 이 때, 터
널을 이용해 터널링으로 MODBUS패킷의 변화없이 전달하게 되며 미터로부터 수집된 미
터링 데이터는 ZigBee에 저장되어 ZigBee네트워크에서 에너지 관리를 위해 활용된다.
지그비의 경우,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값을 측정하여 PC에 데이터
를 수집하였다. 각 실험 구간에서 100회을 반복 측정 하였다. 측정값의 아래의 그래프
(Fig. 9)에 나타내었다. 아래의 측정 결과에 보여 지듯이 60층 내외의 건물에 설치되는
수직관로에 무선 시스템을 적용하는데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개발된 시스템에
서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ZigBee을 사용하므로 2홉핑 내에서 통신이 가능할 것으로 보

- 28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인다. 옥상에서 진행된 백본 네트워크(B-NWK)을 위한 실험 결과 400m 내에서 1홉핑으


로 통신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Fig. 9. RSSI 실험결과 – ZigBee Module.

2) 센서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극지역 동토 깊이에 따른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RTD(Resistance Temperatue


Detector) 타입의 온도센서와 서모커플러 타입의 온도센서을 사용하였다. RTD는 저항
온도 센서의 한 종류로, 온도가 변함에 따라 저항 수치가 변하는 온도 센서이다. 수년
간 시험기관과 산업 현장에서 온도 측정을 위하여 사용되어 왔으며 정확도, 반복성, 안
정성에서 장점을 갖는다.
대부분의 RTD 소자는 긴 극세코일 전선으로 둘러싸인 세라믹 또는 유리 코어로 이
루어진다. 소자는 보통 손상되기 쉽기 때문에 피복으로 처리된 프로브 내부에 위치한
다. RTD 소자는 다양한 온도에서 저항계수가 정리되어 있는 순물질로 만들어지며 그러
한 물질은 온도가 변함에 따라 예측 가능한 특성을 보이며, 이러한 예측 가능한 변화,
즉 온도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 (RTD 저항-온도 도표)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PT100
이라는 온도센서를 주로 많이 이용하는 데 가장 정확하고 보편적인 플라티늄, 백금 재
질에 0도에서 100옴의 저항값을 보이는 특성을 갖는 RTD이다. 아래의 회로 도면(Fig.
10)은 PT100, PT1000을 앞서 설명한 저전력 통신 모듈과 연결하기 위한 회로이다. RTD
센서는 2선식, 3선식, 4선식 모두 연결 가능하도록 설계 되었다.
통신 모듈과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로 연결된다. 아래 회로 4개의 블록을
사용하여 총 4개의 센서를 하나의 통신 모듈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지중
4개의 위치를 하나의 통신 모듈로 측정 가능하다.

- 28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RTD to

SPI

Fig. 10. RTD 인터페이스 회로.

아래의 시제품(Fig. 11)은 회의 4개의 블록을 사용하여 총 4개의 센서을 하나의 통


신 모듈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지중 4개의 위치를 하나의 통신 모듈로
측정 가능하다.

Fig. 11. 4 채널 RTD 지중온도센서노드.

- 28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지중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또 다른 타입의 온도 센서는 써모커플러(Thermocoupler)


이다. 써모커플러는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금속의 기전력을 이용한 온도센서로 특성이
다른 두 종류의 도체의 양단을 접합해 폐회로를 만들고 한쪽 끝단에 온도 차이를 주면
이 회로에 열기전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 현상은 온도에 비례하여 기전력이 커지는데
이 기전력의 크기를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한다. 써모커플러는 다른 온도계와 비교하여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l 빠른 응답과 적은 오차 그리고 비교적 시간지연 적음


l 상황에 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온도 범위가 넓음
l 기전력을 이용한 온도센서이므로 증폭 조절, 변환 등의 처리 간단
l 비교적 저렴하고 내구성이 좋음

열전대 종류는 아래와 같은 며 각 종류별 특징을 정리하였다. 극지 환경에 맞는 K형 열


전대를 사용하였다.[4]

l B형 열전대 (Pt-30%Rh / Pt-6%Rh ) 0 ∼1,700℃


B형 열전대는 다른 백금, 로듐 열전대보다 로듐 함량이 높기 때문에 용융점 및 기
계적 강도가 높다. B형 열전대는 1600 ℃까지의 산화 및 중성 분위기에서 지속적으
로 사용할 수 있고, 다른 백금, 로듐 열전대보다 환원 분위기에도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B형 열전대는 특히 정밀 측정 및 고온 하에 내구성을 요구하는 장소
에 적합하다.

l R형 열전대 (Pt-13%Rh / Pt) 0 ∼ 1,600℃


R형 열전대는 1,400℃ 까지, 간헐적으로 1,600℃ 까지 산화 및 비활성 분위기 내에
서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그러나, 세라믹 절연관과 보호관으로 보호했더라도
진공, 환원 또는 금속증기 등의 환경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l S형 열전대 (Pt-10%Rh / Pt) 0 ∼ 1,600℃


S형 열전대는 1886년 LeChatelier에 의해 처음으로 개발된 열전대이다. IPTS
(International Practical Temperature Scale : 국제실용온도눈금)에 의해 정의된
630.74℃에서 Antimony(안티모니)로부터 1064.43℃ 의 Gold(금) 범위까지 동결점으로
정의하는 표준 열전대로 널리 사용된다.

l K형 열전대 (Chromel / Alumel) - 200∼ 1,250℃


K형 열전대는 1906년 미국의 Hoskins사의 A.L.Marsh 씨가 처음으로 개발했고, 그 이
후로 많은 개량이 진행되었다. 따라서 오늘날 다양한 특성 때문에 신뢰성이 높은 산
업용 열전대로 가장 널리 사용된다. 1260℃ 까지 산화 및 비활성 분위기 내에서 사
용할 수 있고 K형 열전대는 이슬점(Dew-point)이 - 42℃보다 낮으면 수소 또는 분
해된 암모니아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적절히 보호관을 사용했더라도, 환

- 28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원, 산화와 환원이 교차, 황화 또는 "Green-rot" 부식성 환경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Green-rot"는 큰경 또는 환기되는 보호관을 사용하여 산소 공급을 증가시킴으로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밀봉된 보호관에 산소를 흡입하고 "getter(잔류가스 제거
재)"를 넣어 최소화 할 수는 있다.

l E형 열전대 (Chromel / Constantan)- 200∼ 900℃


E형 열전대는 산업용 열전대 중 기전력 특성이 가장 높다 . 1964년 ANSI 및 1974년
JIS에서 채택된 이후 수요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고 대단위 화력 및 원자력 발전소에
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750 ℃ 까지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E형 열전대는
기본 금속열전대 중 가장 높은 저항성을 갖고 있어 이와 연결시키는 계기 선정 시
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l J형열전대 ( Iron / Constantan ) 0∼ 7 5 0℃


J형 열전대는 E형 열전대 다음으로 기전력 특성이 높고, 750 ℃까지의 환원, 비활
성, 산화, 또는 진공 환경에서 사용 가능하다. 저렴한 가격으로 다양한 곳에서 사용
되고 있다. 그러
나, 538 ℃ 이상의 유황 환경에서는 사용할 수 없으며, J형의 철소 선은 녹이 슬거
나 물러
지기 있다.

l T형 열전대 ( Copper / Constantan )- 200∼ 350℃


T형 열전대는 습한 환경에서 부식에 강하며, 중간이 0 ℃인 온도 측정에 적합하다.
400℃ 까지 진공 및 산화, 환원 또는 비활성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기전력 특성
이 안정 되고 정확하기 때문에 실험용으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T형은 규격화 된
열전대 중에서 중간이 0℃ 인 온도 범위 내에서 공차(Tolerance )가 가장 적은 열전
대이다.

l N형 열전대 ( Ni-Cr-Si / Ni-Si-Mg ) 0∼ 1,300℃


N형 열전대는 84%Ni-1 4.2%Cr-1.4%Si / 95.5%Ni-4.4%Si-0.1%Mg의 배합으로 호주 국
방성의 재료연구 실험실에서 처음으로 개발했다. NBA, ASTM 및 기타 다른 연구기
관에서 다방면으로 연구하고 개선하여 표준화 및 규격화된 오늘날의 기전력(EMF)
표를 만들어 냈다. N형 열전대는 600 ℃ 에서 1,250 ℃ 의 높은 온도 범위에서 사용
시 K형 열전대보다 오랫동안 안정되고 산화에 우수한 저항력을 보여준다다.
Si 및 Mg의 첨가로 Cr (Chromiun : 크롬) 혼합물의 조정에 의해, "Short range
ordering" 부근에서의 기전력(EMF) 변화가 적어졌고 "Green Rot" 부식에 저항력 역
시 개선되었다.
K형과 비교하여 기전력(EMF) 표류의 비율이 1,000 ℃ 이상의 온도범위에서 절반 또
는 1/3로 보고되므로 1,000 ℃ 에서 1,200 ℃ 의 지속적인 산화 환경에서 사용하도
록 추천되고 있다.
본 과제를 통해 개발된 열전대 인터페이스 시제품은 K, J, N, T, S, R, E 타입의 센

- 28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서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 되었다. 아래의 회로 8개의 블록(Fig. 12)을 사용하여 총 8


개의 센서를 하나의 통신 모듈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지중 8개의 위치를
하나의 통신 모듈로 측정 가능하다.

Fig. 12. 써모커플 인터페이스 회로.

아래의 사진(Fig. 13)은 시제품 모습으로 총 8개의 센서를 하나의 통신 모듈에 연결


할 수 있는 구조이다.

Fig. 13. 8 채널 써모커플 지중온도센서노드

- 28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아래의 사진(Fig. 14)은 16개 깊이의 동토 온도 프로파일을 관측하기 위해 제작한


센서이다. 센서는 10cm 단위로 설치되었으며 지표로부터 15개 즉 150cm까지 측정하도
록 설치하였다. 1개의 센서는 지표면에 노출하여 대기 온도를 측정하도록 하였다.

Fig. 14. 16 개 지중온도센서 구조.

동토에서 발생되는 CO2 변화를 장시간 관측하기 위해서는 저전력으로 동작되는 로


거가 필수적이다. 알래스카 카운실 싸이트에 설치한 CO2 센서 모듈은 바이셀라 사의
GMT222 이다. GMT222의 동작전압은 24V이며 평균 4W 전력을 소비한다. 따라서 센서
모듈의 전원을 제어하는 것은 장시간 관측 위해 필수적이다. GMT222 센서 모듈은
4-20mA 알나로그 방식으로 CO2값을 출력한다. 센서로부터 최초의 측정값을 얻기 위해
서는 최소 30초 이상의 전원을 공급하여야만 한다. GMT222는 0-20mA, 4-20mA, 0-10V
등의 다양한 아날로그 방식으로 CO2값을 출력한다. 알래스카 시스템에서는 통신 모듈
과 연결하기 위해 4-20mA 방식을 채택하였다. 아래 회로도(Fig. 15)는 4-20mA을 SPI 방
식으로 변환하여 통신 모듈에 연결하기 위한 회로이다. ADC 변환된 CO2 값은 12비트
정밀도를 갖는다.

- 28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15. 4-20mA CO2 센서 인터페이스 회로.

앞에서 설명하였듯이 GMT222 센서 모듈을 전원 인프라가 없는 극한지에서 장시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원제어가 필수적이다. 아래 Fig. 16은 24V GMT222 전원을 제어하
기 위한 회로도이다. 측정 시에만 전원을 공급하며 측정이 완료되면 전원을 차단한다.
그러므로, 활성화 시간(Warm-up time) 30초를 포함하여 약 1분간만 동작하게 된다. 평
균 소비전력량은 66[mWH]이다.
GMT222의 전원은 DC 24V이므로 24V의 높은 전압을 얻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배
터리 셀을 직렬로 연결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예로 리듐 1차 전지를 사용 할 경우 리
듐 배터리 3.6V 셀을 7개를 직렬로 연결해야 한다. 여러 개가 직렬도 연결된 배터리 그
룹에서 먼저 방전하는 셀이 존재하게 되고 에너지가 먼저 고갈된 배터리 셀로 전류가
계속 흘러 셀이 고장나거나 심한 경우 폭발의 위험이 있다. 전문가에 의해 특별 제작된
직렬 배터리 셀이라면 안전이 보장 되겠지만, 제작이 까다롭고 번거로우므로 본 과제에
서는 10.8V을 24V로 변환하는 회로를 구성하여 GMT222에 전원을 공급하였다. 아래 그
림은 DC/DC 업컨버터 회로도이다.

- 28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16. CO2 센서 모듈 DC/DC Up Convertor 부 회로도.

아래의 사진(Fig. 17)은 알래스카 카운실 사이트에 CO2센서을 설치한 모습이다. 센


서는 지표면으로부터 10cm, 20cm, 30cm 깊이로 설치되었다.

Fig. 17. 센서 설치사진.

- 29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3) 저전력 로거·게이트웨이 개발

USN 게이트웨이는 각 센서인터이스 보드의 무선 통신 모듈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무선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장치이다. 수집된 데이터는 이리듐(Iridium) 모뎀을
통해서 미리 정의된 메일 계정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게 된다. 이번 차년도 개발
SBC(Single Board Computer) 보드는 저전력 MCU(Micro Control Unit)을 사용하여 설계
되었다(Fig. 18). CPU 모듈 동작 상태에서 평균 ~56mA 전류를 소비한다(Fig. 19).

Fig. 18. ·
저전력 로거 게이트웨이 개발.

- 29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Fig. 19. 게이트웨이 배터리 구조(2중 구조).

- 29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29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29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북극권 동토 관측 거점을 활용한 환경변화 감시와 예측 (세부과제)

제 1 절 연구개발의 최종목표

- 알래스카(미국), 캠브리지베이(캐나다), 스발바드(노르웨이), 노르드(그린란드) 관측


거점 안정적 운영 및 신규 아이슬란드, 러시아 거점 추가 확보
- 온실기체 및 기후냉각물질 변화 연속 관측
- 기후냉각물질 생성 기작 분석 및 기원지 추적기술 개발
- 동토층 융해 및 결빙 환경변화에 따른 풍화 작용 분석
- 동토-대기-생태 환경인자 DB구축 및 메타 데이터 제공
- 동토 환경변화 파악을 위한 첨단 in-situ/원격활용 ICT 융합 기술 개발
- 극지기초원천기술개발사업의 경제사회적 효과 분석

제 2 절 연구개발목표의 달성도

목 표 달 성 도(%) 내 용
- 미국, 캐나다, 그린란드, 스발
동토 관측거점 기반
바르, 아이슬란드, 러시아 거
환경변화 인자 연속관측 100
점 기반 DB구축(당해년도 목
및 DB 구축
표 16건 달성, 100%)
- 한-아이슬란드 연구협정
(LoU) 체결, 아이슬란드
환북극 관측거점 추가확보 Storhofdi 관측 거점 추가 확
100 보 및 기후냉각물질 분석기
및 기후냉각물질 관측
기 신규 설치
- 한-러시아 MOU 체결 및 러
시아 바라노바 거점 구축
- 암석 XRD회절 분석, 암석 유
기물 측정
- 흡수율, 밀도, 비중, P파속도,
일축압축강도, 쇼어경도 분석
동결-융해 환경변화에 따른
- 암석학적 성인 예측, 암석 종
풍화과정 특성분석 및 100
류별 풍화민감도 및 풍화지
추적 기술 개발
수 산출
- 다산기지 암석의 풍화 상태
진단 및 풍화 요인 분석
- 250년 주기 동결-융해 시험

- 29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 3 절 평가 착안점에 따른 목표 달성도에 대한 평가

평가의 착안점 자 체 평 가
- 스발바르 기반 대기관측 자료 DB 구축(‘17년까지
16건 환경인자 DB 확보, 목표대비 100% 달성)
미국, 캐나다, 그린란드, - 미국 알래스카/캐나다 캠브리지 베이/그린란드 노르
드 거점 기반으로 온실기체 플럭스를 연속 관측,
스발바르 거점 기반 DB구축 DB 구축
- 온실기체 플럭스 시스템 개선 방안 마련(시스템 운
영 방식 등)
- 한-아이슬란드 연구협정 (LoU) 체결, 아이슬란드
아이슬란드/러시아 거점 추가 Storhofdi 관측 거점 추가 확보 및 기후냉각물질 분
확보 석기기 신규 설치
- 한-러시아 MOU 체결 및 러시아 바라노바 거점 구축
- 동결-융해 시험 방법 정립
동결-융해 환경변화에 따른 - 암석 물성, 초음파속도, 쇼어경도, 일축압축 시험
풍화과정 특성분석 및 추적 등에 대한 시험 방법 정립
- 암석의 암종 및 풍화지수 산출을 위한 기초자료를
기술 개발 획득
- 암석 동결-융해 250년 주기 풍화과정 추적 기술 확보

- 효율적 환북극 동토층 환경변화 연구수행을 위한 미국,캐나다,노르웨이,그린란드,


아이슬란드, 러시아 거점 확보 및 정밀 측정시스템 정상 가동, 동토-대기-생태 등
환경인자 DB 구축(총기간 22건 대비 16건 확보)
- 미국 알래스카 거점에서의 토양 이산화탄소, 메탄 플럭스 연속 모니터링 성공 및
관련 미생물 관계 조사
- 툰드라 지역의 탄소와 물 플럭스의 시공간 패턴 이해, 관련 논문 게재(SCI 1건)
- 에어로졸, 에너지플럭스, 기후냉각물질 등 변화 측정 등 자료 생산 및 관련 논문
게재(SCI 2건)
- 북극권 나노입자 생성 특성 파악 및 관련 논문 게재(SCI 1건)
- 대기오염 물질의 농도 및 외부 영향성 파악
- 에어로졸의 광학적 특성 및 기후복사 강제력 산출 모사 알고리즘 개발, 관련 논
문 게재(SCI 1건, 투고 심사중 1건)
- 북극 대기 기후냉각물질과 환경인자와의 상호 연관성 분석 및 기술 최적화
- 극한환경에서의 환경인자 모니터링 및 풍화 추적기술 개발
- 무인현장 정밀측정시스템의 안정화 및 오류 최소화 기술 개발(저전력 저온 ICT 기술 PER 세
계 표준 달성 1%)

- 29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단계 연구범위 및 연구수행 방법


연구수행방법
연 구 범 위
( ․
이론적 실험적 접근방법)
구체적인 내용
- 거점별 연속 관측 및 DB 구축
- 거점 관측지별 온실기체 플럭스
관측 자료 수득률 평가 및 개선
- 환북극 거점 안정화 및 실 방안 수립
측 - 폐회로 온실기체 분석기 국내
동토 기후·대기 시스템 - 거점별 관측시스템 평가, 관 테스트
변화 지속 감시 및 측 개선 전략 수립 - 북극 다산기지 구름 응결핵
환경인자 DB 구축 - 환북극 관측 거점 기반 대 (CCN) 연속관측 및 분석
기오염물질 모니터링 - 기후냉각물질 (DMS, 초미세입
- 다산기지 암석 풍화 진단 및 자) 관측 및 기원지 추적을
채취 위한 자료 분석 기술의 개선
및 최적화
- 다산기지 암석의 풍화 상태
진단 및 풍화 요인 분석
- 암석 XRD회절 분석, 암석 유
기물 측정
- 동결-융해 시험 방법 정립
- 풍화 상태진단 및 민감 특성
동결-융해 환경변화에 - 암석 물성, 초음파속도, 쇼
분석
따른 풍화과정 특성 어경도, 일축압축 시험
- 흡수율, 밀도, 비중, P파속도,
분석 및 추적 기술 개발 - 풍화 민감 특성 분석
일축압축강도, 쇼어경도 분석
- 250년 주기 동결-융해 시험
- 암석 동결-융해 250년 주기 풍화
과정 분석
- 아이슬란드 관측 거점 확보
및 공동연구를 위한 ‘극지연
-포항공과대학교-아이슬란드
아이슬란드 관측 거점 - 기후냉각물질(DMS)을 통한
대학’간 연구협정 (LOU) 체결
확보 및 냉각물질 측정 북극 대기 에어로졸 형성
- 신규 아이슬란드 관측 거점
시스템 개발 과정 연구
(Stórhöfði observatory)에 자
체제작 기후냉각물질 분석기
기 신규 설치

- 러시아 북극남극연구소(AARI)
러시아 관측 거점 확보
- 러시아의 북극해 연안 육상 와 공동으로 연구 지역 확정
및 온실기체 플럭스
동토에서의 실측 및 극지연구소 측정 시스템
측정 시스템 구축
현장 구축

- 29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광주과기원 위탁과제-1) 북극권 나노입자 생성 및 에어로졸 특성 연구

제 1 절 연구개발의 최종목표
○ 북극권 나노입자 생성 특성을 파악하고 에어로졸의 물리화학적 특성 규명
○ 인위적/자연적 에어로졸의 발생원, 생성기작, 이동경로, 기후변화 영향 파악

제 2 절 연구개발목표의 달성도

1 차년도
월 단위 추진계획 연구책임
소요 자
세부목표
1 2 3 4 5 6 7 8 9 10 11 12 연구비 (주관기
관)
북극권 (북극 다산기지)
나노입자의 크기분포 및
수농도 변화를 장기간 박기홍
50,000 광주과학기술
온라인 모니터링 (

원)
수행(국제 연구팀과
공동 모니터링 수행)

2 차년도
북극권 (북극 다산기지)
나노입자의 크기분포 및
박기홍
수농도 변화를 장기간 광주과학기술
(
65,000
온라인 모니터링
원)
수행(국제 연구팀과
공동 모니터링 수행)

제 3 절 평가 착안점에 따른 목표 달성도에 대한 평가

평가의 착안점 자 체 평 가
북극 Zeppelin station에서 나노입자의 크기분포 및
수농도 변화 장기간 온라인 모니터링을 진행 중에 있
북극권 나노입자 생성 자료
으며 (2016.10-현재) 추가적으로 Gruvebadet station에
확보
서 북극 에어로졸의 화학적 원소성분 측정을 위해 초미
세먼지 샘플링을 진행하였고 원소 분석을 수행함.

- 29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광주과기원 위탁과제-2) 극지 대기오염 및 기후변화 연구를 위한 대기질 모델링


시스템 개발 및 활용

제 1 절 연구개발의 최종목표
○ 3차원 대기질 모델링 시스템 검증 및 기체상 물질 분포 특성 분석

제 2 절 연구개발목표의 달성도
달성도
연구목표 연도별목표 달성내용
구분 (%)
- 북극해 해빙 (sea ice) 공간
분포 및 월변화 정보를 고려한
극지환경 WRF 모델링 시스템 구성
1차년도 기상모델링 - 해빙 분포정보를 고려하기 위한 100%
시스템 구축 및 시스템 구축 및 기상모델링
극지의 동토 구동 수행
및 대기환경 - 지상 관측결과와 비교 검증
특성을 (상관성 0.8이상)
고려한
대기질 - 배출량 자료 확립 및 모델 구동
모델링 형태 자료 변환 (인위적,
시스템 구축 극지 대기질 자연적, 산불 배출량 고려)
2차년도 모델링 시스템 - 대기질 모델의 배경조건 확립 100%
구축 및 방안 마련 (Nested 모델링
최적화/구동 시스템 구성)
- 대기질 모델링 시스템 최적화
구동

제 3 절 평가 착안점에 따른 목표 달성도에 대한 평가
평가의 착안점 자 체 평 가
극지 대기환경 특성이 고려된 - 극지 대기환경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북극해의 해
기상모델이 선정 빙변화 특성을 고려한 모델링 체계 구성 완료
- 극지 대기환경 특성이 고려된 WRF 모델링 시스템
극지 기상모델링 시스템 구축 구성 완료하였고, 지상 관측결과와 비교하여 좋은
상관성과 일치도 (R>0.8이상)를 나타냄
배출량 자료 구동형태 자료 변 - 인위적/자연적/산불발생/선박발생 배출량 자료를 모
환 두 고려 (종분배 및 공간할당 수행)
- Nested 기법을 통한 배경자료 추출 및 모델 구동형
대기질 모델의 배경조건 확립 태 변환 (북반구권, D1 도메인의 대기질 모델 구동
결과를 북극권의 도메인, D2의 경계조건 생성)
- 해양의 요오드화물과의 반응에 기인한 오존의 화학
대기질 모델링 시스템 최적화 적 소멸을 고려하기 위해 오존의 침적 속도를 조절
및 구동 하여, 2008년 5월-8월을 대상으로 Nested 모델링
수행

- 29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경인여대대학교 위탁과제-3) 환북극권 대기 에어로졸의 광학적 특성 연구

제 1 절 연구개발의 최종목표
¡ 북극 대기에어로졸 측정자료 확보
¡ 환북극 지역 대기에어로졸 원격측정자료 분석
¡ 북극 에어로졸의 물리 광학적 특성 파악
¡ 북극 에어로졸의 광학적 특성 모사 알고리즘 개발

제 2 절 연구개발목표의 달성도

본 연구에서 설정한 1단계(1차년도 및 2차년도)의 목표 달성도는 아래와 같다. 전반적


으로 본 연구에서 추진하였다. 북극 대기 에어로졸의 측정관련 자료확보와 이를 통한 광학
적 특성 자료와의 비교 분석 및 특성 파악이 이루어 졌다.

1차년도
월 단위 추진계획 연구책임
가중치 자
세부목표 (달성도)
1 2 3 4 5 6 7 8 9 10 11 12 (주관기

관)
¡ 북극 대기에어
로졸 측정자료
확보
¡ 환북극 지역 100%
정창훈

대기에어로졸
(100%) (경인여대)

원격측정자료
분석
차년도
북극 에어로졸
2

¡
의 물리 광학
적 특성 파악
¡ 북극 에어로졸 100% 정창훈

의 광학적 특 (100%) (경인여대)

성 모사 알고
리즘 개발
❍ 대기중 에어로졸에 관련한 두 위탁연구『환북극권 대기 에어로졸의 광학적 특성 연구』(경인

- 30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여대) 와 『북극권 나노입자 생성 및 에어로졸 특성 연구』(광주과기원)의 경우 큰 틀에서 에


어로졸의 특성을 파악한다는 점에서 일정부분 연계될 수 있으나, 북극권 나노입자 생성 특성
을 장기간 크기분포 및 수농도 변화를 통하여 나노입자크기 영역에 대하여 입자의 생성 및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는 나노입자 생성 연구에 비하여 광학적 특성 연구는 대기중 전 에어로
졸의 광학적 특성을 원격측정 및 지상측정자료와 연계하여 이론적으로 계산해 내고 측정결과
를 통하여 검증한 뒤 종국적으로 복사강제력을 산출해 내는 연구라는 부분에서 특정영역대
입자 측정연구와 차별성을 가지고 있음.

❍ 환북극지역 나노에어로졸 및 CCN입자의 개수 농도 및 크기분포등의 장기간 측정자


료를 기반으로 하여 이를 원격자료(MODIS 위성 자료 및 AERONET자료)를 비롯한
MERRA-2등의 reanalysis 자료 등과 연계하여 에어로졸의 특성을 검증하고 이를 바
탕으로 하여 환북극 지역 에어로졸의 복사강제력을 산출하여 기후에 미치는 영향
등을 평가하고자 한다는 부분에 있어 연구의 차별성이 존재하여, 본 취지에 맞도록
기여가능함.

제 3 절 평가 착안점에 따른 목표 달성도에 대한 평가
구분 년도 세부연구목표 가중치 평가의 착안점 및 척도
북극지역 대기에어로졸 측정자
북극 대기에어로졸 측
50 % 료 확보 및 에어로졸의 측정
정자료 확보
자료 분석 여부
1차년도 2016
환북극 지역 대기에어
환북극 지역 대기에어로졸 원
로졸 원격측정자료 분 50 %
격측정자료 확보 및 분석여부

다산기지 대기에어로졸 및 구
름 응결핵(CCN) 측정자료와 위
북극 에어로졸의 물리
50 % 성 등 원격 측정자료(AOD)를
광학적 특성 파악
활용한 북극 에어로졸의 광학
적 특성 파악여부
2차년도 2017
다산기지를 포함한 북극지역에
북극 에어로졸의 광학 서 측정되고 있는 측정자료에
적 특성 모사 알고리 50 % 기반한 에어로졸의 광학적 특
즘 개발 성 및 기후복사 강제력 산출
모사 알고리즘 개발여부

- 30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고려대학교 위탁과제-4) 북극 툰드라에서의 온실기체 모니터링과 조절인자 규명


연구

제 1 절 연구개발의 최종목표
○ 환북극권 툰드라 생태계에서의 토양 이산화탄소 및 메탄 플럭스 모니터링
○ 토양에서 대기로 방출되는 온실기체의 조절인자 규명하고 기후변화에 따른
북극 툰드라에서의 탄소순환 메커니즘 이해

제 2 절 연구개발목표의 달성도
1 차년도
일련 월 단위 추진계획 가중치 %
연구내용
번호 1 2 3 4 5 6 7 8 9 10 11 12 (달성도%)
토양 이산화탄소 플럭스의
1
모니터링자료를 이용하여 70
조절환경 인자와의 관계를 (100)
설명
2
메탄 관측 시스템을 확보하 30
여 메탄 관측 준비 (100)
2차년도
알래스카 토양 이산화탄소 60
1 플럭스와 미생물과의 상관
(!00)
관계 설명
메탄 플럭스 연속 관측 및 40
2 메탄 생성 미생물과의 상관
(!00)
관계 조사

제 3 절 평가 착안점에 따른 목표 달성도에 대한 평가
평가의 착안점 자 체 평 가
- 1차년도에는 알래스카에 방문하여 자동 챔버 시스템 운
영을 통해 여름동안 순생태계 교환량을 연속적으로 측정
알래스카 토양 이산화탄소 - 야간 자료를 이용하여 방출되는 이산화탄소 플럭스를
플럭스의 정량화 및 조절인 정량화하였으며, 관련 환경 조절 인자들을 동시에 관측하
자와의 관계를 조사 여 관계 분석
- 2차년도에도 연속 자료 확보를 위하여 두 차례의 현장
관측을 통해 자료 확보, 각 식생별 미생물의 활성도 분석
- 챔버 방법을 이용하는 메탄 장비를 확보한 후, 캐나다
캠브리지에 방문하여 다양한 토양 조건에 대한 메탄농도
메탄 관측 시스템을 확보 의 변화 조사
및 메탄 플럭스의 연속 관 - 실질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시스템의 운영을 경험하
측 고 관측지의 기본적인 정보 확보
- 메탄 방출이 관측되는 호수 주변에서 연속 관측 시스템
을 갖추고 연속 관측 실시, 메탄 관련 미생물 조사

- 30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 위탁과제-5) 위성 기반의 툰드라 지역 탄소와 물 플럭스 시공간


패턴 분석

제 1 절 연구개발의 최종목표
지구 온난화 의해 변화하는 극지 툰드라 지역의 탄소 및 물 플럭스의 시공간패턴을 위
성 기반인 생물리모형 Breathing Earth System Simulator (BESS) 이용하여 이해

제 2 절 연구 개발 목표의 달성도

목 표 달 성 도(%) 내 용

생산을 위해
BESS product MODIS 및 다른 위성 영상, 총
다중 인공위성 자료를 100 35개를 BESS 입력 자료로 구축

다운로드 및 전처리 완료
극궤도위성의 특성을 활용하여
고위도 특성을 반영한 입력자
100 MODIS의 가용한 모든 swath
료 구축
다운로드

제 3 절 평가 착안점에 따른 목표 달성도에 대한 평가
평가의 착안점 자 체 평 가
다운로드 및 전처리 완료. 서버에 자료 저장 및 전처
MODIS 다운로드 및 전처리
리위한 코드 완성
-극지역 재방문빈도가 높은 극궤도위성의 특성을

활용해 극지역의 가능한 모든 swath자료 다운로


고위도 특성을 반영한 입력
드 및 전처리 완료.
자료 구축
-광합성 최적화 이론을 이용하여 시공간으로 변

하는 Vcmax지도 제작 완료

- 30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인천대학교 위탁과제-6) 대기이동궤적 자료를 활용한 환북극 동토-대기-해상


의 기후냉각물질 주요발생원 추적 연구

제 1 절 연구개발의 최종목표
○ 기후냉각물질과 관련된 환경자료를 파악하고 이를 대기이동궤적자료와 함께 연계
하여 분석하는 방법에 대한 고찰 및 개발
○ 제플린 자료 분석, 북극지역의 특이성 반영

제 2 절 연구개발목표의 달성도

1차년도
월 단위 추진계획 연구
책임자
세부목표 가중치
1 2 3 4 5 6 7 8 9 10 11 12 (달성도) (주관
기관)
기후냉각물질 30%
관련 자료의
수집, 생성, 분석
기술 환경 구축
(100%)
김태욱
(인천대학교
)
위성 및 대기 자
료와 육상관측자 70%
(100%)
료 연동 기술 구

2차년도
북극지역
고려한 특이성
자료분석 50%
기술의
최적화 개선 및 (100%)
김태욱
(인천대학교
기후냉각물질
성을 고려한 특
자료 50%
)
분석기술 개선 및
최적화 (100%)

○ 해색 위성의 엽록소 자료, 육상의 바이오매스 연소, 해빙(sea ice) 자료를 대기 역


궤적 자료와 함께 분석 완료
○ 1차연도의 짧은 연구 기간으로 인해 리셉터 모형인 CWT와 PSCF 산출물 자료를
통해서 히티알라를 중심으로 나노입자의 예상 기원지역을 대략적으로 파악하는

- 30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수준까지 연구 진행
○ 육상(동토)의 식생지수, 해빙의 농도, 해양 엽록소 및 DMSPt를 환북극지역의 핵
심 환경인자로 설정하고 이를 대기역궤적 모형과 나노입자 자료와 연계 분석
○ 기후냉각물질의 특성을 반영하여, 태양 복사 및 역궤적 기간을 변화시키면서 이
들 요소가 연구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 등

제 3 절 평가 착안점에 따른 목표 달성도에 대한 평가

평가의 착안점 자 체 평 가

기존 나노입자 자료를 제공받아서 CWT, PSCF과 같


[1차년도] 자료를 수집하여 기
은 리셉터 모형에 적용하였으므로 목표를 충실히 달
술 구축에 활용했는지 유무
성하였음.
HYSPLIT 대기이동궤적모형을 다양한 조건에 대해

편리하게 생성할 수 있도록 자동화시켜서, 그 결과와


나노입자 자료를 연계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고, 대기
[1차년도] 다양한 자료를 연계
이동궤적 간의 지점에서 인공위성기반의 엽록소 자료
분석할 수 있는 환경 구축 유무
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였음. 기타 자료도 시간과 위
치정보를 획득하였으므로 연계 분석 가능함. 따라서
목표를 충실히 달성하였음.
육상을 대변하는 식생 지수와 해양의 생물상을 대변
하는 엽록소와 DMSPt 그리고, 빙권을 대변하는 해빙
[2차년도] 북극지역 특이성을 의 농도를 모두 기후냉각물질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고려하여 분석한 연구 결과를 인자로 고려하여 연구를 진행하였고, 일부 상관관계
제시(그림/표 사용) 를 파악하였음. 결과를 그림으로 명확히 제시하였음.
그림을 표 형태로 제시하려고 했으나 그림의 크기가
커서 단독으로 표시함.
광량(계절포함), 총 역궤적 시간의 변화, 입자의 크기
[2차년도] 기후냉각물질 특이성 에 따라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입자의 크기에 따라
을 고려하여 분석한 연구 결과 결과가 정반대로 나오는 등의 결과를 얻었음. 그림을
를 제시(그림/표 사용) 표 형태로 제시하려고 했으나 그림의 크기가 커서 단
독으로 표시함.

- 30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한양대학교 위탁과제-7) ICT 기반의 융복합 극지 환경 관측 시스템 개발

제 1 절 연구개발의 최종목표

WPAN, WAN 핵심 기술은 대기전력 10uA로 이하로 통신모듈 단독 운영시 1년에 87mA
이하로 소비, 로컬네트워크는 256노드 이상, 이리듐통신 위성과 접속하여 원격으로 데
이터 수집

제 2 절 연구개발목표의 달성도

목 표 달 성 도(%) 내 용

WPAN, WAN 핵심 기술 개 100 WPAN, WAN 저전력 무선통신


발 모듈 개발 성능 검증
지중 및 지표 온도센서(RTD,
센서인터페이스 보드 개발 100 TC), CO2 센서 연동, 수분함량
센서 연동 구조
유무선 접속 가능한 데이터 로
거 하드웨어 개발은 완료하였
유․무선데이터로거 80 으나 아날로그 인터페이스 정
확도을 높이기 위해 펌웨어 보
완이 필요함
위성통신 규격 분석 및 접속 100 이리듐통신위성과 접속 가능
기술 개발

제 3 절 평가 착안점에 따른 목표 달성도에 대한 평가
평가의 착안점 자 체 평 가

네트워크 규모 계획 256 노드 대비 초과 달성
저전력 모드에서 10uA로 1년 대기시 87mAH 소
대기전력 및 통신 거리
비(통신 모듈 단독 운영시)
이리듐통신 위성과 접속하여 현재 운영 중에 있
위성통신규격

- 30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30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30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1.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방안

○ 알래스카 카운실 사이트는 불연속동토지대로서 온난화에 따른 변화의 경계에 있


는 지역임. 이 지역에서의 환경변화 정밀 모니터링을 통해 동토층의 해리와 온
실기체 방출 여부를 감시할 수 있음
○ 다년간 축적되는 기상, 토양, 식생 등 환경인자 DB를 통해 기후-동토-식생 간의
온실기체 교환 프로세스를 규명하고 위성탐사자료 등과 결합해 공간적 대표성을
획득하여 기후모델의 동토층 알고리즘 개선 및 나아가 미래 환경변화 예측 정확
도 개선에 활용
○ 북극권 연안을 대상으로 한 북극권 기후연구 측정시스템 확보를 통한 활동영역
확대 및 관련 연구 분야 (대기질, 동토층, 생물종다양성 연구, 전송기술 등)의 발
전 기여
○ 동토층의 융해로 인한 지중, 지표, 대기층의 교란 및 인간에게 미칠 수 있는 영
향평가 자료 확보와 대응책 마련 정책 제시
○ 대기-동토-해양-모델링의 융합연구를 통하여 북극권 기후변화 관련연구에 대해
미국, 러시아, 캐나다, 노르웨이, EU 그룹 등과 대등한 위치 또는 수월성 연구
분야 역량 확보 및 북극활동의 위상 제고
○ 향후 북극 전 해역 탐사 추진에 필요한 중․장기 국제공동연구시스템 구축에 활용
자료 확보
○ 북극권의 대기-해양-지면-식생을 모의·예측할 수 있는 모형 개발을 통해 북극
권의 기후변화 뿐 아니라, 이 변화가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여 정책 결
정의 근거로 활용
○ 지구 기후 변화와 미래형 자원 개발 연구분야에 필요한 인프라 제공
○ 새로운 개념의 국가 및 국제 건설 인프라 창출로 국가 건설경기 부양효과
○ 민간 건설업체의 북극 건설 및 시베리아 진출시 기술지원
○ 급격한 북극권 기후변화에 따른 북극권 일기 및 기후 변화의 보다 정확한 예측
을 위한 모델링 기반 기술 확보를 통하여 우리나라를 포함하는 동아시아 지역의
단기 및 중장기 일기∙기후 예측 성능 향상에 활용
○ 전구 기후 진단 및 예측을 위한 모델링 기술의 확보 및 기상, 기후, 수문, 농업
및 산림 분야 활용을 위한 추가 연구에 활용
○ 선도적 기후변화대응 전략 수립 및 지속성장 전략 수립에 필요한 과학적 데이터
제공
○ 극지 환경 진단 및 미래 환경 예측의 정확성 향상을 통한 극지 미래 환경 변화
대응력 제고를 위한 전문가 집단 구축
○ 극지 환경 감시, 진단, 예측을 위한 관측망 제안을 향후 관측망 구성 시 활용

- 30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연구개발 결과의 기대효과

구분 기대 효과

○ 북극권 연안을 대상으로 한 북극권 환경변화 관측 거점


과 기후연구 측정시스템 확보를 통한 활동영역 확대 및
관련 연구 분야 (대기질, 동토층, 생물종다양성 연구, 전
송기술 등)의 발전 기여
○ 북극권 동토층 온실기체 교환 및 수문학적 프로세스 규
명을 통해 동토층 수치모델링 개선
○ 극지역의 대기 관측 및 공기괴 추적 기술 개발을 통한
환경변화 감시 기술 향상
○ 지속 가능한 북극연구 영역확대 및 국가 위상 제고
기술적 측면 ○ 극한지 건설기술 관련 특허등록 및 신기술 창출을 통한
극한지 건설기술 경쟁력 강화 및 원천기술 확보
○ 극지 관련 연구지원을 통한 인프라 구축 및 동반 성장
역량 확충
○ 극지환경에서 과학활동에 필요한 중요 자료 확보 및 활
용성 제고
○ 급격한 북극권 기후변화에 따른 북극권 일기 및 기후 변
화의 보다 정확한 예측을 위한 모델링 기반 기술 확보를
통하여 우리나라를 포함하는 동아시아 지역의 단기 및
중장기 일기∙기후 예측 성능 향상

○ 북극권 환경변화 관련연구에 대해 미국, 러시아, 캐나다,


노르웨이, EU 그룹 등과 대등한 위치 또는 수월성 연구
분야 역량 확보 및 북극활동 위상 제고
○ 개발 기술 결과물의 산업화 지원
경제적 산업적
측면 ○ 가혹한 극지 환경에서 통신 기술 개발 가능 및 극지관련
우주, 해양 통신 기술을 포함한 미래 원천/응용 기술 확보
○ 극지과학 전문 인력 양성
○ 극지 환경 진단 및 미래 환경 예측의 정확성 향상을 통
한 극지 미래 환경 변화 대응력 제고

- 31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광주과기원 위탁과제-1) 북극권 나노입자 생성 및 에어로졸 특성 연구

1.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방안

- 에어로졸 입자의 종합적인 특성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에어로졸의 발생원, 생성경로, 물


리화학적 변화, 이동경로 등을 파악하고 에어로졸의 기후변화 역할을 규명하는데 중
요한 정보 제공에 활용
- 향후 극지 대기오염물질 모니터링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기본 자료 제공이 가능하며,
미세입자의 종합적 특성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입자로 인한 환경적, 경제적 피해를
최소화 목적으로 한 실시간 감시기술 (real-time monitoring)과 경보 기술에 활용
- 에어로졸의 화학적 성분 실시간 감시로 자연계 내의 매체 간 이동과 거동 및 환경영향
파악에 활용될 수 있고, 한반도나 동아시아, 북극권 장거리 이동 에어로졸 (황사입자
포함, yellow dust) 특성 파악기술의 선진화, 대기 중 거동 실시간 파악, 국제 환경협
약 및 대책 수립에 활용

2. 연구개발 결과의 기대효과

가. 기술적 측면
§ 기존 대기환경에서 사용하던 입자측정 및 분석 장치와 더불어 북극환경에서 에어로졸
입자의 종합적 분석이 가능하고 한 단계 upgrade된 에어로졸 모니터링 시스템 구
축.
§ 북극환경에서 다양하게 존재하는 에어로졸 입자로 인한 환경적 피해 최소화를 위한 실
시간 감시기술 개발에 기여.
§ 다양한 크기 (나노크기에서 마이크로미터크기)와 종류의 입자의 특성을 실시간으로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기술은 대기환경측정사업, 반도체/부품 제조공정사업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오염입자 모니터링), 나노입자 활용사업 (나노물질 제조공정
및 생산품의 품질관리), 클린디젤자동차 (자동차 배기입자 화학적 성분 실시간 모니
터링) 등과 연관된 다양한 기업에 공통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
§ 산/학/연을 포함하여 대기 에어로졸 측정 전문가 그룹 (대기오염물질 모니터링 기
술 개발 기업), 수계 (물, 바닷물) 속 입자제어 및 모니터링 전문가 그룹 (정수기,
담수화 사업), 자동차 입자 배출 연구 전문가 그룹 (그린자동차 생산기업), 반도체
제조공정 중 오염입자 제어 전문가 그룹 (반도체생산 기업), 공장배출 오염입자 제
거 전문가 그룹 (산업 환경오염 모니터링 기관), 실내 대기오염입자 제어 전문가 그룹
(공기정화기, 이온발생기, 공기청정기 기업 등)과 개방형 혁신 연구를 위한 입자실시
간 모니터링 전문가 네트워크를 구성.

- 31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나. 경제적 측면
§ 측정기기의 이동성과 자동화 시스템 구축을 통해서 향후 측정시스템의 상업화 가능
§ 다양한 매체내 존재하는 입자의 실시간 화학적 성분 측정기술에 활용될 수 있음. 즉,
수계, 바닷물 속 존재하는 입자의 화학적 조성 실시간 측정에 활용 (담수화 기업,
정수기, 물정화기 제조업체 등)
§ 인체에 흡입되었을 때 유해한 입자의 특성을 실시간 규명하여 국민보건 감시기관에
서 활용
§ 한반도에 발생하거나 또는 동아시아 장거리 이동 에어로졸입자 (황사입자)의 대기 중
거동 실시간 파악 및 국제 환경협약 및 대책 수립 기관과 공유
§ 반도체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입자의 실시간 화학적 성분 모니터링에 활용 (반도
체 제조기업, 부품 제조업체 등)
§ 자동차 배출입자, 농작물 연소입자, 산불 등에서 배출되는 입자의 실시간 종합적 특
성 감시기관에서 활용
§ 실내 발생 에어로졸 화학적 조성 실시간 모니터링에 활용 (공기정화기 제조기업)
§ 본 연구에서 개발한 통합형 모니터링 시스템은 다양한 매체 내에서 또는 매체 간에
입자의 이동, 변화, 거동 특성 파악에도 활용될 수 있음
§ 나노물질의 자연계내 거동 및 환경영향 파악에 활용
§ 입자의 종합적 특성 (화학적 성분, 크기, 농도, 원소, 흡습성, 휘발성)과 기후변화
영향을 실시간으로 제공
§ 미세입자의 종합적 특성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입자로 인한 환경적, 경제적 피해 최소
화를 위한 실시간 감시기술개발에 기여 (일반 대기오염 감시기관에서 활용)
§ 유해성 판단을 위한 입자의 화학적 성분 자료 실시간 제공 (보건의료업계에서 활용)
§ 나노입자를 포함한 입자 제조업체 및 기업에서 원하는 화학적 성분 입자 제조를 위
한 중요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
§ 공장에서 배출되는 입자저감기술 개발기관에서 화학적 성분 실시간 측정에 활용
§ 입자, 파우더 제조 및 나노입자를 활용한 제품 생산기술공정 중 실시간 화학적 조
성 모니터링에 활용될 수 있는 기술

- 31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광주과기원 위탁과제-2) 극지 대기오염 및 기후변화 연구를 위한 대기질 모델링


시스템 개발 및 활용

1.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방안

- 북극지역을 대상으로 3차원 대기질 모델링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하였고, 구성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북극지역에 대한 다양한 활용
- 겨울 및 봄철 각 대륙으로부터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장거리 이동으로 인하여 북극
연무(haze)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고, 이러한 연무 발생 기원을 이해하고, 대륙별
장거리 수송 영향성을 정량화에 활용
- 악화되는 북극 대기오염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국제협력을 통해 국가별 배출량
저감 계획에 정량화된 영향성은 기초자료로 활용
- 장거리 수송의 영향성 정량화과 북극 연무 발생원인 규명 등은 IGAC의 PACES 프
로그램과 같은 국제공동 연구에 활용
- 극지를 대상으로 할로겐화학 및 SO2의 비균질 화학반응에 대한 모수화가 개선에
활용
- 인공위성 자료와 모델링 결과를 이용한 자료동화 역시 통합시스템을 활용한 한 예
로서, 모델링의 예측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기술에 활용

2. 연구개발 결과의 기대효과

구분 기대 효과

∎ 극지환경 대기질 모델링 시스템 구축


∎ 극지 대기질 모델링 기술 선진화
기술적 측면 ∎ 극기 대기환경 특성 규명
∎ 장거리 이동에 따른 극지 환경 영향성 규명
∎ 극지 기후 강제력 산출을 통한 기후변화 영향성 파악에 활용

경제적 산업적 ∎ 향후, 북극항로 개발을 위한 극지 대기환경 영향성 평가 분야


측면 에 활용할 수 있는 기반 기술 확보

- 31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경인여대대학교 위탁과제-3) 환북극권 대기 에어로졸의 광학적 특성 연구

1.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방안

- 물리 및 광학적 분석을 통한 환북극 지역 에어로졸의 광학적 특성을 모사


- 환북극권 동토지역 대기 에어로졸의 물리화학적 측정자료 및 모델 등을 통하여 물
리, 화학적 인자에 따른 북극 에어로졸의 광학적 특성 및 기여도 파악
- 환북극 아이슬란드 신규 관측 지점에서 측정되는 자료를 통한 북극 지역 대기 에어
로졸의 측정정보를 활용한 기후변화 영향 평가

2. 연구개발 결과의 기대효과

- 기술적 측면
가. 에어로졸의 복사 강제 및 광학적 특성 파악을 위한 주요 방법론은 주로 측정이
나 원격탐사를 통하여 진행되어 왔으나 본 연구는 물리적 측정 자료 뿐 아니
라 물리적 과정을 포함한 직접적(direct) 형태의 광학적 특성 모사를 통하여 복
사강제 특성을 보다 근본적으로 파악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나. 향후 거점측정지역으로 활용될 아이슬란드를 비롯한 환북극권 대기에어로졸 측
정자료 분석을 통한 북극권 지역의 에어로졸 및 기후변화 특성파악이 이루어
질 경우 북극권 대기환경에 대한 이해도를 증진시킬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다. 또한 복사 및 기후변화 모델의 정확도 향상 등 기존 에어로졸을 포함한 기후변
화 예측모델의 광학적 특성 모사 알고리즘의 개선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라. 기타 본 연구와 같은 기초 이론적 연구를 통하여 향후 보다 실용화된 연구의
기초적 이론적 토대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됨.

- 경제적․산업적 측면
가. 북극해 지역 에어로졸의 기후변화 특성을 파악하는데 정확도 향상 등의 기본적
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음.
나. 또한 인공위성 등 원격측정자료로부터 에어로졸의 영향을 해석하는데 보다 정
량적인 이론적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다. 기타 북극 대기환경 측정 자료 활용 및 연구를 통하여 북극권 내 관측거점의
효율적 운영과 활용성을 제고할 수 있고, 지속적 환경변화 감시를 통하여 북극
권 글로벌 이슈 해결 역량 강화 및 북극권 환경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기후변
화의 미래 예측정확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라. 장기적으로 극지환경 및 생태변화 관여 요소 등 거동 분석을 통한 실용성 창출

및 국가의 과학적 연구를 통하여 정치 외교적 성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31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고려대학교 위탁과제-4) 북극 툰드라에서의 온실기체 모니터링과 조절인자 규명


연구

1. 연구개발결과의 활용방안

극지에서의 대기-토양 생태계 간의 온실 기체의 모니터링은 동토 생태계에서 탄소


순환의 이해와 급격한 북극 환경 변화에 따른 메커니즘을 파악하는데 활용되어질 것이
며, 또한 모델링을 통한 검증 및 예측에 유용한 정보로써 사용된다. 나아가 전지구 기
후 모형에 활용될 지역급 모형을 보다 현실적으로 모사할 수 있도록 기후변화에 대한
극 지역의 영향을 설명하는 자료로서 제공한다.

2. 연구개발 결과의 기대효과

가. 기술적 측면
동토층에 특화된 지표-식생-토양 모델에 활용되고, 영구동토층 융해에 따른 미래기
후 시나리오를 제시할 수 있으며, 동토층의 구조와 유기물 분해 기작 및 이와 관련된
생태계의 특성의 이해는 향후 동토층 해빙에 의한 생태계 변화를 예측하고 이를 사전
에 조절, 관리, 예방하는 데 필요한 기초 정보로 확보된다.

나. 경제적․산업적 측면
향후의 북극권 자원탐사 등에 활용이 가능한 동토층 생태계 관련 기초 자료 제공하
고 극지 연구 인프라와 연계하여 보다 통합적인 극지 생태계 연구 기반 마련

- 31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 위탁과제-5) 위성 기반의 툰드라 지역 탄소와 물 플럭스 시공간


패턴 분석

1. 연구개발결과의 활용방안

○ 극지 자원 탐사
- MODIS 데이터를 활용하여 복사, 탄소 및 물 순환지도를 마들어 10년에 결친 1km 해
상도의 탄소와 물 플럭스 지도로부터 carbon sink hotspot등을 탐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MODIS 데이터를 활용하여 탄소와 물 순환을 주요 인자 분석

○ 지면모형 향상에 기여
- BESS모형 향상을 통한 극지 툰드라 지역의 탄소와 물 플럭스 예측력 높은 지면 모형
개발에 기여

2. 연구개발 결과의 기대효과

○ 기후변화에 따른 툰드라 생태계의 변화 이해


- 지구 온난화에 따른 생물계절의 변화, 그리고 탄소와 물 플럭스의 변화를 이해하는데
기여
-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피복의 변화와 그에 따른 플럭스 변화 이해

- 31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인천대학교 위탁과제-6) 대기이동궤적 자료를 활용한 환북극 동토-대기-해상


의 기후냉각물질 주요발생원 추적 연구

1. 연구개발결과의 활용방안

- 북극 지역을 대상으로 한 성공적 연구수행은 향후 남극연구로 확장 가능


- 자연발생의 기후냉각물질 뿐만 아니라, 인위적으로 배출된 물질들의 남북극권 이동
경로 파악에 활용
- 기후냉각물질 발생 또는 제거 지역을 탐색하여 지구공학(geo-engineering)의 수단으로
활용 가능
- 환북극 지역의 환경 및 생태계 중요성을 피력하는 수단으로 활용 가능

2. 연구개발 결과의 기대효과

구분 기대 효과

- 기후냉각물질이 북극환경 및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및 기후변화


피드백으로서의 역할 이해 향상
- 기후변화 연구 인력 양성으로 미래 국가 역량 향상
기술적 측면 - 과거 연구/조사 자료들을 연계 분석하여, 이미 투입된 국가연구개
발사업 예산의 효율성 재고
- 국제공동협력을 통한 선진 연구그룹 진입 및 기술격차 해소
- 기후변화 예측 능력의 향상

- 기후변화 예측능력의 불확실성 감소로 인한, 국가적 차원의 기후


변화 대응력의 향상, 관련 비용의 감소
경제적 산업적 - 선제적 기후변화 대응을 통한 사회 경제적 충격 완화 및 미래 불
측면 확실성 감소로 인한 투자 확대
- 북극 연구의 활발한 수행을 통한 추가 연구 거점 확보 및 남북극
의 연구영토 확대

- 31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한양대학교 위탁과제-7) ICT 기반의 융복합 극지 환경 관측 시스템 개발

1. 연구개발결과의 활용방안

◦ 현장용 센서 및 계측시스템은 극지 환경에 설치하고 실제 운영하면서 장기간 사


용에 따른 신뢰성 평가 후 모든 개발품을 국산화 추진
◦ 향후 다양한 제품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기능별로 모듈 화하여 개발
◦ 본 개발 기술 및 제품은 극지 뿐 아니라 해양사막밀림 등 전원과 통신이 미치지
못하는 환경을 계측하여 기후 변화를 오랜 기간 원격으로 실시간 관찰 할 수 있음
◦ 본연구로 개발된 로거 및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및 요소 기술 등은 자체 또는 좀
더 발전된 모습으로 향후 진보된 시대에 광역의 기후․환경 정보를 수집하
IoT

는 다양한 분야에 사용 가능함

2. 연구개발 결과의 기대효과

구분 기대 효과

◦ 향후 다양한 제품으로 변형․발전할 수 있도록 기능별로 모


듈 화하여 개발
기술적 측면 ◦ 상용되는 통신과 전력이 없는 극한 지역에서 실시간 원격
탐지가 가능
◦ 과학자도 손쉽게 네트워크 확장이 가능
◦ 로거 등 수입 핵심 제품을 국산화함으로써 수입 대치 효과
및 수출 기대
◦ 자체 생산을 통한 일자리 증대 효과
경제적 산업적 측면 ◦ 연구자의 잦은 출장에 따른 기회비용 극대화 효과
◦ 연구자의 방문에 따른 자연 오염 최소화
◦ 고정밀 실시간 기후 관측은 극지 뿐 아니라 국내외 모든 곳
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며 필요성은 날로 증대되는 추세임

- 31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31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32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IEEE Std 802.15.4™-2006 Part 15.4 : Wireless Medium Access Control(MAC) and
Physical Layer (PHY)Specifications for Low-Rat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s).
○ ZIGBEE SPECIFICATION : ZigBee Document 053474r17.
○ Ung Heo“Gateway Architecture for Ubiquitous Access to ZigBee-Based Sensor
Networks”.
○ ZigBee Alliance, www.zigbee.org.
○ Chi Kwan Lee; Sinan Li; Hui, S.Y.; , "A design methodology for smart LED lighting
systems powered by weakly regulated renewable power grids," Smart Grid, IEEE
Transactions on , vol.2, no.3, pp.548-554, Sept. 2011 doi: 10.1109/TSG.2011.2159631.
○ Drew Gislason, “ZigBee Wireless Networking”.
○ Shahin Farahani, “ZigBee Wireless Networks and Transceivers”.
○ Ata Elahi, Ph.D. with Adam Gschwender, “ZigBee Wireless Sensor and Control
Network”.
○ Ember Corporation, EmberZNet Application Developer’s Reference Manual,
October 2009.
○ Analog Devices, http://www.analog.com/
○ ember, http://www.ember.com/
○ DaintreeNetworks, http://www.daintree.net/
○ NAL research corporation, http://www.nalresearch.com/
○ 국제동토층네트워크 (Global Terrestrial Network on Permafrost) : 국제영구동토층협
회 (International Permafrost Association, IPA) 주도하에 1990년대 시작된 민간 동토
층모니터링 네트워크로서 전지구지표관측망 (Global Terrestrial Observing Network,
GTOS) 및 전지구기후관측시스템 (Global Climate Observation System, GCOS) 조직
과 연계되어 있음
○ GTN-P 는 기존에 주로 미국, 캐나다, 러시아 대학 및 연구소에 의해 운영되던
CALM (Circumpolar Active Layer Monitoring) 및 TSP (Thermal State of

Permafrost)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하되 시공간적 대표성을 보완하고 체계적인 모니


터링 체제로 전환하기 위해 제안되었음
○ 2013 년 5 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된 제 1 차 GTN-P 워크샵에서는 GTN-P 데이터
베이스시스템을 공개하였고 우선적으로 2012 년부터의 전지구 동토층 모니터링 자료
를 이 DB 에 저장/품질관리/배포하도록 구성하기로 하였음
○ 본 과제와 관련하여 환북극 동토층 환경변화 모니터링 데이터를 GTN-P 와 연계한다면

- 32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기존의 동토층 모니터링 데이터를 확보하고 동토층 모니터링 수준을 빠른 시일내에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기술명 기술 상태 선진국 대비 수준
스웨덴의 lund university, 미국의 harvard
식생 모델 개발 에서는 상세 격자로 식생을 모의할
university
10%
기술 수 있는 식생 모델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
나, 우리나라는 아직 초기 단계임
미국의 Univ. Alaska 나 Russia의
Fairbank

Petersburg State University에서는 북극권의


북극권 식생 변화
장기간 식생변화를 관측하고 기후 변화와의 20%
분석 기술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초기 단계임
미국, 유럽 등 많은 나라의 연구기관에서 접
식생/지면/해양-
합 모델 개발을 진행 중이나 그 초점이 극지
대기 모델 접합 80%
에 맞춰져 있지 않아, 선진국과의 격차가 크
기술
지 않음

- 32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광주과기원 위탁과제-2) 극지 대기오염 및 기후변화 연구를 위한 대기질 모델


링 시스템 개발 및 활용

1. 북극 빙하, 유라시아 강설과 중국 haze 발생 관련성


북반구 대륙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과 이들 오염물질이 대기광화학 반응을 통해 생성되
는 2차 오염물질은 각각 오염물질의 소멸시간에 따라 장거리 이동하여 풍하측, 혹은 북극
지역의 대기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와는 반대로, 최근, 조지아 공대 Y.
Wang 교수 연구팀의 연구(Zou et al., 2017)에서는 북극의 환경조건변화에 따라 동아시아
지역의 대기질에 미치는 영향을 소개한 것이다. 이들 연구자에 따르면, 북극의 빙하 감소
와 유라시아의 강설 변화가 계절풍의 약화를 야기하였고, 이러 인해 동아시아의 공기의 흐
름이 정체되어, 2013년 겨울 이례적으로 심각한 haze를 야기한 것으로 보고 있다. 아래
Fig. 1에는 2013년 1월의 대기가 정체되었음을 나타내는 NCEP 분석 자료로, 그림 왼쪽에
음의 값 (풍속 anomaly)은 수평적으로 약화된 확산을 의미하고, 그림 오른쪽에 양의 값 (잠
온변화 anomaly)는 약화된 대류와 함께 안정적인 대기조건을 의미하는 것이다. 해빙의 감
소 추세가 지속되면, 겨울철 심각한 haze는 더욱 빈번하게 발생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해당 연구를 통해, 북극지역의 환경변화가 동아시아 지역 대기질에 이례적으로 심각한 영
향을 미치고 있어, 동아시아 지역 대기질 연구를 위해서 북극지역의 대기환경 변화에 관한
연구도 함께 병행되어야 됨을 시사한다.

Fig. 1. 2013년 1월 지표 정규 WSI (wind speed index, 좌) 및 ATGI (air


temperature gradient index, 우)의 공간분포 (Zhou et al., 2017).

- 32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고려대학교 위탁과제-4) 북극 툰드라에서의 온실기체 모니터링과 조절인자


규명 연구

제 1절 알래스카 연구 관련 정보
1. Next-Generation Ecosystem Experiments (NGEE Arctic)
지구 시스템 모델을 이용하여 지면과 지면 아래의 과정들과 그들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정확하게 모사하고자, 미국의 알래스카 페어뱅스 대학, oak Ridge 국립연구소 등 여러 기
관들의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북극 툰드라를 대상으로 야외 현장과 실험실 그리고 관측과
다양한 규모의 모델링을 위하여 Next-Generation Ecosystem Experiments (NGEE Arctic) 프
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생태계 모델 개발을 지원하기 위하여 기반암에서부터 식생-군락-
대기 경계면에서 확장하는 과정에 중심을 두고 있다(Fig. 2). 알래스카 관측지 주변에서 이
루어지는 NGEE팀과 탄소 순환 및 관련 환경 인자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교류할 수 있는
기회와 정보를 교환하고 있다.

Fig. 2. Next-Generation Ecosystem Experiments (NGEE Arctic).

- 32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서울대학교 위탁과제-5) 위성 기반의 툰드라 지역 탄소와 물 플럭스 시공간


패턴 분석

MODIS 대기 (Collection 6) 와 육지 (Collection 5) 자료들 및 4가지 다른 인공 위성


영상, 재평가된 자료 그리고 3 가지 보조 자료를 입력자료로 서버에 다운로드했으며 총
35개의 입력 자료를 2000 –2016년 사이 구축을 했다:
- MOD04_L2 일단위 에어로졸 (dark target and deep blue combined aerosol optical
depth at 500m) 데이터), MOD6_L2 구름 (cloud optical thickness, cloud top pressure,
cloud top temperature, surface pressure and surface temperature) 데이터 (Sayer et
al., 2014)
- MOD/MYD07_L2 (total column precipitable water vapor and total ozone burden,
atmospheric profile) 데이터, MOD11A1 일단위 토지 표면 온도 (land surface
temperature) 데이터, MCD12Q1 토지 피복 타임 데이터 (Baum et al., 2012)
- MOD15A2 8일 간의 엽면적지수 (LAI) 데이터
- MCD43D61 알베도 데이터 (Roman et al., 2009)

- 32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워크샵 결과보고서
작성일 : 2016. 10. 14

부 서 명 극지기후과학연구부(주관) 일 시 2016.10.13
극지연구소 국제회의실
참가 인원 총 47 명 장 소
(연구지원동 2층) 및 1층 로비
○ 목적:
- 2016년도 극지기초원천기술개발사업 목표 대비 진도 및 성과점검, 진행
분석
- 향후 연구계획, 현장조사, 거점 관리 및 성과 창출을 위한 방안 등 논

○ 내용:
1) 한국연구재단 극지기초원천기술개발사업(CAPEC)의 약 5개월간의 1차
토의 주제 년도 수행내용 점검 및 분석, 잔여기간 업무 수행 논의
2) 2017년 사업의 전개 및 방향(연구계획, 거점 기반 현장조사, 거점 관
리, 성과 창출 등)수립 종합 토의
○ 참석자 : 소내 극지기후과학연구부, 극지생명과학연구부, 극지고환경연
구부, 북극해빙예측사업단, 극지유전체사업단 등 사업 참여자, 위탁사
업 참여자(광주과학기술원, 경인여대, 고려대, 서울대, 숭실대, 연세대,
인천대, 전남대) 및 외부 초청 전문가(한양대, 항공대, 지오북) 등 산·
학·연 기관 관계자)(세부사항은 별첨 참석자 명단 참조)

○ 극지기초원천기술개발사업 총괄 발표 및 수행 내용 점검
- 각 거점별 현장조사 및 연구내용
워크샵을 통한 - 각 내용별 성과 내용 점검
- 1차년도 잔여기간 수행내용 점검 및 토의
도출 결과
○ 극지기초원천기술개발사업 경제사회적 효과 분석(연구사업을 통해 산출된
결과와 최종목표 달성 고려하여 경제적 파급효과분석을 위한 이론적 틀
을 구축함으로서 극지연구 육성 정책수립의 근거 마련 필요성 등 토의)

건의 사항 등 없음

- 32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017년 극지기초원천기술개발사업
2차년도 연구착수 보고회의』(안)

2017. 03. 17.

- 32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환북극 동토층 환경변화 분석을 통한 미래


예측 및 유용물질 응용 기술 개발」사업
2차년도 연구착수 보고회의 (안)

1. 개 요

추진목적
❍ 미래부 사업 1단계 2차년도 연구의 효율적 진행을 위한
착수 보고와 이를 통한 진행 논의와 의견수렴, 시너지
창출 방안 모색
w 사업 전체 개요 및 선행연구 결과 보고
w 당해년도 연구계획
w 기대성과 및 활용방안 등

❍ 연구사업 효율화를 위한 의견수렴 및 자체 평가지표 수립


에 따른 세부 연구자 성과관리 방안논의
w 연구과제 성과 관리 방안

일시 및 장소
❍ 일 시 : 2017. 04. 07(금), 15:00∼21:00(만찬 연계)
❍ 장 소 : 극지연구소 국제회의실(연구지원동 2층)
❍ 참석대상 : 연구사업 책임자(총괄/세부/위탁) 및 참여
연구원, 연구재단 사업관련 관계자 및 극지연구소 사업
관리 관계자 등
주최 및 주관
❍ 주 최 : 극지연구소
❍ 후 원 :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연구재단

- 32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세부일정
발표자
시 간 발 표 주 제
(소 속 및 직 위 )
15:00∼15:30 (30′) 접수 및 개회
1부 : 환북극 동토층 환경변화 분석을 통한 미래 예측 및 유용물질 응용 기술
개발사업 총괄 발표
15:30∼15:50 (20′) 선행연구 결과 및 진행사항 종합 보고 이방용 (KOPRI)

2부 : 1차년 연구결과 보고 및 2차년 세부과제별 연구계획


1세부 북극권 동토 관측 거점을
활용한 환경변화 감시와 예측 이방용 (KOPRI)
(30′)
2세부 북극권 동토 생태계 변화 분석
15:50∼17:20 (90′) 기술 개발 김민철 (KOPRI)
(20′)
북극권 동토 관측 거점 유래
- 각 20∼30분 발표 - 3세부 고분자 유기탄소화합무
분해관련 유용 저온효소 이준혁 (KOPRI)
(세부과제별 위탁 포함) (20′)
활용연구
4세부 북극권 관측 거점 기반 미래
환경 예측 모델링 기술 개발 홍진규 (연세대)
(20′)
휴식 시간 (17:20∼17:30)

3부 : 질의응답 및 집중토의

17:30∼21:00 (30′) 질의 응답 및 집중 토의 (회의실 및 외부 식당 연계 시행)

- 32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참 고]
[

○ 논문게재 성과 :

저자명 SCI
국내/
게재 구분 Impact
논문명 교신저 공동저 학술지명 Vol.(No.) 국외
연도 주저자 (Y/
Factor

자 자 구분
N)

Lee,
Spatial characteristics of Bang-Yo
ecosystem respiration in Kim, Kim, ng, POLAR
2016
three tundra ecosystems of Yongwon Yongwon Suzuki, SCIENCE 10(3) 국외 Y 1.157
Rikie,
Alaska Kushida,
Keiji
Park,
Continuous measurement of Sang-Jo SCIENCE
soil carbon efflux with Bang-Y ng, Lee, OF THE
Kim,
2016 Forced Diffusion (FD)
Yongwon
ong Bang-Yo TOTAL 566(0) 국외 Y 3.976
chambers in a tundra Lee
ng, ENVIRONM
ecosystem of Alaska Risk, ENT
David
Min-Se
ob
Kim,
Kihong
Park,

Observational Hee-Jo
o Cho,
evidence for the Ki-Tae Atmosp
Kitack Jung-H
formation of heric
Park, Lee, o
2017 DMS-derived Young Kang, Chemist 17 국외 Y 5.114
Sehyun Jun Robert
aerosols during ry and
Yoon o
Arctic phyto- Jang Physics
Udisti,
plankton blooms Bang-Y
ong

Lee,
Kyung-
Hoon
Shin

- 33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D. C.
S.
Beddo
ws, P.
Tunve
d5, R.
Krejci,
J.
Str
H.-C.
ö m,

Hansso
n, Y. J.

Arctic sea ice melt M


´
. Yoon,

´
M . Ki-Tae Scientifi
leads to atmospheric D a l l
2017 D a l l Park, c 7 국외 Y 5.228
new particle Osto S.
Osto Repots
formation Becagli
, R.
Udisti,
T.
Onasch
, C. D.
O’Dow
d , R.
Sim
Roy
ó ,

M.
Harris
on

Seasonal variations

in physical 김연태 , Atmosp

characteristics of 강효진 , heric

2017 aerosol particles at 김재석 윤영준 최진희 , Chemist 17 국외 Y 5.114

the King Sejong 박기태 , ry and

Station, Antarctic 이방용 Physics


Peninsula

○ 학술회의 발표 실적 :

국내/국외 발표일
(YYYY.M 학술회의명 발표 제목 발표자 개최국
구분 M.DD)

한국기상학회 가을학술 북극해 해빙 감소와 고위도 침엽수림의 봄 고영대,정지


국내 201610 훈,박태원, 대한민국
발표대회 철 식생 변화 경향 정수종
조미현,양아
한국기상학회 가을학술 Vegetation Cloud Interaction in the 련,백은혁,
국내 201610 강사라,정수 대한민국
발표대회 Arctic Regions 종,김진영,
김백민
Namyi
Chae,
The 22nd International SOIL CO2 EFFLUX FROM SEMI-ARID Sang-Jong
Park,
국내 201605 Symposium on Polar TUNDRA AND MOIST TUNDRA IN THE Yongwon 대한민국
Sciences ARCTIC Kim,
Hojeong
Kang,

- 33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Young Jun
Yoon,
Taejin
Choi, Soon
Gyu Hong,
Larry
Hinzman,
Bang yong
Lee
Y. KIM,
Continuous measurement of soil carbon S.-J.
efflux with Forced Diffusion (FD) PARK,
국외 201606 Goldschmidt2016 일본
chambers in a tundra ecosystem of B.-Y. LEE,
Alaska AND D.
RISK

Integrated carbon Monitoring LAI, fPAR and NDVI using a


국외 201609 김종민 핀란드
observation system smart surface sensing system (4S)

American Geophysical How consistent are global long-term


국외 201612 Union (AGU) Fall satellite LAI products in terms of
Chongya 미국
Jiang
Meeting interannual variability and trend?

American Geophysical How much do different global GPP


국외 201612 Union (AGU) Fall products agree in distribution and 김소윤 미국
Meeting magnitude of GPP extremes?

Automatic monitoring of ecosystem


American Geophysical
국외 201612 structure and functions using integrated 김종민 미국
Union Fall Meeting
low-cost near surface sensors

Yongwon
Kim,
Sang-Jong
Park,
Baek-Min
Effects of soil warming on CO2 efflux in Kim,
American Geophysical
국외 201612 tundra soil: Response to a 2015 Mee-Hyun 미국
Union Fall Meeting Cho, Rikie
episodic event
Suzuki,
Bang-Yong
Lee and
John E
Walsh
최태진, 박
2017.11.1 상종, 이방
국내 한국농림기상학회 우리나라의 환북극 동토환경변화 연구
용, 윤영 대한민국
0
준, 윤주열
윤주열, 최
2017.11.1 광학 공동 적분 투과 분광법과 에디 태진, 강민
국내 한국농림기상학회 공분산 방법으로 논에서 관측된
석, 류영렬, 대한민국
0 아산화질소 플럭스
김준

○ 인력교류 성과 (*장기는 2개월 이상, 단기는 2개월 미만)


(1) 국내연구자의 해외 유출에 따른 인력교류 성과 (국내 해외 교류성과) →
기간 해당연구자 장/단
상대 비용 3)

구분 1)
상대기관명 (YYYY.MM~YYYY. 기
국 국적 성명 학위 2)
전공 (단위:천원)
MM) 구분
연구자파
미국 알래스카대학 20160920~20160929 한국 박상종 박사 대기과학 단기 7,000

- 33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해외연구자의 국내 유입에 따른 인력교류 성과 (해외 국내 교류성과) →


기간 해당연구자 장/단
비용 3)

구분 1)
방문기관명 (YYYY.MM~YYYY.M 최종학위 기
국적 성명 전공 (단위:천원)
M) 2)
구분
외국연
Paul
구자유 극지연구소 20170606~20170609 독일 박사 대기과학 단기 2,850
Zieger

외국연 Ra dov
구자유 극지연구소 20170606~20170609 체코 a n 박사 대기과학 단기 2,673

치 Krejci
정보교
극지연구소 20160609~20160609 한국 오유미 석사 대기과학 단기 3,000

정보교
극지연구소 20160609~20160609 한국 김형준 박사 산업공학 단기 2,000

1) 구분 : 외국연구자유치, 연구자파견, 정보교환, 기술연수, 위탁연구 등 간략히 기재
2) 학위 : 학사, 학사과정, 석사, 석사과정, 박사, 박사과정, 박사후연수 중 택일
3) 비용 : 해외 연구자를 유치하기 위해서 사용된 비용 (예: 자문료, 인건비 등)

○ MoU 체결

체결년월 체결명 MoU 체결기관 MoU 체결


(YYYY,MM) 대상국
201610 한-아이슬란드 북극공동연구 University of Iceland 아이슬랜드

201612 한-러 북극공동연구 AARI 러시아

- 33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정성적 연구 성과
대표성과 관련 그림 내용

•(분야) 대기과학
•(성과명) 상위 7% (IF 5.114) 이내 국외 SCI 저널 게재
(Observational evidence for the formation of
DMS-derived aerosols during Arctic phytoplankton
blooms, Park KT et al.,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2017, Vol 17. 9665-9675)
Ÿ (내용) 2015년 북극 스발바르 거점 (제플린 GAW 관
측소)에서 관측한 나노미터 크기의 입자 형성과 (크
기분포) 생물학적으로 생성된 황성분 농도의 상관 분

Ÿ (활용 가능성) 북극대기 입자 형성에 기여하는 생물군
의 역할을 세계 최초 관측적으로 증명
•(분야) 대기과학
•(성과명) 상위 11% (IF 5.228) 이내 국외 SCI 저널 게재
(Arctic sea ice melt leads to atmospheric new particle
formation, Dall’Osto et. al.(Y.J. Yoon), Scientific Repots,
2017, doi:10.1038/s41598-017-03328-1)
Ÿ (내용) 북극 해빙의 면적과 입자 형성 및 구름응결핵
의 상호연관성 규명을 위해, 북극 스발바르 거점(제플
린 GAW 관측소)에서 관측한 나노미터 크기의 입자
형성과 해빙의 면적, 그리고 구름응결핵의 수농도 증
가를 관측자료 이용하여 증명
Ÿ (활용 가능성) 북극권에서의 나노입자 거동연구의 활
성화 기대

대표성과 관련 그림 내용

• (분야) 국제공동 대기과학


• (성과명) 한-아이슬란드/한-러 간 국제 협약체결(LOU/MOU)
Ÿ (내용)
1) 아이슬란드 거점 추가 확보(한국(극지연구소/포항공
대)-아이슬란드(아이슬란드대학교 지구과학연구소)간
LOU 체결
- 연구협약서 (LoU) 체결(‘16.10월)
- DMS 분석 기기 설치(‘16.10-11월)
- 현장 방문 (‘16.10.23.~11.13)
2) 러시아 바라노바 거점 추가 확보(한국 극지연구소-
러시아 극지연구간 MOU 체결
- 협정서(MoU) 체결(‘16.12.)
- 거점 구축 (‘17.10.)
Ÿ (활용 가능성) 아이슬란드와 러시아에서의 북극권 환
경변화 연구 기반 확보 및 공동연구 구축

- 33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언론홍보-환경일보(기고) : 북극권 환경변화 모니터링의 중요성(‘17.7.6)


- 담당기자 : 서효림(shr8212@hkbs.co.kr)
- 기고자 : 극지연구소 이방용

- 33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부 록] 극지기초원천기술개발사업 경제사회적 효과 분석 시행

가. 분석기간 : 2016. 6∼11 (6개월)


나. 분석기관 : 한국항공대학교 경영학부 (이영수 교수팀)
다. 분석 내용 :
o 극지기초원천기술개발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을 위한 방법론 수립 및 분석
- 기존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방법론에 대한 검토
- 극지기초원천기술개발사업의 특성을 반영한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방법론 수립
o 극지기초원천기술개발사업의 경제·사회적 파급효과 분석결과 제시

라. 분석 결과(요약)

요약문
○ 본 연구는 극지기초원천기술개발사업(이하 동 사업으로 표기)의 경제사회적 효
과를 측정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이를 위해 편익논리모형을 도출하고, 예비타당성 평가에서 활용되는 편익산출방
법을 적용하여 극지원천기술개발사업의 경제적 편익을 산출하였음
- 북극 연구와 기후변화대응 간의 관계를 적용하여 경제사회적 효과를 산출하였음
- 비용효과분석 방법론을 적용하여 극지기초원천기술개발사업의 논문 질적 수준과
국가연구개발사업의 논문 수준을 비교하였음

<극지기초원천기술개발사업 편익도출 논리모형>

- 33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동 사업을 통해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성과는 세계최고수준의 무인측정시스템이


개발되었으며, 무인측정시스템의 센서 분야 시장 매출액을 편익으로 산정. 센서세
계시장전망 결과를 바탕으로 산출된 편익은 40.27억 원(현재 가치합계)임
○ 동 사업의 편익 분석 중 관심가질 수 있는 또 다른 편익은, 북극이사회 국가내 동
토 지역에 관측거점 확보에 따른 탐사 및 자료수집을 위한 출장비용 절감이며, 7
년 간 6.8억 원(현재가치합계)의 편익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남
○ 동 사업의 결과물을 바탕으로 기후변화 적응비용 절감을 경제사회적 파급효과로 산
정. 북극연구가 기후변화예측에 기여하는 정도(20%가정)를 적용하여 496억 원의 파
급효과가 산출되었음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10대 유형 중 SCI논문의 순위보정영향력지수가 가장 높은 유
형은 ‘국제협력’에 해당하며, 지수는 69.86으로 나타남. 반면 동 사업은 SCI논
문의 순위보정영향력지수가 92.79로 132.8%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상당히 우수한 결과라 할 수 있음
○ 동 사업은 북극권에서의 급변하는 환경변화를 진단하고 북극이사회 국가와의 효
과적 연구 수행을 위한 관측거점 구축과 더불어 북극이사회 정식 옵서버 국가의
위상을 확립하는데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음
- 이러한 국제적 위상 제고와 관련된 효과는 계량적으로 계측하기는 어려우나, 향
후 우리나라가 북극권에서의 경제활동을 수행할 때, 기초 환경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경제적 부가가치 창출 효과를 갖고 있는 등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됨

※ 비용효과분석

○ 극지기초원천기술개발사업은 초기단계인 2013년도를 제외하고, 상당히 우수한 수


준의 질적 성과를 기록하고 있음
- 논문의 순위보정영향력 지수가 가장 높은 ‘국제협력’유형과 비교했을 때, 본 사업
의 질적 수준은 국제협력 유형 지수 대비 2014년 130.1%, 2015년 136.6% 높은 것으
로 나타났음
○ 비용효과의 측면에서 본 사업은 상당히 높은 수준의 성과를 산출한 사업이라 판
단됨

- 33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18] 국가연구개발사업 논문 질적수준(mrnIF)과 비교


※ 출처:미래창조과학부(2016), 2016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목표·지표 점검 가이드라인
※ 자료:극지기초원천기술개발사업 mrnIF

- 33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부 록] Report on 2017 research activity in Council, Alaska

Researcher: Yongwon Kim


Affiliation: International Arctic Research Center (IARC) /
University of Alaska Fairbanks (UAF)
E-mail: kimywjp@gmail.com

1. June 05 to 13
a. June 05 (Mon): Move from Fairbanks to Nome; Pick-up of rental truck and
shipped materials such as solar panel, battery, steel packs, and etc. Measurement
of thaw depth.
b. June 06 (Tue): Retrieve data of FD
CO2fluxchamberinlichen,tussock,damagedtussock,sphagnummoss.Andalsoretrievedataof
environmentaldatasoilsuchastemperatureofairandsoilandsoilmoisture.Checkbatterycapac
ityineachsolarpanel.Insnowfence,thesnowdepthismuchhigherinLOWthanHIGH,andIhavet
ochangeLOW to HIGH and HIGH to LOW. Retrieve data of temperature and soil
moisture from snow fence and OTC chambers in the fence area.
c. June 07 (Wed): Retrieve data of heaved permafrost temperature, and rain gauge,
and soil temperature and soil moisture in disturbed sphagnum and tussock regime
and in the crustose lichen damaged sphagnum moss. Retrieve data of NDVI-b and
wind speed in control and damaged tussock tundra. However, the monitoring of
time-lapsed camera was not worked due to the shortage of battery.
d. June 08 (Thu): Installation of permafrost soil temperature system in control (C:
0 to 100 cm) near the existing heaved tube and in snow depth LOW (B: 0 to 170
cm) and HIGH (A: 0 to 160 cm). The temperature will be late start in June 10
2017 00:00 due to the stabilization after the installation. After the installation of
temperature sensors, I helped Mr. SJ Nam and Dr. MC Kim collect the 15 soil
core samples by ca. 100 cm.
e. June 09 (Fri): Conduct soil CO2 flux-measurement in disturbed sphagnum (9)
and tussock (9), and 25 points (10 x 10 m) within 40 X 40 m plot.
f. June 10-11 (Sat and Sun): Arrange the retrieved data due to the heavy rainfall.
g. June 12 (Mon): Measure thaw depth after the heavy rainfall event. Retrieve the
out-of-ordered FD chamber in sphagnum moss and install the FD chamber in
lichen to sphagnum (June 12 2017 14:30 measuring start). I change my schedule
of July13-18, August 4-9, and September 8-22 due to the support of the KOPRI
scientist’s activity. Need to repair FD chamber.
h. June 13 (Tue): Return to Fairbanks

- 33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July 13 to 18
a. July 13 (Thu): Move from Fairbanks to Nome and arrival of Nome on 12:00 PM;
Download FD chamber data and re-install the FD chamber on the lichen regime;
check the voltages of solar panels and batteries. Measure thaw depth at 81 points
within 40 x 40 m plot; Retrieve permafrost temperature at control (97 cm below
surface and 43 cm above surface), A (snow depth High to Low; 160 cm), and A
(snow depth Low to High; 170 cm) from June 20 2017 to now due to the
unstable condition.
b. July 14 (Fir): Meet Dr. Craig Ulrich (culrich@lbl.gov; 551-998-7909 cell) on
geoposition (thaw depth, resistivity: ER Line) for long-term monitor of thaw
depth on June to September. Conduct soil CO2 flux-measurement in disturbed
sphagnum (9) and tussock (9), and 25 points (10 x 10 m) within 40 X 40 m
plot. During the flux-measurement at 25 points, CO2 analyzer was suddenly out
of order. According to the troubleshooting of Li-820, the detect might be out of
order due to the zero CO2 concentration and normal temperature and pressure in
the laptop.
c. July 15 (Sat): Check the diagnosis of Li-820 analyzer. Dr. Chae’s autochamber
(#13) was not worked and put the plate on the Dr. Park’s battery box.
d. July 16 (Sun): Send e-mail to the Licor technician on the symptom and arrange
the data.
e. July 17 (Mon): Arrange the data due to heavy rainfall.
f. July 18 (Tue): Return to Fairbanks

Preparation of August: 1 FD chamber for intact sphagnum moss near disturbed


sphagnum; 9V battery for thermometer

3. August 4 to 9
a. August 4 (Fri): Move to Fairbanks, meet Drs. Bang-Yong Lee and Gun-Bo Park
in Nome airport and rent a pick-up truck on late day.
b. August 5 (Sat): Guide Drs. Yong-Pyo Kim (Ehwa Woman Univ. and Yi Giyi
(Chosun Univ.), Bang-Yong Lee to the Council site. Install the new FD chamber
in intact sphagnum moss and measure thaw depth at 81 points of 40 m x 40 m
plot.
c. August 6 (Sun): Calibrate the Licor-820 with zero and 386 ppm CO2 standard
gas, the display was not changed despite of the flow of CO2 standard gas. Need
to repair the Licor-820.

- 34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d. August 7 (Mon): Conduct soil CO2 flux-measurement in disturbed sphagnum (9)


and tussock (9), and 25 points (10 x 10 m) within 40 X 40 m plot.
e. August 8 (Tue): Measure the thaw depth from 200 m to 300 m through the
ERT transect. Return the rental pick-up truck.
f. Return to Fairbanks

4. September 8 to 22
a. September 8 (Fri): Move to Fairbanks, and rent a pick-up truck.
Data-retrieval of 2 FD chambers in snow fence; however, the detached
chamber bases from the soil from July 13 to September 8 2017.
Installation of new 2 FD chambers on the sphagnum community in snow
low and high sides.
b. September 9 (Sat): Meet the NGEE team members on permafrost and soil
heating groups. Measurement of CO2 efflux in disturbed sphagnum and
tussock, and 25 points (10 X 10 m interval) with measurements of soil
temperature and moisture. Measurement of thaw depth at 81 points.
c. September 10 (Sun): Retrieval of 7 FD chamber in lichen, sphagnum (two
intact, crustose lichen, and disturbed) and tussock (intact and disturbed)
within 40 X 40 m plot. Ihavemonitored11FDchambersintheCouncil.
d. September 11 (Mon): Request the shipping of commercial AA lithium
battery to Nome (UAF NWC) due to pick-up of Alaska Air while trip in
Fairbanks. Alex (GI/UAF) will handle the battery on September 12 after
the permission of purchasing requisition. Data processing from the retrieved
FD chambers and environmental parameters (temperature).
e. September 12 (Tue): Retrieved data processing due to heavy rainfall in
Council. Dr. Chae arrived at Nome.
f. September 13 (Wed): Retrieval of environmental data (soil temperature and
soil moisture) in sphagnum and lichen regimes, and rain gauge, and heaved
permafrost temperature (50, 70, 83, and 93 cm); Installation of FD
chamber bases (10; 2 tussock; 2 lichen; each 2 disturbed
tussock/sphagnum; 2 sphagnum) and support poles (8); Installation of soda
lime bases (2 snow fence (sphagnum), 2 lichen, 2 tussock, and 2
sphagnum) near FD chamber monitoring points
g. September 14 (Thu): Retrieval of NDVI at intact and disturbed tussock
communities and wind speed at intact sphagnum regime; Re-installation of
time-lapsed cameras in intact and disturbed areas and for snow depth
wrapped with Ziploc bags for the protection of rain/snow precipitation.

- 34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Shipping lithium AA battery via Northern Air Cargo (NAC:


907-474-9606). Retrieval of permafrost temperature data from 1
(bottom) to 15 (top); 1 (95 cm), 2 (85 cm), 3 (75 cm: bad sensor), 4
(65 cm) / 5 (55 cm), 6 (45 cm), 7 (35 cm: bad sensor), 8 (25 cm: bad
sensor) / 9 (15 cm), 10 (5 cm), 11 (5 cm above the surface), 12 (15 cm
above the surface) / 13 (25 cm above the surface), 14 (35 cm above the
surface), 15 (45 cm above the surface); SM logger has strange with 4 SM
sensors at the disturbed tussock regime; Dividetwologgersisbetterthanfour.
h. September 15 (Fri): Waiting for the package of lithium AA battery from
NAC; retrieved data processing.
i. September 16 (Sat): Retrieval of environmental data (ST and SM) and
permafrost temperature in snow fence of high and low snow depth, images
of time-lapsed camera in high snow depth; but no images in low snow
depth due to the out of battery. Download of air temperature, soil
temperature of lichen, sphagnum, and tussock at 5 cm depth below the
surface, and of soil temperature and soil moisture in crustose lichen
regime. Installation of time-lapsed cameras in snow fence.
j. September 17 (Sun): Processing of retrieved data due to the heavy
rainfall.
k. September 18 (Mon): Arrangement of every scientific material.
l. September 19 (Tue): Return to Fairbanks

- 34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7장
참고문헌

- 34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34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Shaw G. E. (1986) Cloud condensation nuclei associated with Arctic haze, Atmospheric
Environment, 20, 1453-1456.
Arnold, S. R., D. V. Spracklen, S. Gebhardt, T. Custer, J. Williams, I. Peeken, and S.
Alvain (2010), Relationships between atmospheric organic compounds and air‐mass
exposure to marine biology, Environ. Chem., 7(3), 232–241, doi:10.1071/EN09144.
Arrigo, K. R., G. van Dijken, and S. Pabi (2008), Impact of a shrinking Arctic ice
cover on marine primary production, Geophys. Res. Lett., 35, L19603,
doi:10.1029/2008GL035028.
Dacey, J. W. H., and S. G. Wakeham (1986), Oceanic dimethylsulfide: production during
zooplankton grazing on phytoplankton, Science, 233, 1314–1316,
doi:10.1126/science.233.4770.1314.
Draxler, R. R., and G. D. Hess (1998), An overview of the HYSPLIT_4 modelling
system for trajectories, dispersion and deposition, Aust. Meteorol. Mag., 47(4),
295–308.
Keller, M. D., W. K. Bellows, and R. R. L. Guillard (1989), Dimethylsulfide production
in marine phytoplankton, in Biogenic sulfur in the environment, pp. 167-182,
edited by E. S. Saltzman, and E. M. Cooper,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 C.
Leck, C., and C. Persson (1996), Seasonal and short term variability in dimethyl sulfide,
sulfur oxide and biogenic sulfur and sea salt aerosol particles in the Arctic
marine boundary layer during summer and autumn, Tellus, 48B, 272–299,
doi:10.1034/j.1600-0889.48.issue2.1.x.
Park, K.-T., K. Lee, Y.-J. Yoon, H.-W. Lee, H.-C. Kim, B.-Y. Lee, O. Hermansen.,
T.-W. Kim, and H. Kim (2013), Linking atmospheric dimethyl sulfide (DMS) and
the Arctic Ocean spring bloom, Geophys. Res. Lett., 40. 1–6,
doi:10.1029/2012GL054560.
Park, K.-T, K. Lee, K. Shin, H. J. Jeong, and K. Y. Kim (2014), Improved method for
minimizing sulfur loss in analysis of particulate organic sulfur, Anal. Chem.,
86(3), 1352–1356. doi:10.1021/ac403649m.
Sharma, S., L. A. Barrie, D. Plummer, J. C. McConnell, P. C. Brickell, M. Levasseur, M.
Gosselin, and T. S. Bates (1999), Flux estimation of oceanic dimethyl sulphide
around North America, J. Geophys. Res., 104(D17), 21,327–21,342,
doi:10.1029/1999JD900207.
Stefels, J., M. Steinke, S. Turner, G. Malin, and S. Belviso (2007), Environmental
constraints on the production and removal of the climatically active gas
dimethylsulphide (DMS) and implications for ecosystem modeling, Biogeochemistry,
83(1), 245-275, doi:10.1007/s10533-007-9091-5.

- 34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Sunda W, D. J. Kieber, R. P. Kiene, and S. Huntsman (2002), An antioxidant function


for DMSP and DMS in marine algae, Nature, 418, 317–319,
doi:10.1038/nature00851.
Zemmelink, H. J., J. W. H. Dacey, E. J. Hintsa, W. R. McGillis, W. W. C. Gieskes, W.
Klaassen, H. W. de Groot, and H. J. W. de Baar (2004), Fluxes and gas transfer
rates of the biogenic trace gas DMS derived from atmospheric gradients, J.
Geophys. Res., 109, C08S10, doi:10.1029/2003JC001795.
Burba, G.G., Anderson, D.J., Xu, L., McDermitt, D.K., 2006. Additional term in the
Webb-Pearman-Leuning correction due to surface heating from an open-path
gas analyzer. Eos Trans. AGU 87 (52), Fall Meet. Suppl., C12A-03.
Grelle A, Burba GG (2007) Fine-wire thermometer to correct CO2 fluxes by open-path
analyzers for artificial density fluctuations.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47, 48–57.
Nguyen, Q.T. H. Skov, L. L. Sørensen, B. J. Jensen, A. G. Grube, A. Massling, M.
Glasius, and J. K. Nøjgaard (2013) Source apportionment of particles at Station
Nord, North East Greenland during 2008-2010 using COPREM and PMF analysis,
Atmos. Chem. Phys., 13, 35-49, 2013
Webb EK, Pearman GI, Leuning R (1980) Correction of flux measurements for density
effects due to heat and water vapour transfer. Quarterly Journal of Royal
Meteorological Society, 106, 85–100.
K. Eleftheriadis, S. Vratolis,1 and S. Nyeki, 2009, “Aerosol black carbon in the European
Arctic: Measurements at Zeppelin station, Ny-Ålesund, Svalbard from 1998–2007”,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6
곽진철, 2000, 풍화에 의한 편마암의 물성변화에 대한 연구, 강원대학교 석사논문, 91p.
곽진철, 백환조, 2000, 풍화에 의한 국내 편마암체의 지질공학적 물성의 변화, 한국자원
공학회지, 37, pp.262-271
김성수, 박형동, 1999, 인공풍화 실험을 이용한 석재 물성의 변화 연구, 한국자원공학회
지, 36, pp.141-149
김영석, 홍승서, 배규진. 2010. 남극 제2 과학기지(장보고)건설. 한국지반공학회지 제 26
권 10호, pp.12-20
박연준, 유광호, 양광용, 우 익, 박 찬, 송원경. 2003. 동결-융해 시험에 의한 화강암의
풍화 특성 연구, 한국암반공학회지 제 13권 3호, pp.215-224
류성훈, 송재준 2010. 극지 암석의 역학적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동향. 한국암반공학회
지 제 20권 4호, pp.241-251
엄정기, 신미경, 2009 경남 함안군 백악기 이암의 동결-융해에 따른 물성변화 및 미세
균열 발현 특성, 한국암반공학회지 제19권 2호, pp.146-147
일본토질공학회, 1989, 암석 암반의 조사와 시험, 671p.

- 34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장현식, 장보안, 이준성 2004. 강원도 횡성군 풍암분지 백악기 셰일의 동결-융해에 따른
지질공학적 특성 변화. 지질공학회지, 제 14권 4호, 402p.
Bortz, S., Stech, J., Wonneberger, B. and Chin I., 1993, Accelerated weathering in
building stone, International Journal of Rock Mechanics and Mining Sciences,
30, pp.1559-1562
Bortz, S. and Wonneberger, B., 1995, Durability testing of thin stone, Proc. of 35th U.S
Symposium, pp.373-378
DAWN T. NICHOLSON AND FRANK H. NICHOLSON, 2000, Physical deterioration of
sedimentary rocks subjected to experimental freeze-thaw weathering. Earth
surf landforms 25 pp.1295-1307
Dearman. W.R., 1974, Weathering classification in the characterization of rock for
engineering purpose in British paractice, Int. Ass. Eng. Geol. Bull., 9, pp.33-42
ISRM. 1981, Rock characterization testing & monitoring(ISRM suggested method), E.T.
Brown ed., Pergamon Press. p.211
ISRM. 1981, Basic geotechnical description of rock masses, International Journal of
Rock Mechanics and Mining Sciences & Geomechanics Abstracts, 22, pp.51-60
Park, H.D., 1996, Assessment of the geotechnical properties of the weathered rocks at
historical monuments in korea, proc. of EUROCK'96, Torino, Italy,
pp.1413-1416
PUAL A. HALE., ABDUL SHAKOOR 2003. A Laboratory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Cyclic Heating and Cooling, Wetting and Drying, and Freezing and Thawing
o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Selected Sandstones. Enviromental &
Engineering Geoscience Vol.9 No.2, pp.117-130

(광주과기원 위탁과제-1)

Behrenfeldt, U., R. Krejci, J. Strom and A. Stohl (2008). "Chemical properties of Arctic
aerosol particles collected at the Zeppelin station during the aerosol transition
period in May and June of 2004."
Tellus,SeriesB:ChemicalandPhysicalMeteorology60 B(3): 405-415.
Frossard, A. A., P. M. Shaw, L. M. Russell, J. H. Kroll, M. R. Canagaratna, D. R.
Worsnop, P. K. Quinn and T. S. Bates (2011). "Springtime Arctic haze
contributions of submicron organic particles from European and Asian combustion
sources." JournalofGeophysicalResearchD:Atmospheres116(5).
Hansen, J. and L. Nazarenko (2004). "Soot climate forcing via snow and ice
albedos."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101(2): 423-428.

- 34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Hirdman, D., J. F. Burkhart, H. Sodemann, S. Eckhardt, A. Jefferson, P. K. Quinn, S.


Sharma, J. Strom and A. Stohl (2010). "Long-term trends of black carbon and
sulphate aerosol in the Arctic: Changes in atmospheric transport and source
region emissions." AtmosphericChemistryandPhysics10(19): 9351-9368
Serreze, M. C. and R. G. Barry (2011). "Processes and impacts of Arctic amplification:
A research synthesis." GlobalandPlanetaryChange77(1-2): 85-96.

(광주과기원 위탁과제-2)
Amiro, B. D., Todd, J. B.,Wotton, B. M., Logan, K. A., Flannigan, M. D., Stocks, B. J., Mason, J.
A., Martell, D. L., and Hirsch, K. G.: Direct carbon emissions from Canadian forest fires,
1959– 1999, Can. J. Forest Res. 31, 512–525, 2001.
Barrie, L. A., and Hoff, R. M: Five years of air chemistry observations in the Arctic, Atmos.
Environ., 19, 1995–2010, 1985.
Brock, C. A., Radke, L.F., Lyons, J. H., and Hobbs, P. V.: Arctic hazes in summer over
Greenland and the North American Arctic, I, Incidence and origins, J. Atmos. Chem. 9, 129
–148, 1989.
Brock, C. A., Cozic, J., Bahreini, R., Froyd, K. D., Middlebrook, A. M., McComiskey, A., Brioude,
J., Cooper, O. R., Stohl, A., Aikin, K. C., de Gouw, J. A., Fahey, D. W., Ferrare, R. A.,
Gao, R.-S., Gore, W., Holloway, J. S., Hübler, G., Jefferson, A., Lack, D. A., Lance, S.,
Moore, R. H., Murphy, D. M., Nenes, A., Novelli, P. C., Nowak, J. B., Ogren, J. A., Peischl,
J., Pierce, R. B., Pilewskie, P., Quinn, P. K., Ryerson, T. B., Schmidt, K. S., Schwarz, J. P.,
Sodemann, H., Spackman, J. R., Stark, H., Thomson, D. S., Thornberry, T., Veres, P.,
Watts, L. A., Warneke, C., and Wollny, A. G.: Characteristics, sources, and transport of
aerosols measured in spring 2008 during the aerosol, radiation, and cloud processes
affecting Arctic Climate (ARCPAC) Project, Atmos. Chem. Phys., 11, 2423-2453,
doi:10.5194/acp-11-2423-2011, 2011.
Byun, D. W., and Ching, J. K. S.: Science algorithms of the EPA Model-3 Community Multiscale
Air Quality (CMAQ) modling system, EPA-6000/R-99/30, 1999.
Carter, W. P. L.: Development of the SAPRC-07 Chemical Mechanism, Atmospheric
Environment, 44, 5324-5335, 2010.
Carter, W. P. L.: Development of a Condensed SAPRC-07 Chemical Mechanism,
Atmospheric Environment, 44, 5336-5345, 2010).
Christensen, J. H., Hewitson, B., Busuioc, A., et al.: Regional Climate Projections, in: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edited by: Solomon,
S., Qin, D., Manning, M., et al.,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 34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York, NY, USA, 2007.


Klimont, Z., Smith, S. J. and Cofala, J.: The last decade of global anthropogenic sulfur
dioxide: 2000–2011 emissions, DOI:10.1088/1748-9326/8/1/014003 ,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8 (1) : 014003, 2013.
Colarco, P. R., Schoeberl, M. R., Doddridge, B. G., Marufu, L. T., Torres, O., and Welton, E. J. :
Transport of smoke from Canadian forest fires to the surface near Washington, D.C.:
injection height, entrainment and optical properties. J. Geophys. Res., 109, D06203,
doi:10.1029/2003JD004248, 2004.
Curry, J., Schramm, J., and Ebert, E.: Sea ice-albedo climate feedback mechanism, J. Climate, 8,
240–247, 1995.
de Villiers, R. A., Ancellet, G., Pelon, J., Quennehen, B., Schwarzenboeck, A., Gayet, J. F., and
Law, K. S.: Airborne measurements of aerosol optical properties related to early spring
transport of mid-latitude sources into the Arctic, Atmos. Chem. Phys., 10, 5011-5030,
doi:10.5194/acp-10-5011-2010, 2010.
Flannigan, M. D., Logan, K. A., Amiro, B. D., Skinner, W. R., and Stocks, B. J.: Future area
burned in Canada, Clim. Change, 72,1–16, 2005.
Frossard, A. A., Shaw, P. M., Russell, L. M., Kroll, J. H., Canagaratna, M. R., Worsnop, D. R.,
Quinn, P. K., and Bates, T. S.: Springtime Arctic haze contributions of submicron organic
particles from European and Asian combustion sources, J. Geophys. Res., 116, D05 205,
doi:10.1029/2010JD015 178, 2011.
Fuelberg, H. E., Harrigan, D. L., and Sessions, W.: A meteorological overview of the ARCTAS
2008 mission, Atmos. Chem. Phys., 10, 817-842, doi:10.5194/acp-10-817-2010, 2010.
Gayet, J.-F., Mioche, G., Dörnbrack, A., Ehrlich, A., Lampert, A., and Wendisch, M.:
Microphys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Arctic mixed-phase clouds. The 9 April 2007 case
study., Atmos. Chem. Phys., 9, 6581-6595, doi:10.5194/acp-9-6581-2009, 2009.
Gillett, N. P., A. J. Weaver, F. W. Zwiers, and Flannigan, M. D.: Detecting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on Canadian forest fires. Geophys. Res. Lett., 31, L18211,
doi:10.1029/2004GL020876, 2004.
Girardin, M. P: Interannual to decadal changes in area burned in Canada from 1781 to 1982 and
the relationship to Northern Hemisphere land temperatures, Global Ecol. Biogeogr., 16, 557
–566, 2007.
Granier, C., Niemeier, U., Jungclaus, J. H., Emmons, L., Hess, P., Lamarque, J., Walters, S., and
Brasseur, G. P.: Ozone pollution from future ship traffic in the Arctic northern passage,
Geophys. Res. Lett., 33, L13807, doi:10.1029/2006GL026180, 2006.
Hirdman, D., Burkhart, J. F., Sodemann, H., Eckhardt, S., Jefferson, A., Quinn, P. K., Sharma, S.,
Ström, J., and Stohl, A.: Long-term trends of black carbon and sulphate aerosol in the
Arctic: changes in atmospheric transport and source region emissions, Atmos. Chem. Phys.,

- 34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10, 9351-9368, doi:10.5194/acp-10-9351-2010, 2010.


Hӧglund-Isaksson, L.: Global anthropogenic methane emissions 2005–2030: technical
mitigation potentials and costs, DOI:10.1088/1748-9326/8/1/014003,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12 : 9079-9096, 2012.
Huang, L., Gong, S. L., Jia, C. G., and Lavouȇ, D., Relative contributions of
anthropogenic emissions to black carbon aerosol in the Arctic, J. Geophys. Res.,
115:D17207, 2010.
Hong, S.-Y., Dudhia, J., and Chen, S.-H.: A revised approach to ice microphysical processes or
the bulk parameterization of clouds and precipitation. Mon. Wea. Rev., 132, 103–120, 2004.
Hong, S. Y., Noh, Y., and Dudhia, J.: A new vertical diffusion package with an explicit
treatment of entrainment processes, Mon. Weather Rev., 134(9), 2318–2341,
doi:10.1175/Mwr3199.1, 2006.
Iacono, M. J., Delamere, J. S., Mlawer, E. J., Shephard, M. W., Clough, S. A., and Collins, W. D.:
Radiative forcing by long-lived greenhouse gases: calculations with the AER radiative
transfer models, J. Geophys. Res., 113, D13103, doi:10.1029/2008JD009944, 2008.
Jacob, D. J., Crawford, J. H., Maring, H., Clarke, A. D., Dibb, J. E., Emmons, L. K., Ferrare, R.
A., Hostetler, C. A., Russell, P. B., Singh, H. B., Thompson, A. M., Shaw, G. E., McCauley,
E., Pederson, J. R., and Fisher, J. A.: The Arctic Research of the Composition of the
Troposphere from Aircraft and Satellites (ARCTAS) mission: design, execution, and first
results, Atmos. Chem. Phys., 10, 5191-5212, doi:10.5194/acp-10-5191-2010, 2010.
Kain, J. S.: The Kain–Fritsch convective parameterization scheme: An update. J. Appl. Meteor.,
43, 170–181, 2004.
Klonecki, A., Hess, P., Emmons, L., Smith, L., and Orlando, J.: Seasonal changes in the transport
of pollutants into the Arctic troposphere – model study, J. Geophys. Res., 108, 8367,
doi:10.1029/2002JD002199, 2003.
Koch, D. and Hansen, J.: Distant origins of Arctic black carbon: a Goddard Institute of Space
Studies Model E experiment, J. Geophys. Res., 110, D04204, doi:10.1029/2004JD005296, 2005.
Law, K. S., and Stohl, A.: Arctic air pollution: origins and impacts, Science, 315, 1537–1540, 2007.
Law, K. S., Stohl, A., Quinn, P. K., Brock, C. A., Burkhart, J. F., Paris, J., Ancellet, G.,
Singh, H. B., Roiger, A., Schlager, H., Dibb, J., Jacob, D. J., Arnold, S. R., Pelon,
J., and Thomas, J. L.: Arctic Air Pollution: New Insights from POLARCAT-IPY,
Bull. Amer. Meteor. Soc., 95, 1873–1895. doi:
http://dx.doi.org/10.1175/BAMS-D-13-00017.1, 2014.
Lee, S., Song, C. H., Park, R. S., Park, M. E., Han, K. M., Kim, J., Choi, M. J., Ghim,
Y. S., and Woo, J. -H.: GIST-PM-Asia v1: development of a numerical system to
improve particulate matter forecasts in South Korea using geostationary
satellite-retrieved aerosol optical data over Northeast Asia, Geosci. Model Dev., 9,

- 35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17-39, doi:10.5194/gmd-9-17-2016, 2016.


Lemke, P., Ren, J, Alley, R. B., et al.: in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edited by: Solomon, S., Qin, D., Manning, M.,
et al.,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NY, USA, 2007.
Li, S. M., and Barrie, L. A.: Biogenic sulphur aerosols in the Arctic troposphere. 1. Contributions
to sulphate. J. Geophys. Res. 98D, 20613–20622, 1993.
Livina, V. N. and Lenton, T. M.: A recent tipping point in the Arctic sea-ice cover: abrupt and
persistent increase in the seasonal cycle since 2007, The Cryosphere, 7, 275-286,
doi:10.5194/tc-7-275-2013, 2013.
Liu, J., Fan, S., Horowitz, L. W., and Levy II, H.: Evaluation of factors controlling
long-range transport of black carbon to the Arctic, J. Geophys., Res.,
116:D04307, 2011.
McFarquhar, G. M., Ghan, S., Verlinde, J., Korolev, A., Strapp, J. W., Schmid, B., Tomlinson, J.
M., Wolde, M., Brooks, S. D., Cziczo, D., Dubey, M. K., Fan, J., Flynn, C., Gultepe, I.,
Hubbe, J., Gilles, M. K., Laskin, A., Lawson, P., Leaitch, W. R., Liu, P., Liu, X., Lubin, D.,
Mazzoleni, C., Macdonald, A.-M., Moffet, R. C., Morrison, H., Ovchinnikov, M., Shupe, M.
D., Turner, D. D., Xie, S., Zelenyuk, A., Bae, K., Freer, M., and Glen, A.: Indirect and
semi-direct aerosol campaign: The Impact of Arctic Aerosols on Clouds, B. Am. Meteorol.
Soc., 92, 183–201, 2011.
National Ice Center, updated daily. IMS Daily Northern Hemisphere Snow and Ice Analysis at 1
km, 4 km, and 24 km Resolutions, Version 1. [Indicate subset used]. Boulder, Colorado
USA. NSIDC: National Snow and Ice Data Center. doi: http://dx.doi.org/10.7265/N52R3PMC,
2008.
Paris, J.-D., Stohl, A., Nédélec, P., Arshinov, M. Yu., Panchenko, M. V., Shmargunov, V. P., Law,
K. S., Belan, B. D., and Ciais, P.: Wildfire smoke in the Siberian Arctic in summer: source
characterization and plume evolution from airborne measurements, Atmos. Chem. Phys., 9,
9315-9327, doi:10.5194/acp-9-9315-2009, 2009.
Pommier, M., Law, K. S., Clerbaux, C., Turquety, S., Hurtmans, D., Hadji-Lazaro, J., Coheur,
P.-F., Schlager, H., Ancellet, G., Paris, J.-D., Nédélec, P., Diskin, G. S., Podolske, J. R.,
Holloway, J. S., and Bernath, P.: IASI carbon monoxide validation over the Arctic during
POLARCAT spring and summer campaigns, Atmos. Chem. Phys., 10, 10655-10678,
doi:10.5194/acp-10-10655-2010, 2010.
Quinn, P. K., Miller, T. L., Bates, T. S., Ogren, J. A., Andrews, E. and coauthors.: A
three-year record of simultaneously measured aerosol chemical and optical properties
at Barrow, Alaska. J. Geophys. Res.107(D11), 10.1029/2001JD001248, 2002.
Quinn, P. K., Bates, T. S., Baum, E., Doubleday, N., Fiore, A. M., Flanner, M., Fridlind, A.,

- 35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Garrett, T. J., Koch, D., Menon, S., Shindell, D., Stohl, A., and Warren, S. G.: Short-lived
pollutants in the Arctic: their climate impact and possible mitigation strategies, Atmos.
Chem. Phys., 8, 1723–1735, doi:10.5194/acp-8-1723-2008, 2008.
Preston, C. M., and Schmidt, M. W. I.: Black (pyrogenic) carbon: a synthesis of current
knowledge and uncertainties with special consideration to boreal regions, Biogeosciences, 3,
397–420, 2006.
Quinn, P. K., Bates, T. S., Schulz, K., and Shaw, G. E.: Decadal trends in aerosol chemical
composition at Barrow, Alaska: 1976–2008, Atmos. Chem. Phys., 9, 8883-8888,
doi:10.5194/acp-9-8883-2009, 2009.
Quinn, P. K., Stohl, A. Arneth, A., Berntsen, T., Burkhart, J. F., Christensen, J., Flanner,
M., Kupiainen, K., Lihavainen, H., Shepherd, M., Shevchenko, V., Skov, H., and
Vestreng, V.: The Impact of Black Carbon on Arctic Climate. Arctic Monitoring and
Assessment Programme (AMAP), Oslo, 72 pp., ISBN-978-82-7971-069-1, 2011.
Radke, L. F., Lyons, J. H., Hegg, D. A., Hobbs, P. V., and Bailey, I. H.: Airborne observations of
Arctic aerosols, I, Characteristics of Arctic haze, Geophys. Res. Lett., 11, 393–396, 1984.
Roiger, A., Schlager, H., Schäfler, A., Huntrieser, H., Scheibe, M., Aufmhoff, H., Cooper, O. R.,
Sodemann, H., Stohl, A., Burkhart, J., Lazzara, M., Schiller, C., Law, K. S., and Arnold, F.:
In-situ observation of Asian pollution transported into the Arctic lowermost stratosphere,
Atmos. Chem. Phys., 11, 10975-10994, doi:10.5194/acp-11-10975-2011, 2011.
Sarwar, G., Simon, H., Bhave, P., and Yarwood, G.: Examining the impact of
heterogeneous nitryl chloride production on air quality across the United States,
Atmospheric Chemistry & Physics, 12, 1-19, 2012.
Sarwar, G., Simon, H., Xing, J., Mathur, R.: Importance of tropospheric ClNO2 chemistry
across the Northern Hemisphere,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41, 4050-4058,
2014.
Sarwar, G., Gantt, B., Schwede, D., Foley, K., Mathur, R., and Saiz-Lopez, A.: Impact of
enhanced ozone deposition and halogen chemistry on tropospheric ozone over the
Northern Hemisphere, Environ. Sci. Technol., 49, 9203–9211,
https://doi.org/10.1021/acs.est.5b01657, 2015.
Shaw, G. E., and Stamnes, K.: Arctic haze: perturbation of the polar radiation budget, Annals of
the New Yor Academy of Sciences, 338:533-539, 1980.
Shaw, G. E.: The Arctic haze phenomenon, BAMS, 2403–2413, 1995.
Shindell, D. T., Faluvegi, G., Bauer, S. E., et al.: Climate response to projected changes in
short-lived species under an A1B scenario from 2000-2050 in the GISS climate model, J.
Geophys. Res., 112, D20103, doi:10.1029/2007JD008753, 2007.
Shindell, D. T., Chin, M., Dentener, F., Doherty, R. M., Faluvegi, G., Fiore, A. M., Hess, P.,
Koch, D. M., MacKenzie, I. A., Sanderson, M. G., Schultz, M. G., Schulz, M., Stevenson, D.

- 35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S., Teich, H., Textor, C., Wild, O., Bergmann, D. J., Bey, I., Bian, H., Cuvelier, C., Duncan,
B. N., Folberth, G., Horowitz, L. W., Jonson, J., Kaminski, J. W., Marmer, E., Park, R.,
Pringle, K. J., Schroeder, S., Szopa, S., Takemura, T., Zeng, G., Keating, T. J., and Zuber,
A.: A multi-model assessment of pollution transport to the Arctic, Atmos. Chem. Phys., 8,
5353–5372, doi:10.5194/acp-8-5353-2008, 2008.
Shindell, D. and Faluvegi, G.: Climate response to regional radiative forcing during the twentieth
century, Nature Geosci., 2, 294–300, 2009.
Sindelarova, K., Granier, C., Bouarar, I., Guenther, A., Tilmes, S., Stavrakou, T., Müller,
J.-F., Kuhn, U., Stefani, P., and Knorr, W.: Global dataset of biogenic VOC emissions
calculated by the MEGAN model over the last 30 years,
doi:10.5194/acpd-14-10725-2014, Atmospheric Chemistry & Physics Discussions 14 :
10725-10788, 2014.
Singh, H. B, and Hanst, P. L.: Peroxyacetyl nitrate (PAN) in the unpolluted atmosphere: An
important reservoir for nitrogen oxides, Geophys. Res. Lett., 8(8), 941–944,
doi:10.1029/GL008i008p00941, 1981.
Singh, H. B.: Reactive nitrogen in the troposphere – chemistry and transport of NOx and PAN,
Environ. Sci. Technol., 21, 320–327, 1987.
Soja, A. J., Tchebakova, N. M., French, N. H. F., et al.: Climateinduced boreal forest change:
predictions versus current observations, Global Planet. Change, 56, 274–296, 2007.
Stocks, B. J., Fosberg, M. A., Lynham, T. J., et al.: Climate change and forest fire potential in
Russian and Canadian boreal forests, Clim. Change, 38, 1–13, 1998.
Stohl, A.: Characteristics of atmospheric transport into the Arctic troposphere. J. Geophys. Res.,
111, D11306, doi:10.1029/2005JD006888, 2006.
Tarasick, D. W., Jin, J. J., Fioletov, V. E., Liu, G., Thompson, A. M., Oltmans, S. J., Liu, J.,
Sioris, C. E., Liu, X., Cooper, O. R., Dann, T., and Thouret, V.: High-resolution
tropospheric ozone fields for INTEX and ARCTAS from IONS ozonesondes, J. Geophys.
Res., 115, D20301, doi:10.1029/2009JD012918, 2010.
Thomas, J. L., Dibb, J. E., Stutz, J., von Glasow, R., Brooks, S., Huey, L. G., and Lefer, B.:
Overview of the 2007 and 2008 campaigns conducted as part of the Greenland Summit
Halogen-HOx Experiment (GSHOX), Atmos. Chem. Phys., 12, 10833-10839,
doi:10.5194/acp-12-10833-2012, 2012.
Tomasi C., Lupi, A., Mazzola, M., Stone, R. S., Dutton, E. G., Herber, A., Radionov, V. F.,
Holben, B. N., Sorokin, M. G., Sakerin, S. M., Terpugova, S. A., Sobolewski, P. S.,
Lanconelli, C., Petkov, B. H., Busetto, M., and Vitale, V.: An update on polar aerosol
optical properties using POLAR-AOD and other measurements performed during the
International Polar Year, Atmos. Environ., 52, 29–47, doi:10.1016/j.atmosenv.2012.02.055,
2012.

- 35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Trenberth, K., Jones, P. D., Ambenje, P., et al.: in: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edited by: Solomon, S., Qin, D., Manning, M.,
et al.,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NY, USA, 2007.
Van der Werf, G. R., Randerson, J. T., Giglio, L., Collatz, G. J., Mu, M., Kasibhatla, P. S.,
Morton, D. C., DeFries, R. S., Jin, Y. and van Leeuwen, T. T.: Global fire emissions
and the contribution of deforestation, savanna, forest, agricultural, and peat fires,
doi:10.5194/acp-10-11707-2010,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10, 11707-11735,
2010.
WRF User’s guide, http://www2.mmm.ucar.edu/wrf/users/docs/user_guide_V3/contents.html.
Zou, Y., Wang, Y., Zhang, Y., and Koo, J. H.: Arctic sea ice, Eurasia snow, and extream
winter haze in China, Sci. Adv., 3:e1602751, 2017.

(경인여대대학교 위탁과제-3)
Andreae, M. O. (2009) Correlation between cloud condensation nuclei concentration and
aerosol optical thickness in remote and polluted regions,2009, Atmos. Chem.
Phys., 9, 543–556.
Gyawali, M., Arnott, W. P.,, Lewis, and Moosm¨uller, H.: In situ aerosol optics in
Reno, NV, USA during and after the summer 2008 California wildfires and the
influence of absorbing and nonabsorbing coatings on spectral light absorption,
Atmos. Chem. Phys., 9, 8007–8015.
Lack, D. A. and Cappa, C. D.: Impact of brown and clear carbon on light absorption
enhancement, single scatter albedo and absorption wavelength dependence of
black carbon, Atmos. Chem. Phys. Discuss., 10, 785–819, 2010,
http://www.atmos-chem-phys-discuss.net/10/785/2010/.
Romakkaniemi, S., A. Arola, H. Kokkola, W. Birmili, T. Tuch, V.-M. Kerminen, P.
Räisänen, J. N. Smith, H. Korhonen, and A. Laaksonen (2012), Effect of aerosol
size distribution changes on AOD, CCN and cloud droplet concentration: Case
studies from Erfurt and Melpitz, Germany, J. Geophys. Res., 117, D07202,
doi:10.1029/2011JD017091.
Russell, P. B., Bergstrom, R. W., Shinozuka, Y., Clarke, A. D., DeCarlo, P. F., Jimenez,
J. L., Livingston, J. M., Redemann, J., Dubovik, O., and Strawa, A.: Absorption
Angstrom Exponent in AERONET and related data as an indicator of aerosol
composition, Atmos. Chem. Phys., 10, 1155-1169,
https://doi.org/10.5194/acp-10-1155-2010, 2010.
Tang et al. (2014)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liquid cloud droplet effective radius
and aerosol optical depth over Eastern China from satellite data, Atmos. Env.,

- 35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84, 244-253, http://dx.doi.org/10.1016/j.atmosenv.2013.08.024.


Treffeisen, R. E., L. W. Thomason, J. Stro¨m, A. B. Herber, S. P. Burton, and T.
Yamanouchi (2006), Stratospheric Aerosol and Gas Experiment (SAGE) II and III
aerosol extinction measurements in the Arctic middle and upper troposphere, J.
Geophys. Res., 111, D17203, doi:10.1029/2005JD006271.

(고려대학교 위탁과제-4)
Chae N, Yang H, Lee B. Lee C(2016) Measurement of environmental parameters in
polar regions based on a ubiquitous sensor network Cold regions Science and
Technology 123: 22-31
Chae N, Kang H, Kim Y, Hong S, Lee B, Choi T (2016) CO2 efflux from the biological
soil crusts of the High Arctic in a later stage of primary succession after
deglaciation, Ny-Ålesund, Svalbard, Norway. Applied Soil Ecology 98: 92-102
Kim Y, Nishina K, Chae N, Park S, Yoon Y, Lee B (2014) Constraint of soil moisture
on CO2 efflux from tundra lichen, moss, and tussock in Council, Alaska, using a
hierarchical Bayesian model. Biogeosciences 11: 5567-5579
McGuire AD, Anderson LG, Christensen TR, Dallomore S, Guo L, Hayes DJ, Heimann
M, Lorenson TD, Macdonald RW, Roulet N (2009) Sensitivity of carbon cycle in
the Arctic to climate change. Ecological Monographs 79(4):523-555
Schuur EAG et al (2008) Vulnerability of Permafrost Carbon to Climate ChangeL
Inplicaions for the Global Carbon Cycle. BioScience 58:701-714

Tarnocai C, Canadell J, Schuur E, Kuhry P, Mazhitova G, Zimov S (2009) Soil organic


carbon pools in the northern circumpolar permafrost region. Global
Biogeochemical Cycles 23(2): GB2023.

(서울대학교 위탁과제-5)
Baldocchi, D., Falge, E., Gu, L., Olson, R., Hollinger, D., Running, S., … Wofsy, S.
(2001). FLUXNET: A New Tool to Study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Ecosystem-Scale Carbon Dioxide, Water Vapor, and Energy Flux Densities.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82(February), 2415–2434.
doi:10.1175/1520-0477(2001)082<2415:FANTTS>2.3.CO;2
Baum, B.A., Menzel, W.P., Frey, R.A., Tobin, D.C., Holz, R.E., Ackerman, S.A.,
Heidinger, A.K., Yang, P., (2012). MODIS cloud-top property refinements for
collection 6.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Climatology 51, 1145-1163
Beer, C., Reichstein, M., Tomelleri, E., Ciais, P., Jung, M., Carvalhais, N., … Bonan, G.
B. (2010). Terrestrial gross carbon dioxide uptake: global distribution and
covariation with climate. Science, 329(August), 834–838.

- 35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Gelybó, G., Barcza, Z., Kern, a., & Kljun, N. (2013). Effect of spatial heterogeneity on
the validation of remote sensing based GPP estimations.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74-175, 43–53. doi:10.1016/j.agrformet.2013.02.003
Heinsch, F. A., Zhao, M., Running, S. W., Kimball, J. S., Nemani, R. R., Davis, K. J.,
… Flanagan, L. B. (2006). Evaluation of remote sensing based terrestrial
productivity from MODIS using regional tower eddy flux network observations.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44(7), 1908–1923.
doi:10.1109/TGRS.2005.853936
Ichii, K., Kondo, M., Okabe, Y., Ueyama, M., Kobayashi, H., Lee, S.-J., … Myneni, R.
(2013). Recent Changes in Terrestrial Gross Primary Productivity in Asia from
1982 to 2011. Remote Sensing, 5(11), 6043–6062. doi:10.3390/rs5116043
Jeong, S.-J., C.-H. Ho, H.-J. Gim and M. E. Brown (2011). "Phenology shifts at start
vs. end of growing season in temperate vegetation over the Northern
Hemisphere for the period 1982-2008." Global Change Biology 17(7): 2385-2399.
Jiang, C., & Ryu, Y. (2016). Multi-scale evaluation of global gross primary productivity
and evapotranspiration products derived from Breathing Earth System Simulator
(BES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86, 528-547
Jung, M., Reichstein, M., Ciais, P., Seneviratne, S. I., Sheffield, J., Goulden, M. L., …
Zhang, K. (2010). Recent decline in the global land evapotranspiration trend due
to limited moisture supply. Nature, 467(7318), 951–954. doi:10.1038/nature09396
Jung, M., Reichstein, M., Margolis, H. a., Cescatti, A., Richardson, A. D., Arain, M. A.,
… Williams, C. (2011). Global patterns of land-atmosphere fluxes of carbon
dioxide, latent heat, and sensible heat derived from eddy covariance, satellite,
and meteorological observation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6, G00J07.
doi:10.1029/2010JG001566
Kim, Y., Nishina, K., N. Chae., Park, S.J., Yoon, Y. J., Lee, B.Y., (2014). Constraint of
soil moisture on CO2 efflux from tundra lichen, moss, and tussock in Council,
Alaska, using a hierarchical Bayesian model. Biogeosciences, 11, 5567-5579.
doi.org/10.5194/bg-11-5567-2014
Kim, Y., Park, S.J., Lee, B.Y., Risk, D., (2014). Continuous measurement of soil carbon
efflux with Forced Diffusion (FD) chambers in a tundra ecosystem of Alsaka.
Science of Total Environment. 566-264, 175-184.
doi.org/10.1016/j.scitotenv.2016.05.052
Morisette, J. T., Privette, J. L., & Justice, C. O. (2002). A framework for the validation
of MODIS Land product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83(1-2), 77–96.
doi:10.1016/S0034-4257(02)00088-3
Park, H., S.-J. Jeong, C.-H. Ho, J. Kim, M. E. Brown and M. E. Schaepman (2015).

- 35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Nonlinear response of vegetation green-up to local temperature variations in


temperate and boreal forests in the Northern Hemisphere."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65: 100-108.
Plummer, S. (2006). On validation of the MODIS gross primary production product.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44(7), 1936–1938.
doi:10.1109/TGRS.2006.872521
Potter, S., Randerson, T., Field, B., Matson, A., & Mooney, H. A. (1993). Terrestrial
ecosystem production: A process model based on global satellite and surface data.
Global Biogeochemical Cycles, 7(4), 811–841.
Rogers A, Serbin SP, Ely KS, Sloan VL, Wullschleger SD (2017) Terrestrial biosphere
models underestimate photosynthetic capacity and CO2 assimilation in the
Arctic.New Phytologist. In Press.
Roman, M.O., Schaaf, C.B., Woodcock, .C.E. Strahler, A.H.,.Yang, X., Braswell, R.H.,
Curtis, P.S., Davis, K.J., Dragoni, D., Goulden, M.L., Gu, L., Hollinger, D.Y., Kolb,
T.E., Meyers, T.P., Munger, J.W., Privette, J.L., Richardson,A.D., Wilson, T.B., 쨀
뇨, S.C., (2009). The MODIS (collection005) BRDF albedo product: assessment of
spatial representativeness over forested landscapes. Remote Sensing Environment
113, 2476-2498.
Running, S. W., Nemani, R. R., Heinsch, F. A., Zhao, M., Reeves, M., & Hashimoto, H.
(2004). A Continuous Satellite-Derived Measure of Global Terrestrial Primary
Production. BioScience, 54(6), 547.
doi:10.1641/0006-3568(2004)054[0547:ACSMOG]2.0.CO;2
Ryu, Y., D. D. Baldocchi, H. Kobayashi, C. van Ingen, J. Li, T. A. Black, J. Beringer,
E. van Gorsel, A. Knohl, B. E. Law and O. Roupsard (2011). "Integration of
MODIS land and atmosphere products with a coupled-process model to estimate
gross primary productivity and evapotranspiration from 1 km to global scales."
Global Biogeochemical Cycles 25(4): n/a-n/a.
Sayer, A.M., Munchak, L.A., Hsu, N.C., Levy, R.C., Bettenhausen, C., Jeong, MJ.,
(2014). MODIS Collection aerosol products: Comparison between Aqua’s e-Deep
Blue, Dark Target, and “merged” datasets, and usage recommendation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 119(13), 956-913, 989
Turner, D. P., Ritts, W. D., Cohen, W. B., Gower, S. T., Zhao, M., Running, S. W., …
Munger, J. W. (2003). Scaling Gross Primary Production (GPP) over boreal and
deciduous forest landscapes in support of MODIS GPP product validation.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88(3), 256–270. doi:10.1016/j.rse.2003.06.005
Wang, X., Ma, M., Li, X., Song, Y., Tan, J., Huang, G., … Bai, Y. (2013). Validation of
MODIS-GPP product at 10 flux sites in northern China. International Journal of

- 35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Remote Sensing, 34(2), 587–599. doi:10.1080/01431161.2012.715774


Wilson, K.B., Baldocchi, D.D., & Hanson, P.J. (2001). Leaf age affects the seasonal
pattern of photosynthetic capacity and net ecosystem exchange of carbon in a
deciduous forest. Plant Cell and Environment, 24, 571-583
Zhang, Y., Yu, Q., Jiang, J., & Tang, Y. (2008). Calibration of Terra/MODIS gross
primary production over an irrigated cropland on the North China Plain and an
alpine meadow on the Tibetan Plateau. Global Change Biology, 14(4), 757–767.
doi:10.1111/j.1365-2486.2008.01538.x
Zhao, M., & Running, S. W. (2010). Drought-Induced Reduction in Global. Science,
329(5994), 940–943. doi:10.1126/science.1192666

(인천대학교 위탁과제-6)
Dall‘sto, M., Beddows, D.C.S., Tunved, P., Krejci, R., Ström, J., Hansson, H.C., Yoon,
Y.J., Park, K.-T., Becagli, S., Udisti, R., Onasch, T., O퀱owd, C.D., Simó, R.,
Harrison, R.M., 2017. Arctic sea ice melt leads to atmospheric new particle
formation. Scientific Reports 7 (1), 3318.
Dall’Osto, M., Ovadnevaite, J., Paglione, M., Beddows, D.C.S., Ceburnis, D., Cree, C.,
Cortés, P., Zamanillo, M., Nunes, S.O., Pérez, G.L., Ortega-Retuerta, E.,
Emelianov, M., Vaqué, D., Marrasé, C., Estrada, M., Sala, M.M., Vidal, M.,
Fitzsimons, M.F., Beale, R., Airs, R., Rinaldi, M., Decesari, S., Cristina Facchini,
M., Harrison, R.M., O’Dowd, C., Simó, R., 2017. Antarctic sea ice region as a
source of biogenic organic nitrogen in aerosols. Scientific Reports 7 (1), 6047.
Freud, E., Krejci, R., Tunved, P., Leaitch, R., Nguyen, Q.T., Massling, A., Skov, H.,
Barrie, L., 2017. Pan-Arctic aerosol number size distributions: seasonality and
transport patterns.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17 (13), 8101-8128.
Galí, M., Devred, E., Levasseur, M., Royer, S.-J., Babin, M., 2015. A remote sensing
algorithm for planktonic dimethylsulfoniopropionate (DMSP) and an analysis of
global pattern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71 (Supplement C), 171-184.
Kim, T.-W., Lee, K., Duce, R., Liss, P., 2014. Impact of atmospheric nitrogen
deposition on phytoplankton productivity in the South China Sea.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2014GL059665
Mungall, E. L., et al. (2015). "SDimethyl sulfide in the summertime Arctic atmosphere:
measurements and source sensitivity simulations" Atmos. Chem. Phys. 2016:
6665-6680.
Park, K.-T., et al. (2013). "Linking atmospheric dimethyl sulfide and the Arctic Ocean
spring bloom."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40(1): 155-160.

- 35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한양대학교 위탁과제-7)
Protocols and architectures for wireless sensor networks(Holger Karl, Andreas willig),
ZigBee specification(IEEE)
LoRaWAN 1.1 Specification
The Internet of Things: Enabling Technologies, Platforms, and Use Cases

- 35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서식]

연구성과 창출 전략 계획서 세부기준 작성 ( )

① 연구성과 목표
[ 세부과제]
해양극지기초원천기술개발사업
사업명
(북극권 동토 관측 거점을 활용한 환경변화 감시와 예측)
- 동토 관측거점 기반 환경변화 인자 연속관측 및 대기-동토-생태계 상호관계 규
명으로 미래 환경변화 예측 기반 확보
과제신청자 제시
- 관측거점의 안정적 운영-확대, DB 구축
성과 목표
- 글로벌 이슈 대응과 국제사회 동참 및 우리나라의 국익 확보와 과학발전에 기여
할 접근성 강화(북극이사회 옵서버 국가로서의 의무 과학활동 수행)
과제신청자 소속 : 극지연구소 성명: 이방용

[세부목표]

단계 및 연도별 연구성과목표

세부과제명 핵심기술명 연구성과 목표 2 단계


1 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2018) (2019) (2020)

동토층 거점 안정적 환경인자 DB 구축 및 DB 22건 확 DB 22건 확


운영 최적화 환경변화 추세분석, 특성 규명 DB 20건 확 보/정밀측정 보/정밀측정
및 등, 정밀자료 확보와 전송 보/IoT 접목 시스템의 안 시스템의 안
동토-대기-생 등을 위한 IoT 기술응용 기술 고도화 정화, 오류 정화, 오류
태 환경인자 고도화 최소화 기술 최소화 기술
DB 구축 개선 개선

북극권 기후냉각 에어로졸 및 에어로졸


기후냉각물
및 어로졸 및
북극 대기 기후냉각물질의 기후냉각물 기후냉각물
동토 관측 물질 시스템간 지역별 계절별 발생 차이 분석 질 변화 질 변화 질 변화
거점을 피드백 이해 측정 자료
측정 생산 측정
활용한
기온,
환경변화
감시와 강수량
예측 주기적인 변화가 토양
북극권 동토 관련 환경인자(토 특성,
생태계 변화에 기후변화 모사 실험구 운영 및
환경인자 양 온습도, 미생물
대한 종합적 관측, 실내 토양
모니터링 기체 농도) 군집, 기체
이해
자료 생성 플럭스에
미치는 영향
모식화

- 36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② 연구성과 창출 전략 성과 창출 포트폴리오
( )

단계 및 연도별 핵심기술 창출 계획
2단계
세부과제명 핵심기술명 핵심기술 개요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2018 (2019) (2020)

동토층 거점 안정적 환경인자 DB 구축 및 DB 22건 확 DB 22건 확


운영 최적화 환경변화 추세분석, 특성 규명 DB 20건 확 보/정밀측정 보/정밀측정
및 등, 정밀자료 확보와 전송 보/IoT 접목 시스템의 안 시스템의 안
동토-대기-생 등을 위한 IoT 기술응용 기술 고도화 정화, 오류 정화, 오류
태 환경인자 고도화 최소화 기술 최소화 기술
DB 구축 개선 개선

북극권 기후냉각 에어로졸 및 에어로졸 및 어로졸 및


동토 관측 물질 시스템간 북극 대기 기후냉각물질의 기후냉각물 기후냉각물 기후냉각물
거점을 지역별 계절별 발생 차이 분석 질 변화 질 변화 질 변화
피드백 이해 측정 자료
활용한 측정 측정
환경변화 생산
감시와 기온,
예측 강수량
북극권 동토 주기적인 변화가 토양
관련 환경인자(토 특성,
생태계 변화에 기후변화 모사 실험구 운영 및 환경인자
대한 종합적 관측, 실내 토양 양 온습도, 미생물
모니터링 기체 농도) 군집, 기체
이해 자료 생성 플럭스에
미치는 영향
모식화

- 36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③ 핵심기술별 특허 창출 전략 해당사항 없음:

※ 핵심기술명이 여러 개인 경우 해당 핵심기술명 수만큼 아래 표 복사 사용


,

구분 핵심기술명 1

선행기술
대상기술 정의, 선행기술조사를 통한 기존기술대비 차별성 및 장점 등에 대해
존재여부
기술
및 차이점
기본원리 기본개념 기능 및 연구실환경 유사 환경 파일럿 현장 상용모델 실제 환경 상용 운영
연구단계(TRL) 파악 정립 개념검증 테스트 테스트 테스트 개발 최종 테스트
- 복수선택가능

도입기 성장기 성숙기 쇠퇴기


기술수명주기

본 성과의 시장성(시장구조 및 제품수익성 등)을 고려, 적용분야 및 제품, 향후


타산업으로의 확장 가능성에 대해 기술
시장구조 시장의 속성(수명, 여건 등)을 작성
제품수익성 기술을 통한 제품의 목표시장규모를 예상하여 작성
시장성 수출 및 간접효과를 통한 부가가치 생산효과를 예상하여 작
부가가치 생산성 성
시장 성장성 해당 시장의 성장가능성을 작성
향후 사업화
전략 및 계획
본 성과의 사업성(경쟁수준, 수익창출시기 등), 관련 기업과의 협력 계획 등에 대해 기술

경쟁수준 시장의 경쟁특성 및 기술을 통한 제품의 경쟁수준을 작성

수익창출시기 상용화/흑자 가능시기를 예상하여 작성


사업성 인력,시설, 부품 및 재료 등 사업화 관련 요소의 수급용이
사업화 용이성
성을 작성

사업위험요소 제품화에 따른 위험요소 및 장애요인을 예상하여 작성

④ 세부과제별 키워드 및 검색식


구분 영문 키워드 검색식(and, or 등의 연산자 활용)

세부과제명

- 36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수정ㆍ보완 사항 대비표

비고
점검의견 수정보완 조치 사항​ (해당
Page)

없음 참여연구원 누락자 추가 p. 3

미국 알래스카
- 알래스카 대학과의 협조 하에 카운실 지역의 연 p. 67, 68,
카운실 거점에서의
구사이트 운영, 연구내용 등 71∼73
활동 추가
- 본 과제는 환북극권 대표 암석을 분석하여 암석학
적 성인을 예측하고, 암석 종류별 풍화민감도 및
풍화지수 산출을 수행 중임. 또한 지질학, 지질공
ㅇ 동토 풍화작용에
학, 지구물리학 분야 등의 전문가가 종합적으로 검 p. 113, 134,
대하여 광물학자의
토, 분석하고 있음. 116, 117,
참여나 자문이 절대
- 암석별 대표 광물 분석에 대한 시험도 진행중이며, 295∼297
적으로 필요함
광물학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과제를 더욱 발전시
킬 수 있도록 추진하겠음.
- 관련 내용 달성도 수정
- 위탁과제가 차별성과 독창성이 유지되도록 관리
할 계획임.
- 환북극지역 나노에어로졸 및 CCN입자의 개수 농
보다 효율적인 진행
도 및 크기분포 등의 장기간 측정자료를 기반으
을 위해서는 유사 연
로 하여 이를 원격자료(MODIS 위성 자료 및 p. 231,
구 세부 또는 위탁연
AERONET자료)를 비롯한 MERRA-2등의 232, 300,
구에 대해 통합하는
reanalysis 자료 등과 연계하여 에어로졸의 특성 301
과정이 추가적으로
을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환북극 지역 에
필요해 보임
어로졸의 복사강제력을 산출하여 기후에 미치는
영향등을 평가하고자 한다는 부분에 있어 연구의
차별성이 존재함.

- 37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주 의

1. 이 보고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시행한 해양극지기초원천기술개발사업


의 연구보고서입니다.

2. 이 보고서 내용을 발표하는 때에는 반드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시행한


해양극지기초원천기술개발사업의 연구결과임을 밝혀야 합니다.

3. 국가과학기술 기밀유지에 필요한 내용은 대외적으로 발표 또는 공개하여서는


아니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