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2) ( 1) ( 1) ( ) 2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4

 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18쪽


⑴  


⑵ 

⑶ 

⑷ 
예제 1 따라 하기

 

배운 내용 확인하기 10~11쪽
⑴ 

   
⑴   ⑵ ±
 ⑵ ➊ 

⑴ 
➋  ➌  ➍ 

⑵  ⑶  ⑷ 
log    로 놓으면


   

     
     이때        이므로
⑴ ± ⑵ ± ⑶ ±  
 재용이의 계산이 잘못되었다.
처음 음의 진동수를 라 하면 한 옥타브 올라간 음의 진동          즉   
⑴  ⑵  ⑶  지수가 유리수일 때의 지수법칙은 밑이 양수일 때 성립하
수는 이므로          따라서 log     
⑴  ⑵  ⑶   
×  
   므로        

이때 는 양수이므로  이 잘못되었다.
⑴  ⑵  ⑶  


 
  

⑴  ⑵  ⑶  ⑷  
2 지수의 확장과 지수법칙 9~26쪽  ⑴  ⑵  ⑶  ⑷ 
1 거듭제곱과 거듭제곱근 12~17쪽

 
⑴  ⑵  ⑶  ⑷ 
 
 
⑴  ⑵  ⑶  27쪽 ⑴  ⑵  ⑶  ⑷ 
      ( 는 양의 정수)로 놓자. 
   
⑴  ÷     ÷     ÷    ×  ⑴   ⑵    ⑴  ⑵ 
예제 1 따라 하기    
의 네제곱근을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⑵        
  ⑴ 


⑵ 



 
  ⑷    


 
            
⑴  ⑵   ⑶  ⑷ 
    log  log  log  ×   log
이므로   ×        
 ±  또는  ±    


 
 log × log ≠ log  × 
   
⑴  ⑵  
⑶   ⑷   

따라서 의 네제곱근은 ±  ± 이다.  


   log  log  log  ÷   log 
±  ±  ⑴  ⑵  ⑶  ⑷  ⑴   ⑵   배 
  
log ÷ log ≠ log  ÷ 
 ± 
  
⑴    ⑵ ±  ±   로그의 덧셈을 할 때 진수를 더하지 말고 곱하는 성
 ⑴ 


⑵  
⑶ 
 ⑷ 

     
      질에 주의한다.
⑴  ⑵  ⑶  ⑷   
       (   는 정수,  ≥   ≥ )로
 
 
  ÷ 

 


 
    

 

      로그의 뺄셈을 할 때 진수를 빼지 말고 나누는 성질
  따라서 수심이  m 인 곳에서의 빛의 세기는 수심이 에 주의한다.
   
⑴               
  
놓자.  m 인 곳에서의 빛의 세기의 배이다.
    
이때    이므로       
   
따라서 

  은  의 양의 제곱근인 

 과 같 ⑴  ÷    
÷  ÷   
 
⑴  ⑵ 
   ÷    
  
으므로  ÷   
   
28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⑵     
  log
  
       
 
  풍속kmh     
  ⑴ log    
    log log
⑵       

 
이때 
 

  이므로      
   체감 온도 C          
 
  
 의 양의 제곱근인    log log
     
따라서  는  와 같으    
  ⑵ log        logab
므로    log  lo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⑴  ⑵  ⑶  ⑷  ⑴    ⑵ 

예제 4 따라 하기    
⑶  ⑷ 
     
   
  

⑴  ÷    
    3 로그의 뜻과 성질 29~34쪽
틀린 것은 ⑵로 거듭제곱    을 먼저 계산하지 않았기 
    
       
때문이다. 따라서 주어진 식을 바르게 고치면 
⑵  ÷   
   ÷   = 
 
  ⑴   log ⑵    log
 
   
 
    
        ㈎ log ㈏ log ㈐ log
⑴  ⑵  
⑶    ⑷    

164 정답 및 풀이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165


35쪽 40쪽 면 의 값은 감소하므로 ⑴ ⑵

⑴ log 상용, log
⑴  ⑵  
⑴ 

⑵     일 때 최댓값


          

⑵ ➊   ➋ log  log ➌ log  log 


➍ log dB   일 때 최솟값       
⑶ log
를 갖는다.

⑴   log 

⑵    log 
  

⑶ 

 
 
  
  
log     log     log     ⋯  
함수   
 
  의 그래프
    
⑷   
는 오른쪽 그림과 같고,
⑴  ⑵  ⑶  ⑷ 
 
⑴ 

  
⑵ 


 log   

    일 때
  

⑴ 

⑵ log ㈎  ㈏ 짝수 
  
 log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함수
 log   
   
    
 
   의 그래프가
⑴  log   log   log  log   log       이므로 최댓값: , 최솟값:  제사분면을 지나지 않으려면    ≥ , 즉  ≥ 이
    
  어야 한다.
  
 log       log ×   따라서 정수 의 최솟값은  이다.

 log   
   ⑴ 최댓값: , 최솟값:  
⑵ log
   log    log       dB  
   가로축을  축, 세로축을 축이라 하자.


  ⑵ 최댓값: , 최솟값:  다음 그림과 같이 함수        은  의 값이 증가
 log  log 
  log 
 하면 의 값은 감소하므로




5 지수함수의 뜻과 그래프 42~45쪽
 

 
 log  log 
 log  ×      일 때 최솟값     
⑵, ⑷
   
 


×× 
 
 log  ×    
   
 log  log ⑴ ⑵   
  은 의 값이 증가하면

두 지수함수       

  일 때 최솟값
을 갖는다.

 
의 값은 감소한다. 또   일 때        이므로
 
 
 
①    ②   
 
 
한편 두 지수함수        은 의 값이 증가하면 
의 값도 증가한다. 또   일 때    이므로
4 상용로그 36~39쪽 ⑴ ⑵
③    ④    6 로그함수의 뜻과 그래프 47~50쪽

⑴  ⑵  ⑶ 
 ⑴

예제 1 따라 하기

log  log  × 


46쪽
 log   log 점근선의 방정식:    점근선의 방정식:   
       ⑴ 양의 실수 전체의 집합 ⑵ 증가, 감소 ⑶  

⑴ 풀이 참조 ⑵ 풀이 참조
⑴    ⑵   
   
    
     
⑴     ⑵     

⑴  ⑵   ⑶   


예제 3 따라 하기 최댓값: , 최솟값:   

 
약 배
배

다음 그림과 같이 함수   
    은 의 값이 증가하 
최댓값:  , 최솟값: 


166 정답 및 풀이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167


⑴ 즉    이므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
52쪽     에서   
         ×    
따라서 해발  m 인 곳의 기압은
 



 
   ×    ×  

 

점근선의 방정식:    51쪽

⑵ 
⑴ 양의 실수 전체의 집합 ⑵ 증가, 감소 ⑶   ⑴  ⑵ 

⑴ 풀이 참조 ⑵ 풀이 참조 최댓값: , 최솟값: 

log    log    
 예제 4 따라 하기

로그의 진수는 양수이므로


점근선의 방정식:         즉  ⋯⋯ ㉠

  일 때, 두 교점의  
   일 때, 두 교점의 log      에서  log   이므로
⑴ log  log ⑵ log    log    
  좌표를 확인하면  
 
   이므로 좌표를 확인하면 
log      log  
log    log     이므로  

예제 4 따라 하기 
 
  
log    log   
  밑  은 보다 작으므로
다음 그림과 같이 함수   log      은 의 값이   
 ⑵
  
    즉  ⋯⋯ ㉡
증가하면 의 값은 감소하므로  
  일 때 최댓값 log             ㉠, ㉡을 모두 만족시키는 의 값의 범위는


 
  일 때 최솟값 log             7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활용 53~58쪽    
 


를 갖는다. 
⑴    ⑵  
 ⑴ ≤ ⑵ 

      에서   이므로 예제 1 따라 하기

pH  인 용액  L 속에 있는 수소 이온 농도를
 ⑴ 주어진 부등식의 양변을 지수의 밑이 같아지게 변형하면
        ⋯⋯ ㉠  molL pH  인 용액  L 속에 있는 수소 이온

           농도를  molL 라 하면   log   log이
이때     이므로 함수   log는 의 값이 증가
밑 은 보다 크므로 므로
하면 의 값은 감소한다. ㉠에서 
     즉  log   log  log
최댓값: , 최솟값:    
log  log  log   log ⑵ 주어진 부등식의 양변을 지수의 밑이 같아지게 변형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⑴ 최댓값: , 최솟값:  ⑵ 최댓값:  , 최솟값:   log    log  , 즉    log       ≥    


 


이때 log    이므로 주어진 네 수의 크기를  
log 밑  은 보다 작으므로 즉   에서   
 
비교하면 log    log   따라서 배이다.

오른쪽 그림에서 구하  ≤    즉  ≤ 

는 도형의 넓이는 세 점 P Q R 의 좌표는 
   이다. 그런데 ⑴    ⑵  ≤ 
P  log   log    log 
  log 
PQ  
QR    에서  QR   
PQ 이므로
 log    소리의 세기  Wm  와 소리의 크기  dB 사이에
log   log  log  log ⑴  ≤  ⑵ ≥ 
 
이므로 함수 log log log  는   log  가 성립한다. 어떤 비행기 엔진
log  log     , 즉   
  log  의 그래 log log 
log 
해발  m 인 곳의 기압이  hPa이므로 의 소리의 세기가  Wm  일 때, 이 비행기 엔진의
프는 함수   log의 그래프를 축의 방향으로  만 따라서 
  


 소리의 크기를 구하시오.
log     ×  
          
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  log     
log 
168 정답 및 풀이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169
비행기 엔진의 소리의 세기가  Wm  이므로   이고,       
 에서    
   이므로   
이 자연수일 때      이므로 단계 채점 기준 배점 비율
   ×     
  log    ×     
  log     log   log     Œ 주어진 식 변형하기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비행기 엔진의 소리의 크기는  dB 이다.      의 값 구하기  %
      에서 지수함수    은 의 값이 증가하면 
    log   log   
    의 값은 감소하므로   Ž     의 값 구하기  %
   
따라서      의 값 구하기  %
 함수   log      가   일 때 최댓값     

59쪽 을 가지므로 이차함수       는   일 때 최


솟값을 가져야 한다. log   log  로 놓으면
⑴    ⑵   ⑶       ⑷   
 

⑴   

⑵   

⑶   ⑷    또는   
61~63쪽  
          
       에서

log    log  log  이므로

  ⑤ ① ② ② ①  log  log  에서
   즉 
 
 ③ ① ④ ⑤ ②  
⑴  ≤  ⑵        즉      ⋯⋯ ㉠
 
③ ①    또 함수   log      에서   일 때의 함숫 
⑴   ≤    또는    ≤  ⑵   ≤ 
 
초 후 
  log    log  log  이므로
값이  이므로 
   log       log  log  에서
  

 
   
 
⑴ 로그의 진수는 양수이므로   에서        에서   이므로      즉          즉      ⋯⋯ ㉡ ⋯⋯Œ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을 연립하여 풀면
즉    또는    ⋯⋯ ㉠         ⋯⋯
 이때     이므로   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 라 하면   이어야 하
log     ≥ 에서   따라서 log   log  이므로

 므로
         
log     ≥ log   
주어진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이   이므로      log   즉          ⋯⋯Ž

 
 
  
  log  log   단계 채점 기준 배점 비율
밑  은 보다 작으므로 주어진 그래프가 점    을 지나므로
  log  log    
                   , log    log    로 놓고 연립방정식 세
   ≤       ≤  즉   log  이므로
Œ  %
즉    우기
     ≤ , 즉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을 모두 만족시키는 의 값의 범위는  연립방정식 풀기  %
ㄱ.       이므로 치역은 따라서 정수 는     의 개이다.
  ≤    또는    ≤  Ž  의 값 구하기  %
⑵ 로그의 진수는 양수이므로    인 모든 실수이다. (거짓)
    
         에서    ⋯⋯ ㉠ ㄴ. 함수           
 은 의 값이 증가 
  
의 분자, 분모에   을 곱하면

log    ≤   log    에서
 하면 의 값은 감소한다. (참)

       
  
     이 자연수가 되려면    (는 자연수), 즉   
 

log    ≤ log     ⋯⋯Œ 


            
ㄷ.       에서 를 로 나타내면 꼴이어야 하고,  이 자연수가 되려면    (는 자연
   
밑 은 보다 크므로  
   또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수), 즉    꼴이어야 하므로
    
    log       log            

⋯⋯
㉠, ㉡을 모두 만족시키는 의 값의 범위는 
 
 이때 는  의 배수, 는  의 배수이어야 하므로
       
   ≤  이때             
      (   은 자연수)
와 를 서로 바꾸면 구하는 역함수는
    ×  라 하면
  log       (참)
    라 하면 역함수의 성질에 따라 
   ⋯⋯Ž    × ×   × ×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이므로 주어진 식의 값은 구하는  의 최솟값은    ×    일 때
  이므로   log     
          ×  
로그의 정의에 따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런데   이므로  
    
  
   일 때       일 때    이므로
따라서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log  log lo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일 때    라 하면
170 정답 및 풀이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171
log  log log  log 방 안의 온도가 C 일 때, C 의 물이 담긴 컵 안
     ⋯⋯ ㉡
    의 물의 온도가 분 후에는 C 이었다. 이때 뉴턴의 냉각
㉠, ㉡에서 는 일정하고  는 상수이므로 법칙에서 의 값은 약 이다. 즉
log log  log       ×  
 
  이고,   을 대입하여 소수점 아래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
log  log  log  log 여 구하면
따라서       
즉 측정 온도가 C 가 될 때는 실험을 시작한 지  따라서 분 후의 물의 온도는 약 C 로 예측된다.
초 후이다.

64쪽

172 정답 및 풀이
Ⅱ. 삼각함수
육십분법으로 나타낸 중심각의 크기를 호도법으로 바꾸어
배운 내용 확인하기 68~69쪽
나타내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여 잘못 구한 것이다. 바르게
 
호의 길이:  cm , 넓이:  cm  풀면 다음과 같다.
 

⑴  ⑵  반지름의 길이가 , 중심각의 크기가 , 즉  이므로

  
⑴  ⑵  ⑶   
   부채꼴의 호의 길이는  ×    이고,
 
  
⑴ sin    cos    tan     
   넓이는  ×  ×    이다.
  
  
⑵ sin    cos    tan  
 
 
⑶ sin    cos    tan  

 

76쪽


1 일반각과 호도법 70~75쪽 ⑴  , 일반각 ⑵   ⑶     

⑴ ⑵  
⑴   ⑵    ⑶  ⑷  
 

⑴     , 제사분면의 각


⑵    , 제사분면의 각

 
          cm 
 
⑶ ⑷

부채꼴의 반지름의 길이를 , 호의 길이를  , 넓이를  라


하면 둘레의 길이가 이므로
          ⋯⋯ ㉠

한편 부채꼴의 넓이는    이므로 이 식에 ㉠을 대입

⑴  ×    ⑵  ×    하면
⑶  ×    ⑷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⑴ 제사분면의 각 ⑵ 제사분면의 각
따라서 반지름의 길이가 일 때 넓이가 최대가 된다.
⑶ 제사분면의 각 ⑷ 제사분면의 각

구하는 넓이는 반지름의 길이가  cm , 중심각의 크기가


 
⑴  ⑵  인 부채꼴의 넓이에서 반지름의 길이가  cm , 중심
 
 
⑶   ⑷   각의 크기가  인 부채꼴의 넓이를 뺀 것과 같으므로 구
 
하는 넓이를  라 하면
    
⑴ 호의 길이:  , 넓이:     ×  ×     ×  ×  
    
  
⑵ 중심각의 크기:  , 넓이:    ×     ×     cm  
 
  

172 정답 및 풀이

2 삼각함수 77~82쪽

   sin  이므로 각 는 제사분면의 각 또는 제사분면


⑴  ⑵  ⑶ 
  
의 각인데 제사분면의 각인 경우만 생각하여 잘못 구하였
다. 따라서 바르게 풀면 다음과 같다.
     
⑴ sin      cos      tan     각 가 제사분면의 각일 때, cos  이므로
     

 




 

⑵ sin       cos      




 cos  
  
  sin       
   
각 가 제사분면의 각일 때, cos  이므로
tan    



 
cos  
 
 

  sin       
 
⑶ sin    cos   
   
따라서 cos   또는 cos  
 
tan  
 
⑷ sin      cos    
 
  83쪽
tan    

  
⑴      ⑵ sin ⑶ 
  
  
⑴ sin     cos     tan      
   sin   cos  
 
 
  
  
 
⑵ sin      cos      tan        
⑴  ⑵  ⑶  ⑷ 
 


 

⑶ sin   cos   tan  



⑷ sin     cos     
tan        tan  

⑴ 제사분면의 각
⑵ 제사분면의 각 또는 제사분면의 각 sin  cos  sin   sincos  cos
   sincos
예제 3 따라 하기  
   ×  
 
sin   cos  에서 
       일 때 sin   cos  이므로
cos    sin        
   
이때 각  가 제사분면의 각이므로 cos  

sin  cos    
 

   따라서
따라서 cos   에서 cos  
 
sin   cos
sin  
또 tan   이므로 tan     sin  cossin   sincos  cos
cos 
   

cos   , tan   
 
 

 ×    


  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따라


 
cos    tan   sin  cos   ⋯⋯ ㉠
 
  
sincos   ⋯⋯ ㉡

 
⑴  ⑵  ㉠의 양변을 제곱하면
 

Ⅱ. 삼각함수 173
sin   sincos  cos  
  sincos   ⋯⋯ ㉢
㉡을 ㉢에 대입하면

 
   ×   

따라서   이다. ⑴ 주기: , 치역:   ≤  ≤ 
즉 sin  cos  에서 cos  sin이므로
sin sin
tan      
cos  sin

3 삼각함수의 그래프 84~94쪽

⑵ 주기: , 치역:     ≤  ≤ 


⑴ 주기: , 치역:     ≤  ≤ 

 
⑵ 주기:  , 치역:     ≤  ≤  ⑴ 주기: , 점근선의 방정식:      (은 정수)
 

⑴ 주기: , 치역:   ≤  ≤ 


⑵ 주기: , 점근선의 방정식:     (은 정수)

⑵ 주기: , 치역:    ≤  ≤ 

  
⑶ 주기:  , 점근선의 방정식:       (은 정수)
  

⑴ 주기: , 치역:     ≤  ≤ 

⑵ 주기: , 치역:     ≤  ≤ 

174 정답 및 풀이

  95쪽
⑴    또는    
 
  
⑵     또는     ㈎    (은 정수) ㈏     ≤  ≤  ㈐  ㈑ 원점
  
⑴ 풀이 참조 ⑵ 풀이 참조      
 
⑶    또는      
  ⑴     또는    
 
 
⑵  ≤  ≤  또는   ≤   
     
⑴     ⑵    
       
⑶  ≤  ≤  또는   ≤  ≤   또는   ≤   
       
⑶  ≤  ≤  또는    ≤   또는        
    ⑴  ⑵  ≤≤ 

 

  


⑴  ⑵  ⑶ 
  
⑴ 주기: , 치역:     ≤  ≤ 

 
⑴  ⑵  ⑶ 

 

⑴ cos    cos이므로
cos  cos       
⑵ 주기: , 치역:     ≤  ≤ 
  
따라서 구하는 값은
  
cos   cos    cos    ⋯
  
 
 cos    cos  
 

  


  
 cos   cos    cos    cos    ⋯
      sin  이라 하면

  
 cos    cos    cos
   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⑵ sin     cos이므로


 
이므로 주기는  이다.


 
sin   cos  sin   sin        즉
 

     

따라서 구하는 값은   ≤ sin ≤ 에서     ≤  sin   ≤   이므
   로 함수   의 최댓값은   이다.
sin    sin     sin     ⋯
  
즉        
 
 sin     sin    따라서      
 


  
 
 sin   sin     sin     sin   
 

     일 때


  
 
 sin    sin     sin     sin   


        sin  sin

      ≥   에서

sin ≥ 
  sin ≥ 

Ⅱ. 삼각함수 175
이 부등식의 해는 함수   sin의 그래프가 직선 오른쪽 그림과 같이
 측정한 각의 크기가
   보다 위쪽에 있거나 만나는 부분의 의 값의
 ∠CAH  
범위와 같으므로 ∠CBH  일 때 삼
  각 형 CBA에서
 ≤≤ 
  ∠BCA  이므로 사인법칙에 따라
 
AC
 
sin sin
 
AC  sin × 
sin
한편 삼각형 CAH에서
 
CH AC × sin

 sin ×  × sin
sin
  ⋯ m 
96쪽
따라서 학교 건물의 높이를 소수점 아래 셋째 자리에서
함수   cos  의 반올림하여 구하면  m 이다.
그래프를 그려 보면
최댓값:     예제 4 따라 하기
최솟값:      
코사인법칙에 따라

주기:   
        cos
 

      ×  ×  × cos
 
그런데   이므로  





4 사인법칙과 코사인법칙 97~107쪽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로 놓으면 코사인법칙으로부터
예제 1 따라 하기     
cos  

삼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인법칙에 따라    이므로 그런데     이므로   
sin sin

  sin ×     m
sin


  
   ⑴   ⑵   ⑶  
코사인법칙에서 ∠C 가 직각이면      이므로
⑴ 정삼각형 ⑵   인 이등변삼각형
피타고라스 정리가 성립한다.


 m
⑴ 
 ⑵ 

176 정답 및 풀이


 오른쪽 그림과 같이 꼭짓
점 A B C D 를 지나

 고 대각선에 평행한 직선
을 각각 그어 평행사변형
   A′B′C′D′ 을 만들면 사
사인법칙        에서
sin  sin  sin  
각형 ABCD의 넓이는 사각형 A′B′C′D′ 의 넓이의  이
   sin     sin  
이므로 삼각형 ABC 의 넓이  는 다.
 이때 사각형 A′B′C′D 의 넓이는
    sin 




 ×  ×  ×  × sin  


  ×  sin  ×  sin  × sin 
 이므로 사각형 ABCD 의 넓이는
  sin  sin  sin  
 × 
  

오른쪽 그림과 같이 헬리콥터


〈방법 〉 ∠BAD  ∠CAD  라 하면 의 위치를 C 라 하면 삼각형
 CHA에서
∆ABD   × 
AB × 
AD× sin
 

AC   이고,
 sin
∆ACD   × 
AC × 
AD× sin
 삼각형 ABC 에서 사인법칙에
이므로 따라
∆ABD  ∆ACD  
AB  
AC ⋯⋯ ㉠ 
AB 
AC
 
〈방법 〉 꼭짓점 A에서 변 BC 또는 그 연장선 위에 내린 sin sin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이므로
  sin  sin
∆ABD   × 
BD× 
AH AB  
AC ×    × 
 sin sin sin
  
∆ACD   × 
CD× 
AH   ×    ⋯ km 
  
이므로 따라서 두 지점 A B 사이의 거리를 소수점 아래 셋째

∆ABD  ∆ACD  
BD  
CD ⋯⋯ ㉡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구하면  km 이다.

➡ ㉠, ㉡에서 
AB  
AC  
BD 
CD 임을 알 수 있다.

111~113쪽

108쪽 ③ ② ① ⑤ ④
⑤ ② ⑤ ③ ⑤
⑴  sin ⑵  cos      ⑶   

⑴        ⑵      
 ④ ①  


   인 직각삼각형    
     또는       
  km    

   m 

Ⅱ. 삼각함수 177
각 가 제사분면의 각이므로 정수 에 대하여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cos     
    
    sin  sin    

따라서 이 짝수이면 각  는 제사분면의 각이고,


이 홀수이면 각  는 제사분면의 각이다.

사인법칙에 따라
   sin    ×  × sin  

주어진 그림에서 함수   의 최댓값이 , 최솟값이
 이므로       sin    ×  × sin  

한편 꼭짓점 A에서 변 BC 에
 
 
또       이므로 함수   의 주기는
 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이다. 
BH 
 × cos
 
즉   에서   
 ×   

 
따라서    

CH  × cos   ×   


 이므로  CH
  BH     

cos  sin   에서
 따라서 삼각형 ABC 의 넓이는

  sin   sin    sin   sin      
 sin    ×  × 
  
  × sin
 
 

sin     즉 sin      


 
 ≤   에서     또는    
 
 
따라서 구하는 합은       
  코사인법칙으로부터
     
cos    
cos  로 놓으면   ≤  ≤ 이고 주어진 부등식은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로 놓으면 

        
sin        
    



이때 는   ≤  ≤ 에서   일 때 최솟값 이때 삼각형 ABC 의 넓이는
  을 가지므로  

 ×  ×  ×   

   ≥  즉 ≥  

따라서 구하는 실수 의 최솟값은 이다. 한편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라 하면 삼각형

 ABC 의 넓이는
함수   cos의 그래프를 축의 방향으로  만
 
 ×       

 
큼, 축의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하면
 

  
  즉  

  
  cos     
   따라서 삼각형 ABC 의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이다.

178 정답 및 풀이


 
 cos  cos  
 이다. 


sin  로 놓으면   ≤  ≤ 이고 주어진 함수는 cos cos    

       ⋯⋯Œ 
  cos  

      로 놓으면
따라서 다음 그림에서 의 값의 범위는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 
  
오른쪽 그림에서 함수
  는   ≤  ≤ 에서
 
   일 때 최댓값  ,
 
  일 때 최솟값  을
갖는다. ⋯⋯
따라서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  오른쪽 그림에서 삼각형 PQR 의
      ⋯⋯Ž
  넓이는

단계 채점 기준 배점 비율  ×  ×    m  

Œ sin   로 치환하기  % 삼각형 PRS에서
 최댓값과 최솟값 구하기  % 
PR   m 이고, ∠PSR  
Ž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 구하기  % 라 하면 코사인법칙으로부터
     
cos    
 ×  ×  
코사인법칙에 따라
이므로
       cos


       
⋯⋯㉠ ⋯⋯Œ
주어진 조건에서     이므로 이것을 ㉠에 대
sin       
   
 

이때 삼각형 PRS의 넓이는


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m  
 
       따라서 구하는 공원의 넓이는   
  m
       이다.
즉       또는      이다. ⋯⋯
따라서 삼각형 ABC 의 넓이는 114쪽
 ➊ 최댓값이 , 최솟값이 이므로
 ×  ×  × sin  
 ⋯⋯Ž

          
단계 채점 기준 배점 비율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Œ 코사인법칙을 이용하여 식 세우기  %  
➋ 주기는 시간이므로   에서  
 
  의 값 구하기  %

➌ ➊, ➋에서   sin       이고, 주어진 그래
Ž 삼각형 ABC 의 넓이 구하기  % 
프는 시에 최댓값을 가지므로

이차방정식   
  cos  cos  의 판별식을   sin    의 그래프를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

 라 하면 실근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행이동한 것과 같다.
즉  

Ⅱ. 삼각함수 179
따라서 그래프가 나타내는 함수의 식은 다음과 같다.

  sin       (단,  ≤   )

180 정답 및 풀이
   ×      ⑴    또는   
Ⅲ. 수열 예제 1 따라 하기
따라서 준서가 원하는 좌석 번호는 이다. ⑵       또는      
첫째항을 , 공차를 라 하면
한편 오른쪽 창가 좌석 번호를 뒤에서부터 차례로 나열한
       ⋯⋯ ㉠
배운 내용 확인하기 118~119쪽
수열을 이라 하면 수열 은 
      ⋯⋯ ㉡ ⑴  ×    ⑵  ×    
          
   ⋯ 
⑴          ㉠, ㉡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이므로 첫째항이 , 공차가  인 등차수열이다.
⑵           ×   
따라서 주어진 등차수열 의 일반항은 즉 수열 의 일반항은    ×     이므로
 
⑴       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⑴  ⑵  ⑶       따라서 연우가 원하는 좌석 번호는 이다.
138쪽

⑴      ⑵      ⑴    
⑵ 등비중항,  ⑶       
132쪽

1 수열의 뜻 120~122쪽  은 첫째항이 , 공차가 인 등 ⑴    ×    ⑵    ×  

제항
⑴ 제항: , 제항:  차수열의 첫째항부터 제항까지
     
 
  
⑴ ×   ⑵ ×  
  의 합이므로   
⑵ 제항:  , 제항:  ⑴  ⑵      
        ⑴      ⑵   ×
        ⋯    
년: 명, 년: 명
       
⑴          
 
⑵     
년에 만 명이고, 년 동안 매년  씩 감소하므
 로 년의 인구는
⑴    ⑵   
           ⋯  ×      × 
3 등비수열 133~137쪽
 (명)
    ⋯ 또 년부터 년 동안 매년  씩 증가하므로 
123쪽
➡ 첫째항이  , 공차가  인 등차수열 ⑴ 공비:   ⑵ 공비:     년의 인구는
⑴ 수열 ⑵ 항 ⑶ 일반항,    ×      × 
   
  ⋯
⑴ 첫째항:  , 제항:  ⑵ 첫째항:  , 제항: 

⑴     

⑵     

⑴  ⑵  
⑴       

⑵    ×  
 에서 약 명이다.
   
⑴   , 제항:  ⑵    , 제항:  
  예제 1 따라 하기 139쪽
         
첫째항을 , 공비를 라 하면 ⑴ 매월 초에 만 원씩 적립하였을 때 개월 후에 받는 금액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약 원이다.
   ㉡을 ㉠으로 나누면   
131쪽  매월 초에 만 원씩 적립하였을 때 개월 후에 받는 금액은
      
  ×  ×   
         ⑴    ⑵ 등차중항,   ⑶ ➊   ➋   이때 는 실수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제항  이것을 ㉠에 대입하면   
에서 약 원이다.
                  준서: , 연우  따라서 주어진 등비수열 의 일반항은
따라서 매월 초에 만 원씩 개월동안 적립하였을 때 받는

따라서      이다. 
   × 
   금액이 더 많다.
  ⑵ 매월 초에 적립할 금액을 만 원, 기간을 개월로 정
2 등차수열 124~130쪽
왼쪽 창가의 좌석 번호를 앞에서부터 차례로 나열한 수열
을 이라 하면 수열 은
 

   × 
 하면 받게 되는 금액은
⑴ 공차:   ⑵ 공차: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첫째항이 , 공차가 인 등차수열이다.
⑴      ⑵      즉 수열 의 일반항은     이므로

   × 
   에서 약 원이다.

180 정답 및 풀이 Ⅲ. 수열 181
     
4 수열의 합 140~145쪽 ⑴  5 수열의 귀납적 정의 148~150쪽    년 후에 이 연못에서 빼내는 물의 양은   , 새
 
      
 
⑵ 
 ⑴  ⑵ 

  
  
로 채워 넣는 물의 양은     ×     이므로
⑴    

⑵ 

 

 
 
       
     
⑴  ⑵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⑴            즉            ⋯

 
 
⑵   
     ⋯     자전거 대회에 참가하기 위하여 연습할 때, 첫째 날
    에는  km 달리고 그다음 날부터는 전날에 달린 거리보
⑶    ⋯  
× × ×    다  만큼 더 달리기로 한다. 6 수학적 귀납적 152~155쪽

일째 날에 달린 거리를  이라 하면 첫째 날에
⑴  ⑵ 
146쪽 달린 거리는  km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일째 날에 달린 거리   은  보다   
⑴   ⑵    ⑶  ⑷  ⑸ 
⑴  ⑵  더 달린 거리이므로
➊   일 때,
    이라 하면    이다.               ⋯
⑴    ⑵ 
 (좌변)        (우변)
한편   일 때 주어진 식의 좌변은
  따라서   일 때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한다.
  ⑴  ⑵  ⑴  ⑵ 
 
   

 


       

➋     ≥ 일 때,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한다고 가
정하면
주어진 식의 우변은 〈방법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같은 수끼리 묶어서 생각하면 부등식 ㉠의 양변에 를 곱하면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주어진 식은 성립하지 않는다.      ⋯   한편
       ×     
따라서 정민이의 추측은 옳지 않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 ≥ 이므로       
즉 수열 은      ⋯이므로 첫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즉       이므로
항이 , 공차가 인 등차수열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방법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위 부등식은 주어진 부등식에     을 대입한 것과
  ×    ×   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이 성립하므로
따라서 수현이의 추측은 옳다.   같다.
           
  따라서     일 때도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한다.
      ⋯
⑴  ⑵  ➊, ➋에서  ≥ 인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주어진 부
     
147쪽
등식이 성립한다.
즉      이므로 수열 은 첫째항이 ,
분홍색으로 색칠한 도형의 넓이는   
예제 2 따라 하기
공차가 인 등차수열이다.
   연두색으로 색칠한 도형의 넓이는  ×   
         





주황색으로 색칠한 도형의 넓이는  ×   
151쪽
        파란색으로 색칠한 도형의 넓이는  ×    ➊   일 때,    ×   이므로 을 으로 나눈
×   
  즉 전체 도형의 넓이는        이다.    
⑴ 귀납적 정의 ⑵   ⑶   나머지는 이다.
      따라서   일 때 주어진 명제가 성립한다.
 한편 주어진 그림은 한 변의 길이가       인 정 ⑴  ⑵   
 
사각형이므로 이 정사각형의 넓이는         이다. ➋   일 때,   를 으로 나눈 나머지가 이라
     
             ⋯ 가정하면
 따라서 다음이 성립함을 알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182 정답 및 풀이 Ⅲ. 수열 183
       ( 은 정수), 즉 ➊   일 때, 157쪽 자연수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  의 꼴일 때
(좌변)            (우변)
   
한편 ➊   일 때,      
따라서   일 때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좌변)   , (우변)           
➋     ≥ 일 때,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고 가정
          따라서   일 때 등식 ㉠이 성립한다.        
하면
       ➋   일 때, 등식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   의 꼴일 때
   
이므로       도 으로 나눈 나머지가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일 때도 주어진 명제가 성립한다. 이때      이 성립하므로      

➊, ➋에서 주어진 명제는 참이다. ㉠의 양변에  을 더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의 꼴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위 등식은 등식 ㉠에     을 대입한 것과 같다. 즉 으로 나눈 나머지가 각각   이고 수열
     
   
따라서     일 때도 등식 ㉠이 성립한다. 은   이 차례로 반복되므로
           
      ➊, ➋에서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등식 ㉠이 성립한다.
156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위 부등식은 주어진 등식에     을 대입한 것과


풀이 참조 풀이 참조   ×         
풀이 참조 같다.
따라서     일 때도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한다.
➊, ➋에서  ≥ 인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주어진 등

➊   일 때, 식이 성립한다.
159~161쪽


       에서
   
(좌변)    , (우변)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④ ④ ① ③ ④  
따라서   일 때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 
➋   일 때,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➊   , 즉 모인 사람이 명일 때 악수한 총횟수는 이
⑤ ② ② ⑤ ④     




③ ⑤  풀이 참조
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좌변) , (우변)    ㉡에   을 대입하면 ㉠과 같으므로
 
위 등식의 좌변에  을 더하면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일 때 등식 ㉠이 성립한다. 공차가    이므로   의 값이 최대가 되게 하는 의  
 



× 


× 

×
 ⋯ 

  
➋     ≥ 일 때, 등식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값은  ≥ 을 만족시키는 의 최댓값과 같다. 


 
  
 
   등차수열 의 일반항은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모인 사람이 명일 때 악수한 총횟수가  이고, 새로 
    ≥   ≤    ⋯

  

       
명이 추가되었을 때, 이 사람과 나머지 명의 사람이
이때 은 자연수이므로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각각 한 번씩 악수하게 되므로 추가로 악수한 횟수는 

    
     이다. 즉
첫째항이 , 공비가 인 등비수열 의 일반항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위 등식은 주어진 등식에     을 대입한 것과 같 위 등식은 등식 ㉠에     을 대입한 것과 같다.        ×   
    

다. 따라서     일 때도 등식 ㉠이 성립한다. 따라서 수열     은 첫째항이 , 공비가


따라서     일 때도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 ➊, ➋에서  ≥ 인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등식 ㉠이
인 등비수열이므로 첫째항부터 제항까지의 합은                  
➊, ➋에서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주어진 등식이 성립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한다. 
       

184 정답 및 풀이 Ⅲ. 수열 185
이차방정식       에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따라   
        ⋯⋯Œ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따라서 단의 입체도형을 만드는 데 사용된 정육

면체의 개수  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대신   을 대입하면
  ⋯⋯Ž
             ⋯⋯ ㉡
단계 채점 기준 배점 비율 ㉡  ㉠을 하면
Œ 근과 계수의 관계 이용하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의 성질 이용하기  %
            
Ž 자연수의 거듭제곱의 합 구하기  %
그런데        이므로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➊   일 때,
한편 ㉠에   을 대입하면     이므로
(좌변) , (우변)  ×      ⋯⋯Œ
      
따라서   일 때 등식 ㉠이 성립한다.
➋   일 때, 등식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     
           

   그런데   이므로   
이때       가 성립하므로
   즉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위 등식은 등식 ㉠에     을 대입한 것과 같다.           

따라서     일 때도 등식 ㉠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➊, ➋에서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등식 ㉠이 성립한다.
⋯⋯Ž 162쪽

안에 알맞은 것을 차례로 나열하면


단계 채점 기준 배점 비율
    
Œ    일 때 성립함을 보이기  %
로 시작하는 보고 말하기 수열은
  일 때 성립함을 가정하여     일       ⋯
  %
때 성립함을 보이기
으로 시작하는 보고 말하기 수열은
Ž 증명 마무리하기  %       ⋯
두 수열의 각 항은 가장 왼쪽 숫자를 빼면 같은 형태이다.

186 정답 및 풀이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