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8

4.


[해설]
전극 A 는 ( )극에, 전극 B 는 ( )극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극 A , B 에
서 생성된 기체는 각각 O  , H  이다.
H  O 가 전기 분해될 때 O  와 H  는   의 몰비로 생성되므로
1 ② 2 ② 3 ④ 4 ⑤ 5 ③
  ,   이다.
6 ② 7 ⑤ 8 ④ 9 ① 10 ①
[정답 맞히기]
11 ③ 12 ③ 13 ④ 14 ① 15 ③
ㄱ. ㉠은 전자이다.
16 ③ 17 ① 18 ④ 19 ⑤ 20 ② ㄴ. 전극 B 에서 생성된 기체는 H  이다.

ㄷ.   이다.

1. ②
[정답 맞히기]
ㄴ . ㉠ 은 인류의 식량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하였다 .

[오답 피하기] 5. ③
ㄱ. ㉠ 의 구성 원소는 질소( N )와 수소 ( H )이다 . [해설]
ㄷ . ㉠ 은 탄소 화합물이 아니다 . 온도와 압력이 일정하므로 아보가드로 법칙에 따라 기체의 부피는 몰수
에 비례하고 , 화학 반응식에서 반응 전과 후 원자의 종류와 수는 일정
하다.
Y 원자 수
반응 전과 후 X와 Y 원자 수는 일정하므로 반응 전  이
X 원자 수
다 . 기체  L 에 해당하는 양을  mol 이라 할 때 , 반응 전 XY 와 Y
2. ② 의 양은  mol 로 동일하며 , 반응 후 Y 와 X Y 의 양은 각각
[해설]  mol,  mol이다.
X와 Y 는 모두 전자를 잃어 Ne 의 전자 배치를 가지고, 과 은  XY  mol 과 Y  mol 이 반응하여 X Y  mol 이 생성되었으므
이하의 자연수이므로 X와 Y 는 모두 주기 금속 원소이다.
로 화학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 XY  Y →  X Y
[정답 맞히기]
반응 전과 후 X 와 Y 의 수는 일정하므로   ,   이다.
ㄷ. X , Y 모두 금속이므로 고체 상태에서 전성 (펴짐성 )이 있다 .

따라서     이다.
[오답 피하기]
ㄱ.   일 때 원자 번호가 X  Y이므로 원자 반지름은 X  Y이다.
ㄴ.   일 때 원자 번호가 X  Y이므로 이온 반지름은 ㉠  ㉡ 이다.

6. ②
■ 상황 파악하기
3. ④ 이온 반지름
○  인 것은 비금속 원자이다.
[해설] 원자 반지름
(가), (나)가 주기 원소로 이루어진 분자이고, 모든 원자가 옥텟 규칙을 ○ 제  이온화 에너지는 O, Cl  Mg  Al  Na이다.
만족하므로 W ∼ Z 는 각각 C, N , O, F 중 하나이다.
따라서 (가), (나)는 각각 COF  , NF  이고, W ∼ Z 는 각각 C, F , O, N ■ A ∼ C 구하기
이다. O , Na, Mg , Cl 중
(가 )를 만족하는 원자는 O , Cl이고,
[정답 맞히기] (나 )를 만족하는 원자는 Mg , O , Cl 이며,
ㄴ. (가)( COF  )의 분자 모형은 평면 삼각형이다. (다 )를 만족하는 원자는 Cl이다.

ㄷ. 비공유 전자쌍 수는 (가)( COF  , )  (나)( NF  ,  )이다.


따라서 A ∼ C 는 각각 (가 ), (다 ), (나 )이다 .

[오답 피하기]
ㄱ. (나)( NF  )는 극성 분자이다.

- 1 -
7. ⑤ 8. ④
[해설] [해설]
■ 상황 파악하기 ■ 상황 파악하기
○  ∼ 족 바닥상태 원자의  오비탈에 들어 있는 전자 수는  ×주기 ○ 주기 원소로 구성된 분자에서 모든 원자가 옥텟 규칙을 만족할 때
와 같다. 구성 원소로 가능한 것은 C , N , O , F 이다.
○ 모든 원자가 옥텟 규칙을 만족하는 분자 중 종류의 서로 다른
■ W , Y 구하기 주기 원소로 구성된 원자 분자는 NOF , FCN 이다.
 오비탈에 들어 있는 전자 수
W와 Y는 같은 주기 원소이고, 가   이
홀전자 수 ■ Y, Z 구하기
므로 W, Y는 각각 족, 족 원소이다. 주기 원소로 구성된 분자에서 모든 원자가 옥텟 규칙을 만족할 때
 오비탈에 들어 있는 전자 수 구성 원소로 가능한 것은 C, N , O, F 이므로 ZY 는 CF  이다.
W가 주기 족 원소(N )이면 가
홀전자 수
따라서 Y , Z 는 각각 F , C 이다.
  오비탈에 들어 있는 전자 수 
 이므로 X 의 는  이고, 이를 만족하는
 홀전자 수 
■ W, X 구하기
원소는 없으므로 모순이다.
XWY 와 YZX 로 가능한 분자는 NOF , FCN 이고, YZX 의 공유 전자쌍
따라서 W, Y는 주기 원소이고, 각각 P , Al이다.
수가 이므로 YZX는 FCN 이고, XWY는 NOF 이다.
따라서 W, X는 각각 O, N 이다.
■ X , Z 구하기
 오비탈에 들어 있는 전자 수 
W가 P 이므로 가 (  )이다. [정답 맞히기]
홀전자 수 
ㄴ. ㉡은 Z 이다.
 오비탈에 들어 있는 전자 수
X의 가 이므로 B이다. ㄷ.   이다.
홀전자 수
Z 의 홀전자 수는 W와 같으므로 Z 는 N 이다.
[오답 피하기]
[정답 맞히기] ㄱ. ㉠은 X이다.
ㄱ. W ( P )는 주기 원소이다.
ㄴ. 원자 반지름은 X(B) Z(N )이다.
ㄷ. 원자가 전자 수는 W(P , )  Y(Al,  )이다.

- 2 -
9. ① 10. ①
[해설] [해설]
■ 상황 파악하기 ■ 상황 파악하기
○ 질량수는 중성자수 양성자수와 같고 , 중성 원자에서 전자 수와 양 ○ 중화 적정 실험에서 산 수용액에 들어 있는 H  의 양(mol )과 염기
성자수는 같다. 수용액에 들어 있는 OH  의 양(mol )은 같다.
○ 어떤 용액에 물을 가하여 용액을 희석했을 때 용질의 양( mol )은
■ X ∼ Z 의 양성자수와 ㉠ 구하기 변하지 않는다.
X 의 질량수와 중성자수는 각각 , 이므로 양성자수는 이다.
X ∼ Z 는 중성 원자이므로 양성자수와 중성자수가 같다. ■ (나 )에서 만든 수용액  mL 에 들어 있는 용질의 질량(g ) 구하기
따라서 X ∼ Z 의 양성자수는 각각 , , 이다. 식초 A  mL 와 (나)에서 만든 수용액  mL 에 들어 있는 용질의 양
Y 의 양성자수와 중성자수가 각각 , 이므로 질량수는 ㉠  이다. ( mol )은 같으므로 (나)에서 만든 수용액  mL 에 들어 있는
CH  COOH 의 질량은  g 이다.
  
따라서 X ∼ Z 는 각각  O ,  O ,  F 이다.

■  구하기
[정답 맞히기] (나)에서 만든 수용액  mL 에 들어 있는 용질의 양( mol )과 M
ㄱ. ㉠은 이다. NaOH    mL 에 들어 있는 용질의 양(mol )은 같으므로
  
 ×  ×    이다.
[오답 피하기]   

ㄴ. X (  O )와 Z (  F )는 동위원소가 아니다 .



ㄷ. Y  (O  )의 전자 수는 이다. 따라서    이다.


- 3 -
11. ③ 12. ③
[해설] [해설]
■ 상황 파악하기 ■ 상황 파악하기
○ 바닥상태 규소( Si ) 원자의 전자 배치에서 전자가 들어 있는 오비탈 ○ W, Z의 원자가 전자 수가 같고, W, Y, Z의
은  ,  , ,  , 이다.  오비탈에 들어 있는 전자 수
가 모두 다르므로 W, Z 의 원자가
○   는  ,  , ,  , 가 각각 , ,  중 하나이다. 전자가 개 들어 있는 오비탈 수

○    는  가 이고, 는 , ,  중 하나이다. 전자 수를 구할 수 있다.

■ (가 ), (다 )의 후보와 (라 ) 구하기 ■ , W, Z 구하기

  는 (라 ) (다 ) (가 )이므로 (가 ), (다 ), (라 )의   는 각각 , , W, Z의 원자가 전자 수가 같고, W, Y, Z의

이다 . 따라서 (가 )는  또는 이고 , (다 )는  또는 이며 , (라 )  오비탈에 들어 있는 전자 수


가 모두 다르므로 W, Z 의 원자가 전자
전자가 개 들어 있는 오비탈 수
는  이다.
수는 이다. 따라서   이다.
 오비탈에 들어 있는 전자 수
■ (나 )와 (다 )의 후보 구하기 이때 W와 Z 의 비는   이므로
전자가 개 들어 있는 오비탈 수
(라 )( )의    는 이다 . 이때 ,    는 (다 ) (라 )이므로 (다 )는 

W 와 Z 는 각각 C (), Si (  )이다.
오비탈일 수 없다 . 따라서 (다 )는 이고 , (나 )와 (다 )의    이 동일 
하므로 (나 )는 (다 )와  이 같은 임을 알 수 있다.
■ X , Y 구하기
■ (가 )∼ (다 ) 구하기  오비탈에 들어 있는 전자 수 
X의 는  이고, 원자가 전자 수가 이
   는 (가 ) (다 ) (라 )이고 , (라 )의      이므로 (가 )는  일 전자가 개 들어 있는 오비탈 수 
므로 X는 O이다.
수 없다 . 따라서 (가 )는    인  , (다 )는    인 이고 , (나 )
 오비탈에 들어 있는 전자 수 
는    인 이다. Y의 는  이고, 원자가 전자 수가 이
전자가 개 들어 있는 오비탈 수 
므로 Y 는 B 이다.
[정답 맞히기]
ㄱ. (가)는 이다. [정답 맞히기]
ㄴ. (나)( )와 (라)( )의   는 으로 같다. ㄱ. W는 C이다.
ㄴ. 전기 음성도는 XO   Z Si이다.
[오답 피하기]
ㄷ . (가 )∼ (라 )의    는 각각 , , , 이므로 그 합은 이다. [오답 피하기]
ㄷ. 원자가 전자가 느끼는 유효 핵전하는 W ( C ) Y ( B )이다.

- 4 -
13. ④ 14. ①
[해설] [해설]
■ 상황 파악하기 ■ 상황 파악하기
○ 화학 반응식에서 반응 전후 원자의 종류와 수 , 전하량의 합은 일정 ○ 수용액 Ⅲ을 (가)의 수용액,  M A ()  mL ,  M A ()  mL
하다. 을 혼합한 용액으로 생각할 수 있다.
○ 산화 환원 반응에서 산화제가 얻은 전자 수와 환원제가 잃은 전자 수 ○  M A ( )과  M A ( )을 혼합한 수용액의 몰 농도가  M 일 때,
는 같다.   이다.
○ XO   mol 이 반응할 때 이동한 전자의 양( mol )은 X 의 산화수 변화 ○ 용질의 질량비(⍺용질의 몰비)를 몰 농도 비로 나누어 용액의 부피 비
량을 의미한다. 를 구할 수 있다.

■  구하기 ■  구하기
생성물에서 N 의 산화수가  이므로 X의 산화수는  이다. 수용액 Ⅲ을 (가)의 수용액,  M A ()  mL ,  M A ()  mL
따라서   이다. 을 혼합한 용액으로 생각할 수 있고, 이는 (가)의 수용액과  M A ()
 mL 를 혼합한 것과 같다.
■ 과 , 의 관계 구하기 이때, 수용액 Ⅲ의 몰 농도가  M이므로 (가)의 몰 농도는  M 이다.
따라서   이다.
반응 후 N 의 산화수는 증가하였으므로 XO  는 산화제이고, XO 
 mol 이 반응할 때 이동한 전자의 양은  mol 이므로 반응물에서 X 의
■ ,  구하기
산화수는  이다. X의 산화물에서 O 의 산화수는  이므로   이
(다) 과정에서  M A ()  g 과  M A ()  mL 를 혼합하여
다.
 M A  를 만들었으므로  M A ()  g 의 부피는  mL 이다.
N 의 산화수는  에서  로 만큼 증가하였고, X 의 산화수는  에
 M A ( )의 밀도가  gmL 이므로   이다.
서  로 만큼 감소하였으므로       ,   이다.

수용액 Ⅲ에 들어 있는 용질의 양은 수용액 Ⅰ과 Ⅱ에 들어 있는 용질의


■  ∼ 의 비 구하기
양의 합과 같으므로 수용액 Ⅱ에서 용질의 질량( g )은 이다.
전하량 보존 법칙에 따라        이므로   이고 , 반응
수용액 Ⅱ와 Ⅲ의 용질의 질량비는    , 몰 농도 비는   이므로 수용
전과 후 H 의 수는 일정하므로   이다.
액의 부피 비는   이다. 따라서 수용액 Ⅰ과 Ⅱ의 부피 비는   이고,
따라서               이다.
  이다.

 
따라서  ×       ×      이다.  
  따라서     이다.
 

- 5 -
15. ③ 16. ③
[해설] [해설]
■ 상황 파악하기 ■ 상황 파악하기
○ 금속의 산화 환원 반응은 전하량 보존 법칙을 만족한다. ○ 주기 바닥상태 원자의 전자 배치에서 전자가 들어 있는 오비탈의
  
○ (다 )에 존재하는 양이온은 B , C 이므로 A 는 모두 반응하    로 가능한 값은 ( ,     ), ( ,     ), 
여 A  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      )이고, 주기 바닥상태 원자는  오비탈에 전자가 존재
○ (가 )와 (다 )에 들어 있는 전체 양이온의 양 ( mol )과 양이온의 전하
하므로 ㉠으로 가능한 오비탈은  ,    또는   이
량의 합이 같으므로      또는     이다.
다.

■ 와 ,  구하기 ○ ㉠에 들어 있는 전자 수가  이상일 때, ㉠에 해당하는 오비탈은 개

(다 )에서 A   는 모두 반응하여 A  가 되었으므로   이다. 이상이므로 Y와 Z 에서 ㉠은  ,     이다.


(가 )와 (다 )에 들어 있는 양이온의 평균 전하량이 같고 , 이하의 자연
수 , 에 대하여   이므로     ,   ,   이다. ■ ㉠ 에 들어 있는 전자 수가 임을 이용하여 Y, Z 구하기
㉠에 들어 있는 전자 수가  이상일 때, ㉠에 해당하는 오비탈은 개 이
■ (다 )에 들어 있는 양이온의 양 ( mol )을 구하여  구하기 상이므로 Y와 Z 에서 ㉠은  ,   이고,    인  오비탈에
 
(가 )와 (다 )의 평균 전하량이 로 같으므로 (다 )에서 B 와 C 의 양 들어 있는 전자 수는 이다.
은  mol로 같다. 이때 Y, Z 는     (   )인 오비탈에는 전자가 들어 있지 않
(나 )에서 A    mol 과 B   mol 이 반응하였으므로 전하량 보존
고,    인  오비탈에 전자가 개 또는 개 들어 있으므로 각각

법칙에 따라    × ,    이다. B , C 중 하나이다.

원자 반지름은 Y  Z 이므로 Y, Z 는 각각 B, C이다.


따라서  ×    ×   이다. ■ 원자 반지름과 홀전자 수 합을 이용하여 W , X 구하기

X는 B보다 원자 반지름이 크므로 Li 또는 Be 이다. 이때 ㉠에 들어 있는
전자 수가 이므로 Li는 불가능하므로 X는 Be 이다.

W ∼ Z 의 홀전자 수 합이 이므로 W의 홀전자 수는 이고, W의 원자


반지름이 C보다 작으므로 W는 F 이다.

[정답 맞히기]
ㄱ. Z 는 C 이다.
ㄴ. 제  이온화 에너지는 XBe   YB이다.

[오답 피하기]
ㄷ. W(F )에서    인  에 전자가 개 들어 있으므로    인 오

비탈( ,  ,      )에 들어 있는 전자 수는 이다.

- 6 -
17. ① 18. ④
[해설] [해설]
■ 상황 파악하기 ■ 상황 파악하기
 
○  ℃에서  w  H  O OH    ×   
이다. ○ 가 산과 가 염기가 혼합된 용액의 액성이 염기성일 때, 전체 양이
온의 양은 가 염기에 들어 있는 구경꾼 양이온의 양과 같다.
○ pH 에 일정한 값이 더해질 때, H  O  는 일정한 값이 곱해지는
○ 산성 용액에 가 염기를 혼합하는 상황에서 혼합 용액의 액성이 산성
관계를 이룬다.
일 때, 전체 양이온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모든 양이온의 몰 농
○ H  O  의 양(mol) = H  O  (M) × 부피(L )
도( M ) 합을 구할 때 희석의 관점을 이용할 수 있다.

■  구하기
■ (나 )가 중성임을 이용하여 (가 )에서 HCl   mL 에 들어 있는 용질
(가 )∼ (다 )의 pH 가 일정하게 가 더해지므로 H  O  는 일정한 값이 의 양( mmol ) 구하기

곱해지는 관계를 이룬다 . 이때 , (가 )∼ (다 )의 H  O 의 양( mol )이 일 YOH  의 몰 농도는  M 이고, (나)의 액성이 중성이므로 H  X 
정하게 가 나눠지므로 부피 또한 차례로 일정한 값이 곱해지는 관  mL 에 들어 있는 용질의 양(mmol )은 이다.
 이때 HCl(  )의 몰 농도(M )는 H  X ( )의 몰 농도(M )의 배이므로
계를 이룸을 알 수 있다 . 따라서    ×  ,   이다.
 (가)에서 HCl   mL 에 들어 있는 용질의 양( mmol )은 이다.

■ 와  구하기
■ (가 )의 액성을 파악하여  , ,  구하기
(가 ) 에서 H  O  의 양이   mol이므로    이다. (가)에서 HCl   mL 와 YOH    mL 에 들어 있는 용질의

(나 ) 에서 H  O 의 양이  
mol이므로 pH 는 ,   이다. 양( mmol )은 각각 , 이므로 (가)의 액성은 염기성이다.

[정답 맞히기] sol1)


ㄴ.   이다. 가산과 가 염기가 혼합된 용액의 액성이 염기성일 때, 전체 양이온의
양(mmol )은 염기에 들어 있는 구경꾼 양이온의 양(mmol )과 같으므로

[오답 피하기] (가)에서 전체 양이온의 양( mmol )은 이고, 모든 양이온의 몰 농도


합(M )이 이므로 (가)의 부피( mL )는 이다. 따라서   이다.
ㄱ . (가 )의 액성은 산성이다 .
ㄷ . (가 )∼ (다 )의 pH 는 각각 , , 이고, pOH 는 각각 , , 이다.
pH × pOH 는 (가 )와 (다 )가 로 같고 , (나 )가 이므로 (나 )가 가 sol2)
가 염기에 가 산을 혼합하는 상황으로 생각하면, 액성이 바뀌기 전까지
장 크다.
전체 양이온의 양은 변하지 않으므로 (가)를 YOH  가 희석되는 상황으
로 생각해볼 수 있다.
YOH 의 몰 농도(M )가 이고, 용액의 부피가 증가하여 혼합 후 모든
 
양이온의 몰 농도(M ) 합이 로  배 되었으므로 전체 부피는  배가
 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 ×     ,   이다.

HCl  mL 에 들어 있는 HCl의 양( mmol )이 이므로   ,


  이다.
(나)의 액성이 중성이므로 전체 양이온의 양( mmol )은 YOH  
 mL 에 들어 있는 구경꾼 양이온의 양( mmol )과 같다. 따라서 전체
양이온의 양(mmol )은 이고, 수용액의 부피(mL )가 이므로
  이다.

■  구하기
(다)에서 H  X 에 들어 있는 H  의 양이 YOH  에 들어 있는
OH  의 양보다 많으므로 (다)의 액성은 산성이다.

HCl에 들어 있는 H  의 몰 농도(M )와 H  X 에 들어 있는 H  의 몰 농도
(M )가 모두 로 동일하다. (다)를 산 수용액에 가 염기를 혼합하는

상황으로 해석하면 전체 양이온의 몰 농도( M ) 합이 에서 로 


배 되었으므로 전체 부피는  배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    ×     ,   이다.

×  × 
따라서     이다.
 

- 7 -
19. ⑤ 20. ②
[해설] [해설]
■ 상황 파악하기 ■ 상황 파악하기
○ 온도와 압력이 일정할 때 기체의 부피는 몰수에 비례한다. ○ 온도와 압력이 일정하므로 아보가드로 법칙에 따라 기체의 부피는 몰
○ X Y 와 X Y 의 분자당 X 원자 수가 같으므로 (가 )와 (나 )에서 단 수에 비례한다.
위 부피당 X 원자 수가 같다 . 따라서 (가 )와 (나 )의 X의 질량비는 ○ 주어진 반응은 질량 보존 법칙을 만족한다.
기체의 부피 비와 같다. ○ 전체 기체의 질량비에서 전체 기체의 밀도 비를 나누어 전체 기체의
부피 비를 구할 수 있다.
■ (가 )와 (나 )에 들어 있는 기체의 양 (상댓값 ) 구하기 ○ 생성된 D의 상태가 고체임을 주의해야 한다.
(가 )와 (나 )에 들어 있는 기체의 부피 비가   이므로 (가 )와 (나 )에
들어 있는 기체의 양 (상댓값 )을 각각 , 라고 하면 (가 )와 (나 )에 ■ 반응이 일어난 정도를 비교하여 (나 )에서 A 의 양( mol ) 구하기
들어 있는 X Y 와 X Y 의 질량비가 각각   ,   이므로 X Y 의 질 B, C, D의 반응 몰수 비는     이고, (가) → (나)에서 반응한 B의 양

량비에서의 값 차이 에 해당하는 기체의 양 (상댓값 )이 이다. 은  mol이므로 (나)에서 생성된 C, D의 양은 각각  mol,  mol이

따라서 X Y  g 에 해당하는 기체의 양 (상댓값 )은 이고, X Y  g 에 다. 이때 (다)에 존재하는 D 의 양은  mol 이므로 (나) → (다)에서 반응
한 B의 양은  mol 이고, (다)에 존재하는 C의 양은  mol 이다.
해당하는 기체의 양 (상댓값 )은 이다.

A , C , D 의 반응 몰수 비는     이고, (가)에 넣어 준 A 가 모두 반응
■  구하기
하여 생성된 C와 D의 양이 각각  mol ,  mol 이므로 (가)에 존재하는
(가 )와 (나 )에 들어 있는 기체의 부피 비가   이고 , 단위 부피당
A 의 양은  mol이며, (가) → (나)와 (나) → (다)에서 동일한 만큼 반응
Y 원자 수 비가   이므로 Y 원자 수 비는   이다.
했으므로 (나)에 존재하는 A 의 양은  mol 이다.
(가 )와 (나 )에서 X Y 의 양은 같고, X Y 의 양 (상댓값 )은 각각 , 
이며, X Y 의 분자당 Y 원자 수는 이므로 Y 원자 수 비에서의 값 ■ 전체 기체의 밀도 비를 이용하여 (다 )에서 B의 양(mol ) 구하기
차이 에 해당하는 양 (상댓값 )은 이다. (나)와 (다)에서 전체 기체의 질량비는   이고, 전체 기체의 밀도 비가
따라서 (가 )에서 Y 원자 수는 이므로    ×    × 이고,   이므로 전체 기체의 부피 비는   이다.
  이다.
(나)에서 전체 기체의 양은  mol이므로 (다)에서 전체 기체의 양은
■  구하기  mol 이다. 따라서 (다)에서 B 의 양은  mol 이다.
(가 )에서 X Y 와 X Y 의 몰비는   이고 , 질량비는   이므로 분자
량 비는   이다 . 따라서 X와 Y의 원자량 비는   이다.
X Y 를 구성하는 X와 Y의 질량비가   이므로 (가 )에서 X Y 에 들 ■ 와 A ∼ D의 화학식량 비 구하기

어 있는 X 의 질량( g )은 이다. (나) → (다)에서 추가한 B  g 중  g 이 A 와 반응하고 B  g 이

X Y 와 X Y 의 분자당 X 원자 수가 같으므로 각 기체에 들어 있는 남았으므로   이다.


(가) → (나)에서 반응한 A , B의 질량은 각각  g ,  g 이고, 생성된
X의 질량은 X Y 와 X Y 의 몰비와 비례한다 . 따라서 (가 )에서 X Y
C 의 질량은  g 이므로 질량 보존 법칙에 따라 (나)에서 생성된 D 의 질
 
에 들어 있는 X 의 질량( g )은  ×    이다. 량은  g 이다.
 
A ∼ D의 반응 질량비는       이고, 반응 계수 비는       이
 
(가 )에 들어 있는 X의 질량(g )은     ,    이다. 므로 화학식량 비는       이다.
 

    D의 화학식량 
따라서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이다.
    A 의 화학식량 

- 8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