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Massive - 2 N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59

화학Ⅱ

해설편
Massive 해설

빠른 정답 [1~30번] 빠른 정답 [46~75번]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ㄱ 2 ㄱㄷ 46 ㄴ 47 ㄴ

3  4  48  49 
 
5 ㄱ 6  50  51 ㄴㄷ
 

7  8  52 ㄱㄴㄷ 53 

9 ㄱㄷ 10  54 ㄱㄷ 55 ㄱㄷ

11  12  56  57 ㄱㄴ

13 ㄷ 14  58  59 ㄱㄴㄷ

15 ㄱㄴ 16 ㄱㄴㄷ 60 ㄴ 61 

17  18  62 ㄱㄴㄷ 63 ㄴㄷ

19  20  64 ㄴㄷ 65 

21  22  66  67 

23  24  68 ㄴㄷ 69 ㄱ


25   26  70  71 ㄱㄴㄷ

27 ㄱㄴ 28  72 ㄱㄴㄷ 73 ㄱㄴㄷ
 
29  30  74  75 
 

빠른 정답 [31~45번] 빠른 정답 [76~90번]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31  32 ㄴㄷ 76 ㄱㄴ 77 ㄱㄴㄷ

33 ㄱㄴㄷ 34  78  79 ㄴㄷ

35 ㄴㄷ 36 ㄱ 80  81 

37  38 ㄱㄴ 82 ㄴ 83 ㄱㄴ
 
39  40  84 ㄱㄴㄷ 85 ㄱㄴ
 

41   42 ㄴㄷ 86 ㄱㄴ 87 ㄱㄴ

43 ㄱㄴㄷ 44 ㄴㄷ 88 ㄴ 89 ㄱㄴㄷ

45 ㄴㄷ 90 ㄱㄴ
빠른 정답 [91~120번]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91  92 

93 ㄱ 94 


95  96 

97 ㄱㄴㄷ 98 

99  100 ㄱ


101  102 


103  104 ㄱㄴㄷ

105 ㄱㄴㄷ 106 

107  108 ㄴ

109 ㄱㄴㄷ 110 ㄴㄷ

111 ㄴㄷ 112 

 
113  114 
 

115  116 
117 ㄱㄴㄷ 118 ㄴ

119 ㄱㄴ 120 

발간팀 Cluster[클러스터] 화학Ⅱ팀


저자 윤홍빈, 이은호, 명재원, 조상훈, 정한결
전화 01090284944
이메일 hbyoon03@gmail.com
제작일 2022년 6월 29일

○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 전재와 무단 복제를 금지합니다.


○ 오탈자와 문항 오류 문의는 상기 연락처와 이메일 주소로 연락 부탁드립니다.
Massive 해설
1. 정답 ㄱ 난이도 ★ 2. 정답 ㄱㄷ 난이도 ★★

해설 해설

ㄱ. 온도-부피 그래프는 차 함수이다. 따라서 ℃에서 


ㄱ. Ⅱ와 Ⅲ를 비교했을 때     에서 압력, 질량,
 
A (g)의 부피는   이고, 온도와 압력이 일정할 때
 
온도가 같으므로  ∝  이다. 부피는 A (g)가 B(g)의
   
∝  이므로 화학식량은 A  B       이다.
   배이므로 분자량은 B가 A 의 배이다.
(ㄱ. 참) (ㄱ. 참)

ㄴ. 단위 변환에 주의하자. ∝이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ㄴ. Ⅱ에서    에 물리량을 직접 대입하면   atm ,


 
              →   A의 분자량은 , 밀도는 gL   gL , 온도는
 
(ㄴ. 거짓)  
K 이므로  ×    ×  × 에서    이다.
 
 Ⅰ에서    에 물리량을 직접 대입하면,   atm
ㄷ. B(g)의 부피가  L일 때 온도는 K 의  배이다.
 용기의 부피는 L, 기체의 총 양(mol )은  mol ,
K    K 에서   이므로 온도는 C이다.  
   , 온도는 K 이므로  ×   ×  ×에서
(ㄷ. 거짓)  

   이다.

(ㄴ. 거짓)


ㄷ.    이고 (기체의 질량)= × 이므로 기체의 총

 
질량은 ( A 의 질량)  (C의 질량)  ×  ×   g
 
이고 부피가 L 이므로 밀도는 gL 이다.
(ㄷ. 참)

4 Massive 해설편 orbi.kr


3. 정답  난이도 ★★★

해설
(라) 과정 후 두 강철 용기에서 N e (g)의 총 양( mol )은
 
(라) 과정 후  K 일 때 압력이  atm이므로  K 일 때  mol , (나) 과정 후 왼쪽 강철 용기에 존재하는 N e (g)의
 
 양( mol )은  mol , (다) 과정 후 오른쪽 강철 용기에 존재하는
압력은  atm 이다.
   
N e 의 양(mol )은  mol 이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따라서  K 에서 (라) 과정 후 N e (g)의  값은   
     
 ×    이고  K 일 때  값을 기체의 양( mol )으로 놓고    →   
     
풀이하면 (라) 과정 후 두 강철 용기에서 N e 의 총 양(mol )이 N e (g)의 양( mol ) 
따라서 (가)에서    이다.
 He (g)의 양( mol ) 
 mol 이다.

(나)에서 왼쪽 강철 용기와 실린더에서 총 기체의 양(mol )은
이므로 꼭지 a를 열었을 때, 기체의 총 부피가 L 이고 왼쪽
강철 용기와 실린더의 부피가 L로 동일하다.

(나) 과정 전후 왼쪽 강철 용기와 실린더에서


기체의 양( mol ) 조성은 다음과 같다.

왼쪽 강철 용기 실린더

(나) 과정 전 N e (g) mol He (g) mol

N e (g)  mol N e (g)  mol


(나) 과정 후
He (g)  mol He (g)  mol

(가)의 그림에서 오른쪽 강철 용기의 압력을 atm 이라 하자.


(나) 과정 후 실린더에 존재하는 기체의 양(mol )은
mol 이므로 (나) 과정 후 피스톤과 오른쪽 강철 용기에서 총
기체의 양( mol )은 (    )mol 이다.

온도를  K 로 올리면 실린더와 오른쪽 강철 용기에서


기체의 총 부피는   L 가 되고 오른쪽 강철 용기의
부피가 L 이므로 강철 용기에 존재하는 기체의 양(mol )은
(실린더와 강철 용기에서 기체의 양(mol )의 합)

×  이다.
  

따라서 (다)과정 전후 기체의 양( mol ) 조성은 다음과 같다.

실린더 오른쪽 강철 용기

(다) 과정 N e (g)  mol


N e (g) mol
전 He (g) mol

  
N e (g)  mol
(다) 과정   

후 
He (g)  mol
  

Team Cluster N제 시리즈 5


Massive 해설
4. 정답  난이도 ★★ 5. 정답 ㄱ 난이도 ★★★

해설 해설

(가)에서 A (g)의 양(mol )을 mol , B(g)의 양(mol )을 ㄱ. 초기 기체의 밀도가 동일하므로 기체의 질량은 X(g)가
mol 이라 하자. Y(g)의 배이다.
(ㄱ. 참)
A 와 B의 반응 계수가 같으므로
  일 때는 B가 한계 반응물이고 
ㄴ. 기체 X에서  ×   
  일 때는 A 가 한계 반응물이다. X

기체 Y에서  ×    
Y
  일 때 ( B가 한계 반응물)
A (g)  B(g) C(g) 이므로 화학식량은 X가 Y의 배이다.

  반응 전 (ㄴ. 거짓)
  
   반응 후 ㄷ. 고정 장치 I 만 열더라도 기체의 부피 비는   이므로 X
L , Y L 이다. X 의 양(mol )을 , Y 의 양(mol )을
반응 후 총 기체의 양( mol )은      mol 이고  첨가한 Ar 의 양(mol )을  mol 이라 하면 X 가 있는
 공간에 존재하는 기체의 양(mol )은   mol , Y 가
C(g)의 양( mol )은 mol 이므로 C(g)의 몰분율은  이다.
 있는 공간에 존재하는 기체의 양( mol )은    mol 이다.
이때 가 상수이므로 (나)에서 직선 형태의 그래프가 나온다.  
이때 X 가 있는 공간의 부피는  × 이고
 
*   일 때 ( A 가 한계 반응물)   
  이므로 X 의 부피는 L 보다 크다.
  

A (g)  B(g) → C(g)
(ㄷ. 거짓)
  반응 전
  
  반응 후
반응 후 총 기체의 양( mol )은       mol 이고

C(g)의 양( mol )은 mol 이므로 C(g)의 몰분율은  이다.
 
6. 정답 

난이도 ★★
따라서 그림 (나)에서
직선인 구간 ⇒    해설
곡선인 구간 ⇒    이다.
온도가 변하지 않으므로   로 놓고 풀도록 한다.
 초기 A 는  mol 존재하고, B 의 질량이 인 시점에서
(나)에서   일 때 C(g)의 몰분율은  이고   일 때
 
실린더의 부피가 L 이므로     에서    이다.
 
C(g)의 몰분율은  이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 실린더의 부피가 줄어들 때는 A 가 반응하여 C 가 된
  것이고 다시 부피가 늘어날 때는 반응이 완결되어 B 가
  → 
   남아 부피가 증가한 것이다. 실린더의 부피가 을 찍는 순간
다시 부피가 증가하므로 C 의 양(mol )과 He 의
초기 A (g)의 양(mol )은 mol 이고 양( mol )의 합이  mol 이 됨과 동시에 반응물이 완전히
사라졌음을 알 수 있다. 초기 A 의 양(mol ) mol 이고,
그림 (다)에서   일 때 (A (g)만 mol 있을 때) 기체의 반응이 완결되었을 때 C 의 양( mol )이  mol 이므로
질량이 ,   일 때 ( A (g)가 mol , B(g)가 mol 있을 때)   이다.
기체의 질량이 이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A 를 모두 소모시키기 위해 필요한 B 는 mol 이고,
실린더의 부피를  L로 만들기 위해 추가로 필요한 B 는
(   일 때 기체의 질량) : (  일 때 기체의 질량)     mol 이므로  g 는 B  mol ,  g 는 B   mol 이다.
 A  A  B  → B  A
  
따라서  ×    ×   이다.
C의 분자량   
따라서  이다.
A 의 분자량

6 Massive 해설편 orbi.kr



7. 정답  난이도 ★★★ 8. 정답 

난이도 ★★★

해설 해설

풀이 Ⅰ 압력과 온도가 일정하므로, 이상 기체 방정식에서 기체의


(가)에서 반응이 완전히 일어난 후 (나)를 보자. 양( mol )과 부피가 비례함을 알 수 있다.
A   B  → C  따라서, 초기에 실린더에 존재하는 혼합 기체의 양을
  mol 이라고 하자.
  반응 전
  A 의 몰분율이  일 때, A와 B가 전부 반응하고, A의
   몰분율이 그보다 작으면 A 가 한계 반응물이고, 그보다 크면
   반응
   B가 한계 반응물임을 문제에서 주어진 그래프를 통해 파악할
 
   수 있다.
  반응 후
   
  A 의 몰분율이  일 때 반응의 양적 관계는 다음과 같다.

 
반응 후 기체의 총 부피가 L 이므로       이고,
  A   B  → C 
   반응 전   
  이다.
 반응   
(나)에서 반응이 완전히 일어난 후 (다)를 보자. 반응 후     

A   B  → C  A 의 몰분율이 일 때와 일 때는 A 의 양이 배 차이


  나므로 A 의 몰분율이 일 때 A 의 양(mol )을  라고 하면,
   반응 전
   A 의 몰분율이 일 때 반응의 양적 관계는 다음과 같다.

  

   반응 A   B  → C 

 
 
 반응 전     
  반응       
  
  반응 후 반응 후     
  
 
A 의 몰분율이 일 때 양적 관계는 다음과 같다.

이때 B 는 모두 소모되었으므로   이고,   이다.
 A   B  → C 
 반응 전     
따라서 (다)에서 반응 후 C 의 양( mol )은  mol 이고,
 반응       
(라)에서 기체의 부피는 L , 온도는  K 이므로   이다. 반응 후     

따라서   이다. 
 A 의 몰분율이  일 때와  일 때, 실린더의 부피가 같으므로

혼합 기체의 양(mol )이 같다. 그런데, 반응 초기에 넣어준
해설 Ⅱ
혼합 기체의 양( mol )이 같으므로 반응하면서 변화한 기체의
직관적으로 문제를 약간 변형해보자. 애초에 A 가 atm
양( mol )이 같다.

하에서  L있었고, B 가  mol 존재하는 모습을 따라서 생성된 C의 양(mol )이 같으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
    →   
생각해보자. (라)에서 외부 압력은 중요하지 않고, C 의
 
양(mol )만 중요하다. B 가 완전히 반응하고 A 가    이므로    이다.
 

존재하지 않으므로 C 가  mol 존재한다. 부피가 L , 기체의 반응비는 계수비와 같으므로            

에서   이다.

온도가  K 이므로 압력   이다. 따라서   이다. 
 A 의 몰분율이 일 때 혼합 기체의 양은 이므로 혼합



기체의 부피는  L이고, 실린더의 부피가  L 이므로, 강철


용기의 부피는  L 이다.


따라서  ×    이다.

Team Cluster N제 시리즈 7


Massive 해설
9. 정답 ㄱㄷ 난이도 ★★★ 10. 정답  난이도 ★★★

해설 해설

 C   D  → E 에서 양변의 계수 합이 같으므로 반응


ㄱ. 고정 장치 Y를 제거하였을 때 B 의 부피는   L ,
 전후 기체의 양(mol )이 일정하므로 (다)~(마)에서 기체의
 양( mol )이 일정하다.
A 의 부피는   L이다. A , B의 화학식량을 A , B 라

하면 다음 식이 성립한다.
따라서 (다)와 (마)에서 D의 양(mol )을 각각  mol 과
 
  ×    ×  ×  mol 로 놓았을 때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 A
  C   D  → E
  ×    ×  × 
 B   (다)
→ A  B       
  (마)
(ㄱ. 참)

ㄴ. 고정 장치 X만 제거한 후 B 의 부피를 라하면 다음 (가)에서 부분 압력은 A  D    , 부피는 A  D    이므로


식이 성립한다. 기체의 양(mol )은 A 와 D가 같다.

 ×    ×  ×
 (다)에서 C의 양(mol )이 mol 이므로 (가)와 (다)에서
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A   B  → C

→       (가)

  
(ㄴ. 거짓)
    (다)

ㄷ. 고정 장치를 제거하기 전 B 의 이상 기체 방정식을 쓰면


다음과 같다. (가)에서 B  M이고 부피가 L 이므로
 B의 양( mol )은 mol 이고 (즉,   )
 ×    ×  ×  
 (다)에서 A 의 양(mol )   몰이다.
고정 장치를 전부 제거한 후 압력을 이라 하면 다음 식이
성립한다. 세 번째 실험 결과에서
   (마)에서 A  E  M이고 용기의 부피가 L 이므로
 ×   ×  ×   ×   ×  
   A 와 E의 양( mol )의 합은 mol 이다.
 
→    ×   
 
(마)에서 E의 양( mol )은 mol ( mol )
(ㄷ. 참)
(다)에서 A 의 양(mol )은   mol 이므로
   에서   이다.

(마)에서 D의 양( mol )은  mol , E의 양( mol )은  mol ,



A 의 양(mol )은  mol 이므로 D의 몰분율   이고


  이다.

8 Massive 해설편 orbi.kr


11. 정답  난이도 ★★★★ 12. 정답  난이도 ★★★

해설 해설

B 의 양(mol ), 부피에 관한 단서가 하나도 없기에 A 의 풀이에서 Ⅰ~Ⅲ은 다음을 의미한다.
부분 압력에 관한 자료로 추론해야 한다.

(가)에서 강철 용기에 있는 기체의 양(mol )은  mol 이다.


실린더에 존재하는 A 는  mol 이므로 콕을 연 후


A 의 양(mol )은  mol 이다. 이때 부분 압력이 문제에서 온도가 일정하고 기체의 양(mol )이 정확하게

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  으로 놓고 풀이한다.
 atm 이고 실린더와 강철 용기의 부피를 합쳐  L이므로

실린더의 부피는  L 이고, B 의 부분 압력은 (다) 과정 전 Ⅰ에 A 가  mol 존재하므로 (다) 과정 후 A 의
 양( mol )은 Ⅰ에서  mol , Ⅱ에서  mol 이 된다.
   기압이다.

콕을 닫은 후에도 부분 압력은 일정하므로 강철 용기 내부에 B가 한계 반응물인 경우   여야 하므로 B는 한계 반응물이
 될 수 없다.
존재하는 A 와 B 의 양( mol )은 각각  mol ,

 한계 반응물이 A 이므로
   
 (라) 과정 전후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 mol 이다. (다)에서 A 가 전부 소모되었으므로

A   B  →  C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  반응 전
A   B  → C   
  
  
    
  (가)  
      반응 후
  
  
Ⅰ에 A 가 몰 존재하고

  

 실험 결과에서 (라) 과정 후 기체의 양(mol )은 C가 A 의
     배이므로 (라) 과정 후 C의 양( mol )은 mol 이고
  (다)
 
   이다.

 (마)에서 꼭지 a를 열었을 때 기체의 총 양(mol )은


      
            mol 이고 C의 몰분율이 이므로
총 기체의 양( mol )은  mol 이고,  K 에서 용기   


 다음식이 성립한다.
내부의 압력이  atm 이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atm ×    × ×  →   
     이므로   이고     이다.
즉 (다)에서 강철 용기 내부 기체의 양(mol )은 B 와
 
C 가 각각  mol ,  mol 이다.
 

실린더의 부피는  이므로 존재하던 기체의 양(mol )은


 
A 가  mol , B 가  mol 이다. 따라서 기체가 전부
 

혼합된 후 각 기체의 양( mol )은 A   mol , B 

 
 mol , C   mol 이다.
 
A (g)의 양( mol )
따라서  ×  이다.
C(g)의 양( mol )

Team Cluster N제 시리즈 9


Massive 해설
13. 정답 ㄷ 난이도 ★ 14. 정답  난이도 ★★★

해설 해설

ㄱ. 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꼭지를 연 후 두 강철 용기에 들어있는 X 의 몰 분율이


   
 이므로 X 와 Y 의 양( mol )은 서로 같다. 이를 식으로
 
혼합 기체에서 압력이 같으므로 전체 기체의 양은  값에
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비례한다. 따라서 (가)와 (나)에서 기체의 양( mol )의 비는     Y 
   ,  
  X Y X   
     이다. 이를 이용해 비례식을 세우면 다음
  ( X , Y 는 X, Y의 화학식량)
식이 성립한다.
기체 상수를  이라 하고 , 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X Y
(ㄱ. 거짓)
 
      × 
X Y

ㄴ. 혼합 기체의 밀도는 (가)에서  gL 이고 (나)에서    
 꼭지를 연 후 K 에서 압력이  이므로 다음 식이


 gL이므로 혼합 기체의 밀도는 (나)에서가 (가)에서의 성립한다.

        
 배이다.  ×           ×
  X Y X Y
(ㄴ. 거짓)    
 ×     ×   ×     ×
X Y X Y
 × 

ㄷ. (나)에서 O  의 양(mol )은 mol 이고 O  의 부분
   
  계산하기 편하게    를  ,    를 로 나타내서
압력은    atm 이다. X Y X Y
 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ㄷ. 참)
 ×    ×
   ×   ×  →       

    Y 
             →   
X Y X Y X   
Y 
위에서    이었으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X   

       →   

10 Massive 해설편 orbi.kr


15. 정답 ㄱㄴ 난이도 ★★ 16. 정답 ㄱㄴㄷ 난이도 ★★

해설 해설

 K 에서 기체  atm, L 의 양을 (상댓값)이라 하자. ㄱ. 반응이 진행되어 B(g)가 전부 소모된 후  K 에서 C(g)의


(가)에서 기체의 양( mol )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압력은  atm 이라는 조건에서 전체 기체의 부피를 L라
기체 A B C He 
양(mol )     하고 계산하면 다음 식이 성립한다.
  
(나)에서 피스톤의 왼쪽에 있는 기체의 부피가 L 임을 이용해  ×  ×   →   
  
기체의 양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이때 온도가

 K 임을 주의하자. 이때 A (s)의 부피가  L 만큼 감소하였고 A (s)의 질량은

기체 A B C He g 만큼 감소하였으므로   이다.
  
양( mol )         (ㄱ. 참)
  

  ㄴ. 반응한 물질의 질량비는 다음과 같다.


피스톤 왼쪽에 있는 혼합 기체의 양이   
 
A  B    
(상댓값)이고 부피가 He 와 같으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따라서 반응한 물질의 양( mol )의 비는   이고   이다.
 
      ,     →    이를 이용해 C(g)의 분자량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ㄱ.   이다.
(ㄴ. 참)
(ㄱ. 참)

ㄷ. 반응이 완결된 후 C(g)의 질량은 분자량을 통해 g 임을


ㄴ. (나)에서 기체의 양을 나타낸 표를 완성하면 다음과

같다. 알 수 있다.    이므로 반응이 완결된 후 C(g)의

기체 A B C He 
양( mol )     밀도는  gL 이다.


      이므로   이다. (ㄷ. 참)

(ㄴ. 참)


ㄷ. (나) 과정 후 기체의 양( mol )은 C 가 B 의  배이다.

(ㄷ. 거짓)

Team Cluster N제 시리즈 11


Massive 해설
17. 정답  난이도 ★★★ 18. 정답  난이도 ★★

해설 해설

콕 를 열고 반응시켰을 때는 딱 봐도 미지수가 개지만, 콕 온도가 일정한 상태에서 반응이 진행되므로, 기체의


를 열고 반응시켰을 때는 미지수가  하나로 콕  를 열었을 양( mol )과 (압력) ×(부피)는 비례한다. 따라서
때를 먼저 계산하는 것이 정석이다. (압력)×(부피)를 이용하여 기체의 양(mol )을 나타내면
(다)에서 두 기체의 온도를  K 으로 통일시키면 다음과 같다.
 A  B  C  He 
 
  초기    
A   mol , B   mol 이 존재하고 반응 후 A 가
  반응
  반응 후 
     
  이때 오른쪽의 피스톤은 추가 달려있기 때문에, 꼭지를 여는
남으므로 A   mol , C   mol 이 존재한다.
 
순간 오른쪽 피스톤의 부피는 이 된다.

    
 (다)에서 He가  atm이므로 부피가 L이 됨을 알 수 있고,
이때 전체 기체의 양( mol )은  mol 이고 부피는 

(압력)×(부피)의 총합이 이다.
   L 이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이때 반응 전과 반응 후에서 기체의 양( mol )이 변하지

    않았으므로 이 반응은 반응물과 생성물의 계수 합이 같은
 
  →  
   반응이고,   이다.
마찬가지로 (나)에서 온도를  K 으로 통일시키면 이 사실을 이용하여 위 표를 완성하면 다음과 같다.
 A  B  C  He 
 × 
  초기    
A   mol , B   mol 이 존재하고 반응 후
  반응    -
A 만 남아있으므로 전체 기체의 양(mol )은 반응 후    
 B의 분자량을 이라고 하면, (다) 과정 후 B의 부피는
 ×   
 
 mol 이고 전체 부피는 L 이므로 다음 식이 L이고 질량은 이므로 밀도는  이다.
 
성립한다. (가) 과정 후 B의 부피는 L 이고 질량은 이므로 밀도는
 이다.
 ×   
 
   →    (가) 과정 후 B 의 밀도( gL )
  따라서 는 이다.
(다) 과정 후 B 의 밀도( gL )

12 Massive 해설편 orbi.kr


19. 정답  난이도 ★★★ 20. 정답  난이도 ★★★★

해설 해설

반응 전후 기체의 양은 다음 표와 같다. 이때 기체 기압, (가)에서 양쪽 실린더의 압력은 같다. 따라서 A , B 의
L 의 양을  (상댓값)으로 한다. 혼합 기체의 압력은 atm 이다.
초기 A , B 의 양(mol )을 각각 편의상 ,  라 두고
기체 A B C D He
반응 전      (나)에서의 반응을 화학 반응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
반응 후         A   B  → C 
 
  

C의 몰분율이  이므로 B, C, D의 혼합 기체의 양은
    
(상댓값)이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이때 C의 몰 분율이  이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  
따라서 (다)에서 A 의 압력은    atm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에서 He   atm 이므로 혼합 기체의 압력도  atm 이고
   인데,  ≧ 에서    이고    이므로
   

불가능하다. 따라서   이고   이다. 온도가 일 때 He 의 양(mol )은  이고, 온도가

이므로 (나)에서 반응 종료 후  의 값은 가 되어야
한다.
이때 He   atm 이므로 He 의 부피는 L 이므로 왼쪽 혼합
기체의 부피는 L, 압력이  atm에서 다음 식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다)에서 A 가 모두 반응했는데, (나)에서 B   g 가
 
전부 반응할 동안 A 가  만큼 반응했으므로  만큼 더
 
반응하려면 B 를  g 만큼 더 넣어줘야 한다. 따라서
  이다.


(가)에서 초기 A , B 의 양(mol )이 각각  ,


 이므로 A 의 화학식량, B의 화학식량을 각각 A , B 로

 
나타내면 A   , B   이다.
 
화학 반응식에서 질량 보존 법칙에 의해 다음 식이 성립한다.
 
   ×    ×(C의 화학식량)
 

→ ( C의 화학식량) 


C의 화학식량  
→  
A 의 화학식량  
 

C의 화학식량 
따라서  ×   ×   이다.
A 의 화학식량 

Team Cluster N제 시리즈 13


Massive 해설
21. 정답  난이도 ★★★ 22. 정답  난이도 ★★★

해설 해설

 온도가  K 로 일정하므로 기체의 양(mol )은  와 비례한다.


(가)에서 (나)로 반응이 진행될 때, He 의 부피가  배가
 따라서  값을 기체의 양(mol )으로 사용하자.

되었으므로 왼쪽 실린더의 기체의 양( mol )은  배가 되었다.

(가)에서 A , B , He 의 양(mol )은  , , 이다.

주어진 대로 쭉 화학 반응식을 써서 따라가기보다는, 좀 더


이후 (나)에서 A 가 완전히 반응하고, (다)에서 고정 장치를
빠른 풀이를 위해 조건으로부터 상황을 역추적해보자.
풀었을 때 실린더의 부피가 그대로 L 이고 He 의 부피가
L이므로 반응 이후 B 와 C 의 혼합 기체의 부피는
(나)에서 B 의 양( mol )과 C 의 양(mol )은 같은데,
L이고, 압력은 atm이다.
C 는 생성물이므로 초기 B 의 양( mol )은 (반응한 A 의
양(mol ) + (생성된 C 의 양( mol ))이 될 것이다.
(가)에서 A , B  혼합 기체의 양(mol )은   mol 이고,
A 가 모두 소모된 혼합 기체의 양( mol )은  mol 이다. 이때
따라서 (가)에서 기체의 양( mol )은 다음과 같다.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A :  ×(반응한 A 의 양(mol ))
B : (반응한 A 의 양( mol ) + (생성된 C 의 양( mol )) A   B  → C 

(가)에서 혼합 기체의 양(mol ) :  ×(반응한 A 의   


양(mol )) + (생성된 C 의 양( mol ))  
       
 
 
(나)에서 기체의 양( mol )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A : (반응한 A 의 양(mol ))
B : (생성된 C 의 양(mol )) 따라서    이다.
C : (생성된 C 의 양(mol )) 
반응 후 C 의 몰 분율이  이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나)에서 혼합 기체의 양(mol ) : (반응한 A 의 양(mol ))

+  ×(생성된 C 의 양( mol ))   
     →   
  
(가)와 (나)에서 기체의 양(mol )비가   이므로
(반응한 A 의 양( mol )) : (생성된 C 의 양(mol ))       이므로    ×     이다.
이고   이다.

C의 화학식량은 B의 배이므로, B의 화학식량을 으로 두면


질량 보존 법칙에 의해
( A 의 화학식량)   ×( C의 화학식량) - (B의 화학식량)
 ×    이다.

(나)에서 A 와 B 의 양(mol ) 비가   이므로 질량비는


  이다. 이를 정리하면
 
      ,    →     
 

14 Massive 해설편 orbi.kr



23. 정답  난이도 ★★★ 24. 정답 

난이도 ★★★★

해설 해설

기체의 온도가 달라도 피스톤을 사이에 둔 기체면 압력은 


① 이상 기체 방정식에서    이다. 온도는 변하지
동일하다. 즉, 이 문제에서 서로 온도가 다른 부분에 
집중하면 함정에 걸리게 된다. 않으므로 밀도와 부분 압력이 비례한다.

(가)의 실린더에서 A 의 부분 압력이  atm 이므로 A 와


반응 전 A   mol 이 존재하며, 꼭지를 열고 반응이 C 은   로 존재한다. 실린더의 부피가 라 하고

완결되었을 때 B 가 존재하므로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 
  이라 하면 각각   mol ,   mol 만큼 존재한다.
 
A   B  → C  (나)

 ? 반응 전 ② (가)와 (나)에서 실린더 속 C 의 밀도 비는   이므로

   부분 압력비도   이다. (나)에서 생성된 C 의 양(mol )을

 
 
 라 하자.(다)에서 C 의 몰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  A 가 남아 반응해야 한다. 이때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   반응 후
 
 A    B  → C  (나)

따라서 반응 전 B 의 양은  mol 이다.  
      반응 전
 
  
초기 B 의 부피를  L , He 의 양을  mol 이라고 하면  
      반응 후
다음 식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 의 몰 분율이  이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이다. (나) 과정 전후 부피 비는     , C 의 부분 압력 비는
  이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나)와 (다)에서 부피 비는   이고 부분 압력비는


  이므로 C 의 양(mol )비는   이다. 이를 이용해
반응식을 적으면 다음과 같다.

 A    B  → C  (다)


   반응 전
    
  반응 후

        이므로   이다.

③ (가)에서 A  mol 에 g 이고 C  mol 에 g 이다.


이를 이용해 질량을 정리하자.
(가)~(다)  A   B  C 
반응 전  
반응 중   
반응 후 

초기 양쪽 강철 용기에 존재하는 B 의 양(mol ) 합이 mol


이고 소모된 양(mol )이 mol 이므로 남은 B 의 질량은 
(다) 과정 후 실린더에서 B 의 밀도는 전체 용기에서

B 의 밀도와 같으므로  gL이다.


Team Cluster N제 시리즈 15


Massive 해설

25. 정답 
 난이도 ★★★★ 26. 정답  난이도 ★★

해설 해설

①   이라 하자. (가)에서 실린더 Ⅰ과 Ⅱ의 압력이  라 반응이 완결되었을 때 N e 의 부분 압력을  라고 하고, (나)와
하면 실린더 Ⅰ과 Ⅱ에서 기체의 양(mol )은  mol ,  mol , 반응이 완결된 시점에서 N e 에 대해 이상 기체 방정식을
강철 용기에서 기체의 양(mol )은 mol 이다. 사용하면 다음과 같다.
(가)와 (나)에서 Ⅰ에 존재하는 기체의 질량은 같은데 
  × 
   ×  
밀도비가   이므로 (나)에서 Ⅰ의 부피는  L 이고 Ⅱ의    →   
   
 이때 부분 압력은 전체 압력과 몰 분율의 곱인데, 반응이
부피는  L이다. 이때, Ⅱ에서 He 의 양( mol )은 같은데
 완결된 시점에서 전체 압력은 atm 이고 N e 은  mol 존재하기
부피 비가 (가)와 (나)에서   이므로 (나)에서 Ⅰ과 Ⅱ의 때문에 전체 기체의 양( mol )이 mol 이다.
압력은  이다. 가 이라면 (나)에서 A가 존재할 수 없으므로 는
이상이고, 한계 반응물은 B이다.
② (나)의 Ⅰ에서 기체의 양(mol )이  mol 에서  mol 로 이때 (가)에서 (나)로 갈 때와 (나)에서 반응 완결 시점까지
줄었으므로 반응식이 번 반응한 것과 같다. (다)에서 B가 반응한 양이 mol 로 같으므로, 전체 기체의 양( mol )의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고려하여 반응식을 적으면 다음과 변화량이 같다.
같다.
A    B  → C  (나) (가)에서 기체의 양( mol )은 mol 이고, 반응이 완결된
  반응 전 시점에서 N e 을 제외한 기체의 양(mol )이   mol 이다.
   이때 변화량이 (   )mol 이므로 (나)에서 N e를 제외한
  반응 후  
기체의 양( mol )이    이다. (나)에서 N e 의 부분 압력이
 

C 의 부피는  L , 압력은 atm 이므로 mol 이 존재한다.  
  이고 전체 압력이 atm 이므로, N e 의 몰 분율이   이다.
 
따라서   이다.
  
따라서 전체 기체의 양(mol )은     mol 이므로
  
(가)에서 A  mol 의 질량은  g , B   mol 의 질량은 
   이다.
 g 이므로 C  mol 의 질량은  g 이다. 
반응 완결 시점에서 N e을 제외한 기체의 양(mol )이
③ (다)에서 콕 와 고정 장치를 풀었으므로 기압은 
 mol 이다. 이때 반응한 B의 양이 mol 인데 반응에 의한
atm이고, 온도를 절반으로 낮췄으므로 온도를 낮추기 전에 

비해 부피가 절반으로 줄어든다. 이때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기체의 양(mol )의 변화량이  mol 이므로,   이다.

A    B  → C  (다) 
따라서 (나)에서 A 는  mol 존재한다.
   반응 전 
   
  반응 후 

(나)에서 A 

따라서 반응이 완결된 후 Ne  

 이다.

온도가  K 일 때는 강철 용기와 실린더 Ⅰ의 부피 합이 L , 





실린더 Ⅱ이의 부피는 L이지만, 온도가 절반이므로 강철
용기와 실린더 Ⅰ의 부피 합이 L , 실린더 Ⅱ의 부피가
L 이다.
이 중 실린더 Ⅰ의 부피는 L 이므로   이다. (다) 과정 후
전체 C 의 질량은 인데, 실린더 Ⅰ과 강철 용기의

부피의 합은 L 이므로    이다. (밀도는 강철 용기와

실린더에서 같다.)
 
따라서,    이다.
 

16 Massive 해설편 orbi.kr


27. 정답 ㄱㄴ 난이도 ★★ 28. 정답  난이도 ★★★★

해설 해설

 atm , L 에서 기체의 양( mol )을  mol 이라 하자. (나)에서 HO 가 전부 소모되었다면 용기 내부의 압력은
  atm 이 되어야 하므로 C 흑연이 전부 반응한 것을
(다)에서 실린더 내부에서 C의 부분 압력은  atm 이므로

바탕으로 반응식을 작성하면 다음과 같다.
한계 반응물이 A 임을 알 수 있다. 이때 반응 전후
C  HO  → CO    H  
실린더에서 기체의 양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g  atm 반응 전
A B C
  g  atm  atm  atm
전    
   (  ) atm  atm  atm 반응 후
 
후    (  )  이므로   이다.
 
따라서 (나)에서 반응이 완결된 후 각 기체의 압력은 HO 
이를 이용해 (라)에서 혼합 기체의 양을 표로 나타내면
 atm , CO    atm, H    atm 이고  K 에서 물의 증기
다음과 같다.
압력이  atm이므로 액체는 생성되지 않는다.
A B C
  
   반응한 HO 의 양( mol )은    mol 이고,
라        × 
  
C의 원자량은 이므로   이다.
 
(라)에서 B 의 몰분율은  이므로    이다. (다)에서 물이 응축되지 않았을 때의 기체의 압력을 구해보면
 
   
 HO   atm, CO    atm , H        atm 이다.
ㄱ. (다)에서 반응한 기체의 양( mol )이 A 는  이고 B는    


 하지만 HO의 증기 압력이  atm 이므로 HO 의 부분
 이므로   이다. 

(ㄱ. 참)      
압력은  atm이고 전체 압력          이므로
     
  이다.

ㄴ.    이다. 따라서  ×   이다.

(ㄴ. 참)


ㄷ. (라)에서 혼합 기체의 양( mol )은  mol 이고 He 의


양은 mol 이므로 He 의 부피는  L 이고 (라)에서

 
실린더 내부의 혼합 기체의 부피는      L 이다.
 
(ㄷ. 거짓)

Team Cluster N제 시리즈 17


Massive 해설
 ★★★★
29. 정답 

난이도 ★★★ 30. 정답  난이도
★★★★
해설 해설


(가)에서 B 의 부분 압력이  atm 이고 전체 기체의 (나)에서 C가 완전히 연소되었고, 콕 를 열어 He ,

O  , CO  가 혼합되었다.

압력이 atm 이므로, B의 몰분율이  이다. 
 이상 기체 방정식   에서 기체의 양( mol )은  로

(가)에서 B 의 양( mol )을  mol 이라고 하면, A 는
CO
B의 화학식량 나타낼 수 있다. (나)에서   이므로 CO  , He 의
mol 존재하고,  이므로 (나)에서 C는  He
C의 화학식량

mol 존재한다. 양( mol )은  mol 이다.

CH  의 연소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반응 계수에 의하여 (나)에서 A mol , B   mol , C
 
mol 존재한다. CH       O  →CO     HO 
 

질량 보존 법칙에 의해 (나)에서 A 의 질량은 O  는 (나)에서  mol 만큼 소모되었고, O  는

   g 이다. 남아있으므로 CH이 전부 소모된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이때 (가)와 (나)에서 A 의 양( mol )의 비가   이므로 다음
 
CH   +    O   → CO   +  HO 
식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전
따라서 (가)와 (나)에서 B의 양( mol )의 비가   이고,     

        이므로   이다.      

    

반응물과 생성물의 계수 합이 같으므로 전체 기체의
          
양(mol )은 일정하고, 이상 기체 방정식에 의해 (나)에서 전체    후
  

압력은 atm이다. (나)에서 A의 몰분율이  이므로,   

CO  
 (다)에서 반응 후     이므로   이다.
(나)에서 A 의 부분 압력은  atm 이다.   He
 


(라)에서  atm 에 실린더가 L이고, 강철 용기의 부피는
L이므로 전체 기체의 부피는 L 이고, 압력은 atm이므로

전체 기체의 양(mol )은  mol 이다. (다)에서 전체 기체의


부피는 L이고 O  의 부분 압력은  atm 이므로 O  의

     
양( mol )은  mol 이다. 따라서    이다.
  
(다)에서 존재하는 전체 기체의 양(mol )은 He , O  ,
      
CO  , HO  순서로 각각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이고,    에서
  
  임을 알 수 있다.
 
따라서  ×   ×  이다.
 

18 Massive 해설편 orbi.kr


31. 정답  난이도 ★★ 33. 정답 ㄱㄴㄷ 난이도 ★★

해설 해설

(용액의 증기압)  (용매의 증기압) ×용매이고 ㄱ. 용액 Ⅰ에서 삼투압이  atm 이고   이므로 몰농도는
 M이다. 용액의 부피가  mL 이므로 용질의 양(mol )은
℃용액에서 용매의 증기압은  atm, 용해된 X의 양(mol )이 
mol 이고   이므로 A 의 화학식량은 이다.
A
 mol 일 때 용액의 증기압은  atm 이므로 다음 식이
(ㄱ. 참)
성립한다.
   ×용매 → 용매  
ㄴ. 용액 Ⅰ의 밀도를 구하기 위해서 용액 Ⅱ와 몰랄 농도를
비교한다.
℃용액에서 용매의 증기압은  atm, 용액의 증기압은
용매는 물로 동일하고 몰랄 농도는 어는점 내림()에
 atm 이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비례하므로 용액 Ⅰ의 몰랄 농도는 용액 Ⅱ의 배이다. 용액
   ×용매   ×  →   
I의 밀도를  gmL 라 하면 용액의 몰랄 농도는

℃용액에서 X의 양(mol )  mol 일 때 증기압이  atm ,  × 이고 용액 Ⅱ의 몰랄 농도는
  
용매(물)의 몰분율이 이므로 물은 mol 존재한다.
 
X를 넣기 전 물의 양(mol )이 mol 이므로 ℃용액에서 X의  ×    이므로 용액 Ⅰ의 몰랄 농도는
   
양(mol )이 mol 일 때 다음 식이 성립한다. 
 이다. 따라서   이다.
  
  ×  →   
  용액 Ⅱ의 밀도를  gmL 라 하자. 용액 Ⅱ의 몰농도는

M이므로  ×   이므로   이다.

따라서 용액의 밀도는 Ⅰ이 Ⅱ보다 크다.
32. 정답 ㄴㄷ 난이도 ★ (ㄴ. 참)

해설    ×이다.
ㄷ. 용액 Ⅰ의 어는점 내림()는

ㄱ. 외부 압력은 동일하므로 끓는점이 높은 A이  ℃에서 C이고 몰랄 농도는  이므로 어는점 내림

증기 압력이 더 낮다. 상수( )는 ℃이다.
(ㄱ. 거짓) (ㄷ. 참)

ㄴ. B의 질량이  kg 이므로 X mol 이 녹아있을 때 몰랄


농도는 이다. 따라서 B의 끓는점 오름 상수()는
  
 ℃이다.

(ㄴ. 참)

ㄷ. 끓는점 오름 상수는 B가 A 의 배인데 같은 양(mol )의


용질이 녹았을 때 끓는점 오름이 A 에서 훨씬 크다. 따라서
몰랄 농도가 A 에서 배가 넘는다는 뜻이므로   이다.
(ㄷ. 참)

Team Cluster N제 시리즈 19


Massive 해설

34. 정답 

난이도 ★★ 36. 정답 ㄱ 난이도 ★★

해설 해설

ㄱ. 용액 (나)의 농도가 더 크므로 용액 (가)에서 (나)로


 K 에서 X의 몰분율이 인 용액의 증기압  atm 물이 이동하여 (나)의 농도가 감소한다. 따라서 그래프는
 K 에서 X의 몰분율이 인 용액의 증기압  atm 용액 (나)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ㄱ. 참)
(증기 압력 내림) (용매의 증기압)× 용질이므로 다음과 같이  
ㄴ. 감소한 (가)의 부피를 이라 하면    에서
     
식을 세울 수 있다.
      
    이므로    이다.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 
    
(가)와 (나)의 높이 차에 의한 압력에 의해 (나)의 농도는
이보다 조금 더 높아진다.

따라서             에서     이고 (ㄴ. 거짓)


이를     에 대입하면    이다. ㄷ. (가)에 물을 추가하면 농도가 낮아져 (나)로 물이

이동한다.
(ㄷ. 거짓)

35. 정답 ㄴㄷ 난이도 ★★

해설

ㄱ. 모든 용액에서 물은  mol 존재한다. A  g 이


녹아있는 용액과 B  g 이 녹아있는 용액을 통해
비례식을 세우면 다음과 같다.
 
     , A  B    
  
     
A B
→ A  , B  
(ㄱ. 거짓)

   
ㄴ.     ,     이므로    이다.
       
(ㄴ. 참)

ㄷ. A와 B을  g 씩 혼합한 용액의 증기 압력은


 
     이다.
     
(ㄷ. 참)

20 Massive 해설편 orbi.kr


37. 정답  난이도 ★★★ 38. 정답 ㄱㄴ 난이도 ★★★★

해설 해설

주어진 자료에서 는 감소하다 을 찍고 까지 다시 커진다. ㄱ. 왼쪽 용액에 가해지는 외부 압력은  atm이고, 오른쪽
즉, 처음 HO의 증기 압력이 외부 압력보다 크지만 A가 용액에 가해지는 기체의 압력은 (    )atm 이다.
녹으면서 증기 압력이 내려가 증기 압력이 외부 압력보다   이므로 X 에 가해지는 기체의 압력이 더 크다.
작아진 것이다. 삼투 용액에서 두 액체의 수면의 높이가 같으면 더 센
 은 압력의 차이에 비례하므로 으로 굳이 나눠서 사용할 압력이 가해지는 쪽의 농도가 높다. 두 용질의 질량은
같으므로 분자량은 X가 Y보다 작다.
필요 없이 바로 사용해도 된다. (문제에서 수은에 대한 압력
(ㄱ. 참)
수치를 주지 않은 이유이다.)

ㄴ. 기체의 압력의 차이가 곧 삼투압의 차이이다. X 와


물의 증기 압력을 라 할 때      이라 하자. HO
Y 의 삼투압을 각각 X , Y 라 하면
g 는  mol 이고, A의 화학식량을 MA 라 하면 A의
Y  X            이고,   이므로 두

질량이 g 일 때 수용액에서 물의 몰분율은  이다.   

   용액의 몰농도 차는  M이다.
MA 
 (ㄴ. 참)
이때 물의 증기 압력은   이므로 다음 식이
 
  
MA ㄷ. 두 용액에 처음과 같은 질량의 용질을 추가로 녹였으므로
성립한다. 몰농도는 배가 된다. 따라서 두 용액의 몰농도 차는
     
       →         M이고, Y  X     이다. 기체의 압력 차이가
     
     
MA MA
     atm이므로 우측 기체의 총 압력은
 
→    ×          atm이다. Y 의 증기 압력은  atm 보다
MA MA
작아졌으므로 He 의 압력은 (    ) atm보다 커야
또한 A의 질량이 일 때   이므로 다음 식이

성립한다. 하므로 기체의 양( mol )은  mol 보다 많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MA 제거해야 하는 He 의 양은  mol 보다 적다.
   
MA
(ㄷ. 거짓)
  
→           →   
MA MA MA
A의 질량이 g 일 때 외부 압력과 증기 압력이
  
동일하므로    에서 MA    이다.
  
  
MA
외부 압력이 atm 이므로  cm 가 나타내는 압력 차는
atm 이다. 따라서 A의 질량이 일 때 물의 몰분율은
 
 atm 이고    에서   이다.
 
  
M A

Team Cluster N제 시리즈 21


Massive 해설
 
39. 정답 

난이도 ★★★ 40. 정답 

난이도 ★★★

해설 해설

용질의 질량비가   이라는 것은 같은 양(mol )의 용질이 수용액 Ⅰ에서 용질의 질량은 A  g , B  g 이다.
녹아있는 용액을 혼합한 것이다. 수용액 Ⅲ에서 용질의 질량은 A  g , B  g 이다.
용액 Ⅰ, Ⅱ의 증기 압력은 용매의 몰분율과 관련이 있다.
용액에서 용매의 몰분율은 일정하므로 용질 mol 당 용매의 (용매의 양)
증기 압력은 에 비례하는데, 두
양(mol )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용액 Ⅰ에서 용질 mol 당 (용매의 양) + (용질의 양)
용매의 양(mol )을 I mol , 용액 Ⅱ에서 용질 mol 당 용매의 수용액에서 용매의 양이 동일하므로 용매의 몰분율은 각각
양(mol )을 II mol 이라 하자.  
 , 이다.
     
(가)에서 용질의 질량비가   이므로 용질 총 mol 에 용매는
이때 A가 g 증가하고 B가 g 감소하였는데 용질의
I  II mol 이고, (나)에서 용질의 질량비가   이므로 용질
양( mol )이  mol 줄은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총  mol 에 용매 ( I  II ) mol 이다.
 K 에서 물의 증기 압력은  이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수용액 Ⅱ에서 물의 질량이 다른 수용액의 배이므로 용매의
I  II  I  II  
  ,    → I  , II   
I  II   
 I  II    몰분율은  이다. 즉, 수용액 Ⅰ에서 용질의 양이  mol
   
 
용액 Ⅰ의 증기 압력은  , 용액 Ⅱ의 증기 압력은
 줄은 것으로 생각할 수 있고 이는 A 가  g 증가하고 B가  g
 용액 Ⅰ의 증기 압력( atm)  감소한 것이다.
  이므로   이다.
 용액 Ⅱ의 증기 압력( atm)   
따라서 수용액 Ⅱ에서 A g , B g 이므로      이다.
 

22 Massive 해설편 orbi.kr



41. 정답 

 난이도 ★★★ 42. 정답 ㄴㄷ 난이도 ★★

해설 해설

  ㄱ. (다)와 (라)의 결과를 비교해 보면 용질의 양은


X에서 끓는점 오름이  ℃이므로 몰랄 농도는  이다.
   
그대로인데 끓는점 오름이  에서  로 변하였으므로
  
물의 질량이 kg 이므로 용질의 양( mol )은  mol 이다.
 다음과 같은 비례식이 성립한다.
    
물의 화학식량이 이므로 물 kg 의 양(mol )은  이다.   
 
      
따라서 X에서 용질과 용매의 양( mol )의 비는   이고, 용매의 따라서   이다.
 (ㄱ. 거짓)
몰 분율은  이다.

증기압 내림의 점근선이 이므로 순수한 물의 증기 압력은
ㄴ. (가)→(나)로 변하면서 물의 질량이 g 에서   g 로

atm 이다. 따라서 X에서 수용액의 증기 압력은  atm 이다. 
 변하였고   이므로    이다.

X와 Y에서 몰랄 농도의 비율은   이다. 이때 Y에는 물을 kg
(ㄴ. 참)
첨가하므로, 용매의 양(mol )은 배가 된다. 따라서 용질의

양(mol )은  배가 된다. ㄷ. (가)와 (다)를 비교해 보자. (가)에선 물 g 에 A

g 과 B g 을 녹였고 (다)에선 물 g 에 A g 과
C g 을 녹였다. (가)를 통해 물 g 에 A g 과
A 의 화학식량을  이라 하면, B의 화학식량은  이다.

질량을 화학식량으로 나누면 물질의 양(mol )이므로, X와 B g 을 녹인 경우 끓는점 오름이  임을 알 수 있다.

Y에서 다음과 같은 비례식이 성립한다.
따라서 물 g 에 B g 을 녹인 경우와 C g 을
   
        →       
     녹인 경우 끓는점 오름의 차이는       이다.
  

따라서  ×( X에서 수용액의 증기 압력)   이다. 
 분자량은 C가 B의  배이므로 B와 C의 분자량을 각각

 ,  이라 하면 물 g 에 용질을 녹일 때 다음과 같은
비례식이 성립한다.
    
     (B에 의한 ):( C에 의한 ):  
       
따라서 물 g 에 B g 을 녹인 경우 끓는점 오름은

 이고 물 g 에 C g 을 녹인 경우 끓는점 오름은


 이다. 이를 이용해 물 g 에 A g 을 녹인 경우


끓는점 오름을 구하면  이다. 물의 몰랄 오름 상수는

℃이므로 물 g 에 A g 을 녹였을 때 몰랄 농도는

 이고 A 의 분자량은 이다.

(ㄷ. 참)

Team Cluster N제 시리즈 23


Massive 해설
43. 정답 ㄱㄴㄷ 난이도 ★★★ 44. 정답 ㄴㄷ 난이도 ★★

해설 해설

ㄱ. 가한 물의 질량이 증가할수록 수용액은 점점 묽어지므로 (가)와 (다)에서 물의 질량을 이라 하면 (나)에서 물의


끓는점은 순수한 물의 끓는점에 수렴한다. 따라서   
질량은 이고 (라)에서 물의 질량은 ×  ×    이다.
 atm 에서 물의 끓는점은  °C이다.   

(ㄱ. 참)
 
ㄱ. (가)와 (다)의 %농도 비는    이므로 배가
   
ㄴ. (가)에서 물을 추가하기 전 물의 양을 가( g )라 하고
될 수 없다.
끓는점 오름 식을 써보면 다음과 같다.
(ㄱ. 거짓)

 × ×      ⋯⋯⋯ 
 × 가

마찬가지로 (나)에서 물을 추가하기 전 물의 양을 나라 ㄴ. 물의 질량은 (라)에서가 (나)에서의  배이다.

두고 끓는 점 오름 식을 써보면 다음과 같다. (ㄴ. 참)
  
 × ×      ⋯⋯⋯ 
 ×나 
ㄷ. (나)와 (다)를 혼합한 용액의 끓는점 오름은
물을 g 추가했을 때 두 수용액의 끓는점 오름이 ×  × 
   이다.
같으므로 몰랄 농도가 같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  
같다. (ㄷ. 참)
 
 
 ×가    ×나  
→ 나  가  
그리고 (가)에 물을 g 추가했을 때 끓는점 오름이
같으므로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가  
 과  을 더한 후 평균을 내면  와 같음을 이용해 식을
세우면 다음과 같다.

 × × 
 ×나
 
 × ×    × × 
 ×가  × 가  


  
→   
   
나 가 가

따라서 나  가  이다.


(ㄴ. 참)

ㄷ. 나  이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나  × 
   × 
→   

(ㄷ. 참)

24 Massive 해설편 orbi.kr


45. 정답 ㄴㄷ 난이도 ★★★★ 46. 정답 ㄴ 난이도 ★

해설 해설

물이 끓어서 증발하면 HO의 질량이 감소한다. ㄱ.   이므로 온도를 낮추면 역반응 쪽으로 평형이
즉, 그림에서 물의 질량이 감소하기 시작하는 온도가 이동하여 B 의 몰분율이 감소한다.
끓는점이므로 (가)의 끓는점은 ℃, (나)의 끓는점은 (ㄱ. 거짓)
℃이다.
ㄴ. Ⅰ과 Ⅱ에서 B 의 양(mol )이 동일하다. 이때 B 의
용질의 양 (가)에서 용질의 양 B 
ㄱ. b∝ ∝ 이고 는 양(mol )을 라 하고    ×  를 이용하여 구한 평형
용매의 질량 (나)에서 용질의 양 A 
항상 일정하므로 두 용액이 모두 끓으면서 온도가 같은 상수는 다음과 같다.
(가)에서 용매의 질량 ( 와  는 각각 Ⅰ과 Ⅱ에서 A 의 양( mol ))
경우 이 같다.
(나)에서 용매의 질량
평형
그림에서 용액의 온도가 ℃일 때 A  B 
상수
(가)에서 HO(용매)의 질량 
 이므로 Ⅰ  
(나)에서 HO(용매)의 질량 

X점에서 HO의 질량 
Ⅱ   
 이다. 
Y점에서 HO의 질량
이때, Ⅰ과 Ⅱ에서 온도가 동일하므로 평형 상수가 같고
(ㄱ. 거짓)
   이다. 따라서 A 의 양( mol ) X에서가 Y에서의
배이다.
ㄴ. 비례 관계를 구하는 문항이므로 편의상 A와 B의
(ㄴ. 참)
분자량을 각각 과 으로 놓고 풀이하자.
그림에서 두 용액의 온도가 같을 때

X점에서 HO의 질량
B     
(가)에서 용질의 양 ㄷ.    ×  이므로 콕을 연 직후   ×  
 이 므 로 A    
Y점에서 HO의 질량 (나)에서 용질의 양
 
 이고 다음 식이 성립한다.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이므로 정반응 쪽으로 평형이 이동한다.

또한, (가)와 (나)에서 용질의 총 질량이 같으므로
(ㄷ. 거짓)
       이다.

이를 연립하면   ,   이고 (가)에서


     이므로    이다.
(ㄴ. 참)

ㄷ. (가)의 끓는점은 ℃, (나)의 끓는점은 ℃이므로


(가)에서 b는  ℃, (나)에서 b는
  ℃이다.

b∝ ∝ 용질의 양
이고
용매의 질량
용액이 끓기 전 용매의 질량은 (가):(나)    
용질의 양는 (가):(나)    이므로
b는 (가):(나)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이고 (atm 에서 물의
끓는점)    이다.
(ㄷ. 참)

Team Cluster N제 시리즈 25


Massive 해설
47. 정답 ㄴ 난이도 ★★ 48. 정답  난이도 ★★

해설 해설

 화학 반응식에서 분자량은 A가 B의 배이므로 평형에


온도가 일정할 때  는 일정하므로  가 감소하는 것은 가
 도달하였을 때 용기Ⅰ과 Ⅱ에서 각 기체의 몰분율은 다음과
 같다.
감소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 에서 온도가 변화하여  가

A  B 
감소했는데, 이때 는 일정하므로  가 커졌고 ~  에서는
 
가 증가하는 반응이 일어난다. 용기 Ⅰ  
 
이 반응의   이고 에서 가 증가하였으므로  
용기 Ⅱ  
 
  임을 알 수 있다. 만약 Ⅱ가 초에서 기체의
      B
몰농도라고 하면      이고    에서    이다. ∝  ×  에서 용기Ⅰ과 Ⅱ에서 용기 내 압력을 각각 I ,
      A
 II 라 하면 평형 상수는 다음과 같다.
 에서    이고 는 변했는데, Ⅰ이 에서 기체의 몰농도


   
Ⅰ   Ⅰ 
이므로   이다. 하지만 이 경우   으로 그래프와 맞지    ×    ×  → I   
     
않는다. 따라서 Ⅰ이 초에서 기체의 몰농도이고, Ⅱ가 에서 

기체의 몰농도이다. 
  
Ⅱ   Ⅱ 
   ×    ×  → Ⅱ   
    
ㄱ. Ⅱ는 초일 때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

(ㄱ. 거짓)  
B의 몰분율은 Ⅰ과 Ⅱ에서 각각  와  이고
 
ㄴ.   이다. 
  × 

(ㄴ. 참) I  II    이므로     이다.
 
× 


ㄷ. 초에서   이므로    이다. 따라서 에서

   
   이고,    이므로    이다.
   
(ㄷ. 거짓)

26 Massive 해설편 orbi.kr



49. 정답  난이도 ★★ 50. 정답 

난이도 ★★★

해설 해설

모든 반응의 온도는 일정하고, 온도가 일정하므로 도 초기 상태에서 평형 Ⅰ로 반응이 진행될 때 생성된 C 의
일정하다.  
양( mol )을  mol 이라 하면.    이므로   이고 각
A 와 B의 화학식량을 MA , MB 라고 할 때 MA  MB 이다.    
기체의 양(mol )은 A   mol , B   mol , C   mol 이다.
실린더 Ⅲ에서 A  B 이므로 A  g , B  g 이
초기 상태에서 평형 Ⅱ로 반응이 진행될 때 생성된 C 의
존재한다.
 
B 양( mol )을 mol 이라 하자.   이므로   이고 각
      

 B  
평형 상수      ×  이고, B   , 기체의 양(mol )은 A  mol , B   mol , C  mol 이다.
A A  MB
 

 두 평형 상태에서 온도는 동일하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A   이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MA  
   ×        ×    →   
 ×  ×
 × MA   × 
  ×  →    ×    → MB   
MB
 M B  
평형 Ⅱ에서 A (g)의 부분 압력  
따라서     이다.
실린더 Ⅰ과 Ⅱ에서 A  B 가 g 으로 동일하므로 하나는 평형 Ⅰ에서 B(g)의 부분 압력  


A  g , B  g 이 존재하고 하나는 A  g , B 
g 이 존재한다.
  이므로 실린더 Ⅱ의 평형이 역반응 쪽으로 치우쳐진
상태이다. 따라서 실린더 Ⅰ이 B 의 질량이 더 많은 평형을
이룬다.
 
실린더 Ⅰ에서    ×   이므로   이고, 실린더
  51. 정답 ㄴㄷ 난이도 ★
 
Ⅱ에서    ×   이므로   이다. 해설
 

따라서  ×(B의 화학식량)  이다. 는 일정하므로  값이 커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정반응이

진행될수록 가 커지므로 Ⅱ가 평형 상태, Ⅰ이 초기
상태임을 알 수 있다. Ⅱ에서 B와 C의 양(mol )은 둘 다
  mol 이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ㄱ. II는 평형 상태다.
(ㄱ. 거짓)

 
ㄴ. I에서 A 의 몰분율은    이다.
     
(ㄴ. 참)

 
ㄷ.      이다.
 
(ㄷ. 참)

Team Cluster N제 시리즈 27


Massive 해설
52. 정답 ㄱㄴㄷ 난이도 ★★ 54. 정답 ㄱㄷ 난이도 ★★★

해설 해설

ㄱ. A 의 화학식량을 라하고 B의 화학식량을 이라 하면   이고 평형 상태에서 생성물의 양(mol )은  atm일 때가


C의 화학식량은    ×   ×( C의 화학식량)에서 이다. 더 많으므로   이다.
(ㄱ. 참)
ㄱ. 점 X에서가 점 Y에서보다 반응물의 양( mol )이 많은
C(g)의 질량 상태이므로 A 의 양( mol )은 X점에서가 더 크다.
ㄴ. A 와 C의 화학식량이 같으므로 은 곧 두
A (g)의 질량
(ㄱ. 참)
기체의 양( mol )비다. 따라서 (가)에서 A 와 C 의
 
양( mol )은 각각   mol ,  mol 이고, (나)에서는 각각 ㄴ. 점 X에서 A 의 몰분율이  이므로 평형 상태에서 A ,
 
  
 mol ,  mol 이다. B, C의 몰분율이 각각  로 같다. 점 X에서 대기압은
  
  에서 강철 용기의 부피와 압력이 동일하므로 C

   atm이므로 평형 상수    ×  에서
       이다.  AB
 

이때   이고    이므로   이다.  

   ×   이다.
(ㄴ. 참)   
 ×
  
 (ㄴ. 거짓)
C 
ㄷ. 강철 용기의 부피를 라 하면    ×  이므로
A 
ㄷ. 초기 상태로부터 감소한 기체의 총 질량은 점 X에서 g ,
 
   이고    이다. 점 Y에서 g 이므로 초기 상태로부터 소모된 반응물(A ,
 
따라서       이다. B)의 양(mol )이 점 X에서의 배이므로 C(g)의 몰분율은
 
(ㄷ. 참)   이다.
 

(ㄷ. 참)

53. 정답  난이도 ★★

해설

용기 Ⅰ에서   이고, 초기 A 가  mol 있으므로 평형



상태에서   에서   이다.
 
분자량은 A 가 B의 배이고, 평형에서 A   mol , B   mol

존재하므로 질량 백분율    × 이다.


   × 이므로 용기 Ⅱ에서 A 와 B 의 양(mol )은

각각  mol ,  mol 이다.
이때   이고, 두 용기의 부피는 같으므로  ∝ × 인데,
Ⅱ에서 압력이 Ⅰ에서의 배이므로       에서
 
  이다.
 


따라서  × 이다.


28 Massive 해설편 orbi.kr


55. 정답 ㄱㄷ 난이도 ★★ 57. 정답 ㄱㄴ 난이도 ★★★★

해설 해설

압력이 높아질수록 용기의 부피는 작아진다. 실린더 Ⅰ에서 소모된 A 의 양( mol )을 라 하자. 이때 각
ㄱ. ≠라면 용기의 부피가 작아질수록 평형은 역반응 또는 기체의 양은 A     mol , B   mol , C   mol 이고
정반응으로 치우쳐서 용기 내 기체의 양(mol )이 감소하여 기체의 부피    ×  이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밀도는 상대적으로 커진다. 하지만 (나)에서 압력과    
   ×    →    ,   L
밀도는 비례하므로 압력이 증가하여도 평형이 이동하지        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  이다. 실린더 Ⅱ에서 부피는  L 이고 소모된 A 의 양(mol )을
(ㄱ. 참)  라고하면 A     mol , B   mol , C   mol 이고 평형
   
상수    ×    이므로    이다. 따라서 총 기체의
B ×C    
ㄴ.   이다. (가)에서 평형에 도달했을 때  
A 양( mol )은  mol 이고     이다.
 
A   M이고 부피가  L 이므로 A  mol 이다. 

따라서 B  , C  이므로 부분 압력은 C 와
A 가 동일하다. ㄱ. 온도는    이고 는 실린더 I 에서 더 크므로
(ㄴ. 거짓)   이다.
(ㄱ. 참)

ㄷ. 이미 평형에서 C 의 몰분율은  이고 He 가 추가

  
되었지만 평형은 부피에 따라 변하지 않으므로 이동하지 ㄴ.      이다.
  

않는다. 하지만 He 가 추가되었으므로 몰분율은  보다 (ㄴ. 참)

작아진다.

(ㄷ. 참) 
 
ㄷ. 실린더 Ⅰ에서 A 의 몰분율은   
 




 
실린더 Ⅱ에서 A 의 몰분율은   
 

56. 정답  난이도 ★★ 
Ⅱ에서 A (g)의 몰분율 
해설 따라서   이다.
Ⅰ에서 A (g)의 몰분율 
(ㄷ. 거짓)
전체 기체의 질량은 일정하므로 질량 백분율은 기체의
양(mol )이라고 생각해도 좋다.

에서 부피가  L 이므로 A ~C 의 양( mol )은 전부


 mol 로 동일하고, 이때   이다.


A 의 양( mol )은 에서가 에서의  배이므로 A ,


B 의 양(mol )은  mol 이고 C 의 양(mol )은

 
 mol 이므로    이다.
 

 
       이므로   이다.
 

Team Cluster N제 시리즈 29


Massive 해설
58. 정답  난이도 ★★★★ 59. 정답 ㄱㄴㄷ 난이도 ★★★

해설 해설

(가)에서 (나)로 평형이 이동할 때 압력이 증가하고 A 의 ㄱ. 평형 상수에서 몰 농도를 압력을 사용하는 식으로
양이 증가했으므로   이다. 변형하면 다음과 같다.
모든 평형에서 온도는 일정하므로  도 동일하다. B
  
         B 
(가)에서    ×  , (나)에서    ×  이다.    ,     × 
      A A 

  
이때     이고    이므로 다음 식이
 
 따라서  K 에서    이고 다음 식이 성립한다.
 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ㄱ. 참)

또한    이다.

  K 에서  
 ×    ㄴ.  K 에서    이다. 따라서   이다.
(다)에서    ×    이므로    이다.   K 에서  
   
(ㄴ. 참)
  
   이므로  ×   이다.
  
ㄷ. 실린더에서 반응물과 생성물이 각각 하나일 때
B
* p를 이용한 풀이   
 B 
기체의 부분 압력은 (몰분율) ×(외부 압력)이다.     ×  의 식을 통해 동일한 압력에서
A A 
  
 ×
         반응물과 생성물의 초기 비율과 관계없이 평형에서 부분
(가)에서 p     × 
    

   압력의 비율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초기 B 의

       몰분율이  인 것과 상관없이 평형에서 A 의 부분
 × × ×  
            

(나)에서 p     ×   
      압력은  atm이며 A   M이다.
 ×
     
으로 사실상 위의 풀이에서 만 빠진 것과 동일하다. (ㄷ. 참)

30 Massive 해설편 orbi.kr


60. 정답 ㄴ 난이도 ★★★★ 61. 정답  난이도 ★★★★

해설 해설

(가)에서 B  C 이므로 B와 C의 양( mol )을 라 하면 C의 양(mol )은 (나)에서가 (가)에서의 배이고 (가)에서


(가)에서 (나)로 평형이 이동할 때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B  C 이므로 (가)에서 A 의 양( mol )을 mol , B와 C의
양( mol )을 각각 mol 라 하면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A  ⇄ B   C  (가)~(나)
   반응 전 A  ⇄ B   C  (나)
       반응 전
       반응 후    
      반응 후
이때 다음 식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가)와 (나)에서 평형 상수가 같으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따라서   ,   이고 기체의 양(mol )을 정리하면 다음과  
     →    
같다.     

A B C Ⅰ에서 기체의 양( mol )


(가)     C의 양(mol )은 (다)에서가 (나)에서의 배이므로 반응식은
(나)     다음과 같다.

A  ⇄ B   C  (다)


ㄱ. (가)에서 압력은  atm , (나)에서 압력은  atm 이므로       반응 전
다음 식이 성립한다.   
      반응 후
(가) :  ×    × 
(나) ;  ×   ×  A  B 이므로       이고     와 연립하면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이다.

(ㄱ. 거짓) (가)와 (다)에서 평형에 도달하였을 때 각 기체의 양( mol )은
다음과 같다.
ㄴ. (가)에서 Ⅰ의 부피가 Ⅱ의 배이고 Ⅰ에 기체가  mol
A B C

존재하므로 Ⅱ에서 He 의 양(mol )은  mol 이고 (가)      

(나)에서 Ⅰ과 Ⅱ의 부피가 동일하고 Ⅰ에 기체가  mol (다)         
 B C
존재하므로 He 의 양( mol )은 (  ) mol 이다.
 평형 상수   
이므로
A
   
따라서       이므로  보다 크다.  × 
    (가)에서      이고
 
(ㄴ. 참) 
 ×
(나)에서   
 이다.

 B ×C
ㄷ. 평형 상수    ×  를 편의상 부피를 각각 L ,  에서 
 A 따라서  이다.
 에서 
L 로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  × 
에서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에서 
따라서  이다.
에서 
(ㄷ. 거짓)

Team Cluster N제 시리즈 31


Massive 해설
62. 정답 ㄱㄴㄷ 난이도 ★★★★ 63. 정답 ㄴㄷ 난이도 ★★★★

해설 해설

용기 Ⅰ과 Ⅱ에서 온도와 A의 양( mol )이 같으므로 B


  ×  를 이용한다.
 B A
    이다. 그리고 부피가 감소하였는데  가
 A
감소하였으므로   이다.
ㄱ. K 에서(㉡, ㉢) A 를 A 의 부분 압력이라 할 때 평형
용기 Ⅱ와 Ⅳ에서    ,    이므로
상수는 다음과 같다.
  이다.
   A     A    A
B    ×  × 
ㄱ. 온도가 증가하였는데  가 커졌으므로 이 반응은 흡열 A A A A A
A
반응이다.
㉡과 ㉢에서 평형 상수는 다음과 같다.
(ㄱ. 참)
   
㉡에서    × 
 
편의상 ㄷ부터 해설한다.
   
㉢에서    × 
  
ㄷ. 용기 Ⅰ에서 평형에 도달하였을 때 기체의 양(mol )은
㉡과 ㉢에서 평형 상수가 같으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  
A ~C 가 각각   mol ,   mol ,   mol 이고      
    
 ×   ×  →   
용기 Ⅲ에서 평형에 도달하였을 때 기체의 양(mol )은     

    
A ~C 가 각각   mol ,   mol ,   mol 이다. 따라서    ×   이다.
    
 (ㄱ. 거짓)
  
  
용기 Ⅰ에서    ×   
   
  
 ㄴ.   이므로 ㉡에서 A 를 통해     이고
 

     임을 알 수 있다.
  
용기 Ⅲ에서    ×    이므로
   ㉠에서의 A 의 부분 압력은 atm 이고 K 에서
 

  이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에서   
 
 따라서       이다.
(ㄷ. 참) (ㄴ. 참)

 ㄷ. ㉠에서   이고 A 의 부분 압력은 atm이므로


ㄴ. 풀이  . 용기 Ⅲ과 Ⅳ를 비교해보자.    이므로

  
         이고, B 의 부분 압력은 atm이므로
  이다. 용기 Ⅲ에서 평형에 도달하였을 때   

  

A ~C 의 압력은 각각 , , 으로 총 atm 인데, B   M이다.

만약 평형이 이동하지 않았다면 부피가 절반이 되었으므로 (ㄷ. 참)
압력은 배가 되어 atm 이다. 하지만 부피가 감소하여
역반응이 우세하게 일어나므로   이다.
풀이  . 반응한 A 의 양( mol ) 에 대하여

  
   ×    이고 이 식을 풀면
   

      이고, 전체 압력 은 (    )


 
이다. 이때       이므로   
   ≈
 
이다.
(ㄴ. 참)

32 Massive 해설편 orbi.kr



64. 정답 ㄴㄷ 난이도 ★★★★ 65. 정답 

난이도 ★★★★

해설 해설

ㄱ. (가)에서 콕을 열어 (나)로 평형이 이동할 때 소모되는 (나)에서 A   g 과 B   g 의 양( mol )비는   이므로 각
A 의 양( mol )을  mol 라 하면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 
기체의 양( mol )은  mol ,  mol 이다. 이를 이용하여
 
A   B  ⇄ C 

     (가) (가)에서 각 기체의 양( mol )을 구하면 A   mol , B 

  

   (나)  mol 이다.   를 이용하면 다음 식이 성립한다.

    
(나)에서 B의 몰분율이  이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L
    
 
  → 
     평형에 도달하였을 때 기체의 밀도는 (나)에서가 (가)에서의
즉, (나)에서 기체의 양(mol )은 A mol , B mol , C 
 배이고, 전체 기체의 질량비는   이므로 부피 비는
mol 이다. 
  이다.
(가)와 (나)에서 평형 상수는 다음과 같다. 따라서 (나)에서 평형에 도달하였을 때 기체의 부피는
  
(가)에서의    ×   L이고, 각 기체의 양은 A   mol , B 
 ×  
 
(나)에서의       ×   mol 이므로 평형 상수는 다음과 같다.
 × 
(가)와 (나)에서 온도가 같으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ㄱ. 거짓)
(가)와 (나)에서 온도는 동일하므로 도 동일하다.

   
ㄴ. (나)에서   ×     이므로   L 이고   
× (가)의 초기 상태에서    ×    이므로
  
  이므로   L 이다. 
 
(나)에서 콕을 닫고 (다)로 평형이 이동할 때 Ⅱ에서 정반응으로 평형이 이동한다.
소모되는 A 의 양(mol )을  mol 라 하면 반응식은 다음과 감소한 A 의 양(mol )을  mol 이라고 하면
같다. 
   
   
A   B  ⇄ C   ×    에서   이므로 평형에서
   
   (나)   
 
    
기체의 양(mol )은 A   mol , B   mol 이다.
   (다)  

     ×  이므로   이다.
     



이때, (나)와 (다)에서 압력이 같으므로 이상 기체 
(가)에서 A  
따라서 평형에 도달하였을 때   
방정식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다. (나)에서 B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이다. 이다.
(ㄴ. 참)

ㄷ. (나)의 Ⅰ에서 총 기체의 양( mol )은 mol 이고 (나)에서


(다)로 평형이 이동할 때 정반응 쪽으로 평형이
이동하므로 총 기체의 양( mol )이 감소하였으므로 (다)의
Ⅰ에 존재하는 기체의 양( mol )은  mol 보다 작다.
(ㄷ. 참)

Team Cluster N제 시리즈 33


Massive 해설
66. 정답  난이도 ★★★★ 67. 정답  난이도 ★★

해설 해설

(나)에서 A , B 의 몰 농도 비가 나와있으므로 기체의 압력 평형 상수는 다음과 같다.


양(mol )의 상댓값을 다음과 같이 둔다. B
  
A  B  He  A
피스톤 왼쪽 실린더   × 실린더의 외부 압력을 외부, A , B 의 부분 압력을 각각
피스톤 오른쪽 실린더    A , B , 몰 분율을 각각 A , B 라 두면 식을 다음과 같이
변형할 수 있다.
압력에 대한 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을 다음과 같다. B  B
    × 
 A 외부 A
 
 평형 Ⅰ에서 A , B 의 양( mol )이 같으므로 몰 분율은
여기서 온도가 일정하고 (나)에서 양쪽의 압력이 같다. 이를 
 로 같다. 외부 압력이  atm이므로 평형 상수는 다음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   같다.
   →  
   
온도가 일정하므로 양쪽에서 평형 상수가 같다. 이때  는  

   ×   
농도로 정의되는 평형 상수이므로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 
B B  B 부피   
     ×   ×
A A A   A ( A ) 평형 Ⅱ에서 외부 압력이  , A 의 몰 분율이  이므로



이를 대입하면 다음 식이 성립한다. B 의 몰 분율은  이다. 따라서 압력 평형 상수는 다음과

   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평형 Ⅰ에서 A , B 의 양(mol )을 , 으로 두고 초기
상태에서 평형 Ⅰ으로의 반응을 화학 반응식으로 나타내면
(가)에서 실린더의 양쪽에 넣은 A 의 양( mol )은 같다. 다음과 같다.
  이므로 (가)에서 왼쪽 실린더의 A 의 양은  , 오른쪽
A  ⇄ B 
실린더는 이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     ← 초기
  →    ×  
   
 
따라서 ×   이다.
  ← 평형 Ⅰ

초기 A 의 양( mol )이 , 평형 Ⅰ에서 A , B 의


양( mol )의 합이 이므로   이다.
 
따라서     이다.
 

34 Massive 해설편 orbi.kr


68. 정답 ㄴㄷ 난이도 ★★★ 69. 정답 ㄱ 난이도 ★★★

해설 해설

ㄱ은 평형 상수를 구한 후 판단해야 한다. 정반응으로 반응이 


ㄱ. 평형 Ⅰ에서 A 의 몰 분율이  이므로  g 의 A 의
이동했지만 부피가 변했으므로 평형 상수의 크기를 함부로 

짐작할 수 없기 때문이다. 양(mol )을 이라 하고 강철 용기 (가)에서의 화학


반응식을 써보면 다음과 같다.
ㄴ. (가)에서 (나)로 반응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A  → B   C  (가)
  
A  ⇄ B   C 
  
   (가)
  
 
    
  강철 용기 (나)에서 반응한 A 의 양(mol )을 이라

     (나) 하고 반응식을 세워보면 다음과 같다.

A  → B   C  (나)
여기서 다음 식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가)에서 B 의 몰 분율     
        
평형 Ⅰ과 평형 Ⅱ에서 온도가 같으므로 다음 식이

  성립한다.
   
(나)에서 C 의 몰 분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반응물의 계수 합) = (생성물의 계수 합)이므로 전체   
기체의 양( mol )은 반응이 진행되어도 일정하다. 평형 Ⅰ과 평형 Ⅱ에서 A , B , C 의 양( mol )은
각각 ( , , ), (, , )이다.
 ×  ×   g의 A 의 양(mol )이  mol 이므로 ×   이다.
따라서    이므로   이다.
  B의 화학식량을  라 하면 다음 식이 성립한다.
(ㄴ. 참) ×    
  →    , (C의 화학식량)   
×     
ㄷ. A , B , C 의 양(mol )은 (가)에서 ( ,  , B 의 질량(g ) ×  
평형 Ⅰ에서       이므로
 )이고, (나)에서 ( ,  ,  )이므로 평형 상수는 다음과 전체 질량( g ) ×  

같다. 
( C의 화학식량) ×   이다.

 × × 
 에서      (ㄱ. 참)
 × × 
 ×  × 
 에서     
 ×  ×   B 의 질량(g ) 
ㄴ.    이므로 평형 Ⅲ에서   이다. 전체
 K 에서   전체 질량( g ) 
따라서   이다.
 K 에서  질량은 보존되므로 B 의 양(mol )은 평형 Ⅲ에서가 평형
(ㄷ. 참) Ⅰ에서의 배이다.
평형 Ⅰ과 평형 Ⅲ에서의 압력은 서로 같으므로 다음 식이
ㄱ. 온도가 증가하였는데 평형 상수가 증가하였으므로 성립한다.
  이다.      
 ×    × →   
(ㄱ. 거짓)  
(ㄴ. 거짓)

 ×  × 
ㄷ. ((가)에서 ):((다)에서 )  ×    × 
   
따라서 ((가)에서  ):((다)에서 )    이다.
(ㄷ. 참)

Team Cluster N제 시리즈 35


Massive 해설
★★★★
70. 정답  난이도 71. 정답 ㄱㄴㄷ 난이도 ★★★
★★★★
해설 해설

실린더 Ⅰ과 실린더 Ⅱ의 부피비가   이므로 전체 실린더의 ㄱ. 먼저 (가)와 (나)를 비교해보자. 용기에 넣은 A 의
부피는  L이다. C  D
양이 mol 로 같을 때 (가)와 (나)의  값이 같다는
A

평형에 도달하였을 때 각 실린더의 부피를 I, II라 하고 것은 반응한 A 의 양( mol )이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이용해 (가)와 (나)에서 평형에 도달하기 전후
생성된 A의 양을  mol이라 하면 다음 식이 성립한다.
기체의 양(mol )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반응한
       
 ×   ×  A 의 양(mol )을 mol 이라 하자.
   I  II
I  II         기체 A  B  C  D 

          전     
→ ×  ×  
   I    I (가)
   
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전    


(나)
차 방정식같이 보이지만 평가원의 기출처럼 전개해서 소거하   
후      
면 다음 식이 성립한다.   

  평형 상수가 (가)에서 이고 (나)에서 이므로


        →    or 
 
    
      ×    이고   이다. 이때   이고
이때    인 경우, 평형에서 C 의 양( mol)이 음수가 되므     

  이므로   이다.
    
로    이고 I  II        이므로    ×   이다. (ㄱ. 참)
    


ㄴ, ㄷ. 이를 이용해 표를 완성하면 다음과 같다.
[추가 풀이] 기체 A  B  C  D 
어차피 피스톤을 사이에 두고 같은 공간을 공유하고 있기 때 
전     

문에 부피가 알아서 바뀌며 전체 압력이 동일하게 유지된다. (가)
  
후       
따라서 각 실린더에서 두 기체의 부분 압력 비율이 동일하면   
평형 상수가 동일하다. 전    
C C (나)
즉 실린더 Ⅰ에서  와 실린더 Ⅱ에서  가 같으므로 다음    
B B 후        
   
식이 성립한다.

      따라서    이고 에서 이 반응의 평형 상수는 이다.
   →          
 
C  D
이를 전개 후 소거하면 다음 식이 성립한다. (다)에서   이므로 (다)에서 평형에 도달한 후
A

     →      
 A , C , D 의 양( mol )은 각각 , , 일

 
 

이후 의 계산은 앞과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다.
것이다. 이때 평형에 도달한 후 B의 양(mol )을 B 라 하면
다음 식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B

   
따라서 B   이고        이다.
   
(ㄴ, ㄷ. 참)

36 Massive 해설편 orbi.kr


72. 정답 ㄱㄴㄷ 난이도 ★★★ 73. 정답 ㄱㄴㄷ 난이도 ★★★

해설 해설

ㄱ. Ⅰ와 Ⅱ를 비교해보면 B의 질량이 감소할 경우 혼합 ㄱ. 평형 상수를 계산하기 위해 평형에서의 A 의 양을 A ,


기체의 부피가 감소한다. 즉, 평형이 왼쪽으로 이동하면 B의 양을 B , C의 양을 C 라 하자. 그러면 평형 상수는
혼합 기체의 부피가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다.
  이다. C  
(ㄱ. 참)  ×    
 A B 
(가)에서 (나)로 변할 때 같은 양의 기체를 넣어준 후
ㄴ, A , B의 양( mol )을 각각 A , B 라 하고 전체 기체의
반응이 진행되었음에도 부피가 배이므로   이다.
부피를  라 하면 평형 상수는 다음과 같다. 
또한 B의 양이  배, C의 양이 배가 됨을 이용하면 다음
B  
 ×
A  식이 성립한다.
Ⅰ와 Ⅱ에서 평형에 도달한 후 A 와 B의 양(상댓값)과 
  → 
부피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Ⅰ에서 B의 양을 라 
× 

한다.
처음 넣어준 A 와 B의 질량은 각각 g 임을 알 수 있다.
평형 상태 A B 부피
I 
(ㄱ. 참)
Ⅰ 
Ⅱ II  
ㄴ. 이를 통해 알아낸 A , B, C의 분자량 비는 다음과 같다.
정리하면 다음 식이 성립한다. A BC  
    
 ×  × → I   II 따라서 (가)에서 넣어준 기체의 양( mol )의 비는
I   II  
A  B     이다.
평형 Ⅱ가 평형 Ⅰ에서 압력을 높여 도달한 평형이므로
(ㄴ. 참)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 
I    II → II  , I   ㄷ. (가)와 (나)에서 기체의 양(상댓값)을 표로 나타내면
 
다음과 같다.
이를 이용해 Ⅲ에서 기체의 양(상댓값)을 표로 나타내면
A B C
다음과 같다.

평형 상태 A B 부피 (가)   

Ⅲ    (나)   

     따라서   이다.
정리하면  ×    ×     이고     이다.
    
(ㄷ. 참)
(ㄴ. 참)

ㄷ. Ⅱ와 Ⅲ에서 전체 기체의 양과 압력이 같고


   이므로   이다. 온도가 에서  로 증가할
때 평형 상수가 감소하므로 이 반응은 발열 반응이고
  이다.
(ㄷ. 참)

Team Cluster N제 시리즈 37


Massive 해설

74. 정답  난이도 ★★★ 75. 정답 

난이도 ★★★

해설 해설

평형 Ⅰ에서 A의 양( mol )을  mol , B의 양(mol )을 A  B


 은 A 의 몰분율의 역수와 같은 값이다.
 mol 이라고 하자. B의 계수가 이므로 그 양을 의 배수로 A
맞추는 것이 계산이 용이하다. Ⅰ에서 A 의 양을 몰이라고 하면 평형 Ⅰ에서 Ⅱ로 가는
평형 Ⅰ에서 Ⅱ로 갈 때 양적 관계는 다음과 같다. 반응의 양적 관계는 다음과 같다.

A  → B  A  → B 


  반응 전   반응 전
    반응
    반응 후    반응 후

이때, 외부 압력이 일정하므로 B의 부분 압력은 B의 이때 Ⅰ과 Ⅱ에서 A 의 몰분율의 비율은   이므로, 다음과


몰분율에 비례한다. 같은 식이 성립한다.
  
평형 Ⅰ에서 B의 몰분율은  이고, 평형 Ⅱ에서는       →   
      
 또, 피스톤에서 외부 압력이 일정하기 때문에 기체의 부피는
 이므로 다음과 같은 비례식이 성립한다.
   기체의 양(mol )과 온도의 곱에 비례한다.
   이 반응의 평형 상수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B B 
A  → B     × 
A A 
  반응 전
따라서 평형 Ⅰ과 Ⅱ에서 평형 상수는 다음과 같다.
 
  
  반응 후    ×   
  
이 반응의 평형 상수식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B 
 B  × 
     ×
A A   
따라서    이다.
평형 Ⅰ에서 실린더의 부피를 , 평형 Ⅱ에서 실린더의  

부피를 라고 하면 다음 식이 성립한다.


 
Ⅰ


    
×   →   

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이다.


38 Massive 해설편 orbi.kr


76. 정답 ㄱㄴ 난이도 ★★ 77. 정답 ㄱㄴㄷ 난이도 ★★★

해설 해설

ㄱ. OH   
b 에서 OH  는 X 가 Y 의 배이고 HA 의 이온화 상수를 라 할 때, I 는 다음과 같다.

b는 X가 Y의 배이므로 몰농도  는 Y 가 X 의 ( mL 는  ′L로 나타냄. mL 를 L 로 나타내어 계산.)
 
배이다.
(ㄱ. 참)
I  
a



I

 ′  

× 

 
ㄱ. 왼쪽 그래프에서   mL (즉,  ′  L)일 때 부피가
ㄴ.   에서 b는 X가 Y의 배 OH  는 X 가
OH  초기의 배가 되었으므로

Y 의 배이므로 는 X가 Y의 배이다.
(ㄴ. 참)






  
 

×     이다.
  왼쪽 그래프에서


  mL (즉,  ′   L )일 때 다음 식이 성립한다.

ㄷ. ℃이므로 a × b   ×   에서 b는 X가 Y의



배이므로  는 YH  가 XH  의 배이고   

HO   

 에서 는 XHCl가 YHCl의 










 
×  →   


배이므로 HO  는 YHCl가 XHCl의 배이다. (ㄱ. 참)

따라서 pH 는 M XHCl 가 M YHCl 보다 만큼



크다.
(ㄷ. 거짓)
 

ㄴ. ㄱ에서      ×(초기 HA 수용액에서 이온화도)
 

이므로 초기 HA 수용액에서 이온화도는  이다.

(ㄴ. 참)

ㄷ. 오른쪽 그래프에서   mL 일 때  M HA 와  M


 
HA 의 부피가 같으므로 몰 농도는  M이고

 
이온화도는  

 
(
 
a
 
)이다.


ㄴ에서  



  이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ㄷ. 참)

Team Cluster N제 시리즈 39


Massive 해설
78. 정답  난이도 ★★ 79. 정답 ㄴㄷ 난이도 ★

해설 해설

 ㄱ. 초기 HA  HB 이고 강염기를 혼합하였을 때 pH의


약염기 수용액이므로   
b


HA

A 
이고
변화량이 동일하므로
A  B 
      이다. 따라서
 HA HB
가한 증류수의 부피를  mL라 하면    이므로
   A  B 
강염기를 혼합하기 전     이고 HB 의
 HA HB
HA

A 
 
b    
 
이다.
a    이므로 이온화 상수는 HA가 더 작다.

b와 초기 A 의 양( mol )은 일정하므로 (ㄱ. 거짓)
  A 
A 

HA 

∝  이고  는   mL 일 때가   mL 일
   HA ㄴ. (나)는 완충 용액으로 증류수와 완충 용액에 소량의
때의 배이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강염기를 첨가하면 pH 의 변화량은 증류수에서 더 크다.
           →    (ㄴ. 참)
또한, 용액의 총 부피는   mL 때가   일 때의
배이므로 
ㄷ. 혼합한 NaOH의 양을  mol이라 하면   에서
   × 이다. 
따라서     이다. 
   이다. NaOH의 화학식량은 이므로


   ×   이다.

(ㄷ. 참)

40 Massive 해설편 orbi.kr


80. 정답  난이도 ★★★★ 81. 정답  난이도 ★★★★

해설 해설

편의상 약산에 NaOH 를 가한다고 생각하고 풀이한다. 비커 (나)에서 용액의 부피를  mL라 하고 비커 (가)와
HX 에 NaOH 를 가하면 가한 NaOH 의 양( mol )만큼 (나), 용액 Ⅰ, Ⅱ에서 이온화 전 용질의 양(mol)은 다음과
HX와 반응하여 X 를 생성한다. 같다.
(단, ( HX의 양)≥( NaOH 의 양)인 경우에 한함.) (가) (나) 용액 Ⅰ 용액 Ⅱ
 
HA    
 
 
혼합 용액에서 X 또는 Y 의 양( mol ) 
즉, 는 A   
가한 HX 또는 HY의 양( mol) 

가한 NaOH 의 양( mol )
와 같다.
가한 HX또는 HY의 양( mol ) (나)에서 용액 Ⅰ이 만들어질 때 HA의 양( mol)은 변하지

않는다. 따라서    이고, 마찬가지로 첨가한
(용질의 양( mol ))(몰 농도) ×(부피)이므로 다음 식이 
성립한다. NaA 에서 A  의 양(mol)은 변하지 않는다.
가한 NaOH 의 양( mol )   (나)와 NaA 의 부피의 합이  mL이므로 NaA 의
   
가한 HX의 양( mol )    
부피는  mL이고 이때 A 의 양은  mol이므로
가한 NaOH 의 양( mol )    
     
가한 HY의 양( mol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HO   
a 에서 혼합 전 HX 와 HY 의 pH 는 같고 M HA 에서 HO   
a ×    ×  이므로
혼합 전 몰농도는 HX 가 HY 의 배이므로 a는 HY가 a   ×   이고, A  의 b   ×   이다.
HX의 배이다.
  
용액 Ⅱ에서 A      이므로 OH    이다.
표에서 M HX 의 부피가 mL일 때 HA  A  이고 M  
HY 의 부피가 mL 일 때 pH 보다 만큼 크므로 HY 의 
 M NaA 에서 HO     이다.

부피가  mL일 때 HY  Y  이다.


용액 Ⅱ에서 OH 
   이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따라서   이다.
 M NaA ()에서 HO 
   ×      ×     →   

Team Cluster N제 시리즈 41


Massive 해설
82. 정답 ㄴ 난이도 ★★★ 83. 정답 ㄱㄴ 난이도 ★★★★

해설 해설

약산에서 NaOH 를 첨가한 만큼 HA 가 A 를 내놓으므로 NHOH  mL 와 M NHOHCl  mL 를 혼합한
 
Na  A  용액에 M NaOH  mL 를 넣어 혼합 용액 (다)를
  이다.
HA  HA 만들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Na  A  
HA 에 NaOH mL를 첨가할 때      이므로
HA HA 
ㄱ. (가)에서 OH   
b 이므로   이다.

B 
  이다. 또한 HB에 NaOH 를 첨가할 때   이므로
HB (다)에서 pH  이므로 OH    M이고 b  OH  이다.

      에서   이다. 이때, (다)는 (가)와 M NHOHCl mL를 혼합한
HA 에 NaOH mL 를 첨가할 때 HO   이고, HB에 용액에 M NaOH  mL를 가한 것과 같고 NaOH 를
가하면 가한 양(mol )만큼 NHOH  는 감소, NHOH 는
NaOH  mL를 첨가할 때 OH   
 ×  에서
 증가하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   
 ×  이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 
   →   

 (ㄱ. 참)
 


 
×
 








×    →    ,    × 

ㄴ. 강염기와 약염기가 혼합되어있을 때 강염기

먼저
 ×
이온화된다. 따라서 (나)에서 OH     이고
  
ㄱ.   이다.
pH 는 이다.
(ㄱ. 거짓)
(ㄴ. 참)

ㄴ. 초기 몰농도는 HA 가 HB의 배다.


ㄷ. (다)에서 NHOH 와 NHOH  가 각각  ×   mol 씩
(ㄴ. 참)

NHOH  
존재하므로 HCl  ×  mol 을 첨가 후    이고
NH OH 

   
ㄷ.   

   이고,

 
OH    ×  ×  =  
  OH     에서 OH    × M, HO    × 
 
 


  ×  이므로


pOH    log  이고,
  이다. 따라서 pH 는 보다 크다.
 (ㄷ. 거짓)


log   이므로 pH    pOH  이다.

(ㄷ. 거짓)

42 Massive 해설편 orbi.kr


84. 정답 ㄱㄴㄷ 난이도 ★★★ 85. 정답 ㄱㄴ 난이도 ★★★★

해설 해설


ㄱ. (가)는 산과 염기의 양( mol )이 동일하므로 A 의 가수 ㄱ. HA 의 부피가 mL 일 때, 이 용액은 A  의 가수
분해에 의해 pH 가 결정되고 다음 식이 성립한다. 분해에 의해 OH   가 결정된다. A  의 이온화 상수를
  × 
OH   


×   

  
→     라 하면,  A     이고, OH    
  
 에서

 ×   
 
따라서 HA 의 는  × 이다.  이고    ×  이다.
 

(ㄱ. 참) 따라서 A 의 짝산인 HA 의 이온화 상수    × 


 
 A 
 
 
 
ㄴ.   


이므로 (나)에서 HA 와 A  의 이온화도는 다음과
이고,   

에서    
HA 
  ×

이고,


HA    
 ×A  A  이다.
같다.
(ㄱ. 참)
 
 
 
   
HA   , A   
 
ㄴ. M NaOH  mL 에 M 산 HA 를 mL를
따라서 (나)에서 혼합 전 이온화도는 HA 가 A 의
넣었으므로 HO  와 반응하고 남은 OH  의 양( mol )은
배이다.
 ×   ×  이다. 혼합 용액의 부피는
(ㄴ. 참)

 
L이므로  OH       이다.
 
ㄷ. 혼합 전 HA 의 양( mol )은 A  의 양(mol )의 (ㄴ. 참)
HA
배이므로 혼합 용액 (나)에서   이다.
A 
A HO  HA
HA  ㄷ.    에서 HO     이고, 는
HA 에서  는 이온화도의 역수 (  )와 같으므로 HA A  
A  
A 
  일정하므로 OH  의 비는  의 비다.
  



에서      

이고   이다. HA
NaOH 의 양( mol )이 일정하므로 A  는 동일하고 HA 는
A HO  
   에서 

  HO  이므로   이고 ( HA 의 양( mol ))  ( NaOH 의 양(mol ))에 비례하므로 다음
HA 
식이 성립한다.
    이다.
 
(ㄷ. 참)        →   
     
(ㄷ. 거짓)

Team Cluster N제 시리즈 43


Massive 해설
86. 정답 ㄱㄴ 난이도 ★★★ 88. 정답 ㄴ 난이도 ★★★★

해설 해설

 ×  이므로    
ㄱ. 약산에서 H  log  ×  이다. (다)에서 NaOH 의 부피가  mL 일 때 용액 Ⅰ의 pH 가
NaOH 가 mL 첨가 되었을 때 
HO   이므로 A 
이므로 이때   이다.  M HA   mL 에 들어
HA
    
이다.  
 
 ×  에 대입하면   이다.
있는 HA 의 양(mol )은 mol ,  M NaOH   mL에 들어
(ㄱ. 참)  
있는 NaOH 의 양(mol )은 mol 이므로   이다.
 
ㄴ. mL 에서 수용액은 mL의 M NaA 와 같은  A 
점 P 에서 Ⅱ의 HO    × 이므로   이고,
  HA
이므로 OH    ×  
     
상태이다. A 의   
  
   , HO    이이므로   이다.   이므로   이고,     이므로   이다.
 
(ㄴ. 참)

A  
ㄱ. NaOH 를 넣기 전 용액 Ⅰ에서   , 용액

ㄷ.    인데, M을 첨가하였으므로 용액은 M mL HA  

A   
NaA 와 같은 상태이다. Ⅱ에서    이다. 따라서    이다.
HA  

OH   


 ×    ×  , HO   



 ×  이므로 (ㄱ. 거짓)

pH  log  ×      log


  이다. ㄴ.   이다.
(ㄷ. 거짓) (ㄴ. 참)

ㄷ. NaOH 의 부피가  mL 일 때 HA 는 완전히 반응하여


A  가 가수분해를 한다. 용액의 총 부피는  mL이므로
87. 정답 ㄱㄴ 난이도 ★★
  w 
A    ×    이고 A  의 b     ×   이므로 다음
해설   a 
식이 성립한다.
ㄱ. 혼합 전 용액은 HA  A     인 완충 용액이다.  
(ㄱ. 참)
OH   
 × b   ×   × 
  

이때 pOH  이므로 pH  이다.


ㄴ. 초기

HA  A    이고 HCl   mL 를 혼합할 때 (ㄷ. 거짓)
A  
  이므로 NaOH   mL 를 넣어주었을 때
HA  
A 
  이다. 따라서   이다.
HA
(ㄴ. 참)

ㄷ. HCl   mL 의 양(mol )을 라고 하면 다음 식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M ×    이므로     이다.
  
(ㄷ. 거짓)

44 Massive 해설편 orbi.kr


★★★★
89. 정답 ㄱㄴㄷ 난이도 ★★★ 90. 정답 ㄱㄴ 난이도
★★★★
해설 해설

ㄱ. M HA  mL 를  M NaOH   mL 에 첨가했을 ㄱ. 항상 강산이 약산보다 먼저 이온화되므로 처음


때 OH  가 매우 큰 것으로 보아 HA 와 OH  가 반응하여 NaOH 의 부피가 일 때 HCl 은 전부 이온화 되고,
OH  가 남은 상태이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A 
HA 는 거의 반응하지 않는다. 주어진  는 HCl 에 의해
 ×    ×   HA
OH      ×  →   
    만들어진 pH 를 따라 평형에 도달한 상태이고,
(ㄱ. 참) 
HO    M이므로 HA 의 a   × 
이다.
A 
 NaOH 의 부피가  mL 일 때   이므로 이미
ㄴ.   이므로 수용액 Ⅱ는 M NaA 와 같은 HA


HCl 에 의해 생성된 HO  는 전부 반응하고 초기 HA 의
 HAOH  
상태이다. A 의 이온화 상수      ×   양(mol )의 절반이 반응한 상태이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A  
 ×   ×    × →   
이므로 HA 의    ×  이다.
(ㄱ. 참)
(ㄴ. 참)

ㄴ. NaOH  mL 를 혼합했을 때 HCl 은 전부 반응하여



ㄷ. 수용액 Ⅰ에서의 A    ×  M이므로 다음 식이 
 HA 만 존재하고 농도는  ×M이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M
   
NaOH  mL 에

 M HA  mL 를
A 

HA
 
a




 ×  

×
  × 



혼합했으므로 수용액 Ⅲ에서 HA  A  이다.
(ㄴ. 참)
 
따라서    ×  이고  ×   ×  ×    ×  
 
ㄷ. NaOH  mL 를 혼합했을 때 HA 도 전부 반응하여
이다.

(ㄷ. 참) A 만 존재하고 농도는  × M이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 
 × ×  ×   ×
OH    


pOH    log  →   pOH pH  


(ㄷ. 거짓)

Team Cluster N제 시리즈 45


Massive 해설
91. 정답  난이도 ★★ 92. 정답  난이도 ★★

해설 해설

반응 초기에 A 만 존재하므로 반감기를 거친 횟수를 이라 min 동안 B 가 반응 속도식에 비례하므로 다음과 같이
하면 에 따른 A  B 는 다음과 같다. 반응 속도(상댓값)을 구할 수 있다.

반응 전 B ( M) min일 때 B ( M) min 동안 B(M)


용기 Ⅰ Ⅰ   
 A (M) B ( M) A  B ( M) Ⅱ   
    Ⅲ   
   
    여기서 B 를 반응 속도(상댓값)으로 간주하고 풀이할 수
    있다.
   
반응 속도식을   A B 라 하면 반응 전 A , B 와 반응
속도(상댓값)은 표와 같다.
용기 Ⅱ
초기 반응 속도
 A (M) B ( M) A  B ( M) 초기 A (M) 초기 B (M)
(상댓값)
   
    Ⅰ   
    Ⅱ   
    Ⅲ   
    따라서 반응 속도식은   A 이다.

용기 Ⅰ에서는 초 동안 반감기를 회, 용기 Ⅱ에서는  초 Ⅱ에서 B가 M반응할 때 C가 M 생성되므로   이다.



동안 반감기를 회 거쳤으므로 용기 Ⅰ에서 반감기는  초,

Ⅰ에서   ~ min 동안 B  M이므로 A  M이다.

용기 Ⅱ에서 반감기는  초이다. 따라서   ~min 동안 A 가 절반이 되므로 반감기는

min 이다.
초일 때 Ⅰ과 Ⅱ에서 A 가 같으므로    이다.

5) 답 구하기
반감기를 회 거칠 때마다 B 가 절반이 됨을 이용

반감기는 min 이고

Ⅰ에서   ~ min 동안 B  M이므로


Ⅰ에서   ~ min 동안 B  M이다.

따라서 Ⅰ에서 min 일 때, B        M이다.

46 Massive 해설편 orbi.kr



93. 정답 ㄱ 난이도 ★ 95. 정답 
난이도 ★★★

해설 해설

ㄱ. 실험에서 온도만 다르고 모든 조건이 동일하게 주어졌고, 초기에 A 와 B만 존재하므로 표에 주어진 용기Ⅰ~Ⅲ에서
 K 에서보다  K 에서 발생한 CO  의 양( mol )이 더 A 의 몰분율을 통해
많으므로 ‘온도가 높을수록 반응 속도는 빨라진다.’는   일 때 A 와 B (상댓값)을 다음과 같이 놓을 수 있다.
㉠으로 적절하다. Ⅰ Ⅱ Ⅲ
(ㄱ. 참) A (상댓값)   
B (상댓값)   

ㄴ. 초간 발생한 CO의 질량은 g 이므로 기체의 양(mol )은


 표에 주어진   ∞일 때 용기 내 압력은
 mol 이다. 화학 반응식에서 계수 비는
 A  B  C (상댓값)과 같으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H  CO    이므로 소모된 H 의 양( mol )은  mol 이다.

(ㄴ. 거짓) 이를 표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Ⅰ Ⅱ Ⅲ
ㄷ. 플라스크의 입구를 완전히 막아버리면 CO  가
A (상댓값)   
빠져나가지 못해 실험의 결과가 달라진다. B (상댓값)   
(ㄷ. 거짓)
반응 속도식을   A B 이라 할 때 표에 주어진   일
때의 순간 반응 속도를 이용하면 반응 속도식은   B 이다.

Ⅱ에서   일 때와   분일 때 순간 반응 속도를 비교하면


  분일 때 순간 반응 속도가 절반이므로 반감기가 분이고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A   B  → C Ⅰ



94. 정답 

난이도 ★★   반응 전
  
해설
      min

Ne 의 양( mol )은 일정하다. 같은 용기 내에서 몰분율은 곧  


   
 
부분 압력의 비율과 같으므로 Ne를 변형하면 초, 초
   A   B  → C Ⅲ
∞초에서  ,  ,  이다. 즉,  이고 반응이 완결 된
     반응 전
후 B 는 이므로       이다.   
반응한 A 의 줄어든 부분 압력을 라고 할 때 용기 Ⅰ에서       min

  
Ne     에서   이다. 즉  초에서 A 가 atm ,  
    
B 가  atm 존재한다.
   
용기 Ⅱ에서 Ne     에서   이므로  초에서 따라서    이다.
     
A 가 atm , B 가 atm 존재한다.
  에서 두 강철 용기의 부피는 동일하고 온도는
Ⅱ에서 A (g)의 양( mol ) 
  이므로  이다.
Ⅰ에서 B(g)의 양(mol )  

Team Cluster N제 시리즈 47


Massive 해설
96. 정답  난이도 ★★★ 98. 정답  난이도 ★★★

해설 해설

만약 전체 반응 차수가 차라면 반응 속도는 일정해야 한다. (다)에서 초기 A 의 양( mol )을  mol ~  min 동안 반응한
용기 Ⅰ에서  초간    인데 용기 II에서   이므로 A 의 양( mol )을  mol 라 하면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전체 반응 차수가 차가 아니다. A   B  C
→ (다)
  반응 전
용기 Ⅰ과 Ⅱ에서 A 는 동일하고 B 만 차이가 있는데, 용기   
Ⅰ보다 Ⅱ에서 B 가 많음에도 반응이 일찍 멈춘 것으로       min
속도가 B 에 비례함을 알 수 있다.

         이므로       이고, C의 몰분율은


용기 Ⅱ에서 B의 반감기가 회 지났을 때 A 는 완전히
  
 이므로   이다. 따라서   ,   ,
반응하여 사라진다. 초와  초에서 압력이 동일하므로   
적어도  초나 그보다 빠른 시간에 B의 반감기가 지나갔음을   이다.
알 수 있다.
(가)에서   ~min 동안 A 가  mol 소모되었고 C가  mol
용기 Ⅰ에서 B의 반감기가 회 진행되면 A ~C의 몰농도는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각각 M, M, M이고 회 더 진행되면 몰농도는 각각   ~min 동안 생성된 C의 양( mol )은 반응 속도와
M, M, M이다. 온도와 부피는 일정하므로 용기 내 같으므로 다음과 같이 반응 속도(상댓값)을 구할 수 있다.
압력은 총 몰농도에 비례한다. 반감기가 회 진행되었을 때
총 몰농도는 M이고 회 진행되었을 때 총 몰농도는 초기 A ( M) 초기 B (M) 반응 속도(상댓값)

M이다. 이 둘의 비율이   이므로 반감기는 초임을 알 (가)   


수 있다.
(나)   

(다)   ()
Ⅲ에서 반감기가 회 진행된 후 A ~C의 몰농도는 각각 M,
M, M이므로 총 M이고 압력은  이다. 따라서 따라서 반응 속도식은   B 이다.
  이다.

(가)에서   ~min 동안 A 가 mol 소모되었으므로 반응


97. 정답 ㄱㄴㄷ 난이도 ★★ 계수 비에 의해 B가 mol 소모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반감기는 min 이다.
해설

반감기가 min 이므로


ㄱ.  에서   min 일 때 용기 내 압력( atm)은 이다. (다)에서 반응 시간에 따른 각 기체의 양(mol )과 C의
  몰분율은 다음과 같다.
   이므로 같은 시간 동안 변화한 비율이 두
 
반응 A의 B의 C의
온도에서 동일하다. 즉, 두 온도에서 반감기는 동일하고 C의 몰분율
시간 양(mol ) 양( mol ) 양( mol )
촉매는 없으므로   이다.
    
(ㄱ. 참)
   
min    
   
ㄴ. 에서 반응이 완결됐을 때 압력은 이다.
   
      이므로   이다. min    
   
(ㄴ. 참)    
min    
   

ㄷ. *반감기로 역계산하는 사람이 없길 바란다.


  min 에서 압력은 Ⅰ:Ⅱ   로 전체 기체의 압력은 따라서   이다.

항상   이다. 따라서    ×   이다.

(ㄷ. 참)

48 Massive 해설편 orbi.kr



99. 정답 

난이도 ★★★ 100. 정답 ㄱ 난이도 ★★★

해설 해설

 X
  에서    × 이다. 강철 용기의 부피와 는 초에서  가 였고 초와  초에서 로 동일하다. 즉
 A
일정하므로 ∝이다. 따라서 부분 압력의 비는 두 기체의 ~초 사이에서 A  X 이다.
양(mol )비다. A  라고 할 때 생성된 B 와 Y 의 몰농도의 합이
용기 Ⅰ에서 초 후 소모된 A 의 양( mol )을  라고 하면 
이므로    이다.
  
  이므로    이다.
   A 의 분해 반응은 차 반응이므로 A 의 소모량은  초당
M이다. 초기 A 를 라고 할 때, 초에서
용기 Ⅱ에서 초 후, 초 후 소모된 A 의 양( mol )을  , A    M이므로     에서   이다.
     이를 통해 각 반응 시간에서 A 와 X 를 정리하면 다음과
 라고 하면   ,  에서    ,
  
 
   
  같다.
 
   이다. ~초 동안 반응한 A 의 양( mol )은  mol , 초 초 초 초
 
A    
 X  ?  
~초 동안 반응한 A 의 양( mol )은  mol 에서 A 는

~초 동안 반응한 X 의 몰농도는 M이고, ~ 초 동안

초당   mol 반응하는 차 반응이다. 반응한 X 의 몰농도가 M인 것으로 보아 이 반응은 차

 반응이며 반감기는  초이다.
용기 Ⅰ에서 A 는 초에   mol 만큼 반응한다.

A 가 용기 Ⅰ에 mol , 용기 Ⅱ에 mol 이 들어갔을 때, ㄱ.   이다.
 (ㄱ. 참)
초 후 용기 Ⅰ에서는 A 가  mol , 용기 Ⅱ에서는 mol

 
만큼 분해된다. 이때 용기 Ⅰ에서는 B 가  mol , 용기 ㄴ. 초에서 X  이므로    이다.
 
Ⅱ에서는 C 가  mol 만큼 생성된다. (ㄴ. 거짓)
 
용기 Ⅱ에서 C(g)의 양( mol )    
따라서   이다.
용기 Ⅰ에서 B(g)의 양( mol )   Y
 ㄷ. 초에서 B  , Y  이므로   이다.
B
(ㄷ. 거짓)

*아무도 모르는 학년도 수능 번 적중 문항인


학년도 이카루스 시즌  회 번 문항이다. 자랑하고
싶었다.

Team Cluster N제 시리즈 49


Massive 해설

101. 정답  난이도 ★★★ 102. 정답 

난이도 ★★★★

해설 해설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I 은 감소하지만 그림에서 I  II 는 


그래프를 보면 초마다  가 배가 되므로 이 반응의
A
증가하므로   이다.
반감기는  초이다.
용기 Ⅰ에서 초기 A 의 양(mol )을  mol 이라 하면 C 의
초기 Ⅰ, Ⅱ에 각각 A 와 B 만 존재하고 II  atm ,

B 양( mol )은  mol 이다. 이때 기체의 양( mol )을 표로
  이므로 A 의 압력(I )은 atm 이다. 
A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A  B  C 
또한 반응 시간이 min 일 때, II  atm 이므로 Ⅱ에서
   
초        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   
B  → Y  Ⅱ    
초        
   
 초기
  
 
  
    min 에서 B 의 몰분율     
        
    에서   이다.        
   
min 일 때 Ⅱ에서 B 의 부분 압력은 atm이므로 반감기는 
 
초이다.  
에서 B 의 몰분율  
B        
이때,   이므로 A 의 부분 압력은 atm 이고 Ⅰ에서         
A    

반감기는 min 임을 알 수 있다.   이다. 두 식을 연립하면   ,   이다.

따라서 시간이 ∞일 때 각 기체의 양( mol )은 다음과 같다.
따라서 반감기를 이용하여 min 일 때 I  II 를 구하면
A  → B   C Ⅰ
다음과 같다.

A  → X  Ⅰ    반응 전

 초기 
   
  
  min   ∞


   이다.
B  → Y  Ⅱ 
 초기 용기 Ⅱ에서 초기 C 의 양(mol )을 이라 하면 반응식은
  다음과 같다.
  min
A  → B   C Ⅱ
I  II           atm이다.   반응 전

   


     ∞

 
   이므로   이다.
 
   

따라서 용기 Ⅱ에서 반응 시간이 초일 때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A  → B   C Ⅱ


  반응 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이다.
  

50 Massive 해설편 orbi.kr



103. 정답 

난이도 ★★★ 104. 정답 ㄱㄴㄷ 난이도 ★★★★

해설 해설

A 를 넣은 용기를 Ⅰ, X를 넣은 용기를 Ⅱ로 놓고 풀이한다. A


ㄱ. 용기 Ⅰ에서  가 항상 로 일정하다. 즉, 초기 기체의
표에서 시간당 B 가   ~ min 일 때가   ~min 일 때의 B
배이므로 A  → B반응의 반감기는 min 이다. 
양(mol )비와 반응 계수가   이다. 따라서   이다.
즉, A 는   min 일 때가 min 일 때의 배이고 
Z (ㄱ. 참)
 는   min 일 때가 min 일 때 각각 와 이므로
A
 ㄴ. 용기 Ⅰ에서 초기 기체의 부분 압력은 A   atm , B 
Z 는   min 일 때가 min 일 때의  배이다.

 atm 이다. A 의 초기 양(mol )은 동일하므로 용기
즉, 시간당 Z 는   ~min 일 때가   ~min 일 때의
Ⅱ에서 A 은  atm , B 은  atm 이다.
배이므로 X → Y  Z 반응의 반감기는
용기 Ⅱ의   에서 줄어든 B 의 부분 압력을  라 할

 min 이다.
 때 다음 식이 성립한다.
  min 일 때 A 와 Z 를 각각 와  로 놓으면 반응식은 A    
   →   
다음과 같다. B     
따라서    에서 A  , B  이다.
X  → Y   Z  Ⅱ
 
   용기 Ⅰ에서   일 때 A  이고 용기 Ⅱ에서   일
 때 A  이다. 반응 속도는 몰농도에 비례하므로 용기
     min

Ⅰ에서   에서 순간 반응 속도는 용기 Ⅱ에서
  X 
     에서     이므로   min 일 때    이다.    에서 순간 반응 속도의 배이다.
  A 
(ㄴ. 참)

ㄷ. 용기 Ⅰ에서    일 때 A  , B   이다.


C  
  이므로 C   ,   ,   이다.
A  B 
 
용기 Ⅱ에서   일 때 A   , B   ,
 
C   이므로 총 기체의 압력은  이다.
 
용기 Ⅲ에서 초기 A 의 양( mol )은 용기 Ⅰ과 같지만
온도가 이므로 부분 압력은 배이다. 따라서 초기
A   , B  이다.
   
  에서 C  라 하면   에서    이다.
   

즉,    에서 A   , B   , C  이므로 총
기체의 압력은 이다.
Ⅱ에서 반응 시간   일 때 전체 기체의 압력
따 라 서
Ⅲ에서 반응 시간   일 때 전체 기체의 압력

  이다.

(ㄷ. 참)

Team Cluster N제 시리즈 51


Massive 해설
105. 정답 ㄱㄴㄷ 난이도 ★★★ 106. 정답  난이도 ★★★★

해설 해설

ㄱ. 반응 시간이 일 때 A 만 존재하고 반응 시간이 일 때   일 때 A  M이라 하면  min 에서 반응식은 다음과


A  B 가 M, 반응 시간이 ∞일 때 A  B 가 같다.
M이므로   이다. A  → B   C  Ⅰ
(ㄱ. 참)  
  
ㄴ. 표에서 시간에  B  는 다음과 같다.        min
 B (M ) 
He 의 몰분율은   일 때가 min 일 때의  배이므로 다음
  분  분    분 
   식이 성립한다.
 B  ( M )   
  ×  →   
  ~분  ~분    
   
 B   M  B   M 
min 동안 A 가  배가 되었으므로 Ⅰ에서 A 의 반감기는

  초이다.
 B  가  분 동안  이 되므로 반감기는  분이다.
 
반응 시간이 분일 때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또한, (나)에서    min 일 때 He 의 몰분율은 이므로
A   → B   
   에서    이다.
        
 초기
 
    분 용기 Ⅰ에서    min 일 때
A B      에서   이다. 질량()은 A  B    
 기체의 양()는 A  B    이므로
 분일 때 A  M이므로 반감기는  분이다. 분자량(  )은 A  B    이다.

 
   이므로       이다.
  용기 Ⅱ에서 질량비가 A  B    이고 분자량 비가
(ㄴ. 참)   이므로 기체의 양(mol )비는 A  B  C      이다.
이때 A B C 를 각각 M, M, M로 놓으면
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ㄷ. 반응 시간이  분일 때  A  는 초기의  배가 되므로

A  → B   C  Ⅱ
  이고   이다.
 
(ㄷ. 참)   
     min

 
   이므로    min 일 때 He 의 몰분율은  이고
 
  
  에서   이다. 이때 min 동안 A 가  배가
     
되었으므로 Ⅱ에서 A 의 반감기는 초이다.

Ⅰ에서   일 때 A 는 M이고 반감기가 초이므로



   min 에서 B  M  M이 생성된다.

Ⅱ에서   일 때 A 는 M이고 반감기가 초이므로
 
   min 일 때 A   ×    M이다.
 

Ⅰ에서의 B 

따라서    min 일 때    이다.
Ⅱ에서의 A 



52 Massive 해설편 orbi.kr



107. 정답 

난이도 ★★★★

해설

B
( B의 몰분율)   이므로
A  B  He
He He
( B의 몰분율) ×     ( He 의 몰분율)이고
B A  B  He
표에서   min 일 때 He 의 몰분율은  ×  이다.
반응이 진행되지 전 He 의 몰분율도  이므로 반응이
진행되어도 총 기체의 양(mol )은 일정하므로     이다.

He 의 몰분율은 항상 일정하므로
   × 에서   이다.

반감기를 거친 횟수를 이라 하면 에 따른 A, B의


양(mol )은 다음과 같다. (문제에 기체의 양( mol )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초기 기체의 양( mol )을 으로 놓는다.)
 A의 양( mol ) B의 양( mol )
  
  
  
  
  


B 는   min 일 때가  min 일 때의  배이다. 따라서

  min 에서   이고 반감기는 초이고 He 의 양(mol )은
이다.

   min 일 때 기체의 양(mol )은 B가 , He 가 이므로


   
   이고    이므로    이다.
   

Team Cluster N제 시리즈 53


Massive 해설
108. 정답 ㄴ 난이도 ★★★★

해설
 
ㄱ.   min 에서 Ⅱ에서 C의 몰분율은  
A (g)의 질량       
  일 때 Ⅰ에서   이므로 A 의 질량을
기체의 전체 질량  이다.
, B의 질량을 로 놓을 수 있다. (ㄱ. 거짓)

A , B의 분자량을 각각 A , B 라 할 때  
ㄴ. Ⅰ에서 B   , Ⅱ에서 B   이다. 따라서 B 는
 
Ⅰ에서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Ⅰ에서가 Ⅱ에서의 배이다.
A   B  → C Ⅰ (ㄴ. 참)
 
  반응 전
A B
   ㄷ. Ⅰ은   min 일 때 반응이 완결되어   min 일 때는

A 
A 
A 반응이 진행되지 않고 Ⅱ는 반응물의 양( mol )비와 계수
    비가 같아 계속해서 반응이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     min
A B  A 
A
  min 일 때 순간 반응 속도는 Ⅱ에서가 Ⅰ에서보다
C(g)의 부분 압력 크다.
 이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B(g)의 부분 압력 (ㄷ. 거짓)
  
      → B  A
A B A
109. 정답 ㄱㄴㄷ 난이도 ★★
따라서 분자량 비는 A  B  C      이다.
해설
A (g)의 질량
표에 주어진 값을 이용하면
기체의 전체 질량 기체의 양(mol )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Ⅰ에서 A 와 B의 질량을 각각 과  반응 시간 A B He
Ⅱ에서 A 와 B의 질량을 각각  과  로 놓으면 다음 식이 
   
성립한다.  
   
  
Ⅰ에서 기체의 양(mol )      →   
   
   
   
Ⅱ에서 기체의 양(mol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초기 기체의 양( mol )은   
   
Ⅰ에서 A mol , B mol   
Ⅱ에서 A  mol , B  mol 이다.
ㄱ. 반응 시간이 일 때 기체의 양을 통해   임을 알 수
있다.
이때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ㄱ. 참)
A   B  → C Ⅰ
  반응 전 ㄴ. 이후로 반감기가 줄었으므로 이때 X를 넣었음을 알 수
  
있고, 이는 정촉매이다.
     min
(ㄴ. 참)
A   B  → C Ⅱ
  반응 전 ㄷ. 표에서 반응 시간이 일 때 B(g)의 양(mol )은
   
 mol 이다.
     min 
(ㄷ. 참)


Ⅰ에서 분 동안 B 가  배가 되었으므로 반감기는 분,


Ⅱ에서 분 동안 B 가  배가 되었으므로 반감기는

초이다.

54 Massive 해설편 orbi.kr


110. 정답 ㄴㄷ 난이도 ★★ 111. 정답 ㄴㄷ 난이도 ★★★

해설 해설

N e 의 양 (가)에서 반응 전 전체 기체의 양을 mol , (나)에서 반응


N e 의 몰 분율 
( A 의 양 + B 의 양) + N e 의 양 전 전체 기체의 양을 mol 이라 하자.
반응 시간이 일 때 N e 의 양( mol )을 이라 하면 다음 (가)에서 전체 기체의 양은   부터    까지 가,
식이 성립한다.   부터    까지  가 줄어들었다. 줄어든 전체 기체의
   
  ,  양을 통해   부터    까지 A가 만큼,    부터
        
반응이 진행될수록 ( A 의 양 + B 의 양)이 에서   까지 A 가 만큼 줄어들었으므로   에서 mol ,

으로 줄어들었으므로   이다.   에서 mol 이다.


(나)에서   부터   까지 A 가  ,    부터   까지
ㄱ. (나)에서 초기 A 의 양(mol )을 , N e 의 만큼 줄어들었으므로   에서  mol ,   에서
양( mol )을 이라 하고 반감기 횟수와 ( A 의 양 +  mol 이다.
B 의 양)을 나열해 보면 다음과 같다.

ㄱ. 반감기를 통해 온도는 (가)가 (나)보다 높다는 것을 알


반감기 초기 번 번 번 번 번
수 있다. 따라서   이다.
A 의 양       (ㄱ. 거짓)

B 의 양      


ㄴ. 반응 전 B 의 양은 (가)에서 , (나)에서 이다.
(A 의 양 + 이때   이나 (가)와 (나)에서   일 때 전체 기체의
     
B 의 양) 압력이 같다는 것을 통해   ,    임을 알 수
( A 의 양 + B 의 양)이 위에서처럼   이 되는 있다. 따라서    이고 반응 전 넣어준 B 의 양은
지점은 반감기가 번, 번 지났을 때이므로 (나)에서 (나)에서가 (가)에서보다 크다.
 (ㄴ. 참)
반감기는  이다.

(ㄱ. 거짓) 
ㄷ. 반응 전 A 의 몰분율은 (가)에서가  이고 (나)에서가

 
ㄴ. (나)의 반응 시간  에서 N e 의 몰 분율이  이므로  이다. 따라서 반응 전 A의 몰분율은 (가)에서가
 
다음 식이 성립한다. 
(나)에서의  배이다.
  
  ,   
   (ㄷ. 참)
(나)에서 초기 A , N e 의 양( mol )은 ( , )이고
(가)에서 초기 A , N e 의 양( mol )은 ( , )이다.
 
N e 의 몰 분율이  일 때 A 의 양이 , 즉  배가
 

되었으므로 (가)에서 반감기는  이다.

따라서   이다.
(ㄴ. 참)

ㄷ. (가)에서 초기 A , N e 의 양(mol )은 (, )이고


반응 시간 에서 A , N e 의 양(mol )은 ( , )이다.
반응 시간이 일 때 A , N e 의 양( mol )은 ( ,
)이므로 와  사이에 N e 와 A 의 양(mol )이 같은
시점이 있다.
(ㄷ. 참)

Team Cluster N제 시리즈 55


Massive 해설
 
112. 정답 

난이도 ★★★ 113. 정답 

난이도 ★★★

해설 해설

     C 점근선이 의미하는 바는 반응이 완결되었을 때 C 의


   ,    이고 이를  과 비교해 보면,  에서
     A B 몰분율이다. 따라서   이다.
분모가 만큼 감소할 때 분자가 만큼 증가한다. 따라서 초기 A  M이라고 생각해보자. 반감기가 지날 때마다
  이고 A 의 감소량은 C 의 증가량과 같다. Ⅰ에서   
C 의 몰분율은 반감기  반감기  반감기 
A 를 넣은 후 기체의 양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 

  에서 A 의 양을  으로 한다. 


반감기  이다.

기체 A B C A B
이때 에서 반응 후 C 의 몰분율이   이 되는 시간은

         반감기, 반감기이므로       이고,  에서  분 후
         반감기가 지났으므로  분에서 반감기를 지나야한다.
         
따라서    이다.

 
   이므로   이다. 이를 이용해 표를 완성하면
 
다음과 같다.
기체 A B C A B 
114. 정답 

난이도 ★★★★
    
       해설
      
      

실험 I에서 ~ 동안 전체 압력이  만큼 변헀고,
 

따라서    ,   이고 반감기는 이다. 
  ~동안은 만큼 변했다. 전체 압력 변화량의 비는

Ⅱ에서 기체의 양을 표로 나타내어 보자. 이때 넣은 A 의
(~ 동안):( ~ 동안)    이다.
양을 A 라 하자. 반응 속도식이   A 이므로 B가 한계
전체 압력 변화량의 비를 같은 시간 간격으로 쪼개면 다음
반응물이다.
식이 성립한다.
기체 A B C A B
( ~동안) : ( ~동안) : (~ 동안)        
 A     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    A    A    

 A   
   A     A   
시간 간격  동안 전체 압력이  배씩 변하므로 반감기는
   A     A   

 이다. 따라서 전체 압력의 변화량이 ( ~ 동안) :
 
   A
  ( ~ 동안)     이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정리하면       이고 A  이다. 이를
 A  
   A  
          →   
 
  
이용해  를 구하면   이다. 따라서  ×    이다.
   
실험 Ⅱ에서 온도가 로 일정하므로 반감기는 같으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이다.
   

56 Massive 해설편 orbi.kr


115. 정답  난이도 ★★★ 117. 정답 ㄱㄴㄷ 난이도 ★★★

해설 해설

먼저 계수가 정해진 물리량인 A 와 C 부터 살펴보자. A 의 초기 부분 압력을 라하고 각 반감기 별 A , C ,
초기 A 의 양( mol )을 으로 두고 반감기가 번 지날 C
C 의 양(mol )  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A 의 양, C 의 A
때까지 양, 를 표로
A 의 양(mol )
반감기 초기 번 번 번 번
나타내보면 다음과 같다.
A     
반감기 초기 번 번 번 번

A 의 양     
C     

C
C 의 양          

A
C 의 양( mol )    
    
A 의 양(mol )     C
ㄱ. 반감기가 번, 번 지났을 떼  의 값이 , 이므로
C 의 양( mol ) A
번 반감기와  번 반감기에서 A 의 양(mol ) 가 항상 (가)에서 반감기는 min 이고,   이다.
    C
  의 꼴로 나온다. 따라서 가 반감기이다.
   반감기가 번, 번 지났을 때  의 값이   이므로
A
에서는 A , B , C 의 양은 (, , )이다. 이때
(나)에서 반감기는 min 이고,   이다.

B 의 몰 분율이  이므로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따라서     이다.

(ㄱ. 참)
같다.
 
  →  ㄴ. 두 강철 용기의 온도가 모두 로 일정하므로 촉매를 넣지
     
따라서  ×   ×  이다. 않았을 때 반응 속도 상수 는 같다. 하지만 반감기가
(가)보다 (나)에서 짧으므로 반응 속도 상수 는 (나)가
(가)보다 더 크다. 따라서 넣어준 촉매는 정촉매이다.

 (ㄴ. 참)
116. 정답 

난이도 ★★★★

해설 C
ㄷ. (나)에서   이고   min 이후로  의 값이 에서
A

    변하지 않으므로 B 의 양( mol )은   min 에서 이다.


  ,  이므로 이를 이용해 Ⅰ에서 기체의
  
    ~ min 에서 반감기가 번 지났으므로 화학 반응식은
양(상댓값)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다음과 같다.
시간( min ) B의 양 C의 양 A   B  → C  (나)
     반응 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min
 

이를 통해   와    임을 알 수 있다.   임을 이용해 이때 감소한 A 의 양 : B 의 양    이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Ⅱ에서 표를 완성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시간( min ) B의 양 C의 양 
  
(ㄷ. 참)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이고  ×      이다.
   

Team Cluster N제 시리즈 57


Massive 해설
118. 정답 ㄴ 난이도 ★★★ 119. 정답 ㄱㄴ 난이도 ★★★

해설 해설

실험 Ⅰ에서 몰 분율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질량 보존 법칙에 의해 전체 질량은 일정하고, 개별 물질의


A    B  C , B  C → C  A  C   질량은 양( mol )에 비례하므로 B  C 는 B와 C의 양(mol )의
1차 반응에서 초기 A 의 양(mol )을 mol 이라고 할 때, 합에 비례한다.
반감기에 따른 C 는 다음과 같다.
실험 Ⅰ에서 다음과 같은 식을 얻을 수 있다.
반감기 반감기 반감기
초기 → →,  →   →     
1회 2회 3회

A의 양     즉 실험 Ⅰ에서는 분 동안 A 가  배가 되므로  에서

B의 양     
반감기는  분이다.

C의 양     마찬가지로, Ⅱ에서도 다음과 같이 생각해볼 수 있다.
   →,  →   
C    
   
이때 실험 Ⅱ에서는 분동안 A 가  배가 되므로  에서
   
C      
   반감기는 분이다.
   min 은 반감기가 회 진행된 상태이고, 이 반응의 온도 Ⅱ에서 A 의 질량 
  일 때   인데, Ⅰ에서 초기에 A 의
에서의 반감기는 min 이다. Ⅰ에서 A 의 질량 

양( mol )을 이라고 하고, Ⅱ에서 초기에 A 의 양( mol )을


실험 Ⅰ과 Ⅱ에서 반감기가 같고 초기 A 의 양( mol )이 같다. 이라고 할 때 Ⅰ에서   min 일 때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이때 Ⅱ에서 초기에 넣어준 B의 양(mol )을 mol 이라고 하면,
A  → B   C  Ⅰ
   min 일 때 Ⅰ과 Ⅱ에서 A 와 C의 양( mol )은 같으므로
   

Ⅱ에서 C  A 는  이다. 따라서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min
ㄱ. 이 반응은 A 에 대한 차 반응이므로 A 의 몰농도와 반응   
속도가 비례한다. Ⅱ에서    min 일 때 A는 mol , 
따라서    이다.
Ⅰ에서    min 일 때 A 는 mol 존재한다. 
Ⅱ에서    min 일 때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Ⅱ에서    min 일 때 반응 속도
따라서  이다.
Ⅰ에서    min 일 때 반응 속도 A  → B   C  Ⅱ
(ㄱ. 거짓)    
  
     
  
ㄴ. Ⅱ에서   일 때 혼합 기체의 양( mol )은 mol 이고,   
         min
Ⅰ에서   일 때 혼합 기체의 양( mol )은 mol 이다.   
Ⅱ에서   일 때 전체 압력  
따라서   이다. 따라서    이다.
Ⅰ에서   일 때 전체 압력  
(ㄴ. 참)
ㄱ.   이고    인데    이므로    이다.
ㄷ.    min 일 때 반감기가 1회 진행되었으므로, Ⅱ에서 B는 (ㄱ. 참)
mol 존재하고, Ⅰ에서 C는 mol 존재한다.
 
Ⅱ에서 B의 질량 ㄴ.    이다.
문제 조건에서  이라고 했으므로,  
Ⅰ에서 C의 질량
(ㄴ. 참)
B의 화학식량은 C의 화학식량의 배이다.

A 의 화학식량  ㄷ. 반감기는 Ⅰ에서가 Ⅱ에서보다 짧으므로   이다.


따라서   이다.
C의 화학식량 
(ㄷ. 거짓)
(ㄷ. 거짓)

58 Massive 해설편 orbi.kr



120. 정답 
난이도 ★★★

해설

차 반응에서 반응 차수가 존재하는 반응물이   ∞에서 모두


소모되었을 때  , ,  등 변화량에 대하여
 
   감기에서 직전의 반감기에서    감기로 변할 때  ,
 

,  등을    감기의  , ,  등에 더해주면 반응이

완결되었을 때 , ,  등을 알 수 있다.

(가)에서  min당 가  ,  인 것으로 반감기가  min임을


알 수 있다. 반응이 완결되었을 때 B 가 존재하고,
(가)에서 반응이 완결되었을 때 압력은  min의 atm에서
  을 더한 atm이고 총  atm이 줄어들었다는 것을
통해 A  atm, B  C   atm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나)에서 ~ min 에서   ,  ~∞에서   이다.


 에서 직전 반감기인  까지   이고, 이때  의 비율이

  이므로       에서 반감기가   min 임을 알 수 있다.

반응 전 압력이 atm이고 반응이 완결된 후 atm이므로 총
 atm이 줄어든 것을 통해 A  atm, B  C  atm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반응 속도 상수  는 반감기가 반비례하므로  K에서 반응


속도 상수를 이라 하면  K에서 반응 속도 상수는

  이다.

따라서
 
  × 
A
(나)에서 (g)의 순간 반응 속도    
   이다.
(가)에서 A (g)의 순간 반응 속도   
 × 


Team Cluster N제 시리즈 59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