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지리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49

TRƯỜNG ĐẠI HỌC NGOẠI NGỮ-ĐẠI HỌC QUỐC GIA HÀ NỘI

KHOA NGÔN NGỮ & VĂN HÓA HÀN QUỐC


----------

TÀI LIỆU THAM KHẢO

ĐỊA LÍ ĐẠI CƯƠNG

Biên tập: Th.S Nguyễn Thùy Dương

HÀ NỘI, 2014
하노이국립대학교 – 외국어대학
한국어 및 한국문화 학부
----------

참고 자료

지리 개론

편집: Nguyen Thuy Duong


LỜI MỞ ĐẦU
Môn học Địa lí đại cương được thiết kế dạy ở học kỳ IV, đối tượng người
học đã có kỹ năng thực hành tiếng nhất định, có khả năng nói và viết tiếng Hàn
tốt. Môn học này cung cấp cho người học những kiến thức tổng quan về địa lí thế
giới và địa lý từng vùng miền của Hàn Quốc.
Thông qua các tài liệu nghe nhìn đa dạng, người học có thể nắm bắt được
những kiến thức chung nhất về địa lí tự nhiên cũng như địa lí xã hội trên toàn cầu
và các đặc trưng khái quát về địa lý, địa hình, khí hậu của Hàn Quốc. Trên cơ sở
đó hiểu được các nét đặc trưng cụ thể của từng vùng miền trên lãnh thổ Hàn
Quốc.
Ngoài giờ giảng của giáo viên ở trên lớp, sinh viên còn được tham gia vào
các hoạt động phát biểu và thảo luận, thuyết trình theo nhóm.
* Mục tiêu chung:
Môn học được giảng dạy bằng tiếng Hàn nhằm hai mục đích chính là
truyền đạt các kiến thức chung về môn học và nâng cao năng lực ngoại ngữ cho
sinh viên.
* Chuẩn đầu ra của môn học:
Sau khi kết thúc môn học, sinh viên có thể hoàn thiện kiến thức, kỹ năng
và thái độ, tư chất như sau.
- Về Kiến thức: Môn học được thiết kế nhằm giúp sinh viên tiếp cận với những
vấn đề cơ bản nhất thuộc lĩnh vực địa lí trên qui mô toàn cầu: Trái đất, địa hình,
khí hậu, dân số, tình hình kinh tế, xã hội toàn cầu; đồng thời đi sâu vào mảng
kiến thức địa lí tự nhiên – xã hội của Hàn Quốc, đặc trưng từng vùng miền của
Hàn Quốc.
- Về Kĩ năng: Rèn luyện các kĩ năng tóm tắt, tổng hợp thông tin, phân tích tài
liệu. Phát triển kĩ năng thảo luận, phát biểu nhóm.
- Về Thái độ, chuyên cần :
Các lĩnh vực tri thức của môn học giúp các em có thái độ và hành động
đúng đắn với môi trường và cảnh quan nơi mình đang sống; rèn luyện tư chất con
người trong môi trường lao động hiện đại.
MỤC LỤC
PHẦN 1:
Phần địa lí tự nhiên đại cương
Bài 1: Trái đất..................................................................................... 8
1.1. Sự hình thành trái đất........................................................
1.2. Cấu tạo của trái đất...........................................................
1.3. Hiện tượng trái đất nóng lên .............................................
Bài 2: Địa hình và khí hậu .................................................................. 18
2.1. Các loại địa hình................................................................
2.2. Các vùng khí hậu...............................................................
PHẦN 2:
Phần địa lí xã hội đại cương
Bài 3: Sự phân bố dân số ................................................................... 28
3.1. Phân bố dân cư ...................................................................
3.2. Mật độ dân số......................................................................
3.3. Sự gia tăng dân số thế giới..................................................
Bài 4: Các nước đang phát triển.......................................................... 34
4.1. Đặc trưng của các nước đang phát triển.............................
4.2. Vấn đề đói nghèo trên thế giới...........................................

PHẦN 3:
Phần địa lí khu vực đại cương
Bài 5: Châu Âu..................................................................................... 41
5.1. Điều kiện địa lí tự nhiên........................................................
5.2. Dân số...................................................................................
5.3. Kinh tế - xã hội.....................................................................
Bài 6: Châu Á........................................................................................ 53
6.1. Điều kiện địa lí tự nhiên........................................................
6.2. Dân số...................................................................................
6.3. Kinh tế - xã hội.....................................................................
PHẦN 4:
Địa lí Hàn Quốc
Bài 7: Thời tiết và các mùa của Hàn Quốc.......................................... 64
7.1. Khí hậu bốn mùa của Hàn Quốc.........................................
7.2. Đặc trưng của từng mùa......................................................
7.3. Sự khác nhau giữa khí hậu Bắc và Nam Hàn.....................
Bài 8: Đặc trưng hệ thống núi của Hàn Quốc..................................... 71
8.1. Đặc trưng của núi..............................................................
8.2. Vai trò của núi...................................................................
8.3. Một số ngọn núi tiêu biểu ở Hàn Quốc..............................
Bài 9: Đặc trưng hệ thống sông và biển của Hàn Quốc....................... 81
9.1. Đặc trưng của sông............................................................
9.2. Vai trò của sông..................................................................
9.3. Một số con sông tiêu biểu ở Hàn Quốc..............................
9.4. Đặc trưng của biển............................................................
9.5. Vai trò của biển..................................................................
9.6. Các hòn đảo trên biển ........................................................
Bài 10: Vùng thủ đô............................................................................ 93
10.1. Lịch sử 600 năm hình thành vùng thủ đô.........................
10.2. Vị trí vùng thủ đô.............................................................
10.3. Các di tích, cung điện nổi tiếng........................................
10.4. Lí do Seoul trở thành đô thị hàng đầu..............................
10.5. Đô thị vệ tinh....................................................................
10.6. Các sản vật của vùng thủ đô.............................................
10.7. Thông tin lịch sử về vùng thủ đô.....................................
Bài 11: Vùng Chungcheong............................................................... 103
11.1. Lịch sử hình thành vùng Chungcheong...........................
11.2. Sự khác biệt về điều kiện tự nhiên giữa Bắc và Nam
Chungcheong.........................................................................................
11.3. Đặc trưng hệ thống giao thông........................................
11.4. Các sản vật của vùng Chungcheong..................................
11.5. Thông tin lịch sử về vùng Chungcheong..........................
Bài 12: Vùng Honam............................................................................ 111
12.1. Vị trí của vùng Honam.......................................................
12.2. Đặc trưng của vùng Honam...............................................
12.3. Di tích, di sản.....................................................................
12.4. Các sản vật của vùng Honam.............................................
12.5. Hệ thống đường cao tốc trong vùng..................................
12.6. Thông tin lịch sử về vùng Honam......................................
Bài 13: Vùng Yeongnam...................................................................... 119
13.1. Vị trí của vùng Yeongnam.................................................
13.2. Lịch sử hình thành.............................................................
13.3. Di tích, di sản.....................................................................
13.4. Đặc trưng của vùng Yeongnam.........................................
13.5. Đảo Ullungdo và Dokdo....................................................
13.6. Thông tin lịch sử về vùng Yeongnam................................
Bài 14: Vùng Gangwon...................................................................... 131
14.1. Vị trí của vùng Gangwon.................................................
14.2. Đặc trưng của vùng Gangwon...........................................
14.3. Các ngành nghề trong vùng...............................................
14.4. Đặc trưng ba thành phố lớn trong vùng Gangwon............
14.5. Thông tin lịch sử về vùng Gangwon................................
Bài 15: Vùng Jeju................................................................................ 139
15.1. Vị trí của vùng Jeju...........................................................
15.2. Đặc trưng của vùng Jeju.....................................................
15.3. Các sản vật của vùng Jeju..................................................
15.4. Thông tin lịch sử về vùng Jeju...........................................
제 1 부:
자연 지리

7
제1과
지구
1.1. 지구의 형성

지구는 태양계의 셋째 행성이며, 지구형 행성 중에서 가장 크다. 지구는


45 억 6700 만년 전에 형성되었으며 지구와 행성 티아의 격렬한 충돌로
생성된 달을 위성으로 두고 있다. 지구를 의미하는 기호의 두 선분은 자오선과
적도를 의미한다. 엷은 대기층으로 둘러싸여 있어 현재까지 알려진 생물들이 살
수 있는 유일한 행성이다. 태양에서 지구까지의 거리는 약 1 억 5000 만
킬로미터(1AU)이고, 지구는 완전한 구가 아닌 회전타원체에
가깝지만 적도 반지름 약 6378 킬로미터, 극반지름 약 6357 킬로미터로 그 차는
약 20 킬로미터밖에 되지 않아 편평도는 매우 낮다. 우리가 흔히 몸무게라고
하면 사람이 지구에서 잰 몸무게를 나타낸다.

지구는 45 억 6700 만년 전에 형성되었으며, 태양계가 형성되던 시점과


때를 같이한다. 원시 태양계 원반의 태양 가까운 부분에서는 갓 방출되기 시작한
태양의 복사에너지에 의해 휘발성 성분이 제거되면서 규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암석 종류와 철, 니켈 등의 금속성분이 남게 된다. 이들은 원시 태양 주위를
공전하면서 합쳐서 그 크기를 불리게 되는데, 어느 정도 몸집과 중력을 가진
것들을 미행성이라고 부른다. 미행성들은 보다 작은 소행성이나 성간 물질을
유인하여 성장하였다. 미행성의 크기가 커지면 성장속도는 가속된다. 크기가 작은
소행성들이 충돌하게 되면 충돌의 충격으로 조각들이 흩어지게 되나, 크기가 큰
것들이 충돌하게 되면 중력이 강하기 때문에 탈출하는 조각들을 회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생긴 미행성들 중에서 현재까지 남아 있는 것은 5 개이다.

8
원시 지구는 바깥부분이 거의 완전히 녹은 상태를 경험하게 되면서
성장한다. 원시 지구의 열원은 크게 3 가지로 설명할 수 있으며, 첫 번째는
소행성의 충돌이다. 소행성의 충돌은 운동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바꾸어 원시
지구를 뜨겁게 가열했다. 다른 하나는 중력에너지이다. 원시지구가 충돌로 인한
가열 때문에 조금씩 녹기 시작하자 그 때까지 뒤섞여 있던 철과 규소가 중력에
의해서 서로 분리되기 시작한 것이다. 무거운 철이 중력에너지가 낮은 지구
중심으로 쏠려 내려가면서 굉장한 중력에너지를 열에너지의 형태로 방출한다. 세
번째 열원은 원시 태양계에 충만하던 방사성 동위원소의 붕괴열이다. 지구의
바깥부분이 완전이 녹은 상태를 마그마 바다라고 한다. 마그마 바다의 깊이는 수백
km 에 달했다고 여겨진다. 중력 분화가 끝나고, 더 이상 낙하할 소행성들도 거의
정리가 되자 지구는 식기 시작한다. 마그마 바다가 식기 시작하면서 최초의 지각이
형성된다.

1.2. 지구의 구조

지구의 대부분은 수성, 금성, 화성, 달과 마찬가지로 암석과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구를 포함한 이들 다섯 천체 중에서 지구는 가장 무거우며 또한
크다. 밀도 역시 가장 높으며, 표면 중력, 자기장, 자전 각속도가 가장 큰 천체이다.

지구의 내부구조는 대체로 층상 구조를 이루고 있다. 지구의 최외각부분은


주로 유체로 되어 있는데, 구성 물질에 따라서 대기권, 수권으로
구분한다. 생물권은 그 양이 매우 작고, 대부분의 경우 지구의 물리적 층으로는
인정하지 않고 있다.

전통적 방법으로 구분한 지구의 층상 구조는 가장


바깥부분부터 지각, 맨틀, 핵 (핵은 다시 외핵과 내핵으로 나뉜다.) 순이다.
이것은 화학적 구성 성분의 변화를 기준으로 구분한 것이다. 가장 바깥부분을
이루고 있는 층인 지각은 그 두께가 지구 반지름에 비하여 매우 얇고 지역에 따른
구조 및 성분의 변화가 심한 특징이 있다. 지각은 다시 밀도에 따라 크게 두 종류로

9
나뉘는데, 대륙지각(약 2.7g/cm3)과 해양지각(약 3.0g/cm3)이 바로 그것이다.
대륙지각은 주로 알루미늄, 소듐, 포타슘과 같이 상대적으로 가벼운 원소와
결합한 규산염 화합물이 주성분인 광물로 이루어져 있는 반면,
해양지각은 철(Fe), 마그네슘 같이 무거운 원소를 양이온으로 가지는 규산염
광물 화합물이 주성분이다. 지각에서의 밀도 차이가 대륙지각이 상부에
있고, 해양지각이 하부에 있는 구조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지각 평형설에
따르면, 대륙지각은 낮은 밀도를 보상하기 위해서 두꺼워야하고, 해양지각은
얇아야 한다. 이러한 까닭에 대륙지각의 두께는 30 에서 70km 에 달하는 반면,
해양지각의 두께는 10km 도 채 되지 않는다. 대륙지각은 오랫동안 풍화의
산물들이 모여 생긴 것이기 때문에 그 구조와 성분이 지역에 따라 판이하게
달라지는데 반하여, 해양지각은 온 지구에 걸쳐서 거의 동일한 기작을 통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매우 균질한 양상을 보인다.

[그림 1] 지구의 구조

10
지각의 맨 아래 부분은 모호로비치치 불연속면(짧게 모호면)이라고 하며,
이 면을 경계로 하여 지진파의 속도가 상당히 빨라진다. 지진파의 속도는 물성과
관계가 깊기 때문에 모호면 상하로 구성 물질의 변화가 있을 것으로 생각하며, 그
아래 부분을 맨틀이라고 한다. 맨틀은 모호면 바로 아래에서부터 시작하여 깊이
2900km 에 이르는 구역을 가리킨다. 따라서 맨틀의 주요 구성 성분인 규산염
광물 역시 깊이에 따라서 매우 광범위한 변화를 보인다. 최상부에서 맨틀을
이루는 감람석의 밀도는 약 3.3g/cm3 인 반면, 가장 하부의 맨틀은 그 밀도가 약
5.5g/cm3 에 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맨틀의 최상부는 주로 감람석으로
구성되어 있고 깊이 420km 까지를 차지한다. 그 이하의 깊이에서 감람석은 높은
압력으로 인하여 스피넬 구조로 상변이를 일으킨다. 깊이가 660km 에 이르면
높은 압력으로 인해 감람석은 페롭스카이트로 상전이를
일으키며 마그네슘 산화물과 공존한다. 이 깊이 이하를 하부맨틀이라고 하여
상부맨틀과 구분한다. 맨틀은 단단한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매우
오랫동안에는 유체처럼 행동하여 대류를 일으킨다. 최근의 연구 중에는 핵과
맨틀의 경계에 가까운 맨틀에서는 매우 높은 압력으로 인해 페롭스카이트가 또
다시 상전이를 일으켜 이방성 광물로 변화하며, 이 상전이는 온도에 상당히 민감한
변화이기 때문에 지역마다 존재 여부가 달라진다는 견해가 있다.

핵은 맨틀이나 지각과는 달리 철과 니켈이 주성분인 금속으로 되어


있다. 핵은 지구 형성 초기에 밀도에 따른 중력 분화 과정에서 무거운 원소가 중력
포텐셜이 낮은 중심으로 모이면서 생겼다. 이러한 갑작스런 물질 조성의 변화
때문에 핵과 맨틀의 경계는 뚜렷한 구분을 보이는데, 이 면을 구텐베르크면이라고
한다. 핵은 깊이 5100km 를 경계로 또 다시 두 층으로 나뉘는데, 외핵과 내핵이
그것이다. 외핵은 S 파가 전달되지 못하는 것으로 보아 액체 상태로 되어 있다고
추정하고 있으며, 내핵은 고체 상태로 여겨진다. 내핵과 외핵의
경계면은 레만면이라고 한다. 외핵은 액체 상태로 지구의 공전과 열역학의 영향을
받으며 대류하고 있다고 추정하고 있으며, 외핵의 전도성의 유체의 운동에 의해
지구의 강력한자기장이 유지되고 있다고 생각되고 있다.

11
지구물리적인 관점에서는 지구 내부를 물성에 따라서 분류하는데, 다음과
같은 층상 구조로 구분된다.

- 0 - 약 60km 암석권

- 약 60km - 약 200km 연약권

- 약 200km - 2890km 중간권 (맨틀)

- 2890km - 5100km 외핵 (온도는 섭씨 3000~5500 도)

- 5100km - 6378km 내핵 (온도는 섭씨 5500 도 이상)

판구조론에서 구별하는 암석권과 연약권은 물질의 성질에 따라 분류한 것으로


지질학적인 시간 동안 탄성체로 간주할 수 있는 부분을 암석권, 점성을 가진
물체처럼 행동하는 부분을 연약권이라고 한다. 연약권을 암류권이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다.

1.3. 지구 온난화 현상

1.3.1. 지구 온난화 원인

1997 년부터 1998 년에 걸쳐서 발생한 엘니뇨에 의한 이상기후는,


인도네시아에서 가뭄에 의한 한귀, 산불피해를 발생시켰으며, 남미의 페루
등지에서는 호우에 의한 피해를 초래하였습니다. 또한, 2003 년에는 유럽 각지가
폭염에 휩싸였고, 2005 년에는 미국남부에서 허리케인 카트리나에 의한 대규모
재해가 발생하였습니다.
이처럼 세계각지에서 빈발하고 있는 이상기후는 범지구적인 기온의 상승에
의한 기후변화현상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지구온난화란 인간의 활동으로 인하여 발생한 이산화탄소, 메탄가스,
아산화질소, 오존 및 프레온가스 등으로 인하여 대기 중의 온실가스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지구에서 방출되는 열이 우주로 빠져 나가지 못하고 온실가스에
과다하게 흡수되어 지구의 열 균형에 변화가 발생하므로써 '자연적 온실효과'에

12
의한 적절한 온도보다 지나치게 더워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좁은 의미에서는
산업혁명 이후 인간 활동에 의하여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온실가스가 적절한 양을
초과하여 발생하는 심각한 '온실효과'를 말합니다.
지구온난화는 1980 년 후반부터 문제시되어 왔으나, 그 메커니즘에는
불확실성이 있다고 주장하는 학설도 많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지구온난화의
원인과 장래예측을 과학적으로 해명하는 노력이 계속되어 왔던 것입니다.
기후변화에 대한 연구 중 중요시되고 있는 것이 많은 국가들의 참가와 함께 전
세계 과학자에 의해 추진되고 있는 기후변화에 관한정부간협의체(IPCC)에 의한
연구입니다. IPCC 의 20 년에 가까운 연구를 바탕으로, 지구온난화 메커니즘이
서서히 해명 되어, 장래예측의 신뢰도 또한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2007 년 제 4 차보고서에서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온실가스가
산업혁명이후 도시화, 산업화, 산림벌채 등으로 인해 급속히 증가하여 평상적인
온실효과를 초과함으로써 지구가 온난화되었다고 밝히고 과학적인 근거 제시를
통해 인류에게 책임이 있음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지구온난화 현상은 이산화탄소, 메탄 등의 온실가스 양이 너무 많아져
지구를 뜨겁게 만들고 있는 것을 말한다. 사실 온실가스는 태양광선에 의해 가열된
지구표면에서 발생되는 적외선의 일부를 흡수해 사람이 살기에 적당한 온도를
만들어 줄 수 있기 때문에 적정량의 온실가스는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는
온실가스의 농도 증가율이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지구온난화
현상의 문제점을 가중시키고 있다.
여러 가지의 온실가스 중에서도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이산화탄소’이다. 석탄, 석유와 같은 화석연료의 사용이 이산화탄소의 농도
증가율에 가장 큰 영향을 준다. 산업혁명 이후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율은 빠르게
증가(1960~2005 년 평균 증가율: 1.4 ppm/년)하고 있고 이미 전 세계적으로
10 억대가 넘는 자동차에서 내뿜고 있는 배기가스는 이를 더 가속화하고 있다.

13
[그림 2] 자동차에서는 각종 매연뿐만 아니라 지구온난화의 주 원인이 되는 이산화탄소가
배출된다.<사진=구글이미지>

가솔린, LPG 등의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자동차에서 연료가 불완전연소가


될 경우 일산화탄소와 탄화수소가 발생한다. 반면에 질소산화물과 이산화탄소발생
농도는 낮아진다. 그러나 완전연소가 되면 정반대로 일산화탄소와 탄화수소는
발생하지 않지만 질소산화물과 이산화탄소발생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한다. 디젤
연료를 사용하는 자동차도 연소방식이 다르긴 하지만 마찬가지로 불완전연소가 될
경우 속칭 검댕이라고 부르는 매연이 발생하게 되며, 반면에 질소산화물과
이산화탄소 발생 농도는 낮아진다. 그러나 완전연소가 되면 매연은 발생하지
않지만 질소산화물과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증가한다. 이때 발생하는 질소산화물이
대기 중에 농축되어 떠돌다가 태양광선 중 자외선과 화학반응을 일으켜 안개가 낀
것처럼 변하는 것이 ‘스모그’현상이다.

1.3.2. 지구 온난화 해결방안

(1) 국민 개개인의 노력
교통과 가정부문은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량의 상당부분을 차지한다. 따라서,
국민생활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이들 부문에서의 에너지 절약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시킬 뿐만아니라, 경제회복의 동인이 될 수 있다. 결국 우리

14
일상생활에서 지구온난화 방지의 첫걸음은 에너지와 자원을 절약하고 산림을
보호하는 것이라 할수 있으며, 다음 부문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실천이 요구
된다 하겠다.
첫째, 에너지와 자원 절약의 실천이다. 가정 및 직장에서의 냉·난방 에너지
및 전력의 절약, 수도물절약, 공회전자제, 대중교통 이용, 카풀(car pool)제 활용,
차량 10 부제 동참 등이 대표적인 방법이다. 이러한 노력이 약간의 불편을
초래하는 측면은 있으나, 사회 전체적으로는 에너지소비 및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시킴으로써 국가 부의 증대에 기여한다.
둘째, 환경친화적 상품으로의 소비양식 전환이다. 동일한 기능을 가진
상품이라면 환경오염 부하가 적은 상품, 예를 들면, 에너지효율이 높거나 폐기물
발생이 적은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이러한 소비패턴이 정착될
경우 생산자도 제품생산시 소비성향을 고려하게 되므로, 장기적으로는 경제구조
자체가 환경친화적으로 바뀌게 된다. 고효율등급의 제품 및 환경마크 부착제품을
구입한다.
셋째, 폐기물 재활용의 실천이다. 온실가스 중의 하나인 메탄은 주로 폐기물
매립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며 재활용이 촉진되면 매립지로 반입되는 폐기물량이
감소하므로 메탄 발생량도 따라서 감소한다. 또한 폐기물 발생량이 감소하면
소각량이 감소하여 소각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감소한다. 폐지
재활용은 산림자원 훼손의 둔화를 통해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한다.
넷째, 나무를 심고 가꾸기를 생활화한다. 나무는 이산화탄소의 좋은
흡수원이다. 예를 들어, 북유럽과 같이 산림이 우거진 국가는 흡수량이 많아
온실가스 감축에 큰 부담을 느끼지 않는 것이 좋은 예인 것이다.
(2) 기업 차원의 노력
기업은 산업의 주체이며 시설투자 및 기술개발투자의 주체이다. 온실가스
감축의무가 주어지면 산업의 경쟁력은 결국 온실가스 감축기술능력에 의해 크게
좌우될 것이다. 감축능력이 뛰어날 경우 자체의 감축할당량 달성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감축초과분을 상품으로 판매할 수 있으며, 관련시설 및 기술을 수출할 수도

15
있다. 이에 대비하고 또한 자체의 감축비용 절감을 위해서 기업은 다양한
감축노력을 배가해야 하며, 다음 부문에 대한 주의깊은 관심이 요구된다할 것이다.
첫째, 기존 시설의 효율적 관리에 힘써야 한다. 기존 시설의 에너지
낭비요소만 제거해도 상당량의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에너지관리자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과 기업 전체 차원의 에너지절감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에너지이용시설 및 공정을 에너지효율이 더 우수한 것으로 교체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앞으로 기업별 온실가스 배출규제가 시행되면 효율이 낮은
시설의 운영비용은 증가하는 반면 고효율시설 투자효율성은 증대될 것이다.
따라서, 에너지시설 교체시 이러한 점을 충분히 고려하여 선택해야 한다.
셋째,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감축기술에 대한 투자를 증대해야 한다.
기후변화협약 발효시 이러한 기술능력은 기업의 가격경쟁력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가 될 것이다. 그러나 기술은 단기간에 축적되지 않으므로 장기간의
투자계획을 바탕으로 지금부터 기술개발에 매진해야 할 것이다.
넷째, 업종전환 및 고부가가치(첨단)산업에의 진출을 고려한다. 현재와 같은
에너지다소비 업종 위주의 산업구조는 다가오는 기후변화협약시대에 있어서
산업의 수출 및 가격경쟁력 향상에 매우 취약하다. 다른 업종에 비해 온실가스
감축비용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에너지다소비 업종의
한계기업들은 이와 같은 시대 도래에 대비하여 투자우선 순위 조정 및 업종전환을
서두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16
 숙제
1. 다음 글의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보기>

지구 내부 구조는 ( ㉠ )의 속도 변화를 기준으로 구분하는데, 지구 내부로가면서 지각,


( ㉡ ), ( ㉢ ), 내핵의 4 개의 층으로 나뉜다.

2. 다음은 지구계의 형성 과정에 대한 설명이다. 먼저 일어난 사건부터 시간 순서대로


나열하시오.
<보기>

⑴ 원시 지구의 표면이 서서히 식어 원시 지각이 형성되었다.


⑵ 지구 내부에서 맨틀과 핵이 분리되었다.
⑶ 가스와 티끌로 이루어진 성운이 수축하여 원시 태양과 미행성체가 형성되었다.
⑷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되어 비로 내리면서 원시 해양이 형성되었다.
⑸ 미행성체 충돌로 원시 지구가 점점 커지는 과정에서 마그마의 바다가 형성되었다.

3. 지구계의 형성과 생명체 탄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미행성체의 충돌이 계속되면서 원시 지구가 커졌다.
② 원시 대기의 이산화탄소는 바다가 형성되면서 급격히 줄었다.
③ 산소는 지구의 생명체 탄생 이전부터 대기에 존재하고 있었다.
④ 최초의 생명체가 탄생한 장소는 육지가 아닌 바다였을 것이다.
⑤ 성층권의 오존층은 육상 생물이 출현하기 이전에 형성되었다.

17
제2과
지형과 기후
2.1. 지형
2.1.1. 지형 형성 작용
지형을 형성하고 변화시키는 힘은 크게 내인적 작용과 외인적 작용으로 구분된다.

[그림 3] 지구 내부 에너지

* 내인적 작용:

지구 내부에 있는 맨틀의 대류에 의해 지형이 형성되는 작용이다. 지형의


기복을 심화시키며, 대지형 형성에 영향을 준다.

- 조륙 운동: 지반이 격렬한 지각 변동 없이 넓은 범위에 걸쳐 천천히


융기하거나 침강하는 운동이다.

18
- 조산 운동: 습곡이나 단층으로 인한 지각 변동이 대규모 산맥을 형성하는
운동이다.

- 화산 활동: 지구 내부에 있던 마그마가 지표 위로 분출되는 현상이다.

* 외인적 작용:

외인적 작용은 태양 에너지에 의해 물과 대기가 순환하면서 지표를


변형한다. 지형의 기복을 감소시키며, 소지형 형성에 영향을 준다.

- 풍화 작용: 암석이 부서져 토양이 되는 변화 과정으로, 물리적 (기계적)


풍화적화학적 풍화가 있다.

- 침식, 운반, 퇴적 작용: 하천, 빙하, 바람, 과랑, 조류 등에 의한 작용이다.

★ 습곡: 수평의 퇴적층이 횡압력 받아 구부러지는 현상 (→ 고기ㆍ 신기 습곡


산지 형성)

★ 단층: 지각이 장력이나 횡압력을 받아 끊어져 서로 어긋나는 현상(→ 지루


산지ㆍ 지구대 형성)

★ 지루 산지: 주변부에 비하여 깎아지른 듯이 우뚝 솟아 있는데 단층운동으로


산지부분이 융기하거나 주변이 침강하여 생긴다.

★ 지구대 (골짜기): 가늘고 긴 폭이 있는 계곡 형태의 지형으로 침식에 의해 생긴


계곡과는 달리 단층활동에 의해 생성된 것을 말한다. 양쪽의 인장력에 의해 생성된
평행한 단층으로 경계한 내려앉은 지형이다 .

★ 물리적 (기계적) 풍화 작용: 물질의 성분 변화 없이 상태만을 변화시켜 일어나는


풍화 (한랭건조한 지역에서 우세)

★화학적 풍화 작용 : 물질의 분자, 원자나 이온의 구조를 바꿔 다른 물질로


변화시켜 일어나는 풍화 (고온다습한 지역에서 우세)

19
2.1.2. 세계의 다양한 지형

산맥 산지가 길게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높고 험준한 지형

평야 넓고 큰 평평한 땅

하천 강, 시내 해안선 육지와 바다가 만나는 선

사막 대부분 모래로 이루어진 넓은 벌판

고원 해발 고도가 높은 곳에 위치한 평탄한 지형

20
2.2. 기후
2.2.1. 기후 요소와 기후 인자

기후는 대기 현상이 시간적 공간적으로 일반화된 것을 말한다. 즉 가장


출현 확률이 높은 대기의 종합상태 이다. 19 세기에는 기후를 대기의 평균상태라
정의하고, 기후요소 관측값의 연, 월 평균값 등의 조합에 의하여 표현하였다.
그러나 장년평균값이라고 해도 반드시 그 곳의 최다빈도를 나타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불규칙적인 현상의 설명이나 서인적 설명에도 불충분하다. 그래서 기후를
매일 매일의 대기의 종합 상태로 나타내 주는 날씨의 중복으로 받아들여
대기대순환이나 요란을 기초로 한 기단, 전선, 기압장, 일기도 등의 출현빈도
분포에 의하여 동적, 종관적으로 받아들이는 견해가 근년에 들어 많이 발달되고
있다.

세계기상기구는 장시간의 기후값으로 30 년간의 평균을 사용하되 10 년을


주기로 그 값을 갱신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2004 년의 기후 값은
1971 년에서 2000 년까지 관측한 날씨의 평균값이 된다. 이 평균값은 단순한
산술평균을 의미할 뿐 최빈값이나 중간값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지질 시대의 시공간 크기에서 보면 지구는 반복적인 빙하기와 간빙기가


반복되고 있으며, 엘리뇨와 같은 국지적 기상 이변이 반복된다.따라서 기상 현상을
관측하는 시공간의 크기 문제, 국지적 기상 이변, 산업화 이후 인간의 영향으로
인한 지구온난화 같은 현상은 기후의 정확한 정의를 확정하는데 어려움을 주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기후의 정의를 내린다면 "기후란 한 지역에서의
관련된 기후 요소를 지나치게 짧지 않은 기간 동안에 걸쳐 관찰한 전구 통계학적
기술로서 지구 대기권의 성질과 변화를 충분히 상세하게 특징지어 설명하는
것이다”.
기온, 습도, 강수, 구름, 바람과 같이 기후를 나타내는 기본적인 물리량을
기후 요소라 한다. 한편 이러한 기후 요소의 시공간적 분포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기후 인자라 한다.

21
여러 기후 요소들은 서로 복잡하게 연관되어 에너지를 주고 받는다. 이렇게
여러 기후 요소가 서로 얽혀 현재의 기후와 기상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기후
시스템이라 한다. 지구의 기후 시스템은 크게 보아 대기권, 수권, 설빙권, 생물권,
지권 등으로 구성된다. 기후 시스템을 움직이는 에너지의 99.98%는 태양에서
공급되며, 그 외의 에너지는 지구 내부와 지표에서 공급된다. 따라서 지구의 기후
시스템은 태양복사에 의해 유지된다. 기후시스템 속에서 여러 형태의 에너지로
변화하는 태양복사 에너지는 최종적으로 지구장파복사 형태로 우주로 방출된다.

기후 시스템을 이루는 요소들의 결합이 기후 과정을 일으키고 이에 따라 기후


상태와 기후 변화를 일으키며 이 시스템의 요소 사이의 내적 상호작용이 기후를
포함한 대기에서 관찰되는 현상들을 일으킨다. 따라서 기후 시스템 전체를
고려한 기후학은 자연과학의 학제간 연구를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특정 지역의 기후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 인자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태양복사의 강도와 위도 변화

 해양과 대륙의 분포

 해류

 탁월풍

 고기압과 저기압의 위치

 산맥

 해발고도

에드워드 노턴 로렌즈는 기후 인자에 따른 기상 변화가 초기 조건에 민감한


것을 나타내는 로렌즈 끌개를 발견하였다. 이는 흔히 나비 효과로 알려져
있다. 혼돈 이론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로렌즈 끌개는 비슷한 기후 패턴이
반복되는데도 왜 기상 예측을 하기 어려운지를 잘 보여준다.

22
2.2.2. 기후 구분

지구상에서 나타나는 기후 현상은 매우 복잡하다. 또한 기후는


다른 환경과는 달리 시간에 따른 변화도 크다. 그러므로 기후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비슷한 특성을 기준으로 유형화 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일정한 기준으로
기후를 유형별로 분류한 것을 기후 구분이라 한다. 기후의 구분에는 기후의 발생
원인을 중심으로 하는 발생적 기후 구분과 식생과 같이 기후의 특징을 잘 반영할
수 있는 지표를 중심으로 그것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 요소의 평균 값을
기준으로 구분하는 경험적 기후 구분이 있다. 발생적 기후 구분으로는 기단을
기준으로 한 알리소프의 기후 구분이 있으며 경험적 기후 구분으로는 쾨펜의 기후
구분이 대표적이다.

* 발생적 기후 구분

기후 요소에 영향을 주는 기단의 분포를 중심으로 하는 발생적 기후 구분은


세 가지 기준을 통해 기단을 구분하고 있다. 첫 번째 기준은 습도로 건조한 대륙성
기단(c)과 윤습한 해양성 기단(m)으로 구분한다. 두 번째 기준은 기단의 발생
위치에 따른 온도로서 열대(T), 극권역(P), 극지(A), 몬순(M), 적도대(E), 그리고
건조 하강 기류와 같은 특이 기단(S)으로 나뉜다. 세 번째 기준은 기단의 상태에
따른 것으로 주변의 온도보다 낮을 경우 k 를 높을 경우 w 를 부여한다. 이러한
기단의 구분에 따른 기후는 1950 년대부터 일기예보에 도입되었으며 이후
1973 년 기후 구분의 한 종류로 자리잡았다.

* 경험적 기후 구분

1918 년 블라디미르 쾨펜이 발표한 쾨펜의 기후 구분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쾨펜의 기후 구분은 월 및 연 평균 기온과 강수량을 변수로 하여
기후를 구분하는 방법으로 전 세계의 식생대 분포를 설명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다. 이후 독일의 기상학자 루돌프 가이거가 1954 년과 1961 년에 쾨펜의
기후 구분을 수정하였다. 오늘날 일반적으로 쓰이는 쾨펜의 기후 구분은 가이거가
수정한 것이다.

23
세부적인 기준에 따른 기후 구분은 다음과 같다.

[그림 4] 쾨펜의 기후 구분

기본 기후대 세부 기후대 표기 특징

열대 우림 기후 Af 건조기 없음
열대 몬순 기후 Am 짧은 건조기
A 열대 기후
사바나 기후 Aw 동계 건조
열대 하계 소우 기후 As 하계 건조
BWh 온난 사막
사막 기후
BWk 한랭 사막
B 건조 기후
BSh 온난 스텝
스텝 기후
BSk 한랭 스텝
온난 습윤 기후 Cfa 더운 여름, 건조기 없음
연중 온난, 건조기 없음, 따뜻한
Cfb
여름
서안 해양성 기후
연중 온난, 건조기 없음, 서늘한
C 온대 기후 Cfc
여름
Cwa 더운 여름, 짧은 겨울 건조기
온대 하우 기후 Cwb 따뜻한 여름, 짧은 겨울 건조기
Cwc 서늘한 여름, 짧은 겨울 건조기

24
Csa 건조하고 더운 여름
지중해성 기후 Csb 건조하고 따뜻한 여름
Csc 건조하고 서늘한 여름
동계 한랭, 더운 여름, 건조기
Dfa
없음
동계 한랭, 따뜻한 여름, 건조기
Dfb
없음
냉대 습윤 기후
동계 한랭, 선선한 여름, 건조기
Dfc
없음
동계 한랭 극심, 선선한 여름,
Dfd
건조기 없음
Dwa 동계 한랭 건조, 더운 여름
Dwb 동계 한랭 건조, 따뜻한 여름
D 냉대 기후
냉대 동계 소우 기후 Dwc 동계 한랭 건조, 선선한 여름
동계 한랭 극심 건조, 선선한
Dwd
여름
Dsa 동계 한랭, 덥고 건조한 여름
동계 한랭, 따뜻하고 건조한
Dsb
여름
고지 지중해성 기후 동계 한랭, 선선하고 건조한
Dsc
여름
동계 한랭 극심, 선선하고
Dsd
건조한 여름
툰드라 기후 ET 여름이 없음
E 한대 기후
빙설 기후 EF 영구 동토

25
 숙제

1. 다음은 지형 형성 과정을 나타낸 글이다. 밑줄 친 작용과 관련 있는 내용을 <보기>에서


고르면?
<보기>

지형은 내인적 작용과 외인적 작용에 의해 형성된다. 내인적 작용인 조륙 운동, 조산


운동, 화산 활동 등에 의해 대규모의 고원, 산맥, 화산 등이 만들어진다. 반면 외인적
작용인 풍화 작용과 하천, 빙하, 바람, 해수 등에 의한 침식·운반·퇴적 작용에 의해
소규모의 골짜기, 범람원, 사구 등이 만들어진다.

ㄱ. 석회 동굴은 물리적 풍화 작용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ㄴ. 절리의 밀도가 많은 곳일수록 풍화의 속도가 빠르다.
ㄷ. 암석이 자연 상태에서 잘게 쪼개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ㄹ. 암석의 갈라진 틈에 얼음이 성장할 때 일어나는 풍화를 화학적 풍화라고 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2. 지형 형성 과정에 대하여 가장 바르게 설명한 학생을 고르면?


<보기>

우경: 풍화 작용이란 바람에 의해 지형이 침식되는 현상으로, 대지형을 형성해.


정현: 지구 내부의 힘에 의한 지형 형성 작용에는 조산·조륙운동, 화산활동 등이 있어.
완수: 외인적 작용은 하천, 바람, 파랑 등에 의한 침식·운반 퇴적 작용으로, 주로
소지형을 형성해.
현은: 조륙 운동이란 습곡, 단층 등 지층의 심한 변화를 수반하면서 산지를 만드는
작용을 말하지.

① 우경, 정현 ② 우경, 완수
③ 정현, 완수 ④ 정현, 현은
⑤ 완수, 현은

26
제2부
사회 지리

27
제 3과
인구 분포
3.1. 세계 인구 분포
지구상에 생존하고 있는 인구는 제각각 무리를 형성한 채, 고유의 생활
양식을 영위하며 자연환경적, 역사적, 사회문화적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1) 자연환경적 인자
인간을 비롯한 모든 생물은 자연의 영향을 받고 자연에 규제될 수 밖에 없다.
특히 물은 인간의 거주를 결정짓는데 가장 원천적인 것으로 인류의 정주생활의
시작이 물과 가까운 곳에서 이루어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세계 문명의 발생지는 대부분 하천 연안에서 이루어졌음을 통해 인구 분포는


물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할 수 있다. 이 외에 기후, 토양, 식생 등도 인구 분포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세계 인구의 50% 이상이 온대기후지역에 분포하고,
충적지형에 인구압이 높은 것은 이러한 것들을 반영한다. 지형과 해발고도가 인구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평지와 산지의 인구 분포가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는 예측은 누구나 할 수 있다. 또한 고도 200m 이내는 전
육지면적의 27.8%밖에 되지 않지만 전체 인구의 약 56.2%가 거주하고, 고도
500m 이내에는 전체 인구의 80%가 거주하고 있다. 격해도 역시 중요한 요소로
세계 인구의 65%는 해안으로부터 500km 이내에, 75%는 해안으로부터 1,000km
이내에 거주하고 있다.

28
[그림 5] 대륙별 인구 분포

(2) 사회․문화적 인자
정치, 경제, 문화, 종교, 사회제도, 관습, 교육, 과학기술 및 개개인의 의사 등의
다양한 인문적 요소도 인구 분포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미국의 개척 정신은
인구의 서부 이동을 가져왔고, 서부 유럽의 산업 혁명은 인구 부양력을 높여
인구의 도시 유입을 촉진했다. 인도와 파키스탄의 분리 독립은 힌두교도와
이슬람교도 간의 인구 대이동을 가져왔고, 일본 제국주의로부터 해방 이후 많은
동포들이 간도, 연해주, 중국, 하와이, 일본 등지에서 우리 나라로 이동했다. 세계
각 지역의 분쟁은 분쟁지역의 주변국가로 이동하는 피난민의 행렬을 만들어냈으며,
우리 나라 명절 때의 일시적인 인구 이동도 사회적 요인에 의한 것이다.
이렇게 인구의 분포는 자연적 요소와 사회․경제적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아
나타나고, 이는 특정 지역에 인구의 집중 분포를 가져와 인구의 지역적 편재 및
특정 지역의 과밀화를 가져온다.
인구의 분포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달라진다. 농업이 중심이 된 사회는 농업
지역에 인구가 주로 분포하고, 공업이 중심이 된 사회는 공업 지대에 인구가 집중
분포한다. 이는 중심 산업의 변화가 인구 분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29
3.2. 세계 인구 밀도
인구 밀도는 인구 분포의 밀집 정도를 파악하는 것으로 일정한 토지 면적에
대해 그 공간을 점유하는 인구수의 비를 의미한다. 즉, 인구의 특정 지역별
평균분포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구 분포의 밀집 정도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인구 밀도의 측정은 토지 전 면적에 대한 인구의 비 또는 토지 이용에 대한
인구의 비, 지역 생산성과의 비율 등으로 나타낸다.
가. 산술적 인구 밀도 (조인구 밀도, 통계적 인구 밀도)
한 국가 또는 연구 지역의 전체 인구를 그 국가 또는 연구 지역의 전체 토지
면적으로 나눈 것으로 가장 보편적인 인구 밀도 측정 방법이다. 센서스 등이 행정
구역 단위로 수집되기 때문에 자료를 손쉽게 구할 수 있어 편리하지만, 단순한
인구와 토지와의 비율을 나타낼 뿐 토지 조건에 대한 어떠한 고려도 없기 때문에
비현실적이다. 우리 나라의 산술적 인구 밀도는 477 명/㎢로 방글라데시, 타이완에
이어 세계 3 위에 해당한다.

나. 지리적 인구 밀도 (경지인구 밀도)


총인구를 총경지 면적으로 나눈 것으로 산술적 인구 밀도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즉, 단순한 토지의 개념에서 토지 이용률의 개념으로 확장된
것으로 조인구 밀도보다는 높게 나타나지만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인구압을
나타낼 수 있다. 전 인구의 96%가 전 국토 면적의 4%에 밀집에 해 있는 Egypt 의
경우, 산술적 인구 밀도는 의미가 없는 것이다.
인간이 생활하기 어려운 산지, 사막, 황무지 등을 제외하고 경작지만을 고려하기
때문에 산술적 인구 밀도보다는 현실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다. 경제적 인구 밀도
지리적 인구 밀도가 갖고 있는 한계점을 감안하여 인구의 부양능력에 초점을 둔
방법으로 인구와 해당 지역의 생산성과의 비율로 나타내는 것이다.

30
이 방법은 1934 년 프랑스의 인구학자 Simon 에 의해서 공식화된 것으로 인구의
부양능력을 나타낼 수는 있지만 지역의 모든 생산성을 수치화해야 하기 때문에
거의 불가능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라. 실당 인구 밀도
면적과 인구의 비만으로는 산업화 공업화된 도시 지역의 인구압이나 산업 시설
밀집 지역의 인구압을 바르게 나타낼 수는 없다. 특히 고층 건물들로 고도화,
고밀도화 된 대도시의 인구압을 현실적으로 나타내기에는 보통의 방법으로는
역부족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시간을 실내 공간에서 보내는 도시 지역은
단위면적당 밀도가 무시되어 있다는 한계성을 안고 있지만 주택당 또는 실당
인구밀도가 보다 현실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 외에 토지 생산력에 비중을 두어 면적을 환산하는 비교 인구밀도, 경지를
직접 경작하는 농업인구를 경지 면적으로 살펴보는 농업 인구 밀도 등의 방법으로
인구 밀도를 측정하고, Lorenz 곡선, 인구 중심 등을 통해 인구의 분포 및 밀도를
살펴 볼 수 있다.
3.3. 세계 인구 증가

세계의 인구는 현재도 그 약 5 분의 2 는 추계에 의해서밖에는 알 수 없는


상태에 있으므로, 고대나 중세의 인구의 경우에는 정확하게 파악한다는 일이 극히
어렵다. 단편적인 기록 등을 토대로 서력 기원 전후의 세계인구는 약 2 억 내지
3 억이었다고 추산된다. 중세 봉건시대에는 인구의 증가가 주춤했다. 유럽에서는
인구의 지주 구실을 하는 생산력의 확대가 한계에 달했을 뿐더러 흑사병과 같은
전염병의 유행과 잦은 전쟁으로 많은 인구가 줄어들었다. 세계 인구가 급속히
증가하기 시작한 것은 18 세기 중반에 시작된 산업혁명 이후 의학과 농업의
발전으로 평균수명이 늘어난 20 세기 초이다. 1804 년 세계 인구는 10 억을
돌파했고 1927 년 20 억을 돌파했다. 1960 년에는 30 억을 돌파했고 1974 년에는
40 억을 돌파했다. 1987 년 7 월 11 일에는 50 억을 돌파했고 1999 년 10 월
12 일에는 60 억 명을 돌파하였다. 2011 년 10 월 31 일에는 UN 이 70 억 명을
돌파했다고 공식발표했다.

31
 숙제

1. 다음 지도를 보고 세계 인구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기>

<보기>
ㄱ. 기후 ㄴ. 산업 ㄷ. 위도 ㄹ. 정치 ㅁ. 지형

① ㄱ, ㄴ, ㄷ ② ㄱ, ㄷ, ㅁ ③ ㄱ, ㄴ, ㄹ, ㅁ
④ ㄴ, ㄷ, ㄹ, ㅁ ⑤ ㄱ, ㄴ, ㄷ, ㄹ, ㅁ

32
2. 다음 지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보기>

① 인구는 특정 지역에 집중되어 분포한다.


② 남반구보다 북반구에 인구가 밀집해 있다.
③ 냉대 및 온대 기후 지역에 인구가 밀집해 있다.
④ 세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대륙은 아시아이다.
⑤ 해안 지역보다 내륙 지역에 인구가 밀집해 있다.

33
제 4과

개발도상국
4.1. 개발도상국의 특징

개발도상국은 경제발전이 진행중인 나라 또는 경제발전이 선진국보다


뒤떨어져 있는 나라의 총칭이며 개도국·저개발국·발전도상국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공산권 국가와 선진국(미국, 일본, 서유럽 국가)을 제외한, 국민 1 인당
실질소득이 낮은 아시아·아프리카·중남미 등지의 국가를 지칭한다.
개발도상국의 특징은 ① 주로 1 차산업에 의존하고 있고, ② 선진국에 비해
1 인당 국민소득이 낮으며, ③ 인구증가율이 높고, ④ 이중구조(교환경제부문과
생산부문)가 존재하며, ⑤ 주로 노동집약적 산업에 의한
1 차산품·단순가공품·섬유제품 등을 수출한다는 것이다.
개발도상국의 경제개발을 위한 기본적인 방법으로는 2 가지가 있다. 첫째, R.
넉시가 주창한 개발 방법이다. 이 방법은 위장실업자(한계생산력이 0 인 노동력
인구)를 부양함으로써 존재하게 되는 잠재적 저축을 현실화시켜 자본을
형성한다는 이론으로 쇄국주의를 통해서만 실현이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둘째,
후진국 경제학자들이 주장하는 불균형적 성장이론에 따른 개발 방법이다. 이
방법은 자원개발의 효율을 높여 자본을 축적하려는 이론으로 개발효과가 큰
부문에 자본을 집중 투자하는 방법이다.
한편 개발도상국 가운데 발전이 지연되고 있는 국가를 후발개발도상국(least less
developed country/LLDC)이라고 한다. 국제연합은 1 인당 국민총생산(GNP)이
100 달러 미만, GNP 에 연관된 제조업 비율이 10% 이하, 문맹률이 80% 이상인
국가를 후발개발도상국으로 규정하고 있다.

34
4.2. 세계의 빈곤 문제

4.2.1. 빈곤의 원인

빈곤은 생활 필수품의 여러 가지가 결여됨으로 말미암아 건강을 해치고,


결국에는 생명 그 자체를 잃을 수 있게 되는 위험스런 상황을 말한다. 이것은
단순히 육체적 상황에 그치는 것이 아니며 근대 도시 사회에서의 빈곤은
바야흐로 음식물·의복·주거의 결여를 의미할 뿐만 아니라 정신적 황폐까지도
의미하는 것이다.

사회학자 장 지글러(Jean Jiegler)는 빈곤의 원인을 다음과 같이 이해한다.

- 전쟁
- 다국적 자본의 노동자 착취.예를 들어 농민들에게 헐값으로 농산물을 사들이는
행위.
- 선진국이 후진국을 빚으로 억누르는 외채. 외채가 많아지면 복지를 위한 예산을
집행할 수 없게 되어 국민들의 복지가 나빠진다.
-정치적, 경제적 이유에 따른 경제적 고립(미국의 이라크
경제재제, 아옌데 정권당시 네슬레사의 칠레와의 식량무역 거부.)
- 낙후된 농업(북한)
- 빈곤문제에 대한 무관심.

경제학자 이강국은 《가난에 빠진 세계》(책세상)에서 정리해고와


비정규직을 빈곤의 원인으로 이해한다. 실제 한국통신에서 정리해고가 실시된
후의 해고노동자들의 수입을 조사했다. 한국통신에서 일할 때의 수입을 유지하는
이들은 적은 수였고, 많은 수가 100 만원이내의 저임금을 받고 있었다. 삶의 질이
나빠진 것이다. 또한 비정규직노동자들은 정규직과 같은 일을 하면서도 임금에서
차별받기 때문에 빈곤에 허덕인다. 따라서 근로기준법에 나온 경영상의 이유에
따른 해고를 제한해야하고, 비정규직도 동일노동 동일임금 적용, 비정규직을 써야
할 경우가 아니라면 비정규직 사용 제한등이 있어야 한다.

35
4.2.2. 빈곤 해결방법

(1) 식량 자급자족하기
가난한 나라에서는 사람들이 굶주림과 가난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반면,
일본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식량을 수입하고 있다. 일본의 식량 자급률은 곡물로
환산해 28%밖에 되지 않으며, 모자라는 양은 모두 해외에서 사 오고 있다.
일본인이 먹을 식량을 농사짓는 땅은 3 분의 1 만이 일본 안에 있을 뿐이며 나머지
3 분의 2 는 해외에 있다. 이것이 개발도상국의 굶주림과 가난을 낳는 커다란 원인
가운데 하나다. 예를 들어 필리핀의 민다나오 섬에는 아주 넓은 바나나와 파인애플
플랜테이션이 있지만, 그곳 사람들은 그 바나나와 파인애플을 먹을 수 없다.
그들이 아무리 굶주린다 해도 과일은 모두 일본으로 수출되기 때문이다. 일본이
식량 자급률을 100%에 가깝게 하는 것이 개발도상국의 굶주림과 가난을 없애는
데 커다란 보탬이 되는 것이다.
식량 자급률을 높이는 열쇠는 '바른 먹을거리 정보' '자연 농법' '지산지소'
'바른 식생활'에 있다. 중요한 것은 '자급자족' '지산지소' '무농약 유기농'의 활동
근거지를 넓혀 나가는 것이다. 이런 정보들을 찾아 곳곳의 생산자와 크고 작은
여러 먹을거리의 유통 일을 하는 사람들을 강하게 이어 주는 것이다. 생산지에서
직접 가져온 농산물만으로 가정의 식탁을 꾸리기는 어렵겠지만, '쌀만은' '제철
과일만은' 하고 할 수 있는 것부터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지에서 무농약으로
생산한 농산물을 먹는 지산지소 운동은 지역의 농업과 유기농업을 도울 뿐 아니라
가족의 건강과도 이어지는 것이다.또한 필요한 것만을 신중하게 사고 남기지
않도록 신경 써서 음식물 쓰레기를 없애면 식량 자급률이 8% 높아지고 가계
부담도 줄어든다. 나아가 아주 많은 양의 곡물을 들여 생산하는 육류 소비를
줄이고 채식 중심의 식생활로 바꾸면 자급률을 20%나 늘릴 수 있다.

(2) 기업에 사회적 책임 묻기


전 세계에서 엄청난 부를 모으는 다국적기업에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을 요구하는 것이 세계적인 흐름이 되고 있다. 기업이 자신의 이익만을

36
쫓는 것이 아니라 환경이나 인권을 배려해야 하며, 또 그것을 기업에 요구할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된 것이다. 특히 종업원, 지역 주민, 거래처, 환경 관련 NGO,
NPO 등 여러 이해관계자(stakeholder)들과 대화함으로써 기업이 다양하고
폭넓은 사회적 요구를 이해하고 따라 사회의 신뢰를 얻고 지속 가능한 사회의
일원으로서 사회에 공헌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사람들이 투자를 통해 기업에 책임을 요구하는 것이 '사회적
책임 투자(SRI)'다.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지키고 있다면 그 기업의 주식을 사고,
기업의 태도를 바꾸기 위해 주주로서 의견을 내거나 압력을 넣기도 한다. 이
사회적 책임 투자에는 두 가지 방법(사회적 심사)이 있다. 하나는 나쁜 것을
선택하지 않는 방법(부정적 심사)이다. 무기 산업이나 원자력, 담배, 도박처럼
사회와 환경에 해를 끼치는 업종이나 기업에 투자하지 않는 것이다. 또 하나는
좋은 것을 선택하는 방법(긍정적 심사)이다. 자연 에너지를 이용하려고 노력하는
기업, 지역 사람들에게 일자리를 줘 지역에 공헌하는 기업 등 사회와 환경에
기여하는 기업을 선택해 투자함으로써 그 기업에 힘을 실어 주는 것이다.
2003 년을 기준으로 사회적 심사를 따르는 시장의 크기는 미국에서 231 조 엔(약
1848 조 원), 유럽에서 34.5 조 엔(약 276 조 원)인 반면, 일본에서는 아직 0.1 조
엔(약 0.8 조 원) 정도에 머물러 있다.
만약 우리가 가난한 나라의 사람들을 돕는 기업의 주식, 제품, 서비스를
사고 가난을 더 늘리는 기업의 것은 사지 않는 소비 기준을 빈틈없이 지켜 간다면,
빈곤 문제의 해결에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3) 국제 과세 실현하기
마지막 방법은 '국제 과세(글로벌택스)'다. 근대 국가는 국민에게
세금을(소득이 많은 사람에게는 많이, 적은 사람에게는 적게) 거두어 그 가운데
얼마를 의료, 교육, 생활보호 들의 복지 비용으로 다시 분배함으로써 국민의 빈부
차이를 줄이려 해 왔다. 그대로 내버려 두면 잘사는 사람은 점점 잘살고 가난한
사람은 점점 더 가난해져 버리기 때문이다. 그러나 세금은 나라 밖까지 미치지는
않는다. 세계를 종횡무진 누비며 활약하는 다국적기업으로서는 세금을 피해

37
이익을 거둘 수가 있는 것이다. 그러니 가난한 사람들에게 돈이 돌아가지 않는
것도 당연하다. 그래서 국제적으로 그 차이를 줄일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생각해
낸 조세 구조가 바로 국제 과세다.
대표적인 것이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제임스 토빈이 고안한 '토빈세'다.
이것은 외환시장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거래에 세금을 매기는 것이다. 나중에는
보통의 통화 거래에는 낮은 세율을, 투기적 거래에는 높은 세율을 매기는 '2 단계
과세 제도'가 제안되기도 했다. 이 '통화거래세'가 도입되면 국제 금융시장에서의
투기적 거래를 억누를 수 있고 동시에 세금으로 거둔 돈을 세계의 빈부 차이를
줄이는 데 쓸 수 있다. 세율을 거래액의 0.1%로만 해도 적어도 한 해 1000 억
달러(약 100 조 원)의 세금이 모일 것으로 짐작된다. 2015 년까지 세계의 빈곤을
절반으로 줄인다는 국제연합의 '밀레니엄개발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돈이
적어도 한 해 500 억 달러(약 50 조 원)인 것을 생각하면 이것이 얼마나 큰
금액인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이 밖에도 세금 회피를 막기 위한 여러 가지 거래세가 있다. 예를 들어
'주식거래세(세수입 200~400 억 달러. 영국, 미국 들에서 실시)'
'채권거래세(세수입 500 억 달러. 독일, 오스트리아에서 실시)' 들이 그것이다.
그리고 2006 년 7 월부터는 '항공권연대세'가 시행되기 시작했다. 이것은 항공권에
세금을 매기는 것으로 비행기를 타는 사람들에게 '국제연대세'를 거둬 에이즈,
말라리아, 결핵의 3 대 전염병 대책을 위한 자금을 마련하는 것이다. 프랑스에 이어
노르웨이와 룩셈부르크에도 도입되었다. 또 빠르면 2008 년부터 '국제탄소세'가
유럽연합에 가입한 25 개 나라를 오가는 항공기에 대해 부과될 예정이다. 이 세금
수입은 온난화를 막기 위해 쓰인다. 나아가 '조세회피지거래세(세수입
400~1000 억 달러 예상)'나 '무기거래세' 들도 제안되고 있다.
국제 과세는 현실이 되기 시작했다. 빈곤을 없애기 위한 해결법은 현실에
존재한다. 한 사람이라도 더 많은 사람이 세계의 빈곤을 더 이상 내버려 둬서는 안
된다고 생각해 해결 방법을 찾고 목소리를 낸다면, 머지않아 세계의 빈곤 문제는
해결될 것이다.

38
 숙제

1. 빈곤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이 다음 내용과 일치하는 것은?


<보기>

어떤 사람들은 가난의 책임이 가난한 사람 자신에게 있다고 생각하지만, 일하고 싶은


의지는 있으나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애초의 가난 때문에 직업을
얻는 데 필요한 교육 기회마저 얻을 수 없는 사람들이 많이 존재한다.

① 빈곤은 사회 체제에 개인이 적응하지 못해 발생한다.


② 빈곤층은 그들의 공통 속성인 빈곤 문화를 형성한다.
③ 빈곤은 사회 체제의 구조적 결함이 원인이 되어 나타난다.
④ 가난한 사람들은 성취 동기가 낮고 게으른 경향이 있다.
⑤ 빈곤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빈곤층에게 자활 의식을 고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2. 다음 내용이 시사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세계 식량 프로그램 연구에 따르면 세계 기아 인구 중 20 억 명은 5 세 이하


아동이며, 이들은 식량 부족으로 심각한 저체중 상태에 있다. 매년 기아는 약
1 억 2,000 만 명의 아동을 사망에 이르게 한다. 서아프리카 가봉 출신의 열 살
어린이는 세계은행 조사관에게 "학교 갈 때까지 아침에 아무것도 못 먹어요.
점심때도 학교에서 식사를 못해요. 저녁에야 약간의 수프를 먹지만 충분치
않아요. 그래서 다른 애가 먹는 걸 보면 그 애를 쳐다보다가 만일 그 애가
아무것도 주지 않으면 굶어 죽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죠."라고 말했다. -
앤서니 기든스, 「현대 사회학」-

① 빈곤은 기회의 불평등 때문에 발생하게 되는 사회적 문제이다.


② 빠른 경제 성장에 따른 부작용이 절대적 빈곤을 심화시킨다.
③ 오늘날 전 세계 대부분의 기아는 자연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④ 사회 분열을 일으킬 수 있는 상대적 빈곤의 해결이 최우선 과제이다.
⑤ 전 세계적으로 절대적 빈곤은 여전히 심각한 수준이며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39
제3부

지역 지리

40
제5과

유럽
5.1. 유럽의 자연환경

5.1.1. 유럽의 지형 특징

훨씬 크고 대륙적인 동유럽과는 대조적으로 서유럽(반도 유럽)은 해안선의


비율이 높고 바다로부터의 접근이 용이하여 가항성 수로들을 이용한 내륙으로의
접근이 흔히 이루어진다. 유럽은 수많은 섬들을 포함하는데, 그중에는 페로 제도와
아이슬란드 같이 본토로부터 멀리 떨어진 섬들도 있다. 유럽에는 남북방향으로
연이어져 장벽을 이루는 산맥이 없기 때문에 대양에서 유럽으로 들어가는 데
자연적인 장애가 없다.
유럽의 대부분이 저고도와 저기복의 지형으로 되어 있다. 동유럽(러시아)
평야에는 높이 240m 미만의 구릉들이 솟아 있으며, 이 평야는 핀란드, 북유럽
평야, 루마니아·불가리아·헝가리 평야까지 이어진다. 폴란드의 많은 지역과 독일
북부 및 덴마크에서 두드러진 북유럽 평야는 프랑스 서부에서 넓어지며, 영국의
남동부와 아일랜드까지 이어진다. 스칸디나비아 반도는 대부분 고원성의 산지로
되어 있다. 중서 유럽의 심장부지역들은 융기·단층 지괴들이 있어 기복이 보다
큰데, 이는 침식된 우랄 산맥에서 증거를 찾을 수 있는 헤르시니아 조산운동의
결과이다. 유럽 대륙 가운데 최고의 고지와 가장 험준한 기복은 훨씬 남쪽의
신생대 구조에서 나타난다. 알프스 산맥에서는 몽블랑이 4,807m 로 솟아 대륙의
최고봉을 이룬다. 스페인의 피레네 산맥과 시에라네바다 산맥에는 3,350m 가
넘는 고봉들이 있다. 아펜니노 산맥, 디나르알프스 산맥, 발칸 산맥, 궁형의
카르파티아 산맥과 이 산맥의 남쪽 연장부인 트란실바니아알프스 산맥도 고도가

41
높은 편이다. 유럽에서 고도가 가장 낮은 지역은 카스피 해 연안저지로,
해수면보다 29m 나 낮다.
유럽 지역의 절반 이상이 대부분 해발 180m 미만이며 300m 에 달하는
곳도 간간이 있는 저지들로 되어 있다. 북부의 저지들은 빙성퇴적물지역이다.
따라서 표면은 서부 러시아의 발다이 구릉과 같은 지형, 빙력점토·모래·자갈의
퇴적층, 빙하호, 벨라루스와 우크라이나의 넓은 저습지인 프리페트 습지대 등
다양하게 이루어져 있다. 또하나의 중요한 지형은 남동-북서의 황토층 지대로,
바람에 날려온 황토가 영국의 동부에서부터 우크라이나까지 쌓여 있다. 중앙의
고원과 대지들은 둥근 산정, 가파른 사면, 계곡, 함몰지 등이 특징적인 경관을
이룬다. 그 예들은 스코틀랜드의 남부 고지, 프랑스의 마시프상트랄,
스페인의 메세타센트랄(고원), 그리고 보헤미아 대산괴에서 볼 수 있다. 광물을
함유하고 있는 북서부 고지의 고기암들은 장기간의 침식과 빙하작용에 의해
윤곽이 완화된 형태로 아이슬란드의 많은 지역과 아일랜드, 그리고 영국의
북서부와 스칸디나비아에서 발견된다. 이 고지대는 강우량이 풍부하지만 토질은
작물의 재배에 부적합하다. 반도와 섬들로 이루어진 남유럽은 독자적인
기후지역이며 단편적이지만 산과 고원이 많다. 이베리아와 아나톨리아(터키)는
고생대의 암석들로 이루어진 내륙의 탁상지를 고산성 산맥들이 둘러싸고 있는
광대한 반도이다. 한정된 저지는 내륙의 분지나 해안에 발달해 있는데 비교적
규모가 큰 저지는 포르투갈, 마케도니아, 트라케, 북부 이탈리아에 있다.

5.1.2. 유럽의 기후

남북을 달리는 높은 산맥이 없는 유럽에 있어서는 대서양으로부터 온난한


멕시코만류의 위로 불어오는 습윤한 바람이 별로 차단됨이 없이, 겨울에는 온화한
바람으로, 여름에는 서늘한 바람으로, 연중 해양으로부터 대륙 내부로 불어오는
관계로 위도에 비해 특히 동계에는 온화한 기후를 나타낸다. 유럽에 있어서는
1 월의 평균기온 0 의 등온선은 스칸디나비아 반도에서 북극권 훨씬 북쪽에
위치하는 데 반하여, 유라시아대륙의 동부에 위치하는 한반도의 남부 해안에는 0

42
선이 달린다.연평균기온 교차에 있어서도 아이슬란드와 노르웨이의 서부해안이 10
이하인 데 비하여, 같은 위도의 유라시아 대륙의 동부에서는 25∼30 나 되는 큰
연교차를 나타낸다.유럽에 있어서 해양성기후의 영향 범위는 탁월풍(卓越風)과
연관성이 깊다. 또한 이 탁월풍은 기압배치와 이에 연관된 천후(天候) 상태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겨울철에는 전유럽이 동부 내륙지방에 발달하는 한랭건조한
시베리아의 대륙기단(大陸氣團), 북대서양에 발달하는 온난 다습한 이동성
저기압의 충돌지역이 된다. 이 이동성 저기압은 항상 일정한 진로를 따라 이동하되,
동진함에 따라 그 세력은 점차 악화되며, 그 사이사이로 추위를 가져오는
대륙기단이 중부유럽을 지나 서부 지방까지 지날 때가 있다.여름에는 중위도
고기압대에 발달하는 아조레스 고기압이 알프스를 넘어 남부 러시아까지 북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 기압축을 잇는 남쪽의 지중해 연안지방은 고온 건조한 여름을
나타내게 된다. 상기한 천후(天候)의 각 여건들은 유럽의 등온선 분포도에도 잘
반영하고 있다.1 월 평균 등온선은 해안을 따라 남북방향을 달리며, 이 축은
계속해서 지중해·흑해·카스피해로 달려, 대략 L 자 모양의 등온선을 나타낸다.
7 월의 평균 등온선은 대략 위도와 평행하게 달리나 서부해안이 동부
내륙지방보다 낮은 등온선을 나타낸다. 특징적인 점으로는, 유럽의 기온은 위도에
의한 영향은 근소하며, 도리어 격해도에 의한 영향이 더 크다. 설선은 일반적으로
남주에서 북부로 가면서 낮아진다. 에스파냐의 시에라네바다 산맥에서는 3,400m,
알프스에서는 평균 2,700m, 노르웨이의 도브레피엘(Dovere Fijell)에서는
2,000m, 북부 스칸디나비아에서는 750m 에 위치한다. 강수량은 일반적으로
서부에서 동부로 가면서 감소한다.서부유럽에서는 연 강수량이 800 ㎜ 이상인 데
반하여, 남부 러시아의 초원지방은 250 ㎜ 이하이다. 서부유럽의 강수의 대부분은
서부에서 대륙 내부로 향하는 이동성 저기압과 편서풍 등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어,
연중 균일하게 모든 달에 걸쳐 강수를 보이며, 남서풍은 비를 몰고 오는 주요한
바람이다. 동부유럽 지방에서는 여름에는 뇌우와 관계있는, 단시간에 많이 내리는
강한 대류성 비로 풍향에는 큰 영향이 없으며, 여름에 주로 비가 많이 내린다.
유럽의 최다우지는 습윤한 서풍이 마주치는 산맥의 사면(斜面)으로,

43
스코틀랜드산지, 남부 노르웨이 해안과 알프스 및 디나르 알프스산지에서는
2,000 ㎜ 이상의 강수량을 나타낸다.

유럽은 위도 36 와 경도 75 이상이나 되는 넓은 지역을 차지하기 때문에


지역에 따라 현저한 기후의 차이를 나타낸다. 기온의 연변화, 강수의 계절적 변화
등에 따라 다음의 기후지역으로 구분한다.

(1) 서부유럽 기후지역

편서풍과 대양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전형적인 해양성 기후지역으로, 기온의


연교차는 10∼18 이다. 겨울철은 온화하고 여름철은 비교적 서늘하다. 연평균
기온은 유라시아대륙의 동위도지역에 비해 약 9 가 높다.강수량은 대체로 750 ㎜
이고, 동쪽으로 이동하는 저기압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강수는 연중 모든 달에
걸쳐 비교적 균일하며, 가을과 겨울에는 다소 많은 비가 내린다. 이 기후지역의
경계선으로는 1 월등온선이 1 , 연교차 18 선이 이용된다.

(2) 동부 및 북부유럽 기후지역

대륙성 기후로 노르웨이 해안을 제외하고는 겨울철에는 특히 한랭한 기온을


나타낸다. 특히 겨울에는 대륙내부에 발달하는 시베리아고기압의 확대와 지배로
인해 해양성기단의 진입을 방해하여 한랭 기온(1 월 평균 -5 -20 )을 나타낸다.
여름은 반대로 같은 위도의 서부유럽 지방보다 온난하며, 기온의 연교차는 25 이다.
강우는 주로 여름에 내리며, 대류성 강우 형식으로 많이 내린다. 강수량은 연평균
750∼1500 ㎜ 정도이다.

(3) 중부유럽 기후지역

서부유럽 기후지역과 동부 및 북부유럽 기후지역의 중간지역으로, 이 두


기후지역의 점이형 기후형이다.

(4) 지중해성 기후지역

지중해 연안에 발달하는 기후로, 여름은 고온건조하며, 겨울은 온난습윤하다. 이는


여름에는 아조레스고기압의 북상이동과 겨울에는 이동성저기압의 남하와 이동

44
때문이다. 지중해 동부에서는 여름에 규칙적으로 동풍이 탁월하며, 이 지방에서는
에테지엔(Etesien)기후라고도 한다. 이 기후지역의 북부지방에서는 가을과 봄에,
그리고 남부지방에서는 겨울에 비가 많이 내린다. 지중해성 기후의 북부 한계선은
대략 1 월 평균 기온 5 선으로, 이는 올리브나무(olive 樹)의 북한계선(北限界線)과
대략 일치한다.

5.2. 유럽의 인구

유럽의 인구는 20 세기에 들어서면서 이미 6 억을


넘어섰다. 근대로부터 1950 년대에 이르기까지는 세계인구의 1/4 를
차지하였으나, 이후 유럽의 출생률 둔화와 제 3 세계의 폭발적 인구 증가로 인해
현재에는 1/7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런 추세가 지속된다면 2050 년때 유럽의
인구는 세계인구의 1/12 수준으로 떨어질 것이라고 한다. 서유럽을 기준으로,
인구의 증감을 살펴보면, 1100-1350 년에 걸친 장기적인 인구 증가, 1450-
1650 년의 또 다른 증가, 그리고 다시 1750 년 이후의 새로운 증가를 들 수 있다.
특히 이 마지막 경우는 앞의 경우들과 달리 더 이상 인구 증가 후에 인구 감소가
뒤따르지 않았다. 따라서 우리는 서로 유사한 세 번의 긴 생물학적 팽창기를 보게
된다.

러시아의 인구가 1 위로 가장 많고, 그 뒤를 독일, 프랑스가 따르고 있다.

1. 러시아 1 억 4340 만 명 6. 우크라이나 4742 만

2. 독일 8240 만 명 7. 에스파냐 4000 만

3. 프랑스 약 6080 만 8. 폴란드 3810 만

4. 영국 약 6030 만 9. 루마니아 2169 만

5. 이탈리아 5810 만 10. 네덜란드 1600 만

[그림 5] 2005 년 유럽 각국의 인구

45
* 유럽 각국의 출산율

(2005 년 기준) 유럽 각국의 출산율은 60 년대 이래, 특히 90 년대에 급속히


떨어졌다. 그러나 최근에는 2002 년을 최저점으로 하여 출산율이 조금씩 오르고
있다.

(1) 북유럽 및 서유럽

대체로 1.6~1.8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서, 유럽에서는 비교적 출산율이 높은


지역이다. 특히 2005 년 기준으로 아이슬란드는 합계출산율이 인구대체수준인
2.1 에 근접해 있으며,아일랜드와 프랑스 또한 1.9 를 상회한다.

(2) 중부유럽

독일어권 국가들(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등)은 1.3~1.4 정도로 출산율이


낮은 편이다. 특히 폴란드, 체코, 헝가리 등의 과거 공산권 국가들은 체제변혁
이후 출산율이 급격히 떨어져서 현재도 합계출산율이 1.2~1.3 수준이다.

(3) 남유럽

스페인, 이탈리아, 그리스 등의 남유럽은 전통적으로 출산율이 높은


지역이었으나 20 여 년 전부터 급격히 낮아졌다. 현재는 합계출산율이 약간
반등하여 1.25~1.4 수준이다.

(4) 동유럽

1980 년대 말의 체제변혁 이후 출산율이 급격히 낮아져 한때 1.05~1.1 수준까지


내려간 국가도 있었으나, 경제회복과 함께 조금씩 반등하여 현재는 1.2~1.4
수준이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우크라니아, 벨로루시,
슬로베니아등은 1.2 를 겨우 넘기는 수준이다.

5.3. 유럽의 경제-사회

유럽은 세계에서 최초로 농업의 상업화와 공업발전을 기반으로 하는 근대적


경제체제를 이룬 지역이다. 유럽의 성공적인 근대화를 뒷받침한 것은 풍부한

46
경제자원, 기술혁신의 역사, 교육받은 숙련 노동자들의 개발이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자연적으로 존재하기도 했고, 인위적으로 조성되기도 한 교통·통신망으로
유럽의 모든 부분이 상호 연결되어 대량의 원자재와 완제품이 수월하게 유통되고,
사상의 교류가 활발했던 점이 주효했다. 20 세기에 유럽의 경제는 상당한 성장과
번영의 시기를 누렸으며, 공업화의 기세는 대륙 전체로 광범위하게 퍼져나갔다.
그러나 경제발전이 지속되는 것을 가로막는 큰 장애들, 즉 유럽의 다국적성, 많은
자원의 고갈, 해외 경쟁국들의 성장 등이 나타났다.
정부의 보호무역정책은 한 제품의 잠재시장을 단일국가로 국한시키는
결과를 낳았으며, 이에 많은 생산업체들은 대량판매를 겨냥한 대량생산 능력을
상실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정부의 보호정책과 한 나라의 시장권 내에서
경쟁상대가 없음으로 인하여 기업의 능률성이 떨어지게 되었다. 개개의 국가는
번영을 누리는 지역과 소외된 지역 간에 긴장이 고조되는 현상을 보였는데, 이러한
경향은 편차가 생긴 지역들에 서로 다른 인종집단이 살고 있는 경우에는 특히
심하게 나타났다.
5.3.1. 자원
유럽의 석탄 매장량은 경탄과 연탄을 막론하고 풍부하다. 석탄은
광물제련업의 동력원으로서, 그리고 많은 부산물의 원료로서 그 비중이 줄고
있다고는 해도 여전히 상당히 중요한 몫을 차지하고 있다. 주요매장지는 루르 지방,
영국의 페나인 지대, 상부 슐레지엔, 도네츠 분지 등으로 이 지역들에는 주로
점결탄, 무연탄, 보일러용 석탄 등의 경탄층(硬炭層)이 분포한다. 한편 그보다
연질(軟質)의 갈탄은 독일, 보헤미아의 호무토프 탄전, 모스크바-툴라 탄전에서
채굴된다. 탐사된 석유와 천연 가스의 매장량은 러시아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유럽의 수요를 채우기에는 상당량 부족하다.
볼가-우랄 유전은 유럽권 러시아에서 최대규모를 자랑한다. 루마니아의
카르파티아와 아(亞)카르파티아 산맥지대에 매장된 석유는 한때 막대한
규모였지만 지금은 이 나라의 수요에도 미치지 못한다. 많은 서유럽 국가들은
유전의 탐사와 개발을 추진해왔는데, 특히 노르웨이와 영국은 북해의 해저 밑에서

47
가스와 석유를 뽑아내는 데 성공했다. 프랑스·스페인·에스토니아·우크라이나를
비롯한 유럽의 많은 나라에서 원자로용 우라늄 광상이 발견되었으며, 이들
나라들보다는 적은 양이지만 중부와 동부 유럽의 여러 곳에서도 우라늄광이
채굴되고 있다. 최대의 철 매장지는 우크라이나의 크리보이로크와 러시아
연방의 마그니토고르스크 및 쿠르스크 부근에 있다. 철합금의 최대 광상은 러시아
연방의 콜라 반도(티탄·몰리브덴), 우랄 산맥, 우크라이나에 분포하며 니켈은
페쳉가와 콜라 및 우랄 산맥의 여러 곳에서 채광된다. 크리보이로크 철산지 부근,
니코폴에 있는망간 광산은 세계 최대 규모이며, 입지도 가장 좋다. 유럽에는
그밖에 구리·납·아연·수은·보크사이트 등 비철금속류의 매장지도 있다.
비금속광물로는 풀러토·캐올리나이트·암염·백운석·흑연·황 등이 있다. 러시아
연방의 콜라 반도에 있는 인회석(인산 칼슘) 광상과 우랄 산맥의 솔리캄스크에
있는 칼륨 광상은 세계 최대 규모이다. 시멘트, 벽돌 제조용 건축재, 석재도 비록
지질구조에 따라 산출지역이 한정되어 있기는 하지만 풍부한 편이다. 유럽의
급수상태는 보통 저지의 지하수면이 지표에서 별로 깊지 않고, 샘과 우물이 널리
분포하기 때문에 좋은 편이다. 특히 다공질의 암석에 고여 있는 지하수를 펌프
작업으로 끌어올려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카스피 해 부근의 러시아 남서부와
스페인 및 터키 내륙지대를 비롯한 몇몇 지역에는 지하수가 있지만, 물을
끌어올리는 데 막대한 자본이 소요되기 때문에 건조지대로 방치되어 있다. 유럽의
대도시와 공단지역들은 댐을 건설하여 지표수를 모으고 지하수를 퍼올리며, 물의
절약·재사용·재생 등을 권장하는 등 충분한 물을 확보하기 위해 계속 노력하고
있다.
5.3.2. 농업
유럽의 가경지는 전체면적의 30%에 달한다. 유럽은
곡물·근채류·식용유·섬유·과일 및 가축·축산품의 대생산지이다. 특히 세계 호밀
생산량의 90% 이상, 감자와 귀리 생산량의 2/3, 밀 생산량의 2/5 를 차지한다.
옥수수는 도나우 강 하류 저지와 러시아 남서부의 주요작물이며, 관개를 기반으로
이탈리아 북부에서는 벼를, 스페인·시칠리아·키프로스에서는 감귤류를 재배한다.

48
북유럽 국가들에서는 귀리를 제외하고는 곡물재배를 별로 하지 않고 축산에
주력한다. 곡물류의 경작은 영국의 동부로부터 우랄 산맥까지 이어지는
저지대에서 이루어지며, 포도재배는 이탈리아·프랑스·독일에서 가장 활발하다.
러시아 연방, 우크라이나, 벨라루스는 아마·대마·사탕무의 최대 생산국이며,
벨라루스를 제외한 두 나라는 세계에서 해바라기씨를 가장 많이 생산하는
나라들이다. 담배는 벨라루스에서 많이 재배되며, 불가리아, 이탈리아, 그리스의
마케도니아 지방에서도 중요한 작물이다.
대부분의 20 세기에는 유럽의 농업조직과 지역에 따른 생산성이 두드러진
차이를 보였다. 소련과 동유럽 국가는 집단 및 국영체제를 취하다가 사회주의
진영이 와해되면서 네덜란드 및 영국과 같은 서유럽 국가들의 자본집약적
농업방식으로 계속 전환하고 있다. 대부분 유럽 농가들의 축산업과 낙농업은
돼지와 가금류를 중심으로 행해지는데, 지중해지역에서만은 독특한 풍토에 더 잘
적응하는 양과 염소를 주로 사육한다. 유럽은 쇠고기·돼지고기·베이컨을 중심으로
세계 육류의 1/3 이상을 생산하지만, 향상되는 생활수준에 따르는 수요 증가량에
비하면 충분하지 못하다. 서유럽의 농업은 도시의 시장을 겨냥한 근교농업과
토마토·오이·채소·꽃 등 온실재배의 발달이 특징이다.

5.3.3. 산업
코크스가 숯 대신 용광로의 연료로 쓰이게 되면서 유럽의 철강업은
수송비의 절약을 위해 탄전 지대에 입지하게 되었다. 유럽의 강철 총생산고는
세계생산고 가운데 약 1/2 을 차지하며, 그중 약 1/3 은 유럽 공동체(EC) 국가들이
생산한다. 철광석도 세계 총생산량의 거의 1/3 이 산출된다. 강철을 원료로 하여
중량의 공작기계와 광산·제련·건축·전기 기구들을 생산하는 제조업은 주로
탄전지대에 입지하는 반면, 선박·자동차·항공기 제작에 종사하는 업체들은 새로운
부지들을 포함하여 보다 넓은 입지 분포를 보인다. 다양한 제품을 취급하는
화학공업은 한편으로는 수력발전이 개발되고 또 한편으로는 제련소의 부산물을
시장지향적으로 이용한 결과, 1945 년 이래 크게 발전했다. 많은 공업약품은

49
탄전에서 생산된다. 그밖의 화학공업은 유럽의 광상들에서 채굴하는
암염·칼륨·칼슘·황을 이용하는데, 특히 석유화학제품인
합성고무·플라스틱·합성섬유·합성세제·살충제·화학비료 생산이 증대함으로써
산업혁명이 이루어졌다.
유럽 전역에서 다양한 경소비재 공업이 이루어진다. 몇 나라는 특정제품의
전문적인 생산으로 명성을 얻었는데, 대표적인 예로 스웨덴 및 핀란드의 유리와
스위스의 정밀기기를 꼽을 수 있다. 한때 영국의 주요산업이었던 섬유공업은
현재는 여러 합성섬유를 비롯한 고급제품의 제조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영국·독일·프랑스·이탈리아 등이 고급 섬유제품의 대생산국이다. 목재업과 어업은
현재는 기계화되어 상당한 규모로 이루어지고 있다. 러시아·스웨덴·핀란드가
연재와 경재의 주요생산국이자 목재·펄프·신문용지의 수출국이다. 어업은
노르웨이·아이슬란드·러시아의 주요산업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많은 유럽인에게
취업의 기회와 외환을 가져다준 관광업의 성장은 지중해 연안의 국가들에서 특히
두드러지게 이루어졌다.

5.3.4. 동력
유럽의 면적은 지구상의 인구 거주지 면적의 1/10 에도 미치지 못하고,
인구는 세계 인구의 1/7 밖에 되지 않지만, 에너지 사용량은 세계의 약 1/4 에
달한다. 다양한 동력자원들의 사용량이 증가하는 가운데 탄전에 입지한 산업체의
에너지 확보와 전력 생산에서는 여전히 석탄이 중요한 몫을 차지하고 있다.
수력전기의 개발은 유럽의 북부, 알프스 산맥지대, 러시아의 남서부와 같이
강수량이 풍부하고 지형이 댐을 건설하기에 적합한 조건을 갖춘 곳에서
두드러지게 이루어졌다. 그밖의 나라들에서는 수력전기의 의존도가 극히
미미하며, 석유와 천연 가스가 에너지 공급에서 큰 몫을 차지한다. 20 세기
말엽에는 석유와 천연 가스가 세계의 에너지 소비량 가운데 1/7 에 이르렀다.
러시아·루마니아·영국을 비롯한 유럽의 많은 나라들은 석탄 대신 천연 가스를
사용하며, 디젤 기관차와 발전소를 위한 연료유는 난방용으로도 널리

50
쓰인다. 원자력발전은 특히 동유럽 국가들에서 전기 에너지원으로 상당한 몫을
차지하고 있다.

5.3.5. 무역
20 세기 동안 서유럽의 총체적인 무역정책과 현재 와해된 사회주의 진영의
정책은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서유럽 국가들이 국제무역에 주력한 반면 동유럽
국가들은 역내(域內) 무역을 중시했던 것이다. 동유럽 국가들이 사회주의를
포기하면서 대외무역에 대한 관심은 극적이라고 할 만큼 고조되었다. 유럽은
세계의 총수출과 총수입의 반 이상을 차지하면서 세계의 통상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유럽에서도 특히 서방국가들이 무역을 주도하여 항양(航洋)
물동량의 거의 1/4 을 차지한다. 유럽 경제공동체(EEC) 국가들이 옛 식민지
지역들을 무역 파트너로 삼고 있듯이 영국은 영국연방 국가들과 활발한 거래를
하고 있지만, 현재는 엄밀히 말해서 경쟁적인 관계이다. 주로 이같은 목적으로
결속한 국가 집단들 내에서의 적극적인 물자교류가 촉진되어왔다. EC 는
상호의존도가 갈수록 높아지는 회원국들 내의 경제적 전문화를 목표로 하는
정책들을 펼쳐왔다. 독일은 점결탄과 화학제품을 프랑스에 공급하고, 프랑스는
벨기에에 로렌산(産) 철광석을 제공한다. 강철은 국외시장으로 출하되며,
네덜란드의 파이프를 통해 프랑스·벨기에·독일 등으로 천연 가스가 공급된다.
러시아 연방을 비롯하여 옛 소련을 구성했던 나라들은 석유·망간·철광·크롬광 등과
면화를 비롯한 직물섬유를 공급하고, 기계류·직물·소비재를 받는다.
유럽 자유무역연합(European Free Trade Association/EFTA) 역시
회원국들 사이의 교역을 장려한다. 예를 들면 스웨덴과 핀란드의 목재와 스위스의
시계 및 식료품 같은 상호보완적인 생산물이 교역된다. 1977 년 유럽 EEC 와
EFTA 가 맺은 자유무역협정이 발효하여, 회원국들 내에서 생산되는 대부분의
공산품에 대한 관세가 철폐되었다. 유럽에서 대륙 밖으로 수출하는 제품으로는
공작기계·자동차·항공기·화학제품(석유화학제품 포함)·소비재 등이 있다. 유럽은
중동산·알제리산·리비아산 석유와 수입 원자재 및 금속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51
유럽은 자체의 농산물 생산량을 늘리고 천연섬유를 대신할 합성섬유를
제조함으로써 수입농산물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여전히
막대한 양의 천연고무·차·커피·카카오·사탕수수·담배·과일 그리고 기름용
종자식물을 수입할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 숙제

1. 다음 보기의 ( )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 )


<보기>

유럽은 아시아의 ( )쪽에 있습니다.

2. 다음 보기의 ( )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 )

( )(EU)은 유럽의 여러 국가들이 세계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만든


조직입니다.

52
제 6과
아시아
6.1. 아시아의 자연환경

6.1.1. 아시아의 지형 특징

아시아는 평균고도가 가장 높고 지표 기복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는


대륙이다. 높이 8,848m 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에베레스트 산과 해수면하
평균깊이 400m 로 세계에서 가장 낮은 지표면인 사해, 바닥이 해수면하
1,165m 이며 깊이 1,620m 로 세계에서 가장 깊은 대륙 지구대인 바이칼 호가
모두 아시아에 있다.

[그림 6] 아시아 자연 지형

53
일반적으로 아시아는 크게 몇 지역으로 구분되며, 각 지역들은 많은 국가로
이루어져 있다. 지형학적 구분에 따르면, 북아시아는 광활한 시베리아와 아시아
대륙 북동연변부로 이루어지며, 동아시아에는 시베리아 극동지방과 동아시아 제도,
한국, 중국의 동부 및 북동부가 포함되고, 중앙 아시아는 티베트 고원과 준가얼
분지 및 타림 분지, 내몽골, 고비 사막, 다쉐 산맥으로 이루어진다. 중부 아시아는
투루판 평원 및 파미르 고원, 기사르알라이 산맥, 톈산 산맥을 포함하는 지역이며,
남아시아에는 필리핀과 말레이 열도, 인도차이나·인도 반도, 인도-갠지스 평원,
히말라야 산맥이 포함되고, 서아시아는 소아시아·아르메니아·이란 등으로
이루어진 서아시아 고지대와 레반트, 아라비아 반도로 이루어진다. 경우에 따라
필리핀 제도와 말레이 열도, 인도차이나 반도는 남아시아와는 별도로
동남아시아로 구분되기도 하며, 아라비아 반도와 레반트 또한 별도로
서남아시아로 구분되기도 한다. 문화적 측면을 기준으로 아시아를 구분할 때는
다른 방식으로 분류가 이루어진다.

6.1.2. 아시아의 기후

아시아는 매우 광대할 뿐만 아니라 산악지대와 내륙 저지가 많아 지역간


기후 차이가 매우 심하다. 대륙성기후는 거대한 대륙괴와 관련이 있으며 기온의
연교차가 극심한 것이 특징으로 아시아 대부분 지역이 이에 속한다. 태평양에 의한
해양성기후의 영향 아래 있는 지역은 동아시아의 태평양 연안지역에 한정된다.
북쪽으로부터는 북극 기단이 아무런 방해도 받지 않은 채 곧장 아시아 대륙으로
밀어닥친다. 아시아 남부는 열대 및 적도 기단의 영향권 안에 있으나, 이 기단은
위도를 따라 솟아 있는 고지대들이 가로막고 있어 대륙 중앙에까지는 그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특히 겨울철(11~3 월)에는 아시아 내륙에 형성되는 한랭기단
때문에 대륙 중앙으로의 진출이 더 어려워진다. 남아시아 및 동남아시아에서는
1 년 내내 기상전선을 따라 열대 사이클론(열대성 저기압)이 발생하며,
동아시아에서는 태풍이 발생한다. 사이클론과 태풍은 특히 늦여름과 초가을에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며, 폭풍우를 동반해 지역에 따라서는 정상적인 여름

54
몬순(계절풍) 기간에 내리는 총강우량을 상회하는 연중 최고강우량이 이 시기에
집중된다.

6.2. 아시아의 인구

아시아에는 세계인구의 약 3/5 이 살고 있다. 아시아 대륙에는 세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국가인 중국과 인도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 두 나라 인구의
합계만으로도 세계인구의 1/3 이 넘는다.
1750 년만 해도 아시아의 인종분포에 대해 설명하는 것은 비교적 쉬웠다.
유라시아 북부 전체는 비교적 인구가 희박했으며, 시베리아 인종 및
퉁구스족·투르크족 등이 수렵과 채취, 어로와 목축 등을 하며 살고
있었다. 네네츠(사모예드)족·야쿠트족·추크치족 등은 수렵 위주의 단일경제 및
계절적인 혼합경제에 종사하고 있었다. 중앙 아시아 및
티베트·몽골에는 부랴트 몽골족 및 키르기스인 같은 유목민들이 서로 뒤섞여
살았으며, 보다 낮은 고원과 저지대의 여기저기 흩어진 농경용 오아시스
지역에는 타지크족·위구르족·우즈베크족 등이 모여 살았다. 인구는 전반적으로
희박했으나, 타슈켄트·사마르칸트·카슈가르·우룸치 같은 큰 오아시스에는 인구가
밀집되어 있었고, 그보다 물이 적은 곳에는 소규모의 취락들이 형성되었다.
서남아시아에서도 비슷한 현상을 보여 주로 이란인·아랍인·터키인들이 살았고,
기타 소수 민족도 여기저기 흩어져 살았다. 남아시아와 동아시아는 보다 복잡한
이중의 인구분포 형태를 나타냈다. 인구의 최대 분포지역들은 오랜 세월 자기
소유의 땅에 정착해 살며 농업과 수공업에 종사해온, 고도로 문명화된 저지
주민들로 구성되었다. 들녘에는 시장과 도시들이 산재해 있었고, 해안지역에는
많은 소규모 항구 마을들이 점철되어 있었다. 인구밀도는 사람들이 가장 오랫동안
살아온 비옥한 저지대 농경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대표적인 곳이 화베이
평원과 양쯔 강 유역, 일본 남부, 베트남 해안, 갠지스 및 인더스 강 유역이었다.
인구분포가 보다 적은 지역들은 많은 다양한 인종집단을 포함했다. 그들은 습한
삼각주 저지대들, 즉 갠지스·이라와디·차오프라야·메콩 강의 삼각주 저지대와

55
필리핀 루손 섬의 중앙 평원, 그리고 수마트라의 북부 해안지역에 산재해 거주했다.
대부분의 구릉지대와 비교적 높지 않은 산악지대에도 사람들이 모여 살았다. 이
지역 주민들은 주로 단순한 형태의 수렵·채취 생활로부터 이동경작이 가미된 보다
복잡한 형태의 수렵·채취 생활에 종사했다. 인도 북동부의 나갈란드 주와
미얀마의 카렌 고지대, 라오스의 먀오에는 소규모 취락들이 형성되어 있어
주민들은 자급경제를 영위하고 있었다.
20 세기에 이르러 아시아의 인종 유형과 그와 관련된 생활방식에는 큰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소련과 중국이 시베리아와 중앙 아시아까지 지배하게
되었고, 과거의 남아시아 식민지들이 독립을 쟁취했으며, 오스만 제국의 영토
일부가 서남아시아의 현대 국가들로 변모되었다. 이 모든 상황변화로 인해
18 세기에 형성되었던 아시아의 인종분포에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나게 되었다.
수많은 소규모 인종집단들이 단일 민족국가들로 흡수되었고, 많은 옛 언어들이
쇠퇴의 길에 접어들었으며, 과거에 두드러졌던 많은 생활방식은 그 흔적만 남거나
인위적으로 형성된 민속촌 같은 형태로 보존되었다. 지배적인 인종집단의 규모가
커지면서 역사가 오래된 소수인종의 활동영역이 점차 줄어들었으며, 현대적인
경제발전의 모든 면들이 과거의 모든 것을 대신하게 되었다.

6.3. 아시아 경제-사회

대다수 아시아 국가의 경제는 개발도상국 수준에 있다고 할 수 있는데,


발전의 정도는 나라에 따라 큰 차이가 있다. 전형으로 꼽을 수 있는 경제는 없다.
일본은 경제지표로 보거나 사회지표로 보거나 단연 아시아 제일의 선진국이다.
발전의 중간단계에 있는 국가로는 홍콩·싱가포르·한국·타이완 등 신흥공업국과
이스라엘·중동산유국들을 꼽을 수 있다. 경제적으로 보다 낙후된
국가들로는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말레이시아·타이·필리핀·인도네시아·브
루나이·싱가포르)과 남아시아 국가, 중국을 들 수 있다. 인도차이나 반도의
국가들과 아프가니스탄·네팔 등은 아시아에서 가장 가난한 국가에 속한다. 아시아
국가들간에 이같은 경제수준 격차가 생긴 이유는 여러 가지로 추측해볼 수 있다.

56
대다수의 국가들이 식민지 지배 아래에서 처음으로 경제개발을 시작했으며,
수송·통신·행정·국민보건·농업 및 광물자원 개발 등이 모두 식민지시대에
시작되었다. 그러나 식민지시대에 이루어진 이런 경제개발은 일부 생산품에의
의존도가 커서 세계시장의 가격변동에 따라 국가경제가 불안정해지는 경우가
많았다. 이들 국가들 중 상당수는 독립 후 전문지식 및 자본의 부족, 지도층의 실정
등으로 인해 경제침체를 겪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이를테면 석유 등의
자원개발에 힘입어 경제발전이 가속화되기도 했다. 또한 정치체제나 이념정책,
내란 등도 경제발전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 국가별 경제 개요

(1) 동티모르

이 나라는 경제력이 매우 낮다. 국민 소득은 당시 통계로는 100 달러 정도


된다고 본다. 공식 통화는 US 달러이다. 특히 1 센트에서 50 센트까지는 동티모르
최초의 동전이 존재한다. 미화 동전도 같이 사용된다. 동티모르는 또한 대규모의,
그리고 수익성이 좋을 것으로 기대되는 커피 산업이 발달해 있으며, 수많은 공정
무역 소매 상인들 및 공개 시장에 유기농 커피를 판매하고 있다.

(2) 라오스

라오스는 농업국가로 알려진 나라지만 베트남이나 태국처럼 농산물을


수출하지 않다. 라오스의 주요 수출품은 전기, 구리, 금, 목재, 의류, 맥주 등이다.
특히, 라오스 맥주는 한국으로도 수출되고 있다. 라오스는 1975 년부터 사회주의
계획경제를 지켜오다가 1986 년에 경제개혁개방을 하면서 시장경제 체제로
전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1986 년에 외국인 투자촉진법을 제정하고, 1990 년
제 1 차, 1994 년 2 차, 2009 년 3 차, 그리고 2013 년에 4 차를 걸쳐 투자촉진법을
재정했다.

(3) 말레이시아

57
말레이시아는 세계최대 주석, 천연 고무. 팜유 생산국으로 1960 년대 만
해도 주요수출품이 주석과 팜유였다. 하지만 정부의 강력한 경제정책으로
말레이시아는 동남아국가 3 번째로 국민소득이 높은 나라가 되었으며 주요 산업도
관광업과 제조업으로 전환되었다. 말레이시아는 쌀자급률이 30%로 그렇게 농업이
발달되어 있지 않으며 주로 벼농사나 열대과일 재배, 도시근교 채소, 원예농업이
발달되어있다. 그리고 말레이시아는 세계최대 주석과 고무 생산국으로 현재에도
주석과 고무를 가공하는 산업이 발달되어 있다. 그리고 석유산업도
사라와크주에서 소량 산출되었으나, 그 후 사바주·사라와크주에서 대규모
해양유전이 개발되면서 석유채취, 가공산업도 주요산업으로 부상하였다. 제조업은
1970 년대 말부터 개발되기 시작해 지금은 동남아시아중 제조업이 발달된 국가 중
하나가 되었으며 주로 전기·통신기계와 수송기계 생산을 하고 수출을 하고 있다.
그리고 관광업도 이 나라의 주 수입원이다. 이 나라는 1997 년 외환위기를
겪었으나 자체적으로 극복하였다.

(4) 미얀마

미얀마의 경제는 국제적인 고립과 미얀마식 사회주의 계획경제의 실패,


장기적인 군사 독재 등의 정치적 문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 매우
침체되어 있다. 주요 투자국은 중화인민공화국, 싱가포르, 대한민국, 타이, 인도
등이다. 2007 년 8 월 15 일, 군사 정권은 하룻밤 사이에 휘발유 가격을 67% 인상,
천연 가스도 네 배 인상하면서 물가가 500% 이상 급등함으로써 출퇴근을 하는
회사원들은 버스비도 내지 못해 불만을 겪었던 적이 있다.

(5) 베트남

공산화 이후 경제 기반이 무너져 가난한 생활을 하다가, 1986 년 "도이


머이"라는 슬로건 하에 실용주의적 경제 정책을 도입하기 시작하였다.
1980 년대말부터, 외국인의 재산 투자를 보호하는 여러 법이 개정되었고,

58
1990 년대에는 ASEAN 등 국제 사회에 편입되기 시작하였다. 이 개혁 기간동안
10%에 가까운 경제 성장률을 거듭하다가 2000 년대 중반 이후 침체기가 되었다.
베트남의 GDP 는 1446 억달러이며 1 인당 GDP 는 1700 달러이다. 국민의
상당수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세계 3 대 쌀 생산국이다. 후추, 커피도
세계적인 생산국이다. 대한민국과의 무역도 활발하다.

(6) 인도

인도의 경제성장 속도는 상당히 느린 편이나 정교한 행정조직과 관료제도,


양호한 교통·통신망, 우수하고 풍부한 인력, 잘 정비된 공업기반 등 일반적인
개발도상국들과는 다른 여건을 갖추고 있다.

1947 년 독립 이후 많은 투자를 통해 공업부문에서 현재 세계 20 위권


내의 공업국가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으나, 무역부문에는 아직 그 영향이
미치지 않아 수출량이 세계교역량의 1%를 밑돌고 있다.

한편 소수 지배계층은 매우 높은 수준의 생활을 향유하고 있는 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최저수준 이하의 생활을 하고 있는 등 소득격차가 매우 큰 것이
심각한 사회 문제가 되고 있다. 그러나 인도의 가장 근본적인 문제는 매년
1,000 만 명을 넘는 계속적인 인구증가와 그에 따른 실업자의 증가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인도 정부는 경제성장률을 높여야 한다는 요구에 직면해 있다.

(7) 일본

일본은 민주주의 경제 체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통화 단위는 엔(円, ¥, Yen,


JPY)이다. 국내총생산의 규모비로는 세계 제 3 위의 경제 대국으로, 일본의 경제
동향은 세계 경제에 큰 영향을 준다. 그러나 1990 년대 IT 산업을 미국이
주도하면서 그 영향력이 감소되고, 이는 곧 일본 금융계의 무분별한 투자로 인한
토지의 불량 채권화를 가속화하여 경제에 치명타를 가하고 말았다. 하지만 현재
일본은 국내총생산으로써는 세계 제 3 위, 1 인당 총생산은 OECD 회원국 중

59
18 위에 해당하며, 세계의 국내총생산 총액 점유 비중에서 9.1%의 비중을 가지고
있는 등 경제적으로 세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일본은 천연자원이 부족하여 필요한 대부분의 산업용, 소비용 원자재들을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다. 1980 년 기준으로 화력발전량이 전체 발전량의
약 67%를 차지한다. 일본의 주요
산업으로는 자동차산업, 기계산업, 전자산업, 물질산업, 에너지산업 등이 있다.
일본의 농업은 주로 쌀과 원예·축산의 농업이나, 대부분의 식량을 수입한다.
일본은 세계 제 2 의 어획량을 올리고 물고기 소비량은 세계 제 1 위이다. 서비스업
분야는 일본 국내총생산의 3/4 가량을 차지하는데도 불구하고 부실하다는 지적이
있다. 일본의 주요 수출품은 자동차, 철강, 전자제품 등이며, 석유 등이 주요
수입품이다. 미국이 최대 교역 대상국이다. 1960 년대 중반이후 무역장벽으로
인하여 줄곧 엄청난 규모의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하여, 비난이 높다.

일본 교통의 특색은 육상·해상·항공을 막론하고 도쿄·오사카를 중심으로 한


여객 및 화물의 수송이 특히 활발하며, 이어 세토 내해·북규슈 지방에서 발달하고
있다. 또한 하천 교통이 거의 없는 것이 결점이며, 태풍이나 대설(大雪) 혹은
지진에 의한 교통 장애도 적지 않으나 전체적인 교통망의 밀도는 매우 높은 편이다.
여객 수송 수단으로 수송량이 가장 많은 것은 자동차이며, 그 다음이 철도이다.
반면 항공기와 선박이 국내 수송을 차지하는 비율은
적다. 1990 년대 이후 버스를 포함한 자동차 수송이 전체 국내 수송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화물 수송량에서도 트럭을 포함한 자동차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선박과, 항공기가 그 뒤를 이었으며 철도는 화물 수송에서
가장 적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국제적인 수송에서는 여객에서는 항공기,
화물에서는 선박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8) 중국

전(前) 중국 공산당 총서기 덩샤오핑에 의한 자본주의 경제제도 도입 등의


개혁 개방 이후, 중국 경제는 급속히 발전하여 ‘세계의 공장’이라고도 불리고

60
있다.[2]세계무역기구(WTO)의 발표로는, 2003 년의 대 중국 직접투자는 535 억
달러가 되어 미국을 제치고 실질적으로 세계 최대의 직접투자 수입국이
되었다.[출처 필요] 세계 최대의 인구와 강한 경제력 덕분에 중국 경제는 아시아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런데 중국 국내 노동자들은 연안부나 대도시 근교를 제외하면 지방


인민의 대다수가 아프리카 여러 나라와 동일한 정도의 빈민층이며, 농업을 할 수
없는 계절에 도시 지역에 유입되어 객지에서 노동하고 있다.[출처 필요] 그들은 매우
저렴한 임금으로 도시 지역에서 일하기 때문에 경제 발전의 원동력이 되고 있다.
값싼 노동력을 목적으로 미국, 유럽이나한국·일본의 기업 진출도 번성하여 중국은
'세계의 공장’이라고 불릴 정도가 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에서도 대한민국에
무역 사무소를 개설하는 등 외국 기업 유치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개혁 개방 이후의 활발한 경제 발전의 이면에는 국민의 80%를


차지하는 농민과 도시 지역 사람들과의 소득 격차 문제가 있으며, 이는 평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공산주의로부터의 일탈을 의미한다. 이 빈부 격차 문제는
향후의 중국 경제의 방향을 결정하는 요소이며, 새로
출범한 후진타오 정권은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에서 농촌과 도시 지역 간의
빈부 격차 문제 해소를 논의하는 등 긴급하게 대응하고 있다. 또한, 열악한 노동
환경도 개선되어야 할 문제점이다.

현재 경제위기가 가속화되고 있는 점에서 중국은 내년 경제성장률을


8.5%로 예상하였다. 다른 나라인 인도 역시 경제성장률을 6.3%로 큰 폭으로
예상하였다.

61
 숙제

1. 다음에서 설명하는 대륙은 무엇인지 쓰시오.


<보기>

세계에서 가장 큰 대륙입니다.
세계 인구의 약 60%나 되는 사람들이 거주하여 인구 밀도가 매우 높습니다.
일찍이 큰 강을 끼고 황허 문명, 인더스 문명, 메소포타미아 문명이 발생하였습니다.

2. 다음 보기의 ( )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보기>

아시아는 5 대양 중 ( )의 서쪽에 위치합니다.

62
제 4부
한국지리

63
제 7 과:
한국의 계절과 날씨
1) 한국 사계절의 기후:
날씨와 계절을 통틀어서 “기후”라고 한다. 그러니까 기후란 일 년 동안의
날씨를 전체적으로 보는 것이다.
한국의 봄에는 따뜻하지만, 여름에는 푹푹 찜통 속처럼 덥고, 그러다
가을이면 서늘해지고, 겨울엔 온 세상이 추위에 꽁꽁 얼어붙는다.
한국은 이렇게 봄 여름 가을 겨울 네 계절이 아주 뚜렷하다. 어느 한
계절이라도 슬쩍 건너뛰는 법이 없다. 그런데 세상에는 계절이 거의 없는 나라도
있다. 일 년 내내 더운 나라도 있고, 거의 대부분 눈에 덮여 있는 나라도 있다.
한국처럼 일 년에 네 계절이 뚜렷한 기후를 “온대”라고 한다. 그런데 같은
온대 지방이라고 해도 모두 한국과 기후가 똑같은 것은 아니다. 한국은 온대
중에서도 여름과 겨울이 특히 길고 뚜렷한 편이다.
서울을 보면 한여름인 8 월의 평균 기온은 25 도, 한겨울인 1 월의 평균
기온은 영하 5 도. 무려 30 도나 차이가 난다.
그런데 차이가 나는 건 이뿐이 아니다. 전국 평균 강수량을 살펴보면 여름에
내리는 비 700mm 정도, 겨울에 내리는 비 100mm 정도. 그 차이가 무려 일곱
배나 된다.
여름 들판은 이렇게 뜨거운 태양과 풍성한 비로 수많은 곡식과 과일과
채소를 키워 낸다.
그런데 옛날 같으면 허허벌판이었을 겨울 들판도 요즘에는 온실과 양수기를
이용해서 여러 가지 농사를 짓고 있다. 계절을 바꿀 수 는 없지만, 계절의 불편한
점은 이렇듯이 여러 가지 노력으로 극복한다.

64
2) 각 계절의 특징:
2.1) 봄의 특징:
겨울과 여름사이의 날씨로 날씨가 화창하고 춥지도 덥지도 않은 편이다 . 각
종 화려한 꽃들이 피고 진다.
중간에 꽃샘추위라고 봄에 갑자기 매우 추울때가 있다. 꽃샘추위란 이른 봄
철 포근해지던 날씨가 갑자기 기온이 내려가서 꽃봉오리를 움츠러들게 하는 추위
를 말한다. 꽃이 피는 것을 시샘하는 듯한 추위라 하여 꽃샘추위라고 하며, 또한 잎
이 나오는 것을 시샘하는 추위라는 뜻에서 잎샘추위라고도 말하고 있다. 이런 꽃샘
추위가 찾아오는 이유는 한겨울을 지배하던 차가운 시베리아 대륙 고기압이 초봄
에 일시적으로 다시 확장되면서 그 영향 때문에 날씨가 추워져서 '되돌이 한파'를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대체로 3 월 7 일은 늦겨울의 한파 특이일로서 그 이후로는
차차 봄기운이 완연해지지만, 3 월 25 일경에는 다시 추워지고는 하며, 4 월 10 일
과 18 일, 벚꽃이 필 무렵에도 한차례의 꽃샘추위가 몰려오기도 한다.
봄부터 황사문제가 이야기된다. 황사는 보통 중국대륙이 봄철에
건조해지면서 발생한다. 발원지는 북부 고비사막과 타클라마칸 사막, 황하
상류지대이다.
중국대륙에서 발생한 흙먼지는 강한 상승기류를 타고 3000∼5000m
상공으로 올라가 초속 30m 정도의 편서풍을 타고 우리나라까지
날아오는데, 황사는 지구로 유입되는 태양광을 반사하여 지구 온난화를 억제하며,
황사에 포함된 석회 마그네슘 칼슘 등의 알카리 성분은 대기중의 산성물질을
중화시켜 산성비를 억제하고 토양과 호수의 산성화를 방지하는 긍정적 역할도
한다.
하지만, 황사는 태양의 일사량을 감소시키며, 폐호흡기 환자와 조기
사망자를 늘리고, 항공, 운수, 정밀산업 등에 손실을 준다. 황사가 부는 지역은
시계가 줄어들며, 황사 먼지는 기관지의 자극이나 천식 외에도 여러 방면에서
일반인의 건강에 위협을 준다.

65
황사가 불 때에는 그 심한 정도에 따라 집 밖에서 활동을 피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천식이나 다른 호흡기 질환 환자에게 황사는 치명적일 수 있다. 황사 먼지의
피해 지역에서는 사망률이 1.7% 증가했다는 조사 결과가 발표되기도 하였다. 모래
자체는 토양에 해롭지 않지만, 황을 배출하여 산성비의 원인이 된다. 모래 폭풍은
또한 토양의 질을 저하시켜 농지를 파괴하며, 재와 그을음, 중금속이 축적되기도
한다. 황사와 함께 내리는 오염된 비는 송충이를 죽일정도로 사람의 피부에 매우
해롭다.
황사가 한번 발생하면 동아시아 상공에 떠도는 미세먼지의 규모는 약
100 만 t 에 이른다. 이 가운데 한반도에 쌓이는 먼지는 15t 짜리 덤프트럭
4,000 대에서 5,000 대 분량인 46,000t 에서 86,000t 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에서는 황사현상이 주로 3∼4 월에 나타나며 높이가 4000m 까지
이른다. 황사현상이 봄에 나타나는 것은 동아시아의 봄이 매우 건조하기 때문이며,
편서풍을 타고 한국을 지나 멀리 북태평양까지 날아간다. 사막지역에서는 이와
유사한 현상들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데, 아프리카 대륙 북부의 사하라 사막에서
발원하는 것은 ‘사하라 먼지’로 불린다.
한편, 중국과 대한민국, 일본 순으로 봄철에 황사 피해가 가장 심하다.

한국의 봄에는 대표적으로 개나리와 진달래가 피는 계절로 겨울잠을 자던

개구리가 깬다고도 합니다. 날씨가 본격적으로 풀리고 새학기가 시작된다.


2.2) 여름의 특징:
여름 중에서도 특히 비가 많이 올 때가 있습니다. 이 때를 장마라고 한다.
장마는 해마다 6 월 말에서 7 월 초 정도에 닥친다. 장마가 되면, 날이면 날마다
비가 끝도 없이 쏟아진다. 이 때는 홍수가 날 염려도 많으니 조심해야 한다. 장마가
끝나고 나면 그 때부터는 푹푹 찌는 무더위가 시작된다.
여름에는 열대야라는 현상도 있다. 열대야란 한 낮의 대기 온도와
지표온도가 심야 시간에도 떨어지지 않고 여름 밤 최저기온이 25℃ 이상으로
유지되는 경우이다.

66
보통은 대기의 흐름때문에 지표면의 열이 외부로 빠져 나가게 되는데 바람
같은 대기의 이동이 없는 경우에 과열된 지표온도가 심야 시간에도 떨어지지 않고
다음날 일출 이후에 온도가 급격히 올라가서 다음날 새벽 까지도 대기 혹은 지표의
온도가 내려가지 않는 현상이다.
한국에서 열대야 현상은 고온다습한 북태평양고기압이 발달하였을 때 밤에
복사냉각의 효과가 감소하여 나타는데, 특히 농촌지역보다 도시에서 도시기온의
특색으로 나타난다. 즉 도시지역에는 교외지역에 비해 사람·건물·자동차·공장이
많아 엄청난 인공열이 발생하고 열을 잘 흡수하는 아스팔트 도로는 쉽게 가열되며
건조한다. 또 높은 빌딩과 같은 인공구조물이 많아지면 굴곡이 크고 표면적이 넓어,
많은 열을 흡수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도시지역의 기온이 주변의 교외지역보다
높게 나타나는 ‘열(熱)섬현상’이 일어난다.
2.3) 가을의 특징:
여름과 겨울 사이의 계절로, 천문학적으로는 9 월 23 일경의 추분부터 12 월
21 일경의동지까지를 말하나, 24 절기(節氣)로는 입추(8 월 7 일경)부터
입동(11 월 7 일경) 전까지를, 기상학에서는 이보다 조금 늦추어서 보통
9 월,10 월,11 월을 가을이라고 한다.
그러나 남반구에서의 가을은 반년이 어긋나서 3∼5 월이 된다. 한국에서의
가을 기상현상의 특성을 간추려 보면 대략 다음과 같다.
9 월에는 낮동안 늦더위가 남아서 여름을 방불케 하지만 아침과 저녁으로는
시원한 날씨가 된다. 태풍이 종종 남부지방을 지나가 큰 피해를 당하는 경우가
있다(1959 년 9 월 17 일 태풍 사라호). 한편, 전국적으로 비가 자주 내려 이른바
가을장마철이 된다. 특히, 부산 ·울산 등 남동부지방에서는 강수량을 월별로 볼 때
9 월이 일년 중가장 많다. 10 월로 접어들면 강수량이 줄고 공기 중의 습도가
낮아져 맑고 상쾌한 날씨가 계속된다.
이른바 천고마비(天高馬肥)의 계절이다. 맑은 가을하늘의 특징은 구름의
모양이다. 여름 동안에는 수직방향으로 대류(對流)가 발달하여 적운(積雲)과
적란운(積亂雲)이 많이 나타났으나, 가을이 되면 수평방향으로 흐르는

67
권운(卷雲)과 고적운(高積雲) 등이 자주 눈에 띈다. 가을하늘이 맑은 것은
대기의 대류가 여름보다약해서 먼지가 고공(高空)으로 올라가지 못하고, 쉽게 비에
씻겨내리기 때문이다. 식물계에서는 단풍 ·낙엽 ·결실(結實)의
현상이 일어납니다. 식물에게 가을은 그 해의 결산기에 해당하는데, 다가올 겨울에
대비하기 위해, 또 이듬해의 봄을맞기 위해 이러한 현상들이
일어난다. 과일과 씨의 형성은 식물이 종족을 보존하기 위한 방법이다. 가을은
산과 들이 온통 색채의 세계를 이룬다. 참단풍나무 ·큰잎단풍나무
·꽃단풍나무 등 각종 단풍나무를 비롯해 은행나무 ·졸참나무 ·느티나무 ·화살나무
·옻나무 ·박달나무 ·개머루 ·담쟁이덩굴 등 수많은 낙엽수가
산야를 붉고 노랗게 물들이다. 한국에는 이러한 수종(樹種)이 많아, 설악산 ·내장산
등 단풍의 명승지가 많다. 또, 사과 ·배 ·감 ·밤 ·대추
등 과일을 비롯하여 산야에 자생하는 나무와 풀도 제각기 아름다운 빛깔의 열매를
맺어 가을의 경치를 더욱 북돋운다. 가을은 봄과 마찬가지로
일교차가 큰 날씨가 된다.

2.4) 겨울의 특징:


1 년 중 가장 추운 계절이며, 그 중에서도 가장 기온이 낮은 때는 1 월
중순에서 하순 사이이다. 24 절기의 대한인 1 월 20 일경이 가장 춥다. 한국의
겨울의 특성을 간추려 보면 다음과 같다.

 해돋이 시간이 늦고 해넘이 시간이 빨라서 낮의 길이가 매우 짧다(서울의


경우 동지인 12 월 21 일경의 낮길이는 9 시간 34 분으로, 하지인 6 월 21 일경의
14 시간 45 분보다 무려 5 시간 11 분이나 짧다).

 태양의 남중고도가 낮아, 그림자가 가장 길어진다.

68
 날씨는 시베리아 한랭기단에 지배되어 북서계절풍이 탁월하다. 산맥의
북서쪽에 해당되는 곳에는 눈이 많이 내리고, 남쪽에 해당되는 곳에는 맑고 건조한
날씨가 지속된다 (예를 들면, 호남 서해안은 눈이 잦은데 영남 남동해안 지방은
맑은 날이 많다). 또한, 위도가 비교적 낮고 3 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인데도,
같은 위도의 다른 지역과 비교할 때, 대륙 내부를 제외하고는 세계적인 저온지역에
속한다.
 대도시에서는 많은 연료를 소비하는 등의 영향으로 최근 겨울기온이
상승하는 경향에 있으며, 이에 따라 교외와 도심에서 몇 도의 기온차가 생기는
것은 흔히 볼 수 있다. 그러나 대도시의 이러한 현상을 제외하면 최근 겨울기온은
점차 저하되는 경향을 보이며, 이는 고위도지방일수록 뚜렷하다. 그러나 한국은
아직 그러한 기온저하 현상을 보이지 않으며, 오히려 약간 상승하는 추세에 있다.

 삼한사온 현상이 나타나는데, 삼한사온이란 3 일은 춥고 3 일은 따뜻하다


라는 뜻이다.

3) 북한과 남한의 기후 차이:


대체로 한국보다 남쪽에 있는 나라들은 덥고, 한국보다 북쪽에 있는
나라들은 춥다.
한국도 전부 기후가 똑같은 건 아니다. 남쪽 지방은 좀 더 따뜻하고, 북쪽
지방은 더 춥다. 그러니까 남쪽 지방은 봄과 여름이 길고, 북쪽 지방은 겨울이 긴
다. 그리고 같은 겨울도 북쪽 지방이 훨씬 더 춥다.
기후가 다르면 옷차림과 음식, 집 모양까지도 달라진다.
따뜻한 남쪽 지방은 집을 한줄로 지어서 바람이 슝슝 잘 통하게 한다.
반대로 추운 북쪽 지방은 방들을 겹겹이 겹쳐 놓아서 따뜻한 공기가 밖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게 한다.
음식도 많이 달라진다. 기후에 따라 잘 자라는 작물도 다르고, 보관 방법도
달라진다. 여름에 많이 먹는 냉면은 원래 북부 지방의 음식이다. 북부 지방은

69
날씨가 서늘해서 벼가 잘 자라지 않다. 그 대신 메밀은 잘 자란다. 바로 이 메밀로
쫄깃한 냉면을 만드는 것이다.
하지만 요즘은 집을 짓는 방법도 발달하고, 농사 짓는 방법, 음식 보관하는
방법들도 좋아져서, 옛날보다는 차이가 크게 줄어들었다.

[그림 26] 북부 지방의 집 [그림 27] 제주도 지방의 집

 숙제:
다음 질문에 답하십시오.
1) “기후”란 ……………………………………………………것입니다.
2) 한국처럼 일 년에 네 계절이 뚜렷한 기후를 ………라고 합니다.
3) 한국의 잠마는 몇 월부터 시작됩니까? ……………………………

70
제 8과
한국의 산
1) 산의 특색:
한국은 산도 많고, 강도 많고, 또 동서남북 네 방향 가운데 세 방향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다. 그러니 이런 산과 강과 바다를 미리미리 알아 두지 않고 무작정
여행을 떠나면 안 된다.
특히 산을 모르고는 한국을 안다고 할 수 없다. 한국은 전체 땅 면적의
2/3 가 산입니다. 산이 평지보다 훨씬 많다.
원색 지도를 보면 이 사실을 금방 알 수 있다. 작은 산도 산은 산이니까,
갈색으로 그린다. 평지는 초록색으로 그리게 된다. 한국 원색 지도에는
초록색보다는 산지를 나타내는 갈색이 훨씬 많다.
원색 지도를 보면, 갈색 가운데에도 유달리 진한 갈색이 징검다리처럼
연달아 그려진 것이 있다. 이것은 높은 산들이 줄을 지어 솟아 있다는 뜻이다.
이렇게 줄줄이 솟은 높은 산들을 산맥이라고 한다. 그럼 한국에는 어떤 산맥들이
있는 지 같이 알아본다.

71
[그림 7] 한국의 산맥
기울어진 가로 방향의 산맥이 세로 방향의 산맥보다 훨씬 많다는 사실과
남한 지역보다는 북한 지역에 산맥이 더 많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사방 어디든지 산이 보일 것이다. 마치 산이 나를 뺑 둘러싼 듯이.
이렇게 산이 많은 한국. 하지만 그 많은 산 가운데 높고 뾰족한 산은 별로
없다. 대부분의 산이 나직나직하고 동글동글하다. 마치 한국 사람들의 생김처럼
나직나직하고 동글동글하다. 그건 한국 산들이 나이가 아주 많은 할머니 산이기
때문이다.
산도 사람처럼 태어나 늙고 죽는다. 그런데 산은 사람과는 달리 막 태어난
아기 때가 가장 크다. 그런 뒤에는 세월이 지나면서 비바람에 깎여 차츰 작아진다.
그래서 산이 나이를 아주 많이 먹으면, 꼬부랑 할머니처럼 키도 작아지고 뾰족했던
봉우리며 바위들도 납작해지는 것이다.

72
동쪽에 솟아난 높은 산들은 한국에서 가장 긴 “태백산맥”을 이룬다. 이렇게
동쪽에 높은 산들이 많다 보니, 한국은 전체적으로 동쪽이 높고 서쪽이 낮은
모양이 되었다. 이런 걸 동고서저의 지형이라고 부른다.
2) 산의 역할:
산은 농사를 짓거나 생활하는 데는 조금 불편하지만, 사람들에게 여러 가지
이로움을 준다.
산에는 나무가 많다. 이 나무들은 우리가 숨쉬는 데 꼭 필요한 산소를
만들어 준다. 큰비가 내리면 나무들이 뿌리로 물을 흠뻑 빨아들여 홍수를 막아
준다.
또 책상이며 장롱이며 연필 같은 것들이 전부 나무로 만들어진다. 게다가
우리가 매일 쓰는 종이의 원료도 나무란다. 옛날에는 나무를 땔감으로도 썼다.
산의 땅 속에는 석탄, 쇠, 구리 같은 지하 자원들도 많다. 이런 지하 자원이
없이는 공장에서 물건을 만들 수 없다.
또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있다. 그것은 바로 산의 아름다운 경치란다. 울창한
숲 속에 사계절 수많은 꽃이 피고 지고, 크고 작은 동물들이 뛰어노는 풍경은
보기만 해도 기분이 좋아진다.
3) 백두산 뻗어내려 백두대간:

[그림 8] 백두산

73
그 백두산은 잘 알다시피 한반도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높이는 무려
2744 미터! 63 빌딩을 열 배로 늘려 세워도 닿지 않는 높이란다. 그렇게 높은 곳은
일 년 중 대부분이 겨울이다. 한 여름에도 서늘하다. 산꼭대기에는 사계절 눈이
덮여 있다. 그런데 이렇게 추운 백두산도 예전에는 뜨거운 불을 뿜는 화산이었다.
물론 지금은 화산의 신경을 잃고 차가운 눈보라에 휩싸여 있지만, 그 흔적은
아직도 남아 있다. 바로 백두산 꼭대기에 있는 천지라는 호수이다. 이 호수는
지금은 물로 가득 차 있지만, 옛날에는 무서운 불을 뿜던 분화구였다.

천지 호수 사진

74
백두산은 한국 민족이 비롯된 곳이라고 한다. 단군 할아버지가 이 곳에 처음
나라를 열었다. 그 전설이 사실이건 아니건, 백두산은 그만큼 한 민족에게 신성한
산이라고 한다.

[그림 8] 북한 지역의 산
높다높은 백두산을 곁에 두고 있다 보니, 북한에는 높은 산들이 많다.
한국에서 2000 미터가 넘는 산은 모두 북한에 있다. 이렇게 높은 산들이 잔뜩
펼쳐진 백두산 남쪽의 지역을 “개마고원”이라고 한다. 가 보진 않았지만 얼마나
험할지 눈앞이 아찔하다.
4) 한라산:
백두산은 북쪽 끝에 있는데 반해, 한라산은 남쪽 끝에 있다. 그것도 땅끝이
아니라 바다 건너 제주도에 있다. 한라산은 높기는 하지만 생김새는 아주 순하다.

75
급격한 오르막이나 거친 바위가 별로 없다. 그런데 이렇게 순한 한라산도 옛날에는
백두산처럼 화산이었다. 한라산 (1950 미터) 꼭대기의 호수 백록담은 분화구였다.
하지만 지금 한라산은 온화한 어머니처럼 산기슭에 360 개가 넘는 새끼 화산들을
품은 채 조용히 제주도를 굽어보고 있다.

한라산과 백록담 사진

6) 지리산:

76
남한의 육지에서 제일 높은 산은 지리산이다. 지리산의 높이는
1915 미터이다. 지리산은 높기도 하지만, 산자락이 넓고 웅장한 것으로 더
유명하다. 그 골짜기마다 유명한 절들도 많고, 또 역사의 사연도 많이 배어 있다.
등산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지리산의 수많은 봉우리들을 타고 넘어가는 길을 한국
최고의 등산길로 친다.

[그림 9] 남부 지방의 산
남한도 그렇다. 동쪽에 뻗은 태백산맥은 한국에서 가장 길면서, 남한에서
가장 높은 산맥이기도 한다. 다른 산맥이는 1500 미터 넘는 산이 별로 없는덴,
태백산맥에는 수두룩한다. 특히 태백산맥의 산들은 유달리 경치가 빼어나기로도
유명하다.

77
7) 금강산, 설악산:
태백산맥의 맨 위쪽에 자리한 금강산 (1638 미터)은 그 아름다움이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졌다. 기기 묘묘한 바위들이 어우러진 일만이천 개의 봉우리!
옛날 신라 시대에는 화랑들이 이런 멋진 경치에 둘러싸여 수련을 쌓았다.
금강산에서 조금 아래로 내려오면, 그에 뒤질세라 빼어난 자태를 뽐내는
설악산 (1708 미터)이 있다. 설악산은 지리산의 웅장함과 금강산의 아름다움을
함께 갖춘 산이라는 칭찬을 듣고 있다. 특히 희귀한 동식물이 많이 살아서,
유네스코라는 국제단체에서 생물권 보존 지역으로 정하기까지 했다.
또 그 밑의 오대산 (1563 미터), 또 그 밑의 함백산 (1573 미터), 또 그 밑의
태백산 (1567 미터), 또 그 밑의… …. 일일이 다 말하기가 힘들정도이다.
한국 사람들의 조상님들은
한국의 모습을 만주 땅을 향해
으르렁거리는 호랑이로보았다. 이
호랑이의 등뼈가 태백산맥이다.

[그림 10] 한국의 영토는 호랑이


모양처럼 보입니다.

4) 국립 공원이 된 산:
경치가 좋아 사람들이 많이 찾는 명승지 가운데 특히 아름다운 곳들은 국립
공원으로 정해 보호한다. 한국에서 가장 먼저 국립 공원으로 정해진 곳은
지리산이다. 그 후 지금까지 모두 스무 곳이 국립 공원이 되었다. 그런데 그 가운데

78
무려 열다섯 곳 – 설악산, 오대산, 치약산, 소백산, 월악산, 속리산, 계룡산, 주왕산,
덕유산, 가야산, 내장산, 지리산, 한라산, 월출산, 북한산 – 이 산이라고 한다.
그만큼 경치 좋은 곳 중에는 산이 많다는 얘기이다.

 숙제:
오늘 수업에 배운 내용을 잘 파악해서 다음 질문에 답하십시오.
1) 한국의 지형 특징은 …………………………………………이다.
 동저서고  북저서고  동고서저  북고동저
2) 한국에서 가장 긴 산맥은 …………………………………이다.
 백두산맥  태백산맥  소백산맥  노령산맥
3) 한반도에서 가장 높은 산은 …………………………………이다.
 한라산  금강산  설악산  백두산
4) 백두산 꼭대기에 호수가 있어요. 그 호수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 잔치  천지  전치  백록담
5) 남한에서 제일 높은 산은 어느 산입니까?
 지리산  금강산  한라산  설악산
6) 한라산 꼭대기에 있는 호수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 백록담  백룩담  천지  전치
7) 남한의 육지에서 제일 높은 산은 ……………………………이다.
 금강산  지리산  설악산  소백산
8) 신라시대에 청년화랑들이 이 산에서 훈련을 했습니다. 이 산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 지리산  금강산  한라산  설악산
9) 한국에서 가장 먼저 국립 공원으로 정해진 곳은 …………이다.
 지리산  금강산  한라산  설악산

79
80
제 9 과:
한국의 강과 바다
9.1. 강의 특색:
산이 많아 아름다운 한국, 금강산, 한라산, 설악산, 지리산, 백두산 등등… 산
이름들도 얼마나 예쁜지 모른다.
게다가 어디를 가든지 골짜기 사이로 시원한 물이 콸콸콸 쏟아져 내려온다.
이렇게 골짜기를 흐르는 물 때문에 산들은 훨씬 더 아름답고 다정하게 느껴진다.
하지만 그뿐인 아니다. 강물이 없다면, 한국에는 아예 사람이 살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사람은 강이 없이는 살기 어렵다.
한국에는 강이 아주 많다. 강이란 산에 내린 빗물이 합해져서 생기는 건데,
한국은 산이 많다. 게다가 비도 많이 내리는 편이다.
삼천리 방방 곡곡 강줄기가 뻗지 않은 곳이 거의 없을 정도라고 한다.
굵은 선으로 표시한 것은 특히 중요한 큰 강들이다. 물론 작은 강들이라고
중요하지 않은 건 아니다.

강의 고향은 산이다. 산골짜기를 흐르는 작은 물줄기에서 시작한다. 그러다


산을 내려가면서 이 골짜기 저 골짜기의 물과 합해져서 몸집이 커진다. 산을
내려간 뒤에도 강은 점점 다 낮은 땅으로 흘러가며, 다른 물들과 자꾸자꾸
합해진다. 그렇게 해서 아주 큰 물줄기가 된 강은 마침내 바다로 사라진다.
이렇게 여러 군데서 시작하고, 서로 만나서 합해지고 하다 보니, 강의
지도는 어지러워지는 것이다.
하지만 그 속에도 규칙이 있다.

81
[그림 14] 한국의 강 지도

한국은 동쪽이 높고 서쪽이 낮다고 한다. 물은 높은 데서 낮은 데로


흐르니까, 서쪽으로 흐르는 강이 많을 수밖에 없다. 또 동쪽에서 서쪽까지 먼 길을
흐르다 보면 자연히 강이 커진다. 그래서 서해 쪽에 큰 강이 많은 거라고 한다.
북한과 중국의 경계를 이루는 두만강은 동해로 흘러드는데, 그 길이가
남북한을 통틀어서 세번째로 긴다.
오래 전에 생긴 길을 작년이나 올해나 꾸준히 흘러가는 강. 그래서 강은
언제나 변함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강은 많은 변화를 겪는다. 특히 한국의
강들은 계절에 따라 몸매가 아주 달라진다.
비가 안 오면 아무리 큰 강도 버티지 못하고 바짝바짝 마른다. 하지만 비가
너무 많이 오면 강은 자꾸자꾸 뚱뚱해지다가 어느 순간 터진다. 그럼 강가에는
사방 팔방 물날리가 난다.
한국의 강들은 해마다 이렇게 홀쭉이가 되었다 뚱보가 되었다 한다. 뚱보가
되었을 때는 홀쪽이 때보다 대충 500 배쯤 더 뚱뚱해진다.

82
한국의 강이 심하게 변하는 건, 계절에 따라 비가 들쭉날쭉하게 오기
때문이다. 여름에는 비가 많이 오지만, 다른 계절엔 별로 안 온다. 특히 겨울에는
더한다. 눈하고 비하고 다 합해도 여름의 반의 반의 반도 안 된다.
그러나 여름엔 물이 너무 많아 걱정, 겨울엔 물이 너무 적어 걱정이라고
한다. 하지만 일년 내내 비가 거의 오지 않는 나라들도 있다. 그런 나라들에 비하면,
한국은 훨씬 다행이다.
여름에 비가 많이 오는 게 그리 나쁜 일만은 아니다. 여름은 날씨가 덥기
때문에 여러 가지 곡식들이 잘 자란다. 이때 비까지 팍팍 내려주니 농사에는 아주
좋다.
9.2 강의 역할:
농사 짓는 데 강이 중요하다는 이야기는 이미 했다. 강의 하류에는 넓은
평야가 펼쳐진 경우가 많다. 게다가 강물이 산골짜기에서 싣고 오는 흙은 아주
기름져서, 이 흙이 쌓인 곳에서는 곡식이 잘 자란다.
자동차가 없던 옛날, 강은 사람과 물건을 배에 실어나르는 길도 되었다.
뱃길은 짐을 많이 나를 수도 있었고, 또 산이나 언덕에 방해받지도 않으니 편하고
빨랐다. 그래서 강가에는 옛날부터 큰 시장이 많이 섰고, 이런 큰 시장들이 도시가
되었다.
9.3. 압록강, 두만강:
한국에서 가장 큰 산이 북한에 있듯이, 가장 큰 강도 북한에 있다. 이 강은
큰 산인 백두산에서 흘러내린다. 높은 데서 내려와 멀리멀리 흐르다 보니 강도
커진다. 이 강의 이름은 압록강 (925,502 km)이다.
그런데 백두산에서는 압록강만 흘러내리는 것이 아니다. 두만강 (610
km)도 있다. 그런데 압록강은 서해로 흘러들고, 두만강은 동해로 흐른다. 같은
곳에서 시작해서 서로 반대쪽으로 흐른다. 압록강과 두만강이라는 큰 강이 두 개나
흘러내리니, 과연 백두산은 큰 산이다.

83
한강
강의 넓이는 비가 많이 왔을 때를 기준으로 삼는 건데, 여기에 따르면
남한에서 가장 큰 강은 한강이다. 한강 (497.25 km)은 그 이름부터 이미 “큰
강”이란 뜻이다.
한강은 크기도 하지만 한국의 한가운데를 흐르고, 또 수도 서울을 끼고
있어서 여러 모로 아주 중요한 강이다.
한강의 특징 중의 하나는 상류 부분이 둘로 나뉘어 있다는 것이다. 큰
강들은 대개 상류에 여러 개의 작은 강들이 있다. 이렇게 작은 강들을 “천”이라고
한다. 그런데 한강을 이루는 강들은 아주 커서 둘 다 어엿한 “강”으로 부른다. 그
이름도 아주 알아 두기 쉽다. 북쪽에 있는 건 북한강이고 남쪽에 있는 건
남한강이다.
낙동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임진강
부산 앞바다로 흘러드는 강, 낙동강 (513.5 km)이 남한에서 가장 긴 강이다.
꼬불꼬불 대구를 지나고, 안동을 지나고 … 우와, 한국의 거의 절반을 가로지른다.
서울과 그 근처 지방 주민들이 한강에 의지하고 살아간다면, 이 곳 남동쪽
지방 주민들은 낙동강이 없이는 살 수가 없다. 그리고 한강 아래쪽에 보면 금강
(407.5 km)이라는 예쁜 이름의 강이 흐른다. 원래 이름은 “곰강”이었는데 세월이
지나면서 바뀐다. 옛날에 강 위로 배들이 많이 다니던 시절, 금강 가의 마을
“강경”에는 한국에서 몇 손가락 안에 꼽히는 큰 시장이 섰다. 그리고 금강
아래쪽의 영산강 (138.75 km), 영산강 동쪽의 섬진강 (225 km), 한강 북쪽에 있는
임진강 (254 km)까지가 한국에서 가장 큰 강 여섯 개로 꼽힌다.
임진강은 사실 섬진강, 영산강보다도 더 큰 강이다. 그런데 바다로 들어가기
직전에 한강이랑 합쳐진다. 게다가 한강이 워낙 큰 강이다 보니, 사람들은 한강
옆에 임진강이라는 큰 강이 있다는 걸 가끔 잊는다.
이 강들이 크고 또 중요하긴 하지만, 이 밖의 다른 강들이 중요하지 않은 건
아니다. 작아도 큰 평야에 물을 대는 강도 있다. 하지만 한국에 대해서 알려면 이
여섯 강 정도는 기본이다.

84
힘센 홍수, 더 힘센 댐:
한국 강들은 비가 여름에 집중적으로 내려 큰 문제가 일어난다. 여름엔 비가
너무 많이 와서 걸핏하면 홍수가 나고, 겨울과 봄엔 비가 너무 안 와서 가뭄이 든다.
특히 봄에 가뭄이 들면 농민들은 농사일을 시작하지도 못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는 댐을 세우는 것이다. 댐이란
강물을 막는 커다란 둑을 말한다. 강에 댐을 세우면 주변에는 아주 큰 호수가
생긴다. 댐은 바로 이 호수를 이용해서 홍수와 가뭄을 줄이게 된다.
댐에는 물을 내보내는 수문이 있다. 비가 많이 오면 이 수문을 닫아걸고
호수 가득 물을 받아 둔다. 가뭄 때는 그 반대이다. 수문을 활짝 열어젖혀 그 동안
모아 놓은 물을 콸콸 내보낸다. 그래서 댐들이 많이 세워진 이후, 한국은 옛날보다
가뭄이나 홍수를 덜 겪게 되었다.
그뿐인 아니다. 댐은 전기도 만든다. 높다란 댐 위에서 물을 떨어뜨리면
물은 엄청난 힘으로 쏟아져 내린다. 이 힘으로 기계를 돌려서 전기를 만드는
것이다. 이런 걸 “수력 발전”이라고 한다. 홍수 조절에 가뭄 방지와 수력 발전까지!
이렇게 여러 가지 일을 하는 댐을 다목적 댐이라고 한다. 반면 댐을 세우면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기기도 한다.
댐을 세우면 댐 주변의 넓은 땅이 물 속에 잠기게 된다. 그래서 사람들은
고향을 떠나야 하고, 동식물들도 살 곳을 잃는다. 또 환경도 심하게 파괴된다.
환경은 한번 파괴되면, 원래 상태로 돌아가기가 아주 어렵다. 그러니 무조건
댐부터 세우고 볼 일이 아니다.
9.4. 동해, 서해, 남해의 특색:
산골짜기에서 태어나 들판을 구불구불 흐르며 여러 가지 일을 한 강물은
마침내 바다로 사라진다.
하지만 바다로 사라진다고 우리 곁을 아주 떠나는 건 아니다. 바다도
우리들과 친하다. 바다는 땅처럼 발을 디디고 다닐 수가 없어서 좀 멀어 보이지만,
옛날부터 사람들은 바다와 사이가 좋았다. 그래서 끝없이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가서
많은 선물을 받아 왔다.

85
한국에는 바다가 셋이나 있다. 한국은 동서남북 네 방향 중에서 동쪽 서쪽
남쪽 세 방향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다. 북쪽은 육지로 중국과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한쪽만 빼고 온통 바다로 둘러싸인 땅을 “반도”라고 한다. 그래서 한국은
“한반도”라고도 불린다.
바다들은 강처럼 멋진 이름이 없다. 동쪽 바다는 동해, 서쪽 바다는 서해,
남쪽 바다는 남해라고만 부른다.

[그림 16] 한국의 바다


이 세 바다는 성격은 서로 다르지만, 한국을 폭 둘러싸고 사이좋게 지낸다.
지도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바다의 이야기가 들릴 것이다.
동해는 태백산맥에서 별로 멀지 않다. 높은 산과 가까운 바다는 깊다. 산의
가파른 기울기가 바다 밑까지 이어지기 때문이다. 평평한 서쪽에 있는 서해는
그다지 깊지 않다. 서해는 넓다. 서해는 등고선이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서 아예
보이지도 않다.

86
그런데 밑의 지도를 보니 동해와 서해의 또 다른 차이점 하나가 눈에 띈다.
바로 바다와 육지가 만나는 해안선의 모습이다. 동해는 해안선이 별로 복잡하지
않고 밋밋하다. 바다에 섬도 별로 없다. 지도 그릴 때 아주 편하겠다.

[그림 17] 동해안 [그림 18] 서해안


서해는 꼬불꼬불 들쭉들쭉, 복잡하기 이를 데 없다. 게다가 또 섬도 아주
많다. 서해의 지도를 그리려면 아주 힘들겠다.
먼저 동해는 파도가 세차게 쳐서 바닷가에 흰 모래가 많다. 이런 곳은
해수욕장으로 알맞다. 깊고 시원한 바다, 촤르르 부서지는 파도, 쭉쭉 뻗은 하얀
모래밭… 깊은 바닷속에 고기도 많이 살아서 고기잡이에도 좋다.
서해로는 강이 많이 흘러든다. 그래서 강들이 싣고 온 고운 흙들이 바닷가에
쌓여 검고 끈끈한 갯벌을 이룬다. 갯벌은 겉으로는 좀 지저분해 보이지만, 사실은
얼마나 깨끗한지 모른다. 오염된 바닷물을 싹 걸러 준다. 그리고 영양분을 잔뜩
담고 있어서 수많은 동식물들의 집이 되어 준다. 그리고 서해는 바다가 얕아서
바닷속에 집을 지어 놓고 물고기나 조개 등을 키우는 “양식”도 많이 할 수 있다.
남해는 아주아주 꼬불꼬불하다. 서해처럼 남해도 그다지 깊지 않다. 그리고
큰 강이 여럿 흘러들어서 갯벌이 많다.

87
그럼 서해와 남해의 차이는 바로 밀물과 썰물의 차이라고 한다. 밀물과
썰물이란 바닷물이 하루에 두 번씩 육지로 밀려들어왔다 빠져 나가는 일을 말한다.
바닷물이 밀려들어올 때를 밀물, 빠져나갈 때를 썰물이라고 한다.
서해는 이 밀물과 썰물이 아주 크게 일어난다. 그래서 썰물 때는 육지였다가
밀물 때가 되면 온통 바닷물로 뒤덮이는 곳이 많다. 하지만 남해는 밀물과 썰물이
서해만큼 크게 일어나지 않다. 동해는 밀물과 썰물이 거의 없다시피 한다. 그러니
남해는 서해와 동해 성격의 중간쯤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림 19] 남해안


이렇게 바다 삼형제가 성격이 제각각이나 얼마나 다행이다. 깊은 바다에도
가고 얕은 바다에 가고, 보래밭도 다니고 갯벌도 다니고, 파다도 보고 밀물도 보고
말이다.

9.5. 바다의 역할:


물고기가 아니면서 바다에서 사는 동물로는 오징어, 문어, 낙지같이
흐물흐물한 것들이 있고, 게와 새우처럼 껍질이 딱딱한 것도 있다. 껍질이
딱딱하기로는 조개도 빼놓을 수 없다.
김, 미역, 다시마 같은 것들처럼 바닷속 땅이나 바위에 사는 풀들도 있다.
이렇게 바다에서 나는 먹을 것들을 “해산물”이라고 한다. 한국은 바다가
셋이나 돼서 해산물이 풍부한 편이다. 오늘 저녁 밥상을 한번 봅시다.
바다에서 나는 것 가운데 중요한 것 한 가지가 또 있다. 바로 소금이다.

88
우리가 먹는 소금은 모두 바다에서 나온다. 바닷물을 끌어들여다가 햇볕에 말리면
밑에 하얀 소금이 남는다. 이것을 가지고 음식을 짭짤하게 양념하는 것이다.

[그림 20] 소금을 만들어 내는 염전의 모습


소금을 만드는 곳을 염전이라고 하는데, 염전은 바다가 얕고 또 밀물이 크게
드는 서해에 많다.

9.6. 바다 위의 섬:
동해 바닷가에 가면 멀리 수평선이 보이다. 높은 하늘과 깊은 바다가 만나서
끝없이 옆으로 이어진 수평선. 그 모습을 바라보노라면 마음까지 탁 트이는 듯
시원해진다.
그런데 서해 바닷가나 남해 바닷가에서는 수평선이 안 보이는 곳이 많다.
앞바다에 섬들이 옹기종기 모여 있어서 그렇다.
한국은 섬도 많은 편이다. 모두 3000 개가 넘는다. 그런데 이 중에 사람이
사는 섬은 500 개 정도밖에 안 된다. 나머지는 전부 사람이 한 명도 안 사는
무인도이다. 무인도라는 게 멀고 먼 나라에만 있는 게 아니다.
이렇게 많은 섬들은 대개 서해와 남해에 몰려 있다. 섬들은 얕은 바다를
좋아한다. 그 중에서도 특히 서해와 남해가 만나는 남서쪽 바다는 섬이 어찌나
많은지, 바다 이름까지도 “섬 많은 바다”라는 뜻의 다도해라고 한다.
크고 작은 섬들이 푸른 바다와 어우러진 다도해는 경치가 몹시 빼어나서
국립 공원으로 정해졌다.

89
다도해의 섬들을 꼬불꼬불 해치고 남쪽으로 내려가면, 한국에서 가장 큰 섬
제주도가 나온다. 제주도는 한국에서 가장 남쪽에 있는 섬이기도 한다.
한라산이라는 멋진 산, 따뜻한 날씨 속에 피고 지는 희귀한 꽃들, 깨끗한 바다…
이런 제주도의 아름다움은 온 나라의 자랑거리이다.
가장 동쪽에 있는 섬은 사람이 살 수 없는 돌투성이 섬이지만 아주 중요한
섬, 바로 독도라고 한다. 독도가 동해 바다 멀리 뻗어 나가 있어서, 한국 바다도
그만큼 넓어질 수 있었다. 그런데 일본이 자꾸 자기네 땅이라고 우긴다. 이 밖에도
한국에는 특색 있는 섬들이 많다.
간척 사업:
한국은 인구에 비해 땅이 좁은 편이다. 어디를 놀러 가든지 사람들이
복작복작하다. 그리고 놀 때만 불편한 게 아니다. 때로는 일하기도 불편하다. 농사
지을 땅이나 공장 세울 땅이 부족하다.
그래서 간척 사업을 시작했다. 간척 사업이란 바다를 땅으로 만드는 일을
말한다. 먼저 바다에 둑을 쌓아서 바닷물을 막는다. 그런 다음에는 둑 안의 물을
퍼내고, 그 자리에 흙이며 돌이며 하는 것들을 잔뜩 넣는다.
간척 사업은 바다가 얕고 밀물과 썰물이 큰 서해에서 많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간척 사업을 하면 땅은 넓어져서 좋지만, 갯벌이 크게 파괴되는 문제도
있다. 자연을 이용하는 일은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
바다의 국립 공원:
국립 공원 스무 곳 가운데 열다섯 곳은 산이었다. 나머지 다섯 곳 중 네 곳은
바다라고 한다.
그런데 동해에는 국립 공원이 하나도 없다. 그렇다고 동해의 경치가 별 볼일
없는 것은 아니다. 서해나 남해처럼 섬과 육지와 바다가 아기자기하게 어울린
경치가 없을 뿐이다.

90
 숙제:
다음 질문에 답하십시오.
1) 백두산에서 서해로 흘러내린 강은 어느 강입니까?
 두만강  섬진강  낙동강  압록강
2) 남한에서 제일 큰 강은 ………………………입니다.
 영산강  한강  낙동강  금강
3) 남한에서 제일 긴 강은 …………………………입니다.
 영산강  한강  낙동강  금강
4) 남한의 큰 강 – 여섯 강의 이름을 쓰세요.
………………………………………………………………………………………
………………………………………………………………………………………
5) 다목적 댐이라는 것은 무엇입니까?
………………………………………………………………………………………
………………………………………………………………………………………
………………………………………………………………………………………..
...................................................................................................................
.................................................................................................................
6) 왜 한국은 “한반도”라고 불립니까?
………………………………………………………………………………………
………………………………………………………………………………………
………………………………………………………………………………………
7)“해안선”과 “수평선”이라는 말은 무엇입니까?
………………………………………………………………………………………
………………………………………………………………………………………

91
8) “갯벌”은 무엇입니까?
………………………………………………………………………………………
………………………………………………………………………………………
………………………………………………………………………………………
9) “밀물”과 “썰물” 개념을 설명하세요.
………………………………………………………………………………………
………………………………………………………………………………………
………………………………………………………………………………………
………………………………………………………………………………………
10) “염전”은 어떤 곳입니까?
…………………………………………………………………………………
11) 한국에서 가장 큰 섬은……………………………입니다.
12) 한국에서 가장 동쪽에 있는 섬은 ……………………입니다.
13) “간척 사업”이란 ……………………………………… 말합니다.

92
제 10 과
수도권 지역
인구 (2012 년) 인구밀도 면적

서울 9,976,000 명 16,483 명/km2 605,522 km2

인천 2,793,000 명 2,706 명/km2 964,39 km2

경기도 11,937,000 명 1,174 명/km2 10,184 km2

* 출처: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시도편: 2010-2040], 국토해양부 [지적통계]


10.1. 수도권 형성된 600 년 역사
수도권은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그리고 경기도, 이렇게 세 군데의
지역을 한꺼번에 일컫는 말이다. 수도, 즉 으뜸 도시란 한 나라를 이끌어 가는 중심
시설을 갖춘 곳을 말한다. 그러니 으뜸 도시를 안고 있는 수도권은 한국의 중심일
수밖에 없다.

[그림 33] 대한 민국 전도

93
통일이 되면 수도권은 한국의 가운데 부분이 되겠지만, 남한만 보면
북쪽하고도 서쪽 끝에 있다. 그러니까 수도권은 한국의 중심이기도 하고
끝부분이기도 한다.
이 곳에서부터 우리는 전국 탐방 여행을 시작할 것이다.
수도권에 인구가 많은 건 전국 방방곡곡의 사람들이 수도권으로
모여들었기 때문이다.
수도권으로 사람들이 모이기 시작한 건 아주 옛날부터이다. 수도권은
한반도의 중심 부분에 자리잡고 있는데다가, 넓은 한강이 출렁출렁 흘러서 배를
타고 다니기도 편했고, 또 한강 하류에는 기름진 평야까지 있었다.
그래서 멀고 먼 옛날인 삼국 시대에도 고구려, 백제, 신라 세 나라는
수도권을 차지하려고 쉴새없이 싸웠다.
그 후 고구려 경기도 북부의 개성 (지금은 북한 땅)을 수도로 삼으면서
수도권은 한국의 확실한 중심이 되었다.
고려가 끝나고 조선이 건국되면서 오늘날의 서울로 수도가 옮겨졌다.
지금부터 600 년도 더 전의 일입니다. 옛날에는 수도를 도읍이라고 했다. 이 때
서울은 한양 또는 한성이라고 불렸다. 지금처럼 크지도 않았다. 지금의 서울에
비하면 1/40 밖에 안 되었다.
도읍이 되자 서울은 더욱 발전했고 인구도 많이 늘었다. 조선 말기에는
인구가 무려 20 만 명이나 되었다. 지금은 서울 인구가 1000 만도 넘는데 20 만이
뭐 많은 커냐고 할지도 모르지만, 그 당시로는 대단히 인구였다.
이후 사울은 한국의 수도로 다시 태어났다. 그런 뒤 서울은 옛날과는
비교할 수 없이 팍팍 커졌다. 한국 경제가 옛날과는 비교할 수 없이 커졌다. 그리고
서울은 그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
이에 따라 가까이에서 서울을 도와 주는 수도권 지방들도 같이 커졌다.
인천은 원래 바닷가의 작은 어촌이었는데, 바다에서 서울로 물건을 들여오는
항구로 성장을 겨듭해서 1981 년엔 직할시가, 또 1995 년에는 광역시가 되었다.

94
서울이 비좁아지자 사람들은 서울 바깥쪽으로 나와 살게 되고, 서울
주변 지역도 계속 커져 지금처럼 발달하게 되었다.
10.2. 수도권의 위치
한양이 조선의 도읍으로 결정된 큰 이유는 나라 일을 잘 되게 하는
명당이라는 거였다. 명당은 뒤에 산이 솟고 앞에는 강이 흘러야 하는데, 한양은 뒤에
북한산이 있고, 앞에 한강이 흐른다.
북한산은 수도권의 보물이다. 수도권에 하나밖에 없는 국립 공원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렇게 큰 산은 아니다. 수도권은 다른 지역보다 평평한 편이라
큰 산은 별로 없다. 그래서 수도권 북쪽의 광주산맥은 좀 높은 편이다. 북한산도
그렇고 수도권에서 제일 높은 용문산 (1157 미터)도 광주산맥 자락이다.
한강은 한국에서 손꼽히는 큰 강이다. 북한강과 남한강이 만나서 하나의
한강이 되는 양수리 근처에는 팔당댐이 있는데, 2000 만 수도권 주민들이 마실
수돗물을 모은다.
한강과 서해가 만나는 곳에는 김포 평야가 펼쳐져 있다. 이 곳에서는 나는
쌀은 밥맛이 좋기로 유명하다.
수도권 지역에는 서해가 있다. 서해는 깊지 않고, 갯벌이 넓으며, 밀물과
썰물의 차이가 크고, 해안선이 꼬불꼬불하다. 하루동안 넓은 하늘을 달려온 해가
이 바다를 붉게 물들이며 바닷물 속에 풍덩 빠지면, 바쁜 수도권의 하루도 끝이
난다.
10.3. 유명한 궁궐, 유명한 유적
오랜 옛날부터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던 수도권에 그런 유적과 유물이 없을
리 없겠다. 첫손에 꼽을 수 있는 건 무엇보다 궁궐이다. 서울은 520 년 가까이
조선의 도읍이었기 때문에, 임금님과 그 가족이 살던 궁궐이 아주 많다.
경복궁, 덕수궁, 창덕궁, 창경궁, 경희궁 등등. 이 가운데 실제로 임금님들이
가장 많이 살면서 나라 일을 돌본 궁궐은 경복궁이라고 한다. 다른 궁궐들은 대개
임금님이 잠시 지내거나, 아니면 왕실 가족들이 산 곳이다.

95
경복궁의 건물들 가운데는 “근정전”과 “경회루”가 유명하다. 근정전은
임금님이 나라 일을 하던 바로 그 곳이다. 근엄한 기침 소리가 들리는 것 같다.
경회루는 반대로 임금님이 일을 마친 뒤 신하들과 놀던 집이다. 집은 집인데
벽도 없는데다 연못 속에 있다.
서울에는 궁궐뿐 아니라 왕실의 제사를 지내던 종묘도 있다. 유네스코라는
국제 단체는 종묘와 창덕궁을 “세계 문화 유산”으로 지정했다. 이런 유산을 제대로
보호하지 못하면 한국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손해가 되는 것이다.
서울은 사방이 높은 성벽으로 뺑뺑 둘러싸여 있었다. 동서남북 네 방향에 큰
문을 하나씩 내고 그 사이사이에 작은 문을 또 하나씩 내서 모두 여덟 군데에 문을
만들었다. 그 중 가장 유명한 것이 남쪽의 큰 문 숭례문이다.
흔히 남대문이라고 불리는 숭례문은 한국의 국보 가운데 맨 처음인
1 호라고 한다. 그런데 2008 년 2 월 11 일에 한국의 국보 1 호인 남대문은 불에
탔다.

[그림 34] 화재 전 남대문

96
[그림 35] 화재 후 남대문
서울 바깥에도 숭례문 못지않게 웅장한 문이 있다. 바로 수원의 팔달문이다.
팔달문은 보통 남문이라고 부른다.
문이 있다면 수원에도 성을 쌓았다는 말이다. 조선의 정조 임금님이, 왕이
되지 못하고 돌아가신 아버지 사도세자의 무덤을 수원으로 옮기고는 이 곳에
“화성”이라는 성을 쌓았다. 수원 화성은 당시의 가장 앞서 가는 기술들을 이용해서
쌓은 과학적인 건물이다.

[그림 36] 수원 화성

97
서울의 성은 지금 다 없어졌지만, 수원 화성은 대부분 남아서 한국
사람들에게 옛날 성벽의 운치를 전해 준다. 수원 화성도 유네스코의 세계 문화
유산으로 정해졌다.
10.4. 서울이 으뜸 도시인 이유
옛날에는 궁궐에서 나라를 다스렸듯이, 지금 서울에도 나라를 다스리는
기관들이 있다. 하지만 옛날과는 달리 한 곳에서 모든 일을 다 하지 않다.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일하고, 국회 의원들은 국회의사당에서, 대법관들은 대법원에서
일한다.
높은 사람들말고 보통 공무원들도 많다. 서울 한복판에 있는 세종로 정부
청사에는 여러 분야의 공무원들이 가득 모여 일한다.
서울은 경제를 돌보는 데도 중심이다. 그래서 돈을 만들고 은행들을 돌보는
한국은행도 서울에 있다. 한국은행은 학교로 치면 교장 선생님 같은 은행이다.
교장 선생님이 선생님들을 이끌듯, 한국은행은 은행들을 돌보는 것이다.
이렇게 정부 기관들도 모여 있고, 중요한 경제 기관들도 있어 큰 회사의
본사들도 서울에 많이 모여 있다. 그래서 아주 편리하다. 서울은 고속도로 네 개와
철도 여섯 개가 시작되는 교통의 중심지이기도 한다.
정치, 경제, 교통 등 여러 가지 면에서 한국의 중심 역할을 하는 서울은
1988 년에는 올림픽 경기를 치러 세계적인 도시로도 발돋움했다. 그래서 서울에는
올림픽과 관계된 시설들도 많다. 특히 잠실의 종합 운동장에는 한국에서 가장 큰
축구장, 야구장 등 각종 운동 경기장이 잔뜩 모여 있다.
그리고 이제는 서울뿐 아니라 다른 지역도 다 골고루 발전하는 “지방
자치”시대인데, 그 중 서해 바다를 끼고 있는 인천의 발전이 두드러진다. 인천의
항구는 부산에 이어 한국에서 두번째로 큰 항구인데 중국과 관계가 발전함에 따라
중국과 가까운 인천은 더 중요한 도시가 되고 있다.
게다가 이젠 인천에 한국에서 가장 큰 국제공항인 “인천국제공항”이 들어서
있다. 또 인천의 송도 앞바다를 간척해서 컴퓨터 관련 첨단 산업을 이끌 “송도
미디어 밸리”를 지었다. 이제 인천은 항구, 공항, 첨단 산업의 중심지가 되었다.

98
10.5. 위성 도시
서울이 비좁아지기 시작하자, 경기도가 서울의 역할을 조금씩 나눠 가졌다.
그러다 보니 경기도도 인구가 늘고 큰 건물들이 생기면서 도시로 변했다.
이렇게 서울의 역할을 나눠 갖는 도시들을 서울의 위성 도시라고 부른다.
위성 도시들은 서울에 가려서 작아 보이지만, 실제로 성남, 부천, 수원 같은 곳은
인구가 80 만을 넘는 큰 도시들이라고 한다. 집은 위성 도시에 있지만, 직장은
서울에 있는 사람들이 많다. 그래서 출퇴근 시간이 되면 서울과 위성 도시들
사이의 도로들은 자동차로 꽉꽉 미어진다.
이렇게 서울과 인천이라는 큰 도시가 둘이나 있고 위성 도시들도 많다 보니,
수도권 주민의 100 명 중 96 명이 도시 주민이다.
그래서 수도권에는 도시 문제도 크다. 도시가 커지면서 생겨나는 문제들이
바로 도시 문제이다. 먼저 땅은 좁은데 사람은 많으니 집 지을 데가 별로 없다.
그래서 수도권에는 자기 집을 갖지 못한 사람들이 많다. 그리고 너무 많은
사람들이 움직이다 보니, 교통도 무척 혼잡하고, 쓰레기도 많이 나와서 처치
곤란인데다 공해도 심하다.
하지만 수도권이 전부 이런 도시 지역인 건 아니다. 서울을 좀 벗어나면
자연의 향기를 간직한 농어촌들도 여럿 있어서 옛날부터 멋과 맛이 가득한
특산물들이 전해 내려온다. 특산물 중에 먹는 것도 있고 다른 것들도 있다.
10.6. 수도권의 특산물:

[그림 37] 강화도의 특산물, 화문석

99
강화도는 인삼이 유명하다. 그리고 화문석도 유명합니다. 화문석은 “꽃으로
수놓은 돗자리”라는 뜻이다. 그런데 진짜 바늘로 수를 놓는 건 아니고, 왕골이라는
풀을 엮어 그 위에 물감으로 고운 무늬를 새기는
것이라고 한다. 강화도의 화문석이 얼마나 유명한지, 고려 시대에는 멀리 아라비아
사람들도 와서 사 갔다.
서울에서 동남쪽으로 내려가면 이천시와 여주군이 나란히 붙어 있는데, 이
두 지역은 비슷한 점이 많다. 하나는 쌀이 맛있기로 전국에 이름이 높고, 또 하나는
옛날부터 도자기가 발달했다. 두 지역은 지금도 해마다 도자기 축제를 연다.
경기도 제일 남쪽에 자리한 안성에는 “유기”라는 그릇이 유명하다. 유기는
놋쇠로 만든 그릇을 말한다. 요즘은 놋그릇 쓰는 집이 별로 없지만, 옛날에는
놋그릇이 생활의 필수품이었다.
안성은 그릇말고도 유명한 게 또 있는데 맛있는 포도이다. 한국에서 포도를
제일 먼저 심은 곳이다.
10.7. 수도권 역사 뉴스
 1394: 조선, 한양 시대를 열었다. 1392 년에 나라를 세운 조선이 도읍을
한양으로 옯기고 한성부라 이름 붙였다.
 1593: 권율 장군, 행주산성 전투에서 큰 승리,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권율 장군이 지금의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행주산성에서 일본군을 크게
무찔렀다.
 1919: 탑골공원에서 울린 만세 소리 3.1 운동이 시작되었다. 일본이
한국을 점령하고 있을 때, 한 민족 대표 33 인이 서울 탑골공원에 모여
독립 선언서를 낭독하고 3.1 운동을 시작했다.
 1950: 유엔 군대, 인천상륙작전을 펼쳤다. 6.25 전쟁 때 유엔 군대가
배를 타고 인천에 상륙하여, 북한군을 무찌르기 시작했다.
 1988: 서울 올림픽 대회를 칠렀다. 세계 160 개 나라가 참여한 가운데
제 24 회 하계 올림픽을 서울에서 치러, 세계에 한국의 이름을 알렸다.

100
 숙제:
다음 질문에 답하십시오.
1) 서울의 옛날 이름은 무엇입니까?
………………………………………………………………………………………
2) “명당”이라는 개념을 설명하십시오.
………………………………………………………………………………………
………………………………………………………………………………………
………………………………………………………………………………………
3) 서울에 있는 유명한 궁궐들의 이름을 쓰십시오.
………………………………………………………………………………………
………………………………………………………………………………………
4) 서울의 위성 도시들을 열거하십시오.
………………………………………………………………………………………
5) 수도권의 특산물을 열거하십시오.
………………………………………………………………………………………
………………………………………………………………………………………
………………………………………………………………………………………

101
102
제 11 과
충청 지방
( 충청남도 + 충청북도)
대전 광역시
인구 (2012 년) 인구밀도 면적

충청남도 2,132,000 명 247 명/km2 8.546,8 km2

충청북도 1,551,000 명 209 명/km2 7.431,5 km2

대전 1,540,000 명 2,852 명/km2 539,78 km2

* 출처: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시도편: 2010-2040], 국토해양부 [지적통계]

11.1. 백제 시대의 문화유산을 모으는 지방


충청 지방은 한국의 중심부에 자리잡고 있어서 교통이 아주 편리하다.
서울을 출발해서 대구, 부산으로 이어지는 호남 고속도로도 여기서 갈라진다.
고속도로뿐이 아니다. 경부선, 호남선 같은 철도도 이 곳으로 모였다가
각자 자신의 길을 간다. 그래서 충청 지방에는 일 년 열두 달 수많은 사람들과
물건들이 모여든다.
충청 지방은 충청 남도와 충청 북도, 그리고 대전 광역시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지도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충청 북도는 충청 남도의 북쪽에 있지 않고,
동쪽에 있다. 그렇다고 충청 동도, 충청 서도라고 하지는 않다. 다른 도들이 다
남도와 북도로 나뉘였기 때문에 충청도도 그냥 발을 맞추어 주었다.

103
대전 광역시는 충청 남도와 충청 북도 사이에 얌전히 자리잡고 있다. 그것도
아래쪽으로 쭉 내려간 곳이다. 마치 조그만 아기가 엄마와 아빠 손을 꼭 잡고 있는
것처럼 생긴다.
옛날 고구려, 백제, 신라가 한국을 나눠서 다스리던 삼국 시대에 이 곳 충청
지방은 백제의 땅이었다. 백제의 땅 중에서도 중심지였다. 처음에 백제의 도읍은
수도권의 위례성이었다. 그런데 수도권을 놓고 고구려, 신라와 싸움이 심해지자,
좀 더 안전한 이 곳으로 옮기게 된 것이다.
백제는 도읍을 두 번 옮겼다. 처음엔 웅진 (지금의 공주)으로 옮겼고, 거기서
60 년 정도 나라를 다스리다가 538 년에는 다시 사비 (지금의 부여)로 옮겼다.
사비 시절은 웅진 시절보다 두 배 정도 길었다. 백제 시절은 아주 먼 옛날이지만
지금도 공주와 부여에는 백제의 유물들이 많이 남아 있다.
백제는 근초고왕이 다스리던 시절에 가장 힘이 강했다. 이때는 중국에도
자주 드나들면서 새로운 문화를 들여오고, 일본에도 많이 건너가서 발달한 한국
문화를 전달해 주었다.
그렇게 700 년 정도 나라를 유지하다가, 백제는 신라에게 무릎을 꿇었다.
하지만 그 다음에 고려가 475 년, 조선이 518 년 동안 이어진 것을 생각해 보면,
백제는 결코 일찍 쓰러진 나라가 아니다.

104
[그림 38] 서산 마애 삼존불
온화한 백제의 숨결을 이어받은 충청 지방 사람들은 지금도 점잖기로
유명하다. 너무 점잖다 보니 말도 느릿느릿하다.
윗 그림은 백제 시대에 태안 지방의 바위벽에 새긴 세 분 부처님의 조각이다.
가운데 있는 부처님의 얼굴을 잘 보면 미소가 흔히 보는 근엄한 부처님
모습과는 달리 아주 온화하다.
백제가 남긴 예술품들에서는 온화한 미소를 자주 볼 수 있다. 어떤 학자는
이것을 “백제의 미소”라고 불렀다.
공주에는 “송산리 고분군”이라는 무덤들이 있다. 이 곳의 여러 무덤 중에
가장 유명한 것은 무령왕이 묻힌 무령왕릉이다.

105
[그림 39] 무령왕릉 내부의 모습
그런데 안에 무령왕만 묻힌 게 아니라 왕비도 함께 묻혔다. 무령왕릉은
벽돌을 정교하게 쌓아올린 내부 모습도 웅장하지만, 그 안에서 놀랍게도
2500 개가 넘는 유물이 나왔다. 그 중에는 국보가 12 개나 된다. 또 백제의
궁궐이었던 것으로 보이는 “공산성”이 있는데, 궁궐의 흔적은 별로 남아 있지 않다.
부여에는 공주보다 백제의 유물과 유적이 더 많다. 그런데 부여에는 백제
멸망과 관련된 유적들도 많아 마음을 쓸쓸하게 한다. 그 중에 가장 유명한 것은
뭐니뭐니해도 “낙화암”이다. 낙화암이란 “꽃이 떨어진 바위”라는 뜻인데,
슬프게도 여기서 꽃이란 바로 사람이라고 한다. 백제의 마지막 왕이었던 의자왕은
무려 3000 명이나 되는 궁녀를 거느리고 있었다. 백제가 신라에 무릎을 꿇자,
궁녀들은 백마강가에 있는 이 바위에 올라가 치마를 뒤집어쓰고 차례로
뛰어내렸다. 그 모습이 마치 꽃이 떨어지는 것 같았다.

106
11.2. 충청북도와 충청남도의 자연환경 차이
같은 충청 지방이지만 충청 남도하고 충청 북도는 자연 환경이 아주 다르다.
먼저 서해와 닿아 있는 충청 남도는 땅이 평평해서 평야가 많다. 그런데 충청
북도는 반대이다. 충청 북도는 산이 많고 평지가 별로 없다. 또 바다도 없다. 한국
8 도 가운데 바다가 없는 도는 충청 북도뿐이다. 대신 충청 북도에는 시원스런
남한강이 흘러 바다 없는 아쉬움을 달래 준다. 또 충청 지방엔 믿음직한 금강이
있다. 금강은 넓은 논산평야를 적셔 주는 보배로운 강이다.
충청 북도에 산이 많은 이유는 바로 소백산맥 때문이다. 소백산맥은
백두대간의 남쪽 끝을 이루는 험한 산맥이다. 이 소백산맥 자락에 그 이름도 멋진
속리산이 있다. 속리산은 “세상을 멀리 떠난 산”이라는 뜻이다.
이에 질세라 충청 남도에는 계룡산이 있다. 처음에 조선은 이 곳을 도읍으로
삼으려고 했다. 그래서인지 계룡산은 지금도 특별한 정기가 있는 산이라고
여겨진다. 그리고 곳곳에 해수욕장과 멋진 경치를 거느린 바다의 국립 공원인
태안반도도 빼놓을 수 없다.

11.3. 교통 시스템의 특색
지금 계룡산이 다시 새로운 수도로 떠오르고 있다. 계룡산 바로 옆의 대전에
서울의 정부 기관들이 하나 둘 이사 오고 있다. 모두 다는 아니지만, 그래도 아주
많은 기관이 대전에 자리를 잡는다. 그래서 대전을 “제 2 의 서울”이라고도 부른다.
이렇게 전국의 새로운 중심지로 발돋움하는 대전은 옛날에는 아주 작은
마을이었다. 그랬던 대전이 지금처럼 커진 이유는 바로 편리한 교통 때문이다.
충청 지방을 교통의 중심지라고 하는 데는 대전의 역할이 크다. 큰 고속도로 세
개와 큰 철도 두 개가 대전에서 모였다 흩어진다.
대전은 편리한 교통을 바탕으로 꾸준히 성장해서 1993 년에는 “대전 세계
무역 박람회 (엑스포)”를 열었다. 그리고 이것을 기념하는 엑스포 과학공원을
지었다. 이 곳은 특히 어린이들이 가 보면 아주 좋다. 우주 탐험관, 자연 생명관,
테크노피아관 등에서 신기한 자연과 과학의 세계를 한껏 맛볼 수 있다.

107
그런데 엑스포가 대전에서 열린 데는 다 이유가 있다. 대전이 바로 과학의
도시이다.
한국에서 가장 큰 과학 연구 단지인 “대덕 연구 단지”도 대전에 있고, 첨단
과학을 연구하는 “한국 과학 기술원 (카이스트)”도 대전에 있다. 또 “국립 중앙
과학관”도 있다. 충청 지방은 말은 느리지만, 발전 속도만큼은 다른 어느 곳
못지않게 빠르다. 그렇다고 옛날부터 가꾸어 온 전통적인 특산물들을 버리는 것은
아니다.

11.4. 충청 지방의 특산물


대전을 벗어나면 어느 쪽으로 가느냐에 따라 풍경이 달라진다. 서쪽의 충청
남도에는 벼가 가득 자라는 넓은 평야가 펼쳐져 있다. 그런데 동쪽의 충청 북도로
가면 이곳 저곳의 밭에서 가지가지 작물이 자란다.
충청 지방에서 나는 밭작물들은 맛과 냄새가 강한 것들이 많다. 쓰디쓴
인삼! 매운 고추! 고소한 참깨와 들깨! 매캐한 담배! 이런 것들이 유명하다.
이와 더불어 한산이라는 고장의 하얀 모시 옷감도 이름이 높다. 모시는
시원하고 까슬까슬한 여름 옷감인데, 특히 할아버지 할머니들이 많이 입는다.
또 하나 빠뜨릴 수 없는 충청 지방의 자랑거리는 나이가 600 살이나 되는
할아버지 소나무이다. 속리산에 있는 이 나무는 정이품이라는 벼슬도 받았다.
정이품 소나무는 자연의 국보인 천연 기념물로 지정해서 보호하고 있다.

11.5. 충청 지방 역사 뉴스
 1356 년: 충청도라고 불렸다.
 1905 년: 대전역이 문을 열었다.
 1993 년: 대전 세계 무역 박람회를 개최했다.
 1995 년: 대전이 광역시가 되었다.

108
 숙제:
다음 질문에 답하십시오.
1) 공주와 부여에 있는 유명한 유적들의 이름을 쓰십시오.
…………………………………………………………………………………
2) 한국 8 도 가운데 바다가 없는 도는 ……………………뿐이에요.
3) 충청지방의 특산물을 열거하십시오.
………………………………………………………………………………………
………………………………………………………………………………………
4) 충청지방에 있는 …………………………… 자연의 국보인 천연 기념물로
지정해서 보호하고 있습니다.

109
110
제 12 과:
호남 지방
(전라 남도 + 전라 북도)
광주 광역시
인구 (2012 년) 인구밀도 면적

전라남도 1,768,000 명 144 명/km2 12.036 km2

전라북도 1,805,000 명 224 명/km2 8.050,94 km2

광주 1,514,000 명 3,020 명/km2 501,34 km2

* 출처: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시도편: 2010-2040], 국토해양부 [지적통계]

12.1. 호남 지방의 위치
충청 지방에서 남쪽으로 뻗어가는 기차를 타 보면 남쪽 중에서도 서쪽으로
가는 것은 호남선이고, 동쪽으로 가는 것은 경부선이다.
경부선의 “경”은 서울을 나타낸다. 그러니까 경부선 하면 “서울에서 부산
가는 기차”인 걸 금방 알 수 있다. 그런데 호남선은 “호”에서 “남”으로 가는
기차가 아니라, 호남 지방을 달리는 기차를 말한다. 호남이란 “호수의 남쪽”이란
뜻으로 전라 남도와 전라 북도, 광주 광역시를 한꺼번에 부를 때 쓰인다.

12.2. 호남 지방의 특색
백제는 신라에게 멸망했지만, 그 후 후백제라는 나라로 잠깐 다시
태어나기도 했다. 그 때 후백제의 도읍은 전라북도의 완산 (지금의 전주)이었다.

111
호남 지방은 그 때를 빼고는 대체로 조용히 지냈지만, 나라에 무슨 일이
생기면 언제고 가장 먼저 떨쳐 일어났다. 그 흔적은 호남 지방 곳곳에 남아 있다.
먼저 남해의 섬 완도에 가면 장보고 장군의 자취를 찾아볼 수 있다. 장보고
장군은 완도에 “청해진”이라는 해군 기지를 세우고, 호남 지방 앞바다에
우글거리던 중국 해적들을 싹 몰아냈다. 그러니 뱃길을 다니는 사람들이나
어부들이 얼마나 고마웠겠다. 그래서 완도에는 섬 여기저기에 장군의 업적을
기리는 유적이 남아 있다.
그로부터 700 년이 지난 후 이 곳에서는 또 한 분의 위대한 장군이 활약했다.
바로 이순신 장군이라고 한다.
1592 년에 일본이 20 만 군사를 이끌고 한국을 침략해 왔다. 그 사건을
“임진왜란”이라고 한다. 그 때 전라좌도 수군절도사 (전라도의 서쪽 바다를 지키는
관직)로 있던 이순신 장군은 “거북선”이라는 놀라운 배를 이용해서 한국의 바다를
굳게 지켰다.
이순신 장군은 남해 바다 전체에서 활약했지만, 작전 본부는 호남 지방의
여수에 있었다. 그 곳에서는 아직도 그 때 쓰던 소금이나 목탄 같은 것들이
발견된다.
또 목포의 유달산에는 노적봉이라는 봉우리가 있다. 이순신 장군은 이
봉우리를 지푸라기로 덮게 했다. 지푸라기로 덮인 봉우리는 멀리서 보면 마치
쌀가마니를 쌓아 둔 것 같다. 이것을 본 일본군들은 한국 군대가 먹을 쌀이 그렇게
많은 줄 알고 기가 팍 꺾였다.
해남과 진도 섬 사이에 있는 울돌목도 빼놓을 수 없다. 이 곳은 바다도
좁지만, 물의 흐름도 빠른데다가 밀물과 썰물의 차가 아주 크다. 이순신 장군은
겨우 열두 척의 배를 가지고, 썰물 때 일본 배 백삼십삼 척을 이리로 끌어들여서
크게 무찔렀다. 이 사건을 명량대첩이라고 한다.
이렇게 훌륭한 장군들이 크게 활약한 호남 지방. 그런데 호남 지방에서는
장군뿐 아니라 보통 학생들도 나라 사랑에 두 주먹 불끈 쥐고 일어났다. 일본이
한국을 식민지로 삼고 있던 1929 년, 광주의 학생들이 일본의 지배에 맞서 독립

112
운동을 일으켰다. 이것을 “광주학생운동”이라고 한다. 지금도 이 운동이 시작된
11 월 3 일을 학생의 날로 삼고 있다.
나라 사랑이라면 광주에서는 학생들뿐 아니라 일반 시민들도 하나였다.
지금부터 20 년 전 군인들이 한국을 총칼로 다스리려고 하자, 광주 시민들이 모두
일어나 이에 반대했다. 그 결과 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다. 그래서 그 사람들이
묻힌 망월동 묘지는 “민주화의 성지”라고 부른다. 지금도 그 일이 일어났던 5 월이
되면, 많은 사람들이 망월동을 찾아와 넋을 위로 한다.
전라 북도에는 한국에서 가장 넓은 호남 평야가 있다. 만경강과
동진강이라는 두 강이 이 곳을 적셔 준다. 벽골제도 이 호남 평야에 있다.
이 곳은 옛날부터 간척사업도 많이 했다. 지금도 새만금이라는 곳에 대규모
간척을 하고 있다. 간척이 다 끝나고 나면 평야가 더 넓어져서 지도를 다시 그려야
할 것이다.
전라 남도도 이에 뒤질세라 나주 평야를 자랑한다. 나주 평야에는 영산강이
흐른다. 영산강은 나주 평야를 비롯해, 전라 남도의 ¼을 감아 흐른다. 하지만
평야만 있다고 다 농사가 되는 건 아니다. 날씨도 알맞아야 한다. 그런데 호남
지방은 날씨도 따뜻하고 비도 많이 와서, 농사에는 정말 딱 맞다. 호남 평야와 나주
평야 두 곳에서 나는 쌀이 한국 전체의 1/3 이라고 한다. 그래서 호남 지방은
한국의 “곡식 창고”라는 별명이 붙었다. 곡식 창고가 그득하면 세상에 뭐가
걱정이겠다.
호남 지방엔 넓은 들만 있는 게 아니다. 높은 산들도 있다. 높은 산들은 대개
동쪽의 소백산맥 줄기를 따라 있다. 이 중 덕유산과 지리산은 풍경이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호남 지방엔 바다도 두 개나 있다. 서쪽엔 서해가 있고 남쪽엔 남해가 있다.
서해와 남해가 원래 그렇지만, 호남 지방의 바다는 유난히 해안선도 꼬불꼬불하고
섬도 많다. 특히 서해와 남해가 만나는 곳은 “다도해 (섬이 많은 바다)”라는
이름까지 붙었다.

113
아마 이렇게 넓은 들과 산과 다정한 바다가 있어서 호남 사람들은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이 뜨거운가 본다. 이 아름다운 자연을 누구한테도 뺏기면 안 된다고
생각해서 말이다.
섬진강의 특색:
섬진강은 전라 북도 동쪽의 산지에서 시작해서 남해로 흐르는 강인데,
한국에서 다섯 번째로 큰 강이다. 주로 산지를 흘러서 주변에 평야가 없다. 그래서
이 곳의 물을 가까운 동진강으로 빼내 호남 평야에 댄다. 섬진강 지역은 한국에서
손꼽힐 만큼 비가 많이 오는 곳이기도 한다.
12.3. 유적, 유산
아름다운 자연은 문화와 예술도 풍성하게 키운다. 특히 전주와 광주는 늘
예향 (예술의 고장)이라는 말이 따라다닐 정도이다.
먼저 전주에서는 음력 5 월 5 일 단오 때가 되면 풍남제라는 잔치가 열린다.
이 잔치 때 벌어지는 행사 가운에는 특히 “전주대사습놀이”와 “단오난장”이
유명하다. 전주대사습놀이란 전국 각지의 국악인들이 모여 솜씨를 겨루는 큰 경연
대회이다. 또 “단오난장”에서는 민속 풍물이 펼쳐진다. 징, 꽹과리, 북, 장구 등이
요란하게 울려 퍼지면, 구경하던 사람들도 가만히 있지 못하고 어깨춤을 덩실덩실
춘다.
전주는 서예와 공예 같은 전통 미술도 발달해서, 특히 한지와 태극 부채가
유명하다. 한지는 문에 바르기도 하고, 그림을 그리거나 서예를 쓰기도 하는 한국
전통 종이이다. 태극 부채는 태극 무늬가 그려진 부채라고 한다.
전라 남도 한복판에 있는 광주는 광역시고, 호남 지방 전체의 중심 도시이다.
그런 만큼 교통도 편리해서 철도가 두 개, 고속도로가 세 개 뻗어 있다.
광주는 또 한국 판소리의 큰 맥인 서편제와 한국화의 큰 줄기인 남종화의
중심지이기도 한다.

114
[그림 40] 한지 [그림 41] 태극 부채

판소리는 그성진 가락에 옛 이야기를 담아서 전하는 노래 말이다. 서편제는


그 중 한 갈래로, 애절한 가락이 특징이다. 남종화는 자연의 풍경을 그리는 그림
(산수화)의 한 방법인데, 색을 연하게 쓰고 풍경 속에 사람의 감성을 담아서 그린다.
이렇게 뿌리 깊은 예술혼을 담아서 광주는 1995 년부터 국제 비엔날레를
열고 있다. 비엔날레라는 말은 “2 년에 한 번씩 열리는 미술 전시회”라는 뜻이다.
이 때는 한국 미술가들뿐 아니라 외국 미술가들도 함께 참여한다.
향기로운 예술의 도시 광주는 또 교육의 도시이기도 한다. 광주 시민 열 명
가운데 네 명이 학생이다. 광주는 이렇게 높은 교육을 발판으로 삼아 평동이라는
곳에 첨단 과학 산업 단지를 짓고, 차츰 첨단 과학의 도시로도 발돋움하고 있다.
12.4. 호남 지방의 특산물
전주 이야기를 또 해야겠다. 전주 하면 빼놓을 수 없는 게 있다. 바로
비빔밥이라고 한다. 산나물을 넣고 맛있게 비벼먹는 전주 비빔밥은 지금은 전국
어디서나 맛볼 수 있다.
먹는 걸로 치면, 호남 지방을 따라올 데가 별로 없다. 워낙 유명한 것이 많아
뭐 하나를 딱 꼬집어 말하기가 어렵지만, 나주의 배는 이야기를 안할 수가 없다.

115
나주 배라면 배 중에서도 거의 귀족 대접을 받는다. 또 영광 굴비도 유명하다.
굴비는 조기를 소금에 절여서 말린 건데, 영광 굴비는 그 맛이 훌륭하여 인기가
높다.
옛날에 용맹한 장보고 장군이 활약했던 섬 완도는 요즘 김으로 유명하다.
한국 사람들이 먹는 김과 미역은 대부분 호남 지방에서 나오는데, 그 중에서도 김
하면 완도가 최고라고 한다. 호남 지방 사람들은 손재주도 좋아서, 멋스런
공예품도 많다. 전주의 한지와 태극 부채뿐만 아니라 담양이라는 곳은 대나무를
가늘게 잘라 바구니 같은 것을 만드는 죽세공품으로 이름나 있다.
그냥 넘어갈 수 없는 호남 지방의 특산물이 또 있는데 완도 옆의 섬
진도에서 자라는 진돗개라고 한다. 진돗개는 총명하고 용맹한데 다 주인에 대한
충성심도 깊고 생긴 것도 아주 잘생겨서 한국의 개들 가운데 으뜸이다.
진돗개들이 그렇게 훌륭한 개가 된 것도 아마 솜씨 좋고 인심 좋고 나라
사랑의 마음 또한 깊은 호남 사람들의 성품을 보고 배워서 그런 것 같다.
* 삼백의 고장:
호남 지방에 붙은 별명 가운데는 “삼백의 고장”이라는 것도 있다. “세 가지
흰 것의 고장”이라는 뜻이다.
그 중 하나는 호남 평야와 나주 평야에서 그득그득 나는 쌀이고, 또 하나는
나주를 중심으로 자라는 배이다.
마지막 하나는 누에라는 하얀 벌레라고 한다. 누에는 생긴 것은 볼품없지만,
그 몸에서 나오는 실로 아름다운 비단을 만든다. 하지만 지금 누에 치는 사람은
많이 줄었다.
12.5. 고속도로
우리가 여행한 수도권 지방, 충청도 지방, 그리고 호남 지방은 공통점이
하나 있는데, 한국의 서쪽의 있다는 점이다. 그러니까 당연히 서해를 끼고 있겠다.
서해를 따라 길고 긴 고속도로를 지었다. 1991 년에 공사를 시작했고 2001 년에
다 지었다. 이 고속도로가 인천에서 목포까지 가는 데 걸리는 시간이 다섯
시간에서 세 시간으로 줄어든다.

116
[그림 42] 서해안 고속도로
고속도로가 생겨서 사람과 물자가 빠르게 움직일 수 있게 되면, 지역의 여러
가지 활동이 활발해진다. 그래서 서해안 고속도로가 새로이 일어나는 충청도와
전라도의 산업이 더욱 큰 힘을 얻게 된다. 특히 요즘은 중국과 교류가 점점
많아져서, 서해안 지방의 역할도 계속 커지고 있다.

12.6. 역사 뉴스
 - 1896 년: 전라도가 전라 남도와 전라 북도로 나뉘었다.
 - 1929 년: 광주 학생 운동이 일어났다.
 - 1980 년: 광주 민주화 운동이 일어났다.
 - 1995 년: 광주 비엔날레가 열렸다.

117
 숙제:
다음 질문에 답하십시오.
1) 완도에는 장보고 장군의 업적을 기리는 유적이 남아 있습니다. 그 유적의
이름을 쓰십시오.
…………………………………………………………………………………
2) 이순신 장군은 “…………”이라는 놀라운 배를 이용해서 한국의 바다를
굳게 지켰습니다.
3) 광주에 있는 망월동은 어떤 곳입니까?
………………………………………………………………………………………
………………………………………………………………………………………
………………………………………………………………………………………
4) 전라 북도에는 한국에서 가장 넓은 …………평야가 있어요.
5) 전라 남도에 ……………………평야가 있어요.
6) 호남 지방은 한국의 “……………………”라는 별명이 붙었어요.
7) 호남 지방의 무형 문화 유산들을 열거하세요.
………………………………………………………………………………………
………………………………………………………………………………………
8) 호남 지방의 특산물을 열거하세요.
………………………………………………………………………………………
………………………………………………………………………………………

118
제 13 과:
영남 지방
(경상북도 + 경상남도)
부산, 대구, 울산 광역시
인구 (2012 년) 인구밀도 면적

경상북도 2,645,000 명 139 명/km2 19.024 km2

경상남도 3,247,000 명 308 명/km2 10.522 km2

부산 3,445,000 명 4,483 명/km2 765,64 km2

대구 2,475,000 명 2,801 명/km2 884,46 km2

울산 1,116,000 명 1,053 명/km2 1.057,26 km2

*출처: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시도편: 2010-2040], 국토해양부 [지적통계]

13.1. 영남 지방의 위치
이제 서쪽 지방을 떠나 해 뜨는 동쪽으로 갈 때가 되었다. 소백산맥을
넘기가 얼마나 힘든지, 지방 이름도 “고개의 남쪽”이라는 뜻의 “영남”이라고 한다.

119
[그림 43] 영남 지방의 위치
고개의 남쪽에는 경상 남도와 경상 북도가 있다. 그리고 광역시가 무려 세
개나 있다. 부산 광역시, 대구광역시에 이어 울산도 광역시가 되었다. 충청 지방도
호남 지방도 다 광역시가 하나뿐이었는데, 이 곳은 셋이나 되다니 무언가 색다른
이야기가 있을 것 같다.
그리고 영남 지방을 그리려면 종이가 많이 필요하다. 면적이 아주 넓다.
특히 경상 북도는 한국의 도 가운데 가장 넓다. 특별시나 광역시들은 도보다
면적이 작으니까 더 말할 필요도 없다.
이 넓은 영남 지방을 가로질러 달리는 고속도로가 있다. 바로 서울을 떠나서
대전을 지난 후 대구, 부산으로 이어지는 경부 고속도로라고 한다. 이 고속도로는
한국에서 가장 긴 고속도로이다. 그런데 길지만 한 것이 아니다. 고속도로들
중에서 오고가는 차의 수가 가장 많다.
13.2. 신라 천 년의 역사
영남 지방에 활기가 넘치기 시작한 건 아주 오래 전이다. 먼 옛날, 바로 신라
때부터였다.

120
지금까지 한국 사람들이 다닌 서해안 지방은 삼국 시대에는 모두 백제의
땅이었다. (수도권 지방은 주인이 계속 바뀌기도 했지만 그 곳도 처음에는 백제의
땅이었다). 그리고 영남 지방은 신라 땅이었다. 나중에 신라는 백제와 고구려를
이기고 삼국을 통일했다. 다른 두 경쟁자를 이기고 마침내 통일을 이룬 힘있는
나라 신라, 이런 신라의 본고장이 영남 지방이었으니, 이 곳에 활기가 넘치지 않을
수 있겠다.
신라는 통일 전과 후를 합해서 무려 천 년 동안 이어졌다. 그래서 “천 년
왕국”이라고 불리는데 천년이라면, 아버지의 아버지의 아버지의…이런 말을 서른
번도 넘게 해야 하는 길고 긴 세월이다. 세계를 보아도 천 년 동안 이어진 나라는
그리 흔치 않다. 그러니 신라의 힘과 끈기가 얼마나 대단했는지 알 수 있겠다.
신라는 한국 전체를 다스렸던 만큼, 전국 곳곳에 흔적이 남아 있다. 하지만
역사 본고장 영남 지방에 가장 많은 자취를 남겼다. 그 중에서도 한 곳을 꼭
찍으라면, 두말할 것도 없이 신라의 도읍이었던 경주이다. 경주에는 신라의 유적이
많다. 그래서 도시 전체가 국립 공원으로 정해졌다.
산도 바다도 아닌, 하나 남은 국립 공원은 바로 경주라고 한다! 도시가 국립
공원인 곳은 오직 경주뿐이다. 경주에서는 땅만 파면 유물이 나온다는 말까지 있다.
이후 고려와 조선 시대에는 도읍이 지금의 수도권으로 옮겨졌다. 하지만
영남 지방은 예전에 이룬 높은 문화를 잘 지켰다. 특히 학문에 힘을 써서 많은
인재를 키워 냈다. 이들 중에는 중앙 정부에 가서 높은 대신으로 일한 사람들도
많다. 그래서 영남 지방은 “인재의 곳집 (창고)”이라고도 불렸다. 지금도 이 곳에는
한국 전통의 법도를 굳게 지키는 엄한 어른들이 많다.
영남은 이렇게 전통을 잘 간직하고 있으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산업을
크게 일으킨 현대적인 고장이기도 한다. 그러니까 광역시도 셋이나 된다.
13.3. 유적, 유산
영남 지방의 전통을 알아볼 때 가장 먼저 가 볼 곳은 다름 아닌 경주이다. 천
년 신라의 도읍이었던 경주는 도시 전체가 박물관이라고까지 말한다. 그냥 슬슬

121
돌아다니기만 해도 여기서 불쑥, 저기서 불쑥 유적들과 맞닥뜨린다. 경주에 살면
역사 공부가 저절로 된다.
시내 한가운데 황남동에는 이런 무덤이 23 개나 모여 있는 “대릉원”이 있다.
그 중에 “천마총”이라는 무덤은 안에 들어가 볼 수 있게 해 놓았다.
경주 하면 유명한 것이 헤아릴 수 없이 많지만, 그 중에서도 첫손에 꼽히는
것은 토함산에 있는 불국사와 석굴암이다. 이 두 절은 신라 예술의 극치를 보여
준다. 특히 불국사에 나란히 서 있는 다보탑과 석가탑, 또 석굴암 가운데 자리잡은
본존불은 명작 중에서도 최고의 명작이다. 불국사와 석굴암도 유네스코의 세계
문화 유산으로 정해졌다.

[그림 44] 불국사

122
[그림 45] 석굴암
경주는 바다에도 유적이 있다. 토함산 동쪽에는 짙푸른 동해가 펼쳐져
있는데, 이 곳에 삼국 통일을 완성한 문무대왕의 무덤이 있다. 대왕암이라고 이름
붙은 바닷속의 큰 바위가 바로 그것이다. 문무대왕은 죽은 다음에도 용이 되어
한국의 바다를 지키겠다고 유언했기 때문이다.
신라가 사라지고 고려와 조선이 차례로 이어지는 동안, 영남 지방은 또
새로운 문화를 싹틔우고 키워 나갔다.
안동을 얘기하려면 먼저 “유교”를 애기해야 한다. 유교는 옛날 중국의 큰
학자인 공자와 맹자의 가르침을 말한다. 옛날에 한국 학자들은 다 이 유교를
공부하는 사람들이었다. 그리고 이런 유교 학자들이 나라의 대신이 되었다.
그런데 안동은 고려 시대 이래로 유교 학자들이 많이 나왔다. 그래서 안동
하면 점잖은 양반의 고장이라고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조선 시대에 학문이 아주 높은 퇴계 이황이라는 분이 있었다. 이분이
돌아가신 뒤에 사람들은 그 높은 학식을 기려 안동에 도산서원이라는 서원
(학자들과 제자들이 모여 함께 공부하던 곳)을 지었다. 조선 시대에는 서원이 아주
많았는데, 도산서원만큼 사람들의 존경을 받은 곳은 없었다.

123
안동에 가면 조선 시대를 느낄 수 있는 또 한 곳이 있다. 바로 하회마을인데,
조선 시대 양반 마을의 모습이 그대로 남아 있다. 특히 임진왜란 때 영의정 (지금의
국무총리)을 지낸 유성룡의 집을 비롯해서, 그 일가 친척의 집이 많이 남아 있다.
13.4. 영남 지방의 특색
“고개의 남쪽”이라는 이름에도 나타나듯이, 영남 지방은 험준한
소백산맥으로 둘러싸여 있다. 그런데 한국은 동쪽이 높다고 했다. 영남 지방은
동쪽에 있기 때문에, 소백산맥을 넘은 뒤에도 평지가 드문다. 그렇다고 평야가
아예 없는 건 아니다. 남해로 흘러드는 낙동강 하류에 기름진 김해평야가 있다.
낙동강은 한국 (남한)에서 가장 긴 강이다. 넓은 영남 지방을 맨 북쪽에서
남쪽까지 꿰뚫어 구불구불 흐른다. 낙동강의 북쪽 상류에는 안동댐과 임하댐이
세워져 있다.

[그림 46] 한려해상 국립 공원

124
낙동강은 옛날부터 철새가 많이 찾아오는 곳으로 유명하다. 특히 하류의
을숙도라는 섬은 철새의 낙원이라고도 불린다. 낙동강에 철새가 얼마나 많은지
“낙동강에 오리알 떨어지듯”한다는 말까지 있다.
낙동강이 흘러드는 남해는 경치가 좋아서 한려해상 국립 공원이 되었다.
낙동강을 따라가면 이것 저것 볼 게 참 많다.
영남 지방에는 남해뿐 아니라 동해도 있다. 동해는 서해나 남해와는 달리
바다가 깊기 때문에, 큰 배가 드나드는 항구를 만들기도 좋다. 한국에서 가장 큰
항구인 부산도 동쪽에 바짝 붙어 있다.
부산은 한국에서 가장 큰 항구인 만큼, 일 년 내내 수많은 배들이 드나든다.
그 위로는 언제나 갈매기들이 구름처럼 날아다닌다. 그래서 갈매기는 부산을
상징하는 새가 되었다. 도나 시마다 다 상징하는 새들이 있지만, 갈매기처럼
부산에 잘 어울리는 새는 별로 없다.
그렇다고 부산에 뱃길만 열려 있는 건 아니다. 육지로는 고속도로와 철도가
쭉쭉 뻗어 있고, 한국에 셋뿐인 국제 공항도 있어서 하늘길도 탁 틔어 있다.
당연한 일이다. 부산은 한국에서 서울에 이어 두 번째로 큰 도시이기
때문이다. 덩치가 큰 만큼 하는 일도 많다.
먼저 부산은 바닷길을 통해서 한국이 수출하거나 수입하는 물건의 절반
가량을 실어나른다. 항구라는 특징을 잘 발휘해서 말이다.
또 부산은 먼 바다로 고기를 잡으러 떠나는 원양어업 배들이 가장 많은
곳이기도 한다. 통조림이나 생선회로 즐겨 먹는 참치는 대부분 이 부산 항구를
통해 들어오는 것이다.
부산은 상업도 발달했고, 또 공업도 발달했다. 대도시들은 여러 가지 산업이
다양하게 발달하기 때문이다.
특히 부산은 남동임해 공업 지역의 중심 도시이다. 남동임해 공업 지역이란
동해의 포항에서 시작해 울산을 지나고 남해의 부산과 마산, 창원으로 이어지는
거대한 공업 지역을 말한다. 거기서도 서쪽으로 계속 뻗어서 호남 지방의 광영과
여수까지 이어진다.

125
[그림 47] 공업 지역
이 곳 남동임해 공업 지역에는 굉장히 큰 공장들이 많다. 포항과 광양에
있는 제철 공장 (철을 만드는 공장), 울산에 있는 조선소 (배를 만드는 공장)와
자동차 공장 같은 곳은 차를 타고도 한참을 가야 할 만큼 엄청나게 크다. 그러니
일하는 사람들도 많고, 만들어 내는 물건도 아주 많다. 아침에 그 큰 공장들로
출근하는 사람들의 거대한 물결을 보면 활기, 힘, 신바람, 이런 것들이 가득
느껴진다.
부산광역시는 한국 최대의 항구 도시로, 울산광역시는 거대한 공업 도시로
광역시의 역할을 다하고 있다.
부산과 울산이 바닷가에 있는데 반해, 대구는 육지 깊숙이 자리잡고 있다.
게다가 대구는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렇게 산에 둘러싸인 평평한 땅을
“분지”라고 하는데, 분지는 여름에는 아주 덥고 겨울에는 아주 춥다. 그래서

126
대구는 여름 날씨가 한국에서 가장 더운 곳이다. 기온이 30 도가 넘는 날이 1 년에
56 일이나 된다!
대구는 옛날부터 경상 북도 지방의 중심지였던 역사 깊은 도시이다. 하지만
섬유 산업이 발달한 현대적인 도시이기도 한다. 지금은 섬유 산업을 더 세련된
패션 산업으로 키우기 위해 애쓰고 있다.
섬유 산업은 실을 만들고 옷감을 만드는 일이다. 패션 산업은 그런 옷감으로
옷을 아름답게 만드는 일이라고 한다. 생활이 나아지면 사람들은 아무 옷이나 그냥
입지 않고, 예쁘고 멋진 옷을 찾게 된다. 대구는 이런 생활의 변화를 맨 앞에서
이끌고 있는 것이라고 한다.
13.5. 울릉도와 독도
동해 멀리 떨어져 있는 두 개의 작은 섬, 울릉도와 독도는 둘 다 바다 밑
화산이 폭발해서 생긴 섬이다. 그러니 작은 섬들이라고 얕볼 게 아니다.
옛날에 울릉도는 우산국이라는 작은 나라였는데, 신라 때부터 육지와 한
나라가 되었다. 이 때 독도는 함께 신라의 땅이 되었다. 울릉도는 섬인 만큼
고기잡이를 하는 사람이 많은데, 특히 오징어를 많이 잡는다. 또 호박엿으로도
유명하다.
한국의 동쪽 끝에 있는 독도는 사람이 살 수 없는 가파른 돌섬이다. 하지만
한국 바다의 영역을 넓혀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127
[그림 48] 울릉도 전경

[그림 49] 독도 전경

128
13.6. 역사 뉴스
- 1360: 중국에 갔던 문익점이 목화 씨를 몰래 들여와 경남 산청군에 심었다.
- 1876: 부산 항구를 열었다.
- 1896: 경상 남도와 경상 북도로 나뉘었다.
- 1970: 경부 고속도로 개통되었다.

 숙제:
다음 질문에 답하십시오.
1) ………………………………는 한국의 도 가운데 가장 넓어요.
2) 한국에서 가장 긴 고속도로는 …………………………입니다.
3) 경주에 유네스코의 세계 문화 유산으로 정해진 곳을 열거하세요.
………………………………………………………………………………………
………………………………………………………………………………………
………………………………………………………………………………………
4) ……………………는 여름 날씨가 한국에서 가장 더운 곳이에요.
5) 동해 멀리 떨어져 있는 두 개의 작은 섬이 있어요. 그 섬들의 이름을
쓰세요.
…………………………………………………………………………………

129
130
제 14 과:
강원 지방
인구 (2012 년) 인구밀도 면적

강원도 1,503,000 명 90 명/km2 16.873,91 km2

*출처: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시도편: 2010-2040], 국토해양부 [지적통계]

14.1. 강원 지방의 위치

[그림 50] 강원 지방의 위치

131
강원도의 동쪽에 우뚝 솟은 태백산맥이 있다. 한국에서 가장 높은
태백산맥이 강원도를 남북으로 가로지르고 있다. 이 태백산맥 덕분에 강원도는
1500 미터가 넘는 험한 산들이 수두룩한다.
그러나 아무리 고개라고 해도 태백산맥을 넘는 일은 보통 일이 아니었을
것이다. 대관령 같은 고개는 굽이가 아흔아홉 개나 된다고 한다. 그래서 태백산맥
동쪽과 서쪽에는 서로 다른 이름이 붙었다. 태백산맥 동쪽은 고개의 동쪽이라
“영동”으로, 태백산맥 서쪽은 고개의 서쩍이니 “영서”로 말이다.
태백산맥이 워낙 높은 만큼, 이 두 지역은 같은 강원도에 속하면서도 차이가
많이 난다. 하지만 두 지역 모두 태백산맥의 품을 벗어나지 못한 높은 산지라는
것은 똑같다.
이렇게 산이 많다 보니, 강원도는 한국 여러 지방 가운데 면적에 비해 가장
인구가 적다. 사람 냄새는 덜 나고 자연 냄새는 풍성한 곳, 그 곳이 바로
강원도이다. 사계절 수많은 사람들이 자연의 냄새를 찾아 강원도로 몰려드는 건 다
이유가 있는 일이라고 한다.

14.2. 강원 지방의 특색
삼국 시대에 강원도는 신라의 땅이기도 했고, 백제의 땅이기도 했고,
고구려의 땅이기도 했다. 세 나라 중 어디가 더 힘이 세냐에 따라 계속 주인이
바뀌었다. 그 뒤로는 다른 지방과 마찬가지로 통일 신라, 고려, 조선을 거쳐서
오늘에 이르렀다.
그러는 동안 강원도는 역사의 소용돌이에 별로 휘말리지 않고, 아름다운
자연 속에 묻혀 대체로 조용한 세월을 보냈다.
그러다 현대에 들어서 한국이 남한과 북한으로 나뉘면서, 강원도도 남한 쪽
땅과 북한 쪽 땅으로 나뉘었다. 처음에 38 선을 기준으로 나뉘었을 때는 그야말로
절반이 뚝 잘렸다. 1952 년에 다시 영토를 조정하자, 고성. 양구. 인제. 화천.
철원의 일부가 남한으로 넘어왔다.

132
지금은 강원도의 대부분이 남한 영역이다. 하지만 금강산은 북한 영역의
강원도에 있다. 남한에서 가장 북쪽 땅인 고성에는 통일 전망대가 세워져서,
한국이 다시 하나 되고 강원도가 다시 하나될 날을 기다리고 있다.
태백산맥은 강원도에서도 동쪽에 치우쳐 있다. 강원도는 영동 지방이나
영서 지방이나 가릴 것 없이 온통 다 산지이다. 한국은 전체적으로 산이 많은
편이지만, 그 중에서도 강원도만큼 산이 많은 곳은 없다. 원색 지도를 보면,
강원도는 대부분 산지를 나타내는 갈색으로 뒤덮여 있다.
광주산맥과 차령산맥은 모두 태백산맥에서 시작해서, 영서 지방으로
나왔다가, 각각 수도권과 충청 지방으로 뻗어 나간다. 둘 다 강원도에서는 꽤 높고
험한 산맥이다. 그런데 강원도를 벗어나면 힘이 많이 약해져 산이 살기에는 역시
강원도가 최고인가 본다.
산이 있으면 산골짜기를 적시며 흐르는 강이 있는 법인데, 강원도의 강은
영동 지방과 영서 지방이 아주 다르다.
영동 지방의 강은 동해로
흘러든다. 그런데 이 곳은 산과
바다의 거리가 가깝다. 그래서 큰
강이 없다. 하지만 영서 지방의 강은
서해로 흐른다. 강원도에서는
보이지도 않는 먼 바다로 말이다.

[그림 51] 소양강댐


그렇게 먼 곳을 향해 달리니, 영서 지방의 강들은 길고 클 수 밖에 없다.
높은 산 속을 달려서 물의 힘도 아주 세다. 그래서 강원도의 강에는 댐이 많이
세워졌다. 댐이 있는 곳마다 호수들도 생겼다. 이 중 북한강의 한 갈래인 소양강에

133
세워진 소양강댐은 한국에서 가장 큰 댐이다. 소양강댐이 세워지자 이 곳에는
소양호라는 큰 호수가 생겼다. 소양호도 한국에서 가장 큰 호수라고 한다.
가장 높은 산맥, 가장 큰 댐, 가장 큰 호수, 강원도에 오니 가장이란 말을
많이 하게 된다. 그런데 그뿐이 아니다. 강원도에는 가장 깊은 바다인 동해도 있다.
14.3. 직업 종류
산이 많은 강원도는 농사를 짓는 데는 불편한 점이 많다. 특히 벼농사가
짓기는 더욱 어렵다. 그래서 감자나 옥수수 등 산에서 잘 자라는 작물을 많이
키운다. 한국에서 감자하고 옥수수는 강원도에서 제일 많이 난다.
요즘은 고랭지 농업도 해서 무, 배추 같은 채소도 많이 키워 또 사람들이
우유와 고기를 즐겨 먹게 되자, 젖소나 고기소 등을 키우는 목축도 많이 한다.
산에서는 땅 속에 묻힌 지하 자원도 많다고 했다. 옛날 강원도에서는 지하
자원을 캐내는 광업도 많이 했다.
강원도 남부에 있는 태백, 삼척,
영월, 정선 등에서 석탄이 많이 났다.
옛날에는 겨울에 연탄을 땠기 때문에,
연탄의 원료인 석탄이 많이 필요했다.

[그림 52] 탄광촌

그런데 사람들이 차츰 석유와 가스를 쓰게 되자, 석탄은 별로 필요 없게


되었다. 그래서 광산들은 하나 둘 문을 닫았고, 광산 도시의 인구도 크게 줄었다.
또 강원도는 경치가 아름답다. 태백산맥이 바로 그런 곳이다. 세계적인 명산
금강산을 품고 있는데다, 그에 뒤지지 않는 설악산도 거느리고 있으니 말이다.
다만 금강산은 북한에 있어서 쉽게 가 볼 수 없다는 점이 안타까울 뿐이다. 하지만
설악산은 늘 한국 사람들이 곁에 있어서 설악산을 찾는 관광객들의 발길은 일 년
열두 달 끊기지를 않다. 강원도의 산들은 호수도 많이 품고 있다. 대부분이 댐을

134
만들면서 생긴 인공 호수들인데, 이 곳에도 일 년 내내 많은 관광객들이 찾아온다.
이렇듯 강원도는 멋진 경치를 이용한 관광업이 계속 커나가고 있다. 관광업은
공장을 돌릴 필요가 없고, 공해도 생기지 않아서 “굴뚝 없는 산업”이라고 불린다.
그러면서 소득은 많이 올릴 수 있다. 관광업은 다른 첨단산업 못지 않게 발전하는
산업으로, 강원도는 관광업을 더욱 키우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강원도에 산만 있는 것은 아니다. 동해라는 멋진 바다가 있다. 동해
바닷가는 사계절 언제 가도 좋다. 하지만 겨울에 가면 더 좋다. 서쪽 지방들이
추위에 덜덜 떨고 있을 때, 이 곳 영동 지방은 훈훈하기 때문이다.
태백산맥이 매서운 바람을 막아 주고, 동해의 따뜻한 물 (난류)이 땅을
포근하게 지켜줘서 그렇다. 그래서 동해 바닷가는 훨씬 북쪽인데도 남해 바닷가
못지않게 따뜻하다.
동해에는 따뜻한 난류뿐 아니라 차가운 한류도 섞여 흐른다. 그래서 어업이
발달했다. 고기를 중에는 오징어처럼 난류에만 사는 놈들이 있고, 명태처럼
한류에만 사는 놈들도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난류와 한류가 섞여 흐르니까 잡을
수 있는 고기가 다른 곳보다 많다.
겨울이 따뜻하다고는 하지만, 사람들은 겨울보다는 여름에 동해에 훨씬
많이 간다. 뜨거운 더위를 식힐 해수욕장이 많기 때문이다. 게다가 동해에 가면
산과 바다를 한꺼번에 볼 수 있다. 그러니 여름에 피서를 떠나는 아주 인기이다.
그래서 동해는 국립 공원은 없지만, 강원도의 관광업이 발달하는 데 큰 몫을
해내고 있다.
14.4. 아름다운 강원도의 도시 삼총사
강원도에는 번잡하고 시끄러운 대도시 대신에 조용하고 깨끗한 작은
도시들이 곳곳에 있다.
그 중에서 큰 도시는 춘천, 강릉, 원주이다. 이 세 도시는 크기가 거의
비슷해서, 어느 도시가 가장 크다고 하기가 어렵다.

135
[그림 53] 춘천시 위치
강원도의 도청이 있는 춘천은 댐과 호수가 많아서 “호반 (호숫가)의
도시”라는 별명이 있다. 특히 소양호에서 배를 타고 산봉우리 사이를 누비다 보면,
호수의 멋이 이런 거구나 하는 감탄이 저절로 나온다.
춘천에서 남쪽으로 쭉 내려오면 치악산으로 유명한 원주가 있다. 원주는
강원도에서 가장 교통이 편리한 곳이다. 서울과 강릉을 잇는 영동 고속도로가
지나가는데다, 춘천과 대구를 이을 중앙 고속도로도 원주를 가로질러 가게 되어
있다.
원주에서 영동 고속도로를 달려 대관령을 넘으면 강릉이 나타난다. 강릉은
영동 지방의 중심 도시이다. 오대산과 경포대 해수욕장을 양쪽에 끼고 있으니,
경치도 그만이다.
강원도는 도시에도 이렇게 아름다운 자연이 함께 어우러져 있다. 정말
한국에 강원도가 있다는 게 얼마나 다행인지 모른다.

14.5. 역사 뉴스:
- 1395: 강원도라고 불렸다.
-1945: 한국의 중간에 38 선이 그여져 강원도가 남북으로 나누어졌다.
- 1975: 영동 고속도로 개통되었다.

136
 숙제:
다음 질문에 답하십시오.
1) 왜 강원도에 별명이 두 개나 (영동과 영서) 있습니까? 이유를 자세히
적어 주세요.
………………………………………………………………………………………
………………………………………………………………………………………
………………………………………………………………………………………
………………………………………………………………………………………
………………………………………………………………………………………
2) 영서 지방에는 큰 댐이 하나 있어요. 이 댐은 한국에서 가장 큰 댐이고요.
이 댐의 이름을 쓰세요.
………………………………………………………………………………………
3) 강원도의 큰 도시 (세 도시)의 이름을 쓰세요.
………………………………………………………………………………………

137
138
제 15 과:
제주 지방
인구 (2012 년) 인구밀도 면적

제주도 559,000 명 302 명/km2 1.848 km2

*출처: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시도편: 2010-2040], 국토해양부 [지적통계]

15.1. 제주 지방의 위치
제주도를 빼고는 한국을 다 봤다고 할 수 없다. 제주도 없는 한국은 마치
바퀴 없는 자동차라고나 한다. 맨 밑에 있어 잘 보이지 않지만, 바퀴 없이는
자동차가 굴러갈 수가 없다.
제주도도 마찬가지이다. 육지를 떠나 바다 건너 있지만 한국은 제주도
없이는 못하는 것이 너무나 많다.

139
[그림 54] 제주도 전경
제주 공항은 한국에 셋밖에 없는 국제 공항 중의 하나이다. 왜냐 하면
제주도에는 다른 나라 사람들도 많이 드나들기 때문이다.
15.2. 제주 지방의 특색
지금은 육지와 한 나라지만, 오랜 옛날 제주도는 다른 나라였다. 나라의
이름은 탐라였다. 고씨, 양씨, 부씨 세 성씨의 신선이 땅 속 구멍에서 나와 나라를
세웠다.
하지만 탐라는 힘이 약했고, 결국 백제의 속국이 되고 말았다. 속국은 다른
나라를 주인으로 섬기는 나라를 말한다. 고려 시대에 들어서면서 아예 고려의 한
부분이 되고 말았다.
게다가 조선 시대에 제주도는 나라에 큰 죄를 지은 사람들을 쫓아 보내는
귀양지가 되었다. 육지에서 멀리 떨어져 있고, 특히 서울과 멀어서 그랬던 것이다.
그 때 삐걱거리는 배를 타고, 몇 날 며칠 바닷길을 저어 제주도에 오는
사람들의 마음은 캄캄했을 것이다. 하지만 요즘은 아무 죄도 없는 사람들이 즐거운
얼굴로 날이면 날마다 제주도로 밀려든다.

140
그리고 1946 년에 제주도는 마침내 “도”가 되었다. 그전까지는 전라 남도의
일부인 “군”이었다. 고려 시대부터 계속 어린 아이로 여겨지던 제주도가 드디어
어른 대접을 받게 된 것이다. 그 때부터 제주도는 자신보다 훨씬 큰 육지의 다른
도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모든 일에 공평하게 참여한다.
한국 섬 가운데 “도”가 된 섬은 제주도밖에 없다. 그러니까 섬 중에서는
제주도가 가장 크다는 얘기이다. 제주도는 두번째로 큰 섬 거제도보다도 무려 다섯
배 가까이나 더 크다. 그러니까 한국 섬 중의 왕이다.
제주도는 높기도 가장 높다. 남한에서 가장 높은 한라산 (1950 미터)이 바로
제주도에 있다. 한라산이 넓은 육지를 다 놔 두고 바다 건너 섬에 와서 솟았다는
사실만으로도 제주도는 어깨를 으쓱할 일이다.
한라산은 높기는 하지만 생김은 아주 순하다. 삐죽삐죽한 바위나 급작스런
오르막이 없이 아주 천천히 높아진다. 그러니까 꼭대기는 높지만, 산기슭을 다니는
일은 그렇게 어렵지 않다.
이렇게 순한 한라산이 옛날에는 무서운 불을 뿜는 화산이었다. 한국은 북쪽
끝의 백두산과 남쪽 끝의 한라산이 모두 화산이었다고 그랬다. 제주도가 생긴 것도
바로 한라산이 화산 폭발을 해서라고 한다.
한라산은 지금은 언제 그랬냐는 듯, 기슭에 수많은 동식물을 기르며
고요하게 제주도를 굽어보고 있다. 하지만 제주도에는 곳곳에 화산의 흔적이 남아
있다.
a. 한라산 꼭대기에는 불을 내뿜던 분화구가 있다. 분화구는 지금은
백록담이라는 호수가 되었다.
b. 한라산 기슭에는 “오름”이라 불리는 새끼화산이 360 개나 된다.
c. 제주도의 땅은 색이 새까맣고 구멍이 숭숭 뚫린 현무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이 현무암은 화산이 폭발할 때 나온
용암이 굳어서 된 돌이다.
d. 제주도에는 만장굴, 금녀사굴, 협재굴 등 용암이 흐를 때 생긴
용암 동굴들이 많다.

141
이러한 화산의 흔적은 제주도에 큰 매력을 더해 주었다. 다른 곳에서 보기
어려운 특이한 모습들이다. 그래서 재주도는 한국뿐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
사람들이 찾아오는 유명한 관광지가 되었다.
15.3. 제주 지방의 특산물
제주도는 한국에서 가장 비가 많이 오는 곳이다. 날씨도 따뜻해서
농사짓기에 참 좋을 것 같은데 그렇지 않다. 제주도 땅이 현무암으로 덮여 있기
때문이다. 현무암은 구멍이 숭숭 나서 아무리 비가 많이 와도 물이 땅 속으로
흘러들고 말았다. 그래서 벼농사는 거의 못하고 대부분 밭농사를 진다. 옛날에는
쌀이 귀해서 참 힘들었을 것이다. 하지만 지금은 쌀은 육지에서 들여오고,
제주도는 제주도에서 잘 자라는 걸 키운다.
제주도가 잘 키우는 것 가운데 으뜸은 바로 귤이라고 한다. 귤은 따뜻한
곳에서만 자란다. 그래서 한국 귤은 대부분 제주도에서 난다. 한국 사람들이 가장
많이 먹는 과일이 바로 귤이라고 한다. 게다가 귤은 다른 과일들이 별로 없는
겨울에 나온다. 그러니 제주도가 없었으면 길고 추운 겨울 동안 뭘로 심심한 입을
달랬다. 정말 고마운 제주도란다.
제주도는 옛날에는 지을 수 없는 농사가 별로 없어서, 주로 고기잡이를 했다.
남자들이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가면, 여자들은 바닷속에 잠수해 들어가 소라나 전복,
미역 등을 캤다. 이런 여자들을 해녀라고 한다.
이렇게 고기잡이 밖에는 별다른 산업이 없던 제주도가 지금은 관광
산업으로 완전히 다시 태어났다. 시도 때도 없이 관광객들이 끊이지 않고 찾아온다.
특히 제주도에 오면 막 결혼을 한 신혼 부부들을 엄청나게 많이 볼 수 있다.
따뜻하고 색다르고 아름다운 섬 제주도는 신혼 여행지로 그만이다.

142
[그림 55] 돌하르방
제주도에 놀러 갔다 온 사람들이 가장 많이 사 오는 선물이 돌하르방
인형이다. 돌하르방은 제주도 곳곳에 세워져 있는데, 마을을 지키고 복을 가져다
달라는 의미로 세운 것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돌하르방은 제주도 사람들의 소원을
잘 들어준 셈이다. 제주도는 슬픈 귀양지에서 어느덧 한국의 낙원이 되었다.
제주도에는 신비롭고 아름다운 경치들이 아주 많다.
제주도는 남해 바다 멀리 떨어져 있어서 한국에서 가장 따뜻하다. 한국은
남쪽으로 갈수록 날씨가 따뜻하고 했다. 제주도는 겨울에도 얼음이 어는 일이 별로
없고, 봄도 한국에서 제일 빨리 온다.

143
평지에서는 따뜻한 날씨에서만 자라는 특이한 꽃이며 풀이 가득한데,
한라산으로 한 발짝 한 발짝 올라가면 서늘해지는 날씨에 따라 제각기 다른 꽃과
풀들이 자란다. 또 봄이 와서 들판에 첫 꽃들이 마구 피어날 때도, 한라산 꼭대기의
눈은 녹을 생각을 안한다. 흰 눈이 가득 덮인 산 아래 흐드러진 꽃밭, 생각만 해도
멋지다.
그 밖에도 맑고 깨끗한 바다, 넓은 초원, 바다로 직접 떨어지는
폭포들…제주도의 아름다운 경치를 말하다 보면, 아마 밤을 새도 모자랄 것이다.
15.4. 역사 뉴스
 1946: 제주군에서 제주도로 승격했다.
 1955: 제주읍이 제주시가 되었다.
 1981: 서귀포읍이 서귀포시가 되었다.

 숙제:
다음 질문에 답하십시오.
1) 한국 섬 가운데 “도”가 된 섬은 …………………밖에 없어요.
2) 남한에서 가장 높은 한라산의 높이는 ……………미터예요.
3) 제주 지방의 특산물을 열거하세요.
………………………………………………………………………………………
………………………………………………………………………………………
………………………………………………………………………………………

144
ĐÁP ÁN PHẦN BÀI TẬP
Bài 1:
1) ㉠ 지진파 ㉡ 맨틀 ㉢ 외핵
2)  -  -  -  - 
3) 
Bài 2:
1)  2) 
Bài 3:
1)  2) 
Bài 4:
1)  2) 
Bài 5:
1) (서) 2) (유럽 연합)
Bài 6:
1) (아시아) 2) (태평양)
Bài 7:
1) 기후란 일 년 동안의 날씨를 전체적으로 보는 겁니다.
2) “온대”
3) 6 월말, 7 월초부터 시작됩니다.
Bài 8:
1)  2)  3)  4)  5) 
6)  7)  8)  9) 
Bài 9:
1)  2)  3) 
4) 한강, 낙동강, 섬진강, 영산강, 임진강, 금강
5) 홍수 조절에 가뭄 방지와 수력 발전까지! 이렇게 여러 가지 일을 하는 댐을
다목적 댐이라고 합니다.
6) 한국은 동서남북 네 방향 중에서 동쪽 서쪽 남쪽 세 방향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북쪽은 어떻습니까? 북쪽은 육지로 중국과 연결되어 있지요. 이렇게
한쪽만 빼고 온통 바다로 둘러싸인 땅을 “반도”라고 합니다. 그래서 한국은
“한반도”라고도 불린답니다.

145
7) 높은 하늘과 깊은 바다가 만나서 끝없이 옆으로 이어진 수평선이라고 합니다.
깊은 바다와 육지가 만나는 곳은 해안선이라고 합니다.
8) 강들이 싣고 온 고운 흙들이 바닷가에 쌓여 검고 끈끈한 갯벌을 이룹니다.
9) 밀물과 썰물이란 바닷물이 하루에 두 번씩 육지로 밀려들어왔다 빠져 나가는
일을 말합니다. 바닷물이 밀려들어올 때를 밀물, 빠져나갈 때를 썰물이라고 합니다.
10) 소금을 만드는 곳을 염전이라고 합니다.
11) 제주도
12) 독도
13) 간척 사업이란 바다를 땅으로 만드는 일을 말합니다.
Bài 10:
1) 한성, 한양
2) 명당은 뒤에 산이 솟고 앞에는 강이 흘러야 하는데, 한양은 뒤에 북한산이 있고,
앞에 한강이 흐릅니다.
3) 경복궁, 창덕궁, 덕수궁
4) 성남, 부천, 수원
5) 인삼, 화문석, 유기, 포도.
Bài 11:
1) 공주: 송산리 고분군, 무령왕릉, 공산성
부여: 낙화암
2) 충청북도
3) 쓰디쓴 인삼! 매운 고추! 고소한 참깨와 들깨! 매캐한 담배! 이런 것들이
유명합니다. 이와 더불어 한산이라는 고장의 하얀 모시 옷감도 이름이 높습니다.
모시는 시원하고 까슬까슬한 여름 옷감인데, 특히 할아버지 할머니들이 많이
입습니다. 또 하나 빠뜨릴 수 없는 충청 지방의 자랑거리는 나이가 600 살이나
되는 할아버지 소나무입니다.
4) 정이품 소나무
Bài 12:
1) 청해진
2) 거북선
3) 나라 사랑이라면 광주에서는 학생들뿐 아니라 일반 시민들도 하나였습니다.
지금부터 20 년 전 군인들이 한국을 총칼로 다스리려고 하자, 광주 시민들이 모두

146
일어나 이에 반대했습니다. 그 결과 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그래서 그
사람들이 묻힌 망월동 묘지는 “민주화의 성지”라고 부릅니다.
4) 호남 평야
5) 나주 평야
6) 곡식 창고
7) 풍남제, 단오난장, 서편제, 남종화
8) 전주 비빔밥, 나주 배, 영광 굴비, 완도 김, 담양 죽세공품, 진돗개
Bài 13:
1) 경상북도
2) 경부 고속도로
3) 불국사, 석굴암
4) 대구
5) 울릉도, 독도
Bài 14:
1) 태백산맥 동쪽과 서쪽에는 서로 다른 이름이 붙었습니다. 태백산맥 동쪽은
고개의 동쪽이라 “영동”으로, 태백산맥 서쪽은 고개의 서쩍이니 “영서”로
말입니다.
2) 소양강댐
3) 춘천, 강릉, 원주
Bài 15:
1) 제주도
2) 1950m
3) 귤, 돌하르방, 똥돼지

147
148
TÀI LIỆU THAM KHẢO - 참고자료
1. 고정아 (2001) – 우리강산 지리여행, (주)대교출판.
2. 김봉수 (2009) – EBS 수능특강 한국지리, 한국교육방송공사.
3. 민병준 (2008) – 한 권으로 보는 그림 한국지리 백과, 진선아이.
4. 박철권 (2008) – 한국지리, 스콜라.
5. 전기문 (2008) – 한국지리, 지학사.
6. 이광호 (2004) - 인간과 기후환경.
7. 크리스티안 디트리히 쇤비제, 김종규 역 (2006) - 기후학, 시그마프레스.
8. 기후시스템, 기상청 기후변화정보센터
9. http://images.google.co.kr
10. http://kr.beta.ks.yahoo.com

149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