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3

CH1.

자료형 8)문자열 관련 함수
1. 숫자형 (1)문자 개수 세기: 변수.count(‘세고 싶은 문자’)
1)종류 (2)문자 위치 찾기
(1)정수형(int) ①변수.find(‘찾고 싶은 문자’)
(2)실수형(float) -찾고 싶은 문자가 처음 나온 위치 반환
(3)8진수&16진수 -찾는 문자나 문자열이 존재하지 않으면 –1 반환
(4)복소수 ②변수.index(‘찾고 싶은 문자’)
2)연산자 -찾고 싶은 문자가 처음 나온 위치 반환
(1)덧셈: + -찾는 문자나 문자열이 존재하지 않으면 오류 발생
(2)뺄셈: - (3)문자열 삽입: 변수.join(문자열)
(3)곱셈: * → 문자열 각각의 문자 사이에 변수 값 삽입
(4)나누기: / (4)소문자→대문자: 변수.upper()
(5)제곱: **제곱할 숫자 (5)대문자→소문자: 변수.lower()
(6)나머지 반환: % (6)공백 지우기
(7)나눗셈 > 소수점 아랫자리 삭제: // ①왼쪽 공백 지우기: 변수.lstrip()
②오른쪽 공백 지우기: 변수.rstrip()
2. 문자열
③양쪽 공백 지우기: 변수.strip()
1)사용법
(7)문자열 바꾸기: 변수.replace(바뀌게 될 문자열, 바꿀 문자열)
(1)“ ”
(8)문자열 나누기
(2)‘ ’
①공백 기준 나눔: 변수.split()
(3)“”“ ”“”
②특정한 값 기준 나눔: 변수.split(특정한 값)
(4)‘’‘ ’‘’
→ 리스트로 들어가 나눔
2)문자열에 따옴표 포함하는 법
(1)작은 따옴표 포함: “ ” 3. 리스트 자료형
(2)큰 따옴표 포함: ‘ ’ 어떠한 자료형도 담을 수 있는 집합체
(3)\ or ₩ + 따옴표 리스트명 = [요소1, 요소2, …]
3)줄바꿈 비어 있는 리스트도 가능
(1)\n → 읽기 불편, 줄이 길어짐 1)리스트의 인덱싱 슬라이싱 → 문자열 자료형과 동일
(2)‘’‘ or “”“ 2)리스트 연산자
4)연산 (1)리스트 합치기: +
(1)문자열 합치기: + (2)리스트 반복하기: * → 정수형에서만 가능
(2)문자열 반복: * 3)리스트 수정
5)인덱싱 → 문자열의 각 문자마다 번호를 매김 1)하나의 값 수정: 리스트명[위치] = 바꾸고 싶은 값
0부터 카운팅 2)연속된 범위의 값 수정: 리스트명[:] = 바꾸고 싶은 값
(1)변수[숫자] 4)리스트 삭제
[0] = [-0] = 제일 첫 글자 1)empty 리스트 이용: 리스트명[위치] = []
[-1] = 제일 끝 글자 2)del 함수 이용: del 리스트명[위치]
6)슬라이싱 5)리스트 관련 함수
(1)변수[시작번호:끝번호] (1)리스트 요소 추가: 리스트명.append(추가 하고 싶은 값)
포함하지 않음 → 리스트 맨 마지막에 추가
(2)변수[:끝번호]: 처음부터 끝번호까지 (2)리스트 정렬: 리스트명.sort()
(3)변수[시작번호:]: 시작번호부터 끝까지 → 리스트 순서대로 정렬, 문자는 알파벳 순서
(4)변수[:]: 처음부터 끝까지 다 (3)리스트 뒤집기: 리스트명.reverse()
7)포매팅 → 문자열 내 특정 값을 바꿔야 할 경우(삽입) (4)위치 반환: 리스트명.index(요소)
(1)숫자 대입: “~ %d ~” %숫자 → 요소의 위치값을 리턴
(2)문자열 대입: “~ %s ~“ %’문자‘ 요소가 존재하지 않으면 오류 발생
(3)소수 대입: ”~ %f ~“ %소수 (5)리스트 요소 제거: 리스트명.remove(값)
(4)숫자 값을 나타내는 변수 대입: ”~ %d ~“ %변수 → 리스트에서 첫 번째로 나오는 값을 삭제
(5)2개 이상 값 대입: ”~ 포맷코드1 ~ 포맷코드2 ~“ %(값1, 값2) (6)리스트 요소 끄집어내기
(6)변수 값 대입: f’~{변수}‘ ①리스트명.pop()
(7)%d와 %같이 쓸 때: %d%% : 리스트의 맨 마지막 요소 반환, 그 요소는 리스트에서 삭제
(8)포맷코드와 숫자 함께 쓰기 ②리스트명.pop(x)
①%숫자포맷코드: 공백과 정렬 : 리스트의 x번째 요소 반환, 그 요소는 리스트에서 삭제
-양수: 전체 길이가 숫자인 문자열 공간에서 오른쪽 정렬 (7)리스트에 포함된 요소 x의 개수 반환: 리스트명.count(x)
-음수: 전체 길이가 숫자인 문자열 공간에서 왼쪽 정렬 (8)리스트 확장: 리스트명.extend([new 리스트])
②%.숫자포맷코드: 소수점 몇째 자리까지 표현 → 리스트만 가능
4. 튜플 자료형 ※불(bool) 자료형: True or False 두가지 값만 가짐
튜플명 = (요소1, 요소2, …) 조건문의 반환 값으로 활용
한번 정의 되면 요소값 수정 불가 bool(값) → True or False 반환
1개의 요소를 가질 때는 요소 뒤 반드시 콤마
8. 변수
괄호 생략 무방
어떠한 자료형도 지정O
1)튜플의 인덱싱과 슬라이싱 → 리스트와 동일
변수를 변경, 실행 전까지는 이전에 저장된 메모리 반영
2)튜플의 연산자 → 리스트와 동일
같은 자료형, 같은 크기면 같은 객체 인식(숫자, 문자열)
5. 딕셔너리 자료형 리스트, 집합 자료형은 같은 크기여도 다른 객체로 인식
딕셔너리명 = {키1:가치1, 키2:가치2,…} 1)변수1 is 변수2 → 변수1, 2가 동일한 객체를 가리키는지 판단
일종의 데이터 집합체 (1)True or False 반환
키:가치의 쌍으로 존재
CH2. 제어문
키는 딕셔너리 안에서 고유해야 함 → 중복X
1. IF 조건문
1)딕셔너리 쌍
특정 조건이 만족되면 특정 작업 수행
(1)추가: 딕셔너리명[추가 하고 싶은 키] = 추가 하고 싶은 가치
1)기본 구조
(2)삭제: del 딕셔너리명[삭제 하고 싶은 키]
if 조건:
2)키를 사용해 가치 얻기
만족했을 때 수행할 작업 → 반드시 같은 깊이로 들여쓰기!
(1)딕셔너리명[키]
else: → false에 대한 작업도 수행하고 싶을 때,
→ 존재하지 않는 키는 오류 발생
.if랑 같은 라인
(2)딕셔너리명.get(키)
불만족 했을 때 수행할 작업
→ 존재하지 않는 키는 None 리턴
※ 아무 작업도 하기 싫으면 조건문 아래 pass 작성
3)딕셔너리 함수
2)다양한 조건 판단
(1)키 리스트 만들기: list(딕셔너리명.keys())
(1)if 조건:
(2)가치 리스트 만들기: list(딕셔너리명.values())
만족했을 때 수행할 작업
(3)키, 가치 쌍 얻기: 딕셔너리명.items()
else:
(4)키, 가치 쌍 지우기: 딕셔너리명.clear()
if 조건:
(5)해당 키가 딕셔너리 안에 있는지 조사: 키 in 딕셔너리명
만족했을 때 수행할 작업
①존재: True 리턴
else:
②존재X: False 리턴
불만족 했을 때 수행할 작업
6. 집합 자료형 (2)if 조건:
집합명 = set(문자열 or 리스트) 만족했을 때 수행할 작업
중복 허용X elif 조건: → 개수 제한 없이 사용O
순서X → 인덱싱 불가능 이전 조건문이 거짓일 때 수행할 작업
1)교집합 else:
(1)집합1 & 집합2 전부 불만족일 때 수행할 작업
(2)집합1.intersection(집합2) 3)조건문의 연산자
2)합집합 → 중복해서 포함된 값은 한 개씩만 표현 (1)x > y → x가 y보다 크다
(1)집합1|집합2 (2)x < y → x가 y보다 작다
(2)집합1.union(집합2) (3)x >= y → x가 y보다 크거나 같다
3)차집합 (4)x <= y → x가 y보다 작거나 같다
(1)집합1 - 집합2 (5)x == y → x와 y가 같다
(2)집합1.difference(집합2) (6)x != y → x와 y가 같지 않다
4)함수 (7)조건1 and 조건2 → 동시에 조건을 만족해야 할 때
(1)값 1개 추가: 집합명.add(추가하고 싶은 값) (8)조건1 or 조건2 → 두 개의 조건 중 하나만 만족하면 될 때
(2)값 여러 개 추가: 집합.update(추가하고 싶은 값) (9)not 조건 → 조건이 거짓이면 참
(3)특정 값 제거: 집합명.remove(제거하고 싶은 값) (10)x in 리스트/튜플/문자열
7. 자료형의 참과 거짓 (11)x not in 리스트/튜플/문자열
1)참
(1)문자열,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비어 있지 않는 경우
(2)숫자: 0이 아닌 숫자
2)거짓
(1)문자열,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비어 있는 경우
(2)숫자: 0
(3)None
2. WHILE 반복문 5)입력인수에 초기값 설정 → 입력인수의 값이
반복해서 문장을 수행하고자 할 때 def 함수명(입력인수1, 입력인수2 = 초기값):
반복 횟수가 사전적으로 정해지지 않음 수행할 작업
조건이 참이면 반복 수행 (1)입력값을 주지 않으면 초기값을 가짐
조건이 거짓이 되면 작업 종료 (2)초기값과 다른 입력값이 입력되면 입력값을 가짐
1)기본구조 (3)초기값을 설정한 인수는 항상 뒤쪽에 위치시켜야 함
while 조건: 6)함수 안에 선언된 변수의 효력 범위
만족했을 때 수행할 작업 → 반드시 같은 깊이로 들여쓰기! (1)local: 함수 내에서 정의되는 변수
2)break문 → while문을 빠져나가고 싶을 때 → 함수 밖의 변수 이름과 상관X
3)continue문 → 조건이 일치하면 while의 맨처음으로 돌아감 (2)global 변수: 함수 밖의 변수를 직접 사용하겠다
7)lambda 함수
3. FOR문
한줄로 간단한 함수를 만들고 싶을 때
반복해서 문장을 수행하고자 할 때
함수명 = lambda 입력인수1, 입력인수2, ... : 수행할 작업
반복 횟수 고정 → 자료형의 크기에 따라 반복 횟수가 정해짐
1)기본구조 2. 사용자 입력
for 변수(정의 된 적 없는) in 리스트/튜플/딕셔너리/문자열…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변수에 대입하고 싶을 때
수행할 작업 변수 = input(“안내문구”) → 입력되는 모든 것을 문자열 취급
2)range함수: range(시작 숫자, 끝 숫자) 프롬프트를 생성하고 싶을 때만 입력
(1)숫자 리스트를 자동으로 만들어주는 함수 1)입력값 정수형으로 변환: int(input())
(2)끝 숫자는 범위에 포함X 2)입력값 실수형으로 변환: float(input()
3)len함수: len(변수명)
3. 파일 읽고 쓰기
(1)요소의 개수를 반환하는 함수
*연결 : from google.colab import drive
CH3. 프로그램 입출력 .drive.mount(‘/content/drive’)
1. 함수 1)파일 생성
어떠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미리 설계, 필요시 그 기능을 사용 f = open(‘파일이름‘, ‘파일 열기 모드’)
1)기본구조 읽기 모드 r – 파일 읽기만 할 때
def 함수명(입력인수): 쓰기 모드 w – 파일에 내용을 쓸 때
수행할 작업 추가 모드 a – 기존 파일에 내용 추가할 때

2)입력값&결과값에 따른 함수의 형태 /content/drive/My Drive/파일이름.확장자 → 구글 연결

(1)일반적 함수 f.close → 열려 있는 파일 객체를 닫아줌


2)쓰기모드로 출력값 적기
def 함수명(입력인수):
f = open(‘/content/drive/My Drive/’파일이름.확장자‘, ’w’)
수행할 작업
f.write(쓰고 싶은 것)
return 결과값
f.close
(2)입력값X 함수
*줄바꿈 \n or ₩n
def 함수명():
수행할 작업
return 결과값
(3)결과값X 함수
def 함수명(입력인수):
수행할 작업
(4)입력값X, 결과값X 함수
def 함수명():
수행할 작업
3)다수의 결과값 return
return a, b, ...
(1)결과값을 받는 변수가 하나일 경우: 튜플값을 받음
변수1 = (a, b)
(2)결과값을 받는 변수가 여러개인 경우: 각각의 변수에 받음
변수1, 변수2, ... = (a, b, ...)
(3)예외
return 결과값1
return 결과값2 > 반환X, 앞의 return 구문에서 함수가 끝남
4)입력값의 수가 정해져 있지 않을 경우
def 함수명(*입력 변수):
수행할 작업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