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23

등록특허 10-2590808

등록특허 10-2590808

(19) 대한민국특허청(KR) (45) 공고일자 2023년10월19일


(11) 등록번호 10-2590808
(12) 등록특허공보(B1) (24) 등록일자 2023년10월13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73) 특허권자
B61D 47/00 (2006.01) B61D 3/18 (2006.01) 한국기계연구원
(52) CPC특허분류 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북로 156 (장동)
B61D 47/005 (2013.01) (72) 발명자
B61D 3/182 (2013.01) 김병인
(21) 출원번호 10-2021-0122241
세종특별자치시 시청대로 236(소담동, 새샘마을3
(22) 출원일자 2021년09월14일 단지), 301동 402호
심사청구일자 2021년09월14일 박희창
(65) 공개번호 10-2023-0039216 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로 43, 107동 804호
(43) 공개일자 2023년03월21일 정현목
(56) 선행기술조사문헌 대전광역시 유성구 배울1로 35
CN111137315 A* (74) 대리인
KR1020100050282 A 특허법인 플러스
EP2384947 A1
EP3604073 A1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전체 청구항 수 : 총 15 항 심사관 : 김종윤


(54) 발명의 명칭 무빙트레일러를 이용한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설비 및 방법

(57) 요 약
본 발명은 무빙트레일러를 이용한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설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랫폼에 설치된 무빙트레일러를 이용하여 운송차량을 원활하고 용이하게 피기백 화차에 상하차시킬 수 있도록
하는,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설비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대 표 도

-1-
등록특허 10-2590808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컨테이너를 적재한 운송차량(500)을 화차(550)에 상하차시키기 위한 피기백 화차용 이송설비(100)에 있어서,

상기 피기백 화차용 이송설비(100)는,

상기 운송차량(500)이 이동 및 정차하는 플랫폼(110) 상에 배치되며, 상기 운송차량(500)을 적재하는 팔레트


(120);

상기 플랫폼(110) 상에 상기 화차(550)가 이동하는 레일(505)과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팔레트(120)가 배치


되는 무빙트레일러(130); 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트레일러(130)는 상기 팔레트(120) 하면을 전체적으로 받쳐올리는 플레이트(135) 및 상기 플레이트


(135) 상에 구비되어 상기 팔레트(120)를 상하 승강시키는 리프터(131)를 포함하며,

상기 무빙트레일러(130)가,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플레이트(135)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리프터(131)를


이용하여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를 지면에 대해 수직인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킨 후, 상
기 플레이트(135) 전체를 레일(505)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팔레트(120)를 상기 화
차(550)로 상하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설비.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레일(505) 상을 이동하는 화차(wagon, 550) 상에 운송대상물을 수용하는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운송차량(500)을


상하차시키는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설비(100)에 있어서,

상기 레일(505)의 연장방향을 전후방향, 지면 상에서 전후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좌우방향, 지면에 수직인 방향
을 상하방향이라 할 때,

상기 레일(505)의 좌우방향 중 선택되는 어느 일측 지면에 형성되며 하방으로 함몰된 수용공간(115)을 포함하는


플랫폼(110);

전후방향으로 연장 및 개방되어 상기 운송차량(500)을 적재하는 팔레트(120);

상기 수용공간(115) 상에 배치되며 상면에 상기 팔레트(120)가 배치되는 플레이트(135), 상기 플레이트(135) 상


에 구비되어 상기 팔레트(120)를 상하 승강시키는 리프터(131), 상기 수용공간(115) 내에 구비되어 상기 플레이
트(135)를 좌우 이동시키는 슬라이더(132)를 포함하는 무빙트레일러(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설비.

청구항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설비(100)는,

상기 팔레트(120) 상에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태에서,

상기 무빙트레일러(130)가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를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시


켜 상기 화차(550)로 상하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설비.

-2-
등록특허 10-2590808

청구항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설비(100)는,

상기 팔레트(120) 하면 및 상기 화차(550) 바닥면 일부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화차(550) 바닥면 일부


가 하방으로 함몰되어 함몰부(550a)를 형성하며, 나머지 부분이 지지부(550b)를 형성하여,

상기 함몰부(550a)가 형성하는 공간에서 상기 플레이트(135)가 이동되며, 상기 지지부(550b)에 의해 상기 운송


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가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
설비.

청구항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설비(100)는,

전후방향으로 상기 무빙트레일러(130)의 중앙 및 좌우방향으로 상기 레일(505) 측에 형성되며, 상기 운송차량


(500) 및 상기 팔레트(120)의 자중처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팔레트(120)의 전후방향 중앙부 하면을 지지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형성되는 서브리프터(1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설비.

청구항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리프터(140)는,

전후방향으로 상기 화차(550)의 중앙에 형성된 상기 지지부(550b)에 상응하는 크기 및 위치로 형성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설비.

청구항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설비(100)는,

상기 무빙트레일러(130) 및 상기 서브리프터(140)가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설비.

청구항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131)는,

유압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설비.

청구항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132)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레일(132a) 및 상기 플레이트(135) 하면에 접촉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135)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 개의 롤러(13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물류 피기
백 화차용 이송설비.

청구항 11

제 3항에 있어서,

-3-
등록특허 10-2590808

상기 화차(550)의 전후방향 양단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555)가 형성되며, 상기 팔레트(120)의 전후방향


양단 상기 돌출부(555)에 상응하는 위치에는 끼움부(125)가 형성되어,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화차(550)에 상차 시 상기 끼움부(125) 및 상기 돌출부(555)가 서로 끼움결합되어 상


기 팔레트(120)가 상기 화차(50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설비.

청구항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125) 및 상기 돌출부(555) 간의 끼움결합이 좌우방향으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돌출부(555)의 좌우방향 외측이 확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설비.

청구항 13

제 3항에 의한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설비(100)를 이용한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방법에 있어서,

상차 시에는,

상기 플레이트(135) 상에 상기 팔레트(120)가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120)의 개방된 전후방향으로 상기 운송차


량(500)이 이동하여 상기 팔레트(120)에 적재되는 상차준비단계;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리프터(131)에 의하여 상승하여,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가 지


면 및 상기 화차(550) 바닥면보다 높은 상차높이까지 상승하는 상차상승단계;

상기 플레이트(135)가 상기 슬라이더(132)에 의하여 이동하여,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


가 상기 화차(550) 상의 기결정된 정위치로 이동하는 상차이동단계;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리프터(131)에 의하여 하강하여,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가 상


기 화차(550) 상의 기결정된 정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화차(550)에 결합되는 상차완료단계;

상기 플레이트(135)가 상기 슬라이더(132)에 의하여 이동하여 상기 플랫폼(110) 상의 준비위치로 복귀되는 위치


복귀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방법.

청구항 14

제 13항에 있어서,

하차 시에는,

상기 슬라이더(132)에 의하여 상기 플레이트(135)가 이동하여 상기 화차(550) 바닥면 및 상기 화차(550) 상에


배치된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 하면 사이에 배치되는 하차준비단계;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리프터(131)에 의하여 상승하여,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가 상


기 상차높이까지 상승함으로써 상기 화차(550)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하차해제단계;

상기 플레이트(135)가 상기 슬라이더(132)에 의하여 이동하여,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


가 상기 플랫폼(110)으로 이동되는 하차이동단계;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리프터(131)에 의하여 하강하여,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가 지


면높이에 배치되는 하차완료단계;

상기 팔레트(120)의 개방된 전후방향으로 상기 운송차량(500)이 이동하여 상기 팔레트(120)로부터 이탈하는 차


량수송단계;

-4-
등록특허 10-259080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방법.

청구항 15

제 6항에 의한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설비(100)를 이용한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방법에 있어서,

상차 시에는,

상기 서브리프터(140)가 상승하여 상기 플레이트(135)와 동일높이에 배치되는 준비위치단계;

상기 플레이트(135) 상에 상기 팔레트(120)가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120)의 개방된 전후방향으로 상기 운송차


량(500)이 이동하여 상기 팔레트(120)에 적재되는 상차준비단계;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리프터(131)에 의하여 상승하여,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가 지


면 및 상기 화차(550) 바닥면보다 높은 상차높이까지 상승하고, 상기 서브리프터(140)가 하강하여 준비위치로
복귀하는 상차상승단계;

상기 플레이트(135)가 상기 슬라이더(132)에 의하여 이동하여,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


가 상기 화차(550) 상의 기결정된 정위치로 이동하는 상차이동단계;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리프터(131)에 의하여 하강하여,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가 상


기 화차(550) 상의 기결정된 정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화차(550)에 결합되는 상차완료단계;

상기 플레이트(135)가 상기 슬라이더(132)에 의하여 이동하여 상기 플랫폼(110) 상의 준비위치로 복귀되는 위치


복귀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방법.

청구항 16

제 15항에 있어서,

하차 시에는,

상기 슬라이더(132)에 의하여 상기 플레이트(135)가 이동하여 상기 화차(550) 바닥면 및 상기 화차(550) 상에


배치된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 하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서브리프터(140)가 상승하
여 지면높이에 배치되는 하차준비단계;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리프터(131)에 의하여 상승하여,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가 상


기 상차높이까지 상승함으로써 상기 화차(550)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하차해제단계;

상기 플레이트(135)가 상기 슬라이더(132)에 의하여 이동하여,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


가 상기 플랫폼(110)으로 이동되는 하차이동단계;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리프터(131)에 의하여 하강하여,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가 지


면높이에 배치되는 하차완료단계;

상기 팔레트(120)의 개방된 전후방향으로 상기 운송차량(500)이 이동하여 상기 팔레트(120)로부터 이탈하는 차


량수송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방법.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0001] 본 발명은 무빙트레일러를 이용한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설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물류 피기백 시스템에 있어서 운송차량을 화차(wagon)로 원활하고 용이하게 상하차시킬 수 있도록 해 주는
이송설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5-
등록특허 10-2590808

배 경 기 술
[0002] 피기백 시스템(piggy back system)이란 컨테이너를 적재한 트럭을 철도 화차에 화물과 함께 통째로 실어 수송하
는 복합수송의 한 방법을 말한다. 장거리 수송의 경우 도로만을 경유하는 운송차량만으로 수송하는 것보다는 이
처럼 도로 및 철도를 번갈아 가며 경유하여 수송하는 것이, 연료비나 운전기사의 인건비 등과 같은 자원을 상당
히 절약할 수 있어 수송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국, 유럽 등과 같이 국토가 넓은 지역에서는 이미
다양하게 상용화되어 있는 기술이다.

[0003] 오스트리아, 인도, 캐나다, 스위스 등에서 활용되고 있는 피기백 시스템인 Ro-La 시스템은, 일반적인 대차
(bogie) 위에 트럭이 지나갈 수 있는 편평화차(flat car)를 설치하여 철도차량 뒤에서부터 순서대로 트럭이나
트레일러와 같은 운송차량이 이동한 후 기결정된 위치에 주차하고 결박하는 식으로 운용된다. 운송차량의 고정
은 바퀴 사이에 구비되는 고정블록을 이용하며, 운송차량 주차 후 운전자는 별도의 철도차량에서 휴식하다가 철
도차량이 목적지에 도착하면 운송차량 하차 후 최종목적지까지 도로수송을 하게 된다.

[0004] 이탈리아, 룩셈부르크, 스페인 등에서 활용되는 피기백 시스템인 Modalohr 시스템에서는 세미트레일러를 운송하
기 위한 특수한 전용의 화차(wagon)를 사용한다. 이러한 전용화차에는 2개의 데크와 중간대차 및 양쪽에 구비되
는 한 쌍의 끝단대차가 포함된다. 대차 사이에 위치하는 데크는 운송차량을 실을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작동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전용화차가 철로를 따라 진입한 후 데크가 30도 회전되며, 운송차량은 경사로를
통해 데크에 이동 후 고정되고, 이후 데크를 제자리로 회전시켜 고정한 후 철도수송이 시작되게 된다.

[0005] 독일, 이탈리아 등에서 활용되는 피기백 시스템인 Cargo Beamer 시스템은, 운송차량을 펠릿 위에 놓으면 펠릿을
터미널 내 슬라이딩 시스템을 이용하여 철도차량에 싣도록 되어 있는 시스템으로, 터미널에 설치된 펠릿 이송장
치를 이용하여 운송차량을 실은 펠릿을 빠르게 화차에 옮겨 실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0006] 이외에도, 러시아특허등록 제0002724918호("PLATFORM CAR FOR PIGGYBACK AND COMBINED CONTAINER
TRANSPORTATION", 2020.06.26.), 러시아특허등록 제0002700100호("PIGGY-BACK CAR", 2019.09.12.) 등에 피기백
시스템에 적용하기 적합하도록 운송차량 및 철도차량 간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특수한 피기
백 시스템용 차량 기술 등이 개시된다.

[0007] 국내 기존 철도물류 운송시스템의 경우 타물류 운송수단과의 복합운송 연계기능이 상당히 취약한 편으로, 급성
장하는 물류시장의 환경변화에 즉시 대응하지 못하여 대안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미 다양한 피기백 시스템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철도차량이나 운송차량의 규격, 각종 관련 법규, 필요
요건 등에서의 차이 문제, 시스템 도입을 위한 상당한 로열티 문제 등으로 인하여 해외 시스템을 무작정 도입하
기에도 상당히 적절하지 못하다.

[0008] 피기백 시스템에서 특히 요구되는 사항은 운송차량 자체운전으로 피기백 화차에 용이하게 상하차가 가능해야 하
며, 기존 철도망 이용을 기준으로 한 제반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사항들을 만족하는 국내
자체적인 피기백 시스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0009] (특허문헌 0001) 1. 러시아특허등록 제0002724918호("PLATFORM CAR FOR PIGGYBACK AND COMBINED CONTAINER
TRANSPORTATION", 2020.06.26.)

(특허문헌 0002) 2. 러시아특허등록 제0002700100호("PIGGY-BACK CAR", 2019.09.12.)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0010]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랫폼에
설치된 무빙트레일러를 이용하여 운송차량을 원활하고 용이하게 피기백 화차에 상하차시킬 수 있도록 하는, 철
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설비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6-
등록특허 10-2590808

과제의 해결 수단
[0011]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빙트레일러를 이용한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설비
(100)는, 컨테이너를 적재한 운송차량(500)을 화차(550)에 상하차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피기백 화차용 이
송설비(100)는, 상기 운송차량(500)이 이동 및 정차하는 플랫폼(110) 상에 배치되며, 상기 운송차량(500)을 적
재하는 팔레트(120); 상기 플랫폼(110) 상에 상기 화차(550)가 이동하는 레일(505)과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팔레트(120)가 배치되는 무빙트레일러(130); 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트레일러(130)가 상기 운송차량이 적재된
팔레트(120)를 상기 레일(505)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운송차량(500)을 상기 화차
(550)로 상하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2] 또한, 상기 피기백 화차용 이송설비(100)는 상기 팔레트(120)를 상하 승강시키는 리프터(13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빙트레일러(130)가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를 지면에 대해 수직인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레일(505)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화차(550)로 상하차시키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0013]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무빙트레일러를 이용한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설비(100)는, 레일(505) 상
을 이동하는 화차(wagon, 550) 상에 운송대상물을 수용하는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운송차량(500)을 상하차시키는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설비(100)에 있어서, 상기 레일(505)의 연장방향을 전후방향, 지면 상에서 전후방
향과 수직인 방향을 좌우방향, 지면에 수직인 방향을 상하방향이라 할 때, 상기 레일(505)의 좌우방향 중 선택
되는 어느 일측 지면에 형성되며 하방으로 함몰된 수용공간(115)을 포함하는 플랫폼(110); 전후방향으로 연장
및 개방되어 상기 운송차량(500)을 적재하는 팔레트(120); 상기 수용공간(115) 상에 배치되며 상면에 상기 팔레
트(120)가 배치되는 플레이트(135), 상기 플레이트(135) 상에 구비되어 상기 팔레트(120)를 상하승강시키는 리
프터(131), 상기 수용공간(115) 내에 구비되어 상기 플레이트(135)를 좌우이동시키는 슬라이더(132)를 포함하는
무빙트레일러(130); 를 포함할 수 있다.

[0014] 이 때 상기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설비(100)는, 상기 팔레트(120) 상에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


태에서, 상기 무빙트레일러(130)가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를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화차(550)로 상하차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0015] 또한 상기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설비(100)는, 상기 팔레트(120) 하면 및 상기 화차(550) 바닥면 일부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화차(550) 바닥면 일부가 하방으로 함몰되어 함몰부(550a)를 형성하며, 나머지
부분이 지지부(550b)를 형성하여, 상기 함몰부(550a)가 형성하는 공간에서 상기 플레이트(135)가 이동되며, 상
기 지지부(550b)에 의해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가 지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0016] 또한 상기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설비(100)는, 전후방향으로 상기 무빙트레일러(130)의 중앙 및 좌우방향


으로 상기 레일(505) 측에 형성되며, 상기 운송차량(500) 및 상기 팔레트(120)의 자중처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팔레트(120)의 전후방향 중앙부 하면을 지지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형성되는 서브리프터(14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0017] 또한 상기 서브리프터(140)는, 전후방향으로 상기 화차(550)의 중앙에 형성된 상기 지지부(550b)에 상응하는 크


기 및 위치로 형성될 수 있다.

[0018] 또한 상기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설비(100)는, 상기 무빙트레일러(130) 및 상기 서브리프터(140)가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0019] 또한 상기 리프터(131)는, 유압잭으로 형성될 수 있다.

[0020] 또한 상기 슬라이더(132)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레일(132a) 및 상기 플레이트(135) 하면에


접촉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135)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 개의 롤러(132b)를 포함할 수
있다.

[0021] 또한, 상기 화차(550)의 전후방향 양단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555)가 형성되며, 상기 팔레트(120)의 전후
방향 양단 상기 돌출부(555)에 상응하는 위치에는 끼움부(125)가 형성되어,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화차(55
0)에 상차 시 상기 끼움부(125) 및 상기 돌출부(555)가 서로 끼움결합되어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화차(500)
에 고정될 수 있다.

[0022] 이 때 상기 끼움부(125) 및 상기 돌출부(555) 간의 끼움결합이 좌우방향으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7-
등록특허 10-2590808

돌출부(555)의 좌우방향 외측이 확장 형성될 수 있다.

[0023] 또한 본 발명의 무빙트레일러를 이용한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설비(100)를 이용한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방법에 있어서, 상차 시에는, 상기 플레이트(135)
상에 상기 팔레트(120)가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120)의 개방된 전후방향으로 상기 운송차량(500)이 이동하여
상기 팔레트(120)에 적재되는 상차준비단계;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리프터(131)에 의하여 상승하여, 상기 운
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가 지면 및 상기 화차(550) 바닥면보다 높은 상차높이까지 상승하는 상
차상승단계; 상기 플레이트(135)가 상기 슬라이더(132)에 의하여 이동하여,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화차(550) 상의 기결정된 정위치로 이동하는 상차이동단계;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리프
터(131)에 의하여 하강하여,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화차(550) 상의 기결정된
정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화차(550)에 결합되는 상차완료단계; 상기 플레이트(135)가 상기 슬라이더(132)에 의하
여 이동하여 상기 플랫폼(110) 상의 준비위치로 복귀되는 위치복귀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0024] 또한 하차 시에는, 상기 슬라이더(132)에 의하여 상기 플레이트(135)가 이동하여 상기 화차(550) 바닥면 및 상


기 화차(550) 상에 배치된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 하면 사이에 배치되는 하차준비단계;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리프터(131)에 의하여 상승하여,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가 상
기 상차높이까지 상승함으로써 상기 화차(500)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하차해제단계; 상기 플레이트(135)가 상기
슬라이더(132)에 의하여 이동하여,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플랫폼(110)으로 이
동되는 하차이동단계;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리프터(131)에 의하여 하강하여,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가 지면높이에 배치되는 하차완료단계; 상기 팔레트(120)의 개방된 전후방향으로 상기 운송차
량(500)이 이동하여 상기 팔레트(120)로부터 이탈하는 차량수송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0025] 또는 본 발명의 무빙트레일러를 이용한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철도물류 피기
백 화차용 이송설비(100)를 이용한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방법에 있어서, 상차 시에는, 상기 서브리프터
(140)가 상승하여 상기 플레이트(135)와 동일높이에 배치되는 준비위치단계; 상기 플레이트(135) 상에 상기 팔
레트(120)가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120)의 개방된 전후방향으로 상기 운송차량(500)이 이동하여 상기 팔레트
(120)에 적재되는 상차준비단계;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리프터(131)에 의하여 상승하여, 상기 운송차량(50
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가 지면 및 상기 화차(550) 바닥면보다 높은 상차높이까지 상승하고, 상기 서브
리프터(140)가 하강하여 준비위치로 복귀하는 상차상승단계; 상기 플레이트(135)가 상기 슬라이더(132)에 의하
여 이동하여,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화차(550) 상의 기결정된 정위치로 이동하
는 상차이동단계;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리프터(131)에 의하여 하강하여,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화차(550) 상의 기결정된 정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화차(550)에 결합되는 상차완료단계; 상
기 플레이트(135)가 상기 슬라이더(132)에 의하여 이동하여 상기 플랫폼(110) 상의 준비위치로 복귀되는 위치복
귀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0026] 또한 하차 시에는, 상기 슬라이더(132)에 의하여 상기 플레이트(135)가 이동하여 상기 화차(550) 바닥면 및 상


기 화차(550) 상에 배치된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 하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서브리
프터(140)가 상승하여 지면높이에 배치되는 하차준비단계;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리프터(131)에 의하여 상승
하여,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상차높이까지 상승함으로써 상기 화차(500)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하차해제단계; 상기 플레이트(135)가 상기 슬라이더(132)에 의하여 이동하여, 상기 운송차량
(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플랫폼(110)으로 이동되는 하차이동단계;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리
프터(131)에 의하여 하강하여,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가 지면높이에 배치되는 하차완료
단계; 상기 팔레트(120)의 개방된 전후방향으로 상기 운송차량(500)이 이동하여 상기 팔레트(120)로부터 이탈하
는 차량수송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0027]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랫폼에 설치된 무빙트레일러를 이용하여 운송차량을 원활하고 용이하게 피기백 화차에 상
하차시킬 수 있는 큰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플랫폼에 설치된 무빙트레일러를 이용하여 팔
레트에 탑재된 운송차량을 피기백 화차 차체로 통째로 운반하여 상하차함으로써, 철도수송 및 도로수송의 연계
가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0028]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해외 피기백 시스템과는 달리 국내 철도사정에 정확하게 맞추어 시공할 수 있으며, 또
한 시스템 도입으로 발생하는 로열티 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

-8-
등록특허 10-2590808

도면의 간단한 설명
[0029] 도 1은 본 발명의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설비의 조립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설비의 분해사시도.

도 2b는 리프터의 동작단계도.

도 3a 및 도 3b는 서브리프터 동작단계도.

도 4는 본 발명의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방법의 상차준비단계.

도 5는 본 발명의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방법의 상차이동단계.

도 6은 본 발명의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방법의 상차완료단계.

도 7은 본 발명의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방법의 위치복귀단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0030]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무빙트레일러를 이용한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설
비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0031] [1] 본 발명의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설비

[0032] 도 1은 본 발명의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설비의 조립사시도를, 도 2a는 분해사시도를 각각 도시한다. 먼
저 도 1 및 도 2a를 통하여 본 발명의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설비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0033] 본 발명의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설비(100)(이하에서 간략히 '이송설비(100)'라 칭한다)는, 기본적으로
레일(505) 상을 이동하는 화차(wagon, 550) 상에 운송대상물을 수용하는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운송차량(500)을
상하차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송설비(100)는 국내 철도규격에 맞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해외 피기백
시스템을 국내 도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 호환성 문제 등을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이후 보
다 상세히 설명되겠지만, 운전자가 상기 운송차량(500)을 상기 이송설비(100)까지 운전하여 온 후 상기 운송차
량(500)이 상기 화차(550)에 매우 용이하게 상차되고, 또한 상기 운송차량(500)이 상기 화차(550)로부터 매우
용이하게 하차된 후 운전자가 상기 운송차량(500)을 쉽게 운전하여 도로수송을 시작할 수 있어, 철도수송 및 도
로수송의 연계를 매우 원활하고 용이하게 만들어주는 큰 장점이 있다.

[0034] 본 발명의 이송설비(100)는, 크게 보자면 플랫폼(110), 팔레트(120), 무빙트레일러(130)를 포함한다. 이하의 설


명에서, 상기 레일(505)의 연장방향을 전후방향, 지면 상에서 전후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좌우방향, 지면에 수직
인 방향을 상하방향이라고 정의한다.

[0035] 상기 플랫폼(110)은 상기 레일(505)의 좌우방향 중 선택되는 어느 일측 지면에 형성되며 하방으로 함몰된 수용


공간(115)을 포함한다. 상기 수용공간(115)에는 상기 무빙트레일러(130)의 다양한 구동장치들이 매립 설치되게
된다.

[0036] 상기 팔레트(12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운송차량(500)을 적재하기 위한 일종의 용기


로 간주할 수 있다. 상기 팔레트(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어 상기 운송차량이 전후방
향으로 용이하게 상기 팔레트(120)를 드나들 수 있다.

[0037] 상기 무빙트레일러(130)가 바로 상기 운송차량(500)을 상기 화차(550)로 상차 또는 하차시키는 주요 구동설비이


다. 간략히 설명하자면, 본 발명의 이송설비(100)에서는, 상기 팔레트(120) 상에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태에서, 상기 무빙트레일러(130)가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를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
로 이동시켜 상기 화차(550)로 상하차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무빙트레일러(130)는 리프터(131), 슬라
이더(132), 플레이트(135)를 포함하는데, 상기 플레이트(135)가 상기 운송차량(500) 및 상기 팔레트(120)를 받
쳐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리프터(131) 및 상기 슬라이더(132)는 상기 운송차량(500)을 적재한 상기 팔레
트(120)를 상기 화차(550)로 상차 또는 하차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 각부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0038] 상기 플레이트(135)는 상기 수용공간(115) 상에 배치되며, 상기 플레이트(135)의 상면에 상기 팔레트(120)가 배


치되게 된다. 상기 팔레트(120)에는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되므로, 즉 상기 플레이트(135)는 상기 운송차량

-9-
등록특허 10-2590808

(500) 및 상기 팔레트(120)를 모두 받쳐 지지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플레이트(135)는 충분한 강성 및 안


정성을 가지도록 제작되어야 하며, 구조설계나 재질선택 등은 이러한 조건이 실현되는 범위 안에서 적절히 자유
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0039] 상기 리프터(131)는 상기 플레이트(135) 상에 구비되어 상기 팔레트(120)를 상하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b


의 동작상세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터(131)는 상기 플레이트(135) 상의 여러 지점에 분산 배치되어
상기 플레이트(135)로부터 돌출되거나 또는 상기 플레이트(135) 내로 매몰되도록 움직인다. 이에 따라 상기 리
프터(131)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움직이면 상기 팔레트(120)가 상승하고, 상기 리프터(131)가 매몰되는 방향으로
움직이면 상기 팔레트(120)가 하강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리프터(131)는 상기 운송차량(500) 및 상기 팔레트
(120)까지 모두 합친 중량을 안정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상기 리프
터(131)는 고출력 액추에이터인 유압잭(hydraulic jack)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40] 상기 슬라이더(132)는 상기 수용공간(115) 내에 구비되어 상기 플레이트(135)를 좌우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역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132)도 상당한 고중량을 버티면서 좌우이동을 실현하여야 하기 때문에 높
은 구조적 안정성을 가지면서도 고출력을 낼 수 있는 장치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한 예시로서, 도 2a의 분
해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132)는 복수 개의 가이드레일(132a) 및 롤러(132b)를 포함하여 이
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132a)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플레이트(135)가 비틀리게 나아가지 않
고 정확히 좌우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안내해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롤러(132b)는 상기 플레이트
(135) 하면에 접촉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135)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0041] 한편 상기 이송설비(100)의 동작에 상응하도록 상기 화차(550)의 형상도 적절하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송설비(100)는,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 자체를 상
기 화차(550)에 싣거나(상차) 내리는(하차) 식으로 동작하는데, 이 때 상기 플레이트(135)가 상기 팔레트(120)
하면을 받쳐올린 상태에서 상하차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135)가 적절히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작동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며, 상기 화차(550)에 이러한 작동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42] 이에 따라 상기 화차(55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부(550a) 및 지지부(55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550a)는 상기 화차(550) 바닥면 일부가 하방으로 함몰 형성된 부분으로서, 상기 함몰부(550a)에 의하여
상기 팔레트(120) 하면 및 상기 화차(550) 바닥면 일부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된다. 바로 이렇게 이격된 틈
새 즉 상기 함몰부(550a)가 형성하는 공간이 앞서 설명한 작동공간이 되며, 이 공간에서 상기 플레이트(135)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부(550b)는 상기 화차(550) 바닥면에서 상기 함몰부(550a)가 형성된
부분 이외의 나머지 부분으로서, 당연히 상기 함몰부(550a)보다 상대적으로 상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
부(550b)에 의해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가 원활하게 지지될 수 있다.

[0043] 더불어 상기 이송설비(100)는, 상기 운송차량(500) 및 상기 팔레트(120)의 자중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서브리프


터(1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35)는 상기 운송차량(500)을 적재한
상기 팔레트(120)를 받쳐 지지하여야 하는데, 이 때 아무리 강성을 높인 구조 및 재질을 도입한다 하여도 중간
부가 자중에 의해 처지는 문제를 완전히 방지할 수는 없다. 따라서 (자중처짐이 가장 크게 발생하는 부위인) 상
기 팔레트(120)의 전후방향 중앙부 하면을 별도로 지지해 주는 장치가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상기 서브리프터
(140)이다.

[0044] 도 3a 및 도 3b는 서브리프터의 여러 동작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리프터


(140) 역시 상기 무빙트레일러(130)와 유사하게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형성되되, 상기 팔레트(120) 중앙부
분을 받쳐주는 역할만 하면 되기 때문에 상기 무빙트레일러(130)와는 달리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지는 않는다. 이
처럼 상기 무빙트레일러(130) 및 상기 서브리프터(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역할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b에는, 상기 팔레트(120)가 지면에 놓여 있을 때
상기 무빙트레일러(130)의 상기 플레이트(135) 및 상기 서브리프터(140)가 함께 상기 팔레트(120)를 받치고 있
다가(도 3b 상측도면), 상기 무빙트레일러(130)의 상기 리프터(131)가 상기 팔레트(120)를 지면에서 띄워주면
상기 서브리프터(140)는 하강하여 원위치로 복귀되고 있는 상태(도 3b 하측도면)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처럼 이
들은 필요에 따라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0045] 상기 서브리프터(140)는 또한, 도 1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상기 화차(550)의 중앙에 형성


된 상기 지지부(550b)에 상응하는 크기 및 위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브리프터(140)가 존재함으
로써 상기 플레이트(135)의 일부는 당연히 제거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서브리프터(140) 및 상기 지지부
(550b)의 크기 및 위치가 서로 상응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서브리프터(140)에 의해 일부가 제거된 상기 플레

- 10 -
등록특허 10-2590808

이트(135)는 상기 함몰부(550a)에 상응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135)가 상기 함몰부(550a)가 형성하는


작동공간 내에서 걸리는 부분 없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0046] 한편 상기 화차(550) 상에 상기 팔레트(120)를 단지 얹어놓기만 한다면 철도수송 중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화차(550)로부터 미끄러져 이탈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화차(550)
및 상기 팔레트(120) 간에는 적절한 결합구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47] 이러한 결합구조의 한 예시로서, 상기 화차(550)의 전후방향 양단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555)가
형성되며, 상기 팔레트(120)의 전후방향 양단 상기 돌출부(555)에 상응하는 위치에는 끼움부(125)가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화차(550)에 상차 시 상기 끼움부(125) 및 상기 돌출부(555)
가 서로 끼움결합되어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화차(5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구조를 도
입할 경우, 상기 돌출부(555)의 좌우방향 외측이 확장 형성되게 함으로써, 상기 끼움부(125) 및 상기 돌출부
(555) 간의 끼움결합이 좌우방향으로 해제되는 것을 더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48] [2] 본 발명의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방법

[0049]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설비(100)를 이용한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방법을 단계적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0050] 먼저 상차 시의 동작단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차 시의 동작단계는, 상차준비단계, 상차상승단계,


상차이동단계, 상차완료단계, 위치복귀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0051] 평상시에 상기 플레이트(135)는 항상 지면높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여기에 상기 팔레트(120)가 배치되기만 하


면 된다. 다만 상기 이송설비(100)가 상기 서브리프터(140)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서브리프터(140)가 상승하여
상기 플레이트(135)와 동일높이 즉 지면높이에 배치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평지가 이루어지게 하는
준비위치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0052] 상기 상차준비단계에서는, 먼저 상기 플레이트(135) 상에 상기 팔레트(120)가 배치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팔레


트(120)의 개방된 전후방향으로 상기 운송차량(500)이 이동하여 상기 팔레트(120)에 적재된다. 도 4는 본 발명
의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방법의 상차준비단계가 진행 중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팔레트(120)의
전후방향 및 상기 레일(505)의 연장방향이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운송차량(500)의 운전자는 상기 레일(505)을
따라서 직진운전 및 평지운전을 하는 것만으로도 상기 운송차량(500)을 상기 팔레트(120)에 매우 쉽게 적재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해외 피기백 시스템 중 Modalohr 시스템 같은 경우 운송차량이 30도로 회전된 데크를 향
해 경사로를 타고 올라가야 하기 때문에, 보다 넓은 이동공간을 필요로 하며, 상대적으로 운전이 어려워지는
바, 결과적으로 사고발생 위험성이 당연히 높아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상기 레일(505)을 따라 직진하기
때문에 필요이동공간이 최소화되며, 또한 상기 준비위치단계에서 상기 플레이트(135)가 정확히 지면높이에 배치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팔레트(120)가 평지에 놓여 있는 상태가 되므로 경사로를 오르는 경우에 비해 운전난이
도가 훨씬 쉬워지는 바, 결과적으로 사고발생 위험성을 크게 저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차준비단계에서, 상
기 서브리프터(140)가 구비되지 않았을 경우 자중처짐이 발생할 수 있겠으나, 상기 서브리프터(140)가 구비될
경우 상기 서브리프터(140)가 상기 무빙트레일러(130)와는 별도로 독립적으로 상측방향으로 지지력을 작용해 줌
으로써 자중처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0053] 상기 상차상승단계에서는,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리프터(131)에 의하여 상승하여,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


재된 상기 팔레트(120)가 지면 및 상기 화차(550) 바닥면보다 높은 상차높이까지 상승한다. 여기에서 상기 화차
(550) 바닥면은 앞서 설명한 상기 지지부(550b)의 상면이 된다. 이후 보다 상세히 설명되겠지만, 상기 이송설비
(100)는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를 상기 화차(550) 상에 "얹어놓는" 식으로 상차를 수행
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상기 팔레트(120)를 상기 화차(550) 바닥면보다 일단 더 높이 들어올렸다가 내려
놓는 동작이 수행되어야 하며, 따라서 상기 상차높이가 상기 화차(550) 바닥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서브리프터(140)가 구비될 경우, 상차가 시작되면 상기 팔레트(120) 중앙부의 자중처짐을 더 받쳐주고 있
을 필요가 없으므로, 이 시점에서 상기 서브리프터(140)는 하강하여 준비위치로 복귀한다.

[0054] 상기 상차이동단계에서는, 상기 플레이트(135)가 상기 슬라이더(132)에 의하여 이동하여,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화차(550) 상의 기결정된 정위치로 이동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철도물류 피기
백 화차용 이송방법의 상차이동단계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팔레트(120)가 충분히 높이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132)가 상기 플레이트(135)를 좌우방향으로 즉 상기 화차(550) 쪽으로 이동시키
는 과정이 도시된다.

- 11 -
등록특허 10-2590808

[0055] 상기 상차완료단계에서는,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리프터(131)에 의하여 하강하여,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


재된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화차(550) 상의 기결정된 정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화차(550)에 결합된다. 즉 이
단계가 비로소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화차(550) 상에 "얹어지는" 단계이다. 앞서 설명한 예시에서의 결합구
조, 즉 상기 팔레트(120) 상의 상기 끼움부(125) 및 상기 화차(550) 상의 상기 돌출부(555)가 서로 결합되는 결
합구조의 경우, 이러한 "얹음" 동작만으로도 별도의 결합과정을 더 수행할 필요없이 쉽게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
다. 도 6은 본 발명의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방법의 상차완료단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끼움부(125) 및
상기 돌출부(555)가 결합되는 과정이 잘 나타난다.

[0056] 상기 위치복귀단계에서는, 상기 플레이트(135)가 상기 슬라이더(132)에 의하여 이동하여 상기 플랫폼(110) 상의


준비위치로 복귀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방법의 위치복귀단계를 도시한 것으로, 상
기 위치복귀단계가 완료되고 나면 상기 무빙트레일러(130)가 자연히 초기 상태가 되어 있게 되며, 따라서 상차
가 완료된 상기 화차(550)가 이동하고 나면 바로 다음 화차로의 상차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0057] 다음으로 하차 시의 동작단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차 시의 동작단계는 상차 시의 동작단계를 반


대로 수행하는 것으로 쉽게 생각할 수 있는데, 조금씩은 상이한 점이 있다. 따라서 이하에 설명될 하차 시의 동
작단계의 세부사항은 상차 시의 동작단계를 참조하여 이해하면 좋다. 하차 시의 동작단계는, 하차준비단계, 하
차해제단계, 하차이동단계, 하차완료단계, 차량수송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0058] 상기 하차준비단계에서는, 상기 슬라이더(132)에 의하여 상기 플레이트(135)가 이동하여 상기 화차(550) 바닥면


및 상기 화차(550) 상에 배치된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 하면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플
레이트(135)는 지면높이와 같으므로 상기 함몰부(550a)가 형성하는 공간 내로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다. 한편
이 때 상기 서브리프터(140)가 구비될 경우, 상기 서브리프터(140)가 상승하여 지면높이에 배치되어 하차된 상
기 팔레트(120)를 지지할 준비를 하게 된다.

[0059] 상기 하차해제단계에서는,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리프터(131)에 의하여 상승하여,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


재된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상차높이까지 상승함으로써 상기 화차(500)와의 결합이 해제된다. 즉 도 6에 도
시된 상기 상차완료단계의 동작이 그대로 거꾸로 이루어진다고 보면 된다.

[0060] 상기 하차이동단계에서는, 상기 플레이트(135)가 상기 슬라이더(132)에 의하여 이동하여,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플랫폼(110)으로 이동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상기 상차이동단계의 동작이 그
대로 거꾸로 이루어진다고 보면 된다.

[0061] 상기 하차완료단계에서는,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리프터(131)에 의하여 하강하여,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


재된 상기 팔레트(120)가 지면높이에 배치된다. 이 단계가 완료되면 도 4와 같은 상태, 즉 상기 상차준비단계가
완료된 상태가 된다.

[0062] 상기 차량수송단계에서는, 상기 팔레트(120)의 개방된 전후방향으로 상기 운송차량(500)이 이동하여 상기 팔레


트(120)로부터 이탈함으로써, 이제부터 철도수송이 완료되고 차량수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앞서 설명한 상기 상
차준비단계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차량수송단계에서도 상기 운송차량(500)의 운전자는 상기 레일(505)을 따라
직진운전 및 평지운전을 하기 때문에, 이 단계에서의 사고발생 위험성 역시 크게 저감할 수 있다.

[0063]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
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
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부호의 설명
[0064] 500 : 운송차량 505 : 레일

550 : 화차 555 : 돌출부

550a : 함몰부 550b : 지지부

100 :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설비

110 : 플랫폼 115 : 수용공간

120 : 팔레트 125 : 끼움부

- 12 -
등록특허 10-2590808

130 : 무빙트레일러

131 : 리프터 132 : 슬라이더

132a : 가이드레일 132b : 롤러

135 : 플레이트

140 : 서브리프터

도면

도면1

- 13 -
등록특허 10-2590808

도면2a

- 14 -
등록특허 10-2590808

도면2b

- 15 -
등록특허 10-2590808

도면3a

- 16 -
등록특허 10-2590808

도면3b

- 17 -
등록특허 10-2590808

도면4

- 18 -
등록특허 10-2590808

도면5

- 19 -
등록특허 10-2590808

도면6

- 20 -
등록특허 10-2590808

도면7

【심사관 직권보정사항】
【직권보정 1】
【보정항목】청구범위
【보정세부항목】청구항 14
【변경전】
제 13항에 있어서,

하차 시에는,

상기 슬라이더(132)에 의하여 상기 플레이트(135)가 이동하여 상기 화차(550) 바닥면 및 상기 화차(550) 상에


배치된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 하면 사이에 배치되는 하차준비단계;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리프터(131)에 의하여 상승하여,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가 상

- 21 -
등록특허 10-2590808

기 상차높이까지 상승함으로써 상기 화차(500)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하차해제단계;

상기 플레이트(135)가 상기 슬라이더(132)에 의하여 이동하여,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


가 상기 플랫폼(110)으로 이동되는 하차이동단계;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리프터(131)에 의하여 하강하여,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가 지


면높이에 배치되는 하차완료단계;

상기 팔레트(120)의 개방된 전후방향으로 상기 운송차량(500)이 이동하여 상기 팔레트(120)로부터 이탈하는 차


량수송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방법.

【변경후】
제 13항에 있어서,

하차 시에는,

상기 슬라이더(132)에 의하여 상기 플레이트(135)가 이동하여 상기 화차(550) 바닥면 및 상기 화차(550) 상에


배치된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 하면 사이에 배치되는 하차준비단계;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리프터(131)에 의하여 상승하여,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가 상


기 상차높이까지 상승함으로써 상기 화차(550)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하차해제단계;

상기 플레이트(135)가 상기 슬라이더(132)에 의하여 이동하여,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


가 상기 플랫폼(110)으로 이동되는 하차이동단계;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리프터(131)에 의하여 하강하여,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가 지


면높이에 배치되는 하차완료단계;

상기 팔레트(120)의 개방된 전후방향으로 상기 운송차량(500)이 이동하여 상기 팔레트(120)로부터 이탈하는 차


량수송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방법.

【직권보정 2】
【보정항목】청구범위
【보정세부항목】청구항 16
【변경전】
제 15항에 있어서,

하차 시에는,

상기 슬라이더(132)에 의하여 상기 플레이트(135)가 이동하여 상기 화차(550) 바닥면 및 상기 화차(550) 상에


배치된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 하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서브리프터(140)가 상승하
여 지면높이에 배치되는 하차준비단계;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리프터(131)에 의하여 상승하여,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가 상


기 상차높이까지 상승함으로써 상기 화차(500)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하차해제단계;

상기 플레이트(135)가 상기 슬라이더(132)에 의하여 이동하여,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


가 상기 플랫폼(110)으로 이동되는 하차이동단계;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리프터(131)에 의하여 하강하여,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가 지


면높이에 배치되는 하차완료단계;

상기 팔레트(120)의 개방된 전후방향으로 상기 운송차량(500)이 이동하여 상기 팔레트(120)로부터 이탈하는 차


량수송단계;

- 22 -
등록특허 10-259080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방법.


【변경후】
제 15항에 있어서,

하차 시에는,

상기 슬라이더(132)에 의하여 상기 플레이트(135)가 이동하여 상기 화차(550) 바닥면 및 상기 화차(550) 상에


배치된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 하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서브리프터(140)가 상승하
여 지면높이에 배치되는 하차준비단계;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리프터(131)에 의하여 상승하여,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가 상


기 상차높이까지 상승함으로써 상기 화차(550)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하차해제단계;

상기 플레이트(135)가 상기 슬라이더(132)에 의하여 이동하여,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


가 상기 플랫폼(110)으로 이동되는 하차이동단계;

상기 팔레트(120)가 상기 리프터(131)에 의하여 하강하여, 상기 운송차량(500)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120)가 지


면높이에 배치되는 하차완료단계;

상기 팔레트(120)의 개방된 전후방향으로 상기 운송차량(500)이 이동하여 상기 팔레트(120)로부터 이탈하는 차


량수송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물류 피기백 화차용 이송방법.

- 23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