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1 195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36

수학(상)

기말고사
만점 프로젝트
(11)도형의 이동
해설
1) ③ 9) 3
점  을 축의 방향으로  만큼, 축의 점   을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점의 좌표는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한 점의 좌표는
      즉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한편             에서
 

2) ①

    

      



이므로 원의 중심의 좌표는  



점  를 축의 방향으로  만큼, 축의 방향 

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점의 좌표는     

이다. 즉,         따라서         이므로

따라서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3) ④ 10) ③
P 라 하면 P′    점  을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방향으로
PP  
∴           만큼 평행이동한 점의 좌표는     ⋯ ㉠

 
     
 원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4) -6
         이므로

이므로 원의 중심의 좌표는    ⋯ ㉡
  
      ∴   
㉠과 ㉡이 일치하므로        

5) ②
∴      ∴   
점  가 주어진 평행이동에 의하여 옮겨지는
점의 좌표는      즉    
이 점이 직선      위의 점이므로 11) ②
   ·    ∴   점  를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한 점의 좌표는     이다.

6) -3           에서

점  을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        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시킨 점의 좌표는 이므로 원의 중심의 좌표는   이다.

     이고, 이 점이 직선      즉,         

위의 점이므로          따라서      이므로    

따라서   
12) ①
7) ④ 주어진 평행이동을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점  을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방향으로 방향으로 만큼 이동시키는 평행이동이라 하면

만큼 평행이동한 점의 좌표가 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점  를 축의 방향으로  만큼, 이 평행이동에 의하여 점   즉   로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점의 좌표는 옮겨지는 점의 좌표를  라 하면

      즉             
이어야 한다. 따라서      이므로
구하는 점의 좌표는   이다.
8) ④
점  을 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하면 점   으로 옮겨지므로 13) ②
점  를 이 평행이동에 의하여 이동한 점의 좌표 점 A 이 A′ 로, 점 B  이 B ′ 

는     즉,          로 각각 옮겨졌으므로 주어진 평행이동은 축의

따라서      이므로     방향으로 만큼, 축의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


하는 것이다.
즉,          이므로      
따라서 점  를 축의 방향으로 만큼,
- 1 -
축의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하면  이다. B′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14)      
점 A  를 축의 방향으로 만큼, 19) 38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시킨 점은
B      , 즉 B    
점 B    을 축의 방향으로  만큼,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시킨 점은
C        즉 C   
두 점 A C가 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위 그림과 같이 점 A′에서 축에 내린 수선의
         
발을 C 점 B′에서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D
따라서      이다.
직선 CA′과 직선 B′D의 교점을 E라 하면
C    D    E     
15)    색칠한 도형의 넓이를 S라 하면
주어진 평행이동을   →      이라 하면 S □CODE  ∆AA′C  ∆OAB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점   이 주어진 따라서       이므로     

평행이동에 의하여 옮겨지는 점의 좌표는


       즉    20) ④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16)            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 G의 좌표는 ∴          

  이 직선이 직선       과 일치하므로


 
   즉  이다.
           
점 A 을 점 G 로 이동시키는  
따라서       이므로     
평행이동은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 

방향으로 만큼 이동시키는 평행이동이다.


따라서 이 평행이동에 의하여 점 G 가 21) ②
옮겨지는 점을 ′ ′이라 하면 주어진 평행이동에 의하여 직선       을
′     ′     즉 ′   ′   평행이동하면
따라서 점 G 가 옮겨지는 점의 좌표는                  
 이다. 이므로      따라서   

17) ② 22) 15
점 A 를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방향 점   을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방향
으로  만큼 평행이동한 점을 A′이라 하면 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점이   이라고 하면
점 A′의 좌표는 A′      즉 A′                ∴     

한편,  OA 에서 
OA′ 

OA′   

OA 이므로 따라서 직선       을 축의 방향으로
 만큼,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직선의
                
   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이므로     
18) 

도형을 평행이동해도 그 모양은 변하지 않으므로
∆OAB는 정삼각형이다.
23) ⑤
직선     를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정삼각형 OAB의 한 변의 길이는 
OA 이므로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시킨 직선의 방정식은

OB 
OA 
              ⋯ ㉠
∴ cos°    sin°  

직선     를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
   A 이므로      

시킨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2 -
두 직선 ㉠ ㉡이 서로 일치하므로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정수 는         의 개이다.

24) 11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30) 3
         직선     를 축의 방향으로  만큼,
∴       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이 직선이 직선      와 축 위의 점에서

25) 15
수직으로 만나므로 두 직선의 절편은 같고,
점   을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방향
두 기울기의 곱은  이다. 즉,
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점이   이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직선       을 축의 방향으로 ∴      ∴   
 만큼,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31) 7
           ∴      
직선 ′의 방정식은
따라서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이 직선이 직선      와 축 위의 점에서
26) ① 

직선     을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수직으로 만나므로 기울기는 이고, 절편은 이다.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이므로

직선     을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   ⋯ ㉡
두 직선 ㉠ ㉡이 모두 점  를 지나므로 32) 12
          ∴      직선     를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  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시킨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27) ② 직선 ㉠과 직선     이 서로 수직이므로

직선     을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    즉   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시킨 직선의 방정식은 이때, 직선 ㉠은      이고, 이 직선과

                    이 축 위의 한 점에서 만나므로

이 직선의 원         의 중심 직선       는 점  을 지난다.

 를 지나므로       ∴   따라서     즉   이므로


       

28) ③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33) 6
       ∴       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이 직선이 원         의 넓이를
이 직선과 직선      위의 한 점
이등분하려면 직선이 원의 중심   를
지나야 하므로         ∴      사이의 거리가 
 이므로
   
  
    
   
29) 5
   ± ∴   또는   
직선     를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
따라서 모든 의 값의 합은 이다.
하면       즉        
직선        이 원     와 서로
34) ④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원의 중심  과 직선
직선     을 축의 방향으로  만큼,
        사이의 거리가 반지름의 길이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하면 직선 과
보다 작아야 한다.

- 3 -
일치해야 한다. 이고,         과 같아야 하므로
따라서 직선 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즉,     이므로 절편은 이다. 따라서         이므로      

35) ③ 39) 3
반원 C          ≥ 을 축의 평행이동한 포물선의 방정식은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하면            
C            ≥ 과 일치하므로 ∴            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가로의 길이가  세로의 따라서      이므로    

길이가 인 직사각형의 넓이와 같다. 다른풀이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  
포물선        즉       의
꼭짓점의 좌표는    
36) -8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원           은
 


      
      이고 이를 축의 40)  
방향으로 만큼, 축의 방향으로  만큼
포물선        즉       를
평행이동시킨 원의 방정식은
평행이동한 포물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원의 중심은       이고 이 점이
  이 포물선의 꼭짓점     가 축 위에
 있으므로      ∴  
원점과 일치하므로          

따라서 꼭짓점의 좌표는  
따라서      이므로        

41) ④
37) ③
원     를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          에서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시킨 원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이 원을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방향으로
원 ㉠의 중심은  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이다.
만큼 평행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원 ㉠이 직선       에 접하므로 원의 중심
            과 직선        사이의 거리가 반지름
이 원이 원     와 일치하므로 의 길이 와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다른풀이 위 등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       

          에서 
따라서   

        
이므로 중심의 좌표는   이다.
따라서 중심   가 중심  으로
42) ⑤
 
옮겨졌으므로               원     을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

원은 평행이동해도 반지름의 길이가 변하지 하면       

않으므로    ∴     이 원과 직선       이 접하려면 원의


중심  과 직선 사이의 거리가 원의 반지름의
길이 과 같아야 하므로
38) ①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이 원을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따라서 양수 의 값은 이다.
 
              

- 4 -
43) ⑤ 47) 

평행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이 원이 직선       과 접하므로 원의 이 원을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방향으로
중심  와 직선        사이의 거리는 만큼 평행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원의 반지름의 길이인 
 과 같다. 즉             
    이 원이 원     와 일치하려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           

즉         을 축의 방향으로
 만큼,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44) ④
원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이 원의 중심은
따라서 원의 중심  과 원점 사이의 거리는
  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이다.

    

이 원을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시킨 원 C의 중심은
     이다. 48) 26
그런데 원 C의 중심은  이므로 두 삼각형 OAB O′A′B′에 내접하는 원을 각각

          C C′이라 하자. 원 C의 반지름의 길이를 

에서      이다.     라 하면 원 C는 축, 축에 모두

원 C는 중심이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접하고 중심이 제사분면에 있으므로 중심의

  이므로 원의 중심  과 직선    좌표는   이다.

사이의 거리는  이고, 원 C와 직선   가 한편, 두 점 A  B 에 대하여 직선 AB의

접하려면       ± 절편이  절편이 이므로 직선 AB 의 방정식은

따라서    또는   이므로 양수 의 값은  
    ∴      
 
이다.
원 C는 직선 AB에도 접하므로 원의 중심  와
직선 AB 사이의 거리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 와
45) ⑤     
같다. 즉,       
원         를 축의 방향으로 만큼,   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시킨 원 C의      또는     
방정식은 ∴   또는    그런데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따라서 원 C의 방정식은         이다.
즉,           한편, 점 A 이 점 A′ 로 옮겨졌으므로
원 C의 넓이가 직선       에 의하여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방향으로 만큼
이등분되려면 원 C의 중심이 직선        평행이동한 것이고, 이 평행이동에 의하여
위에 있어야 한다. 원 C가 옮겨지는 원 C′의 방정식은
이때, 원 C의 중심의 좌표가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즉,         이므로     
46) 49
다른풀이
원         의 중심의 좌표가   
직각삼각형 OAB에 내접하는 원의 중심을 C
이므로 이 원을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방향
반지름의 길이를      라 하면 C 이고
으로 만큼 평행 이동한 원의 중심의 좌표는
∆OAB  ∆COA  ∆COB  ∆CAB
      이다.
     
직선     가 원의 넓이를 이등분하려면 원의  ··   ··
OA  ··OB  ··AB
   
중심       이 이 직선 위의 점이어야

 ·       ∴  
하므로          
따라서   이므로   

- 5 -
49) 3 53) ③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원 O 의 방정식은   
     

원 O 을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이 원을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원 O 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이 원의 중심의 좌표는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원 O 을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이때, 원의 중심이 제사분면 위에 있고
원 O 의 방정식은
이 원이 축, 축에 동시에 접하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원 O 의 내부와 원 O 의 내부의 공통부분,

원 O 의 내부와 O 의 내부의 공통부분은 다음


50) ②
그림의 색칠한 부분과 같으므로 그 넓이는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주어진 평행이동에 의하여 이 원이 옮겨지는


원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중심의 좌표가  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51) ④ 54) ⑤
P   Q 이므로
원 D의 방정식은           
PQ 
         

원 E의 방정식은           
두 원의 중심의 좌표는 각각        
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모두 이다. 55) ③
두 원의 중심이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점  를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P의
            좌표는 P  
따라서      이므로    점  를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Q의 좌표는 Q 

52) ④ PQ 
∴         


평행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        


다음 그림과 같이 원의 중심을 C  이라 하고, 
56) 

점 C에서 직선     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점 A 을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킨 점은
      
H 라 하면 
CH       이고, 점   을 직선   에 대하여
    
대칭이동시킨 점은 B  이다.
 
따라서 직선 AB의 기울기는   
 

57) ②
점 A  을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직각삼각형 CAH에서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점의 좌표는


       
    

  
AH 
  
CA  
CH      
  이 점을 다시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 점의 좌표는       
∴
AB 
AH 
 이 점이 점 A  과 일치하므로
        
∴      ∴  

- 6 -
58) ③ 다음 그림에서 
OP   이므로
OQ OR

OP의 길이가 최소일 때, 
QR 의 길이도 최소이다.

점 P 을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Q 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R  이므로 세 점 P Q R를 좌표평면
위에 나타내면 위의 그림과 같다.

∴△PQR   ··   또한, 
OP의 길이는 점 P가 점 O에서 주어진

직선에 내린 수선의 발 H의 위치에 있을 때
최소이다.
59) ① 
직선 OH의 방정식은    이므로 점 H의
Q   R   S   이고, 네 점 
P Q R S를 꼭짓점으로 하는 사각형의 넓이가 좌표를   는 실수)라 할 수 있고,
이므로 ·  ∴  이는 직선      위의 점이므로

    

   ∴  
  
∴P   
  
60) 2
점   를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는   
63) ②
점 P 를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킨 점은
이 점을 축의 방향으로  만큼, 축의 방향으로
Q  이고, 점 P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
만큼 평행이동한 점의 좌표는    
시킨 점은 R   이다.
이 점이 점  와 일치하므로     
점 R를 축의 방향으로  만큼, 축의 방향으로
∴   
만큼 평행 이동시킨 점은      이고
이 점을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킨 점은
61) ⑤      이다.
점   를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킨 점은
이때, 점      와 점 Q  가
   이고, 다시 직선   에 대하여
일치하므로           
대칭이동시킨 점은 P   이다.
위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     이므로
점 P   이 원         R 위에
  
있으려면           R가 성립해야
하므로 R      
64) 제1사분면
점  를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는
62) ④   
직선      위의 점 P 의 좌표를  라 이 점이 제사분면 위의 점이므로       
하면     ⋯ ㉠ ∴      ⋯ ㉠
점 P 를 점    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Q   좌표는     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R  이므로 이 점을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는
QR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에서        이므로
 점    는 제사분면 위에 있다.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선분 QR의 길이는    일 때

 
최소이므로 이때의 점 P 의 좌표는    이다.
   
다른풀이

- 7 -
65)   A    B   


즉, 점 A  A  A  ⋯ A 의 좌표는 모두

같으므로 점 A 은 점 A   와 일치한다.

따라서 점 A 의 좌표는   이다.


점 A의 좌표를      라 하면 68) 

B   C     주어진 규칙대로 점 A , B 을 정하면 다음과 같다.

점 C는 직선      위의 점이고, A   B  


∆ABC는 ∠A  °인 직각삼각형이므로 A   B  
  A   B  
 ·AB·AC 

A   B  
AB 
이때,           


AC 
            
  
이 홀수이면 A   B  이고,

이므로  ·
 ·
       이 짝수이면 A   B  임을 추론할 수

    ∴   있다. 따라서 A   B  이므로

따라서 점 A의 좌표는  이다. A B  


         
  

66) ④ 69) -1
점 A  는 제사분면 위의 점이므로    점 P   을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A  를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
점 P 의 좌표는 P   
시킨 점 B의 좌표는 B  이고,
점 P   을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B  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킨
점 P 의 좌표는 P   
점 C의 좌표는     이므로
점 P   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AB 
          

점 P 의 좌표는 P   
AC 
            
  
점 P   를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  이므로 
AC 
  
점 P 의 좌표는 P   
이때, 두 점 A   C    를 지나는
즉 점 P  P  P  P  P  ⋯는 개의 점   
   
직선 AC의 기울기는   이고,
             의 순서로 반복된다.
   이때,   ·  이므로 점 P 의 좌표는
직선 AB의 기울기는   이므로
   
점 P 의 좌표인   과 같다.
∠BAC  °이다.
따라서      이므로    

70) 16
좌표의 배와 좌표의 대소 관계에 따라
대칭이동 또는 평행이동을 한다.
 ⟶ ⟶ ⟶ ⟶ ⟶  
직각삼각형 ABC의 넓이는 ⟶ ⟶  ⟶ ⟶ ⟶ 
   규칙을 따라 번 이동한 후의 점의 좌표를 구한다.
 ·AB ·AC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이므로    
따라서   

71) 2
67)    직선  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일 때,
직선  의 방정식은      ∴      
점 A 과 점 B 의 좌표는 다음과 같다.
따라서 구하는 절편은 이다.
A    B   

A    B   

A    B   

- 8 -
72) -3 따라서 모든 의 값의 합은      

직선       을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77) 9
이 직선을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의 직선     을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직선이 점   를 지나므로 이 직선에 평행한 직선의 기울기는  이다.
       ∴   따라서 기울기가  이고 점  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73) ①        ∴      

직선     을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이것이       이므로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

이 직선과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 이므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을      78) ③
즉       이라 하면 이 직선과 원점 직선       을 직선   에 대하여

사이의 거리가 
 이므로 대칭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직선을 축의 방향으로  만큼, 축의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또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직선 ㉠이 원       의 넓이를 이등분


74) ① 하려면 원의 중심  를 지나야 하므로

점   을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


     ∴  

점   으로 옮겨지므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79) ③
직선     를 축의 방향으로 만큼,
75) 1
축의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하면
직선        와 이 직선을 축, 축,
           
원점에 대하여 각각 대칭이동시켰을 때 생기는
이 직선을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모든 직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은 다음 그림과 같다.
    
이 직선이 원         의 넓이를
이등분하려면 직선     이 원의 중심
  를 지나야 하므로      
따라서   

80) 12
직선       을 직선   에 대하여
이때, 이 도형의 넓이가 이므로
대칭이동시킨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다시 이 직선을 축의 방향으로  만큼, 축의
 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시킨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 ㉠
76) ⑤  
한편           은
직선       을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        이므로 중심이   이고
직선의 방정식은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이다.
        ∴       ⋯ ㉠
직선 ㉠이 이 원의 넓이를 이등분하려면 원의 중심
직선 ㉠이 원         에 접하므로
  을 지나야 하므로   ·       
원의 중심   과 직선 ㉠사이의 거리는
따라서   
원의 반지름의 길이인 와 같다. 즉
    
     

   81) 9
   ±  ∴   또는    직선       을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 9 -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를 모두 지나야 하므로
위의 직선을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    에서    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위의 두 등식을 연립하여 풀면
  
이때, 원          이 직선 에 대하여   
       이므로    
  
대칭이려면 원의 중심  이 직선  위의
점이어야 한다. 즉,       ∴  
85) ③
점   을 점  로 옮기기 위해서는 축의
82) ①
방향으로  만큼,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
직선       을 축의 방향으로 만큼,
하면 되므로 주어진 평행이동은
축의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시킨 직선의
  →      
방정식은
이 평행이동에 의하여 직선       이 옮겨진
                  
직선 의 방정식은
또, 직선        을 직선   에
           ∴         ⋯ ㉠
대하여 대칭이동시킨 직선의 방정식은
직선 이 두 원의 넓이를 동시에 이등분하기
               
위해서는 두 원의 중심을 동시에 지나야 한다.
두 직선        과       이
          에서
    
서로 일치하므로      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에서    이고,
  
          에서
 
이때    에서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두 원의 중심의 좌표는 각각    이므로
㉠에서            
83) ⑤ ∴      ∴         
두 직선  의 교점은 두 직선       
  의 교점과 같으므로       에서
86) ④
  이고   이므로 A   
직선 의 기울기를 이라 하면 직선 의 방정식은
두 직선  의 교점은 두 직선       과
       ∴      
  의 교점과 같고       에서   
이 직선을 축의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한
이므로 B  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이 직선을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이 직선이 점   을 지나므로
           ∴  


87) 


따라서 삼각형 OAB의 넓이는  ··   점  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를 이라 하면

이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즉       

84)  이 직선을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시킨
직선       을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킨 직선의 방정식은
도형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즉       
이 직선을 다시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킨 다시 이 직선을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킨
도형의 방정식은        ⋯ ㉠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
이때, 직선 ㉠이 두 원          이 직선이 점   를 지나므로
  
         의 넓이를 동시에
     에서   

이등분하려면 직선 ㉠이 두 원의 중심

- 10 -
 92) -25
따라서 처음 직선의 기울기는  이다.

원         을 직선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        
88)  

∴         ⋯ ㉠
직선     은 점  을 지나고 제사분면을
원         을 축의 방향으로 만큼,
지나므로 기울기 는 음수이다.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직선     을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킨 직선
            ⋯ ㉡

의 방정식은     이므로 A    이다.
   ㉠ ㉡이 겹쳐지므로           
 ∴      ∴  
이때, 직선 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 이므로

점 A를 지나고 직선 에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은
93) ①

 
     
   
   
          을 직선   에 대하여

   대칭이동하면
이 직선의 절편이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즉         

   이 원을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방향으로

그런데   이므로   
  
 만큼 평행이동하면
            

89) ② 이 원이 주어진 원의 방정식과 일치해야 하므로


         
직선 의 방정식은
따라서      이므로   
        즉      
직선 의 방정식은      
직선 의 방정식은 94) ③
 
            에서
      즉       
 
        
 
직선      와 직선        의 이 원을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 
 원의 방정식은         
절편이 같으므로      
 이 원이 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는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또는   
따라서 두 점 사이의 거리는     
90) ①
중심의 좌표가 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95) ③
원의 방정식은         
원 C의 방정식은         
이므로 대칭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직선 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즉         
직선 이 원 C의 중심    를 지나므로
이 원이 점    을 지나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6) 6
91) 3       의 그래프를 원점에 대하여

포물선       을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키면

대칭이동한 포물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이 곡선을 다시 축의 방향으로 만큼



         평행이동시키면

이때, 포물선의 꼭짓점      이                  

직선     위에 있으므로 이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함수 의 최댓값은   이므로     


따라서   

- 11 -
97) ③         

곡선     를 축의 방향으로 만큼 이 원을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        
평행이동하면       이고, 다시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즉,          ⋯ ㉠

         즉        ㉠을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하면
        이므로 함수 의 최댓값은
         ⋯ ㉡
  이다.
㉡에   을 대입하면
        이때,   이므로   
        ± ∴   또는   
따라서 원 ㉡은 축과 두 점    에서
98) -16
만나므로 구하는 현의 길이는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이 원을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102) ③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이 원이 직선      즉       과 서로
        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원의 중심  과 직선
이 원을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       사이의 거리가 원의 반지름의 길이인
         

 보다 작아야 하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원이 직선   에 접하므로 원의 중심

 
      
 ∴  
      
    와 직선      사이의 거리가
반지름의 길이 과 같아야 한다. 즉,
따라서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99) ① 양변을 제곱하면
포물선       를 원점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대칭이동한 포물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모든 상수 의 값의 합은 이차방정식의
   ·      ∴      
  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
이 포물선을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 
포물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103) ③
이 포물선과 축의 교점의 좌표가   이므로 곡선       를 축의 방향으로 만큼
  ∴  
평행이동하면          
다시 이 곡선을 축의 방향으로  만큼 평행
100) 6 이동하면           
 
원         를 축의 방향으로 다시 이 곡선을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 만큼 평행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식이    과 일치하므로
이 원을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             
원의 방정식은 따라서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104) 

이 원이 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는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원을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 O′의 방정식은
   ±  ∴   또는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이 원이 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는

PQ의 최솟값은 두 원의 중심      을
각각     이므로 
PQ     
이은 선분의 길이에서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의 합을
뺀 것이므로 구하는 최솟값은
101) ④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12 -
105)                    ∴  

곡선       을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시 따라서 점  를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는    이므로
킨 곡선은         즉       
      ∴   
이고, 이 곡선을 다시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시킨 곡선은
             109) ⑤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이 곡선이 곡선       과 일치하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원 C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이 C 이므로

따라서      이고, 이 평행이동에 의하여 원 C 의 방정식은

곡선    으로 옮겨지는 곡선은 곡선    을                    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방향으로  만큼 원 C를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방향으로
평행이동시킨 곡선과 일치한다. 만큼 평행이동한 원이 C 이므로 원 C 의 방정식은
따라서 구하는 곡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 즉       이다. 원 C 의 중심의 좌표는   이고,

원 C 의 중심의 좌표는      이므로


106) ④          
 
원         을 축에 대하여 따라서      이므로   

대칭이동하면          


다시 이 원을 축의 방향으로 만큼 110) ④
평행이동하면               의 그래프를 직선   에 대하여
이 원의 중심의 좌표가    이고 반지름의 대칭이동시킨 도형의 방정식은     이다.
길이가 이므로 축과 축에 동시에 접하려면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이때,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이 방정식이 주어진 방정식과 같아야 하므로
       
107) 25   에서    또는   
 
원 C          를 축에 대하여 그런데   이면 원이 아니므로   
대칭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이 원을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의 111)   
 
방정식은          원         를 축, 축, 원점에
 
∴C          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각각

두 원 C  C 에 동시에 접하는 접선이 개이려면         

다음 그림과 같이 두 원이 서로 외접해야 한다.         


        

즉, 두 원의 중심  와    사이의 거리가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의 합과 같아야 하므로

         
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위 그림의 색칠한 부분의
  
   ∴   ∴   넓이와 같으므로 ··
   
     

108) -8 112) ③
ㄱ.   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도형의
원 O′의 방정식은       
방정식은      ∴  
두 원 O O′의 공통인 현 AB의 방정식은
ㄴ.    을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 13 -
도형의 방정식은      ∴   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 
ㄷ.       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     

도형의 방정식은           따라서 방정식      이 나타내는 도형은

∴       ⑤와 같다.

따라서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하였을 때, 자기 다른풀이


자신과 일치하는 도형의 방정식은 ㄱ, ㄴ이다. 방정식    이 나타내는 도형을 축의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113) ②      

방정식    이 나타내는 도형은 방정식 방정식      이 나타내는 도형을 직선

  이 나타내는 도형을 직선   에 대하여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대칭이동한 후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것이다.      

참고
114) ①     →     →       ⋯ ㉠

방정식   이 나타내는 도형을 직선   에 직선   에 축의 방향으로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   대하여 대칭이동 만큼 평행이동

방정식   이 나타내는 도형을 축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대칭이동하면     축의 방향으로 직선   에

따라서 방정식     이 나타내는 도형은 만큼 평행이동 대하여 대칭이동


주어진 도형을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 ㉡의 결과에서 나타나듯이 대칭이동과 평행이동의

다음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것이므로 ①이다. 순서가 바뀌면 결과가 달라진다.

다른풀이
주어진 도형은 세 직선          ⋯ ㉠ 117) ③
으로 둘러싸인 도형이다. ㄱ. 방정식    이 나타내는 도형은

㉠에 대신   대신 를 각각 대입하면 방정식   이 나타내는 도형을 축에

          ∴         대하여 대칭이동한 것이므로 방정식

따라서 방정식    이 나타내는 도형은   이 나타내는 도형과 일치한다.

①이다. 따라서     이다.


ㄴ. 방정식      이 나타내는 도형은
방정식   이 나타내는 도형을 축에
115) ③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축의 방향으로 만큼
방정식   이 나타내는 도형을
평행이동 한 것이므로 그림과 같다.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  
방정식   이 나타내는 도형을
축의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하면
      ∴    
따라서 방정식     이 나타내는 도형은
주어진 도형을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다음
축의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③이다.
따라서 방정식   이 나타내는 도형과
다른풀이
일치하지 않으므로  ≠     이다.
주어진 도형은 네 직선 ㄷ. 방정식      이 나타내는 도형은
            ⋯ ㉠
방정식   이 나타내는 도형을 원점에
로 둘러싸인 도형이다.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축의 방향으로 만큼
㉠에 대신    대신 를 각각 대입하면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방정식   이
               
나타내는 도형과 일치한다.
∴           
따라서       이다.
따라서      이 나타내는 도형은 ③이다.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116) ⑤ 

118) 
방정식    이 나타내는 도형을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    방정식        이 나타내는 도형은

방정식    이 나타내는 도형을 축의 방정식    이 나태는 도형을 축의 방향

- 14 -
으로   만큼 평행이동한 후 원점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대칭이동한 것이므로 다음 그림과 같다.

123) ③
        에서       
 

원의 중심  을 점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를  라 하면
 
이 도형 위의 점과 원점 사이의 거리의 최댓값은       ∴     
 
원점과 점 B 또는 점 C 사이의 거리이므로
원은 대칭이동해도 반지름의 길이는 변하지

      
 않으므로 대칭이동한 원의 중심의 좌표는
또, 최솟값은 원점과 직선 AD 사이의 거리이고  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이다.
직선 AD 사이의 거리이고 직선 AD 의 방정식은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따라서 구하는 곱은 
 ·  
 
124) ①
점 A의 좌표를  라 하자.
점 A를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119) ②
P 이고 점 P와 점 Q가 축에 대하여
두 점     를 이은 선분의 중점의
대칭이므로 Q  이다.
  
좌표가  이므로       이때, 점 A를 점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 
점이 Q이므로 점   는 두 점 A Q를 잇는
∴      ∴  
선분 AQ의 중점이다.
즉, A  Q  에 대하여
120) 5
   
두 점     를 이은 선분의       ∴       
 
중점의 좌표가   이므로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     이므로
    점 A의 좌표는    이다.
     
 
∴      ∴   
다른풀이
점 A의 좌표를  라 하면 점 A를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P 이고,
121) ⑤
점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점   를 점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Q      이다.
좌표를  이라 하면 두 점     을
이때, 점 P와 점 Q가 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이은 선분의 중점이 점  이므로
          

  에서   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  따라서 구하는 점 A의 좌표는    이다.
  에서     

점    가 곡선      위의 점이므로 125) ④


       따라서    원 위의 임의의 점을 P  점 A  을
점 P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 라 하면
122) 2  
   
 
포물선             의
이때, 점 P 는 원      위의 점이므로
꼭짓점의 좌표는  
    
포물선             의
 

꼭짓점의 좌표는    따라서 
        이므로       
 

두 포물선이 점  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두 포물선의 꼭짓점도 점  에 대하여 대칭이다.

따라서 두 꼭짓점을 이은 선분의 중점의 좌표가 126) 

 이므로 두 점      를 이은 선분의 중점의

- 15 -
     
 
좌표는     즉   
  
 

 

∴    ⋯ ㉡

이 점이 직선      위의 점이므로  
㉠ ㉡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
 
    ⋯ ㉠
또 두 점      를 지나는 직선이

 
∴C    
  
직선     와 수직이므로

AB      이고 점 C와 직선 AB 사이의
    
 ·   ∴       
  거리가      이므로 △ABC   ··   
    
  
   을 ㉠에 대입하면    ∴   
  
130) 17
127)  
       원         에서         
 

원         의 중심  를 직선 이 원과 원     의 중심을 각각 C O라 하면


 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를   C  O 

라 하면 두 점    를 이은 선분의 중점의 이때, 점 C를 직선  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  점은 O 이다.
좌표는   
 
  (ⅰ) 선분 CO의 중점  는 직선      위에
이 점이 직선      위의 점이므로 있으므로     ⋯ ㉠
  (ⅱ) 직선 CO와 직선     는 수직이므로
     ∴    ⋯ ㉠
 
  
또, 두 점    를 지나는 직선이    ∴   ⋯ ㉡
  
직선     과 수직이므로 
㉡을 ㉠에 대입하여 풀면   
  
   ∴    ⋯ ㉡
  한편, 대칭이동하여도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 ㉡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변하지 않으므로   
원은 대칭이동해도 반지름의 길이가 변하지 않으므로  
∴          
구하는 도형은 중심의 좌표가  이고 반지름의  

길이가 인 원이다. ∴      


131) 26
  
          에서
128) 

        
점  를 A 점  를 A′이라 하자.
          에서
   
ⅰ 선분 AA′의 중점    가 직선
              
   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같아야 하므로
     위에 있으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두 원의 중심  ,  을 이은 선분의
ⅱ 직선 AA′이 직선     와 수직이므로
 
 


         ∴   ⋯ ㉡
중점의 좌표는     즉  
   
  
이 점이 직선      위의 점이므로
 
㉠ ㉡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     ⋯ ㉠
 
또 두 원의 중심  ,  을 지나는 직선이
  
∴        직선     와 수직이므로
  

 ·   ∴  

129) ①   을 ㉠에 대입하면      ∴  
C 라 하면 
BC 의 중점의 좌표는
∴    
 
 
 
 
이 점이 직선      위의 점이므로 132) 6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두 원의 중심     이 직선
또, 직선 BC가 직선     과 수직이므로     에 대하여 대칭이다.
두 직선의 기울기의 곱은  이어야 한다. 
두 원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가   이므로

- 16 -
  이고, 두 원의 중심을 잇는 선분의 중점의 좌표 A′   
가   이므로    에서     
AP A′P이므로
따라서     
AP BP 
A′P 
BP

A′B 
≥         

133) 10 따라서 
AP 
BP의 최솟값은 
 이다.
원         의 중심을 C   

원         의 중심을 C  라고 


136) 
하면 두 원이 직선        ⋯ ㉠
점 A  를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킨 점을
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두 원의 중심을 이은 선분 A′이라 하면 A′   
C C 의 중점은 직선 ㉠ 위에 있고, 두 점 C  C 를
점 P가 축 위의 점이므로 
AP 
A’P에서
지나는 직선은 직선 ㉠과 수직이다.  
AP BP 
A′P 
BP
선분 C C 의 중점의 좌표는
따라서 
AP 
BP의 최솟값은
 
   
   즉     의 최솟값과 같다.
A′P BP

이 점이 직선 ㉠ 위에 있으므로     ⋯ ㉡

또, 직선 C C 의 기울기는   이고
   
 
직선 ㉠의 기울기는   이므로 ·    
   
∴   그런데 
AP   
BP A′P BP≥ 
A′B 이므로

  을 ㉠에 대입하면     
AP BP의 최솟값은 
A′B 의 값과 같다.
 
∴         (단, 등호는 선분 A′B와 축의 교점이 P일 때
성립한다.)

134) 1 즉, 
AP 
BP의 최솟값은
 
A′B         

137) 4

점 A  를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이라 하면 A′   
 점 P가 축 위의 점이므로 점 A 를 축에
AP 
BP 
A′P 
BP≥ 
A′B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이라고 하면 A′  
 
이므로 AP BP의 값이 최소가 되는 점 P는
 
AP A′P이므로
직선 A′B와 축의 교점이다. 두 점 A′   
 
AP BP 
A′P 
BP
B 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    ≥
A′B
        즉     
     
        
   
직선     의 절편이 이므로  
AP BP의 최솟값이 이므로 
     
점 P의 좌표는 이다.
양변을 제곱하면
           
135) ④      ∴   또는   
따라서 양수 의 값은 이다.

138)  
점 A를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이라 하면 A′  
 
이때, AP A′P′ 이므로
점 P가 축 위의 점이므로 점 A  을
 
AP BP 
A′P′ 
BP≥ 
A′B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이라고 하면

- 17 -
직선 A′B의 방정식은 142) ③
  점 A 을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        ∴    

점을 A′이라 하면 A′ 
따라서 점 P의 좌표는  이다.
∴
AP 
BP  
A′P BP

≥A ′B 
        


139) ④
점 A를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143) ⑤
A′  라 하고, 점 B를 축에 대하여
점 A 을 직선  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B′  이라 하면
대칭이동한 점을 A′ 라 하면

AQ   
QP PB A′Q 
QP 
PB′≥ 
A′B′          이므로
이므로 
AQ 
QP 
PB 의 최솟값은              
A′B′ 
      

140) 

점 A를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
점 B를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B′이라 하면
A′   B′  
즉, A′  이므로
∴
AP 
PQ   
QB A′P PQ 
QB′  
AP BP 
A′P 
BP≥ 
A′B 
    

≥
A ′B ′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
 이다.
 
         


144) 13

141) ⑤
꼭짓점 O를 원점으로 하여 좌표평면 위에 나타내면
반직선 OP의 기울기는 tan°  
이고 두 점 A, B의 좌표는 A  B 
점 A를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A′은
A′ 
 
AP A′P이므로
 
AP PB 
A′P 
PB
점 P가 축 위의 점이므로 점 B 를 축에
A′B 
≥     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B′이라고 하면 B′  
따라서 
AP 
PB 의 최솟값은 이다.
점 Q가 축 위의 점이므로 점 A 를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이라고 하면 A′  

AQ 
A′Q   이므로
BP B′P 145) 20

AQ   
QP PB A′Q 
QP 
PB′ 점 A 를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이라 하면 A′ 
≥
A′B′
 
이때, PA PA′ 이므로 
PA 
PB 
PA′  
PB≥ A′B
 
         

즉, 
AP  
PB 의 최솟값은 A ′B 이므로 다음 그림과
따라서 
AQ 
QP 
PB 의 최솟값은 
 이다.
같이 점 P는 직선   와 직선 A′B의 교점이다.

- 18 -
또한, 
AD 
AC 이므로 직각삼각형 AHC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 
CH  AH    
  
AC   
     DH

즉, 
CD 
CH 
DH 이므로 다음 그림과 같이
두 원 O  O 는 서로 다른 원의 중심을 지난다.

두 점 A′  B 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점 P의 좌표가 이므로
 
          ∴  
 
 에서
CD 
          


     
146) 45
위의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주어진 원의 중심을 C라 하면 C  
     에서     ∴  
점 A를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이라
하면 A′ 
148) ④

점 R의 자취는 직선       을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방향으로  만큼
이때, 
AP 
A′P이므로
평행이동한 직선이므로 그 방정식은

AP 
PQ 
A′P 
PQ≥ 
A ′Q ⋯ ㉠
           ∴      
한편, 직선 A′C가 원과 만나는 점 중에서
또 원의 중심 C의 자취는 직선     ≥ 과
점 A′에 가까운 점을 Q′이라 하면
직선     ≤ 이므로 두 점 C R 사이의
 
A′ Q≥ A ′Q′ 
CA′ 
CQ′
거리의 최솟값은 점 C  과 직선
 
         
        사이의 거리와 같다.
 
  
  
      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  

따라서 ㉠에서 
AP 
PQ≥ 
A′Q≥ 
 이므로
   

  
 ∴  
149) ⑤
147) ② ㄱ. 방정식    이 나타내는 도형을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   
중심이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 O 의
방정식    이 나타내는 도형을 축의
방정식은 O          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하면      
이 원을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의
따라서 다음 그림과 같다.
방정식은         
이 원을 다시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원 O 의 방정식은 O           

즉, 원 O 의 중심의 좌표는    이다.

이때, 두 원 O  O 의 중심을 각각 C 

D   라 하면 
AB 는 
CD에 의하여 ㄴ. 방정식    이 나타내는 도형을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   
수직이등분된다. 
AB 
CD의 교점을 H라 할 때,
방정식   이 나타내는 도형을 축의
선분 AB의 길이는 
 이므로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하면      
   AB
AH BH  


 따라서 이 방정식이 나타내는 도형은 그림와

- 19 -
같다. 이동하였으므로
ㄷ. 방정식    이 나타내는 도형을 축에       
    
 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    ∴    
      

방정식    이 나타내는 도형을 축의
∴    

 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하면      
다른풀이
∴    
원 C의 중심의 좌표를  라 하면
따라서 이 방정식이 나타내는 도형은 그림와
    
같다.   에서     
 ∵  
 
이상에서 그림와 같은 도형을 나타내는 방정식인
즉, 원 C의 중심의 좌표는    
  이다.
것은 ㄴ, ㄷ이다.
원을 평행이동하면 원의 중심도 똑같이 평행이동
되므로 원 C를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150) ⑤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원 C′의 중심의 좌표는
C   C   C  라 하면
     
  
두 원 C , C 가 외접하므로
그런데 원 C′이 축에 접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  ⋯ ㉠ 이므로   
     ∴    

두 원 C  C 이 외접하므로 또한, 원 C′이 직선       에 접하므로

     ∴     ⋯ ㉡ 원 C′의 중심    과 직선       
두 원 C  C 이 외접하므로 사이의 거리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인 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즉,      


㉠ ㉡ ㉢에서    

∴   ± 

∴  

그런데 원 C′의 중심의 좌표가 보다 작으므로
     ∴  

즉,     
 이므로    


∴    
 

152) ②
두 점 A  B 을 직선   에 대하여
다른풀이
대칭이동한 점은 각각 A′  B′ 이다.

C C  
C C  
C C  이므로
이때,   이고, 두 직선 AB A′B′의 교점이
△C C C 은 정삼각형이다. P이므로 다음 그림과 같다.
∴ cos°    sin°  

151) 8
원 C는  축에 접하므로 중심의 좌표를  라
하면 원 C가 직선         에 접하므로
원의 중심과 직선  사이의 거리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인 과 같다. 즉,
    
  에서    
 ∴   ± 
 두 직선 AA′ BB′은 각각 직선   에 수직이므로
 
두 직선 AA′ BB′은 평행하다.
그런데   이므로     

∴∆APA′∆BPB′ AA 닮음
원 C′은 축에 접하므로 중심의 좌표를  이라
이때, 두 삼각형 APA′ BPB′의 넓이의 비가
하면 원 C′도 직선         에 접하므로
  이므로 두 삼각형의 닮음비는   이다.
원의 중심과 직선  사이의 거리는 원의 반지름의
즉, 
AA′ 
BB′   에서 
AA′  
BB′
길이인 과 같다. 즉,
 
    
AA′  
BB′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그런데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방향으로 만큼 
∴   ∵  
이동하는 평행이동에 의하여 원 C의 중심 

   
 가 원 C′의 중심   
  로 다른풀이1
- 20 -
∆APA′∆BPB′ AA 닮음이고 따라서      이므로
두 삼각형 APA′ BPB′의 넓이의 비가   이므로     ·    
두 삼각형의 닮음비는    이다. ∴
AP 
BP   
즉, 점 P는 선분 AB를   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154) 7
점 P 의 좌표는
점 P 를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  · ·  ·
  
 
    
∴P   
   Q  이고, 두 점 P , Q  를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각각
이때, 두 직선 AB A′B′은 직선   에 대하여
R , S  이므로 다음 그림과 같이
서로 대칭이므로 두 직선 AB A′B′의 교점 P는
직선 QP와 직선 RS의 교점을 A라 하면 A 
직선    위에 있다. 즉,
∴□PQSR ∆AQS ∆APR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른풀이2

          
∆APA′∆BPB′ AA 닮음이고 
두 삼각형 APA′ BPB′의 넓이의 비가   이므로 
  · 
두 삼각형의 닮음비는   이다. 

따라서 점 A와 직선    사이의 거리, 따라서   이므로   

점 B와 직선    사이의 거리의 비가
닮음비   와 같으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른풀이
153) 23 PQ 
        
  
주어진 규칙에 따라 점 P  P  P  ⋯를 구하면
QS 
         
  
점 P  에서 ·       이므로
두 직선 PQ QS는 각각 직선   와
규칙 (가)에 의하여 점 P 을 직선   에 대하여 수직이므로 두 직선 PQ QS는 서로 평행하다.
대칭이동한 점 P 의 좌표는 P   즉, □PQSR는 사다리꼴이다.
점 P  에서 ·       이므로 이때, 직선 QS의 기울기는  이므로
규칙 (나)에 의하여 점 P 를 축에 대하여 직선 QS의 방정식은

대칭이동한 점 P 의 좌표는 P           ∴      


점 P에서 직선 QS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점 P   에서 ·     이므로
점 P와 직선        즉         
규칙 (다)에 의하여 점 P 을 축에 대하여
     
대칭이동한 점 P 의 좌표는 P     사이의 거리는 
PH    
   
점 P    에서  ·         
따라서 □PQSR의 넓이는
이므로 규칙 (가)에 의하여 점 P 를 직선   에 
 ·
    
  ·
  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P 의 좌표는 P     
이므로    ∴  
점 P    에서  ·         

이므로 규칙 (나)에 의하여 점 P 를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P 의 좌표는 P   
155) ①
방정식    이 나타내는 도형을 평행이동
점 P   에서  ·    이므로
또는 대칭이동을 이용하여 도형         
규칙 (다)에 의하여 점 P 을 축에 대하여
이 되도록 하려면 다음의 순서대로 이동해야 한다.
대칭이동한 점 P 의 좌표는 P  
(ⅰ) 도형    을 직선   에 대하여
즉, 점 P  P  P  P  P  P  P  ⋯은
대칭이동하면 다음 그림과 같고 도형의 방정식은
개의 점               
      의 순서로 반복된다.
이때,   ·  이므로 점 P 의 좌표는

점 P 의 좌표인  과 같다.

- 21 -
 
 ≥    이면 


  이고,
 



  이면       또는   이다.
(ⅱ) 도형    을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157) ③
다음 그림과 같고 도형의 방정식은      원         을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킨 도형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점 P′은 원 ㉠ 위의 점이다.
원         을 직선   에
(ⅲ) 도형     을 축의 방향으로  만큼,
대하여 대칭이동시킨 도형의 방정식은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하면 다음 그림과
        
같고 도형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즉         
이므로 점 Q′은 원 ㉡ 위의 점이다.

(ⅰ), (ⅱ), (ⅲ)에서 방정식         이


나타내는 도형은 ①이다.

이때, 두 원 ㉠ ㉡의 중심을 각각 A B라 하면
156) 6 A    B  
≠  ≠ 이므로 조건 (가)에 의하여
AB 
          

     
이고 두 원 ㉠, ㉡의 반지름의 길이는 모두
조건 (나)에 의하여 복소수 는 순허수이므로

 이므로

     
    또는    

P′Q′≤ 
P′A 
AB 
BQ′

그런데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즉,          를 연립하여 풀면 (단, 등호는 두 점  가 선분 P′Q′ 위에 있을 때

      ∴   →       성립한다.)

이 평행이동에 의하여 원     이 옮겨진   따라서 선분 P′Q′의 길이의 최댓값은 


 이다.

원의 방정식은          ⋯ ㉠


원 ㉠이  축에 의하여 잘리는 현의 길이는 158) ⑤
원 ㉠과 축이 만나는 두 점 사이의 거리와 같다. ㄱ. 점 A 를 점 P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과 축의 교점의 좌표는 점 B의 좌표를  라 하면 선분 AB의 중점이

        
    
   ±    
P이므로       ∴     
 
∴   또는   
즉, 점 B의 좌표는   이다. (참)
따라서 ㉠과 축의 두 교점은    이므로
ㄴ. 선분 AB의 길이가 최대가 되려면 두 점 A P
구하는 현의 길이는     이다.
사이의 거리가 최대가 되어야 하므로
참고1 순허수의 성질
점 P는 점 A를 지나는 지름의 양 끝점 중에서
복소수      는 실수,   
  에서 점 A로부터 먼곳에 있어야 한다.
  
        
점 A 에 대하여 
OA OP       
 
이때,     ≠이면      이므로 선분 AB의 길이의 최댓값은

즉,  이 음의 실수이면 는 순허수이다. 
AB  
AP ·   (참)
 
또한   이면    ≥  ㄷ. 다음 그림과 같이 점 A를 지나는 원의 지름의

즉,  이 음이 아닌 실수이면 는 실수이다. 양 끝점을 각각 P′ P″이라 하면 선분 AB의

참고2 음수의 제곱근 길이가 최대일 때의 점 P의 위치는 P′ 최소일

- 22 -
때의 점 P의 위치는 P″이다. 160) 8
원 C     을 직선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을 C 이라 하자.
(ⅰ) 일치하는 점이 개인 경우
두 원 C C′의 교점이 개이려면 다음 그림과
같이 네 교점 중에서 두 점만을 지나는 원을
C′이라 하고, 두 원 C C′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을 로 정해야 한다. 즉, 이 경우에 직선 은
이때, 점 A를 두 점 P′ P″에 대하여 각각
                   
대칭이동한 점을 B′ B″이라 하고, 
OA 이라 의  개다.
하면 
AB′    
AB″   
따라서 선분 AB의 길이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 
합은 항상 AB′ AB″         
로 일정하다. (참)
그러므로 ㄱ, ㄴ, ㄷ 모두 옳다.

159) 14 (ⅱ) 일치하는 점이 개인 경우


점 A 를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네 교점 중 세 점만을 지나는 원은 만들 수
점을 B 라 하자. 없으므로 일치하는 점이 개가 되도록 하는
    

(ⅰ) 선분 AB의 중점    는 직선   
   직선 은 존재하지 않는다.
(ⅲ) 일치하는 점이 개인 경우
  
위의 점이므로   ·         두 원 C C′은 일치해야 하므로 이 경우의 직선
 
∴     ⋯ ㉠ 은            의 개다.

(ⅱ) 직선 AB가 직선   와 수직이므로 (ⅰ), (ⅱ), (ⅲ)에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직선
의 개수는     개다.
  
         
  
∴     ⋯ ㉡ 161) 5
㉠ ㉡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점 P  를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즉, B  이므로 삼각형 OAB의 무게중심 D의 점 P 의 좌표는  
          

좌표는    
    
∴D   
    직선     를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즉   
이때, 점 D는 직선    위의 점이고,
점 P 을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를 P  라 하면


   
선분 P P 의 중점은    이고, 직선
  
   위의 점이므로
   
  ·         ⋯ ㉠
 
두 점 A B가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 
직선 P P 의 기울기는  이고, 이 기울기가
세 점 A B D를 지나는 원의 중심 C 는  

직선    위의 점이다.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또한, 원 위의 점에서 원의 중심까지의 거리는 원의
   
 
반지름의 길이로 같으므로 BC    DC
DC 에서 BC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P         
 
   점 P 를 축의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Q          
    
  
㉢ ㉣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 이상에서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23 -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  
 
 
   ·   
 


164) ④
점 P의 좌표를  라 하면
162) -2
 
 
PA OA 에서 
PA  
OA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즉, 포물선       의 꼭짓점의 좌표는
  이다. 포물선의 꼭짓점은 대칭이동에         ⋯ ㉠

의하여 포물선의 꼭짓점으로 이동되므로 포물선   


또 직각삼각형 PAO에서 OP

OA  
PA

 
      을 점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즉, 
OP   
OA 이므로
포물선의 꼭짓점의 좌표를  라 하면 두 점     ·        ⋯ ㉡
    를 잇는 선분의 중점이 ㉠  ㉡을 하면         ⋯ ㉢
점   와 일치한다. ㉡ ㉢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     
  따라서 직선 OP의 방정식은   이다.
즉,      이므로
 
점 A  을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      
점을 A′ 라 하면
따라서 대칭이동한 포물선의 꼭짓점의 좌표는
 
   이다. (1) 선분 AA′의 중점    각 직선
   
이때, 대칭이동을 하여도 포물선의 폭은 변하지    위의 점이므로
않고, 처음 포물선이 아래로 볼록한 포물선이므로   
  ·       ⋯ ㉣
대칭이동한 포물선은 위로 볼록한 포물선이 된다.  
그런데 위로 볼록한 포물선이 축과 만나지 (2) 직선 AA′이 직선   와 수직이므로
않으려면 꼭짓점의 좌표가 음수이어야 하므로  
 ·       ⋯ ㉤


    ∴  
 ㉣ ㉤을 연립하여 풀면      이므로
즉, 정수 의 최댓값은  이다. A′ 

다른풀이 따라서 점 A를 직선 OP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는 이다.
포물선       을 점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포물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165) ②
그림과 같이 방정식    이 축, 축과
이 포물선이 축과 만나지 않으려면 이차방정식
만나는 점의 좌표를 각각       라
         즉         
하면 그림와 같이 이동된다.
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D 
           ∴  
 
따라서 정수 의 최댓값은  이다.

163) ④
주어진 도형의 이동에 의하여
점  은 점   로,
점  는 점   로,
점  는 점    로 이동하였으므로
점  는 점     로 이동한다.
이때, 그림의 도형의 방정식을 ′ ′  이라
하면 점     은 도형 ′ ′   위의
점이므로
   ′     ′ ∴  ′     ′
곡선 C 는 곡선 C를 평행이동하여 만든 도형이고,
이를    에 대입하면 그림의 도형의
곡선 C 은 곡선 C 을 평행이동하여 만든 도형이므로
방정식은       이다.
네 곡선 C C  C  C 과 두 직선      으로
다른풀이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의
주어진 도형    을 다음 순서대로 이동하면
넓이와 같다.

- 24 -
그림의 도형을 나타낸다.    
직선 S S 의 방정식은        
  
(ⅰ) 주어진 도형    을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다음 그림과 같고 도형의 방정식은 즉,     이므로 이 직선과 축이 만나는

    

점 T 의 좌표는    이다.
 
 
이상에서 SP PQ 
QS의 최솟값은   


이고, 이때의 점 Q의 좌표는    이므로
  

 
OQ 
(ⅱ) (ⅰ)의 도형    을 축에 대하여 
대칭이동하면 다음 그림과 같고 도형의 방정식은    
따라서     
       


167) 103
세 점 P A B를 P  A  B 로

(ⅲ) (ⅱ)의 도형     을 축의 방향으로 정하면 


     은 두 점 A P 사이의

만큼 평행이동하면 다음 그림과 같고 도형의 거리이고 


   은 두 점 B P 사이의 거리이다.
방정식은        즉, 
      
   의 최솟값은
점 A에서 점 P를 거쳐 점 B까지 가는 최단 거리를
의미한다.
이때, 점 P 은 축 위의 점이므로 점 B 를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C라 하면 C  

BP 
CP이므로 
PA   
PB PA PC≥ 
AC
166) ④
점 O를 원점으로 하고 직선 OH를 축으로 하는
좌표평면을 설정하면 직선  은 원점을 지나고
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가 °이므로
직선  의 방정식은   이고, 두 점 S H의

표는 S  H 이다.


점 S 를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킨
점을 S 이라 하면 S  이고, 점 S 를 즉, 점 P가 직선 AC와 축의 교점일 때, 주어진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킨 점을 S 라 하면 식은 최솟값을 갖고 그 최솟값은 선분 AC의 길이와

S   이다. 같다.


직선 AC의 방정식은     
이때,  
SP S
P 
SQ 
S Q이므로
즉, 주어진 식의 값이 최소가 되게 하는 점 P의

SP 
PQ 
QS 
S P 
PQ 
QS

좌표는     에서    이고
≥
S S 

이때의 최솟값은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이므로

       

168) ⑤
직선 을 축, 지점 O를 지나고 직선 에 수직인
직선을 축으로 하는 좌표평면을 정하면 다음
그림과 같다.

직선 S S 가 직선    및 축과 만나는 점을

각각 T  T 라 하면 ㉠에서 등호는 두 점 P Q가

각각 T  T 와 일치할 때 성립한다.

- 25 -
171) ①
점 C  을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C′   
점 D 을 직선 BO 즉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D′ 

C′E   
CE FD′ FD이므로
점 A 을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P  
CE  
EF FD C′E 
EF  
FD′≥ C′D′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Q라 하면
즉, 
CE 
EF 
FD 의 값이 최소가 되려면
P   Q 
두 점 E F가 직선 C′D′ 위에 있어야 한다.
이때, 만들려고 하는 도로의 길이는
  
AD DE EA   EQ
PD DE ≥ 
PQ
한편 두 점 P   Q 을 지나는 직선의
   
방정식은         ∴    
 

축과 직선     의 교점의 좌표는 B   
  
  와 직선     의 교점의 좌표는 C    
 
두 점 C′    D′ 를 지나는 직선의
 
 방정식은

BC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두 정류소 B와 C 사이의 거리는  km 따라서 이 직선의 절편이  이므로

점 E의 좌표는  이다.
이다.

172) 
m
169) 

다음 그림과 같이 점 C를 두 선분 OP OQ에
점 A 을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이라 하면 대하여 각각 대칭이동한 점을 C  C 라 하면

A′  A″  



AB 
A′B 
CA 
CA″이므로
  
AB BC CA 
A′B 
BC 
CA ≥ 
A′A″
따라서 ∆ABC의 둘레의 길이의 최솟값은

A′A″ 
          


AC 
AC  
BC 
BC

∴  CA
AB BC  AB
  BC   
C A≥ C C
 

또한, ∠POQ  °이므로 ∠C OC  ∠POQ  °


 
OC OC 에서 ∆OC C 는 이등변삼각형이다.

170) ④
점 A를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이라 하면 A′  점 O에서 변 C C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점 B를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  m
∆C OH는 ∠C OH  ° ∠C HO  ° OC
B′이라 하면 B′  
인 직각삼각형이므로 
C H  
 m
사각형 APQB의 둘레의 길이는
∴
C C  
C H 
 m

AP 
PQ 
QB 
BA 
A′P 
PQ 
QB′ 
BA
따라서 
AB 
BC 
CA 의 최솟값은 
 m이다.
≥
A′B′ 
BA

 
        
173)   

 
  
정팔각형 ABCDEFGH의 두 변 DE BC를
따라서 사각형 APQB의 둘레의 길이의 최솟값은
포함하는 직선을 각각 축, 축으로 하는
  
 이다.

- 26 -
좌표평면에 정팔각형을 놓으면 다음 그림과 같다. 만큼 평행이동한 점의 좌표가  이므로
 
    ⋯㉠

   ⋯ ㉡
점 O′ 은 직선      위의 점이므로
     ⋯ ㉢
㉡, ㉢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한편 직선 OA와 직선 O′A′은 평행하므로
 
  ∴  
  
정팔각형의 한 변의 길이가 
 이므로
     를 ㉠에 대입하면
  에서 
CD    ∴C  D 
OC OD

E       ∴   ∴  
  이고, 점 F에서 축에 내린 수선의 
 
발을 F′이라 하면 EF  에서
 이므로 EF′
F′  
   176) ①
점 F의 좌표는 점 F′의 좌표, 점 F의 좌표는 두 점 A B의 좌표를 각각 A  B 라
점 C의 좌표와 같으므로 F  
   하면 A′   B′  
B   
  이고, 점 A에서 축에 내린 수선의        

발을 A′이라 하면 
AB   에서
 이므로 A′B
선분 A′B′의 중점의 좌표는   
  
이고, (가)에서 중점의 좌표가  이므로
A′   

    
점 A의 좌표는 점 D의 좌표, 점 A의 좌표는      
 
점 A′의 좌표와 같으므로 A   
         
변 AB의 중점 P 과 변 EF의 중점 P 는  
직선 A′B′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
P     P   
  

 

  이 직선의 방정식이     이므로
점 P 을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P ′  
        
 
점 P 를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P ′
따라서        이므로   

이라 할 때, 구하는 최단 거리는 P ′P ′과 같다.

      
  
따라서 P ′      P ′    
    

  177) 2
평행이동한 포물선의 방정식은
이므로 구하는 최단 거리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P ′P ′  
 
 
     
  

 두 점 P Q의 좌표를 각각  라 하면
  는 이차방정식       
   
   
   
    

즉         의 두 실근이므로
근과 계수와의 관계에 의하여
174) ②
      ⋯ ㉠
사각형 ABCD가 평행사변형이므로 선분 AC의
선분 PQ의 중점이 원점이므로

 
  
 
  
중점    와 선분 BD의 중점   
    

  ∴     ⋯ ㉡
가 일치한다. 즉,        
㉠ ㉡에서     ∴  
직선       을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
의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178) ②
점 A 을 직선     에 대하여
직선       이 대각선의 교점을 지나므로
    대칭이동한 점을 A′ 라 하면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ⅰ) 선분 AA′의 중점    이
   
직선      위에 있으므로
   
175) 14 
 ·   

      

 
∆AOB의 무게중심을 G라 하면 G   
   ∴     ⋯ ㉠
(ⅱ) 직선 AA′이 직선     와 수직이므로
점 G를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방향으로

- 27 -
  
       
  

∴     ⋯ ㉡
㉠ ㉡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A′  

따라서 구하는 최댓값은

AC   

  
    OC OA 

     

 
      

181) ③
이때, 
PA 
PA′ 이므로 
PA   
PB PA′ PB≥ 
A′B 점 P의 좌표를  라 하면 두 점 P Q는 원점에
 
즉, PA PB 의 값이 최소가 되려면 점 P는 직선 대하여 대칭이므로 점 Q의 좌표는    이다.

     와 직선 A′B 의 교점이어야 한다. 점 P 는 원          위의


두 점 A′   B 을 지나는 직선의 점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또, 점 Q   도 원          
 
           을 연립하여 풀면 위의 점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을 변끼리 빼면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점 P의 좌표는         

  
    이다.
   이때,   이면   이므로 두 점 P Q가
일치하게 되어 조건에 모순이다.
따라서 ≠ 이므로 직선 PQ의 기울기는
179) 98       
     
주어진 규칙에 따라 점 A  B 은 자연수)의        

좌표를 구하면
A   B   182)     
A   B   직선 의 기울기를 이라 하면 점 A 을
A   B   지나는 직선  의 방정식은

A   B          ∴        


직선  위의 점을 P 라 하고, 이 점을 점
A   B 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Q 라 하면

∴ A B 
          
  

선분 PQ의 중점이 점  과 일치하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180)   

즉, 점 Q 가 직선      위의 점이므로
원 C            에서
직선 을 점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의
C          
방정식은     
점  에 대하여 서로 대칭인 두 원 C 과 C 가
이 직선을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의
외접하려면 점  는 접점이어야 한다. 이때, 방정식은       ∴    
두 원 C  C 의 중심을 각각 A   B라 하고 직선     가 점 A  을 지나므로
점  를 점 C라 하면 세 점 A C B는          ∴  
이 순서대로 한 직선 위에 있다. 따라서 직선 의 방정식은

한편,     

OC 이므로 이 값이 최대가 되는        ∴    
경우는 다음 그림과 같이 원 C 과 직선 OA의 교점

중 원점에서 먼 점이 점 C가 될 때이다. 183) 2


두 점 A B를 이은 선분의 중점의 좌표는  이고,

- 28 -
 이때, A  
  B 
 이므로
직선 AB의 기울기는   이므로 접은 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직선 AB의 기울기는    

 
두 점 C D를 이은 선분의 중점    가
    즉, 직선 OQ의 기울기는  



  이므로

직선      위의 점이므로

  직선 OQ 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또, 두 점 C D를 지나는 직선이 직선     과 원     와 직선    의 교점의 좌표는

 
 
수직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  
  ∴   또는   
 
  
∴   ·   이때, 구하는 점 Q는 선분 AB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  
  
  
점이므로        ·    
  

  
184) 
  P 

점 A 을 직선     에 대하여  
∴Q    


 
대칭이동한 점을 A′  라 하자. 한편, 점 P의 좌표를  라 하면 점 Q의 좌표는
   
선분 AA′의 중점    이
    
   이므로    


∴  

직선      위에 있으므로 
따라서 점 P의 좌표는  이다.
    
  ·    ∴    ⋯ ㉠
 
직선 AA′과 직선     가 수직이므로 
186) 

  
   ∴    ⋯ ㉡
   원 C 가 원 C 과 가장 멀리 떨어져 있을 때 는
㉠ ㉡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A′  최대이므로 다음 그림과 같이 원 C 가  축에 접할
∴
AP 
BP 
A′P 
BP 때 는 최대이다.
A′B 
≥       
 또한 두 원 C  C 가 일치할 때, 는 최소이다.
 
따라서 AP BP의 최솟값은 
 이다.
또, 직선 A′B의 방정식은
 
      즉      
 

따라서 두 직선           의 교점의

좌표는  이므로 


AP 
BP의 값이 최소일 때의
점 P의 좌표는 P 
가 최대일 때, 원 C 의 반지름의 길이는 이므로

원 C 의 중심의 좌표를  이라 하면 원 C 의


185) ① 중심  과 점  은 직선     에
원       를 축의 방향으로  만큼 대하여 대칭이다.
평행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ⅰ) 두 점    을 연결한 선분의 중점
         ∴     
 
원     를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의
    
이 직선      위에 있으므로

    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  
즉, 원        위의 점 P를 이동한
(ⅱ) 두 점    을 지나는 직선이 직선
점 Q는 원      위의 점이다.     과 수직이므로
한편, 삼각형 ABQ의 넓이가 최대가 되려면   
         ∴  
점 Q는 선분 AB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원 위의   
점이어야 한다. 
(ⅰ), (ⅱ)에서    ⋯ ㉠
  
즉, 직선 AB에 수직이고 원     의 중심
가 최소일 때, 직선     는 원 C 의 중심
O 을 지나는 직선이 원과 만나는 점 중에서
 을 지나므로   ·   ∴   ⋯ ㉡
선분 AB로부터 멀리 있는 점이 점 Q가 되어야 한다.

- 29 -

㉠ ㉡에서   ≤  ≤ 


따라서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187) 450cm
□ABCD를 변 BC와 변 DC에 대하여 즉,   의 값이 최대가 되려면 
PP′ QQ′ QH 의

대칭이동하여 다음 그림과 같이 나타내면 길이가 최대가 되어야 하므로 두 점 P Q를 잇는

노란 공이 움직인 거리는 
EF의 길이와 같다. 선분 PQ는 원의 지름이어야 한다.

∆PQH 는   인 직각이등변삼각형이므로
PH QH
 
PH QH 라 하면 
PQ가 원의 지름이므로

    ∴  

따라서  ′ 의 최댓값은 


PP′ QQ  이다.

따라서 구하는 거리는


189) ④
그림에서 점 B를 직선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EF 
         
점을 B′이라 하면 
AB 
AB′
 
    cm
점 C를 직선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직선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C′이라 하면 


BC 
B′C′
188) ①
점 D를 직선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직선  에
원         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대하여 대칭이동한 다음 직선  에 대하여 대칭이동
좌표를  라 하면 점 P를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Q의 좌표는  이다. 한 점을 D′이라 하면 
CD 
C′D′

또한, 두 점 P Q에서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은 점 P를 직선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직선  에

각각 P′  Q′ 이므로 대하여 대칭이동한 다음 직선  에 대하여 대칭이동



PP′  
QQ′  ∴     
PP′ QQ′ 한 후 직선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P′이라
이때,      ≥ 라 하면 하면 
DP 
D′P′
    또는     
∴    또는    
이때, 점  는 직선      또는     
위의 점이므로 점 P는 주어진 원과 이 두 직선의
교점이다.
직선과 원이 만나면서 의 값이 최대이려면 직선과
원이 접해야 하므로 원의 중심  와 직선
       또는        사이의 거리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인 와 같아야 한다. 즉,
   ±  
PA 
AB   DP
BC CD 
  에서  

     
 PA AB′ 
B′C′ 
C′D′ 
D′P′
∴  
 ∵ ≥  ≥
PP′
따라서  
PP′ 
QQ′ 의 최댓값은 
 이다. 그런데 점 P′은 점 P를 가로 방향으로 만큼,
다른풀이 세로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점이므로

원         의 중심  가 직선 PP′ 


     
  

   위의 점이므로 직선   에 대하여 서로 따라서 도형 PABCD의 둘레의 길이의 최솟값은
대칭인 두 점 P Q는 기울기가  인 직선 위의 
 이다.
점이다.
다음 그림과 같이 점 P가 직선   의 아래쪽에서 190) ③
 에 내린
원 위에 있는 점이라 하고 점 P에서 QQ′ 원 C          이라 하고, 원 C의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   
PP′ QQ′ QH 중심을 C 이 원과 직선     의 두 교점을
A B라 하자.

- 30 -
원의 중심 C  과 직선      두 점 B C가 직선   에 대하여 서로 대칭이므로
즉        사이의 거리는 점 C의 좌표는  
      
   
 BC 
∴      
  
 
   (∵  )
점 C에서 선분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C′이라
직선 BC는 직선   와 서로 수직이므로 기울기는
하면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
 이므로 ∆ACC′에서
 이고, 점 B를 지나므로 직선 BC의 방정식은

AC′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B 
AC′ 
 따라서 점 A  와 직선 BC 사이의 거리를

이때, 
AC 
CC′ 
AC′     
 이므로 △ACC′은 라고 하면

∠ACC′  °인 직각삼각형이다. ∴∠ACB  °        


     
   
(∵     )
삼각형 ABC의 넓이가 
 이므로
  
∆ABC   ·
BC·  ·
  ·   
  

      


∴    
 ⋯㉡
한편, 도형        은 도형    을
㉠ ㉡에서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축의 방향으로
              
   ·  
 만큼,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처음 원의 중심 C  은 점   로, 따라서     이므로     

직선     은 직선     로 이동한다.
원 C가 주어진 평행이동과 대칭이동에 의하여 옮겨진 192) ④
원을 C′이라 하면 방정식        이 직선          위의 한 점 A  을
나타내는 도형은 원 C′         과 잡고 점 A를 직선         에 대하여
직선     의 두 교점 및 원 C′의 중심을 대칭이동한 점을 B 라 하면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이다.
이때, 원 C′의 중심   는 직선      위의
   
(ⅰ) 선분 AB의 중점    은
   
    
점이고, 두 점 C     를 지나는 직선의 직선  위에 있으므로 ·       
 
기울기가  로 직선     과 수직이므로
∴     ⋯ ㉠
점   는 점 C′이다.
(ⅱ) 직선 AB가 직선 과 수직이므로
즉, 두 도형            의
  
        
내부의 공통부분은 다음 그림의 어두운 부분과 같다.    
∴     ⋯ ㉡
㉠ ㉡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  
  
 
∴B    
  

직선 CC′이 공통부분을 이등분하고, 직선 CC′으로

나누어진 각 도형은 한 변의 길이가 


CC′ 
인
정삼각형이므로 공통부분의 넓이는

·  ·
   



한편, 두 직선                  의
교점을 P라 하고 두 방정식을 풀면
191) 8       ∴P 
  직선 에 대하여 직선 과 대칭인 직선은
점 B 가 곡선    위의 점이므로   
 
두 점 B P를 지나므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31 -
 

  

        ∴      
공통부분은 다음 그림의 어두운 부분과 같다.


 

다른풀이
직선          위의 한 점을 A  라
하고, 이 점을 직선      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 ′이라 하자.
(ⅰ) 선분 AA′의 중점의 좌표는
 ′    ′ 이때, 두 점     을 지나는 직선의

  이고, 이 점이 직선
 
방정식은       두 점     을
         위에 있으므로 

   ′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두 직선은 수직이다.
∴  ′  ′   ⋯ ㉢ 또한, 두 직선의 교점의 좌표는
(ⅱ) 선분 AA′이 직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즉     과 수직이므로   
′     
이것을      을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을 ㉣에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즉, 교점의 좌표는    
   
따라서 점 ′ ′은 직선        위의
점이므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참고
도형의 이동에 대한 문제를 풀 때에는 전체 도형을
이동시키려고 하면 복잡하고 어려울 수 있다.
도형을 이루고 있는 점의 이동으로 바꾸어 생각하면
보다 간단한데, 직선은 직선 위의 두 점, 원은 원의
중심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즉, 직선 에 대하여

직선 을 대칭이동할 때, 두 직선  의 교점을 구하는 넓이는 세 직선           

P라 하면 대칭이동에 의하여 점 P의 위치는 변하지   로 둘러싸인 삼각형의 넓이에서 세 직선
않으므로 우선 점 P의 좌표를 구하고, 직선  위의 
           로 둘러싸인 삼각형의
임의의 점 A를 직선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B를 

구하여 두 점 P B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면


직선 에 대하여 직선 과 대칭인 직선의 방정식을
  

 
넓이를 빼면 되므로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이므로     
구할 수 있다.

193) 31 194) ①
두 곡선        가 직선   에
(ⅰ) 방정식    이 나타내는 도형을 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두 곡선의 교점은 곡선
대하여 대칭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   와 직선   의 교점과 같다.
    
    을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그런데 곡선    는 곡선       를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곡선
         ∴            와 직선   의 교점은 곡선
(ⅱ) 방정식    이 나타내는 도형을 직선       와 직선     의 교점과 같다.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  두 곡선        가 서로 만나지
   을 축의 방향으로  만큼, 축의
않으려면 이차방정식         의 판별식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을 D라고 할 때,
         ∴       
D
(ⅰ), (ⅱ)에서 두 방정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나타내는 도형의 내부의 따라서 구하는 정수 의 최댓값은  이다.

- 32 -
195) 


포물선        위의 서로 다른 두 점을
A  B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을 하면          
∴       ⋯ ㉢
또한, 두 점 A B는 직선     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직선 AB가 직선     과 수직이다.
 
즉,    에서      
 
이것을 ㉢에 대입하면        이고,
≠이므로        ∴    ⋯ ㉣
한편, ㉠  ㉡을 하면
           ⋯ ㉤


   
선분 AB의 중점    가 직선     
  
    
위에 있으므로      ∴     
 
이것을 ㉤에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위의 식에 ㉣을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따라서 두 점 A B사이의 거리는

AB 
     

 
  ∵    
 
·  


- 33 -
- 34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