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27

연 구 논 문

미국의 소년범 형사이송제도의


범죄 억제력에 관한 고찰

1)박 미랑*

논문요약

학교 폭력 문제와 소년에 의한 잔혹한 범죄들의 보도를 접한 우리사회는 소년의


처벌의 강화의 목소리에 무게를 싣고 있다. 하지만 동시에 학계에서는 소년사법의 형사
사법화의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소년사건은 소년보호사건을 통해 주로 처리하게
되어 있지만 이와 반대로 소년범의 형사처벌을 강화하는 제도로서 보호처분이 아닌
형사처벌을 가능하게 하는 소년 형사이송제도 동시에 존재한다. 이러한 소년범의 형사
이송을 설명하는 이론으로는 초점적 관심과 억제이론을 들 수 있다. 초점적 관심이론에
따르면 판사가 판단하는 죄상, 지역사회 보호, 양형결정의 실질적 함의라는 판사의 관심에
따라 형의 경중이 달라지고, 엄격화된 소년범의 형사이송 역시도 이 과정에 의해 결정
된다. 또한 고전적 억제이론은 인간이 더 높은 처벌로 범죄이익을 상쇄할 수 있으므로
자유의지는 범죄를 선택하지 않게 할 것이라 기대한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이 앞서 경험한 소년범의 형사사법화를 소개한다. 1899년 첫 소년


법정이 마련된 이후 100년이 지난 시점에서 미국은 소년범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는 형사
이송제도를 보편화 시켰다. 이를 통해 수많은 소년범들이 형사법원을 거쳐 중범죄자가
되었고, 성인교도소에 수감되는 소년범들의 수도 증가하였다. 미국의 형사이송제도는
크게 소년법원의 심리면제, 법률적 배제, 그리고 검사의 기소재량이라는 세가지 방식

* 범죄학 박사, 한남대학교 경찰행정학과 조교수.

106 형사법의 신동향 통권 제45호(2014 ・ 12)


으로 나눠지는데, 그 방식과 재량권의 주체는 다르지만 결과적으로 모두 형사이송을
허용한다. 그러나 이를 통해 기대하였던 소년범의 범죄감소 및 재범억제효과에 대한 평
가 결과는 매우 회의적이다. 많은 미국의 경험적 연구들은 추적 평가연구 결과를 통해 형
사이송된 청소년들의 재범률이 높음은 물론 재범을 범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도 짧았
으며 결국 범죄 억제효과의 실패를 보고하였다. 이와 동시에 많은 주들이 이들을 추적
・ 관찰하는 시스템을 마련하지 않아 장기적 효과분석의 어려움이 있었음을 지적하였다.
미국의 상황은 한국의 상황과 상이한 모습들이 존재하기는 하지만 한국의 소년범의
처벌강화의 목소리에 대한 제도 정비의 차원에서 참고하고 함께 논의 하는데 방향을 제
시해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구체적 내용들은 본문을 통하여 논의해 보기로 한다.

[주제어] 소년범, 소년사법, 미국의 형사이송제도, 억제효과, 재범

▪ 논문접수 : 2014. 11. 23. ▪ 심사개시 : 2014. 12. 5. ▪ 게재확정 : 2014. 12. 18.

목 차

Ⅰ. 서 론 Ⅳ. 소년범 형사이송의 효과 및 결과
1. 범죄 억제에 대한 효과
Ⅱ. 형사이송 관련 이론적 배경과 미국 소년법원 역사
2. 불균형적 형사이송 결과
1. 형사이송 관련 이론적 배경
2. 소년범 분리의 역사 Ⅴ. 함의 및 결론

Ⅲ. 미국의 소년범 형사이송제도 ※ 참고문헌

Ⅰ. 서 론

성인 범죄의 경우 범죄성립이 인정되면 바로 형벌과 연결되지만, 소년범죄에


있어서는 범죄사실을 포함한 비행사실이 인정되는 경우도 바로 형사처벌로 이어
지지 않는다. 소년의 보호 필요성을 고려하여 소년사건은 소년보호사건과 소년
형사사건이라는 이원적 구조로 절차가 진행된다.1) 최근 소년사건을 처리하는

미국의 소년범 형사이송제도의 범죄 억제력에 관한 고찰 107


추세를 살펴보면 검찰의 기소보다 보호사건으로 처리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2) 그러나 현재 우리사회의 여론은 이러한 소년범의 보호처분에
관한 사회적 동의를 얻고 있지 못하는 듯하다. 언론에 의해 연이은 학교 폭력의
문제와 소년에 의한 잔혹한 범죄들이 보고되면서 소년의 보호와 갱생이 아닌
처벌을 통한 범죄 억제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이러한 소년범죄자에
대한 엄벌주의적 이데올로기가 힘을 얻고 있는 모습은 그들의 범죄 억제 및
사회로의 재통합 가능성을 엄격한 처벌로서 달성할 수 있고, 달성해야한다는
사회적 기대의 반영일 것이다. 그러나 학계에서는 이러한 소년사법의 형사
사법화의 촉진을 진지하게 우려하고 있다.

소년범죄 통계를 통해 처우와 처벌의 추세를 살펴보면, 소년교도소 수용


인원은 증감을 반복하고 있다. 2008년에는 156명, 2009년 169명, 2010년 146명,
2011년 114명이었고, 2012년 수용인원은 170명에 해당한다.3) 교정본부에서
보고하는 전국 교정시설 수형자 중 18세 미만의 수형자는 2012년 86명으로 과거
5년간 비교하여 최고치에 이르고 있다. 또한 과거 5년간 2011년과 2012년은
15년 이상의 형을 선고받은 소년들도 총 6건에 해당되어,4) 이는 비록 전반적
으로 소년범죄가 양적인 측면에서 증감을 반복하고, 그 처분에 있어 보호처분의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기는 하나 강력 흉악범죄에 대하여는 엄격한
처벌이 내려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소년에 의한 범죄의 심각성에 대한 우려는 비단 우리나라만의 경험이 아니다.


소년범의 처벌을 강화하였던 경험은 다른 나라에서도 과거 유사하게 진행되었다.
미국의 경우 1980년대와 1990년대 청소년 범죄가 대두되면서 온정주의적이었던

1) 이재석, “최근 한국의 소년범죄의 실태와 대책”, 「비교형사법연구」, 제14권 제2호,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12), 579∼610.
2) 대검찰청, 「범죄분석」, 2013.
3) 법무부 범죄예방정책국, 소년과 통계자료, 「2013청소년백서」, 여성가족부, 2013, 390쪽 재인용.
4) 법무부 범죄예방정책국, 소년과 통계자료, 「2013청소년백서」, 여성가족부, 2013, 390∼391쪽
재인용.

108 형사법의 신동향 통권 제45호(2014 ・ 12)


소년범죄 처벌이 엄벌주의로 향하였고, 그 결과 소년사건을 소년법원이 아닌
성인 형사법원으로의 이송은 물론 성인과 동일하게 취급하여 처벌을 부과하는
법이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소년범죄자의 형사이송(juvenile transfer, 혹은
waiver)제도가 입법 취지에 맞게 실질적으로 가해자들의 재범 억제 효과를 보였
는지에 관하여는 상당히 부정적인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소년범죄에 대하여 엄벌주의적 경향이 강화된 소년범의
형사이송에 관한 미국의 제도를 소개하고 그 경험을 검토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소년 형사이송제도에 관한 체계화의 방향을 논해보고자 한다.

Ⅱ. 형사이송 관련 이론적 배경과 미국 소년법원 역사

1. 형사이송 관련 이론적 배경

소년범과 양형의 엄격성을 설명하는 데에는 초점적 관심(focal concern)이론과


고전적 억제이론(deterrence theory)이 활용될 수 있다.5) 초점적 관심이론은
양형 의사결정과정에 죄상(blameworthiness), 지역사회 보호, 양형결정의
실질적 함의와 같은 판사의 관심사항이 고려된다고 주장한다.6) 초점적 관심의
내용 중에 죄상의 개념은 “응보(just deserts)”와 응징의 처벌 철학에 근거한
개념이다. 초점적 관심 중의 죄상의 개념은 가해의 강도, 전과기록, 그리고 범
행에 있어서 범죄자의 역할을 중점적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범죄행위와 가해자의
범죄기록 등이 양형 결정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중요하게 고려된다. 소년범의
형사이송법도 죄질이 매우 좋지 않거나 심각한 강력범죄를 저지른 청소년에게
해당되는 사항이므로 죄상의 기준에 비추어 비난의 정도가 높아짐을 의미한다.

5) Jordan, K., “Juvenile status and criminal sentencing: does it matter in the adult system?”
Youth Violence and Juvenile Justice, 12(4), 2014: 315∼331. 318쪽 참고.
6) 초점적 관심이론을 주장한 학자로는 Steffensmeir, Ulmer 등이 있다.

미국의 소년범 형사이송제도의 범죄 억제력에 관한 고찰 109


그러므로 형사법원으로 이송된 청소년에 대해서 판사들은 죄질이 매우 좋지
않은 청소년으로 고려하여 더욱 엄격한 양형결정을 내려 질 수 있다. 반면
판사에 따라서 소년범의 책임이 오히려 덜하고, 그들의 법적 조치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 없다고 여길 경우 오히려 더욱 관대한 결정이 내려지기도 한다.

두 번째, 초점적 관심의 주요사항은 지역사회의 보호이다. 지역사회의 보호는 결국


가해자의 잠재적 범죄를 억제함으로 달성될 수 있으므로, 지역사회 보호에 중점
가치를 두고 있는 판사들은 가해자의 재범 위험성을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전의 문헌 연구들에 따르면, 소년범들이 전과가 있을 경우 쉽게 형사법원으로
이송되고 판사는 이를 재범가능성으로 받아들인다. 형사법원으로 이송되었던
청소년들은 더욱 많이 재범을 저지르고 그러한 재범을 저지르는 시간 역시도
짧다. 이러한 형사이송제도의 부작용에도 불구하고 현상에 기반하여 형사법원
판사들은 이송된 청소년을 지역사회에서 더욱 위험한 존재로 인식할 것이고
더욱 엄격한 형량을 선고하게 된다. 반면 판사가 이송된 청소년을 지역사회의
보호가 필요한 존재로 인식하게 되면 정규교육의 기회 등을 박탈하지 않고 구금
으로 인한 부정적 경험을 피하도록 관대한 처벌을 내리게 된다.

마지막으로 실질적 제약과 결과에 대한 관심은 조직적 차원과 개인적 차원


에서의 판사의 고려를 의미한다. 조직의 구성원으로서 판사는 교도소의 과밀
화와 교도소의 인적 자원의 한계를 고민하게 된다. 개인적인 차원에서 판사는
처벌을 이행하는 개인의 능력을 고민하게 될 것이다. 가해자가 구금됨으로 인해
가족이 받을 영향력은 물론 가해자의 정신적 육체적 건강을 고려하여 양형
결정을 내리게 된다. 소년으로서의 인구학적 지위가 형사사법 시스템에서 성인
범죄자로 처리되면서 이들은 성인구금시설에 구금되지만 여전히 개인적 수준
에서 소년의 신분으로 구금시설 내에서의 다양한 피해의 위험에 직면하게 될
것을 고려할 수 있다.7)

7) Jordan, 앞의 논문, 318쪽.

110 형사법의 신동향 통권 제45호(2014 ・ 12)


판사가 소년범을 형사이송하는 과정에는 개인적 · 조직적 의사결정 매커니즘
이외에도 형벌이 가진 고유의 억제기능이 논의될 수 있다. Bentham의 초기 저술에
의하면 인간은 자유의지를 가진 합리적 존재이고, 법을 어기는 행위 역시도
합리적 계산에 의한 인간 자유의지에 의한 선택이다. 이러한 자유의지와 합리적
선택에 의해 저질러진 범죄행위는 사회에 의해 처벌되는데 이러한 처벌은 억제
기능에 의해서만 정당화 된다.8) 죄상과 지역사회보호의 관점을 갖고 소년범을
일반 형사사건으로 처리하여 양형결정을 내리는 경우는 기존의 고전적 형벌의
억제이론과 연관되는데9) 형벌의 억제효과 발현 요소 중 형벌의 엄격성을 기준
으로 일반적 억제(general deterrence)와 특별억제(special deterrence)를 기대
하는 매커니즘이다.

2. 소년범 분리의 역사

12세기 이래 영미법은 소년범죄자를 성인과 분리하여 다루고 있지만, 소년


법원의 역사는 그리 오래되지 않는다. 20세기 법률 개정은 parens patriae(국가
친권사상) 철학10)에 기반을 두고 형벌의 역할 변화를 낳았다. 당시 사회 개혁
가들은 인간의 행동이 갱생가능하다는 인본주의적이고 실증주의적 믿음을 강조한
진보적 이상에 영향을 받았고, 형사법의 처벌적 반응보다는 치료, 감독, 통제를
강조하였다.11) 형사사법 시스템의 절차 속에서 청소년을 판결하고 벌하는 것의
어려움을 인지하고, 사회 개혁가들은 청소년에게 개별화된 치료(treatment)를

8) Akers, R. and Sellers, C. Criminological Theories: Introduction, evaluation and application.


Los Angeles, CA(2003): Roxbury에서 재인용. Bentham, J. [1780]. The Principles of
Morals and Legislation, New York: Hefner(1948).
9) Zimring, 1971; Zimring and Hawkins, 1973; Akers and Sellers, 위의 책.
10) 법의 도덕적 의무는 국가가 스스로 보호할 능력이 없는 시민을 보호하는데 있다는 사상이다.
11) Witt, P. “Transfer of Juveniles to Adult Court: The case of H.H.” Psychology, public
policy and law, 9(3), 2003: 631∼380, 361쪽.

미국의 소년범 형사이송제도의 범죄 억제력에 관한 고찰 111


제공하는 분리된 법적 토대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통해 만들어진
소년법원은 개인의 갱생이라는 목적을 유지하고 있고, 행위에 대한 처벌은 부차
적인 목적으로 남는다. 소년법원의 절차는 소년을 범죄자라기보다는 일반 시민
으로 정의하기 때문에 비난의 정도가 훨씬 덜할 뿐만 아니라12) 더 나아가 처벌의
방향역시도 소년이 법원에 있는 이유와 앞으로의 범죄를 피하기 위해 필요한
것을 결정하는 방향으로 제안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청소년의 가족, 사회적
그리고 개인적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취하게 되고, 청소년이 건강하고, 건실
한 법을 지키는 성인으로 준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식으로 운영된다.13)

이러한 철학 지침에 의해 미국의 경우 1899년 일리노이 주 Cook 카운티에


처음으로 소년법정이 마련되었다. Cook 카운티는 소년 범죄자에 대하여 비적
대적인 전문가들, 보호관찰관, 사회복지사, 정신건강 전문가들로 구성된 소년
법원을 구성하였다. 갱생에 초점을 맞춘 소년법원은 상대적으로 비공식적이고
소년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었다.14) 그 후 100년가량 시간이
지난 시점인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많은 청소년 범죄에 대하여 강경한 방향
으로 법률이 개정되게 되는데, 그 중 주목할 만한 법이 형사이송제도(juvenile
transfer, 혹은 waiver, certification)라고 불리는 소년범죄자 처벌에 대한 개정
이었다.15) 이 개정은 형사법원으로 이송되거나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는 청소년의
범죄행위와 소년 범죄자 기준을 확대하는 내용을 주로 담고 있었다. 수정내용을

12) Scholossman, S. “Juvenile Justice history and Philosophy”, in S. H. Kadishk(ed) 3


Encyclopedia of crime and justice, 961, New York: Free Press(1983).
13) Fagan, J. and Deschenes, E. “Determinants of Judicial Waiver Decisions for Violent
Juvenile Offenders.” The Journal of Criminal Law and Criminology, 81(2), 1990: 314∼
347. 중 318쪽 참고.
14) Witt, 앞의 논문.
15) Redding, R. “Juvenile Transfer Laws: An effective deterrent to delinquency?” Juvenile
Justice Bulletin, Washington DC: U. S. Department of Justice, office of Justice Programs,
Office of Juvenile Justice and Delinquency Prevention(2010).
Grinffin, P. “Trying and sentencing juveniles and adults: an analysis of state transfer and
blended sentencing laws.” Pittsburgh, PA: National Center for Juvenile Justice(2003).

112 형사법의 신동향 통권 제45호(2014 ・ 12)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형사법원으로 이송할 수 있는 청소년의 최소 연령을 더욱
하향 조정하였고, 형사이송 자격이 되는 범죄 유형의 수를 늘렸다. 또한 검사의
기소 재량권과 판사의 추정적 재량권, 그리고 기준 연령과 정해진 범죄유형
기준에 따라 자동적으로 형사법원으로 이송하게 하는 내용도 확대되었다.16)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1979년 14개의 주들은 형사자동이송법령을 가지고 있었
으나, 1995년에는 21개의 주가, 2003년에는 31개의 주가 자동이송제도를 채
택하였다.17) 더욱이, 소년법원에서 다루는 연령의 최대 연령 한계점을 15세
혹은 16세로 낮춘 주의 수도 증가하였다. 다행히 2004년 이후 많은 주들이 그
연령을 한계점을 다시 상승시키고 형사자동이송의 범위를 축소하는 방향으로
옮겨가긴 하였다.18)

이러한 법률의 개편으로 인하여, 많은 수의 소년들이 형사법원에서 중범죄자


(felonies)가 되었고, 성인 교도소에 수감되는 소년범들의 수도 증가하게 되었다.19)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1990년대 중반에 이르러 최고조에 이르렀다. 더군다나
형사법원으로 이송된 강력 소년범죄자들은 동일한 범죄를 저지른 소년법정에서
재판받는 소년범에 비하여 더욱 엄중한 형을 선고받았다.

16) Redding, 앞의 논문. Fagan, J. and Zimring, F. The changing borders of juvenile justice:
Transfer of adolescents to the criminal court.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2000).
Redding, R. “The effect of adjudicating and sentencing juveniles as adults: research and
policy implications.” Youth Violence and Juvenile Justice, 1, 2003: 128∼155.
17) Steiner, B. and Hemmens, C. “Juvenile Waiver 2003: Where are we now?” Juvenile and
Family court Journal, 54(2), 2003: 1∼24.
18) Bishop, D. “Injustice and irrationality in contemporary youth policy” Criminology and
Public Policy, 3, 2004: 633∼644.
19) 미국의 경우 형사이송된 소년범죄자들은 우리의 소년교도소 수감과 달리 성인교도소에 함께
수감되어 동일한 처우를 받는다.

미국의 소년범 형사이송제도의 범죄 억제력에 관한 고찰 113


Ⅲ. 미국의 소년범 형사이송제도

미국의 형사이송제도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1) 소년법원의 심리면제


(judicial waiver), 2) 법률적 배제(statutory exclusion), 3) 기소재량(prosecutorial
discretion)이다. 첫 번째 소년법원의 심리면제(judicial waiver)는 가장 보편적인
이송의 방식으로서, 판사의 재량권에 의한 면제와 특정 사건의 등급에 따라
면제를 의무화하는 추정적 의무 면제로 나눠진다. 두 가지 구체적 유형 모두
판사의 승인에 의해 개별 사건에 따라 형사기소를 가능하게 하는 제도이다. 판사의
재량에 의한 심리 면제는 현재 미국의 45개주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의무 추정적
심리면제는 15개의 주에서 실시하고 있다.20) 두 번째, 법적 배제(statutory
exclusion)는 소년범에 의한 범행의 등급과 소년범의 나이 조건에 부합될 경우
반드시 형사법원에서 처리되도록 하는 법률로 규정한 이송제도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과정에는 재량권이 개입되지 않으며 법규에 의하여 청소년 범죄자의
위험성으로 인한 사회복귀의 어려움을 전제한 것이다.21) 또한 각 주마다 허용
하는 범죄 종류와 허용하는 최소 연령기준이 상이하다. 현재 미국의 29개의 주가
이러한 법률적 배제를 통한 자동적 형사이송제도를 갖추고 있다. 세 번째, 기소
재량(prosecutorial discretion)은 검사가 사건 처리법원을 소년법원과 형사법원
사이에서 단독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한 검사에게 부여된 재량적 제도이다.
검사가 일단 처리 법원을 결정하게 되면 그 결정의 적절성에 대한 심사는 허용
되지 않고 그 결정에 따라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기소 재량권을 부여한

20) Redding, 앞의 논문. Griffin, P., Addie, S., Adams, B. and Firestine, K. “Trying Juveniles as
Adults: an analysis of state transfer laws and reporting.” National Report Series.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Justice. Office of Justice Programs. Office of
Juvenile Justice and Delinquency Prevention(2011).
21) Griffin, P., Addie, S., Adams, B. and Firestine, K. “Trying Juveniles as Adults: an analysis
of state transfer laws and reporting”, National Report Series.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Justice. Office of Justice Programs. Office of Juvenile Justice and
Delinquency Prevention(2011). 2쪽 참고. 박민영, “미국의 청소년범죄에 대한 사법체계에 관한
고찰”, 「비교법연구」, 11권 2호(2011):9∼31, 20쪽 참고.

114 형사법의 신동향 통권 제45호(2014 ・ 12)


주는 미국 내 15개의 주에 해당한다.22)

이러한 소년사건의 형사법원으로의 이송을 가능하게 하는 법률적 시스템 이


외에도 각 주들은 형사이송과 유사한 결과를 낳는 부수적인 법률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Once an Adult/Always an Adult”법은 소년범이 과거에 형사법원에서
재판 받은 전력이 있을 경우 이후 범죄에 대하여도 형사법원에서 재판받아야
하며, 더 이상 소년법원에서는 재판받지 못하도록 하는 제도이다.23) “Reverse
waiver”법은 소년법원과 형사법원의 이송을 양방향으로 가능하도록 하는 제도
이다.24) 사안에 따라 소년법원에서 형사법원으로 이송이 되는 것을 허용하면서
반대로 형사법원에서 소년법원으로도 이송할 수 있게끔 하였다. 현재 25개의
주에서 이를 허용하고 있으나 실질적인 활용도는 형사법원으로의 이송에 비하여
높지 않다. 즉 형사법원으로 이송된 사건이 소년법원으로 돌려보내지는 비율은
매우 미비하고 소년사건의 형사이송만이 주로 활용된다. 마지막으로 “Blended
sentencing”법은 소년법원에서 형사처분 선고를 가능하도록 한 법이고, 반대로
형사법원에서 소년처분을 허용하기도 한다. 형사법원에서 소년처분 선고를 허용한
것을 형사혼합양형(criminal blended sentencing)이라 하고 소년법원에서 형사
처분 선고를 허용한 것을 소년혼합양형(juvenile blended sentencing)이라 한다.
소년혼합양형은 일반적인 소년법원에서 선고할 수 있는 처벌 수위보다 높은
선고가 가능하기 때문에 소년법원의 엄격한 처벌의 추세와 연관된다고 말할 수
있다. 형사혼합양형을 허용하는 주는 18개, 소년혼합양형을 허용하는 주는 15
개에 이른다.25) 각 형사이송을 다루고 있는 미국의 세 가지 주요 법률과 부수

22) Griffin et al., 2쪽 참고.


23) Griffin et al., 앞의 논문. 미국 34개의 주에서 이와 같은 법률을 시행하고 있다.
24) 우리나라의 경우 소년법 3장 제29조 3항에 따라 형사처분의 필요성이 인정되어 검사에게 송치한
사건은 다시 소년부로 송치할 수 없다. 실무관행은 소년법원에서 재판받는 피고인이 출석하지
않아 형사법원으로 이송되었을 경우, 형사법원의 판사가 심리 후 소년법원으로 반송하기도 한다.
25) Griffin et al., 앞의 논문. Griffin, P. “Different from adults: an updated analysis of juvenile
transfer and blended sentencing law with recommendations for reform.” National Center
for Juvenile Justice(2008).

미국의 소년범 형사이송제도의 범죄 억제력에 관한 고찰 115


적 세부 법률들을 채택한 주들에 대한 설명은 <표 1>을 참고하도록 한다.

<표 1> 미 국 의 주 (state)에 따 른 구 체 적 형 사 이 송 제 도 채 택 여 부

judicial waiver blended sentencing


prosecutorial Statutory reverse once an adult
discretion exclusion waiver always an adult
state discretionary presumptive mandatory juvenile criminal

Number of
45 15 15 15 29 24 34 14 18
states
Alabama ■ ■ ■
Alaska ■ ■ ■ ■
Arizona ■ ■ ■ ■ ■
Arkansas ■ ■ ■ ■ ■
California ■ ■ ■ ■ ■ ■ ■
Colorado ■ ■ ■ ■ ■ ■
Connecticut ■ ■ ■
Delaware ■ ■ ■ ■ ■
Dist. Of
■ ■ ■ ■
Columbia
Florida ■ ■ ■ ■ ■
Georgia ■ ■ ■ ■ ■
Hawaii ■ ■
Idaho ■ ■ ■ ■
Illinois ■ ■ ■ ■ ■ ■ ■
Indiana ■ ■ ■ ■
Iowa ■ ■ ■ ■ ■
Kansas ■ ■ ■ ■
Kentucky ■ ■ ■ ■
Louisiana ■ ■ ■ ■
Maine ■ ■ ■
Maryland ■ ■ ■ ■
Massachusetts ■ ■ ■
Michigan ■ ■ ■ ■ ■
Minnesota ■ ■ ■ ■ ■
Mississippi ■ ■ ■ ■
Missouri ■ ■ ■
Montana ■ ■ ■ ■
Nebraska ■ ■ ■

116 형사법의 신동향 통권 제45호(2014 ・ 12)


<표 1> 미 국 의 주 (state)에 따 른 구 체 적 형 사 이 송 제 도 채 택 여 부

judicial waiver blended sentencing


prosecutorial Statutory reverse once an adult
discretion exclusion waiver always an adult
state discretionary presumptive mandatory juvenile criminal

Nevada ■ ■ ■ ■ ■
New
■ ■ ■
Hampshire
New Jersey ■ ■ ■
New Mexico ■ ■ ■
New York ■ ■
North Carolina ■ ■ ■
North Dakota ■ ■ ■ ■
Ohio ■ ■ ■ ■
Oklahoma ■ ■ ■ ■ ■ ■
Oregon ■ ■ ■ ■
Pennsylvania ■ ■ ■ ■ ■
Rhode Island ■ ■ ■ ■ ■
South Carolina ■ ■ ■
South Dakota ■ ■ ■ ■
Tennessee ■ ■ ■
Texas ■ ■ ■
Utah ■ ■ ■ ■
Vermont ■ ■ ■ ■ ■
Virginia ■ ■ ■ ■ ■ ■
Washington ■ ■ ■
West Virginia ■ ■ ■
Wisconsin ■ ■ ■ ■ ■
Wyoming ■ ■ ■
참고: 2009년 기준.
출처: Griffin et al. (2011). 3쪽.

미국의 주(state)들이 채택하고 있는 다양한 형사이송제도 이외에도 주


(state)들이 형사이송을 허용하는 범죄유형과 나이를 살펴보면(표2 참고) 모든
형법범에 형사이송을 허용하는 주 들 중 캔사스(Kansas)는 10세, 일리노이
(Illinois), 미시시피(Mississippi), 와이오밍(Wyoming) 주는 13세부터, 알라바
마(Alabama), 플로리다(Florida), 아이다호(Idaho), 네바다(Nevada), 뉴저지

미국의 소년범 형사이송제도의 범죄 억제력에 관한 고찰 117


(New Jersey) 주(state)는 14세부터 형사이송을 허용하고 있다. 알래스카
(Alaska), 델라웨어(Delaware), 로드아일랜드(Rhode Island), 그리고 워싱턴
(Washington) 주(state)는 아예 연령제한을 두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특정 중범
죄(felony)에 한하여만 이송을 허용하는 주(state)들이 가장 많은데, 콜로라도
(Colorado), 미주리(Missouri) 주는 12세, 노스 캐롤라이나(North Carolina)는 13
세의 연령 제한을 두고 있다. 애리조나(Arizona), 아이다호(Idaho), 메인
(Maine), 오클라호마(Oklahoma), 사우스 다코다(South Dakota), 웨스트 버지니
아(West Virginia)는 아예 연령제한을 두지 않은 채 허용하고 있다. 살인이나 마
약, 특정 무기를 사용한 범죄와 같이 특정 범죄 종류에 한정하여 연령제한을 두면
서 형사이송을 허용하는 주(state)들도 있는데, 인디애나(Indiana)와 버지니아
(Virginia)는 최소 연령을 10세로 한정하고 콜로라도(Colorado)는 12세로 한정
하고 있다. 반면, 하와이(Hawaii), 아이다호(Idaho), 오레곤(Oregon), 사우스 캐롤
라이나(South Carolina), 테네시(Tennessee), 웨스트 버지니아(West Virginia)
는 살인에 대하여는 연령 제한을 두지 않는다. 무기 사용에 대하여 연령제한을
두지 않고 엄벌주의 이송을 허용하는 곳은 District of Columbia이고 무기사용에
대한 이송을 허용하는 모든 주(state)들은 14세부터 이송을 허용하고 있다. 구
체적인 정보는 <표 2>형사이송에 관한 범죄와 연령제한 내용을 참고하도록 한다.

<표 1>과 <표 2>에 따르면 2009년 기준으로 미국의 많은 주(state)들이


다양한 형태의 형사이송제도를 받아들였고, 그 제도 안에서도 형사이송이
가능한 연령과 범죄유형 기준을 상이하게 적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광범위한 소년범의 형사이송제도의 활용은 1970년대 이전에는 매우

<표 2> 미 국 주 (state)별 소 년 범 형 사 이 송 을 허 용 하 는 범 죄 종 류 와 연 령 제 한


Any Certain Certain Certain Certain
Certain Capital
criminal Murder person property drug weapon
felonies crimes
state offense offenses offenses offenses offenses
Alabama 14
Alaska NS

118 형사법의 신동향 통권 제45호(2014 ・ 12)


<표 2> 미 국 주 (state)별 소 년 범 형 사 이 송 을 허 용 하 는 범 죄 종 류 와 연 령 제 한
Any Certain Certain Certain Certain
Certain Capital
criminal Murder person property drug weapon
felonies crimes
state offense offenses offenses offenses offenses
Arizona NS 14
Arkansas 14 14 14 14
California 16
Colorado 12 12 12
Delaware NS
Dist. Of Columbia 16 15 NS
Florida 14
Georgia 15 13 13
Hawaii 14 NS
Idaho 14 NS NS NS NS NS
Illinois 13
Indiana 14 10 16
Iowa 14
Kansas 10
Kentucky 14 14
Louisiana 14 14
Maine NS
Maryland 15 NS
Michigan 14
Minnesota 14
Mississippi 13
Missouri 12
Nevada 14 14
New Hampshire 15 13 13
New Jersey 14 14 14 14 14 14
North Carolina 13
North Dakota 16 14
Ohio 14
Oklahoma NS
Oregon 15 NS NS 15
Pennsylvania 14
Rhode Island NS 16 NS
South Carolina 16 14 NS NS 14 14
South Dakota NS
Tennessee 16 NS NS
Texas 14 14 14

미국의 소년범 형사이송제도의 범죄 억제력에 관한 고찰 119


<표 2> 미 국 주 (state)별 소 년 범 형 사 이 송 을 허 용 하 는 범 죄 종 류 와 연 령 제 한
Any Certain Certain Certain Certain
Certain Capital
criminal Murder person property drug weapon
felonies crimes
state offense offenses offenses offenses offenses
Utah 14
Vermont 10 10 10
Virginia 14
Washington NS
West Virginia NS NS NS NS NS
Wisconsin 15 14 14 14 14 14
Wyoming 13
참고: 표안의 수는 최소연령을 의미하며, NS 는 연령제한이 없음을 의미한다. 2009년기준.
출처: 출처: Griffin et al. (2011). 3쪽.

드문 제도였다. 연령과 범죄 종류에 따라 의무적으로 이송시키는 형사자동이


송제도를 적용하는 주는 1970년대 미국의 8개 주에 불과하였고, 1985년에는
20개 주(state)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2000년에 들어서 38개의 주로 확대 적
용하였다. 유사하게 소년범의 형사이송에 대하여 검사의 기소재량권을 부여한
주(state)도 1970년 이전에는 2개의 주(state)에 불과하였으나 1985년 7개의
주(state), 그리고 2000년에 들어서 15개의 주(state)로 확대되어 30년 동안 7배
이상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26)

Ⅳ. 소년범 형사이송의 효과 및 결과

1. 범죄 억제에 대한 효과

소년범에 대한 형사이송을 허용한 법들이 궁극적으로 추구하였던 목표는


넓게는 일반 예방(억제)과 특별예방(억제)이 모두 기대하는 전반적 범죄감소

26) Griffin et al., 앞의 논문. 3∼9쪽 참고.

120 형사법의 신동향 통권 제45호(2014 ・ 12)


이고, 좁게는 소년범의 재범의 억제이다. 이러한 소년범의 형사이송 제도가 목표
하였던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두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첫째, 궁극적으로
처벌이 엄격해져야 하며 둘째, 재범이 억제되어야 한다. 미국에서 진행된 형사
이송에 관한 경험적 연구들은 형사이송된 청소년들이 더 엄격하게 처벌받고
있음을 확인해주고 있다. 즉, 소년법원에 비교하여 형사이송이 형벌의 엄격성의
측면에서는 기대 효과를 보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27) 그러나 엄벌을 위해 형
사이송된 사건이라 여겨질지라도 이것이 범행 비례적으로 부과된 적절한 형벌
인지, 그리고 그러한 처벌이 기대하는 범죄(재범)억제 효과로 연결되었는지도
평가해 볼 필요가 있다. 미국의 최근 형사이송된 청소년에 관한 연구에서 이송된
청소년이 소년법원의 유사 청소년과 비교하여 엄격한 처벌을 받았음은 물론,
유사한 범죄를 저지른 성인 범죄자와도 동등하거나 엄격한 처벌을 받는 경향이
보고되었다.28) 또한 과거부터 소년법원과 형사법원에서 재판 받은 이들의 재
범율의 연구부터 최근의 성향점수매칭 분석(propensity score matching analysis)
을 통한 샘플링 기법의 한계를 극복한 연구29)까지 모두 형사법원을 거쳐 엄격
한 처벌을 받은 소년범들의 재범률이 높게 보고되어 실질적 범죄 억제효과는
실패하였음을 알 수 있다. 미국에서 소년이송제도를 가장 적극적으로 활용했던
주(sates)중의 하나로서 플로리다(Florida)의 경험을 살펴보면, 플로리다 대학교
연구팀은 이송된 소년범죄자들이 이전에 범한 범죄유형에 따라 재범률이 다르
다고 보고하였는데, 마약, 강도 등의 범죄를 저지른 소년범들은 형사이송된 경우
재범률도 높고 차후 재범까지 걸리는 시간도 매우 짧게 단축되었다.30) 다만

27) Jordan, 앞의 논문. 316쪽 참고.


28) Jordan, 앞의 논문.
29) Jordan, K. “Juvenile transfer and recidivism: a propensity score matching approach.”
Journal of Crime and Justice, 35(1), 2012: 53∼67. Lanza-Kaduce, L., Lane, J., Bishop,
D.M., and Frazier, C.E. “Juvenile offenders and adult felony recidivism: The impact of
transfer.” Journal of Crime and Justice, 28, 2005: 59∼77.
30) Winner, L. Lanza-Kaduce, L. Bishop, D. and Fraizer, C. “The transfer of juveniles to
criminal court: Re-examiniming recidivism over the long term.” Crime and Delinquency,

미국의 소년범 형사이송제도의 범죄 억제력에 관한 고찰 121


재산범들의 경우는 기존의 연구의 결과와 달리 형사법원으로 이송된 소년들이
오히려 낮은 재범률을 보였다.31)

이처럼 형사이송을 통해 기대하지 않았던 결과(높은 재범률과 빠른 재범시간)에


대하여 학계에서는 그 원인을 매우 궁금해 하였다. 이후 추가적으로 실시된
경험적 연구 결과들이 그 원인분석에 도움이 되는 결과를 보고하였다. Bishop과
Fraizer의 연구팀은, 95명의 만성적인 심각한 청소년 범죄자를 인터뷰하였는데
그 중 절반가량이 형사법원으로 이송되었고 성인 교정 시설에 수감되었다.
이들의 연구에서, 이송된 청소년들이 성인으로 취급되어 처벌된 것에 대하여
강한 불평등을 느꼈다고 보고하였다.32) 이러한 내용들은 Redding 과 Fuller의
연구에서도 유사하게 발견되는데, 형사법원으로 이송되어 성인으로 취급된 소년
범들은 법이 불공정하다고 느끼는 경향이 높았다.33) 즉, 그들이 청소년으로서
심각한 범죄를 범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본인들의 연령과 미성숙이라는 사실에
근거하여 소년법원에서 재판받아 마땅하다고 여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Redding의 연구팀은 이송된 소년범들이 이러한 불만으로 인해 결국 사회의 정의
시스템에 갖는 불신과 회의감이 증폭된다고 우려를 표하였다.34) 다른 한편으
로는, 궁극적으로 엄격성을 추구하는 형사이송제도가 소년범죄자들로 하여금
개별화된 갱생프로그램을 받을 기회를 박탈하기 때문에, 결국 갱생 교육을 받지
못한 소년범들의 높은 재범은 매우 당연한 결과이며 범죄 감소 효과는 기대할

43(4), 1997: 548∼563.


31) Winner et al. 앞의 논문.
32) Bishop, D. and Fraizer, C. “Consequences of transfer” in the Changing borders of justice:
Transfer of adolescents to the criminal court, edited by J. Fagan and F. Zimring, 227∼
276.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2000).
33) Redding, R. and Fuller. E. ‘What do juvenile offenders know about being tried as adults?:
Implications for deterrence. Juvenile and Family Court Journal, 2004. 35∼45.
34) Redding and Fuller, 앞의 논문; Piquero, R. “Ass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chronicity, seriousness and offense skewness in criminal offending.” Journal of Criminal
Justice. 28, 2000: 267∼298.

122 형사법의 신동향 통권 제45호(2014 ・ 12)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35) 실제로 미국의 경우 소년법원에 의한 처분 결과는
상담과 교육을 통해 위법행위에 대한 인지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소년들의
재사회화를 위한 준비과정을 돕지만 성인과 동일하게 취급되는 청소년들은
이러한 기회를 박탈당한다. 또한 교도소 내에서의 추가적인 범죄학습 기회가
오히려 증가되고, 한편으로는 구금시설 내부에서 성인 범죄자들에 의한 새로운
범죄의 피해자가 되기도 하는 등의 추가적인 위험성을 갖는다.36) 이러한 맥락
에서 성인으로 취급된 소년범죄자들은 교도소 안에서 다른 소년범죄자들에 비해
자살률이 8배가량 높았고, 성적 괴롭힘도 5배가량 높게 당하였으며, 교도관이나
성인 수감자들에 의해 물리적 구타를 당하는 경우도 2배가량 높았다고 보고되
었다.37) 앞의 내용들을 요약하여 목표하였던 재범 억제의 실패와 기대하지 않
았던 현상 발현의 원인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사회의 낙인
(2) 이송된 소년범들이 느끼는 불평등과 사회에 대한 분노
(3) 성인과 함께 수용됨으로써38) 새로운 범죄의 학습
(4) 갱생 프로그램이 결여된 교도소 프로그램

2. 불균형적 형사이송 결과

소년형사이송이 갖는 문제점은 높은 재범률과 단기간의 재범 기간만이 아니다.

35) Bishop and Fraizer, Griffin et al.


36) Bishop and Fraizer, 앞의 논문, 255쪽. Redding, 앞의 논문, 7쪽 참고.
37) Beyer, M. “Expert for juveniles at risk of adult sentences” In More than meets the eye:
Rethinking assessment, competency and sentencing for a harsher era of juvenile justice,
edited by P. Puritz, Capozello, and W.Shang, 1-22. Washington DC: American Bar
Association, Juvenile Justice Center(1997).
38) 우리나라의 경우 소년법 3장 제63조 “징역 또는 금고를 선고받은 소년에 대하여는 특별히
설치된 교도소 또는 일반교도소 안에 특별히 분리된 장소에서 그 형을 집행한다”는 내용에 따라
형사이송된 경우 성인과 분리 수용하는 원칙에 의해 소년교도소에 수감되나 미국의 경우 형사
법원에서 재판 받았을 경우 일반 성인 교도소에 함께 수용된다.

미국의 소년범 형사이송제도의 범죄 억제력에 관한 고찰 123


유사하거나 동일한 범죄를 저지른 소년범들이 소년법원에서 재판받는 것에 비해
불공정한 대우를 받는 것 역시도 문제이다. 법원이나 검사의 재량권에 맡겨진
형사이송의 형태가 보편적인 까닭에 일반 형사사법 시스템에서 논의되는 불균
형성의 문제가 동일하게 반복된다. 즉, 형사법원으로 이송되어 재판받은 소년
들은 10대 후반의 흑인 청소년에 편중되었고, 형사이송되는 소년들의 인종적
차이를 살펴보면 흑인과 백인의 차이는 1994년 1.5배가량 차이를 보였다.39)
또한 이송된 청소년들은 재판과정상 구금 결정 비율도 높고 구금되는 기간도
길었다. 그러한 와중에 가난하거나, 가족이 제대로 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
에는 더욱 불공정한 처우가 더욱 빈번하였다. 보석이나 벌금에서도 마찬가지
이다. 마지막으로 형사이송된 소년범이 받는 처벌의 수준이 29세의 다른 성인
범죄자들보다도 엄격하기도 하였다.40)

Ⅴ. 함의 및 결론

형사이송제도가 재범억제라는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자 미국의 법조계와 범죄


학계에는 그 제도를 분석하고 증거에 기반을 둔 조언들을 제시하고 있다. 기대
하였던 재범 감소를 위하여 미국의 전문가집단은 형사이송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41) 그리고 이송이 필요할 경우 그 대상을 만성적인 반복 소년범죄자로
한정하여야 하고, 그 범죄 종류 역시도 첫 범죄 종류가 강력범죄인 소년범죄자로
제한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그와 동시에 현 제도 안에서 이송을 원칙적으로 불허
하는 것이 아니라면 형사이송제도는 1) 의도하지 않았거나 불평등한 형사이송

39) 그러나 다행이 2007년 이송에 있어 흑인과 백인의 차이는 1.1배로 감소하였다. Griffin et al.,
앞의 논문. 10쪽.
40) Steiner.
41) Redding, Bishop and Fraizer, Griffin, Lane et al., Piquero가 모두 유사한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124 형사법의 신동향 통권 제45호(2014 ・ 12)


결과를 낳지 않도록 안정장치들을 마련하여야 하고, 2) 이송된 소년범에 대하여
더욱 유연한 형을 선고할 수 있도록 제도를 보완해야 하며, 3) 소년이송에 대한
기본적 정보를 보고하고 효과성을 추적관찰 할 수 있는 데이터 시스템을 의무적
으로 구축해야 한다. 그리고 그 데이터 시스템은 이송의 빈도, 징역과 보호처분
에의 의존도 측정, 사회적 참여 측정, 인종적 차이 측정, 그리고 재범률을 측정
하고 추적할 수 있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미국의 소년범의 형사이송제도는 무릇 우리나라와 차이점을 갖는다. “금고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범죄사실의 경우 그 동기와 죄질에 따라 형사처분이 가능”한
우리나라의 소년법42)에 비하여 미국의 형사이송제도는 더욱 넓은 범위에서 형
사이송제도를 허용 · 운영하고 있다. 비록 전반적으로 형사이송제도를 넓은 범위
에서 적용하고 있지만 그 안에서 최소 연령과 범죄종류라는 기준(예: 법률적
배제)을 구체화 하여 형사이송 기준을 제시하는 미국의 객관화된 운영방식은
단순 판사와 검사의 판단과 재량에 맡겨버린 우리의 소년범죄자 형사처분기준의
개선 방향이 놓치고 있는 구체화와 객관화 작업의 방향을 일부 제시해 주기도
한다. 실제 우리나라 소년교도소에 복역 중인 소년수형자의 죄명이 강력 · 흉악
범죄군에 해당하는 강도, 강간, 살인 이외에도, 절도(42)명, 사기횡령(2명), 폭력
상해(17명), 과실범(2명), 기타(18명)에 해당하는 것을 살펴보면,43) 단순 판사의
재량권에 의존하는 형사이송이 아닌 형사이송을 허용하는 최소 연령과 범죄군에
대한 구체적 기준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성인과의 분리 수용을 원칙으로 하는 우리와 달리 성인 수형자와 함께 구금


하는 미국의 이송된 소년의 구금 제도의 재범 연구를 검토하면서 단순히 엄격한
소년범 처벌의 부작용을 우려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비록 미국의
모든 주가 이러한 장기적이고 실증적인 평가제도를 갖추고 있지는 못하였지만,
이러한 소년범의 형사이송제도가 현실에서 의도한 대로 작동하지 않음을 밝혀

42) 소년법 제7조.


43) 법무부, 교정본부 통계자료, 여성가족부, 「2013 청소년백서」, 391쪽.

미국의 소년범 형사이송제도의 범죄 억제력에 관한 고찰 125


내는 데에는 장기적이고 실증적인 추적 관찰 제도와 연구의 역할이 컸음을 부인
할 수 없다. 형사이송된 청소년에 대한 추적 시스템은 물론 재범 비교 연구가
전무한 우리나라에서 향후 우리나라의 소년범죄자의 재범억제와 갱생을 논하기
위해서는 형사이송과 관련하여 장기적인 추적 연구의 틀을 마련하여야 할 것
이다.44)

요약하면, 1990년대 미국이 경험한 소년 범죄자에 대한 처벌의 엄격성화


경향인 소년범의 형사이송제도는 높은 재범률과 빠른 재범시간의 결과를 낳았고,
그 운영 과정상 재량권에 의한 불균형성 문제도 지적되었다. 비록 우리나라와
상이한 제도적 차이는 있으나, 우리나라 역시 소년범의 형사이송이 존재하는 한
이들에 대한 추적은 물론 형사이송된 소년범의 범죄억제를 장기적으로 검토하는
연구와 이송기준을 세분화 · 명문화하여 불필요하거나 불평등한 이송을 방지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44) 구체적인 추적 연구를 위한 기준과 틀 마련에 대한 논의가 매우 필요하나, 미국의 형사이송제


도를 소개하는 데 주요 목적을 두고 있는 본 연구에서 다루기에는 무리가 있어 구체적으로 다
루지는 않도록 한다.

126 형사법의 신동향 통권 제45호(2014 ・ 12)


• • • •
참고문헌

1. 국내문헌

대검찰청, 「범죄분석」, 2013.

법무부 범죄예방정책국, 「소년과 통계자료」, 2013.

, 여성가족부, 「2013청소년백서」, 2013.

박민영, “미국의 청소년 범죄에 대한 사법체계에 관한 고찰”, 「비교법연구」, 제


11권 2호(2011).

이재석, “최근 한국의 소년범죄의 실태와 대책” 「한국비교형사법학회」, 제14권


2호(2011).

2. 외국문헌

Akers, R. and Sellers, C. Criminological Theories: Introduction, evaluation


and application. Los Angeles, CA: Roxbury(2003).
Bentham, J. [1780]. The Principles of Morals and Legislation, New York:
Hefner(1948).

Beyer, M. “Expert for juveniles at risk of adult sentences”, In More than


meets the eye: Rethinking assessment, competency and sentencing
for a harsher era of juvenile justice, edited by P. Puritz, Capozello,
and W.Shang, 1∼22. Washington DC: American Bar Association,
Juvenile Justice Center(1997).

Bishop, D. and Fraizer, C. “Consequences of transfer” in the Changing


borders of justice: Transfer of adolescents to the criminal court,
edited by J. Fagan and F. Zimring, 227∼276.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2000).

미국의 소년범 형사이송제도의 범죄 억제력에 관한 고찰 127


Bishop, D. “Injustice and irrationality in contemporary youth policy”,
Criminology and Public Policy, 3, 2004: 633∼644.
Demuth, S. “Racial and ethnic differences in pretrial release decisions and
outcomes: A comparison of hispanic, black and white felony
arrestees.”, Criminology, 41, 2003: 873∼907.

Fagan, J. and Deschenes, E. “Determinants of Judicial Waiver Decisions for


Violent Juvenile Offenders”, The Journal of Criminal Law and
Criminology, 81(2), 1990: 314∼347.

Fagan, J. and Zimring, F. The changing borders of juvenile justice:


Transfer of adolescents to the criminal court.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2000).

Grinfin, P. “Trying and sentencing juveniles and adults: an analysis of state


transfer and blended sentencing laws.”, Pittsburgh, PA: National
Center for Juvenile Justice(2003).

Griffin, P. “Different from adults: an updated analysis of juvenile transfer


and blended sentencing law with recommendations for reform.”,
National Center for Juvenile Justice(2008).

Griffin, P., Addie, S., Adams, B. and Firestine, K. “Trying Juveniles as


Adults: an analysis of state transfer laws and reporting”, National
Report Series.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Justice. Office
of Justice Programs. Office of Juvenile Justice and Delinquency
Prevention(2011).

Jordan, K. “Juvenile transfer and recidivism: a propensity score matching


approach.”, Journal of Crime and Justice, 35(1), 2012: 53∼67.

Jordan, K. “Juvenile status and criminal sentencing: does it matter in the


adult system?”, Youth Violence and Juvenile Justice, 12(4), 2014:
315∼331.

128 형사법의 신동향 통권 제45호(2014 ・ 12)


Lane, J., Lanza-Kaduce, L., Frazier, C.E., and Bishop, D.M. “Adult versus
juvenile sanctions: Voices of incarcerated youths.”, Crime and
Delinquency 48, 2002: 431∼55.
Lanza-Kaduce, L., Lane, J., Bishop, D. M., and Frazier, C. E. “Juvenile
offenders and adult felony recidivism: The impact of transfer.”,
Journal of Crime and Justice, 28, 2005: 59∼77.
Piquero, A. “Assess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gender, chronicity,
seriousness and offense skewness in criminal offending.”, Journal of
Criminal Justice, 28, 2000: 103∼116.
Redding, R. “The effect of adjudicating and sentencing juveniles as adults:
research and policy implications.”, Youth Violence and Juvenile
Justice, 1, 2003: 128∼155.
Redding, R. and Fuller. E. “What do juvenile offenders know about being
tried as adults?: Implications for deterrence.”, Juvenile and Family
Court Journal, 2004, 35∼45.
Redding, R. “Juvenile Transfer Laws: An effective deterrent to
delinquency?” Juvenile Justice Bulletin, Washington DC: U. S.
Department of Justice, office of Justice Programs, Office of
Juvenile Justice and Delinquency Prevention(2010).

Scholossman, S. “Juvenile Justice history and Philosophy.”, in


S.H.Kadishk(ed). Encyclopedia of crime and justice, New York:
Free Press(1983).

Steiner, B. and Hemmens, C. “Juvenile Waiver 2003: Where are we now?”,


Juvenile and Family court Journal, 54(2), 2003: 1∼24.
Steiner, B. “The Effect of Juvenile Transfer to Criminal Court on
Incarceration Decisions.”, Justice Quarterly, 29(1), 2009: 77∼106.

미국의 소년범 형사이송제도의 범죄 억제력에 관한 고찰 129


Winner, L. Lanza-Kaduce, L. Bishop, D. and Fraizer, C. “The transfer of
juveniles to criminal court: Re-examiniming recidivism over the
long term.”, Crime and Delinquency, 43(4), 1997: 548∼563.

Witt, P. “Transfer of Juveniles to Adult Court: The case of H.H.”,


Psychology, public policy and law, 9(3), 2003: 631∼380.
Zimring, F. and Hawkins, G. Deterrenc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1973).

130 형사법의 신동향 통권 제45호(2014 ・ 12)


【 ABSTRACT 】

Deterrence Effect of Juvenile Transfer


in the US

45)Park, Mirang*

As confronting the serious news for juvenile delinquency on the media, the
opinion insisting severe punishment for juveniles are getting louder in our
society. However, concerns for being criminalization of juveniles are arising
at the same time by scholars. The focal concern theory and classical
deterrence theory of punishment are proper to provide the reasonabl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henomena of juvenile transfer. According to the
focal concern theory, the interest on blameworthiness, community protection
and practical implication of the sentencing of judges determines the weights
and the severity on punishment. The juvenile transfer is also part of the
decision. In other hand, the classical deterrence theory of punishment is
unignorable theory for recidivism and crime prevention in terms of the
severity of the punishmen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and share the previous

* Ph.D. in Criminology Assistant professor in Hannam University.

미국의 소년범 형사이송제도의 범죄 억제력에 관한 고찰 131


experience on juvenile criminalization throughout juvenile transfer(or waiver)
in the US. Since the first juvenile court has been introduced in Illinois in
1899, the diverse juvenile transfer laws were legislated in the US. As the
result, more juveniles became felonies than before, and the number of
juveniles in adults prison increased consequently. The general forms of
juvenile transfer are categorized into juvenile waiver by juvenile court,
judiciary exclusion, and prosecution discretion. Although the detailed
procedures vary, all forms allow the juvenile transfer into the criminal court
ultimately. However, the empirical researches proved very skeptical results
for the transfer system in terms of the deterrence effect. Many researches
reported that the transferred juveniles had higher rate of recidivism and
committed the crime quicker than other counterpart. Moreover, the
researches pointed out that the juvenile justice system failed to follow the
transferred juvenile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in a long term perspective.
Although the Korean juvenile transfer system is different on some points, the
previous experience of the U.S. juvenile transfer policy questions us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get-tough approach for delinquent juveniles in Korea.
Detailed policy implication will be discussed in the context.

Key words : Delinquent Juvenile, Juvenile Justice, American Juvenile


Transfer, Deterrence effect, Recidivism

132 형사법의 신동향 통권 제45호(2014 ・ 12)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