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Kinematic Variables in Different Safety Shoes and Applying Insole During Walking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docx, pdf, or txt
Download as docx,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1

안전화 형대와 인솔착용 유무에 따른 보행동작시 하지부위에 내한

운동학적부하분석
김중진 최상복 t* •차상은**
삼성전자(주) 구미사업장 '대구한의대학교 보건학부 00HSREC
(2007. 3. 28. 접수 / 2008. 2. 5. 채택)

A Study on the Kinematic Variables in Different SafetyShoes and


Applying Insole Dming Walking

Jung-Jin Kim • Sang-Bock Cho•i ••• Sang-Eun Cha


Gumi complex,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vision of Public Health, Daegu Hanny University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Resource Center
(Received March 28, 2007 / Accepted February5, 2008)

Abstract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kinematics among three different safety shoes(type 1:
ergonomically designed and high quality shoes, 2: curved and cushioned safety shoes, and 3: regular safety shoes)
and to find the effect of insole during walking. Ten healthy subject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 range of
motion of knee and ankle joint, angle of rear foot and angle of heel contact were measured using a three dimensional
motion analysis system. In the second peak, the angle of heel contac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afety shoes and insole,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among three different safety shoes.
The angle of ankle increased significantly at initial contact, first peak, the second peak and the toe off phase
compared with type 1 and 2 safety shoes, and the angle of ankl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with and without applying the insole. During the first peak, the second peak and the toe off phase, the angle of kne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safety shoes and insole. In heel contact, the angles of Achilles' tend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afety shoes and insole. The rear foot angl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afety shoes and insole during heel contact and early heel conta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ype 1 safety shoes were superior to others in the statistics, and applying insole could be a possible method to
prevent fatigue of lower extremity and musculoskeletal disorder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find the effect of
ergonomically designed safety shoes and insole on practical value in prevention of musculoskeletal disorder, fatigue
and satisfaction of workers.
Key Worm : safety shoes, insole, walking, kinetics and kinematics, musculoskeletal disorder

l. 서 론 인 안전화는 작업자에게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보호구 김정 규정에 따르면 가죽제 안전화의 경 우
이족보행(bipedal locomotion) 또는 보행(gait)은 신 가죽에 대한 두께, 인열강도, 결렬 등의 기준과 선심
체, 특히 하체의 주요 관절 대부분의 복잡한 상호작 및 겉창의 두께, 봉합사의 인장강도, 걷창의 인 장강도,
용과 협동을 필요로 하는 기능적인 일이다. 신장율, 노후인장강도, 내유체적 변화율, 내 유부피
산업현장에서 이동 또는 물건을 운반할 때 가장 강도율, 내유경도 중가율- 등에 해당 기준을
기본이 되는 동작이 바로 보행 동작이다. 이러한 보 행 명시하고 있다 1).
동작을 수행할 때 필수적으로 착용하는 보호구
보호구 검정규정과 같이 안전화는 기본 특성을
중시하므로 산업현장에서의 작업시 발의 보호 및
t Towhom correspondence should be addressed. 작업 능률 향상을 위한 신발들의 연구는 많이 이루
csb43@hanmail.net

35
김중진, 최상복, 차상은

어지고 있지만 안전화의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 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또한 최근 작업 수행 관련 관련된 운동학적, 운동역학적 분석 및 평가는 안전
화가 갖는 기본적 기능에 관한 것으로서 평가가 필
근골격계질환의 발생이 급증하고 있으며, 2004 년도
요하다고 사료되며,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근로자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의 인체 발생 부 위 분포 조사 2)
들이 작업수행 관련 보행 동작에 따른 안전화 고유 의
에서 요부 35.7o/o,목과 어깨 37.4o/o,상 지 19.1%에 비해
안전성과 더불어 운동효과도 증진시키고, 하지 의
다소 낮지만 하지의 경우도 7.3% 을 차지하여 작업수행 피로와부하를고려한근골격계질환의 예방과운
관련 힘 부하 등의 직접적인 원인과 더불어 간접적인 동효과를 높일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이와
영향인자로 안전화의 구 조적 특징과 기능성 등에 의한 유사한 다른 기능성 안전화의 개발을 선도할 수 있 는
영향 변수 둥이 작 용할 것으로 추측이 된다.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보호구로써 안전화의
보행의 분석방법으로 활보분석(stride analysis), 각 기능성과 하지 관련 근골격계질환과 피로 예방에도
도의 운동형상학적 분석, 압력판(force plate)과 족압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고려되어 연구의 필요성을
분석(foot pressure), 근전도(EMG) 등의 분석방법이
제기할 수 있다.
있으며 31,Elftman4)은 영상분석과 지면반발력을 동시
산업현장 근로자들의 근골격계질환 예방과 안전 화의
에 기록하여 보행의 운동학적 분석과 근 모멘트를 안전성과 쾌적성을 고려한 생산성을 중대시키 는 목적에
산출하여 보행동작에 대한 기본방법을 확립하였다.
부응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3 차원 영상분석를 통한
최근에 이루어지고 있는 신발에 대한 연구는 지면반
생산현장에서 사용 또는 연구 개발 된 안전화로
발력 측정기를 이용하여 충격력을 분석하고 이를 토
인체공학적 디자인 제품 2 종(고급형) 과 시판 제품(
대로 신발 중저(mid-sole)의 경도 및 외부구조를 개
보급형) 1 종과 아울러 안전화의 기능 성과 착용편리성을
선하는 분야, 영상분석법을 이용하여 후족 제어(rear
높여주는 특수금속디자인 지지 형태 인솔(insole)의 착용
foot control) 기능을 연구하고 신발의 안정성을 증진
유무에 따른 안전화의 운 동학적(운동형상학적,
시키는 분야, 압력분포측정기를 이용하여 신발 밑
kinematics), 특성의 차이점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바닥의 압력분포를 측정하는 분야, 근전도(EMG)를
두었다.
이용하여 보행 동안 근육활동을 기록하여 보행분석 에
활용하고 있다. 근전도의 경우 근육활동 양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활보나 각도의 운동 형 상학적
2. 연구 대상 및 방법
분석과 결합할 수 있으며, 각 분야별 독립적
연구보다는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2.1. 연구 대상
5,6)· 본 연구는 사업장에서 근로자들이 주로 착용하 는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인체가 지면으로부터 받 는 안전화의 종류별 및 인솔의 착용유무에서 안전 화의
힘을 측정한 선행연구를 보면, 주행 시 수직 방 향의 구조적 디자인 특성에 따른 보행의 인체공학적 기능
최대지면 반발력이 체중의 2~3 배에 이르며 7)' 분석(운동학적 및 운동역학적 조사)에 주안점 을 두었기
관절에 걸리는토크는서있을 때보다 7~8 배에 달하 고 때문에 평소 안전화 착용 경험이 전혀 없 는 일반 성인
8) ,발목에서 작용하고 있는 힘들은 걷기 동안 체중 의 남자 10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 고 안전화의
5 배와 달리기 동안 체중의 13 배를 초과하는 수 기능이 같더라도 발의 종류에 따라 실 험결과가 달라질
준으로 도달할 수도 있다”. 수 있기 때문에 이 점을 배제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은
Nigg9)는 신발이 충격력을 홉수하여 발을 포함한 편평 족궁이나 고 족궁이 아닌 정상 족궁을 지닌
인체의 여러 관절을 보호하고 부상을 예방하는 역 사람으로 한정하였다. 연구 대상 의 체격 및 일반적
할을 한다고 보고하였다. 한상덕 IO)은 신발은 발이 특성은 Table 1 과 같았다.
갖고 있는 고유의 형태에 가장 잘 맞는 것이 더욱
중요하며, 이를‘신발의 순응성’이라고 하였다. 2.2. 연구 내용
인체공학적인 연구에는 안전화 착용과 업무수행 관련 2.2.1. 분절의 운동학적 변인
운동학적, 운동역학적, 운동생리학적 및 인체 공학적 보행에 따른 하지 분절 사이의 각도와 하퇴와
디자인 등에 대한 분석이 포함될 수 있다. 이 지면이 이루는 각도의 변화 형태를 분석하였으며,
가운데에서도 특히 안전화 고유의 구조와 기능에 발목 각, 무릎 각, 착지 각 이 포함되었다(Fig. 1).
이 외에도 인체 이동에 따른 지지시간도 포함시 켰다.

36 Journal of the KOSOS, Vol. 23, No. 1, 2008


안전화 형태와 인솔착용 유무에 [밖른 보행동작시 하지부위에 대한 운동학적 부하 분석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2.2.3. 측정 및 분석 장비
Volunteer Height(m)ody weight(kg) Age(yrs) Foot size(mm)
본 실험에 사용된 측정 및 분석 장비는 영상분석 장비,
I 1.70 68.6 38 265
구간속도측정기, 통제점 틀 등이 사용되었다. 영상분석
2 1.65 71.2 44 265 장비에는 촬영 장비(분석용 비디오카메 라, 비디오테이프
3 1.68 674 34 265 레코더, 시각 코드 발생기(time code generator),
4 1.62 619 53 260 모니터와 촬영을 통하여 얻은 영상을 분 석하기 위한
5 1.68 57.3 38 260 장비(비디오 디지타이저와 마이크로컴
6 1.76 72.9 38 260 퓨터)가 포합되었다.
7 1.73 67.5 37 265 구간속도측정기는 보행동작 분석 시, 피험자의 보행
속도에 따라 지면반발력이 달라지기 때문에 보 행
8 1.71 66.9 35 265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국 내에서
9 I75 68.2 40 265
제작한 PKS-3000 구간속도측정기를 사용하 였다.
10 1.68 63.4 53 260
그리고 보행 속도는 2.0 초(보통 속도)에 지나 도록
M 土 SD 1.70±0.044 66. 53 士 4.56 41.00 士 6.880 263.00±2.582 설계하였다.
통제점 틀은 3 차원 영상 분석 시, 공간 기준좌표
설정을 위하여 사용한 장비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것은
Knee 32 개의 통제점을 갖고 있는 } x 2 x 2m 크기의
anole
직육면체로서, 운동이 일어나는 공간 내에서 선형성
(linearity)을 높일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안전화는 생산현장에서 사용 또 는
연구 개발된 안전화로 안체공학적으로 디자인된 고급형
(1 번)과 outsole 의 전면부의 곡선형 및 후면부
heel contact \_ l ``:군
쿠션기능성을 보강한 디자인 제품(2 번)과 기업체 보
Fig, 1. Angles of lower limb. 급형 일반 안전화(3 번)를 선택 하였으며, 인솔은 국내
특허를 획득한 특수금속 아치형 디자인 제품으로 착 용
2.2.2. 후족 제어 기능에 관한 운동학적 변인 착지 유무에 따른 비교·분석 대상으로 활용하였디(Fig. 2).
시, 하퇴 뒷부분의 운동 형태와 신발의 움직
임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후족 각과 아킬래스건 각 이
포함되었다(Fig. 1).

* Type 2 safety shoe

* Type 1 safety shoe

* Insole

* Type 3 safety shoe


Fig, 2. Tested samples of safety shoes and insole.

한국안전학회지, 제 23 권 제 1 호, 2008 년 37
김중진, 최상복, 차상온

2.3. 실험 방법
따라서 실험을 실시하기 전에 미리 신발과 인체 관 절에
2.3.1. 실험 장비 설치 빛을 받아 잘 반사하는 표시 점(landmark)을
보행 시 하퇴와 발의 후족부 움직임을 촬영하기 부착하였고, 표시 점 의에 반사되는 부분은 테이프
위하여 연구 대상후면에 두 대, 우측에 한 대의 카
막았다. 본 연구를 위하여
메라를 지면반발력 측정기 보드의 중심으로부터 약 7m 인체 표시 점을 착지발의 고관절, 무릎관절, 발목관 절의
지접에 설치하였다. 그리고 렌즈의 광축(光軸)이 지면과 중앙 점과 하퇴에 두 점을 부착하였다. 그리고 신발에는
가급적 수평을 유지하도록 카메라 받침대 최대로 세 개의 표시점(신발의 뒤꿈치받이 상단 중앙부, 신발의
낮추어 지면으로부터 약 0.6m 높이로 설 치하였다. 뒤꿈치받이 하단 중앙부 및 새끼발 가락 중족골 윈위단)
촬영속도는 60 필드/초였으며, 카메라에 연결된 별도의 을 부착하였다.
모니터를 이용하여 영상을 관찰하면
서 좋은 상을 얻도록 하였다. 2.3.3. 실험 절차
일정한 보행속도를 유지하도록 구간속도측정기 센서 정해진 속도에 맞추어 자연스러운 보폭으로 걸어
2 조를 3m 간격으로 설치하였다. 한 조의 센서 는 보드의 중앙을 밟을 수 있도록 연습하고, 출발 지 접을
지면반발력 측정기 보드 중앙을 중심으로 l.5m 전 다시 표시해 두었다. 그리고 실험실 안에서 반
지접에, 다른 한 조는 1.5m 전 지점에, 다른 한 조는 주어진 속도에 맞추어 걷는 연습을 하였 다. 충분한 연습
후, 연구 대상이 준비가 되었다고 하면, 실험자의 출발
1.5m 후 지점에 설치하였다. 그리고 피실험자 가 이
신호와 함께 연습 시 표시해 둔 지점으로부터 보행을
구간을 정해진 시간(2 초)±0.05 초 범위 내에 지 나는 시작하여 자연스런 보폭으로 오른발이 정확히 측정기
것을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영상 자료와 측 정 자료는 보드 위를 밟고 지나가도 록 하였다. 이 때 연구 대상의
분석 시 자료의 동시성이 중요하기 때문
착지 발이 보드를 벗 어나거나 정해진 보행속도 범위(
에 실험 장비를 동조(synchronization)시키는 것이 요 보통속도, 3m 를 2.0 士 0.05 초 사이에 이동하는 속도)
구된다. 를 벗어나거나 자연 스런 보폭으로 보행을 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다 시 실험을 실시하였다. 전체
2.3.2. 실험 대상 선정 및 사전 준비 실험은 안전화의 종류
발 형태에 따른 자료의 오염을 방지하는 것은 필 (3)X 인솔 착용유무(2)의 6 개의 실험조건에 대해 모
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국내 신발 관련 선행 연구 11,12) 피실험자가 수행되었으며, 한 실험자 내에서 착
에서 수행한 것처럼 본 연구에서도 용순서는 무작위 표집(randonsampling)으로 정 했다.
펴보아 편평 족궁이나 고족궁이 아니고 정상 족궁 그리고 각 조건에 대하여 성공적인 시기를 3 회씩 반복
형태의 발을 가진 사람만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측정하였다. 모든 변인에 대하여 무작위 표집
Kerr 둥 13)과 Munro 둥 14)에 의하면, 지면반발력은 착 설계하였지만, 동일한 보행
지 형태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게 된다고 한다. 착지 에 대해서는 3 회 연속적으로 측정하였다. 출발 신 호에
형태는 맨 처음 착지시 지면과 접촉하는 부위에 따 라
맞추어 연구 대상이 표시한 지점에서 걸어오 면,
후족 착지형, 중족 착지형, 전족 착지형 등으로 실험자가 연구 대상이 보드를 밟기 전에 지면반 발력
구분하는데, 이 가운데 후족 착지형이 일반적인 것 측정기 시작키를 누른다. 이와 동시에 비디오카메라에
으로서 Kerr 둥 13)에 의하면 8()0/4 이상이라고 한다. 신호가 입력되고 측정치도 기록되 었다. 영상 자료는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착지 방법이라고 할 수 실험을 시작하면서부터 끝날 때 까지 계속
있는 후족 착지형만을 선정하였다. 안전화의 형태가 작동시켰으며, 피험자의 보행동작을 모
기촌의 신사화(단화) 또는 운동화와는 달리 바닥의 기록하였다. 그리고 영상분석을 위한 기준좌표계
미끄럼 방지를 위한 기능과 전족부 선심에 충격보호용 설정을 위하여 본 실험 시작 전에 통제점 틀을 미 리
철 구조물(아치형)이 삽입되어 있어 착 용감과 촬영해 두었다.
걸음걸이가 평소와 다르게 부자연스럽게 되 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화 착용 및 보행 방 법에 대하여
2.4. 자료 처리 방법
설명하고 2 주일 동안 착용하여 충분히 적응하도록
공간 좌표 설정을 위해 얻은 통제점 튤 영상 자
하였다.
료와 보행에 관한 신발 및 인체 분철 표시 접의 영상
본 연구는 하지와 신발의 움직임에 국한되므로
영상 자료의 디지타이징이 용이하다. 계수화하기 위하여 디지타이징 하였다.

38 Journal of the KOSOS, Vol. 23, No. 1, 2008


안전화 형태와 인솔착용 유무에 따른 보행동작시 하지부위에 대한 운동학적 부하 분석

제점은 수동 방식으로, 신발 및 분절 표시 점은 착 지 5
필드 전부터 자동 방식으로 디지타이징 하여 표 시 점의 다. 착지 각은 발이 지면에 접촉한 다음 떨어질 때 까지
위치 자료를 추출하였다.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형태를 보였다{Fig. 3).
본 연구에 사용된 좌표축은 운동역학에서 가장 많이 착지 각이 이와 같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은 착지
후 발을 지면에 접촉시킨 채로 인체가 점차 앞 으로
사용되는 방식으로서, 보행자가 전행하는 방 향을 Y
이동하면서 하퇴가 지면으로부터 점점 멀어 져 각도가
축으로 하였다. 그리고 지면에 수직인 방향 을 Z 축으로
증가하고, 안정적인 지지기에는 증가율 이 둔화된다.
하였으며, Y 축에서 Z 축으로 벡터의 외 적(오른손 법칙) 그리고 이지 시에는 하퇴 후면이 지 면과 더욱 멀어지기
을 X 축, 즉, 피험자의 오른쪽을 + 때문에 각도가 지속적으로 증
X 축으로 정의 하였댜 가하는 보행의 일반적인 형태를 반영한 것으로 보
본 연구에서 분석한 각도는 발목 각, 무릎 각, 착 지 여진다 3.5)_
각, 아킬레스건 각, 후족 각이 있다. 이 각도들은 두 주요 이벤트 별 착지 각은 Table 2 에 제시하였으 며,
벡터의 내적(inner product)으로 구하였댜 두 벡 이벤트 별로 안전화의 종류 및 인솔의 착용유 무에 따른
터를 A(Ax, Ay, Az), B(Bx, By, Bz)라 하면, 그 내 착지 각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었다.
적 A • B = 1 A 11 B 1 cos0 에서 원하는 각도 O 를 Heel 착지 각에 대해서는 안전화별, 인솔착용유무 별
다음과 같이 구하였다. 모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제 2 정점 에서
안전화와 인솔착용유무간에 교호작용이 있었 대
AxBx + yA yB + AzBz ) p<0.01). 착지 시에는 안전화의 종류와 인솔의
G=cos-1(
착용유무에 따라 착지 각의 차이는 없었으나 제 1 정
{Ax2 + Ay2+ Az2 산辰 + By2 + Bz2
점에서는 1 번 안전화가 1~2°크게 나타났고, 제 2 정
점에서는 낮았으며, 이지 시에는 3~4°높게 나타났 다.
실험을 통하여 얻은 자료는 네 가지 주요 이벤트 운동화 등에 대한 보행동작의 착지 각 조사 5)에 서는
(event) - 착지 시, 제 1 정점 발현 시, 제 2 정점 발현 시, 안전화에 비해 3~8°(보통속도 기준)정도 높 게
이지 시 - 별로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분석된 변인들의 나타내어 착지 시 착지 각이 크다는 것은 지면에 대해
자료를 연구 목적에 적합하도록 구성하기 위하여 MS 수직으로 걷는 것을 의미하며, 직립보행 동작 을 위한
Excel 2000 을 이용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version 바른 자세로 보인다. 안전화의 경우 그 구 조와 기능이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반복이 있 안전성에 초점을 맞춰 디자인된 형태 로 운동화 등에
는 2 원 분산분석법(two way Analysis ofVariance for 비하여 부하가 다소 크게 나타났다.
repeated measure)을 사용하였으며, 유의수준(a)은
0.05 로 하였다. 3.1.2. 발목 각
주요 이벤트 별 발목 각의 범위는 Table 4 와 같다.
인솔의 착용유무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으나 안
3. 결과 및 고찰
전화의 종류에 따라 1 번과 2 번 안전화는 유사하였
으나 3 번 안전화의 경우 착지 시에는 6~7°, 제 1 정
3.1. 하지 분절의 운동학적 변인
점에서는 8~9°정도, 제 2 정점에서는 l0°내외 그리
3.1.1. 착지 각
고 이지 시에는 10°범위에서 차이가 났다.
착지 각은 연구대상자의 우측측면에서 보았을 때,
하퇴 분절의 후면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

HeeI
Deg‘Contact 1S' peak 2'악 peak
Table 2. Angles of heel contact during gait
Toe-off
160 ,! j L L (unit : degree)
Types of
140
Insole Heel contact 1st peak 2nd peak Toe-off
120
safety shoes
! --Type1 :
* '

In 69.9 요.94 92.6 표.08 116.7 국.90 143.4 요.95


>--1 틀--Type 2 I
100
L. 一쇼二고四 i_j ’ Out 69.7 士 3.84 92.1 士 4.17 117.3 土 4.19 143.8 土
80 3.61

60 In 70.7 국.39 92.0 터.78 119.6 士 4.75 139.8 士


2

40 T,me(%)
2.23
50 100
Out 70.0 국.03 91.9±3.54 121.5 士 6.20 136.1±14.01
Fig. 3. Curves of angles of heel contact to safety shoe types Int
ou 69.4 터
68.7 2.92 990.8
士 .34
1.3 터 .09 118.2 라.09 139.8 요.72
士 2.77 118.9±4.11 141.8 표.09
during gait.

한국안전학회지, 제 23 권 제 1 호, 2008 년 39
김중진, 최상복, 차상은

Table 3. Analysis of variance of angles of heel contact to Deg.


Heol conlact
J
Too-off

14 i
safety shoes and insole
Stance
Factors N dfss MS F p 13)
phase
\ 121l
Insole(A) 10 7.5 I 7.5 3.354 .100
:’ 110
Error(AE) 20.2 9 2.2
100
Heel Safety shoes(B) 10 2.0 2 1.0 0.313 .735
90
contact Error(BE) 56.6 18 3.1
Tim,(%)
6.5 oo
AxB 10 13.0 2 1. 693 .212 1 50 100

AE X BE 68.9 18 3.8 Fig. 4. Curves of ankle angles to safety shoe types during gait.

lnsole(A) 10 12.9 1 12.9 3.431 .097


서있을 경우 발목 관절은 최대로 배면 굴곡이 이
Error(AE) 33.8 9 3.8 루어졌을 때 가장 안정적이라고 하였다 10).보행이나
lst Safety shoes(B) I0 8.4 2 4.2 1.078 .361 주행 시에도 발목의 충분한 배면 굴곡이 요구된다.
peak Error(BE) 69.8 18 3.9 인체이동에 따라 발목 각은 지면과의 접촉에 따른
AExBE 67.6 18 3.8
AxBe(A) 10 0.5
41.8 2I 0.3 0.067 .206
1.855 .936 충격력을 완충시키기 위하여 변화되며, 이러한 충
Insol 10 41.8
Error(AE) 203.0 9 22.6 격력의 완충 역할이란 측면에서 운동역학적 의미를
2펴 Safety shoes(B) IO 28.0 2 14.0 0.850 .444 갖는다.
peak Error(BE) 296.9 18 16.5 발목 각에 대한 이벤트 별 분포조사에서 운동화
AxB 10 78.9 2 39.4 6.766 .006** 의 경우”안전화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일반 운동
AEX BE 104.9 18 5.8 화에 비해 보행용 전문 운동화의 경우 이벤트 별 변
Insole(A) 10 146.3 I 146.3 4.196 071 위 폭이 크지 않았으며, 제 2 정점에서 발목 각의 차
Error(AE) 313.8 9 34.9 이가 크게 나타난다고 보고 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Toe-off Safety shoes{B) 10 41.0 2 20.5 0.793 .468 기능성이 다소 떨어지는 3 번 안전화의 경우 이벤트
Error(BE) 465.2 18 25.8 별로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발목 각에 영향을 주는
AxB 10 220.5 2 110.3 3.343 .058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주요 이벤트 별 발목 각에 대한
AExBE 593.8 18 33.0 분산분석의 결과는 Table 5 와 같다.
- SS: sum of squares, df: degree of freedom, MS: mean squares 안전화의 종류와 인솔 착용 유무 간에는 착지 시 (P<
•• : p<0.01
0.01), 제 1 정접 제 2 정점 및 이지 시(P<O.001)에 는
유의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착지 시에는 인솔(P< 0.05),
Table 4. Angles of ankle during gait
안전홰 P<0.01), 제 1 정점에서는 인솔(P<0.001), 안전회
(unit : deg.)
-(P<0.001), 제 2 정점에서는 인솔(P<0.01), 안 전화
sa}fe tysLh o es- insole Heel contact 1st peak 2nd peak Toe-off (P<0.001), 이지 시에는 인솔(P<0.001), 안전화 (P<
In 110.3 士 6.90 108.9 士 3.12 97.6 士 5.19 120.0 士 0.05) 등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안전화의 종류와
4.45 Out 109.6 요.41 109.9±4.26 97.5 士 5.07 121.5 士 인솔간 또는 안전화 종류와 인솔 착용유무에 따른 발목
4.23 In 111.0±2.73 107.8±3.02 97.5 표.07 120.8 士 각의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최규 정 5)의 운동화의
4.37 Out 112.3 士 3.32 107.1 표.04 99.8 士 5.19 120.6 종류에 따른 발목 각의 연구에서 보 행용 신발과
2

土 8.02 In 103.4 라.35 100.3 土 4.16 89.8 士 5.07 111.7 일반운동화 사이에 유의할만한 차이가 없다고 하였으나
土 4.33 out 104.6 士 4.00 100.6 士 4.37 88.4 土 3.93 본 조사에서는 안전화의 형태에 따 라서 발목 각의
110.4 士 6.55 영향에 차이가 있으며, 인솔의 착용 유무에 따라 발목
각의 영향은 다소 있는 것으로 고 려된다. 보행동작은
보행동작의 지지 구간에서 발목 각이 변화하는 다른 인체 활동에 비해 상대적 으로 빠른 동작은 아니다.
형태를 전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Fig. 4 에 나타냈 다. 관절의 운동은 인접한 분 절 사이의 운동 결과로
발목 각은 착지 후 약간 증가하다가 지면 반발 력의 제 1 나타나며, 분절 사이의 위 치 변화가 적을 때 보다
정점이 나타내는 시점부터 지속적으로 감 소한다. 안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정점 이후 다소 감소하다가 이 지 시에는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40 Journal of the KOSOS, Vol. 23, No. 1, 2008


안전화 형태와 인솔착용 유무에 따른 보행동작시 하지부위에 대한 운동학적 부하 분석

Table 5. Analysis of variance of ankle angles during gait


Stance phase Factors N ss
보행 시에는 무릎을 거의 곧게 편 상태로 착지하 기
df MS F p
Insole(A) 10 189.3 1 189.3 8.813 .016* 때문에 무릎 각이 거의 80°에 가까우며, 착지를 시작한
Error(AE) 193.3 9 2\.5 다음, 체중이 착지발로 이동되면서 이 부하 를
완충시키기 위하여 무릎을 약간 구부린다. 무릎 각
Heel Sa fety shoes(B) 10 245.8 2 122.9 7.758 .004**
contact 변화곡선에서 제 1 정점 까지는 감소하고 있으며 (1 770
Error(BE) 285.2 18 15.8
부근에서 163°내외), 추진력을 얻기 위하여 무
JO 227.5 2 113.8 10.262 .001••
릎을 펴면서 무릎AxB 각은 증가하여 제 2 정점에서는 착지 시 범위로 증가하고, 이지 국면에서는 지지하 고 있던 발을 들어
올리면서 무릎 각이 AE x다소BE 감소 하는 18 11.l
199.5 경향을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하여 Fig. 5 에서도
lnsole(A) 10 575.3증·감 575.389.648 .ooo•••
1 주기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최규정 5)의 연구와 유사한 형태를 보였다. 또한 주요
이벤트 별 무릎 Error(A각에서E)제 1 정점 (P<
57 8 9 0.05)
6.4 과 제 2 정점(P<0.01) 및 이지 시(P<0.05) 에 안전화와 인솔 간의 유의한
차이를 l나타내었고

(Table 6), 착지
Safety shoes(B) 10 158.3 2 시에는 79.1 26.080 .000*** 인솔의 착용
안전화 종류와
ppeak
eak
Error(BE)
Error(BE) 139,9 18
54.6 18 3.0 7.8 유무 시에 따라 별차이가 없었으나, 인솔을 착용했
AxB
AxB 10 378.8 22 189.422.928
JO 162.1 .000***
s1.o 12.090 .ooo•••
을 때가 착용하지 않았을 때 보다 제 1 정점, 제 2 정
AE XX BE
AE BE 18 8.3
148.7 18 6.7
120.6 점 및 이지 시에 2 정도 높게 나타났다. 무릎 각의
Insole(A)
Insole(A) JO 352.7
10 637.9 1I 637.9
352.7 43.123
14.942 .000***
.004** 변위 폭은 운동화의 경우 5)에서는 보통 속도에서 유
Error(A,)
Error(AE) 133.1
212.5 99 14.8
23.6 사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1 번과 3 번 안전화의
2"d Safety shoes(B) 10 392.8 2 196.425.263 .000***
Toe-off Safety shoes(B) JO 241.1 2 1205 6.067 .024* 경우 인솔의 착용조건이 증가하였으나 2 번 안전화
Error(BE) 357.6 18 19.9 의 경우 제 1 정점과 이지 시에 오히려 감소하여 2 번
AxB 10 382.5 2 191.325.270 .000*** 안전화의 아웃솔의 후족 부위 특수 구조에 영향 을
AE X BE 136.2 18 7.6
받은 것으로 사료된다. 무릎 각에 대한 분석 결
- SS: sum of squares, df: degree of freedom, MS: mean squares 과에서 안전화 종류와 인솔의 착용 유무에 따라 제 1
* : p<0.05, •• : p<0.01, ••• : p<0.001
정점, 제 2 정점 및 이지 시에 무릎 각의 변화에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1 번과 2 번 안전화가 3 번 안전화에
비해 착지에 따른 발목 각 변화가 적게 일어나고 따라서
발목의 움직임이 보다 더 안정적인 것으로 유추할수
3.2. 후족 제어 변인
있댜 3.2.1. 아킬레스건 각
아킬레스건 각은 하지의 뒷면에서 보았을 때, 발 목
3.1.3. 무릎 각 관절을 중심으로 하퇴부의 아킬레스건이 지나는 선과
신발을 신지 않은 상태에서 신발 뒤꿈치가 지
무릎 각은 대퇴와 하퇴 분절이 이루는 각도를 말
하며, 무릎 각의 전체적인 변화 형태에 대한 이벤트 별 Table 6. Angles of knee during gait
무릎 각 변화곡선은 Fig. 5 와 같다.
(unit : deg.)
Types of Heel
Toe-off
! st peak 2nd peak Toe-o
L safety insole ff
contact
shoes

I
i

I In 176.7 士 5.77 162.1 국.99 177.7 土 2.92 142.6 士 6.70


| ._, '
I--+-Type 1 Out 177.9±6.83 162.6 土 6.20 177.4 표.78 140.6 키.49
i•• 를·· Type2
!노"스···Type3 In 176.8 터.07 165.5 표.73 174.8 죠.68 146.5 士 6.49
Out 177.5 土 6.21 166.1 士 6.93 172.9±7.36 148.4 士]1.56
2

In 177.5 표.60 164.6 표.40 177.0±5.00 146.5 士 5.72


i
Tim,(%)
Out 177.8 표.48 163.5 士 6.17 175.2 士 6.07 142.6 土

I
50 100 6.74

Fig. 5. Curves of knee angles to safety shoe types during gait.

한국안전학회지, 제 23 권 제 1 호, 2008 년 41
김중진, 최상복, 차상온

Table 7. Analysis of variance of knee angles during gait "무` ` .


HeeIcontact Emlyheelcont'ct
Stance L L
Factors N ss df MS F p
Deg.' i

phase
Insole(A) 10 3.6 1 3.6 1.087 .324
1°° ’
Error(AE) 30.0 9 3.3
170 i
Heel Safety shoes(B) 10 3.5 2 1.8 0 249 .782 ’
contact Error(BE) 127.7 18 7.1 1"' ’

1,0 i
AxB 10 5.4 2 2.7 0.417 .665
140
AE X BE 116.9 18 6.5 또
Time{%)

.. 100
Insole(A) 10 27.4 I 27.4 3.665 .088 Fig. 6. Curves of achilles' tendon angles to safety shoe types
67.3 during gait.
Error(AE) 9 7.5
l 하
Safety shoes(B) I0 8.3 2 4.2 1.108 .352
peak 착지 초기 변화량을 다소 크게 나타내고 있으며 아
Error(BE) 67.7 18 3.8 킬레스건 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AxB JO 92.1 2 46.1 4.840 .021* 이지 후반부에서는 아킬레스건 각이 약 30°정도
AEX BE 171.3 18 9.5 줄어드는 급격한 변화 형태를 보였다. 이러한 변화
Insole(A) 10 38.3 I 38.3 1.993 .192 형태는 이지 시 후족부를 들어 올리면서 후족부가
Error(AE) 19.2
안쪽으로 회전되면서 생긴 결과일 뿐, 체중과 이동
172.9 9
2nd 속도가 합성된 부하에 의한 후족부의 회내운동에 기인된
Safety shoes(B) I0 55.0 2 27.5 1.268 .305
peak 것이 아니기 때문에 중요한 의미는 아니다 5)· 또한
Error(BE) 390.2 18 21.7 아킬레스건 각은 착지에 따른 변화가 중요하 기 때문에
AxB 10 75.3 2 37.7 7.263 .005** 발목 각, 무릎 각, 착지 각처럼 착지 시, 제 1 정점, 제 2
AE xBE 93.4 18 5.2 정점, 이지 시 등과 같은 주요 이벤트 별로 분석하지
Insole(A) 10 101.4 I 101.4 5.432 .045* 않았다 5). 2 번 안전화가 1 번과 3 번 안 전화에 비해 착지
Error(AE) 168.0 9 18.7 시 및 착지 초기 3~50 정도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Table
AEX BE 585.5 18 32.5
Toe-off safew sh®S(B) 1(l 36.4 2 18.2 I.002 .387 8), 분산분석 결과에서(Table
squares,
- SS: sum of Error (B 마df: degree 326.9
of freedom, 18.2mean squares
18 MS: 9) 착지 시에는 안전화와 인솔간의 유의한 차이(P<
* : p<0.05, •• : p<O.OI
AxB JO 314.7 2 157.3 4.837 .021* 0.05)을 보였고 착지 초기에는 안전화에서 유의한 차이
(P<0.05)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2 번 안전화의 경우
면과 수직을 이루는 선분이 이루는 각도로 정의되며,
아웃솔의 후족부에 쿠션 기능이 있기 때문에 l 번과 3 번
보행을 하게 되면 변형이 생기면서 각도가 변한다.
안전화 보다 연질이라 할 수 있고, 착지 시와 착지 초기
발의 회내운동에 대한 연구에서 Mann7)는 발의
아킬레스건 각의 차이가 있어 아킬 레스건 각의 초기
회내운동은 주로 착지 초기에 많이 운동으로서 이
변화가 중요하며 과도한 변화량 을 방지하고, 안전화가
루어진다. 전체 지지구간의 1/10 시점은 충격력이
나타나는 시기와 거의 같기 때문에 충격력 홉수와 가져야 할 운동 조절 기능 측 면에서는 오히려 1 번과 3
부상에 깊은 관련이 있다고 하였으며, 관련이 있으 번 안전화가 기능성 면에 서 차이가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으나 보다 더 아킬레스건 각의 부하에 대한
며, 이 시점을‘착지초기'라고 하였다.
원인 규명을 위한 추 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안전화 종류와 인솔의 착용유무에서 보행에 따 른
아킬레스건 각의 전반적인 변화 형태를 살펴보기 위해
Table 8. Angles of achilles' tendon during gait
전체 연구대상의 아킬레스건 각을 표준화한 결과는 Fig. (unit : deg.)
6 과 같다. T 뿌 s of safe!}' shoes Insole Heel contact Early heel contact
일반적으로 착지 후 발의 회내운동은 아킬레스건 In 179.2±6.36 188.0 士 5.95
각의 증가를 유발한댜 또한 다른 관절에서의 움직 임의 Out 177.0±7.50 184.7 士 7.80
양이 작지만 그 변화량이 많으면 관절 손상을 가져오기 2 In 183.8 土 6.45 190.1 土 4.20
쉽기 때문에 운동역학적으로 매우 중요하 다. 2 번 Out 183.5 士 8.89 191.9 土 8.37
안전화의 경우 아웃솔의 후족부 쿠션기능 성 보강을 3 In 180.4 士 4.20 187.2 터.48
out 178.6 士 4.19 186.2±4.05
위하여 특수구조로 디자인되어 착지 및

42 Journal of the KOSOS, Vol. 23, No. 1, 2008


안전화 형태와 인솔착용 유무에 E 밖른보행동작시 하지부위에 대한 운동학적 부하 분석

Table 9. Analysis of variance of achilles' tendon angles during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Table 10). 이지 국면에 서
gait
후족 각이 갑자기 증가하는 것은 아킬레스건 각 에서처럼
Stance phase Factors N ss df MS F p 발뒤꿈치가 지면에서 떨어지면서 후족부 가 안쪽으로
Insole(A) 10 10.1 I I0.1 0.425 .531 향하고 신발의 뒤축이 오른쪽으로 기 울어 각도가
Error(A,) 214.3 9 23.8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후족 각은 아 킬레스건 각과
Heel Safety shoes(B) 10 88.5 2 44.2 1.729 .206 같이 변화 량이 미세한 수준이지만, 그 변화량이 많으면,
contact Error(B 미 관절의 손상을 초래할 위험성 이 높다. 후족 각에 대한
460.7 18 25.6
착지 시 및 착지 초기 분 산분석 결과 착지 시 안전화와
AxB 10 276.1 2 138.0 5.563 .013*
인솔간에 유의한 차 이(P<0.05)을 보였고, 착지
AE X BF 446.7 18 24.8
초기에도 유의한 차이 (P<0.01)를 나타내었디{Table 11).
Insole(A) 10 10.5 I 10.5 0.599 .459 후족 각의 변화는 아킬레스건 각의 변화에도 영향을
Error(A 이 157.6 9 17.5 준다. 따라서 2 번 안전화의 경우 아웃솔의 후족부가 1
Early heel Safety shoes(B) IO 165.7 2 82.8 3.577 .049* 번과 3 번 안 전화에 비해 특수디자인의 쿠션가능성이
contact Error(BE) 416.9 18 23.2 강화된 형 태로 아킬레스건 각에서는 착지 및 착지초기에
AxB 10 171.5 2 85.8 2.726 .092
제 일 높게 나타내었고, 후족 각에서는 제일 낮게 나
31.5
타나 변화량이 많은 2 번 안전화가 관절의 손상을
AE x BE 566.4 18 -
초래할 가능성이 다소 높다고 추정이 가능하나 안 전화와
- SS: sum of squares, df: degree of freedom, MS: mean squares
인솔에 의한 영향 변수가 있어 추가적으로 원인 규명을
* : p<0.05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3.2.2. 후족 각 Table 10. Angles of rear foot during gait
후족 각은 관상면 후면에서 보았을 때 신발 뒤꿈 치가 (unit : deg.)
지면과 이루는 각도를 나타내며, 신발의 지면 에 대한 Types of safety shoes Insole Heel contact Early heel contact
위치 변화를 나타낸다. 이러한 후족 각은 발의 운동을 In 96.4 표.09 90.6 士 4.16
통하여 신발이 변형된 결과이므로 발 의 운동학적 Out 96.6 士 6.00 923 土 3.84
분석을 위하여 사용된다. m 91.9 土 4.55 87.8 표.18
이기광 15)은 일반 등산화에 비해 아웃솔에 독립적 2
out 93.8 士 3.40 88.4 土 3.95
서스펜션을 적용한 등산화의 후족 각 조사에서 독 립적 in 94.5±3.03 90.9 土 2.44
서스펜션 기능성 등산화가 발목의 외번이 40% 정도 out 95.4±4.13 91.3 니.35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전체 연구대상의 후족 각은
표준화하여 Fig. 7 에 제시하였다. Table 11. Analysis of variance of rear foot angles during gait
후족각은 착지 시 거곱하 관절을 중심으로 이루 Stance phase Factors N SS df MS F p
어지는 회내운동 결과, 착지 시에는 1 번 안전화가 96° Insole(A) 10 3.0 I 3.0 0.184 .678
범위로 제일 높게 나타내었으며, 2 번 안전화가 제일 Error(AE) 148.6 9 16.5 -
낮게 나타났다. 착지 초기에는 1 번과 3 번 안 전화는 Heel Safety shoes(B) 10 38.7 2 19.4 1.870 .183
유사하였으며, 역시 2 번 안전화가 낮게 나 타났다. 이지
.

시에는 큰 변화 없이 증가하는 형태 를 보여 최규정 5)의


운동화에 대한 후족 각 연구와
contact Error(B,) 186.3 18 I0.3 -
’, Heel conmct EariyheeI conIact
Deg」 i AxB 10 113.8 2 56.9 4.123 .034*
I I' "

150
AE x BE 248.5 18 13.8 -

1<l(J
Insole(A) 10 0.1 1 0.1 0.005 .947
13'.}
i

1 2 3
T T T
+ .

pyye y
p ep e

12)
Error(A,) 140、8 9 15.6 -


110 Early heel Safety shoes(B) 10 59.1 2 29.6 5.059 .018*
contact Error(BE) 105.2 18 5.8 -
AxB 10 92.6 2 46.3 6.505 .007**
| OO AE x BE 128.1 18 7.1
g
Fig. 7. Curves of rearfoot angle to safety shoe types during - SS: sum of squares, df: degree of freedom, MS: mean squares
gait. * : p<0.05, ** p<0.01

한국안전학회지, 제 23 권 제 1 호, 2008 년 43
김중진,최상목,차상온

4. 결 론 려한 평가와 인솔의 구조, 디자인, 재질, 근로자의 만족도


조사가 필요하다. 아울러 근골격계질환의 예 방과
본 연구는 보행동작의 지지구간에서 안전화의 종 류
근로자들의 피로와 착용에 따른 만족감을 고 려한
및 인솔의 착용유무에 따른 발의 운동학적 변인, 후족
실용적 가치를 병행하여 평가하는 것이 절실 하기
제어 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고, 이 를 기초로
때문에 이에 대한 추가적인 관심과 연구노력 이 필요할
하여 안전화의 구조적 특징과 인솔의 사 용과 안전화의
것으로 생각된다.
착용에 따른 하지 부위의 피로와 근 골격계질환의
예방을 위한 안전화의 개선방향에 목 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정상 족궁을 가지 고 후족 착지 참고문헌
형인 성인 남자 10 명을 대상으로 하 였다. 보행 동작은 3 1) 최상복, 김종배, 장영호, 신대혁, 최상구, "안전보 건
대의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하 고 측정하였으며, 착지 발 보호구", 동화기술, pp. 167~184, 1998.
하지의 지지구간에 대한 운동역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2) 노동부, "산업재해 통계”, 2005.
하지 분절의 운동 학적 변인으로는 발목 각, 무릎 각,
3) 권미지, 김경, 김영민, 김주상, 소재무, 엄기매, 정
착지 각 등이며, 후족 제어 변안으로는 아킬레스건 각, 형국, 채윤원. "근골격계 생체역학" (개정 3 판)
후족 각 등 이었다. 측정치를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영문출판사, pp. 243 ~281, 2003.
같다.
4) H. Elftman, "A cinematic study of the distribution
of pressure in the human foot", Anat. Rec., Vol.
1) 운동학적 변인조사에서 착지 각의 경우 제 2 정 59, pp. 481 ~492, 1934.
점에서 안전화와 인솔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발목
5) 최규정, "일반 운동화와 mBT 보행 신발 착용에
각에서는 착지 시, 제 1 정점, 제 2 정점 및 이지 시 따른 보행 동작의 운동역학적 비교 분석”, 성균
안전화와 인솔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 며, 무릎 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각의 경우 제 1 정접, 제 2 정점 및 이지 시 에 안전화와 6) 이창민, 오연주. "생체역학적 분석을 통한 보행 부하
인솔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감소용 인솔 개발", 대한인간공학회지 제
2) 후족 제어 변인조사에서 아킬레스건 각은 착 지 24 권, 제 4 호, pp. 23 ~30. 2005.
시에는 안전화와 인솔간에, 착지초기에는 안전 화에 7) R.A.Mann, "Biomechanics in Running", In Sym
유의성을 보였고, 후족 각에서는 착지 시와 착 posium on the Foot and Leg in Running Sports,
지초기에서 안전화와 인솔간에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R. P. Mack(ed.) St. Louis, The C.V Mosby Co,
3) 운동학적 변인, 후족 제어 변인 등에서 1 번 안 pp. 1 ~29, 1980.
전화가 통계적으로 우수하다고 볼 수 있고 2 번 안 8) P.R. Cavanagh, G.C. Andrew, R. Kram, M.M.
전화의 경우 후족 제어 변인에서 아웃솔의 형태와 Rogers, D.J. Sanderson, and E.M. Henning, "An
관련되어 부하가 다소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인솔 의 Approach to biomechanical profiling of elite
착용에 따른 하지의 피로와 근골격계질환의 예 방효과는 dis tance runners", International J. of Sport
다소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Biomecha nics, Vol. 1, No. I, pp. 36~62, 1985.
9) B.M. Nigg, "Some comments for runners, In Bio
본 조사에서 안전화의 종류 및 인솔의 착용유무 에 mechanics of Running Shoes", III : Human
따른 운동역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1 번 Kine matics Publishers, Inc. pp. 205 ~219,
안전화가 통계적으로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 나 1986.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룰 나타내었지만, 이 결과는 10) 한상덕 "http://www.shoedb.com", 1990.
안전화에 한하여 10 명의 연구대상에 대한 결 과이고, 3 11) 곽창수. "운동화 중저의 경도가 주행 시 발바닥 의
종류의 안전화와 1 종류의 인솔을 이용한 압력 분포와 충격 홉수에 미치는 영향", 서 울대학교
분석결과이므로 일반화를 시키기는 다소 어렵다고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64~87, 1993.
보여진다. 또한 안전화의 구조적 특징에 대한 법적 12) 이연종. "주행 시 체중에 따른 운동화 중저 경 도의
설계디자인 한계성과 제작 단가를 고려한 생산이므 로 차이가 충격 홉수와 후족 제어에 미치는 영향".
운동역학적 기능의 차이에 대한 좀 더 근원적인 원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규명과 안전화의 종류 및 특징 둥을 충분히 고 pp. 32 ~58, 1997.
13) B.A.Kerr, L. Beauchamp, V. Fisher, and R. Veil,
"Foot-strike patterns in distance running. In, B.M.

44 Journal of the KOSOS, Vol. 23, No. 1, 2008


안전화 형태와 인솔착용 유무에 따른 보행동작시 하지부위에 대한 운동학적 부하 분석

And B.A.Kerr(eds.) Biomechanical aspects of sport


shoes and playing surfaces", University of Calgary, Biomechanics, Vol. 20, pp. 147~155, 1987.
Canada, pp. 135 ~142, 1983. 15) 이기광 "등산화 아웃솔의 독립적 서스펜션 기능 이
14) C.F. Munro, D.I. Miller, and A.J. Fuglevand,"Ground 발의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 대한인간공학 회
reaction forces in running, A reexamination", J. of 학술대회 논문집, pp. 68 ~71, 2006.

한국안전학회지, 제 23 권 제 1 호, 2008 년 45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