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8

표현방법

반어 역설 풍자 운율

정 표현하려는 겉으로 보기에는 어떤 대상을 시에서 느껴지는


의 내용을 실제와 모순적이지만 이면에 비판하며 읽는 말의 가락.
반대되는 진실을 갖고 있는 것 사람들에게
말&상황으로 웃음을 주는 것
표현

특 표현하고자 하는 모순적인 표현이 우스꽝스럽고 같거나 비슷한


징 내용과는 들어가, 겉보기에는 과장되게 표현함 소리, 시어, 시구,
반대되지만 이치에 맞지 않음 문장구조, 일정한
모순적이지는 글자수, 음보의
않음 반복으로 형성

효 비꼬아서 표현할 모순된 표현 이면의 어떤 내용을 시를 읽을 때


과 수 있음 / 화자의 진실을 강조 / 모순된 에둘러 비판할 수 리듬감이 느껴짐 /
심리나 상황을 표현에 어떤 의미가 있음 / 읽는 화자의 정서를
인상깊게 드러냄 담겨 있는지 생각 사람에게 웃음을 강조하여 나타냄.
/ 깊이 있는 감상 해보게 함 / 독자 유발함 / 비꼬아서
유도. 주의를 끌고 참신한 표현할 수 있음
느낌을 줄 수 있음

예 잊었노라 구린내가 향기롭다 양반은 한 이건 내 drama


시 푼어치도 안되는 꿈꿔본 drama
구려

글쓴이
시의 화자 (=화자,시적화자) 서술자

정의 1. 시에서 말하는 이 소설에서 독자에게 이야기를


2. 시인이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전달하는 이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시 속에
내세우는 대리인

특징 시의 내용과 특징을 효과적으로 전달 / 사건, 인물의 심리와 행동 등을 전달 /


시적 상황이나 대상에 대한 다양한 등장인물일 수도, 아닐 수도 있음. /
정서를 드러냄 / 시에 직접적으로 드러나 서술자는 작가와 동일 인물이 아님 /
있기도, 숨어있기도 함 / 일반적으로 서술자의 위치와 시각(태도)에 따라
사람이나, 사물 or 동물일 수도 소설의 시점이 달라짐.

시점의 종류
1인 1인칭 주인공 - 이야기 안의 주인공 ‘나’가 이야기를 서술함.
칭 시점 - 주인공의 내면 심리를 드러내는데 효과적임
in
이야 1인칭 관찰자 - 이야기 안의 주변인물인 ‘나’가 주인공의 이야기를
기 시점 전달함.
- ‘나’가 관찰한 내용만을 전달, 주인공의 심리가
드러나지 않음.

3인 3인칭 관찰자 - 이야기 밖의 서술자가 사건, 인물의 행동을 관찰하여


칭 시점 전달함.
out - 서술자는 객관적인 태도로 사실만을 전함. (심리 X)
이야
기 3인칭 전지적 - 이야기 밖의 서술자가 인물의 심리까지 다 꿰뚫어 보고
시점 전달함.
- 서술자가 인물의 심리나 행동을 분석하여 서술함.
1. 엄마 걱정
(1) 작품 개관
갈래 현대시 제재 유년 시절의 기억

주제 유년 시절을 떠올리며 느끼는 슬픔

특징 - 화자가 자신의 과거를 회상하고 있음


- 비유를 써서 화자의 정서를 드러냄
(2) 시의 짜임
1연 2연
=>
가난하고 외로웠던 ‘나’의 유년시절 유년 시절을 떠올리며 슬픔을 느끼는

(3) 시적 상황&화자의 정서
1연 2연

상황 어린 ‘나’는 빈방에서 시장 간 어른이 된 ‘나’는 자신의 유년


엄마를 홀로 기다림. 시절을 회상함.

- 찬 밥처럼 방에 담겨 - 지금도 내 눈시울을


정서 드러내는 - 어둡고 무서워 뜨겁게 하는
표현 - 빈방에 혼자 엎드려 - 내 유년의 윗목
훌쩍거리던

화자의 정서 외로움, 두려움, 쓸쓸함 슬픔, 서글픔, 안타까움


(4) 이 시의 주요 표현
해는 시든 지 - 엄마가 이고 간 열무와 관련지어 해가 지는 걸 시든다
오래 표현.
- 밤 됐으며, 엄마가 시장에 가신 지 오래 됐음을 표현.

나는 찬밥처럼 - 아무도 돌봐주지 않는 외롭고 쓸쓸한 ‘나’의 처지를


방에 담겨 찬밥에 빗대, 표현.

배춧잎 같은 - 엄마의 지친 발소리를 배춧잎에 빗대어 표현.


발소리 타박타박 - 엄마의 피곤하고 지친 삶을 나타냄.

내 유년의 윗목 - 외롭고 힘들었던 유년 시절을 상대적으로 차가운


공간인 윗목에 빗대어 표현함.

2. 동백꽃
(1) 작품 개관
갈래 소설 제재 동백꽃

배경 시간: 1930년대, 봄 공간: 강원도 농촌 마을

주제 농촌 소년과 소녀의 사랑

특징 ● 어리숙하고 순박한 인물을 서술자로 설정하여 작품의 해학성


높임.
● 토속적인 어휘(사투리) 사용하여 향토적인 분위기를 자아냄.
● 현재-과거-현재의 역순행적 구성을 취함.
(2) 글의 짜임
발단 점순이가 수탉끼리 닭싸움을 붙이며 ‘나’를 약올림.

전개 ‘나’는 점순이가 주는 감자를 거절함.


1

전개 점순이는 ‘나’의 집 씨암탉을 때리고, ‘나’에게 욕을 하며 괴롭힘.


2

위기 ‘나’는 수탉에게 고추장을 먹인 뒤 점순네 수탉과 쌈 붙임. But 또 다시


패함.

절정 ‘나’는 죽을 지경에 이른 자기 집 수탉을 보고 화가 나, 점순네 수탉을 때려


죽임.

결말 ‘나’와 점순이가 동백꽃 속에 파묻힘.


(3) 주요 소재의 의미와 역할
감자 ● ‘나’를 향한 점순이의 애정을 드러냄.
● 점순이가 ‘나’가 갈등하는 원인. (갈등시작)

닭싸 ● ‘나’와 점순이의 갈등 나타냄.


움 ● 마지막에는 갈등 해소의 실마리 제공.
● ‘나’에 대한 점순이의 애정과 미움의 이중적 감정을 드러냄.

동백 ● ‘나’와 점순이의 갈등이 해소됐음을 드러냄.


꽃 ● 낭만적 분위기를 형성함.
(4) ‘나’와 점순이의 대조적 특성
‘나’ 점순이

순박하고 눈치가 없음. => 영악하고 집요함.


점순이가 저를 좋아한단 것을 눈치 ‘나’에게 애정 갖고 있었으나 이를
못 챔. 눈치 못 채는 ‘나’를 미워하기도 함
(5) 서술자의 특정과 효과
사건 ‘나’의 생각 점순이의 의도

점순이가 감자를 줌 감자 주며 자기 집이 잘 ‘나’를 좋아하는 마음


사는 것을 생색내니 전하고 싶음.
기분이 나쁨.

점순이가 닭싸움을 시킴 점순이가 날 약올리려고 자기 맘 몰라주는 ‘나’


닭싸움 시킨다고 생각. 괴롭힘, ‘나’의 관심 끌고
싶음.

‘나’와 점순이가 점순이가 뭐에 떠밀려 ‘나’가 자신의 맘을


동백꽃 속에 파묻힘 자신과 같이 쓰러졌다 알아줬다고 생각해, 애정
생각. 표현.
서술자 ● 눈치가 없고 둔해, 아직 사랑에 눈뜨지 못함.
‘나’의 특성 ● 점순이의 말과 행동에 담긴 의도 제대로 파악 못하고 자신이
판단한대로 서술.

‘나’를 ● 독자가 ‘나’가 제대로 서술 못 하는 점순이 속마음 상상하며 읽게


서술자로 됨.
설정한 효과 ● 어수록하고 눈치 없는 ‘나’를 사술자로 설정함으로써 재미 느끼게
함.
● 사춘기 소년과 소녀의 사랑이 더욱 순수하게 느껴지게 함.
● 소설 전체가 해학적 분위기를 띠게 함.

3. 나룻배와 행인
(5) 작품 개관
갈래 현대시 제재 나룻배, 행인

주제 희생과 믿음을 통한 진정한 사랑의 실천 의지

특징 1. 자신을 나룻배에 비유해 임에 대한 자신의 맘 드러냄.


2. 수미상관의 구조 취해, 시에 안정감 부여 및 ‘나’와 ‘당신’의 관계 강조
(6) 시의 짜임
1연 2연 3연 4연

‘나’와 당신의 관계 ‘당신’의 무심함과 ‘나’의 기다림 ‘나’와 당신의 관계


‘나’의 희생적 자세
(7) 화자의 태도&상황
상황 태도

화자에게 무심한 ‘당신’을 기다리고 희생적, 헌신적으로 당신을 대함.


있음. 당신이 반드시 올 것이라는 믿음을 갖고
있음.

4. 먼 후일, 5. 독은 아름답다
(1) 먼 후일&독은 아름답다 작품 개관
먼 후일 독은 아름답다

갈래 현대시

제재 (사랑하는 이와의)이별 은행나무 열매, 밤송이, 복어알,


친구

주제 떠난 임을 잊을 수 없는 마음 자식에 대한 부모의 사랑은 가치


있고 아름다움.

특징 - 미래의 어느 상황 가정하여 - 일상서 접할 수 있는 소제


시상을 전개. 활용.
- 반어를 써서 주제를 강조. - 역설을 써서 주제를 강조.
- 같은 시어, 같은 문장구조, - 후각, 촉각 등의 감각적 심상
3음보의 반복 통해 운율 드러남.
형성 및 내용 강조.
(2) 시의 짜임
먼 후일 독은 아름답다

1연 먼 훗날 임이 찾을 때 화자의 은행나무 열매의 구린내가 향기로움


반응

2연 임이 나무랄 때 화자의 반응 밤송이의 날카롭게 찌르는 가시가


너그러움

3연 임이 계속 나무랄 때 화자의 반응 복어의 독이 복어의 사랑임

4연 임을 못 잊는 화자의 애절한 마음 술 끊은 친구의 독한 마음이


아름다움
(3) 먼 후일: 운율&효과
● 3음보의 반복
운율 형성 요소 ● 같은 시어의 반복 (먼 훗날, 당신이, 나무라면, 잊었노라)
● 같은 문장구조의 반복 (~면~ 노라)

운율 효과 ● 리듬감이 느껴짐
● 화자의 정서를 이해하는데 도움됨
(4) 먼 후일: 반어&효과
반어 쓰인 시구 표현 단정적인 어조로 ‘잊었노라’를 강조

그 때에 내 말이 무척 그리다가”, “오늘도 어제도 아니


‘잊었노라’ 속마음 잊고 / 먼 훗날 그떄에”로 보아, 임을 절대
‘무척 그리다가 잊을 수 없다는 마음이 담겨 있음
잊었노라’
‘믿기지 않아서
잊었노라’
먼 훗날 그때에
‘잊었노라’

반어의 효과 화자의 속마음을 반대로 표현하여 인상 깊게 드러냄


속에 든 의미를 생각해보게 하여 깊은 감상을 유도함
(5) 독은 아름답다: 역설&효과
소재 일반적 특성 화자의 생각

은행나무 열매 구린내가 남 은행나무 열매를 지켜주기 위함임

밤송이 가시가 날카롭게 밤송이 가시가 밤톨을 보호하는


찌름 역할 하

복어알 독이 있음 독이 복어의 알을 보호하는 역할


술을 끊은 친구 마음이 독함 자식을 위한 부모의 소중한 마음

구린내가 향기롭다
역설 쓰인 시구 날카롭게 찌르는 가시가 너그럽다
복어의 독이 복어의 사랑이다
친구의 독한 마음이 아름답다

역설의 효과 모순된 표현 이면의 진실을 강조해 나타낼 수 있음


독자의 주의를 끌고 참신한 느낌을 줌

5. 양반전
(1) 작품 개관
갈래 고전 풍자 소설 제재 양반 신분의 매매

배경 시간: 조선 후기(18세기) 공간: 강원도 정선군

주제 양반들의 무능과 허례허식, 탐욕(+부도덕함) 풍자

특징 ● 양반의 신분 매매 사건 통해 양반의 모습 풍자
● 조선 후기 사회상 반영
(2) 글의 짜임
1 무능한 양반, 관아에서 빌린 환자 못 갚아 곤란한 상황에 놓임

2 마을의 부자가 양반이 빌린 환자를 대신 갚아주고 양반 신분을 삼

3 군수가 양반으로서 지켜야 할 규범에 대한 내용 담은 첫 번째 양반 신분


매매 증서 작성

4 부자 요구로 양반의 특권(권리) 담은 두 번쨰 양반 신분 매매 증서 작성

5 부자, 양반 도둑놈같은 존재라 여겨 양반 되길 포기


(3) 등장인물의 특성
양반 ● 학식&인품 뛰어나지만, 경제적 문제
등한시함(무관심,소홀)
● 빚을 갚기 위해 부자에게 양반 신분을 팖
● 조선 후기, 경제적으로 몰락한 일부 양반 계층을 대변하는
인물

부자 ● 경제력 바탕으로 신분 상승 꾀함
● 양반 동경했으나 양반의 횡포 알고는 양반 되는 것 포기
● 조선 후기, 부를 축적한 신흥 부유층(계층)을 대변하는
밍물

양반의 아내 경제적으로 무능한 양반을 비판함

군수 양반, 부자 신분 매매 중재하는 인물로, 증서를 작성함


(4) 양반 신분 매매 증서 내용&그 역할
내용 역할

첫 ● 양반이 지켜야 할 규범 ● 체면 중시, 허례하식에


번째 ● 지나치게 채면 중시, 사소한 얽매여 있는 양반 모습 풍자
매매 행동에도 격식 따르는 허세
증서 show, 허례허식에 얽메여
있음

두 ● 양반이 누릴 수 있는 특권 ● 평민들에게 횡포 일삼고,


번째 ● 권력 이용해 부당한 이득 보당한 트구언을 행사하는
매매 취하거나 백성들 괴롭히고 부도덕한 양반의 모습 풍자
증서 사치와 유흥 일삼는 모습
show

역할 ● 양반의 부정적인 모습 비판하고자 하는 작가의 의도 잘 드러남


● 독자에게 소설 읽는 재미 주고, 독자가 대상에 대한 비판적인 의식
갖게 함
(5) 등장인물 말 통해 풍자한 양반의 모습
양반의 “양반은 한 푼어치도 안 되는구려!” 경제적으로 무능한 양반의 모습
아내 풍자

부자 “장차 나를 도둑놈으로 만들 양반의 부도덕한 모습 풍자


셈입니까?”

+ 풍자-학습활동
시 <우리말 습관적으로 외래어 쓰는 모습을 “발목 삘까봐”, “피부병 걸릴까
사랑1> 봐”와 같이 비꼬아서 표현함

만평 불꽃 축제 끝난 뒤 쓰레기 나믹고 간 사람들 모습, 시민의식이


화려하게 폭발했다고 비꼬아서 풍자하고, 불꽃의 잔해를
쓰레기로 표현함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