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멘트 저항 골조시스템에서 슬래브의 진동 해석에 관한 연구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8

모멘트 저항 골조시스템에서 슬래브의 진동 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ibrational Analysis of Floor slab


at Moment Resisting Frame System

함 희 정* 곽 노 현** 은 희 창***
Ham, Hee-Jung Kwak, No-Hyun Eun, Hee-Chang

……………………………………………………………………………………………………………………………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analytical method of determining the natural frequency as a modal parameter of
reinforced concrete slab at moment resisting frame structure. The method is summarized that the slab is modelled by two
perpendicular beams at its mass center and the natural frequency is calculated by a ratio of effective stiffness and effective
mass from potential energy and kinetic energy of the established beams, respectively. Based on the derived metho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ynamic effects of the shape ratio of the slab, boundary conditions by the springs, the flexural rigidity of the
slab, etc. The proposed method was compared with the existing experimental and analytical results, and its validity is
illustrated.
……………………………………………………………………………………………………………………………
키워드 : 형상비, 유효강성, 유효질량, 진동수, 모드형상, 구속조건
Keywords : Shape Ratio, Effective Stiffness, Effective Mass, Natural Frequency, Mode Shape, Constraint
……………………………………………………………………………………………………………………………

1. 서 론

건축물의 설계는 구조설계 기준을 근거로 충분한 강도 슬래브의 장단변 방향의 경간길이, 바닥 슬래브뿐만 아니
를 유지하도록 단면의 크기 및 배근 설계를 수행하고, 다 라 큰 보와 작은 보, 혹은 전단벽체, 구조시스템 등을 종
음 단계로 사용성(serviceability)에 대한 검토를 실시한다. 합하여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사용성이라 함은 콘크리트의 균열, 처짐, 진동 등을 들 수 구조체의 진동 특성의 파라미터는 진동수 및 모드 형상
있으며, 이들에 대한 제한 기준들이 설계 기준에 포함되어 을 들 수 있다. 이로부터 가진 장치에 의한 진동 응답 분
있다. 석, 설계 및 제어 등이 고려되어 질 것이다. 바닥 슬래브
최근의 건축물들은 경량화 및 고강도화로 부재의 단면 는 큰 보, 작은 보 혹은 전단벽체들에 의해 지지되는 부재
이 감소되었으며, 이에 따라 부재 내력의 확보방안은 충족 이며, 이들 접합부의 접합 정도는 바닥 슬래브의 진동 특
되었다 할지라도 사용성을 불만족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 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나 실측이 되지 않는
하고 있다. 특히, 진동에 대한 문제는 거주자에게 불쾌감 한, 슬래브의 지지조건이 불분명하므로 그 진동 특성을 결
을 줄 수 있음에도 이에 대한 제한 기준이나 연구들은 미 정하기 쉽지 않을 것이다. 기존의 국내 연구들이나 국외의
진하다고 볼 수 있다. 진동에 대한 영향은 시공 중에는 각 기준들을 보면 일방향 슬래브에 대해 단순지지, 고정 등의
종 시공 장비들이나 인부들의 작업 하중들이, 또한 완공 명확한 지지조건들에 대해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합성 구
후에는 거주자나 각종 가전제품 혹은 기계 장비 등에 의 조로서 국내 기준인 “국내 합성데크 바닥구조 설계기준”
해 나타난다. 이러한 하중들은 바닥 슬래브에 직접적인 영 에 의하면 바닥 슬래브의 진동만을 고려하여 진동수를 제
향을 미치며, 이를 지지하는 큰 보와 작은 보에 의해 추가 한하고 있다. 그러나 AISC Steel Design Guide Series 11
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바닥 슬래브의 진동 특성은 에서는 큰 보, 작은 보 등의 처짐량을 포함하여 이들 부재
의 동적인 특성을 규정하고 있는 것을 보면 지지조건들에
* 강원대 건축학부 부교수, 공학박사 대한 영향이 고려되어야 하며, 국내 기준에서도 이를 반영
** 대원대 건축공학과 부교수, 공학박사 하여야 할 것이다.
*** 강원대 건축학부 부교수, 공학박사
이 논문은 2004년도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
었음. 과제번호:KRF-2004-041-D00743

大韓建築學會論文集 構造系 제23권 제9호(통권227호) 2007년 9월 73


함희정․곽노현․은희창

기존의 국내 연구로는 박진규와 김원기1),2)는 합성 슬래 표 1. 바닥판의 고유진동수 추정식 (보진동식)


브의 바닥 진동을 예로 들어 평가하고 국내 기준과 AISC
진동평가방법 고유진동수식
기준을 비교 평가하고 있다. 이 연구들에서도 국내의 기준

은 슬래브의 지지를 고려하고 있지 않음을 지적하고 있다.
3)
한상환과 김도훈 은 진동대 실험을 통하여 진동에 대한
ANSI S3.29  

  

 

인지곡선을 제안하고 이를 외국에서 제안된 인지실험 결과
들과 비교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광범위한 진원을 통한
LRFD   
 



인지 감성을 측정한 결과로 국외 기준에 의한 설계 제한치
4)
를 설명하고 있다. 전호민과 유승민 은 벽식 아파트의 바
CAN/CSA S16.1   

   

  
닥 슬래브에 대한 수직 진동을 예측하기 위한 해석 및 실
강구조 한계상태 설계기준
및 해설
 
 
   

험을 실시하여 바닥 슬래브를 모형화하였다. 홍갑표, 전호 
5)
민, 김유석 은 무한건물모형이론을 이용하여 철로변 인접
건물의 진동을 예측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진동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계산
규준해설
   

 

 
응답을 결정하였다. 그러나 이들 연구들은 바닥 슬래브에
대한 진동 평가 보다는 철로에서 발생하는 진동으로부터
AISC Steel Design Guide
Series 11
  
  
  

지반의 진동 및 건축물에 미치는 것을 판별하고 있다. 즉, 표 2. 바닥판의 고유진동수 추정식 (판진동식)


바닥 슬래브의 진동 평가는 극히 소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6)
이성수와 홍갑표 는 바닥판에 대한 기존의 추정식으로부 진동평가방법 고유진동수식
터 고유진동수를 구하여 추정식의 정확성을 분석하고 향상

 

7) 일본 철근콘크리트   
된 보정진동식을 제안하였다. 김기철과 한덕진 은 주행차   
  
계산규준, 동해설    
량의 이동하중과 노면조도를 고려한 판요소 등가이동하중
을 적용하여 차량 이동하중을 받는 바닥판 구조물의 실용    ; 단변과 장변의 길이
8)
적이며 효율적인 진동해석을 수행하였다. 이성수 는 국내  ; 슬래브의 두께
외 구조기준인 진동응답 계산식에 대하여 실제 바닥구조를
대상으로 진동응답을 계산하고 그 값을 진동실험에 의한 표 3. 바닥판의 고유진동수 추정식 (시스템진동식)
실제 진동응답과 비교하여 정확성을 분석하였다.
국외에서는 바닥 슬래브의 진동으로 인한 인지를 판별 진동평가방법 고유진동수식
9) 10)
하는 연구들로 Reiher과 Meister , Wiss와 Parmelee ,   
LRFD   
CSA11), AISC Design Guide Series 1112) 등을 들 수 있   
다. 이들 연구들이나 기준들은 거주자들의 인지에 근거하   
CAN/CSA S16.1    
  
여 진동을 평가하고 있으므로 바닥 슬래브의 형상비 그리
강구조 한계상태 설계기준 및
고 지지조건 및 강성비 등에 대한 영향을 반영하고 있음

을 알 수 있으나, 정량적인 값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따
라서, 이러한 변수들을 사용하여 광범위한 연구의 필요성
해설
AISC Steel Design Guide
    

∆ ∆   

Series 11
이 제기될 수 있으며, 국내 기준 마련을 위한 기초적인 자
료로서 활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 바닥슬래브의 고유진동수
바닥판의 고유진동수를 계산하는 식의 유형은 보진동  ; 보 또는 장선의 고유진동수
이론에서 유도된 보진동식 (표 1), 판진동이론에서 유도된  ; 거더의 고유진동수
판진동식 (표 2), 보와 거더의 상호적인 진동효과를 고려  ; 보의 처짐
한 시스템 진동식 (표 3), 판진동식에서 바닥판의 중앙에  ; 거더의 처짐
작은 보가 있는 경우를 고려한 보정-판진동식 등을 들 수
있다. 2. 진동수 산정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슬래브의 형상비(단변과 장변 길
이비), 지지조건 및 부재들 간의 강성비에 대한 영향을 포 2.1 슬래브의 모델 설정
함하여, 슬래브의 진동 특성을 규명한다. 일방향이나 이방 바닥 슬래브의 진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슬래브
향 슬래브에 관계없이 슬래브 해석에 필요한 프아송의 영 의 형상비, 슬래브의 지지조건과 강성비 등을 들 수 있
향을 고려하여 직각인 두 개의 양방향 보로 가정하여 슬 다. 이들 변수들이 슬래브의 진동 특성을 결정하는 요인들
래브의 진동수를 평가한다. 또한 타연구자의 실험결과와 이 될 것이다. 동적인 특성을 판별하기 위하여 유한요소해
표 3에 주어진 추정식을 비교하여 본 연구의 타당성을 검 석법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일방향 슬래브의 경우
증한다. 이로부터 바닥슬래브의 진동 평가를 설명할 수 있 에는 보와 같이 1차원 요소로 가정된다면 각 절점은 수평,
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수직 및 회전에 관한 자유도를 지니게 될 것이다. 반면에

74 大韓建築學會論文集 構造系 제23권 제9호(통권227호) 2007년 9월


모멘트 저항 골조시스템에서 슬래브의 진동 해석에 관한 연구

플레이트 요소로 가정한다면 회전에 관한 자유도만을 포 2.2 구속된 구조물의 구조해석


함하므로 수직 진동에 대한 영향을 파악하기 어렵다. 슬래 슬래브를 임의점에서 단면의 폭이 1m인 양방향의 보로
브의 지지 조건과 단변 및 장변 방향의 지지 조건이 상호 가정한다면 두 개의 보가 접하는 점이 형성되며, 두 보는
의존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단변 방향으로 슬래브를 고려 그 접합점에서 구속되어 상호 역학적인 특성에 영향을 미
할지라도 장변 방향과의 형상비와 장변 방향 슬래브의 지 친다. 이때에 슬래브의 기본진동모드는 슬래브 중앙점에서
지 조건에 의해서도 많은 영향을 받게 될 것이다. 본 연구 두 개의 보로 취할 경우에 해당될 것이다. 본 절에서는 먼
에서는 프아송의 영향을 포함한 보 요소의 개념을 사용하 저 이와같이 두 개의 구조체로 구성된 구조물에 구속조건
여 그림 1과 같이 모델링을 실시하여 수직 진동에 대한 을 부여하여 구속된 시스템의 정적인 해석을 실시하는 방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즉, 슬래브를 큰 보와 작은 보에 법을 소개한다.
의해 지지되는 그림 1(a)의 일방향의 보로 가정하거나 그   
  
  ⋯ 
   에 의해 정적 거동이 묘사되는 구조

림 1(b)와 같이 프아송의 영향을 포함한 이방향슬래브를 물의 평형방정식은 Hooke의 법칙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직각인 두 개의 보로 가정하여 해석을 수행한다. 또, 큰 관계를 갖는다.
보와 작은 보에 의해 지지되는 변위와 회전 스프링에 따
른 진동수를 평가한다.
  
 (1)
그림 1과 같은 슬래브를 1방향 슬래브로 가정하고 큰
보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의 구속 조건을 수직과 회전의
여기서 는  ×  외력벡터를, 는  × 의 양의 정치성
스프링에 의해 대신하여 이들 스프링의 강성 정도에 의해
의 강성행렬(positive definite matrix)을 나타낸다. 식 (1)
슬래브 진동을 평가하게 될 것이다. 여기서 스프링의 강성
에서 
에 관한 풀이는 구속조건이 부여되기 이전에 각 구
에는 슬래브의 단변과 장변의 길이비인 형상비에 의한 영
조물의 변위를 나타낸다.
향이 포함될 것이다. 궁극적으로 슬래브의 형상비와 지지
이 구조물이 다음과 같은 구속조건에 의해 그 거동이
조건에 의해 슬래브의 진동수가 결정될 것이며, 이를 컴퓨
구속된다고 가정하자.
터 프로그램에 의해 계산될 것이다. 제시된 결과를 기존의
연구나 기준들과 비교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하고 실무에
  ,         
적용할 수 있는 형태의 간편한 접근법을 제시한다.
(2)

여기서 벡터         는 제약조건에서 결정되어지


는 실제의 변위벡터이며,  는 상수이다. 구속조건들을 선
형으로 가정하면 다음의 행렬 형태로도 표현이 가능하다.

2
1    (3)

1
1 여기서 행렬  는  ×  실수(real number)의 행렬을, 
는  ×  실수 벡터를 나타낸다. 식 (3)의 풀이가 구속조
건을 만족하는 실제의 값이 된다. 그러나 개의 평형방정
식과  개의 제약조건에 의한   개의 방정식으로부
터 개의 변위가 결정되어야 한다. 즉,  개의 잉여
(a) 작은 보와 프아송 영향을 포함한 슬래브
(redundant) 방정식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이들 식을 만족
하는 해는 무한하며 따라서, 실제의 변위를 결정하기란 쉬
운 일이 아니다.
구속조건이 부여된 상태에서 실제의 변위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것은 구속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필요한 구속력의
13)
산정에 있다. 은희창, 이은택, 정헌수 는 구속조건 부여
전후의 변위차나 구속력에 의한 함수로 포텐셜 에너지
(potential energy)를 최소화하여 구속조건을 만족하는 구
속력과 평형방정식을 유도하였다.


        
 (4a)
(b) 직각인 두 개의 보에 의한 이방향 슬래브

그림 1. 슬래브 해석 모델  
        
 (4b)

大韓建築學會論文集 構造系 제23권 제9호(통권227호) 2007년 9월 75


함희정․곽노현․은희창

여기서  는 구속력 벡터를 나타내며, ‘+’는 일반화된 역 구속되어 있으므로 그 거동을 평가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행렬(generalized inverse matrix)을 나타낸다. 주어진 평 한다. 두 개의 각 보를 중앙에서의 처짐      
형방정식은 Hooke의 평형방정식의 확장된 형태를 취하고 에 관한 단자유도계로 변환하고 이들 두 보를 중앙에서의
있음을 볼 수 있다. 이 일반화된 역행렬법은 일반화된 역 구속조건을 부여하여 전체 구조물을 단자유도계로 변환시
행렬을 계산하여야 하는 어려움도 있지만 식 자체만으로 킴으로서 동적인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주어진 보들의
구속된 시스템의 거동을 설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속은 접합점에 작용하는 집중하중인 구속력의 발휘에
여기서, 식 (4)는 이산계(discrete system)에 대한 구속 의한다. 자유진동을 고려할 경우에 운동에너지와 포텐셜에
방정식으로 연속계에 대한 설명을 위해서는 이들 식을 수 너지는 동일하므로 따라서, 두 보의 중앙에 집중하중이 작
정하여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 두 개의 보를 연속계로 가 용할 경우로 각각 질량과 강성이 산정된다.
정하므로 이산계로부터 연속계로 식 (4)의 형태를 확장하 그림 3(a)와 같이 등분포하중을 받는 슬래브를 그림
여 슬래브를 두 개의 보로 변환한 형태에서 진동특성식을 3(b)와 같이 등분포하중 를 받는 두 개의 보로 변환하면
유도한다. 이들 보의 수직처짐은 다음으로 계산된다.

2.3 진동 평가

슬래브의 동적인 특성은 그림 2와 같은 순서를 따라 이


론적인 해석방법이 유도되었다. 슬래브는 4변의 보에 의해
지지되며 단변과 장변 방향으로 하중이 전달되며, 중앙부
에서 최대의 처짐을 나타낸다. 슬래브의 중심에서 직각으
로 각 방향에 보를 가정하면 두 보가 중앙에서 접하게 될
것이다. 보에 등분포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와 중앙에 집중
하중이 작용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각 하중의 경우
(a) 슬래브
에 대해 두 개의 보는 상호간에 수직변위를 구속하므로
구속조건을 사용하여 각 하중의 경우에 보를 합성한다. 등
분포하중을 받는 보에 대해서는 운동에너지로부터 유효질
량을, 집중하중을 받는 보에 대해서는 포텐셜에너지로부터
유효강성을 유도하고 이들로부터 슬래브의 기본진동수를
결정한다. 이때에 보의 단부 지지조건, 역학적 특성 등에
따라 동적인 특성을 달리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보를 이산계가 아닌 연속계로 가정하여 단부의 지지조건
에 따른 슬래브의 동적인 특성을 결정하였다.
(b) 두 개의 보로 변환
그림 3. 등분포하중을 받는 슬래브
슬 래 브

이방향 보로 가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등분포하중을 받는 보 집중하중을 받는 보
(5)

구속조건에 의해 두 구속조건에 의해 두
여기서,  는 단면 2차모멘트를 나타내며, 단부 지점의 수
개의 보를 합성 개의 보를 합성
직변위 및 회전의 경계조건을 식 (6)과 같이 정의하면 각
최대속도에 의한 최대변위에 의한 상수는 식 (7)과 같이 얻을 수 있다.
운동에너지 유도 포텐셜에너지 유도

유효질량의 유도 유효강성의 유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기본 진동수 결정

그림 2. 슬래브의 동적 해석 순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두 개의 보가 만나는 중앙에서 최대의 정적 처짐이 발
(7a)
생함에도 불구하고 이 접합점에서 두 보의 정적 처짐이

76 大韓建築學會論文集 構造系 제23권 제9호(통권227호) 2007년 9월


모멘트 저항 골조시스템에서 슬래브의 진동 해석에 관한 연구

       ≤  ≤   일 경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b)          
      
   

   (7c) (12b)
 여기서,
    
여기서,   는 경간길이를,  는 탄성계수를 는 프아송비     
     
를 각각 나타낸다.   
보 1과 2가 접하는 양 보의 중앙에서의 수직처짐이 동
 
일하다는 구속조건과 식 (4b)에 의해 이들 보의 처짐 방     
 
정식은 다음으로 쓸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두 개의 보 중앙에서의 처짐이 동일하다는 구속조건으
(8) 로부터 두 보의 처짐 방정식은 다음으로 쓸 수 있다.

 

         
여기서, 위첨자 c는 구속조건에 의해 합성을 의미하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13)
식 (8)로부터 등분포하중을 받는 보의 중앙처짐은 다음
으로 계산된다. 두 보에 의한 포텐셜에너지는 다음으로 계산된다.

       (9)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중앙에 최대처짐을 고려한 두 개의 보에 의한 운동에너지 (14)
는 다음으로 계산된다.
식 (14)로부터 유효강성은 다음으로 계산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
 
     
(10)

식 (10)과 (15)로부터 슬래브의 기본진동수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 은 단위 길이당 질량을 나타내며,  는 식 (9)
로부터 얻은 최대 처짐을 나타낸다. 이로부터 유효질량은 
다음으로 계산된다.    

 
(16)

    
   
 
 
   
 

(11) 식 (16)은 1차 진동만을 고려한 기본진동수로서, 슬래브
에서 최대처짐이 발생하는 위치가 최대진동모드를 지배하
게 된다. 다음에서는 각 변수에 따른 진동특성을 조사하고
유효강성은 보의 중앙에 집중하중이 작용할 경우에 강 결과를 타방법과 비교를 행하였다.
성으로 정의되며 집중하중을 받는 보의 처짐은 다음으로
표현된다. 3. 슬래브 진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  ≤   일 경우; 3.1 타방법과의 비교


표 4는 참고문헌 6에서 실시한 실험결과, 보와 거더의
    
       ,     (12a) 진동수, 시스템 진동수를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와 비교하
  
였다. 실험에 의한 슬래브의 진동수는 습도, 온도, 고정하

大韓建築學會論文集 構造系 제23권 제9호(통권227호) 2007년 9월 77


함희정․곽노현․은희창

표 4. 타방법과의 비교

슬래브두께   실험결과 보진동수 거더진동수 시스템진동식 본 연구


No. 스팬(mm)
(mm)  (Hz) (Hz) (Hz) (Hz) (Hz)

1 7800 × 13200 9.42 9.14 11.61 7.18 8.84


130 240
2 7800 × 12000 11.26 11.06 16.33 8.75 9.65
3 8400 × 11600 7.35 8.91 5.34 4.58 12.7
4 8400 × 11600 120 210 8.77 8.91 7.31 5.65 12.7
5 8400 × 8800 9.06 8.87 6.91 5.45 13.2
6 4700 × 7000 12.71 11.13 11.35 7.95 10.9
7 4700 × 8000 11.95 12.79 11.23 8.44 9.5
8 6300 × 7000 10.5 11.6 11.84 8.29 11.1
9 6300 × 5000 14.32 18.76 13.96 11.2 17.6
130 240
10 6300 × 8000 10.02 10.21 10.99 7.48 9.7
11 7800 × 8000 9.36 9.44 7.38 5.81 9.6
12 7800 × 7000 9.95 10.73 7.94 6.38 11.1
13 7800 × 5000 11.5 17.41 9.35 8.23 9.8
14 8400 × 8400 9.87 9.32 7.76 5.96 10.0
15 6400 × 8400 14.07 16.05 8.84 7.74 17.0
135 350
16 8400 × 4200 15.71 37.27 10.77 10.34 16.3
17 8400 × 4200 11.66 9.38 7.81 6.0 16.3

중의 크기인 여러 환경적인 요인들 외에 명백하지 않은 하다. 즉, 강도 확보 외에 사용성 평가가 필요할 것이다.


지지조건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제안식들로부터 일관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없으나 각 3.3 형상비
제안식 간에 큰 오차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일반적으로 그림 5는 슬래브의 장변에 대한 단변 길이의 비인 형상
유한요소해석모델과 실험결과는 일치하지 않는다. 이는 실 비에 따른 기본진동수를 나타내고 있다. 슬래브의 형상비
험장치의 오류, 측정장비의 부정확성, 시험체의 지지조건 가 증가함에 따라 기본진동수가 급격히 감소하며, 0.5 이
등의 다양한 요인들에 의한다. 이러한 면들을 감안하여 본 상에서는 완만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는 슬래브의 형상
연구에서는 지점 조건을 다음과 같이 가정하여 해석을 수 비가 작을 경우에 장변 보다는 단변 방향으로 휨강성이
행했다. 현격하게 크므로 기본진동수 또한 크게 증가하게 된다. 반
면에 형상비가 클수록 단변과 장변의 양 방향으로 휨강성
         이 감소하여 기본진동수가 감소하게 된다.
   ,          
       
(17)

표 4의 비교로부터 슬래브를 직각으로 만나는 양방향


보로 가정하여 동적해석을 수행해도 타당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오히려 지점의 변위나 처짐각으
로부터 지지부재의 강성을 역추적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
다. 다음에서는 슬래브의 물성치, 형상비 등의 변화에 따
른 진동수 변화를 조사하였다.

3.2 콘크리트 강도 그림 4. 콘크리트 강도 증가에 따른 진동수


그림 4는 식 (16)의 경계조건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강
도 증가에 따른 기본진동수를 비교하고 있다. 이 그림에서 동일한 형상비에서 단변 길이 변화에 따른 기본진동수
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부재의 의 변화를 그림 6에 나타내었다. 즉, 동일한 형상비에 대
강성이 증가하여 기본 진동수가 점차 증가하는 것을 볼 해 슬래브의 크기 효과를 비교하였다. 슬래브의 단변 길이
수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의 강도가 증가하면 슬래브의 두 의 증가 혹은 크기가 커질수록 슬래브의 휨강성을 감소시
께의 감소로 이어지며 그때에 진동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 켜 궁극적으로 기본진동수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78 大韓建築學會論文集 構造系 제23권 제9호(통권227호) 2007년 9월


모멘트 저항 골조시스템에서 슬래브의 진동 해석에 관한 연구

(a) 
그림 5. 형상비에 따른 기본진동수의 변화

(b) 
그림 6. 동일한 형상비에서 크기에 따른 진동수 변화

3.4 단부 경계조건에 따른 진동수


그림 7은 동일한 조건 하에서 단변 방향의 지지점의 처
짐에 따른 기본진동수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지점의 변위
 을 0.05-1mm까지 변화시키고 타 경계조건을 다음과
같이 고정하였을 경우에 그림 (a)에 진동수 변화를 나타내
었다. 지점의 변위  이 0.15-0.2mm에서 최소의 기본진
동수를 나타내고 있다.

(c)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그림 7(b)에서는  를 0.01-0.2mm, (c)에서는   를


   , (d)에서는   를   ∼    변화에
따른 진동수를 평가하였다. 이들 그림에서 최대의 진동수
는 지점의 경계조건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음을 볼 수 있
다. 이러한 결과는 해석단계에서 최대 정적처짐의 위치를
슬래브의 중앙으로 설정하고 기본진동수를 산정한 결과로,
단부의 경계조건에 따라서는 기본진동수의 산정위치가 중 (d)  
앙이 아닌 다른 점에 위치하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즉, 타
위치에서 기본진동모드가 지배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림 7. 단부의 경계조건에 따른 진동수 변화

大韓建築學會論文集 構造系 제23권 제9호(통권227호) 2007년 9월 79


함희정․곽노현․은희창

4. 결론 8. 이성수, (2005) “보행하중에 대한 바닥구조 진동응답 계산식의


평가,”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21권 9호, 27-34.
본 연구는 슬래브의 진동특성을 이론적으로 유도하고 9. Reiher, H. and Meister, F.J., (1931) "Sensitivity of Humans
to vibration," Forschung auf dem Gebeite des
그 타당성을 검증하며, 이로부터 슬래브의 진동에 영향을
Ingenieurwesens, Vol. 2, No. 11, 1931, p.381.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평가하고, 타 연구자의 실험결과를
10. Wiss, J.F. and Parmele, R.A., (1974) "Human perception of
사용하여 통해 진동모드를 결정함으로서 손상을 감지하는 transient vibration," Journal of the Structural Division, Vol.
방안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결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 100, No. ST4, ASCE, 773-787.
었다. 11. CSA, Canadian Standard CAN3-S16.1-M89: Steel
Structures for Buildings-Limit State Design: Appendix G,
(1) 슬래브의 1차 진동모드를 가정하여 슬래브의 중심 Guide for Floor Vibration, Rexdale, Ontario, 1989.
12. AISC/CISC, (1977) "Steel Design Guide Series 11. Floor
을 가로지르는 두 개의 보로 가정하여 동적인 해석방법을
Vibration Due to Human Activity," American Institute of
제안한 결과 그 타당성이 타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입증
Steel Construction, Chicago.
되었다.
13. Eun, H.C., Lee, E.T., and Chung H.S. (2004) "On the static
(2) 두 개의 보가 만나는 경우에 두 개의 보는 서로 거 analysis of constrained structural systems,' Canadian
동에 영향을 미친다. 이들 보의 거동을 묘사하는 방법을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 31, No. 6, 1119-1122.
연속계에 의해 명확하게 유도하여 동적인 해석을 수행하 (接受: 2007. 7. 5)
였다.
(3) 슬래브 진동과 관련한 파라미터 고찰을 통해 콘크
리트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부재의 강성 증가로 기본 진
동수가 점차 증가하였다. 슬래브의 형상비가 작을 경우에
장변 보다는 단변 방향으로 휨강성이 현격하게 크므로 기
본진동수 또한 크게 증가하였으며, 동일한 형상비에서 슬
래브의 단변 길이의 증가 혹은 크기가 커질수록 슬래브의
휨강성을 감소시켜 궁극적으로 기본진동수의 감소를 나타
내었다.
(4) 최대 정적처짐이 슬래브 중앙점에서 발생한다는 기
본가정으로부터 시작된 이론해석과는 달리 단부 경계조건
에 따라 그 위치가 달리 설정되어 기본진동수를 선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단부의 경계조건의 변화는 타
위치에서 기본진동모드를 지배함을 볼 수 있었다.

참고문헌

1. 박진규, 김원기, (1999) “합성슬래브 건축물의 바닥 진동 평가


방법,”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 19권 2호, 1999,
pp.484-489.
2. 박진규, 김원기, (2000) “강구조 건축물의 바닥 진동 평가,” 대
한건축학회 논문집 구조계, 제 16권 11호, 11-18.
3. 한상환, 김도훈, (2003) “수직 진동 허용제한치 제안을 위한 인
지 실험,”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구조계, 제 19권 1호, 11-21.
4. 전호민, 유승민, (2003) “전단내력벽식 건축구조물의 슬래브 수
직 진동 예측을 위한 바닥슬래브 모형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
축학회 논문집 구조계, 제 19권 5호, 11-18.
5. 홍갑표, 전호민, 김유석, (1998) “철로변 인접건물의 진동예측
을 위한 모형화 기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
14권 1호, 353-361.
6. 이성수, 홍갑표, (2004) “바닥구조의 고유진동수 평가를 위한
보정-시스템진동식의 제안,”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20권
9호, 21-28.
7. 김기철, 한덕진, (2005) “차량 이동하중을 받는 바닥판 구조물
의 효율적인 진동해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21권 4호,
57-64.

80 大韓建築學會論文集 構造系 제23권 제9호(통권227호) 2007년 9월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