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28

고난도 기출문제 (미적분)

━━━━━━━━━━━━━━━━━━━━━━━━━━━━━━━━━━━━━━━━━━━━━━━━━━━━━━━━━━
121
(ⅰ) 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사각형의 개수는    보다 크거나 같고
  보다 작은 자연수의 개수와 같다. 즉, 정사각형의 개수는
           
(ⅱ)  ≤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sin    sin     

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사각형의 개수는  보다 크거나 같고

이므로 sin     이어야 한다.      보다 작은 자연수의 개수와 같다. 즉, 정사각형의 개수는

따라서, cos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ⅰ), (ⅱ)에서
이고 위의 그림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lim 
 

 lim 
→∞

 lim       
  →∞   
 

즉,  ′           에서      
따라서 lim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이므로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다른 풀이]

    
              
   


자연수 에 대하여

         과       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   
 

sin     sin      
 



정사각형의 개수를    이라 하면

   
 
cos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과       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사각형의
    
  
  

  sin  

   

개수를  이라 하면

 
     
        
따라서 
그러므로
  
   
 
  
166) 4
           





    

[출제의도]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사각형의 개수를 추론하여 수열의 극한값을 구한     
다.
              

     의 값은   ≤      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사각형의 개수와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라 하자.

121 16
122
━━━━━━━━━━━━━━━━━━━━━━━━━━━━━━━━━━━━━━━━━━━━━━━━━━━━━━━━━━
고난도 기출문제 (미적분)
         
따라서 lim   lim   따라서  ′   ′   (참)
→∞  →∞  

167) ③
ㄴ. 조건 (가)에서     ′     의

[출제의도] 도함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를 구한다. 양변에    을 대입하면
  sin     이므로   
조건 (나)에서
 ′     cos     
  ′   ′
조건 (가)에서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   cos         cos        ′

   을 대입하면  cos    이므로    을 대입하면
   
     에서 cos  ≠  이므로   
 따라서    (참)
  sin   ㄷ.      라 하면 ㄴ에 의하여
 ′   cos       
 ′   ′   ′ 
 ″   cos    sin  
  
 ′    
조건 (나)에서 점   는 곡선    의 변곡점이므로 

 ″   ′   
 ″ 
   에서  ″   이므로
 cos    sin    …… ㉠
     에서  ′   이고,
    에서  ′  
   이면      에서 cos  ≠  이므로 ㉠이 성립하지 않고,

   에서 함수 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cos    이면 ㉠에서 sin    이므로
  ⋯  ⋯
sin   cos    이 성립하지 않는다.  ′   
따라서  ≠ , cos  ≠   ↘  ↗
    에서 함수  의 최솟값이  이므로
㉠에서 tan    …… ㉡
 모든 양수  에 대하여
조건 (나)에서    ≥  이므로
   인 양수  가 존재하지 않는다. (거짓)
 sin    
  cos  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tan    
  …… ㉢
㉡, ㉢에서 169) 77
 [출제의도] 합성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숫값에 관한 문제를

   해결한다.

자연수  에 대하여 함수  ∘  의 미분가능성을 조사하므로

    ≥  에서만 생각한다.

두 함수 , 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함수


㉡에서 tan     



 이고      이므로
  ∘  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다.

  함수  ∘  의 미분가능성은 함수  ∘  의 부호가


   
  바뀌는  의 값에 대해서만 판단하면 된다.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함수 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 ⋯  ⋯
168) ②
 ′   
[출제의도] 정적분과 미분의 관계를 이용하여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의 성질을 추
 ↗  ↘
론한다.
ㄱ. 조건 (가)에서 이고, lim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곡선    의 개형은 [그림 1]과 같다.

양변을  에 대하여 미분하면



 ′  ′     ′   ′


   ′   ′

122 16
고난도 기출문제 (미적분)
━━━━━━━━━━━━━━━━━━━━━━━━━━━━━━━━━━━━━━━━━━━━━━━━━━━━━━━━━━
123
    
 lim  × 
→    
 
이때    이고,  →   이면
[그림 3]에서 →   이므로
[그림 2]에서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그림 1]   ′ ′
함수  는 조건 (가)에서   ′ ′
          ( ,  는 실수) 한편,    이고,  →  이면
방정식    이 허근을 가지면 [그림 3]에서 →   이므로

방정식        이 허근을 가지므로 [그림 2]에서  ∘ →  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     이다.
즉  ≥  이므로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이다.
      
lim 
  
 → 
×

     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함수  ∘  가 실수 전체의  lim   ×  
→    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 의 개수가
   ′ ′
 인 방정식    은 허근을 갖지 않는다.
   ′ ′
두 자연수  ,   ≤  ≤  ≤ 에 대하여
이때 [그림 2], [그림 3]에서
         
 ′   ,  ′  
(ⅰ)    인 경우
이므로  ′ ′  
        이고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 ≠   ′ ′
   ≥  이므로  ≥  이므로 함수  ∘  는    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따라서  ∘  ≥  이므로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함수 (2)    ≤  인 경우
 ∘ 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다.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   ≤  이므로 [그림 2]에서
(ⅱ)      인 경우  ∘  ≥  이다. 함수
곡선    의 개형은 [그림 2]와 같다.  ∘ 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도록 하는 자연수
 의 개수가  이려면
 ≤    
≤
이고,  는 자연수이므로   
   ≤  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  는   ,
  ,   이다.

[그림 2] (ⅲ)      인 경우

(1)      인 경우 곡선    의 개형은 [그림 4]와 같다.

[그림 3]에서 방정식    를 만족시키는    인 실수  를


 라 하자.

[그림 4]
(1)      인 경우
[그림 5]에서 방정식    를 만족시키는    인 실수  를
 라 하자.
[그림 3]
 ∘    ∘ 
lim 
→ 

123 16
124 고난도 기출문제 (미적분)
━━━━━━━━━━━━━━━━━━━━━━━━━━━━━━━━━━━━━━━━━━━━━━━━━━━━━━━━━━
[그림 6]에서    인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 ≤  이므로
[그림 4]에서  ∘   ≤  이다.
따라서    인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함수  ∘  는
미분가능하다.
(ㄷ)    인 경우
  ∘     ∘ 
lim 
→ 
    
[그림 5]
→

 lim  × 
    
  ∘     ∘ 
lim  이때    이고,  →   이면
→ 
[그림 6]에서 →   이므로
    
→

 lim  × 
     [그림 4]에서  ∘ →  

이때    이고,  →   이면       


lim 
  
 → 
×

[그림 5]에서 →   이므로
     
[그림 4]에서  ∘  →   lim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한편,    이고,  →   이면
     
 lim   ×   [그림 6]에서 →   이므로
 →    
[그림 4]에서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한편,    이고,  →   이면
     
[그림 5]에서 →   이므로  lim   ×  
→     
[그림 4]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lim 
 lim  ×   
 →  →  
 →    
이므로 함수  ∘  는    에서 미분가능하다. 즉,
  ′ ′
       ≤  일 때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함수  ∘  가
  ′ ′
미분가능하도록 하는 자연수  의 개수가  이려면
이때 [그림 4], [그림 5]에서
 ≤   ,  ≤   
 ′   ,  ′  
이고,  는 자연수이므로    이다.
이므로  ′ ′  
   이므로 순서쌍   는   이다.
  ′ ′ ≠  ′ ′
(3)    ≤    인 경우
이므로 함수  ∘  는    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 가 존재하지 않는다.
(2)        ≤  인 경우
(ⅰ), (ⅱ), (ⅲ)에 의하여 자연수  의 개수가  가 되도록 하는
[그림 6]에서 방정식    을 만족시키는 실수  가 오직 하나
순서쌍   는   ,   ,   ,   이다. 함수 에
존재하며    이다. 이 실수를  라 하자.
대하여      이므로
 은 순서쌍   가   일 때 최댓값  ,
  일 때 최솟값  을 갖는다.
따라서  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    

170) ③
[출제의도] 함수의 그래프의 개형 추론하기
점 P 에서 원     에 그은 접선의 기울기를 이라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
[그림 6]
원     의 중심에서 접선까지의 거리는 반지름의 길이와
(ㄱ)    인 경우
같다.
[그림 6]에서    인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 이므로
  
[그림 4]에서   ∘     이다. 따라서    인 모든 실수  에  

  
대하여 함수  ∘  는 미분가능하다.
에 대한 이차방정식         은 서로 다른 두
(ㄴ)    인 경우

124 16
고난도 기출문제 (미적분)
━━━━━━━━━━━━━━━━━━━━━━━━━━━━━━━━━━━━━━━━━━━━━━━━━━━━━━━━━━
125
 
실근을 가지므로 두 접선의 기울기의 곱은    이다.      , cos  ≠ 
   

ㄱ.      (참) (ⅱ)   일 때

    열린 구간   에서의  ′ 인 의 값은


ㄴ.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열린 구간    에서  ″  (참)

    ⋯  ⋯  ⋯  ⋯ 
ㄷ.      ,     

 ′       

방정식     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두 함수
 
     , cos  ≠ 
 

  ,      의 그래프가 만나는 점의 개수와 같다.
 (ⅲ)   일 때
함수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열린 구간   에서의  ′ 인 의 값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lim  ∞,    , cos   이므로   
→ ∞ →   
lim   ∞, lim   ∞, (ⅳ)   일 때
→   →
열린 구간   에서의  ′ 인 의 값은
lim  ∞, lim  
→ →∞ 
  ,    
 
두 함수   와     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ⅴ)   일 때
열린 구간   에서의  ′ 인 의 값은

  ,    

 
O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실근의 개수는 이다. (거짓)   
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따라서   


 
   

171) ①
172) ⑤
[출제의도] 삼각함수의 미분을 활용하여 추론하기
[출제의도] 함수의 연속을 활용하여 문제해결하기
 ′  sin    cos    cos

       sin   
 일 때,

     sin  


lim  
 
  이므로
     sin →∞

(ⅰ)   일 때         에서


열린 구간   에서의  ′ 인 의 값은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일 때,
 ′       

125 16
126
━━━━━━━━━━━━━━━━━━━━━━━━━━━━━━━━━━━━━━━━━━━━━━━━━━━━━━━━━━
고난도 기출문제 (미적분)
          또는   
lim 
→∞  ∞         또는 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ⅰ), (ⅱ), (ⅲ)에 의하여   
     또는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lim 
   173) 9

→∞     
    
→∞
 
   [출제의도] 도함수를 활용하여 함수의 그래프 추론하기
′  ′  이므로  ′ 이려면  ′  또는

   이어야 한다.

 (ⅰ) 방정식  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는 경우
   
  일 때,
방정식  ′ 의 서로 다른 두 실근은 방정식  의 세

 실근과 모두 다르므로
lim 
→∞     이므로
 ′ 을 만족시키는 서로 다른 실수 의 값의 개수는 이다.
     또는     에서  ′ 을 만족시키는 서로 다른 개의 실수 의 값의 좌우에서
   

  lim 
 

  
  ′의 부호가 바뀌므로 함수 는 서로 다른 개의 극값을
갖는다.
→∞   
 
    (ⅱ) 방정식  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 경우
따라서 (a) 방정식       의 실근 중 하나가   인 경우
      또는        이므로 방정식       의 이 아닌 실근은    

         또는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고 함수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
연속이므로 lim 가 성립한다. 
 ′ 에서    ,     ,   
 → 
 함수 가    에서 극값을 가지므로   
함수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   

 ⋯  ⋯   ⋯  ⋯

 O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lim    ,   ∘ 이므로
 →  →  ↘ 극소 ↗ 극대 ↘ 극소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이므로   
 
     또는    
가 정수인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
   ,      이고
(b) 방정식       이 이 아닌 중근을 갖는 경우
 의 치역은     이므로
  는 치역에 속하지 않는다. 방정식       의 판별식을  라 하면
∴     
      에서   
(ⅰ)      인 경우 
   이므로 조건에 맞지 않는다.   
(ⅱ)      인 경우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이므로  
 ′ 에서     ,    
     또는     
   
    또는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함수 가    에서 극값을 가지므로   
      ≠  이므로
조건에 맞지 않는다.
함수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ⅲ)       인 경우
   이므로

126 16
고난도 기출문제 (미적분)
━━━━━━━━━━━━━━━━━━━━━━━━━━━━━━━━━━━━━━━━━━━━━━━━━━━━━━━━━━
12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함수     의 미분가능하지 않은 점의 개수는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극소 ↗ 극대 ↘ 극소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이때,   이므로
그림과 같이 함수     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  O 

미분가능하다. 
∴       
    
  이면   

함수 는     ,    ,   에서 극값을 갖고



   
          ,  이므로 함수
 
    의 미분가능하지 않은 점의 개수는 이다.

  O      
(ⅲ) 방정식  이 오직 하나의 실근을 갖는 경우
(a) 방정식       이   을 중근으로 갖는 경우

   이므로
 ′ 에서   ,  ′ 에서   
함수 는    에서 극값을 갖지 않는다.   O 

(b) 방정식       이 두 허근을 갖는 경우 
방정식  ′ 의 실근 중 하나가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ⅰ), (ⅱ), (ⅲ)에 의하여   의 최댓값은 이다.

방정식         의 판별식을  라 하면
174) 11
        에서     
[출제의도] 삼각함수의 덧셈정리를 활용하여 문제해결하기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에서    ,     P

 
  
 ′ 에서    ,    ,   

함수 가   ,    ,   에서만 극값을 가지므로
  
  
 R
함수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Q
B O 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점을 O , ∠OPA   , ∠BPO   라 하자.

 ′        삼각형 POA 와 삼각형 PQA 가 서로 합동이고


삼각형 PRB와 삼각형 POB가 서로 합동이므로
 ↘ 극소 ↗ 극대 ↘ 극소 ↗
∠APQ  ∠OPA , ∠RPB  ∠BPO
   ∠RPQ      이므로
    ,    을 만족하는 정수 는 , 이다.
 tan   tan   
  이면    tan   tan   

   tan  × tan   
함수 는     ,    ,   에서 극값을 갖고
 이때, tan    라 두면

127 16
128 고난도 기출문제 (미적분)
━━━━━━━━━━━━━━━━━━━━━━━━━━━━━━━━━━━━━━━━━━━━━━━━━━━━━━━━━━
  따라서 함수 의 극댓값은   일 때이므로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에서      이므로       
 ㄴ. (참) ㄱ에서 함수 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다.

∴   tan   

 
tan    , tan   
 
tan   tan   
tan      
  tan  tan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이므로  ′  에서
 ′   또는  ′  이다.
175) ②
(ⅰ)  ′  일때,    또는   
[출제의도] 발견적 추론능력-수열의 극한
     (ⅱ)  ′  일 때,    또는   
             
  일 때,   
이고, 점  은 호  을 3등분하는 점 중 하나이므로 ∠  

따라서 삼각형  은 한 변의 길이가 2인 정삼각형이다 한편,   이므로 방정식    는 서로 다른 세 실근

              를 갖는다. 따라서
   일 때,    또는    또는   
(ⅰ), (ⅱ)에서            이므로 집합  의 원소의
개수는 5이다.
ㄷ. (참) ㄱ, ㄴ에서  ′  에서    또는    또는   

또는    또는   이고        이므로

함수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세 점  , ,  을 지나는 원의 중심을  이라 하면 점  은 선분
위에 있다.
사각형 는 정사각형이므로
∠   이고, ∠   이므로
∠  ∠   , ∠   
한편, 는   에서 감소함수이고,    이므로

따라서 삼각형  도 한 변의 길이가 2인 정삼각형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한편,  , 
       
       
 즉,    이므로 함수 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다.

이므로 두 직사각형  ,  의 닮음비는
  
     
   
   이다.
즉, 두 직사각형  ,        의 닮음비가 
   이므로
넓이의 비는    이다. 따라서

     

→∞

lim  lim  
→∞  

   
     
 



따라서 실수 에 대하여 함수 는
176) ⑤ 
     일 때, 최댓값 6을 갖는다.
[출제의도] 연역적 추론능력(증명)-미분법 
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 이다.
ㄱ. (참)       에서

 ′            
177) ⑤
[출제의도] 수학내적 문제해결능력-적분법
 ′   에서    또는   이므로
 ′    
함수 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조건 (가)의 lim    에서
→ 
→ 일 때 (분모) → 0이므로 (분자) → 0이어야 한다.
도함수  ′는 연속함수이므로
lim ′      ′    
→

128 16
고난도 기출문제 (미적분)
━━━━━━━━━━━━━━━━━━━━━━━━━━━━━━━━━━━━━━━━━━━━━━━━━━━━━━━━━━
129
따라서  ′   함수 의 불연속인 의 개수는 5이다.
 ′      ′     ′
lim  
 lim    ″

→ →

이므로  ″   이다. 조건 (나)에서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이 등식의 양변을  에 대하여 미분하면 (ⅱ)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곡선   는 축과 접하고, 함수 는
 극댓값과 극솟값을 각각 1개씩 가지므로 함수   의 그래프의

 

 

개형은 다음과 같다.

     ⋯ ㉠

㉠의 양변에    를 대입하면
   ×  이므로   
㉠의 양변을  에 대하여 미분하면
따라서 함수   의 그래프의 개형은 아래 그림과 같으므로
        ′ ⋯ ㉡
㉡의 양변에    를 대입하면
함수 의 불연속인 의 개수는 3이다.
      ′  ∵      ′   
㉡의 양변을  에 대하여 미분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ⅲ)    일 때,   이면
㉢의 양변에    를 대입하면
 ′      ′    ″ 곡선   는 축과 만나지 않고, 함수 는 극댓값과
  ∵  ″   극솟값을 각각 1개씩 가지므로 함수 의 그래프의 개형은
따라서 곡선    위의 점 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 절편은 240이다.

178) 2
[출제의도] 수학내적 문제해결능력-미분법
따라서 함수   의 그래프의 개형은 아래 그림과 같으므로
       ( 는 상수)라 하자. 함수 의 불연속인 의 개수는 4이다.
실수 에 대하여 함수 의 값은 직선   와 곡선
  가 접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서로 만나는 교점의 개수와
같다.
    ,  ′     ′ 이므로
함수    의 그래프의 개형은 두 이차방정식   ,
   ′  의 판별식을 각각    라 할 때,    의 값에 (ⅳ)    일 때,   이면
따라 달라진다 곡선   는 축과 만나지 않고 함수 는 증가함수이므로
         에서      그래프의 개형은 그림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ⅰ)   일 때
      이므로 곡선   는 축과 2개의 교점을
가지고, 함수 는 극댓값과 극솟값을 각각 1개씩 가지므로 함수 따라서 함수   의 그래프의 개형은 아래 그림과 같으므로
  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다. 함수 의 불연속인 의 개수는 0이다.

따라서 함수   의 그래프의 개형은 아래 그림과 같으므로 (ⅴ)   일 때,   이면

129 16
130
━━━━━━━━━━━━━━━━━━━━━━━━━━━━━━━━━━━━━━━━━━━━━━━━━━━━━━━━━━
고난도 기출문제 (미적분)
곡선   는 축과 만나지 않고, 함수 의 극값이 존재하지  ′  
않으므로 ′  을 만족시키는 의 값을   라 하면 함수 따라서 함수 는    에서 극대이면서 최댓값을 갖는다. 이 때, 조건
  의 그래프의 개형은 아래 그림과 같다. (나)에    을 대입하면
ln       
즉, 함수 의 최댓값은  이다. (참)
ㄷ. ㉠ 에서

 ′      이고,


    에서  ′  이므로

따라서 함수   의 그래프의 개형은 아래 그림과 같으므로  ′   ′ 
함수 의 불연속인 의 개수는 1이다.  ′   ′   
그런데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는 상수)
이때,    을 대입하면
(ⅰ)~(ⅴ)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는 (ⅴ)이다.      이므로   
′   에서    ′   즉,     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 이다.
따라서    ′  , 즉    ′
 
     ′   이므로 180) ➁
 
           ⋯㉠ [출제의도] 곡선의 접선 및 합성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주어진 식의 값을 구할
   수 있는가?
 ′     ′           이고
ln   ln
 ′            이므로 함수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ln
 ′  에서  
    ,      
㉠에      를 대입하면 이때,   이므로
  ln
   따라서   이므로
    에서   ,      에서   

 
 
 ⋯ ㉠

따라서        이다. 한편, 원점에서 곡선   에 그은 접선을 이라 하고, 접선 과
곡선   의 접점의 좌표를   이라 하면 접선 의
179) ➄ 방정식은
[출제의도] 정적분의 여러 가지 성질을 이용하여 명제의 참, 거짓을 판단할 수 있는
      ′    
가?
ㄱ. 조건 (나)에서 ln   ln
즉,        
  
ln       
 이 직선이 원점을 지나므로
 
ln         ln   ln
 
     
 
양변을  에 대하여 미분하면

 ′  l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n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의 양변을 에 대하여 미분하면
이때,    이고,    이므로   ln ln  

   
′ 

×


 이므로


  ln 
즉,  ′   이므로 함수 는 감소한다. (참)
ㄴ. ㉠ 에    을 대입하면
′ 
 ln
 ⋯ ㉡

㉡의 양변에     대입하면
 ′  

또한    일 때,    이고


 
′   
 

   이므로 


 
 
즉,  ′   ′   
 

130 16
고난도 기출문제 (미적분)
━━━━━━━━━━━━━━━━━━━━━━━━━━━━━━━━━━━━━━━━━━━━━━━━━━━━━━━━━━
131
따라서
 
  
 
 일 때,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한편,    에서    ′이다.

181) 12 따라서

[출제의도] 함수의 그래프와 정적분의 성질을 이용하여 정적분의 값을 구할 수 있는 
 
가? 

 ′   





  sin    sin 에서 



  
sin  sin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sin  cos sin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을 연립하면
   


sin   



sin cos
 
       
   
    cos      cos
 
따라서   sin   sin 이므로
   
함수 의 주기는  이고, 함수   의 그래프는 직선   


     ( 은 정수)에 대하여 대칭이다.
     
  
   cos   cos    cos   cos 
     
    
이때
 ′  sin cos  cos  
          
     


 cossin    이므로  ′   에서  
   
   
  
cos   또는 sin ± 
   
    이므로
따라서 함수 의 극댓값은  이거나  보다 작으므로 함수   의  
그래프에서      인 실수  에 대하여  
    
     이고,  
따라서
         
 
(ⅰ) 이 홀수일 때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따라서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ⅱ) 이 짝수일 때 
 ′    ′ 이므로
182) ②

  
 
   


 ′ 
   


 ′ 
 [출제의도] 미분법을 활용하여 문제해결하기
점 P 를 P     라 하면 sin  
(ⅰ), (ⅱ)에서
        ⋯       이므로 cos   
  sin  
   이다.
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 이고


       sin  cos  에서

  sin  cos 

이제    


 ′ 
 의 값을 구하자.    tan 이다.
  
≤  ≤  에서 함수 를   로 정의하면 함수   는 sin   의 양변을 에 대하여 미분하면 cos     이므로

  
일대일대응이므로   

라 하자.  
 
    에서     이므로   cos

       cos   
 ′    sec      
  cos cos cos 
따라서 역함수의 미분법에 의해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이때    라 하면     이고,

  
 
 일 때,       
 
 이므로    183) ⑤

131 16
132
━━━━━━━━━━━━━━━━━━━━━━━━━━━━━━━━━━━━━━━━━━━━━━━━━━━━━━━━━━
고난도 기출문제 (미적분)
[출제의도] 정적분을 활용하여 함수 추론하기 sin 
 ′  
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참) sin    이고

ㄴ.   ′   


     이고 sin    , cos    ……㉢
≠  이면
ㄱ에 의하여    이고
sin    cos ′
   이므로    (참)  ′  에서

ㄷ.    라 하면     
 ′  이 되어 조건 (가)에 모순이므로

    라 치환하면    ′ 이므로   이다.

  ㉡에서     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이므로
ㄱ, ㄴ에 의하여
   이고    
  
      에서
 
함수   는    에서 극대이므로   
  cos 

㉠에서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또는   

 
      (참) 
  ㉢에 의하여    이고    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 
   cos
184) 95  
     
  
 ≠  이고  ≠ 

[출제의도] 미분법을 활용하여 함수 추론하기


 ≠  일 때

 
 

    또는   

 sin   cos ′ 


 ′    
 
 ≠  이면 ′  이 되어 조건 (가)에 모순이므로 따라서     

   이고    185) ④


OH cos , PH  sin 이므로
함수  는    에서 연속이므로
 
    sincos   sin
lim    ……㉠  
 → 

  cos  sin   ∠OPQ   이므로
lim   lim  
 →     cos  →     cos

OQ  이고,  AQ      이다.
   cos  
cos cos cos
 
sin  
lim 
 →   × ×
 


이때 ∠AQR     이므로
 
      cos 

이므로 최고차항의 계수가 인 이차함수 에 대하여
 
        이다.
 cos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cos
 
 sin
(는  ≠  인 상수, ≠  )이라 하자. 
함수  가    에서 극댓값을 가지므로

  
     
cos  
    cos 


sin
이므로

 ′  이다.  
  
   이라 가정하면     이고
lim  
→   ×  
   일 때 함수  가    에서 극솟값을 가지므로 모순이고,
186) 93

   일 때  ≤ 이므로   라는 조건에 모순이다.         이라 하자.

그러므로 ≠ 이다.  ′      sin     의 양변에    을 곱하면
함수  가    에서 극값을 가지므로    ′        sin        

132 16
고난도 기출문제 (미적분)
━━━━━━━━━━━━━━━━━━━━━━━━━━━━━━━━━━━━━━━━━━━━━━━━━━━━━━━━━━
133
위 식의 양변을 부정적분 하면        라 하면 함수      의 그래프와 함수    의
      그래프의 교점의  좌표는 그림과 같이    log  보다 크고 log  보다
      작다.
   cos   sin           
   
(단,  는 상수)
      이라 하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  ㉢ ⇒           이고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이고  ′       이므로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sin          
      에서  ′  이고,    에서  ′  이므로
     에    를 대입하면 함수    는    에서 극소이면서 최소이다.
   
      

187) ③ log  
[출제의도] 접선의 방정식을 이용하여 접선의 개수를 추론한다.   
     log 
  

점   에서 그은 접선이 곡선      과 만나는 점의
  log   
좌표를      라 하자.         
 ln    ln  log
′             이므로 점      에서 이
곡선에 그은 접선의 방정식은  
ln 

    log      log   
ln    
 
              log   
이 직선이 점   을 지나므로 

            
따라서   log     log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log  

    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 라 하면 

              189) 26


ㄱ.    일 때    이면    이므로 점   에서 [출제의도] 치환적분법과 부분적분법을 이용하여 정적분에 대한 문제를 해결한다.

곡선      에 그은 접선의 개수는  이다. (나)에서    일 때   



따라서    (참)             의 양변을

 

ㄴ.           에서
 에 대하여 미분하여 정리하면
   또는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인 정수  의 개수는 항상  이다. (거짓)
임의의 실수  에 대하여
ㄷ. 정수  에 대하여  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 

    또는      (좌변)       
 
이므로  이 가질 수 있는 값은  ,  ,  뿐이다. 이때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가능한 경우는 다음과 같다.



  

(우변)    ′     



(ⅰ)    ,    ,    ,    ,    인 경우는 
    ,      
   ′         
(ⅱ)    ,    ,    ,    ,    인 경우는  

  ,   
따라서     또는    (참)
  ′    에서




  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  ′  


       
     




188) ③   

[출제의도]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를 이용하여 최솟값에 대한 문제를 해결한다.


(우변)     

 

      




133 16
134
━━━━━━━━━━━━━━━━━━━━━━━━━━━━━━━━━━━━━━━━━━━━━━━━━━━━━━━━━━
고난도 기출문제 (미적분)
  
곡선    에서  ′  
      

  sin 
곡선    위의 점 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이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함수       ln 에서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라 하자
㉠, ㉡에서
함수       ln 가 미분가능하고, 실수 가 최소일 때는 곡선
 

  
           cos      와 곡선   ln 가 한 점에서 만날 때이다.
곡선   와 곡선   ln 가 만나는 점의  좌표를  라 하면
      sin 에서
        ln ⋯⋯ ㉠
   ⋯   
 
   또  ′   이고,   ln 에서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ln   ln    ⋯⋯ ㉢
  
          cos 
 
㉡, ㉢을 ㉠에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0) 64 따라서
[출제의도] 두 곡선이 한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관계식을 구한 후, 음함수의 미분법         
을 활용하여 미분계수를 구할 수 있는가?
ㄱ  ′          

곡선   ln  와 곡선     이 만나는 점의 좌표를
한편,  ″         이므로 함수    ′의 그래프는 다음
  라 하면 그림과 같다.
ln       ⋯⋯ ㉠
곡선   ln  와 곡선      이 한 점에서 만나려면 두
곡선이 만나는 점에서의 미분계수가 같아야 한다.
곡선   ln  에서

 ′   × 

곡선     에서  ′    

이때,  ×     ⋯⋯ ㉡

㉠의 양편을 에 대하여 미분하면 이때 함수    ′의 그래프와  축이 만나는 점의  의 좌표를 라 하면
   이므로 함수   는   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 
 



 l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이 되도록 하는 두 실수   가 존재한다. (참)
ln   ×        ×  × 
    ㄴ            에서
㉠ ㉡에 의해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참)
 
  ㄷ  ′     이고 ㄴ 에서      이므로
   일 때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한편,    이므로    이다.
따라서  
이때,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참)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 ㄷ 이다.
191) ⑤
[출제의도] : 미분법과 적분법을 이용하여 주어진 명제의 참, 거짓을 판별할 수 있는
192) ①
가? [출제의도] 무한히 반복되는 도형에서 넓이의 합에 대한 극한값을 구할 수 있는가?

134 16
고난도 기출문제 (미적분)
━━━━━━━━━━━━━━━━━━━━━━━━━━━━━━━━━━━━━━━━━━━━━━━━━━━━━━━━━━
135
그림 R 에서 ∠B  AD  ∠DAC 이므로  B  D DC 이다         일 때,  ′  
        일 때, ′  
따라서,  B  D  
DC 이므로 두 선분 BB   , BD 과 호
      일 때,  ′  
B  D 으로 둘러싸인 부분과 선분 CD 과 호 CD 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이고,
넓이의 합은 삼각형 BDB   의 넓이와 같다.
    
A   lim 
→   
  ′ ×  ′
   ′ × ln
   ′  ×  ln
Bn 
이므로 함수 는 다음과 같다.
(i)    ≤     일 때
   ′  ×  ln ln × 
Bn Dn Cn (ii)    ≤     일 때,
   ′  ×  ln  ×   

(iii)    ≤   일 때,
그림 R 의 삼각형 ABC 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   ′  ×  ln ln × 
 
∴
BC       ×  ×  × cos    이때


즉, B C   lim  ≠ lim 
  →log     →log    

또한, ∠BAC 의 이등분선이 선분 BC 과 만나는 점이 D 이므로 , lim  ≠ lim ,
    →log     →log    
AB AC  BD  DC    
따라서, lim   lim   log
→log  →log 

    
BD   , DC  
이므로 함수 는   log   와   log   에서
 
또한, 삼각형 ADC 의 외접원의 중심을 O 라 하면 불연속이다.

 그런데      에서      이므로 함수 는
∠DOC  ∠BOD   이므로 

   log   ⋯에서 불연속이다.
두 삼각형 DOC BOD 은 모두 정삼각형이고 ∠BDC    이다.
 즉,   log   ⋯이므로
        이고,  는 다음과 같다.
따라서, ∠BDB   이므로


  
  
 (i)      , 즉   log   일 때
   ×  ×  × sin   
             일 때  이므로
또한, 삼각형 BDB 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   lim   
  →log    
   

BB



 
      ×  ×  × cos 
  


 


(ii)      , 즉   log   일 때
         일 때  ln × 이므로
   
  
   lim   ln ×  
 →log    
이므로 ∴  BB  
 이상에서
 
따라서,  AB       이므로     
  
ln

 
ln 
   
AB  AB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넓이의 비는    이므로   ×   
 
  따라서
     
∴ lim    
→∞
 
  ∴ 


ln
     

다른풀이 :
193) 331 함수 는
[출제의도] 합성함수의 미분법과 미분가능성의 정의를 알고 있는가?

함수  에서    이라 하면 함수 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고 연속이다.
한편, 자연수 에 대하여
135 16
136 고난도 기출문제 (미적분)


━━━━━━━━━━━━━━━━━━━━━━━━━━━━━━━━━━━━━━━━━━━━━━━━━━━━━━━━━━
⋮ lim  ≠ lim ,
     ≤    →log     →log    

  ≤   
lim   lim   log
    ≤    →log  →log 


       ≤   
이므로 함수 는   log   와   log   에서
     ≤   
      ≤    불연속이다.
       ≤   

  ≤    그런데      에서     이므로 함수 는
      ≤    
 ⋮   log   ⋯ 에서 불연속이다.
이다. 즉,  log   ⋯이므로


   이라 하면       이고,  는 다음과 같다.
  ×     log  
(i)      ,즉   log   일 때
 log  ≤   log 
 ×    log  ≤   log          일 때  이므로
      log  ≤   log     lim   


log  ≤   log  →log    

       
     log  ≤   log  (ii)      ,즉   log   일 때
      log  ≤   log 
      일 때  ln × 이므로
 log  ≤   log 
     log  ≤   log 
   lim   ln ×  
→log    
 ⋮
이상에서
이므로 함수  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    

ln

 
ln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ln
 
     

194) 120


이때
  ×  × ln     log  원  ′ 의 중심을 O ′ , 원  ′ 과 선분 PA 가 만나는 점을 H 라 하자.
 log     log 
 ×  × ln  log     log 
  ×  × ln  log     log 


 log     log 
 ′  
 ×  × ln  log     log 
  ×  × ln  log     log 
 log     log 
 ×  × ln  log     log 
 ⋮
이고
   
→ 

  lim   lim 
 → 

     

삼각형 OPA 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OPA  
  
O ′O O ′H 이므로  PO ′    
이므로 


삼각형 O ′PH 에서 ∠PHO ′   이므로
  ×  × ln    log  
 log  ≤   log  
O ′H 
sin    
 ×  × ln  log  ≤   log  
PO ′   


 log  ≤   log  sin
     
 ×  × ln  log  ≤   log    sin
 log  ≤   log  ∠PRB는 호 BP 의 원주각이므로 ∠PRB  
 ×  × ln  log  ≤   log 
∠RBA 는 호 AR의 원주각이므로 ∠RBA  
 ⋮
선분 AB가 원 의 지름이므로 삼각형 ARB는 직각삼각형이고
이다. 이때 
RB cos 이다.
lim  ≠ lim , 삼각형 QRB에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log     →log    

136 16
고난도 기출문제 (미적분)
━━━━━━━━━━━━━━━━━━━━━━━━━━━━━━━━━━━━━━━━━━━━━━━━━━━━━━━━━━
137

RB 
RQ 구간    에서  ≥ 이고   의 값이 최대이어야 하므로
 
sin∠BQR  sin∠RBQ   ,   
cos 
RQ sincos 그러므로      (참)
  , 
RQ 
sin    sin sin 
 ㄷ.   에서  ′ ′  이고  ′  
     ×  RQ×  RB× sin  ′
 
 ′   ′   ′   ′  
sinsincos   ′
    sin
lim   lim   ″ ′
→   →  sin  ″  
  ′
  sin
곡선   가 점  에서만 변곡점을 가지므로  ″  
sin cos   sin
 lim      이므로
→  sin
 ″ ′  ″ ′
 sin
 lim  × cos    sin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ⅰ)     인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 ,  ′  ,     이므로
따라서    이므로   

 ″ ′
 ″   
195) ②  ′
열린 구간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양의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 ′  이므로 는 증가함수이다. (ⅱ)     인 모든 실수 에 대하여

두 곡선   와   의 교점은 곡선   와 직선  ′  ,   이고   인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의 교점과 같다.  ″  이므로


 ″ ′
  에서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두 곡선   와   의 교점의 좌표는 , 이다.
열린 구간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ⅰ), (ⅱ)에 의하여 함수 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곡선   는 열린 구간  에서 아래로 볼록하고, 열린 구간
다음과 같다.
 ∞에서 위로 볼록하며, 변곡점은  이다.
두 함수 와 의 그래프 개형은 다음과 같다.

함수  ′는   에서 최댓값을 갖는다.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거짓)
 ′  ′ 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함수 는 닫힌 구간     에서만  ≥ 이고, 함수 의 196) 48


그래프 개형은 다음과 같다.  ′   ′  이고  ′   에서
 ′   또는     
(ⅰ)  ′   인 경우
 
 ′   cos    
 
       
 
(ⅱ)      인 경우
 
   를 만족시키는  의 값이 존재해야하므로   
ㄱ. 두 곡선   와   의 교점의 좌표는 , 이므로  
     조건 (나)와 (ⅰ)에 의하여 이 짝수일 때  은 방정식
   (참)      의 실근이다.
  
ㄴ. 두 양수 , 에 대하여  의 값이 최대가 되려면 닫힌

    ⋯ ㉠
조건 (나)에 의하여 이 짝수일 때

137 16
138
━━━━━━━━━━━━━━━━━━━━━━━━━━━━━━━━━━━━━━━━━━━━━━━━━━━━━━━━━━
고난도 기출문제 (미적분)
 
       ⋯ ㉡ 또,       이라 하면 함수   의 그래프는 함수
    의 그래프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축의 방향으로
㉠, ㉡에서       이고    
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이 짝수일 때,     을 만족시키려면


    

그러므로    ,   

한편, 곡선    위의 점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이므로
           
열린 구간  에서 함수 가    에서 극소인 서로 다른  의
           ⋯ ㉠
개수는  이다. 함수 의 열린 구간  에서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또, 곡선    위의 점 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과 ㉡에서 접선의 기울기가 같으면
함수 는    과    에서 극값을 갖지 않고 열린구간  에서
        ,       
    를 만족한다.
     ⋯ ㉢
열린 구간  에서 함수 가 극댓값을 갖도록 하는 서로 다른  의
㉢을 ㉡에 대입하면
개수와 극솟값을 갖도록 하는 서로 다른  의 개수는 각각  이므로   
함수 는 열린 구간  에서    과    일때 각각 극댓값            ⋯ ㉣

   ,     를 갖는다. 이때, ㉠과 ㉣에서   일 때     


함수 의 서로 다른 두 극댓값의 합이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러므로
는 음수이므로         ≦  ≦      ⋯ ㉤
 한편, 두 접선이 일치하면
       이고 ㉡에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을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sin    
   
 
  sin   cos  
 
   
sin     로 치환하면  cos     이고
   
   
sin    sin     , sin     이다.
   

 

  sin    
  
 
  sin   cos  
 


   

   

 그러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이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이므로      
이므로  ′  에서   

197) 43
또,        이라 하면
     라 하면 함수   의 그래프는 함수    의
′                
그래프를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138 16
고난도 기출문제 (미적분)
━━━━━━━━━━━━━━━━━━━━━━━━━━━━━━━━━━━━━━━━━━━━━━━━━━━━━━━━━━
139
   sin  sin cos cos 
이므로 ′  에서    lim   lim 
 →   →   sin  cos

 
    
 

이때,      ,     이므로  ≦  에서 두 함수
    
 sin
  lim    
  →  
 
sin

    cos cos 
sin  cos     
  ,   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


199) ①

   에서    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이고,
 
   
그러므로    에서 최솟값   ,    에서 최댓값    을  
     ′         
 
가진다.
이때 함수   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따라서
198) ④
     ,
[출제의도] 도형의 성질을 이용하여 삼각함수의 극한에 대한 문제를 해결한다.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두 직각삼각형 PCE 와 ADE 는 닮음이므로 [참고]

EP EA  EC  
ED 에서 
EP × ED  
EA× EC   



sin
  에서
∠DEP     이므로
 
 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EP× ED× sin      × 
EA×  
EC× cos

  
sin
   
 
 sin
직각삼각형 APB 에서 AP  cos
     
삼각형 ACP 에서 ∠ACP     이므로   
 
  ×   cos 


  
cos

AC 
AP  
     
  ×   cos
사인법칙에 의하여    에서 
sin sin       sin
     
 sincos
AC   
 sin   cos   cos  
 

삼각형 ACE 에서 ∠ACE     , 
   일 때 : 


∠CEA     이고 사인법칙에 의하여   
    일 때 :      
  

EC 
EA 
AC
    이므로   
sin    일 때 :     


sin   
  
sin   
     

 sin
AC sin  sincos

EC  
 sin cos 200) ②


sin   
  [출제의도] 몫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함수의 성질을 추론한다.



EA   

 
AC sin    
sin cos cos
    
 ≠   일 때,  ′ 
  
sin cos


sin   
    
ㄱ.    이면     일 때,  ′    이므로 함수
 
 sin  sin  cos  cos    
 

sin  cos   는 구간  ∞   에서 증가한다. (참)

139 16
140
━━━━━━━━━━━━━━━━━━━━━━━━━━━━━━━━━━━━━━━━━━━━━━━━━━━━━━━━━━
고난도 기출문제 (미적분)
ㄴ. 함수  가     에서 연속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lim     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이 홀수일 때,  →   이면 (분모)→ 이고
        
(분자)→  이므로 함수   의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        이므로

 이 짝수일 때, lim    이고      이므로      , 즉   
→  
조건 (나)에서
   이다.   

따라서    일 때만 함수   가     에서 연속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라 하면
 ′  이다.
         
   일 때   이고,  ≥  일 때 함수  의 증가와 감소는  
  
 


    
    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이고  ≠  이므로   
 

 ′     ㉠에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이므로 방정식   는  ≥  에서만 서로 다른 두         
실근을 갖는다. (참)
202) ⑤

ㄷ.  ′  에서    (≠ ) 아래 그림은    일 때   의 그래프이다.
 
(ⅰ)  이 홀수일 때 함수   는 극솟값을 갖지 않는다.
(ⅱ)  이 짝수일 때    이면 함수  는 극솟값을 갖지 않고,

 ≥  이면 함수   는    
 
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  
 
(ⅰ), (ⅱ)에서 구간   ∞ 에서 함수  가 극솟값을 갖도록
     sin   이므로

 

하는  이하의 모든 자연수  은 , , ,  이므로 그 합은  
 이다. (거짓) 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   이려면   는


 ≥  일 때    이어서   


201) 25    일 때    이어서    이면 된다.
[출제의도] 치환적분법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       (  ,  는 상수)라 하면


   이므로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따라서       (    ,  ≠  )
조건 (가)에서      ≤ 
 ≥  일 때, ≤   
   일 때, ≥   
이고,  는 연속함수이므로   
       에서   

    대칭성을 고려하면   에서  까지   의 정적분은  에서 1까지
    에서

의 정적분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이고,    이면 ″  ,     이면 ″  이다.
조건 (가)에서  의 최솟값이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조건 (나)의    
 
에서
  

       라 하면
즉      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cos  

㉠을 대입하면

140 16
고난도 기출문제 (미적분)
━━━━━━━━━━━━━━━━━━━━━━━━━━━━━━━━━━━━━━━━━━━━━━━━━━━━━━━━━━
141
 선분 P  Q  의 수직이등분선을  이라 하면 원   의 중심은 직선 
 
 위에 존재한다.
따라서    직선 P  Q  의 기울기는  , 선분 P  Q  의 중점의 좌표는
  이므로 직선  의 방정식은
203) 29

가 극댓값을 갖는 의 값을 , 극솟값을 갖는 의 값을 라         

하자. (가)가 성립하려면       이어야 하고 
        

원   의 중심은 두 직선   ,  의 교점이므로 원   의 중심의
좌표를       이라 하면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의 그래프는 위의 오른쪽 그림과 비슷한 모양이 된다.
원점을 지나고 원   의 넓이를 이등분하는 직선은 이 원의 중심을



  
조건 (가), (나)를 만족하려면       이고 지나야 하므로
       
      
   와 는 서로 접해야 한다. 따라서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lim   lim 

 
 →∞  →∞  
의 최솟값은 에서 의 최솟값과 같다.
′        이므로 205) 5
 



       이거나    이다.
   [출제의도] 수열의 극한의 성질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는    이므로 조건에 맞지

 ′            
 ′     에서
않고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이면 조건에 맞는다. 따라서 
           

또는   
 

 
 
         
  함수    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 인 삼차함수이므로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204) 12          

즉   

[출제의도] 접선의 성질을 이용하여 수열의 극한에 대한 문제를 해결한다.

    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점 Q  을 지나고 직선  에 수직인 직선을   이라 하면 원   의


중심은 직선   위에 존재한다. 직선   은 곡선     위의 점
P  에서의 접선과 평행하고 ′   이므로 직선   의 기울기는
 이다. 직선   이 점 Q  을 지나므로 직선   의 방정식은
    

141 16
142
━━━━━━━━━━━━━━━━━━━━━━━━━━━━━━━━━━━━━━━━━━━━━━━━━━━━━━━━━━
고난도 기출문제 (미적분)

    일 때, lim  
  이므로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일 때,   

   
방정식          은     을 중근으로 가지고,   이 아닌     일 때,     

근이   이므로
    일 때, lim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을 대입하면      이므로       에서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양변을    으로 나누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



    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함수      이라 하면

   방정식       의 실근의 개수는


두 함수   ,   의 그래프가 만나는 점의 개수와 같다.
206) 18     에서 는 감소하고    에서 는 감소하므로
[출제의도] 삼각함수의 덧셈정리를 이용하여 추론하기     에서 두 함수   ,   의 그래프가 만나는 점의 개수의
삼각형 BCD 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최댓값은  이고,
∠CBD ∠DCB  이고 ∠CDA   
    에서 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 인
 
삼각형 ADC에서    
 일차함수이므로 두 함수   ,  의 그래프가 만나는 점의
cos   cos  cos   sin  sin  개수의 최댓값은  이다.

 cos   sin   그러므로    인 자연수 가 존재하려면


   ,      이어야 하고,
 cos    
 두 함수   ,   의 그래프의 개형은 그림과 같아야 한다.

sin     cos   이고


     이므로 sin  

sin   
tan    
cos  


tan  tan   
 

tan   tan 



  tan  × tan 

 
  
 
 즉, 직선      는
 
 
   ×       
따라서 
 × tan  


두 점   ,    을 지나므로
   
     
  ,      에서
207) 13  
[출제의도] 수열의 극한을 이용하여 추론하기


    가 자연수이므로 는  의 배수이다. ⋯⋯ ㉠

142 16
고난도 기출문제 (미적분)
━━━━━━━━━━━━━━━━━━━━━━━━━━━━━━━━━━━━━━━━━━━━━━━━━━━━━━━━━━
143
lim    lim 이어야 하므로  ln  
→    →   
이때 실수 의 값을 라 했으므로
  
          에서    ⋯⋯ ㉡  ln   ⋯⋯ ㉠
  
  그런데    이므로
   이므로          가 성립하며
  ㉠에    를 대입하면
lim   lim 를 만족시킨다.  ln  
→  → 

      
㉠, ㉡에 의해      이므로    ,    

또한, ㉠의 양변을  에 대하여 미분하면
 ′
ln   ×    ×  ′

이 식에    를 대입하면
 ′
l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ⅰ)    일 때
따라서       이므로
     ,    이므로   의 그래프와   의
    
그래프는       ,    에서 각각  개씩 교점을 갖는다.
그러므로    209) 11
(ⅱ)    일 때 [출제의도] 여러 가지 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미분계수를 구할 수 있는가?
     ,    이므로   의 그래프와   의   
곡선   ln     과 직선      가 만나는 두 점을
그래프는   ,    에서 각각  개씩 교점을 갖는다. P    Q      
그러므로    로 놓으면
(ⅲ)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이때,   는 방정식
(ⅳ)  ≤  ≤  일 때 ln          
 의 서로 다른 두 실근이므로
  lim     ,
→    
         
 lim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의 그래프와  의 그래프는     ,    에서 각각      로 놓으면
 개씩 교점을 갖는다.           
그러므로    따라서,
(ⅴ)  ≥  일 때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이므로
 ≥ lim    이므로        
→    

  의 그래프와  의 그래프는     에서  개의 교점을

갖는다.  
  
    
  
그러므로    
(ⅰ)~(ⅴ)에 의해 즉
∞   
     
  l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8) 17   ln 

[출제의도] 여러 가지 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미분계수를 구할 수 있는가? 이므로

 ln  ln          
 ′          ln 
    

     
이고 는   에서 극대이므로 
        
 ln      ln   
   
143 16
144 고난도 기출문제 (미적분)
━━━━━━━━━━━━━━━━━━━━━━━━━━━━━━━━━━━━━━━━━━━━━━━━━━━━━━━━━━
 ln  
       ln  ln      
lim     에서
따라서 →  
  ′  ′   
  ln         ln  ln    
라 하면 
    이고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이므로
′   
 
  삼차함수 는 역함수  를 가지고
  
 ′ln  ×     
 ′    이므로 증가함수이다.
  
즉,    에서    ,    이므로   
 ㉠에 의하여   
 ′ln  
  ′ln   
 ㉡에 의하여  

이므로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따라서       

210) 15 211) 586


[출제의도] 역함수의 미분법을 활용하여 문제해결하기 [출제의도] 적분법을 활용하여 문제해결하기

함수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므로 연속함수이다.  ′ 


′      ′
함수 는   에서 연속이므로  
  lim   lim 에서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이 되려면  ′   또는    
    라 하면    ,     ′   이므로    일 때에만  ′  
    에서 (ⅰ) 방정식     이 실근을 갖지 않을 때,
    또는   또는   ⋯⋯ ㉠  ′   ,   
함수 는   에서 연속이므로 함수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 lim   lim 에서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극대 ↘
   이므로     이고    이므로
     은 성립한다. (ⅱ) 방정식     이 중근을 가질 때,

함수 는   에서 미분가능하므로
 ′   ,     , ≥ 
    함수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lim 

 lim  에서
  ⋯  ⋯
→  → 

 ′   
 sin  
  
lim   lim     ↗ 극대 ↘
→   →  
(ⅰ), (ⅱ)의 경우에는 함수 가   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 ′  ′  
그러므로 조건 (가)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    이고  ′   이므로 (ⅲ) 방정식     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질 때,
′
방정식    의 서로 다른 두 실근을     라 하면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함수  의 그래프는  축 대칭이므로
        ⋯⋯ ㉡
  
함수 는    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함수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  
lim 

 lim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극대 ↘ 극소 ↗ 극대 ↘
lim  
 lim 
→ 
→  (ⅲ)의 경우에는 함수 가    에서 극솟값을 가지므로 조건
 (가)를 만족시킨다.
 sin  
       이므로
lim  
에서     라 하면
→ 
 ≤   
  
 sin  
  sin     ln       ln      
lim   lim      
→   →  

144 16
고난도 기출문제 (미적분)
━━━━━━━━━━━━━━━━━━━━━━━━━━━━━━━━━━━━━━━━━━━━━━━━━━━━━━━━━━
145
   
  ln      이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일 때 ′  이므로 는 증가함수이다.
 
 ≥                
 
함수   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  가지 경우와 같다.
           
  
(1)    일 때
             
따라서   이므로
        

212) 24
[출제의도] 함수의 극대, 극소 및 함수의 그래프의 개형을 이용하여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를 구할 수 있는가?

   이므로  ′ ′  


′   에서  ′   또는    
가 이차함수이므로 조건 (가), (나)에서 의해
 ′   ,  
    ,       이어야 한다.
이차함수 의 최고차항의 게수를  라 하면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즉,          ⋯⋯ ㉠
    
이 때,  ′   이므로   

   ⋯⋯ ㉡
함수 가  에서 불연속인 의 값의 개수는  이므로 조건 (나)를
㉠, ㉡에서
만족시킨다.
          
(2)   일 때
이므로
      에서   
방정식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213) 115
[출제의도] 삼각함수의 극한 및 함수의 극값을 이용하여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를 구한 후 치환적분법을 이용하여 정적분의 값을 구할 수 있는가?
조건 (가)에서  →  일 때, (분모) →  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  이어야 한다.
즉, limsin  ×  sin  ×   에서
→

  (  은 정수)이다.
한편, 삼차함수 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 이므로
        (  ,  는 상수)
함수 가  에서 불연속인 의 값의 개수는  이므로 조건 (나)를
로 놓을 수 있다.
만족시키지 않는다.
이 때,  sin ×  라 하면   이므로
그러므로   
sin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lim   lim   ′이다. 즉, ′   이다.
→   →
  
이 때, ′    ′ × cos  × 이므로
함수 는  ≤    에서
 ′  ×  ′ × cos    에서
증가함수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한편, 함수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lim  lim 이어야 한다.
→  → 

145 16
146
━━━━━━━━━━━━━━━━━━━━━━━━━━━━━━━━━━━━━━━━━━━━━━━━━━━━━━━━━━
고난도 기출문제 (미적분)
이때, 함수 는  ≤    일 때  이고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 이므로 lim  lim 이다.
→  → 

lim  lim       , lim  lim   이므로


→  →  →  → 

  
   ⋯⋯ ㉡
함수     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으므로
 ′       이므로 
     인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   에서    에서 극대이고    에서 극소이다.
 


       이고, 

      이다.

조건 (나)에 의해   ×     이므로
   




함수   는 주기가  이고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은 자연수),    
        
 이 정수이므로    ⋯⋯ ㉢ 
㉠에서     ≤ 
  
㉠~㉢에 의해      
따라서 구하는 모든 실수 의 값은
따라서
   
 , ,  ,  ,  ,  이므로 그 합은 이다.
 


    

     215) 10
              
     [출제의도] 합성함수의 미분법과 역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 ≠ 이므로
 
 
함수  ′  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      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 ≠ 이고  ′       이므로 모든 실수
 
에 대하여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조건 (가)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는 상수)라 하면     이다.
    
  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     이므로
따라서    ,    이므로          이다.            이다.
즉 두 점   ,    는 함수     의 그래프 위에 있다.
214) 14  ≠ 일 때, 두 점   ,     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출제의도] 정적분의 성질과 삼각함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    
  이므로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조건 (가)에서     
    ′    인 상수 가 존재한다. 그러나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 
 
 
sin        cos    
  
      ′    이므로 모순이다. 즉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이므로    ≤  ⋯⋯ ㉠ 

  그러므로      ⋯⋯ ㉡
조건 (나)에서
       이므로 역함수의 미분법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라 하면 ㉠에서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     ′  이므로
     ≤ sin     

      sin     ≤ sin    
 ′      ′  이다.

   ≤ sin   ≤  
즉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조건 (나)에서 ′     ′  이므로

146 16
고난도 기출문제 (미적분)
━━━━━━━━━━━━━━━━━━━━━━━━━━━━━━━━━━━━━━━━━━━━━━━━━━━━━━━━━━
14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또는  ′      이다.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정삼각형 STU 의 한 변의 길이를  라 하면 삼각형 TSB 에서 사인법칙에
(ⅰ)  ′      일 때,      이므로
   의하여
     ⋯⋯ ㉢ 
 BT  
    즉,  BT  
㉡, ㉢을 연립하면    ,    이다. sin     sin  
 sin 
  

(ⅱ)  ′     일 때,     이므로 두 삼각형 RUT  RAB 가 서로 닮음이므로,

     ⋯⋯ ㉣   RB
RT   UT
  AB

㉡, ㉣을 연립하면   ,   이므로 모순이다.  sin     sin 
따라서 (ⅰ), (ⅱ)에 의하여       
sin    sin   sin  
 

      ×     

 sin 

 sin 
 
 
sin    sin   sin  

216) 11
[출제의도] 도형의 성질을 이용하여 삼각함수의 극한값을 구할 수 있는가?
 sin 

sin  

   
sin     sin 
sin  
선분 AB 의 중점을 M 이라 하면  sin  sin      sin    sin 
 
∠AMQ   × ∠ABQ   ×      이므로, sin   sin   sin  
  sin  sin   sin  

(부채꼴 AMQ 의 넓이)   ×  ×       ×
 sin    sin  sin      sin  
   
(삼각형 MBQ 의 넓이)   ×   × sin       sin   이 때,      이고,
  
삼각형 RAB 에서 ∠ARB      이므로, 
lim 
사인법칙에 의하여  →  
  sin  sin   sin 


sin     

BR
sin 
 lim
 → 

sin  
×
 sin  sin      sin   

×

   sin  이므로,
즉, BR
 sin   sin   

 
sin   
 sin  
 lim  × 
(삼각형 RAB 의 넓이)  →   sin    sin  sin      sin  
    
 × AB ×  BR × sin  
  × 
× 
  sin 
  ×  ×  × sin  
      
 sin  
  

 sin  sin  
sin  
이므로, lim 
 →  
 


  lim 
  →    
 
  sin  sin  
그러므로,        sin     이므로,
 sin  


 × 

 
 
    
lim   ⋯⋯ ㉡

 →  
따라서, ㉠, ㉡에서
 sin  sin   

 sin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lim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217) 143

147 16
148
━━━━━━━━━━━━━━━━━━━━━━━━━━━━━━━━━━━━━━━━━━━━━━━━━━━━━━━━━━
고난도 기출문제 (미적분)
[출제의도] 치환적분법과 부분적분법을 활용하여 정적분의 값을 구할 수 있는가?  

조건 (가)에서     이므로, 조건 (나)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이므로,  ⋯⋯ ㉤
        또, 두 함수     ,     의 그래프의 대칭성에 의하여
따라서,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이다. 
     ⋯⋯ ㉥  

이 때,     로 놓으면 치환적분법에 의하여


 
        이므로,
 
조건 (나)에서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부분적분법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때,

 
  


이므로,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이다. 이 때, 두 함수     ,     의 그래프의 대칭성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다른 풀이
      ⋯⋯ ㉣ 수학교실

 

이 때,     로 놓으면 치환적분법에 의하여    ′  에서     라 하면



 
          이므로,
 
   일 때,    ,    일 때,    이고,
 
   ′    이므로,
조건 (나)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148 16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