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75

제1장

논리와 절차

1.1 비둘기집의 원리

유제
유제 1.1.1
1.1.1

한 변의 길이가 3인 정육각형의 내부에 55개의 점이 있다. 그럼 이 중에 어느 두 점 사이


의 거리는 1 이하가 됨을 증명하여라.

증명 정육각형을 한 변의 길이가 3인 정삼각형 6개로 나누고, 이 각각의 정삼각형을


다시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삼각형 9개씩으로 나누자. 그럼 작은 정삼각형은 모두

6 × 9 = 54

개가 되고, 점의 개수가 그보다 많은 55개이므로 비둘기집의 원리에 의해 어느 두 점


은 같은 작은 정삼각형에 포함된다. 그 두 점 사이의 거리가 1 이하가 된다.

유제
유제 1.1.2
1.1.2

어떤 농구팀에 12명의 선수가 있다. 코치가 선수들에게 0번부터 20번까지 번호가 적혀 있


는 유니폼을 나누어 주었다. 물론 똑같은 번호를 가지고 있는 선수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
때, 연속하는 번호를 가지는 두 선수가 반드시 존재함을 보여라.

증명 21개의 번호를 {0, 1}, {2, 3}, . . . , {18, 19}, {20}와 같이 11개의 집합으로 나누
자. 선수가 12명이므로, 비둘기집의 원리에 의해 같은 집합의 번호를 가진 두 선수가
있다. 그럼 그 두 선수는 연속하는 번호를 가진다.
194 논리와 절차

유제
유제 1.1.3
1.1.3
n명의 사람들이 한 방에 모였다. 인사를 나누는 시간에 그들은 서로 악수를 하거나 하지
않았다고 한다. 이들 중 악수를 나눈 사람들의 숫자가 같은 두 사람이 반드시 존재함을 보
여라.

증명 한 사람이 악수를 할 수 있는 인원의 최소값과 최대값은 0과 n − 1이다. 만일


n명이 모두 다른 숫자의 인원과 악수를 했다면, 각자가 악수한 인원에는 0에서 n − 1까
지의 n개의 수가 각각 1번씩 나타나야 한다. 즉, 모두와 악수하지 않은 사람도 있어야
하고, 모두와 악수한 사람도 있어야 한다. 이것은 모순이므로, 같은 숫자의 인원과 악
수를 한 두 사람이 반드시 존재한다.

유제
유제 1.1.4
1.1.4
n개의 실수 r1 , r2 , . . . , rn 이 있다.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수를 합하여 어떤 정수와의 차가
1
n 이하가 되도록 할 수 있음을 보여라.

증명 다음과 같은 n개의 합을 생각하자.

r1 , r1 + r2 , r1 + r2 + r3 , ... , r1 + r2 + · · · + rn

그리고, 이 수들의 소수부를 f1 , f2 , . . . , fn 이라 하자. 소수부는 0에서 1까지만 가질 수


있으므로, 0에서 1까지의 영역을 다음과 같이 n개 구간으로 나누자.

1 2 n−1
0 n n
··· n 1

fi 중에 첫 번째 혹은 마지막 구간에 있는 것이 있으면 바로 얘기가 끝난다. 따라서, 첫


번째 구간이나 마지막 구간에 있는 것이 없을 때만 생각하자. 그럼 구간은 모두 n −2개
이고 fi 들은 n개로 더 많으므로, 비둘기집의 원리에 의해 같은 구간에 속하는 fi , fj
1
(i < j) 가 있다. 그럼 이들의 차가 n 이하가 되고, 즉

(r1 + · · · + rj ) − (r1 + · · · + ri ) = ri+1 + · · · + rj

의 소수부가 첫 번째 구간이나 마지막 구간에 있게 된다.

유제
유제 1.1.5
1.1.5
(1989년 KMO) 원탁에 10명의 손님자리가 명찰과 함께 놓여있다. 10명의 손님이 명찰을
확인하지 않고 아무렇게나 않았더니 제자리에 앉은 손님이 한 사람도 없었다. 이 때, 명찰
이 놓인 원탁을 적당히 회전시키면 적어도 2명의 손님이 제자리에 앉게 됨을 증명하여라.
1.1 비둘기집의 원리 195

증명 원탁이 한 바퀴를 돌 동안 모든 손님은 정확히 한 번씩 자기 명찰 앞에 앉게 된


1
다. 즉, 원탁이 10 회전을 하는 10번의 시기 중에서 맨 처음에는 아무도 자기 자리에 앉
지 않았으므로 9번의 시기만이 남아있고, 10명의 손님은 그동안 자기 명찰 앞에 앉게
되는 경우가 반드시 있다. 따라서, 비둘기집의 원리에 의해 같은 시기에 자기 명찰 앞
에 낮게 되는 두 손님이 반드시 있다.

연습문제
연습문제 1.1.1
1.1.1

다음의 확장된 비둘기집의 원리 1을 증명하여라:


비둘기가 kn + 1마리 이상 있고, 비둘기집이 n개 있으면, k + 1마리의 비둘기가 한 집에 있
는 경우가 반드시 있다.

증명 귀류법으로 보이자. 모든 비둘기집에 비둘기가 k 마리 이하씩만 있다면 n개의


비둘기집에 있는 비둘기는 모두 kn마리 이하이다. 따라서 모순이고, 문제의 원리가 참
이다.

연습문제
연습문제 1.1.2
1.1.2

(1) 100명의 사람이 있다면 그 중 15명 이상은 같은 요일에 태어났음을 보여라.


(2) 100명의 사람이 있다면 그 중 4명은 같은 날짜에 태어났음을 보여라.
(3) 100명의 사람이 있다면 그 중 9명 이상은 같은 달에 태어났음을 보여라.

증명 (1) 요일은 7가지가 있고, 100은 7 · 14 = 98 보다 많다. 따라서, 비둘기집의 원


리(확장 1)에 의해 같은 요일에 태어난 15명이 반드시 있다.

(2) 날짜는 1일부터 31일까지 31가지가 있고, 100은 31 · 3 보다 많다. 따라서 비둘기집
의 원리에 의해 문제가 성립.

(3) 달은 12가지가 있고 100은 12 · 8 보다 많다. 역시 성립.

연습문제
연습문제 1.1.3
1.1.3

한 변의 길이가 4인 정사각형의 내부에 33개의 점이 있다. 단, 어느 세 점도 일직선 위에


있지 않다. 그럼 이 중에 어느 세 점으로 이루어진 삼각형의 넓이는 1/2 이하가 됨을 증명
하여라.
196 논리와 절차

증명 이 정사각형을 한 변의 길이가 1인 작은 정사각형 16개로 나누자. 그럼 33은


16 · 2 보다 크므로, 비둘기집의 원리에 의해 같은 작은 정사각형에 포함되는 3개의 점
이 있다. 이 3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삼각형의 넓이는 커봐야 작은 정사각형의 넓이의
절반이므로 1/2 이하이다.

주 어떤 정사각형(실은 평행사변형이기만 해도 충분하다)에 포함되는 삼각형의 넓


이는 그 사각형의 넓이의 절반 이하가 된다는 것은 엄밀히 따지자면 증명해야 하는 것
이다. 앞의 기본문제나 유제에서 다루었던 문제들 중에 정사각형에 포함되는 선분의
길이는 대각선이 가장 길다거나, 정삼각형에 포함되는 선분의 길이는 길어봐야 한 변
의 길이밖에 안 된다거나 하는 것들도, 보다 쉬워보이기는 하지만 엄밀히 따지자면 증
명해야 하는 것이다. 이런 것들은 어떻게 증명할 수 있을지 한번 생각해보기 바란다.

연습문제
연습문제 1.1.4
1.1.4

의진이가 아파서 병원에 갔더니 의사가 운동부족이라는 진단을 내렸다. 의사는 의진이에
게 일주일에 최소한 141회의 팔굽혀펴기 운동을 하라고 시켰다. 의진이는 2월 1일부터 일
주일간 팔굽혀펴기를 했다. 이 때 적어도 하루는 그 날의 일수의 5배보다 더 많은 수의 팔
굽혀펴기를 했다는 것을 증명하여라.

증명 1일부터 7일까지 각 일수에 5배를 하면 5+10+· · ·+35 = 5(1+2+· · ·+7) = 140


이다. 141은 이보다 큰 수이므로, 비둘기집의 원리(확장 2)에 의해 문제의 주장이 성립
한다.

연습문제
연습문제 1.1.5
1.1.5
(1906년 헝가리 Eötvös 경시대회, 1988년 KMO) n은 홀수이고, a1 , a2 , . . . , an 은 1에서 n까
지의 서로 다른 자연수들을 재배열한 것이다. 이 때,

(a1 − 1)(a2 − 2) · · · (an − n)

이 짝수임을 증명하여라.

증명 귀류법으로 문제의 식이 홀수하고 가정해보자. 그럼 각각의 인수 (ai − i)들도


모두 홀수여야 한다. 그럼 i가 홀수이면 ai 는 짝수, i가 짝수이면 ai 는 홀수로, 1에서
n까지의 홀수와 짝수들이 정확히 일대일 대응을 이뤄야 한다. 즉, 1에서 n까지는 홀수
와 짝수의 개수가 같다. 그런데 n이 홀수이므로 실은 홀수가 짝수보다 하나 더 많고
이것은 모순. 따라서, 문제의 식은 짝수이다.
1.1 비둘기집의 원리 197

별해 (a1 − 1)(a2 − 2) · · · (an − n) 이 홀수라면 각각의 인수가 홀수이고, 그럼 n이 홀


수이므로

(a1 − 1) + (a2 − 2) + · · · + (an − n) = (a1 + a2 + · · · + an ) − (1 + 2 + · · · + n)

의 좌변은 홀수가 홀수 번 더해진 것이어서 역시 홀수가 된다. 그런데 우변을 보면


{a1 , . . . , an }은 1에서 n까지를 재배열한 것이므로 두 합은 같고 따라서 0이다. 즉, 홀
수 = 0 이라는 식이 되어 모순. 따라서 문제의 식은 짝수.

연습문제
연습문제 1.1.6
1.1.6
(1925년 헝가리 Eötvös 경시대회) 임의의 4개의 정수 a, b, c, d에 대하여, 두 수의 차를 모
두 곱한
(a − b)(a − c)(a − d)(b − c)(b − d)(c − d)

가 항상 12의 배수가 됨을 증명하여라.

증명 문제의 식은 네 정수로 만들 수 있는 차를 모두 곱한 것이다. 이것이 3의 배수


이며 또한 4의 배수임을 보이면 된다.

먼저 3의 배수임을 보이자. 임의의 정수를 3으로 나눈 나머지는 3가지이므로, 비둘기


집의 원리에 의해 4개의 정수 a, b, c, d 중에는 3으로 나눈 나머지가 같은 두 수가 있
다. 그럼 그 두 수의 차가 3의 배수이므로 문제의 식은 3의 배수.

이번에는 4의 배수임을 보이자. 만일 네 정수 중에서 어느 세 수 a, b, c의 홀짝이 같다


면, (a − b), (b − c)가 모두 짝수가 되어 문제의 식은 4의 배수가 된다. 따라서, 홀짝이
같은 수가 2개 이하일 때만 보면 되고, 그런 경우는 네 정수 중 홀수 둘 짝수 둘인 경
우뿐이다. 그럼 홀수끼리의 차, 짝수끼리의 차가 모두 짝수이므로 그 둘에 의해 문제
의 식은 4의 배수가 된다.

연습문제
연습문제 1.1.7
1.1.7
17명의 학생들이 일렬로 되어 있는 20개의 의자에 앉아 있다면, 반드시 어떤 5명은 연속
하여 앉아 있음을 증명하여라.

증명 20개의 의자에 순서대로 1부터 20까지의 숫자를 부여하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이렇게 네 개의 집합으로 나누자. 17명의 학생이 앉으면 비어있는 의자는 3개이다. 즉,


위의 집합의 개수가 빈 의자의 수보다 많으므로 빈 의자를 갖지 않는 집합이 적어도
하나 있다. 그럼 그 집합의 5개의 의자에 5명이 연속하여 앉아 있다.
198 논리와 절차

연습문제
연습문제 1.1.8
1.1.8

한 변의 길이가 2인 정삼각형 내부에 점 5개를 찍었을 때, 두 점 사이의 거리가 1 이하가


되는 경우가 반드시 있음을 보여라.

증명 정삼각형의 중점을 연결하여 한 변의 길이가 1인 작은 정삼각형 4개로 나눈다.


비둘기집의 원리에 의해, 5개의 점을 찍으면 어느 두 점은 같은 작은 정삼각형에 포
함되게 되고, 그럼 그 두 점 사이의 거리는 길어봐야 작은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인
1이다.

연습문제
연습문제 1.1.9
1.1.9

(1988년 KMO) 한 변의 길이가 4인 정삼각형의 내부에 9개의 점을 찍으면 이 중 어느 3점


은 넓이가 2 미만인 삼각형의 꼭지점이 됨을 보여라. 단, 어느 세 점도 한 직선 위에 있지
는 않다.

증명 앞의 문제에서처럼 4등분하여 한 변의 길이가 2인 정삼각형들을 만든다. 9 >


4 · 2 이므로 비둘기집의 원리에 의해 어느 세 점은 한 작은 정삼각형에 포함된다. 그럼
그 세 점이 이루는 삼각형의 넓이는 기껏해야 이 작은 정삼각형의 넓이보다 클 수 없
다. 한 변의 길이가 2인 정삼각형은 한 변의 길이가 2인 정사각형에 포함되고, 그래서
1
넓이가 2 · 22 = 2 보다 작다.

연습문제
연습문제 1.1.10
1.1.10

좌표평면에서 x, y 의 좌표가 모두 정수인 점을 격자점이라 한다. 서로 다른 임의의 5개의


격자점이 있으면, 어느 두 격자점을 이은 선분 위(양끝점은 제외)에는 격자점이 있음을 증
명하여라.

증명 좌표평면 위의 격자점들은 각 좌표가 홀수냐 짝수냐에 따라

(홀, 홀), (홀, 짝), (짝, 홀), (짝, 짝)

의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임의의 5개의 격자점이 있으면, 비둘기집의 원리에 따라


위의 분류에 의해 같은 종류에 해당하는 두 격자점이 반드시 있다. 그 두 점을 (a, b),
(c, d)라 하면, a와 c, b와 d는 각각 홀짝이 같으므로 a + c, b + d 가 모두 짝수. 따라서,
두 점의 중점 ( a+c b+d
2 , 2 )는 격자점이고, (a, b)와 (c, d)를 잇는 선분 위에 있다.
1.2 재귀와 점화식 199

연습문제
연습문제 1.1.11
1.1.11
1, 4, 7, . . . , 100 의 숫자들 중에서 임의로 20개를 골라 A라는 집합의 원소로 취했다고 하
자. 이 때 집합 A 안에는 합이 104인 두 개의 수가 반드시 존재함을 보여라.

증명 1, 4, 7, . . . , 100 은 3 · (0) + 1 부터 3 · (33) + 1 까지 늘어놓은 것이므로 모두 34개


의 수이다. 이들을 다음과 같이 합이 104가 되는 것들끼리 나누어 묶자.

{1}, {4, 100}, {7, 97}, ... , {49, 55}, {52}

모두 18개의 집합이다. 여기서 20개의 수를 고르면 비둘기집의 원리에 의해 같은 집합


에서 고른 두 수가 반드시 있다. 그럼 그 두 수의 합이 104가 된다.

연습문제
연습문제 1.1.12
1.1.12
임의의 52개의 정수를 택했을 때, 그 중에는 합 또는 차가 100으로 나누어떨어지는 두 수
를 항상 찾을 수 있음을 증명하여라.

증명 52개의 수 a1 , a2 , . . . , a52 들을 100으로 나눈 나머지를 r1 , r2 , . . . , r52 라 하자.


ri 들 중에 같은 것이 있다면 그에 해당하는 원래의 두 수의 차가 100의 배수가 된다.
따라서, ri 들이 모두 다를 때에만 생각하면 된다. ri 들은 0에서 99 사이의 정수이므로
이들을 합이 100이 되는 것끼리 묶자.

{0}, {1, 99}, {2, 98}, ... , {49, 51}, {50}

모두 51개의 집합이다. 여기서 52개의 ri 를 택하는 것이므로, 같은 집합에 속하는 두


ri 가 있다. 그럼 그에 해당하는 원래의 두 수의 합이 100의 배수가 된다.

1.2 재귀와 점화식

유제
유제 1.2.1
1.2.1
7장의 색종이가 있다. 여기서 몇 장을 골라 각각을 7조각으로 자른다. 그리고, 이렇게 만
들어진 여러 조각 중에서 몇 장을 골라 또 각각을 7조각으로 자른다. 이런 과정을 통해서
는 어떻게 해도 정확히 2001조각이 되도록 할 수 없음을 증명하여라.

증명 한 장을 7조각으로 자를 때마다 7 − 1 = 6조각씩 늘어나게 된다. 즉, 색종이는


맨 처음에 7장이었으니 어떤 과정을 밟아도 조각의 수는 7 + 6k 꼴이 된다. 2001은 6으
로 나눈 나머지가 3이므로 이런 꼴이 될 수 없다.
200 논리와 절차

유제
유제 1.2.2
1.2.2

위의 은행에 정기적금을 맡긴다고 하자. 1월초, 처음에 1만원을 넣었고 그 후로 계속 매년


1월초에 1만원씩 넣기로 하면, 만 10년이 지났을 때 찾을 수 있는 돈은 얼마가 되겠는가?
(1.1010 2.6 으로 계산해도 좋다)

풀이 첫 해에 넣은 1만원은 10년 후 1.1010 만원이 된다. 1년 후에 넣은 1만원은 그로


부터 9년 후 1.109 만원이 된다. 2년 후에 넣은 1만원은 그로부터 8년 후 1.108 만원이 된
다. 즉, 이렇게 계속하면, 만 10년이 지난 후 찾을 수 있는 금액은

S = 1.1010 + 1.109 + 1.108 + · · · + 1.101

이다. 양변에 1.10을 곱한 식

1.10S = 1.1011 + 1.1010 + 1.109 + · · · + 1.102

에서 윗식을 빼면
0.10S = 1.1011 − 1.101 = 1.10(1.1010 − 1)

즉, S = 11(2.6 − 1) = 17.6. · · · 답 17만6천원 ♦

별해 만 n년이 지난 연말에 찾을 수 있는 돈을 an 만원이라고 하자. 그럼

a0 = 0, an+1 = 1.10(an + 1)

이 된다. 양변에 11을 더하면 an+1 + 11 = 1.10(an + 11) 로 좌우변이 같은 꼴이 된다.


(이런 것은 an+1 + r = 1.10(an + r) 로 두고 r을 원래의 식과 비교하여 구하면 된다.)
그럼
a10 + 11 = 1.101 (a9 + 11) = · · · = 1.1010 (a0 + 11) = 2.6 · 11 = 28.6

즉, a10 = 17.6이다. ♦

유제
유제 1.2.3
1.2.3

연속한 3개의 0을 갖지않는 12자리 bit string의 개수를 구하여라.

풀이 연속한 3개의 0을 갖지않는 n자리 bit string의 개수를 an 이라 하자. 기본문제


에서와 비슷하게 하면, 이런 bit string은 (1) 마지막이 1로 끝나는 것, (2) 마지막이 0으
로 끝나는 것중 10으로 끝나는 것, (3) 마지막이 00으로 끝나는 것중 100으로 끝나는
1.2 재귀와 점화식 201

것 등의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1), (2), (3) 각각은 an−1 , an−2 , an−3 가지가 된다.
즉,
a1 = 2, a2 = 4, a3 = 7, an = an−1 + an−2 + an−3 (n ≥ 4)

이다. 차근차근히 하여 a12 를 구하면

n 1 2 3 4 5 6 7 8 9 10 11 12
an 2 4 7 13 24 44 81 149 274 504 927 1705

· · · 답 1705개 ♦

연습문제
연습문제 1.2.1
1.2.1
10개의 계단이 있다. 한 번에 한 칸 혹은 두 칸 혹은 세 칸씩 갈 수 있다고 할 때, 이 10개
의 계단을 오르는 경우의 수는?

풀이 n계단을 오르는 방법의 수를 an 이라 하자. 이런 방법들은 첫 번째 걸음에 따라


그것이 (1) 한 칸 짜리 걸음일 때, (2) 두 칸 짜리일 때, (3) 세 칸 짜리일 때 등 세 가
지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1), (2), (3)각각의 경우는 an−1 , an−2 , an−3 가지가 된다.
즉,
a1 = 1, a2 = 2, a3 = 4, an = an−1 + an−2 + an−3 (n ≥ 4)

이다. 이 점화식으로 a10 까지 차근차근 계산을 해보면

n 1 2 3 4 5 6 7 8 9 10
an 1 2 4 7 13 24 44 81 149 274

따라서, · · · 답 274가지 ♦

연습문제
연습문제 1.2.2
1.2.2

연이자가(복리로) 10%인 은행이 있다. 1월 초, 처음에 100만원을 넣었고 그 후로 계속 매


년 1월에 1만원씩 빼간다고 하면, 10년이 지나 찾을 수 있는 돈은 얼마가 되겠는가? 단,
1.1010 2.6 으로 계산해도 좋다.

풀이 9년 후에 찾는 1만원은 만약 찾지 않는다면 10년 후 1.10 × 1만원이 될 것이다.


8년 후에 찾는 1만원은 만약 찾지 않는다면 10년 후 1.102 × 1만원이 될 것이다. 10년
후 찾을 수 있는 금액 x에 이들을 모두 더하면 처음 100만원을 고스란히 남겼을 때의
1.1010 × 100만원이 될 것이다. 즉,

x + 1.101 + 1.102 + · · · + 1.109 = 1.1010 × 100


202 논리와 절차

양변에 1.10을 곱한 식

1.101 x + 1.102 + 1.103 + · · · + 1.1010 = 1.1011 × 100

에서 윗식을 빼면 0.10x + 1.1010 − 1.10 = 1.1010 · 0.10 × 100. 이것을 정리하면 x =


1.1010 × 90 + 11 = 2.6 · 90 + 11 = 245만원 · · · 답 ♦

연습문제
연습문제 1.2.3
1.2.3
동전을 던져서 앞면이 나오면 1점, 뒷면이 나오면 2점을 받는다. 그래서 받은 점수의 총합
이 10점이 되면 이긴 것으로, 10점을 넘으면 진 것으로 하고 동전 던지기를 끝낸다. 이길
확률은 얼마인가?

풀이 일반적으로, 총합이 정확히 n점이 될 확률을 pn 이라 하고, 이것을 계산하는


1
점화식을 얻어내보자. 먼저 p1 은 처음에 앞면이 바로 나와야 하므로 p1 = 2, 그리고
n ≥ 2 일 때의 pn 은, (n − 1)점을 얻은 상황에서 뒷면이 나오는 경우만 아니면 되므로
pn = 1 − 12 pn−1 . 이 점화식을 이용해 p10 까지 계산하면,

n 1 2 3 4 5 6 7 8 9 10
1 3 5 11 21 43 85 171 341 683
pn 2 4 8 16 32 64 128 256 512 1024

따라서, p10 = 683/1024 · · · 답 ♦

2
주 점화식을 pn − 3 = − 12 (pn−1 − 23 ) 와 같이 정리할 수 있으면 pn = 2
3 + 13 (− 12 )n 의
일반식을 얻어 답을 구해도 된다.

연습문제
연습문제 1.2.4
1.2.4
양의 정수 n에 대해 수열 an 이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 있다.
n+1
a1 = 1, an = (a1 + a2 + · · · + an−1 ) (n > 1)
n−1
이 때, a2000 을 구하여라.

풀이 n+1
n−1 을 좌변으로 이항하고, 이 점화식에 의한 다음 계산을 살펴보자.
n−1 n−2 n+1
an − an−1 = an−1 , 즉 an = 2 · an−1 (n > 2)
n+1 n n
그럼
n+1 n+1 n
an = 2 · an−1 = 22 · an−2
n n n−1
n+1 n 3
= · · · = 2n−1 · · · · a1 = 2n−2 (n + 1) (n > 2)
n n−1 2
따라서, a2000 = 21998 · 2001 · · · 답 ♦
1.2 재귀와 점화식 203

연습문제
연습문제 1.2.5
1.2.5

한 원의 원주 위에 1, 2, 3, . . . , n의 수들을 놓는데, 이웃한 두 수의 차가 항상 2 이하가 되


도록 한다. (만일 수들의 배열 순서만을 고려하기로 한다면) 배열의 방법이 유일함을 증명
하여라.

증명 1의 옆에는 2와 3이 올 수밖에 없다. 이제 2와의 차가 2 이하인 수는 4만 남았


고 따라서 4을 2의 옆에 써야 한다. 비슷하게 3의 옆에는 5를, 4의 옆에는 6을, 5의 옆
에는 7을, ... 이렇게 계속 써야한다.

p, . . . , 6, 4, 2, 1, 3, 5, 7, . . . , q

이렇게 1의 양쪽으로 수를 번갈아써서 n까지 다 썼다고 하자. 여기까지의 방법은 유


일하다. p와 q 는 번갈아쓰여진 각 방향의 마지막 수이므로 n과 n − 1이고, 이제 이 배
열을 둥글게 말아 p와 q 가 이웃하게 하면 그 차가 1이므로 문제에 잘 부합된다. 따라
서, 배열의 방법은 유일하게 존재한다.

연습문제
연습문제 1.2.6
1.2.6

임의의 양의 정수 n에 대해

1 1 1
h(n) = 1 + + + ··· +
2 3 n

이라 정의하자. 예를 들어, h(1) = 1, h(2) = 1 + 12 , h(3) = 1 + 1


2 + 1
3 이다. n = 2, 3, 4, . . .
에 대해 다음 식이 성립함을 증명하여라.

n + h(1) + h(2) + h(3) + · · · + h(n − 1) = nh(n)

증명1 n = 1 일 때 1 = 1 · h(1), n = 2 일 때 2 + h(1) = 2 · h(2) = 3 등으로 잘 성립한


다. 귀류법으로, 문제의 식이 항상 성립하지는 않는다면, 이 식이 성립하지 않는 최소
의 n > 2 이 존재한다. 즉, n − 1 까지는 성립하므로

(n − 1) + h(1) + h(2) + h(3) + · · · + h(n − 2) = (n − 1)h(n − 1)

이다. 양변이 1 + h(n − 1) 을 더하면

1
n + h(1) + h(2) + h(3) + · · · + h(n − 1) = n · + nh(n − 1) = nh(n)
n

으로 n일 때에도 성립하는 것이 되어 모순. 따라서, 문제의 식은 항상 성립.


204 논리와 절차

증명2 다음의 표를 보자.

1 1 1 1
1 2 3 ··· n−1 n
1 1 1 1
2 3 ··· n−1 n
1 1 1
1 3 ··· n−1 n
1 .. .. 1
1 2
. . n
1 1 1
..
1 2 3 n−1 .
.. .. 1
. . n
1 1 1
1 2 3 ··· n−1

왼쪽 아래의 삼각형은 h(1) + h(2) + h(3) + · · · + h(n − 1) 을 각각 한 행씩 전개한 것


이고, 오른쪽 위의 삼각형은 n = 1 + 1 + 1 + · · · + 1 로 전개한 뒤 각각의 1을 다시
1 1
k + ··· + k 로 전개한 것이다. 그리고, 이들을 모두 합하면 정확히 nh(n)과 같다.

연습문제
연습문제 1.2.7
1.2.7

평면에 n개의 직선을 그릴 때, 이 직선들로 나뉘어지는 영역은 최대 몇 개가 되겠는가? 점


화식을 이용해서 풀어라.

5
4 3
1 1 1 4
1 3 7
2 2 2
6

풀이 구하는 영역의 개수를 an 이라 하자. a0 = 1, a1 = 2 등을 바로 알 수 있다. 이제


점화식을 구해보자. n − 1 개의 직선이 이미 평면에 그려져 있을 때, 새로 하나의 직선
을 더 그리면 그 직선은 이미 그려진 직선들과 최대 n − 1 개의 점에서 만난다. 그럼
그 새로 그은 직선은 이 점들에 의해 n개의 선조각으로 분할된다. 그리고, 이 각각의
선조각은 원래 있던 하나의 영역을 둘로 나누게 되므로 선조각마다 영역의 개수가 하
나씩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an = n + an−1 . 즉, an = n + (n − 1) + · · · + 2 + 1 + a0 =
n(n+1) n2 +n+2
2 +1= 2 개 ··· 답 ♦

연습문제
연습문제 1.2.8
1.2.8

위 문제에서, 직선들로 나뉜 영역들은 어떤 것들은 무한히 넓고, 또 어떤 것들은 유한한


넓이를 갖는다. 무한히 넓은 것들의 개수와 유한한 것들의 개수를 각각 구하여라.
1.2 재귀와 점화식 205

풀이 유한한 것들의 개수를 bn , 무한한 것들의 개수를 cn 이라 하면, 위 문제에서


n ≥ 2 일 때 n번째 직선을 새로 그리면 선조각 중에서 양끝의 무한한 길이의 2개에 의
해 항상 무한히 넓은 영역은 둘씩 늘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cn = 2n (n ≥ 2). 그
2
리고 an = bn + cn 이므로 bn = n +n+2
2 − 2n. 이로부터 정리하면,


 b0 = b1 = b2 = 0, n2 − 3n + 2
bn = (n ≥ 3)
2 ··· 답

 c = 1,
0 c1 = 2, cn = 2n (n ≥ 2) ♦

연습문제
연습문제 1.2.9
1.2.9
구면이 있다. 이 구면에 10개의 대원(구면의 가장 큰 원)을 그리는데, 어느 세 대원도 한
점에서 만나지 않는다. 그럼 이 10개의 대원이 구면을 최대 몇 개의 영역으로 나누는가?

풀이 이것은 구면 대신 평면에 10개의 원을 그릴 때의 영역의 수로 해도 마찬가지


문제가 된다. n개의 원을 그릴 때 나뉘는 영역의 최대 개수를 dn 이라 하자. n번째 원
을 그리면 먼저 그려진 n − 1 개의 원과 최대 각각 두 점씩 모두 2(n − 1)점에서 만나
고, 그럼 새로 그려진 원은 2(n − 1)개의 호로 나뉜다. 이 각각의 호가 원래 있던 하나
의 영역을 둘로 나누게 되므로, 호 하나마다 영역의 개수가 하나씩 늘어나게 된다. 따
라서, dn = 2(n − 1) + dn−1 . 즉,

dn = 2[(n − 1) + (n − 2) + · · · + 1] + d1 = n(n − 1) + 2 (n ≥ 1)

답은 a0 = 1, an = n2 − n + 2 (n ≥ 1) · · · 답 ♦

연습문제
연습문제 1.2.10
1.2.10
처음 던질 때 앞면이 나올 확률은 12 이지만, 일단 앞면이 나온 상황에서 바로 다음 번에 다
시 앞면이 나올 확률은 13 , 뒷면이 나온 상황에서 바로 다음 번에 앞면이 나올 확률은 12 인
동전이 있다. 이 동전을 10번 던졌을 때 10번 째에 앞면이 나올 확률은?

풀이 n번째에 앞면이 나올 확률을 pn 이라 하자. 그럼 n번째에 뒷면이 나올 확률은


1
1 − pn 이다. p1 = 2 이고, 이후부터는 재귀적으로 풀자. (n − 1)번째에 앞면이 나왔는
데 다시 앞면이 나올 확률은 13 pn−1 , (n − 1)번째에 뒷면이 나왔다가 앞면이 나올 확률
은 12 (1 − pn−1 ) 이므로,
1 1 1 1
pn = pn−1 + (1 − pn−1 ) = − pn−1
3 2 2 6
3
이것은 pn − 7 = − 16 (pn−1 − 37 ) 로 다시 정리할 수 있다. 즉, pn − 3
7 = − 16 (pn−1 −
3
7) = (− 16 )2 (pn−2 − 37 ) = · · · = (− 16 )n−1 (p1 − 37 ) = 1 1 n−1
14 (− 6 ) 이 된다. 따라서,
3 1 1
p10 = 7 − 14 · 69 ··· 답 ♦
206 논리와 절차

연습문제
연습문제 1.2.11
1.2.11

1, 2, 3의 세 숫자를 이용해 10자리 숫자를 만들려고 한다. 1과 2는 인접하여 배열할 수 없


다면 (즉, 1의 옆에는 1과 3만이, 2의 옆에는 2와 3만이 올 수 있다.) 10자리 숫자를 몇 개
나 만들 수 있을까?

풀이 이렇게 n자리수를 만드는 경우의 수를 an 이라 하자. n번째 숫자가 3인 경우는


그 앞에 어떤 배열이 와도 되므로 모두 an−1 가지이다. n번째 숫자가 2인 경우는 그 앞
에 2나 3만이 올 수 있고, n번째 숫자가 1인 경우는 그 앞에 1이나 3만이 올 수 있다.
이 두 경우를 모으면 (n − 1)번째 숫자로 1, 2, 3, 3이 오는 경우를 합해주면 되겠고, 따
라서, 1, 2, 3의 경우를 모은 합 an−1 에 3의 경우를 한 번 더 세어준 an−2 를 더하면 되
겠다. 즉, 점화식은

a1 = 3, a2 = 7, an = 2an−1 + an−2 (n ≥ 3)

이 된다. 이를 이용해

n 1 2 3 4 5 6 7 8 9 10
an 3 7 17 41 99 239 577 1393 3363 8119

로 차근차근 계산할 수 있으므로, a10 = 8119 · · · 답 ♦

연습문제
연습문제 1.2.12
1.2.12

다음 표의 각 열에서 수를 하나씩 뽑는데, 그렇게 뽑은 수들이 모두 다르게 하고 싶다.

1 2 ··· n−2 n−1


1 2 3 ··· n−1 n
2 3 4 ··· n

이렇게 뽑는 방법의 수를 bn 이라 할 때, bn+2 = bn+1 + bn 이 만족됨을 보여라.

증명 모두 n개의 열이 있고 수는 1부터 n까지 n가지뿐이므로, 1부터 n까지 모두 한


번씩 뽑아야 한다.

(1) 마지막 열에서 n을 뽑는다면 그 열의 n − 1과 그 앞 열의 n은 뽑을 수 없으므로 남


은 수는
1 2 ··· n−2
1 2 3 ··· n−1
2 3 4 ···
1.2 재귀와 점화식 207

이 되고 여기서 1부터 n − 1까지를 뽑아야 한다. 즉, 이것은 bn−1 가지가 된다.

(2) n째 열에서 n − 1을 뽑는 경우에는 남은 n이 하나뿐이므로 그것(그 앞 열의 것)을


뽑아야 한다. 그럼 마지막 열, 그 앞 열의 수는 이제 무시되고, 다시 n−2째 열의 n−1도
뽑을 수 없으므로 남은 것은

1 2 ··· n−3
1 2 3 ··· n−2
2 3 4 ···

에서 1부터 n − 2까지 뽑는 것이 된다. 즉, 이것은 bn−2 가지.

(1), (2)로부터, bn = bn−1 + bn−2 이다.

연습문제
연습문제 1.2.13
1.2.13

2 × n 크기의 놀이판을 2 × 1 크기의 도미노들로 가득 채우는 방법의 수가 피보나치 수열


로 나옴을 증명하여라.

증명 이런 방법의 수를 dn 이라 하자. 가장 왼쪽 위의 칸(O라 하자)을 까는 방법에 의


해 경우를 나눠보자. O를 세로 도미노로 깐다면 놀이판은 이제 2 × (n − 1) 크기가 남
았으므로 방법의 수는 dn−1 가지가 된다. O를 가로 도미노로 깐다면 그 아래에도 가로
도미노로 깔릴 수밖에 없고, 그럼 2 × (n − 2) 크기가 남았으므로 dn−2 가지가 된다. 즉,

d1 = 1, d2 = 2, dn = dn−1 + dn−2 (n ≥ 3)

이므로 피보나치 수열이다.


208 논리와 절차
제2장

정수의 성질

2.1 일차 잉여방정식

유제
유제 2.1.1
2.1.1
다음의 연립 잉여방정식을 풀어라.

x + 2y ≡ 0 (mod 3)

2x + y ≡ 0 (mod 3)

풀이 두 식을 빼면 x − y ≡ 0, 즉 x ≡ y (mod 3). 그리고, 이 때 원래의 두 식은 모두


3x ≡ 0 (mod 3) 으로 항상 성립하는 식이다. · · · 답 x ≡ y (mod 3) ♦

유제
유제 2.1.2
2.1.2
3x + 4y + 6z = 5 에서 x, y, z 의 정수해를 모두 구하여라.

풀이 동차식의 방법을 쓰자. 3x+4y+6z = 5 의 한 특수해는 (x0 , y0 , z0 ) = (1, −1, 1) 로


찾을 수 있고, 이제 동차식 3x +4y +6z = 0 의 일반해를 구하자. 3x 과 6z 이 모두 3의
배수이므로 4y 도 3의 배수, 즉 y 도 3의 배수여야 한다. y = 3t 라 하자. z = u 라 하면,
3x +12t+6u = 0, 즉 x = −4t−2u. 즉 동차식의 일반해는 (x , y , z ) = (−4t−2u, 3t, u).
그럼 원래 식의 일반해는

(x, y, z) = (x0 , y0 , z0 ) + (x , y , z ) = (1 − 4t − 2u, 3t − 1, u + 1), (t, u ∈ Z)

와 같다. ♦
210 정수의 성질

주 일반해를 표현하는 방법은 다른 방법도 많이 있을 수 있다.

연습문제
연습문제 2.1.1
2.1.1

다음 합동식을 풀어라.
(1) 7x ≡ 3 (mod 15)
(2) 12x ≡ 6 (mod 15)
(3) 5x ≡ 25 (mod 35)

풀이 (1) 잉여역수의 방법을 써보자. 7 · (−2) = −14 ≡ 1 (mod 15) 로 (−2)는 7의 잉


여역수. 따라서, 준식의 양변에 (−2)를 곱하면 x ≡ −6. · · · 답 x ≡ 9 (mod 15)

(2) 먼저 본문의 ‘합동식의 기약화’를 적용하여 계수를 소거하는 방법을 써보자. 양변


을 6으로 나누면 gcd(6, 15) = 3 이므로 2x ≡ 1 (mod 15/3 = 5). 우변에 5를 더하고 양
변을 다시 2로 나누면 · · · 답 x ≡ 3 (mod 5)

(3) 양변을 5로 나누면 바로 답이 된다. · · · 답 x ≡ 5 (mod 7) ♦

연습문제
연습문제 2.1.2
2.1.2

다음 연립 잉여방정식을 풀어라.

3x + 5y ≡ 1 (mod 12)
2x − 3y ≡ 3 (mod 12)

풀이 두 식에 각각 3배, 5배를 하여 더해서(y 가 소거됨) 식 하나를 얻고, 또 각각 2배,


3배를 하여 빼서(x가 소거됨) 또 하나의 식을 얻자.

19x ≡ 18 (mod 12), 19y ≡ −7 (mod 12)

간략히 하면
7x ≡ 6 (mod 12), 7y ≡ 5 (mod 12)

두 식의 계수가 모두 7로 통일되어 있으므로 이럴 때는 잉여역수의 방법이 유리하다.


7의 잉여역수는 7 자신이다. 따라서, 양변에 7을 곱하면

x ≡ 6 (mod 12), y ≡ −1 (mod 12)

그리고 이것을 원래의 식에 대입하면 모두 잘 만족함을 확인할 수 있다. ··· 답


(x, y) ≡ (6, −1) (mod 12) ♦
2.1 일차 잉여방정식 211

연습문제
연습문제 2.1.3
2.1.3

다음 식을 만족하는 해의 쌍 (a, b)를 하나씩 찾아라.


(1) 1845a + 984b = 123
(2) 1751a + 1377b = 51

풀이 (1) 계수들은 모두 123의 배수. 약분하면 15a + 8b = 1. 수가 작으니 호제법을


쓰지 않아도 해 하나 정도는 금방 찾을 것이다. (a, b) = (−1, 2) · · · 답

(2) 계수들의 최대공약수는 17. 이것으로 나누면 103a + 81b = 3. 호제법을 이용해 특
수해를 찾아보자.

22 = 103 − 81
103 81 1
81 7 = 4 · 22 − 81
4 22 81 1 = 22 − 3 · 7
88
22 7 3 이므로
21 1 = (103 − 81) − 3 · (4 · (103 − 81) − 81)
1
= (−11) · 103 + 14 · 81

여기에 3배를 하면 되므로 · · · 답 (a, b) = (−33, 42) ♦

연습문제
연습문제 2.1.4
2.1.4
527x + 3193y = 403 을 만족하는 정수 x, y 의 일반적인 해를 구하여라.

풀이 gcd(527, 3193, 403) = 31 이므로 우선 이것으로 나눠주면 17x + 103y = 13. 동


차식의 방법을 쓰기로 하고 먼저 특수해를 구하자. 잉여방정식 103y ≡ 13 (mod 17) 으
로 바꾸어 간략히하면 바로 y ≡ −4 (mod 17) 이 된다. y0 = −4 를 대입해 x를 구하면
x0 = 25. 즉, 특수해는 (x0 , y0 ) = (25, −4). 이제 동차식 17x + 103y = 0 의 일반해를
구하자. 17과 103은 서로 소이므로 (x , y ) = (103t, −17t) 이다. 따라서, 문제에서 구하
는 일반해는 (x, y) = (x0 , y0 ) + (x , y ) = (25 + 103t, −4 − 17t) · · · 답 ♦

연습문제
연습문제 2.1.5
2.1.5

본문의 정리 ‘합동식의 기약화’를 증명하여라. 즉, 다음을 증명하여라.


(1) ca ≡ cb (mod m) ⇐⇒ a ≡ b (mod m) (단, (c, m) = 1)
(2) da ≡ db (mod dm) ⇐⇒ a ≡ b (mod m)
(3) ea ≡ eb (mod m) ⇐⇒ a ≡ b (mod m/d) (d = (e, m))
212 정수의 성질

증명 (1) ca ≡ cb (mod m) ⇐⇒ m | ca − cb = c(a − b). 그런데 m은 c와 서로 소이


므로, ⇐⇒ m | a − b ⇐⇒ a ≡ b (mod m)

(2) da ≡ db (mod dm) ⇐⇒ dm | da − db = d(a − b) ⇐⇒ m | a − b ⇐⇒ a ≡ b (mod


m)

(3) 이것은 (1)과 (2)를 뭉뚱그려 적은 것과 같다. e = e d, m = m d, (m , e ) = 1 이라


하면, e da ≡ e db (mod m d) ⇐⇒ e a ≡ e b (mod m ) ⇐⇒ a ≡ b (mod m )

연습문제
연습문제 2.1.6
2.1.6

다음 합동식을 풀어라.
(1) 12378x ≡ 6 (mod 3054)
(2) 172x ≡ 1000 (mod 20)

풀이 (1) 12378x ≡ 6 (mod 3054) ⇐⇒ 2063x(≡ 27x) ≡ 1 (mod 509) ⇐⇒ 27x ≡ 510
(mod 509) ⇐⇒ 9x ≡ 170 ≡ −339 (mod 509) ⇐⇒ 3x ≡ −113 ≡ 396 (mod 509)
⇐⇒ x ≡ 132 (mod 509) · · · 답

(2) 172x(≡ 12x) ≡ 1000(≡ 0) (mod 20). gcd(12, 20) = 4, 20/4 = 5 이므로, ⇐⇒ x ≡ 0
(mod 5) · · · 답 ♦

연습문제
연습문제 2.1.7
2.1.7

 x + 2y + 3z = 4
연립부정방정식 의 정수해를 모두 구하여라.

2x − z = −1

풀이 두 번째 식 z = 2x + 1 을 첫 번째 식에 대입하면, 문제의 연립부정방정식은

7x + 2y = 1 (z = 2x + 1)

과 같다. 즉, 왼쪽의 7x + 2y = 1 만 풀면 거기서 얻은 x에 따라 z 는 정수로 그냥 나오게


되어 있다. 7x+2y = 1 의 특수해를 하나 구하면 (x0 , y0 ) = (1, −3). 7x +2y = 0 의 일반
해를 구하면 (x , y ) = (−2t, 7t). 따라서, 구하는 일반해는 (x, y) = (x0 , y0 ) + (x , y ) =
(−2t + 1, 7t − 3). · · · 답 (x, y, z) = (−2t + 1, 7t − 3, −4t + 3) ♦

연습문제
연습문제 2.1.8
2.1.8

 3x + 6y + z = 2
연립부정방정식 는 정수해를 갖지 않음을 증명하여라.

4x + 10y + 2z = 3
2.1 일차 잉여방정식 213

증명 (x, y, z)가 정수해라면, 두 번째 식에서 좌변이 짝수이고 우변은 홀수이다. 따


라서 모순.

연습문제
연습문제 2.1.9
2.1.9

본문에서 서술한 잉여 역수가 존재할 필요충분조건을 증명하여라. 즉, ax ≡ 1 (mod m)


의 해가 존재할 필요충분조건은 (a, m) = 1 임을 증명하여라.

증명 (⇒) ax ≡ 1 (mod m) 의 해가 존재한다고 하자. m | ax − 1 이므로 ax − 1 = mt,


즉 1 = ax − mt 를 만족하는 정수 t가 존재한다. g = gcd(a, m) 이라고 하면 g | a, g | m
이므로 g | ax − mt = 1. 따라서 g = 1.

(⇐) a와 m이 서로 소라고 하자. 그럼 유클리드 호제법으로 ax + my = 1 이 되는 정수


x, y 를 구할 수 있다. 그럼 ax ≡ 1 (mod m) 이다.

(⇐)의 별해 a와 m이 서로 소라고 하자. 그리고 m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 중에


서 m과 서로 소인 것들을 모아 M = {m1 , m2 , . . . , mk } 라 하자. 당연히 1 ∈ M 이다.
aM = {am1 , am2 , . . . , amk } 들도 여전히 m과 서로 소이다. 이 ami 들을 m으로 나눈
나머지를 ri 라 하면 유클리드 호제법의 원리에 의해 (ami , m) = (m, ri ). 즉 (m, ri ) = 1
이고 ri ∈ M 이다. 또한 ri 들은 모두 다를 수 밖에 없다. 왜냐하면, 만일 ri = rj 라 하
면 ami ≡ amj (mod m), 즉 mi ≡ mj (mod m) 으로 mi 와 mj 는 같아야 하기 때문이
다. 따라서, {r1 , . . . , rk } = M . 따라서, ri = 1 인 것이 있고, 그럼 ami ≡ 1 (mod m).

연습문제
연습문제 2.1.10
2.1.10

(mod m)에서 합동인 두 수의 잉여 역수는 또한 같음을 증명하여라. 즉, a와 b가 각각 m과


서로 소이고 a ≡ b (mod m) 일 때 a∗ ≡ b∗ (mod m) 임을 보여라.

증명 ab∗ ≡ bb∗ ≡ 1, ba∗ ≡ aa∗ ≡ 1 (mod m) 이다. 따라서,

a∗ ≡ a∗ · 1 ≡ a∗ (ab∗ ) ≡ (a∗ a)b∗ ≡ 1 · b∗ ≡ b∗ (mod m)

로 원하는 바를 확인할 수 있다.

주 이것은 관점을 바꿔보면, 어떤 수의 잉여 역수가 mod m으로 유일하게 존재한다


는 증명이기도 하다.
214 정수의 성질

연습문제
연습문제 2.1.11
2.1.11
a, b, c, d가 주어진 정수일 때, 부정방정식

ax + by + cz = d

가 정수해를 가질 동치조건은 gcd(a, b, c) | d 임을 보여라.

증명 g = gcd(a, b, c) 라 하자.

(⇒) 먼저, 위의 식이 정수해를 가진다면, g | a, g | b, g | c 이므로 g | ax + by + cz. 즉


g | d.

(⇐) g | d, 즉 d = gr 이라 하자. g = gcd(a, b) 라 하면 gcd(a, b, c) = gcd(g , c) = g. 그


럼 유클리드 호제법으로 g = ap + bq, g = g u + cv 인 정수 p, q 와 u, v 를 구할 수 있
다. 그럼 g = apu + bqu + cv. 양변에 r을 곱하면, 즉 (x, y, z) = (pur, qur, vr) 로 두면
ax + by + cz = d 가 된다.

연습문제
연습문제 2.1.12
2.1.12
x + 2y + 5z + 9w = 5 에서 x, y, z, w의 정수해를 모두 구하여라.

풀이 x의 계수가 1이므로 y, z, w에 어떤 정수를 넣든 x를 계산하면 정수가 나온다.


즉, · · · 답 (x, y, z, w) = (5 − 2t − 5u − 9v, t, u, v) (t, u, v 는 임의의 정수) ♦

연습문제
연습문제 2.1.13
2.1.13
스미스씨는 스케이트장을 운영하는데, 어른에게는 1100원을 어린이에게는 700원을 요금
으로 받는다. 어느날 밤에 그 날의 수입을 정산했더니 모두 65700원이 되었다. 이 날 스케
이트장을 찾은 손님은 최소 몇 명인가?

풀이 이 날의 손님 중 어른은 x명, 어린이는 y 명이었다고 하자. 그럼 요금을 모두


100씩 나누어 생각하면,

11x + 7y = 657, (x, y ∈ Z, x, y ≥ 0)

일 때 x + y 의 최소값을 구하는 문제가 된다. x, y ≥ 0 은 일단 무시하고 11x + 7y = 657


의 일반적인 정수해를 동차식의 방법으로 구하면(과정 생략)

(x, y) = (5, 86) + (7t, −11t) = (7t + 5, −11t + 86), (t ∈ Z)

x, y ≥ 0 에 의해 t의 범위를 구하면, 7t + 5 ≥ 0 에서 t ≥ 0, 그리고 −11t + 86 ≥ 0 에서


t ≤ 7. 따라서, 0 ≤ t ≤ 7 이다. x + y = −4t + 91 이므로 t = 7 일 때 최소값을 갖는다.
· · · 답 63 ♦
2.2 중국의 나머지정리 215

2.2 중국의 나머지정리

유제
유제 2.2.1
2.2.1
해적들이 금화를 나누는데, 다섯 명, 네 명일 때 각각 1, 2닢이 남았고 세 명이 되었을 때
비로소 정확히 금화를 똑같이 나눌 수 있었다고 하자. 금화는 모두 100닢이 좀 넘는 정도
였다면, 금화는 정확히 몇 닢이었을까?

풀이 여러 방법으로 풀 수 있고, 60k + 6 꼴로 답이 나왔으면 맞다. · · · 답 126닢 ♦

유제
유제 2.2.2
2.2.2
연립 잉여방정식 x ≡ 1 (mod 3), x ≡ 2 (mod 4), x ≡ 3 (mod 5) x ≡ 4 (mod 6) 을 풀어라.

풀이 3, 4, 5, 6은 서로 소인 수들이 아니므로, 먼저 서로 소인 수들에 의한 연립 잉


여방정식으로 분해하자. x ≡ 4 (mod 6) 은 x ≡ 1 (mod 3) 과 x ≡ 0 (mod 2) 로 분해된
다. 전자의 식은 이미 있는 것이고, 후자의 식은 x ≡ 2 (mod 4) 안에 포함되므로 생략
될 수 있다. 즉, x ≡ 1 (mod 3), x ≡ 2 (mod 4), x ≡ 3 (mod 5) 만을 풀면 된다.
중국의 나머지 정리를 이용해 풀자. m1 = 3, m2 = 4, m3 = 5; M1 = 20, M2 = 15,
M3 = 12; a1 = 1, a2 = 2, a3 = 3, 그리고 M = 60 으로 두자.

P1 = M1 A1 = 20A1 ≡ 1 (mod 3)

P2 = M2 A2 = 15A2 ≡ 1 (mod 4)

P3 = M3 A3 = 12A3 ≡ 1 (mod 5)

인 A1 , A2 , A3 을 찾으면 A1 = −1, A2 = −1, A3 = 3 이다. 그럼 x ≡ a1 P1 + a2 P2 + a3 P3


(mod M ) 이 구하는 답이 되므로,

x ≡ 1 · (−20) + 2 · (−15) + 3 · 36 = 58 (mod 60)

· · · 답 x ≡ 58 (mod 60) ♦

별해 x ≡ −2 (mod 3, 4, 5, 6) 으로 볼 수 있다. 즉 x는 3, 4, 5, 6의 최소공배수인 60으


로 나누어 2가 모자라면 된다. 그래서 x ≡ −2 (mod 60). ♦

유제
유제 2.2.3
2.2.3
임의의 자연수 k 에 대하여, 다음 성질을 만족시키는 k 개의 연속된 자연수의 열 a1 , a2 , . . . ,
ak 가 무한히 많음을 보여라.
“각각의 i (1 ≤ i ≤ k)에 대하여 (pi )i | ai 인 소수 pi 가 존재한다.”
216 정수의 성질

증명 서로 다른 소수 p1 , p2 , . . . , pk 를 아무렇게나 잡고, 연립 잉여방정식

x ≡ 0 (mod p1 )

x + 1 ≡ 0 (mod p22 )
..
.

x + (k − 1) ≡ 0 (mod pkk )

를 생각하자. p1 , p22 , . . . , pkk 도 모두 서로 소이므로, 중국의 나머지 정리에 의해 이 연


립 잉여방정식은 무한히 많은 정수해를 갖고 그 중에는 자연수인 x도 무한히 많다.
x, x + 1, . . . , x + (k − 1) 은 문제의 조건을 만족하는 k 개의 연속된 자연수가 된다.

연습문제
연습문제 2.2.1
2.2.1

다음 연립 잉여방정식을 풀어라.


 2x ≡ 1 (mod 5)


3x ≡ 3 (mod 7)



 4x ≡ 5 (mod 9)

풀이 각각 x의 계수를 1로 옮겨주면 다음과 같다.

x ≡ 3 (mod 5)

x ≡ 1 (mod 7)

x ≡ −1 (mod 9)

이것은 또 x ≡ 8 (mod 5, 7, 9) 로 볼 수도 있으므로, x ≡ 8 (mod 315) · · · 답 ♦

연습문제
연습문제 2.2.2
2.2.2

지혜네 학교의 정원은 4000명 정도이다. 어느날 조회 때 교장선생님이 17명씩 세니까 3명


이 남았다. 또 16명씩 세니까 10명이 남았다. 또 15명씩 세니까 딱 나누어졌다. 지혜네 학
교 학생은 몇 명인가?

풀이 연립 잉여방정식으로 표현해보자.

x ≡ 3 (mod 17)

x ≡ 10 (mod 16)

x ≡ 0 (mod 15)
2.3 수론의 실전 217

좀더 간단히 풀기 위해 x = 15y 를 대입해 다시 정리하면

y ≡ 7 (mod 17)

y ≡ 6 (mod 16)

이것은 y ≡ −10 (mod 17, 16) 으로 볼 수도 있으므로, y ≡ −10 (mod 272). 따라서,
x ≡ −150 (mod 4080) 이고 가장 적합한 답은 3930명 · · · 답 ♦

연습문제
연습문제 2.2.3
2.2.3

훈영이네 반 체육시간에 선생님께서 학생들을 3열 종대로 모이게 하고 뒤로 번호를 시켰


더니 마지막이 2결이었다. 다시 4열 종대로 모이게 하고 뒤로 번호를 시켰더니 역시 마지
막이 2결이었다. 또 5열 종대로 모이게 해도 역시 2결이었다. 훈영이네 반은 원래 학생수
가 60명이다. 그럼 이 날 체육시간에 결석한 학생은 몇 명인가?

풀이 x ≡ −2 (mod 3, 4, 5) 이므로 x ≡ −2 (mod 60). 즉, 결석자는 2명 · · · 답 ♦

연습문제
연습문제 2.2.4
2.2.4

중국의 나머지정리를 이용해 잉여방정식 x2 ≡ 1 (mod 56) 을 풀어라.

풀이 x2 ≡ 1 (mod 7, 8) 로 분해하자. x2 ≡ 1 (mod 8) 은 x ≡ 1 (mod 2) 와 동치이


다. (x + 1)(x − 1) ≡ 1 (mod 7) 은 7 | (x + 1)(x − 1) 을 의미하므로, 7 | (x + 1) 또는
7 | (x − 1), 즉 x ≡ ±1 (mod 7) 이다. 그럼 다음 두 잉여 연립방정식의 해를 모두 모으
면 된다.  
 x ≡ 1 (mod 2)  x ≡ 1 (mod 2)
 
x ≡ 1 (mod 7) x ≡ −1 (mod 7)

중국의 나머지정리를 이용해보자.

P1 = 7A1 ≡ 1 (mod 2)

P2 = 2A2 ≡ 1 (mod 7)

이것을 풀면 P1 = 7, P2 = 8 이면 되겠다. 이제 원래의 두 연립 잉여방정식의 우변값


a1 , a2 를 x ≡ a1 P2 + a2 P2 (mod 14) 에 대입해 답을 구하면, x ≡ 15, −1 (mod 14). 즉
x ≡ ±1 (mod 14) · · · 답 ♦

2.3 수론의 실전
218 정수의 성질

유제
유제 2.3.1
2.3.1

이차방정식 x2 + (m + 1)x + 2m − 1 = 0 의 두 개의 근이 정수가 되기 위한 정수 m의 값


을 정하여라.

풀이 두 근을 a, b라 하면 (x − a)(x − b) = 0 과 문제의 이차방정식이 같아야 한다.


전개해서 계수를 비교하면 m + 1 = −(a + b), 2m − 1 = ab. 뒷식에서 앞식의 2배를 빼
서 m을 소거하면 −3 = ab + 2a + 2b, 즉

(a + 2)(b + 2) = 1

이다. (a + 2, b + 2) = (1, 1) 혹은 (−1, −1)이고, 그럼 (a, b) = (−1, −1) 혹은 (−3, −3).


즉, m = −(a + b + 1) = 1 혹은 5 · · · 답 ♦

유제
유제 2.3.2
2.3.2
a2 + b2 + c2 + d2 = 2abcd 의 양의 정수해가 없음을 보여라.

증명 우변이 짝수이므로 좌변에서 a, b, c, d 중 홀수는 짝수 개이다. 만일 넷 모두 홀


수이면 mod 4로 좌변은 1 + 1 + 1 + 1 ≡ 0, 우변은 2이므로 모순. 넷 중 둘이 홀수 이
면 mod 4로 좌변은 2, 우변은 0이므로 역시 모순. 따라서, a, b, c, d는 모두 짝수이다.
a, b, c, d가 모두 양의 정수이므로 이들을 소인수분해했을 때의 2의 지수가 가장 작은
것이 있다. 즉, a = 2m A, b = 2m B, c = 2m C, d = 2m D 이고 A, B, C, D 중에 홀수가
있도록 하는 m ≥ 0 이 존재한다. 앞에서 a, b, c, d가 모두 짝수임을 보였으므로 실은
m ≥ 1. 이제 이를 대입하여 양변을 22m 으로 나누면

A2 + B 2 + C 2 + D2 = 22m+1 ABCD

가 된다. 우변이 8의 배수이므로 좌변도 8의 배수. 홀수의 제곱수는 8로 나눈 나머지


가 1이므로 좌변을 mod 8로 생각하면 A, B, C, D가 모두 짝수라고 나오고, 이것은 모
순. 따라서, 양의 정수해는 없다.

연습문제
연습문제 2.3.1
2.3.1
17p + 1 이 완전제곱수가 되는 소수 p를 모두 구하여라.

풀이 17p + 1 = n2 이라고 두면 17p = (n + 1)(n − 1). n − 1 > 1 임은 쉽게 알 수 있


고, 좌변 17p에는 소인수가 둘 뿐이므로 우변의 (n + 1)과 (n − 1)도 모두 소수라야 한
다. 즉, (n + 1, n − 1) = (17, p) 혹은 (p, 17). 각각 풀면 (n, p) = (16, 15) 혹은 (18, 19) 이
고, 이 중에 적합한 것은 p = 19 · · · 답 ♦
2.3 수론의 실전 219

연습문제
연습문제 2.3.2
2.3.2

앞의 세자리와 뒤의 세자리를 맞바꾸면 6배로 증가하는 여섯 자리수를 구하여라.

풀이 앞의 세자리를 A, 뒤의 세자리를 B 라 하자. 그럼 1000B + A = 6(1000A + B),


즉, 994B = 5999A 이면 된다. 양변을 7로 나누면 142B = 857A. 여기서 857은 소수이
므로 857 | B, 즉 세자리 수이려면 B = 857 이다. 그럼 A = 142. · · · 답 142857 ♦

연습문제
연습문제 2.3.3
2.3.3
6 | a + b + c 와 6 | a3 + b3 + c3 이 동치임을 보여라.

증명 n3 − n = (n − 1)n(n + 1) 로 연속한 세 정수의 곱이므로 6의 배수이다. 따라서,


임의의 정수 n에 대해 n3 ≡ n (mod 6). 즉, a3 + b3 + c3 ≡ a + b + c (mod 6) 이므로 문
제가 성립한다.

연습문제
연습문제 2.3.4
2.3.4

다음은 홀수와 이진법의 수의 대응을 나타낸 것이다. 이 때, x로 적당한 수는?


1 3 5 7 ··· x ···
11(2) 1000(2) 1101(2) 10010(2) ··· 110101(2) ···

풀이 2진법의 수를 10진법으로 고쳐쓰면 3, 8, 13, . . . , 53, . . . 와 같다. 즉, 문제의 대


응은 홀수 2n − 1 와 5n − 2 를 대응시키는 것이다. 53은 5n − 2의 n이 11일 때이고, 따
라서 이에 대응되는 홀수는 2n − 1 = 21 · · · 답 ♦

연습문제
연습문제 2.3.5
2.3.5

어떤 네 자리수 N 은 완전제곱수이고 각 자리수가 7보다 작다고 한다. 그리고 각 자리수를


3씩 증가시킨 수도 다시 완전제곱수가 된다고 한다. N 은 얼마인가?

풀이 완전제곱수 N 을 n2 으로 두고 여기서 커진 완전제곱수를 m2 으로 두자. 그럼


n2 + 3333 = m2 . 1000 ≤ n2 ≤ 6666 이고 4333 ≤ m2 ≤ 9999 이므로 32 ≤ n ≤ 81,
66 ≤ m ≤ 99. 즉,

(m + n)(m − n) = 3333, 98 ≤ m + n ≤ 180

3333 = 3· 11· 101 로 소인수분해되고, 3333의 약수 중 98과 180 사이에 있는 것은 101뿐


이다. 즉, m + n = 101, m − n = 33. 그럼 n = 34 이고, N = n2 = 1156 · · · 답 ♦
220 정수의 성질

연습문제
연습문제 2.3.6
2.3.6

m이 임의의 양의 정수일 때, m + n + 1 이 완전제곱수이고 mn + 1 이 완전세제곱수인 양


의 정수 n을 항상 찾을 수 있음을 보여라.

증명 n = m2 + 3m + 3 으로 두면 그만이다. 그럼

m + n + 1 = (m + 2)2 , mn + 1 = (m + 1)3

이 된다.

연습문제
연습문제 2.3.7
2.3.7

임의의 자연수 n에 대해 다음 식이 1897로 나누어짐을 보여라.

A = 2903n − 803n − 464n + 261n

증명 (1) 1897 = 7 · 271이다. A를 7과 271로 나눈 나머지를 각각 생각한다.


(2) (a − b) | an − bn 임을 이용한다.

연습문제
연습문제 2.3.8
2.3.8

(1999년 호주 수학올림피아드) 한 농부가 그의 세 아들에게 각각 x1 , y1 , z1 의 말을 상속한다


는 유언을 남기고 죽었다. 하지만 그가 가진 말은 (xyz − 1)마리로 x, y, z 등의 배수가 아
니었다. 아들들은 이웃으로부터 말을 한 마리 빌려와서 유언에 따라 말을 잘 분배하였고,
남은 말 한 마리를 그 이웃에게 돌려주었다. 이 농부의 말은 모두 몇 마리였을까?

풀이 한 마리 빌려오면 xyz 마리, 이를 각각 yz, zx, xy 로 분배하고 1마리가 남으므



1 1 1 1
xyz = yz + zx + xy + 1, 즉 1= + + +
x y z xyz
이다. x ≤ y ≤ z 라 해도 일반성을 잃지 않는다. x = 1 이면 우변이 크므로 x ≥ 2.
1 1 1 1
x ≥ y ≥ z > xyz 이므로,

1 1 1 1 1 1 1 1 4
1= + + + < + + + =
x y z xyz x x x x x

고로 x < 4. 즉 x = 2 or 3. 만일 x = 3 이면

2 1 1 1 1 1 1 7
= + + < + + =
3 y z 3yz y y 3y 3y
2.3 수론의 실전 221

1 1 1 10 10
고로 2y < 7, 즉 y = 3. 이 때 3 = z + 9z = 9z , z= 3 으로 모순. 따라서 x = 2.
1 1 1 1
= + + =⇒ yz = 2z + 2y + 1 =⇒ (y − 2)(z − 2) = 5
2 y z 2yz
이를 만족하는 해는 (y − 2, z − 2) = (1, 5), 즉 (x, y, z) = (2, 3, 7) 뿐이다. 그럼 답은
xyz − 1 = 41마리. ♦

연습문제
연습문제 2.3.9
2.3.9
방정식 x3 + 2y 3 + 4z 3 + 8xyz = 0 의 정수해를 모두 구하여라.

풀이 f (x, y, z) = x3 + 2y 3 + 4z 3 + 8xyz 라 하자. f (x) = 0 이면 나머지항들이 짝수


이므로 x3 도 짝수. 따라서 x는 짝수. x = 2x1 이라 하면

f (x, y, z) = 8x31 + 2y 3 + 4z 3 + 16x1 yz = 2(y 3 + 2z 3 + 4x31 + 8yzx1 ) = 2f (y, z, x1 )

즉,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0 = f (x, y, z) = f (y, z, x1 ) = f (z, x1 , y1 ) = f (x1 , y1 , z1 ),

(x, y, z) = 2(x1 , y1 , z1 )

그러므로 임의의 자연수 n에 대해 (x, y, z) = 2n (xn , yn , zn ) 인 정수 xn , yn , zn 이 존재


해야 하고, 0이 아닌 수는 소인수분해에서 2의 지수가 언제나 유한한 값을 가지므로
이를 만족하는 해는 (0, 0, 0)뿐이다. ♦

연습문제
연습문제 2.3.10
2.3.10
적당한 양의 정수 a에 대하여 다음의 세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음이 아닌 정수들의 순
서쌍 (x1 , x2 , . . . , x2002 ) 를 모두 구하여라.
(1) x1 ≥ x2 ≥ · · · ≥ x2002 ≥ 0
(2) 0 < x1 + x2 + · · · + x2002 ≤ a
(3) x21 + x22 + · · · + x22002 + 32 = a2

풀이 (3)에서 a > 3. 만일 a = 4 이면 x1 + · · · + xn ≤ 4, x21 + · · · + x2n = 7 이고 만족


하는 해는 없다. a = 5 이면 x1 + · · · + xn ≤ 5, x21 + · · · + x2n = 16 이고 만족하는 해는
(4, 0, . . . , 0)뿐이다. 이제 a ≥ 6 일 때를 보자. (3)에서 x1 < a 이고, 그럼 1 ≤ x1 ≤ a − 1
이므로

a2 − 9 = x21 + x22 + · · · + x2n ≤ x21 + (x2 + · · · + xn )2

≤ x21 + (a − x1 )2 ≤ (a − 1)2 + 1

정리하면, 2a ≤ 11, 즉 a ≤ 5 로 모순이다. 따라서, 답은 (4, 0, . . . , 0)이 유일하다. ♦


222 정수의 성질

연습문제
연습문제 2.3.11
2.3.11

a2 + b2 = c2 일 때, gcd(a, b, c) = 1 인 것과 a, b, c가 둘씩 모두 서로 소인 것이 동치임을
증명하여라.

증명 a, b, c 셋 중 어느 둘이 서로 소이면 gcd(a, b, c) = 1 인 것은 자명하다. 따라


서, gcd(a, b, c) = 1 이면 gcd(a, b) = gcd(b, c) = gcd(c, a) = 1 인 것만 보이면 되겠다.
a와 b의 공통소인수 p가 있다고 해보자. p2 | a2 , p2 | b2 이므로 p2 | a2 + b2 = c2 , 즉
p | c 가 된다. 그럼 p는 a, b, c의 공통소인수이므로 gcd(a, b, c) = 1 에 모순이다. 즉,
gcd(a, b) = 1 이다. 나머지 gcd(b, c) = gcd(c, a) = 1 도 비슷하게 확인된다.

연습문제
연습문제 2.3.12
2.3.12

a, b가 둘다 홀수이고 gcd(a, b) = 1 이면 gcd( a+b a−b


2 , 2 ) = 1 임을 증명하여라.

증명 a+b a−b a+b a−b


귀류법으로, 만일 d > 1가 2 와 2 의 공약수라면 d | 2 , d| 2 이므로

a+b a−b a+b a−b


d| + = a, d| − =b
2 2 2 2

따라서 d는 a와 b의 공약수이기도 하다. 그럼 gcd(a, b) = 1 에 모순. 증명 끝.

연습문제
연습문제 2.3.13
2.3.13

ab = c2 이고 a와 b가 서로 소이면 a, b 모두 제곱수임을 증명하여라.

증명 c2 의 소인수분해를 생각하면 각 소인수의 지수가 짝수이다. 만일 a가 제곱수가


아니라면 그 소인수분해에서 지수가 홀수인 소인수 p가 있다. 즉, ab = c2 에서 양변의
p의 지수가 같으려면 b도 홀수 지수의 소인수 p를 가져야 한다. 그럼 p는 a와 b의 공약
수이므로 서로 소임에 모순. 따라서 a는 제곱수이고, 그럼 b도 제곱수이다.

연습문제
연습문제 2.3.14
2.3.14

gcd(a, b, c) = 1, a2 + b2 = c2 이고 a만 짝수일 때, b2 = c2 − a2 으로 넘겨

b2 = (c + a)(c − a)

로 풀면 (c + a), (c − a) 모두 완전제곱수임을 보여라.


2.3 수론의 실전 223

증명 바로 앞의 연습문제 2.3.13에 의하면, (c + a)와 (c − a)가 서로 소임만 보이면 되


겠다. 만일 p | (c+a), p | (c−a) 이면 p | (c+a)+(c−a) = 2c, p | (c+a)−(c−a) = 2a 이므
로 p | gcd(2a, 2c) 이다. 연습문제 2.3.11에 의해 a와 c가 서로 소이므로 gcd(2a, 2c) = 2,
즉 p | 2. 따라서, p = 1 혹은 p = 2 이다. 만일 p = 2 이면 p | (c + a) 에서 (c + a)가 홀
수이므로 모순. 따라서, p = 1 일 수밖에 없고, 이것은 (c + a)와 (c − a)에 공통소인수
가 없다는 것이므로 서로 소가 된다.

연습문제
연습문제 2.3.15
2.3.15

위 문제에서 c + a = u2 , c − a = v 2 으로 하여 원시해 (a, b, c)를 정리하여라. 그리고, 이것


과 앞의 정리에서 구한 결과가 동치임을 보여라.

증명 c + a = u2 , c − a = v 2 을 연립해서 풀면

u2 − v 2 u2 + v 2
a= , b = uv, c=
2 2

가 된다. a, b, c 중 a만 짝수이므로 (c + a)와 (c − a)는 홀수. 즉, u, v 모두 홀수이다.


u+v u−v
그럼 m = 2 , n= 2 모두 정수가 되고, 위의 식을 이것으로 치환하면

a = 2mn, b = m2 − n2 , c = m2 + n2

으로 앞의 정리에서 구한 결과와 같다.


역으로, u = m + n, v = m − n 으로 두면 이 과정을 거꾸로 갈 수도 있다. 따라서, 두
결과는 동치이다.
224 정수의 성질
제3장

방정식과 부등식

3.1 n!의 소인수분해

유제
유제 3.1.1
3.1.1

3042!을 8진법으로 표현하였을 때 마지막에 연속되는 0의 개수는 몇 개인가?

풀이 3042! = k · 8n (8 k) 인 n의 값을 구하는 것이다. 8 = 23 이므로 이것은 3042!의


소인수분해 중 2의 지수 e를 구하면 알 수 있겠다.

3042 3042 3042


e= + + + ···
2 4 8
= 1521 + 760 + 380 + 190 + 95 + 47 + 23 + 11 + 5 + 2 + 1

= 3035

e
따라서, n = = 1011개 · · · 답 ♦
3

유제
유제 3.1.2
3.1.2
x x x x x
+ + + + ··· + + · · · = 2002 의 정수해를 구하여라.
1! 2! 3! 4! 1001!
x x x
풀이 ≤ 2002 이므로 x ≤ 2002 이고, 7! = 5040 > 2002 이므로 , , ...
1! 7! 8!
들은 모두 0이다. 이제

x = a6 · 6! + a5 · 5! + a4 · 4! + a3 · 3! + a2 · 2! + a1
226 방정식과 부등식

라 하자. 단, 0 ≤ ai ≤ i (i = 1, 2, . . . , 7). 이것을 문제의 방정식에 대입하면


6! 6! 6! 5! 5! 5!
+ + ··· + a6 + + + ··· + a5 + · · · + a1 = 2002
1! 2! 6! 1! 2! 5!

즉,
1237a6 + 206a5 + 41a4 + 10a3 + 3a2 + a1 = 2002

이다. 여기서 a6 = 0 또는 1.

(1) a6 = 0일 경우: 206a5 + 41a4 + 10a3 + 3a2 + a1 ≤ (206 + 41 + 10 + 3 + 1) · 5 < 2002


로 해가 없음.

(2) a6 = 1일 경우: 206a5 + 41a4 + 10a3 + 3a2 + a1 = 765 를 풀면 된다. 41a4 + 10a3 +
3a2 + a1 ≤ 41 · 4 + 10 · 3 + 3 · 2 + 1 = 201 이므로, 564 ≤ 206a5 ≤ 765 여야 한다.
따라서 a5 = 3. 남은 식은 41a4 + 10a3 + 3a2 + a1 = 147. 10a3 + 3a2 + a1 ≤ 37 이
므로 a4 = 3 이고 다시 10a3 + 3a2 + a1 = 24. 계속하여 a3 = 2, a2 = 1, a1 = 1 이
얻어진다.

따라서, 방정식의 해는 x = 1 · 6! + 3 · 5! + 3 · 4! + 2 · 3! + 1 · 2! + 1 = 1167 이다. ♦

연습문제
연습문제 3.1.1
3.1.1
2000!을 십진법으로 표현할 때 끝부분에 0이 몇 개나 있는가?

풀이 10 = 2 · 5 이므로 2000!을 소인수분해할 때 2의 지수와 5의 지수 중 작은 것을


택하면 그것이 0의 개수가 된다. 그리고, [ 2nk ] ≥ [ 5nk ] 이므로 5의 지수가 더 작다.
2000 2000 2000
p= + + + · · · = 400 + 80 + 16 + 3
5 52 53

· · · 답 499개 ♦

연습문제
연습문제 3.1.2
3.1.2
100!을 12진수로 나타낼 때, 뒤에 달린 0은 몇 개인가?

풀이 12 = 22 · 3 이다. 따라서, 100! = k · 12n 에서 n의 최대값은 100!을 인수분해해


p
서 얻은 2의 지수 p와 3의 지수 q 에 대해 [ 2 ]와 q 중에 작은 것이 된다.
100 100 100
p= + 2
+ + · · · = 50 + 25 + 12 + 6 + 3 + 1 = 97
2 2 23
100 100 100
q= + 2
+ + · · · = 33 + 11 + 2 = 46
3 3 33

[ p2 ] = 48 로 q = 46 보다 크므로, · · · 답 46개 ♦
3.1 n!의 소인수분해 227

연습문제
연습문제 3.1.3
3.1.3
(a + b)!
이 자연수임을 증명하여라. 단, a, b는 음이 아닌 정수들이다.
a! b!

증명 임의의 소수 p에 대해, (a + b)!과 a! b!을 각각 소인수분해했을 때, (a + b)!의 p의


지수 qp 가 항상 a! b!의 p의 지수 rp 보다 더 크거나 같다는 것을 확인하면 된다.
a+b a+b a+b
qp = + 2
+ + ···
p p p3
a b a b a b
≥ + + 2
+ 2 + 3
+ 3 + ···
p p p p p p
a a a b b b
= + 2 + 3 + ··· + + 2 + 3 + ···
p p p p p p
= rp

따라서, 증명이 되었다.

연습문제
연습문제 3.1.4
3.1.4

다음과 같은 수열이 있다.


12 22 20002
, , ··· ,
2000 2000 2000

이 수들을 모두 모아 집합을 만들 때 이 집합의 원소의 개수는?

12 10002
풀이 부터 까지는 이웃한 두 항의 차가 최대
2000 2000
10002 9992 1999
− = <1
2000 2000 2000
12 10002
로 1보다 작다. 따라서, = 0 부터 = 500 까지는 501개의 정수가 하나
2000 2000
10002 20002
도 빠짐없이 나열된다. 한편, 부터 까지는 이웃한 두 항의 차가 최소
2000 2000
10012 10002 2001
− = >1
2000 2000 2000
10002 20002
로 1보다 크다. 따라서, = 500 부터 = 2000 까지의 모든 수가 다 서
2000 2000
로 다른 정수이다. 즉 1000개의 새로운 수들이 나열된다. · · · 답 1501개 ♦

연습문제
연습문제 3.1.5
3.1.5
x x x x
+ + + = 2000 의 정수해를 모두 구하여라.
1! 2! 3! 4!
228 방정식과 부등식

풀이 x = a4 · 4! + a3 · 3! + a2 · 2! + a1 이라 하자. 단, i = 1, 2, 3 에 대해 0 ≤ ai ≤ i 이
고 a4 ≥ 0 이다. 그럼
4! 4! 4! 4! 3! 3! 3! 2! 2! 1!
(준식) = + + + a4 + + + a3 + + a2 + a1
1! 2! 3! 4! 1! 2! 3! 1! 2! 1!
= 41a4 + 10a3 + 3a2 + a1 = 2000

10a3 + 3a2 + a1 ≤ 10 · 3 + 3 · 2 + 1 = 37, 3a2 + a1 ≤ 7, a1 ≤ 1 임을 기억해두자. 이로


부터 1963 ≤ 41a4 ≤ 2000 이므로 a4 = 48, 10a3 + 3a2 + a1 = 32. 다시 25 ≤ 10a3 ≤ 32
이므로 a3 = 3, 3a2 + a1 = 2. 그럼 1 ≤ 3a2 ≤ 2 가 되는데, 이것을 만족하는 a2 는 고를
수 없어 모순. 따라서, · · · 답 해는 없다 ♦

주 위의 식은 증가하는 함수이고, x = 1171일 때와 1172일 때 각각 위의 식의 값이


1999, 2001이 된다. 이것만으로도 해가 없다는 증명은 완료된다.

연습문제
연습문제 3.1.6
3.1.6
2100 | n!을 만족하는 n의 최소값을 구하여라.

풀이 n이 홀수일 때는 그보다 하나 작은 짝수일 때와 2의 지수가 같으므로, n의 최


소값을 구할 때에는 n이 짝수일 때만 보면 된다. n!을 소인수분해했을 때의 2의 지수
f (2, n)은
n n n
f (2, n) = + 2 + 3 + ···
2 2 2
n n n 1 1 1
≤ + 2 + 3 + ··· = n + + 3 + ··· =n
2 2 2 2 22 2

우리는 f (2, n) = 100 이 되기를 원하므로, n = 2m ≥ 100 이다. f (2, 2m)은 증가함수이
므로 100부터 차근차근 찾아보면

f (2, 100) = 50 + 25 + 12 + 6 + 3 + 1 = 97

f (2, 102) = 51 + 25 + 12 + 6 + 3 + 1 = 98

f (2, 104) = 52 + 26 + 13 + 6 + 3 + 1 = 100

· · · 답 104 ♦

연습문제
연습문제 3.1.7
3.1.7
(2m)! (2n)!
이 정수임을 보여라.
m! n! (m + n)!
3.1 n!의 소인수분해 229

풀이 임의의 소수 p에 대해, 분자와 분모를 각각 소인수분해했을 때, 분자의 p의 지


수가 분모의 p의 지수보다 항상 더 크거나 같다는 것을 확인하면 된다.

f (p, 분자) = f (p, (2m)!) + f (p, (2n)!)

f (p, 분모) = f (p, m!) + f (p, n!) + f (p, (m + n)!)

이고, f (p, n) = [ np ] + [ pn2 ] + [ pn3 ] + · · · 이므로, 일반적으로 임의의 자연수 k ≥ 1에 대해

2m 2m m n m+n
+ ≥ k + k +
pk pk p p pk

의 부등식이 성립한다는 것만 확인하면 충분하다. 그리고, 또 이것은 임의의 실수 x,


y 에 대해
[2x] + [2y] ≥ [x] + [y] + [x + y]

의 부등식이 성립한다는 것만 확인하면 충분하다. 이 식은 또, x = [x] + {x}, y =


[y] + {y} 로 정수부와 소수부를 나누면

[2x] + [2y] = [2[x] + 2{x})] + [2[y] + 2{y}] = 2[x] + 2[y] + [2{x}] + [2{y}]

[x] + [y] + [x + y] = [x] + [y] + [[x] + [y] + {x} + {y}] = 2[x] + 2[y] + [{x} + {y}]

와 같이 좌변과 우변에서 2[x] + 2[y] 가 소거되므로 소수부에 대해서만 살피면 되겠다.


즉, 0 ≤ x, y < 1 일 때
[2x] + [2y] ≥ [x + y]

가 성립한다는 것만 확인하면 된다. 이 식은 x ≥ y 이면 2x ≥ x+y 로부터 [2x] ≥ [x+y]


가 되어 성립하고, x ≤ y 이면 2y ≥ x + y 로부터 [2y] ≥ [x + y] 가 되어 역시 성립한다.
따라서, 문제가 증명되었다. ♦

연습문제
연습문제 3.1.8
3.1.8
1 · 3 · 5 · · · · · 2001 을 9진법으로 나타냈을 때 끝의 0의 개수를 구하여라.

풀이 9 = 32 이므로 1 · 3 · 5 · · · · · 2001 을 소인수분해했을 때의 3의 지수 e를 구하면


답은 [ 2e ]가 된다. e를 구해보자.
2001! 2001!
1 · 3 · 5 · · · · · 2001 = = 1000
2 · 4 · 6 · · · · · 2000 2 · 1000!

이고 21000 은 3의 지수와는 관계가 없으므로,

e = f (3, 2001!) − f (3, 1000!)


230 방정식과 부등식

로 구할 수 있다.

2001 2001 2001


f (3, 2001!) = + 2
+ + · · · = 667 + 222 + 74 + 24 + 8 + 2 = 997
3 3 33
1000 1000 1000
f (3, 1000!) = + 2
+ + · · · = 333 + 111 + 37 + 12 + 4 + 1 = 498
3 3 33

이므로, e = 997 − 498 = 499 가 되고, [ 2e ] = 249 · · · 답 ♦

3.2 평균부등식

유제
유제 3.2.1
3.2.1
a c b d
+ + ≥ 4 를 증명하여라. (단, a, b, c, d는 모두 양수이다.)
b d a c

풀이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에서

a c ac b d bd
+ ≥2 , + ≥2
b d bd a c ac

따라서,
a c b d ac bd
+ + ≥4 · =4
b d a c bd ac
a c
따라서, 증명되었다. 그리고, 등호가 성립할 조건은 = , 즉 a : b = c : d 일 때. ♦
b d

별해 우선 좌변을 전개하자.

ad bc
1+ + +1≥4
bc ad

따라서, 준식은 다음과 동치이다.

ad bc
+ ≥2
bc ad

그리고 이것은,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에서

ad bc ad bc
+ ≥2 · =2
bc ad bc ad

로 성립한다. ♦
3.2 평균부등식 231

유제
유제 3.2.2
3.2.2

김씨와 이씨는 둘이 함께 잔디깎는 기계를 한 대씩 움직여 10 m2 를 10분만에 깎을 수 있


다. 박씨는 혼자 10 m2 의 잔디를 20분만에 깎을 수 있다. 두 팀이 각각 20 m2 의 잔디를 깎
는 시합을 하는데, 김씨와 이씨의 팀은 먼저 김씨가 10 m2 를 깎고 나서 이씨가 10 m2 를 깎
기로 했고, 박씨는 혼자 계속 20 m2 를 깎는다. 그럼 어느 팀이 이길까? 단, 김씨와 이씨의
잔디 깎는 속도는 다르고, 각자는 일정한 속도로 잔디를 깎는다.

풀이 김씨, 이씨, 박씨의 잔디깎는 속도를 각각 a, b, c라 하자.

(거리) (거리)
(속도) = 즉, (시간) =
(시간) (속도)

이므로, 문제에서 제시된 바에 의하면

a + b = 10 m2 /10분 = 1 (m2 /분), c = 10 m2 /20분 = 0.5 (m2 /분)

이다. 그리고, 비교하고자 하는 것은 두 팀이 소요한 시간이므로

10 10 20
김씨, 이씨 : + , 박씨 : = 40 (분)
a b c

중에 작은(빠른) 팀이 이긴다. 산술-조화평균 부등식에서


1 1
a + b 2

2 a+b

이고, 문제에서 a와 b가 같지 않다고 했으므로,

10 10 40
+ > = 40 (분)
a b a+b

따라서, 박씨가 이긴다. · · · 답 박씨팀 ♦

유제
유제 3.2.3
3.2.3

사면체 P ABC 에서 ∠AP B = ∠BP C = ∠CP A = 90◦ 이고 6개의 변의 길이의 합이



6( 2 + 1)일 때 부피의 최대값을 구하여라.

풀이 P A, P B, P C 세 변의 길이를 각각 a, b, c라 하자. 그럼 직각삼각형 P AB, P BC,


√ √
P CA 들에서 피타고라스의 정리의 의해, 나머지 세 변의 길이는 a2 + b2 , b2 + c2 ,

c2 + a2 이 된다. 즉, 변의 길이의 합은

L=a+b+c+ a2 + b2 + b2 + c2 + c2 + a2 = 6( 2 + 1)
232 방정식과 부등식

이 사면체의 부피는 V = 16 abc 이다. 산술-기하평균 부등식에 의해



3
a + b + c ≥ 3 abc
√ √ √
a2 + b2 + b2 + c2 + c2 + a2 ≥ 2ab + 2bc + 2ca
3 √ √ √
3
≥3 23 a2 b2 c2 = 3 2 abc

이므로 변변 더하면
√ √
3

(3 2 + 3) abc ≤ L = 6( 2 + 1), 즉 abc ≤ 23 = 8

따라서,
1 4
V = abc ≤
6 3
4
등호는 a = b = c 일 때 성립한다. · · · 답 3 ♦

연습문제
연습문제 3.2.1
3.2.1

주영이가 닭들을 키우기 위해 직사각형꼴의 닭집을 만들려고 한다. 닭집을 만들 재료인


철망은 길이가 총 20 m 라고 한다. 이것으로 만들 수 있는 닭집의 최대 크기는 얼마인가?

풀이 닭집의 가로와 세로를 각각 x, y 라 하자. 그럼 2x + 2y = 20, 즉 x + y = 10. 닭


집의 크기(넓이)는 xy 이므로, 산술-기하평균 관계에서

x+y √
≥ xy, 즉 xy ≤ 25
2

따라서, 닭집은 가로, 세로가 모두 5 m인 정사각형꼴일 때 가장 크고, 그 최대 크기는


25 m2 · · · 답 ♦

연습문제
연습문제 3.2.2
3.2.2
1
x−2+ (x > 5)의 최소값을 구하여라.
x−5

풀이 산술-기하평균 부등식에서

1 1 1
x−2+ = 3 + (x − 5) + ≥ 3 + 2 (x − 5) · =3+2
x−5 x−5 x−5
1
따라서 최소값은 5이고, 등호는 x − 5 = 일 때, 즉 x = 6 일 때 성립한다. · · ·
x−5
답 5 ♦
3.2 평균부등식 233

연습문제
연습문제 3.2.3
3.2.3
1
x+3+ (x > 1) 의 최소값을 구하여라.
2x − 2

풀이 산술-기하평균 부등식에서

1 1 1 √
x+3+ = 4 + (x − 1) + ≥ 4 + 2 (x − 1) · =4+ 2
2x − 2 2(x − 1) 2(x − 1)
√ 1 1
따라서, 최소값은 4 + 2 이고, 등호는 x − 1 = 일 때, 즉 x = √ + 1 일 때
2(x − 1) 2

성립한다. · · · 답 4 + 2 ♦

연습문제
연습문제 3.2.4
3.2.4

n+1
a + nb ≥ (n + 1) × abn (단, a, b ≥ 0) 이 성립함을 증명하여라.

증명 산술-기하평균 부등식에서
n개

a + nb a + b + ··· + b √
n+1

n+1
= ≥ ab · · · b = abn
n+1 n+1
이 성립한다. 등호는 a = b 일 때 성립한다.

연습문제
연습문제 3.2.5
3.2.5
(a + b + c)(ab + bc + ca) ≥ 9abc (단, a, b, c ≥ 0) 이 성립함을 증명하여라.

증명 산술-기하평균 부등식에서

3
a + b + c ≥ 3 abc

3
ab + bc + ca ≥ 3 a2 b2 c2

이므로, 변변 곱하면

3
(a + b + c)(ab + bc + ca) ≥ 32 abc · a2 b2 c2 = 9abc

로 문제의 부등식이 된다.

연습문제
연습문제 3.2.6
3.2.6
a, b, c, d는 양의 실수이고 abcd = 1 을 만족한다. 이 때, 다음의 부등식을 증명하여라.

a2 + b2 + c2 + d2 + ab + ac + ad + bc + bd + cd ≥ 10
234 방정식과 부등식

증명 산술-기하평균 부등식에서

4
a2 + b2 + c2 + d2 ≥ 4 a2 b2 c2 d2 = 4

6
ab + ac + ad + bc + bd + cd ≥ 6 a3 b3 c3 d3 = 6

따라서, 변변 더하면 문제의 부등식이 된다. 등호는 a = b = c = d = 1 일 때 성립한다.

주 4개 항, 6개 항으로 나누지 말고 10개의 항을 모두 한꺼번에 산술-기하평균 부등


식으로 처리해도 된다.

연습문제
연습문제 3.2.7
3.2.7
a, b, c는 양의 실수이고 (1 + a)(1 + b)(1 + c) = 8 일 때 abc ≤ 1 임을 보여라.

증명 산술-기하평균 부등식에 의해
√ √ √
1 + a ≥ 2 a, 1 + b ≥ 2 b, 1+c≥2 c

이다. 따라서,

8 = (1 + a)(1 + b)(1 + c) ≥ 8 abc

이고, abc ≤ 1 이 된다. 등호는 a = b = c = 1 일 때 성립한다.

연습문제
연습문제 3.2.8
3.2.8
a, b는 ab = 1 을 만족하는 양의 실수이고 k 는 자연수이다. 이 때,

(k + a)(k + b) ≥ (k + 1)2

임을 보여라.

증명 양변을 전개하자.

k 2 + (a + b)k + ab ≥ k2 + 2k + 1

ab = 1 이고 k 가 양수이므로 이 식은

(a + b)k ≥ 2k, 즉 a+b≥2



와 동치이다. 이것은 산술-기하평균 부등식 a + b ≥ 2 ab 에 의해 성립한다.

주 코시-슈바르츠 부등식 (x21 + x22 )(y12 + y22 ) ≥ (x1 y1 + x2 y2 )2 을 안다면 여기에


√ √ √
x1 = y1 = k, x2 = a, y2 = b 를 대입하여 증명할 수도 있다.
3.3 재배열 부등식 235

연습문제
연습문제 3.2.9
3.2.9

a, b, c는 abc = 1 을 만족하는 양의 실수이고 k 는 자연수이다. 이 때,

(k + a)(k + b)(k + c) ≥ (k + 1)3

임을 보여라.

증명 양변을 전개하여 k 3 과 abc = 1 을 소거하자. 그럼 다음 식과 동치가 된다.

(a + b + c)k 2 + (ab + bc + ca)k ≥ 3k 2 + 3k (∗)

산술-기하평균 부등식에서

3

3
a + b + c ≥ 3 abc = 3, ab + bc + ca ≥ 3 a2 b2 c2 = 3

이고, k는 양수이므로 (∗)은 성립한다. 등호는 a = b = c = 1 일 때 성립한다.

연습문제
연습문제 3.2.10
3.2.10

a, b, c, d가 양수일 때 다음의 부등식을 증명하여라.

3 1 1 1 1 1 1 1 1 1 1
+ + + ≥ + + + + +
4 a b c d a+b a+c a+d b+c b+d c+d

증명 산술-조화평균 부등식에서
1 1
a + b 2 1 1 4
≥ , 즉 + ≥
2 1/ a1 + 1/ 1b a b a+b

가 성립한다. 이 부등식의 (a, b) 대신 (a, c), (a, d), . . . , (c, d) 등을 대입한 6개의 식을
모두 더하면, 각 문자는 6개의 식 중 꼭 3개의 식에 등장하므로

1 1 1 1 4 4 4
3 + + + ≥ + + ··· +
a b c d a+b a+c c+d

로 문제의 식과 동치인 식이 얻어진다.

3.3 재배열 부등식


236 방정식과 부등식

유제
유제 3.3.1
3.3.1

(1990년 한국 수학올림피아드) ai > 0 (i = 1, . . . , n) 이고 s = a1 + · · · + an 일 때, 다음 부


등식을 증명하여라.
a1 a2 an n
+ + ··· + ≥
s − a1 s − a2 s − an n−1

증명 대칭식이므로, 일반성을 잃지 않고 a1 ≤ · · · ≤ an 이라 하자. 그럼 s − a1 ≥


· · · ≥ s − an 이고,
1 1
≤ ··· ≤
s − a1 s − an

이 된다. 이것은 a1 , . . . , an 과 같은 크기 순서로 배열된 것이므로, 임의의 0 < i < n 에


대해 다음의 재배열부등식이 성립한다(단, an+k = ak 로 본다).
   
a1 a2 ··· an ai+1 ai+2 ··· ai
 1 1 1 ≥ 1 1 1 
··· ···
s − a1 s − a2 s − an s − a1 s − a2 s − an

이것을 i = 1, 2, . . . , n − 1 에 대해 모두 변변 더하면
   
a1 a2 ··· an s − a1 s − a2 ··· s − an
(n − 1)  1 1 1 ≥ 1 1 1 
··· ···
s − a1 s − a2 s − an s − a1 s − a2 s − an

즉,
a1 a2 an
(n − 1) + + ··· + ≥n
s − a1 s − a2 s − an

의 문제의 식과 동치인 식이 얻어진다.

유제
유제 3.3.2
3.3.2

임의의 양의 유리수 a, b에 대해, 다음 부등식을 증명하여라.

aa bb ≥ ab ba

증명 대칭식이므로, 일반성을 잃지 않고 a ≥ b 라 하자. 그럼 준식은

a a−b
aa−b ≥ ba−b , 다시 ≥1
b
a
과 동치이다. b ≥ 1 이고 a − b ≥ 0 이므로 이 식은 성립한다.
3.3 재배열 부등식 237

연습문제
연습문제 3.3.1
3.3.1

다음 부등식을 증명하여라.
aa bb cc ≥ (abc)(a+b+c)/3

단, a, b, c는 양의 유리수이다.

증명 먼저 항이 2개일 때의 부등식

aa bb ≥ (ab)(a+b)/2

을 먼저 확인하자. 양변을 제곱하면 a2a b2b ≥ aa+b ba+b , 즉 aa bb ≥ ab ba 이 된다. 이것


은 앞의 유제에서 확인하였으므로 성립.

aa bb ≥ (ab)(a+b)/2 , bb cc ≥ (bc)(b+c)/2 , cc aa ≥ (ca)(c+a)/2

이 세 식을 변변 곱하면

(aa bb cc )2 ≥ a(2a+b+c)/2 b(a+2b+c)/2 c(a+b+2c)/2 = (aa bb cc )1/2 (abc)(a+b+c)/2

가 된다. (aa bb cc )1/2 을 소거하고 양변을 제곱해주면

(aa bb cc )3 ≥ (abc)a+b+c

와 같이 문제의 식과 동치인 식이 얻어진다.

연습문제
연습문제 3.3.2
3.3.2

0 < a ≤ b ≤ c ≤ d 인 정수일 때, 다음 부등식을 증명하여라.

ab bc cd da ≥ ba cb dc ad

증명 두 개의 부등식
ab cd ≥ cb ad , bc da ≥ ba dc

를 각각 증명하면, 변변 곱하여 문제의 부등식이 증명되겠다. 그리고 이들 부등식은

c d−b
cd−b ≥ ad−b , 즉 ≥1
a
c
과 같고, a ≥ 1, d − b ≥ 0 이므로 성립한다. bc da ≥ ba dc 도 똑같이 하면 된다.
238 방정식과 부등식

연습문제
연습문제 3.3.3
3.3.3
a, b, c > 0 일 때, 다음 부등식을 증명하여라.
a+b+c 1 1 1
≤ 2+ 2+ 2
abc a b c

증명 이 부등식은 다음과 같이 고쳐쓸 수 있다.


1 1 1 1 1 1 1 1 1 1 1 1
· + · + · ≤ · + · + ·
b c c a a b a a b b c c
즉, 1/a, 1/b, 1/c를 각각 A, B, C 로 치환하면
   
A B C A B C
 ≤ 
B C A A B C

의 재배열부등식이다.

연습문제
연습문제 3.3.4
3.3.4
xi > 0 (i = 1, . . . , n) 이고, s = x1 + · · · + xn 이라 하자. 다음을 증명하여라.
s s s n2
+ + ··· + ≥
s − x1 s − x2 s − xn n−1

s xi n2 n
증명 = + 1 이고 = + n 이므로, 준식은
s − xi s − xi n−1 n−1
x1 x2 xn n
+ + ··· + +n≥ +n
s − x1 s − x2 s − xn n−1

즉, 양변에서 n을 소거하면 유제 3.3.1과 같다. 따라서, 성립.

별해 산술-조화평균 부등식에서
s s s
(준식) s−x1 + s−x2 + ··· + s−xn
=
n n
n n n
≥ s−x1 = =
s + s−x
s
2
+ ··· + s−xn
s
(n−1)s n−1
s

이 증명된다. 등호는 x1 = · · · = xn 일 때 성립한다.

연습문제
연습문제 3.3.5
3.3.5
x, y, z > 0 일 때, 다음 부등식을 증명하여라.
x2 y2 z2 y z x
+ + ≥ + +
y2 z2 x2 x y z
3.3 재배열 부등식 239

증명 다음과 같은 재배열 부등식으로 보면 된다.

x x y y z z y z z x x y
· + · + · ≥ · + · + ·
y y z z x x z x x y y z

따라서, 성립.

별해 산술-기하평균 부등식으로 다음과 같이 보일 수 있다.

1 y2 z2 1 z2 x2 1 x2 y2
(좌변) = + + + + +
2 z2 x2 2 x2 y2 2 y2 z2
y2 z2 z 2 x2 x2 y 2
≥ · + · + · = (우변)
z 2 x2 x2 y 2 y2 z2

x y z
등호는 y = z = x 일 때, 즉 x = y = z 일 때 성립.

연습문제
연습문제 3.3.6
3.3.6

x, y, z > 0 일 때, 다음 부등식을 증명하여라.

x2 y2 z2 x y z
+ + ≥ + +
y2 z2 x2 y z x

증명 우선 재배열 부등식에서

x y z x y z
+ + ≥ + + =3
y z x x y z

이 된다. 이것은 산술-기하평균으로도 얻을 수 있는 식이다. 그럼 체비셰프 부등식과


이 부등식을 차례로 적용하여
x2 y2 z2 x y z x y z x y z
y2 + z2 + x2 y + z + x y + z + x y + z + x 3
≥ · ≥ ·
3 3 3 3 3

이 된다. 이것은 문제의 식과 같다.

연습문제
연습문제 3.3.7
3.3.7

음 아닌 실수 a, b에 대해, 다음을 증명하여라.

(a + b)(a4 + b4 ) ≥ (a2 + b2 )(a3 + b3 )


240 방정식과 부등식

증명 양변을 각각 전개하여 a5 과 b5 을 소거하면

ab4 + a4 b ≥ a2 b3 + a3 b2

다시 양변을 ab로 나누면


a3 + b3 ≥ a2 b + ab2
   
a2 b2 a2 b2
이 된다. 이것은  ≥  의 재배열 부등식이다.
a b b a

연습문제
연습문제 3.3.8
3.3.8

양수 a, b, c에 대해, 다음 부등식을 증명하여라.

an bn cn an−1 + bn−1 + cn−1


+ + ≥
b+c c+a a+b 2

증명 먼저 네스빗 부등식에서 재배열 부등식을 이용했던 것처럼


   
an bn cn bn cn an
 1 1 1  ≥  1 1 1 ,
b+c c+a a+b b+c c+a a+b
   
an bn cn cn an bn
 1 1 1  ≥  1 1 1 
b+c c+a a+b b+c c+a a+b

의 두 부등식을 합하여

an bn cn 1 bn + cn cn + an an + bn
+ + ≥ + + (∗)
b+c c+a a+b 2 b+c c+a a+b

의 부등식을 얻을 수 있다. 다음 체비셰프 부등식에서

bn + cn bn−1 + cn−1 b + c bn + cn bn−1 + cn−1


≥ · , 즉 ≥
2 2 2 b+c 2

등이 성립하므로, (∗)은 다음과 같이 된다.

an bn cn 1 bn−1 + cn−1 cn−1 + an−1 an−1 + bn−1


+ + ≥ + +
b+c c+a a+b 2 2 2 2
1 n−1 n−1 n−1
= (a +b +c )
2

따라서, 문제의 식이 증명되었다.


3.3 재배열 부등식 241

연습문제
연습문제 3.3.9
3.3.9
a, b, c > 0 일 때, 다음 부등식을 증명하여라.

abc(a + b + c) ≤ a3 b + b3 c + c3 a

증명 최소값을 주는 재배열 부등식을 생각하면

a2 · bc + b2 · ca + c2 · ab ≤ a2 · ab + b2 · bc + c2 · ca

가 된다. 이것은 문제의 식과 같다.

별해 양변을 abc로 나눠보자.


a2 b2 c2
a+b+c≤ + +
c a b
이것을 다음과 같은 재배열 부등식으로 보면 된다.
1 1 1 1 1 1
a2 · + b2 · + c2 · ≤ a2 · + b2 · + c2 ·
a b c c a b
1 1 1
a2 , b2 , c2 과 a, b, c는 서로 크기 순서가 역순이므로 좌변이 재배열 부등식에서 최소값
을 주는 경우가 되기 때문이다.

연습문제
연습문제 3.3.10
3.3.10
(2002년 캐나다 수학올림피아드) 다음 부등식을 증명하여라.

a4 + b4 + c4 ≥ a2 bc + b2 ca + c2 ab

증명 다음과 같이 재배열 부등식을 2번 거친다.

a4 + b4 + c4 = (a2 )(a2 ) + (b2 )(b2 ) + (c2 )(c2 )

≥ (a2 )(b2 ) + (b2 )(c2 ) + (c2 )(a2 ) = (ab)(ab) + (bc)(bc) + (ca)(ca)

≥ (ca)(ab) + (ab)(bc) + (bc)(ca) = a2 bc + b2 ca + c2 ab

이 과정은 산술-기하평균 부등식으로 설명할 수도 있다.

별해 재배열 부등식으로

a4 + b4 + c4 = (a3 )(a) + (b3 )(b) + (c3 )(c) ≥ (a3 )(b) + (b3 )(c) + (c3 )(a)

임을 보일 수 있다. 이제 바로 앞의 연습문제를 이용하면 문제가 증명된다. (이 때 만


일 a, b, c 중에 음수가 있을 때에는 그것의 부호를 바꾸어 보면 된다. 예를 들어 a가 음
수라면 (−a)4 + b4 + c4 으로 보면 된다. 그럼 좌변은 그대로이고 우변은 양의 값이던
항이 음의 값으로 더 작아질 수 있어 부등호가 유지된다.)
242 방정식과 부등식
제4장

도형의 성질

4.1 닮음과 비례

유제
유제 4.1.1
4.1.1

삼각형 ABC 의 변 CB 와 CA의 길이는 a, b이고, 그 사잇각이 ∠C = 120◦ 이다. ∠C 의 이등


분선의 길이를 a와 b로 나타내어라.

풀이 ∠C 의 이등분선이 AB 와 만나는 점을 D라 하고, 변 BC 의 밖에서 BCE 가 정


삼각형이 되도록 하는 점 E 를 잡자.

그럼 ACD와 AEB 가 닮았으므로,

CD : EB = b : a + b

ab
에 EB = a 를 대입하면 CD = ··· 답 ♦
a+b

유제
유제 4.1.2
4.1.2
244 도형의 성질

삼각형 ABC 의 변 AB 위에 점 C1 을 잡고, C1 C 를 그리자. A를 통과하고 C1 C 에 평행한


직선이 변 BC 의 연장선과 만나는 점을 A1 이라 하고, 비슷하게, B 를 통과하고 C1 C 에 평
행한 직선이 변 AC 의 연장선과 만나는 점을 B1 이라 하자. 이 때
1 1 1
+ =
AA1 BB1 CC1
임을 증명하여라.

증명

A1 AB ∼ CC1 B, B1 BA ∼ CC1 A 이므로


CC1 CC1 BC1 AC1
+ = + =1
AA1 BB1 AB AB
따라서, 문제의 식이 성립한다.

유제
유제 4.1.3
4.1.3
중심이 O인 원의 지름 AB 와 접선 T D(D가 접점)가 있다. C 는 지름 AB 위의 점이고, E 는
C 에서 접선 T D에 내린 수선의 발이면,

AC · CB + CD2 = CE · AB

임을 증명하여라.

증명 CD의 연장이 원 O와 만나는 점을 F 라 하고, 또 하나의 지름 F G를 그리자. 현


과 접선의 이루는 각에서 ∠CDE = ∠F GD.
4.1 닮음과 비례 245

따라서 두 직각삼각형 CDE 와 F GD는 닮았다. 그럼 CD : CE = F G : DF . 이제

AC · CB + CD2 = CD · CF + CD2 = CD · DF = CE · F G = CE · AB

가 성립한다.

연습문제
연습문제 4.1.1
4.1.1

삼각형 ABC 의 변 BC, CA, AB 의 중점을 각각 D, E, F 라 할 때,


3
AD2 + BE 2 + CF 2 = (BC 2 + CA2 + AB 2 )
4
이 성립함을 증명하여라.

풀이 파푸스의 중선정리에 의해
1
AB 2 + CA2 = 2(AD2 + BD2 ) = 2AD2 + BC 2
2
마찬가지로
1
AB 2 + BC 2 = 2BE 2 + AC 2
2
1
BC 2 + CA2 = 2CF 2 + AB 2
2
이 성립하고, 이 세 식을 변변 더하면
3
(BC 2 + CA2 + AB 2 ) = 2(AD2 + BE 2 + CF 2 )
2
따라서, 문제의 식이 성립한다. ♦

연습문제
연습문제 4.1.2
4.1.2
AB 와 AC 는 원 O의 접선이고 각각 B, C 에서 접한다. 지름 BD에 수직하게 현 CE 를 그
린다. 그럼
BE · BO = AB · CE

임을 증명하여라.
246 도형의 성질

증명 ∠AOB = 90◦ − ∠OBC = ∠BCE 이므로 두 직각삼각형 ABO와 BEC 는 닮았


다.

따라서,
AB : BO = BE : EC

이고, 이것은 문제의 식과 같다.

연습문제
연습문제 4.1.3
4.1.3

반지름이 6인 원 O가 있다. 현 CD는 중심 O로부터 3만큼 떨어진 거리에 있다. 호 CD(짧


은 쪽)의 중점을 A라 하자. 임의의 현 AB 를 그리고, CD 와의 교점을 M 이라 하자. B 가 움
직임에 따라 변하는 AB · AM 의 값의 범위를 구하여라.

풀이 현 CD의 중점을 P 라 하고, AP 를 연장한 지름을 AQ라 하자.

∠QP M = ∠QBM = ∠R 이므로 네 점 Q, P , M , B 는 한 원 위에 있다. 즉, A로부터의


할선에 의해
AP · AQ = AM · AB

가 성립하고, 이 때 AP = 3 과 AQ = 12 는 상수이므로 AM · AB 의 값도 변하지 않는


다. · · · 답 36으로 일정 ♦
4.1 닮음과 비례 247

연습문제
연습문제 4.1.4
4.1.4

평행사변형 ABCD의 꼭지점 A를 지나고 대각선 BD, 변 CD, 변 BC 의 연장선과 각각 P ,


Q, R에서 만나는 직선에 대하여,

P D2 : P B 2 = P Q : P R

임을 증명하여라.

증명 PD : PB 는 P DQ와 P BA의 닮음비이다.

그것을 제곱한 것은 넓이비로 보면 되므로

P D2 : P B 2 = P DQ : P BA = P D · P Q : P B · P A
PA
= PQ : PB ·
PD
PR
= PQ : PB · = PQ : PR
PB

와 같이 원하는 비를 얻을 수 있다.

연습문제
연습문제 4.1.5
4.1.5

중심이 O인 반원 위에 점 D, A, C, B 가 순서대로 있고, 두 현 AB, CD가 있다. A와 C 에


서 원의 접선의 교점 P 에서 AB, CD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E, F 라고 하면,

P E : P F = AB : CD

임을 증명하여라.

증명 다음의 사실을 먼저 보이자.

[ 보조정리] 원 O 위의 점 A와 A에서의 접선 위의 점 P 가 고정되어 있다.


B 는 이 원 위를 움직이는 점이고 P 에서 현 AB 에 내린 수선의 발을 E 라 하
PE
자. 그럼 B 의 위치에 관계없이 가 일정하다.
AB
248 도형의 성질

이것은 지름 AZ 를 잡았을 때

PE PA
AZB ∼ P AE 이므로 = 로 일정함을 확인할 수 있다.
AB AZ
이제 이 보조정리를 이 문제에 이용해보자. P O에 대해 C 와 D를 대칭이동시키면 C 는
A에 일치하게 되고, 따라서, D는 B 가 움직인 점으로 볼 수 있다.

PE PE PF
즉, 가 일정하므로 = 가 된다.
AB AB CD

연습문제
연습문제 4.1.6
4.1.6

∠A가 예각인 평행사변형 ABCD이 있다. 두 대각선의 교점 O에서 BC 에 내린 수선의 발


을 E 라 하고, OE 의 연장선이 AB 와 만나는 점을 F 라고 하면,

BE · (AB + 2BF ) = BC · BF

임을 증명하여라.

증명 양변에서 BE · BF 를 소거하면 BE · AF = EC · BF 이 된다. 즉,

AF : BF = EC : BE

를 증명하기로 하자. OE 의 연장선이 AD와 만나는 점을 G라 하고, D에서 BC 에 그은


4.1 닮음과 비례 249

수선을 연장하여 AB 와 만나는 점을 H 라 하자.

O는 이 평행사변형의 대칭의 중심이고 두 직각삼각형 AF G와 AHD가 닮았으므로

AF : BF = AF : F H = AG : GD = EC : BE

이 성립함을 확인할 수 있다.

연습문제
연습문제 4.1.7
4.1.7

사각형 ABCD가 있다. ∠ABC = ∠DCB 이고, DA의 연장선과 CB 의 연장선이 만나는
점을 P 라고 하면,
P A · P D = P B · P C + AB · CD

임을 보여라.

증명 D에서 AB 에 평행선을 그려 P C 와 만나는 점을 E 라 하고, BCD의 외접원이


P D와 만나는 점을 F 라 하자. 즉, ∠BF P = ∠ABC = ∠DEC.

ABF ∼ DP E 이므로

AF · P D = AB · ED = AB · CD

가 된다. 즉, 준식의 AB · CD를 AF · P D로 바꾸어 이항하면

PF · PD = PB · PC

이 남고, 이 식은 할선에 대한 비례식이므로 성립한다.


250 도형의 성질

별해 BCD의 외접원이 P D, AB 의 연장선과 만나는 점을 각각 F , G라 하면

GBCD는 등변사다리꼴이 되므로 GD//P C 이고, 따라서 ∠AP B = ∠ABF = ∠ADG


가 된다. 이제 P A = P F + F A, P D = P A + AD 임에서

P A · P D = P F · P D + AF · P A + AF · AD

= P B · P C + AB 2 + AB · AG

= P B · P C + AB · CD

가 된다.

주 이 문제는 특히 A = D 이면 AB = AC 인 이등변삼각형 ABC 에 대해

P A2 = P B · P C + AB 2

이 성립한다는 것이 된다.

연습문제
연습문제 4.1.8
4.1.8
ABC 에서 ∠A의 이등분선이 BC 와 만나는 점을 D, 외접원과 만나는 점을 E 라 하면,
AB · AC
=1
AD · AE
임을 증명하여라.

증명 원주각에 의해 ∠ABD = ∠AEC 이므로 ABD ∼ AEC 이다.

따라서, AB : AD = AE : AC 이다.
4.1 닮음과 비례 251

연습문제
연습문제 4.1.9
4.1.9
(1991년 아시아-태평양 수학올림피아드) 주어진 삼각형 ABC 에서 무게중심을 G, 변 BC 의
중점을 M 이라 하고, G를 지나고 변 BC 에 평행인 직선이 변 AB, AC 와 만나는 점을 각
각 X, Y 라 한다. 선분 GC, Y B 의 교점을 P 라 하고, GB, XC 의 교점을 Q라 하면, 삼각형
M P Q는 삼각형 ABC 와 닮은꼴임을 밝혀라.

증명 AG : AM = XY : BC = 2 : 3 이므로, XG : BC = Y G : BC = 1 : 3 이다.

즉, QGX 와 QBC 의 닮음비나 P GY 와 P CB 의 닮음비가 모두 1 : 3 이다.


BG : GN = 4 : 2 이므로 BQ : QN = 3 : 3, 즉 Q는 BN 의 중점이 된다. 마찬가지
로 P 도 CR의 중점이다. 평행사변형의 두 대각선이 서로 이등분함에서 Q는 M R의
중점, P 는 M N 의 중점이기도 하고, 따라서, M P//AB, M Q//CA, P Q//BC 이므로
M P Q는 ABC 와 닮음이다. 특히 닮음비는 P Q : BC = 1 : 4 이다.

연습문제
연습문제 4.1.10
4.1.10
(1996년 아시아-태평양 수학올림피아드) 마름모 ABCD가 있다. 변 AB, BC, CD, DA 위
에 각각 점 E, F , G, H 를 잡는데, 선분 EF 와 HG가 대각선 BD에 수직이 되도록 한다.
EF 와 HG의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면 육각형 AEF CGH 의 둘레의 길이도 일정함을 보여
라.

증명 BD가 EF , HG와 만나는 점을 각각 M , N 이라 하자. M N 의 길이가 일정하므


로 BM + N D = c 도 일정하다.
252 도형의 성질

BE : M E : BM = DH : N H : DN = r : s : 1 의 비는 언제나 일정하므로, BE+DH =


r(BM + N D) = rc 도 언제나 일정하고, 마찬가지로 BF + GD = rc, EF + HG = 2sc
도 언제나 일정하다. 따라서, 육각형 AEF CGH 의 둘레의 길이 a도

a = p − 2rc + 2sc

로 언제나 일정하다. 단, p는 마름모의 둘레의 길이이다.

연습문제
연습문제 4.1.11
4.1.11

선분 AB 를 지름으로 하는 반원에서 현 AC 를 잡고, 활꼴 AC 를 현 AC 를 따라 접어내려


얻어진 새로운 호 AC 가 선분 AB 와 만나는 점을 D라 하자. AB = 10, AD : DB = 2 : 3
일 때, 선분 AC 의 길이의 제곱은 얼마인가?

풀이 ADCE 가 평행사변형이 되는 점 E 를 잡자.

ADC 와 CEA가 합동이므로 E 는 반원 위의 점이고, EABC 는 밑변이 10, 윗변이


4인 등변사다리꼴이다. 즉,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의해

AC 2 = AH 2 + CH 2 = AH 2 + OC 2 − OH 2 = 49 + 25 − 4 = 70

이 된다. · · · 답 70 ♦

연습문제
연습문제 4.1.12
4.1.12

평행사변형 ABCD의 두 대각선 중에서 긴 쪽을 AC 라 하자. C 에서 AB 와 AD의 연장선


에 수선을 내리자. E 와 F 가 이 수선의 발이라 할 때, 다음을 증명하여라.

AB · AE + AD · AF = (AC)2
4.2 작도 253

증명 A, D에서 CD, AC 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G, H 라 하자.

우선 AB · AE = CD · CG. AGDH 와 CF DH 는 원에 내접하는 사각형들이고, 할선의


비례관계에서

CD · CG = CH · AC

AD · AF = AH · AC

이므로, 두 식을 변변 합하면 원하는 식이 나온다.

4.2 작도

유제
유제 4.2.1
4.2.1
(1) 길이 1, a, b인 선분이 주어졌을 때, 길이가 ab 인 선분을 작도하여라.

(2) 길이 1, a인 선분이 주어졌을 때, 길이가 a인 선분을 작도하여라.

풀이 다음 그림을 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모두 할선의 비례관계를 이용한 것이다. ♦

유제
유제 4.2.2
4.2.2

교차하는 두 직선과 이 두 직선 밖의 한 점이 주어져 있다. 두 직선에 각각 접하고 주어진


점을 지나는 원을 작도하여라.
254 도형의 성질

관찰 기본문제에서는 두 점과 한 직선이었는데, 여기서는 한 점과 두 직선의 문제이


다. 만일 구하는 원이 지나야 하는 점을 하나만 더 구할 수 있다면, 기본문제의 내용으
로 전환되어 풀릴 것이다.

풀이 두 직선이 이루는 각 중에 주어진 점 X 가 있는 영역의 각의 이등분선을 그린


다. 그리고, 이 이등분선에 대해 X 의 대칭점 Y 를 구한다. 그럼 X, Y 를 지나고 두 직
선 중 어느 한 직선에 접하는 원을 기본문제에서처럼 구하면 그 원이 우리가 구하는
원이 된다.

X 가 이등분선 위에 있어서 X = Y 가 되어 위와 같이 작업할 수 없는 경우에는, X 에


서 이등분선에 수선을 올리고 그렇게 원래의 두 직선과 함께 구성된 이등변 삼각형의
내접원 혹은 방접원을 작도하면 된다. ♦

유제
유제 4.2.3
4.2.3

주어진 만나는 두 개의 원의 교점 중의 하나를 지나면서 두 원을 같은 길이를 가지는 현으


로 자르고 지나가는 직선을 작도하여라. 단 두 원의 공통현을 포함하는 직선은 제외한다.

관찰 그런 직선이 그려졌다면 어떤 그림이 나올지를 분석해보자. 각 원의 중심에서


그 직선에 수선을 내리면 같은 길이의 네 개의 선분 조각이 생길 것이다. 그 두 수선
의 발과 두 원의 중심의 네 점은 직각사다리꼴을 만들 것이고, 이 사다리꼴의 중단변
과 그 직선이 직교할 것이다. 중단변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 과정을 거꾸로 볼 수 있
으면 되겠다.

풀이 두 원의 중심 P , Q의 중점 R과 두 원의 교점 중 직선이 지나가기를 원하는 점


A를 직선으로 잇는다.

그리고 A에서 RA에 수직인 직선을 그리면 그게 원하는 직선이다. ♦


4.2 작도 255

유제
유제 4.2.4
4.2.4
주어진 반원에 내접하는 정사각형을 작도하여라.

풀이 기본문제에서의 닮음변환법을 응용하자. 먼저 작은 정사각형 ABCD를 작도


하는데, 밑변 BC 의 중점이 반원의 중심 O와 일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직선 OA, OD가 원주와 만나는 점을 A , D 이라 하고 정사각형 A B C D 을


그리면 된다. ♦

연습문제
연습문제 4.2.1
4.2.1
중심이 O인 원에 내접하는 정육각형을 작도하여라.

풀이 원주 위의 한 점 A를 아무렇게나 정해 거기서부터 그 점을 중심으로 하고 O를


지나는 원을 계속 그려나가면 된다.

그렇게 얻은 정육각형의 꼭지점을 모두 잇는다. ♦

연습문제
연습문제 4.2.2
4.2.2
원에 내접하는 정n각형이 작도되었을 때, 정2n각형을 작도할 수 있음을 보여라.

증명 이 정n각형의 각 변에서 수직이등분선을 그려 원과 만나는 점들을 추가하면 된


다.

연습문제
연습문제 4.2.3
4.2.3
360◦
60◦ 의 각을 3등분할 수 없다고 가정하자. 자연수 n이 3의 배수일 때 의 각을 삼등분
n
할 수 없음을 보여라.
256 도형의 성질

360◦
증명 귀류법을 쓰자. 만일 n = 3k 꼴일 때 의 각을 삼등분할 수 있다면
n
1 360◦ 40◦
· =
3 3k k

의 각을 작도할 수 있다는 것이 된다. 이 각을 k 개 맞붙이면 40◦ 를 작도하게 되고, 그


럼 이것을 이등분하거나 60◦ 의 각에 끼워넣거나 하여 60◦ 의 3등분각 20◦ 를 작도할 수
360◦
있게 된다. 이것은 문제의 가정과 모순이므로, n = 3k 꼴일 때 의 각을 삼등분할
n
수 없다.

연습문제
연습문제 4.2.4
4.2.4

세 수선의 발이 주어져 있을 때 이에 맞는 삼각형을 하나 작도하여라.

풀이 삼각형의 수심은 수족삼각형의 내심과 같다는 것을 알고 있을 것이다. 세 수선


의 발이 주어져 있으므로 수족삼각형이 주어져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수족삼각형의
내심을 구하면 원래 삼각형의 수심이 된다. 이제 세 수선의 발에서 수심의 방향에 수
직인 직선을 각각 그리면 원래 삼각형의 세 변이 되고, 이들 변이 서로 만나서 원래 삼
각형의 세 꼭지점이 작도된다. ♦

연습문제
연습문제 4.2.5
4.2.5

한 직선 위에 있지 않은 세 점 P , Q, R이 주어져 있다. P , Q, R을 세 변의 중점으로 하는


삼각형을 찾아라.

풀이 중선 연결정리에 의해 두 중점을 연결한 선분은 원래 삼각형의 대응되는 변과


평행하다. 따라서, 중점들을 이은 중점삼각형을 먼저 그리고, 각 중점에서 대변에 평
행한 직선을 그리면 구하는 삼각형의 세 변이 된다. 이 세 변이 각각 만나 구하는 삼각
형의 세 꼭지점이 작도된다. ♦

연습문제
연습문제 4.2.6
4.2.6

한 직선 위에 있지 않은 세 점 A, B, C 가 주어졌을 때 C 를 중심으로 하고 A와 B 에서 그
은 접선이 서로 평행한 원을 작도하여라.

관찰 이런 원과 접선이 그려졌을 때 어떤 모양이 되는지를 잘 분석해보면 원래의 정


보만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점들이 보일 것이다.
4.2 작도 257

풀이 C 에서 선분 AB 의 중점 M 을 잇고, A, B 에서 CM 에 평행한 직선을 그린다.

그리고, C 를 중심으로 하고 이 두 직선에 접하는 원을 접점(수선의 발)을 찾아 그리면


된다. ♦

별해 A, B 의 C 에 대한 대칭점 A , B 을 찾는다. 그럼 AB A B 는 중심이 C 인 평행


사변형이고, C 에서 AB 에 접하는 원을 그리면 된다. ♦

연습문제
연습문제 4.2.7
4.2.7

본문 ‘자취를 이용한 작도’의 7번째 사실인 “주어진 만나는 두 직선으로부터 거리비가 일


정한 점들의 자취는 교점을 지나는 두 개의 직선” 을 작도하는 방법을 보여라. 그리고 이
를 이용하여, 삼각형 ABC 의 내부에 세 변으로부터 주어진 거리비를 가지는 점을 작도하
여라.

풀이 (1) 두 직선 l, m에 각각 수직인 두 직선 l , m 을 그리고, l 과 m 의 교점 O에


서 LO : M O 가 주어진 거리비가 되는 점 L, M 을 각각 l , m 위에 잡는다. 이제 삼각
형 LOM 을 평행이동하여 L이 l 위에 오도록 하고, 다시 옮겨진 삼각형 LOM 을 l을 따
라 평행이동하여 M 이 m 위에 오도록 한다. 그럼 O는 구하는 직선 위의 점이 되고, l,
m의 교점과 O를 이으면 구하는 직선이 된다.

(2) AB 와 AC 사이에 두 변에 이르는 주어진 거리비를 가지는 직선을 그리고, BA와


BC 사이에 역시 그런 직선을 그려, 두 직선의 교점을 구하면 된다. ♦
258 도형의 성질

연습문제
연습문제 4.2.8
4.2.8

본문 ‘자취를 이용한 작도’의 8번째 사실인 “주어진 두 개의 점으로부터 거리의 제곱의 차


가 일정한 점들의 자취는 주어진 두 개의 점에 의하여 결정된 직선에 수직인 직선” 을 작
도하는 방법을 보여라.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한 변, 대응각, 그리고 다른 두 변의 길이의
제곱의 차이가 주어졌을 때 삼각형을 작도하여라. 단, 단위길이 1은 제시되어 있는 것으
로 본다.

풀이 (1) 두 점 A, B 사이의 거리를 d라 하고, 이 두 점을 잇는 직선 위에 AC 2 −BC 2 =


c 를 만족하는 점 C 를 찾아보자. 단, c는 주어진 ‘거리의 제곱의 차’이다. AC = x 라
c − d2
두면 x2 − (d − x)2 = c, 즉 x = 이고 이것은 작도가능한 점이 된다. (만일 이 값
2d
이 음수이면, 그것은 C 가 A를 기준으로 B 와 반대방향에 있다는 의미가 된다.) 이 점
C 를 작도하고, 여기서 AB 에 수직인 직선을 그리면 된다.

(2) 변 AB 와 ∠C = α, 그리고 AC 2 − BC 2 = c 가 주어졌다고 하자. (1)에 따라 AC 2 −


BC 2 = c 를 만족하는 점 C 의 자취(AB 에 수직인 직선) l을 그린다. 이제 본문 ‘자취를
이용한 작도’의 5번째 사실에서 ∠AP B = a 가 되는 점 P 의 자취(원호) s를 그린다(이
작도의 방법은 각자 생각해보자).

이제 l과 s의 교점이 C 가 된다. ♦

연습문제
연습문제 4.2.9
4.2.9
∠A가 예각인 주어진 ABC 에서, 두 변 AB, AC 와 각각 D, E 에서 만나는 직선을 그려서
AD = DE 이고, AE = DB 가 되도록 작도하여 보아라.

풀이 변 AC 에 AB = BF 인 점 F 를 잡자.
4.2 작도 259

그럼 DEA와 BF A는 닮은 이등변 삼각형이고, AB : AF = AD : AE = AD : DB


이다. 즉, AB : AF 의 비를 갖는 점을 AB 위에서 찾아 D로 하고, D에서 BF 에 평행
선을 그리면 된다. ♦

연습문제
연습문제 4.2.10
4.2.10

변 AB 의 길이 c, 내접원의 반지름 r, 그리고 변 AB 에 접하는 방접원의 반지름 rc 등 세 가


지 길이가 주어졌을 때 삼각형 ABC 를 작도하여라.

관찰 내접원과 AB 에 접하는 방접원은 둘 다 변 BC, CA와 접하고, 접점과 중심 사


이를 이은 선분이 이들에 직교하며 서로는 평행하다.

풀이 A, B, C 에서 내접원까지의 접선의 길이를 각각 x, y, z 라 하자. 그럼 삼각형의


둘레의 길이는 2(x + y + z)이고 C 에서 방접원까지의 접선의 길이는 x + y + z 이다.
즉, 내접원과 방접원 rC 의 변 BC 와의 두 접점 Q, R 사이의 거리는 x + y = c 가 된다.

변 BC 를 포함하게 될 직선 l 위에 거리 c인 두 점 Q, R을 잡고, 같은 방향으로 각각


길이 r, rC 인 수선을 올려 그 끝점을 O, OC 라 하자. 그럼 O, OC 는 내접원과 방접원의
중심이 되고, OOC 와 l의 교점이 꼭지점 C 가 된다. 그리고, l을 OOC 에 대해 대칭이동
한 직선이 변 CA를 포함하게 된다. 이제 변 AB 를 포함하게 될 두 원 O와 OC 의 공통
내접선만 그리면 삼각형 ABC 가 완성된다. 두 원의 공통내접선의 작도법은 각자 생각
해보자. ♦

연습문제
연습문제 4.2.11
4.2.11

세 점 A, B, C 가 주어져있을 때 A를 중심으로 하고 이웃한 변(또는 연장선)이 각각 B 와


C 를 지나는 정사각형을 작도하여라.

풀이 BC 의 중점 M 을 잡아 BC 를 지름으로 하는 원을 그린다. 그리고 호 BC 의 중


260 도형의 성질

점 D를 잡아 직선 AD와 원 M 의 교점 X 를 찾는다.

그럼 호 DB 와 DC 가 14 원이므로 ∠AXB = ∠AXC = 45◦ 가 되고, 이제 A를 중심으로


X 를 90◦ 씩 회전시킨 점들이 정사각형의 꼭지점들이 된다. ♦
제5장

경우의 수와 조합

5.1 파스칼의 삼각형

유제
유제 5.1.1
5.1.1

다음은 첫 행에 1 1 1을 쓰고 그 다음부터 파스칼의 삼각형의 규칙을 적용한 수 배열이다.

1 1 1
1 2 2 1
1 3 4 3 1
.. ..
. .

첫 행을 제 0행으로 할 때, 제 n행의 수의 합을 구하고, 그것을 증명하여라. 또, 각 행의 첫


번째 수를 제 0열의 수로 할 때, 제 n행 제 2열의 수를 n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어라.

풀이 (1) 제 0행의 수의 합이 3이고, 그 다음부터는 파스칼의 삼각형의 규칙을 따라


하나의 수가 두 곳에 상속되므로 총합은 2배씩 커진다. 즉, 제 n행의 수의 합은 3 · 2n 이
다.
(2) 제 n행 제 r열의 수를 f (n, r)로 나타내자. f (n, 0) = f (n, n+2) = 1 이고, f (n, 1)은 계
속 왼쪽에서 1이 더해지므로 f (n, 1) = n+1 이 된다. f (n, 2)는 왼쪽에서 f (n, 1) = n+1
이 계속 더해지므로
n(n + 1) n2 + n + 2
f (n, 2) = 1 + (1 + 2 + · · · + n) = 1 + =
2 2
가 답이 된다. ♦
262 경우의 수와 조합

유제
유제 5.1.2
5.1.2
다음 그림은 중앙의 1로부터 시작하여 유사 파스칼의 삼각형을 네 방향으로 배열한 꼴이
다.
.. ..
. .
1 3 6 7 6 3 1
··· 3 1 2 3 2 1 3 ···
6 2 1 1 1 2 6
7 3 1 1 1 3 7
6 2 1 1 1 2 6
··· 3 1 2 3 2 1 3 ···
1 3 6 7 6 3 1
.. ..
. .

이 배열의 n번째 껍질의 수의 합을 구하고, 그것을 증명하여라. 단, 중앙의 1은 0번째 껍


질이다.

풀이 n번째 껍질은 유사 파스칼 삼각형의 제 n행이 4개의 변으로 맞붙어 생겼다. 유


사 파스칼 삼각형의 제 n행의 수의 합은 3n 이므로, n번째 껍질의 수의 합은

4 · 3n − 4 ··· 답

가 된다. ♦

연습문제
연습문제 5.1.1
5.1.1
파스칼의 삼각형에서 홀수 개의 홀수들을 갖는 행을 모두 찾아라.

풀이 한 행의 수의 합이 홀수인 행을 찾으면 된다. 파스칼의 삼각형의 제 n행의 수


의 합은 2n 이므로 홀수인 것은 n = 0 일 때뿐이다. · · · 답 제 0행 ♦

연습문제
연습문제 5.1.2
5.1.2
다음 부등식을 증명하여라. (n > 3)

n+1 C1 + n+1 C2 + n+1 C3 < 2(n C1 + n C2 + n C3 )

증명 파스칼의 등식에 의해

n+1 C1 + n+1 C2 + n+1 C3 = n C0 + n C1 + n C1 + n C2 + n C2 + n C3

= 2n C1 + 2n C2 + n C3 + n C0

n > 3 이면 n C3 은 마지막보다 안쪽의 열이므로 n C0 = 1 보다는 크다. 따라서, 문제의


부등식이 성립한다.
5.1 파스칼의 삼각형 263

연습문제
연습문제 5.1.3
5.1.3

다음의 유사 파스칼의 삼각형에서


1
1 1 1
1 2 3 2 1
1 3 6 7 6 3 1
.. .. ..
. . .

첫 행을 제 0행, 각 행의 첫 항을 제 0열이라고 하자. 그리고, 제 n행 제 r열의 수를 Dn,r 로


쓰기로 하자.
(1) Dn,1 을 n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어라.
(2) Dn,2 을 n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어라.

풀이 (1) Dn,0 = 1. 그리고, Dn,1 은 n이 커짐에 따라 자기 위의 1이 항상 더 추가되


므로 Dn,1 = n 이다.
(2) Dn,2 는 n이 커짐에 따라 바로 위의 Dn−1,1 = n − 1 과 그 왼쪽의 Dn−1,0 = 1 이 더
해진다. 즉, (n − 1) + 1 = n 이 더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n(n + 1)
Dn,2 = 1 + 2 + 3 + · · · + n =
2
가 된다. ♦

연습문제
연습문제 5.1.4
5.1.4
(1988년 영국 수학올림피아드) 유사 파스칼의 삼각형에는 첫 행과 두 번째 행을 제외하면
더 이상 모든 항이 홀수가 되는 행은 나타나지 않는다. 이것을 증명하여라.

증명 이 문제에서는 수가 짝수인지 홀수인지에만 관심이 있으므로, 2로 나눈 나머


지만 생각하는 아래와 같은 삼각형을 생각하자.
1
1 1 1
1 0 1 0 1
1 1 0 1 0 1 1
.. .. ..
. . .

귀류법으로, 모든 수가 다 홀수인 행이 있다고 가정하자. 그럼 그 행은

1 1 1 1 1 1 1 1 1 1 1 1 ···
264 경우의 수와 조합

의 꼴이다. 이제 이 행이 만들어지기 위해 그 바로 위의 행이 어떤 골인지 생각해 보


면,
1 0 0 1 0 0 1 0 0 1 0 ···
1 1 1 1 1 1 1 1 1 1 1 1 ···

다시 한 행 위를 더 생각해 보면,

1 1 0 0 0 0 1 1 0 0 ···
1 0 0 1 0 0 1 0 0 1 0 ···
1 1 1 1 1 1 1 1 1 1 1 1 ···

와 같이 6번마다 순환하는 세 행이 된다. 이것을 잘 들여다보면 같은 세로항이 모두


1인 곳이 없다. 그러나, 유사 파스칼의 삼각형에서는 가운데항이 항상 홀수로 1이 되
어야 한다. 따라서 모순이고, 모든 수가 다 홀수인 행은 처음 두 행 이후에는 없다.

연습문제
연습문제 5.1.5
5.1.5

다음은 첫 행에 1 1 1을 쓰고 그 다음부터 파스칼의 삼각형의 규칙을 적용한 수 배열이다.

1 1 1
1 2 2 1
1 3 4 3 1
.. ..
. .

첫 행을 제외하면 더 이상 모든 항이 홀수가 되는 행은 나타나지 않음을 증명하여라.

증명 2로 나눈 나머지만 생각하는 아래와 같은 삼각형을 생각하자.

1 1 1
1 0 0 1
1 1 0 1 1
1 0 1 1 0 1
1 1 1 0 1 1 1
.. .. ..
. . .

처음 네 항이 모두 홀수인 행이 없다는 것을 증명하겠다. 귀류법으로, 처음 네 항이 모


두 홀수인 행이 있다고 하고, 그 중 가장 처음 나타나는 행을 생각하자.

1 1 1 1 ···
5.1 파스칼의 삼각형 265

이 행은 위에서 봤듯이 처음 몇 개 항은 아니므로, 이 행 위에도 여러 행이 있다. 이 행


이 나타나기 전에 어떤 행이 나타나야 하는지 차근차근 생각해보자.

1 1 1 1 ···
1 0 0 0 ···
1 1 0 0 ···
1 0 1 0 ···
1 1 1 1 ···

즉, 4층 위의 행에서 먼저 그런 꼴의 행이 또 있어야 한다. 이것은 그런 꼴이 가장 처음


나타나는 행을 택했다는 것에 모순이다. 따라서, 처음 네 항이 모두 홀수인 행은 없고,
그럼 당연히 모든 항이 홀수인 행도 첫 행을 제외하면 더 이상 나타나지 않는다.

연습문제
연습문제 5.1.6
5.1.6

(2001년 KAIST 사이버원격교육) 이번에는 파스칼의 삼각형을 변형하여, 다음과 같이 생


긴 삼각형을 생각하자.
0
1 1
2 2 2
3 4 4 3
4 7 8 7 4
5 11 15 15 11 5
6 16 26 30 26 16 6
7 22 42 56 56 42 22 7
.. .. ..
. . .

이 삼각형의 좌a항, 우b항에 있는 수 D(a, b)를 정의하는 관계식을 구하고, D(a, b)의 일반
항을 구하여라. 단, 좌우 첫항은 좌우0항으로 한다. 또, 이 삼각형의 제n행에 있는 수의 합
을 구하여라.

풀이 문제의 삼각형은

D(0, r) = D(r, 0) = r, D(a, b) = D(a − 1, b) + D(a, b − 1)

의 관계식으로 결정되는 삼각형이다.


266 경우의 수와 조합

문제의 삼각형의 좌우(−1)항들에 1을 추가로 써보자.

1 0 1
1 1 1 1
1 2 2 2 1
1 3 4 4 3 1
1 4 7 8 7 4 1
1 5 11 15 15 11 5 1
.. .. ..
. . .

이 삼각형은 좌우(−1)항들까지 포함하여도 파스칼 삼각형의 관계식 D(a, b) = D(a −


1, b) + D(a, b − 1) 를 여전히 만족시킨다.
그리고, 이 새로운 확장된 삼각형은 사실 똑같은 두 파스칼의 삼각형을 가로로 2만큼
의 위치 차이가 나도록 겹쳐만든 것이다.

1 1 1 1
1 1 1 1 1 1 1 1
1 2 1 1 2 1 1 2 11
2 1
=⇒
1 3 3 1 1 3 3 1 1 3 31 13 3 1
1 4 6 4 11 4 6 4 1 1 4 61 44 16 4 1
1 5 10 10 5 1 1 5 10 10 5 1 1 5 101 105 510 110 5 1
.. .. .. .. .. .. .. .. . .. . ..
. . . . . . . . .. . .. .

왼쪽 삼각형의 수를 L(a, b), 오른쪽 삼각형의 수를 R(a, b)라 하면, 좌0항, 우0항의 위
치는 맨 위의 두 1의 사이(0이 들어갈 자리)이므로 L(−1, 1) = R(1, −1) = C(0, 0), 즉

L(a, b) = C(a + 1, b − 1), R(a, b) = C(a − 1, b + 1)

이 된다. (단, 여기서 C(m, n)은 파스칼 삼각형에서 좌 m항, 우 n항에 있는 수, 즉


C(m, n) = m+n Cm 이다.) 따라서,

D(a, b) = L(a, b) + R(a, b) = C(a + 1, b − 1) + C(a − 1, b + 1)


(a + b)! (a + b)!
= +
(a + 1)! (b − 1)! (a − 1)! (b + 1)!
b(b + 1) · (a + b)! + a(a + 1) · (a + b)!
=
(a + 1)! (b + 1)!
a(a + 1) + b(b + 1)
= C(a, b)
(a + 1)(b + 1)
5.1 파스칼의 삼각형 267

가 된다. 이 식은 원래 a, b ≥ 1 일 때 만족하는 것이지만, a 또는 b가 0일 때 대입해서


검토해보면 그때도 잘 들어맞는 식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a(a + 1) + b(b + 1)
D(a, b) = C(a, b)
(a + 1)(b + 1)

이다.
이제 제n행의 수의 합 Tn 을 구해보자. 먼저 좌우(−1)항에 1을 적어넣은 확장된 삼각
형에서 제n행의 수의 합 Tn 을 구하자. 제0행의 수의 합이 T0 = 2로 시작하고, 각 수가
다음 행에 2회 기여한다는 것은 파스칼 삼각형에서와 변함없으므로, n이 1 증가할 때
마다 Tn 은 2배씩 커져서 Tn = 2n+1 이 된다. 따라서, 원래 삼각형에서라면 좌우(−1)항
의 1을 지우면 되므로, Tn = 2n+1 − 2 이다. ♦

별해 위의 확장된 삼각형에서 제(−1)행, 제(−2)행을 더 올려 아래와 같이 그려보자.

1
1 1
1 0 1
1 1 1 1
1 2 2 2 1
1 3 4 4 3 1
1 4 7 8 7 4 1
.. .. ..
. . .

이 삼각형에서는 바로 위의 두 수의 합을 물려받는다는 파스칼 삼각형의 생성원리가


적용되지 않는 곳이 딱 한 군데 있다. D(0, 0) = 0 인 곳이다.
만일 이곳을 2로 고쳐준다면, 그 아래쪽에 있는 칸들도 이 수의 영향을 받게 된다. 정
확히 생각하면, 이 2로 시작하는 파스칼의 삼각형 전체가 더해지는 영향이 생긴다. 즉,
저 확장된 삼각형은 (−1, −1)에 1을 두고 시작하는 파스칼의 삼각형에서 (0, 0)에 2를
두고 시작하는 파스칼의 삼각형을 뺀 것과 같다. (좌표를 쉽게 읽고 싶으면 파스칼의
삼각형을 45◦ 회전해서 보면 쉽다.) 따라서,

D(a, b) = C(a + 1, b + 1) − 2C(a, b)

로 구할 수도 있다.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