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77

하노이국립대학교

외국어대학
한국어 및 한국문화학부

----------------------------------------

졸업논문

전공학생의 한-베 번역문에서의 대표적인 오역 양상 및 개선


방안 연구
-하노이국립외대 한국어 및 한국문화학부 4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지도교수 : Do Thuy Hang


지은이 : Vu Thi Thu Thao
학번 : QH.2016.F1.K2

하노이, 2020
ĐẠI HỌC QUỐC GIA HÀ NỘI
TRƯỜNG ĐẠI HỌC NGOẠI NGỮ
KHOA NGÔN NGỮ VÀ VĂN HÓA HÀN QUỐC
----------------------------------------

KHÓA LUẬN TỐT NGHIỆP

BƯỚC ĐẦU NGHIÊN CỨU LỖI SAI PHỔ BIẾN TRONG BẢN
DỊCH HÀN - VIỆT CỦA SINH VIÊN CHUYÊN NGÀNH VÀ
PHƯƠNG ÁN KHẮC PHỤC
- ĐỐI TƯỢNG: SINH VIÊN NĂM THỨ 4 KHOA NGÔN NGỮ VÀ VĂN HÓA HÀN QUỐC
TRƯỜNG ĐẠI HỌC NGOẠI NGỮ-ĐHQGHN -

Giáo viên hướng dẫn : Đỗ Thúy Hằng


Sinh viên : Vũ Thị Thu Thảo
Khóa : QH.2016.F1.K2

Hà Nội, 2020
연구윤리 서약서

본인은 하노이국립대학교 외국어대학 학생으로서 이 학위논문 작성 과정에서


다음의 연구윤리의 기본원칙을 준수할 것을 서약합니다.
첫째,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본인의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정직하고 신빙성이
있는 연구를 수행하며 학위논문을 작성합니다.
둘째, 논문작성 시 위조, 변조, 표절 등 학문적 진실성을 훼손하는 어떤
연구부정행위도 하지 않겠습니다. 기존 연구 결과를 인용할 경우 출처를 명확히
밝혔습니다. 이 연구윤리규정을 위반한다면 본인은 이에 따른 제재를 받게 됨을
인지하고 있습니다.
2020 년 5 월

서약자 : Vũ Thị Thu Thảo (인)


소속 : 하노이국립외국어대학
지도교수: Đỗ Thúy Hằng

i
감사의 글

어느 새 5 년의 학부과정을 미치고 학위논문을 제출하게 되었습니다. 5 년 전에


한국어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진로를 바꾸고 한국어 및 문화학부에 입학하였습니다.
한국어학부는 제 인생에 큰 전환점이 되고 늘 간직했던 꿈을 실현하게 해주었습니다.
저의 대학시절을 의미 있게 보내고 본 논문을 완성할 수 있도록 많은 분들로부터
도움을 받아왔습니다. 미흡하지만 학위논문을 마치면서 그 분들께 감사의 말을
전하고자 합니다.
먼저, 연구에 아직 서투르고 부족한 저를 열정적이고 친절하게 지도해주신 Do
Thuy Hang 선생님께 감사의 말씀을 전해드리고 싶습니다. 작년 10 월에 논문주제,
연구방향, 연구진행 방법 등을 모색할 때부터 논문 완성을 할 때까지 선생님이 늘
따뜻한 조언과 섬세한 지적을 아낌없이 해주시고 올바른 방향으로 저를
이끌어주셨습니다. 그 덕분에 저는 이 논문을 무사히 완성할 수 있었습니다.
한편으로 학년 때부터 항상 지켜주시고 이 논문의 띄어쓰기, 오타를 비롯한 한국어
문장 문제를 열정적으로 섬세히 지적해주신 양재식 선생님께도 진심어린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선생님의 도움은 제 논문완성에 큰 힘이 되었습니다.
또한, 본 논문 작성을 위한 한국어와 전공지식을 가르쳐주신 Tran Thi Huong
학부장님을 비롯한 한국어학부의 모든 교수님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자 합니다.
교수님들 덕분에 한국어를 아무것도 모르던 저는 한국어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고
논문을 무사히 잘 마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본 논문의 실문조사에 참여해준
교우들에게도 감사의 뜻을 전합니다.
마지막으로 어렸을 때부터 항상 제 곁을 지켜 주시고 격려가 되어주신
사랑하는 부모님과 가족에게 정말 감사합니다. 저는 힘들었을 때 가족이 옆에
있음으로 어려움을 이겨내고 보다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어머니와 아버지는 제가
한국어학부에 입학하도록 항상 응원하고 지원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2020 년 5 월
Vu Thi Thu Thao

ii
논문개요

한국과 베트남은 본격적으로 외교 관계를 수립한 1992 년 이래 다양한 교류


활동을 펼쳐왔다. 이에 따라 언어 장벽을 완화하는 데에 보탬이 되는 한-베 통번역에
대한 수요가 더욱 절박해진다. 베트남에서 한국어교육 분야에 가장 선두를 서는 기관
중의 하나인 하노이국립대학교 외국어대학 한국어 및 한국문화학부에서 전문
통번역 교육에 대한 사회의 요구 보응하는 목적으로 통번역 교육과정을 개설하였다.
번역은 다양한 기술 활용을 요구하는 복잡한 과정인 만큼 학생들이 전공을
공부하면서 어려움을 느낀다고 이야기를 자주 들었다. 특히 외국어인 한국어에서
모국어인 베트남어로 번역하기가 보다 쉽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이 실제로 번역할
때도 문제를 많이 부딪친다는 사실이다. 외국어를 모국어로 번역하는 과정은
모국어를 외국어로 번역하는 것보다 덜 어려운 점이 있으나 조사 결과 학생들이
많은 오역을 겪고 있어 전공학생의 한-베 번역문에 나타난 오역에 대한 연구가 대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본 논문에서 학생들이 자주 범하는 오역 양상에 초점을 맞춰서
연구를 진행하고 개선 방안도 같이 제시하겠다. 간략하게 요약하면 본 논문에서
다루는 내용은 아래와 같다.
제 1 부 (서론)에서 본 논문을 진행하는 필요성과 목적을 밝힌 다음에 연구
대상과 범위를 제시한다. 그리고 본 연구에 어떤 방법을 활용하는지에 대한 내용이다.
마지막으로 베트남을 비롯한 해외에서 이에 관한 기존 연구를 검토해 보고 연구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다.
제 2 부 (본론)에서는 연구 내용을 3 장으로 구분하여 다루고 각장의 내용을
간략하게 제시하기로 하겠다.
먼저, 제 1 장에 각 학자의 관점을 참조하여 정리함으로써 다양한 번역 정의에
대한 견해들 중의 공통점을 찾아내고 번역을 비롯한 한-베 번역이란 무엇인지
도출한다. 그리고 오역 개념과 본 논문에서 분석할 양상들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오역 범위는 내용 잘못된 번역 뿐만 아니라 부자연스러운 번역, 내용 추가와 누락
문제, 로마자 표기 문제 등도 포함한다.

iii
다음으로, 제 2 장에는 전공학생의 오역 현황 파악과 오역 양상별 정의, 원인,
예시 분석과 번역 대안 제시로 내용이 전개될 것이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32 명의
전공학생의 번역과제에서 나타난 문제들을 통계내고 등장빈도를 계산하고자 한다.
50%의 평균 빈도를 가지는 오역은 대표적인 문제로 삼아서 다음 부분에 계속 언급할
것이다. 통계 결과에 의해 번역물에서 발견된 12 개의 오역 중에서 총 8 개가 대표적인
문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각 종 오역 양상에 해당한 개념, 특징과 원인을 밝혀서 자주
나온 오역 사례를 분석한 뒤에 번역 대안을 제시할 계획이다.
그리고 제 3 장에는 이상에 언급한 오역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내용을 다룰 것이다. 학생들이 오역 극복 방법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극복
방법을 크게 2 가지 부분으로 나눈다. 첫번째 부분에 오역 양상마다 역자가 본인에게
맞는 방안을 택할 수 있도록 적합한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두번째 부분의 내용이
2 가지 방면에서 다루는데 전공학생의 번역 능력 제고 차 역자 차원으로 지속적 자습
방법; 학부 차원으로 교과과정 개선 방법을 제언한다.
마지막으로 제 3 부에서는 본 논문의 모든 내용에 대한 총괄적 결론을 내린다.
독자가 논문의 개괄을 잡아보기 위해 이상에 제시한 모든 내용들을 필자가 종합하여
간략하게 요약하고자 한다.
필자가 논문을 완성하도록 심혈을 기울여서 최선을 다하는데도 불구하고 연구
능력과 전문 지식에 한계가 있어서 불가피하게 연구 내용의 부족한 점이 많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현재 교우들이 본인 번역 능력을 개선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해 보겠다. 앞으로 전공학생과 번역 강의 자료에 보탬이 될 만한
신빙성이 높은 연구를 하도록 한-베 번역 연구에 지속적으로 임하겠다.

iv
BƯỚC ĐẦU NGHIÊN CỨU LỖI SAI PHỔ BIẾN TRONG BẢN DỊCH HÀN
– VIỆT CỦA SINH VIÊN CHUYÊN NGÀNH VÀ PHƯƠNG ÁN KHẮC PHỤC
–ĐỐI TƯỢNG: SINH VIÊN NĂM THỨ 4 KHOA NGÔN NGỮ VÀ VĂN
HÓA HÀN QUỐC TRƯỜNG ĐẠI HỌC NGOẠI NGỮ- ĐHQGHN–

Sinh viên thực hiện: Vũ Thị Thu Thảo, Lớp QH2016.F1.K2


Giáo viên hướng dẫn: Th.S Đỗ Thúy Hằng

Kể từ khi chính thức thiết lập quan hệ ngoại giao năm 1992, Việt Nam và Hàn
Quốc đã có nhiều hoạt động giao lưu trên nhiều lĩnh vực. Trước bối cảnh đó, nhu cầu
về biên – phiên dịch Tiếng Hàn nhằm hỗ trợ xóa bỏ rào cản ngôn ngữ giữa hai nước
trở nên rất cấp thiết. Khoa Ngôn ngữ và Văn hóa Hàn Quốc (NN&VH Hàn Quốc),
Trường Đại học Ngoại ngữ - Đại học Quốc gia Hà Nội (ĐHQGHN) là một trong
những cơ quan tiên phong trong việc mở chương trình đào tạo phiên dịch Tiếng Hàn
nhằm đáp ứng nhu cầu của xã hội đối với việc đào tạo biên phiên dịch chuyên nghiệp.
Tiếng Hàn. Biên dịch là một quá trình phức tạp đòi hỏi vận dụng nhiều kĩ năng nên
sinh viên thường cảm thấy khó khăn trong quá trình học tập. Thực tế khảo sát cho
thấy những sinh viên cho rằng dịch văn bản từ Tiếng Hàn – ngoại ngữ sang Tiếng
Việt – tiếng mẹ đẻ dễ dàng hơn trường hợp ngược lại lại gặp phải rất nhiều vấn đề
trong quá trình dịch. Việc biên dịch xuôi có thể sẽ có điểm dễ hơn so với dịch ngược,
tuy nhiên kết quả điều tra cho thấy sinh viên vẫn mắc nhiều lỗi trong quá trình dịch
xuôi và chúng ta cần phải có một nghiên cứu về những lỗi dịch xuất hiện trong bản
dịch Hàn – Việt của sinh viên chuyên ngành. Khóa luận sẽ tập trung nghiên cứu về
những lỗi sai phổ biến trong bản dịch Hàn – Việt của sinh viên và đưa ra phương án
khắc phục lỗi sai của sinh viên. Nội dung của khóa luận được trình bày tóm tắt như
sau:
Trong phần 1 (Mở đầu), người viết trình bày tính cần thiết và mục đích thực hiện
nghiên cứu, đối tượng và phạm vi nghiên cứu. Người viết cũng sẽ giới thiệu về các
phương pháp nghiên cứu được sử dụng trong khóa luận. Cuối cùng, người viết tham

v
khảo các nghiên cứu đã có không chỉ ở Việt Nam mà còn ở nước ngoài liên quan đến
đề tài này và đánh giá tình hình nghiên cứu chung của đề tài.
Phần 2 (Nội dung) được chia thành 3 chương và nội dung mỗi chương được trình
bày như sau:
Trong Chương 1, sau khi tham khảo và sắp xếp các quan điểm của từng học giả,
người viết tìm ra điểm chung giữa các ý kiến để rút ra định nghĩa về biên dịch và biên
dịch Hàn – Việt. Tiếp đó, người viết đề cập đến khái niệm lỗi dịch sai và các loại lỗi
dịch được phân tích trong khóa luận. Phạm vi lỗi dịch sai trong khóa luận này không
chỉ nói đến lỗi dịch sai nội dung mà còn bao gồm lỗi phiên âm chữ cái Hangeul sang
chữ Latin, vấn đề dịch thêm ý và thiếu nội dung, câu văn dịch không tự nhiên...
Chương 2 sẽ tập trung trình bày các nội dung liên quan đến đánh giá tình hình
lỗi dịch của sinh viên chuyên ngành, định nghĩa, đặc điểm, phân tích ví dụ và phương
án sửa sai của từng lỗi dịch. Người viết tiến hành thống kê và tính toán tần suất xuất
hiện của các lỗi dịch xuất hiện trong bài tập biên dịch của 32 sinh viên chuyên ngành
đồng ý tham gia vào nghiên cứu. Những lỗi dịch sai có tần suất xuất hiện trên 50%
được coi là lỗi sai phổ biến và tiếp tục được phân tích trong các phần tiếp theo. Theo
kết quả thống kê, trong số 12 lỗi tìm được có 8 lỗi là lỗi dịch sai phổ biến. Người viết
sau khi đưa ra các khái niệm, đặc điểm hoặc nguyên nhân tương ứng với từng lỗi sẽ
phân tích ví dụ của các lỗi đó và đề xuất phương án sửa sai đối với từng ví dụ cụ thể.
Chương 3 bao gồm nội dung về cách thức khắc phục các lỗi dịch sai đã được đề
cập phía trên. Để sinh viên có thể áp dụng một cách hiệu quả các phương pháp khắc
phục lỗi dịch sai, người viết chia phương pháp khắc phục thành 2 phần lớn. Phần thứ
nhất bao gồm các phương án khắc phục cụ thể và tương ứng với từng dạng lỗi sai để
người dịch lựa chọn phương án phù hợp với bản thân. Phần thứ 2 sẽ trình bày nội
dung về các phương pháp khắc phục trên 2 phương diện trong đó, trên phương diện
người học, người viết đưa ra phương pháp tự học biên dịch; trên phương diện đào tạo
của khoa, người viết đề xuất phương án cải thiện chương trình dạy để nâng cao khả
năng biên dịch của sinh viên chuyên ngành.
Cuối cùng, phần 3 sẽ đưa ra kết luận tổng quát về tất cả các nội dung của khóa
luận. Người viết sẽ tổng hợp và tóm tắt ngắn gọn các nội dung đã được trình bày cụ
vi
thể ở phía trên để giúp người đọc có cái nhìn tổng quan về toàn bộ nội dung của khóa
luận.
Mặc dù người viết đã dồn tâm huyết và cố gắng hết sức để thực hiện khóa luận
song do hạn chế về năng lực nghiên cứu và kiến thức chuyên ngành nên sẽ không
tránh khỏi việc tồn tại những thiếu sót trong nội dung. Mặc dù vậy, người viết vẫn hy
vọng bài luận văn này sẽ giúp ích cho việc cải thiện năng lực biên dịch của các bạn
sinh viên. Người viết sẽ tiếp tục cố gắng thực hiện các nghiên cứu liên quan đến chủ
đề biên dịch Hàn – Việt trong tương lai để bài nghiên cứu của mình có độ tin cậy hơn
và trở thành tài liệu giúp ích trong các bài giảng biên dịch.

vii
목차
감사의 글 ......................................................................................................... ii

논문개요 ......................................................................................................... iii

표 목차 .............................................................................................................x

제 1 부. 서론......................................................................................................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선행 연구 ...................................................................................................2

3. 연구범위 및 연구 대상 ................................................................................4

4. 연구방법 ....................................................................................................4

제 2 부. 본론......................................................................................................6

제 1 장. 번역 및 오역에 대한 이론적 배경 .........................................................6

1.1. 번역에 대한 이론적 배경.......................................................................6

1.2. 오역에 대한 이론적 배경.......................................................................9

제 2 장: 전공학생의 한 -베 번역문에서 나타난 오역 분석 ................................ 12

2.1. 전공학생의 한 -베 번역문에서의 오역 현황........................................... 12

2.2. 대표적인 오역 양상 분석 ...................................................................... 15

2.2.1. 한글의 로마자 표기법 문제 ............................................................ 15

2.2.2. 통사구조로 인한 오역 .................................................................... 20

2.2.3. 구어와 문어 사용 문제 ................................................................... 24

2.2.4. 의미의 누락 및 첨가 문제 ............................................................... 27

2.2.5. 어휘 오역 ...................................................................................... 35

2.2.6. 부자연스러운 번역 ......................................................................... 43

제 3 장 오역의 극복 방안 ............................................................................... 48

viii
3.1. 각종 오역에 해당한 극복 방안 .............................................................. 48

3.2. 기타 극복 방안 .................................................................................... 52

3.2.1. 학생의 지속적 학습 ........................................................................ 52

3.2.2. 번역 교육과정 개선........................................................................ 55

제 3 부. 결론.................................................................................................... 56

<참고문헌> ..................................................................................................... 58

<부록> 설문지 ................................................................................................ 62

ix
표 목차

<표 1> 4 학년 학생의 번역서에서의 오역 양상……………………………..…..…….11


<표 2> 주차별 오역 양상 등장빈도…………………………………………………….12
<표 3> 4 학년학생의 TOPIK 등급 및 오역 비율 통계……………...………......….…14
<표 4> 한글의 로마자 표기법…………………..………...……………….……………16
<표 5> 번역 능력 제고를 위한 자습 빈도의 상황…………….……….…..……….…54

x
제 1 부.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992 년에 한국과 베트남이 수교한 이래 교류 분야는 중요한 영역인 경제일 뿐만
아니라 문화, 사회, 의료 등으로 다양해지고 나날이 깊이 있게 발전하고 있다. 각종 교류
활동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중간에 언어 장벽을 없애주는 한-베 통번역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요구의 일환으로 한-베 통번역 교육 붐이 거세게 일어 왔다. 이에 따라
1994 년부터 하노이국립대학교 외국어대학 (이하 하노이국립외대)에서 한-베 통번역
전공 과정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하노이국립외대 한국어 및 한국문화학부 학생들이 3 학년부터 전공 교육을 받고
통번역 능력을 키우고 통번역 아르바이트를 통한 경력을 축적하기를 시작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32 명의 4 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베 번역 또는 베-한 번역 중에 어느 것이
보다 어려운지에 대한 조사를 한 결과, 한-배 번역이 보다 쉽다는 학생은 90.65%를
차지한다. 하지만 그렇게 대답한 4 학년 학생들이 실제로 한-베 번역 과제를 할 때 적지
않은 오류를 범하였다. 어렵지 않다고 생각하는 번역으로 비롯된 오류는 지적되지 않고
수정되지 않는다면 앞으로 졸업 후에 실제 번역 업무에 임할 때 번역문에 오역이 그대로
반영되어 번역 품질에 영향을 끼칠 확률이 높을 것이다. 더구나 졸업반인 4 학년
학생에게는 취직 준비를 위해 최대한 빨리 자신의 번역 능력을 향상시키고 자신의
부족함을 채우는 것이 급한 과제이다. 따라서 학생이 자주 범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그 오류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한편으로 베트남에서 한-베와 베-한
번역을 위주로 하는 연구 활동은 활발하지만 한-베 번역만을 집중적으로 알아보는 선행
연구는 많지 않아서 필자가 4 학년 학생을 위한 한-베 번역상 오류에 대한 연구가
베트남에서의 한국어 교육, 특히 통번역 목적 한국어교육에 대하여 연구하려는 사람들과
한-베 통번역 학생들에게 보탬이 되는 자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그러한 이류로 ‘전공학생의 한-베 번역문에서의 대표적인 오역 양상 및 극복 방안
연구’ 라는 주제를 선택해서 연구하기로 결정했다.

1
본 논문에서 다음과 같은 3 가지 목적을 중심으로 연구를 한다. 첫째, 선행 연구에서
추출한 번역과 오역에 대한 기초 지식을 토대로 역자들의 번역문을 분석하고 번역문에서
나오는 오역 양상을 찾아내고 정리한다. 한편으로 이러한 이론들을 한국어 교사와
전공학생을 위한 참조 자료로 만들고 싶기도 한다. 둘째, 학생들의 오역 양상 현황과 가장
많이 범하는 오역을 깨달을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오역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학생의 번역 과제를 분석하여 발견된 오역을 비율로 수량화하고 통계를 낸다. 그리고 이
상황은 4 학년 학생의 TOPIK 1 등급과의 연관성이 있는지 없는지도 검토를 진행한다.
다음으로 학생이 번역하다 자주 일으키는 오역은 무엇인지를 인지하도록 오역 양상별
특징을 제시하고 다양한 형태를 분석하며 대안을 마련한다. 셋째, 학생이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 자기 번역 능력을 제고할 수 있게 각 오역에 해당하는 극복 방안과 능력 향상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필자는 실제 상황 분석을 바탕으로 각종 방안을 마련해
내고자 하는 것이다.

2. 선행 연구
베트남인의 한-베 번역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한-베 통번역에 관한 연구가 점차
늘어가고 있지만 연구사는 길지 않다. 번역 연구에 있어 한-베 오역 양상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는 영어, 중국어, 일본어 번역 연구만큼 많지 않다. 특히 한-베 통번역 전공하는
대학생들의 번역서에서 나오는 오역 집중 연구는 더욱 드물다. 주된 연구 성향은
문학작품을 중심으로 오역 문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우선, 한-베 번역문을 중심으로 연구하는 논문에 있어, Nguyen Ngoc Tu (2010)는
‘끝없는 벌판’ (Canh dong bat tan)에 나오는 베-한 번역상의 문제점을 밝혔는데 다른
학자와 달리 언어문화 차이, 물질문화 차이, 사회문화 차이, 생태학적 차이로 등 원인을
기준으로 오역을 분류하였다.
Ha Minh Thanh (2014)은 한국문학의 베트남어 번역 현황을 제시하고 한국근대소설
베트남어 번역의 문제에 초점을 맞춰서 어휘, 문장, 누락, 고유명사 표시 불일치 오류를

1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한국어능력시험)의 약자

2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분석했다. 그리고 오역 개선을 위해 번역자들 스스로 언어능력을
끊임없이 키워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가장 최근에 Do Thuy Hang (2018)은 하노이국립대학교 3 학년 학생의 번역문을
중심으로 오류를 분석하는 연구를 했는데 학생들이 컴퓨터를 통해 번역 작업을 할 때
나타나는 문법적, 어휘적, 번역투 등 내용에 관한 오역은 물론 오타, 간격, 폰트(FONT)
등 형식으로 인한 오역까지 자세히 조사하고 원인을 밝혀냈다.
다음으로, 한-베 번역 문제 논문은 많지 않으나 베-영, 한-중, 한-영, 한-일 등
번역상 문제에 관한 연구는 보다 풍부하다.
우형숙(2006)은 조이북닷컴(Joybook.com)의 한영 번역 작품을 대상으로
아동문학작품 한영 번역본에서 나온 어휘 차원과 상황 차원의 오역를 제시했다.
Yin Chao Xuan(尹 朝 鉉) (2010)은 주로 언어와 문장을 집중 분석해서 한문 학습자의
오역(誤譯) 양상을 제시했다.
경금(2011)은 영화에 등장한 한-중 번역상의 문제점을 어휘적, 문체적, 문법적,
문화적 측면 등으로 구분하고 살펴봤다.
이호봉(2013)은 스포츠 기사문 한-중 번역의 오역 사례를 연구했다. 본 연구는 주로
문장, 어휘, 표현법의 일대일 대응 여부에 초점을 맞춰 판단하였다.
Nguyen Hai Ha, Chu Thi Huyen My, Tran Bich Ngoc (2015)은 영어사범학과 학생의
과제에서 나오는 번역상 오류를 위주로 연구를 하였다. 여기서 저자들이 문법상 문제들에
대해 깊이 분석하고 영어판에서 베트남어로 번역하는 데에 부딪치는 문제를 지적하였다.
그 외에 독해 오류와 전달 문제도 같이 언급되었다.
김낭경(2017)은 일본 작가인 다지이 오사무 ˹사양˼의 오역 양상을 구체적으로 분석
했는데 잘 알려져 있는 각종의 내용 외에도 역사적 사실에 관한 오역을 새롭게 발표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베트남이나 한국 학자들이 한-베와 베-한 번역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지만 하노이국립외국어대학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베 번역본에서 나오는
오역만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극복 방안을 제시하는 연구는 거의 없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다고 해도 과학 잡지 연구에 불과하다. 대부분 연구는 문학 등을 위주로 하고

3
있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곧 한-베 교류 활동에 가교 역할을 맡게 될 4 학년 학생들이 번역
시 부딪치는 문제점들과 그를 극복하는 방안을 알려주지 않는다면 이 부족함이 작게는
번역 업무에, 크게는 양국 간 교류 활동에 방해가 될 수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본 논문은 사전 연구 결과를 부분적으로 활용하면서도
선행연구들과의 차별성을 가지고 시의적절한 극복 방안을 제시하는 연구이다.

3. 연구범위 및 연구 대상
하노이국립외대 한국어 및 한국문화학부 4 학년 재학 중인 123 명 중에 설문조사
참여에 동의하고 본 연구를 위한 번역과제 수집에 응한 학생만을 선정하여 32 명의 한-베
번역과제를 수집하였다.
번역과제는 ‘번역문 분석-평가’ 수업에서 제시된 한국어 자료들이다. 그리고 이러한
과제는 2019-2020 년 1 학기 2, 4, 6, 9, 10, 11, 13 주차의 한-베 번역 과제와 기말고사
리포트를 포함하여 총 40 개 번역문이다. 자료의 주제는 5 개가 있는데 사회, 경제, 문화,
문학, 교육이다. 본 논문에서 한-베 번역하는 과제에서 나오는 대표적인 오역을 대상으로
연구를 한다. 이러한 오역은 평균 등장빈도가 50%이상을 차지해야 대표적 오역이라고
삼는다.
본 과목에 한 개 반을 4 팀으로 나눠서 팀별로 번역 학습 활동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본고에서 다음과 같은 기준을 충족하는 조를 선정하는데 ①연구에 참가 동의
여부, ②팀원의 참가도, ③숙제 수량 충족 여부이다.

4. 연구방법
본 논문은 과학적 신뢰성과 정확성을 보장하면서 연구를 원활히 하기 위해 연구
과정에 다음과 같은 연구방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1. 자료 수집: 베트남어와 한국어로 된 참고자료, 선행연구를 찾아내고 그를 통해
번역 이론 및 오역 양상에 관한 정보를 수집한다. 그것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
최적의 지식을 활용하여 오역 유형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수립하고 작성한다.

4
또한 2019-2020 년 1 학기 ‘번역문 분석-평가’과목에서 제시된 숙제를 모아서
이를 토대로 대표적인 오역들을 찾아내고 양상별로 구분한다.
2. 질문지법: 연구에 참여하는 32 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학생들이 한-베 번역에
대한 생각하는 난이도, 그들의 TOPIK 등급, 번역 자습 빈도가 어떻냐는 질문을
위주로 2 주일 동안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 결과는 학생의 오역
현황 파악하고 오역 극복 방안을 제시하는 토대이다.
3. 자료 통계 및 분석: 학생이 하는 과제에서 나오는 오역을 수량적으로 통계하여
도표를 수립한 다음에 수량을 분석함으로써 대표적인 오역을 선정한다. 또한
텍스트를 제공하는 집단의 오역 비율과 TOPIK 등급 통계 자료를 비교하고
분석함으로써 이들의 상관성이 있는지 없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학생의 번역 자습 빈도를 도표로 만들어서 현황을 파악하고 최적의 오역 극복
방안을 마련한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나누어 구성한다.
제 1 장 번역과 오역의 이론적 배경에서는 번역의 개념과 표준, 오역의 개념과 양상을
알아보고자 한다.
제 2 장 전공학생의 한-베 번역문에서 나타난 대표적인 오역 현황과 연구 대상을
오역 통계 자료를 통해 고찰한다. 다음으로 오역을 양상별로 분류하여 그의 특징을
제시하고 실제 과제에서 나온 오역을 분석하여 번역 대안을 마련한다.
제 3 장에서 지적된 오역을 토대로 최적의 극복 방법을 제시해 보도록 한다.
끝으로 결론에서는 본 논문의 내용을 간략히 요약하고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을
밝히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5
제 2 부. 본론

제 1 장. 번역 및 오역에 대한 이론적 배경

1.1. 번역에 대한 이론적 배경


1.1.1 번역 정의
사전적 의미의 번역은 ‘어떤 언어로 된 글을 다른 언어의 글로 옮김’이다.2
번역이론의 대가인 Nida (1969)는 번역은 원천 언어로 표현되어 있는 메시지를
번역목표 언어에서 가장 자연스럽고 유사한 상응어로 재생산하는 과정이라고 한다.3
김효중(2004)은 ‘번역이 단순히 언어의 기호 전환이 아니고 문자라는 형식 속에 그
언어를 사용하는 민족의 세계관 즉 넓은 의미에서 문화의 역동적이고 고유한 내용이
농축되었는데, 그 모든 것을 다른 형식으로 바꾸어 표현하는 작업이다’라고 정의했다.
구조주의 언어학자 Roman Jakobson (2006)에 의하면 번역자의 역할은 하나의
언어(원천언어(SL: Source language))로 작성된 원천텍스트(ST: Source text)를 다른
언어(목표언어(TL: Target language))로 작성된 번역문(목표 텍스트(TT: Target text))으로
바꾸는 것이라고 한다.4
오혜정(2009)에 따르면 번역은 원천 언어와 목표 언어 사이에 적절한 단어를 잘
매치시키는 1 차적인 번역을 넘어서서, 문장 전체의 의미를 본 뒤 단어가 문장에서 가지는
느낌을 살려 옮겨야 하기 때문에 창조의 작업이라고 했다.
남성우(2016)는 ‘번역이란 원문 텍스트 저자가 의도하는 의미를 이해하고 이 의미를
역자가 모국어로 전달할 때 표현했을 방식으로 재표현하는 것’이라고 정의를 내렸다.
Le Hung Tien (2018)은 번역은 한 문서를 출발 언어에서 도착 언어로 옭기는
과정이라고 밝혔다. 사람이 진행하는 번역과정 뿐만 아니라 기계 번역과정을 일컫기도 한다.

2
『국립국어원』; https://www.korean.go.kr/front/search/searchAllList.do (2020 년 1 월 14 일 검색)
3
심지언, “문학작품에 나타난 중한번역 오류분석” (부산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p.6 에서
재인용.
4
한중과, “장편소설「活着」의 오역 유형 분석” (서문대학교 통번역대학원, 석사논문, 2014), p.11

6
앞서 기술한 것처럼 번역 개념에 있어 학자마다 조금씩 다르게 해석하는데 번역
과정에서 의미를 두고 정의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번역 시 의미적 또한 표현적 등가성을
추구하는 사람이 있다. 그러나 번역이 출발언어에서 도착언어로 원본의 의미를 옮기는
과정이라는 것은 학자들의 공통점이다.
위의 저자들의 관점을 참고함으로써 번역은 본문에 담기는 메시지를 자연스러운
표현으로 한 언어에서 다른 하나의 언어로 재생산하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한-
베 번역은 바로 한국어로된 서적, 글, 자료 등에 포함된 메시지를 베트남어로 자연스럽게
표현하여 재생산하는 과정이다.

1.1.2 번역 표준
번역이 원문의 사상과 내용을 역문에 옮겨놓는 작업인데 이것이 잘 되었는지 잘 못
되었는지 평가하는 것은 바로 번역 표준이다. 그러나 학자마다 번역 표준을 어떻게
수립하는지 다음과 같이 살펴보자 .
M.Lederer (1994)는 W.Koller (1992)의 조서를 인용해서 다음의 3 가지 기준을
제시했는데 ①번역 등가(equivalence)의 기준 ②의미에의 충실성 기준 ③번역문의
투명성기준이다. 번역 등가는 서로 다른 언어로 된 텍스트는 완벽함에서 부분적 일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정도로, 서로 다른 표상 수준인 문맥, 의미, 문법, 어휘 등의 측면에서,
혹은 서로 다른 통사 단위인 낱말, 어구, 문장 등의 단위에서 등가적일 수 있음으로 나타나
있다. 5 두번째 원칙은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정확하게 전달해야 하는 충실성,
도착어에 대한 충실성, 번역 대상 독자에 대한 충실성 등 3 가지 충실성을 언급했다.
마지막으로 번역문의 투명성은 바로 분명-명료한 것인데, 이것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국제 표준화 기구 ISO 가 2000 년에 번역 기준에 관련된 ISO 규정을 발표하였다.6
주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충분: 원문에서 나온 내용은 모두 번역문에서 나타나야 한다.

5
강유연, “번역에서 등가문제”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p.26.
6
Lê Hùng Tiến,『Phê bình đánh giá dịch thuật: Một số vấn đề lý luận cơ bản và thực tiễn dịch thuật Anh – Việt』,
(Nhà xuất bản Đại học Quốc gia Hà Nội, 2018), p.94 재인용

7
이른바 내용 생략과 같은 행위는 해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②원문에 말하고자 하는 바는
그대로 역문에 반영해야 한다. 이것은 의미의 충실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말이다.
③관용구, 숙어 등: 번역문에서 원문에 있는 개념들을 자연스러운 도착어 표현으로
설명해야 한다. 두 언어가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짐으로써 등가 번역하기 어려운 경우가
빈번하다. 이럴 때 역자가 모국어를 활용하여 이국적인 표현때문에 번역 대상 독자가
이질감을 느끼지 않도록 매끄럽게 번역해야 할 것이다. ④적합한 스타일: 번역문의 글쓰기
스타일은 원작자의 뜻과 원문의 의도에 맞아야 한다. 문학작품, 과학신문, 교재 등 번역할
서류는 정류가 다양한데 역자가 그와 저자가 글 쓰는 특성을 고려하여 적합한 말투로
메시지를 옮겨야 한다. ⑤어법에 충족: 도착어의 일반적인 기준에 맞는 문법, 맞춤법, 구두
등이 번역문에 사용된다. 내용을 제외하고는 역자가 원문의 형식에도 깊이 유의해야 하고
문법을 정확히 활용하는 능력을 가질 필요가 있다.
서충(2014)은 번역 기준에 있어 충실성을 중심으로 한 번역서는 다음과 같은 3 가지
요소를 충족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첫째, 의미에 충실해야 한다. 즉, 사용된 언어 보다는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내용을 제대로 전달해야 한다는 뜻이다. 이를 위해 언어적 지식은
물론 언어 외적 지식도 필수적이다. 둘째, 도착어에 충실해야 한다. 출발어와 도착어는
서로 다른 특징을 지니는데 번역 작업을 하면서 지나치게 원문의 출발언어를 의식하다
보면 어색하고 막연한 도착어 표현이 나올 것이 분명하다. 셋째, 번역 결과물의 소비자인
독자에 대해 충실해야 한다. 저자는 사람을 대상으로 삼아서 글을 쓰는데 이들은 언어를
비롯한 문화적 배경이 다른 사람들이다. 따라서 원문을 번역 대상 독자에게 이해시키자면
도착어 규칙을 유지하면서 모든 의사전달 행위는 동일한 내용과 효과를 충실히 전달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견해를 종합해 보면 역자가 품질이 높은 번역서를 만들려면 다음과 같은 3 가지
원칙을 잘 지켜야 한다.
1. 원문 내용에 충실해야 한다.
2. 역문독자가 이해하기 쉽게 분명-명료하고 또는 자연스러운 말로 표현해야
한다.

8
3. 원문의 문어 특징에 알맞게 단어를 선택하고 언어미학적 효과를 보장해야
한다.

1.2. 오역에 대한 이론적 배경


1.2.1. 오역의 개념
오역의 사전적 개념은 ‘잘못 번역함 또 는 잘못된 번역’이라고 한다.7
정봉구(1975)는 오역은 원문이 지니는 정보나 의미가 번역문에서 잘못 표현되어
독자들에게 잘못된 정보나 의미를 전달하게 되는 오류를 범하는 것의 통칭을 명명한다.8
그리고 오역을 유발하는 원인은 다음과 같이 간추릴 수 있는데 어구의 의미파악 착오,
문장 의미 파악 착오, 원어 부분의 탈락, 문장 표현 부정확, 용어의 불통일, 전체 작품
창작의도 파악 착오 등이다.
Hatim 과 Mason (1997)에 따라 오역은 원문와 역문 간에 중요한 뜻을 불일치하게
전달하고 (누락, 첨가와 내용 대체의 경우 포함) 도착 언어 구조를 파괴하는 행위라고
정의하였다.
한형곤(2000)이 오역이란 외국어에 대한 무지와 부주의에 의해서 생기는 문제라고
하였다.
윤조현(2010)은 오역이란 학습자가 한문을 잘못 읽고 풀이하여 잘못 이해하는
활동이라고 이상적인 결과물에 중점을 두면서 정의를 내렸다. 그리고 오역은 학습자가
한문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 그리고 언어적인 지식의 부족에서 기인한다고 원인을 밝혔다.
ATA Framework (2017)는 번역상 오류는 원문에 일부 의미가 제대로 번역문에
전달되지 않을 때 발생함으로써 원본의 독해성에 영향을 끼친다고 하였다. 오역은 별개의
입장에서 언급된 구체적인 양상을 포함하는데 전치사 선택, 불확실 또는 확실한 규칙 준용
그리고 시제와 분위기 선택으로 인한 오류가 있다.

『국립국어원
7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Result.do (2020 년 1 월 14 일 검색)
8
이효비, “중역본『賣時間的商店』에 나타난 오역 사례 분석”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p.7.

9
이상에 기술한 이론을 종합해 보면 오역은 원문에 어긋나고 원문을 정확히 전달하지
못하는 번역문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오역 개념 범위에 잘못된 번역은 물론 베트남말로 부자연스러운 번역,
지나치게 추가 또는 축소된 번역, 시제 불일치, 어휘 오역, 한글의 로마자 표기 문제 등을
알아보고자 한다.

1.2.2. 오역의 양상
심지언(2006)은 중한 번역 문학작품을 대상으로 오역 양상을 제시하였는데 의미
생략, 의미 첨가, 과도한 번역, 존대법, 외래어 고유명사 오류 등 총 12 개의 오역을
찾아내고 각종 오류에 해당하는 사례를 제시하고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Ha Minh Thanh (2014)는 한국근대소설을 베트남어 번역된 자료를 위주로 번역상
오류를 고유명사 표기 불일치, 어휘 오역, 문장 오역, 누락 문제 등 4 가지로 집중
분석하였다.
표지판에 표기된 번역문에 나타난 오역 연구에 대해, Nguyen Thi Minh Tam 과
파트너(2017)는 Munoz (2012)와 Keshavarz (1993)의 번역서 분석 결과에 기대어 다음과
같이 번역상 문제를 4 가지 제시하였는데 문법, 표기; 단어 및 문장 구조 선택; 번역 내용
그리고 화용, 스타일이 포함된다. 따라서 이 연구는 내용적 문제를 집중적으로 고찰하고
분석하는 성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9
Do Thuy Hang (2018)는 하노이국립외대 3 학년 학생의 오역 고찰 연구에서 내용적
오역과 형식적 오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형식 오류에 있어 학생들이 노트북으로
과제 번역 작업 과정에서 폰트 조정, 오타, 줄 또는 문단 간격 문제, 여백 조정 등을
수량화하고 현황을 파악하였다. 내용적 문제에는 문법, 단어 선택, 구어/문어 말투, 화용,
첨가/누락/ 잘못된 번역을 5 가지고 나눠서 예를 제시하고 분석하였다. 위의 내용을 보면

9
『Sao Do 대학교』; http://ftf.saodo.edu.vn/nghien-cuu-trao-doi/nghien-cuu-mot-so-thu-phap-giup-nang-cao-ky-
nang-dich-thuat-tieng-anh-118.html (2020 년 1 월 14 일 검색)

10
연구자가 내용 뿐만 아니라 형식 문제도 오역 중의 하나로 삼아 연구한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화됨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심지언(2006), Ha Minh Thanh (2014)과 Do Thuy Hang (2018) 연구가
각종 오역 사례를 체계화하고 구체적으로 기술하여 학생의 번역상 오류를 분석하기에
적합하다고 보고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필자는 연구를 진행하기로 하겠다. 본
논문에서 기존 연구 결과와 조사 결과에 의해 다음과 같은 총 12 개의 오역 양상으로
분류하였다.

<표 1> 4 학년 학생의 번역서에서의 오역 양상

오역 양상

1. 2. 3. 4. 5. 6. 7. 8. 9.
주어 시제 원문 한글의 통사 구어와 누락 부자연 어휘
혼동 불일치 독해 로마자 구조 문어 및 스러운 오역
ㅇㅇㅇ 표기 사용 첨가 번역
문제 ㅇ
문제 문제 문제

의미의 부적합한
누락 어휘

의미의 첨가 어휘의
의미

단어 혼동

11
제 2 장: 전공학생의 한-베 번역문에서 나타난 오역 분석

2.1. 전공학생의 한-베 번역문에서의 오역 현황


한국어학부 4 학년 학생들이 3 학년부터 통번역이론, 전문 번역, 한국어기사 번역 등
다양한 과목을 수강하여 번역능력을 키워왔다. 1 년 이상 번역을 공부하던 전공학생들이
이론을 비롯한 실제 학습을 거듭하는데도 경력, 지식 등 부재로 오역을 일으키는 경우가
빈번하다. 본 논문에서 ‘번역문 분석-평가’ 과목에서 4 학년 전공학생이 번역 작업한 한-
베 번역문을 분석해서 <표 1>에 언급된 오역 양상별 평균 등장빈도를 계산하여 50%
이상인 오류는 대표적인 문제라 보고 아래 표에 꿁은 글씨로 표시해 놨다.

<표 2> 주차별 오역 양상 등장빈도


(단위: %)

순서 주차 2 4 6 9 10 11 13 18 평균
오역 양상 (리포트)

1 주어 혼동 25 25 0 0 62.5 50 25 50 29.69

2 시제 불일치 25 50 75 50 12.5 25 25 50 39.06

3 원문 독해 문제 25 37.5 50 25 87.5 50 50 50 46.88

한글의 로마자
4 50 37.5 75 50 75 25 75 25 51.56
표기법 문제

5 통사구조 25 50 75 50 87.5 50 75 50 57.82

구어와 문어 사용
6 50 87.5 75 25 50 75 75 50 60.94
문제

12
의미
누락 및 75 50 75 50 37.5 75 100 50 64.06
누락
7 첨가
문제 의미
50 75 50 100 62.5 75 50 75 67.19
첨가

부적합한
100 75 100 75 87.5 100 75 75 85.94
어휘
어휘의
8 어휘오역 75 87.5 50 75 62.5 100 75 75 75
의미
단어
0 37.5 25 25 50 25 0 25 23.44
혼동

9 부자연스러운 번역 100 87.5 100 75 87.5 100 75 100 90.63

전공학생이 번역한 40 개의 과제를 분석한 결과 총 오류 12 개를 찾아냈는데 이들은


<표 2>에 나온 것처럼 평균 등장빈도에 따라 나열되었다. 12 개 중에 단어 혼동에 비롯된
오역은 23.44%로 가장 적게 나타났고 주어 혼동, 시제 불일치 그리고 원문 독해상 오역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등장빈도의 50%를 넘어선 오역들이었다. 본 논문에서
이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심층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50%이상인 8 개의 문제는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 통사구조, 구어와 문어, 의미의 누락 및 첨가, 단어의 의미,
부적절한 어휘와 부자연스런 번역을 포함한다. 그 중에 부자연스러운 번역은 90.63%로
1 위를 차지했고 부적절한 어휘로 인한 오역은 바로 그 뒤를 이었다. 한글 로마자 표기법
문제는 51.56%에 불과하여 가장 낮은 자리를 지켰다. 전체 결과를 보면 학생들이 문법
지식이나 독해 능력이 번역에 크게 방해되지 않지만 번역 기술 또는 문맥에 적합한 말을
잘 골라서 사용하는 능력은 주의할 만한 사항이다.
계속해서 오역 현황과 학생의 TOPIK 등급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32 학생을
대상으로 TOPIK 등급과 오역 비율 조사를 진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3
<표 3> 4 학년학생의 TOPIK 등급 및 오역 비율 통계
(단위: %)

100

90

80

70

60 6급
5급
50
4급
40 TOPIK 없음
오역 비율
30

20

10

0
1조 2조 3조 4조

<표 3>을 보면 TOPIK 수준과 오역 현상과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1 조는 TOPIK


6 급을 취득한 사람의 수가 55.56%로 4 조 중에 가장 많이 나타났고 TOPIK 6 급과 TOPIK
5 급만 달성한 유일한 조였다. 이 조과 같은 경우 <표 3>에서 보이듯이 오역은 4 개 팀의
총 수량 중에 22.91%를 차지함으로써 가장 낮게 드러났다. 다음으로 2 조의
22.22%는 TOPIK 4, 33.33%는 TOPIK 5 급, 44.45%는 TOPIK 6 급을 딴 경우 오역 비율은
1 조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반면에 TOPIK 시험을 보지 않거나 TOPIK 4 급이나 5 급이
주를 이루는 3 조와 4 조는 오역을 범하는 비율이 26.16%, 27.09%의 순으로 1 조와 2 조보다
많이 나타났다. 한국어능력시험은 말하기를 제외하고 학습자의 한국어 읽기, 듣기, 쓰기
능력과 문법 지식을 평가하는 시험이다. TOPIK 수준이 높음에 따라 상기와 같은 능력이

14
달라진다. 원본 독해, 글쓰기 능력은 번역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만큼 TOPIK 수준이
높으면 높을수록 번역질이 좋아진다. 다시 말하자면 오역 발생확률이 낮아진다고 분석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한국어 능력을 반영하는 토픽 수준은 절대적으로 번역 실력에 결정적인
요소가 아니지만 상당히 오역 상황에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2. 대표적인 오역 양상 분석
각종 자료 번역은 단순히 단어 대 단어로 번역하는 것이 아니라 그 자료에 담긴
메시지를 번역문에 잘 반영해야 하는 과정이다.10 즉, 원문에서 독자가 받는 내용, 뉘앙스,
여운 등을 번역문에서도 그 요소들이 나타나야 하는 의미 대 의미를 지향하는 번역이다.
그러나 4 학년 학생의 번역서에서 다양한 오역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4 학년
학생들의 번역과제에 대표적인 오역의 사례를 추출하여 그를 분석해서 원인과 번역
대안을 함께 제시하겠다.

2.2.1. 한글의 로마자 표기법 문제


베트남어로 된 번역 문서를 보면 외국 고유명사를 많이 찾을 수 있는데 이들의 표기
방법이 일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기재된다는 사실이다. 예를 들면 한국의 수도인 서울은
‘Seoul’, ‘Xơ-un’, ‘Xê-un’, 도쿄는 ‘Tokyo’, ‘Tô-ki-ô’, ‘Đông Kinh’등 적어도 3 가지가
사용되고 있다. 그 이유는 여태까지 베트남에는 외국 고유명사에 관한 표기방법에 관한
통일된 규정이 없기 때문이다.11 특히 같은 고유명사라도 출판사, 학교, 재단, 정부 부처
등 기관들의 규칙에 따라서 달라질 수도 있다. 그래서 통번역 전공학생들이 번역하면서
다양하게 한국의 고유명사를 표기해왔다. 심지어 한 문서에서조차 같은 고유명사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번역하거나 한글을 로마자로 잘못 표기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는
독자에게 혼란을 끼치는 것은 물론 자료의 내용과 문맥을 이해하는 데에 악영향을 주기도

10
이효비, “중역본『賣時間的商店』에 나타난 오역 사례 분석”,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p.9.
11
Ha Minh Thanh, “한국문학의 베트남어 번역 연구”, (이하대학원, 박사논문, 2014), p.81.

15
한다. 본 구절에서 학생들이 범하는 한글의 로마자 표기 불일치와 오류에 대한 오역
사례를 분석할 것이다.
로마자 표기가 오류로 판정되는 기준은 대학교 강의에 교재로 쓰던 ˹개념이 있는
국어문법˼에 기재된 아래의 표로 정리된다.

<표 4> 한글의 로마자 표기법12

자음 모음

로마자 로마자
한글 한글 한글 로마자 한글 로마자
초성 받침 초성 받침

ㄱ g k ㅈ j ㅏ a ㅑ ya

ㄲ kk ㅉ jj ㅓ eo ㅕ yeo

ㅋ k ㅊ ch ㅗ o ㅛ yo

ㄷ d t ㅅ s ㅜ u ㅠ yu

ㄸ tt ㅆ ss ㅡ eu ㅒ yae

ㅌ t ㅎ h ㅣ i ㅖ ye

ㅂ b p ㄴ n ㅐ ae ㅘ wa

ㅃ pp ㅁ m ㅔ e ㅙ wae

ㅍ p ㅇ ng ㅚ oe ㅝ wo

ㄹ r l ㅟ wi ㅞ we

ㅢ Ui

[ST 1]: 장아찌는 채소를 간장이나 된장 혹은 고추장에 오랫동안 절인 음식을


가리킨다. (˹밥을 아니 먹으면 굶는 것이다˼ p.63)

12
김홍범, 성낙수 등 『개념이 있는 국어 문법』, (지학사, 2013), p.304.

16
[TT 1]: Jangachi là tên gọi một món ăn mà người ta muối rau củ với nước tương (ganjang),
tương đậu (duenjang) hoặc tương ớt (gojujang) trong một thời gian dài.
분석: 위의 역본에 학생이 명사를 번역할 때 베트남어 의미와 그의 라틴어도 같이
표기하였다. 평소 자주 부딪치는 단어라면 정확히 표기할 수 있지만 정확하게 기억하지
못하는 부분은 단순히 베트남어 발음과 잘 알고 있는 몇 가지 기호를 합쳐서 새로운
표기법을 만들어 표시하는 경우가 많다. ‘된장’ 같은 경우 ‘ㄷ’은 ‘d’로 정확히
표기되었으나 ‘왼’은 베트남 원어민 발음에 준하여 ‘uen’으로 적혀 있다. 결과는
‘duenjang ’라는 말이 새로 탄생하게 되었다. 로마자 표준법에 의해 ‘ㅚ’는 ‘oe’로 적어야
되어 ‘doenjang’은 정확한 표현이라고 본다. ‘장아찌’ 같은 경우 된소리인 ‘ㅉ’을 발음할
때 후두 근육을 긴장하여 강하게 소리를 내는 특징이 베트남어의 ‘ch’ 와 유사하게 느껴서
‘찌 ’는 ‘ch’로 사용되어 버렸다. 표준에 맞는 표기는 ‘jangajji’ 이다. ‘고추장’은 ‘ㅊ’와
‘주’가 혼동될 수 있어 같은 로마자인 ‘j’ 로 적게 되었다.
대안: Jangajji là tên gọi một món ăn mà người ta muối rau củ với nước tương (ganjang),
tương đậu (doenjang) hoặc tương ớt (gochujang) trong một thời gian dài.

[ST 2]: 눈이 많이 내리는 울릉도에서 눈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투막집을 짓습니다.


몸채는 보통 통나무 귀틀집으로 만들며 처마 끝에 우데기 또는 투막이고 하는 또 하나의
외벽을 세운 형태입니다. (˹지역별 특징에 따른 한옥˼)
[TT 2]: Ở một nơi tuyết rơi nhiều như đảo Ulleng, để giảm thiệt hại do tuyết gây ra người
dân ở nơi đây xây dựng một loại nhà có tên gọi là Tumagjib. Phần thân nhà là một ngôi nhà gỗ nhỏ
được dựng bằng gỗ thông và ở cuối phần mái hiên có thêm một bức tường bên ngoài được gọi là
Udaegi hoặc Tumag.
분석: 위의 예시에서 보듯이 밑줄 그은 고유명사들은 베트남에 상응하는 사물이
없고 사전에도 베트남어된 의미를 찾을 수 없는 바람에 특별한 기준 없이 제멋대로
표기하고 말았다. 먼저 투막집은 문화차이로 인해 베트남에 이러한 전통 주택이 존재하지
않는다. 투막집은 한국의 전통 한옥 중의 하나이지만 베트남에서 잘 알려진 집의 형태가
아니라는 점 그리고 자주 사용되는 단어가 아니라는 이유로 한-베 사전에서 의미가

17
입력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이는 고유명사라서 한글을 로마자로 표현해도 된다.
그러나 지정한 기준 없이 본인이 생각나는 대로 표기하여 ‘ㄱ’이 ‘g’로, ‘ㅂ’이 b 로 적었다.
문제는 이 자음들이 모두 받침이라서 ‘g’, ‘b’아닌 ‘k’ , ‘p’로 표기돼야 표기법에 맞는 것이다.
한글을 라틴어로 잘못 번역해서 ‘Tumagjib’과 ‘tumag’ 등 해괴한 이름을 만들었다. 더구나
이러한 단어가 존재하지 않으니 독자가 이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는 데에 불편을 끼칠
확률이 매우 높다. 투막도 마찬가지로 받침이 잘못 번역되었다. 마지막으로 우데기는
‘ㅔ’가 ‘ㅐ’와 혼돈되어 ‘ae’로 표시되었다.
대안: Ở một nơi tuyết rơi nhiều như đảo Ulleng, để giảm thiệt hại do tuyết gây ra người dân
ở nơi đây xây dựng một loại nhà có tên gọi là nhà Tumakjip. Phần thân nhà là một ngôi nhà gỗ nhỏ
được dựng bằng gỗ thông và ở cuối phần mái hiên có thêm một bức tường bên ngoài được gọi là
Udegi hoặc Tumak.

[ST 3]: 경상도와 전라도에 분포된 남부지방의 집들은 ‘ㅡ 자형’으로 방, 마루,


부엌이 옆으로 나란히 붙어 있고 넓은 대청마루가 집의 중심에 있고, 창문과 방문이
많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한옥의 구조와 역사˼)
[TT 3]: Những ngôi nhà phía Nam được phân bố ở tỉnh Gyeongsang và tỉnh Jeolla có những
đặc trưng như phòng, sàn và nhà bếp được đặt nối liền nhau theo dạng chữ “ㅡ”, hiên trước nằm ở
giữu nhà và có nhiều cửa sổ và cửa phòng.
분석: 베트남어 번역본에서 경상도와 전라도인 지명은 [표 2-3]에 준해 정확히
표기되지만 행정 구역 표기 기준을 어기는 까닭에 오역으로 볼 수 있다. ‘도, 시, 군, 구’
등의 행정 구역 단위와 ‘가’는 각각 ‘do, si, gun, gu, ga’로 적고, 그 앞에는 붙임표 (-)를
넣는다. 13 ‘시, 군, 읍’의 행정 구역 단위는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경상도, 전라도는
로마자로 기재될 때 반드시 –do 를 뒤에 붙여야 한다. 하지만 이 기준은 학생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음으로 정확히 활용하지 못 하고 있다.

13
김홍범, 성낙수 등 『개념이 있는 국어 문법』, (지학사, 2013), p305.

18
대안: Những ngôi nhà phía Nam được phân bố ở tỉnh Gyeongsang-do và tỉnh Jeolla-do có
những đặc trưng như phòng, sàn và nhà bếp được đặt nối liền nhau theo dạng chữ “ㅡ”, hiên trước
nằm ở giữu nhà và có nhiều cửa sổ và cửa phòng.

[ST 4]: 지방대 졸업생 김광섭 (29)씨는 이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기대했던 일을 찾는


것은 어렵다. (한겨례, ˹한국의 지나친 교육열이 ‘청년실업’ 유발˼)
[TT 4]: Trả lời phỏng vấn của tờ Financial Times, anh Kim Gwang-sub, cử nhân tốt nghiệp
trường Đại học ở địa phương chia sẻ: “Rất khó để tìm được một công việc như mong muốn.”

[ST 5]: 광섭 씨는 회사를 중간에 그만둔 것을 후회하고 있으며, 취업 시 나이 제한을


걱정하고 있었다. ( 한겨례, ˹한국의 지나친 교육열이 ‘청년실업’ 유발˼)
[TT 5]: Anh Kwang-soeb đang hối hận vì đã nghỉ việc giữa chừng và rất lo lắng về việc giới
hạn độ tuổi khi đi xin việc.
분석: 변역문에서 한글을 라틴어로 잘못 표기한다면 올바른 정보를 전달하기에
장애가 되는가 하면 같은 인명이나 지명 등 고유명사가 일관되게 기재되지 않는 것은
독자에게 혼란을 일으키기 십상이다. 한 기사에 인터뷰 질문에 대답한 사람이 한 명인데도
불구하고 표기 방법이 여러 가지가 나오기 때문에 독자가 읽으면서 혼란스러울 수 있다.
이상의 표기규칙에 의해 Kwang-soeb 은 맞는 번역이고 2 가지 형식으로 한 사람의 이름을
로마자로 표시하여 독자가 저자가 다른 2 명을 인터뷰를 하고 있다고 착각할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하나의 인명이나 지명에 대한 표기 방법이 다양한데도 불구하고 표기법을
통일하여 번역해야 독자에게 혼란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역자가 기억할 필요가 있다.
대안: [TT 4]: Trả lời phỏng vấn của tờ Financial Times, anh Kim Gwang-soeb, cử nhân tốt
nghiệp tại một trường Đại học ở địa phương chia sẻ: “Rất khó để tìm được một công việc như
mong muốn.”
[TT 5]: Anh Kwang-soeb cho rằng mình đang hối hận vì đã nghỉ việc giữa chừng và
rất lo lắng về việc giới hạn độ tuổi khi đi xin việc.
이상의 예시를 살펴본 바와 같이 한글의 로마자 표기법은 어려운 문제가 아니지만
학생이 표기법을 모르거나 함부로 외래어를 표기하는 바람에 오역을 일으켰다. 표기볍을

19
숙지하고 통일해서 사용하면 피할 수 있는 단순한 문제이기에 번역 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2.2.2. 통사구조로 인한 오역
한국어와 베트남어는 문장구조가 달라서 번역하기 전에 문장구조에 대한 세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정확히 뜻을 옮길 수 있다. 원문의 문장구조를 정확히 파악하지 않거나
베트남 문법을 숙지하지 않음으로써 오역을 범할 수 있다. 번역서를 분석하다 보면
문장구조로 인한 대다수 오역은 역자들이 한국어 문장의 주성분과 부속성분을 잘못
판단하거나 또는 베트남어로 번역할 때 한국어 문장 구조처럼 옮겨서 주성분을 빠뜨려서
번역하다 발생된다. 이는 역자가 원문 해석을 소홀히 하거나 문장 분석 능력이 충분하지
못해서이다. 이러한 오역이 문장의 의미뿐만 아니라 독자의 독해에 장애가 되기 때문에
역자는 번역 시 통사구조에 대해 충분히 분석해야 한다.

[ST 6]: 그날 새벽, 일영의 그 강변에서 세수를 마친 듯하던 윤의 얼굴에 묻어 있던


눈물방울. 한번 터뜨린 울음을 윤이 쉽게 그치지 않았다. (신숙경, ˹어디선가 나를 찾는
전화벨이 울리고˼ p.336)
[TT 6]: Sáng sớm hôm đó, bên bờ sông Ilyoung, những giọt nước mắt của cô bé như đã được
rửa trôi sạch sẽ. Yoon một khi đã khóc thì chẳng dễ gì dừng lại được.
분석: 베트남어와 달리 한국어에 문장에서 뒤에 오는 체언을 수식하는 관형사형 어미
‘ㄴ/는/ㄹ/던’ 이 문장 앞에 나와서 구문을 파악할 때 자칫하면 완전히 다른 말로 옭길 수
있다. 이 오역은 아직 한국어 문장구조 분석에 어설픈 학생들이 범한다. 위의 예시를
살펴보면 눈물방울 앞에 있는 말이 관형어 구실을 하고 ‘동사 +어미+ 눈물방울’ 부분은 이
문장에서 목적어 역할을 한다. 원문에 목적어인 ‘눈물방울’은 역문에서 주어가 되어 버렸다.
이 때문에 원래 의미는 달라지면서 앞뒤 내용은 연관성이 보이지 않는다. 구조파악을 잘못
파악함으로써 이 오역은 원본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대안: Những giọt nước mắt rơi trên khuôn mặt Yoon như thể Yoon vừa mới rửa mặt bên bờ
sông Ilyoung vào buổi sáng sớm hôm đó vậy. Yoon một khi đã khóc thì chẳng dễ gì dừng lại được.

20
[ST 7]: 고용시장이 얼어붙고 있는 현재, 육아휴직 혹은 출산 후 재취업의 문은 점점
좁아지고 있다. [시빅뉴스, ˹저출산 고령화 시대에 ‘타율적 딩크족’으로 몰리는 신세대
부부들˼]
[TT 7]: Khi thị trường tuyển dụng đang đóng băng như hiện nay, cánh cửa của vấn đề nghỉ
phép nuôi con hay tái xin việc sau khi sinh dần dần bị thu hẹp lại.
분석: 원본에 혹은 단어는 앞 내용이거나 뒤 내용임을 나타낼 때 쓰여 앞뒤 내용을
이어주는 부사로서 ‘그렇지 않으면’라는 뜻을 가지는데, 즉 육아휴직과 출산 후 재취업의
문을 연결하는 것으로 분석해도 되어 앞뒤 내용을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이 기사의 전체
내용은 저출산 문제와 그의 원인에 대해 전개되는데, 특히 이 구절에는 사람들이 아이를
낳은 후에 재취업이 어려워서 생계를 유지하기 힘들 것을 걱정하여 출산을 꺼리는 경향이
있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다. 그렇다면 후자처럼 통사구조를 분석하면 육아휴직을 할 기회가
점점 없어진다는 것으로 독자가 잘못 해석하게 만들 수 있으므로 원문의 의미가 되려면
번역 대안과 같은 문장이 생산되어야 한다.
대안: Khi thị trường tuyển dụng đang đóng băng như hiện nay, cánh cửa đi làm trở lại sau
khi nghỉ làm nuôi con nhỏ hoặc sau khi sinh dần dần bị thu hẹp lại.

[ST 8]: 학교에 가기 싫다고 투정을 부리기도 하고, 두통이나 복통퉁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오피니언, ˹유별난 한국 교육열, 신학기증후군 겪는 우리 아이들˼)
[TT 8]: Trẻ sẽ ghét việc đi học hoặc phàn nàn về việc đau dạ dày hoặc đau đầu.
분석: 한국어에 다른 화자의 말을 인용할 때 ‘주어 + 목적어 + 서술어 +(ㄴ/는)다고 +
동사’의 형식으로 간접화법을 사용하는 것이 통상이다. 반대로 베트남어에는 문장 끝에
있는 동사는 주어 바로 뒤에서 쓰여 있어 역자가 전체 문장 또는 면밀히 분석하지 않는다면
구조를 잘못 분석하여 뒤에 동사를 누락시킬 가능성이 높다. 위의 원문처럼 필자는
아이들이 학교에 가기 싫다고 이야기를 전달하는데 번역자가 뒤에 간접화법 동사를 역문에
반영하지 않아 함부로 직접화법으로 변경해 버리고 내용도 누락시켰다. 정확하게

21
번역하자면 밑줄 그은 부분은 ‘than vãn rằng mình ghét/ không thích đi học’으로 번역하는 것이
좋다.
대안: Trẻ sẽ vừa than vãn rằng không thích đi học, vừa phàn nàn về việc đau dạ dày hoặc
đau đầu.

[ST 9]: 백인 아이들이 아시아 아이들에게 치이듯 한국 아이들도 이들에게 치이는


경우도 있다. (양재희, ˹한국의 교육열을 피해서 온... 미국?˼)
[TT 9]: Giống với trẻ em người da trắng bắt nạt trẻ em châu Á, trẻ em Hàn Quốc cũng có
thể bị chúng bắt nạt.
분석: [ST 9]에 피동표현이 사용되는데 주어 ‘백인 아이들이’ 아시아 아이들에게
가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로부터 가해짐을 당하는 대상이다. 그러나 역문에서 번역자가
피동문을 주동문으로 착각하여 뒤에 문장에는 이들을 chúng 으로 번역하여 백인들이
한국아이들을 괴롭힌다는 뜻으로 원문과 달라졌다. 즉, 역문에서 백인 아이들이 아시아
아이들을 괴롭히 듯이 한국 아이들도 똑같이 당한다는 말로 잘못 번역하였다.
대안: Cũng giống như trẻ em người da trắng, trẻ em Hàn Quốc cũng có thể bị những đứa trẻ
châu Á bắt nạt

[ST 10]: 인력 유지 측면에서 또한 이직률, 연관 고용, 훈련비용 등의 감소로 더욱


효율적이다. (베한타임즈, ˹기업의 사회적 책임 (CSR) – 새로운 모델 제시˼)
[TT 10]: Về mặt duy trì nhân lực cũng có hiệu quả hơn nhờ việc giảm thiểu được chi phí đào
tạo, tuyển dụng liên quan và tỷ lệ thay đổi việc làm.
분석: 역문은 원문에 표시된 모든 내용을 언어 대 언어로 빠짐없이 전달하였다. 그런데
앞 문장에 주어가 나오면 뒤에 생략될 수 있는 한국어 구조와 달리 베트남어 문장구조는
모든 문장에 ‘주어+서술어+목적어’의 형식을 가져야 비문이 아니라고 판단된다. 하지만
역문은 ‘부사어+서술어+목적어’만으로 구성되어 역자가 정확한 베트남어의 구조를
표현하지 못했다. ‘Về’는 부사어라서 주어를 대체할 수 없다. 원문에 주어가 나타나지

22
않았지만 구절은 CSR 활동이 적극적인 기업이 받는 이익에 대한 내용이라서 뒤에 các doanh
nghiệp này 를 추가하여 번역하는 것이 더욱 정확한 문장이 된다.
대안: Về mặt duy trì doanh nghiệp, các doanh nghiệp này cũng tỏ ra hiệu quả hơn nhờ giảm
thiểu được tỷ lệ thay đổi chỗ làm, thuê lao động liên quan, chi phí đào tạo,...

[ST 11]: 밥과 국을 비롯한 여러 가지 반찬이 올려진 밥상은 보통 개다리소반 이라고


불린다. (˹밥을 아니 먹으면 굶은 것이다˼ p.51)
[TT 11]: Xuất phát chỉ từ cơm và canh, với sự tăng lên của nhiều món ăn kèm, loại bàn ăn
nhỏ này được gọi với tên quen thuộc là bàn ăn chân chó.
분석: 이 문장은 관형절을 안은문장인데 밑줄 친 부분은 바로 안긴문장이고 밥상은 큰
문장의 주어이다. 따라서 체언 ‘밥상’ 앞에 나오는 문장이 주어나 부사어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체언을 수식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역문을 보면 번역자가 그 관형절을
자의적으로 부사어로 변경하여 앞뒤 내용의 연관성이 없을 뿐만아니라 의미도 틀리게
전달하였다. 게다가 안긴문장의 주어 ‘밥’, ‘국’ 그리고 ‘여러 가지 반찬’이 ‘을/를 비롯한’
단어로 연결되었다. 여기서 ‘을/를 비롯한’ 단어는 여럿 가운데서 처음으로 삼는다는 뜻이지
처음 시작한다는 뜻이 아니다. 역자가 의미를 잘못 판단했기 때문에 안긴문장의 주어가
역문에서는 부사어가 되었다.
대안: Loại bàn ăn nhỏ có thể bày cơm, canh và cả những món ăn kèm được gọi với tên quen
thuộc là bàn ăn chân chó.
통사구조와 관련된 오역은 한국어 문장을 잘못 분석하거나 베트남어로 옮길 때
한국어 구조를 그대로 번역하여 문장 구조를 부정확하게 구성하는 데에 기인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는 원작자의 뜻을 제대로 전달할 수 없는데다가 역자의 능력 부족을 잘
보여주는 오역이기 때문에 번역할 때 세밀한 선행 분석과 한국어와 베트남어 문법을 숙지할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된다.

23
2.2.3. 구어와 문어 사용 문제
오역 양상에 대한 통계 결과를 살펴봤듯이 구어와 문어의 어휘로 인한 오역
등장빈도가 60%이상을 차지함을 알 수 있다. 학생들이 번역할 시 아직은 일상적인 대화에
쓰는 말을 글을 쓸 때도 반영하는 버릇이 있다. 이러한 문제는 원작자의 뜻을 전달하는
데에 큰 문제가 되지 않으나 원본의 어조, 서류의 맥락, 객관성, 신빙성 등에 악영향을
끼치는데다가 독자에게 일치감을 줄 가능성도 있음으로 오역 중의 하나라고 판단한다.
구어는 화자의 감정과 태도에 의존하며 간결성을 요구하지 않는 데 반해 문어는 명료성,
간결성, 규칙성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역자가 번역을 할 때 행정, 전문, 기사 등에서는
구어를 삼가고 정확한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음은 번역문에서 발견된 대표적인
구어의 예시를 짚어보도록 하겠다.

[ST 12]: 가뜩이나 과거제도를 통해 출세=교육으로 받아들이던 조선인들이 일제에


의해 교육을 통한 차별의 정당화를 경험하자 이때의 차별스트레스가 어마어마했던
모양이다. (Egloos, ˹한국의 미친 교육열과 민주주의˼)
[TT 12]: Hơn nữa, có lẽ người dân Triều Tiên, những người từ xưa đã đón nhận sự thành
công nhờ chế độ khoa cử, ngay khi nhận thấy sự hợp thức hóa phân biệt đối xử thông qua giáo dục
của quân Nhật, họ đã cảm thấy căng thẳng về vấn đề phân biệt rất khủng khiếp.
분석: 밑 줄 친 부분은 차별로 인한 스트레스가 매우 크다는 의미를 역자가 잘
이해했는데 베트남말로 옮길 때 rất khủng khiếp 란 단어를 선택해 버렸다. 이는 일상생활에
자주 쓰던 말인데 글에서 잘 쓰지 않는 표현이고 독자에게 반감을 가져오는 단어이기도
한다.
대안: Hơn nữa, có lẽ nhân dân Triều Tiên, những người từ xưa đã đón nhận sự thành công
nhờ chế độ khoa cử, ngay khi nhận thấy sự hợp thức hóa phân biệt đối xử thông qua giáo dục của
quân Nhật, đã cảm thấy vô cùng căng thẳng về vấn đề phân biệt này.

[ST 13]: 상위 1%에 아이들을 올려놓기 위한 부모들의 욕망, 광기 어린 그들만의


리그를 보면서, ... ( ˹유별난 한국 교육열, 신학기증후군 겪는 우리 아이들˼)

24
[TT 13]: Nhìn vào những tham vọng, cuộc tranh đua điên cuồng của bố mẹ để đưa con cái
lên top 1%,...
분석: 광기가 어리다는 단어가 ‘미친 듯 한 기운이 가득 배어 있다’라는 뜻이다. 이
기사는 부모님의 과도한 교육열을 비판하는 어조이지만 형식은 기사라서 역자가 điên
cuồng 라는 속되는 일반 대화에서 사용하는 말로 옮겨서 글의 건전성을 파괴할 확률이
높으니 글다운 단어를 택하여 다음과 같은 번역 문장을 생산하는 것이 좋다.
대안: Nhìn vào những tham vọng, cuộc chạy đua khốc liệt của bố mẹ để đưa con cái lên top
1%,...

[ST 14]: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자료에서 자녀가 없어도 되는 이유 중 1 위는 아이가


행복하게 살기 힘든 사회이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시빅뉴스, ˹저출산 고령화 시대에
‘타율적 딩크족’으로 몰리는 신세대 부부들˼)
[TT 14]: Theo tài liệu của Viện Nghiên cứu Y tế và Xã hội Hàn Quốc, lý do lớn nhất khiến
người dân Hàn Quốc không đẻ con chính là đây là xã hội rất khó có thể cho đứa trẻ một cuộc sống
hạnh phúc.
분석: 원문에서 밑 줄 친 부분은 không đẻ con 로 번역했는데 이는 ‘아이를 낳지
않다는’뜻이다. 원본과 표현이 조금 다르기는 하지만 의미적으로 큰 문제가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không đẻ con 라는 표현은 일반 대화에서만 쓰이고 공식적인 자리에 절대 사용되지
않는다. 특히 신문기사에는 독자가 일치감을 느끼게도 하지만 반감도 주기 쉬운 표현이다.
대안: Theo tài liệu của Viện Nghiên cứu Y tế và Xã hội Hàn Quốc, lý do lớn nhất khiến
người dân Hàn Quốc không sinh con/không muốn có con là vì đây là xã hội mà rất khó có thể cho
đứa trẻ một cuộc sống hạnh phúc.

[ST 15]: 적어도 1970 년대까지 가정의 식사시간은 침의 시간이었다. (˹밥을 아니


먹으면 굶는 것이˼, p.66)
[TT 15]: Ít ra thì cũng phải đến những năm 1970, thời gian ăn uống cùng gia đình là khoảng
thời gian im lặng.

25
분석: [TT 15]를 살펴본 바와 같이 밑줄 친 말은 대화할 때는 수시로 사용되지만 통상
글에서는 자제한다. 이 표현은 앞뒤 문장 또는 구절의 뉘앙스에 영향을 준다. 필자가
과학적인 지식을 기초로 역사와 문화에 대해 문어다운 단어로 작성하기 때문이다. 역자가
적합한 표현을 잘 해내지 못하거나 언어 습관으로 인해 함부로 번역하는지 알 수 없지만
이러한 구어 표현을 삼가고 마땅한 말로 바꿔서 번역해야 한다.
대안: Ít nhất cũng phải đến những năm 1970, thời gian ăn uống cùng gia đình mới là khoảng
thời gian im lặng.

[ST 16]: UN 에서는 만 65 세 이상 인구 비율이 7%가 넘으면 ‘고령화 사회로’, 21%로


넘으면 ‘초고령화 사회로 정하고 있습니다. (로켓파인더, ˹저출산 고령화 문제가 야기할
4 가지 사회변화˼)
[TT 16]: Theo định nghĩa của Liên hợp quốc, một xã hội có dân số trên 65 tuổi quá 7% thì
gọi là xã hội già hóa dân, quá 21% thì gọi là xã hội siêu già.

[ST 17]: 지금은 자동차 제조업체보다 차 한 대도 만들지 않는 서비스 플랫폼 회사가


카셰어링 (차량 공유)으로 더 큰 가치를 만들어낸다. (한겨례. ˹2019 년 소비 트렌드
‘중고’와 노브랜드˼)
[TT 17]: Hiện nay, so với các doanh nghiệp chế tạo ô tô thì những công ty cung cấp nền tảng
dịch vụ mà không chế tạo ô tô đang tạo ra giá trị lớn hơn nhờ dịch vụ car sharing (dịch vụ chia sẻ
xe ô tô).
분석: 위의 두 가지 예시는 원본의 뜻을 우리말로 정확히 옮겼다. 그런데 역문의 밑줄
친 부분들이 모두 구어 습관 때문에 불필요한 추가를 하게 되었다. ‘Thì, là, mà’와 같은
군더더기 말들은 특히 원어민이 즐겨 사용하는 표현들이다. 이는 화자가 말을 하다가
생각이 안 나거나 시간을 일부러 연장하려고 하는 등 경우에 쓰여 있다. 더욱 품질이 높은
번역문을 만들자면 위의 표현을 자제하고 그를 대체할 만한 말을 찾아내거나 불필요한
말을 과감하게 삭제하는 것이 맞다.

26
대안: [TT 16]: Theo định nghĩa của Liên hợp quốc, một xã hội có dân số trên 65 tuổi vượt
quá 7% là xã hội già hóa dân, trên 21% được gọi là xã hội siêu già.
[TT 17]: Hiện nay, so với các doanh nghiệp chế tạo ô tô, những công ty cung cấp nền
tảng dịch vụ mà không chế tạo ô tô đang tạo ra giá trị lớn hơn nhờ dịch vụ chia sẻ ô tô.
구어와 문어 사용으로 인한 오역은 주로 일상적인 말이 너무 익숙해서 글을 쓸 때
변함없이 활용하며 또는 문장에 적합한 말을 찾지 못하는 데에 유래된다. 이 문제는
문장을 이상하게 만들고 번역문을 글답게 작성할 수 없게 한다. 따라서 최적의 번역을
하기 위해 역자는 익숙한 일상적인 말투를 지양하는 것이 좋다.

2.2.4. 의미의 누락 및 첨가 문제
대학생들의 결과물을 보면 원문에 일부 내용을 생략 또는 첨가시킨 채 번역함을 알
수 있다. 번역에 있어서 원문의 일부를 변경하여 번역하는 이유로 의미가 정확히 전달되지
못하는 것은 자명하나 독자 대상, 출판사 규정, 목적 등에 따라 번역의 충실성을 떠나서
상황에 적합한 번역 내용을 선택해도 될 것 같다. 하지만 초보 역자인 학생들의 번역서를
분석하다 보면 특정 상황이 없이도 원문의 일부 내용을 무분별하게 삭제하거나 불필요한
추가로 기재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로 인해 독자가 문맥 또는 내용을 이해하는 데에 큰
장애가 되기 십상이면서 저자의 글을 존중하는 자세가 없는 것으로 비춰질 수도 있다. 이
절에서는 생략과 첨가로 인한 원문의 의미를 제대로 전달하지 못 하거나 그 의미에서
벗어나는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대안을 제시하도록 하겠다.

2.2.4.1 의미의 누락
이근희(2005, p.55)는 번역 작업 중 원서에 표현된 특정 표현을 삭제하거나 생략하는
번역전략을 사용할 수도 있다고 한다. “이는 가급적으로 피해야 하는 방법이지만
목표문화권에서 금기시하는 내용이나 표현, 또는 왜곡되거나 음란하고 외설스러운 부분
등 독자에게 바람직하지 않은 반응을 유발한다면 이에 대한 번역을 생략할 수 있다.”14

14
남성우,『통번역 이해와 수행』(한국문화사, 2016), p.136.

27
그러나 역자가 부주의로 내용을 빠뜨리고 넘어가거나 원본의 말의 뜻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바람에 누락시키는 것은 번역 오류를 범한 것이다. 전자의 경우는 자기의 능력과
관계없이 순전한 방심으로 내용이 빠졌다. 후자 경우는 역자가 능력이 부족해서 정확한
의미를 파악할 수 없어 내용의 일부를 생략한 것이다. 하지만 어떤 이유든 이러한 악습은
문서의 원래 뜻과 저자의 의도를 정확히 전달하는 데에 장애된다. 번역과제에서 발생하는
누락 사례를 분석하고 의미 전달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살펴보자.

[ST 18]: 구조조정은 자기 살을 잘라내는 고통이 수반되는 작업이다.


(베한타임즈, ˹베트남 경제의 현 위치(3 부)-구조조정˼)
[TT 18]: Tái cơ cấu là việc tự làm bị thương chính bản thân mình.
분석: 본 예문의 기타 번역 문제를 떠나서 분석하면 고통이 수반되는 부분이 역자의
고의인지 실수인지를 알 수 없지만 빠져 있는 것을 쉽게 알아챌 수 있다. 이 글에서 전체
내용은 금융권 상황과 그 구조조정의 필요성을 언급하는데 위의 문장은 구조조정이
어렵고 기존의 기득권자들의 권리를 포기해야 하는 일이 힘들다는 뜻은 가진다. 자기 살을
잘라 내다는 것은 육체적으로 무척 아픔을 연상시키는 은유법을 사용하면서 뒤에 이러한
아픔을 강조하고자 고통이 수반되는라는 표현을 했는데 역자가 빠드려서 고통의 정도는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고 있다.
대안: Tái cơ cấu là công việc mang theo nỗi đau đớn như khi tự làm bị thương chính bản
thân mình.

[ST 19]: 또한 금용권이 구조조정 이후 제 역할을 수행하면 기업체에 대한 대출에


있어 심사가 강화되고 과거와 같은 무리한 대출 관행이 사라질 것이다. (베한타임즈,
˹베트남 경제의 현 위치(3 부)-구조조정˼)
[TT 19]: Ngoài ra, nếu lĩnh vực tài chính thực hiện vai trò sau khi tái cấu trúc, nó sẽ tăng
cường sàng lọc các khoản vay cho các doanh nghiệp và loại bỏ các hoạt động cho vay không hợp
lý như trước đây.

28
분석: 원문의 ‘제’가 생략되었다. 번역서에 제 역할은 vai trò 라고만 말했는데
문법적으로 이 문장에 ‘주어 + 서술어 + 목적어’인 주성분을 충분히 포함하지만
의미적으로 ‘제’가 빠져 있어 누구의 역할, 무슨 역할인지 등을 설명하는 부분이
부재함으로써 독자가 내용에 대한 일치감을 느낄 수 있다. 역자가 ‘제’의 뜻을 정확히 알
수 없어서 고의적으로 빠뜨렸을 확률이 높다. 익숙한 1 인칭 대명사인 ‘저’와 관형격 조사
‘의’를 결합하여 나온 뜻을 문맥에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원본에 있는
‘제’는 ‘저에 관형격 조사 ‘의가 결합하여 줄어든 말인데 여기서 언급하는 ‘저’는 앞에 나온
명사를 다시 가리킬 때 쓰인 인칭 대명사이고 ‘자기’의 뜻과 비슷하다. 즉, ‘제 역할’은
‘금용권의 역할’이라고 분석될 수 있다.
대안: Ngoài ra, nếu lĩnh vực tài chính thực hiện vai trò của mình sau khi tái cấu trúc, nó sẽ
tăng cường sàng lọc các khoản vay cho các doanh nghiệp và loại bỏ các hoạt động cho vay không
hợp lý như trước đây.

[ST 20]: 인력 유지 측면에서 또한 이직률, 연관 고용, 훈련비용 등이 감소로 더욱


효율적이다. (베한타임즈, ˹기업의 사회적 책임 (CSR) – 새로운 모델 제시˼)
[TT 20]: Về mặt duy trì nhân lực, CSR mang lại hiệu quả hơn nhờ giảm bớt chi phí đào tạo,
tuyển dụng liên quan và tỷ lệ thuyên chuyển công tác.
분석: 번역문에 부사 또한을 누락함으로써 ‘인력 유지 측면에서도 CSR 실행하여
여러 요소가 완화되어 이력 유지가 보다 효율적이다’라는 뜻이 되어 앞에 있는 내용과
동등한 중요성을 제시하고 뒤의 문장이 보다 중요함을 강조하는 어조가 없어진다.
‘또한’은 문장 전체를 꾸며 주는 성분이다. 문장 앞에 또는 중간에 나타날 수 있으니 실수로
생략될 수 있다. ‘Hơn nữa’를 넣어서 번역하는 것이 맞다.
대안: Hơn nữa, CSR mang lại hiệu quả hơn về mặt duy trì nhân lực nhờ giảm bớt chi phí đào
tạo, tuyển dụng liên quan và tỷ lệ thuyên chuyển công tác

29
[ST 21]: 돌과 나무는 인위적으로 가공하지 않은 자연 상태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또한 아파트 등 다른 재료의 건물에 비해 독성이 없어서 인간의 몸에 해롭지 않으며,…
( 네이버 블로그, ˹한옥의 가치와 개념˼)
[TT 21]: Đá và gỗ được lấy trực tiếp từ thiên nhiên mà không qua gia công. Ngoài ra, nếu
so với các kiểu nhà được xây bằng vật liệu khác như chung cư,… thì nó lại không ảnh hưởng xấu
đến con người.
분석: 원문에서는 저자가 돌과 나무가 독성이 없다는 이유로 인간에게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다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번역문에서는 설명 내용이 삭제되어 정확한 의미가
전달되지 못하고 한옥을 지은 자연 자료의 순한 특성을 표시할 수도 없다. 앞에 한 번 나온
명사가 뒤에 생략돼도 된다는 한국어 특징으로 뒷 문장의 주어가 없지만 베트남어로 번역
시 주어를 추가로 드러낼 필요가 있다.
대안: Đá và gỗ được lấy trực tiếp từ thiên nhiên mà không qua gia công. Ngoài ra, nếu so
với các kiểu nhà được xây bằng vật liệu khác như chung cư,… những vật liệu này không chứa chất
độc hại, vì thế nó không ảnh hưởng xấu đến con người,…

[ST 22]: 윤 교수가 손을 뻗어 윤의 어깨를 탁탁 두드려주었을 때다. (신경숙,


˹어디선가 나를 찾는 전화벨이 울리고˼ p.333.)
[TT 22]: Khi đó giáo sư Yoon với tay ra vỗ lên vai Yoon.
분석: 눈이 내리는 날씨 속에서 윤 교수의 댁에 찾아온 윤의 어깨에 눈이 조금 쌓여
있는 것을 보고 윤 교수가 그의 어깨를 두드려주는 배경이다. 원문에 있는 탁탁 이라는
의성어가 도착어 문서에 반영되지 않았다. 이는 전체 의미 파악에 크게 장애가 되지는
않지만 장면이 생생하게 잘 전해지지 못 하기도 하고 작자의 표현력을 원본처럼 풍성하게
드러내기가 어렵다.
대안: Khi đó giáo sư Yoon với tay ra vỗ vỗ vai Yoon.15

15
신숙경,『어디선가 나를 찾는 전화가 울리고』, 역: Nguyen Thi Thu Van, (Nha Nam, 2017), p.217.

30
[ST 23]: 한국은 어느 OECD 나라보다 높은 GDP 의 7%를 교육에 쓰고 있으며,…
(한겨례, ˹“한국의 지나친 교육열이 ‘청년실업’ 유발” FT 보도˼,)
[TT 23]: So với các nước thuộc Tổ chức Hợp tác và Phát triển kinh tế (OECD), Hàn Quốc
đang đầu tư 7% GDP cho giáo dục,…
분석: 원문에 밑줄 친 부분은 생략이 되었다. 먼저, 이 문장을 분석해 보면 한국은
OECD 나라들 중에서 교육 분야에 가장 많이 투자한다는 뜻인데 번역문에 어느와 보다란
단어가가 빠져 있음으로 단순히 ‘한국은 OECD 국가에 비해’란 뜻으로 표기되었고, 그러한
문장은 투자가 1 위를 차지하는 강조 뉘앙스가 보이지 않아 독자가 한국보다 더 많이
투자하는 OECD 국가가 있을 것 같다고 짐작할 가능성이 있다. 한편으로 이 예시는 비교
문구인데도 ‘..에 비해서, 한국은 GDP 의 7%를 교육에 쓰고 있으며’로 번역하고 비교
부사를 사용하지 않았다. 그렇기 때문에 원어민이 이 내용을 읽을 때 이질감을 느낄
수밖에 없다. 번역문에 ‘cao hơn bất kỳ quốc gia nào thuộc tổ chức OECD’ 란 내용을 추가하고
통사구조를 변경하여 번역하는 것이 맞다.
대안: Hàn Quốc đang đầu tư 7% GDP cho giáo dục, mức đầu tư cao hơn bất kỳ quốc gia nào
thuộc tổ chức OECD,…
이상의 예시를 본 바와 같이 의미 누락은 역자가 자의적으로 생략하거나 한국어
또는 베트남어 실력이 부족하여 분석하지 못 해 원문의 내용을 삭제할 수 있다. 어떤
이유든 이는 번역 표준에 어긋난 행위이고 내용 전개에 적든 많든 영향을 끼치므로 번역
작업 시 의미 누락을 자제하고 번역 능력을 제고하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2.2.4.2. 의미의 첨가
번역을 할 시 원본의 표현이 명확하지 않거나 언어 습관, 문화 차이, 전문용어 등으로
이해가 어려우면 부연설명을 추가할 수 있지만 원문에 없는 내용을 임의로 삽입하다 보면
자칫 잘못하면 오역을 범할 확률이 높다.16 번역 과제 분석 시 원문에 없는 표현을 필요
없이 삽입하여 번역한 경우가 많이 발견되었다. 이 문제의 원인은 학생들이 번역하면서

16
박은화, “『이중텐, 중국인을 말한다』의오역 유형 분석”, (계명대학원, 석사논문, 2012), p.45.

31
자기의 감정을 덧붙이고 지나치게 첨가하거나 도착어에 상응하는 표현이 없기 때문에
자의적으로 무분별하게 삽입하여 설명했기 때문이다. 다음 의미 첨가에서 비롯된 오역을
분석하기로 하겠다.

[ST 24]: 이 시기에는 전선 밖에서 전쟁의 모습을 담은 사진들과 후방에서 사회주의를


설립하고 있는 노동자들의 모습이 담긴 사진들이 베트남 픽토리얼을 가득 채웠다.
(베한타임즈, ˹베트남픽토리얼 60 주년˼)
[TT 24]: Trong những năm tháng hào hùng đó, hình ảnh của cuộc chiến đấu ngoài tiền tuyến
và hình ảnh lao động xây dựng xã hội chủ nghĩa ở hậu phương được đăng tải đầy đủ trên Báo ảnh
Việt Nam.
분석: [ST 24]에서 ‘이 시기에는’은 Trong những năm tháng hào hùng đó 라고 번역되는
부분이 있었다. 이는 ‘비장한 세월에’란 뜻을 담고 있다. 이 기사의 필자가 베트남 사람이
아닌 외국인 입장에서 우리 역사에 관한 사진을 베트남 픽토리아 신문에 실은 것을
객관적으로 기재하였다. 기사의 앞뒤 내용을 읽어보면 우리가 자랑하는 프랑스 식민
통치와 아메리카 제국에 대한 항쟁의 역사가 전개되어 역자가 지나치게 개인적 감정을
첨가하는 바람에 변역문의 객관성을 잃어버리며 필자의 감정도 임의로 표현하였다. [TT
24]처럼 번역하는 것이 큰 오역이라고 할 수 없지만 역자의 개인감정이 지나지게
표현되었다.
대안: Trong những năm tháng/thời kỳ đó, hình ảnh của cuộc chiến đấu ngoài tiền tuyến và
hình ảnh lao động xây dựng xã hội chủ nghĩa ở hậu phương được đăng tải đầy đủ trên Báo ảnh Việt
Nam.

[ST 25]: 이들 중 대부분이 입점 6 개월 이내의 신진 업체다. (소비자 경제, ˹소비자


트렌드 화장품 고를 때 ‘착한성분’ 먼저 따진다˼)
[TT 25]: Trong số những cửa hàng này, phần lớn các cửa hàng là những doanh nghiệp tiên
tiến mới được mở cửa kinh doanh chưa đầy 6 tháng.

32
분석: 번역가가 원문에 나오는 ‘이들, 대부분이, 입점’을 순서대로 những cửa hàng này,
phần lớn các cửa hàng, mới được mở cửa 우리말로 옮겨서 원문에 없는 표현을 덧붙였다.
앞에 문장은 한국에 유명한 화장품 유통업체인 올리브영 가게 체인의 매출에 대한
이야기가 전개되어 이들을 풀어서 những cửa hàng này 로 번역하는 것이 적합하지만 바로
뒤에 대부분에도 cửa hàng 을 첨가하여 반복 표현이 되어 문장 구조를 복잡하게 만들
소지가 있다. 따라서 후자에는 cửa hàng 을 삭제하고 대부분의 의미만 번역하면 된다.
다음으로 입점은 우리말로 옮길 때 굳이 mới được 을 삽입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된다.
‘chưa đầy 6 tháng’이란 표현자체는 빠른 시간 내에 커다란 매출을 달성한다는 뜻을 충분히
드러내기 때문이다. 게다가 mới được 란 단어는 구어이기에 기사의 문어다운 어조에
적합하지 않다.
대안: Trong số những cửa hàng này, phần lớn là những doanh nghiệp tiên tiến mở cửa kinh
doanh chưa đầy 6 tháng.

[ST 26]: 광섭 씨는 회사를 중간에 그만둔 것을 후회하고 있으며, 취업 시 나이 제한을


걱정하고 있었다. (한겨례, “한국의 지나친 교육열이 ‘청년실업’ 유발”)
[TT 26]: Anh Kwang-soeb cho rằng mình đang hối hận vì đã nghỉ việc giữa chừng và đang
cảm thấy rất lo lắng về việc giới hạn độ tuổi khi đi xin việc.
분석: 원문에서 필자가 광섭 씨가 스스로 퇴사하기로 한 결정을 뉘우치는 감정을
표현하는 것과 달리 번역문에서 cho rằng mình đang hối hận 이라고 번역하여 자기감정에
대한 광섭 씨의 불확실한 느낌을 전해 주었다. 그러한 오역은 불필요한 cho rằng 에서
비롯되었다. 우리말에 cho rằng 은 사람이 어떤 것에 대해 명확히 알 수 없거나 막연하게
추측한다는 뜻이 있다. 한국말로 번역하자면 ‘회사를 중간에 그만둔 것을 후회하고 있는
것 같다고 생각하다’라는 뜻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번역문은 원문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바와 맞지 않다. 다음으로 역자는 임의로 걱정하고 있었다를 rất lo lắng 이라고
번역했다. 원문에서 찾아볼 수 없는 rất 가 번역문에 추가되었는데 이는‘아주, 매우’란 뜻이
있어 기존 의미와 달리 ‘아주 걱정하고 있다’라고 지나치게 감정을 표현하였다. 번역 시
이처럼 자기의 생각을 함부로 첨가하지 말아야 한다.

33
대안: Anh Kwang-soeb đang hối hận vì đã nghỉ việc giữa chừng và cảm thấy lo lắng về việc
giới hạn độ tuổi khi đi xin việc.

[ST 27]: 금년 들어 1 분기까지 대출증가율이 0.03%에 불과한 성적을 보였지만…


(베한타임즈, ˹베트남 경제의 현 위치 (부) - 구조조정)˼
[TT 27]: Tính đến quý 1 năm nay, tỉ lệ gia tăng cho vay chỉ đạt tới không quá 0.03%,…
분석: [ST 27]에서 밑줄 친 부분은 ‘0.03%에 지나치지 아니한 상태’라는 뜻이지만,
[TT 27]에서는 chỉ đạt tới không quá 0.03%라고 번역하였다. 역문에 ‘만’라는 의미를
가진 chỉ 를 삽입하였는데 큰 오역은 아니지만 의미가 바뀔 소지가 있어 오역이라고 할
수 있다.
대안: Tính đến quý 1 năm nay, tỉ lệ gia tăng cho vay đạt không quá 0.03%,…

[ST 28]: 우리가 지나갈 때마다 뽀드득, 눈 소리가 났다. 찾아갈 수 있어, 내가 다짐할
듯 대답하자 윤이 웃었다. (신경숙, ˹어디선가 나를 찾는 전화벨이 울리고˼, p.333)
[TT 28]: Mỗi khi chúng tôi đi qua tiếng tuyết lại vang lên bồm bộp. Yoon cười khi nghe thấy
tôi trả lời một cách quả quyết rằng chúng ta nhất định sẽ tìm được thôi.
분석: [TT 28]에 원문에 찾아볼 수 없는 nhất định 이 첨가되었다. 뒤에서 ‘다짐하다’
단어가 마음을 굳게 정하는 뉘앙스를 가져서 역자가 문맥에 따라 일부러 내용을 추가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특별한 이유 없이 함부로 내용을 삽입하여 번역하는 것은 악습이
될 수 있어 삼가는 것이 좋다.
대안: Mỗi khi chúng tôi đi qua tiếng tuyết lại vang lên bồm bộp. Yoon cười khi nghe thấy
tôi trả lời một cách quả quyết rằng chúng ta sẽ tìm được thôi.
이상의 첨가 내용들이 원문의 의미에 많은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역자로서 저자의
뜻을 제대로 전달하는 것이 주된 업무 중의 하나이다. 예시처럼 대부분 역자가 자기
감정을 삽입하거 내용을 자의적으로 해석하여 번역 작업한 것은 오역으로 이어진다.
경우에 따라 첨가 번역은 허용되기도 하지만 악용하다가 버릇이 되어 앞으로 무분별하게
추가하여 기존의 뜻을 왜곡하기 십상이니 삼가는 것이 좋다.

34
2.2.5. 어휘 오역
전체 번역문을 분석한 결과 어휘에 관한 오역은 대표적인 오역 중에 2 위를 차지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어휘 오역은 의역 필요 없이 원문과 번역문을 1:1 로 대응하여
번역하면 되는 상황에서 원본 의미와 다른 의미를 전달하는 오역과 문맥상 흐름에 적합하지
않은 단어의 표현을 선택한 오역을 말한다. 역자가 임의 또는 부주의로 원문의 단어를
무단 변환하거나 문맥상 배경에 맞는 표현을 잘 하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생각이
든다. 그런데 단어는 뜻을 가지는 가장 작은 문장의 구성 요소로서 이에 관한 모든 문제가
문장 또는 글 전체 분위기와 뜻이 달라지게 만들 소지가 있다. 뿐만 아니라 잘못된 번역이
독자에게 혼란을 가져주기도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언어의 가장 기본인 단어의 뜻을
간과한 채 번역해서는 안 된다. 이 절에서 단어의 의미 오역과 부적절한 단어 오역을
중심으로 사례를 분석하도록 한다.

2.2.5.1. 어휘의 의미로 인한 오역


<표 2>을 살펴본 듯이 단어 의미에 비롯된 오역은 60%이상을 차지함을 알아볼 수
있다. 여기서 대다수 그러한 단어들이 어려운 뜻을 가지지 않고 사전적 의미를 전달하면
충분히 문장 내용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유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사전적 의미를
옮겨 놓는 단순한 번역 기법조차 능숙하지 않고 단어의 의미를 대충 유추하여 번역하는
짓은 악습이 되어 번역문의 질에 악영향을 주기 일쑤이다.

[ST 29]: 스트레스가 이어지면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틴졸이 계속 분비돼 면역세포


활성이 떨어지고,… (네이버 블로그, ˹한국 학생 둘 중 하나가 겪는 신학기 증후군˼)
[TT 29]: Nếu chúng ta liên tục bị stress như vậy, hormone Cortisol gây stress được tiết ra, nó
khiến cho chức năng của tế bào gốc bị giảm sút,…
분석: [ST 29]에 나오는 기타 번역상 문제들을 감안하지 않고 의미상 오역만을
짚어보면 원서의 면역세포를 역자가 무단 변환하여 번역본에 완전히 다른 말인 tế bào
gốc 로 옮겨 놨다. 이 단어는 ‘줄기 세포’라는 뜻을 가지고 앞뒤 내용에 전혀 적합하지 않은
의미를 표시해 버렸다. 원문에서 공부에서 비롯된 스트레스 때문에 학생 건강이

35
약해진다는 내용이 전개되는데, 그러한 오역은 독자에게 혼란을 주기도 하고 번역의
충실성을 잃어버리게 한다.
대안: Nếu chúng ta liên tục bị stress như vậy, hormone Cortisol gây stress được tiết ra, khiến
chức năng của tế bào miễn dịch bị giảm sút,…

[ST 30]: 정부 통계에서도 대졸 실업자는 올 3 월 현재 32 만 9700 명이다.


[한겨례,˹한국의 지나친 교육열이 ‘청년실업’ 유발˼]
[TT 30]: Theo thống kê của chính phủ, tính đến tháng 3, số lượng sinh viên tốt nghiệp đại
học nhưng thất nghiệp đạt đến 32.970 người.

[ST 31]: 반면, 출산이 줄면서 0~14 살 유소년 인구는 2016 년 677 만명에서 지난해
633 만 명으로 14 만 명 줄어,… (한겨례, ˹‘고령사회’ 진입한 한국…일본보다 7 년 빨라˼)
[TT 31]: Trái với tình hình trên, tỷ lệ sinh lại liên tục giảm. Tổng số dân trong độ tuổi thanh
thiếu niên từ 0~14 tuổi năm 2016 là 6770 nghìn người đã giảm xuống 140 nghìn người xuống còn
6330 nghìn người vào năm ngoái.
분석: 이상의 2 개의 예문은 숫자에 관한 오역이다. 베트남어에 숫자 3 자리 (천) 마다
끊어서 점을 찍고 표기하는 반면에 한국어에는 숫자 4 자리 (만)마다 찍어서 표기하는데,
그러한 차이점으로 인해 역자가 혼동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ST 31]을 보면 학생이 32 만
9700 명을 번역문에 3 만 9700 명으로 번역하여 원래 수량보다 10 배 적어졌다. 이는 통계상
결과에 대한 정확성을 상실시키고 기사에 말하는 사회 상황을 독자들이 잘못 판단할 수
있게 한다. 다음 예문은 역자가 4 숫자마다 끊는 한국식으로 베트남어에 숫자를
표기하는데 원어민으로서 읽다 보면 무척 어색하고 수량은 얼마나 되는지를 파악할 수
없다. 숫자는 한 기업의 관건적인 요소, 프로젝트의 가능성, 상황 파악 등에 결정적인
요소인 만큼 번역 시 잘못 표기해서는 안 된다.
대안:
[TT 30]: Theo thống kê của chính phủ, tính đến tháng 3, số lượng sinh viên tốt nghiệp đại
học bị thất nghiệp đạt đến 329.700 người.

36
[TT 31]: Trái với tình hình trên, tỷ lệ sinh lại liên tục giảm. Tổng số dân trong độ tuổi thanh
thiếu niên từ 0 ~14 tuổi năm 2016 là 6.770.000 người đã giảm 140.000 người xuống còn 6.330.000
người vào năm ngoái.

[ST 32]: 8 개 국어 언어로 번역되어 발간되고 있다는 점은 베트남과 베트남 사람에


대한 사진과 정보를 세계로 전하는 데에 있어서 베트남 픽토리얼이 가지고 있는 가장 큰
강점이다. (베한타임즈, ˹베트남 픽토리얼 60 주년˼)
[TT 32]: Việc dịch và xuất bản đa ngữ là một trong những thế mạnh lớn nhất của báo ảnh
Việt Nam để đưa thông tin và hình ảnh về đất nước và con người Việt Nam đến với thế giới.
분석: 위의 번역본은 역자가 자의적으로 원래 의미를 변환하여 나타나는 오역이다.
Đa ngữ 는 ‘다언어’라고 사전에 설명되어 있는데 즉 đa ngữ 와 8 개국어 언어는 여러 가지
언어란 뜻을 가지는 데에 공통점이 있지만 바꿔서 사용될 수 있는 말이 아니다. 후자는
정확히 몇 개의 언어를 표시하는 반면에 전자는 대충 여러 언어 뜻만 있기 때문이다.
대안: Việc dịch ra 8 thứ tiếng và xuất bản là một trong những thế mạnh lớn nhất của báo
ảnh Việt Nam để đưa thông tin và hình ảnh của đất nước và con người Việt Nam đến với thế giới.

[ST 33]: 인력 유지 측면에서 또한 이직률, 연관 고용, 훈련비용 등의 감소로 더욱


효율적이다. (베한타임즈, ˹기업의 사회적 책임 – 새로운 모델 제시˼)
[TT 33]: Về mặt duy trì nhân lực cũng hiệu quả hơn nhờ việc giảm bớt những chi phí đào
tạo, tuyển dụng liên quan và tỷ lệ thuyên chuyển công tác.
분석: 이직률은 ‘직장을 옮기는 사람들의 비율’의 뜻이고 tỷ lệ thuyên chuyển công
tác 은 ‘인사발령률’의 뜻이다. 얼핏 보면 이 두 가지의 의미는 일자리가 바뀐다는 뜻이
있음을 알 수 있지만 자세히 분석하면 전자는 직원이 자발적으로 기존 회사를 그만두고
다른 회사에 취직한다는 주동 어조를 담는 데에 반해 후자는 회사로부터 다른 부서 또는
지점에 발령을 받아서 일자리를 바꾸게 된다는 피동 표현의 뉘앙스를 풍긴다. [TT 33]에
번역가가 단어의 사전적 의미 번역이 심각하게 틀렸고 ‘tỷ lệ thôi việc’ 또는 ‘tỷ lệ nghỉ
việc’으로 바꿔서 번역하는 것이 맞다.

37
대안: Về mặt duy trì nhân lực cũng hiệu quả hơn nhờ việc giảm bớt những chi phí đào tạo,
tuyển dụng liên quan và tỷ lệ thôi việc.

[ST 34]: 조선 사회가 절대빈곤의 시대를 살았기 때문에 전근대시기에 가난하다는


것은 먹을거리가 풍부하지 않다는 말과 통한다. (˹밥을 아니 먹으면 굶는 것이다˼ , p.54)
[TT 34]: Bởi xã hội Joseon đã trải qua thời kì nghèo đói nhất nên trong thời kì tiền cận đại
nghèo đói tương đương với việc không có nhiều đồ ăn.
분석: 원문 [ST 34]에 절대빈곤은 ‘인간의 생존에 필요한 최저한의 물자조차 부족한
극도의 빈곤’을 뜻하는데 번역문 [TT 34]에 ‘가장 가난한 시대’란 뜻으로 옮겨놨다. 이
번역말은 한국 역사상 최고 가난하다는 뜻인지 또는 어느 시기에 경제가 어렵다는 뜻인지를
독자에게 자문하게 만드는데다가 원래 뜻을 홰손함으로 다음과 같은 문장을 생산하는 것은
맞다.
대안: Bởi xã hội Joseon đã trải qua thời kì vô cùng nghèo đói nên trong thời kì tiền cận đại
nghèo đói được hiểu là không có nhiều đồ ăn.

[ST 35]: 실제로 YBM 넷이 설문조사기업 오픈 서베이를 통해 국내 대학(원)생


1000 명을 대상으로 관련조사를 진행한 결과,... (네이버 블로그, ˹유별난 한국 교육열,
신학기증후군 겪는 우리 아이들˼)
[TT 35]: Trên thực tế, YBM Net đã thực hiện một cuộc khảo sát với đối tượng là 1.000 sinh
viên và học viên cao học trong nước thông qua một công ty khảo sát mở,...
분석: 밑줄 친 부분은 언어 대 언어를 번역하면 충분히 뜻을 표현할 수 있는
단어들인데도 불구하고 역자가 다르게 분석하고 어색한 표현으로 의미를 옮김으로써
번역문이 오역이 되고 있다. [TT 35]에 진하게 표시된 단어는 một công ty khảo sát mở 아니라
bài khảo sát mở do công ty chuyên thực điều tra tiến hành,... 로 번역되는 것이 올바르다.
대안: Trên thực tế, YBM Net đã thực hiện một cuộc khảo sát với đối tượng là 1.000 sinh
viên và học viên cao học trong nước thông qua bài khảo sát mở do công ty chuyên thực điều tra
tiến hành,...

38
[ST 36]: 그 중에 많은 이들은 여러 해 동안 치열한 경쟁 속에서의 헛된 시도에 지쳐
꿈을 접고 육체 노동직에 지원하고 있다. (한겨례, ˹“한국의 지나친 교육열이 ‘청년실업’
유발” FT 보도˼)
[TT 36]: Trong số đó có rất nhiều người đã phải chọn làm những công việc liên quan đến
thể lực và tiếp tục giấc mơ của mình vì những thử sức vô ích trong cuộc cạnh tranh khốc liệt.
분석: 원문에 밑줄 친 부분은 ‘꿈을 포기한다’라는 뜻인데, 역문에 완전히 정반대로
‘꿈을 계속 추구한다’란 뜻으로 해석되었다. 이는 매우 심각한 오역이고 독자에게 잘못된
정보를 전달할 뿐만 아니라 문맥상 전개도 이상하게 만들었다. 꿈을 접는다는 말은 từ bỏ
giấc mơ 로 바꿔서 번역해야 한다.
대안: Trong số đó có rất nhiều người đã phải chọn làm những công việc liên quan đến thể
lực và từ bỏ giấc mơ của mình vì những thử sức vô ích trong cuộc cạnh tranh khốc liệt.
이상의 경우를 보면 단어의 의미로 인한 오역은 상당히 단순한 문제이다. 번역자가
사전적 의미를 정확히 검색하고 사용하면 되는데 부주의로 잘못 번역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또한 숫자에 관한 번역도 쉽지 않아서 제대로 수량을 표기하지 못 하는 예시가
자주 보인다. 단어의 의미가 틀린다면 전체 내용이 달라질 수 있으니 번역 시 단어 검색에
유의해야 한다.

2.2.5.2. 부적합한 어휘로 인한 오역


이상의 단어의 의미상 오역과 달리 이 절에서 말하고자 하는 부적합한 단어에 비롯된
오역은 단어의 뜻을 이해하지만 전체 문장 또는 뒤의 목적어와 적합하지 아니한 단어를
택하여 독자에게 일치감 또는 혼란을 주는 번역상 문제이다. 이는 번역자가 부주의로 인한
오역을 범하거나, 언어 능력의 한계로 적합한 표현을 해낼 수 없는 오역을 범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번역과제에서 찾아낸 부적합한 단어로 인한 오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기로 하겠다.

[ST 37]: 저출산 고령화 문제는 앞으로 우리 사회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까요?


(로켓파인더, ˹저출산 고령화 문제가 야기할 4 가지 사회변화˼)

39
[TT 37]: Vấn đề già hóa dân số và tỷ lệ sinh thấp sẽ gây những biến đổi như thế nào cho xã
hội của chúng ta?
분석: 사실상 한국어를 배우면서 많이 혼란스러운 부분은 바로 ‘우리’의 표현이다.
‘우리’라는 대명사는 두 가지 의미가 있다. 하나는 화자가 청자를 포함하지 않고 자신과
그 주위의 사람을 집단적으로 가리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화자가 청자를 포함하여
함께 이르는 것이다.17 즉, 이는 한국 사회의 집단적인 의식 또는 나 혼자 소유하는 것이
아닌 같이 소유하는 공동 의식을 표현하는 뜻이다. 따라서 한국인이 외국인과 대화를 할
때 ‘우리나라, 우리 국민, 우리 정부’ 등을 말하면 청자를 포함하지 않는 ‘한국이란 나라,
한국 국민, 한국 정부’란 뜻으로 분석하는 것이 올바르다. 위의 역문을 살펴보면 전체
내용은 한국 사회에 대한 것이라 ‘우리’는 Hàn Quốc 으로 번역해야 맞는데 번역자가 chúng
ta 로 옮겨 놔서 독자가 베트남을 일컫는 줄 알고 착각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대안: Vấn đề già hóa dân số và tỷ lệ sinh thấp sẽ gây những biến đổi như thế nào cho xã hội
Hàn Quốc?

[ST 38]: 내가 놀라 윤을 부축해 일으켜 세우려고 하자 윤 교수가 그냥 두게, 했다.


(신숙경, ˹어디선가 나를 찾는 전화벨이 울리고˼ 2010, p.336.)
[TT 38]: Ngay khi tôi có ý định vực anh ta dậy thì giáo sư nói để kệ anh ta.

[ST 39]: 윤 교수님 집이 어딘 줄 알기나 해? 윤이 눈발 속에서 내 팔을 잡으며 물었다.


(신숙경, ˹어디선가 나를 찾는 전화벨이 울리고˼, 2010, p.333)
[TT 39]: Cậu có biết nhà giáo sư Yoon ở đâu không? Yoon nắm lấy tay tôi trong cơn mưa
tuyết và hỏi.
분석: 이 문장들이 신숙경 작가의 ‘어디선가 나를 찾는 전화벨이 울리고’
장편소설에서 인용되었고, 작품 개요를 읽어보면 1 인칭 주인공은 남자이고 윤이란 인물은
그의 애인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역자가 작품 전체 내용을 파악하지 않고 인용 부분만

네이버 사전, https://ko.dict.naver.com/#/entry/koko/1774db8681754ffd8e1e6065a6cb7424 (2020 년 2 월 29 일


17

검색)

40
번역하여 대명사를 맞는 표현으로 옮기지 못했다. 윤은 여자라서 ‘cô ấy, con bé, chị ấy’ 등
여자에게 쓰는 대명사로 번역해야 한다. 그리고 연애 사이인 만큼 남녀의 호칭은 ‘anh,
em’으로 옮기는 것이 보다 정확하다.
대안:
[TT 38]: Ngay khi tôi có ý định vực Yoon dậy thì giáo sư nói để kệ cô ấy.
[TT 39]: Anh có biết nhà giáo sư Yoon ở đâu không? Yoon nắm lấy tay tôi trong cơn mưa
tuyết và hỏi.

[ST 40]: 일본이 조선을 점령한 후 근대화교육제도를 본격적으로 운영하는데, 여기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 (Egloos, ˹한국의 미친 교육열과 민주주의˼)
[TT 40]: Sau khi xâm chiếm Triều Tiên, quân Nhật đã thi hành một cách chính thức chế độ
giáo dục Cận đại hóa nhưng lại phát sinh một vấn đề nghiêm trọng.
분석: ‘운영하다’는 우리 베트남 말로 vận hành, điều hành, điều khiển, thực hiện 등
상황에 따라 적합한 표현을 하는데, [TT 40]에 thi hành 과 chế độ giáo dục 을 합쳐 쓰는 것은
적절한 표현이 아니다. Thi hành 은 법령을 공포한 뒤에 그 효력을 실제로 발생시킨다는
뜻으로 시행한다는 단어와 비슷한 말이라 법령, 규정, 정책 등과 같이 써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thi hành 을 áp dụng, thực hiện 으로 바꿔서 번역하는 것이 맞다.
대안: Sau khi xâm chiếm Triều Tiên, quân Nhật đã chính thức thực hiện chế độ giáo dục Cận
đại hóa nhưng lại phát sinh một vấn đề nghiêm trọng.

[ST 41]: 1 차적으로 2012 년 정부는 중앙은행을 통해 기존 지급기한의 연장과 이자율


인하를 허용하며... (베한타임즈, ˹베트남 경제의 현 위치 (3 부) - 구조조정˼)
[TT 41]: Trước hết vào năm 2012, Chính phủ đã cho phép gia tăng thời hạn thanh toán và
giảm lãi suất thông qua Ngân hàng Chung Ang,...
분석: 원문에 밑줄 친 단어들은 의미상 측면을 살펴보면 큰 문제가 아니지만 앞뒤
내용에 부적합함으로 인한 오역이다. Gia tăng 은 자동사로서 명사 앞이 아닌 명사 뒤에
나타나야 하는 표현이고 thời hạn thanh toán 과 결합되어 생기는 말자체가 어색하여 kéo

41
dài 로 바꿔서 쓰는 것이 좋다. 계속해서 여기서 언급하고자 하는 중앙은행은 베트남 국영
은행이고 한국 은행이 아니다. 따라서 Ngân hàng Nhà nước Việt Nam 으로 번역해야 한다.
대안: Trước hết vào năm 2012, Chính phủ đã cho phép kéo dài thời hạn thanh toán và giảm
lãi suất thông qua Ngân hàng Nhà nước Việt Nam,...

[ST 42]: 또한 아파트 등 다른 재료의 건물에 비해 독성이 없어서 인간의 몸에 해롭지


않으며,... (네이버 블로그, ˹한옥의 가치와 개념˼)
[TT 42]: Hơn nữa, nếu so sánh với những tòa nhà được xây dựng bằng các vật liệu khác nhau
ví dụ như nhà tập thể, các vật liệu này sẽ không gây hại đến sức khỏe con người do không chứa
các thành phần độc hại,...
분석: 먼저 아파트는 5 층 이상의 건물을 층마다 여러 집으로 구획하여 각각의 독립된
가구가 생활할 수 있도록 만든 주거 형태이라는 점에서 nhà tập thể 과 흡사하기는 하지만
베트남에서 nhà tập thể 하면 잘 알려진 현대식 아파트가 아니라 90 년대에 지어진 옛날
형식을 갖춘 오래된 집을 떠올리기 십상이다. 이 문장에 언급하는 아파트는 현대식으로
만들어진 집이라 이 문장에 nhà tập thể 는 적합한 표현이 아니고 nhà chung cư 로 바꿔 쓰는
것이 좋다.
대안: Hơn nữa, nếu so sánh với những tòa nhà được xây dựng bằng nhiều vật liệu khác nhau
ví dụ như nhà chung cư, các vật liệu này sẽ không gây hại đến sức khỏe con người do không chứa
các thành phần độc hại,...
문장에 적합한 단어를 선택하지 못하는 것은 역자의 능력에 문제가 있다고 본다.
단어의 의미로 인한 오역과 달리 이 문제는 사전적 의미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내용과 문장을 이해해서 최적의 표현을 찾아내야 하는 일이다. 즉 본인이 글을 이해하고
그 글에 맞는 베트남어 표현을 선택해야 한다. 그렇지 못한다면 매우 어색한 표현이
생산될 것이다.

42
2.2.6. 부자연스러운 번역
오역의 이론적 배경 부분에 언급한 듯이 본 연구는 의미, 문법을 비롯한 번역 문제를
뿐만 아니라 번역투도 분석할 것이다. 번역투 또는 부자연스러운 번역은 번역문의 TT 가
ST 의 언어적 특성이 전이되어 TT 의 가독성을 떨어뜨리는 것이라 번역 기준에 어긋난 오역
중의 하나라고 간주된다.18 이 문제는 특히 전공대학생이 가장 많이 범하는 것이다. 원본의
뜻을 충분히 파악하고 이해하나 막상 역문으로 옮길 때 출발어와 목표어의 상이한 부분에
대해 고려하지 않거나 목표 언어에 대한 지식이 부족해서 문장을 매끄럽게 표현할 수 없게
되었다19. 이는 원본의 정취나 풍미를 제대로 풍길 수 없는데다가 독자가 내용 파악하는
데 장애가 될 수도 있다. 역자가 직역으로 원어민인 독자가 익숙해하지 않는 출발 언어의
통사구조, 의미, 화용, 문체론적 특성을 그대로 옮기는 번역투의 예시를 분석하고 오역의
특정을 살펴보기로 하겠다.

[ST 43]: 입시 위주로 쳇바퀴 돌 듯 공부에만 얽매인 학창 시절을 겪고,... (국제신문,


˹학교 가기 싫어하는 아이 ‘신학기 증후군’ 의심을˼)
[TT 43]: Do vấn đề thi đầu vào, chúng ta đang trải qua thời kỳ đi học bị trói buộc chúng ta
vào guồng quay học hành như bánh xe lăn tròn.
분석: 예시를 보면 역자가 원문의 뜻을 역문에 반영해 냈지만 내용을 읽다 보면
일치감과 자연스러운 표현이 아니라는 것을 느낀다. 예를 들면 ‘입시’는 사전적 의미로
입학시험인데 역자는 직역으로 ‘thi đầu vào’이라고 번역했다. 베트남어에는 상대적으로
어색한 말이자 번역문 독자가 중학교, 고등학교나 대학입학시험 중에 어떤 시험을
이야기하는지를 정확히 알 수 없게 만드는 표현이기도 하다. 게다가 말을 좀 더 매끄럽게
몇 가지 단어를 추가하고 반복 표현을 생략하며 베트남어다운 문장구조로 바꾸면
가독성이 훨씬 높아진다.
대안: Giáo dục chú trọng vào kì thi đại học khiến chúng ta phải trải qua những năm tháng đi
học bị trói buộc vào guồng quay học tập giống như bánh xe lăn tròn mãi không ngừng.

18
장현주, “번역에서 번역투(translationese)와 정보 배열”,『중국학연구』, 제 37 호 (2006), 348.
19
이근희, “영한 번역에서의 ‘번역투’ 연구”, (세종대학교, 박사논문, 2005), p.43.

43
[ST 44]: 게다가 심각한 저출산 문제로 인해 출생아 수가 빠르게 줄어들고 있어 2025 년
이전에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할 가능성도 매우 높습니다. (로켓파인더, ˹저출산 고령화
문제가 야기할 4 가지 사회변화˼)
[TT 44]: Hơn nữa, Hàn Quốc, do vấn đề tỷ lệ sinh thấp, số lượng trẻ sơ sinh giảm nhanh có
khả năng lớn sẽ trở thành xã hội siêu già trước năm 2025.
분석: 본문의 ‘가능성도 매우 높다’말을 역문에 그대로 옮겨 놨다. 의미를 전달하는
데에 문제는 없지만은 주어와 결합되어 매끄럽지 않은 표현이 되어 버렸다. 베트남어에
일이 벌어질 가능성을 언급하는 ‘có thể’와 유사한 뉘앙스와 의미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주어인 Hàn Quốc 과 뒤에 오는 서술어가 이 역문처럼 너무 멀리 떨어져 문맥을 따라가기
어렵다. 가능한 한 주어와 서술어 위치를 바꿔서 번역하는 것이 좋다.
대안: Hơn nữa, vì số trẻ em sơ sinh giảm nhanh do tỷ lệ sinh rất thấp nên Hàn Quốc rất có
thể sẽ trở thành một xã hội siêu già trước năm 2025.

[ST 45]: 한국 사회에서는 도대체 어떠한 이유로 이렇게 높은 교육열이 발생하고


있는가? (김왕배, ˹한국의 교육열˼)
[TT 45]: Vì lý do gì đã tạo nên một cơn sốt giáo dục lớn như vậy lại xảy ra trong xã hội Hàn
Quốc?
분석: 전체적으로 보면 원문의 뜻이 역문에 빠짐없이 번역되었다. 그런데 역자가
원문에 지나치게 충실하느라 어색한 문장을 생성해 버렸다. 베트남어로 옮길 때 한국어의
문장 구조를 유지하는 것은 맞지만 번역 대상 독자가 읽으면서 일치감을 느끼지 않게
베트남어다운 문장과 말투를 고려해서 번역하는 것도 중요한 일이다. 이 예문에서 어색한
표현들과 틀린 구조들로 이상한 문장이 되었다. 역문을 고치려면 불필요한 성분을 생략하고
앞뒤 표현에 맞는 단어를 택하는 것이 맞다.
대안: Vậy, đâu là nguyên nhân dẫn đến việc cơn sốt giáo dục hiện nay vẫn chưa có dấu hiệu
giảm nhiệt lại xuất hiện trong xã hội Hàn Quốc?

44
[ST 46]: 찾아갈 수 있어, 내가 다짐하듯 대답하자 윤이 웃었다. (신경숙, ˹어디선가 나를
부루는 전화가 울리고˼ p.333)
[TT 46]: Có thể tìm thấy được, Yoon cười ngay khi tôi trả lời một cách đầy quyết tâm.
분석: 한국어에 청자와 화자 간에 지시 대상에 대한 인지가 충분히 가능하면 생략해도
되는 반면에 베트남어에는 문장에 반드시 주어가 나타나야 문법적으로 맞는 표현이다.
그래서 한국어로 된 글을 번역할 때 항상 앞뒤 내용을 읽고 지시 대상이 누군지를 파악해서
주어를 추가해야 한다. 그러면 가독성을 높이면서 문법적 규칙도 지킬 수 있다. 그러나 [ST
46]에서 볼 수 있듯이 번역가가 한국어의 언어 관습을 그대로 베트남어 문장에 반영하여
독자가 읽을 때 주어가 누구인지는 알지만 문장은 부자연스럽게 느끼기 십상이다. 그러므로
‘우리가 찾아갈 수 있다’ 라고 주어를 추가하여 번역해야 한다. 또한 번역 문장은 대충 뜻을
표현해 냈어도 적합한 베트남어 표현을 찾지 못 하고 문장 구조를 바꾸었기 때문에
번역문을 읽을 때 어색함을 느낀다.
대안: Chúng ta sẽ tìm được mà. Nghe tôi nói như hứa, Yoon liền bật cười.20

[ST 47]: 남성들 사이에도 명품 소비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매경 Luxmen, ˹누가
명품 소비에 열광하는가˼)
[TT 47]: Gần đây việc mua sắm đang lan rộng nhanh chóng giữa những người đàn ông.
분석: 위의 문장은 직역으로 인해 어색한 표현을 만들어 버리는 대표적인 예시이다.
여기서 말하자는 명품 소비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는 말은 남자들이 명품을 구매하여
사용하는 일이 빠르게 유행해진다는 뜻으로 이해되어야 의역이 가능하다. 역자가 말 그대로
분석하다가 베트남 사람이 평상 시 안 쓰던 표현을 생성할 소지가 있다.
대안: Việc nam giới mua sắm đồ hiệu cũng đang nhanh chóng trở nên phổ biến.

[ST 48]: 서귀포시는 17 개 읍면동 중 절반이 넘는 10 개 읍면동이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연합뉴스, ˹고령사회˼)

20
신숙경,『어디선가 나를 찾는 전화가 울리고』, 역: Nguyen Thi Thu Van, (Nha Nam, 2017), p.216.

45
[TT 48]: Vượt quá nửa trong số 17 khu vực thuộc thành phố Seogwipo-si, 10 khu vực đang
tiến vào thời kì đầu xã hội siêu già.
분석: 한국어에서 명사를 수식하는 부분은 체언 앞에 나오는 데에 반해
베트남어에서는 체언 뒤에 온다. 그렇기 때문에 목표 언어인 베트남어로 번역할 때 그
통사구조도 베트남어답게 바꿔야 한다. 하지만 본 예시는 한국어 문장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는 바람에 번역이 어색해졌다. 보다 자연스럽게 표현해 내려면 밑줄 친 부분을 뒤로
옮기는 것이 좋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역자가 의역과 추가 번역을 고려해서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면 더 높은 품질의 번역문을 만들 수 있다.
대안: Có 10 huyện, phường, thị trấn, tức hơn một nửa trong số 17 khu vực tại thành phố
Seogwipo-si đang bước vào thời kì đầu xã hội siêu già.

[ST 49]: 화장품 성분 분석 앱 ‘홰해’는 현재까지 모바일 다운로드 건수만 600 만 건이


넘어섰다. (소비자 경제, ˹소비자 트렌드 화장품 고를 때 '착한성분' 먼저 따진다˼)
[TT 49]: Số lượt tải về điện thoại của ứng dụng phân tích thành phần mỹ phẩm Hwahae chỉ
tính đến nay đã vượt hơn 6 triệu lượt.
분석: 역문을 보면 문장의 뜻이 잘 전달되었지만 단어의 배치가 조금 잘 안되어서
어색한 느낌이 든다. 여기서 부사어인 ‘현재까지’는 문장 맨 앞에 놓고 동사를 추가하면
문장이 보다 자연스러워진다.
대안: Đến nay, chỉ tính riêng trên điện thoại di động, ứng dụng phân tích thành phần mỹ
phẩm Hwahae đã có hơn 6 triệu lượt tải về.

[ST 50]: ‘스카이 캐슬’에서 보인 것처럼, 입시 위주의 교육 실정 아래서 상위를 향해


질주하는 학생들은 학업과 관계에 대한 피로감을 느끼게 마련입니다. (네이버 블로그,
˹한국 학생 둘 중 하나가 겪는 신학기 증후군˼)
[TT 50]: Như những việc nhìn thấy ở Sky Castle, những sinh viên vội vã hướng đến vị trí
cao hơn dưới sự giáo dục áp đặt thi cử lên hàng đầu đương nhiên cũng sẽ cảm thấy mệt mỏi về việc
học tập cũng như trong các mối quan hệ.

46
분석: 언어 대 언어를 번역하는 악습으로 인해 역자가 엉망진창의 문장을 만들었고
역문에 통사구조도 잘 구별할 수 없게 했다. 체언을 수식하는 부분은 늘 그 앞에 나와서
베트남어로 바꿀 때 맥락과 구조를 고려해서 재설정할 필요가 있다. 항상 뒤로부터 앞까지
순서대로 단어를 배열한다면 번역문 독자가 문장의 뜻을 파악하기 어렵게 만들고 이렇게
어색한 문장을 생성한다. 또한 전체 문장에 적합한 단어 선택도 가독성에 큰 영향을 끼친다.
대안: Giống như những gì xuất hiện trong bộ phim “Sky Castle”, trong một hệ thống giáo
dục lấy kì thi đại học làm trọng tâm, học sinh – những người đang vội vã chạy đua vì thứ hạng chắc
chắn sẽ cảm thấy mệt mỏi với việc học tập và các mối quan hệ xung quanh.
이상의 경우에서 보는 것처럼 학생들이 원문의 뜻을 이해하지만 막상 베트남어로
옮길 때 자연스레 표현하기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원문에 지나치게
충실하여 번역하게 되었다. 이는 저자의 글 쓰는 스타일을 망가트릴뿐만 아니라 독해에도
큰 장애가 된다. 어떻게 자연스럽게 원문의 뜻을 전달하는지는 초보자 번역을 비롯한 전문
번역가에게 어려운 과제인만큼 언어 능력을 끌어올리고 기초지식 그리고 전문지식을
항상 축척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제 2 장에서 전공학생이 범하는 오역 현황과 오역 양상별 분석에 들어갔다. 먼저
번역과제에서 나타난 12 개의 오류 중에 위에 언급된 것과 같은 대표적인 오류 8 개를
찾기 위해 오역 등장빈도를 오름차순으로 나열했다. 그리고 조사 결과 학생의 TOPIK
등급과 오역 현황이 상관성이 있고 TOPIK 등급이 높으면 높을수록 오역을 범할 확률이
낮았다. 그리고 오역의 정의와 특징 또는 원인을 제시하고 실제 오류의 예를 제시하고
분석한 다음에 대안을 마련하였다. 현재 학생들이 자주 범하는 8 개 오역은 학생이 본인
스스로 자신의 약점을 깨달아 오역을 지양하도록 번역 시 번역 기술, 표준에 유의하고
전문가에게 감수를 받는 것이 좋다.

47
제 3 장 오역의 극복 방안

위의 오역 양상을 살펴본 것처럼 학생들이 가장 많이 범하는 오역은 총 8 개가 있다.


오역은 어떤 양상이든 역문의 품질에 영향을 끼치고 자료 번역 의로를 받는 번역자에 대한
신뢰성을 깰 수 있기도 한다. 무엇보다도 잘못된 번역들은 저자와 독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에 장애되어 사업, 업무, 작품 전달 등을 원활히 진행하기 어렵게 만든다.
특히 대부분 4 학년 전공학생이 졸업 후에 한국기업에 취직하는데 업무상 자료를 정확히
번역하지 못 한다면 회사에 큰 피해를 입힐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러한 오역을 극복할
수 있게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이다. 본 장에서 하노이국립외대
학국어학부 학생을 위한 오역 극복 방안을 몇 가지 제시하도록 하겠다.

3.1. 각종 오역에 해당한 극복 방안


제 2 장에서 언급한 번역상 오류마다 특징이 달라서 총괄적인 방법보다 역자가 자주
범하는 각 양상에 적합한 극복 방안을 찾는 것이 효율성이 더욱 높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므로 8 개의 오역에 따른 방안을 각각 제시하고자 한다.

한글의 로마자 표기법 문제


먼저, 한국어의 로마자 표기 문제에 있어서, 극복 방안은 표기법 암기와 보조 기구를
활용하는 것이다. 위의 예시를 분석한 것처럼, 익숙한 명사 경우는 정확히 옮기는 데 반해
처음 또는 자주 부딪치지 않는 명사의 경우는 틀리게 전달하는 사람이 적지 않았다.
따라서 번역문에 외래어인 한국어 명사를 정확히 표현하자면 교과서에 나온 [표 2]를
활용하고 이에 따라 한글을 로마자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 그 다음으로 한국에서 믿음직한
언론 매체인 네이버의 한글 이름 로마자 변환기를 사용해서 결과 및 사용빈도를
재확인하는 것이 좋겠다.21 게다가 사실상 베트남에서 외래어 표기법은 일관되지 않아서

21
『한글 이름 로마자 표기』, ; https://dict.naver.com/name-to-roman/translation/

48
역자마다 다르게 표현한다.22 그런데 한 번역서에 같은 명사를 다양한 방법으로 로마자로
바꾸는 것은 독자를 헷갈리게 하여 하나의 표시 방법만 사용해야 한다.

통사구조로 인한 오역
통사구조로 인한 오역을 극복하려면 한국어와 베트남어 문법을 익혀야 한다. 우리가
베트남 사람이라도 베트남어 문법을 잘 알고 있는 것이 아니다. 때로는 습관적으로 틀린
말을 하다가 맞는 말인 줄 알고 계속 쓰는 경우가 많다. 그렇기 때문에 베트남어 문법
교재를 사서 일주일에 2 번 이상 숙제를 통해 문법 지식을 확고히 다지는 것이 좋다. 그리고
여기서 말하고자 하는 한국어 문법은 외국인을 위한 것이 아니라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문법이다. 원어민을 위한 문법은 항상 깊이 있게 제시되어서이다. 번역가는 일주일에 2 번
이상 문법에 관한 책, 교재를 독서하고 숙제를 해야 한다. 이를 공부함으로써 두 언어
문법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발견하고 번역 시 맞는 표현을 사용할 수 있고 통사구조에 관한
문제도 줄일 수 있다.

구어와 문어 사용 문제
학생이 글을 번역하다 자주 구어를 사용하는 악습을 고치려면 글을 쓰는 자세로
임하며 번역을 하고 문장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사실상 글을 쓰면서 사람들에게 익숙한
말로 작성하는 것은 이해할 수 있지만 자칫하면 글다운 말이 안 나오고 분위기를 파괴할
수도 있다. 그래서 항상 글다운 번역을 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게다가 번역 전에
번역문에 맞는 말투를 사용하기 위해 원본과 비슷한 글을 찾아 읽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왜냐하면 처음 보는 주제는 일상적인 대화에 자주 나오는 내용이 아니라면 역자가 쉽게
일반 대화 말투로 번역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의미의 누락

22
Ha Minh Thanh, “한국문학의 베트남어 번역 연구”, (이하대학원, 박사논문, 2014), p.81.

49
무분별한 누락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역자는 1 차 번역 후에 재확인 단계를 밟아야
한다. 여기서 번역 숙제는 비상업적인 글이라서 역자의 이익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1 차 번역이 끝나고 다시 검사하지 않는다. 이러다 보니 버릇이 되어 실제 번역
업무를 진행할 때도 똑같은 방식으로 일할 소지가 있다. 그러므로 숙제할 때도 진지한
태도로 임하고 재확인하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한편으로 역자가 각종 분야에 해당하는
베트남어 표현에 미숙하여 고의로 누락을 시키는 경우도 많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베트남어된 여러 가지 책, 서류, 교재 등을 찾아 읽으며 다양한 표현을 익히고 주제별 쓰기
연습을 할 필요가 있다. 그러면 나중에 어떤 주제에 부딪쳐도 원활히 번역 작업을 할 수
있다.

의미의 첨가
원문에 없는 내용을 지나치게 부풀린 것들이 많았다. 역자가 감정을 이입하거나
베트남 말로 어떻게 자연스럽게 표현할지 알 수 없고 또는 언어 관습의 영향을 받아서
일부러 추가하게 되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번역자가 직역을 연습해야 하는데 이른바
원문을 자의적으로 해석하여 번역하지 말아야 한다. 번역이 끝나고 나서 다시금 원문과
번역문의 내용을 비교하여 불필요하게 추가된 내용이나 원문과 무관한 내용을 발견하면
바로 삭제해야 한다. 그러면 원본의 내용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불필요하게 삽입하는
악습을 없앨 수 있다.

단어의 의미로 인한 오역
단어의 의미를 대충 유추하는 대신 번역자가 사전 앱 또는 사전 웹사이트에서 의미를
검색하는 것이 바른 자세이다. 번역하다 부딪치는 새 단어가 어디서 본 단어인 것 같다고
하여 의미를 추측하는 방법은 때로 적합할 수 있지만, 모든 경우에 활용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높은 정확성을 요구하는 번역 업무는 대충 유추를 삼가야 한다. 그리고 숫자 오역도
나오는데, 이를 극복하자면 평상 시 숫자 번역 연습을 거듭해야 한다. 작은 수량부터 백만,
억, 조 등 거대한 수량까지 한국어에서 베트남어로 번역하다 보면 한국 숫자 표기법을
숙지해야 숫자에 대한 오역이 점차 줄어든다.

50
부적합한 단어로 인한 오역
이 오역은 대다수 학생들의 원문 파악 또는 베트남어 구사력 부족에서 비롯된다.
먼저 원문은 하나의 문장을 읽지 말고 전체 내용을 살펴봐야 무슨 문제를 언급하는지,
어떤 이야기를 전개하는지를 알 수 있다. 그것을 바탕으로 베트남어로 옮길 때 적절한
단어를 골라서 쓴다. 적합한 단어를 잘 골라서 사용하자면 먼저 모국어인 베트남어
구사력을 제고해야 한다. 베트남 사람이라도 베트남어를 잘 활용하는 것은 아니고 언어
습관 때문에 잘못된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는 적지 않다. 따라서 베트남어로 된 자료를
다양하게 찾아 읽고 좋은 표현을 발견하면 비망록에다 기재하고 내용을 가끔씩 다시 읽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그러다 보면 베트남어 구사력이 개선되고 표현도 풍부해진다. 그리고,
사전을 활용하여 정확한 단어를 고르려면 글의 전체 내용을 파악하고 문맥을 짚고
분위기를 잘 읽어내야 한다.

부자연스러운 번역
마지막으로 가장 많이 범하는 문제인 부자연스러운 번역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서적을 읽거나 관한 온라인 강의, 세미나, 프로그램 영상을 시청하고 원문에 관련된 지식을
함양할 필요가 있다. 원어민 입장에서 베트남어를 어렸을 때부터 알고 있으니 그를
이해한다고 착각하는 경우가 많다. 우리는 일반적인 대화를 잘 하지, 전문적 내용을 잘
표현하는 것은 아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매일 한 분야에 관한 베트남어와 한국어된
글을 찾아 읽고 낯선 용어와 표현을 기록하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그리고 이해 안 되는
전문적인 내용이 있으면 그 분야 전문가에게 설명을 듣도록 한다. 그렇다 보면 원문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고 양 언어 표현을 익혀서 상황에 맞는 표현을 잘 할 수 있다. 점차
역문의 품질이 제고되기가 마련이다. 그리고 어색한 역문을 유발하는 이유는 역자가 직역
기술을 지니치게 활용하는 데에 기인한다. 하나의 문장을 번역 시 한 기술만에 의존하지
말고 자연스러운 결과물을 생산하도록 의역, 번안, 삭제 또는 생략 등 다양한 방법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다.

51
완전한 번역은 없다. 늘 ‘완전 번역’으로 가는 과정만 있을 뿐이다.23 초보자 번역자인
전공학생들이 그 과정을 밟으며 오역을 개선하겠다는 의지를 가지고 본인에게 가장
알맞는 개선을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 올바른 자세이다.

3.2. 기타 극복 방안
위의 내용은 각종 오역을 위주로 해결방법을 제시하였지만 사실 전반적인 오역을
없애기 위해 번역 능력을 제고해야 한다. 그러자면 본인의 지속적인 번역 학습을 비롯한
교과과정 개선과 같은 방법들도 활용하는 것이 좋다. 자신의 노력이 늘 필수조건이고 그
외에 학교에서 진행하는 번역교육과정도 번역자의 능력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구절에서 그 2 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극복 방법을 짚어보겠다.

3.2.1. 학생의 지속적 학습


전공학생이 본인의 번역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평상 시 자습을 하느냐는 질문에
100% 응답자가 예라고 대답하였다. 이 결과를 보면 학생이 자기 실력을 개선하고자 하는
의지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자습 방법과 그 빈도를 아래 표를 통해 살펴보자.

23
심지언, “문학작품에 나타난 중한번역 오류분석” (부산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p.42.

52
<표 5> 번역 능역 제고를 위한 자습 및 빈도

100
90
80
70
학생의 비율

60

50
40
매달 1~2번
30
매주 1~2번
20
매일 최소 1번
10

이상의 표에서 본 것처럼 학생들이 다양한 방법을 활용해서 자습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중에 매주 1~2 번 ‘번역문 분석-평가’ 과목에서 나온 숙제를 한다는 대답이
100%로 1 위를 차지하고 있다. 다음으로 번역 아르바이트는 43.75%로 2 위였고 매주 1~2
번 하는 글 독서와 교재로 학습이 그 뒤를 이었다. 나머지 방법들은 학생이 활용하기는
하지만 매달 1~2 번쯤 하여 지속성이 떨어지는 현황을 보인다. 이는 적든 많든 학습 효과에
영향을 끼친다. 왜냐하면 학습은 지속적인 과정인 만큼 꾸준히 하지 않는다면 실력을 닦고
갈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학교 숙제만 한다면 절대적으로 실력이 는다고 장담할 수
없다. 따라서 역자가 자습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일단, 사회, 정치,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기초 지식과 전문 지식을
축적하도록 매일 최소 1 번 각 종 영역에 관한 글, 기사, 책을 찾아 읽는다. 어떤 분야에

53
대한 기본 교양을 가짐으로써 번역할 자료를 접근할 때 보다 쉽게 파악하고 원활히 작업할
수 있어서이다. 그리고 베트남어판과 한국어판을 동시에 찾아 읽는 것은 두 언어 간의
상응하거나 상이한 부분을 비교하여 낯설거나 좋은 표현을 비망록에다 기재해 놓고
나중에 번역할 때 적합한 표현을 선택해서 사용하는 것은 번역 품질을 제고하는 데에 크게
도움이 된다.
다음으로 매주 3 번 이상 교재 또는 서류 번역 연습을 거듭하고 본인의 능력을
개선하고 약점을 찾아내서 극복한다. 마음대로 찾아 번역하는 자료의 경우 한-베 번역
작업하다가 어려움을 부딪치면 통번역 교수와 같은 전문가에게 조언을 받거나 작업이
끝나고 전문가에게서 감수를 받는 것이 매우 좋은 방법이다. 이는 자기의 능력 한계를
넓히고 그를 통해 번역 기술,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 교재 사용의 경우 전체 내용을 번역한
다음에 작업한 내용들을 책 뒤에 있는 해석 부분과 비교하고 틀린 부분이나 참고할 만한
번역 표현을 발견한다면 메모해 놓는 것도 좋은 습관이다. 통번역 아르바이트의 경우,
번역 시 회사 선배에게 감수 부탁하는 것도 효율적인 학습 방법이다. 유경험자로서
초보자인 우리에게 번역 실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지적을 해주기도 하고 모르던 것들을
알려주기도 한다.
그리고 번역 수업에 참여하는 태도와 자세를 바꾸는 것도 번역 능력을 끌어 올리는
데에 효율적이다. 먼저, 본인이 맡은 과제를 성실히 해야 한다. 즉, 대충대충 번역해 놓고
제출하는 것이 아니라 적당한 시간과 심혈을 투자하고 완성하도록 노력하라는 뜻이다.
수업에서 다양하고 쉽게 접근할 수 없는 자료를 제공하여 과제를 열심히 한다면 그만큼
능력이 개선된다. 또한, 동료가 번역문을 분석할 때 경청하는 것도 좋겠다. 다른 사람의
잘못은 본인에게 교훈이 되고 나중에 똑같은 잘못을 범하지 않도록 깊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그의 번역문이 훌륭하면 본인에게도 소중한 교훈이 된다. 마지막으로 교수님과의
개인 상담 시간과 수업 시간이 부족한 만큼 수업 중에 교수님과 적극적으로 의견을
교환해야 한다. 몰랐던 지식을 물어보거나 경험담을 경청함으로써 자신의 부족함을 점차
채워 나갈 수 있고 그것이 쌓여 자신의 능력은 제고될 것이다.

54
3.2.2. 번역 교육과정 개선
본인의 지속적 자습도 중요하지만 학부의 번역 교육과정 개선도 전공학생의 능력
제고에 큰 역할을 한다. 번역 수업은 번역의 기초 지식, 다양한 주제의 연습 시간,
강사로부터 감수, 조언 등 본인이 쉽게 스스로 얻을 수 없는 기회를 제공해서이다. 또한,
전공학생이 자신의 번역 능력이 아직 모자란다고 생각하여 교육을 더 받기를 원하는 데에
기인한 결과이기도 하다. 본 논문에서 4 학년 학생들이 현재 학부에서 하는 번역
교육과정에 대한 생각은 어떤지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절반 이상인 78.13% 학생이 학부에서 번역과목이 추가로 개설될 필요성이 있다고
응답했다. 즉, 대다수 설문 참여 학생이 기존 번역 수업외에 추가적으로 번역에 관한
수업이 만들어졌으면 하는 바람을 가지고 있다. 2019-2020 년 1 학기 교과과정에서
‘번역문 분석-평가’, ‘시사한국어번역’, ‘통번역 업무기술’ 등 3 과목의 번역 수업을 하고
있는데 그 중에 ‘번역문 분석-평가’ 수업만 번역을 위주로 진행되며 나머지는 번역은 물론
통역, 시사 영상 촬영 등 기타 학습 내용도 있다. 이러한 교육 내용들이 학생의 번역 능력을
키워주는 데에 크게 보탬이 되나 이것말고는 번역 이론 또는 연습을 중심으로 추가로
개설되는 수업이 있으면 전공학생들이 보다 많은 능력 제고할 기회를 갖을 수 있을
뿐만아니라 번역 경험도 축적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학부에서 학생들의 이러한
요구을 고려하여 장래 교과과정을 개선해줬으면 한다.
오역 극복이나 번역 능력 향상을 위한 완전한 방법은 없다. 각자가 본인에 어울리는
방법을 찾아내고 활용할 수밖에 없다. 이상에 언급된 방법들이 총괄적으로 알아보고 각
오역에 해당하는 극복 방법과 번역 능력 향상으로 오역 극복의 2 가지 방법으로
구분하였다. 이 2 가지 방법은 선행 연구 결과 참조와 실제 상황을 고려함으로써 제시한
내용이어서 적합하다거나 부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겠지만 이것들이 역자의 번역
실력을 제고하는 데에 보탬이 되었으면 한다.

55
제 3 부. 결론

본 논문에서 한국어 및 문화학부 4 학년 재학생 중에 32 명을 선정하고 그들이


1 학기의 8 주 동안 번역한 40 개의 한-베 과제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총
12 개의 오역을 발견하였는데 그중에 평균 등장빈도가 50% 이상인 오역 8 개는 대표적인
오역으로 정리하고 이들을 연구대상으로 했다. 나아가 한-베 번역 과정에서 자주
발생하는 오역을 어떻게 극복하는지 각각의 경우에 따라 대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한-베 통번역 전공학생을 위한 연구로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몇 가지
결과로 정리하겠다.
제 1 장에서 다양한 학자들의 관점으로부터 번역 개념을 종합하고 각종 정의
사이에서 공통점을 도출해 냈다. 특히 본고에 한-베 번역에 초점을 맞춰서 연구를
진행함으므로 한-베 번역이란 무엇인지도 이 구절에서 같이 언급하였다. 한편으로 선행
연구를 통해서 여러 오역 양상을 정리하고, 그것을 기초로 학생의 과제에서 나오는 오역을
찾아 냈는데 그 중에 등장빈도는 50% 이상에 달하는 오역은 대표적인 번역상 오류로
간주했다.
본 논문에서 제 2 장에서 전공학생의 한-베 번역문에서 나타난 오역 분석에 포커스를
맞춰서 연구를 했다. 먼저, 오역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전공학생의 번역과제에서 등장한
모든 오역 양상을 양상 별로 찾아내고 등장빈도를 계산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라 한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문제, 누락 및 첨가 문제, 어휘 오역, 통사구조로 인한 오역, 구어와 문어
사용 문제, 시제 불일치, 독해상으로 인한 오역, 주어 혼동, 부자연스러운 번역 등 총
12 개의 양상을 찾아냈는데, 그 중에 한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통사구조 구어와 문어 사용
문제, 어휘 오역, 의미의 누락 및 첨가, 부자연스러운 오역 등 8 개는 평균 등장빈도가
50%를 넘어섰다. 이들은 바로 본 논문에서 다루는 대표적인 오역이다. 계속해서 선행
연구를 참조함으로써 한-베 번역문에서 나타난 오역의 개념을 구성하고 그의 특징이나
원인을 밝혀냈다. 그리고 실제 과제물에서 나온 오역을 예시하고 틀린 부분이 무엇인지,

56
이를 유발한 원인과 오역의 특징이 어떤 것인지도 같이 언급했다. 마지막으로 예시에
적합한 수정 대안을 마련하였다.
제 3 장에서 오역의 극복 방안이 전개되었다. 여기서 극복 방법은 2 가지로
구분하였는데, 첫째 각종 오역에 해당하는 극복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역자가 본인 스스로
자주 범하는 문제를 알아보고 그에 알맞는 방법을 바로 활용할 수 있게끔 오역별 쉽게
설명하였다. 둘째, 직접적인 해결 방안을 제외하고 오역을 줄이기 위해 번역 능력을
향상시키기 가능한 2 가지 방안도 제시하였는데 하나는 역자가 지속적인 학습을 거듭하는
방법이고 하나는 한국어학부에서 교과과정을 개선하도록 몇 가지 제안을 언급하는
것이다. 이렇게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다 보면 초보자 번역가가 문제점을 완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베트남에서 한-베 통번역 전공학생이 범하는 오역에 대한 연구 활동이 아직까지는
활발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관한 연구가 있기는 하지만 많지 않아서 참고할
만한 자료를 조사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비록 필자가 연구 능력과 전문 지식에 한계가
있어 완전한 연구 결과를 제시할 수 없지만 전공학생의 한-베 번역에 나타난 문제점들을
개선하고 보완하는 데에 도움이 되고 번역 강의에 보탬이 되는 자료였으면 한다.

57
<참고문헌>
1. 논문, 서적
베트남어 자료
1. Nguyễn Hải Hà – Chu Thị Huyền Mi – Trần Thị Bích Ngọc (2015). Các lỗi thường gặp trong
bài dịch của sinh viên: Nghiên cứu trường hợp tại khoa Sư phạm Tiếng Anh, ĐHNN,
ĐHQGHN. Ngôn ngữ và đời sống, ISSN 0868-3409, 7, 52-58.
2. Đỗ Thúy Hằng (2018). Khảo sát lỗi biên dịch của sinh viên năm thứ ba trường ĐHNN-
ĐHQGHN. Nghiên cứu Nước ngoài, ISSN 2525-2445, 1, 80-90.
3. Nguyễn Thị Minh Tâm, Nguyễn Diệu Hồng, Trần Thị Long (2017). Khảo sát thực trạng sử
dụng Tiếng Anh trong các biển hướng dẫn du lịch tại một số điểm du lịch ở Miền Bắc Việt
Nam. Nghiên cứu Nước ngoài, ISSN 2525-2445, 33, 90-104.
4. Lê Hùng Tiến (2018). Phê bình đánh giá dịch thuật: Một số vấn đề lý luận cơ bản và thực
tiễn dịch thuật Anh – Việt, Nhà xuất bản Đại học Quốc gia Hà Nội.

영어자료
5. Hatim, B., & Mason, I. (1997). The translator as communicator. London: Routledge.
Resenhas, 499-501.
6. ATA Framework for Standardized Error Marking Explanation of Error Categories, The
ATA Chronicle, 2003.

한국어 자료
7. 강유연(2008). “번역에서 등가문제.”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낭경(2017). “다자이 오사무의 ‘사양’의 한국어 번역현황과 오역 양상.”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서학위 논문
9. 김주영(2010). “한-베 문화차이와 번역 상의 문제: 응우옌 응옥 뜨(Nguyễn Ngọc
Tư)의 <까잉 동 벗 떤(Cánh đồng bất tận)>의 한국어 번역본 <끝없는 벌판>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8
10. 김재선(2009). “오역을 줄이기 위한 효율적인 번역 전략.”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김효중(2004).『새로운 번역을 위한 패러다임』. 서울: 푸른사상
12. 김홍범, 성낙수 등 (2013).『개념이 있는 국어 문법』. 서울: 지학사
13. 남성우(2016).『통번역의 이해』. 한국문화사
14. Do Thuy Hang (2018). “한국어 교육에서의 통번역 교육과정 연구 - 베트남
하노이국립외대에서의 통번역 교육을 중심으로–.”『2018 한국어의미학회 베트남
국제학술대회』, 11-17.
15. 박은화(2012). “『이중톈, 중국인을 말한다』의오역 유형 분석”, 계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서충(2014). “장편소설 「活着」의 오역 유형 분석.” 선문대학교 통번역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신숙경(2010).『어디선가 나를 찾는 전화벨이 울리고』. Nguyen Thi Thu Van 옮김,
Hanoi: Nha Nam.
18. 심지언(2007). “문학작품에 나타난 중한번역 오류분석:「살아있는 동안 꼭 해야 할
49 가지」를 대상으로 = 文學作品中常誤譯的漢語: 以《一生要做的 99 件事》爲例.”
부산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오혜정(2009). “완전한 번역의 기술; 번역이론과 적용사례연구<타임>지.”
선문대학교 통번역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우형숙(2006). “아동문학작품의 한영 번역 오류 분석: 조이북닷컴 작품 대상으로,”
『번역학연구』, 제 7 집 제 2 호: 105-125.
21. 윤조현(2010). “한국 학습자의 오역(誤譯) 양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이근희(2005). “영한 번역에서의 '번역투' 연구 = (A) Study on 'Translationese' in
English-Korean Translation.”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59
23. 이호봉(2013). “스포츠 기사문 한중번역의 오역사례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4. 이효비(2017). “중역본 賣時間的商店에 나타난 오역 사례.” 계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5. 장현주(2006). “번역에서 번역투(translationese)와 정보 배열”,『중국학연구』,
제 37 호: 348.
26. 정봉구 (1975). “오역과 완전한 번역에 관한 문제.” 상명여자사범대학, 4 권, 173 – 190.
27. Ha Minh Thanh (2014). “한국문학의 베트남어 번역 연구.” 인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8. 한중과(2014). “장편소설『活着』의 오역 유형 분석.”선문대학교 통번역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9. 한형곤(2000). “문학작품의 번역에 대하여= <Sommario italiano> La traduzione delle
opere letterarie.”『이탈리아어문학』제 6 집 제 1 호: 231-254.

2. 웹사이트
30. 국립국어원 사전, https://www.korean.go.kr/
31. Nguyen Hong Con (2008), “Cơ sở ngôn ngữ học của nghiên cứu dịch thuật và bộ môn Dịch
thuật học”,
https://ngonnguhoc.org/index.php?option=com_content&view=article&id=234:c-s-
ngonng-hc-ca-nghien-cu-dch-thut-va-b-mon-dch-thut-hc&catid=29:bai-nghien-
cuu&Itemid=39 (2019 년 10 월 20 일 검색)
32. 네이버 사전, https://dict.naver.com/
33. 다음 사전, https://dic.daum.net/
34. Sao Do 대학교, http://ftf.saodo.edu.vn/nghien-cuu-trao-doi/nghien-cuu-mot-so-thu-phap-
giup-nang-cao-ky-nang-dich-thuat-tieng-anh-118.html (2020 년 1 월 14 일 검색)
35. 언어변환기 한글 이름 로마자 표기, https://dict.naver.com/name-to-roman/translation/

60
36. Hoa Đỗ (2015), “Bốn phương pháp dịch thuật cơ bản”, https://dichthuatabc.com/news/bon-
phuong-phap-dich-thuat-co-ban-343 (2019 년 11 월 10 일 검색)

61

→ có thể đổi sang


<부록> 설문지

“오역 양상과 전공학생의 한국어 능력의 상관관계


및 번역 자습 방법” 조사
Khảo sát về “ Sự tương quan giữa lỗi sai khi biên dịch và năng lực tiếng Hàn của
sinh viên chuyên ngành và phương pháp tự học biên dịch”

안녕하세요?
Chào các bạn,
저는 하노국립외대 한국어문화학부 4 학년 재학중인 Vu Thi Thu Thao 입니다.
Tôi là Vũ Thị Thu Thảo, sinh viên năm thứ 4 của Khoa NN&VH Hàn Quốc , trường Đại học
Ngoại ngữ, Đại học Quốc gia Hà Nội.
먼저 귀중한 시간을 할애하주셔 본 설문에 응모해주신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Trước tiên, tôi muốn gửi lời cảm ơn chân thành đến các bạn sinh viên đã dành thời gian tham
gia bài khảo sát này.
본 설문지는 졸업논문의 주제인 ‘전공학생의 한-베 번역문에서의 대표적인 오역 양상
및 극복 방안 연구’에서 2019-2020 년 1 학기 ‘번역문 분석-평가’ 수업에의 번역문을
제출해주신 여러분의 특징과 그에 나타난 오역들의 상관관계 및 번역 자습 방법을
알아보고자 하는 자료로 사용될 것입니다.
Bài khảo sát này sẽ được sử dụng làm tài liệu trong khóa luận tốt nghiệp có chủ đề là “Bước
đầu nghiên cứu lỗi sai phổ biến trong bản dịch của sinh viên chuyên ngành và phương án
khắc phục” để tìm hiểu về sự tương quan giữa lỗi sai xuất hiện trong bản dịch của môn học “Phân
tích đánh giá văn bản dịch” học kì 1 năm học 2019 – 2020 và năng lực tiếng Hàn của các bạn cũng
như phương pháp tự học biên dịch của các bạn sinh viên.
본 설문의 응답은 옳고 그름의 정답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고 귀하의 특징과 정보에
맞는 대답만을 필요로 합니다. 응다합해주신 내용을 순수한 학술적인 연구 목적으로만

62
사용될 것을 약속합니다. 여러분 한분 한분의 응답은 소중하게 다루어지고 제게 매우
중요한 자료라서 한 문항도 빠짐없이 솔직하게 작성 부탁드립니다.
Câu trả lời trong bản điều tra này không yêu cầu đúng sai mà chỉ cần câu trả lời đúng với thông
tin và đặc điểm của người trả lời. Tôi xin hứa những nội dung được trả lời sẽ chỉ được sử dụng với
mục đích nghiên cứu và học tập. Đây là tài liệu vô cùng quan trọng đối với việc thực hiện khóa
luận. Tôi rất mong các bạn sẽ dành thời gian để trả lời các câu hỏi dưới đây.
다시 한번 본 설문지에 참여해주심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Một lần nữa, tôi xin chân thành cảm ơn.

1. 귀하의 성함은? Tên của bạn là?


………………………………………………………………………………………………………
2.귀하의 반은? Bạn học lớp nào?
………………………………………………………………………………………………………
3. 한국어능력시험 (TOPIK)은 몇 등급을 취득하셨습니까? Bạn đã đạt được TOPIK cấp mấy?
① 1 급/Cấp 1 ② 2 급/ Cấp 2 ③ 3 급/ Cấp 3 ④ 4 급/ Cấp 4
⑤ 5 급 / Cấp 5 ⑥ 6 급/ Cấp 6
4. 한-베 번역 또는 베-한 번역 주에 어느 것을 보다 원활히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까?
Bạn nghĩ biên dịch Hàn – Việt hay Việt – Hàn dễ thực hiện hơn?
……………………………………………………………………………………………………….
5. 번역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평상 시 본인이 스스로 번역 학습해옵니까? Thường ngày
bạn có tự luyện dịch để nâng cao khả năng biên dịch của mình không?
① 예/ Có ② 아니오/ Không
‘예”를 선택하시는 분은 이하의 질문을 답해주십시오. Nếu có bạn hãy trả lời câu hỏi sau đây
5.1. 번역 자습 및 경험 축적차 하던 방법과 그의 빈도를 선택하십시오
Bạn hãy chọn phương pháp đang làm để tự học môn biên dịch và tích lũy kinh nghiệm biên dịch
cũng như tần suất thực hiện phương pháp đó.

63
실행 실행 빈도/ Tuần suất
여부
매주
방법 Có 매달 1~2 번 매일 최소 1 번
1~2 번
Phương pháp thực Mỗi tháng Mỗi ngày ít
Mỗi tuần
hiện 1~2 lần nhất 1 lần
1~2 lần
không?
① ‘번역문 분석-평가’
수업에 나뉜 과제하기
Làm bài tập được giao của
môn học “Phân tích đánh giá
văn bản dịch”
② 베트남어판 또는 한국어
판 다양한 장르의 책, 기사,
글 등 독서
Đọc nhiều thể loại sách, báo,
bài viết,… bằng tiếng Việt
hoặc tiếng Hàn
③ 번역 아르바이트
Làm biên dịch parttime
④ 주제별 한국어 쓰기 연습
Luyện viết tiếng Hàn theo chủ
đề
⑤ 교재를 통한 번역 학습
Luyện dich bằng sách
⑥ 번역전문가와의 상담/ 감수
Hỏi đáp dịch giả chuyên
nghiệp/ nhờ dịch giả hiệu
đính

64
⑦교과과정외의 번역코스
수강
Học khóa biên dich ngoài
chương trình đào tạo

6. 한국어 및 한국문화학부에서 번역과목이 추가로 개설하기를 원합니까?


Bạn có mong muốn Khoa NN&VH Hàn Quốc mở thêm môn học biên dịch không?
①예/Có ②아니오/Không

***수고하셨습니다***

65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