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46

03

03
3.1 건설현장 지반 붕괴사고 사례
1) 국토부 발주자 중심 안전관리체계

설계사 발주청 시공자

위험요소 프로파일 제공
계획 ① 위험요소발굴
과업지시서

기본설계 설계심의
공사발주/입찰안내서 국토교통부
설계
(국토안전관리원)
② 실시설계(DFS) ③ DFS 검토·승인

④ 안전관리계획
안전관리계획 승인
(위험요소 추가발굴)
시공
⑥ 사고조사
⑤ 사고발생시 신고
(위험요소 추가발굴)

사고조사결과 국토부 보고
[출처] 국토교통부, 건설공사 안전관리 매뉴얼, 2016
3.1 건설현장 지반 붕괴사고 사례
2) 터널 붕괴사고
(1) 인천 제2외곽순환고속도로 터널 지표관통 사고

구 분 내 용

발생일시 2016년 3월 28일 12시 20분경

터널 암 발파 후, 여굴 정리 작업(브레카) 중 막장 천정상부의 파쇄암 및


사고개요
토사가 붕괴되어 지표 관통(약 35m)

피해현황 인명피해 없음

일부 구간에서 파쇄대가 존재하고 있으며, 락 볼트(R/B)부위에서 지하수


발생원인 유출이 계속되고 있음에도 적정한 대응 및 후면부 계측을 충실히 실시하지
않은 상태에서 굴착작업을 강행

터널 발파 굴착 시 페이스 맵핑 및 지반상태 조사를 실시 후 암종 및 지반상


태(누수, 파쇄대 분포, 절리방향 등)를 고려하여 적절한 보강을 실시한 후
방지대책
막장면 안전성을 확인하고 후속 발파를 실시
- 지반차수 그라우팅, Fore Poling 시공, 막장면 숏크리트 시공 등

[출처] 국토부, 건설사고 사례집, 2016


3.1 건설현장 지반 붕괴사고 사례
2) 터널 붕괴사고
(2) 서울 효창공원역 복선전철 환승통로 상부 지반침하
줄파기 투수 테스트 구분 내용

발생일시 2016년 1월 2일 오전 3시 30분경

6호선과 경의선의 환승통로 굴착작업 중 확인된


사고개요 콘크리트 덩어리(4m x 1m x 0.5m)를 천공 후 파쇄기
파쇄작업 중 콘크리트 블록 상부토사가 유출(약 25㎥)되어 공동 발생

줄파기 구간 다짐 포장 전 임시 덮개 설치 피해현황 인적 피해 없음

상부토사의 유출로 하부에 잔존된 공동에 의한 지표면 침하 및 동공


발생원인
발생 추정

- 지중침하는 반드시 지표침하 측정과 함께 측정하여 동일한 정확도


방지대책 및 연직변위 양상 확인
- 계측치의 변화 경향 신속히 확인

[출처] 국토부, 건설사고 사례집, 2016


03
3.1 건설현장 지반 붕괴사고 사례
3) 흙막이 붕괴사고
(1) 상도동 유치원 흙막이 붕괴

구분 내용

발생일시 2018년 9월 6일 23시 22분경

아파트 건설현장 부지확보를 위하여 흙막이 공법(소일


네일링 + H-pile + 토류판)으로 상부측에 위치한 상도
사고개요 유치원측 토사를 지지하는 흙막이 공사와 부지공사 중
흙막이 상단 옹벽이 붕괴되면서 유치원 건물 일부가
붕괴

피해현황 유치원 붕괴

- 지반조사 부실 및 현장조건 미반영한 공사 진행


- 현장 관리 부실 : 안전관리계획, 정기점검,
발생원인
가설구조물 구조안전성 검토
- 감리의 지반조건 고려 재검토 및 공사 중지 요구 무시

[출처] 국토부, 건설사고 사례집, 2020


03
3.1 건설현장 지반 붕괴사고 사례
3) 흙막이 붕괴사고
(1) 상도동 유치원 흙막이 붕괴

편토압에 의한 붕괴

① 좌우 비대칭

② 높이 비대칭

③ 지질 차이

[출처] 국토부, 건설사고 사례집, 2020


03
3.1 건설현장 지반 붕괴사고 사례
3) 흙막이 붕괴사고
(1) 상도동 유치원 흙막이 붕괴

[출처] 국토부, 건설사고 사례집, 2020


03
3.1 건설현장 지반 붕괴사고 사례
3) 흙막이 붕괴사고
(1) 상도동 유치원 흙막이 붕괴
✓ 지반원인

1. 사전(8월 20일 이후) 붕괴조짐이 있었음에도 대응 부실

2. 지반조사 결과 부실 : 실재 암반선이 설계보다 낮음(약 7m)

3. 편마암 엽리 주향방향이 지형과 동일 방향(설계 : 역방향)

4. 현지 여건(지반 및 강수조건)을 고려한 구조검토 결과 소일네일링 길이 부족

[출처] 국토부, 건설사고 사례집, 2020


03
3.1 건설현장 지반 붕괴사고 사례
3) 흙막이 붕괴사고
(1) 상도동 유치원 흙막이 붕괴
✓ 관리적 원인

1. 안전관리계획 작성 및 관리 부실 : 감리의 시공품질 확인 누락, 공법 변경 시 계획서


수정 및 확인 미실시

2. 정기안전점검 미실시

3. 가설구조물 구조안전성 확인 누락

4. 감리의 설계도면 수정, 지반조건변경에 따른 대책 수립 및 공사중지 요청에도


미조치

[출처] 국토부, 건설사고 사례집, 2020


3.1 건설현장 지반 붕괴사고 사례
3) 흙막이 붕괴사고
(2) 판교 SK연구소 신축공사 흙막이 붕괴

구분 내용
발생일시 2009년 2월 15일 8시 25분경

- 깊이 약 22m 정도 지반굴착 중 어스앵커 지지형식의


사고개요 흙막이 벽체가 붕괴되면서 근접 설치된 복공판이 붕괴
- 흙막이 배면의 암반에서 쐐기 파괴 발생

피해현황 사망 3명, 부상 13명

- 절리에 지하수 유입
- 설계 시공단계 충분한 지반조사 어려움
발생원인
- 초과하중과 암반활동으로 순차적 앵커 항복
- 암반파괴에 의한 추가 횡력작용 및 활동면 저하 감소
- 어스앵커가 안정된 암반에 정착
방지대책 - 측구, 비닐덮개 설치로 흙막이 배면 유입수
- 벽체공법 : H-pile + 토류판 침투(토압상승) 방지
- 지지공법 : 앵커
3.1 건설현장 지반 붕괴사고 사례
3) 흙막이 붕괴사고
(3) 관악구 서희스타힐스 흙막이 붕괴

구분 내용

발생일시 2013년 3월 17일 오전 9시 30분경

복합적인 요인(강우, 편토압 등)으로 가시설 벽체


사고개요
코너부가 붕괴

피해현황 인적 피해 없음

- 굴착주변 지반의 자중 증가(강우)


발생원인 - 기반암의 경사로 측압발생
- 일시적인 편토압 발생

- 지반조건을 고려한 흙막이 구조검토 실시


방지대책
- 해빙기 안전점검 실시
03
3.1 건설현장 지반 붕괴사고 사례
3) 흙막이 붕괴사고
(4) 은평구 흙막이 붕괴

구분 내용
발생일시 2015년 12월 26일 오전 4시 37분경

빌라신축을 위한 흙막이 가시설 공사 중 굴착배면의


사고개요
기존 건축물에 부등침하 발생

피해현황 인근 15세대 주택 균열 및 담장 일부 파손

- 3단 지보재 미설치 상태에서 과굴착(6.5m)


- 수직, 수평 브레이스 미시공
발생원인
- 인근 주택측 E/A 미시공
- CIP 수직도 불량(누수, 토사유출)

- 흙막이 굴착 및 지보재 설치 기준 준수
방지대책 - CIP 정밀시공으로 벽체의 수직도 확보
- 편토압(높이차 8m) 취약부분에 대한 충분한 보강

[출처] 국토부, 건설사고 사례집, 2020


3.1 건설현장 지반 붕괴사고 사례
3) 흙막이 붕괴사고
(5) 용인 물류센터 외벽 흙막이 붕괴
B/H 380 : 6.9 ton/m² 구 분 내 용
발생일시 2017년 10월 23일 10시 30분경

기설치된 흙막이 가시설의 Earth Anchor를 제거하기 위해


건축외벽
사고개요 순차적으로 띠장 해체작업 중 가설 흙막이(높이 4.3~19m)가 붕괴
풍화토층
되면서 건축 외벽(높이 31.3m)이 붕괴
되메우기
(느슨한 모래) 피해현황 사망 1명, 부상 5명
EA-7,8동시해체
- 외벽과 구조체 연결 작업순서 변경
EA-7,8동시해체 - 흙막이 가시설 해체 영향이 지반 및 지지구조의 저항을 초과하면서
풍화압층 발생원인
EA-8동시해체 앵커의 파단을 시작으로 연쇄적으로 흙막이 붕괴와 더불어 외벽이
붕괴

- 흙막이 해체 전 해체 안정성 검토 이행
방지대책 - 공종별 감리, 검측업무의 체계적 시행 및 활동기록 유지
- 시공계획 준수 시공

[출처] 국토부, 건설사고 사례집, 2020


03
3.1 건설현장 지반 붕괴사고 사례
3) 흙막이 붕괴사고
(5) 용인 물류센터 외벽 흙막이 붕괴
- 실제 시공 현황(이동식 크레인 작업동선 확보를 위하여 작업 순서 변경)

흙막이 흙막이

연결슬래브
연결슬래브
미시공
미시공

적정 시공계획 실제 시공(외벽-구조체 연결 없이 해체)

[출처] 국토부, 건설사고 사례집, 2020


03
3.1 건설현장 지반 붕괴사고 사례
3) 흙막이 붕괴사고
(6) 대구시 신축공사장 흙막이 붕괴

구분 내용
발생일시 2016년 2월 5일 7시 59분경

지하부 굴착(13m) 완료 후 매트 타설 준비 중 인근
사고개요
가설 창고측 흙막이 벽체(e-PHC파일) 붕괴

피해현황 가설창고 바닥(30𝑚²) 붕괴

- 설계 시 가설창고(부품) 상재하중 미고려


발생원인 - 지하수 차수 불량 등에 따른 지반 연약화와 PHC파일의
근입깊이 부족과 스트레스 및 띠장 설치 불량

토질조건, 흙막이구조, 굴착규모, 굴착방법, 지하매설물의


유무, 본 구조의 시공법, 인접 구조물 등과의 관련을
방지대책
고려하여 공정의 각 단계에서 충분한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는 흙막이 구조물 시공계획

[출처] 국토부, 건설사고 사례집, 2016


03
3.1 건설현장 지반 붕괴사고 사례
4) 지반침하
(1) 금천구 오피스텔 신축공사장 인근 지반침하

구분 내용

발생일시 2018년 8월 31일 4시 40분경

지하 3층 바닥공사 중, 폭우로 지표수가 유입되면서 배면


사고개요 토사 유출 등으로 일부구간 가설흙막이 붕괴 및 인근 상부
도로가 침하 발생

피해현황 부상 2명

- 흙막이 배면 차수 및 배수시설 미흡
발생원인
- CIP 손상 및 흙막이 배면토사 유실
- 자체 안전점검 시행으로 CIP 흙막이 벽체 누수, 수직도
유지 및 변형상태 확인
방지대책 - 강우 시 지표수 유입방지 시설 설치 및 계측을 통한 지하
수위 및 지중응력 모니터링
- CIP의 충분한 근입 깊이와 수직도 확보
[출처] 국토부, 건설사고 사례집, 2020
03
3.1 건설현장 지반 붕괴사고 사례
4) 지반침하
(2) 고양 업무시설 신축공사 중 지반침하
구분 내용
발생일시 2019년 12월 12일

업무시설(지하 5층, 지상 10층, 철콘 및 철골) 건축공사 중


사고개요
인근 도로 침하발생(10m×25m×7m), 공정률 20%

피해현황 교통통제

- 공사현장 지하연속벽 시공 미흡
- 이로 인한 벽체 이음부 틈새로 지하수 유입
발생원인
- 지하수 유입과 함께 배면 토사 유출로 도로 하부 공동
발생(추정)

- 지하안전영향평가 승인 시 제시한 안전 확보방안(38)개


준수
방지대책 - 지하연속벽 시공 철저
- 시공 중 틈새, 지하수 및 토사 유출 정기 모니터링 후
즉시 보완조치
[출처] 국토부, 건설사고 사례집, 2020
3.1 건설현장 지반 붕괴사고 사례
5) 비탈면 붕괴
(1) 국토건설공사 중 비탈면 붕괴(경사오류)

인장균열 폭 : 7~10m 구 분 내 용

국도공사 중 지반을 리핑암-발파암으로 판단하고 1:1.2로 경사로


사고개요 설계된 비탈면(높이 28m) 상단에서 인장균열이 발생되면서 원호파괴
(슬라이딩) 발생

인장균열 깊이 : 3~5m 이상 - 지반 강도만을 고려하여 경사 설계(1:1.2)


발생원인 - 단층파쇄대 및 절리 발달 미고려
- 지반이 수분 노출 시 점착력이 없는 연약사질토로 변경된 사실 미반영

- 지반의 역학적 특성을 고려한 설계


- 충분한 사전 지질조사 및 굴착단계별 페이스 맵핑을 통한 지반상태를
고려한 설계변경 등 시행
방지대책
- 지반상태 불량 시 지반(지질) 전문가 참여
- 대응방안 : 비탈면 경사완화 및 Soil Nail, 계단식 옹벽 시공을 통한
안정화 필요

[출처] 장범수, 최근 건설현장및 시설물 사고유형과 원인, 건설안전포럼, 2010


3.1 건설현장 지반 붕괴사고 사례
5) 비탈면 붕괴
(2) 고속도로 건설공사 중 비탈면 붕괴(경사 오류)

구 분 내 용

사고개요 고속도로 절토 암반사면(사질세일 및 사암) 공사 중 암반 절리면을 따라 쐐기파괴 발생

- 설계 시 단순히 암반강도(풍화암 및 연암)만을 고려하여 경사설계(1:1)


발생원인
- 강도상으론 문제가 없으나 층리 및 절리가 매우 발달한 것을 미고려

- 지반의 역학적 특성을 고려한 설계


방지대책
- 충분한 사전 지질조사 및 굴착단계별 페이스 맵핑을 통한 지반상태를 고려한 설계변경 등 시행

[출처] 장범수, 최근 건설현장 및 시설물 사고유형과 원인, 건설안전포럼, 2010


03
3.1 건설현장 지반 붕괴사고 사례
5) 비탈면 붕괴
(3) 고속도로 건설공사 중 비탈면 붕괴(경사오류)

구분 내용

고속도로 공사 중 지반을 연암-보통암으로 판단하고 경사를


사고개요 1:1.2로 설계된 비탈면(높이 28m) 상단에서 인장균열
발생 및 다양한 형태의 균열에 따른 파괴가 발생

- 강도만을 고려하여 경사설계(1:1.2)


- 깎기로 인한 응력제거로 인장균열 발생 및 수직절리
발생원인 미고려
- 지반 대기 노출로 인한 급격한 풍화발생
- 우수로 인한 인장균열이 확대되어 층리면을 따라 붕괴

- 지반의 역학적 특성을 고려한 설계


- 충분한 사전 지질조사 및 굴착단계별 페이스 맵핑을
방지대책
통한 지반상태를 고려한 설계변경 등 시행
- 지반상태 불량 시 지반(지질) 전문가 참여

[출처] 장범수, 최근 건설현장 및 시설물 사고유형과 원인, 건설안전포럼, 2010


3.1 건설현장 지반 붕괴사고 사례
5) 비탈면 붕괴
(4) 창원 일반산업단지 토사 절취면 붕괴

보강압성토 시공 중 구 분 내 용
사면 붕괴
발생일시 2018년 5월 27일 10시 30분경
토사사면
(2~3m) 사고개요 산업단지 상단 토사 절취면(2~3m)가 붕괴

피해현황 사망 1명, 부상 2명
전체 사면높이
(7~10m)
- 토질이 풍화 잔류토임에도 경사 90도로 시공(절취)하여 절취부
발생원인 상단에서 인장력이 작용하여 절취면 일부가 국부적으로 붕괴
- 붕괴 이외 지역 : 다수의 인장균열 발생

- 지층상태(엽리, 절리방향 등) 및 종류에 따라 적정 기울기 사용


- 시방서에 따른 작업순서 및 공법 적용
방지대책
- 공사 중 경사면 및 상부 지반상태 확인 : 균열, 부석, 용수 및 변화량,
보호공 탈락

[출처] 국토부, 건설사고 사례집, 2020


03
3.1 건설현장 지반 붕괴사고 사례
6) 옹벽 붕괴
(1) 김해시 ○○산단 보강토옹벽 붕괴
구분 내용
발생일시 2016년 2월 29일 9시 21분경

보강토옹벽 상단부에 건축행위를 하기 위해 설치한 L형


사고개요
옹벽의 저판 보수작업 중 하부 보강토옹벽 붕괴

피해현황 사망 2명, 부상 2명

- 보강토옹벽 상부에 설치한 높이 3m의 L형 옹벽이 하부


보강토옹벽의 과재하중으로 작용
발생원인
- 해빙기로 인하여 느슨해진 지반에 우수 등 지표수
침투로 지반이 연약해져 붕괴 발생된 것으로 추정

- 보강토 옹벽 및 L형 옹벽 시공에 앞서 먼저 설계조건,


시공위치, 단면의 치수, 옹벽배면의 여건(구조물과의
방지대책
이격거리, 과재하중, 지하매설물의 위치, 용출수의 유무
등)을 확인

[출처] 국토부, 건설사고 사례집, 2020


03
3.1 건설현장 지반 붕괴사고 사례
6) 옹벽 붕괴
(2) 하천옹벽 보강공사 중 노후옹벽 붕괴
구분 내용

발생일시 2017년 9월 20일 18시 40분경

노후옹벽 보강공사의 자재반입을 위해 기존 노후옹벽


사고개요 구간에 덤프트럭이 진입하자 노후옹벽이 토사와 함께
붕괴

피해현황 부상 1명
25t 덤프트럭
기초 없이 노출된 노후옹벽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건축물
흙막이 지보공 설치 등 별도의 보강시설 없이 25t 덤프
발생원인
트럭으로 과중한 발파석 자재를 반입하여 사면상부
도로폭 약 5m 하중의 증가
노후옹벽 기존옹벽
(2.5m) (3.5~4m)
기존 노후옹벽부의 침하방지를 위한 노폭 확보 및
방지대책
하상정비구간 포장 안정성 확보를 위한 보강시설 반영
약 2.5m

[출처] 국토부, 건설사고 사례집, 2020


03
3.1 건설현장 지반 붕괴사고 사례
6) 옹벽 붕괴
(3) 청주 단지옹벽 시공을 위한 절취비탈면 붕괴
구분 내용
발생일시 2017년 7월 11일 7시 20분경

단지조성용 옹벽(L형, 높이 5m) 을 위하여 비탈면


사고개요 (높이 12m)을 절취 후, 옹벽벽체 거푸집 설치 중
비탈면 중간부(5~6m지점) 토사(4~5㎥)가 붕괴

피해현황 부상 2명

전일 집중호우 지표수가 비탈면 토사층에 침투, 간극


발생원인
수압 증가 및 단위중량 증가로 인해 쐐기형태로 붕괴

- 절취비탈면 기울기 확보 및 시공 중 안전성여부


풍화잔류토
모니터링
거푸집 - 표면수나 용출수에 의한 세굴 또는 붕괴 우려 시,
전도 (h=4.8m) 방지대책
4~5m³
5~6m 14~15m 배수시설 설치하여 세굴 방지
5~6m - 우기 시 지표수 침투방지를 위한 방수포 덮개 설치 등
안전조치
[출처] 국토부, 건설사고 사례집, 2020
3.1 건설현장 지반 붕괴사고 사례
7) 관로 붕괴
(1) 오산 하수관로 정비공사 중 토사 붕괴

APT 휀스
구 분 내 용
보도(3.0m) 차도
적치토사 발생일시 2016년 10월 19일 11시 3분경
(약 2m³)

녹지
보도(3m) 하부에 우수관로를 설치하기 위한 굴착작업 중
붕괴 보차도경계석 사고개요
굴착면 인근에 적치한 토사의 일부가 붕괴
보도(1.0m) 굴착폭(1.5m) 보도(0.5m)

지역난방관로 피해현황 사망 1명
(250mm)
굴착심도(2.5m)
공사 부지가 협소하여 굴착토사를 굴착면 인근에 적치하여
발생원인
토사의 자중에 의해 붕괴된 것으로 추정

- 굴착토는 굴착면에 영향을 미치는 범위 밖에 적치


상수관로
(주철 400mm) 방지대책 - 토사지반에서 흙막이 지보공 미설치 시에는 굴착 깊이 1.5m
이하로 제한

[출처] 국토부, 건설사고 사례집, 2016


03
3.2 지반 붕괴사고 재발방지 방안
1) 지반굴착(터파기) 사고 재발방지 대책
(1) 지반조사 및 안전작업 계획 수립
가. 설계 시 지반상태 조사를 통한 굴착공법, 시기 및 작업순서 결정 ★
• 지반 형상, 지질 및 지층의 상태
• 균열, 함수, 용수, 동결 유무 및 지하수위
• 지하매설물 도면 확인 및 매설물의 유무 또는 상태
• 인접구조물의 현황 및 상태
나. 굴착 전 안전작업 계획 수립
• 지반형상, 지층상태, 지하수위 등 사전조사 결과에 따라 굴착공법 및 순서, 토사반출 방법
• 작업에 지장을 주는 지하매설물(가스관, 상하수도관 등) 이설계획
• 우수 및 용출수 배수 처리
• 작업자 간의 연락 및 신호체계
• 흙막이 지보공을 설치 시 계측계획 수립
• 유해가스 발생장소는 유해가스 측정 및 환기계획
[출처] 국토교통부, 건설공사 안전관리 매뉴얼, 2016
03
3.2 지반 붕괴사고 재발방지 방안
1) 지반굴착(터파기) 사고 재발방지 대책
(2) 공사 중 토질 및 암질변화에 따른 추가조사
• 비탈면, 터널, 터파기 공사 중 단층, 지하수맥, 심각한 토질 및 암질 변화 확인 또는
예상되어 추가조사 및 설계변경 필요시 추가조사 후 발주자(또는 감리)에게 보고
• 추가조사 결과, 작업계획 재검토 필요시, 해당 공사 중지
• 발주자는 설계변경 필요성을 검토하여 반영하고, 소용비용 지급

(3) 페이스 맵핑 실시
• 대상 : 높이 10m 이상의 비탈면 흙깎기 및 터널 굴착, 지하 19m 이상 굴착
* 단, 토사 비탈면 또는 5m 미만 암반비탈면은 현황도 작성 생략 가능
• 자격 : 지반분야 고급기술자(토질 또는 응용지질분야 실무경력 5년 이상)
• 방법
① 일정단계(막장 또는 소단별)마다 페이스 맵핑
② 맵핑 결과를 반영, 비탈면 보강 또는 터널 지보량의 적정성 여부 판단
③ 급격한 토(암)질 변형발생 시 지반전문가의 안전성 검토 실시

[출처] 국토교통부, 건설공사 안전관리 매뉴얼, 2016


03
3.2 지반 붕괴사고 재발방지 방안
1) 지반굴착(터파기) 사고 재발방지 대책
(4) 지반굴착 작업의 안전확보 조치
• 수립한 안전작업계획에 따라 작업 실시
• 지반조사 및 안전성 검토결과에 따른 굴착면 기울기 준수
✓ 깎기 비탈면 표준경사 : 비탈면 설계기준

사질토 점성토 풍화암


1:0.8 - 1:1.2 1:0.8 – 1:1.5 1:1.0 – 1:1.2

* 깎기 비탈면 경사는 별도의 안정성 해석 수행이 원칙이나, 풍화암 이하의 강도 비탈면은


지반분야 책임기술자의 판단에 따라 표준경사 적용가능(표준경사 세부사항 : 설계기준 참고)
• 굴착 토사 또는 자재 등을 경사면 및 굴착 배면에 적재 금지
• 매설물, 장애물 등에 주의하고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
• 용수 발생 시 작업을 중단 후, 신속히 배수 조치
• 흙막이 지보공 배면 유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차수조치
• 도시가스 누출, 메탄가스 등 발생우려 시 화기 사용 금지
• 위험장소에는 표지판 설치 또는 감시인을 배치 (계속)
[출처] 국토교통부, 건설공사 안전관리 매뉴얼, 2016
03
3.2 지반 붕괴사고 재발방지 방안
1) 지반굴착(터파기) 사고 재발방지 대책
(4) 지반굴착 작업의 안전확보 조치
• 강우 또는 발파작업 후 점검 사항
- 전 지표면 답사 - 경사면의 지층 변화부 상황 확인
- 부석 상황 변화 확인 - 용수 발생 유무 및 용수량 변화
- 경사면 보호공 변위, 탈락 유무 - 계측계획 및 계측결과 확인

2) 흙막이 지보공 사고 재발방지 대책


(1) 부재의 설치순서에 맞게 굴착 진행, 과다 굴착 금지 및 적기 지보공 설치
(2) 흙막이 지보공 설치 장소의 지하수, 지형 및 지질 등을 고려 계측기 설치 ★
- 지하수위계 - 경사계 - 하중 및 침하계 - 응력계

(3) 변위량이 허용범위 초과 시 즉시 조치


(4) 앵커 설치 시 재인장을 고려 강선을 여유를 두고 절단
(5) 정기적으로 앵커 인장력을 확인, 손실발생 시 재인장 등 보강대책 수립
(6) 히빙(Heaving), 파이핑(Piping) 및 보일링(Boiling) 현상대비 지보공 하단부
굴착 시 이상유무 정밀관측
03
3.2 지반 붕괴사고 재발방지 방안
2) 흙막이 지보공 사고 재발방지 대책

히빙(Heaving) 방지 ★

구분 내용

수위가 높은 연약성 점토지반 굴착 시 흙막이벽 뒤쪽


현상 흙의 중량이 굴착부 바닥의 지지력 이상으로 높아
굴착부 저면이 솟아오르는 현상

- 굴착저면이 솟아오르고 측벽이 융기


결과
- 배면의 토사가 붕괴되고 지보공 파괴

- 주변수위 저하, 흙막이벽 근입도 증가


방지대책 - 주변의 상재하중 제거, 배면토압 경감
- 시트파일 재 타입, 약액주입 및 탈수 병행

[출처] 정광섭, 경희대 강의자료, 2020


03
3.2 지반 붕괴사고 재발방지 방안
2) 흙막이 지보공 사고 재발방지 대책

파이핑(Piping) 방지

구분 내용

수위차가 있는 지반에서 파이프 형태의 수맥이 발생,


현상
사질층의 물이 배출되는 현상

수밀성이 적은 흙막이벽 또는 흙막이벽 부실시공으로


결과
인한 구멍 또는 이음새로 지하수가 배출되어 발생

- 지하수위를 저하
방지대책 - 차수성(수밀성)이 좋은 흙막이공법을 선정
- 흙막이벽을 밀실하게 시공

[출처] 정광섭, 경희대 강의자료, 2020


03
3.2 지반 붕괴사고 재발방지 방안
2) 흙막이 지보공 사고 재발방지 대책

보일링(Boiling) 방지

구분 내용

지하수위가 높은 사질토지반에서 굴착부와 지하수의


현상 수두차에 의해 침투압이 생겨 흙막이벽 부근의 모래가
액상화되어 솟아오르는 현상

- 굴착면과 배면토 수두차로 침투압이 발생


결과
- 분사현상(Quick Sand)으로 흙막이 붕괴

- 주변 수위 저하, 흙막이벽 근입도 증가


방지대책
- 토사를 치환, 안정액을 사용하여 지반을 고결

[출처] 정광섭, 경희대 강의자료, 2020


03
3.2 지반 붕괴사고 재발방지 방안
2) 흙막이 지보공 사고 재발방지 대책
(7) 지하수 및 빗물관리
가. 지하수

- 건천수와 피압수로 구분, 차수대책 마련

- 피압수로 인한 흙막이 붕괴 방지 대책 마련

나. 우수

- 현장주변 우수, 하수 관거 및 배수체계 관리

- 흙막이 주변 물막이턱 설치, 관리

- 흙막이 주변부지 및 도로 균열 등 빗물유입 방지

(8) 편토압 발생 방지
- 좌·우 비대칭에 의한 편토압 발생

- 높이 비대칭에 의한 편토압 발생

- 지질 차이에 의한 편토압 발생
3.2 지반 붕괴사고 재발방지 방안
흙쌓기 비탈면
3) 비탈면 붕괴 재발방지 대책 쌓기 비탈면
암쌓기 비탈면
(1) 건설공사 비탈면 분류 건설공사 비탈면
흙깎기 비탈면
깎기 비탈면
암깎기 비탈면

쌓기 비탈면
비탈어깨

사면경계 깎기 비탈면

비탈길이
소단 쌓기
비탈면
높이 Anchor

길어깨
원지반
비탈면경사

비탈끝 이격부
03
3.2 지반 붕괴사고 재발방지 방안
3) 비탈면 붕괴 재발방지 대책
(2) 비탈면 조사 및 안전작업 계획 수립
• 비탈면 설계에 필요한 자료 및 정보 취득을 위해 예비조사, 본 조사, 보완조사 실시

• 사업규모 및 예상 비탈면 규모를 고려 조사계획을 수립하여 실시

- 조사목적 - 조사항목 및 조사방법 - 조사위치 수량

(3) 예비조사, 본 조사 및 보완조사의 구체적인 방법, 수량 기준


• 건설공사 비탈면 설계기준에 따름

(4) 시공 시 실시하는 비탈면 조사 내용


• 설계단계 미비된 내용

• 녹화공법 적용을 위한 조사

• 배수시설을 적용을 위한 조사

• 시공 중 안정해석을 위한 조사
03
3.2 지반 붕괴사고 재발방지 방안
3) 비탈면 붕괴 재발방지 대책
(5) 비탈면 작업 시 안전조치
✓ 쌓기 비탈면

• 쌓기 재료 : 설계두께로 수평으로 포설하고, 다음 층 포설 전 다짐

• 교층 포설 : 점성토, 사질토와 같이 특성이 다른 재료는 교대로 층을 이루도록

• 쌓기 속도 : 재료와 지반조건을 고려하여 산정된 최적 성토속도에 따라 시공

✓ 깎기 비탈면

• 암 발생 즉시 불연속면의 경사, 절리간격, 암종, 용수지점, 절리 충진물질 등을


조사하여 비탈면 안전여부를 판단하고,

• 그 결과를 발주자 또는 감리원에게 보고하고, 현황도(페이스 맵핑)를 관리

• 높이 20cm 이상 흙깎기 공사는 소단별로 암 분류(판정)를 실시, 절취 단계별로


보강 실시 후 다음단계 굴착

• 깎기 시공 중 토질의 변화, 용출수 상황 등을 관찰, 기록하고 발주자에게 보고


03
3.2 지반 붕괴사고 재발방지 방안
3) 비탈면 붕괴 재발방지 대책
(6) 지반조건별 파괴에 미치는 영향요인

내부 파괴 요인 외부 파괴 요인
구분
지반 상태 사면 형상 자연적 요인 인위적 요인
표면상태
토질조건 사면의 경사
토사사면 강우/지하수 보호/보강상태
토층 심도율 집수지형
배수상태
지반강도 특성 절취상태
연약암반
사면 면구조경사 사면의 경사 강우/지하수 보호/보강상태
내구성(풍화상태) 배수상태
암 절리간격 절취상태
반 파쇄암반
사 사면 저면경사 사면의 경사 강우/지하수 보호/보강상태
면 절리상태 배수상태

절리주향 절취상태
절리암반
사면 절리경사 사면의 경사 강우/지하수 보호/보강상태
절리상태 배수상태

[출처] 국토교통부,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 실시 세부지침, 2019. 9


03
3.2 지반 붕괴사고 재발방지 방안
3) 비탈면 붕괴 재발방지 대책
(7) 비탈면 붕괴유형(Hoek & Bray의 분류, 1981) ★ ➔ 파괴활동면의 형상에 따라 분류
✓ 원호파괴 : 지반이 매우 약하거나 절리의 발달이 심한 암반 등에서 발생

- 일정한 지질구조 형태를 보이지 않는 토사, 풍화암, 파쇄암반 등에서 발생


3.2 지반 붕괴사고 재발방지 방안
3) 비탈면 붕괴 재발방지 대책
(7) 비탈면 붕괴유형(Hoek & Bray의 분류, 1981) ★ ➔ 파괴활동면의 형상에 따라 분류
✓ 평면파괴 : 사면의 경사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불연속면을 따라 미끄러짐 발생

- 절리면 주향이 절토사면 주향의 20 ° 내외

- 절토사면 경사 > 절리면 경사 > 절리면 내부마찰각


3.2 지반 붕괴사고 재발방지 방안
3) 비탈면 붕괴 재발방지 대책
(7) 비탈면 붕괴유형(Hoek & Bray의 분류, 1981) ★ ➔ 파괴활동면의 형상에 따라 분류
✓ 쐐기파괴 : 두 개의 불연속면으로 이루어진 블록이 사면의 경사방향(교선방향)을 따라
미끄러지는 파괴

- 절토사면의 경사방향과 교선방향이 유사

- 절토사면 경사 > 교선의 경사 > 절리면 내부마찰각


3.2 지반 붕괴사고 재발방지 방안
3) 비탈면 붕괴 재발방지 대책
(7) 비탈면 붕괴유형(Hoek & Bray의 분류, 1981) ★ ➔ 파괴활동면의 형상에 따라 분류
✓ 전도파괴 : 암주나 암석블록이 고정된 어떤 기준점에 대해 회전하면서 파괴

- 절토사면의 주향과 절리면의 주향이 유사

- 절토사면 경사방향과 절리면의 경사방향이 반대


03
3.2 지반 붕괴사고 재발방지 방안
3) 비탈면 붕괴 재발방지 대책
(8) 절토사면의 붕괴원인
기후적 수리 집중강우, 동결융해
수리적 원인 인위적 수리 전답, 과수원

지형적 수리 계곡부(집수지형)

불연속면 단층, 절리, 층리, 암맥


붕괴원인 지질적 원인
취약암질
• 유수침식
• 단위중량 증가
• 인장균열 발생
설계부실 • 세굴
• 간극수압 증가
인위적 원인 시공부실
• 점착력 감소
유지관리부실

[출처] 국토안전관리원, 정밀안전진단반(교량 및 터널반) 교육교재, 2020


03
3.2 지반 붕괴사고 재발방지 방안
3) 비탈면 붕괴 재발방지 대책
(9) 절토사면 안전성 해석절차

토사사면 암반사면

한계 평형해석 평사투영해석
(원호파괴)

파괴 유형 결정

한계 평형 해석

안전율 계산

안전성 평가 결과

[출처] 국토교통부,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 실시 세부지침, 2019. 9


03
3.2 지반 붕괴사고 재발방지 방안
3) 비탈면 붕괴 재발방지 대책
(10) 쌓기비탈면 붕괴유형 및 원인

[출처] 송평현, 비탈면 안전 및 설계


3.2 지반 붕괴사고 재발방지 방안
3) 비탈면 붕괴 재발방지 대책
(10) 쌓기비탈면 붕괴유형 및 원인

편절편성구간 횡단배수구 막힘

노면으로부터 계곡부로부터 노면으로부터


물이 유입 물이 유입 물이 유입
낮은 지대로 집수
인접부에서나무, 낮은지대로집수
토사, 토석 노면수
절토비탈면 성토비탈면
배수유로를 막음 성토비탈면
토층내로 지표수
빗물 유입 및 토층내로 지표수
표면세굴발생 절토비탈면 유입 및
표면세굴발생
도로 노면수
도로
편절편성구간
기층재 기층재
성토비탈면 유실
성토비탈면
암반 배수로기능양호 횡단배수로
성토비탈면

원지반선
암반

[출처] 송평현, 비탈면 안전 및 설계

You might also like